2022/07/06

Vajrayana - Wikipedia밀교(密敎)

Vajrayana - Wikipedia

Vajrayan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vajra and bell (ghanta), which are classic ritual symbols of Vajrayāna

Vajrayāna (Sanskritवज्रयान, "thunderbolt vehicle", "diamond vehicle", or "indestructible vehicle" ) along with MantrayānaGuhyamantrayānaTantrayānaSecret MantraTantric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are names referring to Buddhist traditions associated with Tantra and "Secret Mantra", which developed in the medieval Indian subcontinent and spread to TibetNepalEast AsiaMongolia and other Himalayan states.

Vajrayāna practices are connected to specific lineages in Buddhism, through the teachings of lineage holders. Others might generally refer to texts as the Buddhist Tantras.[1] It includes practices that make use of mantrasdharanismudrasmandalas and the visualization of deities and Buddhas.

Traditional Vajrayāna sources claim that the tantras and the lineage of Vajrayāna was taught by the Buddha Shakyamuni and other figures such as the bodhisattva Vajrapani and Padmasambhava. Contemporary historians of Buddhist studies meanwhile argue that this movement dates to the tantric era of medieval India (c. 5th century CE onwards).[2]

According to Vajrayāna scriptures, the term Vajrayāna refers to one of three vehicles or routes to enlightenment, the other two being the Śrāvakayāna (also known pejoratively a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a.k.a Pāramitāyāna).

There are several Buddhist tantric traditions that are currently practiced, including Indo-Tibetan BuddhismChinese Esoteric BuddhismShingon Buddhism and Newar Buddhism.

Terminology[edit]

In Tibetan Buddhism practiced in the Himalayan regions of IndiaNepal, and Bhutan, Buddhist Tantra is most often termed Vajrayāna (Tib. རྡོ་རྗེ་ཐེག་པ་, dorje tekpa, Wyl. rdo rje theg pa) and Secret mantra (Skt. Guhyamantra, Tib. གསང་སྔགས་, sang ngak, Wyl. gsang sngags). The vajra is a mythical weapon associated with Indra which was said to be indestructible and unbreakable (like a diamond) and extremely powerful (like thunder). Thus, the term is variously translated as Diamond Vehicle, Thunderbolt Vehicle, Indestructible Vehicle and so on.

Chinese Esoteric Buddhism it is generally known by various terms such as Zhēnyán (Chinese: 真言, literally "true word", referring to mantra), Tángmì or Hanmì (唐密 - 漢密, "Tang Esotericism" or "Han Esotericism"), Mìzōng (密宗, "Esoteric Sect") or Mìjiao (Chinese: 密教; Esoteric Teaching). The Chinese term  密 ("secret, esoteric") is a translation of the Sanskrit term Guhya ("secret, hidden, profound, abstruse").[3]

In Japan, Buddhist esotericism is known as Mikkyō (密教, "secret teachings") or by the term Shingon (a Japanese rendering of Zhēnyán), which also refers to a specific school of Shingon-shū (真言宗).

===

밀교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밀교 (미쿄)는 비밀 [주 1] 의 가르침을 의미하는 [2] 대승 불교 중의 비밀교 [3] 이며, 비밀 불교 의 약칭 [4] . 금강승 , 금강1승교 , 금강승교 라고도 한다 .

의미와 위치 지정 [ 편집 ]

일본 에서는 진언종 의 동밀 이나 천대 종 에서 의 대밀 을 가리키지만, 인도 나 티베트 에 있어서의 동종의 불교 사상도 포함해 총칭하는 일도 있다 [6] . 불교학 은 밀교를 「후기 대승」에 포함하지만, 일부는 후기 대승과 밀교를 구별하려는 생각도 있다 [7] [8] .

