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2

A Synopsis of My Personal Cosmology – Part 1 | Father Seán ÓLaoire, PhD

A Synopsis of My Personal Cosmology – Part 1 | Father Seán ÓLaoire, PhD
A Synopsis Of My Personal Cosmology – Part 1
LAST UPDATED ON: DECEMBER 14, 2023 AT 9:47 AM
 DECEMBER 14, 2023 BY FATHER SEÁN ÓLAOIRE, PHD

An Essay in Four Parts

1. Introduction

A friend challenged me: “Telescope your cosmology, your entire thinking, into one homily”. If I tried to telescope 77 years of life, 59 years of meditating and 51 years as a priest into one homily, the following essay is what I might come up with. Now, I know that it is a ridiculous kind of exercise. And I know that a map is not the terrain. And a cosmology is not the reality. But we need maps to guide ourselves.

Buddhism has a saying, “If you meet the Buddha on the road, kill him”. In other words, if you create a theology that you really believe in, “kill it before it kills you”. But we need theologies to maneuver as we try to understand what God is. There is a great statement by the Christian mystic, Meister Eckhart, “I pray daily to God to rid me of God”. As soon as we attempt to create reality, we try to express in words what essentially is ineffable.


So, I must navigate between giving you enough detail to let you know what my thinking is, and at the same time, to not swamp you with so much stuff that I do not confuse you in the process. Now, because I’m Irish, I can’t be succinct. So, I’m not going to be able to tell you in one phrase what my cosmology is. I’m a bit more like Moses. So, I’m going to be rather wordy.

 

2. Some Important Definitions

a. Reality

If we live in the West, we suffer under the misapprehension that something is only real if it can be grokked by our sensorium — either directly, or by extension through our instrumentation. So, we don’t believe, in the West, that anything is real unless we can see it, hear it, taste it, touch it, or smell it. However, that is not my understanding of reality.

Reality exists in many different levels — some of them more pristine than others. I believe that anything you can sense, feel, think, remember, dream, choose, or imagine is real. Bu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reality. And to make our maps of reality, we must be cartographers of all those levels. So, reality for me is much bigger than what we normally think.

b. Truth

Truth is not the same thing as fact. Fact is simply a data point in the physical Cosmos — not particularly important. So here is how I define truth: something is true if it transforms me and aligns me with Source. And something is ultimate truth if it transforms me radically and aligns me permanently with Source.

I’m not particularly interested in factoids. I’m interested in that which can transform me and align me with God. The factoids are only important to manipulate the physical world in which I find myself.


c. Memory

For me, memory goes all the way from “Eidetic Memory” which is the tiny memory that remains in your senses after you’ve experienced something. When you see something, there’s a small memory that lives in your eyes for a few nanoseconds. Or you hear a sound. There’s a memory of the sound that stays in your ear for a little bit of time. So that’s what I mean by “Eidetic Memory”, memory held by the sensorium itself. Then at some stage, it goes into short–term memory. And then, it goes into long–term memory.

I believe that the memories of an entire lifetime are available to you. I believe that the memories of all the lifetimes you’ve ever lived are available to you. And I believe ultimately in the Akashic Records — that everything that has happened in any dimension of God’s manifest realms has been recorded — that God is a doting grandparent who has videotaped everything that every one of Her children have ever done. So, memory to me means access to all of God’s data.

d. Imagination

Imagination is not the ability to make up stuff that is not real. Imagination is the ability that allows us to shift our state of consciousness, alter our mental frequencies, visit other dimensions, have encounters with entities and energies that exist in those dimensions, bring them back here, cross–fertilize them with our culture and, therefore, expand our models of what’s real. That’s what imagination is. It’s the most important gift an artist or a scientist has. Real science is based on imagination — leaps of creativity — not just technical data.

3. Only God Exists

I believe that, ultimately, only God exists and that everything that we experience is some kind of emanation, or articulation, of God.


God seems to have two aspects — a transcendent aspect, the “Isness” of God, which is totally ineffable and about which we can say nothing. And then there’s the “Immanence” of God — as She breathes and moves through Her manifestation. The “Immanence” of God is that which we can encounter and experience.

In a different way, you could say that there are three aspects to God. There’s the “Isness” of God, represented by the Father, in the Christian Trinity. There’s “God’s Total Self–Knowledge” represented by the “Word–of–God” or “Jesus” in the Christian Scriptures. And then there’s “God’s Total Love for Herself”, the total self–acceptance of this mystery. And that’s represented by the Holy Spirit.

4. Five Things I believe God Is Not

a. I do not believe that God is a person. I don’t think that God is some kind of superhuman being with human attributes. We have projected these onto God, from our own virtues and vices.

b. Nor do I believe that God is a “Creator”. I don’t think that God sits in His workshop and thinks, “Today I’m going to make elephants”. And then He makes elephants out of nothing. And then He says, “I think I’m going to make planets”, and then He makes planets. Or He says, you know, “I think I’m going to make spiders”, and then He makes spiders. For me, all manifestation is, literally, emanation from God.

It is the nature of God to emanate into manifestation. I’ve used the example, many times, of a flowerpot someone gave me. There was a bulb set in it. But I couldn’t see the bulb. And the person who gave it to me said, “It’s very simple. Stick your finger in the clay. If it’s dry, put water in it. If it’s wet, leave it alone”. And I put it by the window in my bedroom and a few weeks later; this green stalk began to emerge. And then, a few months later, four big trumpet flowers emerged. It’s not that the bulb created a stalk and that the stalk created four trumpet flowers. It was the nature of the bulb to emanate and manifest as stalk and then subsequently as flower and then again return to being a bulb.


I do not believe that God waves a magic wand and then elephants come into existence — from nothing. Rather, it is the nature of God’s “Immanence” to manifest everything that we see around us — whether they’re galaxies, elephants, spiders — or humans.

c. Nor do I believe that God is a “Covenant–Maker”. I don’t think that God makes agreements with particular groups of people. I do not believe that God has that kind of relationship with any group.

d. Nor do I believe that God is a micro–manager — that He inserts himself into human affairs and gets really upset when you don’t follow His laws.

e. And I do not believe that God is partisan. Rather, I believe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s a Word–of–God–Made–Flesh. In the Christian dispensation, we make a huge mistake, I believe, by claiming that the Word–of–God became flesh just once. In the prologue to his gospel John says: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 And we think this word is “Jesus Christ”. We make a grave mistake if we think that this happened only once.

When I meditate on that passage, here’s the version I use. I say,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You are such a word”. So,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phenomenological realms is a Word–of–God–Made–Flesh.

5. The Metaverse

I do not believe that we live in a Universe. I believe that we live in a Metaverse that has given birth to a pluriformity of Multiverses. And that this little Universe that we inhabit is one little baby connected to other little babies in the womb by black holes and white holes and that literally we live in a bubble bath of Universes, each of which is precious to God. And this Universe, we now know has more than 800 exoplanets — planets similar to Earth, that exist in other solar systems. The probability is that there are billions of such exoplanets. To think that life only exists on this one is ridiculous. It’s like thinking that the Earth is flat. There are other life forms out there much more advanced than us.





===
A Synopsis Of My Personal Cosmology – Part 2 – Evolution
LAST UPDATED ON: DECEMBER 14, 2023 AT 2:53 PM
 DECEMBER 21, 2023 BY FATHER SEÁN ÓLAOIRE, PHD


An Essay in Four Parts

6. Planting and Tending Life

My next point is to look at life itself as it’s planted and tended. So, where does life come from in this little Universe? We believe that the universe is 13.7 billion years of age. But we know that our planet is only 4.6 billion years old. And so, there are parts of this Universe which are literally three times older than Planet Earth. Do we want to believe that for two–thirds of the existence of this Universe nothing happened — and that life then began to breed only on Planet Earth?


