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27

Permaculture - Wikipedia

Permaculture - Wikipedia 

Permacultur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Agriculture
History


History of organic farming
Neolithic Revolution
Arab Agricultural Revolution
British Agricultural Revolution
Green Revolution
On land


Animal husbandry
cattle
pig
poultry
sheep
Dairy
Dryland
Extensive
Free-range
Grazing
Hobby
Intensive
animal
crop
Natural
Orchard
Organic
Ranching
Sharecropping
Slash-and-burn
Fertilizer
Steam sterilization
In water


Aquaculture
Aquaponics
Hydroponics
Related


Agribusiness
Agricultural engineering
Agricultural science
Agroecology
Agroforestry
Agronomy
Animal-free
Crop diversity
Ecology
Livestock
Mechanisation
Permaculture
Sustainable
Urban
Lists


Government ministries
Universities and colleges
Categories


Agriculture
by country
companies
Biotechnology
Livestock
Meat industry
Poultry farming
Agriculture and agronomy portal


v
t
e


Permaculture is a set of design principles centered around whole systems thinking simulating or directly utilizing the patterns and resilientfeatures observed in natural ecosystems. It uses these principles in a growing number of fields from regenerative agriculture, rewilding to community and organiza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With its
 system of applied education, research and citizen- led design permaculture has grown a popular web of global networks and developed into a global social movement[citation needed].

The term permaculture was developed and coined by David Holmgren, then a graduate student at the Tasmanian College of Advanced Education'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Bill Mollison, senior lecturer in Environmental Psychology at University of Tasmania, in 1978. [1] The word permaculture originally referred to "permanent agriculture",[2][3] but was expanded to stand also for "permanent culture", as it was understood that social aspects were integral to a truly sustainable system as inspired by Masanobu Fukuoka’s natural farming philosophy.

It has many branches tha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cological design, ecological engineering, regenerative design, environmental design, and construction

Permaculture also includes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that develops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regenerative and self-maintained habitatand agricultural systems modelled from natural ecosystems.[4][5]

Mollison has said: "Permaculture is a philosophy of working with, rather than against nature; of protracted and thoughtful observation rather than protracted and thoughtless labor; and of looking at plants and animals in all their functions, rather than treating any area as a single product system."[6]

The 12 principles of permaculture most commonly referred to are first described by David Holmgren in his book Permaculture: Principles and Pathways Beyond Sustainability (2002). They include: 


  1. Observe and Interact, 
  2. Catch and Store Energy, 
  3. Obtain a Yield, 
  4. Apply Self Regulation and Accept Feedback, 
  5. Use and Value Renewable Resources and Services, 
  6. Produce No Waste, 
  7. Design From Patterns to Details, 
  8. Integrate Rather Than Segregate, 
  9. Use Small and Slow Solutions, 
  10. Use and Value Diversity, 
  11. Use Edges and Value the Marginal, and 
  12. Creatively Use and Respond to Change.



Contents
1History
2Core tenets and principles of design


3Theory
3.1Twelve design principles
3.2Layers
3.3Guilds
3.4Edge effect
3.5Zones
3.6People and permaculture
3.7Domesticated animals


4Common practices
4.1Agroforestry
4.2Hügelkultur
4.3Natural building
4.4Rainwater harvesting
4.5Sheet mulching
4.6Intensive rotational grazing
4.7Keyline design
4.8Fruit tree management


5Trademark and copyright issues


6Criticisms
6.1General criticisms
6.2Agroforestry


7See also


8References
8.1Bibliography
9External links


History[edit]

Several individuals revolutionized the branch of permaculture. In 1929, Joseph Russell Smith added an antecedent term as the subtitle for Tree Crops: A Permanent Agriculture, a book which sums up his long experience experimenting with fruits and nuts as crops for human food and animal feed.[7] Smith saw the world as an inter-related whole and suggested mixed systems of trees and crops underneath. This book inspired many individuals intent on making agriculture more sustainable, such as Toyohiko Kagawa who pioneered forest farming in Japan in the 1930s.[8]

In Australian P.A. Yeomans' 1964 book Water for Every Farm, he supports the definition of permanent agriculture, as one that can be sustained indefinitely. Yeomans introduced both an observation-based approach to land use in Australia in the 1940s and the Keyline Design as a way of managing the supply and distribution of water in the 1950s.

Holmgren noted Stewart Brand’s works as an early influence to permaculture.[9] Other early influences include Ruth Stout and Esther Deans, who pioneered no-dig gardening, and Masanobu Fukuoka who, in the late 1930s in Japan, began advocating no-till orchards and gardens and natural farming.[10]

Bill Mollison in 2008.

In the late 1960s, Bill Mollison and David Holmgren started developing ideas about stable agricultural systems on the southern Australian island state of Tasmania. Dangers of the rapidly growing use of industrial-agricultural methods sparked these ideas.[11]In their view, these methods were highly dependent on non-renewable resources, and were additionally poisoning land and water, reducing biodiversity, and removing billions of tons of topsoil from previously fertile landscapes. They responded with a design approach called permaculture. This term was first made public with their publication of their 1978 book Permaculture One.[11]

Among some of the more recognizable names who received their original training within Mollison's PDC system would include Geoff Lawton and Toby Hemenway, each of whom have more than 25 years experience teaching and promoting permaculture as a sustainable way of growing food. Simon J Fjell was a Founding Director of the Permaculture Institute in late 1979 and a teacher of the first Permaculture Design Course, having first met Mollison in 1976. He has since worked internationally and is currently listing a major social enterprise on NASDAQ.

By the early 1980s, the concept had broadened from agricultural systems design towards sustainable human habitats. After Permaculture One, Mollison further refined and developed the ideas by designing hundreds of permaculture sites and writing more detailed books, such as Permaculture: A Designers Manual. Mollison lectured in over 80 countries and taught his two-week Permaculture Design Course (PDC) to hundreds of students.[citation needed] Mollison "encouraged graduates to become teachers themselves and set up their own institutes and demonstration sites. This multiplier effect was critical to permaculture’s rapid expansion."[12]

The permaculture movement also spread throughout Asia and Central America, with Hong Kong-based Asian Institute of Sustainable Architecture (AISA),[13] Rony Lec leading the foundation of the Mesoamerican Permaculture Institute (IMAP)[14] in Guatemala and Juan Rojas co-founding the Permaculture Institute of El Salvador.[15]

------------

Core tenets and principles of design[edit]

The three core tenets of permaculture are:[16][17][18]


Care for the earth: Provision for all life systems to continue and multiply. This is the first principle, because without a healthy earth, humans cannot flourish.


Care for the people: Provision for people to access those resources necessary for their existence


Fair share: By governing our own needs, we can set resources aside to further the above principles.[19] This includes returning waste back into the system to recycle into usefulness.[20] The third ethic is referred to as Fair Share, which reflects that each of us should take no more than what we need before we reinvest the surplus.
---
Permaculture design emphasizes patterns of landscape, function, and species assemblies. It determines where these elements should be placed so they can provide maximum benefit to the local environment. Permaculture maximizes useful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and synergy of the final design. The focus of permaculture, therefore, is not on each separate element, but rather on the relationships created among elements by the way they are placed together; the whole become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Permaculture design therefore seeks to minimize waste, human labor, and energy input by building systems, and maximizes benefits between design elements to achieve a high level of synergy. Permaculture designs evolve over time by taking into account these relationships and elements and can evolve into extremely complex systems that produce a high density of food and materials with minimal input.[21]

The design principles, which are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permaculture, were derived from the science of systems ecology and study of pre-industrial examples of sustainable land use. Permaculture draws from several disciplines including organic farming, agroforestry, integrated farm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lied ecology.[22] Permaculture has been applied most commonly to the design of housing and landscaping, integrating techniques such as agroforestry, natural building, and rainwater harvesting within the context of permaculture design principles and theory.[citation needed]


Theory[edit]


Twelve design principles[edit]

Twelve Permaculture design principles articulated by David Holmgren in his Permaculture: Principles and Pathways Beyond Sustainability:[23]



  1. Observe and interact: By taking time to engage with nature we can design solutions that suit our particular situation.
  2. Catch and store energy: By developing systems that collect resources at peak abundance, we can use them in times of need.
  3. Obtain a yield: Ensure that you are getting truly useful rewards as part of the work that you are doing.
  4. Apply self-regulation and accept feedback: We need to discourage inappropriate activity to ensure that systems can continue to function well.
  5. Use and value renewable resources and services: Make the best use of nature's abundance to reduce our consumptive behavior and dependence on non-renewable resources.
  6. Produce no waste: By valuing and making use of all the resources that are available to us, nothing goes to waste.
  7. Design from patterns to details: By stepping back, we can observe patterns in nature and society. These can form the backbone of our designs, with the details filled in as we go.
  8. Integrate rather than segregate: By putting the right things in the right place, relationships develop between those things and they work together to support each other.
  9. Use small and slow solutions: Small and slow systems are easier to maintain than big ones, making better use of local resources and producing more sustainable outcomes.
  10. Use and value diversity: Diversity reduces vulnerability to a variety of threats and takes advantage of the unique natur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it resides.
  11. Use edges and value the marginal: The interface between things is where the most interesting events take place. These are often the most valuable, diverse and productive elements in the system.
  12. Creatively use and respond to change: We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nevitable change by carefully observing, and then intervening at the right time.
Layers[edit]


Suburban permaculture garden in Sheffield, UK with different layers of vegetation
---
Layers are one of the tools used to design functional ecosystems that are both sustainable and of direct benefit to humans. A mature ecosystem has a huge number of relationships between its component parts: trees, understory, ground cover, soil, fungi, insects, and animals. Because plants grow to different heights, a diverse community of life is able to grow in a relatively small space, as the vegetation occupies different layers. There are generally seven recognized layers in a food forest, although some practitioners also include fungi as an eighth layer.[24]
The canopy: the tallest trees in the system. Large trees dominate but typically do not saturate the area, i.e. there exist patches barren of trees.
Understory layer: trees that flourish in the dappled light under the canopy.
Shrub layer: a diverse layer of woody perennials of limited height. Includes most berry bushes.
Herbaceous layer: Plants in this layer die back to the ground every winter (if winters are cold enough, that is). They do not produce woody stems as the Shrub layer does. Many culinary and medicinal herbs are in this layer. A large variety of beneficial plants fall into this layer. May be annuals, biennials or perennials.
Soil surface/Groundcover: There is some overlap with the Herbaceous layerand the Groundcover layer; however plants in this layer grow much closer to the ground, grow densely to fill bare patches of soil, and often can tolerate some foot traffic. Cover crops retain soil and lessen erosion, along with green manures that add nutrients and organic matter to the soil, especially nitrogen.
Rhizosphere: Root layers within the soil. The major components of this layer are the soil and the organisms that live within it such as plant roots and rhizomes (including root crops such as potatoes and other edible tubers), fungi, insects, nematodes, worms, etc.
Vertical layer: climbers or vines, such as runner beans and lima beans (vine varieties).[24][25]


Guilds[edit]

A guild is a group of species where each provides a unique set of diverse functions that work in conjunction or harmony. There are many forms of guilds, including guilds of plants with similar functions that could interchange within an ecosystem, but the most common perception is that of a mutual support guild. Mutual support guilds are groups of plants, animals, insects, etc. that work well together. Plants may be grown for food production, draw nutrients from deep in the soil through tap roots, are nitrogen-fixing legumes, attract beneficial insects, and repel harmful insects. When grouped together in a mutually beneficial arrangement, these plants form a guild. See Dave Jacke's work on edible forest gardens for more information on other guilds, specifically resource-partitioning and community-function guilds.[26][27][28]
Edge effect[edit]

The edge effect in ecology is the effect of the juxtaposition, or placing contrasting environments on an ecosystem. Permaculturists argue that where vastly differing systems meet, there is an intense area of productivity and useful connections. An example of this is the coast; where the land and the sea meet, there is a particularly rich area that meets a disproportionate percentage of human and animal needs. This idea is played out in permacultural designs by using spirals in herb gardens, or creating ponds that have wavy undulating shorelines rather than a simple circle or oval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edge for a given area).[29]


Zones[edit]

Permaculture zones 0-5

Zones intelligently organize design elements in a human environm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human use and plant or animal needs. Frequently manipulated or harvested elements of the design are located close to the house in zones 1 and 2. Manipulated elements located further away are used less frequently. Zones are numbered from 0 to 5 based on positioning.[30]Zone 0The house, or home center. Here permaculture principles would be applied in terms of aiming to reduce energy and water needs, harnessing natural resources such as sunlight, and generally creating a harmonious, sustainable environment in which to live and work. Zone 0 is an informal designation, which is not specifically defined in Bill Mollison’s book.


