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절 90 년대 이후 독일의 "정의로운 전쟁론」/
1) (1) 하버마스의 전쟁 용인 론 / 전후 독일의 평화주의는 어떤 상황에있는 것일까. 그 점에 신경이 쓰이는 것이, 전후 독일의 진보적 지식인의 대표 인 위르겐 하버마스의 90 년대 이후의 태도이다. 그가 구일 년 걸프전 이후 지역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무력 행사를 긍정하는듯한 발언을했는지는 그의 사회 철학에 관심을 일본인에게 하나의 당황했다. /
그는 일찍이 1980 여섯 년 7 월 1 하루 "자이"지상에 "손해를 정리하는 하나의 방식 - 독일 현대사 기술의 변명 경향"이라는 논문을 기고 유명한 독일 " 역사 논쟁 '을 촉발되었다. 하버마스는 독일의 저명한 현대 역사가 인 E · 노르 테 나 A · 히루구루바 등을 나치 범죄를 역사적으로 상대화 무해 화함으로써 독일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 시키려고하는 반민주적인 역사가로 비판했다. 논쟁은 나치 범죄 "유일한 무적 성 Siguralität '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하버마스의 주장의 핵심은 독일인에 의해 행해진 나치 범죄는 과거에 도덕적 반성 이야말로 전후 독일 민주주의를 형성 한 것이며, "과거의 반성"이 전후 민주주의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 따라서 나치 범죄 '유일성'은 역사상의 일회성이 아닌 <우리> 전후 독일인있어서의 "필수 성"을 의미한다는 것이었다. [3] /
제 2 차 세계 대전의 도덕적 반성을 그토록 중시하는 하버마스가 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 하는가. 그는 왜 비폭력주의와 평화주의에 머 무르지 않는 것인가. 물론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무력 침공하여 점령 한 것을 국제 사회가 비난하고 제재해야한다는 일반론의 타당성을 여기에 의문을 제기하고있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오히려 "과거의 반성"고 무력 제재 용인 문법을 하버마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하는 점이다. /
---
1-1 걸프전에 태도 /
하버마스는 구일 년 이월 "자이"잡지 기자 인 마이클 할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걸프 전쟁에 대해 논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 군 (다국적군)에 의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했다.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며 "무력의 행사」와 전쟁을 긍정하고있는 셈이다. /
그러나 그것은 '정의'의 소유자 인 미국의 군사 행동은 정당하다는 간단한 논의가 아니다. 하버마스는 연합군의 이라크 군사 제재가 유엔의 권위에 의해 자기 정당화 할 수밖에 없었던 점을 평가하고, 거기에 칸트가 희망 한 '영구 평화'에 한 걸음이 있다고 생각 있다. 칸트 자신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는 '세계 정부'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고자 요청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이 합의해서 공정을 확정하고이를 바탕으로 평화적 질서를 유지하기 같은 세계를 구상하고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힘의 균형에 의한 평화이지만, 칸트는 그 때 "자유로운 국가들"이 "세계 연방"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평화의 경향이 증가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경제 발전과 대외 무역의 증가로 번영하는 자유 국가는 번영을 요구하는 국민의 의지가 국정에 반영되는 공화제이며, 따라서 군사적 인 대외 행동을 취하지 못하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유로운 국가들은 공동으로 운영하는 연방에서도 평화의 경향이 점점 증가한다는 것이다. 평화를 공통 이익과 세계 연방에서는 사실상의 폭력 독점이 성립하고 특정 국가가 국익을 위해 분쟁을 일으킨 경우 그것은 특별한 국익과 다른 특별한 국익과의 대립으로 대신 특수 국익과 세계 연방의 보편적 이익과 대립된다. 즉이 분쟁은 특별한 국익을 둘러싼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특수한 국익을 추구 특정 국가가 할 세계 평화 질서에 침범에 세계 연방이 "경찰권의 집행 eine polizeiliche Aktion "(Habermas 1991 : 20/20)를 실시하는 것이다. 세계 연방이 자신의 연방군을 갖고, 그것을 '세계 내정 Weltinnenpolitik "의 평화 질서 유지를위한 경찰 권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국제 분쟁은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세계 연방의 '세계 내정'문제로 경찰 활동에 의해 처리된다. /
이것이 칸트 = 하버마스 인 '세계 평화'구상이다. 유엔이 그런 세계 연방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있다. / "필요한 경우 군사적 수단에 의해서라도 유엔 결의를 준수 할 수 있도록 유엔의 권위를 높이는 것이 합리적는 아닐까. 유엔 헌장 제 7 조에서는 유엔의 지휘 아래에 쉴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군사 행동도 이미 상정되어있다. 냉전이 종결 된 후, 우리는 유엔을 확대하고 헌장에 존재하고있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있는 집행 권력을 창출해야 이었던 것이다. "(동 16/16) /
물론 하버마스는 실제로 행해진 걸프전을 유엔에 의한 정의의 전쟁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아니다. 유엔이 안보리 事会 제도에 의해 대국의 국익 추구에 영향되고있는 것은 인정한다. 걸프 분쟁이 중동에서 구미 선진국의 석유 이권을 둘러싼 권력 정치를 배경으로 가지고있는 것은 확실 것이며, 또한 형식면에서도이 전쟁은 "유엔의 지휘하에 실행 된 것이 아니라 참전국에 유엔에보고 의무조차 없었다 "(동 18/17) 현실의 걸프 전쟁이 유엔의 경찰권의 행사 였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반전 구호가 전제하고있는 것처럼, 걸프전의 모든 대국의 이익을위한 전쟁이며, 유엔은 전혀 구실에 불과하다는 견해에 하버마스는 이의를 제기하고있다. 연합군의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유엔이 '구실'로 반출 된 것이라고해도 변명으로 유엔을 이용한함으로써 강국은 오히려 유엔과 그 이념에 얽매이지된다. 이번에는 그 이념에 따라 강국에 요구할 수있게된다.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적 질서의 이념」(동 32/30)가 구실로 사용되고있는 '사실'이야말로 중요하다. 규범 적 이념이 세계 정치의 현실에서 사실로 내장되어있는 점 이야말로 이념이 실현 될 가능성 "새로운 시작의 기회」(동 18/18)가 발견되어야한다. /
