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1

希修 - [단팥빵과 생일빵이 둘 다 Bread? ] . 종교, 과학, 정치/사회는 최대한 서로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1) 希修 - < 단팥빵과 생일빵이 둘 다 Bread? > . 종교, 과학, 정치/사회는 최대한 서로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 Facebook

< 단팥빵과 생일빵이 둘 다 Bread? >
.
종교, 과학, 정치/사회는 최대한 서로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나는 생각한다.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한 노력은 사회학이나 철학을 통해서도 충분히 고취시킬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교적 가치를 굳이 사회문제에 끌고 오면, 종교와 정치가 구분되지 않는 몇몇 중동 국가들처럼 될 위험이 있다. 사랑, 평화, 청빈, 정직 등의 가치를 모든 개개인이 종교에서 가르치는 수준으로 실천하면 세상은 물론 훨씬 좋아지겠지만, 그렇다 해도 어디까지나 각자의 판단과 자율하에 개인적으로 할 일이다.
.
종교집단이 사회참여에 너무 적극적이면 그 집단은 결국 정치세력이 되며, 종교집단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매우 위험한, 양날의 칼이다. 달 때는 삼키고 쓸 때는 뱉고 그렇게 편리하게 이랬다 저랬다 할 수 없는. (세월호 문제를 교황에게 호소다니 이제 와 다시 생각해도 참담.) 타종교인의 개인적 삶을 자기 종교의 가치관에 비추어 간섭하는 무례도 결국 특정 종교 신자로서의 정체성만 있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의식은 결여되었기 때문인 것이고.
.
애초부터 종교는 '진리'라고 하는, '인간의 감각을 초월하는 근본 법칙/원리'에 대한 추구이며, 그러므로 증명도 할 수 없는 것을 남에게 강제해서는 안 된다. 반면 과학은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 실험, 측정 가능한 것만을 인정하기에, '과학과 종교 중 무엇이 더 우월한가?'는 마치 헤밍웨이와 베토벤 중 누가 더 위대한지를 묻는 일과도 같다. 과학에서 입증되는 사실로써 진리를 가늠해 볼 수 있다고 혹자는 말할지 모르지만, 임산부에게 흡연을 권하고 모유보다 분유가 아기에게 더 좋다던 것이 불과 몇십 년 전의 '과학'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으로 확인 불가능한 것에 대한 서로 다른 가치관/믿음을 가진 개인들이 만나는 사회적 영역에선 감각으로 확인되는 것들, 즉 과학에만 충실하고 종교는 배제하는 것이 최선!일 뿐.
.
강도에 의해 팔다리가 하나씩 잘려나가는 와중에조차 상대를 미워하면 안 된다는 부처님의 가르침 (MN 21)은 '도그마'여도 위험할 수가 도무지 없고, 아무리 자신들을 '사랑과 평화의 종교'라 부른들 다른 가치체계에 대한 살상과 방화를 정당화하는 내용을 무려 경전에 보존하는 집단이라면 아무리 자선사업에 열심이어도 장기적으로는 사회에 끼치는 해악이 더 클 수도 있다. 사람들을 내로남불에 젖어들게 하므로.
.
자기 종교의 경전에서 타종교의 기물과 도시를 불태우라 했다고 그걸 실천하는 사람까지 이해해 주는 일은, 그 종교에 대한 ‘존중’이 아니라 ‘복종’이며 피해 종교에 대한 ‘박해’다. 개개인의 일상에 강제력을 행사하는 체제, 따르지 않을 자유가 없는 독재는 종교가 아니고 폭압적 정치 시스템일 뿐이다. 주고 받는 것이 동등하지 않은 관계를 '존중'이라 부르거나 단팥빵과 생일빵이 둘 다 bread라고 우기는 건 가스라이팅이다.
.
"If a believer demands that I, as a nonbeliever, should observe his taboos in the public domain, he is not asking for my respect, but for my submission. 자기 종교의 금기를 비신자들조차 공적 영역에서까지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은 존중이 아닌 복종을 요구하는 행위다." -- Flemming Rose
.
Leaving the Faith (Rebroadcast): A Conversation with Yasmine Mohammed (Episode #298)
YOUTUBE.COM
Leaving the Faith (Rebroadcast): A Conversation with Yasmine Mohammed (Episode #298)
https://www.youtube.com/watch?v=lkBYbtAJmS8


Sam Harris
610K subscribers

Join

Subscribe

1.2K


Share

Download

39,396 views  Sep 30, 2022  Making Sense Podcast: Episodes
Sam Harris speaks with Yasmine Mohammed about her book “Unveiled: How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They discuss her family background and indoctrination into conservative Islam, the double standard that Western liberals use when thinking about women in the Muslim community, the state of feminism in general, honor violence, the validity of criticizing other cultures, and many other topics.

This episode was released as part of The Best of Making Sense series on  Monday. 
However, given the ongoing protests and violence in Iran over the death of Mahsa Amini, listeners of The Best Of have found this conversation to be especially pertinent. As such, the full episode is being rebroadcast as a PSA on the public Making Sense podcast feed.

Yasmine Mohammed is a human rights activist and writer. She advocates for the rights of women living within Islamic majority countries, as well as those who struggle under religious fundamentalism. She is the founder of Free Hearts Free Minds, an organization that provides psychological support for ex-Muslims living within Muslim majority countries.

Website: YasmineMohammed.com


===

Yasmine Mohamme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Yasmine Mohammed
Born
CitizenshipCanadian
Alma mater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OrganizationFree Hearts, Free Minds
Known forWomen's rights advocacy, human rights advocacy, criticism of Islam
Notable workUnveiled: How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Children2
Websiteyasminemohammed.com

Yasmine Mohammed is a Canadian university instructor, human rights activist and author. Mohammed, who escaped from a forced, abusive marriage to Al-Qaeda operative Essam Marzouk[1] and became an advocate for women's rights through her non-profit organization Free Hearts, Free Minds. She is a member of the Center for Inquiry Speaker's Bureau[2] and on the board of advisory for the Brighter Brains Institute.[3]

Through her initiative Free HeartsFree Minds she supports closeted ex-Muslims from Muslim-majority countries and co-ordinates an online campaign called #NoHijabDay against World Hijab Day. She also has a website and hosts an online series on YouTube called Forgotten Feminists.

Mohammed has been interviewed by Sam HarrisSeth Andrews, and several news outlets from multiple countries, and in 2019 self-published the book Unveiled: How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Family and early life[edit]

Yasmine's mother is Egyptian, the niece of former President Mohammed Naguib, and her father is Palestinian, born in Gaza. She was born in VancouverBritish Columbia.[4]

According to Mohammed's autobiography, her family lived a secular life until her father left when she was two, leaving her mother with three young children.[4] Yasmine's mother sought community and support from a local mosque, where she met a man who said he would support her. He was already married, with three of his own children, and Yasmine's mother became his second wife.[5][6] Yasmine was nine at the time,[7] and states that her mother's situation improved, because her new husband was not abusive towards her like her first husband was. However, Yasmine states in an interview with Sam Harris that her step-father was physically abusive towards her and her siblings. She stated that her mother became what could be described as a "born-again" Muslim, which changed Mohammed's life. She was no longer permitted to go outside to play with her friends and she had to pray five times per day.[5] She was forced to wear a hijab and was beaten for failing to memorize the Quran.[8] She started attending an Islamic school that was established in the mosque.[5] When she was 13, she told a trusted teacher about the abuse she was experiencing and showed him her bruises. The police were called and the case went to court, but Mohammed states that the judge ruled that because her family was Arab, they had the right to discipline her in that manner. She states that it made her feel that she didn't matter as much as other children due to this negligence from the Canadian authorities.[5]

Yasmine has often described the way she was raised as "evil".[4] She started wearing the niqāb at the age of 19, after being introduced to her future husband.[5]

Forced marriage to an Al-Qaeda operative[edit]

When Yasmine was 20, she was forced to marry Al-Qaeda operative Essam Marzouk, and had a daughter with him.[8][5] She later escaped the marriage to protect her daughter from the threat of female genital mutilation.[8] She changed their names and moved to a different city, as she was worried that her daughter would be kidnapped and raised a Muslim. Even though she believed her husband was in prison she remained frightened because he was a member of Al-Qaeda.[9][10] Following her escape, she secured student loans[5] and attended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here she took a history of religion class and started to examine Islam more critically for the first time.[11]

Activism[edit]

No Hijab Day
..a day to support brave women
...who want to be free from the hijab.
Women who want to decide for themselves
what to wear or what not to wear on their heads.
Women who fight against
either misogynist governments that will imprison
them for removing their hijab
or against abusive families and communities
that will ostracize, abuse and even kill them.

