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주역 역경 I Ching.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주역 역경 I Ching. Show all posts

2022/08/02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by Richard Wilhelm, Cary F. Baynes, C. G. Jung | PDF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by Richard Wilhelm, Cary F. Baynes, Hellmut Wilhelm, C. G. Jung | PDF | Synchronicity | Causality: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 Richard Wilhelm (133p version) downloaded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 Richard Wilhelm (133p) PDF | PDF | Chinese Literary Works | Synchronicity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 Richard Wilhelm (133p) PDF

Original Title: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 Richard Wilhelm (133p).pdf

Uploaded byValentina Vinatoru Date uploadedon Aug 06, 2017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by Richard Wilhelm, C. G. Jung |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by Richard Wilhelm, Cary F. Baynes, Hellmut Wilhelm, C. G. Jung | PDF | Synchronicity | Causality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by Richard Wilhelm, Cary F. Baynes, Hellmut Wilhelm, C. G. Jung


Uploaded byMlopez

Date uploaded
on Mar 28, 2022
Full description

You are on page 1of 811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by Taoist Master Alfred Huang - Ebook | Scribd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by Taoist Master Alfred Huang - Ebook | Scribd


Start reading
Remove from Saved
Add to list

Download to app
Share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A Sourcebook of Symbols, Structures, and Traditional Wisdom


By Taoist Master Alfred Huang

4/5 (7 ratings)
301 pages
5 hours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The first book to cover the complete Taoist teachings on form, structure, and symbol in the I Ching.

• Provides many new patterns and diagrams for visualizing the layout of the 64 hexagrams.

• Includes advanced teachings on the hosts of the hexagrams, the mutual hexagrams, and the core hexagrams.

• Written by Taoist Master Alfred Huang, author of The Complete I Ching.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is the first book to bring the complete Taoist teachings on form, structure, and symbol in the I Ching to a Western audience, and it is a natural complement to Alfred Huang's heralded Complete I Ching. It examines not only the classic circular arrangement of the eight trigrams but also the hidden numerology in this arrangement and its relationship to tai chi and the Chinese elements. Huang explains the binary code underlying the I Ching, the symbolism behind the square diagram of all 64 hexagrams, and Fu Xi's unique circular layout of the 64 hexagrams, completely unknown in the West. Entire chapters are devoted to such vital material as the hosts of the hexagrams, the mutual hexagrams, and the core hexagrams--all barely hinted at in previous versions of the I Ching. With appendices listing additional symbolism for each hexagram, formulas for easily memorizing the Chinese names of the sixty-four hexagrams, and much more,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is a must for serious I Ching students.
Body, Mind, & Spirit
Self-Improvement
All categories

Read on the Scribd mobile app
Download the free Scribd mobile app to read anytime, anywhere.iOS
Android
PUBLISHER:
Inner Traditions
RELEASED:
Jul 1, 2000
ISBN:
9781594775666
FORMAT:
Book

About the author
Taoist Master Alfred Huang


A third-generation master of Wu style Tai Chi Chuan, Chi Kung, and Oriental meditation, Master Alfred Huang is a professor of Taoist philosophy who studied the I Ching with some of China’s greatest minds--only to be imprison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66 and sentenced to death. For 13 years in prison Master Huang meditated on the I Ching and found the strength to survive. Released in 1979 weighing only 80 pounds, he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Master Huang is the founder of New Harmony, a nonprofit organization devoted to teaching self-healing, and is the author of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and Complete Tai-Chi. He lives on the island of Maui.Read more

Related to The Numerology of the I Ching

Related Books
Skip carousel


Carousel Next
Feng Shui NumerologybyJaspal Singh Gaidu
Rating: 4 out of 5 stars(4/5)


I Ching The Book of Answers: The Profound and Timeless Classic of Universal WisdombyWei Wu
Rating: 1 out of 5 stars(1/5)


I Ching Readings: Interpreting the AnswersbyWei Wu
Rating: 4 out of 5 stars(4/5)


Yi Jing: The True Images of the Circular Changes (Zhou Yi) Completed by the Four SagesbyAlexander Goldstein
Rating: 3 out of 5 stars(3/5)


The Living I Ching: Using Ancient Chinese Wisdom to Shape Your LifebyMing-Dao Deng
Rating: 3 out of 5 stars(3/5)


The Laws of Change: I Ching and the Philosophy of LifebyJack M. Balkin
Rating: 5 out of 5 stars(5/5)


The I Ching for Writers: Finding the Page Inside YoubySarah Jane Sloane
Rating: 5 out of 5 stars(5/5)


Oracle: The I Ching for everyday usebyPéter Müller
Rating: 5 out of 5 stars(5/5)


Taoist Astrology: A Handbook of the Authentic Chinese TraditionbySusan Levitt
Rating: 3 out of 5 stars(3/5)


Original I Ching: An Authentic Translation of the Book of ChangesbyMargaret J. Pearson
Rating: 0 out of 5 stars(0/5)


Lillian Too’s Flying Star Feng Shui For The Master PractitionerbyLillian Too
Rating: 3 out of 5 stars(3/5)


The Occult I Ching: The Secret Language of SerpentsbyMaja D'Aoust
Rating: 5 out of 5 stars(5/5)


The Complete I Ching — 10th Anniversary Edition: The Definitive Translation by Taoist Master Alfred HuangbyTaoist Master Alfred Huang
Rating: 5 out of 5 stars(5/5)


The I Ching WorkbookbyWei Wu
Rating: 5 out of 5 stars(5/5)


Cosmic Astrology: An East-West Guide to Your Internal Energy PersonabyMantak Chia
Rating: 4 out of 5 stars(4/5)


I Ching Wisdom Volume One: Guidance from the Book of AnswersbyWei Wu
Rating: 0 out of 5 stars(0/5)


The Jade Emperor's Mind Seal Classic: The Taoist Guide to Health, Longevity, and ImmortalitybyStuart Alve Olson
Rating: 3 out of 5 stars(3/5)


I Ching Made Easy: Be Your Own Psychic Advisor Using the Worold's Oldest OraclebyAmy M. Sorrell
Rating: 3 out of 5 stars(3/5)


I Ching Life: Becoming Your Authentic SelfbyWei Wu
Rating: 4 out of 5 stars(4/5)


A Tale of the I Ching: How the Book of Changes BeganbyWei Wu
Rating: 5 out of 5 stars(5/5)


Lillian Too’s Irresistible Feng Shui Magic: Magic and Rituals for Love, Success and HappinessbyLillian Too
Rating: 4 out of 5 stars(4/5)


Taoist Feng Shui: The Ancient Roots of the Chinese Art of PlacementbySusan Levitt
Rating: 4 out of 5 stars(4/5)


Four Pillars of Destiny: Potential, Career, and WealthbyJerry King
Rating: 4 out of 5 stars(4/5)


Secrets of Chinese Divination: A Beginner's Guide to 11 Ancient Oracle SystemsbySasha Fenton
Rating: 0 out of 5 stars(0/5)


I Ching Wisdom Volume Two: More Guidance from the Book of AnswersbyWei Wu
Rating: 0 out of 5 stars(0/5)


I ChingbyCSPtrade2
Rating: 0 out of 5 stars(0/5)


Feng Shui: The Living Earth Manual: The Living Earth ManualbyStephen Skinner
Rating: 5 out of 5 stars(5/5)



Related Podcast Episodes

[도올김용옥] 도올주역강해 3강 - 주역점에 필요한 4가지, 괘상 괘명 괘사 효사 - '역경'은 공자의 작이 아니...


