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 2판
이부영 (지은이)집문당2008-12-20
한국신화/전설/민담 주간 21위, 인문학 top100 4주|
Sales Point : 807
9.3 100자평(2)리뷰(1)
책소개
정신과 전문의가 우리 나라 민담에 나타난 우리 민족의 심성을 깊이있게 분석하는 책이다. 이 책은 우리 조상들의 심상이 민담 속에 어떤 형태로 스며들어 있는지, 그리고 일반 민중 속에 자리잡고 있는 우리의 근본 특성은 무엇인가를 흥미있게 밝히고 있다.
목차
Ⅰ. 분석심리학과 민담해석
1. 분석심리학이란 무엇인가
2. 민담과 무의식
3.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4. 맺는 말: 새로운 신화의 창조
Ⅱ. 한국민담 속의 갈등과 그 해결
1. 진짜와 가짜의 문제: 민담 <네가 누구냐>와 ‘그림자’의 문제
2. <지네장터>설화: 영웅원형의 한국적 전개
3. 호랑이와 세 아이: 악에의 대결과 우주적 해결
4. 한국민담에 나타난 악의 상과 대처양식
Ⅲ. 한국민담에 나타난 한과 여성상
1. 원령전설과 한의 심리
2. <선녀와 나무꾼>: ‘아니마’를 찾아서
3. 한국민담 속의 여성원형상: 한국여성의 <전통상>과의 관련에서
Ⅳ. 한국민담에 나타난 질병과 치료의 상징
1. 원형적 치료자의 한 유형: 두신무가를 중심으로
2. 한국민담 속의 질병과 치유
참고문헌
Contents
찾아보기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부영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 의대(1959)와 동 대학원 졸업, 의학박사
신경정신과 전문의
스위스 취리히 체. 게. 융(C. G. Jung)연구소 수료(1966)
Jung학파 분석가. 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
스위스 취리히 C. G. 융연구소 강사 역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직(1969~1997), 동 교실 주임교수
미국 하와이 동서센터(East-West Center) 초빙연구원으로 문화와 정신건강 연구계획 참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과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장 및 이사장
동아시아문화정신의학회 창립회장
한국분석심리학... 더보기
최근작 : <동양의학 연구>,<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세트 - 전3권>,<자기와 자기실현 (양장)> … 총 3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 나라 민담에 나타난 우리 민족의 심성을 정신과 전문의가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심상이 민담 속에 어떤 형태로 스며들어 있나, 그리고 일반 민중 속에 자리잡고 있는 우리의 근본 특성은 무엇인가를 흥미있게 밝히고 있다.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감순
저자의 분석심리학과 분석심리학 탐구 3부작을 읽고 이 책을 읽었는데 조금 실망스럽습니다. 민담을 읽음으로써 예감하게 되는 어떤 것 이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이지가 않았습니다. 미진한 느낌이랄까.
우끼끼 2012-03-27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우리나라민담분석중융적시각으로풀어낸논술로는최고의정성과전문성을보이고있다/방대한비교민속적자료를분석하면서융의이론을겸허하게적용하는속깊은혜안이일품이다/융저작선을비롯융관련학문을공부하는이라면자신의삶을융적으로성찰할것인데구체적인임상사례로삼을수있을것이다/역술가들이여융을읽자!
게라심 2014-12-0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한국인의 심층
한국인의 심층을 민담을 통하여 들여다본다. 저자가 인용하듯이 프란츠 여사의 말씀대로 민담의 심층심리 해석은 일률적일 수 없으며 해석자가 적극적으로 구성해내는 대상이다. 저자는 프란츠 여사가 루마니아 고양이 민담 해석에서 보인 토대를 고스란히 옮겨 우리 민담에 적용한 듯이 보인다. 아시아인 해석자가 보일 수 있는 반응이 다소 축소된 인상이다.
마일즈 2009-09-27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2022/07/05
2022/07/04
[문화] 분석심리학 대가 이부영 교수가 본 ‘한국인’ - 조선일보
[문화] 분석심리학 대가 이부영 교수가 본 ‘한국인’ - 조선일보
[문화] 분석심리학 대가 이부영 교수가 본 ‘한국인’
*이준호기자
입력 1999.11.23
이부영(67) 서울대 명예교수는 국내 분석심리학의 대가다.
33년전 스위스 융 연구소에서 융 학파 '분석가 자격'을 취득하고
서울대 의대 신경정신과장을 역임하며 이론과 임상 양 부문에서
탄탄한 실력을 쌓았다. 2년전 정년퇴임하고 성북동 한국융연구원에서
후학들을 지도하는 이 교수가 최근 '그림자-마음속의 어두운 반려자'
(한길사)를 내놓았다. 융심리학를 통해 한국인의 마음을 분석하려는
3부작 중 첫째권. 앞으로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와 자기실현' 등
1년씩 펴낸다는 야심있는 기획이다.
====
사진설명 :
97년 정년퇴임 후 한국융연구원에서 후학들을 지도하는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이기룡기자 krlee@chosun.com*)
===
"책 제목이 다소 생소할지 모르겠어요. 예를 들면, 우리 무속을
들여다보세요. 무당은 유교의 그림자 노릇을 했어요. 점잖은 선비들은
무당을 싫어했는데 무당은 바로 선비들의 무의식속에 자리잡은 비합리성과
자유분방성이라는 그림자를 투사한 존재였죠. 그림자란 이렇게 자아에
숨겨진 어둡고 활성화되지 못한 억압 혹은 컴플렉스를 말합니다."
칼 구스타프 융(1875~1961)은 인간의 집단무의식에 대한 분석심리학을
제창한 거목. 융 전문가에 읽힌 한국인의 심성은 어떤 것일까. 이
교수는 내향성과 외향성 개념을 이용해 설명했다.
"압축적 성장을 하느라 우리 마음에 이상이 생겼어요. 너무 외향적으로
변해버렸습니다. 내향적 전통을 가진 동양이 서구를 따라가려고 흉내를
내다가 오히려 서양인보다 외향적으로 바뀐 것이죠. 동양이 '서양'이라는
그림자의 세례를 받은 셈입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외화내빈을 들었다. 밖으로 보이는 것에만
신경을 쓰고, 고층건물이나 대형 경기장 등 대형-대량에 대한 숭배주의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실질이나 내용을 외면한 결과 삼풍아파트가
무너지고 IMF를 맞았다는 진단이다.
" 5·16 이후 이런 경향이 강해졌어요. 조급히 서두르는 '빨리빨리 병',
상대방 장점을 인정하지 않고 업적을 깎아내리는 '너죽고 나죽자 병',
지역과 동문끼리 뭉치는 '끼리끼리 병', 매사에 양극단을 가지고 팽팽히
대립하는 '흑백판단증'등이죠."
빨리 근대화를 해야했기 때문에 수량과 생산성을 강조해야 했던 상황은
인정하지만 '마음의 고향'을 잃어버렸다고 부연한다. 전략 전술만 알뿐
무엇이 옳고 그른지 철학의 부재를 초래했다고 말한다.
이런 심성의 왜곡은 시대나 제도의 탓이 아닐까? "아닙니다. 제도는
개성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조건에 불과해요. 헤엄칠수 있는
공간이 제도라면 헤엄을 잘 치느냐 못치느냐는 개인의 몫입니다. 모든
것을 상황 탓이라고 돌리는 것은 잘못이죠." 따라서 사회적인 치유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도 애를 써야한다는 것으로 들렸다.
그는 우리 사회의 집단무의식에 대해서도 메스를 들이댔다.
"개인적인 무의식과 달리 집단 무의식이 투사되면 강력한 힘으로 초인적
대상을 절대적으로 숭배하거나 증오하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영웅신화를
재현한다고 할까요. 김일성을 우상화하는 북한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런데 남한에서는 이것이 돈이나 물질에 대한 숭배로 나타나고 있어요."
21세기를 앞둔 한국인들의 정신적 준비에 대해서는 "세계화니 뭐니해서
엄벙덤벙 남의 것만을 쫓아다니다가는 또 망한다"고 말했다. 개성에 바탕한
한사람 한사람의 자기실현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생각하는 사람들의 작은
모임이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국융연구원: 융 심리학의 교육기관으로, 매주 화요일 세미나를 통해
신경전문의들을 수련시키고 있다. 국내에 있는 '국제 분석심리학회'
정회원은 5명. 1천여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는 한국분석심리학회는 1년
2회 학술 토론회를 열고 있다.
세미나 > 세미나 > <융세미나>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by 이부영 - 1-4장 모임 후기
세미나 > 세미나 > <융세미나>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by 이부영 - 1-4장 모임 후기
감이당소개
강좌
세미나
Tg스쿨
북꼼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세미나
· 세미나
· 기획세미나
· 청년영성비전탐구
· 조선왕조 세미나
· 동의보감 세미나
· SZ불교
사진방
◀ ▶
<카페일지> 선물을 순환시킨다는 것
<주방일지>여름맞이 대청소!
목성 2학기 9주차 에세이 발표 후기
<주방일지> 여름이구만!
<카페일지> 오늘도 명랑카페는 맑음!
<주방일지> 후덥지근한 주방!
<함백일지> 선풍기와 힘싸움을 (1)
<주방일지> 접속접속주방
<카페일지> 선물을 순환시킨다는 것
<주방일지>여름맞이 대청소!
목성 2학기 9주차 에세이 발표 후기
<주방일지> 여름이구만!
세미나
홈 > 세미나>세미나
<융세미나>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by 이부영 - 1-4장 모임 후기
글쓴이 : 이진 | 작성일 : 14-09-05 15:15
조회 : 3,674
한 달의 방학을 끝내고 드디어 다시 모여 시작한 책의 주제는 다름 아닌 샤머니즘!
제목의 무게와 어마어마한 분량 때문에 혼자라면 펼쳐보기 어려웠을 이부영 선생의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은 일단 시작하니 생각보다 술술 넘어가는 편이었습니다. 아마도 융 전집 9권을 거친 일말의 내공 때문일까요?ㅎㅎㅎ
샤머니즘과 한국의 무속을 연결지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그 정신적 현상들을 (익숙한^^) 분석심리학의 용어로 짚어보는 방식에서 별세계라 여겨졌던 어떤 영역과 우리의 일상 영역이 별개가 아님을 한땀 한땀 이어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시대가 달라지고 기운이 달라지면서 이전의 강렬한 정동체험이 사라지는 반면, 선무당의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는 현실 진단에서는 우리가 속해 살아가는 시대의 정신상태가 어떻게 '썩어'있는가를 단적으로 요약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심오하고 신비로운 혼, 누미노제와의 대화는 잃어버리고 탐욕어린 기복과 상업적 술수만 남아 음지에서 판치고 있는 한국 무속의 상황은 어찌 보면 한 사람의 개인적 상황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씁쓸함이 가득 남습니다. 시대는 이러하고 나는 이 시대에 속해 있으니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몽골에서였죠? 한 번 찢겨지면 작은 샤먼이 되고, 세 번 찢겨지면 큰 샤먼이 된다고 했습니다. 꼭 샤먼이나 무당이 아니라해도 살아가면서 만난 '어른'의 면모를 지닌 사람들은 나름대로 찢김을 감당한 이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찢김이 그들을 열린 존재로 만들었겠죠. 내 한 몸 오래오래 편안히 사는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여겨 찢김의 가능성을 애초해 차단하는 사람들에게는 영원히 열린 존재, 혹은 어른이 될 기회는 찾아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수많은 고통들 - 몸의 고통, 정신의 고통 - 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그러니까 현재 가지고 있는 나의 고통은 곧 나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이네요.
샤머니즘 자체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 책을 읽어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샤머니즘의 의미를 조금 더 확대해서 평범한 나의 일상과 연결을 지을 수 있다면 또 다른 독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한 무당의 영험함 조차도 그의 특별한 재능이라기보다는 그의 인격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만신 김금화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이부영 선생의 진심어린 언급도 머리를 스쳐가네요. 나의 갈망은 저 멀리 바람부는 몽골의 언덕을 향하지만 나의 몸은 여기에서 어찌 이리 무기력할까요....
일단 여행이나 떠나렵니다^^
모두 추석 잘 지내시고 17일 시립미술관 입구 1시에 뵈어요~~
총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일명 2014-09-18 18:05:12
이진샘 잘 읽었습니다.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에서 신체의 해체(찢김)현상을 말하고 특히 야쿠트족의 경우 큰 샤먼의 세번 찢김을 말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미술여행 겸 산티아고 순례길 건강하게 잘 다녀오시고, 그 길이 내안의 누미노제를 만나는 길이기를^^
감이당소개
강좌
세미나
Tg스쿨
북꼼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세미나
· 세미나
· 기획세미나
· 청년영성비전탐구
· 조선왕조 세미나
· 동의보감 세미나
· SZ불교
사진방
◀ ▶
<카페일지> 선물을 순환시킨다는 것
<주방일지>여름맞이 대청소!
목성 2학기 9주차 에세이 발표 후기
<주방일지> 여름이구만!
<카페일지> 오늘도 명랑카페는 맑음!
<주방일지> 후덥지근한 주방!
<함백일지> 선풍기와 힘싸움을 (1)
<주방일지> 접속접속주방
<카페일지> 선물을 순환시킨다는 것
<주방일지>여름맞이 대청소!
목성 2학기 9주차 에세이 발표 후기
<주방일지> 여름이구만!
세미나
홈 > 세미나>세미나
<융세미나>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by 이부영 - 1-4장 모임 후기
글쓴이 : 이진 | 작성일 : 14-09-05 15:15
조회 : 3,674
한 달의 방학을 끝내고 드디어 다시 모여 시작한 책의 주제는 다름 아닌 샤머니즘!
