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19

North Korea

North Korea



Participate

Programmes

North Korea

Map data ©2018 Google, SK telecom, ZENRIN
Satellite
Plan
North Kore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DPRK)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East Asia. Occupied by Japan since 1905, Korea gained independence in 1943. The country was afterwards split in two, the northern half administered by the USSR, and the southern part by the United States. This partition was formalized in 1948, with the cre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the North. Successive North and South Korean offensives on both sides of the border (the Korean War) did not end this division. An armistice signed in 1953 created a demilitarized zone permanently patrolled by more than a million soldiers (North Korean, South Korean and American soldiers), but no peace treaty was signed.

Kim Il-sung, President of North Korea since 1948, developed the economy and politics of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Juche" doctrine: a classless society, based on the principle of political independence, economic self-sufficiency and military autonomy. After his death in 1994, his son, Kim Jong-Il, became the leader of the country until his death in 2011. His son, Kim Jong-Un, became the "supreme leader" of the country in 2011.

North Korea suffered severe food crises in the 1990s, partly due to bad weather conditions (floods, then drought), and to the very small proportion of arable land in the country (less than 20%), but also to the economic system and the interruption of support from the USSR and, more generally, from the Soviet bloc, which was annually supplying fertilizers and fuel necessary for agriculture. In 1995, the Government sought foreign aid, which lasted until 2006, the date when North Korea ended emergency humanitarian aid, preferring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n, only six European NGOs - including Triangle Génération Humanitaire – have been authorized to carry out humanitarian and development programmes with permanent expatriate staff in North Korea.

Despite international community support, the food shortages are likely to continue, and the nutritional quality of available foodstuffs is low. The latest UNICEF survey estimated the rate of acute malnutrition among children under five at 38% in 2014. The population, faced with continuing deterioration of living conditions since the mid-1990s, remains very vulnerable.

Since 2000, TGH has been active in various sectors: agricultural development / food security (rehabilitation of polders, support to cooperative farms), rehabilitation of drinking water supply systems, improvement of sanitation infrastructure, distribution of food aid in children institutions, improvement of the living conditions in retirement homes, support for an association promoting the rights of the elderly, etc.

Current programmes

Improving the child institutions' resilience to food shocks, by upholding some loc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innovative aquaculture in DPR of Korea

The project aim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improvement of the food security, by developing aquaculture activities,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dependent on social institutions who are the most vulnerable people considering the persistent technical and organizational deficits in DPRK.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13,000 children
 Duration: 40 months, starting 01/02/2018
 Budget: €777,930

 Funding

Union europeenne

Capacity building of the Federation for the Care of the Aged (KFCA) in order to improve care for the elderly in DPRK.

Since 2004, TGH has been working in partnership with KFCA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North Korea. This new programme aims at strengthening the partner's skills;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country's retirement homes; setting up multi-service reception centres for the elderly.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Psycho-Social

 Key figures

 Beneficiaries: 3 301 508 people
 Duration: 24 months 04/2017 - 03/2019
 Budget: €533,330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Logo MAE

Improving diet diversity by increasing vegetables production

The project aims at contributing to a sustainable increase of the vegetable production for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s of Sohung in order to durably improve diet diversity for the inhabitants of Sohung.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42,578 people
 Duration: 36 months 09/2016 - 08/2019
 Budget: €1.200,000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Improving children's diet by enhancing animal protein intake

As a whole, the project aims to contribute to a sustainable improvement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dependent on social institution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235,000 people
 Duration: 48 months 01/01/2015 - 01/2019
 Budget: €1.338.348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Direction du développement et de la coopération de la Confédération suisse (DDC) Action-Humanitaire-France-CIAA-MAEDI-CDCS


Completed Programmes

Strengthening Civil Society for Improved Old Age Care in North Korea

This programme’s objective is to enable the Korean Federation for the Care of the Aged (KFCA) to strengthen its capacity as a ‘non-state’ actor to improve assistance to the aged, by developing its members skills as well as supporting its fundraising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campaign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Agro-Secu-Alimentaire Psycho-Social

 Key figures

 Beneficiaries:3,162,298 people
 Duration: 27 months 01/2014 - 03/2016
 Budget: €666,000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Logo MAE Confédération Suisse

Rehabilitation of the Paekhak Dong kindergarten following the floods in Rason City

TGH supports the rehabilitation of a kindergarten, following torrential rains that affected and caused extensive damage in the north of the country between 22 and 25 August 2015.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Wash Psycho-Social Génie-Civil

 Key figures

 Beneficiaries: Around 120 children
 Duration: 1 month 12/2015
 Budget: €13 000

 Funding

Embassy of UK in DPRK

Improving sustainable access to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facilities for the inhabitants of the city of Sohung Phase 2, North Hwanghae Province, DPRK

The project strives to improve sustainable access to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facilities for Sohung inhabitants in order to contribute to morbidity and mortality reduction amongst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s of the DPRK.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Beneficiaries: 235,000 people
 Duration: 10 months 03/2015 - 12/2015
 Budget: €225,201

 Funding

Logo OXFAM_HongKong

Improving access to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facilities for the inhabitants of the city of Sohung

Sohung,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North Hwanghae Province, has an outdated water network and insufficient sanitation infrastructure to provide adequate access to drinking water for the population of some areas of the city, especially in school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Duration: 24 months 11/2012 - 11/2014
                   9 months 04/2014 - 12/2014
 Budget: K€448 SIDA
                K€153 OXFAM HK

 Funding

Logo SIDA Logo OXFAM_HongKong

Improving the system of geriatric care for the elderly in the DPRK

- Purchase and delivery of medical equipment for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Gerontology
- Organizing of training sessions in gerontology for health workers and medical students
- Awareness-raising on care of the aged through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brochure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Psycho-Social

 Key figures

 Beneficiaries:3,587,833 people
 Duration: 6 months 06/2014 - 12/2014
 Budget: €12,100

 Funding

 Ambassade de Pologne – Polish Aid

Improving food security of elderly people in retirement homes

The objective of this programme is to fight against malnutrition among the elderly, firs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food products in 24 retirement homes in the country.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7,280 people
 Duration: 18 months 03/2014 - 08/2015
 Budget: €385,000

 Funding:

Logo MAE

Rehabilitation of the drinking waterworks damaged by typhoons in Kangwon Provinc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July 19 and 29, 2012, a series of typhoons hit the country, causing torrential and destructive rains and floods. The Provinces of Pyongyang (north and south) and Kangwon were the hardest hit.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Beneficiaries: 51 000 people
 Duration: 16 months 09/2012 - 12/2013
 Budget: €75,200

 Funding

Logo MAE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 production in the farm of Juk San

Kangwon Province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in DPRK. Supporting vegetable production in the co-op farm of Juk San ensures food diversification in the institutions relying on the popular distribution system.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19 442 people
 Duration:8 months 04/2013 - 12/2013
 Budget: €200 000

 Funding

Logo MAE

Improve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meals served to children in social institutions in Daeane and Sariwon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had to face many obstacles, being both subject to many natural disasters an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economic situation. The country experienced chronic food insecurity, especially due to the limited amount of protein and fat intake.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16 385 people
 Duration:14 months 08/2012 - 10/2013
 Budget: €140 000

