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22

중국 농업의 거대한 실험 - IT News



중국 농업의 거대한 실험 - IT News

중국 농업의 거대한 실험

- 10년간 농민 2,100만 명 참여, 토지 한반도 크기 1.5배 13,123회 ‘야외 시험’
2018년 3월 19일




어느 나라나 농업은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국민들이 안정적으로 먹고사는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물론 나라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처럼 자국 농업이라는 건 없어 모든 것을 교역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다. 땅이 조금이라도 여유가 있는 나라는 어떻게든 자국에서 적어도 주식 곡물만은 자급하려고 한다.

이는 전적으로 외부에서 조달한다는 게 얼마나 잠재적으로 불안한 요소인지 너무도 잘 알기 때문이다. 주식 곡물의 외부 가격이 갑자기 급등하는데도 자신들이 어쩌지 못하고 그 변동이 고스란히 국민 지출로 연결돼 그만큼 쓸 돈이 줄어든 국민들이 얼마나 자신들의 처지에 (따라서 정부의 무능함에) 불만일지는 보지 않고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급격한 산업화 중인 중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세계 제일의 인구 대국인 이 나라는 급격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도시화가 전역에 걸쳐 급격히 진행돼 우리나라가 70~80년대에 겪던 사회변화를 지금 겪고 있다. 청년들은 일자리와 수입을 좇아 농촌을 떠나 도시로 가고, 농지는 점차 줄어드는데 먹여야 할 인구는 여전히 늘고 있다. 한정된 인력과 농지에서 농업 생산량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비료와 농약 사용이 늘고 있어 환경은 점차 파괴돼 가고 있다.

어느 나라나 이런 문제는 소위 ‘과학화’를 통해 해결하려 한다. 농업의 과학화란 과학적 지식이나 과학적 접근법을 농업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학화라는 게 나라마다 양상이 다른데, 예를 들어 미국이나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유전자 조작을 통한 품종 개량으로 생산량을 늘리려고 한다. 환경 변화에 강한 작물, 병충해에 강한 작물, 특정한 기능이 강조된 작물 등을 개발해 생산량과 수입을 함께 늘리려는 방식이다.

사실 1970년대 녹색혁명을 통해 곡물 생산량 문제를 해결했을 때에도 방식은 똑같았다. 다만 자연 발생적으로 나타난 특정 특성의 품종끼리 몇 대에 걸쳐 서로 교잡하는 방식이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이렇게 생산된 작물의 안정성 등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과 피로감이 높은 상황이라 과연 이런 방식이 언제쯤 제대로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질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게다가 선진국처럼 유전자 조작 기법을 활용해 상업화할 수 없는 개도국의 입장에서는 이렇게 유전자 조작된 작물을 일방적으로 수입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상업적 유전자 조작 작물의 경우 단순히 특정 기능성만 강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보통 수확한 작물을 씨알로 이용해 새로 재배하지 못하도록 함께 조작하기 때문에 일단 유전자 조작 작물을 재배하기 시작하는 순간 작물생산 농민은 그 작물의 종자를 제공하는 업체에 얽매이게 되는 악순환에 빠진다. 그 후로 작물생산 농민은 업체에 가격과 수급 정책에 일방적으로 휘둘리게 된다. 따라서 유전자 조작 작물은 소비자뿐 아니라 생산 농민의 입장에서도 여러 가지 면에서 신중히 처리해야 한다.

▲ 출처: GENETIC LITERACY PROJECT
=======

그런데 최근 네이처에는 중국에서 벌어진 거대한 농업 실험이 논문으로 나왔다. 앞에서 언급한 유전자 조작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의 농업 생산성 접근법을 다루고 있는 이 논문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농업의 문제뿐 아니라, 중국의 농업은 대부분 농민이 소작농이라는 문제가 있다. 다들 “조그만 땅 뙈기를 부쳐 먹는” 상태라 농업의 규모를 키워 기계화를 도입하는 식의 접근법도 펴기 어렵다. 땅도 작고 돈도 없어 중국은 농업 과정의 과학화를 통해 생산량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 농업 과정의 과학화를 전국적으로 퍼뜨리기 위해 근 20년에 걸친 이 거대한 실험이 이번에 네이처에 논문으로 나온 것이다.

우선 지난 2011년에 PNAS에 발표한 논문(PNAS 108:6399-6404 (2011))에서는 쌀, 밀, 옥수수 이렇게 세 작물에 대해 각 작물에 따라 두 가지 요소를 개량적으로 파악했다.
우선 생산지역의 토질, 기후, 연평균 강수량, 일조량, 이산화탄소 농도 등등을 고려해 어떤 품종이 적당한지, 언제쯤 파종하면 좋은지, 작물의 파종 밀도는 얼마가 좋은지, 얼마 동안 키우면 좋은지 등을 직접 논밭에서 키우며 조사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질소 비료를 어떻게 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파종 후 시기별로 작물은 얼마나 질소 비료를 흡수하는지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량의 비료를 준 다음 뿌리 부분 토양에 남은 비료 성분의 양을 측정해 작물은 성장 후반기에 특히 개화 이후에 상당한 질소 비료가 필요하다는 걸 파악하고 전체 작물의 생장 단계를 다섯으로 나눈 뒤 각 단계에 따라 필요한 일종의 표준 질소 비료 소요량을 환산할 수 있게 했다.

이런 과정에서 작물별로 일종의 한계 생산량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량의 질소 비료를 써 인위적으로 생산량을 끌어올리는 실험을 병행해 이때의 생산량을 기준값으로 이용했다.
그렇게 어느 지역에 어느 품종의 작물을 어느 시기에 얼마나 촘촘히 파종하고 질소 비료는 언제 얼마씩 주고 얼마 동안 키워 언제 수확하면 좋은지 이런 일련의 과정을 의사 결정 시스템으로 정착시키는데 대략 5~10년 걸렸다.

이번에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은 이런 일종의 표준화된 방식을 중국 전역에 어떻게 퍼뜨리려고 노력했나에 대한 것이다. 10년이나 걸린 이 실험은 정말 대륙의 규모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2005년에서 2015년까지 수행된 이 거대 농업 실험은 관련 핵심 연구자만 중국 전역에서 연인원으로 1,152명이 참여해 총 13,123회의 ‘야외 시험’을 수행했다. 여기에 참여한 농민의 수는 452개 도(본문 내용상 카운티)에서 대략 2,100만 명이었다. 여기에 동원된 누적 토지의 총면적은 3천 7백 7십만 헥타아르(37만 7천 제곱킬로미터)였다. 이는 ‘한반도’ 전체의 넓이 22만 제곱킬로미터보다 1.5배가 훨씬 넘는 중국 전역의 넓은 땅에서 일종의 임상 시험을 한 것이다.

규모 자체가 대륙 규모인데, 한대에서 아열대 기후에 걸친 기후 지역과 메마른 지역에서부터 물이 제법 풍부한 지역까지 농업을 할 수 있다 싶은 거의 모든 지역에서 해야 할 농업 실험을 중국이 한꺼번에 대신 다 한 셈이다. 전 세계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결과는 대성공이다. 작물 생산은 10.8-11.5%가 늘어 총생산량은 3천 3백만 톤이 됐고 같은 기간 질소 비료 사용량은 14.7-18.1%가 줄어 1백 2십만 톤을 아꼈다. 이렇게 증가한 산출량과 절약한 질소 비료를 돈으로 환산하면 122억 달러(한화 약 13조 735억)나 됐다. 그만큼 농가에는 이익이 됐다. 게다가 토양 잔류 질소의 총량도 작물 메가 그램 당 기존의 6-6.4kg에서 4.5-4.7kg으로 줄어 환경오염도 대폭 줄였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작물 메가 그램 당 기존의 옥수수 422kg, 쌀 941kg, 밀 549kg에서 각각 328kg, 812kg, 434kg으로 줄었다. 결론은 작물의 생산량도 대폭 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 출처: NATURE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얼마나 보수적인지를 생각하면 이건 정말 대단한 결과다. 농부는 키우는 작물을 잘 바꾸지 않는다. 심지어 작물을 키우는 방식도 잘 바꾸지 않는다. 농사란 게 한 해가 꼬박 걸리는 한 가정의 수입 그 자체인 데다가 작물마다 키우는 방식이 다르고, 특히 매해 같지 않은 조건에서 자칫 실수 한 번에 모든 걸 망치게 되면 한 해가 통째로 다 날아갈지도 모르는 모험을 감수하기란 여간 쉽지 않다.

그런데 2천만 명이 넘는 농부를 일일이 설득해 참여시킬 수가 있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실제 논문에는 어떠한 과정을 걸쳐 농부들과 신뢰를 구축했는지 간략하게나마 설명이 있다. 물론 중국의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특성이 있지만, 그 간략한 설명 이면에 얼마나 많은 관련 연구자들의 수고가 있었을지는 짐작하기도 어렵다.

세상에는 과학화를 외치면서 비과학적이거나 사이비 과학적인 것들도 많은데, 이번 결과는 매우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난한 주민의 삶과 그들의 환경을 함께 개선한 대단한 결과라고 밖에는 생각되지 않는다. 중국의 과학자들이 정말 박수 받을만한 일을 했고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냈다.

[글: 정태훈 Cancer Science Institute of Singapore, NUS 연구원]

'미투' 대하는 한·미 온도차…"일제 잔재" - 노컷뉴스



Eunhee Kim
28 February at 15:39 ·



수치의 문화(shame culture), 죄의 문화(guilt culture)

미국에 이어 한국에도 불같이 일어나는 미투운동을 보면서 문화인류학자로서 한국과 미국의 미투운동에 중요한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게 된다. 차이점 하나는 한국에서는 여러 사람 보는데서 성추행이 다반사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는 성추행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함께 있었던 사람들이 성추행을 목격하면서도 전혀 제지하지 않았으며 후에도 쉬쉬하며 침묵했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에 미국 여성들이 겪은 성추행은 대체로 호텔 방이나 사무실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두 사람만 있었을 때 주로 일어났다. 미국사회에서 여러 사람 있는 자리에서 드러내놓고 성추행을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것은 마치 여러 사람이 목격하는 장소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또 다른, 그리고 관련된 차이점 하나는 성추행 사실이 폭로된 직후의 사람들의 반응이다. 미국의 유명한 영화제작자 와인스타인의 성추행과 강간 등이 오랜 기간을 두고 지속되었음이 속속 밝혀졌을 때 미국 영화계 사람들 그 누구도 미투운동에 뛰어드는 여성들을 성질 더럽다거나 혹은 미국 영화계를 망신시켰다고 비난하지 않았다. 영화제작자 모두를 성추행자로 보지 않을까 걱정하지도 않았다. 반대로 한국에서는 최영미 시인이 성추행하는 시인 고은을 빗대어 시를 쓴 것이 대중에게 알려졌을 때 고은 측의 문인 들은 최영미가 다수의 선량한 문인들이 성추행자들인 것처럼 오해받게 만들고 있다고 오히려 최영미를 비난하였다. 그들은 혹시라도 원로 시인의 성추행 이력이 그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것에 더 짜증내고 걱정하였다. 그들은 고은이 대표하는 '민족문학'의 위상이 추락되는 것에 대해 더 걱정하였다. 그들은 누군가의 인권을 무참히 짓밟는 일에 동조하고 침묵했다는 사실에 죄의식을 갖기보다 남들이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을 연구한 루쓰 베네딕트가 구분한 수치의 문화와 죄의 문화를 상기시킨다. 루쓰 베네딕트의 구분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죄의 문화에서는 도덕의 절대적 기준이 있고 양심에 따라 행동할 것을 강조한다. 물론 죄의 문화에서도 수치심을 느낄 수 있지만 어떤 행동을 제재하는 데 있어 죄의식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주로 죄의식 때문에 선행을 하게 되며 아무도 자신의 비행을 알지 못해도 죄의 고통, 즉 양심의 가책을 받는 고통을 느끼게 된다. 이 죄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고해성사를 한다. 양심이 마비되어 더 이상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반사회적인 인간으로 규정된다. 아이들에겐 어릴 때부터 잘못할 때마다 일관되게 벌을 줌으로써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를 아이의 내면에 심어준다.

