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Korea Quaker.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Korea Quaker. Show all posts

2016/12/10

ArchiveGrid : Papers on Seoul Monthly Meeting, 1959-1992,.

ArchiveGrid : Papers on Seoul Monthly Meeting, 1959-1992,.



Papers on Seoul Monthly Meeting, 1959-1992,.

Bailey, C. Lloyd (Charles Lloyd), 1918-

Swarthmore College - Friends Historical Library

Contact an Archivist or Librarian to learn more about access.

Details
12 items.
Includes 
Red Mitchell's correspondence with Ruth Watson, 
Lloyd and Mary Margaret Bailey, and Herbert Hadley, regarding the history of Seoul Monthly Meeting, 1984-1992. 

Also included is an information letter about the Quaker study group by Reginald Price, 1959, an account of Seoul Monthly Meeting visit, 1962,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1964, 
"Developments in Korea," and 1969, 
"Meeting on Quakers in Korea"; 
"History of Seoul Friends Meeting,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compiled by Dong Suk Cho and Yoon Gu Lee, and written by Shin Ai and Yoon Gu Lee, 1961, 
Friends in Korea, by Haeng Woo Lee, May 1969, 
"History of Seoul Meeting- Yoon Gu Lee," audiotape from Lloyd and Mary Margaret Bailey's trip to Korea, 1992.

Friends Historical Library of Swarthmore College, C. Lloyd Bailey's Papers on Seoul Monthly Meeting, 1959-1992.


Information on reproduction policies available in the Library.
C. Lloyd Bailey is a Quaker and has been interested in compiling a history of Seoul Monthly Meeting as well as maintaining conversation with its members. He made a trip to North and South Korea in 1992. Seoul Monthly Meeting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was started as a Quaker study group, held in the homes of Arthur "Red" and Shirley Mitchell, Reginald and Esther Price, or at the SooDo Medical College Hospital. It included both silent worship and discussion. Involvement in workcamps was emphasized as well as interaction with Japanese Quakers. The attenders decided to become a Quaker meeting in 1960 under the Pacific Yearly Meeting (U.S.). The meeting held its first business meeting in 1961.

Related Resources
View this description in WorldCat: http://www.worldcat.org/oclc/33240416


More Like This
Bailey, C. Lloyd (Charles Lloyd), 1918-.
C. Lloyd and Mary Margaret Bailey Papers, 1980-1991.
Swarthmore College - Friends Historical Library
Davis, Bainbridge C., 1910-1993.
Papers, 1960-1993.
Swarthmore College - Friends Historical Library
New Orleans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New Orleans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records, 1945-1991.
Tulane University - Louisiana Research Collection
Bronner, Edwin B., 1920-.
Papers, 1963-1978 (bulk: 1967-78).
Haverford College - Quaker and Special Collections
Philadelphia Yearly Meeting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Japan Committee.
Records. Japan Committee.
Haverford College - Quaker and Special Collections

Topics
Quakers -- Korea.
Quakers.

Genres

Mitchell, Arthur L. 1915- (Arthur Lyon) [WorldCat Identities]

Mitchell, Arthur L. 1915- (Arthur Lyon) [WorldCat Identities]





Mitchell, Arthur L. (Arthur Lyon) 1915-
Overview
Works: 1 works in 1 publications in 1 language and 1 library holdings
Genres: Sources History

Most widely held works by Arthur L Mitchell
Papers on Seoul Monthly Meeting by C. Lloyd Bailey( )

in English and held by 1 WorldCat member library worldwide

Includes Red Mitchell's correspondence with Ruth Watson, Lloyd and Mary Margaret Bailey, and Herbert Hadley, regarding the history of Seoul Monthly Meeting, 1984-1992. Also included is an information letter about the Quaker study group by Reginald Price, 1959, an account of Seoul Monthly Meeting visit, 1962,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1964, "Developments in Korea," and 1969, "Meeting on Quakers in Korea"; 

"History of Seoul Friends Meeting,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compiled by Dong Suk Cho and Yoon Gu Lee, and written by Shin Ai and Yoon Gu Lee, 1961, 

Friends in Korea, by Haeng Woo Lee, May 1969, 

"History of Seoul Meeting- Yoon Gu Lee," audiotape from Lloyd and Mary Margaret Bailey's trip to Korea, 1992

Audience Level
0
1
Kids General Special
Audience level: 0.89 (from 0.89 for Papers on ... to 0.89 for Papers on ...)


Related Identities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Bailey, C. Lloyd (Charles Lloyd) 1918- Author
Hadley, Herbert
Seoul Monthly Meeting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Associated Subjects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Korea Quakers

Global Network - Outreach Coordinator Trip to New York Report -03/08

Global Network - Outreach Coordinator Trip to New York Report -03/08



Global Network Outreach Coordinator Trip to New York Report

10 March 2008

From: Mary Beth Sullivan


For the two weeks leading up to International Women’s Day (March 8), the United Nations held its annual meeting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in New York City.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WILPF) was one of many Non-GovernmentalOrganizations (NGOs) to participate in parallel meetings across the street from the U.N. 

Carol Urner, active in both WILPF and the Global Network, arranged to have both Frida Berrigan and me speak on a panel that looked at “Women, War and Budgeting for Peace.”  Kersin Greback from Sweden, co-president of WILPF International, moderated the panel.  We were joined by another Swedish WILPF member, Eva, who has been involved post-war reconstruction of the former Yugoslavia with a role of assuring a gender perspective is included in rebuilding activities.  Sam Cook and Ray Acheson, WILPF staff members, discussed their work on two ongoing projects:  Peace Women, and Reaching Critical Will.

My job was to discuss the United States’ dependence on a permanent war economy; the excesses and folly of space weaponization; the military mindset of control and domination; and the need for conversion away from war economies to peace economies.

At least 45 women (and a few men) from many nations attended the panel discussion.  The information was well received.  After the meeting, two women approached me with great interest in attending the Global Network’s annual space organizing conference next month in Omaha. 

While I was in New York, the U.S. Air Force had a full page advertisement into the New York Times.  It is a mock-up of a newspaper with headlines and stories that U.S. citizens should most fear: cyber attacks; threats from rogue leaders; shifting world powers; hurricanes displacing thousands; terrorist threats.  In the bottom right corner of the full page is the U.S. Air Force logo with it's new motto: "Above All."  When I showed this ad to the women gathered to hear our talk, we shuddered together remembering Nazi Germany's slogan:  "Germany Over All."

I must mention that I attended a moving presentation by two women from Colombia representing the Women's Network for the International Action Network on Small Arms (IANSA).  They shared a desperate picture of the situation for women and children in Colombia.  Given it's rich natural resources, Colombia's land is being devastated as multinational corporations extract for their own benefit. Meanwhile three trades dominate in this war-weary nation:  the arms trade; the drug trade; and the sex trade.  The US supplies weapons to the Colombian military; Israel supplies weapons to the rebels; and of course, the US supplies weapons to Israel.

It is a corrupt, stinking mess, and the suffering and despair in that country runs deep.

I was fortunate to be able to spend a few days with Carol Urner.  I am grateful to her for doing a great job of networking and introducing me to the wonderful women working in WILPF-International's New York Office.  I hope this is the next step in a long and deepening co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m and the good work they do.

The last evening we were in New York, the Global Network's great friend Sung-Hee Choi from South Korea invited us to join her and Haeng Woo Lee for dinner.  Mr. Lee is also Korean; he is 77 years old, and has lived in the United States for forty years.  He is a Quaker who has been active in the work of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Mr. Lee is a founder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Americans. He has a strong interest in the work of the Global Network, and proposed that the next GN Annual Conference be held in South Korea.  He has close ties with the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SPARK), and promised to work with them to help host next year's events.  I promised him we would discuss this at our annual meeting in Omaha.

Mary Beth Sullivan
Outreach Coordinator
Global Network Against Weapons & Nuclear Power in Space
PO Box 652
Brunswick, Maine  04011
(207) 443-9502
www.space4peace.org

 




2016/12/06

미국에서 남북을 잇다 -재미동포 평화운동가 이행우 선생-

네트워크>한평consensus - [피스앤피플 15] 미국에서 남북을 잇다 -재미동포 평화운동가 이행우 선생-

[피스앤피플 15] 미국에서 남북을 잇다 -재미동포 평화운동가 이행우 선생-
평화포럼
http://koreapeace.co.kr/xe/485212016.12.06 13:59:28 (*.109.143.21) 28
미국에서 남북을 잇다
-재미동포 평화운동가 이행우 선생-


"좋은 프로그램을 가지고 시작하면 돈은 따라옵니다. 남북이 화합하고 통일해서 평화로 갈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일과 평화를 위한 활동가로 일생을 매진한 이행우 선생은 올해 85세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힘찬 목소리였다. 한반도의 중요한 고비마다 막후에서 미국과 남북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해왔던 이 선생은 여전히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 지 고민하는 살아있는 활동가였다.