 Funding

Logo MAE

Improvement and diversification of meals served to children in social institutions

One of the elements of the food crisis presently strik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is the lack of proteins in the food. This nutritional deficiency particularly affects young children between 0 and 6 years old (11% of the population) whose specific nutritional needs can't be covered.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46 months 01/2010 - 10/2013
 Budget: K€1,026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On July 22, 2010,

Torrential rains* flooded the dikes along Songchon river and inflicted major damage, especially in the areas of Yonggwang and Sinhung where TGH has been operating since 2010.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Génie-Civil

 Key figures


 Budget: €100 000 & €175 000

 Funding

Logo MAE

Supporting food security in children institutions relying on milk and fish farm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r several years now, TGH has been supporting fish farms supplying children institution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0 months 04/2012 – 02/2013
 Budget: €200 000

 Funding

Logo MAE

Supporting food security in children institutions depending on Sariwon and Deaene farm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is program completes the previous. It intends to improve milk production in the farms supplying children institutions, the aim being in fine to increase the children's daily nutritional intake.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7 months 08/2011 - 02/2012
 Budget: €100,000

 Funding

Logo MAE

Improving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e inside Institutions for Children

Specific objective: Improve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inside institutions for children attached to Sariwon and Daeane farm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36 months 11/2010 - 11/2013)
 Budget: K€1,390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Participation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protection infrastructures of the aquaculture farms of Sinhung and Yonggwang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interventions were normal until the month of July 2010, when heavy rains affected the production and damaged some installations in the two fish farm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Beneficiaries: 10 311 people
 Duration: 12 months 06/2010 - 05/2011
 Budget: €99,075

 Funding

Logo MAE

Sustainabl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environment in Munchon

The city of Munchon is located on the East coas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nd counts 42 500 inhabitants. In the 60's, a water network had been achieved by the government, but, because of a lack of maintenance and means, the network has become totally obsolete and presents numerous dysfunction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Duration: 24 months 01/2010 - 10/2011
 Budget: K€417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Logo SIDA

Improve Access to Better Quality Water for the Population of Munchon

Background and relevance of project: Munchon city, with a population of 42,500, is located on the coast of North Korea. In the sixties, the government built a water network, however, owing to lack of maintenance and means, the network has become obsolete and inoperative.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Beneficiaries: 9 200 people
 Duration: 22 months 07/2009 - 04/2011
 Budget: K€399

 Funding

Logo SIDA

Improvement of the potable water network in Munchon

As part of the water and sanit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TGH in this city of 50,000 inhabitants, we performed a new assessment in October 2008. Our aim was to complete the technical documentation about improving and extending the water network; indeed, several areas of Munchun are still not connected.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Duration: 15 months 10/2008 - 12/2009
 Budget: K€8

 Funding

 German embassy in North Korea

Food aid in the framework of the Polder rehabilitation scheme

In terms of Triangle's technical and equipment help, the works stage (rehabilitation of outer dike, construction of inner dikes) is almost over.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Génie-Civil

 Key figures

 Duration: 7 months 12/2008 - 06/2009
 Budget: K€300

 Funding

Logo MAE

Increase of the food production potential in South Pyongan province. Rehabilitation of Kumsong polder and reinforcement of the Polders Firm's* capabilities.

This programme aims to develop the potential of food production in South Pyongan province by rehabilitating the Kumsong polder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Polders Company.
*National firm in charge of rehabilitating and maintaining the polder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Génie-Civil

 Key figures

 Beneficiaries: 5 320 people
 Duration: 31 months 12/2006 - 08/2009
 Budget: K€2,111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Logo SIDA

Support to the federation for protection of elderly people

This project extends a programme launched in 2004 that rehabilitated six retirement homes in the various provinces of North Korea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people in the home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Duration: 24 months 01/2007 - 03/2009
 Budget: K€130

 Funding

Logo SIDA

Additional Rehabilitation of the Waterworks System in Munchon Town (42,000 inhabitants).

After two projects dedicated to the rehabilitation of pumping and backflow systems and the increase of the water storage area (the new reservoir of 1000 cubic metres multiplied the original storage capacity by two), we are now working on rehabilitation of the waterworks in Munchon.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Beneficiaries: 42 000 people
 Duration: 7 months 12/2006 - 06/2007
 Budget: K€311

 Funding

Logo ECHO

Support to Elderly People with No Families - Phase II

In the first phase of this project we rehabilitated three "old people's homes". During phase two, Triangle modernised three other homes and continued assisting "Help Age DPRK". This North Korean agency dedicated to helping elderly people recently became a federation named KFCA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8 months 07/2005 - 12/2006
 Budget: K€520 + K€70

 Funding

Logo ECHO Logo SIDA

Rehabilitation of the Drinking Waterworks System in Munchon and its Surroundings

Our aim wa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rinking water in the town of Munchon (42,000 inhabitant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Beneficiaries: 42,000 people
 Duration: 20 months 11/2004 - 06/2006
 Budget: K€500

 Funding

Logo ECHO

Support to Elderly People with No Families - Phase I

In North Korea, there are 24 homes specialising in care for elderly people who do not have any family support.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2 months 07/2004 - 06/2005
 Budget: K€359

 Funding

Logo ECHO DDCOCHA

Reforestation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South Pyongyang and South Hwangae Province (Phase II)

This second phase of the project worked on three new nurseries while developing skills and techniques in the first three tree nurseries designed by Triangle in 2003.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2 months (January to December 2005)
 Budget: 218 K€

 Funding

Logo SIDA

Rehabilitation of Polders in South Pyongyang Province

In the 70s, aiming to increase farmable areas, the Korean authorities developed the west coast's large river deltas in Polder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Génie-Civil

 Key figures

 Duration: 24 months + 12 months 06/2002 - 06/2005
 Budget: K€2,760

 Funding

Logo EuropeAid-commission-europeenne

Réhabilitation de pépinières et formation du personnel, reforestation et protection de l'environnement (phase I)

This is project was the third of its type to be organised by Triangle in North Korea.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2 months (January to December 2004)
 Budget: K€227

 Funding

Logo SIDA

Rehabilitation of the Drinking Waterworks and Sanitation Systems in South Pyongyang Province

Main aims: Increa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rinking water in rural areas by rehabilitating current installations. Reduce sanitary and hygiene-related risks through hygiene-awareness campaigns.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Wash

 Key figures

 Duration: 12 months 11/2003 - 10/2004
 Budget: 492 K€

 Funding

Logo ECHO

Logistics Support on the Site of the Ryongchon Rail Catastrophe

In the aftermath of the rail catastrophe that took place on April 22 2004 in Ryongchon, Triangle supplied over 10 tons of soap and 4 tons of soybean oil. This aid was given in priority to homeless victims and the inhabitants of Ryongchon.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Wash

 Key figures

 Duration: 2 months (May to June 2004)
 Budget: K€10

 Funding

Logo MAE

Reforestation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South Pyongyang and South Hwangae Provinces (Phase I)

This project prolonged Triangle's programme in support of the reforestation centre of South Pyongyang province. It involved rehabilitation of three tree nurseries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Agro-Secu-Alimentaire

 Key figures

 Duration: 12 months (January to December 2003)
 Budget: K€218

 Funding

Logo SIDA

Insulation Works in Schools and Dispensaries in 8 Coop Farms

This project extended our action in the cooperative farms where Triangle had begun working in 2001.
view detail

