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31

A PERMACULTURE REFUGEE PROJECT


A PERMACULTURE REFUGEE PROJECT






Teach permaculturists and refugees to transform refugee lives and land in camps, and settlements
and Establish new models for these challenging situations now and for the future.


Homes sandbagged against topical rain Photo BASD with permission



SUMMARY

There is little argument that the number of refuge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DPs) in the world, and now estimated to be 50 million, will increase with climate change and world politics. Mass migration is an inevitable part of the pattern of human behaviour and will continue to be so depending on push factors. And at the moment refugees spend an average of 12 years in camps waitng for reassignment and resettlement. This is a long time for host nations and a loss of opportunity: an opportunity to see refugees as bringers of extensive benefits for the host national interests, land restoration, and a boost to the economy.

And yet, with a few exceptions the situation of refugees and IDPs remains morally and physically repugnant. See link http://time.com/4547918/refugee-camps-calais-zaatari-dadaab-nakivale-mae-la/

The problems align and consolidate and some are:

· structural such as overcrowding,

· poor quality and quantity of food,

· enforced idleness accompanied by loss of skills and confidence

to:

· poor health options and outcomes

· criminality in camps

· psychological problems

· youth miss out on education and opportunitiese

The average time spent in a refugee camp is 12 years and only …1% are resettled in a new life. Lives are lost to poverty and uncertainty.

The UNHCR has guidelines however it is barely able to meet the needs of those camps it manages, and certainly not those of IDPs. The World Food Program (WFP) is stretched almost to its limits to supply food and that is being increasingly cut back.

This project argues that for relatively little cost, and that mainly in education, camps can be transformed, and lives lived valuably with sustainable outputs through introducting permaculture design principles into camps, and NGOs, to enable camps to be transformed into productive livelihoods and land. And refugees to own the project and run it in the longer term. It also complies with the new Global Compact being designed by UNHCR

[1]

This project focuses on four sites and five coursesin south Asia, Middle East, and Europe to assess the most effective permaculture syllabus, and to train permaculturists who wish to work in this situation, and also produce refugee trainers.

Each globally recognised Permaculture Design Course(PDC) will be comprised of:

· local people, such as a school or government department to ensure the knowledge will be sustainable;

· some experienced permaculturists who want to work in camps, and,

· two or more people from P4R will be there to observe, and later draw together the commonalities to allow a general syllabus ,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to be drawn up for the future use of refugees, camp managers, NGOs and teachers.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after 18 months research, preparation, experience, consideration and design for monitoring contacts in camps, is particularly well placed to deliver the program and to assist with the scaling up and these solutions to be accepted and offered globally.










CONTENTS



THE NEED

SUMMARY
PROJECT GOALS
OBJECTIVES
ACTIVITIES
BUDGET
TIMING
OUTPUTS
OUTCOMES
PROJECT MANAGEMENT
RISK ASSESS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STAGE II
CONCLUSIONS

APPENDICES
Details of each project site
Monitoring and evaluative instruments

THE NEED

Global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better models of camps for refuge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oples (IDPs). Camps and settlements are places of suffering and degradation which ignore the abilities and potential of residents, formerly responsible citizens, to be involved in, and rebuild their lives. [2]See vido in appendices

Refugees are prevented from taking advantage of this time to heal, learn new skills and ideas, and engage in activities to build better futured whether they return home, or stay in a new community.[3]

The goals of this project align completely, with the UNHCR and WFP latest report [4]

This project is stage I in a longer program. Only seed funding is sought at this time.

As the photo shows,in this IDP camp in Kabul, none of life’s basic needs is met here. Photo: R Morrow, 2018

Camp managers are challenged especially in large camps, faced with considerabl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nd a top down approach to management.[5]

Refugee organisations are aware that confined/closed camps with residents unable to use their skills and experience lead to problems presently being experienced in parts of Europe.[6]

Disturbed by the size of the problem, lack of globally committed finances to meet needs, and, projections of future needs e.g. figures of 200 million refugees by the middle of the century have been quoted, refugee organisations are aware of and looking for different approaches. [7]

World Food Project has said it will probably not be able to supply food and vouchers to the extent it does now.



Kitchen garden for nutrition, sanitation, occupation Bangladesh Associ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rks with Rohinga refugees 2018 (with permission BASD)





Permaculture offers a humane, integrated response to refugees living in degraded conditions in camps, and for NGOS and managers increasingly stressed by lack of good models and practices.



QSA Q1. Why use permaculture in the camps? Permaculture is an inclusive design system that involves the integration of a whole host of disciplines in the pursuit of sustainable objectives. Some of these include: water harvesting, soil building, intensive ‘clean’ planting, forestry, animal husbandry, local economies, access to land, passive solar building design, food forests and consideration of present and future needs through the lens of the precautionary and intergenerational principles. Since its emergence in 1972 there has been no comparable network and systems approach as commonsense, and as necessary to buffer degradation. It is eminently suited to refugee settlements and camps where people can claim agency for their lives whilst transforming the land.

QSA Q2. Has the approach for the courses come from within or outside the camps? The first approaches came from World Vision International in Iraq where there was a permaculturist on staff. See re: Report. Applications for this project came from Greece and Bangladesh.



Currently it is being implemented through a variety of NGOs and individual permaculturists in several countries. However the needs are great. See references.



EARLY EVIDENCE FOR CHANGE See appendices




· The first PDC course taught in a camp in Kurdistan, Iraq 2017 offered hope and positive outcomes

· A PDC course with a refugee community in Spain demonstrated the similar positive results

· The Italian permaculture experience with a refugee settlement at Con Moi, near Torino, has given positive outcomes

· Permaculture classes have begun in Kabul for some of the 1.8 million IDPs living on the edge of Kabul by Afghan Peace Volunteers trained in permaculture.

· Soils Lebanon, a permaculture organisation, works through teaching gardening in camps

· The University of Coventry and Oak leaf/Lemon Tree project in camps in Kurdistan.

· Permaculture kitchen garden project in Bangladesh is being well implemented. See photo

· Numerous references attest to increased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reated by kitchen garden projects

PROJECT GOALS

Short term

· Establish that permaculture, through teaching sustainable skill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fields is an opportunity to empower refugees to become effective in every case, whether enablinging people to return home with skills and ability, or supporting them to stay in their new country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 better future.

· Offer permaculture training in four different refugee camps - three in Europe and two in SE Asia (where there would be two courses) and to compare and evaluate similariites and differences to determine future best practice, draw up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 Enable refugee participants and experienced permaculturists to design and implement whole site plans and to train both groups to teach effectively in other camps to scale up the impact for major refugee involvement in the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project.

Long term

· Transform all refugee and IDP camps, and settlements globally, into ecological villages and towns which contribute to the good of the new country, and refugees, through becoming the predominant model.
OBJECTIVES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in three different sites

1. Teach 14-16 day permaculture design course (PDC) in camps which request or support the courses

2. Follow up with a six-day permaculture teacher training course for experienced permaculture teachers

3. Write up the experience and monitor its impact for six months

4. Extend the knowledge and skills to other camps and settlements
ACTIVITIES

· Offer participation to refugees and permaculturists in a 2:1 ratio,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omen and youth in the globally recognised Permaculture Design Course

· Include two people from the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organisation

· Include two local permaculture teachers who can carry the project forward

· Teach specific design skills for whole site development not only kitchen gardening

· Deliver a six-day follow-up permaculture teacher training for selected participants who become confident to teach in refugee camp environments

· Monitor design implementation in the camp

· Monitor refugee trainers as they extend knowledge to other refugees in the camps

· Monitor new permaculture teachers in other camps

· P4R Evaluate and disseminate the combined results from three sites



Courses 1 and 2: Bangladesh Associ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BASD) and local Bangladesh Department of Agriculture staff, then Rohinga refugees in Bangladesh

Course 3: Refugees in Greece on Lesvos Island

Course 4: Women’s PDC in Turkey for longterm refugees

Course 5: Long term refugees Mediterranean PermaSchool in Greece
       

Project Site
Organisation
Name
Budget
TOTAL
Bangladesh
Cox’s Bazaar
BASD
PDC for host community



17,729.39




PDC for Rohinga refugees



19,967.35
Greece- Lesvos


PDC for long term refugges


7,961,00


Greece - Nea Macri, Greece
Mediterranean
Permaschool
PDC for school staff and local refugees


13,659.00
Turkey


PDC for women


5.000.00




                                                                    $AUD TOTAL                                             $65,316.00      
TIMING
Training will begin when funding is available and will be completed within one year (excluding the impact or natural or social disasters such as tsunami, war, drought. i.e. force majeure).  It is proposed to start in Bangladesh in mid-January 2019 and finish in Turkey in April 2019

OUTCOMES

·       At least 50% of participants able to teach refugees in camps and in the community
·       Site designs exhibited for consultation with the whole community
·       Implementation begins to transform camps and communities
·       Model permaculture kitchen and community gardens for harvesting, learning income skills and experience
·       Residents engaged in a variety of projects from grey water harvesting, to climate buffering, and local currencies
·       Residents motivated and engaged in projects both for income development and income substitution
These project activities and results will attract attention of the those engaged with and responsible for refugees.  This world is increasingly looking for solutions to the present models.
This project will lead to refugees organising and managing camps for food, learning and actitivies towards a future with greater promise than in today’s camps, through transforming them into ecological villages and townships.
OUTPUTS
·       Five permaculture design courses in four different sites for permaculturists and refugees - to develop food, water management, buffer climate extremes, and introduce income generation
·       Display designs for community consultation and subsequent implementation 
·       Begin implementation of the designs
·       Write up the experience and monitor its impact for six months
·       Extend the knowledge and skills to other camps and settlements
·       Mentor new trainers


MANAGEMENT
QSA Q3.  Will Permaculture for refugees be the ultimate leader of this project – if so, please tell me a bit more about them, or if not, please tell me who will be leading the project and why.

QSA Q4 How will the project be managed over several sites and quality of training, monitoring, reporting maintained?  Who is responsible for the project and maintaining the records and how can this be achieved by a person across three sites?   

The project will be managed by Permaculture for Refugees, a group of permaculturists that has been working together for two years and has produced booklets, data bases, some case studies and evaluative documents.  It has already received LUSH funds for a project in Kabul.  LUSH is offering other financial support for extending the project.
All finances are recorded through the BigFix.org, a not-for-profit organisation with transparent and audited accounts and monthly, and annual meetings. It sponsors the Blue Mountains Permaculture which it is accountable to it. The accounts would be open for scrutiny.  https://www.thebigfix.org/about-us
Most expenditure is for human resources and each course has limited funds which would mostly fully expended as the course is taught. 
Refugees will be encouraged to monitor the project results and to become part of the P4R group to share their results.   
RISK ASSESSMENT
QSA Q5 Security of personnel going into the camps to provide training – how will this be addressed and by whom?
Camps are places of utmost security since most fear that terrorists could be operating within them.   There are special phones, trained drivers, and special insurance firms.   Teachers are always with a crowd and never alone.  There are no dangers in the classrooms or on the land.  The fieldwork is simple and low risk i.e. compost making and seedsowing.  P4R also has an honorary international lawyer as their consultant for any challenging situation.
QSA Q6.  What form of debriefing is to be provided to them all at the end of their time in the camps or during if issues arise for them?
P4R has a specialist French psychologist, Nadia Polivka,  on their panel who has worked for 20+ years within the French Government Refugee program and would be responsible for this aspect of the program.

QSA Q7     If QSA is to provide the letter for the visa, then it is responsible for all security aspects as it is asking them to go.  The visa applications are made by the NGOs in each country i.e. BASD in Bangladesh, The Mediterranean Permaschool in Greece and others as listed.  QSA will not be asked to provide a visa letter. 
There are few risks associated with the project in delivering its objectives.   However the main risks may be lack of safety in a few situations.  New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or experience a shock reaction in coming to terms with the lives refugees are forced to live.  With this in mind, orientation and debriefing sessions will be included at the onset.  See question 6 above.
Many aspects of the refugees life contains uncertainty.   It is possible that a camp or settlement may close before the course is delivered, or, that it may be closed to the project for other reasons,  in most cases P4R would be able to find other venues.
Projects carried out and similar to these, show that refugees are keen to participate and find activities useful in the short and long term to assist with managing the stress of enforced inactivity and uncertainty, and also the courses build community group cohesion while ameliorating harsh camp environments.  
QSA   Q8.  How do you measure the success of a permaculture training course in a refugee camp?
The success of the PDC training outcomes is measured by the results demonstrated on the ground by those who have undertaken the training by comparison with those who have not.  In each case where there have been permaculture projects, those who received training were able to:
·       Conserve and use grey water
·       Build soils
·       Grow vegetables
·       Engage others
·      Work cooperatively
·       P4R has evaluative tools and tables.

