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0

(Essay) The Gift Economy by Genevieve Vaughan - Return to Mago E*Magazine



(Essay) The Gift Economy by Genevieve Vaughan - Return to Mago E*Magazine



AUGUST 22, 2016
(Essay) The Gift Economy by Genevieve Vaughan













Two basic economic paradigms coexist in the world today. They are logically contradictory, but also complementary. One is visible, the other invisible; one highly valued, the other undervalued. One is connected with men; the other with women. What we need to do is validate the one connected with women, causing a basic shift in the values by which we direct our lives and policies.



I first approached the idea of giving as a basic economic and life principle when I was doing work 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Later, as a feminist, I realized that in my free homemaking and child-rearing work, I was doing gift labor-as were women worldwide.

The present economic system, which is made to seem natural and too widespread to change, is based upon a simple operation in which individuals participate at many different levels and at many different times. This operation is exchange, which can be described as giving in order to receive. The motivation is self-oriented since what is given returns under a different form to the giver to satisfy her or his need. The satisfaction of the need of the other person is a means to thc satisfaction of one’s own need. Exchange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things exchanged, as well as their measurement and an assertion of their equivalence to the satisfaction of the exchangers that neither is giving more than she or he is receiving. It therefore requires visibility, attracting attention even though it is done so often that the visibility is commonplace. Money enters the exchange, taking the place of products reflecting their quantitative evaluation.

This seemingly simple human interaction of exchange, since it is done so often, becomes a sort of archetype or magnet for other human interactions, making itself-and whatever looks like it-seem normal, while anything else is crazy. For example, we talk about exchanges of love, conversations, glances, favors, ideas.

There is also a different type of similarity of exchange to linguistic definition. The definition mediates whether or not a concept belongs to a certain category, just as monetarization of activity mediates it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work or not. The very visibility of exchange is self-confirming, while other kinds of interaction are rendered invisible or inferior by contrast or negative description. What is invisible seems to be valueless, while what is visible is identified with exchange, which is concerned with a certain kind of quantitative value. Besides, since there is an equivalence asserted between what we give and what we receive, it seems that whoever has a lot has produced a lot or given a lot, and is, therefore, some – how more than whoever has less. Exchange puts the ego first and allows it to grow and develop in ways that emphasize me-first competitive and hierarchical behavior patterns. This ego is not an intrinsic part of the human being, but is a social product coming from the kinds of human interaction it is involved in.

The alternative paradigm, which is hidden – or at least misidentified – is nurturing and generally other-oriented. It continues to exist because it has a basis in the nature of infants; they are dependent and incapable of giving back to the giver. If their needs are not satisfied unilaterally by the giver, they will suffer and die. Society has allocated the caretaking role to women since we bear the children and have the milk to nourish them.

Since a large percentage of women nurture babies, we are directed toward having an experience outside exchange. This requires orientation toward interest in the other. The rewards and punishments involved have to do with the well-being of the other. Our satisfaction comes from her or his growth or happiness, not just from our own. In the best case, this does not require the impoverishment or depletion of ourselves either. Where there is enough, we can abundantly nurture others. The problem is that scarcity is usually thc case, artificially created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so that other-orientation becomes difficult and self-depleting. In fact, exchange requires scarcity because, if needs are abundantly satisfied, no one is constrained to give up anything in order to receive what they need.

It is said that the earth produces enough at the present time to feed everyone abundantly. However, this cannot be done on the basis of the exchange paradigm. Nor can the exchange paradigm or the kind of dominant ego it fosters continue in a situation of abundance and free giving. That is why scarcity has been created on a worldwide scale by armaments spending and other wastes of resources: $17 billion would feed everyone on earth for a year and we spend it every week on the military, thus creating the scarcity necessary for the exchange paradigm to survive and continue to validate itself.

If we identify the gift paradigm with women’s way, we see that it is already widespread, since women arc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Many men practice it to some extent also. Noncapitalistic economies such as native economies, often have major gift-giving practices and various important kinds of women’s leadership.

I believe, for example, that many of the conflicts between women and men that seem like personal differences are really differences in the paradigm we are using as the basis for our behavior. Women criticize men’s big egos and men criticize women as being unrealistic, soft touch. bleeding hearts. Each tries to convince the other to follow his or her values. Recently, many women have begun to follow the exchange paradigm, which has the immediate advantage of liberating them from grim economic servitude – and the psychological advantage that monetarization defines their activity as valuable. But the servitude itself is caused by the exchange paradigm.

As people change from one paradigm to the other, there is probably some holdover of the previous paradigm, so that women who take on exchange often remain nurturing while men who take on giving remain more ego-oriented. I see this in the case of religions, in which men legislate other-orientation, often according to exchange, excluding and disqualifying women. Indeed, they make altruism seem so saintly that it is impractical for the many (while ignoring that it is often the norm for women). This is like the madonna-whore syndrome, where the woman is either over- or undervalued, worshiped or despised. Altruism is made to seem above our reach, often with a self-sacrificing side (because of the scarcity – exchange economy), or seen as wasteful, spendthrift; charity is given by patriarchal religions in exchange for the soul.

The gift giving done by the big exchange ego does not work, as we have seen on the scale of aid between nations. There are strings attached by the donor country, which pauperize the recipients. Another aspect of the conflicts of paradigms is that housework or other unmonetarized women’s labor is seen as inferior, or nonwork; valuing it is subversive to the exchange paradigm. Perhaps women’s labor is paid less than men’s to maintain it in a disempowered gift stance. What we need to do is not to pay women’s labor more, but to change the values altogether, eventually disqualifying monetarization and exchange.

How can a noncompetitive, nurturing paradigm compete with a competitive one? It is always at a disadvantage because competition is not its motivation or its value. Yet it is difficult to not compete without losing, thereby validating the other’s stance. Another major problem is that if satisfying a need is free, one should not require recognition for it. But by not requiring recognition, women have themselves remained unconscious of the paradigm character of their actions and values.

Yet clearly the ego-oriented paradigm is pernicious. It results in the empowerment of the few and the disempowerment, depletion. death, and invisibility of the many Since the ego is a social product, artificial in some ways, it needs to be continually re-created and confirmed. This can also be done by violence against the other, including sexual violence Anyone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is ignored, denied, excluded, degraded to confirm the superiority and identity of the dominant egos. I would like to avoid any moral discourse on this point (in fact, I see guilt as internalized exchange, preparing to pay back for the wrong one has done) and simply see the problems as log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paradigms. Vengeance and justice require a balance of accounts. But we need kindness and nurturing, When we find that 85 percent of people in prison have been abused as children, we must realize justice is not the issue. Like charity, justice humanizes the exchange just enough to keep it from changing. We need a world based on giving and for giving, not retribution.

At this point, it seems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transitional structures by which giving can be validated. Such strategies as cause-related marketing, where profits are given to social change projects to satisfy needs, use exchange for giving. The social change funding movement also empowers giving especially when it comes from an abundance rather than a scarcity model. But so do all the people in the peace, feminist, healing, and therapy movements who devote their time and energy to satisfying human and social needs. We are doing the right thing, but we don’t know why. Sometimes, we even disparage other-orientation while we arc practicing it, because the exchange model is so pervasive and strong. We need to give our money, time, and attention to the change in values, and both new and traditional economic alternatives not dependent on exchange and the market. Women need to realize that our values and energies are important outside the family as well as inside. Social problems are themselves needs that we must satisfy. Our other-orientation must become the norm.

Then the ancient dream that the powerful will lay down their arms and the rich their goods might come true, led by women of the world. We can, for example, move within the “first world” to forgive-the “third world” debt. I call your attention to the word for-give.

[Editor’s Note: This article first appeared in Ms. Magazine, May/June 1991.]

“우리는 우선 미국을 극복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선 미국을 극복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선 미국을 극복해야 합니다”

함세웅 신부 “문재인 대통령의 사드 배치가 아쉬워…어떤 동맹도 민족보다 나을 수 없다”

