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28

Quaker Theology Group | The mystical nature of Quakerism

Quaker Theology Group | Facebook

Jim Fussell
 shared a link.

badge icon
Admin
 taS1ptongs7orelhd 
“The mystical nature of Quakerism means that my experience may not be yours. But I believe that the roots of Quakerism are not in the steeplehouses and the hierarchies of Christianity. I believe that those roots are in the man who taught us to love one another. It’s that simple and that difficult, writes
Kate McNally
.
24
6 comments
Like
Comment

Comments

  • Excerpt: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Rather, we grow beyond them. In the same way that early Christians grew from their Jewish roots into something different, Quakers take their Christian roots and grow into something different.
    Me: And now, in the advent of meeting humanoids who live on other planets, we have outgrown our earth-centric roots and we expand to include the galaxy.
    2
    • Like
    • Reply
    • 17 h
    • Edited
  • True
    Our diversity should not divide us
    Jesus Christ is our source and like a tree with many root serving a common tree, let's use our gifts and talents well
    1
    • Like
    • Reply
    • 17 h
  • I’m not persuaded that Quakerism has a “mystical nature.” It is a diverse religious group that includes some mystics. I urge open-minded Friends to read & ponder the classic 1916 pamphlet,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for an explanation & testimony: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AFRIENDLYLETTER.COM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1
    • Like
    • Reply
    • 14 h
  • But that man never saw a steeplehouse or spoke of a hierarchy. His roots were in the instant of creation....and before the word. Mysticism helps us apprehend what we & he might have in common.
    2
    • Like
    • Reply
    • 14 h
    • Edited
  • badge icon
    Thank you so much for this, Jim. This description of the Quaker ‘version’ of Christianity articulates better than I could what I have come to believe.
    1
    • Like
    • Reply
    • 14 h
  • "A comprehended god is no god."
    - John Chrysostom (c. 347 – 14 September 407)
    John Chrysostom - Wikipedia
    EN.WIKIPEDIA.ORG
    John Chrysostom - Wikipedia
    John Chrysostom - Wikipedia
    2
    • Like
    • Reply
    • 13 h


---
Jim Fussell shared a link.
badge icon
Admin
  · taS1ptongs7orelhd  · 
“The mystical nature of Quakerism means that my experience may not be yours. But I believe that the roots of Quakerism are not in the steeplehouses and the hierarchies of Christianity. I believe that those roots are in the man who taught us to love one another. It’s that simple and that difficult, writes Kate McNally.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THEFRIEND.ORG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is rooted in Christianity and has always found inspiration in the life and teachings of Jesus. How do you interpret your faith...
Comments
Elliott Robertson
Excerpt: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Rather, we grow beyond them. In the same way that early Christians grew from their Jewish roots into something different, Quakers take their Christian roots and grow into something different.
Me: And now, in the advent of meeting humanoids who live on other planets, we have outgrown our earth-centric roots and we expand to include the galaxy.
 · Reply · 17 h · Edited
Pst Zadock Vidolo
True
Our diversity should not divide us
Jesus Christ is our source and like a tree with many root serving a common tree, let's use our gifts and talents well
 · Reply · 17 h
Chuck Fager
I’m not persuaded that Quakerism has a “mystical nature.” It is a diverse religious group that includes some mystics. I urge open-minded Friends to read & ponder the classic 1916 pamphlet,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for an explanation & testimony:
https://wp.me/p5FGIu-pX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AFRIENDLYLETTER.COM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 Reply · 14 h
Bill Powell
But that man never saw a steeplehouse or spoke of a hierarchy. His roots were in the instant of creation....and before the word. Mysticism helps us apprehend what we & he might have in common.
 · Reply · 14 h · Edited
Muriel Edgerton
badge icon
Thank you so much for this, Jim. This description of the Quaker ‘version’ of Christianity articulates better than I could what I have come to believe.
 · Reply · 14 h
David Tehr
"A comprehended god is no god."
- John Chrysostom (c. 347 – 14 September 407)
https://en.wikipedia.org/wiki/John_Chrysostom
John Chrysostom - Wikipedia
EN.WIKIPEDIA.ORG
John Chrysostom - Wikipedia
John Chrysostom - Wikipedia
 · Reply · 13 h
---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22 Oct 2020 | by Kate McNally

Thought for the week: Kate McNally comes to Jesus


'I often think about Jesus – the man, not the Christ.' | Photo: by Scott Rodgerson on Unsplash.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is rooted in Christianity and has always found inspiration in the life and teachings of Jesus. How do you interpret your faith in the light of this heritage? How does Jesus speak to you today? Are you following Jesus’ example of love in action? Are you learning from his life the reality and cost of obedience to God? How does his relationship with God challenge and inspire you? (Advices & queries 4)

We are taught that Quakerism is rooted in Christianity without much explanation of what that means. Just as early Christianity was rooted in Judaism, we are rooted in Christianity. It is our spiritual culture, our grounding, the language we use to describe our experiences with God.

Our roots nourish us and hold us steady, but we are not our roots. Rather, we grow beyond them. In the same way that early Christians grew from their Jewish roots into something different, Quakers take their Christian roots and grow into something different. Jesus was rooted in his family, in his culture and in his religion. They informed every aspect of his life. But he was not only that culture – he went beyond it. He even rejected large parts of it.

I can’t claim to be a student of the Bible, but I’m pretty sure that Jesus never said: ‘Pick up your cross and worship me’. I think what he said was ‘follow me’. Do what I do: tend the sick, feed the hungry, welcome the stranger. I believe that the Quaker form of worship helps us to connect to our roots and then go beyond them to ‘let our lives speak’; to work for the world we want to see.

Gandhi is often quoted as saying: ‘Your Christians are so unlike your Christ’. Quakerism began as a return to early Christianity, to the work of Jesus. At our best, Quakers continue to do this, to follow the one who said that we need to love one another.

I often think about Jesus – the man, not the Christ. I wonder, for example, what kind of accent did he have and what did that say about him? How did he part his hair? What did he call his mum? We hear he was a carpenter – was there one piece he created that he was particularly proud of? Did he like his work? What did he say when he smashed his thumb with a hammer? What was his favorite colour? His favourite meal? His favourite swear word? Could he swim? There is so much we do not know about this man and about the things that formed him to be the one we still talk about 2,000 years after his death.

One of the things that first attracted me to Quakers is the notion that revelation didn’t stop 2,000 years ago. It continues today, as Friends wait for divine inspiration and then share ministry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world.

What does this mean, then? The mystical nature of Quakerism means that my experience may not be yours. But I believe that the roots of Quakerism are not in the steeplehouses and the hierarchies of Christianity. I believe that those roots are in the man who taught us to love one another. It’s that simple and that difficult.
---
The Appeal of Quakerism to the Non-Mystic
Can you be a Quaker in  the 21st century (especially a Liberal one), and not be a mystic?

Yes. And that’s been true for a LONG time. A century ago, in 1916, a noted British Friend made this case (but he was not the first or the last) in a striking pamphlet that unfortunately is little-known today.

To help relieve this work’s obscurity, we present it here; just click on the title below.

Take it away, William!

Littleboy-Appeal-of-Quakerism-to-the-Non-Mystic
---

John Chrysosto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aint John Chrysostom
Johnchrysostom.jpg
Byzantine mosaic of John Chrysostom
from the Hagia Sophia
East: Great Hierarch and Ecumenical Teacher
West: Bishop and Doctor of the Church
Bornc. 347[1]
Antioch
Died14 September 407
(aged c. 58)[2]
Comana in Pontus[3]
Venerated inCatholic Church
Eastern Orthodox Church
Oriental Orthodoxy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cient Church of the East
Anglican Communion
Lutheranism[4]
CanonizedPre-congregational
FeastByzantine Christianity

13 November (celebration transferred from 14 September)
27 January (Translation of Relics)
30 January (Three Holy Hierarchs)
Coptic Christianity
17 Hathor (Departure)
16 Thout (Translocation of Relics)
12 Pashons (Commemoration of Relocation of Relics from Comana to Constantinople AD 437)

Western Christianity
13 September; 27 January
AttributesVested as a Bishop, holding a Gospel Book or scroll, right hand raised in blessing. He is depicted as emaciated from fasting, with a high forehead, balding with dark hair and a small beard. Symbolsbeehive, a white dove, a pan,[5][unreliable source?] chalice on a biblepen and inkhorn[citation needed]
PatronageConstantinopleeducationepilepsylecturersoratorspreachers [5][unreliable source?]

John Chrysostom (/ˈkrɪsəstəm, krɪˈsɒstəm/GreekἸωάννης ὁ Χρυσόστομοςc. 347 – 14 September 407),[6] was an important Early Church Father who served as Archbishop of Constantinople. He is known for his preaching and public speaking, his denunciation of abuse of authority[7] by both ecclesiastical and political leaders, the Divine Liturgy of Saint John Chrysostom, and his ascetic sensibilities. The epithet Χρυσόστομος (Chrysostomos, anglicized as Chrysostom) means "golden-mouthed" in Greek and denotes his celebrated eloquence.[2][8] Chrysostom was among the most prolific authors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exceeded only by Augustine of Hippo in the quantity of his surviving writings.[9]

He is honoured as a saint in the Oriental OrthodoxEastern OrthodoxCatholicAnglican, and Lutheran churches, as well as in some others. The Eastern Orthodox, together with the Byzantine Catholics, hold him in special regard as one of the Three Holy Hierarchs (alongside Basil the Great and Gregory of Nazianzus). The feast days of John Chrysostom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re 13 November and 27 January.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he is recognized as a Doctor of the Church. Because the date of his death is occupied by the feast of the Exaltation of the Holy Cross (14 September), the General Roman Calendar celebrates him since 1970 on the previous day, 13 September; from the 13th century to 1969 it did so on 27 January, the anniversary of the translation of his body to Constantinople.[10] Of other Western churches, including Anglican provinces and Lutheran churches, some commemorate him on 13 September, others on 27 January. The Coptic Church also recognizes him as a saint (with feast days on 16 Thout and 17 Hathor).[11]

Biography[edit]

Early life and education[edit]

John was born in Antioch in 347[12][13] to Greek parents from Syria.[citation needed] Different scholars describe his mother Anthusa as a pagan[14] or as a Christian, and his father was a high-ranking military officer.[15] John's father died soon after his birth and he was raised by his mother. He was baptised in 368 or 373 and tonsured as a reader (one of the minor orders of the Church). It is sometimes said that he was bitten by a snake when he was ten years old, leading to him getting an infection from the bite.[16]

As a result of his mother's influential connections in the city, John began his education under the pagan teacher Libanius.[17] From Libanius, John acquired the skills for a career in rhetoric, as well as a love of the Greek language and literature.[18]

As he grew older, however, John became more deeply committed to Christianity and went on to study theology under Diodore of Tarsus, founder of the re-constituted School of Antioch. According to the Christian historian Sozomen, Libanius was supposed to have said on his deathbed that John would have been his successor "if the Christians had not taken him from us".[19]

John lived in extreme asceticism and became a hermit in about 375; he spent the next two years continually standing, scarcely sleeping, and committing the Bible to memory. As a consequence of these practices, his stomach and kidneys were permanently damaged and poor health forced him to return to Antioch.[20]

Diaconate and service in Antioch[edit]

John was ordained as a deacon in 381 by Saint Meletius of Antioch who was not then in communion with Alexandria and Rome. After the death of Meletius, John separated himself from the followers of Meletius, without joining Paulinus, the rival of Meletius for the bishopric of Antioch. But after the death of Paulinus he was ordained a presbyter (priest) in 386 by Flavian, the successor of Paulinus.[21] He was destined later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between Flavian I of Antioch, Alexandria, and Rome, thus bringing those three sees into communion for the first time in nearly seventy years.[22]

In Antioch, over the course of twelve years (386–397), John gained popularity because of the eloquence of his public speaking at the Golden Church, Antioch's cathedral, especially his insightful expositions of Bible passages and moral teaching. The most valuable of his works from this period are his Homilies on various books of the Bible. He emphasised charitable giving and was concerned with the spiritual and temporal needs of the poor. He spoke against abuse of wealth and personal property:

Do you wish to honour the body of Christ? Do not ignore him when he is naked. Do not pay him homage in the temple clad in silk, only then to neglect him outside where he is cold and ill-clad. He who said: "This is my body" is the same who said: "You saw me hungry and you gave me no food", and "Whatever you did to the least of my brothers you did also to me"... What good is it if the Eucharistic table is overloaded with golden chalices when your brother is dying of hunger? Start by satisfying his hunger and then with what is left you may adorn the altar as well.[23]

His straightforward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 in contrast to the Alexandrian tendency towards allegorical interpretation – meant that the themes of his talks were practical, explaining the Bible's application to everyday life. Such straightforward preaching helped Chrysostom to garner popular support.[2]

One incident that happened during his service in Antioch illustrates the influence of his homilies. When Chrysostom arrived in Antioch, Flavian, the bishop of the city, had to intervene with Emperor Theodosius I on behalf of citizens who had gone on a rampage mutilating statues of the Emperor and his family. During the weeks of Lent in 387, John preached more than twenty homilies in which he entreated the people to see the error of their ways. These made a lasting impression on the general population of the city: many pagans converted to Christianity as a result of the homilies. The city was ultimately spared from severe consequences.[7]

Archbishop of Constantinople[edit]

John Chrysostom confronting Aelia Eudoxia, in a 19th-century painting by Jean-Paul Laurens

In the autumn of 397, John was appointed Archbishop of Constantinople, after having been nominated without his knowledge by the eunuch Eutropius. He had to leave Antioch in secret due to fears that the departure of such a popular figure would cause civil unrest.[24]

During his time as Archbishop he adamantly refused to host lavish social gatherings, which made him popular with the common people, but unpopular with wealthy citizens and the clergy. His reforms of the clergy were also unpopular. He told visiting regional preachers to return to the churches they were meant to be serving—without any payout.[25]. Also he founded a number of hospitals in Constantinople.[26][27]

His time in Constantinople was more tumultuous than his time in Antioch. Theophilus, the Patriarch of Alexandria, wanted to bring Constantinople under his sway and opposed John's appointment to Constantinople. Theophilus had disciplined four Egyptian monks (known as "the Tall Brothers") over their support of Origen's teachings. They fled to John and were welcomed by him. Theophilus therefore accused John of being too partial to the teaching of Origen. He made another enemy in Aelia Eudoxia, wife of Emperor Arcadius, who assumed that John's denunciations of extravagance in feminine dress were aimed at herself.[7] Eudoxia, Theophilus and other of his enemies held a synod in 403 (the Synod of the Oak) to charge John, in which his connection to Origen was used against him. It resulted in his deposition and banishment. He was called back by Arcadius almost immediately, as the people became "tumultuous" over his departure, even threatening to burn the imperial palace.[28][unreliable source?] There was an earthquake the night of his arrest, which Eudoxia took for a sign of God's anger, prompting her to ask Arcadius for John's reinstatement.[29][unreliable source?]

