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7

Abu-l-Qasim Ahmad ibn al-Husayn ibn Qasi - Wikipedia

Abu-l-Qasim Ahmad ibn al-Husayn ibn Qasi - Wikipedia

Abu-l-Qasim Ahmad ibn al-Husayn ibn Qas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tatue of Ibn Qasi in Mértola, Portugal
Silver coin issued by Hamdin and Ibn Wazir, allies of Ibn Qasi.

Abūʾl-Qāsim Aḥmad ibn al-Ḥusayn ibn Qasī (died 1151) was Sufi, a rebel leader against the Almoravid dynasty in Al-Garb Al-Andalus and governor of Silves for the Almohads. 


The main sources for his life are Ibn al-AbbārIbn al-Khaṭīb and ʿAbd al-Wāḥid al-Marrakūshī. The last is the source for his biography in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Ṣafadī.[1]

He was of native Iberian stock, rūmī al-aṣl in the words of Ibn al-Abbār. He was born at Silves, but the date of his birth is unknown. His name sustains the possibility that he was a descendant of the Banu Qasi, that had once staged a rebellion against the Emirate of Cordoba.[2] According to Ibn al-Abbār, he was a minor government official at Silves, while Ibn al-Khaṭīb describes him as a spendthrift. He eventually sold all his goods, gave the money to the poor and became a murīd. He studied under Khalaf Allāh al-Andalusī and Ibn Khalīl in Niebla, although he may also have met Ibn al-ʿArīf in Almería. His main influences were the Encyclopedia of the Brethren of Purity (Ibn al-Abbār) and the works of al-Ghazālī (Ibn al-Khaṭīb).[1]

Far from the political quietism, asceticism, and mysticism of Ibn MasarraIbn Barrajān, and Ibn ʿArīf, was the strong esotericist revolutionary insurgent Ibn al-Qaṣī. His murīdūn revolt was able to capture, and create a city state (ṭāʾifa) in Silves. Even before his political uprising, he was known by the state-jurist establishment for sowering corruption, possessing the minds of the ignorant, claiming sainthood, the titles of Imām, and Mahdī all in effort against the state.

Ibn al-Qaṣī would later join the Almohads in conquering Andalus, only to later rebel against them with the help of the Christian King of Portugal, Alfonso Henrique, which caused his own followers to behead Ibn al-Qaṣī (d. 1151), shoving his head on the very lance given to him by Henrique. Ibn al-Qaṣī is most known for his treatise Discarding the Two Shoes and Borrowing Light from the Site of the Two Feet (Khalʿ al-naʿlayn wa iʾtibās al-nūr min mawḍiʿ al-qadamayn), which is influenced by Masarrian thought, amongst other undercurrents in Andalusia. Shaykh al-Akbar became familiar with this text, when he met Ibn al-Qaṣīʾs son in Tunis 1194. Ibn ʿArabī would later write a commentary (sharḥ) on the text pejoratively referring to Ibn al-Qaṣī as a blind follower (muqallid), an ignoramus (jāhil), an impostor, and nothing more than a transmitter of texts (nāqil); Ibn ʿArabī then goes on to elaborate on how Ibn al-Qaṣī was just parroting one of his teachers, Khalaf-Allāh, and that Ibn al-Qaṣī was not a muḥaqqiq, but rather an ignoramus. Although, Ibn ʿArabī did recognize him as a person of unveiling (kashf).

— Hamza A. Dudgeon, "The Counter-Current Movements of Andalusia and Ibn ʿArabī: Should Ibn ʿArabī be considered a Ẓāhirī"The Journal of the Muhyiddin Ibn Arabi Society Vol.64 (2018): 89-108.

