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4

Ontology of Production: Three Essays : Haver, William, Nishida Kitaro: Amazon.com.au: Books

Ontology of Production: Three Essays : Haver, William, Nishida Kitaro: Amazon.com.au: Books


https://www.scribd.com/document/360586995/Nishida-Kitaro-Ontology-of-Production-Three-Essays






Ontology of Production: Three Essays Hardcover – 17 February 2012
by William Haver (Translator), Nishida Kitaro (Author)
5.0 out of 5 stars 1 rating
Part of: Asia-Pacific: Culture, Politics, and Society (48 books)


Kindle
$23.88
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211.58
7 New from $168.03
Paperback
$38.50
1 Used from $63.998 New from $38.50


Ontology of Production presents three essays by the influential Japanese philosopher Nishida Kitarō (1870-1945), translated for the first time into English by William Haver. While previous translations of his writings have framed Nishida within Asian or Oriental philosophical traditions, Haver's introduction and approach to the texts rightly situate the work within Nishida's own commitment to Western philosophy. In particular, Haver focuses on Nishida's sustained and rigorous engagement with Marx's conception of production.

Agreeing with Marx that ontology is production and production is ontology, Nishida in these three essays--"Expressive Activity" (1925), "The Standpoint of Active Intuition" (1935), and "Human Being" (1938)--addresses sense and reason, language and thought, intuition and appropriation, ultimately arguing that in this concept of production, ideality and materiality are neither mutually exclusive nor oppositional but, rather, coimmanent. Nishida's forceful articulation of the radical nature of Marx's theory of production is, Haver contends, particularly timely in today's speculation-driven global economy. Nishida's reading of Marx, which points to the inseparability of immaterial intellectual labor and material manual labor, provokes a reconsideration of Marxism's utility for making sense of--and resisting--the logic of contemporary capitalism.
Read less




Print length

216 pages
Language

English
Publisher

Duke University Press
Publication date

17 February 2012
Dimensions

15.88 x 1.91 x 22.86 cm
ISBN-10
Product description

Review
"Ontology of Production promises a remarkable - albeit challenging - journey that is well worth the pursuit."--David Baronov "Marx & Philosophy Review of Books"

"Ontology of Production is an intellectual breakthrough. By genuinely respecting Nishida Kitarō's commitment to 'Western philosophy, ' William Haver corrects long-standing misinterpretations of the philosopher's work. The translations themselves are astonishing. Until reading this book, I had not imagined that such fidelity to the original was possible between Japanese and English."--Naoki Sakai, author of Translation and Subjectivity: On "Japan" and Cultural Nationalism

"It should be regarded not only as an introduction to Nishida's thought and the richness of twentieth-century Japanese philosophy but also as an invitation to investigate the Eastern traditions that account for so much of its depth and mystical appeal."--Germaine A. Hoston "Political Theory "

"These well-crafted translations make three important essays by Nishida Kitarō, Japan's preeminent philosopher, available to English-language readers. In the introduction, William Haver suggests a new way of reading the essays, one that explains the ways that Nishida's work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mporary world."--Christian Uhl, Ghent University
About the Author


Nishida Kitarō (1870-1945),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Kyoto School of Japanese philosophy, was Professor of Philosophy at Kyoto University. His many books include An Inquiry into the Good; Intuition and Reflec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Fundamental Problems of Philosophy. William Haver is Associate Professor of Comparative Literature at Binghamton University. He is the author of The Body of This Death: Historicity and Sociality in the Time of AIDS.

William Haver is Associate Professor of Comparative Literature at Binghamton University. He is the author of The Body of This Death: Historicity and Sociality in the Time of AID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Duke University Press (17 February 2012)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216 pages
ISBN-10 ‏ : ‎ 0822351641
ISBN-13 ‏ : ‎ 978-0822351641
Dimensions ‏ : ‎ 15.88 x 1.91 x 22.86 cm

세계의 불교학자 12.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 허우성 < 세계의 불교학자 < 기획시리즈 < 기사본문 - 불교평론

세계의 불교학자 12.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 허우성 < 세계의 불교학자 < 기획시리즈 < 기사본문 - 불교평론



세계의 불교학자 12.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 허우성
기자명 허우성
입력 2021.06.28


생명철학과 역사철학을 전개하다*

머리말

하나의 역사적 사건에 대해 한국인과 일본인은 종종 상반된 역사적 기억을 지니고 있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1841~1909)의 죽음이 그런 사례다. 이토는 일본에서는 최초의 내각총리대신, 조선 통감을 역임한 자, 일본 입헌정치를 확립한 정치가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의 뇌리에는 주로 일본 제국주의의 수괴, 침략의 원흉, 동양 평화를 파괴한 주범으로 각인되어 있다. 우리는 의사 안중근(1879~1910)의 가해 행위를 통하여 이토를 민족의 원수로 기억하지만, 당시 일본인 대부분에게 안중근은 흉악범이고 사형받아 마땅한 인물이었다. 이와 같이 상반된 역사적 기억의 배후에는 한국인과 일본인은 별개의 생존과 생육 단위로서 살아왔다는 역사적인 사실이 놓여 있다.

진리 주장이 ‘나’와 ‘우리’ 그리고 민족과 국가라는 생존 단위를 초월할 수 있을까? 이와 같은 질문을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1870~1945)와 그의 철학을 향해 던져 보자. 그는 20세기 일본이 배출한 가장 탁월한 철학자의 하나로 일본 내외에서 널리 인정받아 왔다. 그의 철학은 근대일본의 복잡다단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니시다 철학은 상당히 ‘보편적’ 메시지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나라에서 통하는 진리가 현해탄을 건널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한 · 일 양국인에게 던지고 있다.

생명과 논리, 이 둘은 니시다의 평생 화두였다. 그가 40여 년 동안 추구했던 생명에는 내적 생명과 역사적 생명, 둘이 있지만 논리는 거의 하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 구원과 관련된 생명철학은 현해탄을 건너기 쉽고, 역사철학은 몹시 어려워 보인다.



1. 생명철학

27세(1897) 무렵 야마구치 요시키츠(山本良吉)에게 보낸 편지에서, 니시다는 선(善)과 ‘진정한 자기[眞正の己]’를 탐색해야 할 장소로 깊고 깊은 ‘마음속(奧)’을 말하고 있다. 20대에 쓴 것이지만 니시다 철학 전체의 방향을 잘 보여준다. 자기의 내심으로 깊이 들어가 욕, 망념, 불쾌, 불만, 비천함의 근본을 자르고,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진정한 자기를 얻는 데서 선(善)은 구현되고 생명도 얻는다; 선 이외에 다른 것에 억눌리면[他に壓せられ已たる] 죽음이다; 진정한 자기와 하나 되는 시간이 1분이어도 생명은 영원하다고 했다(18: 44). 1분의 영원은 ‘영원의 지금’이나 ‘절대현재의 자기한정’이란 말의 선구다.

이 편지에서처럼 생명이 육신이 아니라 이상(理想)에 있다고 하면, 육욕의 극복이 진정한 자기를 찾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결혼 이듬해에 보낸 편지에 26세의 니시다는 가족이 육욕을 허용하는 귀굴(鬼窟)이라고 했다. 신체에 대한 이런 부정적인 견해는 나중에 예술론, 표현론, 신체론에 나오는 ‘영화(靈化)된 신체’ 등의 개념을 통해 일부 극복된다. 진실재는 육신을 떠날 수 없고 오히려 신체를 통해서만 표출된다고 말하게 된다.

1899년(29세) 제4고등중학교(4고) 전임교수가 되던 해에 쓴 일기에 선(禪) 수행과 관련된 사항이 계속 나온다. “2월 1일 방하제연(放下諸緣), 순일무잡(純一無雜)” “2월 21일 효기타좌(曉起打坐) 정신 굉대(宏大)되는 것 같다.”(17: 35) 순일무잡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연을 놓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좌선이 최고다. 그런데 2월 23일 일기에는, 학문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방해하는 일이 많다고 하며, 중국 당대의 선사 덕산선감(德山宣鑒, 780~865)의 일을 말하며 경계하자고 했다.

니시다는 1902년(32세) 무렵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 1870∼1966)에게 편지를 보냈다. 거기에 서양 윤리학이 완전히 지식적 연구를 함으로써, ‘자기의 각근하(脚根下)를 잊어버린다’는 구절이 나온다. 《벽암록》의 ‘발밑을 살펴라[照顧脚下]’를 상기시킨다. 제대로 된 윤리학이라면 ‘발밑’을, 즉 인심의 깊은 영적 경험(soul-experience)을 살펴야 한다; 윤리학은 이런 영적 경험에 효능이 없는 허위의 조물이다; 하지만 직무상 부득이한 자신의 강의를 양해해 달라는 내용이었다(18: 59~60 〈서간〉 42). 1902년의 한 일기에서는 학(學)의 긍정적인 용도를 말한다. “참선으로 대도를 밝히고 학문으로 참된 지를 열고, 도를 체를 삼고, 학문을 사지로 삼는다(參禪以明大道 學問以開眞智 以道爲體 以學問爲四肢 17: 99).”고 했다. 참선이 밝힌 대도가 몸통이라면 학문은 팔다리라는 것이다.

4고(四高) 교수였던 니시다는 4고의 교우지 《북진회잡지》에 〈인심의 의혹〉(1903)이란 글을 게재했다. 이 글에서 그는 학생에게 ‘진지한 인생 문제’에 맞서라고 권한다. “생은 어디서 와서, 사(死)는 어디로 가는가, 사람은 무엇을 위하여 살아가고 무엇을 위하여 일을 하는가, 무엇을 위하여 죽는가, 이것이 최대 최심(最深)의 인심의 의혹이다.”(13: 86∼87) 인생 문제란 우리가 먹고, 자고, 깨고, 사랑하고, 분노하는 일(怒る)에서 “곧바로 이 마음에 있어서 천지(天地)의 관계를 구하고 신의 마음을 구하고 해탈의 경계를 구하려고 하는, 지극히 실지에 적절한 연구”라고 했다(13: 88∼89). 일상을 살아가는 내 마음에서 신의 마음과 해탈의 경계를 구하자고 했다. 인심의 의혹을 느낄 때, 니시다는 석가나 기독과 같은 심령적 위인을 찾아야 한다고도 했다(13: 89).



