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30

Val Plumwood - Wikipedia

Val Plumwood - Wikipedia

Val Plumwoo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Val Plumwood
Val Plumwood, 1990 (cropped).jpg
Plumwood in 1990
Born
Val Morell

11 August 1939
Died29 February 2008 (aged 68)
Braidwood, Australia
Other namesVal Routley
Education
ThesisWomen of the Mysterious Forest: Women, Nature, and Philosophy, an Exploration of Self and Gender in Relation to Traditional Dualisms in Western Culture[3]
Known forEcofeminism
Notable work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1993)[4]
MovementEcological humanitiesecosophy
Spouse(s)John Macrae
Richard Sylvan

Val Plumwood (11 August 1939 – 29 February 2008) was an Australian philosopher and ecofeminist known for her work on anthropocentrism. From the 1970s sh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radical ecosophy. Working mostly as an independent scholar, she held positions at the University of Tasmania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Montana, and the University of Sydney, and at the time of her death was Australian Research Council Fellow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5] She is included in Routledge's Fifty Key Thinkers on the Environment (2001).[6]

Plumwood spent her academic life arguing against the "hyperseparation" of humans from the rest of nature and what she called the "standpoint of mastery"; a reason/nature dualism in which the natural world—including women, indigenous people, and non-humans—is subordinated.[7][8]

Between 1972 and 2012, she authored or co-authored four books and over 100 papers on logicmetaphysics, the environment, and ecofeminism.[9] Her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1993) is regarded as a classic, and her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2002) was said to have marked her as "one of the most brilliant environmental thinkers of our time".[10] The Fight for the Forests (1973), co-authored with the philosopher Richard Sylvan, Plumwood's second husband, was described in 2014 as the most comprehensive analysis of Australian forestry to date.[11]

Plumwood's posthumously published The Eye of the Crocodile (2012) emerged from her survival of a saltwater crocodile attack in 1985, first described in her essay "Being Prey" (1996).[12] The experience offered her a glimpse of the world "from the outside", a "Heraclitean universe" in which she was food like any other creature. It was a world that was indifferent to her and would continue without her, where "being in your body is—like having a volume out from the library, a volume subject to more or less instant recall by other borrowers—who rewrite the whole story when they get it".[13]

Early life and education[edit]

Plumwood and Sean Kenan, 1987

Plumwood was born Val Morell to parents whose home was a shack with walls made of hessian sacks dipped in cement. After obtaining a land grant, her parents had set up home in the Terrey Hills, near the Ku-ring-gai Chase National Park, north of Sydney. Her father worked at first as a hod carrier, then started a small poultry farm. According to Martin Mulligan and Stuart Hill, the beauty of the area made up for Plumwood's lack of toys.[14]

The poultry farm failed, and when she was ten the family moved to Collaroy, another northern Sydney suburb, where her father found work in the civil service.[14] They moved again to Kogarah in southern Sydney.[14] Plumwood attended St George Girls High School in Kogarah, where she was dux of the school.[15] Offered a Commonwealth Scholarship to attend the University of Sydney, she turned it down for a Teacher's Scholarship instead, also at Sydney—her parents wanted her to do something practical—although she soon became interested in philosophy.[16][17]

Plumwood's studies were interrupted in 1958 by her brief marriage to a fellow student, John Macrae, when she was 18 and pregnant, a marriage that had ended in divorce by the time Plumwood was 21.[16][17] The couple had two children, both of whom died young. Their son, John Macrae, was born when Plumwood was 19 and died in 1988 after an illness. Their daughter, Caitlin Macrae, born in 1960 and given up for adoption when she was 18 months old, was murdered in her teens.[16][18][19] Plumwood resumed her studies at Sydney in 1962, this time with a Commonwealth Scholarship to study philosophy, and graduated with first-class honours in 1964.[16]

Personal life and activism[edit]

Plumwood, fourth from the left, 2004, at the home she built with Richard Sylvan near Plumwood Mountain

Toward the end of her undergraduate studies Plumwood married another fellow student, the philosopher Richard Sylvan (then known as Richard Routley), and changed her name to Val Routley.[17] They spent time travelling in the Middle East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included living near a beech forest in Scotland for a year.[17] Returning to Australia, they became active in movements to preserve biodiversity and halt deforestation, and helped establish the trans-discipline known as ecological humanities. Referred to as Routley and Routley, from 1973 to 1982 they co-authored several notable papers on logic and the environment, becoming central figures in the debate about anthropocentrism or "human chauvinism". Together they wrote the influential book The Fight for the Forests (1973), which analysed the damaging policies of the forestry industry in Australia. The demand for the book saw three editions published in three years.[20]

In 1975 the couple built their home near Plumwood Mountain on the coast, 75 km from Canberra, an octagonal stone house on a 120-hectare clearing in a rainforest.[21] They divorced in 1981. Plumwood continued living in the house and changed her name again after the divorce, this time naming herself after the mountain, which in turn is named after the Eucryphia moorei tree. Routley changed his surname to Sylvan ("of the forest") when he remarried in 1983; he died in 1996.[4]

Plumwood held positions at the University of Tasmania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Montana, and the University of Sydney. At the time of her death, she was Australian Research Council Fellow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he was found dead on 1 March 2008 in the house she had built with Sylvan; she is believed to have died the previous day, after suffering a stroke.[5][22]

Views[edit]

Human/nature dualism[edit]

Plumwood (right) and Sky Kidd, 2007

Plumwood's major theoretical works are her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1993) and her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2002).[9] She critiqued what she called "the standpoint of mastery", a set of views of the self and its relationship to the other associated with sexismracismcapitalismcolonialism,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This set of views, she argued, involves "seeing the other as radically separate and inferior, the background to the self as foreground, as one whose existence is secondary, derivative or peripheral to that of the self or center, and whose agency is denied or minimized."[6]

She identified human/nature dualism as one of a series of gendered dualisms, including "human/animal, mind/body ... male/female, reason/emotion, [and] civilized/primitive", and argued for their abandonment, as well as that of the Western notion of a rational, unitary, Cartesian self, in favour of an ecological ethic based on empathy for the other. In doing so, she rejected not only the "hyperseparation" between self and other, and between humanity and nature, but also postmodern alternatives based on a respect for absolute difference, and deep ecological alternatives based on a merging of the self and the world. Instead, she proposed a view that recognizes and grounds ethical responsibility in the continuities and divisions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6]

Plumwood was a vegetarian, her affirmation of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predation notwithstanding, on account of her objection to factory farming.[12] She advocated a semi-vegetarian position she labelled Ecological Animalism, in opposition to the animal rights platform of Carol J. Adams, which Plumwood called ontological veganism and which she criticised for its endorsement of human/nature dualism.[23]

Crocodile attack[edit]

In "Human vulner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1995), Plumwood describes how she survived an attack by a saltwater crocodile on 19 February 1985, and her experience of a paradigm shift from what she called the "individual justice universe", where humans are always the predators, to the "Heraclitean universe", where we are just another part of the food chain.[12] During a visit to Kakadu National Park, Plumwood had camped at the East Alligator ranger station and borrowed a four-metre-long fibreglass canoe from Greg Miles, the park ranger, to explore the East Alligator Lagoon.[24][25]

When I pulled my canoe over in driving rain to a rock outcrop rising out of the swamp for a hasty, sodden lunch, I experienced the unfamiliar sensation of being watched. Having never been one for timidity, in philosophy or in life, I decided, rather than return defeated to my sticky caravan, to explore a clear, deep channel closer to the river I had travelled along the previous day. ... I had not gone more than five or ten minutes back down the channel when, rounding a bend, I saw ahead of me in midstream what looked like a floating stick – one I did not recall passing on my way up. As the current moved me toward it, the stick appeared to develop eyes.

Crocodiles do not often attack canoes, but this one started lashing at it with his tail. Plumwood grabbed some overhanging branches, but before she could pull herself up, the crocodile seized her between the legs and dragged her under the water, a "centrifuge of whirling, boiling blackness, which seemed about to tear my limbs from my body, driving waters into my bursting lungs."[12]

The crocodile briefly let her go, then seized her again, subjecting her to three such "death rolls" before she managed to escape up a steep mud bank. Despite severe injuries – her left leg was exposed to the bone, and she found later that she had contracted melioidosis – she began walking, then crawling, the three kilometres to the ranger station. The park ranger had gone searching for her when she failed to return by nightfall and heard her shout for help. She underwent a 13-hour trip to the hospital in Darwin, where she spent a month in intensive care followed by extensive skin grafts.[12][26][27] The canoe is now in the National Museum of Australia.[25]

The experience gave Plumwood a glimpse of the world "from the outside", a world that was indifferent to her and would continue without her: "an unrecognisably bleak order" – "As my own narrative and the larger story were ripped apart, I glimpsed a shockingly indifferent world in which I had no more significance than any other edible being. The thought, This can't be happening to me, I'm a human being. I am more than just food! was one component of my terminal incredulity. It was a shocking reduction, from a complex human being to a mere piece of meat. Reflection has persuaded me that not just humans but any creature can make the same claim to be more than just food. We are edible, but we are also much more than edible."[12][n 1] She argued that our anthropocentric view, the "individual justice universe", is disconnected from reality:

[I]n the individual justice universe the individual subject's universe is like the person-as-the-walled-moated-castle-town. It is under constant siege and desperately, obsessively seeking to keep the body—this body made out of food—away from others and retain it for ourselves alone. Of course we know the walled-moated castle will fall in the end but we try to hold off the siege as long as possible while seeking always more and better siege-resisting technology that will enable us to remain self-enclosed.