 Area of expertise

Génie-Civil

 Key figures

 Duration: 10 months 09/2002 - 08/2003
 Budget: K€300

 Funding

Logo ECHO
Last updated April 06, 2017

Can aid workers in North Korea help improve local human rights? | NK News - North Korea News

Can aid workers in North Korea help improve local human rights? | NK News - North Korea News



Can aid workers in North Korea help improve local human rights?
Can aid workers in North Korea help improve local human rights?
The complex demands of humanitarian protection are even more complex when in the DPRK
July 13th, 2017

The most common examples of humanitarian aid include deliveries of food aid, relief supplies, nutritional supplements, and medicines, as well as the dispatching of healthcare workers, disaster risk reduction experts, and others with knowledge that can help communities heal while building capacity.
But less tangible facets of humanitarian aid exist as well, and humanitarian protection is an example of this. Referred to sometimes simply as “protection”, it involves actions that aim to ensure that a population’s human rights are respected.
For example, let’s say a government has chosen to house individuals from a community displaced by flooding in a state-run shelter until they can safely return to their homes, and may decide to give priority to community members from the majority ethnic group, excluding minorities and forcing them to find alternative housing options.
Protection activities could include lobbying the government to adhere to its human rights commitments, supporting legislation that codifies government responsibilities, educating communities on their rights and options if those rights are violated, and sponsoring peace-building activities aimed at reducing the risk of violence. 
This is not an exhaustive list of protection activities, and humanitarians may incorporate protection into other areas of their work in an attempt to build resilience and capacity.
PROTECTING NORTH KOREANS?
Humanitarians working in North Korea are not able to denounce human rights abuses at the hands of the government without jeopardizing their access to the country. Unlike in other contexts, humanitarians do not work with local civil society counterparts, as there is no grassroots, organized civil society in the DPRK to speak of – such groups would detract from the regime’s ability to maintain control.
A long-standing debate among DPRK watchers, experts, activists, and aid workers considers which is more effective: remaining silent and delivering aid, or denounc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ursuing other activities such as smuggling information into the DPRK, raising awareness in other countries, or providing support to defectors.
Additional systemic barriers to protection include government resistance to outside groups influencing policy and a lack of enforcement of existing laws. The North Korean regime does not welcome outside criticism or suggestions on how to run their country, and certainly not from humanitarian agencies or in the realm of human rights.
The regime does se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even has some human rights laws codified in its constitution. These include freedom of speech, of the press, of assembly, of religious beliefs, and of movement.
In practice, none of these freedoms are respected.
Humanitarians working in North Korea are not able to denounce human rights abuses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in the DPRK would appear to suggest that humanitarian protection activities would be nonexistent in North Korea. However, a small number of agencies have found space to engage in protection activities alongside the DPRK government.
north korea disabled photo
What is more productive: delivering aid on the ground, or working to change the country from the outside? | Photo by Roman Harak 
LAYING THE GROUNDWORK
Handicap International, an NGO with full-time resident international staff in the DPRK since 2001, works to support the Korean Feder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Disabled (KFPD). The KFPD was founded in 1998, and is connected to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It is one of a number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DPRK – given this moniker by the government, the groups are still effectively state bodies.
The DPRK’s use of ‘civil society’ and even ‘NGO’ to describe these bodies demonstrates that the authorities perceive these terms to be positive for the image of the groups. A major achievement for Handicap International’s partnership with the KFPD came in 2003, when Handicap International supported the adoption of the Law on Protection of Disabled People.
The passing of this law should not be overstated or misunderstood – North Koreans with disabilities continue to face adverse conditions, and reports on mistrea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ange from claims that they cannot live in Pyongyang to allegations of the government forcibly mo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camps. However, the government’s decision to allow an international NGO to have be involved in the passing of a domestic law is notable.
Handicap International works to support KFPD and build KFPD’s capacity. According to the Handicap International website, Handicap International and the KFPD have projects aiming to boost provincial capabilities as well as train and build KFPD project management capacities. In this case, the DPRK is not only accepting NGO assistance, but permitting a foreign group to help shape a domestic body.
The provincial level involvement demonstrates that both parties see the benefit of equipping lower levels of government with tools to better assist North Koreans with disabilities. The KFPD maintains relationships with other NGOs as well, such as the World Federation of the Deaf. The Federation signed an agreement in 2011 with the KFPD,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creation of a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deaf in the DPRK, as well as focusing on improving living conditions for deaf people.
This is notable not because it is widespread, but because it allows some insight into the priorities of the authorities
Triangle Generation Humanitaire (TGH) is another residential NGO that has had an office in the DPRK since 2000. Like Handicap International, TGH partners with a North Korean ‘NGO’ – the Korean Federation for Care of the Aged (KFCA). TGH supports KFCA to increase KFCA’s ability to provide for the elderly in homes and through service centers. Activities have included bringing KFCA staff members to visit a similar organization in Beijing, participating in conferences in Indian and Thailand, and building project management skills.
These cases are not indicative of a larger trend of NGOs being involved in protection activities. They are, however, notable examples of what kind of work is possible in the DPRK. Such projects show the growth of depth and opportunity for humanitarian engagement since projects first began in 1995.
Critics may point out that simply working with an organization that purports to help a vulnerable population is not, in fact, a guarantee that the population will benefit. This is a valid argument. But the DPRK’s willingness to allow these liaisons to happen at all is worth reflecting upon. Why would the DPRK allow even minor protection activities unless the authorities believed there was a benefit?
north korea disabled photo
Some international NGOs are working with local partners | Photo by Feed My Starving Children (FMSC) 
ROOM FOR GROWTH?
The NGOs mentioned above have found space, however small, to work on advancing human rights and improving life for vulnerable populations. This is notable not because it is widespread, but because it allows some insight into the priorities of the authorities.
The North Korean ‘NGOs’ are clearly viewed as important enough to warrant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NGOs. Both the KFPD and the KFCA work with specific segments of the popula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are often considered vulnerable populations in other contexts, which may have influenced the DPRK’s decision to allow protection activities in those areas.
The DPRK’s willingness to allow these liaisons to happen at all is worth reflecting upon
Human rights activists may regard engaging in humanitarian protection as simply another way of supporting the regime. Such critics would likely point out that the North Korean ‘NGOs’ are still governmental in nature, and that knowledge transfer and passage of laws may not have an effect on normal people’s lives.
Humanitarians that strongly believe in delivering aid to the North Korean people may also be wary of attempting to begin protection projects, for fear of jeopardizing their access. So while it is unlikely that humanitarian protection will become a popular area of engagement, it is worth watching how existing partnerships evolve.
Edited by Oliver Hotham
Featured Image: North Korea - Children searching for food by Roman Harak on 2011-09-09 09:39:51

North Korea aid agencies 'hit by US sanctions' - BBC News



North Korea aid agencies 'hit by US sanctions' - BBC News



North Korea aid agencies 'hit by US sanctions'

23 May 2013

Image captionAid agencies say their operations are crucial for North Koreans suffering persistent food shortages

Korea crisis
What is known about N Korea's purge?
North Korea's way with extreme insults
Image gallery In pictures: Purge of Chang Song-thaek
What does purge say about North Korea's stability?