반면에 수치의 문화에서는 내면화된 죄의 관념이 아니라 외부적 제재에 의해 주로 선행을 하게 된다. 외부적 제재는 바로 남들로부터 비난 받거나 모욕당할 때 느끼는 수치심 혹은 부끄러움이다. 예컨대 일본문화에서는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도덕적 원칙과는 별 상관없는 '의무'와 '의리'를 실천할 것이 강조된다. 천황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는 각각 천황의 은혜,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으로 무조건 수행해야 하는 '의무'이다. 이 때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이유는 '이웃을 사랑하라' 혹은 '거짓증언을 하지마라'와 같은 도덕적 계명과 별 상관이 없다. 부모가 악행이나 부정을 저질러도 자신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아무 잘못없는 아내와 이혼을 할 수도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부모가 진 빚을 갚기 위해 아내를 사창가에 팔 수도 있다.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에 대한 충성 또한 맹목적이어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인들은 그 전쟁의 목적이 정의로운가 아닌가에 관심이 없었다. 천황이 연합군에게 항복한다고 선언했을 때 일본인들은 아무런 도덕적 갈등없이 천황의 명에 복종하고 연합군의 상륙을 진심으로 환영할 수 있었다. 천황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 이외에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타인에게 의리를 지키는 이유 역시 보편적 윤리강령 때문이 아니다. 의리를 지키지 않으면 '의리를 모르는 인간'이라는 소리를 듣게 되기 때문이며 이는 아주 수치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의리를 지키는 일은 때로는 폭력이나 개인적 복수도 동반한다.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것이 삶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일본 문화에서 자신의 감정과 감각에 충실할 수 있는 쾌락의 영역이 존재한다. 미국의 죄의 문화와 달리 술에 취하는 것 그리고 아내가 아닌 여자를 상대로 육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 죄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단지 쾌락의 추구가 인생의 중대한 의무와 의리를 망각하게 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용인된다. 이 사회에서 이상적인 인간은 스스로 생각해서 올바른 일을 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중하는' 사람이다. 일본 문화에서 '자중하는' 것은 남들의 비난을 사거나 성공할 기회를 상실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을 말한다. '자중하는' 사람은 적절하게 의무를 수행하고 의리를 지키며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며 살아간다.

한국의 미투운동에서 성추행이 일어난 문화적 맥락은 루쓰 베네딕트가 분석했던 70여년 전 일본의 군국주의 혹은 전체주의적 문화와 어느 정도 닮아 있다. 단지 한국적 상황에서는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이라는 지고지순의 존재에 대한 충성이 '민족', '민중', '공동체' , '교회' 등에 대한 충성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고은의 측근 문인들에겐 성추행을 폭로하고 바로잡는 일은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고은이라는 절대지존에 누가 되는 일이었다. 유신 때부터 반독재 투쟁을 하며 많은고초를 겪었고 민족의 아픔에 대해 시를 썼다는 이유로 그의 성추행은 사소하고 사사로운 일탈로 묵인되었다. 일본에서처럼 한국의 '기생문화'에서도 남자의 음주와 성적 쾌락의 추구가 부도덕하게 생각되지 않았고 어느 정도 용인되었다. 루쓰 베네딕트의 분석이 예측할 수 있듯이 문단 사람들은 '자중하여' 민족문학을 대표한다는 '위대한' 시인의 성추행을 제지하지 않았고 그 덕분에 그들은 문단 권력과 자산을 배분받고 승승장구 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최영미가 '자중하지' 않고 용기내어 대중에게 폭로했을 때 이들이 격렬히 최영미를 비난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최영미는 '자중하라'는 수치의 문화의 규칙을 깨부셨기 때문이다.

작금의 미투운동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인권이 절대적인 도덕가치가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고은의 성추행은 진보적이라고 생각되었던 '운동권'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일본의 70여년 전 군국주의적 전체주의에 기반을 둔 수치의 문화 수준에서 별로 진전되지 못했다는 것을 드러내준다. '위대한 수령동지'를 일본천황의 수준처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 또한 일본의 군국주의 문화수준보다 낫지 않으리라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나는 이제야 알 것 같다. 민주화의 첨병으로 나섰던 '운동권'이 왜 북한의 인권문제에 그동안 침묵했는지. 그들의 '수치의 문화'에 내재된 허약한 인권의식이 '위대한 수령 동지'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보다 많이 나은 것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

'미투' 대하는 한·미 온도차…"일제 잔재" - 노컷뉴스

'미투' 대하는 한·미 온도차…"일제 잔재"


2018-03-05 13:15 | CBS노컷뉴스 이진욱 기자

문화인류학자 김은희 박사 진단…"한국의 '미투', 인권·문화운동 될 것"



지난 4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제34회 한국여성대회에서 한 아이가 '#MeToo, #WithYou' 피켓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한국과 미국을 휩쓰는 '미투'(Me Too) 운동과 관련해, 이를 대하는 양국의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한 문화인류학자 김은희 박사의 글이 널리 읽히고 있다.

김은희 박사는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희망이 보입니다"라며 "제 부족한 글 '수치의 문화, 죄의 문화'에 엄청나게 많은 분들이 호응하고 공감해 주셔서 저 자신도 놀라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댓글에 일일이 고맙다고 하지 못해 이렇게 감사의 말 전하고자 합니다"라고 적었다.

그는 "저는 젊은 세대가 더 이상 분노의 목소리를 억누르지 않고 주체적 인간으로서 존중받기를 당당하게 요구하는 모습에서 희망을 봅니다"라며 설명을 이어갔다.

"산업화, 민주화를 이끈 세대의 전체주의, 집단주의, 혹은 종족주의 문화를 보며 우리 사회의 미래가 암담하다고 생각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한국사회도 진정한 자유와 평등을 향한 변화의 도도한 물결을 거스를 수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민중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당신이 드나드는 술집에서 일하는 여성이 민중입니다. 평등은 여자든 남자든, 노인이든 아이든, 부자든 영세민이든,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누구나 존귀한 존재임을 인정하고 그렇게 대우하는 것을 말합니다"라며 "한국사회에서 미투운동은 개인의 존엄성을 주장하는 인권운동이고 문화운동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김 박사는 지난달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수치의 문화(shame culture), 죄의 문화(guilt culture)'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미국에 이어 한국에도 불같이 일어나는 미투운동을 보면서 문화인류학자로서 한국과 미국의 미투운동에 중요한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게 된다"고 운을 뗐다.

"차이점 하나는 한국에서는 여러 사람 보는데서 성추행이 다반사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는 성추행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함께 있었던 사람들이 성추행을 목격하면서도 전혀 제지하지 않았으며 후에도 쉬쉬하며 침묵했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에 미국 여성들이 겪은 성추행은 대체로 호텔 방이나 사무실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두 사람만 있었을 때 주로 일어났다. 미국사회에서 여러 사람 있는 자리에서 드러내놓고 성추행을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것은 마치 여러 사람이 목격하는 장소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이어 "또 다른, 그리고 관련된 차이점 하나는 성추행 사실이 폭로된 직후의 사람들의 반응"이라며 진단을 이어갔다.

"미국의 유명한 영화제작자 와인스타인의 성추행과 강간 등이 오랜 기간을 두고 지속되었음이 속속 밝혀졌을 때 미국 영화계 사람들 그 누구도 미투운동에 뛰어드는 여성들을 성질 더럽다거나 혹은 미국 영화계를 망신시켰다고 비난하지 않았다. 영화제작자 모두를 성추행자로 보지 않을까 걱정하지도 않았다. 반대로 한국에서는 최영미 시인이 성추행하는 시인 고은을 빗대어 시를 쓴 것이 대중에게 알려졌을 때 고은 측의 문인들은 최영미가 다수의 선량한 문인들이 성추행자들인 것처럼 오해받게 만들고 있다고 오히려 최영미를 비난하였다."

◇ "동조·침묵했단 사실에 죄의식 갖기보다 남들이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




(사진=문화인류학자 김은희 박사 페이스북 화면 갈무리)김 박사는 "그들은 혹시라도 원로 시인의 성추행 이력이 그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것에 더 짜증내고 걱정하였다. 그들은 고은이 대표하는 '민족문학'의 위상이 추락되는 것에 대해 더 걱정하였다"며 "그들은 누군가의 인권을 무참히 짓밟는 일에 동조하고 침묵했다는 사실에 죄의식을 갖기보다 남들이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하였다"고 꼬집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을 연구한 루쓰 베네딕트가 구분한 '수치의 문화'와 '죄의 문화'를 상기시킨다. 루쓰 베네딕트의 구분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죄의 문화에서는 도덕의 절대적 기준이 있고 양심에 따라 행동할 것을 강조한다. 물론 죄의 문화에서도 수치심을 느낄 수 있지만 어떤 행동을 제재하는 데 있어 죄의식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주로 죄의식 때문에 선행을 하게 되며 아무도 자신의 비행을 알지 못해도 죄의 고통, 즉 양심의 가책을 받는 고통을 느끼게 된다. 이 죄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고해성사를 한다. 양심이 마비되어 더 이상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반사회적인 인간으로 규정된다. 아이들에겐 어릴 때부터 잘못할 때마다 일관되게 벌을 줌으로써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를 아이의 내면에 심어준다."

그는 "반면에 수치의 문화에서는 내면화된 죄의 관념이 아니라 외부적 제재에 의해 주로 선행을 하게 된다"며 "외부적 제재는 바로 남들로부터 비난 받거나 모욕당할 때 느끼는 수치심 혹은 부끄러움"이라고 대비했다.

이어 "예컨대 일본문화에서는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도덕적 원칙과는 별 상관없는 '의무'와 '의리'를 실천할 것이 강조된다. 천황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는 각각 천황의 은혜,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으로 무조건 수행해야 하는 '의무'"라며 "이때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이유는 '이웃을 사랑하라' 혹은 '거짓증언을 하지 마라'와 같은 도덕적 계명과 별 상관이 없다"고 전했다.