– Mohammed, Yasmine.
"Support Muslim women in fight against hijab".
Toronto Sun - 2 February 2019[12]

Yasmine decided to start speaking out after she watched Ben Affleck and Sam Harris debate Islam on Real Time with Bill Maher.[8][9] She has criticized both Islam and the left - that she accuses of inadvertently enabling radical Islam through their work to fight Islamophobia.[9] Mohammed is a vocal opponent to the practice of wearing a burka or hijab, as well as attempts to promote its use, viewing the hijab as "a tool of oppression, a garment that perpetuates rape culture". To protest against World Hijab Day, she promoted the hashtag #NoHijabDay as a social media extension of a campaign launched by Maryam Namazie and the Council of Ex-Muslims.[8][13][14]

Yasmine also raised money to accommodate Rahaf Mohammed, an asylum seeker who fled to Canada from Saudi Arabia to escape her abusive family.[15] According to Erich J. Prince, Mohammed has become a frequent commentator on Islam's relationship with the West, particularly in Canada.[16]

Yasmine was a witness at the Standing Committee on Canadian Heritage on November 8, 2017 regarding the inclusion of the word Islamaphobia in Motion 103. She indicated that the motion's aim is "...to quell bigotry against human beings." but she argued that the term “Islamophobia” does not protect Muslims but protects the ideology of Islam.[17] Mohammed was one of several witnesses that cautioned committee members to not be in a rush to legislate because of an "increasing public climate of hate and fear." Mohammed and other witnesses recommended that existing laws need to be enforced and strengthened to curb hatred and discrimination for all Canadians and not just one group of Canadians.[18]

In 2017, Yasmine contributed an essay called Unholy Alliance: Why do left-wing Americans support right-wing Muslims? to SEDAA: Our Voices, a platform that features writers of Muslim Heritage, where she writes about her story and issues facing ex-Muslims.[19]

According to the Jerusalem Post, Mohammed is a significant voice in the ex-Muslim community, speaking to audiences worldwide.[8]

No Hijab Day[edit]

Yasmine is the founder of the hashtag campaign called No Hijab Day or Free From Hijab Day celebrated on February 1, a hashtag campaign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girls and women who want to take off their hijabs but cannot or who have already taken it off and are facing the consequences thereof.

Free Hearts, Free Minds[edit]

Yasmine founded a non-profit organization called Free Hearts, Free Minds that helps ex-Muslims living in Muslim-majority countries with state-sanctioned death penalties for leaving Islam.[8] The organization provides psychological counselling for people leaving Islam, especially focusing on providing services to women from Saudi Arabia and LGBT individuals from the Muslim world.[11]

Forgotten Feminists[edit]

Yasmine is also a host of the online series "Forgotten Feminists", a series interviewing women about their experiences upon leaving Islam.[citation needed]

Publication[edit]

Mohammed wrote a memoir titled Unveiled: How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that was self-published on 25 September 2019.[16] She received two years of rejection letters before being convinced by Sam Harris to self-publish.[20] The memoir outlines her upbringing in a fundamentalist, Islamic household in Canada, her step-father beating the bottoms of her feet for not reciting her prayers correctly, being married against her will to an Al-Qaeda operative, her escape and subsequent activism.[16]

In an interview with Seth Andrews, host of The Thinking Atheist podcast, Andrews questioned her choice of title. Because not all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he thought the title could have been Unveiled: How Many Western Liberals Empower Radical Islam. Mohammed responded that a more accurate title for the book could have been How Some Western Liberals Unintentionally Empower Radical Islam but this would not have captured sufficient attention.[21]

Personal life[edit]

Yasmine has since remarried and has two daughters, one from her first marriage and one from her second.[9] She severed ties with her mother after her mother threatened to kill her because she wouldn't wear hijab anymore and because she had become a non-believer.[11]

Bibliography[edit]



===









2023/05/31

Taechang Kim "新しい文明を開く新しい経営学"

Facebook: Taechang's post Taechang Kim   · All reactions:17You, 崔明淑, Philo Kalia and 14 others 3 comments Like Comment Comments Taechang Kim
·




文明と経営
村田晴夫著

定価 4,180円(税込)本体3,800円
A5判上製 340頁
2023年1月23日発行

経営学は新しい文明を開くことができる!

本書は、現代文明が人間性、文化多元性、環境に関わる三大問題を内包すると指摘する。これらは、近代以降の文明の特徴である機械論の論理に起因する「具体性置き違いの誤謬」(ホワイトヘッド)によって生じる。それは「生きている」世界を極度に抽象化するため、著者は「有機体の哲学」に立脚し、具体性をとりもどす新しい経営学の方法を示す。

主要目次

序 章 〈文明と経営〉―新しい文明を開く新しい経営学―
第1部 転機に立つ現代文明―その経営学的諸相への展開―
第1章 近代文明の転機と経営学の成立
第2章 〈文明と経営〉、その新しい理論に向けて
第3章 〈文明と経営〉、その哲学的展望―経営学における具体性とは何か―
第2部 現代文明が抱懐する三大問題―人間性、文化多元性、環境の問題―
第4章 人間協働と自由、そして組織の文明論的平安について
第5章 責任経営文明の探求―人間・社会・自然における企業の地位―
第6章 組織と時間ー具体性を置き違える文明を批判せよ―
第3部 未来の文明と経営学
第7章 経営学の未来
第8章 有機体の論理―バーナード理論から見えるその可能性―
結 章 組織倫理学とは何か―平和に向けて〈文明と経営〉を考える―
付録1 アルフレッド・ノース・ホワイトヘッド
付録2 フォレットの経営思想―「分断の時代に説かれる「統合」の思想」―
付録3 バーナード理論と有機体の論理
付録4 組織倫理学の構想


Taechang Kim

一読しながら注目した語と文たち.
"新しい文明を開く新しい経営学" ( p. 2 )
"方法論的個人主義から方法論的有機体主義への転換"
( p. 3. )
"方法論的有機体主義はホワイトヘッドの '有機体の哲学'
を踏まえた学の方法であって、研究対象は有機体、つまり生き物、と考えるところから出発する. '有機体'(いきもの) をどのように表現するか、いろいろ模索が続いたが 全体性、能動性、過程性の三条件で説明すれば十分であることに気づかされたのである. バーナードの
人間観、フォレットの '創造的経験' から全体性と能動性、フォワイトヘッドからは過程性を含めて、それらのすべてを、というように...."( p. 4.)
"わたくし(著者)の主張あるいは予想は '現代文明は構造化の時代に入った' というものである. 近代文明の危機は
次の三つの問題から迫ってくる. 1地球環境問題、2平和の問題、そして3人間の問題. それらの諸問題が生起した原因は近代文明それ自体の有りよう、現代企業文明にある. それゆえ、近代文明の基礎を変えて、方法論的有機体主義を基盤に据えた文明を導入しなければならない." ( p. 7 )
"文明は次の五種類の '質' に
おいて一定の条件を満たすものを言う. 五種類の '質' :
真、美、冒険、芸術、平安
peace. ( p. 12. )
"いわゆる善は美に従属する.
真的美Truthful Beautyが重要である. ( p. 13 )
ホワイトヘッドの有機体の哲学は、<現実に存在するものはすべて、主体が諸多manyの客体をひとつoneに
統合する過程として実在する> するということを基本とした宇宙観として打ち立てられた. これを簡単に、物的極と心的極の統合プロセスという. ( p. 14 )

-----

"<文明> という名辞は、人々の社会生活の様式として現れるものの総体に対して与えられているのであり、したがってそれを生み出すことを可能にする社会の力こそ文明の本質であるといわなければならない. そのような社会の力は <知> と <技> に基づいており、生活の形式を基礎として構築された社会の諸洋式となって現れる. 文明は <知> と<技> に基づくといわれた. <知> と
<技> の結合を効果あらしめるのは人間の <考える>力である. すなわち文明は人間の最も人間らしい機能 '考える'
という特徴によって生成発展した社会生活、環境のシステムである. ここで社会生活といっているのは、生活の私的な部分を除いた公的な部分を強調するためである. しかし考える力は必要であっても、文明を豊かなものへと導く力はそれのみではない. <美>へと通じるあの
情的知、美的直観といった
美的センスもまた重要な役割を担うのではなかろうか...文明の特質には真理と美に加えて、それらの一体化ともいうべき、あるいは真理性と美の融合ともいうべき境地への開けもまたけいけんされるところであ
る." (p. 32. )