See also[edit]

Notes[edit]

  1. Jump up to:a b Goodrich, 16–27.
  2. ^ William Elliot: The Career of In Qasi as Religious Teacher and Political Revolutionary in 12th Century Islamic Spain, University of Edinburgh, 1979 p.39

References[edit]

  • Viguera, María Jesús; Los reinos de Taifas. 2007. RBA Coleccionables. ISBN 84-473-4815-6
  • J. Dreher, ed. and tr., Ibn Qasi, Abu l-Qasim Ahmad b. al-Husayn: Kitab Khal al-Na'Layn wa-Iqtibas al-Anwar min Mawdi al-Qadamayn (Das Imamat des islamischen Mystikers, Abulqasim Ahmad Ibn al-Husain Ibn Qasi: Eine Sudie zum Selbstverständnis des Autors des Buch vom Ausziehen der beiden Sandalen) Bonn, 1985
  • J. Dreher, "L'Imamat d'Ibn Qasi à Mertola (Automne 1144-été 1145); Légitimité d'Une Domination Soufie?", MIDEO 18 (1988), pp. 195–210
  • D. R. Goodrich, dissertation, A Sufi Revolt in Portugal: Ibn Qasi and his Kitab khal'al-na'layn, Columbia University, PH D. 1978
  • Nagendra Kr Singh,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p. 34 [1] (retrieved 1-12-2010)
  • William Elliot, The Career of In Qasi as Religious Teacher and Political Revolutionary in 12th Century Islamic Spain, thesis submitted to University of Edinburgh, 1979.

Taechang Kim David Benatar, Better Never to Have Been

Facebook



Taechang Kim
oserStdopn88mh3i79288tu07h9gi01i540t295170u3c1f67f7l04347u0u ·




Taechang Kim
所謂 '反出生主義' (生まれてこないほうが良かったという考え方)を '反誕生主義' と
'反出産主義' という二つの側面から深思熟慮し、従来の生の哲学(Lebensphilosophie) とは
違う、新たな意味と問題意識を込めた <生命哲学>を
整理提示した. 反出生主義を乗り越える道開きを示した.



Takehisa Zuikou Hase ·
Follow


私の出身大学の先生もベネターの翻訳を出しておられますが、ベネターはどうやら、「苦痛」を緩和すべきというようなことを述べておられるようですね。個人的には、分析哲学的手法がもたらす、一見すると普遍的に見えますが、実は、ここでは人間像が画一化されて捉えられていて、一般化された視点から、人間存在をまりに単純化しているような、不満が残ります。また仏教との類似性も指摘される反出生主義ですが、アフリカ発というローカルな問題提起の重要性は見逃せないでしょうけれども、でも例えば、対ドイツ・レジスタンスの意識も手伝って、さらにユダヤ系心理学者フロイトの理論も意識したであろう、サルトルの『存在と無』における、サディズムやマゾヒズムの分析などを想起すると、この人新世を意識する時代に、これから我々は何を考えるのでしょうか? 

Taechang Kim

長谷 武久様のご意見に敬意を払います. わたくし自身は
19世紀のポーランド出身ドイツ人哲学者アルテイウル-ショーペンハウワや20世紀のルーマニア人哲学者エミール-ミハイル-シオラン、そして21世紀の南アフリカ出身の哲学者デイヴィビッド-ベナターなどの所謂 '誕生害悪論' との対比で
日本人哲学者森岡正博の新たな<生命の哲学>にこめられた
生命開新美学的観点と立場からの共感共鳴を顕にしたいのです.

Taechang Kim
·
わたくし自身が "生きている" ということは先ず、わたくし自身が "生きていることを知っ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
<生知一如>である.
韓国語の "サラム" (사람=ヒト-人-人間) は "サルム" (삶=生-生活-暮らし) と
"アルム" (앎=知-認識-体得) の合成語でその語源的意味は
まさに、"生きていることを知っているもの" 即ち "知生人" (homo sapiens)である.








Taechang Kim

Tim Ingold
《BEING ALIVE: Essays on Movement, Knowledge, and Description》
(Routledge, 2011)の日本語訳本. 生とか生命とは何であるかという問題よりは "生きているということ" は一体どういうことなのかという問題の方に関心を焦点化した英国人人類学者のユニークな力作.

Taechang Kim
·
今われわれに必要なのは、地球政治神学よりは、地球恩恵倫理学ではないか?
何日間、寝食まで忘れて日本内外の関連文献を渉猟して見て改めて体感したことは、人類を含め地球上のすべての存在の相恩互恵関係のなかでの感恩-知恩-
報恩の倫理を地球市民意識涵養の基本とする必要があり、それこそが地球と人類が抱えている巨大複合危機事態への最適緊急対応ではないか、というきがする.