순수경험이란 무엇인가?

니시다는 《선(善)의 연구》에서 직접경험, 순수경험, 지적 직관에 대해 거듭 언급하고 있다. 이것들은 모두 주객미분의 상태로 자기의 세공(細工)이 조금도 섞이지 않은 경험이고, 생명 포착의 순간이고, 가정(假定) 없는 진실재의 순간이다. 순수경험의 사례들은 다양하다. 색(色)을 보고 음(音)을 듣는 순간, 열심히 벼랑길[斷岸]을 기어 올라가는 경우, 음악가의 숙련된 연주, 동물의 본능적 동작, 이것들이 순수경험이다. 그리고 괴테가 꿈속에서 직각적으로 시를 지은 일, 종교인의 피아합일(彼我合一)에 대한 직각, 모차르트가 작곡할 때 그림이나 입상(立像)처럼 악보 전체를 직시(直視)한 것, 이것들은 직각의 순간 속에 이미 전체나 일반이 깃들어 있음을 보여주는 순수경험의 사례다. 이것들 이외에 학자가 새로운 사상을 얻고 종교가가 새로운 각성을 얻게 되는 것, 화가에게 흥(興)이 일어나 화필이 저절로 움직이는 것, 이런 것들도 모두 어떤 통일의 발현에 근거를 두고 있는 사례, 또는 그 속에 통일적인 그 무엇이 작용하고 있는 순수경험의 사례다. 공통점은 ‘하나’가 전체로서 먼저 온다는 것이다.

우리가 아름다운 음악에 넋을 잃고 물아상망(物我相忘)하고 천지가 하나의 맑은 음악 소리[樂聲]로 되는 찰나, 화가가 의식적인 다년간의 다양한 기도(企圖)와 고심의 결과 “기예가 내면에서 성숙하여 뜻(意)에 이르고 붓이 스스로 따르는” 경지(1: 154), 한 폭의 그림과 한 곡의 악보에 있어서 그 일필(一筆)과 일성(一聲)이 전체의 정신을 나타내는 경우, 도덕적 인격의 발현, 그리고 플라톤이나 스피노자의 철학과 같은 위대한 사상의 배후에 커다란 직각이 작용한 경우, 이 모든 것들이 순수경험의 실례이다. 하나 속에 전체가 나타나는 것을 니시다는 경(景)이나 광경(光景)이라 부르기도 했다.

일거수일투족 그리고 의식 하나하나도 모두 순수경험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손이 움직이는 곳, 다리가 밟는 곳, 거기에 우리의 전 인격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명장(名匠)의 일필일도(一筆一刀)의 중에도 전 창조력이 담기어 있듯이, 개개의 의식은 모두 우리의 의지, 우리의 인격의 창조이다. 이 때문에 나는 모든 작용을 통일하여, 나는 자유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신상(神像)과 같이 된 것이다.

— 〈절대자유의 의지〉 2: 290∼291

명장의 붓놀림에서처럼, 우리의 동작 하나와 의식 하나에도 인격 전체가 드러날 수 있다. 그 순간 몸은 자유의 신상이 된다. 물론 성숙을 위한 사전 준비도 있어야 한다. 니시다 철학은 일거수일투족에 대한 행위/동작의 철학이다.



순수경험의 특성

순수경험은 의식의 통일, 주객의 합일 상태이다. 자기의 의식상태를 경험하는 것이 사실을 그대로 아는 것이며, 경험 중 가장 순수한 실재이다. 순수경험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순수경험은 수동이 아니라 능동이고 생명의 활동이다. 생명의 활동 그 자체가 실재이다. 순수경험이 독립자전(獨立自全)의 순활동이고 유일의 활동이다. 니시다는 《선의 연구》와 거의 같은 시기에 집필한 《순수경험에 관한 단장(斷章)》에서 “열반도 소승불교처럼 무가 아니라 활동이다. 천지합일의 대(大)활동이 된다”고 했다(16: 520). 그는 또 소승불교의 무(無)를 비판하면서, 열반을 대활동으로 이해한다. 역사철학의 니시다는 역사적 행위를 내세워 대승불교를 찬양하게 된다.

둘째, 순수경험의 경우 “개인이 있고 경험이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있고 개인이 있다.”(1: 28) 경험의 소유주와 활동자는 활동에서 추출해 낸 추상적 개념에 불과하다(1: 71). 셋째, 순수경험은 “색을 보고, 음을 듣는 찰나”에 성립하는 찰나의 경험이다(1: 9). 순수경험은 현재의 순간 경험이고 과거의 기억이나 미래에 대한 기대와 우려로 훼손당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찰나적 충만의 경험이다. 넷째, 순수경험은 하나의 ‘개체’로서 유일의 특색을 가지므로(1: 27) 어느 일반자에 귀속되지 않는다. 즉 그것은 개체적(또는 개물적)이며 개성적인 사건이다.

다섯째, 순수경험이나 직접경험이 진실재가 되기 위해 논리가 필요하다. 니시다는 《선의 연구》(1911)의 〈실재〉 편 제4장과 5장을 각각 〈진실재는 언제나 동일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와 〈진실재의 근본적 방식〉으로 부르고 있어서, 일찍부터 논리나 형식 추구에 관심이 컸다. 생명과 같은 독립자전(獨立自全)의 진실재가 성립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먼저 전체가 함축적(implicit)으로 나타난다. 거기에서 그 내용이 분화 발전한다”(1: 63)고 했다. “하나의 것(一つの者)이 자기 자신에 있어서 발전 완성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우리의 활동적 의식작용에서 가장 분명하게 볼 수 있다.”(1: 63∼4) 전체로서 하나가 먼저 온 다음에 분화 발전한다.

그런데 《선의 연구》가 말하는 선(善)은 무엇인가? 선은 인격의 실현, 의식통일, 자타상망, 주객상물의 경지에 도달함이다; 자기와 우주는 동일하다; 실재를 아는 것은 자기 자신을 아는 것; 결국 실재의 진선미는 자기의 진선미다. 그런데 주객상몰이 확대되면 인류 일반의 통일적 발달로까지 진행한다고 했다(1: 163∼164 참조). ‘인류 일반의 통일적 발달’이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후기의 역사철학에서 중시되는 국가나 국체는 여기에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역사철학의 입장에서 보면, 순수경험 시기의 선(善)은 비역사적이고 비국가적이며 추상적이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2. 생명의 논리

니시다에게 사람의 행위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자유, 독립, 창조, 생명의 행위이고, 다른 하나는 부자유, 의존, 반복, 죽음의 행위이다. 전자가 능동성과 개성의 ‘함’이라면, 후자는 수동과 몰개성의 ‘당함’이다. 주로 욕망과 과거의 업이 일으킨 행위다. 그 특성은 위축과 쇠약 그리고 의기소침이다. 쇠잔하고, 느른해지고, 사그라지고, 까라진 동작[위미소침(萎靡消沈)]이다.

한 사람이 ‘당함’의 위축과 쇠약, 부자유를 간파하고, 자유와 능동의 ‘해탈’의 꿈을 품게 되었다고 해보자. 그/그녀는 깊디깊은 자신의 속내로 들어가, 참자기가 주는 생기를 경험했다. 그 사람의 동작 하나하나가 수면 위로 솟구쳐 오르는 물고기처럼 생기에 차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고, 행주좌와의 매 순간 심신이 통일되니 위축과 쇠약이 있을 리 없다. 일거수일투족에서 자유와 독립은 물론이고, 완전무결의 당위와 절대의 감마저 느끼며 구원이나 해탈을 성취하게 된다. 여기에 비로소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고, 몸은 신상(神像)이, 마음은 신격(神格)이 되며, 진선미가 일거에 실현된다. 단박 실현되는 이런 순간 동작이 구원과 해탈의 동작이며, 바로 ‘한 순간’이다.

니시다 철학은 ‘한 순간’에 대한 철학이다. 그는 생기나 활력으로 가득한 손놀림과 발걸음의 한 순간을 ‘이것(Dies)’이라고 부른 적이 있다. 생명의 한 순간은 참 자기와 진실재의 순간이다. 이는 순간적 동작/사건이다. 이를 니시다는 개물(個物)이나 개(個)로, 또는 사(事), 사실, 물사(物事)로도 불렀다. 한 순간이라는 시간은 물(物)을 담아내는 형식적인 시간이 아니라, 자기동일의 내용과 힘으로 충만한 시간이다. 이상으로 본다면 매 순간 그런 순간이어야 하고, 그런 순간이 없다면 죽음이다.

니시다는 1901년 수년 전부터 알아오던 임제종 세츠몽(雪門, 1850∼1915) 선사로부터 계도 받고 슨신(寸心) 거사라는 이름도 얻었다. 《임제록》에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면 서 있는 곳마다 진여 바로 그 자리(隨處作主 立處皆眞)”라는 구절이 나온다. 아래 인용에 나오는 절대무의 자각과 자유라는 말은 이런 구절의 철학화라고 할 수 있다.



절대무의 자각이 깊어지면 질수록, 각인의 자기는 각인의 자기로서 자유로이 행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각인의 자기가 각인의 자기로서 자유이고, 자기가 자기이며 동시에 자기에게 외적인 것이 자기 자신의 운명으로서 자기 자신의 깊은 내용이라고 생각되지 않으면 안 된다. 외적인 것이 내적인 것으로 된다. 이런 입장에서는, 감각적인 것도 내적 생명의 질료로서 종교적인 것이 되지 않을 수 없다.