For me, that’s ridiculous. I’m convinced that life started elsewhere long before it started on Planet Earth. And it became very complex long before Planet Earth was seeded. Later, life was planted on Planet Earth. By whom? And how? When Sir Francis Crick, the discoverer of DNA, was asked about this he said, “I believe it is through directed panspermia, that spores came from outer space and settled on Planet Earth and began to grow”. And when somebody asked him, “How could spores exist in inter–galactic space?”  he said,” because they were sent here in specially designed capsules”. Now, I think, it’s a bit more hands–on than that.

I don’t think that some extraordinary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 bombarded Planet Earth with capsules filled with spores of life, but rather that the ET’s themselves visited here. I believe that many different extra–terrestrial societies, much more advanced than we are, visited the Planet and treated it as a garden. And they planted the garden. And they’ve come back regularly. And they’ve weeded the garden. And they’ve fertilized the garden. And sometimes they’ve grafted new stuff onto it, and they genetically modified it. And then, finally, as we’ve read in the Scriptures, they created us in their own image and likeness. So, what does that mean? That they finally bred a life form that somehow resembled those who planted the garden.

Now, are these gardeners the ineffable Source? No, we are simply talking about some very advanced civilizations that literally planted, tended, fertilized, and genetically modified this garden and continued to look after it. We read in the Hebrew Scriptures, in the book of Genesis, that some kinds of “Sky Gods” made us in their own image and likeness.

And moreover, they got infatuated with the human beings and began to breed with them. There’s a very strange statement in the Book of Genesis, in Chapter 6, where it says, “The Sons of God found the daughters of men to be really attractive and they took them to wife as many as they wanted, and they created a great race called the Nephilim”. They give this race two names in the Hebrew Scriptures. Sometimes it’s called the “Nephilim”. Sometimes it’s called the “Anakim”. And according to the Scriptures, which we believe are the word of God, the sons of God— whoever they are— found the daughters of men — whoever they are — to be very attractive. And they took them to wife. And they bred with them and created a race called the “Nephilim” or “Anakim”.


And so, in the Scriptures there’s a lot of evidence that life on Planet Earth didn’t just happen. It was seeded. It was planted. And it was tended. And my belief system is that there were many such civilizations that visited. Now, the tendency is that when a very technologically sophisticated civilization meets a very primitive group, the primitive group always presumes that the others are Gods.

During World War II, when the Japanese and American air forces landed in the Polynesian Islands and brought supplies, the local population thought that they were Gods, and started imitating their rituals. They created runways and built model aircraft hoping that these “Gods” would come back with more cargo. That’s how they became known as “cargo cults”.

And so, I am convinced personally, that religion — as distinct from spirituality — is literally the false worship of advanced civilizations by primitive people. And we are the primitive people who continue to believe that some kinds of “Sky Gods”, who are just advanced civilizations, are in fact, Source. And we defer to this false Source.

7. The Grand Sweep of Evolution

Darwin would have us believe that evolution is predicated on three principles. First, spontaneous mutation — just any kind of mutation, most of which are useless — and that occasionally there’s a good one. And then, second, there’s a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based on “Survival–of–the–Fittest”. It’s a dog–eat–dog world out there. And, then third, this process, very gradually and smoothly, morphs into more and more complex life forms. That’s the Darwin viewpoint. And I don’t agree with it at all.

I believe that there is an intelligence guiding this entire process. So, if you want to call it “Intelligent Design” that’s fine with me. Rather, I mean that God’s wisdom is built into evolution and that, therefore, there’s intelligence to it — that things are not just mutating randomly. There’s meaning to the direction they’re planning to take as they achieve more and more complexity. And, rather than claim that it’s “Survival–of–the–Fittest” and dog-eat-dog, I see much more evidence for cooperation and symbiosis in nature — all life forms helping each other to survive in their own particular niches.


And I do not see evidence for evolutionary gradualism. In fact, there’s no evidence whatsoever in the fossil record that evolution happens as gradual sophistication. Rather there’s evidence for what Stephen J. Gould called “Punctuated Equilibria” that every so often, there’s a Quantum Leap — and a whole new feature comes into being on Planet Earth.

So, it’s not this gradual ascent but instead there are punctuated jumps. If we were brought up in the Judeo–Christian model, we probably subscribe to the following tenets. That there’s only one Universe. That there’s only life on one planet in the Universe. And although we know that there are at least 150 billion galaxies containing about 150 billion solar systems in each galaxy, we claim that life is only on one of these planets. Then we claim that on this planet, there’s only one species that has a soul – the human species. And we claim that there’s either a chosen race or a particular religion that God particularly loves.

We think that we only get one shot at life. And then, at the end of this lifetime there’s a judgment and that we’re concerned that with the thumbs down we go to Hell. And with the thumbs up and we go to Heaven. So, that’s pretty much what most of us have been brought up to believe. That’s one model of cosmology. I see it very differently.

8. The Soul

Are we the only creatures that have souls? I don’t believe that for a moment. I think that every sentient being has a soul. And, I believe,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soul. There are souls that inhabit human spacesuits, and they’re fairly sophisticated, but they are not anything as sophisticated as the souls that decide to inhabit and to vitalize, let’s say, a planet, or a galaxy.

So, I think, for instance, that Planet Earth itself has a soul. And that this soul volunteered more than 3.7 billion years ago, to inhabit the third rock from the Sun in our solar system and to breed life until it threw up a lifeform capable of experiencing and recognizing its own divinity and therefore the divinity of all else that is. So, everything — from spiders to elephants to daffodils — has a soul and they’re all precious to God. A banana slug is no less important to God than an Avatar, as far as I’m concerned. And there is not just one lifetime to accomplish this journey of evolution. We get as many lifetimes as we need.


9. Avatars and Buddhas and Their Relationship to Source

An Avatar is the transcendence of God reaching down into the immanence of God. It is the ineffableness of God revealing itself in the human story. And so, it’s like a downward–pointing triangle. And a Buddha means human excellence reaching toward the Divine. It is our humanness trying to align totally with our divine nature and finding its way back to the transcendence of God. It’s like an upward–pointing triangle. And, if you look at these two triangles intersecting, you get a Star of David. This is a beautiful symbol of what happens between the Avatar and the Buddha.

And so, the Avatar is where transcendence expresses itself in the human arena; and the Buddha is where an excellent human being — virtuous and aligned fully — reaches back towards innate divinity.

===


===

2023/12/21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처럼, 마음 운전법도 배워야” : 조현이만난사람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처럼, 마음 운전법도 배워야” : 조현이만난사람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처럼, 마음 운전법도 배워야”

등록 2023-12-21
조현 기자
 
예일대 불교지도법사인 수미 런던 김

예일대 명상룸이 있는 메모리얼기념관을 배경으로 선 예일대 불교지도법사 수미 런던 김. 사진 조현 기자




‘나’보다 ‘우리’가 익숙했었던 우리. 그러나 어느새 ‘우리’보다 ‘나’를 앞세운 시대입니다. 경쟁과 적자생존 속에서 빈부격차, 정치 이념 갈등과 남녀노소로 갈리며 개인과 개인의 소통도 막혀갑니다. 그래서 함께하는 삶이 더욱 그립습니다. 외로워도 슬퍼도 함께하면 견딜 수 있습니다. 한겨레와 플라톤아카데미가 ‘함께하니 더 기쁜 삶-일상 고수에게 듣다’를 진행하며 국내편에 이어 미국에서 6명의 고수들을 만났습니다. 미국편 세번째는 예일대 불교지도법사인 수미 런던 김(48)이다.





지난달 13일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위치한 예일대를 찾았다. 고풍스러운 예일대에서 가장 화려하게 높이 솟구친 메모리얼기념관은 예일대의 심장 같은 느낌이다. 붉게 물든 나무 사이로 잔디밭이 펼쳐진 중앙정원을 가로질러 수미런던이 안내한 곳은 바로 그 메모리얼기념관 1층 불교명상실이다. 예일대는 다른 미국의 명문대들처럼 개신교 교목뿐 아니라 가톨릭, 무슬림, 도교, 유교, 힌두교, 시크교, 자이나교 등에도 각기 채플린(chaplain)를 두고 있지만, 개신교 목사들이 세원 명문대의 심장에 불교명상실이 자리 잡은 게 놀랍다. 1만2천명의 예일대생 가운데 400~500명가량의 학생들이 이 명상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각종 불교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수미는 학생들을 상담하고, 명상을 지도한다.

