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2

알라딘: 식물의 사유

알라딘: 식물의 사유



식물의 사유 - 식물 존재에 관한 두 철학자의 대화 

루스 이리가레,마이클 마더 (지은이),이명호,김지은 (옮긴이)알렙2020-08-25원제 :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60쪽144*210mm495gISBN : 9791189333270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출판사 제공 카드리뷰



이벤트



10월 지식교양 주목 신간+교양 굿즈(대상도서 1권 이상 구매 시)



화제의 책+알라딘 굿즈(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도서 3만원 이상)



이벤트 도서 구매 시, 계간 창작과비평 2020 가을호 창비 타블로이드



10월 특별선물! 요가 매트, 아령 세트, 짐볼, 마사지볼(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페미니즘 철학을 대표하는 루스 이리가레와 식물성의 철학을 선보이는 마이클 마더가 16개 주제를 담은 32편의 서신 교환을 통해 나눈 철학적 사유가 책으로 출간되었다. 각기 ‘페미니즘(성차) 철학’과 ‘식물의 철학’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자신만의 독창적 사유를 전개해 온 두 철학자가 ‘식물 존재’를 통해 자연과 문화, 물질과 정신, 감각성과 초월성, 주체와 타자, 여성과 남성, 비인간과 인간 등 서구 형이상학을 지배해 온 이분법과 동일성의 사유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2013년 11월부터 2014년 말까지 일 년 남짓 열여섯 개의 주제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편지로 교환한 것이 책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일 년은 사 계절의 순환이 마무리되고 새로운 계절이 시작되는 시간이다. SNS와 이메일의 시대에 우편을 통한 편지로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 자체가 식물의 발아와 성장과 개화와 결실의 시간을 닮으려는 저자들의 생각을 반영한다.

목차

서문 5



1부 루스 이리가레

프롤로그

1 식물 세계에서 피난처 찾기

2 생명을 망각한 문화

3 보편적 호흡을 공유하기

4 원소의 생성적 잠재력

5 계절의 리듬에 맞춰 살기

6 자연 존재의 놀라운 다양성의 복원

7 우리의 감각지각을 키우기

8 인간 동반자에게 향수를 느끼기

9 인간들 사이로 돌아가는 위험을 무릅쓰기

10 자신을 잃고 자연에게 다시 도움을 요청하기

11 숲에서 다른 인간을 만나기

12 어떻게 우리의 살아 있는 에너지를 키울지 생각하기

13 몸짓과 말은 원소를 대체할 수 있을까?

14 자연 속에 혼자 있는 것에서 사랑 안에서 둘로 존재하는 것으로

15 인간 되기

16 만물 사이에서 생명을 키우고 공유하기

에필로그

주석



2부 마이클 마더

프롤로그

1 식물 세계에서 피난처 찾기

2 생명을 망각한 문화

3 보편적 호흡을 공유하기

4 원소의 생성적 잠재력

5 계절의 리듬에 맞춰 살기

6 자연 존재의 놀라운 다양성의 복원

7 우리의 감각지각을 키우기

8 인간 동반자에게 향수를 느끼기

9 인간들 사이로 돌아가는 위험을 무릅쓰기

10 자신을 잃고 자연에게 다시 도움을 요청하기

11 숲에서 다른 인간을 만나기

12 어떻게 우리의 살아 있는 에너지를 키울지 생각하기

13 몸짓과 말은 원소를 대체할 수 있을까?

14 자연 속에 혼자 있는 것에서 사랑 안에서 둘로 존재하는 것으로

15 인간 되기

16 만물 사이에서 생명을 키우고 공유하기



에필로그

주석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어릴 때부터 식물 세계는 내가 가장 머무르고 싶어했던 곳입니다.

P. 4~5 우리가 이 책을 함께 쓰게 된 이유는 현재 자연과 생명이 처한 상황에 대한 우려 때문입니다. 애초에 우리는 이 책이 각 장의 주제에 해당하는 대화로부터 발전하리라고 상상했지만, 우리는 이 계획이 너무 야심 차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은 적절치 않다는 점을 곧바로 알아차렸습니다. 해당 문제에 접근하는 우리 두 사람의 입장은 상당히 달랐고, 우리가 공통의 목표를 다루면서 서로의 입장을 이론적, 윤리적, 정치적 차원에서 구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우리가 서로를 거의 알지 못하고 멀리 떨어져 산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히 그랬습니다. 우리가 당면한 딜레마는 이 프로젝트를 포기하거나, 이 책이 미래의 대화로 발전해 나가도록 제안하는 다른 구성 방식을 창안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것은 루스가 쓴 텍스트와 마이클이 쓴 텍스트가 아래위가 뒤집힌 포맷으로 구성된 책을 쓰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구성을 취하면 책의 중간 지점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지요. 불행히도 이 도발적인 해결책은 우리 두 사람 모두 각자의 관점에 충실하면서 대화가 가능한 방식을 찾는 데 영감을 주긴 했지만, 특히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출판사와 합의를 보지 못했습니다. 이제 우리의 기여를 이끌어내는 가장 풍요로운 방식을 찾는 작업은 독자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다시 말해, 식물 존재에 관한 주요 메시지와 우리 두 사람이 식물 존재를 다루는 상이한 방식을 함께 파악하는 일은 독자들의 몫입니다.  접기

P. 159~160 친애하는 마더에게

당신에게 이 책을 공동 저술하자고 제안했을 때 나는 이 작업이 어떻게 전개될지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앞서 이 책을 소개하는 편지에서 언급했듯이, 두 가지 사안 때문에 나는 이 제안을 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우리 지구와 지구에 사는 모든 생명 존재가 위험에 처해 있으며, 식물 세계를 보존하는 것은 지구 행성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 두 번째는 우리의 에너지를 살아 있게 해주는 다른 실존 방식과 공동-실존 방식을 확립하기 위해, 우리의 자연적 속성으로 돌아와 그것을 적절하게 키우는 것을 통하여 우리는 인간으로서 오늘날 세계를 통치하는 과학과 기술의 지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나는 성적 정체성이 이런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골격(framework)―하이데거가 말한 ‘뼈대(Gestell)’를 약간 다른 의미로 쓸 수도 있습니다―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성적 정체성은 우리 신체의 물질성이 생명의 성장과 공유에 기초한 보다 구체적인 문화적 개별화와 관계적 질서로 변형되는 쪽으로 나아가도록 우리가 이 신체적 물질성을 초월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가 식물 생명 및 식물 생명이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과 관련하여 생명을 키우는 일로 돌아가도록 초대하는 이 책의 공동 저자로 남성이 더 좋겠다고 상상했던 것은 이런 생각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접기

추천글

아름답게 쓰인 이 매혹적인 책은 이리가레와 마더 두 사람이 식물 생명의 철학, 존재론, 윤리 그리고 살아 있는 존재인 식물에 대한 우리의 본질적 의존을 사유한다. - 엘리자베스 그로츠 (『카오스, 영토, 예술』의 저자)

이리가레와 마더는 생명을 지닌 모든 존재들이 공유하는 맥박과 침묵의 언어에 다가감으로써 기존의 철학 서사를 뒤흔들고 섬세하면서 확장된 감수성을 일깨운다. - 클라우디아 바라치 (『제1철학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저자)

『식물의 사유』는 식물이 서구 형이상학 전통과 철학에 무엇을 줄 수 있는지 탐구한다. - 윌리엄 에긴턴 (『종교적 중용을 옹호하며』의 저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20년 8월 28일자 '새책'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20년 8월 28일자

서울신문

 - 서울신문 2020년 8월 28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루스 이리가레 (Luce Irigaray)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벨기에 출신 페미니스트 철학자이다.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세미나에 참여하여 정신분석 수련의 과정을 밟았지만, 『검경(Speculum of the Other Woman)』(1974) 출간 이후, 파리 프로이트학회로부터 파문당하고 재직 중이던 파리 제8대학에서도 쫓겨났다. 남근 로고스 중심주의를 벗어나 성차를 사유한 『성차의 윤리(An Ethics of Sexual Difference)』(1984), 『하나이지 않은 성(ThisSex Which Is not One)』(1985) 등을 집필하여 ‘성차 페미니즘’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주요 저서로는 성차의 문제를 민주주의와 연결시킨 『민주주의는 둘 사이에서 시작한다(Democracy Begins Between Two)』(1994)를 비롯하여 『동양과 서양 사이(Between East and West)』(1999), 『둘로 존재하기(To Be Two)』(2001), 『세계를 공유하기(Sharing the World)』(2008) 등 다수가 있다. 접기

최근작 : <식물의 사유>,<근원적 열정>,<하나이지 않은 성> … 총 85종 (모두보기)

마이클 마더 (Michael Marder)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스페인 바스크 대학 철학과 이케르바스크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이데거 현상학에 사상적 토대를 두고 현대 서구 철학과 식물성의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왔다. 주요 저서로는 『식물 생각하기(Plant-Thinking)』(2013), 『철학자의 식물(The Philosopher’s Plant)』(2014), 『불의 정치학(Pyropolitics)』(2014), 『체르노빌 식물표본(The Chernobyl Herbarium)』(2016) 등이 있다.

최근작 : <식물의 사유> … 총 45종 (모두보기)

이명호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 교수로 재직하면서 글로벌인문학술원 원장, 감정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하는가: 성차의 문화정치』가 있으며, 공저로 『감정의 지도그리기』, 『유토피아의 귀환』 등이 있다.

최근작 : <감정의 지도 그리기>,<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하는가>,<페미니즘 : 차이와 사이> … 총 4종 (모두보기)

김지은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아일랜드 현대문학으로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연구 분야는 젠더/페미니즘, 현대문학, 문화비평이다.

최근작 :

출판사 소개

알렙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제주, 당신을 만나다>,<식물의 사유>,<인종과 불평등>등 총 81종

대표분야 : 철학 일반 21위 (브랜드 지수 14,643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식물성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시도함으로써

인간과 식물의 창조적 만남을 확장하다



페미니즘 철학을 대표하는 루스 이리가레와 식물성의 철학을 선보이는 마이클 마더가 16개 주제를 담은 32편의 서신 교환을 통해 나눈 철학적 사유가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각기 ‘페미니즘(성차) 철학’과 ‘식물의 철학’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자신만의 독창적 사유를 전개해 온 두 철학자가 ‘식물 존재’를 통해 자연과 문화, 물질과 정신, 감각성과 초월성, 주체와 타자, 여성과 남성, 비인간과 인간 등 서구 형이상학을 지배해 온 이분법과 동일성의 사유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2013년 11월부터 2014년 말까지 일 년 남짓 열여섯 개의 주제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편지로 교환한 것이 책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일 년은 사 계절의 순환이 마무리되고 새로운 계절이 시작되는 시간이다. SNS와 이메일의 시대에 우편을 통한 편지로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 자체가 식물의 발아와 성장과 개화와 결실의 시간을 닮으려는 저자들의 생각을 반영한다.



이 책은 철학자 두 사람이 나눈 편지를 엮은 것이다. 따라서 철학적 개념과 사유이 동원되지만, 전문적인 철학 서적에서는 만날 수 없는 생생한 개인적 체험을 들려준다. 루스 이리가레는 박사학위 논문을 책(『검경』, 1974)으로 출판한 뒤 라캉 정신분석학교에서 추방당하고 파리 뱅센 대학의 교수직에서 쫓겨났다. 그녀가 어떻게 자연 속에서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었을까? 교통사고를 당한 후 요가 수업에서 배운 호흡법이 어떻게 그를 인도 철학으로 이끌었을까? 감각과 영혼을 결합하려는 그의 노력이 어떻게 매일의 시 쓰기로 나타났을까? 우리는 이 책에서 그녀의 철학적 사유와 결합한 내밀한 독백을 들을 수 있다.

마이클 마더는 뿌리 뽑힌 이민자로 세계를 떠돌아다니지 않을 수 없었다. 자신의 집 마당에서 식물이 뿌리 뽑히는 것을 보고 내면의 무언가가 복구될 가망 없이 영원히 상실되었음을 느낀 것이나, 빙설폭풍이 오타와 시에 불어 닥쳤을 때 도시적 삶의 취약성을 몸소 체험한 것이 어떻게 식물성에 대한 철학적 사유로 이어졌는지를, 우리는 알 수 있다. 철학을 삶의 맥락과 감각적 경험으로 다시 데려오는 이런 글쓰기를 통해 우리는 사유의 장소성과 신체성을 느낄 수 있다.