In the individual/justice universe you own the energy volume of your body absolutely and spend much of that energy defending it frantically against all comers. Any attempt by others at sharing is regarded as an outrage, an injustice, that must be resisted to the hilt (consider our reaction to the overfamiliar gatecrashers at our high-class feast—mosquitoes, leeches, ticks. These outrage our proprietary sensibilities). In the other, Heraclitean universe, being in your body is more like having a volume out from the library, a volume subject to more or less instant recall by other borrowers—who rewrite the whole story when they get it.[29]

Selected works[edit]

Books[edit]

  • (2012) The Eye of the Crocodile, edited by Lorraine Shannon.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E Press.
  • (2002)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Abingdon: Routledge.
  • (1993)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1982) with Richard Routley, Robert K. Meyer, Ross T. Brady. Relevant Logics and Their Rivals. Atascadero, CA: Ridgewood Publications.
  • (1973) with Richard Routley. The Fight for the Forests: The Takeover of Australian Forests for Pines, Wood Chips and Intensive Forestry.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rticles[edit]

  • (2009) "Nature in the Active Voice"Australian Humanities Review, 46, May 2009.
  • (2003) "The Fight for the Forests Revisited", paper delivered to Win, Lose or Draw: the Fight for the Forests? A Symposium, Old Canberra Hous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4 October 2003.
  • (2003) "The Politics of Reason: Toward a Feminist Logic", in Rachel Joffe Falmagne, Marjorie Hass (eds.), Representing Reason: Feminist Theory and Formal Logic.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2003) "Feminism and the Logic of Alterity", in Falmagne and Hass, op cit.
  • (1995) "Human vulner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Quadrant, 29(3), March 1995, pp. 29–34; also as "Being Prey"Terra Nova, 1(3), 1996.
  • (1993) "The politics of reason: Towards a feminist logic".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71(4), pp. 436–462. doi:10.1080/00048409312345432
  • (1991) "Gaia. Good for Women?Refractory Girl, 41, pp. 11–16; also in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on Women and Philosophy, April 1991.
  • (1991) "Ethics and Instrumentalism: a response to Janna Thompson". Environmental Ethics, 13, pp. 139–149.
  • (1991) "Nature, Self, and Gender: Feminism,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the Critique of Rationalism". Hypatia, 6(1), March 1991, pp. 3–27. doi:10.1111/j.1527-2001.1991.tb00206.x JSTOR 3810030
  • (1989) "Do we need a sex/gender distinction?" Radical Philosophy, 51, pp. 2–11.
  • (1988) "Women, humanity and nature". Radical Philosophy, 48, pp. 16–24, reprinted in S. Sayers, P. Osborne (eds.). Feminism, Socialism and Philosophy: A Radical Philosophy Reader. London: Routledge, 1990.
  • (1986) "Ecofeminism: An Overview and Discussion of Positions and Arguments".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64, supplement 1, pp. 120–138. doi:10.1080/00048402.1986.9755430
  • (1986) with Richard Routley. "The 'Fight for the Forests' affair", in Brian Martin et al. (eds.). Intellectual Suppression. Sydney: Angus & Robertson, pp. 70–73.
  • (1985) with Richard Routley. "Negation and contradiction"Revista Colombiana de Matematicas, 19, pp. 201–231.
  • (1982) "World rainforest destruction – the social factors". Ecologist, 12(1), pp. 4–22.
  • (1980) "Social theories, self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D. S. Mannison, M. A. McRobbie & Richard Routley (eds.). Environmental Philosophy.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p. 217–332.
  • (1980) with Richard Routley. "Human Chauvinism and Environmental Ethics", in D. Mannison, M. McRobbie and R. Routley (eds.). Environmental Philosophy.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 Monograph Series RSSS, pp. 96–189.
  • (1978) with Richard Routley. "Nuclear energy and obligations to the future". Inquir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hilosophy, 21(1–4), pp. 133–179. doi:10.1080/00201747808601840
  • (1975) "Critical notice of Passmore's Man's Responsibility for Nature".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53(2), pp. 171–185.
  • (1972) with Richart Routley. "The Semantics of First Degree Entailment". Noûs, 6(4), November, pp. 335–359. JSTOR 2214309

See also[edit]

References[edit]

Notes[edit]

  1. ^ Val Plumwood, 2012: "This was a strong sense, at the moment of being grabbed by those powerful jaws, that there was something profoundly and incredibly wrong in what was happening, some sort of mistaken identity. My disbelief was not just existential but ethical—this wasn’t happening, couldn’t be happening. The world was not like that! The creature was breaking the rules, was totally mistaken, utterly wrong to think I could be reduced to food. As a human being, I was so much more than food. It was a denial of, an insult to all I was to reduce me to food. Were all the other facets of my being to be sacrificed to this utterly undiscriminating use, was my complex organisation to be destroyed so I could be reassembled as part of this other being? With indignation as well as disbelief, I rejected this event. It was an illusion! It was not only unjust but unreal! It couldn’t be happening.
    "After much later reflection, I came to see that there was another way to look at it. There was illusion alright, but it was the other way around. It was the world of ‘normal experience’ that was the illusion, and the newly disclosed brute world in which I was prey was, in fact, the unsuspected reality, or at least a crucial part of it."[28]

Citations[edit]

  1. ^ Hyde, Dominic (2014). Eco-Logical Lives. The Philosophical Lives of Richard Routley/Sylvan and Val Routley/Plumwood. Cambridge: White Horse Press. p. 51. ISBN 978-1874267799.
  2. ^ Hyde 2014, p. 58.
  3. Jump up to:a b Hyde 2014, p. 186.
  4. Jump up to:a b Mathews, Freya (26 March 2008). "Val Plumwood"The Guardian.
  5. Jump up to:a b "Val Plumwood (11 August 1939 – 29 February 2008)"International Society for Environmental Ethics.
  6. Jump up to:a b c Griffin, Nicholas (2001). "Val Plumwood, 1939-", in Joy Palmer (ed.). Fifty Key Thinkers on the Environment. London: Routledge, pp. 283–288.
  7. ^ Mulligan, Martin; Hill, Stuart (2001). Ecological Pioneers: A Social History of Australian Ecological Thought and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74–300ISBN 0-521-81103-1.
  8. ^ Davion, Victoria (Fall 2009). "Introduction", Ethics and the Environment, 14(2), Special Issue on Ecofeminism in Honor of Val Plumwood. JSTOR 10.2979/ete.2009.14.2.1
  9. Jump up to:a b "Val Plumwood", Social and Political Theory Program, Research School of Social Scienc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rchived 21 November 2008.
  10. ^ Hallen, Patsy (Autumn 2002). "Review: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by Val Plumwood", Ethics and the Environment, 7(2), pp. 181–184. JSTOR 40339041
  11. ^ Gelonesi, Joe (20 April 2014). "Two lives, green and logical" (audio). "The Philosophers Zone". ABC, c. 00:03:10; also see Hyde 2014, pp. 19–21.
  12. Jump up to:a b c d e f Plumwood, Val (March 1995). "Human vulner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Quadrant, 29(3), pp. 29–34 (courtesy link).

    Also published as Plumwood, Val (2000). "Being Prey". In O'Reilly, James; O'Reilly, Sean; Sterling, Richard (eds.). The Ultimate Journey: Inspiring Stories of Living and Dying. San Francisco: Travelers' Tales. p. 128ffISBN 1-885211-38-4.

  13. ^ Plumwood, Val (2012). Shannon, Lorraine (ed.). The Eye of the Crocodile.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E Press. p. 35. ISBN 9781922144171.
  14. Jump up to:a b c Mulligan & Hill 2001, p. 282.
  15. ^ Saunders, Alan (15 March 2008). "Philosophy and the Natural World - Val Plumwood", "The Philosophers Zone", ABC (audio, c. 2:40 mins.
  16. Jump up to:a b c d Hyde 2014, p. 50.
  17. Jump up to:a b c d Mulligan & Hill 2001, p. 283.
  18. ^ Mathews, FreyaRigby, Kate; Rose, Deborah (2012). "Introduction", in Plumwood 2012, p. 4.
  19. ^ For the children's names, see McGuirk, Rod (8 March 2008). "Val Plumwood, 68, feminist, activist for the environment", Associated Press.

    For the son dying in 1988 and Plumwood tending his grave, see Plumwood, Val (2007). "The Cemetery Wars: Cemeteries, Biodiversity and the Sacred", in Martin Mulligan and Yaso Nadarajah (eds.). Local-Global: identity, security and community, 3(7), (pp. 54–71), pp. 58–59.

  20. ^ Rose, Deborah Bird (2013). "Val Plumwood’s Philosophical Animism: attentive interactions in the sentient world"Environmental Humanities, 3, (pp. 93–109), p. 94; Mulligan & Hill 2001, pp. 281–283.
  21. ^ Hyde 2014, pp. 85–87.
  22. ^ "Snake blamed as academic found dea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3 March 2008.
    "Val Plumwood died of natural causes: frien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6 March 2008.

    Woodford, James (8 March 2008). "Philosopher as prey, a life of survival"Sydney Morning Herald.

  23. ^ Plumwood 2012, p. 78.
  24. ^ Hyde 2014, p. 7.
  25. Jump up to:a b "Val Plumwood canoe",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26. ^ Val Plumwood. "Taken by a crocodile", as told to Michelle Hamer, The Age, 12 January 2004.
  27. ^ Hyde 2014, p. 12.
  28. ^ Plumwood 2012, pp. 11–12.
  29. ^ Plumwood 2012, p. 35.

Further reading[edit]

External links[edit]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 The New Twenties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 The New Twenties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WEBSITE
TWITTER


Paisley Conrad

WHEN VAL PLUMWOOD WAS NEARLY CONSUMED BY A CROCODILE, THE EXPERIENCE DEMONSTRATED TO HER THE FUNDAMENTAL EDIBILITY OF THE HUMAN


IN 1985, AUSTRALIAN eco-feminist Val Plumwood was almost eaten alive by a crocodile. Ten years later, she published “Human Vulner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Prey,” a detailed and shocking account of her survival. The story goes that she finds herself paddling on a particular river during a heavy storm. She sees what looks like a stick floating stubbornly in the water before realizing that the stick has a set of gleaming marble eyes. Their paths converge, and she attempts to flee. The crocodile grabs her by the leg, drags her into the water, and rolls over, attempting to drown her. The crocodile death roll is an experience that few survive, as it simultaneously batters and drowns the prey. Plumwood experienced the roll not once, not twice, but three times, managing to pull herself to safety on the third. Adrenaline and bush knowledge propelled Plumwood forward until she was found by a search party. Ultimately, she survived, and was left with a glow of gratitude for her life, as well as the knowledge that she remains crocodile food.