— 〈일반자의 자기한정〉 1929, 5: 411.



‘외적인 것이 운명으로서 자기 자신의 깊은 내용’이란 구절은, 외적인 것도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란 뜻이다. 자각에서는 내 · 외가 하나가 되고 감각적인 것도 종교적인 것이 된다.

니시다가 생명의 한 순간에 논리를 부여한 점에서, 여느 전문 선(禪) 수행자와, 선불교의 신비주의적 측면을 강조한 스즈키 다이세츠(《불교평론》 2020년 여름호, 박인석)와도 달라 보인다. 논리 없이는 ‘니시다 철학’이란 말도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니시다 철학은 생명의 창조적 약동 하나하나, ‘한 순간’의 생명 사건이라고 할 만한 것을 존재론의 중심에 두고 있다는 의미에서, 동작/사건 존재론이라 할 수 있다. 그가 동작/사건에 대한 정치한 논리를 치열하게 추구했던 점에서, 일본의 대표 정도가 아니라 세계의 일류 철학자로 볼 수 있다. 생명이라는 단어가 선 수행이나 베르그송과 같은 서양 철학자에서 온 것이라면, 논리 부여는 생명철학을 보편화하겠다는 철학자로서의 소명의식에서 온 것이었다.

서양철학서를 읽으면서, 그가 서양철학의 대표 논리로 파악했던 ‘일의 다(一の多)’ 논리를 비판하고, ‘일즉다(一卽多)’, 개물즉일반(個物卽一般), 일반즉개물 또는 특수즉일반(特殊卽一般), 일반즉특수라는 생명 논리를 창안하여 그걸 부단히 벼려 나갔다. 바로 이 점에서 니시다 철학은 양이론(攘夷論)이다.7) 하지만 역사 참여의 행위에서조차 절대의 ‘한 순간’이 성취된다는 역사철학의 행위론은 개인의 자유와 능동성, 그리고 양이론도 변질시키고 만다.



3. 역사철학

수많은 일본인에게 1931년부터 시작된 15년 전쟁기는 절체절명의 위기였을 것이다. 니시다는 1930년대 역사적 · 정치적 맥락에서 민족이라는 종(種)과 국가, 그리고 역사적 사건과 행위를 사유의 주 대상으로 삼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특정 시대와 그 시대에 발생하는 모든 것―가령, 천황, 국체(國體, national polity)를 비롯하여 법률제정 행위, 동아공영권 등―이 엄숙한 현실로서 그리고 절대적인 실재로서, 일본인에게 임(臨)해와 응전하도록 명령해 오니, 마음속으로 도망갈 수도 없고, 몸을 숨길 데도 없다. 천황이나 국체는 부정과 돌파의 대상이 아니라 직면과 순종의 대상인 것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역사의 부름을 받아 나선 이 몸이 되는 것이다. 이제 내적 생명의 발현에서가 아니라, 역사적 세계 즉 민족 공동체의 내부에 창조적 역군이 되는 일에서 주체성과 자유가 추구되어야 한다.

전집 11권의 논문 〈예정조화를 실마리로 해서 종교철학에로〉(1944)에, 일본의 국체가 바로 대승불교의 참정신의 재현이라고 주장하는 대목이 나온다.



우리의 자기는 절대현재의 순간적 자기한정으로서, 하나하나의 순간에 있어서 종말론적 입장에 서 있다. 현재가 현재자신을 한정하는 입장에서는, 하나하나의 순간이 세계의 시작이고 끝이다. 역사가에 의해서도, 역사적 세계에서는 모든 점이 시작이고 끝이 된다고 생각된다(랑케). 금일의 불교도는 이런 대승의 참된 의의를 망각하고 있다. ……절대현재의 자기한정으로서 아국의 국체란 것은, 이런 입장에서의 역사적 행위의 규범이다. 앞서 말한 대승의 참된 정신은, 동양에서 금일, 우리 일본에서만 유지되고 있다.(11: 132∼33)



‘아국의 국체’를 절대현재의 자기한정으로 이해하는 데에 대승의 참된 의의가 있다고 한다. 랑케의 사유와 대승불교를 직접 연결하면서, 대승의 참된 정신이 동양의 일본에서만 유지되고 있다는 니시다의 말은 우리에게 아주 거북하다. 결국 일본의 생존과 생육을 위한 것이다.




4. 전회와 그 문제

니시다가 내적 생명의 추구에서 얻어낸 자각의 형식을, 역사적 생명의 활동에까지, 즉 시대나 국가 등의 비의식적인 현상에까지 확대 적용하게 된 것을, 필자는 니시다 철학 내의 전회(turn)라고 불러 보았다. 그 전환은 1931년경 일어났으며, 최초기에 무관심과 방기의 대상이었던 부질없는 세상(浮世, うきよ)을, 그리고 순수경험기나 절대무의 자각의 철학기에 2위 또는 3위에 머물러 있었던 역사계를 최상위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 전회는 초기의 종교적 · 구원론적인 자각의 철학에 대하여, 완전 부정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수정과 비판을 초래하게 된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 역사적 · 정치적 행위에서도 절대의 ‘한 순간’을, 그 안에서도 자유, 독립, 창조, 역동의 힘을 경험할 수 있을까? 천왕과 국가가 거부할 수 없는 절대 영원의 역사적 현실/실재로서 개인에게 다가오고, 이와 같은 현실재에 직면한 개인이 완전무결한 창조행위를 할 수 있을까? 1930년대의 니시다는 그 가능성과 당위성을 철학적으로 주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일본인의 능동적 행위가 중국인과 조선인에게 강요와 억압이 될 수 있음을 그가 상상인들 했을까?

니시다가 영국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양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하여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반대하고, 동아공영권의 기치를 높이 들고 천황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각국이 단결해야 한다고 썼을 때, 그는 유사 제국주의자가 되었다. 그가 저항논리로 개발했던 ‘일즉다’의 논리를 스스로 ‘일의 다’의 논리로 전락시키고, 그 일(一)이 낳은 폭력을 정당화하고 말았다.



5. 니시다 철학: 근대일본의 두 얼굴

니시다 철학은 우리에게 적어도 두 개의 얼굴로 다가온다. 한 얼굴에서는 생명의 약동을 보고, 또 다른 얼굴에서는 제국주의 일본을 본다. 진정한 자기라는 생명의 샘에서 솟아나는 절대영원의 행위는 구원의 몸짓이다. 이는 특정한 시공을 초월하여 순수무(無)의 절대 공간에서의 구원이므로, 인류 모두의 것이 될 수 있다. 순수무의 경험에서 실현되는 영웅과 대인은, 자신의 땅이 주는 몸의 기억과 전통에 붙잡히지 않고 국가주의나 민족주의를 초월할 수 있는 보편적 인간이 될 수 있다.

니시다 철학의 두 얼굴은 근대일본의 두 얼굴이기도 하다. 하나는 일본문화의 내부에서 고유의 것을 찾아 이를 정밀하게 다듬어 세계적 ‘보편’으로 현양하려는 당당한 모습이고, 또 하나는 영미 제국(帝國)과 동아시아 제국(諸國) 사이에서 생존하고 확장하기 위해서, 천황제를 열렬하게 주창하는 중간자의 모습이다.

두 얼굴을 가진 것은 일본만이 아니다. 검은 배를 우라가(浦賀) 만에 띄워 일본의 조정을 소스라치게 놀라게 했던 당시의 미국 역시 두 얼굴의 소유자였다. 미국도 실리 추구와 함께 보편진리를 주장했다. 이토를 비롯한 메이지와 쇼와의 수많은 일본인 지도자들은 서양 세력이 규정했던 보편적인 것들을 수용해서 자기의 것으로 바꾸어 나갔다. 1930년대에 이르러 동아공영권의 기치 아래 일본이 중심이 되어 영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것을 일본의 세계사적 사명으로 삼았다. 니시다는 이를 수용했다.

니시다의 역사적 행위론은 위기에 처해 있던 일본인 집단의 생존과 생육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진리 주장은 집단의 생존 · 생육의 본능에서 독립할 수 있을까? 니시다의 역사철학이 던지는 질문이다.


6. 생존과 생육의 본능은 살인한다

진리와 비폭력을 실천해온 마하트마 간디는 나이 40에 〈용감한 일본 병사〉(1909)라는 짧은 논평을 남겼다. 간디가 1909년 영국 런던을 방문하던 중, 이토 히로부미가 ‘어떤 한국인’에게 암살당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일본 병사는 이토이고 어떤 한국인은 안중근 의사다. 그런데 간디는 이 논평에서 두 사람 모두를 비판했다. 이토는 이웃 약소국을 침략했고, 안중근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이토를 저격해서 죽였으므로 두 사람 모두 비폭력 원리를 어겼다는 것이다.

간디는 이 논평에서 일본을 러시아의 피를 맛본 나라로, 세력에 도취한 나라로, 그리고 칼을 휘둘렀으니 칼로 망할 나라로 보고 크게 책망하며 패망을 일찌감치 예견했다. 간디의 눈에 비친 이토는 용감한 자였지만, “한국을 예속시킨 것은 그가 용기를 나쁜 목적에 사용한 것”이라고 했다. 간디는 일본과 같은 나라가 서양문명의 마법에 홀려 그것을 수용해서 세력을 키우면 그 세력으로써 자신을 다스리고, 자기를 확장하여 약한 한국을 정복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양문명이 주는 세력이 제국주의 형성의 기초임을 간파했던 것이다.

간디는 이 글을 “인민의 참된 복지를 심정에서 생각하는 자라면 오직 사탸그라하의 길을 따라 인민을 인도해야 할 것”이라는 구절로 끝냈다. 이 길은 물론 비폭력의 길이다. 안중근의 행위에 대한 간디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한민족의 정체성을 일본과의 관계에서 찾는 한 안중근은 의사(義士)로 기억될 것이다. 여기에 비폭력 원리와 애국애족 원리가 충돌하고 있다.

