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05

崔吉城 民俗学者宮崎公立大学の永松敦教授が拙著に対する読後感を投稿

(1) Facebook



3u uAnucftgdruSspto lantsaso rftS0sgnedu6:n29
人の往来の少ない昨今、本欄などを含め、ネットなどを通じた、まさにソシアルディスタンス(?)を狭くした交流をしている。わたしは実に幸いなことに、まだ若い20代にタイプライターの教師を1年ほど経験したことがあり、感謝する。当時、負担だった科目だが、私がコンピューターなどの機材に近づくきっかけになったからである。

読者との出会いを広くする良い基礎になったことになる。拙著の 内容によっては離れていく人もいるが、より深い理解を与えて下さった質の高い読者を持つことが出来て感謝。 昨日、著名な民俗学者宮崎公立大学の永松敦教授が拙著に対する読後感を投稿してくださった。約20年前に書いたもの、あまりにも時代を先行した内容で、読者があまりいなかったが、今韓国でも再版準備進行中である。感謝のあいさつを兼ねてここに転載する。
  永松敦氏から
---
 崔吉城先生の御本、本当に読みごたえがありました。戦前の鳥居龍蔵、秋葉隆といった諸先学の研究法の見直しから、セマウル運動での戦前の日本の影響、私が最も興味深かったのは旧朝鮮総督府、のちの韓国国立中央博物館の解体に対する崔先生のお立場。私は解体寸前の中央博物館に公務出張で訪れる機会があり、最後の館長と2度面会する機会に恵まれた。もう1回は、九州国立博物館誘致運動での視察である。ただ、当時、素人であった私の目にも、ソウル市の景福宮の正面に立ちはだかるこの建物を韓国国民がどのように見ていたのかを考えれば、解体は致し方なかったのではないかと思ってしまう。

保存しておいてもそれは「恨」の象徴にしかならなかったのではないかと・・・ただ、私は福岡市博物館に勤務していた1990年から韓国を訪れるようになりました。当初は、同僚からの忠告もあり、警戒していった記憶があります。ただ、行っておどろいたのは、うどんがあったり、日式食堂があったり、日本を嫌いなのか好きなのかよくわからない不思議な国という驚きがありました。確かに、中央博物館は解体されましたが、旧ソウル市庁舎は図書館として再利用されていますし、必ずしも日本の要素を完全に否定しているのではないようにも見受けられます。

今、在日の方とも十五夜行事のことでお世話になっておりますので、最後の章も大変参考になりました。学生にも是非読ませたい書物です。機会がございましたら、是非、宮崎にお越しいただければと思います。これからもご健康でご活躍されることを心より祈念いたしておりま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See translation
Soon Ae Choi, 민속원 and 53 others
9 comment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Comments
  • 転載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とても勉強になりました。『朝鮮の鬼神』など、古い文献は便利ですが、使い方は要注意であることがよくわかりました。これからも日韓両国の文化研究者の相互理解を深めて参りたいと考えます。
    2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2 d
  • 紹介シェアします。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2 d
  • 柳田国男の書いたものに
    迎日湾というのがあるので、神功皇后の上陸地点かと思ってきいたが、何もなかった。後日行ったら、住民がしきりに神功皇后を説くのに驚いた
    とあります。
    短時間でなかったものが出来る実例です。
    日本な統治は成功していたのでは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2 d
  • 今は小さな漁村の迎日湾、以前村祭りのクッを調査に行きました。
    2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 d
    • Edited
  • 風評被害を思い出しましょう。「被害を被った」という方が、思わぬ所で、「火の無い所に煙は立たぬ」などと「根も葉もない噂話をし、流しているかも知れません」 この様なことは、「水に流せない」と憤る者がいても不思議では有りません!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 d
    • Edited
  • 「迎撃ミサイル」なる物が在る。「迎日湾」をどの様な意味で捉えるか。精神は、反撃のために「迎える」事も在る。 如何でしょうか。意味を全く逆に理解するととんでもないことになり、「真珠湾pearl harbor」の様相を呈するかも知れません。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 h
    • 文も内容も難解です。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 h
  • 事態は、簡単には揉みほぐせない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巌流島の決闘について、先生はどの様に考えますか。これと、「真珠湾攻撃」(歴史的検証をする方達はどの様に語っているか)は似たような発想が観られます。コインcoin の裏と表の関係として論ずることも出来ます (*´∀`*)。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 h
    • Edited
  • 1
    • Like

‘못된 놈, 나쁜 놈, 죽일 놈’ : 마음산책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못된 놈, 나쁜 놈, 죽일 놈’ : 마음산책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못된 놈, 나쁜 놈, 죽일 놈’

등록 :2020-08-05





#이십년 전이다. 인도의 성산 난다데비의 파노라마가 보이는 북쪽 코사니 마을에 머물며 산에 오를 때였다. 인도 청년 셋이서 말을 걸어왔다. “어디에서 왔냐?” “한국에서 왔다” “남한이나 북한이냐” 하나 마나 한 질문을 던졌다. 히죽히죽 웃는 그들을 보며 ‘네놈들은 안 봐도 비디오”라는 듯 동네 불량배쯤으로 무시하며 답을 하는 둥 마는 둥 잰걸음으로 그들을 따돌렸다. 그런데 동네 뒷산에 오르듯 마실 물도 간식도 없이 오른 산의 정상은 잡힐 듯 잡힐 듯 잡히지 않았다. 올라온 시간이 아까워 오기로 정상을 밟고 하산하려니 허기가 져서 다리가 후들거리고 혀는 마른 논바닥이 됐다. 그때 세 청년이 저만치 내려가고 있었다. 얼마만큼 내려가니 쉬기 좋은 장소에 앉아서 사탕과 초콜릿을 나눠 먹고 있었다. 그 근처에 털썩 주저앉긴 했는데, 아까 그들을 무시한 전과가 있어 차마 구걸도 하지 못하고 처량하게 먼 산만 쳐다봤다. 그런데 한 청년이 선뜻 초콜릿과 사탕을 내밀었다. 누가 그들을 건달이라고 했던가. 나의 구세주들을.



#30~40대까지만 해도 ‘현장에서 기자로서 먹은 짬밥이 얼마인데’ 하며 사람을 보면 그가 도둑놈인지 사기꾼인지 한눈에 알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러나 이제는 갈수록 사람은 알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살다 보면 믿는 도끼에 발등도 찍히고, 적군인 줄 알았는데 뜻밖에 구원군이 되어주는 사람도 만난다. 그러니 겉만 보고 사람을 차별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진다. 20년 전 신문사에서 부서를 이동한 지 4~5개월쯤 되었을 때 한 후배가 ‘내가 쓰는 기사마다 영 마뜩잖다’며 들으라는 듯 비난을 했다. 돌려 말하기보다는 정론직필형이었다. 화가 치밀었음에도 몇번 대화를 해보니 극과 극은 의외로 통하는 데가 있었다. 지금은 가장 자주 ‘밥을 먹자’고 찾아와 종교와 철학을 논하는 허물없는 사이가 됐다. 그때 그를 다시 상종 않기로 했다면 좋은 벗이 생길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니 노모가 늘 “아무리 미운 사람도 영영 안 볼 듯 막보기로는 대하지 말라”고 한 당부를 되새기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다시 만날지 알 수 없다.