As Plumwood narrates her experience of being the prey of an errant crocodile, she proposes that the experience demonstrated to her the fundamental edibility of the human. Counter to a conception of the human as the top of the food chain (or perhaps, as separate from it entirely), Plumwood recognizes herself as entangled in the thick of it and ultimately suggests that we humans must recognize that we are prey. Consumption is the orienting force of her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o be alive. We eat. We are eaten. Understanding ourselves as fundamentally edible is not necessarily a movement towards self-objectification, but perhaps we need a little self-objectifi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world that we live in.

Plumwood recounts the undoing of her “delusion” of her “invincible” self which “splits apart” as the crocodile drags her into the water. Later, she looks down and sees her thigh ripped open, exposing her tendons and muscles to the elements. Plumwood is not only the witness of the crocodile’s attack but the abjectness of her body. Her encounter with her own exposed body articulates how she is equally meat and soul, flesh and thoughts.

Plumwood does not see herself as outside of nature or separate from nonhuman animals. Rather, she argues that we actively resist acknowledging our own vulnerability to preserve a sense of invincibility. Recognizing our fragility and edibility threatens the continuity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in modern society. In the throes of the crocodile’s roll, she sees the world as “incomprehensible” and describes how she loses “the narrative of the self.” In this external, parallel view, she sees the natural world as fundamentally indifferent to her as an individual. She comes to grips with her own vulnerability as a settler subject in a land whose custodians did not grant her permission to traverse.


ADVERTISEMENT




Plumwood’s account leaves room for the ambiguous perception of the crocodile. While she attempts to psychologize the crocodile later in the essay, casting it as confused and defensive, the motives of the crocodile remain unknown. Indeed, it is impossible to ascribe motive to the crocodile. What is intelligible about the encounter is that the crocodile is indifferent to Plumwood’s uniqueness as a human, as an adventurer. She is either food or a threat to the crocodile, both generic categorizations that undermine her “specialness.”

Ten years prior to Plumwood’s terrifying encounter, Steven Spielberg’s adaptation of Peter Benchley’s novel Jaws (1975) was released to general and enduring critical acclaim. The now-familiar story of Jaws details a New England island plagued by vicious attacks of a great white shark. The film is a dense two hours of tension and foreboding, as the narrative shifts from the shark stalking the humans to the humans stalking the shark. The film’s central trio — local police chief Martin Brody, shark hunter Peter Quint and oceanographer Matt Hooper — find themselves in an unlikely alliance as they attempt to make the waters safe for the community again.

Part of the horror of Jaws stems from the strangeness of the great white’s presence in the waters at all—while some breeds of shark do frequent that region of the Atlantic Ocean, Hooper notes that its presence is “extremely rare.” The great white is not supposed to be there. Thus, the film introduces an undercurrent of an ecological imbalance or irregularity. Flashing forward to 2020, the waters along the coast of New England regularly see great white sharks due to rising ocean temperatures. Galeophobia, the fear of sharks, is not simply a straightforward fear of death but a fear of becoming prey within the waters that you play in.




The shark, while likely initially driven by hunger, is not characterized as purely animalistic. In fact, this shark is calculating, even malicious. He expertly evades capture, taunting his would-be captors, while picking off the residents in town who would most likely raise an uproar or some sort of reaction, including Harry Kinter, a child caught while swimming leisurely on a sunny day. Early in the film, Mayor Larry Vaughn balks at Hooper’s suggestion to perform an ad-hoc autopsy on a shark: “I am not going to stand here and see that thing cut open and see that little Kintner boy spill out all over the dock!”. Worse than the child’s death is coming to grips with the circumstances of his death, that he has been turned from sweet child to anonymous meat.

Hunting the shark, then, is a real risk that acknowledges the possibility that anyone can become shark food. The film’s horror does not work because you imagine yourself as the relentless Quint or the cleareyed Chief Brody. Instead, Jaws’ horror works on the audience immediately because you recognize your own vulnerability in the mangled body of Chrissie Watkins, skinny dipping with reckless abandon in the first scene of the film.

Thus, there are two perceived ecological imbalances present in Jaws — the presence of the shark outside of its traditional territory, and the thing about humans being a part of the food chain. The second imbalance leads to the recognition that humans are edible, we are a part of the food chain, no matter how carefully we have tried to remove ourselves from it.

I don’t want to suggest that we open ourselves up to being eaten alive by apex predators — I, like Chief Brody, want to protect my communities and be protected. However, by recognizing that, like all living things, we are a part of a cycle and exchange with our environments, despite various attempted deliberate removals from it, our ethical entanglement with the natural world becomes unignorable. I’m reminded of Donna Haraway’s maxim to stay with the trouble. Haraway, a prominent feminist and theorist, urges us to make ‘kin’ with that which is creepy-crawly, abject, not recognizably lovable. I’m sure this can be extended to the shark, who was in the wrong place at the wrong time. Plumwood herself wonders if her experience with the crocodile was catalyzed by the extremity of the weather.


ADVERTISEMENT




Cut to Orca, a Canadian film released on the heels of Jaws. In November, fellow co-op member Neil Griffin wrote a fantastic review of this bombastic Canadian horror film. The story unfolds as the eponymous orca, bereft by the loss of his pregnant mate at the hands of Nolan, a local fisherman trying to pay off his boat, takes explicit and ingenious revenge on both Nolan and the town he inhabits. Orca repeatedly reinforces the orca’s ingenuity and cleverness, as he sets off a chain reaction that, in Neil’s words, “blow[s] up a fuel refinery.” Unlike in Jaws, the orca is not hungry for human flesh — instead, he actively conspires against Nolan to create distinctly human discomfort and pain. The humanity of the orca (and the recognition of his pain as a widower) makes this an interesting film — the character we root for is not the poor fisherman whose narrative we follow but the spurned orca, looking for revenge.

Like Plumwood and her confused crocodile, Orca humanizes its central monster. Perhaps this movement is not strictly anthropomorphizing the animal but instead considering the ways in which we are kin with predators. Plumwood herself considers whether or not the crocodile’s actions could be considered political; after all, "human beings are a threat to crocodiles, of a more dire kind than crocodiles are to human beings, through the elimination of habitat." Human activity threatens the orca, who responds to that threat in kind. Nolan, after all, is a predator in his own right, disregarding any sense of morality to capture the pregnant orca in the first place. The orca doesn’t start the fire, he merely stokes it, before ultimately putting it out himself. Likewise, Jaws is a film that details the disruption of habitat, or rather, the extension of habitat. The shark is in the wrong waters through no fault of his own — we can thank rising ocean temperatures for that.




Val Plumwood’s prescient placement — or re-placement — of the human within the food chain runs counter to the myth of human exceptionalism. While current food systems in urban centres radically alienate us from the production and cultivation of our food sources, this merely withholds from us what it means to be edible. We too can be eaten with in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codile or the shark, who may be hungry or confused, but still would not hesitate to place its jaws around us. These films challenge the narrative of human exceptionalism, yet Jaws ultimately falls prey to it through the triumphs of its hero. As Chief Brody manages to explode the great white using a scuba tank and a rifle, he removes himself from the food chain and becomes the apex predator himself. However, the film articulates the intense vulnerability of both our environments and ourselves. Ecological instability is everyone’s problems—and yes, that everyone extends to our nonhuman kin.

조성환 기후변화 시대 인간의 위상 – 다른백년

기후변화 시대 인간의 위상 – 다른백년
조성환의 [K-사상사]
기후변화 시대 인간의 위상조성환 2022.07.29 0 COMMENTS






“지구민주주의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지구 가족의 일원이고, 우리가 동물이라는 것을 자각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 (Vandana Shiva, “Earth Democracy : Sustainability, Justice, and Peace” (2019)



벌레가 사람을 먹는다

서래 : 개미가 사람을 먹어요?

해준 : 맨 먼저 똥파리가 나타나요. 낮이건 밤이건 10분 안에 도착해요. 피와 분비물을 먹은 다음에 상처나 인체의 모든 구멍에 알을 낳아요. 거기서 구더기가 나오면 그걸 먹으려고 개미가 모이죠. 그 다음에 딱정벌레하고 말벌들…. 그것들이 사람을 나눠 먹습니다.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오는 대사이다. 형사 해준(박해일)의 집을 방문한 피의자 서래(탕웨이)는 벽에 붙어있는 수많은 시체 사진들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이 사진들은 해준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미결’ 사건들의 목록이다. 그 수많은 미결 사진 들 중에서도 특히 서래의 시선을 끈 것은 <죽은 시체의 눈동자 위에 개미들이 기어다니는 장면> 이었다. 그것을 보고 기이하게 생각한 서래의 물음에 해준이 친절하게 답하는 장면이다.

이 대사가 왜 들어갔는지는 잘 모르겠다. 영화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분석하는 설명도 아직 보지 못했다. 다만 지구학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핵심적인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비록 시체이기는 하지만, 인간이 다른 종(種)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기 때문이다. 이 단순한 사실은 유학을 지구학적 차원으로 ‘경장(更張)’하려고 할 때에, 더 나아가서는 현대 한국철학을 정립하려고 한다면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왜냐하면 유학의 핵심은 인간에 대한 정의이고, 그것도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만의 특징을 인(仁)이라는 정서로 추출해낸 것인데, 그 인(仁)이 놓치고 있는 인간의 위상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플럼우드의 붕괴의 체험

최근에 나는 <헤어질 결심>의 이 장면과 비슷한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 그것은 1년 전에 어느 학술대회에서 의뢰받은 발표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그 학술대회는 2021년 11월 18일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주최로 기획된 <성 이냐시오 회심 500주년 기념 학술대회>였다. 가톨릭 대학으로서는 대단히 의미있는 행사였다. 게다가 대회 주제는 <지구위기와 대전환>이다. 실로 지구인문학을 테마로 한 학술행사가 모교에서 열리는 것이다. 나로서는 설레지 않을 수 없는 무대였다. 그러니만큼 무엇을 얘기할까 고민이 많이 됐다.