Zone 1The zone nearest to the house, the location for those elements in the system that require frequent attention, or that need to be visited often, such as salad crops, herb plants, soft fruit like strawberries or raspberries, greenhouse and cold frames, propagation area, worm compost bin for kitchen waste, etc. Raised bedsare often used in zone 1 in urban areas.

Zone 2This area is used for siting perennial plants that require less frequent maintenance, such as occasional weed control or pruning, including currant bushes and orchards, pumpkins, sweet potato, etc. This would also be a good place for beehives, larger scale composting bins, etc.

Zone 3The area where main-crops are grown, both for domestic use and for trade purposes. After establishment, care and maintenance required are fairly minimal (provided mulches and similar things are used), such as watering or weed control maybe once a week.

Zone 4A semi-wild area. This zone is mainly used for forage and collecting wild food as well as production of timber for construction or firewood.

Zone 5A wilderness area. There is no human intervention in zone 5 apart from the observation of natural ecosystems and cycles. Through this zone we build up a natural reserve of bacteria, moulds and insects that can aid the zones above it.[31]
People and permaculture[edit]

Permaculture uses observation of nature to create regenerative systems, and the place where this has been most visible has been on the landscape.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though that firstly, there is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eoplecare ethic, as it is often the dynamics of people that can interfere with projects, and secondly that the principles of permaculture can be used as effectively to create vibrant, healthy and productive people and communities as they have been in landscapes.
Domesticated animals[edit]

Domesticated animals are often incorporated into site design, ensur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system.[32]Animals, domestic or wild are a critical component of any wild or designed sustainable ecosystem. Research indicates that without the animal’s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ecological integrity is diminished or impossible.[33] Some of th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he system include: foraging to cycle nutrients, clear fallen fruit, weed maintenance, spreading seeds, and pest maintenance. The nutrients are cycled by animals, transformed from their less digestible form (such as grass or twigs) into more nutrient-dense manure.[33]

Several animals can be incorporated into a permaculture system, including cows, goats, chickens, geese, turkey, rabbits, and worms. A more specific explanation of how the animals can be used is seen in the chicken design. Chickens can be used to scratch over the soil, thus breaking down the top soil and using the fecal matter as manure creating a sustainable system. However, in the domestication of these animals, the complexity and elegance lie in 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design, including factors like timing and habits to specific areas of a farm. For example, animals require daily attention in a way that is much more demanding than plants.[34]
Common practices[edit]
Agroforestry[edit]

Agroforestry is an integrated approach of permaculture, which uses the interactive benefits from combining trees and shrubs with crops or livestock. It combines agricultural and forestry technologies to create more diverse, productive, profitable, healthy and sustainable land-use systems.[35] In agroforestry systems, trees or shrubs are intentionally used within agricultural systems, or non-timber forest products are cultured in forest settings.[36]

Forest gardening is a term permaculturalists use to describe systems designed to mimic natural forests. Forest gardens, like other permaculture designs, incorporate processes and relationships that the designers understand to be valuable in natural ecosystems. The terms forest garden and food forest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permaculture literature. Numerous permaculturists are proponents of forest gardens, such as Graham Bell, Patrick Whitefield, Dave Jacke, Eric Toensmeier and Geoff Lawton. Bell started building his forest garden in 1991 and wrote the book The Permaculture Garden in 1995, Whitefield wrote the book How to Make a Forest Garden in 2002, Jacke and Toensmeier co-authored the two volume book set Edible Forest Gardening in 2005, and Lawton presented the film Establishing a Food Forestin 2008.[21][37][38]

Tree Gardens, such as Kandyan tree garden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are often hundreds of years old. It is not self-evident whether these tree gardens derived initially from experiences of cultivation and forestry, as is the case in agroforestry, or whether they derived from an understanding of forest ecosystems, as is the case for permaculture systems. Many studies of these systems, especially those that predate the term permaculture, consider these systems to be forms of agroforestry. Permaculturalists may obscure the distinction of permaculture and agroforestry when they include existing and ancient systems of polycropping as examples of food forests.

Food forests and agroforestry are parallel approaches that sometimes lead to similar designs.


Hügelkultur[edit]

Hügelkultur is the practice of burying large volumes of wood to increase soil water retention. The porous structure of wood acts as a sponge when decomposing underground. During the rainy season, masses of buried wood can absorb enough water to sustain crops through the dry season.[39] This technique has been used by permaculturalists Sepp Holzer, Toby Hemenway, Paul Wheaton, and Masanobu Fukuoka.[40][41]


Natural building[edit]

A natural building involves a range of building systems and materials that place major emphasis on sustainability. Ways of achieving sustainability through natural building focus on durability and the use of minimally processed, plentiful or renewable resources, as well as those that, while recycled or salvaged, produce healthy living environments and maintain indoor air quality.

The basis of natural building is the need to lesse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s and other supporting systems, without sacrificing comfort, health, or aesthetics. Natural building primarily utilizes abundantly available natural materials (e.g., clay, rock, sand, straw, wood, reeds), and draws heavily on traditional architectural strategies from various climates across the world. In addition to relying on natural building materials, the emphasis on the architectural design is heightened. The orientation of a building, the utilization of local climate and site conditions, the emphasis on natural ventilation through design, fundamentally lessen operational costs and positively impact the environment. Building compactly and minimizing the ecological footprint is common, as are on-site handling of energy acquisition, on-site water capture, alternate sewage treatment, and water reuse.[citation needed] Most materials are sourced regionally, locally, or even on-site. Straw bales, and various earthen masonry techniques such as adobe bricks, cob (or monolithic adobe), rammed earth and clay-straw infill are common choices for wall material. Roofing coverings often used include sod or "living" roofs, thatch, and wooden shakes or shingles. Rubble trench foundations are popular, as they do not require concrete; likewise, dry-stacked or lime mortared stem walls are common. Natural builders also regularly combine different wall systems in a single building, making best use of different materials' thermal or water resistant properties, for example, where they are most needed in the structure.
Rainwater harvesting[edit]

Rainwater harvesting is the accumulating and storing of rainwater for reuse before it reaches the aquifer.[42] It has been used to provide drinking water, water for livestock, water for irrigation, as well as other typical uses.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roofs of houses and local institutions can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availability of drinking water. It can supplement the subsoil water level and increase urban greenery. Water collected from the ground, sometimes from areas which are especially prepared for this purpose, is called stormwater harvesting.[citation needed]

Greywater is wastewater generated from domestic activities such as laundry, dishwashing, and bathing, which can be recycled on-site for uses such as landscape irrigation and constructed wetlands. Greywater is largely sterile, but not potable (drinkable). Greywater differs from water from the toilets, which is designated sewageor blackwater to indicate it contains human waste. Blackwater is septic or otherwise toxic and cannot easily be reused. There are, however, continuing efforts to make use of blackwater or human waste. The most notable is for composting through a process known as humanure; a combination of the words human and manure. Additionally, the methane in humanure can be collected and used similar to natural gas as a fuel, such as for heating or cooking,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biogas. Biogas can be harvested from the human waste and the remainder still used as humanure. Some of the simplest forms of humanure use include a composting toilet or an outhouse or dry bog surrounded by trees that are heavy feeders which can be coppiced for wood fuel. This process eliminates the use of a standard toilet with plumbing.[citation needed]


Sheet mulching[edit]

In agriculture and gardening, mulch is a protective cover placed over the soil. Any material or combination can be used as mulch, such as stones, leaves, cardboard, wood chips, gravel, etc., though in permaculture mulches of organic material are the most common because they perform more functions. These include absorbing rainfall, reducing evaporation, providing nutrients, increasing organic matter in the soil, feeding and creating habitat for soil organisms, suppressing weed growth and seed germination, moderating diurnal temperature swings, protecting against frost, and reducing erosion. Sheet mulching is an agricultural no-dig gardening technique that attempts to mimic natural processes occurring within forests. Sheet mulching mimics the leaf cover that is found on forest floors. When deployed properly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Permacultural principles, it can generate healthy, productive and low maintenance ecosystems.[43][44][page needed]

Sheet mulch serves as a "nutrient bank," storing the nutrients contained in organic matter and slowly making these nutrients available to plants as the organic matter slowly and naturally breaks down. It also improves the soil by attracting and feeding earthworms, slaters and many other soil micro-organisms, as well as adding humus. Earthworms "till" the soil, and their worm castings are among the best fertilizers and soil conditioners. Sheet mulching can be used to reduce or eliminate non-desired plants by starving them of light, and can be more advantageous than using herbicideor other methods of control. [45]


Intensive rotational grazing[edit]

Grazing has long been blamed for much of the destruction we see in the environment.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when grazing is modeled after nature, the opposite effect can be seen.[46][47] Also known as cell grazing, managed intensive rotational grazing (MIRG) is a system of grazing in which ruminant and non-ruminant herds or flocks are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moved to fresh pasture, range, or forest with the intent to maximiz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forage growth. This disturbance is then followed by a period of rest which allows new growth. MIRG can be used with cattle, sheep, goats, pigs, chickens, rabbits, geese, turkeys, ducks, and other animals depending on the natural ecological community that is being mimicked. Sepp Holzerand Joel Salatin have shown how the disturbance caused by the animals can be the spark needed to start ecological succession or prepare ground for planting. Allan Savory's holistic management technique has been likened to "a permaculture approach to rangeland management".[48][49] One variation on MIRG that is gaining rapid popularity is called eco-grazing. Often used to either control invasives or re-establish native species, in eco-grazing the primary purpose of the animals is to benefit the environment and the animals can be, but are not necessarily, used for meat, milk or fiber.[50][51][52][53][54][55][56]


Keyline design[edit]

