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7

Religion in Norway - Wikipedia

Religion in Norway - Wikipedia



Religion in Norwa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art of a series on
Norwegians
Culture
Architecture
Art
Cinema
Cuisine
Dance
Dress
Folk art
Literature
Media
Music
Religion
Sport
Theatre
Tourism
Diaspora
Australia
Brazil
Canada
Iceland
Mexico
New Zealand
Russia
South Africa
Swede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laska (Sami)
Dakotas
Minnesota
Wisconsin
Venezuela
Other
Religion
Language Norwegian
Norwegian Portal

v
t
e


The Heddal Stave Church in Notodden, the largest stave church in Norway

Religion in Norway is dominated by Lutheran Christianity, with 68.7% of the population belonging to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Norway in 2019.[1] The Catholic Church is the next largest Christian church at 3.1%.[2] The unaffiliated make up 18.3% of the population. Islam is followed by 3.4% of the population.[3]

































Religions in Norway (31.12.2019)[1][3][2]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Norway (68.68%)
Catholic Church (3.08%)
Pentecostal congregations (0.76%)
Eastern Orthodox and Oriental Orthodox (0.53%)
Evangelical Lutheran Free Church (0.36%)
Other Christian denominations (2.21%)
Islam (3.41%)
Buddhism (0.40%)
Hinduism (0.21%)
Secular Humanism (1.85%)
Unaffiliated (18.32%)
Other Religion (0.09%)

A bill passed in 2016 and effective as of 1 January 2017 created the Church of Norway as an independent legal entity.[4][5] Until the 2012 constitutional amendment Lutheranism was the state religion of the country.[6][7][8][9] The Church of Norway will still obtain financial support from the state of Norway, along with other religious communities.[10][11]

Early Norwegians, like most Scandinavians, were once adherents of Norse paganism; the Sámi having a shamanistic religion.[12] Norway was gradually Christianized by Christian missionaries between 1000 and 1150. Before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1536/1537, Norwegians were part of the Catholic Church.


Contents1Demographics1.1Census
2Religions2.1Baháʼí Faith
2.2Buddhism
2.3Christianity2.3.1From conversion to the Reformation
2.3.2From the Reformation to the present
2.4Hinduism
2.5Islam
2.6Judaism
2.7Norse religion
2.8Sámi religion
3State policy3.1Religious education
3.2Religious freedom
4See also
5Notes
6External links
Demographics[edit]

In Norway as of 2019, 68.7% of the population are member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as compared to 96% in the 1960s.[1] Kevin Boyle's 1997 global study of freedom of religion states that "Most members of the state church are not active adherents, except for the rituals of birth, confirmation, weddings, and burials. Some 3 per cent on average attend church on Sunday and 10 per cent on average attend church every month."[13]

Other religious groups operate freely and people are also free not to be affiliated with any religion or life stance. Approximately 18.3% are not members of any official religious or philosophical communities, while about 13.0% of the population are members of other religious or philosophical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Catholics and Muslims are each about 3% of the population and have been rising in numbers in recent years. About 1.8% of the population lists the Norwegian Humanist Association as a life stance instead of a religion. Orthodox, Jews, Hindus, Buddhists and Sikhs are present in very small numbers, together comprising about 1 percent of the population.[3]

However officially belonging to a religion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actual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In 2005, a survey conducted by Gallup International in sixty-five countries indicated that Norway was the least religious country in Western Europe, with 29% counting themselves as believing in a church or deity, 26% as being atheists, and 45% not being entirely certain.[14]

According to the Eurobarometer Poll of 2010:-[15]22% of Norwegian citizens responded that "they believe there is a God".
44% responded that "they believe there is some sort of spirit or life force".
29% responded that "they don't believe there is any sort of spirit, God or life force".
5% gave no response.

According to 2016 data from annual social-cultural study Norwegian Monitor (Norsk Monitor), 39 percent of Norwegians responded with "No" to the question to the question "Do you believe in God?", while 37 percent said "Yes" and 27 percent said that they did not know. The survey also showed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believe in God than men and that faith in God is stronger among the old than the young.[16]

In a 2018 European Values Study 47.1% of the Norwegian population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Do you believe in God?" as opposed to the 52.9% that answered "No". The country ranked fourth among the 30 countries surveyed.[17]
Census[edit]
Religion (in 31.12.2019)[1][2][3]MembersPercentGrowth (2014–2019)
Christianity4,059,36675.63%-2.0Church of Norway 3,686,715 68.68% -4.1%
Catholic Church 165,254[18] 3.08% 72.8%
Pentecostal congregations 40,725 0.76% 4.0%
Eastern Orthodox Church and Oriental Orthodox Church 28,544 0.53% 63.3%
Evangelical Lutheran Free Church 19,313 0.36% -1.0%
Jehovah's Witnesses 12,661 0.24% 2.9%
Baptists 10,823 0.20% 5.1%
The Methodist Church in Norway 10,000 0.19% -5.4%
Other Christianity 85,331 1.59% -6.8%
Non-Christian religions225,1384.19%29.2%
Islam 182,826 3.41% 29.6%
Buddhism 21,555 0.40% 19.9%
Hinduism 12,153 0.23% 48.6%
Sikhism 4,080 0.08% 19.0%
Baháʼí Faith 1,091 0.02% -3.8%
Judaism 794 0.01% 6.3%
Other religions and life stances 2,639 0.05% 51.2%Humanism99,4681.85%12.8%
no affiliation983,60818.32%28.9%
Total[19]5,367,580100.0%3.9%

Religions[edit]
Baháʼí Faith[edit]
Main article: Baháʼí Faith in Norway

The Baháʼí Faith in Norway began with contact between traveling Scandinavians with early Persian believers of the Baháʼí Faith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20] Baháʼís first visited Scandinavia in the 1920s following 'Abdu'l-Bahá's, then head of the religion, request outlining Norway among the countries to which Baháʼís should pioneer[21] and the first Baháʼí to settle in Norway was Johanna Schubartt.[22] Following a period of more Baháʼí pioneers coming to the country, Baháʼí Local Spiritual Assemblies spread across Norway while the national community eventually formed a Baháʼí National Spiritual Assembly in 1962.[23] In 2019 there were around 1100 Baháʼís in the country.[3]
Buddhism[edit]
Main article: Buddhism in Norway

