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0
The “Ancient Child” Fallacy – Taoism.net
The “Ancient Child” Fallacy – Taoism.net
The “Ancient Child” Fallacy
Posted on December 29, 2016 by Derek Lin
Misconception:
Quite a few people who study the Tao love the idea that the name Lao Tzu / Laozi has the dual meaning of “Old Master” and “Ancient Child.” They feel this is a higher level of wisdom that points to the childlike sense of wonder in the heart of a Tao sage. The idea is appealing because it matches what many think is cool about the Tao. There are authors who write about this, professors who teach this — and they all seem quite sure about it.
Truth:
Unfortunately, an idea that sounds cool isn’t necessarily right. Lao Tzu / Laozi does not mean Old Child, Ancient Child, Old Son, Ancient Son, Old Boy, Ancient Boy, or other similar permutations — not today nor at any time in history; not in Mandarin or any Chinese dialect.
In a different context, the character tzu or zi can mean “child” or “son,” and that’s the source of misconception. In the context of an honorary title, it can only mean “master” or “great teacher” and that’s it. There is no double meaning, veiled hint, skillful pun, or hidden humor. Whatever higher level of wisdom people imagine is just that — unfounded imagination.
Upon hearing this, some may shrug and say: “Whatever. I’ll just let the scholars fight it out.” This assumes the point is a matter of scholarly debate, but it’s not. It’s simply a matter of logic and actual (as opposed to imagined) linguistic meaning. To a native speaker of Chinese, there is no controversey.
When applied as an honorific, the tzu character is used for many other great teachers from Chinese history. Some of the better known ones in the West are Chuang Tzu, Sun Tzu, and Confucius (Kong Tzu). In the Pinyin system these would be written as Zhuangzi, Sunzi, and Kongzi respectively.
The tzu character is used in the exact same way for all of these sages (for our specific examples, we can also note that it is used in the exact same way for them during the same period in Chinese history). Therefore, if it really does have a dual meaning for Lao Tzu, it must also have the same dual meaning for all of them. This means Chuang Tzu becomes “Chuang Child,” Sun Tzu becomes “Sun Child,” Confucius becomes “Kong Child,” and so on for all the other sages with the same title.
Some of the people who think Lao Tzu means “Old Child” also believe that Taoism is diametrically opposite to Confucianism. To them, the idea that the strict, un-Tao-like Confucius can be the Kong Child would probably be contradictory. And how about the Art of War having been written by Sun Tzu, the Sun Child? Does that point to the hidden wisdom that warfare is, um… child’s play?
Clearly, this makes no sense. The idea that Lao Tzu can mean “Ancient Child” leads to strange conclusions — unless we come up with additional, equally contrived theories to explain why it’s true only for Lao Tzu, or perhaps only for Taoist sages, but not for anyone else.
How did the misconception come about in the first place? There are several primary sources: 1) superstitious stories invented by the Chinese about Lao Tzu being born old; 2) Western misunderstanding of the Chinese language, largely by academics who can’t speak Chinese but are nevertheless seen as authorities on the subject; 3) puns made by the Chinese, not intended to be taken seriously; 4) a few Chinese people who perpetuate the misconception because they don’t know their own language all that well, thereby unwittingly giving the notion an aura of authenticity. If a Chinese person says Lao Tzu means Old Son or some such, then you just know it has to be true, right?
Another Meaning
In the actual Chinese language, the two characters lao tzu can have another meaning when used in another context, but it’s like absolutely nothing imagined by Western academics.
In this other context, the tzu character looks the same but is pronounced in a different pitch. An English speaker probably won’t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When pronounced this way, the meaning is 1) father and 2) a rude and crude way to refer to oneself.
For instance, when a bully wants to pick a fight, he may say: “lao zi zo ni!” This can be translated as “I’ll beat you up!” And if we break it down linguistically, we’ll see that what it says has the compressed meaning of: “I, your daddy, will beat you up!”
The rude and crude part of it is the assertion of oneself over another, similar to the American expression, “who’s your daddy?” Only someone who has no class would be so insulting to someone else. Therefore, the phrase can only be suitable for people at the lowest level of Chinese society — illiterate and ignorant criminals, gangsters, thugs, and so on.
Note that in this situation the reality is almost the exact opposite of the misconception. The alternative meaning of lao tzu turns out to be more like father than son.
Note also that none of this implies that the original author of the Tao Te Ching has a name that can mean “Old Master,” “Father” and “Self” all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t contexts don’t mix at all. Nor do they “bleed” into each other. Some Westerners may have trouble understanding this point, but there is no mystery to it. It’s common to most languages.
For instance, in English, the word “fast” means completely different things when we say “that car is fast” (meaning quick), “hold fast” (meaning unmoving), and “starting a fast” (meaning food restriction). We’re pretty comfortable with the different contexts, we know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one another, and we can figure out the intended meaning based on the other words that are being said in conjunction. It’s exactly like that with Chinese.
How can the few Western writers who are still enamored with “Ancient Child” be so far off the mark? Friends who know me constantly hear me say that the study of the Tao in the West is filled with numerous misconceptions — but I think even they will be taken by surprise when they glimpse the full extent of the situation.
Derek Lin
Derek Lin is an award-winning, bestselling author in the Tao genre. He was born in Taiwan and grew up with native fluency in both Mandarin and English. His background lets him convey Eastern teachings to Western readers in a way that is clear, simple and authentic.
www.DerekLin.com
© 1998-2024 Derek Lin. All Rights Reserved.
The “Ancient Child” Fallacy
Posted on December 29, 2016 by Derek Lin
Misconception:
Quite a few people who study the Tao love the idea that the name Lao Tzu / Laozi has the dual meaning of “Old Master” and “Ancient Child.” They feel this is a higher level of wisdom that points to the childlike sense of wonder in the heart of a Tao sage. The idea is appealing because it matches what many think is cool about the Tao. There are authors who write about this, professors who teach this — and they all seem quite sure about it.
Truth:
Unfortunately, an idea that sounds cool isn’t necessarily right. Lao Tzu / Laozi does not mean Old Child, Ancient Child, Old Son, Ancient Son, Old Boy, Ancient Boy, or other similar permutations — not today nor at any time in history; not in Mandarin or any Chinese dialect.
