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much intellectual fluff. Would have preferred more spiritual examples and stories.
5.0 out of 5 stars Later Heidegger without the effort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 on 29 August 2020
I found this a brilliant read. I discovered it on the back of listening to the online lectures of Hubert Dreyfus, about the later philosophy of Martin Heidegger.
I’m a long time fan of David Foster Wallace and was happy to discover his life and work are used to structure the direction of the book. They work takes on one of the central problems of our time, the obsession with ‘productively’, without defining the ends that this productivity aims to actualise. You only have to pick up a newspaper on any given day to find a constant striving for increased GDP. However whilst the increased standard of living is undoubtably positive, it all rings a little hollow without an final purpose and with many suffering a crisis of meaning and the resulting mental health fallout, when they finally realise that constant effort for for achievement and status mean nothing without a target.
The authors take on this problem in a uniquely heideggerian way, using a detailed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greatest works of literature of all time. Despite this grand undertaking, the book reads easily, is unassuming and unpretentious style, which seems to have led some reviewers to miss the significance of what the authors are trying to achieve.
5.0 out of 5 stars An interesting book on the development of philospphy from the Greeks to today.Reviewed in Canada 🇨🇦 on 16 June 2014
I am very happy to have this wonderful book in my iPad. I have almost finished but will probably come back to it many times.in the future.
Dr. Gerhard Crombach
5.0 out of 5 stars Very easy to read despite high levels!Reviewed in Germany 🇩🇪 on 17 May 2013
Even if you do not fully agree with all interpretations (e.g. “David Foster Wallace's Nihilism”), the book offers excellent food for thought! The chapter about Melville's Moby-Dick was particularly successful for me. You really want to read this great novel (again)! But the reader should not lose sight of the author's self-restraint: “Reading the Western Classics to Find Meaning in a Secular Age”. Whether the Western “classics” are sufficient to find meaning, every reader must decide for himself!
I order this book in order to complete my assignment but I personally thought it was good book.
Profile Image for Anna Keating.
Anna Keating
Author
12 books
41 followers
Follow
June 29, 2011
I'm so grateful to the friend who sent me this book, and someday when I have more time I'd love to write a full review of it, especially as it has garnered so much praise. On the one hand, it was a pleasure to read a book length essay about the books I teach and some I don't (Eat, Pray, Love?!) It was also enjoyable to read authors I disagree with who say things like, whatever diety or system of belief one's gratitude is directed toward is totally irrelevent. The gratitude is the point. This sounds good, but of course, no one actually believes that ANY god or system of belief is equally benign as long as one is grateful to it. If someone was a white supremicist, for example, and worshiped a god that shared that worldview, his gratitude to said god would be quite different in kind from the gratitude practiced by an egalitarian. Even the authors don't think this is true, as they spend the entire book decrying Judeo-Christian monotheism while at the same time saying that no set of ritual practices is any better or worse than any other set . . . For example, "When Christianity accounts itself the one true faith, when it claims a total, unique, and transcendent truth it leads to isolation and lack of community. For in its search for some transcendent Divine it forsakes the multiple, communal goods that are to be found here on earth." Which brings up the author's view that Chrisitians hate the body and see life as merely waiting for death and the opportunity to be disembodied . . . So many problems so little time . . .
Basically, I'm sad to report that, after reading All Things Shining, I think Gary Wills was actually being more than fair in his review. http://www.nybooks.com/articles/archi...
Dreyfus and Kelly over-simplify and often flat out misrepresent the Greek and Christian authors they use to prop up their paper thin vision of a life well lived. It's all warm fuzzy feelings of "community" at sporting events and coffee shops, without any real obligations or responisbilities to one's neighbor or one's self, because those would mean competing truth claims and self-sacrifice without reward. The authors want the readers to be swept up in whoosh moments which "give life meaning" and yet recognize that people must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an MLK rally and a Hitler rally, and yet they think any system of belief which would allow one to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events would be problematic since their is no ultimate truth about the universe that is ultimately discernable. They're not so much into polytheism, which is itself a worldview that is totalizing as they are into "polytheistic truth claims", by which, I think they mean dabbling in this and that and enjoying it. Fair enough.
26 likes
3 comment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arwin8u.
Darwin8u
1,572 reviews
8,709 followers
Follow
February 17, 2012
I think over the past couple years, without being aware directly of what I was doing, I was testing the authors' hypothosis. I was looking for a way to innoculate myself against the gravity of a postmodern despair. I started to carve a life that included the classics. I started to look for a positive beauty within and near the Western Cannon. Anyway, this book was a nice framework to continue my 'experiment' with the classics.
Favorite part of this book was the chapter on Melville. I think this book really shines in the descriptive, but falls short on the proscriptive. But, then again, most everything and everyperson on the planet has fallen short in the proscriptive attempt to find the shinning.
Show more
2012
19 likes
Like
Comment
Edward
957 reviews
54 followers
Follow
April 8, 2012
The highest praise that I can give this book is that it makes me want to reread the classics, particularly Homer's ILIAD and ODYSSEY and MOBY DICK, the latter of which the authors regard as crucial in understanding what 21st century western humanity believes in, or doesn't. As well, it makes me want to read, for the first time, the contemporary writings of David Foster Wallace which are at the heart of our existential questioning.
At just over 200 pages this is a short book but packed with provocative thoughts. The authors see 20th and 21st century culture as a series of responses to the "death of God", that is, a lack of a religious dimension which began with the enlightenment, especially Descartes, followed by Kant's elaborations on the idea of the "self" as the determiner of all meaning. David Foster Wallace's characters torture themselves trying to create meaning in an essentially meaningless universe.
In contrast to this grim self-direction are the Greeks whose gods (it's irrelevant how much the Greeks literally believed in their existence)reflect a "phenomena of gratitude and wonder." In contrast to the modern view that we are entirely responsible for our own behavior is the Homeric idea that we act best when we open ourselves to being drawn from without by this multitude of polytheistic gods, however arbitrary and capricious they might be.
With brief stops to discuss Christ, Augustine, and Dante in their contributions to the rise of monotheism, the bulk of the book is devoted to Melville's MOBY DICK, especially Ahab's obsessive urge to "strike through the mask". In his pursuit of the whale, he is trying to determine whether any montheistic and transcendent meaning of the universe exists. Ahab is a weird mixture of Kant's autonomy and Dante's vision of eternity, and of course, he fails to resolve much of anything. Interestingly, the author sees Pip, the black cabin boy who, while considered insane, as the figure who is able to hold multiple and conflicting view of reality at the same time - a reality which truly is "in-sane", or more accurately, "ex-sane." That's to say that his vision goes beyond what we consider rational thought processes.
The conclusions the authors reach are particularly interesting - we feel most alive when we are engaging in an activity which lifts us beyond ourselves. This often occurs in sports, with the sensation of what the authors call "whooshing." The dangers of modern technology are too often that they drive us inward and dull our sense of making distinctions. The "gods" (in modern or ancient terms) call us to "cultivate our sensitivity", the sense of wonder and surprise that is too often missing in our lives.
Show more
13 likes
2 comment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orge Eduardo.
Jorge Eduardo
3 reviews
30 followers
Follow
May 27, 2019
Terribly biased, unfounded and poorly argued.
Fundamental errors in the concepts with which he tries to explain cultures and religions. Quite uninformed on most religious doctrines with an incredible ability to put everything out of its context. Not to mention his extremely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most philosophical claims.
I couldn't be more disappointed.
9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Rick Muir.
Rick Muir
60 reviews
Follow
March 16, 2012
In the beginning of this book, a premise/opinion is presented as a fact. Most of the rest of the book tries to prop up that opinion. That makes alot of what comes after weak and one-sided. The authors attempt to make their case for nihilism in every chapter with little or no balance to be found. The chapter regarding Herman Melville again makes assumptions presented as fact. Regarding the books cover illustration; Moby Dick appears to be smiling.
8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avid Gross.
David Gross
Author
10 books
105 followers
Follow
February 26, 2016
One possible summary: don't look for a unifying intelligence or purpose to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 Instead, develop an attentiveness, intelligence, and craft that aligns with what you care about, and be receptive to the emergence of opportunities to apply these things. This worldview corresponds less with scientific reductionism and with monotheism than with the ancient polytheism, and we would be wise to investigate how this polytheism worked and may work for us again in some form.
non-fiction
philosophy
8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Gary Beauregard Bottomley.
Gary Beauregard Bottomley
989 reviews
593 followers
Follow
November 13, 2018
The message of the book is to advocate for a return of our feelings of gratitude and awe in this disenchanted world and insist that nihilism is misplaced while advocating openness to the moods that surround us and trust our feelings towards the divine.
The authors know the problem with ‘whooshing up’ (what the Greeks called ‘physis’ for nature, aka a revealing of the presence in the present as truth but what the authors call ('whoosh up’). Donald Trump with his Nuremburg rallies wants nothing more than for his followers to ‘stop thinking and follow me, since only I know the truth and trust your feelings as I tell you who to hate’ even if it means one of his sycophantic fans will murder a dozen or so Jews in a synagogue because they blame George Soros for financing the ‘caravan’ to sneak in ‘terrorist’, all of which can only make sense in the fevered imagination of people who irrationally trust the ‘wooshing up’ of a mad man rather than their own reason. The book was written in 2007 or so and the authors are explicitly aware of the potential problems with how they want to bring back enchantment into a secular world. They obviously were referring to the fascist past of Nazi Germany, not the hate mongers of today as exemplified by Donald Trump who says that ‘all news that goes contra to the lies I spread is ‘fake news’”, but the authors are aware of the problem their 'wooshing up’, gratitude and awe could lead to.
Dante put homosexuals and people who commit suicide into a seventh level of hell because one of the greatest wrongs according to him is to go against God’s nature and Love in a divine universe where everything must have a reason and serves God’s purpose and to go against that is a sin, according to Dante as explained by the authors. To me, that phrase,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wreaks of vacuity because within it exist a tacit teleology since it makes the individual seem special and as if we were ordained to exist because we currently exist. By that way of thinking our existence makes for specialness because we exist and thus becomes a tautology, nothing more. The authors’ want us to give thanks by way of gratitude for the universe when it smiles on us because they think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and the world must have a meaning since they want to reintroduce enchantment back into the world, at least that’s what they say.
Charles Taylor’s take of the inner self in a secular age as advocated by these authors who definitely appeal to Taylor will lead to an inverted form of identity politics as exemplified by Fukuyama’s latest book ‘Identity: The Demand for Dignity’ (as if my claim for self dignity justifies the privileging of the privilege because of my privileged identity, or as the bigot will always say ‘I don’t want to take rights away from others, I just want to safe guard my own rights (at their expense)’)’ Fukuyama made Taylor’s books his template for his book. Steven Pinker’s ‘Enlightenment Now’ has an inverted ‘anti-identity and anti-political correctness’ tone to it also, and seemed to me to be written myopically with a specialness of being special post hoc rationalization while losing sight of the fact that not everyone is as privileged as the author pretends to be. I found each book loathsome, manipulative and unenlightening. I’d even say that each author really did not like and in Pinker’s case understand the Age of Enlightenment. To be clear, this book is not odious in those ways and the authors are aware of the fine line they tread and go to pains to warn against identity politics being inverted wrongly which the above sited books did not.
I despise the spiritual take these authors advocate. I knew my wife would love it and I recommended she read this book because of the sections on Jesus, David Foster Wallace, Homeric Greeks, Stoics, Dante, and Moby Dick. The pieces all get intelligently tied together. Those parts of the book I really appreciated. The overall theme was nauseating to me, though, but I can appreciate other peoples’ perspectives especially if I learn something worthwhile and get to see the world through somebody else’s paradigm. Even if, as with the last part of the book, the authors call for reassessing our reliance on technologies such as the GPS, because they say it makes us lose our gratitude and awe of the now. I want my GPS in my car regardless and I’ll give my gratitude to Einstein and his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which accounts for the slowing time of time because of the mass of the earth verse the satellites in space thus making a GPS possible. I’m always most in awe when I understand the science and I see disenchantment as the elimination of magic and superstition, clearly a good thing not something to bemoan.
I do love ‘Infinite Jest’ by Wallace and the authors’ detailed description of it reminded me why I think it’s such a great book. I would suggest that ‘Gravity’s Rainbow’, by Pynchon is a counter perspective to that book, ‘there is not extinction only transformation’, and I think it’s the better book by far, but they don’t mention it in this book but I would recommend that for those have not read it yet. The authors of this book want to show the line of nihilism that starts after the Homeric Greeks goes through Luther and culminates in Nietzsche and is expressed by the post-modernist writer such as Wallace and according to them as infested our current culture.