또, 인도에서의 대승불교에서 밀교로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의 어프로치에 대해, 진언종 의 승려· 불교학자 인 마츠나가 유케이 는 이하의 3개로 정리하고 있다 [9] :

  1. 대승불교와 밀교를 각각 이질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를 위치시키는 방법(일본의 진언종 등, 후술).
  2. 대승불교와 밀교를 같은 기반에서 파악한다: 용수 나 제파 가 중관 사상에서 후기 밀교 사상에 도달했다는 것처럼, 철학적 사색의 진전의 귀결로서 밀교가 등장했다고 파악하는 방법(티벳 불교 등)
  3. 대승불교에서 밀교로의 전개를 철학적 사색의 진전에 요구하지 않고, 종교 혹은 순수하게 신앙의 영역으로서 처리하는 방법( 샤시브 산 다스구프타 영어판 ) , 인도·서유럽의 불교학자 등).

마츠나가는 이 가운데 세 번째 잡는 방법을 가장 타당하게 하면서도 '밀교' 속에 인도 중기밀교가 거의 포함되지 않고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진언종에서는 현교 와 대비되는 곳의 가르침으로 여겨진다 [10] . 인도 불교의 현교와 밀교를 계승한 티베트 불교 에 있어서도, 대승을 현교와 진언 밀교로 나누는 형태로 현밀의 가르침이 전해지고 있다. 밀교의 다른 용어로는 금강승 (vajrayāna, 바쥬라야나), 진언승 (mantrayāna, 만트라야나) 등으로도 불린다.

금강승이라는 용어

금강이라는 말은 이미 부파불교 시대의 경론에서 보이고 [11] , 부파불전의 논장 ( 아비다르마 )의 시대부터, 보리수 하에 있어서의 석가의(강마)성도는, 금강(보물) 자리로 이루어져 묘사가 보이지만 [12] [13] , 금강승의 단어가 출현하는 것은 밀교 경전에서이다 [14] . 금강승 의 말은, 금강정경 계통의 인도 밀교를, 성문승 ·대승과 대비해, 제3의 최고의 가르침이라고 보는 입장으로부터의 명칭이지만, 다이니케이 계통도 포함한 밀교의 총칭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15] 서구에서도 문헌 중에 불교 용어로 등장한다.

영어 번역

영어로는 구미의 학자에 의해 밀교(비밀불교)에 자주 Esoterism의 번역어가 들어간다. Esoterism으로 여겨지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 해석이 주어지고 있다. 첫째, 밀교는 입문 의례(관정)를 통과한 유자격자 이외에 나타나지 않는 가르침인 것, 둘째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부처의 깨달음을 설한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들 수 있다 [16] .

개요 편집 ]

밀교는 「아자관」으로 대표되는 시각적인 명상을 중시하고 만다라 나 법구류, 관정 의 의식을 수반하는 「인신」이나 「삼아야형」등의 상징적 인 가르침을 취지로 하고 그것을 사람 이외에는 나타내서는 안되는 비밀의 가르침으로 여겨진다 [주 2] .

공해 (홍법대사)는 밀교가 현교 와 다른 점을 ' 변현밀이교론 '에서 '밀교의 삼원칙'으로 다음과 같이 꼽고 있다.

  1. 법신설법(법신은 스스로 설법 하고 있다.)
  2. 과분 가설(불도의 결과인 기억 은, 설할 수 있다.)
  3. 즉신성불 (이 몸대로, 부처가 될 수 있다. 된다.)

밀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금세(이 세상)에 있어서의 성불인 「즉신성불」을 설교하고, 「전법 관정」의 의식을 가지고 「사병(샤병)과 같이」[주 3] 라고 사가 제자에게 반대로 교리를 완전히 상속했음을 증명하고 수자에게 아리 (교사)의 칭호와 자격을 준다. 인도 밀교를 계승한 티베트 밀교가 한때 '라마교'라고 칭해진 것은 티베트 밀교에서는 사자상승에 있어서의 개별의 전승인 혈맥을 중첩해, 자신의 「근본 라마」( 사승 )에 대해서 헌신적 에 귀의 한다는 특징을 파악한 것이다.

