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15

Philo Kalia 폴 틸리히의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사상사] Tillich,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1972


Philo Kalia 심광섭
2Smns2hoorfe ·

신학을 공부하는 <토요독서모임>에서 지난 1년 위르겐 몰트만의 책 5권을 읽었다. 이번에는 한 학도의 제안으로 폴 틸리히의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사상사>를 읽게 되었다. 이 책은 1980년 송기득 교수께서 처음 번역했는데, 그동안 판과 인쇄를 거듭해 출간되고 있다. 40년 이상 계속 나오고 있으니 참으로 장수하는 귀한 책이다. 그만큼 근대 사상사에 대한 서술이 탁월하다는 말일거다.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 이 책만 대략 대여섯 번째 읽게 된다. 그러나 아쉬운 것은 간간이 생긴 오역을 바로잡지 않는다는 점이다. 매우 유감스럽다. 내가 발견하는 이 책의 탁월한 점은 다음의 것들이다.

1)저자가 역사학자가 아니라 조직신학자이자 철학적 신학자이기 때문에 역사 서술을 위한 선택, 해석의 관점에서 틸리히 신학의 특징을 읽어낼 수 있다는 점이다. 역사의 서술은 역사적 사건을 무미건조하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고 해석하는 작업이다.

2)이 책의 허리는 슐라이어마허와 헤겔을 다룬 부분이다. 종교개혁 이후, 정통주의, 경건주의, 합리주의와 계몽주의 그리고 낭만주의를 지나면서 분화된 사상들의 종합을 시도한 사상가들이다. 슐라이어마허는 신학자로서, 헤겔은 철학자로서 이 일을 시도했고, 종합의 시도는 틸리히의 관심이기도 했다.

3)이 책은 계몽주의 시대를 다룸에서 이성적 근대만이 아니라 낭만적 근대를 다룬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틸리히는 개신교 신학자로서 ‘예술신학’의 개척자이다. 틸리히는 프로테스탄티즘이 도덕적 계율의 비신비적 체계가 되어 버렸음을 늘 안타깝게 여긴다. 이것을 극복하는 길은 신적 현존과 인간의 신체험을 진지하게 수용하는 것이다. 그의 신학에 ‘철학적 신학’, ‘문화신학’이란 명칭은 늘 따라 붙었던 이름이다. 그러나 틸리히가 근대는 이성의 시대만이 아니라 감성의 시대이기도 했다는 면을 부각하는 것은 실로 경이롭다. 낭만주의는 계몽주의를 비판함으로써 이성주의적 근대의 어두운 그늘을 드러낸다. 기독교 사상사에서 낭만주의를 포함한 책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틸리히의 역사를 보는 안목은 이미 이성 중심의 근대성을 넘어서고 있다.

4)틸리히는 계몽주의 본질을 네 가지(자율, 이성, 자연, 조화)로 제시하는데, 첫째가 자율(自律, autonomy)이다. 타율(他律, heteronomy)에 의해 지배된 질서를 비판하고 무너뜨리는 독보적 힘은 인간의 자율에 있다. 자율은 가장 숭고한 인간 존엄성의 근거이다. 그러나 틸리히는 신학자로서 자율로 만족하지 않고 신율(神律, theonomy)을 말한다. 신율이란 자율의 신적 근거를 알고, 신적 근거에 잇댄 자율이다.
 
5)틸리히는 이성의 개념을 비판성이 아니라 보편성부터 서술한다. 보편성, 비판성, 직관성 그리고 기술적 이성이다. 틸리히는 기술적 이성을 비판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이성이 지닌 도구성의 긍정적 차원을 역설한다. 특히 신학자가 신학자로서 남기를 원한다면 그것을 경멸해서는 안 될 것이다, 라고 말한다. 그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아도르노 이후 이성의 도구성을 비판하는 것과 다른 양상이다.

6)
  • 전통주의는 신앙에 우위를 두었고, 정통주의는 신앙과 사변을 택했으며, 
  • 계몽주의는 학문과 이성을 택했다면 
  • 슐라이어마허와 헤겔은 신앙과 이성, 신학과 학문, 영성과 지성 등, 양자의 종합을 선택하여 종합을 만들어 낸 사상가들이다. 
특히 르네상스 이후, 17-18세기에 형성된 새로운 인간 이해를 신학이 통합했다. 이 둘은 합성 진주가 아니라 진짜 진주로서 오늘에 이르는 사상사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고 틸리히는 평가한다. 그런 의미에서 위대한 종합이다.

7)이 위대한 종합은 헤겔이 사망하기도 전에 파열되기 시작하는데, 포이어바흐와 마르크스, 쇼펜하우어와 니체에 의해 대대적으로 폭탄처럼 터진다. 틸리히는 이들 이전에 독일 관념주의 철학에서도 잠깐만 언급하는 셸링을 크게 다룬다. 근대 기독교 사상사에서 낭만주의와 셸링의 사상사적 의미를 언급하는 책은 틸리히가 유일할 것이다.
 
8)20세기 신학사상에 대한 언급은 빈약하다. 아마 자신이 아직 살고 있었던 시대이기 때문이었으리라 추측한다. 그러나 새로운 신학운동에 대한 촉감은 예리하다.






91Hyun Ju Kim, Paul Dongwon Goh and 89 others
23 comments
InSun Na

송기득 교수님이 이 책을 처음 번역을 하시고, 수업을 하실 때, 책을 읽고 오역을 지적한 학생이 있어서 교정을 하는대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하셨고, 일본어 번역책을 우선 참고 하신 것 같습니다!

===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From its Judaic and Hellenistic Origins to Existentialism by Paul Tillich | Goodreads


2021/09/14

希修 짜증, 미움, 원한을 다스리는 법에 대한 초기불교의 가르침

(5) Facebook

希修

< 짜증, 미움, 원한을 다스리는 법에 대한 초기불교의 가르침
>
.
1. 호흡의 안정과 몸의 이완에만 우선 집중하고, 그때까지 다른 생각은 잠깐만! 중지할 것.
.
2. 상대방이 ‘잘못’했다는 내 판단의 근거를 스스로 집요하게 캐묻고 의심할 것. 나의 감정, 해석, 기대, 가치관, 전제에 대한 책임을 타인에게 지우지 말 것.
.
3. 상대방이 실제로! 잘못했을 경우, 적의로 가득한 나 자신을 영양실조 + 탈수 + 탈진의 상태로 여기고서 상대방의 장점을 찾아 볼 것. (당장 내 마음 편하자고 상대의 잘못을 억지로 합리화, 미화하는 일은, 화라는 악을 어리석음이라는 악으로 대체하는 것일 뿐.) 상대의 장점이나 선행을 기억해 낼 수 있거든 그 부분을 '내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한 모금의 물'처럼 소중히 여기고 고맙게 생각할 것. 내가 적의 가득한 마음으로 살 경우 내세에 지옥으로 윤회하는 것은 상대가 아니라 나 자신이므로.
.
4. 상대의 장점이나 선행을 단 한 가지도 생각해 낼 수 없을 경우엔, 어리석음으로 인해 악업만 짓고 있는 상대방에 대한 goodwill과 compassion을 가질 것. 타인의 잘못과 나의 마음을 분리하여, 상대의 잘못은 그의 악업이고 화내고 미워하는 나의 마음은 나의 악업임을 기억할 것.
.
5. 사실을 말하기도 하고 거짓을 말하기도 하고, 칭찬을 하기도 하고 모함을 하기도 하며, 바른 이의 편에 서기도 하고 바르지 못한 이의 편에 서기도 하는 것이 인간 세계의 정상적인! 모습임을 기억할 것. 모든 사람이 내가 바라는 꼭 그대로 행동할 수도 없고 내가 남의 언행을 제어할 수도 없음을, 타인의 입장에서 볼 때는 나 역시 그러함을, 이것이 인간계의 수준이고 한계임을 기억할 것. (재가자의 경우 사회적 차원에서 필요한 일은 그것대로 하더라도 마음은 이렇게 가지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
6. 타인이 잘못한다고 해서 적의를 가지면 그쪽에서도 내게 적의를 가질 것이며, 이런 식으로 원한과 미움은 영원히 악순환될 뿐임을 기억할 것. 그렇다고 상대를 억지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거나 친하게 지내려 무리할 것도 없고 서로를 놓아 주면 충분. '너랑 나는 안 맞지만 너는 너대로 행복하기를 바란다.'라거나 '니가 나한테는 실수를 했지만 언젠가 깨닫고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음으로써 네 자신의 앞날에 복을 쌓기를 바란다.' 정도의 마음이면 충분한 goodwill.
.
7. 계속 얼굴 보며 살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상대 언행의 디테일에 대해 신경을 끄고 심리적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세계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평정심을 유지할 것. (있는 그대로를 모두 정확히 알아차리면서도 외부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 평정심이지, 인지부조화나 자발적 무지를 댓가로 하여 얻는 평정심이 절대 아님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 내 신경을 긁는 얘기를 상대가 하더라도, 나를 ‘해치는’ 것은 타인의 말이 아니라 내 스스로 짓는 악업일 뿐임을 기억할 것. 누군가가 실수로 불유쾌한 소음을 냈을 때 그 소음을 나의 감정적 반응으로까지 연결시키지 않고 그냥 지나치듯이, 그렇게 그저 무심히 지나칠 것. 나의 짜증, 분노, 비난으로써 타인을 바꾸는 일은 불가능함을, 내가 지금보다 10배, 100배로 화를 내도 나의 화 때문에 상대방이 바뀌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기억할 것.
.
8. 마음이 힘들 때마다 '나의 goodwill은 바다만큼, 지구만큼, 우주만큼 넓고 크다!'고 상상하면서, 어리석은 상대방, 그로 인해 고통 받는 어리석은 나, 그리고 그 외의 모든 존재들에 대한 goodwill과 compassion을 회복, 유지할 것.
.
14Hyun Ju Kim, Sungsoo Hong and 12 others