하버마스는 현실에 열린 걸프 전쟁이 다양한 점에서 비난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이 전쟁에 포함 된 하나의 계기, 즉 유엔을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 '으로 발전시켜 국제 분쟁의 해결을 유엔군에 의한 "경찰권의 행사 '에 맡기는 세계 질서로 향하는 계기를 구출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함으로써 국익을 위해 주권의 발동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전쟁'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
그런데,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의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기본적인 구도는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질서'를 유엔이 제공하는 올바른 <목적>이 군사 행동이라는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적으로 전쟁을 정당화하는 일종의 '정의로운 전쟁론'라고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그 목적의 설정 자체가 반 사실적인 가정이며, 전반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한 논의 될 것으로 보인다. /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논리의 또 다른 변형으로 이스라엘 국가의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설정되어있다. /
"적어도 이스라엘, 아랍 세계에 둘러싸여 [ABC 병기 등] 최악의 병기에 의해 威さ있는 공포의 줄거리를 고려한다면, 이라크에 대한 무력 제재는 합리적이었고, 나는 생각한다" (동 23/22) /
독일의 '과거 반성'은 유대인 국가 인 이스라엘의 빚으로 나타 쉽지만, 하버마스도 여기에서 그런 "빚"에 의해 논의의 공정성을 해치고있는 것은 아닐까 . 가해자 의식에 따른 '빚'이 일종의 심층 심리에서 "정의로운 전쟁론 '에 향하게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커뮤니케이션 행위 이론」나 「토의 윤리 '를 주창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하버마스가 유엔 평화 질서 (비폭력 공간)의 설립 목적과 이념을 견지하는 것은 당연 이다. 그러나이 대화 적 이성의 입장이이 비폭력 공간을 성립시키는 "목적"을 위해 "수단으로서의 폭력 '을 인정하는 것은 자기 모순이라고는 말하지 않더라도 대화 형 이성과는 전혀 다른 원리를 도입하고 있다고해야 할 것이다. . 1-2 코소보 전쟁 (유고 공습)에 대한 태도 걸프전 후 국제 사회는 유고 분쟁 처리에 혼란하게했다. 1991 년 6 월에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 유고 슬라비아 연방은 내전과 분열을 시작해 1920 년 만우절에는 분쟁은 보스니아에 확대했다. 보스니아에서 세르비아 인, 크로아티아 인, 이슬람교의 각파가 지배 지역 확대 탈환을 목표로 서로 '인종 청소'작전을 펼치는 유엔은 유효한 평화 유지 활동을 실시 할 수 없었다. 당시 유엔 사무 총장의 부트 로스 갈리은 "평화 집행 활동」을 제창하고 유엔군이 분쟁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화평 방침을 내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1920 년부터 실시 된 소말리아 내전에 유엔의 관여는 유엔 '평화 집행 부대'가 분쟁의 당사자로써 93 년 1 백 월 유엔 부대의 미군 열 여덟 명이 사망하고 시체 이 시중을 引き回さ하는 광경이 미국 언론에 흘려 미군이 철수하게된다. 유엔 헌장 17 조에 의거 유엔군의 "무력 제재"평화를 확립하는 유엔 주도의 평화 정책은 좌절하게된다. 유고 분쟁의 해결은 유엔군이 아니라 NATO 군 특히 미군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특히 1995 년 8 월 31 10 일부터 구월 한 네 일까지 열린 NATO 군에 의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군의 공습은 거의 자유형에서 이루어지게되었다. 이후 보스니아 평화 협정도 미국이라는 유일한 대국의 이니셔티브하에 맺어진 것이고 ( "데이턴 협정"1951 년 한 한 달 이십일 일) 유엔이 공정한 국제 중재 기관으로 기능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오히려 유고 분쟁이 이렇게 혼란 장기화 한 것도 구미 국가, 특히 미국의 공정성과 일관성없는 대응에 있었다고 이해 될 수있다 [4]. /
보스니아 다음은 코소보에서의 분쟁이 표면화왔다. 코소보 전쟁은 유고 슬라비아의 코소보에서 증가하는 알바니아계 주민과 세르비아계 주민과의 긴장을 배경으로하고 있었다.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하는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주민에 한때 자치권의 확대가 인정되었지만, 1989 년에 세르비아 공화국은 헌법을 수정하고 코소보의 자치권을 제한 했다. 이에 맞서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1990 년에 "코소보 공화국 '의 독립을 선언하게되었다. 이미이 시점에서 코소보는 이중 권력 구조가되어, 세르비아 치안 유지 부대와 코소보 해방군의 무력 충돌이 계속되고 있었다. 1999 년 두 월 엿새에서 열린 프랑스 랑 부예에서의 평화 협상도 결국 좌절하고 동년 세 월 이백 사십 일 NATO 군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승인을 수 없다 채 유고 대한 공습 을 시작했다. /
독일군도 NATO의 일원으로서이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이지만 이번 전쟁 참여에 대한 독일의 반응, 특히 소위 좌파 지식인의 반응은 걸프 전쟁 때와는 달랐다. 전쟁에 "단적으로"반대하는 평화 주의자들이 소수가 된 것이 이번의 특징이다. 이 전쟁에 참가한 독일 정부가 사회 민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권이며, 문제가 '인종 청소'등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전쟁이라는 수단"도 부득이한라는 매우 복잡한 윤리적 문제 로 이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족 말살 한 과거를 부정함으로써 전후 독일의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온 독일의 좌파 지식인들에게 언론이 보도했다 코소보의 인종 청소를 좌시 할 수는 심정으로 비 가능였다. 걸프전 당시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평화주의의 구호는 더 이상 듣지 않게되었다. /