이토는 물론 비폭력과 같은 보편윤리를 믿지 않았다. 1871년 미국에서 일본 정부에 보낸 의견서에서 문명의 지체를 막기 위해서, 보편윤리[普通의 正理] 대신에 국익을 선택해야 한다고 했다.

이토는 민족주의자 안중근의 가해로 죽고, 안중근 역시 가해한 지 정확히 6개월 뒤 처형당했다. 보편윤리를 주장한 간디도 힌두 민족주의자 나투람 고제(Nathuram Godse, 1910∼1949)에 의해 살해당했다. 그는 간디가 이슬람교도에게 지나친 유화정책을 쓰는 일에 격분해서 간디를 죽였다. 그는 《힌두정기(Hindutva)》의 저자인 사바르까르의 영향을 받았고 확신범이었다.

니시다가 타고난 강성 제국주의자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러일전쟁(1904∼1905) 승리에 대해 유쾌하다고 했다가 여순 함락의 축하회에 대해서는 인심의 부박(浮薄)을 지적했다. 1909년 10월 26일 일기에 “밤 이토 공 할빈에서 암살당했다는 호외 나오다. 오늘 저녁 사상의 단서를 좀 얻었다.”고 간단히 적었다(17: 229). 대다수 일본인에게 충격적인 이토의 죽음에 대한 애도나 분노가 없었다. 오히려 자신의 ‘사상의 단서’를 얻었다고 했다. 역사철학의 니시다였다면 분노했을지도 모른다.

젊은 니시다는 붓다와 예수를 심령적 위인으로 불렀다. 붓다와 예수는 엄격한 도덕적 서약, 사랑과 비폭력을 지키면서 심령의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했던 인물로 이해해보자. 니시다가 수계(受戒)는 했지만 끝까지 가지는 못했다. 한국인이나 일본인 대중 가운데 니시다보다 나은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민족이나 국가, 정치 진영과 같은 현실적 유혹을 만나면 대다수 인간은 그 유혹에 지고 만다.



결론: ‘우리 함께’ 할 일을 찾자

달라이 라마는 1989년 12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평화상 수락 연설을 했다. 제목은 〈간디에 대한 찬사〉이다. 그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이유는, 이 평화상이 붓다를 비롯한 인도와 티베트의 위대한 성인을 따라서 그가 실천하려고 하는, 애타주의, 사랑, 자비와 비폭력의 참된 가치를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리곤 “나는 이 상을 마하트마 간디에 대한 찬사의 표시로 수상합니다. 그의 삶이 나에게 가르침과 영감을 주었습니다.”라고 연설했다. 달라이 라마는 중국 통치하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 6백만 동포 티베트인들에게 이 상을 바친다고 했다. 그런데 놀라운 점은 중국인에 대한 분노나 증오, 원한을 부추기지도 않았고 무장봉기, 테러리즘을 선동하지도 않았다.

그는 다음 기도로 이 연설을 마쳤다.



나는 억압자와 친구 모두를 위해, 우리 함께 인간적인 이해와 사랑을 통해, 보다 나은 세계를 건설하는 데 그리고 모든 중생의 고통을 줄이는 데 성공할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중국은 티베트를 점령 중이다. 그런데도 달라이 라마는 중생의 고통을 줄이는 데 ‘우리 함께’ 일을 하자고 권하고 있다. 우리 속에는 당연히 중국인도 포함된다.

우리가 일본 역사나 정치, 그리고 일본불교를 다룰 때, 뭔가를 비판하면서도 ‘우리 함께’ 해야 할 일을 찾는 것이 모두의 미래를 위해 유익하다. 이것이 싫으면 남은 길은 단 하나다. 조선이 일본의 침략에 앞서 스스로 자멸했다는 한용운의 자기책임론을 앞세워 부국강병으로 나가는 길, 그리고 그가 시에서 노래했듯이 이순신과 을지문덕 같은 장군을 찾는 길밖에 없다. 이때 군사력의 크기는 우리를 방어할 정도면 족하다.

누가 니시다에게 돌을 던질 수 있으랴? 자신과 자신이 몸담은 집단, 이 양자의 생존과 생육을 초월하여 진리 주장을 할 수 있는 자만이 돌을 던질 수 있다. 순수와 절대의 한 순간을 참으로 경험하여 민족이나 국가를 초월할 수 있는 자만이 니시다에게 돌을 던질 수 있다.

《불교평론》의 필자나 독자들은 얼굴이 하나인가, 둘인가? 둘이라면 우리와 니시다는 서로 닮았다. ■



허우성 woohuh@hanmail.net
서울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졸업(석사). 미국 하와이대 철학박사. 저서로 《근대 일본의 두 얼굴: 니시다 철학》과 역서로 데이비드 로이의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문명 정치 종교(마하트마 간디의 도덕 정치사상)》 등이 있다. 현재 경희대 명예교수, 경희대 비폭력연구소 소장. 본지 편집위원.

The Kyoto School: An Introduction: Carter, Robert E.:

The Kyoto School: An Introduction: Carter, Robert E.: 9781438445427: Amazon.com: Books

https://www.scribd.com/document/409544045/Nishida-Kitaro-Nishitani-Keiji-Tanabe-Hajime-Nishida-Kitaro-Carter-Robert-Edgar-Tanabe-Hajime-Nishitani-Keiji-The-Kyoto-School-An-In#




The Kyoto School: An Introduction Paperback – January 21, 2013
by Robert E. Carter (Author)
4.1 out of 5 stars 13 ratings


Kindle
$23.99
Read with Our Free App


Review
“...an excellent introduction to the work of some of the major figures of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 the book provides the foundation for a first-rate syllabus for an entire course on the Kyoto School.” ― Religious Studies Review

“…Carter skillfully introduces the reader to the complexity of the thought of the Kyoto School thinkers while challenging the reader to continue his or her search by taking advantage of the multiple sources included in the Selected Bibliography. One leaves this book with a sense of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Kyoto School thinkers and their struggle to elucidate what Nishida terms as ‘unspeakable.’” ― Journal of Buddhist Ethics

“Robert Carter’s skill at making complex philosophical concepts comprehensible is once again in evidence in this excellent book … With its lucid explanations, emphasis on the relevance of Kyoto school thought to everyday life, and concrete examples, The Kyoto School is an excellent text for a course on Japanese philosophy―all the more so because of its ample references to recent literature, glossary of terms, and helpful bibliography.” ― Monumenta Nipponica
About the Author


Robert E. Carter is Professor Emeritus of Philosophy at Trent University in Canada. His many books include The Japanese Arts and Self-Cultivation and Encounter with Enlightenment: A Study of Japanese Ethics, both also published by SUNY Pres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January 21, 2013)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58 pages

Customer Reviews:
4.1 out of 5 stars 13 rating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toronto

4.0 out of 5 stars Not absolut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31, 2013
Verified Purchase
This is a reasonable general introduction to the Kyoto School, but doesn't really go very deep. For that, Heisig is better and the old collection of essays by Taitetsu Unno. Or go straight to Religion and Nothingness -- it isn't that hard to read if you have any background in Western philosophy and a reasonable knowledge of Mahayana Buddhism. The issue with reading the Kyoto School is that their deep insights are surrounded by lots and lots of generalities on Western philosophy that are not that sophisticated (I leave aside the social and political material, which has problems of its own). You have to get on their "wavelength" and then it becomes a fascinating bridge (abyss) between thought realms.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francis s. harvey

5.0 out of 5 stars Clarifies Buddhism Clearl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4, 2016
Verified Purchase
Carter does a great job on a difficult topic. He explains some of the difficult concepts in Buddhism. In fact, of the authors I have read, he explains it the best. It is also written in an interesting style, not dry.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Sergej

5.0 out of 5 stars Watsuji Tetsuro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1, 2013
Verified Purchase
The book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each considers one japanese philosopher from the Kyoto School. These are Nishida Kitaro, Tanabe Hajime, Keiji Nishitani and Watsuji Tetsuro. This is great since their thought is so diverse, that one usually finds himself interested in a particular thinkers thought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PVreader

5.0 out of 5 stars Great intro to Modern Japanese Philosoph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19, 2014
Verified Purchase
There are very few entry level texts in this field. This is a scholarly and informed exception. Dr. Carter has also produced several other exemplary studies regarding contemporary Japanese Arts and Culture. Thank you, Dr. Carter.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H. E. Davey

5.0 out of 5 stars An Excellent Introduction to the Kyoto School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17, 2014

The Kyoto School is the Japanese philosophical faction focused at Kyoto University that integrated Western philosophy and religions. It then famously used them to reinvent religious and moral insights unique to Eastern cultural practice. Conversely, this designation is also used to portray several postwar academics from different disciplines who have taught at this campus, been swayed by the first thinkers of Kyoto School philosophy, and who have advanced distinguishing concepts of Japanese distinctiveness.
Starting around 1913 with Nishida Kitaro, it grew into a renowned and active movement. Nevertheless, it is not a "school" of philosophy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he word. It more accurately describes the collection of scholars, who congregated around Kyoto University. Since its founder, Nishida, encouraged freethinking, not every “member” of the Kyoto School espoused an identical philosophy. There is not one, unified philosophy for the Kyoto School, but there are certain common and identifying traits displayed by the philosophers associated with this movement/university.

What are these traits? There are several, all expertly described by Dr. Robert Carter, professor emeritus in philosophy for Canada’s Trent University. One key point is the idea of “nothingness,” which is often rendered as ku or mu in Japan. But nothingness is easily misinterpreted in a nihilistic way, and perhaps “formlessness” might be a better transliteration. (Something can be formless and yet still exist. Think of wind.) Regardless, many Western people interested in Eastern religion and/or meditation have encountered this concept. Just as many have been mystified as to what it means and what to do with it in a practical sense.

