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27

Ukishima Maru victims lost redress in '50 | The Japan Times



Ukishima Maru victims lost redress in '50 | The Japan Times
Ukishima Maru victims lost redress in '50

SEP 28, 2003

Japan decided in 1950 not to compensate the Korean victims in a 1945 ship explosion that killed 524 Koreans on their way home, a Foreign Ministry document obtained by a Korean group showed Saturday.

The document, prepared as internal material by a now-defunct agency in charge of repatriation, described the Ukishima Maru’s explosion and sinking as “an inevitable accident,” and said the Koreans were able to board the ship “owing to the former Imperial Japanese Navy’s overwhelming goodwill.”

“Any moves to seek compensation by accusing the navy cannot be accepted at all,” said the document, a copy of which was obtained by a group of Koreans working to explore the truth about the explosion and sinking under information disclosure rules.

“The document said the Koreans boarded the ship for fear of the Allies’ occupation. It is not true,” said Hong Sang Jin, leader of the group.

The navy transport ship sank after an explosion Aug. 24, 1945, as it was entering Kyoto Prefecture’s Maizuru port on its way to Korea.

The accident killed 524 Koreans, who had been forced to work at military facilities in Aomori, and their families.

In August 2001, the Kyoto District Court ordered the government to pay 45 million yen in compensation to 15 South Korean survivors who had filed suit, along with 65 relatives of those who died, seeking an apology and a total of 3 billion yen in compensation.


The Osaka High Court overturned the district court’s ruling in May this year and dismissed their claims. The plaintiffs have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살인자 일본은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 영화 ‘우키시마호’ 9월 개봉 - 민중의소리



“살인자 일본은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 영화 ‘우키시마호’ 9월 개봉 - 민중의소리



문화
“살인자 일본은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 영화 ‘우키시마호’ 9월 개봉


권종술 기자 epoque@vop.co.kr
발행 2019-07-12 07:32:58
수정 2019-07-12 07:32:58
이 기사는 1109번 공유됐습니다

영화 ‘우키시마호’ 9월 개봉ⓒ메이플러스 제공


1945년 8월 22일, 전쟁에서 패배한 일본은 조선인 강제징용자들을 부산항으로 돌려보낸다는 명목 하에 제1호 귀국선 ‘우키시마호’에 조선인 만여명을 태운다. 하지만 부산항에 도착했어야 할 우키시마호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과 함께 수면 아래로 침몰했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떠올리며 고향으로 돌아오던 8000여명의 조선인들이 억울하게 목숨을 잃었다. 이것이, ‘우키시마호 침몰 사건’이다. 일제가 저지른 이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의 진실을 규명한 영화 ‘우키시마호’가 오는 9월 개봉을 앞둔 가운데 티저 포스터가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영화 ‘우키시마호’의 티저 포스터에는 가장 먼저 ‘독도는 일본 땅이다, 위안부는 보상했다, 강제징용은 없었다, 생체실험은 증거가 없다, 그리고 우키시마호는 사고였다!’라는 오랜 시간 반복 되어왔던 일본의 주장들이 나열됐다. 특히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다른 주장들과 달리 우키시미호와 관련한 주장은 우리가 잊고 있던 사건이다.

영화 ‘우키시마호’ 9월 개봉ⓒ메아플러스

한편, 절대로 진실을 밝히려는 생각이 없어 보이는 듯 비열한 표정으로 미소 짓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의 표정은, 현재 무역 보복을 일으키고 있는 일본과 반일 감정이 일고 있는 한국의 관계와 맞물리며 보는 이들에게 더욱 큰 분노를 자아낸다.


권종술 기자

문화와 종교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키시마호 사건 - 나무위키

우키시마호 사건 - 나무위키

우키시마호 사건

최근 수정 시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浮島丸事件
해상사고 요약도
일어난 날짜
1945년 8월 24일 오후 5시 20분
유형
운항 중 침몰
일어난 위치
일본 교토부 마이즈루만 해역
탑승인원
공식
3,735명[1]
비공식
8,000여 명
사망자
공식
조선인 524명, 일본인 25명
비공식
5,000여 명
실종자
미상
구조자
비공식
3,000여 명
선종

1. 소개2. 전개
2.1. 우키시마마루의 출항2.2. 항로 변경과 침몰
3. 엇갈리는 침몰 원인
3.1. 일본의 시각3.2. 한국의 시각
4. 각종 의혹들
4.1. 우키시마마루의 의문스러운 항로4.2. 우키시마마루는 왜 마이즈루로 방향을 바꿨나?4.3. 정확한 탑승자와 사망자의 숫자는?4.4일본 정부의 이해할 수 없는 사건 처리
5. 사건 이후6. 문화에서

1. 소개[편집]

1945년 8월 24일일본 교토 인근 마이즈루 항에서 일본 해군에 징발된 화물선 우키시마마루(浮島丸, Ukishima Maru, 4,730톤)가 갑작스런 폭발과 함께 침몰한 사건. 당시 일본의 관련 법령에 따라 상선 등 민간 선박은 배 이름을 지을 때 "丸(마루)" 자를 접미사로 쓰도록 강제하고 있어 모든 일본 민간 선박들은 ~마루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기에, 한국에선 이걸 그냥 민간 선박 뒤에 오는 호칭인 ~호로 임의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다. 덕분에 우키시마마루 사건으로는 국내에선 거의 불리지 않고, 우키시마호 사건, 우키시마호 폭발사건, 부도호 사건 등으로 불린다.