이런 상황에서 공습 시작 후 한 달이 경과 한 1999 년 만우절 말에 하버마스는 "야만성과 인간성 - 법과 도덕의 한계의 전쟁 '이라는 논문을'자이 트 '지 에 기고 한 (Habermas 1999). 여기서도 그는 NATO 군에 의한 유고 공습을 승인 할 것으로 보인다 논의를 전개하고있다. "보인다"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번 하바마스의 논의는 "유엔 평화 창설」의 이념에 걸 치면서도 걸프전 때보다 군사 행동에 의구심을 표명하고있다 때문이다. /
하버마스는 유엔 평화 창설 이념을 견지하는 그의 입장을 '합법적 평화주의 Rechtspazifismus, legal pacifism "이라고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입장은 "주권 국가 사이의 자연 상태를 인권 사상에 의해 준치한다는 이념 Idee einer menschenrechtlichen Domestizierung des Naturzustandes zwischen den Staaten"에 의거하고 있으며, "국가 주권의 한계를 넘어 세계 시민 '으로서의 개인의 인권 를 옹호하려고하는 것이다 (Habermas 1999 : §3). 보편적 인권 규범으로하는 「인권 정치 '가 국가 주권을 제한함으로써 국가 간의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
"인권 정치의 여러 가정에 서 한 이번이 개입은 무력에 의한 것이라도 국제 사회에 의해 (유엔의 위임이 없더라도 암묵적으로) 권위 정한 평화 창설 임무이다 이해되어야한다. 이러한 서방의 해석에 따르면, 코소보 전쟁은 국가를 주체로 온 고전적인 국제법의 도정에서 세계 시민 사회의 코스모 폴리탄적인 법 · 권리로의 도약을 의미 할 수있는 것이다. "(동 §6) /
즉 '세계 시민 사회'실현을위한 도정의 불가피한 필요악으로 이번 유고 공습을 승인하는 것이"합법적 인 평화주의 '의 입장이다. 이것은 어떻게 호의적으로 해석해도 <평화 이념> 실현을 위해 <전쟁 = 군사적 폭력 행사>가 정당화된다는 <정의로운 전쟁론>이다. 정의로운 전쟁론의 구조는 올바른 목적이 악한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지만, 하버마스 자신이 공습이라는 군사 제재가 "악한 수단"임을 인정하고있다. "악한 수단"이기 때문에 독일군도 참여했다 유고 공습에 대해 "기분의 나쁨 Unbehagen"독일 사람들은 느끼고 있다고한다. 그 이유를 그는 짚고있다. . /
(1) "합법적 인 평화주의 '가 상정하는 실효 적 권력을 가진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고, 유엔도 세계 시민 정부로 간주 될 수 없다. /
(2) 유엔를 의사 적 세계 시민 정부라고 보는 경우에도 이번 유고 공습은 유엔의 승인없이 NATO 군이 실시한 것이다. /
(3) 군사적 제재가 '인도적 개입'으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도 특히 공습이라는 수단이 평화 실현이라는 목적을위한 유효한 수단인가하는 의문이 남는다. /
(4) 공격의 정도 문제 - 유고 국영 방송국의 폭격에 앞서 경고 했어야했다 든가, 가스 탱크 및 건물이나 도로와 교량 등 경제 인프라를 파괴하는 것이 허락되는 것인가. /
(5) 정치적 목표의 모호성 - 박해 난민이 된 알바니아계 주민을 구제하는 인도적 목적을 달성하고자하는 군사 행동이 코소보의 민주화라는 정치적 목표의 실현을 불가능하게하고있다 . 대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抬頭하는 가운데, 코소보의 분리 독립이라는 望ましから 않은 방향으로 향 것이다. (이 §10-12) /
(6)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 세르비아계 주민에 대한 공습을 실시하는 것은, 새로운 인권 침해와 민족 학살이 아닌가 . (이 §8) /
이런 군사적 폭력이라는 '나쁜 수단」에는 「기분의 나쁨'이 수반 할 수밖에 없다.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정하는 이상, "수단"올바른 "경찰권의 집행"인 것은 아니라 "나쁜 방법"에서 계속한다. 그래서 하버마스의 논의는 악한 수단을 '필요악'으로 용인 시키려고하는 것 이상으로한다. 그는이를 위해 두 논의를 내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
----
1-3 카를 슈미트는 널조각 /
첫 번째 논쟁은 슈미트 정치학 뻬시미즈무을 피하고 보편적 인권의 이념의 측면에 서고 싶다 생각한다면, 필요악를 인정하고 기분의 나쁨 에 견디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버마스는 슈미트 정치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
칼 슈미트의 정치학은 국가 주권의 절대성 · 자연을 주장한다. 이 국가 주권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인권의 보편성을 주장하고 인권을 위해 국가 주권도 제한된다고 주장하는 인권 정치는 국가의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요구를 부정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욕구끼리의 충돌에 불과한 국가 간의 분쟁이 규범적이고 원리적인 대립 항쟁으로 경직화 해 버려, 타협을 모색하는 관계로 정치적 관계는 없게되어 버린다 . 즉, 국제 분쟁이 선악의 최종 결전 (아마겟돈)이되어 버린다. 이것은 자연적인 대립을 규범 적 · 윤리적 갈등으로 전환하는 '카테고리 미스 테이크 Kategorienfehler "인 것이다 (동 §16). 국가와 국가가 다툴 때, 그것은 각각의 국익에 부딪쳐이라는 자연 현상에 불과하며, 정의와 도덕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국가 간 정치적 관계에 보편적 인 인권을 들여 정치를 도덕 화하면 정치는 선에 의한 악을 섬멸을 목표로하는 것입니다 바로 야만적 인 폭력 행위로 후퇴하고 만다. 쉽게 말하면, 보편적 인권 사상은 <정치 도덕 화>하여 <정치를 야만적 화>한다. 이러한 정치의 야만적 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의 관계에 선악이나 도덕을 반입하지 않아야이다. 그리고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절대 주권 (Souveränität)을 승인하는 것이 대전제이다. /
이런 슈미트의 논의를 비판 극복하기 위해 하버마스는 "정치의 도덕 화"를 다른 방법으로 해석한다. /
- '세계 시민 적 상태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의미하는 것은 인권 침해를 도덕적 관점 하에서 직접 심판하고 그것을 박멸 하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법질서 속에서 범죄가 추구하는 것처럼, 인권 침해를 추구하는 것이다. 국제 관계를 철저하게 법제화 (Verrechtlichung)하는 것은 분쟁 해결을위한 확립 된 절차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바로이 같은 절차의 제도화가 인권 침해에 대한 법률 적으로 억제 된 대응을 가능하게하고 도덕이 법 · 권리의 차별화를 말소 해 버리지 않게하는 것이며, 그리고 [법에 의한] 매개없이 " 적 '을 철저하게 도덕적으로 차별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동 §19) /