希修

불과 5개월 전 쓴 이 글에 어떤 페친분께서 어제 좋아요를 누르셔서 나도 다시 보게 되었는데.. 예전 글을 볼 때 대개는 '아, 맞아. 내가 이런 애기를 했었지.' 하고 금방 기억이 나는 데 비해, 이 글은 마치 남이 쓴 글을 생전 처음 보는 듯 생소한 느낌이 들어 나 스스로도 정말 많이 놀랐다. 실천은 커녕, 이론 자체도 이렇게 적어놓기만 하고서 새까맣게 잊어먹고 있었다는 얘기 말고는 당최 설명 방법이 없는 것. 지식이 족족 체화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노력하긴 했던 거 맞나 싶을 만큼 노력 자체가 너무 부족했기에 나 자신 경험해야 했던 (그리고 분명히 주위에도 끼쳤을)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생각하니.. 한심하도다..

[오늘뉴스] 원광대,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 선정

[오늘뉴스] 원광대,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 선정

원광대,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 선정
이영노 2021.09.14 08:34

‘간재집(艮齋集) 정본화 및 DB구축’ 사업 수행





▲ 간재 전우 문집 © 이영노

[오늘뉴스=이영노 기자]원광대가 교육부에서 지원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운영하는 ‘2021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 사업은 원광대 한문번역연구소(소장 이의강)에서 수행하는 ‘간재집(艮齋集) 정본화와 DB구축’으로 2021년 9월부터 2027년 8월까지 6년간 총 21억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 정경훈 교수 © 이영노


연구책임자인 정경훈(사진) 교수는 “간재 전우(1841-1922)는 호남을 대표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라며 “이 사업은 그의 문집을 정본화하는 연구”라고 밝혔다.

간재 전우의 문집은 기존에 공개된 문집과 외에도 모운문고(충남대)와 연구책임자 개인소장본을 비롯해 여러 형태로 출간된 문집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기존에 공개된 5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전우 문집 자료인 용동본, 진주본, 화도수정본, 충남대 소장본, 구산잡저/풍아/지설 등과 연구책임자가 소장 중인 원고본을 새롭게 추가해 새로운 체제의 ‘정본 간재집’을 만드는 작업이다.

기사입력: 2021/09/14 [08:34]
최종편집: ⓒ 오늘뉴스

[창작과비평 특별좌담01- 04] 우리 사상사의 빛나는 유산! 동학과 ⌈동경대전⌋ - 백낙청 박맹수 도올김용옥

[창작과비평 특별좌담01] 우리 사상사의 빛나는 유산! 동학과 ⌈동경대전⌋ - 백낙청 박맹수 도올김용옥 -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1편 - YouTube




59:50NOW PLAYING
[창작과비평 특별좌담03] 개벽을 논한다! 수운과 소태산, 동학과 원불교에 대하여 - 백낙청 박맹수 도올김용옥 -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3편




44:31NOW PLAYING
[창작과비평 특별좌담02] 백낙청과 도올 김용옥, 서양 사상을 말하다 -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2편 - 귀신을 모르는 서양 철학




26:13NOW PLAYING
[창작과비평 특별좌담4] 동학에서 촛불까지, 대전환의 근원을 찾아서 - 백낙청 박맹수 도올김용옥 -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4편


“환경·만물 사랑 지구종교가 절실히 필요한 때”… ‘희망의 신학’ 몰트만 에큐메니컬 리뷰에 기고-국민일보

“환경·만물 사랑 지구종교가 절실히 필요한 때”… ‘희망의 신학’ 몰트만 에큐메니컬 리뷰에 기고-국민일보

“환경·만물 사랑 지구종교가 절실히 필요한 때”… ‘희망의 신학’ 몰트만 에큐메니컬 리뷰에 기고
입력 : 2011-04-06 17:43


“환경·만물 사랑 지구종교가 절실히 필요한 때”… ‘희망의 신학’ 몰트만 에큐메니컬 리뷰에 기고 기사의 사진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지구의 환경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종교(world religion)가 아닌 지구종교(earth religion)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희망의 신학’으로 유명한 위르겐 몰트만(85·사진) 독일 튀빙겐대(조직신학) 명예교수가 세계교회협의회(WCC)의 계간지 ‘에큐메니컬 리뷰’ 최신호에 기고한 글에서다.

몰트만은 ‘공공의 지구종교: 생태적 관점에서 본 세계종교’ 제목의 기고문에서 세계화 이전의 불교·이슬람교·기독교 등 주요 종교를 세계종교로 명명했다. 세계종교는 지나치게 초월성에 치중함으로써 세계를 일시적·현세적·허무적인 것으로 봤고, 이것은 결국 지구를 잠시 머물다 가는 곳으로 여기게 됐으며, 여기서 오늘날의 생태계 위기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몰트만은 세계종교의 이 같은 한계를 지적하면서 지구촌의 글로벌화를 함께 거론했다. 그는 “모든 생명의 원천인 지구를 훼손하면서 인간 경제를 글로벌화하는 일을 사람들은 진보라고 부른다”며 “하지만 인류가 진보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갈수록 지구의 다른 생명을 끌어내리고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매년 수천 종의 생명체 멸종, 지구촌 온난화,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이 단적인 증거라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 또한 세계경제에서 지구경제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게 몰트만의 주장이다. 경제가 지구 환경을 생각할 때 결국 재생 가능한 에너지 개발과 재활용 산업을 확산시키게 되고, 이것은 인류와 자연의 관계 역시 파괴에서 상호 존중으로 재설정해 질적인 성장을 가져올 거라는 설명이다.

지구종교의 좋은 모델로 몰트만은 구약성경의 안식년 제도를 꼽았다. 7년마다 농지를 쉬도록 한 이 하나님의 제도는 결국 토지를 비옥하게 해 자연과 사람을 함께 살게 했다는 것이다. 몰트만은 “만약 인류가 안식년의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면 결국 사막은 확대되고, 기근은 더 자주 발생해 종말을 맞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지구가 존재하지 않으면 세계종교도 존재할 수 없는 만큼 생태계의 관점에서 세계종교를 성찰하는 일은 시급하고도 심각한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세계종교가 지구종교가 되는 것은 주님의 기도(주기도문)를 이루는 일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몰트만은 “내 꿈은 세계종교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하늘의 기쁨을 땅의 기쁨으로 만들고, 하늘의 생명수를 이 땅 가운데 적시는 것”이라며 “그것이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기를 기도하셨던 주님의 기도를 이루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원 기자 kerneli@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827105&code=23111111&fbclid=IwAR0UlvnfPkS4-7GrdVcXPXaNopdGGeTxq_0b9OGOsHrhCi7yVGm_F0SKs1I

The Roots of Buddhist Romanticism | Purity of Heart cf Huxley Perennialism

The Roots of Buddhist Romanticism | Purity of Heart   cf Huxley Perennialism

The Roots of Buddhist Romanticism

Many Westerners, when new to Buddhism, are struck by the uncanny familiarity of what seem to be its central concepts: interconnectedness, wholeness, ego-transcendence. But what they may not realize is that the concepts sound familiar because they are familiar. To a large extent, they come not from the Buddha’s teachings but from the Dharma gate of Western psychology, through which the Buddha’s words have been filtered. They draw less from the root sources of the Dharma than from their own hidden roots in Western culture: the thought of the German Romantics.