"부모가 악행이나 부정을 저질러도 자신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아무 잘못 없는 아내와 이혼을 할 수도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부모가 진 빚을 갚기 위해 아내를 사창가에 팔 수도 있다.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에 대한 충성 또한 맹목적이어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인들은 그 전쟁의 목적이 정의로운가 아닌가에 관심이 없었다. 천황이 연합군에게 항복한다고 선언했을 때 일본인들은 아무런 도덕적 갈등 없이 천황의 명에 복종하고 연합군의 상륙을 진심으로 환영할 수 있었다."

결국 "천황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 이외에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타인에게 의리를 지키는 이유 역시 보편적 윤리강령 때문이 아니다. 의리를 지키지 않으면 '의리를 모르는 인간'이라는 소리를 듣게 되기 때문이며 이는 아주 수치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의리를 지키는 일은 때로는 폭력이나 개인적 복수도 동반한다"는 것이다.

◇ "70여년 전 일본 군국주의 혹은 전체주의적 문화와 어느 정도 닮아"




지난 4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제34회 한국여성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김 박사는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것이 삶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일본 문화에서 자신의 감정과 감각에 충실할 수 있는 쾌락의 영역이 존재한다"며 "미국의 죄의 문화와 달리 술에 취하는 것 그리고 아내가 아닌 여자를 상대로 육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 죄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단지 쾌락의 추구가 인생의 중대한 의무와 의리를 망각하게 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용인된다. 이 사회에서 이상적인 인간은 스스로 생각해서 올바른 일을 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중하는' 사람이다. 일본 문화에서 '자중하는' 것은 남들의 비난을 사거나 성공할 기회를 상실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을 말한다. '자중하는' 사람은 적절하게 의무를 수행하고 의리를 지키며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며 살아간다.


특히 "한국의 미투운동에서 성추행이 일어난 문화적 맥락은 루쓰 베네딕트가 분석했던 70여년 전 일본의 군국주의 혹은 전체주의적 문화와 어느 정도 닮아 있다"는 것이 김 박사의 분석이다.

"단지 한국적 상황에서는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이라는 지고지순의 존재에 대한 충성이 '민족', '민중', '공동체' , '교회' 등에 대한 충성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고은의 측근 문인들에겐 성추행을 폭로하고 바로잡는 일은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고은이라는 절대지존에 누가 되는 일이었다. 유신 때부터 반독재 투쟁을 하며 많은 고초를 겪었고 민족의 아픔에 대해 시를 썼다는 이유로 그의 성추행은 사소하고 사사로운 일탈로 묵인되었다."

그는 "일본에서처럼 한국의 '기생문화'에서도 남자의 음주와 성적 쾌락의 추구가 부도덕하게 생각되지 않았고 어느 정도 용인되었다"며 "루쓰 베네딕트의 분석이 예측할 수 있듯이 문단 사람들은 '자중하여' 민족문학을 대표한다는 '위대한' 시인의 성추행을 제지하지 않았고 그 덕분에 그들은 문단 권력과 자산을 배분받고 승승장구 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영미가 '자중하지' 않고 용기내어 대중에게 폭로했을 때 이들이 격렬히 최영미를 비난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라며 "최영미는 '자중하라'는 수치의 문화의 규칙을 깨부셨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작금의 미투운동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인권이 절대적인 도덕가치가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고은의 성추행은 진보적이라고 생각되었던 '운동권'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일본의 70여년 전 군국주의적 전체주의에 기반을 둔 수치의 문화 수준에서 별로 진전되지 못했다는 것을 드러내준다. '위대한 수령동지'를 일본천황의 수준처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 또한 일본의 군국주의 문화수준보다 낫지 않으리라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김 박사는 "나는 이제야 알 것 같다. 민주화의 첨병으로 나섰던 '운동권'이 왜 북한의 인권문제에 그동안 침묵했는지"라며 "그들의 '수치의 문화'에 내재된 허약한 인권의식이 '위대한 수령 동지'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보다 많이 나은 것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지적했다.

[조한혜정 칼럼] 수신제가, 돌봄 민주주의 시대를 열며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조한혜정 칼럼] 수신제가, 돌봄 민주주의 시대를 열며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조한혜정 칼럼] 수신제가, 돌봄 민주주의 시대를 열며

등록 :2018-03-20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근대의 미래’ 다음에 올 텅 빈 공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그리고 저항이 나/우리 스스로가 평화로워지는 유일한 길이기에 “자기애의 이름으로” 저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투 운동은 이런 시대적 맥락에서 일고 있는 인류사적 운동이고 아주 긴 여정의 시작입니다.

미국에 학회 강연차 와 있는데 마음은 온통 서울에 가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전해오는 ‘미투 운동’ 소식 때문이지요. 정치판이 아무리 이상한 동네라고 해도 사람에 대한 검증이 이렇게 되지 않는 동네라고는 생각지 못했습니다. 예술계가 아무리 독특한 인간들이 모인 곳이라 해도 그렇게까지 폭력이 난무하는 동네라고는 생각지 못했습니다. 87항쟁 이후 여자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벌거벗은 임금님을 보고도 못 본 척, 오히려 멋진 옷을 입었다고 칭찬을 해온 그들/우리는 무슨 귀신에 씌어 있었을까요?

신자유주의 광풍이 심하게 불어닥친 지난 십여년, 적나라한 사냥꾼의 시대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적자생존과 승자독식의 세상이 펼쳐지면서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존재로 살아가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를 익혔던 유가 전통의 나라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수신’과는 거리가 먼 사냥꾼들이 권력의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습니다. 남성에 의한 여성의 배제와 억압이 인류사에서 가장 오래된 차별이라는 이야기를 구태여 꺼낼 필요는 없겠지요. 호모 사피엔스가 ‘소통과 상생의 사회’를 만들어 지금껏 살아온 것은 인간의 아기는 독립적 생존이 불가능한 무력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이었습니다.

무력한 생명을 돌보면서 산모와 산모의 친밀한 가족들, 그녀의 어머니와 할머니, 여형제와 남형제와 산모의 남자친구―아기 아버지일 가능성이 높은―는 함께 돌봄과 소통의 식탁 공동체를 만들어 세대를 이어가며 살아왔습니다. 돌봄 공동체가 많아지면서 그들을 연결하는 공공영역이 생겨났고 그 영역의 어른들은 아이를 기르는 일상에서 조금 자유로운, 그러나 돌봄 공동체에서 가장 존경을 받는 지혜로운 남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조상과 신에게 감사의 제사를 지내고 풍요를 기원하며 장례와 혼례식을 주관하였지요. 영겁으로 이어질 자손들의 세상을 축복하면서 예술적으로, 윤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영적으로 스스로를 승화시키는 수양과 단련을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그 공공영역이 돌봄 공동체와 분리되면서 인류의 불행은 시작되었습니다. 성장과 진보의 이름으로 끝없는 이윤추구의 장으로 전락한 공공영역은 사기꾼과 거간꾼이 득세하는 영역이 되어버렸습니다. 인류가 지구상에 살아남은 것은 자신이 처한 환경의 불확실성을 줄이면서 지혜롭게 적응해왔기 때문인데 이 사냥꾼들은 불확실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내달리기 시작했습니다.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인류사상 참으로 기이한 시스템이 생겨나 버린 것이지요. 더욱이 돈이 국경을 넘어 권력이 된 ‘금융 자본주의’는 그간의 영토화된 영역을 탈영토화하면서 영토 안의 국민들을 난민으로 만들어버리고 있습니다.

미디어 연구자 프랑코 베라르디는 괴물이 된 권력 마니아들이 판을 치는 이 시대는 범죄, 자살, 광기로 치닫고 있다면서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라고 말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력으로부터의 자율을 추구하는 일은 그칠 수 없다면서 “미래 이후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저항해야 하고 사회적 연대, 인간적 공감, 무상의 활동, 자유, 평등, 우애 등에 관한 의식과 감수성을 지켜야 한다”고 말합니다. ‘근대의 미래’ 다음에 올 텅 빈 공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그리고 저항이 나/우리 스스로가 평화로워지는 유일한 길이기에 “자기애의 이름으로” 저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투 운동은 이런 시대적 맥락에서 일고 있는 인류사적 운동이고 아주 긴 여정의 시작입니다. 그것은 “진정한 정의는 공공선을 위한 지속적 돌봄이다”라는 돌봄 민주주의 운동이며, <세상의 모든 딸들>―석기시대 인류의 돌봄 공동체를 그린 엘리자베스 토머스의 소설 제목입니다―과 아들들과 함께 벌여온 돌봄 공동체 운동일 것입니다.

영화인들이 임순례 감독과 심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을 만들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습니다. ‘든든’을 통해 앞으로는 범죄와 광기를 부추기는 배설의 영화를 안 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저마다 가슴속에 원망과 원한을 안고 고독한 삶을 마감하는 시대가 오지 않기를 바라며 삼삼오오 모여서 자기 동네에 폭력을 당하는 이가 없는지 잘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세상을 위해 서로를 돌보며 즐겁게 싸워가야 합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36955.html#csidxc3a0dad7f17016f9ff86ed476737824

2018/03/21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Amazon.com: Customer reviews: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5.0 out of 5 starsTop book for both learning about King and learning about leadership
ByAvid Readerson October 26,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Phillips has written a few leadership books - and does a masterful job in each - yet especially here.

For this book, he weaves through with a leadership lesson in each chapter - and generally places the lesson tied directly to something King did - trying to stay close to chronological order. He also supplies us with key quotes from King at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chapter - for a quick summary and overview.

Phillips sets the context in which King operated. This is huge! I don't believe you can't fully understand without immersing in the history, the mindset, the goings on of the time. Phillips doesn't assume the reader is familiar with King. He doesn't assume the reader knows the circumstances of King's time. Phillips pulls the reader in; explaining the leadership trait King embodied; he explains what in King's past helped him to get here. He explains the historical context of what the culture was like, what current events caused the situation, what players were involved and a little on their mindset and background. He points out how even a great man like King made mistakes, how we evaluated his successes and failures, and how he grew and improved throughout.

King's life was short and was lived mainly before I was born - he died at age 39 - and had learned more and accomplished more than many that lived to be twice his age. Being a student of leadership, but someone who knew very little about King, I chose this book to learn about both. It inspired me to read more about King. I am amazed at how he put his principles before even fear of criticism, family threats, and even death. I think the reader will learn a lot about King, his struggles, his faith, his life, his goals, and especially his leadership style. Yet, for burgeoning leaders, it is very insightful. It will make someone think about whether they truly want to be a leader and what sacrifices they are willing to make.

Phillips makes this an easy read - but notan easy one to just race through without reflection.
Comment| 6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4.0 out of 5 starsGood Read
ByAmazon Customeron October 9,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m so grateful that I waited until now to read this book, and didn't read it years prior when I would have lacked the mental maturity to recognize the true power of nonviolent resistance! I'm forever grateful to Dr. King for his many contributions, and great sacrifice.