The authors seem to be more than happy to create meaning when none may be present, and will advocate gratitude and awe in the everyday even when nothing but time and chance explains the world. I will quote from my favorite book of the bible, Ecclesiastes: ‘The race is not to the swift or the battle to the strong, nor does food come to the wise or wealth to the brilliant or favor to the learned; but time and chance happen to them all’.
7 likes
4 comment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an.
Dan
288 reviews
62 followers
Follow
January 7, 2023
To overcome the lack of meaning in our secular and nihilistic societies, the book advocates the replacement of monotheism with polytheism. However, monotheism stands not just for the Judaic, Christian religion, or for God; but for Enlightenment, sciences, technology, reason, progress, or any similar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ere the real meaning is behind nature/physics and is unique. Nietzsche, Heidegger, Taylor, and so on stand behind the general perspective presented in this book; but the approach is American, popular, academic, and similar. The recommendation to go to a basketball or tennis match and by letting yourself fall in tune with your fellow spectators as a way to overcome modern nihilism – even if for a few hours – seems way too cheap. The inclusion of Wallace with the likes of Homer, Jesus, Dante, and Melville seems to me quite forced and out of place.
7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usan.
Susan
44 reviews
8 followers
Follow
January 10, 2012
Grabbed this on a whim at a cozy independent bookstore in DC over the break. Started reading it over a pint of porter.
The in-depth discussion of David Foster Wallace's suicidal nihilism was pretty interesting, as were some of the bits about Homer. The chapter on Melville was oustanding. Otherwise, it was a mish-mash of woo-infected academic BS trying to pass itself off as "secular." Now I just want to read Moby Dick again.
To grapple with some serious, secular, useful ideas about human life and meaning, just read the Greeks themselves. I tend to agree with Nietzsche (who is typically misinterpreted, once again, in this book) - everything after the Greeks is just an unnecessary, confusing tangent.
I feel bad giving it only two stars, because the good parts were really, really good, and the book was compellingly written, so much so that it wasn't too much of an awful slog to get through the long, meaty "Christian" center; and, as aforementioned, some aspects of it were truly eye-opening, and led this English MA and former bookseller to go so far as *dog-earing pages*. But, alas, there was no real thesis, and it did not live up to its promise.
7 likes
1 comment
=====
Long Review:
====
https://www.scribd.com/document/129450117/All-Things-Shining
===
ALL THINGS SHINING is an ambitious book, that aims at helping us to find meaning in our lives by way of a philosophically informed reading of some of the great classics of the Western Canon. It seeks to address a popular audience rather than a professional one: it has its roots in Heideggerian philosophy but the style is not that of academic prose and it uses examples taken from news items, the practice of sport, and readily available literary classics such as THE ODYSSEY, THE DIVINE COMEDY, and MOBY-DICK. It can be read without any major difficulty and with a great deal of pleasure, but it has the ambition of addressing the grand question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for a life worth living in our contemporary world. This is a world that the authors, Hubert Dreyfus and Sean Kelly, describe as "postmodern", "technological", and "nihlist": a world where the "shining things" have been lost, where we are subject to a crushing burden of choice without the guidance of an unquestioned framework of meaning, such as served as a foundation for life and its meaning in previous epochs.
According to these authors the world was formerly a world full of intensity and meaning, "a world of sacred, shining things" (cf. the preamble ), which elicited moods of wonder and reverence and gratitude and openness. This is the explanation of the book's title. However the shining things are now long gone, and life has become permeated with moods of sadness and lostness, a purely personal affair to be managed by the plans and choices of the closed-off "autonomous" ego. The solution proposed is a reappropriation of Homer's polytheism, now understood to be a polytheism of moods, such as we can see the outlines of in MOBY DICK. An important part of this response is the necessity to cultivate a specific skill that can help us discern when we can or should let ourself be taken up in the moods we encounter (example: a nonviolent freedom march) and when we should resist and walk away (example: a Nazi rally): this skill they call "meta-poiesis".
There is something very attractive about the ideas in this book: the pluralism of understandings of being, the polytheism of moods , meta-poiesis, a subjectivity of openness to the world and wonder at its shining things. But there are ambiguities that make one wonder (in the other sense of wonder) whether the book avoids the trap of romantic nostalgia. Its vocabulary is often nostalgic: "lure back" the gods, "uncover" the wonder, "reveal" the world. Also there is the danger of proposing merely a new postmodern theology, however philosophically distilled and sublimated. Here we can cite the suggestive slippage from "the shining things", index of a world charged with intensity and meaning, to the more theological sounding "sacred things", as if that were the same thing. But surely a life based on intensities, on moods and on meaning without any reference to the sacred is worth living. A last worry is that with their constant evocation of moods that attune a subject and reveal a world the authors seem to be stuck in what Quentin Meillassoux calls the "correlationist circle", unable to talk about the world outside its correlation with subjectivity and with a particular understanding of the world.
It seems that Dreyfus and Kelly are aware of this problem and try to undercut their grand narrative of a succession of incommensurable understandings of being with a different model based on Heidegger's notion of a thing thinging. One example that Dreyfus gives in his lectures is that of the feast in the film BABETTE'S FEAST, a focal event that assembles or gathers together elements in a way that makes them shine, that brings them out at their best. The polytheism of moods would then be reinforced by a pluralism of things thinging, but this is left undeveloped in the book. Another trace of this attempt to maintain the grand narrative and to make room for other ways is the concept of marginal practices and the things that embody them. One dominant understanding of being is only a hegemonic rather than a totalitarian paradigm, and each epoch contains many other things, events, practices as marginal phenomena. This model has the further advantage of making change conceivable.
The other concept that merits developing is the notion of meta-poiesis which allows us to navigate between different moods and different understandings, tracing out our own individual path. As such, it would seem to be the pluralist virtue par excellence. Once again I would put this notion of metapoiesis in relation with the ability to engage in marginal practices and assemblings, being able to take things out of their stereotyped uses and set them thinging, thus producing change, and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incommensurable understandings. Dreyfus and Kelly seem to have realised that they were in danger of expounding an epochal solipsism, and gave indications for a way of communicating across the barrier of incommensurability. Once again we see, as both Deleuze and Feyerabend have emphasised, that openness must precede (logically) closedness or we will never be able to get outside our framework. Finally, for a book whose message is pluralist its bibliography is surprisingly monist. There is no mention of such pluralist philosophers as Paul Feyerabend, Michel Serres, Gilles Deleuze, William Connolly, or Alain Badiou.
As regards Nietzsche, Dreyfus and Kelly seem content to repeat uncritically Heidegger's vision according to which for Nietzsche once the consequences of the death of God were drawn "the lone source of meaning in human existence would be the strong individual's force of will" (46). On this point I think that the fellow-pluralist William Connolly said it all in an article on Nietzsche (“Nietzsche, Democracy, and Time”). Connolly associates Nietzsche with an ethic of cultivation
(meta-poiesis!), non-theistic gratitude, multidimensional pluralism, “nobility as multiple nobilities” (and not the Nazi deformation of Nietzsche’s thought as promoting a warrior ethic, strong will etc.), and even “modesty as strength”.
In ALL THINGS SHINING Dreyfus and Kelly discuss DFW’s “This is Water” as an example of his “need to create meaning ex nihilo out of the individual” (ATS, 204). They find that this project involves a pragmatic contradiction as creating meaning ex nihilo (= ex ego) and imposing it on a situation means that anything goes, any meaning is possible but only as forced on things by the autonomous individual’s will. This is an impossible task: it would require the individual to have the inhuman strength of a solitary god, willing and creating meaning without constraints. DFW’s ideal was to become a monster of self-control (ATS, 44), a master of “exercising control over how and what you think” (ATS, 38). So the key words summing up DFW’s form of sensibility, or understanding of being are: individual, will, force, strength, control, imposition, difficult task, choice.
What seems strange to me about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describes exactly the form of sensibility and possibility of life that Wallace wants to make us clearly and burningly aware of, in THIS IS WATER, so that we can get out of it, and pursue our individuation according to a quite different model. This whole text is brimming with intensity and meaning and openness to the world outside of nihilistic clichés and stereotypes. If you haven’t read it already you should do so at once, it is an ethical text of great force.
“Force” here means “power to provoke a conversion”, “capacity to produce a transformation”, and not the compelling power of an individual. Wallace does use those key words (“power”,
“individual”) or their equivalents all through “This is Water”, but their sense is somewhat different when considered in terms of the alternative non-ego-centered form of sensibility that Wallace is trying to sketch out and get us to adopt. Wallace is not trying to advocate a new stance inside our current form of sensibility, hence his repeated insistence that he is not deploying didactic stories or giving edifying moral advice. That would be an intra-worldly manoeuvre. He situates himself at the meta-level so as to describe our current nihilistic form of sensibility, and also a different form of sensibility (or world, or understanding of being, or possibility of life), one where I am no longer “operating on the automatic, unconscious belief that I am the center of the world”. Wallace calls this “the so-called real world” and wants us to see that living in its terms is a real possibility but that doing so will lead us into a state of death-in-life. This is very far indeed from the “need to create meaning out of the individual’s will” (ATS, 204) that Dreyfus and Kelly find in DFW.
Dreyfus and Kelly, in “All Things Shining”, give several examples of an ethical problem: What is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surging up of a pulse of physis such as a great moment in a football match, a speech by Martin Luther King, a Hitler rally. They envisage two types of response: let yourself be swept away OR walk away. Determining which response is appropriate in any given situation is the object of a meta-skill that they call meta-poiesis. This meta-skill is their response to the “burden of choice” that assails us in our post-modern secular world:
“it resists nihilism by reappropriating the sacred phenomenon of physis, but cultivates the skill to resist physis in its abhorrent, fanatical form.” (ATS, 212)
Physis is an ambivalent phenomenon leading us into a sacred affirmation of life or into its fanatical negation. We must learn when to “leap in” and when to “walk away”.
Wallace in “This is Water” gives another type of example the mood of rage and frustration that whooshes up in a traffic jam or in an overcrowded supermarket. What is the ethical response that our meta-poiesis can permit in this situation? Wallace is closer to Dreyfus and Kelly than they seem to think as he proposes a sort of paradigm-change, a transformation in our perception. Faced with this whooshing up of negativity, do you give in to your “natural hard-wired default setting”, your certainty that everybody else is just in your way, that only you matter, that everyone else is rude and obnoxious and repulsive? Or can you use your freedom to rework this natural default setting, change your paradigm, cultivate a different form of affectivity, perceive people differently and be affected by them differently? This freedom is the meta-skill to transform our sensibility and to choose new bifurcations along our path of individuation.
Dreyfus and Kelly don’t see the meta-poietic aspect in DFW’s speech. He is not talking about a new improved first-level skill in handling people or navigating traffic jams. He is talking about a metaskill for resisting being swept away by the whooshing up of negative affects. You can’t just “walk away” from the overcrowded supermarket or the interminable traffic jam. “Walking away” is not always possible nor even desirable, and it is an ambiguous solution at best. DFW proposes a number of what can only be called “spiritual exercises” to allow you to experience the stressful or enervating situation differently. He suggests imagining another explanation for the behaviour of those we find obnoxious or infuriating. He is not advocating some sort of counter-factual ratiocination to alleviate the stress of the supermarket, he doesn’t ask us to imagine that the repulsive lady screaming at her kids is really a giant squid disguised by a “perception-filter” (as in a DR WHO episode), but just that she may have been staying up every night with her husband dying of bone cancer, or something else of the same order of plausibility. The aim is not to impose an arbitrary meaning by sheer force of will. The aim is to make us aware that
1) meanings are already being imposed on the situation, preventing us from seeing it as it is
2) these already existing meannings can be subsumed under a single paradigm, our hard-wired default setting of “fear and anger and frustration and worship of the self”
3) other meanings are possible if we open our selves to the multiple field of gods to be worshipped
4) these other meanings can be subsumed under a different paradigm, one not centered around the ego but based on de-centered attention and caring for others.
DFW wants to free us from our excessive ratiocination, our overintellectualisation, get us out of our hypnotic state of immersion in and servitude to our internal monologue. He wants to get us out of our nihilistic understanding of being where we as autonomous individuals each feel we are the center of the world, and everyone else is a help or a hindrance.