2017년 09월 09일(토)
함세웅 신부 media@mediatoday.co.kr

지난 7일 정부는 경상북도 성주군 주한미군 기지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잔여 발사대 4기를 배치 완료했다. 지난 7월29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대응해 사드 추가 배치를 지시한지 40일만이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북한의 ICBM도발과 6차 핵실험 등으로 상황이 바뀌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또 다른 일각에서는 사드가 대한민국 영토 방어에 효용이 없는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며 사드 배치의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했던 문재인 대통령이 배치를 강행한 것은 문제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함세웅 신부가 자신의 의견을 담은 글을 미디어오늘에 보내왔다. 이 글은 ‘사제들을 위한 강론 길잡이 115권, <선포와 봉사> 서론’에 담긴 글이다.<편집자 주>
민족의 얼과 생기를 되새겨야
저는 7월23일-8월4일까지,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 시베리아 횡단 6,500km 철도 순례에 함께 했습니다. 바이칼 호수 산정에서는 남북의 화해와 일치, 세계 평화를 위한 공동체 기도를 올리고 카자흐스탄 알마티 대학에서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 학술 모임으로 일정을 마무리 했습니다.
두 주간의 순례는 평화와 기억, 다짐과 활력, 단절과 비약을 체험하고 재현한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러시아 문학 작품에서 읽고 상상했던 자작나무 숲 벌판을 가로 지르며 쉴 틈 없이 달리고 또 달리는 기차 속에서 80년 전 고려인들이 끌려갔던 고난의 여정을 떠올리며 많은 것을 생각했습니다. 아니, 그보다 훨씬 전인 3500여 년 전, 히브리 인들이 이집트의 노역과 그 억압을 뚫고 나온 모세의 해방 여정도 되새기고 또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 그리고 빼앗긴 나라를 찾기 위해 이역만 리 이곳 시베리아 벌판에서 오로지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항일선열들을 생각했습니다.
아침에는 햇반을, 점심에는 식당 칸에서 러시아 음식을, 저녁은 라면 등을 먹으면서 한 기차 칸에서 4명이 함께 한 과정도 옛 신학교 생활의 조별을 떠올리며 우리 모두를 동심의 세계로 이끌었습니다. 힘들고 불편했지만 죽음의 행진을 거쳐간 고려인 선조들을 생각하면 우리의 여행은 보장 받은 아주 화려한 여정이었습니다. 여러 역을 거치면서 우리는 각자의 삶과 과정 그리고 민족의 고비고비를 생각하며 산상에 오르는 구도자의 발길과 숨결을 재현했습니다.
▲ 함세웅 신부. 사진=미디어오늘 자료사진
▲ 함세웅 신부. 사진=미디어오늘 자료사진
리즈돌 노예역에서 우리는 순례의 첫 발길을 멈추었습니다. 1937년 9월9일, 고려인들의 첫 강제이주자 수백여 명을 화물칸에 싣고 떠난 역, 이 역을 우리는 ‘통곡의 역’이라 부릅니다. ‘통곡의 역’에서 우리는 고려인 선조들, 항일 순국선열들을 마음에 모시고 묵념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갈라진 민족의 일치와 화해를 위해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통일을 이루자! 통일을 이루자!’를 간절한 마음으로 함께 부르며 하느님께 기도 드렸습니다.
고려인들의 고난의 과정에서 새삼 뜨거운 ‘민족애’를 확인하며 연해주의 높은 하늘을 응시했습니다. 1862년 함경도 지방의 첫 12가족이 찾아와 일군 개척의 땅 연해주, 이곳이 바로 남북의 일치와 화해를 위한 이정표이며 길잡이 임도 확인했습니다.
첫날 저녁 블라디보스톡 고려인 문화센터에서 우리는 고려인들의 아리랑 노래와 부채춤 등 선조들의 귀중한 삶과 문화를 대면하며 민족 공동체를 새롭게 확인했습니다. 최재형, 이상설, 안중근 등 애국지사, 독립선열들의 발자취를 따라 그리고 대한민국 첫 임시 정부가 태동한 ‘한인촌’을 둘러보면서 선열들의 130여 년 전의 뜨거운 숨결을 확인했습니다.
이튿날 저녁 우리 일행은 기차역으로 향했습니다. 갑자기 소나기가 퍼부었습니다. 험난한 옛 여정을 상징적으로 알려주는 하늘의 징표였습니다. 이 첫 여정이 바로 고려인들의 고난의 길, 그 재현이고, 독립선조들의 발길이었습니다. 우리는 하바롭스크, 치하 등을 거쳐 3일 후에 이르쿠츠크에 도착했습니다. 시베리아의 빠리라는 별칭을 지닌 이 도시가 바로 러시아 저항적 지성인들이 유배당했던 곳, 그리고 1921년에 우리 선조들이 고려 공산당을 창설한 현장입니다. 선열들의 숨결을 되새기고 조국독립을 위해 함께 싸웠던 우리 선조들이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등으로 나뉘어, 공산당 주도권 다툼으로 2000여 명의 무장 독립군들이 서로 싸워 목숨을 잃은 슬픈 사건, ‘자유시 참변’ 얘기는 우리 모두의 가슴을 무섭게 찢었습니다. 결국 소련 공산군이 개입해 상해파와 우르쿠츠크파 모두를 전멸시켜 끝냈다는 이 사건으로 항일독립 무장 부대의 시대가 마감되었다는 가슴 아픈 얘기입니다.
주도권 다툼으로 결국 함께 죽어간 무장 독립군들, 참으로 안타까운 사건에서 저는 탐욕이 바로 분열의 뿌리임을 새삼 깊이 생각했습니다. 주도권이 도대체 무엇이기에, 그 주도권 때문에 항일 독립 투쟁의 큰 가치를 놓쳤을까 하는 생각으로 온 몸이 저려왔습니다. 남북 분단의 현실도 한가지입니다. 동족임에도 불구하고 이념적 갈등으로 서로 헐뜯고 죽이는 이 분단의 현실이 바로 100여 년 전 항일 독립군들이 서로 죽이고 갈라져 결국 소련 공산군에게 전멸 당했다는 과거의 사건의 재현임을 생각하고 더욱 부끄럽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바로 오늘 우리 남북이 제 정신을 찾지 못할 때, 미국이 또는 중국이 제 3국이 무력으로 남북 공동체 모두를 전멸시킬 수 있다는 역사적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바이칼 호수 산상에 올라 남북의 일치와 화해, 세계 평화를 위한 기도제를 올리고 샤머니즘의 본산지인 이곳에서 조상들의 옛 문화, 우리의 뿌리를 확인했습니다.
노보시비르스크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레닌 동상 앞에서 우리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의 과정과 진전 사항을 생각했습니다. 그 후 우리는 버스로 고려인들의 첫 도착지인 카자흐스탄, 우슈토베에 도착해 추모제를 가졌습니다. 두어 시간의 추모제에서 우리는 조상들을 기억하며 특히 80여 년 전의 고려인들을 기리며 민족의 역사를 마음에 품고, 하늘의 천사들과 함께 하느님을 칭송하며 은총의 시간을 확인했습니다.
민족사적 진한 체험과 교훈 그리고 꿈을 안고 고향에 돌아오니 온통 슬프고 안타까운 소식만이 그득해, 시베리아 순례 체험에서 축적한 생기로, 다시 투쟁의 여정을 설정해야 할 때임을 깨닫고 있습니다.
2000년 남북 공동선언을 기초로 화해와 대화를 우선해야
북이 수소폭탄 실험을 했습니다. 그 위력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3-4배가 된다고 합니다. 온통 방송과 신문은 북의 핵 실험 소식으로 ‘그득’차고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 청와대 관계자들은 연일 모임과 강한 발언을 쏟아내고 트럼프 아베 등은 북을 규탄하고 있고 중국도 발끈하고 있습니다. 북의 계속된 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에 온 나라가 아니, 온 세계가 떠들썩합니다.
▲ 지난 4월15일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노동신문
▲ 지난 4월15일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노동신문
일제의 침략과 억압을 거치고, 6.25의 비극을 겪고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이명박, 박근혜 등 역대 수구 독재자 정치인들의 탄압과 거짓 음모에 맞서 싸워온 우리에게는 글쎄, 내공이랄까 타성이랄까, 눈앞에 폭탄이 떨어져야만 전쟁이 터졌구나 하고 생각할 정도의 여유와 힘이 있습니다. 방송과 신문, 정치인과 시민, 전문가 등 우리는 모두 할 것 없이 나름대로 일가견은 갖고 있지만 어쨌든 속수무책이라 답답한 상황에서 의지적으로 덤덤한 자세를 지니고 있습니다.
글쎄, 주일미사에 오는 착한 교우들에게 사제들은 성경말씀을 어떻게 풀이하여 무슨 강론을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합니다. 바로 지금 예수님께서 무슨 말씀을 하실지 진지하게 여쭙고 그 답을 얻어 기도하며 교우들에게 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청천벽력과 같은 하느님의 말씀을 전해야 합니다. 더욱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합니다.
새삼 칼 바르트의 가르침을 떠올립니다. 설교란 바로 성경과 신문을 번갈아 읽으며 그 안에서 세상의 문제점을 포착해 하느님의 말씀으로 녹여 해석하고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미사 때마다 우리는 평화를 염원하고 평화의 인사를 주고받습니다. 평화! 그렇습니다. 평화를 확신하고 평화를 신념으로 평화를 복음으로 크게 아주 크게 외쳐야 합니다. 이사야 예언자와 같이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어라”(2,4) 는 말씀을 더 크게 외쳐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경우에 우리 사제들도 무덤덤하기만 합니다. 평화를 크게 외치지도 않고 평화에 대한 확신도 의지도 뚜렷하지 못합니다. 재의 수요일, 요엘 예언서의 말씀대로 바로 오늘 우리는 민족의 일치와 화해를 위해 ‘심장’을 찢어야 합니다. 회개의 기도를 올려야 합니다.
9월6일 경향신문 30쪽에서 이대근 논설 주간은 “여섯 번째의 실패로 충분하다”는 칼럼에서 북이 여러 차례 핵 실험하는 동안 미국과 한국이 무엇을 했는가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실 우리 남한은 미국 식민지 처지와도 같다는 것입니다. 이대근 논설주간은 남북 관계의 근원적 개선을 위해 남북 양자회담과 함께 6자회담을 재개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여러 차례 대화 제안에도 불구하고 북이 외면하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언행이 바로 북보다는 늘 미국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지난 6월24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사드 철회 평화행동’ 집회에 성주 주민들이 사드 철회 촉구를 외치고 있다. ⓒ 연합뉴스
▲ 지난 6월24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사드 철회 평화행동’ 집회에 성주 주민들이 사드 철회 촉구를 외치고 있다. ⓒ 연합뉴스
그러나 우리는 우선 미국을 극복해야 합니다. 그리고 북과 미국이 대화하도록 우리가 나서서 도와줘야 합니다. 어느 분이 신문 칼럼에서 북 핵은 결코 북이 포기할 수 없는 심장과 같다고 표현했습니다. 심장을 떼어버리면 죽는데 어떻게 그 심장을 떼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냉철하게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인정하자고 했습니다. 저는 그 분의 제안에 정치인들과 우리 모두가 진지하게 동의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아쉬운 점은, 국방부 관계자들이 사드 배치에 대해 대통령에게 보고도 누락한 채 거짓 보고를 했으니, 무엇보다도 먼저 이것을 조사하고 철저히 그 과정을 밝혀내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 거짓 과정은 오간대가 없고 북이 미사일을 발사하고 핵실험을 했다고 해서 비록 임시라는 단서를 붙이기는 했지만 사드 4기를 추가 배치하기로 한 것은 도덕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큰 모순입니다. 아무리 급해도 바늘허리를 실로 묶어서는 안됩니다. 급할수록 천천히 돌아가는 결단의 지혜를 지녀야 합니다. 미국은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 를 진지하게 되물어야 합니다. 이 점에 있어서 문재인 대통령은 스스로를 속이고 역사와 민족을 결과적으로 배신했습니다. 가슴 아픈 일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늘 초심을 되새겨야!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의 국회에서의 취임사를 되새깁니다.
“거듭 말씀드립니다. 문재인과 더불어민주당 정부에서 기회는 평등할 것입니다. 과정은 공정할 것입니다.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소박한, 그러나 눈물을 자아낸 감동적 선언이었습니다. 그에 앞서 그는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을 방문했습니다. 그 초심과 그 감동을 문재인 대통령이 5년 내내 재현했으면 좋겠습니다. 그 취임사 전문을 다시 읽고 묵상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사제로서 첫 마음을 간직하고 첫 미사 때 감동을 늘 되돌아보며 기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여론은 초반 87%에서 성주의 사드를 배치 한 이후 9월8일 현재 69%로 떨어졌습니다. 69% 지지도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이니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저도 문재인 대통령이 생각보다 훨씬 잘해 마음이 흐뭇합니다. 그런데 사드배치를 지켜보는 지금은 불안할 뿐 아니라, “이것은 아닌데!” 라는 근원적 회의와 함께 깊은 좌절에 빠져있습니다. 이에 더 기도하고 혹시 누가 문 대통령에 대해 지적을 해도 열심히 변명하고 또 함께 걱정하면서 고민하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시베리아 철도 순례 중에 7월말 북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그 뒤에 문재인 대통령이 당황했었는지 또는 북에 대해 실망했었는지 어쨌든 그는 임시라는 단어를 붙이며 사드를 전면적으로 배치하겠다고 선언했고 9월 6일에는 기습적으로 사드 6대를 모두 다 배치했습니다. 큰일입니다. 사드배치 과정에서 국방부와 청와대의 관계자들이 대통령을 속이면서 제대로 보고조차 하지 않았던 사안을 끝까지 조사하고 나서 응분의 조치를 취한 뒤에 결정했어야 할 일을 북이 미사일을 발사하고 핵실험을 했다고 해서 느닷없이 북에 제안한 대화를 취소한 꼴이 되었으니 더욱 걱정이고 중국과의 관계도 더 꼬이고 있으니 참으로 큰일입니다.
특히 블라디보스톡에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을 만나 나눈 대화는 더욱 씁쓸합니다. 동족인 북을 끝까지 껴안아야 하는데 북에 대해 원유공급을 하지 말라는 요청을 했으니 형제로서 얼마나 부끄러운 일입니까? 저는 이에 근원적인 물음을 제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 미국 등 큰 나라들만 핵을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가? 왜 북은 자신의 방위를 위해 핵을 가질 수는 없는가? 또 유엔에서도 모든 나라들이 평등해야 되는데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등 5개국이 상임이사국으로 특권을 가지고 있는가? 이것은 민주주의, 평등의 원리에 어긋납니다. 이렇게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며 자주와 평등을 지향하는 아름다운 민주공동체를 이룩했으면 하는 꿈을 꿉니다.
이에 고승우 민언련 이사장은 사드배치논란의 핵심이 바로 1953년 10월에 남북 전쟁의 상흔을 안고 있던 바로 그 시절, 당시 미국 중심으로 체결한 “한미 상호 방위 조약”에 있음을 지적하며 그 4조를 문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사드에 대한 고승우 민언련 이사장의 핵심적 주장
지구촌이 주시하는 사드 배치가 추진된 근거는 한미상호방위조약 4조입니다. 이 조항에 따라 미국은 한반도 방위에 필요할 경우 자국 무기나 병력을 한국에 배치할 ‘권리’를 수용하고 한국은 양허하게 되어 있습니다. 군사적으로 수십 년 묵은 대미 종속은 1953년 10월 체결된 이 조약의 4조에 따른 것입니다.
이 조약에 따르면 한국은 군사적으로 미국과 동등한 주권국가가 아닙니다. 미국은 슈퍼 갑이고 한국은 반대가 거의 불가능한 을에 불과합니다. 심각한 군사적 종속관계입니다. 한미상호방위조약 제 4 조는 “상호적 합의에 의하여 미국의 육군해군과 공군을 대한민국의 영토내와 그 부근에 배치하는 권리를 대한민국은 이를 허여하고 미합중국은 이를 수락합니다.(영문 The Republic of Korea grants,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ccepts, the right to dispose United States land, air and sea forces in and abou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s determined by mutual agreement.)”로 되어 있습니다.
제 4조의 영문 표기를 보면 그 실체가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미군의 한반도 방위에 필요한 군사력을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미국의 권리(right)로 규정하면서 미국은 이 권리를 수용(accept)하고 한국은 수락(grant)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accept와 grant 단어는 대가없이 받거나 주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외교적 단어에 의해 한국의 군사주권에 대해 미국이 사전에 협의하나거나 동의를 구하는 여지가 전혀 없는 것입니다.
복잡할수록 원칙이 최선입니다. 이제라도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문제점을 공론화 시켜 사드는 물론 한미군사 불평등관계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그것이 국방을 포함한 전반적인 자주를 회복하는 길입니다.
그렇습니다. 이제 우리는 미국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해, 우방이니, 혈맹이니 하는 시대착오적 기계적 표현을 넘어서야 합니다. 1993년 2월 김영삼 대통령이 대통령 취임사에서 “어느 동맹국도 민족보다 더 나을 수는 없습니다”라는 선언을 우리는 모두 가슴 깊이 되새기고 남북 8천만이 온 세계를 향해 크게 외쳐야합니다.
2017년 9월 8일
성모님 성탄 축일에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가족들과 함께 함세웅