Peace was short-lived. A silver statue of Eudoxia was erected in the Augustaion, near his cathedral. John denounced the dedication ceremonies as pagan and spoke against the Empress in harsh terms: "Again Herodias raves; again she is troubled; she dances again; and again desires to receive John's head in a charger",[30][unreliable source?] an allusion to the events surrounding the death of John the Baptist. Once again he was banished, this time to the Caucasus in Abkhazia.[31][page needed]

Around 405, John began to lend moral and financial support to Christian monks who were enforcing the emperors' anti-Pagan laws, by destroying temples and shrines in Phoenicia and nearby regions.[32][unreliable source?]

Exile and death[edit]

The causes of John's exile are not clear, though Jennifer Barry suggests that they have to do with his connections to Arianism. Other historians, including Wendy Mayer and Geoffrey Dunn, have argued that "the surplus of evidence reveals a struggle between Johannite and anti-Johannite camps in Constantinople soon after John's departure and for a few years after his death".[33] Faced with exile, John Chrysostom wrote an appeal for help to three churchmen: Pope Innocent IVenerius the Bishop of Milan, and the third to Chromatius, the Bishop of Aquileia.[34][35][36] In 1872, church historian William Stephens wrote:

The Patriarch of the Eastern Rome appeals to the great bishops of the West, as the champions of an ecclesiastical discipline which he confesses himself unable to enforce, or to see any prospect of establishing. No jealousy is entertained of the Patriarch of the Old Rome by the Patriarch of the New Rome. The interference of Innocent is courted, a certain primacy is accorded him, but at the same time he is not addressed as a supreme arbitrator; assistance and sympathy are solicited from him as from an elder brother, and two other prelates of Italy are joint recipients with him of the appeal.[37]

Pope Innocent I protested John's banishment from Constantinople to the town of Cucusus in Cappadocia, but to no avail. Innocent sent a delegation to intercede on behalf of John in 405. It was led by Gaudentius of Brescia; Gaudentius and his companions, two bishops, encountered many difficulties and never reached their goal of entering Constantinople.[38]

John wrote letters which still held great influence in Constantinople. As a result of this, he was further exiled from Cucusus (where he stayed from 404 to 407) to Pitiunt (Pityus) (in modern Georgia) where his tomb is a shrine for pilgrims. He never reached this destination, as he died at Comana Pontica on 14 September 407 during the journey. His last words are said to have been "δόξα τῷ θεῷ πάντων ἕνεκεν" (Glory be to God for all things).[29]

Veneration and canonization[edit]

Byzantine 11th-century soapstone relief of John Chrysostom, Louvre

John came to be venerated as a saint soon after his death. Almost immediately after, an anonymous supporter of John (known as pseudo-Martyrius) wrote a funeral oration to reclaim John as a symbol of Christian orthodoxy.[33] But three decades later, some of his adherents in Constantinople remained in schism.[39] Saint Proclu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434–446), hoping to bring about the reconciliation of the Johannites, preached a homily praising his predecessor in the Church of Hagia Sophia. He said, "O John, your life was filled with sorrow, but your death was glorious. Your grave is blessed and reward is great, by the grace and mercy of our Lord Jesus Christ O graced one, having conquered the bounds of time and place! Love has conquered space, unforgetting memory has annihilated the limits, and place does not hinder the miracles of the saint."[40]

These homilies helped to mobilize public opinion, and the patriarch received permission from the emperor to return Chrysostom's relics to Constantinople, where they were enshrined in the Church of the Holy Apostles on 28 January 438. The Eastern Orthodox Church commemorates him as a "Great Ecumenical Teacher", with Basil the Great and Gregory the Theologian. These three saints, in addition to having their own individual commemorations throughout the year, are commemorated together on 30 January, a feast known as the Synaxis of the Three Hierarchs.[41]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there are several feast days dedicated to him:

  • 27 January, Translation of the relics of Saint John Chrysostom from Comana to Constantinople
  • 30 January, Synaxis of the Three Great Hierarchs
  • 14 September, Repose of Saint John Chrysostom
  • 13 November, celebration was transferred from 14 September[42].

Writings[edit]

Homilies[edit]

Paschal Homily[edit]

The Byzantine emperor Nicephorus III receives a book of homilies from John Chrysostom; the Archangel Michael stands on his left (11th-century illuminated manuscript).

The best known of his many homilies is an extremely brief one, the Paschal Homily (Hieratikon), which is read at the first service of Pascha (Easter), the midnight Orthros (Matins),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General[edit]

Chrysostom's extant homiletical works are vast, including many hundreds of exegetical homilies on both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the works of Saint Paul) and the Old Testament (particularly on Genesis). Among his extant exegetical works are sixty-seven homilies on Genesis, fifty-nine on the Psalms, ninety on the Gospel of Matthew, eighty-eight on the Gospel of John, and fifty-five on the Acts of the Apostles.[43]

The homilies were written down by stenographers and subsequently circulated, revealing a style that tended to be direct and greatly personal, but formed by the rhetorical conventions of his time and place.[44] In general, his homiletical theology displays much characteristic of the Antiochian school (i.e., somewhat more literal in interpreting Biblical events), but he also uses a good deal of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more associated with the Alexandrian school.[43]

John's social and religious world was formed by the continuing and pervasive presence of paganism in the life of the city. One of his regular topics was the paganism in the culture of Constantinople, and in his homilies he thunders against popular pagan amusements: the theatrehorseraces, and the revelry surrounding holidays.[45] In particular, he criticizes Christians for taking part in such activities:

If you ask [Christians] who is Amos or Obadiah, how many apostles there were or prophets, they stand mute; but if you ask them about the horses or drivers, they answer with more solemnity than sophists or rhetors.[46]

One of the recurring features of John's homilies is his emphasis on care for the needy.[47] Echoing themes found in the Gospel of Matthew, he calls upon the rich to lay aside materialism in favor of helping the poor, often employing all of his rhetorical skills to shame wealthy people to abandon conspicuous consumption:

Do you pay such honor to your excrements as to receive them into a silver chamber-pot when another man made in the image of God is perishing in the cold?[48]

Along these lines, he wrote often about the need for almsgiving and its importance alongside fasting and prayer, e.g. “Prayer without almsgiving is unfruitful.”[49]

Homilies against Jews and Judaizing Christians[edit]

During his first two years as a presbyter in Antioch (386–387), John denounced Jews and Judaizing Christians in a series of eight homilies delivered to Christians in his congregation who were taking part in Jewish festivals and other Jewish observances.[50] It is disputed whether the main target were specifically Judaizers or Jews in general. His homilies were express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utilizing the uncompromising rhetorical form known as the psogos (Greek: blame, censure).[citation needed]

One of the purposes of these homilies was to prevent Christians from participating in Jewish customs, and thus prevent the perceived erosion of Chrysostom's flock. In his homilies, John criticized those "Judaizing Christians", who were participating in Jewish festivals and taking part in other Jewish observances, such as the shabbat, submitted to circumcision and made pilgrimage to Jewish holy places.[51] There had been a revival of Jewish faith and tolerance in Antioch in 361, so Chrysostom's followers and the greater Christian community were in contact with Jews frequently, and Chrysostom was concerned that this interaction would draw Christians away from their faith identity.[52]

John claimed that synagogues were full of Christians, especially Christian women, on the shabbats and Jewish festivals, because they loved the solemnity of the Jewish liturgy and enjoyed listening to the shofar on Rosh Hashanah, and applauded famous pr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custom.[53] A more recent theory is that he instead tried to persuade Jewish Christians, who for centuries had kept connections with Jews and Judaism, to choose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54] He also refers to Jews as outsiders, illnesses, idolaters, lewd, and beast-like. [55]

Due to Chrysostom's stature in the Christian church, both locally and within the greater church hierarchy, his sermons were fairly successful in spreading anti-Jewish sentiment. This prompted the introduction of anti-Jewish legislation and social regulations, increas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communities. Despite being in a pluralistic world, Chrysostom and many other early Christians aimed to establish a community that was distinct from all others, and limited the presence of non-Christians.[citation needed]

Since there were only two other ordained individuals in Antioch who were legally recognized as able to preach Christianity, Chrysostom was able to reach a majority of the local population, especially with his skills in the art of orating. [56] He held great social and political power in Antioch, and was able to determine where one was or was not allowed to physically go; he frequently spoke about acts of violence taking place in Jewish spaces to dissuade Christians from going there. [57]

In Greek the homilies are called Kata Ioudaiōn (Κατὰ Ἰουδαίων), which is translated as Adversus Judaeos in Latin and Against the Jews in English.[58] The original Benedictine editor of the homilies, Bernard de Montfaucon, gives the following footnote to the title: "A discourse against the Jews; but it was delivered against those who were Judaizing and keeping the fasts with them [the Jews]."[58]

According to Patristics scholars, opposition to any particular view during the late 4th century was conventionally expressed in a manner, utilizing the rhetorical form known as the psogos, whose literary conventions were to vilify opponents in an uncompromising manner; thus, it has been argued that to call Chrysostom an "anti-Semite" is to employ anachronistic terminology in a way incongruous with historical context and record.[59] This does not preclude assertions that Chrysostom's theology was a form of Anti-Jewish supersessionism.[60]

Anglican priest James Parkes called Chrysostom's writing on Jews "the most horrible and violent denunciations of Judaism to be found in the writings of a Christian theologian".[61] According to historian William I. Brustein, his sermons against Jews gave further momentum to the idea that Jews are collectively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Jesus.[62] Steven Katz cites Chrysostom's homilies as “the decisive tur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anti-Judaism, a turn whose ultimate disfiguring consequence was enacted in the political antisemitism of Adolf Hitler.”[63]

Homily against homosexuality[edit]

According to Robert H. Allen, "Chrysostom's learning and eloquence spans and sums up a long age of ever-growing moral outrage, fear and loathing of homosexuality."[64] His most notable discourse in this regard is his fourth homily on Romans 1:26–27, where he argues as follows:

All these affections then were vile, but chiefly the mad lust after males; for the soul is more the sufferer in sins, and more dishonored, than the body in diseases. ... [The men] have done an insult to nature itself. And a yet more disgraceful thing than these is it, when even the women seek after these intercourses, who ought to have more sense of shame than men.[65]

He says the active male victimizes the passive male in a way that leaves him more enduringly dishonored than even a victim of murder, since the victim of this act must "live under" the shame of the "insolency".[65] The victim of a murder, by contrast, carries no dishonor. He asserts that punishment will be found in hell for such transgressors, and that women can be guilty of the sin as much as men. Chrysostom argues that the male passive partner has effectively renounced his manhood and become a woman – such an individual deserves to be "driven out and stoned". He attributes the cause to "luxury". "Do not, he means (Paul), because you have heard that they burned, suppose that the evil was only in desire. For the greater part of it came of their luxuriousness, which also kindled into flame their lust".[65]

According to scholar Michael Carden, Chrysostom was particularly influential in shaping early Christian thought that same-sex desire was an evil – altering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Sodom as a place of inhospitality, to one where the sexual transgressions of the Sodomites became paramount.[66] Allen describes the sermon as the "climax and consummation of homophobia in the late classical world".[67]

Treatises[edit]

Apart from his homilies, a number of John's other treatises have had a lasting influence. One such work is John's early treatise Against Those Who Oppose the Monastic Life, written while he was a deacon (sometime before 386), which was directed to parents, pagan as well as Christian, whose sons were contemplating a monastic vocation.[68] Chrysostom wrote that, already in his day, it was customary for Antiochenes to send their sons to be educated by monks.[69]

Another important treatise written by John is titled On the Priesthood (written 390/391, it contains in Book 1 an account of his early years and a defence of his flight from ordination by Bishop Meletios of Antioch, and then proceeds in later books to expound on his exalted understanding of the priesthood). Two other notable books by John are Instructions to Catechumens and On the Incomprehensibility of the Divine Nature.[70] In addition, he wrote a series of letters to the deaconess Olympias, of which seventeen are extant.[71]

Liturgy[edit]

Beyond his preaching, the other lasting legacy of John is his influence on Christian liturgy. Two of his writings are particularly notable. He harmonized the liturgical life of the Church by revising the prayers and rubrics of the Divine Liturgy, or celebration of the Holy Eucharist. To this day, Eastern Orthodox and Eastern Catholic Churches of the Byzantine Rite typically celebrate the Divine Liturgy of Saint John Chrysostom as the normal Eucharistic liturgy, although his exact connection with it remains a matter of debate among experts.[72]

Legacy and influence[edit]

A sculpture of John Chrysostom in Saint Patrick's Cathedral, New York City

During a time when city clergy were subject to criticism for their high lifestyle, John was determined to reform his clergy in Constantinople. These efforts were met with resistance and limited success. He was an excellent preacher[72] whose homilies and writings are still studied and quoted. As a theologian, he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very important in Eastern Christianity, and is generally considered among the Three Holy Hierarchs of the Greek Church, but has been less important to Western Christianity. His writing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more so than any of the other Greek Fathers.[2]

Influence on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nd clergy[edit]

John's influence on church teachings is interwoven throughout the current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revised 1992).[citation needed] The Catechism cites him in eighteen sections, particularly his reflections on the purpose of prayer and the meaning of the Lord's Prayer:[citation needed]

Consider how [Jesus Christ] teaches us to be humble, by making us see that our virtue does not depend on our work alone but on grace from on high. He commands each of the faithful who prays to do so universally, for the whole world. For he did not say "thy will be done in me or in us", but "on earth", the whole earth, so that error may be banished from it, truth take root in it, all vice be destroyed on it, virtue flourish on it, and earth no longer differ from heaven.[73]

Christian clerics, such as R. S. Storr, refer to him as "one of the most eloquent preachers who ever since apostolic times have brought to men the divine tidings of truth and love", and the 19th-century John Henry Newman described John as a "bright, cheerful, gentle soul; a sensitive heart".[74]

Music and literature[edit]

John's liturgical legacy has inspired several musical compositions. Particularly noteworthy[citation needed] are Sergei Rachmaninoff's Liturgy of St. John Chrysostom, Op. 31, composed in 1910,[75] one of his two major unaccompanied choral works; Pyotr Tchaikovsky's Liturgy of St. John Chrysostom, Op. 41; and Ukrainian composer Kyrylo Stetsenko's Liturgy of St. John Chrysostom. Arvo Pärt's Litany sets Chrysostom's twenty-four prayers, one for each hour of the day,[76] for soli, mixed choir and orchestra. And the compositions of Alexander Grechaninovs "Liturgy of Johannes Chrysostomos No. 1, Op. 13 (1897)", "Liturgy of Johannes Chrysostomos No. 2, Op.29 (1902)", "Liturgia Domestica (Liturgy Johannes Chrysostomos No. 3), Op. 79 (1917)" and "Liturgy of Johannes Chrysostomos No. 4, Op. 177 (1943)" are noteworthy.[citation needed]

James Joyce's novel Ulysses includes a character named Mulligan who brings 'Chrysostomos' into another character (Stephen Dedalus)'s mind because Mulligan's gold-stopped teeth and his gift of the gab earn him the title which St. John Chrysostom's preaching earned him, 'golden-mouthed':[77] "[Mulligan] peered sideways up and gave a long low whistle of call, then paused awhile in rapt attention, his even white teeth glistening here and there with gold points. Chrysostomos."[78]

The legend of the penance of Saint John Chrysostom[edit]

The Penance of St. John Chrysostom. Engraving by Lucas Cranach the Elder, 1509. The saint can be seen in the background on all fours, whilst the princess and their baby dominate the foreground.

