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03

What Do Quakers Believe About God?



What Do Quakers Believe About God?




What Do Quakers Believe About God?

06/27/2019 ENSEMBLE 5 COMMENTS



What is God? We asked 20 Quakers, here’s what they said.

Is QuakerSpeak worth $1 a video?

Hide Transcript and Discussion Questions

Resources:
Subscribe to QuakerSpeak so you never miss a video
See a list of all the videos we’ve produced.
Read Friends Journal to see how other Friends describe the substance of Quaker spirituality
Find out how young adults are transforming their lives through a year of service at Quaker Voluntary Service.
Learn how Quakers are taking spirit-led action to address the ecological and social crises of the world at Quaker Earthcare Witness.


-------------

Transcript:

Paula Palmer: I do have a sense that all living things are in some mysterious way connected; that life itself is such a miracle. I want to feel that connection, acknowledge that connection, be conscious of it, be appreciative of it, cherish it, share it, and not define it.

What Do Quakers Believe About God?

Patricia McBee: I have a lifelong experience of hearing something speak to me and guide me. I can’t reconcile my belief in an abstract sense of God and this sense of guidance, so I have this big, rich, dizzyingly awe-inspiring abstract God and this very close presence that I can turn to and will speak to me.

A God That Transcends Understanding

Kenyatta James: My concept of God is everything that we can know but not understand. That there’s a lot in this world that we might be able to know but we don’t really understand or that we can’t replicate . For me, that energy, that power is what God is.

Jim Rose: Christ, Jesus says,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That is what Quakers are convinced of and I’m convinced of, is that our journey is a journey inward. Whether you call it God, the divine, the light, there is something to be found there and it’s something that is–I don’t want to call it irrational, but the rational mind cannot cope with these things that are inexpressable, ineffable. The definition of God is not something that the rational mind can grasp. What can grasp that is only the heart.

God As an Experience

Laura Boles: God is an experience to me, it is not a belief or a concept and so I am looking to experience God in my daily life and allow myself to be a vessel for others to experience God through me. And you know when you feel it. You know when you feel it. You know when your greatest gifts as a person, as an individual are shining to their highest capacity.

Kevin-Douglass Olive: As someone once told me if I can understand God, if I can conceptualize God in God’s fullest, then that is not a God that can transform my life and bring me out of any dark night, of any hurt, habit, or hang-up.

John Moorman: The almighty being, whether it’s he or she or what that was there at creation, was there before creation. I don’t pretend to understand it but it is there. I will be seeking it until the day I die. I won’t know the answer, but I know the presence is there.

Ruth Montague: I think life is very whimsical. I think my brain isn’t really wired to really understand everything that might be or is going on and I’m okay with that. It sounds funny, but I love the word “whimsy” I think it describes… I mean, isn’t it crazy that we get to have this experience? I mean, wow. Here we are. Hm.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my Kietzman: I use the word, “God” because it’s the currency, because it’s the word we use in our culture. But for many years when I write the word “God,” I write G-!-D because first of all, “God” is not God’s name. We pretend that that is the name of something, but it really… we don’t know what it is. And it’s important not to know, or not to try to know too much because it’s more about that we’re experiencing something and we have to communicate about it, so we have to have words.

Elaine Emily: I think by definition if I could define God then it wouldn’t be God because it is so much beyond whatever concept we have, but it’s a language. It’s a way to talk about these deep, important pieces of our lives. We have to start somewhere, it’s all metaphor. There’s not words for what we really know and want to communicate.

Mark Wutka: If what I think is “of God” in my heart, if someone else feels that same thing and obeys that same thing but calls it something different, maybe even calls it the subconscious, that’s not really for me to judge.

God As Love

Laura Kinnel: When I use the word God I think the closest thing I mean to what people who don’t use the word God might often understand is “love.” I think of love as something that we all know exists. Everybody believes that love exists. We’ve seen love in action. We’ve felt what it feels like to love and be loved. We’ve seen what acting in accordance with what we think love requires of us looks like.

Carter Nash: So I think of “that of God in everyone” as that of love in everyone, and so I try to relate to everyone with love. Amongst Friends, amongst Quakers, I have found that is what they do with me. They relate to me with love.

That of God in Everyone

A.J. Mendoza: There is that of God in every person. There is a fundamental equality to our faith and practice that informs everything. It informs our peace testimony. It informs how we talk to each other, as not using honorific terms, that we’re talking to each other on an equal level.

Jane Fernandes: I believe that Quakers see that of God in every person. I think that’s fundamental, and when you see that of God in everyone–that’s every one–that changes everything.

Equal Access to God

Ingrid Lakey: As a Quaker I believe that we all have access to the divine, that spirit is available to us, there is God in everyone including me, and that we don’t need an intermediary to be in contact with the divine, the divine is always with us.

Valerie Brown: God is available. When I say “God” I mean the energy of love and compassion, the absolute acceptance of all people, not a father-figure sitting on a white cloud with a long beard. That may be some people’s idea of God and that’s ok, that’s not mine.

A.J. Mendoza: That informs that there’s an equality in the meetings. God could speak through the person who has been in Meeting since they were born and is now 85, the person who just happened to walk into the meeting, didn’t really know what they were doing that Sunday morning has equal access.

Laura Goren: That it is not only men or not only people with certain educations or certain positions that can access truth, but that everyone can do that provided we try.

Listening to God

Carter Nash: When we’re gathered in silence, we are opening ourselves–we do what we call “centering down” and that is opening ourselves up to allow the spirit of God to fully take over us and if that spirit leads us to speak, then we will deliver a message.

Kri Burkander: My Mom used to sing this song about –it’s some country song I guess–about “turn the radio on, turn the dial, get right with God.” And I’m totally paraphrasing, and I should actually get the name of the song because I don’t know what the song is, but it was this idea that God’s always on the radio, you just have to tune to the right station. I really value the time in worship to turn my radio station to God. This is the time I’ve carved out of my week to sit down and just hang out with God.

Kevin-Douglas Olive: And so whether it’s the early Quakers or Evangelical Quakers or Liberal Quakers, we have a sense of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that restores us, that guides us, that brings us together, and when we come together in that reality and we seek to be humble in that reality, we find ourselves connected in an intimate way.

Eric Baker: What is that thing that challenges us to see the value in everyone else, to be people of peace in really challenging times, to be people of integrity when there are so many other voices saying, “no, you don’t have to do that.” That thing that’s moving us in that direction towards peace, towards integrity, toward real community, toward treating people with equal standards, that everyone has the light of God in them, that’s the spirit of God moving us in that direction.
Discussion Questions:
What comes to mind when you hear the word “God”? (Is it useful in your spiritual vocabulary? Why or why not?)
How has your concept of God affected your spiritual life and practice? What do you do to nurture your relationship with God?

The views expressed in this video are of the speakers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views of Friends Journal or its collaborators.
QUAKER THEOLOGY AND BELIEFS

Comments5
Marcelle Martin
06/27/2019 AT 5:12 PM

City & State
Chester, PA
What a beautiful video. It’s wonderful to see and hear so many different Friends speak about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God.
jules
06/27/2019 AT 6:21 PM

City & State
Northwood
Some very interesting people I’ve met…
……..say that they believe “in GOD” as long as you spell the word with two O’s.
Paul S Riley
06/27/2019 AT 6:52 PM

City & State
Philadelphia
Paul Riley Jim Rose did an impressive presentation about God and the World. the closer we get to the Word of God the more the Holy Spirit is able to breath the Light within into our souls it will lead us to the Life unending to that far shore.
dorothy RICHARDS
06/27/2019 AT 9:06 PM

City & State
colonie
I and the divine spirit are one. The roots are dug firmly in the soil of my soul. We are one.
Shirley Kirkwood
06/27/2019 AT 9:11 PM

City & State
Bridgewater
I have learned to use energy work and suggest that the editors of this magazine search the internet for Healing Beyond Boundaries and other energy work sites and perhaps write an article for the magazine about energy work. It is truly an eye opening way of understanding “that of God in everyone.” And in all living plants and animals. You will be happy to learn about energy work.
Shirley Kirkwood, Valley Friends Meeting, Dayton, VA

영화 「알라딘」을 보고 왔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는데, 이 영화는 영성에 대한... - ShinGang Gyu Hwan





(5) 영화 「알라딘」을 보고 왔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는데, 이 영화는 영성에 대한... - ShinGang Gyu Hwan









ShinGang Gyu Hwan

Yesterday at 01:56 ·







영화 「알라딘」을 보고 왔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는데,

이 영화는 영성에 대한 이야기임을, 사막 위로 구출된 알라딘이 지니와 얘기 나누는 장면에서부터 알 수 있었다.



"나는 겉모습만 바꾸는거야"

"소원은 구체적으로 말해야 해. 디테일이 중요해"

"너의 소원이 무엇이든! 가능해. 단, 누군가가 널 사랑하게 만든다던지 죽은 자를 살린다던지 이런건 안돼"



지니는 '상위자아'다.

내 안에 있는 진짜 '나'이다.

참나라고도 부르는

내 안의 경이로운 이가

바로, '지니'다.



그리고 알라딘은 '겉자아'이다.

물리적으로 드러난 현 시점의 모습, 영원하지 않고 한상 변하는 한 시점의 분명한 상태.

마음 먹은대로 무엇이든 될 수 있다. 하지만 내면이 변하지 않으면 금방 무너진다. 바뀌어버린다.



정말 그것을 소원으로 빌 때, 간절하게 빌 때, 구체적으로 염원할 때, 그것이 눈에 띄게 현실로 드러나는데 이 기도의 상징이 바로 '램프'이고 이 기도를 통해 만나는 것이 내 안의 진짜 나, '상위자아'이다.



손바닥을 마주 비비듯 간절한 염원은 램프를 문지르는 것으로 드러난다. (뚜껑을 열지 않지요) 그리고 이 램프는 사막 한가운데 숨겨져 있다. 보통 일상에서 떨어진 곳에.. 알라딘은 땅 속 깊은 곳에서 천장이 무너지고 탈출구가 막히는 절망과 절대절명의 시기에, 램프를 문지르게 된다. 땅 밑에서, 현재 자신의 전 존재를 건 필사적이고 절대적인 기도를 하게되는 것이다. 그때 지니를 만나게 된다.



지니는 무엇이든 들어준다. 상위자아는 겉자아가 생각하는 모든 것을 그대로 끌어온다. 그게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단, 다른 사람이 억지로 날 사랑하게 만들 수는 없다. 사랑이란 건 가장 근본의 자유의지이기 때문이다. 결혼을 하여도 사랑을 하는 것이 아니다. 이별을 하여도 사랑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정말로, 누가 뭐란대도 절대 그렇게는 할 수 없는, 또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존재의 근원을 존재의 근원이 해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죽음을 다시 생으로 바꿀 수도 없다. 그것은 이미 다 한 역할이다. 그의 몫을 이미 다 하였다. 고로 이어진 이미 다른 몫이 있어서 다시 또 똑같이 할 수는 없다.



이렇게 안되는 거 빼고 다 할 수 있는 지니, 상위자아는 사실 묶여있다. 작디 작은 타이니한 램프 속에 갇혀있다. 그것은 작디 작은 타이니한 내 마음 속의 어느 점이다. 거기에 그가 갇혀있고, 묶여있다.



알라딘에게는 중요한 친구이자 무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마법양탄자이다. 이것은 '감정'이다. 감정은 위대한 힘이다. 기분 좋으면 날아다니고 하늘 위 끝까지 치솟을 수 있다. 감정은 삶의 감촉, 삶을 느끼는 감촉이고 지구 반대편까지도 전달되는 감동이다.



각 인물마다 함께하는 동물들이 있다. 이 동물들은 각 캐릭터의 '내면의 모습'이다. 알라딘은 원숭이를 데리고 다닌다. 원숭이는 외형은 동물 중에 인간에 가장 가깝지만 지혜를 가지지 못해 동물에 머물러 있는- 어리석음을 뜻한다. 자신을 좀도둑에 거지, 가진 것 없는 사람이라 비하하고 상처주고 상처받고 애써 그렇게 살아가는 보통 사람, 우리들이다. 쟈스민의 호랑이는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영혼의- 위엄과 고귀함이다. 어리석음에 지지 않는 불굴의 힘을 상징한다. 자파는 앵무새, 남의 말을 따라하는 자다. 내면이 가장 허약한 사람이다. 남들이 얘기하는 욕망을 자기 욕망이라고 생각한다. 꽤 똑똑한데(인생을 잘 사는 것 같은데) 헛똑똑이다. 불행하다. 항상 불행하다. 감정이란 양탄자를 도구로 '탑승하지' 않고, 스스로 날아다녀서 폭주하면 본 모습을 잃어버리고 괴물새가 된다. 본디 내 것 아닌, 지위를 잃어버리면 초라하게 쪼끄매진다.