21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csharpminor 2017-09-10 08:31:50

우리는 우선 미국을 극복해야햘게아니라 ..우리자신부터 극복해야됨니다 .. 매일 북괴의 협박속에 사사오분열되어 갈피을 못잡고 갈자로 국정운영 .반복되는 시위 .세계경기호황속에 한국만 oecd평균미달. .. 그어떤 부모가 열강속에 북괴의 농간에 비굴한자세로 자식을키우고 양육하고싶습니까 ..이런나라에서 자식을 키우고 싶은사람은 누구입니까? . 열강애 비굴한 부모가되어 자식도 그리 살라고 강요하고 싶습니까 ? 핵만이 자신의 자식에게 당당하게 사는게 무엇인지. 보여주는것입니다

211.***.***.220

답글00
===
싫은데요 2017-09-10 06:42:53

북 김정은과 그들의 하수인이 살아있는한 북은 적입니다.

김정은한테 머리 조아리며 살바에 미국의 변방이 되더라도 김씨일가와 노동당을 개박살 낼것입니다.지금 한 민족이란 말은 김씨일가와 노동당과 북한군이 무장해제한다면 가능한 이야기로 받아들이겠습니다!!!

110.***.***.191

답글01
===
청출어람 2017-09-10 05:09:04

일본사람은 일본사람 답다. 중국사람도 중국사람 답다. 한국사람만 한국사람 답지 못하고 미국 사람이 못되서 발버둥 치는 것 같다.

116.***.***.76

답글03
====
한마디 2017-09-10 02:05:45

그렇게 한 민족이고, 자랑스러우면 본인이 북한에 가야되는 것 아닌가? 남한에는 성당이 많으니까, 신부가 부족한 북한에 가서 설교하면 되자나. 김정은 집단 아래에서 고통으로 신음하며, 목숨을 걸고 예배하고 기도하는 북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김정은 정권 체제를 포용해달라는 함세웅이라는 자는 신부의 가면을 쓴 박해자일 것이다. 북한의 실상을 잘 알텐데, 저따위 얘기를 하는 것 보면, 종교로 포장한 간첩(세작)일 가능성이 높다.

73.***.***.160

답글33

=======
지나가다 2017-09-10 01:56:57

미디어오늘은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 신문, 노보 같은건데 이런걸 네이버에 실어줄 필요가 있나? 김정은 집단을 민족으로 포용? 역사를 북한에서 배웠나? 6.25 때 민간인들을 토끼 죽이듯이 재미로 총으로 쏴서 죽인게 인민군이야. 지금도 북한은 사람 죽이는데, 법이나 절차가 필요없어. 김정은이가 기분 나쁘면 시신도 회수 못할 정도로 고사총 이나 화염방사기로 죽이는 곳이야. 미디어오늘은 북한에서 사업하고, 이 나라를 떠나라. 자유민주주의 그늘 아래 기생하는 독버섯이야.

73.***.***.160

답글42

===
다니엘99 2017-09-10 01:14:12

미국을 극복해야만 한다. 미국을 극복해야만 한다. 미국을 극복해야만 한다.....

북한에 대한 군사적 옵션을 들먹이면서, 실질적으론 한국을 위협하고있는 것이 미국 아닌가?

부분적인 군사 작전이라도 한반도에서 일어난다면, 가까스로 이어가는 국내경제는 큰 충격을 받을게 뻔한데, 게다가 미친개 처럼 시종일관 문재인 정부의 안보정책을 문제삼고 친미를 넘어 숭미를 읊조리는 수구세력의 공세를 무시하고 미국에게 사드를 반대하라고?

전적이다시피 미국의 무기체계에 의존하고있는 대한민국이 이 딜레마를 어떻게 풀어 나갈 것인가?

그 어떤 혈맹도 민족보다 앞설 수는 없다.