 MONITORING AND EVALUATION
1.      Monitoring the teaching and immediate impacts.   P4R has instruments for monitoring impacts.  The teacher, content, process and student outcomes are evaluated halfway through the course and at the end.
2.      Monitoring the design implementation.  P4R would look for triangulation results i.e.
a.       From the refugees
b.      From the hosting organisation
c.       From local permaculturists who ‘pair’ with new teachers

3.      Monitoring the new trainers.  This is more complicated and they will need to be mentored.  Possibilities are:
a.       P4R
b.      Local permaculture teachers and experienced NGO staff
c.       Invite other teachers to mentor from nearby countries/provinces and from the European Permaculture Teachers network

4.      Monitor new teachers in other camps.   These teachers will need mentored assistance in their own camps first. Evaluative Document designed by P4R – see below and will be used in all training see Appendices


STAGE II
Follow up with a six day permaculture teacher training course for refugee trainers
Evaluation meeting for European trainers, both refugee and non-refugee
Evaluation meeting for SE Asian trainers, both refugee and non-refugee

Publish final permaculture curriculum for camps and settlements
Set up support systems for refugee trainers in camps and settlements

Monitor gardens and teaching in camps


CONCLUSIONS
Most gardening projects in refugee camps show proud refugees standing before their vegetable gardens and this is commendable.  However the land, the climate and the water are not necessarily remediated.   The sites are very often degraded by large numbers of people.   People live in camps without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ir incomes or enhance their skills, or learn new ones.  

This project will train 175 people of which three quarters are refugees will be able to design problems that present for sanitation, food and climate change.  Socially they will develop learning groups, and internal economies to meet their needs.   Some will become trainers and all will be monitored by experience permaculturists.  

Experienced permaculturists will participate to learn teaching in camps.  They will form collegiate relationships with camp trainers whom their will support over the next six to 12 months.   Those who will teach will be offered a permaculture teacher training course.

P4R has a data base of permaculturists working globally with refugees and those who wish to, and in addition has monitoring and evaluative instruments for collation of data.  This will all be made available on the website and offered to all organisations and governments working with refugees.

This is stage I of a longer term program.  Stage II will be developed from the results of this project.  Stage II will be essentially a ‘scaling up’ of the project using knowledge gained to enable better learning by, and for, refugees.  Stage II will involve refugees in shar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first in their own camps, and then in other camp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age I over different sites will demonstrate common successes and also challenges of introducing permaculture into refugee environments.  It will result in increased motivation, and a healthier living area for all those involved. 

Rowe Morrow
Blue Mountains Permaculture Institute, BMPI.com.au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July 22, 2018
BMLM, NSW Regional Meeting. 




BUDGET and BACKGROUND DETAILS FOR EACH SITE

1.     Bangladesh – two courses

2.     Greece – Lesvos

3.     Mediterranean Permaschool, Greece

4.     Turkey

Site 1 Two PDCs at Cox’s Bazaar, Bangladesh

Background:
The situation in Bangladesh for Rohaninga refugees exiled by the Myanmar Government army is dire.  Their living conditions are inhumane.  Most are too frightened to return and they are not strongly welcomed by the Bangladesh government who would like them to return home.  The PDC needs to be slanted towards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because this may become mandatory for some.  Small scale activities are necessary where land is at a premium because of the large numbers of refugees in a very small space.

Information supplied by Bangaldesh Associ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D), a permaculture organisation which has had success with permaculture initiatives.  See appendices and photos)
Macintosh HD:Users:ro:Library:Containers:com.apple.mail:Data:Library:Mail Downloads:1F0BE98B-864E-4C96-81E7-EF7428AE0F20:20180724_130300.jpg

A multi-generational family – with all their possessions – live in this room

May 8 email from BASD:  “They have hundreds of problems and needs. Immediate needs are - 1) assistance for prevention of land sliding as rain started, many of the houses are in real risk and in danger, grasses may be planted there, 2) need shade / place need mustto be cooler, no trees within 4/5 km, plantation like Neem and other wood, fruit and medicinal plants needed, 3) need to teach them waste management, it is a big crisis in everywhere, it is easier to engage those people for doing this, just need inspiration and guidance, 4) need to teach / inspire the community people for cultivation of vegetables beside their rooms, on ground / hanging using sack bag / pots etc. it is not easy but very important, it is possible using permaculture techniques. When we talked to them, people showed keen interest of doing these works. Little vegetables are available in the nearby shops or villages, if available then price is very high”.  


Smallscale activities are necessary where land is at a premium because of the large numbers of refugees in a very small space.


26 July:  Recent brief news: People are locked inside the small rooms without cooking as there is very limited fire wood at home and as there was continuous heavy rain. 
Women, children and others are in the open field for defaecating as there are very few latrines and arrangement. 
Pregnant women are in great problem as there are no Midwives in the camp and the only nearby clinics is closed from 3 pm to 10 am on the following day. 
No social area for the children, women and other were seen. 
No cultivation was seen as they are very much frustrated and living hopeless living.
Regards and peace. 
Boniface  


Wed, Aug 1, 2018 at 5:10 PM, Boniface Gomes<bsgomes52@gmail.com> wrote:
Dear Rosemary, 
Good day. I just met one of the high Govt. Official and discussed about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the PDC and PDC based activities. Govt. is pleased with the discussion and inspired us for the program. So, we can apply for PDC and PDC based activities for the Rohinga and the host community. I will write you more about the needs of host community and Rohinga for your preparing documents.   


PDC No 1  - Draft Budget for Host Community 
Participants:       24 community people, especially women, youths and students      
                               from local host communities.
Days:                    12 teaching days excluding Fridays for religious observances
Time:                    9.30 am to 4.30 pm
Trainers:              Rosemary Morrow (lead trainer), Ruth Harvey, and possibly Sarah  
                              Queblatin from Philippines, Boniface Gomes and Ajit Khan (BASD)
Language:                Bengali
Timing:     From January to March 2019
                                ! AUD=61.27 taka   (August 15, 2018)                        
Materials
Per unit/day
 Number
Total Taka
1. Stationery and supply
White board
String, Bulldog clips, Pens, Poster paper, banner, writing etc.
Printing &
Photocopying
Projector
Books/pens, Rulers, Scissors, Erasers, Bags, Others Stationery
1,000
20,000

8,000

500
-





12 days
-
1,000
20,000

8,000

6,000
30,000
1,000
Sub-total
66,000
2. Resource persons
Fees for Translator and vat
Fees for local trainers -2 and vat
3,500
6,000
1 per
2 ps.
42,000
72,000
Total
114,000
3. Accommodation, food, transport vat for facilitators & trainees  
Accommodation
Transport &
Meals for 5 Trainers and facilitator
Trainees food, family support for 24 trainees for 12 days
 2,500 pd,pp



600
 5 persons, 12 + 4 days

              
24 persons, 12 days
 2,00,000



172,800
Sub-Total 
72,800
4. Trainers Fare and support
Fares – Aus-Return
Visas 2*
Insurance
2 ps.

124,400

 18,660
 12,220
Total
155,280
5. Monitoring and Follow-up
2 Volunteers for 6 months

 
Evaluation and Reporting

 2 vols. @ Tk. 30,000 per month

6 months

1,80,000


50,000 
Total
230,000
6. Other:
Training venue and decoration
Training materials cost
Travelling cost from Dhaka to Cox’s Bazar and related cost (up and down)
Liaison, documentation, follow up, composing, Accounts, Audit, photos etc.     

2,000

12 days


4 ps

24,000
25,000

40,000

60,000
Total Tk.
149,000
Grand Total Tk.
1,086,280
Grand Total in Aus $
17,729,39  
Accommodation – Ukhia, the campsite, is 45 km distant from the Cox’s Bazar, Trainers will live at Cox’s Bazar
Visas – single entry for one month. Need invitations from BASD


PDC No 2 - Draft Budget Rohinga Refugees
Participants:       24 Rohinga Refugees, especially women and youths from the Camps.
Days:                    18 teaching days excluding Fridays for religious observances
Time:                    10.00 am to 3.00 pm
Trainers:              Rosemary Morrow (lead trainer), Ruth Harvey, Boniface Gomes and Ajit Khan from BASD
Language:                Bengali and English with translation in Ukhia language
Timing:     Between January and March 2019
                                  ! AUD=61.27 taka   (August 15, 2018
Materials
Per unit/day
 Number
Total Taka
1. Stationery and supply
String, Bulldog clips, Pens, Poster paper, banner, writing etc.
Printing &
Photocopying
Projector
Books/pens, Rulers, Scissors, Erasers, Bags
Other
20,000

8,000

500
-





-
20,000

8,000

6,000
30,000

1000
Sub-total
65,000
2. Resource persons
*Fees for Translator and vat
Fees for local trainers -2 and vat
3,500
6,000
1 per
2 ps.
63.000
216,000
Sub-Total
279,000
3. *Accommodation, food, transport, vat for facilitators & trainees  
*Accommodation
*Transport &
*Meals for 5 Trainers and facilitator

Trainees food and family support cost for 24 trainees for 18 days
 2,500 pd,pp



600
 5 persons, 18 days

              
24 persons, 18 days
 225,000



259,200
Sub-Total 
484,200
4. Trainers Fare and support
Covered under Host PDC budget
.

5. Follow-up monitoring
2 Volunteers for 6 months

 
Evaluation and Reporting

 2 vols. @ Tk. 30,000 per month

6 months

180,000


50,000 
Sub-Total
230,000
6. Other:
Training venue and decoration
Training materials cost
Travelling cost from Dhaka to Cox’s Bazar and related cost (return)
Liaison, documentation, follow up, composing, Accounts, Audit, photos etc. 

2,000

12 days


4 ps

36,000
25,000

40,000

75,000
Sub-total Tk.
176,000
Grand Total Tk.
1,223.4
Grand Total in Aus $
$19,967.35

Accommodation – Ukhia, the camp site, is 45 km distant from the Cox’s Bazar, Trainers will live at Cox’s Bazar
Visas – single entry for one month. Need invitation from BASD

6.  A ‘street’ in a camp with a high population density –little room for planting
               



SITE 2         Draft Budget PDC for Lesvos, Greece,
Spring 2019

Background   

The situation in Lesvos is that many people have been here for a long time. Their living conditions are really bad and most are Syrian and Afghani nationality.  Permaculture promises to bring relief to very difficult living conditions. 
Languages are Arabic, Farsi and there are contracts that could help with translation.  The course will be open to a selection process but no limits on age, gender, illiteracy etc.  

Students:           24
Days:                 24 teaching days excluding Fridays for religious observance
Time:               10.00 am to 3.00 pm
Trainers:            Rosemary Morrow (lead trainer), and one from P4R
                           Bonnie Claire and one other from the Centre
                           4 trainee volunteers will also attend
Languages:        Dari and Farsi

1 AUD = 0.642 Euros– 22 July 2018
Materials
Per unit/day


Total Euros
Teachers




Electricity
Projector
Whiteboard
String
Bulldog clips
Pens
Poster paper
Printing &
Photocopying
With venue
May borrow
1
1
1
2 sets
1 roll








20c per page







300 pages
  300.00
    80.00
      3.00
    10.00

    10.00
    60.00
    30.00
Translators
To be decided

x 24 days

Translated
materials





Learners
To be decided
x 24 learners


Books/pens
Rulers
Scissors
Erasers
5.00
1.00
2
1


 144.00
   24.00
   10.00
   24.00
Gardening
Materials, pots
Seeds etc.


9.00




 216.00
Logistics
Accommod’n.
Transport -free
Meals*

One month
Rental
30 per week




8

  300.00

  240.00
Trainers




Fares – Aus-
Return
Visas 1*
Insurance
1562

Free
X 1 Aus

X 2
X 2

1562.00



Follow-up
Evaluation
Reporting
Admin.






 200.00



Grand Total
Euro 2,504
AUD

·       Visas – single entry for one month - free. Need letter from hosting NGO



 SITE 3      Draft Budget PDC for Mediterranean
  Permaschool, Nea Makri, Greece
  March/April 2019

Background   
Many refugees have been in Greece for a long time.  Their living conditions are really bad and most are Syrian and Afghani nationality.  Permaculture promises to bring relief to very difficult living conditions. 
Languages are Arabic, Farsi and there are contacts who could help with translation.  The course will be open to a selection process but no limits on age, gender, illiteracy etc

The organisation is Nea Guinea, Guinea, a non-profit organization, whose mission is developing the self-reliance and resilience of people and communities
Venue:   Permaculture farm in Nea Makri
Website:                             www.neaguinea.org
Facebook page:                Nea
Email:                                   neaguinea@riseup.net

“This year we started a new educational program that called the Mediterranean
Permaschool.  - It is basically a collective educational project with 10 teachers and 40 students that aims at bringing people together and creating a network that will work on adaptingdifferent concepts and techniques on our climate and highlight permaculture design as a possible way forward in this challenging environment we are living. And the project is really flying!”