===

밀교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Ghanta et Vajra (British Museum) (8697431158).jpg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한다.[1]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했다.[1]

중국의 불교에서는 밀종(密宗)이라고 한다. 한국과 일본의 불교에서는 진언종이라고도 한다. 밀교는 금강승(金剛乘)이라고도 하는데, "밀교"와 "금강승"이라는 두 낱말은 티베트 불교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금강승, 즉 밀교는 불법승 삼보 중에서 의 화신인 대일여래를 본존으로 하는 종파이다. 밀교는 법신불(法身佛)로서의 대비로사나불(大毘盧舍那佛), 즉 대일여래(大日如來)가 부처 자신 및 그 권속(眷屬)을 위하여 비오(秘奧)한 신구의(身口意)의 삼밀(三密)을 풀이한 것으로, 《대일경(大日經)》에서 말하는 태장계(胎藏界), 《금강정경(金剛頂經)》에서 말하는 법문(法門)이나 다라니(陀羅尼) · 인계(印契) · 염송(念誦) · 관정(灌頂) 등의 의궤(儀軌)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1]

금강승, 즉 밀교는 티베트에서 가장 흥하였고, 아직도 티베트의 지배적인 종교 또는 종파이다. 밀교는 힌두교의 영향이 깊게 들어온 불교이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달라이 라마를 관세음보살, 즉 관자재 보살, 혹은 천수천안보살의 화신으로 정교 일치의 지도자로 깊이 존경한다 (참고 판첸 라마). 밀교, 즉 티베트 불교는 중국을 두렵게 할 만큼 호전적이었던 토번, 즉 지금의 티베트인을 가장 평화를 추구하는 민족으로 바꿀 만큼 티베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밀교는 중국 원나라 때도 전파되어 오늘날 밀교를 가장 많이 신앙하는 지역은 티베트와 몽골이다.

성립 연대[편집]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v • d • e • h

 450 BCE250 BCE100 CE500 CE700 CE800 CE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대승불교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밀교 · 진언종

 

 

 450 BCE250 BCE100 CE500 CE700 CE800 CE1200 CE
 범례: 상좌부 불교 전통 대승불교 전통 밀교·금강승 전통

밀교의 대두[편집]

인도는 본래 다신교의 나라였다. 불교가 성립되기 이전에 이미 바라문교(婆羅門敎)의 제신(諸神)을 숭배하였으며, 재앙을 막고 복을 받기 위한 요가수행과 성구(聖句)·만트라(眞言)의 구송(口誦), 불 속에 물건을 던져넣으면서 하는 여러 종류의 기원 따위가 행해지고 있었다. 노력에 의하여 정각(正覺)에 이를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타의 가르침은 이들과는 배치되는 것이었으나 꽤 오래전부터 불교 속에 바라문교의 여러 신들이 수호신으로서 받아들여졌고 또 수호주(守護呪) 따위가 독송되고 있었다. 7세기에 들어와서 화엄경(華嚴經) 등 대승불교의 경전을 기반으로 하여 바라문교와 기타 민간종교의 주법(呪法)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밀교가 성립되었다. 밀교라 함은 다라니나 만트라를 욈으로써 마음을 통일하여 정각에 이르고자 하는 실천적인 가르침이며 그 심오한 경지는 외부에서 들여다보아서는 알 수가 없다는 비밀교라는 뜻의 약칭이다. 여기에는 범신론적인 불타관은 나타나지 않고 만다라(曼茶羅)와, 외우면 영험을 얻게 된다는 다라니(陀羅尼), 식재(息災)·조복(調伏)·증익(增益)을 위한 호마법(護摩法) 등 제법(諸法)의 채용이 그 특색이다.[2]

인도의 밀교[편집]

원시불교에서는 금지되어 있었던 세속적인 주술(呪術)이나 비의(秘儀)가 차차 인도 불교 속에 침투되었는데, 특히 재가신자(在家信者)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 대승불교에는 그 경향이 강하여 대승경전 속에 다라니라고 부르는 주문(呪文)이 있으며 후일 이것이 하나의 독립된 경전이 되었다.[3]

한편, 부처의 법신(法身)의 가르침도 그 범신적(汎神的) 경향으로 신비주의와 연결되기 쉽고, 그 신비주의적 해석 중에는 불교의 궁극적(窮極的)인 입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

이리하여 대승불교의 새로운 전개로서 금강승(金剛乘)이라고 부르는 밀교의 교의가 성립되고, 7세기경 그 교의를 설(說)한 《대일경(大日經)》이나 《금강정경(金剛頂經)》이 출현하였다.[3]