Yoshihisa Takahashi

〈何日間、寝食まで忘れて〉:敬服、称賛しますとともに、お疲れを案じますので、御身ご大切に。

Taechang Kim

高橋 良久 ご配慮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何しろわたくし自身にとっては、どうでもよい問題ではありませんので、ある程度展望が開新するまでは緊張解消が続くわけですからどうしようもなかったのです.

Reply
See translation

===

데이비드 베네이타  위키백과

David Benatar
출생 1966년 12월 8일(56세)
성별 남성
국적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력 반출생주의
직업 학자, 교수, 작가
학문적 배경
학력 케이프타운 대학교 (BSocSc, PhD)
학문적 활동
분야 철학
하위 분야 도덕 철학, 사회 철학, 종교 철학
소속 기관 케이프타운 대학교
주요 개념 Asymmetry between pain and pleasure
데이비드 베네이타(영어: David Benatar, 1966년 ~ )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철학자다. 케이프타운 대학교의 철학 교수이자 철학과 학과장을 역임한 그는 자신이 저술한 《태어나지 않는 것이 낫다 - 존재하게 되는 것의 해악(better never to have been, 2006)》에서 반출생주의의 논거를 정리하였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태어나게 되는 것은 해악이며 따라서 출산 등 의식적인 존재를 만드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위이다.[1]

생애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생명 윤리 센터를 설립한 건강 전문가인 솔로몬 베네이타(Solomon Benatar)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사생활 보호에 철저해서 개인적인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반출생주의적 견해를 가졌다.[2]

각주
 Steyn, Mark (2007년 12월 14일). “Children? Not if you love the planet”. 《Orange County Register》. 2008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Rothman, Joshua (2017년 11월 27일). “The Case for Not Being Born”. 《The New Yorker》.
===
외부 링크
 위키인용집에 David Benatar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
Friday, December 14, 2007
Mark Steyn: Children? Not if you love the planet
By MARK STEYN
Syndicated columnist
----
This is the time of year, as Hillary Rodham Clinton once put it, when Christians celebrate "the birth of a homeless child" – or, in Al Gore's words, "a homeless woman gave birth to a homeless child."

Just for the record, Jesus wasn't "homeless." He had a perfectly nice home back in Nazareth. But he happened to be born in Bethlehem. It was census time, and Joseph was obliged to schlep halfway across the country to register in the town of his birth. Which is such an absurdly bureaucratic overregulatory cockamamie Big Government nightmare that it's surely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Massachusetts or California reintroduce it.

But the point is: The Christmas story isn't about affordable housing. Joseph and Mary couldn't get a hotel room – that's the only accommodation aspect of the event. Sen. Clinton and Vice President Gore are overcomplicating things: Dec. 25 is not the celebration of "a homeless child," but a child, period.

Just for a moment, let us accept, as Christopher Hitchens and Richard Dawkins and the other bestselling atheists insist, that what happened in Bethlehem two millennia is a lot of mumbo-jumbo. As I wrote a year ago, consider it not as an event but as a narrative: You want to launch a big new global movement from scratch. So what do you use?

The birth of a child. On the one hand, what could be more powerless than a newborn babe? On the other, without a newborn babe, man is ultimately powerless. For, without new life, there can be no civilization, no society, no nothing. Even if it's superstitious mumbo-jumbo, the decision to root Christ's divinity in the miracle of His birth expresses a profound – and rational – truth about "eternal life" here on Earth.

Last year I wrote a book on demographic decline and became a big demography bore, and it's tempting just to do an annual December audit on the demographic weakness of what we used to call Christendom. Today, in the corporate headquarters of the Christian faith, Pope Benedict looks out of his window at a city where children's voices are rarer and rarer. Italy has one of the lowest birth rates in Europe. Go to a big rural family wedding: lots of aunts, uncles, grandmas, grandpas but ever fewer bambinos.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last week carried the latest update on the remorseless geriatrification: On the Miss Italia beauty pageant, the median age of the co-hosts was 70; the country is second only to Sweden in the proportion of its population over 85, and has the fewest citizens under 15. Etc.

So in post-Catholic Italy there is no miracle of a child this Christmas – unless you count the 70 percent of Italians between the ages of 20 and 30 who still live at home, the world's oldest teenagers still trudging up the stairs to the room they slept in as a child even as they approach their fourth decade. That's worth bearing in mind if you're an American gal heading to Rome on vacation: When that cool 29-year-old with the Mediterranean charm in the singles bar asks you back to his pad for a nightcap, it'll be his mom and dad's place.