In a different context, the character tzu or zi can mean “child” or “son,” and that’s the source of misconception. In the context of an honorary title, it can only mean “master” or “great teacher” and that’s it. There is no double meaning, veiled hint, skillful pun, or hidden humor. Whatever higher level of wisdom people imagine is just that — unfounded imagination.
Upon hearing this, some may shrug and say: “Whatever. I’ll just let the scholars fight it out.” This assumes the point is a matter of scholarly debate, but it’s not. It’s simply a matter of logic and actual (as opposed to imagined) linguistic meaning. To a native speaker of Chinese, there is no controversey.
When applied as an honorific, the tzu character is used for many other great teachers from Chinese history. Some of the better known ones in the West are Chuang Tzu, Sun Tzu, and Confucius (Kong Tzu). In the Pinyin system these would be written as Zhuangzi, Sunzi, and Kongzi respectively.
The tzu character is used in the exact same way for all of these sages (for our specific examples, we can also note that it is used in the exact same way for them during the same period in Chinese history). Therefore, if it really does have a dual meaning for Lao Tzu, it must also have the same dual meaning for all of them. This means Chuang Tzu becomes “Chuang Child,” Sun Tzu becomes “Sun Child,” Confucius becomes “Kong Child,” and so on for all the other sages with the same title.
Some of the people who think Lao Tzu means “Old Child” also believe that Taoism is diametrically opposite to Confucianism. To them, the idea that the strict, un-Tao-like Confucius can be the Kong Child would probably be contradictory. And how about the Art of War having been written by Sun Tzu, the Sun Child? Does that point to the hidden wisdom that warfare is, um… child’s play?
Clearly, this makes no sense. The idea that Lao Tzu can mean “Ancient Child” leads to strange conclusions — unless we come up with additional, equally contrived theories to explain why it’s true only for Lao Tzu, or perhaps only for Taoist sages, but not for anyone else.
How did the misconception come about in the first place? There are several primary sources: 1) superstitious stories invented by the Chinese about Lao Tzu being born old; 2) Western misunderstanding of the Chinese language, largely by academics who can’t speak Chinese but are nevertheless seen as authorities on the subject; 3) puns made by the Chinese, not intended to be taken seriously; 4) a few Chinese people who perpetuate the misconception because they don’t know their own language all that well, thereby unwittingly giving the notion an aura of authenticity. If a Chinese person says Lao Tzu means Old Son or some such, then you just know it has to be true, right?
Another Meaning
In the actual Chinese language, the two characters lao tzu can have another meaning when used in another context, but it’s like absolutely nothing imagined by Western academics.
In this other context, the tzu character looks the same but is pronounced in a different pitch. An English speaker probably won’t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When pronounced this way, the meaning is 1) father and 2) a rude and crude way to refer to oneself.
For instance, when a bully wants to pick a fight, he may say: “lao zi zo ni!” This can be translated as “I’ll beat you up!” And if we break it down linguistically, we’ll see that what it says has the compressed meaning of: “I, your daddy, will beat you up!”
The rude and crude part of it is the assertion of oneself over another, similar to the American expression, “who’s your daddy?” Only someone who has no class would be so insulting to someone else. Therefore, the phrase can only be suitable for people at the lowest level of Chinese society — illiterate and ignorant criminals, gangsters, thugs, and so on.
Note that in this situation the reality is almost the exact opposite of the misconception. The alternative meaning of lao tzu turns out to be more like father than son.
Note also that none of this implies that the original author of the Tao Te Ching has a name that can mean “Old Master,” “Father” and “Self” all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t contexts don’t mix at all. Nor do they “bleed” into each other. Some Westerners may have trouble understanding this point, but there is no mystery to it. It’s common to most languages.
For instance, in English, the word “fast” means completely different things when we say “that car is fast” (meaning quick), “hold fast” (meaning unmoving), and “starting a fast” (meaning food restriction). We’re pretty comfortable with the different contexts, we know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one another, and we can figure out the intended meaning based on the other words that are being said in conjunction. It’s exactly like that with Chinese.
How can the few Western writers who are still enamored with “Ancient Child” be so far off the mark? Friends who know me constantly hear me say that the study of the Tao in the West is filled with numerous misconceptions — but I think even they will be taken by surprise when they glimpse the full extent of the situation.
Derek Lin
Derek Lin is an award-winning, bestselling author in the Tao genre. He was born in Taiwan and grew up with native fluency in both Mandarin and English. His background lets him convey Eastern teachings to Western readers in a way that is clear, simple and authentic.
www.DerekLin.com
© 1998-2024 Derek Lin. All Rights Reserved.
Taechang Kim | 이명권 Laozi OldSon 권혁인
(2) Taechang Kim | Facebook
All reactions:52崔明淑, Philo Kalia and 50 others
7 comments
Like
Comment
Copy
Most relevant
Taechang Kim
対話哲学者イミョンクオン著
《イエス、釈迦に出会: 福音書と般若心経との対話》
(開かれた書院, 2刷発行 2017年2月25日). 20余年間 キリスト教 仏教 イスラム教 道教 ヒンズー教は勿論、東西哲学の開かれた対話という新たな道を開いて来たイミョンクオン博士の '対話' シリーズのイエスと釈迦の対話編. 出会えば知り、知れば愛し合うようになるという今日の我々の心晴れる対話哲学の白眉.
3 d
3 days ago
Like
Reply
See translation
2
Laozi OldSon
이명권. 알지도 못하면서 노자를 연구한다는 엉터리 작자로군요.ㅎ~
3 d
3 days ago
Like
Reply
Taechang Kim
Laozi OldSon 중국유학해서 공부는 했다고 하는데.