#요즘 뉴스를 보면 상종 못 할 인간들 투성이다. 그 인간이 얼마나 의심할 여지 없이 나쁜 인간인지 십자가형에 처한 듯 대못을 친 기사엔 다시 촘촘하게 확인사살 댓글이 잇따른다. 법정에도 3심제가 있고, 잔혹 범죄로 사형을 선고받더라도 목숨까지 끊어서는 안 된다는 데까지 진화해온 인류의 정신사가 무색하게 ‘못된 놈, 나쁜 놈, 죽일 놈’이란 혐오와 낙인찍기가 싼샤댐을 넘어섰다. 그러나 대다수가 낙인을 찍는다고 해서 나쁜 놈인 것은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을 앞두고 빌라도 총독이 ‘예수와 바라바 중 누구를 놓아줄까’ 물었을 때 대중은 ‘바라바’를 택했다. 예수를 ‘죽어 마땅한 자’로 택한 셈이다. 석가도 사촌 제바달다가 모든 제자를 데리고 교단을 나가버린 적이 있었다. 철저한 왕따였다. 다수로부터 낙인찍혔다가 부활하는 사람이 어디 석가와 예수뿐일까. 무고한 자의 무죄가 뒤늦게 밝혀지는 경우도 많지만, 설사 그가 죄를 지었다 하더라도 개과천선의 길은 언제나 열려 있다. 비판은 그 길을 열기 위함이지 아예 봉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사냥할 때도 도망갈 길은 터놓는다고 했다. 궁지에 몰리면 쥐도 고양이를 물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이 인간의 측은지심이기도 하지만, 자신도 언제 그와 같은 처지에 내몰릴지 모른다는 역지사지, 인과응보의 철리를 알기에 너무 모질게 할 수 없어서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well/mind/956577.html?fbclid=IwAR25K7Q_dA-c1Ycy8fJTo7aScBVOUEJBn0isvPzWxVNpcc2K9OXwfP3AhOc#csidxa4bf72158c13c139c48e7b4b6ec8fe1

2020/08/04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by [Charles Eisenstein]

Amazon.com: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eBook: Eisenstein, Charles: Kindle Store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by [Charles Eisenstein]
Audible SampleAudible Sample
Follow the Author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by [Charles Eisenstein]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Kindle Edition
by Charles Eisenstein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6 out of 5 stars    195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from AUD 14.47
---
 Sacred Economics traces the history of money from ancient gift economies to modern capitalism, revealing how the money system has contributed to alienation, competition, and scarcity, destroyed community, and necessitated endless growth. Today, these trends have reached their extreme—but in the wake of their collapse, we may find great opportunity to transition to a more connected, ecological, and sustainable way of being.

This book is about how the money system will have to change—and is already changing—to embody this transition. A broadly integrated synthesis of theory, policy, and practice, Sacred Economics explores avant-garde concepts of the New Economics, including negative-interest currencies, local currencies, resource-based economics, gift economies, and the restoration of the commons. Author Charles Eisenstein also considers the personal dimensions of this transition, speaking to those concerned with "right livelihood" and how to live according to their ideals in a world seemingly ruled by money. Tapping into a rich lineage of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economic thought, Sacred Economics presents a vision that is original yet commonsense, radical yet gentle, and increasingly relevant as the crises of our civilization deepen.

About the Imprint:
EVOLVER EDITIONS promotes a new counterculture that recognizes humanity's visionary potential and takes tangible, pragmatic steps to realize it. EVOLVER EDITIONS explores the dynamics of personal, collective, and global change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EVOLVER EDITIONS is an imprint of North Atlantic Books and is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Evolver, LLC.


Read less
Length: 497 pages  Word Wise: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Enabled 
Page Flip: Enabled 

--
Editorial Reviews
Review
Sacred Economics:

"This brilliant and beautifully written book is an indispensable must-read for all those who believe our economic system is terminally sick and in need of radical, sacred rehaul. Charles Eisenstein has the great gift of being able to make complex ideas both thrilling and inspiring. I hope this book begins a serious, worldwide conversation on how we can reinvent our attitude to money."
—Andrew Harvey, author of The Hope: A Guide to Sacred Activism

"While political pundits, financial analysts and Occupiers fumble on how to transcend the intensifying global financial crisis, Eisenstein is trailblazing bold new ideas and possibilities for how we conduct monetary exchange."
—Jonathan Phillips, Huffington Post blog

"If you want a convincing account of just how deep the shift in our new axial age is and must be, look no further than this brilliant book by Charles Eisenstein, one of the deepest integrative thinkers active today."
—Michel Bauwens, founder of the P2P Foundation

"With his breadth of knowledge, enthusiasm, commitment, diligence, and sensitivity, Charles has become a beacon of hope for others. Your heart and mind will be opened by this treasure of a book that shines with wisdom of crucial importance to our troubled world today."
—Kamran Mofid, founder of the Globalisation for the Common Good Initiative

“[Sacred Economics] meticulously explains why our current system will inevitably give rise to cyclical and worsening economic crises. [Eisenstein] exposes the myths and lies that sustain power structure, the social and spiritual devastation in which we are all complicit, and lays the foundation for a way of thinking that can restore hope and help us emerge to a positive future. … Eisenstein’s book provides some of the most creative and hopeful ideas out there.”
—New Consciousness Review

“[Charles Eisenstein] puts his money where his mouth is. Sacred Economics: Money, Gift and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is published under a Creative Commons copyright. … This arrangement, similar to that of open-source software, is a tiny sample of the economic system that Eisenstein predicts for our future. … Of course, a new economy means the old one needs to go. That would be scary news if not for Eisenstein’s optimistic way of describing the transition. He effectively argues that when we dismantle monetization, we give birth to community. Together, we can help noble impulses become profitable enterprises. Money may have caused our biggest problems, but redefining it could help us solve those same problems.”
—Grid Magazine

"'If anything is sacred in this world, it is surely not money.' So says Charles Eisenstein, who believes that people can act outside of the money economy, despite the power it has over their lives."
—Foreword Reviews

"Eisenstein is no revolutionary or anarchist. In fact, he’s an evolutionary. While reading Sacred Economics, I realized I had not achieved an objective relationship with our money system. I don’t have money. It has me."
—Common Ground