2. 전개[편집]

2.1. 우키시마마루의 출항[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kishima_Maru.jpg
파일:external/ww6.enjoy.ne.jp/umishimamarumod02.jpg
우키시마마루의 실제 사진
모형 (일러스트)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들이 전범재판 과정에서 폭동을 일으킬 것을 우려했다. 이에 이들은 "폭동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조선인 노동자들을 송환하라"는 극비 지시를 내리게 된다. 심지어 '이번 송환선에 오르지 못하면 영영 돌아가지 못한다'라는 전단까지 뿌렸을 뿐 아니라 "배에 승선하지 않으면 배급도 없다!"라고 협박까지 하면서 조선인들을 거의 강제로 승선시키다시피 했다고 한다.

해군에 징발되어 해군 승조원들이 몰고 있던 우키시마마루에게 내려진 본래 명령은 조선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들을 데려오는 것이었지만, 명령이 바뀌어 우키시마마루에도 일본 북부지방에 있던 조선인 노동자들을 부산으로 실어 보내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승조원들 중 일부 해군 하사관들은 이 명령에 항의했지만, 상부의 강력한 지시로 어쩔 수 없이 우키시마마루에 조선인 노동자들과 일부 가족들이 탑승하게 되었다.

약 7000여 명[3]의 조선인들이 8월 21일, 아오모리 현의 오미나토 항을 출발했다.

당시 일본 근해는 미 해군이 부설한 기뢰 천지였고, 미 해군과 소련 해군의 잠수함도 돌아다니는 상황이었다. 우키시마마루가 출발한 다음날에 국적불명의 잠수함[4]에 의해 3척의 함선이 침몰한 사건[5]이 일어나기도 했기 때문에 우키시마마루는 기뢰와 잠수함을 피해 부산으로 향했다.

2.2. 항로 변경과 침몰[편집]

파일:4625342.jpg
파일:3532434.jpg
침몰하는 우키시마마루
인양된 우키시마마루의 모습[6]

그런데 우키시마마루는 돌연 8월 24일, 방향을 바꿔 일본 중부 연안의 마이즈루 항으로 들어갔다. 마이즈루 항 근해인 마이즈루 만에는 미군이 부설한 기뢰들이 있었는데, 우키시마마루가 마이즈루 항으로 입항하려고 하자 갑자기 폭발이 일어나면서 배가 침몰했다.

이 사건으로 홋카이도아오모리도호쿠 등에서 강제 징용되어 노역에 시달리다가 조국으로 돌아갈 기쁨에 부풀어 있던 조선인 수천 명이 사망했다.

3. 엇갈리는 침몰 원인[편집]

사건의 원인에 대해서 한국과 일본의 시각은 판이하게 다르다. 사건의 개요부터 진행과정 등에 대해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3.1. 일본의 시각[편집]

일본이 주장하는 사건의 원인은 미군이 부설한 기뢰에 우키시마마루가 접촉하면서 폭발이 일어났다는 것. 당시 마이즈루만에는 미군이 부설한 기뢰들이 깔려 있었는데, 자기기뢰에 대해서는 우키시마마루 자체의 장비로 탐색이 가능했지만, 음향기뢰는 소해정이 음향 발신기로 음향 기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게 필요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키시마마루는 마이즈루항으로 들어가라는 상부의 지시를 받기는 했으나 갑작스런 명령 전달 과정에서 혼동이 있어 길을 안내해야 하는 소해정들이 제때 마중을 나오지 않았는데, 우키시마마루는 소해정들이 나오기를 기다리지 않고 마이즈루만으로 그냥 들어갔다가 기뢰가 있는 수역으로 진입하여 음향 기뢰가 엔진음에 반응하여 폭발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이 기뢰에 대해 일본에서는 "음향기뢰가 아닌 수압식 기뢰일 가능성도 크다"고 말한다.

또한 일본 측에서는 "마이즈루에 입항한 것은 배의 연료가 떨어졌기 때문이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승조원과 탑승자들 대부분을 함선의 데크(갑판)로 유도했기 때문에 오히려 피해가 적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일본이 기뢰 폭발에 의한 사고라고 주장하는 직접적 근거로는 침몰한 우키시마마루의 상태가 상부 구조물이 파괴된 것이 아닌 배 밑바닥 등의 하부 구조물에만 폭발한 흔적이 있다는 것, 선체 부품이 흩어져 날아가거나 선체에 큰 폭발로 생긴 구멍이 없다는 점, 폭발 이후 해저의 흙이 부상해 해면이 탁해진 점, 사망자들의 사체가 화상을 입었거나 신체가 산산히 흩어지지 않은 점 등을 들고 있다.