“학생들은 영적으로 매우 목말라 있고,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있어요. 명상을 통해 이를 찾고자 한다.”

수미는 하버드대에서 불교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베리불교연구소에서 부소장을 지내고, 듀큐대에서 9년간 불교지도법사로 활동하다가 2014년 듀큐대에서 예일대 종교학과 교수로 옮겨온 한국인 남편과 함께 예일대로 옮겨왔다. 하버드대 불교학생회장이던 수미는 당시 한국에서 유학온 일미스님(김환수교수)과 어렵게 승속을 뛰어넘어 결혼한 내용을 <수미, 일미를 만나다>란 책으로 소개한 바 있다. 남편의 성 김을 항상 붙이는 그는 한국식으로 하면 자기 이름이 ‘김수미’라며 유머 있게 소개하곤한다.

수미의 치유적 접근은 관념적이지 않다. 그는 치열하게 싸워온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해온 과정들을 저서를 통해 진솔하게 밝힌 바 있다. 선불교에 심취한 부모를 따라 선불교수행센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수미는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과 아버지의 군대식 훈육방식에 적지 않은 고통을 받았다. 그는 그 트라우마에 시달리던중 “내 문제를 외면하려는 성향이 있었지만, 마음챙김 덕분에 트라우마에 직면해 나의 딜레마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았고, 명상을 하며 자신의 감정을 바로보면서, 안정시켜갈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코로나 이후 대면모임보다 비대면모임에 익숙하고, 외출하지 않고, 혼자서 할 수 있는 명상앱까지 쏟아지고 있지만, 수미는 모임(커뮤니티)안에서 우정과 지지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자신도 대학 명상동아리에서 동료들과 우정과 지지 덕분에 그 힘든 시절을 이겨왔다는 것이다.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항상 지지해줄 친구와 어른과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말해준다. 커뮤니티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지혜로운 사람들, 영적 수행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이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우리의 신경계는 서로 동기화되기 때문에 자신이 상당히 흔들리고 화가 날때는 안정적이고, 잘 조절된 신경계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본인도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예일대 명상룸에서 명상에 대해 설명하는 수미 런던 김. 사진 조현 기자

그는 “우리 인생에서 안정적이고 사랑스럽고 좋은 친구 5명이 있다면 삶을 안정적으로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과 함께 아버지의 엄한 훈육을 받고 자란 남동생의 사례를 들어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다. 남동생이 고교 때는 주에서 수석을 할 정도로 우수했지만 대학에 진학한 뒤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해 여러번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정신이 무너졌는데, 한국의 실상사에서 몇달간 좋은 사람들과 함께하며 정신이 안정되고, 체중도 줄고 삶이 안정됐다는 것이다.

그는 또 “늘 아버지로부터 항상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말을 들으며 자란 것이 고통스러웠는데, 아이들과 남편에게 아버지와 같은 방식으로 부정적인 말을 하고 있는 자신을 보았다”며 이런 습관을 치유해온 비장의 카드도 공개했다.

“나 자신에게도 친절하고 자비롭게 대하는 자애(Metta)명상을 많이 했다. 명상을 하며, 나 스스로를 ‘귀여운 강아지’로 생각하고, 내 볼을 잡고, ‘괜찮아, 착한 아이’라고 해주곤했다.”

그는 “그런 과정을 통해 스스로에게도 좋은 감정이 생기고, 아이들과 남편에게도 더 부드럽고 사랑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됐다”고 고백했다. 그는 또 “자애명상은 운동이 근력을 키워주듯이 마음을 단련시켜주어, 자신과 주위 모든 사람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운동과 명상의 차이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했다.

“사실 운동이야말로 즉각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해준다. 하지만 명상은 더 오래 지속되는 스트레스를 더 깊은 수준에서 작동해 감소시켜준다. 명상함으로써 첫째는 ‘내 인생에 왜 이렇게 스트레스가 많은지’, ‘왜 나는 완벽주의자인지’, ‘왜 이렇게 성취욕이 강한지’, ‘이런 욕구불만이 어디서 오는지’ 등 스트레스의 깊은 원인을 이해하고, 그럼으로써 행동을 바꾸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둘째는 각자의 성향, 즉 차이를 이해해 더 나은 선택을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초래하는 상황에 빠지지 않게 하고, 전반적인 생활방식을 개선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그는 또 “마음챙김이 생각과 감정을 인식하는데 중요하지만, 뿌리 깊은 정신적, 감정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는 없다”며 “연민과 자애명상과 함께 지원 프로그램이나 전문상담, 심지어 약물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치유는 지금의 마음 상태나 감정 패턴과 습관에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며 “치유의 여정은 그런 자기인식에서 시작되고, 자기인식은 마음챙김의 결과로 나온다”고 밝혔다.



픽사베이

다음은 일문이다.



-학생들이 주로 어떤 때 명상하러 오는가.

“보통 정신건강의 위기, 죽음, 친구의 자살, 실패, 이별과 같은 위기를 겪을 때 명상이나 불교를 찾는다. 이런 일들을 겪으면 돈을 추구하거나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인지,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일인지 다른 답을 찾기 시작한다. 그래서 누군가 법당에 처음 들어오면, 그 사람에게 뭔가 어려운 일이 있어 왔구나 생각한다. 그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들의 고통을 이해와 친절로 대하는 것이다. 그리고 호흡이나 간단한 명상, 대화를 통해 그들을 진정시킨다. 고통받는 사람을 자비로 만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당신도 두 아이의 엄마인데, 마음챙김 자녀 양육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명상의 이점은 운동과 동일하다. 하루에 5분 운동하면 약간의 도움이 되지만, 하루에 20분 운동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건강이 개선될 것이다. 5분 명상은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감정을 조금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매일 20분씩 명상을 하면 우리 자신의 심리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된다. 하루에 20분씩 명상을 시작하고 나서, 매일 조금씩 인식과 조율이 쌓여 안팎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아차리는 기술이나 능력이 향상된 것을 알게 되었다.

마음 챙김 육아에는 세 가지 단계가 있다. 첫번째는 자녀의 행동을 인지하여 그들에게 대응하는 단계다. 요즘은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이 뭘 할 때 본인의 스마트폰에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마음챙김 육아의 첫번째 단계는 이런 것들을 놓고, 아이들에게 온전하게 집중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우리 자신의 양육 행동을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너무 답답해서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려고 할 때, 이를 알아차리고, 어떻게 하면 소리 지르지 않을 수 있을까, 소리 지르고 싶지 않으니 잠시 멈추고 호흡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좀 더 침착하게 아이를 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챙김 양육에 있어서 첫번째, 두번째 단계는 매우 피상적이고 제한적이다. 마음챙김 양육의 진정한 힘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과 관련된 더 깊은 심리, 어린 시절에 해결되지 않은 문제와 어린 시절의 고통과 트라우마가 현재 양육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세 번째 단계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 뿌리를 이해하고, 치유하는 것이고,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자연스럽게 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 엄마로서 초반에 는는 조금 가혹하고, 요구가 많은 엄마였다. 그때를 생각하면 아이들이 불쌍하고, 이에 대해 미안한 마음이 있다. 명상 수행을 통해 나의 양육방식이 가혹하고 까다로웠던 내 아버지에게서 온 것임을 깨달음으로 치유하고, 개선해갈 수 있었다.”