Foreign aid agencies in North Korea say US financial sanctions are severely restricting their operations there.

Six European agencies say foreign banks are no longer transferring money to North Korea's Foreign Trade Bank, which is being targeted by the US Treasury.

The agencies say their projects to support nutrition and agriculture in the country will be affected.

A North Korean envoy has told Chinese officials that his country is ready for dialogue following months of tension.

"North Korea lauds China's enormous efforts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willing to accept China's suggestion to have talks with all parties," envoy Choe Ryong-hae was quoted as saying by Chinese state broadcaster CCTV.


But there is no indication when or where talks - which have been in stalemate since 2009 - could take place.
'Cascade effect'

The aid agencies - Save the Children, Concern Worldwide, Handicap International, Welthungerhilfe, PMU-AMI and Triangle Generation Humanitaire - run a range of aid projects in North Korea, supporting nutrition for children and agriculture in a country that suffers from persistent food shortages.

They say their work is being hit hard by a US financial squeeze that was imposed in addition to the more specific sanctions adopt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The agencies have been funding their operations through the Korean Trade Bank, North Korea's main conduit for foreign exchange.

That bank is now being targeted by the US Treasury, which says it supports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mes.

The move has had a cascade effect, says the BBC's Asia Pacific editor Charles Scanlon, with international banks including the Bank of China shunning North Korea for fear of running foul of the US financial system.

The European Union has angered Washington by resisting formal sanctions, citing concern about the aid agencies.

But that has made little difference to the flow of funds, and some of the agencies are now resorting to carrying in cash from China.

But representatives warn they will not be able to sustain their operations for long that way.

15 세계 추이에 역행하는 북한 간척지 개발



세계 추이에 역행하는 북한 간척지 개발





홈페이지 | 주간프로 | 주성하의 서울살이
세계 추이에 역행하는 북한 간척지 개발
주성하-탈북자, 동아일보 기자
2015-04-03

사진은 북한이 용매도 간석지라고 소개한 현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제공
K040315CO-SH.mp3





00:00/00:00


사랑하는 북녘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가 북에서 배울 때 북한의 면적은 12만 몇 천㎢, 남한의 면적은 9만 몇 천㎢로 배웠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게 사실이 아닙니다. 한국의 면적은 이미 10만㎢가 넘었습니다. 땅이 저절로 커질 리는 만무하겠죠. 이렇게 늘어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서해안에 간석지를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흔히 간석지와 간척지란 말을 헛갈리기 쉬운데 간석지는 개발 이전의 갯벌을 뜻하는 말이고, 간척지는 개발이 된 갯벌이란 뜻입니다.

지금 한국의 간척지 총 면적은 13만 정보 정도 된다고 합니다. 북에서 1981년에 김일성이 4대 자연개조사업을 제시하면서 30만 정보 간석지 개간을 목표로 했는데, 발전된 한국이 13만 정보 정도 개간한 것을 보면 30만 정보는 정말 황당한 목표 같습니다. 과거 못살던 시절엔 남이나 북이나 간석지 개발에 엄청 신경을 썼습니다. 먹을 게 없으니 곡식을 심어먹는 땅이 최고였던 것입니다. 한국도 1970년대에 간척농지를 40만 정보 개발할 것을 국가 주요 목표로 정했습니다.

그냥 쓸모없는 갯벌을 개간해 벼를 심을 수 있는 논으로 만든다니 참 좋은 구상이 아니겠습니까. 한국의 간척지 중에서 제일 규모가 큰 것이 전라북도 군산에 있는 새만금 간척지인데 면적이 4만 정보 정도 됩니다. 이 간척지를 개발하기 위해 만든 방조제의 길이는 무려 33.9㎞인데, 세계에서 제일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도 올랐다고 합니다. 바다를 막은 85리나 되는 긴 제방을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남포갑문 건설이 저리가라 할 정도로 대공사였죠. 마지막 가뭄막이 공사 때 아무리 집채 같은 바위를 넣어도 계속 물살에 밀려 나갔습니다. 그래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폐기해야 할 길이 300미터가 넘는 20만 톤급 유조선 한 척을 몰고 와 통째로 가라앉혀 물길을 막은, 지금까지도 화제가 되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렇게 남쪽도 열심히 간척지를 만들었는데, 불과 20년 만에 상황이 완전히 반전됐습니다. 이제는 개간했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돌리기 위해 그렇게 어렵게 만든 방파제를 다시 허물자는 목소리가 압도적 다수입니다. 여론 조사를 했더니 간척지를 갯벌로 복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무려 92.4%나 됐습니다. 그래서 방파제를 실제로 허물기 시작한 곳도 있고요. 한때 갯벌을 메워 좁은 국토를 조금이라도 늘이기 위한 국토 대개조이자 인간 승리의 사례로까지 홍보됐던 간척 사업에 왜 이런 급작스러운 여론 변화가 일어났을까요.

그 해답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쌀값에 있습니다. 이제는 간척지를 만들어 쌀을 생산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 국내 쌀 소비량은 점점 줄어들어 벼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돈을 못 번다고 아우성입니다. 있는 논밭도 농사로는 수지가 맞지 않다고 놀리는데, 간척지에 굳이 벼농사를 지을 이유가 사라진 것입니다. 20년 전에는 논 100정보에 쌀농사를 지으면 46억 원 즉 400만 달러 정도의 수입을 올릴 수 있었는데, 지금은 200만 달러 정도밖에 못 법니다. 모든 것이 다 값이 비싸졌는데 쌀값은 오히려 반으로 떨어진 것입니다.

반면 갯벌의 가치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데 갯벌 100정보는 500만 달러가 넘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갯벌에선 낙지, 바지락, 굴과 같은 해산물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또 제방으로 막으면 안에서 물이 썩어서 오염돼 철새 도래지가 사라집니다. 이런 환경적 문제도 심각합니다. 지금까지 간척지 사업으로 국내 갯벌 면적은 20%나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이제야 남쪽은 알게 된 것입니다. 쌀이 문제가 아니라 자연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쌀이 모자라면 중국에서 사올 수도 있고, 미국에서 사올 수도 있습니다. 논은 세계 다른 나라에도 많지만, 우리의 갯벌은 어디서 사올 수도 없습니다. 지금 남북한의 간석지와 이와 붙은 중국 동부 연안의 간석지는 세계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간석지 지역입니다. 북한의 간석지 면적은 한국보다 더 많습니다.