밀교는 부처의 입장에서의 비밀행(秘密行: 삼밀 · 三密)이기 때문에 자기수행이라는 면이 적고, 현실긍정적이라는 면에서 일반인에게 침투하기 쉬워 급속하게 확대되었으나, 현세의 행복추구가 동시에 쾌락추구라고 하는 타락의 위험을 품고 있고, 후에는 남녀의 결합을 신성시하는 좌도밀교(左道密敎)를 낳아 인도 불교 멸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3]

잡밀(雜密)·순밀(純密)[편집]

초기의 밀교사상에는 제존(諸尊)도 정리되어 있지 않았으나, 7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대일경(大日經)과 금강정경(金剛頂經)이 성립하여 밀교의 이론적 근거가 정비되자 밀교교리의 실천에 의한 성도(成道)가 강조되었다. 이것을 순밀교라 칭하고 그밖의 것을 잡밀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순밀은 금강승(金剛乘)이라고도 한다.[2]

좌도밀교(左道密敎)[편집]

밀교는 바라문교 혹은 힌두교의 지반을 이용하여 퍼지게 되었는데 뒤에는 힌두교의 일파인 시바의 여신 샤크티(性力)를 숭배하는 샤크티파 따위와 결부되어 윤좌예배(輪坐禮拜)와 성적 황홀경 속에서 해탈을 얻으려는 좌도밀교(탄트라 불교)라고 하는 것으로 기울게 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애욕과 쾌락을 긍정하고 즉신성불(卽身成佛)을 가르치려 한 것이었으나 인도의 민중 사이에 잠재해 있었던 성(性) 숭배의 신앙과 겹쳐서 비외(卑猥)스러운 성적비의(性的秘儀)에 떨어지는 수가 많았다.[2]

인도불교의 멸망[편집]

굽타 왕조(270∼470년경)를 중심으로 하여 최성기를 맞았던 대승불교는 뒤이어 고원(高遠)한 학문과 사상체계로 이론화되어 종교로서 민중으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밀교는 민중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었으나 힌두교적 색채가 강해짐에 따라서 불교 본래의 모습은 희박해지고 다시 좌도화(左道化)되어 타락의 길을 걸음으로써 당시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고 있던 인도 제왕(諸王)의 민족의식과 결부되어 부흥기에 있었던 전통 바라문교-힌두교 앞에서 후퇴를 당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있었다. 특히 12세기말부터 13세기초에 걸쳐 배타적 일신주의를 내건 이슬람 세력이 침입하여 불교의 중심지였던 비하르지 방을 점령하고 밀교의 본거지였던 비크라마시라 사원을 비롯하여 많은 불교사원을 파괴하고 많은 승려를 죽였다. 이렇게 하여 불교는 내외적으로 쇠퇴가 촉진되어 인도 땅에서 쇠망하게 되었다. 오늘날 아삼이나 벵골 지방에서 소수의 불교도가 잔존해 있으며 또한 일부에서는 부흥운동도 일어나고 있다.[2]

중국의 밀교[편집]

시대(隋唐時代)의 종파 불교에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이 인도 밀교(密敎)의 중국 전래이다.[4]

다라니(陀羅尼)는 예로부터 조금씩 중국으로 전해졌으나 나란다사(寺)의 학승(學僧)이었던 선무외(善無畏)가 716년(당 현종의 開元4)에 입조(入朝)하여 밀교를 전하면서 《대일경(大日經)》과 그 밖의 것을 번역했다.[4] 선무외의 제자인 일행(一行: 683-727)은 삼론(三論)과 천태(天台)를 배워 이 입장에서 《대일경》을 주석하여 《대일경소(大日經疏)》를 저술했다.[4]

또한 720년(당 현종의 開元8)에는 역시 나란다사(寺)의 학승인 금강지(金剛智)가 와서 《금강정염송경(金剛頂念誦經)》을 번역했으며 또한 그의 제자 불공(不空)은 스승의 사망 후 인도에 돌아가 밀교 경전(密敎經典)》을 비롯한 80부의 밀교 경전을 번역했다.[4]