I'm often told that my demographics-is-destiny argument is anachronistic: Countries needed manpower in the Industrial Age, when we worked in mills and factories. But now advanced societies are "knowledge economies," and they require fewer working stiffs. Oddly enough, the Lisbon Council's European Human Capital Index, released in October, thinks precisely the opposite – that the calamitous decline in population will prevent Eastern and Central Europe from being able to function as "innovation economies." A "knowledge economy" will be as smart as the brains it can call on.

Meanwhile, a few Europeans are still having children: The British government just announced that Muhammad is now the most popular boy's name in the United Kingdom.

As I say, the above demographic audit has become something of an annual tradition in this space. But here's something new that took hold in the year 2007: A radical antihumanism, long present just below the surface, bobbed up and became explicit and respectable. In Britain, the Optimum Population Trust said that "the biggest cause of climate change is climate changers – in other words, human beings," and professor John Guillebaud called on Britons to voluntarily reduce the number of children they have.

Last week, in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Barry Walters went further: To hell with this wimp-o pantywaist "voluntary" child-reduction. Professor Walters wants a "carbon tax" on babies, with, conversely, "carbon credits" for those who undergo sterilization procedures. So that'd be great news for the female eco-activists recently profiled in London's Daily Mail who boast about how they'd had their tubes tied and babies aborted in order to save the planet. "Every person who is born," says Toni Vernelli, "produces more rubbish, more pollution, more greenhouse gases and adds to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We are the pollution, and sterilization is the solution. The best way to bequeath a more sustainable environment to our children is not to have any.

What's the "pro-choice" line? "Every child should be wanted"? Not anymore. The progressive position has subtly evolved: Every child should be unwanted.

By the way, if you're looking for some last-minute stocking stuffers, Oxford University Press has published a book by professor David Benatar of the University of Cape Town called "Better Never to Have Been: The Harm of Coming into Existence." The author "argues for the 'anti-natal' view – that it is always wrong to have children … . Anti-natalism also implies that it would be better if humanity became extinct." As does Alan Weisman's "The World Without Us" – which Publishers Weekly hails as "an enthralling tour of the world … anticipating, often poetically, what a planet without us would be like." It's a good thing it "anticipates" it poetically, because, once it happens, there will be no more poetry.

Lest you think the above are "extremists," consider how deeply invested the "mainstream" is in a total fiction. At the recent climate jamboree in Bali, the Rev. Al Gore told the assembled faithful: "My own country, the United States, is principally responsible for obstructing progress here." Really? The American Thinker's Web site ran the numbers. In the seven years between the signing of Kyoto in 1997 and 2004, here's what happened:

•Emissions worldwide increased 18.0 percent;

•Emissions from countries that signed the treaty increased 21.1 percent;

•Emissions from nonsigners increased 10.0 percent; and

•Emissions from the United States increased 6.6 percent.

It's hard not to conclude a form of mental illness has gripped the world's elites. If you're one of that dwindling band of Westerners who'll be celebrating the birth of a child, "homeless" or otherwise, next week, make the most of it. A year or two on, and the eco-professors will propose banning Nativity scenes because they set a bad example.

===



===


===

The whole point of Christianity is to create a deeper form of humanism | Giles Fraser | The Guardian

The whole point of Christianity is to create a deeper form of humanism | Giles Fraser | The Guardian



The whole point of Christianity is to create a deeper form of humanism
This article is more than 8 years old
Giles Fraser


It seems that making the human stand out as morally particular requires some sort of leap of faith
Sat 6 Dec 2014

Christians make better humanists. That could be the top line of a report just out from the thinktank Theos. And I suspect the timing – just in time for Christmas – is no coincidence. After all, the story of God becoming a human being is one of the deep wellsprings of European humanism. Instead of presenting us with a booming voice from the mountain top, or some universal expression of cosmic power, Christmas Christianity insists that fully to imagine God is to imagine a human child – little, weak and helpless.