마침 동료연구자인 허남진 박사가 옆에 있어 자문을 구했더니, 대뜸 호주출신의 철학자 발 플럼우드(Val Plumwood, 1939~2008)의 논문을 추천해 주었다. 그것은 「인간의 연약함과 먹이가 된 경험(Human Vulner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Prey)」(1995)이라는 글이었다. 이 짧은 논문에서 플럼우드는 자신이 10년 전에(1985) ‘악어의 먹이’가 될 뻔한 경험을 소개하고 있었다. 더 놀라운 점은 그 때 깨달았던 철학적 통찰을 지구학적 차원에서 풀어내고 있었다. 사진 출처: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홈페이지



악어의 먹이가 되다

플럼우드의 체험은 유정연이 2015년에 쓴 「악어의 먹이」(『맘울림』 38호)에 한글로 번역되어 있다. 그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악어가 (내가 타고 있던) 카누를 공격해서 크게 요동칠 때 완전 무방비 상태였다. (…) 나는 필사적으로 노를 저었지만 공격은 계속되었다. (…) 처음부터 그 녀석은 나를 먹이로만 보고 다가 온 것이다. (…) 그(=악어의) 아름다운 반점이 찍혀 있는 금빛 눈이 곧장 나를 쏘아봤다. (…) 황금빛 눈이 홍미롭다는 듯이 번득였다. (…) 물속에서 솟아나온 악어의 날카로운 이빨에 정신이 나가버릴 것만 같았다. 그때 악어는 붉고 뜨거운 다리들로 내 몸을 잡아채서,질식할 듯 축축한 암흑 속으로 휘몰아 끌어당겼다. (…) 모든 게 끝났다고 생각했을 때 (악어의 공격이) 갑자기 멈췄다. 내 발이 강바닥에 닿았고, 수면 위로 머리가 떠올라 기침이 터져 나왔다. 나는 숨을 빨아들였고 놀랍게도 살아 있었다. (…) 왼쪽 허벅지가 뜯겨져 지방과 힘줄과 근육들이 보였고 온몸이 아프고 무감각했다.

-발 플럼우드・유정연, 「악어의 먹이」, 75-79쪽.

이 글을 읽는 순간 나는 19세기 동학사상가 해월 최시형의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以天食天)”는 설법이 떠올랐다(『해월신사법설』「以天食天).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도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플럼우드의 통찰은,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는 최시형의 설법을 새롭게 읽을 수 있는 시점을 제시해 줬기 때문이다. 즉 “인간이 동물을 먹는다”는 통상적인 해석을 넘어서 “동물도 인간을 먹는다”는 뜻으로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시형이 다른 곳에서 말한 “전체의 이치[全的理諦]”(『해월신사법설』「三敬」) 개념은, 실로 이러한 먹고 먹힘의 관계가 살생이나 죽임이 아니라 자연 전체의 이치임을 설파하고 있는 것이리라.

그래서 나는 허남진 박사에게 공동 발표를 제안했다. 허박사는 플럼우드 쪽을, 나는 동학 쪽을 맡자고 한 것이다. 그래서 나온 원고가 「먹음/먹힘의 지구학적 의미: 동학의 식천(食天)사상과 그리스도교의 성찬의례를 중심으로」였다. 아직 정식으로 발표는 하지는 못했지만, 조만간 논문으로 완성할 예정이다(이하의 플럼우드 논의는 이 때의 발표문에 기초하고 있다).



악어의 <눈>으로 보다

플럼우드가 남다른 점은 자신의 체험을 개인적 차원에 한정시키지 않고, ‘인간’이라고 하는 거시적 지평 위에서 철학적으로, 종교적으로, 그리고 지구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음식에 대한 우리의 관념을 근본적으로 수정하자. 우리 자신을 타자들을 위한 음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자신을 생태적 관점에서 다시 상상하고, 다른 동물들과의 연대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 Val Plumwood, The Eye of the Crocodile, 2012, p.18.

여기에서 플럼우드는 인간에 대한 이해는 “최상위 포식자”에서 “타자의 음식”으로 바꿀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생태적 관점’이라고 말하고 있다. 아울러 그런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볼 때 다른 존재와의 연대가 가능해진다고 말한다. 이것은 철학적으로 말하면, 생태 위기에 대한 <인식론적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우선 플럼우드가 악어와의 조우를 통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이동했다는 사실이다. 즉 종래에는 인간만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다가, 이제는 인간 이외의 존재(nonhuman)의 관점에서 인간을 상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일종의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본 인간관이다. 그리고 나서 내린 결론은 “인간도 먹이가 될 수 있다”는 새로운 인간관이었다.

이것은 마치 서두에서 소개한 <헤어질 결심>에서 서래가 시체의 사진을 보고 “개미가 사람을 먹나요?”라고 물었던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 사진을 보았을 때 서래는 ‘개미’의 관점에서 인간을 보는 시점이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시점은 “파리, 개미, 떡정벌레, 말벌이 시체를 나누어 먹는다”는 해준의 설명을 듣고 보다 선명해졌을 것이다.



관점의 이동

이와 같은 관점의 이동에 대한 강조는 이미 『장자(莊子)』에서부터 나오고 있었다. 시카고대학의 비교철학자 브룩 지포린(Brook Ziporyn)은 『장자』에 나오는 “대붕의 소요”를 관점의 이동으로 해석한 적이 있다. 즉 바다 속의 물고기 곤(鯤)이 하늘을 나는 붕(鵬)으로 변신하는 장면은 ‘관점의 이동’을 우화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거대한 새 붕(鵬)은 거대한 물고기 곤(鯤)이 변화한 것이다. 이것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반대편의 관점을 대표한다. 이것이야말로 장자에게는 문제의 핵심이다. 즉 관점이 다른 관점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But this bird is actually a transformation of the enormous fish, kun, which represents the most antithetical perspective imaginabl . And this, for Zhuangzi, is the heart of the matter: the way perspectives transform into other perspectives. (https://hackettpublishing.com/zhuangziphil)

가장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가장 연약한 생물인 개미의 먹이가 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물론 요즘과 같이 바이러스가 인간을 공격하는 팬데믹 상황이라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니지만 – .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바이러스의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보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개미의 관점에서 인간을 생각하지 않는다. 지포린 교수의 해석을 빌리면, 시체의 사진은 우리에게 정 반대편에 서 있는 개미의 관점에서 우리를 바라볼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것은 달리 말하면 인간이 아닌 ‘자연’의 시선에서 인간을 보는 것이다.

지포린 교수의 해석에 의하면, 장자가 지향하는 최고의 인간(至人)은 관점을 ‘자유자재로’(=소요) 전환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것의 구체적인 사례로 『장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조삼모사(朝三暮四)’ 이야기를 들고 있다. 원숭이 조련사가 원숭이의 입장에서 조련 방법을 바꾸었다는 얘기다. 최근에 서양에서 나오는 인류학적 성과는 이러한 제안이 추상적인 허언(虛言)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에두아르도 콘의 『숲은 생각한다』(2013)는 ‘재규어’의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장자(莊子)는 관점의 이동이 자유로우려면 어느 하나의 관점에 고착되어(fixed) 있으면 안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하나의 관점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를 ‘성심(成心)’이라고 하였다(「제물론」). 반대로 성심에 사로잡혀 있지 않은 상태를 장자철학에서는 ‘허심(虛心)’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 허심은 “아무런 관점이 없다”는 뜻이라기 보다는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관점을 이동할 수 있는 ‘시선의 유연성’이 확보된 상태를 말한다.

장자의 입장을 플럼우드나 에두아르드 콘과 연결시켜 해석해 보면, 생태 위기는 인간이 그동안 인간만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즉 오랫동안 문명의 편의에 익숙해 있던 인간이 자연의 관점을 망각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아렌트 식으로 말하면, 자신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과의 단절을 의미한다.



인간예외주의

플럼우드는 인간이 자연의 관점에서 바라보지 못하는 원인을 ‘인간예외주의(human exceptionalism)’에서 찾았다. ‘인간예외주의’란 지구상에서 인간만이 예외적인 존재라는 뜻이다. 마치 유학에서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인(仁)이 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하듯이, 서구 문명도 인간을 자연과 구별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 인간예외주의에 담긴 함축이다.

죽음과의 두 차례의 대면은 나로 하여금 서구의 일반적인 죽음의 서사 방식에 강력하게 불만을 품게 만들었다. 하나는 그리스도교의 일신론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근대의 무신론 전통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두 전통은 모두 환경위기를 가속화시키는 ‘인간예외주의’와 초분리주의를 계승하고 있다.

Two encounters with death led to my becoming radically dissatisfied with the usual western selection of death narratives – both Christian-monotheist and modernist-atheist. I think both major traditions inherit the human exceptionalism and hyper-separation that propels the environmental crisis.

– Val Plumwoon, “Tasteless: Towards a Food-based Approach to Death” (2008)

여기에서 플럼우드는 생태위기를 초래한 철학적 원인을 인간예외주의와 초분리주의에서 찾고 있다. 즉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키고(separate), 인간을 비인간(nonhuman)과는 다른 예외적(exceptional) 존재로 본 것이 문제였다는 것이다. 나아가서 이러한 사고는 서양의 그리스도교 전통과 근대 계몽주의의 죽음 이해에 반영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스도교 전통과 근대 과학기술

참고로 서구 근대적 사고가 생태 위기의 원인이라는 플럼우드의 진단은 일찍이 한나 아렌트가 1958년에 지적한 바가 있다.

인공세계의 창조자인 제작인은 언제나 자연의 파괴자였다…. 신이 창조한 자연을 파괴함으로써만 인위적 세계는 건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진우・태정호 옮김, 『인간의 조건』, 2013, 197쪽)

인간이 도구를 만들고 기술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의 특권이자 탁월성이다.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파괴를 동반한다는 것이 아렌트의 생각이다. 왜냐하면 아렌트가 말하는 인공세계는, 자연에 ‘포함’되는 세계가 아니라, 말 그대로 자연과는 별도로 인위적으로 구축된 세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로부터 유를 창조할 수는 없듯이, ‘인공’을 만들려면 필연적으로 ‘자연’을 재료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금 식으로 말하면 화석 연료가 없으면 전기를 쓸 수 없듯이 말이다. 그래서 인공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자연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한편 그리스도교의 인간관이 생태 위기를 초래했다는 비판은 일찍이 역사학자 린 화이트(Lynn White)가 1967년에 지적한 바 있다.