Also by Charles Eisenstein:

The Ascent of Humanity:

"Brilliant and original, with great depth of insight and understanding, Eisenstein's Ascent of Humanity easily ranks with the works of such giants of our age as David Bohm, Julian Jaynes, Jean Gebser, Whitehead. It is a profoundly serious, indeed somber portrait of our times, even as it opens a door of honest hope amidst the dark destiny we have woven about us. Accept the challenge of this major accomplishment and discover the light shining within it."
—Joseph Chilton Pearce, author of The Crack in the Cosmic Egg, Magical Child, Evolution's End, and The Biology of Transcendence

"Quite marvelous, a hugely important work... This book is truly needed in this time of deepening crisis."
—John Zerzan, author of Future Primitive and Elements of Refusal

About the Author
Charles Eisenstein is a teacher, speaker, and writer focusing on themes of civilization, consciousness, money, and human cultural evolution. His writings on the web magazine Reality Sandwich have generated a vast online following; he speaks frequently at conferences and other events, and gives numerous interviews on radio and podcasts. 

Writing in Ode magazine's "25 Intelligent Optimists" issue, David Korten (author of When Corporations Rule the World) called Eisenstein "one of the up-and-coming great minds of our time." 
Eisenstein graduated from Yale University in 1989 with a degree in Mathematics and Philosophy, and spent the next ten years as a Chinese-English translator. He currently lives in Harrisburg, Pennsylvania and serves on the faculty of Goddard College. --This text refers to an alternate kindle_edition edition.

Product details
File Size: 1851 KB
Print Length: 497 pages
Page Numbers Source ISBN: 1583943978
Publisher: North Atlantic Books (July 12, 2011)
Publication Date: July 12, 2011
Sold by: Amazon.com Services LLC
Language: English
---
Customer reviews
4.6 out of 5 stars
4.6 out of 5
---
Write a customer review
Read reviews that mention
sacred economics charles eisenstein negative interest economic system must read interest rates chicago school money system natural resources beautiful world sacred economy social and environmental important book wishful thinking goods and services well researched karl marx average person material world well written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Dick_Burkhart
4.0 out of 5 stars Eloquent and Surprisingly Practical but with Some Lapse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9, 2015
Verified Purchase
Eisenstein’s passionate and eloquent book is truly a gift to us. Reading it, I often thought, this guy really gets it – about limits-to-growth and the need to downsize. Then suddenly, I would be floating in a never-never-land of New Age fancy and affluence.

For example, he frequently uses the word “abundance” despite the obvious lack of abundance in the de-growing economy that he knows is coming, an economy vastly reduced in size and consumption. He disparages techno-utopianism even while suggesting that perpetual motion machines will yield all the energy we’ll ever need (p. 443). He opposes income taxes and never even mentions wealth taxes, despite the implied plutocratic governance and the kinds of social dysfunction from extreme inequality documented in the book The Spirit Level. Nor does he discuss unearned income from monopolistic practices or speculation. Somehow a new gift culture of non-accumulation and non-profit is supposed to take over, even without any legal sanctions or penalties to prevent abuses.

But if you skip over such lapses, Eisenstein has a number of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way down, based on solid readings in several fields. These include negative interest rates to keep money circulating and prevent concentration of wealth, taxing unearned rents on property and resources of all kinds, carbon and pollution taxes, a “social dividend” or basic income for all, more expensive but fewer and more durable and repairable goods, voluntary donations instead of fixed pricing, internet based work and credit systems, and meaningful rather than regimented work.

Eisenstein fully understands the need to reduce the interest rate to below the growth rate to decrease inequality, just like Piketty (who refers to “return on capital” instead of interest rate). This also prevents inflation in a contracting economy and provides an incentive to postpone exploiting resources that will be more valuable in the future, such as depleting fossil fuels and minerals. Even Keynes thought Silvio Gesell’s proposal for negative interest had merit. Eisenstein wisely suggests a fully transparent and traceable digital currency that would automatically decay in value according to this negative interest rate. The result is smoothly declining material wealth if all goes well, though in a typical contradiction he covers all bases by suggesting that there would also be a short dark age of “facism, civil unrest, and war” (p. 439)

This is an important book for an audience of a certain environmental and spiritual bent, as it takes very seriously the “collapse part of the phrase “ecological overshoot and collapse”. 
Other authors and progressive politicians suggest that it will be an easy transition to a sustainable economy if we just replace fossil fuels by renewable energy.

Read less
29 people found this helpful
----
Brandon Pearce
5.0 out of 5 stars Transformativ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5, 2019
Verified Purchase
I've read many books on money over the years, while most contain great ideas and insights, few have truly changed me. This is one that has. While I'm still processing much of what is in Sacred Economics, the spirit of the gift that underlies its message has left me feeling less more grateful, more generous, more connected, and more safe. To me, this is priceless, and I suppose it's what I've been seeking all along through accumulating my own degree of wealth, which has been unable to satisfy in these ways. So, thank you Charles for sharing your gift with u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Taylor Ellwood
5.0 out of 5 stars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mone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31, 2020
Verified Purchase
This is one of the most thought provoking books I’ve read about finances and wealth and what I like is that the author is seeking to help people establish a healthier relationship with money, but also community. While I don’t agree with all of his premises, the book made me think and try some things out with how I handle finances and money and how I give back to the community I am part of. I like his approach to gifting and how that can work and I know I will read this book again, because its something which necessarily challenges the narrative of wealth we know and experience in today’s culture.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Joshua A.
5.0 out of 5 stars Life-Changing!!! Everyone needs to read this boo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 2017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blowing my mind!!! I've always wanted to more deeply understand our money system, that so profoundly affects us all. The author is a genius (not just because his name is Eisenstein), and he explains our economy and its relationship to society with such breadth and depth of understanding and wisdom that I literally can't believe how good it is. A rare gem!!!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John Renesch - author, The Great Growing Up
5.0 out of 5 stars Warning: Be Prepared to Thin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12, 2012
Verified Purchase
This book addresses the key dysfunctions in the grandaddy of all social systems - the one that trumps all other systems and dominates our culture - the economic system. The author makes a convincing case for how much we trust our economic system and how it is in the final stages of imploding on itself and wreaking havoc with so many people who rely so heavily on it.

Sobering to read but read it anyway! There are answers here that can save lots of needless suffering but it will take the rigor to understand the beast that occupies us in order for us to transcend it and build a new more sustainable economic system.