不 然 其 然 (불연기연) : 네이버 블로그

不 然 其 然 (불연기연) : 네이버 블로그

동경대전 20개의 글동경대전목록열기


不 然 其 然 (불연기연) 동경대전

2017. 8. 7. 17:50
https://blog.naver.com/yoon7042/221068792570


不 然 其 然 (불연기연)

歌曰 而千古之萬物兮 各有成各有形 所見以論之則 其然而似然 所自以度之則 其遠而甚遠 是亦杳然之事 難測之言 我思我則 父母在玆 後思後則 子孫存彼 來世而比之則 理無異於我思我 去世而尋之則惑難分於人爲人 ①

노래하기를… 천고의 만물이여, 각각 이룸이 있고 각각 형상이 있도다. 보는 바로 말하면 그렇고 그런듯하나 그 부터 온 바를 헤아리면 멀고도 심히 멀도다. 이 또한 아득한 일이요 헤아리기 어려운 말이로다. 나의 나 된 것을 생각하면 부모가 이에 계시고, 뒤에 뒤 될 것을 생각하면 자손이 저기 있도다. 오는 세상에 견주면 이치가 나의 나 된 것을 생각함에 다름이 없고, 지난 세상에서 찾으면 의심컨대 사람으로서 사람된 것을 분간키 어렵도다.

噫 如斯之忖度兮 由其然而看之則 其然如其然 探不然而思之則 不然于不然 何者 太古兮 天皇氏 豈爲人 豈爲王 斯人之無根兮 胡不曰 不然也 世間 孰能無父母之人 考其先則 其然其然又其然之故也 ②

아! 이같이 헤아림이여. 그 그러함을 미루어 보면 기연은 기연이나 그렇지 않음을 찾아서 생각하면 불연은 불연이라. 왜그런가. 태고에 천황씨는 어떻게 사람이 되었으며 어떻게 임금이 되었는가. 이 사람의 근본이 없음이여, 어찌 불연이라고 이르지 않겠는가. 세상에 누가 부모 없는 사람이 있겠는가. 그 선조를 상고하면 그렇고 그렇고 또 그런 까닭이니라.

然而爲世 作之君作之師 君者以法造之 師者以禮敎之 君無傳位之君而法綱何受 師無受訓之師而禮義安效 不知也不知也 生以知之而然耶 無爲化也而然耶 以知而言之 心在於暗暗之中 以化而言之 理遠於茫茫之間 ③

그렇게 세상이 되어서 임금을 내고 스승을 내었으니 임금은 법을 만들고 스승은 예를 가르쳤느니라. 임금은 맨처음 자리를 전해준 임금이 없건마는 법강을 어디서 받았으며, 스승은 맨처음 가르침을 받은 스승이 없건마는 예의를 어디서 본받았을까. 알지 못하고 알지 못할 일이로다. 나면서부터 알아서 그러함인가, 자연히 화해서 그러함인가. 나면서부터 알았다 할지라도 마음은 어두운 가운데 있고, 자연히 화했다 해도 이치는 아득한 사이에 있도다.

夫如是則 不知不然故 不曰不然 乃知其然故 乃恃其然者也 於是而揣其末 究其本則 物爲物理爲理之大業 幾遠矣哉 況又斯世之人兮 胡無知胡無知 ④

무릇 이와 같은 즉 불연은 알지 못하므로 불연을 말하지 못하고, 기연은 알 수 있으므로 이에 기연을 믿는 것이라. 이에 그 끝을 헤아리고 그 근본을 캐어본 즉 만물이 만물되고 이치가 이치된 큰 일이 얼마나 먼 것이냐. 하물며 또한 이세상 사람이여, 어찌하여 앎이 없는고, 어찌하여 앎이 없는고.

數定之幾年兮 運自來而復之 古今之不變兮 豈謂運豈謂復 於萬物之不然兮 數之而明之 記之而鑑之 四時之有序兮 胡爲然胡爲然 山上之有水兮 其可然其可然 赤子之穉穉兮 不言知夫父母 胡無知胡無知 斯世人兮 胡無知 聖人之以生兮 河一淸千年 運自來而復歟 水自知而變歟 耕牛之聞言兮 如有心如有知 以力之足爲兮 何以苦何以死 烏子之反哺兮 彼亦知夫孝悌 玄鳥之知主兮 貧亦歸貧亦歸 ⑤

수가 정해진지 몇해런고, 운이 스스로 와서 회복되도다. 예와 이제가 변치 않음이여, 어찌 운이라 하며 어찌 회복이라 하는가. 만물의 불연이여, 헤어서 밝히고 기록하여 밝히리라. 사시의 차례가 있음이여, 어찌하여 그리 되었으며 어찌하여 그리 되었는고. 산 위에 물이 있음이여, 그것이 그럴 수 있으며 그것이 그럴 수 있는가.

갓난 아기의 어리고 어림이여, 말은 못해도 부모를 아는데 어찌하여 앎이 없는고. 어찌하여 앎이 없는고. 이세상 사람이여, 어찌하여 앎이 없는고. 성인의 나심이여, 황하수가 천 년에 한번씩 맑아진다니 운이 스스로 와서 회복되는 것인가, 물이 스스로 알고 변하는 것인가. 밭가는 소가 사람의 말을 들음이여, 마음이 있는 듯 하며 앎이 있는 듯 하도다. 힘으로써 족히 할 수 있음이여, 왜 고생을 하며 왜 죽는가.

가마귀 새끼가 도로 먹임이여, 저것도 또한 효도와 공경을 알고, 제비가 주인을 앎이여, 가난해도 또 돌아오고 가난해도 또 돌아오도다.

是故 難必者不然 易斷者其然 比之於究其遠則 不然不然 又不然之事 付之於造物者則其然其然 又其然之理哉 ⑥

이러므로 기필키 어려운 것은 불연이요, 판단하기 쉬운 것은 기연이라.

먼데를 캐어 견주어 생각하면 그렇지 않고 그렇지 않고 또 그렇지 않은 일이요, 조물자에 부쳐 보면 그렇고 그렇고 또 그러한 이치인저.


[출처] 不 然 其 然 (불연기연)|작성자 광암 윤철현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무비앙스 Movieans
2021. 6. 2. 7:34
이웃추가
동경대전(전2권) 김용옥 지음ㅣ통나무ㅣ수운 최제우가 한문으로 쓴 동학의 기본 경전. 포덕문(布德文)·동학론(東學論)·수덕문(修德文)·불연기연(不然其然)의 네 편으로 구성, 이념 뿐 아니라 실천을 통해 완성해 나가는 동학 사상이 써 있다.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2/14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3/14
無飛 書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4/14

====

不然其然 불연기연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러하다

<불연기연>이란 동학의 기본원리로 ‘그렇치 않기도 하고, 그렇기도 하다’는 의미이다. 수운선생이 체포되기 한달 전(1863년 11월) 지으셨다. 수운선생은 불연기연을 통해 우주만물의 현상을 둘러싼 문제를 ‘불연不然’ 즉 인간의 경험과 이성으로 이해할 수 없는 세계와 ‘기연其然’ 즉 인간의 경험과 이성으로 이해 가능한 세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898년 6월 2일(음) 교수형을 당하시기 직전의 해월 선생님의 모습. 72세. 모진 고문과 심문으로 야위셨고 다리는 퉁퉁 부어 진물이 흐른다. 가누기 어려울 정도의 몸상태였지만 꼿꼿한 자세와 형형한 눈빛은 만리 길을 뚫고도 남는다. 그 성스러운 자태에는 개벽 오만년 성상의 모든 희망과 서광이 서린다. 당시 러시아공사 파블로프가 촬영. 해월. 선생을 판결하는 판사석에 동학혁명 민중의 분노를 일으킨 주범, 전 고부군수 조병갑이 앉아 있었다.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5/14

[대강大綱] 최수운은 계해년(1863)에 접어들면서 맹렬하게 개방적인 활동을 한다. 자기를 억압하는 세력들과 아무리 타협점을 모색한들 그것이 먹힐리도 없고, 아무리 자신이 득도한 바가 조선의 유학풍토에 어긋남이 없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한들 이해될 리가 없다는 것을 잘 알았다. 그럴 바에는 유감없이 소신에 따라 자유롭게 포덕하는 것이 정도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행동양식의 변화가 얼마나 큰 부작용을 초래할지 그는 잘 알고 있었다. 결국
자기는 무지몽매한 관官의 세력(즉 국가폭력)에 의하여 제거될 운명에 처하여질 것이라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수운의 자유로운 포덕의 길은 죽음을 향한 데쓰 마치Death March였다. 그것은 마치 예수가 빤히 죽을 것을 알면서 예루살렘성전을 향해 가는 것과 동일한 행위양식어었다. 예수는 갈릴리 민중을 억압하는 율법의 총본산인 예루살렘 템플(The Temple at Jerusalem)을 뒤엎었다. 그것은 40년 후에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멸망의 전주곡과도 같은 상징체계였다. 수운도 결국 갑자년에 처형되었지만 그를 처형시킨 권력시스템의 총체
적 붕괴가 불과 46년 만에 가시화된다. 유대의 멸망이나 조선의 멸망은 유사한 세계사적 패턴의 반복이었다.