"True pacifism is not unrealistic submission to evil power, as Niebuhr contends. It is rather a courageous confrontation of evil by the power of love, in the faith that it is better to be the recipient of violence than the inflictor of it, since the latter only multiplies the existence of violence and bitterness in the universe, while the former may develop a sense of shame in the opponent, and thereby bring about a transformation and change of heart." -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Edited by Clayborne Carson, Pg. 26
Comment| 3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The man behind the mythical Martin Luther King, Jr.
Bygork57on February 16,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 bought this book for my wife to go along with the movie 'Selma', which she and I had recently seen at the theater. It's a great film, but I wanted us both to know more about Martin Luther King, Jr. than his great speeches and the events the media reports on during the MLK holiday. The information in this book provides the truth behind the myth that King has become in the years since his untimely death.

While King did not actually write this book himself (we should remember he was only 39 years old when he was assassinated in 1968), it's so well researched and edited that you believe it came from his own pen. The book goes deep into King's background, and explains how he came to the philosophy that lead him to take the actions that changed American history.

King really believed what he did was for the good of all Americans, not just those of African ancestry. If you read this book, you will find his legacy is exactly that. America is indeed a better place because of his ultimate sacrifice.
Comment| 3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Everyone who wants to understand America should read this book ...
ByLouis Thaddaeuson January 13, 2018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t was unfortunate that Martin Luther King Jr. did not get a chance to write his own autobiography, but Clayborne Carson does a wonderful job piecing together Martin's life struggles, highlights and main ideas. Martin's honesty and quest for justice rings throughout. There were a few sections that were duplicative, but overall I thought it was an excellent, absorbing read. To me, the book really delivered toward the end. Discussions on the concepts of power and love and nonviolence and violence were exceptional. I also really appreciated Martin's digging down to the root cause of black thought in relation to America - why, for example, many young black people leaned toward violence as a method to gain freedom and respect. Finally, there were a number of passages that could have been written today - so many points Martin made are as fresh as ever. Martin's revelations are timeless. Everyone who wants to understand America should read this book.
Commen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Eye-opening, and insightful. What an amazing story.
ByGrant Marshallon September 11, 2013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I bought this book for a number of reasons. Firstly, I knew precious little about the man who stands as a giant of history. I also knew little about the kind of Christianity he professed, and had heard some people scandalously say that King was in no real way a Christian (i.e. Christopher Hitchens). All I can say after reading this book is WOW - what an amazing story. I heard King's voice speaking every word of every chapter. It was like he was sitting next to you telling you the story of his life.

King was most certainly a Christian. He grew up in a Christian home, he went to Seminary, he became a minister and pastored a Church. He spoke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He depended on God for strength during difficult times, he prayed to Jesus, he worshiped Jesus, he preached about Jesus, and led a congregation of Jesus followers. If that's not Christian nothing is. Yet his theology was decidedly liberal. He was embarrassed by his fundamentalist upbringing, especially those who would check their minds in at the door of Church and stomp their feet during the service. He spoke candidly about denying the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and embracing the liberal view of man. However he was an honest man, who at times questioned his presuppositions. I was impressed how he preached a Gospel that led to action in the present world. Not just a gospel of Sunday pieties.

In story after story King recounted how he was committed to nonviolence because this was the way of Jesus (and Gandhi whom he was later influenced by). He didn't preach hatred of white people, but reconciliation, with an aim to a fully integrated society. If anyone had reason to hate it was King. His home was bombed, his friends homes were bombed, he and his family were verbally abused and threatened, he was stabbed, he was arrested more times than I can count, and was often the victim of gross injustice. Yet in all that he showed the world that he served another Lord, and preached a different Gospel. Violence, only begets more violence. My heart broke for those who suffered during the era of segregation. At times I was almost reduced to tears, reading about the horrors of what mankind has done to each other. Not only that but I finally came to understand a little of what it was like to grow up as a Black Man in a climate of racism, to suffer under such terrible injustice, disrespect and disenfranchisement. Blessed are the peacemakers like Dr King, for they will be called the children of God.

Yet there were times I felt that King's liberalism got the better of him. I felt that King's idea of heaven on earth was simply an integrated society where everyone had equal opportunity to all state services, good jobs, and so on. Yet this idea doesn't go far enough. What about personal repentance and transformation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Can non-violent action really bring this about? Does it treat the symptoms rather than the root cause of the issue? What God's kingdom coming to earth, and us anticipating it in the present, but recognizing it is a future reality? He condemned violent protest, and distanced himself from people like Malcolm X but didn't call on those who had been violent to repent and follow Jesus. Many times he simply rationalized their violence as the understandable reaction of those who had suffered for too long. He often saw the suffering of the negro community as redemptive. But that is to give the community too much power, and a job that only Jesus can truly accomplish. If King meant that through their suffering and weakness, they embodied Jesus' suffering, and pointed people more fully towards Christ, then I have no issues. King's views on poverty and military action were a little naive. Giving away surplus food from the western world to store it in the empty bellies of hungry Indian Children, is a noble thought, but nothing more than a short term solution to a systemic problem. Giving away food like that can drive down the prices of local produce and cause more harm for the local economy than good.

Yet those quibbles aside, this is still a fantastic book. Towards the end it gets a little dry and repetitive, but is very readable. If you only read one book 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it's pivotal leader, read this one.
Comment| 5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Make America Great Again
ByOmar Luqmaan-harrison March 20, 2016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One one level I an deeply ashamed that I am just reading this comprehensive, compelling, and courageous book taken from the writings and speeches of the man himself and on another level I am happy I am reading this in 2016 as the issues of racism, poverty, and war (King's self-described 3 evils) are still very much alive. This is the example of a leader as Servant - a powerful man who dedicated his power not to the creation of personal wealth but to improving the conditions for millions of people. As a black man who has directly benefited from the Civil Rights Movement I feel a personal responsibility to advance the work of Dr. King. I plan to return to this tome often for inspiration. We shall Overcome!
Comment| 2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A Must Read
ByElizabeth Echavarriaon March 23, 2015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An inspirational well written autobiography that recreates the times and struggl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as well as, impressively captures the essence and feelings of Dr. King through its narrative and speeches. Every year we celebrate Martin Luther King Jr.'s birthday but I question if many of us from this generation really understand who is Dr. King an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he made to civil rights through his nonviolent movement for change for the downtrotten poor, from the Black and White communities and then around the world. Dr King is a wonderful orator who personally moves the heart and mind with his passionate, sincere speeches aimed at uplifting and empowering his followers moving them away from victimization and into the realm of action, dignity, and self-respect. Being a religious civil rights leader, many of his speeches refer back to the Christian bible;nevertheless, they do not loose their magic to inspire even the person without religion due to the relevance and logic behind his observations and ideas.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Comment|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Enlightened Democracy!
ByO. Halabiehon September 28, 201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Below are key excerpts from the book that I found particularly insightful:

1- "We cannot have an enlightened democracy with one great group living in ignorance. We cannot have a healthy nation with one-tenth of the people ill-nourished, sick, harboring germs of disease which recognize no color lines--obey no Jim Crow laws. We cannot have a nation orderly and sound with one group so ground down and thwarted that it is almost forced into unsocial attitudes and crime. We cannot be truly Christian people so long as we flout the central teachings of Jesus: brotherly love and the Golden Rule. We cannot come to full prosperity with one great group so ill-delayed that it cannot.t buy goods. So as we gird ourselves to defend democracy from foreign attack, let us see to it that increasingly at home we give fair play and free opportunity for all people."

2- "Above all, I see the preaching ministry as a dual process. On the one hand I must attempt to change the soul of individuals so that their societies may be changed. On the other I must attempt to change the societies so that the individual soul will have a change. Therefore, must be concerned about unemployment, slums, and economic insecurity. I am a profound advocate of the social gospel."

3- "Admittedly, nonviolence in the truest sense is not a strategy that one uses simply because it is expedient at the moment; nonviolence is ultimately a way of life that men live by because of the sheer morality of its claim. But even granting this, the willingness to use nonviolence as a technique is a step forward. For he who goes this far is more likely to adopt nonviolence later as a way of life."

4- "Ghana has something to say to us. It says to us first that the oppressor never voluntarily gives freedom to the oppressed. You have to work for it. Freedom is never given to anybody. Privileged classes never give up their privileges without strong resistance."

5- "I am often reminded of the statement made by Nkrumah: "I prefer self-government with danger to servitude with tranquility." I think that's a great statement. They were willing to face the dangers and difficulties, but I thought that Ghana would be able to profit by the mistakes of other nations that had existed over so many years and develop into a great nation."

6- "We know through painful experience that freedom is never voluntarily given by the oppressor; it must be demanded by the oppressed. Frankly, I have yet to engage in a direct-action campaign that was 'well timed'' in the view of those who have not suffered unduly from the disease of segregation. For years now I have heard the word ''Wait!'' It rings in the ear of every Negro with piercing familiarity. This "Wait" has almost always meant "Never." We must come to see, with one of our distinguished jurists, that "justice too long delayed is justice denied.""

7- "Now,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How does one determine whether a law is just or unjust? A just law is a man-made code that squares with the moral law or the law of God. An unjust law is a code that is out of harmony with the moral law. To put it in the terms of Saint Thomas Aquinas: an unjust law is a human law that is not rooted in eternal and natural law. Any law that uplifts human personality is just. Any law that degrades human personality is unjust. All segregation statutes are unjust because segregation distorts the soul and damages the personality. It gives the segregator a false sense of superiority and the segregated a false sense of inferiority. Segregation, to use the terminology of the Jewish philosopher Martin Buber, substitutes an "I-it" relationship for an "I-thou" relationship and ends up relegating persons to the status of things. Hence segregation is not only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ologically unsound, it is morally wrong and sinful."

8- "The reason I can't follow the old eye-for-an-eye philosophy is that it ends up leaving everybody blind. Somebody must have sense and somebody must have religion."

9- "Man's inhumanity to man is not only perpetrated by the vitriolic actions of those who are bad. It is also perpetrated by the vitiating inaction of those who are good."

10- "We were all involved in the death of John Kennedy. We tolerated hate; we tolerated the sick simulation of violence in all walks of life; and we tolerated the differential application of law, which said that a man's life was sacred only if we agreed with his views. This may explain the cascading grief that flooded the country in late November. We mourned a man who had become the pride of the nation, but we grieved as well for ourselves because we knew we were sick."

11- "I think there is a lesson that we can all learn from this: that violence is impractical and that now, more than ever before, we must pursue the course of nonviolence to achieve a reign of justice and a rule of love in our society, and that hatred and violence must be cast into the unending limbo if we are to survive."

12- "We also come here today to affirm that we will no longer sit idly by in agonizing deprivation and wait on others to provide "our freedom We will be sadly mistaken if we think freedom is some lavish dish that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white man will pass out on a silver platter while the Negro merely furnishes the appetite. Freedom is never voluntarily granted by the oppressor. It must be demanded by the oppressed."