===
fool zorba
fool zorba
15 hours ago
아...제가 이럴줄 알았습니다. 주역이 너무 어려워 계사전을 먼저 읽으면서도 뭔가 헤매고 있음을 감출수가 없었는데 오늘 도올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뒤통수를 씨게 한 방 얻어 맞은듯합니다. 앞으로 도올 주역강해 열심히 듣고 열심히 읽겠습니다 .방향을 바로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항상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19


막시무스
막시무스
14 hours ago
감사합니다. 젊어서부터 해 보려던 주역공부를 선생님의 노고로 쉽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30여년 전에 주역책을 구입해 놓고는 방치해 두었는데 지난주에 도올 선생님의 책을 구입해 놓았습니다. 이번에 선생님의 강의를 들어가며 제대로 공부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0


삼인정
삼인정
14 hours ago
도올선생님의 강의를 듣는 재미로 노년을 살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건강관리 잘 하시어 통쾌한 강의 오래오래 이어주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11


정보원
정보원
14 hours ago
도올선생님 강의 최고입니다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잘듣고있습니다

8


유대종
유대종
15 hours ago
인류의보배 
도올 선생님
감사합니다

11


畯.
畯.
14 hours ago
교수님!!!
오늘도 강의를 듣고 있어요. 
늘 좋은 정보 많이 많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휴가는 "도울 주역 강해"로 
지낼 예정 입니다. 
혹시 강의실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가요?👏👏👏👏👏👏

9


김종호
김종호

13 hours ago
책과 함께 듣는 강의, 요즈음 위안이 되고 즐거움이 됩니다. 주역의 핵심을 파고 들어가는 짜릿함이 느껴집니다.

5

도올TV

Investor Lee
Investor Lee
12 hours ago
도올 선생님의  책을 읽다보면  또한번  감탄하게 된다.
알기쉬우면서도  정교하고   광범위하게   조선말을  가장  잘  구사하는  철학자이다.

3


리애
리애
16 hours ago
책 구입하고 열심히 강의 듣고 공부하겠습니다

7


김명구
김명구
13 hours ago
강의 잘 들었습니다 도올선생님 감사합니다^^
키포인트:경과 전을 이해하라

3


화니별
화니별
6 hours ago (edited)
주자학을 도입한 안향님의 후손입니다.
선생님~존경합니다.
주역으로 봤을 때, 끊임없이 삶을 공부하면 더 현명한 하늘과의 질문과 답변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신이내린개도사
신이내린개도사
14 hours ago
다시 공부 시작합니다. 고맙습니다. 건강하셔요...^^

5


전동일
전동일
15 hours ago
명쾌한 해설 감사합니다.

6


룽따
룽따
14 hours ago
선생님 감사합니다 ^^

5


Yeop Leem
Yeop Leem
15 hours ago
도올주역강해를 구입했습니다. 잘 배우겠니다. 감사합니다.

6


초님파
초님파
14 hours ago (edited)
선생님의 강의가 책의 어느 페이지 인지 본 동영상에 자막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기전 설명란에 가끔 대략적으로 띄워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아니면 텍스트를 안보고 강의만 쫓다보면 책은 사놓고 강의만 듣고 끝나는 경우도 많을듯 합니다 이번 강의는 꼭 책을 들고 읽고 익혀서 대과가 없는 삶의 자세를 배우겠습니다

6


사인師蚓 성현빈
사인師蚓 성현빈

12 hours ago
49:00 계사전을 '구라 중의 구라'라고 일갈해버리시는 그 단호함! 평생을 타협 없이 치열하게 공부하셨기에 가능한 자신감일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언젠가 '나의 철학 여정은 철학의 권위, 그 문명의 허세를 해체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번 강의에서도 민을 생각하시는 선생님의 우환의식이 절절히 느껴져서 눈물이 멈추질 않았습니다. 진실로 선생님께서는 순과 같은 대효이십니다.

2

도올TV

서영식
서영식
14 hours ago
강의 감사합니다

4


미래예 언
미래예 언
11 hours ago
도올선생님 감사합니다!!

2


june kim
june kim
13 hours ago
너무나 감사합니다 늘건승하십시요 ~~^^

2


Jh J
Jh J

13 hours ago
 ₩12,000
감사합니다.

3

도올TV

한국사진작가협회 탈퇴
한국사진작가협회 탈퇴
12 hours ago
도올님은 정말 대학자십니다.

1


구글좋아ᄒ
구글좋아ᄒ

16 hours ago
1등!!! 매일 기다립니다. 선생님 강의만 알림 설정해놨어요 ㅎㅎ

6

도올TV

이강연
이강연
13 hours ago
좋아요 수고 하십니다

3


하늘님
하늘님
13 hours ago
감사합니다

2


TheMusicmalife
TheMusicmalife
12 hours ago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습니다.

1


kj lee
kj lee
15 hours ago (edited)
동양인들이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 = 주역
동양인들이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에 기준한 행동 양식의 설명 = 유교, 도교, 중국화한 불교
로 설명할 수 있나요? 그렇기 때문에 동양의 철학은 극렬한 반목이 없어보이는 듯한 이유일 수 있을 듯하며 그렇게 타 종교에 대해서도 반목하지 않는 심성이 만들어진 것은 아닌지 싶습니다.

6


별땅
별땅
16 hours ago
돌선생님몇칠 을못들어왔네요수고하네요감사합니다

5


흥호 이
흥호 이
15 hours ago
퇴문 10철 이덕홍은 주역에 밝았는데 나의 방조였다..

5


느끼는심리학교실
느끼는심리학교실
13 hours ago
👍

3


G S
G S
9 hours ago
💓



이삼봉
이삼봉
3 hours ago
'무슨 종교를 믿든 혹은 어떤 철학을 가지고 살든 살아있는 동안에는 일단 건강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약과 영양제를 먹는 것보다 음식을 골고루 잘 씹어 먹는 것이 건강에 더 좋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치의학 이론에 오류가 많아서 그 이론으로 만든 치약은 효과가 거의 없고 그래서 많은 치주 질환이 발생하므로 치과는 장사가 잘 되고 있어요. 
그래서 '얼굴이 밝은 성직자는 가짜다'의 저자가 산중에서 수행하면서 야생동물은 평생 치석과 치주질환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고 연구해서 칫솔이 필요 없는 신개념 치약을 만들었습니다. 

이 치약(길몽웰빙치약)을 사용하면 치아와 잇몸이 야생동물처럼 강해져서 평생 치석과 치주질환이 발생하지 않으며 잇몸통증과 시린이가 사라지고 코골이와 치매도 예방된다고 하네요.
 치아가 나빠지면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가 없습니다. 
행복은 건강에서 시작되고 건강은 치아에서 시작됩니다. 
그런데 치아와 잇몸은 한 번 무너지면 회복이 어려우므로 미리미리 관리해야 합니다.



leopardi Giacomo
leopardi Giacomo
12 hours ago
인간에게는 미래를 볼수 있는 혜안이 없다고 하는데 주역점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벗어날려는 시도 아닌지요?



Lambda
Lambda
14 hours ago
아~ 하고 무릎을 탁 치게 됩니다. ㅎㅎ

6


의열단 박재혁의사
의열단 박재혁의사
1 hour ago
이분은 강의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는 
사명을 가지고 천상에서 내려 온 
천인이다.

어리썩은
( 얼이 썩은, 즉 영혼에서 혼이 썩어빠진,
 영 = 보편적 자아, 진아
혼 = 개별적 자아, 가아) 

인간들아
 몸 소중한 걸 알아야지 !

천지간에 최고 보물이거늘...

< 사후체험에 대하여... >

제 1 편 지옥의 세계

이승에서 맑은 마음으로
청정하게 살았던 사람들에게

사후에 영혼이 가는
영계는 아주 맑고 깨끗한 곳으로 보인다.

다른 이들에게
사랑과 자비를 많이 베푼 이들은

아주 평화롭고 아늑하고 즐거운 기분으로
영계에 들어간다.

욕망과 번뇌에 깊이 물들지 않았던
이들은 날아갈 듯 개운한 기분으로
영계에 들어간다.

그러나 
마음이 탁했던 이들의 영혼들은
영계를 어둡고 으스스한 곳으로 느낀다.

영계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무서운 고통을 느낀다.

그들이 받는 고통은 
그들의 성품에 따라 또
살아서 행한 바에 따라 다르다.

탐욕이 심했던 영혼은
혹독한 추위를 느낀다.

꽁꽁 얼어붙는 듯한 고통을 느낀다.
그들은 덜덜 떨며 괴로와한다.

오만방자하고 남을 업신여기던
영혼은 

허공에서 검불처럼 휘날리다가
핏물, 독물, 뜨거운 모래에 뒤덮이는
느낌을 받는다.