예수는 12제자를 키웠지만 그들은 결코 예수의 죽음의 행진에 동참하지 못했다. 수운은 접주제를 파하고 단 한 명의 후계자에게 도통을 전수한다. 수운
의 선택은 매우 현실적이었고, 멸망해가는 조선왕조의 황혼을 명예롭게 장식할 수 있었던 최선의 방략이었다. 해월은 도통을 지켰다. 그의 지킴이역할
은 조선왕조 오백 년의 민중의 한을 유감없이 표출하게 만들었다. 동학혁명이 없었더라면 조선왕조 오백 년의 찬란한 문명의 축적은 허무한 과거로 영락
하고 말았을지도 모른다. 동학이라는 거대한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조선왕조의 찬란한 멸망과 함께 새로운 자신만의 역사를 개척해나갈 수 있는 시작의
동력을 창출해 낸다. 역사는 멸절을 통해 새로운 개벽을 만들어낸다.

수운은 계해년(1863) 음 12월 10일 새벽 1시경 용담에서 체포되어 바로 다음 날 서울로 압송되는 끔찍한 추위 속의 여로를 재촉한다. 그리고 갑자년
(1864) 3월 10일 효수형에 처해진다.
(....)

한번 생각해보자! 다산은 과연 그 방대한 『여유당전서』속에 진정 자기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았을까? 그가 살고 있는 시대적 담론의 상궤에 따라 많은 땀방울을 떨구었을지는 몰라도, 그가 진정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한우충동하는 언어쓰레기 속에서 소리없이 사라지고 말았을지도 모른다. 수운의 『동경대전』은 『여유당전서』와는 차원이 다르다. 양자의 가치를 동일한 천칭天秤 위에 올려놓을 수는 없겠으나, 나는 수운의 원고 1장이 다산의 원고 1만 장을 압도하고도 남음이 있다고 생각한다. 수운은 문학問學의 과시가 없다. 그러나 수운은 오리지날하다.
(....)

수운에게 있어서 과연 기연은 무엇이고 불연은 무엇인가? 기연其然, 즉 “그러하다”는 것은 시공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잡다한 이벤트 중에서 인과론적으로 설명 가능한 체계, 즉 합리적 논리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는 상식의 세계(the World of Common Sense, the Realm of Causality)를 가리킨다. 우리의 상식에 의하여 설명될 수 없는, 원인과 결과의 고리가 잘 먹혀들어가지 않는 초경험적인 세계를 수운은 “불연不然”이라고 부른다.“그러하지 아니하
다”는 우리의 감각의 인과를 벗어난다는 뜻이다.

나에게는 나의 엄마, 나의 아버지가 있다. 그래서 나는 태어났다. 이것은 “기연”이다. 이것은 “그러하다”이다. 그런데 인류의 태초의 조상은 과연 누가낳았는가? 태초의 조상이 딱 한 명이라고 한다면, 그리고 그 한 명이 진실로 태초라고 한다면, 그 사람은 태초이기 때문에 누구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가 없다. 여기에 우리의 “그러하다其然”라는 인과적 설명이 단절된다. 그 단절 이상의 세계는 “그러하지 아니하다不然”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불연不然”은 초험적 사태, 감성을 넘어서는 초감각적 사태, 비인과적인 사태, 비논리적인 사태, 비이성적인 사태를 의미한다.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6/14

사실, 우리 동양사상에 이러한 초월과 내재, 본체와 현상, 초이성과 이성, 비논리와 논리라는 문제는 근원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러셀의 말대로 모든 것의 오리진Origin을 추구하는 사유, 다시 말해서 모든 것에는 최초의 기원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유 그 자체가 매우 비과학적인 사유에 속하는 것이다.
동방인들은 존재의 신빙성을 따지기 위하여 존재의 최초의 오리진을 규명할 하등의 이유를 발견하지 못했다. 존재는 “스스로 그러한 것”이며 최초로부터 단일한 실체가 아니라 복합적 관계이다.
최초를 규명하는 사유는 기실 중동사막문명의 종교적 사유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그 오리진을 규명해야만 그 궁극에서 항상 단절적인 초월자, 즉 하나 님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불연의 갶이 있기 때문에 만물의 창조주이며 주재자인 하나님의 존재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간이란 본시 변화를 감지하는 우리의 인식의 문제이지, 그것 자체로 움직이는 실체적인 물건이 아니다. 그런데 우리는 시간을 실체적인 것으로 생각하여 그 움직임을 형상화하
여 생각한다. 과거와 미래를 생각할 때는 대강 시간은 횡적으로 형상화된다.
그런데 존재의 오리진이나 역사를 생각할 때는 흔히 수직적으로 된다.
그런데 이런 수직적인 시간관에 있어서는 우리는 항상 기연으로 설명되지 않는 단절을 만나게 된다. 마테오 리치는 말한다:

“일정한 도수대로 각각의 법칙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각기 제자리에 안정되게 머물며, 일찍이 실오라기 하나만큼의 착오도 없습니다. 만약 그것들 사이를 알선하고 주재하는 높으신 천주님이 없다면 오차가 없을 수 있겠습니까? 비유하자면 강이나 바다를 배로 건나가는데 위에서는 바람이 불고 아래서는 파도가 치는데도 흔들려 전복될 걱정이 없다면, 비록 배 안에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도, 반드시 그 배 안에는 노련한 조타수가 잘 조절하여 편안히
물을 건나갈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는 것과도 같은 것입니다.”

리치는 이 천지의 질서정연한 변화의 도수度數를 생각해보면, 그 질서를 가능케 하고 있는 외재적인 운동인이 인과적 세계 밖에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의 너무도 아름다운 질서의 디자인 또한 그 밖에 불연不然의 디자이너가 있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리치는 말한다:
“본래 이성을 결여하고 있는 사물들이 질서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면, 그것들을 질서 있게 배열한 존재가 있게 마련입니다.”

정교한 집 하나만 해도 설계자와 목수가 없이는 스스로 지어질 수는 없는 것이라고 한다. 리치는 생명적 대자연의 생성과 인위적 문명 내의 물건의 만들어짐을 등격화하는 아주 말초적인 오류를 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리스토텔리아니즘+토미즘”적인 논리체계는 마치 거부할 수 없는 강력한 진실인 것처럼 설득력 있게 다가올 수도 있다.

수운은 기독교적인 인격신(주재신)을 만나고 싶어했다. 그리고 만났다. 그러나 그의 만남의 과정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하느님의 불연不然은 기연其然화 되고 만다는 것을 깨닫는다. 만물이 스스로 만들어질 수 없다(物不能自成也)는 기독인들의 논리는 허무맹랑한 수직적 사유의 단절을 전제로 한 것이다. 만물은 스스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우주는 스스로 그러하게 생성되어지는 것이다. 수운은 이 자립자성自立自成의 우주(the self-organizing
Universe)를 새롭게 발견하고 외친다:

“오도는 무위이화이니라.吾道, 無爲而化矣. 수기심정기기守其心正其氣 하고 솔기성수기교率其性受其敎 하면 화출어자연지중야化出於自然之中也이니라.”
이것은 실로 『천주실의』전체의 논의를 깔아뭉개는 호언豪言이요, 직언直言이요, 정언正言이다.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7/14

수운의 일생에 있어서 공생애는 3년밖에 되지 않는다. 이 짧은 생애 동안 수운은 내내 서학과 동학의 아이덴티티 사이에서 갈등하고 곡해되고 핍박을
받았다. 수운이 죽음을 앞둔 마당에서 「불연기연」을 집필했다는 것은 서학으로 오인되는 것에 대한 변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서양의 형이상학 전체가
근본으로부터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우리 국민에게 가르쳐주어야만 한다는 사명을 감지했기 때문이었다.

