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01

현실 너머의 세계를 만들다…오로빌의 실험

현실 너머의 세계를 만들다…오로빌의 실험

서어리 기자
2016.09.07 08:28:01

[김민웅의 인문정신]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 인터뷰 (상)

사드 배치 문제, 국회 개회사 파동, 세월호 단식 투쟁…. 오늘도 어김없이 온갖 종류의 사회적 갈등이 언론 지면을 뒤덮는다. 어지러운 현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정치나 종교 같은 차이들을 초월한 평화로운 공간을 꿈꾸게 마련이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현실 너머'는 저마다의 상상 속에 갇히곤 한다.

현실 너머의 세계가 과연 존재할까? 알 수 없다. 그러나 적어도 그런 공간을 만드는 실험은 지구 상 어딘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인도에 터를 잡은 대안 공동체 오로빌(Auroville)이 바로 그런 곳이다. 여기 모인 50여 개국 출신의 2500여 명은 국적, 종교, 인종, 문화, 정치, 경제적 배경과 같은 차이를 뛰어넘어 조화롭게 사는 삶을 실천하고 있다.

모든 대안적인 것들엔 의구심이 따른다. 오로빌 공동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정치적 차이가 극복이 되는가. 먹고 사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가. 오로빌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의심 혹은 호기심은 끊이지 않는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인터뷰에 응한 이는 허혜정 오로빌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다. 다음은 지난달 24일 서울시 중구 서울 도서관 내 카페에서 김민웅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가 묻고 허혜정 씨가 답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김민웅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와 허혜정 오로빌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 ⓒ프레시안(최형락)

'지구 상 어디 한 군데쯤은...' 오로빌의 실험에 참여하다

김민웅 : 남부 인도에 있는 '오로빌(Auroville)'은 대안 공동체의 미래를 꿈꾸는 이들이 주목하는 모델이다. 그러나 오로빌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는 아직 깊지 않다. 오로빌이 어떤 곳인지 우선 간단히 소개해달라.

허혜정 : 국적, 종교, 인종, 문화, 정치, 경제적 배경을 초월해 인류의 일체성을 실험해보기를 원하는 50여 개국 2500여 명이 살아가고 있는 국제 공동체다.

김민웅 : 개인적으로는 오로빌과 어떻게 해서 인연을 맺게 됐나.

허혜정 : 평소 공동체에 관심이 많았다. 우연히 오로빌에 관한 <A Dream>이라는 글을 읽었는데, '지구 상 어디 한 군데쯤은 정치, 종교와 같은 온갖 차이를 차이들을 넘어서서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는 실험을 하는 곳이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첫 문장이 가슴에 와 닿았다. 나도 참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2002년 오로빌에 갔다.

김민웅 : 오로빌은 누가, 어떻게 만들게 되었나.

허혜정 : 인도의 시인이자 사상가였던 스리 오로빈도가 독립운동을 하던 중 감옥에 들어가게 됐다. 그런데, 거기서 독특한 영적 체험을 하면서 인류가 언젠가는 개체의식을 초월하여 일체의식을 지닌 존재로 진화해가리라는 것을 깨닫고 그 일체성을 실현한 세상을 꿈꾸게 되었다. 스리 오로빈도가 1950년에 돌아가시자, 그의 영적인 반려자였던 미라 알파사라는 분이 스리 오로빈도의 유지를 받들게 되었다. 인도에서는 여성 가운데 영적인 스승을 '마더'라고 부르는데, 미라 알파사가 마더가 되었고, 오로빌 공동체를 만들었다.

김민웅 : 미라 알파사는 누구인가?

허혜정 : 1878년 프랑스 태생이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각기 터키와 이집트 출신의 유대인 혈통인데, 성장한 이후 인도와 일본에도 오래 머물렀고 거기서 타고르를 만나는 등 정신적 성숙의 깊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아시아의 영적 깊이에 눈을 뜨게 되었고, 스리 오로빈도와의 만남은 그런 과정에서 이루어진 일이다.

김민웅 : 자칫 어떤 종교집단의 특별 공동체라는 인상을 주지는 않을까?

허혜정 : 아니다. 도리어 특정 종교를 넘자는 것이다. 인간 내면의 영적 심연에 주목해서 인간의식의 성숙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오로빌을 잘 알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적 기반에 대해 이해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오로빌은 전체 인류의 것"

김민웅 : '오로빌'이라는 이름에 뜻이 있는가?

허혜정 : '동트는 새벽(프랑스어 aurore에서 따온 단어인 Auro)의 도시(ville)'라는 뜻이다. 스리 오로빈도의 오로를 떠올리기도 한다. 새로운 문명의 아침을 맞이하고 싶은 마음이 담긴 이름이라고 여기면 될 것이다.

김민웅 : 우리 식으로 하면 "아사달" 또는 "아사벌"인 셈이다. 단군이 아침 들판이나 벌판에 고조선의 도읍을 정한 역사와 겹친다. 갑자기 오로빌이라는 이름이 정겹다.

허혜정 : 듣고 보니 동감이 되고 재밌다. (웃음) 오로빌을 짓기 시작한 건 1968년이었다. 착공식 날 스리 오로빈도와 마더 미라 알파사의 뜻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나라에서 흙을 가져와 오로빌 땅에 묻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124개국에서 모였는데, "오로빌은 전체 인류의 것이며 끝없는 교육과 지속적인 진보, 그리고 영원히 늙지 않는 젊음의 장이 될 것"이라는 오로빌 헌장을 선언했다.

오로빌이 세워지기까지 유네스코와 인도 정부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유네스코는 오로빌이 착공하기 전인 1966년 오로빌의 탄생을 지지하는 총회 결의문을 채택한 이후로 꾸준히 지지 입장을 보냈다. 인도 정부 또한 오로빌의 이상에 동의해, 오로빌이 특별자치구역으로서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오로빌 재단법을 통과시켰다.

▲허혜정 오로빌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 ⓒ프레시안(최형락)

김민웅 : 자치권이 주목된다. 개별 국가주의를 넘겠다는 뜻이 느껴진다. "오로빌은 전체 인류의 것"이라는 헌장도 인상적이다. 프랑스 68혁명 세대의 역할이 컸다고 들었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오로빌 공동체 발전을 위해 유네스코 사무총장 이리나 보코바의 활약이 큰 것을 보았다. 로마클럽과 함께 인류의 미래에 대한 논의를 해온 부다페스트 클럽의 회장 어빈 라스로 박사도 오로빌 국제위원회 의장으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인간의 의식혁명과 미래의 새로운 구성에 깊은 관심을 가진 이들은 오로빌 공동체의 실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런 걸 보면, 우리는 세계적 관심사와 미래 비전에서 너무 동떨어져서 살고 있는 게 아닌가 싶은 느낌이 든다.

허혜정 : 안타까운 일이다. 달라이 라마도 오로빌 공동체의 발전에 소중한 격려를 해왔다. 인류의 미래가 어떤 정신적 변화에 기초해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오로빌에 있다.

김민웅 : 한국 사람은 얼마나 있나.

허혜정 : 전체 약 2500명 정도인데, 참가국은 49개국이었다가 50국이 되기도 한다. 이동 인구도 있어서 늘었다 줄었다 한다. 한국인의 경우는 33명에서 34명 정도이다. 오로빌 주민을 오로빌리언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일반 국가의 국민과 같은 거주자 개념이 아니다. 오로빌을 건설하는 장기 거주 자원활동가 개념으로 이해하는 게 좋다. 여기 올 때도 볼런티어(자원봉사자) 비자를 받는다. 거주 자격이 자원봉사인 셈이다. 자원봉사자로 왔으니 오는 것도 떠나는 것도 자기 마음이다. 장기로 올 수도 있고 단기로 올 수도 있다.

"자본의 힘에서 벗어난 기본소득 체제"

김민웅 : 오로빌의 현실로 들어가 보자. 당장 먹고 사는 문제와 마주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집은 어떻게 구하는지, 직업은 어떻게 갖는지, 교육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다.