A late medieval legend (not included in the Golden Legend) relates that, when John Chrysostom was a hermit in the desert, he was approached by a royal princess in distress.[citation needed][79] The Saint, thinking she was a demon, at first refused to help her, but the princess convinced him that she was a Christian and would be devoured by wild beasts if she were not allowed to enter his cave. He therefore admitted her, carefully dividing the cave in two parts, one for each of them. In spite of these precautions, the sin of fornication was committed, and in an attempt to hide it the distraught saint took the princess and threw her over a precipice. He then went to Rome to beg absolution, which was refused. Realising the appalling nature of his crimes, Chrysostom made a vow that he would never rise from the ground until his sins were expiated, and for years he lived like a beast, crawling on all fours and feeding on wild grasses and roots. Subsequently, the princess reappeared, alive, and suckling the saint's baby, who miraculously pronounced his sins forgiven. This last scene was very popular from the late 15th century onwards as a subject for engravers and artists.[citation needed] The theme was depicted by Albrecht Dürer around 1496,[80] Hans Sebald Beham and Lucas Cranach the Elder, among others. Martin Luther mocked this same legend in his Die Lügend von S. Johanne Chrysostomo (1537).[81][82] The legend was recorded in Croatia in the 16th century.[83][non-primary source needed]

Relics[edit]

The return of the relics of Saint John Chrysostom to the Church of the Holy Apostles in Constantinople

John Chrysostom died in the city of Comana in the year 407 on his way to his place of exile. There his relics remained until 438 when, thirty years after his death, they were transferred to Constantinople during the reign of the Empress Eudoxia's son, the Emperor Theodosius II (408–450), under the guidance of John's disciple, St. Proclus, who by that time had become Archbishop of Constantinople (434–447).[citation needed]

Most of John's relics were looted from Constantinople by Crusaders in 1204 and taken to Rome, but some of his bones were returned to the Orthodox Church on 27 November 2004 by Pope John Paul II.[84][85][86]. Since 2004 the relics have been enshrined in the Church of St. George, Istanbul.[87]

The skull, however, having been kept at the monastery at Vatopedi on Mount Athos in northern Greece, was not among the relics that were taken by the crusaders in the 13th century. In 1655, at the request of Tsar Alexei Mikhailovich, the skull was taken to Russia, for which the monastery was compensated in the sum of 2000 rubles. In 1693, having received a request from the Vatopedi Monastery for the return of Saint John's skull, Tsar Peter the Great ordered that the skull remain in Russia but that the monastery was to be paid 500 rubles every four years. The Russian state archives document these payments up until 1735. The skull was kept at the Moscow Kremlin, in the Cathedral of the Dormition of the Mother of God, until 1920, when it was confiscated by the Soviets and placed in the Museum of Silver Antiquities. In 1988, in connection with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Baptism of Russia, the head, along with other important relics, was returned to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kept at the Epiphany Cathedral, until being moved to the Cathedral of Christ the Saviour after its restoration.[citation needed]

Today, the monastery at Vatopedi posits a rival claim to possessing the skull of John Chrysostom, and there a skull is venerated by pilgrims to the monastery as that of Saint John. Two sites in Italy also claim to have the saint's skull: the Basilica di Santa Maria del Fiore in Florence and the Dal Pozzo chapel in Pisa. The right hand of Saint John[88][unreliable source?] is preserved on Mount Athos, and numerous smaller relic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world.[89]

See also[edit]

Notes[edit]

  1. ^ The exact date of John's birth is in question, and dates between 344 and 349 are given. In the most recent general biography of Chrysostom, eminent patristics scholar JND Kelly, after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literature, favours 349 as the date that best fits all available evidence, in agreement with Robert Carter. See Kelly, Golden Mouth: The Story of John Chrysostom: Ascetic, Preacher, Bishop, (Grand Rapids: Baker Academic 1998: originally published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p. 4 fn. 12; esp. Appendix B passim. For a discussion of alternative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see Robert Carter, "The Chronology of St. John Chrysostom's Early Life", in Traditio 18:357–64 (1962); Jean Dumortier, "La valeur historique du dialogue de Palladius et la chronologie de saint Jean Chrysostome", in Mélanges de science religieuse, 8:51–56 (1951). Carter dates his birth to the year 349. See also Robert Louis Wilken, John Chrysostom and the Jew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Late Fourth Centu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p. 5.
  2. Jump up to:a b c d "St John Chrysostom" profile, Catholic Encyclopedia (see here); retrieved 20 March 2007.
  3. ^ "CATHOLIC ENCYCLOPEDIA: St. John Chrysostom"www.newadvent.org.
  4. ^ "Notable Lutheran Saints"Resurrectionpeople.org.
  5. Jump up to:a b "Catholic-forum.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anuary 2008.
  6. ^ The exact date of John's birth is in question, and dates between 344 and 349 are often given, and limits set at 340 and 350 (Kelly 296). In the most recent general biography of Chrysostom, eminent patristics scholar JND Kelly, after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literature, favours 349 as the date that best fits all available evidence, in agreement with Robert Carter. See Kelly, Golden Mouth: The Story of John Chrysostom: Ascetic, Preacher, Bishop,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1998: originally published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p. 4 fn. 12; esp. 296–298 passim. For a concurring analysis which is followed in most recent reconstructions of the early life of Chrysostomos, see Robert Carter, "The Chronology of St. John Chrysostom's Early Life", in Traditio 18:357–64 (1962). For a discussion of alternatives, often in older literature, see especially G. Ettlinger, Traditio 16 (1960), pp. 373–80, Jean Dumortier, "La valeur historique du dialogue de Palladius et la chronologie de saint Jean Chrysostome", Mélanges de science religieuse, 8:51–56 (1951)
  7. Jump up to:a b c Robert Wilken, "John Chrysostom" profile,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ed. Everett Ferguson), New York: Garland Publishing, 1997
  8. ^ Pope VigiliusConstitution of Pope Vigilius, pg. 553
  9. ^ Writings of Chrysostom in th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edition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ix full volumes by Chysostom, compared to eight full volumes for Augustine.
  10. ^ "Calendarium Romanum" (in Latin).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69. pp. 102–103. Retrieved 8 August 2019.
  11. ^ Coptic synaxarium Archived 27 March 2009 at the Wayback Machine
  12. ^ Donald Attwater. "St. John Chrysostom – archbishop of Constantinople"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1 August 2020.
  13. ^ "Saint John Chrysostom, Archbishop of Constantinople"The Orthodox Faith – Lives of the Saints. The Orthodox Church in America. Retrieved 11 August 2020.
  14. ^ "John Chrysostom", Encyclopaedia Judaica
  15. ^ The Encyclopaedia Judaica describes Chrysostom's mother as a pagan. In Pauline Allen and Wendy Mayer, John Chrysostom (pg. 5), she is described as a Christian.
  16. ^ Wilken (p. 7) prefers 368 for the date of Chrysostom's baptism, the Encyclopaedia Judaica prefers the later date of 373.
  17. ^ Cameron, Averil (1998) "Education and literary culture" in Cameron, A. and Garnsey, P. (ed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XIII The late empire, A.D. 337–42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g. 668.
  18. ^ Wilken, pg. 5.
  19. ^ Sozomen (1995) [1890]. "Ecclesiastical History of Sozomen, Book VIII, Chapter II: Education, Training, Conduct, and Wisdom of the Great John Chrysostom". In Schaff, Philip; Wace, Henry (eds.).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Volume II: Socrates and Sozomenus Ecclesiastical Histories (reprint ed.).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p. 399. ISBN 1-56563-118-8. Retrieved 29 March 2007.
  20. ^ Allen, Pauline & Wendy Mayer, John Chrysostom, Routledge: 2000, pg. 6
  21. ^ Scholasticus, Socrates. Ecclesiastical History, VI, 3
  22. ^ Philip Hughes, History of the Church, Sheed and Ward, 1934, vol I, pp. 231–232.
  23. ^ Chrysostom, John. In Evangelium S. Matthaei, homily 50:3–4, pp 58, 508–509
  24. ^ Allen and Mayer, 2000, pg. 6
  25. ^ Farmer, David H.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Saints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pg. 232
  26. ^ Andrew Todd Crislip. From Monastery to Hospital: Christian Monasticism & the Transformation of Health Care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 p. 103
  27. ^ Baluffi, Cajetan. The Charity of the Church (trans. Denis Gargan), Dublin: M H Gill and Son, 1885, p. 39
    Schmidt, Alvin J. Under the Influence: How Christianity Transformed Civilizati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p. 157
  28. ^ Socrates Scholasticus (1995) [1890]. "Book VI, Chapter XVI: Sedition on Account of John Chrysostom's Banishment". In Schaff, Philip; Wace, Henry (eds.).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Volume II: Socrates and Sozomenus Ecclesiastical Histories (reprint ed.).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p. 149. ISBN 1-56563-118-8. Retrieved 29 March 2007.
  29. Jump up to:a b "St John Chrysostom the Archbishop of Constantinople". Orthodox Church in America. Retrieved 29 March 2007.
  30. ^ Socrates Scholasticus, op cit "Chapter XVIII: Of Eudoxia's Silver Statue", p. 150.
  31. ^ "John Chrysostom" profile, The Oxford Dictionary of Church History(ed. Jerald C. Brauer),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1)
  32. ^ A chronicle of the last pagans, pg. 75
  33. Jump up to:a b Barry, Jennifer (2016). "Diagnosing Heresy: Ps.-Martyrius's Funerary Speech for John Chrysostom"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24 (3). Retrieved 17 July 2017.
  34. ^ (Ep. CLV: PG LII, 702)
  35. ^ Vatican Library webpage; accessed 20 June 2015.
  36. ^ Appeal to the Pope, earlychurchtexts.com; accessed 20 June 2015.
  37. ^ Stephens, W.R.W., (2005) “Saint Chrysostom: His Life and Times”, Elibron Classics, pp. 349–50
  38. ^ St Gaudentius profile, newadvent.org; accessed 20 June 2015.
  39. ^ Holum, K.G., (1982) "Theodosian Empre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g. 184
  40. ^ The Divine Liturgy of St. John Chrysostom. Primedia E-launch LLC. 1980. pp. 8–9. ISBN 978-1-61979-382-8.
  41. ^ "Three Holy Hierarchs: St Basil the Great, St Gregory the Theologian, and St John Chrysostom"Orthodox Christian Network. 27 January 2015. Retrieved 17 July 2017.
  42. ^ St. John Chrysostom. Orthodox Calendar.
  43. Jump up to:a b "John Chrysostom" profile, Catholic Encyclopaedia Online, newadvent.org; retrieved 20 March 2007.
  44. ^ Yohanan (Hans) Lewy, "John Chrysostom" in Encyclopaedia Judaica(ed. Cecil Roth), Keter Publishing House: 1997; ISBN 965-07-0665-8
  45. ^ Wilken, p. 30.
  46. ^ Chrysostom, John (quoted in Wilken, p. 30)
  47. ^ Liebeschuetz, J. H. W. G. Barbarians and Bishops: Army, Church, and State in the age of Arcadius and Chrysostom, Oxford: Clarendon Press, 1990, pp. 175–176
  48. ^ Chrysostom, John (quoted in Liebeschuetz, p. 176)
  49. ^ Hopko, Thomas (1983). "32 - When You Give Alms". The Lenten Spring. St. Vladimir’s Seminary Press. pp. 128–29. ISBN 978-0-88141-014-3.
  50. ^ See Wilken, p. xv, and also "John Chrysostom" in Encyclopaedia Judaica
  51. ^ Wilken, p. xv.
  52. ^ John Chrysostom, Discourses Against Judaizing Christians, trans. Paul W Harkins, 2010, XXIX
  53. ^ "John Chrysostom" profile, Encyclopaedia Judaica.
  54. ^ Stark, Rodney. The Rise of Christianity. How the Obscure, Marginal Jesus Movement Became the Dominant Religious Force in the Western World in a Few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pp. 66–67
  55. ^ Chrysostom, 51
  56. ^ Christine C. Shepardson, Controlling Contested Places: Late Antique Antioch and the Spatial Politics of Religious Controvers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93)
  57. ^ Shepardson, 92
  58. Jump up to:a b Chrysostom, John. "Discourses Against Judaizing Christians", Fathers of the Church (vol. 68), Paul W. Harkins (trans.),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79, pp. x, xxxi
  59. ^ Wilken, Robert Louis. John Chrysostom and the Jew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Late Fourth Century (1983),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ress; ISBN 978-0-520-04757-0, pp. 124–126.; retrieved 25 October 2011.
  60. ^ Fonrobert, Charlotte. "Jewish Christians, Judaizers, and Anti-Judaism"Late Ancient Christianity (2010),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pp. 234–254
  61. ^ Parkes, James (1969). Prelude to Dialogue. London. p. 153.
  62. ^ Brustein, William I. (2003).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2. ISBN 0-521-77308-3.
  63. ^ Katz, Steven (1999). Ideology, State Power, and Mass Murder/Genocide", Lessons and Legacies: The Meaning of the Holocaust in a Changing Worl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64. ^ Robert H. Allen, The Classical Origins of Modern Homophobia, (2006) p.187
  65. Jump up to:a b c "John Chrysostom: Homilies on Romans: Homily IV"en.wikisource.org.
  66. ^ Michael Carden, Sodomy: A history of a Christian Biblical Myth, Routledge, 2004, p32
  67. ^ Robert H. Allen, The Classical Origins of Modern Homophobia, (2006) p.187
  68. ^ Wilken, p. 26.
  69. ^ Woods, Thomas.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zation, Washington, D.C.: Regenery, 2005; ISBN 0-89526-038-7, pg. 44
  70. ^ On the Priesthood was well-known already during Chrysostom's lifetime, and is cited by Jerome in 392 in his De Viris Illustribus, chapter 129
  71. ^ Kirsch, Johann Peter (1911). "St. Olympias"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Company. Retrieved 17 November2009.
  72. Jump up to:a b Parry (2001), pp. 268–269
  73. ^ Chrysostom, John. Hom. in Mt. 19,5: pp. 57, 280.
  74. ^ Newman, John Cardinal, "St. Chrysostom" profile, The Newman Reader, Rambler: 1859 available online (see esp. chapter 2); retrieved 20 March 2007.
  75. ^ "The Divine Liturgy of St John Chrysostom, Op 31". Hyperion Records, Ltd.
  76. ^ "Litany"www.arvopart.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14. Retrieved 15 April 2014.
  77. ^ Blaimes (1996, 3).
  78. ^ Joyce (1961, 3).
  79. ^ A variant relates that this was Genevieve of Brabant, wife of Count Siegfried of Treves, who was unjustly accused of infidelity and sentenced to death. She was led into the forest to be put to death, but her executioners relented and there abandoned her.[citation needed]
  80. ^ http://www.codexcoop.it, Codex, Pavia (IT) -. "La penitenza di San Giovanni Crisostomo, Dürer, Albrecht – Stampe e incisioni – Lombardia Beni Culturali"www.lombardiabeniculturali.it.
  81. ^ Available online
  82. ^ Fenelli, Laura. "From the Vita Pauli to the Legenda Breviarii: Real and imaginary animals as a Guide to the Hermit in the Desert"Animals and Otherness in the Middle Ages: Perspectives Across Disciplines, Oxford, Archaeopress (BAR International Series 2500), 2013, p. 41, fn. 40
  83. ^ "Legend of St John Chrysostom", Zgombic Miscellany. 16th-century Glagolitic manuscript [in Croatian Church Slavonic]. Zagreb, Archive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Shelf-mark VII 30. pp. 67–75.
  84. ^ Pope John Paul II. "Letter to the Ecumenical Patriarch of Constantinople, His Holiness Bartholomew I". Retrieved 30 March2007.
  85. ^http://www.christianunity.va/content/unitacristiani/en/dialoghi/sezione-orientale/chiese-ortodosse-di-tradizione-bizantina/relazioni-bilaterali/patriarcato-ecumenico/altri-documenti-ed-eventi/2004-celebrazione-ecumenica-reliquie-ss-gregorio-nazianzo-e-giov.html
  86. ^ https://www.youtube.com/watch?v=1Eztvp0CN4Q
  87. ^ Relics of St. John Chrysostom at the Church of St. George, Istanbul, cbc.ca; retrieved 13 September 2010.
  88. ^ "OrthodoxPhotos.com"www.orthodoxphoto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February 2008.
  89. ^ "Thousands queue outside Cyprus church after reports of miracle-working relic"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3 November 2007. Retrieved 20 June 2015.