-한국의 부모들은 자녀들의 성공을 위해 목숨을 걸 정도로 열심이다. 부모 관심의 1순위가 자녀교육이다. 대학에 입학하거나 직업을 선택할 때도 엄마가 좌지우지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엄마의 욕심대로 의사가 되어 박사학위까지 딴 아들이 ‘엄마 이제 나 무엇 해야 돼?’라고 묻는다는 농담이 있다. 당신은 자식이 어려움을 겪게 두는 것이 좋다고 했는데, 왜 그런가.

“부모가 자녀의 삶을 이 정도로 간섭하는데 자녀가 고통스럽지 않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제가 만나는 많은 아시아계 예일대 학생들, 꼭 아시아계가 아니라 다른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부모가 자녀의 삶을 관리하거나 세세하게 통제하는 경우, 자녀는 고통받는다. 자녀는 수치심을 많이 느끼고, 질식할 것처럼 갑갑해 하고, 자기 자신이 될 수 없다고 느끼곤 한다. 자녀들은 억압 당하고, 이러한 과잉 양육은 고통을 야기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부모로서 자녀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자녀에게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양육할 수 있는 적절한 균형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



예일대 종교학과 종신교수인 김환수 교수(일미스님·가운데)와 수미 런던 김부부와 조현기자. 사진 조현 기자

-일미스님이 10대 때 많은 방황을 했지만 불교 스님이자 예일대 교수가 되었고, 당신도 부모님의 이혼, 그 이후 아빠와 살면서 군대식 가정 교육에 의해 상처를 받았지만, 결국 명상지도자가 되었다. 자녀들에게 트라우마를 물려주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했는데, 나쁜 카르마가 자식들에게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예일대 학생들이 상담을 받으러 와서 부모님과의 트라우마에 대해 이야기 할 때 학생들에게 왜 부모님들이 그러는지, 부모님들의 어린 시절은 어땠는지에 대해 묻는다. 그러면 보통 학생들은 부모님들이 자신의 어린시절에 대해 얘기하지 않지만, 매우 힘든 시절을 보낸것으로 안다고 답한다. 우리가 부모님 또한 그들의 힘들었던 과거가 있었음을 알게 된다면 부모님에 대한 연민을 갖게 된다. 그래서 세대 간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멈추기 위한 방법은 실제로 우리가 내면의 아이, 5살, 7살, 혹은 10살의 어린 나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랑스럽고 자비로운 현재의 자아를 통해 우리 내면의 아이를 치유하면서 그 내면의 아이가 더 안전하고, 더 사랑받는다고 느끼도록 도울 수 있다. 우리 내면의 아이들의 심리가 안정되고 좋아지면, 우리는 현실에서 자녀들에게 해로운 일을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나도 내면의 아이를 치유하고 크게 개선되었다. 좀 오글거리게 들리겠지만, 제 내면의 아이를 대하면서, 제 아이들을 독립적으로 볼 수 있었고, 나의 모든 문제를 아이들에게 투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아이들은 다행히 저보다 나은 어린 시절을 경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마음챙김을 함으로써 얻는 유익은 무엇인가.

“결혼, 상담 치료사로 20년 동안 일해온 제 친구와 산책하며 마음챙김의 효과에 대해 이야기 하던 중 그 친구가 모든 아이들이 학교에서 마음챙김 명상 훈련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해서, 제가 그 이유를 물었다. ‘마음챙김 훈련을 받으면 결국 상담 프로그램까지 오게 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결정을 하지 않기 때문인가, 아니면 마음챙김 훈련이 치료를 받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인가, 어느 쪽인가’고 말이다. 그 친구는 ‘둘다’ 라고 말하면서 ‘만약 우리가 성인 생활 초기에 마음 챙김 훈련을 받는다면, 우리의 마음, 심리를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보다 나은 결정을 하고, 보다 조화로운 삶을 살아갈 것’이라고 답했다. 2년 전엔 제 딸 프리야를 5일간의 명상훈련에 보냈다. 당시 별다른 문제가 있어서 보낸 게 아니었다. 하지만 딸에게 얘기했다. ‘10대에 우리가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처럼 우리의 마음 운전하는 법도 배워야 한다. 지금 당장은 필요하지 않지만 나중에 언젠가는 이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고 말이다. 내 딸이 10대 시절에 이걸 배우는 것은 마치 노후를 대비한 생명 보험과도 같다고 생각했다.”



-마음챙김으로 충분한가.

“마음챙김은 필요하지만, 많은 문제에서는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마음챙김은 중요한 첫번째 단계이며 치유 여정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마음챙김, 자애명상에 대한 훈련을 받으면 치유 여정이 크게 빨라질 것이다. 마음챙김은 자신의 상태와 문제의 뿌리를 찾게 해준다. 감정의 뿌리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연재[휴심정] 함께하니 더 기쁜 삶-일상 고수에게 듣다“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처럼, 마음 운전법도 배워야”
“정말로 사랑할 때, 여러분은 그것과 하나가 된다”
외로움과 불안을 극복하고 싶다면 연결해야하는것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2023/12/19

알라딘: 요가란 무엇인가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 2015

알라딘: 요가란 무엇인가


요가란 무엇인가 
김형준,김미경,박효엽,조승미,곽미자,김동환,이영일 (지은이),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CIR(씨아이알)2015-10-14






Sales Point : 63

전자책
7,500원
208쪽

책소개

저자 7명이 요가의 정체성에 관한 가장 원초적인 질문에 답한 결과물. 요가 담론이 본격화되는 데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요가에 관해 분명한 입장을 펼친다. 21세기 초 한국 요가의 지형도를 보여주는 다양한 관점을 담고 있으며, 그동안 축적된 요가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인문학적 담론으로 이끌고 간다. 사람들이 요가에 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을 깨고 그들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심어주고, 요가가 인간과 삶과 세상에 관한 이야기라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요가는 감각의 스위치를 다스리는 것이다 _ 곽미자
요가는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다 _ 박효엽
요가는 심신의 건강에 기초한 안정적인 영적 삶이다_ 김동환
요가는 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우주의 진동이다 _ 김미경
요가는 삼매에 이르는 수행의 과학이다 _ 이영일
요가는 여성이 가진 신성과의 합일이다 _ 조승미
요가는 깨달음을 향한 삶의 길이다 _ 김형준
색 인



저자 및 역자소개
김형준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국대와 원광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인도철학과 종교 및 신화 연구에 집중하면서 『학파로 보는 인도 사상』, 『요가 전통』, 『인도신화』, 『이야기 인도사』 등의 저역서가 있다.

최근작 : <이야기 인도사 (보급판)>,<요가란 무엇인가>,<인도 신화> … 총 18종 (모두보기)

김미경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2002년 스와미 웨다 바라티지에게서 만트라를 받고 히말라야 전통에 입문하였다. 아힘신한국지부 교사훈련프로그램(TTP) 전 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까지 스와미 라마 사다카 그람 인도 연수 안내와 한국지부 수석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요가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8년 가을학기부터 현재까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요가학과와 원광디지털대학교 요가명상학과에서 요가학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작 : <요가란 무엇인가>,<현대 요가> … 총 4종 (모두보기)

박효엽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인도철학 연구자. 베단따철학을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베단따철학의 거장 샹까라가 지은 인도철학의 최고 명저 “Brahma-sutra-bhasya”를 우리말로 옮긴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 (1)-(4)』이 있다. 베단따철학의 개론서인 “Vedanta-sara”를 『베단따의 정수』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교양서로는 인도사상의 원천인“Upanisad”를 해설한 『처음 읽는 우파니샤드』, 힌두교의 바이블인 “Bhagavad-guta”를 해설한 『불온한 신화 읽기』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요가사상에 관... 더보기

최근작 : <베단따의 힘>,<요가란 무엇인가>,<요가와 문화> … 총 12종 (모두보기)

조승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국대학교에서 불교학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 이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서강대 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 등 역임.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
저서로는 『불교와 섹슈얼리티』(공저, 한울, 2016), 『요가란 무엇인가』(공저, 씨아이알, 2015),『한국 여성 종교인의 현실과 젠더 문제』(공저, 동연, 201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백용성의 참선 대중화 운동과 부인선원?(2017) ?불교의 여신 마리지천에 대한 동아시아의 신앙 문화?(2016) 등 다수가 있다.