The meta-poiesis that DFW describes subtend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being where attention can dissolve the stereotypes of the nihilist versions of reality and open us to the multiple forms of the non-nihilistic sacred: “be it JC or Allah, be it YHWH or the Wiccan Mother Goddess or the Four Noble Truths, or some inviolable set of ethical principles”. These are the many gods we can worship and that give us meaning and life: “pretty much anything else you worship will eat you alive”. So DFW is all for “luring back the gods” to populate “the now egotistical sky”, as Dreyfus & Kelly, citing Melville, describe their project. The vision that he wishes us to convert to is not one of the ego-centred individual imposing his choices by sheer will-power, that is the paradigm he wants to escape from. True, he speaks in terms of “choice”, but this is not egoic volition but rather the noetic act (to use Bernard Stiegler’s term) of resisting the programmed response to the situation and and apprehending other ways of perceiving it and acting within it.
Perhaps there is a component of self-defense in Dreyfus and Kelly’s critique of Wallace. After all
DFW's writing does contain an anlysis of the hyper-intellectual reduction of life. A problem with ALL THINGS SHINING is the nature of its concrete examples. As university professors of philosophy they are targeted by Wallace, and it is not enough to turn to the opposite pole of physical accomplishment, whether in sports with Bill Bradley or in heroic rescue with Wesley Autrey if one wishes to escape from the stultifying dualism of mind and body, or of noesis and physis. Besides, not all depression is a dead-end, yet Dreyfus and Kelly stick to the bright Olympian gods and do not talk about Saturn and scholarly melancholia. In THIS IS WATER Wallace tries to open us to others as having their own lives outside their roles as inconveniences or obstacles to our desires, and all that Dreyfus and Kelly can see is an appeal to will-power. Dreyfus and Kelly have trouble seeing depression and boredom as intensities, and so associate them with the ego and the desire to transcend human life and the frustration that this is impossible. Hillman is not so simplistic, as can be seen here. For a good take on DFW in relation to Dreyfus and Kelly see http://letterstodfw.wordpress.com/2012/10/10/what-the-hell-is-water/
Another problem with ALL THINGS SHINING is its appeal almost exclusively to extreme examples. Meta-poiesis exists in their book when we refuse to give into the hate at a Nazi rally, but they accuse Wallace of hubristic will when he discusses how not to give in to the anger and frustration one can feel on a queue at the supermarket. Dreyfus and Kelly, despite their antimetaphysical intentions, would seem to be guilty of a metaphysical split manifest in the very type of extraordinary examples they give. Stanley Cavell’s Emersonian emphasis on a return to the ordinary is a useful corrective to their obsession with mastery. The coffee-drinking example (p216-219) with its distinction between ritual and routine is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y talk about the “experimentation” to discover how to bring things out at their best, and thus to respect both the singularities of the materials and acts comprising the ritual and one’s own singularity.
They contrast the “generic” way of doing where things are treated as exchangeable and meaningful distinctions are obscured, to a “particular” approach where we “rise up out of the generic and banal and into the particular and skilfully engaged” (p217). So we individuate an activity or domain while individuating ourselves at the same time. Yet Dreyfus and Kelly, while describing this struggle with the reign of the stereotype, use a language of uncovering and discovering, and so imply that meaning is pre-existent rather than emergent.
Further, although I like their pluralism and immanence and polytheism of moods, I think that Dreyfus and Kelly have a one-sided view of intensities or what they call “shining”, that excludes both the ordinary and the “pathological” intensities, there is no room for shadow. All this talk of “shining” (really as pluralists they should be saying “shinings”) is somehow limited to best case scenarios, whereas shining is not supposed to be a normative notion. One could compare this with Deleuze and Guattari’s cry in ANTI-OEDIPUS:
“Everything must be interpreted in intensity” (p173)
For D&G this is already what Nietzsche and Artaud were doing. And I would add David Foster Wallace.
If we take this point of view of intensity then we may avoid what threatens to be a form of hermeneutic nostalgia over the supposed superior inventiveness of the Greeks and of mourning for the loss of the Greek event. For pluralists like Feyerabend, Deleuze, and Lyotard, our contemporary time is characterized not by the nihilist condition of the loss of meaning and intensity, but by an increase of novelty and inventiveness, a surplus of abundance. They refuse to endorse the narrative of decline that we see at work in ALL THINGS SHINING. To convince us of the contrary we need only be attentive to the multiplication of invention in the domains the sciences, the arts, politics, religion, and personal relations. The proper mood is not nostalgia and regret, but openness and affirmation. The goal is not to “bring back” the shining things, but to be attentive to the shinings that are already present or being produced.
Mood and concept are closely linked. To dispel one we often have to deconstruct the other. “The
Greeks” is a false unity, a concept that belongs to the dogmatic image of thought. The idea of the “Greek miracle” cuts them off geographically and chronologically from the multiplicity of sources, influences, encounters, exchanges, and rivalries. This creates an image of their inventiveness as stemming from some absolute break and absolute beginning, such that the Greeks become incommensurable with what went on before and elsewhere. This poses the novelty and inventiveness of the Greeks as some impossible to attain norm. There seems to be no way that we can ever make such a leap again, so we are reduced to just adding footnotes to Plato. “Incommensurability”, however, is not the final word. Beneath the hermeneutic closures and incommensurabilities lie the pragmatic encounters and exchanges. “The philosphers have always been something else, they were born of something else”, claim Deleuze and Parnet (DIALOGUES II, page 74). Michel Onfray develops the same idea for the Greeks:
“Protagoras the docker, Socrates the sculptor, Diogenes the assistant banker, Pyrrho the painter, Aristippus the teacher … are not professionals of the profession in the postmodern fashion”. This “something else” is not just another profession, but also another site, the outside with its freedom from the semantic police and the hermeneutic priesthood. The forum and the agora allowed philosphers to address and discuss with anyone, as does the blogosphere today (potentially!).
Hermeneutic novelty is often the illusory construct of the retrospective projection of striated structures onto the past. Pragmatic novelty is far more ambiguous and fluid, tied to the intensive encounter rather than the regulated exchange. This is why Lyotard too sees no difference between the ancient Greeks and us, in terms of the withdrawal of Being and the loss of inventiveness: “Nothing has withdrawn, we have not “forgotten” anything; the ancient Greeks, Heraclitus the inbetween of faith and knowledge, are no more originary than Janis Joplin.”
The comparison with Deleuze (and Guattari) is interesting as I often think of Deleuze and Parnet’s DIALOGUES II in relation to ALL THINGS SHINING, and of Deleuze’s oft expressed desire to construct a pop-philosophy – which I think expresses part of Dreyfus and Kelly’s ambition for ALL THINGS SHINING. Pop-philosophy does not mean a demagogical anti-intellectual hostility to theory or concepts or erudition, it is philosophy that has an immediate appeal to readers who find something useful for their lives (and thinking is essential to the human form of life); but it must also have enough conceptual backbone to make it really a contribution to philosophy and not just opinionating or free-associating on a theme.
I have been frequenting the two sets of thinkers (Deleuze and Guattari, Dreyfus and Kelly) for some time now, and the question arises for me of the relation between them, between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The relation is clear in terms of my overall project of a diachronic ontology, of “pluralism and individuation in a world of becoming”: both sets of thinkers are pluralist; they decenter the subject, its sovereignty and its agency; they give great importance to affects or moods; they reject the domination of technological rationality; they situate themselves firmly after the death of God; they seek to go beyond any nihilism that this may be thought to entail. The points of convergence are many and varied.
ALL THINGS SHINING is quite Heideggerian in orientation and talks in terms of physis, poiesis, technology, and meta-poiesis. The level of physis involves the "whooshing up" of moods that are transindividual and that draw people to perceive and to act in certain ways. Poiesis is an affair of skills that allow us to perceive important distinctions in a material and act on it to bring it out at its best. Deleuze and Guattari and talk in terms of affects, assemblages, and autopoiesis. The tone is quite different, being more open and diverse in their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 their sensitivity to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notion of assemblage is used powerfully to decenter the notion of human agency and distribute it throughout the superordinate groupings or assemblages of humans and things that “whoosh up”, if you will, perdure and vanish. This is physis in a deleuzian sense; and I have always found the ALL THINGS SHINING sense too limited, as it seems to be restricted to the upsurge, perdurance, and vanishment of publicly shared moods and their associated perceptions and actions. But objects and agents and events are important parts of the assemblages we confront or belong to.
There seems to me to be a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wo sets of thinkers that I can bring out in terms of what I think is a hesitation in Deleuze and Guattari over the meaning of the word “affect”, which sometimes is closer to physis and sometimes is closer to poiesis. Physis-affect characterises a plateau of affective tonality, a haecceity, that can last a moment or an afternoon, or several years. Poiesis-affect characters the powers of being affected (of perceiving differences that matter) and of affecting (of provoking and revealing differences). The whole notion of skills and crafts that ALL THINGS SHINING finds so important signals the necessity of a cultivation of affects, of the discipline of working on our affects to favorise more affirmative, more creative perceptions and actions. This is a process of individuation, the poietic path of developping one's skills, an apprenticeship for which, according to Deleuze, “there is no method but only a long preparation”.
==
모든 것은 빛난다 - 허무와 무기력의 시대, 서양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
허버트 드레이퍼스,숀 도런스 켈리 (지은이),김동규 (옮긴이)사월의책2013-06-26원제 : All Things Shining: Reading the Western Classics to Find Meaning in a Secular Age (2011년)
책소개
미국 철학계의 거장 휴버트 드레이퍼스와 하버드대 철학교수 숀 켈리가 이야기하는 우리 시대, 삶의 상실과 회복. 책 한 권으로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어떤 책은 우리 삶을 괴롭히는 문제의 근원을 뿌리째 들어내고 직시하게 해준다. 우리는 그 책으로 인해 삶이 바뀌지는 않을지언정 최소한 내 삶의 연원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모든 것은 빛난다>는 바로 그런 책이다.
역자는 번역을 고사하다가 원서를 읽어보고는 책의 불가피한 유혹에 빠져 번역의 중노동을 감수하기로 한다. 편집자 역시 책을 만들면서 적어도 다섯 번 이상을 통독하고는, 이 책이 건네는 감동과 깨달음에 젖어 한 계절을 보낸다. 감히 말하건대, <모든 것은 빛난다>는 근래에 나온 인문적, 철학적 에세이 가운데 최고라고 주장하고 싶다.
미국 철학계의 거장 중 한 명인 휴버트 드레이퍼스와 하버드대 철학과장 숀 도런스 켈리가 함께 썼다. 권위의 「뉴욕타임스」는 동일한 책에 대해 유례없이 3번이나 리뷰를 실으면서 “2011년 올해 최고의 책”이라 추켜세웠고, 우리 시대의 위대한 철학자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명저술가 찰스 반 도렌(Charles Van Doren) 등은 대놓고 극찬에 가까운 찬사를 보냈다.