13- "Power, properly understood, is the ability to achieve purpose. It is the strength required to bring about social, political, or economic changes. In this sense power is not only desirable but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the demands of love and justice.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of history is that the concepts of love and power are usually contrasted as polar opposites. Love is identified with a resignation of power and power with a denial of love. What is needed is a realization that power without love is reckless and abusive and that love without power is sentimental and anemic. Power at its best is love implementing the demands of justice. Justice at its best is love correcting everything that stands against love."

14- "Ultimately, a genuine leader is not a searcher for consensus but a molder of consensus. If every Negro in the United States turns to violence, 1 will choose to be that one lone voice preaching that this is the wrong way...I cannot make myself believe that God wanted me to hate. I'm tired of violence, I've seen too much of it. I've seen such hate on the faces of too many sheriffs in the South. And I'm not going to let my oppressor dictate to me what method I must use. Our oppressors have used violence. Our oppressors have used hatred. Our oppressors have used rifles and guns. I'm not going to stoop down to their level. I want to rise to a higher level. We have a power that can't be found in Molotov cocktails."
Comment|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3.0 out of 5 starsThe Autobiography of MLK, Jr.
ByAnne Bradleyon February 12, 201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This book was written by someone other than Martin Luther King, Jr., in the first person. In my opinion, there is no bad book of MLK - just like the saying "a bad day at fishing is better than a good day at work".

For me, it was not a fast-read like Malcom X's autobiography, despite my deeper admiration for MLK than Malcom X, who came from a very broken home, subjected to much violence directly and indirectly - having a mindset that life was a war literally most of his life.

Yet Malcom X's book was truer; it had me engaged because I felt like he was talking to me.

Though Hon. Colin Powell is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a than Malcom X, his autobiography, too, had me engaged. It came from him.

Though all autobiographies, for the most part, have ghost writers, they receive the "stamp of approval" from the very one it is written on, for one thing. Yet in MLK's situation, he was not here to stamp it.

For instance, I do not believe that his family was weakening as far as their relationships went. Rather, I believe his wife Coretta was by his side in spirit constantly, cherishing the time they had together, which was quality time. Yet this writer indicated, as if MLK would say it, that his marriage was falling apart. That troubled me, for I have not believed others - even African Americans - who have told me that MLK cheated on his wife.

I don't think the author was reflecting this-type of behavior, yet I just felt that this book would have been easier read if he had just written it from his own heart, rather than what he may have imagined from MLK, particularly since he was just a little boy when MLK passed.

I learned new facts about MLK's life. I found this very useful.

School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Martin Luther King, Jr. His love for our country and expectation for us all to turn toward eachother reflected a love which does pass understanding, as one who represented his oppressed, tortured, and murdered people. There were many arising in his day who joined with MLK.

If I gave this book a rating by stars, I would give it a "three", only because I think there are more worthwhile books out there on MLK which have more realism.
Comment| 4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Yes
NoReport abuse
5.0 out of 5 starsIt is a great read. He makes a great case for doing ...
ByMaryAnn Murphyon September 11, 2017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t is a great read. He makes a great case for doing things in God's way. Although i was a white teenager and later a young adult growing up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during the 50s and 60s, I never really understood, for many years, what Dr. King was about. It was many years later as I was studying another topic entirely that I realized how necessary the Civil Rights movement was for us as a nation, for all of us as a people; and how vital it was that it be an energetic but nonviolent movement! He was a wise and dedicated soldier for truth. I have learned to respect and admire him, his wife, and his dedicated followers.

“제주 함덕 모래밭에 제 무덤 파라 하더니…총으로 펑펑” : 네이버 뉴스



“제주 함덕 모래밭에 제 무덤 파라 하더니…총으로 펑펑” : 네이버 뉴스

“제주 함덕 모래밭에 제 무덤 파라 하더니…총으로 펑펑”
기사입력 2018-03-18 09:20 최종수정 2018-03-18 12:00 기사원문 스크랩
ーー

[한겨레] [토요판] 르포

오사카 재일동포 1세대들의 ‘4·3 70년’

▶올해는 제주도 4·3사건 7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4·3사건 이후 많은 제주도민이 학살과 경제적 궁핍을 피해서 일본 오사카로 떠났습니다. 재일동포 1세대들은 그때의 참혹했던 기억은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10일 일본 오사카 이쿠노구 코리아타운 가게 앞에 돌하르방이 보인다. 오사카는 제주도 출신 동포들이 많이 사는 곳이며, 특히 이쿠노구 쓰루하시역 주변에 많이 모여 산다. 이쿠노구 코리아타운은 원래 ‘조센이치바’(조선시장)로 불리던 곳으로 길이 500m 거리에 한국 관련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17~18살 때쯤이었던 것 같아. 육지에서 2연대인가 군대가 오고 섬을 에워쌌어. 전신주에 죽은 사람 머리를 매달아 놓았던 게 기억이 나. 남자도 있었고 여자도 있었는데, 여자는 머리카락이 길잖아. 마치 유령 같았어.”

지난 9일 일본 오사카 이쿠노구에 있는 재일동포 고령자 돌봄 시설 ‘사랑방’에서 만난 송복기(87) 할머니는 제주4·3사건을 직접 경험한 1세대다. 서귀포 출신의 송 할머니는 지금도 제주도에 가면 고향 마을에 들르는 일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제주도에 들르더라도 4·3사건을 입에 올리는 일은 별로 없다. “말해봐도 어찌할 수도 없는 일”이기 때문이란다. 군인들은 전신주에 걸어놓은 주검의 머리 입과 코에 담배를 꽂기도 했다고 그는 말했다. “담배에 불을 붙여서 입에 꽂곤 했어. 반쯤은 재미로 그랬던 것 같아.”

9일 일본 오사카 이쿠노구에 있는 재일동포 고령자 돌봄 시설 ‘사랑방’에서 재일동포 1세대 송복기 할머니가 4·3사건 당시 기억을 이야기하고 있다.

제주4·3사건은 좌우 이념 대립과 일제시대 경찰들이 광복 뒤에도 미군정 경찰로 활동하는 등 한반도의 모순이 중첩되어 일어난 참극이었다. 4·3사건이란 명칭은 광복 3년 뒤인 1948년 4월3일 새벽 2시 350명의 무장대가 12개 지서와 우익단체들을 공격하면서 무장봉기가 시작된 데서 유래하지만, 시기적으로는 1947년 3월1일 도민과 기마경찰 충돌 사건에서부터 1954년 한라산 금족(禁足) 지역이 전면 개방되기까지 7년에 이르는 시간대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일컫는다.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출생신고도 되지 않은 아기들까지 희생된 사례도 있어 정확한 인명피해 상황을 파악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4·3사건에 대한 송 할머니의 기억은 70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섬을 감시하기 위해 낮게 날던 비행기와 불타버린 집들과 불탄 집터에 생긴 공터,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모습과 같은 참혹한 모습들로 얼룩져 있다.

“아침 8시와 저녁 5시에는 군대 소속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작은 비행기가 섬을 감시했어. 머리 바로 위를 지나간다고 느낄 만큼 낮게 날았는데, 3명이 탄 비행기였어. 기관총을 빈 땅에다 갈기고는 했는데, 위협 용도였던 것 같아. 산에서 내려오던 사람들이 그걸 보고 산 위로 다시 도망가곤 했어.”

김옥광 할머니는 오사카에서 태어났으나 ‘태평양전쟁’이 끝나고 어머니의 고향인 제주도 함덕으로 이사갔다가 4·3 현장을 몸소 체험했다.

당시 4~5살가량이던 조카는 군인들이 몰던 트럭에 치여 숨졌다. “여자아이였는데 뭘 주우려고 뛰어가던 중에 치였어. 그때는 섬 여기저기를 군인들 트럭이 질주하고 다녔거든. 트럭에서 내린 사람이 흰 천 하나 덮어주고 갔어. 그걸로 끝이었지. 지금 생각하면 용서할 수 없는 일이야.” 산에 들어갔던 사람들 중에는 송씨 성을 쓰는 친척들도 있었는데 그중 한명은 부인과 함께 바다에 내던져졌다고 했다. “물고기 밥이 됐겠지.” 송 할머니는 탄식하듯 짧게 내뱉었다.

“폭도 집안” 낙인에 사람 피해 지내기도

송 할머니는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몇달 전 밀항선에 몸을 싣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4·3사건으로 인해 참혹한 모습으로 변한 고향이 싫었고 일본에는 언니 2명이 살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10명쯤 탄 작은 배는 파도가 치면 곧 뒤집어질 듯 위태로웠다. 원래는 잠깐 일본에 머물다가 고향에 다시 돌아갈 생각이었지만 일본에 건너온 지 얼마 안 돼 터진 한국전쟁이 그의 인생을 바꾸어놓았다. 결국 일본 오사카에 정착해 새 삶을 시작했다. 일제 때 다닌 국민학교에서 일본어로만 교육을 받았기에 일본에서 언어 장벽은 그리 높지 않았다. 송 할머니는 한국어도 거의 잊어버렸다며 일본어로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내내 “혼마야”(정말로) 같은 오사카 사투리가 자연스럽게 튀어나왔다.

오사카시 이쿠노구 코리아타운에 있는 장승의 모습.

오사카에 머무는 재일동포 고령자 가운데는 송 할머니 외에도 4·3을 몸소 체험한 사람이 많다. 사랑방에서 만난 김옥광(80) 할머니도 그런 경우다. 김 할머니는 오사카에서 태어났으나 “‘대동아전쟁’(태평양전쟁)이 끝나고 어머니 친정이 있는 제주도 함덕으로 돌아갔다”고 회상했다. 4·3사건으로 인명피해가 가장 극심했을 1948~49년에 그는 10~11살이었다. 어머니는 낮에는 국군의 밥을 해주고 밤에는 허벅(제주도 여인들이 물을 긷는 데 사용하는 물동이)을 지고 산에 올라갔다. 어머니의 동생들이 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작은외삼촌이 군인들에게 붙잡혀 온 모습도 또렷하게 기억했다. “다리미 같은 걸로 팔을 지진 흔적이 보였어. 마을 사람들을 모아놓고 (군인들이) 우리 말을 잘 들어야 한다. 안 들으면 죽을 수 있다고 말했지.” 사람들이 죽임을 당하는 모습은 아직도 기억에 선명하다. “남자 여자 가릴 것 없이 20명을 붙잡아놓고, 함덕 모래밭에서 자기 무덤 구덩이를 파라고 시켰어. 담배 한가락씩 피우라고 하더니 그다음에 총으로 펑펑 했지. 죽기 전에 ‘아이고 어멍아’라고 외치는 사람도 있었고 ‘대한 독립 만세’라고 소리친 사람도 있었어.” 마을 사람들이 죽은 사람들을 묻어줬다. 김 할머니의 아버지는 4·3사건을 피해서 일본으로 갔다. 3살 위인 오빠는 아버지의 행방을 묻는 군인들에게 뺨을 맞은 뒤, 고모를 따라서 일본으로 갔다. 김 할머니도 39살 때 일본으로 옮겨왔다.