만다라(曼茶羅)의 염송(念誦), 다라니의 독송(讀誦), 가지기도(加持祈禱) 등 독자적인 수법(修法)을 행하는 밀교는 중국으로의 전래 당시부터 당나라 조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 국가종교적 색채가 짙었으며 후에는 민간에도 유행했다.[4] 당나라 말기에는 무종(武宗)의 폐불(廢佛)로 큰 타격을 받아 민간신앙에 동화했으나 밀교가 지니는 의례나 기도는 중국의 다른 불교 종파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4]

한국의 밀교[편집]

한국에 밀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신라의 명랑법사(明朗法師: fl. 668)가 선덕왕 4년(635)에 당나라에서 귀국하면서부터이다.[5] 명랑은 밀교를 신라에 처음 전래하여 진언종의 별파인 신인종(神印宗)의 종조가 되었다.[5][6]

같은 시대의 밀본(密本: fl. 7세기)도 비밀법(秘密法)을 통해 선덕왕의 질병을 치유하여 밀교 전파에 공헌하였다.[5]

명랑과 밀본 이후 혜통(惠通: fl. 7세기)은 당에서 인도 밀교승 선무외(善無畏: 637-735)에게 밀교 교의를 배운 다음 문무왕 5년(665)에 귀국하여 크게 교풍(敎風)을 일으켰으며, 후대에서는 혜통은 해동 진언종(眞言宗)의 조사로 삼았다.[5]

일본의 밀교[편집]

일본의 진언종은 구카이(空海 · くうかい · 홍법 대사: 774-835)가 중국 당나라의 장안으로 건너가 청룡사에서 혜과로부터 배운 밀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7]

일본의 진언종은 밀교를 불교의 최고 진리라 천명하고 즉신성불(卽身成佛)의 사상을 강조하였다.[7] 종교의 실천적인 면에서 일본의 진언종은 밀교의 방법을 더욱 중시한다.[7] 또 "국가의 안정을 수호"하며 "재앙을 없애고 복을 쌓는 것"을 경서를 읽고 불사에 종사하는 목적으로 간주하였다.[7]

티베트의 밀교[편집]

밀교는 티베트에서 가장 흥하였고, 지금도 티베트의 지배적인 종교 또는 종파이다. 때문에 "밀교" 또는 "금강승"이라는 두 낱말은 티베트 불교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의 사항[편집]

정통 밀교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며 밀교에 대해 많은 오해를 가질 수 있어서,[8] 인도 후기 밀교의 경우에는 밀교 수행의 자격은 현교(顯敎)의 경론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시험을 거쳐야만 인정되어 밀교 수행에 참여할 수 있다.[9] 티벳 불교의 밀교 수행을 하려면 달라이 라마를 비롯한 현존하는 스승들이 이끄는 관정식(灌頂式)에서 입문 의식을 치러야 한다.[10]

이렇게 관정을 받으면 그것으로 생겨난 영안이 이유가 되어서 아무리 힘들더라도 밀교 수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잘 아는 티베트인들은 오히려 관정을 잘 받으려 하지 않는다.[10] 인도 델리 박물관연구소(NMI)에서 박물관학(Museology)을· 전공한 최연철 박사는 한국 불교인들은 수행을 하지 않더라도 관정을 어떻게든 받고 보자는 풍토가 많다고 평한다.[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알라딘: [전자책] 쉽게 하는 밀교 수행입문 아자관

알라딘: [전자책] 쉽게 하는 밀교 수행입문 아자관

[eBook] 쉽게 하는 밀교 수행입문 아자관 
아카식 (지은이)아카식2017-11-23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3,000원





책소개
이 책은 본불생의 상징이자. 대일여래의 상징인 아자를 관상하는 밀교의 기초 수행인 아자관을 중심으로 엮은 책입니다.
아자관은 산크리스트어 ?(아)를 관상하는 것으로 밀교의 기본으로 산크리스어의 제일 앞 글자이자 만물의 근원이자 시작을 뜻하는 아자를 관상하는 수행입니다.
아자관을 체득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아자관은 만물의 시작과 근원인 ?(아)자를 관상하는 것으로 밀교의 명상 중 하나입니다.
이 책은 아자관 수행의 의미와 공덕을 설명하며 누가 접하더라도 아자관 수행을 쉽게 접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아자관의 수행에 도움이 되기 위해 이완법과 관상법, 명상법에 대한 훈련법을 같이 실어 명상의 초보자라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목차