122.***.***.14

답글13

===
123ㅁㅁㅂ 2017-09-10 00:15:50

ㅎㅎㅎ 날이 더우니 별 희한 한 .........횡설수설. 북한공산당은... 적화통일되면 남한내 지식인 특히 브로조아성 종북/친북좌파들 부터 처단할 걸........너무 북한공산당에 아부하는 것 같아서....

182.***.***.105

답글23
===
강남 좌파 2017-09-09 23:02:16

죄송하지만 동의할수없습니다. 북한의 핵위협은 한국과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에 큰 위협인데 그건 눈감고 북한을 동조하는듯한 신부님의 글은 그 저의가 의심스럽네요. 이런 글때문에 극우 적폐들이 동력을 얻고 분별력 떨어지는 노년층을 현혹시켜 어버이 연합같은 조직을 양산하게 한건 아닌지...

222.***.***.252

답글44
===

그림자 2017-09-09 22:49:54

어이없습니다!!~ 김정은이의 폐륜적 행동과 인민들착취 고문 .총살등의 인권 유린 행위를 매체를 통해 접해 보면서도 이런 말을 한다는게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 아무리 종교인 이라 하지만 그 선량한

형제 자매들이 한 인간으로 인해 삶 자체가 파괴되고 피폐해 지는데 그런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하십니까? 이 나라 이 땅에서 숨쉬고 살면서 또 자유를 누리면서 이런 말 함부로 하시면 죄 짓는 겁니다!! 정신 차려요!!~

124.***.***.144

답글75
===
살인마 김정은 2017-09-09 20:56:33

함세웅신부님 정신차리세요. 북한에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죽어가서 씨가 말랐어요. 무엇을 의미합니까? 사람가치를 우습게 보는 조폭과 같은 김정은에게 동포라니요? 조폭새끼들이 동족인가요? 신부님은 미국때문에 겨우 신앙유지하고 있는 거에요. 북한이 적화통일하면 신부님은 맨 먼저 죽어요, 그리고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죽을 겁니다. 자기 형이며, 고모부며 닥치는데로 죽이는 김정은이가 그렇게 좋은가요? 당신이 이야기하는 남의 나라 러시아나 왔다가지 말고 북한동포니 북한으로 가시면 어떨지요? 그리고 미디어 오늘도 북한으로 가시면 어떨지요?
=====



원문보기: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8844#csidx0de397e97a7e7aebbcae122869fc08d 

The Human(ism) Side of Spirituality | Jim Palmer Author



The Human(ism) Side of Spirituality | Jim Palmer Author

The Human(ism) Side of Spirituality

September 7, 2017





I recently gave a presentation to a group on the subject of humanism and spirituality. The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describes Humanism as, "... a progressive philosophy of life that, without Theism and other supernatural beliefs, affirms our ability and responsibility to lead ethical lives of personal fulfillment that aspire to the greater good of humanity." Whereas Atheism is a conclusion with respect to disbelief in the existence of God, Humanism promotes a non-religious/supernatural way of life that is ethical and altruistic.



There tends to be an ambivalent and suspicious feeling in the non-religious community about the word "spiritual." This is the matter I took up in my presentation and discussion. What follows are the notes and points I made with respect to this topic. The title I gave it was, Can Humanism be "spiritual"?



What is spirituality?



A reasonable place to begin is to define spirituality. A basic dictionary definition states, “Spirituality is the quality of being concerned with the human spirit or soul as opposed to material or physical things.” I would call your attention to that part of the definition that contrasts "spirit/soul" with "material/physical." Spirituality is a realm or area of inquiry that is non-material.



Spirituality is a broad concept with room for many perspectives. In general, it includes a sense of connection to something bigger than ourselves, and it typically involves a search for meaning in life. As such, it is a universal human experience—something that touches us all. People may describe a spiritual experience as sacred or transcendent or simply a deep sense of aliveness and interconnectedness.



There's an assignment in my Life After Religion Course called: Determining what “spirituality” means to you. The exercise involves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as way of cultivating a personally meaningful, authentic, non-religious spirituality. Notice that none of the questions speak of "God," "supernatural," "religion," or "faith."



What makes you come alive?
What satisfies you most deeply?
What fills you up?
What brings you joy?
What centers you?

What need in the world moves you to action?

What hardship and suffering in the world weighs heavy on your heart?

What injustice in the world makes you angry?

What is a source of delight and pleasure for you?

What areas, fields, or subjects are you interested in exploring?
What makes you feel connected to yourself?
What forms of self-expression are the most gratifying?
What would your sense of adventure tell you to do?
What way of being in the world resonates most deeply with your heart?
Where does your sense of curiosity take you?
How are you most compelled to aid the liberation of others?
Where in life are you inspired to be a tangible expression of love, acceptance, and compassion?
What nurtures a greater love for yourself and others?



In the non-religious community there are different ways people relate to the word and concept of spirituality. Atheist neuroscientist Sam Harris describes spirituality as, “…. inhabiting the far end of the positive side of the continuum of human psychology and human well-being… radical insight into the nature of consciousness by virtue of a disciplined practice like meditation.” Harris also mentions words such as awe, well-being, love and happiness as experiences that do not require the framework of religion, belief in God or the supernatural. He states there is no sufficiently adequate word or term to replace the term “spiritual” or “spirituality,” and instead calls for a reclaiming and redefining of these words. (However, the words Yugen and Satori are sometimes mentioned is such conversations.) Sam Harris sees the mystery of consciousness as one of the primary scientific and spiritual areas of inquiry in the non-religious community. Sam Harris shares these thoughts in this video.



There are many voices in the non-religious community who speak of spirituality.



In an article about spirituality in Psychology Today, David Elkins, author of the book: Beyond Religion: A Personal Program for Building a Spiritual Life Outside the Walls of Traditional Religion, remarks that “… the word spirituality derives from the Latin root spiritus, which means ‘breath’—referring to the breath of life.” To Elkins, spirituality involves “opening our hearts and cultivating our capacity to experience awe, reverence, and gratitude. It is the ability to see the sacred in the ordinary, to feel the poignancy of life, to know the passion of existence and to give ourselves over to that which is greater than ourselves.”



Robert C. Fuller in Spiritual But Not Religious writes, “Spirituality exists wherever we struggle with the issues of how our lives fit into the greater scheme of things. . . . We encounter spiritual issues every time we wonder where the universe comes from, why we are here, or what happens when we die. We also become spiritual when we become moved by values such as beauty, love, or creativity that seem to reveal a meaning or power beyond our visible world. An idea or practice is ‘spiritual’ when it reveals our personal desire to establish a felt-relationship with the deepest meanings or powers governing life.”



The planetary scientist, Carolyn Porco, writes, “At the heart of every scientific inquiry is a deep spiritual quest to grasp, to know, to feel connect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ecrets of the natural world, to have a sense of one’s part in the greater whole. It is this inchoate desire for connection to something greater and immortal, the need for elucidation of the meaning of the ‘self,’ that motivates the religious to belief in a higher ‘intelligence.’ But the same spiritual fulfillment and connection can be found in the revelations of science. I consider myself . . . a spiritual person. . . . meaning that I’m someone who seeks the extraordinary in the ordinary; someone who wants to know the underlying meaning of everything; someone who looks around them at everyday life and asks, “Is there a purpose to this? Where is this leading? What lies beyond? And how do I fit into this whole picture?”



Unitarian Universalist minister and author Doug Muder, in a piece called, “A Humanistic Perspective on Spirituality,” poses the question: “What if we had an authentically Humanist spiritual vocabulary that didn’t have to be borrowed or transplanted or reinterpreted?” going on to claim that “the people who invented Humanism already had an advanced spiritual practice . . . consistent with their Humanism.” Examining each of the four Greek schools of the Hellenistic era—the Cynics, Epicureans, Skeptics, and Stoics, Muder concludes that they “represent the birthplace of modern western humanism.” Muder sees the ideas of the Stoics particularly as best embodying “the full Humanist complex of ideas.” For example, they were against slavery, believed in the education of women, and envisioned a world community without war.



Because the word "spirituality" is often associated with religion, supernatural or metaphysics, there is the distinction of secular spirituality. Secular spirituality is the adherence to a spiritual philosophy without adherence to a religion. Secular spirituality emphasizes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a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Secular spirituality is made up of the search for meaning outside of a religious institution; it considers one's relationship with the self, others, nature, and whatever else one considers to be the ultimate. Often, the goal of secular spirituality is living happily and/or helping others.



Science and spirituality



In the non-religious community a link has also been made between science and spirituality.



Particle physicist Jeff Forshaw writes, “I am struck by the astonishing beauty of the central equations in physics, which seem to reveal something remarkable about our universe… the natural world operates according to some beautiful rules… We are discovering something at the heart of things… It feels like a personal thing – like we are relating to something very special."



And of course there are the well-known words of Carl Sagan, “Science is not only compatible with spirituality; it is a profound source of spirituality. When we recognize our place in an immensity of light years and in the passage of ages, when we grasp the intricacy, beauty and subtlety of life, then that soaring feeling, that sense of elation and humility combined, is surely spiritual. So are our emotions in the presence of great art or music or literature, or of acts of exemplary selfless courage such as those of Mohandas Gandhi or Martin Luther King Jr. The notion that science and spirituality are somehow mutually exclusive does a disservice to both.”



As mentioned previously spirituality belongs to the realm of the non-material, which is increasingly becoming a matter of scientific interest. Dr. Gary Schwartz, professor of psychology, medicine, neurology, psychiatry and surgery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writes:



“Non-material science began to emerge at the turn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physicists star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and the structure of matter. When they did this, the belief that a physical, Newtonian material universe was at the very heart of scientific knowledge was abandoned, and the realization that matter is nothing but an illusion replaced it. The very make-up of an atom is comprised of what we believe to be empty space. At this point, scientists began to recognize that everything in the universe is made out of energy, and this has been know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Some materialistically inclined scientists and philosophers refuse to acknowledge these phenomena because they are not consistent with their exclusive conception of the world. Rejection of post-materialist investigation of nature or refusal to publish strong science findings supporting a post-materialist framework are antithetical to the true spirit of scientific inquiry, which is that empirical data must always be adequately dealt with. Data which do not fit favored theories and beliefs cannot be dismissed a priori. Such dismissal is the realm of ideology, not science.”