허혜정 : 일단 직업의 경우, 각자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한다. 오로빌은 큰 도시의 축소판과도 같아서 모든 기능이 다 있다. 공무원에 해당하는 일을 하는 유닛(부서)도 있고 학교 병원 식당 공장 농장 가게 등과 그 밖의 상상하기 힘든 온갖 다양한 일터가 다 있다. 특별한 전문기술이 없어도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다. 저 같은 경우는 오로빌에 들어갈 때 인터뷰에서 유기농법을 배워서 농사를 해보고 싶다고 했다. 그렇다고 꼭 그 일을 해야 하는 건 아니다.

각 유닛에선 임금이 아닌 기본 생활을 할 수 있는 비용을 제공한다. 한국에서도 요즘 관심을 갖기 시작한 '기본소득' 체제가 운영되고 있는 거다. 현금 사용은 아주 적고,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물자나 복지 혜택을 준다. 점심을 제공해주고, 학교 교육도 무료로 해준다. 일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임금을 받는 게 아니다.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사람은 무료 봉사를 하기도 한다.

김민웅 : 기본소득에도 관심이 가고, 현금 사용의 최소화도 주목할 만하다.

허혜정 : 자본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사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다. 한국에서는 난리가 나는 부동산에 대한 태도도 다르다. 집은 아직까지 공동체에서 제공할 수 없어 각자 해결한다. 그런데 부동산 소유라는 개념이 없고, 집을 구입하거나 지은 후 공동체에 기부한 후 관리자가 된다. 본인이 지은 집에 자녀가 살 수는 있다. 그런데 팔 수는 없다. 대신 오로빌리언끼리 집을 교환하기도 하고, 공동체를 위해 많은 일을 하신 분들께는 무료로 주기도 한다. 집은 도시 개발 부서의 허락을 받아 지을 수 있다. 오로빌에는 건축계에서 오신 분들이 많은데, 소박하게 짓기도 있고 크게 멋지게 짓기도 한다. 원래 도시에 오면 그곳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게 건물이다. 오로빌에 오면 다양한 집들이 있는데 현장에 와보면 그런 부분이 특별히 눈에 띌 것이다.

김민웅 : 새로운 건축 미학의 시도가 가능한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아름다운 건물들이 들어섰지만, 오로빌이 처음엔 황무지라고 들었다. 인도 정부가 이왕 선심을 쓰는 김에 좀 살기 좋고 환경이 괜찮을 곳을 주었어야 했던 거 아닌가? (웃음) 물론 정색을 하고 한 말은 아니다.

허혜정 : 일반적으로 다른 공동체들은 좋은 환경을 찾아서 들어간다. 그런데 저희 같은 경우는 사막 같은 황무지에서 시작했다. 그런 것이 더 의미가 있지 않은가? 기존의 가치관이 뿌리내리지 않은 곳을 선택한 거다. 환경이나 생태적으로 새로운 실험이 가능한 현장이기도 했다. 인구 5만을 목표로 마을을 만들기로 했는데, 확보된 땅은 사람이 살 수 없을 만큼의 사막화가 진행된 불모지였다.

오로빌리언들은 생태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그런 불모의 땅에서 자연을 치유하는 일부터 시작했다. 비만 오면 흙이 쓸려 내려가서 식물이 자랄 수 없는 박토이기에 댐을 만들고 저수를 할 수 있는 웅덩이를 만들었다. 언덕에 구덩이를 파고 나무를 심고 물을 주고, 나무를 키우고 그렇게 녹화 작업을 했다.

▲오로빌 주민 회의. ⓒ오로빌

"경찰 없는 사회...거짓말, 마약 금지 등 가이드라인만"

김민웅 : 오랜 시간과 피땀 나는 노력이 필요했겠다. 그런데 아무리 이상이 높아도, 사람이 사는 곳이면 갈등이 없을 수가 없다. 혹시 그런 걸 해결하는 내부 규율 같은 게 있는가?

허혜정 : 오로빌리언들은 어떤 정해진 가이드라인이나 정책에 의해 관리되는 데 대한 거부감이 많다. 그래서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가이드라인은 간단했다. '거짓말하지 말자', '하루 여섯 시간 공동체를 위해 일하라', '마약을 하지 마라'와 같은 것이다. 그 다음 것들은 안에서 합의를 통해 갈등을 풀어나간다.

김민웅 : 그래도 공동체 생활이 안정이 되는 과정에서 권력 관계가 생길 수도 있지 않나.

허혜정 : 오로빌 안에서는 어떤 일을 하든지 똑같은 생활비를 받는다. 내가 농장에서 풀을 뽑고 흙을 만진다고 돈을 덜 버는 게 아니다. 행정 부서에서 일을 한다고 해서 권한이 더 있는 것도 아니다. 일에 귀천이 없기 때문에 권력이 생기지도 않는다.

김민웅 : 경찰은 없나? 추방하는 경우는 없나?

허혜정 : 경찰은 없다. 갈등이 생길 때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지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키워질 것 아닌가. 그래서 우선 내부에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데, 강도나 살인 같은 큰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도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는 추방할 수 있다는 원칙은 있다.

김민웅 : 종교로 인한 갈등은 없나.

허혜정 : 앞서 말했듯이 이곳에서는 특정한 종교가 따로 없다. 오로빌은 종교 공동체가 아닌 영성 공동체이다. 두 개념의 차이가 쉽게 이해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교회나 절 같은 종교적인 장소가 없다. 각자 자신의 영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아무런 종교적 의무가 없다. 그렇다고 이미 가지고 있는 종교를 부인하고 억압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서로의 길을 존중하고 자유롭기에 갈등은 없다.

"오로빌의 교육에는 경쟁과 시험이 없다"

김민웅 : 교육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나.

허혜정 : 기본적으로 무상교육 시스템이다. 일단 유아원과 유치원이 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결합된 학교가 있고, 고등학교가 있다. 초등‧중등학교의 경우, 전체적으로 대안학교인데 저마다 커리큘럼이 조금씩 다르다. 학문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학교가 있고, 부모가 직접 교사로 참여하는 홈스쿨링 학교가 있고, 다양한 체험 교육을 위주로 하는 학교가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외부 대학 진학을 원하는 아이들을 위한 학교가 있고, 대학 진학을 원하지 않는 아이들은 본인이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도 있다.

김민웅 : 여러 유형의 제도적 실험을 한다는 인상이다. 오로빌 교육의 특징을 설명하자면?

허혜정 : 시험이 없다. 경쟁이 없다. 그게 가장 큰 특징이다.

김민웅 : 그럼 학업 성취 평가는 어떤 식으로 하나?

허혜정 : 평가라는 게 사실은 우리 어른들의 낡은 개념인 것 같다. 시험 같은 평가는 없고, 대신 한 학기가 끝날 무렵, 학교에 공동체 사람들을 초대해서 그동안 공부한 것을 발표하고 나누는 자리가 있다.

김민웅 : 그런 방식으로 공부했을 때 외부 상급 학교 진학에는 어려움이 없나.

허혜정 : 신기한 게, 대학을 진학하는 아이들의 경우, 굉장히 공부를 잘한다. 이름만 대면 알 만한 해외 대학에 많이 입학하고 원하는 과목을 전공한다. 외부에서 그렇게 공부를 한 후 돌아오는 경우도 많다.

김민웅 : 다시 돌아오는 아이들은, 바깥 세상에 적응이 안 돼 그런 것 아닌가 하는 오해도 있을 수 있을 것 같다.

허혜정 : 공부를 마치고 다시 오로빌에 오느냐 마냐는 본인의 선택에 달려있다. 돌아오는 아이들에게는 감사할 따름이다. 돌아오는 아이들 대부분은 정말로 오로빌에 살고 싶어서 온다.

김민웅 : 여러 나라 출신들이 섞여 있으니 소통에 어려움은 없는가? 언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

허혜정 : 언어는 대개 기본적으로 서너 개는 하는 것 같다. 모국어를 하고, 영어는 기본 공용어라서 하고, 타밀 나두주에 살기 때문에 타밀어를 한다. 학교에서는 불어 교육도 많이 하는 편이다. 인도 고대어인 산스크리트어도 많이 한다.

김민웅 : 다국적 문화권답다. 한국 사람이 30여 명 정도라고 했다. 일본이나 중국 사람은 어느 정도 있나?