The Vietnamese "Khuông Việt" pagoda at Løvenstad near Oslo, the only of its kind in Norway

Buddhism has existed in Norway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70s, after immigration from countries with Buddhist populations, mainly Vietnam. Buddhistforbundet (The Buddhist Federation) in Norway was established as a religious society in 1979 by two Buddhist groups (The Zen School and Karma Tashi Ling buddhistsenter) who wanted to create a common organization to preserve issues of common interest. As of 2013, there are over 30 to 50 thousand (between 0.7%[24] and up to 1%[15] of the total population) registered Buddhists in Norway. Around 5% of them are ethnic Norwegians.[25]
Christianity[edit]
Main article: Christianity in Norway

A cross close to the church in Grense Jakobselv, Norway
From conversion to the Reformation[edit]

The conversion of Norway to Christianity began in the 1000s. The raids on the British isles and on the Frankish kingdoms had brought the Vikings in touch with Christianity. Haakon the Good of Norway, who had grown up in England, tried to introduce Christianity in the mid-10th century but had met resistance from pagan leaders and soon abandoned the idea.

Anglo-Saxon missionaries from England and Germany had tried to convert Norwegians to Christianity but only had limited success. However, they succeeded in converting Olaf I of Norway to Christianity. Olaf II of Norway (later Saint Olaf) had more success in his attempts to convert the population with many Norwegians converting in the process, and he is credited with christianizing Norway.

The Christians in Norway often established churches or other holy sites at places that had previously been sacred under the Norse religion. The spread of conversion can be measured by burial sites as Pagans were buried with grave goods while Christians were not. Christianity had become well established in Norway by the middle of the 11th century and had become dominant by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Stave churches were built of wood without the use of nails in the 13th century.[26]
From the Reformation to the present[edit]
Further information: Reformation in Denmark-Norway and Holstein

In 1536, King Christian III of Denmark converted the Norwegians from Catholicism to Lutheran Protestantism

The Norwegians were Catholics until the Danish king Christian III of Denmark ordered Denmark to convert to Lutheranism in 1536 and, as Norway was then ruled by Denmark, the Norwegians converted as well. The Danish Church Ordinance was introduced in 1537 and a Norwegian Church Council officially adopted Lutheranism in 1539. Monasteries were dissolved and church property confiscated with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Norway established and funded by the state. Bishops still adhering to Catholicism were deposed, with Olav, Archbishop of Nidaros, fleeing the country in 1537 and another bishop dying in prison in 1542. Catholicism held on in remote parts of Norway for another couple of decades, although eventually the remaining Catholics converted or fled, to the Netherlands in particular. Many pastors were replaced with Danes and Norwegian clergy being trained at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as Norway did not have a university. The Danish translation of the Bible was used as were Danish catechisms and hymns. The use of Danish in religious ceremonies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wegian language.

The church undertook a program to convert the Sámi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ith the program being largely successful. The University of Oslo was established in 1811 allowing priests to train in Norway. The Norwegian Constitution of 1814 did not grant religious freedom as it stated that Jews and Jesuits were denied entrance in Norway. Moreover, adherence to Lutheran Christianity was compulsory, and so was church attendance. A ban on lay preaching was lifted in 1842, allowing several free church movements and a strong lay movement being established in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Three years later, the so-called Dissenter Law came into effect, allowing other Christian congregations to establish in Norway. Atheism became allowed as well, and the ban on Judaism was lifted in 1851. Monasticism and Jesuits were allowed, starting in 1897 and 1956 respectively.

The Norwegian Constitution was amended in 1964 allowing freedom of religion; the exceptions are the Norwegian royal family, who are required by the constitution to be Lutherans. Furthermore, at least one half of the government must belong to the state church. On 21 May 2012 the constitution was again amended to increase the autonomy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and decrease the connection to the state.

Church pastors were active in the Norwegian resistance movement during World War II. The state church was also active in the moral debate which arose in the 1950s.
Hinduism[edit]
Main article: Hinduism in Norway

Sri Tiller Ganesha Temple in Trondheim

Hinduism constitute 0.2% of the population of Norway.[3] About 75% of Hindus are from Sri Lanka. There are 5 Hindu temples in Norway. The Vishwa Hindu Parishad is registered in Norway and ISKCON has a centre in the country.
Islam[edit]

The world's northernmost mosque, in Tromsø
Main article: Islam in Norway

Islam is the largest non-Christian religion in Norway with about 3.4% of the population officially (about 182,000 people in 2019) and has increased by 29.6% since 2014.[3] In 2006, 56% lived in the counties of Oslo and Akershus.[27] Some sources report that the numbers are higher than those on the official records; the Pew Foundation calculates the number of Muslims in Norway for 2010 at about 144,000 and projects the numbers to reach 359,000 by 2030.[28] For 2013, Professor Leirvik of the University of Oslo estimates regarding the number of people of Muslim background though not necessarily practicing in Norway at about 220,000 including people from Pakistan, Somalia, Iraq, Afghanistan, Bosnia, Kosovo, Iran, and Morocco.[29] In the end of the 1990s, Islam passed the Catholic Church and Pentecostalism to become the largest minority religion in Norway (though the Catholics have regained ground since), provided Islam is seen as one united grouping, as there are different denominations in existence, such as Sunni, Shia and Ahmadiyya. In 2009, the registered Muslims were members of 126 different congregations.[29]
Judaism[edit]
Main article: Jews in Norway