As I have thought about it, I have pondered a conne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 theory of evolution. Let me explain. Abraham Maslow created a theory of psychological health known asMaslow's hierarchy of needs. He portrayed this in the shape of a pyramid with our most basic needs at the bottom, and the need for self-actualization at the top. The basic idea is that we have survival needs for food, water, safety, shelter, etc. Then, to continue to develop, we have psychological needs for belonging and love met by friends and family, as well as a sense of self-esteem that comes with some competence and success. According to Maslow's theory, if you have these needs fulfilled, then you can explore the cognitive level of ideas, the aesthetic level of beauty and, finally, you may experience the self-actualization that accompanies achieving your full potential.



What is less well-known is that Maslow amended his model near the end of his life, and therefore the conventional portrayal of his hierarchy is inaccurate, as it omits a description of this later thought. In his later thinking, he argued that the we can experience the highest level of development, what he called self-transcendence, by focusing on some higher goal outside ourselves. Examples include altruism, or spiritual awakening or liberation from egocentricity. Here is how he described it in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Transcendence refers to the very highest and most inclusive or holistic levels of human consciousness, behaving and relating, as ends rather than means, to oneself, to significant others, to human beings in general, to other species, to nature, and to the cosmos."



I have often wonder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ranscendence" or "spirituality" could have been an acquired trait through natural selection because it instilled a sense of being part of something beyond and bigger than simply oneself and one's own individual potential. In other words, it was a necessary trait for advancing the human species to be aware, mindful, meaningfully connected to and in active relationship with a larger framework that included other species, nature, the cosmos, and the interdependent web of all existence, and that this connection was forged by nonmaterial dynamics such as the emotions of awe, gratitude, empathy, service, compassion and beauty.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re are two terms that are common descriptors of the non-religious community. The first is"nones," which are those who do not identify with any religion. The terms comes from what is typically the last choice on questions about religious affiliation - "none of the above." There is also the SBNR distinction -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se are people who discard religious structures for a more personal spirituality.



A recent survey reports that as many as 33 percent of the population identify themselves as SBNR. One of the most interesting statistics here is from USA Today, which in 2010 claimed that no fewer than 72 percent of Generation Y identify themselves as “more spiritual than religious.”



I have discovered in many cases that when individuals declare themselves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y are adhering to principles of humanism. Many people who aren’t self-identified humanists are de facto humanists. An article aptly titled "The Spiritual Perspective and Social Work Practice," author Patricia Sermabeikian talks about the spiritual dimension of life as expounded by such humanistic and existential theorists as Viktor Frankl, Eric Fromm, and Abraham Maslow. Her quotation from Maslow is particularly instructive: “The human being needs a framework of values, a philosophy of life, a religion or religion-surrogate to live by and understand by, in about the same sense he needs sunlight, calcium, or love.”



The word "spiritual" often stands in contrast to "secular," and both terms are often viewed in quite a narrow-minded sense. Religious/spiritual people tend to have an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word "secular," and non-religious people return the favor with an insufficient view of the word "spiritual." The words are often thought of antithetical - in other words, what is "secular" cannot be "spiritual" and what is "spiritual" cannot be "secular." Part of the confusion is that the word "secular" implies to some the absence of things like any kind of deep sense of aliveness and interconnectedness or feelings of awe, well-being, love, beauty and happiness or transcendent experiences of knowing oneself as part of and belonging to a greater, mysterious and beautiful whole. And then on the other hand, the word "spiritual" implies to some the belief in God and religion or a bunch of woo-woo and supernatural/metaphysical mumbo-jumbo and irrational nonsensical quackery.



That many humanists themselves disparage the term spiritual as mumbo-jumbo—as little more than outdated pre-scientific superstition—doesn’t much help the matter either. For it inflicts the word with negative meanings similar to what Christian conservatives have done to the tag “secular.” I think humanists would want to claim all the positive, non-supernatural aspects of spirituality, and leave the heavily biased, parochial derision of the term secular to those too narrow-minded, or prejudiced, to appreciate how they’re using it.



In the article, "Humanism and Spirituality: A Spiritual Perspective," Humanist psychologist Judith Goren writes, “Humanism, to be a viable movement in the 21st century, needs to expand its parameters to explore, address and include the spiritual dimension of human experience.” With respect to the Humanist Manifesto of the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I think that according to all the secular definitions of spirituality I’ve seen—Humanism's philosophy, ethics, and its principles and practices makes humanism a spiritual movement, and one to be reckoned with. Some hope that future humanists will come to recognize their essential identity and reclaim a word that actually reflects the very heart of what they’re all about. Which is to say their aspiration to lead virtuous, morally responsible lives that are at once rational and—emotionally—rich, passionate, exciting . . . and deeply fulfilling.



There are many examples of people expressing non-religious spirituality such as this Atheist Superbowl Commercial and this compelling and inspiring video entitled, My spirituality as an atheist.



As stated at the outset, the title for my remarks and discussion was, Can Humanism be "spiritual"? This breaks down into a few very different kinds of questions. With respect to "can" humanism be spiritual, of course it can. In the simplest and perhaps the most profound sense of the term, Humanism IS spiritual. Religion can often be a barrier to nurturing spirituality to the extent that it assumes that it has already answered all the deepest questions of life, systematizes the spiritual realm into an approved set of beliefs, practices, do's and don'ts, and rules and rituals, uses the construct of divine reward and punishment to engender good or moral behavior, and discourages skepticism, questioning and exploration beyond its own beliefs and conclusions.



So yes, Humanism "can" be and IS spiritual.



However, there is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ism wants to claim and use the word "spiritual" or "spirituality" to describe itself. In so doing, Humanists may have the burden to explain what they don't mean and what they do mean by these terms since many people already have a fixed understanding about them. Choosing words such as Yugen and Satori would have its own challenges. Others have suggested that reference is simply made to the "human spirit."



After my remarks, the group discus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spirituality" and why do people want it?
2. What is the humanistic mindset or response to the interest people have in spirituality?
3. Is there a secular or humanistic spirituality?
4. Is being human enough, and is everything we need to know for living a meaningful, fulfilling, and purposeful life found in our humanity?

5. Are there better semantics or language for identifying and talking about the ideas that the word “spirituality” are referring to?



To explore the topic of non-religious or humanist spirituality, check out these books:



The Good Book: A Humanist Bible, A.C. Grayling

Waking Up: A Guide to Spirituality Without Religion, Sam Harris

Astrophysics for People in a Hurry, Neil deGrasse Tys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Edward O. Wilson

Confession of a Buddhist Atheist, Stephen Batchelor

Christianity without God, Lloyd Geering

Reason and Reverence, William R. Murry

2017/08/16

Observer review: E=mc² by David Bodanis | Books | The Guardian

Observer review: E=mc² by David Bodanis | Books | The Guardian





The little book of genius

David Bodanis explains Einstein's most famous equation to Cameron Diaz, and anyone else without a physics degree, in E=mc&#178
E=mc²

David Bodanis

Macmillan £14.99, pp216

Buy it at BOL


After an interview with Premier magazine, the Hollywood actress Cameron Diaz was asked if there was anything she wanted to know. 'Yeah,' said Diaz, 'what does E=mc² really mean?' The journalist laughed, but Diaz reiterated that she really did want to know the meaning behind the most famous equation in physics.


Read more

This exchange inspired science writer David Bodanis to write a short, lively book aimed at anybody who has ever wondered about Einstein's equation. It is neither a biography of Einstein, although we do learn something about him along the way, nor is it an explanation of all his work, although we do encounter a little general relativity at the end of the book. Instead, it is a highly focused introduction to the derivation and implications of E=mc².


Bodanis begins by explaining each element of the equation. For example, E represents energy, and by 1900 physicists concluded that energy is conserved. There are many types of energy, but they are all basically the same, so if you destroy some chemical energy then you must create an equal amount of energy in some other form.



As a student, Einstein had learnt that energy and mass are both conserved, one of the great axioms of physics. However, his research into the properties of light forced him into the realisation that it is the combination of mass and energy that is conserved, and that mass can be destroyed as long it is turned into energy, and vice versa. This is the essence of E=mc².The same goes for mass (m). In the eighteenth century, it was observed that burning wood in oxygen resulted in ash, smoke and carbon dioxide, but these had the same combined mass as the initial materials. Mass is conserved.



The c² is the conversion factor, effectively the exchange rate that turns one currency into another. Crucially, c is the speed of light, 1,000,000,000 kmh, so c² (c x c) is truly huge. Therefore, a tiny mass can turn into a literally massive amount of energy.


Typically, mass is happy being mass, so sheets of paper do not spontaneously explode with enough power to wipe out a city. But Einstein's equation is a reality, as demonstrated by nuclear bombs, nuclear power and nuclear sunshine.


This book is packed with the standard anecdotes relating to the equation, many of which will already be familiar to scientists. But this is not a criticism. The book is intended for a different audience, namely Cameron Diaz and anybody else with curiosity but without a degree in physics.


Finally, I rarely mention covers in reviews, but in this case it is exceptionally striking: a fluorescent Einstein sticking his tongue out. A similar image was used to promote the recent science and arts festival, Creating Sparks, and was criticised by some who thought it trivialised Einstein. I am of the opinion that the image is enticing and engaging, and I hope it will attract rather than repel potential readers.