허혜정 :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중국, 일본이 각각 12명이고 대만이 3명이다. 동북아 인구를 통틀면 70명 정도 되는 것 같다. (다음에 계속)

서어리 기자

-----

헬조선에서도 오로빌의 실험, 가능할까? : 네이버 뉴스
기사입력 2016-09-08 08:25  0  4

[김민웅의 인문정신]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 인터뷰 (하)

 [서어리 기자]

오로빌에 '남한 문화관' 아닌 '코리안 문화관' 설립하는 이유

김민웅 : 동북아 센터라는 곳을 만들 계획이라고 들었다. 무얼 하고자 하는 곳인가?

허혜정 : 오로빌은 기본적으로 산업. 문화. 주거. 국제 네 구역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국제 구역은 오로빌과 오로빌 바깥에 있는 나라들을 연결하는 곳으로, 오로빌의 이상과 맞닿아 있는 곳이다. 오로빌이 인류 공동체를 지향하기 때문에 전 세계가 평화롭게 살려면 각 국의 문화와 민족혼을 서로 이해하고 배우면서 조화를 이뤄야 한다. 그래서 각 민족혼의 진수를 꽃피울 수 있는 각국의 문화관을 세우고 있다. 현재는 인도 문화관과 티베트 문화관이 완공되어 있고, 우리나라를 포함, 나머지 나라들도 열심히 준비를 하고 있다.

김민웅 : 그런 센터나 각국 문화관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땅은 어떻게 주어지는가?

허혜정 : 지난 2월에 부지 신청을 해서 2만2000제곱미터 정도 승인을 받아서 배당돼있다. 동북아시아 전체 부지이다. 이제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지역 중 중국, 대만, 일본, 몽골 등과 함께 동북아 클러스터에 소속되어 있고, 한 구역에다 다섯 나라의 문화관을 각각 짓도록 계획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정치적으로는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어 있지만 우리는 남한 파빌리온(문화관)을 짓는 것이 아니라 통일을 염원하는 뜻을 담은 코리안 파빌리온을 짓고자 한다. 일종의 한국 평화관의 성격도 갖는 셈이다. 한국관은 1200제곱미터 규모다. 동북아 센터는 아시아 5개국이 함께 사용할 공동시설이 된다. 여기에는 동북아의 문화를 함께 소개할 박물관과 멀티미디어 센터와 도서관을 만들고 공동 행사를 치를 이벤트 홀도 마련할 계획이다. 동북아 센터의 경우는 다섯 나라가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 있다.

숙소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이러한 작업은 절실하다. 현재 오로빌을 방문하는 방문객은 하루 3000명 정도 된다. 많을 때는 7000명이 오기도 한다. 오로빌 인구가 2500명인데 그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전 세계에서 자원봉사자나 게스트로 방문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로빌 안에서 다 머물 수 없고 밖에서 머물러야 하기도 한다.

지금도 한국에서 학생들이 현장학습을 위해 많이 온다. 동북아 센터가 지어지면 거기에는 단기 방문객을 받고 각국의 파빌리온은 리서치를 하거나 오로빌 공동체를 견학하러 오는 분들과 학생들이 묵으면서 각국의 문화도 서로 교류하며 배울 수 있도록 문화관과 교육관의 역할을 겸하게 될 것이다.

김민웅 : 엄청난 프로젝트로 들린다. 어느 정도 실현 단계에 있는가, 아니면 이제 시작하는 단계인가?

허혜정 : 이제 시작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따지고 보면, 코리안 파빌리온을 짓기 위한 노력은 2004년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꿈을 키우고 구체화해온 셈이다. 오로빌에서 매년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행사를 하는 가운데 건물을 짓기 위한 종잣돈도 많지는 않지만 적립해왔다. 작년부터는 설계도면 작업도 하고, 한국에서도 펀딩과 지원을 해줄 그룹을 조직하기 위한 활동 등을 점차 본격화해가고 있다.

동북아 센터에는 아시아 키친과 수공예관도 마련할 예정인데, 여기서 동북아의 음식 문화를 소개할 것이다. 최근에 한국 스님이 오셔서 전시회도 했는데, 한국 음식을 함께 나누면 음식을 만드는 자세, 먹는 자세. 감사하는 마음, 이런 사찰 음식 문화를 함께 나누었다. 지금 인스턴트 음식이 굉장히 난무하는데 이런 활동을 통해 건강한 음식 문화를 이어가고 싶다. 자수나 매듭 같은 동북아의 수공예품도 인기가 많다. 몇몇 오로빌리언들이 한국에 와서 담양 대나무 축제를 구경한 적이 있는데 담양의 대나무로 만든 수공예품을 보면서 많이들 놀랐다. 우리의 문화도 오로빌에 제공할 수 있는 소중한 인류적 자산이라는 걸 느끼게 된다.


김민웅 : 프로젝트를 추진해나가면서 어려움은 없는가?

허혜정 : 대만과 중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 중국 사이에는 역사적 갈등과 적대감이 존재한다. 저도 일본 사람을 보면 왠지 모를 껄끄러움이 있다. 동북아시아 센터를 짓기 위해 동북아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일하다 보면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지금은 동료애가 쌓여서 훨씬 더 조화롭게 일할 수 있게 되어가고 있다. 이런 경험을 하면서 나라와 나라 사이의 정치적인 갈등을 우리 세대에서는 어떻게든 해결하고, 함께 평화롭게 지낼 수 있도록 계속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해진다. 한국에 와서 뉴스를 보니, 어느 나라가 더 강한 무기 갖고 있나 무기 경쟁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데. 그런 점에서라도 우리가 추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건물만 짓는 건 의미 없다"

김민웅 : 평화와 화해의 세계적 거점이 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리라 본다. 이게 실제로 이루어지려면 재정이 현실적으로 관건이겠다. 한국 문화관을 짓는 데 비용은 얼마나 드나. 펀딩은 어떻게 하나.

허혜정 : 저희가 구상하는 건 5억 정도의 기금이다. 청년, 학생들, 시민 단체 참여가 있으면 한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서 함께 한다면 그 또한 좋겠다. 물론 지원하나 간섭해서는 안 된다. 한국 문화관이 국가 또는 관의 홍보기관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류적 이상에 기여하는 자세가 전제가 된다. 인도 정부의 정책과 태도가 참고가 될 것이다. 이런 이상에 동의하는 기업도 환영한다. 물론 큰 기부가 들어오면 건물을 금방 지을 순 있겠지만, 액수가 크든 작든 함께 펀딩에 참여해서 한국 문화관을 짓는 게 '우리의 일'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런 과정에서 의식이 성장한다. 건물만 짓는 것은 의미 없다. 그 안에서 일어날 활동을 함께 하기 위해선 우선 의식의 성장 과정 자체가 소중하다. 가치의 공유로 함께 자라나는 것이다. 건물의 설계도 그런 차원에서 이미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의식의 진화와 함께 새로운 설계가 가능하도록 논의가 열려 있다.

김민웅 : 그간 어느 정도 논의와 협력관계가 만들어졌는가?

허혜정 : 우리 안에서의 논의와 노력은 오래됐다. 그러나 모든 일이 다 시기적 성숙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아직은 이 프로젝트를 알리고, 협력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 나서는 단계이다.

김민웅 : 그걸 하기 위한 상황이 이제는 과거보다는 나아졌다고 본다. 간간이기는 하지만, 오로빌이 한국 사회에 알려진 것도 이제 한 10년 정도 된 것 같다. 그동안 우리 안에서도 대안 공동체 운동이 꽤 성장한 편이다. 잘만하면 서로 매우 유익한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된다.

허혜정 : 그렇지 않아도 서울시 공동체 사업 담당자께서 오로빌과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있는지 문의해 온 적이 있다. 마을 만들기를 비롯해서 한국에서의 대안 공동체 실험이 여러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는 것도 들었다. 저희 같은 경우 48년간 실험을 계속했기 때문에, 교류하면서 서로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본다. 생태 마을에 관심이 많은 NGO나 대안학교들, 현재 지방 자치정부 주도로 일어나는 마을 공동체 사업과 연계할 수 있게 된다면 좋을 것 같다. 교류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그런 토대 위에서 동북아 센터나 한국 문화관이 세워질 수 있지 않을까 희망하는 바이다.

"미래의 주역들, 오로빌에서 미래의 길을 만들기를"

김민웅 : 청소년이나 대학생이 오로빌 공동체를 견학한다면 어떤 점에서 의미가 있을까.