10일 오사카시립대 우메다 새털라이트 캠퍼스 홀에서 열린 4·3사건 7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오광현 재일본 제주4·3희생자 유족회 회장(맨 왼쪽)이 발언하고 있다.

오사카 이쿠노구에서 ‘오코노미야키’ 가게를 운영하는 고춘자(77) 할머니는 “우리는 폭도의 가족이었으니까요”라는 말로 4·3을 기억했다. 4·3사건 70년이 지난 지금도 고 할머니 입에서는 “폭도”라는 말이 자주 나왔다. 고 할머니의 가족은 태평양전쟁 막바지였던 1945년에 제주도로 돌아왔다. 일본 패전 직전 연합국의 공습이 심했기 때문에 공습을 피해 고향에 돌아온 것. 하지만 조국이 해방되고 3년 뒤인 1948년 가족의 비극이 시작됐다. 당시 8살이었던 고 할머니는 어머니의 고향인 삼양1동에 살았다. 1948년의 불안한 공기를 할머니는 아직 기억한다. “어느날 밤에 횃불이 보였어요. 여기도 보이고 저기도 보이니까 어머니가 벌벌 떠면서 숨으라고 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횃불이 보이고 마을의 집들이 타는 게 보였어요. 돼지우리가 불탔는지 돼지가 죽어가는 소리도 들렸어요.” 4월3일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딸을 업고 12살이던 오빠의 손을 잡고 동네 빨래터에 숨었다. 빨래터에는 다른 사람들도 숨어 있었고, 어디선가에서 발소리가 들렸다.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남매를 껴안고 떨었다.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집에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고, 삼양과 신촌 사이 바닷가 절벽 근처에 고 할머니와 오빠를 피신시켰다. 어머니가 가끔 마을에 가서 고구마 같은 먹을 것을 가지고 왔다. 그렇게 며칠을 피난살이했다. 며칠 뒤 집에 돌아가보니 이 집 저 집에서 사람들이 붙잡혀 갔다는 소리가 들렸다. 고 할머니 어머니의 남동생 2명은 산에 올라간 상태였다. 할머니네 집은 “폭도 집안”이 됐고,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마을 사람들 시선을 피해 다녔다.

학살과 가난 탓에 오사카 정착한
재일동포 1세대들의 4·3 증언
70년 지난 오늘에도 기억 또렷

“시체 입과 코에 담뱃불 꽂아놓고
4살 조카는 군대 트럭에 치여 숨져”
“횃불 보이더니 돼지 죽어가는 소리
어머니는 조국행을 너무도 후회했다”

“어느날 큰외삼촌이 붙잡혀서 어머니가 불려갔어요. 큰외삼촌은 어머니에게 할머니를 잘 부탁한다고 말했는데, 어머니는 ‘응응’ 울기만 하고 대답도 못했어요. 큰외삼촌은 육지로 끌려갔고 그날 만난 게 마지막이었어요.” 큰외삼촌과 만난 지 얼마 안 돼 작은외삼촌도 죽었다는 연락이 왔다. 어머니가 제주시에 가보니 주검이 널려 있었는데, 훼손이 심해서 누가 누군지 구별이 어려웠다. 어머니는 고 할머니에게 “작은외삼촌이 (산에 있는 동안) 야위어서 허리띠를 돌로 잘라서 사용했는데, 허리띠 잘린 모습을 보고 작은외삼촌 주검을 찾아왔다”고 말했다고 한다.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동생들을 일본에서 데려온 것을 크게 후회했다고 한다.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큰외삼촌이 부탁한 외할머니도 지킬 수 없었다. 당시 60대였던 외할머니는 아들 둘이 좌익활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한동안 아는 사람들 집에 숨어 지냈다. ‘폭도 가족’을 숨겨준 사람도 처벌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외할머니는 나중에는 바닷가로 도망갔다. 그러나 경찰에 협력하는 청년단에 붙잡혀 경찰서로 끌려갔다. “어머니는 외할머니가 지서에 끌려간 것을 먼발치에 봤다고 해요. 외할머니는 지서에서 총에 맞아 돌아가셨어요.” 고 할머니의 어머니는 경찰서에서 자신의 어머니의 주검을 눈물을 참으며 수습했다고 한다. 이웃들이 할머니네 가족을 보는 시선이 곱지 않았기에 숨죽이며 살 수밖에 없었다. 따가운 시선이 그나마 옅어진 것은 한국전쟁 혼란기 즈음부터였다고 고 할머니는 회상했다.

고춘자 할머니가 보여준 젊은 시절 자신의 어머니 사진. 사진이 실린 책은 재일코리안청년연합이 만든 책 <재일코리안의 역사를 걷다>.

끝까지 경찰 경력 숨긴 아버지

4·3사건의 상처와 궁핍한 경제 여건을 벗어나기 위해서 많은 제주도민이 일본, 특히 오사카에 건너와 정착했다. 일제강점기였던 1922년부터 1945년까지 제주도와 오사카 사이엔 ‘기미가요마루’(君が代丸)라는 이름의 배가 운항했다. 1924년 기준으로 오사카에 사는 조선인의 60%가 제주도 출신이었다는 조사가 있을 정도로, 오사카에는 제주도인이 많았다. 이후 4·3사건을 피해 일본에 간 제주도민은 5천~1만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상당수가 제주도인 커뮤니티가 이미 형성되어 있는 오사카에 정착했다. 해방 뒤 미군정은 한반도 출신자의 일본 도항을 엄격히 금지했기 때문에 제주도 사람들 상당수는 밀항으로 일본에 갈 수밖에 없었다. 김 할머니와 고 할머니처럼 4·3사건이 나고 한참 뒤 결국 생계 때문에 일본에 건너온 경우도 많다. 조경희 성공회대 교수는 10일 오사카 우메다에서 열린 ‘제주도 4·3사건 7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 전반까지의 밀항자들 중에는 4·3항쟁과 한국전쟁 과정에서 생존을 위해 일본으로 피난을 간 사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런 이동 패턴은 기본적으로 1970년대까지 지속되었다”며 “근현대를 관통하는 조선인들의 밀항의 역사는 미완의 탈식민화와 동아시아 냉전질서가 중첩되는 중요한 지점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4·3사건 70주년 오사카 심포지엄은 10~11일 이틀에 걸쳐 열렸는데, 오사카와 도쿄의 재일동포 그리고 한국 제주도 4·3 연구자와 활동가, 대만의 활동가까지 한자리에 모였다.

오사카 이쿠노구 코리아타운의 모습.

4·3사건은 재일동포들에게도 오랫동안 입에 올려서는 안 되는 금기어였다. 재일동포 2세이며 4·3사건 기념사업을 20년 넘게 진행해온 오광현(61) 재일본 제주4·3희생자 유족회 회장은 10일 열린 오사카 심포지엄에서 고등학생 때 재일동포 작가 김석범의 소설 <까마귀의 죽음>을 읽고 처음 4·3에 대해 알게 됐다고 말했다. 제주도 중문 출신 아버지에게 4·3사건에 대해 묻자 아버지는 “누가 알려줬냐”고 화를 내며 오씨를 때렸다고 한다. 오씨는 1982년 제주도에 가서 4·3사건 때 친척 중에도 희생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오사카에서 만난 55살 재일동포 2세 남성은 “2000년대 초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서 친척들에게 아버지가 제주도에서 경찰이었다는 사실을 들었다. 4·3사건 전 분위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일본에 건너오셨는데 생전에는 제주에서의 경찰 경력을 이야기하신 적이 한번도 없었다. 4·3사건은 양쪽 모두에게 큰 상처였다”고 말했다. 재일동포들이 4·3사건 기념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후반 한국 사회에 민주화 바람이 분 이후의 일이다.

9일 일본 오사카 이쿠노구에 있는 오코노미야키 가게에서 고춘자 할머니가 4·3사건 당시 기억을 이야기하고 있다. 고 할머니는 자신이 체험한 내용을 야간중학교 재학 시절에 작문으로 제출한 적이 있다. 앞에 놓인 책에 그의 글이 실려 있다.

“4·3은 법적으로 국가범죄”

1948년 4·3사건 발생 뒤 70년이 지났음에도 4·3은 한국 사회에 아직도 ‘과제’로 남아 있다. 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이 사건과 관련된 희생자와 그 유족들의 명예 회복을 목적으로 4·3 특별법이 2000년 공포되었지만, ‘사건’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4·3을 어떤 성격으로 규정하느냐는 아직 논쟁 중이다.

오사카 심포지엄에 참석한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이재승 교수는 “(4·3사건은) 법적으로 국가범죄”에 해당한다며 “(피해자와 유족에게) 보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미군정의 점령 정책이 민족자결권을 침해한 게 4·3사건의 원인”이라며 “4·3사건은 민족자결권 침해에 대한 저항운동이다. 진압작전은 인도에 반하는 범죄로 국가범죄였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최근 4·3사건 당시 좌익운동 주도자와, 좌익운동과 상관이 없는데도 희생된 도민을 구별하려는 최근의 움직임에 대해 지나친 반공주의라는 견해를 드러냈다. “한국전쟁 이후에 (한국 정부의 정책으로) 확립된 반공주의를 좌우 모두 의견을 낼 수 있었던 해방 직후 시간대까지 소급해 적용하는 것은 무리다.”

오사카/글·사진 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2018/03/20

How To Decolonize The Permaculture Movement | HuffPost



How To Decolonize The Permaculture Movement | HuffPost


THE BLOG
01/31/2017 02:04 pm ET Updated Jan 31, 2018

How To Decolonize The Permaculture Movement

By Tobias Roberts


About a year ago, I posted an article in the Huffington Post detailing some of the reasons why I thought permaculture had become a “gringo” movement irrelevant to the majority of small farmers around the world.

There were a number of react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but I was frustrated that very few people actually offered some sort of solution or proposal for how to “un-gringo” a movement and ideology that we find hope in.

After a good deal of reflection, I want to focus now on how to rescue the permaculture movement; how to save it from some of its most disturbing and troubling tendencies. I believe that permaculture does have a lot to offer to peasant and agrarian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so I humbly offer these ideas and suggestions not as a judgement; but rather in the hopes that permaculture can become relevant and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majority of small farmers around the world.

Stop Buying Land in Shangri-La Areas Around the World

We ne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our privilege. As a foreigner (most likely white and male, because that is the predominant demographic of the permaculture movement) we are inevitably going to change the dynamics of small, rural communities where we take up residence.

While there can be positive effects through bringing new knowledge and ideas into a community, there can (and often are) unseen and ignored negative effects. When wealthy foreigners buy up land in rural, agrarian areas, this inevitably leads to gentrification. The spike in land prices forces young people off of the land and causes migration.