Keyline design is a technique for maximizing the beneficial use of water resources of a piece of land developed in Australia by farmer and engineer P. A. Yeomans. The Keyline refers to a specific topographic feature linked to water flow which is used in designing the drainage system of the site.[57] The essential factor in this system, the Keyline, is a level or sloping line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a point or divides the two types of relationship, always in the same vertical interval, that a valley bears to its ridges.[58]
Fruit tree management[edit]

Some proponents of permaculture advocate no, or limited, pruning. One advocate of this approach is Sepp Holzer who used the method in connection with Hügelkulturberms. He has successfully grown several varieties of fruiting trees at altitudes (approximately 9,000 feet (2,700 m)) far above their normal altitude, temperature, and snow load ranges. He notes that the Hügelkultur berms kept or generated enough heat to allow the roots to survive during alpine winter conditions. The point of having unpruned branches, he notes, was that the longer (more naturally formed) branches bend over under the snow load until they touched the ground, thus forming a natural arch against snow loads that would break a shorter, pruned, branch.[citation needed]

Masanobu Fukuoka, as part of early experiments on his family farm in Japan, experimented with no-pruning methods, noting that he ended up killing many fruit trees by simply letting them go, which made them become convoluted and tangled, and thus unhealthy.[59][60][page needed] Then he realised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form fruit trees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tree form that results from abandoning previously-pruned unnatural fruit trees.[59][61][page needed] He concluded that the trees should be raised all their lives without pruning, so they form healthy and efficient branch patterns that follow their natural inclination. This is part of his implementation of the Tao-philosophy of Wú wéi translated in part as no-action (against nature), and he described it as no unnecessary pruning, nature farming or "do-nothing" farming, of fruit trees, distinct from non-intervention or literal no-pruning. He ultimately achieved yields comparable to or exceeding standard/intensive practices of using pruning and chemical fertilisation.[59][61][page needed][62]

Permaculture Action

Permaculture helps generate plans that are easy and cheap when it comes to production. Permaculture allows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farming. The action of permaculture looks and all becoming conscious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ensuring abundant food nearby, problem on malnutrition caused by the world hunger problem will inevitably lessen.[63] Permaculture principles in action are powerful forces to help right the environmental wrongs of the last two centuries.[64]
Trademark and copyright issues[edit]

There has been contention over who, if anyone, controls legal rights to the word permaculture: is it trademarked or copyrighted? If so, who holds the legal rights to the use of the word? For a long time Bill Mollison claimed to have copyrighted the word, and his books said on the copyright page, "The contents of this book and the word PERMACULTURE are copyright." These statements were largely accepted at face value within the permaculture community. However, copyright law does not protect names, ideas, concepts, systems, or methods of doing something; it only protects the expression or the description of an idea, not the idea itself. Eventually Mollison acknowledged that he was mistaken and that no copyright protection existed for the word permaculture.[65]

In 2000, Mollison's US based Permaculture Institute sought a service mark (a form of trademark) for the word permaculture when used in educational services such as conducting classes, seminars, or workshops.[66] The service mark would have allowed Mollison and his two Permaculture Institutes (one in the US and one in Australia) to set enforceable guidelines regarding how permaculture could be taught and who could teach it, particularly with relation to the PDC,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instituted a system of certification of teachers to teach the PDC in 1993. The service mark failed and was abandoned in 2001. Also in 2001 Mollison applied for trademarks in Australia for the terms "Permaculture Design Course"[67] and "Permaculture Design".[67] These applications were both withdrawn in 2003. In 2009 he sought a trademark for "Permaculture: A Designers’ Manual"[67] and "Introduction to Permaculture",[67] the names of two of his books. These applications were withdrawn in 2011. There has never been a trademark for the word permaculture in Australia.[67]


-------

Criticisms[edit]


General criticisms[edit]

In 2011, Owen Hablutzel argued that "permaculture has yet to gain a large amount of specific mainstream scientific acceptance," and that "the sensitiveness to being perceived and accepted on scientific terms is motivated in part by a desire for permaculture to expand and become increasingly relevant."

In his books Sustainable Freshwater Aquaculture and Farming in Ponds and Dams, Nick Romanowski expresses the view that the presentation of aquaculture in Bill Mollison's books is unrealistic and misleading.[68]


Agroforestry[edit]

Greg Williams argues that forests cannot be more productive than farmland because the net productivity of forests declines as they mature due to ecological succession.[69] 


Proponents of permaculture respond that this is true only if one compares data between woodland forest and climax vegetation, but not when comparing farmland vegetation with woodland forest.[citation needed] For example, ecological succession generally results in a forest's productivity rising after its establishment only until it reaches the woodland state (67% tree cover), before declining until full maturity.[21]

See also[edit]

Agrarianism
Agroecology
Agroforestry
Aquaponics
Biodynamics
Bill Mollison
Geoff Lawton
Willie Smits
Biointensive agriculture
Biomimicry
Climate-friendly gardening
David Holmgren
Ecoagriculture
Food-feed system
Forest gardening
Holzer Permaculture
Hügelkultur
List of permaculture projects
Microponics
Paul Wheaton
Permaforestry
Regenerative agriculture
Seed saving
Sepp Holzer
Zaï


References[edit]

  1. ^ Holmgren and Mollison (1978). Permaculture One. Transworld Publishers. p. 128. ISBN 0552980757.
  2. ^ King 1911.
  3. ^ Paull , John (2011) The making of an agricultural classic: Farmers of Forty Centuries or Permanent Agriculture in China, Korea and Japan, 1911-2011, Agricultural Sciences, 2 (3), pp. 175-180.
  4. ^ Hemenway 2009, p. 5.
  5. ^ Mars, Ross (2005). The Basics of Permaculture Design. Chelsea Green. p. 1. ISBN 978-1-85623-023-0.
  6. ^ Mollison, B. (1991). Introduction to permaculture. Tasmania, Australia: Tagari.
  7. ^ Smith, Joseph Russell; Smith, John (1987). Tree Crops: A permanent agriculture. Island Press. ISBN 978-1-59726873-8.
  8. ^ Hart 1996, p. 41.
  9. ^ Holmgren, David (2006). "The Essence of Permaculture". Holmgren Design Servi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y 2008. Retrieved 10 September 2011.
  10. ^ Mollison, Bill (15–21 September 1978). "The One-Straw Revolution by Masanobu Fukuoka". Nation Review. p. 18.
  11. ^ Jump up to:a b Introduction to Permaculture, 1991, Mollison, p.v
  12. ^ Lillington, Ian; Holmgren, David; Francis, Robyn; Rosenfeldt, Robyn. "The Permaculture Story: From 'Rugged Individuals' to a Million Member Movement"(PDF). Pip Magazine. Retrieved 9 July 2015.
  13. ^ Asian Institute of Sustainable Architecture (AISA)
  14. ^ Mesoamerican Permaculture Institute (IMAP)
  15. ^ Permaculture Institute of El Salvador
  16. ^ Greenblott, Kara; Nordin, Kristof (2012), Permaculture Design for Orphans and Vulnerable Children Programming: Low-Cost, Sustainable Solutions for Food and Nutrition Insecure Communities, AIDS Support and Technical Assistance Resources, AIDSTAR-One (Task Order 1), Arlington, VA: USAID.
  17. ^ Mollison 1988, p. 2.
  18. ^ Holmgren, David (2002). Permaculture: Principles & Pathways Beyond Sustainability. Holmgren Design Services. p. 1. ISBN 0-646-41844-0.
  19. ^ Mollison, Bill (1988). Permaculture: a Designer's Manual. Tagari Press. p. 2. ISBN 0-908228-01-5.
  20. ^ Mollison, Bill. "Permaculture: A Quiet Revolution". Scott London (interview). Retrieved 17 May 2013.
  21. ^ Jump up to:a b c "Edible Forest Gardening".
  22. ^ Holmgren, David (1997). "Weeds or Wild Nature" (PDF). Perma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Retrieved 10 September 2011.
  23. ^ "Permaculture: Principles and Pathways Beyond Sustainability". Holmgren Design. Retrieved 21 October 2013.
  24. ^ Jump up to:a b Nine layers of the edible forest garden, TC permaculture, 27 May 2013.
  25. ^ "Seven layers of a forest", Food forests, CA: Permaculture school.
  26. ^ Simberloff, D; Dayan, T (1991). "The Guild Concept and the Structure of Ecological Communiti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2: 115. doi:10.1146/annurev.es.22.110191.000555.
  27. ^ "Guilds".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1 October 2011.
  28. ^ Williams, SE; Hero, JM (1998). "Rainforest frogs of the Australian Wet Tropics: guild classification and the ecological similarity of declining species".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The Royal Society. 265 (1396): 597–602. doi:10.1098/rspb.1998.0336. PMC 1689015. PMID 9881468.
  29. ^ "10. Edge Effect". Deep Green Permaculture. 3 April 2013. Retrieved 19 January2017.
  30. ^ Burnett, Graham, Permaculture A Beginners Guide', Spiralseed, 2001 p.26.
  31. ^ Permacultuur course, NL: WUR.
  32. ^ Mollison 1988, p. 5: ‘Deer, rabbits, sheep, and herbivorous fish are very useful to us, in that they convert unusable herbage to acceptable human food. Animals represent a valid method of storing inedible vegetation as food.’
  33. ^ Jump up to:a b "Backyard Animals | Permaculture Institute". www.permacultur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December 2014. Retrieved 6 April 2017.
  34. ^ "Permaculture Animals as a Discipline to the System". The Permaculture Research Institute. 7 March 2016. Retrieved 6 April 2017.
  35. ^ "USDA National Agroforestry Center (NAC)". UNL. 1 August 2011. Retrieved 21 October 2011.
  36. ^ "USDA Agroforestry Strategic Framework" (PD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 August 2011. Retrieved 19 January 2017.
  37. ^ "Graham Bell's Forest Garden". Permaculture. Media m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12.
  38. ^ "Establishing a Food Forest" (film review). Transition culture. 11 February 2009.
  39. ^ Wheaton, Paul. "Raised garden beds: hugelkultur instead of irrigation" Richsoil. Retrieved 15 July 2012.
  40. ^ Hemenway 2009, pp. 84–85.
  41. ^ Feineigle, Mark. "Hugelkultur: Composting Whole Trees With Ease". Permaculture Research Institute of Australia. Retrieved 15 July 2012.
  42. ^ "Rainwater harvesting". DE: Aramo.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3. Retrieved 19 August 2015.
  43. ^ "Sheet Mulching: Greater Plant and Soil Health for Less Work". Agroforestry. 3 Sept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02. Retrieved 21 October 2011.
  44. ^ Mason, J (2003), Sustainable Agriculture, Landlinks.
  45. ^ Stratton, Margie Lynn; Barker, Allen; Ragsdale, James (April 2000). "Sheet composting overpowers weeds in restoration project". BioCycle. 41 (4): 57.
  46. ^ "Prince Charles sends a message to IUCN's World Conservation Congres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3. Retrieved 6 April 2013.
  47. ^ Undersander, Dan; et al. "Grassland birds: Fostering habitat using rotational grazing" (PDF).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Retrieved 5 April 2013.
  48. ^ Fairlie, Simon (2010). Meat: A Benign Extravagance. Chelsea Green. pp. 191–93. ISBN 978-1-60358325-1.
  49. ^ Bradley, Kirsten. "Holistic Management: Herbivores, Hats, and Hope". Milkwood. Retrieved 25 March 2014.
  50. ^ "Munching sheep replace lawn mowers in Paris". The Sunday Times. 4 April 2013. Retrieved 7 April 2013.
  51. ^ Ash, Andrew, The Ecograze Project – developing guidelines to better manage grazing country (PDF), et al., CSIRO, ISBN 0-9579842-0-0, archived from the original(PDF) on 10 April 2012, retrieved 7 April 2013
  52. ^ McCarthy, Caroline. "Things to make you happy: Google employs goats". CNET. Retrieved 7 April 2013.
  53. ^ Gordon, Ian. "A systems approach to livestock/resource interactions in tropical pasture systems" (PDF). The James Hutton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February 2014. Retrieved 7 April 2013.
  54. ^ Littman, Margaret. "Getting your goat: Eco-friendly mowers". Chicago Tribune News. Retrieved 7 April 2013.
  55. ^ Stevens, Alexis. "Kudzu-eating sheep take a bite out of weeds". Th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Retrieved 7 April 2013.
  56. ^ Klynstra, Elizabeth. "Hungry sheep invade Candler Park". CBS Atlanta. Retrieved 7 April 2013.
  57. ^ Tipping, Don (4 January 2013). "Creating Permaculture Keyline Water Systems"(video). UK: Beaver State Permaculture.
  58. ^ Yeomas, P.A (1954). The Keyline plan. Australia: Authour. p. 120.
  59. ^ Jump up to:a b c Masanobu, Fukuoka (1987) [1985], The Natural Way of Farming –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een Philosophy (rev ed.), Tokyo: Japan Publications, p. 204
  60. ^ Fukuoka 1978, pp. 13, 15–18, 46, 58–60.
  61. ^ Jump up to:a b Fukuoka 1978.
  62. ^ "Masanobu Fukuoka", Public Service (biography), PH: The Ramon Magsaysay Award Foundation, 1988.
  63. ^ Kasarinlan (2011). "Permaculture as Alternative Agriculture". Philippine. 26: 422–434.
  64. ^ "Permaculture and Sustainability - Solscape". Solscape. Retrieved 6 April 2017.
  65. ^ Grayson, Russ (2011). "The Permaculture Papers 5: time of change and challenge — 2000-2004". Pacific edge. Retrieved 8 September 2011.
  66. ^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11). "Trademark Electronic Search System (TESS)". US Department of Commerce. Retrieved 8 September 2011.
  67. ^ Jump up to:a b c d e "Result". IP Australia. 2011. Retrieved 8 September 2011.
  68. ^ Nick Romanowski (2007). Sustainable Freshwater Aquaculture: The Complete Guide from Backyard to Investor. UNSW Press. p. 130. ISBN 978-0-86840-835-4.
  69. ^ Williams, Greg (2001). "Gaia's Garden: A Guide to Home-Scale Permaculture". Whole Earth.