허혜정 :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겠지만, 오로빌을 함께 만들어나가는 일에 동참한다는 마음으로 온다면 가장 기분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예술인 마을, 유기 농장, 개척 마을, 심신 치유 센터, 대체 에너지 공방, 재활용 공예 스튜디오, 원주민 마을을 돕는 자원단체 등등, 아주 다양한 색깔의 커뮤니티와 일터가 산재해 있다. 거기서 함께 어울려 지내며 체험하면 상상을 뛰어넘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동북아 파빌리온 건축 프로젝트에는 우리나라의 젊은 학생들이 많이 참여해서 함께 일하면 좋겠다. 개념 논의에서부터 시작하는 거다. 결론이 이미 내려진 것이 아니라, 열려 있다. 우리가 하는 일은 미래의 길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래의 주인이 될 주역들이 와서 이것을 함께 만들었으면 좋겠다. 학생들이나 청년들이 와서 다른 국가의 사람들과 함께 부딪히고 공부하면서 어떻게 함께 살아야 하는지를 배우면 평화가 올 거라고 생각한다.

김민웅 : 그렇지 않아도 경희대가 추진하고 있는 미래창조 스쿨의 대안 공동체 영역에서 오로빌 프로젝트를 해보자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좀 더 발전시켜나가면서 여러 대학들이 연대해 함께 해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허혜정 : 오로빌은 그런 점에서 최적이다.

김민웅 : 초등학교나 중고등 학생들이 가면 학교에는 다닐 수 있나.

허혜정 : 3개월 이상이면 오로빌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공부하는 게 가능하다. 미성년자의 경우 혼자 올 수는 없고, 부모님과 같이 와야 한다.

김민웅 : 언제 가면 제일 좋을까.

허혜정 : 더운 지방이라서 5월, 6월은 피하는 게 좋다. 그때가 되면 기온이 42도 정도로 올라간다.

김민웅 : 너무 걱정 안 해도 될 거 같다. 요즘 같으면 우리도 폭염으로 좀 훈련이 돼서 잘 감당할 듯하다.

허혜정 : (웃음) 10월, 11월이 우기다. 몬순 기후이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온다. 폭서기와 몬순기만 피하면 전반적으로 날씨가 좋은데, 12월부터 2월, 3월까지 오면 초가을 날씨라 좋다.

▲허혜정 오로빌 코리언 파빌리언 코디네이터. ⓒ프레시안(최형락)

"돈의 힘이 없는 사회 안의 유기성에 주목해달라"

김민웅 : 정리해보자. 새로운 미래를 꿈꾸던 프랑스 68혁명 세대의 일부가 인도의 정신적 풍토와 만나게 되었고, 불모지였던 곳이 40년간의 노력으로 새로운 형태의 도시로 만들어졌다. 인도 정부의 자치권 부여와 유네스코의 지원이 큰 힘이 되었고 일종의 지구적 공동체가 만들어졌다. 국제구역에서는 동북아 센터와 코리안 파빌리온을 통해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끌어안으며 인류 평화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게 다행스럽게 최근 한국 사회의 생태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맞물리고, 개개인에 있어선 창조적인 삶을 추구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흐름과 만날 가능성이 커졌다. 우리의 입장에서 오로빌을 이렇게 이야기해도 되겠는가?

허혜정 : 한 가지만 덧붙이겠다. 여기선 모든 게 유기적으로 움직인다. 오로빌에서는 친환경을 일부러 내세워서 외치지 않는다. 그런데도 대체 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자립이 가능하게 돼 오로빌리언들은 무상으로 전기를 받아쓰고 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자본이 지배하지 않는 다른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도들을 다양하게 해왔기 때문이다. 친환경 문제는 그런 사유와 틀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하나이다. 에너지가 무상으로 공급되는 사회. 음식이 무상으로 공급되는 사회. 가장 필요한 것들이 무상으로 공급돼 돈의 가치가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사회. 그런 비전 아래서 나머지 친환경, 대안 교육 등이 삶의 내용으로, 실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전체적인 유기성을 주목해주기를 바란다.

김민웅 : 오로빌 공동체의 정신적 가치 전체를 놓고 이해해달라는 이야기로 받아들이겠다. 한중일간 화해를 추구한다고 했다. 그런데 사실 따지고 보면 화해를 하려면 치열한 역사 논쟁이 필요하기도 하다. 좋은 게 마냥 좋다고만 볼 수 없지 않나. 이런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허혜정 : 공동체 안에 가라앉아있던 문제들은 공동의 프로젝트를 위해 함께 일하다 보면 어느 시점에서 드러나게 되는 것 같다. 그런데 목표가 중요한 것 같다. 잘잘못을 따지고 가르치는 데 있느냐, 아니면 치유를 하면서 다음 세대에게 함께 화합해서 함께 사는 법을 가르치는 데 있느냐. 우리는 후자 쪽에 많은 비중을 두고 생각한다.

김민웅 : 그런 생각으로 정치 논쟁을 하면 괜찮을 것 같다. 화해를 내세워 민감한 정치논쟁을 적당히 피하는 방식으로 치유를 하는 것은 아무래도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짚어봤다. 마지막으로, 오로빌에서 10여 년 살았다고 했는데 그동안 "오로빌은 이게 크게 달라졌다" 또는 "나는 오로빌로 이렇게 변화되었다"라고 느낀 게 있나.

허혜정 : 오로빌이 달라졌다고 하기보단 공동체를 보는 내 자세가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처음엔 마더 미라 알파사가 이야기했던 꿈, 변화에 대한 희망을 실현하는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싶어 오로빌에 갔다. 나뿐 아니라 많은 분들이 그런 생각으로 왔다. 그런데 사는 데 어려움도 많았다. 한국에서만 살다가 동서양의 문화가 뒤섞여있고 언어도 다르게 쓰는 곳에 와 보니 여러 가지 일들이 생겼다. 그러다 보니 '무슨 공동체가 이래' 라고 생각하면서 회의가 들기도 했다.

사실 싸울 때도 있다. 그런데 이런 생활이 10년이 되니까, 공동체 안에서 부딪히는 일이 있어도 돌아서면 형제 같고 자매같다. 우리가 싸우는 건 견해의 차이이지 사람이 미워서 그러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 같다. 가치에 대한 공유가 확실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에 대한 믿음이 생긴 것 같다. 다들 부족하지만 같은 꿈을 가지고 와서 부족한 것들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알기 때문에, 서로에게 위안이 되는 것 같다. 그런 걸 깨달으면서 '내가 공동체에 살고 있구나', '같은 꿈을 꾸면서 인류 화합이라는 굉장히 큰 꿈을 꾸고 있구나', '부족하나마 하나가 되어 같이 살 수 있다는 게 행복하다' 이런 생각을 한다.

김민웅 : 한국 사회를 요즘 '헬조선'이라고들 한다. 아까도 말했지만 여기가 사실 원조 오로빌, 아사달이었는데, 이야기를 듣다 보니 비무장지대를 무슨 국제 평화공원 정도가 아니라 오로빌 같은 지구적 공동체의 현장으로 자치권을 주었으면 싶다. 그곳을 인류의 미래를 위한 현장으로 가동할 수 있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해진다. 아사달 프로젝트와 오로빌 프로젝트, 형제 공동체로 말이다.

허혜정 : (웃음) 그럴 날이 언젠가 꼭 왔으면 싶다.

김민웅 : 오로빌 프로젝트가 현실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바란다. 응원하겠다. 우리에게도 오늘의 이야기가 대안 공동체 논의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긴 시간 고맙다.