제가 한국의 간척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남쪽에서 실패를 깨닫고 다시 되돌리려는 간석지 개간이 북한에선 여전히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대계도 간석지, 용매도 간석지, 홍건도 간석지 등에서 여전히 방조제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건 분명 잘못된 일입니다. 머잖아 한국처럼 북한도 후회하게 될 것입니다. 더구나 북한은 돈도 없지 않습니까. 굳이 막대한 자원과 인력, 자금을 투자해 간척지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그럴 인력이면 도로나 철도를 건설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갯벌 복원은 한국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은 오히려 늦었습니다. 전 국토의 95%가 간척지인 네덜란드는 1980년대 초반부터 해마다 수천 만 달러를 투자해 제방을 허물고 갯벌을 복원하고 있고, 이웃 일본도 갯벌 유지가 우선입니다. 한국이나 해외에서 잘못된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간석지를 계속 개간하고 있다는 것은 북한 지도자들이 멀리 내다보는 혜안도 없고, 남의 교훈을 받아들일 줄도 모른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지금 북한에 식량이 부족한 것은 간척지 개발이 안돼서가 아닙니다. 있는 논밭도 비료가 없고 농기계가 없어 소출이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그런 문제를 체제 개혁과 개방으로 해결해야지 간척지나 늘이면 뭘 합니까. 그 간척지에서 소금기를 빼내고 벼를 심을 때쯤이면 아마 북한은 더 이상 배고픈 나라가 아닐 수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지금이라도 간척지 개간을 중단하길 바랍니다. 차라리 그 갯벌을 활용해 해산물을 생산해 외국에 팔아야 합니다
. 그게 얼마나 후대들에게 소중한 자연인지 제발 세상 어떻게 돌아가는지 좀 보고 정치를 하라고 김정은과 북한 간부들에게 다시 한번 진심어린 충고를 해봅니다. 지금까지 서울에서 주성하였습니다.

첨단 한반도: 한반도 간척사업



첨단 한반도: 한반도 간척사업



첨단 한반도: 한반도 간척사업

2007-03-20






인쇄
공유
댓글
이메일

k032007fe-kl.mp3





00:00/00:00



한반도는 국토면적의 3분의 2가 산악으로 이뤄져서 농경지 등 경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토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한반도 서해안은 간만의 차이가 커서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고 또 해안선의 굴곡이 심해 간척사업을 통해 귀중한 토지를 적은 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여건을 가추고 있습니다.
방송듣기
Download story audio

남한 한국농촌공사의 박종찬 대단위설계팀장은 특히 북한에서는 부족한 농경지를 이러한 간척사업을 통해 확보할 수 있으며, 북한에서 확산되고 있는 다락밭 보다는 더 큰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박종찬 팀장의 얘기를 들어봅니다.

일반적으로 간척사업은 바다를 육지로 만드는 사업으로 알고 있는데 간척사업이 어떤 것인지 설명해 달라.

간척사업은 바다에 조석의 영향으로 노출되는 갯벌을 토지 이용목적으로 방조제를 축조해서 갯벌을 용도에 맞게 이용하는 것을 간척사업이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간척사업을 통해 토지를 확보하는 나라들이 많이 있나?

간척사업을 벌이는 지역은 지형적인 요건 때문에 그리 많지 않다. 아시아 지역에 많이 있고, 유럽에는 네덜란드 정도이다.

한반도에서도 간척사업이 많이 벌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한반도는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간척사업을 벌이기에는 최적지이다. 조석의 간만이 크고 수심이 얕다. 또 섬들이 많아서 공사비를 적게 드리고 많을 땅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토지가 귀하다 하더라도 바다를 흙으로 메 꿔서 하는 이런 대대적인 공사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나?

일반적으로 공사비용이 많이 든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육지에 공장을 짓는다고 할 때 그 평당 단가가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척사업을 통해 이를 토지로 사용할 경우 상당히 싼 가격에 넓을 땅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북한에서도 간척사업이 많이 이뤄지고 있나?

그렇다 지금 현재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과거 자료를 보면 북한도 간만의 차이가 크고 간조 때 드러나는 갯벌이 많기 때문에 간척사업을 많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

북한에서 간척사업을 통해 확보된 토지는 지금까지 어느 정도 되나?

확실한 정보는 아니지만 94년 말 북한의 간척사업 업적을 보면 약6만4천 헥타를 간척한 것으로 나타나있다.

간척사업을 통해 확보된 토지는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나?

남한의 경우 과거 농경지 목적으로 간척사업을 많이 했다. 그 이유는 60년대 초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80년, 90년 이후로는 산업의 발달로 도시에 있던 농경지가 모두 잠식됐다. 그래서 농경지가 상당히 부족했다. 90년대까지는 농경지 목적으로 간척사업을 벌여왔다.

최근에도 간척사업을 통해 이뤄놓은 땅을 농경지로 사용하는가?

현재 대규모 간척사업의 경우 농경지 목적은 아니고 해안가 산업단지 조성이나 공장 확장 등 산업용지로 간척사업을 벌이고 있다.

아무래도 바다를 메워서 만든 땅이라서 염분이 많을 텐데 농사가 가능한가?

그렇다. 갯벌에 막 바로 농사를 짓지 못한다. 염분이 많기 때문에 무나 배추 등의 작물들은 맞지가 않는다. 그러나 쌀과 같은 농작물들은 염분피해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간척 후 2-3년 정도는 벼가 잘 자랄 수 있다. 그러나 밭작물의 경우는 시간이 좀 지나야 한다.

북한에서는 농경지가 부족해서 산으로 올라가 다락밭을 만드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경제성을 볼 때 간척지에 농사를 짓는 것과 다락밭을 조성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가?

다락 논은 농업을 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맞지 않고 간척사업 지구가 있다면 그곳에 대규모 농지를 조성해 영농 기구를 사용한다면 타산이 맞을 것이라고 본다.

워싱턴-이규상
© 2007 Radio Free Asia

간척 - 나무위키



간척 - 나무위키



간척

최근 수정 시각: 2018-10-10 15:37:28


분류
자연지리



자연지리 관련 정보


1. 개요2. 방법3. 비판4. 역간척5. 한국의 간척
5.1. 주요 간척지5.2. 북한의 간척6. 세계의 간척
6.1. 네덜란드6.2. 일본6.3. 홍콩6.4. 싱가포르6.5. 마카오6.6. 아랍에미리트
干拓 / reclamation


1. 개요[편집]


호수나 바닷가에 제방을 만들어 그 안에 있는 물을 빼내거나 매립하여 육지로 만드는 일을 말한다. 보통 바다를 매립하는 경우를 가리키지만 호수를 간척하는 것도 포괄한다. 간척을 할 때 방조제를 쌓고 그 안쪽을 분할하여 담수호로 만드는 경우도 있기에 땅을 메워 올리는 매립은 간척의 한 부분에 해당한다.

2. 방법[편집]


간척지를 만들기에 유리한 곳은 넓은 갯벌이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방조제 앞쪽에 사주나 섬이 많은 곳이 좋다. 필요에 따라 간사이 국제공항처럼 바다를 간척 할 수도 있으나 수심이 깊을 수록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부등침하 같은 문제의 발생이 증가한다. 현대적인 항만시설은 대부분 소규모라도 간척 및 매립을 통해 건설되었으며 과거 농지를 얻기 위해 간척을 했으나 현대는 공업부지나 주택, 공항시설등을 목적으로도 건설한다.

간척지에 제방을 만들어 바닷물을 막고, 담수호를 만들고 물을 빼면서 토지를 만들어 나간다. 배수 시설을 통해 드러난 저지대를 염류 농도를 낮추고 침수 피해 방지등을 위해 매립과 복토를 통해 터돋움을 한다. 한국의 경우 주변 산을 토취장으로 만들어 거기서 나온 흙들을 매립토로 활용하기도 한다. 환경파괴를 미뤄 놓고 보면 산지를 깎아 평지로 활용 할 수 있어 얻을 수 있는 부지가 늘어 난다. 경우에 따라 항로나 항만을 준설한 준설토를 이용하여 간척하기도 한다. 네덜란드의 경우 국토 전체가 저지대로 매립토가 부족하기 때문에 배수 시설을 갖추어 해수면 이하의 간척지로 활용한다. 때문에 침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시설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 간다.