입속으로 뜨거운 독물이 쏟아져 들어온다.
뜨거운 쇳물이 입속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독이 가득한 바다에서 허우적 거리기도 한다.

화를 잘 내는 영혼들은
칼이나 창으로 찔리는 
고통을 받는다.

도끼로 찍히고
작두로 잘리고
쇠 곤장으로 두들겨 맞고
톱으로 썰리는 고통을 당한다.

까닭없이 남을 원망하고
미워한 영혼들은
바위에 짓눌리고 
돌에 맞는 고통을 당한다.

독안에 갇혔다가
독과 함께 자갈밭에 던져지는
고통을 당한다.

남을 많이 속인 영혼들은
더러운 오물 속에 빠져 허우적거린다.
오줌똥의 늪에 빠져 고통을 당한다.

간사하고 아첨을 많이 한 영혼들은
밧줄로 목이 졸리는 고통을 당한다.

음욕에 빠진 영혼들은
활활타는 불길 속에서 고통을 당한다.

이런 무서운 고통들은 모두
각자 스스로의 마음이 만든 것이다.

음욕은 뜨거운 불기운을 일으키니
음욕에 빠진 영혼은
불길 속에서 고통을 당하는 것이다.

탐욕은 한없이 빨아들이는 마음이니
탐욕스런 영혼은 얼음과 같아서
얼어붙는 듯한 고통을 당한다.

오만방자한 마음은 뽐내는 마음이니
허공에서 이리저리 휘날리는
고통을 당한다.

간사한 마음은 남을 유혹하여
서서히 망가뜨리니
남의 목을 조르는 것과 같아서
자신의 목이 졸리는 고통을 당한다.

화내는 마음은
남에게 날카로운 살기를 쏘니까
그 살기가 결국 자신을 찌르게 된다.

원망하는 마음도
남에게 독한 기운을 쏘아 보낸다.
그 독기가 자신에게 되돌아와
돌에 맞는 고통을 당한다.

사후에 영계로 들어가는 영혼들은
살아 생전에 행한 바에 따라서,

즉 스스로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가는 곳이 정해진다.

악업을 행한 영혼은 지옥으로 떨어진다.
선업을 쌓은 영혼은 천상으로 올라간다.

천상과 지옥 모두 일체
마음이 지어낸 것이다.

지옥은 아비규환이다.

지옥으로 떨어진 영혼은
살아 생전에 저지른 죄업을
되돌려 받는다.

처절한 고통의 외침과 신음 소리가
울려 퍼지는 곳이다.

살인을 저지른 영혼은
자기가 죽인 사람이 죽으면서 겪는
고통을 그대로 똑같이 당한다.

남을 때린 영혼은
자기한테 맞은 이의 고통을
그대로 똑같이 당한다.

힘없는 중생들을 죽이고
학대한 영혼들도 마찬가지다.

남을 슬프게 한 영혼은
똑같은 고통을 당하며 
비통한 눈물을 흘린다.

남을 억압한 영혼은
똑같은 억압을 느끼며
고통을 당한다.

남을 공포에 떨게 한 영혼은
똑같은 공포 속에서 벌벌 떤다.

모두가 스스로 뿌린 씨앗을
도로 거두어 들인다.

인과응보에는 티끌 만큼의 오차도 없다.

지옥에서 수많은 영혼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내린 벌을 받는 모습은
차마 눈뜨고 쳐다보기가 어렵다.

자신이 저지른 죄업에 합당한 고통을
모조리 받고나면
영혼은 지옥을 벗어난다.

그들은 귀(귀신 귀)가 된다.

귀들은 본래 가졌던 성품에 따라
가는 길이 달라진다.

음욕이 강했던 귀들은
바람에 실려서 이리저리 휘날린다.

살아서 상대를 자꾸 갈아치웠듯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휘날린다.

이런 귀들을 발귀라고 한다.

발귀들은 바람따라 휘날리며
사람들의 마음을 방탕하게 만들고
음욕을 부추긴다.

탐욕이 심한 영혼들은
온갖 물건에 달라붙는다.

이런 귀들을 괴귀라고 한다.

괴귀들은 사람들의 마음을
유혹하여 갖가지 물건들에
마음을 빼앗기게 부추긴다.

오만한 영혼들은 아귀가 된다.

아귀들은 극심한 허기를 느끼며
고통을 당한다.
또 사람들의 식욕을 한없이 부추긴다.

화를 잘내는 영혼들은 여귀라 한다.
여귀들은
화재가 일어나는 곳,
전염병이 도는 곳,
사고가 일어나는 곳,
전쟁이 벌어지는 것을 배회한다.

간사한 영혼들은 이매귀라 하는데
온갖 축생에 붙어다닌다.

원한에 사무친 영혼들은 고독귀라 하는데
독을 품은 벌레들에 붙어다닌다.

고독귀들은 독충들이 독을 뿜어
다른 중생들을 괴롭힐 때 쾌감을 느낀다.

남을 억울하게 만든 영혼들은
역사귀가 된다.

역사귀는 힘든 일을 하는 곳에 
떠돌아 다니며 
고된 노역의 고통을 당한다.

남을 속이기를 좋아했던 영혼들은
몽염귀가 되어서 어둠 속에 숨어서
이리저리 떠돌아 다닌다.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숨기고 변명에 능한 영혼들은 전송귀가 되어서
무당에게 붙어 미래사를 알려주고
길흉을 점쳐준다.

영혼들은 지옥에서는
마음과 행위로 저지른 죄업의 과보를 받는다.

지옥을 벗어나 귀계로 들어오면
생각으로 지은 죄업의 과보를 받는다.

귀계의 영혼들은 
자신이 저지른 죄업의 과보를 모두 받은 후에는 여러가지 짐승으로 태어난다.

축생이 되어서 
인간 세계에서 지은 빚을 갚는다.

남을 죽인 자는 죽임을 당하고
상처 입힌 자는 상처를 입는다.

원수끼리 서로 만나서
자기가 뿌린 대로 거둔다.

축생으로 태어나서
스스로 지은 죄업의 과보를 모두
갚은 이후에야 비로소
다시 사람으로 환생한다.

사람으로 환생한 이후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또 업보를 받고
새로운 죄업을 저지른다.

온갖 번뇌망상과 탐욕에 빠져서
어둠 속을 헤매는 중생의
삶을 산다.

그리하여 이승의 삶을 속절없이 마감하고 다시 지옥에 떨어진다.


제 2 편 천상의 세계
< 천상의 여러 차원에 대하여>

탐욕을 버리고
번뇌를 씻은 영혼들은
천계로 올라간다.

천계는 여러 층이다.

더욱 크게 깨우친 영혼일수록
더 높은 천계로 올라간다.

즉 천상에서도 영혼들은
각자 스스로 마음을 닦은 정도에 맞는
천상으로 올라가게 된다.

가장 낮은 천계를
불가에선 사천왕천 이라 한다.
초기 기독교에선 제 1천 이라 한다.

1


2 nol
2 nol
13 hours ago
도올 선생의 지나간 저술등을 보면 동양의 역을 부정해 왔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는데...이제라도 역에 관심을 가지신 것은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수천년을 연구해왔고 지금도 평생을 주역을 연구하시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분들은 대부분 역에서 자연의 이치를  찾고 있습니다. 점을 치려는 사람은 점쟁이들고 지금은 점쟁이들도 사주명리 등으로 풀지 이것으로 잘 점을 치지 않습니다. 역을 점으로 단정하고 부정하려는 논점을 만들기 위해 논어의  '五十', 사기의 '위편삼절(공자가 주역을 즐겨 읽어 책의 가죽끈이 3번 끊어졌다는 뜻)'을 오류로 몰아 ,자의적 해석하는 것은 보기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납득이 안된다고 계사전을 모두 부정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하지 않습니다.  무엇이 엉터리라는 것을  알려줘야지 무조건 엉터리라는 황당한 논리는 아전인수적인 논리라 하겠습니다. 도올선생의 종전의 저술이 모두 서양의 합리적인 철학과 연결되어 분석하니 경이 아닌 전(계사전)은 구라(엉터리)가 될 수도 있겠지요 . 후학들이 쓴 것은 맞지요.  온고이지신은 왜하는가? (우리의 조상들, 대학자들도 수백년을 공부하고 연구했던 주역임) 수천년의 그러한 해석, 풀이도 있었다 하고 그들의 사상도 존중해 주는 것이 학자적 태도임 설령 잘못된 것이라면 그들의 사상에 무엇무엇이 잘못되었다는 것도 지적해 줘야지  내맘에 안든다고 모두 엉터리? 구라임?  그러한 논리라면 최수운의 하느님과 대화는 무엇으로 증명할 것이가?  내맘에 들면 진리고 그렇지 않으면 구라다?  대학 등에서 주역을 연구하는 동양철학 박사 등은 인생을 전부 헛살고 있다는 것이 아닌가?