이행우 선생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퀘이커(Quaker)다. 이 선생은 한국전쟁이 끝난 뒤인 1960년 동료 교사의 소개로 퀘이커의 존재를 알게 됐다.

"고향인 전라북도 익산에서 고등학교 수학교사로 재직 중이었어요. 그런데 같이 근무하던 영어 선생님이 퀘이커교를 믿고 있었어요. 익산에서 2년 있다가 서울로 근무지를 옮겼는데 그 영어 선생님도 비슷한 시기에 서울로 올라와서 저랑 같은 학교에 부임했어요. 그러더니 느닷없이 퀘이커 모임에 같이 가자고 하더라구요.

저는 처음에 '예수쟁이들 모이는 거 아니야? 안 갈래'라고 했는데 이 선생님이 다른 예수쟁이들이랑은 다르다면서(웃음) 살살 꼬시더라구요.

그래서 같이 가게 됐는데 생각보다 굉장히 좋더라구요. 목사가 없는 것도 특이했구요. 그리고 제가 원래 한 번 시작하면 좀 오래하는 편이라서 모임에 꾸준히 나갔어요. 그러다보니 한국 퀘이커 모임 창립 멤버까지 됐죠. 지금 창립 멤버 중에 남은 사람은 저밖에 없어요"

1960년 서울에서 한국 퀘이커 모임을 창립하는 데 함께했던 이 선생은 퀘이커가 한국전쟁 당시에도 다른 기독교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호활동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퀘이커들이 첨예한 갈등을 보이는 두 진영의 중재 역할을 했다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도 퀘이커들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퀘이커는 양쪽이 갈등을 보일 때 중재 역할을 해왔어요. 전쟁 이후 구호활동을 벌이더라도 양쪽 모두에 들어가는 것을 원칙으로 하죠. 실제 한국전쟁 때도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도 들어가려고 했어요. 북쪽에서 반대했기 때문에 들어가지는 못했지만요.

구호활동 자체가 다른 종교나 기관이랑 좀 다르기도 합니다. 구호활동, 지원활동을 하겠다고 목사가 오면 큰 집을 차지하고 자기 집에 울타리를 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런데 퀘이커는 일단 목사가 없기도 하고 그런 식으로 행동하지 않더라구요.

최대한 현지에 맞추려는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한국 사람이랑 똑같이 살고 구공탄 떼서 밥 해먹고, 봉사활동하고 그러더라구요. 또 한국전쟁 당시에는 한국에 차가 별로 없어서 자동차가 지나가다가 클랙숀을 누르면 놀라는 사람이 많았대요. 그래서 아예 클랙숀을 떼버리고 운행한 적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쓰는 것에 정말 놀랐죠.

이런 모습을 보고 퀘이커들이 한반도 문제에도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퀘이커들의 중재로 한반도 문제를 평화롭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이 선생은 퀘이커 모임에 나가면서 사상가이자 인권운동가였던 함석헌 선생과 본격적인 친분을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8년 함 선생의 추천으로 미국에서 1년 동안 퀘이커의 역사를 공부하는 기회를 얻게 됐다.

"제가 원래 전공은 수학이에요. 한국에서 아이들도 가르쳤고. 그래서 미국에 가게 된 김에 퀘이커 역사 공부를 마친 뒤에 수학공부를 더 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학비가 만만치가 않더라구요.

제가 당시 나이가 39이었어요. 장학금은 35세 이하한테만 주더라구요. 결혼도 했고 아이도 있어서 수학공부는 하기 힘들 것 같았고, 그래서 컴퓨터를 공부해서 취직을 하자는 생각을 했죠. 그때만 해도 컴퓨터 기술이 막 발전하기 시작할 때라서 일을 구하는 건 어렵지 않았어요. 그렇게 미국에서 10년을 일했어요. 그러다 보니까 한국에 한 번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고국을 떠나온 지 12년 만인 1980년, 그는 한국을 찾았다. 그런데 그가 목도한 한국은 '아름다운 조국'이 아니었다. 1980년 5월, 5.18과 마주했기 때문이다.

동포들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1980년 전두환 신군부의 무참한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을 현장에서 목격한 이행우 선생은 미국으로 돌아가 한국의 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운동에 박차를 가하기로 결심했다. 그러기 위해 우선 갈라져 있던 동포 사회가 서로를 이해하고 만나는 장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당시 동포 사회는 통일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을 두고 좌와 우로 갈라져 있었어요. 먼저 민주화를 한 뒤에 통일을 해야 한다는 '선민주 후통일'과 통일을 한 뒤에 민주화를 해야 한다는 '선통일 후민주'로 나뉘어져 있었죠. 의견이 갈라지면서 서로 잘 만나지도 않았어요.

그래서 동포사회의 화합을 위해 1947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퀘이커 평화단체 '미국친우봉사회(AFSC,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의 도움을 받았죠. 이 단체의 이름으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컨퍼런스를 하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했고, 1981년 5월 필라델피아에서 첫 컨퍼런스를 열었는데 호응이 좋았어요. 이후 3년 동안 매년 컨퍼런스를 열면서 동포사회의 화합에 주력했죠"

이행우 선생의 노력에 진보와 보수가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남북의 평화 통일을 위해 동포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고민했고 이를 <코리아 리포트>로 묶어냈다. 또 1985년에는 미국의 한국 문제 전문가들과 함께 <두 개의 한국, 하나의 미래>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하지만 1980년대는 여전히 전두환 정권의 독재가 이어지고 있었다. 동포들만의 힘으로는 어려운 현실에서 그는 재미동포들이 미국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선생은 동포들이 미국 의회와 정책 담당자들을 상대로 로비 활동을 벌이고 이를 통해 평화통일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새로운 모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한반도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어나갈 수 있을까 고민했는데 재미동포들은 미국이 제대로 된 한반도 통일 정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1994년 미 교회협의회(NCC) 회장 이승만 목사와 함께 미주동포전국협회(NAKA,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를 창립했어요"

NAKA는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운동을 비롯해 재미동포의 인권과 권익을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목표로 삼았다.

"NAKA를 만들고 난 뒤 미국 국무성과 의회를 찾아갔어요. 그랬더니 그동안 미국에 있는 한국인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었는데 찾아오는 사람들이 없었다면서 아주 반가워 하더라구요. 그래서 우리 활동에 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죠"

이후 이 선생은 2004년 남한과 북한, 미국 의원들이 모두 모이는 컨퍼런스를 열었다.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을 변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2004년 7월 20일 이행우 선생은 미 의회에서 '한반도 평화·안전 포럼'을 열었다. 남한·미국의 국회의원과 북한의 유엔 대사가 이 자리에서 만났는데, 남한과 북한, 미국 인사가 한 자리에 마주 앉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한국에서는 당시 열린우리당 장영달, 강혜숙, 김재윤, 선병렬 의원과 이창복 전의원 등이 참석했고 북한에서는 박길연 유엔주재 대사와 한성렬 부대사, 미국에서는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 대사와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의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던 조 바이든 상원의원이 등이 참석했다.

이행우 선생은 이 포럼의 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도널드 그레그 전 대사이자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을 움직여 공동주최하기로 결정했다.