The German Romantics may be dead and almost forgotten, but their ideas are still very much alive. Their thought has survived because they were the first to tackle the problem of how it feels to grow up in a modern society. Their analysis of the problem, together with their proposed solution, still rings true.

Modern society, they saw, is dehumanizing in that it denies human beings their wholeness. The specialization of labor leads to feelings of fragmentation and isolation; the bureaucratic state, to feelings of regimentation and constriction. The only cure for these feelings, the Romantics proposed, is the creative artistic act. This act integrates the divided self and dissolves its boundaries in an enlarged sense of identity and interconnectedness with other human beings and nature at large. Human beings are most fully human when free to create spontaneously from the heart. The heart’s creations are what allow people to connect. Although many Romantics regarded religious institutions and doctrines as dehumanizing, some of them turned to religious experience—a direct feeling of oneness with the whole of nature—as a primary source for re-humanization.

Whe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developed as disciplines in the West, they absorbed many of the Romantics’ ideas and broadcast them into the culture at large. As a result, concepts such as integration of the personality, self-fulfillment, and interconnectedness, together with the healing powers of wholeness, spontaneity, playfulness, and fluidity have long been part of the air we breathe. So has the idea that religion is a primarily a quest for a feeling-experience, and religious doctrines are a creative response to that experience.

In addition to influencing psychology, these conceptions inspired liberal Christianity and reform Judaism, which proposed that traditional doctrines had to be creatively recast to speak to each new generation in order to keep religious experience vital and alive. So it was only natural that when the Dharma came west, people interpreted it in line with these conceptions as well. Asian teachers—many of whom had absorbed Romantic ideas through Westernized education before coming here—found they could connect with Western audiences by stressing themes of spontaneity and fluidity in opposition to the “bureaucracy of the ego.” Western students discovered that they could relate to the doctrine of dependent co-arising when it was interpreted as a variation on interconnectedness; and they could embrace the doctrine of not-self as a denial of the separate self in favor of a larger, more encompassing identity with the entire cosmos.

In fact, the Romantic view of religious life has shaped more than just isolated Dharma teachings. It colors the Western view of the purpose of Dharma practice as a whole. Western teachers from all traditions maintain that the aim of Buddhist practice is to gain the creative fluidity that overcomes dualities. As one author has put it, the Buddha taught that “dissolving the barriers that we erect between ourselves and the world is the best use of our human lives ….[Egolessness] manifests as inquisitiveness, as adaptability, as humor, as playfulness… our capacity to relax with not knowing.” Or as another has said, “When our identity expands to include everything, we find a peace with the dance of the world.” Adds a third: “Our job for the rest of our life is to open up into that immensity and to express it.”

Just as the Chinese had Taoism as their Dharma gate—the home-grown tradition providing concepts that helped them understand the Dharma—we in the West have Romanticism as ours. The Chinese experience with Dharma gates, though, contains an important lesson that is often overlooked. After three centuries of interest in Buddhist teachings, they began to realize that Buddhism and Taoism were asking different questions. As they rooted out these differences, they started using Buddhist ideas to question their Taoist presuppositions. This was how Buddhism, instead of turning into a drop in the Taoist sea, was able to inject something genuinely new into Chinese culture. The question here in the West is whether we will learn from the Chinese example and start using Buddhist ideas to question our Dharma gate, to see exactly how fa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gate and the actual Dharma go. If we don’t, we run the danger of mistaking the gate for the Dharma itself, and of never going through it to the other side.

Taken broadly, Romanticism and the Dharma view spiritual life in a similar light. Both regard religion as a product of human activity, rather than divine intervention. Both regard the essence of religion as experiential and pragmatic; and its role as therapeutic, aimed at curing the diseases of the human mind. But if you examine the historical roots of both traditions, you find that they disagree sharply not only on the nature of religious experience, but also on the nature of the mental diseases it can treat and on the nature of what it means to be cured.

These differences aren’t just historical curiosities. They shape the presuppositions that meditators bring to the practice. Even when fully present, the mind carries along its past presuppositions, using them to judge which experiences—if any—should be valued. This is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doctrine on karma. As long as these presuppositions remain unexamined, they hold an unknown power. So to break that power, we need to examine the roots of the Buddhist Romanticism—the Dharma as seen through the Romantic gate. And for the examination to jibe with Buddhist ideas of causality, we have to look for those roots in two directions: into the past for the origin of Romantic ideas, and into the present for the conditions that keep Romantic ideas attractive in the here and now.


The Romantics took their original inspiration from an unexpected source: Kant, the wizened old professor whose daily walks were so punctual that his neighbors could set their clocks by him. In his Critique of Judgment he taught that aesthetic creation and feeling were the highest activities of the human mind, in that they alone could heal the dichotomies of human experience. Friedrich Schiller (1759-1805),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Romantic philosopher, elaborated on this thesis with his notion of the aesthetic “play drive” as the ultimate expression of human freedom, beyond both the compulsions of animal existence and the laws of reason, bringing both into integration. Man, he said, “is fully a human being only when he plays.”

In Schiller’s eyes, this play drive not only integrated the self, but also helped dissolve one’s separation from other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whole. A person with the internal freedom needed for self-integration would instinctively want others to experience the same freedom as well. This connection explains the Romantic political program of offering help and sympathy for the oppressed of all nations in overthrowing their oppressors. The value of internal unity, in their eyes, was proven by its ability to create bonds of unity in the world of social and political action.

Schiller saw the process of integration as unending: perfect unity could never be achieved. A meaningful life was one continually engag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The path was the goal.

It was also totally unpatterned and unconstrained. Given the free nature of the play drive, each person’s path to integration was individual and unique.

Schiller’s colleague,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 applied these ideas to religion, concluding that it, like any other art form, was a human creation, and that its greatest function lay in healing the splits both within the human personality and in human society at large. He defined the essence of religion as “the sensibility and taste for the infinite,” which begins in the receptive mind state where awareness opens to the infinite. This feeling for the infinite is followed by an act of the creative imagination, which articulates that feeling to oneself and others. Because these creative acts—and thus all religious doctrines—are a step removed from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 they are constantly open to improvement and change.

A few quotations from his essays, On Religion, will give a sense of Schleiermacher’s thought.

“The individual is not just part of a whole, but an exhibition of it. The mind, like the universe is creative, not just receptive. Whoever has learned to be more than himself knows that he loses little when he loses himself. Rather than align themselves with a belief of personal immortality after death, the truly religious would prefer to strive to annihilate their personality and live in the one and in the all.”

“Where is religion chiefly to be sought? Where the living contact of a human being with the world fashions itself as feeling. Truly religious people are tolerant of different translations of this feeling, even the hesitation of atheism. Not to have the divine immediately present in one’s feelings has always seemed to them more irreligious than such a hesitation. To insist on one particular conception of the divine to be true is far from religion.”

Schiller and Schleiermacher both had a strong influence on Ralph Waldo Emerson, which can easily be seen in the latter’s writings. We’re sometimes told that Emerson was influenced by Eastern religions, but actually his readings in Buddhism and Hinduism simply provided chapter and verse for the lessons he had already learned from the European Romantics.

“Bring the past into the 1000-eyed present and live ever in a new day. With consistency a great soul has simply nothing to do. The essence of genius, of virtue, and of life is what is called Spontaneity or Instinct. Every man knows that to his involuntary perceptions a perfect faith is due.”

“The reason why the world lacks unity is because man is disunited with himself…. We live in succession, in division, in parts, in particles. Meanwhile, within man is the soul of the whole, the wise silence, the universal beauty, to which every part and particle is equally related, the eternal One. And this deep power in which we exist, and whose beatitude is all accessible to us, is not only self-sufficing and perfect in every hour, but the act of seeing and the thing seen, the seer and the spectacle,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one.”