서학의 근원적인 수직적 사고는 불연의 사기성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불연의 사기성은 기독교라는 종교가 가지고 있는 수직적 권위주의(Vertical
Authoritarianism)의 상징태이며 이것을 수용할 경우 우리민족은 왕정적 사유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다는 깊은 우려를 수운은 죽음의 직전에까지 절
실히 느꼈던 것이다. 수운이라는 사상가의 애국애족의 마음과 그것을 표현하는 사상의 깊이에 우리는 경이감과 경외감을 동시에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
의 총결론은 이러하다: “불연은 기연이다!”

“불연기연”이라는 제목을 모든 사람이 불연不然과 기연其然으로 잘못 읽는다. “불연기연”은 불연을 주어로, 기연을 술부로 갖는 문장이다: “불연은 기
연이다.” 그렇지 아니한 세계는(처음에는 겁먹게 마련이지만) 결국 알고보면 그렇고 그러한 것으로 다 설명이 된다는 것이다.

인류지성사의 발전은 결국 불연을 기연화하는 과정이었다. 비이성적인 것을 이성화하면서 이성의 범위를 넓혀간 것이다. 인류의 참다운 과학
Science(본시 지식Knowledge의 의미)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인식 내에서의 불연을 기연화하는 프로세스였다. 수운은 죽어가면서도 우리민족에게 종
교를 선사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을 선사하려 했던 것이다. 수운이 있기에만 우리는 고조선과 조선의 동시대성(Contemporanetiy), 그리고 무궁한 코리아의 미래를 논할 수 있는 것이다.

[4-1] 歌曰: 而千古之萬物兮, 各有成, 各有形. 所見以論之, 則其然而似然; 所自以度之, 則其遠而甚遠. 是亦杳然之事, 難測之言. 我思我, 則父
母在玆; 後思後, 則子孫存彼. 來世而比之, 則理無異於我思我; 去世而尋之, 則或難分於人爲人. 噫! 如斯之忖度兮. 由其然而看之, 則其然如其
然; 探不然而思之, 則不然于不然. 何者? 太古兮! 天皇氏, 豈爲人, 豈爲王? 斯人之無根兮! 胡不曰不然也? 世間, 孰能無父母之人? 考其先, 則
其然其然, 又其然之故也. 然而爲世, 作之君, 作之師. 君者, 以法造之; 師者, 以禮敎之. 君無傳位之君, 而法綱何受? 師無受訓之師, 而禮義安
效? 不知也! 不知也! 生以知之而然耶? 無爲化也而然耶? 以知而言之, 心在於 暗暗之中; 以化而言之, 理遠於茫茫之間.
[국역] 노래의 형식으로 이르노라! 천고의 만물이여! 제각기 스스로 이루어진 것이요, 제각기 스스로 형체를 갖춘 것이로다(일단 우리 고유의 세계관을 대전제로 깔고 들어간). 감각적으로 우리가 파악하는 바로써 이야기한다면 감성적으로 그러한 것은 어떠한 사태라도 그럴듯하다고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현시점에서 수평적으로 파악하지 아니하고 그것이 발전하여 온 유래를 수직적으로 파악한다면, 멀고 또 까마득하게 먼 옛날이 된다. 그러한 일들은 또한 묘연한 것이요, 또 말로써 헤아리기 어려운 것들이다.
내가 나된 것을 생각하면 부모님이 나의 감성세계 속에 엄존하시고, 뒤로 이어질 나의 후손들을 생각하면 같은 원리에 의하여 나의 자손이 후세에 이어질 것이 확실하다. 오는 세상(미래)을 비교적으로 헤아려보면, 이치가 내가 나된 것과 다를 바가 없다(같은 법칙으로 후손들이 태어난다). 그러나 지나간 세
상(과거)을 소급해 올라간다면 그 까마득한 옛날에 사람이 어찌 사람이 되었는지 실로 분명히 말하기 어렵다.
아! 이와같이 양쪽 사태를 전체적으로 헤아려 보자! 우리 상식에 그러한 것을 통해 보면 그러한 것은 또 그러하니 별문제가 없다. 그러나 그러하지 아니
한 것을 탐색하여 생각해보면 그러하지 아니한 것이 그러하지 아니한 것 위에 쌓여갈 뿐이로다.

이게 도대체 웬말인가? 아주 태고太古의 천황씨를 생각해보자! 그는 도대체 어떻게 해서 사람이 되었으며, 또 어떻게 해서 임금이 되었을까? 이 사람을
사람으로 만든 족보의 뿌리는 없다. 그렇다면 어찌하여 그렇지 아니하다라고 말하지 않는가? 세간에 부모라는 존재가 없는 사람이 있을 수 있겠는가? 어
느 사람이든지 그 선조를 캐어 들어가면 그러하고 또 그러하고, 또 그러한 연유에 의해 그 상식적인 계보를 추론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우리 인간세상이 만들어졌고, 또 임금이 만들어졌고, 또 스승이 만들어졌다. 군주라 하는 것은 법으로써 그 지위를 만든 것이요, 스승이
라고 하는 것은 그가 예로써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기 때문에 스승으로서 존경을 받는 것이다. 그런데 그 최초의 군주를 생각해보면, 그에
게 그 자리(위位)를 전해주는 군주가 선재先在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그 자리의 위세를 주는 법강法綱은 어디서 받는단 말인가? 또 스승이 그에게 가르
침을 주는 스승이 선재하지 않았다면 그는 예의禮義를 어떻게 본받을 수 있었을까?
모를 일이로다! 참으로 모를 일이로다! 태어나면서부터 알았기 때문에(생이지지生而知之) 그렇다고 말해야 할까? 함이 없이 저절로 그렇게 생겨났기 때
문에(무위이화無爲而化) 그렇다고 말해야 할까? 생이지지라고 말한다 해도 우리의 마음은 암담함 속에서 헤맬 뿐이요, 무위이화라고 말한다 해도 그 이
치는 아득하고 망망한 사이에서 멀어져갈 뿐이다.

5 0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8/14

[4-2] 夫如是, 則不知不然, 故不曰不然, 乃知其然, 故乃恃其然者也. 於是而?其末, 究其本, 則物爲物, 理爲理之大業, 幾遠矣哉! 況又斯世之人
兮, 胡無知, 胡無知? 數定之幾年兮, 運自來而復之, 古今之不變兮, 豈謂運, 豈謂復! 於萬物之不然兮, 數之而明之, 記之而鑑之. 四時之有序
兮, 胡爲然, 胡爲然! 山上之有水兮, 其可然, 其可然! 赤子之穉穉兮, 不言知夫父母, 胡無知, 胡無知? 斯世人兮, 胡無知?

대저 총체적으로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사실 불연不然의 세계에 관해서는 아는 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불연不然이라 말하지 아니하고, 기연
其然을 안다고만 말한다. 이것은 우리가 상식적인 기연其然의 세계에 의지하여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기연에 의지하여, 그 말초적인 것을
헤아리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근본을 탐구할 수 있으니, 사물이 사물이 되고, 법칙이 법칙이 되는 대업大業(이 세상의 총체적 조화의 법칙)이 어찌 우
리에게서 멀리 있어 불가사의하다고만 말할 수 있겠는가?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여! 어찌하여 모른다, 모른다고만 말하고 있느냐? 천지운행의 역수曆數(calendar system)가 정해진 것이 몇만 년이
냐? 운運(인간의 운수라기보다는, 천지운행의 운movement)이 스스로 왔다가 스스로 돌아가지 않느냐? 이러한 움직임은 예나 지금이나 항상스러운 것이
다. 이 변함이 없는 천지의 운행을 놓고 운運이니 복復이니 할 건덕지도 실상 없는 것이다.
만물의 그러하지 아니함(불연不然)의 신비로움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법칙에 따라 밝힐 수도 있는 것이요, 그것은 기술하여 대조함으로써 명료하게 헤아
릴 수 있는 것이다. 사시의 순서가 있음이여! 그것은 어찌하여 그렇게 될까? 어찌하여 그렇게 될까? 그것은 역법에 의하여 규명될 수 있는 것이다. 산꼭
대기에 호수가 있음이여! 그것은 어찌하여 가능한가? 어찌하여 가능한가? 갓난아기의 어리고 어림이여! 간난아기는 말을 못해도 부모를 이내 알아본
다. 어찌하여 갓난아기가 무지하다, 무지하다고만 말할 수 있겠는가? 이 세상사람들이여! 어찌하여 그렇게도 무지한고!
[옥안] 기연其然의 세계는 가사의可思議의 세계이고, 불연不然의 세계는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세계이다. 그러나 불연이 불가사의라 하여 그것이 초월
의 세계, 초월자의 별세계라고 판단하는 양학洋學의 이분법을 수운은 철두철미하게 타파해나간다. 불연의 세계는 불가사의하게 보이지만, 그것은 초월
계Transcendental Realm이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우리 인식이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식의 확충에 따라 불가사의는 가사의로 전환될 수 있
는 것이다.