제목의 무게와 어마어마한 분량 때문에 혼자라면 펼쳐보기 어려웠을 이부영 선생의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은 일단 시작하니 생각보다 술술 넘어가는 편이었습니다. 아마도 융 전집 9권을 거친 일말의 내공 때문일까요?ㅎㅎㅎ
샤머니즘과 한국의 무속을 연결지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그 정신적 현상들을 (익숙한^^) 분석심리학의 용어로 짚어보는 방식에서 별세계라 여겨졌던 어떤 영역과 우리의 일상 영역이 별개가 아님을 한땀 한땀 이어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시대가 달라지고 기운이 달라지면서 이전의 강렬한 정동체험이 사라지는 반면, 선무당의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는 현실 진단에서는 우리가 속해 살아가는 시대의 정신상태가 어떻게 '썩어'있는가를 단적으로 요약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심오하고 신비로운 혼, 누미노제와의 대화는 잃어버리고 탐욕어린 기복과 상업적 술수만 남아 음지에서 판치고 있는 한국 무속의 상황은 어찌 보면 한 사람의 개인적 상황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씁쓸함이 가득 남습니다. 시대는 이러하고 나는 이 시대에 속해 있으니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몽골에서였죠? 한 번 찢겨지면 작은 샤먼이 되고, 세 번 찢겨지면 큰 샤먼이 된다고 했습니다. 꼭 샤먼이나 무당이 아니라해도 살아가면서 만난 '어른'의 면모를 지닌 사람들은 나름대로 찢김을 감당한 이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찢김이 그들을 열린 존재로 만들었겠죠. 내 한 몸 오래오래 편안히 사는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여겨 찢김의 가능성을 애초해 차단하는 사람들에게는 영원히 열린 존재, 혹은 어른이 될 기회는 찾아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수많은 고통들 - 몸의 고통, 정신의 고통 - 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그러니까 현재 가지고 있는 나의 고통은 곧 나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이네요.
샤머니즘 자체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 책을 읽어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샤머니즘의 의미를 조금 더 확대해서 평범한 나의 일상과 연결을 지을 수 있다면 또 다른 독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한 무당의 영험함 조차도 그의 특별한 재능이라기보다는 그의 인격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만신 김금화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이부영 선생의 진심어린 언급도 머리를 스쳐가네요. 나의 갈망은 저 멀리 바람부는 몽골의 언덕을 향하지만 나의 몸은 여기에서 어찌 이리 무기력할까요....
일단 여행이나 떠나렵니다^^
모두 추석 잘 지내시고 17일 시립미술관 입구 1시에 뵈어요~~
총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일명 2014-09-18 18:05:12
이진샘 잘 읽었습니다.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에서 신체의 해체(찢김)현상을 말하고 특히 야쿠트족의 경우 큰 샤먼의 세번 찢김을 말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미술여행 겸 산티아고 순례길 건강하게 잘 다녀오시고, 그 길이 내안의 누미노제를 만나는 길이기를^^
“귀신, 믿으면 있고 안 믿으면 없다” : 조현이만난사람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귀신, 믿으면 있고 안 믿으면 없다” : 조현이만난사람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휴심정조현이만난사람
“귀신, 믿으면 있고 안 믿으면 없다”
등록 :2012-02-09 09:47
프린트
정신분석학의 대가 이부영 한국융연구원장
“죽음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알 수 없는 세계로 가는 것
무당은 잃어버린 혼을 찾아 병 고치는 정신과 의사 조상”
한국융연구소에 걸린 칼 구스타브 융의 사진을 바로보고 있는 이부영 원장 정신분석학의 권위자는 ‘귀신’의 존재를 어떻게 볼까.
최근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한길사 펴냄)을 낸 이부영(80) 한국융연구원 원장을 지난 3일 서울 성북동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장과 미국 뉴욕 유니언신학대학원의 석좌교수를 지낸 이 원장은 1961년부터 6년간 머물며 스위스 융연구소에서 융학파 분석가 자격증을 취득했고, 정년 퇴직한 1997년 융연구소를 설립해 후학을 길러내고 있다. 정신분석의 대가 가운데 그가 더욱 독특한 것은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부터 시작해 융연구소와 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 한국의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써왔다는 점이다. 이번 책은 평생 샤머니즘과 정신분석학의 양날개로 날아온 연구의 결정판이다. “칼 융도 귀신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기 어렵다고 해”
귀신을 불러낸다는 무당을 평생 관찰하고, 인간의 심리를 연구해온 그에게 단도직입적으로 ‘귀신이 있느냐, 없느냐’를 물었다. 첫 답변은 “실제 귀신이 있는 지 없는지 잘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첫 답변에 대한 실망스런 표정을 읽었음인지 그는 금세 부연했다.
“귀신을 실체로 믿는 사람들에겐 존재하는 것이고, 이를 믿지 않는 기독교인들에겐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심리적으로 보면 귀신은 무의식의 콤플렉스로 볼 수 있다.”
20대 때 가톨릭에 귀의한 신자이면서도 ‘융 신자’라고 할만큼 칼 구스타브 융(1875~1961)의 신봉자인 이 원장은 융의 말로 답을 대신했다. 융의 노트를 보면 ‘처음엔 무의식의 투사라고만 생각했던 귀신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기 어렵다’고 적혀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이어 1960년대 융연구소에서 수련과정을 마치고 귀국해 경남 진주에서 ‘아이의 귀신’이 들렸다는 무당에게 점을 친 체험을 들려주었다.
서울 성북동 한국융연구원 인근의 간송미술관에서 선 이부영 원장
“무당이 나의 돌아가신 선친이라며 ‘나는 추운데서 고생하고 있는데, 너는 네 걱정만 하고 있느냐’고 추궁하는데, 그 때 정말 선친이 왔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만약 내가 감정적으로 반응해 뭔가 말로 표출했다면 계속 대화가 이어졌을텐데, 이성적이고 합리성을 존중하는 내 쪽에서 더 반응하지 않자 무당도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문학은 픽션(허구)이지만, 거기에 진실이 없다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또 죽은자(귀신)와 대화를 하거나 멀리 있는 가족의 죽음을 꿈 등을 통해 인지하는 현상에 대해 “우리의 무한한 의식이 가지고 있는 ‘절대 지(모든 것을 앎)’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동시성의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융의 수제자이자 자신의 스승인 폰 프란츠가 “죽는다는 것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인지할 수 없는 세계로 가는 것”이라고 한 말을 전하며 흥미있는 일화 하나를 더 들려주었다. “꿈에 나타난 죽은 자, 5번 중 2번은 실제로 다녀간 것”
“죽은 자에 대해 5번의 꿈을 꾼 의뢰인이 폰 프란츠에게 해석을 부탁했을 때, ‘2건은 죽은 사람이 진짜 다녀간 것이고, 3건은 자신의 콤플렉스가 나타난 것’이라는 답을 듣고, 믿기지 않아 같은 꿈을 들고 융에게 분석을 의뢰하자 융도 똑같은 결론을 내려 놀랐다고 한다.”
이 원장은 “샤먼(무당)은 엑스터시로 황홀경에 빠져 환자의 ‘잃어버린 혼’을 찾아줘 병을 고치는데, 그런 면에서 그들은 ‘정신과 의사들의 조상’”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 책에서 샤먼이 되기까지 꿈과 무병을 통해 육신이 갈기갈기 찢기는 것을 비롯해 수많은 고통을 겪는 입무(入巫)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런 고행과 고통이 타인을 치유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그가 이 책의 부제를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라고 한 것도 샤먼이 겪는 고통의 의미와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그는 “샤먼이 힘든 고통의 과정을 겪고 자기를 넘어섬으로서 치유자로 거듭나는 것과 같이 누구나 고통을 겪고 이겨냄으로써 내적으로 강해진다”고 강조했다. 그런데도 ‘요즘은 아이들을 과잉보호해 의존심만 갖게하고, 기를 살려주기만 했지 충동을 절제하고 감내하도록 길러내지 못해 고통을 견뎌내지 못한 채 쉽게 자살 충동을 일으킨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는 “어른들도 무조건 고통을 기피하고 술과 환각제로 이를 넘길 생각만 할만큼 나약해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진정한 종교인이 사라지고 장사치가 많아진 것처럼 샤먼의 세계도 가짜 무당이 많다”고 지적하면서도 “신화를 제대로 보존해오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만신(萬神)은 별처럼 많은 무의식을 보여주고, 샤먼의 무가(巫歌)는 고대 신화와 원형을 발견하게 해준다”고 말했다. 그는 “샤먼은 사라져도 운동 경기의 응원 무대에서, 광화문의 시위 현장에서, 예배당에서 모습을 바꿔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휴심정조현이만난사람
“귀신, 믿으면 있고 안 믿으면 없다”
등록 :2012-02-09 09:47
프린트
정신분석학의 대가 이부영 한국융연구원장
“죽음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알 수 없는 세계로 가는 것
무당은 잃어버린 혼을 찾아 병 고치는 정신과 의사 조상”
한국융연구소에 걸린 칼 구스타브 융의 사진을 바로보고 있는 이부영 원장 정신분석학의 권위자는 ‘귀신’의 존재를 어떻게 볼까.
최근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한길사 펴냄)을 낸 이부영(80) 한국융연구원 원장을 지난 3일 서울 성북동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장과 미국 뉴욕 유니언신학대학원의 석좌교수를 지낸 이 원장은 1961년부터 6년간 머물며 스위스 융연구소에서 융학파 분석가 자격증을 취득했고, 정년 퇴직한 1997년 융연구소를 설립해 후학을 길러내고 있다. 정신분석의 대가 가운데 그가 더욱 독특한 것은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부터 시작해 융연구소와 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 한국의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써왔다는 점이다. 이번 책은 평생 샤머니즘과 정신분석학의 양날개로 날아온 연구의 결정판이다. “칼 융도 귀신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기 어렵다고 해”
귀신을 불러낸다는 무당을 평생 관찰하고, 인간의 심리를 연구해온 그에게 단도직입적으로 ‘귀신이 있느냐, 없느냐’를 물었다. 첫 답변은 “실제 귀신이 있는 지 없는지 잘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첫 답변에 대한 실망스런 표정을 읽었음인지 그는 금세 부연했다.
“귀신을 실체로 믿는 사람들에겐 존재하는 것이고, 이를 믿지 않는 기독교인들에겐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심리적으로 보면 귀신은 무의식의 콤플렉스로 볼 수 있다.”
20대 때 가톨릭에 귀의한 신자이면서도 ‘융 신자’라고 할만큼 칼 구스타브 융(1875~1961)의 신봉자인 이 원장은 융의 말로 답을 대신했다. 융의 노트를 보면 ‘처음엔 무의식의 투사라고만 생각했던 귀신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기 어렵다’고 적혀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이어 1960년대 융연구소에서 수련과정을 마치고 귀국해 경남 진주에서 ‘아이의 귀신’이 들렸다는 무당에게 점을 친 체험을 들려주었다.
서울 성북동 한국융연구원 인근의 간송미술관에서 선 이부영 원장
“무당이 나의 돌아가신 선친이라며 ‘나는 추운데서 고생하고 있는데, 너는 네 걱정만 하고 있느냐’고 추궁하는데, 그 때 정말 선친이 왔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만약 내가 감정적으로 반응해 뭔가 말로 표출했다면 계속 대화가 이어졌을텐데, 이성적이고 합리성을 존중하는 내 쪽에서 더 반응하지 않자 무당도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문학은 픽션(허구)이지만, 거기에 진실이 없다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또 죽은자(귀신)와 대화를 하거나 멀리 있는 가족의 죽음을 꿈 등을 통해 인지하는 현상에 대해 “우리의 무한한 의식이 가지고 있는 ‘절대 지(모든 것을 앎)’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동시성의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융의 수제자이자 자신의 스승인 폰 프란츠가 “죽는다는 것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인지할 수 없는 세계로 가는 것”이라고 한 말을 전하며 흥미있는 일화 하나를 더 들려주었다. “꿈에 나타난 죽은 자, 5번 중 2번은 실제로 다녀간 것”
“죽은 자에 대해 5번의 꿈을 꾼 의뢰인이 폰 프란츠에게 해석을 부탁했을 때, ‘2건은 죽은 사람이 진짜 다녀간 것이고, 3건은 자신의 콤플렉스가 나타난 것’이라는 답을 듣고, 믿기지 않아 같은 꿈을 들고 융에게 분석을 의뢰하자 융도 똑같은 결론을 내려 놀랐다고 한다.”
이 원장은 “샤먼(무당)은 엑스터시로 황홀경에 빠져 환자의 ‘잃어버린 혼’을 찾아줘 병을 고치는데, 그런 면에서 그들은 ‘정신과 의사들의 조상’”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 책에서 샤먼이 되기까지 꿈과 무병을 통해 육신이 갈기갈기 찢기는 것을 비롯해 수많은 고통을 겪는 입무(入巫)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런 고행과 고통이 타인을 치유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그가 이 책의 부제를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라고 한 것도 샤먼이 겪는 고통의 의미와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그는 “샤먼이 힘든 고통의 과정을 겪고 자기를 넘어섬으로서 치유자로 거듭나는 것과 같이 누구나 고통을 겪고 이겨냄으로써 내적으로 강해진다”고 강조했다. 그런데도 ‘요즘은 아이들을 과잉보호해 의존심만 갖게하고, 기를 살려주기만 했지 충동을 절제하고 감내하도록 길러내지 못해 고통을 견뎌내지 못한 채 쉽게 자살 충동을 일으킨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는 “어른들도 무조건 고통을 기피하고 술과 환각제로 이를 넘길 생각만 할만큼 나약해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진정한 종교인이 사라지고 장사치가 많아진 것처럼 샤먼의 세계도 가짜 무당이 많다”고 지적하면서도 “신화를 제대로 보존해오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만신(萬神)은 별처럼 많은 무의식을 보여주고, 샤먼의 무가(巫歌)는 고대 신화와 원형을 발견하게 해준다”고 말했다. 그는 “샤먼은 사라져도 운동 경기의 응원 무대에서, 광화문의 시위 현장에서, 예배당에서 모습을 바꿔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의협신문 - '김두종 학술상'에 '융 대가'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의협신문 - '김두종 학술상'에 '융 대가'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김두종 학술상'에 '융 대가'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승인 2021.11.03 10:51
대한의사학회, 14년만에 수상자 결정…한국·동양 의학사 연구 기여
분석심리학·정신요법 국내 첫 도입…왕성한 저작 활동 역저 다수 펴내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대한의사학회가 제정한 '김두종 학술상' 제3회 수상자로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대한의사학회 창립 산파역을 맡아 학회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 고 일산 김두종 박사의 업적을 기리고, 회원들의 학술적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제정했다.