정치를 직접 도덕 화하면 정치의 야만적 화로지도 것이지만, 정치를 법제화에 의해 매개 된 형태로 도덕 화하면야만 화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국제 정치의 법제화와 제도화는 물론 유엔기구의 정비이다. 즉 유엔의 이념이 실현되면 국가 주권의 제한도 문제 없다. 이것이 하버마스의 반론이다. /
그런데 이러한 슈미트 정치학의 비판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정치 도덕 화가 그 야만적 화 이끈다는 슈미트의 테제에 대한 비판으로는 하버마스의 논의는 설득 적이다. 그러나 유고 공습하는 <수단>에 휘 감지 붙은 「기분의 나쁨 "의 문제에 슈미트 정치학 비판을 잡는 게 <수단의 악마>의 문제를 <목적의 선악> 문제에 すりかえる이다 . 여기서 하버마스가 독자에게 제시하고있는 것은, "유고 공습을 승인하지 않는 입장은 결국 슈미트 정치학의 국가 주권 절대화에서 끝나고 그렇게되면 국가 주권의 벽을 넘어 인권 침해를 저지하려고하는 "인권 정치 Menschenrechtspolitik"는 전혀 불가능해질 그래도 당신은 유고 공습에 반대 하시겠습니까? "라는 양자 택일의 널조각이다. 독일인 사이의 「기분의 나쁨 '을 완화하는 교묘 한 논리 수도 있지만 문제의 바꿔 치기이다. /
1-4 "특별한 감수성 '이라는 도덕성 / 「기분의 나쁨'을 완화하기위한 두 번째 논의는 <나쁜 것을 자각하고있는만으로도 머신에서 도덕적이다>라는 것이다 . / 하버마스는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 인권 정치가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없는 것이라고 먼저 설명한다. 인권 정치의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법제화가 전제가되지만, 그 법제화가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딜레마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없는 것이다. 유엔의 동의를 얻은 개입 (스레부닛아에 주둔) 세르비아 군의 학살을 저지 할 수있는 실력을 가지지 않고, NATO의 유효한 무력 개입은 유엔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21). 유엔이 충분한 법제화 기관이되어 있지 않은 것이 "기분의 나쁨"의 원인이며, 인권 정치를지지하는 것 자체가 올바른 것이다. 이 불가피 딜레마를 자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에 비하면 독일과 유럽 국가들은 아직 머신이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과 중남미 정책에 표시된 것처럼, 인도주의를 내세워 자국의 제국 권력의 확대를 도모을 항상하고 있지만, 유럽은 적어도 인권 정치 딜레마를 수반하는 것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특별한 감수성 eine besondere Sensibilität"(§27)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이다. 독일인이 인권 정치라는 자체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하고, 게다가 「기분의 나쁨 "을 느끼고있는 것은 독일인의 도덕적 감수성이 뛰어나다 증거예요. - 이렇게해서 하버마스는 독일인 "기분의 나쁨"을 해소 할 수없는까지도 완화 시키려고하고있는 것이다. /
이렇게보고 오면, '야만과 인간성'이라는 그의 논문은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에 대한 독일인의 「기분의 나쁨 "을 해소 할 주제이며, 유고 공습의 정당성 자체 에 대한 판단은 미묘하게 회피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을 것이다. 보스니아 분쟁 때부터 사용 된 '인종 청소'나 '학살'이라는 말이 코소보 분쟁에도 적용되는 시점에서 학살의 책임자 인 세르비아 군에 대해 군사적 제재 자체는 (절차 위의 문제는 있어도) 자명이며, 인권 정치가 인권 옹호를 위해 주권 국가의 벽을 마구 수단으로 군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전제되어있다. 그런데 하버마스도 논문의 서두에서는 공습이라는 수단이 야만적이며 <악마>임을 확인하고있다. 공습은 유고 일반 시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미치는 것으로, '전혀 전쟁'이다. "수술 정확도 chirurgische Präzision"(§1)을 가진 핀 포인트 폭격으로 상대방의 전투 시설 만 파괴하고 시민들에게 피해를주지 않는 <인간적인 제재 행위> 등 걸프 전쟁 때부터 전파 이데올로기를 하버마스는 부정하고있다. 전쟁 내지 무력 공격이 첨단 기술로 "올바른"수단이 된 것은 아니라 "야만적 인"수단 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하버마스 자신의 논점이 세르비아 군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강박 관념에 의해 지워져 버리고있는 것은 아닐까. 나치 인종 학살의 기억은 오히려 '인종 청소'라는 말에 대한 <특별 감도>을 일으키고 전쟁이라는 야만적 인 수단도 인권 정치의 불가피한 딜레마로 감수하기로되어있는 것이다. "NATO가 [유고 공습에] 권한을 스스로 자신에게주는 같은 것이 습관화되어서는 안된다"는이 논문의 마지막 말은 NATO의 월권 행위에 대한 비판 인 동시에 성공적인 형태로 군사적 제재를 할 인권 정치의 긍정적되고있다. /
---
1-5 러츠 의한 유고 공습 비판 / 비폭력 평화주의 [5]의 입장에서 유고 공습 단점을 하나 소개하고 싶다. 하버마스처럼 <보편적 인권>과 <세계 내정>와 <유엔주의>와 같은 이념을 견지하기 위해 반드시 군사적 폭력의 행사는 <수단>을 정당화 할 필요는없고, <수단의 악마> 비판 계속 논의도 가능하다.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하는 양 전 론의 논리에서 벗어날 예로 러츠 토론을보고 싶다. /
"함부르크 평화 연구소 '의 소장 인 디터 루츠 (Dieter S. Lutz)는 1999 년 칠월에"Die Woche "지상에"엣뿌라 씨에게 편지'라는 글을 올린 바있다. 이것은 사회 민주당 (SPD)의 유력 정치인 에도와루토 · 엣뿌라가 1999 년 유월 1 백 일자 '자이'지에 발표 된 엣뿌라과 바의 공개 서한에서 이번 전쟁의 책임 단지 미로세뷔찌 만에 돌려 보내, 코소보 알바니아 인에 열린 '인종 청소'를 저지하기 위해 행해진 공습은 정당하다고 주장 것에 대한 반박이다. (다음은 Lutz 1999 참조). /
루츠의 주요 논점은 '인종 청소'라는 말이 냉정한 사실 인정과 판단을 불가능하게 존재하는 평화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군사력의 행사에 향하게했다는 것이다 . 그는 공습 시작 이전의 상황을 설명한다. /
먼저 1998 년 1 백 월 한 삼일 홀 브룩 미국 특사와 밀로셰비치 대통령과의 사이에 휴전 합의가 성립하고 나서 2 주 후에의 1 백 월 27 일 NATO 군 총사령관 솔라 나이 한 발표에 따르면, 정전 협정은 대체로 지켜지고 있으며, 산발적 인 충돌은 있지만, 정치적 협상의 전제가되는 지역의 안전은 확보되어 있었다. 솔라 나 오히려 코소보 알바니아 인 무장 조직에 정전 협정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있다.