2


사인師蚓 성현빈
사인師蚓 성현빈

13 hours ago
현 대학이라는게 애초에 서양의 제국주의와 근대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작적 기관에 그 연원이 있는데. 그대야말로 불충분한 근거로 노선생의 노고를 매도하지 말고, 마음을 열고 도올의 진의를 파악하려고 노력해봄이 어떠한가?

2


구르메
구르메
6 hours ago
그 대단한 동양 박사들이 공부한 주역을 밤날 천날 공부해봐야 자기인생 한치 앞도 못내다 보는데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도올선생님 께서는 주역을 통해 동양의 임의적 사유체계에 대하여 알려주시고자 강의하시는 것입니다. 만일 글쓴이 께서 천지의 섭리를 따지시고 싶으시다면 동네 철학원 가시면 되지 않을까요? 거기가면 같은 뜻을 품은 동료분들 많을텐데...



2 nol
2 nol
48 minutes ago (edited)
 @구르메  도올 선생의 학문을 폄훼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도올 선생의 학문적 분석방법은 탁월하고 모든 학자들의 귀감이 될 만합니다.  문제는 주역을 점으로 단정 짓고 학문적으로 한단계 낮추려는 데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는데 있다는 것입니다. 계사전 또한 도올 선생이 처음 말씀하신 의리역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동이족인 복희가 팔괘를 그은 것이 점을 치라고 만든 것이 아닙니다. 그 복희 팔괘를 새로운 형태로 배열한 것이 역경입니다. 팔괘를  점의 형태로 이끌고  설명한 것은 후대의 일입니다.  계사전은 복희팔괘와 문왕팔괘를 설명하는 것이 핵심적 내용입니다.  그 설명이 복희의 뜻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복희의 의견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후대의 연구성과의 하나에 불과한 것이긴 하지만 역사와 함께 해온 것입니다.  그로 인하여 음으로 양으로 문화적인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도올 선생께서 경의 괘효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으십니다.  이것을 부정한다면 복희팔괘 와 문왕팔괘를 부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계사전은 복희,문왕팔괘의 이치를 후대의 사람들이 연구한 내용입니다. 도올 선생도 후대의 사람으로 하나의 의견을 제시할 수는 있습니다.  계사전도 그런 관점에서 보자는 것입니다. 동영상 강의 서두에 의리역과 상수역을 설명하셨습니다.  도올 선생의 설명에서 의리역을 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듯 했습니다.  그러면서 의리역에 가까운 계사전을 구라라고 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연구할 가치가 있은 것하고 구라하고는 천양지차인 것입니다.  제가  할일이 없어 쓸데없이 댓글을 다는 것이 아닙니다.  도올선생의 영향력은 지대합니다. 도올 선생의 학문이 곧고 강하기 때문에,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과 마찰이 나올 소지가 있는 부분은 시청자분들도 알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입니다.




====


===

[고명섭 기자] 도올 “주역은 하늘의 뜻을 묻고 듣는 것” :한겨레

[책&생각] 도올 “주역은 하늘의 뜻을 묻고 듣는 것” : 책&생각 : 문화 : 뉴스 : 한겨레

도올 “주역은 하늘의 뜻을 묻고 듣는 것”

등록 :2022-07-29 
고명섭 기자

철학자 김용옥 ‘주역’ 해설서
역경 ‘64괘 384효’ 상세한 풀이

동주 혼란기 성립 ‘깊은 우환의식’
동아시아 윤리학·형이상학 창출


도올 주역 강해
김용옥 지음 l 통나무 l 3만9000원


<주역>은 동아시아 문명의 바탕을 이루는 경전 가운데 가장 난해한 텍스트로 꼽힌다. 주역에 관해 여러 주해서를 쓴 신유학의 대사상가 주희도 <주역>을 읽고 ‘정말로 해석하기 어렵다’(최난간, 最難看)고 했다. 그런데도 이 경전에 담긴 음양론은 동아시아 세계관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고대 이래 동아시아인의 일상을 지배하다시피 했다. <도올 주역 강해>는 철학자 김용옥 전 고려대 교수가 쓴 <주역> 해설서다. 지은이는 지난 2천여년 동안 동아시아에서 탄생한 주요한 <주역> 해석을 바탕에 깔고서 이 난해한 책을 오늘의 언어로 바꾸어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 데 빛을 주는 책으로 빚어낸다.

<주역>이란 ‘주나라에서 성립한 역’이라는 뜻이다. 이때 ‘역’(易)은 일차로 변화를 뜻한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주역>을 ‘변화의 책’(The Book of Changes)이라고 번역한다. 동시에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주희가 “대저 ‘역’이란 복서(점) 책자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주역>은 변화의 책이자 변화를 점치는 책이다. <주역>이라고 부르는 이 책자는 <역경>과 <역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경>은 <주역>을 구성하는 핵심 텍스트이며 <주역> 성립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헌이다. <역전>이란 공자 이후 이 <역경>을 해설한 권위 있는 논문들을 가리킨다. <단전> <상전> <문언전> <계사전> <설괘전> <서괘전> <잡괘전> 7종이 <역전>을 이룬다. 주희가 ‘역’이라고 부른 것은 이 문헌들 가운데 핵의 자리에 놓인 <역경>을 가리킨다. 이 <역경>의 내용을 철학적으로 해석한 논문들이 <역전>으로 덧붙여져 현재의 <주역>이 된 것이다.

<주역>은 우주 만물과 인간 세계의 변화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이 변화를 설명하는 데 쓰이는 범주가 음과 양이다. <주역>은 이 두 범주를 조합해 천지의 모든 것을 설명한다. 주목할 것은 이 두 범주가 절대적으로 구별돼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양 속에 음이 있고 음 속에 양이 있다. 양이 음으로 바뀌고 음이 양으로 바뀐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바뀌어감으로써 세상 모든 것이 변화 속에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변화는 일직선의 변화가 아니라 순환하는 변화다. 우주는 끝이 있으므로 그 한계 안에서 모든 것이 무수한 변화를 거쳐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순환하는 것과 같다. 한번은 양으로 한번은 음으로 바뀌는 이 ‘일양일음’의 변화는 우주의 법칙일 뿐만 아니라 인간 세상의 법칙이기도 하다. 이 음양론은 17세기 중국에 온 서방 선교사를 통해 독일 철학자 라이프니츠에게 알려졌고, 라이프니츠는 이 음양론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 컴퓨터 이진법의 기원이 되는 수의 체계를 창안했다.


<도올 주역 강해>를 펴낸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교수. 도올은 <주역>을 ‘하늘의 소리를 듣는 책’이라고 말한다. 통나무 제공

<역경>은 이 음양의 변화 양상을 점으로써 알아보는 책이다. 그 <역경>을 구성하는 기초 단위가 ‘괘’와 ‘효’다. 효는 음효(- -)와 양효(―)로 나뉘는데, 지은이는 이 음효와 양효가 각각 남녀의 성기를 상징한다고 본다. 이 두 효가 여섯개 쌓여 하나의 괘를 이루고, 이 괘가 64개 모여 전체를 이룬다. 가령, 양효만 여섯개 쌓이면 ‘건 괘’(첫번째 괘)가 되고, 음효만 여섯개 쌓이면 ‘곤 괘’(두번째 괘)가 된다. 이렇게 쌓여 이룬 ‘괘’의 모양을 ‘괘상’이라 한다. 이 괘상마다 괘의 이름인 ‘괘명’이 있고, 그 괘를 설명하는 말씀 곧 ‘괘사’가 따른다. 각각의 괘에는 여섯개의 효가 있으므로 전체 64괘는 384효로 이루어진다. 이 384개의 효마다 효사가 달려 있다. 특정한 절차를 통해 효를 뽑아내고 그 효에 달린 효사를 읽어 길흉을 알아보는 것이 바로 역점이다. 이 책은 그 절차 곧 점치는 방법도 상세히 알려준다.