Two thousand years later, when all the misleading tinsel has been pushed aside, it remains a shockingly subversive message. God is not to be discovered beyond Orion’s belt but down on Earth. Early cosmologists looked into the sky for clues to the whereabouts of God, but, incomprehensibly to them, the stars led towards a random shed on the back streets of a small town in the Middle East. From then on, think of God, think of a crying infant. Not a superhuman force, not even a human being enhanced by superhero-like powers, but a gurgling, pink and fleshy homo sapiens. It is the ultimate humanist narrative. Surely no abstract and intellectual deconstruction of divine power can possibly compete with the seditious thought of the need to change God’s nappy. It’s little wonder that many accused early Christianity of atheism.

It is true – and much to be regretted – that Christians have not always been convincing humanists. The catalogue of woe is long and depressingly familiar, from the way Christians have treated slaves, people of other faiths, women and homosexuals. In too many cases, religion has stood over and against human flourishing. Loyalty to God has meant disloyalty to being human. In such an ideology, it makes little difference whether or not human beings flourish as a consequence of faith: if God orders it, we must obey. Well, if that’s the choice, count me out of the whole religion thing.

But, properly understood, these denigrations of the human should be just as much an affront to Christian values. “I have co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to the full” is how Jesus expresses his mission in St John’s gospel. “The glory of God is a human being fully alive,” wrote Irenaeus in the second century. In other words, the point of Christianity is to generate a deeper form of humanism.

Indeed, the fascinating question posed by Theos is whether an entirely atheistic form of humanism has the resources to sustain itself. If the foundational story of human origins is not that we are chosen by God but that we are descended from apes, what is it that makes human beings morally distinctive? Yes, of course I think Darwin was correct scientifically – but, as a story of human origins, evolution hardly encourages us to think of human beings as being unique as a species. Indeed, Darwin’s point is precisely the opposite. So how does humanism generate a sense of the human as being uniquely valuable? Some may say because we are rational. But are rational people more morally valuable than irrational ones? Surely not. No, it seems that making the human stand out as morally particular requires some sort of leap of faith.

That’s why some of the most ardent atheists have rejected humanism altogether. For instance, the 19th-century French anarchist Pierre-Joseph Proudhon insisted that “humanism is a religion as detestable as any of the theisms of ancient origin” and that it was necessary to reject humanism because it tended “invincibly, by the deification of humanity, to a religious restoration”. And I kind of agree with him. Humanism sits more comfortably with religion than with atheism.

Perhaps this is why atheists are not always at the forefront of defending human life when it comes up against other values such as choice. In a whole range of debates from abortion to assisted dying, the moral category of choice is often regarded as trumping the moral category of humanity. And it is surely problematic to call this humanism – if by humanism we mean that the human is something morally superior to all other categories. Which is why many of us find a more robust form of humanism at the side of a 2,000-year-old crib.

@giles_fraser

전경숙 박사 -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1-10) - 기독교헤럴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1471-1528)의 〈네 마녀들(The Four Witches)〉에 표상된 기독교 인문주의
A
Christian Humanism in the Four Witches of Albrecht Dürer, 1471-1528
저널정보한국여신학자협의회한국여성신학 학술저널한국여성신학 제90호2019.12 71 - 86 (16page)저자정보전경숙 (성공회대)



=======
기사 (전체 10건)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10)
초기 종교개혁시대의 독일은 신학적, 정치적, 도덕적으로 크게 혼란스러웠다. 비텐베르크대학 루터의 동료교수들이었던 칼슈타트(Andreas...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2-04 15:40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논문 연재(9)
뒤러와 루터 경건운동과 인문주의운동을 함께한 루터는 “그리스도 중심의 신앙”을 펼치게 되는데, 이것은 “교회중심주의(churchline...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1-20 15:52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8)
뒤러 시대에 정신적인 권위였던 에라스무스(Erasmus of Rotterdam)는 1503년 출판했던 자신의 논문 『한 기독교 기사의 ...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1-14 15:04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7)
100년 전쟁기간에 일어났던 교황청분열(Papal Schism)은 교황의 명성과 교회의 토대에 대한 신뢰를 흔들었고, 사람들은 교황청 ...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0-30 17:42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6)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한신대(M.Div.) 부산대 수학과뒤러의 동판화 에는 한 늙고 마른 여성이 염소를 거꾸로 올라타고 똑...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0-24 12:12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5)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rer 1471-1528)의 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의 ...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0-17 17:04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4)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rer 1471-1528)의 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인문주의자들은 르네상스의 이상인...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0-11 15:26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3)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rer 1471-1528)의 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14세기 초부터 시작된 신비주의...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10-03 15:48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2)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 rer 1471-1528)의 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 에...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09-26 23:10
라인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1)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rer 1471-1528)의 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 독일을 대표하는 뉘른베르크의 ...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  2019-09-18 17:01