하나님은 인간을 이롭게 하고 인간이 다른 피조물을 지배하도록 하기 위해 이 모든 것을 계획했다. (…) 기독교는 인간과 자연의 이원론을 확립했을 뿐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자연을 착취하는 것은 신의 뜻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린 화이트 지음, 이유선 옮김, 「생태계 위기의 역사적 기원(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 Crisis)」, 『계간 과학사상』 창간호, 1990년 봄, 290쪽.

린 화이트가 보기에는, 그리스도교의 성경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서로 먹고 먹히는 상호적 관계가 아니라, 이원론적으로 단절되어 있고, 게다가 자연은 인간의 목적을 위한 수단적 존재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은 생태 위기를 서양의 과학기술이 아니라 종교전통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로서는 새롭고 파격적인 지적이었다. 추측컨대 이 논문은 서구 사회에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을 것이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다시 설정할 것인가?” “성경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 등의 물음이 대두되었을 것이다. 아마도 이런 물음에 대한 학문적 응답이 ‘생태신학’의 등장이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한나 아렌트와 린 화이트는 서양의 대표적인 두 전통, 즉 그리스도교와 그 토대 위에 성립한 근대 문화가 생태 위기를 초래하였다고 보고 있다. 이로부터 생태 위기에 대한 플럼우드의 진단도 기본적으로 이들의 관점 위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두 전통을 ‘인간예외주의’라는 개념으로 담아낸 것이다. 인간예외주의는 인간이 가장 높은 곳에 서서 인간 이외의 존재를 내려다 보는 인간중심적인 시선을 고착화시켰을 것이다.



인간은 피식자(被食者)가 될 수 없는가?

그렇다면 이러한 인간예외주의는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이 글의 주제인 먹이나 죽음과 관련된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플럼우드는 그것을 서양의 장례 문화에서 찾고 있다.

나는 서구의 인간 우월주의 문화가 인간을 동물과 동일한 먹이사슬에 두는 것을 강하게 부정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리 자신이 다른 동물을 위한 먹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인간의 죽음과 장례 풍습에 많이 나타나 있다. 관례상 튼튼한 관은 토양 동물들이 활동하는 표층보다 한참 아래에 묻었고, 무덤을 덮은 석판은 다른 동물들이 시신을 파내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것은 서구인이 시신을 다른 동물 종들의 먹이가 되지 않도록 지키는 방식이다. (…) 인간이 먹이 사슬 밖과 그 너머에 있다는 사실은, 인간을 상호의존하는 먹이사슬의 일부가 아니라 그 사슬의 주인이자 외부 조정자로 보게 한다. 동물들은 인간의 먹이가 될 수 있지만, 우리 인간은 결코 동물들의 먹이가 될 수 없다.

– 발 플럼우드・유정연, 「악어의 먹이」, 82쪽.

여기에서 플럼우드는 석판 무덤의 풍습은 “서로 먹고 먹히는” 자연의 이치로부터 인간을 제외시키려는 문화를 대변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거기에는 인간은 결코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없다는, 아니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간예외주의’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에서는 타자의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시점은 나오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거기에는, 한나 아렌트의 표현을 빌리면, “인간이 구축한 인공세계”에서만 살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돌로 만든 관 자체가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키려는 인공적 환경이기 때문이다. (“인공세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인간 실존은 모든 동물의 환경과 구별된다.” 이진우・태정호 옮김, 『인간의 조건』, 2013, 51쪽)



비인간의 눈으로 보는 인간

만약에 우리가 플럼우드의 비판을 받아들인다면, 그리고 한나 아렌트나 린 화이트의 지적에 공감한다면, 우리는 인간관을 재조정할 필요를 느낄 것이다. 즉 종래에 인간과 비인간(nonhuman)의 차이를 강조했던 인간관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그것과는 정반대의 시점, 즉 인간과 비인간이 겹치는 부분에도 눈을 돌릴 수 있는 관점의 이동이 요구된다. 생태철학자 티모시 모튼(Timothy Morton)이 『생태적 사고(The Ecological Thought』(2010)에서 갈파했듯이, “생태적 사고란 상호연관과 관련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을 비인간과의 상호연관 속에서 재정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말로 생태적 세계를 구축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가령 유학의 예를 들면, “측은히 여기는 마음,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유학에서는 인(仁)이라고 하고, 그 마음은 인간만이 발현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인(仁)은 인간의 본질이 된다. 그런데 이 정의에는 인간이 비인간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가장 기본적인 자연의 원리는 빠져 있다. 인관과 비인간의 수많은 유사점은 배제하고, 단 하나의 차이만 부각시켜서 인간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본래 ‘정의(定義)한다’는 행위 자체가 이러하다. A와 A 아닌 것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 정의(definition)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A와 A 아닌 것의 공통 토대는 버려지게 된다. 차이만 부각되기 때문이다. 마치 서구중심주의자들이 자유나 합리성을 근대적 가치로 규정하고, 그것이 ‘유럽에만’ 있다고 논리를 전개했듯이 말이다. 이 경우에 유럽과 비유럽의 공통점은 간과되고, 그 사이에는 <위계>가 성립하게 된다. 한나 아렌트나 린 화이트가 서구 전통에서 인간과 자연의 위계가 성립하고 있음을 간파했듯이, 근대 유럽은 그것을 서구와 비서구에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유학에서는 인간과 비인간의 <위계>를 ‘윤리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전통적 개념에서 ‘윤리倫理와 ‘도덕道德’는 구분된다. 도덕은 윤리와 달리 ‘천지도덕’, 즉 최시형의 표현을 빌리면 ‘전체의 이치(全的理諦)’의 차원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입장을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장철학적으로 말하면 ‘도덕성’의 차원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구분은 희미해진다. 그것을 나타내는 개념이 무위(無爲)와 자연(自然)이다.



인류세 시대 인간의 정의

인간을 비인간의 관점에서 다시 보고자 할 때, 그리고 그러한 관점에서 인간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할 때, 참고가 되는 것은 <생명평화무늬>이다. 사진출처: https://ggc.ggcf.kr/p/5f4910f30c724d41309124b9

생명평화무늬는 지리산살리기운동을 주도한 한살림의 이병철 선생이 2003년에 한글디자이너 안상수 선생에게 부탁하여 탄생한 ‘멋지음(design)’이다. 이 상징의 의미에 대해 멋짓는 사람 안상수 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심볼 가운데를 중심으로 오른쪽은 네발 달린 생명이고 아래는 사람이고 왼쪽은 물에 사는 생명입니다. 이 물고기 모양은 하늘에 사는 생명인 새의 몸뚱이가 됩니다. 해와 달은 생명의 우주적 속성을 그린 겁니다. 생명은 하나로 이어져 있는 한 몸입니다. 우주생명의 유기적인 전일성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돼지가 아프면 사람도 아프게 되고, 물이 오염되어 물고기가 죽으면 사람도 죽고, 닭이 폐사되면 사람에게도 영향이 있다는 겁니다. 사람 생명은 다른 생명의 희생 속에서 생명을 유지해 나가지요. 그러니까 다른 생명 속에 우리의 생명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무늬 가운데 위는 푸나무인데, 사람은 모두 풀의 열매, 풀잎, 풀뿌리, 풀 줄기를 먹고 살고 있습니다. 사람은 맨 위에 있는 만물의 영장이 아니라, 맨 아래에서 다른 생명을 모시는 존재라는 겁니다. 이것이 우주가 보내는 신호입니다. 이 메시지를 받아서 잘 따라가는 것이 평화입니다.

– 안상수, 「개벽과 디자인」『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86, 2020년 12월, 506쪽.

이 무늬에는 인간이 다른 존재와 단절되어 있는 예외적 존재가 아니라,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심지어는 그들의 도움을 받아서, 즉 그들을 먹음으로써 살아가고 있다는 “먹고 먹힘”의 관계가 잘 표현되어 있다. 인간의 머리가 중심에 위치해 있지만 그것은 다른 존재보다 우월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역으로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 관계에 있다는 <공통의> 사실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그것은 흰색으로 텅 비어 있다. 노장철학적으로 말하면 ‘허심’의 상태인 것이다. 그 허심의 상태에서 관점이 인간 이외의 존재로 향하고 있다. 그래서 비인간 존재와의 연결과 연대가 가능해진다.



「천명도」 안의 「생평도」

바로 이런 점이 「천명도」와 「생평도」(=생명평화무늬)의 차이이다. 똑같이 인간이 중심에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천명도」에서는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 설정되고 있지만, 「생평도」에서는 인간을 중심으로 만물과의 연결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다면 「천명도」 안에 「생평도」를 집어넣으면 어떨까? 그렇게 되면 천지와 대기 안에 인간과 만물이 연대하고 있는 그림이 될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인류세 시대의 인간의 위상, 인(仁)의 정의는 이런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원래 인(仁)의 반대인 불인(不仁)은 ‘무감각’, ‘마비’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인(仁)은 ‘생명의 얽힘에 대한 자각’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 자각이 생겼을 때 비로소 비인간 존재에 대한 ‘존중(敬)’의 마음이 생기게 되지 않을까?

이것을 플럼우드는 식사할 때에 갖추는 피식자(皮食者)에 대해 예의(禮)로 예를 들고 있다.

복잡한 인간 존재가 고기 덩어리에 불과하다는 것은 충격적인 몰락이었다. 나는 인간뿐 아니라 모든 피조물이 음식 이상의 존재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우리는 먹힐 수 있지만 먹히는 존재 이상이다. 예의 바르고 생태적인 식사는 이 두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발 플럼우드・유정연, 「악어의 먹이」, 83쪽.

