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30

강주영 도올의_민본은_파시즘이다.동학은_민본이_아니다.

 강주영

Favourites  · 1025tSg23n17hf70e6708hitfu  · 

#도올의_민본은_파시즘이다. #동학은_민본이_아니다. 도올은 천도교는 동학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현실적으로 대의과두제는 불가피하다고 한다. 

  • 그가 도달한 결론은 민이 하는 게 아니고 민을 위하는 '민본'民本이고 
  • 민본의 근본은 노자의 도법자연道法自然과 공자의 인仁이다. 
  • 천명의 해석은 민民이 하는 게 아니고 학學의 소명이다. 
  • 도올의 학은 민학民學이 아니고 권학權學이다. 
  • 그는 이 관점에서 수운의 동학을 읽는다. 

  • 그가 수운에게 바치는 헌사는 수운이 개신유학, 개신노자를 했기 때문이다. 
  • 도올은 #영성의_고양으로_한울님과_동귀일체하는_신인간_이라는 동학의 종교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 동학은 민본이 아니다. 도올의 민본은 민民이 하는게 아니라 민을 위한다는 학學의 소명이고 학은 폴리페서이고 신분차별주의자인 공자의 인이다. 
  • 내가 보기에 공자의 인은 예禮에 갇힌 것이다. 예란 차별적인 천명의 직분에 충실한 것이다. 그러기에 나는 공자의 성인이나 군자를 파시스트의 직분이라고 본다. 
  • 파시즘이란 몽둥이만을 말하지 않는다. 공자의 학學은 노동을 지배한다. 
  • 대의과두제란 파시즘을 점잖게 표현한 것이다. 

  • 동경대전 수덕문의 풍경은 #시자者공동체이지_군자공동체가_아니다. 
  • 동학•천도교를 하는 이들은 '군자', '성인'이라는 개념을 함부로 써서는 안 된다. 
  • 군자가 아니라 시자요, 성인이 아니라 한울님이다. 해월은 털벌레 삼천도 한울님이라고 하지 않는가?  
  • ===
  • 수운은 주자학을 전복하여 군자공동체를 버리고 시자공동체를 제시했다. 
  • 수운의 무위이화無爲以化를 도올은 노자의 도법자연과 같다고 한다.  
  • ‘도는 스스로 그러하다’는 노자의 <숙명론적인 도법자연道法自然>과 수운의 <무위이화>는 전혀 다른 말이다. 
  • “무위와 이화는 수평적 동일성, 동시발생성, 동시활동성을 나타나내는 활동적 계사”다. 
  • 주체의 적극적 실천으로서 이전의 것을 계승하되 새롭게 질적으로 전환한 창발적 진화가 조화정이며, 불연기연이며, 무위이화다. 
  • ===
  • 그것은 1974년 34살의 윤노빈이 『신생철학』에서 외친 “분리하라 그리고 지배하라”라는 절대이성의 파시즘인 변증법과는 다른 것이다.
  • #수운의_조화정造化定은_개벽의_연속성_다시개벽의_현실화_과정이다. 
  • 생물학적으로 세포는 70여 시간마다 죽으며 새로운 세포를 만든다. 
  • 이것이 ‘늘 개벽’ 즉 ‘다시개벽’이다. 죽지 않은 세포 우리는 그것을 ‘암’이라고 한다. 
  • 지금 시대는 인류전사全史의 암을 도려내고 문명의 새로운 세포를 창발할 때이다. 
  • 동학은 그것을 말한다.

알라딘: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최민자

알라딘: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3-09-10
====
전자책
14,000원 
양장본416쪽

책소개

한반도가 ‘과학기술 한류”에 의한 과학혁명의 진원지가 되고, 그 결과 한반도 통일의 물질적 토대가 구축되며, 통일 한국이 새 문명의 중심지가 된다고 말한다.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은 ‘액티바(Activa)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은 전일적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사상과 정신문화를 가진 한민족 주도의 존재혁명과 함께 열린다는 것이 이 책의 결론이다.