References[edit]

  • Allen, Pauline and Mayer, Wendy (2000). John Chrysostom. Routledge. ISBN 0-415-18252-2
  • Attwater, Donald (1960). St. John Chrysostom: Pastor and Preacher. London: Catholic Book Club.
  • Blamires, Harry (1996). The New Bloomsday Book: A Guide Through Ulysses. London: Routledge. ISBN 0-415-13858-2
  • Brändle, R., V. Jegher-Bucher, and Johannes Chrysostomus (1995). Acht Reden gegen Juden (Bibliothek der griechischen Literatur 41), Stuttgart: Hiersemann.
  • Brustein, William I. (2003).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77308-3
  • Carter, Robert (1962). "The Chronology of St. John Chrysostom's Early Life." Traditio 18:357–64.
  • Chrysostom, John (1979). Discourses Against Judaizing Christians, trans. Paul W. Harkins. The Fathers of the Church; v. 68.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 Chuvin, Pierre (1990). "A chronicle of the last pagans". Harvard University Press
  • Dumortier, Jean (1951). "La valeur historique du dialogue de Palladius et la chronologie de saint Jean Chrysostome." Mélanges de science religieuse 8, 51–56.
  • Hartney, Aideen (2004). John Chrysostom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ity. London: Duckworth. ISBN 0-520-04757-5.
  • Joyce, James (1961). Ulysses. New York: The Modern Library.
  • Kelly, John Norman Davidson (1995). Golden Mouth: The Story of John Chrysostom-Ascetic, Preacher, Bishop.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3189-1.
  • Laqueur, Walter (2006). The Changing Face of Antisemitism: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30429-2.
  • Liebeschuetz, J.H.W.G. (1990) Barbarians and Bishops: Army, Church and State in the Age of Arcadius and Chrysostom. Oxford: Clarendon Press. ISBN 0-19-814886-0.
  • Lewy, Yohanan [Hans] (1997). "John Chrysostom". Encyclopaedia Judaica(CD-ROM Edition Version 1.0). Ed. Cecil Roth. Keter Publishing House. ISBN 965-07-0665-8.
  • Meeks, Wayne A., and Robert L. Wilken (1978). Jews and Christians in Antioch in the First Four Centuries of the Common Era (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Number 13). Missoula: Scholars Press. ISBN 0-89130-229-8.
  • Morris, Stephen. "'Let Us Love One Another': Liturgy, Morality, and Political Theory in Chrysostom's Sermons on Rom. 12–13 and II Thess. 2," in: Speculum Sermonis: Interdisciplinary Reflections on the Medieval Sermon, ed. Georgiana Donavin, Cary J. Nederman, and Richard Utz. Turnhout: Brepols, 2004. pp. 89–112.
  • Palladius, Bishop of Aspuna. Palladius on the Life And Times of St. John Chrysostom, transl. and edited by Robert T. Meyer. New York: Newman Press, 1985. ISBN 0-8091-0358-3.
  • Parks, James (1969). Prelude to Dialogue. London.
  • Parry, David; David Melling, eds. (2001).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Oxford: Blackwell. ISBN 0-631-18966-1.
  • Pradels, W. (2002). "Lesbos Cod. Gr. 27 : The Tale of a Discovery", Zeitschrift für Antikes Christentum 6, pp. 81–89.
  • Pradels, W., R. Brändle, and M. Heimgartner (2001). "Das bisher vermisste Textstück in Johannes Chrysostomus, Adversus Judaeos, Oratio 2", Zeitschrift für Antikes Christentum 5, pp. 23–49.
  • Pradels, W., R. Brändle, and M. Heimgartner (2002). "The sequence and dating of the series of John Chrysostom's eight discourses Adversus Judaeos", Zeitschrift für Antikes Christentum 6, 90–116.
  • Schaff, Philip, and Henry Wace (eds.) (1890). Socrates, Sozomenus: Church Histories (A Select Library of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second series, vol. II). New York: The Christian Literature Company.
  • Stark, Rodney (1997). The Rise of Christianity. How the Obscure, Marginal Jesus Movement Became the Dominant Religious Force in the Western World in a Few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tephens, W.R.W. (1883). Saint John Chrysostom, His Life and Times. London: John Murray.
  • Stow, Kenneth (2006). Jewish Dogs, An Imagine and Its Interpreters: Continiuity in the Catholic-Jewish Encounter.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5281-8.
  • Wilken, Robert Louis (1983). John Chrysostom and the Jew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Late Fourth Centu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Willey, John H. (1906). Chrysostom: The Orator. Cincinnati: Jennings and Graham.
  • Woods, Thomas (2005).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zation. Washington, D.C.: Regenery. ISBN 0-89526-038-7

Collected works[edit]

Widely used editions of Chrysostom's works are available in Greek, Latin, English, and French. The Greek edition is edited by Sir Henry Savile (eight volumes, Eton, 1613); the most complete Greek and Latin edition is edited by Bernard de Montfaucon (thirteen volumes, Paris, 1718–38, republished in 1834–40, and reprinted in Migne's "Patrologia Graeca", volumes 47–64). There is an English translation in the first series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London and New York, 1889–90). A selection of his writings has been published more recently in the original with facing French translation in Sources Chrétiennes.[citation needed]

Further reading[edit]

Bibliography[edit]

Primary sources[edit]

  • Sermon on Alms Translated by Margaret M. Sherwood from the Parallel Greek and Latin Text of the Abbé Migne (New York: The New York School of Philanthropy, 1917)
  • The priesthood: a translation of the Peri hierosynes of St. John Chrysostom, by WA Jurgens, (New York: Macmillan, 1955)
  • Commentary on Saint John the apostle and evangelist: homilies 1–47, translated by Sister Thomas Aquinas Goggin, Fathers of the Church vol 33, (New York: Fathers of the Church, Inc, 1957)
  • Commentary on Saint John the Apostle and Evangelist, translated by Sister Thomas Aquinas Goggin. Homilies 48–88, Fathers of the Church vol 41,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59) [translation of Homiliae in Ioannem]
  • Baptismal instructions, translated and annotated by Paul W Harkins, (Westminster, MD: Newman Press, 1963)
  • Discourses against judaizing Christians, translated by Paul W Harkins., Fathers of the Church vol 68,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79)
  • On the incomprehensible nature of God, translated by Paul W Harkins. Fathers of the Church vol 72,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84)
  • On wealth and poverty, translated and introduced by Catharine P Roth, (Crestwood, New York: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84)
  • Chrysostom, John (1985). Apologist. Margaret A. Schatkin and Paul W. Harkins, trans.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ISBN 0-8132-0073-3. [translations of Discourse on blessed Babylas, and Against the Greeks: Demonstration against the pagans that Christ is God.]
  • Chrysostom, John (1986). Homilies on Genesis. Robert C. Hill, trans.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ISBN 0-8132-0074-1. [translation of Homilies on Genesis 1–17]
  • Chrysostom, John (1986). On marriage and family life. Catherine P. Roth, trans. Crestwood, N.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0-913836-86-9.
  • Samuel NC Lieu, ed, The Emperor Julian: panegyric and polemic. Claudius Mamertinus, John Chrysostom, Ephrem the Syrian,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86.) [contains translation of John Chrysostom, Homily on St. Babylas, against Julian and the pagans XIV-XIX]
  • Commentaries on the sages, translated with an introduction by Robert Charles Hill, 2 vols, (Brookline, MA: Holy Cross Orthodox Press, 2006) [Vol 1 is a translation of the Commentary on Job; vol 2 is a translation of the Commentary on Proverbs]

Secondary sources[edit]

External links[edit]

Works[edit]

Orthodox feast days[edit]

---

2020/10/27

조계종 ‘나눔의집’ 실태 폭로 넉달… 할머니들 재산 강탈? 고소·고발 ‘시끌’ - 천지일보 - 새 시대 희망언론

조계종 ‘나눔의집’ 실태 폭로 넉달… 할머니들 재산 강탈? 고소·고발 ‘시끌’ - 천지일보 - 새 시대 희망언론

불교언론-스님 꿈꾸던 위안부 할머니, 승가대에 잇단 보시 - 법보신문

불교언론-스님 꿈꾸던 위안부 할머니, 승가대에 잇단 보시 - 법보신문


스님 꿈꾸던 위안부 할머니, 승가대에 잇단 보시

최호승 기자
승인 2014.06.27 11:04
배춘희 옹, 26일 5000만원 기부…6월8일 91세로 운명 전 유서 당부


▲ 나눔의 집에서 살던 고 배춘희 옹이 6월26일 중앙승가대(총장 원행 스님)에 5000만원을 보시했다. 2012년 9월 3000만원을 기부한 데 이어 두 번째 선행이다.스님이 되고 싶었던 소녀는 끝내 꿈을 이루지 못하고 숨을 거뒀다. 차마 꿈이 여물기 전인 스물살도 못된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끔찍한 시간을 보냈던 소녀는 백발성성한 할머니로 눈을 감았다. 꿈은 유언으로 남았고, 조계종 학인스님 기본교육기관 중앙승가대에 소녀의 꿈이 전해졌다.

나눔의 집에서 살던 고 배춘희 옹이 6월26일 중앙승가대(총장 원행 스님)에 5000만원을 보시했다. 2012년 9월 3000만원을 기부한 데 이어 두 번째 선행이다.

지난 6월8일 향년 91세로 일기를 마친 배춘희 옹은 유서로 학교 승가교육 후원을 당부했다. 중앙승가대 총장 원행 스님과 후원회 사무처장 초우 스님이 후원금 전달식에 참석했고 나눔의 집 부원장 호련 스님이 기금을 전했다.

배춘희 옹은 평소 중앙승가대 학인스님들 교육불사 후원에 큰 원력을 세웠다. 어릴 적부터 성인이 되면 출가해 부처님 법을 따르며 살리라 마음먹었기 때문이다. 삶은 고됐다. 가난한 집안 형편에 가족들을 위해 돈을 벌겠노라 했지만 거짓말에 속았다. 1941년 중국 만주로 끌려가 일본군 위안부가 됐다. 일본군은 그의 몸과 마음을 찢었고, 하루 종일 짐승 같은 시간을 견뎌야 했다. 해방 뒤에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고 중국과 일본을 전전하며 생을 이어왔다. 고국을 그리던 그는 1981년이 돼서야 영국 귀국했다. 스님이라는 꿈이 일본군에게 무참히 짓밟혔던 1941년, 그 후 꼬박 40년 만이었다. 그리고 16년이 흐른 1997년 불교계가 마련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 나눔의 집에 안겼다. 그 사이 정부에서 지급한 ‘생활안정지원금’을 차곡차곡 모았다.

스님이 되리란 배춘희 옹의 원력은 학인스님 교육불사로 이어졌다. 2012년 9월26일 아름다운동행(이사장 자승 스님)을 통해 중앙승가대에 장학금 3000만원을 보시했다. 나눔의 집 법당 탱화불사에도 800만원을 보탰다. 당시 그는 “비록 내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여기 계신 스님들은 열심히 공부해서 꼭 큰스님이 되어 달라”는 간절한 소망을 전했다. 학인스님들을 만났고 강의실을 둘러봤다. 그는 전생의 고향에 온 것 같은 기분을 느끼며 감격했다. “내가 있어야 할 곳은 바로 여기”라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건강은 날로 악화됐고, 음식은 목구멍을 넘기기 어려워졌다. 부축 없이는 움직일 수 없어 거르지 않았던 수요집회도 불참했다. 방 밖을 나가기도 버거웠다. 그러나 나눔의 집 한편에 자리 잡은 방에서 독경하며 내생에라도 스님으로 살겠다는 기도는 멈추지 않았다.

지난 6월8일부터 배춘희 옹의 방에서 그치지 않던 독경소리가 끊겼다. 그의 원력은 학인스님들 가슴에서 영글어 가고 있지만 이생의 큰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최근 아베총리 내각은 일본군 위안부를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과했던 고노 담화를 검증하며 이를 부정했다.

최호승 기자 time@beopbo.com




[1251호 / 2014년 7월 2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https://advocacy.jesuit.kr/bbs/?t=59&fbclid=IwAR3SEfyYdYKHo-XD32Lrv8MD9EmK9Y38y43xCiwRgOYZX3wzO3WE1NrmSQc

2020/10/26

미야자키 하야오, "주변국의 원한은 없어지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에 각성 촉구 - 중앙일보

미야자키 하야오, "주변국의 원한은 없어지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에 각성 촉구 - 중앙일보


미야자키 하야오, "주변국의 원한은 없어지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에 각성 촉구
[중앙일보] 입력 2015.02.17 11:11 수정 2015.02.17 11:21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고란 기자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0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사진 중앙포토DB]

애니메이션의 거장인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 감독이 일본의 역사 문제를 비판하며 우려를 표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16일 T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제국주의 시대 일본은 지배받지 않기 위해 노력하다가 자신들이 제국주의를 흉내내게 됐다”며 “결과적으로 3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전쟁을 일으켰고, 원폭이 두 번이나 떨어지는 일을 당했다. 주변국의 원한은 없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일본의 역사에 대해 “지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꼽으며 “법적으로 해결해도 감정이 풀리지 않고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이어 이런 문제에 관해 “어떻게든 해야 한다”며 “민족과 종교가 얽히고설킨 중동 일대의 복잡한 상황에 비하면 일본이 안은 역사 문제는 매우 알기 쉬운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이 헌법을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적인 무질서는 이제부터 더욱 많아질 것”이라며 “그런 때에 아베 총리가 말하는 것이 너무 단순하다는 우려를 지니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그럴(세상이 무질서해 질) 때 평화헌법이 도움이 된다. 헌법을 지켜야 한다. 조금 저쪽(무장화)으로 가고 싶어도 가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일본의 정치 지도자들이 식민지 정책을 추진하고 침략전쟁을 일으켜 자국민과 이웃 국가들에 큰 고통을 줬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법적 해결’이나 ‘감정이 풀리지 않은 문제’ 등을 언급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이 법적으로 완전히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피해자가 분노하고 상처받는 상황을 연상시킨다.