A must read for any thinking person who cares about the future our kids and grand kids will inherit.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B Lynch
5.0 out of 5 stars I can't stop recommending this book to othe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8, 2013
Verified Purchase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where we as a (human) society are headed, what we are doing to the planet and in relation to those two points what type of future we can expect. Eisenstein directly addresses these concerns and offers a compelling new direction. He doesn't preach or prophesies his ideas, he simply makes a suggestion. The basis of these suggestions is heavily entrenched in economic and monetary policies, however, they take on a much more all encompassing perspective than the current economic and monetary policies implemented by countries today. He also directly addresses the very rational skepticism of his ideas and ultimately comes forth with a vision for our world that is as solid as anything I can imagine. For a synopsis of the major points in the book check out the book's website and watch the video. It does a better job explaining his thought process than I could in this review. I'll conclude by saying I can't help but recommend this book to others, it seems incredibly relevant in the context of many conversations I have daily. I truly hope that these ideas take root and come to fruition.
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Robin Lovelace
5.0 out of 5 stars Degrowth is the solution: here's why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February 7, 2013
Verified Purchase
I wrote a review for this book in my local magazine NowThen (Google "Sacred Economics, NowThen, Sheffield" for the full version complete with artwork: it's in issue 59). Here is an extract, plus some closing thoughts (Amazon has passed my censorship test if this gets published - due to reference to free (Creative Commons licensed) versions of this book):

"[...  Ecotechnic Future: Envisioning a Post-Peak World  provided a convincing vision of the future based on the disintegration of advanced civilisation due resource depletion.] The problem is that industrial civilisation shows no sign of slowing down, let alone of pressing the auto-disintegrate button any-time soon. On the contrary, hyper capitalism has proved to be a tough old bugger, akin to Wile E Coyote from Looney Tunes; it takes a hammering from every side yet always comes back to terrorise us again. Even after its founding assumptions are disproved and worldwide waves of protest decry its idiocy, the bastard just won't die. Land-grabs, adverts targeting children and new oil drilling techniques ensure that Greer's expectation, that the metaphorical Wile E will finally just top himself, is optimistic to say the least.

Sacred Economics by Charles Eisenstein is equally visionary, but starts from a different premise; the monetary machine that directs human affairs has gone AWOL and now benefits no-one, least of all the degraded psychopaths at the top, who try in vain to control the beast. Like Greer, Eisenstein encourages de-monetising your life, focussing instead on true wealth; the people and environment that surround you. Unlike Greer, he believes in creating a much better world: "Are we so broken that we would aspire to anything less than a sacred world?"

This may seem utopian, but Sacred Economics provides pragmatic solutions at every level. Individuals can replace monetary relationships with real ones, buy less and re-use more. Communities can set-up social enterprises. And, when the current batch of growth-obsessed politicians get booted out of office, nations can implement a raft of sensible measures to exorcise the financial demons from our economy.

Sacred Economics is a cracking read that I cannot recommend highly enough. If you're not sure about beg-borrow-or-buying such a chunky lump of paper, you're free to grab every chapter of it from the internet, where it has been placed in its entirety under a Creative Commons licence at sacred-economics.com"

To this I would add that Eisenstein strays a little too far into the "sacred". (One example: "By the same token, by fostering within ourselves a realization of the sacredness inherent in materiality, and by aligning our work with that sacredness, we lay the social and psychic foundation of an economy in which more and more of the things we make and do for each other are beautiful, personal, alive, and ensouled." - Even ignoring the fact he invented the last word in that sentence it is nigh on possible to understand!) At this stage Eisenstein would have been well advised to stick to the concrete economic and pragmatic reasons why his suggestions are sensible. But this should not stop anyone from buying (or downloading, for free from his website) this generally very well written book. Clearly infinite economic growth is not feasible, and this book provides the best "non-collapse" narrative for dealing with it that I have read. Tim Jackson's "Prosperity without growth" (  Prosperity without Growth: Economics for a Finite Planet  free online) provides the best political response I've read, and this links well with an emerging political/activist movement of Degrowth.

In summary please get this book and spread the message. You will not regret it for one moment.

Read less
19 people found this helpful
--
Subhasha
5.0 out of 5 stars Time to see the truth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pril 25, 2012
Verified Purchase
W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odays world is the fact that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continue to "flog" the concept of growth or GDP, while we are all aware that we live on a finite planet. Charles Eisenstien very succinctly points this out together with many other of the monetary ills. He then offers several suggestions how we can make changes in ways that are closer to the better nature of the human spirit and at the same time practical. He recognises that this is not an overnight "fix", and is all part of the hopeful emerging greater consciousness of the human being. Yet anyone who wishes to start today there are suggestions. His analogy to the human race as having acted like children for several millenium, just taking and the fact it is time we mature into adults and start to give as we do to our children is powerful and makes a mature person sit up.
Every banker and corporate mogal should be made to read this book and if they still believe in thier ways then I would suggest councelling.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Andrew
5.0 out of 5 stars Review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ly 3, 2018
Verified Purchase
Fantastic book which I highly recommend to anyone and everyone. Superbly written and really struck a chord with me. It's like the author was giving words to my own thoughts and inclinations that I was otherwise unable to do so before reading it.
Helpful
Report abuse
Andrew
5.0 out of 5 stars Great book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February 11, 2020
Verified Purchase
Very happy customer fast delivery great product 👍
Helpful
Report abuse
Ms Anne Khan
5.0 out of 5 stars Very Interest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ly 29, 2013
Verified Purchase
I am still "getting through" this book as its quite deep and needs to be digested. I am enjoying reading our relationship to money which at the the end of the day is just energy. Its how we perceive its role in our lives that makes it a pleasure or an angst . . . well worth reading . . .
Helpful
Report abuse

2020/08/03

"경향신문 디지털스토리텔링<우경본색-일본 극우파 분석보고서>"

"경향신문 디지털스토리텔링<우경본색-일본 극우파 분석보고서>"



목차

'강제징용'이 아니다, '강제동원'이다 - 오마이뉴스

'강제징용'이 아니다, '강제동원'이다 - 오마이뉴스




'강제징용'이 아니다, '강제동원'이다[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국면 점검 ③]
19.08.02 07:54l최종 업데이트 19.08.02 09:52l
김창록(saxophone)


2018년 10월 30일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이후 한일관계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매일 수많은 분석과 주장과 논란들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부분이 정확한 사실에 입각해 있지 않다. 오랜 역사를 가진 문제이고 법적으로도 복잡한 문제인 만큼 사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시리즈에서는 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주요 쟁점들을 정리해보기로 한다.[편집자말]


▲ 강제동원 노동자들
ⓒ 출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관련사진보기

2018년 대법원 판결은, 앞서 살펴 본 것처럼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을 특정한 다음, 원고들의 청구권은 "일본 정부의 한반도에 대한 불법적인 식민지배 및 침략전쟁의 수행과 직결된 일본 기업의 반인도적인 불법행위를 전제로 하는 강제동원 피해자의 일본 기업에 대한 위자료청구권"이므로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된다고 볼 수 없다"라고 판단했다.