Look at this link:

and


Jump to
Mediterranean Permaschool Spring 2018
This spring we have designed a new Permaculture course focusing on applications relevant to the Mediterranean climate. This course consists of 10 full day workshops that run on a weekly basis for a 3 months period (March to May 2018) at the Nea Guinea farm and aim at introducing a group of 40 young people to Permaculture design and empower them to make positive changes that will benefit both their communities and the natural ecosystems that surround them. During this course we are studying and experimenting with different Permaculture concepts and practices, aiming at proposing solutions to sustainability issue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human activity and th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n a farm scale. The educational activities consist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workshops and are co-facilitated by the Nea Guinea team and 8 more Greek Permaculture teachers, that are traveling to our farm from different places around the country to share their extensive knowledge and enthusiasm with the participants. The course will be concluded with an open Permaculture Day on the farm, where the participants will present their design work. During the day there will be open informative events and workshops, activities for kids, music, dance and awesome organic food form our gardens! This course has been partially funded by a crowd funding campaign and partially by the participants on a free donation basis. This funding scheme has made the course accessible to young local people with limited financial resources – that largely consist our target group.



We have been already teaching Permaculture (PDCs, introductory and specialized courses) and we can share a lot from our experience on working with Permaculture in the Mediterranean climate, especially in water management, soil regeneration, food production systems (Fotini)
And, energy production (Kostas)

Students:           24
Days:                 24 teaching days excluding days for religious observance
Time:                            10.00 am to 3.00 pm?
Trainers:            Rosemary Morrow (lead trainer), and two from P4R
                           Fotini and Kostas  = founders of the ecoschool
Languages:        Dari and Farsi
1 AUD = 0.642 Euros– 22 July 2018
Materials
Per unit/day


Total Euros
Teachers




Venue
Electricity
Projector

Free
With venue
May borrow

















  100
Translators
150 per day?

x 24 days
3600
Translated
materials
20 pp/day

X 24 students
  480

Learners
To be decided
x 24 learners


Books/pens
Rulers
Scissors
Erasers
Whiteboard
String
Bulldog clips
Pens
Poster paper
Printing &

Photocopying

All covered in
Cost and in
venue







3.00 pp












300.00
  72.00
Gardening
Materials, pots
Seeds etc.


9.00


X 24



216
Logistics
Accommod’n.
Transport –
Refugees
Teachers

Meals*



Rent bus* or
public transport

13.00 ppd*






X 30










390.00

Fares – Aus-
Return
Visas 1*
Insurance
1562.00

Free
X 1 Aus


X1

1562.00



Follow-up
Evaluation
Reporting
Admin.
200.00





 2000.00



Grand Total
Euro 8750
AUD 13,629
*     Depends where refugees will come from which option would be most suitable.
·       Visas – single entry for one month - free. Need letter from NGO
·       13 euros per day includes food for teachers. – all organic and local
23 July 2018 email: We are concerned for teaching and designing in challenging environments, like refugee camps or hostels for example, and working with people who live there. There is a great need and interest for this here but little knowledge and experience.

We have tried to gather as much data as we can in order to give you a quick response. We cannot be really precise in the finances because we we didn’t have the time to talk to people we know that work in the camps yet. When we do so, we will know which camps people could come from, and their nationality, and then we will calculate the transport and translation fees more precisely.

We have been already teaching Permaculture (PDCs, introductory and specialized courses) and we can share a lot from our experience on working with Permaculture in the Mediterranean climate, especially in water management, soil regeneration, food production systems (Fotini)
And, energy production (Kostas)


SUE Ennis took out many Photos here as the document was too big to easily send

Women’s PDC in Cesme Turkey – to be run at Imece Koyu
Background 
The situation in Turkey is much different from Greece in the way of permanence. Many of the refugees here are planning on living in Turkey for the foreseeable future. Permaculture can bring occupations and allow people to meet many of their own needs while transforming their camps.
In regards to translation- because so many of the refugees here speak Turkish finding translators could be easier. Also Ali has Arabic, Farsi eand contracts that could help with translation.
This is a village for women only though. The course would be directed at women which might actually make it simpler in regards to separating the genders.

Students:           24
Days:                 24 teaching days excluding Fridays for religious observance
Time:               10.00 am to 3.00 pm
Trainers:            Rosemary Morrow (lead trainer), and one from P4R
                           Bonnie Claire and one other from the centre
                           4 trainee volunteers will also attend
Languages:        Arabic and Farsi

1 AUD = 3.53 Turkish Lira– 22 July 2018
Materials
Per unit/day


Total Lira
Teachers




Electricity
Projector
Whiteboard
String
Bulldog clips
Pens
Poster paper
Printing &
Photocopying
With venue
May borrow
1
1
1
70
1 roll
24








0.10

If Bought






300 pages

240
156 
    5 
   10
   25
   20
4760
    30
Translators*
 

x 24 days

Translated
materials





Learners
To be decided
x 24 learners


Books/pens
Rulers
Scissors
Erasers
Sitting mats
2.50
21


12




17 lira

60.00

144.00

204.00
Gardening
Materials, pots
Seeds etc.


10.00 pp




240.00
Logistics
Accommod’n.
Transport -free
Meals*

Free *
Pay for petrol
Not yet known







100.00
Trainers




Fares – Aus-
Return
Visas 2*
Insurance
1000Aud

Free
400 Aud
X 2 Aus

X 2
X 2

7060.00

2824.00

Follow-up
Evaluation
Reporting
Admin.









1000.00



Grand Total
17,617 Lira
AUD5.000
*   I have contacted a range of people I know who speak Arabi and Farsi as a first and second language. Many Syrian farmer refugees speak Turkish

·       Visas – single entry for one month - free. Need letter from NGO
·       Meals – there is a Syrian woman who would cook for the duration of the course – cost to be decided – need to pay for lunch for participants
·       Accommodation – need for pay for water electricity about 5 lira pp/day




APPENDICES

Bradford, Andrew:    Taking Refuge in Permaculture.  Article in Permaculture Magazine. No.26 www.permaculture.co.uk
https://www.lcps-lebanon.org/agendaArticle.php?id=22        Article on Need for small scale divers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refugee settlements.
Sammi-Jo Lee posted Jan 18, 2018 in YES magazine, Farming brings refugees closer to home through Food and Community.   Karen farmers from Myanmar resettle in North Carolina.      
Lemontree trust: http://lemontreetrust.org/film-and-interactive/   Transforming Land, Transforming Lives    In 2017, Lemontree trust supported Coventry University in establishing gardens in Domus II camp in northern Kurdistan.
Morrow, Rosemary:  2nd Permaculture course in Kabul, 2018   Report.       This course has led to permaculture graduates starting three gardens and being invited by Jesuit Refugee Service to give some lessons as part of a life-skills program for IDPs.
Soils Lebanon    https://www.soils-permaculture-lebanon.com/publications.html      In 2016 Soils Lebanon, sponsored by Mercy Corps, established gardens to assist with food security in six refugee camps.  Their blog is excellent for refugee and small-scale situations.
Permacultureforrefugees(P4R) Permaculture for Refugees in Camps   booklet here
https://theconversation.com/how-gardening-can-improve-the-mental-health-of-refugees-98700?utm_medium=email&utm_campaign=Latest%20from%20The%20Conversation%20for%20June%2028%202018%20-%20105169297&utm_content=Latest%20from%20The%20Conversation%20for%20June%2028%202018%20-%20105169297+CID_da5de986a67894a0303149a875e8f124&utm_source=campaign_monitor&utm_term=How%20gardening%20can%20improve%20the%20mental%20health%20of%20refugees



https://www.humanitarianresponse.info/en/operations/bangladesh/infographic/bangladesh-cox’s-bazar-refugee-response-4w-camp-level-31-july-2018
Bangladesh:  Bangladesh Associ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d-bd.org, Face book: BASD
House-110, Monipuripara, Dhaka-1215. Bangladesh
Phone: 88-02-9102326, Cell: 00 88 01713451849
Skype- boniface.gomes1, Website: basd-bd.org, Face book: BASD

Excerpt from email 8 May 2018– reprinted by permission from
Boniface Gomes, Executive Director
Greetings and best wishes to you from Dhaka. 
The following is my visit sharing with you. 
I came back visiting the Rohinga Refugee Camp at Cox's Bazar with Juliet Gomes (Board member), Akalchur Rahman (Staff), Remington (Student) and one of my friend (Jessica from CSI). We met there some of the Rohinga Leaders and community people in 2 camps. We stayed there for about 3 hours, talked to them and visited their homes and surrounding.  
It is unthinkable and pathetic, these people are living as animals (because) they are very much vulnerable and helpless. No work, no trees, no shade, 1 million + people of all ages are sitting here and there, going around, gossiping, quarreling etc., some are in the line for food / materials collection/ health check up, hundreds of children playing in the roads and around etc. 
They have hundreds of problems and needs. Immediate needs are - 1) assistance for prevention of land sliding as rain started, many of the houses are in real risk and in danger, different kinds of grasses may be planted now there etc. 2) need shade / place need to be cooler, no trees within 4/5 km, plantation like Neem and other wood, fruit and medicinal plants needed sooner, 3) need to teach them waste management, it is a big crisis in everywhere, it is easier to engage those people for doing this, just need inspiration and guidance, 4) need to teach / inspire the community people for cultivation of vegetables beside their rooms, on ground / hanging using sack bag / pots etc. it is not easy but very important, it is possible using permaculture techniques. People showed keen interest of doing these works when we talked to them as almost no vegetables are available in the nearby shops or nearby villages, if available then price is very high and many other needs and crisis.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take some immediate steps at least for the above issues. If anyone is interested for detail sharing or further discussion I will be pleased to do that. 
With kind regards, peace and harmony. 
Subsequent emails from BASD show excellent innovative examples of small scale gardens and animal systems started through this project. 

REPORTING, MONITORING AND EVALUATIVE INSTRUMENTS OF P4R
This example is a Report of permaculture training with refugees in Spain – questionnaire and response from Candelo Vargas, permaculture teacher
Stage of project: Refugees in permanent homes in rural areas in Spain   Type of project: Full PDC  + agroecology for creating livelihoods and internships in other local projects.
Your role in the project PDC Teacher
Site of the project Salleres, Granada, Spain
Starting date:     12 February 2017                                                                               Final date: 23 February 2017
Your name: Candela Vargas                                                                                             Address:  Torre de Machuca n4 Bloque 2 6A
Phone:   0034 601465875/                                                                                           email candelavp@gmail.com/fax etc
Budget:

About the project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By the end of the project
1.Whose ideas was this project and did it change? 
The La Bolina project was created during a residency organized by the Eroles Project in Catalunya during the summer 2016. The initial idea was to offer refugees a center where they could have a pause during their path for a secure place to restart their lives. It slowly changed into setting up a structure to offer opportunities and housing in a rural area in Spain, and develop land-based regenerative activities to offer employment and promote self-employment of refugees and migrants.
The PDC is one event with 3 facilitators within the long term project to design partly who to use the land for the La Bolina project.
Create an integral cooperative conformed by local resident, the La Bolina team, refugees and migrants. Repopulate villages in the area of Valle del Lecrin.

There were 5 original members of La Bolina project that slowly had been expanding to integrate some new core members, interns and other many participants.



During the PDC there was 2 main facilitators and support from many of the core participants.

2.  Managed Individually
Team?
Management style and processes
Team effort in an open and flat structure style. Collaborative and no objection decision making procedure. Core team made up of 9 people and a network with more people supporting the project.

The PDC was planned by 1 facilitator that gave space for contributions and changes to any of the members that wanted to get involved.
At the time the project is restructuring it self a little bit to find how to collaborate in the best way. Always looking at flat structure models.

 In the PDC the different sections where guided by members with interest and capability to hold the sessions.



3. How did participants find out about it?
TV
Radio
Posters in public
Newspapers
Facebook etc
Other?
Personal contacts from refugees and through contact with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work with refugees and migrants.

Some through other social networks
Some PDC participants throught Permaculture social networsk.

3. Overall goal and mission of the project?
Our mission is to repopulate a network of villages in the province of Granada, Spain which were once thriving and now at risk of extinction due to depopulation and damaging land based practices. We aim to collaboratively work the land, create viable and sustainable livelihoods, and regenerate both the ecosystems and the economy of the area

The PDC objectives where to start the analysis process to decide how to work together in an efficient way and plan the use some of the lands of the project.
Further courses will be useful to keep planning and finding ways to work together efficiently.

4. Lesser objectives
1.
2.
3.
4
The Regeneration Project in Granada seeks to find new ways to respond to the interconnected crisis we live today. We aim to be a win-win-win project tackling ‘multiple problematic factors’ to create positive, viable, humane and sustainable solutions now and for the future.
We are addressing:
- the depopulation of Spanish countryside and villages
- food sovereignty
- degradation of land
- high local unemployment
- socio economic integration of migrants and refugees>

Other important objectives of the PDC were to gather some new people that could be interested in joining La Bolina, and ensure that all participants are knowledgeable in Permaculture design.