목차
- 독자에게
1장
선택의 짐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를 보았을 뿐 /
선택의 짐 / 선택을 회피하는 첫 번째 방식 /
선택을 회피하는 두 번째 방식 / 상황에 대한 감각 /
프란체스카와 보바리의 차이 /
세익스피어와 데카르트가 던진 질문 /
“신이 없다면 모든 것은 허용된다”
2장
우리시대의 허무주의
탄광의 카나리아 / 월러스와 길버트가 글을 쓴 이유 /
가장 지루한 것들에 매달리기 / 권태 대처법 /
“오늘은 오늘 일만” / 생각의 통제 /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는 비결? /아무도 완수할 수 없는 과제 /
너무 자유롭기에 오히려 불행한 / 태양을 삼키라는 요구
3장
신들로 가득한 세상 - 호메로스의 세계
호메로스가 헬레네를 숭배한 까닭 / 포르투나 /
행운인가 보살핌인가 / 현대판 오디세우스 /
감사, 실존의 느낌 / 희생의례의 두 가지 기능 /
잠은 성스럽다 / 카리스마 / ‘입스’의 늪 /
그들이 만신전을 세운 이유 /
“경이가 우리를 사로잡는군요”
4장
유일신의 등장 - 아이스킬로스에서 아우구스티누스까지
역사를 읽는 몇 가지 시각 / 오레스테이아 3부작 /
복수의 여신들 / 애국주의, 일신주의의 또 다른 얼굴 /
예술작품의 초점조절 기능 / 해설자와 재설정자 /
예수, 최초의 재설정자 / 바울, 예수의 해설자 /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민
5장
자율성의 매력과 위험 - 단테에서 칸트까지
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 단테의 두 스승 /
지옥의 요새 / 단테식 자유의지 /
베아트리체에 대한 사랑에서 신에 대한 사랑으로 /
중세식 허무주의 / 살로 만들어진 말씀 /
의미의 할당자 / 칸트와 자율적 주체 개념
6장
광신주의와 다신주의 사이 - 멜빌의 ‘악마적 예술’
사악한 책 / 악마적인, 그러나 순진무구한 /
물보라 여인숙의 그림 / 이슈메일의 변덕 / 식인종 퀴케그 /
가면의 뒤 / 에이해브의 일신주의 /
고래에게 얼굴이 없는 이유 / 사랑의 공동체적 경험 /
흰색의 공포 / 신의 베틀 소리 /
광기의 두 가지 유형 / 우주는 우리에게 무관심하다 /
구원의 실마리 / 비밀스런 모토
7장
우리 시대의 가치 있는 삶
루 게릭 / 경기장에 강림한 신성 /
퓌시스의 반짝임 / 야누스의 얼굴 /
스킬라와 카리브리스 사이 / 장인의 포이에시스 /
테크놀로지, 현대 세계의 공식 /
메타 포이에시스, 적시에 성스러움을 얻는 기술 /
우리 시대의 성스러움
에필로그: 빛나는 모든 것들
주
옮긴이 해설: 허무주의 시대에 삶의 의미 찾기
접기
책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선택의 자유가 현대의 삶이 이룩한 위대한 진보의 표식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확실히 이런 견해에는 어느 정도 진실이 담겨 있다. 비참한 가난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선택의 여지도 없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을지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직업 선택의 자유란 것도 극심한 경제 ... 더보기
19세기 이래로 서양의 역사는 어쨌건 진보에 관한 이야기였다. 우리는 계몽주의 시대와 이후 시대야말로 이런 발전의 정점에 이른 시대라고 배워왔다. 자유의 자기충족성, 이성의 투명성, 남김없이 설명되고 통제되는 세계의 안정성, 이 모든 것이 역사의 진보를 가리킨다고 배워왔다. 그러나 이 이야기 반대편에는 또 다른 이야기도 존재한다.... 더보기
우주의 궁극적 스토리는 우주가 우리에게 무관심하다는 데 있지 않다. 비록 에이해브가 만난 모비 딕처럼 우리에게 무관심한 신도 있지만 말이다. 어린 선원 핍이 외롭게 버려진 미아처럼 바다에 조난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떠올렸던 생각, 즉 세상은 “그의 신처럼 냉담하다”는 생각을 상기해보자. 하지만 그런 신과 달리 세상에는 또 다른 신들... 더보기
오늘날의 역사 단계에서는 특별한 삶의 기술이 필요하다. 이 기술은 우리에게 있는 성스러움의 양태들 각각을 공평하게 대우하는 기술이다. 세계가 지닌 다차원적인 성스러움들 속에서 사는 장인은 어떤 순간에 전자레인지가 필요하고 어떤 순간에 감사의 축제가 필요한지를 반성 없이 즉각 이해할 수 있다. 그는 거칠고 열광적인 스포츠의 신들에게... 더보기
이렇듯 감사는 호메로스에 있어서 최선의 삶을 이루는 필수적 구성요소다. 이런 점에서 신들은 어쨌든 우리를 넘어서서 우리에게 감사를 요구하는 존재들이다. 이런 감사의 요구는 오늘날의 세계에서는 여분의 요구일 뿐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런 생각을 갖게 만드는 기본 현상을 곧잘 접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타닉 호의 침몰에서 살아남은 아... 더보기 - iwasfaraway
올바르게 살기 위한 규범에 일치하도록 행동하는 것은 고금을 통해 항상 어려운 일이었다. 그리스 철학자들은 이런 어려움을 아크라시아akrasia 또는 의지의 허약함이라고 불렀다.
- p 37 - 보쌈
도대체 어떻게 성스러움을 다시 불러 올 수 있다는 말인가?...
저자들이 제출한 답은 다신주의polythesim라는 것이다. 다신주의라는 말에는 다시 두가지 강조점이 있다. 첫째, 다多-신주의라는 말에는 전체주의, 환원주의에 대한 경계의 의미가 담겨있다. 서양 전통철학과 유대-기독교적 전통은 일신주의monotheism 편향... 더보기 - 보쌈
다-‘신神‘ 주의라는 말에는 신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다신주의라는 말의 두 의미는 모두 인간 중심주의, 주체 중심주의를 경계하고 잇다.그러면서 다신주의는 타자성을 소중히 살리려고 한다. 의미는 인간 혼자만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 p416 옮긴이 해설 中 - 보쌈
현대 세계에서 우리는 더 깊고 어려운 문제와 마주하고 있다. 오바른 행동 과정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추구하지 못한다는 것만이 모제가 아니다. 그보다는 무엇을 좋은 삶을 위한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해 아무런 판단력도 없다는 것이 문제다. 다시 말해시, 다른 행동이 아닌 바로 이 행동을 선택해야 할 아무런 근거도 없는 ... 더보기 - 숑이
많은 사람들은 선택의 자유가 현대의 삶이 이룩한 위대한 진보의 표식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확실히 이런 견해에는 어느 정도 진실이 담겨 있다.
비참한 가난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선택의 여지도 없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을지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직업 선택의 자유... 더보기 - Cinema Paradiso
더보기
추천글
“허무주의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우리 시대에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매혹적인 통찰. 『모든 것은 빛난다』는 ‘축의 시대’ 이래로 전개된 인간?종교?윤리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이 책은 가장 중요한 이슈들,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이슈들과 정면 승부하고 있다.
- 찰스 테일러
“굉장한 책! 지금까지 내가 읽은 책 가운데 가장 놀랍고 가슴 벅차며 아름다운 책이다. 나의 감동을 여러분과, 수천 명의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 싶다. 나의 찬사, 아니 이 경외감을 말이다.”
- 찰스 밴 도렌 (『지식의 역사』 저자)
“특출하고 영감이 가득한 책. 이 책은 우리 시대의 주요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는 최고의 틀을 제공한다. 어떻게 우리가 과거의 강렬하고도 의미 깊은 삶으로부터 망설임과 무기력의 시대로 넘어오게 되었는지를 설명한다. 저자들은 서양의 위대한 고전들을 통해 선택과 자율성과 광신주의와 오락중독 등 오늘날의 삶을 잠식하는 문제들을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고전들에 담겨 있는 불멸의 가치들을 통찰력 있게 파헤친다. 나는 도저히 이 책을 내려놓을 수가 없다.”
- 바턴 그레고리언 (카네기재단 이사장)
우리는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가. 이 책의 공저자인 미국의 두 철학 교수에 따르면 우리시대는 허무주의 시대다. 데카르트 이후 근대 계몽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자족적인 주체다. 오직 나 혼자만이 나의 행동에 책임이 있으며, 칸트에 따르면 이 책임의 자각이 성숙함의 표지다. 근대의 주체는 중세의 신을 대신하여 세상의 주재자가 되었다. 이러한 관념은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위험하다. 아무도 대신해줄 수 없는 선택의 짐을 우리는 떠안고 고통스러워한다. 하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이와는 전혀 다른 세계상이 나타난다. 호메로스의 세계에서 인간의 모든 성취는 자신의 공이 아니라 신의 특별한 선물이다. 우리를 끌어당기는 외부의 힘에 우리가 열려 있고 항상 감사할 때 우리는 탁월성에 도달한다. 바로 다신주의적 세계관이다. 다신주의는 허무주의나 일신론적 광신주의와는 다른 길, 다른 지혜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 책의 탁월한 통찰은 서양사에서 일신주의가 어떻게 필연적으로 허무주의를 배태할 수밖에 없었는가를 보여준 데 있다. 저자들의 대안이 현대적 다신주의다. 이 다신주의로의 여정을 다룬 책의 부제가 ‘허무와 무기력의 시대, 서양 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라고 붙여졌는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부터 단테의 <신곡>, 멜빌의 <모비딕>까지 3천년에 이르는 서양 고전에서 사색의 실마리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서양 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란 말이 허언이 아니다. 하지만 그 정도 소개는 밋밋하다고 여겨질 만큼 책은 특출한 영감과 통찰로 가득 차 있다. 거의 모든 페이지가 빛난다고 말해도 과장이 아니다. 경이와 감사를 자연스레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 이현우 (서평가,『로쟈의 인문학 서재』 저자)
신들을 다시 만나는 방법 - 이현우 (서평가,『로쟈의 인문학 서재』 저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3년 7월 6일자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3년 7월 14일자
조선일보
- 조선일보 북스 2013년 7월 26일자 '한줄읽기'
중앙일보
- 중앙일보 2012년 10월 5일자 '책과 지식'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3년 12월 14일자 '동아일보 선정 올해의 책 10'
저자 및 역자소개
허버트 드레이퍼스 (Hubert L. Dreyfus)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하버드대학교 철학 박사. 현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철학 교수. 1960년부터 1968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쳤고 1968년부터 UC버클리에서 철학과 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미셸 푸코, 모리스 메를로-퐁티, 그리고 특히 마틴 하이데거의 뛰어난 해석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비판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저서로는 12개 국어로 번역된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1972) 및 『컴퓨터가 여전히 할 수 없는 것』(1992)을 비롯하여, 『세계-내-존재: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대한 주석』... 더보기
최근작 : <인터넷의 철학>,<모든 것은 빛난다> … 총 62종 (모두보기)
숀 도런스 켈리 (Sean Dorrance Kelly)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하버드대 철학교수이자 학과장. ‘마음, 두뇌, 행동 연구를 위한 하버드 학제간 연구회’ 의장이기도 하다. 스탠퍼드와 프린스턴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쳤고,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콜노르말 쉬페리외르) 방문교수를 거쳤다. ‘마음’ 문제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로 유명하며, 프랑스와 독일의 현상학 철학에 대한 중요한 해석자로 평가받고 있다. 구겐하임 재단과 미국 국립과학재단, 국립인문학기금, 제임스맥도넬 재단에서 수상을 하거나 회원으로 있다.
최근작 : <모든 것은 빛난다> … 총 8종 (모두보기)
김동규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고,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나와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이데거를 비롯한 유럽 현대 철학과 미학이 주요 전공 분야이다. 오랫동안 서양 예술과 철학의 근본 정조인 ‘멜랑콜리’ 연구에 매진했고, 현재는 생물학과 철학의 창조적 접점 찾기에 관심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매체에 정기적으로 철학 칼럼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멜랑콜리아: 서양문화의 근원적 파토스』 『멜랑콜리 미학: 사랑과 죽음 그리고 예술』 『철학의 모비딕: 예술, 존재, 하이데거』 『하이데거의 사이-예... 더보기
최근작 : <철학자의 사랑법>,<x의 존재론을 되묻다>,<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 … 총 15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삶의 의미와 무의미의 문제
『모든 것은 빛난다』는 우리들 현대인의 실존 상황, 우리의 문화적 위기를 저 어두컴컴한 내장 깊은 곳에서부터 끄집어내어 성찰한 책이다. 튼튼하게 고정된 닻 하나 없이 부유하는 우리의 일상, 우리들이 매일처럼 겪고 있는 삶의 불안과 무기력증과 허무―즉 삶의 의미와 무의미의 문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책이다. 저자들이 던지고 있는 질문은 단 하나다. 우리들이 아무런 의심 없이 찬양하는 “개인의 자율성”, “자유로운 존재로서의 자아”는 우리 삶에 무슨 의미를 가져다주는가? 이 질문은 정말 충격적이다. 개인이 어떤 외적 강제도 없이 스스로를 책임지고 자유와 행복을 구가할 수 있다는 생각은 데카르트와 칸트 이래, 그리고 프랑스 인권선언 이후 인류의 신성불가침한 이상 아닌가?
저자들은 아니라고 한다.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허무와 우울의 시대적 병증은 “자율적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그릇된 신념이 최종적으로 봉착한 지점이라고 한다.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책임과 선택의 짐을 오롯이 개인에게 지운 결과라는 것이다. 인간은 자율적 존재이기에 홀로 의미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삶의 피로감을 넘어 심각한 허무주의, 의미의 상실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물론 우리가 처한 정치적, 경제적 한계 상황이 개인의 삶을 질식하게 만드는 직접 원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런 상황이 해소된다고 해서 우리 삶이 회생할 것인가? 또다시 그런 상황이 찾아올 때마다 우리 삶은 파탄을 맞이해야 하는가? 이렇게 보면, 성과주의의 피로감을 성공과 성취감이라는 프로작 약물로 마취시키는 사회를 비판한 『피로사회』나 『우리의 노동은 왜 우울한가』의 진단은, 그에 앞서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 진단을 필요로 하는지도 모르겠다.