At present, the Romantics and Transcendentalists are rarely read outside of literature or theology classes. Their ideas have lived on in the general culture largely because they were adopted by the discipline of psychology and translated into a vocabulary that was both more scientific and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at large. One of the most crucial translators was William James, who gave the psychological study of religion its modern form a century ago, in 1902, with the publication of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James’ broad sympathies extended beyond Western culture to include Buddhism and Hinduism, and beyond the “acceptable” religions of his time to include the Mental Culture movement, the 19th century’s version of the New Age. His interest in diversity makes him seem amazingly post-modern.

Still, James was influenced by the intellectual currents alive in his time, which shaped the way he converted his large mass of data into a psychology of religion. Although he spoke as a scientist, the current with the deepest influence on his thought was Romanticism.

He followed the Romantics in saying that the function of religious experience was to heal the sense of “divided self,” creating a more integrated self-identity better able to function in society. However, to be scientific, the psychology of religion must not side for or against any truth claims concerning the content of religious experiences. For instance, many religious experiences produce a strong conviction in the oneness of the cosmos as a whole. Although scientific observers should accept the feeling of oneness as a fact, they shouldn’t take it as proof that the cosmos is indeed one. Instead, they should judge each experience by its effects on the personality. James was not disturbed by the many mutually contradictory truth-claims that religious experiences have produced over the centuries. In his eyes, different temperaments need different truths as medicine to heal their psychological wounds.

Drawing on Methodism to provide two categories for classifying all religious experiences—conversion and sanctification—James gave a Romantic interpretation to both. For the Methodists, these categories applied specifically to the soul’s relationship to God. Conversion was the turning of the soul to God’s will; sanctification, the attunement of the soul to God’s will in all its actions. To apply these categories to other religions, James removed the references to God, leaving a more Romantic definition: conversion unifies the personality; sanctification represents the on-going integration of that unification into daily life.

Also, James followed the Romantics in judging the effects of both types of experiences in this-worldly terms. Conversion experiences are healthy when they foster healthy sanctification: the ability to maintain one’s integrity in the rough and tumble of daily life, acting as a moral and responsible member of human society. In psychological terms, James saw conversion as simply an extreme example of the breakthroughs ordinarily encountered in adolescence. And he agreed with the Romantics that personal integration was a process to be pursued throughout life, rather than a goal to be achieved.

Other writers who took up the psychology of religion after James devised a more scientific vocabulary to analyze their data. Still, they maintained many of the Romantic notions that James had introduced into the field.

For example, in Modern Man in Search of a Soul (1933), Carl Jung agreed that religion’s proper role lay in healing of divisions within the personality, although he saw the same basic split in everyone: the narrow, fearful ego vs. the wiser, more spacious unconscious. Thus he regarded religion as a primitive form of psychotherapy. In fact, he actually lay closer than James to the Romantics in his definition of psychic health. Quoting Schiller’s assertion that human beings are most human when they are at play, Jung saw the cultivation of spontaneity and fluidity both as a means for integrating the divided personality and as an expression of the healthy personality engaged in the unending process of integration, internal and external, throughout life.

Unlike James, Jung saw the integrated personality as lying above the rigid confines of morality. And, although he didn’t use the term, he extolled what Keats called “negative capability”: the ability to deal comfortably with uncertainties and mysteries without trying to impose confining certainties on them. Thus Jung recommended borrowing from religions any teachings that assist the process of integration, while rejecting any teachings that would inhibit the spontaneity of the integrated self.

In Religions, Values, and Peak-Experiences (1970), Abraham Maslow, the American “father of transpersonal psychology,” divided religious experiences into the same two categories used by James. But in an attempt to divorce these categories from any particular tradition, he named them after the shape they would assume if graphed over time: peak-experiences and plateau-experiences. These terms have now entered the common vernacular. Peak-experiences are short-lived feelings of oneness and integration that can come, not only in the area of religion, but also in sport, sex, and art. Plateau-experiences exhibit a more stable sense of integration and last much longer.

Maslow had little use for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peak experiences, regarding them as cultural overlays that obscured the true nature of the experience. Assuming all peak experiences, regardless of cause or context, to be basically the same, he reduced them to their common psychological features, such as feelings of wholeness, dichotomy-transcendence, playfulness, and effortlessness. Thus reduced, he found, they weren’t of lasting value unless they could be transformed into plateau experiences. To this end he saw psychotherapy as necessary for their perfection: integrating them into a regime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would actualize the full potential of the human being—intellectual, physical, social, sexual—in a society where all areas of life are sacred, and plateau-experiences commonplace for all.

These three writers on the psychology of religion, despite their differences, kept Romantic ideas about religion alive in the West by giving them the scientific stamp of approval. Through their influence, these ideas have shaped humanistic psychology and—through humanistic psychology—the expectations many Americans bring to the Dharma.

However, when we compare these expectations with the original principles of the Dharma, we find radical differences. The contrast between them is especially strong around the three most central issues of spiritual life: What is the essence of religious experience? What is the basic illness that religious experience can cure? And what does it mean to be cured?

The nature of religious experience. For humanistic psychology, as for the Romantics, religious experience is a direct feeling, rather than the discovery of objective truths. The essential feeling is a oneness overcoming all inner and outer divisions. These experiences come in two sorts: peak experiences, in which the sense of oneness breaks through divisions and dualities; and plateau experiences, where—through training—the sense of oneness creates as healthy sense of self, informing all of one’s activities in everyday life.

However, the Dharma as expounded in its earliest records places training in oneness and a healthy sense of self prior to the most dramatic religious experiences. A healthy sense of self is fostered through training in generosity and virtue. A sense of oneness—peak or plateau—is attained in mundane levels of concentration (jhana) that constitute the path, rather than the goal of practice. The ultimate religious experience, Awakening, is something else entirely. It is described, not in terms of feeling, but of knowledge: skillful mastery of the principles of causality underlying actions and their results, followed by direct knowledge of the dimension beyond causality where all suffering stops.

The basic spiritual illness. Romantic/humanistic psychology states that the root of suffering is a sense of divided self, which creates not only inner boundaries—between reason and emotion, body and mind, ego and shadow—but also outer ones, separating us from other people and from nature and the cosmos as a whole. The Dharma, however, teaches that the essence of suffering is clinging, and that the most basic form of clinging is self-identification, regardless of whether one’s sense of self is finite or infinite, fluid or static, unitary or not.

The successful spiritual cure. Romantic/humanistic psychology maintains that a total, final cure is unattainable. Instead, the cure is an ongoing process of personal integration. The enlightened person is marked by an enlarged, fluid sense of self, unencumbered by moral rigidity. Guided primarily by what feels right in the context of interconnectedness, one negotiates with ease—like a dancer—the roles and rhythms of life. Having learned the creativ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my true identity?”, one is freed from the need for certainties about any of life’s other mysteries.

The Dharma, however, teaches that full Awakening achieves a total cure, opening to the unconditioned beyond time and space, at which point the task is done. The awakened person then follows a path “that can’t be traced,” but is incapable of transgressing the basic principles of morality. Such a person realizes that the question, “What is my true identity?” was ill-conceived, and knows from direct experience the total release from time and space that will happen at death.


When these two traditions are compared point-by-point, it’s obvious that—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Buddhism—Romantic/humanistic psychology gives only a partial and limited view of the potentials of spiritual practice. This means that Buddhist Romanticism, in translating the Dharma into Romantic principles, gives only a partial and limited view of what Buddhism has to offer.

Now, for many people, these limitations don’t matter, because they come to Buddhist Romanticism for reasons rooted more in the present than in the past. Modern society is now even more schizoid than anything the Romantics ever knew. It has made us more and more dependent on wider and wider circles of other people, yet keeps most of those dependencies hidden. Our food and clothing come from the store, but how they got there, or who is responsible for ensuring a continual supply, we don’t know. When investigative reporters track down the web of connections from field to final product in our hands, the bare facts read like an exposé. Our sweatshirts, for example, come from Uzbekistani cotton woven in Iran, sewn in South Korea, and stored in Kentucky—an unstable web of interdependencies that involve not a little suffering both for the producers and for those pushed out of the production web by cheaper labor.

Whether or not we know these details, we intuitively sense the fragmentation and uncertainty created by the entire system. Thus many of us feel a need for a sense of wholeness. For those who benefit from the hidden dependencies of modern life, a corollary need is a sense of reassurance that interconnectedness is reliable and benign—or, if not yet benign, that feasible reforms can make it that way. They want to hear that they can safely place their trust in the principle of interconnectedness without fear that it will turn on them or let them down. When Buddhist Romanticism speaks to these needs, it opens the gate to areas of Dharma that can help many people find the solace they’re looking for. In doing so, it augments the work of psychotherapy, which may explain why so many psychotherapists have embraced Dharma practice for their own needs and for their patients, and why some have become Dharma teachers themselves.