If you’re one of those folks, or if you have a specific interest in the Kyoto School, you need this exceptional introduction by Dr. Carter. Educated at Harvard, with several critically acclaimed books under his belt, and having spent significant time in Japan, he makes the impenetrable penetrable. And he accomplishes this feat without dumbing down his subject matter. Eastern philosophy followers will want this unique work in their libraries.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David Shaner

5.0 out of 5 stars First Rat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13, 2013

For anyone interested in modern Japanese philosophy, this work is absolutely the best introduction available. Professor Carter has established himself as the very best cross-cultural communicator bridging Japanese and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Like his other works, in this study Carter evidences a knack for making the sublime and complex, clear and simple. The Kyoto School is remarkably jargon free ... a feat nearly impossible given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Kyoto School philosophers tend to bend and twist language, including inventing new expressions, in their attempt describe philosophical subtleties and nuances not easily expressed in everyday language. Carter's extraordinary talent is to cut to the essence of things and make them transparent for clarity and understanding.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for university students of Japanese philosophy and anyone interested in new ways of thinking about the philosophy of religion.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Jerry Larock

5.0 out of 5 stars Fascinating Read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y 5, 2014

Professor Robert E. Carter again uses his unique talent, this time to bring the Kyoto School of Japanese philosophy to life. He has a particular knack for taking difficult, obscure subjects and making them comprehensible. His new book is an excellent introduction to this fascinating area of thought. Carter discusses the teachings of four prominent Japanese philosophers, focusing on shared themes. This book is a relatively easy read that makes this topic accessible to virtually everyone, making it a great addition to his many other books on Far Eastern philosophy. Highly recommended.



HelpfulReport abuse

Amazon.com: Nishida Kitarō's Chiasmatic Chorology: Place of Dialectic, Dialectic of Place (World Philosophies): 9780253017536: Krummel, John W. M.: Books

Amazon.com: Nishida Kitarō's Chiasmatic Chorology: Place of Dialectic, Dialectic of Place (World Philosophies): 9780253017536: Krummel, John W. M.: Books






Nishida Kitarō's Chiasmatic Chorology: Place of Dialectic, Dialectic of Place (World Philosophies) Hardcover – Download: Adobe Reader, September 1, 2015
by John W. M. Krummel (Author)
5.0 out of 5 stars 2 ratings

Part of: World Philosophies (12 books)

Kindle
from $10.24
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28.98
6 Used from $28.989 New from $51.37


Nishida Kitarō (1870–1945) is considered Japan's first and greatest modern philosopher. As founder of the Kyoto School, he began a rigorous philosophical engagement and dialogue with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especially the work of G. W. F. Hegel. John W. M. Krummel explores the Buddhist roots of Nishida's thought and places him in connection with Hegel and other philosophers of the Continental tradition. Krummel develops notions of self-awareness, will, being, place, the environment, religion, and politics in Nishida's thought and shows how his ethics of humility may best serve us in our complex world.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mation.


Print length

304 pages

September 1, 2015
-----
Editorial Reviews

Review
"The current volume constitutes an enormous contribution to Nishida scholarship, comparative philosophy, and postmodern visions of and for a global world. It provides inspiring scholarship on Nishida and, at the same time, invites subsequent creative reflections. In short, it constitutes philosophical reflection at its best."―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This] volume constitutes an enormous contribution to Nishida scholarship, comparative philosophy, and postmodern visions of and for a global world. It provides inspiring scholarship on Nishida and, at the same time, invites subsequent creative reflections. In short, it constitutes philosophical reflection at its best."―Journal of Japanese Studies

"One of a handful of genuinely significant studies of Nishida in the English language. It has perhaps the most thorough overview of the trajectory of the historical in Nishida's thinking while providing interesting and original philosophical engagements."―Jason M. Wirth, coeditor of Japanese and Continental Philosophy: Conversations with the Kyoto School

"John W. M. Krummel's analysis of Nishida's dialectic takes readers to the core of Nishida's epistemology and metaphyics. It is a central study."―Robert E. Carter, Trent University
Review


John W. M. Krummel's analysis of Nishida's dialectic takes readers to the core of Nishida's epistemology and metaphyics. It is a central study.-- Robert E. Carter ― Trent University

About the Author
John W. M. Krummel is Associate Professor of Religious Studies at Hobart and William Smith Colleges.
Read les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Indiana University Press (September 1, 2015)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304 pages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John W. M. Krummel



I was born and raised in Tokyo, Japan in a bilingual, bicultural family, to an American father and a Japanese mother. I attended the American School in Japan from Kindergarten to 12th grade. I received my BA with a major in Philosophy from Earlham College, Richmond, Indiana in 1988. I received my MA in Philosophy from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Graduate Faculty, NYC, NY in 1994 with a thesis on Heidegger and Foucault. I then received my Ph.D. in Philosophy from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in 1999 with a dissertation o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Kant's notion of the imagination. I then received an additional Ph.D. in Religion from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PA in 2008 with a dissertation on Nishida's dialectical philosophy in relation to Buddhism and Hegel. I am currently Associate Professor and Chair in the Dept. of Religious Studies at Hobart and William Smith Colleges, Geneva, NY; and Assistant Editor of Journal of Japanese Philosophy, SUNY Press; Associate Editor of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Imaginaries, Brill; and Editor of the Social Imaginaries Book Series, RLI.

Kitaro Nishida - Wikipedia

Kitaro Nishida - Wikipedia

Kitaro Nishi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Kitarō Nishida
Portrait-of-Kitaro-Nishida.png
BornMay 19, 1870
DiedJune 7, 1945 (aged 75)
NationalityJapanese
Alma materTokyo Imperial University
Era20th-century philosophy
RegionJapanese philosophy
SchoolKyoto School
InstitutionsKyoto Imperial University
Main interests
MetaphysicsAesthetics
Notable ideas
  • Logic of basho
  • absolute nothingness[1]
Influences
Influenced

Kitarō Nishida (西田 幾多郎Nishida Kitarō, May 19,[2] 1870 – June 7, 1945) was a Japanese moral philosopher, philosopher of mathematics and science, and religious scholar. He was the founder of what has been called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Tokyo during the Meiji period in 1894 with a degree in philosophy. He was named professor of the Fourth Higher School in Ishikawa Prefecture in 1899 and later became professor of philosophy at Kyoto University. Nishida retired in 1927. In 1940, he was awarded the Order of Culture (文化勲章, bunka kunshō).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Chiba Institute of Technology (千葉工業大学) from 1940.

Nishida Kitarō died at the age of 75 of a renal infection. His cremated remains were divided in three and buried at different locations. Part of his remains were buried in the Nishida family grave in his birthplace Unoke, Ishikawa. A second grave can be found at Tōkei-ji Temple in Kamakura, where his friend D. T. Suzuki organized Nishida's funeral and was later also buried in the adjacent plot. Nishida's third grave is at Reiun'in (霊雲院, Reiun'in), a temple in the Myōshin-ji compound in Kyoto.[3]

Philosophy[edit]

Being born in the third year of the Meiji period, Nishida was presented with a new, unique opportunity to contemplate Eastern philosophical issues in the fresh light that Western philosophy shone on them. Nishida's original and creative philosophy, incorporating ideas of Zen and Western philosophy, was aimed at bringing the East and West closer. Throughout his lifetime, Nishida published a number of books and essays including An Inquiry into the Good and The Logic of the Place of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Taken as a whole, Nishida's life work was the foundation for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and the inspiration for the original thinking of his disciples.

One of the most famous concepts in Nishida's philosophy is the logic of basho (Japanese: 場所; usually translated as "place" or "topos"), a non-dualistic concrete logic, meant to overcome the inadequacy of the subject-object distinction essential to the subject logic of Aristotle and the predicate logic of Immanuel Kant, through the affirmation of what he calls the "absolutely contradictory self-identity", a dynamic tension of opposites that, unlike the dialectical logic of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does not resolve in a synthesis. Rather, it defines its proper subject by maintaining the tension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as opposite poles or perspectives.

In David A. Dilworth's survey of Nishida's works, he did not mention the debut book, An Inquiry into the Good. There, Nishida writes about the experience, reality, good and religion. He argues that the most profound form of experience is the pure experience. Nishida analyzes the thought, the will, the intellectual intuition, and the pure experience among them.[4] According to Nishida's vision as well as to the essence of Asian wisdom, one craves harmony in experience, for unity.[5]

Legacy[edit]

Tomb of Nishida Kitarō in Kamakura

According to Masao Abe, "During World War II right-wing thinkers attacked him as antinationalistic for his appreciation of Western philosophy and logic. But after the war left-wing thinkers criticized his philosophy as nationalistic because of his emphasis on the traditional notion of nothingness. He recognized a kind of universality in Western philosophy and logic but did not accept that it was the only universality."[6]

List of works[edit]

Collected Works [西田幾多郎全集], 2nd ed. (Tokyo: Iwanami Shoten, 2003-20), 25 vols. [hereafter NKZ]