하늘의 운행법칙도 “기지이감지記之而鑑之”(기록하고 대비하여 그 법칙을 찾아낸다) 하면 다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신비(불가사의)는 최초나 하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의 매우 평범한 일상경험에도 내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산 위에 큰 호수가 있다든지, 어린애가 말 못하면서도 사물을 인지
한다든지 하는 것은 평범한 감각세계 속에서도 얼마든지 “불연不然”의 신비를 발견할 수 있다. 불연을 시간의 수직구조 속에서만 생각하는 서학의 논리
는 초월자에 대한 믿음을 강요하기 위한 엉터리 논리포석이라고 수운은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4-3] 聖人之以生兮, 河一淸千年, 運自來而復歟? 水自知而變歟? 耕牛之聞言兮! 如有心, 如有知. 以力之足爲兮! 何以苦, 何以死? 烏子之反
哺兮! 彼亦知夫孝悌. 玄鳥之知主兮! 貧亦歸, 貧亦歸. 是故難必者, 不然; 易斷者, 其然. 比之於究其遠, 則不然不然, 又不然之事; 付之於造物
者, 則 其然其然, 又其然之理哉!

[국역] 성인의 태어나심이여! 그 흙탕물인 황하가 천년에 한 번 맑아지면 성인이 태어난다고들 말하는데, 그것은 운運이 스스로 와서 스스로 돌아가기
때문일까? 황하의 물이 스스로 알고 변하는 것일까? 밭가는 소가 사람의 말을 알아들음이여! 소는 분명 마음이 있고 인지가 있다. 힘으로 말하자면 충분
히 사람을 이기고도 남는다. 그런데 왜 저토록 충직하게 일하면서 고생을 하고, 저렇게 충직하게 죽음을 향해 가는고! 까마귀는 어렸을 때 어미에게 먹이
를 받아먹었기에 커서 그 에미가 늙어 움직이지 못하면 먹이를 가져다준다고 한다. 이 반포反哺의 현상은 까마귀가 효제孝悌를 안다고 하는 것일까? 제
비가 주인을 알아봄이여! 주인집이 가난해도 그곳으로 돌아온다. 가난해도 그 정감을 지키는 것일까?
그러므로 나는 말한다. 반드시 그렇게 된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것이 불연不然일 뿐이고, 우리가 일상경험에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들을 기연其然이
라 하는 것이다. 사물의 이치를 머나먼 형이상학적 세계에 비정하여 규명하려고 하면, 모든 것이 불연이고 또 불연이고 또 불연의 사태가 되고 만다. 그리
고 또 한편 그것을 사물이 생성되어가는 조화의 세계에 의탁하여 생각하면 모든 것은 그러하고 그러하고 또 그러한 이치일 뿐이다!
[옥안] “난필자불연難必者不然; 이단자기연易斷者其然 ”이라는 말은 수운이 이미환웅이 내려온 신단수神壇樹에 새겨놓은 것이이라고 말할 수도 있
는, 우리민족 모든 사람의 가슴속에 새겨져야 할 명언이다. 이 한마디로써 서양철학의 모든 형이상학적 난제들이 해결될 수 있으며, 서양종교의 모든 독
단론이 힘을 잃는다. 불연不然은 초월이 아니라 단지 난필難必일 뿐이다. 결정론적인 인과관계를 벗어나는 사태는 우리의 가사계可思界에서도 얼마든
지 있을 수 있다. 그것도 “불필不必”이 아니라 “난필難必”일 뿐이다. 이러한 난필의 세계는 결국 쉽게 판단될 수 있는 이단易斷의 기연其然에 의하여 인
수분해 되어진다. 불연, 불연, 우불연지사가 결국 알고보면, 기연, 기연, 우기연지리라는 것이 수운의 최종 결론이다.
수운은 죽기 전까지 우리민족이 서양의 악폐인 이원론적 사유에 오염되지 않기를 소망하면서 이 글을 썼다. 그런데 우리는 모두 서학의 악폐에 빠져, 본
질을5말하고, 본0체를 말하고, 초월자를 말하고, 천당을 얘기하고, 불변을 신봉하고 있다. 인생은 부운같이 허망한 것이라 말하면서, 오직 영원불멸의 진

Pride of 25ans ; 무비(無飛)
5/31/23, 10:31 PM 도올 [동경대전 2] - 불연기연(不然其然)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mv25ans/222380301925 9/14

리로 향해야 한다고 구라치고 있다. 모든 종교와 철학이 이 간판 하나로 먹고 살고 있는 것이다! 오호! 애재라! 도올이 신학대학을 나오면서 외쳤던 우환
의 언사가 지금도 수운의 우려와 함께 21세기의 대기를 무겁게 만들고 있다.

「불연기연」에 관해서 나는 살아있는 수운의 마음으로 직접 뛰어드는 그런 사투를 감행하였다. 나의 번역은 그 고투의 결실이다. 독자들은 나의 해석을 본
문과 대조해가면서 잘 살펴보면 그 지향처의 정곡을 터득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올은 대전의 큰 고비를 넘었다.
『東經大全』, 불연기연(不然其然)

박길수 - '생명학연구회' 5월 모임 - '불연기연(不然其然)'

(4) 박길수 - [오늘아침명상] 1. 어제는 '생명학연구회' 5월 모임(월 1회 - 지구인문학연구소)을 진행하였습니다.... | Facebook

박길수

  · 
[오늘아침명상] 1. 어제는 '생명학연구회' 5월 모임(월 1회 - 지구인문학연구소)을 진행하였습니다. 유정길 님이 발제하여, 동학의 '불연기연' 편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불연기연(不然其然)'은 동학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흔히 얘기됩니다. 

<동경대전>에서 사상을 담은 글로는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과 더불어 4편의 글 중 하나가 됩니다. 
"아니다, 그렇다"는 김지하 선생님이 널리 퍼뜨린, '불연기연'에 대한 현대적 표현입니다. 
"반대일치의 논리"라는 건 야뢰 이돈화가 처음 발의하여 그 이후 윤노빈, 김지하 등이 발전시켰습니다. 
-----
유정길 님은 불연기연에 대해 드러난 현상과 숨겨진 본질, 존재론적인 차원에서의 불연과 기연, 과정론적 차원에서의 불연과 기연, 분별과 대립에 즉하여 보는 것으로서의 기연, 초월적 입장으로 넘어가서 보는 것으로서의 불연, 이원론과 이분법으로서의 기연에 대한 협동과 공생으로서의  불연, 기연으로서의 형식논리와 불연으로서의 역설, 불교 화엄사상 공사상과 비교하며 살펴보는 불연기연론, 하강으로서의 기연과 상승으로서의 불연, 포월로서의 불연기연, 신의 존재증명과정에서 입안된 것으로 인과론적 설명 범위 내의 기연과 인과론적 설명력을 초월하는 초경험적 세계로서의 불연 등 그동안의 불연기연과 관련된 제반 학설들을 간명하면서도 낱낱이 소개해 주셨습니다. 

-----
유정길 님은 불연기연에 대해 
  • 드러난 현상숨겨진 본질
  • 존재론적인 차원에서의 불연과 기연, 
  • 과정론적 차원에서의 불연과 기연, 
  • 분별과 대립에 즉하여 보는 것으로서의 기연, 
  • 초월적 입장으로 넘어가서 보는 것으로서의 불연, 
  • 이원론과 이분법으로서의 기연에 대한 협동과 공생으로서의  불연, 
  • 기연으로서의 형식논리와 불연으로서의 역설, 
  • 불교 화엄사상 공사상과 비교하며 살펴보는 불연기연론, 
  • 하강으로서의 기연과 상승으로서의 불연, 
  • 포월로서의 불연기연, 
신의 존재증명과정에서 입안된 것으로 
  • 인과론적 설명 범위 내의 기연과 
  • 인과론적 설명력을 초월하는 초경험적 세계로서의 불연 등 

그동안의 불연기연과 관련된 제반 학설들을 
간명하면서도 낱낱이 소개해 주셨습니다. 


----
그 이후 참석자들의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개벽(예정)에 소개합니다.

2.  저도 여러 가지 말을 보탰습니다만, 그중 한 가지만 다시 음미해보면 이러합니다. 