However, Buddhist Romanticism also helps close the gate to areas of the Dharma that would challenge people in their hope for an ultimate happiness based on interconnectedness. Traditional Dharma calls for renunciation and sacrifice, on the grounds that all interconnectedness is essentially unstable, and any happiness based on this instability is an invitation to suffering. True happiness has to go beyond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edness to the unconditioned. In response, the Romantic argument brands these teachings as dualistic: either inessential to the religious experience or inadequate expressions of it. Thus, it concludes, they can safely be ignored. In this way, the gate closes off radical areas of the Dharma designed to address levels of suffering remaining even when a sense of wholeness has been mastered.

It also closes off two groups of people who would otherwise benefit greatly from Dharma practice.

1) Those who see that interconnectedness won’t end the problem of suffering and are looking for a more radical cure.

2) Those from disillusioned and disadvantaged sectors of society, who have less invested in the continuation of modern interconnectedness and have abandoned hope for meaningful reform or happiness within the system.

For both of these groups, the concepts of Buddhist Romanticism seem Pollyannaish; the cure it offers, too facile. As a Dharma gate, it’s more like a door shut in their faces.

Like so many other products of modern life, the root sources of Buddhist Romanticism have for too long remained hidden. This is why we haven’t recognized it for what it is or realized the price we pay in mistaking the part for the whole. Barring major changes in American society, Buddhist Romanticism is sure to survive. What’s needed is for more windows and doors to throw light onto the radical aspects of the Dharma that Buddhist Romanticism has so far left in the dark.

2021/09/13

철마와 통역사 : 진우기 불교 번역사

철마와 통역사 : 네이버 블로그


 프롤로그 블로그 포토로그 지도 서재 메모 태그 안부
 새암 님의 블로그

I am불교 전문 통역사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는 진우기입니다.

세계불교회의 및 수련회에 동시통역사 활동

2007년 달라이라마와 함께 한 세계비구니율장불교회의 (독일 함부르크)

2007년 UN Vesak Day 세계불교회의 (태국 방콕)

2006년 샤카디타 세계여성불자대회 (말레이시아)

2003년 한국명상단 틱낫한 스님의 플럼빌리지 방문 (프랑스)



불교인 법문 및 강연 순차통역

2007년 TNP 린첸 칸도 순회 강연

2007년 헬레나 노르베리히 호지 여사 강연 (국립중앙도서관 주최)

2005년 텐진팔모 스님 순회법문

2004년 텐진팔모 스님 명상수련회



방송 출연 및 진행

2007년 1월: 불교방송 ‘살며 생각하며’에서 ‘불교와 영화’ 코너 담당 (3개월)

2002년 9월: KBS TV ‘TV 책을 말하다’ 중 ‘틱낫한의 화’ 편에 출연

2001년 11월: KBS FM, ‘이주향의 책마을 산책’에서 ‘산사에서 부치는 편지’ 해설

2001년 4월: 불교방송(BBS FM) ‘불교 서양에서 꽃피다’ (6개월 담당)

2000년 5월: 불교인터넷 TV 부처님오신날 영어방송 화계사 무심 스님과 진행



옵티컬 영상 번역

2007년 달라이라마와 뇌과학자의 만남 (불교 TV)

2007년 리처드 기어 인터뷰 (불교 TV)

2002년:'붓다의 세상‘ 번역(인도 불교성지 다큐멘터리) ( 불교TV)

1999년: “역사속의 하루(Almanac)", "이제는 재활용의 시대”  (Century TV 시리즈)



저서

2003년 '달마, 서양으로 가다' 출간 (불교시대사)



출판 기획

2006년 '과학기술인, 우리의 자랑' (양문출판) (과학의 날 기념도서)

2005년 '여성, 과학을 만나다' (양문출판)



도서 번역

 -불교/명상 도서 번역:

    '힘' '깨달음의 길' '고요함의 지혜' '행복해지는 연습' '사람의 아들, 붓다'

    '배낭속의 부처' '상생' '실험처럼 살아라' '이 세상은 나의 사랑이며 또한 나다' 등



 -과학 도서 번역: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 '유전, 우연과 운명의 자연사' '자연의 종말' 등

 

교육

     불교문화센터 영어회화 강의

     국제포교사 번역, 통역 교육

       

기타 

    불교여성개발원 자문위원

    양문출판사 편집기획위원

 

학력

     M Ed (교육학 석사 취득) Texas A&M University, USA

     BS (이학사 취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

    </FONT>

알라딘: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 진우기 번역?

알라딘: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
브렌다 매독스 (지은이),진우기,나도선 (옮긴이)양문2004-08-25원제 : Rosalind Franklin (2002년)







10.0 100자평(1)리뷰(1)

436쪽

책소개
DNA의 이중나선 발견에 결정적 단서가 된 X선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도 연구 업적을 도둑 맞았던 비운의 여성 과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평전. 심지어 그녀의 자료로 노벨상을 받은 왓슨은 유명한 <이중나선>에서 그녀를 깐깐하고 욕심많은 여성으로 부당하게 묘사하여 그녀의 명예에 2번 상처를 입혔다.

세계적인 학자였지만 여성이라는 조건 때문에 세상의 편견과 힘들게 싸워야 했고, 끝내 37살의 젊은 나이에 난소암으로 사망한 그녀의 삶을 꼼꼼하게 복원한 책이다.

런던 킹스 칼리지에서 윌킨스와의 파트너가 됨으로써 DNA 구조 연구에 뛰어들게 된 사건부터, 윌킨스와 왓슨에 의해 프랭클린의 연구기록이 유출된 경위, 평생 여성과 원만한 관계를 맺어본 적이 없던 왓슨에 의해 '다크 레이디'로 폄하되는 안타까운 과정, 온몸에 암세포가 전이되는 중에도 죽음에 이르기까지 실험실을 떠나지 않았던 강인한 의지의 생애를 숱한 오해로부터 되살렸다.


목차


프롤로그 ㅣ DNA의 다크 레이디

PART 1
영국 유대인으로 태어나다
걱정스러울 만큼 영리한 아이
케임브리지로 가다
과학자가 되기 위한 불굴의 투지
석탄의 산업적 응용의 길을 열다
센강의 좌안에서
운명의 시작, 다시 런던으로

PART 2
생명이란 무엇인가
킹스칼리지, 윌킨스와의 만남
DNA 패턴을 발견하다
이중나선을 향한 경쟁
유레카 그리고 굿바이
세상의 주목을 피하다

PART 3
DNA의 이웃 핵산
오, 아메리카
새로운 친구들, 새로운 적들
두 개의 종양
죽기에는 너무 바쁜
명료함과 완벽성

에필로그 ㅣ 죽음 이후의 삶
참고문헌
옮긴이의 글 ㅣ 세계적인 한국인 여성과학자의 출현을 고대하며
찾아보기
접기

------------------------------
책속에서



로잘린드는 사진사 티체허스트에게 그동안 그녀를 위해 해준 모든 일에 감사한다고 작별인사를 했다. 그는 그때를 회상하며 로잘린드가 이렇게 말했다고 했다. '아무도 내가 여기 있는 것을 원하지 않아요. 우리는(그녀와 윌킨스) 절대로 함께 일할 수 없어요. 제가 여기 머무는 것은 불가능해요.' 그러고는 짐을 싸서 마침내 런던의 킹스칼리지를 뒤로 하고 떠났다.