"그레그와 만나서 한 말은 별로 많지 않았습니다. 그의 첫 말이 요즘 퀘이커가 좋은 일들을 많이 한다는 것이었고, 나의 답은 당신은 명문 윌리암스 대학을 나오고 CIA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사람으로서 좋은 일을 많이 하니 감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가 ‘이번 포럼이 당신의 아이디어냐, 바이든 의원의 아이디어냐?’고 묻더군요. 그래서 내가 우리 아이디어인데 바이든이 받아들였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그레그가 자금이 있냐고 묻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돈은 없다고 했더니 '오케이, 같이합시다'라고 말하더라구요. 생각보다 별로 어렵지 않게 이야기가 끝났어요"

이 선생은 이전에 그레그 회장과 안면은 있었지만 한 번도 진지한 대화를 나눠본 적은 없었다. 그런데도 그레그는 비교적 쉽게 이 선생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레그의 협조로 포럼은 순조롭게 치러지는 듯 보였다. 하지만 중간에 실무적인 단계의 난관도 적지 않았다. 당시 유엔 주재 북한 외교관들은 맨해튼 콜롬비아 스퀘어에서 25마일 밖으로 나가려면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당장 이 허가를 받아야 북한 인사들이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전까지는 국무부 허가 사항이었는데 부시 정부에서는 백악관 전결사항으로 되어있어 허가를 받는데 더 많은 시일이 필요했지요.

백악관에서 허가가 떨어지기 전에 우선 국무부에서 결재가 나와야 하는데, 결재가 콜린 파월 국무장관한테까지 올라가지를 않는거예요. 나중에 알고 보니 중간에 결재가 막혀 있더라구요.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진 애를 썼습니다. 결국 행사를 나흘 앞두고 국무장관 결재를 받았죠. 행사가 화요일에 있었는데, 그 전주 금요일 오후 5시 5분 전에 백악관 허가가 떨어졌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아주 아슬아슬한 순간이었죠"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결국 포럼은 예정대로 진행됐다. 포럼 이후 그레그 회장은 북측 인사들의 태도가 아주 인상 깊었다며 만족감을 표시했고 다른 미국 민주당 의원들도 ‘북한의 핵 폐기가 모두가 혜택을 볼 수 있는 '윈-윈' 게임이 될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감대를 좁혀 나가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또 <워싱턴 포스트>에서도 이를 크게 보도했다.

하지만 이 포럼에서 이행우 선생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찾기는 어려웠다. 사실상 포럼을 기획하고 포럼 성사를 위해 뛰어다녔지만 자신을 드러내지는 않은 셈이다. 이렇게까지 묵묵히 목표한 바를 위해서 열심히 움직인 이유를 묻자 이 선생은 "어떻게든 목적을 달성하면 됐지 내 이름이 나고 안 나고는 관심 밖입니다. 사실 여러분이 함께 했지 나 혼자 한 일도 아니고요"라는 우문현답을 내놓았다.

"저는 일단 시작하는 사람이에요. 좀 미련하기도 하지만 안 되더라도 일단 합니다. 또 한 번 시작하면 끝장을 봐야 하는 편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자금도 없이 포럼이나 컨퍼런스 등을 주최해왔는데 신기하게도 적자를 보거나 자금에 문제가 있던 적이 없었어요. 그래서 저는 좋은 프로그램을 가지고 일을 시작하면 되는 것이지, 돈이 없다고 아무 것도 못하는 건 아니라고 후배들에게도 이야기합니다"

그 포럼을 마치고 난 며칠 후 그레그 회장한테 전화가 왔다. 그레그는 이 선생에게 "나는 처음에는 매우 회의적이었는데 당신이 밀어붙여 일이 성공했는데도 결국 내가 주목을 다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이 선생은 "이번은 다만 시작이고 나는 앞으로 매년 계속하려고 하는데 당신도 나와 함께 계속 하겠느냐?"고 물었고 그레그는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그레그 회장은 지금까지 그 약속을 지키고 있다.


설득의 기술, 묵묵한 실천

이후 2009년 버락 오바마 정부가 출범한 뒤 이행우 선생은 한국의 시민 사회와 미국 의회 간의 만남을 주선했다.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원순 당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오재식 전 월드비전 회장, 이문숙 전 한국교회여성연합회 총무 등이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과 북핵 문제를 포함한 북한과의 대화를 모색하는 자리였다.

한국에서 참가하는 이들은 새로 출범한 오바마 정부가 북한과 적극적인 협상에 나서야 북핵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후 2011년 독일의 에버트 재단을 알게 된 이 선생은 6자회담 참가국들과 통일의 경험이 있는 독일을 함께 묶으면 의미 있는 세미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 2012년 3월 세미나를 준비했다.

"독일이 통일도 했고 유럽연합도 만드는 등 좋은 경험이 있는데,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국에 독일 당신들의 경험을 좀 나눠 주라고 말했죠. 그랬더니 한 달 후에 제안을 받아들이겠다고 연락이 왔어요.

저는 북한 참석자들이 비자를 받지 않아도 되는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런데 베이징에서 하려면 베이징 정부의 허가가 있어야 하더군요. 중국 쪽에서 그런 큰 국제회담은 뉴욕에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뉴욕에서 하면 자기들도 꼭 참석하겠다고 해서 결국 미국에서 하는 것으로 밀어부쳤습니다"

이 세미나는 북미 간 2.29 합의를 이룬 직후였고 6자회담이 멈춘 지 햇수로 4년이 되어가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동북아를 비롯해 세계 주요 국가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당시 이 세미나에 미국 측에서는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과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 제임스 레이니·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대사 등 한반도 전문가들이 총출동했다. 북한에서도 리용호 외무성 부상과 최선희 부국장 등 6자회담과 관련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한국에서는 백낙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문정인 연세대학교 교수, 손학규 의원과 함께 정부 인사로 임성남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현동 평화외교기획단장 등도 참석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러시아에서도 관련 인사들이 참석하는 등 6자회담 참여 국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시간이었다. 여기에 독일과 유럽연합 관계자까지 참석하는 명실상부한 국제포럼이었다.

키신저 전 장관과 그레그 전 대사, 존케리 상원위원장까지 미국 내 대표적인 인사들을 이 선생은 어떻게 한 자리에 모을 수 있었을까? 그는 원래 이 인사들과 친분이 있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이런 분들은 자기 휘하에 각 분야 담당 보좌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먼저 담당 보좌관을 설득해야합니다. 왜냐하면 직접 이야기한다고 해도 거의 대부분 본인의 보좌관에게 물어보지요. 결국 주요 인사들을 설득하려면 이 사람이 어떤 문제를 누구한테 물어보는지를 파악하여 그들을 설득해야 합니다. 이것이 성공하면 사실상 반 이상은 설득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죠"

존 케리 외에도 키신저 전 장관이나 북한의 외무성 부상 등 6자회담 및 북핵 문제와 관련된 인사를 한 자리에 모이도록 섭외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 선생은 마치 그런 일에는 도가 튼 듯 열정적으로 설명을 이어갔다.

"일단 북한이 나와야 세미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엔 대표부에 갔죠. 세미나 참석여부 관해서 본국(평양) 의사를 알아봐 달라고 부탁했더니 열흘 만에 참석하겠다는 답변이 왔지요.

그 다음에는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에게 북한의 답을 알려주며 협조해달라고 말했습니다. 케리 위원장은 북한에서 고위급이 올 경우 참석하겠다고 했고 결국 세미나에 함께 하기로 했죠. 이러다 보니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생각났습니다. 키신저가 참석하는 회의에서 북한 사람들은 그의 발언을 열심히 듣고 기록한다는 점에 착안, 키신저가 참석하면 북한에서 더 고위층을 보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었죠. 그래서 키신저를 움직였고 참석 승낙을 받아냈지요.

그러다 보니 한국 내 국회의원이나 전직 관료, 그리고 외교부에 있는 현직 관료까지 참석을 하게 된 겁니다. 그때는 정말 힘들었지만, 많은 분들이 함께 해서 행사가 성황리에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북미 양국의 2.29 합의 직후로 날짜를 일부러 맞춘 것이냐는 질문에 이 선생은 "의도적으로 맞춘 건 아니었고, 키신저와 또 한 사람의 일정에 맞추다 보니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진 것이다. 한 푼도 없이 시작했지만 결국 이번에도 적자를 내지 않았다. 좋은 프로그램이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완전히 단절된 남북, 민간이 적극 움직여야

남한과 북한, 미국과 북한 간의 다리를 놓으며 만남의 자리를 만들었던 이행우 선생에게 2016년 현재 북한의 핵 문제 해결과 동북아 정세 완화를 위해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물었다.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2월 남한 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그리고 7월 남한 내 사드배치와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는 점점 더 엄혹해져 가고 있다.