I don´t excuse myself from this reality. As a white, North American male, my family and I bought a farm in the mountains of El Salvador that was the inheritance of a young man who was no longer interested in farming. With the money we paid him, he paid a human trafficker to try and make it to the United States and has failed twice. If he tries to go again, he´ll have to deal with a ridiculous wall, increased border militarization, and a racist president.

My only excuse is that I fell in love with a Salvadoran woman who invited me to be a part of her reality. If you do end up purchasing land in some hidden, agrarian community, make an effort to truly belong there. If you´re just buying a piece of land to have it as a vacation home and a place to host a couple permaculture workshops during the year, you´re probably causing much more harm than good.

Also, if you are interested in permaculture and are looking for land to create a vision of your own, why not look at land in rural Kentucky instead of Costa Rica? Not only is land in many rural areas of the U.S. cheaper, but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to repopulate rural areas and increase the “eyes-to-acre” ratio that is necessary for proper land management and ecological care.

Don’t Make Permaculture Courses Your Primary Source of Income

I understand that a number of people in the developed world have the extra income to spend on a $2,000-dollar permaculture course. If they’ve got the money, why shouldn´t they pay?

The problem is that if you derive the majority of your income from offering permaculture courses, you´re automatically divorcing yourself from the reality of your neighbors who make their living from the land. You can´t claim to offer a viable economic alternative (no matter how ecological it may be) to your under privileged neighbors who see that your income comes from hosting wealthy North Americans.

What if we were to use that money to re-distribute economic opportunities to our neighbors? We need to be honest and admit that establishing an economically viable permaculture system takes time and money. I´m not saying that we should stop offering courses all together, but rather reconsider how to invest that money into the dreams and visions of neighbor farmers who don’t have the same economic potential as do we.

After all, isn´t that what the third ethic of permaculture is all about: redistributing surplus so that others can enjoy the long-term abundance that comes from ecological design?

Stop Appropriating Knowledge

There is nothing that angers me more than watching permaculture videos on YouTube where some permaculture expert claims to have “developed” or “invented” some revolutionary technique to help preserve soil, store water, or save the environment.

For example, recently I watched a video of a permaculture farmer who claims to have developed a technique to slow erosion through making banana leaf boomerang barriers on the slope beneath where he planted some fruit trees. The idea is no doubt a good one; but it´s far from a unique development. I personally have seen dozens of small farmers throughout Central America do the exact same thing. Of course, they don’t have access to a camera and the internet to show the world their invention.

To put it bluntly, this is appropriation of knowledge, and it´s the same thing that mega-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have been doing for years through the patenting of medicines and seeds that have been stolen from the shared ecological wisdom of indigenous and peasant cultures throughout the world.

Be humble, and recognize that while permaculture may very well have a number of unique skills to offer, many of these skills and techniques have been around for hundreds of years.

Stop Demonizing Small Peasants

There are a number of very serious problems with how many small farmers in Central Americ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farm their lands. The effects of the Green Revolution on small farmers around the world have led to an almost complete loss of traditional farming knowledge in some rural communities

The excessive use of pesticides and herbicides, burning crop residues, tilling hillsides, and other examples of ecologically damaging farming practices are obviously unsustainable, unhealthy, and damaging to the environment. The solution, however, is not to criticize these farmers, but rather to humbly seek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If you had an acre of land and 6 children to feed, would you prioritize permaculture farming solutions that might offer abundance a decade from now or would you continue to follow the well-trodden path that while unsustainable, does offer subsistence and income?

Instead of criticizing small farmers who adopt unsustainable farming practices, it would be much more valuable to look at the sociological and systemic factors that lead to this adoption. Permaculture has not had much of a voice for advocacy, but it would be heartening to see permaculture “experts” around the world offer their voices to fight against unfair distribution of land instead of simply blaming small farmers for their “ignorance.”

Start Farming Grains

I understand that annual grain farming does come with a number of difficulties. The annual tillage of the land and the monocultures of one crop obviously present an ecological challenge. But you know what, agrarian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subsist on the farming of annual grains and that is not going to change. Even if you stoutly believe in developing a “food forest” or “stacked polycultures” of tree and perennial crops, dedicate at least a portion of your land to developing more ecological solutions for annual grain crops.

It takes years for a perennial food system to develop enough to offer any sort of subsistence or income, and almost no small farmer around the world has enough savings or alternative sources of income to wait around for their system to develop into the marvelous and awe-inspiring productive systems that you see on a 20-year-old permaculture farm

I´m not saying that we should throw out the idea of food forests or perennial crops, but avoid the tendency to offer those systems as the “only” way to grow food in an ecological and sustainable manner. When you show off your acres and acres of food forest to a small farmer in Central America, chances are that he or she might find it interesting but have little incentive to try and reproduce what you have created.

If, however, you had a diversified landscape with an acre of food forest, an acre of pasture, and an acre of annual crops, there is a far better chance that your neighbors will find interest in what you´re developing.

Despite the challenges, it is possible to grow grains in a sustainable, ecological fashion. Susana Lein of Salamander Springs Farm in rural Kentucky lived and worked in Guatemala for close to a decade. When she moved to her own farm in Kentucky, she started a no-till Fukuoka method of annual grain production that was adapted to the traditional corn and bean diet of Central American farmers. If she can do that in Kentucky, why aren´t more permaculturists doing the same in Central America, or experimenting with no-till rice harvests in Asia.

Be Aware of Alternative Epistemologies

The bread and butter of the permaculture movement is the PDC, or permaculture design course. The two-week curriculum has been offered by thousands of teachers in every part of the world and has been adapted to the specific and particular contexts of small farmers everywhere.

Many of the folks who critiqued my first article argued that they offered free PDC´s to their neighbor farmers. While I find that commendable, I think it´s also important to recognize that many rural, peasant and indigenous communities don’t learn the same us westerners do.

The pedagogy of a course with Power Point presentations, lectures and “visits” to the field might actually be so foreign to a small Guatemalan farmer that he or she might get nothing out of it. The Brazilian professor Boaventura Sousa Santos talks of the idea of epistemicide, the elimination of alternative forms of knowing through the colonization that comes through western academia and forms of learning.

An NGO that I worked with in Guatemala found that the best way to “teach” small Guatemalan farmers had nothing to do with courses, workshops, agricultural schools, or the like. Rather, they simply brought small farmers from neighboring communities together to tour the farms and lands that each one worked.

While one corn field may appear just like every other corn field to the untrained eye, these visits allowed for small farmers to learn of small variations in growing techniques, in seed saving, in the combination of companion plants, in soil preservation that many “experts” might never have noticed. At the same time, it allowed for small farmers to take pride in what they were doing which is so often criticized or ignored

Perhaps the famous PDC needs to be laid to rest and other, more appropriate pedagogies developed if permaculture is going to find relevance with small farmers around the world

Conclusion

I truly hope that this article doesn’t come across as a futile and derisive attack on permaculture practitioners around the world. I do honestly believe (and hope) that permaculture has a lot to offer the world. We need to recognize, however, that what´s most important isn´t the content or subject in itself, but rather how it is presented with respect for the local autonomy of the placed agrarian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Tobias Roberts
International Development Worker

The World Is Changing. This Trappist Abbey Isn’t. Can It Last? - The New York Times



The World Is Changing. This Trappist Abbey Isn’t. Can It Last? - The New York Times



The World Is Changing. This Trappist Abbey Isn’t. Can It Last?

Meet the monks of Mepkin Abbey, a Trappist monastery in South Carolina, who are trying to maintain age-old religious traditions in a rapidly evolving world.
ImageBrother Joseph Swedo, 90, a monk at Mepkin Abbey.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By Stephen HiltnerMarch 17, 2018

MONCKS CORNER, S.C. — “A year and a half ago, I could do anything — run the chain saw, cut up trees, use a backhoe.”

Brother Joseph Swedo was bent forward in his chair, his rugged hands folded delicately in his lap. As a monk at Mepkin Abbey, a Trappist monastery in South Carolina, he maintains that Roman Catholic order’s code of prayer, work, seclusion, poverty and chastity. And for the last 73 years — since he joined the order at age 17, answering a call from God, he said — physical labor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his daily routine.

Lately, though, Brother Joseph’s health has taken a turn for the worse, narrowing the scope of his monastic life. He is no longer strong enough, he said, to regularly attend the first or last of Mepkin’s seven daily prayer services — vigils at 3:20 a.m., and compline at 7:35 p.m. Nor can he fully participate during the roughly five hours set aside each day for agricultural work and the upkeep of the monastery’s grounds.


ADVERTISEMENT


“Right now, it’s a bleak situation,” he said. “We’re all getting old.”

Mepkin Abbey — part of a global network of Trappist monasteries that for nearly 1,000 years have provided their communities with reliable sources of prayer, learning and hospitality — is edging toward a potential crisis. In keeping with broader declines in the ranks of priests, nuns and brothers, Mepkin’s monastic community is dwindling. Only 13 monks remain, down from a peak of 55 in the mid-1950s. Over the same period, the monks’ average age has steadily risen by nearly 50 years — up to 77, from around 30. The abbey is struggling to attract and retain younger novices.
ImageMepkin’s monks, led by the abbot, Father Stan Gumula, process from the church to the refectory.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Another Trappist community facing similar challenges — the Abbey of Our Lady of the Holy Trinity, in Huntsville, Utah — celebrated its final Mass last August, then shuttered its monastery. Its eight remaining monks took up residence in a nursing home in Salt Lake City.

Across all orders, the number of Catholic brothers in the United States has declined by more than two-thirds since 1965, according to th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the Apostolate. But Trappist communities may be particularly vulnerable, since their traditions are more isolating and, in many ways, more resistant to modernization.

While members of other Catholic orders — Dominicans and Jesuits, for example — focus partly on outreach, Trappists, who are formally known as the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do not. And because Trappists see their lifestyle as a vocation, or a call from Jesus, they don’t actively recruit new members.

Their digital presence is also extremely limited. So far, Mepkin has shunned all forms of social media — both individually and institutionally. (Other religious organizations, like Hillsong Church, for example, have used Instagram and other platforms to reach and engage with younger generations.) And although they were quick to adopt a website, the monks have limited internet access and, with few exceptions, don’t use cellphones.

The economics of monastic life can also present challenges. “We don’t have a big financial reserve,” said Father Stan Gumula, Mepkin’s abbot, adding that an endowment, which the monastery does not have, “goes against what Trappists are for.” Even the profit margins on the monks’ agricultural business — which helps sustain the monastery and, by their accounts, is quite profitable — is limited by their daily prayer schedule, which severely restricts the number of hours available each day for work.


ADVERTISEMENT


These tensions pose a thorny question: To what degree can — and should — age-old religious traditions adapt to survive in a rapidly evolving world?
Image
The Cooper River runs alongside Mepkin Abbey’s 3,132-acre property.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To be sure, many of the Trappist traditions at Mepkin are helping to sustain the monastery. Hospitality is central to the monks’ lives, and the beauty of the grounds at Mepkin is a major draw both for day visitors and for people who stay overnight at the abbey’s retreat center — which is often fully booked months in advance.