As the PDC was held in another project facilities (La Alquería de Moraima).
One more objective was to establish good relationships with them and guido on how to transform a bit their working style into a more permaculture minded hotel.

5. Who owns the land or venue?
Access and security of tenure
Were there any problems with the place?
La Alquería de Moraima
A rural hotel in a small village called Cadiar.
They want to be more ecologically sound and give a new twist to the management style of the business.
During the PDC we helped with some few practical things and make some design suggestions for possible developments. The managers are considering to implement some of the ideas and we might plan for other courses working specifically with the Alquería members.

6. The Challenges of this project
Among the refugees
Among the project staff
Among the local citizens
Other?
Among the refugees: necessity for engagement for a long term vision and patience to accompany the project, the project will offer economical security once it is functioning, but until then, refugees or migrants might need to find/create a job.
Among the project staff: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daptation of personal life to the necessities of the project.
Other: challenge of getting in touch with more women (migrants or refugees).  Lack of openness and collaboration of the big NGOs working in the field of asylum.
During the PDC the main challenges were:
The need of translation (Spanish/English)

To have to both design for La Bolina project without being on the site.
Design for the Alquería (The place were we where) without having full engagement of the community members.
And the unbalance on capabilities from one group and the other.

Also the requirement from the Alquería to do a lot of practical work that was also usefull work for the PDC an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practical and permaculture theory.


7. Were the goal, mission and objectives maintained?
Yes
No
Mainly
Please write something about this
One of the beauties of this project is that is it organic and iterative, meaning it is constantly adapting to the realities it faces.
The goal and mission are maintained, the activities and sometimes short term objectives are adapted to the situations.
During the PDC the educational objectives were fulfilled, and none of the wider objectives had change.

8. What were the main problems with this project?
Your solutions to these?
As the facilitator I can say that the main problems I face collaborating with La Bolina project is a lack of a consistent coordinators that ensure communications and agreements to reach the relevant members.
For further curses I ask to have one person that will take the coordination role from their side and will be present from the very first communications and present in the course.








What really worked well?
Would you recommend these to subsequent projects of this type?
It worked to have a big part of the core team taking the course together. So they can plan their common project.

It was very good to have some of the refugees as involved members of the La Bolina core team and very willing to take an active role in the PDC.

About you





Were your skills and knowledge
Very good
Adequate
Not good enough
Please list a few areas
My skill where adecuate to guide the groups energy and manage the goup learning proccess.
I am very knowledgeable to cover the content required for a PDC.
It would have been useful to have someone else to support the learning process of the group.

What were the hardest things for you?
What would have helped before you started?
What support would you have liked during the project
I would have like to have another engaged facilitator to lift the course with me.

It would have helped me to know more about the group of refugees that was involved and understand better their cultural behaviors.

What recommendations would you make for anyone starting work similar to yours?
To do several small workshops first to get a feeling of the coworkers and refugees, and the dynamics between them.
To do the courses on a space managed by the core group.

What is important for Permaculture for Refugees to know and understand about your project
La Bolina is a long living situation where some of the Refugees are given the role of organizer.
That gives a lot of empowerment to the refugees, anyhow it is important to evaluate first (as with any other member) what type of responsibilities they are capable to take.
La Bolina is slowly getting more refugees to come and participate from the activities. With the intention to engage them and give them an option to earn a living from agriculture in the region.

How do you judge the success of your project
I judge the success of the PDC by the results on the design presentations, the social bonding of the groups, the feedback sessions with participants, staff and organizers.




STAGES OF REFUGEE PROJECT

A. Refugees in camps

1. On the road, emergency stage e.g. Rohinga or IDPS eg Philippines
2. In makeshift camps ie. Centre of first reception e.g. Greece
3. In semi-permanent camps
4. In Long term camps e.g, Lebanon
5. Long term refugees

B. Refugees in communities

1. Homeless under bridges, squatting eg. Afghanis in Paris
2. Temporary homes e.g. German and Greece
3. Permanent homes in cities e.g. UK and Australia
4. Permanent homes in rural areas or farms e.g. Australia, Spain, Italy, France
5. Deserted village to be restored

C. Refugees returning home?

Most of the refugees seem to have an intention to be in Spain for several years, but to return home at some point to fulfill their dreams.


D.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DPs)

1. Natural disasters e.g. earthquakes, typhoons,
2. Man made disasters e.g. war, chemical spills


E. Other?..............................................................................

TYPES OF REFUGEE PROJECT


A. Teaching and learning permaculture

1. Full PDC
2. Introductory course
3. Kitchen and/or school garden
4. Nutrition gardens
5. Full camp design
6. Preparing to move on, or, return home

B. Technical skills and boot camp courses

1. Plant propagation, tree planting,
2. Natural building
3. Greywater cleaning
4. Harvesting water
5. Compost and soil nutrition
6. Regenerating waste or toxic land
7. Other……….

C. Social strategies

1. Meeting procedures, AVP, NVC and conflict resolution
2. Assisting with group work and project identification
3. Cultural exchanges including local residents
4. Bioregional enhancement


D. Economic and livelihood

1. LETS, bioregionalism
2. Teach about credit, budgeting and interest
3. Set up internal loan and savings groups
5. Teach high standard skills for markets
6. Identify market niches
7. Income gener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Only 1% of refugees are ever resettled.

The Global Compacts for Migration and Refugees are historic agreements that the UN is negotiating right now and that aim to provide a support network and framework for those on the move due to conflict and crisis. We need to make sure that our leaders first see these people as human beings with stories and history, to prompt them to sign up to the Global Compacts.


[2] Video  See appendices



[3] Permaculturefor Refugees.org Booklet See appendices
[4] https://documents.wfp.org/stellent/groups/public/documents/op_reports/wfp287733.pdf  JOINT STRATEGY  for Enhancing Self-Reliance in Protracted Refugee Situations
[5] UNHCR Emergency Handbook, Camp Coordination, Camp Management., Points, 3, 4 5 on Risks Faced by management.  https://emergency.unhcr.org/entry/108625/camp-coordination-camp-management-cccm
[6] Elizabeth Cullen Dunn:  The Failure of Refugee Camps.  The Boston Review. A Political and Literary Forum.   September 28, 2015   http://bostonreview.net/editors-picks-world/elizabeth-dunn-failure-refugee-camps
[7] For its part, the U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also forecasts 200 million environmental migrants by 2050, moving either within their countries or across borders, on a permanent or temporary basis. Many of them would be coastal population. https://reliefweb.int/report/world/climate-migrants-might-reach-one-billion-2050

1807 “거짓말로 진상규명 방해”…KAL858기 유족, 김현희 고소



“거짓말로 진상규명 방해”…KAL858기 유족, 김현희 고소




“거짓말로 진상규명 방해”…KAL858기 유족, 김현희 고소
[중앙일보] 입력 2018.07.23 13:41 수정 2018.07.23 14:17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조한대 기자
-
1987년 발생한 ‘칼(KAL)858기 폭파 사건’의 유족들이 폭파범 김현희씨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과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다.




"김씨, 면담 거절해놓고 방송서 유족들 종북좌파로 매도"
"31년 사건을 대중 기억 속에서 다시 끌어내기 위해 고소"KAL858기 희생자 가족회와 진상규명 대책본부는 23일 오전 11시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후 검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고소인은 김호순 가족회 대표, 대책본부 총괄팀장인 신성국 신부 등 9명이다.

서현우 대책본부 진상규명조사팀장은 “김현희씨는 15차례에 이르는 가족회 면담 요청이나 KAL기 추모제 초청 등을 거부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에는 종편(종합편성채널) 등에 출연해 가족회와 대책본부를 진실을 알면서도 진실이 싫은 사람들, 북한을 옹호하고 김정일에 면죄부를 주기 위해 활동하는 종북 좌파, 민족 반역자 등으로 매도했다”고 밝혔다. 또 “당시 공중파·종편에서는 우리의 입장을 외면해 버리고 일방적으로 김현희만 출연시켰다"며 "지난 적폐 정권 하에서 김씨의 매도성 공격 행위에 대해 이번에 고소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1987년 'KAL858 폭파 사건' 당시 김현희씨의 모습. [중앙포토]가족회와 대책본부의 성명서에 따르면 김현희씨는 올해 1월 ‘조갑제 닷컴’의 조갑제 대표와 한 인터뷰에서 대책본부를 “친북성향 단체, 민족반역자들’이라고 지칭했다. 김씨는 지난해 11월 ‘미국의 소리(VOA)’ 인터뷰에서도 진상 규명 활동을 ‘테러 진실이 싫고 북한을 이념적으로 옹호’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또한 성명서에 의하면 김씨는 2014년 한 종편에 출연해 “(KAL858기) 사건을 뒤집으려는 가짜 공작을 노무현 정부가 주도적으로 했다. 국가기관이 방송사, 대책위를 총동원해 연합해서 했다. 청와대·국정원·경찰이 다 함께했다”며 “대한민국에 해를 끼치는 이런 이적행위, 종북좌파”라고 주장했다.

가족회와 대책본부는 이와 같은 김씨의 과거 발언을 적시하며 “김현희는 거짓 발언으로 공공연히 고소인들의 명예를 훼손했다. 허위사실로 희생자 가족들 간의 유대 강화 및 진상규명 활동의 업무를 방해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김호순 KAL858기 가족회 대표가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열린 진상규명 촉구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가족회와 대책본부는 지난달 27일 서울 연희동의 전두환 전 대통령 앞에서 진상 규명 촉구 집회를 열었다. 김호순 대표는 “이 사건은 전두환 기획 하에 안기부가 조작한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저희가 진상 규명을 외치고 있다"며 "안기부가 발표한 김현희에 대한 행적이나 발표가 거짓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줘야 하는데 답변을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신성국 신부는 “이 사건 때문에 대선에서 노태우가 대통령으로 당선됐고, 전두환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며 “사건의 주범은 전두환이고, 김현희는 기획 공작을 실행에 옮긴 종범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당시 신 신부는 김씨에 대한 고소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서현우 팀장은 “이번 고소는 김씨의 엉터리 허위 발언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31년 전 사건을 대중의 기억 속에 다시 불러일으켜 여론의 힘을 끌어내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조한대 기자 cho.handae@joongang.co.kr


KAL858기 폭파 사건은?



1987년 KAL858기 폭파범으로 체포된 김현희씨. [중앙포토]1987년 당시 국가안전기획부가 북한에 의한 공중폭파 테러로 규정한 사건을 말한다. 그해 11월 29일 KAL858기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해 서울로 향해던 중 인도양 상공에서 사라졌다. 탑승객과 승무원 115명이 전원 실종됐다. 정부는 유해나 유품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 사건을 북한에 의한 테러라고 발표했다.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날인 12월 15일 김현희씨를 폭파범으로 지목하고 입국시켰다. 김씨는 1990년 사형 선고를 받았다가 같은 해 사면됐다. 이후 참여 정부 시절에도 재조사를 했지만 북한에 의한 테러라는 기존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유족들은 김씨 주장 외에 별다른 물증이 없는 점을 지적하며 31년째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출처: 중앙일보] “거짓말로 진상규명 방해”…KAL858기 유족, 김현희 고소

1806 “KAL기 폭파는 조작 사건…전두환·김현희 모두 고소할 것”



“KAL기 폭파는 조작 사건…전두환·김현희 모두 고소할 것”




“KAL기 폭파는 조작 사건…전두환·김현희 모두 고소할 것”
[중앙일보] 입력 2018.06.27 19:51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조한대 기자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15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김호순 KAL858기 실종자 가족회 대표가 사건의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대한항공 KAL858기 폭파 사건’의 희생자 가족들이 “사건의 주범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라며 진상 규명 촉구 집회를 열었다.

KAL858기 실종자 가족회와 사건 진상규명 대책본부는 27일 오전 11시쯤 서울 연희동 전 전 대통령의 자택 앞에서 “KAL기 사건은 전두환과 안기부가 정권 유지를 위해 기획한 조작 사건”이라며 “진상 규명을 끝까지 하겠다”고 말했다.

KAL858기는 1987년 11월 29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중 인도양 상공에서 사라졌다. 탑승객·승무원 115명이 모두 실종됐다. 정부는 유해나 유품을 발견하지 못했다.