제1회 '김두종 학술상'은 고 기창덕 박사(서울대 명예교수·2005년), 2회는 고 손홍렬 박사(청주대 명예교수·2007년)가 각각 수상했다.
14년만에 3회 수상자로 선정된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융 학파의 분석심리학과 정신요법을 국내에 첫 도입한 개척자로, 문화와 정신건강의 상호관계를 파헤친 '문화정신의학'을 통해 한국과 동양의 의학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또 정신의학 관점에서 의학사 연구에 매진해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2012), <동양의학 연구>(2021) 등 뛰어난 저작 활동으로 이 분야에서 새 지평을 열었다.
이 명예교수는 서울의대와 동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수련을 마쳤다. 이후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융연구소 연수과정을 수료(1966)하며 융학파 분석가 자격을 취득하고 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이 됐다. 독일·스위스 등 각지 정신병원에서 수련·근무했으며, 귀국 후 서울의대 신경정신과 교수, 신경정신과장 등을 지냈다.
이 밖에 미국 하와이 동서센터 '문화와 정신건강연구계획' 초빙연구원, 뉴욕 유니언 신학대학원 '정신의학과 종교 강좌'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 정년퇴임(1997) 후 동 대학 명예교수로 추대됐으며, 분석심리학의 전문수련기관인 한국융연구원을 설립해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벽봉학술상(1992), 미국표현정신병리학회 에른 크리스(Ernst Kris) 은상(1995)·금상(2000), 대한의학회의 분쉬의학상(1995), 미국정신사회재활협회 알렉산더 그랄닉 상(Alexander Gralnick Memorial Award·1996), 국제표현정신병리 및 예술요법학회 로버트 볼마 상(Robert Volmat Prize·1997), 서울의대 동창회 함춘대상(2014)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2016)에 등재됐다.
저서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분석심리학의 탐구' 3부작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와 자기실현> 등을 비롯 <분석심리학: C.G. Jung의 인간심성론>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분석심리학적 접근>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노자와 융> <괴테와 융> <동양의학 연구>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융 기본 저작집>(C.G. 융, 전9권, 감수 및 공역) <현대의 신화>(C.G. 융) <인간과 상징>(C.G. 융, 공역)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아니엘라 야훼 엮음) <C. G. 융 - 우리 시대 그의 신화> 등이 있다.
'김두종 학술상' 시상식은 11월 5일 오후 1시에 열린다.
'김두종 학술상'에 '융 대가'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승인 2021.11.03 10:51
대한의사학회, 14년만에 수상자 결정…한국·동양 의학사 연구 기여
분석심리학·정신요법 국내 첫 도입…왕성한 저작 활동 역저 다수 펴내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대한의사학회가 제정한 '김두종 학술상' 제3회 수상자로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대한의사학회 창립 산파역을 맡아 학회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 고 일산 김두종 박사의 업적을 기리고, 회원들의 학술적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제정했다.
제1회 '김두종 학술상'은 고 기창덕 박사(서울대 명예교수·2005년), 2회는 고 손홍렬 박사(청주대 명예교수·2007년)가 각각 수상했다.
14년만에 3회 수상자로 선정된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융 학파의 분석심리학과 정신요법을 국내에 첫 도입한 개척자로, 문화와 정신건강의 상호관계를 파헤친 '문화정신의학'을 통해 한국과 동양의 의학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또 정신의학 관점에서 의학사 연구에 매진해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2012), <동양의학 연구>(2021) 등 뛰어난 저작 활동으로 이 분야에서 새 지평을 열었다.
이 명예교수는 서울의대와 동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수련을 마쳤다. 이후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융연구소 연수과정을 수료(1966)하며 융학파 분석가 자격을 취득하고 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이 됐다. 독일·스위스 등 각지 정신병원에서 수련·근무했으며, 귀국 후 서울의대 신경정신과 교수, 신경정신과장 등을 지냈다.
이 밖에 미국 하와이 동서센터 '문화와 정신건강연구계획' 초빙연구원, 뉴욕 유니언 신학대학원 '정신의학과 종교 강좌'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 정년퇴임(1997) 후 동 대학 명예교수로 추대됐으며, 분석심리학의 전문수련기관인 한국융연구원을 설립해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벽봉학술상(1992), 미국표현정신병리학회 에른 크리스(Ernst Kris) 은상(1995)·금상(2000), 대한의학회의 분쉬의학상(1995), 미국정신사회재활협회 알렉산더 그랄닉 상(Alexander Gralnick Memorial Award·1996), 국제표현정신병리 및 예술요법학회 로버트 볼마 상(Robert Volmat Prize·1997), 서울의대 동창회 함춘대상(2014)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2016)에 등재됐다.
저서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분석심리학의 탐구' 3부작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와 자기실현> 등을 비롯 <분석심리학: C.G. Jung의 인간심성론>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분석심리학적 접근>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노자와 융> <괴테와 융> <동양의학 연구>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융 기본 저작집>(C.G. 융, 전9권, 감수 및 공역) <현대의 신화>(C.G. 융) <인간과 상징>(C.G. 융, 공역)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아니엘라 야훼 엮음) <C. G. 융 - 우리 시대 그의 신화> 등이 있다.
'김두종 학술상' 시상식은 11월 5일 오후 1시에 열린다.
나의 분석심리학 입문기 by정찬승
나의 분석심리학 입문기
by정찬승
의과대학 시절 처음 분석심리학 이론을 접할 때는 그리 큰 흥미를 갖지 못했다. 하지만, 병원 실습 기간 중에 분석심리학회의 주최로 서울아산병원에서 열린 기초강좌에 참석하여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이부영 선생님과 이죽내 선생님의 강의가 지금도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어떤 충격이었을까? 이전에는 들어보지 못한 인간의 정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있었다. 내가 어렴풋이 느껴오던 무언가와 일치되는 느낌이 들었다. 정체되어 있던 마음이 활력을 얻게 되었고, 분석심리학에 대한 매력을 느꼈다. 이 모든 느낌은 젊은 시절의 회상이지만, 그 당시의 지적 흥분과 고양된 감정의 경험만큼은 지금도 확실히 남아 있다. 게다가 정신과 실습이 시작되고 보니 당시 주임교수로 계시던 연병길 선생님께서 분석심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제자들을 가르치고 계셨다. 마음의 구조를 멋진 그림으로 그려서 알려주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당시에는 ‘정신과 의사라면 분석심리학은 기본으로 알고 있구나.’ 하는 오해까지 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내가 수련을 받은 병원에서는 정신과 전공의가 되면 처음에는 정신분열병이나 양극성 정동장애에 해당하는 환자의 진료를 맡고 배우기 시작한다. 그런데, 수련의로서 첫해가 끝나갈 무렵 담당하게 된 환자는 약물치료보다도 집중적인 정신치료를 필요로 했다. 나는 자신이 없었다. 그런 내 심정을 알아보신 연병길 선생님께서 직접 정신치료 지도를 해줄 테니 열심히 해보라고 말씀해주셨다. 진지하게 정신치료에 임했고, 환자의 꿈과 연상도 수집했다. 열정은 높았지만, 실수투성이인 시간들이었다. 그런데, 놀라운 사건은 정신치료 지도 시간에 일어났다. 선생님과 토론을 하다 보니 내가 그토록 곤란함을 느끼고 어찌할 바를 모르던 환자의 현실의 문제와 꿈이 의미 있는 맥락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요즘도 학회나 공개강좌 때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이지만, 그 당시에도 분석심리학이 임상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는지가 모호했다. 하지만, 이해할 수 없었던 환자의 꿈속에 그림자와 아니무스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어렴풋이 이해가 가기 시작했다. 그에 더해 치료자의 자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다. 환자의 정신치료에 대한 지도이면서도 자신의 치료자로서의 자세와 인간의 정신과 고통에 대한 자세를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후에도 여러 환자들의 정신치료를 지속하는 가운데, 분석심리학적 접근이 결코 모호한 것이 아니라 임상 실제에서 나타나는 정신현상에 대한 경험적인 학문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분석심리학파에서는 치료자 자신이 피분석자로서의 경험을 쌓아야 함을 강조한다. 오랜 기간 철저한 수련 없이 꿈을 해석하는 것을 심각하게 경계하고 있다. 끝을 알 수 없는 심오한 무의식에 대한 경험과 수련이 없는 상태에서의 섣부른 해석은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고, 잘못된 해석은 환자나 치료자에게 오히려 해를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자에게 꿈의 해석을 해주지 않아도 깊은 관심을 보이니 꿈속에 나타나는 상들이 변화되고 정신적 통합으로의 방향을 향해가며, 그러한 변화 중에 환자의 증상도 호전되는 것을 직접 경험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한국융연구원에서 열린 전공의 교육 워크숍에서 케이스를 발표하며 한오수 선생님의 지도를 받기도 했다. 그래도 여전히 분석심리학은 어려운 학문이었다. 직접적인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나 자신의 무의식을 체험하고 싶다는 소망이 강해져 연병길 선생님의 소개로 이부영 선생님으로부터 분석을 받기 시작했다. 그것은 내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내 의식이 변화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내 개인적인 경험과 관련된 개인적 무의식과 더불어 내 경험과 연관을 지을 수 없고 오히려 인류의 보편적인 정신에 속하는 집단적 무의식을 체험하기 시작했다. 무의식은 나에게 크고 작은 메시지와 과제를 주었다. 내 의식의 일방성에 대한 무의식의 반응을 이제 의식의 자아가 통합해야 했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나타나 나를 괴롭히는 그림자들, 온갖 매혹과 알 수 없는 메시지를 던지는 아니마들, 어마어마한 충격으로 나타나는 여러 원형상들, ‘전체’의 감동을 전해주는 자기의 상(image)들은 분석을 통하지 않고는 결코 헤아릴 수 없는 무의식의 놀라운 메시지들이다.
무의식에 대한 경험이 가져온 내 삶의 변화는 수 없이 많고 크다. 허공을 맴돌며 부유하는 것 같던 나의 삶이 현실의 터전에 뿌리박고 설 수 있게 되었으며, 가족의 갈등이 해결되었고, 후손을 낳고 기르는 일을 기쁘게 받아들이게 되었고, 생기를 잃어가던 종교적인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완결과는 거리가 멀다. 여전히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변화를 기다리고 있는 과정의 일부다. 무엇보다도 내 삶이 페르조나의 허상들을 좇지 않고 중심을 향해갈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었다.
2004년에 분석을 받던 중에 강렬한 꿈을 꾸게 되었다.
“… 어떤 여자의 집이었다. 그녀는 아름답고 고상한 여자였지만, 얼마 전에 병으로 죽었다. 그리고, 그녀가 사랑했던 한 남자에게 그 집을 맡겼다. 그 남자는 하반신을 쓰지 못하는 불구였으며, 체구가 아주 컸고, 휠체어를 타고 다녔다. 집을 관리하며 지냈다. 슬픈 모습이었다. 그는 성실하게 집을 돌보았다. …
새벽녘의 바닷가, 절벽에 커다란 바위들이 있었고, 큰 파도가 바위를 때렸다. 적막하고 광활한 풍경이었으며, 파도 소리만 들렸다. 다리를 쓰지 못하는 큰 몸집의 사내가 사랑하는 여인과 함께 있었다. 사내는 큰 바위에 올라서서 그녀의 뒤에서 팔을 잡고 벌려주었다. 그녀는 팔을 벌리고 서 있다가 흰머리 독수리로 변했다. 새로운 태양이 떠오르며 그들을 비추었다. …”
샤머니즘에서 독수리는 영혼의 인도자로, 고통을 경험하고 쓰러진 샤먼을 저승으로 인도하고 영혼의 세계를 경험하도록 도와준 뒤 땅으로 데려온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이승과 저승의 경험, 죽음과 재생을 통과한 한 명의 샤먼이 탄생하게 된다. 알 수 없는 여성과 독수리는 알 수 없는 세계인 무의식으로 인도해주는 무의식의 원형상이었다. 특히 독수리의 상징에 대한 확충을 하는 가운데, 명확한 한 마디로 환원할 수 없는,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큰 의미가 가슴으로 밀려들어 왔다. 이 꿈을 꾼 후 나는 무의식에 대한 더 깊은 탐구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었고, 분석심리학 수련을 받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나는 몇 번인가 융을 만난 적이 있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꿈속에서 융을 만났다. 융은 엉뚱한 모습으로 산책을 하기도 하고, 열띤 논쟁으로 오히려 이중의 의미를 전달하기도 했다. 인상적이었던 꿈은 그가 동양인과 서양인 사이의 특수성과 인류의 보편성에 대해 어떤 학자와 논쟁하던 모습이다. 꿈속의 융은 종종 생각하고 고민할 거리들을 안겨 준다. 집단적 무의식에 대해, 또는 분석심리학 자체에 대해 근본을 돌아보도록 한다. 한 번은 융의 서재에서 당시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책을 보기도 했다. 나는 서가에 ‘홀로코스트 크리스마스’라는 제목의 책이 꽂혀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성탄절이 얼마 남지 않은 날, 잠에서 깨고 나서 그 의미를 알 수 없어 한참을 생각해야 했다. ‘온 땅의 축복인 예수님의 탄생일이 왜 끔찍한 홀로코스트와 나란히 적혀 있어야 하나?’ 그런 의문은 당시에 헤롯왕이 자행한 끔찍한 영아 살해가 떠오르며 해결되었다. 구원과 죽음의 양면성이 동시에 드러난 결정적인 장면이었다. 이 주제는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피테르 브뤼헐(Pieter Bruegel), 귀도 레니(Guido Reni) 등 여러 화가들에 의해서 작품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당시 활력을 잃고 있던 나의 영적 측면은 성탄에 대해, 구원에 대해 새로운 이해와 경험을 하게 되었다.