---------

Bibliography[edit]



-------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Permaculture.

Ferguson, Rafter Sass; Lovell, Sarah Taylor (2013), "Permaculture for agroecology: design, movement, practice, and worldview",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view), Springer, 34(2): 251, doi:10.1007/s13593-013-0181-6 – The first systematic review of the permaculture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groecology.


Noosa Forest Retreat - one of the world's oldest permaculture communities located at Noosa, Queensland, Australia (founded by Ian Trew) - formerly "Mothar Mountain Ashram".


Permaculture Online Community - Permaculture Online Community & Online Permaculture Education, run independently by Noosa Forest Retreat.


The Permaculture Research Institute – Permaculture Forums, Courses, Information, News and Worldwide Reports.


The Worldwide Permaculture Network – Database of permaculture people and projects worldwide.


The Permaculture Association, UK.
The 15 pamphlets based on the 1981 Permaculture Design Course given by Bill Mollison (co-founder of permaculture) all in 1 PDF file.


David Holmgren's web site (co-founder of permaculture)


Ethics and principles of permaculture (Holmgren’s)


Permaculture a Beginners Guide – a 'pictorial walkthrough'


Permaculture – Sustaina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Urban Permaculture Design – a city lot with over a hundred perennial edible varieties. Permaculture land acquisition discussion.


A quarter acre suburban property in Eugene, Oregon – grass to garden, reclaim automobile space, elevated/edible landscape, rain water catchment, passive solar design, education


The Permaculture Activist is a co-evolving quarterly produced by a dedicated handful of entirely part-time folks


Permaculture Commons is a collection of permaculture material under free licenses

hide

v
t
e
Permaculture

List of projects


Sciences

Agroecology
Ecosynthesis
Mycoforestry
Permaforestry
Polyculture
Synergistic gardening



Techniques

Companion planting
Forest gardening
Grassed waterway
Holzer Permaculture
Intercropping
Keyline design
Raised-bed gardening
Sheet mulching
Vegan organic gardening
Waru Waru


Components

Composting toilet
Folkewall
Leaf mold
Mulch
Spent mushroom compost
Three Sisters (agriculture)
Tree bog



Organizations

Beacon Food Forest
Centre for Alternative Technology
Permaculture Association
Permaculture Action Network
Permaculture College Australia
Permaculture Institute of El Salvador
Permanent Publications
Plants for a Future
Pomona College Organic Farm
Permaculturalists

---------


People in permaculture
Bill Mollison
Brad Lancaster
David Blume
David Holmgren
Geoff Lawton
Ianto Evans
Patrick Whitefield
Paul Stamets
Paul Wheaton
Robyn Francis
Ruth Stout
Sepp Holzer

Category
Commons
Wiktionary



show

v
t
e
Environmental social science


show

v
t
e
Simple living


Authority control

GND: 4358238-2


Sustainable development portal
Systems science portal
Ecology portal
Categories:
Permaculture
Permaculture concepts
Environmental design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agriculture
Sustainable gardening
Horticulture and gardeni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Sustainable food system
Systems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
Australian inventions
Environmental social science concepts

2018/12/26

Permaculture Garden Produces 7000 Pounds of Organic Food Per Year on a Tenth of an Acre

Permaculture Garden Produces 7000 Pounds of Organic Food Per Year on a Tenth of an Acre

Permaculture Garden Produces 7000 Pounds of Organic Food Per Year on a Tenth of an Acre


DECEMBER 23, 2017 AT 10:11 PM
Family grows 7000 pounds of organic food per year on a tenth of an acre, supplying 90 percent of their diet… They spend less than $2 per day per person on other kitchen staples and make over $20,000 a year selling excess produce





Fifteen minutes from downtown Los Angeles, just 100 feet away from a major freeway, a small city lot was transformed into a mini paradise.

A fifth acre lot, minus the house, garage and driveway, the family has converted the remaining tenth of an acre into a tiny food forest that produces 7000 pounds of food per year with no synthetic fertilizers.


What’s the secret to their abundance? Permaculture methods that mimic Mother Nature to create nutrient-and-bacteria-rich soil.

Conventional agriculture methods strip nutrients from the soil until the land becomes barren and desertified.


Permaculture not only does not strip the soil, it regenerates it, says permaculture guru Toby Hemenway.


When Jules Dervaes moved to his Pasadena home in the 1985, there was no soil, only adobe-like clay.





He and his family spent years bringing the earth back to life with rock dust, chicken and goat manure, fermented compost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The Dervaes’s haven’t used organic NPK fertilizers since 2007, and have never used synthetic NPK.


They make the most of their small space with a modified version of square foot gardening they call “square inch gardening.”





In square-inch gardening plants are packed as closely together as possible to prevent evaporation from the soil and save water.




The Darvaes believe soil should never be bare and exposed to the elements. They ignore the spacing recommendations on seed packages and sew them as close together as possible in symbiotic arrangements.


“Bigger vegetables like broccoli or peppers are planted with a carpet of greens – lettuce, arugula, etc., underneath … the green carpet acts like a living mulch, preventing weeds and keeping the soil moist,” it says on their website UrbanHomestead.org.





Not only does this make the most efficient use of space, it requires less maintainence. As the Darvaes’ write “no rows, no hoes.” Everything is done by hand, except for one of their favorite tools, a soil-block maker. This allows them to get new seedlings started in blocks of soil, ready to replace annual crops as soon as their season is up.


Path to Freedom founder Jules Dervaes said he knew he wanted to be a back-to-the-lander eversince the Vietnam War. He had no idea his revolution would begin in Pasadena, California. He didn’t intend to live in the fixer upper house he bought there forever but a severe drought in the 1990s triggered him to start the garden that kept him there.


His lawn was costing him too much water, too much money and too much time. He decided to take a stand by mulching his front lawn and planting “something useful.”





Darvaes says he was just “fiddling around” until he learned GMOs had entered the food supply in 2001. After that he “went a little crazy” and decided to find out just how much food his little plot could grow. He wanted acres, but couldn’t wait for that and decided to work with what he had.


“Dad started taking over every square inch, horizontal, vertical, the frontyard, the backyard and the driveway,” his daughters Anais and Jordanna say in the video above.


There were no models to follow, we just did it,” said his son Justin Dervaes.


“I believe growing food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occupations on Earth, because you’re in danger of becoming free,” the now deceased Jules says in the video.


The family also makes their own biodiesel and their home is almost entirely solar powered.









Tags: 7000 pounds of food Jules Dervaes Pasadena Path to FreedomPermaculture Urban Homestead

Share:


Author: Sara Burrows

2018/12/25

내가 보고 겪은 북한 교통 실태 : 신동아



내가 보고 겪은 북한 교통 실태 : 신동아

내가 보고 겪은 북한 교통 실태

“마사지 받는다고 생각하시라우”
| 조현준 계명대 언론영상학과 교수 wesleycho7@naver.com
입력2018-05-20 09:00:01

------------


나선 시내 비포장 도로 위에 주차된 폴크스바겐 택시들. 이용하는 승객이 별로 없어 보였다. [조현준 제공]
---------------------------
“우리 측 도로 사정이 좋지 않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 솔직한 발언에 나는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었다. 열악한 내부 사정을 외부 세계에 굳이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 게 북한이기 때문이다. 내가 북한의 낙후된 농촌 마을을 촬영하려고 할 때마다 그곳 주민들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나는 2013년 11월, 함경북도 나선시와 청진시, 경성군을 다녀왔다. 영국, 호주, 러시아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 5명과 함께였다. 내가 북한을 가게 된 것은 일종의 궁금증 때문이었다. 2012년 여름, 북한자유연합 등 보수단체가 대북 전단, 일명 ‘삐라’를 북한으로 날리기 위해 임진각에 모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당시 삐라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고 있던 나는 카메라를 들고 임진각으로 향했다. 평화를 상징하는 임진각에서 거센 충돌이 일어났다. 삐라를 날리려는 보수단체와 이를 저지하려는 진보단체 및 지역 주민, 그리고 이들을 말리려는 경찰들까지 뒤엉켜 몸싸움이 벌어졌다.

삐라로 인해 생긴 남남 갈등. 과연 북한 주민들은 남한이 살포하는 삐라를 어떻게 생각할까? 호기심이 생긴 나는 북한이 허용하는 외국인 투어에 대해 알아봤다. 그러나 내 국적이 캐나다라고 하더라도 한국에 살기 때문에 북한 투어를 할 자격이 되지 못했다. 궁여지책으로 ‘캐나다에 거주하는 대학생’으로 서류를 제출해 북한행 여행 비자를 받았다. 공교롭게도 북한 여행 중 정치선전물을 훔치려 했다는 이유로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고국 미국으로 돌아가 사망한 오토 웜비어가 택했던 여행사를 통해 북한에 들어갔다.