마법양탄자도, 원숭이도

감정도 나의 내면도

구하지 못하는 것이

바다 밑바닥까지 꽁꽁묶여 가라앉는

나의- 죽음에 이르는 절망적인 파괴다.

그 누구도 구원해줄 수 없다.

한데 누가 그때 나를 살려주느냐,

지니.

나의 상위자아다.

참 나.

절대 나를 버리지 않는-

사실

이때까지 나와 한순간도 분리되어 있지 않았던- 근원이다.

그 근원만이 죽음에서, 죽음에 이르는 파괴와 고통 속에서 날 구해준다. 원숭이, 나의 내면은 날 보며 안타까워하며 램프를 던져준다. 기도의 마음이 든다. 이때 반드시 램프를 문질러야 한다. 안 그러면, 영화의 러닝타임이 1시간에 끝난다.



세번째 마지막 소원, 지니가 은근슬쩍 자신의 바람을 말했던 그 소원이 이루어짐은,

이 이야기를 정말 빛나는 보석으로 만들어준다.



"램프에서 풀려나 사람이 되면 좋겠어"



램프에서 벗어난다.

내 마음의 타이니한 점에서

벗어나서

나와 마주보는 사람이 된다.

살아있는 친구가 된다.

너도 그렇게 생각했어?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진짜 미친거 아니가?

우리 왜 이러는데?!



미쳤다.

하나가 된 것이다.









94박길수, 유상용 and 92 others



50 comments18 shares



LikeCommentShare



Comments





A Song Jiyoung Kim 역시!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d





ShinGang Gyu Hwan A Song Jiyoung Kim ^^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d



A Song Jiyoung Kim

Hide or report this



1





Like

· Reply

· 1d



Write a reply...















Han Jaejin Sophia 나도 세계일주 하면 이런글을 쓸수 있는것인가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d


ShinGang Gyu Hwan replied · 5 replies


2010 현각이 한국을 떠난 까닭은?





[Why] [김윤덕의 사람人] 현각이 한국을 떠난 까닭은? - 

김윤덕 기자

입력 : 2010.12.11 03:02 | 수정 : 2011.11.29 16:37

----------------



"명성 때문에 내 수행이 쇼가 됐다"
종교는 신앙 아닌 윤리로 가야…석가모니는 불자가 아니었고 예수도 기독교인이 아니었다
종교는 인간이 만든 형태일 뿐 베푸는 마음 실천해야 참종교다








지난달 경기도의 한 조계종 선원에 '와~' 하고 환호성이 터졌다. 푸른 눈의 외국인 승려를 향한 것이었다. 사진을 함께 찍어달라는 요청도 쏟아졌다. 무시한 채 문을 나서려던 승려가 돌아서서 버럭 소릴 지른다. "이 못생긴 미국 상놈 봐서 뭐해요? 거울에 비친 당신 자신, '참나'를 봐야지!"



이틀 뒤 승려는 서울 방배동 불교TV 법회장에 나타났다. 법당을 가득 메운 사람들 사이를 성큼성큼 가로지른 승려는 높은 단상 위로 몸을 날리더니 눈 깜짝할 새 가부좌를 틀었다. 승려가 장난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말했다. "난 세상에서 이 자세가 제일 편해, 정말 좋아요."



현각(玄覺·46). 하버드대 출신의 선승(禪僧)이라 하여 세상 이목을 집중시켰고, 28세 꽃 같은 나이에 삭발하고 출가한 사연을 적은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출간, 한국 불교계에 일약 '스타'로 떠오른 승려. 동그란 금속테 안경을 쓰고 참선하는 그의 사진(김홍희 작)은 일반에도 선명히 각인되어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다. 국내든 국외든 그가 여는 법회에는 수백 명의 대중이 몰렸고, 법회가 끝나면 그를 친견하려는 사람들이 꼬리를 물었다.



그랬던 현각이 돌연 한국을 떠났다. 2008년의 일이다. 명분은 '유럽 만행(萬行)'이었지만, 스님은 "스승이신 숭산스님이 입적(2004년)한 날부터 한국 떠날 준비를 시작했다"고 했다. 가장 큰 이유는 "폭풍(perfect storm)처럼 몰아닥친 명성"이었다. "수행이 아니라, 그야말로 '쇼'를 한 게 아닌가 하는 자괴감이 들었지요." 한국을 떠난 그는 유럽 만행을 거쳐 2009년 독일 뮌헨에 정착, '불이선원'이라는 선방을 개원했다.



G20 정상회의를 기념해 열린 '세계종교지도자대회' 참석차 지난달 서울에 온 스님을 만나 '만행' 이후의 이야기를 들었다. 불혹의 나이를 넘겼지만 20대 청년처럼 여전히 혈기왕성한 스님은 특유의 직설화법과 유머, 거침없는 제스처로 시원시원한 답변을 내놨다. 난처한 질문에는 '선문답'으로 응수했다.





"길[道]은 걸어가야만 높은지 낮은지 비로소 알 수 있다.”종교는 신앙이 아니라 윤리로, 그 보편적인 윤리의‘실천’으로 가야 참종교라고 강조하는 현각스님. 

모처럼 한국에 온 스님의 하루는 바빴다. 스님을 찾는 곳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불교TV 법회가 끝난 뒤 간신히 촬영 시간을 얻었다. 스님은 웃지 않았다. 외로워지고 싶은 수행자의 생활이 서울에서는 불가능한 탓이었을까. / 이진한 기자 magnum91@chosun.com



"참종교? 배고픈 자에게 밥 주고, 목마른 자에게 물 주시라.”
현각스님의 법회는 언제나 열정으로 가득 차 있다. 눈빛, 제스처, 거침없는 웅변은 불자는 물론 일반 대중들을 사로잡는다. / 이진한 기자





못생긴 미국 상놈 봐서 뭐해요?



―세계종교지도자대회에서 말씀을 너무 짧게 하시더라. 모처럼 스님 말씀 들으러 온 사람들이 아쉬워했다.



"선승은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대회에서) 프랑스에서 온 패널 한 분이 대단한 말씀을 하셨다. 종교는 신앙이 아니라 윤리로 가야 한다는 것. 맞는 말이다. 우리는 종교를 버려야 한다. 평화 대신 전쟁, 갈등과 환경만 파괴하는 종교는 이제 버려야 한다. 2010년이 되었는데 인간이 여전히 종교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하지만 스님 또한 불교에 몸담고 계시지 않나.



"이건 껍질일 뿐이다. 석가모니는 불자가 아니었다. 예수도 기독교인이 아니었다. 그들이 종교를 만들라고 말하지도 않았다. 개신교의 가르침은 많은 부분 예수 이후에 생긴 것들이다. 종교가 종교다워지려면 보편적 윤리, 사랑하고 베푸는 마음을 실천해야 한다."



―신앙이 아니라 윤리로 가야 한다는 말은, 예수나 부처에 대한 신격화 혹은 숭배를 경계해야 한다는 뜻으로 들린다.



"종교는 인간이 만든 형태일 뿐이다. 종교는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생활에서 실천해 나갈 때 참종교가 된다.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한 마지막 말씀은 '나의 말을 믿지 마라, 내가 말했기 때문에 믿으면 안 된다'였다. 맹목적인 믿음은 종교의 독이다."



―왜 한국을 떠나셨나.

"아까 보지 않았나. 법당에서 기도하시던 분들이 연예인이 온 줄 알고 달려나오더라. 내 죄다. 애초에 내가 무슨 계획을 세워서 유명해진 것은 아니지만, 수행자로서 큰 실수를 했다고 생각한다. 어느 날 매스컴을 통해 갑자기 유명해지니 법회, 특강, 주례, 인터뷰 요청이 줄을 이었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 건가, 회의가 들었다."

―하버드 출신이라는 것, 외모가 출중하다는 것이 폭풍인기에 한몫했다.

"그래서 창피했다. 수행자는 사람들이 자신을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이 되어야 하는데, 나의 겉모습은 사람들에게 유혹만 주었다. 일본에 아름다운 비구니 스님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보면 사랑에 빠지고 고통스러워했다. 그러자 비구니 스님이 칼로 자신의 얼굴을 난도질했다. 내가 그 비구니처럼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다는 말은 아니니 오해 말라. 비슷한 심정이었다는 얘기다."




―떠나야겠다는 생각은 언제 처음 하셨나.



"2004년 숭산 스님 열반하시던 날. 바로 떠났어야 했는데 한국 불교의 세계화라는 은사 스님의 일이 안정될 때까지 자리를 지켜야 했다."



―한국 불교계와 갈등이 있었나.



"그렇지 않다."



―일부에서는 현각을 마뜩잖게 여기는 한국 스님들이 적지 않았다고 하더라.



"모르겠다. 만일 그랬다면 나의 스님답지 않은 언행, 분위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법회할 때 하도 요란스럽게 하니까 주위에서 '스님이 그러시면 안 된다'고 하더라. 그래서 말했다. 나는 한국 스님 되려고 온 거 아니다. 참나를 찾으러 왔다."



―스님은 늘 한국 불교를 예찬만 하시더라. 떠나 계시니 이제 쓴소리 할 때도 되지 않았나.



"가르침만 받았다. 누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뿐이다."



―그러지 마시고 한 말씀 해달라.



"당신이 미국 우리 집에 와서 2~3주 살다 나가면서 저 집은 이렇더라 저렇더라 흉보면 우리 가족은 큰 상처를 받을 것이다. 정치적으로 대답할 수밖에 없다."



선(禪)불교는 재즈다



폴 뮌젠이 본명인 현각은 미국 뉴저지의 보수적인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9남매 중 일곱째였던 현각은 예일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과 하버드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공부했다. 칸트, 키에르케고르, 하이데거 등 독일 철학에 심취했고 쇼펜하우어를 통해 불교를 처음 접했다. 하버드 재학시절 화계사 조실 숭산 대선사의 설법을 듣고 출가를 결심한다. "'당신은 누구인가'라는 스님 물음에 할 말을 잃자, '하버드 학생이 당신 자신을 모른단 말인가?' 하며 껄껄 웃으시더라. 완전히 다른 세계, 다른 코드였다."



―'만행' 책에 보니 유달리 총명했던 아들에게 부모님 기대가 엄청났더라.



"삭발하고 처음 집에 들어간 날 부모님 눈빛을 잊을 수가 없다. 그때보단 불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지만 아쉬움은 여전하시다. 어머니가 그러더라. 오바마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는데 그 뒤로 너의 동창 몇이 서 있더구나, 하고."



―어릴 때 어떤 아이였나.



"말썽꾸러기! 오늘날까지도. 난 반듯한 걸 좋아하지 않는다."



―공부는 잘하지 않았나.



"음…. 누가 그림을 잘 그리듯이 난 공부를 잘했을 뿐이다. 어렵지 않았다. 내겐 '재미'와 '도전'이 중요했다. 착한 아이들은 어른들 말씀대로 살지만, 난 넘어지고 다치면서 배우는 걸 좋아했다. 남들 기대에 따라 사는 것, 예측 가능한 결과는 얼마나 재미없고 무료한가."



―정치를 하셨어도 잘했을 것 같다. 선동가 타입?



"그런 말 많이 들었다. 글쎄. 정치를 했다면 나의 내면은 죽지 않았을까? 겉으로 멋져 보일지 모르지만 내 안에서 과연 행복했을까? 지금 내가 어떻게 보이나?"



―즐거워 보이신다. 에너지 넘치고.



"보이는 대로다. 선불교는 재즈다. 선승의 생활은 재즈와 같다. 많은 종교들이 형식과 틀, 어떤 룰을 강조하는데 선불교는 다르다. 재즈처럼 자유롭고 즉흥적인 연주를 할 수 있다. 나는 선승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행복하다."



―불교가 재즈라니?