정신분석을 받고, 분석심리학을 공부하고, 꿈속에서 융을 만나도 항상 되새기게 되는 것은 ‘전체의 중요성’이다. 한쪽 방향만이 아닌 전체를 보는 것은 지금도 어렵고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다. 융의 저서가 아직 난해하게 느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석심리학에 집중하게 되는 것은 그것이 실제로 내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치료자로서의 나의 세계관을 넓고 깊게 만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원고를 의뢰받고 나서 바로 수락한 것이 몹시 후회가 된다. 회보에 ‘융과 나’를 쓰기에는 나의 경험과 지식이 일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저 분석심리학과의 만남과 이후의 경험의 단편들을 가급적 평이하게 사실 그대로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어떤 독자는 분석을 받는 과정과 변화에 대해 너무 낭만적으로 기술하거나 미화한 것이 아닐까 오해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는 과장되게 보일까 염려하여, 최대한 축소하고 자제해서 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소중한 내적 경험을 공개하는 것에 대한 내향형의 두려움일 수도 있겠다. 덧붙여, 무슨 학파의 분석가로부터든 정신분석을 받은 사람들의 다수가 인생의 가장 소중한 시절로 그 시기를 회상한다는 사실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혹시라도 분석심리학이나 융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참고라도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며 글을 마친다.
2010년 한국융연구원의 소식지 '길'의 '융과 나' 코너에 투고한 에세이를 일부 수정했습니다. 7년 전 분석가 수련과정에서 작성한 조심스러우면서도 열정에 찬 글을 다시 읽으니 즐거운 추억에 잠기게 됩니다. 기록을 보존하기 위해 여기 남겨둡니다.
글 _ 정찬승 (융 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http://www.maumdream.com
[현] 마음드림의원 원장,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
[전] 한국분석심리학회 총무이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홍보기획위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평이사
[주요경력]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부 전문가회의 참가, 국제노년신경정신약물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분석심리학
정신분석
무의식 댓글
정찬승정신분석가 의사
by정찬승
Oct 16. 2017
의과대학 시절 처음 분석심리학 이론을 접할 때는 그리 큰 흥미를 갖지 못했다. 하지만, 병원 실습 기간 중에 분석심리학회의 주최로 서울아산병원에서 열린 기초강좌에 참석하여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이부영 선생님과 이죽내 선생님의 강의가 지금도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어떤 충격이었을까? 이전에는 들어보지 못한 인간의 정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있었다. 내가 어렴풋이 느껴오던 무언가와 일치되는 느낌이 들었다. 정체되어 있던 마음이 활력을 얻게 되었고, 분석심리학에 대한 매력을 느꼈다. 이 모든 느낌은 젊은 시절의 회상이지만, 그 당시의 지적 흥분과 고양된 감정의 경험만큼은 지금도 확실히 남아 있다. 게다가 정신과 실습이 시작되고 보니 당시 주임교수로 계시던 연병길 선생님께서 분석심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제자들을 가르치고 계셨다. 마음의 구조를 멋진 그림으로 그려서 알려주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당시에는 ‘정신과 의사라면 분석심리학은 기본으로 알고 있구나.’ 하는 오해까지 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내가 수련을 받은 병원에서는 정신과 전공의가 되면 처음에는 정신분열병이나 양극성 정동장애에 해당하는 환자의 진료를 맡고 배우기 시작한다. 그런데, 수련의로서 첫해가 끝나갈 무렵 담당하게 된 환자는 약물치료보다도 집중적인 정신치료를 필요로 했다. 나는 자신이 없었다. 그런 내 심정을 알아보신 연병길 선생님께서 직접 정신치료 지도를 해줄 테니 열심히 해보라고 말씀해주셨다. 진지하게 정신치료에 임했고, 환자의 꿈과 연상도 수집했다. 열정은 높았지만, 실수투성이인 시간들이었다. 그런데, 놀라운 사건은 정신치료 지도 시간에 일어났다. 선생님과 토론을 하다 보니 내가 그토록 곤란함을 느끼고 어찌할 바를 모르던 환자의 현실의 문제와 꿈이 의미 있는 맥락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요즘도 학회나 공개강좌 때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이지만, 그 당시에도 분석심리학이 임상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는지가 모호했다. 하지만, 이해할 수 없었던 환자의 꿈속에 그림자와 아니무스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어렴풋이 이해가 가기 시작했다. 그에 더해 치료자의 자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다. 환자의 정신치료에 대한 지도이면서도 자신의 치료자로서의 자세와 인간의 정신과 고통에 대한 자세를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후에도 여러 환자들의 정신치료를 지속하는 가운데, 분석심리학적 접근이 결코 모호한 것이 아니라 임상 실제에서 나타나는 정신현상에 대한 경험적인 학문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분석심리학파에서는 치료자 자신이 피분석자로서의 경험을 쌓아야 함을 강조한다. 오랜 기간 철저한 수련 없이 꿈을 해석하는 것을 심각하게 경계하고 있다. 끝을 알 수 없는 심오한 무의식에 대한 경험과 수련이 없는 상태에서의 섣부른 해석은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고, 잘못된 해석은 환자나 치료자에게 오히려 해를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자에게 꿈의 해석을 해주지 않아도 깊은 관심을 보이니 꿈속에 나타나는 상들이 변화되고 정신적 통합으로의 방향을 향해가며, 그러한 변화 중에 환자의 증상도 호전되는 것을 직접 경험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한국융연구원에서 열린 전공의 교육 워크숍에서 케이스를 발표하며 한오수 선생님의 지도를 받기도 했다. 그래도 여전히 분석심리학은 어려운 학문이었다. 직접적인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나 자신의 무의식을 체험하고 싶다는 소망이 강해져 연병길 선생님의 소개로 이부영 선생님으로부터 분석을 받기 시작했다. 그것은 내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내 의식이 변화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내 개인적인 경험과 관련된 개인적 무의식과 더불어 내 경험과 연관을 지을 수 없고 오히려 인류의 보편적인 정신에 속하는 집단적 무의식을 체험하기 시작했다. 무의식은 나에게 크고 작은 메시지와 과제를 주었다. 내 의식의 일방성에 대한 무의식의 반응을 이제 의식의 자아가 통합해야 했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나타나 나를 괴롭히는 그림자들, 온갖 매혹과 알 수 없는 메시지를 던지는 아니마들, 어마어마한 충격으로 나타나는 여러 원형상들, ‘전체’의 감동을 전해주는 자기의 상(image)들은 분석을 통하지 않고는 결코 헤아릴 수 없는 무의식의 놀라운 메시지들이다.
무의식에 대한 경험이 가져온 내 삶의 변화는 수 없이 많고 크다. 허공을 맴돌며 부유하는 것 같던 나의 삶이 현실의 터전에 뿌리박고 설 수 있게 되었으며, 가족의 갈등이 해결되었고, 후손을 낳고 기르는 일을 기쁘게 받아들이게 되었고, 생기를 잃어가던 종교적인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완결과는 거리가 멀다. 여전히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변화를 기다리고 있는 과정의 일부다. 무엇보다도 내 삶이 페르조나의 허상들을 좇지 않고 중심을 향해갈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었다.
2004년에 분석을 받던 중에 강렬한 꿈을 꾸게 되었다.
“… 어떤 여자의 집이었다. 그녀는 아름답고 고상한 여자였지만, 얼마 전에 병으로 죽었다. 그리고, 그녀가 사랑했던 한 남자에게 그 집을 맡겼다. 그 남자는 하반신을 쓰지 못하는 불구였으며, 체구가 아주 컸고, 휠체어를 타고 다녔다. 집을 관리하며 지냈다. 슬픈 모습이었다. 그는 성실하게 집을 돌보았다. …
새벽녘의 바닷가, 절벽에 커다란 바위들이 있었고, 큰 파도가 바위를 때렸다. 적막하고 광활한 풍경이었으며, 파도 소리만 들렸다. 다리를 쓰지 못하는 큰 몸집의 사내가 사랑하는 여인과 함께 있었다. 사내는 큰 바위에 올라서서 그녀의 뒤에서 팔을 잡고 벌려주었다. 그녀는 팔을 벌리고 서 있다가 흰머리 독수리로 변했다. 새로운 태양이 떠오르며 그들을 비추었다. …”
샤머니즘에서 독수리는 영혼의 인도자로, 고통을 경험하고 쓰러진 샤먼을 저승으로 인도하고 영혼의 세계를 경험하도록 도와준 뒤 땅으로 데려온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이승과 저승의 경험, 죽음과 재생을 통과한 한 명의 샤먼이 탄생하게 된다. 알 수 없는 여성과 독수리는 알 수 없는 세계인 무의식으로 인도해주는 무의식의 원형상이었다. 특히 독수리의 상징에 대한 확충을 하는 가운데, 명확한 한 마디로 환원할 수 없는,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큰 의미가 가슴으로 밀려들어 왔다. 이 꿈을 꾼 후 나는 무의식에 대한 더 깊은 탐구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었고, 분석심리학 수련을 받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나는 몇 번인가 융을 만난 적이 있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꿈속에서 융을 만났다. 융은 엉뚱한 모습으로 산책을 하기도 하고, 열띤 논쟁으로 오히려 이중의 의미를 전달하기도 했다. 인상적이었던 꿈은 그가 동양인과 서양인 사이의 특수성과 인류의 보편성에 대해 어떤 학자와 논쟁하던 모습이다. 꿈속의 융은 종종 생각하고 고민할 거리들을 안겨 준다. 집단적 무의식에 대해, 또는 분석심리학 자체에 대해 근본을 돌아보도록 한다. 한 번은 융의 서재에서 당시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책을 보기도 했다. 나는 서가에 ‘홀로코스트 크리스마스’라는 제목의 책이 꽂혀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성탄절이 얼마 남지 않은 날, 잠에서 깨고 나서 그 의미를 알 수 없어 한참을 생각해야 했다. ‘온 땅의 축복인 예수님의 탄생일이 왜 끔찍한 홀로코스트와 나란히 적혀 있어야 하나?’ 그런 의문은 당시에 헤롯왕이 자행한 끔찍한 영아 살해가 떠오르며 해결되었다. 구원과 죽음의 양면성이 동시에 드러난 결정적인 장면이었다. 이 주제는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피테르 브뤼헐(Pieter Bruegel), 귀도 레니(Guido Reni) 등 여러 화가들에 의해서 작품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당시 활력을 잃고 있던 나의 영적 측면은 성탄에 대해, 구원에 대해 새로운 이해와 경험을 하게 되었다.
정신분석을 받고, 분석심리학을 공부하고, 꿈속에서 융을 만나도 항상 되새기게 되는 것은 ‘전체의 중요성’이다. 한쪽 방향만이 아닌 전체를 보는 것은 지금도 어렵고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다. 융의 저서가 아직 난해하게 느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석심리학에 집중하게 되는 것은 그것이 실제로 내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치료자로서의 나의 세계관을 넓고 깊게 만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원고를 의뢰받고 나서 바로 수락한 것이 몹시 후회가 된다. 회보에 ‘융과 나’를 쓰기에는 나의 경험과 지식이 일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저 분석심리학과의 만남과 이후의 경험의 단편들을 가급적 평이하게 사실 그대로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어떤 독자는 분석을 받는 과정과 변화에 대해 너무 낭만적으로 기술하거나 미화한 것이 아닐까 오해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는 과장되게 보일까 염려하여, 최대한 축소하고 자제해서 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소중한 내적 경험을 공개하는 것에 대한 내향형의 두려움일 수도 있겠다. 덧붙여, 무슨 학파의 분석가로부터든 정신분석을 받은 사람들의 다수가 인생의 가장 소중한 시절로 그 시기를 회상한다는 사실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혹시라도 분석심리학이나 융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참고라도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며 글을 마친다.
2010년 한국융연구원의 소식지 '길'의 '융과 나' 코너에 투고한 에세이를 일부 수정했습니다. 7년 전 분석가 수련과정에서 작성한 조심스러우면서도 열정에 찬 글을 다시 읽으니 즐거운 추억에 잠기게 됩니다. 기록을 보존하기 위해 여기 남겨둡니다.
글 _ 정찬승 (융 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http://www.maumdream.com
[현] 마음드림의원 원장,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
[전] 한국분석심리학회 총무이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홍보기획위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평이사
[주요경력]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부 전문가회의 참가, 국제노년신경정신약물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분석심리학
정신분석
무의식 댓글
정찬승정신분석가 의사
분석심리학에 관한독서안내 (국내문헌)
처음 느낌 그대로
분석심리학에 관한독서안내 (국내문헌)
악바리2007.01.29
분석심리학에 관한독서안내 (국내문헌)
악바리2007.01.29
▶ 초보자가 읽을만한 책
1. 이부영(1998) : 이부영박사의 정신건강이야기, 정우사, 서울 중 제1부 <성숙한 마음을 위하여>
2. 이부영(1983) : 잃어버린 그림자, 정우사, 서울.