최근작 : <불교와 섹슈얼리티 (반양장)>,<불교와 섹슈얼리티 (양장)>,<요가란 무엇인가> … 총 7종 (모두보기)

곽미자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춘해보건대학교 요가과 교수. 『요가니드라 워크북』 등 다수의 저작이 있음. 학교 강의 이외에 틈틈이 요가명상, 호흡법 등을 통한 힐링 워크숍을 실시하며, 주요 관심사는 전통요가가 삶으로 젖어들게 하는 데 있음. 요가가 몸, 마음, 영혼의 건강을 위한 통합수련으로 가는 길이길 바람.

최근작 : <요가란 무엇인가>,<요가 교수법>,<요가심리치료 쁘라따야하라> … 총 6종 (모두보기)

김동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신경외과 전문의, 의학박사
미국 로마린다 의과대학 신경외과 연수
미국 클리브랜드클리닉 연수
요가 명상 지도자 (현 동국대 불교대학원 융합요가학과 외래교수)
마사지 테라피스트(아유르베다 요가 마사지, 태국 왓포 마사지, 아르비고 마야 복부 마사지 자격증)
성악가(국제신학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석사 졸업)
골프운동강사(타이틀리스트 골프 피트니스 메디컬 프로, 한국 최초)
기능의학인정의
정맥주사영양요법 미국 연수
비타민C 리오단 아카데미 연수
임상영양, 노화방지, 기능의학, 암 통합의학 전문가
태반영양요법에 대해 세계... 더보기

최근작 : <요가란 무엇인가>,<당신만을 위한 맞춤 영양치료> … 총 5종 (모두보기)

이영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명상 전문가. 서울대 미술대학원에서 [시지각적 중심성을 통한 숭고미의 표현 연구]로 석사를 마쳤다. 이 논문은 생리적인 시각구조가 심리적인 숭고함으로 드러나는 원리에 대한 연구다.
20대부터 불교수행에 심취하여 간화선을 접하고, 30대에 밀교에 입문하여 쿤달리니수행를 하면서 밀교 수행생리학을 연구하고 지도하고 있다. 40대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결가부좌의 전개와 수행론적 의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결가부좌의 기원과 수행생리학에 대한 고고학적, 문헌적, 생리학적 연구다. 국내외에서 최초로 좌법의 기원과 원리에 ... 더보기

최근작 : <삼매의 생리학 - 전2권>,<붓다는 결가부좌를 하지 않았다>,<요가란 무엇인가> … 총 6종 (모두보기)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요가란 무엇인가> 편집

최근작 : <인도철학과 요가>,<행복을 디자인하는 요가>,<요가란 무엇인가> … 총 6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요가의 정체성에 관한 가장 원초적인 질문과 대면하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요가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저자 7인의 ‘선명한 입장’을 모은 것입니다. ‘요가란 무엇인가?’라는 원초적 질문을 앞에 두고 각자 최선을 다해 답한 결과물입니다. 이는 요가에 관해 분명한 입장을 펼침으로써 요가 담론이 본격화되는 데 디딤돌 역할을 하려는 소망에서입니다.

두 번째로 이 책은 21세기 초 한국 요가의 지형도를 보여주는 ‘다양한 관점’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 한국의 요가 현장에서 충돌하고 있는 요가관이 그대로 노출되기도 하고 한국의 요가 담론에서 과장되거나 소외된 이야기가 마음껏 펼쳐지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한국 요가의 현주소를 마치 보고서처럼 적나라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 이 책은 그동안 축적된 요가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인문학적 담론’으로 이끌고 가려는 시도입니다. 사람들이 요가에 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을 깨고 그들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심어주고, 요가가 인간과 삶과 세상에 관한 이야기라는 점을 알리고자 합니다. 즉, 요가의 손을 잡고 인문학의 마당으로 데려 갑니다. 요가가 인간을 이해하고 삶을 조정하고 세상과 대면하는 하나의 길이라는 점을 부족하나마 조근조근하게 말해줄 것입니다. 접기


알라딘: [전자책] 인도철학과 요가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 2020

알라딘: [전자책] 인도철학과 요가


[eBook] 인도철학과 요가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여래2020-05-11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전자책정가
12,000원
Sales Point : 28

기본정보
파일 형식 : PDF(1.88 MB)
TTS 여부 : 미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 245쪽

목차


발간사

01 우파니샤드의 자아탐구와 명상
02 샹까라의 불이론 베단따 철학에서의 명상
03 마음과 자아의 식별을 통한 자아실현 방법 - 고전요가철학을 중심으로
04 산스끄리뜨 문헌의 라자요가: 12~18세기 하타요가 문헌을 중심으로
05 샤이바 딴뜨라 수행에서 신체관의 전개 - 관련 주요 개념들의 변천과 벌전
06 힌두이즘 속의 딴뜨라

약호 및 참고문헌




저자 및 역자소개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요가란 무엇인가> 편집

최근작 : <인도철학과 요가>,<행복을 디자인하는 요가>,<요가란 무엇인가> … 총 6종 (모두보기)


알라딘: Won-Buddhism - The Birth of Korean Buddhism Joon-sik Choi

알라딘: Won-Buddhism


Won-Buddhism - The Birth of Korean Buddhism 
Joon-sik Choi (지은이)지문당(JIMOONDANG)2011-09-05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15
192쪽
책소개

한국인이 창도한 세계적인 불교인 원불교를 영문으로 쉽게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원불교는 잘 알려진 것처럼 20세기 초 박중빈이라는 천재적인 종교가에 의해 세워졌다. 박중빈은 기존의 불교를 계승하되 그 불합리한 점을 개선해 새로운 한국형 불교를 만들었다.

그가 개혁한 점을 들어보면, 우선 원불교에서는 그 교당에 불상이라는 ‘우상’을 더 이상 모셔놓지 않는다. 대신 진리의 상징으로서 원을 모신다. 그래서 원불교라 불린다. 승려의 독신제도도 타파해 적어도 남자 승려들은 결혼할 수 있게 했다. 교당도 기존의 절처럼 산간이 아니라 도심에 위치하게 해 사람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했다. 교전도 어려운 한문이 아니라 쉬운 한글로 교체했다.

이 책은 이러한 점과 더불어 원불교의 교주인 소태산 박중빈과 그의 제자인 정산 송규의 일생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소태산이 원불교를 열었다면 정산은 원불교를 반석 위에 올려놓아 원불교가 오늘날 한국의 4대 종교의 반열에 오를 수 있게 만든 장본인이다.



목차


Preface

Chapter 1
A Mature and Enlightened Being
A Mature Childhood Full of Big Ideas
The Road to Truth
Sot'aesan's First Dharma

Chapter 2
Into the World
Spiritual Consolidation
In Preparation for True Work
Second Prime Dharma Master, Chongsan

Chapter 3
Doctrine of Won Buddhism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How should we train?-Personal practice
About Truth
How to create a just society-Serving the Community

Chapter 4
Won Buddhism Today and Its Problems

Appendix
More teachings of Sot'aesan not to miss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Joon-sik Choi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Joon-sik Choi (Ph.D. in Religion, Temple University) is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Ewha Women’s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ligion, social culture, history and art. He has published extensively on various aspects of... 더보기

최근작 : <Contemporary Korean Culture>,<Won-Buddhism>,<The Development of “Three-Religions-Are-One” Principle from China to Korea> … 총 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This book is about new Korean Buddhism called "Won Buddhism" which was created by a religious genius named Chungbin Park (Sot'aesan) in 1916. Park innovated traditional Buddhism in the following various ways. First, Won Buddhists do not worship Buddha statues any longer, but instead enshrine circle (Il-Won-Sang) as a symbol of the Truth. That is why this Buddhism is called Won Buddhism ('won' means circle in Korean). Secondly, celibacy system of traditional Buddhism is no longer valid in this Buddhism. But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male minister can marry, not female minister! Thirdly, we can find many Won Buddhist temples in the cities, whereas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are located in deep mountains. The fourth characteristic of Won Buddhism is that canons of this Buddhism are written in easy modern Korean, while those of traditional Buddhism are mainly in difficult classical Chinese. This book may be remembered as the first easy introductory book in English on Won Buddhism.
접기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9781443722186: Amazon.com: Books


Kindle
from $9.99

Hardcover
from $44.58
Paperback
from $25.00


As an alternative, the Kindle eBook is available now and can be read on any device with the free Kindle app.