동학적으로 말하면 “식천(食天)의 행위를 할 때 식고(食告)의 예를 갖추라”는 말이 될 것이다. 결국 ‘먹는’ 행위에서 모든 것이 시작되고 있다. “먹어야 살고 죽으면 먹힌다!” 플럼우드의 인간관은 이 단순한 진리에서 출발한다. 맹자와 논쟁한 고자(告子)의 표현을 빌리면, ‘식색(食色)’은 인간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먹느냐, 또는 먹이를 <어떻게> 대하느냐로 인간과 비인간이 나뉜다는 것이 플럼우드와 동학의 생각이다. 식탁의 음식을 단순한 고기로 볼 것인가? 아니면 하늘로 볼 것인가? 이와 같은 응물(應物)의 태도에 의해 인간의 인간다움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유학적으로 말하면 “과연 ‘음식’에 대해서도 사단의 감정이 발현될 수 있느냐?” 라고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자신도 먹힐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 사양지심(생명의 양보)의 발현이 될 것이고, 반대로 자신이 먹는 존재에 대해 느끼는 감사의 마음은 측은지심(천지은혜)의 발로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얼마만큼 먹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시비지심(지구적 정의)의 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지구적 차원에서 사단이 발현될 때 비로소 지구의 생명평화가 유지된다는 것이 「생명평화도」와 플럼우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아닐까?


글 탐색
PREVIOUSPREVIOUS POST:

태평양의 바다 공동체

조성환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다시개벽' 편집인. 지구지역학 연구자. 서강대와 와세다대학에서 동양철학을 공부하였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에서 '한국 근대의 탄생'과 '개벽파선언'(이병한과 공저),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을 저술하였다. 20∼30대에는 노장사상에 끌려 중국철학을 공부하였고, 40대부터는 한국학에 눈을 떠 동학과 개벽사상을 연구하였다. 최근에는 1990년대부터 서양에서 대두되기 시작한 ‘지구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일관된 문제의식은 ‘근대성’이다. 그것도 서구적 근대성이 아닌 비서구적 근대성이다. 동학과 개벽은 한국적 근대성에 대한 관심의 일환이고, 지구인문학은 ‘근대성에서 지구성으로’의 전환을 고민하고 있다. 양자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지구지역학’을 사용하고 있다. 동학이라는 한국학은 좁게는 지역학, 넓게는 지구학이라는 두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장차 개화학과 개벽학이 어우러진 한국 근대사상사를 재구성하고, 토착적 근대와 지구인문학을 주제로 하는 총서를 기획할 계획이다.

2022/07/29

임지영 신내림, 사기라는 사람들 필독...30만 무속인 90%가 서민 - 민중의소리

임지영 신내림, 사기라는 사람들 필독...30만 무속인 90%가 서민 - 민중의소리


임지영 신내림, 사기라는 사람들 '필독'..."30만 무속인 90%가 서민"


강경훈 기자 qa@vop.co.kr
발행 2011-11-11 14:18:14

가가



'똥습녀'로 유명세를 탔던 임지영이 신내림을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진 이후 최근 한 방송에서 임지영이 신내림을 받고 난 이후 일상에 대해 공개돼 누리꾼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임지영은 신내림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퍼포먼스적 삶을 살아왔던 과거를 잊고 새로운 인생을 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임지영의 신내림 소식을 들은 누리꾼들 중 일부는 신내림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신내림은 사기다"라는 다소 논점과 벗어난 주장들을 펼치고 있다.

임지영이 실제 신내림을 받았는지 아닌지까지 자의적으로 해석한 데서 나오는 이 같은 주장들은 국내 20~30만명에 이르는 무속인들에게 큰 상처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임지영의 신내림 소식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과거 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이 같은 편향적 인식에 더 힘을 실어주고 있다.



'신내림인가, 사기인가-사람 잡는 선무당'이라는 주제로 방송된 한 방송은 수많은 무속인들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이유는 임지영과 같은 무속인들이 신내림을 하는 행위를 마치 사기 행위처럼 묘사했기 때문이었다.

이 방송이 나온 이후 세간에서는 신내림을 불신하는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고, 일부 누리꾼들은 무속인 사회를 원색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장영호 한국의샤머니즘 대표는 칼럼을 통해 "돈벌이에 급급한 선무당이 많으니 그런 선무당을 조심하라는 방송의 공영성은 존중하나, 대다수의 무속인은 사기꾼이고 그런 부류라고 시청자들에게 말하는 인식으로 비춰지지 않기 바란다'며 우려감을 표했다.

임지영처럼 신내림을 받는 행위를 수익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무속인도 있으나, 대다수의 무속인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장 대표는 "몇명의 사례가 전체 무속인 이야기로 비춰지게 될 까봐 깊은 우려가 든다"며 "몇명의 사례를 갖고 전체 30만의 무속인들이 다 똑같다는 인식을 시청자들에게 심어줘선 안 되는데, 방송은 그런 부연 설명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실제 임지영과 같은 신내림을 받은 사람들 위주로 돌아가는 무속신앙은 다른 거대 종교에 비해 자신들을 대변해 줄 수 있는 대항력도 없는 상황이다. 사회적으로도 영향력이 매우 낮다.

장 대표는 "제작진들이 그런 사실을 조사하고 방영하겠지만, 작가가 원고를 쓸 때 어떻게 썼느냐도 방송 진행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되기도 한다"며 "만약 이 방송이 얼마만큼 무속에 대해 이해하고 전문성을 가진 작가들이 심층구성해 짰는지 아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임지영처럼 신내림을 받는 건 학술적으로 강신무권에 해당되는 예비 입무자들이 무병을 앓아 신을 받기 위해 통과해야 되는 입무 의례를 말한다.

장 대표에 따르면 임지영처럼 신내림을 받은 사람은 대부분 강신무권에 해당되는 무당으로,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된 사람들이다.

장 대표는 "이분들 또한 내림굿을 하고 신의 제자로서 숱한 고생과 풍파, 어려움의 과정을 극복하고, 오랜 세월을 신의 제 자로서 역할을 해 오신 분들"이라며 "내림굿의 산증인들이요, 무당으로서 삶을 살고 계시는 분들의 내림굿이 잘못됐다면 현재의 무업을 영위하고 계실까 하는 반문을 해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영이 신내림 과정에서 받은 내림굿 과정에서 돈이 오고가는 데 대해 방송에서 문제를 제기했으나, 장 대표는 이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장 대표는 임지영이 신내림 과정에서 받은 내림굿과 관련, "내림굿을 주관하기 위해서는 많은 선생들이 참여해 부정을 가리고, 일월을 받아 신과 교통하고 예비 입무자에게 제대로 된 신이 강림하기 위해 치러지는 엄정한 의식"이라며 "이런 의식은 내림굿을 주재할 수 있는 무당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방송은 임지영이 신내림을 받는 과정에서 받았던 '내림굿'의 비용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무속인들이 내림굿을 미끼로 거액을 챙긴다는 것.

하지만 장 대표는 "20~30만의 무속인들이 그런 돈을 받고 내림굿하고, 굿을 할 때 큰 돈을 받는다면 전부 졸부나 부자가 되어야 한다"며 "대한민국에 부르주아 무속인이 얼마 있는지 모르나, 전체의 90% 이상이 대부분 서민임을 감안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대다수의 신제자들은 그런 비용을 받고 내림굿을 하지 않는다"며 "형편에 맞게 양자간에 상식적으로 인정되는 금액을 합의해 굿값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초자연으로의 회귀, 신내림 < 삶과 마음 < 칼럼 < 기사본문 - 정신의학신문

초자연으로의 회귀, 신내림 < 삶과 마음 < 칼럼 < 기사본문 - 정신의학신문
정신의학신문 : 온안 정신건강의학과의원 김총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병神病은 무당이 될 사람이 신내림을 받기 전 앓게 되는 병을 말한다. 무당이
될 어떤 소질이 있는 사람에게 발생한다는 이 병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갑자
기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는 것으로 발병한다.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이곳저곳 수많은 병원을 돌아다녀 보아도 원인이 밝혀
지지 않고 의학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될 때쯤 문복問卜을 하거나
굿을 해 무당으로부터 신병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다. 신병의 치료는 내림굿이라
는 입무 의례를 통해 어떤 강하고 선한 귀신을 불러내려 신병을 일으킨 나쁜 귀신
을 쫓아냄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그 대가로 당사자는 자신이 원치 않더라도 그
강한 귀신을 평생 몸주수호신으로 모시며 무당으로 살게 된다. 강신무降神巫
무당이 되어 다른 사람들을 치유하는 운명을 지게 된다.
잘 알려진 배우 정호근씨나 박미령씨와 같은 경우에도 이러한 신내림을 통해 무속
인이 되어 활동하고 있다고 방송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정호근씨와 같은 경우 큰
딸과 막내아들을 잃은 뒤 신내림을 받게 되었고 박미령씨 역시 오랜 시간 신병을
앓다가 무속인으로 전향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
신병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초자연적 정신신체 현상에 대한 각자의
입장에 따라 무척 달라질 수 있다. 

신 귀신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부분과 이것이
사람에게 씌이는-빙의되거나 내림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 그보다는 애초에
이것이 논의가 가능한 부분인가에 대한 것까지 명쾌한 답을 내릴 수 없는 부분들로
가득 찬 영역이다. 안 그래도 과학과 인문학의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 현대 정신의학에 입장에서는 토속신앙에서 설명하는 이 현상에 대한 접근이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애당초 종교인으로 귀의하면 치료되는 이 현상이 과연
의학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병disorder disease인지에 대한 사실조차도 불분명
하다. 그러나 이러한 신내림의 과정은 사실 당사자가 괴로워하고 원치 않는 경우가
많으며 정신적 원인이 분명한 경우가 많아 정신의학에서는 신병을 문화관련 증후
군의 일종으로 조심스레 분석하고 있다.

정신역동적으로 신병의 기제는 주로 투사projection로 설명된다. 투사는 자신이
감내하거나 해결하기 힘든 내적 갈등을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방어기제이다. 잘
되면 내 탓 안되면 조상탓과 같은 맥락의 방어기제인 투사는 사실 주변에서도 무
척 흔하게 볼 수 있다. 더 받아들이기 쉽고 더 해결하기 쉬운 외적요인의 탓으로
돌려 버리는 경우들 말이다. 신병의 경우엔 내적갈등과 심리적 괴로움이 시름시
름 앓는 증상과 같이 신체화somatization되고 이 신체화 된 갈등은 귀신이 들
린 탓이라는 신내림을 거부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투사projection 된다는 것
이다. 감당하기 힘든 갈등이 초자연적 존재와 초자연적 현상으로 투사된다. 설명과
해결을 본질적으로 거부하는 초자연적 영역으로 갈등이 던져진다. 그리고 그렇게
갈등을 던져내 버린 주체는 괴로움을 한결 덜어내게 된다. 무거운 현실적 고민에
대한 설명과 해결의 어려움에서 방황하던 주체가 초현실적 신내림을 받을 것인가
에 대한 선택이라는 보다 받아들이기 편한 고민으로 전향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다.