당시 국가안전기획부는 이 사건을 북한이 비행기를 공중 폭파한 테러로 규정했다.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날인 그 해 12월 15일 김현희씨를 폭파범으로 지목해 입국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희생자 가족들은 증거 부족 등의 이유로 3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집회에서 김호순 가족회 대표는 “이 사건은 전두환 기획 하에 안기부가 조작한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저희가 진상 규명을 외치고 있다. 안기부가 발표한 김현희에 대한 행적이나 발표가 거짓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줘야 하는데 답변을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차옥정 가족회 전 대표도 “엉뚱한 소리를 하는 것도 아니고 가족 잃은 사람이 그 진상을 꼭 알아야겠다고 하는데 왜 그걸 못 알려주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김현희의 진술 외에 정부 당국의 수사 발표를 뒷받침할 물증이 도대체 무엇이냐. 폭발에 대한 물증도, 사고 지점의 확증도, KAL858기의 잔해도, 어느 것 하나 입증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진상규명 대책본부 총괄팀장인 신성국 신부(맨 왼쪽)와 희생자 유가족들이 입장서를 전달하기 위해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대문에 다가서고 있다. [사진 뉴시스]진상규명 대책본부 총괄팀장인 신성국 신부는 “KAL858기 사건 때문에 대선에서 노태우가 대통령으로 당선됐고 전두환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전두환에게 가장 필요했던 사건”이라며 “이 사건의 주범은 전두환이고, 김현희는 기획 공작에 의해 실행에 옮긴 종범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신 신부는 “저희는 김현희를 다음달 중에 고소하겠다. 회고록에 이 사건에 대한 허위 사실을 기록한 전두환도 고소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한대 기자 cho.handae@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KAL기 폭파는 조작 사건…전두환·김현희 모두 고소할 것”

1805 대한항공 “KAL858 폭파사건, 종료된 사건” - 통일뉴스



대한항공 “KAL858 폭파사건, 종료된 사건” - 통일뉴스





대한항공 “KAL858 폭파사건, 종료된 사건”KAL858가족회, 대한항공사에 10개항 질의서 전달(전문)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승인 2018.05.09 12:40:01






▲ KLA858기 가족회와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대책본부는 8일 오전 서소문 대한항공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질의서를 전달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대한항공사가 파악한 KAL858기의 정확한 사고위치는 어디인가요?”

대한항공(KAL) 858편이 1987년 11월 29일 중동근로자와 승무원 등 115명을 태운 채 미얀마 안다만해역 상공에서 사라진지 30년도 더 지난 시점에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 대한항공 측에 다시 제기됐다.

‘KAL858기 가족회’가 8일 오전 11시 서울 서소문 대한항공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10개항의 질의서를 제출한 것. 그러나 대한항공은 당일 즉각 “종료된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858기 폭파사건 유족의 진상규명 기자회견 관련 입장’을 발표, “858기 폭파사건은 유족들의 끊임없는 의혹제기에 따라 이미 2007년에 정부 차원의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를 발족하여 재조사 실시한 후, 종료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2007년 재조사를 벌인 국정원 발전위가 “사건의 실체가 북한 공작원에 의해 벌어진 사건임을 정식 확인하는 등 그동안 이 사건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불식”시켰다는 것이다.

대한항공은 “858기 폭파사건은 31년이나 지난 사건이고, 정부차원에서 대한항공을 비롯해 철저한 재조사를 거쳤고 현지인 증언, 수색작업까지 하여 진실규명 발표까지 공식적으로 이루어져 종료된 사안”이라고 확인했다.

▲ KAL858기 가족회가 대한항공에 보내는 질의서를 대한항공 관계자가 받아가고 있다. 신성국 신부는 7월까지 답변을 요청했지만 대한항공은 당일 '종료된 사안'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이에 대해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대책본부’ 총괄팀장인 신성국 신부는 9일 “어제 우리가 전달한 질의서를 보지도 않고, 질의하지도 않은 내용을 왜 답변하는지 너무 황당하다”며 “어제 대한항공 관계자는 우리 질의서를 잘 전달해 검토해서 답변을 주겠다고 해놓고 우리에게는 답하지도 않고 일반 국민들에게 언론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성국 신부는 “이같은 대한항공의 언론플레이 행위는 지난 14년 전에도 질문에 회신하지 않았던 것을 아직도 전혀 반성하지 않은 태도”라며 “일단 기한으로 준 7월까지는 답변을 기다리겠지만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현희를 상대로 소송하면서 진실이 밝혀지게 되면 대한항공도 거기에 대한 법적인 책임 물을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전날 기자회견에서 가족회 회원들은 자살한 김승일과 함께 KAL858기를 폭파한 ‘북한 공작원’ 김현희 씨를 법정에 세우자며 공동 고소인으로 서명했다.

가족회는 전날 ‘대한항공 858기 사고로 인하여 실종된 피해자 가족회가 대한항공사에 보내는 1차 질의서’를 통해 10가지 질문을 제출했다.

대한항공사가 판단하고 있는 사고 위치는 물론 사고 발생 하룻만인 87년 11월 30일 당시 대한항공 회장 조중훈(작고)과 사장 조중건이 기자회견을 통해 ‘폭탄 테러’라고 발표한 근거 등을 따져 물었다.

또한 “이 사고에서 항공 보안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대한항공의 1차적 책임은 간과할 수 없다”며 “대한항공 임원과 직원들은 단 한사람도 법적 책임이나 처벌받은 자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김현희 일행과 중간기착지인 아부다비에서 내린 보안승무원과 한국 외교부 공무원 11명의 신원공개를 요청했다.

가족회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근거로 “KAL858기 사고조사 자체가 조사의 원칙을 따르지 않았고, 총체적으로 부실이었으며 사고조사 자체를 하지 않았다”며 “사고조사의 문제에 대하여 국토부에 재조사를 요구할 생각은 없느냐”고 질의했다.



<질의서(전문)>
대한항공 858기 사고로 인하여 실종된 피해자 가족회가 대한항공사에 보내는 1차 질의서

KAL858기 가족회는 2004년 11월 1일에 대한항공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3개항의 질의서를 발송했지만 14년이 지난 현재까지 회신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대단히 유감스럽고 향후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재차 촉구하는 바입니다.

30여년전, 대한항공기를 이용하다 승무원과 탑승객 115명이 실종되었는데, 대한항공사는 이 사고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진적도 없으며, 오히려 책임회피, 사고조사 방해, 사고 진실의 은폐, 심지어는 인권탄압마저 서슴지 않은 행위에 대해 KAL858기 가족들은 항공사측의 진정한 사죄와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바입니다.

우리는 대한항공사가 지금이라도 사건의 진실에 적극 협조하기를 간곡히 기대하면서 질의서를 발송하는 바, 성실하고 책임있는 회신이 있기를 요청드립니다.

1. 대한항공사가 파악한 KAL858기의 정확한 사고위치는 어디인가요?

대한항공사 직원 18명이 정부합동사고조사단원으로 발탁되었으며 조중훈 회장도 구성원으로 참여했습니다. 정부 보고서와 미얀마 보고서가 사고 위치를 다르게 발표하여 혼선을 빚고 있고, 아직도 사고위치는 하나로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대한항공사가 판단하는 사고위치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 사고 당시 대한항공 조중훈 회장(작고), 조중건 사장(작고)은 11월 30일에 기자회견을 통해 ‘폭탄 테러’, ‘폭발 추정사고’로 발표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 일입니까?

항공기의 사고 수색과 조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시점에 임원들의 이러한 추측성, 사고 예단 발언들은 상식적으로 납득을 할 수가 없습니다.

아무런 사고조사도 없는 상황에서 임원들이 사고원인을 발표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3. 대한항공사는 KAL858기 사건을 기획한 안기부 문건 ‘무지개 공작’을 알고 있습니까?

4. 항공사는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해 보안업무와 보안 승무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 사고에서 항공 보안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대한항공의 1차적 책임은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대한항공 임원과 직원들은 단 한사람도 법적 책임이나 처벌받은 자가 없습니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당시 이 사고로 보안 승무원 한명은 실종되었고, 또 한명의 보안 승무원은 김현희 일행과 함께 아부다비 공항에서 내렸습니다. 아부다비에서 내린 보안 승무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이 사람은 서울까지 오지 않고, 왜 중간에 내렸습니까? 이 사람은 검찰과 법원에서 왜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았나요?

5.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서울 김포공항까지 오기로 된 한국 외무부 공무원 11명은 누구입니까? 이들의 명단을 공개해주십시오.

“서울로 오기로 된 한국 외무부 공무원 11명이 아부다비에서 내렸다”(일본 주간신조, 아부다비 주재 일본 대사관 1등 서기관 야하라 중이찌 진술. 1987년 12월 17일)

대한항공이 제시한 바그다드-아부다비 간의 승객명단 표를 보면, 총 26명의 승객명단이 있는데 15명의 명단만 공개했으며, 나머지 11명의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이라크 바그다드 공항에서 내린 11명의 국적, 이름, 직업등은 왜 공개하지 못합니까?

6. 조중훈 회장은 왜 교통부에 사망처리를 서둘러 달라고 요구했는가요?

그 이유를 밝혀주십시오.

정부는 사망결정과 신고를 한달만에 모두 실행하였습니다. 가족들에게 2,3차 피해를 입힌 정부의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민법 27조(실종의 선고)에 ‘부재자의 생사가 5년간 분명하지 아니한 때에는 법원은 이해관계인이나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실종선고를 하여야 한다’

또한 항공기 사고에서 실종선고를 받은 자는 1년의 유예기간을 둡니다.

KAL858기 사건에서 정부는 실종자들에 대해 한달만에 사망결정하고, 40여 일만에 사망신고를 해버렸습니다. 피해를 입은 가족들은 시신이 단 한구도 나오지 않아 사고조사와 진상규명에 목메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가족들의 동의도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일괄적으로 사망결정과 사망신고를 단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가족들은 정부에 대한 분노와 불신은 깊어졌습니다.

사망처리의 속전속결 배경에는 조중훈 회장의 요구가 있었음이 가족회가 기록한 대책회 기록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사는 이에 대한 해명을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7. 1990년 3월에 ‘서울 88올림픽 로고’가 새겨진 동체 잔해가 발견되었다는 언론 보도가 있습니다. 현재, 동체 잔해들에 대한 보존 유무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이 잔해들은 어디에 어떻게 보관되고 있습니까? 그 구체적인 장소와 처리과정의 사실을 알려주십시오.

8. 대한항공 858기 사건으로 인한 증인과 참고인으로 대한항공사 직원들이 채택되었는데, 아부다비에서 내린 5명의 직원들은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김석영, 이승규, 김재정, 함연호, 조은경 이상 5명입니다.

이들은 왜 법원과 검찰의 참고인에서 제외되었나요? 10명의 직원들은 모두 증인과 참고인으로 조사를 받았는데, 5명은 아무런 조사를 받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5명의 직책을 공개해주십시오.

9. 사고 후에 합동분향소가 차려졌고, 많은 시민들이 조문을 왔습니다. 그러나 대한항공사 총수 조중훈과 조중건은 조문조차 오지 않았습니다. 자사 항공기를 이용하다가 피해를 입은 실종자 가족들에게 위로와 사죄를 함이 인간적 기본 도의가 아닙니까? 지금이라도 이 사고로 슬픔과 고통에 빠진 가족들을 만나 진정성있는 대화를 나누고 사죄를 표하고, 책임질 의향은 없습니까?

10. 항공기 사고 조사 전문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KAL858기 사고조사 자체가 조사의 원칙을 따르지 않았고, 총체적으로 부실이었으며 사고조사 자체를 하지 않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대한항공은 어떤 입장인가요? 사고조사의 문제에 대하여 국토부에 재조사를 요구할 생각은 없습니까?

대한항공 858기에 탑승하여 30년의 길고긴 고통 속에 살아가면서 오직 사건의 진실을 원하는 KAL858기 가족들의 질의에 대하여 대한항공사는 책임있고 성실하게 답변해주기를 부탁드립니다. 단, 회신은 서면으로만 받겠습니다.

담당자와 연락처도 함께 기재해주시기를 바랍니다.

6월중으로 회신이 있기를 바라면서 만일 회신이 없다면 그에 따른 책임을 반드시 져야할 것입니다.

1710 “30년을, 어떻게 그 세월을 넘어갔지 싶어요” - 통일뉴스



“30년을, 어떻게 그 세월을 넘어갔지 싶어요” - 통일뉴스


“30년을, 어떻게 그 세월을 넘어갔지 싶어요”[KAL858 30주기①] 차옥정 ‘KAL858기 가족회’ 전 회장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승인 2017.10.23 12:39:45







오는 11월 29일은 대한항공(KAL) 858기가 승객과 승무원 115명을 태운 채 미얀마 안다만 해역 상공에서 사라진 지 30주기가 되는 날이다. 당시 국가안전기획부는 북한 테러범 김승일과 김현희가 기내에 폭발물을 두고 내려 공중폭파됐다고 발표했고, 범인 김현희는 울먹이며 범행을 자인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그러나 비행기의 잔해나 실종자의 유품과 유해가 전혀 발견되지 않은 이 사건에 대한 의혹은 사건 발생 초기부터 제기됐고, 2006년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는 이 사건을 19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에 이용한 ‘대한 항공기 폭파사건 북괴음모 폭로 공작(무지개 공작)’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두고 압송된 김현희가 비행기 트랩을 내려오는 장면은 생생하게 국민들의 뇌리에 박혀있다.