목차
서문

제1부|21세기 과학혁명의 진원지, 한반도
01 21세기 과학혁명의 특성과 과제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혁명의 본질과 패러다임 | 21세기 과학혁명의 특성과 과제
02 왜 한반도가 과학혁명의 진원지인가
한민족의 사상과 정신문화 | 한반도의 존재론적 지형 | 액티바(ACTIVA) 혁명의 진원지, 한반도
03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
21세기 과학혁명과 3차 산업혁명 | 우주법칙과 삶의 법칙 |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

제2부|‘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
04 구리 혁명
원소 변성 이론 | 철(Fe)로 구리(Cu) 제조 | 구리 산업 분석
05 원자력 혁명
21세기 프로메테우스의 불, 원자력 | 방사성 핵종 폐기물의 흡착 유리고화 | 원자력 산업의 전망과 과제
06 수소 혁명
화석연료의 종말과 수소시대의 도래 | 수소에너지 생산 및 실용화 | 수소경제 비전과 에너지의 민주화

제3부|한반도 통일과 세계 질서 재편
07 지구 대격변과 대정화(great purification)의 시간
전 지구적및우주적 변화의 역동성과 상호 연계성 | 지자극 역전과 의식의 대전환 |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
08 동아시아 신질서와 신新장보고 시대
동아시아 신질서와 한반도의 선택 | 신장보고 시대와 유엔세계평화센터 | 동아시아공동체의 가능성과 미래
09 한반도 통일과 세계 질서 재편
21세기 문명의 표준과 동북아 | 동북아 광역 경제 통합과 한반도 통일 | 세계 질서 재편과 새로운 중심의 등장

----------------------------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2013년 9월 14일자 '주목! 이 책'
조선일보 
 - 조선일보 북스 2013년 9월 14일자
---------------------
저자 및 역자소개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 더보기
최근작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호모커넥투스>,<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 책소개 - 새로운 문명은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으로 이루어진다!

과학혁명과 존재혁명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의 연계는 과학의 대중화와 관계가 있다. 근대 과학의 주체가 전문가 집단에 국한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21세기 과학의 주체는 일반 대중들이다. 말하자면 과학이 더 이상은 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말이다. 오늘날 정보화혁명의 급속한 진전으로 과학의 대중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은 패러다임 전환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거시적 분석은 유보한 채 미시적 담론에만 치중함으로써 존재혁명으로 나아갈 추동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삶의 혁명적 전환을 추동해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과학혁명, 진정한 의미에서의 존재혁명이 바로 본서가 추구하는 바이다. 21세기 과학혁명이란 말은 과학과 의식의 접합을 함축하는 까닭에 필연적으로 삶 자체의 혁명, 즉 존재혁명의 과제를 수반한다. 이는 곧 소명(召命)으로서의 과학과 관련된다. 21세기 존재혁명의 과제는 현재 진행되는 전 지구적 및 우주적 변화의 역동성과 상호 연계성으로 인해 철저하게 수행될 것이다. 생명의 전일적 본질에 기초한 한반도의 정신적 토양과 양 극단(남과 북, 좌와 우, 보수와 진보 등)을 통섭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한반도의 존재론적 지형, 그리고 전 지구 차원의 메가톤급 폭발력을 가진 ‘액티바 혁명’ 등에 의해 뒷받침될 ‘한반도발發’ 21세기 과학혁명은 ‘과학기술 한류(Korean Wave)’의 출현과 더불어 새로운 문명의 흥기를 예단케 하는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총 3부로 구성되는 본서의 특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반도의 정신적 토양과 존재론적 지형, 그리고 전 지구 차원의 메가톤급 폭발력을 가진 “액티바 혁명” 등에 의해 뒷받침될 ‘한반도발發’ 21세기 과학혁명을 예단한다.
둘째, 무결정無結晶의 최첨단 유리고화(琉璃固化 vitrification)로 방폐물 영구처리, 핵자核子 이동으로 철(Fe)로 구리(Cu) 제조, 수소에너지 증산, 희토류 생산, 수질 및 토양 개선 등을 가능케 하는 세계 최초의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을 한반도 통일의 물적 토대로 제시한다.
셋째, 남북한,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등을 포괄하는 윈-윈 협력체계의 광역 경제 통합과 한반도 통일문제를 필자가 구상한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 프로젝트를 통해 입체적으로 풀어낸다.
넷째,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을 예고한다는 점, 다섯째, 서구적 근대를 초극하는 신문명의 건설은 전일적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사상과 정신문화를 가진 민족이 담당하게 되리라고 본다.