또한 일본은 "미군이 이 사건을 수중에 부설한 기뢰에 의한 전과로 기록하고 있는 점도 증거"라고 주장한다.

일본 위키피디아에는 해당 사건에 대해서 GHQ 측에서 8월 25일 0시 이후로 100톤 이상의 배의 출항을 금지시켜[7] 해당되는 항해 중인 선박을 가장 가까운 항구로 입항할 것을 명령하였고, 8월 24일 오후 6시까지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을 것 같은 배는 전부 가까운 항구로 회항하라는 명령을 듣고 위치, 승선자의 수, 기뢰의 소해에 의한 안전성, 잠수함의 활동 등을 고려하여 마이즈루 항으로 입항하기로 결정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3.2. 한국의 시각[편집]

한국에서는 "우키시마마루가 폭발한 것은 일본 해군의 계획적인 범죄"라고 주장한다. 우키시마마루의 승조원들은 배가 부산에 도착할 경우에 분노한 조선인들에게 보복을 당할 것을 두려워해서 우키시마마루에 조선인을 탑승시키라는 명령에 강하게 항의하고 항명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 해군이 우키시마마루에 폭탄을 설치한 뒤 이를 폭파시켰다는 이른바 자폭설이 한국의 시각이다.

당시 탑승자들의 증언에 의하면 일본 해군이 "우키시마마루를 타지 않으면 배급을 받을 수 없다", "이 배가 조선으로 가는 마지막 기회"라는 식으로 말했다고 한다. 일부 조선인들 중에는 가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이런 사람들까지 강제로 태웠다는 것. 다만 이는 학살의 확실한 근거라고 보기는 조금 미흡하다. 조선인들을 얼른 내보낼 마음에 한 이야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끝에 우키시마마루가 조선인들을 태우고 부산항으로 향했지만, 갑자기 24일 영문을 알 수 없게도 마이즈루항 쪽으로 배의 방향을 돌렸다.

또한 침몰시의 정황에 대해서도 양측의 견해가 다르다. 일본측은 승조원들이 탑승자들을 갑판으로 유도했다고 하는데, 사건 바로 다음해인 1946년에 남긴 생존자 채길영 씨의 증언은 정반대다. "승조원들이 탑승한 조선들을 갑자기 배 밑으로 내려가도록 채근하는 사이에, 승조원들은 우키시마마루의 소함[8]을 타고 배를 빠져나갔으며 그 뒤에 배가 폭발했다"는 것이다. 또다른 생존자 강이순 씨 역시 "당시 배에 있던 승조원들이 사라지는 일들이 있었고, 배가 폭발하기 직전에는 승조원들이 기관실로 몰려갔다"고 증언했다. # 다만 강이순 씨의 위 증언에서는 승조원들이 강제로 조선인들을 선창에 밀어넣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없고, "나는 선상 제일 꼭대기에 타고 있었다"고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증언상 승조원들이 배가 폭발할 걸 미리 알았다면, 승조원들이 침몰시 생존 가능성이 제일 낮은 기관부에 몰려갈 이유가 없다는 반박이 가능하다.

우키시마마루가 기뢰에 의한 폭발이 아닌 내부에 설치된 폭발물에 의한 폭발이라는 근거는 생존자들의 증언에서 나오고 있다. 생존자들은 하나같이 "폭발음이 3~4회 들렸다"고 증언하고 있다. 만약 기뢰에 의한 폭발이라면 폭발음이 서너 차례 들린다는 것은 이상하다는 것. 게다가 기뢰에 의한 폭발일 때 나타나는 수십 m의 물기둥도 나타나야 하는데, 그런 것 또한 없었다는 것이다. 설사 기뢰였다고 해도, 기뢰가 존재하는 걸 알고 있는 일본이 출항을 시도했다는 것부터가 의심스럽다.

또한 1954년, 일본 기업이 선체를 인양했을 당시 배의 선체가 모두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었다는 것도 자폭설의 근거로 제기된다. 만약 수뢰에 접촉해서 폭발한 것이라면 안쪽으로 구부러져야 마땅하겠지만, 우키시마마루의 선체는 모두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었다는 것. 이는 선체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났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4. 각종 의혹들[편집]

4.1. 우키시마마루의 의문스러운 항로[편집]

우키시마마루는 일본 북부의 아오모리 현의 오미나토 항을 출발해 부산으로 향했다. 상식적으로 일본 북부에서 부산으로 가는 가장 빠른 항로는 동해를 횡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우키시마마루는 일본 열도의 연안을 따라 내려갔다.

이는 일본의 연안에 기뢰가 부설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이해할 수 없는 대목. 오히려 기뢰를 피하려고 했다면 상식적인 동해를 횡단하는 항로를 택하는 것이 빠르고 안전했을 텐데도 우키시마마루는 일본열도 연안을 따라 내려갔다. 일본은 "기뢰와 잠수함 활동 등을 피해 그런 항로를 택했다"고 주장하지만, 한국에서는 "애당초 부산으로 갈 의도가 있었나"라고 의심하고 있다.