2017/08/12

사드정국의 해법,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 - 오마이뉴스



사드정국의 해법,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 - 오마이뉴스




사드정국의 해법,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북한이 사실상의 핵보유국이라는 전제로 새로운 출구전략 짜야
16.07.20 22:01l최종 업데이트 16.07.21 09:09l
글: 윤태룡(peacetry)
편집: 박정훈(twentyrock)


☞ 실시간글 페이지 보기(http://omn.kr/realtime) [편집자말]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주한미군 배치 결정과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지금 벌어지는 사드 논쟁은 그저 어떤 무기체계를 한국이 도입하느냐, 마느냐 하는 소규모의 논쟁이 아니라, 대한민국 내에서 정치세력 간에 "국가의 백년대계를 놓고 벌이는 한판 승부"다. 현 박근혜 정부는 사드를 들여놓으면 "사활적 안보"가 확보되고, 그렇지 않으면 "사활적 안보"를 포기하는 것으로 단순화시켜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으로 대한민국의 안보, 건전한 남북한 관계의 유지, 평화통일을 위한 대비 등을 염려하는 국가의 지도자, 정치가, 혹은 정부의 고위관리라면 좀 더 큰 그리고 좀 더 장기적,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만 한다. 이것은 소위 국가 지도자로서 갖춰야 할 필수적인 덕목이고 의무다.

'정답'은 정해져있는데 대체 왜?


그런데 현 정부의 인사들은 무지한 것인지, 착각인지, 기만인지는 알 수 없으나, 4강과의 외교관계, 혹은 대북관계를 오직 억지이론(抑止理論, Deterrence model)에 입각해서만 바라보고 있다. 즉,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해라(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war)"식의 사고밖에 할 줄 모르는 것 같다(혹은 그런 식의 사고밖에 할 수 없는 것처럼 기만하고 있는 것 같다. 왜냐하면, 국제정치학자들이 정부관료들 중에 당연히 있고, 국제정치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국제관계를 보는 또 다른 시각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시각(혹은 모델)이란 '억지이론(Deterrence model)'과는 다른 대안적 사고틀인 소위 '나선형 모델(Spiral model)'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국가들이 어떤 역사적 연유로 인해 일단 적대관계에 돌입하면, 결국 군비경쟁의 나선형(spiral, 즉, 악순환에 의한 나선형 진행 과정)에 빠져들게 되어 "안보딜레마(security dilemma)"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즉, 한 국가가 거액의 돈을 무기제조, 무기구입 등에 쓰더라도, 그 국가의 상대국(적대국) 역시 가만히 있지 않고 상응하는 마찬가지의 군비증강에 몰입할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둘 다 결코 더 안전해지지 못한다. 달리 말해, 군비경쟁은 두 적대국이 공히 더 강력한 무기를 갖는 결과만 초래할 뿐 "안보의 증가"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상태에 놓이게 만드는 것이다. 한마디로 '도루묵'인 것이다.

그렇다면, 두 국가가 적대관계에 놓여있을 때, 일방이 상대방을 무기, 다른 강제적 수단 혹은 폭력으로 제압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이는 안보딜레마 기제의 작동으로 인해 결국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보다 더 현명한 방법은 적과의 화해(reconciliation)를 통해 관계를 개선하고 그로 인한 여유분의 자원을 국민의 복지향상을 위해 소비하는 것이다.

그러니 사실상 바람직한 '정답'은 너무나도 간단한 것으로서 이미 국제정치학자들이라면 이는 다 아는 상식에 속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현 정부 혹은 정부의 인사들은 이 명백한 '정답'을 마치 전혀 모르는 것처럼 행동한다.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그 첫째 이유는, 현 정부의 인사들이 북한이라는 꼴 보기 싫은 존재와의 자존심 싸움(그들은 민족 전체의 이익 보다 자신들의 자존심 싸움을 앞세운다)을 더 앞세우기 때문이다. 이는 북한도 마찬가지다. 내가 현 정부를 비판한다고 해서 혹시라도 북한에 대해 마치 호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몰아붙이거나 용공세력으로 몰아붙이지 말라 제발. 난 현 남한 정부조차 비민주적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북한은 말할 필요도 없다. 북한이 세계 최악의 정권이라는 사실은 아무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니, 걸핏하면 '종북'이니 '용공'이니 하는 유치한 비난은 하지 말라.

두 번째 이유는, 현 정부의 인사들이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을 활용하여 특정 정치세력의 결속을 유지하고, 그리하여 기득권을 계속 유지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정권 안보가 아니라 한국 전체의 안보, 더 나아가 남북한을 통틀어 한민족 전체의 공동안보(common security)를 생각할 수 있는 큰 시각을 가진 '참으로 지도자다운 지도자'가 현재 집권세력 내에는 없다.

혹은, 있더라도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보전하기 위해 "윗사람"의 눈치를 보느라 직언을 하지 않는다. 국가의 혹은 한민족의 백년대계를 진실로 걱정하는 지도자들이라면 결코 현재와 같은 일이 일어나도록 그냥 내버려 둘 리가 없다는 것이 나의 판단이고 소견이다.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야 한다



▲ 북한, 중장거리 미사일 '화성-10' 시험발사 사진 공개 북한은 지난달 23일 '중장거리 전략탄도로케트 화성-10'(무수단 미사일)의 시험발사 사진을 공개하며 무기 개발 수준을 과시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지상대 지상 중장거리 전략탄도로케트 '화성-10' 시험발사를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관련 사진 수십장을 공개했다. 사진은 미사일 발사를 지켜보는 김정은의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그렇다면, 현재의 꼬일 대로 꼬인 사드정국의 해법은 과연 무엇일까? 한마디로, 나는 그 해법, 즉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첫 걸음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북한을 이스라엘과 같이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더 이상 '악의 정권'으로 몰아붙이지 않는 것이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변화를 촉진하는 지름길이다. 지금까지 북한의 시대착오적 3대 세습정권이 가능했던 것은 바로 그들이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역으로 내부결속에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전략적 상황'에서는 패러독스적 논리가 작용함을 명심해야 한다. 전략적 상황이란, 국가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동이 반드시 애초에 '의도한 결과'만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인 결과는 상대국가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 측이 순전히 방어적 목적으로 군비를 증강해도 그것이 상대방의 대응적 군비증강을 초래한다면 애초의 노력은 '군비경쟁의 악순환'으로 인해 헛수고가 되고 마는 이미 언급한 '안보딜레마'가 그 대표적 예인 것이다. 이러한 개념들은 사실 이미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는 상식이다.

흔히 사용되는 경구 중, 예를 들면, '스스로를 높이려는 자는 낮아지고, 스스로를 낮추는 자는 높아진다',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고,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산다(必生卽死, 必死卽生)', '배수진(背水陣)',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 '악에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한 알의 밀알이 죽어 썩어야 새 생명을 얻는다',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등이 그것이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말을 따르면 결국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지만, 악을 선으로 대해 기존 상호관계의 패턴이 바뀌면 '윈-윈'상황으로 변화될 수 있다. 씨앗이 죽어야 싹이 나듯이, 근본적 변화는 미래를 멀리 내다보며 양보, 희생하고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임으로써 가능해진다. 겉으로는 지는 것 같은 행동이 결국은 함께 승리하는 길을 연다는 것이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나는 한반도 비핵화의 첫걸음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말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겠지만, 다시 한 번 강조컨대, 국가 간의 전략적 관계에서는 패러독스(일견 모순적) 논리가 흔히 적용된다.

여기에서는, 대략적인 그림만 간단히 그려 보겠다. 일단, (1) 북한 정권으로 하여금 안보불안에서 먼저 벗어나게 해주고, 그런 연후에 (2) 핵 문제의 폐기 문제를 다시 논의해야 한다. 혹은 (2) 차후에 핵문제의 폐기 문제를 '반드시'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해서, 일단은 우리 측(미국, 한국)에서 (1)먼저 북한정권으로 하여금 안보불안에서 먼저 벗어나게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북한이 그토록 끊임없이 원하고 주장해온 '평화협정'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점차적인 핵무기 폐기에 관한 협정'을 맺거나, 이미 북한이 사실상의 핵 보유 국가라는 엄연한 사실을 전제로 새로운 출구전략을 짜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게 내 생각의 핵심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지금처럼 남한이 중국, 러시아, 북한 모두를 적으로 돌려서 '끊임없는 군비경쟁'과 '안보딜레마'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드는 것 보다는 훨씬 현명한 정책이라고 나는 본다.

국가의 모든 정책은 객관적인 현실에 근거를 둬야 한다. 북한이 핵보유국이 되길 원하는 나라는 동북아지역에서 오직 북한뿐이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이 "북한이 핵보유국이 되어서는 안된다" "되었어도 인정할 수 없다"식의 입장이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주변국들의 바람과는 달리 '의도치 않은 방식으로' 어쨌든 현재 북한이 이미 핵국가가 되었다는 것은 기정사실이 됐다. 따라서, 이 명백한 사실을 부정하고 시작하는 모든 정책은 허구일 수밖에 없다.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 다분히 파격적인 생각이어서 매우 조심스럽지만, 현재와 같이 남북한 관계(더 나아가 한미일 대 북중러의 관계)가 강대강(强對强)으로 치달아 전쟁, 그것도 핵전쟁의 위협으로까지 고조되는 것보다는, 북핵인정이 훨씬 나은 선택이라고 나는 판단한다.