========

HOME 논단 젊은지성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1)
기독교 인문주의 시대에 나타난 뒤러의 <네 마녀들>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승인 2019.09.18 17:01
호수 456
===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1471-1528)의 <네 마녀들(Four Witches)>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





▲ 저자: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M.Div.) 부산대학교 수학과


독일을 대표하는 뉘른베르크의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1471-1528)는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평생을 기독교적인 주제의 해석에 전념하면서 미술가로서의 자신을 오직 신의 직인으로 만족하며 살았다. 뉘른베르크가 북유럽의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로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기독교적인 고전고대(Christian Antiquity)에 관심을 집중함으로써 기독교 인문주의를 꽃피웠던 것을 생각하면, 뒤러가 미술사에서 인문주의 화가로 기록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나아가 뒤러는 수학, 특히 기하학에도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는 두 번의 이탈리아 연구여행을 다녀온 후, 자신의 인문학적 예술 창작과 함께 기하학도 발전시켰다. 그는 생애 동안 17점 이상의 그림, 100점 이상의 동판화, 250여 점의 목판화, 1천 점이 넘는 소묘와 그리고 기하학과 축성술, 인체비례이론에 관한 세 권의 인쇄본을 남겼다. 그의 저서들에는 기하학을 비롯한 여러 가지 나선(helix)의 작도와 그 원리가 소개되어있는데, 뒤러의 나선 연구는 훗날 1962년의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히는 데 공헌하였다. 이는 다빈치의 해부학 드로잉 <비트루비우스 인간>이 오늘날에도 수많은 자연과학도들의 도전을 자극하고 있는 것에 버금간다.



뒤러의 1497년 작 동판화 <네 마녀들(Four Witches), 또는 네 명의 벌거벗은 여인들(The Four Naked Women)>은 첫 번째 이탈리아 여행(1494-95) 이후에 북유럽 르네상스의 기초를 쌓기 시작한 시대의 작품이다. 이 여행을 통해 뒤러는 당시까지 북유럽 미술에서는 생소했던 인체 미에 관한 의문을 품게 되었고, 새롭게 접한 인체의 구조와 동세에서 얻어낸 발견들을 동판화로 만들어 인쇄하였다.

뒤러는 대중들을 위해서 목판화를 제작할 때는 대중적인 감각에 부합하고 교훈적이며 감동 있는 주제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귀족들과 중산층의 교육받은 사람들을 상대로 동판화를 제작할 때는 그는 자신의 창조적 분방함을 아낌없이 발휘하였다.

뒤러의 동판화 <네 마녀들> 속의 네 명의 나체의 젊은 여성들은 모두 가운데를 향하여 둥글게 모여 서서 마치 무언가를 공모하는 듯하다. 그런데 뒤러는 주인공들의 머리모양과 표정과 몸짓들을 눈에 띄게 의도적으로 모두 제각각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가운데의 예쁘게 장식한 헤어스타일의 아름다운 몸매의 인물은 비너스로 보인다. 그리고 비너스의 왼편 인물은 언뜻 보아도 임신한 여성이다. 그녀는 자신의 태중의 아이에게 근심스럽게 그녀의 손을 올리고 있다. <다음 호에 계속>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dsglory3604@nate.com
===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2)
‘O·G·H·’, <네 마녀들> 속 수수께끼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승인 2019.09.26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 rer 1471-1528)의 <네 마녀들>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M.Div.) 부산대학교 수학과


<네 마녀들>에서 오른쪽의 인물은 두 팔을 내린 채 왼쪽의 임신한 귀부인을 바라보며 난감해 하고, 맨 뒤에 서 있는 인물은 앞을 보며 분노로 화를 내고 있다. 바닥에 놓여있는 해골과 긴뼈는 작품의 분위기에 으스스하고 음울한 긴장감을 더한다.