4.2. 우키시마마루는 왜 마이즈루로 방향을 바꿨나?[편집]

파일:624634674232342.jpg
우키시마마루의 항해 지도[9]

우키시마마루가 갑자기 마이즈루항으로 방향을 바꾼 것도 의혹으로 제기된다. 부산을 향하던 우키시마마루는 8월 24일, 마이즈루항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여기에 대해서 일본은 해군운수본부에서 오미나토 경비부와 우키시마마루의 함장에게 "8월 24일 오후 6시까지 부산에 들어가는 것은 무리인 듯 하니 근처 항구에 입항하라"라는 명령을 내렸고, 우키시마마루는 이 명령에 따라 마이즈루로 방향을 돌렸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뢰 및 잠수함의 위협 등 여러 요소를 감안해 일정을 짰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마이즈루로 방향을 바꾼 이유가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일본군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마이즈루 쪽으로 방향을 돌린 게 아닌가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실제 어떤 생존자는 "배가 부산항으로 가는 게 아니라 원산항으로 간다고 듣기도 했다"고 한다.

4.3. 정확한 탑승자와 사망자의 숫자는?[편집]

일본은 "우키시마마루에 타고 있던 조선인 송환자는 3,725명, 해군 장병은 255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조선인 524명과 승조원 25명이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승선명부를 일본이 작성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 몇 명이 승선하고 사망한지도는 모른다. 간단히 말해 일본이 공식 발표한 승선자 수와 사망자 수는 많이 다르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생존자들은 "일본이 공식 발표한 숫자보다 더 많은 조선인들이 우키시마마루에 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라 확실치는 않지만, 대략 7,000명에서 7,500여명의 조선인들이 우키시마마루에 타고 있었다고 한다. 채길영 씨는 무려 12,000여명이 탑승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사망자들의 숫자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생존자들과 당시 현지 주민들의 증언을 취합하면 최소한 1,000여명 이상이며 3,000~4,000여명, 심지어는 5,000여명이 사망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4.4. 일본 정부의 이해할 수 없는 사건 처리[편집]

일본 정부는 사건이 일어난 뒤, 연합군 사령부에 이 사건을 보고하면서 사망자 숫자가 256명이라고 축소보고했다. 공식 발표에서 언급한 524명보다도 더 줄어든 숫자다. 다시 한 번 적지만 승선명부를 일본이 작성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 몇 명이 승선하고 사망한지는 모른다.

게다가 일본은 1954년, 우키시마마루의 선체를 민간기업에게 인양하게 하면서 재일 조선인들의 사건 진상조사 요구를 묵살했다. 그리고 인양된 선체는 아무런 조사도 없이 민간기업에 고철로 팔아 넘겼다.

후에 우키시마마루 사망자의 유골이라면서 300여 구의 유골을 반환했지만, 조사 결과 여러 사람의 유골이 뒤섞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5. 사건 이후[편집]

1977년에 일본의 공영방송 NHK에서 다큐멘터리 <폭침>이 방영되면서 우키시마마루 사건이 다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1992년 생존자와 유족들은 일본 법원에 일본 정부에 이 사건에 대해서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2001년 8월 23일, 교토지방재판소에서는 일본 정부의 안전 배려 의무 위반을 이유로 생존자 15명에게 1인당 300만 엔의 위로금 지급 판결을 내렸으나,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 요청은 기각했다. 그러나 이 판결마저 2003년, 오사카 고등재판소에서 번복되어 원고패소판결을 내렸다. 참고로 이때 일본 법원의 기각 사유 중 하나가 한일기본조약이었다. 설령 일본 정부의 책임이 있다 하더라도 한일기본조약에 의해 보상은 끝났다는 것이다.

하지만 설령 일본이 주장하는 대로 사고가 맞다 하더라도, 일본 정부가 이 사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럼에도 한국 정부는 이 사건의 진상조사 요구나 피해 보상에 대해서 입도 뻥끗하지 않고 있다.

한편 번역가 이윤기 씨가 이 사건으로 희생된 사람들의 위령비를 탐사한 적이 있다. 당일 밤 희생자들을 생각하며 많이 마시고 많이 울었다고 한다.

현재 한국과 일본 양국에 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조형물이 있다. 한국에는 부산 중앙동 수미르공원에 희생자 위령비(2005)가 있고, 일본에는 우키시마마루가 침몰한 해안 근처의 섬에 '순난의 비'가 있다.