  • An Inquiry into the Good [善の研究] (Tokyo: Kōdōkan [弘道館], January 1911), reprinted in NKZ1.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1 [思索と体験] (Tokyo; Senshōkan [千章館], March 1915), reprinted in NKZ1.
  • ‘On the Claims of Pure Logicists in Epistemology’ [認識論における純論理派の主張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2, Nos. 8-9, August to September 1911).
  • ‘Laws’ [法則]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00, February 1912).
  • ‘Logical Understanding and Mathematical Understanding’ [論理の理解と数理の理解] (Geibun [芸文], Vol. 3, No. 9, September 1912).
  • ‘Natural Sciences and the Study of History” [自然科学と歴史学]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19, September 1913).
  • ‘Response to Takahashi Satomi’s Criticisms of My An Inquiry into the Good’ [高橋文学士の拙著『善の研究』に対する批評に答う]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08, September 1912).
  • Bergson’s Philosophical Method’ [ベルグソンの哲学的方法論] (Geibun [芸文], Vol. 1, No. 8, August 1910).
  • Bergson’s Pure Duration’ [ベルグソンの純粋持続](Kyōiku Gakujutsu Kai [教育学術界], Vo. 24, No. 2, November 1911).
  • ‘Contemporary Philosophy’ [現代の哲学] (Tetsugaku Kenkyū, April 1916).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Cohen’s Pure Knowledge’ [コーヘンの純粋意識] (Geibun [芸文], Vol. 7, No. 8, August 1916).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Lotze’s Metaphysics’ [ロッツェの形而上学] (Lotze, Tokyo: Hōbunkan [宝文館], May 1917).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Poincaré as Epistemologist’ [認識論者としてのアンリ・ポアンカレ] (Geibun [芸文], Vol. 3, No. 10, October 1912).
Remov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but restored in the 3rd edition of 1937.
  • ‘On Tolstoy’ [トルストイ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2, No. 1, January 1911).
  • Gutoku Shinran’ [愚禿親鸞] (Shūsokan, April 1911).
  • ‘Preface to Tanabe Ryuji, Koizumi Yakumo’ [『小泉八雲伝』の] (Tokyo: Waseda Daigaku Shuppanbu, April 1914).
  • ‘Preface to Fujioka Sakutarō, Lectur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国文学史講話』の] (Tokyo: Kaiseikan, March 1908).
  • ‘Preface to Henri BergsonMatter and Memory’ [『物質と記憶』の序文] (trans. Takahashi Satomi, Tokyo: Seibunkan, February 1914).
Remov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Modern Idealist Philosophy [現代における理想主義の哲学] (Tokyo: Kōdōkan [弘道館], May 1917), reprinted in NKZ12.
  • ‘Subjectivism’ [主観主義].
  • ‘Objectivism’ [客観主義].
  • ‘A Historical Overview of Idealist Philosophy’ [理想主義哲学の史的概観].
  • ‘The School of Neo-Kantianism’ [新カント学派].
  • ‘The School of Brentano’ [ブレンタノ学派].
  • ‘Philosophy of Pure Experience [純粋経験の哲学].
  • Intuition and Reflection in Self-Consciousness [自覚における直観と反省]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October 1917), reprinted in NKZ2.
Originally published as a serial in Geibun (September 1913 to August 1916) which was continued in Tetsugaku Kenkyū (October 1916 to May 1917).
  • Problems of Consciousness [意識の問題] (Tokyo: Iwanami Shoten, January 1920), reprinted in NKZ2.
  • ‘What Consciousness Means’ [意識とは何を意味するか] (Tetsugaku Kenkyū, January 1918).
  • ‘Sensation’ [感覚] (Tetsugaku Kenkyū, June 1918).
  • ‘Feeling’ [感情] (Tetsugaku Kenkyū, July 1918).
  • ‘The True Meaning of Symbols’ [象徴の真意義] (Shichō, March 1918).
  • ‘Will’ [意志] (Geibun [芸文], Vol. 9, No. 9, September 1918).
  • ‘The Various Continuities of the Content of Experience’ [経験内容の種々なる連続] (Tetsugaku Kenkyū, February to March 1919).
  • ‘The Place of the Realisation of the Will’ [意志実現の場所] (Geibun [芸文], Vol. 10, No. 4, April 1919).
  • ‘The Content of the Will’ [意志の内容] (Tetsugaku Kenkyū, May to June 1919).
  • ‘On Relations’ [関係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9, No. 6, June 1919).
  • ‘On the Degrees of Consciousness’ [意識の明暗について]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19).
  •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個体概念] (Shirin [史林], Vol. 4, No. 1, January 1919).
  • Leibniz’s Ontological Proof’ [ライプニッツの本体論的証明] (Geibun [芸文], Vol. 9, No. 1, January 1918).
  • Art and Morality [芸術と道徳]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July 1923), reprinted in NKZ3.
  • ‘The Essence of Beauty’ [美の本質] (Tetsugaku Kenkyū, March to April 1920).
  • Max Klinger’s Painting and Drawing’ [マックス・クリンゲルの『絵画と線画』の中から] (Geibun [芸文], Vol. 11, No. 10, October 1920).
  • ‘The Content of Feeling and the Content of the Will’ [感情の内容と意志の内容] (Tetsugaku Kenkyū, April 1921).
  • ‘The World of Objects of Reflective Judgement’ [反省的判断の対象界] (Geibun [芸文], Vol. 12, No. 11, November 1921).
  • ‘The Intersection of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真善美の合一点]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1).
  • ‘Society and the Individual’ [社会と個人] (Tetsugaku Kenkyū, April 1922).
  • ‘Consciousness of Acts’ [作用の意識] (Geibun [芸文], Vol. 13, Nos. 9-10, September to October 1922).
  • ‘The Acting Subject’ [行為的主観]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The Will and Syllogism’ [意志と推論式] (Shisō [思想], No. 12, September 1922).
  • ‘The Beautiful and the Good’ [美と善]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Law and Morality’ [法と道徳] (Tetsugaku Kenkyū, February 1923).
  • ‘The True and the Beautiful’ [真と美] (Kaizō, February 1923).
  • ‘The True and the Good’ [真と善] (Shisō [思想], No. 18, March 1923).
  • From the Actor to the Seer [働くものから見るものへ] (Tokyo: Iwanami Shoten, October 1927), reprinted in NKZ3.
  • ‘The Immediately Given’ [直接に与えられるもの]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Intuition and Will’ [直観と意志] (Kōza, November 1923).
  • ‘What Lies Behind Physical Phenomena’ [物理現象の背後にあるもの] (Shisō, January 1924).
  • ‘On Internal Perception’ [内部知覚について] (Tetsugaku Kenkyū, March, September and October 1924).
  • ‘Acts of Expression’ [表現作用] (Shisō [思想], No. 41, March 1925).
  • ‘The Actor’ [働くもの] (Tetsugaku Kenkyū, October 1925).
  • ‘Place’ [場所] (Tetsugaku Kenkyū, June 1926).
  • ‘Response to Dr. Sōda Ki’ichirō’ [左右田博士に答う] (Tetsugaku Kenkyū, April 1927).
  • ‘The Knower’ [知るもの] (Shisō, August to September 1927).
  • The System of Universals according to Self-Consciousness [一般者の自覚的体系] (Tokyo: Iwanami Shoten, January 1930), reprinted in NKZ4.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So-Called World of Objects of Knowledge’ [いわゆる認識対象界の論理的構造] (Tetsugaku Kenkyū, April 1928).
Nishida is referring to »die Welt der Erkenntnisgegenstände«.
  • ‘Logicism of the Predicate’ [述語的論理主義] (Shisō, April 1928).
  • ‘The Place of That Which Sees Itself and the Place of Consciousness’ [自己自身を見るもののおいてある場所と意識の場所] (Tetsugaku Kenkyū, July 1928).
  • ‘The Intelligible World’ [叡智的世界] (Tetsugaku Kenkyū, October 1928).
  • ‘Intuitive Knowledge’ [直観的知識] (Tetsugaku Kenkyū, January 1929).
  •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nd What Lies Behind Being in the Self-Conscious Universal’ [自覚的一般者においてあるもの及びそれとその背後にあるものとの関係] (Shisō, April to June 1929).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Universal’ [一般者の自己限定] (Shisō, September to October 1929).
  • The Determination of the Nothing by Self-Consciousness [無の自覚的限定] (Tokyo: Iwanami Shoten, December 1932), reprinted in NKZ5.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Expressive Self’ [表現的自己の自己限定] (Tetsugaku Kenkyū, July to August 1930).
  • ‘Acts of Consciousness as the Self-Determination of Place’ [場所の自己限定としての意識作用] (ShisōNo. 100, September 1930).
  • ‘What I Call the Self-Conscious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Nothing’ [私の絶対無の自覚的限定というもの] (Shisō, February to March 1931).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Eternal Now’ [永遠の今の自己限定] (Tetsugaku Kenkyū, June 1931).
  • ‘The Temporal and the Atemporal’ [時間的なるもの及び非時間的なるもの] (ShisōNo. 112, September 1931).
  • ‘Love of the Self, Love of the Other and the Dialectic’ [自愛と他愛及び弁証法] (Tetsugaku Kenkyū, February to March 1932).
  • ‘Free Will’ [自由意志] (ShisōNo. 120, May 1932).
  • ‘I and Thou’ [私と汝] (Iwanami Kōza: Tetsugaku, July 1932).
  • ‘On the Philosophy of Life’ [生の哲学について] (Risō, October 1932).
  • Fundamental Problems of Philosophy, Vol. 1: The World of Action [哲学の根本問題——行為の世界] (Tokyo: Iwanami Shoten, December 1933), reprinted in NKZ6.
  • ‘Prolegomena to Metaphysics’ [形而上学序論] (Iwanami Kōza: Tetsugaku, February 1933).
  • ‘I and the World’ [私と世界] (previously unpublished, begun in April 1933).
  • Fundamental Problems of Philosophy, Vol. 2: The Dialectical World [哲学の根本問題 続編——弁証法的世界] (Tokyo: Iwanami Shoten, October 1934), reprinted in NKZ6.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ShisōNos. 140-42, January to March 1934).
  • ‘The World as a Dialectical Universal’ [弁証法的一般者としての世界] (Tetsugaku Kenkyū, June to August 1935).
  • ‘Cultural Forms of the Ancient East and West a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Metaphysics’ [形而上学的立場から見た東西古代の文化形態] (previously unpublished)
  • Philosophical Essays, Vol. 1: Plans for a System of Philosophy [哲学論文集 第1——哲学体系への企図] (Tokyo: Iwanami Shoten, November 1935), reprinted in NKZ7.
  • ‘The World’s Self-Identity and Continuity’ [世界の自己同一と連続] (ShisōNos. 152-4, January to March 1935).
  • ‘The Standpoint of Active Intuition’ [行為的直観の立場] (ShisōNos. 158-60, July to September 1935).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2 [続 思索と体験] (Tokyo: Iwanami Shoten, May 1937), reprinted in NKZ7.
  • ‘Remaining Problems of Consciousness’ [取残されたる意識の問題] (Festschrift for Tokunō Bun [得能博士還暦記念哲学論文集], Iwanami Shoten, July 1926).
  • ‘Anthropology’ [人間学] (Festschrift for Tomonaga Sanjūrō [朝永博士還暦記念哲学論文集], Iwanami Shoten, August 1930).
  • ‘History’ [歴史] (Iwanami Kōza: Tetsugaku, August 1931).
  • ‘Hegel’s Dialectic as Seen from My Standpoint’ [私の立場から見たヘーゲルの弁証法] (Hegel and Hegelianism [ヘーゲルとヘーゲル主義], Iwanami Shoten, February 1931).
  • ‘On Pedagogy’ [教育学について]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February 1933).
  • ‘‘Being’ in Greek Philosophy’ [ギリシャ哲学においての「有るもの」] (Iwanami Kōza: Sekai Shichō, April 1928).
  • ‘Self-Consciousness in Augustine’ [アウグスチヌスの自覚] (Iwanami Kōza: Sekai Shichō, July 1928).
  • ‘The Essence of Platonic Ideas’ [プラトンのイデヤの本質] (Girisha-Raten Kōza, July 1931).
  • ‘My Thoughts on French Philosophy’ [フランス哲学についての感想] (Shisō [思想], December 1936).
  • Bolzano’s Autobiography’ [ボルツァーノの自伝] (Tetsugaku Kenkyū, November 1922).
  • Abel the Mathematician’ [数学者アーベル] (Asahi Shimbun, September 1933).
  • Goethe’s Background’ [ゲーテの背景] (Gēte Nenpō, December 1931).