오로빌 공동체에 대한 소개는 www.auroville.org를 통해 보다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서어리 기자 (naeori@pressian.com)

------

The Life of Japanese Quaker Inazo Nitobe

The Life of Japanese Quaker Inazo Nitobe



The Life of Japanese Quaker Inazo Nitobe

At Philadelphia Yearly Meeting, numerous epistles are read from other yearly meetings throughout the world. Likewise Philadelphia sends its annual epistle and greetings to all yearly meetings. Japan Yearly Meeting’s epistle this year mentioned the “Nitobe lectures.” Friends outside of Japan may not know about the extraordinary life of Inazo Nitobe. My purpose here is to acquaint Friends Journal readers with him.
Inazo Nitobe (1862-1933) became a Christian while a college student, and later a Friend. He rose to fame as an agricultural sugar expert, was the president of several colleges, was a Carnegie exchange professor to the United States, and was a tireless worker for Japanese- U.S. understanding. Most notably, he was the leader of the Japanese delegation to the League of Nations in Geneva, Switzerland, in 1919, and when he arrived there he was promptly appointed under-secretary general of the League. Nitobe is famous for coining the phrase, “Bridge across the Pacific”; for writing the history of William Penn; and for the book, Bushido: The Soul of Japan. He is the only known Quaker whose picture is on his country’s currency.
Nitobe stemmed from a Samurai (Japanese nobility) family on Honshu, the main island of Japan. His grandfather was distinguished for developing irrigation projects and bringing much additional land under cultivation. His father died when he was five and his mother when he was 13. He was the youngest of eight and was raised by his uncle, who adopted him.
At 13, he entered Tokyo English School. By studying English, he became acquainted with Christianity and the Bible. In 1877 he entered the newly founded Sapparo Agricultural College in the northern island of Hokkaido and graduated in 1881. William S. Clark, from Amherst College, was the viceprincipal of the Sapparo Agricultural College, although he left the college before Nitobe started attending. He left a strong influence on the students, particularly in the way ethics was taught. He said the only way he could teach ethics was by teaching the Bible. All of his students became Christians and signed Clark’s “Covenant of Believers in Jesus.”
Nitobe subsequently became a Friend when he was 22 years old while doing graduate study at Johns Hopkins University. He joined Baltimore Yearly Meeting.
He had previously attended Tokyo University, but found the professors there poorly trained. He persuaded his uncle to finance his graduate study in the United States, first at Allegheny College in western Pennsylvania, and then at Johns Hopkins University in Baltimore. While there, he was appointed assistant professor in absentia by his original Japanese college,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This college financed his further study in agricultural economics for three years in Germany at Bonn, Berlin, and Halle universities. He received his PhD from Halle.
In 1885, Inazo and a Japanese classmate were invited from Baltimore to Philadelphia by the Women’s Foreign Missionary Association of Friends to advise them about establishing a Quaker mission in Japan. This ultimately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riends Girls School in Tokyo and ten agricultural missions in Iberaki Province, just north of Tokyo. The Friends Girls School continues to flourish, educating the daughters of prominent Japanese business leaders. Three of the agricultural missions still continue as Friends meetings in Tsuchiura, Shimotsuma, and Mito. Samuel Nicholson, now retired at Friends Village in Newtown, Pa., and his father before him were instrumental in founding a ceramics center at Mito Friends Center.
Gilbert Bowles, Gurney and Elizabeth Binford, Herbert Nicholson, Edith Sharpless, Esther Rhoads, and others were instrumental in the success of Friends School and the success of the various monthly meetings during the past 100 years.
An important outcome from Nitobe’s visit to Philadelphia was meeting his future wife, Mary Patterson Elkinton, the daughter of Joseph S. Elkinton, later widely known for his help in bringing the persecuted Dukhobors from Russia to Canada, as well as for his family business, Philadelphia Quartz Co. They were married in 1890 upon Nitobe’s return from Germany.
Mary Elkinton’s parents objected to the marriage because it would take her to Japan. Her meeting initially also opposed the marriage because of her parents’ objection. Mary’s brothers persuaded the weighty members to change one by one. The wedding ultimately took place, and subsequently, her parents approved.
Mary’s family of Elkintons, Evanses, and Jameses have inspired many others to support Philadelphia Yearly Meeting’s Japan Committee (now International Outreach Committee) in nourishing the growth of the Friends Girls School in Tokyo.
A corollary of this relationship was the friendship of Mary with her Westtown classmate Anna H. Chace (one of the founders of the Philadelphia Yearly Meeting’s Chace Fund) and a member of both Providence (R.I.) and Fallsington (Pa.) meetings. This friendship lasted all their lives. When Nitobe subsequently became an under-secretary 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from 1920 to 1927, Anna went to Geneva each year while the League was in session to be with Mary and Inazo. One year, when Mary was ill and could not come to Geneva, Inazo asked Anna to be his hostess at all official functions. Anna was in effect the “first lady of the world” for a year.
When Nitobe initially enrolled in University of Tokyo after Sapporo and before his German study, he expressed his interest in studying agricultural economics and English literature. The interviewer said “this is a queer combination.” Nitobe responded that “he wished to be a bridge across the Pacific Ocean,” a bridge across which Western ideas could flow to Japan and over which Japanese and Oriental ideas could flow to the United States. This term “bridge across the Pacific,” embraced Nitobe’s life.
His PhD thesis at Halle was Land Possession and Distribution, and Its Agricultural Use in Japan. He also subsequently completed his thesis at Johns Hopkins, The Intercourse between United States and Japan: An Historical Sketch. Later, as a college professor, he published a 400-page biography of William Penn.
In 1900, while recuperating from overwork in Japan, he took a leave of absence in California where he wrote his most famous book,Bushido: The Soul of Japan. It was instantly acclaim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s one of the few accounts of Japanese spiritual history written by a Japanese author in eloquent English. It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several languages. Bushido means literally “the way of Samurai,” and it relates to traditional Japanese moral values.
Returning with his degree from Germany, Nitobe became a full professor at Sapporo. He taught agronomy, colonial theory, history of agriculture, economics, English literature, and German, and was the college librarian. He was also a technical advisor to the government of Hokkaido, two-thirds the size of Pennsylvania.
Inazo established a secondary school in Hokkaido and became its headmaster, with financial support from a local businessman. He and Mary also established a school for poor working girls in the Sapporo slum, supported by faculty and student volunteers from the college. After a few years he exhausted himself from too many duties, and in March 1899 he took the abovementioned leave of absence in Vancouver and then in California.
While recuperating in California, Nitobe was offered numerous positions in Japan. He accepted a position as advisor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n Taiwan in 1901. His reform plan for sugar production there increased it sixfold in 10 years and by 45 times in 20 years. His reforms continue today to support Taiwan’s prosperity.
This brought him wide acclaim. He was appointed professor at University of Kyoto Law Faculty and also headmaster at the First Higher School, the successor of his alma mater, Tokyo English School. He began teaching on the faculty of Agriculture at University of Tokyo.
Inazo and Mary were invited to visit the emperor in 1905. As a boy, the emperor had spent the night with Nitobe’s family at Morioka.
In 1911, Nitobe was chosen as the first exchange professor between the U.S. and Japan, funded by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Nitobe tried to neutralize a rising tide of ill feeling in the United States that was building against Japanese immigrants.
He spent one month each at Brown, Columbia, Johns Hopkins, and the universities of Virginia, Illinois, and Minnesota. He also visited and lectured in many other universities and colleges, including Stanford, Clark, Haverford, and Earlham. These lectures were collected and published in 1912 as The Japanese Nation: Its Land, Its People, and Its Life. He spoke to other groups like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nd Maryland Peace Society. He delivered a total of 166 lectures to approximately 40,000 people, trying to build goodwill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rown University awarded him an honorary degree and he ultimately received five such degrees during his lifetime.