중 제1장 <스스로를 찾는 길>, 제3장 <가정을 위한 정신건강>, 제4장 <빛을 기다리는 마음>,
제6장 <분석심리학과 종교>, 제8장 <샤머니즘과 민속의학>
▶ 기본적으로 여러 번 자세히 읽어야 할 교과서
1. 이부영(1998) :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개정증보판), 일조각, 서울.
▶ 분석심리학을 더 넓고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책
1. 이부영(1999)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1부 그림자 -우리마음속의 어두운 반려자, 한길사, 서울.
2. 이부영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2부 아니마·아니무스, -남성속의 여성, 여성속의 남성 한길사, 서울.
3. 이부영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3부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4. 이부영(1995)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서울
▶ 참고로 크게 도움이 될 번역서
1. 융(이부영 외 역)(1983):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서울.
중 특히 제1장 융의< 무의식에의 접근>,제3장 폰 프란츠의<개성화 과정>
2. 야훼(이부영 역)(1989) :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3. 융(이부영 역)(1980) : 현대의 신화 - 하늘에서 보이는 것 등에 관하여, 세계사상전집 31, 삼성출판사,서울
1. 이부영(1998) : 이부영박사의 정신건강이야기, 정우사, 서울 중 제1부 <성숙한 마음을 위하여>
2. 이부영(1983) : 잃어버린 그림자, 정우사, 서울.
중 제1장 <스스로를 찾는 길>, 제3장 <가정을 위한 정신건강>, 제4장 <빛을 기다리는 마음>,
제6장 <분석심리학과 종교>, 제8장 <샤머니즘과 민속의학>
▶ 기본적으로 여러 번 자세히 읽어야 할 교과서
1. 이부영(1998) :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개정증보판), 일조각, 서울.
▶ 분석심리학을 더 넓고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책
1. 이부영(1999)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1부 그림자 -우리마음속의 어두운 반려자, 한길사, 서울.
2. 이부영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2부 아니마·아니무스, -남성속의 여성, 여성속의 남성 한길사, 서울.
3. 이부영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3부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4. 이부영(1995)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서울
▶ 참고로 크게 도움이 될 번역서
1. 융(이부영 외 역)(1983):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서울.
중 특히 제1장 융의< 무의식에의 접근>,제3장 폰 프란츠의<개성화 과정>
2. 야훼(이부영 역)(1989) :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3. 융(이부영 역)(1980) : 현대의 신화 - 하늘에서 보이는 것 등에 관하여, 세계사상전집 31, 삼성출판사,서울
중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157 - 174쪽 및 분석심리학에서의 선과 악 175 - 188쪽
▶ 꼭 읽어야 할 번역서
1. C.G. 융(한국융연구원 번역위원회 역) : C.G. 융선집 제1권 , 솔 출판사, 서울. 2001
http://www.jung.re.kr/beginnersbook.htm
▶ 꼭 읽어야 할 번역서
1. C.G. 융(한국융연구원 번역위원회 역) : C.G. 융선집 제1권 , 솔 출판사, 서울. 2001
http://www.jung.re.kr/beginnersbook.htm
알라딘: 기 치료와 초능력의 세계
알라딘: 기 치료와 초능력의 세계
기 치료와 초능력의 세계 - 한국무속인열전 5
서정범 (지은이)우석출판사2002-12-15
기 치료와 초능력의 세계
정가
8,500원
판매가
7,650원 (10%, 850원 할인)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350원
절판 판권 소멸 등으로 더 이상 제작, 유통 계획이 없습니다.
절판
보관함 +
- 절판 확인일 : 2017-03-10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3)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17,0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44쪽152*223mm (A5신)482gISBN : 9788936104351
====
저자 및 역자소개
서정범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수필가이자 국어학자이며, 동시에 무속연구가이기도 한 서정범은 1926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족들과 황해도로 이주해 성장했으며 한국전쟁 중 해주에서 홀로 월남했다. 시인 김광섭과 소설가 황순원이 재직하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57)와 동 대학원(1959)을 졸업한 후, 평생을 모교에서 후진 양성에 이바지했다.
서정범은 수필가로서의 명성만큼 저명한 국어학자로 학계에 잘 알려져 있다. 특수 계층인 ‘백정’의 언어를 다룬 <한국 특수어 연구>(1959)에서 시작된 그의 학문 분야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1964), <현실음의 국어사적 연구>(1975), <음운의 국어사적 연구>(1982) 등으로 이어져 국내외 언어학계에 일찍부터 신선한 충격을 가했다. 특히 그의 후기 저작들인 ≪우리말의 뿌리≫(1989), ≪일본어의 원류≫(1989), ≪한국에서 건너간 일본의 신과 언어≫(1994), ≪국어어원사전≫(2000)은 우리말의 원형과 기원은 물론 일본과 몽골, 터키 등이 속한 알타이 언어권과의 상관성을 추적하는 데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무속연구가의 직함은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다. 주목받는 언어학자로서 서정범의 공적은 주로 살아 있는 모국어의 현장에서 견인된다. 그는 고대 원시언어의 계통 관계와 현재적 ‘흔적들’을 시공간의 차원을 넘나들며 입체적으로 추적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샤먼과 그들의 언어 체계에 대한 탐구 작업이다. 그가 꽤 오랜 기간 동안 전국의 무당들을 찾아다녔던 이유도, 적지 않은 그의 수필 작품들이 무속의 세계 혹은 신화적 세계관과 일정한 상관성을 지니는 것도 바로 이런 사정에서 연유한다.
서정범의 수필 문학은 1974년 첫 작품집 ≪놓친 열차는 아름답다≫를 발간한 이래, ≪겨울 무지개≫(1977), ≪무녀의 사랑 이야기≫(1979)로 이어진다. 이후 1980년대 ≪그 생명의 고향≫(1981), ≪사랑과 죽음의 마술사≫(1982), ≪영계의 사랑과 그 빛≫(1985), ≪품봐, 품봐≫(1985), ≪학원별곡≫(1985), ≪어원별곡≫(1986) 등을 거쳐, 1990년대에는 ≪무녀별곡≫(전 7권)과 ≪서로 사랑하고 정을 나누는 평범한 사람의 이야기≫(1999)로 이어졌다. 특히 ≪학원별곡≫, ≪대학별곡≫, ≪익살별곡≫ 등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이른바 ‘별곡 시리즈’는 동시대의 은어나 속어, 또 유행하는 이야기를 담은 책들로, 단순한 ‘우스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암울했던 우리 삶의 이면을 블랙 유머라는 독특한 방식을 전용해 표현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를 대표하는 저서로는 ≪한국무속인열전≫(전 6권)을 꼽을 수 있다.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한국어원학회장, 한국수필가협회 부회장, 경희문인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제18회 한국문학상(1981), 제9회 펜문학상(1993), 제10회 수필문학상(2000), 제8회 동숭학술상(2004) 등을 수상했다.
2009년 7월 14일, 83세의 나이에 영면했다. 접기
수상 : 1981년 한국문학상
최근작 : <은어와 속어 연구>,<우리말의 뿌리>,<새국어어원사전> … 총 46종 (모두보기)
Labels:
무당
Marie-Louise von Franz - Wikipedia
Marie-Louise von Franz - Wikipedia
Marie-Louise von Franz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Marie-Louise von Franz
Marie-Louise von Franz
Born 4 January 1915
Munich, German Empire
Died 17 February 1998 (aged 83)
Küsnacht, Switzerland
Nationality Swiss
Known for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and of alchemy
Scientific career
Fields Psychology
Influenced Jean Dalby Clift
Marie-Louise von Franz (4 January 1915 – 17 February 1998) was a Swiss Jungian psychologist and scholar, known for her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of fairy tales and of alchemical manuscripts.
Contents
12See also
13References
14Bibliography
15External links
Early life and education[edit]
Marie-Louise Ida Margareta von Franz was born in Munich, Germany, the daughter of a colonel in the Austrian army.[1]
After World War I, in 1919, her family moved to Switzerland, near St. Gallen. From 1928 on, she lived in Zurich, together with her elder sister, so that both could attend a high school (gymnasium) in Zurich, specializing in languages and literature. Three years later, her parents moved to Zurich as well.[2]: xxxvi
Meeting Carl Gustav Jung[edit]
In Zurich, at the age of 18, in 1933, when about to finish secondary school, von Franz met the psychiatrist Carl Gustav Jung when, together with a classmate and nephew of Jung's assistant Toni Wolff, she and seven boys she had befriended were invited by Jung to his Bollingen Tower near Zurich. For von Franz, this was a powerful and "decisive encounter of her life", as she told her sister later the same evening.[3] : 135
At the meeting, Jung and the pupils discussed psychology. When Jung commented on a "mentally ill woman, who [actually, not to be taken symbolically] lived on the moon"[4]: 18 M.-L. von Franz understood, that there are two levels of reality. The psychological, inner world with its dreams and myths was as real as the outer world. [5]
Studies, lean times and private tutoring[edit]
In 1933, at the University of Zurich, von Franz starte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and Classical languages (Latin and Greek) as major subjects and in literature and ancient history as minor subjects.
Due to her father's major financial loss in the early 1930s, she had to self-finance her tuition,[3]: 135 by giving private lessons as a tutor in Latin and Greek for gymnasium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years after finishing her studies, she continued this to support herself, working on fairy tale texts.[3]: 136
In addition to her university studies, von Franz occupied herself with Jungian psychology. She attended Jung's psychological lectures at the Swiss Federal Polytechnical School in Zurich (now th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and, in 1935 and thereafter, also attended his psychological seminars. In 1934 she started analytical training with Jung.[2]: xxxvii
Collaboration with C.G. Jung[edit]
In order to pay C.G. Jung for her training analysis, she translated works for him from Greek and Latin texts.[1] Among others, she translated two major alchemical manuscripts: Aurora Consurgens, which has been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and Musaeum Hermeticum. As many of its passages were of Islamic and Persian origin, von Franz took up Arabic as study subject at university.[3]: 135
This was the beginning of a long-standing collaboration with C.G. Jung, which continued until his death in 1961. Their collaboration was especially close in the field of alchemy. Not only did she translate works, she also commented on the origin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Aurora Consurgens. She offered support for the theory that the Christian-alchemical text might have been dictated by Thomas Aquinas himself.[6]
The experience that Jung termed "objective Psyche" or "collective unconscious" marked her life and work as well as her way of living. She work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is autonomous psyche acting independently from consciousness.
Career[edit]
Von Franz worked with Carl Jung, whom she met in 1933 and with whom she collaborated until his death in 1961.[7]
From 1942 on until her death, Marie-Louise von Franz practised as an analyst, mainly in Küsnacht, Switzerland. In 1987, she claimed to have interpreted over 65,000 dreams.[8]
She wrote more than 20 books on analytical psychology, most notably on fairy tales as they relate to archetypal psychology and depth psychology. She amplified the themes and characters of these tales and focused on subjects such as the problem of evil, the changing attitude towards the female archetype.[9]
Another field of interest and writing was alchemy, which von Franz discussed from the Jungian psychological perspective. She edited, translated and commented on Aurora Consurgens,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During her last years of life, she commented on the Arabic alchemical manuscript of Muḥammad Ibn Umail Hal ar-Rumuz (Solving the Symbols).[10] For alchemists, imaginatio vera was an important approach to matter. It resembles in many aspects the active imagination discovered by C. G. Jung. Marie-Louise von Franz lectured in 1969 about active imagination and alchemy[11] and also wrote about it in Man and His Symbols. Active imagination may be described as conscious dreaming. In Man and His Symbols she wrote:
Active imagination is a certain way of meditating imaginatively, by which one may deliberately enter into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and make a conscious connection with psychic phenomena.[12]
A third field of interest and research was synchronicity, psyche and matter, and numbers. It seems to have been triggered by Jung, whose research had led him to the hypothesis about the unity of the psychic and material worlds—that they are one and the same, just different manifestations. He also believed that this concept of the unus mundus could be investigated by means of researching archetypes. Due to his advanced age, he turned the problem over to von Franz.[13] Two of her books, Number and Time and Psyche and Matter, deal with this research.
In 1968, von Franz was the first to argue that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DNA is analogous to that of the I Ching. She cited the I Ching in an essay, "Symbols of the Unus Mundus", published in her book Psyche and Matter.[14]
Another basic concern throughout many of her works was how the collective unconscious compensates for the one-sidedness of Christianity and its ruling god image, via fairy tales and alchemy. In an analysis of the visions of Saint Perpetua, a martyr,[15] she writes that such visions enable us to gain a deep insight into the unconscious spiritual situation of the time. They show the deep conflict of that time, the transition from Paganism to Christianity. “The martyrs appear in many respect as the tragic, unconscious victims of the transformation which was then being fulfilled deep down in the collective stratum of the human soul: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of God“ [15]: 9, 35, 75
Another compensatory motif is the symbolism of the vessel of the holy grail in The Grail legend.[16] In this book she discusses the psychological symbolism of the documented legends of the Holy Grail. It evolved out of the completion of Emma Jung's unfinished research, which Marie-Louise von Franz had been asked to take over and publish after Emma Jung's death.
In the visions of Swiss Saint Nikolaus von Flüe [17] she dealt with the aspects of the dark and evil as well as the cosmic side as part of a more holistic image of god. Von Franz says that the visions reveal basic tendencies of collective unconscious that seem to strive to further develop the Christian symbolism and by that giving points of orientation, showing where the unconscious psyche wants to let us notice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opposites and by that to bring us to more closeness and fear of God.[18]
Films[edit]
In addition to her many books, von Franz made a series of films in 1987 titled The Way of the Dream, along with her student, Fraser Boa. In The Wisdom of the Dream, a channel 4 television series, London 1989, von Franz was interviewed. Text of the film is printed in: Seegaller, S. and Berger, M: Jung – the Wisdom of the Dream. London 1989.