"정부가 나서지 않을 때는 민간이 적극 다리를 놓고 만나는 장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번에 말레이시아에서도 북한의 한성렬 부상과 미국의 전직 관료들이 만났습니다. 로버트 갈루치는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 낸 경험이 있고, 조지프 디트라니는 2005년 9.19 공동성명이 나왔을 때 미국 측 차석대표로 참석한 적이 있는 인물입니다. 이런 것처럼 자꾸 만나는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과 베트남이 국교 정상화에 성공했듯이 북한과 미국의 국교 정상화를 위해서도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베트남과 미국은 국교 정상화를 위한 로드맵을 만들었습니다. 단계별로 국교정상화까지 가는 것이었죠. 그렇다고 단계별로 시한을 정해둔 것은 아니었고, 한 단계가 끝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이었습니다. 단계에 따라 진행하는 건데, 이렇게 하면 훨씬 더 체계적인 관계 수립이 가능합니다.

북한과 미국도 이처럼 로드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 마지막 단계가 끝났을 때 핵도 없어지고 평화협정을 맺고 양측이 국교 정상화로 나아가야 합니다. 만약 북한과 미국 또는 남북한과 미국 또는 6자회담 참가국 등 관련한 국가들의 만남이 있다면 북미 간 국교 정상화를 위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과정을 통해 북핵 문제를 풀어나가야 합니다"

2016년, 남북한은 핵실험과 각자 억지력의 구축으로 극단으로 치닫고 있고, 미국은 트럼프의 당선으로 어떤 대북정책을 쓸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 일본은 재무장의 날개를 달았고 러시아는 호시탐탐 동쪽으로의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이렇듯 동북아와 한반도는 앞이 보이지 않는 혼돈 속으로 빨려들어 가고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이 선생의 삶과 조언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길을 낼 수 있는 자양분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정국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당사국 간 만남의 자리를 만들었고, 그 안에서 가능성을 발견했던 이행우 선생, 지금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을 그의 삶이 제시하고 있다.

이재호(프레시안 기자)

2016/11/06

Christianity in Japan – Theory and Methods in the Study of Religion

Christianity in Japan – Theory and Methods in the Study of Religion



Christianity in Japan

This annotated bibliography is composed of both seminal and recent works on Christianity in early modern and modern Japan. As reflected in the selections here, the vast majority of scholarship on this topic is focused on two historical moments—the “Christian Century” of the late sixteenth and early seventeenth centuries, and Protestant Christianity in the Meiji Period. This annotated bibliography is a first attempt to review a few frequently-cited works as well as more recent scholarship, and is by no means comprehensive. Given my own orientation as a student of history, I have also restricted this list primarily to works arising out of that discipline.*

