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25

[한자이야기] 서(恕)

[한자이야기] 서(恕)



[한자이야기] 서(恕)

김경수 (중앙대 명예교수)

서(恕)는 "용서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서(恕) 자는 같을 여(如)에 마음 심(心)이 합하여 된 글자입니다. "마음이 같다"가 서(恕)의 뜻입니다. 너와 나의 마음이 같아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루에 삼천 번 이상 바뀌는 것이 마음이라는데, 이것이 합해지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지요. 나의 잘못을 내 스스로 용서하는 것처럼 다른 사람의 잘못을 용서한다는 것은 참으로 큰 수양이 없고는 어려운 일입니다. 가까운 가족, 친척 간에도 용서하지 못하여 겪는 고초가 얼마나 큰지요. 이 서(恕)에서 용서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용서(容恕)라는 말은 논어에 나오는 얘기입니다. 용(容)자는 여기서는 "담다"라는 뜻으로 쓰인 말입니다. 곧, 용서는 서(恕)를 용(容)하는 것입니다. 서무식(恕無識)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무식한 사람을 용서하라는 말입니다. 무엇을 알지 못해서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은 알고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과는 다릅니다. 또 배우지 못해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요. 배운 자들은 모름지기 이런 사람들을 배려해야 합니다.

공자의 제자 여러 명이 모였습니다. 그 중에 자공(子貢)이라는 제자가 공자님께 여쭈었습니다.

"선생님, 평생을 두고 마음에 담아 실천할 만한 좌우명 하나를 들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면 지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말을 들은 공자님이 "있고 말고" 하며 천천히 일러 주셨습니다.

"그것은 바로 서(恕)니라" 라고.

이 서(恕)가 바로 용서(容恕)입니다. 서(恕)자는 같을 여(如)자 밑에 마음 심(心)자가 붙었습니다. 자기를 용서함같이 다른 사람을 너그러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서(恕)입니다. 남의 잘못을 이해해 주고, 용서함에는 용기와 희생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참을성입니다. 6.25 때 지리산 밑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자신의 두 아들이 빨치산에게 죽임을 당했습니다. 곧바로 이 공비들이 잡혔지만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용서해 준 목사님이 있었습니다. 용서만 해 준 것이 아니라 이들을 양자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입적하여 자기 자식과 똑같이 사랑한 거룩한 이야기가 널리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절대로 가식으로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진심으로 마음을 비우고, 사랑할 때 가능한 일입니다.

이어서 공자님은 "한 시간이나 하루, 또는 한 달쯤 용서해 주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십 년이고 이십 년이고, 평생토록 용서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라고 덧붙이셨습니다.

그리고 공자님은 평생을 두고 이 말씀을 실천하신 분입니다. 언행을 일치시키신 분입니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 성인의 말씀으로 전해 오는 것입니다.
-----------

공자 서(恕)의 윤리
그것이 바로 예(禮)이니라 
by김준Dec 10.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나와 전자상가 판매원

약 4년 전 노트북을 새로 장만하려고 전자상가에 갈 일이 있었습니다. 저는 전자기기를 살 때 꽤나 꼼꼼하게 이것저것 따져보고 모델을 고르는 편입니다. 그 당시에도 인터넷으로 보면서 골랐던 2-3가지 노트북의 스펙은 완전히 숙지한 상태로 전자상가로 향했습니다. 

전자상가에 도착하자마자 노트북 섹션으로 가서 인터넷으로 보고 왔던 그 노트북들을 만지작 거렸습니다. 그때 마침 판매원분이 말을 걸었습니다. 

"고객님 어떤 제품 찾으세요?" 

"아 15인치 노트북 보러 왔어요." 

"아, 지금 보시고 계신 노트북 같은 경우에는 휴ㄷ.."

"SSD라 휴대성이 높고 부팅속도도 빠른 대신에 시디롬이 안 들어가서.. 근데 가격이 인터넷에서 본 것 보다 조금 비싼데 프로그램 깔아주시고 사은품 챙겨주시나요?" 