Lectures[edit]
In 1941–1944 von Franz was an associate member of the Psychological Club, Zurich. There she first lectured on the visions of Perpetua on June 7, 1941, which later was expanded and published as her first book The Visions of Perpetua. In the following years, she held many lectures at the Zurich Psychological Club. They constituted the basis of many of her books.
Between 1942 and 1952 she acted as its librarian.[19]
In 1944 she became one of its full members.[2]: xxxix
In 1948, she was a co-founder of the C. G. Jung Institute in Zurich.
In 1974, von Franz together with some of her pupils (René Malamud, Willi Obrist, Alfred Ribi, and Paul Walder) founded the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Foundation for Jungian Psychology). The aim of this foundation is to support research and promulgation of findings in the field of Jungian depth psychology. It also publishes the journal Jungiana.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edit]
In 1935 Hedwig von Beit asked Marie-Louise von Franz to assist her part-time with writing a book about fairy tales. Von Franz embarked on a time-consuming 9-years research and interpretation work. Fairy tales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to her in regard to psychological questions. The work is published in the book Symbolik des Märchens (Symbolism of Fairy Tales).[3][20] Nevertheless, this book (of 3 volumes) was only published under the name of Hedwig von Beit. In her later talks and books, she connects fairy tale interpretation with everyday life. Alfred Ribi says, that von Franz might well be understood as the first to discover and demonstrate the psychological wisdom of fairy tales.[4]: 20
Von Franz's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21] is based on Jung‘s view of fairy tales as a spontaneous and naive product of soul, which can only express what soul is.[22] That means, she looks at fairy tales as images of different phases of experiencing the reality of the soul. They are the “purest and simplest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 psychic processes” and “they represent the archetypes in their simplest, barest and most concise form” because they are less overlaid with conscious material than myths and legends. “In this pure form, the archetypal images afford us the best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going on in the collective psyche”. “The fairy tale itself is its own best explanation; that is, its meaning is contained in the totality of its motifs connected by the thread of the story. [...] Every fairy tale is a relatively closed system compounding one essential psychological meaning which is expressed in a series of symbolical pictures and events and is discoverable in these”.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ll fairy tales endeavour to describe one and the same psychic fact, but a fact so complex and far-reaching and so difficult for us to realize in all its different aspects that hundreds of tales and thousands of repetitions with a musician’s variation are needed until this unknown fact is delivered into consciousness; and even then the theme is not exhausted. This unknown fact is what Jung calls the Self, which is the psychic reality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 Every archetype is in its essence only one aspec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as well as always representing also the whole collective unconscious.[23]: 1–2 (chapter1)
The fairy tales' hero and heroine – with which the auditor identifies – are taken as archetypal figures (not as common human ego) representing the archetypal foundation of the ego-complex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e hero restores to healthy, normal functioning a situation in which all egos of that tribe or nation are deviating from their instinctive basic totality pattern. Hero and Heroine form ”a model of an ego [...] demonstrating a rightly functioning ego, [...]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Self”.[23]: 21–45 (chapter4)
G. Isler explains further, "The figure of the hero as well as the whole story compensate what initially was an insufficient or wrong attitude of consciousness. The initial situation of need, misery and shortcomings is solved at the end having a structure which is more whole than the beginning. This corresponds to a renewal of the ruling consciousness (expressed e.g. in the young king), being oriented towards psychic wholeness and totality in a way that is more appropriate" to the demands of the Self, than before. "Fairy tales compensate individual consciousness, but also an insufficient attitude of collective consciousness, which in European culture has been coined mainly by Christianity." In contrast to personalistic-subjective ways of interpretation, the fate of the hero is not understood as individual neurosis, but as difficulties and dangers, being imposed on man by nature.[24]
Personal life[edit]
Jung encouraged von Franz to live with fellow Jungian analyst Barbara Hannah, who was 23 years older than she was. When Hannah asked Jung why he was so keen on putting them together, Jung replied that he wanted von Franz "to see that not all women are such brutes as her mother". Jung also stated that "the real reason you should live together is that your chief interest will be analysis, and analysts should not live alone."[25] The two women became lifelong friends.
Correspondence with Wolfgang Pauli[edit]
Von Franz had a lengthy exchange of letters with Wolfgang Pauli, winner of a Nobel Prize in physics. On Pauli's death, his widow Franca deliberately destroyed all the letters von Franz had sent to her husband, and which he had kept locked inside his writing desk. But the letters sent by Pauli to von Franz were all saved and were later made available to researchers (and published as well).[26]: 148
Bollingen tower[edit]
Von Franz was passionately interested in nature and gardening. In order to meet her love for nature, she acquired a piece of land at the borders of a large forest above Bollingen. There, in 1958, she built a quadrate tower following the example of C. G. Jung. The tower was meant to be a hermitage, having neither electricity nor a flushing cistern. She used to take her wood for heating and cooking from the surrounding woods. Besides the house, there was a bog pond, abundant with toads and frogs, which she loved. This tower enabled her "to escape modern civilization and all its unrest from time to time and to find a refuge in nature",[citation needed] as her sister reported. At that place, she felt "in tune with the spirit of nature" and she wrote a good many of her books that she had planned early on in her life, and which she had realised one after the other, throughout the decades.[3]: 137 [27]
Later years[edit]
Between the 1950s and 1970s, von Franz travelled widely, not only for holidays but also for lecturing. She visited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Austria, England, Germany, Greece, Italy and Scotland, as well as America, Egypt and some Asian countries.
After 1986 she turned to a more introverted life at her home in Küsnacht, Switzerland. Several times a year she took a retreat into her Bollingen tower, which in some years was up to a five months stay. She concentrated mainly on her creative work, especially alchemy and continued to meet friends and patients from all over the world.[2]: xxxvff.
Illness and death[edit]
During her last years, von Franz had Parkinson's disease. Barbara Davies stated that she took only a minimum of medicine, so that she was increasingly physically affected by her illness until death, but could keep a clear mind and consciousness.[28]
Von Franz died in Küsnacht, Switzerland on 17 February 1998. She was 83.
Selected works[edit]
Most of these titles are a translation of the original German title. A few titles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English.Alchemical Active Imagination ISBN 0-87773-589-1
Alchemy: An Introduction To The Symbolism And The Psychology ISBN 0-919123-04-X
Animus and Anima in Fairy Tales ISBN 1-894574-01-X
Archetypal Dimensions of the Psyche ISBN 1-57062-426-7
Archetypal Patterns in Fairy Tales ISBN 0-919123-77-5
Aurora Consurgens: A Document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Inner City Books, Toronto, 2000. ISBN 0-919123-90-2
C. G. Jung: His Myth in Our Time ISBN 0-919123-78-3
Creation Myths ISBN 0-87773-528-X
Dreams. Shambhala, Boston, 1991. ISBN 0-87773-901-3
Feminine in Fairy Tales ISBN 1-57062-609-X
Individuation in Fairy Tales ISBN 1-57062-613-8
Interpretation of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Dallas, 8th Printing, 1987. ISBN 0-88214-101-5
Light from the Darkness: The Paintings of Peter Birkhäuser ISBN 3-7643-1190-8 (1980)
Number and Time ISBN 0-8101-0532-2 (1974)
On Divination and Synchronicity: ... ISBN 0-919123-02-3
On Dreams & Death: A Jungian Interpretation ISBN 0-8126-9367-1
Projection and Re-Collection in Jungian Psychology: Reflections of the Soul ISBN 0-87548-417-4
Psyche and Matter, Shambhala, Boston (1992) ISBN 0-87773-902-1
Psychological Meaning of Redemption Motif in Fairytales ISBN 0-919123-01-5
Puer Aeternus: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Adult Struggle With the Paradise of Childhood ISBN 0-938434-01-2
The Cat: A Tale of Feminine Redemption ISBN 0-919123-84-8
The Golden Ass of Apuleius: The Liberation of the Feminine in Man ISBN 1-57062-611-1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ISBN 0-87773-526-3
The Passion of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Visions. Inner City Books, Toronto, 2004. ISBN 1-894574-11-7
The Problem of the Puer Aeternus ISBN 0-919123-88-0
The Shadow and Evil in Fairy Tales ISBN 0-87773-974-9
The Way of the Dream, ISBN 1-57062-036-9
The Way of the Dream DVD
Time Rhythm and Repose ISBN 0-500-81016-8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is a compilation of eulogies, essays, personal impressions, book reviews, and more from dozens of people who were influenced by von Franz. It also contains a list of von Franzens' English books.Arthur I. Miller: Deciphering the Cosmic Number (137): Jung, Pauli, and the Pursuit of Scientific Obsession, W. W. Norton & Co. (2009) ISBN 0-393-06532-4 features the collaboration between Pauli, Jung and also von Franz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edit]
"Fons Mercurialis", "Mercurial Fountain" or "Fountain of Life", plate included in the Rosarium Philosophorum, 1550. Logo of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Jungian Psychology Foundation, Küsnacht, Switzerland, responsible for the English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n January 4, 2021, on the 106th anniversary of the author's birth, Chiron Publications began publishing a new translation in English of the 28 volumes that make up her Collected Works, estimating a 10-year period for completion.[29][30]Marie-Louise von Franz. Steven Buser y Leonard Cruz (ed.).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28 volumes in paperback and hardcover, translation Roy Freeman & Anthony Woolfson.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 Chiron Publications.[31]Volumes 1-5: Archetypal Symbols in Fairytales.Volume 1: The Profane and Magical Worlds. 608 pages, 863 mentioned fairy tales. 2021. ISBN 978-1-63051-855-4.
Volume 2: The Hero's Journey. 478 pages. 2021. ISBN 978-1-63051-951-3.
Volume 3: The Maiden's Quest. 520 pages. 2021. ISBN 978-1-63051-961-2.
Volume 4.
Volume 5.
Volume 6: Niklaus Von Flüe And Saint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ir Visions. 2022. ISBN 978-1-68503-030-8.
Volume 7: Aurora Consurgens.
Volume 8: The Interpretation of Fairytales.
Volume 9: Animus and Anima.
Volume 10: Alchemy.
Volume 11: The Way of the Dream.
Volume 12: Redemption in Fairytales.
Volume 13: Puer Aeternus.
Volume 14: The Golden Ass of Apuleius: The Liberation of the Feminine In Man.
Volume 15: Divination and Synchronicity.
Volume 16: Time, Rhythm and Repose.
Volume 21: On Death and Dreams.
See also[edit]
Aniela Jaffé
Barbara Hannah
Jolande Jacobi
Jungfrauen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Kirsch, Thomas B. (2012). The Jungians: A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Routledge. pp. 11–12. ISBN 9781134725519.
^ Jump up to:a b c d Kennedy-Xypolitas, Emmanuel (2006), "Chronology", in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Wilmette, ILlinois: Chiron Publ., pp. xxxv–xlii, ISBN 1-888602-38-4
^ Jump up to:a b c d e f von Franz, Marie-Anne B. (2006). Some Biographic Data on Marie-Louise von Franz, in: Emmanuel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Illinois. ISBN 1-888602-38-4.
^ Jump up to:a b Ribi, Emmanuel (2006), "Obituary", in Kennedy-Xypolitas, Emmanuel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Illinois, ISBN 1-888602-38-4
^ Anne Maguire: "Marie-Louise von Franz. Doyenne",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36, ISBN 9781894574235.
^ See Introduction of Marie-Louise von Franz: Aurora Consurgens. A Document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A Companion Work to C.G. Jung's Mysterium Conjunctionis. Translated by R.F.C. Hull and A.S.B. Glover. (Studies in Jungian Psychology). Inner City Books, Toronto 2000, p. X-XI, 4, 429–430. IBN 0919123-90-2.
^ Isler says that Marie-Louise von Franz has probably been "the closest and most important collaborator of C.G. Jung in the last third of his life." See his German foreword in "Jungiana A, Vol. 2" (1990), p. 7. This issue was dedicated to von Franz.
^ Boa, Frazer: The Way of the Dream. Windrose Films, Toronto 1988. ISBN 0-9693254-0-1.
^ Marie-Louise von Franz. Shadow and Evil in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Zurich, New York 1974 and Shambhala, Boston 1995. Marie-Louise von Franz. Problems of the Feminine in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Zurich, New York 1972 and Boston, Shambhala 1993.
^ Marie-Louise von Franz: Book of the Explanation of the Symbols. Kitāb Ḥall ar-Rumūz by Muḥammad Ibn Umail. Psychological Commentary by Marie-Louise von Franz (= Corpus Alchemicum Arabicum. Vol. I A). Translated by Salwa Fuat and Theodor Abt, edited by Theodor Abt. Living Human Heritage Publications, Zurich 2006, ISBN 3-95226-083-5.
^ Marie-Louise von Franz: Alchemical Active Imagination, Spring Publ., Texas 1979.
^ Carl Jung, Man and his Symbols, p. 206–207
^ Marie-Louise von Franz Number and Time (Northwestern, 1974) ix.
^ Marie-Louise von Franz Psyche and Matter (Shambhala, 1992) p. 39–62. The reference is cited on page 44; she cites the reference as number 16 of the article: Dialog über den Menschen: Eine Festschrift zum 75. Geburtstag von Wilhelm Bitter (Klett. Stuttgart, 1968).
^ Jump up to:a b Meria-Louise von Franz. The Passion of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Visions.. The Jungian Classical Series. Spring Publ. Dallas 1980. ISBN 0-88214-502-9. Reprint: Inner City books, Toronto 2004.
^ Marie-Louise von Franz, The Grail legend. With Emma Jung. Putnam's sons/C.G. Jung Foundation, New York 1970.
^ Not yet translated into English.
^ Marie-Louise von Franz, Die Visionen des Niklaus von Flüe. Daimon, 1980 (first edition), 1991 (fourth edition), p. 129f. ISBN 3-85630-001-5.