그리고 '일시적'인 북핵인정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한반도 핵 문제의 '영구적'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분명 스스로 안보가 확보되었다고 느낄 때만 비로소 핵을 포기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길 것이다. 이런 장기적 전망을 염두에 두면서, 나는 북핵 인정이 가까운 장래의 전쟁을 피할 수 있다면 훨씬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결코 북한의 최근 행태를 마음 깊이 용인하거나 그들이 예뻐서가 아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윤태룡 기자는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입니다

알라딘: 천년의 만남 - 도선비결이 말하는 한국의 통일과 새로운 문명

알라딘: 천년의 만남 - 도선비결이 말하는 한국의 통일과 새로운 문명


전택원 (지은이) | 흐름출판 | 2015-06-05


도선국사의 「도선비결」에서 통일의 비전을 전하는 책이다. 조선심학(心學)을 연구한 철학박사이자 언론인으로 활동한 저자가 북경주재특파원으로 굶주림 사태에 직면한 북한사람들의 실상을 접하면서 글을 쓰게 된 것이다. 분단현실을 씨줄로 엮고 진리를 탐색하는 노정에서 접한 도선비결과 동학을 날줄로 엮어 도선과 수운,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가 만나고 있음을 ‘천년의 만남’으로 말하고 있다.

풍수도참서로만 알려졌던 「도선비결」을 엄밀한 독해와 연구, 오랜 심득(心得)을 통해 민족 통일과 인류문명 대전환의 텍스트로 재해석해냈다. 쓰다가 다시 덮고, 엎었다 다시 쓰고 20년을 매달린 역작이다. 「도선비결」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풀이하고, 그 안에 담긴 통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명의 비전을 보여줌으로써 몸도 마음도 분단 70년의 고통 속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우리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




글을 열며 ‘중심’을 다시 생각합니다

1부 마음의 여정 Ⅰ
나는 누구인가

되돌아보다
어느 날 엿본 해월의 하늘 | 찔레꽃이 이슬방울을 품을 때 | 봄에 생명의 신비에 귀 기울이다
나의 작은 영토 | 나비와 춤추다 | 마음에 파인 샘물

떠돌다
1980년의 여행길 | 하숙방의 푸른 강물 | 친구의 마음속으로 날아들다
마지막 사람 | 나는 티끌도 없이 사라졌다 | 흰 장미꽃 덮인 주검
금강경을 읽고 결혼하다 | 내 안의 악마와 만나다 | 악마가 따로 없다 | 시린 청포도, 슬펐던 청춘

2부 마음의 여정 Ⅱ
동서 문명의 만남

스스로 그러하다
『주역』의 세계에 눈뜨며 | 두물머리에 선 검단산 | 스스로 그로한 바다엔 우연이 없다, 해인(海印)
두꺼비의 해탈문 | 내가 읽은 『주역』과 세상

사유로는 나를 찾을 수 없다
나르시스, 나의 그림자 앞에서 죽다 | 나 자신에게 물어라, 소크라테스
우리를 방황하게 만든 아리스토텔레스 | 3개의 매듭 | 오이디푸스가 스핑크스를 죽인 뒤
이성의 나라의 장님과 절뚝발이 | 단 하나의 해답 | 새로운 문명으로 가는 길

3부 예언 속으로
도선비결과 동학

도선은 누구인가
도선비결 271자
첫째 매듭: 한반도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둘째 매듭: 경주의 수수께끼
셋째 매듭: 떨어진 꽃잎과 피의 세월이 오리라
넷째 매듭: 아무도 진리를 말하지 않는 시대
다섯째 매듭: 어두운 임금이 다스린다
여섯째 매듭: 죽음으로 세상을 깨우치다
일곱째 매듭: 조선에 황혼이 오다
옥호루
여덟째 매듭: 시련 속에서 생명은 피어나고
나의 친구 최서림 | 새야 새야 파랑새야 | 젊음의 한낮 | 봄의 첫날
이 땅의 청춘 | 공(公)이 죽은 시대 | 해월의 말씀 | 진리의 길에 뿌리는 피
아홉째 매듭: 갈라졌으나 하나가 되리라
수운의 말씀 | 삼절(三絶)
열째 매듭: 통일은 새 문명의 서곡이다
아주 작은 지혜 | 전읍(奠邑) | 서추(西酋) | 빛나는 눈동자
열하나째 매듭: 모두 하나로 돌아간다
마지막, 열두째 매듭: 큰 전쟁 끝에 큰 평화가 있다
계룡산 | 다시, 삼절을 생각하며 | 뒤풀이

4부 우리가 사는 세상
남과 북의 만남

분단이 만든 나의 적
말로만 통일
내가 지닌 선의가 가치 있는 일이라면
대동여지도
왜 우리는 하나가 아닌가
어머니
얼어붙은 대지의 뜨거운 눈물
은빛 등대
광장에서

글을 마치며 새로운 문명의 길은 어디 있는가




P.189~190 : 스핑크스의 질문은 결코 답이 없는 근원에 대한 것입니다. “너는 누구냐?,” “사람이란 무엇인가?”인 것입니다. 자신의 출생을 모르는 기구한 운명의 오이디푸스에게는 치명적인 질문입니다. 그는 길목에서 우연히 부딪힌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합니다. 모르고 한 짓입니다. (…) 스핑크스란 ‘목을 졸라 죽이는 자’란 뜻입니다. 하필이면 목을 조릅니까. 사람은 목을 조르지 않아도 죽는 유한한 존재입니다. 그러니 살아있는 동안 인생이 무엇인지 답하라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지상에 왜 왔는지 답도 모른 채 영원히 죽음의 망각 저편으로 사라진다. 스핑크스는 그런 의미입니다.

P.228 : 도선도, 해월도 제 자신도 우주 속에 던져진 한 알의 씨앗일 것입니다. 지식에서 답을 구하려 하지 마십시오. 답은 사람에게 있습니다. 사람의 삶 자체가 답입니다... 허공에 둥둥 떠 있는 지구에서 어디선가 생명을 받아 머물고 가는 인생입니다. 생각할수록 놀라운 일이면서 아무도 놀라지 않는 일이기도 합니다.

P.120 : 절뚝발이와 장님. 아인슈타인이 근원을 알 수 없는 인간의 운명에 있어 불완전한 과학은 절뚝발이에, 근원을 알 수 없는 신앙을 장님에 비유한 것입니다. 이 신앙과 과학의 동반관계가 서구문명입니다. (…) 서구문명은 그렇게 지금도 근원에 대해서는 눈먼 채 과학이라는 지팡이에 의지하여 걷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문명의 유전인자를 물려받은 서구문명이 근원 인식에 관한 한 맹점을 지니고 있음을 오이디푸스는 그의 운명을 통해 보여줍니다.




유세희 (전 한양대학교 부설 중국-소련연구소 소장. 아태지역학대학원장)
: 분단의 극복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상황이 또 한 번 요동치려는 시점이다. “국운(國運)”이나 “민족의 숙명”을 믿건 아니건 간에 이 땅의 장래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읽기를 권한다. 철학을 전공한 저자가 구도(求道)의 자세로 임한 도선비결의 세계는 경건함과 희망을 주며 이 땅에 태어남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이석규 (OECD 대한민국정책센터 사회정책본부장)
: 한반도가 남북으로 갈라진 채 70년을 살아온 우리에게 도선이 하고 싶은 말을 무엇이었을까? 우리가 진리를 알아 실천하고 내 것을 덜어 너에게 보태는 것이 한반도에 통일을 이루고 더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길이며, 진리를 먼저 말한 도선(道詵)을 넘어 새로운 천년을 세우는 것이 아닐까? 나를 찾고 한반도가 하나 되는 길을 찾고자 하는 모든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리라 믿는다.





저자 : 전택원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천년의 만남>,<마음에 이슬 하나> … 총 2종 (모두보기)
소개 :
1945년 경상남도 진영읍 여래리에서 태어나 함안군 가야, 칠북 등 시골에서 자랐다. 마산, 부산에서 중고등학교 시절을 거쳐 서울에서 대학생이 되어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가장 쾌활한 순간에도 자기 안의 슬픔을 응시했고, 낮에는 자주 잠들고, 밤에는 혼자 깨어있고는 했다. 오래도록 한국 고유의 사상을 찾아 고심했으나 부진을 면치 못했다고 그는 말한다. 조선시대 심학(心學)의 비조인 정제두(鄭齊斗)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것은 쉰 살 무렵이었다. 첫 직장인 신문사에서 강제해직된 것이 1980년, 9년 뒤에 복직이 되어 홍...


----

『도선비결』271자, 9세기 도선은 21세기 한국을 어떻게 말했는가!
1860년에서 2040년까지 180년간의 예언!
도선비결 271자 가운데 200자 남짓이 이 시기를 말한다.
병자호란과 동학, 명성황후 시혜와 6,25 등
역사속의 예언이 펼쳐진다.
문명의 응축기를 지나
2010년 시작된 마지막 30년,
낡은 문명이 막을 내리고 새로운 문명이 시작되고 있다.
이제 남은 한반도의 운명을 결정할 25년,
한국은 평화통일로 동서 문명의 구심점이 되어
새로운 문명을 열 수 있을 것인가?

통일의 평화가 이 땅에 실현된다(一國是安)
“진리로 하여 한반도에 통일이 이루어지고 새 문명이 시작된다” 도선국사의 『도선비결』에서 통일의 비전을 전하는 책『천년의 만남』이 흐름출판에서 출간되었다. 조선심학(心學)을 연구한 철학박사이자 언론인으로 활동한 저자가 북경주재특파원으로 굶주림 사태에 직면한 북한사람들의 실상을 접하면서 글을 쓰게 된 것. 분단현실을 씨줄로 엮고 진리를 탐색하는 노정에서 접한 도선비결과 동학을 날줄로 엮어 도선과 수운,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가 만나고 있음을 ‘천년의 만남’으로 말하고 있다. 책은 풍수도참서로만 알려졌던『도선비결』을 엄밀한 독해와 연구, 오랜 심득(心得)을 통해 민족 통일과 인류문명 대전환의 텍스트로 재해석해낸 것. 쓰다가 다시 덮고, 엎었다 다시 쓰고 20년을 매달린 역작이다.
『천년의 만남』은『도선비결』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풀이하고, 그 안에 담긴 통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명의 비전을 보여줌으로써 몸도 마음도 분단 70년의 고통 속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우리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나는 누구인가, 진리를 찾는 노정
저자는 “분단된 땅에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파고들면서 자신의 삶과 생명의 근원에 대한 동양철학적 관점과 서양철학적 관점을 두루 살펴본다. 그의 관점은 오늘날 우리의 의식을 지배할 뿐만 아니라 상식과 보편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는 서양적 사고방식의 한계와 허점을 날카롭게 집어준다. 진리는 대상이 아닌 자신을 바로 깨닫는 것이며, “동양적 사고구조에서 진리와 예언은 마음을 통해 비로소 열리는 세계”며 “홀로 아는 것”, “자문자답”(245쪽)임을 말한다. 그리고 도선, 동학, 주역, 서양철학, 진리, 통일 등 무거울 수밖에 없는 주제를 스스로 거쳐 온 마음공부의 행로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진솔하게 말한다.