1) (1) 하버마스의 전쟁 용인 론 / 전후 독일의 평화주의는 어떤 상황에있는 것일까. 그 점에 신경이 쓰이는 것이, 전후 독일의 진보적 지식인의 대표 인 위르겐 하버마스의 90 년대 이후의 태도이다. 그가 구일 년 걸프전 이후 지역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무력 행사를 긍정하는듯한 발언을했는지는 그의 사회 철학에 관심을 일본인에게 하나의 당황했다. /
그는 일찍이 1980 여섯 년 7 월 1 하루 "자이"지상에 "손해를 정리하는 하나의 방식 - 독일 현대사 기술의 변명 경향"이라는 논문을 기고 유명한 독일 " 역사 논쟁 '을 촉발되었다. 하버마스는 독일의 저명한 현대 역사가 인 E · 노르 테 나 A · 히루구루바 등을 나치 범죄를 역사적으로 상대화 무해 화함으로써 독일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 시키려고하는 반민주적인 역사가로 비판했다. 논쟁은 나치 범죄 "유일한 무적 성 Siguralität '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하버마스의 주장의 핵심은 독일인에 의해 행해진 나치 범죄는 과거에 도덕적 반성 이야말로 전후 독일 민주주의를 형성 한 것이며, "과거의 반성"이 전후 민주주의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 따라서 나치 범죄 '유일성'은 역사상의 일회성이 아닌 <우리> 전후 독일인있어서의 "필수 성"을 의미한다는 것이었다. [3] /
제 2 차 세계 대전의 도덕적 반성을 그토록 중시하는 하버마스가 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 하는가. 그는 왜 비폭력주의와 평화주의에 머 무르지 않는 것인가. 물론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무력 침공하여 점령 한 것을 국제 사회가 비난하고 제재해야한다는 일반론의 타당성을 여기에 의문을 제기하고있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오히려 "과거의 반성"고 무력 제재 용인 문법을 하버마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하는 점이다. /
---
1-1 걸프전에 태도 /
하버마스는 구일 년 이월 "자이"잡지 기자 인 마이클 할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걸프 전쟁에 대해 논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 군 (다국적군)에 의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했다.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며 "무력의 행사」와 전쟁을 긍정하고있는 셈이다. /
그러나 그것은 '정의'의 소유자 인 미국의 군사 행동은 정당하다는 간단한 논의가 아니다. 하버마스는 연합군의 이라크 군사 제재가 유엔의 권위에 의해 자기 정당화 할 수밖에 없었던 점을 평가하고, 거기에 칸트가 희망 한 '영구 평화'에 한 걸음이 있다고 생각 있다. 칸트 자신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는 '세계 정부'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고자 요청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이 합의해서 공정을 확정하고이를 바탕으로 평화적 질서를 유지하기 같은 세계를 구상하고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힘의 균형에 의한 평화이지만, 칸트는 그 때 "자유로운 국가들"이 "세계 연방"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평화의 경향이 증가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경제 발전과 대외 무역의 증가로 번영하는 자유 국가는 번영을 요구하는 국민의 의지가 국정에 반영되는 공화제이며, 따라서 군사적 인 대외 행동을 취하지 못하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유로운 국가들은 공동으로 운영하는 연방에서도 평화의 경향이 점점 증가한다는 것이다. 평화를 공통 이익과 세계 연방에서는 사실상의 폭력 독점이 성립하고 특정 국가가 국익을 위해 분쟁을 일으킨 경우 그것은 특별한 국익과 다른 특별한 국익과의 대립으로 대신 특수 국익과 세계 연방의 보편적 이익과 대립된다. 즉이 분쟁은 특별한 국익을 둘러싼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특수한 국익을 추구 특정 국가가 할 세계 평화 질서에 침범에 세계 연방이 "경찰권의 집행 eine polizeiliche Aktion "(Habermas 1991 : 20/20)를 실시하는 것이다. 세계 연방이 자신의 연방군을 갖고, 그것을 '세계 내정 Weltinnenpolitik "의 평화 질서 유지를위한 경찰 권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국제 분쟁은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세계 연방의 '세계 내정'문제로 경찰 활동에 의해 처리된다. /
이것이 칸트 = 하버마스 인 '세계 평화'구상이다. 유엔이 그런 세계 연방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있다. / "필요한 경우 군사적 수단에 의해서라도 유엔 결의를 준수 할 수 있도록 유엔의 권위를 높이는 것이 합리적는 아닐까. 유엔 헌장 제 7 조에서는 유엔의 지휘 아래에 쉴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군사 행동도 이미 상정되어있다. 냉전이 종결 된 후, 우리는 유엔을 확대하고 헌장에 존재하고있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있는 집행 권력을 창출해야 이었던 것이다. "(동 16/16) /
물론 하버마스는 실제로 행해진 걸프전을 유엔에 의한 정의의 전쟁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아니다. 유엔이 안보리 事会 제도에 의해 대국의 국익 추구에 영향되고있는 것은 인정한다. 걸프 분쟁이 중동에서 구미 선진국의 석유 이권을 둘러싼 권력 정치를 배경으로 가지고있는 것은 확실 것이며, 또한 형식면에서도이 전쟁은 "유엔의 지휘하에 실행 된 것이 아니라 참전국에 유엔에보고 의무조차 없었다 "(동 18/17) 현실의 걸프 전쟁이 유엔의 경찰권의 행사 였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반전 구호가 전제하고있는 것처럼, 걸프전의 모든 대국의 이익을위한 전쟁이며, 유엔은 전혀 구실에 불과하다는 견해에 하버마스는 이의를 제기하고있다. 연합군의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유엔이 '구실'로 반출 된 것이라고해도 변명으로 유엔을 이용한함으로써 강국은 오히려 유엔과 그 이념에 얽매이지된다. 이번에는 그 이념에 따라 강국에 요구할 수있게된다.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적 질서의 이념」(동 32/30)가 구실로 사용되고있는 '사실'이야말로 중요하다. 규범 적 이념이 세계 정치의 현실에서 사실로 내장되어있는 점 이야말로 이념이 실현 될 가능성 "새로운 시작의 기회」(동 18/18)가 발견되어야한다. /