^ Emmanuel Kennedy-Xypolitas. "Introduction", In Emmanuel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Illinois 2006, p. xxxii, footnote 2.
^ Not published in English.
^ For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into fairy tale interpretation, and main terms of Jungian Psychology (Anima, Animus, Shadow) see Marie-Louise von Franz.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Fairytales". Zurich, New York 1970.
^ C. G. Jung: The Phenomoneology of the Sprit in Fairytales (1948). In: Collected Works, Vol. 9,I, Princeton/Bollingen 1980, par. 432.
^ Jump up to:a b von Franz, Marie-Louise (1970),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Fairytales, Zurich, New York: Spring publications, ISBN 0-88214-101-5
^ Gotthilf Isler: Franz, Marie-Louise von. In: Enzyklopädie des Märchens. Handwörterbuch zur historischen und vergleichenden Erzählforschung. Edited by Rolf Wilhelm Brednich and Hermann Bausinger. Vol. 5, De Gruyter, Berlin 1987, p. 100.
^ Dean L. Franz's portrait of Barbara Hannah in Hannah's The Cat, Dog and Horse Lectures (Chiron, 1992), p. 18
^ Gieser, Suzanne (2005). The innermost kernel : depth psychology and quantum physics : Wolfgang Pauli's dialogue with C.G. Jung. Berlin [u.a.]: Springer. ISBN 9783540208563.
^ Barbara Davies, Marie-Louise von Franz. Her Life and Work.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54. ISBN 9781894574235
^ Barbara Davies, "Marie-Louise von Franz: Her Life and Work",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58. ISBN 9781894574235.
^ Video presentation of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on YouTube Conference given by the ISAP on December 2, 2020.
^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Retrieved 6 December 2020.
^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Speaking of Jung.
Bibliography[edit]Anthony, M. (1990). The Valkyries: The Women around Jung. Shaftesbury, Dorset: Element. ISBN 1-85230-187-2
Hall, James A. and Sharp, Daryl (eds.).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ISBN 978-1-894574-23-5
Jung, Carl G. (1968). Man and His Symbols. New York: Dell Publishing. ISBN 0-440-35183-9. Von Franz wrote Part 3 of this popular work.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Marie-Louise von Franz.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Marie-Louise von Franz.
Publications by and about Marie-Louise von Franz in the catalogue Helveticat of the Swiss National Library
Marie-LouisevonFranz.com Contains a list of von Franz's works in all languages.
How Fairy Tales Shape Our Lives
Basic bi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work on number archetypes of Marie-Louise von Franz
Article in: Paideusis at the Wayback Machine (archived October 27, 2009) – Journal for Interdisciplinary and Cross-Cultural Studies (1998)
show
v
t
e
Carl Jung
show
Authority control
Categories: 1915 births
1998 deaths
Austrian nobility
Swiss psychologists
Swiss women psychologists
Jungian psychologists
Women social scientists
People from Küsnacht
Deaths in Switzerland
Psychology writers
Swiss occult writers
Swiss science writers
20th-century Swiss writers
20th-century Swiss women writers
Women science writers
20th-century women scientists
Fairy tale scholars
Daughters of barons
Women folklorists
20th-century psychologists
Marie-Louise von Franz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Marie-Louise von Franz
Marie-Louise von Franz
Born 4 January 1915
Munich, German Empire
Died 17 February 1998 (aged 83)
Küsnacht, Switzerland
Nationality Swiss
Known for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and of alchemy
Scientific career
Fields Psychology
Influenced Jean Dalby Clift
Marie-Louise von Franz (4 January 1915 – 17 February 1998) was a Swiss Jungian psychologist and scholar, known for her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of fairy tales and of alchemical manuscripts.
Contents
1Early life and education
2Meeting Carl Gustav Jung
3Studies, lean times and private tutoring
4Collaboration with C.G. Jung
5Career
2Meeting Carl Gustav Jung
3Studies, lean times and private tutoring
4Collaboration with C.G. Jung
5Career
12See also
13References
14Bibliography
15External links
Early life and education[edit]
Marie-Louise Ida Margareta von Franz was born in Munich, Germany, the daughter of a colonel in the Austrian army.[1]
After World War I, in 1919, her family moved to Switzerland, near St. Gallen. From 1928 on, she lived in Zurich, together with her elder sister, so that both could attend a high school (gymnasium) in Zurich, specializing in languages and literature. Three years later, her parents moved to Zurich as well.[2]: xxxvi
Meeting Carl Gustav Jung[edit]
In Zurich, at the age of 18, in 1933, when about to finish secondary school, von Franz met the psychiatrist Carl Gustav Jung when, together with a classmate and nephew of Jung's assistant Toni Wolff, she and seven boys she had befriended were invited by Jung to his Bollingen Tower near Zurich. For von Franz, this was a powerful and "decisive encounter of her life", as she told her sister later the same evening.[3] : 135
At the meeting, Jung and the pupils discussed psychology. When Jung commented on a "mentally ill woman, who [actually, not to be taken symbolically] lived on the moon"[4]: 18 M.-L. von Franz understood, that there are two levels of reality. The psychological, inner world with its dreams and myths was as real as the outer world. [5]
Studies, lean times and private tutoring[edit]
In 1933, at the University of Zurich, von Franz starte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and Classical languages (Latin and Greek) as major subjects and in literature and ancient history as minor subjects.
Due to her father's major financial loss in the early 1930s, she had to self-finance her tuition,[3]: 135 by giving private lessons as a tutor in Latin and Greek for gymnasium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years after finishing her studies, she continued this to support herself, working on fairy tale texts.[3]: 136
In addition to her university studies, von Franz occupied herself with Jungian psychology. She attended Jung's psychological lectures at the Swiss Federal Polytechnical School in Zurich (now th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and, in 1935 and thereafter, also attended his psychological seminars. In 1934 she started analytical training with Jung.[2]: xxxvii
Collaboration with C.G. Jung[edit]
In order to pay C.G. Jung for her training analysis, she translated works for him from Greek and Latin texts.[1] Among others, she translated two major alchemical manuscripts: Aurora Consurgens, which has been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and Musaeum Hermeticum. As many of its passages were of Islamic and Persian origin, von Franz took up Arabic as study subject at university.[3]: 135
This was the beginning of a long-standing collaboration with C.G. Jung, which continued until his death in 1961. Their collaboration was especially close in the field of alchemy. Not only did she translate works, she also commented on the origin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Aurora Consurgens. She offered support for the theory that the Christian-alchemical text might have been dictated by Thomas Aquinas himself.[6]
The experience that Jung termed "objective Psyche" or "collective unconscious" marked her life and work as well as her way of living. She work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is autonomous psyche acting independently from consciousness.
Career[edit]
Von Franz worked with Carl Jung, whom she met in 1933 and with whom she collaborated until his death in 1961.[7]
From 1942 on until her death, Marie-Louise von Franz practised as an analyst, mainly in Küsnacht, Switzerland. In 1987, she claimed to have interpreted over 65,000 dreams.[8]
She wrote more than 20 books on analytical psychology, most notably on fairy tales as they relate to archetypal psychology and depth psychology. She amplified the themes and characters of these tales and focused on subjects such as the problem of evil, the changing attitude towards the female archetype.[9]
Another field of interest and writing was alchemy, which von Franz discussed from the Jungian psychological perspective. She edited, translated and commented on Aurora Consurgens,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During her last years of life, she commented on the Arabic alchemical manuscript of Muḥammad Ibn Umail Hal ar-Rumuz (Solving the Symbols).[10] For alchemists, imaginatio vera was an important approach to matter. It resembles in many aspects the active imagination discovered by C. G. Jung. Marie-Louise von Franz lectured in 1969 about active imagination and alchemy[11] and also wrote about it in Man and His Symbols. Active imagination may be described as conscious dreaming. In Man and His Symbols she wrote:
Active imagination is a certain way of meditating imaginatively, by which one may deliberately enter into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and make a conscious connection with psychic phenomena.[12]
A third field of interest and research was synchronicity, psyche and matter, and numbers. It seems to have been triggered by Jung, whose research had led him to the hypothesis about the unity of the psychic and material worlds—that they are one and the same, just different manifestations. He also believed that this concept of the unus mundus could be investigated by means of researching archetypes. Due to his advanced age, he turned the problem over to von Franz.[13] Two of her books, Number and Time and Psyche and Matter, deal with this research.
In 1968, von Franz was the first to argue that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DNA is analogous to that of the I Ching. She cited the I Ching in an essay, "Symbols of the Unus Mundus", published in her book Psyche and Matter.[14]
Another basic concern throughout many of her works was how the collective unconscious compensates for the one-sidedness of Christianity and its ruling god image, via fairy tales and alchemy. In an analysis of the visions of Saint Perpetua, a martyr,[15] she writes that such visions enable us to gain a deep insight into the unconscious spiritual situation of the time. They show the deep conflict of that time, the transition from Paganism to Christianity. “The martyrs appear in many respect as the tragic, unconscious victims of the transformation which was then being fulfilled deep down in the collective stratum of the human soul: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of God“ [15]: 9, 35, 75
Another compensatory motif is the symbolism of the vessel of the holy grail in The Grail legend.[16] In this book she discusses the psychological symbolism of the documented legends of the Holy Grail. It evolved out of the completion of Emma Jung's unfinished research, which Marie-Louise von Franz had been asked to take over and publish after Emma Jung's death.
In the visions of Swiss Saint Nikolaus von Flüe [17] she dealt with the aspects of the dark and evil as well as the cosmic side as part of a more holistic image of god. Von Franz says that the visions reveal basic tendencies of collective unconscious that seem to strive to further develop the Christian symbolism and by that giving points of orientation, showing where the unconscious psyche wants to let us notice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opposites and by that to bring us to more closeness and fear of God.[18]
Films[edit]
In addition to her many books, von Franz made a series of films in 1987 titled The Way of the Dream, along with her student, Fraser Boa. In The Wisdom of the Dream, a channel 4 television series, London 1989, von Franz was interviewed. Text of the film is printed in: Seegaller, S. and Berger, M: Jung – the Wisdom of the Dream. London 1989.
Lectures[edit]
In 1941–1944 von Franz was an associate member of the Psychological Club, Zurich. There she first lectured on the visions of Perpetua on June 7, 1941, which later was expanded and published as her first book The Visions of Perpetua. In the following years, she held many lectures at the Zurich Psychological Club. They constituted the basis of many of her books.
Between 1942 and 1952 she acted as its librarian.[19]
In 1944 she became one of its full members.[2]: xxxix
In 1948, she was a co-founder of the C. G. Jung Institute in Zurich.
In 1974, von Franz together with some of her pupils (René Malamud, Willi Obrist, Alfred Ribi, and Paul Walder) founded the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Foundation for Jungian Psychology). The aim of this foundation is to support research and promulgation of findings in the field of Jungian depth psychology. It also publishes the journal Jungiana.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edit]
In 1935 Hedwig von Beit asked Marie-Louise von Franz to assist her part-time with writing a book about fairy tales. Von Franz embarked on a time-consuming 9-years research and interpretation work. Fairy tales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to her in regard to psychological questions. The work is published in the book Symbolik des Märchens (Symbolism of Fairy Tales).[3][20] Nevertheless, this book (of 3 volumes) was only published under the name of Hedwig von Beit. In her later talks and books, she connects fairy tale interpretation with everyday life. Alfred Ribi says, that von Franz might well be understood as the first to discover and demonstrate the psychological wisdom of fairy tales.[4]: 20
Von Franz's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21] is based on Jung‘s view of fairy tales as a spontaneous and naive product of soul, which can only express what soul is.[22] That means, she looks at fairy tales as images of different phases of experiencing the reality of the soul. They are the “purest and simplest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 psychic processes” and “they represent the archetypes in their simplest, barest and most concise form” because they are less overlaid with conscious material than myths and legends. “In this pure form, the archetypal images afford us the best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going on in the collective psyche”. “The fairy tale itself is its own best explanation; that is, its meaning is contained in the totality of its motifs connected by the thread of the story. [...] Every fairy tale is a relatively closed system compounding one essential psychological meaning which is expressed in a series of symbolical pictures and events and is discoverable in these”.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ll fairy tales endeavour to describe one and the same psychic fact, but a fact so complex and far-reaching and so difficult for us to realize in all its different aspects that hundreds of tales and thousands of repetitions with a musician’s variation are needed until this unknown fact is delivered into consciousness; and even then the theme is not exhausted. This unknown fact is what Jung calls the Self, which is the psychic reality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 Every archetype is in its essence only one aspec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as well as always representing also the whole collective unconscious.[23]: 1–2 (chapter1)
The fairy tales' hero and heroine – with which the auditor identifies – are taken as archetypal figures (not as common human ego) representing the archetypal foundation of the ego-complex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e hero restores to healthy, normal functioning a situation in which all egos of that tribe or nation are deviating from their instinctive basic totality pattern. Hero and Heroine form ”a model of an ego [...] demonstrating a rightly functioning ego, [...]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Self”.[23]: 21–45 (chapter4)
G. Isler explains further, "The figure of the hero as well as the whole story compensate what initially was an insufficient or wrong attitude of consciousness. The initial situation of need, misery and shortcomings is solved at the end having a structure which is more whole than the beginning. This corresponds to a renewal of the ruling consciousness (expressed e.g. in the young king), being oriented towards psychic wholeness and totality in a way that is more appropriate" to the demands of the Self, than before. "Fairy tales compensate individual consciousness, but also an insufficient attitude of collective consciousness, which in European culture has been coined mainly by Christianity." In contrast to personalistic-subjective ways of interpretation, the fate of the hero is not understood as individual neurosis, but as difficulties and dangers, being imposed on man by nature.[24]
Personal life[edit]
Jung encouraged von Franz to live with fellow Jungian analyst Barbara Hannah, who was 23 years older than she was. When Hannah asked Jung why he was so keen on putting them together, Jung replied that he wanted von Franz "to see that not all women are such brutes as her mother". Jung also stated that "the real reason you should live together is that your chief interest will be analysis, and analysts should not live alone."[25] The two women became lifelong friends.