그렇다면 점을 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지은이는 먼저 ‘역’은 ‘기복의 대상’이 아님을 강조한다. “인간의 운명이나 운세라는 것은 내 실존의 문제이지 점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왜 점을 치는가? 지은이는 “내 지력이나 노력으로 선택의 기로가 열리지 않는 극한 상황에서 하느님의 소리를 듣는 것”이 점을 치는 이유라고 말한다. 점이 가리키는 효사는 하느님이 내려주는 말씀이다. 이때의 하느님은 어떤 초월적 절대자가 아니라 음양의 기운 속에 운행하는 우주 만물에 깃든 하느님이라고 지은이는 말한다. 바로 이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 점이다. 주역이 발흥한 시기는 동주시대(기원전 770~256)의 혼란기였다. 세상이 끝없이 어지러웠기에 주역에는 깊은 ‘우환의식’이 배어 있다. 세상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알 수 없을 때 기대는 것이 점이라는 방식의 ‘물음’이었다. 그러므로 점은 실존의 한계상황, 시대의 한계상황에서 하늘에 뜻을 묻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사로움을 넘어선 물음과 응답이었기에, 후대에 역에 대한 해석을 통해 철학적·윤리학적·형이상학적 사유가 자라날 수 있었다.

이 책은 64개의 괘를 그 효와 함께 하나하나 상세히 설명한다. 이 64괘 가운데 63번째에 놓인 괘가 ‘기제’(旣濟)이고 64번째에 놓인 괘가 ‘미제’(未濟)다. 기제란 ‘이미 건넜다’는 뜻이고 미제란 ‘아직 건너지 못했다’는 뜻이다. 왜 <역경>의 마지막 괘가 ‘완료’를 뜻하는 기제가 아니라 ‘미완’을 뜻하는 미제일까? 역의 세계에는 완전한 종결이 없기 때문이다. 끝은 항상 시작을 품고 있는 것이기에 미제가 마지막에 놓인다. “역의 논리에 즉해서 생각하면 기제 다음에 미제라는 것은 이미 끝난 것이 아니라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 즉 이제 다시 시작이라는 뜻을 내포한다.” 이 미제는 그 표면의 뜻만 보면 긍정적인 것이 아니다. 세번째 효의 효사는 ‘정흉(征凶), 이섭대천(利涉大川)’이다. 그 함의를 풀어보면 ‘흉운을 감수해야만 하는 시대를 만났지만(정흉), 이런 때일수록 큰물을 건너는 모험을 감행해야 이로움이 있다(이섭대천)’는 뜻이 된다. “정흉은 객관적 판단이고 이섭대천은 주체적 결단이다.” 역경에 굴하지 않고 모험을 감행해야만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얘기다. 오늘의 우리를 향해 하는 말로 새겨도 좋을 것이다.

고명섭 선임기자 michael@hani.co.kr

Wang Bi (Wang Pi)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Wang Bi (Wang Pi)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Wang Bi (226—249 C.E.)

Wang Bi (Wang Pi), styled Fusi,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preters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s known as the Daodejing (Tao Te Ching) and the Yijing (I Ching)He lived and worked during the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the Han dynasty in 220 C.E., an era in which elite interest began to shift away from Confucianism toward Daoism. As a self-identified Confucian, Wang Bi wanted to create an understanding of Daoism that was consistent with Confucianism but which did not fall into what he considered to be the errors of then-popular Daoist sectarian groups.  He understood his main task to be the restoration of order and a sense of direction to Chinese society after the turbulent final years of the Han, and offered the ideal of establishing the “true way” (zhendao) as the solution.  Although he died at the age of twenty-four, his interpretations of Daoism became influential for several reasons.  The edition of the Daodejing that he used in his commentary on that work has been the basis for almost every translation into a Western language for nearly two centuries.  Moreover, his interpretations of Daoist material did not undermine Confucianism, making them palatable to later Confucian thinkers.  Finally, Wang Bi’s work provided a way of talking about indigenous Chinese beliefs that made them seem compatible with the introduction of Indian Buddhist texts and ideas in the decades to follow.

Table of Contents

  1. The Context of Wang Bi’s Work
  2. Wang Bi’s Commentaries
    1. On the Analects
    2. On the Yijing
    3. On the Daodejing
  3. Central Ideas in Wang Bi’s Writings
    1. On Language
    2. On Non-Being
    3. On “The One”
    4. On Wuwei
    5. On Ziran
  4. Wang Bi’s Influence on Chinese Philosophy
  5. References and Further Reading

1. The Context of Wang Bi’s Work

Wang Bi lived and worked during the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the Han dynasty in 220 C.E., an era in which elite interest began to shift toward Daoism. A brief explanation of this transformation of intellectual interests in early medieval China is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Wang Bi’s thought in its original context.

Beginning with the reign of Emperor Wu (c. 140-187 B.C.E.), the Han state embraced Confucianism as its official ideology. Training in the Confucian classics became mandatory for all officials, and there was an active program of suppression of alternative thought, including the persecution of Prince Liu An of Huainan, a prominent Daoist supporter. Nevertheless, Daoism did not disappear. By the first century C.E., Daoist texts began to reappear in political discussion, and during the following century, sectarian Daoist movements such as the tianshi (Celestial Masters) became active. Although Confucian scholars were still needed by the rulers of post-Han states such as the Wei because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state rituals and administrative matters, by Wang Bi’s time Daoism was “in the air” and exercising a powerful influence on the thinking of commoner and aristocrat alike.

Accordingly, the interests of some members of the educated elite turned toward Daoism. They labored to create a renaissance in Daoist thought, but one that directly avoided following th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Celestial Masters and the various permutations of Daoism that had rapidly developed. These thinkers are generally gathered loosely under the title of xuanxue (Dark Learning, Mysterious Learning or Profound Learning)sometimes called Neo-Daoism. The term xuanxue was derived from a line in the first chapter of the Daodejing, according to which the dao (Way) is xuan zhi you xuan (darker than dark). Among the principal xuanxue figures were Zhong Hui (225-264 C.E.), Xiang Xiu (c. 223-300 C.E.), Guo Xiang (d. 312 C.E.), and Wang Bi.

A Confucian rather than a sectarian Daoist, Wang Bi wanted to create an understanding of Daoism that was consistent with Confucianism but which did not fall into what he considered to be the errors of the Celestial Masters and their popular religious practices. He understood his main task to be the restoration of order and a sense of direction to Chinese society after the turbulent final years of the Han. He offered the ideal of establishing the “true way” (zhendao) as the solution. Undoubtedly, his ultimate goal was to examine the mysterious knowledge of creation and translate it into a viable political and social program. Due to his untimely death, however, he had very little impact on the politics of his day. Nevertheless, through his commentarial work and the way in which his ideas were regarded as congenial to early Chinese Buddhism, his philosophical influence was profound.