영화 곡성에 대한 인터뷰에서 나홍진 감독은 신과 악마와 같은 초현실적 존재 오
컬트나 종교적 객체를 끌어들인 이유에 대해 아래와 같이 이야기했다.
세상에 어떠한 불행을 겪은 분들이 있지 않느냐. 사건 사고 소식을 보면 현실의
범주 안에서는 결론이 나 있다. 우리는 그분들이 어떻게 해서 불행을 겪었는지
알지만 왜 그분이 당해야 하는지는 모른다. 곡성은 여기서 시발된 영화다. 나는
현실적인 범주 밖에서 이야기를 풀어야 했다. 선과 악이 존재해야 했고 신이 등장
해야 했다.
인생은 공평하지 못하고 불행과 재앙의 방문은 피해자의 선악이나 잘잘못을 구별
할 눈을 가지고 있지 않다. 운명처럼 흘러가는 인생의 굽이에서 고난과 죽음은 그
저 던져진다. 거기에는 어떤 의미도 개연성도 인과율도 본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
는다. 그저 인생이란 원래 그러한 것이다. 그러나 그 불행의 당사자로서는 이 무
자비한 불행의 추첨에 걸려버린 현실이 너무나 억울하다. 그 공허함을 받아들이기
도 온전히 나의 잘못으로 화살을 돌리기에도 너무나 분이 찬다. 어쩌면 곡성의 나
홍진 감독은 추격자 황해 같은 영화를 통해 무차별적인 눈먼 폭력으로 드러낸바
있던 삶의 공허를 받아들이는 방법으로 초현실로의 도피를 제시하고 싶었던 것
이 아니었을까 싶다. 삶의 괴로움을 초자연적 영역으로 투사하는 방법 말이다.

그러나 신병을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나의 문제를 어쩔 수 없는 신의 문제로 돌
려버리는 미숙한 투사적 방어기제라고 진단하는 정신분석의 설명은 다소 잔인하
다. 인정하고 싶지 않고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갈등을 겸허히 받아들일 것을 잔인
하게 강요한다. 현실의 공허함과 나의 무력함을 잔인하게 직면시킨다.
해가 갈수록 삶이 팍팍해지고 사건사고가 끊임없이 뉴스를 오르내리는 삭막한 현
실에서 초자연에 해답을 구하는 자세는 어쩌면 도리 없는 선택이 될지도 모르겠다.
또한 그것이 그렇게 잘못된 선택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것을 비난하기엔 각자의 삶
이 너무 각박해지고 있다. 다만 쉴 새 없이 휘청거리고 넘어지고 부딪히고 마는 각
자의 여정에서 필요한 것은 나를 정말로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 그
것을 딛고 일어설 수 있게 나를 이끌어주는 나의 해답은 무엇인지를 돌아볼 마음의
여유가 아닐까 싶다. 뭣이 중헌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 말이다.


나도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 - YES24

나도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 - YES24

나도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 휘둘리고 요동치는 마음에게 ‘나’라는 경계를 짓다
김총기 저 | 다반 | 2019년 01월 29일
첫번째 구매리뷰를 남겨주세요. | 판매지수 96 판매지수란?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 할인)


2022년 07월 01일 ~ 2022년 08월 01일

책소개
지금 힘든 그 마음, 내 것이 맞나요?
정신과 의사가 들려주는
낯설지만 오랜 친구인 내 마음과 감정에 대한 이야기!

갑자기 투덜거리며 짜증을 내고 별 이유도 없이 눈물을 흘리거나, 느닷없이 불안해하는 사람들. 지치고 힘든 마음, 외롭고 슬픈 마음을 부여잡은 채, 자책하고 좌절하는 사람들에게 정신과 의사인 저자는 묻는다. “그게 정말 당신 마음이 맞나요?”. 우리는 ‘나’ 혹은 ‘내 마음’이라는 것을 구분하는 기준이 때때로 변하고 아예 허물어지는 경험을 하면서, 종종 엉뚱한 사람들의 마음을 끌어안고 신음하거나 엉뚱한 것을 품고 괴로워하고, 엉뚱한 것을 위해 몸 달아 한다. 그래서 때로는 엉뚱한 마음을 붙잡고 내 마음인 양 안달복달하기도 하고, 정작 내 마음을 두고 다른 사람 일인 양 분노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진짜 ‘나’가 무엇인지, ‘나’를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는 혼동하게 된다. 이것은 분명 우리 모두의 마음이자 우리 모두의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 모두가 조금씩은 아파하고 조금씩은 지쳐 가고 있던 원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대체 어떻게 이런 일들이 가능한 것인지, 그럼 도대체 진짜 나의 마음이란 무엇인지를 찾아가기 위해, 저자는 ‘마음의 경계’라는 모호한 개념을 차근차근 따라가면서 마음이 힘든 사람들에게 좀 더 힘 있게 이야기한다. “맞아, 그거 사실 네 마음이 아니야”라고.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프롤로그 _ 마음의 경계? 그게 뭔가요?

Ⅰ. 나도 내가 누구인지 모르겠어요
- 지금 그거 내 마음 맞나요
- 저건 내 이야기예요
- 나도 나를 잘 모르겠는데
-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나일까
- 나와 내가 비틀린 채 살아가다
- 나의 세계에만 갇혀 있는 마음

Ⅱ. 지금 내 마음, 그거 정말 ‘나’ 맞나요
- 그건 제 마음이 아닌데요
- 내가 될 수 없는 것들이 내가 되다
- 자기대상적 인간관계
- 조건부가 되어 버린 ‘나’
- 내가 나의 마음을 읽는 방법

Ⅲ. 저는 이게 제 마음인 줄 알았어요
- 저 인간은 도대체 왜 그러지
- 지금 당신은 경계를 잃었습니다
- 서로가 주고받는 감정의 캐치볼
- 감정 던지기, 성숙한 누군가가 대신 아파해 줬으면
- 감정 떠안기, 갈 곳 없는 감정이 내게로 오다
- 나는 왜 이토록 힘든 것일까
- 다 성장하지 못한 아이, 안팎을 혼동하다
- 화낼 준비, 화를 던질 준비
- 화를 떠안을 준비, 나에게 분노할 준비

Ⅳ. 네가 그냥 내 마음이 되어 줬으면 좋겠어
- 너와 하나가 되고 싶어
- 환상에서 떨어져 현실의 바닥에 부딪히다
- 엉뚱한 묘에서 곡을 하다
- A씨의 이야기와 속사정
- 내게서 너무 멀어진 마음에 선 긋기

Ⅴ. 어떻게 내 마음을 단단히 움켜쥘 수 있을까
- 지금, 여기
- 불행 속 고통에서 탈출하기
- 마음챙김과 마음의 경계
- 불쾌감을 바라보기
- 현실에 착지하기
- 감정의 경계 긋기
- 마음과 마음 사이의 파도타기

에필로그 _ 과로로 쓰러진 마음의 출입국 심사원
====
저자 소개 (1명)
저 : 김총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정신의학을 공부한다는 것과, 정신과 환자를 진료한다는 것이 반드시 같은 평면에서만 이루어지는 작업은 아니다. 때로는 전혀 다른 곳을 향해 비틀어지는 순간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둘의 분명한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둘 모두 사람의 ‘마음’을 고민하는 작업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의 마음은 들여다볼수록 새롭고 낯설며, 들여다볼수록 이질적이다. 그러나 들여다볼수록 그 낯설음과 함께, 나의 삶과 일상들이 한 꺼풀씩 벗겨지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다. 마음을 고민한다는 것은 분명 낯설고 어렵지만 놀랍고 신비한 작업이다.

정신의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정신과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를 수련하였고, <정신의학신문>에 칼럼을 기고해 오고 있다. <정신의학신문> 유투브 채널에서 ‘싸이들의 잡학사전’에 출연하며 정신의학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풀어내고 있다. 마음에 대한 고민이 우리 모두에게 일상처럼 필요한 일이라는 생각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싶어 하며, 정신건강의학과의 낙인을 해소하고 정신건강관리의 폭 넓은 대중화를 이루고자 꿈꾸고 있다.

=============
책 속으로
우리의 마음이 쉴 새 없이 요동치고 움직인다는 것은 곧, 우리의 마음, ‘나’라는 것을 경계 짓는 경계선도 마찬가지로 쉴 새 없이 요동치고 움직인다는 이야기와 같다. --- p.10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이 외로워하고 불안해할 때, 우울해하고 분노할 때에 우리의 마음은 우리가 평소 생각하는 것들보다 훨씬 더 흔들릴 수 있고, 그 흔들림 속에서 우리가 엉뚱하게 우리 스스로를 더욱 힘들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11

에릭 에릭슨은 인간의 사회심리학적 발달 단계를 이야기하며 인생의 황혼기, 노년기에 성취해야 할 과제는 ‘자아 통합’이라고 이야기했다. 노년기에 자아 통합을 이뤄 내지 못하게 된다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고도 했다. 자아란 것을 하나로 합쳐 내야 한다는 말이다. --- p.34

우리는 ‘나’를 이야기하며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나의 몸과 마음의 이미지를 받아들인다. 우리는 각자의 ‘나’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극적인 순간 나의 몸과 마음은 예상할 수 없는 지점에서 기괴하게 분열된다. 나와 내가 서로 비틀린다. --- p.46

자존감이 취약한 사람들은 종종, 제대로 된 자아를 확립하기보다는 자기대상들에 그것을 아예 맡겨 버리는 길을 선택하곤 한다. 자기대상이 근본적으로 ‘나’가 될 수 없는 외적 존재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 짜릿한 유혹에 몸을 던져 버리게 되는 것이다. --- p.71