김현희의 진술에만 의존한 수사결과에 대한 의혹제기와 진상규명 요구는 끊이지 않았고, 2001년 14주기 추모식 전후로 ‘KAL858기 가족회’와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의 활동이 본격화 돼 국정원발전위원회와 진실화해위원회가 이 사건을 다루기도 했지만 김현희 조사조차 하지 못한 채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촛불민심으로 앞당겨 정권교체가 이뤄진 상황에서 오는 11월 29일 30주기를 맞아 진상규명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높다. 가족회와 시민대책위는 국정원이 부분공개한 ‘무지개 공작’의 전면 공개와 유일한 증인 김현희와의 면담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2001년부터 이 사건의 의혹을 다뤄온 <통일뉴스>는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맞아 주요 관계자와의 릴레이 인터뷰를 연재한다. /편집자 주






▲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맞아 추석 연휴인 10월 1일 서울 방배동 자택에서 차옥정 'KAL858기 가족회' 전 회장과 인터뷰를 가졌다. 남편의 사진과 앨범 등을 준비해뒀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우리 딸이 그러잖아요. ‘맨날 아버지는 엄마 것 밖에 (선물을) 못 사온다’고. 그러면 ‘너는 사가지고 올 사람이 따로 있다’ 이러죠. 하하.”

아직도 기억 하나하나가 또렷하지만 세월의 무게는 이길 수 없는 탓일까. KAL858기 사건의 진상규명에 앞장서 온 차옥정 ‘KAL858기 사건 가족회’ 회장의 직책에도 ‘전(前)’자가 붙었고, 방금 전 일도 깜빡깜빡 잊는 증세가 시작된 지도 벌써 몇 년째다.

추석 연휴가 시작된 10월 1일 서울 방배동 자택에서 만난 차옥정(80) 여사는 기자를 기다리며 30년간 부재 중인 남편의 사진과 앨범 등을 미리 꺼내놓았다.

젊은 시절 남편의 사진을 보며 “그렇게 봐서 그런지, 좀 변한 것 같지 않아요? 하여튼 변하는 것 같다”고 애써 기자의 동의를 구하더니 다른 작은 흑백사진을 안방에서 가져와 “다 같은 사진인데, 이것은 잘 안 변해요. 얼굴이 그대로 있는 것 같아요”라며 애틋해 한다.

▲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운동의 첫 자리에는 늘 차옥장 회장이 있었다. 2003년 추모식에서 "이제 큰 침묵의 바다를 건넜다"고 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2005년, 18주기 추모식을 마치고 국가정보원 앞에서 삼보일배를 하며 침묵시위를 벌이고 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2004년 6월 3일, 서울 양재동 시민의숲에 세워진 '대한항공기 미얀마 상공 피폭 희생자 위령탑'을 거부하고 이를 부수는 퍼포먼스를 벌이다 여경들에 사지가 붙들린 채 연행되고 있는 차옥정 회장. [자료사진 - 통일뉴스]



2001년 KAL858기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운동이 재점화 되면서부터 그 중심에는 항상 차옥정 회장이 우뚝 서 있었다. 평범한 교사 출신 가정주부인 그의 가냘픈 몸매 어디에서 저런 힘이 솟아날까 늘 경탄하면서, 결국 남편에 대한 깊은 마음 때문이리라 결론지을 수 밖에 없었다.

“이제 워낙이 서울 사람이다 보니까. 사람한테 아주 친절하게 대하고 이런 게 있어 가지고. 친구지간에도 경상도가 많잖아요. 다 지그 아버지 좋아하죠.”
“별로 서로 다툰 게 없었으니까. 서울 양반이 돼가지고요, 제가 음성이 좀 높으지, 지그 아버지는 음성도 안 높아요.”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6년간 공군에 복무하고 중령으로 예편해 대한항공 기장이 된 남편 박명규 기장은 DC10기 운항을 마치고 KAL858기에 탑승해 귀국하다 30년 전 ‘실종’됐다.

“그러니까 이게 말도 안 되죠. 이제는 항상 가방 들고 나가서 안 들어온 것, 그것만 머리에 박혀 있는 거죠.”
“아휴, 꿈에도 안 보여요. 어쩌다가 한번씩. 뭐 생각하고 이러면 꿈에 보인다는데 그렇지도 않아요. 근데 그냥 그냥 인생무상이지요 뭐.”

▲ 차옥정 여사의 거실에는 출근한 뒤 30년째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남편의 초상화가 자리잡고 있다. [사진 - 송정미]


중동 근로자와 승무원, 외국인 등 115명을 태우고 이라크 아부다비공항을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KAL858기는 1987년 11월 29일 미얀마 안다만해역 상공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국가안전기획부는 1988년 1월 15일 북한 테러범 김승일과 김현희가 기내에 폭발물을 설치해 두고 내려 공중폭파됐다고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처음부터 뭔가가 있다고 생각했지요. 왜냐하면은 지그 아버지가 이 비행기만큼 안전한 게 없다 했었거든요. 철두철미하데요. 비행기 뜰 때까지 정비를 한데요. 내가 신경쓸까 싶어서 그 소리를 자꾸 했는 것 같예요. 지나놓고 보니까. 아, 나 이제 신경쓰지 말라고 그렇게 말을 했구나.”

차옥정 여사의 ‘의혹’은 확고했다. 누군가 폭발물을 기내 선반에 두고 내렸고, 이 폭발물이 비행기를 산산조각 내서 흔적조차 사라졌다는 것을 애시당초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비행기 잔해나 실종자 유품, 시신 한 점도 제대로 확인된 것이 없다.

“대개 사고 나면 잔해가 있어야지 끝을 내든지 하지. 조작이니까 블랙박스가 어디 있냐. 없지. 아무것도 없이 그래 가지고 마무리하는...” 의혹이 ‘조작’이라는 확신으로 굳어져온 30년의 세월이었다.

차옥정 여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가족회 회장을 맡아 줄기차게 진상규명 활동을 전개했고, 국정원 앞 시위는 물론 경찰에 사지가 들려 연행될 정도로 완강한 입장을 견지했다. 그 과정에서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와 힘을 합쳤고, 숱한 사회운동과도 연대했다.

“그래도 아휴, 30년을, 어떻게 그 세월을 넘어갔지 싶어요. 아닌 것 같애요. 30년이.”
“하이고, 세월은 진짜. 그런 속에서도 세월이 이렇게 많이 흘렀으니까요. 참 희한한 일이죠. 그렇게 몇 십년을 앓았으면 생명 부지도 못했을 텐데 또 말짱하게 살아있고. 그러고 너 아버지 그러고 나서는 내 병원에도 안 갔지? 아프다고.”

인터뷰 자리에 함께한 맏아들 종호 씨에게 ‘지그 아버지’, ‘너 아버지’가 사라진 뒤 병원에도 간 적 없음을 확인받고 싶어한다. 요즘 들어 부쩍 깜빡깜빡하는 기억력을 스스로도 좀체 믿지 못하기 때문.

한결같이 진상규명에 매달려오던 그도 결국 11월 29일 추모식조차 참석하지 못할 정도로 건강이 나빠져 가족회 회장은 부회장으로 호흡을 맞춰왔던 김호순 씨에게 물려주게 됐다.

그러나 마음만은 여전하다. “그래도 지그 아버지 생각하면 내가 지금 이리 있을 때도 아닐 상 싶고, 내 할 일을 하는 거지.” 그래서 요즘은 주로 기록을 남기는 일에 관심을 갖는다.

▲ 30주기 인터뷰를 계기로 차옥정 여사의 '기록 남기기'가 시작됐다. 왼쪽은 맏아들 박정호 씨. [사진 - 송정미]


▲ 차옥정 여사의 인터뷰와 '기록 남기기'에는 다큐창작 '소' 소속 정원석 PD(왼쪽)가 함께 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내가 정리도 하고 쓰고 할라고 몇 번 시도를 했어요. 혼자 안 되더라고요. 그거를 틀림없이 하기는 해야 되거든요.”

30주기 추모식에 참석할 수 있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아니, 나가기는 나가야죠. 하여튼 나갔다 와야 편하지”라면서도 “정권이나 바뀌면 어떻게 될란지 모르지만”이라고 바뀐 시절조차 잊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였다.

차옥정 ‘회장’은 2005년 추모식에 자필로 깔끔하게 쓴 ‘추모사’에서 “우리 가족회 입장에서는 김현희가 양심선언 하는 것이 사건이 끝나는 시점으로 봅니다. ‘나는 가짜다’ 이 다섯 자 말입니다”라고 촉구했다.

1711 “김현희, ‘17살 이전 탈북자’ 확신” - 통일뉴스



“김현희, ‘17살 이전 탈북자’ 확신” - 통일뉴스





“김현희, ‘17살 이전 탈북자’ 확신”[KAL858 30주기②] ‘KAL858 시민대책위’ 신성국 신부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승인 2017.11.01 18:40:55





오는 11월 29일은 대한항공(KAL) 858기가 승객과 승무원 115명을 태운 채 미얀마 안다만 해역 상공에서 사라진 지 30주기가 되는 날이다. 당시 국가안전기획부는 북한 테러범 김승일과 김현희가 기내에 폭발물을 두고 내려 공중폭파됐다고 발표했고, 범인 김현희는 울먹이며 범행을 자인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그러나 비행기의 잔해나 실종자의 유품과 유해가 전혀 발견되지 않은 이 사건에 대한 의혹은 사건 발생 초기부터 제기됐고, 2006년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는 이 사건을 19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에 이용한 ‘대한 항공기 폭파사건 북괴음모 폭로 공작(무지개 공작)’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두고 압송된 김현희가 비행기 트랩을 내려오는 장면은 생생하게 국민들의 뇌리에 박혀있다.

김현희의 진술에만 의존한 수사결과에 대한 의혹제기와 진상규명 요구는 끊이지 않았고, 2001년 14주기 추모식 전후로 ‘KAL858기 가족회’와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의 활동이 본격화 돼 국정원발전위원회와 진실화해위원회가 이 사건을 다루기도 했지만 김현희 조사조차 하지 못한 채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촛불민심으로 앞당겨 정권교체가 이뤄진 상황에서 오는 11월 29일 30주기를 맞아 진상규명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높다. 가족회와 시민대책위는 국정원이 부분공개한 ‘무지개 공작’의 전면 공개와 유일한 증인 김현희와의 면담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2001년부터 이 사건의 의혹을 다뤄온 <통일뉴스>는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맞아 주요 관계자와의 릴레이 인터뷰를 연재한다. /편집자 주

“30년을, 어떻게 그 세월을 넘어갔지 싶어요”
[KAL858 30주기①] 차옥정 ‘KAL858기 가족회’ 전 회장







▲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앞두고 10월 18일 서울 마포 마리스타 수도원에서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신성국 신부와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남편과 자식을 잃은 어머니들과 만나면서 그분들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그런 심정을 저에게 보여줬다... 그것을 내가 눈여겨보면서, 정말 힘이 별로 없지만 나라도 어머니들 곁에서 함께 해줘야 되겠다. 그런 마음이 크게 생겼다.”

천주교 신부로서 우리 사회가 금기시하다시피 한 대한항공(KAL) 858기 사건 진상규명에 뛰어든 계기는 “순수 인간적인” 것이었지만, 이후 그가 겪은 가시밭길은 상상 이상이었다.

6년 반을 “내가 활동을 좀 못하게끔” 해외로 발령을 받았고, 귀국한 뒤에도 교구 소속 신부임에도 성당 사목에 나서지 못한 채 수도원 파견 신부로 “시골에서 노동도 많이”하는 특별한 생활을 하고 있다.

2001년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가 구성되고 이후 집행위원장으로서 진상규명 활동을 도맡다시피 해 온 신성국(56) 신부는 “3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아직도 이것이 해결되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정말 우리 사회가 아직도 정상적인 그런 사회로 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헛헛함을 토로했다.

오는 11월 29일, 87년 대선을 앞두고 발생한 KAL858기 ‘실종’사건도 30주기를 맞는다. 신성국 신부는 10월 18일 서울 마포 소재 마리스타 수도원에서 가진 <통일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테러리스트’로 사형을 선고받았던 김현희 씨에 대해 ‘탈북자’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는 “안기부(국가안전기획부), 지금 국정원(국가정보원)이 김현희에 대해 아주 강조하는 게 있다. 뭐냐면 항상 “북한 사람이다”고 이야기한다. 이걸 유독 강조한다”며 “그걸 왜 강조하느냐? 북한에서 살았다는 것은 사실이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나 “김현희가 북한에서 살았다는 것과 이 사건과 관련있다는 것은 다른 거다”며 “김현희는 어린 시절 북한에서 태어나고 살았지만 공민증을 받기 이전, 17살 이전에 탈북한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나의 조사 결과 이건 거의 99% 확실하다”고도 했다.