그는 또 프랑스 풍자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과 관련해서 “성질이 다른 문명에서 숭배하는 것을 캐리커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잘못”이라며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다. 그는 다른 문화권이 숭배하는 것을 풍자화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그만두는 것이 좋다”고 제언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미래소년 코난’,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을 만든 애니메이션의 거장이다.



고란 기자 neora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미야자키 하야오, "주변국의 원한은 없어지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에 각성 촉구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김철수
2012.05.11 | 조회 10315
인쇄인쇄스크랩스크랩글꼴확대축소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14110_p132_01



신의 나라, 일본
필자가 일본에 대해 얘기할 때면 종종 하는 말이 있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한국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속담에는 자연에 대한 신뢰와 사람에 대한 불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렇다는 말이다.
때문에 사람을 만날 때는 조심하고 조심하란 경구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엔 일본사회에서는 그 반대의 경우가 맞는 것 같다. 자연에 대한 믿음보다 사람에 대한 믿음이 강하다. 끊임없이 요동치는 화산, 지진. 자연은 언제 어디서 사고(?)를 칠지 사람들은 가늠하지 못한다. 곧 믿지 못한다. 대신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끼리 믿음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물론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 구성원끼리의 믿음이지만.

작년에 일본열도 동북지방에서 큰 쓰나미가 덮쳐 일본 역사에 전무한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그런데 사람들은 슬픔을 딛고 조용히 사후대처를 해 나가고 있다. 소위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다는 ‘메이와쿠 문화’라 칭송도 들으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일본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것은 무엇일까?
필자는 이를 종교에서 찾고 있다. 필자는 일본종교에 대한 여러 편의 글을 써왔다. 왜? 일본사회를 이해하는데 종교(문화)는 필수라 보기 때문이다. 종교만큼 미지의 세계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의 어떤 종교를 막론하고 거기에는 반드시 발견되는 중요한 주제가 있다. 인간은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는가라는 주제이다. 이 주제에 답할 수 없다면 그건 종교가 아닐 것이다. 섬나라인 일본에는 해외로부터 갖가지 종교가 흘러들어왔다. 자생적 종교라 믿고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종교인 신도(神道)도 그 중 하나이다. 일본인의 의식 저변에는 신도 등 갖가지 종교문화에서 구성되어진 사고방식이 흐르고 있다.


14110_p132_02


그래서 그런가. 일본사회에는 종교도 참 많다. 마치 ‘종교의 전시장’ 같다. 그러나 일본사람들에게 “당신의 종교는?” 하고 물으면 “무종교”라고 답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일본은 세계에서도 예를 찿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종다양한 종교를 갖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여러 가지 종교들이 단지 병존하여 있는 전시장이 아니라, ‘토착적이고 외래적인 종교적, 문화적 전통들이 일본인의 고유한 신앙, 감정, 접근방식에 따라 서로 섞이고 짜인 일종의 직조물’과 같은 모습이다. 때문에 일본인들은 자신의 나라를 ‘신의 나라, 곧 수많은 가미[神, 精靈]로 가득 찬 나라’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일본인은 종교에 이상스럽게 무관심’한 것이다. 이는 분명히 사실이다. 여러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특정 종교를 갖고 있다고 응답하는 일본인의 비율은 30% 전후에 지나지 않는다. 2005년 8월,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이 조사한 〈종교에 관한 여론조사〉에서는 ‘종교를 믿지 않는다’ 고 답한 사람이 75%에 달했고(그러나 ‘신불神佛에 의지하고 싶은 사람’은 54%였다), ‘종교를 믿고 있다’고 답한 사람이 23%였다. 곧 ‘종교를 가진 인구’는 1979년 조사에서 34%였던 것과 비교하면 11% 감소한 것이다. 이는 근 30년 간 거의 일관된 경향을 보인다. 미국인의 91% 정도, 그리고 한국인의 50% 이상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종교를 갖고 있다’라고 응답하는 비율과 비교해 본다면, 일본인의 종교 귀속의식은 희박하다고 말할 수 있다.

현세적이며, 풍부한 종교적 생활
그러면 도대체 일본인의 종교관은 어떤 것일까?
일본사회에는 신도, 불교, 기독교, 신종교 등 각종 계통의 종교단체가 400개를 넘고, 그 활동도 사회 전체의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은 여러 면에서 ‘종교적’인 심성과 행위를 보여준다. 경제나 정치,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종교를 제외해버리면 그 의미(meaning)가 상실되어 버릴 정도로 일본인들은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를 얻게 되면 유명한 신사를 찾아 참배한다. 불교의 성지인 고야산(高野山) 등에서 특정 기업의 번영을 기원하는 기업공양탑을 찾아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 가정이나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장상이나 불단, 신단(神棚, 가미다나)들, 그리고 각종 종교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출생, 결혼, 장례식 등 각종 통과의례들.

그 뿐만이 아니다. 일본사회에서 공양(供養)의 확대현상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선조나 죽은 자에 대한 공양, 그리고 유산, 중절, 사산된 태아[水子みずご, 미즈고]에 대한 수자공양(竪子供養). 그러한 공양시설도 여기저기서 쉽게 볼 수 있다. 전국유산아(流産兒) 무연(無緣) 공양탑(生長의 家에서 1961년 건립), 오사카에 세워진 73미터나 되는 수자공양탑[辯天宗冥應寺] 등은 모두 낙태아의 위패를 제사하고, 지장(地藏)을 만들어 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쿄에는 페트(애완동물)공양탑도 있고, ‘00家愛犬之墓’라 적힌 납골당도 흔하게 찾을 수 있다. 심지어는 인형공양도 있으며, 최근 못쓰게 되어버린, 곧 생명력이 다한 게임기 공양도 있다.

14110_p132_07현대사회는 합리화 및 효율화를 지향한다. 반면에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특히 보이지 않는 음(陰)적인 세계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신세계를 찾고 있다. 이러한 마음의 갈망이나 불안감을 종교는 놓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종교를 일러 ‘위협산업’이란 말까지 들릴 정도이다. 종교가 인간 삶과 죽음을 다루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일본 여러 지역에 동물묘지[動物靈園]가 설립되어 번성하기까지 하고, 심지어 인형, 게임기의 생명까지도 다루고 있으니 말이다.

소(小)가족화 된 오늘날 개나 고양이 등이 자녀 형제와 똑같이 가족의 일원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그 대행 역할을 종교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본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본 종교의 특이성에대한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할 정도이다. 일본인들은 특정 종교에 귀속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풍부한 종교 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이를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인들은 에도(江戶)시대(17~19세기 중반)부터 이 세상에 태어나면 신사(神社)에 가서 신에게 출생을 알리고, 일상생활은 유교윤리에 따르다가, 죽었을 때는 불교식으로 장례를 치렀다. 대개 남자아이는 출생 후 31일째, 여자아이는 33일째, 그리고 ‘7-5-3’이라 하여 남자아이는 3, 5살, 여자아이는 3, 7살 되는 해 11월 15일 신사참배를 한다. 신사에 참배하는 것은 씨신(氏神, 우지가미: 지역공동체가 숭배하는 신)에 대한 출생신고로 씨자(氏子, 우지코: 지역공동체의 신을 모시는 구성원)의 일원이 되었음을 인정받기 위함이다. 신에게 아이의 성장을 보고하고 신의 가호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으며, 지역공동체로서는 공동체의 일원을 맞아들이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는 현재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유교적 일상생활이 근대 서구적 양식으로 바뀌어 결혼식은 교회에서 치루고 싶어할 뿐이다. 그래서 새해 첫날의 인사(初詣, 하츠모우데)는 신사에서, 결혼식은 교회에서, 장례식은 절에서 올리는 모습을 흔히 접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신앙은 일본인에게 종교란 현세를 살기 위한 하나의 방편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준다. 일본인에게 진리란 현실 그 자체이며, 현실을 넘어선 이념이나 법칙이 진리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따라서 절대라든가 보편이라든가 불변성 혹은 영원성이라는 관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지금 여기에 있는 것 모두가 그대로 진리일 뿐이며, 절대선도 절대악도 없다. 일본인의 사유방식은 이 세상에 완전히 절대적인 것은 없고 가미(神)조차 오류를 범한다. 진리의 절대성을 신봉하는 문화에서는 옳고 그름, 선과 악, 흰 것과 검은 것을 분명히 하려 든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싸울 때에도 양쪽 모두 이기고 졌다는 식의 불문율을 가지고 있다. 이런 관점이 곧 일본인이 고대로부터 형성하여온 ‘화’(和)의 관념과 통해 있다. 오갈 데 없는 섬나라에서 평화는 상이한 것들의 공존, 그것을 허용하는 관용성이 가장 현실적인 화(和)라고 보는 것이다.


신불습합(神仏習合)으로 이뤄진 신관
이런 화(和)의 정신이 종교에도 스며든 것인가?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헤이안(平安) 시대(794~1185)부터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 이전까지 신불습합(神仏習合)이 일반적이었다. 신도와 불교가 나눠지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불교사원(寺院) 내에 신사의 토리이(鳥居)가 있고, 하지만 대보살(八幡大菩薩), 신사의 신을 불(仏, 호토케)이라 부르는 사례도 있다. 일본의 대표적 근대소설가인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을 적절하게 지적하였다. 곧 일본은 고래로부터 ‘팔백만 신’을 숭배하는 독특한 종교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석가도 예수도 일본에 오면 여러 신들 중 하나로 취급되어 버린다. 동시에 일본인은 해외의 사상을 변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바꿔 만드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유명한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 감독이 만든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떠올려 보라. 여기에 나오는 수많은 신들, 썩음의 신, 강의 신….

유바바 : “여기는 말이야, 인간이 올 곳이 아니야. 8백만의 신령님들이 지친 몸을 달래러 오는 목욕탕이란 말이다.”

일본에서 신을 ‘가미’(カミ)라 한다. ‘가미’는 선악, 귀천, 강약, 대소 그리고 초인적이냐 아니냐 하는 구분도 의미 있지만, 그보다 어떤 의미에서든 위력 있는 존재를 뜻한다. 우주 삼라만상 가운데 위력을 발현하는 것은 무엇이든 가미가 될 수 있다. 때문에 가미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일본에는 실제로는 1천이 좀 넘는 신들이 보이고, 『고사기』에도 300개 이상의 신이 등장한다.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는 신을 이렇게 정의했다.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정의이다.

“가미는 우선 옛 기록에 나타나는 하늘과 땅의 신이며, 또한 그 신들을 숭배하는 장소인 사원에 거주하는 정령들이다. 거기에 인간도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 조차 없다. 그리고 조류, 짐승, 수목, 초목, 바다 같은 것도 포함된다. 옛날 관례로는 비일상적인 것, 초월적인 덕목을 지닌 것,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엇을 막론하고 ‘가미’라고 불렀다.”

‘팔백만 신’에서 알 수 있듯, 일본에 신의 수는 무수히 많다. ‘가미’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 다수라는 뜻이다. 가장 많은 것은 천체, 산, 들, 강, 바다, 바람, 비 등 지수풍토 등을 비롯하여 새, 짐승, 벌레, 수목, 풀, 금속, 돌 등 자연현상이나 자연물에 붙여진 가미의 명칭이다. 위인, 영웅, 귀족 등이 가미로 여겨지기도 했다. 근세 말기에는 인간 자체를 가미로 모시는 이키가미(生き神) 관념까지 나타났다.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없어졌고, 신을 절대적 존재로 보지 않는 종교의 세속화와 세속의 종교화 토양이 조성되기도 했다.

일본인은 고대로부터 신과 부처들을 여러 가지로 짜 맞추면서 모셔왔다.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독점적으로 믿는 태도는 발달되지 않았다. 구미에서는 기독교도이면서 이슬람교도인 사람은 없다. 그러나 일본인은 다르다. 앞서 말했듯이, 한 집안에 불단과 신단이 동시에 모셔져 있다. 출생해서는 신사에 가고, 결혼식은 교회에서 하기를 바라며, 죽어서는 불교식 장례식을 거치는 것이 보통 일본인의 삶이다.

일본인의 생활 속에서도 이러한 종교적 행동을 볼 수 있다. 종교적 혼합이나 절충현상이 심하다. 정월에 신사를 참배하고, 춘분 추분을 중심으로 한 7일간이나 백중맞이(盆:봉. 8월 15일 조상을 제사하는 불사)에는 사찰, 크리스마스에는 교회, 때로는 신종교의 레크리에이션에 참가한다. 그래도 그들은 별로 모순을 느끼지 않는다. 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종교가 없다’는 사람이 많으면서도 또 대다수는 ‘종교심은 중요하다’고 답한다. ‘무종교이지만 종교심은 중요하다.’ 어쩌면 종교가 생활 속에 파고들어 습관화되어 버려 더 이상 종교가 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무종교라는 의미는 교단 종교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의미로 파악될 수밖에 없다.

14110_p132_03


또 역사연구가이자 작가인 이자와 모토히코(井沢元彦)는 일본인의 무의식에는 강렬한 원령(怨霊)신앙과, 원령을 발생시키지 않는 ‘화’(和)의 신앙이 있고, 신도는 그 위에 성립했다고 지적하였다. 불교도 결국은 원령을 진혼(鎮魂)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었으며, 일본인의 독특한 ‘언령’(言霊, 우리가 내뱉는 말속에도 영이 깃들어 있어 말을 삼가야 된다는 믿음)신앙도 일본인이 무의식 내에 ‘화’(和)를 이루려는 사고구조의 한 형태가 아닌가 싶다. 이러한 원령 신앙을 우리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모노노케히메』(원령공주)라는 애니메이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노노케’(もののけ)는 사람을 괴롭히는 사령(死靈), 원령이다. 무차별한 환경파괴로 인해 사라지는 숲의 원한이 낳은 재앙의 신 다타리 신의 저주, 그 저주를 풀기 위한 등장인물들의 노력은 일본 원령신앙의 한 단면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사회의 종교현황
14110_p132_04그러면 교단종교를 중심으로 일본사회의 종교현황을 살펴보자. 문부과학성의 종교통계조사에 의하면, 일본에서 종교 신자수는 신도계가 약 1억 580만명, 불교계가 약 8,900만명, 기독교계가 약 200만명, 그 외 약 900만명으로 합계 2억 600만명이 된다. 일본의 총인구가 1억 2천명 정도이므로 2배 정도의 신자수가 되는 것이다. 신도계와 불교계만으로도 거의 2억명이 된다. 이는 조사가 설문조사로 행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기 단체의 신자수를 많게 신고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생각해보아야 할 다른 이유도 있다. 일본에서는 신도, 불교의 신자가 대다수를 점하고 있다. 전술한 대로 오랫동안 신불습합이 행해졌기 때문이다. 메이지 초기에 신불분리(神仏分離)가 이루어진 후에도 신도와 불교 사이의 구별이 애매한 면이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신단[神棚]을 모신 가정에 불단이 있는 경우가 많고, 불교사원의 단가(檀家)인 동시에 신사의 씨자(氏子)인 가정이 많다. 이처럼 신도를 신앙하는 자와 불교에 귀의하고 있는 자를 포함하면 2억명을 넘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달리 생각하면, 신도와 불교 2개의 종교가 일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도가 불교를 흡수하여 혼연일체가 되어 토착신앙이 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다. 신도와 불교는 하나의 종교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신도
신도는 크게 나눠 신사를 중심으로 한 신사신도(神社神道), 막말(幕末) 이래 형성된 교파신도(敎派神道) 및 종교단체를 결성하지 않고 가정 및 개인이 운영하는 민속신도(民俗神道)가 있다.