Roll over image to zoom in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Hardcover – November 4, 2008
by Albert Schweitzer (Author)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3.5 on Goodreads
22 ratings

I have written this short account of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in the hope that it may help people in Europe to become better acquainted than they are at present with the ideas it stands for and the great personalities in whom these ideas are embodied. To gain an insight into Indian thought, and to analyse it and discuss our differences, must necessarily make European thought clearer and richer. If we really want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India we must get clear about the problems it has to face and how it deals with them. What we have to do is to set forth and expla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t has passed through from the time of the Vedic hymns down to the present day. I am fully conscious of the difficulty of describing definite lines of development in a philosophy which possesses in so remarkable a degree the will and the ability not to perceive contrasts as such, and allows ideas of heterogeneous character to subsist side by side and even brings them into connection with each other. But I believe that we, the people of the West, shall only rightly comprehend what Indian thought really is and what is its significance for the thought of all mankind, if we succeed in gaining an insight into its processes.


Report an issue with this product or seller


Print length

288 pages
Language

November 4, 2008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Read Books; First Edition (November 4, 2008)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288 pages
ISBN-10 ‏ : ‎ 1443722189
ISBN-13 ‏ : ‎ 978-1443722186
Item Weight ‏ : ‎ 1.14 pounds
Dimensions ‏ : ‎ 5.5 x 0.81 x 8.5 inchesBest Sellers Rank: #6,476,332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29,839 in Eastern Philosophy (Books)Customer Reviews: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Top reviews

Top review from the United States


Roman Nies

5.0 out of 5 stars Light into the haze of Indian thought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1, 2009

An outstanding book for all those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far-eastern religions. The author limits himself in general on three fields. The "Weltanschauung" (world view) of affirmation or negation, mystics and ethics. He shows which spiritual history of development the religions experienced, how for example Hinduism evolved out of Brahmanism, how the popular belief of the people captured and transformed the belief of the elitist priesthood, not at last because of the necessity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Hinduism he sees an increasing steering towards ethics, whereas the ethics could not completely be developed in Buddhism thanks to the world view. He praises Rabindrananth Tagore as a contemporary representative of highest hindu ethic, Tiruvalluvar as best representative of old, bringing their thoughts close to the love-ethics of Jesus Christ.

In Schweitzer himself the recognition of man as an ethical being worked out to a design about the appreciation of all life as highest value at all. Awe for life is Schweitzers his last wording. But again only ethics! Although he understands the teachings of the historical Jesus as the highest expression of ethics he does not engage himself in other aspects of the teachings of Christ! Exactly in the example of the Christian religion, which has life affirming aspects as well as life denying aspects, it is becoming clear, that the fixation on certain aspects is not sufficient to describe a religion. Already "who sacrifices his life for a friend" (Joh 15,13-15), is such an example of an only seeming opportunity to deny life, whereas in truth it is a clear "Yes" to life! Namely for an ethically represented life! Schweitzer only intends to draw comparisons. He is mainly about the religions of the East, though he can not refrain from a side blow on philosophers like Schopenhauer or Nietzsche and their totalitarian claims. He mentions Laotse and Confuzius marginally.

Since Schweitzer confines himself on the mentioned aspects, he does not testify any correctness" or "truth", except those which lie in the nature of things. Buddhism is not more "right" or "true" than Hinduism, it contains other elements which the founder (Buddha?) and the protagonist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chweitzer sees in mystics, understood mainly as "oneness" with the eternal, an important requirement of personhood, but he said at the same time, that an ideology more directed to affirm life and therefore making a certain ethical order to a condition, should be dispensable. He did not like the thought of it, because he was impressed by mystics, yet he found it more advisable to exercise the affirmation of life as such. This, he says, is the problem of some religions which sway to and fro between ethics and mystics or world negation. With the example of Buddhism he illustrates this, the problem of world negation in Buddhism being that this negation needs to be lived! You can compare it with a mendicant who is driven by the requirement to eat so much, that he does not starve. And he has to accept it, because only then he can go on with his meditations and contemplations! As soon as you go on to live, you deny the negation!
This book is suitable for advanced Illuminated" (be it illuminated in the knowledge that man needs religion, or not) as also for novices. But one has to realize that the phenomenon religion contains many aspects, which are not mentioned by Schweitzer. Religion is more than just a "Weltanschauung" - world view that can be analyzed phenomenological with the limited human possibilities. Schweitzer knew this. He remained lifelong a great sceptic of just these human possibilities.
In any case a readable reading which could bring some more light into the hazy conceptions and vague prejudices of som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 theory of relig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Bob Nichols
929 reviews314 followers

Follow
March 26, 2015
Schweitzer characterizes Indian religious thought, as articulated mainly by those in the Brahmin caste, as “world and life negation.” By this he means that life is pain and suffering and that the objective is to leave the empirical world behind and to attain union with infinite Being and, thereby, immortal life. Negation begins in this world by various forms of asceticism (mortifying the will-to-live) and an indifference toward improving conditions for this life. Jainism and Buddhism (quoting Buddha: “Those who love nothing in the world are rich in joy and free from pain.”) largely mirror the essence of what Schweitzer call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states that Indian thought also contains world and life affirmation (for example, in the householder stage, before one retreats to the forest or lives the life of the mystic), but the overall thrust is that of world and life negation. 

I am not clear how the caste system intersects with this approach to life – specifically, in the caste hierarchy, is it only the Brahmins who are positioned to achieve union with immortal Being?

In contrast to thi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relays his own worldview. We share the life spirit with all beings and we experience union with that spirit when we devote ourselves to “the maintenance of life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furtherance of life,” which constitutes “active union with the eternal being.” This is Schweitzer’s ethic of world and life affirmation and his “reverence for life” principle.

The book I read was published by Wilco Publishing House, Bombay, 1960.


1
===
Journal Articles Method and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Year : 2012
Albert Schweitzer's Western Vision of Indian Thought
Daniel Dubuisson (1)

1 IRHiS -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IRHiS) - UMR 8529
Abstract 
Doctor of Philosophy, Medicine and Divinity, Nobel laureate (1953), 

Albert Schweitzer embodied an indisputable ethical and intellectual authority that was universally admitted. However, in his book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1936), the so-called "good doctor" engaged in an incredible eulogy of Western superiority at the expense of Indian thought. 

The pieces of evidence he used to support this argument can now be compared to the thoroughly ambiguous attitude he displayed toward the African natives among whom he had lived in Lambaréné


===
Was Albert Schweitzer a universalist?
Schweitzer's unitarian and universalist religious views show the common unity that can be found in humanity. Regardless of varying creeds and specific religions, we can most get along if we simply share in common what Albert Schweitzer called “reverence for life.”
===

Namgok Lee - 논어 안연편에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비는 아비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Namgok Lee - 논어 안연편에 사람들 입에 꽤 많이 오르내리는 문장이다. <제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 Facebook

논어 안연편에 사람들 입에 꽤 많이 오르내리는 문장이다.
<제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관하여 묻자 공자 대답하기를,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비는 아비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
齊景公 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臣臣父父子子>
공자는 고대 중국의 신분계급제 사회에서 살았다. 그리고 신분계급제를 부정하거나 혁파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그의 언설들이 신분계급제를 옹호하는 것으로 비춰지기 쉽다.