목차

1장. 밀교란?
2장. 이완과 관상 그리고 명상.
3장. 아자관이란?
4장. 월륜관.
5장. 아자관 실천.
6장. 아자관 요약.
부록 1. 연화관
부록 2 아자본존 그림



저자 및 역자소개
아카식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오컬트와 형이상학 전문 출판사

    진언(眞言)이란 무엇인가? 대일경(大日經)의 아(阿)자 진언에 관하여. : 네이버 블로그

    진언(眞言)이란 무엇인가? 대일경(大日經)의 아(阿)자 진언에 관하여. : 네이버 블로그

    진언(眞言)이란 무엇인가? 대일경(大日經)의 아(阿)자 진언에 관하여.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oonghyuckk&logNo=110173686688&navType=by 1/14

    최초의 말인 아래아 '●'는 의식과 존재의 시원이다.

    『말의 자기 현현 과정에서 깊고 신비로운 최초의 한 점, 말이 일어나는 한 점을 진언 밀교에서
    는 '아(阿)음'으로 정의한다. 이른자 '아자진언(阿字眞言)', '아자본불생(阿字本不生)'이다. '아(阿)'
    는 태어 나지 않은 본래의 최초의 소리, 즉 절대 무분절에서 분절을 향해 가는 첫 걸음이다.』

    [1]
    이는 의식이 발생하는 조짐인 동시에 심지어는 만물의 시원이라고 까지 칭하는 이유가 된다. 
    이에 관해, 불교가 아닌, 도교의 노자의 맨 첫줄에 나오는 유명한 문구는 다음과 같음을 주석을
    참고하라.[2]
    이를 훈민정음에서는 '아래아'라고 규정을 하고, "하늘이 처음 열리는 소리"라고 규정을 한
    다. 이에 관해서는 이 블로그의 하단에 훈민정음 제자해를 첨부하였으니, 이를 참고 바란다.
    밀교의 대일여래는 언어 이전의 근원적인 언어이다.
    밀교의 선무외(善無畏) [3]의 대일경소(大日經疏)[4]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이 되어 있다.
    『  "무릇 최초로 입을 여는 음에는 모두 '아(阿)음'이 있다. 만약에 '아(阿)음'을 떠나면, 일체의
    언설은 없다. 그러므로 모든 소리의 어머니가 된다. 그런데, 무릇 삼계의 '아(阿)음'은 모두 이름
    에 의지하고, 이름은 다시 글자에 의지한다.  그리하여 산스크리트어의 '아(阿)'자를 모든 글자
    의 어머니로 한다. 확실히 알아야 한다. '아(阿)'자 문의 진실한 뜻, 또한 이와 같아서 일체의 법
    가운데 편재해 있다"
    이러한 사상은 대일경소의 또 다른 문구에서 보다 간단 명료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일체의 어음을 듣는때, 바로 그것이 '아(阿)'의 소리를 듣는 것과 같고, 일체의 법이 일어남을
    볼 때, 그것이 본래 태어나지 않는 때를 보는 것이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5]
    이는 바로 불교에서 음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드러내 주는 구절로, 특히 '아(阿)', 즉 '
    아래아'에 대한 이해를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원래 전통적인 범어의 음성학에서는 '모음(母音)'을 '이슈바라(주재자,iśvara)'이라하고, '자음(子
    音)'을 모음에 기댄 '박티(bakti, 숭배자, 헌신자)'라고 하는 데, 불교 신비주의의 이와같은 언어
    적인 관점의 출발은 아마도 힌두교의 전통적인 언어에 대한 관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아래아
    진언(眞言)이란 무엇인가? 대일경(大日經)의 아(阿)자 진언에 관하여.
    가을하늘
    2013. 8. 7. 19:50
     이웃추가
    4
    유라시아어와 한국어의 기원.