하버마스는 현실에 열린 걸프 전쟁이 다양한 점에서 비난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이 전쟁에 포함 된 하나의 계기, 즉 유엔을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 '으로 발전시켜 국제 분쟁의 해결을 유엔군에 의한 "경찰권의 행사 '에 맡기는 세계 질서로 향하는 계기를 구출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함으로써 국익을 위해 주권의 발동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전쟁'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
그런데,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의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기본적인 구도는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질서'를 유엔이 제공하는 올바른 <목적>이 군사 행동이라는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적으로 전쟁을 정당화하는 일종의 '정의로운 전쟁론'라고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그 목적의 설정 자체가 반 사실적인 가정이며, 전반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한 논의 될 것으로 보인다. /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논리의 또 다른 변형으로 이스라엘 국가의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설정되어있다. /
"적어도 이스라엘, 아랍 세계에 둘러싸여 [ABC 병기 등] 최악의 병기에 의해 威さ있는 공포의 줄거리를 고려한다면, 이라크에 대한 무력 제재는 합리적이었고, 나는 생각한다" (동 23/22) /
독일의 '과거 반성'은 유대인 국가 인 이스라엘의 빚으로 나타 쉽지만, 하버마스도 여기에서 그런 "빚"에 의해 논의의 공정성을 해치고있는 것은 아닐까 . 가해자 의식에 따른 '빚'이 일종의 심층 심리에서 "정의로운 전쟁론 '에 향하게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커뮤니케이션 행위 이론」나 「토의 윤리 '를 주창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하버마스가 유엔 평화 질서 (비폭력 공간)의 설립 목적과 이념을 견지하는 것은 당연 이다. 그러나이 대화 적 이성의 입장이이 비폭력 공간을 성립시키는 "목적"을 위해 "수단으로서의 폭력 '을 인정하는 것은 자기 모순이라고는 말하지 않더라도 대화 형 이성과는 전혀 다른 원리를 도입하고 있다고해야 할 것이다. . 1-2 코소보 전쟁 (유고 공습)에 대한 태도 걸프전 후 국제 사회는 유고 분쟁 처리에 혼란하게했다. 1991 년 6 월에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 유고 슬라비아 연방은 내전과 분열을 시작해 1920 년 만우절에는 분쟁은 보스니아에 확대했다. 보스니아에서 세르비아 인, 크로아티아 인, 이슬람교의 각파가 지배 지역 확대 탈환을 목표로 서로 '인종 청소'작전을 펼치는 유엔은 유효한 평화 유지 활동을 실시 할 수 없었다. 당시 유엔 사무 총장의 부트 로스 갈리은 "평화 집행 활동」을 제창하고 유엔군이 분쟁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화평 방침을 내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1920 년부터 실시 된 소말리아 내전에 유엔의 관여는 유엔 '평화 집행 부대'가 분쟁의 당사자로써 93 년 1 백 월 유엔 부대의 미군 열 여덟 명이 사망하고 시체 이 시중을 引き回さ하는 광경이 미국 언론에 흘려 미군이 철수하게된다. 유엔 헌장 17 조에 의거 유엔군의 "무력 제재"평화를 확립하는 유엔 주도의 평화 정책은 좌절하게된다. 유고 분쟁의 해결은 유엔군이 아니라 NATO 군 특히 미군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특히 1995 년 8 월 31 10 일부터 구월 한 네 일까지 열린 NATO 군에 의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군의 공습은 거의 자유형에서 이루어지게되었다. 이후 보스니아 평화 협정도 미국이라는 유일한 대국의 이니셔티브하에 맺어진 것이고 ( "데이턴 협정"1951 년 한 한 달 이십일 일) 유엔이 공정한 국제 중재 기관으로 기능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오히려 유고 분쟁이 이렇게 혼란 장기화 한 것도 구미 국가, 특히 미국의 공정성과 일관성없는 대응에 있었다고 이해 될 수있다 [4]. /
보스니아 다음은 코소보에서의 분쟁이 표면화왔다. 코소보 전쟁은 유고 슬라비아의 코소보에서 증가하는 알바니아계 주민과 세르비아계 주민과의 긴장을 배경으로하고 있었다.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하는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주민에 한때 자치권의 확대가 인정되었지만, 1989 년에 세르비아 공화국은 헌법을 수정하고 코소보의 자치권을 제한 했다. 이에 맞서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1990 년에 "코소보 공화국 '의 독립을 선언하게되었다. 이미이 시점에서 코소보는 이중 권력 구조가되어, 세르비아 치안 유지 부대와 코소보 해방군의 무력 충돌이 계속되고 있었다. 1999 년 두 월 엿새에서 열린 프랑스 랑 부예에서의 평화 협상도 결국 좌절하고 동년 세 월 이백 사십 일 NATO 군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승인을 수 없다 채 유고 대한 공습 을 시작했다. /
독일군도 NATO의 일원으로서이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이지만 이번 전쟁 참여에 대한 독일의 반응, 특히 소위 좌파 지식인의 반응은 걸프 전쟁 때와는 달랐다. 전쟁에 "단적으로"반대하는 평화 주의자들이 소수가 된 것이 이번의 특징이다. 이 전쟁에 참가한 독일 정부가 사회 민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권이며, 문제가 '인종 청소'등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전쟁이라는 수단"도 부득이한라는 매우 복잡한 윤리적 문제 로 이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족 말살 한 과거를 부정함으로써 전후 독일의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온 독일의 좌파 지식인들에게 언론이 보도했다 코소보의 인종 청소를 좌시 할 수는 심정으로 비 가능였다. 걸프전 당시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평화주의의 구호는 더 이상 듣지 않게되었다. /