There were never many Jews in Norway. Although there are no indications of active persecution, Jews were banned from entering and residing in the dual monarchy of Denmark-Norway for long periods of time. After the split with Denmark in 1814, the new Norwegian Constitution included a notorious paragraph that banned Jews and Jesuits from entering the realm. The paragraph, which was abolished with regard to Jews in 1851 after strong political debate, appears to have been primarily aimed at the Jewish Messianic revival movements in Eastern Europe at the time, since the Sephardi and Western European Jews in many cases seem to have been exempted.[citation needed]

Shechita, Jewish kosher slaughter, has been banned in Norway since 1929.[30]

741 Norwegian Jews were murdered during the Nazi occupation of Norway during World War II, and in 1946 there were only 559 Jews registered living in Norway.
Norse religion[edit]
Main article: Norse paganism

Norse religion developed from the common mythology of the Germanic people. Scandinavian mythology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gods and heroes developed slowly. Thus, the cult of Odin in Norway probably spread from Western Germany not long before they were written down. Gods shown as minor gods such as Ullr, the fertility god Njord and Heimdall are likely to be older gods in Norway who lost popularity. Other gods (or aesir, as they were called) worth mentioning are the thunder-god Thor and the all father Odin

Most information about Scandinavian mythology is contained in the old Norse literature including Norwegian literature, the Eddas and later sagas. Other information comes from the Danish historian Saxo Grammaticus with fragments of legends preserved in old inscriptions. Unfortunately, we know relatively little about old religious practices in Norway or elsewhere as most of the knowledge was lost in the gradual Christianisation.

Due to nationalistic movements in the late 18th century, Norwegian scholars found renewed interest for Norse religion, translating many of the myths to Danish (the written language in Norway at the time) and tried to use it to create a common Norwegian culture. But Christianity was too deeply rooted in the society to accept such Paganism, and it only resulted in popularized legends. Nowadays, a revival of the Old Norse religion, called Åsatru ("Faith of the Aesir") seeks to reconstruct the pre-Christian faith practiced in the Viking Age.
Sámi religion[edit]
Main article: Sami religion

The Sámi followed a shamanistic religion based on nature worship. The Sámi pantheon consisted of four general gods: the Mother, the Father, the Son and the Daughter (Radienacca, Radienacce, Radienkiedde and Radienneida). There was also a god of fertility, fire and thunder Horagalles, the sun goddess Beive and the moon goddess Manno as well as the goddess of death Jabemeahkka.

Like many pagan religions, the Sámi saw life as a circular process of life, death and rebirth. The shaman was called a Noaidi and the traditions were passed on between families with an ageing Noaidi training a relative to take his or her place after he or she dies. Training went on as long as the Noaidi lived but the pupil had to prove his or her skills before a group of Noaidi before being eligible to become a fully fledged shaman at the death of his or her mentor.

The Norwegian church undertook a campaign to Christianise the Sámi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with most of the sources being missionaries. While the vast majority of the Sámi in Norway have been Christianised, some of them still follow their traditional faith and some Noaidi are still practising their ancient religion. Sami people are often more religious than Norwegians.
State policy[edit]

A Norwegian Baptist church in Bergen where many of the worshipers are Christian immigrants

Most Norwegian villages have their own churches, like this one in Askøy.

A stave church in Norway

An act approved in 2016 created the Church of Norway as an independent legal entity, effective from 1 January 2017.[31][5] The Church of Norway was previously the country's public religion, and its central administrative functions were carried out by the Royal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Reform and Church Affairs until 2017.[32]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s still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

The state also supports religious aid organisations such as Norwegian Church Aid financially.[citation needed] Clergy train in the theological faculties of the University of Oslo and the University of Tromsø, as well as VID Specialized University, formerly Misjonshøgskolen (School of Mission and Theology) in Stavanger and Menighetsfakultetet (MF Norwegian School of Theology) in Oslo. Menighetsfakultetet is by far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Norwegian clergy. Men and women can both become members of the clergy of the church. The church has two sacraments namely Baptism and Holy Communion.
Religious education[edit]

In 2007,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uled in favor of Norwegian parents who had sued the Norwegian state. The case was about a subject in compulsory school, kristendomskunnskap med religions- og livssynsorientering (Teachings of Christianity with orientation about religion and philosophy), KRL. The applicants complained that the refusal to grant full exemption from KRL prevented them from ensuring that their children received an education in conformity with their atheist views and philosophical convictions. A few years earlier, in 2004, the UN Committee on Human Rights in Geneva had given its support to the parents. In 2008 the subject was renamed to Religion, livssyn og etikk (Religion, philosophy and ethics).[33] The majority of this course is however still tied to Christianity. Philosophy and ethics are not properly introduced until after compulsory school. The largest Christian school in Norway has 1,400 pupils and 120 employees.[34] Kristne Friskolers Forbund is an interest group of approximately 130 Christian schools and colleges, including 12 Christian private schools.[35]
Religious freedom[edit]
Main article: Freedom of religion in Norway

The constitution establishes that all individuals have the right to exercise their religion. The government's policies generally support the free practice of religion in the country, and it provides funding to religious organizations and anti-discrimination programs on a regular basis. According to NGOs and the Norwegian police, religiously motivated hate speech is prevalent, particularly online, and primarily targeting the Muslim and Jewish communities. The constitution of Norway establishes that the King of Norway must belong to the Evangelical-Lutheran confession.[36]

In 2018, Norway imposed religious clothing bans targeting Muslim women.[37]