"히피로서도, 예술가로도 자유롭게 살 수는 있다. 불교의 자유는 다르다. '작은 나'를 벗어나 남을 위해 자유하는 것이 불교다. 미국에서 자유, 자유를 외치지만 기분 나쁘면 총으로 지나가는 사람을 '탕' 쏠 수 있는 자유들이 난무한다. 여기 포크가 있다. 이 포크는 나의 생각 방향에 따라 음식을 집어먹는 도구가 될 수도 있지만, 사람을 찌를 수 있는 무기도 된다. 불교가 말하는 자유는 에고(ego)를 위한 자유가 아니라 남을 위한 자유다."



―사랑하는 여인이 있었다. 결혼한다고 해서 '참선'이 불가능한 건 아니지 않나.



"결혼해 아이를 낳으면 오로지 '나'를 생각하게 된다."



―지난해 유럽 가톨릭 교회들이 사제들의 '섹스 스캔들'로 비난을 받았다. 일부에서는 '신부나 수행자들의 결혼을 금하는 것이 신의 뜻을 거스르는 일인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나왔다.



"나는 수도승이다. 그것이 나의 답이다."





30대의 현각스님 모습. 베스트셀러‘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의 표지 사진으로도 쓰인 이 사진은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상징하는 아이 콘이 되었다. / 사진작가 김홍희 제공





나는 외로워지고 싶었다



외국인 승려 현각은 한국 불교의 세계화에 일익을 담당한다. 서산대사의 '선가귀감'을 법정 스님이 '깨달음의 거울'이라는 책으로 우리말로 풀이한 것을, 2006년 영문으로 번역, '미러 오브 젠(The Mirror of Zen)'이라는 책으로 미국과 유럽에 선보인 것이 대표적이다. '선가귀감(禪家龜鑑)'은 서산대사가 후학을 올바른 수행의 길로 이끌기 위해 50여 종의 경론과 조사의 어록에서 요긴한 대목을 간추려 설명한 책으로 공부 방법과 화두, 수행의 경로 등을 밝힌 선의 명저다.



―법정 스님과는 어떻게 알게 됐나.



"2004년 봄, 스님이 나를 길상사로 부르셨다. '깨달음의 거울'이란 책을 주시며 영문으로 번역해달라 부탁하셨다. 고사했다. 난 학자도 아니고, 한자도 모르는 수행승이지 않나. 그런데 스님이 '네가 공부 열심히 한다는 소리 들었다, 번역할 자격이 있다' 하시더라. 서산대사가 조선시대에 쓴 책을 서양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보수적인 직역보단 의역을 할 수밖에 없었다. 언어가 필요 없는 음악처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고 싶었다."



―법정 스님은 어떤 분으로 기억하나.



"모범 수자. 한 치 흐트러짐 없는 반듯한 수행자."



―'오두막에 살면서 수행정진 하고 싶다'고 하자 법정 스님이 '자네는 살 수 없다'고 하셨다던데.



"나처럼 키 크고, 코 크고, 얼굴 허연 승려가 와 있으면 이 마을 저 마을로 소문이 나니 조용히 살기 힘들 거란 뜻이었다."



―오두막에 살고 싶으셨나.



"물론이다. 잠시 산으로 들어간 적이 있다. 그런데 등산객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 알아보더라. 다시 소란스러워졌다."



숭산 스님은 영웅이자 원수



―하버드의 엘리트를 한국의 절간으로 불러들인 숭산 스님은 어떤 분이었나.



"가끔은 아버지였고, 가끔은 어머니였다. 코치이자 트레이너였고, 영웅이자 원수였다."



―원수라고 했나?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그런 식의 감동이 없는 사람, 드라마가 없는 사람은 스승이 아니다."



―많이 혼나셨다 보다.



"책(만행) 냈을 때. 나이도 어리고 수행 경험도 짧은 제자가 자기를 빨리 과시하려는 욕심으로 보이셨을 테니. 표지에 얼굴도 나오지 않았겠나. 하지만 내겐 스승에게 털어놓을 수 없는 사연이 있었다."



―무엇인가.



"그때만 해도 숭산의 사상은 한국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상태였다. 제자들로서는 이를 집대성할 사명이 있어서 이런저런 출판사로 타진하고 있었는데, IMF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모두 거절당했다. 그때 한 출판사가 내 출가기를 써주면 스승의 책도 함께 출판해주겠다고 했다. 솔깃했다. 고민 끝에 계약했고 6주일 만에 원고를 썼다. 탈고한 뒤 100일간 안거에 들어갔는데 마치고 나와 보니 난리가 났더라. 그 책 때문에 숭산 스님도 세상에 더 크게 알려졌다."



―오로지 스승의 책 때문에 '만행'을 출간했나?



"나는 한국인이 자신들에게 얼마나 아름다운 전통과 철학이 있는지 일깨워주고 싶었다. 1990년대 초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자기의 좋은 전통을 버리고 미국 사람들 사는 대로, 입고 먹는 대로 쫓아가는 한국인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서양 세계는 동양의 정신과 철학을 배우려고 안달인데. 내가 대학 다닐 때만 해도 불교 서적을 읽는 것은 피어싱과 함께 젊은 세대들의 최신 트렌드였다. 당신이 구식이라고 버린 이 스카프를 다른 사람들이 주워 '정말 멋지고 아름답다'고 열광하면, 버린 스카프를 다시 갖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겠나? 내 책이 그런 역할 해주기를 바랐다."



―그런데 요즘 '만행' 책을 구할 수가 없더라.



"절판시켰다. 책 때문에 겪은 고통이 컸다. 일반인, 심지어 도반들로부터도 돈 많이 벌었겠다는 질문이 나오더라. 책을 내니 '아침마당'에도 나가야 하고, 라디오도 나가야 하고 특강도 해야 하고. 연예인도 아닌데 말이다. 나는 수행자로 살고 싶었다."



―'만행'이 수십만부 팔렸다. 인세는 어디에 쓰셨나.



"책의 마지막 장에 쓴 대로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숭산 스님의 큰 뜻을 이루는 데 기부했다."



―숭산 스님 돌아가실 때 마지막으로 주신 말씀은 무엇인가.



"걱정하지 마라, 걱정하지 마라. 산은 항상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왔다 가는 길이 아니요, 있었다 사라지는 길이 아니다. 자연 그대로일 뿐."



제일 좋아하는 불경은 '순간경'



―독일선방 얘기를 들려달라. 왜 뮌헨에 정착하셨나.



"유럽을 만행하면서 수행 정진할 자리를 찾던 차에 독일 불자들을 만났다. 수행 정진을 도와달라고 하여 뮌헨에 머무르게 됐다."



―한국 사찰의 모습은 아닐 텐데.



"작은 주택을 빌려 선방을 꾸몄다. 일반 수행자가 40명 정도. 절반은 한국 교포들이다."



―선방 이름이 '불이선원'이다.



"불이(不二)는 불교의 기본 사상이다. 당신과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 인간의 본성은 하나라는 얘기다. 침, 오줌, 비, 눈, 눈물…. 모양과 색깔, 냄새는 다르지만 모두 H₂O다. 둘이 아니다. 사람의 생각으로 둘을 만들어서 너는 틀리고 내가 옳다고 싸우는 거다. 한국의 젊은 개신교 신도들이 주도한 '봉은사 땅 밟기 사건'은 거기서 비롯됐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자살·폭탄테러도 마찬가지다. 둘이었다가 하나가 된 독일과 여전히 둘로 나뉜 한국은 그래서 내게 각별하다. 분단이 지속될수록 배타성, 이질감만 커진다. 불교가 남북이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이 심심하진 않나. 한국처럼 다이내믹한 사회에서 살다 가셨으니.



"거제도에서 기암절벽을 구경하는데 배 안에 '뽕짝'이 쿵작쿵작 울려 퍼지더라. 선장에게 소리 좀 줄여달라 부탁했더니 뽕짝을 안 틀면 승객들이 심심해한다고 했다. 한국이 내게 준 가르침 중 하나가 센세이션과 자극이다. 거기에 너무 익숙해져서 고요와 평화, 여백을 즐길 줄 모른다. 카페에 가보라. 연인이 나란히 앉아 스마트폰만 열심히 문질러대고 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을 중얼거리며 108배를 하는데 주머니에선 휴대폰이 쩌렁쩌렁 울려댄다. 걱정스럽다."



―한국에서 수행하던 때보다 힘든 일 많으실 것 같다.



"도반들, 한국 스님들이 많이 도와주시지만 경제적으로 힘든 건 사실이다. 식당 접시닦이라도 해야 할 것 같다."



―많은 신도들이 수발해주시던 한국 생활이 그립지는 않나.



"그립지 않다."



―불교TV 법회 때 보니, 법문이 끝난 뒤 많은 신도들이 스님과 친견하려고 줄을 섰더라. 한국에 오면 그 인기를 어느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건가.



"유명해지는 것은 나의 계획도, 야망도 아니었다. 그것은 폭풍처럼 찾아왔다. 나는 그 유명세를 다른 사람들을 돕는 최선의 방식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결국 명성은 또 다른 짐이자 고통이란 걸 알았다. 외로워지기 위해 유럽으로 갔다. 내가 거기에서 또다시 유명해진다면 나는 또 다른 곳으로 떠날 것이다. 선불교의 위대한 스승인 경허 스님도 자신이 유명해지자 자취를 감추었다. 몇년 뒤 그는 작은 시골 서당에서 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고 있었다. 평상복에 긴 머리, 긴 수염을 하고서. 나도 언젠가 그런 모습으로 살게 되지 않을까 상상한다."



―가끔 수행하기 싫을 때 있지 않나? 세상에 재미난 일이 많은데.



"진짜 그런가? 세속의 재미는 나타났다 사라진다. 권태에 빠져들기 쉽다. 수행자가 되기 전 내 삶은 항상 무언가를 좇는 삶이었다. 돈, 명예, 권력, 사랑…. 사람들은 달콤한 속세의 것들을 어떻게 버릴 수 있었느냐 묻지만 그건 꿀이 아니라 독이었다. 승려의 길은 내 인생 최고의 선택이었다. 운이 좋았다."



―출가하신 지 20년이 되어간다. '참나'를 찾았는가.

"지금 마시는 이 커피의 향이 참 좋지 않은가."




―스님의 금강경 강의를 기억하는 불자들이 많더라. 제일 좋아하시는 경은 무엇인가.

"순간경! 이 커피향을 맡는 순간, 재즈를 듣는 순간, 걷고 이야기하고 시장에 가는 모든 순간, 뺨에 스치는 바람을 느끼고, 친구와 악수를 하면서 감촉을 나누는 순간, 순간, 순간….






현각은



1964년 미국 뉴저지의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일대학에서 철학과 문학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과 하버드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공부했다. 하버드대학원 재학 중 화계사 조실 숭산 대선사의 설법을 듣고 출가해 1992년 한국으로 건너왔다. 미국의 한국 선불교 본부 격인 참선 전문사찰 홍법원의 주지를 지냈고, 숭산의 설법집

선의 나침반(The Compass of Zen)’과 ‘

세계일화(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을 영어로 번역했다.



97년엔 출가 사연을 적은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출간해 대중에게 이름을 널리 알렸고, 2006년에는 서산대사의 ‘선가귀감’을 영어로 번역했다. 2009년부터 독일 뮌헨에 거주하며 ‘불이선원’을 열고 있다.