즉, 원고들의 청구권은 불법적인 식민지배와 직결된 반인도적인 불법행위이므로 강제동원이며, 그러한 강제동원 문제는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 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왜 '불법적인 식민지배'일까? '불법적인 식민지배와 직결된 강제동원'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불법적인 식민지배

2018년 대법원 판결 자체에는 일제의 한반도 지배가 왜 '불법적인 식민지배'인지에 대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그 근거는 원심판결인 서울고등법원 판결에 제시되어 있고, 서울고법은 그 부분에 대해 2012년 대법원 판결을 따르고 있으므로, 결국 2018년 대법원 판결은 2012년 대법원 판결의 근거를 그대로 채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012년 대법원 판결의 해당 부분은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 제헌헌법은 그 전문(前文)에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상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이제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함에 있어서"라고 하고, 부칙 제100조에서는 "현행법령은 이 헌법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 효력을 가진다"고 하며, 부칙 제101조는 "이 헌법을 제정한 국회는 단기 4278년 8월 15일 이전의 악질적인 반민족행위를 처벌하는 특별법을 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

또한, 현행헌법도 그 전문에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대한민국 헌법의 규정에 비추어 볼 때, 일제강점기 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규범적인 관점에서 불법적인 강점(强占)에 지나지 않(는다).
요컨대, 대한민국은 3.1운동의 독립정신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는데, 그 양자는 일제의 지배를 부정한 것이므로 "일제강점기 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규범적인 관점에서 불법적인 강점"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은 1919년의 일이다. 그렇다면 그 이전, 다시 말해 1910년부터 1919년까지는 왜 '불법강점'인가? 그 근거는 2012년 판결에도 나오지 않는다. 물론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서 그 근거를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일제의 지배를 부정한다는 것은 그 전체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조금 더 파고 들면, 1910년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 사이에 체결된 일체의 조약은 애당초 무효라고 하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입장이 보다 직접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대법원 판결은 그 공식입장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아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일제 법령의 효력

2012년 대법원 판결의 위의 판단은 일본의 재판소가 선고한 판결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다루는 부분에서 등장한다. 원고들 중 일부는 일본의 재판소에 제소해서 패소 판결을 선고 받았었다. 피고 일본 기업은 그 판결을 한국 법원이 승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대법원은 일본 판결을 승인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위반하는 것"이므로 승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일본 판결의 문제가 되는 부분을 아래와 같이 적시했다.

이 사건 일본 판결이 일본의 한반도와 한국인에 대한 식민지배가 합법적이라는 규범적 인식을 전제로 하여 일제의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을 한반도와 원고 등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평가(한 부분)
요컨대, 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불법강점이었는데 일본 판결은 합법지배를 전제로 하고 있으니 승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대법원 판결은 일본 판결이 "일제의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을 한반도와 원고 등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평가"한 것도 잘못이라고 짚고 있다. 역시 '합법지배'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이다. 그래서 2012년 대법원 판결은 위의 첫 번째 인용문 뒤에 아래와 같이 덧붙인다.

일본의 불법적인 지배로 인한 법률관계 중 대한민국의 헌법정신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은 그 효력이 배제된다.
그렇다면 대법원은 어째서 일제 법령의 효력을 배제시킬 수 있는가?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이 위의 첫 번째 인용문에 등장하는 1948년 헌법 부칙 제100조, 즉 "현행법령은 이 헌법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 효력을 가진다"라는 조문이다. 여기에서의 '현행 법령'은 정부 수립 당시에 남아 있던 미군정의 법령과 미군정에 의해 효력이 인정된 일제의 법령이다.

제100조의 의미는 그 법령들이 대한민국 헌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효력을 가진다라는 것이다. 반대 해석하면 대한민국 헌법에 저촉되면 효력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된다. 그에 대한 판단은 개별사건의 경우 최종적으로는 최고법원인 대법원이 하게 된다.

일제의 법령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상당 부분이 상당 기간 동안 효력을 가졌다. 정부 수립 후 단기간에 모든 법령을 새로 갖출 수가 없었기 때문에 '법의 공백'을 피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대한민국 헌법에 저촉되는 것까지 효력을 인정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래서 1948년 헌법 제100조가 규정되게 된 것이다.

'징용'과 '강제동원'은 다르다

대법원 판결은 일제의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이 '불법적인 식민지배와 직결된' 것이기 때문에, 다시 말해 대한민국 헌법에 저촉되기 때문에 효력이 배제된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일제의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이 바로 '징용'의 근거법령이다. 그 법령들의 효력이 배제된다면 어떻게 되는가?

'징용'은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 등 일제의 법령에 근거한 제도였다. 다시 말해 일제는 '징용'이라는 '합법적인' 제도를 만들어 한반도의 인민을 데려가서 일을 시킨 것이다. 그러니 일본의 입장에서는 '징용'에 대해서는 법령에 따라 져야 할 책임 이외에는 아무런 책임이 없는 것이 된다.

하지만 「국가총동원법」과 「국민징용령」의 효력이 배제된다면, 일제는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한반도의 인민을 강제로 연행해서 강제로 노동을 시킨 것, 즉 강제동원을 한 것이 된다. 대법원 판결은 그러한 이유에서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 자체를 불법"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이 발생하게 된다. 대법원 판결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 '강제동원' 문제인 것이다.

'징용'은 해결되었나?

여기에서 기억을 되살리자.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된 "한국의 대일청구요강"에 "피징용 한국인의 미수금, 보상금"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면 여기에서 말하는 '징용에 관련된 미수금과 보상금'은 무엇일까?

일제의 1944년 「국민징용령」(칙령 제89호)에서는 피징용자에게 당연히 임금을 주게 되어 있었고, 징용기간 중의 업무상 상해 또는 질병이나 그로 인한 사망에 대해 부조를 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한국인 피해자들은 그 임금과 부조를 받지 못했다. 바로 이것이 '징용에 관련된 미수금과 보상금'이다. 그리고 이 부분은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된 것이다.

다만 '징용'은 해결되었다고 할 때, '해결되었다'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추가적으로 따져보아야 한다. 2018년 대법원 판결에는 이에 관한 판단은 없다. 왜냐하면 원고들이 징용에 관한 미수금이나 보상금은 청구하지 않고 강제동원에 관한 배상금만을 청구해서 애당초 판단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해결되었다'라는 것의 의미는 2012년 대법원 판결의 가정적 판단에서 나온다. 해당 부분은 아래와 같다.