도선은 왜 천년을 넘어 동학을 말하고 있는가
『천년의 만남』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나는 누구인가’에는 지은이가 어린 시절부터 하나하나 경험하고 체득해 나가는 인생의 의미와 가치, 사회와 역사에 대한 단상을 실었다. 문학적 자전이라고 할 만한 격조 높은 수필로 읽힌다. 2부 ‘동서 문명의 만남’에서는 서양철학을 비롯해 불교, 주역 등 지은이의 지적 편력과 더불어 지은이가 어떻게 『도선비결』을 접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서 어떻게 수운 최제우와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을 재발견하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3부 ‘도선비결과 동학’에서는 본격적으로『도선비결』을 풀이하고『도선비결』이 동학사상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상세하게 밝힌다. 4부 ‘남과 북의 만남’에서는 지은이가 북경주재 특파원으로 활동하면서 목격하고 체험한 바를 바탕으로 뼈아픈 분단 현실을 진단하고, 이러한 엄중한 현실 속에서도 어떻게 희망을 찾을 것인지를 말해준다.

통일의 주역은 이 땅의 젊은이
통일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진실로 하여 열리는 세상”(402쪽)이고 “사람마다 지닌 진실한 마음으로 풀릴 수 있는” 것이다. 내 마음에 자리잡은 분단의식이나 마음속의 철조망이 사라질 때 통일시대 또한 열리게 된다. 도선비결에 의하면 통일의 주역은 이 땅의 젊은이다. “한반도의 참담한 분단현실은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회며 축복으로 바뀐다. 그것은 “죽임의 문명”에서 벗어나 온 인류가 기다려왔던 “살림의 문명”이 지구상에서 시작되는 것. 그 힘은 사람마다 진리를 알고 실천하는 이 땅의 젊은이들의 총명신예에서 나온다”(14쪽)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점점 더 첨예해지는 분단 70년, 우리 앞에 놓인 분단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 앞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인터뷰 자료]

*지난 2015년 3월 10일에 있었던 저자와 담당 편집자의 인터뷰 녹취록을 요약 발췌한 것입니다.

책 제목을 ‘천 년의 만남’이라고 하셨는데 무슨 뜻인지요?

천 년이라는 시간은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은 아닙니다. 물리적 시간을 넘어서는 것, 만남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과 사람의 진실로서 서로를 발견한다는 뜻입니다. 도선이 827년에 태어나서 898년에 돌아가셨는데 해월이 그와 딱 천 년 차이입니다. 해월이 1827년에 태어나서 1898년에 돌아가셨어요. 천 년입니다. 물론 숫자 장난일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숫자상의 그런 우연을 표현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천 년 세월을 넘어 도선과 해월이 만난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면 그 두 분과의 만남은 실은 내 자신과의 만남입니다. 그래서 내 자신이 진리를 직접 아는 만남, 이것이 천 년의 만남이 되는 거죠.

‘옛날 책에 통일이 된다고 씌어있다’고 하면, 어떤 사람들은 귀에 걸면 귀고리, 코에 걸면 코걸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피상적으로 보자면 가장 안일하게 방관자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운명론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역설적으로 가장 치열하게 하나의 결과를 이루는 전 과정에서 최선을 다할 때 그것 또한 운명입니다. 운명에는 이런 양의적인 개념이 있죠. 그래서 그냥 방관자가 되어서 기다리면 저절로 되겠지 하는 그런 측면의 통일도 있겠지만, 사실은 최선을 다할 때 비로소 이루어지는 그런 통일도 있는 것이겠죠. 어느 쪽으로 더 믿음이 갑니까? 방관자적으로 생각하는 사람한테 진지하게 대답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입니다.

그렇다면 통일은 예언된 것입니까, 아니면 ‘해야만 한다’는 당위이고 의지입니까?

이 분단 시대를 유지하는 가장 큰 힘은 제가 볼 때는 증오심입니다. 그러니 통일을 하려면 자기 자신을 사랑해야죠. 내가 나를 사랑하는 게 답입니다. 내가 나를 사랑하면 내가 나를 속이겠습니까? 자기로서 최선을 다하고 자기로서 가장 소중한 것을 추구하지 않겠습니까. 그게 진리입니다. 그렇게 하고자 하는 마음이 진리입니다. 왜냐하면 진리의 방향이니까요. 진리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 진리입니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면 반드시 상대를 사랑하게 됩니다. 그것을 떠나서 다른 답은 없습니다. 새로운 시대는 사람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시대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이 하늘인 세상입니다. 다른 답은 전혀 없습니다. 답은 아주 가까이 있습니다. 그래서 멀리서 구하지 말고 나를 닦으라는 겁니다. 사람이 나서 죽는 것보다도 그렇게 치열하고 또 감동적이고 위대하고 그 자체가 질문이자 그 자체가 답인 사람을 떠나서 달리 없습니다. 바로 이것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데서 힘이 나오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그것이 통일입니다.

오늘의 세계는 남북한의 군사적 대치는 물론 분쟁, 테러 등등 정말 험악합니다. 에릭 홈스봄이 20세기를 ‘극단의 시대’라고 했는데, 21세기 역시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선생님의 생각이 낭만적이라고 비판하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홈스봄 같은 분뿐만 아니라 우리 주위에 문명을 진단하고 시대의 위기를 다양한 현상을 분석해서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산더미입니다. 개인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지요. 그런데 그것은 사실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답은 내 자신에게 있는 겁니다. 내 자신을 소홀히 하고 내 자신의 정체성을 모르고 있는데 그런 문제가 아무리 많은들 어떻게 바늘에 실을 꿸 겁니까? 가장 소중하고 답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은 나 자신입니다. 사람 하나입니다. 그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공감하느냐에 따라 ‘우리’가 생기고 사회가 시작됩니다. 그 기본적인 것에 대한 충족 없이 그것을 건너뛰어서 답이 있는 것처럼 추구한다면 그런 사람은 반드시 인간을 소외시키고 자기 자신을 속이게 되는 겁니다.

통일을 못하는 게 아니라 안 하는 것이라는 자조적 관점도 있습니다만?

통일을 안 하겠다는 사람들은 통일에 대해서 생각한 것이 거의 없다는 뜻이죠. 생각한 게 있다고 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주입했거나 다른 것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죠. 결국 통일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야에 이해관계가 더 많다는 뜻이죠. 그러면서 표현을 통일에 반대한다, 이렇게 갖다 붙이는 거죠. 실제로 통일이라는 것은 뭐냐면 내 인생이 뭐냐는 질문에 대한 답하고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 사람은 살아가면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진리라는 것에 대해서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내가 진리를 안다면 그것이 곧 생명이고 생명을 안다고 하면 생명의 본래 모습은 어떠한 역경에도 어떠한 난관과 희생과 좌절에도 원형을 회복하는 그 자정력에 있습니다. 자기를 복구하는 힘이 있는 겁니다. 그 원형이 뭐겠습니까. 민족으로 보면 통일이고 개인으로 보면 사람다운 삶입니다. 사람다운 삶이라는 것은 그 자체가 인생이 무엇인가를 알고 진리를 알고 진실되게 살고자 하는 그 자체가 위대한 영혼입니다. 위대한 영혼이라고 하면 마하트마 간디인데, 그가 집이 컸습니까. 옷이 많았습니까. 그렇지 않았거든요. 그런데 영국 식민지 상에서 인도인의 자존심 위해서, 제일 먼저는 자기 자신의 자존심을 위해서 눈을 떴었죠. 사람이 자존심을 잃으면 그건 스스로를 포기하는 겁니다. 그 사람이 아무리 물질이 많아도 스스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벌거벗고 나서는 겁니다. 지금 우리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뜻에서 말하는 것이지 사람이 물질의 이해관계 속에서 그것을 더 많이 보태주고 더 욕망을 채우고자 하는 뜻에서 말하는 게 아닙니다.

우리는 결국 가거든요. 가는데 죽음이란 게 또 얼마만한 축복이고 씨를 맺지 못하면, 씨가 없으면 그건 하나의 저주입니다. 생명에 대한 배반이며 생명에 대한 일탈이고 생명에 대한 포기입니다. 그런데 아까 제가 영혼이라 했지만 이건 곧 영혼의 씨입니다. 씨앗이 어떻게 맺히는지를 모든 것이 건강하고 아름답게 꽃을 피우고 세월이 가면서 충실할 때 씨앗으로서 생명이 이어지는 겁니다. 그 거룩한 과정 전체가 진리의 과정입니다. 여기를 벗어나서 다른 답은 없습니다. 시대가 특이한 하나의 조건 아래서 분단이 되었다면 결국 우리는 새로운 생명의 힘, 진리의 힘으로 그 원형을 회복하는 또 새로운 시대와의 대화 속에서 주어진 사명을 자연스럽게 이루자는 것이지, 억지로 하자는 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