 Anderson, Emily. “Tamura Naoomi’s ‘The Japanese Bride’: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Family in Meiji Japan.”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34, no. 1 (2007): 203-228.
Historian Emily Anderson examines the strongly condemning responses to the publication of Christian minister Tamura Naoomi’s English-language book, The Japanese Bride in 1893, bringing to light the intersections of nationalism, religion, and family in modern Japan. In his controversial English-language publication, Tamura described Japanese marriage and familial customs and compared them to American ones observed in his travels, a comparison perceived as an attack on the Japanese family and a betrayal of Japanese Christianity and the nation at large. Nationalists and Japanese Christians, as Anderson argues, saw the work as jeopardizing Japanese Christians’ authority over a foundational aspect of Japanese society (the family) and undermining the parity that Japanese sought with Western nations, which it needed for its imperialist enterprise. As she writes, “By characterizing Japanese families—the very core of the nation—as shameful, backwards, and unhappy, Tamura was in fact defying the central argument of Japanese claims to modern legitimacy” (225). His publication thus revealed the anxieties of the Japanese nation about its position not only in East Asia, but vis-à-vis the West.
Anderson contextualizes Tamura’s publication within a larger collection of his writings as well as a host of other Japanese-language archival materials. Like Notto Thelle’s study on the Buddhist-Christian relationship, Anderson’s study interro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Christianity, and anti-Westernism in Meiji Japan.
Breen, John and Mark Williams, eds. Japan and Christianity: Impacts and Responses. London: Macmillan, 1996.
Japan historian John Breen and literature scholar Mark Williams aim in this compilation, the product of a 1991 conference on Christianity in Japan, to complicate the “Western ‘impact’ and an “Eastern” ‘response’” structure used in understanding Christianity in Japan (1). They frame their study by setting in conversation two scholars—Ebisawa Arimichi, who has argued that Christianity laid a crucial foundation for Tokugawa thought, and George Elison, who declared less positively that in the Japanese context Christianity’s “cultural contribution was nil’ (Elison, qtd. in Breen and Williams, 2).
The collection covers a broad scope of topics and periods, from Christianity from the Tokugawa period to the twentieth century by Mark Mullins, Notto Thelle, Helen Ballhatchet, John Breen, Michael Cooper, Stefan Kaiser, Ohashi Yukihiro (the only Japanese scholar included), Stephen Turnbull, Christal Whelan, and Mark Williams. Collectively, they aim to show the slow but myriad processes by which Japanese interacted with Christian and Western ideas and institutions, and, importantly, the ways in which Japan contributed back to Western Christianity. Topics range from Western-style painting in Japan to the tensions between evolutionary theory and Christian theology to Japanese literary works on Christianity.
Elison, George. Deus Destroyed: The Image of Christianity in Early Modern Japa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In this seminal work, George Elison challenges narratives of Catholicism in Tokugawa Japan—the “Christian Century”—by eschewing the “Western” point of view adopted by scholars in favor of one that approaches the topic from the “inside,” made possible by his translation of Japanese-language anti-Christian texts. (The title of his book is from an anti-Christian tract written by Japanese Jesuit convert later turned skeptic, Fabian Fucan.) The book is composed of two main sections: the first, an analysis of Christianity in Japan from entry in 1549 to its rejection by the state; the second, translations of four anti-Christian works by Japanese Buddhists, Confucians, and apostate Jesuits. Though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Japan, Elison is quite clear in his position that Christianity failed to make any lasting positive contributions to Japan, instead reifying the state’s control over society and religion and contributing to its continued isolation. Elison’s challenge to the legacies of Christianity as well as his contribution of translated texts make this a key work in assessing Christianity both in the Tokugawa period and its continued influence in Japan today.
Hardacre, Helen. Shinto and the State, 1868-1988.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Historian Helen Hardacre aims to change the “faceless quality of research on State Shinto” by examining peripheral voices, particularly those of the priesthood,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Shinto between 1868 and 1945. Hardacre argues that Shinto as a religion of Japan was invent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the word itself is “purely a modern, post-Meiji invention”—and that this invented tradition has been enlisted in the service of the creation of the modern nation (19, 4). Nevertheless, her decision to omit the 1930-1945 period from her analysis does seem to be a critical missed opportunity to bolster her argument about Shinto’s cooptation as a handmaiden of the state.
Hardacre’s work on religion draws attention to another aspect of the state-invented tennosei system on which scholars such as Carol Gluck (Japan’s Modern Myths, 1985) and Takashi Fujitani (Splendid Monarchy, 1996) have also focused. Her argument that postwar Shinto faces serious challenges because of its loss of hegemony over national symbols and because of the rise of religious pluralism also contrasts with Daniel Holtom’s more optimistic conclusion (Modern Japan and Shinto Nationalism, 1943).
—. Religion and Society in Nineteenth-Century Japan: A Study of the Southern Kanto Region, Using Late Edo and Early Meiji Gazetteers. Ann Arbor: Center for Japa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2002.
In this more recent publication, Helen Hardacre presents a detailed study of Buddhist and Shinto institutions from the 1830s to the early Meiji period. Rather than simply trac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 single religion, she adopts the method of examining institutions (temples and shrines) within a given geographic area. A secondary aim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transition between the Tokugawa and Meiji periods on religious institutions and popular religious life. Hardacre argues provocatively that the Meiji state’s adoption of Shinto did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dwindling of Buddhism in Japan; it was instead local factors that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decline of Buddhist shrines. Hardacre’s point thus runs counter to that of Shigeyoshi Murakami and Thelle, who take a state-centric approach to religion in Japan.
Also in contrast to broader works like Murakami’s, Hardacre’s work maintains a sharp focus on a specific region. In the process of focusing on the local, however, Hardacre does not connect her findings to larger trends in Japanese religion; further historical and historiographical context would be beneficial to evaluating her desired contribution. It may be fruitful to compare her work with Mary Elizabeth Berry’s Japan in Print (2007), which also uses gazetteers.
Higashibaba, Ikuo. Christianity in Early Modern Japan: Kirishitan Belief and Practice. Leiden: E.J. Brill, 2001.
 Comparative religions scholar Ikuo Higashibaba is interested in this monograph on popular forms of religion and “culture of ordinary Japanese followers,” whom he terms the “laity,” within the Kirishitan community in early modern Japan (xiv, xvi). He argues that these commoners practiced a form of religious syncretism that is often omitted from existent narratives of Christianity in Tokugawa Japan, which have focused on orthodox Catholic belief, and that the earlier acceptance and syncretization of Buddhism set the precedent for acceptance of foreign religions. Like Kitagawa, Higashibaba adopts a “history of religions” approach in which he places Kirishitan beliefs, practices, and symbols within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drawing particularly on Jonathan Z. Smith’s theoretical work (1987).
Higashibaba’s work is the most recent in a line of works on the Kirishitan community in Tokugawa Japan. His attempt to shift the focus of discussion from intellectual or theological discussions of Catholicism to popular religions provides a counterpoint to works like Elison’s. Nevertheless, it is unclear how exactly he measures the fidelity of the believers—were they really Kirishitans?—whom he makes the focus of his study. Moreover, his thesis that Catholicism became a Japanese religion is neither unique nor a significant intervention in the historiography—this work should be valued for its topical focus rather than actual argument.
Howe, John F. “Japanese Christians and American Missionaries.” In Changing Japanese Attitudes Toward Modernization, edited by Marius B. Jansen, 337-366.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John F. Howe’s contribution to a 1965 collection edited by the late Marius Jansen focuses on Japanese Christians’ experience of psychological “self-abasement” resulting from the belief that Meiji Japan was lagging behind in modernization compared to the West. Through an examination of Japanese Christian and Western missionary, Howe highlights the similarities between ten influential figures—five Americans and five Japanese—and their cooperative religious efforts, which became to be increasingly challenged by growing anti-Western and nationalist sentiment in the 1880s. Howe identifies this at the point that Japanese Christian leaders, with the exception of Uchimura Kanzo, decided to break from their Western brethren to fashion their own version of Christianity, which helped them overcome their own self-abasement.
As in his 2005 book, Howe takes a psychohistorical approach in this work. While he makes a notable attempt at showing the very personal impact of modernization and Christianity in Japan, his reasons for the selection of the main figures in his book are not clear and his narrative of overcoming “self-abasement” strikes one as a bit simplistic.
—. Japan’s Modern Prophet: Uchimura Kanzo, 1861-1930.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05.
In a book that has generated much discussion, given the apparently vast amount of scholarship on Uchimura Kanzo (1861-1930) and the author’s provocative perspective, John Howe presents a nearly hagiographic account of Uchimura’s life as a leading Japanese Christian intellectual.[1]
Lauding a native convert’s deep engagement with and mastery of a foreign religion, Howe places Uchimura alongside “the Old Testament prophets, Dante, Luther, Kierkegaard, Carlyle, and Gandhi” (11). According to Howe, the author and theologian bridged East and West by developing a distinct “Japanese Christianity” in which he fused Japanese sociocultural values with those of Christianity, and rejected foreign missionaries in favor of his non-church movement (mukyokai). Drawing on Uchimura’s publications and correspondences, Howes attempts to intervene in the rather large historiography on Uchimura by highlighting his eschatological beliefs and emphasis on “individual faith and morality,” rather than his well-known opposition to war and founding of mukyokai (388). Unfortunately, any real critical examination if missing from this book; Howe neglects to show why people disliked Uchimura as well as incorporate what might have been useful theoretical perspectives on religion and nationalism into his work.
Ion, Hamish. American Missionaries, Christian Oyatoi, and Japan, 1859-1873.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09.
In this monograph on Christian oyatai (foreign employees) and Episcopalian, Congregational, Presbyterian, and Dutch Reformed missionaries, historian Hamish Ion seeks to challenge the existent narrative of Christianity in late Tokugawa and early Meiji Japan—pointing out Howe’s 1965 essay in particular—which he articulates as a binary of “acceptance or rejection” (285). His thesis is that despite the missionaries’ commendable optimism and vigor, the period from 1859 to 1873 already foretold the demise of the effort to Christianize Japan, not due to any failure of the missionaries and oyatoi, but Tokugawa and Meiji state policies regarding religion and the relative lack of support from American diplomats. Like Anderson and Thelle, he thus contextualizes Christianity in Japan within the global politics and cultural exchanges of the era. Ion draws from a broad array of primary documents by the American Church mission, individual missionaries, and diplomatic materials. He also engages heavily with the secondary literature, rejecting the applicability of Said’s orientalism to oyatoi, since recording the experiences of the “other” was not a focus of missionary records.
Kitagawa, Joseph Mitsuo. Religion in Japanese Hist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6, repr. 1990.
This work is a compilation of six lectures given by historian of religion Joseph Kitagawa on religion in Japan from the Heian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an endeavor he calls “autobiographical” given his own background. Despite the broad scope of these lectures in both time and topics covered, Kitagawa announces that he is attempting to apply a Religionswissenschaft (science/history of religion) approach, eschewing the “peculiar Western convention to divide human experience into such semi-autonomous categories as religion, philosophy, ethics, aesthetics, culture, society, etc.” in favor of continuing the spirit of Ritsuryo, Tokugawa, and Meiji syntheses of these categorizations (xiii).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xactly what Kitagawa means by a Religionswissenschaft approach, though it appears to be in the vein of Max Muller’s rejection of classifications. Rather than examine religions individually, Kitagawa attempt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phenomenon called ‘religion’” within the Japanese historical context (3).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scholar of Christianity in Japan are Kitagawa’s fourth and fifth lectures. In the fourth, h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neo-Confucianism respectively to the Tokugawa regime; in the fifth, he briefly touches on the impact of Christianity on Japanese modernization, in which Japan preserved the age-old principle of “immanental theocracy” through state Shinto.
Mullins, Mark. Christianity Made in Japan: A Study of Indigenous Movement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1998.
Sociologist Mark Mullins asks in this volume how a religion comes to be indigenized, focusing appropriately on the “indigenous and independent expressions of Christianity” in Japan. He argues for a shift in understanding Christianity as a “Western” to viewing it as a “world” religion, much like Buddhism and Islam, which adapts to a given context. There is, therefore, no pure Christianity but rather localized forms. Like Higashibaba, he is interested less in the mainstream versions of Christianity, instead focusing his study on thirteen indigenous groups from the Meiji Period and onward that developed apart from the influence of missionaries and churches. The book includes discussions of Uchimura Kanzo’s mukyokaimovement, among other subgroups, the confluence of Christianity and concerns for ancestors, and a fascinating comparison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transplanted Korean Christianity in Japan.
This book is based on fieldwork that the author conducted primarily in the Kanto and Kansai regions. Perhaps most provocative in this work is the author’s validation of syncretistic, indigenous Christian groups as critical, defining incarnations of Christianity, rather than heterodox deviations from the theological standard, by placing them at the center of his argument on the nature of universal religions. Mullin’s science of religion approach stands in stark comparison to studies oriented to theological belief.
Nirei, Yosuke. “Globalism and Liberal Expansionism in Meiji Protestant Discourse.” Social Science Japan Journal15, no. 1 (2012): 75-92.
Historian Yosuke Nirei charts the liberal Christian arguments of Uchimura Kanzo (1861-1930) and his Protestant colleagues in this recent article. He argues that Uchimura adopted the ideology of liberal expansionism, defined as espousing “Japan’s expansion through peaceful and economic means in tandem with British and American imperialism and emigration overseas,” to justify the Sino-Japanese War and Japan’s advance in Asia (75). Rather than citing political or economic justifications alone for expansionism, Uchimura developed a brand of expansionism ideologically driven by the ideals of freedom and rhetoric of civilization. (Later, he would advocate complete pacifism as his theology became more conservative, but Nirei’s focus is on his earlier, liberal convictions.) The large part of this article is composed of comparisons that Nirei draws between Uchimura and his contemporaries Takekoshi Yosaburo, Tokutomi Soho, and Yamaji Aizan, as well as Leo Tolstoy, which makes for rather dense reading.
The extent of Uchimura’s massaging of Protestant theology to fit the Japanes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as Nirei shows, accords with many other studies included in this bibliography on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Here, Nirei shows that indigenization did not simply occur at the level of popular, “common” practices, but at an intellectual, discursive level as well. Greater contextualization with the Japanese religious milieu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comparisons with Western liberal theology, are also opportunities for expansion.
Oshiro, George M. “Nitobe Inazō and the Sapporo Band: Reflections on the Dawn of Protestant Christianity in Early Meiji Japan.”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34 (2007): 99-126.
The title of historian George Oshiro’s article is misleading, because it supposes a much broader scope than the author actually takes. Oshiro presents a short biographical sketch of Nitobe Inazo (1862-1933), best known for his 1990 publication of Bushido but also a Protestant Christian internationalist who grappled with “attain[ing] a genuine Christian faith free from the taint of foreign culture” (99). Oshiro narrates Nitobe’s childhood interest in and openness to Christianity, followed by his time at Sapporo Agricultural College (SAC) during which time he made friends with Miyabe Kingo, Uchimura Kanzo, and others of the “Sapporo Band.” Oshiro draws attention to Nitobe’s doubts about Christianity, especially its soteriological aspects, and argues that it was only in meeting the Quakers while studying at Johns Hopkins a few years later that he found real, satisfying answers to his spiritual questions.
Where Oshiro comes far short is in providing his promised “reflections” on Protestant Christianity at large in early Meiji Japan. Oshiro’s sketch of Inazo also lacks a serious engagement with the question of how Quakerism quelled—theological, or otherwise—Nitobe’s worries that “he could not, to be intellectually honest, believe in the grace of an all-loving Savior,” as well as how to set Nitobe’s evolving religious views in the broader religious and intellectual context of Meiji Japan (111).
Paramore, Kiri. Ideology and Christianity in Japan. 1st ed. Hoboken: Taylor and Francis, 2010.
Drawing on a rich array of Japanese anti-Christian texts from 1600 to 1900, intellectual historian Kiri Paramore seeks to challenge existent conceptions of anti-Christian discourse in the lat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e “Christian Century”) and in the nineteenth century as disparate, stressing instead the discursive continuities between the two periods. He thus discards the couching of anti-Christian discourse in the Tokugawa period in a “religious paradigm” versus the placement of Meiji Christian discourse in a the political context. Paramore instead argues that anti-Christian discourse was less about Christianity itself and more about power and conflicts in domestic politics in both the Tokugawa and Meiji periods. Secondarily, he also seeks to dispel the common “Western vs. Eastern” trope that has characterized the reception of Christianity in the Tokugawa period.
In Paramore’s narrative, religion is co-opted by politics; one may therefore draw parallels between Paramore’s work and those on state Shinto, as well as Perelman’s dissertation on the political motives of missionaries.
Perelman, Elisheva Avital. “The Exponent of Breath: The Role of Foreign Evangelical Organizations in Combating Japan’s Tuberculosis Epidemic of the Early 20th Century.”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1.
In this recently submitted dissertation, historian Elisheva Perelman brings under critical examination the work of foreign Christian evangelical missionaries in the Meiji and Taisho periods during both a time of modernization and the unattended spread of disease—specifically, tuberculosis—in Japan. Though Japan saw the rise of science research and modern medicine under the Meiji and Taisho states, tuberculosis also spread unchecked at a rapid pace amongst the urban population and received little governmental attention. Perelman argues that the foreign missionaries who did attend to Japanese tubercular were ruled by political interests. Missionaries focused their attentions on evangelism to the nation’s elite so as to gain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the marginalized sick so as to ingratiate themselves to the government by filling a public health need; her answer to the quintessential question of whether missionaries are truly selfless is rather damning. Furthermore, the political motives that laced their medical work “made individuals with a disease into a collective, and, in doing so, removed their agency, essentially creating pawns for the constantly evolving chess games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4).
This work creatively draws together themes of disease, evangelization, gender, and modernization, drawing on an array of missionary archives, hospital records, and Japanese-language sources. Perelman also importantly raises the methodological question of discerning intent and motive, particularly relevant in studying foreign missionaries, to which she provides one response.
Thelle, Notto R.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Japan: From Conflict to Dialogue, 1854-1899.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7.
Missiologist Notto Thelle examines the Christian-Buddhist relationship between 1854 and 1899 by placing it in a larger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Before 1890, Buddhists saw the newly imported Western Christianity as a threat to their power and social order, whereas Christians dismissed Buddhists as innocuous and irrelevant due to corruption and lack of “spiritual vigor” within its ranks (249). With the passage of the Meiji Constitution in 1889, Thelle argues, the tables were turned and Christianity was placed on the defensive. Nevertheless, in this period debates over nationalism that had driven the two religions apart also worked to bring them into friendlier dialogue. He seems to have identified one critical period in which Christianity became part of Japan’s syncretistic religious fabric (a characterization found also in Hardacre and Byron Earhart’s works).
Thelle draws on a rich variety of primary sources by various Japanese leaders and Buddhist and Christian publications. The work is, however, not without faults: Thelle’s use of the terms “Buddhist nationalism” or “Christian nationalism” are not accompanied by clear definitions. More importantly, the author ignores the impact of State Shinto and the 1873 repeal of the ban on Christianity, significant points in Japanese religious history.