Correspondence with Wolfgang Pauli[edit]
Von Franz had a lengthy exchange of letters with Wolfgang Pauli, winner of a Nobel Prize in physics. On Pauli's death, his widow Franca deliberately destroyed all the letters von Franz had sent to her husband, and which he had kept locked inside his writing desk. But the letters sent by Pauli to von Franz were all saved and were later made available to researchers (and published as well).[26]: 148
Bollingen tower[edit]
Von Franz was passionately interested in nature and gardening. In order to meet her love for nature, she acquired a piece of land at the borders of a large forest above Bollingen. There, in 1958, she built a quadrate tower following the example of C. G. Jung. The tower was meant to be a hermitage, having neither electricity nor a flushing cistern. She used to take her wood for heating and cooking from the surrounding woods. Besides the house, there was a bog pond, abundant with toads and frogs, which she loved. This tower enabled her "to escape modern civilization and all its unrest from time to time and to find a refuge in nature",[citation needed] as her sister reported. At that place, she felt "in tune with the spirit of nature" and she wrote a good many of her books that she had planned early on in her life, and which she had realised one after the other, throughout the decades.[3]: 137 [27]
Later years[edit]
Between the 1950s and 1970s, von Franz travelled widely, not only for holidays but also for lecturing. She visited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Austria, England, Germany, Greece, Italy and Scotland, as well as America, Egypt and some Asian countries.
After 1986 she turned to a more introverted life at her home in Küsnacht, Switzerland. Several times a year she took a retreat into her Bollingen tower, which in some years was up to a five months stay. She concentrated mainly on her creative work, especially alchemy and continued to meet friends and patients from all over the world.[2]: xxxvff.
Illness and death[edit]
During her last years, von Franz had Parkinson's disease. Barbara Davies stated that she took only a minimum of medicine, so that she was increasingly physically affected by her illness until death, but could keep a clear mind and consciousness.[28]
Von Franz died in Küsnacht, Switzerland on 17 February 1998. She was 83.
Selected works[edit]
Most of these titles are a translation of the original German title. A few titles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English.Alchemical Active Imagination ISBN 0-87773-589-1
Alchemy: An Introduction To The Symbolism And The Psychology ISBN 0-919123-04-X
Animus and Anima in Fairy Tales ISBN 1-894574-01-X
Archetypal Dimensions of the Psyche ISBN 1-57062-426-7
Archetypal Patterns in Fairy Tales ISBN 0-919123-77-5
Aurora Consurgens: A Document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Inner City Books, Toronto, 2000. ISBN 0-919123-90-2
C. G. Jung: His Myth in Our Time ISBN 0-919123-78-3
Creation Myths ISBN 0-87773-528-X
Dreams. Shambhala, Boston, 1991. ISBN 0-87773-901-3
Feminine in Fairy Tales ISBN 1-57062-609-X
Individuation in Fairy Tales ISBN 1-57062-613-8
Interpretation of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Dallas, 8th Printing, 1987. ISBN 0-88214-101-5
Light from the Darkness: The Paintings of Peter Birkhäuser ISBN 3-7643-1190-8 (1980)
Number and Time ISBN 0-8101-0532-2 (1974)
On Divination and Synchronicity: ... ISBN 0-919123-02-3
On Dreams & Death: A Jungian Interpretation ISBN 0-8126-9367-1
Projection and Re-Collection in Jungian Psychology: Reflections of the Soul ISBN 0-87548-417-4
Psyche and Matter, Shambhala, Boston (1992) ISBN 0-87773-902-1
Psychological Meaning of Redemption Motif in Fairytales ISBN 0-919123-01-5
Puer Aeternus: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Adult Struggle With the Paradise of Childhood ISBN 0-938434-01-2
The Cat: A Tale of Feminine Redemption ISBN 0-919123-84-8
The Golden Ass of Apuleius: The Liberation of the Feminine in Man ISBN 1-57062-611-1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ISBN 0-87773-526-3
The Passion of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Visions. Inner City Books, Toronto, 2004. ISBN 1-894574-11-7
The Problem of the Puer Aeternus ISBN 0-919123-88-0
The Shadow and Evil in Fairy Tales ISBN 0-87773-974-9
The Way of the Dream, ISBN 1-57062-036-9
The Way of the Dream DVD
Time Rhythm and Repose ISBN 0-500-81016-8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is a compilation of eulogies, essays, personal impressions, book reviews, and more from dozens of people who were influenced by von Franz. It also contains a list of von Franzens' English books.Arthur I. Miller: Deciphering the Cosmic Number (137): Jung, Pauli, and the Pursuit of Scientific Obsession, W. W. Norton & Co. (2009) ISBN 0-393-06532-4 features the collaboration between Pauli, Jung and also von Franz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edit]
"Fons Mercurialis", "Mercurial Fountain" or "Fountain of Life", plate included in the Rosarium Philosophorum, 1550. Logo of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Jungian Psychology Foundation, Küsnacht, Switzerland, responsible for the English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n January 4, 2021, on the 106th anniversary of the author's birth, Chiron Publications began publishing a new translation in English of the 28 volumes that make up her Collected Works, estimating a 10-year period for completion.[29][30]Marie-Louise von Franz. Steven Buser y Leonard Cruz (ed.).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28 volumes in paperback and hardcover, translation Roy Freeman & Anthony Woolfson. Stiftung für Jung'sche Psychologie & Chiron Publications.[31]Volumes 1-5: Archetypal Symbols in Fairytales.Volume 1: The Profane and Magical Worlds. 608 pages, 863 mentioned fairy tales. 2021. ISBN 978-1-63051-855-4.
Volume 2: The Hero's Journey. 478 pages. 2021. ISBN 978-1-63051-951-3.
Volume 3: The Maiden's Quest. 520 pages. 2021. ISBN 978-1-63051-961-2.
Volume 4.
Volume 5.
Volume 6: Niklaus Von Flüe And Saint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ir Visions. 2022. ISBN 978-1-68503-030-8.
Volume 7: Aurora Consurgens.
Volume 8: The Interpretation of Fairytales.
Volume 9: Animus and Anima.
Volume 10: Alchemy.
Volume 11: The Way of the Dream.
Volume 12: Redemption in Fairytales.
Volume 13: Puer Aeternus.
Volume 14: The Golden Ass of Apuleius: The Liberation of the Feminine In Man.
Volume 15: Divination and Synchronicity.
Volume 16: Time, Rhythm and Repose.
Volume 21: On Death and Dreams.
See also[edit]
Aniela Jaffé
Barbara Hannah
Jolande Jacobi
Jungfrauen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Kirsch, Thomas B. (2012). The Jungians: A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Routledge. pp. 11–12. ISBN 9781134725519.
^ Jump up to:a b c d Kennedy-Xypolitas, Emmanuel (2006), "Chronology", in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Wilmette, ILlinois: Chiron Publ., pp. xxxv–xlii, ISBN 1-888602-38-4
^ Jump up to:a b c d e f von Franz, Marie-Anne B. (2006). Some Biographic Data on Marie-Louise von Franz, in: Emmanuel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Illinois. ISBN 1-888602-38-4.
^ Jump up to:a b Ribi, Emmanuel (2006), "Obituary", in Kennedy-Xypolitas, Emmanuel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Illinois, ISBN 1-888602-38-4
^ Anne Maguire: "Marie-Louise von Franz. Doyenne",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36, ISBN 9781894574235.
^ See Introduction of Marie-Louise von Franz: Aurora Consurgens. A Document Attributed to Thomas Aquinas on the Problem of Opposites in Alchemy. A Companion Work to C.G. Jung's Mysterium Conjunctionis. Translated by R.F.C. Hull and A.S.B. Glover. (Studies in Jungian Psychology). Inner City Books, Toronto 2000, p. X-XI, 4, 429–430. IBN 0919123-90-2.
^ Isler says that Marie-Louise von Franz has probably been "the closest and most important collaborator of C.G. Jung in the last third of his life." See his German foreword in "Jungiana A, Vol. 2" (1990), p. 7. This issue was dedicated to von Franz.
^ Boa, Frazer: The Way of the Dream. Windrose Films, Toronto 1988. ISBN 0-9693254-0-1.
^ Marie-Louise von Franz. Shadow and Evil in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Zurich, New York 1974 and Shambhala, Boston 1995. Marie-Louise von Franz. Problems of the Feminine in Fairytales. Spring Publications Zurich, New York 1972 and Boston, Shambhala 1993.
^ Marie-Louise von Franz: Book of the Explanation of the Symbols. Kitāb Ḥall ar-Rumūz by Muḥammad Ibn Umail. Psychological Commentary by Marie-Louise von Franz (= Corpus Alchemicum Arabicum. Vol. I A). Translated by Salwa Fuat and Theodor Abt, edited by Theodor Abt. Living Human Heritage Publications, Zurich 2006, ISBN 3-95226-083-5.
^ Marie-Louise von Franz: Alchemical Active Imagination, Spring Publ., Texas 1979.
^ Carl Jung, Man and his Symbols, p. 206–207
^ Marie-Louise von Franz Number and Time (Northwestern, 1974) ix.
^ Marie-Louise von Franz Psyche and Matter (Shambhala, 1992) p. 39–62. The reference is cited on page 44; she cites the reference as number 16 of the article: Dialog über den Menschen: Eine Festschrift zum 75. Geburtstag von Wilhelm Bitter (Klett. Stuttgart, 1968).
^ Jump up to:a b Meria-Louise von Franz. The Passion of Perpetua.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Visions.. The Jungian Classical Series. Spring Publ. Dallas 1980. ISBN 0-88214-502-9. Reprint: Inner City books, Toronto 2004.
^ Marie-Louise von Franz, The Grail legend. With Emma Jung. Putnam's sons/C.G. Jung Foundation, New York 1970.
^ Not yet translated into English.
^ Marie-Louise von Franz, Die Visionen des Niklaus von Flüe. Daimon, 1980 (first edition), 1991 (fourth edition), p. 129f. ISBN 3-85630-001-5.
^ Emmanuel Kennedy-Xypolitas. "Introduction", In Emmanuel Kennedy-Xypolitas (ed.), The Fountain of the Love of Wisdom. An homage to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Illinois 2006, p. xxxii, footnote 2.
^ Not published in English.
^ For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into fairy tale interpretation, and main terms of Jungian Psychology (Anima, Animus, Shadow) see Marie-Louise von Franz.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Fairytales". Zurich, New York 1970.
^ C. G. Jung: The Phenomoneology of the Sprit in Fairytales (1948). In: Collected Works, Vol. 9,I, Princeton/Bollingen 1980, par. 432.
^ Jump up to:a b von Franz, Marie-Louise (1970),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Fairytales, Zurich, New York: Spring publications, ISBN 0-88214-101-5
^ Gotthilf Isler: Franz, Marie-Louise von. In: Enzyklopädie des Märchens. Handwörterbuch zur historischen und vergleichenden Erzählforschung. Edited by Rolf Wilhelm Brednich and Hermann Bausinger. Vol. 5, De Gruyter, Berlin 1987, p. 100.
^ Dean L. Franz's portrait of Barbara Hannah in Hannah's The Cat, Dog and Horse Lectures (Chiron, 1992), p. 18
^ Gieser, Suzanne (2005). The innermost kernel : depth psychology and quantum physics : Wolfgang Pauli's dialogue with C.G. Jung. Berlin [u.a.]: Springer. ISBN 9783540208563.
^ Barbara Davies, Marie-Louise von Franz. Her Life and Work.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54. ISBN 9781894574235
^ Barbara Davies, "Marie-Louise von Franz: Her Life and Work", in James A. Hall and Daryl Sharp,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p. 58. ISBN 9781894574235.
^ Video presentation of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on YouTube Conference given by the ISAP on December 2, 2020.
^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Chiron Publications. Retrieved 6 December 2020.
^ "The Collected Works of Marie-Louise von Franz". Speaking of Jung.
Bibliography[edit]Anthony, M. (1990). The Valkyries: The Women around Jung. Shaftesbury, Dorset: Element. ISBN 1-85230-187-2
Hall, James A. and Sharp, Daryl (eds.). Marie-Louise von Franz: The Classic Jungian and The Classic Jungian Tradi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2008. ISBN 978-1-894574-23-5
Jung, Carl G. (1968). Man and His Symbols. New York: Dell Publishing. ISBN 0-440-35183-9. Von Franz wrote Part 3 of this popular work.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Marie-Louise von Franz.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Marie-Louise von Franz.
Publications by and about Marie-Louise von Franz in the catalogue Helveticat of the Swiss National Library
Marie-LouisevonFranz.com Contains a list of von Franz's works in all languages.
How Fairy Tales Shape Our Lives
Basic bi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work on number archetypes of Marie-Louise von Franz
Article in: Paideusis at the Wayback Machine (archived October 27, 2009) – Journal for Interdisciplinary and Cross-Cultural Studies (1998)
show
v
t
e
Carl Jung
show
Authority control
Categories: 1915 births
1998 deaths
Austrian nobility
Swiss psychologists
Swiss women psychologists
Jungian psychologists
Women social scientists
People from Küsnacht
Deaths in Switzerland
Psychology writers
Swiss occult writers
Swiss science writers
20th-century Swiss writers
20th-century Swiss women writers
Women science writers
20th-century women scientists
Fairy tale scholars
Daughters of barons
Women folklorists
20th-century psychologists
Labels:
주역 역경 I Ching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