‘미스터 김’의 딸 걱정


나선 시로 향하는 길에 만난 버스 창밖 풍경들. 산에는 나무가 드물다. [조현준 제공]
당시 전에 없던 새로운 여행상품이 나왔는데, 함경북도 나선시, 청진시, 그리고 경성군을 돌아보는 코스였다. 중국 옌볜에서 차를 타고 국경 세관을 거쳐 나선시에 도착했다. 우리 일행은 마중 나온 안내원과 함께 미니밴을 타고 나선시 식당으로 향했다.

세관에서 나선 시내로 가는 길은 고불고불했지만, 양방 2차선 도로는 깨끗한 편이었다. 창문 밖 풍경은 보통의 농촌 마을과 다를 바 없었다. 다만 김정은 위원장과 사회주의를 찬양하는 슬로건이 드문드문 보였고, 시내로 들어서자 그것들은 더욱 자주 눈에 띄었다.

호텔 앞에는 광장 같은 공간이 있는데 바닥에 금이 많이 나 있으며 울퉁불퉁했다. 남한이라면 이러한 공간을 주차장으로 썼으리라.

나선 시내 도로에 다니는 자동차 중에는 택시가 가장 많은 듯했다. 택시 대부분은 폴크스바겐. 나선에서 택시비는 1km당 중국돈 4위안(약 670원)이라고 했다. 그러나 택시를 타는 사람들은 별로 보이지 않았다. 택시 대부분은 항상 어딘가에 주차돼 있었다. 2013년 당시 서울 택시요금인 2km당 3000원에 비하면 나선 택시가 반값 수준으로 저렴하지만 북한의 국민소득을 고려한다면 일반 주민에게는 매우 비싼 교통수단이다.

나선은 경제특구 지역이다.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중국에서 들여오는 제품을 즐겨 사용하는, 북한에서 매우 잘사는 도시다. 다만 밤이 되면 도로에 가로등이 켜지지 않아 껌껌한 도로를 달릴 수밖에 없었다. 도로변에 있는 식당 몇 곳에만 불이 켜졌고, 대부분의 상점은 문을 닫았다. 나선시 식당에서 저녁을 먹는 도중에 갑자기 불이 나간 적도 있다. 그럴 때면 식당 종업원이 배터리로 작동하는 스탠드 조명을 가져와 불을 밝혀줬다. 몇 분 후에 다시 전기가 들어오기도 했다.

위성사진에 나온, 남한 대비 어두컴컴한 북한은 외국 언론이나 보수단체가 북한의 열악한 전기 사정을 보여주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이미지다. 북한의 전기 사정이 열약한 건 사실이다. 다만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옥외광고가 없다. 옥외광고 없는 사회에선 그만큼 전기가 덜 필요하다. 따라서 위성사진으로만 북한의 전기 상태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선의 한 호텔 로비에서 호텔 종업원들과 대화를 시도했다(물론 북한에서의 모든 인터뷰는 몰래카메라로 촬영했다). 내가 남한 발음의 ‘조선말’로 말을 걸자 신기해하는 눈치다. 북한 사람들도 남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자식 걱정을 많이 했다. 자신의 자식이 평양에서 대학에 다녔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았다.

호텔의 내 방 침대에는 전기장판이 깔려 있었다. 덕분에 매우 따뜻하게 잘 수 있었다. 그러나 온수가 나오지 않았다. 로비 직원에게 그 점을 얘기하자 그는 “그럴 리 없다”며 대화를 회피하려는 기색이 역력했다. 아무래도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 조금 부끄러웠던 것 같다.
우리 일행은 나선에서 밴을 타고 여기저기 다녔고, 도로에 차가 없으니 막히지 않아 좋긴 했다. 안내원 말고도 전직이 교사였다는 한 북한 남성이 동행했는데, 그와 친해지면서 여러 가지를 물어볼 수 있었다. 그는 “핵은 자위(自衛) 수단이다, 핵이 없으면 미국이 이라크를 침략했듯 북한을 공격할 것”이라고 했다. 남한 보수주의자들은 “남한이 퍼준 돈으로 북한이 굶어 죽는 주민들을 살리지 않고 핵을 만들거나 군인들에게만 혜택을 준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 “남한이 돈을 주든 말든 핵은 항상 만들고 있었다”고 했다. 그리고 “남한 원조가 군인들에게 갔다면, 그것은 북한 주민의 자식들에게 간 것이나 마찬가지”라고도 했다. 북한 인구의 상당 비율이 군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내 배가 고프더라도 우리 자식이 배불리 먹었다면, 거기에 대해 뭐라 하는 부모가 세상에 어디에 있느냐”고도 했다. 그는 남한이 살포하는 삐라에 대해서는 “비겁한 행동”이라며 치를 떨었다. “삐라 속에 약품을 넣기도 한다”고 하자 “약품은 적십자를 통해 공식적으로 보낼 것이지, 왜 비겁한 방식으로 보내느냐며,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와의 인터뷰는 북한을 여행하는 일주일 내내 이어졌다. 이제부터는 그를 ‘미스터 김’이라고 부르겠다.


트럭과 리어카와 소달구지


경성에서 목격한 아이나 짐을 싣고 가는 리어카들. [조현준 제공]
---------
나선에서 어느 중학교에 방문했다. 거기 학생들이 닭싸움하는 모습은 한국과 비슷했다. 학생들과 영어로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는데, 아이들의 영어 실력은 우수한 편이었다(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로 보였다). 아이들은 곧 평양으로 견학을 간다며 들떠 있었다. 담임교사는 내가 무슨 말을 하나 궁금했는지 자꾸 내 주위를 맴돌았다. 그의 ‘감시’를 피해 아이들에게 남한에 대해 아는 것이 있는지 물어봤더니 교육을 받은 듯 대답을 회피했다. 이후에도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이면 못 알아듣는 척하는 북한 주민들을 종종 만났다.

이때까지만 해도 버스를 운전하는 기사와 별로 대화를 나누지 못했지만, 이후 그는 점점 마음을 열었다. 그는 한국 대학의 등록금이 얼마나 되는지, 삼성이 휴대전화 외에 무엇을 더 만드는지 궁금해했다.

며칠 후 나선에서 청진으로 이동했다. 나선을 빠져나오기 전 우리 일행은 철조망으로 둘러쳐진 공간에 차를 세워야 했다. 총으로 무장한 군인들이 여권을 가져갔다. 다시 여권을 받아 이동할 때까지 30분가량 걸렸는데, 당시 우리 밴 근처에 있던 한 여자 군인은 나를 향해 미소 짓기도 했다.

나선을 벗어나자 다른 함경북도 관할시 소속의 다른 안내원이 우리를 맞이했다. 운전기사는 출발 전에 우리에게 “마사지 받는다고 생각하고 3시간을 잘 버텨달라”고 당부했다. 길이 울퉁불퉁하다는 말을 우회해서 한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도로 사정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과속방지턱이 쉼 없이 연결된 도로를 3시간 동안 달리는 것 같았다. 몸이 오르락내리락 덜덜 떨려 잠을 청할 수도 없었다. 한번은 머리가 천장에 닿을 정도로 버스가 심하게 요동치기도 했다. 우리 일행은 안전벨트도 없이 좌석 손잡이를 꽉 붙들고 세 시간을 버텼다.

창밖 농촌 풍경은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산에 나무가 없다는 걸 빼고는. 역시나 김정은과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는 슬로건이 자주 나타났다.

북한에 도착한 첫날 안내원이 버스에서 바깥 풍경을 촬영하지 말라고 당부했지만, 나는 DSLR 카메라로 버스 바깥을 몰래몰래 촬영했다. 그러던 중 갑자기 앞에 앉아있던 안내원이 뒤로 돌아 내게 오더니 버럭 화를 냈다. 밖에 있던 어느 주민이 내 카메라를 보고 불편하다고 신고했다는 것이다. 믿기 힘든 얘기지만 나는 카메라를 끌 수밖에 없었다. 대신 몰래카메라를 켰지만.

청진으로 향하는 도로에는 차선이 없었다. 소달구지와 리어카, 트럭이 한데 뒤섞여 다녔다. 트럭들은 시도 때도 없이 경적을 울려댔다. 도로가 워낙 좁고 울퉁불퉁, 고불고불해 반대 방향에서 오는 차량에 경고하기 위해서다. 도로 위에서 리어카와 소달구지를 끌고 다니는 북한 주민들은 무척이나 힘들어 보였다. 그들의 최종 목적지는 어디일까, 거기까지는 얼마나 걸리까.

우리 버스가 마침내 청진에 도착했다. 버스에서 내려 땅을 밟으니 비로소 살 것 같았다.


평양에서 온 마사지사들


서울 지하철처럼 청진 시내 트램에는 승객들로 가득하다. [조형준 제공]
-------------------
청진 시내는 나선만큼 깨끗했다. 나선처럼 자전거가 많이 다녔고, 신호등 없는 도로에서 길안내원이 깃발을 든 채 신호등 역할을 하고 있었다. 차량이 많진 않아서 길안내원의 업무가 크게 어려워 보이지는 않았다. 청진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거의 처음으로 발을 디딘 도시라고 했다. 촬영은 그만큼 쉽지 않았다.

청진에서 새롭게 합류한 안내원은 내가 DSLR 카메라로 김일성 동상을 어떻게 촬영했는지 보여달라고 했다. 김일성 목이 조금 잘려 촬영된 장면이 나오자 그는 매우 기분 상해하며 재촬영을 요청했다.

청진 시내에도 소달구지가 다녔다. 길 한복판에 롤러블레이드를 타는 아이들과 함께 소달구지가 지나가는 재미있는 장면이 포착됐다. 차량은 많지 않았는데, 차가 보인다 싶으면 외제차일 정도로 외제차가 은근히 많았다. 아우디 A6와 벤츠 S클래스 등 중대형 외제차도 목격했다. 나선과 청진 모두 시내에 트램이 많았는데 서울 지하철의 출퇴근 시간과 비슷하게 붐볐다.

청진의 안내원은 남한에 대해 많이 궁금해했다. 남한 사람들이 북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길에는 차가 얼마나 많은지, 어떤 차들을 주로 타는지 등을 물어봤다. 그는 일본부터 유럽까지 자동차 브랜드를 죽 읊었다. 그런데 현대차는 알고 있었지만, 기아차는 처음 들어보는 듯했다. 그는 “북한에선 자가용이 없어도 불편하지 않다”고 했다. “자전거를 타면 건강에도 좋지 않으냐”며 웃음을 지어 보였다. 북한에 있는 동안 자전거 경주대회를 TV로 흥미롭게 보는 주민들의 모습을 자주 목격했다.