빈 깡통이 더 시끄럽다고 조금 아니까 더 아는척하고 싶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지금 생각하면 꽤나 부끄러운 일이기도 하구요. 공자님이 이 대화를 하늘에서 들으셨다면 형편없는 놈이라 생각했을지 모를 일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자와 태묘 관리인 

태묘가 무엇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태묘는 쉽게 말해 중국에서 황제의 선조를 제사하는 종묘입니다. 공자가 노나라 주공의 태묘에 참배를 하러 간 일이 있었습니다. 공자는 그곳에서 태묘 관리인에게 참배 절차에 관해 일일이 물었다고 합니다. 그러자 사람들은 이렇게 쑥덕대기 시작했습니다.

"그 유명한 공자가 어찌 태묘 관리인보다 참배에 대해 모르는가!" 

"예(禮)를 잘 안다고 해서 보러 왔더니 공자도 별거 없구먼" 

예(禮)에 있어서 끝판왕이었던 공자가 참배 절차에 대해 모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공자의 제자가 이에 관해 공자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선생님은 태묘 참배 예절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입니다. 그런데 어찌 일일이 물어보시어 저희를 창피하게 만드시는 것입니까?" 

이에 대한 공자의 대답이 압권입니다. 

태묘에 들어왔으면 태묘 관리인에게 일일이 물어보는 것이 바로 예(禮)이니라

공자의 넘사벽 겸손과 배려심이 느껴지시나요? 공자는 이 태묘 관리인이 자긍심을 갖고 태묘를 관리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해 자신의 지식을 감추고 상대를 이기려 들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것이 공자가 말하는 서의 윤리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子貢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이 물었다.

"종신 토록 실천할 만한 한 마디 말이 있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바로 '서(恕)'다.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 행하지 말아야 한다." 

이 서(恕)의 윤리에 따라 공자는 태묘 관리인이 싫어할만한 행동을 자제한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꼭 이런 상황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자기가 바라지 않은 일을 남에게 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서로 한 발짝 물러서 배려하는 것이 공자가 말하는 예(禮)의 구체적 실현입니다. 어떤 사람과의 관계가 끊어지는 과정에서도 바로 이 서(恕)의 윤리가 간과되는 경우를 자주 보곤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오늘 읽어본 이 서(恕)의 윤리를 떠올리고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기려 들지 않는다면 원만한 인간관계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말은 쉽지만 실천은 어렵겠지요. 하지만 노력해봅시다 ! 







2020/05/18

04 출판동향 : 김훈 신드롬 어떻게 볼 것인가

출판동향 : 김훈 신드롬 어떻게 볼 것인가


강성민 기자
승인 2004.04.28 

독자들이 발견한 '수난받는 영웅'...정치적 행위로서의 책읽기



198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는 이문열과 황석영이었다. 1990년대는 군소작가들이 많았는데 그 중 꼽으라면 신경숙이었다. 그렇다면 200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는 누구일까. 이건 매우 불확실하다. 문학이 워낙 바닥세이고 반짝이는 신예와 약진하는 소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스타 부재현상을 한방에 날리며 등장한 원로급 신인작가가 있다. 바로 유려한 에세이스트로 잘 알려진 김훈(56·사진)이다.




그는 2001년 ‘칼의 노래’(생각의나무 刊)로 동인문학상, 2004년 ‘화장’(문학사상사 刊)으로 이상문학상을 받으며 기성문단을 단숨에 뛰어넘었다. 그야말로 문단에 김훈 현상이 생겨난 셈이다. 아울러 이런 문학적 배경과 맞물려 우리 사회에 ‘김훈 읽기’라는 신드롬이 생겨나고 있다. ‘칼의 노래’라는 작품이 2001년에 이어 또 다시 화제가 된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탄핵 이후 손에 쥔 책,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이 단식투쟁 중 탐독한 책이라 알려지면서 온갖 매체의 가십란을 도배했다. 이것은 ‘칼의 노래’에 등장하는 ‘이순신과 그의 시대’가 오늘날과 유사하게 묶여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 yes24
‘대통령도 읽었다’는 기사 전까지 20만부였던 ‘칼의 노래’ 판매량은 이후 10만부 이상이 더 팔려나갔고 최근엔 텔레비전 사극의 시나리오로도 각색되고 있다. 이런 유명세에 힘입어 올 2월 출간된 그의 신작장편 ‘현의 노래’(생각의나무 刊)도 벌써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르며 3만부 판매를 기록중이다. 그 동안 김훈을 대표해왔던 기행산문집 ‘자전거여행’이 지난 5년간 6만부 팔린 것에 비하면 ‘소설’과 ‘에세이’의 장르차를 감안하더라도 엄청난 상승세다.