3 d
3 days ago
Like
Reply
Laozi OldSon
Taechang Kim 우리가 흔히 도덕경이라 부르는 문헌의 텍스트는 왕필본입니다. 그리고 이는 하상공본의 텍스트와 동일합니다. 원본은 죽간일 것이고 이를 필사한 것이 백서帛書인데 하상공본 왕필본은 둘다 이를 변조한 것입니다. 노자가 전국시대 초입 사람이라면 그때 쓰던 한어漢語는 오늘날과 크게 달랐을 것이고 따라서 번역도 상고한어의 문법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김용옥, 이명권 같은 이들입니다. 한마디로 상고한어를 기록한 고문 문법을 모르고 字義를 엮어 말을 지어내는 사람들이죠. 아무리 중국에서, 또는 타이완에서 공부했다 하더라도 상고한어를 기록한 고문법을 모르고 노자를 연구한다면 이는 모두 헛된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Taechang Kim
Laozi OldSon 그렇군요.
====
https://www.facebook.com/LaoziOldSon====
남고려가 하면 전쟁 연습, 북고려가 탄도미사일 쏘면 자위 훈련.
평화통일? 남북 어느 쪽이 하든 통일은 흡수통일일 수밖에 없고 결국은 하드랜딩이여.
도덕경道德經.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노자老子가 저술했다는 문서. 알아듣기 어려운 신비한 말로 가득 찼다는 문서. 그러다 보니 이 문건을 난해한 형이상학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독해 자체가 안 되다 보니 널리 알려진 한자 뜻을 가지고 대충 엮어 말을 만든다. 난해한 글이 되는 건 당연하다. 한자 한 글자가 지닌 수많은 뜻은 전혀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한다. 한자 한 글자가 정반대되는 뜻을 함께 지닌 것도 있으며 요즘엔 거의 쓰지 않는 고대의 자의를 적용해야 할 때도 있는데 말이다. 그 뿐인가. 문법은 아예 들여다 보지도 않는다.
이런 내 생각을 두고 중국 사람들이 어째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이해하지 못하겠느냐고 한다. 중국, 또는 타이완의 유명 학자(!)들이 자신들의 글자로 적은 문헌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이나 타이완으로 유학까지 가서 연구한 이들의 성과를 너무 쉽게 무시하는 것 아니냐고 한다.
그렇다. 쥐뿔도 모르면서 이 문건을 해독한답시고 달려들어 말도 안 되는 소리를 지껄이고 있는 자들이 바로 학자라는 간판을 내걸고 뻐기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오로지 왕필의 주석을 금과옥조로 삼아 자기가 공부한 서양 철학이나 종교 철학, 또는 그리스도교 신학, 때로는 불교 철학의 개념을 버무려 알아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하고 있을 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더구나 고대의 문헌, 곧 고대 한어를 적은 문헌을 놓고 오늘날의 한어를 읽는 방식으로 하니 엉망진창, 옆차기 de 쥐라르가 되는 게 당연하지 않겠는가.
지나친 말이라고 하는 이도 있고 (김용옥 따위를) 질투해서 그러는 것 아니냐는 이도 보았다. 그럼 그렇게 말하는 분들은 답해 보라. 끝까지 읽기는 해 봤나. 끝까지 읽었다면 조금 길어도 좋으니 전체 요지를 정리할 수 있나. 전체 요지가 무위無爲라고? 노자가 도대체 어디에서 무위라는 말을 했는지, 그리고 노자가 어디에서 무위를 설명하고 정의했는지 알려다오. 무위는 有爲의 반대 개념이라고? 그 유위는 도덕경 어디에 나오는 개념인지 말해 다오. 아니 그보다도 爲가 지닌 여러 가지 자의와 용법은 다 젖혀 두고 ‘하다’라는 뜻으로만 읽어야 하는 까닭을 말해 다오.
확신하건대 그 무엇도 속시원히 대답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여느 사람만 그런 것이 아니라 김용옥이니 최진석이니 오강남이니 노자를 연구한다는 그 누구도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 노자가 옳았다고? 뭔 소린지 제대로 읽어 내지도 못하면서 옳은지 그른지는 어찌 아누?
딴전 피우고 있네. 너 말이야 너! 빡빡이 도올 대가리!
-------------------------------------
집필 시동을 걸어야 하는데 (지난한 일이 될 것이 뻔한) 사전 작업을 아직 마무리짓지 못했다. 어그러진 순서를 바로잡는 일이다. 나는 죽간 자체가 제대로 정리되지 못하고 마구 뒤섞인 상황에서 필사된 것이 백서이며, 그 백서가 변조와 왜곡을 거듭하다가 하상공본, 즉 한대에 이르러 정립되었다고 생각한다.
서두를 일은 아니지만 (자발적) 백수 된지 넉달 째, 슬슬 작업을 시작한다고 미리 알린다.
===
노자의 뜨락
2023.05.09.
[노자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01]
도덕경道德經.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노자老子가 저술했다는 문서. 알아듣기 어려운 신비한 말로 가득 찼다는 문서. 그러다 보니 이 문건을 난해한 형이상학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그럼 그렇게 말하는 분들은 답해 보라. 끝까지 읽기는 해 봤나. 끝까지 읽었다면 조금
All reactions:52崔明淑, Philo Kalia and 50 others
7 comments
Like
Comment
Copy
Most relevant
Taechang Kim
対話哲学者イミョンクオン著
《イエス、釈迦に出会: 福音書と般若心経との対話》
(開かれた書院, 2刷発行 2017年2月25日). 20余年間 キリスト教 仏教 イスラム教 道教 ヒンズー教は勿論、東西哲学の開かれた対話という新たな道を開いて来たイミョンクオン博士の '対話' シリーズのイエスと釈迦の対話編. 出会えば知り、知れば愛し合うようになるという今日の我々の心晴れる対話哲学の白眉.
3 d
3 days ago
Like
Reply
See translation
2
Laozi OldSon
이명권. 알지도 못하면서 노자를 연구한다는 엉터리 작자로군요.ㅎ~
3 d
3 days ago
Like
Reply
Taechang Kim
Laozi OldSon 중국유학해서 공부는 했다고 하는데.