하버드대 출신 현각 스님(46)이 11월14일 서울 방배동 BTN 법당 무상사에서 ‘심우도’를 주제로 특별 법회을 열었다.올 3월 수행을 위해 독일로 간 현각스님이 잠시 귀국해 여는 첫 법회다. 현각스님은 실천하는 불교를 강조했다./이진한기자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2/10/2010121001258.html

숭산, 세계일화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365 Kong-Ans for Everyday Life (Tuttle Library of Enlightenment): Seung Sahn, Jane McLaughlin, Paul Muenzen: 9780804817820: Amazon.com: Books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365 Kong-Ans for Everyday Life (Tuttle Library of Enlightenment): Seung Sahn, Jane McLaughlin, Paul Muenzen: 9780804817820: Amazon.com: Books
세계일화(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365 Kong-Ans for Everyday Life (Tuttle Library of Enlightenment) Paperback – March, 1992
by Seung Sahn (Author), Jane McLaughlin (Author), & 1 more
5.0 out of 5 stars 3 customer reviews


Editorial Reviews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365 Kong-Ans for Everyday Life (Tuttle Library of Enlightenment)


Product details

Series: Tuttle Library of Enlightenment

Paperback: 244 pages
Publisher: Tuttle Pub; 2nd Edition edition (March 1992)
Language: English

3 customer reviews

5.0 out of 5 stars
5.0 out of 5 stars

5 star 100%
4 star4 star (0%)
0%
3 star3 star (0%)
0%
2 star2 star (0%)
0%
1 star1 star (0%)
0%
--------------------


Showing 1-3 of 3 reviews
Top Reviews

Swing King

5.0 out of 5 starsNot EntertainmentJanuary 15, 2005
Format: Paperback
Zen master Seung Sahn drew me in from the moment I first read his Compass of Zen (probably still one of the best works out there on the subject to date). I probably should have put the book down like he said before reading it, but I couldn't resist frankly. See the thing is, books like that are a blessing and a curse. Here you stand, on the verge of an entirely new horizon, yet your still attempting to approach this life academically. Okay, I was approaching life in that way; maybe you can or cannot relate. I developed a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illness, and I was constantly using my philosophy to try and "mend" the illness. In short, I was going absolutely insane. There I was, surrounded by piles of Zen books with no practice, no ZAZEN. Man I must have looked a mess sitting there, real disheveled.

Anyway, me and Zen went on a hiatus for a year or so as a result (I was mad at her). Then one holiday, my sister gives me some dharma talks on tape of various teachers , and that old spark was started again. But I knew (really, I did!) that things would have to change. I vowed to myself that I COULD NOT approach practice in the way I had previously, otherwise I may as well not bother at all. So I ordered a zafu and zabuton instead of another book. Let me tell you, that was a very wise investment. If you want a good grasp of Zen Buddhism, I highly recommend you get yourself one of each. 

So where does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fit into all of this? Good question. I had to provide all of that background information (I know, I'm sorry) in order to say the following: This is the best book on Zen I've ever read. It's not about entertaining you or making you feel real cuddly inside. It's certainly not going to spoon feed you and then send you to naptime. It will merely ask us all some really tough questions, which cannot be answered outside of zazen. That's it. That's awesome! Questions we cannot answer, without a completely empty and reflective mind. YES! YES! Shakyamuni Buddha himself gave up all other routes and simply sat in Bodh Gaya with his questions. He didn't understand them really. He just had them, so in a way he did away with all convention and just sat.

The previous reviewer said this book has no author. Quite a keen way of putting it, really. This is public stuff inside, and without practice you'll HATE IT. I guarantee you will HATE this book without practice. End of story. You'll be ogling over some "spoon feed me" book perhaps. Which is fine really. Maybe you'll end up like I did, tired of that means and on the true path of zazen. So order this book when your done with all the others, and after you've finally gotten that zafu!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Jennifer

5.0 out of 5 starsan enticement to practiceOctober 26, 2000
Format: Paperback
I felt very sad when I read the review from someone in Winslow, Arizona. This person missed the point. I practice koans with one of the editors of this book, Jane McLaughlin-Dobisz, a Zen Master who received transmission from Zen Master Seung Sahn. She is a completely alive teacher who brings the teaching of this book alive in practice. The entire point of koan practice is to connect the teachings with everyday life, so that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you and this world. This book presents some of these koans, or questions, to entice you to more deeply explore your mind before critical, analytical thinking. Zen Master Seung Sahn calls this your "don't know mind". By allowing yourself to be absorbed by these questions and respond from your gut, you may come to trust yourself, to believe in yourself. Through this belief, you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your life 100%, with compassion and vital presence. This is something that 100 books about Zen cannot give you. I recommend this book to anyone who has an interest in Zen practice, or koan practice, as an introduction to this centuries old path to cutting through the mind of opposites and returning to the source. If you have some idea about the path to enlightenment, you will have a big problem. This book may help you see through your ideas and wake up! I sit a seven day retreat every year and I read this book and it always helps me, I hope it will help you too.

1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C.A. Montana

5.0 out of 5 starsBeyond UnderstandingJuly 16, 2000
Format: Paperback
Most of us spend our days up in our heads, we learn a lot, we think a lot, study a lot, understand a lot, we 'know it all'. Until we come across that one question, that one situation where all thinking stops, all ideas are frozen.
One hundred volumes of Zen literature cannot help us, one hundred centuries of study cannot help us, one hundred milleniums of self-proclaimed mastery cannot help us. Stuck! Now what? ...
This wonderful book offers us not one, not two, but 365 of such rare moments. Allow yourself to get joyfully stuck, let your thinking slide away, and see, feel, smell, touch, hear, do, live... for the first time again.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

2019/07/02

Introduction to Confucian Thought | Asia for Educators | Columbia University



Introduction to Confucian Thought | Asia for Educators | Columbia University

Introduction to Confucian Thought

Government and society in China were grounded in the Confucian philosophy, which held that there was a basic order in the universe and a natural harmony linking man, nature, and the cosmos (heaven); it also held that man was by nature a social being, and that the natural order of the universe should be reflected in human relations. The family unit was seen as the primary social unit;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were fundamental to all others and comprised three of the "five relationships" that were the models for all others: sovereign-subject; husband-wife; parent-child; elder brother-younger brother; friend-friend. In this hierarchy of social relations, each role had clearly defined duties; reciprocity or mutual responsibility between subordinate and superior was fundamental to the Confucian concept of human relations. The virtue of filial piety, or devotion of the child to his parents, was the foundation for all others. When extended to all human beings, it nurtured the highest virtue, humaneness ("ren" or "jen"), or the sense of relatedness to other persons.

In traditional China it was assumed by adherents of all schools of thought that government would be monarchical and that the state had its model in the family. The ruler was understood to be at once the Son of Heaven, and the father of the people, ruling under the Mandate of Heaven. Traditional thinkers, reflecting on the problem of government, were concerned primarily not with changing institutions and laws but with ensuring the moral uprightness of the ruler and encouraging his appropriate conduct as a father-figure. The magistrate, the chief official of the lowest level of government and the official closest to the people, was known as the "father-mother" official. Even today, under a radically different form of government, the Chinese term for state is "guo-jia" or "nation-family", suggesting the survival of the idea of this paternal and consensual relationship. The first and third of the "five relationships" — i.e., emperor and minister, father and son — indicate the parallels between family and state.

The notion of the role of the state as guarantor of the people's welfare developed very early, along with the monarchy and the bureaucratic state. It was also assumed that good government could bring about order, peace, and the good society. Tests of the good ruler were social stability, population growth (a reflection of ancient statecraft where the good ruler was one who could attract people from other states), and ability to create conditions that fostered the people's welfare. The Mandate of Heaven was understood as justifying the right to rule, with the corollary right to rebel against a ruler who did not fulfill his duties to the people. The state played a major role in determining water rights, famine control and relief, and insuring social stability. The state encouraged people to grow rice and other grains rather than commercial crops in order to insure and adequate food supply; it held reserves in state granaries, in part to lessen the effects of drought and floods, particularly common in northern China. For fear of losing the Mandate of Heaven governments levied very low taxes which often meant that the government could not provide all the services expected of it, and that officials ended up extorting money from the people.


The Perfectibility of Man and the Moral Role of Government

The dominant strain of Confucian thought stressed the perfectibility of man. Confucius (a political philosopher who lived c. 551-479 B.C.) expressed a belief in the fundamental similarity of all persons and in the perfectibility and educability of each individual. Mencius and Hsun Tzu, two of his prominent successors, held different views on human nature, Mencius arguing that it contained the seeds of goodness, and Hsun Tzu that, in its uncultivated state, human nature tended to evil. Both, however, believed that human beings were perfectible through self-cultivationand the practice of ritual. From the 11th century onward, Neo-Confucian philosophers, engaged in the renewal and elaboration of Confucian thought, subscribed to the Mencian line, stressing the potential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at goodness through education.

Belief in the innate goodness and perfectibility of man has had stro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The ruler's main function in the Confucian state was to educate and transform the people. This was ideally accomplished not by legal regulation and coercion, but by personal rule, moral example, and mediation in disputes by the emperor and his officials. Confucian political theory emphasized conflict resolution through medi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bstract rules to establish right and wrong in order to achieve social harmony.

The belief that the state was the moral guardian of the people was reflected in a number of institutions. Most important among these was the merit bureaucracy, or civil service, in which all officials were to be selected for their moral qualities, qualities that would enable them not only to govern, but to set a moral example that would transform the people. Because Confucianism was a moral system, the Confucian classics had to be mastered by prospective officials. Official position and examination degree, not wealth or business acumen, were universally recognized marks of status.

Legalism and a Strong State

A complementary philosophical strain in Chinese thought was Legalism, first applied in the short-lived dynasty of the first emperor, Qin Shi Huangdi (Ch'in Shih Huang-ti, 221-207 B.C.). Proponents of Legalism stressed an administrative approach to efficient and pragmatic government; universal and codified law rather than morality (in contrast to the Confucian emphasis); and state power as an end in itself. As first applied, Legalism proved too harsh and disruptive, but for two millennia thereafter the Chinese state combined aspects of the Legalist structure with the Confucian spirit, recognizing the effectiveness of a centralized, bureaucratic rule which could oversee massive public works, state monopolies, standardized weights, measures, and even script, attempt intellectual control, and enforce social order by suppressing revolt.

---

Acknowledgment: The consultant for this unit was Dr. Irene Bloom, a specialist in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참 찾아 가는 길에서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참 찾아 가는 길에서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참 찾아 가는 길에서




한남대 명예교수





엄밀히 살피고 따지면 사람이 제대로 살아가는 것은 참을 찾아 나가는 길이라고 본다. 혼자서 살든, 작은 가족이나 공동체나 또는 좀 큰 나라나 국제 간 살림을 꾸려나가는 것 역시 참을 찾는 길이라고 본다.

그러고 보면 지금 온갖 지역에서 일어나는 국경갈등이나 경제갈등 같은 것들은 수준 낮은 단계의 살림살이 다툼에서 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참 살림은 한 생명, 한 삶을 함께 꾸려나가는 것이 돼야 할 것이다.


우리 인류의 역사가 진행돼 오는 과정이나 문명과정을 보면 점점 더 한 삶으로 가는 여정에 있다는 것을 실감한다. 경제, 정치, 군사, 과학, 학문, 예술, 종교 등의 차원들에서 보면 어느 하나도 개별국가나 작은 단위의 고립된 상태에서는 결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UN이란 조직을 만들고, G20이니 OECD니 하는 국제조직들이 비록 지금은 좀 삐거덕거리면서 나간다 할지라도 원래가 모든 나라들이나 족속들은 그들 개별단위로는 결코 참다운 삶을 꾸려나갈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일이다. 그런데도 일부 강대국이라는 것들이 벌이는 행태가 약소국가들이라는 집단들의 대응논리를 유발하면서 온갖 분야의 평화로운 분위기를 깬다.

즉 자기들의 이득만을 생각하는 아주 좁은 정책에 매어 달리게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옳은 철학이나 사상의 실현에서가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어떤 욕심, 즉 권력욕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에서 오는 오기스러운 행동의 표출이라고 본다. 그런데 모순스럽게도 개인들이나 개별국가들의 욕망충족을 위한 지나친 행동들은 이상스럽게 참에게 다가가는 길 위에서 이루어진다는 놀라운 점이다.

예를 들어 미국우선주의를 앞세워 트럼프가 세계 모든 나라들과 벌이는 경제 전쟁이나 국경갈등을 조장하는 것은 그들 국민들의 속 좁은 이기주의를 촉발하여 계속 집권하겠다는 욕망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그와 같은 행동들은 다른 모든 나라들 역시 자기 나라 중심의 정치와 경제정책을 펼쳐야 함을 촉발한다. 그렇게 하면서 모든 나라들은 자기국가중심의 국수주의나 폐쇄주의로 나간다.