발제자는 불연기연이 불교의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인식론, 존재론과 상통한다고 하였습니다. 크게 동의되는 말씀입니다. 
기연으로 충분한 듯하지만 불연이 아니면 기연이 불가능하며, 불연이 근본인 듯하지만 기연이 아니면 불연은 불연 그자체에 머물러 버리는 것이, 불일불이의 전개과정을 빼닮았습니다. 

결국 불연기연은 세상만물이 모두 하나로 꿰어져 있으며, 그러면서도 각유성각유형(各有性各有形)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그것이 존재의 실상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그런 점에서 각자위심(各自爲心)이란, 수운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할 당시의 세상사람들의 마음 상태를 가리켜 한 말입니다만, 이 말을 그동안은 주로 '자기만을 위하는 마음' '자기만 잘 살겠다고 생각하는 마음'이라는 식으로 '이기심'이나 '배타적 경쟁심'으로 주로 이해해 왔습니다. 

그런데 불연기연의 관점에서 보면, 각자위심은  '마음'의 문제가 아니라 '몸'의 문제입니다. 즉 "각각의 형상 가진 존재(몸)가 스스로 다른 것과 구분되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마음"이 바로 각자위심이고, 그것이 존재의 실상을 곡해하며, 그로부터 마음도 제각각, 세상도 제각각의 사태가 전개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이런 점에서 의암 손병희 선생이 강조한 설법 '이신환성(以身換性)'도 '육신관념'을 '성령관념'으로 바꾸라는 뜻이기보다는 '육신 가졌을 때, 성령을 바꾸라'라는 의미, 즉 육체 의존적 존재로서의 나의 실상을 깨달으라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몸을 가진 나는 기연의 존재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이 몸이란 보이지 않은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존재하는 것이며, 이 몸은 다른 사람, 다른 생물, 다른 사물, 현재라는 시간과 공간은 물론이고 미래와 과거, 여기와 저기(우주)와 모두 연결된 존재라는 사실을 불망(不忘)하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바로 불연기연의 의미라는 점을 생각합니다. 그 일이 바로 심고(心告)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또 하나 '불이(不二)'는 ''타자와 내가 둘이 아니다''의 의미뿐 아니라 '불이(不異)'로서 ''타자와 내가 다르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는 점입니다. 전자가 불이의 존재론적인 측면을 말해준다면, 후자는 불이의 가치론적인 측면을 말해줍니다. 다시 말해, 저나 나나 똑 같다는 것입니다. 저놈이 잘난 만큼 나에게도 잘난 구석이 있고, 저놈이 못나고 나쁘고 야비한 만큼 나에게도 못나고 나쁘고 야비한 구석이 억수로 많다는 것이지요. 자만할 필요도 없고, 자멸할 이유도 없습니다. 한결같은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일일삼성(一日三省)의 자세로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도리(道理)입니다. 그러니, 그러므로, 000을 나쁜놈, 못난놈, 후레자식이라고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도 나쁜 일이 아닙니다. 내가 못났다고, 내가 가난하다고 도둑놈을 보고 "도둑이야!" 소리치지 말라는 거야말로 경우없는 짓이겠지요. 경우없는 짓을 한다고, 내가 그 사람에게 경우없이 대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런 겁니다. 하나의 매이지 않고 둘로 나아가는 것, 둘에 머무르지 않고 하나에 귀의하는 것, 무궁한 이 울 속에 무궁한 나, 그 무한순환이 우리 삶의 본성이 아닌가 합니다.

2 comments
Taechang Kim
불연기연의 깊은 뜻을 새밝힘하는 좋은 모임였군요. 
압축요약해 주신 덕에 새삼 다시 새김질 해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What Is Deep Ecology? Philosophy, Principles, Criticism

What Is Deep Ecology? Philosophy, Principles, Criticism



What Is Deep Ecology? Philosophy, Principles, and Criticism
By
Autumn Spanne
Published July 26, 2021
Share
Twitter
Pinterest
Email


Oleksandr Zaichuk / EyeEm/ Getty Images
EnvironmentWeather
Outdoors
Conservation
In This ArticleThe Founding of Deep Ecology
Principles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Movement
Criticisms
The Legacy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a movement initiated by Norwegian philosopher Arne Næss in 1972, posits two main ideas. The first is that there must be a shift away from human-centered anthropocentrism to ecocentrism in which every living thing is seen as having inherent value regardless of its utility. Second, that humans are part of nature rather than superior and apart from it, and therefore must protect all life on Earth as they would protect their family or self.


Although it built on the ideas and values of earlier eras of environmentalism, deep ecolog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arger movement, emphasizing philosophical and ethical dimensions. Along the way, deep ecology gained its share of critics as well, but its fundamental premises remain relevant and thought-provoking today in this era of dual biodiversity and climate crises.

The Founding of Deep Ecology

Arne Næss already had a long and distinguished career as a professor of philosophy in Norway before concentrating his intellectual energies on an emerging vision that would become the philosophy of deep ecology.


Previously, Næss’s academic work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larger social and natural systems—a holistic conception that Næss credits in part to the 17th century Jewish Dutch philosopher Baruch Spinoza, an Enlightenment thinker who explored the presence of God throughout nature.1 Næss also drew inspiration from the Indian human rights activist Mahatma Gandhi and from Buddhist teachings. Næss was a longtime supporter of human rights, the women’s movement, and the peace movement, all of which informed his ecological philosophy and its evolution.2


Perhaps Næss never would have been drawn to the intersection of ecology and philosophy at all if it hadn’t been for his love of the mountains. He spent significant portions of his life in the Hallingskarvet range of southern Norway, marveling at their vastness and power, and contemplating Earth’s intricate systems. An accomplished mountaineer, he also led many climbing expeditions, including the first to reach the summit of Pakistan’s Tirich Mir in 1950.


In 1971, Næss joined two other Norwegians on what they called an “anti-expedition” to Nepal, in part to support local Sherpas protecting the sacred mountain Tseringma from mountaineer tourism.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Andrew Brennan, this was the moment in which Næss experienced a breakthrough that led to a new environmental philosophy, or, as Næss referred to it, “ecosophy.”2


The influences of earlier environmental advocates and philosophies are apparent in Næss’s work. Henry David Thoreau, John Muir, and Aldo Leopold all contributed to the ideal of a non-human-centered worl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nature for its own sake, and an emphasis on a return to a perceived simpler way of life, less dependent on material things that contribute to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nature.


But for Næss, the crucial inspiration for deep ecology was Rachel Carson’s 1962 book “Silent Spring” for its emphasis on urgent, transformational change to stem the tide of planetary destruction. Carson’s book provided an important impetus for the advent of modern environmentalism that sought limits on the rampant destruction of the Earth’s systems, particularly those posed by intensive agriculture and other industrial technologies. Her works drew clear scientific connections between human well-being and ecosystem health, and this resonated with Næss.3

Principles of Deep Ecology

Næss conceived of two types of environmentalism. One he called the “shallow ecology movement.” This movement, he said, “is concerned with fighting against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but with its central objective “the health and affluence of people in the developed countries.”4


Shallow ecology looked to technological fixes like recycling, innovations in intensive agriculture, and increased energy efficiency—all capable of significant impacts, but not, in Næss’s view, capable of reversing the damage that industrial systems were doing to the planet. Only by deeply questioning these systems and pursuing a complete transformation of the ways people interacted with the natural world could humans achieve just, long-term protection of ecological systems.


The other environmentalism Næss called the “long-range deep ecology movement,” a deep questioning of the cause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a reimagining of human systems based on values that preserve ecological diversity and the cultural diversity they supported. Deep ecology, Næss wrote, involved an “ecological egalitarianism” in which all life on Earth had a right to exist and thrive, and assumed an “anti-class posture.” It, too, was concerned with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but also wary of unintended social consequences, such as pollution controls causing a price rise on basic goods, thus reinforcing class differences and inequalities.


In 1984, a little over a decade after the introduction of deep ecology, Næss and American philosopher and environmentalist George Sessions, a Spinoza scholar, went on a camping trip to Death Valley. There in the Mojave Desert, they revised Næss’s earlier articulated principles of deep ecology into a concise platform that emphasized even more than previous iterations the value of all life on Earth. They hoped this new version would achieve universal relevance and galvanize a movement.