(어떤 청구권이)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그 개인청구권 자체는 청구권협정만으로 당연히 소멸한다고 볼 수는 없고, 다만 청구권협정으로 그 청구권에 관한 대한민국의 외교적 보호권이 포기(된 것에 불과하다.)
즉, '징용'이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징용'에 관한 대한민국의 외교적 보호권이 포기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징용'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은 소멸된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일본 정부와 최고재판소의 입장이기도 하다. 일본 정부와 최고재판소도 협정 자체에 의해 청구권이 소멸한 것은 아니라고 하고 있다.


▲ 경남 창원 정우상가 앞에 있는 "일제강제동원 노동자상".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핵심은 '징용'이 아니라 '강제동원'이다

중요한 것은 2018년 대법원 판결의 판단대상은 그러한 '징용'이 아니라 '강제동원'이라는 점이다. '강제동원'은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된 '징용'과는 전제가 완전히 다른 별개의 문제이다. '강제동원'은 일제의 한반도 지배가 불법강점이라는 전제 위에서, 일제의 법령 중 대한민국 헌법에 저촉되는 것은 효력이 배제된다는 전제 위에서 인정되는 불법행위이다. 불법적인 식민지배 문제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청구권협정」에서 그러한 강제동원 문제는 해결된 적이 없는 것이다.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징용'과 '강제동원'은 다르다. '징용'은 일제의 법령에 근거한 '합법적인' 제도이며, 강제동원은 법적인 근거가 없는 불법행위이다. 「청구권협정」에 의해 '피징용 한국인의 미수금, 보상금' 문제는 해결되었다. 다만 해결된 것은 그에 관한 대한민국의 외교적 보호권만이며,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은 소멸되지 않았다. 반면에 '강제동원' 문제는 애당초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이 아니었고, 따라서 애당초 해결된 적이 없다.

* 사족 : 국내에서는 '강제징용'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불법성을 내포하는 '강제'와 합법성을 내포하는 '징용'을 엮는 것은 형용모순이며,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혼란을 초래할 위험이 크다. 대법원 판결의 다수의견=법정의견이 일관되게 사용하는 용어는 '강제동원'이다. '강제징용' 대신 '강제동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간곡하게 요청한다.

[보론] 한일회담 당시의 한국 측 발언을 보면 해결된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29일에 일본 외무성이 한일회담 교섭기록을 제시하며 "한국의 주장은 모순"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제시된 것은 1961년 5월 10일에 개최된 제5차 한일회담 예비회담 일반청구권 소위원회 13회 회합의 기록이다. 그 기록에는 '피징용 한국인의 보상'에 관해 한국 측이 아래와 같이 발언했다고 되어 있다.

"강제적으로 동원하여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준 것에 대해 상당한 보상을 요구한다." "당시 한국인은 일본인으로서 징용령이 적용되었다고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일본인이 일본인으로서 전쟁을 위해 징용된 것과는 다른 이야기이며, 우리는 완전히 강제적으로 동원되었고 또 심하게 학대를 받았다."
한국 정부가 공개한 기록에도 비슷한 내용이 나온다. 그런데 이 기록에는 한국 측의 이와 같은 발언에 대해 일본 측은 다른 주장을 했다는 사실도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본 측의 주장은 1962년 2월 8일 제6차 한일회담 일반청구권 소위원회 10회 회합에 관한 일본 측의 기록에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있다.

한국 측은 본 건 청구(피징용 한국인 보상금)에서 생존자에 대해서도 징용에 의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측으로서는 피징용 한인은 당시에는 일본인과 같은 법적 지위에 있었던 것이고, 일본인에 대해서는 징용된 것만으로는 전혀 보상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징용 한국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취급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망, 부상자에 대한 원호조치에 대해서는 당시의 국내법에 의해 지급해야 할 것은 이미 지급을 완료했지만, 미수금으로서 처리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한국 측 기록에 따르면, 한국 측은 1961년 12월 15일 제6차 한일회담 예비회담 일반청구권 소위원회 7차 회의에서 피징용자 보상금 3억 6,400만 달러를 포함하여 8개 항목 전체에 대한 보상금으로 총 12억 2,000만 달러를 요구하면서 아래와 같이 발언했다.

"제5항의 4는 한국인 피징용자에 대한 보상금인데, 이것은 과거 일본에 강제징용된 한국인이 그 징용으로 말미암아 입은 피해에 대하여 보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 우리 국민은 일본인과는 달리 단지 일본의 전쟁수행을 위한 희생으로서 강제징용되었다는 점에 비추어 사망자에 대한 보상은 물론 생존자에 대하여도 그 피해에 대하여 보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 보상금은 생존자에 대하여 1인당 200불, 사망자에 대하여 1인당 1,650불, 부상자에 대하여 1인당 2,000불 ··· 사망자와 부상자는 일본인에 대하여 보상하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 생존자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입은 피해와 고통을 고려한 것이다."
이들 기록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은 점들이 확인된다. 1) 실무자 단계의 회담에서 한국 측이 "강제적으로 동원하여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준 것"에 대한 보상을 요구한 적이 있다. 2) 한국 측의 위 보상 요구는 일본 정부가 일본인에게는 보상하지 않고 있는 생존자에 대한 보상금을 요구하는 맥락에서 나온 것이며, 사망자와 부상자에 대해서는 한국 측도 일본인과 마찬가지의 보상을 요구했을 뿐이어서, '불법강점'을 전제로 엄밀하게 법적인 논리를 전개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3) 일본 측은 시종일관 '합법지배'를 전제로 당시의 일본 국내법에 따른 보상만이 가능하다는 논리로 맞섰다.

따라서 위의 기록들을 내세워 '강제동원은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이 아니었다'라는 대법원 판결을 탄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실 위의 기록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한일 양국 정부에 의해 이미 오래 전에 공개된 것이며, 무엇보다 소송과정에서 피고 일본 기업이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서 한국 법원에 제출한 것이다. 대법원 판결은 그 기록들에 대해 이미 아래와 같이 판단했다.

"(그 기록들에 기재된) 발언 내용은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공식 견해가 아니라 구체적인 교섭 과정에서 교섭 담당자가 한 말에 불과하고, 13년에 걸친 교섭 과정에서 일관되게 주장되었던 내용도 아니다. '피징용자의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언급한 것은 협상에서 유리한 지위를 점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발언에 불과한 것으로 볼 여지가 크고, 실제로 당시 일본 측의 반발로 제5차 한일회담 협상은 타결되지도 않았다. 또한 위와 같이 협상과정에서 총 12억 2,000만 달러를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청구권협정은 3억 달러(무상)로 타결되었다. 이처럼 요구액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3억 달러만 받은 상황에서 강제동원 위자료청구권도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된 것이라고는 도저히 보기 어렵다."
전체적으로 볼 때 타당한 판단이다. 한 가지 덧붙이면, 일본 측이 '강제동원'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협의를 해서 한국 측과 합의에 도달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당연한 일이다. 일본 정부는 시종일관 '강제동원' 자체를 부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법원 판결은 아래와 같이 판단했다.