3 d
3 days ago
Like
Reply
Laozi OldSon
Taechang Kim 우리가 흔히 도덕경이라 부르는 문헌의 텍스트는 왕필본입니다. 그리고 이는 하상공본의 텍스트와 동일합니다. 원본은 죽간일 것이고 이를 필사한 것이 백서帛書인데 하상공본 왕필본은 둘다 이를 변조한 것입니다. 노자가 전국시대 초입 사람이라면 그때 쓰던 한어漢語는 오늘날과 크게 달랐을 것이고 따라서 번역도 상고한어의 문법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김용옥, 이명권 같은 이들입니다. 한마디로 상고한어를 기록한 고문 문법을 모르고 字義를 엮어 말을 지어내는 사람들이죠. 아무리 중국에서, 또는 타이완에서 공부했다 하더라도 상고한어를 기록한 고문법을 모르고 노자를 연구한다면 이는 모두 헛된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Taechang Kim
Laozi OldSon 그렇군요.
====
https://www.facebook.com/LaoziOldSon
남고려가 하면 전쟁 연습, 북고려가 탄도미사일 쏘면 자위 훈련.
평화통일? 남북 어느 쪽이 하든 통일은 흡수통일일 수밖에 없고 결국은 하드랜딩이여.
그나마 전쟁을 피하려면, 또는 중국이 끼어드는 걸 막으려면
남북고려가 서로 상대방 체제와 권력을 인정하는 길 밖엔 없다고.
도덕경道德經.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노자老子가 저술했다는 문서. 알아듣기 어려운 신비한 말로 가득 찼다는 문서. 그러다 보니 이 문건을 난해한 형이상학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독해 자체가 안 되다 보니 널리 알려진 한자 뜻을 가지고 대충 엮어 말을 만든다. 난해한 글이 되는 건 당연하다. 한자 한 글자가 지닌 수많은 뜻은 전혀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한다. 한자 한 글자가 정반대되는 뜻을 함께 지닌 것도 있으며 요즘엔 거의 쓰지 않는 고대의 자의를 적용해야 할 때도 있는데 말이다. 그 뿐인가. 문법은 아예 들여다 보지도 않는다.
이런 내 생각을 두고 중국 사람들이 어째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이해하지 못하겠느냐고 한다. 중국, 또는 타이완의 유명 학자(!)들이 자신들의 글자로 적은 문헌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이나 타이완으로 유학까지 가서 연구한 이들의 성과를 너무 쉽게 무시하는 것 아니냐고 한다.
그렇다. 쥐뿔도 모르면서 이 문건을 해독한답시고 달려들어 말도 안 되는 소리를 지껄이고 있는 자들이 바로 학자라는 간판을 내걸고 뻐기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오로지 왕필의 주석을 금과옥조로 삼아 자기가 공부한 서양 철학이나 종교 철학, 또는 그리스도교 신학, 때로는 불교 철학의 개념을 버무려 알아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하고 있을 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더구나 고대의 문헌, 곧 고대 한어를 적은 문헌을 놓고 오늘날의 한어를 읽는 방식으로 하니 엉망진창, 옆차기 de 쥐라르가 되는 게 당연하지 않겠는가.
지나친 말이라고 하는 이도 있고 (김용옥 따위를) 질투해서 그러는 것 아니냐는 이도 보았다. 그럼 그렇게 말하는 분들은 답해 보라. 끝까지 읽기는 해 봤나. 끝까지 읽었다면 조금 길어도 좋으니 전체 요지를 정리할 수 있나. 전체 요지가 무위無爲라고? 노자가 도대체 어디에서 무위라는 말을 했는지, 그리고 노자가 어디에서 무위를 설명하고 정의했는지 알려다오. 무위는 有爲의 반대 개념이라고? 그 유위는 도덕경 어디에 나오는 개념인지 말해 다오. 아니 그보다도 爲가 지닌 여러 가지 자의와 용법은 다 젖혀 두고 ‘하다’라는 뜻으로만 읽어야 하는 까닭을 말해 다오.
확신하건대 그 무엇도 속시원히 대답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여느 사람만 그런 것이 아니라 김용옥이니 최진석이니 오강남이니 노자를 연구한다는 그 누구도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 노자가 옳았다고? 뭔 소린지 제대로 읽어 내지도 못하면서 옳은지 그른지는 어찌 아누?
딴전 피우고 있네. 너 말이야 너! 빡빡이 도올 대가리!
-------------------------------------
집필 시동을 걸어야 하는데 (지난한 일이 될 것이 뻔한) 사전 작업을 아직 마무리짓지 못했다. 어그러진 순서를 바로잡는 일이다. 나는 죽간 자체가 제대로 정리되지 못하고 마구 뒤섞인 상황에서 필사된 것이 백서이며, 그 백서가 변조와 왜곡을 거듭하다가 하상공본, 즉 한대에 이르러 정립되었다고 생각한다.
서두를 일은 아니지만 (자발적) 백수 된지 넉달 째, 슬슬 작업을 시작한다고 미리 알린다.
===
노자의 뜨락
2023.05.09.
[노자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01]
도덕경道德經.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노자老子가 저술했다는 문서. 알아듣기 어려운 신비한 말로 가득 찼다는 문서. 그러다 보니 이 문건을 난해한 형이상학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그럼 그렇게 말하는 분들은 답해 보라. 끝까지 읽기는 해 봤나. 끝까지 읽었다면 조금
===
Laozi OldSon
·
내가 본디 하려 했던 건 노자강의다. 그러나 라디오라는 한계도 있고 도덕경의 순차를 확정하는 일도 있어서 음악방송(재즈)을 먼저 시작한 것이다.
이제 더 미루면 안 될듯한데 먼저 시작할 것이 '나는 왜 이렇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이다. 내가 잘난 척하고 사람들 사이에서 튀어 보이려고 하는 사람인 건 맞지만 그런 까닭으로 남들과 전혀 다른 주장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야 한문학을 전공했다는 사람도 위爲를 '체할 위'로 보는 내 생각에 동의하지 못하고 위僞를 말하는 것이냐고 되묻고 있으니 말 다한 거지. 이건 자전에 나와 있는데 말이다.)
노자 공부 십년을 통해 노자에 대한 오해를 걷어낼 수 있었고 사기史記의 기록이 일부 맞다는 것도 확인했다. (진짜로 잘난 척을 하자면) 노자 이래 최초로 그 참뜻과 참 얘기를 알아냈다고 자부한다.
세상아 기다려라.