14110_p132_05신사신도는 명확한 교의(教義)가 없고(교파신도계의 교단들은 명확한 교의가 있다), 엄밀한 입신(入信) 규정도 없다. 씨자(氏子)로 들어가는 것이 이에 가깝지만, 신단[神棚]을 설치하거나 신사에 기부 및 제사(祭事)에 참여하는 경우를 신자로 보는 경우도 많다. 현재 종교법인이 된 신사는 약 8만개이며, 또 종교법인으로 등록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의 숭경(崇敬)을 받고 있는 신사도 다수 있다. 이러한 신사에서 받들어지는 제신(祭神)은 흔히 팔백만 신이라 불리는 것처럼 실로 다양하며, 또 제신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신사 중에는 신궁, 대사 등의 명칭을 갖고 있는 신사들도 있으며, 이 중 신궁은 일본왕실과 관련된 신사이거나 역대 일본왕을 제사하는 신사이다.

교파신도계의 교단들은 신도의 종교전통 내에서 특정 조직자 창교자의 종교체험을 중심으로 교리를 만들고 신자가 형성되는 조직종교이다. 때문에 신종교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흑주교(黑住敎), 출운대사교(出雲大社敎), 부상교(扶桑敎), 어악교(御嶽敎), 신리교(神理敎), 금광교(金光敎), 천리교(天理敎) 등이다.

불교

일본의 불교는 대부분 대승(大乗)불교이다. 불교는 일본역사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현재까지도 많은 신자수를 보유하고 있다. 불교는 6세기에 일본에 전래되었다. 나라(奈良)시대(710~794)에는 ‘남도육종’(南都六宗)이라 하여 삼론종(三論宗), 성실종(成実宗), 법상종(法相宗), 구사종(倶舎宗), 율종(律宗), 화엄종(華厳宗) 등이 널리 퍼졌다. 가마쿠라(鎌倉)시대(1185~1333) 초기까지 일본불교는 8종이었다. 남도육종에 천태종, 진언종이 더해졌다. 그러나 가마쿠라 시대에 정착한 불교문화를 배경으로 호넨(法然)의 정토종, 신란(親鸞)의 정토진종, 일련(日蓮)의 일련종 등 일본인 자신에 의해 독자적인 불교가 형성되었다. 또 이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임제종과 조동종도 전해졌다.
2차대전 이전에 종교단체법이 성립될 때 28종파로 정리되었지만, 2차대전 이후 종교법인령이 성립되고 정부 인가제가 시행되면서 다수의 불교 교단이 분파 독립되어 2007년 말 현재 154개의 불교종파가 존재하고 있다.

기독교
기독교의 일본 전도는 1549년 로마 가톨릭의 예수회 선교사 프란시스코 사비에르(F. Xavier)가 일본에 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7세기 초두에는 수십만 명의 신자가 있었다. 그러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기독교를 금지하였고, 도쿠가와(德川) 막부도 철저하게 탄압을 하여 기독교도는 이후 거의 전멸하다시피 되었다. 일본에 기독교의 본격적인 재포교가 준비된 것은 막말 경(19세기 초 중반)이었다. 서구 열강이 일본의 개국을 요구하면서 선교사들도 일본열도에 상륙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기독교 신도수는 현재 세례를 기준으로 하여 공식적으로 전인구의 0.8%이다. 사비에르가 일본열도에 최초로 포교했던 직후의 시기에도 1%를 넘었었다. 현재 신자수가 1%를 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일본의 기독교 관계자는 이를 ‘1%의 벽’이라 부르고 있다. 이 비율은 구미를 중심으로 한 선진국가들과 비교하면 당연히 낮다. 또 한국 등 아시아 전체와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낮은 비율이다.


14110_p132_06



그러나 신자수가 적다고 해서 기독교가 일본의 문화, 사회에 점하고 있는 위치가 낮은 것은 결코 아니다. 일본 기독교의 위상은 그 공식적인 신자수를 능가하는 위치에 있다. 일본에서 기독교는 불교에 이어 제2위의 종교이며, 기독교를 제외하고 일본의 종교를 말하기 어려운 존재이다. 기독교는 일본사회에서 문화적 사회적인 활동을 활발히 함으로써 일본 근대화의 추진동력을 만들어 주었고, 때문에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왔던 것이다. 다만 일본사회에서는 예로부터 명확한 입신(入信) 의례를 거쳐 종교조직의 회원이 된다는 습관이 정착되지 않은 점 등 때문에 공식적 신자수가 적게 보고되고 있을 뿐이다.

교파별로 나누어 보면, 신자수가 제일 많은 교파는 가톨릭(구교)이다. 가톨릭의 총수는 45만명 정도로 일본 총인구의 0.3%이다. 프로테스탄트(신교)의 최대교파는 일본기독교단이다. 또 프로테스탄트 중에서 복음파라 불리는 교파는 구미권의 기독교에 비해서도 성서신앙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또 특정 교회에 속하지 않고 자기 집에서 성서만을 보는 ‘무교회 운동’(지도자는 内村鑑三, 우찌무라 간산이 유명하다)도 있다. 그리스정교(일본정교회)의 신도수는 일본에서 1만명 전후로 추정되며, 또 여호와의 증인도 많은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신종교, 일본사회의 종교 붐
지금으로부터 20년 전(1991년), ‘행복의 과학’이 돌연 일본인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를 주도한 자는 일본인들의 동경하는 도쿄대학의 법학부 출신이었고, 그가 쓴 책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도쿄돔에서는 그의 탄생제가 거액의 비용을 들여 성황리에 치러져 이목을 집중시켰던 것이다. ‘행복의 과학’은 신종교였다. 소위 신종교가 종종 쓰는 수법인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 포교전략’으로 세상을 놀라게 한 것이다. 1990년대는 세기말적 흐름이 일본사회를 지배하면서 제4차 종교 붐이 일어난 시기였다. 일본사회에서 이러한 종교 붐 현상은 몇 차례 있었다. 제1차가 막말유신기, 제2차는 2차 대전 패전 직후, 제3차가 1970년대였고, 바로 제4차가 1990년대였던 것이다.

19세기 막말유신기, “에에쟈나이까”
19세기 일본사회에는 역사적인 거센 조류가 몰아치고 있었다. 19세기 초반부터 러시아와 영국 군함들이 통상을 요구하며 다가왔으나 막부는 쇄국을 고집해 문을 열지 않았다. 백성들의 생활은 불안했다. 1853년에는 미국의 페리제독이 군함[黑船] 네 척을 이끌고 와 개항을 요구했다. 아니 위협했다. 결국 막부는 미국의 강화 요구를 받아들여 이듬해 일미화친조약을 체결했고, 이후 일본의 문을 개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의 정치와 경제는 혼란스러웠고 민중들의 생활은 말이 아니었다.

이 때 민중들 사이에서는 구원을 바라는 심리에서 이세신궁(伊勢神宮)에 참배하는 것이 대유행하였다. 이를 ‘오카게마이리’(お陰參り)라 한다. 이세신궁에 모신 신의 음덕을 바라는 참궁(參宮)이었다. 1830년의 오카게마이리는 약 500만명의 인파가 들끊었다. 오사카에서 이세(伊勢)에 이르는 길가에는 참궁을 위한 인파가 혼잡하였고, 그 사람들은 아마테라스 오오미가미(天照大神)의 신위(神威)를 받들어 미친 듯 “에에쟈나이까(いいじゃないか)”로 쓴다. 곧 “(세상바꿈이)좋지 아니한가”를 노래하고 춤추며 이세신궁으로 향했다. 이러한 참배물결의 큰 파도가 지나가면서, 봉건체제의 틀을 깨트리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1867년 막부는 정권을 천황에게 반납[大政奉還]했고, 조정은 천황정치의 부활을 정식 공포했다[왕정복고]. 이듬해 천황은 수도를 쿄토에서 도쿄로 옮기고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했다. 이것이 메이지유신(1868)이다. 이에 따라 신정부는 1869년에 다이묘(大名)들의 영지와 영내 백성들을 천황에게 반납하게 하고[版籍奉還], 1871년에는 종래의 번을 폐지하고 대신 전국을 현으로 나누어 중앙정부에서 관리를 파견했다[廢藩置縣]. 또한 메이지정부는 신사신도를 ‘국가의 종사(宗祠)’로 불교, 기독교와 달리 취급하여, 이세신궁을 정점으로 한 국가신도 체제를 확립하였다.
그래서 신사는 국가가 제사 및 보호 유지해야만 하는 시설이 되었다. 이러한 막말유신기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흑주교(1814), 천리교(1838), 그리고 금광교(1859) 등 많은 신종교들이 출현하였다.

20세기 세 번의 종교 붐, ‘신들의 러시아워’
20세기에는 1945년, 일본의 패망 직후와 1970년대 오일쇼크 직후, 그리고 1990년대 세기말적 분위기에서 세 번의 종교 붐 현상이 있었다.
2차 대전에서 패망한 직후 일본사회에서 국가신도가 폐지되었다. 천황 스스로가 신격(神格)을 부정(인간선언)하였고, 정교분리와 신교자유를 보장하는 신헌법이 시행되었다. 일본종교사에 미증유의 변동이 일어난 시기였다. 히도노미찌, 대본, 혼미찌, 창가교육학회(1946년에 창가학회로 개칭) 등이 조직을 재건하여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그동안 국가신도에 종속되었던 천리교와 금광교도 재출발하고 있었다. 또 생장(生長)의 가(家), 대일본관음교단(오늘날 세계구세교), 지우(璽宇, 1945), ‘무아(無我)의 춤’으로 인해 ‘춤추는 종교’로 일약 유명한 천조황대신궁교 등이 재건 재발족 개교되었다. 이처럼 전후부흥기는 여러 신종교들이 난립 경쟁 발전한 소위 ‘신들의 러시아워’ 시기였다.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는 대체적으로 평온한 시기였다. 경제적으로 낮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출호조에 힘입어 일본 국내에서 풍요의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 시작된 신비 주술 붐은 소위 ‘신신종교’ 및 ‘작은 교단’의 유행현상으로 나타났다.

이전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상대적으로 많은 젊은이가 참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번화가에는 ‘파친코점보다 그 수가 많다’라고 언급될 정도로 소교단이 배출되고 얼마 안돼 신신종교로 불리워질 정도로 대교단으로 급성장하는 예도 있었다.
그리고 1990년대의 4번째 종교 붐은 세기말적 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세기말 때마다 찾아오는 종말론 이야기, 특히 노스트라다무스의 1999년 종말예언 등은 서두에 보았듯이 행복의 과학 등과 같은 신종교들을 탄생시켜 주고 있었다.

현재 일본사회에서 활동하면서 종교단체로 등록된 신종교 교단수만 보더라도 300여개가 넘고 있고, 신자수도 대략 인구의 1~2할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신종교 교단들은 각종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을 설립하고 출판 문화사업 등을 전개하면서 일본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본의 대표적인 신종교 단체인 창가학회의 정계진출은 일본사회를 놀라게 하였고, 이 이외에도 PL, 영우회(靈友會), 입정교성회(立正校成會), 생장의 가 등의 신종교 단체가 정치와 끊임없이 관련을 맺어왔다. 또한 이러한 신종교 교단들은 일본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남미,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활발한 포교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일본식의 종교관
일전에 이름있는 한국의 기독교계 인사가 일본사회는 격조가 낮은 여러 잡신들을 모시기 때문에 벌을 받아 자연재해가 휩쓴다고 말해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일본사회, 아니 일본의 종교문화를 잘 모르고 말한 안타까운 현실이다. 일본인들은 종종 ‘풀 한포기, 나무 한 조각, 심지어 우리가 내뱉는 말[言] 한 마디에도 신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종교의식조사에서 ‘믿는 종교(교단)는 없으나 신불(神佛)을 믿고 의지하고 있다’는 일본인이 응답이 다수라는 결과도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곧 현대 일본인의 대다수는 실제로 종교의례에 참가하면서도 특정 종교조직에 대한 귀속의식은 희박하고, 스스로는 ‘무종교’(無宗教)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일본인이 신 및 불(仏)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 믿고 있지만 특정의 교단종교에 귀속하고 있지는 않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과 일본사회의 종교 실태를 보고 있노라면, 필자는 차라리 ‘일본교’(日本敎)라 부르고 싶을 때가 많다. 일본의 신사를 중심으로 한 신도신앙, 팔백만신, 일상생활을 신도 불교 기독교 등 여러 종교와 함께 살아가는 모습들, 어떤 종교가 들어와도 수용하고 녹여내는 습합(習合)신앙 등은 ‘일본교’라는 명칭을 무색치 않게 할 것 같다. 그래서 ‘일본인은 무종교라기보다 일본교라는 종교의 신도’ 라고 주장하는 편이 더 옳지 않을까 한다.