기존 철학 서사를 뒤흔들고 확장된 감수성을 깨우다



이 책은 인간중심적 형이상학에서 경시되어 온 자연과 식물, 그리고 이들에게서 흘러나오는 생성적 에너지를 다룬다. 우리에게는 식물성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낯설다. 하지만, 두 사람의 철학적 지평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 새로운 철학적 사유는 인간과 식물의 창조적 만남을 그린다.

서문에서 이리가레는 “우리가 이 책을 함께 쓰게 된 것은 현재 자연과 생명이 처한 상황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사상적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식물 존재를 통해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열려는 문제의식이 이 지적 대화의 밑바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식물이 현재 자연과 생명이 처한 위기에 대한 진단과 대안 모색의 핵심으로 간주되었을까? 인간중심주의가 지구 환경 파괴와 생태계 위기를 낳은 원인이라는 반성이 일면서 동물과 동물권에 대한 관심이 현대 담론의 뜨거운 주제로 떠올랐지만, 식물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식물은 가장 미발달된 생명 존재이고, 생산의 원자재이자 바이오 연료로 치부되어 왔을 뿐, 인간이 그 일부를 이루는 생명의 토대로 이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물적 존재로 돌아가는 것은 생명의 근원으로 돌아가 생명과 연대하는 사유의 가능성을 길어 올리는 것이다. 생명의 에너지를 키우고 나누는 새로운 사유와 삶의 방식은 생태 지향성을 당연히 함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 생태 지향성은 그것을 가로막는 사유 체계와 사회경제 체제의 해체와 극복을 전제하지 않을 수 없다. 철학자로서 이리가레와 마더에게 이 작업은 서구 형이상학을 극복하는 일과 깊이 연동된다.



식물은 자라고 변하고 생성하는 존재이다!

―하이데거를 경유하여 그리스 철학으로 돌아가다



이리가레와 마더 두 사람 모두에게 서구 형이상학을 넘어서는 길은 하이데거를 경유하여 소크라테스 이전 그리스 철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리가레는 인도 철학과 불교 철학에서 그리스 철학과 접속하고 그것을 보완할 사유의 가능성을 찾기도 한다. 하이데거는 만물을 조율하는 하나의 통일된 원리를 설정하는 로고스 중심주의가 출현하기 전, 스스로 생성하는 존재들로 자연을 바라보았던 초기 그리스 철학에서 존재 망각을 넘어설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발견했다. 하이데거가 초기 그리스 철학에서 읽어낸 ‘퓌시스(phusis, 자연)’는 죽어 있는 고정된 물체가 아니라 ‘스스로 자라고 변화하는 물질’이다. 하이데거의 용어로 퓌시스는 시간과 공간 속에 자신을 ‘나타내는(appearing)’ 존재사건이다. 자기 안에 성장의 잠재력을 지닌 살아 있는 존재가 ‘퓌시스’라면, 이 퓌시스의 속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존재가 다름 아닌 ‘퓌톤(phuton, 식물)’이다. 퓌톤은 퓌시스의 축소판이다. 다른 무엇보다 식물은 ‘자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한 곳에 뿌리박힌 채 이동과 변화가 불가능한 존재로 간주되었던 식물에게서 ‘자라고 변화하고 생성하는 존재’로서 자연의 원형적 모습을 발견한 것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간 안의 자연과 인간 밖의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읽어낼 길을 열어주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우주를 구성하는 4원소로 알려진 물, 불, 흙, 공기는 생성적 잠재력을 지닌 살아 있는 물질로서 지구 생명체의 필수적인 요소이자 만물의 뿌리로 간주된다. 인도 자이나교는 여기에 식물을 제5원소로 추가한다. 식물은 생명을 선사하는 4원소들을 모으는 존재이자, 이 원소들에게 적당한 양의 햇빛과 습기와 미네랄과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원소들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활력을 불어넣는다. 생명이 싹트고 자라고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활력과 잠재력을 유지하려면, 4원소 사이에 적절한 비율이 유지되어야 한다. 서구 문명은 4원소 중에서 불에 특권적 위상을 부여하여 다른 원소들을 불에 복속시켜 왔다. 불은 물질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추출하는 문명의 원천으로서, 생명 자체가 안에서 타오르는 거대한 불길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인들은 불의 창조적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는 겸손을 잊지 않았던 반면, 현대인들은 절제 감각을 잃고 문명 자체를 통제 불능의 대화재로 만들어 왔다.

이리가레와 마더는 4원소 중에서 물과 공기, 그중에서도 특히 공기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공기는 생명체가 숨 쉬게 해주고, 물질들 사이에 이동을 보장해 주는 보편적 공유물이다. 또한 공기는 신체의 물질성이 영혼의 섬세함으로 옮겨갈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지와 하늘을 이어준다. 그러나 공기는 그 자체로 눈에 보이지 않고 손에 잡히지 않는 유동적 물질로서 여성적-모성적이다. 하이데거에게서도 공기는 사유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이는 여성적-모성적 차이에 대한 망각과 억압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리가레의 생각이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가장 먼저 수행하는 자율적 신체 활동이 숨 쉬기이다. 인간에게 숨 쉬기는 식물의 뿌리 내리기와 같다. 그러나 “서구적 정신을 추동한 것은 밖으로 내쉬는 순간을 지연함으로써 공기를 지배하고, 주체성이라는 신체 없는 숭고한 폐 속으로 가급적 많이 들이 마시고 외부 세계와 호흡을 공유하는 것을 막으려는 욕망”이었다(마더). 그 결과 근대 서구인은 자신의 숨을 없애 버렸다. 그는 “자신이 이룩한 기술적 성취를 경이의 눈으로 바라보느라 숨을 헐떡였고, 그 성취가 뿜어내는 매연으로 질식 상태에 빠졌다”(마더). 그러나 안과 밖 사이에 참된 공유가 일어나지 않으면 숨을 쉴 수가 없다. 들숨과 날숨은 생명의 기본 리듬이다. 이 잃어버린 생명의 리듬을 되찾기 위해 이리가레와 마더 두 사람 모두 호흡에 주목한다. 인도의 요가 호흡법은 수행을 통해 우리의 몸이 “공기가 흐르는 관”이 되게 하려고 한다. 그것은 줄기와 잎사귀로, 아니 온몸으로 숨 쉬는 식물의 호흡을 닮았다.



식물은 더불어 자라는 공동체이다!

―문화는 자연의 경작이어야 하지 분리나 지배가 아니다



호흡뿐만이 아니라 인간은 식물로부터 자연과 더불어 성장하는 존재 양식과 자세를 배울 수 있다. 마더가 뉴욕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시절 비좁고 누추한 아파트 뒷마당에서 만난 한 그루 나무는 ‘더불어 자라는 공동체’의 표상으로 남아 있다.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생명의 왕국을 이루는 한 그루 나무와 그런 나무들과 풀들과 꽃들이 다른 생명체들과 함께 어우러져 자라는 숲에서, 혹은 숲 옆에서, 인간은 내부의 자연과 외부의 자연을 분리시키지 않고, 생명의 원소적 토대를 이루는 햇빛과 공기와 물과 땅과 신체적·감각적 교감을 나누며, 인간으로서 자신의 고유한 성장의 과제를 이루어낸다. 식물 존재 주위에서 인간 사회와 정치 공동체가 무르익을 수 있다. 자연과의 분리에서 인간적 탄생을 찾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자연적 속성(natural belonging)을 문화적으로 키워내는 것이 ‘인간 되기’의 과제가 된다. 문화(culture)는 자연의 경작(cultivation)이어야 하지 자연으로부터의 분리나 단절, 혹은 자연의 지배와 정복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한 인간이 되는 것은 특별히 인간적이라고 여겨지는 생명의 내적 표현이 점차 드러나고, 그 과정에서 개별적 존재로서 우리 각자에서, 그리고 인간으로서 인간에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마더). 이 문장은 마더의 것이지만 이리가레도 공유하는 ‘인간 생성’의 원리이다.

두 사람이 공통적으로 그리스 비극의 여주인공 안티고네에서 발견한 것이 국가의 법에 맞서 생명을 지키고 돌보는 윤리이다. 안티고네가 죽은 오빠의 장례를 치러주려는 것은 국가에 맞서 가족의 가치를 옹호하는 것(헤겔)이 아니라 오빠의 시신을 땅에 돌려주려는 것이다. 그녀의 애도 작업은 땅에서 분리되지 않은 사람만이 취할 수 있는 윤리적 자세이다. 그것은 ‘여성적’이다.



성차의 철학과 식물 철학은 어떻게 만나는가?

―성차화는 섹스와 젠더라는 페미니즘의 낯익은 구분을 가로지른다



이리가레에게 자연적 존재로서 인간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다. 퓌시스 자체가 최소한 ‘둘’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둘’은 하나로 환원되지 않고 ‘다수’로 열릴 수 있다. 성차(sexuate difference)는 동일한 성적 정체성을 취하지 않는 두 주체 사이의 환원할 수 없는 비대칭적 차이이다. 차이는 간극을 전제한다. 하이데거와 달리 존재는 “하나가 아닌 성”이다. 다른 성과의 사이에 간극을 지닌 성적 존재는 다른 성으로 흡수되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성적 특성을 신체적 욕구와 관계적 욕망에서, 감각적 경험과 영적 표현에서, 사적 관계와 정치 영역에서 키워야 한다. 이 작업이 ‘성차화’ 혹은 ‘성적 되기(sexuation)’이다. 남성과 여성은 각기 다른 자연을 타고난 성적 존재로서 자기 안의 자연의 리듬에 가장 잘 어울리고 그것을 키워줄 수 있는 문화 질서를 만들고 향유할 성적 권리를 지닌다. 성차화는 자연적 소여로서의 ‘섹스’와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젠더’라는 페미니즘의 낯익은 구분을 가로지르고 뛰어넘는다. 참된 의미에서 인간이 되는 것은 성차화된 존재가 되는 것이다. 페미니스트 철학자로서 이리가레는 동일자 남성으로 환원되지 않고 자신의 성적 특수성을 키우고 표현하는 여성적 문화를 꿈꾼다. 기묘하게도 그것은 식물성과 공명한다. 이리가레가 식물의 철학자 마더에게 대화를 제안한 이유일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2) 읽고 있어요 (4) 읽었어요 (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10.0% 20대 2.4%

7.6% 30대 4.1%

23.5% 40대 7.1%

18.8% 50대 14.7%

4.1% 60대 7.6%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

전체 (2)

공감순

   

인간의 생명만큼 소중한 것이 어디 있을까요. 사회적 변화 및 문화의 갈등으로 인간의 생명은 더욱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죠. 식물의 세계를 통해 사유와 의식으로 내면을 고찰하고, 인간의 생명을 키우고 보호하는 법을 고민해 보는 시간이 되었죠. 궁극은 인간의 정신에 대한 경작법이 아닐런지요  구매

우보 2020-10-10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7. 보편적 호흡을 공유하기 새창으로 보기





이리가레: 자연적 삶을 사는 동시에 그것을 초월하기 위한 매개로서 공기와 호흡이 수행하는 본질적 기능은 망각되어왔습니다.