바다의 간척지는 토양에 소금기를 포함하고 있어 농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씻어내야 한다. 간척지는 저지대이기 때문에 소금기가 비를 통해 자연적으로 씻겨 내려가기 위해서는 수십년이상 걸린다. 배수시설을 통해 물빠짐을 좋게 만들고 육지의 흙을 복토, 매립해서 농경지로 사용가능한 시기를 앞당긴다.

간척사업이 이루어지면 '간척촌'이 나타나게 된다. 간척촌은 농업, 염전, 양식, 양어장 등의 사업을 하게 되는데, 전형적인 형태는 간척지를 농경지로 활용하는 농촌이다. 간척촌은 대개 계획적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가옥의 배열이 규칙적이고 바둑판 모양이다.
3. 비판[편집]


갯벌을 잠식하여 환경 파괴를 일으킨다고 비난받는다. 과거 갯벌을 쓸모없는 땅이나 유휴지로 생각했으나 생태학적으로 높은 생물다양성을 가지며 생물 생산성이 가장 높은 생태계 중의 하나이다. 또한 자정능력도 뛰어나서 바다의 콩팥으로 불리기도한다.

농경지의 중요성이 감소한 현대에는 경제적으로도 따져도 간척 후 농업 수익보다 갯벌에서의 지역 어민 소득이 더 낫다는 지적도 있다. 일례로 새만금 간척사업 비용은 1998년 당시 2조 500억원 규모로 추산했지만, 이미 이 때부터 농경지 개발로는 투자이익을 환수하기 어렵다는 판정을 받고 산업단지 개발로 선회해야 했다.

환경 파괴라는 측면에서 또 다른 문제점은 조수 흐름의 방해다. 현재도 목포, 군산과 같이 간척으로 이루어진 도시들은 상습적인 홍수피해에 시달리고 있는데, 조류가 흘러나가야 할 길목을 간척으로 틀어막고 있으니 물이 넘칠수밖에 없는 것이다.[1] 때문에 새만금 신항만은 조수흐름을 고려해 인공섬 형태로 건설한다고는 하지만 워낙 넓은 면적을 방조제로 막아버렸으니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예측하기 힘든 상태다. 안그래도 세계적으로 조수간만차가 크기로 유명한 서해에서 이러한 점은 큰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4. 역간척[편집]


간척의 반대로, 기존의 육지를 갯벌과 같은 해안 습지로 되돌리는거나 원래 육지였던 지역을 물로 만드는일을 말한다. 위의 비판에서 나오는 것처럼 환경 파괴와 경제성의 변화로 인해 오히려 갯벌의 가치가 더 커져서 이를 위해 갯벌로 복원하는 것. 충청남도에선 금강 하구 지역의 역간척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순천시에서도 순천만 지역의 간척지를 역간척하여 습지로 복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5. 한국의 간척[편집]



붉은 부분이 구 간척지, 파란 줄무늬가 당시 공사 중이던 간척지. 단, 붉은 부분은 자연적인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곳도 포함한다.



삼국시대 서기 300년경 전북 지역 해안선[2]과 현재 2015년의 해안선. 자연적인 퇴적 작용과 간척사업을 통해 호남평야가 만들어 졌다.


간척에 따른 강화도 해안선의 변화

한국은 서남해안이 리아스식 해안으로 갯벌이 넓게 발달하고 수심이 얕아 간척에 좋은 입지를 가졌다. 소규모 간척이 정확히 언제부터 시행했는지 불분명하나 고려 시대부터 간척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1235년 강화 영안제 축조를 시작으로 1246년 고려 서북면 병마절도사 김방경이 평안북도 정주군(현 정주시) 위도(葦島)에서 바닷가에 둑을 쌓고 개간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1256년 몽골 침입으로 고려 조정이 강화도에서 제방을 쌓아 둔전을 만든 고려사 권79의 기록이 보인다. 1356년 전라도 임피 연해지역에 제방을 쌓고 개간한 기록도 있다.

조선 시대에도 이러한 간척 사업이 이루어져서 1414년에는 경기도의 통진(通津)과 고양포(高陽浦)[3]에 방조제를 축조하였고, 세종 때에도 해안에 둑을 쌓아 농지를 만들었다. 조선시대 16~17세기 이후 인구 증가로 인한 인구압과 수리시설 및 축조 기술의 발달로 민간에 의한 간척 사업이 활발했고 치부 수단으로도 이용되었다. 해남, 진도 굴포, 노화도, 고금도등을 간척해서 치부한 해남 윤씨가문이 그 예이다. 이러한 간척지는 언답(堰畓), 언전(堰田)이란 명사로 언급되며 기록에서도 ~포(浦)로 불리던 곳이 ~평(坪)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일제시대에도 산미증식계획 등을 목적으로한 서남해안의 간척 사업이 이루어졌다. 현대의 토목 기술을 사용한 대규모 간척 사업은 광복 이후 이루어졌으며 농지 확보를 위한 간척 사업이 주를 이루었다가 이후 산업단지나 항만 건설을 위한 목적으로도 간척사업이 시행되었다. 2008년 기준 간척지 총 면적이 1,100 ㎢ 정도로 달하며 새만금송도국제도시 등 공사 중인 면적도 440㎢에 달한다. 2016년 기준으로는 1864㎢ 가 해방 이후 간척사업으로 새로 생긴 국토이다.[4] 80년대 어린이 학습만화에서는 미래 한반도 지도를 아예 직선 네 개로 된 사다리꼴(...)로 그려넣는 패기를 보이기도 했다. 통일 이후 기존 22만km2 에서 2배 확대한 44만km2. 이러면 되나?? [사진]

2000년대 들어 환경파괴와 경제성 문제로 많은 반대에 부딪혔으며 최대 간척 사업인 새만금 간척 사업이 많은 논란이 있었다.


1990년대 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수립 당시에는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을 대부분 매립하는 계획이 있었다. 새만금의 몇 배에 달하는 규모로 서해안 지방의 섬을 대부분 육지로 만들어버리는 무지막지한 계획이다. (그 돈 통일하는데 쓰면 생기는 우리땅이 얼마.) 그러나 이 계획은 새만금 간척 사업으로 논쟁을 겪은 뒤 환경파괴 문제와 비용 대비 경제 효과 문제로 사실상 폐기되었다.
5.1. 주요 간척지[편집]



경기도


화성호 - 원래 화성시 우정읍서신면 제부도 ~ 안산시 대부도를 연결해서, 화성의 화 옹진군[6]의 옹자를 붙여 화옹호를 만들계획이었으나, 화성시 우정읍에서 시작하여 화성시 궁평리까지만 간척하기로 하여, 이름도 화성호로 바뀌었다.


현대자동차남양연구소 - 현대차그룹이 구 화성군 남양면 장덕리(현 화성시 남양읍 장덕리)에 있는 공유수면을 사서, 바다를 메꾸고, 현대자동차 주행시험장을 지었다.


시화호[7] : 이후 담수호를 포기하고 해수 순환을 하는 조력발전소가 위치한다.