당분간은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게 하여 과격한 일부 보수주의 경향의 지지와 박수를 받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그와 같은 것들은 지나간 낡은 것들의 마지막 발버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디에서도 그렇게 좁은 테두리, 국가나 민족이나 종파라는 것의 테두리 안에서는 결코 참다운 삶, 서로 돕고 사이좋게 사는 삶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실제로 느끼고 경험한다. 국수주의나 국가주의 입장에서 주장하던 세력이 물러간 뒤에 사람들은 그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런 깨달음이 무섭고 무거운 자기중심주의의 행동 속에서 다른 차원으로 자라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그렇게 시대는 밝아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런 밝아지는 시대에 일어나는 참으로 불미스러운 사건들, 즉 범죄자를 홍콩에서 북경으로 인도하려는 시도에 저항하는 홍콩시민들의 거대한 시위, 난민이 되어 아메리카에 대한 꿈을 담고 리오그란데 강을 건너려던 스물다섯 살의 아버지 오스카르 알베르토 마르티네스 라미레스와 그의 딸 발레리아가 한 셔츠 속에 들어 있는 채 강물에 빠져 죽은 사건이나, 날마다 일어나는 난민들이 삶의 자리로 들어가려다가 수도 없이 많이 체포되고 되돌려 보내지는 사건들은 국경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로 참 삶의 자리에 등장하게 되는가를 깊이 생각하게 한다.

그런 데다가 최근 한 야당의 대표라는 사람이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 기업에 기여한 것이 없기 때문에 동일한 임금을 주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인종차별발언에 융단폭격을 가하듯이 일반 여론들이 크게 반발한 것은 밝은 세상을 일러주는 예다.


솔직히 우리나라 제조업 분야의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퇴출되고 차별을 받는다면 그 기업들이 문을 닫아야 할 것은 너무나도 불을 보듯이 분명하다. 그런데 우리 경제에 기여한 바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임금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인종차별의 발언은 그 스스로 정치계를 떠나겠다는 고별인사와 같은 성격의 망발이다. 참의 자리에서 볼 때 그것은 낡고 낡은 노예제시대에서나 나올, 그 소리로 표를 얻고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세상을 잘못 읽은 천박한 소리다.

참의 자리에서 본다면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이 패권주의식의 지배논리와 대결논리에서 보면 놀라운 파격으로 보이는 것이 참으로 많다. 그저께 판문점에서 아메리카합중국 대통령 트럼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 김정은,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 등 대척점에 있는 세 나라 정상이 만난 깜짝스러운 일은 참의 자리에서 본다면 전혀 놀라운 일이 될 수 없는 정겨운 장면이다.

언제나 갈등 당사자들이 만나서 평화로 가는 길을 논의할 때, 어떤 지배와 피지배의 논리가 아니라 서로 살리고 존중하는 맘으로 이야기를 주고받는다면 그것이야말로 참의 길로 접어든 놀라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정치노선의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평화롭고 전쟁 없이 함께 살아야 한다는 참의 자리에서 다툼 없는 이야기를 속 열어놓고 나누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핵무기를 가질 필요도 없고,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체제가 위협받을 필요도 없고, 사람들이 살아가기에 몹시 어려운 경제제재를 펼칠 필요도 없다. 참의 자리는 단순한 자리다. 참의 자리에서 본다면, 언젠가는 국경이라는 것이 묽어지다가 사라지고, 국가나 민족이나 종파라는 것들도 묽어졌다가 사라질 것이다.

모든 정책들과 실천은 바로 이러한 참의 자리로 가고 있는 한 여정에 있다는 생각으로 펼쳐지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유튜브] [카카오채널]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서울신문] 북한, 일본 향해 “동북아 평화 파괴하는 악성종양” 비판



[서울신문] 북한, 일본 향해 “동북아 평화 파괴하는 악성종양” 비판
북한, 일본 향해 “동북아 평화 파괴하는 악성종양” 비판

입력 : 2019-07-02 10:44 ㅣ


▲ 지난 4월 1일 일본 도쿄 총리 공관에서 새 연호 ‘레이와’(令和)를 발표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 2019.5.3 서울신문 DB



한국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소재·부품 수출 제한 조치에 나선 일본이 북한을 겨냥해서도 새 미사일방어(MD) 체계 배치를 추진 중이다. 이 사실이 전해지자 북한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악성종양”이라면서 일본을 강하게 비판했다.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총 2404억엔(약 2조 6000억원)을 들여 새 요격미사일 체계인 ‘이지스 어쇼어’ 2기 도입을 추진 중이다. 일본 방위성은 2023년부터 운영한다는 목표로 일본 북서쪽의 아키타현과 남서쪽의 야마구치현 육상자위대 훈련장을 골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일 논평을 통해 “일본에 배비(배치)되는 이지스 어쇼어는 명실공히 조선반도(한반도)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도 겨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군사 대국화를 기어이 실현하려는 일본 반동들의 발악적인 책동의 일환”이라고 지적했다.

노동신문은 “일본은 지난 세기 전반기 아시아 나라들에 전쟁의 참화를 들씌웠던 전범국이며 그러한 반인륜범죄를 저지른 대가로 패망의 쓴맛을 본 패전국”이라면서 “과거의 전철을 밟겠다는 것을 노골적으로 주장하는 것과 같다”면서 일본의 이지스 어쇼어 배치는 “결코 수수방관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702500037&fbclid=IwAR0rOgldIkdkbodiA2UXAK7WwbKky4s5KfQ_3VHMVioOhQ0BnZfrHI8cG10#csidx28c3ee185ee0a4f905eeadc44142229

"이제 가장 효율적인 건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 - 오마이뉴스



"이제 가장 효율적인 건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 - 오마이뉴스




"이제 가장 효율적인 건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박종철 경상대 교수 "판문점 회담은 문재인 대통령-시진핑 주석의 중재 결과"
19.07.02 11:51l최종 업데이트 19.07.02 11:51l
윤성효(cjnews)


하노이 합의 불발 이후 남북·북미 관계가 교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30일 판문점에서 함께 만날 거라고 예측했던 사람들은 많지 않다.

당일 문 대통령이 "판문점에 초대를 받았다"고 공개하기 전까지만 해도, 미국·한국 언론이며 학자와 전문가들도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내비추면서도 '설마'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그런데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을 보름 전부터 전망했던 학자가 있다. 경상대 국제지역연구원 통일평화연구센터 원장 겸 소장인 박종철 교수(일반사회교육학과)다. 그는 중국, 일본 등에 상당한 네트워크가 있는 중국문제전문가다.


지난 6월초,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고,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박 교수는 이후부터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만남을 예측했다. 박 교수는 6월 16일 <고발뉴스> 이영광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 만날 가능성 아직 있어"(6월 27일 보도)라고 했고, 6월 19일 <뉴스공장>에 출연해 비슷한 언급을 했다.

그리고 박 교수는 6월 24일 <프레시안> 기고문을 통해 "조심스레 고개 드는 '남북미 3자 판문점 정상회담' 전망"을 내놓았다. 박 교수는 이 기고문에서 "우리 정부는 평화 협상에 북미를 끌어들일 좋은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며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이 만나는 '남북미 정상회담'도 하나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물론 어려운 일이지만 기대는 해 볼만 하지 않을까. 이번 기회를 놓친다면 또다시 이런 기회를 포착하는 데 몇 달의 시간이 흐를 것이다. 시간은 평화 세력의 편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우리는 '세기의 협상'을 만들어 내야 한다. 6월 판문점 남북미 정상회담, 혹은 7~8월 중 제3차 북미 정상회담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설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중재"


▲ 박종철 경상대 교수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박종철 교수는 1일 <오마이뉴스>와 전화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이 역사적 결단을 한 주인공으로 보이지만, 이번 판문점 만남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설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중재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평화는 우연히 얻어지는 것이 없다. 수십 년 지난 후 최고기밀문건이 공개되면 알겠지만, 역사적 우연이라고 생각한 많은 것들이 훗날 보면 사실 평화설계자의 기획인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는 "수많은 우연의 연속이 필연으로 전환되어 역사의 순간까지 되는 것은 드문 경우이지만, 이러한 필연이라는 역사의 흐름을 만드는 설계가 있는 경우도 있다"며 "이번 판문점 정상회담은 그런 역사적 평화설계가 있었고, 지난 몇주 간 문 대통령은 북유럽과 청와대 회견에서 그런 암시를 주고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만약 보안이 깨졌다면 이번 역사적 리얼리티쇼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사실 이번 작전의 시발점이 G20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을 초대하는 것이었는데, 강효상 의원의 '정상회담 극비자료 유출사건'으로 무산될 뻔했다"는 말도 했다.

박 교수는 "판문점 회동이 끝나고 나니까 다들 자기들도 전망했다고 하는데, 그 전에 예측한 학자는 많지 않은 듯하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부터 분석했던 것. 박 교수는 "우리가 미국의 첨단무기를 사고, 미국에 대한 투자를 하기로 되어 있었다. 이번에 방한을 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줄 선물은 이미 다 주었다고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6월 30일이면, 미국은 이미 대통령 선거 국면에 들어선 것이다. 이런 미국국내일정을 고려하여 문 대통령이 그랜드 평화설계를 하고, 시진핑 주석도 평양답방에서 김 위원장을 상대로 압박과 설득을 병행하고, 트럼프 대통령을 G-20에서 만나 북 상황을 설명한다면 유리한 국면이 있다고 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평양~대련 항공노선을 단순히 보면 안 된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평양~대련 항공노선 개설이 중요하다고 했다. 박 교수는 "트럼프 입장에서는 '영변+α'의 일부를 받아낸 것이고, 북에도 선물을 줘야 하는데 제재 틀 내의 비무역분야, 무역과 항공노선 개설이다. 평양~대련 노선을 단순히 보면 안된다"고 했다.

그는 "2017년 5개 안보리의 제재 결의안은 문제점이 있다. 핵과 미사일을 저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북 내부의 중하층을 빈곤하게 하고 있다. 민생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 민생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제재 틀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비무역 수단이 관광인 것이다"고 했다.

이어 "현재 경제제재는 무역제재로 대북 무역의 80%를 감소시켰다. 2018년 북중무역액은 불과 8000억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평양~대련 노선을 개설한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간 북측에 800억 원의 수출효과를 내는 것이다. 이는 2018년 북중무역액의 10%에 해당한다. 만약 관광인원이 100만 명이 증가하면, 연간 무역액 8천억 원은 쉽게 넘어서게 되는 것이다. 이는 시진핑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문제해결을 위한 묘수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노동신문>과 <조선중앙방송>을 보면, 우리가 자주성이 없다고 비난한다. 우리가 북에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을 열어줄 것처럼 해서 협상을 유도 했는데, 이게 되지 않으니까 북 입장에서 보면 섭섭했던 것이다"고 했다.

이어 "북 입장에서는 민족 공조를 하기로 해놓고 사소한 문제까지 미국 허락을 받는다고 보고 있는 것인 것 같다. 아마도 북 안보라인의 판문점 회담 준비를 국장급에서 잘 모르는 것 같고, 비판하는 매체가 다행히 당의 핵심기관지가 아니거나 혹은 미국국장 정도인 듯"이라고 덧붙였다.


하노이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 박 교수는 "그 회담의 결렬 책임은 트럼프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국내정치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며 "하노이 회담 당시 플랜B가 없었다. 비건-김혁철 특별대표가 큰틀의 합의해 놓고, 뮬러 특검 등의 이유로 미국이 변칙적으로 본 협상장에서 '+ α'를 요구한 것이다"고 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충격에 빠졌다. 대미 강경파의 입장을 고려하여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선제적으로 미국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게 굉장히 어려웠다. 남북과 북미가 곧바로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돌파를 만드는 게 좋은지, 90% 학자들은 앞으로도 두세 달 냉각기가 이어지고, 하반기에나 남북-북미 정상회담이 될 것으로 봤다"고 덧붙였다.

그는 "저는 이게 학자들의 '상상력 빈곤'이라 본다. 확증편향의 오류에 빠지면 현상을 단편적이며 자기중심적으로 보게 된다. 기밀해제 문건을 많이 보는데, 우리는 아는 사실과 역사적 진실이 다른 경우가 많다"고 했다.

"새로운 방식 시작됐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에서 교착 상태인 북미 대화를 재개하기로 합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통신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것으로,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 앞에서 대화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
ⓒ 조선중앙통신

관련사진보기

박 교수는 "새로운 방식의 설계와 중재가 시작된 것이다. 즉 남북-북미가 동시에 만나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상 남북미 만남과 제3차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 가능성도 내다봤다. 박 교수는 "가장 효율적인 것은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위기에 몰리거나 지지율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때, 이번 판문점 회담처럼 미국인 주목을 집중하는 방법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이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악수하면서 '영변+α'를 대중 앞에서 약속할 수 있다. 그것은 북한의 '핵 리스트 공개 혹은 추가 농축설비의 파기'일 수 있다. 미국으로 상응조치로 안전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박종철 교수는 "이제는 남북 관계 회복을 위한 남북 민간교류를 전면적으로 허용하고, 제재 틀 내에서 중국과 같이 관광 등 분야와 인도주의적 교류를 재개해야 한다"라면서 "이는 남북 교착국면에 대응하는 다층적 안전장치이며 보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18) Namgok Lee - 내가 어제 나를 공자 계열이라고 느꼈던 그 공자는 어떤 사람인가? 그는 인간의 질적 진화에...