2. Wang Bi’s Commentaries

Wang Bi’s best known commentaries are those on the Daodejing and Yijing. What is often overlooked is that he also wrote a commentary on the Confucian Analects (Lunyu Shiyi)some fragments of which still survive. His writings have been collected and annotated in two volumes entitled Wang Bi ji jiaoshi (Critical Edition of Wang Bi’s Collected Works). The bibliography below lists this work and other English translations of his major commentaries (see References and Further Reading).

a. On the Analects

What we know about the Analects commentary is that it was written as a criticism of the texts that Wang’s mentor He Yan (Ho Yen, d. 249 B.C.E.)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Wang’s approach, as far as we can tell from what remains of the commentary, was to focus on those passages that stress the limited capacity of language,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inability to define in language the nature of the sage. His selection of passages and remarks sets up a substantial rapprochement between Confucianism and his version of Daoism by basically providing him with a kind of hermeneutical license. His commentaries are in the zhangju (“chapter and verse”) format, in which a great deal of emphasis is placed on individual words and images in the “verses” and the meaning that lies behind them, carefully avoiding any sort of approach that regards philosophical concepts as referential.

b. On the Yijing

Wang’s commentary on the Yijing, a traditional Chinese divinatory text of uncertain antiquity consisting of hexagrams and their interpretations, cross-annotates it with the Daodejing. In this way, he transforms the interpretive tradition concerned with the Yijing by setting aside what he regards as an over-reliance on mathematical and symbolic readings of the text (typical of Han scholars) and exposing what he takes to be its xuanxue.For example, while Han thinkers such as Ma Rong (79-106 C.E.) tried to make textual images referential, Wang avoided this consistently. Alan Chan specifically mentions Ma’s explanation of the Yi jing comment, “the number of the great expansion is fifty, but use is made only of forty-nine.” Ma claims that “fifty” refers to the polestar, the two forms of yin and yang, the sun and moon, the four seasons, the five elements (wuxing), the twelve months, and the twenty-four calendar periods. In Ma’s interpretation, because the polestar does not move, it is not used, and thus the number is forty-nine, not fifty. In contrast to this approach, Wang looks behind the language for underlying principles or xuanxue meanings.

Wang’s commentary on the hexagrams draws heavily from passages in the Daodejing and Zhuangzi . He uses major Daoist ideas to interpret the Yijing, culminating in his theory that change and dao are unified and his position that Laozi’s ideas are already contained in the Yijing. He appropriates the notions of being (you) and nothingness (wu) from the Daodejing and uses them in his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c. On the Daodejing

Many of Wang’s most basic ideas concerning the Daodejing are discussed below. But with respect to his commentary on this work, he is probably as well known for the text that was transmitted with the commentary as he is famed for the commentary itself. This text became the basis, first for Chinese scholarship on the Daodejing, and later for translations of the text into Western languages. In his A Chinese Reading of the Daodejing: Wang Bi’s Commentary on the Laozi with Critical Text and Translation, the best-known Western scholar of Wang Bi, Rudolf Wagner, provides a careful study of Wang’s work on the text.

The recent translation of the Daodejing by Roger Ames and David Hall is based on a conflation of the two Mawangdui (MWD) versions of the text, supplemented by that of Wang Bi. Mawangdui is the name of a site near Changsha in Hunan province in which some early Han tombs containing texts were discovered in 1972. These discoveries include two incomplete editions of the Daodejing on silk scrolls, now simply called “A”and “B.” Ames and Hall believe that Wang was actually working from a textual source that was closer to their own conflated version of the MWD materials than the received text that he had put in his own commentary (Ames and Hall, 76). In contrast, another recent translator of the Daodejing, P.J. Ivanhoe, believes that although the MWD versions offer help with how one might translate certain passages, there is nothing in them that fundamentally conflicts with or alters our understanding of the core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Wang Bi text.

Wang’s version of the Daodejing contains eighty-one chapters that are divided into two books, but the actual division of the text into two books predates the Wang Bi edition. Later versions of the text built upon that of Wang and added book and chapter titles. In Wang’s edition, Book One consists of chapters 1 through 37, and later it came to be called the dao half of the text. Book Two consists of chapters 38 to 81 and is known as the de half. One of the principal differences between the MWD versions and that of Wang Bi is that the order of the chapters is reversed, with 38-81 in the Wang Bi coming before chapters 1-37 in the MWD versions. Robert Henricks has published a translation of these texts with extensive notes and comparisons with the Wang Bi under the title Lao-Tzu: Te-tao Ching.

3. Central Ideas in Wang Bi’s Writings

a. On Language

A substantial part of Wang’s interpretive philosophy is rooted in his view of language. His view of language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Daodejing and the Zhuangzi. Both works teach that words are inadequate for the expression of truth. As Daodejing 1 says, “The way that can be spoken of is not the constant way. The name that can be named is not the true name.” For Wang, this means that the dao lies beyond language He goes further, however, holding that words must always be distinguished from their underlying meaning. Indeed, Wang claims that taking words referentially is an obstacle to xuanxue — that words must be forgotten in order to penetrate into the world of meaning. He finds support for this view in classical Daoist texts. Specifically, he makes use of the Zhuangzi’s teaching about “forgetfulness” (chs. 4, 12, 24). This view of language gives Wang the freedom to uncover what he believes to be the profound meaning that lies behind the words of the classical texts of Daoism, which in turn makes it easier for him to tie them to the Yijing and even to the Confucius of the Analects. It also allows him to offer a construction of Daoist ideas that can be distinguished sharply from that of the sectarian Daoism of his day.

b. On Non-Being

Wang’s commentary on the Daodejing centers around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nothing” (wu) or “non-being” as that out of which the ten thousand things (e.g., all phenomena) arise. He believes that “nothing” is pointed to in the text by means of its fundamental analogies: valley, canyon, bowl, door, window, pitcher, and hub of a wheel. There can be no doubt that Wang regards “nothing” as the dao. When he explains the first sentence of Daodejing 6 (“The spirit of the valley never dies; it is called the obscure female”), he says, “The spirit of the valley is the Non-Being found in the center of a valley. The Non-Being has neither form, nor shadow; it conforms completely to what surrounds it….Its form is invisible: it is the Supreme Being.”

c. On “The One”

In articulating his understanding of the dao, Wang appeals directly to the Daodejing’s comments on cosmogony, according to which the dao gives birth to One, One gives birth to two, two to three, and three to the ten thousand things. Yet Wang does not believe that the One is a being. On the contrary, it is the mysterious center of things, like the hub of a wheel. The dao is Non-Being. Dao is not an agent. It does not have a will. To say that it lies at the “beginning” is not to make a temporal statement, but a metaphysical one. On Daodejing 25, Wang writes, “It is spoken of as ‘Dao’ insofar as there is thus something [for things] to come from.” Interpreting the fifty-first chapter, he writes, “The Dao—this is where things come from.” Wang makes his views clearer when he offers a commentary on the word “One.” Han thinkers took the One referentially and identified it with the North Star. But Wang takes a radically different approach. For him, the One is not used referentially in terms of some external thing, nor is it a number. It is that on which numbers depend.

The idea that the One underlies and unites all phenomena is also vigorously stressed in Wang’s commentary on the Yijing. In this work, Wang makes it clear just how it is that dao as Non-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of Being. The Yijing consists of hexagrams made up of six broken lines (representing the yin cosmic force) and unbroken lines (representing the yang cosmic force). Since ancient times, the text has been used as a tool for divination. In Wang’s day, the typical interpretation of a hexagram associated it with a specific external event, but Wang uses his theory of language to put forward the view that the hexagram’s meaning lies in identifying the general principle (li) behind all particular objects. Wang thinks that the principle is discoverable in one of the six lines of a hexagram, so that the other five become secondary. These principles constitute the fiber of the One.

d. On Wuwei

Wang Bi’s views on the sage reveal his understanding of wuwei (effortless action)He believes that the sage rises above all distinctions and contradictions. According to Wang, although the sage remains in the midst of human affairs, he accomplishes things by taking no unnatural action. Thus, the sage’s conduct is an example of wuwei. Wang is clear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sage “folds his arms and sits in silence in the midst of some mountain forest.” It means that the sage acts naturally. To such a sage, all life transformations are the same and one must not impose value judgments on them. In making decisions, the sage should have “no deliberate mind of his own” (wuxin) but instead should respond to life events spontaneously, without any discrimination. In short, this means that the sage puts aside desires because they are corrupting and destructive. Strictly speaking, the sage’s wuwei is not a strategy to diminish desire; it is evidence of the absence of desire — emptiness, or Non-Being. In Wang’s view, Confucius was such a sage because his life had broadened the dao. (Analects 15.29) Such interpretations created fertile ground in which Buddhism could take root, thereby entering the Chinese intellectual stream through Daoism.

e. On Ziran

The Daoist concept of ziran (usually translated as “spontaneity” or “naturalness”) is interpreted by Wang Bi to mean “the real.” Likewise, in his commentary on the Daodejingde is not a reference to virtue (as it usually is understood), or even less to specific virtues, but to that which persons obtain from dao (see ch. 51). Yet, for Wang, the text teaches that dao moves spontaneously and accomplishes its tasks. Providing for all, “nothing is done, but no thing is left undone.” Thus, Wang thinks that humans have created disorder by their thought and action. If they return to dao in wuwei, then de will become available as ziran. De will not be the result of human action, politics, or contrivance. If the ruler becomes a sage and embraces wuwei, he will transform the people and broaden the dao, just as Confucius (not Laozi) did.