    ==

    Imagination Is Reality: Western Nirvana in Jung, Hillman, Barfield, and Cassirer - Avens, Roberts | 9780882140933 | Amazon.com.au | Books

    Imagination Is Reality: Western Nirvana in Jung, Hillman, Barfield, and Cassirer - Avens, Roberts | 9780882140933 | Amazon.com.au | Books

    Roberts Avens is a Latvian poet and Professor Emeritus of Religious Studies at Iona College. 
    He is the author of Imaginal Body: Para-Jungian Reflections on Soul, Imagination, and Death. THE NEW GNOSIS. Heidegger, Hillman, and Angels. Third, revised edition 2019.

    Roberts Avens(출처: www.amazon.com)
    As a psychological philosopher, Avens brings fresh meaning to the basic gnostic ideas about angels, salvation through knowledge, and the world as alive and ...


    Imagination Is Reality: Western Nirvana in Jung, Hillman, Barfield, and Cassirer Paperback – 26 October 2020
    by Roberts Avens (Author)
    4.7 out of 5 stars 5 ratings


    Kindle
    $11.99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30.87
    1 Used from $17.307 New from $30.87


    This small book is the first comprehensive essay to place archetypal psychology within a major tradition of modern thought—the tradition of mythical thinking—and to recognize imagination as the primal force and basic reality of human life. 

    By drawing upon the writings of four twentieth-century thinkers, Roberts Avens clarifies the post-Jungian direction of psychology as it moves toward poetic and polytheistic imagination. 

    He then compares the radical achievements of this direction in resolving the ‘ego-question’ with the methods and ideas of the East: Buddhism, Tantrism, Zen, and Vedanta. 

    Avens’s grasp of understanding, easy familiarity with his subject, and refined insights together make this book an introductory text and an advance into new territory.


    Imagination is Reality: Western Nirvana in Jung, Hillman, Barfield and Cassirer

    by
    Roberts Avens
    3.88 · Rating details · 16 ratings · 3 reviews

    Long unavailable, Imagination is Reality is the first comprehensive work to place archetypal psychology within a major tradition of modern thought, that of mythical thinking, and to recognize imagination as the primal force and basic reality of human existence. 
    By drawing upon the writings of four twentieth-century thinkers (Jung, Hillman, Barfield, and Cassirer), Roberts Avens clarifies the post-Jungian direction of psychology as it moves toward poetic and polytheistic imagination. 

    He then compares the radical achievements of this direction in resolving the "ego-question" with the methods and ideas of the East: Buddhism, Tantrism, Zen, and Vedanta. The author's grasp of understanding, easy familiarity with this subject, and startling insights together make this book both an introductory text and an advance into new territory. (less)

    ====

    Gerbik rated it it was ok

    This is a very problematic book. First off, it neglects to establish a coherent terminology, and this is a classic difficulty of Jungian theory. Trying to distinguish between self, soul, psyche, and mind becomes difficult. Nonetheless, there IS a way to do it, and there are books by James Hillman that work out the terminology in a very insightful way. 

    This book deals to a woeful degree in abstractions and entirely neglects the very practical aspect of Buddhist meditation. 

    By generalizing about Western v. Eastern cultural baggage and tendencies, this book almost instantly negates its credibility: to assume that "a Westerner" is inherently unable to adapt to "an Eastern cultural practice" such as meditation due to the dominance of "modern society's neurotic tendencies," is to throw the baby out with the bath-water, as they say. 