청진에선 김정은과 사회주의 체제 찬양 포스터와 유명 화가들의 그림 판매소를 간 적이 있다. 멋진 그림도 있었지만 중국 세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구매하진 않았다. 상점 여직원은 “북에서 산 그림을 중국에 가져가 비싸게 파는 이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불만 섞인 목소리로 “북한 길거리에 김정은 위원장을 찬양하는 문구가 너무 많다. 이런 슬로건이 자신에게 득될 게 없다. 더 이상 새로 설치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비록 간접적으로나마 불만을 터뜨린 것이지만, 북한에 머물면서 처음 접한 북한 당국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불만이 없는지, 미스터 김에게도 물어본 적이 있다. 그는 “질문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며 “북한 주민에게 이런 질문을 하는 것은 금기”라고 했다.

청진에서 갑작스러운 군사 훈련으로 도로에 무장한 군인들이 배치됐고, 우리가 탄 버스는 어느 식당 주차장에 정차했다. 주차장 문은 굳게 닫혀 밖을 볼 수 없었다. 청진에서 경성으로 이동할 때는 열차를 이용했다. 이 열차는 청진에서 함경남도 함흥 구간을 오가는 열차였다. 열차 내부엔 침대도 배치돼 있었으나 승객은 눈에 띌 정도로 많지 않았다.

열차는 시끄러웠고, 덜컹댔고, 속도가 일정하지 않았다. 평균시속은 60km 정도로 느껴졌다. 기차 밖으로 달리는 차량보다도 느린 경우도 있었다. 창밖으로 다른 열차들을 목격하기도 했는데, 열차마다 사이즈도, 상태도 달랐다. 사이즈가 큰 것은 그만큼 속도가 빨라 보였다. 열차는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버스보다는 더 편했다.

버스를 출발시키기 전 ‘마사지’ 받을 준비를 하라던 버스기사의 말처럼 우리 일행은 정말로 마사지를 받으러 가게 됐다. 경성에서 예정에 없던 마사지숍에 가게 됐는데, 마사지사는 대부분 20대 초중반의 평양 출신 여성이었다. “한국에서 손님이 왔다”며 노래를 부르고 반기는 모습에 감동했다. 그들은 의사 못지않은 사회적 지위를 누린다고 했다. 나를 담당한 마사지사는 한국의 의료 기술이 얼마나 발달했는지 궁금해하며 “통일이 되면 제주도에 꼭 가보고 싶다”고 했다.

경성에서 나선으로 다시 이동하면서 한 번 더 ‘마사지’ 받을 각오를 하고 버스에 올랐다. 역시나 길 상태는 엉망이었고,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 혹은 리어카와 우리 버스가 부딪칠까봐 조마조마했다. 나선에서 보내는 마지막 밤에는 호텔을 몰래 빠져나와 옆에 있던 노래방에 갔다. 여종업원들은 북한 찬양 노래를 불렀다. 내가 서양 노래 좀 틀어달라고 하자 잠깐 고민하더니 틀어주었다. 다소곳하게 북한 찬양가를 부르던 그녀들이 서양 음악에 맞춰 신나게 춤을 추는 모습을 보고 정말 놀랐다. 한편 화장실에 가던 길에 옆방에서 대마초를 피는 북한 주민을 목격했다.


교류가 교감이 되어
북한의 도로 상태는 북한의 열악한 환경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내가 만난 북한 사람들 대부분은 밝아 보였다. 길거리에서 마주친 그들은 내게 미소를 지어 보였고, 일을 구하고자 장마당 주위를 맴도는 이들도 웃음을 잃지 않으며 친근감을 보여줬다. 간혹 남한 사람들은 이러한 북한 사람들의 웃음을 가짜로 여긴다. 사전에 짜인 각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내가 본 ‘북한의 미소’는 할리우드 최고의 배우도 연기할 수 없는, 자연 그대로의 미소였다.

행복이란 돈 외에도 여러 가지를 따져봐야 하는 것이다. 열악한 환경에 있다고 곧 불행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동포를 대할 때 이러한 편견을 버려야 한다. 교류는 교감이 되고, 교감은 평화를 낳을 것이다. “도로 사정이 좋지 않으니 비행기 타고 평양에 오시라. 기다리고 있겠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말에 희망을 가져본다.



조현준
● 1981년 서울 출생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학사, 아카데미예술대학교 멀티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석사, 동국대학교 영화영상제작학과 박사
● 미국 ABC방송국 교양프로그램 프로듀서
● 現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
● 영화 ‘시계’ ‘삐라’ ‘황색바람’ 등 연출



신동아 2018년 6월 호

17 북한 식수 및 위생시설 사정 그다지 좋지 않아



북한 식수 및 위생시설 사정 그다지 좋지 않아



북한 식수 및 위생시설 사정 그다지 좋지 않아
워싱턴-장명화 jangm@rfa.org
2017-07-20




북한의 한 시범농장에서 여성이 물지게로 물을 나르고 있다.
AFP PHOTO





00:00/00:00


MC: 세계 각국은 18세기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경제 발전이라는 구호 아래 열심히 앞만 보고 뛰었습니다. 그 결과, 물질의 풍요와 생활의 편리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 놓았지만, 지구 환경은 지금 신음하고 죽어가고 있습니다. 환경문제는 어느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기에 그 심각성은 큽니다. 장명화가 진행하는 주간 프로그램 '이제는 환경이다'는 세계 각국의 최신 환경 문제를 짚어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한국의 환경전문 민간 연구소인 ‘시민환경연구소’의 백명수 부소장과 함께 최근 유엔이 펴낸 ‘마시는 물과 위생 상황 2017’ 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들여다봅니다.

(브루스 고든) 20억명을 넘는 사람들이 이른바 ‘안전 관리 식수 서비스’의 접근권을 결여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유엔 지속가능개발 목표와 표준을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이에 의해 전 세계가 물 분야에서 어느 정도 진보했나를 측정하게 됩니다.

방금 들으신 것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물과 위생시설 문제를 책임진 브루스 고든 조정자(coordinator)가 유엔 방송에 나와 밝힌 말입니다.

유엔 산하 전문기구인 세계보건기구와 유엔아동기금은 최근 ‘마시는 물과 위생 상황 2017' 보고서를 펴냈는데요, 특히 세계보건기구 측은 “깨끗한 식수와 위생적인 화장실이 부자나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특권이 돼서는 안 된다"면서 "이 두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고 모든 나라는 국민에게 이런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백명수 부소장의 말입니다.

(백명수) 전 세계 인구 10명 중 3명에 해당하는 21억 명이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263만명, 한국으로 치면 경상북도 인구에 해당하는데요, 이 263만명이 마시는 물을 구하기 위해 30분 이상 걸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또 세계 인구 10명 중 6명, 즉 45억 명은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시 밖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더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특히 600만명은 공중화장실을 사용하고 있고, 892만명은 야외에서 화장실 없이 배변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지난 2000년 이후 점차 더 많은 사람이 마실 물과 화장실 시설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받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주택과 병원, 학교에서 비누와 물 부족으로 설사 등 질병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백 부소장은 특히 아동 건강을 우려합니다.

(백명수) 위생적이지 않은 화장실 사용이나 야외 배변은 인간의 배설물이 적절한 처리 없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때 인간의 배변 속에 섞여있는 대장균이나 여러 병원균이 인근에 있는 물로 유입되기가 쉽습니다. 그렇게 되면 적절한 정수처리를 거치지 않은 오염된 물을 마시면 수인성 질병이 쉽게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콜레라, 이질, 장티푸스, 혹은 A형 간염 등의 질병들이 자주 발생합니다. 유엔 보고서에 의하면, 5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오염된 물로 해마다 36만 1천여명이 설사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이는 매시간마다 41명의 어린이가 목숨을 잃고 있는 매우 심각한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북한과 관련된 최신 자료나 통계는 구하기가 상당히 어려운데요, 백명수 부소장은 마시는 물과 관련해 한국의 민간연구경제기관인 ‘현대경제연구원’의 2014년 보고서와 북한 당국이 2001년 유엔에 보고한 자료를 인용해, 북한의 식수 사정이 그다지 좋지 않다고 평가했습니다.

(백명수)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2014년 발간한 보고서에 의하면, 북한 전체가구의 약 85%가 주택 내 물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수원의 상수도 보급체계는 갖춰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수도 보급이 1960년대 공급 이후 지속적으로 노후화됐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오래된 자료이긴 하지만, 북한 당국이 지난 2001년에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상수도를 통한 물 공급이 1994년 86%에서 1996년에 63%로 감소됐습니다. 2년만에 33%가 감소한 수치입니다. 현재는 더 어려운 것으로 추정됩니다. 1960년대에 설치된 상수도는 이미 상당히 노후화됐고 관리체계는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왜냐면 정수과정에서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 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전력부족이나 누수 등으로 수도가 설치됐다 하더라도 불규칙하거나 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는 재래식 우물로 식수를 보충하는 사례가 보통입니다. 그만큼 오염물질이 지하로 유입돼서 수인성 질병을 야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북한 주민들은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에 대한 접근권은 제대로 보장받고 있을까요? 이 질문에 백 부소장은 부정적인 대답을 건넵니다.

(백명수) 북한 주민들은 실제로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적절히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08년도 기준으로 단독 및 공동주택 모두를 포함한 북한 전체 가구의 약 40.5%, 즉 10가구 가운데 4가구가 재래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재래식 화장실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률은 평양시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지역이 모두 평균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양시에서는 10가구 중 7가구만이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 지역은 절반 이하로 수세식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평양 시내 주택단지의 화장실 시설도 굉장히 열악하고 공중화장실의 관리는 더더욱 관리되고 있지 않아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활한 물 공급이 되지 않는 북한의 실정을 감안하면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은 더욱 어려운 상황입니다.

실제로, 북한 당국이 2008년 실시한 인구조사 결과, 북한가구의 55%는 수세식 화장실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수세식 화장실이 있어도 그림의 떡에 불과합니다. 상수도 사정이 나쁘고, 고층에서는 수압이 낮아 물을 공급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평양 출신 탈북자가 2015년 한국 내 북한 전문 매체인 ‘배나TV’에 나와 밝힌 말, 잠시 들어보시죠.

(탈북자) 평양이니까 집에 화장실이 있는데, 전기가 없으니까 밑 펌프장에서 물을 퍼 올리지 못하는 거예요. 고난의 행군 때에는 광복거리, 통일 거리 같은 데는 엄청나게 층수가 높은데 물이 안 나와요. 아이들은 비닐 봉지에 변을 보고 들고 내려가요. 아침에요.

한국의 경우, 올해 초 공개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결과에 따르면, 전체 1911만2000가구 가운데 필수 주거시설을 모두 다 갖춘 가구는 96%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2010년 실시한 조사 결과인 93%보다 증가한 수치입니다. 필수 주거시설은 전용 입식 부엌, 전용 수세식 화장실, 전용 목욕시설, 상수도 등을 말합니다. 한국에서 이 가운데 하나라도 갖추지 못한 가구는8%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앞서 세계보건기구의 고든 조정자가 언급한 유엔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가운데 하나는 오는 2030년까지 야외에서 배변하는 사례가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북한을 포함해 이런 목표가 그때까지 이뤄질 수 있을지 백 부소장에게 물었습니다.