청구권협정의 협상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식민지배의 불법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강제동원 피해의 법적 배상을 원천적으로 부인하였고, 이에 따라 한일 양국의 정부는 일제의 한반도 지배의 성격에 관하여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제동원 위자료청구권이 청구권협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청구권협정의 일방 당사자인 일본 정부가 불법행위의 존재 및 그에 대한 배상책임의 존재를 부인하는 마당에, 피해자 측인 대한민국 정부가 스스로 강제동원 위자료청구권까지도 포함된 내용으로 청구권협정을 체결하였다고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와 같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외무성이 이미 검토가 끝난 낡은 기록의 일부만을 끄집어내어 대법원 판결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아가려 하는 것은 사태의 본질을 호도하여 그 해결을 오히려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서 매우 부적절한 행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국면 점검' 글 싣는 순서

1. 한-일 '강대강' 대결의 진원... 대법원 판결 핵심 정리
http://omn.kr/1k7th

2. '불법강점'은 청구권협정의 대상이 아니었다
http://omn.kr/1k829

3. '강제징용'이 아니다, '강제동원'이다

4. 아베 정부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가?

5. 한국 정부가 나서야 한다?

6. 대법원 판결이 잘못됐다?

7. 그래서 무엇을 해야 하나?

(* 제목은 바뀔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김창록 기자는 경북대학교법학전문대학원 교수입니다.

‘한국불교의 상명하복식 유교적 관습’

(1) Facebook



Namgok Lee

oa2 tAufSggpunsnonsforhhtt c2uetdd016 ·

현각 스님의 한국 불교에 대한 비판이 불교계에서 찬반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

나도 그 글을 보았다.

승가의 현실과 종단의 내막을 모르는 나 같은 사람이 뭐라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지만, 그 비판 가운데 ‘한국불교의 상명하복식 유교적 관습’이란 말이 나오는데, ‘유교적 관습’과 ‘공자’를 함께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아서, 그 점은 내가 아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런 ‘유교적 관습’이 한국 사회의 도처에 있다는 것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유교의 창시자로 알려진 공자의 사상이나 실천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나는 60이 넘어 공자의 사상에 접한 말하자면 아마츄어지만, 내가 접한 공자는 신분‧ 계층‧ 나이를 그 당시로는 상상하기 힘든 차원으로 넘어선 소통의 달인(?)이었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다.

그리고 제자들이 본 공자의 모습은 다음의 문장 속에 표현되어 있다.

‘공자는 네 가지를 끊었다. 毋意‧ 毋必 ‧ 毋固 ‧ 毋我가 그것이다’

석가의 깨달음과 표현은 달라도 비슷한 것으로 내게는 다가왔다.

내가 굳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이 聖人들의  깨달음이나 가르침이 2500여년 간 인류 정신의 축(軸)으로 작용해 왔지만, 실제로는 그의 후계자들과 권력이나 기득권층 등에 의해 왜곡되어온 것으로부터 그 본래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 지금의 시대정신의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Comments

이병철



이른바 축의 시대의 스승들의 깨우침과 그 메시지가 그후 어떻게 왜곡되고 어떻게 이용되어왔는가는 새삼 논할 필요가 없겠지요. 문제는 지금도 종교집단이나 권력이나 사회집단들이 이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기득권과 체제유지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선각자들의 가르침에 다가가는 통로를 차단하고 있다는 것에 있다 싶습니다.



공자의 깨우침이 유교라는 체계에 갇두어질 때 유교주의라는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겠지요. 그런 대표적인 병폐가 종교와 종파주의일텐데

붓다나 예수의 깨달음이 종교화될 때

거기에서 붓다와 예수의 참모습을 만나기란 숲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보다 쉽지 않으리라 싶습니다.



현각스님에 대해 잘 모르지만 그의 지적은 불교계 안에서 이미 수없이 제기되었던 문제라 싶습니다. 차제에 대개혁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면 이땅의 불자들에게도 큰 복연이되리라 싶습니다. 그럴 수 있기를 함께 마음 모읍니다.

 · Reply · 4 y

진영우

이른바'역사적 예수'연구는 많이 되어 그의 참모습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는데 '역사적 석가' '역사적 공자'연구는 매우 부족하더군요^^

 · Reply · 4 y

이병철

진영우 붓다에 대한 것은 팔리어로 기록되어 남아있는 아함경을 중심으로 읽어도 좋겠네.

근래에 팔리어 초기경전에 대한 역경작업이 많이 진행되었지.

몇해전에 모임에서 예수공부를 할 땐 도마경을 중심으로 했던 적이 있네.



 · Reply · 4 y · Edited

Write a reply...



한채영

저도 기사 중 그 부분이 딱 걸렸는데 이렇게 설명해주시니ᆢ감사합니다^^

 · Reply · 4 y

Namgok Lee

최근에 소개를 받은 책인데, H.G.크릴의 '공자, 인간과 신화'라는 책을 감명 깊게 읽었습니다.

 · Reply · 4 y

문현동

저는종교가 세속적인 사람과 정치사회문제와더불어 자연적 순리의 양단에치우치지않고 중용의 입장에서 각종교의 교리에 충실해야된다고보는데 너무세속적인면에 치우처다보니 이런사단이....

 · Reply · 4 y

앞이 보이지 않는 지금, 루쉰을 읽는다 - 시사IN

앞이 보이지 않는 지금, 루쉰을 읽는다 - 시사IN


앞이 보이지 않는 지금, 루쉰을 읽는다

장정일 (소설가)
승인 2020.08.01

〈루쉰 독본〉
루쉰 지음, 이욱연 옮김
휴머니스트 펴냄
ⓒ이지영 그림

앞이 보이지 않는 칠흑 같은 때, 루쉰을 읽는다. 한 권은 루쉰의 대표적인 소설과 중요한 산문을 한자리에 모은 〈루쉰 독본〉(휴머니스트, 2020), 다른 한 권은 앞의 책을 엮은 이욱연이 루쉰의 작품을 해설하면서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한 여러 병독(病毒)을 함께 살피고 있는 〈루쉰 읽는 밤, 나를 읽는 시간〉 (휴머니스트, 2020). 지은이는 이 책의 머리말에 “기성세대가 되고 각계 지도층”이 된 사람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면서, “청년 시절의 불꽃같은 삶을 훈장 삼아서 지금은 권력의 자리에 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루쉰의 글을 읽으면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았으면 한다”라고 썼다.