‘대통령도 읽었다’ 보도 후 10만부나 더 팔린 ‘칼의 노래’

‘김훈 현상’은 기본적으로 대중매체, 특히 텔레비전의 선전 효과다. 하지만 이것을 매체의 영향력에 기대서 해석할 수만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요즘 인문교양서들의 베스트셀러화 과정엔 ‘정치적 행위로서의 독서’의 제도화가 동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치행위’와 ‘독서’는 세가지 차원에서 연관된다. 첫째, 책을 읽는 것으로서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 혹은 우량 가치를 함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책을 어떤 특정 가치의 담지자로 간주하고, 책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책을 읽었다는 ‘경험 그 자체’에 중요성을 부과한다. 이럴 때 독서는 통과의례인 것이다.


둘째, ‘권력효과’ 혹은 ‘후광’에 의존한 독서다. 김훈의 소설이 널리 읽힌 데엔 대통령의 언설, 대중매체의 역할, 권위있는 문학상의 효과가 도사리고 있었다. ‘칼의 노래’는 권력을 가진 집단이 선택한 책이었고, 그 책의 무성한 후광에 노출된 많은 독자들이 그 책을 읽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이는 인터넷 서점의 독자서평들에서 확인된다.


마지막 하나는 아직까지 물렁물렁한 상태인 잠재적 가치를 다수 대중이 읽고 토론함으로써 그것을 확고한 형태로 우리 사회에 자리잡게 하는 ‘참여’로서의 독서행위다. 정치로 따지면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인 셈인데, 이를 통해서 독자대중은 가치의 생산자로서 자기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칼의 노래’의 정치적 메타포는 허무주의

그렇다면 이런 세가지 차원을 통해 어떤 가치가 함양되고 있는 것일까. 김훈의 ‘칼의 노래’의 배경은 임진왜란, 즉 전쟁터다. 전쟁터는 적과 동지로 양분된 공간이다. 주인공은 이 이항대립의 어느 하나에 안주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작가는 적과 동지의 구분을 없애고, 이순신을 적과 적이라는 이중 적에게 둘러싸인 뿌리없는 존재로 만든다.


첫번째 적이 일본군이라면 두번째 적은 “승승장구하는 힘있는 신하를 두려워해 여차하면 베어버리려는 선조임금”이다. 我와 彼我가 없는 이런 상황에서는 소속감도 목표도 불확실하며, 희망을 삶의 엔진으로 삼는 이념적 존재가 되기란 매우 불가능하다는 ‘정치적 허무주의’가 ‘칼의 노래’의 메타포인 것 같다. 하지만 작가는 거기 빠져 허우적거리지 않는다. 그는 허무주의를 ‘성숙한 남성’의 액세서리로 치환한다.


이순신은 허무의 파도 위에서나마 ‘자신이 인정할 수 있는 삶’을 위한 순간순간의 결단들을 해나가고, 여기서 바로 ‘영웅’의 이미지가 발생한다. 이 부분이 ‘칼의 노래’가 우리 시대와 가장 강렬하게 겹치는 부분이 아닐까. 김인환 고려대 교수는 “이광수는 ‘원효대사’를 쓰면서 자기가 원효인 체하였으나 김훈은 ‘칼의 노래’를 쓰면서 결코 그가 이순신인 체하지 않는다. 바로 여기에 성공이유가 있다”라고 말한다. 이 말은 작가가 임금을 향한 충의로 자신을 희생시킨 ‘국사’ 속의 ‘영웅’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근대적 개인인 오늘의 ‘고뇌하는 인간’의 한 모델을 이순신이라는 역사인물을 통해서 설득력있게 완성해나갔다는 것이리라. 그 과정에서 “역사와 상상의 절묘한 균형감각”은 빼놓을 수 없는 미덕이고.


이순신으로 표상된 오늘날의 ‘어떤 영웅’은 절망을 회피하지 않는다. 문학평론가 심진경 씨는 “1990년대의 댄디적인 작가들이 생산한 ‘착한 가부장 이미지’나 하루키 류의 ‘심약한 남성’과는 다르게 생존하려고 치열하게 싸우며 ‘여성’으로 표상되는 약한 것에 대한 이끌림을 피하는 남성적 스타일도 호응을 얻는 것 같다”라고 해석한다.