A Hindu temple in Trondheim



The synagogue in Oslo



Orthodox church in Oslo



Jehovah's Witness Kingdom Hall in Hønefoss



Saint Paul Catholic Church, Bergen



St. Olav's Cathedral in Oslo



Nor mosque in Oslo



Khuong Viet Buddhist Temple in Oslo
See also[edit]
Baháʼí Faith in Norway
Buddhism in Norway
Christianization of ScandinaviaChristianity in Norway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Norway
Catholic Church in Norway
Hinduism in Norway
Islam in Norway
Irreligion in Norway
Judaism in Norway
Norwegian Humanist Association
Religion by country
Religion in Europe
Bible translations in Norway
Notes[edit]
^ Jump up to:a b c d Church of Norway Statistics Norway 17.5.2020
^ Jump up to:a b c Members of Christian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Statistics Norway 8.12.2020
^ Jump up to:a b c d e f g Members of religious and life stance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by religion/life stance. Statistics Norway 8.12.2019
^ Offisielt frå statsrådet 27. mai 2016 regjeringen.no "Sanksjon av Stortingets vedtak 18. mai 2016 til lov om endringer i kirkeloven (omdanning av Den norske kirke til eget rettssubjekt m.m.) Lovvedtak 56 (2015-2016) Lov nr. 17 Delt ikraftsetting av lov 27. mai 2016 om endringer i kirkeloven (omdanning av Den norske kirke til eget rettssubjekt m.m.). Loven trer i kraft fra 1. januar 2017 med unntak av romertall I § 3 nr. 8 første og fjerde ledd, § 3 nr. 10 annet punktum og § 5 femte ledd, som trer i kraft 1. juli 2016."
^ Jump up to:a b Lovvedtak 56 (2015–2016) Vedtak til lov om endringer i kirkeloven (omdanning av Den norske kirke til eget rettssubjekt m.m.) Stortinget.no
^ The Constitution of Norway, Article 16 (English translation, published by the Norwegian Parliament) Archived 8 September 2015 at the Wayback Machine
^ Løsere bånd, men fortsatt statskirke Archived 27 December 2012 at WebCite, ABC Nyheter
^ Staten skal ikke lenger ansette biskoper, NRK
^ Human-Etisk Forbund. "Ingen avskaffelse: / Slik blir den nye statskirkeordningen". Fritanke.no.
^ "Norway Ends 500-Y-O Lutheran Church Partnership, 'Biggest Change Since the Reformation'". 2 January 2017. Retrieved 23 February 2017.
^ Gran, Even (2 December 2016). "Hvor mye penger skal brukes på tro og livssyn?: Her er modellene departementet vurderer". Fri tanke - nettavis for livssyn og livssynspolitikk (in Norwegian).
^ "Pre-Christian Relig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07.
^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A World Report (Routledge, 1997), page 351.
^ "Aftenposten: Vi tviler mer (17.02.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ne 2007. Retrieved 23 July 2008.
^ Jump up to:a b Biotechnology report 2010 p.383
^ "For first time, majority in Norway don't believe in God". 18 March 2016. Retrieved 30 July 2017.
^ "European Values Study 2017: Integrated Dataset (EVS 2017) "do you believe in: God (Q18A)"". GESIS: ZACAT. Retrieved 19 November 2019.
^ In 2015 the bishop of the Diocese of Oslo, Bernt Ivar Eidsvig, and his financial manager were charged with fraud for adding up to 65,000 extra names to the Catholic membership list over the previous several years.Gaffey, Conor (2 July 2015). "Catholic Church accused of defrauding Norway of €5.7m". Newsweek. Retrieved 3 July 2015.
^ Population Statistics Norway
^ "Skandinavisk bahá'í histor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September 2009.
^ 'Abdu'l-Bahá (1991) [1916–17]. Tablets of the Divine Plan (Paperback ed.). Wilmette, Illinois, USA: Baháʼí Publishing Trust. p. 43. ISBN 0-87743-233-3.
^ National Spiritual Assembly of the Baháʼís of Norway (25 March 2008). "Johanna Schubarth". Official Website of the National Spiritual Assembly of the Baháʼís of Norway. National Spiritual Assembly of the Baháʼís of Norw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09. Retrieved 27 April 2008.
^ The Baháʼí Faith: 1844–1963: Information Statistical and Comparative, Including the Achievements of the Ten Year International Baháʼí Teaching & Consolidation Plan 1953–1963, Compiled by Hands of the Cause Residing in the Holy Land, pages 22 and 46.
^ "Religious Adherents, 2010 - Norway". World Christian Database. Retrieved 28 July 2013.
^ "Feiret Buddha fødselsdag / Flere og flere nordmenn konverterer til buddhismen". antropologi.info - sosialantropologi i Norden blogg (in Norwegian Bokmål).
^ Norway – Ecclesiastical organization (Centre for Medieval Studies, University of Bergen)
^ (in Norwegian) Medlemmer i trus-og livssynssamfunn utanfor Den norske kyrkja Archived 18 December 2007 at the Wayback Machine
^ "Region: Europe". Pew Forum. PewResearch. 27 January 2011. Retrieved 3 July 2014.
^ Jump up to:a b Leirvik, Oddbjørn. "Islam i Norge". Retrieved 3 July 2014.
^ Johansen, Per Ola (1984). "Korstoget mot schächtningen". Oss selv nærmest (in Norwegian). Oslo: Gyldendal Norsk Forlag. p. 63. ISBN 82-05-15062-1.
^ Offisielt frå statsrådet 27. mai 2016 regjeringen.no «Sanksjon av Stortingets vedtak 18. mai 2016 til lov om endringer i kirkeloven (omdanning av Den norske kirke til eget rettssubjekt m.m.) Lovvedtak 56 (2015-2016) Lov nr. 17 Delt ikraftsetting av lov 27. mai 2016 om endringer i kirkeloven (omdanning av Den norske kirke til eget rettssubjekt m.m.). Loven trer i kraft fra 1. januar 2017 med unntak av romertall I § 3 nr. 8 første og fjerde ledd, § 3 nr. 10 annet punktum og § 5 femte ledd, som trer i kraft 1. juli 2016.»
^ NOU 2006: 2: Staten og Den norske kirke [The State and the Church of Norway]. Utredning fra Stat – kirke-utvalget oppnevnt ved kongelig resolusjon av 14. mars 2003. (Official report to the Minister of Culture available online).
^ See the Norwegian Wikipedia: Kristendoms-, religions- og livssynskunnskap
^ Forside: Egill Danielsen Stiftelse
^ Kristne Friskolers Forbund
^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17 Norway,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This article incorporates text from this source, which is in the public domain.
^ "The 10 European countries that restrict religious attire for Muslim women". Middle East Eye. 2 August 2018. Retrieved 23 March 2019.
External links[edit]Official Norwegian site in the UK on Norwegian religion
The Church in Norwegian life
BBC Ancient History article on Viking religion and their gradual conversion to Christianity
Site on Viking religion
Site on Sámi religious beliefs
Site on Norwegian reformation
Boise State University on Danish reformatio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mmunities, 1 January 2006


show
v
t
e
Religion in Norway



hide
v
t
e
Norway articles
History
Stone Age
Bronze Age
Petty kingdoms
Viking Age
Unification
High Middle Ages
Kingdom of Norway (872–1397) Hereditary Kingdom of Norway
Kalmar Union
Denmark–Norway
Kingdom of Norway (1814)
Sweden–Norway
End of the union
World War II Reichskommissariat
Quisling regime
Norwegian government-in-exile
1945–2000
21st century
Geography