송산그린시티


시화멀티테크노밸리


배곧신도시


인천광역시


강화도: 군량미를 얻기 위하여 강화도 주변에 간척 사업이 이루어졌다. 간척 사업 결과 강화도의 면적은 몇배로 불어났고 인근의 다른 섬들과 통합되었다.


인천 도심 상당수 : 본래 19세기 말엽까지 바다와 갯벌인 곳이 많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도 : 인천국제공항 건설을 위해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갯벌을 매립했다.


송도국제도시 : 1990년대 최기선 前 인천시장이 송도 해상신도시를 만들기위해 매립 시작.


청라국제도시 : 1980년대 동아건설이 산업단지와 농지를 만들기 위해 매립하였다가 LH공사에 매각하여 개발함


충청남도


서산 간척지


전라북도


계화 간척지: 부안군에 위치.


새만금 간척사업 : 전라북도 군산시, 부안군 일대의 서해안을 간척하는 사업이다.


전라남도


광양제철


광양항


여수국가산업단지


보성군 득량만 간척지: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방조제가 완공되었다.


고흥군 간척지: 21세기 들어와 농업 용지 쓰임새로는 가장 넓다


부산광역시


남포동-이 때문에 1호선 남포역 공사 당시 바닷물이 들어오는 등 난공사를 펼쳤다고.


마린시티


용호만매립지


남천 삼익비치


명지오션시티


부산신항


부산항 북항 및 원도심 : 19세기 말엽에서 일제강점기에 간척.
5.2. 북한의 간척[편집]


북한 역시 해안선이 복잡한 서해를 중심으로 간척사업이 활발하다. 대표적인 사례로 1백리 제방을 둘러 만든 신도군이 있으며, 염주 다사도-철산 사이 대계도간척지에는 새만금방조제의 절반이 넘는 약 18km의 제방이 건설되어 있다. 평북 대계도간척지와 황남 룡매도간척지는 최근 김정은 정권에서 대표적인 치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대규모 간척사업이다.

북한은 1980년대부터 경제 침체와 식량수급의 불안정이 심화되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규모 간척사업에 매진했다. 1980년대 북한이 계획한 방조제의 길이는 1,072km, 간척지 면적은 30만 정보에 달한다고 한다.관련글 문제는 이렇게 엄청난 돈을 퍼부어 간척지를 건설하느니, 그 돈으로 비료를 사오고 협동농장을 개혁하는 쪽이 몇배는 낫다는 것이다(...)

간척지 염분 0.3% 이상이면 밭농사 실패해 - 한국농정신문



간척지 염분 0.3% 이상이면 밭농사 실패해 - 한국농정신문



간척지 염분 0.3% 이상이면 밭농사 실패해

김황수진 기자
승인 2011.07.04 13:19
---------------

‘논 소득기반 다양화 사업’ 둘러싼 각계각층의 목소리 (2)

간척지 염분 0.3% 이상이면 밭농사 실패해
제염, 배수시설 갖춘 뒤 해야

-이경보 과장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간척지농업과)
----------------------------
-간척농지의 특징은?
첫째 염이 높다. 바다, 갯벌을 막아 농지화한 거라서. 바닷물의 염분농도가 3%이다. 이게 간척농지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염분이 높게는 3%까지 나온다. 대부분 3% 이하지만. 간척농지 염분은 대체로 0.1~3%로 분포되는데 염이 높으면 작물재배가 불가능하다. 염을 제거해야 농사가 가능하다. 벼가 자랄 수 있는 염분 한계는 0.3%다.
둘째, 염분이 많으면 그 안에 모래, 점토, 비사가 분산되기 때문에 물이 잘 안빠져 배수가 불량해진다.
셋째, 간척지는 농업환경 조성이 안되있어서, 비옥도가 낮다. 비옥도가 낮으면 농사가 잘 안된다.

-간척농지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은?
제염이 되면 밭작물도 농사가 다 가능한데, 내염성이 어느정도 있어도 재배가 가능하다.
연구결과 맥류-청보리, 밀, 호밀, 트리필케일, 귀리 등의 경우 염분 0.2%에서 70%의 수량성(수확량)을 보였다. 염분 0.3%에서는 50%의 수량성을 보였다. 율무,조,수수,땅콩,옥수수도 0.2% 농도에서 70~80% 수량성 보인다.
염분이 0.4% 이상이 돼버리면 밭작물 재배는 불가능하다. 0.4~0.5% 상태에서 계속 환수(물 공급)를 해서 염도를 낮춰줘야 한다.

-간척농지에서 사료작물 재배시 문제점은?
간척지의 특성상 비가 안오고 가뭄이 되면 염이 밑에서 계속 올라온다. 표토에서 염이 축적되면 작물 생육이 불가능하다. 물을 대줘서 제염을 시켜줘야 한다.
안정적으로 재배를 하려면 염을 차단해주기 위한 시설을 해야 한다. 지하관개나 암거(땅을 깊게 팜)를 통해 물빠짐을 좋게 만들어야 한다. 나무톱밥을 집어넣는다던지… 그런데 이런 시설은 비용이 많이 들어서 쉽지 않다.
간척지의 최소 95% 이상은 논농사이다. 작년까지 논농사를 짓고, 올 해 밭농사를 하려면 바로는 실패한다.

-최근 정부 장려로 간척논에서 사료작물 재배로 전환한 농가들에 어려움이 많다.
그런 농가들을 방문하고 토양특성도 보고 하는데 대부분 제염, 배수기반 조성이 안돼있다. 고랑도 깊이 파줘야 하는데... 새만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간척지는 미사 함량이 모래 함량보다 많아서 물빠짐이 좋지 않다.
원래 간척지 농사는 벼 위주로 했었는데… 우리 과도 2008년 10월에 과가 생겼다. 아직 2년밖에 안됐다. 그동안 정책건의도 하고 영농활동자료도 만들어서 제공하고 있다. 농가들로부터 간척농지에서 사료작물 재배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문의가 많이 들어온다. 농민현장에 나가서 문제점을 발굴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하겠다.

-간척농지 전국에 얼마나 있나?
간척농지 규모는 전국 13만5천ha이다. 그 중 밭작물 규모가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다. 대부분, 거의 논농사라고 보면 된다. 밭작물 재배는 근래에 새롭게 하는 것이다.

자급률 높이기 위한 무리수… ‘전시행정’

-중앙대 윤석원 교수

-간척지 논을 밭으로 전환해 농사를 짓다가 피해를 봤다는 농민들이 있다.
작황이 좋지 않은 이유를 봐야 한다. 기후가 안좋아서인지…

-염해와 습해 때문이라고 농민들은 보고 있다.
간척지는 염해와 습해를 입는게 어찌 보면 당연하다. 아마 정부 입장에서는 옥수수나 밀 등 타작물들의 자급률이 낮으니 높여보자는 취지였을 것이다. 취지는 좋았는데 농지에 적절하고 농사에 적합한 건지 정교하게 따져서 권장해야 하는데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것 같다. 천재지변으로 인한 흉작이 아니라 염분과 물 때문이라면 이것은 목표를 채우기에 급급한 전시행정이다. 너무 서둘렀다. 급하게 보여주려 한 것이다.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무리하기 추진한 것이다.
농민들은 정부가 하라고 하면 하지 말아야 하는데…(웃음)

-간척논에 사료작물을 심는 정책은 쌀에 대한 감산정책이다, 이 정책에 대해 어떻게 봐야 하나.
옥수수나 대체곡물을 심어서 타작물 자급률을 높여야 하는 건 맞은데. 쌀이 많기 때문에, 쌀이 남으니까 거기다 이거(타작물) 심어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보다는 타작물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세워야 할 것.
쌀은 별개의 문제로 봐야 한다. 장기적으로 남쪽과 북쪽 모두를 고려해야 하고, 식량주권과 안보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쌀이 남는다지만 그렇게 많이 남는 것은 아니다. 쌀이 남으니까 줄여야 한다는 발상은 경계해야 한다.