이런 상황에서 공습 시작 후 한 달이 경과 한 1999 년 만우절 말에 하버마스는 "야만성과 인간성 - 법과 도덕의 한계의 전쟁 '이라는 논문을'자이 트 '지 에 기고 한 (Habermas 1999). 여기서도 그는 NATO 군에 의한 유고 공습을 승인 할 것으로 보인다 논의를 전개하고있다. "보인다"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번 하바마스의 논의는 "유엔 평화 창설」의 이념에 걸 치면서도 걸프전 때보다 군사 행동에 의구심을 표명하고있다 때문이다. /
하버마스는 유엔 평화 창설 이념을 견지하는 그의 입장을 '합법적 평화주의 Rechtspazifismus, legal pacifism "이라고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입장은 "주권 국가 사이의 자연 상태를 인권 사상에 의해 준치한다는 이념 Idee einer menschenrechtlichen Domestizierung des Naturzustandes zwischen den Staaten"에 의거하고 있으며, "국가 주권의 한계를 넘어 세계 시민 '으로서의 개인의 인권 를 옹호하려고하는 것이다 (Habermas 1999 : §3). 보편적 인권 규범으로하는 「인권 정치 '가 국가 주권을 제한함으로써 국가 간의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
"인권 정치의 여러 가정에 서 한 이번이 개입은 무력에 의한 것이라도 국제 사회에 의해 (유엔의 위임이 없더라도 암묵적으로) 권위 정한 평화 창설 임무이다 이해되어야한다. 이러한 서방의 해석에 따르면, 코소보 전쟁은 국가를 주체로 온 고전적인 국제법의 도정에서 세계 시민 사회의 코스모 폴리탄적인 법 · 권리로의 도약을 의미 할 수있는 것이다. "(동 §6) /
즉 '세계 시민 사회'실현을위한 도정의 불가피한 필요악으로 이번 유고 공습을 승인하는 것이"합법적 인 평화주의 '의 입장이다. 이것은 어떻게 호의적으로 해석해도 <평화 이념> 실현을 위해 <전쟁 = 군사적 폭력 행사>가 정당화된다는 <정의로운 전쟁론>이다. 정의로운 전쟁론의 구조는 올바른 목적이 악한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지만, 하버마스 자신이 공습이라는 군사 제재가 "악한 수단"임을 인정하고있다. "악한 수단"이기 때문에 독일군도 참여했다 유고 공습에 대해 "기분의 나쁨 Unbehagen"독일 사람들은 느끼고 있다고한다. 그 이유를 그는 짚고있다. . /
(1) "합법적 인 평화주의 '가 상정하는 실효 적 권력을 가진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고, 유엔도 세계 시민 정부로 간주 될 수 없다. /
(2) 유엔를 의사 적 세계 시민 정부라고 보는 경우에도 이번 유고 공습은 유엔의 승인없이 NATO 군이 실시한 것이다. /
(3) 군사적 제재가 '인도적 개입'으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도 특히 공습이라는 수단이 평화 실현이라는 목적을위한 유효한 수단인가하는 의문이 남는다. /
(4) 공격의 정도 문제 - 유고 국영 방송국의 폭격에 앞서 경고 했어야했다 든가, 가스 탱크 및 건물이나 도로와 교량 등 경제 인프라를 파괴하는 것이 허락되는 것인가. /
(5) 정치적 목표의 모호성 - 박해 난민이 된 알바니아계 주민을 구제하는 인도적 목적을 달성하고자하는 군사 행동이 코소보의 민주화라는 정치적 목표의 실현을 불가능하게하고있다 . 대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抬頭하는 가운데, 코소보의 분리 독립이라는 望ましから 않은 방향으로 향 것이다. (이 §10-12) /
(6)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 세르비아계 주민에 대한 공습을 실시하는 것은, 새로운 인권 침해와 민족 학살이 아닌가 . (이 §8) /
이런 군사적 폭력이라는 '나쁜 수단」에는 「기분의 나쁨'이 수반 할 수밖에 없다.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정하는 이상, "수단"올바른 "경찰권의 집행"인 것은 아니라 "나쁜 방법"에서 계속한다. 그래서 하버마스의 논의는 악한 수단을 '필요악'으로 용인 시키려고하는 것 이상으로한다. 그는이를 위해 두 논의를 내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
----
1-3 카를 슈미트는 널조각 /
첫 번째 논쟁은 슈미트 정치학 뻬시미즈무을 피하고 보편적 인권의 이념의 측면에 서고 싶다 생각한다면, 필요악를 인정하고 기분의 나쁨 에 견디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버마스는 슈미트 정치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
칼 슈미트의 정치학은 국가 주권의 절대성 · 자연을 주장한다. 이 국가 주권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인권의 보편성을 주장하고 인권을 위해 국가 주권도 제한된다고 주장하는 인권 정치는 국가의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요구를 부정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욕구끼리의 충돌에 불과한 국가 간의 분쟁이 규범적이고 원리적인 대립 항쟁으로 경직화 해 버려, 타협을 모색하는 관계로 정치적 관계는 없게되어 버린다 . 즉, 국제 분쟁이 선악의 최종 결전 (아마겟돈)이되어 버린다. 이것은 자연적인 대립을 규범 적 · 윤리적 갈등으로 전환하는 '카테고리 미스 테이크 Kategorienfehler "인 것이다 (동 §16). 국가와 국가가 다툴 때, 그것은 각각의 국익에 부딪쳐이라는 자연 현상에 불과하며, 정의와 도덕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국가 간 정치적 관계에 보편적 인 인권을 들여 정치를 도덕 화하면 정치는 선에 의한 악을 섬멸을 목표로하는 것입니다 바로 야만적 인 폭력 행위로 후퇴하고 만다. 쉽게 말하면, 보편적 인권 사상은 <정치 도덕 화>하여 <정치를 야만적 화>한다. 이러한 정치의 야만적 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의 관계에 선악이나 도덕을 반입하지 않아야이다. 그리고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절대 주권 (Souveränität)을 승인하는 것이 대전제이다. /
이런 슈미트의 논의를 비판 극복하기 위해 하버마스는 "정치의 도덕 화"를 다른 방법으로 해석한다. /
- '세계 시민 적 상태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의미하는 것은 인권 침해를 도덕적 관점 하에서 직접 심판하고 그것을 박멸 하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법질서 속에서 범죄가 추구하는 것처럼, 인권 침해를 추구하는 것이다. 국제 관계를 철저하게 법제화 (Verrechtlichung)하는 것은 분쟁 해결을위한 확립 된 절차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바로이 같은 절차의 제도화가 인권 침해에 대한 법률 적으로 억제 된 대응을 가능하게하고 도덕이 법 · 권리의 차별화를 말소 해 버리지 않게하는 것이며, 그리고 [법에 의한] 매개없이 " 적 '을 철저하게 도덕적으로 차별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동 §19) /