Climate
Districts
Extreme points
Islands
Lakes
Mammals
Mountains
Municipalities
Cities
Protected areas
Rivers
World Heritage Sites


Politics


Administrative divisions
National budget
Constitution
Courts
Elections
Foreign relations
Governments
Incarceration
Military
Monarchy
Parliament
Police
Political parties
Prime Minister
Membership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conomy


Energy
Fisheries
Government Pension Fund
Industry
Mining
Natural gas
Krone (currency)
National bank
Norwegian paradox
Oil
Renewable energy
Stock Exchange
Taxation
Tourism
Trade unions
Transport
Whaling


Society


Crime
Demographics
Education
Ethnic groups
Immigration
Languages language conflict
Norwegians
Pensions
Religion
Culture
Architecture
Art
Bunad (clothing)
Christmas (season)
Cinema
Cuisine
Jante law
Music
Norwegian language
Literature
Media
Prostitution
Public holidays
Sport
Romantic nationalism
Symbols
Anthem
Coat of arms
Flags national flag
Mottos
Name of Norway



OutlineCategory
Portal



show
v
t
e
Religion in Europe

====

Reaching Post-Christian Europeans by Bjørn Ottesen - Ebook | Scribd

Reaching Post-Christian Europeans by Bjørn Ottesen - Ebook | Scribd

Reaching Post-Christian Europeans

Reaching Post-Christian Europeans

268 pages
8 hours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Bjørn Ottesen provides us with an insight into the future of Christian mission in Northern Europe and beyond. He offers an honest account of the church's successes and failures. His analysis of the Danish Adventist context has relevance beyond Denmark and beyond Adventism. His assessment of the attitudes of modern Danes to organised religion and sp

불족적- 불교미술을 찾아서 6 / 조정육 / 부처님의 상징(2)

불족적

댓글수6

불교미술을 찾아서 6 / 조정육 / 『그림공부, 사람공부』의 저자

부처님의 상징(2)

 

                         <불족적>

 

1. 불족적의 유행

탑과 더불어 무불상시대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예배드렸던 대상이 불족적이다. ‘부처님의 발자취’를 뜻하는 불족적(佛足跡)은 주로 돌 위에 새겼기 때문에 불족석(佛足石)이라고도 불린다. 불족적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누구나 부처님의 발자취를 보고 존경하고 기뻐하면 한량없는 죄업을 소멸한다고 하여 예로부터 이것을 만들어 숭배하고 공경하는 일이 유행하였다.’고 되어 있다.(『불교사전』, 동국역경원)

그런데 특이한 것은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등의 남방불교권에서는 불족적을 돌에 새기거나 그리는 것이 대단히 유행한 반면 중국, 한국, 일본 등 북방불교권에서는 그다지 유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방불교권에서는 부처님의 발자취를 보고 존경하거나 기뻐하지 않아도 죄업을 소멸시킬 수 있는 다른 무엇이 있었다는 뜻일까.

 그보다는 지역 환경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 같다. 남방불교권과 북방불교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연 환경일 것이다. 남방불교권은 날씨가 따뜻해 겨울에도 맨발로 걸어다닐 수 있지만 북방불교권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어도 발이 시릴 정도로 북방불교권의 한겨울 추위는 혹독하다. 자연히 두 발은 양말이나 신발 속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다보니 맨발의 중요성이 반감된다.

그렇다면 남방불교권에서는 어떠한가. 날씨가 따뜻해서 맨발로 다녀도 무방하다. 지금도 이 지역에서는 수행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까지도 맨발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러므로 불족적의 유행을 단순히 ‘부처님의 발자취를 보고 존경하고 기뻐하면 죄업이 소멸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맨발로 다닐 수 있는가, 없는가의 환경과의 관련성에서 찾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맨발로 다닌다는 것. 그것이 쉬워 보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뜨거운 여름날에 흙먼지가 폴폴 날리는 길을 맨발로 걸어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뜨거운 바닥을 걷다 사원 안의 차가운 돌바닥을 걸을 때면 온도 차이 때문에 마치 발바닥에 불이 붙는 것 같다. 더구나 신발이라는 충격 흡수 장치 없이 먼 길을 맨발로 하루 종일 걸을 때 보행의 충격은 그대로 온 몸으로 전달된다. 피로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

그렇게 힘든 길을, 내게 도움이 되거나 이익이 되기 때문이 아니라 오로지 중생의 행복을 위해 아무런 조건 없이 45년 동안을 걸어 다녔다고 생각해보라. 저절로 감동의 눈물이 흐를 것이다. 내가 뭐라고, 나 같은 사람이 뭐라고 그런 지극한 정성을 쏟아주시는 겁니까. 나같이 하찮은 사람이 당신처럼 고귀한 성자의 애틋함을 받을 자격이 있단 말인가요. 이런 고백이 저절로 나올 것이다. 더구나 그 중생 속에는 고생 고생해서 맨발로 걸어온 분의 마음을 곡해하여 투덜거리는 사람도 있었고, 생명을 해치려는 사람도 있었다. 그 대상이 누구든, 어떤 마음을 가졌든 상관없이 오로지 상대방을 위하는 마음 하나로 불볕더위 속을 맨발로 걸어 왔을 팔순 노인을 생각해보면 누구든 눈시울이 뜨거워질 것이다. 그 분이 바로 석가모니부처님이시다.  