*In compiling this bibliography, I am building on work completed for HISTORY 396D: Modern Japan in Fall Quarter 2012 at Stanford University, which focused more broadly on religion in Japan.
[1] James L. Huffman, review of Japan’s Modern Prophet, by John F. Howes, Monumenta Nipponica 62, no. 3 (Autumn 2007): 366-369; Shibuya Hiroshi, review of Japan’s Modern Prophet, by John F. Howes, Church History 78, no. 1 (March 2009): 147-151; John F. Howes, “Responses to comments on Japan’s Modern Prophet,” Church History 78, no. 1 (March 2009): 151-158.
One comment on “Christianity in Japan
  1. dili optim says:
    Youre so cool! I dont suppose Ive learn something like this before. So nice to find any person with some unique thoughts on this subject. realy thank you for starting this up. this web site is one thing that is needed on the internet, someone with somewhat originality. useful job for bringing something new to the web!

2016/11/04

함석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석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석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auteur.png
함석헌
咸錫憲
Hamseokheon in his youth.jpg
출생1901년 3월 13일
대한제국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군
사망1989년 2월 4일 (87세)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노환으로 사망
필명호(號)는 신천(信天), 씨알, 바보새
직업사회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작가, 저술가
국적대한제국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대한민국
학력평안북도 용천 덕일소학교 수료
평안북도 용천 양시보통학교 졸업
평안남도 평양고등보통학교 중퇴
평안북도 정주 오산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 도쿄 고등사범학교 역사교육학과 졸업
장르저술
부모함형택(부)(1880-1941), 김형도(모)
친지함석혜(누나)
함석란(누이동생)
함석창(남동생)
함석보(누이동생)(1910-2002-)
함일형(5촌 숙부)
함석은(6촌 형)(1892-1928)
배우자황득순(1902-1978)
자녀함국용(장남)(1918-1985)
함은수(장녀)
함은삼(차녀)(1926- )
함은자(3녀)(1929-)-최진삼(1921-)/최응일(1947-)
함우용(차남)(1931-)/함정해
함은화(4녀)
함은선(5녀)(1940-)-장기홍(1934-)
종교기독교-장로교 → 퀘이커
웹사이트
씨알의 소리
함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이력[편집]

광복 이후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문필가 활약한 그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호는 신천(信天), 씨알, 바보새이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 당한 후, 사무원과 소학교 교사 등을 전전하다가 1928년부터 1938년까지 오산학교의 교사를 역임했다. 이후 교육, 언론 활동 등에 종사하다가 해방 후, 1947년 월남하였다. 이후에는 성서 강해 등을 하다가 1956년부터는 장준하의 사상계에 참여하여 정치, 시사 등에 대한 평론 활동, 신앙 활동, 반독재 민주화 운동 등을 하였다.
그의 종교는 초기에는 일본 유학 중에 우치무라 간조의 영향을 받아 무교회주의자였다가 중기에는 퀘이커였으나 후기에는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게 된다.