사업자체 반대는 일러… 부작용 검토해야

-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실 양서란 보좌관

-논 소득기반 다양화 사업에 대해 들어봤나
작년에 쌀이 너무 많아서 문제가 되니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고안해낸 사업이다. 지난 해 8월 쌀산업 대책의 일환으로 나왔는데, 작년에는 신청자가 별로 없어서 지원을 높이고 작물을 다양화하는 등 조치를 취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당시에는 제도 자체에 대해서 농업계도 필요성을 인정했었다.

-간척지 논을 밭으로 전환해 농사를 짓다가 피해를 봤다는 농민들이 있다. 이에 대한 입장은
(간척지 피해사례의 경우) 예견된 인재였는지, 예측하지 못한 불상사였는지 봐야 하나… 정부와 농민 모두가 부작용을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본다. 문제가 발생했다면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논소득기반다양화사업 제도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시행해 나가면서, 시정해야 할 부분인지 제도 자체가 문제인지 판단해야 한다. 피해사례를 더 조사해보도록 하겠다.
농민들이 사업 신청을 할 당시에, 밭농사에 적합한 땅인지 등이 점검되어야 하는데 상세한 지도 없이 이루어졌다면 이 부분은 개선되야 한다.

그러나 간척지에서 밭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해서, 간척지만 신청대상에서 제외한다면 간척지 농민들 입장에서 ‘왜 우리만 안돼나’ 하고 생각할 수 있다.
작년에는 쌀이 너무 남아돌아 문제였고, 올해 기상 악재로 쌀 생산량이 대폭 줄었다. 농민도 정부도 그 때 그 때 반응하기보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밭작물 강요한 적 없어” 선택은 농민 몫 … 실패 정부 탓 아니다

- 농진청 식량축산과 정동완 담당자

-농진청에서 하는 대체작물 사업은 어떤 것이 있나?
금년에 논 벼 대체 팝콘옥수수 상품화 시범사업이 있다. 가급적 밭작물 사업은 논에서 하는 것으로, 논에서 밭작물 확대 재배를 유도하고 있는 추세이다. 내년에는 다양하게 논에 타작물 사업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예를들어 대규모 콩·옥수수단지 조성, 작부체계 시범사업 등이다. 예산은 단지당 2~3억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올 9~10월에 윤곽이 잡힐 것이다.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을 심었다가 실패한 농가들의 사례가 보여지고 있는데?
간척지의 경우 무작정 작목을 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시범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밀의 경우 간척지에서 적응하려면 5년~10년씩 걸린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무턱대고 작목 선정을 하는 것은 위험에 노출될수 있다. 시범적으로 해봐야 한다.

-그런데 정부가 간척지 농민들에게 정책적으로 권장한 것 아닌가?
권장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밭농사로 전환한 농가들에게 지원을 해준 것 뿐이다. 농가들이 간척지에 맞는 품목인가는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했어야 했다. 실증시범포를 운영해보고 리스크를 줄여가며 해야 한다.

-정부의 정책에 의해서 간척지에 밭작물을 심었는데 실패를 했다. 어떤 보상이나 대책이 필요한 것 아닌가?
정부가 농민에게 무한봉사를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보면 그렇겠지만 정부도 나름대로 교육을 많이 시행했다. 논에다가 타작물을 재배하는 기술 책자를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보급을 했고 도·시·군 대상으로 교육도 해왔다. 그러나 모든 농가들이 교육을 받았다고 보여지지 않는다. 금년에 39회에 걸쳐 2600명에게 교육이 진행됐다.
간척지에 대해 정밀하게 지도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농가의 책임도 있다. 내 땅이 이 작물이 적합한지 아닌지는 해당 농가가 가장 잘 알 것이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전화 한통화 하면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을 수 있었다. 아무리 자본주의라지만 300평당 돈 30만원 지원받겠다고 무턱대고 자기 땅에 맞지 않는 작물을 심어서야 되겠나. 정부가 거기까지 책임을 질 수는 없다.

-간척논을 밭농사로 전환하려는 농가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재배품목을 정하기에 앞서 간척지가 된지 몇년이 됐나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그리고 논 토양의 성분 분석과 염분 측정을 해야 한다. 지역별로 품목별 전문가의 자문을 구해서 해야 한다. 가장 첫째로, 적지를 선정해야 하고 두번째로 그 지역의 주산품목, 안정적인 작물을 선정해야 한다.
간척지 타작물 재배에 앞서, 할 수 있는 곳인지 기술 검증이 먼저 필요하다. 아무래도 (전환하는 것 보다는) 안정적으로 해오던 품목이 나을 듯 하다.

간척지 밭작물재배 연구 2년 채 안돼 “정책 시기상조다”

- 농진청 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이상복 담당자

-간척지에 사료작물을 심으면 어떤 문제가 있나?
먼제 제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염분이 0.3% 이내여야 한다. 특히 신간척지의 경우 더 그렇다. 수확량은 염농도에 따라 0.3% 이내라면 많게는 70~80%에서 적게는 40~50% 정도 나온다. 0.3% 이상이 되면 아예 수량을 얻을 수 없다고 봐야 한다.

-어떤 조치가 필요한가?
어떤 작물을 심으면 좋을지 농민들에게 문의가 종종 들어온다. 사료작물 중에서 청보리, 밀은 그나마 (염분을) 견딘다. 견딜 수 있는 작물을 먼저 도입하는 것이 좋고, 무엇보다 조기에 간척지 염도를 낮추는 작업을 해줘야 한다. 물로 한 번 벼농사를 짓고 난 후에 (밭작물을) 심으면 훨씬 그런게 줄어든다.
염농도가 얼마인지 파악을 우선 하고... 한계치(0.3%)에 가까우면 어떤 작물도 못자랄 수 있다.
농가들이 정부지원금을 받을 때에는 염농도 제거를 먼저 시작하겠다고 말해야 한다. 정부는 (밭작물을) 도입하는 것을 먼저 원하기 때문에…(간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지원을 받고도 어떤 작물도 자라지 못하면 안되지 않겠나.

-간척농지에 타작물을 심는 사업이 많이 있나?
아직 많지는 않다. 최근 영산강지구에 콩을 도입시키려고 하는데, 갈대가 많이 나서 지난해에 실패를 봤다. 잡초는 한번 제거해도 다음해에 또 나기 때문에 2~3년은 제거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쌀이 남아도니 타작물 사업을 희망하는데 아직은 시기상조다. 실패사례가 많은 상황이라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전국적인 실패사례를 조사하지는 못한 상태이다.

<김황수진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