그래서 나도 젊어서는 논어 한 번 읽어보지도 않고, 공자를 수구반동의 사상적 원조 쯤으로 치부했다.

나 스스로 사회운동에 참여하고 여러 경험들을 거쳐서 노년에 논어를 처음 접하면서 공자와 같은 사람에 대한 평가가 얼마나 자기류(自己流)의 편견(偏見)이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그는 일견 신분계급제 사회를 변혁하려는 의지를 가지지 않고 그에 순응하는 태도를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그만의 방식으로 조용한 내파(內破)를 시도했다.

대표적인 예(例)의 하나가 ‘군자(君子)’의 정의(定義)를 바꿔치기 한 것이다.
세습적인 신분이 아니라, 신분을 떠나 ‘인격(사람됨)’으로 군자라는 말을 사용한 것이다.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라는 말도 ‘카스트 제도’와는 다른 말이다.
군주제와 가부장제라는 제도의 한계 속에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제도의 한계 속에서나마 일정한 사회적 지위에 부응하는 가장 바람직한 역할의 조화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답다’라는 것이 그 조화를 나타내는 말이다.

물론 불평등한 신분제 사회에서 ‘~~답다’는 것은 지배계급의 통치 이데올로기로 사용되어온 것이 사실이지만, 어떤 사회에서나 즉 불평등이나 차별이 공식적으로 철폐된 사회라 하더라도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수히 많은 사회적 지위와 역할들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모 답다’ ‘자식 답다’ 라는 말에서 그 ‘~~ 답다’의 내용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달라지지만 실제로 그 ‘다움’은 존재하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 ‘다움’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이 세상과 역사의 진화가 아닌가한다.

아마도 가장 거부감을 느끼는 말의 하나가 ‘남자 답다’ ‘여자 답다’ 같은 말일 것이다.
가장 오래되고 심각한 불평등이 바로 남녀 간의 불평등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동안 이 불평등한 남성 우위의 제도와 관습에 붙어 있던 ‘다움’은 철저히 깨지는 것이 옳다.

그런 의미에서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이는 현상마저 나는 거쳐야 할 과정으로 보고 있다.
(사실 나 같은 노인 세대에게는 문화 충격인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것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빛나게 서로 실현하는 진정한 ‘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다움’에 대해 생각하다보니, 조금 다른 차원의 생각이 떠오른다.

직업이 가져다주는 일종의 체취 같은 것인데 자신은 잘 느끼지 못하고 그 속에 갇히는 습성 같은 것이다.
내가 오래 살면서 여러 사람들을 접하다 보니까, 직업에서 오는 공통점들이 때로는 사람을 규정하는 답답함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학자, 종교인, 언론인, 정치인, 상인 들이 가지는 일종의 후천적으로 형성된 성격 같은 것을 느낄 때가 많다.

둘째 아들이 뒤늦게 학자(學者)의 길을 가고 있다.
10여년 사회운동을 하다가 석사과정을 거쳐 지금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5년 째인데 아들에게서 ‘학자 냄새’를 느낄 때가 있다.
가끔 농담 삼아 아들에게 하는 말이다.
‘학자의 길을 가는 것은 필요한 것 같지만, 그 속에 함몰되지는 말아라’

‘~~다움’이 스스로를 어떤 유형의 틀 속에 묶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때로는 '학자 같지 않은 학자' '종교인 같지 않은 종교인' '기자 같지 않은 기자' '정치인 같지 않은 정치인' 들을 보고 싶다.

난(亂)을 넘어 혁명(革命)으로 < 이남곡

난(亂)을 넘어 혁명(革命)으로 < 삶의 이정표 < 지혜와 영성 < 기사본문 - IPKU

삶의 이정표 승인 2023.10.15 00:00
난(亂)을 넘어 혁명(革命)으로
미움과 분노로 새로운 세상은 오지 않습니다.
기자명 이남곡 인문활동가

한국의 정치적 상황은 나라가 어렵사리 도달한 객관적 위상과는 어울리지 않게 천하대란(天下大亂)을 방불케 하고 있습니다. 내년 총선을 마치 일대회전(一大會戰)으로 맞이하려는 비장감과 결기로 가득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회전(會戰)인가 하는 것입니다. 철 지난 이데올로기의 포로가 되어 심리적 내전에 가까운 퇴행적 편 가름 속에 미움과 분노가 팽배합니다.

묻고 싶습니다. 무엇이 진보이고 무엇이 보수입니까? 무엇이 좌(左)이고 무엇이 우(右)입니까? 전체 사회의 물질적 · 제도적 기반과 괴리되는 이 정치적 심리적 대란(大亂)은 자칫하면 나라의 쇠망(衰亡)으로 이어질 위험까지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선진국에 진입했다는 21세기 한국인들의 기이한 상호 적대와 미움에서 비롯되는 현실에 아연실색(啞然失色)할 뿐입니다. 미움과 분노는 자신의 자유와 행복을 위해서도 사회나 나라의 자유와 행복을 위해서도 가장 장애가 되는 심리적 상태입니다. 미움과 분노로 새로운 세상은 절대 오지 않습니다.

논어라는 고전의 지혜를 통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공자는 괴(怪)력(力)난(亂)신(神)을 말하지 않습니다.
子不語怪力亂神(7/20)

공자가 혁명을 언급하지 않는 것은 그의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그것을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는 혁명을 그의 방식으로 추구하였습니다. ‘괴력난신’을 통하지 않는 길이고, 헌 부대에 새 술을 담는 방식입니다. ‘성왕(聖王)의 치(治)’에 대한 그리움이 그의 숨겨진 혁명 의식이었습니다. 이것이 맹자의 ‘역성(易姓)혁명’으로 나타나지만, 근대적 의미의 혁명과는 다르지요.

그러나 폭력과 난(亂)에 대해서는 기회 있을 때마다 경고하였습니다. 우리 시대야말로 문명 전환이라는 거대한 혁명이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폭력이나 난(亂)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 또한 자명합니다. 그렇다면 이 혁명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공자의 다음 말을 음미해 봅니다.

용맹을 좋아하고 가난을 미워하면 난을 일으킨다.
불인(不仁)을 지나치게 미워하면 난을 일으킨다.
子曰 好勇疾貧 亂也 人而不仁 疾之已甚 亂也(8/10)

절제되지 않는 용(勇)과 가난이 미워함과 결합하면 어떻게 될까요? 가난을 싫어하고 부를 좋아하는 것은 인지상정(人之常情)으로 공자도 이를 부인하지 않지만, 그러나 그것이 난(亂)으로 되는 것을 경계합니다. 난(亂)으로 끝나는 경우,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은 빈자(貧者) 대중이라는 것을 너무 잘 아는 것이지요.

불인(不仁)을 지나치게 미워하는 것도 난(亂)으로 된다는 통찰 또한 지금 한국의 정치 상황을 바라보는 데 대단히 현실적 의미를 갖습니다. 편을 갈라서 상대를 악마화하고 미워하다 보면 사회를 진보시키는 개혁이나 혁명이 아닌, 난(亂)으로 그치고 맙니다.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못하고 결국 함께 쇠망하는 길입니다.

“오직 인자(仁者)만이 능히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
子曰 仁者 能好人 能惡人(4/3)

“진실로 인에 뜻을 둔다면 미워함(惡)이 없다.”
子曰 苟志於仁 無惡也(4/4)

이 두 장(章)의 메시지가 나에게는 강렬하게 다가옵니다. 인간 세상에는 선악(善惡)이 존재합니다. 그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은 당연한 인간의 감정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 선악을 판단하는 사람의 ‘자기중심성’입니다. 자신의 이익과 생각의 편향에 따라 아전인수(我田引水)로 판단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자기중심으로 단정(斷定)하고 고정(固定)하지 않는 지적 능력’과 ‘의(義)를 끝까지 추구하고 실천하는 의지(意志)’를 결합할 수 있는 사람(仁者)이라야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고 미워할 수도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본 것입니다. 그리고 시대와 사회에 따라 선악이 바뀌는 일들이 많습니다. 군주에 대한 충성이 높은 선(善)으로 추앙받던 시대도 있었지만, 지금 그런 정치를 꿈꾸거나 답습한다면 그것은 역사를 퇴행시키는 악(惡)으로 되겠지요.