로잘린드가 꿈에도 생각지 못한 것은 자신이 경멸했던 그 학교가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후 한 건물의 이름에 그녀의 이름을 새기게 된다는 것, 그것도 그녀를 영원히 '다크 레이디'로 낙인 찍은 적의 이름과 나란히 새기게 된다는 것이었다. --본문 257쪽에서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브렌다 매독스 (Brenda Maddox)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매독스는 현재 런던에 살고 있는 작가 및 기자로서, 여인, 결혼 및 아일랜드에 관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다. 『바벨을 넘어, 통신의 새로운 지시』를 비롯하여, 『반쪽 부모』, 『누가 엘리자베스 테일러를 두려워하라?』 등의 저서가 있고, 현재 영국 《이코노미스트》 지의 아일랜드에 관한 가정 문제 편집자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조이스 학자로서 이 전기에서, 조이스 문학 전역의 이해를 위한 그녀의 박식한 혜안을 보여주는 바, 특히 그녀의 『피네간의 경야』에 대한 통찰력과 이해는 독자로 하여금 그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우리라. 여기 그녀의 전기는 조이스 학자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 독자에게도 절친한 공감으로 다가가리라. 접기


최근작 : <노라>,<로잘린드 프랭클린과 DNA> … 총 29종 (모두보기)

진우기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불교, 명상 전문 통번역가이며 로터스불교영어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에서 평생교육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 불교의 다양한 가르침과 수행 현장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소개한 책 《달마, 서양으로 가다》를 저술한 이후 《달라이 라마 행복의 지혜》, 《오늘도 두려움 없이》, 《화해》 등 수행, 명상서 30여 권을 번역하고, 달라이 라마, 틱낫한, 텐진 팔모, 마티유 리카르, 아잔 브라흐마, 차드 멩탄 등의 법문을 통역했다.


최근작 : <달마, 서양으로 가다> … 총 41종 (모두보기)

나도선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생약학을 전공했다. 미국 북일리노이대학교 화학생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앨라배마 의과대학 연구원, KIST 생화학연구실장 등을 거쳐 2004년 현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며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이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 <생물정보학>과 <생화학> 등이 있다.


최근작 : <과학기술로 만드는 따뜻한 사회> … 총 2종 (모두보기)

알라딘: 달마, 서양으로 가다 진우기 2002

알라딘: 달마, 서양으로 가다

달마, 서양으로 가다   
진우기 (지은이)불교시대사2002-11-09

336쪽


목차
서문 / 달마, 서양으로 가다

1. 선불교
틱낫한
스즈키 순류
리처드 베이커
존 다이도 루리
버나드 글래스맨
로버트 아잇켄
데시마루 다이센

2. 상좌부 불교
아잔 수메도
아야 케마

3. 티베트 불교
달라이 라마
라마 예세, 라마 조파
최감 트룽파
칼루 린포체
올레 니달
텐진 팔모
비디야 단다론

4. 세상이 버린 사람을 내가 돌보다
플릿 몰
이산 도시

5. 한국 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사람들
승산
삼우
스티븐 배철러, 마르티네 배철러
로버트 버즈웰

6. 초종파적 독립형 불교
상가락시타
지유 케넷
모린 묘온 스튜어트
필립 카플로
라쌀레 신부

7. 재가불자
잭 콘필드
이케다 다이사쿠
폴 카루스
헨리 데이빗 소로우
죠애나 매이시

8. 미국문화계의 불교 후원자들
스티븐 시걸
리처드 기어
아담 요크
티나 터너
마틴 스콜세지
필 잭슨
종싸르 키엔체 린포체
레너드 코헨

9. 비트의 문인들
게리 스나이더
앨런 긴즈버그
필립 웨일런
앨런 와츠

불교가 서양인들에게 어필하는 이유
참고서적

---------------------------
저자 및 역자소개
진우기 (지은이) 

불교, 명상 전문 통번역가이며 로터스불교영어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에서 평생교육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 불교의 다양한 가르침과 수행 현장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소개한 책 《달마, 서양으로 가다》를 저술한 이후 《달라이 라마 행복의 지혜》, 《오늘도 두려움 없이》, 《화해》 등 수행, 명상서 30여 권을 번역하고, 달라이 라마, 틱낫한, 텐진 팔모, 마티유 리카르, 아잔 브라흐마, 차드 멩탄 등의 법문을 통역했다.
최근작 : <달마, 서양으로 가다> … 총 41종 (모두보기)