  사실 이 매개 기능은 이미 식물 세계와 나 자신 사이에 존재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서로 교감하고 있었습니다........공기는 우리를 살아 있는 관계 속으로 끌어들입니다. 공기를 통해서 나는 우리 전통이 단절시킨 보편적 교환에 참여했습니다. 그리하여 나는 혼자였지만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나는 보편적 공유에 참여했습니다.(43쪽)







마더: 생명은 살아 있는 존재들 사이에 어떤 공간도 남겨두지 않는 분리와 대조됩니다. 그러므로 분리는 본질적으로 질식시키는 것입니다. 숨 쉬기는 최소한의 ‘숨 쉴 공간’이 보장되는 작은 공간에서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 과제는 우리가 식물과 우리 사이에 흐르는 공기를.......생명의 합주에 참여하는 존재로 바라보는 문화를 가꾸는 것입니다.(205쪽)







나는 고전적 의미의 일기 쓰기를 중단한 지 오래됐다. 내 삶의 어떤 부분, 특히 그날그날의 사유를 두세 군데 적는 것으로 갈음한다. 이렇게 적어 놓은 내 글을 다시 보는 일이 내 생활의 소중한 일부고 각별한 취미다. 이따금 내 글인데도 뜻 모를 단어가 나타나곤 한다. 더군다나 문장은 물론 글 전체가 통째로 속을 드러내지 않고 멀찌막이 서 있기도 한다. 이럴 때 나는 알아차린다. “아, 이 글은 나 혼자 쓴 게 아니구나!”







『TINKER DABBLE DOODLE TRY』에서 Srini Pillay가 한 말을 들어보자.







“우리 뇌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생물학적 현실이다........우리 뇌는 바다에 홀로 떠 있는 부표가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실로 엮인 여러 개의 구슬에 가깝다. 뇌는 각각 실에 엮여 있는데다가 보편적 무의식이라는 좀 더 큰 사슬의 일부 일 수 있다........”







이 “생물학적 현실”에 따른다면 의식했든 못했든 내가 어떤 사유를 글로 옮길 때 같은 사유 속에 있던 누군가가 함께 작업했을 수 있다. 무엇보다 공동체적인 현안이라면 더 많은 동지(!)가 숙의와 집필에 동참했을 수 있다. 내가 내 글을 어려워하는 것은 집단 지성이 내 개인 지성보다 한 수 위이기 때문일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내가 써 놓고도 대체 이런 생각을 어떻게 할 수 있었을까, 고개를 갸우뚱하는 일이 일어날 때마다 떠오르는 구절이다.







식물과 인간은 공기로 말미암아 “살아 있는 관계”를 맺는다. Srini Pillay 말대로 하자면 “하나로 연결”된다. 이리가레의 “매개”를 넘어 마더의 “참여하는 존재”다. 공기는 식물과 인간의 신체를 구성하고 관통하면서 생명의 기호를 생성해낸다. 호흡은 식물과 인간이 서로 먹고 먹이는 “생명의 합주”가 시작되는 운동이며 종료되는 사건이다. 공기의 “보편적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식물과 나누는 “교감”을 카이로스 찰나에 알아차리는 인간이라면 그가 바로 신이다. 호흡의 각성이 다만 수단이거나 소유여서는 안 되는 까닭이 여기 있다. 식물이 없다면 인간 호흡은 성립하지 않으며 따라서 식물과 더불어 하지 않는 공기 각성은 절도다. 공기가 없다면 식물도 인간도 살 수 없으며 따라서 공기와 더불어 하지 않는 식물 각성은 강도다. 훔치고 빼앗아 쌓은 문명의 구가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다.











- 접기

bari_che 2020-10-09 공감(14) 댓글(0)

Thanks to



공감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Critical Life Studies) eBook: Irigaray, Luce, Marder, Michael: Amazon.com.au: Kindle Store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Critical Life Studies) eBook: Irigaray, Luce, Marder, Michael: Amazon.com.au: Kindle Store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Critical Life Studies) Kindle Edition

by Luce Irigaray (Author), Michael Marder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5.0 out of 5 stars    4 ratings





Review

Luce Irigaray and Michael Marder surprise us with a moving foray into life in its barest, elemental traits. By tapping into the pulse and silent language shared by all animate beings, they unsettle received philosophical narratives and awaken modes of sensibility both subtle and expanded. The contact with the mystery of vegetal life renews the investigation into human becoming, its potentiality and cultivation.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About the Author

Luce Irigaray (PhD, Linguistics, Philosophy, University of Paris VII, certification, Ecole Freudienne de Paris) is Director of Research in Philosophy at the Centre Nationale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Many of her work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including most notably An Ethics of Sexual Difference (Cornell, 1993), Between East and West (Columbia, 2002), Marine Lover of Friedrich Nietzsche (Columbia, 1991), Sexes and Genealogies (Columbia, 1993), Speculum of the Other Woman (Cornell, 1985), and This Sex Which Is Not One (Cornell, 1985).



Michael Marder (PhD, Philosophy, the New School) is IKERBASQUE Research Professor of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the Basque Country. He is the author of, among other books, Plant-Thinking: A Philosophy of Vegetal Life (Columbia, 2013), The Philosopher's Plant: An Intellectual Herbarium (Columbia, 2014), Energy Dreams (Columbia, 2017), Political Categories (Columbia, 2019), and, with Luce Irigaray,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Columbia, 2016).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Product details

File Size : 2965 KB

Word Wise : Enabled

Print Length : 248 pages

Publisher : Columbia University Press (5 July 2016)

Language: : English

ASIN : B01F1G6HFE

X-Ray : Not Enabled

Text-to-Speech :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 Enabled

Screen Reader : Supported

Best Sellers Rank: 767,377 in Kindle Store (See Top 100 in Kindle Store)

51 in Deconstructionism History & Criticism

93 in Deconstructivist Philosophy

253 in Botany

Customer Reviews: 5.0 out of 5 stars    4 ratings

Customer reviews

5.0 out of 5 stars

5 out of 5

4 global ratings

5 star

 100%

4 star 0% (0%)

 0%

3 star 0% (0%)

 0%

2 star 0% (0%)

 0%

1 star 0% (0%)

 0%

How are ratings calculated?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Sponsored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Australia

There are 0 reviews and 0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D. K. M. Kartha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8 September 2017

Verified Purchase

Everything worked out as promised. Thanks.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Matthew J. Moore: Amazon.com.au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Moore: Amazon.com.au: Books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Hardcover – 11 August 2016
by Moore (Author)
 ----

Hardcover : 208 pages
Publisher :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1 August 2016)

Product description
Review

"Moore breaks new ground in two academic disciplines: Buddhist studies and political scienc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political theory. Moore initiates a much-needed critical conversation between Buddhist and Western thinkers about the nature of the self, ethics, and the value of political engagement. In this way, this book breaks new ground in political theory particularly and Buddhist studies in general. Summing up: Essential." --P. O. Ingram, Pacific Lutheran University (Emeritus) "What do the ancient teachings of Buddhism have to do with politics and political theory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this lucid and inspiring text Matthew Moore illuminates entanglements between images of the self, the ontological dimension of life, an invitational ethos, and an enlightened perspective on politics.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classic teachings and contemporary theorists, Moore makes an indispensable contribution to political thought." --William E. Connolly, author of "The Fragility of Things: Self-Organizing Processes, Neoliberal Fantasies, and Democratic Activism" "A fascinating and long-overdue contribution to political theory. Moore effectively reminds us that Buddhist thought is valuable as a rich tradition in its own right, but also that it is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conversation partner for Western political thinking. Western thinkers, he argues, have a great deal to learn not simply about Buddhist political thought, but also from Buddhist political thought. This book promises to further expand our ever-contested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political theory, while offering a roadmap for those interested in engaging with this important tradition." --Farah Godrej, author of "Cosmopolitan Political Thought: Method, Practice, Discipline" "Matthew Moore's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is a ground-breaking contribution to the growing literature on comparative political thought that situates Buddhism centrally in scholarly debates long dominated by Western traditions. The book introduces unfamiliar readers to Buddhism and the history of Buddhist theories of government, from the earliest accounts of Buddha's teachings to 20th century practices, and from Burma to Thailand to the Tibetan government in exile. This platform allows Moore to inaugurate a critical conversation between Buddhism and Western thinkers about the nature of the self, ethics, and the value of political action that opens up a rich terrain for political theorists to explore." 

--Michaele L. Ferguson, author of 'Sharing Democracy'

About the Author
 Moore is Associate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California Polytechnic State Un
---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a three part dialogue between two worlds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 by Matthew Moo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08 pp., £56.00 (hardback), ISBN 9780190465513
---
Buddhist thought has not had much of an innings in the social sciences. Or, to put it in the words of the author reviewed here, it has been neglected and by political theorists most especially.

While very rich dialogues have begun between Western psychology, philosophy, neuroscience, psychiatry and to some degree sociology, political theory has remained obtusely deaf to the contributions o!ered by Buddhist thought.

"is book addresses that neglect and steps honourably into the gap. Moore is a political theorist who has immersed himself in canonical Buddhist texts to produce a book of great value and insight: a solid foundation for a long overdue dialogue. "e book’s rationale is hinted at in the title, ‘Buddhism and (my italics) political theory’, not ‘Buddhist political theory’ or, ‘Buddhism in political theory’. It is a book intended to inform ‘political theory’ about relevant Buddhist thought, and is thus primarily a synthetic exercise. Its rationale suggests that there

is something called ‘political theory’, distinct from something called ‘Buddhism’, a structural conceit necessary to support the dialogue Moore is a#er rather than a statement of fact, for, as Moore ably shows, Buddhist thought does contain political theory and political theory (for Moore, the body of thought produced in the ‘West’ about how government works) does contain ideas that may be conceived as of Buddhist or at least with which it shares a great deal. Because,

as students of Buddhism learn rather rapidly, no one and no particular place or time ‘owns’ Buddhist thought. Moreover, rather than o!ering substantive normative propositions, Buddhist thought is principally an ontology based on statements about how things are in the world from which, depending on context and relationally, insights worthy of a sociology, a psychology or a political theory can be drawn. Hershock (2003, p. 2) argues that the application of Buddhist

thought necessitates improvisation, or a virtuosity, to make sense of its ontological foundations: indeterminacy, the ontological primacy of relationships and the ‘inexpungible co-implication of facts and values’. For him Buddhist thought o!ers an exit from the ‘incestuous’ evaluative circle

constructed as Western thought attempts to bridge its long standing body-mind duality by using the very tools produced by that duality (Hershock 2006). In rejecting the principle of the excluded middle, Buddhism proposes that ‘rationality’ and the ‘emotions’ are not absolutely distinct but, like all things, are interdependent. It is exactly because Buddhist thought is outside Western

epistemologies and ontologies that it can cut through some of the log jams of Western thought.

"is point $ags a challenge faced by Moore in attempting to make intelligible the thought of the person known as the Buddha, and its manifestation in traditional and modern Buddhist societies, to produce a meaningful dialogue with Western political thought. Buddhist thought cannot be whisked or folded into either the categorical structures of the Western mind or the foundation concepts and categories of Western political theory. "is untranslatability though is precisely the source of bounty, and Moore places some of the inherent challenges front and

centre to shape his enquiry and the book’s structure. For him we thus begin with three statements of di!erence. First is Buddhism’s repudiation of the idea of a ‘self ’, or, the idea that there is something that remains continuous and reasonably stable over time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basis of sel%ood or personality (p. 2). Second is Buddhism’s repudiation of politics as an inherently valuable activity. "irdly there is Buddhism’s particular take on ethics, distinct because of its (a) naturalism – it is derived from natural facts about the universe rather than supernatural sources and (b) its irrealism – its claims serve as a guide, and hence are advisory rather than obligatory. With these three distilled opening statements and through circumscribing his understanding of political theory to what he calls a ‘narrow, conservative de&nition’ (as stated above: a theory of what government does), Moore marks out the borders of the dialogue to follow. "at it inevitably excludes other rich possibilities for dialogue is unavoidable. Every dialogue needs a container and, I assume, he will return again to build on these foundations.