개인 속의 역사, 역사 속의 개인

평단의 진단을 더 들어보면, 김훈 신드롬의 원근 배경이 드러난다. 거칠게 정리하자면, 김훈의 이들 작품에선 심미적 주체 혹은 존재의 심미성이 드러나고 있다는 것(유임하 한국문학연구소 연구원), 소설사적으로는 1990년대 이후 우리 소설이 잃어버린 ‘서사성’의 회복에 적잖은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것(황국명 인제대 교수), ‘존재를 응시하는 허무주의 탐미성’이 ‘폭포’처럼 드리워 있다는 것(손종업 선문대 교수) 등이다.


이들 평자들의 진단은 어쩌면 김훈 소설미학의 최대 장점이자 치명적 한계점을 의미하는 지도 모른다. 손 교수는 김훈의 허무주의적 탐미성이 선과 악, 빛과 어둠, 삶과 죽음이라는 이분법적 인식을 기반으로 해 “결국 단순하고, 리얼리즘적 경지에선 비껴서 있다”고 평가한다. 단순 혹은 리얼리즘의 궤도 외부에 그가 서 있다는 것, 탄핵정국의 와류 속에서 거대한 독자들의 城을 이들 작품이 증축해냈다는 것은 병치될 수 있는 풍경일까. 혹시 이것 역시‘바람’이 변화시키는 풍경처럼, 하나의 ‘바람-풍경’ 같은 건 아닐까.


분명한 것은, 그것이 하나의 바람-풍경이든 아니든 간에 시간이 멈춘 역사로서의 인간(이순신, 우륵)이 바로 이곳의 ‘정치적 인간’으로 읽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고독한 내면을 획득한 영웅’은 이순신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오늘을 사는 한 개인-대통령에서 촛불시위에 나서는 평범한 가장까지-의 비유다. 김훈 읽기가 자명하게 ‘정치적 행위로서의 독서’가 공고해지는 과정에서 출현했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시사적이다. 그가 독자들에게 ‘발견’된 것은 요행이 아니다. 광화문 입구에 이순신 동상이 서 있듯, 2004년 오늘 김훈이 바로 거기, 메타포로 서 있다.
강성민 기자 smkang@kyosu.net

저작권자 © 교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성민 기자다른기사 보기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 Wikipedia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 Wikipedia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Tolstoi1st.jpg
The 1st English edi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AuthorLeo Tolstoy
Original titleЦарство Божіе внутри васъ
CountryRussia (written)/Germany (first published)
LanguageRussian
SubjectChristian theologyphilosophyanarchism
Published1894
Media typeHardcover, Paperback
Pages335 pages (1927 edition, hardcover)
ISBN1603863826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pre-reform RussianЦарство Божіе внутри васъ; post-reform RussianЦарство Божие внутри васtr. Tsárstvo Bózhiye vnutrí vas) is a non-fiction book written by Leo Tolstoy. A philosophical treatise,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Germany in 1894 after being banned in his home country of Russia.[1] It is the culmination of thirty years of Tolstoy's thinking, and lays out a new organization for society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focusing on universal love.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is a key text for Tolstoyan proponents of nonviolence, of nonviolent resistance, and of the Christian anarchist movement.[2]

Background[edit]

The 1st edi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1894.
The title of the book originates from Luke 17:21. In the book Tolstoy speaks of the principle of nonviolent resistance when confronted by violence, as taught by Jesus Christ. When Christ says to turn the other cheek, Tolstoy asserts that Christ means to abolish violence, even the defensive kind, and to give up revenge. Tolstoy rejects the interpretation of Roman and medieval scholars who attempted to limit its scope.
“How can you kill people, when it is written in God’s commandment: ‘Thou shalt not murder’?”
Tolstoy took the viewpoint that all governments who waged war are an affront to Christian principles. As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as—at the time—an organization merged with the Russian state and fully supporting state's policy, Tolstoy sought to separate its teachings from what he believed to be the true gospel of Christ, specifically the Sermon on the Mount.
Tolstoy advocated nonviolence as a solution to nationalist woes and as a means for seeing the hypocrisy of the church. In reading Jesus' words in the Gospels, Tolstoy notes that the modern church is a heretical creation:
“Nowhere nor in anything, except in the assertion of the Church, can we find that God or Christ founded anything like what churchmen understand by the Church.”
Tolstoy presented excerpts from magazines and newspapers relating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and gave keen insight into the history of non-resistance from the very foundation of Christianity, as being professed by a minority of believers. In particular, he confronts those who seek to maintain status quo:
“That this social order with its pauperism, famines, prisons, gallows, armies, and wars is necessary to society; that still greater disaster would ensue if this organization were destroyed; all this is said only by those who profit by this organization, while those who suffer from it – and they are ten times as numerous – think and say quite the contrary.”
In 1894 Constance Garnett, who translated the work into English, wrote the following in her translator's preface:[3]
"One cannot of course anticipate that English people, slow as they are to be influenced by ideas, and instinctively distrustful of all that is logical, will take a leap in the dark and attempt to put Tolstoi's theory of life into practice. But one may at least be sure that his destructive criticism of the present social and political regime will become a powerful force in the work of disintegration and social reconstruction which is going on around us."