Upon returning to Japan, he became a full-time professor of Colonial Studies at University of Tokyo. A conflict had developed among educators about the Europeans and Japanese supporting colonialism rather than liberation of their colonies. Some, like Germany and its South African colony Namibia, thought a colony was merely for enriching the mother country. Nitobe espoused the more humanitarian view that the mother country should bring benefit to its colonies and raise their standard of living.
Nitobe also was concerned for women’s rights. He assisted several prominent women’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mith School at Sapporo, the prestigious Tsuda College (founded by a Bryn Mawr graduate, Umeko Tsuda) in Tokyo, Keisen Women’s College (established by another Bryn Mawr graduate), and Tokyo Women’s School of Economics.
In 1918, he was appointed the first president of the newly established Tokyo Women’s Christian College. This was heavily subsidized by the Methodist Church of Canada. Soon after assuming the presidency, he and Mary and other Japanese officials toured Europe to inspect the damage from the World War. While in London, he was advised by the Japanese minister that he had been selected to be the under-secretary general of the newly formed League of Nations, under Sir Eric Drummond, the secretary general. It is interesting that Nitobe had studied at Johns Hopkins with Woodrow Wilson, whose ideas formed the League.
The League of Nations moved from London to Geneva in 1920. Nitobe quickly became a favorite spokesman for the League. According to one of his colleagues, nine times out of ten he was chosen to speak to audiences rather than his superior, Drummond. Drummond himself explained that Nitobe was most highly qualified when he said, “He gives his audiences a deep and lasting impression.” One of his colleagues wrote:
There is no office in which more visitors were received or more work done; . . . yet there, one always had the feeling of quiet, of reflection, of that silent gathering together of the internal forces of human nature. One always left that room convinced afresh that it was worthwhile doing one’s best in dealing with even the smallest everyday problems of office life, because one had realized once more the essential connection between his work . . . and the great current of human development which is embodied in the League.
Contemporaneous with the idealist growth of the League was the increasing hostility in California to Japanese. Initially there was a “gentlemen’s agreement” in 1907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at only 146 Japanese individuals per year would be permitted to immigrate here. In 1924, the U.S. Congress unilaterally repudiated this agreement and passed the Oriental Exclusion Act, forbidding any Japanese to immigrate to the United States.
Nitobe was outraged by this Act. He tactfully spent the rest of his life trying to influen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ppreciate Japan’s problems and attributes.
He resigned as under-secretary of the League in 1927 at the age of 64. He was appointed a member of the House of Peers, the Upper House of the Japanese Diet. He joined the editorial board of the Osaka newspaper and wrote a regular English column. Many organizations requested him to be their advisor. He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union movement in aid of labor. He became chairman of the Morioka Farmers Cooperative, and he was instrumental in preventing the intervention of local conservatives in union activity.
Nitob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Japan’s universal medical care system. (Does the Japanese system have any provisions that we might emulate today?) This medical care system had been initiated by Toyohiko Kagawa (1888-1960), who is known to numerous older U.S. Friends for his Social Gospel work among the poor in Tokyo.
Politically, Nitobe’s speech against the pro-military cabinet of Prime Minister Tanaka in the House of Peers in 1929 aided in Tanaka’s being condemned by many and led to his cabinet resigning.
The rise of militarism in Japan coincided with the London Naval Treaty in 1930, which adopted the 5:5:3 ratio in battleship strength betwee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The Japanese Navy strongly opposed this. Japan resigned from the League of Nations in 1933, in part because of this treaty.
In 1931, to Nitobe’s great sorrow, the Japanese military bombed the Japanese-run South Manchurian Railroad and blamed the Chinese for it. The Japanese army then established Manchukuo as a separate nation carved out of Manchuria, over which it appointed a puppet government.
Nitobe was interviewed by a group of reporters about this development, with the promise that his views would not be reported. One reporter violated his promise and published Nitobe’s anti-military comments. A furor arose in Japan and Nitobe delivered a tactful apology.
With this as background, Nitobe toured North America in 1931 and attempted to present a clearer picture of the events in Manchuria. He viewed Manchuria as a three-way conflict between Russia (dating from the Sino- Japanese War of 1895), China, and Japan, with its historical presence in Manchuria. He stated that this historical and economic background need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urrent military action.
He pointed out how the Japanese civilian occupation of Manchuria occurred. Russia had occupied Manchuria after 1895 despite strong Anglo-U.S. protest. Through President Theodore Roosevelt’s efforts, the Russo-Japanese War ended in 1905, and the rights to administer Manchukuo that Russia had previously obtained from China were transferred to Japan. Japan invested one billion yen in gold in Manchuria to develop it. Japan, not China, was administering Manchuria, based upon the Chinese- Russian treaty. Japan, in hindsight, justified its actions because of the U.S. Oriental Exclusion Act. Japan reasoned that it needed Manchukuo for its expanding population. Nitobe compared the hostility in India against British administrators and the U.S. advocacy of the Monroe Doctrine in the Caribbean, to the prohibition of Japanese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Nitobe toured North America again in 1932, conferred with President Hoover in the White House, received an honorary degree from Haverford College, and in ten months delivered one hundred lectures on Japanese culture and on the Manchukuo issue to audienc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tarting with a CBS radio address in New York, in which he said, “My keen concern over Japanese-American relations and my earnest desire to study the American sentiment toward Japan, are what have brought me over to America.”
Nitobe’s final trip to U.S. in 1933 was to attend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conference in Banff, Canada. This conference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from countries around the Pacific Ocean met annually. Nitobe had been chairman of the Japanese delegates since 1929, and this was his fifth conference. In his final address he said: “China and Japan sit side-by-side at the conference table. . . .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our governments . . . but as man-to-man, we harbor no ill-will the one to the other. . . . Is it too much to hope then that in the intimate contact of nationals from all over the Earth, the day will gradually come when not passion but reason, when not self-interest but justice will become the arbiter of races and nations?”
In September, he collapsed in Victoria, Canada, and died on October 15, 1933, at age 72.
A memorial service was held in the Wesley United Church in Vancouver. Mary took his ashes to Japan. A Quaker memorial service was held in Tokyo. Over three thousand people attended, including his former students, politicians, the emperor’s emissaries, and citizens. There is a monument honoring him at Royal Jubilee Hospital in Vancouver.
I made a pilgrimage to his home in Morioka, four hours north of Tokyo, after attending the Friends World Committee gathering in Tokyo in 1988. There in the public park is a sarcophagus six feet long and three feet high bearing the name NITOBE in Japanese. Morioka and Victoria have been sister cities since 1985. Nearby is a sign in English directing one to Nitobe’s boyhood homestead. There is a stone statue of him sitting in a chair with one hand under his chin, in a contemplative mood with the inscription “Bridge across the Pacific” and a quotation from one of his famous speeches.
The 1945 will of Anna Harvey Chace provides for a $10,000 scholarship in honor of Inazo Nitobe, the income from which is to assist a Japanese student to attend Haverford College. The corpus of this scholarship is today valued at $55,000.
Nitobe is the only known Quaker to be honored on his country’s currency, a 5,000-yen note, authorized in 1981.
Among Inazo Nitobe’s legacies to the world is the presen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which grew ou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Intellectual Cooperation of which he was a founding director in the 1920s.
Friends are encouraged to visit the Nitobe Memorial Garden at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hen in Vancouver, Canada, and also the Nitobe homestead garden at Morioka when visiting Japan.