(18) Namgok Lee - 내가 어제 나를 공자 계열이라고 느꼈던 그 공자는 어떤 사람인가? 그는 인간의 질적 진화에...






Namgok Lee
8 hrs ·



내가 어제 나를 공자 계열이라고 느꼈던 그 공자는 어떤 사람인가?

그는 인간의 질적 진화에 대한 신념을 평생 간직한 사람이다.
그는 계급적이고 신분적인 바탕에서 쓰였던 '군자'라는 말을 그 것으로부터 해방하여 신분 계급을 떠나 누구라도 그가 획득한 인간의 질적 진화의 정도로 이 말을 사용하였다.
이 자체가 조용(?)하고 평화적인 혁명이었다.
그는 사람을 나누는 고정된 틀로 이 말을 쓰지 않았다.
그 스스로도 자신이 말하는 '군자'에 턱없이 못미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내가 요즘 21세기에 보내는 공자의 메시지라는 제목으로 이야기하는 세번째 주제가 '군자의 현대적 의미는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다'이다.

공자의 '도'는 그야말로 길이다.
인간의 정신적 목표들이 인간의 정치적ㆍ사회적 현실과 따로 놀지 않고, 일치시키려는, 그것을 현실 속에서 구체화ㆍ사회화ㆍ보편화하려는 노력을 성패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추구하였다.
추상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이며 현실과 분리되어 이원화된 그런 '도'가 아니었다.

내가 보기에는 21세기는 과거 축의 시대 인류의 선구자들이 보았던 그 인간 자체의 진화라는 목표들이 현실적이고 보편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여러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는 시대로 보인다.
'진보'의 목표가 무엇인가?
이 점을 놓친다면, 무엇이 진보인가?

나는 50대의 대부분을 무소유사회의 실험에 동참하였다.
그것을 창안한 사람이 야마기시 미요조(1901~1961)다.
그 또한 인간의 정신적 진화의 목표를 분명히 했지만, 크게 집중한 것이 그 것을 인간 사회에 어떻게 구체화ㆍ현실화할 것인가였다.
그가 죽은 후 '실현지 방식'의 실천이 진행되었는데, 결과적으로 성급한 실현지 방식이 인간과 사회의 현실로부터 떨어져 보편화의 길을 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떠났다.
그러나 야마기시는 내 마음 속에 살아 있다.

나는 공자를 좋아한 사람이 아니었다.
예순이 넘어 '논어'를 접했다.
아마 전통적인 방식으로 논어를 학습했다면 보이지 않았을 보배들이 보여왔다.
나중에 알았지만 많이 달랐다.
요즘 크릴의 공자를 꼼꼼이 보고 있는 것도 그것을 발견하는 기쁨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공자에 반한 것을 보면 나는 아마 그 계열에 속하는 사람인 것 같다.

새벽의 단상이다.




55You, 박정미, Jae Hyoung Lee and 52 others

5 comments

LikeCommentShare

Comments


정학철 南谷, 맞네. 남곡은 매우 선진적, 진보적인, 멋있는 공자 계열로 보이네..ㅎㅎ
1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Reply
· 6h

정학철
Hide or report this

1


Like
· Reply
· 6h

정학철 replied · 2 replies 5 hrs


Sejin Pak "인간의 질적 진화"의 "진화"의 의미가 진화론의 진화가 아니고 영어로 하면 perfectability 완전성, 완전하게 할 수 있음, 이라고 한다면, 영어 세계에서는 공자는 perfectability of men 인간의 완전성을 믿었다고 하는데, 그 면을 보자면 서양의 계몽주의, 계몽사상 enlightenment thought에서도 역시 perfectability of men 인간의 완전성을 믿었다고 하지요. 이 면에서 만이 아니라 진보 progress라면 역시 계몽주의의 시대의 대표적인 믿음인 것이 보입니다. 이렇게 보자면 동서양의 사상에 공통점이 더 많이보이네요.

알라딘: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알라딘: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지구/목성 마우스 패드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신경 정치학부터 통계 물리학까지 인간에 대한 과학
이명현, 김상욱, 강양구, 정재승, 김범준, 황정아, 오현미, 임항교, 최정규 (지은이) 사이언스북스 2019-05-31
404쪽
148*220mm
567g

판매가 29,700원
책소개
‘과학 수다’는 과학 기술계의 최신 이슈를 놓고 과학자들이 수다를 떨면서 직접 독자들에게 과학 지식을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된 과학 콘텐츠다. 책에 실린 수다들은 각 주제에 맞춤한 전문가를 모신 자리에서 저자 이명현·김상욱·강양구의 진행으로 이루어졌다.

「과학 수다 시즌 2」는 “우리 과학자들이 ‘애정하는’ 과학 고전은 무엇?”을 시작으로 2017~2018년에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 총 49편 분량으로 제작된 소리 콘텐츠다.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 󰡔과학, 누구냐 넌?󰡕은 「과학 수다 시즌 2」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그램 SETI의 한국 책임자였으며 과학 책방 갈다의 대표인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 사전 시즌 3」로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물리학자 김상욱 경희 대학교 교수, 지식 큐레이터로 각 매체에서 활약 중인 강양구 기자가 저자로 참여했다.
접기



목차


프롤로그 | 한국의 대통령에게 과학이 필요한 이유 (김상욱)



1장 신경 정치학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정재승)

2장 통계 물리학 | 통계 물리학이 인간 세상을 본다면 (김범준)

3장 과학과 여성 | 여성으로 과학한다는 것 (황정아)

4장 페미니즘 | 진화론은 페미니즘의 적인가 (오현미)

5장 초유기체 | 보라, 초유기체의 경이로운 세계를 (임항교)

6장 진화 경제학 | 경제가 진화를 만났을 때 (최정규)



에필로그 | ‘과학 수다’가 바꾸는 세상 (강양구)


--------------------------

저자 소개

지은이: 이명현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과학, 누구냐 넌?>,<과학자의 책장>,<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 총 41종 (모두보기)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 조직 위원회 문화 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했고 한국형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SETI KOREA)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했다. 현재 과학 저술가이자 과학 책방 갈다의 대표로 활동 중이다. 『빅히스토리 1: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와 『이명현의 별 헤는 밤』, 『과학하고 앉아 있네 2: 이명현의 외계인과 UFO』를 저술했다.



지은이: 김상욱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과학, 누구냐 넌?>,<대통령을 위한 뇌과학>,<떨림과 울림> … 총 41종 (모두보기)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쿄 대학교, 인스부르크 대학교 방문 교수를 역임했다. 주로 양자 과학, 정보 물리를 연구하며 60여 편의 SCI 논문을 게재했다. 저서로 『김상욱의 양자 공부』, 『떨림과 울림』, 『김상욱의 과학 공부』 등이 있다. tvN 「알쓸신잡 시즌 3」 등에 출연하며 과학을 매개로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자다.



지은이: 강양구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과학, 누구냐 넌?>,<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 총 48종 (모두보기)
연세 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2017년까지 《프레시안》 과학·환경 담당 기자로 황우석 사태 등을 보도했고, 앰네스티 언론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 『세 바퀴로 가는 과학 자전거 1, 2』,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 등이 있다. 현재 팩트 체크 미디어 《뉴스톱》의 팩트체커로 활동하면서, 지식 큐레이터로서 「YG와 JYP의 책걸상」을 진행하고 교통방송 「색다른 시선, 이숙이입니다」, SBS 라디오 「정치쇼」 등에서 과학 뉴스를 소개하고 있다.



지은이: 정재승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십 대를 위한 미래과학 콘서트>,<열두 발자국> … 총 132종 (모두보기)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 대학교 의과 대학 정신과 박사 후 연구원, 고려 대학교 물리학과 연구 교수,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 대학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의사 결정 신경 과학, 뇌-기계 인터페이스, 뇌 기반 인공 지능이다. 저서로 『열두 발자국』,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1.4킬로그램의 우주, 뇌』(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김범준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살아보니 행복은 이렇습니다>,<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 총 15종 (모두보기)
서울 대학교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웨덴 우메오 대학교와 아주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복잡계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세상물정의 물리학』, 『복잡계 워크샵』(공저)이 있으며,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56회 한국 출판 문화상 저술 교양 부문을 수상했다. 《한겨레》와 《조선일보》 등에 칼럼을 연재했다.



지은이: 황정아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학자를 울린 과학책>,<우주 날씨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 총 5종 (모두보기)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과학 기술 연합 대학원 대학교(UST) 천문 우주 과학 캠퍼스 대표 교수를 맡고 있다. 국가 우주 위원회 위원이며 한국 과학 창의 재단 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3년 ‘올해의 멘토’로 미래 창조 과학부 장관 표창을 받았으며 2016년 ‘한국을 빛낼 젊은 과학자 30인’에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우주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공저)이 있다.



지은이: 오현미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 가족과 성욕을 둘러싼 쟁점들> … 총 2종 (모두보기)
서울 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진화론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과 수용’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 과학 기술 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며 서울 대학교 여성 연구소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페미니즘의 평등과 차이 문제, 페미니즘 담론 발전의 자원으로서 진화론을 탐색하는 진화론적 페미니즘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다윈과 함께』(공저), 『우리 시대 인문학 최전선』(공저) 등이 있다.

---------------------------

지은이: 임항교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 총 2종 (모두보기)
서울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2006년 미국 캔자스 대학교에서 곤충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잉어과 외래위해어종 퇴치를 위해 성 페로몬과 연관된 생리, 행동, 생태 특성 및 그 응용 방법을 연구했으며 세인트 토머스 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를 지내고 현재 메릴랜드 노트르담 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있다. 옮긴 책으로 『초유기체』가 있다.



지은이: 최정규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이타주의자>,<예외> … 총 31종 (모두보기)
서울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 대학교 경제 통상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진화 게임 이론을 바탕으로 제도와 규범, 인간 행동을 미시적으로 접근하고 설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타적 인간의 출현』, 『게임이론과 진화 다이내믹스』, 『지식의 통섭』(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다윈주의 좌파』, 『승자의 저주』(공역) 등이 있다.