2016년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장 등이 배에 폭발물이 실려 있었다고 추정되는 일본 방위청 문서를 입수해 공개했다. #

2019년에 사고 넉 달 뒤 연합군 요청으로 작성한 조사 보고서에서 출항 전 일본 승조원들이 조선인 때문에 생명을 바칠 수 없다며, 위험한 구역 항해는 절대 반대한다는 규탄시위를 했다고 적혀 있으며, 그러자 일본 해군 참모장이 의무를 수행해 깨끗이 목숨을 바치라고 '폭탄적인 선언'을 했다는 내용이 담겨있어 고의성 의혹이 커진 상황이다.#

6. 문화에서[편집]

영화에서는 1995년 이토오 마사아키(伊藤正昭)가 제작한 일본 영화 <아시안 블루 우키시마마루사콘[10]>(エイジアン・ブルー 浮島丸サコン)가 최초로 이 사건을 다뤘다. 전쟁을 모르고 자란 일본인 자매가 재일동포 2세인 대학교수와 함께 사라진 아버지의 행방을 쫓으며 우키시마마루 사건에 대해 알아간다는 것이 영화의 줄거리다. 이런 내용으로 인하여 이 영화는 일본 우익의 공격을 받았지만, 그럼에도 상영되어 30만 명 이상이 관람하였다. 한국에서는 일본 문화개방이 제대로 안 된 데다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입이 되고 있지 않다가 2001년에야 시민단체 '광주시민연대'에 의해 처음으로 상영됐다. 예고편 본편

파일:external/www.newfocus.co.kr/art_1332227823.jpg

한편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한 가장 유명한 작품은 북한 영화 <살아있는 령혼들>(2002)이다. 물론 북한 영화인만큼 화질이나 CG가 조악하지만 이 사건을 피해자 입장에서 다룬 최초의 서사 영화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참고로 우측 포스터의 침몰하는 배는 도색과 선미 형태, 굴뚝의 모양으로 보아서 RMS 타이타닉의 자매선 HMHS 브리타닉이다. 원래 브리타닉을 다룬 영화 'Britannic'에서 사용한 브리타닉 호의 CG를 북한에서 짜깁기(...)해 쓴 것이다. 브리타닉 호의 굴뚝 뒤로 구명정을 내리는 ‘대빗(davit)’이 보이는 점[11], 선미의 도색 바탕이 하얀데 초록색 줄무늬가 보이는 점[12] 등에 의하여 확실시된다.

2010년 7월 18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424회에서 이를 다루었다. 보기. 그런데 이미 예전에 빌헬름 구스틀로프를 타이타닉 이후 사상 최대의 해상 사고로 하였는데, 다시금 이 사건을 사상 최대의 해상 사고로 표현하여 시청자들을 헷갈리게 하였다. 사실 타이타닉 이후에 이보다 많은 희생자들을 낸 해상 사고가 많이 있다. 립서비스

2014년에는 광복 69주년 기념문화제에서 이 사건을 다룬 창작뮤지컬 <우키시마마루>가 공연됐다.

2019년 9월 우키시마마루 폭파 침몰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영화 <우키시마호>가 개봉 예정이다. 네이버 우키시마호다음 우키시마호 티저예고편메인예고편
파일:티저포스터저용량.jpg




[1] 일본 정부의 사고처리문서에 기록된 수이다. 그러나 실제 관련자들의 증언을 종합해보면 실제 탑승인원은 8,000여 명에 달했을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일본은 탑승자 명부조차 제대로 작성하지 않아서, 사건 이후 27년 만에 밝혀진 사망자 명부에는 고작 549명(조선인 524명, 일본인 승무원 25명)밖에 적혀져 있지 않았다.[2] 우키시마마루는 원래 화물선으로 1937년 건조되어 1941년부터 군수 물자를 실어날랐었다.[3] 일본은 3,725명의 탑승을 주장하는데, 7000여 명이라는 숫자는 사고 당시의 현지 주민의 증언과 우키시마마루 생존자의 증언에 따른 수치이다.[4] 소련 해군의 잠수함으로 추정되지만 러시아 정부는 부정하고 있다.[5] 삼선 조난사건이라고 한다.[6] 대순진리회 대순회보 90호의 '우키시마호, 그 잊혀진 비극을 찾아서'에 실린 내용에 의하면 1954년 10월 9일자 오사카 발행 <국제신문>에 실린 것이다. 우측에는 부식된 시계와 한글이 새겨진 탑승자의 유품 사진이고, 좌측은 찢겨진 배 밑바닥 사진이다. 신문은 이를 보도하며 폭발이 배 내부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7] 1975년에 나온 재일조선인 처우의 추이와 현상(在日朝鮮人処遇の推移と現状) 53페이지를 출처로 명시하고 있다.[8] 아마도 구명보트 같은 걸로 추정된다.[9] 이 자료는 대순진리회 대순회보 90호의 '우키시마호, 그 잊혀진 비극을 찾아서'에 실린 사진이다.[10] "사콘"은 한국어 단어 "사건"을 카타카나로 옮긴 것이다.[11] 대빗은 여러 개의 구명보트를 효과적으로 내리기 위해 선사가 설치한 것으로, 타이타닉 호 침몰 이후에 급히 설치한 것이다.[12] 당시 브리타닉은 영국 해군 병원선으로 차출되어 적십자 마크와 초록 줄무늬를 도색하고 지중해 전장에 투입되었다가 침몰하였다.