Some general statements about the book’s framework might be helpful here. It is written
without assuming any knowledge of Buddhism on the part of the reader. It posits Buddhism as a religious/philosophical system, derived from the teachings (known as the ‘dharma’ or the ‘damma’) of Siddhartha Gotama, or the Buddha, and its primary source is the Pali Canon, the standard collection of teachings &rst delivered orally by the Buddha, then memorised, repeatedly recited but not written down until some several hundred years a#er his death. Moore argues that this provides a shared base for all forms of Buddhism that grew outwards from India some two thousand-odd years ago, today customarily characterised with reference to three di!erent schools: "eravada (of South Asian origin), Mahayana (East Asian such as Japanese Zen or Chinese Chan) and Vajrayana (of Tibetan and Mongolian origin). Exclusive reliance on the Pali Canon prompts a question as to what then is ‘Buddhist’ thought. Each of these three schools produced additional foundation texts as Buddhism was transmitted and incorporated into widely di!erent cultures across space and time.1

 In addition, many living Buddhist teachers and thinkers have been engaging directly with contemporary debates about democracy, equality, feminism and so on, and by reinterpreting the Pali Canon for a modern age. Exemplary here is Stephen Batchelor’s reading of Buddhist thought, stripped of what he calls its root in the ‘cosmology and metaphysics of ancient India’ to produce a wholly secular account (Batchelor 2015, p. 18).

Moreover, the authenticity of the Pali Canon is contested and interpretations di!er depending on which translation is being used. Moore’s argument is meretricious however given, again, the task of beginning a dialogue and echoes Western political theory’s traditional return to its own (contested) cannon again and again. "us this caveat is minor, o!ered principally to keep a door open for other accounts of Buddhism’s contribution to political theory, but still noting that a more explicit treatment of the di'culties with authenticity and foundationalism involved in reliance on the Pali Canon would have been helpful.

"e book is divided into two parts. "e &rst treats, in chapter one, the theory of government,
and relevant political statements, derived from the texts comprising the Pali Canon and their manifestation in Buddhist Asian societies, later adapted and amended as those societies and Buddhism itself modernised (chapters two and three). "is section functions to lay out the ideational and historical context. From chapter one we learn that the early Buddhist theory of government constitutes ‘another iteration of a very familiar defence of enlightened monarchy based on a primeval and unrecoverable social contract’ (p. 27). Of itself, Moore notes, not much di!erent from what is found in the Republic or in Leviathan. But what is distinct, says Moore, is the triumvirate identi&ed above: the de$ationary account of the role of politics, the naturalistic and irrealist theory of morality or ethics, and the illusory nature of self or individual identity. As the Pali Canon makes clear, Buddhism understands that radical change, social improvements, happiness and ful&lment will come from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is only ‘modestly a!ected by politics’ (p. 30) and, critically, that such transformation necessitates an acceptance of the illusory nature of ‘self ’. Chapters two and three are taken up with a summarised and largely descriptive account of the incorporation of the dharma into both traditional and modernising political regimes. Here a driving question is the response by modernising Buddhist societies to the transformation to republican statehood and how modernisers squared o! their e!orts given the very long standing tradition of monarchy sacralisation in the Pali Canon. Moore
considers events in Tibet, Burma/Myanmar, Bhutan, Cambodia, Laos, "ailand and Sri Lanka

but excludes China, Korea, Vietnam, Mongolia and Japan where a displacement of Buddhism predated the republican transition and also India where Buddhism had already died out. He discerns three distinct approaches (and one indeterminate) but concludes overall that political

leaders across the case studies examined both utilised Buddhist thought cynically to justify

new power structures or drew on Buddhist thought sincerely, and with textual justi&cation, to

support republicanism. Most Buddhist political writings, on his reading, also endorse versions of

democratic government but, he argues, given di!erential national, doctrinal and political points

of view, no single Buddhist political theory is discernible from this historical period. Rather

we have di!erent strains though, he suggests, all built on the same normative assumptions. It is

these, namely again the triumvirate already delineated, that he moves to in the second section

where the dialogic core of the book is hosted.

For the remainder of the book, Moore devotes a chapter to each point of the triumvirate, each

treated in turn with reference to points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with Western political

theorists selected principally for degrees of substantive overlap or convergence. Beginning with

the idea of no-self, Moore turns (chapter four) in the main to Nietzsche wherein, he suggests, a

shared view is found in the latter’s theory of under souls (p. 65). Both Nietzsche and the Buddha

deny the existence of a metaphysical self and argue instead that what we as humans think of as

our self is in fact ‘unstable multiplicities of experiences’ (p. 80). However, argues Moore, beyond

this is divergence. Nietzsche’s medicine was to propose egoic construction while the Buddha’s

was quite the opposite. In Buddhism, our task is to let go entirely of our sense of ‘self ’ or the

idea that there is some permanent, stable entity at the centre of our being. We can think instead

of the self as a ‘space, a forum, in which competing forces both external and internal interact’

(p. 142), a state of a!airs that potentially liberates each person from the idea that there is some

agenda, or determinate interest, to pursue defensively or o!ensively. Rather each person can

make decisions and act by consciously reconciling to the various forces that are met continuously, such as memory, knowledge, desire, hatred, greed, without having to attach attendant

qualities of ‘good’ or ‘bad’. Signi&cant for political theory, to frame it in Nietzschean terms, is

Buddhism’s account of human autonomy that mediates between the polarities of nihilism and

the politics of ressentiment. To claim the self as socially constructed is not all together radical

in political theory (Moore points to echoes in Hume and Kant for instance) but on this point,

as Moore correctly argues, Buddhism’s thorough going embrace of the emptiness of ‘self ’ goes

much further than Western political thought has yet gone.

Chapter &ve treats Buddhism’s repudiation of the inherent value of politics and Moore suggests strong echoes in theories of limited citizenship such as articulated by Epicurus, "oreau

and some versions of Christianity. Contra Weber’s account of Buddhism as a withdrawal from

political life, Moore extrapolates from the Pali Canon a much more nuanced view that argues

for politics as merely a supporting actor in what is truly important, vis ‘spiritual progress’ (p.

135) or, in classical Buddhist terms, ‘enlightenment’. "us a bad social or political environment

will not halt moral progress and, in turn, a good social environment will not necessarily produce moral progress or stop people from ‘deteriorating morally’ (p. 135). Hence, our manifest

citizenship, our engagement with political institutions and processes, is limited when it comes

to the real task of life: to live ethically while minimizing human su!ering, our own and that

of others. Paraphrasing Rousseau, Moore argues that Buddhism’s wisdom – that good laws do

not necessarily make good citizens and that fundamental social change will not be led by the

political system but rather by the ‘many personal transformations of individual citizens’ (p.

137) – provides a better account of political life today, one that is more in tune with the reality

of many people.

Finally, in chapter six, Moore o!ers a dialogue on ethics. While there is no disagreement on

Buddhism’s naturalism there are disputes, referenced here by Moore, as to whether Buddhist ethics are consequentialist or virtue ethics. Moore positions his contribution in meta-ethics

and plumps for a hypothetical reading of the cannon; that claims as to the best way to live are

hypothetical, as are distinctions between right and wrong. In taking this view Moore stands

against the more normative understanding of Buddhist ethics such as articulated by Harvey

(2000) and considerable attention is given to the justi&cation for the hypothetical framework.

Moore argues for instance, if Buddhist ethical truths were indeed categorical, they would be

uniquely in its cosmology, endowed with permanence and unchangeable essence (p. 124). For

Moore, Buddhism’s naturalism renders it unique in spiritual traditions and ties it into a long

Western tradition of avoiding appeals to the supernatural or mystical, from Epicurus, to Spinoza,

to Deleuze and Guatarri and its hypothetical approach renders it particularly sympathetic to

William Connolly’s immanence politics. In the same way that immanence theorists defuse many

problems of ethical reasoning by ‘staking positive claims but acknowledging their contestability’,

Buddhist ethics also o!er such pragmatic and theoretically defensible approaches to dealing with

di!erence, though, he suggests, Buddhism here has much to learn from Western theorists such

as Connolly. A consideration of Buddhist ethics, whether hypothetical or more normative, must

inevitably confront the role of kamma (or karma), an understanding about cause and e!ect that

states that every action leads to some reaction and creates wholesome or unwholesome e!ects

for ourselves and for others. Given his source in the Pali Canon, Moore’s articulation of karma

necessarily includes, though he does not dwell on it, its relationship to reincarnation wherein

according to traditional understandings, the possibility of being reborn into great su!ering

governs our behaviour in the present. For many contemporary Buddhist thinkers and practitioners, such in the Zen tradition, the Pali Canon requires great improvisation on this aspect.2

In his conclusion, Moore makes the case that the value of a Buddhist account is that it upends

and empties out a triad of Western political thought; its attachment to the idea of the ‘self ’, its

search for normative ethics and its espousal of the inherent value if not obligatory nature of

politics and political engagement. "at Buddhist thought upends in a manner that is theoretically interesting is evidenced by ideas treated engagingly throughout the book. But as becomes

clear in the conclusion, for Moore it also a manner wholesome and wise, for as he argues in the

&nal paragraphs, there is indeed no ‘self ’; the goal of life is enlightenment whether manifest in

transcendence or implicated in the quotidian world; moral judgement is indeed hypothetical

(there are no absolutes) and each of us is free to act, think and behave accordingly guided by

making ‘our experience of our experience’ (p. 145) as pleasant as possible.

Moore makes Buddhist thought unstrange to political theory and the book will provide an

exciting, robust and imaginative entry into Buddhist political thought for both students and

established scholars. I had two caveats about the book, however, &rstly to do with its overall

narrative coherence and secondly to do with the ideational triad that gives it conceptual cohesion. It seemed to me that much of chapters two and three, though contextually relevant, was

not necessary to the overall argument and the book reads more like a collection of somewhat

disparate essays. In relation to the triad, I struggled throughout to accept the centrality of the

idea of limited citizenship as a pivotal foundation of Buddhist thought or a central organizing

principle for a Buddhist account of politics. It might help explain why Buddhists tend not to

be overly represented in political activism, or indeed why Buddhis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political and social quietism, but it might not help answer the question ‘what would the Buddha

do’ (or ‘what can Buddhist theory advise us here’) in the face of any political choice or contest.

As a doctrine, non-self is core to any Buddhist account of political life, but its full understanding

beyond ontology necessitates saying something about its relationship to karuna or compassion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ll actions and thoughts and without which a short-changed Buddhist

political theory could emerge. Edwards (1998) for instance has argued that compassion is the

root of all political and social dissent and is the basic ground of the radical politics that, he argues,

$ows from Buddhist thought. More philosophically, we can think about the idea of the emptiness of self as itself a shorthand way to speak of interdependence of all being and things (Loy 2008,

p. 22), the view that concomitantly posits compassion as the natural mode of being and the

supreme and enduring guide for all relationships. Compassion, thus, more than a refutation of

the inherent value of politics, might have generated a richer motherlode for the conversation.

As this book illustrates, there are many threads of thought, East and West, yet to be pursued,

to push both political theory and Buddhist thought in interesting and challenging directions.

Moore is to be congratulated for bringing these worlds together and it can be assumed (and

hoped) that he will return again to the tapestry he has woven here.

Notes

1. Japanese Buddhism, both in Asia and outside, draws also on the work of thirteenth Century writer

DŌgen, the founder of Soto Zen whose extensive writings are canonical in that tradition. See Parkes

(2013) for a take on DŌgen and environmental politics today.

2. For instance see a contrasting views of Buddhist ethics found in Aitken (1984) and Loy (2003). While

sharing the hypothetical view, these authors repudiate the necessity of a role for reincarnation in Buddhist

ethics.

----

References

  • Aitken, R., 1984. !e mind of clover: essays in Zen Buddhist ethics. New York: North Point Press.
  • Batchelor, S., 2015. A"er Buddhism: Rethinking the Dharma for a Secular A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Edwards, D., 1998. !e compassionate revolution: radical politics and Buddhism. Dartington: Green Books.
  • Harvey, P., 2000.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ershock, P., 2003. Renegade emotion: Buddhist precedents for returning rationality to the heart. Philosophy East and West, 53 (2), 251–270.
  • Hershock, Peter, 2006. Buddhism in the public sphere: reorienting global Interdependenc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Loy, D., 2003. !e great awakening: A Buddhist social theory.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 Loy, D., 2008. Money, Sex, War, Karma. Somerville: Wisdom Publications.
  • Parkes, G., 2013. Kukai and DŌgen as exemplars of ecological engagement. Journal of Japanese Philosophy, 1, 85–110.