  • ‘The Beauty of Writing’ [書の美]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May 1930).
  • ‘The Flexibility of National Language’ [国語の自在性] (Kokugo, January 1936).
  •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知識の客観性] (Kaizō [改造], February 1933).
  • ‘Reminiscences of the Fourth Higher School’ [四高の思出] (Shikō Dōsōkaihō, April 1927).
  • ‘The Retirement Speech of a Certain Professor’ [ある教授の退職の辞] (Shisō [思想], April 1929).
  • ‘A Poem on Kamakura’ [鎌倉雑詠] (Shisō [思想], May 1929).
  • ‘Two Translated Poems’ [訳詩] (The Muse, August 1928 and September 1929).
The poems translated by Nishida here are Goethe’s ‘Mignon’ and Browning’s ‘Home Thoughts from the Sea’.
  • ‘A Fireside Chat’ [暖炉の側から] (The Muse, February 1931).
  • ‘My Copy of the Song Era Erya’ [書影宋本爾雅後]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May 1933).
  • ‘Songs and Poems’ [歌并詩]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1920 and 1935).
  • Philosophical Essays, Vol. 2 [哲学論文集 第2]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37), reprinted in NKZ8.
  • ‘Logic and Life’ [論理と生命] (Shisō [思想], Nos. 170-72, July to September 1936).
  • ‘Praxis and the Knowledge of Objects: The Place of Knowledge in the Historical World’ [実践と対象認識——歴史的世界においての認識の立場] (Tetsugaku Kenkyū [哲学研究], March to May 1937).
  • ‘Problems of Species Formation and Development’ [種の生成発展の問題] (Shisō [思想], No. 182, July 1937).
  • ‘Active Intuition’ [行為的直観] (Shisō [思想], No. 183, August 1937).
  • Philosophical Essays, Vol. 3 [哲学論文集 第3]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39), reprinted in NKZ8.
  • ‘Human Existence’ [人間的存在] (Shisō [思想], No. 190, March 1938).
  • ‘The Standpoint of the Individual in the Historical World’ [歴史的世界においての個物の立場] (Shisō [思想], Nos. 195-96, August to September 1938).
  • ‘Absolutely Contradictory Self-Identity’ [絶対矛盾的自己同一] (ShisōNo. 202, March 1939).
  • ‘The Science of Experience’ [経験科学] (Shisō [思想], No. 207 August 1939).
  • Problems of Japanese Culture [日本文化の問題]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March 1940), reprinted in NKZ9.
  • Philosophical Essays, Vol. 4 [哲学論文集 第4]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41), reprinted in NKZ9.
  • ‘Prolegomena to Practical Philosophy’ [実践哲学序論] (Iwanami Kōza: Rinrigaku [岩波講座 倫理学], August 1940).
  • Poiēsis and Praxis: An Appendix to the Prolegomena to Practical Philosophy’ [ポイエシスとプラクシス——実践哲学序論補説] (Shisō [思想], December 1940).
  • ‘Artistic Creation as Historical Acts of Formation’ [歴史的形成作用としての芸術的創作] (Shisō [思想], May to June 1941).
  • ‘The Problem of Raison d’état’ [国家理由の問題] (Iwanami Kōza: Rinrigaku [岩波講座 倫理学], September 1941).
  • Philosophical Essays, Vol. 5 [哲学論文集 第5]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August 1944), reprinted in NKZ9.
  • ‘On the Objectivity or Knowledge: A New Foundation for Epistemology’ [知識の客観性について——新たなる知識論の基盤] (Shisō [思想], Nos. 248-49, January to February 1943).
  • ‘On Self-Consciousnes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eceding Essay’ [自覚について——前論文の基礎付け] (Shisō [思想], Nos. 252-53, May to June 1943).
  • Philosophical Essays, Vol. 6 [哲学論文集 第6]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December 1945), reprinted in NKZ10.
  • ‘The World of Physics’ [物理の世界] (Shisō [思想], No. 260, January 1944).
  • ‘Logic and Mathematics’ [論理と数理] (Shisō [思想], No. 262, March 1944).
  • ‘Towards a Philosophy of Religion, Using Pre-Established Harmony as a Guide’ [予定調和を手引きとして宗教哲学へ] (Shisō [思想], No. 264, May/June 1944).
  • ‘On Cartesian Philosophy’ [デカルト哲学について] (Shisō [思想], No. 265, July 1944).
  • ‘Tradition’ [伝統] (Shisō [思想], No. 256, September 1943).
  • ‘Space’ [空間]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July 1944).
  • ‘Lay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Mathematics’ [数学の哲学的基礎付け]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December 1944 and January 1945).
  • Philosophical Essays, Vol. 7 [哲学論文集 第7]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February 1946), reprinted in NKZ10.
  • ‘Life’ [生命] (Shisō [思想], Nos. 267-68, October 1944 to August 1945).
  • ‘The Logic of Place and the Religious Worldview’ [場所的論理と宗教的世界観]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February and April 1945).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3 [『続 思索と体験』以後]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March 1948), reprinted in NKZ10.
  • Shorter Writings, reprinted in NKZ11
  • ‘An Outline of Green’s Ethics’ [グリーン氏倫理哲学の大意] (Kyōiku Jiron, Nos. 362-4, May 1895), reprinted in NKZ11:3-22.
Nishida’s first published work.
  • Hume’s Law of Causation’ [ヒュームの因果法].
  • ‘Debating the Existence of Innate Knowledge’ [先天智識の有無を論ず].
  • ‘My Thoughts on Yamamoto Yasunosuke’s Essay ‘Religion and Reason’’ [山本安之助君の「宗教と理性」という論文を読みて所感を述ぶ].
  • ‘An Explication of the Beautiful’ [美の説明].
  • Benedictus Spinoza’ [ベネヂクトス、スピノーザ].
  • ‘Kantianism in Ethics’ [カント倫理学主義].
  • ‘On Contemporary Religion’ [現今の宗教について].
  • ‘The School of Self-Consciousness’ [自覚主義].
  • ‘My Contribution to Recommended Books for Edification’ [『静修書目答問』への回答].
  • ‘The Essence of Religion’ [宗教の本質].
  • Jakob Boehme’ [ヤコッブ、ベーメ].
  •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oul’ [心の中と外].
  • ‘Miscellaneous Thoughts’ [雑感].
  • ‘An Apology for Philosophy’ [哲学のアポロジー].
  • ‘Reading’ [読書].
  • ‘On the So-Called Japaneseness’ [日本的ということについて].
  • ‘On Reading Tanaka Ōdō’s Review’ [田中王堂君の批評を読みて].
  • Augustine’s Theory of Trinity’ [アウグスチヌスの三位一体論].
  • ‘The World of Objects of Art’ [芸術の対象界].
  • ‘On Contemporary Idealism’ [現今の理想主義について].
  • Russell as a Scholar’ [学者としてのラッスル].
  • ‘The Meaning of My Voluntarism’ [私の主意主義の意味].
  •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erms’ [哲学用語解説].
  • ‘After the Great Earthquake’ [大震災の後に].
  • Lectures
  • ‘Modern Idealist Philosophy’ [現代における理想主義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Fichte’s Philosophy’ [フイヒテ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Cohen’s Philosophy’ [コーヘン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Plato’s Philosophy’ [プラトン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The Concept of Personality as the Ground of Reality’ [実在の根柢としての人格概念], reprinted in NKZ12.
  • ‘The World of Action’ [行為の世界], reprinted in NKZ12.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reprinted in NKZ12.
  • ‘The Body as Historical’ [歴史的身体], reprinted in NKZ12.
  • ‘Problems of Japanese Culture’ [日本文化の問題], reprinted in NKZ13.
  •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Pure Experiences’ [純粋経験相互の関係および連絡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Anti-Natural-Scientific Thought’ [反自然科学的思想], reprinted in NKZ13.
  • ‘Contemporary Spiritualism’ [現今の唯心論], reprinted in NKZ13.
  • ‘The Concept of Scientific Truth in Contemporary Philosophy’ [現代哲学における科学的真理の概念], reprinted in NKZ13.
  • ‘Contemporary Idealism’ [現今の理想主義], reprinted in NKZ13.
  • Coincidentia oppositorum and Love’ [Coincidentia oppositorumと愛], reprinted in NKZ13.
  • ‘The Standpoint of Religion’ [宗教の立場], reprinted in NKZ13.
  • Eckhart’s Mysticism and the Life at Ittōen’ [エックハルトの神秘説と一燈園生活], reprinted in NKZ13.
  • ‘What I Call the Universal of Judgement’ [私の判断的一般者というもの], reprinted in NKZ13.
  • ‘Life, Reality and Logic’ [生と実在と論理], reprinted in NKZ13.
  • ‘On Time and Personality’ [時と人格], reprinted in NKZ13.
  • ‘On Personality’ [人格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reprinted in NKZ13.
  • ‘My Philosophical Position and Method’ [私の哲学の立場と方法], reprinted in NKZ13.
  • ‘On Traditionalism’ [伝統主義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Lecture Notes
  • ‘The Study of Religion’ [宗教学] (1914-1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for these lectures include LeubaThe Psychological Study of Religion (1912); StarbuckThe Psychology of Religion (1899); Edward Scribner Ames, The Psychology of Religious Experience (1910); James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1902); TieleGrundzüge der Religionswissenschaft (1904); Hermann Siebeck, Lehrbuch der Religionsphilosophie (1893); and HöffdingReligionsphilosophie (1901).
  • ‘An Outline of Philosophy’ [哲学概論], reprinted in NKZ14.
Nishida gave these introductory lectures annually while at Kyoto Imperial University. This version is based on notes from the Taishō and Shōwa era.
  • Aristotle’s Metaphysics’ [アリストテレスの形而上学] (1924-25), reprinted in NKZ14.
  • Plotinus’ Philosophy’ [プロチノスの哲学] (1924-25), reprinted in NKZ14.
  • ‘A History of Ethics in Britain’ [英国倫理学史] (ca. 1904), reprinted in NKZ14.
Nishida breaks this history into four periods: [1] The Beginning (Hobbes); [2] The First Phase (CudworthCumberlandLocke); [3] The Second Phase (ShaftesburyHutchesonButlerHumeSmithHartley); and [4] The Third Phase (Intuition School: PriceReid; Utilitarianism: PaleyBenthamMill; Evolutional Ethics: Spencer).
  • ‘Lectures on Psychology’ [心理学講義] (1904-0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for these lectures include WundtGrundriss der Psychologie (1896); ZiehenPsychophysiologische Erkenntnistheorie (1898); and KülpeGrundriss der Psychologie auf experimenteller Grundlage dargestellt (1893).
  • ‘A Draft of Ethics’ [倫理学草案] (1904-0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include SidgwickOutlines of the History of Ethics for English Readers (1886); MartineauTypes of Ethical Theory (1885); and James MackintoshDissertation on the Progress of Ethical Philosophy: Chiefly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836)
  • ‘An Outline of Philosophy’ [哲学概論], reprinted in NKZ15.
This version is based on notes from the late Meiji era, so the early incarnations of these introductory lectures.
  • ‘Vorlesung 1926’, reprinted in NKZ15.
  • ‘Ethics Lecture Notes’ [倫理学講義ノート], reprinted in NKZ25.
  • ‘The Study of Religion Lecture Notes’ [宗教学講義ノート], reprinted in NKZ25.
  • Fragments and Notes, reprinted in NKZ16.
  • Diaries
  • Diary entries from 1897 to 1912, reprinted in NKZ17.
  • Diary entries from 1913 to 1945, reprinted in NKZ18.
  • Correspondence
  • Letters from 1887 to 1920, reprinted in NKZ19.
  • Letters from 1921 to 1930, reprinted in NKZ20.
  • Letters from 1931 to 1936, reprinted in NKZ21.
  • Letters from 1937 to 1941, reprinted in NKZ22.
  • Letters from 1942 to 1945, reprinted in NKZ23.