지은이의 또 다른 책 〈곽말약과 중국의 근대〉(소나무, 2009)에 나와 있듯이, 루쉰과 궈모뤄(곽말약)는 중국 현대문학의 가장 중요한 작가이자 당대를 대표했던 지식인이다. 루쉰과 궈모뤄는 각기 중국 현대소설과 현대시의 주춧돌을 놓았다. 두 사람은 의사가 되기 위해 일본 유학을 했으며, 유학 중에 새로운 중국 건설과 반제국주의 투쟁을 결심했다. 또 두 사람은 국민당에 반대하고 중국공산당에 협력한 공통점이 있다. 차이가 있다면 궈모뤄가 중국공산당의 공식적인 ‘나팔수’였던 반면, 루쉰은 끝내 공산당에 가입하지 않았다는 정도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차이는 궈모뤄가 희곡에 공을 들인 극작가이기도 했으나, 루쉰은 희곡을 쓰지 않았을뿐더러 연극을 증오하기까지 했다는 점이다.

루쉰은 어느 날 수업 시간에 일본인 교수가 틀어준 뉴스 필름 속에서, 일본군에게 처형당하는 중국인 포로를 넋 놓고 바라보는 동포의 모습을 보고 충격받았다. 루쉰은 그 장면을 보고서 ‘중국인은 구경꾼’이라는 정의를 얻었다. 구경꾼은 자기 앞에서 벌어지는 역사적 사건에 거리를 둔 채, 수동적이고 몰자각적이 된다. 루쉰은 자기 민족의 구경꾼 의식을 흔들어 깨우고자 육체를 고치는 의사가 되기보다 작가가 되는 것으로 목표를 바꾸었다. 루쉰 연구자들은 저 일화를 ‘환등 사건’이라고 부르는데, 그의 소설과 에세이에는 중국인의 구경꾼 의식을 질타하는 장면과 논설이 번번이 등장한다.

‘아Q’만큼 어리석은 ‘아Q 구경꾼’

〈루쉰 독본〉에는 그의 대표작 〈아Q정전〉(1921)이 실려 있는데, 이 작품을 끌고 가는 중요한 모티프가 구경꾼 의식이다. 대표적인 세 장면을 보자. ①아Q는 몇 시간 전에 자오씨 댁의 하녀인 우 어멈을 희롱했다. 이 때문에 자오씨 댁 사람들이 모여 아Q를 처벌할 계획을 짜고 있는데, 아Q는 “시끌벅적한 구경거리”가 난 줄 알고 접근했다가 된통 매를 맞는다. ②아Q는 성안에서 우연히 혁명당원이 참수당하는 것을 보고난 뒤 마을로 돌아와 마을 사람들에게 “자네들 목이 잘리는 거 본 적 있나?”라고 뻐긴다. 이는 “너희들 ○○○이 나오는 새 영화 봤어?”라고 뻐기는 어린 학생의 심리와도 같은데, 무엇보다 이 장면은 루쉰이 일본에서 보았던 뉴스 필름 속의 넋 빠진 동포를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③작품의 끄트머리에서 아Q는 혁명을 핑계로 도둑질을 한 도적떼의 일원으로 사형당하게 된다. 그런데 아Q가 진짜 나쁜 놈인 것은 고작 도적질을 한 것에 있지 않다. 사형수는 처형장으로 가면서 늠름하게 노래를 뽑아 구경꾼들을 즐겁게 해주어야 하는데 아Q는 그러지 못했다.

지독한 루쉰. 그는 〈아Q정전〉을 이렇게 끝마쳤다. “성안의 여론은 다들 불만이었다. 총살은 목을 치는 것보다 볼거리가 못 된다는 것이었다. 더구나 그는 얼마나 덜떨어진 사형수였는가? 그렇게 오래 거리를 끌려다녔으면서도 노래 한 소절 못하다니. 괜히 따라다니느라 헛고생만 했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중국 현대소설의 시초인 〈광인일기〉(1918)는 〈아Q정전〉보다 더 심원하다. 이 작품의 주인공(광인)은 자신이 가족에게 잡아먹힐 것이라는 불안에 시달리는데, 이 작품에 나오는 식인(食人)은 4000년 동안 중국인의 사고와 관습을 통제해온 인의도덕(仁義道德), 곧 예교(禮敎)를 은유한다. 루쉰은 중국의 종교가 되어버린 예교를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제도’라며 규탄했다. 작중의 광인은 주위를 향해 “당신들 지금 바로 고쳐야 해. 진심으로 고쳐야 해. 앞으로 식인하는 사람은 세상이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신들은 알아야 해”라고 외치다가 돌연, 자신도 알게 모르게 식인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각성에 다다른다. “4000년 동안 식인을 해온 곳. 오늘에야 알았다, 나도 그 속에 여러 해 동안 섞여 있었음을.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여동생의 고기를 몇 점 먹지 않았다고 장담할 수 없다.”

이욱연의 해설을 보자. “알고 보니 자신도 사람 고기를 먹은 적이 있었다. 그럴 수밖에 없다. 세상이 온통 식인 사회이고 다들 식인을 했는데, 그곳에서 누가 예외일 것인가. 광인 역시 과거에서 온 사람, 어둠의 시대 속에 뒤섞여 산 사람이다. 식인 시대의 흔적이 그의 몸과 마음에 귀신처럼 서려 있을 수밖에 없다. 홀로 각성한 그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살면 안 된다고 외쳐왔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도 다른 사람처럼 식인을 했다. 곤혹스럽고, 창피하고, 난감한 상황이다. 스스로에 대한 수치심에, 스스로를 용서할 수 없어서 생을 포기해버릴 수도 있다.” 앞이 보이지 않는 칠흑 같은 지금, 해설에 나오는 광인을 ‘그’로, 식인을 ‘성추행’으로 바꾸어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루쉰은 희망보다는 절망을 향해 서 있던 사람이었으나, 그 때문인지 항상 가망 없는 희망에 매달렸다. 〈광인일기〉의 마지막을 “식인해보지 않은 아이가 혹시 아직도 있을까? 아이들을 구하라”라고 끝맺은 것도 그 증거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의 이 병독도 다음 세대를 잘 가르치는 것에서 치유의 희망을 찾을 수 있겠다. 그런데 N번방을 모의한 범죄자들이 일찍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디지털 성범죄 경력을 시작했다니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할까. 식인을 하지 않은 아이가 있기나 한 것일까.

이주노는 〈광인일기〉를 연구하는 데 책 한 권을 통째 바친 〈루쉰의 광인일기, 식인과 광기〉(21세기북스, 2019)에서, 이 작품 마지막에 나오는 광인의 진술은 전망이 불확실하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4000년 동안 식인의 역사를 지닌 땅에서 ‘사람을 잡아먹어본 적이 없는’ 아이는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따라서 구할 수 있는 ‘아이’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 자신으로 다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역설적으로 ‘오늘’ ‘지금’ ‘나’ 자신을 극복하는 것이 미래의 아이를 구하는 최선의 방도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