Eilís Ward




알라딘: 불교, 정치를 말하다

알라딘: 불교, 정치를 말하다



불교, 정치를 말하다 

매튜 J. 무어 (지은이),박병기,이철훈 (옮긴이)CIR(씨아이알)2020-09-21







불교, 정치를 말하다



정가

18,000원

판매가

17,100원 (5%, 900원 할인)

마일리지

900원(5%) + 513원(멤버십 3%)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77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신간도서 단 1권도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오늘 출고

최근 1주 100.0%(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02 기준) 지역변경

신화/종교학 주간 25위|Sales Point : 630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280쪽152*224mm532gISBN : 9791156108771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이벤트



10월 특별선물! 요가 매트, 아령 세트, 짐볼, 마사지볼(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불교는 전 세계의 수억 명이 믿는 큰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서양 정치사상가들의 불교에 대한 무관심으로 불교와 정치이론이 초점을 둔 연구물들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시민사회에서 정치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시민들은 그 정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서양의 정치이론으로 제한된다면 시민들은 편향적인 시선으로 정치를 받아들이게 되는 불행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에 책은 정치이론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서양의 정치이론만이 아닌, 불교라는 종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목차

서 문: 불교와 정치사상

개 관

정치이론은 무엇인가?

불교는 무엇인가?

왜 이 세 가지 요소인가?

빨리어와 산스크리트의 주석



I. 불교의 정부론

1. 정부론과 초기불교 정치이론

관련 초기 경전들

초기불교의 정부론

초기불교의 정치이론



2. 전통 불교의 정부론

󰡔마하바스투(The Mahāvastu)󰡕

상좌부불교의 경전들

전통시기 대승 불교의 경전들

전통기 금강승불교 경전들

결 론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매튜 J. 무어 (Matthew J. Moore)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2004년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6년부터 캘리포니아 폴리텍 주립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교육 및 연구 분야는 정치이론으로서 이상 정부론, 공법(公法), 다원주의, 불교 정치사상, 비교정치학, 법철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Buddhism and Political Theory(Oxford University Press, 2016), Comparative Political Theory in Time and Place(Palgrave Macmillan, 2017) 등이 있다.

최근작 : <불교, 정치를 말하다> … 총 3종 (모두보기)

박병기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수료했다.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5년제)을 수학했고, 전주교육대학교 교수(초등교육연구원장)를 거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종합교육연수원장을 맡고 있고,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 계간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이기도 하다. 주요 저서로는 『윤리학과 도덕교육 1, 2』(공저),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문광부우수학술도서)와 『의미의 시대와 불교윤리』(세종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철학의 과업』(공역), 『도덕... 더보기

최근작 : <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대학생의 인성과 인성역량 함양>,<분단생태계와 통일의 교량자들> … 총 25종 (모두보기)

이철훈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수료했다. 현재 윤리교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도덕수업, 어떻게 해야 할까?』(공저),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등이 있다. 역서로는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공역), 『착한 사람은 행복한가』(공역)가 있다.

최근작 :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서양 정치이론과 불교 정치이론,

두 전통 간의 연계성과 차별성에 대한 이해



그동안 비교정치학 연구는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슬람 정치사상, 유교 정치사상, 아프리카 정치사상 외에도 여러 전통에 뿌리를 둔 정치사상들에 관한 수많은 논문과 단행본이 출판되었다. 그렇지만 신기하게도 전 세계에 수억 명이 믿는 네다섯 번째로 큰 종교이자, 아시아에 캄보디아와 부탄, 태국, 티베트 망명정부와 같이 불교 정치이론에 기반하여 조직되고 그 정체성이 규정되는 여러 나라가 있음에도, 불교와 정치이론에 초점을 둔 연구물들은 사실상 전혀 없는 실정이다.

불교 정치이론은 서구 정치이론가들이 관심을 갖는 동일한 주제들을 다루는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주제들에서 서양 사상가들과는 뿌리 깊은 차이를 보이며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사례에서 불교의 위상을 살펴보면, 서양의 정치사상보다 더 깊이 고민되고 논쟁적이었으며, 논리적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충분히 논의하고 실제 정치적 실천과 실험을 더 많이 지속하고 있다. 그런 점을 고려해보면, 서양 이론가들은 불교에 대하여 많은 것을 배워야 할 뿐만 아니라, 불교로부터도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불교 정치이론은 서양철학의 전통 위에서 구성된 사회적 삶과 확장된 정치적 삶 일부를 설명하는 데 아주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더 나아가 그들로 하여금 학술 논의의 장과 실제 사회적 삶에 내재된 윤리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불교 정치사상은 단지 서양 전통에서 찾아볼 수 없는 관심에 대한 미지의 비서양 전통으로서뿐만 아니라, 모든 서양의 정치이론가들에게 풍부한 전통과 날카로운 도전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목표는 서양 정치이론가들에게 불교 정치이론의 전통을 소개하는 데 있다. 특히 두 전통 간의 중요한 연계성과 차별성에 대해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또한 불교적 이상사회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불교정치이론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 책은 불교에 관심이 있는 다른 학자들에게 로드맵을 제공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접기


---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 로이 (지은이),허우성 (옮긴이) 2012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 현대사회의 딜레마들에 불교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데이비드 로이 (지은이),허우성 (옮긴이)불광출판사2012-02-28

원제 : Money, Sex, War, Karma (2008년)

15,000원

13,500원 (10%, 1,500원 할인)

----

240쪽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Paperback) Paperback

----

책소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 교양 강의 책. 불교의 핵심이 ‘사람들의 고(苦)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불교가 지금 의미 있으려면 ‘현대의 고’를 줄이는 데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돈, 섹스, 시간, 음식, 명성, 전쟁과 같이 우리 삶과 구체적으로 만나는 지점들에서 불교가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경전과 역사를 넘나들며 우리시대와 통하는 살아 있는 불교를 찾아 헤맨 끝에 저자가 내린 결론은 무엇일까? 과연 불교는 우리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까?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곱씹어볼 만한 생각거리들을 저자는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불교는 우리에게 해답을 줄 수 있는가?


제1장 나의 고통은 어디에서 오는가


제2장 부자가 계속 돈을 원하는 이유는?


제3장 왜 우리는 명성에 매달리는가


제4장 시간 안에 갇히다


제5장 언어로부터의 자유란 무엇인가


제6장 업(業) 사용설명서


제7장 섹스에 무슨 잘못이 있는가


제8장 붓다라면 어떻게 했을까


제9장 경제, 군대, 대중매체?탐욕, 악의, 망상의 제도화


제10장 주의력결핍장애 시대에 산다는 것


제11장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


제12장 유전자변형식품은 우리에게 행복을 줄까


제13장 우리는 왜 전쟁에 매혹되는가


나가며: 불교 혁명을 위한 노트


역자의 말: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 스터디


책속에서


P. 49 돈의 유혹에 빠지면 그 ‘순수한 수단’을 얻기 위하여 다른 모든 것을 희생한다는 점이다. 즉 지구는 자원이 되고, 우리의 시간은 ‘노동’이 되고, 우리의 관계는 이용해야 할 ‘연줄’이 된다.


P. 50~51 마침내 우리는 세상 모든 것의 가격은 알게 되었지만, 그 어떤 것의 가치도 알 수 없게 되었다.


P. 62 명성은 “그가 가장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르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받아들여질 것을 보장해준다. 왜냐하면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마침내 당신이 누구인지를 알게 될 것이고, 그 덕분에 당신은 살아 있지만 죽은 목숨(living death)인 무명(無名)에서 구원받기 때문이다.”


P. 73 내가 시간과 공간 안에 있다고 말하기보다는, 시간과 공간이 바로 여기에서 지금 하고 있는 게 나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P. 104 업(業) 이론은 우리 삶의 문제적 상황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라고 우리에게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관대, 자비, 불이(不二)적 지혜로 그런 상황에 대처하여 우리의 영적인 삶과 세계의 상황을 개선하라고 우리를 격려하고 있다.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2년 03월 10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데이비드 로이 (David R. Loy) (지은이) 


불교학자이자 선禪 수행자. 1984년 싱가포르 국립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1년 하와이에서 야마다 코운, 로버트 애잇킨과 함께 불교를 만나 수행하고, 1984년 일본으로 건너가 선 수행을 계속했다. 20여 년 간 일본에 머무르며 분쿄 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1998년 법사 인가를 받은 뒤 본격적인 선 지도자의 길로 나섰으며, 스피릿 락Spirit Rock, 바르 불교학센터Barre Center for Buddhist Studies. 오메가연구소Omega Institute, 캠브리지 인사이트 센터Cambridge Insight Center, 파리의 테르 데빌Terre d’eil, 부다페스트의 다르마 게이트Dharma Gate와 같은 곳에서 국제적인 수련회와 워크숍을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적 참여불교에 대한 학문적 연구로 모교인 칼튼 대학Carlton College으로부터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화석연료에 대한 대학의 기금 투자를 철회하지 않기로 한 대학 이사들의


결정에 항의하기 위해서 그는 나중에 이 학위를 학교에 반납했다.)


로키산 에코다르마 수행센터의 부원장이기도 한 그는 불교와 생태주의와 행동주의에 관해서 많은 기사와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으며, www.davidloy.org에서 글과 팟캐스트를 볼 수 있다. 저서로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불광출판사 펴냄), 《새로운 불교의 길A New Buddhist Path》과 《결핍과 초월Lack and Transcendence》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과학이 우리를 구원하지 못할 때 불교가 할 수 있는 것>,<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 총 18종 (모두보기)


허우성 (옮긴이) 


경희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및 비폭력연구소 소장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객원교수(한국연구재단 강의 파견 교수, 1998), 일본 교토대학교 종교학 세미나 연구원, 도쿄대학교 외국인연구원,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 방문교수, 한국 일본사상사학회 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일본국제문화교류센터 해외연구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근대 일본의 두 얼굴: 니시다 철학》 《간디의 진리 실험 이야기》 등이 있고, 옮긴 ... 더보기


최근작 :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새로운 모색>,<동아시아 속 한국 불교사상가>,<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 … 총 2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나는 왜 고통스러울까?

왜 항상 돈이 부족할까?

우리는 왜 명성을 얻고 싶어 하나?

현대인이 시간에 쫓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들은 왜 섹스에 매달릴까?

왜 세계는 전쟁을 멈추지 않는 걸까?

어쩌다 생태계가 이렇게 파괴되었을까?

생명공학은 우리에게 행복을 가져다줄까?

이 모든 질문들에

불교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 교양 강의


붓다가 미국에 살았다면? 현란한 광고와 자극적인 이미지, 자본의 논리로 작동되는 사회체제, 국익을 위해 전쟁도 불사하는 정부를 보고 그는 뭐라고 말했을까?


붓다는 혁명가였다. 그는 당대의 사람들을 억압하는 종교와 사회체제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혁신적인 가르침을 펼쳤다. 그로부터 2,600년 가까이 흐른 지금, 그가 전한 가르침은 여전히 유효할까?


저자는 불교의 핵심이 ‘사람들의 고(苦)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불교가 지금 의미 있으려면 ‘현대의 고’를 줄이는 데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돈, 섹스, 시간, 음식, 명성, 전쟁과 같이 우리 삶과 구체적으로 만나는 지점들에서 불교가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경전과 역사를 넘나들며 우리시대와 통하는 살아 있는 불교를 찾아 헤맨 끝에 저자가 내린 결론은 무엇일까? 과연 불교는 우리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까?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곱씹어볼 만한 생각거리들을 저자는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돈과 명성에 목을 매는 이유


논의의 출발점은 불교의 ‘무아’(無我)이다. 무아는 우리가 보통 변치 않는 ‘나’라고 인식하는 게 실제로는 없다는 개념으로, 우리의 상식에 정면 도전한다. 그럼 불교에서는 왜 ‘나’가 없다고 하는 걸까? 세상 모든 것은 서로 맺는 ‘관계’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는 영양을 주는 음식, 생명을 준 부모, 기쁨을 주는 친구, 숨 쉴 공기를 주는 나무 등을 비롯한 세상 모든 것으로 꽉 짜여 있는 그물의 어느 한 지점이다.