4. Wang Bi’s Influence on Chinese Philosophy

Wang Bi’s metaphysics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philosophy in at least two important respects.

First, after Wang Bi, some Chinese literati began to distinguish “philosophical” Daoism (daojia) from “religious” Daoism (daojiao), a distinction that was reinforced by the geographical relocation of the tianshi movement and elite attempts to devalue it as a legitimate extension of classical Daoist thought. This distinction has pers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but it is an unfortunate one, and moreover one without any basis in the historical practice of Daoist communities (Kirkland, 2). In constructing his interpretive framework, Wang avoided sectarian Daoism and did not take seriously the philosophical roots of tianshi thought. He made no serious attempt to consider how Daoism was practiced before the Han. Thus, Wang’s typology of Daoism laid the groundwork for what is arguably not only the most influential, but also the most systematically misleading, way of thinking about the development of Chinese philosophy.

Second, Wang’s commentary on the Daodejing was crucial for the process by which the Mahayana Buddhist dharma (doctrine, teaching) began to gain a foothold in China. The most obvious example of Wang’s influence can be seen in the way the Mahayana notion of emptiness was assimilated into Chinese thought. According to Wang, the Daodejing (ch. 40) asserts that being comes from nonbeing, and that nonbeing is the ultimate substance of being. As we have seen, he exploited the Daodejing’s analogies for emptiness, reading their meaning in terms of xuanxue. As Buddhist texts such as the Prajnaparamita (Transcendental WisdomSutra were translated, clear connections were made between its teaching that all forms are empty and Wang’s reading of the dao. So, it became widely believed, or at least widely proclaimed, by early Chinese Buddhists that Laozi and Buddha had both taught the need for a return to non-being. Wang’s commentarial work played a strategic role in making this interpretation more convincing.

5. References and Further Reading

  • Ames, Roger and David L. Hall, trans. Daodejing — Making This Life Significant: A Philosophical Translation. New York: Ballantine Books, 2003.
  • Chan, Alan. Two Visions of the Way: A Study of the Wang Pi and Ho-shang Kung Commentaries on the Lao-tzu.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 Chang, Chung-yue. “Wang Pi on the Mind.”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9 (1982): 77-106.
  • Henricks, Robert, trans. Lao-Tzu: Te-Tao Ching. New York: Ballantine, 1989.
  • Ivanhoe, P.J., trans. The Daodejing of Laozi. New York: Seven Bridges, 2002.
  • Kirkland, Russell. “Understanding Taoism.” In Kirkland,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2004), 1-19.
  • Kohn, Livia. Early Chinese Mysticism: Philosophy and Soteriology in the Taoist Tradi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 Lin, Paul, trans. A Translation of Lao-tzu’s Tao-te-ching and Wang Pi’s Commentary. Ann Arbor, MI: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1977.
  • Lou, Yu lie. Wang Bi ji jiaoshi (Critical Edition of Wang Bi’s Collected Works). 2 vols. Beijing: Zhonghua shuju, 1980.
  • Lynn, Richard, trans. The Classic of Changes: A New Translation of the  as Interpreted by Wang B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 Lynn, Richard, trans. The Classic of the Way and Virtue; A New Translation of the Tao-te Ching of Laozi as Interpreted by Wang B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 Rump, Arian and Wing-tsit Chan, trans. Commentary on the Lao-tzu by Wang Pi.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79. .
  • Wagner, Rudolf. The Craft of the Chinese Commentator: Wang Bi on the Laozi.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0.
  • Wagner, Rudolf, trans. A Chinese Reading of the Daodejing: Wang Bi’s Commentary on the Laozi with Critical Text and Transl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 Wagner, Rudolf. Language, Ont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in China: Wang Bi’s Scholarly Exploration of the Dark (Xuanxu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Author Information

Ronnie Littlejohn
Email: ronnie.littlejohn@belmont.edu
Belmont University
U. S. A.

왕비 王弼- Wikipedia, 중국어 백과사전

왕비 王弼- Wikipedia, 무료 백과사전

왕비 편집 ]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탐색으로 건너뛰기검색으로 건너뛰기
왕비
국가차오 웨이
연대삼국지
주님카오팡
이름뷰트
성격자회사
공식적인따랑
고향산양군
태어난황초 7년(226년)
돌아가다정시 10년(249년)
노자 의 도덕경에 대한 메모 " , " 노자 에 대한 안내 ", "  이에 대한 메모 ", " 주이 ", " 공자의 논어 " ?

왕비 (226-249), 호칭 푸시 (密密) 는 산양현 (지금의 산동성 ) 출신이다. 삼국 시대 동안 , 조 위 의 유명한 서기 ,  학자 , 그리고 위 와 금 형이상학 의 주요 대표자 중 하나 .

그의 아버지는 Wang Ye 입니다. 왕홍 형제 그의 할아버지 Wang Kai 는 Wang Can 의 형이었고 그의 할머니는 Liu Biao 의 딸이었습니다. (" 박물관 ")

그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도덕경 과 변경 에 대한 주석 을 썼습니다. 한나라와 삼국의 "도덕경" 주석판이 대부분 소실된 이후로 왕비의 " 도덕경 주석 "이 이 책의 가장 초기 주석판이 되었다.

인생 편집 ]

그는 젊었을 때 매우 똑똑했고 10살이 넘었을 때 좋은 노인 이었고 그의 말솜씨가 뛰어났으며 그는 Zhonghui만큼 유명했습니다. 약하지 않았을 때는 이미 당시 관료와 문인들이 알고 있었다. 비회 는 관리 대신 인 비회 를 만나 이상하게 여겨 물었다. 왕비는 “성인에게는 몸이 없고 몸이 없으면 가르칠 수 없으므로 나는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노자는 할 말이 있다”고 대답했다. (" 왕비 전기 ". " Shishuo Xinyu , 문학 " 기록에 따르면 Pei Hui는 약한 왕관 이후에 나타났으며 Hui는 "남편은 아무도없고 모든 것의 자원이 성실하며 성인 Moken은 말합니다. 노자심자(老子神志 . 나중에 Fu Yan 에게도 알려졌습니다 당시 하연 은 관료 였고 왕비의 재능에 크게 놀랐다. 정석 시대에 황문 을 섬기는 사람이 없었고, 하연 은 이미 가총 , 비수 , 주정 을 임명하고 왕비의 임명을 논의했다. 딩미 _하연과 경쟁하여 조솽 에게 고이 의 왕리 를 추천 합니다. 그래서 조솽 은 왕리를 임명하고 왕비를 대신하여 태랑으로 임명 하였다. 즉위 후 조솽을 만났고 조솽은 물러났고 왕비는 그와 대화만 하였으므로 조솽에게 멸시를 받았다. 그 당시 조솽은 독재정권이었고 측근을 임명했다. Wang Bi는 지식이 풍부하고 평판을 관리하지 않습니다. 왕리가 병으로 죽고 조쌍이 왕리를 왕심으로 대치 하고 왕비가 그의 종파에 들어갈 수 없게 되자 하연은 한숨을 쉬었다. 너무 어린 나이에 공직에 소질이 없었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다.