-서양 고전에서 읽어내는 우리 존재의 빛
이 책의 저자들은 개인들이 이렇게 살지 않아도 각자가 성스러운 존재로서 충분히 의미 있게 살 수 있는 시대가 있었다고 말한다. 저자들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시작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단테의 『신곡』, 그리고 허먼 멜빌의 『모비 딕』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서양 고전들을 다시 읽어냄으로써, 어떻게 인간의 삶이 고대의 성스럽고 빛나는 경험 세계로부터 창백하고 우울한 피로 사회로 떨어져버렸는지를 이야기한다. 한 마디로 저자들은, 의미의 다양한 생산지를 하나의 원천으로만 응집시키려 한 서양 사상사의 시도야말로 허무주의의 주범이라고 말한다. 의미의 원천을 초월적인 신의 사랑에서 찾으려 한 중세나, 자율적 개인의 내면에서 찾으려 한 근현대의 시도가 모두 그렇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말한다. 우리가 “자각된 개인” “계몽화된 개인”이라는 내면의 견고한 영웅주의에 취해서 스스로를 꽁꽁 닫지 않는다면, 그리하여 세상이 던져주는 빛들에 대해 열린 존재가 된다면, 성스러움을 다시 회복하고 삶의 의미를 되찾을 수 있다고.
지하철 선로에 떨어진 취객을 보고 순간의 망설임조차 없이 뛰어드는 행동, 야구장 관중석에서 하나 되어 환호하는 기쁨, 아침에 정성스럽게 내린 커피 한 잔의 즐거움이 그런 빛들이다. 『모든 것은 빛난다』는 이것을 고대의 다신적(多神的) 사고와 같은 것이라고 설명한다.(‘다신적’이라는 것이 종교적 신을 말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우리는 세상의 무수한 신들이 던져주는 의미의 순간들을 만끽하고 감사함으로써 성스러운 존재로 살아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더 이상 우리 자신을 의미의 생산자나 부여자로 보지 말고, 세상이 일으켜 보여주는 의미들의 발견자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만 바꾼다고 해서 저절로 그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삶의 현장에서 매순간 스쳐지나가는 사건들(physis)에 대해 우리의 지성과 신체를 끊임없이 밀착시키고 연마하는 활동(poiesis)을 함으로써, 광포한 감정의 선동이나 차디찬 이성의 명령 어느 한편에만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지키는 기술(meta-poiesis)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7장 참고). 그것이 바로 “모든 것은 빛난다”(All Things Shining)라는 말의 뜻이기도 하다.
내용 소개
1장 선택의 짐 ― 선택의 짐을 회피하는 두 가지 방식
“신이 없다면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도스토옙스키의 말은, 신이 없기에 모든 것을 인간이 책임져야 한다는 무서운 경고의 말로도 읽힌다. 이처럼 오늘날의 우리는 우리 앞에 닥친 모든 일을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이런 실존적인 선택을 회피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선택 대신 완강한 자기 확신에 취해 있는 인간형이나, 대중오락, SNS, 약물 등에 매달려 자신을 잊는 유형이 그들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사고현장에서 망설임 없이 자기를 희생하는 사람, 경기장에서 몰아적인 플레이를 행하는 선수처럼 주저 없이 선택을 행하는 영웅적 인간형도 많다. 그러나 어떤 태도를 취하건 선택의 상황 앞에서 주저하고 망설이는 개인의 모습은 지극히 근대적인 현상이다. 그리고 이런 선택의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극한까지 맞서는 사람은 일쑤 허무주의의 늪에 빠지곤 한다.
2장 우리 시대의 허무주의 ― 실존의 과도한 짐은 허무주의를 부른다
자살한 미국의 천재 작가 데이비드 포스터 월러스(David F. Wallace)는 아직 한국어로 번역된 작품이 없지만, 그런 실존의 상황을 가장 극한까지 감당하려 했던 인물이다. 월러스는 끊임없이 선택을 하고 스스로 의미를 생성해야 하는 오늘날의 반복적인 삶에서도 끝까지 삶의 가치를 추구했고, 그런 과제로부터 주의를 빼앗고 정신을 중독시키는 모든 유혹을 거부하려 했다. 그러나 그러한 과제는 결국 월러스를 자살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그와 달리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의 저자 엘리자베스 길버트는 ‘의미의 창조자’라는 짐을 개인이 지는 것은 부당하며, 우리는 순수한 은총에 의해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둘 중 누구를 택해야 할까?
3장 신들로 가득한 세상 ― 호메로스의 행복했던 세상
호메로스가 『오디세이아』에서 칭송한 인물들은 그런 현대적 실존 상황이 전혀 문제되지 않는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헬레네는 파리스와 연정에 빠져 도망쳤다가 다시 집에 돌아와 아무렇지도 않게 남편의 칭송을 얻는 여인이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그것은 사랑의 신 아프로디테와 가정의 신 헤라가 한 인물을 동시에 지배하듯이, 신들이 정해주는 정조(mood)에 자신의 전 존재를 조율(tunning)하며 살았던 사람들의 특징이었고, 그것이야말로 현대의 윤리적 관점으로는 재단할 수 없는 고대의 미덕(arete)이었다. 그들은 그런 신들의 은총에 대해 경이와 감사를 바침으로써 자기 문화에 온몸으로 참여했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4장 유일신의 등장 ― 기독교가 바꿔놓은 삶의 가치
호메로스 시대의 충만했던 삶은 그리스 전성기인 아이스킬로스의 시대와 초기 기독교를 거치면서 통일적이고 일원론적인 인간 이해로 나아가게 된다.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은 복수와 분노가 지배하던 고대의 원시적 정념들이 공동체의 안녕을 위한 아폴론의 법질서로 수용되는 과정을 보여준 역작이다. 예수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대 공동체의 율법 질서를 인간의 내면적 욕망의 문제로 돌림으로써 문화의 획기적인 재설정을 이룬다. 호메로스 시대의 무질서한 정조들은 아이스킬로스의 그리스 문화와 유대 문화를 거치면서 공동체의 법적 질서 안에 포섭되었지만, 다시 예수와 바울이 등장하면서 인간의 내면적 욕망이라는 한 가지 기준만이 인간의 삶을 평가하는 잣대가 된다. 물론 그 욕망은 신에 대한 아가페적인 사랑으로 수렴될 때만 인정될 수 있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은 개인의 욕망을 신의 사랑과 일치시키려고 한 내면적 투쟁의 기록이었다.
5장 자율성의 매력과 위험 ― 악마의 특징이 인간의 미덕으로 변하다
예수와 바울, 아우구스티누스를 거치면서 인간을 이해하는 초점이 된 내면의 욕망 문제는, 육체와 물질로 이루어진 인간의 현세적 삶과 신의 정신적 사랑을 일치시킬 수 없다는 문제에 늘 봉착하곤 했다. 단테에게도 이 문제는 여전히 큰 난제였다. 단테는 『신곡』에서 인간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실존의 상황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을 악마의 특성으로 돌린다. 단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제일 운동자’를 신의 특성이라 보고, 신의 사랑의 움직임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자유를 주장하는 개인의 의지를 꽁꽁 얼어붙은 지옥의 것으로 돌린다. 인간의 욕망은 그의 연인 베아트리체에 대한 지순한 사랑을 거쳐 신에 대한 사랑에 이르는 것처럼 신의 은총 안에서만 일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테는 이렇게 자율성을 알고 있었지만 그것을 지옥에 가둔 반면, 인간의 의지로써 순수성에 이를 수 있다고 본 마르틴 루터를 거쳐 데카르트와 칸트에 이르면, 자율성은 인간의 가장 존엄한 특징으로 복권된다. 칸트에 이르러서야 비로 인간은 “스스로 세운 도덕 법칙에 따라서만 행동하고 평가될 수 있는 자율적 주체”가 된다.
6장 광신주의와 다신주의 사이 ― 개인 대 신의 싸움
이 책 6장에 이르면 우리는 “의미의 무한한 원천”이라는 자리를 두고 개인과 신이 벌이는 장엄한 투쟁을 볼 수 있다. 멜빌의 『모비 딕』이 바로 그 드라마가 펼쳐지는 장소다. 흰 고래는 무한대의 힘을 감추고 있지만 얼굴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 아브라함의 하느님과 같은 존재다. 반면 에이해브 선장은 자신의 다리(자신의 실존)를 물어뜯은 존재를 이해하고 정복함으로써 자신을 의미의 완성자로 세우려는 인물이다. 이런 영웅적 개인과 기독교적 유일신의 싸움은 기독교를 상징하는 배와 선장이 함께 침몰함으로써 파국을 맞는다. 신이자 우주의 비밀인 흰 고래는 여전히 알 수 없는 신비로 남는다.
그러나 『모비 딕』의 화자(話者)인 이슈메일이 있다. 그는 이 모든 상황을 지켜보면서 언제든지 자신의 입장을 변화무쌍하게 바꿀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그에게 고래는 의미의 원천일 수도, 그냥 무심한 우주일 수도 있다. 이슈메일은 유일신의 문화에 오염되지 않은 다양한 문화적 가능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감성의 소유자다. 저자들은 이슈메일에게서 다신적 사고의 가능성을 찾아낸다.
7장 우리 시대의 가치 있는 삶 ― 성스러움을 회복하는 길
이 대단원의 장에서 저자들이 집중하는 것은 다신적 사고가 현대에서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다신적 사고는 우선 퓌시스(physis)라는 세계의 존재방식을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고 한다. ‘자연’이라는 말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퓌시스’는 어느 날 피어났다 사라지는, 휙 스쳐가는 사건들을 표현하는 단어였다. 우리는 삶의 순간마다, 즉 야구장에서, 군중집회에서, 일의 몰입에서, 아침 식탁의 향기에서 늘 퓌시스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퓌시스는 거칠고 일시적인 힘의 형태로 나타나기에 그것만으로는 히틀러의 위험한 선동 같은 데 빠질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포이에시스(poiesis)라는 고도의 양육적인 기술을 갖춰야 한다. 원래 예술적 ‘창작’과 ‘제작’을 의미하는 포이에시스는 장인이 갖춘 기예처럼 숙련되고 안목이 높은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삶에서 마주치는 모든 퓌시스의 계기들을 포이에시스로 함양함으로써 삶의 의미들을 성스럽게 가다듬고 균형감 있게 만드는 메타-포이에시스(meta-poiesis)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삶의 사건들이 보여주는 구별과 차이에 대해 둔감한 사람은 의미의 구별도 할 수 없으며, 걸어다니는 자동기계와 다름없게 된다.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아침의 커피 마시기를 성스러운 의식(儀式)으로 행할 줄 아는 사람만이 세상이 던지는 다신적 의미를 받아들일 수 있다. 우리 존재의 성스러움이란 이런 문화적 실천(praxis)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데서 온다는 것이고, 이것이 허무주의와 무기력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내가 남긴 글
img
‘신은 죽었다’라는 말은 서구 중세를 지탱해오던 기독교적 세계관의 붕괴와 근대적 자아의 부상을 단정하는 니체의 유명한 문장이다. 이성과 개인의 자유의지를 중시하는 근대적 관점에 따르자면 현대인들은 수없이 많은 선택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에 비해 분명히 진보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신에게서 존재와 행위의 의미를 찾던 과거와 달리 현대인은 ... 더보기
huckebein 2020-03-24 공감 (7) 댓글 (1)
img
난데없이 출간된 에세이집이 화제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재밌다고들 하지만 나는 두번 다시 하지 않을 일>(바다출판사). 월리스가 누구인가는 신형철 평론가의 추천사를 읽고서야 떠올릴 수 있었다. <모든 것은 빛난다>에서의 호평을 보고 그의 괴작 <무한한 재미>(역자의 말대로 조이스의 <율리시스>보다 두껍다)를... 더보기
로쟈 2018-04-08 공감 (41) 댓글 (2)
img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많고 많은 작가들 소개에 독서샘이 강렬히 자극되다. 많은 책들이 욕심났지만 그 중에서도 예전부터 관심이 갔던 David Foster Wallace를 또 만나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러스 소설 번역 좀 해주세요ㅜㅜ... 나오면 5권 정도는 기필코 사겠음요. 이 작가를 안 뒤부터 수년째 기다리고 있는데 안 나오고 있어서 이젠 원서를 사야... 더보기
AgalmA 2018-03-14 공감 (26) 댓글 (3)
더보기
마니아 읽고 싶어요 (90) 읽고 있어요 (27) 읽었어요 (11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6% 10대 0.1%
9.3% 20대 5.2%
18.0% 30대 10.0%
20.5% 40대 13.3%
9.6% 50대 9.5%
1.3% 60대 2.6%
여성 남성
평점 분포
8.8
60.0%
22.5%
12.5%
5.0%
0%
100자평
배송 문의나 욕설 및 인신공격성 글은 상품 페이지에서 노출 제외처리됩니다.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0)
전체 (17)
공감순
신형철 선생 팟캐스트 듣고 찾아온 사람 손! 구매
꿈의서재 2013-10-24 공감 (20) 댓글 (0)
Thanks to
공감
청소년기에 읽었던 모비딕에 대한 세심한 분석을 읽으면서 저런 문장이 있었던가 싶다.빛나는 문장들로 이루어진 지식의 합동공연.밑줄칠 부분이 많아서 별다섯개를 주자.그 시절의 나는 너무 어려서 모비딕을 스치듯 자랑삼아 읽었거늘.. 구매
대아재산책 2019-02-11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 글을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단 하나의 신만 있는 세계와 굉장히 많은 신들이 있어 위로받을 수 있는 세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알겠다. 개인의 정신과 육체가 매우 빛나는 존재이며 우리가 그걸 회복해야하는 이유도 조금은 알겠다. ‘모든 것은 빛난다‘는 말이 사실은 이 책이 말하는 전부다. 구매
수수꽃다리 2018-05-11 공감 (5) 댓글 (0)
Thanks to
공감
옮긴이 해설이 명쾌했다. <모비딕>에 대한 해석만으로도, 우리 시대에 팽배한 허무주의에 이르기까지 인류 정신사의 굵직한 맥락을 짚어낸 것만으로도 훌륭한 책이었다. 이 시대 크나큰 난제인 자본주의 시스템이 깨끗이 소거된 저자들의 해결책에 온전히 동의하기는 어렵겠지만 의미 있는 지적 체험. 구매
거리산책자 2017-02-14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허무주의에 대한 해독제 구매
madwife 2014-09-11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잘 표현된 불행.