그 근거로 “우선 김현희의 수사기록이나 진술서 내용들을 보면 북한 관련 진술들이 다 허위로 드러났다. 숱하게. 그렇다면 북한을 모른다는 거다”고 전제하고 “특히 가장 핵심적인 게 김현희 자신이 북한 사람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원 문제가 아무 것도 제시된 것이 없다”며 “우리 주민등록증 같은 공민증과 노동당증이 없고, 없다면 번호라도 알아야 되는데 번호도 모른다”고 짚었다.

북한의 공민증은 17세 이상 주민에게 발급되는 신분 증명서로서 공민증 없이는 북한 지역 내에서의 이동조차 불가능하다. 더구나 북한 주민으로서 최고의 영예인 ‘조선노동당 당원증’의 번호를 모른다는 것은 자신의 생년월일을 모르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그는 “당시 안기부가 발표한 기록에 의하면 노동당원으로서 차출되어서 7년 8개월을 대남공작원 훈련을 받았다는데 왜 노동당증 번호가 없나?”라고 반문했다. “김현희 스스로가 쉽게 밝힐 수 있는 자신의 신원을 제시하지 못하니까 사람들이 의심하는 것 아니냐”는 것.

또한 “중요한 것은 김현희 여권”이라며 “김현희 여권에 찍혀 있는 모든 직인, 스탬프는 실제다. 그러면 김현희가 일본 나리따를 출국한 기록을 안기부가 평양으로 바꾼 거다”라고 추론하고 “여권을 보면 김현희는 북한과 관계없이 일본에 근거지를, 거점을 갖고 활동했던 그런 사람으로 증명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 “김현희씨 왔습니까? 손들어 보세요.” 신성국 신부는 이미 5년 전에도 김현희 씨를 초대했지만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하치야 마유미(김현희) 일본 여권. 당시 국가안전기획부는 위조여권이라고 발표했지만 스탬프와 직인 등은 위조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1984년부터 일본을 드나든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져 있다. [사진제공 - 서현우 시민대책위 조사팀장]


▲ 1986년 출입국 기록에 이어 문제의 1987년 11월 14일 나리따 공항 출국 스탬프가 선명하게 찍혀있다. 신성국 신부는 1987년 11월 29일 KAL858 사건 당시 김현희가 평양이 아니라 일본에서 출발했다고 주장했다. 김현희는 11월 12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탑승해 모스크바로 도착했다고 진술했다. [사진제공 - 서현우 시민대책위 조사팀장]


그는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11월 29일 오전 10시 반부터 토론회와 추모제가 같이 열리게 된다”며 “그때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우리가 김현희를 초대한다. 당연히 와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김현희 씨는 ‘KAL858기 가족회’와 시민대책위의 공개토론 제안을 한 차례도 수용하지 않았고, 2006년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발전위)의 재조사를 위한 면담조차 응하지 않았다.

그는 “김현희라는 사람은 사면 단행할 때 사면 이유가 있었다. 뭐라 그랬냐? “역사의 증인으로 삼기위해 사면시키겠다.” 정부가 그렇게 발표했다. 그러면 역사의 증인이 되도록 김현희를 가족들이 원한다면, 가족들이 만나고 싶다면 만나도록 주선해주고 공개해야 한다”며 “왜 김현희를 저렇게 꽁꽁 숨기나? 피해자 가족들이 매년 추모제를 하는데 김현희는 왜 오지를 않나? 왜 피하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사건 30주기를 맞아 시민대책위는 정부 각 부처에 자료공개를 요청하고 있으며, KAL858기 사건을 87년 13대 대통령선거에 악용한 ‘무지개 공작’ 전문 공개도 추진하고 있다. 국정원 발전위는 2006년 ‘무지개 공작’이 존재했음을 밝혔지만 그 내용은 절반 이상 감춘 채 공개한 바 있다.

또한 “사고 당시 미리 전화를 받고 KAL858기에 탑승하지 않아 생명을 건진 외교관 한 명을 찾고 있다”며 “이미 신원은 알고 있다. 사실 규명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 필요하면 명예훼손 소송을 각오하고라도 실명을 공개하고 공개증언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말해 주목된다.

그는 “이 사건의 중심에 국정원이 있다. 국정원은 이 사건과 관련해서 한 치의 진실이라도 밝혀지기를 두려워하는 집단”이라며 “김현희는 지금 국정원이 관리한다. 국정원 손아귀에 있다”고 단정하고 “국정원이 불러오면 되는 거다”라고 말했다.

다음은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맞아 <통일뉴스>가 진행하고 있는 릴레이 인터뷰의 일환으로 지난달 18일 오후 서울 마포 마리스타 수도원에서 진행된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신성국 신부와의 인터뷰 전문이다.





“이 사건의 중심에 국정원이 있다”
“노무현 정권이나 이명박 정권, 박근혜 정권 때도 그들은...”

▲ 신성국 신부는 인터뷰 과정에서 국정원에 대한 근원적 불신과 김현희 씨의 신분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통일뉴스 : KAL858기 사건이 발생한지 올해로 30년이다. 먼저, 30주기를 맞는 심경은?

■ 신성국 신부 : 이 사건이 하루빨리 진상규명이 되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항상 있다. 3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아직도 이것이 해결되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정말 우리 사회가 아직도 정상적인 그런 사회로 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나의 가장 큰 소감이랄 수 있다.

그래서 이제는 우리가 상식이 통하고, 또 우리 한사람 한사람 인권이 제대로 존중받는 그런 세상이 빨리 와야 한다. KAL858기 진상규명을 하는 나의 진솔한 마음 중의 하나다.

□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근황이 궁금하다.

■ 제천 시골에서 노동도 많이 하고, 그리고 30주기를 맞아 이 사건 행사 준비에 많이 바쁜 상태다.

□ 천주교 신부로서 본당 사목활동은 안 하나?

■ 제천 마리스타 공동체에서 노동하면서 조용히 좀 자유로운 상태에서 지내고 있다.

□ 예전에 김현희 씨는 민주정권에서 탄압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는데, 신부님은 보수정권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안다.

■ 나는 사실 민주정권이고 보수정권이고 늘 같은 어려움에 있다. 쉽게 말하면 이 사건의 중심에 국정원(국가정보원)이 있다. 국정원은 이 사건과 관련해서 한 치의 진실이라도 밝혀지기를 두려워하는 집단이다.

노무현 정권이나 이명박 정권, 박근혜 정권 때도 그들은 이 사건에 대해서는 전혀 우리와 대화하지 않고, 항상 이것을 감추려는 자세였다. 그래서 사실은 그때나 지금이나 나에게 오는 어려움, 고통은 똑 같다.

□ 의외다. 일반적으로 민주정권에서는 좀 더 협조적이고 보수정권에서 더 어려웠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상당히 의외다.

■ 사람들은 흔히 그런 이야기한다. ‘이명박 국정원’, ‘박근혜 국정원’이라고 앞에다가 붙이는데 국정원은 앞에 수식어가 필요 없는 데다. 그냥 똑 같은 국정원이다. 그들은 늘 그 실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똑같은 그러한 뭐랄까, 국민들을 위해서 봉사하지 않는, 그리고 늘 권력지향적인, 그러면서 늘 뒤에서 공작을 꾸미는 그런 집단이다. 그들이 뭐 정부기관이다? 그런 거 없다.

□ 이 사건에 뛰어든 계기가 있었나?

■ 계기는 순수 인간적인 차원에서 일어났다. 남편과 자식을 잃은 어머니들과 만나면서 그분들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그런 심정을 저에게 보여줬다. 그러니까 내가 그분들의 아픔, 억울함, 큰일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로부터도 도움을 받지 못한, 보상을 받지 못한 것을 봤다. 보상이라는 것은 특히 심리적인 것이다.

그것을 내가 눈여겨보면서, 정말 힘이 별로 없지만 나라도 어머니들 곁에서 함께 해줘야 되겠다. 그런 마음이 크게 생겼다.

▲ 신성국 신부의 화두는 '국가정보원'이다. 참여정부 시기인 2004년 9월 21일 국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지만 이후 국외 발령을 받았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2003년 11월 3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김현희KAL858기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천주교 신부 115인 선언` 기자회견이 열렸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그 이후 115명의 천주교 신부들이 선언도 하고, 천주교 쪽이 움직이고 도와주지 않았나?

■ 초기에 천주교 신부들이 이 사건의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다 공감하고 ‘115인 선언’도 해주고 2차로 162명이 선언도 해줬다. 2002년도, 2003년도에 천주교가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활동을 했다.

□ 그 이후에 신부님은 천주교 내부에서조차 해외로 밀려나지 않았나?

■ 그 이후에는 내가 활동을 좀 못하게끔 발령도 받았고, 결국 해외로 떠났다.

□ 천주교 내부 흐름이 바뀐 건가, 원래 그런 건가?

■ 본래 그렇다. 천주교는 뭐랄까 좀 이념에 대한 의식수준이 세상하고 똑같다. 더 진취적이거나 깨어있는 상태가 아니다.

□ 해외에 얼마나 머물렀나?

■ 6년 반이다.

□ 자의가 아닌 상태에서인가?

■ 그렇다.

□ 다시 들어 와서도 본당 신부는 맡지 못한 것으로 안다.

■ 갔다 오고 나서도 그렇다. 또 내가 원하지 않았다. 수도원에 파견 식으로 지금 나가있는 상태다.

“우리가 김현희를 초대한다. 당연히 와야 한다”
“미리 전화받고 생명을 건진 외교관 찾고 있다”

□ 꾸준히 KAL858기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해왔는데, 정권이 교체됐고 30주기가 다가왔다. 어떤 식으로 풀어가려고 하는지 진상규명의 방향을 소개해 달라.

■ 우선 제일 큰 밑그림은 촛불시민들의 혁명, 이것이 우리들에게는 진상규명에 물꼬가 텄다는 감이 든다. 여건이 우리에게 유리하게 조성이 됐다. 그런 면에서는 희망적이다.

이명박, 박근혜 때의 국정원의 적폐, 여러 가지 정권 차원에서 공작한 것들이 지금 막 국민들에게 분노, 불신을 주고 있다. 국정원이 어떤 기관인가, 또 그들이 어떤 범죄를 저질렀는가, 지금 속속들이 드러나면서 이제 국민들이 국정원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고 있다.

국정원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우리 사건도 오버랩돼 우리 사건도 같이 관심을 가지게 됐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진상규명 운동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할 하나의 요소로 보고 있다.

▲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진상규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지만 번번이 좌절됐다. 2013년 1월 13일 박근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KAL858기 사건의 주범이라는 김현희를 반드시 재조사해주시기를 바란다”며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참여정부 시기인 2005년 11월 9일 가족회와 시민대책위가 국회에서 언론 보도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고, 임종인, 정청래 당시 의원이 참석했다. 신성국 신부는 “작은 언론사라도 마치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할 수 있는 수단 방법을 다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국민의 의식변화, 국정원에 대한 인식 변화, 이런 것들이 사회 저변의 기류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런 사회적 기류 속에서 KAL858기 사건도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텐데, 30주기를 맞아 기획하고 있는 것은?

■ 우선 우리가 당장 11월 29일이 30주기니까 그때 우리들이 진상규명 대회를 국회에서 가지려고 한다. 진상규명이 필요한 여러 가지 준비된 자료들을 우리가 제공하고 또 토론하고, 국민적인 관심사를 30주기를 계기로 해서 다시 불러일으키려 한다. 그동안 30년의 결과를 국민들에게 내놓을 거다.

□ 국회 30주기 추모행사를 구체적으로 소개해 달라.

■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11월 29일 오전 10시 반부터 토론회와 추모제가 같이 열리게 된다. 그때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우리가 김현희를 초대한다. 당연히 와야 한다. 30주기인데.

□ 행사 말고도 여론화를 위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있나?

■ 우리들이 그동안에 재판기록과 수사기록을 정보공개를 청구해서 받아냈는데, 그런 기록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해서 정부 각 부처마다 우리가 필요한 자료를 요청하고 있다. 우리가 미처 아직까지 받아내지 못한 것들을 받아내기 위해, 자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사고 당시 미리 전화를 받고 KAL858기에 탑승하지 않아 생명을 건진 외교관 한 명을 찾고 있다. 이미 신원은 알고 있다. 사실 규명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 필요하면 명예훼손 소송을 각오하고라도 실명을 공개하고 공개증언을 요구할 예정이다.