14110_p132_01.jpg (55.4KB) (0)
14110_p132_02.jpg (82.2KB) (0)
14110_p132_03.jpg (75.3KB) (0)
14110_p132_04.jpg (20KB) (0)
14110_p132_05.jpg (22.5KB) (0)
14110_p132_06.jpg (91.9KB) (0)
14110_p132_07.gif (24.3KB) (0)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수정 삭제 목록으로
 댓글 0개 | 엮인글 0개

39개(4/4페이지)
9소도신앙과 제사의식으로 본 백제의 전통신앙
고조선 이후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원시신앙은 고구려·신라·백제의 삼국시대에 규모를 갖추게 된다. 신라·고구려에 비해서 백제의 전통신앙은 지금 그 자취를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를 거치면서 패권을 상실한 백제관계 기 록은 거의 인멸되었고, 문화사상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백제의 전통신앙은 한국 고대사회의 대표적인 사상으...
2013.07.10, 작성자:김선주, 조회수:4662
8큰 나라 백제와 고대 일본
1. 미야자키현의‘백제의 마을’을 찾아지난 5월 말, 일본 큐슈(九州) 땅 깊숙이 숨어있는 ‘백제의 마을’을 찾아가기 위해 험한 산길을 달렸 다. 큐슈 땅에서 옛‘가야’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만, ‘백제’의 흔적을 만나는 건 흔치 않는 일이다. 일본 열도에는‘백제’와 관련된 명칭을 가진 지역들이 있 다. 그러나 그 대다수는 소위 긴키(近畿)지방이라 알 려진 ...
2013.07.09, 작성자:김철수, 조회수:8034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신의 나라, 일본필자가 일본에 대해 얘기할 때면 종종 하는 말이 있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한국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속담에는 자연에 대한 신뢰와 사람에 대한 불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렇다는 말이다. 때문에 사람을 만날 때는 조심하고 조심하란 경구이다...
2012.05.11, 작성자:김철수 , 조회수:10316 [역사와 문명]
6중국의 제천祭天 문화
중국의 제천祭天 문화천제天祭란 인간과 모든 만물을 지배하는 상제에게 제를 지내는 것으로, 이 상제에게 천제를 지내는 제천문화는 동북아의 뿌리문화를 대표하는 것이다. 중국의 제천에 대한 내용은 『시경』,『서경』등의 초기 경전에도 많이 볼 수 있고, 고고자료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중국의 제천문화에 대해서 (1)천제의 기원과 그 의미 (2)중국 고대의...
2011.10.31, 작성자:김선주, 조회수:4618 [역사와 문명]
5고대 로마의 태양신 숭배와 기독교
고대 로마의 태양신 숭배와 기독교김현일 / 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태양신 ‘솔 인빅투스’ 오늘날 우리들은 7요일을 한 주週로 하는 리듬에 맞추어 산다. 원래는 6일은 일하고 한 주의 마지막 날인 제7일은 쉬는 날로 한 것인데 최근에는 쉬는 날이 2일로 늘었다. 전반적인 생산력이 늘어 2일을 쉬어도 사회가 돌아가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일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언제...
2011.11.15, 작성자:김현일, 조회수:8946 [역사와 문명]
4유교儒敎의 신관神觀
유교儒敎의 신관神觀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 동양철학연구부 양 재 학楊在鶴 우리 가족은 설날과 추석을 포함하여 1년에 열 세 번 제사를 지낸다. 때로는 밥을 세 그릇씩 올리는 제사도 있다. 제삿날이 돌아오면 어머니는 음식을 마련하느라 며칠 전부터 종종 걸음하셨고, 아버지는 좋은 밤과 대추를 구하려 애쓰셨던 광경이 아련한 추억으로 떠오른다. 부모님에게서 제...
2011.10.14, 작성자:양재학, 조회수:5428 [역사와 문명]
3기독교 신앙의 핵심과 오늘의 모습(1)
이윤재 *글쓴이 이윤재는 독일 마르부르그(Marburg) 대학교에서 사회철학을 전공하고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서양철학연구부 연구위원. 인류문화를 이끌어온 바탕에는 종교가 있습니다. 종교는 인간의 삶과 죽음이라는 가장 심원한 문제를 다룹니다. 탄생도 신비요 죽음도 신비입니다. 모든 인간은 어떤 종교를 믿든 안 믿든 이...
2011.10.11, 조회수:4704 [역사와 문명]
2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총론’, ‘수두시대’, ‘삼조선분립시대’를 중심으로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김철수/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신채호(申采浩, 1880.12.8~1936.2.21) ‘조선 역사의 대가’이자 ‘국혼’(國魂)이라 불리는 단재 신채호 선생. ‘ 역사라는 것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라는 명제를 내걸어 민족사관을 수립하고, 한국 근대사학의 ...
2011.06.13, 조회수:6830 [역사와 문명]
1대륙백제를 생각한다
 중국대륙에 위치한 백제의 영토는 백제가 망한 이후에 어떻게 되었을까? 흥미로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중국 사서에서 이 문제에 대한 직접적 기록을 찾기란 쉽지 않다. 단지 당나라 때 재상인 두우杜佑가 편찬한「통전通典」의 짤막한 언급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백제가 당에 의해 멸망하였다는 언급 뒤에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이 붙어 ...
2010.08.1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조회수:7350
글쓰기처음목록 새로고침
처음페이지이전 10 페이지1234다음 10 페이지마지막페이지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 - 오마이뉴스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 - 오마이뉴스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일본 종교를 통해 본 '일본'
03.08.13 08:05l최종 업데이트 03.08.14 10:36l
김용태(hamsung21)



▲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책세상, 2001)

ⓒ 책세상
"우리는 일본과 일본인을 사랑할 수 있을까?"

다소 엉뚱한 질문처럼 들리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우리 속에 일본을 바라보는 두 가지 마음이 뒤섞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적극적으로 사랑은 하고 싶지만 불편한 과거 때문에 차마 할 수 없는 애증어린 심정이라고 할까.

쉽게 말해 우리는 일본과 일본인을 한편으로는 '동경'의 대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거부'의 대상이라는 복합적 심정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물론 합리적 일본관, 곧 일본으로부터 '배울 건 배우고, 비판할 건 비판하자'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럴려면 비교적 객관적인 입장에서 일본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자세보다는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쪽과 무조건적으로 거부하는 쪽으로 갈려 있는 듯 하다.

일본을 바라보는 우리의 눈

일본종교를 연구하고 있는 소장학자이자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 종교로 읽는 일본인의 마음>(책세상, 2001)이라는 책을 쓴 박규태씨는 이 같은 복합적 심정에 대해 "우리 사회가 평면적이고 양자택일적인 이원론이 지배하는 곳"이기 때문이라 말했다. 또한 "일본에 대한 우리의 비생산적이고 이중적인 콤플렉스가 여전히 강력하게 기능하는 현실"이라 덧붙였다.


일본에 대한 우리의 '자아의식'이 이런 식으로 서 있다 보니, 자연스레 우리는 "끌어안아야 할 일본과 우리가 마땅히 경계해야 할 일본"을 뒤섞어 버리게 된다. 또한 "옳고 그름의 담론이 그저 껍데기뿐인 명분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생각이 다르고 내 편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상대방을 적으로 규정하고 악으로 매도해버리는 일차원적인 발상들이 독버섯"처럼 피어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은이는 일단 우리가 얼마만큼 일본을 알고 있는지 묻는다. 특히 일본의 종교에 대해서. 이에 대한 지은이의 대답은 단호하다. 그는 "일본인의 종교에 관해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바는 거의 제로 상태다"라며 "한 문화의 종교를 이해한다는 것은 타자와의 만남을 위한 첫 번째 배려"라고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렇지만 과거사 문제가 아직 풀리지 못한 상황에서 과연 사심없이 일본이라는 타자를 이해할 수 있을까. "학인으로서 자신이 공부하는 대상을 사랑한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고 또한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유독 일본에 대해서만은 그게 쉽지 않다. 처음 일본에 가서 공부할 때 느꼈던 알 수 없는 분노, 나는 지금도 그것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럼에도 지은이는 분노를 접고 이해의 상상력을 펼치며 일본인 마음 속으로 들어갔다. 어렵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합리적인 일본관을 정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서 지은이는 이 책에서 일본의 신도와 불교, 기독교와 신종교 등의 사상과 역사, 그리고 그 현대적 정황을 기술했다. 한마디로 일본의 종교 지형을 한눈에 조감하며, 그 조감도 속에서 일본인의 마음 깊이를 읽어내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종교현상학적 태도 가운데 하나인 '공감'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면서.




▲ 야스쿠니 신사 전경

ⓒ 김용태
이 책에서 특별히 관심을 갖고 읽어야 할 부분은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대한 종교적 접근 또는 해석이다. 두루 알다시피 야스쿠니 신사는 과거 군국주의 시대에 천황을 위해 전쟁터에서 죽은 250여만 전사들이 신으로 모셔져 있는 곳이다. 이 야스쿠니 신사에 일본의 총리를 비롯한 일본의 우익집단 인사들이 공식 참배를 하면서 '야스쿠니 문제'가 불거지곤 한다.

야스쿠니 신사참배와 원령신앙

이러한 '야스쿠니 문제'에 대해 지은이는 단순히 정치적인 관점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을 지적한다. 예컨대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일반적인 일본인들의 두 가지 태도가 그러하다. 일부 우파 정치인들이 얘기하듯 '일본 국민들은 평화바보'일 정도로 반전(反戰)과 평화헌법을 주장하면서도, 그러나 속내를 들어다 보면 야스쿠니 신사에 심정적인 동의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본인들은 대부분 '평화헌법'을 지지하며 전쟁을 반대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전범이 신으로 모셔져 있는 이 야스쿠니 신사에 대해서는 심정적으로 동의하는 편이다. 왜 그럴까?"

지은이는 이 같은 두 가지 태도의 이유에 대해 일본인의 독특한 집단적 심성인 '원령신앙'을 그 이유로 든다. '원령신앙'은 일본인의 무의식에 오래 전부터 쌍여 온 민간신앙인데, 기본적으로 정상적으로 죽지 못한 신령이 산 자에게 미칠지도 모르는 해코지에 대한 공포나 두려움이 짙게 드리워 있다.

"중세 이래 일본에는 생전에 원한을 품고 죽은 귀족이나 왕족이 사후에 탈이나 재앙을 일으키는 걸 막기 위해 사령을 신으로 모시는 관습이 있었다. 이를 통상 어령(御靈) 신앙 또는 원령신앙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이는 정치적 분란이나 전란, 사고, 자연재해, 역병 등으로 생전에 한을 품고 죽거나 비명사한 자의 원령이 산 사람을 괴롭히고 여러 재앙을 불러온다하여 두려워한 민간신앙이다."

그런데 이 같은 '공포'에 기반한 원령과 산 자의 관계를 정화하고, 순화하는 곳이 바로 야스쿠니 신사라는 것이 지은이의 설명이다. 쉽게 말해, 원령신앙이 질병의 원인이라면 야스쿠니 신사는 질병에 대한 치료인 셈이다.

"전쟁터에서 비정상적으로 죽은 자는 원령이 되어 산 자를 괴롭힐지도 모르니까, 그 원령을 위무해주어야만 하고 그게 바로 야스쿠니 신사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원령신앙이라는 종교적 관점으로 일본 우익집단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정당화할 수는 없을 듯 하다. 평범한 국민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정치적 의도를 품고 신사를 참배하는 우익 인사들의 태도는 전혀 종교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적인 일본인들의 집단적 심성에 이러한 공포적 원령신앙이 전제돼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박규태 지음, 책세상(2001)


일본 종교 분석한 최현민 수녀 “악행은 악신 탓이란 믿음이 과거사 외면 불러” : 네이버 블로그

일본 종교 분석한 최현민 수녀 “악행은 악신 탓이란 믿음이 과거사 외면 불러” : 네이버 블로그

일본 종교 분석한 최현민 수녀 “악행은 악신 탓이란 믿음이 과거사 외면 불러”

신선

2020. 4. 13. 



10일 서울 성북동 가톨릭 씨튼연구원에서 만난 원장 최현민 수녀는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을 때까지 판단을 보류하는 게 종교 현상학의 방법론”이라며 “한일 관계를 개선하려면 일본을 올바로 이해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왕태석 선임기자

​“일본을 알려면 일본 종교를, 무엇보다 신도(神道)부터 알아야 해요.” 일본인에게 신도란, 이런저런 종교가 아니어서다. 일본의 불교, 일본의 기독교를 알기 위해서도 신도를 알아야 한다. “일본인들의 정서와 뼛속에 너무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에 ‘초(超)종교’나 ‘생활 습속’이라고 표현하는 게 더 적합하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지난 10일 서울 성북동 씨튼연구원에서 마주한 최현민(61) 원장의 설명이다. 씨튼연구원은 종교 간 대화를 이끄는 천주교계 연구원으로 최 원장은 최근 ‘일본 종교를 알아야 일본이 보인다’(자유문고)를 내놨다.

신도의 가장 큰 특성은 ‘흐릿한 선악관’이다. 일본은 한국만큼 윤리적 도덕적 책임 문제에 덜 민감하다. 신도의 인식 체계 내에서 악이란 고정불변의 실체가 아니다. 생명력이 다하거나 오염됐을 때 발생하는, 하나의 현상이다. 선으로 다시 회복될 여지가 있다. 일본 축제 ‘마츠리’가 사실상 정화 의식이고, 일본인들이 마츠리에 열광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더러워지는 것 자체도 자기 책임이 아니다. “신도에서는 신(神)을 ‘가미’라 부르는데, 그 중에는 ‘악신(惡神)’도 있어요. 내 안에 들어온 악신이 나를 움직여 나쁜 행동을 하게 했다고 일본인들은 생각합니다.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거죠.” 일본이 과거사 책임 문제를 회피하는 것 또한 그 때문이다.

한중일 동북아 3국 불화의 씨앗인 ‘야스쿠니(靖國) 참배’ 문제 또한 그런 맥락 아래 있다. “일본인들은 원한을 품은 영혼, 즉 원령(怨靈)이 산 사람을 해코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사를 지내 그들을 달래줘야 한다고 믿어요. 원초적 믿음 같은 것이어서, 그 부분을 이해하지 않고 정치적으로만 접근하면 해결이 어렵습니다.”

​어쩌다 일본은 고대 토착 신앙의 절대적 영향 아래 놓이게 됐을까. 최 원장은 일본의 역사와 관련된 문제라 봤다. “지금 일본인은 천황을 현인신(現人神)으로 인식합니다. 신화와 역사를 결합해 국민을 만들어 내려 했던 메이지(明治) 정부의 기획이 주효한 거지요.” 단군신화를 상징성 강한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천황가 신화인 기키(記紀) 신화를 사실 그 자체로 여긴다.

​이런 믿음 체계를 가지고 있기에 일본 종교에는 ‘초월성’이 아주 부족하다. 일본이 기독교를 받아들이지 못한 건 그 때문이다. 일본이 불교나마 받아들인 건 ‘장의(葬儀) 불교’ 형태로 현세 중심인 신도의 내세 공백을 기능적으로 메워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엔 장단점이 따른다. 가령 신도적 믿음은 팔로어십(지도자 추종)에 유용하다. 그래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난을 극복하는 데는 아주 유용한 측면이 있다. 문제는 리더십이다. “위기 국면에서 한국이 주목 받은 게 투명성이잖아요. 머뭇거리고 감추려 하는 아베 신조 정부의 리더십이 사태를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리더십만 잘 작동하면 일본도 위기를 극복해낼 겁니다. 우리와 연결돼 있으니 당연히 그래야 하고요.”








얘기를 나누다 보니 수녀와의 대화치곤 독특하다. 그럴 만한 배경이 있었다. 최 원장은 원래 생명과학도였다. 생화학 전공으로 대학원까지 마쳤다. 하지만 세부적 과학 지식은 ‘숲을 보지 못하는 게 아닐까’라는 회의감으로 발전했다. 공부 대신 수도의 길을 택했다.

​전임 씨튼연구원장 김승혜 수녀가 최 원장을 다시 공부의 길로 이끌었다. 
일본 난잔(南山)대 종교문화연구소와 교류하면서 최 원장은 일본 불교에 이끌렸다. 종교학 석사, 박사 논문 모두 불교에 대해 썼다. 2000년대 중반 서강대에서 ‘일본 종교’ 과목을 맡으면서 일본 종교 전체를 파고들기 시작했고, 그 성과를 모아 낸 게 이번 책이다.

종교 간 대화를 하면서평화’라는 화두를 쥐게 됐다. 동북아 평화는 그 시작점이다.

“한일 관계가 계속 꼬여 온 건 사실이죠. 
하지만 우리가 선입견을 조금만 내려놓는다면, 
조금이나마 관계가 나아질 수 있지 않을까요.” 

종교는 아주 좋은 실마리다. 종교는 사람 마음의 가장 밑바닥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한국일보 권경성 기자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원한의 문제 - 증산도(Jeung San Do) 공식 홈페이지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원한의 문제 - 증산도(Jeung San Do) 공식 홈페이지

<브레이브 하트>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원한의 문제
대한의혼 | 조회 2772 | ||| (0)
지구촌에서 전쟁을 하지 않는 날이 거의 없다.

“전쟁사를 읽지 말라. 전승자의 신은 춤을 추되 전패자의 신은 이를 가나니”(道典 2:102:3∼4)

오죽하면 상제님께서 이렇게 전쟁사를 읽지 말라고 하시겠는가. 전쟁사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전패자의 신이 저주한다는 말씀이다.