--------------------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 15명이 펼치는
본격 사이언스 토크

■ “현대인의 필수 교양, 과학 수다!” ― 김상욱 (경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과학 수다’에는 세 명의 질문자가 있다. 과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각자 다른 길에 서 있는 세 사람이 질문을 한다. 우리의 질문에는 질문을 던지기 위해 들인 투자와 노력이 깃들어 있다. 잘 준비된 질문은 마중물이 되어, 대중과의 접촉이 많지 않아서 일상의 언어로 자신의 과학 이야기를 잘 쏟아 내지 못하는 과학자들에게서 경이로움의 장면을 뽑아내곤 한다.”―이명현, 프롤로그 「내일은 내일의 ‘과학 수다’를」 중에서

2015년 출간된 『과학 수다』가 “수다의 시대”를 선언한 이래로 대한민국은 전례 없는 과학 수다의 시대를 맞았다. 과학자가 텔레비전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 대중에게 과학을 이야기하는 일이 낯설지 않게 여겨지는 시대다. 이렇듯 과학을 매개로 대중과 활발하게 접점을 만들어 온 과학자들의 선두에 『과학 수다』의 세 저자와 열두 게스트가 있다.
이들과 함께 ㈜사이언스북스가 과학 수다 3권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 과학 수다 4권 『과학, 누구냐 넌?』을 출간한다. ‘과학 수다’는 과학 기술계의 최신 이슈를 놓고 과학자들이 수다를 떨면서 직접 독자들에게 과학 지식을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된 과학 콘텐츠다. 이 책에 실린 수다들은 각 주제에 맞춤한 전문가를 모신 자리에서 저자 이명현·김상욱·강양구의 진행으로 이루어졌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던지고 이야기를 이끄는 ‘수다’ 형식은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존 과학 콘텐츠의 한계를 탈피하고자 했다. 『과학 수다』 1, 2권은 2015년 6월에 출간된 바 있다. 「과학 수다 시즌 2」는 2017년 3월 22일 “우리 과학자들이 ‘애정하는’ 과학 고전은 무엇?”을 시작으로 2017~2018년에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 총 49편 분량으로 제작된 소리 콘텐츠다.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 『과학, 누구냐 넌?』은 「과학 수다 시즌 2」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그램 SETI의 한국 책임자였으며 과학 책방 갈다의 대표인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 사전 시즌 3」로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물리학자 김상욱 경희 대학교 교수, 지식 큐레이터로 각 매체에서 활약 중인 강양구 기자가 저자로 참여했다. 과학 대중 강연을 접하기 어려운 제주로 『과학 수다』의 저자들이 찾아가 강연을 펼치는 과학 대중화 캠페인 「과학 수다가 만나러 갑니다 시즌 2: 2019 제주 북드림 과학 수다 콘서트」를 비롯, ‘과학 수다’를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를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증거에 의존해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했지만, 정확한 증거를 얻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아는 것이야말로 과학의 시작이다. 과학은 법칙에 근거해 정확한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부정확한 증거를 가지고 최선의 추론을 하는 것이다. 대통령은 확신하는 과학자보다 한계를 명확히 제시하는 과학자를 신뢰해야 한다.”―김상욱, 프롤로그 「한국의 대통령에게 과학이 필요한 이유」 중에서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과 『과학, 누구냐 넌?』은 각각 ‘인간에 대한 과학’과 ‘최첨단 과학’이라는 주제로 「과학 수다 시즌 2」를 이분해 수록하고 있다. 먼저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에서는 신경 정치학과 통계 물리학, 진화 경제학 등 자연 과학의 방법론으로써 인간을 탐색하는 학자들을 모시고 수다를 나누었다.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부터 김범준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황정아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 연구원, 오현미 서울 대학교 여성 연구소 객원 연구원, 임항교 메릴랜드 노트르담 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진화 게임 이론’을 전공하면서 최정규 경북 대학교 경제 통상학부 교수까지 각 분야 최고 전문가를 모신 자리에서 인문학과 자연 과학의 이분법을 넘어서 사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과학, 누구냐 넌?』은 중력파 검출기나 극저온 전자 현미경, CRISPR 유전자 가위 등 과학계를 뜨겁게 달군 사건들의 전모를 파헤치는 수다를 담았다. 어떤 연구가 노벨상을 받는 등의 이유로 화제가 될 때는 많아도, 이 연구의 과학적 원리와 함의까지 전문가에게 정확히 듣는 일은 드물었다. 『과학 수다』 4권은 오정근 국가 수리 과학 연구소 선임 연구원, 이현숙 서울 대학교 생명 과학부 교수, 박권 고등 과학원 물리학과 교수, 최준영 국립 부산 과학관 선임 연구원, 김종엽 건양 대학교 이비인후과 교수, 송기원 연세 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를 모시고 떠들썩한 사건들의 중심으로 파고들었다.

과학 수다와 함께라면
당신도 언제 어디서나 과학을 말할 수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후보를 지지자들이 볼 때 뇌에서는 마치 사랑에 빠진 사람이 애인을 볼 때와 유사한 일이 벌어지더라는 겁니다.”―정재승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사서 갖고 있으면 미래에 수익률이 떨어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을까?’라는 물음은 구체적이고 과학적이지요.”―김범준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1장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은 2017년 한국에서 치러진 제19대 대선 당시 정재승 교수가 수행한 ‘부동층의 표심 읽기’ 연구를 담았다. 2016년 미국에서 치러진 대선은 ‘부동층’, ‘샤이 지지층’을 파악하는 일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심리학과 뇌과학 연구가 우리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대해서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지, 또 이 이야기에는 어떤 함의가 있는지를 실제 연구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장 「통계 물리학으로 인간 세상을 본다면」은 물리학으로 규명될 리 없어 보이던 인간 세상 읽기에 나선 한 물리학자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다. 통계 물리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커피 전문점과 학교의 배치 문제와 촛불 집회 참가 인원 추산법, “주식 투자의 마스터 법칙” 등을 연구한 김범준 교수와의 대화를 듣다 보면, 과학자 또한 과학을 갖고 사회를 논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여성으로서 목소리를 내기 너무 어렵습니다. 소수인 데다, 의사 결정을 하는 위치에 있는 여성이 아무도 없으니까요.”―황정아

“진화론과 페미니즘이 우리 시대에는 어떠한 관계를 맺을 것인가를 놓고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해 볼 수 있겠다.’라고 생각했어요.”―오현미

3장 「여성으로 과학한다는 것」에서는 황정아 박사와 함께, 낙관적이지만은 않은 한국 과학계의 현실을 진단한다. 연구 인력이 부족한 탓에 한 사람이 여러 연구를 동시에 수행할뿐더러, ‘유리 천장’이 있어 여성 과학자에게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이 우리 과학계의 현실이다. 이 장에서는 황정아 박사의 연구를 듣는 동시에, 과학계의 젠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본다. 

4장 「진화론은 페미니즘의 적인가」에서는 진화론과 페미니즘이 맺어 온 관계의 변천사를 짚어 본다. 진화론과 페미니즘은 반목만 거듭했으리라는 통념과 달리, 둘은 시대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이 장에서는 오현미 박사와 함께 이들의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해 살펴보고, 진화론적 페미니스트들의 활약상을 확인하며, 이들의 연구가 현대 한국 사회에는 어떤 함의를 줄 수 있는지까지 수다로 나누었다.

“에드워드 윌슨이 던진 큰 화두, ‘다수준 선택론’이 부상할지 침몰할지를 규명하는 일은 다음 세대의 책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임항교

“사람들을 이기적이라고 가정하고 제도를 운영했더니, 이기적이지 않던 사람들까지도 대놓고 이기적으로 행동하게 되더라는 겁니다.”―최정규

5장 「보라, 초유기체의 경이로운 세계를」은 사회성을 지닌 개체들이 모여서 이룬 하나의 생물학적 조직 단위로서 ‘초유기체’를 소개하는 장이다. 이 장은 세계적인 개미 연구자 에드워드 윌슨과 베르트 횔도블러가 『초유기체』에서 제시한 ‘진사회성’과 ‘초유기체’를 소개하는 한편, 자연 세계에서 흔치 않은 이 현상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놓고 진화 과학자들이 벌여 온 논쟁을 개괄한다. 

6장 「경제가 진화를 만났을 때」는 진화 생물학을 경제학에 접목해 ‘진화 게임 이론’을 연구하는 경제학자 최정규 교수와 이야기를 나눈다.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세일러의 연구 분야인 행동 경제학 또한 살펴볼 이 장은 인간 본성을 고려하는 새로운 경제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다.
접기

하버드 졸업 30주년 동문회에 다녀와서



하버드 졸업 30주년 동문회에 다녀와서



하버드 졸업 30주년 동문회에 다녀와서

2019년 7월 1일 | By: ingppoo | 세계 | 댓글이 없습니다

* <애틀란틱>에 글을 기고하는 데보라 코파켄이 지난해 10월 쓴 글입니다.

총동문회가 열린 건 언론에서 ‘하버드 입학차별 소송’이라고 이름 붙은 소송의 재판이 시작되기 전 주말이었습니다. 1988년에 학부를 졸업한 (우리 식으로는 84학번) 동문 597명이 선·후배들과 함께 대형 강의실에 앉아 로렌스 바카우 신임 총장의 연설을 들었습니다. 바카우 총장은 하버드가 학생을 뽑는 데 있어 다양성의 가치를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설을 녹음해서 다시 듣고 쓰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전국, 아니 전 세계 모든 학교의 최우수 학생이나 SAT 만점자들로만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건 하버드답지 않다. 앞으로도 하버드는 그렇게 할 생각이 추호도 없다.

사실 나는 하버드가 인종이나 계급 말고도 지역, 정치 성향, 관심사, 전공 분야, 가치관 등에서 실로 다양한 학생들을 성공적으로 뽑아 잠재력을 꽃피우는 장을 성공적으로 제공해왔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도 학부 시절 4년의 기억이 아름답게 남아있는 가장 큰 이유는 함께 공부하고 고민을 나누던 친구들이 누구 하나 똑같지 않고 다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부모가 돈이 많아서 학교에 건물을 지어주면 그 자녀가 입학 과정에서 가산점을 받는다는 사실이 마음에 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기부받은 돈으로 연간 가계소득이 6만5천 달러(우리돈 7500만 원)에 못 미치는 집안의 학생들에게 전액 장학금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또 그런 식으로 기부 입학과 가계 소득을 바탕으로 장학금을 운용하는 것이 많은 명문 대학의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을 생각하면 필요한 제도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제는 전체 학생 가운데 여학생이 절반인데도 하버드를 대표하는 응원가가 아직 “Ten Thousand Men of Harvard”라는 것도 당연히 탐탁지 않습니다. 그래도 노래의 첫 음만 들어도 30여 년 전의 아련한 추억에 잠기는 것도 어쩔 수 없는 반응이었습니다.

소위 명문가 아니면 부잣집 출신의 남학생들만 가입할 수 있던 동아리인 하버드 파이널 클럽(final clubs)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는 건 사실 하버드 응원가가 아직 불리는 것보다 몇십 배는 더 큰 충격이었습니다. 학교 측은 소송에 대비해 몇 가지 제약을 엄격히 적용하는 조건으로 클럽을 해산하지 않았습니다. 30년 전에는 파이널 클럽이 지금보다 훨씬 더 활발하게 운영됐는데, 어쨌든 열심히 클럽 활동을 한 친구 중에 내가 좋아하던 친구들이 있던 것도 사실입니다.

흔히 서로 대립하는 생각을 동시에 아우르며 목표에 이르는 길을 찾는 능력을 지능(intelligence)이라고 합니다.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교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가 학생들이 바로 그 지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하버드도 그 목표를 충실히 이행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주의와 분열의 언어가 횡행하는 지금은 하나의 사안을 정반대 관점에서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절입니다. 파시스트들이 권력을 잡으면 가장 먼저 (지능을 갖춘) 지식인 집단의 입에 재갈을 물리려 한 이유는 너무나도 자명합니다.

나는 다양성이 가져다주는 놀라운 혜택과 효과를 믿습니다. 이민자 출신 학생이 하버드 전체 평균에 못 미치는 SAT 점수를 받고 지원했더라도 예를 들어 15학번인 탕큐디엡(Thang Q. Diep) 같은 학생이라면 뽑는 것이 하버드의 가치에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또한, 다양성에 가산점을 주는 학생 선발 기준 때문에 나와 같은 유대인 학생들의 숫자가 제한됐다는 점도 알고 있습니다. 사실상 역차별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나는 내가 하버드에서 배운 ‘지능’을 동원해 다양성이라는 가치와 나와 비슷한 이들이 겪을 수도 있는 난처한 상황을 지혜롭게 병치하고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에서의 다양성을 피부색과 인종의 다양성으로만 이해하려는 것은 대단히 편협한 접근입니다. 하버드가 추구하는 다양성이란 모든 정치적 성향을 아우르는 다양한 교육법과 사고방식, 가치관을 통해 우리 모두 각자 개성이 있고 다르지만, 동시에 대단히 비슷한 점도 많고 통하는 것도 수도 없이 많다는 사실을 가르치는 일입니다.

1988년에 하버드를 졸업한 우리들은 같은 시기에 함께 수학했고, 하버드를 거치며 수많은 기회를 얻게 됐습니다. 그런데 졸업한 지 30년이 지나 동기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니 출신 배경, 현재 수익, 피부색, 종교, 건강, 직업, 가족, 어떤 삶을 살았는지 등 우리를 서로 구분 짓게 해주는 것들은 별 의미가 없었습니다. 우리 모두 공통으로 겪는 ‘당면 과제’들은 인간으로서 겪게 되는 보편적인 문제에 관한 것들이었습니다.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는, 아니 대학을 다녔는지 자체도 결국, 인간의 유한한 삶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 앞에 서게 되면 실제로 그게 뭐 대수일까요? 어쨌든 하버드를 졸업한 지 30년이 지나 다시 만난 동기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느낀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하버드 졸업생이라서 특별한 점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은 이만큼 인생을 산 사람들이라면 고개를 끄덕일 만한 교훈이었습니다.