관계를 파탄 내는 감정, 그 무서운 힘의 첫 단추는 바로 강력한 공유성에서 시작한다. --- p.110

관계란 분명 나의 혼란을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지만 동시에 나를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덫이기도 하다. 무너져 버린 경계의 언저리에서 나의 자아는 때때로 감정이란 급류에 휩쓸려 가버린다. --- p.112

마음속 깊은 곳에 아직 성장해 내지 못한 어린아이를 하나씩 품고 살아가고 있다. 그 어린아이는 스스로 살아가고 싶은 마음도, 더불어 살아가고 싶은 마음도 없다. 스스로 살기란 외로움을 견뎌야 하고 더불어 살기란 관용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 p.142

공을 던지는 사람이 있다면 마찬가지로 반대편엔 공을 받아 주는 사람, 혹은 그 공에 얻어맞는 사람이 있다. 누군가가 감정을 집어 던진다면 그 감정에 맞는 사람도 있을 수밖에 없다. 누군가는 난데없이 날아온 감정에 얻어맞고, 그것을 그대로 떠안는다. 그것도 아주 무겁고 고되게 떠안는다. --- p.158

경계가 허물어진 관계 속에서 우리는 합리적이지 못한 믿음들과 환상들을 좇게 되기가 쉽다. 나의 감정과 너의 감정, 나의 마음과 너의 마음 사이를 혼동하며 갈팡질팡할 뿐 아니라, 그 혼란 속에서 현실감마저 잃을 수 있다. --- p.170

우리는 종종 그 불행함이 [우울, 좌절, 불안, 슬픔] 따위의 것들과 똑같은 것이라고 착각하곤 한다. 불행하기 때문에 우울하고, 불안하고, 좌절하고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어쩔 수 없는 불행에 빠졌기 때문에 당연히 어쩔 수 없이 절망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절망을 합리화한다.
--- p.216


 
출판사 리뷰
두려움 속에 갈 곳 잃은 감정들,
끊임없이 휘둘리고 요동치는 마음들!

우리는 때때로 마음속에 일어나는 감정이나 생각들이 과연 어떤 감정과 생각인지를 나 스스로조차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를 겪는다. ‘나도 나를 잘 모르겠는’ 경험들 말이다. 분명 눈물은 흐르는데 어떤 감정인지 설명하기 어려웠던 경험이나, ‘나도 모르게’ 저질렀던 행동들, 내가 나를 바라보며 혼란스러워했던 경험들은 누구나 흔히들 갖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혼란 속에서 이해되지 못한 감정과 생각은 자아의 경계를 조금씩 허물어 낸다. 뭐가 나인지, 뭐가 나다운 것인지를 혼동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렇게 그 감정과 생각들은 허물어진 경계를 틈타 나의 인식 너머로 휘리릭 탈출한다. 그래서 저 멀리 엉뚱한 곳에 나의 마음이 존재하는 것을 보게 될 수도 있고, 이 세상 현실이 아닌 환상 속의 공간에서 나의 마음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마음이란 것은 어떤 단단하고 분명한 경계 안에 얌전히 들어 있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요동치기에 당신이 두려워하는 갈 곳 잃은 감정들, 영문 모를 감정들의 정체는 생각보다 그 원인을 찾기 어렵다. 오직 나만이 느낄 수 있는 나의 마음과 감정을 나조차도 알 수 없는 이유는 거기에 있는 것이다. 나의 감정은 나의 소유물, 나의 부속물이 아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몸과 마음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나와 함께 자라온 낯설지만 오랜 친구이다.

높은 자존감과 자신감 있는 내가 되기 위해서는
나를 정확하게 바라볼 줄 아는 자기감이 필요하다!

자기를 존중하며 스스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는 자존감, 무엇이든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믿음인 자신감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 이전에 우리가 먼저 깨달아야 하는 것은 내가 누구인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나인지를, 즉 자아를 정확하게 바라볼 줄 아는 자기감(Sense of self)이다. 분명 내가 생각하는 나의 정체성, 자아라는 것은 그 신체 형상과 관념적인 무언가를 다 함께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자아란 무엇이고 나란 무엇인지를 파고들면 파고들수록 어렵고 모호해진다. 그 탐구에 빠져 들어가다 보면 ‘내가 누구지’라는 거대하고 본질적인 질문과 맞닥뜨리게 되기도 한다. 누구나 한 번쯤 떠올리지만 곧 고개를 돌리게 되는 거창하고도 무거운 그 질문 말이다. 그러나 사실 해답 자체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내가 누군지’를 알기 위해서는 내가 아닌 것을 설명해 내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내가 무엇인지를 유추해 낼 수 있다. 그 질문에 대답하는 명쾌한 해답이 바로 ‘자아의 경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자아의 경계란 어디까지가 나이고, 무엇이 나인지를 구분해 주는 기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경계라는 것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정확하게 알기는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인지 내가 아닌지 모르겠는 마음들의 경계를 어렴풋하게나마 그어 내고, 알알이 구분해 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나’가 흔들림 없이 안정된 자아로 오롯이 우뚝 설 수 있는 길인 것은 분명하다.

신내림의 진실 - 정연섭, 이유진 공저

신내림의 진실 - YES24


eBook공유하기

소득공제 EPUB3.0
eBook
신내림의 진실 [ EPUB3.0 ]정연섭, 이유진 공저 | 다크아트 | 2021년 08월 23일첫번째 구매리뷰를 남겨주세요.


소개
내림굿 없이 스스로 무당이 되는 과정인 성무수업을 통한 신내림의 진실을 밝힌다

무속 전통과 무속 역사 어디에도 내림굿은 없다. 내림굿은 무당이 되는 입문법이 아니며 돈만 내면 내림굿으로 무당이 되는 것이 아니다. 신을 돈으로 살 수 있다고 여기면 착각이다. 각자의 사연은 다르겠지만 내림굿으로 신을 받게 하는 행위와 내림굿으로 신을 받겠다라는 행위는 잘못된 것이다.

세상에 신께서 내려주시기를 기원하는 굿은 있어도 세상에 신을 내리는 굿은 없다. 신내림은 신의 영역이고 신내림을 받은 사람은 신의 구원을 받은 것이다.

그렇기에 무분별한 내림굿의 피해를 막고자 보이지 않는 신과 조상을 통한 무속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신내림이라는 증상을 통한 무당의 성무과정이라는 것을 알리고 내림굿 없이 스스로 무당이 되는 과정을 소개하며 내림굿으로 피해를 보거나 현재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무속과 무당
1. 무속은 풍속이다
2. 무당이란 누구인가?
3. 무당의 종류
4. 무당이 되는 과정
5. 무당이 하는 일과 배우는 일
6. 신 선생님이 하시는 일

신내림의 진실
1. 내림굿(신굿)의 폐해
2. 내림굿의 진실
3. 신기란?
4. 신병과 무병의 차이
5. 신가물이란?
6. 신눌림(눌림굿)이란?
7. 신이 들어오시는 경로
8. 혼자서 하는 신내림 테스트
9. 무당이 모시는 신(몸주신,주장신,조상신)
10. 무속의 신들의 종류
11. 천신만신

무사자통(無師自通) - 스스로 신내림 하기(무당 되기)
1. 부정 치기
2. 허주 치기(허주 벗기기)
3. 몸풀이
4. 선생님을 찾아라
5. 자동강신
6. 가리하기(가림하기)
7. 안택 좌정하기
8. 스스로 말문열기
9. 신당 만들기 - 전안과 건립(걸립)

기도하기
1. 접촉과 수신
2. 전안기도
3. 허공기도
4. 허공기도 주의사항
5. 산신기도, 용궁기도 시 음식과 촛불
6. 영검과 재주

점사내기
1. 직감 단련
2. 수신(풀고 닦고) - 습을 알자
3. 령이란 무엇인가?
4. 중심 잘 잡아라
5. 선과 줄
6. 신점-기감점사
1) 신점 보는 법
2) 신점 볼 때 유의사항
3) 사람들이 점을 보는 이유
7. 신점을 잘 보는 방법

부적과 비방
1. 부적의 의미
2. 부적의 종류와 효과
3. 부적 용도별 분류
4. 부적 준비물
5. 부적 제작
6. 부적의 유효기간
7. 부적 수련
8. 부적의 배합요령
9. 비방

경문
1. 무속 경문 분류
2. 무속의 경문
3. 경문 순서

제식
1. 모든 제식의 기본구조
2. 제식의 종류
3. 현대의 굿은 치성이다
4. 무속굿의 종류
5. 굿 행법
6. 굿에서의 뒷돈
7. 무속의 대표적인 열두거리
8. 황해도 12굿거리

신내림 - 표제어 - 한국민속신앙사전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신내림 - 표제어 - 한국민속신앙사전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신내림
한자명
降神

사전위치
한국민속신앙사전 > 무속신앙 > 용어

집필자 강정원(姜正遠)
정의

신이 무당에게 내리는 현상을 일컫는 말.

내용

신내림은 한자로 빙의(憑依)·접신(接神)·강신(降神)·망아(忘我)로 표현되며, 
영어로는 possession 혹은 trance로 표기된다. 

신내림 상태가 되면 신이 무당의 몸에 내려와서 의식(意識)을 지배하게 되는데, 탈혼(脫魂)처럼 무당의 혼이 몸을 이탈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내려서 자의식을 잃거나 의식이 변하게 된다.

 완전히 자의식을 상실하는 정신이상 상태가 아니라 주변 상황에 맞추어 자신을 통제하는 반의식 상태로 간주된다. 신이 내리면 몸의 감각은 과도한 흥분상태에 들어가며, 전율하거나 발작을 일으키기도 한다.

신내림은 입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며, 이를 신병 혹은 무병이라고 말한다. 한국 무교에서 신내림은 강신무의 굿 의례에서 필수적인 현상으로 무당은 신내림을 통해 초월적 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해 준다.

참조

빙의

참고문헌

Zur Struktur des Schamanismus (D. Schröder, Religionsethnologie, Akadenische Verlagsgesellschaft, 1964), 샤마니즘 (미르치아 엘리아데, 까치, 1998), 샤먼 (피어스 비텝스키, 창해,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