잘 표현된 불행 ( 不行 )
나는 무늬만 목재인 것들은 절대로 쓰지 않는 구식 일꾼들을 안다. 그런 목재는 일에 전혀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안다. 숙련된 일꾼은 결심 판사과도 같다는 것을. 왜냐하면 나무는 대패(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나 도끼(역시 패물이 된) 아래에서 이제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성질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나 자신의 손으로 느꼈기에 나의 눈으로 아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문외한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 " 채찍처럼 질긴 " 톱밥과 " 당근처럼 쐐기꼴을 한 " 톱밥의 차이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으며, " 썩은 " 느낌과 " 푸석푸석한 " 느낌의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참나무건 너도밤나무건 이런 차이들은 다 고르게 있다. 하지만 실제 작업을 해본 사람들만이 그것을 안다.
- 조지 스터트, The Wheelwright's Shop, < 모든 것은 빛난다' >에서 발췌
대한민국 기독교는 기복 신앙'에 뿌리를 둔다. 내 가족이 아무 탈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만수무강'을 기원한다. 신앙 간증을 들어보면 " 핑계 없는 무덤은 없다 " 는 말은 틀린 말처럼 느껴진다. 레파토리'가 하나같이 똑같다. 개과천선'이다. 인간의 힘으로는 절대 할 수 없는 결과를 신의 도움으로 극복한다는,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최루성 가족 드라마'다. 기적을 경험한 간증인은 매사에 감사요, 축복이니 할렐우야, 다. 대한민국 대표적 삐딱이'인 나는 이 거지같은 노예 근성 앞에서 눈물은커녕 콧물만 훌쩍거리게 된다. 누군가가 이 글을 읽고 나서 나를 가엽게 여겨서 선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집중 관리 대상으로 삼았으면 좋겠다. 나 또한 감동적인 설교에 감읍해서 주를 섬기는 종이 되고 싶다. 비아냥이 아니라 진심'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사랑을 가르친 성자'였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만 가르친 성자'라고 말하면 그것은 틀린 말'이 된다. 그는 사랑과 함께 아름답게 분노하는 법도 가르쳐준 성인'이었다.
그는 선동가였고, 혁명가였다. 그런데 대한민국 기독교는 이 대목은 쏙 빼먹은 채, 예수를 계룡산 뜬 구름 위에서 뒷짐 지고 설교하는 모습으로 이미지化한다. 우우, 하지 마라. 당신 입에서 와와, 를 기대한 것도 아니다. 예수가 당신의 소원 나부랭이 따위나 들어주는(당신의 간절한 소망 따위나 들어주는) 그런 하찮은 인물이라면 나는 차라리 산타클로스'를 신으로 섬기겠다. 붉은 악마 응원단은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멋진 슬로건'을 내걸고 광장으로 집결했지만 4강의 기적은 간절한 기도가 응답한 결과가 아니라 홈 어드밴티지'가 적용한 오심이 결정적 이유였다. 당시에 우리는 그 사실을 전혀 몰랐다. 기세가 등등했고 허세가 하늘을 찔러서 앞을 보지 못했다. 신은 응답하지 않는다. 부흥 집회 때마다 간증 시간에 오르는 그 수많은 사람들이 경험한 기적'은 신이 응답한 결과가 아니다. 만약에 신이 당신처럼 보잘것없는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라면 신은 당신보다 더 꾀죄죄한 존재일 가능성이 높다.
당신이 자식이 좋은 직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기도를 하거나 딸이 좋은 남편감을 만나도록 기도했을 때, 신이 그 응답을 들어주느라 바쁜 잔무에 시달려서 정작 아프리카에서 벌어지는 비극적 상황을 모르고 지나쳤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 진짜 신앙인'은 공과 사를 구분할 줄 안다. 자기 자식새끼에 대한 청탁은 하지 말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대한민국 기독교는 이미 자정 능력'을 상실한 지 오래'이다. 내가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이유는 行 할 수 있으면서 不行 했다는 점이다. 기독교인이라면 모두 다 아는 바, 예수는 기적을 행하는 자'이다. 앉은뱅이를 서서 걸을 수 있게 만들었고 나병 환자의 병을 치유하였으며 앞을 볼 수 없는 자는 앞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부활하셨다. 하지만 예수는 기적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자기 자신을 위해 사용하지 않았다.
채찍이 살 속을 파고들어도, 못이 손과 발을 뚫어도, 한 모금의 물이 목숨보다 간절한 순간이 와도 그는 이 고통을 피하기 위해 기적을 행하지 않았다. 나라면 그리고 당신이라면 과연 그럴 수 있을까 ? 아마도 온갖 요술을 부려서 부귀영화를 누렸을 것이다. 내가 이 지점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이것이다 : " 예수는 < 나 > 가 아닌 < 너 > 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 그런 점에서 사이비 한국 기독교 목사들이 믿음의 결과가 행복과 불행'이라고 말하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예수는 행(幸) 과 불행(不幸)'을 말한 자'라기보다는 기적을 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하지 않은 < 行과 不行의 철학 > 에 대해 말한 성자'였다. 기독교의 참된 미덕은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써 행복(幸福)을 얻으려는 욕망이 아니라 권력을 행할 수 있지만 행하지 않는 不行 에 있다. 초월적 힘을 남용하지 않으려고 했던 예수의 깊은 뜻이었다. 성서는 " 잘 표현된 不行 " 에 대한 텍스트이다. 그러므로 기적이 넘쳐나는 한국 기독교 간증 집회는 가짜'다.
< 모든 것은 빛난다 > 에서 저자는 호메로스를 통해서 다신주의를, 기독교를 통해서 유일신의 등장을 고찰한다. 저자가 보기에 일신주의는 전체주의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부작용은 결국 니체가 신은 죽었다, 고 선포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니체에 대해서 오해하고 있는 것은 니체가 " 신의 죽음 " 을 선언한 근본적인 이유는 무신'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니체는 무신을 주장하지 않았다. 그는 다신주의'로 돌아가자는 의미에서 신은 죽었다고 말했을 뿐'이다. 저자는 6장 < 백경 > 을 통해서 " 우주는 인간에게 무관심하다 " 는 사실'을 읽어낸다. 내 식대로 말하자면 " 신은 응답하지 않는다 ! " 이다. 요즘 유행하는 < 응답하라 시리즈 > 로 설명하자면, 당신이 아무리 신에게 삐삐를 치고, 시티폰으로 통화를 시도해도 신은 당신의 전화를 생깐다. 그는 지구를 다스리는 자가 아니라 우주를 다스리는 자'다. 광활한 우주를 중심으로 보자면 지구는 모래알처럼 작지 않을까 ?
당신이 자꾸 " 하느님, 응답해주세요 ! " 라며 징징거린다면 당신은 하느님을 꾀죄죄한 인간으로 취급하는 불경을 저지른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배교자(背敎者) 는 내가 아니라 바로 당신이다. 결국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신의 응답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다. 내 이웃의 대부분은 노동자'다. 그러므로 노동자를 사랑해야 한다. 조지 스터트는 " 나 자신의 손으로 느꼈기에 나의 눈으로 아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문외한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 " 채찍처럼 질긴 " 톱밥과 " 당근처럼 쐐기꼴을 한 " 톱밥의 차이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으며, " 썩은 " 느낌과 " 푸석푸석한 " 느낌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 " 다고 말했지만 배운 게 많은 놈들은 그 느낌의 차이를 허세 가득한 문장으로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는 있다. 대패를 만져본 적도 없는 놈들이 하는 말이니 그 말은 그럴 듯하자만 가짜다. 기적을 경험한 자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
훌륭한 목수가 연장 탓을 하지 않는 이유는 대패질을 하기 전에 이미 좋은 목재를 알아볼 수 있는 눈을 가졌기 때문이다. 연장을 망가뜨리는 것은 질 나쁜 목재'이니 자신이 가진 연장이 망가졌다는 사실은 좋은 목재를 볼 능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옛날, 예수는 목수'였다. 목수의 나무 木에 손 手다. 목수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이득을 취하는 자가 아니라 오로지 팔의 힘으로 먹고 사는 독립적 인간이다. 그것은 신에 의지해서 징징거리는 나약한 인간들과는 전혀 다른, 어떤 숭고한 지점이다. 성경을 펼쳐 본다. 잘 표현된 不行'을 읽는다. 사진 속 남자는 목수의 아들'이었다. 그가 배운 것은 인간 서열에 따른, 인간 관계에 따라서 얻게 되는 이득이 아니었다. 오로지 手의 힘으로 가계를 이룬 숭고함이었다. 목수였던 아버지는 " 나 자신의 손으로 느꼈기에 나의 눈으로 아는 " 사람이었다. 아들은 커서 어른이 되었고, 한 여자의 남편이 되었으며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다. 그도 손으로 느꼈기에 눈으로 아는 사람'이 되었다. 건투를 빈다. 진심이다.
- 접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1-02 공감(25) 댓글(16)
=====
반짝반짝 빛나는 《모든 것은 빛난다》
어두운 시대에서 좋은 예술에 대한 정의는, 시대의 어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살아 있고 빛을 내는 인간적이고 마법적인 요소들에 대해 심폐소생술을 가해주는 그런 예술일 겁니다. 어떤 소설이든 하고 싶은 대로 어두운 세계관을 가질 수 있지만, 정말로 좋은 소설이란 이런 세계를 묘사하면서도 그 속에 살아있는 인간 존재를 위한 가능성에 빛을 비춰주는 소설일 겁니다.
-p62
그랬다. 정의는 시대의 어둠속에도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 있고 반짝반짝 빛나고 있다. 매일 차로 출퇴근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었다. 대중교통이라 해봤자 여기는 버스 밖에 없지만, 운전만하다가 버스에 앉아 창밖을 바라보는 한가로움에 이상한 정겨움이 있다. 그 느낌 ‘이상한 정겨움’은 고등학교 콩나물시루처럼 꽉꽉 차있던 만원버스가 연상되면서 오래 된 것에 대한 추억과 향수가 묘하게 섞여 전해지는 복합적인 느낌들이다. 마치 세상이 온통 칼라로 빛나고 있을 때 버스 안에서 오로지 나 혼자 색을 입지 않은 채 존재하는 그런 ‘이상한 정겨움’이 나이 탓인지, 요즘 점점 좋아져 하루 종일 버스 타는 시간을 고대하고는 한다.