===
===
Laozi OldSon
·
하상공본이든 왕필본이든 고본古本은 남아 있지 않으니 뭐가 제대로 된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더구나 둘다 백서를 개작한 것이 틀림 없으니 어느 것이 옳으냐는 질문이나 고민은 쓸 데 없는 짓이다. 노자/도덕경이란 문헌이 어떤 식으로 변천해 갔느냐는 따져 볼 가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도 맥락도 모두 흐트러져 버린 것을 기를 쓰고 들여다 볼 까닭은 없다고 본다. 그러니 지금 전해지는 수많은 이본들도 (왕본이나 하상공본을 토대로 한 것이니) 굳이 연구할 가치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간본은 상당수 유실되었으므로) 백서 갑본을 텍스트로 놓고 을본, 간본, 하상공본, 왕본을 참고로 삼는 것이 마땅하리라 보는데 오늘날 학자들은 거꾸로 한다. 후대에 변조된 왕본을 금과옥조로 삼아 이전 시대의 백서나 간본을 해석하려 한다. 세상에 이런 어리석고 우스꽝스러운 일이 다 있는가.
그런데 그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다.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Laozi OldSon
·
역사상 처음으로 노자/도덕경의 참 뜻을 밝혀 낸다는 자부심이 오히려 나를 위축되게 한다.
서장序章에 해당하는 강의일 터이니 이제껏 행한 관습에 따라 무성의하게 해온 노자 번역의 문제점을 꿰뚫어야 하는데 할 말이 많다 보니 지저분해지려고 한다. 자칫하다간 내가 경멸해 마지않는 김용옥 마냥 중구난방, 천방지축, 횡설수설이 되어 버리기 쉽다. 간단명료하면서도 핵심을 찌를 것.
말은 쉽지만 이게 어려운 거지.
===
Laozi OldSon
·
내가 본디 하려 했던 건 노자강의다. 그러나 라디오라는 한계도 있고 도덕경의 순차를 확정하는 일도 있어서 음악방송(재즈)을 먼저 시작한 것이다.
이제 더 미루면 안 될듯한데 먼저 시작할 것이 '나는 왜 이렇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이다. 내가 잘난 척하고 사람들 사이에서 튀어 보이려고 하는 사람인 건 맞지만 그런 까닭으로 남들과 전혀 다른 주장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야 한문학을 전공했다는 사람도 위爲를 '체할 위'로 보는 내 생각에 동의하지 못하고 위僞를 말하는 것이냐고 되묻고 있으니 말 다한 거지. 이건 자전에 나와 있는데 말이다.)
노자 공부 십년을 통해 노자에 대한 오해를 걷어낼 수 있었고 사기史記의 기록이 일부 맞다는 것도 확인했다. (진짜로 잘난 척을 하자면) 노자 이래 최초로 그 참뜻과 참 얘기를 알아냈다고 자부한다.
세상아 기다려라.
===
빡빡이 돌대가리 뿐일까마는 이제껏 이해해 온 노자/도덕경의 모든 것은 잘못됐다고 하면 동의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어느 출판사 사장이 말했던 것처럼 '이제껏 해온 번역은 의심할 여지가 있으며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고 순화해서 말할 생각은 없다. 욕설에 가까울 정도로 심하게 몰아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자 공부 십 년. 처음엔 유명인들의 번역을 모사하기 시작했지만 알면 알수록 드는 의심, 특히 문법과 자의에 대한 의심이 나를 예까지 끌고 왔다. 서문 형식으로 쓰고 있지만 지금 쓰는 글은 이제껏 해온 노자/도덕경 연구가 전혀 엉뚱한 헛다리를 짚은 것이며 그렇게 할 것이 아니라 이렇게 해야 옳다는 것, 이렇게 하는 것이 옳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밝히는 글이 될 것이다.
내가 하는 노자/도덕경 번역의 실마리는 바로 이것이다. 그러므로 노자는 (결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
Laozi OldSon
·
하상공본이든 왕필본이든 고본古本은 남아 있지 않으니 뭐가 제대로 된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더구나 둘다 백서를 개작한 것이 틀림 없으니 어느 것이 옳으냐는 질문이나 고민은 쓸 데 없는 짓이다. 노자/도덕경이란 문헌이 어떤 식으로 변천해 갔느냐는 따져 볼 가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문법도 맥락도 모두 흐트러져 버린 것을 기를 쓰고 들여다 볼 까닭은 없다고 본다. 그러니 지금 전해지는 수많은 이본들도 (왕본이나 하상공본을 토대로 한 것이니) 굳이 연구할 가치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간본은 상당수 유실되었으므로) 백서 갑본을 텍스트로 놓고 을본, 간본, 하상공본, 왕본을 참고로 삼는 것이 마땅하리라 보는데 오늘날 학자들은 거꾸로 한다. 후대에 변조된 왕본을 금과옥조로 삼아 이전 시대의 백서나 간본을 해석하려 한다. 세상에 이런 어리석고 우스꽝스러운 일이 다 있는가.
그런데 그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다.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Laozi OldSon
·
역사상 처음으로 노자/도덕경의 참 뜻을 밝혀 낸다는 자부심이 오히려 나를 위축되게 한다.
서장序章에 해당하는 강의일 터이니 이제껏 행한 관습에 따라 무성의하게 해온 노자 번역의 문제점을 꿰뚫어야 하는데 할 말이 많다 보니 지저분해지려고 한다. 자칫하다간 내가 경멸해 마지않는 김용옥 마냥 중구난방, 천방지축, 횡설수설이 되어 버리기 쉽다. 간단명료하면서도 핵심을 찌를 것.
말은 쉽지만 이게 어려운 거지.