또한 배경 왼쪽의 열린 문 아래로는 커다란 얼굴의 악마가 보인다. 악마는 마치 자신이 이 장면을 주도하는 듯, 문 뒤에서 관객을 향해 얼굴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림 중앙의 천정 가운데 매달려 있는 둥글고 큰 구체에는 제작년도 아래에 ‘O·G·H·’라는 알파벳이 뚜렷하게 새겨져있다. 구체에 새겨진 세 문자 ‘O·G·H·’는 뒤러의 서명이나 제작년도처럼 관객을 위한 암호로 보인다. 도대체 뒤러는 저 이니셜 ‘O·G·H·’로 관객에게 무슨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일까?

20세기 이전의 연구는, <네 마녀들>을 신화들과 연계한 세속적인 동판화로 보았다. ‘삼미신(The Three Graces)’과 ‘파리스의 심판(Judgement of Paris)’ 같은 주제는 르네상스 초 예술가들에게 새롭고도 인기 있던 주제였기 때문이다. 1675년 미술사가 산드라트(Joachim von Sandrat)는 <네 마녀들>의 구도를 ‘삼미신’, 등장인물들을 마녀들로 보며 뒤러의 ‘O·G·H·’를 “O Gott hüte uns von Zaubereyen(오, 신이시여, 마술로부터 저희를 구하옵소서)”로 풀이하였다. 이 동판화의 제목이 <네 마녀들>로 불리게 된 것은 이때부터이다.



1884년, 타우징은 뒤러의 <네 마녀들>을 ‘파리스의 심판’과 1486년 마녀사냥을 위해 도미니크 수도사들에 의해 출판된 『마녀의 망치(Malleus Maleficarum)』를 관련시켜, 성적으로 탐욕스런 악마들과 계약을 맺는 육욕의 여성들이 ‘여성누드를 과시하는 파리스의 심판’으로 해석했다. 포쉬는 산드라트의 ‘삼미신’ 구도에 『마녀의 망치』를 연관시켜, <네 마녀들>의 인물들을 화환을 쓰고 있는 세속적 사랑인 비너스와 그녀를 따르는 육적인 여성들로 보았다.(『마녀의 망치』에 대해서는 4회 연재에서 소개한다)

부스트만은 둥근 구를 임신과 출산에 대한 사랑의 묘약으로 생각했던 맨드레이크(mandrake) 열매와 동일시하여 ‘O·G·H·’를 “곳곳마다 인간을 태어나게 하는(Omnium Generato Hominum)”으로 풀이했다. 그리고 뷜러는 15세기 독일사회를 위협했던 매독의 공포에, 매춘을 여성들의 육욕의 실현이라고 본 『마녀의 망치』와 연결해서, ‘O·G·H·’를 “공공여관(Offentliches Gaste Haus)”이라고 주장했다.

20세기 전설적인 미술사가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는 당시 독일에서 유행하던 마녀이야기들 중 한 사건과 관련시켰다. 그는 한 조산부가 두 여성을 대동하고 악마의 아기를 임신한 귀부인의 집에 침입하여 ‘악마의 주문을 외며’ 태내의 아기를 죽이고 있는 장면이라고 해설하며, ‘O·G·H·’에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았다.

미술사가이자 여성학을 연구한 헐츠(Linda C. Hults)는 여성에 대한 선(good)과 악(bad)의 전통적인 이분법적 견해와 뒤러시대의 “묵시론적 여성혐오”를 관련시켜, ‘O·G·H·’는 잠정적으로 “인간에게 발생하는 재난(Onus Generi Humani)”을 암시한다고 해석했다. 헐츠는 뒤러가 “당신들의 부인들을 다스려라, 그렇지 않으면 악마가 당신들의 권위를 침탈할 것이다.”는 내용을 <네 마녀들>의 관객에게 선정적으로 호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위의 연구들에는 역사적 인물로서 뒤러 개인에 대한 고찰이 결여되어 있다. 뒤러의 성장배경과 신앙, 그리고 당시의 신학과 역사, 문화적 환경을 함께 살펴보자.