그러므로 불족적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자비심의 현현(顯現)이고 구도심의 결정체다. 베풀되 베풀었다는 마음조차도 내지 않는 무주상 보시의 전형이다. 조금 주고 많이 받기를 바라는 중생심을 부끄럽게 만드는 가르침이다. 그래서 그 분을 따르는 이들은 ‘귀의불(歸依佛) 양족존(兩足尊)’을 서원한다.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에게 귀의한다는 뜻이다. 이 때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그런 분이 걸어간 길이 너무나 숭고하고 거룩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그 모습 그대로 살아가는 수행자들이 이어지고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닮으려는 수행자들이 계속 이어지는 한 불족적도 지속적으로 조성될 것이다.

 

2. 불족적의 도상적 특징

이런 깊은 뜻을 지닌 불족적은 도상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을까. 조형적인 특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체의 다른 부분은 생략한 채 오로지 불족적만 표현한 것인데 주로 윤보가 중심 문양으로 등장한다. 두 번째는 불족적만 표현하되 108문양이 표현된 경우다. 세 번째는 부처님의 열반상이나 휴식상처럼 부처님의 신체의 일부로 불족적이 함께 표현된 것이다.

 

1) 불족적만 표현된 경우

첫 번째 경우는 발바닥 중앙에 윤보무늬만 새기고 나머지 부분은 간략하게 처리한 경우이다. 발바닥 중앙에 윤보무늬만 새긴 예로는 인도 아마라바티에서 출토된 <불족적>(도1)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서기 1세기 경에 조성되었는데 발바닥 중앙에 둥그런 윤보무늬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수레바퀴 모양의 윤보는 우주를 통일한 전륜성왕(轉輪聖王)의 상징이다. 전륜성왕은 ‘자신의 전차바퀴를 어디로나 굴릴 수 있는’, 곧 ‘어디로 가거나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 통치자를 뜻한다. 후대에 신체의 일부로 표현된 불족적이 대형화되고 문양이 복잡해지는 것에 비하면 윤보무늬만 강조된 불족적은 시원적인 양식에 속하지 않을까 추정된다.  

아마라바티 출토 <불족적>이 발가락 열 개 길이가 일정하게 맞춰져 있고 도안화되어 있어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느낌이라면, 보드가야 대탑 부근에 조성된 <불족적>(2)은 훨씬 실제적이고 현실감이 느껴진다. 원형의 틀 안에 두 발을 새기다보니 실제 살아있는 사람의 발처럼 자연스럽게 엄지발가락이 가장 크게 배치되고 새끼발가락이 가장 작게 놓여진다. 사각의 틀에서 원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움이다. 이 <불족적>(2)은 발바닥의 형상을 음각으로 새긴 까닭에 그 안에 물이 고이게 되는데 그 모습이 마치 진흙탕을 맨발로 걸어 다니신 부처님의 발자국을 보는 듯하다. 그 발자국 위에 누군가가 공양 올린 꽃잎이 놓여 있다. 딱딱한 돌조각 위에 놓인 고운 꽃잎은, 부처님의 발걸음이 닿는 곳마다 사람들의 마음이 꽃처럼 환하게 밝아진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듯하다. 누군가가 장엄한 꽃잎이 아니더라도 부처님 발길이 닿는 곳이면 어디든 진리의 꽃이 피어날 것이다. 불족적 주변에 연꽃 테두리가 광배처럼 둘러싸고 있는 것은 그것을 표현한 것이다.

 

    

(1)(왼쪽)<불족적>, 석회암. 길이 67.5cm, 서기 1세기, 인도 아마라바티 출토, 영국 대영박물관 소장

(2)(오른쪽)<불족적>, 인도 보드가야 대탑 부근 소재(자료제공: 한북스님)

 

이 <불족적>을 새긴 사람은 이 장면까지도 예상했을까? 몇 백 년, 혹은 몇 천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먼 이국땅에서 온 나그네가 빗물에 고인 불족적 속에서 부처님의 자비스러운 발걸음을 발견하리란 걸 알고 있었을까. 당신이 바로 부처라고, 지금 있는 남루한 모습 그대로 온전한 부처라는 것을 알려주시기 위해 45년 세월을 쉼없이 걸어오신 분의 넘치는 사랑을 자신의 손으로 빚은 돌조각에서 깨달을 것이라고 예측했을까. 한 예술가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완전히 하나가 되어 합일되었다는 점에서 <불족적>(2)은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

그런데 인도의 이런 시원적인 양식과 비슷한 불족적이 우리나라에도 있다. 계룡산 갑사에 소장된 <불족적>(도3)을 보면 그 근원이 인도의 <불족적>에 가 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윗부분에 ‘석가여래유적도’라고 적힌 이 작품은 목판에 새겨 찍어낸 것으로 중앙에는 바퀴모양의 윤보가 배치되어 있고,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卍’자가 새겨져 있다.