생애[편집]

초기 활동[편집]

생애 초기[편집]

함석헌은 190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했다. 어려서 당숙 함일형(咸一亨)이 세운 한학 서당인 삼천재(三遷齋)에서 한학을 수학하다가 덕일소학교(德一小學校)에 입학, 1914년에 덕일소학교를 수료하고 그 해에 양시공립소학교에 편입하였다가 1916년 양시공립소학교를 졸업했다.
그해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였으며 1917년에 황득순과 결혼하고, 1919년 평양 고등보통학교 3학년에 재학 중에 숭실학교 교사로 있었던 6촌 형 함석은 등의 영향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3·1 운동에 참가한 후, 3.1운동에 대한 반성문을 쓰면 복학시켜 준다는 일본인 교장의 제의를 거부하고 퇴학되어 2년간 학업을 중단한다. 이 시기에 함석헌은 수리조합 사무원과 소학교 선생 등을 하게 된다.

청소년기[편집]

왼쪽이 류영모, 오른쪽이 함석헌
1921년 함석규 목사의 권유로 평안북도 정주(定州)에 있는 오산학교(五山學校) 3학년에 편입하여 수학했으며, 그곳에서 류영모를 만나 평생 스승으로 삼았다. 또한 이때 안창호이승훈이광수조만식 등과도 알게되어 그들로부터 민족주의 사상과 실력 양성론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후일 그는 맹목적인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에 비판적인 성향으로 돌아서게 된다.
1923년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 문과 1부에 입학하여, 우치무라 간조의 성서 집회에 참가하여 그의 무교회주의를 접했다.
동경고등사범학교 재학 중에 일본인 무교회주의자 우치무라(內村鑑三)의 성서연구에 깊이 영향을 받고 김교신(金敎臣), 송두용(宋斗用), 정상훈(鄭相勳), 유석동(柳錫東), 양인성(楊仁性)등과 함께 교회에 다니지 않고도 신앙을 유지하는 무교회주의 신앙클럽을 결성하였다. 1927년 동인지 《성서조선 聖書朝鮮》 창간에 참여하고 논객으로 글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친구이자 동지인 김교신
1928년 동경고등사범학교 졸업(역사과 수석)과 동시에 귀국하여 오산학교에서 역사와 수신을 가르쳤다. 1934년~1935년에 동인지 《성서조선》에서 그의 주저인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연재한다. 1940년 계우회 사건으로 일본 당국에 의해 투옥되어 평양 대동경찰서에서 1년간 구치되었다.[1]
이후 1938년 3월까지 오산학교의 교사로 있다가 사임하였다.

언론, 문필 활동[편집]

《성서조선》 창간호 멤버. 뒷줄 오른쪽이 함석헌.
1940년 평안남도 송산(松山)에서 김혁(金赫)이 운영하는 송산학원의 이사로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계우회 사건(鷄友會事件)에 연루되어 평안남도 대동경찰서에 체포, 유치장에서 1년간 수감 생활을 하다가 1942년 초 풀려났다. 그러나 1942년 5월 《성서조선》(聖書朝鮮) 제 158호(폐간호)에 실린, 김교신의 〈조와〉(弔蛙)라는 우화로 관련자가 모두 투옥되는 성서조선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성서조선은 폐간되고, 함석헌은 서대문형무소에 미결수로 1943년 4월 1일까지 1년간 복역하였다(수형번호1588번).
1945년 혈맹의 친구였던, 김교신이 흥남에서 장티푸스로 별세하고, 그 해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한다. 해방이 되자 그는 해방이 ‘도둑같이(아무도 모르게) 왔다’고 평하였다.[2][3]

광복 이후 활동[편집]

해방 직후[편집]

해방 후에는 반공 시위인 신의주 학생시위의 배후로 지목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에 의해 투옥되었다가 소련군에게서 풀려난 후 1947년 3월 17일 월남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탈출 전 그는 조만식을 만나고 오기도 했다.[4]
1947년 3월부터 YMCA에서 성서강해를 계속하고, 이후 성서 강해와 신학, 종교적 강연 활동을 하였다. 또한 조만식의 추모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정부 수립 이후[편집]

1950년 한국 전쟁 때는 대전을 거쳐 부산으로 피난갔다가 휴전 후 상경하였다. 이후 1956년부터 장준하 등의 천거로 《사상계》를 통해 논객으로 활약하였다. 1958년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는 견해를 발표하면서 정부의 정책에 비평을 가하기 시작하였고, 1958년 5월 잡지 <사상계>에 발표한 칼럼 하나는 화제가 되었다.
전쟁이 지나가면 서로 이겼노라 했다. 형제 쌈에 서로 이겼노라니 정말 진 것 아닌가? 어떤 승전축하를 할가? 슬피 울어도 부족한 일인데. 어느 군인도 어느 장교도 주는 훈장 자랑으로 달고 다녔지 '형제를 죽이고 훈장이 무슨 훈장이냐?' 하고 떼어던진 것을 보지 못했다. 로자는 전쟁에 이기면 상례로 처한다 했건만. 허기는 제이국민병 사건을 만들어내고 졸병의 못 밥 깍아서 제 집 짓고 호사하는 군인들께 바래기가 과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나라의 울타리인가?
 
— 사상계 1958년 5월호
이 일로 그는 우익 인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는 또 1959년 6.25 전쟁 관련자들에 대한 훈장 서훈 이야기가 나오자 "형제를 죽이고도 무슨 훈장이냐"라고 비판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수감되었다가 풀려났다.

제2공화국 시절[편집]

1961년 2월 국토건설단 수료식
1961년 장면이 국토건설단을 창설하고 강사를 초빙할 때, 국토건설요원 정신교육 담당 강사로 초빙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 정변으로 제2공화국이 붕괴되자 다시 야인으로 되돌아갔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있자 모두가 침묵하고 있는 그해 7월 사상계에 발표한 정치평론인 '5·16을 어떻게 볼까'라는 글을 통해 신랄한 비판을 하여 군정 인사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1962년 미국 국무성내 기독교 신자 정치인들의 특별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방미하였을 때 퀘이커교파(Quaker敎派) 인사들과 만나 친분관계를 형성하고 돌아왔다. 이후 1989년까지 매년 미국 정계의 기독교인사들의 초청을 받고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생애 후반[편집]

반독재 민주화 운동[편집]

제3공화국 출범 후에는 종교인으로서 한일회담에 반대하는 등 사회운동에 참여했다.
1967년 장준하의 국회의원 총선거 옥중출마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승만 정권 즉, 자유당독재정권 시절부터 반독재 야당 운동에 참여하여 3선 개헌에 반대하였으며 이후 10월 유신 이후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서 수차례 투옥되었다. 1969년 4월 19일에는 4.19 10주년 기념 강연을 마친 뒤 침묵 시위에 들어가기도 했다.
1970년에는 정치, 시사평론을 실은 월간잡지 《씨알의 소리》를 창간하였으나 정권의 탄압을 받기도 했다. 이후 씨알의 소리의 발행인, 편집인, 주간 등으로 있으면서, 장준하 등 재야 언론인들을 필진으로 영입하고 1980년 1월 폐간당할 때까지 신진 문인들을 발간하였으며, 글과 강연 등을 통해 민중 계몽운동을 폈다.
1974년 7월 인혁당 사건 관련자에 대한 탄원서에 서명하였다.[5]
10·26 사건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 간선제를 고수하자 윤보선 등과 함께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기도 했다. 11월 24일 YWCA 위장 결혼식에 참석하였다가 사건에 연루되어 윤보선과 함께 재판정에 섰다. 1980년 1월 YWCA 위장 결혼식 사건 선고 공판에 출석하였다. 1980년 1월 25일 수경사 보통군법회의의 최종상고심에서 윤보선은 징역 2년, 함석헌은 징역 1년을 선고받았으나 후에 복권되었다. 1980년 신군부 즉 전두환 정권의 탄압으로 《씨알의 소리》는 강제 폐간되었다가, 1988년 12월 복간되어 2011년 7월 현재 217호까지 출간되어오고 있다.