적어도 선악을 판단할 때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이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첫 번째 관문입니다. 그러나 공자의 뜻이 여기서 멈추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제4장(章)을 ‘진실로 인(仁)에 뜻을 둔다면 악(惡)함이 없다’라고 밋밋하게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3장의 ‘미움(惡;오)’과 다르게 읽는 것입니다. 나는 3장을 인(仁)을 향한 첫 관문으로 제시했다면 4장은 두 번째 관문으로 제시했다고 생각합니다. 그 행위는 미워하지만, 사람에 대한 미움이 없는 상태입니다. 미움이 아니라 오히려 연민(憐憫)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석가의 자비와 예수의 사랑 그리고 공자의 인(仁)을 실천하는 종교인들이 시대착오적인 적대와 증오의 악순환을 종식하는 대전환(大轉換)의 물꼬를 터주기를 바라게 됩니다만, 일부 종교인들이 오히려 편견과 미움을 증폭시키고 있는 현상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한 가지만 더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회정의를 위하여, 불의를 미워하고 불의에 맞서 싸우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런데 공자는 ’인(仁)을 좋아하는 것과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것이 같은가? ‘하는 의미심장한 질문을 던집니다.

나는 아직 진실로 인(仁)을 좋아하는 사람과 진실로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인(仁)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으나,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 인(仁)을 행함에 있어서 불인(不仁)이 그 자기 몸에 붙지 않아야 한다.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好仁者 無以尙之 惡不仁者 其仁 不使不仁者 乎其身(4/6)

인간 심리의 심층을 통찰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미움에는 뭔가 자신 안에 그 대상을 품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니체도 ’괴물과 싸우는 자는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말을 합니다만, 엄밀하게 보면 이미 자신 안에 그 괴물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독재와 싸우면서 독재적 성격이 된다든지, 특권과 싸우면서 스스로 특권을 익히게 되는 경우를 가까운 역사에서 얼마나 많이 보고 있습니까? 물론 그 미워하는 것이 인(仁)이나 의(義)를 행하는 동력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요.

그러나 불의(不義)한 부(富)와 불의(不義)한 권력을 미워하는 것만으로는 낡은 세상을 전복할 수는 있어도 새로운 세상을 열지는 못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난(亂)을 일으킬 수는 있어도 혁명(革命)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입니다. 20세기 세계사에 큰 영향을 끼친 러시아 10월 혁명과 그 후의 전개 과정도 상당히 긴 기간에 걸친 실험이었지요. 지나치게 단순화할 수는 없지만, 자본가에 대한 적대를 이른바 과학적인 계급의식으로 고취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사회를 건설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진정으로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불의한 권력이나 부(富)에 대한 미움을 넘어서 ‘부(富)나 권력 그 자체에 대한 욕망의 질이 바뀌는 의식의 진화’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잘못된 일이나 사람을 볼 때 그것을 고치고 싶어 하는 것은 인간 된 도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그것을 수수방관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공자는 이미 오래전에 미움은 인(仁)을 실현하는 길이 아니라는 점을 통찰하였습니다. 인류는 오랜 역사를 통해 증오나 분노가 바탕이 되는 변혁은 결국 그 악순환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다는 것을 뼈아픈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알아가고 있습니다. 이제 ‘인의(仁義)를 실현하려는 에너지’와 ‘불인(不仁)에 대한 분노나 미움’을 분리할 수 있을 만큼 여러 가지 객관적 조건들과 인지(人智)가 성숙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이 글을 쓰는 것은 세계나 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바라는 것도 있지만,  한 사람의 내면 변화가 먼저라는 생각을 말하기 위함입니다. 먼저 내 마음 안에서 난(亂)이 아니라 혁명(革命)이 이루어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의 길이며, 이것이 바탕이 될 때라야 비로소 세상은 밝고 따뜻하게 바뀌어 갈 것입니다.

 

© Mindful, Lifeful IPKU

Namgok Lee - 선배 한 분이 일본의 이와나미(岩波) 문고에서 출판한 ‘논어’를 보내주었다.

(2) Namgok Lee - 내가 60이 넘어 논어를 읽기 시작했다는 말을 들은 선배 한 분이 일본의 이와나미(岩波)... | Facebook

Namgok Lee

내가 60이 넘어 논어를 읽기 시작했다는 말을 들은 선배 한 분이 일본의 이와나미(岩波) 문고에서 출판한 ‘논어’를 보내주었다.
이 선배님은 내가 그 실사구시의 학풍(學風)을 존경하는 분이다.
80이 훌쩍 넘은 지금도 저술 활동을 활발하게 하시는 분이다.
나는 사실 일본어 실력이 책을 쉽게 읽을 정도가 아니라서 처음 좀 보다가 읽는 것을 중단하였다. 그리고 누군가가 집에 있는 책을 보고 관심을 보이기에 주었다.
그래서 저자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
일본어 실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내가 조기(早期)에 책 읽기를 중단한 것은 지금 기억에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를 해설하는 것을 읽고서였던 같다.
정확한 표현은 기억이 안되지만, 대충 ‘늙으면 기력이 쇠(衰)해져서 욕망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공자를 신격화해서 숭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에 대해서는 일찍이 논어를 읽어보지 않았을 때부터 내 의식에는 없던 것이지만, 실사구시(實事求是)한다면서 그 반대의 극단(極端)을 보는 것 같아서 그 책에 대한 흥미가 사라졌다.
내가 일본어에 익숙하고 학자적 관심이었다면 아마 다 읽어보았을 것이다.
나는 논어를 통해서 ‘인간 공자’의 성숙과 승리를 주로 보았다.
역사를 ‘현재와의 대화’라고 말하듯이 나는 고전(古典)은 ‘독자와의 대화’라고 생각한다.
‘독자와의 대화’를 방해하는 단정적인 해설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원문(原文)’을 자기류(自己流)로 해석하는 것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내가 팔자에 없던 ‘논어-사람을 사랑하는 기술(수정판에서는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의 저자가 되었는데, 원래 내가 생각하던 제목은 ‘논어를 연찬(硏鑽)하다’ 였다.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는 노년에 접어든 공자의 정신세계를 나름으로 표현한 것이다.
욕망에서 해방된 ‘무욕(無欲)의 사람’이 아니라, 일생의 탐구와 수행을 통해 ‘욕망의 질이 바뀐 사람’을 의미하는 말로 다가왔다.
1차본능의 욕망으로부터 2차본능의 욕망으로 그 질(質)이 업그레이드된 인간의 한 모델로 나에게는 다가왔는데, 그것은 인간의 질적 진화를 보편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목표로 삼기에 다른 성현(聖賢)들만큼 어떤 의미에서는 더 적절하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우리 시대에 과거 소수의 선각자들이 제시한 ‘성스러움과 거룩함에 대한 욕구’가 그 동안 축적한 물적 제도적 바탕 위에서 보통 사람들의 욕망으로 보편화되는 것을 바라보고 있다.
물신의 지배와 각자도생의 삶이 온통 지배하는  절망적인 상황으로도 보이지만, 물극필반(物極必反)의 관점에서 사람의 의식과 제도 그리고 문명이 대변혁하는 전야(前夜)로 볼 수도 있다.
나는 그것에서 희망을 본다.
요즘 가끔 흉몽(凶夢)을 꾼다.
무의식의 세계에서 나오는 꿈을 의식적으로 어쩌지 못한다.
그 무의식의 세계를 바꿀 수행을 하기에는 나는 늙었다.
다만 노년의 자각이라면 개인적인 길흉(吉凶)으로부터는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꿈은 꾸어져도 그것이 마음의 평정심을 흔들지 못하는 상태로는 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