인생을 정확히 계획한 대로 살아낸 친구는 한 명도 없었습니다. 아무리 꼼꼼하게 계획을 짜는 사람이라도 ‘예정에 없이 찾아오는’ 일을 겪지 않은 사람은 없었습니다.
직업에서는 선생님이나 의사가 된 친구들이 대체로 행복해 보였습니다.
변호사들은 대체로 행복하지 않거나 다른 직업을 찾고 싶어 했습니다. 다만 로스쿨 교수가 된 친구들은 대체로 직업에 만족해했습니다. (2번에서 언급했듯 선생님이라는 직업에 무언가 비결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은행이나 펀드매니저 등 금융권에서 일한 친구들은 그동안 모은 재산을 어떤 식으로든 사회에 환원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미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놓은 친구도 있었고, 아직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지는 정하지 않은 친구도 있었습니다. 아직 월스트리트에서 일하는 친구들은 거의 예외 없이 하루빨리 직종을 바꾸고 싶어 했습니다. 금융권에서 일하는 친구들이 가장 많이 꿈꾸는 분야는 예술 쪽이었습니다.
넓게 잡아 예술 분야에서 일한 친구들은 대체로 행복한 삶을 살았다고 말했습니다. 그 가운데 큰 성공을 거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다만 예술 분야에서 일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는 친구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총동문회 직전에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재산이 많을수록 스스로 행복하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같은 설문조사 결과 하버드 84학번 동문이 가장 채우고 싶은 욕구는 수면욕이었습니다. 잘 자는 일은 섹스나 돈보다 더 중요했습니다.
우리가 학교에 다닐 때 애창곡인 토킹 헤즈(Talking Heads)의 “Burning Down the House”가 1학년 기숙사에 울려 퍼졌는데, 다들 35년 전을 생각하며 즐거워했습니다.
신입생 때는 가장 많이 부끄러움을 타며 잘 나서지 않던 친구들이 신기하게도 동창회 간부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친구들이 없었다면 이번 동문회를 조직하고 성사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을 겁니다.
이혼한 친구들은 대체로 이혼한 뒤의 삶에 만족했습니다.
그러나 원치 않은 이혼을 한 친구들은 이혼한 뒤 삶이 훨씬 힘들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오랫동안 결혼생활을 유지해온 친구들은 결혼 후 어느 시점에 부부 관계가 성숙한 관계로 접어드는 계기나 전환점이 있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한 친구는 내게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아 상담을 받던 중에 답답한 마음을 담아 “나도 진짜 최선을 다하고 있단 말이야!”라고 소리를 질렀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 당연하지만 중요한 사실을 깨닫고 자기를 더 잘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바로 아내가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그건 남편을 괴롭히려는 것이 아니며, 그 부족한 점이 남편의 잘못이 아니라는 사실이었습니다. (반대도 마찬가지겠죠)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어쩌면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이 우리를 온전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는지도 모릅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부대끼는 부부는 종종 이 간단하고 자명한 사실을 잊어버리곤 합니다.
거의 모든 친구들이 자기가 젊었을 때 특히 얼마나 많은 것을 사사건건 비판했는지 생각하면 놀랍도록 당황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어느덧 쉰을 넘은 우리는 “사랑해”라는 말을 훨씬 더 자연스럽게, 자주, 많이 썼습니다. 동창회에서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말도 사랑한다는 말이었습니다. 아마도 가장 가깝고 친한 이에게만 아껴서 쓸 수 있게 쟁여놓을 이유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일지 모릅니다. 또한, 오랜만에 만난 친구에게 아낌없이 나누어도 줄어들지 않는 것이 사랑이라는 것을 나이가 들며 깨달았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84학번 동문 가운데는 하원의원(Jim Himes)도 있고, 토니어워드를 받은 뮤지컬 감독이자 연출가(Diane Paulus)도 있으며, 우주에 다녀온 동문(Stephanie Wilson)도 있습니다. 그런데 직업이나 성취와 관계없이 파티나 강연, 토론에서 하게 되는 말, 찾게 되는 가치는 대체로 보편적인 가치로 수렴하는 것 같습니다. 사랑, 안식, 지적 자극, 훌륭한 리더십, 지속가능한 환경, 우정, 안정 같은 것들 말입니다.
아이를 낳고 부모가 된 이들은 그 결정을 잘한 일이라며 만족해했습니다. 일부러 자녀를 낳지 않은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반대로 아이를 낳고 부모가 되지 않을 것을 후회하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첫 신입생 기숙사 룸메이트와 술집에 가서 같이 한잔하는 일은 졸업하고 30년이 지나서 하니 훨씬 더 재밌었습니다.
가능하다면 호텔에서 자는 것보다 오랜 친구네 집에서 하룻밤 머무는 것이 어느 모로 보나 훨씬 낫습니다. 물론 새로 결혼하거나 같이 살 사람을 찾는 경우, 아니면 하룻밤 섹스를 즐길 파트너를 찾을 때는 집보다 호텔이 낫습니다.
배우자가 있는 친구들도 대부분 동문회에 혼자 왔습니다.
무릎, 엉덩이, 어깨가 성한 친구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얼굴에 나타난 혈색만 봐도 지난 30년 동안 누가 술을 많이 마셨는지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외모 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체로 준수했습니다.
소득이나 직장에서의 직책, 승진 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체로 성과가 좋았습니다. (믿기 어렵지만요!)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운 환경이 우리의 삶에 꽤 큰 걸림돌로 작용했습니다. 특히나 제대로 된 보육 시설이 없고, 유급 육아휴직 제도가 사실상 전무하던 시절, 육아를 위해 일을 포기하고 희생해야 했던 쪽은 대부분 엄마였습니다. 소득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죠.
하버드 메모리얼 교회의 종이 27번 울렸습니다. 1988년 졸업생 가운데 먼저 세상을 떠난 친구 27명을 기리는 의미였습니다. 모두 숙연해진 우리는 앞으로 30년 동안 타종해야 할 숫자가 빠르게 늘어나리라는 숙명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학부 시절 합창단원으로 활동했던 친구들이 추도식에서 자주 부르던 노래는 졸업한 뒤 한 번도 모여 연습한 적이 없어도 마치 정기적으로 공연을 했던 것처럼 합이 척척 맞았습니다. 심지어 그사이 곡이 편곡돼 예전에 부르던 노래와 달랐는데도 말이죠.
쉰이 넘으면서 우리는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너무 늦기 전에 소중한 사람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은 것 같습니다. 1학년 때 기숙사 방짝 한 명은 1984년에 내가 했다는, 나는 기억도 안 나는 어떤 일을 이야기하며 내게 고맙다고 말했습니다. 한 친구는 5년에 한 번씩 업데이트되는 하버드 동문 인명록에서 내가 한 번은 병원 응급실에 갈 때 우버 합승 서비스를 이용했다는 내용의 글을 읽었다며, 다음번에는 구급차를 타고 갈 수 있도록 자기가 돈을 내주겠다고 했습니다. 갑자기 지갑을 열고 돈을 꺼내려는 친구를 향해 나는 웃으면서 당분간 응급실 갈 일 없을 테니 걱정하지 말라며, 말만이라도 고맙다고 했습니다.
자식을 먼저 저세상으로 떠나보내야 했던 부모들도 있습니다. 그 친구가 해준 말은 우리 모두에게 특히나 깊은 울림을 남겼습니다. 하버드 15학번으로 입학했다가 지난해 여름 숨진 딸의 장례식에 상주로 선 엄마가 나와 동문이었습니다. 그 친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 아이가 미처 꽃피우지 못하고 살지 못한 나날들에 슬퍼하지 않을 겁니다. 대신 우리 아이가 누구보다도 눈부시고 찬란하게 살아낸 21년을 기억하고 감사할 겁니다.”
죽음이 머지않았다는 사실에 두려워한 적이 있는 이도 있고, 여전히 그 두려움을 떨쳐내지 못한 이도 있습니다. 이런 친구들이 동문회에서 30년 전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는 사실에 가장 행복해하는 것 같았습니다. 친구 한 명은 건강 관련 회사를 경영하다가 갑자기 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를 하며 얼굴 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래도 다행히 치료가 잘 돼 동문회에 온 친구를 본 나는 반가운 마음에 “우리 이렇게 만났네!”라고 격하게 인사를 건넸습니다. 웃음을 멈출 수가 없었습니다. 어린아이처럼 들뜬 마음을 좀처럼 가라앉히지 못한 채 우리는 계속 발가락을 꼼지락꼼지락 들썩이며 서로를 향한 반가움을 계속되는 포옹과 따뜻한 웃음으로 표현했습니다. 곧 더 많은 것이 스러지고 사라지겠지만, 이렇게 함께 있기에 그 또한 치러낼 수 있을 것만 같았습니다.
사랑만으로 모든 걸 치유하고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한 친구가 말한 것처럼 “사랑을 주고받는 것만으로도 정말 큰 힘이 됐습니다.”

(Atlantic, Deborah Copaken)

원문보기

US Ambassador to Israel Participates in Israeli Underground Settlement Expansion « Aletho News

US Ambassador to Israel Participates in Israeli Underground Settlement Expansion « Aletho News



US Ambassador to Israel Participates in Israeli Underground Settlement Expansion

IMEMC | July 1, 2019
The US Ambassador to Israel, and longtime Israeli settlement financier, David Friedman, participated on Sunday in an underground excavation under the Palestinian neighborhood of Silwan, in East Jerusalem,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llegal settlement action by bashing with a hammer a section of ancient underground wall located beneath Palestinian homes.
In addition to Ambassador David Friedman, the US “Peace Envoy” Jason Greenblatt also participated in the controversial and illegal excavation, along with Sara Netanyahu, the wife of Israeli Prime Minister Binyamin Netanyahu, who recently narrowly avoided prison time by negotiating a plea agreement in which she pleaded guilty to corruption charge.
The presence of US officials at the incident marks the first time that the US, or any country, has decided to recognize Israeli sovereignty over the Old City of Jerusalem. The Old City was declared an international space open to all during the declaration recognizing the state of Israel in 1948. But since 1967, Israeli forces have occupied the mainly Palestinian city and have used many measures, legal and illegal, to push out the Palestinian residents of the city.
This archaeological dig is to excavate a tunnel that Israeli state archaeologists claim was used by Jewish pilgrims thousands of years ago.
According to a statement by the Israeli non-profit Emek Shaveh, the group believes that this incident with the U.S. officials is “a further step in American support for the pro-settlement policy in Jerusalem, and particularly the touristic-settlement projects…. It is inexcusable to ignore the Palestinian residents of Silwan, carrying out extensive excavations of an underground city and to use such excavations as part of an effort to tell a historical story that is exclusively Jewish in a 4,000 year-old city with a rich and diverse cultural and religious past”.
In an editorial in the leading Israeli newspaper Ha’aretz, the paper’s editors write, “The participation of American diplomats at an event sponsored by a right-wing group in East Jerusalem constitutes de facto recognition of Israeli sovereignty in Jerusalem’s historic basin. If anyone had any doubts about that, Friedman made clear in an interview with the Jerusalem Post that, ‘The City of Davi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national heritage of the State of Israel.” Giving it up, even in the context of a peace agreement, he said, “would be akin to America returning the Statue of Liberty.’”
The problem with this argument, according to the editors of Ha’aretz, is that, “This recognition doesn’t just put the American administration on the extreme right of the Israeli political map – thus undercutting the claim that American can be an unbiased broker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 but it also ignores the complicated reality in Silwan, East Jerusalem and the entire region. The tunnel, which was excavated using controversial methods from a scientific standpoint, harnesses archaeology to politics while ignoring the nuances of Jerusalem’s ancient past…. Anyone having even a passing familiarity with the Palestinian people knows that there’s no chance of arriving at any kind of agreement that will end the occupation so long as Israel continues to control East Jerusalem and the Temple Mount. Thus, by mere words and an event dripping with sweetness and smiles, the administration of U.S. President Donald Trump has sentenced Israelis to a life of constant conflict, or to an apartheid state in which there are two types of residents, those with rights and those without them.”
Over 300,000 Palestinians live in the city of Jerusalem, at least 20,000 of whom live in Silwan. These Palestinians have no citizenship rights and are not granted freedom of movement by the Israeli authorities. They are frequently displaced from their ancestral homes by Israeli settlers, particularly in Silwan neighborhood, which has been targeted by Israeli right-wing settlers for col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