希修 무아와 윤회

(5) Facebook

Favourites 15e Jtuslutyo r2020s 
< 무아와 윤회 >
.
.
(이 글에서 언급되는 1, 3, 4 단계는 초기경전에 나와 있는 것이고, 2단계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가 중간에 넣은 것입니다.)
.
.
1. 1단계 (Mundane Level): 업의 책임자로서의 '나'는 있다
.
모든 존재들이 업에 의해 생겨나고 자기 업의 상속자가 된다고 AN 5:57은 말한다. 하지만, 건강, 적성, 부모 등 삶의 큰 윤곽을 결정하는 요소들은 타고났어도, 마치 어떤 방송국에서 TV 연속극 제작을 시작할 때는 대충의 플롯만 있고 스토리의 디테일은 시청자 반응을 보면서 전개해 가는 것처럼 삶의 구체성은 매순간 자유의지로 내리는 선택 (생각, 말, 행동)과 노력에 의해 스스로 완성해 간다. 물론 삶을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게끔 하는 모멘텀을 그 윤곽 자체가 이미 갖고 있기는 하며 ('자유의지'가 '100%의 자유'는 아니라는 뜻), 그 모멘텀을 바꾸는 게 쉽지는 않지만 완전히 불가능하지도 않다. (모멘텀을 바꾸지 못 한다는 전제 하에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바로 점성술이라고 나는 생각.) 나의 현재 행동 (생각과 말 포함)이 얼마나 skillful 혹은 wholesome한지, 즉 어떤 탐진치(貪瞋痴)가 얼마나 많이/적게 들어 있는지에 따라, 이것이 새로운 업으로서, 전생/과거 업과 상호작용을 계속하면서 나의 삶을 확정해 나간다. (삶에 저항 않고 분별 없이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영성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그건 그야말로 운명/팔자의 노예로 살겠다는 얘기. 저런 수용적 태도는, 최선을 다 해도 당장 바뀌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만 적용해야 하는 것.)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까지 자신의 쾌락/이익만 좇는 이기적인 사람은 내세에 고통스러운 조건들을 타고나고, 바른 과정/방법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은 내세에 행복한 조건들이 갖춰진 곳으로 윤회한다는 내용을 초기불교에서는 mundane right view라고 부른다. 암튼 이 삶의 책임( ≠탓)은 오로지 '나'의 것이다.
.
"Purity and impurity are one's own doing. No on purifies another." -- Dhp 165
.
"I am the owner of my actions, heir to my actions, born of my actions, related through my actions, and have my actions as my arbitrator. Whatever I do, for good or for evil, to that will I fall heir." -- AN 5:57
.
.
2. 2단계: '나'라고 동일시/집착하지 마라
.
.
2.1. 기독교나 베다전통에서 말하는 것과 같은, 영원불변하는 그런 영혼을 불교에선 인정하지 않는다. One and the same 영혼이 옷을 갈아입듯 몸을 바꾸는 것이 힌두교의 윤회(reincarnation)이고, 한 양초의 불로써 다른 양초에 불을 붙이듯 그렇게 불=업이 다음 양초=생으로 넘어간다고 보는 것이 불교의 윤회(rebirth). 힌두교의 윤회와 다른 점은, 불교의 윤회에서는 이전 양초의 불과 이후 양초의 불이 같다고도 다르다고도 말하기가 애매하다는 것이다. 전생의 A가 남긴 업이 물질을 끌어와 B라는 이승의 육체를 형성한다. 이 때 A의 업 때문에 몸을 받는 B는 A의 업도 상속받는다. (마치, 부모님의 사업체 상속시 채무도 함께 상속되는 것과도 비슷하다고 나는 이해한다.) 그리고 상속받은 업을 요리할 책임은 B에게 있고, 그 요리의 결과가 B의 미래 and/or B의 업을 상속할 내세의 C에게 영향을 미친다. 다만 어떤 업이 이승의 B 자신에게 결과를 가져오고 어떤 업이 내세의 C에게 갈지 알 수 없기에, B로서는 그저 요리에 최선을 다 할 수 밖에 없다. 이것이 불교에서의 윤회이며, 해탈로써 정지시키지 않는 한 이 과정은 영원히 무한히 반복된다. 겉모습으로만 A-B-C의 '세 사람'인 것이지 업은 그렇게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그렇다고 해서 이 셋이 100% 동일한 인물인 것도 아니다. 전생의 나와 이승의 나의 연결성도 보아야 하고, 동시에 현 찰나의 나와 ('찰나'는 1/75초) 다음 찰나의 나 사이의 다른 점도 볼 수 있어야 한다. 한 사람을 규정할 근거/바탕을 찾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예를 들어, B가 사고로 팔 하나를 잃어도 심지어 식물인간이 되어도 그는 D나 E 아닌 여전히 B다. 이런 식으로 하나씩 살피다 보면, B가 누구인지를 규정하는 근거로 삼을 만한 본질적/필수적 부분/요소를 단 한 가지도 확정할 수 없음을 발견하게 된다. 또 B의 타고난 성격은 A의 업의 결과이기에, B의 뜻대로 100% 컨트롤하기는 어렵다. 이런 내용들을 한 마디로 간단히 표현한 것이 바로 '無我'이지만, 사실 부처님은 "'나'라는 건 없다"거나 "'나'라고 할 만한 것이 본래 없다"고 말씀하신 적이 없다!!! ('I have a self'도 'I have no self'도 잘못된 견해 6가지에 들어간다고 부처님은 MN2에서 명시하셨다.) 몸이나 생각 등을 '나'라고 동일시해 봐야 고통만 따르므로 '내가 아님 (not self)'을 기억하라고 하셨을 뿐.
.
2.2. 그런데 한자로 번역할 때 無我라고 해 놓고 나니, 글자 그대로 '내가 없다'고 과잉 단순화하는 데에서 온갖 문제가 비롯된다. 글자 그대로 '나'도 없고 '너'도 없다면, 모든 것이 "본래 없"고 환상일 뿐이라면, 내가 너를, 혹은 네가 나를 죽이면 안 되는 이유가 대체 무엇인지? 이미 아라한이 된 사리풋타와 마하가섭은 왜 여전히 천성의 차이를 보이는지? 無我 가르침은 그저 동일시/집착하지 말으라는 얘기일 뿐, 모든 행동 (생각과 말 포함)에 대한 책임은 여전히 나에게 있다. 부처님이라고 해서 배고플 때 남의 입에 밥숟갈 넣지 않으셨다. 나와 남을 구분 못/안 하는 게 무아인 것이 아니며, 나의 개성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라는 얘기다.
.
.
3. 3단계 (Transcendent Level): 매사를 process로서, impersonal하게 파악하라
.
3.1. "불교는 윤회와 무아를 말하는데, 내가 없다면 대체 무엇이 윤회한다는 말인가? 이 둘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가?"라며 많은 이들이 헷갈려 한다. (윤회 방편설이 등장한 이유 중 하나가 아닐런지.) 하지만 '나'라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 무엇이 윤회하는지, 해탈한 존재들은 어떤 식으로 존재하는지, 업을 짓는 나와 그 과보를 받는 내가 동일인물인지 아닌지, 우주의 시작과 끝이 무엇인지, 세상 만사가 내 마음 속에만 존재하는 환상인지 아닌지, 만물이 결국 하나인지 모두 제각각인지 등의 문제들은 고와 고의 해결에 오히려 방해만 되니 이런 문제들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변은 아예 하지도 말라고, 부처님은 초기경전의 여러 곳에서 명시하셨다 (SN 44:10, MN 2, MN 72, MN 63, SN 12:15, SN 12:20). 업을 짓는 이승의 '나'와 그 과보를 받는 내세의 '나'. 이 두 사람이 동일인이라는 견해도 하나의 극단이요 그 둘이 전혀 다른 사람이라는 견해도 또 다른 극단일 뿐이니, 어떤 문제든 self라는 관점에서도 not-self라는 관점에서도, existence의 관점에서도 non-existence의 관점에서도 생각하지 말고, 다만 "이것이 있기에 저것이 있다"는 연기의 관점으로만 파악하라고 하셨다 (SN 12:12, SN 12:15, SN 12:48). 이것이 transcendent right view.
.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 찍을 때 portrait 모드로 찍으면 주인공 얼굴만 또렷이 나오고 그 외에는 흐릿하게 나오듯이, 우리가 하는 모든 생각은 '나'라는 주체에 모든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그러나 촛점을 행위의 주체나 존재가 아닌 행동 (생각과 말 포함) 자체에 두고서, 심지어 자기 자신 포함 세상 만사를 자신의 생각/감정/이익 아닌 오직 인과의 관점에서만 impersonal하게 바라보는 것이 바로 'not self,' 'no conceit'인 것. 그래서 Thanissaro 스님은 '나' 포함 세상 만사를 process로 파악하라고, Bodhi 스님은 a series of events로 이해하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며, Vimalaramsi 스님은 impersonalization이라고 말씀하신다.
.
Bhikkhu Bodhi on Brahman / Atman / Oneness / Fullness (Brahmanism) vs. Emptiness (Early Buddhism)
.
Bhikkhu Bodhi on 'not self'
.
3.2. 다음은 SN 21:2의 일화.
.
[아난다] "우리의 스승인 부처님에게 어떤 변화 (죽음을 의미)가 생긴다면 사리풋타 존자님은 그로 인해 슬픔, 탄식, 고통, 번뇌, 절망 등의 영향을 받으실 것 같습니까?"
.
[사리풋타] "부처님이 오래 사신다면 무수한 존재들을 위해 물론 훨씬 더 좋은 일이겠지만, 스승님께 어떤 변화가 생긴다 해도 내게 슬픔, 탄식, 고통, 번뇌, 절망 등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
.
[아난다]
(번역 i) "That must be because Venerable Sāriputta has long ago totally eradicated ego, possessiveness, and the underlying tendency to conceit. ... ..."
(번역 ii) "Surely, it's because Ven. Sariputta's I-making & mine-making and obsessions with conceit have long been well uprooted ... ..."
.
위 경은, '나'라는 존재를 중심에 놓고서 take personally하는 '자기중심주의'를 버리라는 메세지로 해석해야만 이해가 된다. 즉 불교의 ‘not self,’ ‘no conceit’는 우리가 흔히 생각해 오던 상식적 의미의 '겸손'이나 ‘자기희생’이 아니라 take things impersonally하라는 가르침인 것. "네 의지의 격률이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항상 행동하라"는 칸트의 도덕법칙도 결국 자신의 이익, 감정, 이미지에 대한 집착 없이 공평무사하게, impersonal하게 행동하라는 얘기일 테니, 그런 측면에서 칸트의 도덕법칙도 무아와 비슷한 듯.
.
.
4. 4단계 (Final Level): 모든 것을 초월하라
.
八正道의 right view에서부터 시작하여 팔정도의 8요소를 모두 계발한 후 다시 right view로 돌아와 해탈이 완성된다. 시작 단계의 right view = mundane discernment는 부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하여 매사를 탐진치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분별력이고, 주체/존재 아닌 행위/인과의 관점에서만 impersonal 하게 매사를 바라보는 right view는 transcendent discernment. 그리고 부처님이 하신 말씀을 단순히 '이해'하는 차원이 아니라 직접 '확인'/'체험'하는 것이 final right view 혹은 right knowledge (9단계). 그리고 이 경지에 이르면 모든 것, '나' 포함 모든 관념 및 수행의 노력까지도 놓게 된다 => 10단계인 right release/liberation/deliverance (DN 18, DN 33, MN 8, MN 65, MN 78, MN 117, AN 10:103, AN 10:108, AN 10:118, AN10:122, SN 14:29, SN 45:26, SN 55:26, etc.). 이것이 바로, 윤회의 강 건너편에 안착한 뗏목에서 내리는 '해탈'이며, 이렇듯 수행은 10단계 프로세스 (Tenfold Path)다.
.
다시 말해, '나'에 대한 집착은 강의 건너편에 안착했을 때에야 비로소 완전히 내려놓을 수 있으며, 그래서 타니사로 스님은 강을 건너가고 있는 수행의 와중에는 건강한 '에고' (프로이드가 말한 원래 의미 그대로의 '본능과 사회적 요구들 사이의 중재자로서의 에고')가 오히려 필요하다고 말씀하신다. 자신을 위로할 줄 모르고 자신을 행복하게 할 줄 모르는 사람은, 자기만족을 위해 남을 이용하려고 하는 나르시시스트 혹은 소시오패스처럼 행동하게 (의도야 어떻든, 스스로 의식하든 못 하든) 될 것이기에. 팔정도의 8요소를 계발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매사를 오직 인과의 관점에서 impersonally 하게 분석하는 노력으로 충분하며, 강의 건너편에 안착하기도 전에 '에고없는 척'하는 것은 강의 한가운데에서 배에서 내려 물에 빠져 죽는 행위와도 같다는 얘기다.
.
#103~122: The Wisdom of Ego. Mature Wisdom Requires a Mature Ego
.
"Then, at a later time, he abandons conceit, having relied on conceit." -- AN 4:159
.
그러니 강의 건너편에 도달도 못 했으면서 심오한 척하느라 4단계의 얘기를 주문처럼 읊조리는 사람이 있다면 그의 integrity에 주의해야 하고, '나 없다'의 과잉단순화된 무아에 취해 있는 사람은 3단계의 skillful vs. unskillful 사고를 '수준 낮은 이분법'으로 착각하는 오류를 저지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영성에 관심있는 이들이 가장 빠지기 쉬운 함정도 바로 과잉단순화된 무아나 oneness/nonduality에 대한 집착인데, 초기불교는 이 oneness/nonduality마저 거쳐 가는 명상 단계일 뿐 truth/reality는 아니라고 말한다.
.
5. 윤회
.
매사를 주체 아닌 행위에 촛점을 두고서 인과의 관점에서만 impersonal 하게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그럼 무엇인가? '나'라는 주체 위주로 생각할수록 존재에 집중=집착하게 되고, 그 집중/집착의 힘이 바로 존재를 반복하는 윤회의 동력이 되기 때문:
.
"Wherever one’s selfhood turns up, there that action will ripen. Where that action ripens, there one will experience its fruit, either in this very life that has arisen or further along in the sequence." -- AN 3:34
.
그래서 not self, no conceit을 가르치는 것이며, 이런 교리들의 목적도 상식적 의미의 '겸손'이나 '원만한 인간관계' 혹은 '사랑'이 아니라 바로 '윤회로부터의 해방' 즉 '해탈'인 것. 그러니 "불교에서 윤회는 방편설" 류의 얘기는, 불교의 대전제부터 아예 부정하고 들어가는 셈인 것.
.
부처님이 해탈하실 때 3가지를 보셨다.
.
(a) 본인의 윤회. 수십만 번에 걸치는 윤회동안 어떤 생에서 어떤 음식을 먹었었는지까지 자세히.
(b) 인간들의 윤회 패턴. 어떤 행동을 하면 결과가 어떻게 되고 그 결과가 언제 찾아오고 등등.
(c) 심리적 윤회. 어떤 마음을 먹으면 그 결과로 내 생각과 감정이 어떻게 되고 그로 인해 어떤 경험이 찾아오고 등등.
.
그리고 b와 c를 관통하는 공통된 법칙을 찾으셨는데 그게 12연기=인과이다. 그러니까 b는 12연기가 거시적 레벨 (생과 생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이고 c는 미시적 레벨 (한 개인의 한 찰나의 의식과 다음 찰나의 의식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인 셈. 그래서 매사를 주체 아닌 행위에 촛점을 두고서 인과의 한 과정으로만 파악하라고 하신 것.
.
윤회는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자기 마음의 변화는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어차피 미시적 차원에서의 원리와 거시적 차원에서의 원리는 동일하기에, 윤회가 믿기지 않는다면 안 믿어도 상관은 없다. 미시적 차원에서의 연기 공부를 열심히 하다 보면, 윤회가 있을 경우 좋은 곳으로 윤회할 것이고, 설사 윤회가 없다 한들 이미 이승에서 마음 수행의 효용을 보았으니 억울할 이유가 없는 것. 하지만 누가 죽을 때마다 제자들이 부처님에게 그 사람은 어디로 윤회했느냐고 묻고 이에 대해 부처님이 대답하시거나, 어떤 행동은 이승에서 그 결과가 오고 어떤 행동은 다음 생에서 그 결과가 오며 또 어떤 행동은 몇 생 후에 결과가 온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 얘기들이 초기경전에 줄줄이 나온다.
.
6. 無我之境
.
한 가지만 추가로 언급하고 맺으려고 한다. 예술 작품/활동에 푸욱 빠져 잠시나마 '나'를 완전히 망각할 때 '무아지경'이라는 표현을 쓰고, 이걸 바람직한 상태로 오해하기에 그래서 심지어는 섹스를 '수행'으로 삼는 탄트라라는 것도 생긴 것이지만, 이런 해석은 부처님의 관점과는 전혀! 무관하다. 초기불교는 섹스, 도박, 권력, 쇼핑, 예술, 여행, 우정/사랑, 심지어 학문마저도 모두 감각적 즐거움을 위한 feeding이라 간주한다. 물론 도박보다는 예술이 건전하고 인간관계보다는 자연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이 건강하지만, 가장 이상적인 즐거움은 명상을 통해 자가발전하는 것. 또, 예술이든 뭐든 그런 외부 자극에 distract되지 않기 위해 일상생활 중에도 늘상 자신의 호흡에 대한 관조를 자기 마음/의식의 anchor로 삼으라고 (바로 이것이 'centered'의 의미)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그러니 외부의 무언가에 빠져 잠시나마 자신을 망각/상실하는 의미의,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무아/무아지경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완전히 정반대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 What an irony.
.
.
'불교에 대한 오해 #8. 무아는 영원한 실체가 없다는 뜻'
.
'불교에 대한 오해 #7. 남의 자기중심주의를 떠받드는 것이 Not Self, No Conceit'
.
'불교에 대한 오해 #6. 어머니가 외아들을 사랑하듯 세상 모든 존재를 사랑하는 것이 불교의 자비'
.
'불교에 대한 오해 #5. 무조건 남을 내 위에/앞에 두는 것이 무아/겸손'
.
'불교에 대한 오해 #3. 남을 내 몸처럼 사랑하고 남의 일을 내 일처럼 생각하는 것이 무아'
.
.
ACCESSTOINSIGHT.ORG
Purity of Heart
You, 崔明淑, Sungsoo Hong and 10 others
14 comments
4 shares
Like
Comment
Share