    This book could be a decent introduction to east/west cultural transmissions and to Jung in general, but it is often flawed to a serious degree due to a lack of pragmatic flair and a preponderance of generalizations. (less)

    flag1 like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Elan
    Jul 13, 2017Elan rated it liked it
    Shelves: psychotherapy
    Very interesting yet dense and difficult read. Great quotes and illuminating passages scattered do help it along.
    ===

    Roberts Avens The Subtle Realm Corbin Sufism & Swedenborg
    Download
    You are on page 1of 11
    https://www.scribd.com/doc/207241956/Roberts-Avens-the-Subtle-Realm-Corbin-Sufism-Swedenborg

    https://www.scribd.com/document/65067085/The-Subtle-Realm-Corbin-Sufism-Swedenborg

    Kabbalah - Wikipedia Sephirot

    Kabbalah - Wikipedia

    Sephirot[edit]

    Scheme of descending Sephirot in three columns, as a tree with roots above and branches below

    The Sephirot (also spelled "sefirot"; singular sefirah) are the ten emanations and attributes of God with which he continually sustain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e. The Zohar and other Kabbalistic texts elaborate on the emergence of the sephirot from a state of concealed potential in the Ein Sof until their manifestation in the mundane world. 

    In particular, Moses ben Jacob Cordovero (known as "the Ramak"), describes how God emanated the myriad details of finite reality out of the absolute unity of Divine light via the ten sephirot, or vessels.[2]: 6 

    Comparison of the Ramak's counting with Luria's, describes dual rational and unconscious aspects of Kabbalah. Two metaphors are used to describe the sephirot, their theocentric manifestation as the Trees of Life and Knowledge, and their anthropocentric correspondence in man, exemplified as Adam Kadmon. This dual-directional perspective embodies the cyclical, inclusive nature of the divine flow, where alternative divine and human perspectives have validity. The central metaphor of man allows human understanding of the sephirot, as they correspond to the psychological faculties of the soul, and incorporate masculine and feminine aspects after Genesis 1:27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Corresponding to the last sefirah in Creation is the indwelling shekhinah (Feminine Divine Presence). Downward flow of divine Light in Creation forms the supernal Four WorldsAtziluthBeri'ahYetzirah and Assiah manifesting the dominance of successive sephirot towards action in this world. The acts of man unite or divide the Heavenly masculine and feminine aspects of the sephirot, their anthropomorphic harmony completing Creation. As the spiritual foundation of Creation, the sephirot correspond to the names of God in Judaism and the particular nature of any entity.

    Ten Sephirot as process of Creation[edit]

    According to Lurianic cosmology, the sephirot correspond to various levels of creation (ten sephirot in each of the Four Worlds, and four worlds within each of the larger four worlds, each containing ten sephirot, which themselves contain ten sephirot, to an infinite number of possibilities),[66] and are emanated from the Creator for the purpose of creating the universe. The sephirot are considered revelations of the Creator's will (ratzon),[67] and the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en different "gods" but as ten different ways the one God reveals his will through the Emanations. It is not God who changes but the ability to perceive God that changes.

    Ten Sephirot as process of ethics[edit]

    In the 16–17th centuries Kabbalah was popularised through a new genre of ethical literature, related to Kabbalistic meditation

    Divine creation by means of the Ten Sephirot is an ethical process. They represent the different aspects of Morality. Loving-Kindness is a possible moral justification found in Chessed, and Gevurah is the Moral Justification of Justice and both are mediated by Mercy which is Rachamim. However, these pillars of morality become immoral once they become extremes. When Loving-Kindness becomes extreme it can lead to sexual depravity and lack of Justice to the wicked. When Justice becomes extreme, it can lead to torture and the Murder of innocents and unfair punishment.

    "Righteous" humans (tzadikim plural of Tzadik) ascend these ethical qualities of the ten sephirot by doing righteous actions. If there were no righteous humans, the blessings of God would become completely hidden, and creation would cease to exist. While real human actions are the "Foundation" (Yesod) of this universe (Malchut), these actions must accompany the conscious intention of compassion. Compassionate actions are often impossible without faith (Emunah), meaning to trust that God always supports compassionate actions even when God seems hidden.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show compassion toward oneself too in order to share compassion toward others. This "selfish" enjoyment of God's blessings but only in order to empower oneself to assist others is an important aspect of "Restriction", and is considered a kind of golden mean in kabbalah, corresponding to the sefirah of Adornment (Tiferet) being part of the "Middle Column".

    Moses ben Jacob Cordovero, wrote Tomer Devorah (Palm Tree of Deborah), in which he presents an ethical teaching of Judaism in the kabbalistic context of the ten sephirotTomer Devorah has become also a foundational Musar text.[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