화이난 태생 인 류타 오는 수직과 수평을 잘 말하며 당시 사람들의 추천을 받아 왕비와 이야기할 때마다 왕비에게 설득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연은 성자에게 기쁨, 노여움, 슬픔, 기쁨이 없다고 생각하고 그의 주장은 매우 교묘하고 중회(Zhong Hui)와 다른 사람들도 동의합니다. 반면 왕비는 성인이 인간보다 신이 더 많고 오감이 인간과 같다고 믿고 있으며, 또한 사물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물에 반응하는 사람이다. , 더 이상 물건에 반응을 하지 않고, 많은 것을 잃었다고 한다."

" 변화 의 책 " 에 주석 을 달고 난 후, Yingchuan 출신 인 Xun Rong 은 Wang Bi에게 "Xu Ci Shang "에서 "Dayan"의 의미를 물었습니다. Wang Bi는 Xun Rong의 의미에 답하고 Xun Rong에게 아이러니하게 편지  썼습니다 . 만나면 기쁨이 없고, 길을 잃으면 슬픔이 없을 수 없다. 또한 아피스 사람들은 흔히 감성으로 이성을 따라갈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이제는 자연이 무자비하다는 것을 안다. 마음에 새기고 열흘이 지나니 애증이 너무 많아 아버지가 연자에게는 큰 차이가 없다."

정석 10년 (249) 조상이 폐위되고 왕비도 해임되었다. 같은 해 가을, 그는 24세의 나이로 질병으로 사망했습니다.

사람들, 일화 편집 ]

  • 잔치 를 좋아하는 성격 과 명성 도 냄비 던지기 를 잘 하는 리듬 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왕비는 자신의 재능으로 남을 비웃는 일이 많았고, 당시 학자들의 미움을 받았다. (" 왕비의 전기 ")
  • 시계 와 친해지기. Zhong Hui의 논의는 주로 학교 교육에 관한 것이지만 Wang Bi의 정교함에 감탄하기도 했습니다. ("왕비의 전기")
  • 처음에는 Wang Li 및 Xun Rong 과 친했습니다 . 후에 왕리는 황문 (黃門)의 신하로 임명되자 왕리 를 원망했다. 그리고 Xun Rong도 사이가 나빠졌습니다. ("왕비의 전기")
  • 내가 약하지 않을 때 , 나는 He Yan 을 만나러 갔고 , 그 때 테이블이 가득 찼습니다. 허연은 왕비의 이름을 듣고 승자의 논리로 왕비에게 "이 원리는 대단히 좋은데 다시 얻기 어렵다"고 물었고, 왕비는 질문을 했고, 청중은 모두 확신했다. Wang Bi는 호스트이자 게스트로서 여러 번 자신에게 질문했으며 그의 의견은 군중의 손이 닿지 않는 범위에 있었습니다. (" Shi Shuo Xin Yu , 문학 ")
  • 하연은 한때 ' 노자 '를 주해했지만 완성되지 않았다. 왕비의 노자 칙령 주석에 대한 자신의 논평을 보고 왕비의 주석이 정교하기 때문에 자기가 열등하다고 생각하여 대응할 수 없었다 . " ("시 슈오 Xin Yu, 문학")
  • 그가 죽은 후 사마시 와 다른 통찰력 있는 사람들도 그를 보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왕비의 전기")
  • 느와르는 '변경'에 주석을 달았을 때 '정현'을 유교자로 비웃으며 ' 노인은 아무 의도가 없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한밤중에 갑자기 외부 정자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리고 누군가가 와서 자신을 Zheng Xuan이라고 부르며 "당신은 젊습니다. 당신은 왜 노자처럼 가볍게 쓰고 비방합니까?" 왼쪽. 왕비는 악을 두려워하여 곧 중병으로 사망했습니다. (" 유 밍 루 , 볼륨 3 ")

평가 편집 ]

  • 허연 은 한숨을 쉬며 " 중니 가 말하길 미래의 삶은 무섭고, 인간이라면 하늘이나 인간에 비견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왕비의 전기 ", " 시슈오신위 , 문학 ")
  • Wang Ji는 말하기를 좋아하고 병들고 늙고 , Zhuang 은 종종 "Bi Yi가 언급한 것을 보고 이해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왕비의 전기")
  • He Shao : "Bi의 재능은 탁월하고 그가 얻은 것을 얻으면 그것을 빼앗을 수 없습니다." 옌비는 천박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다", "도복희의 관용구를 말할 때 그는 별로 얀이 아닌, 자연스럽게 칭찬을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 ("왕비의 전기")
  • Chen Shou : "Bi는 유교와 도교 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고 유교 에 대해서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 삼국지 , Zhong Hui 전기 ")
  • Sun Sheng 은 " 변경의  은 지식과 지식이 부족한 책이며 세계에서 최고가 아닙니다. 그것을 어떻게 비교할 수 있습니까? 세계의 논평은 거의 모두 거짓입니다. 조건 Bi는 Fu Hui의 구별을 사용하고 현현을 일반화하고자 한다.목적이 무엇인가?그러므로 그 웅변적 의미가 눈에 넘치고 음양이 들리지 않을 것이다.육행의 변화, 이미지군 효과, 요일, 시간, 년, 5상, 시신이 다 엎어지고, 무의미한 일도 많다. 지켜보는 사람은 있어도 길이 진흙탕이 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 삼국지 , 중회전기")
  • 동진(東晉) 의 패닝( Fanning ) : "황당과 묘는 도교까지 이르고 호포는 노래를 멈추고 대중적이고 대중적이며 인과 의의 표징을 위해 경쟁하며 옳고 그름은 유교 . 핑 삼촌 의 정신은 초월적이고 그의 상속자들은 영리하고 미묘하며 수천 년 동안 영감을 얻었습니다. 퇴폐적인 지침은 Zhou Kong의 먼지 그물에 떨어집니다. Haoliang의 장인 Sigaixunmian의 용문 . 스승님의 설을 들어보니 제와 주에 대한 죄라고 생각한다 . 그게 뭔데?" 생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치의 매력을 그리는 것은 우연의 일치이고, 부채는 관례로 검열되지 않는다. 정승의 혼돈과 나라의 전복은 사실이다. 나는 일생의 재앙은 가벼우며, 과거 왕조의 범죄는 무겁고, 애도의 도발은 작으며, 팬들은 길을 잃는다고 굳게 믿는다. 군중의 죄가 크다.” (" 진의  , 패닝의 전기 ")
  • 북과 남조 의 Liu Xie : "위나라 초기에 그는 예술과 방법 모두의 대가였습니다 . Fu Yan 과 Wang Can 은 이름 이론  연구 하고 실천 했습니다 . 태초 까지 그는 원했습니다 . 텍스트를 따르기 위해; He Yan의 제자가 번영하기 시작했습니다 . 투쟁 이 끝났습니다. Lan Shi 의 "Talent", Zhong Xuan 의 "Going to Cut", Shu Ye 의 "Discrimination of Voices", Tai Chu 를 보십시오. 의 "Original No", Fu Hei의 "Two Cases", Shu Ping의 두 번째 이론, 그리고 선생님의 마음은 독특하고 날카롭고 정확하며 영어도 가득하다. 본문의 본문은 비록 잡다한 기사가 다를지라도 항상 같을 것입니다. 진연군 주석 " 요전 " 이 100,000단어 이상 이라면 Zhu Wengong  " Shangshu " 해석 은 300,000 단어 이므로 챕터 를 배우는 것이 귀찮고 창피합니다 " 이"를 해석하십시오. 제안이 명확하고 매끄럽고 공식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Wenxin은 용 을 조각했습니다. 토론 ")
  • 수나라 연지 의는 "현종의 조상인 하연과 왕비는 서로를 칭찬하고 풀밭에 붙어 있는 풍경을 칭찬했다. 사람을 웃게 하고 병에 걸리고 존재의 함정에 빠지는 것은 너무 많다. 적극적인." (" Yan's Family Instruction , Mian Xue ")
  • 당(唐)나라 공영다(公英) : "고대와 근세에 위나라 왕과 후계자의 관심은 단 하나뿐이다." (" 쉬운 정의 서문 ")
  • 송나라 주희 : "왕비주이, 영리하지만 명료하지 않다". (" Zhuzi Language Classes , Mencius One ")

외부 링크 편집 ]

관련 기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