Monks at Mepkin also adhere to a strict vegetarian diet and maintain a largely silent atmosphere — “although it’s not as if we don’t speak,” Father Stan explained.

“For us, the silence is second nature,” he said, adding that visitors often find it conducive to a transformative experience.

The monastery itself, which comprises a church, the monks’ refectory (dining hall) and living quarters, administrative offices, and a library, is nestled within a landscape dominated by large oak trees draped in Spanish moss.

“In everything we do here, we try to respect the land, the ecology and the environment,” Father Stan said. “The main architecture is the trees. All the buildings have been built around the trees.”

The community sees itself as a steward of the monastery’s grounds, and as a leader in the local environmental movement. Founded by monks from the Abbey of Gethsemani in Kentucky in 1949, after a 3,132-acre plot was donated to the Catholic Diocese of Charleston by Henry and Clare Boothe Luce, Mepkin was placed under a conservation easement in 2006, in concert with several neighboring properties.


ADVERTISEMENT


Work is another central pillar of life for the Trappists at Mepkin — as a means of supporting the community, providing solidarity with workers, and promoting a healthy mind and body.
Image
Father Gerard-Jonas Palmares inside one of the locations where mushrooms are grown at Mepkin Abbey.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For decades, the monastery relied on an egg farm that produced as many as 30,000 eggs per day. But in 2007, in the aftermath of an immensely disruptive PETA investigation, the abbey announced plans to phase out its egg operation. Eventually the monks settled on growing mushrooms.

“We wanted a good product, a healthy product,” Father Stan explained. “And it’s not backbreaking work, because we’re an older community.”

(In the 1950s, when their numbers were higher and the average age was much lower, the monks’ working life was more varied and physically intense; they ran a lumber mill, raised cattle and had a large-scale bakery.)
Image
Photographs from Mepkin during the early 1950s capture a wide variety of work.CreditMepkin Abbey

The monastery now produces around 1,400 pounds of mushrooms each week — half oyster mushrooms, half shiitake. Most of the crop is sold fresh to local restaurants and markets in Charleston.

The monastery also generates income from the store at its visitors’ center, which sells dried mushrooms and a slew of other products, many of which are produced at other Trappist monasteries; its retreat center, which hosts both individual and group visitors; timber that is harvested by outside contractors; and a new nondenominational columbarium, which offers a place for funeral urns to be stored on Mepkin’s grounds.

While many monks at Mepkin are concerned about the monastery’s future, they also see this moment as an opportunity to pioneer a new form of monasticism. In recent months, the abbey, in response to its aging population and its lack of young novices, formed a committee for its future development and drew up a set of programs aimed at attracting a younger and more spiritually diverse group of people.


ADVERTISEMENT

Image
Left, the church at Mepkin Abbey, and Father Stan Gumula, the abbot of Mepkin.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The abbey’s new affiliate program will offer two new short-term monastic options for people of any, or no, faith traditions: a monthlong monastic institute, open to men and women, and a yearlong residency. And in a departure from its otherwise passive approach, Mepkin created an ad campaign — albeit a small and highly targeted one — to publicize the program. (It featured copy that read: “BE A MONK. FOR A MONTH. FOR A YEAR.”)

“We’re at such a — you might say desperate — point,” said Father Guerric Heckel, “that we’re being forced to try something new and innovative.”

Many young people of the Roman Catholic tradition, Father Guerric added, will simply not be attracted to forms of monasticism that require celibacy and a lifetime commitment. But there’s a growing belief among Mepkin’s brothers that certain elements of the Trappist tradition — its cultivation of mindfulness, stillness and inward exploration — are increasingly relevant to today’s youth. And the abbey, they say, is a repository of wisdom about the benefits of contemplative living.

“What young people keep telling us,” said Father Joe Tedesco, the chair of the committee for Mepkin’s future development, “is that they’re interested in the spiritual life journey, but not in institutional religion. So let’s give them an experience of the place without a commitment, and see what happens.”
Image
A Bible at the conclusion of vigils, the first of seven daily prayer services at Mepkin Abbey. It begins at 3:20 a.m.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Mepkin’s interest in cultivating what they call “interspiritual” experiences — via the longstanding programs at their retreat center and with its proposed affiliate program — is evidence, Father Stan said, of the abbey’s welcoming and accepting nature. “We’re a very nonjudgmental and nonexclusive community,” he said.

That sense of acceptance was affirmed by Rob Hagan, who spent 30 years as a monk at Mepkin before leaving the monastery in 2007. (While there, he used the first name Aelred.)

Mr. Hagan, who is gay, said that he renounced his monastic vows to explore life as an openly gay man, free from the Trappist rules of chastity and seclusion. “I just felt like I had to acknowledge that part of who I am,” he said.


ADVERTISEMENT


“The brothers knew,” Mr. Hagan said. “I was very honest with them.”

“And they were just so,” he said, breaking into tears. “They were just so loving.”

“It took a lot of strength to leave,” Mr. Hagan said, noting that his fellow monks at Mepkin would have welcomed him to stay if he’d so chosen — in spite of the Catholic church’s official, if conflicted, position on homosexuality in the clergy. “And, for me, that kind of strength could only have come from having lived the monastic life in that community.”

“That sense of welcomeness and hospitality,” he added, “is just a wonderful aspect of the place. It really is the grace of Mepkin.”
Image
Brother John Corrigan during Mass.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Despite their hope for the future, the monks at Mepkin are cleareyed about the likelihood that their new initiatives — which will probably attract young, interfaith and short-term visitors — will fail to attract Roman Catholics who are interested in a long-term commitment with the core monastic community.

Trappist monasteries in the United States are likely to consolidate, Father Stan said. And there’s a chance, too, that American monasteries will be forced to rely on the arrival of more monks from overseas. (Several Trappist monasteries in Africa and Asia, for example, haven’t been plagued by the same decline in vocations — and some, at least partly because of the stability of monastic life and the unfamiliarity of the message, Father Stan said, are brimming with young monks.) Some aging monasteries, including Mepkin, have had to rely on greater numbers of paid employees and volunteers, which has helped avert a shortage of labor.

Still, Mepkin’s future is anything but certain. “I don’t want to spend my remaining years simply hanging on,” Father Stan said. “I’d rather be in a community that has a vital energy and a good community life. And if that means closing Mepkin, that means closing Mepkin.”

“I believe there’s going to be a turnaround,” he added. “Is it going to be a turnaround that’s quick enough for Mepkin? I don’t know. But I have great hope in the future.”


ADVERTISEMENT


Father Columba Caffrey, the newest member of Mepkin’s monastic community who, at the age of 60, is also one of its youngest monks, was also cautiously optimistic. “If you’re waiting for a whole lot of people to come to the traditional monastery — well, that won’t happen,” he said. “But maybe a smaller number will. And maybe, by some creativity, looking to the future, they can help to hold on to, and spread, this tradition.”
Image
Father Stan prepares for the commencement of vespers, another of the seven daily prayer services, with holy water.CreditStephen Hiltner/The New York Times

The overarching sense here is that Mepkin has so much to offer to the world’s spiritual searchers — irrespective of their ties to any formal religion.

“There’s tons of young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spirituality,” Father Joe said. “Maybe they’re not ready or able in this culture to make a lifetime commitment. But they’re interested in prayer, and they’re interested in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their center.”

The Trappists, he added, have been around for a thousand years. “And we expect to be here for another thousand years,” he said. “But it’s going to look different.”

“And Mepkin Abbey, these monks present here — we want to be part of shaping what the future will look like.”



Stephen Hiltner is a reporter and visual journalist for the Surfacing column. A graduate of the University of Oxford and the University of Virginia, he joined The Times as a staff editor in 2016 after editing for six years at The Paris Review. @sahiltnerFacebook

2018/03/18

북한 책 회고록으로 보는 세상이야기



회고록으로 보는 세상이야기










차 례



1. 《세기와 더불어》 주체사상 둘러보기



□ 《쨩즈궈즈》가 맺어준 《세기와 더불어》와의 인연

□ 간삼봉에 울려퍼진 아리랑 그리고 《아리랑》공연

□ 1933년 대황구사건과 2007년 정상회담의 대차대조

□ 《아는것을 알지 못한》 밀정 최용빈

□ 1931년 《만주사변》으로 본 《핵페기먼저》라는 오유

□ 유격구를 수라장으로 만들어놓은 좌경분자들

□ 《민생단》사건은 일제의 모략극

□ 《너 거기 있었는가 그때에》 《보도련맹》사건을 회억하며

□ 《주체료법(Juche Therapy)》과 장포리를 살린 경우

□ 사생결단하여 구원한 한봉선의 생명

□ 극좌좌경론리를 꺾은 김일성해학

□ 랭소주의를 랭소한 조선의 별들

□ 12. 19, 우리의 최대약점을 로출시킨 날

□ 배움의 천리길, 책속에 길이 있다

□ 계승과 혁신의 원리 그리고 《실용주의》

□ 항일유격활동은 거짓말과의 싸움이였다

□ 사립문을 나서며 《새날안고 돌아오리라》

□ 람스펠드와 거짓말변명의 론리

□ 항일유격대의 《색, 계》와 공화국헌법 63조

□ 조국광복회10대강령과 《취임사》

□ 체 게바라, 혁명의 진정성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락천가가 세운 나라 락관한다

□ 아직 회고록을 안 읽었다면

□ 망국론 5대리유 일깨운 회고록

□ 《비핵, 개방, 3 000》, 게임리론이 비웃는다

□ 일본을 혼쭐낸 《김일성전설》은 인민적성격

□ 동족 잡아먹겠다는 《상호주의》는 구루광우병의 일종 (1)

□ 동족 잡아먹겠다는 《상호주의》는 구루광우병의 일종 (2)

□ 《미국 믿지 말라》 했건만 못 말리는 MB사대주의

□ 항일유격대 일행천리전략식으로 재협상하라!

□ 백두밀림 우등불은 세기와 더불어 광화문초불로 오늘도 타오른다

□ 집단지성과 헌법 63조의 집단주의원칙이 웹 3. 0을 창조할 때가 온다



2. 《세기와 더불어》의 세계화 담론



□ 《墾島》에 가다 《看島》에 살다 《間島》에 죽다

□ 평등사회에서만 바로 《본다》

□ 밀림이 설레인다, 장군님 오신다고!

□ 운하(運河)를 파랴? 은하(銀河)를 쏘랴?

□ 미, 일에 부화뢰동, 손원금은 통곡한다

□ 《은하》, 《광명성》은 지구촌의 묵시록

□ 주체사상과 《은하》의 비밀

□ 빨리 망하려면 사대주의를 해라

□ 《잃어버린 10년》의 반을 잃어버린 2MB의 위기

□ 부엉이바위의 《나비효과》가 두렵다

□ 핵미싸일은 대동강문화론의 자존심발로이다

□ MB식《실용주의》 알고보니 사대주의

북한 책 일제의 100년 죄악사를 고발한다

일제의 100년 죄악사를 고발한다

북한 책 고난의 행군

고난의 행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