하지만 우리는 보통 이 단순한 사실을 망각하고, 스스로를 세상에서 홀로 떨어져 있는 ‘나’로 여긴다. 이렇게 스스로를 왕따시킨 결과 마음에 구멍이 뚫린다. 자기의 존재 이유를 모르는 데서 오는 극심한 결핍감을 느끼며 “살아 있지만 죽은 목숨”을 사는 것이다.


우리가 돈과 명성에 목을 매는 건 이 둘이 그 구멍을 메울 수 있는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위에서 돈을 더 이상 바라지 않는 부자나, 더 큰 명성을 얻고 싶어 하지 않는 유명인을 본 적이 있는가? 그 수단들이 진정한 치유책이라면 어째서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볼 수 없는 걸까? 혹시 이런 노력들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아닐까?


우리는 ‘나’가 무엇인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동시에 ‘나’가 없는데 어떻게 ‘구멍’이 있을 수 있는지, 우리가 존재의 비어 있는 곳을 과연 메울 수 있는지도 성찰해야 한다. 우리가 하얀 종이를 볼 때마다 거기에 떠 있는 구름 한 조각을 볼 수 있을 때까지(184쪽 틱낫한 글 참고).




섹스의 불편한 진실


불교 승려는 섹스를 한 사실이 들통 나면 승려 집단에서 쫓겨난다. 왜 섹스는 그렇게 큰 잘못이 되었을까? 승려가 태어날 수 있었던 것도 섹스 덕분인데. 이를 알기 위해선 불교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훑어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섹스가 승려 집단에 초래할 두 가지 위험을 주목한다. 하나는 섹스의 결과 태어난 아이 문제이다. 아이가 생겨나면 승려는 가족을 먹여 살리는 일에 집중을 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 결과는 일본불교에서 볼 수 있는 가족 사업화된 사찰이다. 그렇게 되면 돈이 되는 장례식과 추도식을 뺀 다른 일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승려와 후원자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승려 집단은 불교도 후원자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는 형식으로 발전해왔는데, 후원자들이 승려에게 더 큰 순결성을 요구한 결과 승려들의 순결이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승려가 아닌 우리들은 제약 없이 섹스를 해도 되는 걸까? 불교의 관점에서 답하면 ‘그렇지 않다.’ 그런 행위로는 고(苦)를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낭만적 사랑이라는 신화에 빠져든 나머지 섹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성적 친밀감에 대단한 가치를 부여하곤 한다. 하지만 사실 “섹스는 자연의 속임수이고, 낭만적 사랑이란 그 속임수 위에 덧칠해놓은 정서적 광택이다.” 낭만적 사랑이 끝난 자리에 자녀 양육과 같은 책임만 남았을 때,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렇다고 저자가 섹스에 반대하는 건 아니다. 저자는 그것의 장점을 인정한다. 다만 “섹스는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는 신화가 감추고 있는 “섹스의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자고 제안할 뿐이다.




우리는 왜 전쟁을 멈출 수 없는가


전쟁의 이유에 대한 사회·경제적인 분석은 지금까지 자주 있어왔다. 그런 분석들에서는 전쟁을 사회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흐르게 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정치 상황을 만들어내려는 권력자의 의도,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세계를 손 안에 두려는 강대국의 욕망 등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우리들은 한 인간으로서도 전쟁에 매혹된다. 왜냐하면 “전쟁은 우리의 인생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 채널 서핑이나 쇼핑에 빠진 채 의미 없이 시간을 보내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는가? 사회 구조 안에서 정해진 위치에 따라 살면 되었던 전통사회와는 달리, 지금 우리는 홀로 내던져진 존재가 되어 각자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이 쉽지 않은 과업을 달성하지 못한 우리들 대다수에게는 권태와 공허만 남는다.


하지만 전쟁 상황이라면 다르다. 일단 적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 편으로 똘똘 뭉치게 된다. 이 “따스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유대감”과 생존본능은 우리의 주의를 권태와 공허에서 떼어놓는다. 더군다나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에 기초한 정의 혹은 신의 사명 같은 환영을 전쟁에 덧씌워놓는다면, 선의 편에서 우주적 차원의 전쟁에 참가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의기양양해지겠는가! 그러한 “영적 투쟁은 죽음조차 초월할 수 있는 영웅적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저자는 종교 근본주의자들이 인생의 공허를 직시했다는 점에서는 옳다고 본다. 하지만 전쟁이 불러오는 비참은 그쳐야 하며, 종교 근본주의자들의 처방은 망상으로 본질을 가려놓은 것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만일 전쟁이 결핍에서 오는 집단 문제에 대한 집단 반응이라면, 우리는 전쟁이 종식되기를 기대할 수 없다.” 우리는 삶의 공허에 대처할 수 있는 근본적인 영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백 번 생각보다 한 번 행동을


“나는 지옥에 좌선만 하는 사람을 위한 특별 장소가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고 있다.”


저자는 시종일관 바른 앎을 강조하지만, 아는 데서 그치는 건 불교도의 길이 아니라고 말한다. 아는 만큼 즉시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없다는 뜻이다. 이는 개인의 복을 비는 구복불교와 수행 제일주의로 기운 나머지 사회 참여를 소홀히 하는 한국불교계를 향한 따끔한 지적처럼 들린다. ‘보살도’(bodhisattva path)에 대한 저자의 설명을 보자.




“보살은 다른 생명을 돕기 위해서 자신의 완전한 깨달음을 연기하는 것이 아니다. 보살에겐 타인을 돕는 것이 자신의 깨달음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왜냐하면 보살은 궁극적으로 자신의 해방을 다른 사람들의 해방과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보살도에 대한 이런 이해는 카르마, 곧 업(業)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여실히 반영한다. 많은 사람들이 업을 ‘다음 생의 운명을 결정하는 요인’ 정도로 이해하지만, 사실 업은 바로 지금 생을 역동적으로 만드는 요소이다. “행복은 덕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덕 그 자체”(스피노자)인 것처럼 우리는 “죄 때문에 벌을 받는 게 아니다. 죄 그 자체가 우리에게 벌이다.” 업 이론은 삶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라고 우리를 격려한다. “다른 종류의 사람이 되면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한다. 당신의 마음이 달라지면 세계도 달라진다. 그리고 우리가 세계에 다르게 반응하면, 세계도 우리에게 다르게 반응한다.”


우리들은 이러한 인식을 인간세계에서 지구 전체로 확장해야 한다. 기후변화가 초래할 전 지구적 위험은 무시하고 넘어갈 수준을 이미 넘어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방석 위에 앉아 참선만 하느니 차라리 남극에서 오존 구멍 사이로 들어오는 자외선에 화상을 입을 것이며, 툰드라 지방에 가서 녹아내리는 영구동토층 위에 뒹굴어라.


저자는 우리시대와 통하는 살아 있는 불교를 찾아 경전과 역사를 두루 섭렵한다. 그 결과 현대사회의 애매한 것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었을까? 그렇지는 않다. 모든 것은 변하는 과정 위에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다. 다만 저자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길 원한다면 우리가 맞닥뜨린 딜레마들에 영적인 문제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런 영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생각거리들을 불교에서 찾아 우리에게 건네주고 있다. 접기


---


평점


분포


    9.5


우왕 2014-07-27 공감 (0) 댓글 (0)


불교의 핵심 가르침으로 오늘날의 문제를 해법하는데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 하는 모범적인 사례. 명철하고 합리적이고 실용적이고 소위 전문가들이 흔히 늘어놓는 복덕방노인네같은 미사려구로 헛소리하지 않는다.  구매


고기 2012-06-16 공감 (0) 댓글 (0)


  사회적 깨달음 새창으로 보기


“적을 향한 진군은 우리 이웃, 사회, 나라와의 따스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유대감을 만들어냈고 소외와 혼란이라는 불편한 암류를 완전히 제거했다. 전쟁의 매력은 이것이다. 전쟁은 그 파괴와 대학살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인생에서 갈망하는 것을 줄 수 있다. 그것은 우리에게 목적, 의미, 삶의 이유를 준다. 전장에 있으면 우리 인생의 대부분을 채우는 피상성과 권태가 뚜렷해진다. 전쟁은 우리를 고귀하게 해준다.”


9/11 사태 때 테러리스트들이 비행기를 몰고 돌진한 이유는 바로 그 ‘고귀함’ 때문이다. 테러리스트들은 영적 전쟁을 벌이는 것이라 저자는 말한다.


“난민촌에서 미래에 대한 별 희망도 없이 점점 쇠약해지는 것이나 TV 채널 서핑에 빠져 있거나 상점에서 쇼핑하는 것에 비해 얼마나 의기양양한 대안인가? 영적 투쟁은 죽음조차 초월할 수 있는 영웅적 정체성을 부여한다. 위험하고 혼란스럽고 격렬한 바다(현대사회)에서 종교는 형안의 항구에 내린 닻이다. 깊고도 거의 초월적인 의식수준에서 그들(종교 테러리스트)은 자신들의 삶이 통제에서 벗어났음을 감지한다. 그리고는 그 혼란의 책임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느끼면서도 자신들 역시 그 혼란의 희생자라 생각한다. 그런 세계에서 종교로부터 버림받는 것은 개인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종교적, 인종적, 국가적 공동체보다는 위험에 처한 자신의 개인적 자아에 주로 관심을 쏟는다.”


그들이 느끼는 무의미함은 성(聖)의 차원이 세속화된 이 세계에서 거세되었기 때문이다. “저 폭력적인 종교운동에도 일리는 있다. 그들이 공유하고 있으며 우리 또한 그들과 공유하는 기본 문제는 다른 종교들이 제기하는 위협이 아니라 이데돌로기가 아닌 체하는 이데올로기이다. 세속주의가 하나의 이데올로기인데도 마치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세계인 것처럼 가장ㄴ다는 점이다.”


세속주의는 아주 독특하고 특이한 현상이다. 성과 속이란 대립개념은 성의 증발 때문에 태어났다. “성속의 구별은 우리의 결핍감을 달래기 위한 더욱 개인적인 길이었다. 루터는 신앙을 내면화하고 신의 거룩한 영역을 세속의 저 높은 곳에 투사함으로써 자연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것이 서로 연속한다는 중세의 세계관은 무너졌다. 그, 둘 사이에서 새롭게 해방된 공간은 새로운 것, 곧 세속적인 것을 창조햇다.” 왜 이것이 문제인가? “세속세계에는 뭔가 중요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즉 세속세계에는 우리의 결핍감을 이해하고 해소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인데 이는 근본적으로 영적 문제이다.”


그 결핍감을 기독교에선 원죄란 말로 설명했고 여러 종교들이 그것을 설명하고 처리할 방법을 제시했다. 그러나 세속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더 이상 그런 처리는 가능하지 않다. “나는 종교 근본주의자들이 어떤 의미에서는 옳다고 말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많은 사람을 오래 살게 하고 때로는 죽음을 육체적으로 덜 고통스럽게 만들 수 잇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를 개인적으로 집단적으로 괴롭히는 공허에 대한 해답은 갖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세상 안에 있는 어떤 것도 우리 줌심의 바닥없는 구멍을 메울 수 없기 때문이다. 전쟁은 우리가 갈망하는 의미를 우리에게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전쟁이라는 방식은 우리의 삶의 잘못되었음을 확실히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전쟁은 우리의 개인적인 결핍을 묶어서 그것을 외부의 적에게 투사하는 단순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전쟁이 종식되기를 기대할 수 없다. 우리가 근본적인 영적 문제를 해결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을 때까지는”


저자는 방법을 불교가 보여줄 수 있다고 말한다. “불교에서는 이런 결핍감, 뭔가 없다는 느낌, 내 인생이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을 우리의 잘못된 자아 감각이 갖는 어두운 면으로 본다.” 즉 고(dukka)이다.