Translated works[edit]

  • An Inquiry into the Good, trans. Masao Abe and Christopher Iv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0.
  • "An Explanation of Beauty," trans. Steve Odin. Monumenta Nipponica vol. 42 no. 2 (1987): 211–217.
  • Intuition and Reflection in Self-Consciousness, trans. Valdo H. ViglielmoTakeuchi Yoshinori and Joseph S. O'Lear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 Last Writings: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trans. David Dilworth.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3.
    • "Logic of the Place of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 "Concerning My Logic"
  • Place and Dialectic: Two Essays by Nishida Kitaro, trans. John W. M. Krummel and Shigenori Nagatomo.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 Ontology of Production: Three Essays, trans. William Haver.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12.
  • The Unsolved Issue of Consciousness, trans. John W. M. Krummell, in Philosophy East and West 62, no 1 (2012):44–59.
  • L’Éveil à soi, trans. Jacynthe Tremblay. Paris: CNRS Éditions, 2003, 298 p.
  • De ce qui agit à ce qui voit, trans. Jacynthe Tremblay. Montréal: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5, 364 p.
  • Autoéveil. Le Système des universels, trans. Jacynthe Tremblay. Nagoya: Chisokudō Publications, 2017.

See also[edit]

Footnotes[edit]

  1. ^ Nishida Kitaro a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 ^ Yusa Michiko. 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p. 5.
  3. ^ Yusa Michiko. 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p. 337.
  4. ^ Nishida, Kitarō (1980), Zen no kenkyū An Inquiry into the Good, Tokyo: Iwanami Shoten.
  5. ^ Iţu, Mircia (2005), Nishida Kitarō. O cercetare asupra binelui, Braşov: Orientul latin, page 240 ISBN 973-9338-77-1.
  6. ^ Abe, Maso (1987). An Inquiry Into the Goo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 xxv. ISBN 978-0-300-05233-6.

Further reading[edit]

Books[edit]

  • Carter, Robert EThe Nothingness beyond God: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Nishida Kitaro Paragon House, 1989. ISBN 1-55778-761-1)
  • Christopher IvesImperial-Way Zen: Ishikawa Hakugen's Critique and Lingering Questions for Buddhist Ethic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ISBN 978-0-8248-3331-2
  • Heisig, James WPhilosophers of Nothingnes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ISBN 0-8248-2481-4
  • Mayeda, Graham. Japanese Philosophers on Society and Culture: Nishida Kitarō, Watsuji Tetsurō, and Kuki Shūzō. Lanham: Lexington Books, 2020. ISBN 978-1-4985-7208-8
  • Nishitani KeijiNishida Kitar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ISBN 0-520-07364-9
  • Tremblay Jacynthe, Nishida Kitarō. Le Jeu de l’individuel et de l’universel, Paris, CNRS Éditions, 2000, 334 p.
  • Tremblay Jacynthe, Introduction à la philosophie de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141 p.
  • Tremblay Jacynthe, Auto-éveil et temporalité. Les Défis posés par la philosophie de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229 p.
  • Tremblay Jacynthe, L’Être-soi et l’être-ensemble. L’Auto-éveil comme méthode philosophique chez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194 p.
  • Tremblay Jacynthe, Je suis un lieu, Montréal, Les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6, 316 p.
  • Tremblay Jacynthe (ed.), Laval Théologique et Philosophique. Philosophie japonaise du XXe siècle, 64 (June 2008, no. 2) 233-573.
  • Tremblay Jacynthe (ed.), Philosophes japonais contemporains, Montréal,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0, 492 p.
  • Tremblay Jacynthe (ed.), Théologiques. Les philosophes de l’École de Kyōto et la théologie 12 (2012, no. 1-2) 3-383.
  • Tremblay Jacynthe (ed.), Milieux modernes et reflets japonais. Chemins philosophiques, Québec,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2015, 286 p. (with Marie-Hélène Parizeau).
  • Wargo, Robert J. JThe Logic Of Nothingness: A Stud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ISBN 0-8248-2969-7
  • Yusa Michiko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ISBN 0-8248-2459-8

Articles[edit]

External links[edit]

===

교토 학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 학파(京都学派)는 서양의 철학과 종교적 사상을 완전히 이해하여 그것을 동아시아 문화 전통에 특화된 종교적, 도덕적 내면을 창조하기 위하여 이용한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활동한 철학 운동에 붙여진 이름이다.[1] 그러나 이는 또한 교토 대학에서 교수하고, 교토 학파를 창립한 사상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일본의 고유성에 대한 독특한 이론을 발달시킨 몇 명의 전후 학자들을 이르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두 번째 뜻에 포함되는 사상가와 작가는 교토 대학 인문과학 연구소(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대략 1913년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郎)에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심각한 논쟁에서 살아남아 유명하고 활동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교토 학파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와 같이 전통적인 학파의 의미에서 철학 "학파"는 아니다. 대신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모인 학자 그룹은 독자적인 사상을 장려하였다.

제임스 하이직(James Heisig)에 따르면 교토 학파라는 이름은 1932년 니시다의 제자와 다나베 하지메(田辺元)가 처음 사용하였다.[2] 도사카 준(戸坂潤)은 그 자신을 학파의 막시스트 좌파의 한 명이라고 생각하였다. 이후 일본 밖의 미디어와 다른 학술 기관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에 널리 받아들여진 용어가 되었다.

각주[편집]

  1.  D.S. Clarke, Jr. "Introduction" in Nishida Kitaro by Nishitani Keiji, 1991.
  2.  Heisig 2001, p.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