“Japan’s Bridge Over the Pacific: Reflections on Nitobe Inazo and Globalization”

“Japan’s Bridge Over the Pacific: Reflections on Nitobe Inazo and Globalization”



Japan’s Bridge Over the Pacific: Reflections on Nitobe Inazo and Globalization

Tsuneo Akaha, Ph.D.
Professor, International Policy Studies
Director,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at the
Monter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Monterey, California
 
 





Dr. Tsuneo Akaha
International Migration Report 2002 by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states: “Today the number of people residing outside their country of birth is at an all-time high of 175 million, more than double the number a generation ago.  The vast majority of migrants are making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ir host countries.” [1]   It also observes that from 1990 to 2000, the number of migrants in the world increased by 21 million persons, or 14 percent.  Forty-one percent of the world’s migrants live in North America, almost 35 million of them in the United States.
The growing migration is perhaps the singl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henomenon we call globalization today.  Migration is nothing new.  We know humans have migrated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ir existence.  People have been moving both within and across national borders for centuries, the former known as internal migration and the latter as international migration.  What is “global” about migration today is that a huge proportion of the migrants now cross national borders and a substantial part of them settle permanently in the host countries. 
Today I would like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migration and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fforded by border-crossing individuals when they happen to find themselves at critical moments in history and in critical places of the world.  Not all of us are fortunate enough--or unfortunate enough, depending on our inborn or learned proclivity toward challenges of historic importance--to find ourselves at such points in history and the world.  Nitobe Inazo was such an individual.  Although he did not settle permanently in the United States, his personal,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life was deeply rooted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his native country, Japan.  There is also a California connection, as we will soon see.
Nitobe Inazo (1862 - 1933) was an educator, a moralist, an essayist, and a diplomat who lived a vibrant but also tumultuous life in the turbulent world of great power rivalry and war.  His life of 70 years represented both the aspirations to peace, democracy, and development the world over and the contradiction between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e touched the hearts and minds of countless people he met around the world, including his American wife, Mary.  He died in Victoria, Canada in 1933 shortly after Japan had walked out the League of Nations, in which he had served as an undersecretary general--the highest diplomatic post ever held by a Japanese. 
As a young student at Tokyo University, Nitobe was asked why he wanted to continue to study English, which he had begun studying at the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present-day Hokkaido University).  He replied he wanted to become a “bridge over the Pacific.”  His intellectual legacy after his death has built a cultural bridge over the Pacific, but scholarly debate continues to this day about the multi-talented Japanese diplomat’s life, which was full of great achievements but also many seeming contradictions. 
Nitobe was born in 1862 in the provincial city of Morioka in northeast Japan, to a family of samurai lineage.  After schooling in Tokyo, he went to the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present-day Hokkaido University) and studied agricultural economics.  The college was the first American-style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in Japan and was staffed by many American teachers.  This enabled him to study English.  He became a Christian, along with Uchimura Kanzo, his classmate who later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hristians in Japan and an outspoken critic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Japanese militarism and imperialism. 
In 1883 Nitobe entered Tokyo University to study English literature and economics.  After one year, he left the university to go to Johns Hopkins University in Baltimore, Maryland, where he studied in a seminar with, among others, the young Woodrow Wilson.  He continued his study in Germany and received a doctorate from the University of Halle in 1890.  As a result he became fluent in both English and German. 
While in the United States, Nitobe had become a Quaker, and on his way back to Japan in 1891 he married Mary Elkinton, the daughter of a leading Philadelphia Quaker businessman.  Nitobe had met her when he studied in Baltimore.
While teaching at his alma mater in Sapporo, he was also very active in religious activities, the formation of schools for working students, consulting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even overseeing dormitories.  Exhaustion forced him to resign from teaching.  To recover his health, he and Mary moved to Monterey and stayed at the Del Monte Hotel (now the Naval Postgraduate School).  The couple stayed there for four years.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Nitobe wroteBushido, the Soul of Japan, arguably the single most influential volume on Japan ever published in the English language. 
-- More on his book later --
  
Among Nitobe’s great achievements were his encouragement of the growth of sugar-cane in Taiwan to improve the economy of the island, which was under Japanese colonial control; the professorship in colonial policy at the University of Tokyo;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Intellectual Cooperation, which after World War II developed into UNESCO; the diplomatic service as undersecretary 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post-retirement assumption of the chairmanship of the Japanese branch of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n 1932,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ent the 70-year-old Nitobe on a punishing 11-month speaking tour of North America to sway public opinion in Japan's favor.  When he returned to Japan to report to the Emperor on his trip, he learned that Japan had walked out the League of Nations, which had reprimanded Japan for its instigation in 1931 of the infamous “Manchurian Incident,” the Japanese army’s plot to justify its control of northeast China. 
In August 1933,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gain sent Nitobe, as the head of the Japanese delegation, to the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n Banff, Canada, again hoping that the Japanese head delegate would be able to soften the international criticism of Japan’s action in Manchuria.  Following the conference Nitobe went to Victoria where Mary was waiting for him.  Early in September, he spoke in Vancouver at a dinner sponsored by the Japanese Consulate and then returned to Victoria.  A few days later he entered the Royal Jubilee Hospital with what appeared to be a minor complaint.  His condition deteriorated and he died in the early evening of October 15.  A quickly convened memorial service in Vancouver two days later attracted 750 mourners. [2]  
Now to Bushido: the Soul of Japan.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English in 1900.  Within a few years of its publication, it was translated into German, Polish, Bohemian and Marathi (a language used on the Indian subcontinent), and later into French, Norwegian, Hungarian, Russian, Chinese, Greek and Arabic.  By 2000, the book had been translated into more than 30 different languages. 
When the book was first introduced to President Roosevelt by a Japanese friend from his Harvard days, the president was so impressed with its prose and its contents that he bought another 30 copies and distributed them to his cabinet members, other colleagues, friends and acquaintances, and urged them to read it. [3]   The book favorably influenced the president’s agreement to mediate the peace treaty between Russia and Japan at the conclusion of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05.  His successful mediation led to his winning of the Nobel Peace Prize. [4]  
The book is an introduction to the core values of traditional Japanese society, which Nitobe believed was based on the samurai’s code of ethics.  Nitobe describes those values in eloquent language, drawing comparisons with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of other civilizations, including all great Western philosophers, Judeo-Christian teachings, Confucianism, Buddhism, Islam, etc.  In the exploration of the main religions and great schools of philosophy from around the world, he both elevates the code of bushido to the same level as the ethical and moral principles of other great civilizations and renders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possible to those who come from those other civilizations.  In this sense, he idealizes bushido.  By idealizing it, he also simplifies it.  He also places bushido in the context of and in the language of our universal search for good person and good society.  Hence the appeal of his exposition to people of many languages.

Globalization

Had Nitobe not studied English as a young student in Sapporo, would he have become involved in the world of diplomacy, as he was at critical moments of history?  Had he not studied what today we call development economics, would he have studied at Johns Hopkins, met Mary, and become a Quaker.  Had his dedication to teaching and myriad social activities not failed his health, would he have gone to Monterey, California and written the book on bushido?  And, finally, had he not written that book, would President Roosevelt have felt compelled to mediate between the Russians and the Japanese or win the Nobel Peace Priz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probably not.”
What does Nitobe’s legacy teach us about the challenges we face in the age globalization?  Essentially globalization challenges us to re-examine our lifestyle, our individual values, and our collective, communal values.  Globalization both unites and divides us.  At the same time that it brings us closer, globalization also diversifies us. 
We are not all as fortunate or unfortunate as Nitobe Inazo in the sense of being at the forefront of world diplomacy.  But we are more fortunate than he in that today plain citizens like ourselves can and are crossing all kinds of borders--geographic borders, economic borders, technological borders, language borders, and cultural borders.  This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hat only privileged people like Nitobe used to enjoy in the previous centuries.  As we cross our borders, can we be as brave as Nitobe and dedicate our talents to the teaching of others and to the learning from others?



[1] Population Divisio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International Migration Report 2002, New York: United Nations, 2002, p. 1.  (ST/ESA/SER.A/220) 
[2] Som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life of Nitobe is drawn from the excellent essay by John F. Howes of Obirin University, Japan, entitled “Japan’s New Internationalism and the Legacy of Nitobe Inazo,” Occasional Paper #5,

Lecture presented for Annual Dorothy and David Lam Lecture Series, October 21,

1993.  (http://216.239.37.100/search?q=cache:AkkhUgD7-NYJ:www.capi.uvic.ca/pdf/HOWES.pdf+Nitobe+Inazo&hl=en&ie=UTF-8). 
[3] Sato Masahiro, “Nitobe Inazo and Bushido,” Jan/Feb 2002. (http://www.jef.or.jp/en/jti/200201_022.html)
[4] Ibid.

Nitobe Inazō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Nitobe Inazō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Nitobe Inazō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In this Japanese name, the family name is Nitobe.
Nitobe Inazō
Inazo Nitobe (crop).jpg
Nitobe Inazō
BornSeptember 1, 1862
Morioka, IwateJapan
DiedOctober 15, 1933(aged 71)
VictoriaBritish Columbia,Canada
Occupationagricultural economist, author, educator, diplomat, politician
Nitobe Inazō (新渡戸 稲造?, September 1, 1862 – October 15, 1933) was a Japaneseagricultural economist, author, educator, diplomat, politician, and Christian during the pre-World War II period.

Early life[edit]

Nitobe was born in Morioka,Mutsu Province (present-dayIwate Prefecture). His father was a retainer to the localdaimyō of the Nambu clan. His infant name was Inanosuke. Nitobe left Morioka for Tokyo in 1871 to become the heir to his uncle, Ota Tokitoshi, and adopted the name Ota Inazō. He later reverted to Nitobe when his brothers died.

Educational career[edit]

Nitobe was in the second class of the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nowHokkaido University). He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under the strong legacy left by Dr. William S. Clark, the first Vice-Principal of the College, who had taught in Sapporo for eight months before Nitobe's class arrived in the second year after the opening of the college; thus they never personally crossed paths. Nitobe's classmates who converted to Christianity at the same time included Uchimura Kanzō. Nitobe and his friends were baptized by an American Methodist Episcopal missionary Bishop M.C. Harris. Nitobe's decision to study agriculture was due to a hope expressed by Emperor Meiji that the Nitobe family would continue to advance the field of agricultural development (Nitobe's father developed former waste land in the north of the Nambu domain near present-day Towada, now part of Aomori Prefecture, into productive farmland).
In 1883, Nitobe entered Tokyo Imperial University for further studies inEnglish literature and in economics. Disappointed by the level of research in Tokyo, he quit the university and sought study opportunities in the United States.