(백명수) 안타깝게도 조금 어려워 보입니다.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집중된 투자와 관리역량이 필요합니다. 화장실 시설 공급을 위해서는 예산을 우선해서 배정하고 실제로 사업을 집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선진국의 원조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해당국가는 자국 내 유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기반을 만들어야 합니다. 즉 관련법을 만들거나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법을 만들어야 안정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대부분의 국가들이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실제로 90여개 국가에서 투자의 어려움을 이유로 2030년까지 목표달성, 즉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공급해서 야외에서 배변하는 사람을 없애겠다고 하는 목표가 달성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제는 환경이다' 오늘은 여기까집니다.

진행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장명화입니다.

북한은 왜? <北, 무상 주택의 현실은?>



북한은 왜? <北, 무상 주택의 현실은?>



북한은 왜? <北, 무상 주택의 현실은?>기사입력 2016-09-26 20:55 최종수정 2016-09-27 15:59

거주이동 북한 통일전망대
---------------------------------


[안창일]
"네, 지난주에는 북한식 뉴 타운인 여명 거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그렇다면, 일반주민들의 주거 생활은 과연 어떨지 매우 궁금해지는데요. 일반 주민들에게 북한이 자랑하는 무상 주택 공급이 이뤄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북한 주민들의 주택 사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은영]
"네 오늘 도움을 말씀 주실 두 분 모셨습니다. 안찬일 박사님 그리고 김설화 씨 안녕하세요?"

[신강균]
"안녕하십니까? 저희 북한 여명거리 공사 현장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나눠 봤는데 다른 일반 주민들에게도 어떤 형식으로든지 집을 무상으로 주지 않겠습니까? 어떻습니까?"

[안찬일]
"어떤 거리에 어떤 규모로 짓느냐. 또 질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서 이제, 물론. 평양시민에게도 주택을 공급하는 거는 사회주의 공급 원칙에 따르게 되어 있는데."

[신강균]
"그렇죠."

[안찬일]
"문제는 소유 구조가 바뀌면서 돈을 많이 낸 사람. 이런 순서로 주는 체계가 바뀌고 또 신흥 부자들이 여러 채를 소유할 수 있는 이런, 불평등구조가 생기다 보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어떤, 법적으로 북한 법률상. 부동산에 대한 개인 소유는 허용이 안 되고 있기 때문에 나름대로 낮은 주택. 변두리에 들어서고 있는 일부 주택들에 대해서는 무상으로 공급하는 그런 제도는 존재하고 있습니다."

[구은영]
"지난달에 망명한 태영호 공사 영국에 있을 때, 북한을 선전하면서 했던 인터뷰가 참 인상적인데요. 잠깐 들어보시죠."

[태영호 공사]
"you know. In my country, the government build the houses and the houses are all free.
아시다시피 저희 나라에서는 정부가 집들을 짓고 모두 무료거든요.
Because according to our socialist law, government is expected to take care of the ordinary live of people. So the government built the houses and the house is distributed free of charge. So that is why in my country don't have any idea how much we pay for the apartment. And also we have a free education.
사회주의 제도에서는 정부가 일반인들의 삶을 돌보아야 해요. 그래서 정부가 주택들을 짓고 무료로 나누어 줘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 나라 사람들은 아파트에 얼마를 내야 하는지 전혀 알지 못하죠. 또 교육도 무상이에요."

[구은영]
"북한 정부가 일반인들의 삶을 돌보고 또 정부가 주택을 짓고 무료로 준다고 선전하는 인터뷰입니다. 어떻습니까? 박사님."

[안찬일]
"네, 그렇죠. 저 사람은 이제 사회주의 복지국가. 북한 체제를 찬양하는 발언을 그 당시에는 해야만 했기 때문에, 하고 있지. 사실은 북한의 내부 현실과는 거리가 많이 멀죠. 물론 이제 60년대, 70년대 북한 사회주의 체제가 작동할 때는 나름대로 좋은 집이든 나쁜 집이든 하나씩 지어서 준 것 만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제. 북한사회주의가 경제적으로 붕괴되면서 90년대 고난의 행군 뒤에는 돈이 모든 것을 지배하다 보니까 노동당은 역할은 축소되고 돈주 신흥부자들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나름대로 부동산 분야에도 사적인 건설과 분양이 진행되다 보니까 지금은 돈 위주로 돈을 많이 낸 사람이 좋은 집을 가지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나쁜 집도 차려지지 못하고 오히려 좋은 집에 가서 이제 동거 살이, 전세나 월세 사는 것을 동거 살이라고 그러는데."

[신강균]
"그러면 다른 가족하고 한집에서 같이 살게 되는 것입니까?"

[안찬일]
"그렇죠. 제가 원래 이렇게 와이프, 애들 사는 데. 우리 설화 씨가 새로 신랑을 만나서 결혼했다. 그러면 이제 이, 설화 씨가 나한테 찾아와서 같이 삽시다. 이렇게 하는 게 아니라. 당국에서 아직은 좀 당국의 힘이 존재하죠. 나한테 찾아와서 설화 씨라는 분이 제대 군인 남편 만나서 결혼해서 이 직장을 받았으니까 방 한 칸을 내놔서 같이 사시오."

[신강균]
"별개, 원래는 별개로 집을 하나 줘야 되는데."

[안찬일]
"없으니까, 없으니까 동거 살이 하라. 그러면 내가 아니 됩니다. 이렇게 못 한다는 거죠."

[신강균]
"그렇죠. 그것도 박사님의 집이 아니니까요."

[안찬일]
"그렇죠."

[신강균]
"나라가 빌려준 것이기 때문에."

[안찬일]
"그렇죠."

[구은영]
"네, 그런데 최근에도 북한은 모든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새집을 제공하고 있다, 라고 방송을 통해서 선전하고 있습니다.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SK 마을 건물 SK]
"세포군과 평관군, 이천군에 가는 곳마다의 살림집과 집짐승 우리들이 우후죽순처럼 서고 있는 지금."

[신강균]
"저 정도 집이며 굉장히 훌륭한 집 같습니다만 마치 전원주택 같은 분위기가 나지 않습니까?"

[김설화]
"겉보기에는 집이 정말 훌륭합니다. 하지만, 저 집 다른 자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집을 지으려면 각자 판자. 철군. 모래, 시멘트. 집을 짓기 위해서 많은 자재가 보장이 되어야 되는데. 많은 보장이 되어 있지 않고 기껏해야 흙 자갈. 볏짚으로서 이런 걸로 집을 짓기 때문에 겉보기에는 집 같지만. 실제로 살만한 집이 못된다고 생각합니다."

[신강균]
"저런 집들이라도 북한 주민들한테 공급이 되면 나은 거 아니겠습니까? 박사님?"

[안찬일]
"그렇죠. 저런 집이라도 모든 사람에게 차려진다면 그야말로 감지덕지라고 생각을 하는데. 문제는 저 집 역시 도시 평양에서 고층 건물 지어서 김정은 시대에 치적을 과시하려는 것처럼 저런 집도 아마 일부 지방. 이런 단위에다가 일반화시키지는 못하고. 아마, 어느 특정 협동 농장이나 이런 데 지어서. 이렇게 우리 농민들이 복지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것은 조선 중앙 텔레비전에 방송하기 위한 것이지 실제로 지금 지방 농촌의 실정에서 저렇게 조립식 건물. 겉으로 보기에는 전원주택하고 뭐가 다릅니까?"

[신강균]
"그런 데요."

[안찬일]
"저렇게 하수도, 배관, 전기 다해서 저렇게 괜찮은 집을 짓는다는 것은 지금 북한의 경제 형평상에는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살림집 마감 공사와 함께 메탄가스 생산 공정 건설, 외부 지대 정리를 동시에 진행해내고 있습니다. 우리 공업국 산하 종업원들이 한결같은 마음을 안고 힘찬 투쟁을 벌여서 이제 며칠 안으로 우리가 맡은 두 동의 살림집 공사를 완전히 끝내겠습니다."

[구은영]
"그러면 어쨌든 보여주기 식 집이라고 하더라도 북한 정권이 또 지어주는 건가요?"

[김설화]
"엄밀하게 말을 하면 북한 정권이 지어주는 것이 아니고. 북한은 명령만 내리면 집은 우리들이 짓는 겁니다."

[구은영]
"그러면 나라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무상으로 집을 준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서 집을 지어서 사는 건가요?"

[김설화]
"북한은 무상이라는 개념이 없어진 지 오래되었습니다."

[안찬일]
"그러니까 북한도 조금 달라진 게. 어떻게 보면 중앙정부가 통치가 스톱이 됐고. 도 단위, 군 단위로 지방에 책임자가 능력이 있으면. 어디에 시멘트 공장, 목재 공장 가서 자재를 빼다가 집을 짓는 거입니다. 실제로 북한 전 지역에서 저렇게 주택이 척척 건설되고. 그렇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신강균]
"김설화 씨가 무상이 없다라고 굉장히 힘주어 강조하신 이유는 내가 가만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공짜로 집을 지어주는 게 아니고. 북한 주민들 스스로가 일을 해서 저 집을 지어서. 갖는. 그런 구조니까 무상으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김설화]
"1%만은 예외가 있습니다."

[신강균]
"그 사람들은 자기가 이야기를 안 해도 집을 얻을 수 있고?"

[김설화]
"네, 1%만은 예외가 되는데. 학장, 당 비서. 보위부장. 이렇게 굉장히 많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원하지 않아도 좋은 집을 그냥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 어머니 친구 분이 공산 대학교 학장 와이프였는데. 원하지도 않았는데. 고래 등 같은 다섯 칸짜리 집을 그냥 얻어서 살았습니다."

[구은영]
"그럼 보통 노동자나 농민들은 어떤 집에서 사나요?"

[김설화]
"노동자들은 경우에는 작은 1칸. 또는 2칸이 달린 집에서 살고 방안에, 그러니까 집안 안에 화장실이 없습니다."

[신강균]
"화장실이 없는 집들이 꽤 많이 있나요? 도시 사리원 같은. 사리원급의 도시에서도?"

[김설화]
"네, 신식 아파트가 아니고. 김일성 시대 때 지어졌던 그 아파트들은 한 칸 또는, 두 칸. 한 칸인 경우에는 홀수. 두 칸인 경우에는 작수로 해서 집안에 식구가 좀 있으면 두 칸으로 주고 없으면 한 칸을 줬는데. 안에 화장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벽에 일찍 나가서 줄을 서서 공동 화장실을 사용해야 합니다."

[신강균]
"네, 그 아파트 단지에 있는 무슨 화장실을 따로 지어논 모양이군요."

[김설화]
"공동 화장실을 사용하는 이유가 이런 것이 있지 않나 하고 생각이 되는데 북한은 이제 새해 1월 1일 첫 전투가 고름을 생산해야 되는데 개인 화장실을 집에 두면 고름이 생산을 할 수가 없지 않습니까?"

[신강균]
"그렇죠. ** 나가버리죠."

[김설화]
"공동 화장실을 써야 하지, 네, 그래서 아마 옛날부터 공동 화장실을 그래서 쓰는 건 아닌지 하지만 최근에 들어선 아파트들은 집 안에 화장실들이 다 있습니다."