Vinoba Bhave - Wikipedia

Vinoba Bhave - Wikipedia



Vinoba Bhav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Vinoba Bhave
Vinoba Bhave 1983 stamp of India.jpg
Bhave on a 1983 stamp of India
Born
Vinayaka Rao Bhave

11 September 1895
Gagode, Pen, British India
Died15 November 1982 (aged 87)
Pavnar, Wardha, India
Other namesAcharya Vinoba bhave
Alma mater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1]
Known forBhoodan Movement
AwardsInternational Ramon Award (1958)
HonoursBharat Ratna (1983)
Websitehttp://vinoba.in http://www.vinobabhave.org
Vinayak Narahari "Vinoba" Bhave (About this soundpronunciation ; 11 September 1895 – 15 November 1982) was an Indian advocate of nonviolence and human rights. Often called Acharya (Sanskrit for teacher), he is best known for the Bhoodan Movement. He is considered as a National Teacher of India and the spiritual successor of Mohandas Gandhi. The Gita has also been translated into Marathi language by him with the name as Geetai means mother Geeta.[2]

Early life and background[edit]

Vinayaka Narahari Bhave was born on 11 September 1895 in a small village called Gagoji (present day Gagode Budruk) in Kolaba in the Konkan region of what is now Maharashtra. Vinayaka was the eldest son of Narahari Shambhu Rao and Rukmini Devi. The couple had five children; four sons named Vinayaka (affectionately called Vinya), Balakrishna, Shivaji and Dattatreya, and one daughter. His father was a trained weaver with a rationalist modern outlook, and worked in Baroda. Vinayaka was brought up by his grandfather, Shamburao Bhave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mother Rukmini Devi, a religious woman from Karnataka. Vinayaka was highly inspired after reading the Bhagavad Gita, at a very young age.[3]
A report in the newspapers about Gandhi's speech at the newly founded Benaras Hindu University attracted Bhave's attention. In 1918, on his way to Bombay to appear for the intermediate examination, Bhave threw his school and college certificates into a fire. Bhave took the decision after reading the piece of writing in the newspaper written by Mahatma Gandhi. He wrote a letter to Gandhi and after an exchange of letters, Gandhi advised Bhave to come for a personal meeting at Kochrab Ashram in Ahmedabad. Bhave met Gandhi on 7 June 1916 and subsequently abandoned his studies. Bhave participated with keen interest in the activities at Gandhi's ashram, like teaching, studying, spinning and improving the life of the community. His involvement with Gandhi's constructive programmes related to Khadi, village industries, new education (Nai Talim), sanitation and hygiene also kept on increasing.
Bhave went to Wardha on 8 April 1921 to take charge of the Ashram as desired by Gandhi. In 1923, he brought out Maharashtra Dharma, a Marathi monthly which had his essays on the Upanishads. Later on, this monthly became a weekly and continued for three years. In 1925, he was sent by Gandhi to Vaikom, Kerala to supervise the entry of the Harijans to the temple.
Bhave was arrested several times during the 1920s and 1930s and served a five-year jail sentence in the 1940s for leading non-violent resistance to British rule. The jails for Bhave had become the places of reading and writing. He wrote Ishavasyavritti and Sthitaprajna Darshan in jail. He also learnt four South Indian languages and created the script of Lok Nagari at Vellore jail. In the jails, he gave a series of talks on Bhagavad Gita in Marathi, to his fellow prisoners. Bhave participated in the nationwide civil disobedience periodically conducted against the British, and was imprisoned with other nationalists. Despite these many activities, he was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He gained national prominence when Gandhi chose him as the first participant in a new nonviolent campaign in 1940. All were calling him in his short name, Vinoba.[citation needed] Bhave's younger brother Balkrishna was also a Gandhian. Gandhi entrusted him and Manibhai Desai to set up a nature therapy ashram at Urali Kanchan where Balkrishna spent all his life[4][5][6][7]

Career[edit]

Freedom struggle[edit]

Vinoba Kutir at Sabarmati Ashram
He was associated with Mahatma Gandhi in the Indian independence movement. He stayed for some time at Gandhi's Sabarmati ashram in a cottage that was named after him, 'Vinoba Kutir'. He gave talks on Bhagvad Gita in Marathi to his fellow ashramites.
These highly inspiring talks were later published as the book "Talks on the Gita", and it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both in India and elsewhere. Bhave felt that the source of these talks was something from above and he believed that its influence will endure even if his other works were forgotten.
In 1940 he was chosen by Gandhi to be the first individual Satyagrahi (an individual standing up for Truth instead of a collective action) against the British rule.[8] It is said that Gandhi envied and respected Bhave's celibacy, a vow he made in his adolescence, in fitting with his belief in the Brahmacharya principle. Bhave also participated in the Quit India Movement.

Religious and social work[edit]

Gandhi and Bhave
Bhave's religious outlook was very broad and it synthesized the truths of many religions. This can be seen in one of his hymns "Om Tat Sat" which contains symbols of many religions. His slogan "जय जगत्" (Jay Jagat) i.e. "victory to the world" finds reflection in his views about the world as a whole.
Bhave observed the life of the average Indian living in a village and tried to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he faced with a firm spiritual foundation. This formed the core of his Sarvodaya movement. Another example of this is the Bhoodan (land gift) movement started at Pochampally on 18 April 1951, after interacting with 80 Harijan families. He walked all across India asking people with land to consider him as one of their sons and so gave him one-sixth of their land which he then distributed to landless poor. Non-violence and compassion is a hallmark of his philosophy, he also campaigned against the slaughtering of cows.
Bhave said, "I have walked all over India for 13 years. In the backdrop of enduring perpetuity of my life's work, I have established 6 ashrams.