===
[한국불화 원류를 찾아서] 4. 귀자모 도상 - 현대불교 2020
[한국불화 원류를 찾아서] 4. 귀자모 도상 < 조성금의 한국불화 원류를 찾아서 < 지난연재보기 < 기사본문 - 현대불교
[한국불화 원류를 찾아서] 4. 귀자모 도상
조성금/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
입력 2020.02.14
역병마저 교화한 부처님 위신력
치명적인 역병이었던 천연두
역병의 신 ‘귀자모’로 신격화
불교 전래되며 神衆으로 흡수
〈잡보장경〉 귀자모 일화 전해
경전 바탕으로 ‘귀자모도’ 조성
지금 전 세계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발병한 ‘우한 폐렴’이라고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포와 피해에 떨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인류는 이미 삼가다 3천 년 전부터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사망하거나 후유증에 시달렸다. 바이러스가 가진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력과 높은 치사율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으며, 사람들은 전염병의 퇴치를 위해서 혹은 달래기 위해서 ‘역병의 신’을 만들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천연두(天然痘)는 두창(痘瘡) 혹은 마마(땶땶, smallpox)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의 일종으로서 아동이 감염될 경우 80%의 사망률을 가졌다. 아마도 천연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1979년 박멸을 선언할 때까지 아이들에게 가장 무서운 전염병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러한 천연두에 대한 공포가 만든 역병의 신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귀자모(鬼子母)’라고 한다면,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여러 종교에 존재하는 많은 신들은 각 종교의 발달과 함께 구체적인 도상과 신격, 관련 경전 등을 갖추며 발전하여 왔다. 그 중에서 특히 불교는 불법의 수호 및 전파 과정에 여러 계층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앙의 대상이 필요했고, 이에 외래 종교 혹은 지역의 토속신이 불교의 여러 신들로 흡수 되었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귀자모는 원래 인도 중북부 및 네팔지역에서 어린아이들에게 천연두를 일으키는 무서운 야차이었다.
귀자모는 하리티(Hrit)의 의역으로서, 하리티의 뜻은 ‘생명을 가져가다’ 혹은 ‘생명을 빼앗다’는 뜻이다. 어린아이의 생명을 빼앗는 천연두 하리티가 불교에 차용된 후 어린아이를 보호하는 신으로 바뀌었고, 이후 한국과 중국, 일본에 전래되어 귀자모로 더 널리 알려졌다. 귀자모는 아리제모(訶梨帝母), 아리가(訶梨迦), 아리저(訶里底) 등으로도 표기되며, 이후 야차녀, 애자모(愛子母), 환희모(歡喜母), 구자모(九子母)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귀자모는 현존하는 유물들을 통해서 볼 때, 늦어도 기원 1~2세기에는 불교의 호법신이 되어 인도 전역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귀자모는 경전과 관련해서 보아도 초기의 빨리어 경전부터 대승경전 및 밀교경전에 이르기까지 약 20여종에 가까운 관련 경전을 가지고 있어, 불교에서 귀자모 신앙의 유행을 짐작할 수 있다.
불교에 차용되기 이전의 하리티는 오늘날 우리가 중국이나 일본에서 흔히 접하는 자애가 넘치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귀자모의 모습은 아니었던 것 같다.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쿠베라와 하리티상〉의 하리티는 취하고 있는 자세나 얼굴의 묘사가 악귀의 모습에 가까워 불교에 차용되기 이전의 모습 혹은 아이들을 보호하는 신으로서 완전히 자리 잡지 못한 과도기적 모습일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 후 간다라 지역에서 제작된 귀자모상은 아이들을 거느린 모자상과 남편인 판치카와 함께 아이들을 거느린 부부상의 두 가지 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모자상의 경우 입상 혹은 좌상의 귀자모가 젖먹이 어린 아이를 안고 있고 다른 대여섯 명의 아이들이 귀자모의 주변에서 놀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 사례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부부상의 경우는 장신구와 보관을 착용한 귀자모가 그녀의 남편 판치카와 함께 의자에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른 시기의 귀자모는 종종 그리스 티케 여신의 상징인 풍요의 뿔 코르누코피아를 들고 있으며, 서너 명의 아이들이 함께 묘사되어 있어 그리스·로마미술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도의 중북부 아잔타 석굴 2굴에 조영된 〈귀자모상〉은 남편 판치키와 함께 석굴사원 안의 독립적인 공간에 다른 신상들보다 크게 조성되어 있어, 5세기 경 인도 중북부지역에서 불교신상으로서의 귀자모 신앙이 어느 정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는지 유추할 수 있다.
귀자모상과 신앙은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서역 즉, 오늘날 중국 신장성 위구르자치구로 전파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현존하는 다수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서역남로에 위치하는 호탄(和田)지역의 단단윌릭 사원지에서 나무판과 사원벽에 그려진 몇 개의 귀자모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림들은 대략 5-6세기에 평지에 조성된 사원의 벽면을 장식하였던 것으로서 단단윌릭 사원지 DⅡ, D ⅩⅢ 북벽과 서벽, CD Ⅳ-Ⅴ, D Ⅹ-Ⅷ 등에서 힌두의 다양한 신들과 함께 묘사된 귀자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역북로의 쿠차(庫車)지역 키질석굴에도 여러 장면의 귀자모관련 그림을 확인할 수 있다. 키질석굴 80굴과 34굴에 그려진 귀자모는 인연고사화의 주인공으로 표현되어 석굴사원의 천장에 마름모형태의 공간에 도해되어 있다(그림 2). 화면은 무릎을 꿇고 두 손을 합장한 귀자모와 부처님의 바루에 들어있는 막내아들 그리고 부처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면은 귀자모가 불교에 교화된 결정적인 사건을 담고 있는 〈잡보장경(雜寶藏經)〉의 ‘귀자모실자연(鬼子母失子緣)’의 내용을 도해한 것으로 보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귀자(鬼子)의 어머니는 늙은 귀신의 왕 반사가(般?迦)의 아내로서 1만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큰 역사의 힘이 있었다. 제일 작은 아들은 이름이 빈가라(嬪伽羅)였다. 귀자의 어머니는 흉악하고 요사하며 사나워 사람의 아이들을 잡아먹었으므로 사람들은 걱정하여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 때 부처님께서는 그 아들 빈가라를 붙잡아 발우 밑에 숨겨 두었다.
〈중략〉귀자의 어머니는 아뢰었다. “만일 지금 제가 빈가라만 찾으면 다시는 세상 사람들의 아들을 해치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곧 귀자의 어머니에게 발우 밑에 있는 빈가라를 보여 주셨다. 그는 신력을 다하였으나 들어 낼 수가 없어 도로 부처님께 청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만일 네가 지금 삼귀오계(三歸五戒)를 받고 목숨을 마칠 때까지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면 네 아들을 돌려주리라.”