정치를 직접 도덕 화하면 정치의 야만적 화로지도 것이지만, 정치를 법제화에 의해 매개 된 형태로 도덕 화하면야만 화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국제 정치의 법제화와 제도화는 물론 유엔기구의 정비이다. 즉 유엔의 이념이 실현되면 국가 주권의 제한도 문제 없다. 이것이 하버마스의 반론이다. /
그런데 이러한 슈미트 정치학의 비판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정치 도덕 화가 그 야만적 화 이끈다는 슈미트의 테제에 대한 비판으로는 하버마스의 논의는 설득 적이다. 그러나 유고 공습하는 <수단>에 휘 감지 붙은 「기분의 나쁨 "의 문제에 슈미트 정치학 비판을 잡는 게 <수단의 악마>의 문제를 <목적의 선악> 문제에 すりかえる이다 . 여기서 하버마스가 독자에게 제시하고있는 것은, "유고 공습을 승인하지 않는 입장은 결국 슈미트 정치학의 국가 주권 절대화에서 끝나고 그렇게되면 국가 주권의 벽을 넘어 인권 침해를 저지하려고하는 "인권 정치 Menschenrechtspolitik"는 전혀 불가능해질 그래도 당신은 유고 공습에 반대 하시겠습니까? "라는 양자 택일의 널조각이다. 독일인 사이의 「기분의 나쁨 '을 완화하는 교묘 한 논리 수도 있지만 문제의 바꿔 치기이다. /
1-4 "특별한 감수성 '이라는 도덕성 / 「기분의 나쁨'을 완화하기위한 두 번째 논의는 <나쁜 것을 자각하고있는만으로도 머신에서 도덕적이다>라는 것이다 . / 하버마스는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 인권 정치가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없는 것이라고 먼저 설명한다. 인권 정치의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법제화가 전제가되지만, 그 법제화가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딜레마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없는 것이다. 유엔의 동의를 얻은 개입 (스레부닛아에 주둔) 세르비아 군의 학살을 저지 할 수있는 실력을 가지지 않고, NATO의 유효한 무력 개입은 유엔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21). 유엔이 충분한 법제화 기관이되어 있지 않은 것이 "기분의 나쁨"의 원인이며, 인권 정치를지지하는 것 자체가 올바른 것이다. 이 불가피 딜레마를 자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에 비하면 독일과 유럽 국가들은 아직 머신이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과 중남미 정책에 표시된 것처럼, 인도주의를 내세워 자국의 제국 권력의 확대를 도모을 항상하고 있지만, 유럽은 적어도 인권 정치 딜레마를 수반하는 것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특별한 감수성 eine besondere Sensibilität"(§27)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이다. 독일인이 인권 정치라는 자체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하고, 게다가 「기분의 나쁨 "을 느끼고있는 것은 독일인의 도덕적 감수성이 뛰어나다 증거예요. - 이렇게해서 하버마스는 독일인 "기분의 나쁨"을 해소 할 수없는까지도 완화 시키려고하고있는 것이다. /
이렇게보고 오면, '야만과 인간성'이라는 그의 논문은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에 대한 독일인의 「기분의 나쁨 "을 해소 할 주제이며, 유고 공습의 정당성 자체 에 대한 판단은 미묘하게 회피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을 것이다. 보스니아 분쟁 때부터 사용 된 '인종 청소'나 '학살'이라는 말이 코소보 분쟁에도 적용되는 시점에서 학살의 책임자 인 세르비아 군에 대해 군사적 제재 자체는 (절차 위의 문제는 있어도) 자명이며, 인권 정치가 인권 옹호를 위해 주권 국가의 벽을 마구 수단으로 군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전제되어있다. 그런데 하버마스도 논문의 서두에서는 공습이라는 수단이 야만적이며 <악마>임을 확인하고있다. 공습은 유고 일반 시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미치는 것으로, '전혀 전쟁'이다. "수술 정확도 chirurgische Präzision"(§1)을 가진 핀 포인트 폭격으로 상대방의 전투 시설 만 파괴하고 시민들에게 피해를주지 않는 <인간적인 제재 행위> 등 걸프 전쟁 때부터 전파 이데올로기를 하버마스는 부정하고있다. 전쟁 내지 무력 공격이 첨단 기술로 "올바른"수단이 된 것은 아니라 "야만적 인"수단 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하버마스 자신의 논점이 세르비아 군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강박 관념에 의해 지워져 버리고있는 것은 아닐까. 나치 인종 학살의 기억은 오히려 '인종 청소'라는 말에 대한 <특별 감도>을 일으키고 전쟁이라는 야만적 인 수단도 인권 정치의 불가피한 딜레마로 감수하기로되어있는 것이다. "NATO가 [유고 공습에] 권한을 스스로 자신에게주는 같은 것이 습관화되어서는 안된다"는이 논문의 마지막 말은 NATO의 월권 행위에 대한 비판 인 동시에 성공적인 형태로 군사적 제재를 할 인권 정치의 긍정적되고있다. /
---
1-5 러츠 의한 유고 공습 비판 / 비폭력 평화주의 [5]의 입장에서 유고 공습 단점을 하나 소개하고 싶다. 하버마스처럼 <보편적 인권>과 <세계 내정>와 <유엔주의>와 같은 이념을 견지하기 위해 반드시 군사적 폭력의 행사는 <수단>을 정당화 할 필요는없고, <수단의 악마> 비판 계속 논의도 가능하다.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하는 양 전 론의 논리에서 벗어날 예로 러츠 토론을보고 싶다. /
"함부르크 평화 연구소 '의 소장 인 디터 루츠 (Dieter S. Lutz)는 1999 년 칠월에"Die Woche "지상에"엣뿌라 씨에게 편지'라는 글을 올린 바있다. 이것은 사회 민주당 (SPD)의 유력 정치인 에도와루토 · 엣뿌라가 1999 년 유월 1 백 일자 '자이'지에 발표 된 엣뿌라과 바의 공개 서한에서 이번 전쟁의 책임 단지 미로세뷔찌 만에 돌려 보내, 코소보 알바니아 인에 열린 '인종 청소'를 저지하기 위해 행해진 공습은 정당하다고 주장 것에 대한 반박이다. (다음은 Lutz 1999 참조). /
루츠의 주요 논점은 '인종 청소'라는 말이 냉정한 사실 인정과 판단을 불가능하게 존재하는 평화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군사력의 행사에 향하게했다는 것이다 . 그는 공습 시작 이전의 상황을 설명한다. /
먼저 1998 년 1 백 월 한 삼일 홀 브룩 미국 특사와 밀로셰비치 대통령과의 사이에 휴전 합의가 성립하고 나서 2 주 후에의 1 백 월 27 일 NATO 군 총사령관 솔라 나이 한 발표에 따르면, 정전 협정은 대체로 지켜지고 있으며, 산발적 인 충돌은 있지만, 정치적 협상의 전제가되는 지역의 안전은 확보되어 있었다. 솔라 나 오히려 코소보 알바니아 인 무장 조직에 정전 협정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