Brahma Vidya Mandir[edit]

The Brahma Vidya Mandir is one of the ashrams that Bhave created. It is a small community for women that was created in order for them to become self-sufficient and non-violent in a community. This group farms to get their own food, but uses Gandhi's beliefs about food production, which include sustainability and social justice, as a guide. This community, like Gandhi and Bhave, has been influenced greatly by the Bhagavad-Gita and that is also used to determine their practices. The community perform prayers as a group every day, reciting from the Isha Upanishad at dawn, the Vishnu Sahasranama at mid-morning, and the Bhagavad-Gita in the evening. As of today, there are around 25 women who ar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several men have also been allowed to join in the community.[9]
Since its founding in 1959, members of Brahma Vidya Mandir (BVM), an intentional community for women in Paunar, Maharashtra, have dealt with the struggle of translating Gandhian values such as self-sufficiency, non-violence, and public-service into specific practices of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BVM's existence and the counter-narrative its residents practice demonstrate how one community debate the practicalities and tradeoffs in their application of self-sufficiency, non-violence, and radical democracy to their own social and geographic context. One mainstream narrative described by BVM and the farmers that work with them is that large-scale agriculture is inevitable, necessary, and the sole possibility of feeding the world. Instead, at BVM they reject the narrative that success in agriculture comes from expensive technology. BVM is a small community in India, therefore it does not hold much power to promote its beliefs and practices in the mainstream. Meanwhile, India today proudly proclaims its large and growing middle class, and although many see Gandhi as a hero, some reject his views in favor of US-style-consumerism and look for an alternate route in agriculture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existence of BVM provides a counter-narrative on enacting alternative agricultural and social practices that were already being practiced by BVM´s women back in the 1960s.[10]

Literary career[edit]

Vinoba Bhave was a scholar, thinker, and writer who produced numerous books. He was a translator who made Sanskrit texts accessible to the common man. He was also an orator and linguist who had an excellent command of several languages (Marathi, Kannada, Gujarati, Hindi, Urdu, English, Sanskrit). Bhave was an innovative social reformer. He called "Kannada" script the "Queen of World Scripts" (Vishwa Lipigala Raani)[citation needed] He wrote brief introductions to, and criticisms of, several religious and philosophical works like the Bhagavad Gita, works of Adi Shankaracharya, the Bible and the Quran. His views of Dnyaneshwar's poetry and works by other Marathi saints is quite brilliant and a testimony to the breadth of his intellect.
Bhave had translated the Bhagavad Gita into Marathi. H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Gita and attempted to imbibe its teachings into his life, often stating that "The Gita is my life's breath".[11]
Some of his works are:
  • The essence of Quran
  • The essence of Christian teachings
  • Thoughts on education
  • Swarajya Sastra
Vinoba Bhave University, located in Hazaribagh district in the state of Jharkhand, is named after him.

Vinoba Bhave and Land Donation Movement[edit]

On 18 April 1951,[12] Bhave started his land donation movement at Pochampally of nalgonda district Telangana,[13] the Bhoodan Movement. He took donated land from land owner Indians and gave it away to the poor and landless, for them to cultivate. Then after 1954, he started to ask for donations of whole villages in a programme he called Gramdan. He got more than 1000 villages by way of donation. Out of these, he obtained 175 donated villages in Tamil Nadu alone. Noted Gandhian and atheist Lavanam was the interpreter for Bhave during his land reform movement in Andhra Pradesh and parts of Orissa[14]

Later life and death[edit]

Building in the Paunar ashram
Bhave spent the later part of his life at his Brahma Vidya Mandir ashram in Paunar in Wardha district of Maharashtra. He died on 15 November 1982 after refusing food and medicine for a few days by accepting "Samadhi Maran" / "Santhara" as described in Jainism.[citation needed] The then Prime Minister of India, Indira Gandhi, who was visiting Moscow to attend the funeral of Soviet leader Leonid Brezhnev, cut short her visit to be at the Bhave's funeral.

Criticism[edit]

V.S. Naipaul has scathingly criticised Bhave in his collection of essays citing his lack of connection with rationality and excessive imitation of Gandhi. Even some of his admirers find fault with the extent of his devotion to Gandhi. Much more controversial was his support, ranging from covert to open, to Congress Party's government under Indira Gandhi, which was fast becoming unpopular. He controversially backed the Indian Emergency imposed by Prime Minister Indira Gandhi, calling it Anushasana Parva (Time for Discipline). Jayaprakash Narayan in his prison diary during the emergency sarcastically wrote about the meaning of Anushasan Parva.[15] Congress party opponents at that time had coined the derogatory term "Sarkari Sant (Government Saint)" to describe him. Noted Marathi writer Purushottam Laxman Deshpande publicly criticised him and mocked him by writing article titled as "Vanaroba" which is disambiguation of name "Vinoba" and literally means monkey.