These are the eight principles as they were published the following year by Sessions and sociologist Bill Devall in the book "Deep Ecology: Living As If Nature Mattered."
The well-being and flourishing of human and nonhuman life on Earth have value in themselves (synonyms: inherent worth, intrinsic value, inherent value). These values are independent of the usefulness of the nonhuman world for human purposes.
Richness and diversity of life forms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se values and are also values in themselves.
Humans have no right to reduce this richness and diversity except to satisfy vital needs.
Present human interference with the nonhuman world is excessive, and the situation is rapidly worsening.
The flourishing of human life and cultures is compatible with a substantial decrease in the human population. The flourishing of nonhuman life requires such a decrease.
Policies must therefore be changed. The changes in policies affect basic economic,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structures. The resulting state of affairs will be deeply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 ideological change is mainly that of appreciating life quality (dwelling in situations of inherent worth) rather than adhering to an increasingly higher standard of living. There will be a profound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big and great.
Those who subscribe to the foregoing points have an obligation directly or indirectly to participate in the attempt to implement the necessary changes.

Deep Ecology Movement

As a philosophy, deep ecology asserts that there are no boundaries between self and other; therefore, all living things are interrelated parts of a larger self. As a movement, the Deep Ecology Platform provides a framework that has inspired adherents all over the world.


However, Næss also emphasized that supporters of deep ecology weren’t obligated to follow a strict doctrine, but could find their own ways to apply the principles within their lives and communities. Næss wanted the deep ecology movement to appeal to diverse religious, cultural, sociological, and personal backgrounds who could come together and embrace certain broad principles and courses of action. 3


While this open, inclusive approach made it easy for many people to connect with the principles of deep ecology, critics have faulted the platform for lacking a strategic plan and being so intentionally broad and ambiguous that it failed to achieve a cohesive movement. This, they say, made deep ecology vulnerable to co-optation by an ideologically diverse array of groups and individuals that used extremist and sometimes xenophobic arguments and tactics about how best to reverse human damage to the planet.

Criticisms

By the late 1980s, deep ecology had attracted both a popular following and a number of critics. One group that brought both energy and scrutiny to deep ecology was Earth First!, a radical, decentralized resistance movement born in 1979 out of frustration with the ineffectiveness of mainstream environmentalism and a passionate dedication to protecting wild places. Earth First! practiced effective civil disobedience actions such as tree-sitting and road blockades, and occupation of logging sites to protect old-growth forests.


But some Earth First! campaigns also employed more aggressive tactics, including acts of sabotage, such as tree spiking to stop logging and other form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other controversial environmental organization called the Earth Liberation Front, whose loosely affiliated members have conducted sabotage, including arson, in suppor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lso supports principles of deep ecology.5 The tactics of some activists associated with these groups provided fuel for anti-environmental politicians and organizations to denounce them along with deep ecology, though there was never absolute alignment between the deep ecology movement and any single group.6

Should Ecocentrism Be the Goal?

Another critique of deep ecology came from scholars and adherents of social ecology. Murray Bookchin, the founder of social ecology, persistently rejected deep ecology’s biocentric orientation that regards humans as an outsized threat to non-human life on the planet.7 Bookchin, among others, considered this a misanthropic view. He and other social ecology supporters maintained that it is capitalism and class differences, not human beings categorically, that pose the fundamental threat to the planet. Thus, mitigating the ecological crisis requires a transformation of class-based, hierarchical, patriarchal societies from which environmental destruction stems.


Other prominent critics also question deep ecology’s vision of pristine wilderness, challenging this as utopian and even undesirable. Some consider it a western, preservationist perspective harmful to the poor, the marginalized, and to Indigenous peoples and others whose material and cultural survival is closely tied to the land.


In 1989, the Indian historian and ecologist Ramachandra Guha published an influential critique of deep ecology in the journal Environmental Ethics.8 In it, he analyzed the role of deep ecology in shifting U.S. wilderness advocacy in particular toward a more radical platform and scrutinized its misappropriation of Eastern religious traditions.9


Guha argued that this misappropriation had arisen in part from a desire to present deep ecology as universal when it was in fact distinctly western, with notably imperialist qualities. He warned of the potential damage associated with applying the ideology of wilderness preserv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ithout considering the impacts particularly on poor people who directly depended on the environment for subsistence.


Similarly, ecofeminist critics of deep ecology have raised concerns about deep ecology’s emphasis on setting aside pristine wilderness, which they contend may lead to social injustice, including displacement, for women and other groups with less decision-making power. Ecofeminism, which arose as a roughly contemporaneous movement in the 1970s, draws connections between the exploitation, commodification, and degradation of nature and that of women in a patriarchal society, according to the scholar Mary Mellor in her 1998 book “Feminism and Ecology.”10


Although the two movements have much in common, ecofeminists have criticized deep ecology for failing to make explicit connections between men’s domination of nature and domination of women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and how gender inequality contributes to environmental destruction.11

Unintended Consequences

Deep ecology also sparked controversy for its call to substantially decrease the global population to address humanity’s voracious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which damages the environment and leads to social inequality, conflict, and human suffering. This raised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for human rights abuses if draconian controls like forced abortion and sterilization were imposed to reduce global population. The deep ecology platform itself did not endorse such extreme measures; Næss emphatically pointed to the first principle of deep ecology—respect for all life—as evidence of this. But the call for population control was a lightning rod.


Earth First! drew ire in the 1980s for publishing (though not necessarily endorsing) arguments suggesting that famine and disease could be effective at reducing the global population. Bookchin and others publicly denounced such views as eco-fascism. In addition, Bookchin and others forcefully countered xenophobic arguments by Edward Abbey, celebrated nature writer and author of “The Monkeywrench Gang,” that Latin Americ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posed environmental threats.12


In the 2019 book “The Far Right and the Environment,” social ecology scholar Blair Taylor described how overpopulation and immigration from the global south have long been anxieties of right-wing extremists as well.1314 Over time, he wrote, some from the so-called alternative right have come to embrace deep ecology and other environmental ideologies to justify xenophobia and white supremacy.


Environmentalism has become a more prominent theme in right-wing immigration rhetoric. A recent Arizona lawsuit advocates for a more restrictive immigration policy, claiming the immigrant population is contributing to climate change and other form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an analysis of far-right parties in Europe identified an emerging discourse that blames immigration for environmental damage rather than wealthy industrialized nations that are by far the largest contributors to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15


None of these ideas are part of the deep ecology platform. Indeed, in a 2019 article for The Conversation, University of Michigan historian and author Alexandra Minna Stern traced ecofascism to the early 20th century, described the long history of white anxieties about overpopulation and immigration, and wrote how right-wing extremists have tried to assert environmental protection as the exclusive domain of white men. “Jettisoning Næss’ belief in the value of biological diversity,” she wrote, “far-right thinkers have perverted deep ecology, imagining that the world is intrinsically unequal and that racial and gender hierarchies are part of nature’s design.”


In Stern’s recent book, "Proud Boys and the White Ethnostate," she explains how a white nationalist version of deep ecology has served as inspiration for violence, including the 2019 shootings at two New Zealand mosques and a Walmart in El Paso, Texas. Both shooters referenced environmental concerns in justifying their murderous rampages. “Their crusade to save white people from erasure through multiculturalism and immigration mirrors their crusade to preserve nature from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overpopulation,” Stern explained in The Conversation.

The Legacy of Deep Ecology

Do the criticisms and shortcomings of deep ecology mean that it has run its course and failed as a movement?


It has certainly failed to avoid unintended consequences and interpretations. But at a moment when humanity faces unprecedented impacts of unchecked resource exploitation and ecosystem degradation, there is undoubtedly value in urging people to deeply question existing beliefs and confront the drastic changes necessary to sustain life as we know it on the planet.


By calling for a reorientation of humanity’s relationship with other living beings and systems, deep ecology has had an enduring influence on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the five decades since Arne Næss coined the term and initiated a movement, both adherents and critics of deep ecology have contributed to a more inclusive, expansive understanding of what it would mean for humanity to truly respect all life on Earth and achieve just solutions to our current environmental crises. The devil, as always, is in the detail.


Key Takeaways
Deep ecology is a philosophy and a movement initiated by Norwegian philosopher Arne Næss in 1972 that profoundly influenced the larger environmental movement, particularly in the latter 20th century.
It argues for a shift toward a philosophy of ecocentrism in which every living thing has inherent value, and asserts that humans are part of nature rather than superior and separate from it.
Critics have by turns faulted the deep ecology platform for being utopian, exclusive, and overly broad, making it vulnerable to co-optation by a diverse array of groups and individuals, some of whom have made extremist and sometimes xenophobic arguments about how best to protect the environment.
Despite criticism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deep ecology's call for a transformation of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remains relevant as the world confronts unprecedented environmental challenges.
View Article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