14 comments

  • 希修
    '공동체의 화합!을 원한다면 비판!을 잘 하고 또 잘 받아 들여야'
    • Like
    • Reply
    • 1 y
    • Edited
  • 崔明淑
    3단계는 자기로부터 소외되지 않는 상태이겠네요.. 인간의 행복감을 느끼는 상태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과문하여 글이 쉽게 이해되지는 않네요.ㅜㅜ 그래서 좋습니다.
    1
    • Like
    • Reply
    • 1 y
    • Edited
    希修 replied
     
    2 replies
  • 希修
    주어를 삭제한 채 술어만 들여다 보고 impersonal하게 판단하는 것. 불교의 '무아'를 바르게 이해하는 방법.
    "박원순을 빼고 봐야 보인다"… 
    See more
    여성운동 동지가 박원순을 보내는 방법 - 시사IN
    SISAIN.CO.KR
    여성운동 동지가 박원순을 보내는 방법 - 시사IN
    여성운동 동지가 박원순을 보내는 방법 - 시사IN
    • Like
    • Reply
    • 1 y
    • Edited
  • Hanjin Kang
    이해를 돕기 위해 선생님이 추가하신 2단계가 굉장히 값지네요 ^^ 이렇게 공짜로 봐도 되는건지 살짝 죄송스러움이 느꺼질 정도입니다 ㅎㅎ
    1
    • Like
    • Reply
    • 51 w
    • Edited
    Hanjin Kang replied
     
    2 replies
  • May be an image of text that says "Master Gotama? Is the one who acts the same one who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act)?" "The one "(Το say,) brahman, one who acts is the same one who experiences, is one extreme." "Then, Master Gotama, is the one who acts someone other than the who experiences?" "(Το say,) brahman, The one who acts is someone other than the one who experiences, is the second extreme. Avoiding both of these extremes, the Tathagata teaches the Dhamma via the middle: "From ignorance as a"
    • Like
    • Reply
    • 43 w
  • May be an image of text that says "requisiteconditioncome condition come fabrications...." SN 12:46 S 12. "Whatever brahmans and contemplatives, teachers of kamma, who declare that pleasure and pain are self-made, even that is dependent on contact. Whatever brahmans and contemplatives, teachers of kamma who declare that pleasure and pain are other-made... self-made and other-made... neither selfmade nor other-made, but arise spontaneously, even that is dependent on contact."
    • Like
    • Reply
    • 43 w
  • 希修
    자타 불문, 주어/대상 아닌 술어/과정에 집중하는 것이 '무아.'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Like
    • Reply
    • 38 w
    • Edited
  • 希修
    '내가 남보다 위'라는 생각뿐 아니라 '내가 남보다 아래'라는 생각 역시 conceit (자만. self-image 집착)이라고 아비담마는 말한다. '나'라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중심적') 사고이기 때문.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Like
    • Reply
    • 38 w
    • Edited
  •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Like
    • Reply
    • 38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