귀자의 어머니는 부처님의 분부대로 삼귀오계를 받들어 가졌다. 부처님께서는 그 아들을 돌려주면서 말씀하셨다. “너는 지금부터 계율을 잘 받들어 가져라. 너는 가섭부처님 때 갈니왕(哲훮王)의 일곱째 딸로서 굳게 공덕을 지었지마는, 계율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귀신의 형상을 받은 것이다.”
독일 투르판 탐험대의 2차 조사 때 그륀베델이 교하고성(交河古城)에서 획득한 〈귀자모도〉는 아이를 안고 있는 귀자모를 중심으로 좌우 각 네 명씩 상하로 배치된 총 아홉 명의 아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아홉 명의 아이들에 관한 내용은 관련 경전들의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는데, 귀자모와 아홉 명의 아이가 표현된 사례가 교하고성 출토 작품 이외에 성당시기 파중석굴(巴中石窟) 68감, 일부에서 성모마리아상이라고 칭하는 남송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구자모상〉 등 다수가 현존하고 있다.
귀자모와 9명의 아이들에 관해서는 〈한서(漢書)〉 권10 ‘성제기’ 제10에 “…갑관재태자궁갑지, 주용유생야. 화당화구자모…(…甲觀在太子宮甲地, 主用乳生也. 츐堂츐九子母…)”라는 기록이 있어 주목된다. 한나라 성제가 태자시절 세 살 나이에 어머니를 여위자 태자의 건강을 염려하며, ‘구자모’ 그림을 태자궁에 그려 건강을 빌었다는 내용인데, 이 기록을 통해서 중국에서는 이미 2세기경에 구자모라는 대상에게 어린아이들의 건강과 안녕을 빌었음을 알 수 있다.
귀자모의 기원에서부터 정리해 보면 천연두의 신 하리티가 간다라 지역에서 불교에 흡수되어 이전의 악귀의 모습을 버리고 아이를 보호하고 출산을 도와주는 귀자모가 되었고, 중앙아시아를 거쳐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중의 일부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중국 전통의 多子사상이 만들어낸 구자모와 결합하여 9세기 투르판 교하고성 출토의 〈귀자모도〉,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12-13세기 경 제작의 〈귀자모상〉, 12세기 일본 다이도지(醍苕寺) 소장의 〈아리제모도(訶梨帝母圖)〉가 제작되었다고 본다.
햇볕이 좋은 해남에서 〈잡보장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옭긴 〈귀자모도〉를 보면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도 그리고 우리의 염려도 포용력 크고 넓으신 부처님께서 품어주시길 기도한다.
[한국불화 원류를 찾아서] 4. 귀자모 도상
조성금/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
입력 2020.02.14
역병마저 교화한 부처님 위신력
치명적인 역병이었던 천연두
역병의 신 ‘귀자모’로 신격화
불교 전래되며 神衆으로 흡수
〈잡보장경〉 귀자모 일화 전해
경전 바탕으로 ‘귀자모도’ 조성
지금 전 세계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발병한 ‘우한 폐렴’이라고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포와 피해에 떨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인류는 이미 삼가다 3천 년 전부터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사망하거나 후유증에 시달렸다. 바이러스가 가진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력과 높은 치사율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으며, 사람들은 전염병의 퇴치를 위해서 혹은 달래기 위해서 ‘역병의 신’을 만들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천연두(天然痘)는 두창(痘瘡) 혹은 마마(땶땶, smallpox)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의 일종으로서 아동이 감염될 경우 80%의 사망률을 가졌다. 아마도 천연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1979년 박멸을 선언할 때까지 아이들에게 가장 무서운 전염병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러한 천연두에 대한 공포가 만든 역병의 신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귀자모(鬼子母)’라고 한다면,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여러 종교에 존재하는 많은 신들은 각 종교의 발달과 함께 구체적인 도상과 신격, 관련 경전 등을 갖추며 발전하여 왔다. 그 중에서 특히 불교는 불법의 수호 및 전파 과정에 여러 계층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앙의 대상이 필요했고, 이에 외래 종교 혹은 지역의 토속신이 불교의 여러 신들로 흡수 되었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귀자모는 원래 인도 중북부 및 네팔지역에서 어린아이들에게 천연두를 일으키는 무서운 야차이었다.
귀자모는 하리티(Hrit)의 의역으로서, 하리티의 뜻은 ‘생명을 가져가다’ 혹은 ‘생명을 빼앗다’는 뜻이다. 어린아이의 생명을 빼앗는 천연두 하리티가 불교에 차용된 후 어린아이를 보호하는 신으로 바뀌었고, 이후 한국과 중국, 일본에 전래되어 귀자모로 더 널리 알려졌다. 귀자모는 아리제모(訶梨帝母), 아리가(訶梨迦), 아리저(訶里底) 등으로도 표기되며, 이후 야차녀, 애자모(愛子母), 환희모(歡喜母), 구자모(九子母)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귀자모는 현존하는 유물들을 통해서 볼 때, 늦어도 기원 1~2세기에는 불교의 호법신이 되어 인도 전역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귀자모는 경전과 관련해서 보아도 초기의 빨리어 경전부터 대승경전 및 밀교경전에 이르기까지 약 20여종에 가까운 관련 경전을 가지고 있어, 불교에서 귀자모 신앙의 유행을 짐작할 수 있다.