===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Ph.D.) 논문 연재(3)
뒤러의 작품 속 경건과 민족적 자각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승인 2019.10.03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M.Div.) 부산대학교 수학과


원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1471-1528)의 <네 마녀들(Four Witches)>에 표상된 기독교인문주의 연구”

14세기 초부터 시작된 신비주의 운동은 독일에서는 도미니쿠스 수도회를 중심으로 경건을 강조하며 활발하게 일어났다. 인간이 명상을 통해 ‘신성’(Gottheit) 속에서 ‘아무런 중재 없이’ 하나님과 ‘신비적인 연합’을 하고자하는 이 운동은 에크하르트(Eckhart von Hochheim)에 이어 주조(Heinrich Suso) 등 그의 제자들에 의해 더욱 확대 발전되고 성직자뿐만 아니라 평신도 단체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 공동생활 형제단(the Brothers of the Common Life)의 활동은 ‘근대 경건’(Devotio moderna)이라고 불리어지고, 빠르게 확산되어 독일, 스위스, 네델란드 프라하 등 여러 곳에 학교를 세우면서, “일상생활”(common life)의 중요성과 함께 경건을 실천했다. 에라스무스와 루터 등도 이들이 세운 학교 출신이다.

또한 15세기 중엽 인쇄술의 발달은 인문주의자들의 고전고대(classical antiquity) 연구에 박차를 가했고, 그 성과물인 번역본들은 폭넓게 전파되었다. 특히 기원전 100년경에 타키투스가 썼던『게르마니아(Germania)』가 재발견되자, 독일인들은 자신들이 전설적이고 고귀한 조상에서 유래했다는 흥분으로 열광하게 된다. 독일인문주의자들은 로마 교황의 도덕적 타락성에 독일인의 도덕적 순결성을 대비시켰다. 인문주의자이자 시인이었던 휴텐(Ulrich von Hutten, 1488-1523)은 1500년대를 맞으며 “오 새로운 세기여! 오 지식이여! 살아있는 것이 기쁨이로다!(O saeculum! O litterae! Iuvat vivere!)”로 시작하는 글을 뒤러의 둘도 없는 친구인 뉘른베르크의 빌리발트 피르크하이머(Willibald Pirckheimer)에게 보냈다.





독일의 또 다른 경건운동은 1474년 도미니쿠스 수도회에서 설립한 ‘로사리오(rosario, 장미화관) 형제회’이다. 기독교미술에서 장미는 마리아를 가리키고 붉은색은 그리스도의 사랑, 흰색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의미한다. <장미화관의 축제(The Feast of the Rose Garlands)>는 뒤러가 두 번째 이탈리아여행 중, 당시 베네치아 중심에 있던 로사리오형제회에 속한 대규모의 독일인 상인연합회로부터 그들의 교회인 산 바르톨로메오교회의 제단화를 그려달라는 위임을 받고 그린 것이다.

원래는 옥좌에 앉은 마리아와 아기예수가 장미화관을 베푸는 내용이지만, 뒤러는 마리아 옆에 독일 도미니쿠스 수도사도 그려 그에게 함께 장미화관을 베푸는 영광을 주었다. 뒤러는 또한 평신도 그룹인 오른쪽의 인물들을 맨 앞의 당시 독일 황제(막시밀리언 1세)를 비롯한 실제인물들로 그리면서 독일황제가 왼편 성직자 그룹의 교황보다 먼저 머리 위에 장미화관을 받아쓰고 있게 그렸다. 그리고 오른쪽의 평신도 군중 맨 뒤편에 “알브레히트 뒤러, 한 게르만인, 5개월에 걸쳐 제작했다. 1506”이라고 쓴 흰 종이를 들고 있는 자신의 초상을 넣으면서 이탈리아 땅의 독일인들에게 민족적 자긍심과 자부심을 느끼도록 했다.

뒤러의 만년의 정수로 꼽히는 <슬픔의 남자로서 자화상>은, 뒤러가 네덜란드 여행 중 고래를 보기 위해 질란트 해변까지 보트를 타고 갔다 온 후, 고열과 여행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을 때의 그림이다. 뒤러는 주조의 ‘고통의 신비주의(die Mystik des Leidens)’를 실천하려는 듯이 그리스도의 수난의 채찍들을 십자가 모양으로 포갠 자신의 양 손에 하나씩 쥐고 있게 그려 하나님과 연합하고 싶은 자신의 의지를 표현했다.

전경숙 박사(성공회대 Ph.D.) dsglory3604@nat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