▲ 2009년 22주기 추모식 당시 미국에서 귀국한 신성국 신부가 정보공개를 청구해 미국 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외국 추방 중에도 KAL858 진상규명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2004년 6월 3일 서울 양재 시민의숲에 세워져 있는 '대한항공기 미얀마상공 피폭 희생자 위령탑'을 거부하며 이를 부수는 상징의식을 벌이면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사진 화형식을 벌이다 경찰에 압수당하고 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아무래도 30주기면 언론의 관심도 높아지지 않겠나?

■ 그렇다. 그래서 우리는 방송이라든지 요즘 젊은이들이 많이 듣는 팟캐스트라든지 잡지, 신문, 하여튼 언론을 최대한 활용해서 우리의 이러한 운동, 또 우리들이 지금까지 진상규명한 결과들을 다 알려주려 한다.

거대 공중파라든지 이런 데는 자꾸 이 사건을 이념적으로 바라보며 다루기를 꺼려한다. 그래서 <통일뉴스>를 비롯해 우리들의 기사를 실어주고 동참해주는 경우는 작은 언론사라도 마치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할 수 있는 수단 방법을 다 가동해야 한다.

우선은 내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서 꾸준히 활동하고 있고, 또 주변에 내 페이스북 친구들이 많이 퍼날라 주고 동참하고 있다.

“공민증을 받기 이전, 17살 이전에 탈북한 상태였다”
“무지개 공작 전문을 공개받아야 한다”

□ KAL858기 사건 30주기를 맞아 ‘KAL858기 가족회’와 ‘KAL858기 사건 진상규명 시민대책위원회’가 주축이 돼서 기념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지금 시민대책위 간부는 누가 맡고 있나?

■ 대표는 윤원일 안중근평화연구원 부원장이고 나는 집행위원장이다. 고문은 김병삼 몬시뇰이고, 조사팀장은 서현우 작가다.

□ 어쨌든 시간이 많이 흘렀고, 진상규명 과정도 축적이 돼 왔으리라 본다. 이 사건의 대체적 윤곽을 어떻게 그리고 있나?

■ 우리들에게 30년이라는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고, 꾸준히 한발짝 한발짝 더디지만 뭔가 이 사건의 진상규명에 많이 접근해와 있다. 이제는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는 생각을 갖는다. 이 사건의 실체가 뭐냐? 나는 한 마디로 이야기해서 ‘대선공작 사건’이라고 본다.

□ 최근에 강진욱 <연합뉴스> 기자가 1983년 발생한 미얀마 폭파사건의 의혹을 상당히 깊게 조명한 책을 냈다. 그때도 전두환 정권 시기였다. 그 책을 보면서 KAL858과 상당히 유사한 맥락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 생각해보라. 1987년이 전두환에게는 죽느냐 사느냐 그 해였다. 그런데 전두환이가 가만히 아무 것도 안 하면서 선거가 치러지기를 바랐겠나? 자기가 살 구멍을 찾아야 되는데, 살 구멍이 뭐였겠나? 선거에서 이기는 거였다. 선거에서 이기려면 뭐해야 되나? KAL기 사건이었다.

▲ 신성국 신부와 시민대책위 조사팀장 서현우 작가가 공동 저자인 『KAL858 전두환, 김현희 그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출판기념회가 2012년 10월 17일 서울 혜화동 '벙커1' 카페에서 주진우 기자의 사회로 열렸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실제로 국정원 발전위에서 ‘무지개 공작’이 존재했다고 발표했고, 그 문서 일부도 공개한 상황이다.

■ 무지개 공작 내용을 보라. 나중에 김현희 진술이 그대로 다 복사되지 않나. 그런 일이 있을 수 없는 거 아닌가? 무지개 공작 전모를 밝히기 위해 우선 무지개 공작 전문을 공개받아야 한다.

□ 여러 의혹들이 숱하게 제기됐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의혹 중심으로 간추려서 몇 가지만 정리해 달라.

■ 안기부(국가안전기획부), 지금 국정원이 김현희에 대해 아주 강조하는 게 있다. 뭐냐면 항상 “북한 사람이다”고 이야기한다. 이걸 유독 강조한다.

그걸 왜 강조하느냐? 북한에서 살았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나는 항상 “탈북자다”고 이야기한다. 김현희가 북한에서 살았다는 것과 이 사건과 관련있다는 것은 다른 거다. 김현희는 어린 시절 북한에서 태어나고 살았지만 공민증을 받기 이전, 17살 이전에 탈북한 상태였다. 나의 조사 결과 이건 거의 99% 확실하다.

□ 그 같은 추론의 근거를 소개해 달라.

■ 우선 김현희의 수사기록이나 진술서 내용들을 보면 북한 관련 진술들이 다 허위로 드러났다. 숱하게. 그렇다면 북한을 모른다는 거다.

특히 가장 핵심적인 게 김현희 자신이 북한 사람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원 문제가 아무 것도 제시된 것이 없다. 쉽게 말하면 우리 주민등록증 같은 공민증과 노동당증이 없고, 없다면 번호라도 알아야 되는데 번호도 모른다.

당시 안기부가 발표한 기록에 의하면 노동당원으로서 차출되어서 7년 8개월을 대남공작원 훈련을 받았다는데 왜 노동당증 번호가 없나? 그러니까 김현희가 방송이나 언론에 나와서 “나를 왜 믿지 못하느냐? 나를 왜 의심하느냐?” 이렇게 강조하는데 그것은 김현희 스스로가 쉽게 밝힐 수 있는 자신의 신원을 제시하지 못하니까 사람들이 의심하는 것 아니냐.

□ 김현희 씨의 신원 문제 외에도 주요한 의혹이 있다면?

■ 중요한 것은 김현희 여권이다. 여권상에 드러난 ‘일본 출발’ 이런 것들은 사실이다. 안기부는 그것이 위조여권이라는데, 위조할 수 있다. 80년대에는 일본에서 위조여권이 공작원을 떠나서 일반사람들도 많이 갖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 풍조가 실제로 있었다.

김현희도 그 여권을 갖고 해외여행을 다녔다. 김현희 여권에 찍혀 있는 모든 직인, 스탬프는 실제다. 그러면 김현희가 일본 나리따를 출국한 기록을 안기부가 평양으로 바꾼 거다. 여권을 보면 김현희는 북한과 관계없이 일본에 근거지를, 거점을 갖고 활동했던 그런 사람으로 증명되고 있다.

□ 김현희 씨의 수사기록과 재판기록의 양이 상당히 방대한 것으로 안다. 분석이 어느 정도 이뤄졌나?

■ 그건 분석할 것도 없다. 허허(웃음). 우리 서현우 팀장이 일단 그걸 잘 분석해서 책자로 냈다. 나도 심심할 때는 들여다본다. 보면은 진짜 그건 쓰레기통에 버려야 된다.

정말 상식적으로, 일반시민 누구나 그 기록을 보면 ‘이건 수사기록이 아니다’ 금방 알 수 있다. 베껴 쓴 거고 국정원이 자기들끼리 그냥 꾸며낸 것, 그렇게 보면 딱 맞다.

거기에 온갖 엄청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뭐 북한에서 자기가 어떤 활동을 했고, 엄청 방대하게 나온다. 그런데 그것은 전혀 사실 증명도 안 되고 그냥 꾸며낸 이야기라는 게 그냥 한눈에 들어온다. 나는 그렇게 본다.

“가족들의 고통, 이제는 해결돼야 한다”
“김현희, 국정원 손아귀에 있다”

▲ 신성국 신부는 국정원이 김현희 씨를 불러내면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30주기를 맞아 정부에 바라는 것은?

■ 이 사건은 복잡하지 않다. 무지무지하게 단순하고 쉬운 사건이다. 왜? 김현희라는 사람은 사면 단행할 때 사면 이유가 있었다. 뭐라 그랬냐? “역사의 증인으로 삼기위해 사면시키겠다.” 정부가 그렇게 발표했다. 그러면 역사의 증인이 되도록 김현희를 가족들이 원한다면, 가족들이 만나고 싶다면 만나도록 주선해주고 공개해야 한다.

그런데 왜 김현희를 저렇게 꽁꽁 숨기나? 피해자 가족들이 매년 추모제를 하는데 김현희는 왜 오지를 않나? 왜 피하나?

정부는 김현희와 가족들의 만남을 반드시 주선해줘야 되고, 공개해야 된다. 가족들이 궁금한 게 많다. 또 국민들도 그렇고. 그러면 가족들에게, 국민들에게 증언할 수 있도록 그런 기회를 제공해줘야 한다.

지금까지 김현희를 둘러싼, 김현희를 비호했던 집단은 다 안기부였다. 그리고 일반시민들은 만날 수가 없었다. 진실을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검증받아야 하는데 안기부가 감싸고돌았는데 어떻게 검증이 되나?

□ 만약에 직접 김현희 씨를 만난다면 묻거나 따지고 싶은 것이 있나?

■ 나하고 만나면 한 시간만에 정말 김현희는 두손 두발 들고 양심선언 할 것 같다. 이건 뭐 오래 걸리지도 않을 거다.

이 사건이 30년이라는 것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이 분단이라는 구조가 양심을 가지고 살 수 없는 구조였다는 거다. 저런 수 백 명을 죽인 사람이 영웅시되고, 그리고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죄인처럼 숨죽여 살아가는 이것이 어떻게 정상적인 인간사회인가? 그런 면에서 볼 때 우리 사회를 정말 정상적인 사회로 만들려면 이 사건이 풀려져야 한다. 정말.

그리고 김현희는 자기도 이제는 모든 것을 털어놓고 정말 자유스럽게 행복하게 살려면 지금이라도 이 사건을 매듭지어야 한다. 저렇게 숨겨서 본인도 살 수가 없다. 불안해서. 그리고 언제까지 국정원이 돌봐줄 건가? 김현희는 판단 잘해야 한다.

□ 그렇잖아도 민주정부에서 자기가 탄압받았다고 말하지 않았나?

■ 이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는 걸 두려워하는 세력들이 김현희와 함께, 보호하면서 탄압받았다고 공세적인 자세를 보인 거다. 그것은 안 된다. 무슨 탄압을 했나? 내가 김현희를 괴롭힌 적이 없다.

▲ 줄곧 가족회 곁을 지킨 신성국 신부는 <통일뉴스>와의 이번 인터뷰에서 “나라도 어머니들 곁에서 함께 해줘야 되겠다. 그런 마음이 크게 생겼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 하루아침에 가족을 잃은 이들의 눈물은 아직도 멈추지 않고 있다. 2011년 24주기 추모제 헌화 장면.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차옥정 전 회장을 비롯한 가족들이 큰 고통을 겪어 왔는데요, 그분들에게 30주기를 맞아 하고 싶은 말은?

■ 내가 15년을 지켜봤지만 진짜 가족들이 겪은 고통은 인간적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그 아픔, 슬픔이다. 그리고 특히 “이게 나라냐?” 정말 억울한 사람들이 호소할 데가 없는 우리 사회의 매정함, 이것을 보면서 참 맘이 아팠다.

가족들의 고통이 이제는 해결이 돼야 한다. 연세도 많이 드셨다. 지금까지 30년 동안 어려움을 이겨낸 것에 대해서 경의를 표한다.

그러나 가족들의 진상규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손떼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그래서 나는 시민들이 계속 진상규명이 될 때까지는 그분들과 함께 곁에서 도와줬으면 좋겠다. 그분들이 끝까지 힘낼 수 있도록.

정말 그분들이 지금까지 왔으니까 조금 더 용기 내고, 힘 내고, 또 더 많은 시민들이 도와줄 것이라는 생각 갖고, 더 희망을 가졌으면 좋겠다. 벌써 지쳐서 포기했어야 되는데 그렇지 않은 것 보면 참 대단한 분들이다.

□ 정권이 바뀌었는데 실제로 현 정부나 현 국정원이 이 문제를 협력적으로 풀 의지가 있다고 보나?

■ 정부는 풀지 못 한다. 지금 북핵문제라든지 여러 가지 한반도 상황이 이렇다 보니까. 그러면 뭐냐? 결국 우리들이 풀어야 된다. 우리들이 최대한 성과를 올려놓고, 새로운 사실이나 증거를 제시해주고 그 다음에 정부에서는 그것을 말하자면 받아들이고 인정해주고.

정부에 기대하는 것은 뭐냐? 적어도 자료협조만 잘 해줘도, 우리에게는 큰 성과가 올 수 있다. 감추지 말고. 우리가 진상규명을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주는 것, 그 정도만 해줘도 우리는 정부에 감사할 것이다.

□ 김현희 씨를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은 없나?

■ 김현희 움직이는 방법은 쉽다. 아주 간단하다. 국정원이다. 국정원이 불러오면 되는 거다. 김현희는 지금 국정원이 관리한다. 국정원 손아귀에 있다.

지금 국정원은 자기네가 손털었다는데, 그것은 국정원 직무유기다. 자기들이 말한 테러리스트를 어떻게 그냥 자유롭게 놔줄 수 있나? 자기들이 관리하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