“고의 요점은 돈이 많고 건강한 사람들조차도 근원적인 불만, 곧 부단히 괴로운 불편(dis-ease)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인도의 전통에서 고란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요가도 자이나교도 그외 수많은 (불교의 입장에서) 외도들 모두 고의 문제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고를 자아감각과 연결시킨 것이 불교의 진정한 업적이엇다고 저자는 말한다. “불교에서는 자아가 바로 고이다”




 




연기란 말은 모든 것은 조건에 따라 구성된다는 말이다. 자아감각 역시 마찬가지이다. “자아에 대한 ‘나의’ 느낌은 습관적으로 지각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것이 전부이다. 그런 무상한 과정들은 다른 과정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사물들로부터 분리된 자아감각을 발생시킨다. 만일 그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과정을 모두 제거한다면 그것은 양파 껍질을 벗기는 것과 같다. 마지막에 이르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잘못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문제는 우리가 無가 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의 중심에 나 있는 텅빈 구멍은 우리를 매우 괴롭힌다. 아무 것도 없다는 말은 [우리 자신과] 일치시킬 것도 매달릴 것도 없다는 말이다. 즉 내가 ‘무’라는 건 구성된 느낌으로서의 자아가 근거 없는 것이고 그 근거 없는 자아가 비실재성과 불안전성(insecurity)이라는 근본적인 느낌의 출몰로 괴로움을 겪는단 말이다. 자아감각은 결코 안정적일 수 없다. 그것은 안정적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無我란 말의 요점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비실재감을 ‘내게 뭔가 문제가 있다’는 느낌으로 경험한다.” 문제가 있다는 그 느낌, 그 불편함이 바로 고의 내용이라고 불교는 말한다.




 우리는 그 불편함을 억압하려 한다. 결코 그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그 불편함, 자신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느낌, 결핍감을 메우기 위해 뭔가에 매달리려 한다. 그 뭔가가 전쟁이 되고 돈이 되며 명성이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慾이란 결핍감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돈은 우리가 그것으로 어떤 것이든 살 수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집단 속에서 우리가 실재한다는 걸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기 때문에 중요하다. 명성 역시 비슷하다. 만일 내가 정말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면 그만큼 나는 정말로 더 실재한다. 그러나” 아무리 돈이 많아도,  “많은 사람들이 주목한다 해도 우리의 결핍감이 채워지는 것은 아니다.” 권력욕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권력이 우리 실재의 가시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그것을 갈망한다. 히틀러와 스탈린 같은 독재자들은 자신들의 사회를 지배햇다. 르거나 그들은 실제로 안전하다고 느낄 정도로 상황을 통제하지는 못햇다. 권력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자는 가장 지독한 편집광이 되고 만다.”


내가 無라는 것을 인정할 수 없기에 우리는 不善하게 된다. 불교가 말하는 三毒, “탐욕, 악의, 망상은 나와 다른 사람들을 아주 곤란하게 만드는 문제 있는 동기들이다.” 그것을 불교에선 業이라 말했다. “나의 자아감각이 내가 습관적으로 지각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있다면 업은 내가 가진 어떤 것이 아니라 나의 존재 그 자체이다. 중요한 건 내 존재를 바꿈으로써 곧 내가 습관적으로 지각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재구성함으로써 내 업을 바꿀 수 있다는 말이다.”


왜 업을 바꾸어야 하는가? “내가 만일 탐욕, 악의, 망상에 따라 움직인다면 다른 사람을 조종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런 행위는 다른 사람들을 소외시킬 뿐 아니라 나 역시 그들로부터 더욱 분리된 존재라고 느끼게 한다. 역설적이게도 나는 ‘나의 자아’라는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방어하고 띄우기에 바쁘다. 그러나 그런 행동은 잘못된 자아 감각을 강화한다. 내가 (삼독의 반대인) 관대함과 자비로 움직일 때 나는 여유를 갖고 마음을 열며 덜 방어적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려 할 것이고 그렇게 우리는 모두를 위해 고를 줄이는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불교가 말하려는 것은 단순하다. “우리가 텅 비어 잇다는 것은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는다. 우리가 그것을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다. 그것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방식이 문제를 키운다.” 무아의 요점은 “자아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자아가 처음부터 존재한 적이 없었기에 제거는 불가능하다.”


“고는 일반적으로 고통으로 번역되지만 기본적인 불편으로 이해하는 편이 더 낫다. 고란 무언가를 성가셔하는 깨닫지 못한 마음의 특성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가장 근본으로 불교에서 강조하는 바는 고와 자아 사이에 연관관계가 잇다는 통찰이다. 내가 살아가고 잇는 세계로부터 분리되어 잇다고 자아가 느끼는 것, 바로 여기에서 가장 깊은 좌절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런 분리감은 환상이며 실제로 우리에게 가장 위험한 망상이다.”


그러나 불교의 통찰은 새로운 질문으로 바꿀 필요가 잇다고 저자는 말한다. “나는 지옥에 좌선만 하는 사람을 위한 특별 장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들은 지옥으로 치닫는 바깥세상에 무관심한 채 자기자신에게만 빠져서 방석에 앉아 좌선을 한다.” 저자는 이런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고 말한다. “삼독 역시 집단적으로 작동하는가? 집단자아가 있다는 말은 집단적인 탐욕, 집단적인 악의, 집단적인 망상이 존재한다는 의미인가? 이런식으로 질문을 던지면 답을 깨닫게 된다. 우리의 현재 경제제도는 탐욕을 제도화하고 군사주의는 악의를 제도화하며 기업화된 대중매체는 망상을 제도화한다. 이와 같은 제도화된 삼독의 본성을 깨닫는 일을 우리가 영적 수행의 결과로 얻은 개인적 깨달음만큼이나 중요하다. 실제로 방석 위에서 좌선하여 얻는 개인적 깨달음은 그러한 ‘사회적 깨달음’으로 보완될 때까지는 불완전하다. 보통 개인 차원에서 달성하는 확장된 의식을 수행의 목표로 떠올리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집단 망상을 걷어내어 사회, 경제, 생태에 관한 이분범에 감춰진 실체를 폭넓게 이애해야 한다. 개인의 고와 집단의 고가 같이 간다면 오늘의 거대한 사회, 경제, 생태적인 위기는 동시에 영적인 도전이며 그러하므로 그에 요구되는 대응에도 영적인 요소가 들어있다는 결론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불교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최상의 것이라 저자는 본다.


내면을 바라볼 때 나는 내가 무임을 본다. 그것이 지혜이다.


바깥을 바라볼 때 나는 내가 모든 것임일 안다. 그것이 사랑이다.


이 둘 사이에서 내 인생은 맴돈다.


나사르가다타 마하라지


평점 4.5


- 접기


Lulu 2012-04-15 공감(8) 댓글(0)


-----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새창으로 보기


이 책은 현대사회의 딜레마에 대해서 불교의 가르침을 내세운 책이다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책 제목에서도 알수 있듯이 모두 인간이 가진 욕망과 욕심을 나타내주고 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돈이란 결국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하지만 돈으로 인해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돈의 진정함을 알지 못한채 돈에 속박 당한채 살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돈으로 인해서 오는 무수한 사건사고들을 접하다 보면 도대체 돈이 뭐길래 돈 앞에서 사람이 저렇게 까지 행동할수 있으며 어떻게 인간으로 태어나서 인간의 탈을 벗고 인간이기를 포기할 만큼 자기 자신을 놓아버릴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가끔씩 들기도 한다




돈으로 인해서 생명을 사고 돈으로 인해서 사람을 사고 무수히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되는 불법적인 행동들을 볼때마다 결국 사람보다 돈이 우선시 되는 사회에 구토가 유발되고 사회에 염증이 생기는것 같기도 하다




돈이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삶을 살아나가는데 아무런  불필요한 점은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필요한 만큼 자급자족 해서 살아가면 되니까 그리고 돈은 자기가 관리할수 있을만큼 만 가지고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이 살아가는게 더 현명하다고 생각하지 자기가 관리도 못할만큼 재산을 쌓아두고 사는 건 인생을 살아가면서 선택하는 무수한 선택속에서도 가장 비루한 선택으로 별로 라고 생각하며 삶을 완성할 마지막 단계에서는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게 삶을 잘 마무리 짓는 방법중에서도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돈을 쫓는다 정작 자신의 꿈은 잊어버린채 하지만 되돌아 생각해 보면 돈 보다 더 소중한 것들이 물질적인 것보다 내면적으로 쌓아나가야 할 행복이 우리 주변에 는 많기 때문에 꼭 돈을 쫓기 보다는 지금 나에게 정작 중요한게 무엇인지 좀더 크게 생각해서 자신의 정말 원하는 인생의 로드맵을 찾았으면 좋겠고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다


섹스 ㅋ


인간의 종족번식력과 욕망 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단어 섹스


인간이기에 욕망을 다 저버릴순 없지만 무분별하게 하는 섹스 보다는 자신이 정말 사랑하는 사람을 찾아 그 사람의 인생을 책임져 줄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의 섹스가 더 아름답지 않을까 ???????


성을 돈을주고 사는 사람들도 있지만 돈을 주고 하는 섹스에서 과연 얼마만큼의 오르가즘을 느낄수 있을지 궁금하다


섹스를 하면서도 죄책감에 시달리지 않을까 ???????


전쟁


눈에 보이지 않는 전쟁과 눈에 띄는 전쟁 아주 작게는 타인과의 나와의 전쟁에서 부터 국가와 국가간의 전쟁 우리들은 어쩌면 늘 끊임없이  전쟁중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 전쟁이란게 되돌아 생각해 보면 내 자신의 이기적인 생각과 타인과의 잘못된 소통결여로 이뤄지는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 땅위에서 자행되는 전쟁을 모두는 없앨수는 없지만 전쟁으로 인해 아무런 죄가 없는 사람들이 입는 피해를 생각하면 정말 전쟁만큼 사람이 살아가면서 업을 쌓는일도 없다고 생각한다


모두가 평화롭고 안정된 사회에서 불행하지 않고 행복할수는 없는걸까 ??????????


이책은 돈 섹스 전쟁 카르마에 대해서 불교의 가르침을 전수 받는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가진 욕심과 욕망에 대해서 생각할 문제와 그 문제들을 해결할 고민들로 스스로 를 반성하게 만드는 책인것 같다


- 접기


푸하핫 2012-06-16 공감(1) 댓글(0)


----------------------------



1.




[eBook] 돈 섹스 전쟁 그리고 카르마 : 현대사회의 딜레마들에 불교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 현대사회의 딜레마들에 불교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epub

데이비드 로이 (지은이), 허우성 (옮긴이) | 불광출판사 | 2018년 6월

10,5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마일리지 520원 (5% 적립)

 (4) | 67.88 MB | TTS 지원 | 세일즈포인트 : 70

이 책의 종이책 : 13,500원 종이책 보기

장바구니

바로구매

보관함 

2.




[eBook] 간디의 진리 실험 이야기 - 청소년 철학창고 19 ㅣ 청소년 철학창고 19  epub

허우성 (지은이), 라가반 이예르 (엮은이) | 풀빛 | 2012년 12월

7,7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마일리지 380원 (5% 적립)

 (3) | 18.62 MB | TTS 지원 | 세일즈포인트 : 32

이 책의 종이책 : 9,900원 종이책 보기

장바구니

바로구매

보관함 

3.




[eBook] 동아시아 속 한국 불교사상가 ㅣ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2  epub

고영섭, 김천학, 로버트 버스웰, 김성철, 허우성, 양웨이종, 나키지마 시로 (지은이)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7년 5월

28.72 MB | TTS 지원 | 세일즈포인트 : 12

이 책의 종이책 : 14,250원 종이책 보기

판매중지

보관함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by David R. Loy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by David R. Loy | Goodreads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by David R. Loy

 3.88  ·   Rating details ·  251 ratings  ·  29 reviews

----

What's Wrong with Sex?

How to Drive Your Karma

Consciousness Commodified

The Karma of Food

The Three Poisons, Institutionalized

Why We Love War


These are just some of the chapters in this brilliant book from David R. Loy.


In little time, Loy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werful advocates of the Buddhist worldview, explaining like no one else its ability to transform the sociopolitical landscape of the modern world.


In this, his most accessible work to date, he offers sharp and even shockingly clear presentations of oft-misunderstood Buddhist staples-the working of karma, the nature of self, the causes of trouble on both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s-and the real reasons behind our collective sense of "never enough," whether it's time, money, sex, security... even war.



Loy's "Buddhist Revolution" is nothing less than a radical change in the ways we can approach our lives, our planet, the collective delusions that pervade our language, culture, and even our spirituality.