Awards[edit]

In 1958 Bhave w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international Ramon Magsaysay Award for Community Leadership.[16] He was awarded the Bharat Ratna posthumously in 1983.[17]

Bibliography[edit]

  • Geetai [18]
  • Geeta Prachane (in all Indian languages)
  • Vichar Pothi (in Marathi, Hindi, Gujarati and English)
  • Sthitapragnya Darshan (Marathi, Hindi, Gujarati also translated in English)
  • Madhukar (collection and compilation of his articles written over the years (before freedom was achieved.)
  • Krant Darshan
  • Teesri Shakti or The Third Power (his views on political life of the nation)
  • Swarajya Shastra (his political treatise)
  • Bhoodan Ganga – in 9/10 volumes, (in Marathi, Hindi) collection and compilation of his speeches from 18 April 1951)
  • Selected Works (in Hindi in 21 volumes, edited by Gautam Bajaj)
  • Moved by Love (his life in his own words)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Umarji, Vinay (13 June 2016), "Know Your Smart City: Gujarat"Business Standard
  2. ^ Geetai
  3. ^ Narayanaswamy, K.S. (2000). Acharya Vinoba Bhave – A biography (Immortal Lights series). Bangalore: Sapna Book House. ISBN 9788128017506.
  4. ^ Kumarappa B. ed. (1954) Gandhi M. Nature cure. Navajivan Publishing House.
  5. ^ "The Nisargopachar Ashram – Naturopathic Centre Urulikanchan, Pune"aarogya.com.
  6. ^ "Desai, Manibhai Bhimbhai"rmaf.org.ph.
  7. ^ Mehta, Jayshree; Usha, Thakkar, eds. (2011). Understanding Gandhi : Gandhians in conversation with Fred J. Blum.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p. 6. ISBN 978-8132105572.
  8. ^ Rühe, Peter (2001). Gandhi. Phaidon. p. 152. ISBN 978-0-7148-4103-8.
  9. ^ Sanford, A. Whitney (3 April 2013). "Gandhi's Agrarian Legacy: Practicing Food, Justice, and Sustainability in India"Journal for the Study of Religion, Nature and Culture7 (1): 65–87. doi:10.1558/jsrnc.v7i1.65. Retrieved 28 January 2014.
  10. ^ Sanford, Whitney (2013). "Gandhi's agrarian legacy: practicing food, justice, and I love Jawad sustainability in India Gandhi's agrarian legacy: practicing food, justice, and sustainability in India" (20140825). doi:10.1558/jsrnc.v7i1.65.
  11. ^ Minor, Robert (1986) Modern Indian Interpreters of the Bhagavad Gita. State University of NY press. ISBN 978-0-88706-298-8
  12. ^ www.mkgandhi.org
  13. ^ The Un-Gandhian Gandhi : The Life and Afterlife of Mahatma – By Claude Markovits
  14. ^ "The King of Kindness: Vinoba Bhave and His Nonviolent Revolution". Markshep.com. Retrieved 13 June 2012.
  15. ^ Dandavate, Madhu (2002). Jayaprakash Narayan : struggle with values : a centenary tribute. New Delhi: Allied Publishers. pp. 224–225. ISBN 9788177643411.
  16. ^ Biography of Vinoba Bhave. rmaf.org.ph
  17. ^ List of Bharat Ratna Awardees recipients accessed in January 2010
  18. ^ Geetai

Further reading[edit]

  • Vinoba Bhave: The Man and His Mission, by P. D. Tandon. Published by Vora, 1954.
  • India's Walking Saint: The Story of Vinoba Bhave, by Hallam Tennyson. Published by Doubleday, 1955.
  • Acharya Vinoba Bhave, by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India, Published by Publications Division, Government of India, 1955.
  • India's Social Miracle: The Story of Acharya Vinoba Bhave and His Movement for Social Justice and Cooperation, Along with a Key to America's Future and the Way for Harmony Between Man, Nature, and God, by Daniel P. Hoffman. Published by Naturegraph Co., 1961.
  • Sarvodaya Ideology & Acharya Vinoba Bhave, by V. Narayan Karan Reddy. Published by Andhra Pradesh Sarvodaya Mandal, 1963.
  • Vinoba Bhave on self-rule & representative democracy, by Michael W. Sonnleitner. Published by Promilla & Co., 1988. ISBN 978-81-85002-10-1.
  • Struggle for Independence : Vinoba Bhave, by Shiri Ram Bakshi. Published by Anmol Publications, 1989.
  • Philosophy of Vinoba Bhave: A New Perspective in Gandhian Thought, by Geeta S. Mehta. Published by Himalaya Pub. House, 1995. ISBN 978-81-7493-054-5.
  • Vinoba Bhave – Vyakti Ani Vichar (a book in Marathi) by Dr Anant D. Adawadkar, Published by Jayashri Prakashan, Nagpur.
  • Vinoba Darshan – a pictorial biography with philosophical views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