Reception[edit]

Tolstoy's relationship with Mohandas Gandhi[edit]

Mohandas K. Gandhi and other residents of Tolstoy Farm (a colony established as part of the Tolstoyan movement), South Africa, 1910
Mohandas Gandhi wrote in his autobiography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Part II, Chapter 15) that this book "overwhelmed" him and "left an abiding impression." Gandhi listed Tolstoy's book, as well as John Ruskin's Unto This Last and the poet Shrimad Rajchandra (Raychandbhai), as the three most important modern influences in his life.[4] Reading this book opened up the mind of the world-famous Tolstoy to Gandhi, who was still a young protester living in South Africa at the time.
In 1908 Tolstoy wrote, and Gandhi read, A Letter to a Hindu,[5] which outlines the notion that only by using love as a weapon through passive resistance could the native Indian people overthrow the colonial British Empire. This idea ultimately came to fruition through Gandhi's organization of nationwide nonviolent strikes and protests during the years 1918–1947. In 1909, Gandhi wrote to Tolstoy seeking advice and permission to republish A Letter to a Hindu in his native language, Gujarati. Tolstoy responded and the two continued a correspondence until Tolstoy's death a year later in 1910. The letters concern practical and theological applications of nonviolence, as well as Gandhi's wishes for Tolstoy's health. Tolstoy's last letter to Gandhi "was one of the last, if not the last, writings from his pen." [6][7]

With other nonviolent activists[edit]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also had a great effect upon James Bevel, a major 1960s strategist of the civil rights movement.[8][9] After reading the book while serving in the U.S. Navy, Bevel came to the conclusion that he would be unable to kill another person. He thereafter sought and was granted an honorable discharge, and entered a seminary for religious training.[10]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Donna Tussing Orwin (2002).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2000-2.
  2. ^ Christoyannopoulos, Alexandre (2010). Christian Anarchism: A Poli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Exeter: Imprint Academic. p. 19. [Tolstoy] wrote countless essays and books on the topic, but the most often cited one among anarchists is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3. ^ Tolstoy, graf Leo (1894).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Christianity Not as a Mystic Religion But as a New Theory of Life. Cassell Publishing Company.
  4. ^ Mohandas K. Gandhi (1929).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8-01.
  5. ^ Parel, Anthony J. (2002), "Gandhi and Tolstoy", in M. P. Mathai, M. S. John, Siby K. Joseph (eds.), Meditations on Gandhi : a Ravindra Varma festschrift, New Delhi: Concept, pp. 96–112, retrieved 2012-09-08
  6. ^ B. Srinivasa Murthy, ed. (1987). Mahatma Gandhi and Leo Tolstoy: LettersISBN 0-941910-03-2.
  7. ^ "'"Leo Tolstoy and Mahatma Gandhi: A Double Portrait in the Interior of the Age"- Russian documentary which captures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spiritual teachers of humanity'"Press Information Bureau. Retrieved 5 December 2016.
  8. ^ Randall L. Kryn, "James L. Bevel; The Strategist of the 1960s Civil Rights Movement", in David GarrowWe Shall Overcome, Volume II (1989), Carlson Publishing Company
  9. ^ Randy Kryn, "Movement Revision Research Summary Regarding James Bevel", October 2005, Middlebury College
  10. ^ The Children, 1999, David Halberstam

Further reading[edit]

  • Milivojevic, D. Leo Tolstoy and the Oriental Religious Heritag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