제목도 이쁜 이 책 《모든 것은 빛난다》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가 공통으로 느끼고 있는 문화적 쇼크에서 오는 혼돈속에서 '실존'을 찾는 여정이다. 모든 것이 빛나는 데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그 빛나는 것들, 실존의 세계를 마주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플라톤의 《국가》에서 소크라테스는 일반인을 동굴에 갇힌 포로로 비유하고 있는데 동굴에 갇힌 상태에서 일반인들은 벽에 드리운 그림자나 흐릿한 사물만이 볼 수 있다. 이에 플라톤은 실존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 밖에 존재하는 궁극의 실재를 추구하기 위해 철학함으로써 실존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자살한 미국의 천재 작가 데이비드 포스터 월러스(David F. Wallace) 의 작품들에서는 실존의 상황이라는 극한에 다다르기 위해서 끊임없이 고통과 슬픔을 관통하는 삶에 천착한다. 반대로 호메로스 시대의 인물들은 실존의 상황에 다다르기 위한 정신적 노력이 없이도 실존과 함께 했던 인물들의 등장을 볼 수 있다. 이 차이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들은 철학이라는 줄기속에서 인간 존재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 '실존적 존재'인 “자율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하여 철학과 인문학의 절묘한 조합으로 풀어나가고 있다. 아닌게 아니라 요즈음 사회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보면 생명의 존재가 무척 하찮아진 느낌이 들 때가 많다. 가장 대표적인 대중문화인 영화에서조차 생명을 초개처럼 버리는 것을 ,너무도 흔하게 볼 때마다 씁쓸해지곤 한다. 이러한 생명에 대한 경시풍조 역시도 철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어떻게 고착되어 가는지를 어렴풋이 느끼게 되기도 하였다. 이 책은 독특하게도 '실존'이라는 텍스트로 문학과 철학과 역사를 종횡무진하며 '삶'에 천착한다. 저자들의 문제의식은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상실의 뼈저린 감각, 방황하는 존재의 어둠이라는 근원적인 문제의 지각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현대 고착되어진 생명 경시풍조나 우울, 자살, 방황과 같은 어두운 존재의 시작은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책임과 선택의 짐을 ‘개인’이 떠안게 되면서부터 라고 한다. 저자들의 거대한 철학의 줄기들은 현대인들의 뿌리깊은 진화론적 세계관에 대해 정면으로 도전하며 인간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가치들에 대해서 아주 오래된 서양철학의 고전인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시작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단테의 『신곡』, 멜빌의 『모비 딕』에서 삶에 대한 참된 가치를 추구하는 독특한 문화여행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여행의 종착지는 바로 '반짝반짝 빛나는 주위의 모든 것'들과 함께 하는 '실존'이자 현재의 순간들이다.
1장 선택의 짐 ― 선택의 짐을 회피하는 두 가지 방식
2장 우리 시대의 허무주의 ― 실존의 과도한 짐은 허무주의를 부른다
3장 신들로 가득한 세상 ― 호메로스의 행복했던 세상
4장 유일신의 등장 ― 기독교가 바꿔놓은 삶의 가치
5장 자율성의 매력과 위험 ― 악마의 특징이 인간의 미덕으로 변하다
6장 광신주의와 다신주의 사이 ― 개인 대 신의 싸움
7장 우리 시대의 가치 있는 삶 ― 성스러움을 회복하는 길
단테는 『신곡』에서 인간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실존의 상황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자율성)을 악마의 특성으로 돌린다. 마르틴 루터를 거쳐 데카르트와 칸트에 이르러 인간의 자율성은 인간의 가장 존엄한 특징으로 복권된다. 칸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인간은 “스스로 세운 도덕 법칙에 따라서만 행동하고 평가될 수 있는 자율적 주체”가 된다.
멜빌의 <모비딕>에 이르러 다신적 사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선장 에이브람의 고래에 대한 광적인 집착을 바라보는 이스마엘의 사고를 다신적 사고라고 한다. 유일신 문화에 물들지 않은 다신적 사고, 이러한 사고는 동굴에 있던 포로가 실존의 태양을 바라본 사고와 동급이다. 현대 테크널리지의 세계는 실존과 더욱 동떨어진 세계를 선사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세계의 의미를 상실할수록 우리 자신에 대한 이해도 단조로와지며 사물에 대한 애착과 존경-위에 말한 사물이 가진 반짝반짝 빛나는 순간-들이 사라지는 것이다. 저자들이 말하는 철로에서 떨어지는 취객을 구하는 순간, 야구장 관중석에서 하나가 되어 환호하고 기뻐하는 순간, 커피 한 잔의 기쁨과 같은 순간들 -여기에 하나 더 보태서 내가 버스타는 시간을 고대하는 순간들이- 항상 우리 곁에서 반짝반짝 빛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우리의 삶은 허무주의를 극복하며 더욱 가치 있어진다고 한다. 동굴의 갇힌 포로가 아닌 태양처럼 빛나는 존재와 같이 '실존'에 이르는 삶의 아름다움은 바로 우리 곁에 있는 삶의 결을 느끼는 순간임을 기억하기를 ....
단테에 따르면, 모든 영혼은 세상의 사물들에 자연적으로 끌리는 성향을 가진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런 끌림을 가치 있는 삶 쪽으로 돌릴 수 있을까? -p229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접기
드림모노로그 2013-08-08 공감(12) 댓글(0)
Thanks to
공감
빛나는 모든 것들... 모든 것이 빛나는 건 아니었다.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이 책의 원제는 all things shining이다.
에필로그에서처럼 '빛나는 모든 것들'이 옳다.
모든 것은 빛난다는 말이 아니다.
아니, 오히려,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세상은 너무 구질구질하고 더럽기 짝이 없어졌다는 데 있었다.
이 책의 부제는 <허무와 무기력의 시대, 서양 고전에서 삶의 의미 되찾기>라고 되어 있다.
허무와 무기력의 시대라는데, 모든 것이 빛날 수 있겠는가?
아무리 허무하고 무기력한 시대라 해도, 빛나는 것들은 있게 마련이다.
이 책은 폐허처럼 우중충한 지구별에서 <아직 남아있는> 그런... '빛나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다.
스승님 : 제자들아. 이제 너희는 세상에 나가라.
세상의 모든 것들이 빛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면, 너희들의 인생은 복될 것이다.
........... (오랜 후)..........
제자 1 : 나는 세상에 있는 많은 빛나는 것들을 보는 법을 배웠지. 하지만 여전히 불행하네.
슬프고 실망스러운 것들 역시 많이 보았기에.
솔직히 모든 것들이 빛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없었으니 말이야.
제자 2 : 모든 것들이 빛나는 건 아니라네. 하지만 더없이 빛나는 것들은 존재하지.(에필로그)
이 책은 서양 고전의 몇 구절을 통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펼치려는 의도를 가진 책이다.
다시 말해, <서양 고전에서 삶의 의미>를 되찾고자 씌어진 책은 아니다.
부제인 'Reading the western classics to find Meaning in a Secular age'란 말은,
'세컬러'한 시대의 의미 찾기~인데, 세컬러의 의미는, 레귤러의 반의어로 <세속적인, 종교적이지 않은>이란 뜻이란다.
정해진 시각에 수도원 안에서 <레귤러>하게 규칙에 따라 의식을 행했던 반대쪽인,
세속의 <세컬러>는 종교적이지 않은~ 시대란 의미가 담겨 있음을 알아야 이 책의 뜻이 통한다.
서양 고전을 읽고 싶어하는 독자들이 이 책을 집어든다면, 뭥미? 하고 당황할 수 있겠다.
그건 순전히 책팔이들의 농간에 놀아난 결과이니 당황하지 않아도 된다.
이 책은 재미있는 부분도 많이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서양 고전을 읽고 싶어 하도록 만들어 주는 책이라고 착각하면 안 되지만,
그런 책이라면, 이미 '로쟈의 인문학 서재'나 강유원의 '인문 고전 강의'를 우리 문화는 가지고 있으므로,
이 책은 이 답답한 시대를 살아가는 해법의 하나로 고전 몇 권 읽기를 권할 따름이다.
특히 모비 딕을 열심히 읽게 하는데,
모비 딕을 떠올리면서 <스타 벅스>를 상상하게 된다.
우리가 멋도 모르게 입에 익혀버린 커피맛처럼,
세상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새로운 문화'에 접하게 된다.
서사시의 시대에는 인간이 신의 손아귀에서 놀아나는 모자란 존재~일 뿐이었고,
그리스 비극의 시대에는 인간의 모든 삶은 신들의 행위에 의한 결과~일 뿐이었다.
그 고대의 작품들에서 작가는 <퓌시스>라는 '반짝이는 생동감 넘치는 세계'를 본다.
그 세계는 <포이에시스>라는 '예술적 세계'로 반영되는데, 현대에서는 다양한 테크놀로지 등의 융합으로 이 세계가 단조롭게 한다.
그를 위해 작가는 <메타 포이에시스>의 삶을 제안한다.
<메타>란 것은 <기반>이 되는 구조나 <틀>을 읽어내는 시각인데, 그런 것들을 읽어내기 위해 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의미이리라.
이 책에는 장자의 <모든 고전은 찌꺼기>라는 이야기와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나는 무늬만 목재인 것들을 절대로 쓰지 않는 구식 일꾼들을 안다.
그들은 숙련된 일꾼은 결심 판사와도 같다는 것을 안다.
왜냐하면 나무는 대패나 도끼 아래서 이제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성질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나 자신의 손으로 느꼈기에 나의 눈으로 아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들 문외한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
하지만 실제 작업을 해본 사람들만이 그것을 안다.(356)
장자의 이야기에서는, 목수가 일의 진실된 고갱이는 말로 전해줄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마님이 읽는 책은 모두 <옛날에 죽은 사람들이 지껄인 찌꺼기>라고 했다는 것이다.
작가 역시 실제로 참여해 본 사람만이 몸으로 느낄 줄 아는 세계를 이야기한다.
그런데 그것은 삶의 진실에 다가가기 보다는, <장인적 기술>, <창작의 오묘함>을 드러내는 데 머무르는 인용이다.
장자보다 한참 격이 떨어지는 해석이다.
그리고 고전에 대한 인용에서 일관성 없이 프로 야구나 커피 등으로 널뛰는 이야기를 읽는 일은 싱겁기도 했다.
올해 최고의 책으로 꼽을 만한, 뜨겁고 아름다운 책.
이 책에서 강력하게 던진 질문은 우리가 어떻게 하면 허무주의와 싸우며 찬란하게 빛나는 삶을 살 수 있을까?
바로 그것이다.(뒤표지, '삶을 바꾸는 책 읽기' 저자)
이런 사람들이 싫다.
과연 이 책을 읽고나 이런 말을 썼던 걸까?
이 책이 정말 뜨겁고 아름다웠을까?
하긴, 저 사람은 이 책이 '빛나고' 뜨겁고 아름다웠을지 모르겠다.
그냥, 제목과 부제를 읽고 상상력을 발휘했을지도 모르겠다. 출판사의 서평 참고 자료를 읽고...
그거나 다 읽었을래나?
나는 그런 거 받으면 바로 버리는데... ㅋㅋ
이 책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은 6장의 모비 딕이다.
<서양 문학 속의 철학적 이슈 읽기>라는 팟 캐스트를 운영하고 있다 하니,
이 책은 그 강의를 어찌어찌 얽어매어 책으로 만든 느낌이다.
부제 그대로.... <레귤러>한 시대, 고대의 작품이나 중세의 작품과 비교하여,
<세컬러>한 시대, 현대의 작품을 읽어 보면서,
인간은 어떻게 파편화되어 왔는지를 철학적으로 읽어주는 내용이라,
철학적 기반이나 서양 고전에 대한 기본적 이해 없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닌 것 같다.
- 접기
글샘 2014-01-06 공감(10) 댓글(0)
Thanks to
공감
모든 것은 상황에 따라 빛난다? 새창으로 보기 구매
‘신은 죽었다’라는 말은 서구 중세를 지탱해오던 기독교적 세계관의 붕괴와 근대적 자아의 부상을 단정하는 니체의 유명한 문장이다. 이성과 개인의 자유의지를 중시하는 근대적 관점에 따르자면 현대인들은 수없이 많은 선택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에 비해 분명히 진보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신에게서 존재와 행위의 의미를 찾던 과거와 달리 현대인은 실존적 선택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의 참다운 동기를 찾기 어려우며 그로 인해 궁극적으로 허무주의에 빠져버릴 위험성을 껴안게 되었다는 저자의 지적은 전적으로 옳다. 이것은 21세기의 사회가 병원, 수용소, 공장 등으로 이루어진 푸코의 규율사회를 지나 개인 능력에 대한 무한한 긍정과 성과를 향한 강한 압박이 정신적·신체적 한계를 뛰어넘는 노동과 함께 끊임없는 노력만을 추구하여 개인에게 우울증을 초래하는 성과사회로 이행하였다는 한병철의 지적과도 일맥상통한다. 규율(≒신)이 없는 사회에서 개인은 자유롭지만 한편으로 너무 많이 펼쳐진 길 앞에서 피로감과 무기력을 느낀다. 또한 일찍이 카뮈는 신을 속인 대가로 끊임없이 굴러 떨어지는 바위를 산의 정상까지 밀고 올라가야 하는 시지포스의 상황에 빗대 인간 세상의 부조리를 표현한 바 있다. 성과사회이든 부조리이든 현대사회에서 개인에게 지우는 짐이 너무도 무겁다는 점에서 한병철과 카뮈, 드레이퍼스 및 켈리(이하 저자)의 지적은 일치한다.