----

Review

"I know of no other book that holds more promise for the survival and relevance of Buddhism in the modern world."--Lin Jensen, author of Pavement


"This book is revolutionary! The clear and concise explanations of Buddhist perspectives on rarely approached topics such as sex, war, and money are an inspiration. If you are interested in personal or societal change, this is a book you need to read."--Noah Levine, author of Dharma Punx


"Loy is a subversive, undermining our cherished opinions and revealing a revolutionary world of human possibility. He describes an emerging Buddhism that speaks to the Western heart and mind and offers hope in a world that has too little. Long live this revolution!"--James Ishmael Ford, author of If You're Lucky, Your Heart Will Break


"A work of deep and urgent relevance."--Ethan Nichtern, author of One City: A Declaration of Interdependence


"For Loy, Buddhism is not just some gentle spiritual path; it's a tool for social criticism and change. But the revolutionary sword cuts both ways, and just as the West needs Buddhism, says Loy, a living, vital Buddhism also needs the West."--Shambhala Sun


"David Loy's is an urgent and vital voice in the Buddhist world, and his latest work is a passionate and bold survey of some of the big issues that face u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his thoughtful, probing work warrants the attention of anyone interested in creative change on either an individual or social level. I strongly recommend it."--Western Buddhist Review


"Direct, articulate, and profound. David R. Loy succinctly analyzes primary areas of our collective modern entanglements with suffering: consumerism, money values, ecological collapse, sexuality, relationships, time, language, identity, godlessness and the commodification of consciousness. In each case he brings to bear the core teachings of the Buddha in profound, up-to-date reflections on our collective situation."--Inquiring Mind

"David Loy's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might have a flashy title, but it is a serious and substantial book that poses real challenges to the reader. Loy argues with conviction that in order to have relevance in the West, the dharma must find the middle way between its many traditional Asian forms and the contemporary Western feel-good consumerism that characterize much of today's spiritualism."--Buddhadharma


"Loy's thought provoking book has wide appeal: for people not so familiar with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his emphasis is on why this 2500 year old religion is relevant today. For seasoned Buddhist practitioners, the book keeps us from thinking too small. Loy's analysis is a challenge to practice in the world wholeheartedly."--Mountain Record --This text refers to an alternate kindle_edition edition.

About the Author

David R. Loy's previous books include the acclaimed Money, Sex, War, Karma,The Great Awakening: A Buddhist Social Theory, and The Dharma of Dragons and Daemons, a finalist for the 2006 Mythopoeic Scholarship Award. He was the B

----

What's Wrong with Sex? How to Drive Your Karma Consciousness Commodified The Karma of Food The Three Poisons, Institutionalized Why We Love War

These are just some of the chapters in this brilliant book from David R. Loy.


In little time, Loy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werful advocates of the Buddhist worldview, explaining like no one else its ability to transform the sociopolitical landscape of the modern world.


In this, his most accessible work to date, he offers sharp and even shockingly clear presentations of oft-misunderstood Buddhist staples-the working of karma, the nature of self, the causes of trouble on both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s-and the real reasons behind our collective sense of "never enough," whether it's time, money, sex, security... even war.


Loy's "Buddhist Revolution" is nothing less than a radical change in the ways we can approach our lives, our planet, the collective delusions that pervade our language, culture, and even our spirituality. (less)


Paperback, 176 pages

Published March 10th 2008 by Wisdom Publications (first published 2008)

Original Title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


Write a review

Kevin Lawrence

Jan 10, 2014Kevin Lawrence rated it liked it

I appreciated Loy's identifying urgent social and psychological issues that would likely preoccupy the curious reader who might want to seriously explore Buddhism as a belief/philosophy that can bring solace and wisdom, but who might also be suspicious that Buddhism's quietude tradition would entail abandoning any meaningful engagement with contemporary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at transcend the concerns of one person. Loy does a good job here (but a better job in his other book, The Great Awakening: A Buddhist Social Theory, in my opiinion) of demonstrating the relevancy of pursuing a Buddhist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impulses that create these social/political problems in the first place (such as environmental degradation, celebrity culture, unchecked capitalist greed, etc.). Loy also does a fine job of introducing some important Buddhist concepts in a lucid and plain-speaking style that I think enriches his argument without descending into obscure academic-speak. Where the book could have been better, in my opinion, is to talk about how Buddhist practices could help advance solutions and not just explanations of the various social/political issues we all face in the 21st century. I was taken aback that there really was no introduction to the Eight-fold Path and how pursuing this as a Buddhist practice might inform the ways in which we deal with the issues we confront. Maybe that is a whole other book, but I really felt it should have been touched upon and the absence of any discussion of practice really made the book read as a rushed job and an incomplete argument. But it is only one of a series of writings that Loy has done for showing how Buddhism is relevant to the group concerns we all contribute to and face if we are to bring about a better world for not only us but all living creatures, and I deeply respect Loy's ongoing commitment to Buddhist Social Activism. (less)

flag4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Christian

Feb 12, 2019Christian rated it liked it

While the title is a bit hokey in its attention-grabbiness, the idea behind Money Sex War Karma is pretty good: a series of short essays on how some of the concerns of modern life might be viewed through a Buddhist lens. After all, the argument goes, if 21st century Buddhism doesn't have anything substantive and helpful to say about how we make and spend money, or treat the environment, or regard ourselves in the media, then what actual good is it to anyone?


As a project or a prospect, I find thi ...more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oseph

Nov 18, 2008Joseph rated it liked it

Shelves: intellectual-history

A collection of thoughtful magazine essays, but overall not as meaty (Buddhist pun) as Loy's other books. He does a solid job of translating some key Buddhist ideas into today's context, and his examination of how they apply to current dukkha-causing aspects of modern life should be helpful to anyone interested in socially engaged Buddhism.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Whitaker

Dec 10, 2010Whitaker rated it really liked it

A really great book shows us how everything is great and worth to die for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ohn Fredrickson

Jan 03, 2018John Fredrickso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essays, zen-buddhism

I enjoyed this book, though it sounds odd to say so. The book is a terrific set of essays, as seen through the lens of Buddhism - each of the essays focus on individual aspects of our culture that affect our ability to deal properly with reality,. Much of the book deals with the way that our culture (even more than this, any culture) screws us up as we define our "I" in our own cultural context, but is written in such a straightforward way that it is pretty compelling.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Hughie Carroll

Sep 09, 2020Hughie Carroll rated it it was amazing

Essential perspective from a wondrous teacher!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Rossdavidh

Jan 12, 2014Rossdavidh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white

Subtitle: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It passed through my mind to tell you that it was a sort of zen Anarchist's Cookbook, with recipes for pipe bombs and drug use and such, just because it would sound so absurd to western ears. We associate buddhism (in the west) with nonviolence and tolerance, and I think David Loy uses the word "revolution" in part to get our attention. To a certain degree, though, it is more than a gimmick, and if his "notes" were followed widely it would be more than a little disruptive.


The title is actually fairly descriptive. Money, sex, war, and karma are all discussed as problematic parts of modern society, and of course then he presents his ideas on how Zen Buddhism would address the issues they each raise.


In the three cases of money, sex, and even war, Loy does not completely condemn them. However, he points out the self-sustaining bureaucracies (either government, corporate, or alliances of the two) which cultivate and thrive upon satisfying our need as a society for all of these. The way in which bureaucracies can acquire a life of their own and act in self-perpetuating ways is reminiscent of Dawkins' "selfish gene", or the libertarian observation that government agencies tend to act in ways which justify their continued existence.


To his credit, Loy does not shrink from critiquing traditional Buddhism along with western capitalism, and the section on karma is a good example of this. The opening words of the relevant chapter are,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karma? There's no point in pretending that karma hasn't become a problem for contemporary Buddhism." Hearing a religious thinker say something like that about their own religion is a refreshing change. He ends up retaining the concept for his own beliefs, but not without substantial changes relative to how it is practiced in many Buddhist nations.


Most of the book, though, is taken up with an analysis of the obsessions of western culture with money, sex, and war. It owes as much to Chomsky as Dogen, but unlike Chomsky (who is brilliant at analyzing the failures of existing power structures, without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at suggesting how to change them or what we would want to change them to) Loy spends equal amounts of time on the problem, and how we might go about taking it on.


Does any of it matter? Well, if it requires a nation to become majority Buddhist first, then no. It is my impression that most thoughtful and knowledgeable people would find Loy's analysis useful even if they were not Buddhist (before or after reading it), but I don't know if I'm the right person to evaluate that. Most importantly is probably that it seems to address the western Buddhist community on such topics, making it in some ways the "liberation theology" of Zen. Catholicism (or at least the previous two popes) turned its back quite decisively on liberation theology. It will be intriguing to see how asian Buddhism responds to Loy's book, if at all.


Most religions are only able to remain truly revolutionary when they are young, and as they grow older and successful, they have a lamentable tendency to become enamored of the status quo. In the west, Buddhism is a young upstart, but in east Asia it has long been used to justify keeping those at the top who are already there. Not perhaps more than other religions of similar size, but not really any less so.


Anything that helps to shine a different light on how our modern mix of money and power drives us, and itself, is a welcome addition to one's intellectual arsenal.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Frank Jude

Sep 24, 2009Frank Jude rated it it was amazing

Recommends it for: All Yogis (of all types), activists and all inclined to question authority.

Shelves: cultural-history, buddhism

David Loy is a leading Buddhist scholar/teacher/practitioner who has spent much of his career writing about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s and the contemporary world. His basic thesis is that the existential sense of 'lack' (building on the traditional teaching of anatta) is the driving force behind individual and collective suffering. The three poisons of greed, ill-will and delusion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the social institutions of the Corporation (greed; ie. they are never profitable enough), Militarism (ill-will) and the Media and Advertising (delusion).


Just one example of his interesting critique is in how he asserts that the issue of money is not that it makes us more materialistic, but that in fact it makes us LESS so! We begin to value the symbolic value of money above what we can actually buy with it! A wealthy person may be more concerned with how her luxury sporty car advances her social prestige rather than with simply enjoying its practical comforts! The price of the bottle of wine and how it reflects upon one's perceived value becomes more important that the taste of the wine itself!


This book is an easy to read, conversational passionate appeal to its readers to break out of complacent acceptance and to question how and what kinds of alternative visions we can collectively create to quite literally save the life of our planet. As he writes, "We need an alternative to 'there's no alternative'" kinds of thinking!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Kevin

Nov 26, 2008Kevi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favorites

Offers a really interesting perspective on what Buddhism and the modern western world have to offer each other, tying together Buddhist tenets of no-self, non-duality, etc. with recent ideas of western psychology and philosophy; it's pretty cool to have light shed on these somewhat esoteric Buddhist ideas by comparison to Nietzsche, Wittgenstein, Freud, etc., especially regarding how language misleads us (but is still necessary) and how the self is a psychological and social construct (according to this book, the basic problem of "suffering" or "lack" in the Buddhist sense comes from the "groundlessness" the self senses and the misguided methods it tries to use to reassure itself of its reality - e.g., money, sex, war...).


The other main thing that's new to me is the attempt to apply these ideas to the modern world and see where they can help. One conclusion is that we have institutionalized collective delusion, that the delusions of the sum of us are greater than our individual delusions. The author's analysis of karma as something more practical than the old reincarnation-as-a-dung-beetle-or-something stereotype - something psychological rather than mystical - makes the solution to all this anxiety, alienation, violence, and delusion pretty obvious, albeit not easy.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Neil Hayes

May 23, 2015Neil Hayes rated it it was ok

This book is a selection of essays, and there is no doubting David Loy's scholarship and insight, and therefore his qualifications to attempt a work such as this. However, I was disappointed by the book, because the content was so patchy. Some essays offer a Buddhist perspective on social issues which is little more than a re-statement of a social issue using the language of Buddhism. Others offer exciting insight, and valuable perspective that is a delight in the way that it challenges the way we relate to the world. In general, I found the earlier essays to be in the former category, and the later essays to be the latter. I would not recommend the book, although I will continue to buy and read everything that Loy writes. (l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