[구은영]
"네, 무상 공급 주택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아까 이야기하셨는데요. 주택 보급률도 굉장히 낮습니다. 그렇다면, 집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 주민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안찬일]
"주택이 이제 새로 이제 결혼을 했다든지 또 뭐 중앙에 있다가 어떻게 하방이 돼서 농촌에 내려왔다든지 이런 사람들은 이제 어떻게든 당국에서 당 위원회나 인민위원회에서 나서서 동거 살 이로 이제 배분을 하는 거죠. 뭐 집이 떡 남아 있어서 빈집으로 들어가 산다는 건 상당히 어렵고 방이 한, 두 칸이라도 더 있는 집에는 갔다 동거 살 이를 시켜서 거기서 살다가 또 주택 사정이 좀 풀리면 새로운 집을 배치 받고 그래가지고 이게 이렇게 보면 신규 공급자나 또는 이제 말하자면 그 집에서 물러나는 이런 사람들의 순환 사이클이 대단히 느립니다. 한번 차지한 사람은 그걸 죽을 때까지 내 놓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죠."

[신강균]
"그렇겠죠."

[구은영]
"네, 지금 평양에서는 아파트 건설 붐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평양이 아닌 지방주민들은 어떤 집에서 사는지가 궁금합니다.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구은영]
"외국인이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북한의 지방 모습인데요. 고층 건물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신강균]
"네, 단층으로 지어진 집들이 쭉 늘어서 있지 않습니까? 저것은 누가 사는 집입니까?"

[안찬일]
"저게 이제 농촌 문화 주택인데 저거도 아마 저게 60, 7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신강균]
"문화주택."

[안찬일]
"예, 문화주택, 그래서 지붕 꼭대기에다가 기왓골을 따라서 **가루를 칠해가지고 하얀색을 드러내죠."

[신강균]
"지금 보이죠."

[안찬일]
"전부 단층집이고 한집 당 저것은 농촌이니까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에 한집 당 한 세대씩 대부분 차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공장지대나 탄광, 광산 지대에는 적어도 저런 정도의 세대별로 볼 때 저런 덩어리 한 세대라면 두 세대 정도는 살아야 될 정도로 밀집이 돼 있고 저것은 좀 한가한 농촌 모습입니다."

[신강균]
"예, 그러면 사진에서 느껴지는 것은 마을에서 일부러 외국인들이 사진을 찍을 수 있게 전원주택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느낄 수 있게끔 그 지붕들을 다 일률적으로 단장한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습니까?"

[김설화]
"네, 농촌이라고 해서 다 같은 농촌이 아닙니다. 저 농촌은 집은 아마 좀 더 시내와 붙어 있는 농촌이 아닐까 싶은데요. 진짜 농촌집을 가면 아직까지도 그 담벽에 볏짚 모래기 같은 것들이 다 붙어 있습니다."

[신강균]
"아까 그 평양 사리원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만 큰 도시에도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데 저렇게 멀리 떨어진 집에는 어떻게 전기가 원활히 갈 수 있을까요?"

[안찬일]
"예 농촌지역에도 이제 전기선이 다 들어가고 돼 있지만 문제는 공급이 안 된다는 거죠. 당국이 자르면 변전소에서 자르면 전기가 안 들어가는 겁니다."

[신강균]
"저희가 화면이나 사진으로 볼 수 있을 때는 전봇대가 있고 전깃줄은 있지만."

[안찬일]
"네, 다 있습니다."

[신강균]
"거기 그 전깃줄이 전기가 극복이 안 된다. 이 말씀이죠?"

[안찬일]
"그렇죠. 그걸 이제 북한은 이제 각도별로도 요일별로 또 이제 전기가 정전되는 날이 다 있습니다. 그러니까 공장 기업소를 돌리는 데는 전기를 좀 주지만 뭐 가정집에서 무슨 뭐 TV를 본다든지 라디오를 들으라고 밤에 또 불키라고 이렇게 전기를 잘 주지는 못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은 당국이 변전소에서 스위치를 올려주면 전기가 가고 그렇지 않으면 끊어지는 그래서 농촌 지역 사람들의 문화수준이 상당히 그 낙후 돼 있는 그런 실정입니다."

[신강균]
"그 다른 화면에 보이는 집들은 출입문도 비닐로 막아놓고 하는 그런 집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지금 저게 3층짜리 아파트 아니겠습니까? 저기도 주민들이 사는 집이겠죠?"

[안찬일]
"저런 3층 정도는 이제 도시 근교, 도시 한복판은 아니고 예를 들어서 이제 평양시 근교에도 저게 2, 3층짜리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 3층짜리 이제 벽돌로 블록으로 지은 집들인데 저 한 동에는 뭐 수십 세대의 이제 집들이고 방 한 칸, 부엌 한 칸이면 아주 ** 복잡한 그런 구조를 가지고 주거 문제를 지금 해결하려고 하고 있는 겁니다."

[신강균]
"네, 특별히 앞에 앞쪽으로는 베란다가 있습니다만 저게 베란다가 있는 쪽 하나, 그리고 오른쪽에 창문이 있는 거 하나 해서 그럼 마루 하나 방 하나 그다음에 부엌 하나 이렇게 돼 있는."

[안찬일]
"그렇죠. 그리고 이제 저런 세대 한 동에는 이제 화장실이 그저 층별로 하나 있거나 밑에 그냥 하나 있어서 공동으로 사용하고 뭐 북한 주민들은 요즘 아파트 베란다 저런 베란다에서 뭐 토끼도 기르고 닭도 기르고 이렇게 말하면 가축 고기 문제, 또 뭐 가죽을 바쳐야 되는 그런 과제가 있어서 주택이 보면 어떻게 보면 주거도 되지만 동물들 우리는 애완동물 키우는데 평양도 뭐 애완동물이 늘어난다고 합니다만 저런 주변 저 뭐야 주민들은 이제 가축까지 길러야 되는."

[신강균]
"생산단위이군요?"

[안찬일]
"그렇죠. 거의 생산, 자가, 자력갱생 생산단위입니다."

[구은영]
"네. 그러면 설아 씨도 집에서 가축을 키워보셨나요?"

[김설화]
"네. 토끼 한 마리 정도 키워봤습니다. 토끼 한 마리는 왜 키워야 되냐면 4월 25일 되면 군인들한테 고기를 바쳐야 되기 때문에 시장 나가서 사려면 좀 비싸고 해서 토끼 한 마리 정도는 키워봤습니다."

[구은영]
"네. 그리고 화면 보면 아파트 지붕 위에 뭐라고 써 있는데요. 일심단결?"

[김설화]
"네."

[구은영]
"그리고 장군님 따라 천만리. 집 지붕마다 이런 구호가 써 있는 건가요?"

[김설화]
"네. 아파트들마다 다 그렇게 써져 있습니다. 저 평양엔 장군님 따라 천만리라고 썼지만 우리가 사는 데는 일심단결 결사 옹위 또는 그 앞에 총대를 그려져 놨기 때문에 총대 아파트 이렇게 얘기를 하면 무슨 동 어디매라고 얘기를 하지 않아도 그냥 사람들이 다 압니다."

[안찬일]
"그러니까 북한 아파트에는 브랜드가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기업별로 무슨."

[신강균]
"건설회사 이름을 따라서."

[안찬일]
"예. 건설회사 이름이나 브랜드가 있지 않습니까? 근데 북한은 다 돌격대조직에서 집단적으로 당에서 지은 거니까 아파트 브랜드는 붙일 필요 없고 그저 설화 씨가 얘기했듯이 아파트에 뭔가 명칭이 있고 친구도 놀러 오라고 그럴 때는 천만리 아파트로 오라 뭐 일심단결 아파트 뭐 205호야 이렇게 말하는 그게 우리하고 또 좀 다른 점입니다."

[신강균]
"네. 아까 그럼 저 건물의 경우는 천만리 아파트로 와라."

[안찬일]
"그렇죠. 장군님 따라 천만리인데 뭐 장군님아파트로 오라 그럴 수는 없는 거고 천만리 아파트로 오라 그러면 찾아가는 거죠."

[신강균]
"네. 그러면 저게 이중의 효과가 있겠군요. 그 아파트에 대한 이름도 지어주고 사람들한테 북한체제를 옹위하는 그 구호도 외우게 하고."

[안찬일]
"그렇죠. 그런 이중적인 효과를 노렸는지도 모르고 아까 그 일심단결의 그림은 제가 볼 때 학교 건물 같습니다. 유리창이 잘 안 깨진 거 보니까 그건 학교건물 같고."

[신강균]
"그럼 아파트 주민들이 사는 아파트는 유리창이 많이 깨져 있습니까?"

[안찬일]
"저 지금 천만리 아파트 저러면 저렇게 거의 뭐 반은 깨져 있는 상태. 저게 이제 참모습이죠."

[신강균]
"지금 두 분 선생님 저희가 지금 지방에 있는 주택상황들을 살펴봤는데 상당히 첫 느낌으로도 평양과는 굉장히 차이가 많은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만 대부분의 도시가 저런 모양이죠?"

[안찬일]
"그렇죠. 평양은 아무래도 이제 전시 효과, 외국에게 보이기 위한 뭐 이런 여러 가지 목적이 있기 때문에 좀 뭐 당에서 투자도 하고 신건설을 하지만 또 지방도 이제 물론 지금 신흥부자들이 등장해서 나름대로 건설을 하고 있는데 중앙과 지방의 차이 이게 좀 북한은 아무래도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구은영]
"네. 그렇다면, 초고층 아파트는 아니어도 북한의 대다수 주민들은 조금 안전한 집, 깨끗한 집에서 살고 싶다라는 로망이 있을 것 같아요. 어떻습니까?"

[김설화]
"아 네 북한에서는 높은 층보다는 낮은 층을 좀 선호합니다. 예를 들어서 5층짜리 아파트에서는 4층을 좋아하고 뭐 10층짜리 아파트라도 5층 이상 올라가는 거를 원하지 않습니다."

[신강균]
"네. 그 이유는?"

[김설화]
"전기가 오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없고 다 그냥 사람의 다리로 일명 북한에서는 사람의 이 두 다리를 11호 차라고 하는데 11호 차를 잘 운영하려면 낮은 층이 좋습니다."


[신강균]
"네. 그 평양시를 주로 선전하는 조선중앙텔레비전의 화면이 지방까지도 다 방송되지 않겠습니까? 그러면 지방에 있는 북한주민들도 나도 저런 집에 한번 살고 싶다 그런 생각을 가질 텐데 그렇지 않나요?"

[안찬일]
"우선 북한에게 거주이동의 자유가 없으니까 좋은 집을 목표로 한다기보다 나도 평양시에 한 번 살아봤으면 이런 꿈은 누구나 다 가지고 있죠."

[신강균]
"아니 내가 있는 장소에서라도 저런 집의 반의 반절이라도 좀 깨끗하고 그런 집에서 뭐 하수구라도 있는 집. 아니면 상수도라도 나오는 집 그런 욕망이나 그런 바람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 않겠습니까?"

[안찬일]
"그렇죠. 그런 꿈은 누구나 가질 수 있는데 그 꿈이 너무 높기 때문에 갭이 너무 크니까 한 번 그야말로 꿈은 꿈이지만 현실적으로 이렇게 계산하면서 시간을 내가 10년 후에 저런 집에 살 수 있을까."

[신강균]
"계획을 세우거나."

[안찬일]
"네. 그런 계산은 거의 안 한다고 봐야 됩니다."

[신강균]
"네. 알겠습니다. 네.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까지 평양과 지방의 주택상황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오늘 두 분 선생님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