신의 죽음으로 인해 모든 것이 허용된 결과 허무주의에 빠지는 현대인의 역설적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인 월러스는 하루 중 한 시간은 글쓰기에 할애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을 글을 쓰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보내는 사람이다. 그는 권태와 불안, 좌절이 지배하는 시대의 암울함을 온전히 이해하고 있는 지성인이지만 현실에 벽을 세우고 자신의 내면에 침잠하여 싸우는 초월적 존재가 되고자 하였고, 글쓰기라는 과제와 열렬히 투쟁하며 인내하였다. 저자는 월러스의 대응방식-인간이 신이 되어야 한다는 니체의 말을 실천에 옮긴 신의 현신(現身) 그 자체-보다 작가란 자신의 천재적 영감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길버트의 손을 들어준다. 그러나 월러스의 니체식 접근법과, 갑작스럽게 주어지는 신의 은총에 의존하는 길버트의 사고방식 사이에는 커다란 간극이 있다. 저자는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해 호메로스의 세계관을 끌어온다. 호메로스가 살던 고대 그리스는 다신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신들이 주는 빛에 응답하며 삶의 의미를 찾는 사회였다. 호메로스적 세계가 아이스킬로스부터 예수,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마르틴 루터, 데카르트, 칸트를 거쳐 니체가 말한 신의 죽음과 허무주의로 이어진다는 일련의 분석은 탁월하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호메로스 시대의 다신교적 믿음에서 드러나는 삶의 태도가 허무주의에 휩싸이기 쉬운 현대사회의 병폐를 극복할 하나의 방안이라고 착안하여 삶의 순간마다 마주치는 일상적 의미들을 성스럽게 가다듬고 균형을 갖춘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한다. 세상이 던지는 순간의 빛남, 성스러운 의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만이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커피 마시기를 성스러운 의식으로 행할 줄 알며, 이것이 허무주의와 무기력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길고 소중하기에 일상의 순간마다 가치를 찾고 감사함을 느끼는 태도는 굉장히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용 가능 여부 혹은 효용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허무주의의 극복 방식은 현대의 허무주의가 일상의 무기력한 반복과 권태로 인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허무주의에 대해 정의해 보자. 사전에서 허무주의는 ‘일체의 사물이나 현상은 존재하지 아니하고 인식되지도 아니하며 또한 아무런 가치도 지니지 아니한다고 주장하는 사상적 태도’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저자가 이야기하는 허무주의는 책의 맥락상 ‘일체의 사물이나 현상이 아무런 가치도 지니지 아니한다고 여기는 태도’라고 정리하면 정확할 것이다. 허무주의는 일상의 권태나 무기력에 의해서도 일어나지만 자신의 노력에서 벗어나 예상하지 못한 우연한 결과를 불가항력적으로 맞이하고 절망하는 경우 쉽게, 더 강렬하게 일어난다. 저자의 지적처럼 현대인은 자유의지의 가치와 위력을 신봉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선택으로 인한 결과가 의지와 노력이라는 개인이 의도할 수 있는 제어에서 벗어난다면, 우리는 어떠한 자세로 그 결과를 받아들여야 할까? 인생은 예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도에서 벗어난 우연한 결과는 삶의 순간순간에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는 개인이 취할 앞으로의 생활방식과 개인의 행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 질문에 저자는 답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표현해 누군가가 어렵게 합격한 회사 자리를 사장의 친지에게 빼앗겼다고 해보자. 이러한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적시에 성스러움을 얻기 위해 메타 포이에시스 기술을 갖춰야 해’라고 말해줄 수 있을까? 오히려 개인의 자유의지를 짓뭉개는 세계의 부당함에 대해 함께 분노해주는 것이 당사자에게 위안과 일시적인 행복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수년 간 임용고사 혹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며 지쳐 있는 지인들을 떠올리며 과연 그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줄 수 있을지 고민을 하였다. 또, 최저 생계비로 하루를 나며 캔 참치를 사 먹고 남는 돈으로 신문까지 사보며 황제가 된 기분을 느꼈다는 모 의원을 떠올린 것은 내가 지나치게 삐딱하기 때문일까. 영화 「기생충」에서 폭우가 내린 다음 날 파티를 열어 미세먼지 없는 청정한 하늘을 만끽하는 ‘동익’과 ‘연교’는 저자가 설파하는 메타 포이에시스를 그대로 실현한다. 그들에게는 그럴 만한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폭우 속 반지하에서 역류하는 변기 위에 앉아 담배만 피우는 ‘기정’에게 필요한 것은 일상에서 빛남을 찾으라는 저자의 말보다 독한 세상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니체의, 에이헤브 선장의 강한 의지일 것이다. 물론 이 책의 에필로그에서 말하듯 모든 것들이 빛나는 것은 아니고 더없이 빛나는 것들은 존재한다. 일상에서 그러한 태도가 필요한 때가 있다. 하지만 더 어울리고 적용가능한 시기가, 특정 계층이 있다는 말이다.
철학이 삶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담고 있고 삶을 올바르게 살아갈 관점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일상의 빛남을 찾으라는 저자의 논의가 지니는 의의는 명확하다. 우리는 철학이 삶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만능열쇠가 아니라는 점을 숙지해야 하며, 더 나은 삶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끝내서는 안 된다. 결국 저자의 논의는 명확한 신념 체계가 정립되지 않아 불안을 느끼는 현대인의 현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였으나 우리에게 정답을 제시해준 것은 아니며, 다양한 삶의 방식 가운데 하나의 관점을 제시해주었다는 데에서 의미를 지닐 것이다.
- 접기
huckebein 2020-03-24 공감(7) 댓글(1)
Thanks to
공감
모든 것은 빛난다 새창으로 보기
문득 삶의 지혜와 진리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본다.살아온 과거를 되돌아 보면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요즘과 같이 사교육,선행학습 등의 풍요로운 교육의 혜택을 받지는 못했다.돌이켜 보면 국민학교 들어가기 전에는 '국민교육헌장'이라는 것을 암기했고 구구단을 모두 외웠다.국민학교 전반부는 유신시절이었고 대의원선거가 있었다는 점이 기억에 남는다.나아가 잘 살아 보세라는 기치를 내건 '새마을 운동'으로 아침마다 풀뽑고 청소를 해야 했다.간간히 벽보에는 현상금을 내건 간첩 및 간첩선 제보가 눈에 띄었다.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지만 육영수여사의 저격사건,박정희대통령의 암살사건 등까지 내가 기억하는 한국사회는 밝고 희망찬 분위기보다는 획일적인 흑백의 논리가 팽배했다는 점이다.게다가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선생님이 시험에 대한 힌트를 주는 달달한 시험이 과연 정신적 근육을 높였는가는 의문이다.교과서와 참고서,문제집이 학창시절의 전부였다고하면 지나친 것일까.요즘과 같이 독서록을 이용한 독서강화 및 토론중심의 교육이 어린시절부터 몸에 익혔더라면 나와 타인을 제대로 이해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과 자신만의 인문학적 소양을 넓혀 갈 수가 있지 않았을까 한다.교육은 백년지대계이기에 가정,학교,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전인교육의 장을 실천적으로 이행해 나가려는 노력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스레 깨닫는다.
1980년대 초 학생들의 민주화 운동,군부독재타도로 인해 대학가는 하루가 멀다 하고 투석전과 최루탄이 난무하고 부상자,희생자들이 속출했다.사상과 이념의 갈등을 넘어 대한민국에 사는 민주시민으로서 말 할권리,표현할 권리를 줄기차게 요구하여 미미하나마 아름다운 민주정치의 결실을 이룩했던 것이다.그런데 첨단산업 즉 IT산업,GPS와 항법장치가 발달하고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국토의 산허리는 하루가 멀다하고 파괴되면서 새로운 지도를 만들어 갔다.베이비붐 세대로 불리는 이들이 대학을 나와 원하는 직장에 속속 들어가면서 산업역군으로서 경제성장의 초석을 마련했으며 이제는 그 세대들이 사회의 현역에서 퇴역의 초입에 놓여 있다.산업화는 도농간을 갈라 놓았으며 사람이 사람답게 대하고 정을 나누던 공동체는 일시에 무너지고 말았다.회색빛 건물과 하얗게 빛나는 창들이 돈으로 환산되는 현대사회에서 사람을 사람답게 대하는 것은 사막에서 물을 만나는 격과 같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기계와 물질의 노예로 전락하고 말았다.더욱 가슴 아픈 것은 신자유주의가 낳은 시장중심주의 및 기업친화적인 정책이다.이로 인해 사회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가 되고 사회구성원간의 위화감 및 불신감은 고조되어 간다.부와 권력의 정점에 있는 몇 퍼센트의 소수계층이 다수를 지배하면서 그들의 부와 권력을 분배하지 않으려는 오만과 고압적인 분위기 조성이 사회문제를 낳고 있다.
현대를 '허무주의의 시대'라고 말들을 한다.다신주의,다원주의,개인의 표현과 창의가 표면적으로 존중을 받고 있지만 개개인은 무엇에 의지하여 삶을 풍요롭고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 나가야 할 지를 모른채 망망대해에서 허둥지둥하면서 삶을 무기력하게 보내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기만 하다.물질적으로 풍요롭지만 삶의 체감지수는 그리 높지 않은게 실정이다.돈이 돈을 낳듯 갖은 자들만의 향연이라고 해도 지나친 표현은 아닐 것이다.하루 하루를 힘겹게 살아가는 이들에게 희망과 기대,설레임을 안겨 줄 국가의 복지정책과 일자리 창출 등이 쏟아져 나오기를 바라마지 않는다.사람들의 마음과 표정에는 망설임과 기다림,무표정과 상실,슬픔과 불안의 시간이 긴 터널 속에 갇혀져 있는 느낌이다.이렇게 절망과 상실의 시대에 놓여 있는 너와 나는 과연 어떠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야만 할 것인가.서양의 고전적인 철학서와 문학작품들 속에는 비록 은유적이지만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줄 뭔가가 담겨져 있다는 생각도 든다.고대 서양의 철학과 중세 유일신으로 여겨지는 종교철학이 근대에 들어오면서 '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표현과 같이 유일신을 믿는 풍조가 사라지고 개인이 믿는 만큼 개인의 발전과 사회는 돌아간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다.이렇게 과거의 삶의 방식으로는 현대의 삶을 지탱해 나갈 수가 없고 다신주의 및 다원화 되어 가는 시대에서는 인간중심,주제 중심주의를 부르짖을 수도 없다.
휴버트 드레이퍼스저나는 미국의 현대철학가로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다.그는 삶의 의미를 밝히는 성스러움을 세 가지 차원에서 찾고 있다.생성과 소멸,드러남과 사라짐의 교차인 자연 즉 퓌시스,없던 것을 있게 만드는 기술 즉 인간의 제작술을 뜻하는 창작인 포이에시스,그리고 메타 포이에시스는 퓌시스,포이에시스,테크놀로지 가운데 어느 하나에 얽매이는 것이 아닌 그들 사이에서 절묘한 균형을 잡는 기술이고,상황에 따라서는 다른 것으로 부단히 옯겨 다닐 수 있는 재치와 기민성,기술을 의미하기도 한다.예를 들어 군중과 하나가 되어 일체감을 형성했다가도 어느 순간 냉철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능력이고,열광적으로 흠모했던 인물이라도 그 인물의 좋고 나쁜 점을 빨리 간파하여 분별하는 안목을 갖는 것이다.저자는 메타 포이에시스가 현대인이 추구해야 할 삶의 의미이고 가치라고 조언하고 있다.삶은 누구의 강요에 의해 선택되고 결정되어 가는 아닌 만큼 개인의 삶의 목표를 부단히 추구하되 의미와 가치는 신으로 표현되는 인간 이외의 타자 내지 자연과 함께 다수의 주체가 어우러지는 과정에서 의미는 생성되고 발견할 수가 있다는 것을 깊게 공감한다.복잡다단하고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들끼리 소통하고 문화를 공유하는 중요한 까닭이 여기에 있고 작지만 파장이 긴 목소리가 삶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 같다.이 글이 고대,중.근대의 철학사상과 종교철학이 담겨져 있어 다소 난해함과 고루함이 없지는 않았다.다행히 역사적인 사상과 이념의 변모전개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데 소중한 디딤돌이 되었고 성스러운 세 차원인 자연,창작,절묘한 균형 기술이야말로 소중한 가르침이기도 하다.
- 접기
우보 2013-08-10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