Mary Patterson Elkinton
In 1884, Nitobe travel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stayed for three years, and studied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at Johns Hopkins University in Baltimore,Maryland. While in Baltimore he became a member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s).[1] It was through a Quaker community in Philadelphia that he met Mary Patterson Elkinton, whom he eventually married. He also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Friends School in Tokyo.
While at Johns Hopkins, he was granted an assistant professorship at his alma mater, the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but was ordered to first obtain a doctorate in agricultural economics in Germany. He completed his degree after three years in Halle University and returned briefly to the United States to marry Mary Elkinton in Philadelphiabefore he assumed his teaching position in Sapporo in 1891. By the time he returned to Japan, he had published books in English and inGerman, and had received the first of his five doctorate degrees.
Nitobe continued his teaching tenure at Sapporo until 1897 as he took leave from the college. He spent three years writing first in Japan and later in California. One of the books he wrote during this period wasBushido: The Soul of Japan.

Meiji bureaucrat and educator[edit]

In 1901, Nitobe was appointed technical advisor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Taiwan, where he headed the Sugar Bureau.
Nitobe was appointed a full professor of law at the Kyoto Imperial University in 1904 and lectured on colonial studies. He became the Headmaster of the First Higher School (then the preparatory division for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in 1906 and continued this position until he accepted the full-time professorship at the Law Faculty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in 1913. He taught agricultural economics and colonial studies and emphasized humanitarian aspect of colonial development and critical assessment of colonialism, and was cross-appointed the founding president of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Tokyo Joshi Dai). His students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includedTadao Yanaihara, Shigeru Nanbara, Yasaka Takagi, and Tamon Maeda. (Yanaihara later continued Nitobe's chair in colonial studies at Tokyo University; but Yanaihara's pacifist views and emphasis on indigenous self-determination, which he partly inherited from Nitobe, came into a full conflict with Japan's wartime government during World War II, resulted in barring him from teaching until after the war).
Nitobe and Hamilton Wright Mabie in 1911 were the first exchange professors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under the auspices of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fter World War I, Nitobe joined other international and reform-minded Japanese in organizing the Japan Council of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2]

Diplomat and statesman[edit]

When the League of Nations was established in 1920, Nitobe became one of the Under-Secretaries General of the League, and moved toGenevaSwitzerland. He became a founding director of theInternational Committee on Intellectual Cooperation (which later became UNESCO under the United Nations' mandate). His legacy in this period includes the settlement of territorial dispute between Swedenand Finland over the Swedish-speaking Åland Islands. In its resolution, the Islands remained under the Finnish control, but adopted completedisarmament (i.e., no military presence on the islands) and granted autonomy, averting a possible armed conflict (See also Åland crisis).
In August 1921, Nitobe took part in the 13th World Congress of Esperanto in Prague, as the official delegate of the League of Nations. His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of the League was the first objective report on Esperanto by a high-ranking official representative of an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3] Although the proposal for the League to accept Esperanto as their working language was accepted by ten delegates, the French delegate used his veto power to block the issue.[citation needed]
After his retirement from the League of Nations, Nitobe briefly served in the House of Peers in the Japanese Imperial Parliament; and he delivered a speech against militaristic prime minister Giichi Tanaka in the aftermath of the Huanggutun Incident (1928). He held critical views on increasing militarism in Japan in the early 1930s, and was devastated by Japan's withdrawal from the League of Nations in 1933 over the Manchurian Crisis and the Lytton Report.
In October 1933, Nitobe attended a conference in Banff, Alberta of the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where the background and research papers from the Japanese delegation largely defended Japanese expansionist policies.[4] On his way home from the conference, Nitobe's pneumonia took a turn for the worse and was rushed to the Royal Jubilee Hospital in Victoria, British Columbia, Canada. Following an operation he died on October 15, 1933. Morioka, Nitobe's birthplace, and Victoria have been sister cities since 1985. Mary Elkinton Nitobe lived in Japan until her death in 1938. Mary compiled and edited many of Nitobe's unpublished manuscripts, including his memoirs of early childhood,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eservation of his writings.

Legacy[edit]


Title page of Bushido: The Soul of Japan (1900)
Nitobe was a prolific writer. He published many scholarly books as well as books for general readers (see below). He also contributed hundreds of articles to popular magazines and newspapers. Nitobe, however, is perhaps most famous in the west for his work Bushido: The Soul of Japan (1900), which was one of the first major works on samuraiethics and Japanese culture written originally in English for Western readers (The book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Japanese and many other languages). Although sometimes criticized[who?] as portraying the samurai in terms so Western as to take away some of their actual meaning, this book nonetheless was a pioneering work of its kind.
The reception and impact of Bushido: The Soul of Japan were quite different in Japan and the West, however, with Japanese scholars such as Inoue Tetsujirō and Tsuda Sokichi criticizing or dismissing the book. It was not until the 1980s that Bushido: The Soul of Japan reached the height of its popularity in Japan, and is now the most widely available work on the subject of bushido. In the West, Bushido: The Soul of Japan has been a best-seller since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05, and has been translated into dozens of languages.[5]
Nitobe's writings are now available in Nitobe Inazo Zenshu (the Complete Works of Inazo Nitobe), a 25 volume set from Kyobunkan, 1969-2001. His English and other western language work are collected in the 5 volume Works of Inazo Nitobe, The University of Tokyo Press, 1972.
Major critical essays on Nitobe's life and thought were collected in John F. Howes, ed. Nitobe Inazo: Japan's Bridge Across the Pacific(Westview, 1995). Full biography in English is: George M. Oshiro,Internationalist in Pre-War Japan: Nitobe Inazo, 1862-1933 (UBC PhD. Thesis, 1986); and in Japanese by the same author: Nitobe Inazo, Kokusai-shugi no Kaitakusha (Chūō Daigaku Shuppanbu, 1992). The most detailed account of Nitobe's life after his tenure in the League of Nations, available in English, is: Nitobe Inazo, The Twilight Years, by Uchikawa Eiichiro (Kyobunkwan, 1985). Six (6) critical essays on Nitobe's legacy are included in Why Japan Matters!, vol.2, edited by Joseph F. Kess and Helen Lansdowne (University of Victoria, 2005), pp. 519–573, 655-663.
His portrait was featured on the Series D of ¥5000 banknote, printed from 1984 to 2004.
The Nitobe Memorial Garden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Vancouver, Canada is named in his honour.
A Second Memorial Garden has been built at the Royal Jubilee Hospitalin Victoria, British ColumbiaCanada

Quotations[edit]

  • "What is important is to try to develop insights and wisdom rather than mere knowledge, respect someone's character rather than his learning, and nurture men of character rather than mere talents."
  • "If there is anything to do, there is certainly a best way to do it, and the best way is both the most economical and the most graceful."
  • "Did not Socrates, all the while he unflinchingly refused to concede one iota of loyalty to his daemon, obey with equal fidelity and equanimity the command of his earthly master, the State? His conscience he followed, alive; his country he served, dying. Alack the day when a state grows so powerful as to demand of its citizens the dictates of their consciences!"[6]

References[edit]

  1. Jump up^ For a concise full biography of Nitobe in Quaker pamphlet, see Bridge across the Pacific : the life of Inazo Nitobe, Friend of justice and peace by Tadanobu Suzuki; Argenta, B.C. : Argenta Friends Press, 1994. (Canadian Quaker pamphlets ; 41) ISBN 0-920367-36-4.
  2. Jump up^ Akami, Tomoko (2002). Internationalizing the Pacific: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n War and Peace, 1919–45. London; New York: Routledge. pp. 82–85.
  3. Jump up^ "Esperanto and the Language Question at the League of Nations"
  4. Jump up^ Akami, Internationalizing the Pacific: 193-94.
  5. Jump up^ Oleg Benesch.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ISBN 0198706626ISBN 9780198706625
  6. Jump up^ Nitobe, Inazo (2006). Bushido: The Code of the Samurai. Sweetwater Press. pp. 127–128. ISBN 9781581736038.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