사실 인간 현실 문제의 심각함은, 이렇듯 고통받는 이들의 원과 한의 중심에 서봐야만 제대로 알 수 있다. ‘과연 깊은 원과 한을 맺고 죽은 신명들이 천지 안에서 어떤 역사를 만들고 있느냐? 앞으로 이 우주에 어떤 대변혁이 오느냐?’ 이것은 극복될 수 없는 원과 한을 맺은 처절한 사람들의 모습을 봐야만 실감할 수 있다.

영국 북부에 스코틀랜드가 있는데, 수백 년 동안 그 민족의 영웅으로 받들어지고 있는 이가 있다. 그대들도 잘 알고 있는 윌리암 왈라스다.

내가 스코틀랜드의 공항에 내려 차를 몰고 가는데, 아름다운 호숫가에 있는 조그만 가게의 할머니가 하는 말이 있다. “이 곳에 와서 윌리암 왈라스의 생가를 안 가보면 말이 안 된다.”는 거다. 그들의 자긍심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영국이 북부 스코틀랜드를 강권으로 점령하여 통치를 하는데, 얼마나 악질적이었느냐 하면, 스코틀랜드 처녀가 시집을 가면, 첫날밤에 영국군 장교가 더불고 잔다. 그러니 스코틀랜드 남성들의 원과 한이 얼마나 컸겠는가. 아, 내가 장가를 가는데, 그 날 밤에 마누라를 영국 군인이 데리고 잔다고 생각해 보라. 아마 누구도 감당키 어려운, 그야말로 천지를 가르는 울분이 일 것이다. 제아무리 도덕가나 성직자나 착한 사람이라고 해도, 그걸 감당할 수 있겠는가 말이다.

이에 분노한 윌리암 왈라스가 자유를 얻기 위해 전쟁을 일으킨다. 그게 <브레이브 하트>란 영화로 나왔다. 20세기 불멸의 영화다.

 

-종도사님 도훈 중 (2002.5)-

이성수 / 영화 선교사 영화 감독 | 디스타임

이성수 / 영화 선교사 영화 감독 | 디스타임





이성수 / 영화 선교사 영화 감독
2020-02-20


한국 최초 영화 선교사 이성수 영화 감독이 캘거리를 방문했다. 2014년 원주민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Beautiful Mind’를 들고 캘거리를 찾은 이후 5년 9개월 만이다. 당시, 그는 밴쿠버에서 선교사로 6년을 지내던 중 원주민들의 삶을 보면서 ‘원주민도 우리와 똑같은 하나님 피조물이고 귀한 영혼들일 텐데 왜 그들의 삶은 이럴까? 이것은 결코 하나님이 원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란 애틋함을 갖게 되어 영화를 만들었다.

이번 캘거리를 방문하면서 새 다큐멘터리 영화 ‘용서하기 위한 여행’을 들고 왔다. 일본을 용서하라는 하나님의 뜻을 발견했던 것은 2015년 코스타 30주년을 기념행사를 통해서다. 그때 만난 일본지역 선교사들은 이 감독의 ‘Beautiful Mind’에 감동을 하고 그를 일본으로 초청했다. 도쿄를 시작으로 쓰나미로 원전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까지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면서 이 감독은 일본에 만연해 있는 독특한 분위기를 느꼈던 것. 일본 전역에 8만 개의 신사가 있음에 놀라면서 성경 속의 도시 니느웨를 떠올렸다. 그런데도 한국인의 뿌리 깊은 원한의 대상인 일본을 용서하는 것이 처음부터 쉬운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용서하지 않을 핑계를 찾기 위해 성경 속의 말씀을 찾아보기도 했다. 그런 그를 움직인 것은 두 명의 일본인이다. 9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위안부 할머니를 찾아와 끊임없이 용서를 빌어 온 일본 목사가 그 한사람이다. 그는 일본에서도 가장 존경받는 목사로 꼽히기도 한다. 또 한 사람은 일제 강점시대 대한민국 전역에 세워진 1천여 개의 신사를 찾아다니며 회개 운동을 하고 있던 일본 목사다. 한국 기독교인이 해야 할 일을 일본인이 하고 있음을 보면서 그의 마음은 움직였다.

저 먼 과거에서부터 시작된 일본의 만행을 담고 있는 이번 영화 역시 선교가 주목적으로 상업 영화가 아니어서 영화관 상영은 하지 못했다. 따라서 영화를 만들면 이성수 감독은 전 세계 교회를 돌며 영화를 상영한다. 이번에도 역시 일본을 직접 방문해 일본 현지 교회에서 상영했다. 이 영화를 본 일본 현지 목사들은 ‘당신은 우리를 참 부끄럽게 만드는 영화를 만들었다. 학교에서도 가르치지 않은 역사의 진실이 담겨있다. 이 영화가 일본 전국에 상영되어야 한다’라고 했다는 것.

이 감독은 5천 년 역사를 지닌 대한민국이 흥하고 있는 지금, 우리가 받은 축복을 나눠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반해 니느웨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처럼 점점 쇠락해 가고 있는 나라 일본을 불쌍하게 여겨 살리자고 말한다. 피해 당사자인 우리 한국인이 일본을 용서하고 위로해야만 하나님의 역사도 일본에서 일어날 수 있다면서.

이 감독은 구원의 축복을 나 혼자 지니고 있지 말고 나누자면서, 상처받은 치유자로서 우리의 운명을 강조한다. 이순이 지난 지 한참인 이 감독은 그의 마지막 프로젝트로 다음 세대를 위한 다큐멘터리 ‘복음 통일’을 계획하고 있다.

 

'왜 일본 공포영화 주인공은 위기 자초하나' 여기 답이 있다 - 오마이스타

'왜 일본 공포영화 주인공은 위기 자초하나' 여기 답이 있다 - 오마이스타



'왜 일본 공포영화 주인공은 위기 자초하나' 여기 답이 있다

제23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상영작, 클래식한 J호러 <토시마엔 괴담>
김준모(rlqpsfkxm)
19.07.01 



▲ <토시마엔 괴담> 포스터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1년 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타카하시 히로시 감독을 인터뷰한 적이 있다. <링>과 <여우령>의 각본가로 유명한 그는 당시 심사위원으로 부천을 찾았고 인터뷰 답변으로 J호러의 한계와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J호러의 근원은 심령사진의 재현으로 우연히 찍힌 심령사진을 실제로 재현해 보고자 하는 욕망에서 시작되었다. 이런 시도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 일본 공포영화의 전성기로 이어졌다.

<링> <주온> <착신아리> <하나코> 등 J호러는 다채로운 귀신 캐릭터와 빠져 나올 수 없는 저주의 매력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유튜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더 자극적이고 무서운 영상들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지자 더 이상 관객들은 심령사진의 재현이라는 J호러의 방향에 관심을 지니지 않게 되었다. 당시 타카하시 히로시 감독은 J호러가 다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에 있어 고민을 해야 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놀이공원 토시마엔을 배경으로 한 공포영화



▲ <토시마엔 괴담> 스틸컷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그리고 1년 뒤, 동명의 이름을 지닌 신인 감독이 제23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방문하였다. 그의 영화 <토시마엔 괴담>은 요즘 보기 힘든 클래식한 J호러의 느낌을 담고 있다. 인터넷 개인방송이 등장하고 스마트폰을 통한 촬영을 통해 현대적인 감각을 보여주지만 공포를 주는 방법에 있어서는 J호러의 고전적인 규칙들, 특히 귀신의 원한을 통한 복수와 청각적으로 긴장감을 높이고 시각적으로 마무리를 짓는 기술, 전해 내려오는 괴담과 이를 통한 저주로 벌어지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놀이공원 토시마엔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클래식하게 공포를 유발해낸다. 첫 번째는 괴담을 통한 저주이다. 도입부에서 인터넷 공포체험 개인방송을 진행하던 세 명의 남녀는 토시마엔 놀이공원에 내려오는 금기를 어기고 악령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 금기를 통한 저주는 J호러가 지닌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어떤 비디오를 보면 3일 후 죽게 된다는 <링>이나 학교 공중 화장실에 등장하는 변소귀신의 소문이 주가 되는 <하나코>처럼 특정 장소나 행동에 대한 괴담이나 금기, 이를 통한 저주가 이 작품의 핵심이 된다.

도쿄에 실재하는 토시마엔 놀이공원의 도시괴담에 담긴 금기는 세 가지이다. 오래된 건물의 문을 두드리지 말 것, 귀신이 불러도 대답하지 말 것, 비밀의 거울을 바라보지 말 것이다. 금기를 소재로 한 공포영화는 항상 이 금기가 깨지면서 저주가 시작된다. 유학을 앞둔 대학생 사키는 학창시절부터 우정을 이어온 네 명의 친구와 함께 추억 여행으로 이 놀이공원을 향하고 토시마엔 괴담의 금기사항을 어기고 저주에 빠지게 된다.



▲ <토시마엔 괴담> 스틸컷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두 번째는 원한을 지닌 귀신을 통한 공포의 유발이다. J호러가 심령사진의 재현을 위해 택한 방법은 귀신의 캐릭터를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원한을 지닌 사람이 죽어 그 혼령이 악령이 되었다는 기본 설정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귀신 캐릭터를 만들어 왔다. 이 작품 역시 저주를 발현하는 귀신 캐릭터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공포를 유발해낸다. 3년 전 사키를 비롯한 친구들이 고등학생일 때 토시마엔 놀이공원에서 실종된 친구 유카의 존재가 저주의 근원으로 등장하며 왜 유카가 악령이 되어 친구들에게 저주를 내리는지가 미스터리의 중심을 이룬다.

여기에 청각과 시각을 동시에 공략하는 효율적인 공포감 조성이 인상적이다. 악령이 나타나기 전 사운드를 통해 긴장감을 조성하고 악령이 등장하는 순간 시각적인 공포를 통해 마침표를 찍는다. 이 영화는 J호러의 클래식한 방식이 여전히 관객들에게 유효하다는 점을 증명해낸다. 다만 J호러가 왜 전성기 이후 오랜 시간 관객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영화이기도 하다.

SNS나 스마트폰 활용해 공포의 감도를 높이다

J호러의 약점은 장면의 연출을 위해 캐릭터들을 극단적으로 답답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 있다. 기본적으로 호기심이 가득해 위기를 자초하는 편이며, 경찰에 신고하거나 해당 장소에서 빨리 탈출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 등 이성적 사고가 부족한 인물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인물 간에 갈등이 극에 달할 수 있게 쉽게 흥분하고 남에게 피해를 끼치는 걸 어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이 작품에서도 사키를 비롯한 친구들은 맨 처음 실종된 친구 카야가 전화를 걸어 기묘한 이야기를 하고 공포감을 조성하는 사건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경찰에 신고하거나 놀이공원을 빠져나가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 <토시마엔 괴담> 스틸컷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또 안쥬는 친구들이 실종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경찰 신고보다는 '우리가 친구들을 찾아야 된다'며 무리하게 친구들에게 수색을 강요한다. 그런 안쥬에게 명확한 이유를 설명하기보다는 도망치자는 말만 반복해 갈등의 골을 깊게 만드는 치아키의 대립은 극적인 재미보다는 답답함을 유발해낸다. 이는 클래식한 J호러가 지니는 문제점으로, 호기심과 답답함이 바탕이 되어야만 인물들이 한 명 한 명 흩어지고 그 순간 공포를 조성해낼 수 있다는 단점이 나타난다.

그럼에도 <토시마엔 괴담>은 여전히 J호러가 지닌 힘과 그 힘에 관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신예 타카하시 히로시 감독은 SNS나 스마트폰을 활용해 공포의 감도를 높이는 건 물론 괴담을 통한 금기와 저주를 흥미롭게 풀어내면서 J호러의 새로운 방향성보다는 기존 스타일의 강화와 보완을 보여준다. 공포 장르의 다양한 변주 속 여전한 클래식의 매력을 보여주는 이 작품은 제23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지향하는 장르영화의 방향성과 잘 어울린다.

[별을 쏘다]美이민 간 日귀신 여전히 ‘오싹’ - 경향신문 - 과거의 원한을 간직한 사물이나 혼령이

[별을 쏘다]美이민 간 日귀신 여전히 ‘오싹’ - 경향신문


[별을 쏘다]美이민 간 日귀신 여전히 ‘오싹’
입력 : 2006.10.25


할리우드에 일본산 공포영화 바람이 그칠 줄 모른다.


일본 공포영화 ‘주온’ 시리즈의 할리우드 리메이크작 속편 ‘그루지2’는 10월 둘째주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소니픽쳐스에서 배급한 ‘그루지2’는 2천2백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려 전주 1위였던 잭 니컬슨,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등 호화배역의 범죄영화 ‘디파티드’를 2위로 밀어냈다.



‘그루지’ 시리즈는 일본 원작의 감독 시미즈 다카시가 직접 할리우드로 가 메가폰을 잡고, ‘스파이더맨’의 샘 레이미 감독이 제작을 맡았다. ‘링’ 등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된 일본 공포영화가 배경을 미국으로 바꾼 것과 달리, ‘그루지’는 미국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원혼이 깃든 집의 비밀과 마주친다는 내용이다.


할리우드의 일본 공포영화 리메이크 붐은 ‘링’(2002)에서 시작됐다. 한국에서도 리메이크 된 적이 있는 이 작품 역시 미국에선 2편까지 제작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링’ ‘주온’ 등의 일본 공포영화는 과거의 원한을 간직한 사물이나 혼령이 현재의 인간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줄거리를 갖고 있다. 일본 공포물은 주로 등 뒤에서 은근슬쩍 다가오는 듯 서서히 옥죄어오는 공포감을 안겨주지만, 피와 살이 튀는 잔인한 장면은 좀처럼 등장하지 않는다. 공포영화라고 하면 살인마가 희생자들을 추적해 잔인하게 죽이는 슬래셔 영화, 썩어문드러진 시체가 살아 돌아오는 좀비 영화에 익숙했던 미국 관객에게 일본의 은근한 공포물은 신선한 느낌을 안겨줬다.


일본 공포물이 미국에서 재탄생하면서 사회, 문화적 함의가 풍부해지는 경우도 있다. 나카타 히데오의 ‘검은 물 밑에서’를 리메이크한 ‘다크 워터’(2005)가 그렇다. ‘중앙역’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의 월터 살레스 감독은 원작에선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던 주인공 여성의 과거 상처와 현재의 열악한 경제 조건을 추가함으로써 현대인의 억압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영화평론가 김봉석씨는 “비논리와 직관에 의존했던 일본 공포물은 할리우드로 건너오면서 논리와 인과관계를 갖춘다”고 설명했다. 일본판 ‘링’은 저주에 걸린 피해자가 1주일 뒤 죽는 모습만 보여줬지만, 할리우드의 ‘링’은 1주일 사이 피해자가 죽을 것이라는 징조를 계속 보여주는 식이다.


일본 공포영화가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면서 양산되다보니, ‘착신아리 파이널’ ‘유실물’ 등 일본 주류 영화계에서 만드는 공포영화가 매너리즘에 빠진 듯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비주류 영화계에선 ‘환생’ 등 참신한 공포도 시도되고 있어, 한동안 일본 공포물의 인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백승찬기자 myungworry@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