윤보 주위에 새겨진 꽃병과 물고기 형상은 정확히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 지 좀 더 세밀한 조사가 필요할 듯하다. 계룡산 갑사에 소장된 <불족적>과 크기는 다르지만 도상적인 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작품이 몇 점 전해지고 있다(도4)(도5). 목판 원형도(도6) 한 점 전해지는데 목판 윗부분에 ‘석가여래유적도’라고 새긴 글씨의 배치가 갑사 소장본과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상적인 특징은 네 점이 거의 똑같다. 또한 ‘불족적’이라는 용어 대신 한결같이 ‘석가여래유적도’라는 단어를 고집한 것도 한 가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3)(왼쪽)<불족적>, 계룡산 갑사소장 목판 인쇄/ (4)<불족적>, 조선후기, 79×15.5cm,

 

    

  (5)(왼쪽)<불족적>, 목판, 19세기, 각 66×33cm/ (6)(오른쪽)<불족적>, 판목, 조선 후기, 73×37cm,

 

2) 108문양이 표현된 경우

지금까지 살펴본 작품들이 모두 불족적에 윤보와 간단한 상징물을 표현했다면 108개의 특징적 문양이 새겨진 예도 있다. 108개 문양은 3계를 나타내는데, 28개는 욕계를, 21개는 색계를 그리고 59개는 무색계를 나타낸다. 부처님 발바닥에 굳이 3계를 표현한 것은 부처님이 3계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을 말해주기 위해서이다. 부처님이 태어나실 때부터 선명하게 새겨진 108개의 특징을 보고 한 예언자는 ‘아이의 발에 전륜성왕의 문양이 있기 때문에, 그 왕자는 부처님이 될 운명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불족적에 새겨진 108개의 특징적인 문양을 보며 예배하는 사람은, 부처님이 ‘세계의 제왕(tilokagga)’, ‘만물과 세상의 끝에 다다르신 분(tilokantagu)’, ‘3계를 뛰어넘은 자(lokavidu)’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흑백이 두드러진 <불족적>(7)은 윤보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연꽃을 배치하고 나머지 부분을 108개로 구획한 후 각각의 칸 안에 상서로운 이미지를 새겨 넣고 있다. 전체를 108개로 나눈다는 원칙은 변하지 않는 반면 그 안에 그려 넣는 탑, 물고기, 용, 연꽃, 코끼리 등의 이미지는 자유스러웠던 것 같다. 금분을 칠한 바탕 위에 원색으로 108문양을 그려 넣은 <불족적>(8)은 대단히 장식적이고 화려하다. 두 발 사이에는 결가부좌를 한 부처상을 연꽃 위에 그려 넣어 단조로움을 피했다. 총천연색으로 사람의 눈을 사로잡는 <불족적>(8)을 보면, 진리를 전파하기 위해 맨발로 걸어 다닌 부처님의 수고로움이 많이 변질되었음을 느낄 수 있다. 시대가 바뀌고 환경이 변하면서 본래의 의도가 어떻게 바뀔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7)<불족적>, 67.5×45cm, 천에 채색, 미얀마/(8)<불족적>, 48×32cm, 금분에 채색, 미얀마

 

3) 신체의 일부로 표현된 불족적

불족적의 마지막 유형은 부처님의 신체의 일부로 표현된 경우다. 불족적이 열반상이나 휴식상에서 부처님의 신체의 일부로 표현됨으로써 독립적으로 조성된 불족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약화된다. 그러나 거대하게 조성된 열반상이나 휴식상의 신체 부위 중 얼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불족적은 단연 화려하고 눈에 띄게 강조된다. 태국의 왓포 사원에 조성된 열반상은(도9) 그 길이가 46m에 이르는 대작인데 발바닥에 108문양을 시문하여 예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열반하실 때까지 걷기를 멈추지 않으셨던 부처님의 자비심을 웅변적으로 대변해주는 걸까.

부처님이 옆으로 누워 있는 모습을 조각한 열반상과 휴식상은 두 발의 모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왓포사원의 불상처럼 두 발이 나란히 놓여 있을 경우에는 열반상으로, 두 발이 엇갈려 편안하게 쉬고 있는 듯한 모습은 휴식상으로 볼 수 있다. 미얀마의 차욱땃지 사원의 와불이 <휴식상>(도10)이다. 어느 경우나 발바닥에 108문양을 시문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것은 부처님이 성도 후 열반하실 때까지의 전 생애가 중생을 향해 걸어 다닌 것이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9)<열반상>, 왓포사원, 태국 16세기, 길이 46m

 

 (10)<휴식상>, 차욱땃지, 미얀마, 67m

 

3. 마치면서

무불상시대에 부처님을 상징하는 것으로는 탑, 불족적 외에도 보리수, ‘무우수’, ‘사라수’, ‘불좌(佛座)’, ‘윤보(輪寶)’ 등이 있다. 보리수가 부처님의 깨달음을 증명하는 나무라면 무우수는 부처님의 탄생을, 그리고 사라수는 부처님의 열반의 자리에 서 있었다. 불좌는 부처님의 자리를 상징하고 윤보는 전륜성왕의 표시다. 어느 것이나 부처님의 생애의 특별한 장면을 상징하는 의미로 이해되고 예배되어 왔다. 이런 상징들은 불상이 출현하기 전 500년 동안 부처님을 대신하는 성스러운 대상으로 많은 사람들의 예배를 받았다. 

대부분의 상징물들은 불상이 출현한 후 그 의미가 미미해져 불상에게 그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부처님의 모습을 직접 보는 듯한 32길상 80종호를 갖춘 불상은 예배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교감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유독 탑만은 불상의 출현과 상관없이 시대를 뛰어넘어 여전히 존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셨다는 의미가 가장 클 것이다. 부처님의 발자취를 상징했다거나 성도를 지켜봤다는 등의 간접적인 의미보다는 부처님 신체의 일부인 사리는 그만큼 사람들에게 친숙한 느낌으로 다가갔을 것이다.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이, 사람을 등불로 삼지 말고 법과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아 끊임없이 정진하라는 것이었지만 뭔가 눈에 보이는 실체가 필요한 범부중생들에게는 불상과 탑 같은 언제나 구체적인 대상이 필요하다. 굳이 여러 가지 상징물을 만드는 이유도 결국 범부중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 이유 외에도 탑이 불상과 함께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까지 자리를 지킬 수 있는 특징은 조형상의 자유스러움 때문일 것이다. 보리수나, 사라수 혹은 불좌나 윤보는 아무리 작가의 상상력이 뛰어나다 한들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한계가 있다. 아무리 개성있게 표현한다해도 보리수를 감나무로 나타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탑은 어떠한가. 성스러운 사리를 모셔 놓은 장소라는 큰 원칙에서만 벗어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작가의 상상력이 발휘되어도 상관없다. 그래서 탑은 불교가 전파되는 각 나라에서 각기 그 지역의 문화에 맞게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그만큼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할 여지가 많아 자신만의 방식으로 신명나게 예술적인 역량을 표출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제약이 많은 종교예술품이라 해도 그것을 제작하는 작가에게 더 많은 재량권을 줌으로써 수많은 땅에서 독특한 탑들이 세워지게 된 것이다. 미얀마와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서 거대한 벽돌탑이 만들어졌다면 중국에서는 전탑이, 한국에서는 석탑이, 그리고 일본에서는 목탑이 만들어졌다. 2,500년의 역사 속에서 불상과 더불어 탑이 여전히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이유이다.