제5공화국 시절[편집]

제5공화국을 거치면서도 민주화운동을 계속하다가 1984년에는 민주통일 국민회의 고문을 지냈다. 1985년 민주쟁취 국민운동본부 고문이 되었다.
그는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에 반대하였다. 한 인터뷰에서 그는 '민족통합을 참으로 하려면 우리의 대적이 누군가부터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우리를 분열시킨 도둑이 누구입니까? 일본? 미국? 소련? 중공? 아닙니다. 어느 다른 민족이나 이데올로기 때문이 아닙니다. 국민을 종으로 만드는 국가지상주의 때문입니다. 이제 정치는 옛날처럼 다스림이 아닙니다. 통치가 아닙니다. 군국주의 시대에조차 군림은 하지만 통치는 아니한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참 좋은 군주는 그래야 한다 말입니다. 그런데 이 민주주의 시대에, 나라의 주인이 민중이라면서 민중을 다스리려해서 되겠습니까? 분명히 말합니다. 남북을 구별할 것 없이 지금 있는 정권들은 다스리려는 정권이지 주인인 민중의 심부름을 하려는 충실한 정부가 아닙니다. 그런 것들이 설혹 통일을 한다해도 그것은 정복이지 통일이 아닙니다. 민중의 불행이 더해질 뿐입니다. 나는 그래서 반대합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국가주의와 민족지상주의는 개인으로 하여금 권리와 자유를 스스로 반납하는 주요한 근거가 된다는 것이 그의 견해였다.
1984년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고문에 위촉됐다. 또한 동아일보로부터 제1회 인촌상을 수여받았다.

만년[편집]

성서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각 고전을 섭렵하여 자신의 사상으로 소화하여, 씨알사상이라는 비폭력민주평화 이념을 제창하였다. 비폭력주의 신조로 말미암아 “한국의 간디”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사회 평론뿐만 아니라 《도덕경》 등의 각종 동양 고전 주해도 행하였고, 그리고 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1989년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입원, 그해 서울대 병원에서 별세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89세였다.

사후[편집]

장지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간파리의 가족산에 매장되었다가, 2002년 독립유공자로 선정되어 건국포장 수훈 이후 묘소가 대전 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일본 유학 시절 우치무라 간조의 제자였던 함석헌은 김교신송두용 등과 함께 초창기 한국 무교회주의 기독교 운동을 하였고, 퀘이커 모임(1961년과 1967년)을 계기로 퀘이커 신자가 되었다.[6] 상훈으로 1987년 제1회 인촌상과 2002년 건국포장을 받았다.
일대기로 《내가 본 함석헌》, 《함석헌 평전》이 있다.

사상과 신념[편집]

무교회주의[편집]

그는 김교신 등과 함께 무교회주의 운동을 하기도 했다. 이는 일본 유학 시절, 동경고등사범학교 재학 중에 일본인 무교회주의자 우치무라(內村鑑三)의 성서연구에 깊이 영향을 받고 김교신(金敎臣), 송두용(宋斗用), 정상훈(鄭相勳) 등과 함께 교회에 다니지 않고도 신앙을 유지하는 무교회주의 신앙클럽을 결성하였다.
귀국 후에도 무교회주의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 일본인 신학자 우치무라 간조의 성서집회의 영향을 받은 그는 이후 줄곧 무교회주의를 주장하게 되었다.

논란[편집]

사회진화론 추종자 논란[편집]

2010년 함석헌이 사회진화론 추종자인가 아닌가 하는 내용을 두고 관련 학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2009년 3월 함석헌평화포럼 공동대표인 김영호 인하대 명예교수는 한길사에서 30권으로 발간한 ’함석헌 저작집’에 실은 글 '함석헌 저작집 발간에 부치는 말'에서 그가 사회진화론자라고 주장했다. 당시 함석헌씨알사상연구원장이던 김영호는 함석헌을 사회진화론자로 소개하며, 함석헌 사상에서 거듭 반복되는 일관된 주제 가운데 하나로 사회진화론을 들었다.[7]

반론[편집]

이에 대해 함석헌이 창간한 잡지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인 김상봉 전남대 교수는 '씨알의 소리' 2010년 1~2월호에 반론인 '함석헌과 사회진화론의 문제'를 실어 “함석헌의 철학과 사회진화론은 물과 기름처럼 양립할 수 없는 사상”이라고 반박했다.[7] 김상봉 교수는 “사회진화론은 전쟁으로 열등한 종족이 도태되고 상대적으로 우수한 종족들만이 살아남아 인류가 발전했다는 것”이라며 “사회진화론자들은 약자가 도태되는 것은 자연적인 필연이므로 이를 인위적으로 막는 것은 자연법칙을 거스르는 일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7]
이어 그는 “만물을 짓고, 만물을 유지하고, 뜻을 이뤄가는 것은 힘이 아니라 사랑”이라고 말한 함석헌의 글을 인용하며 함석헌 사상은 ’힘의 철학’이 아니라 '사랑의 철학'이기 때문에 사회진화론과 양립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7] 김상봉은 이어 함석헌이 ’생명은 나와 남을 구별하지 않는 하나’라고 지적하였다. 김상봉은 함석헌이 평소 민족이기주의와 국가지상주의를 비판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함석헌에게) 사회진화론이라는 이름표를 붙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7]
2010년 김영호는 3월 16일 열린 함석헌학회 창립총회 기념 학술발표에서 ’함석헌과 사회진화론’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김상봉 교수의 주장을 재반박하고 나섰다. 김영호 교수는 ’함석헌은 사회/전체의 진화를 주장하지 않았는가’라는 부제가 달린 이 글을 통해 "김상봉 교수의 주장은 자신이 쓴 '사회 진화론'을 '사회다윈주의(Social Darwinism)'로 오해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회진화론’에는 김상봉 교수가 받아들인 '사회다윈주의' 말고도 여러 가지 다른 일반론이 있다고 하였다.[7] 그는 함석헌이 쓴 “지금까지 생각의 주체는 개인이었지만 앞으로는 커뮤니티이다. 그런 역사의 진화단계가 지금이다”라는 글을 인용하며 함석헌이 전체사회, 곧 인류공동체로서의 사회의 진화를 통찰했다고 강조하였다.[7]

투사론에 대한 반론[편집]

함석헌은 '누가 나처럼 수줍은 놈을 미친놈을 만들어 놓았느냐'라고 하기도 했다.[8]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역임한 철학자 김용준은 함석헌이 철학자라고 하였다. 그는 "나는 화학 빼고는 다 함선생님한테 배웠다고. 요즘 사람들은 함석헌하면 마치 주먹질만 하는 사람으로 아는데 그것은 넌센스야. 그건 함선생님의 일부분이고 80퍼센트는 도를 찾아 헤맸던 구도자[8]"라고 하였다.

기타[편집]

  • 그는 한국 전쟁 직전 전쟁을 예상하였다 한다. 김용준에 의하면 '6.25 바로 일주일 전에 함석헌이 “이 백성들이 왜 이러지. 지금 밑에서는 용암이 이글이글 타오르는데 그 위에 살짝 덮힌 암반을 마치 만세반석처럼 여기고 까불고 있으니 이게 언제 터질지 몰라” 하고 말씀을 하시더라[8]'는 것이다.
  • 1979년1985년 등 2차례에 걸쳐 미국 퀘이커 세계 봉사회가 함석헌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AFSC는 194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이래로, 노벨 평화상 후보추천규정에 따라, 해마다 후보를 추천해오고 있다.[9]

방송 출연[편집]

같이 보기[편집]

저작[편집]

저서[편집]

  •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 1948
  • 인간혁명, 1961
  • 역사와 민족, 1964
  • 뜻으로 본 한국역사, 1967
  • 통일의 길, 1984
  • 한국 기독교는 무엇을 하려는가, 1984
  • <함석헌 저작집> , 2009
  • 시집, 수평선 너머, 2009.

번역서[편집]

사진[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함석헌 기념사업회 (2008년 11월 13일). “함석헌 선생의 생애”. 함석헌 기념사업회. 200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2. 이동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137쪽.
  3. 이동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한길사, 2003) 394쪽.
  4. 이동 이후 조만식을 회고하여 “‘아니’ 라고 말할수 있는 사람”이라며 조만식을 칭송하기도 했다.
  5. 이동
    [길을찾아서] 인혁당 가족 돕자 시작된 미행과 도청 / 문정현, 한겨레신문, 2010년 6월 15일자, 2011년 1월 22일 확인.
    이동↑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되었나-함석헌 선생의 수필
    이동:가 '함석헌이 사회진화론자?' 학계 논란 조선일보 2010.04.16
    이동:가 “물건의 과학보다 ‘人間性의 과학’ 발전시켜야지”
    이동↑ 인터뷰 노벨平和賞(평화상)후보에 추천된 咸錫憲(함석헌)옹 "힘이 正義(정의)가 아니라 正義(정의)가 힘"

외부 연결[편집]

함석헌 기념 사업회
바보새 함석헌
함석헌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려움에 처할수록 씨알은 더 옹골차진다”
'함석헌이 사회진화론자?' 학계 논란 조선일보 201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