불교에 차용되기 이전의 하리티는 오늘날 우리가 중국이나 일본에서 흔히 접하는 자애가 넘치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귀자모의 모습은 아니었던 것 같다.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쿠베라와 하리티상〉의 하리티는 취하고 있는 자세나 얼굴의 묘사가 악귀의 모습에 가까워 불교에 차용되기 이전의 모습 혹은 아이들을 보호하는 신으로서 완전히 자리 잡지 못한 과도기적 모습일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 후 간다라 지역에서 제작된 귀자모상은 아이들을 거느린 모자상과 남편인 판치카와 함께 아이들을 거느린 부부상의 두 가지 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모자상의 경우 입상 혹은 좌상의 귀자모가 젖먹이 어린 아이를 안고 있고 다른 대여섯 명의 아이들이 귀자모의 주변에서 놀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 사례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부부상의 경우는 장신구와 보관을 착용한 귀자모가 그녀의 남편 판치카와 함께 의자에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른 시기의 귀자모는 종종 그리스 티케 여신의 상징인 풍요의 뿔 코르누코피아를 들고 있으며, 서너 명의 아이들이 함께 묘사되어 있어 그리스·로마미술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도의 중북부 아잔타 석굴 2굴에 조영된 〈귀자모상〉은 남편 판치키와 함께 석굴사원 안의 독립적인 공간에 다른 신상들보다 크게 조성되어 있어, 5세기 경 인도 중북부지역에서 불교신상으로서의 귀자모 신앙이 어느 정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는지 유추할 수 있다.
귀자모상과 신앙은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서역 즉, 오늘날 중국 신장성 위구르자치구로 전파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현존하는 다수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서역남로에 위치하는 호탄(和田)지역의 단단윌릭 사원지에서 나무판과 사원벽에 그려진 몇 개의 귀자모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림들은 대략 5-6세기에 평지에 조성된 사원의 벽면을 장식하였던 것으로서 단단윌릭 사원지 DⅡ, D ⅩⅢ 북벽과 서벽, CD Ⅳ-Ⅴ, D Ⅹ-Ⅷ 등에서 힌두의 다양한 신들과 함께 묘사된 귀자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역북로의 쿠차(庫車)지역 키질석굴에도 여러 장면의 귀자모관련 그림을 확인할 수 있다. 키질석굴 80굴과 34굴에 그려진 귀자모는 인연고사화의 주인공으로 표현되어 석굴사원의 천장에 마름모형태의 공간에 도해되어 있다(그림 2). 화면은 무릎을 꿇고 두 손을 합장한 귀자모와 부처님의 바루에 들어있는 막내아들 그리고 부처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면은 귀자모가 불교에 교화된 결정적인 사건을 담고 있는 〈잡보장경(雜寶藏經)〉의 ‘귀자모실자연(鬼子母失子緣)’의 내용을 도해한 것으로 보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귀자(鬼子)의 어머니는 늙은 귀신의 왕 반사가(般?迦)의 아내로서 1만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큰 역사의 힘이 있었다. 제일 작은 아들은 이름이 빈가라(嬪伽羅)였다. 귀자의 어머니는 흉악하고 요사하며 사나워 사람의 아이들을 잡아먹었으므로 사람들은 걱정하여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 때 부처님께서는 그 아들 빈가라를 붙잡아 발우 밑에 숨겨 두었다.
〈중략〉귀자의 어머니는 아뢰었다. “만일 지금 제가 빈가라만 찾으면 다시는 세상 사람들의 아들을 해치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곧 귀자의 어머니에게 발우 밑에 있는 빈가라를 보여 주셨다. 그는 신력을 다하였으나 들어 낼 수가 없어 도로 부처님께 청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만일 네가 지금 삼귀오계(三歸五戒)를 받고 목숨을 마칠 때까지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면 네 아들을 돌려주리라.”
귀자의 어머니는 부처님의 분부대로 삼귀오계를 받들어 가졌다. 부처님께서는 그 아들을 돌려주면서 말씀하셨다. “너는 지금부터 계율을 잘 받들어 가져라. 너는 가섭부처님 때 갈니왕(哲훮王)의 일곱째 딸로서 굳게 공덕을 지었지마는, 계율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귀신의 형상을 받은 것이다.”
독일 투르판 탐험대의 2차 조사 때 그륀베델이 교하고성(交河古城)에서 획득한 〈귀자모도〉는 아이를 안고 있는 귀자모를 중심으로 좌우 각 네 명씩 상하로 배치된 총 아홉 명의 아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아홉 명의 아이들에 관한 내용은 관련 경전들의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는데, 귀자모와 아홉 명의 아이가 표현된 사례가 교하고성 출토 작품 이외에 성당시기 파중석굴(巴中石窟) 68감, 일부에서 성모마리아상이라고 칭하는 남송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구자모상〉 등 다수가 현존하고 있다.
귀자모와 9명의 아이들에 관해서는 〈한서(漢書)〉 권10 ‘성제기’ 제10에 “…갑관재태자궁갑지, 주용유생야. 화당화구자모…(…甲觀在太子宮甲地, 主用乳生也. 츐堂츐九子母…)”라는 기록이 있어 주목된다. 한나라 성제가 태자시절 세 살 나이에 어머니를 여위자 태자의 건강을 염려하며, ‘구자모’ 그림을 태자궁에 그려 건강을 빌었다는 내용인데, 이 기록을 통해서 중국에서는 이미 2세기경에 구자모라는 대상에게 어린아이들의 건강과 안녕을 빌었음을 알 수 있다.
귀자모의 기원에서부터 정리해 보면 천연두의 신 하리티가 간다라 지역에서 불교에 흡수되어 이전의 악귀의 모습을 버리고 아이를 보호하고 출산을 도와주는 귀자모가 되었고, 중앙아시아를 거쳐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중의 일부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중국 전통의 多子사상이 만들어낸 구자모와 결합하여 9세기 투르판 교하고성 출토의 〈귀자모도〉,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12-13세기 경 제작의 〈귀자모상〉, 12세기 일본 다이도지(醍苕寺) 소장의 〈아리제모도(訶梨帝母圖)〉가 제작되었다고 본다.
햇볕이 좋은 해남에서 〈잡보장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옭긴 〈귀자모도〉를 보면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도 그리고 우리의 염려도 포용력 크고 넓으신 부처님께서 품어주시길 기도한다.
2024/06/19
Yoo Jung Gil - [당신이 바로 나입니다.> - 생명에 대한 각성과 생태적 영성 -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 Facebook
Yoo Jung Gil - <당신이 바로 나입니다.> - 생명에 대한 각성과 생태적 영성 -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 Facebook
Yoo Jung Gil
·
당신이 바로 나입니다. - 생명에 대한 각성과 생태적 영성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녹색불교연구소소장)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