 

                                        (11)진안 마이산 탑

 

*다음에는 삼국시대의 불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은 『붓다의 나들이 』3.4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댓글 6

댓글 쓰기
  • 프로필 이미지
    금강안金剛眼2010.03.11불족적 도상의 전파양상을 환경적 요인으로 파악하는 관점이 매우 신선합니다. 서역의 혹독한 환경을 통과하여 중국으로 전파된 불교가 맨발의 족적을 이해하기는 쉽지않았겠지요. 하지만 인도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남방불교도 무우수,불족적, 삼보표, 금강보좌 등 석가모니 부처를 대신했던 불적도의 도상들이 불상과 탑보다 더 중요시되지는 않았을것입니다. 그리고 윤보가 그려진 불족적이 시원적일거란 말씀은 정확한 내용인것 같습니다. 불족적의 최초작례인 바루후트 난순에 조작된 불전부조중 삼십삼천하강도에서 윤보가 표현된 불족적이 있으니깐요..
    프로필 이미지
    조정육2010.03.11그러믄요. 불상과 탑은 그 어떤 상징보다 보편적이고 인기가 많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불족적이 많이 조성되지 않은만큼 불족적에 대한 연구자료가 많지 않아 글 쓰는데 아주 애를 먹었습니다. 혹시 제 글에 오류가 있다면 많은 지적 있으시기를 기다리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금강안金剛眼2010.03.11아이고 지적이라뇨..그럴 능력이 안됩니다..
    불족적 연구자료가 많이 없군요..아무래도 팔상도를 제외한 불전도가 거의 유행되지 않았기 때문인가봅니다.
    회화뿐 아니라 불교미술 글을 보는 재미도 좋습니다...힘드시겠지만 자주 올려주세용~~ ^^
  • 프로필 이미지
    traveler2010.03.14이렇듯 자세하게 설명해주시고 보여주셨는데도 여기까지 오니
    부처님께서 중생들을 어여삐 여기셔서 먼길을 마다않으셨다는,
    그래서 그 고마움을 감사하는 의미라는 두리뭉실한 뭔가만 남으니...
    이럴때 과문하다는 표현을 쓰는구나 싶네요. 휴~~~
    프로필 이미지
    조정육2010.03.14그것은 아마 글쓴 사람의 표현력이 부족해서일 것입니다. 미얀마에 가서 맨발로 걸을 때의 생생한 현장감을 전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traveler2010.03.15그렇게 말씀하실까봐 걱정했는데.. 읽는 이가 한참 몰라서 알아듣지 못하는 거라구요^^
    맨발로 걷는 그 공력, 그 부분이 얼마나 생생하게 와닿았는데요.

불상의 출현

불상의 출현

불교조각

불교조각

불상

보살

아라한

신장

사천왕상

석탑

석등

사리탑

수곽

용주암석조불사

불교조각이론

 

불상의 출현

불교조각이란

불상의 형식

불상의 유형

보살

범천

명왕

화엄신장

조상경 복장

불상의 유례

한국 불상의 역사

석탑석등부도

불교미술기행

석 조

인물조각

환경조각

동물조각

방명록


불상의 출현

     불상은 불타(Buddha)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매체를 통하여 표현한 조각상이다. 불타란 출가하여 수행을 거듭한 뒤 자기 스스로 진리를 얻은 깨달은 자라는 뜻으로 대승불교에서는 모든 중생이 수행하면 불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실제로 존재하였던 부처는 인도의 고타마 싯다르타 태자로 석가모니이다.

    불상은 석가의 입멸 5백년 후 출현하게 된다. 전설에 의하면 석존이 도리천에서 어머니 마야부인에게 설법을 하였는데 이 때 열렬한 신자인 스라바스티성의 프라스트나지왕과 코삼비성의 우다야나왕은 불상을 만들어 석가가 없는 허전함을 달랬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불상이 처음 조성된 것은 1세기경 쿠산왕조시대로 그 전에는 회화나 부조등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즉 연화=석가의 탄생, 보리수=해탈, 법륜=열반, 부처의 존재=빈 의자 사리=부처 자체의 상징으로 신앙화 되었다가 나중에 불상이라는 신격이 인체의 형상을 빌려서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것을 두가지로 생각해 보면,

    ① 불상을 만들 기술이나 능력은 충분히 있었으나 초기 불교에서는 석가의 입멸 후 사리, 유물, 소지품, 유적지 숭상의 분위기 속에서 불상 조각의 필요성이 없었고, 석가에 대한 신성감때문에 그를 인간적인 형상으로 조각하는 것에 대해 주저하는 분위기가 있었음 → 그 후 서서히 조각의 염원이 형성됨

    그리스 로마의 영향으로 간다라지방(인도 북부)에서 인간적인 형상의 불상을 조각하는 분위기가 먼저 형성됨


    기독교에서는 우상숭배의 전통을 비판하지만, 불교에서는 창조자도 피조물도 없고 모든 자연이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본다. 따라서 기독교적인 시각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불상의 공통점이자 인간과의 다른점을 32상 80종호라고 한다. 이것은 육계상, 백호상, 수족천폭륜상, 금색상이 있다.

    대승불교의 대승이란 뜻은 '누구나 탈 수 있는 수레'. 형식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불교에 반대하는 의미에서 소승.대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대승불교가 나오게 된 때부터 석가에게 초인격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