액티바(Activa) 첨단소재와 원천기술
이 책에서 제시하는 에너지 체계 혁신 방법론인 “세계 최초의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무결정(無結晶)의 최첨단 유리고화(琉璃固化)로 방폐물의 영구 처리를 가능케 하며, 핵자(核子) 이동으로 철(Fe)로 구리(Cu)를 제조할 수 있고, 그 밖에 수소 에너지 증산, 희토류 생산, 수질 및 토양 개선 등 일련의 에너지 혁명을 근간으로 한 과학혁명을 제시한다.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구리 혁명’, ‘원자력 혁명’, ‘수소 혁명’ 등과 맞물려 기존 과학계에 지진을 일으키며 자원과 에너지 문제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21세기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이는 앨빈 토플러가 문명의 변화를 구성하는 세 요소(기술 사회 정보 체계) 가운데서도 에너지(기술) 체계 혁신이 핵심 역할을 한다고 지적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에너지 혁명과 21세기 과학혁명
1895년 X선(또는 뢴트겐선)을 발견하여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1901)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Wilhelm Conrad R?ntgen)이 진단 의학계에 혁명을 일으키며 방사선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근대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듯이, 엄청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구리 혁명'과 더불어 ‘원자력 혁명', ‘수소 혁명' 등과 연결되어 기존의 과학계에 지진을 일으키며 자원과 에너지 문제 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21세기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한반도 통일과 유엔세계평화센터 그리고 신문명 건설
한반도發 과학혁명과 신문명의 전제조건인 한반도 통일은 물질적?정신적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잠재적 갈등 유발지역인 동북아 정세를 안정적인 평화 구도로 정착시키려면 공동 문제 해결과 발전을 위한 ‘공동지능(Co-Intelligence)’ 계발과 광역 경제 통합을 통한 상호의존적 협력체계 강화가 요망된다. 북-중-러 3국 접경지역에 추진 중인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는 동북아의 ‘공동지능’ 계발을 위한 ‘평화의 방(Peace Room)'이며, 광역 경제 통합을 위한 ‘동북아 공동의 집’이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한반도 통일에 따르는 주변국들―특히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의 협력적이고 호혜적인 구도가 정착됨으로써 동북아 제 국가가 윈-윈하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다.

세계의 지성들은 한국의 미래를 어떻게 예견하였나?
우리 한민족을 지칭한 말로는 ‘동방의 밝은 빛’(타고르)
‘25시’라는 인간 부재의 상황과 폐허와 절망의 시간에서 인류를 구원할 동방 ‘영원한 천자(天子)’?‘세계가 잃어버린 영혼’?‘태평양의 열쇠’(게오르규),
‘성배(聖杯)의 민족’(루돌프 슈타이너?다카하시 이와오),
아시아의 위대한 문명의 뿌리(하이데거)
21세기 아태시대의 주역(폴 케네디)
그 밖에 한국 땅에서 세계에서 처음으로 과학혁명과 정신혁명이 일어날 것임을 예언한 이(조지 아담스키)도 있다.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
과학과 의식의 접합을 추구하는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은 다른 말로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미래학자들은 개인주의와 소유의 개념에 입각한 서구중심주의가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제2물결’의 낡은 정치제도나 조직은 위기를 증폭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수평적 권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관계의 경제’ 개념에 기초한 아탈리의 ‘하이퍼 민주주의’와 소유지향적이 아니라 체험지향적인 제러미 리프킨의 ‘하이퍼 자본주의’는 토플러가 말하는 ‘제3물결’의 새로운 문명이나 존 나이스빗이 말하는 미래의 ‘메가트렌드’와 그 방향성이 일맥상통한다. 삶 자체를 소유 개념이 아닌 관계적인 접속 개념으로 인식함으로써 소유?사유화?상품화와 더불어 시작된 자본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새로운 문명의 오메가 포인트 - 인류의 영적 탄생
“네트워크 과학”은 생명계를 전일적이고 유기적으로 통찰하는 세계관이자 방법론으로서 21세기 전 분야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며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을 이끌어 낼 것이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근대 분과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지식의 융합을 통해 복합적이며 다차원적인 세계적 변화의 역동성에 대처하고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그것이 새로운 문명의 또 하나의 징후가 된다. 서구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의 이행을 촉발함으로써 유럽 근대사의 기점을 이루었다면,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은 물질에서 의식으로의 방향 전환을 통해 우주 차원의 새로운 정신문명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유럽적이고 기독교적인 서구의 르네상스나 종교개혁과는 그 깊이와 폭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전 인류적이고 전 지구적이며 전 우주적인 존재혁명이 될 것이다. 바야흐로 낡은 문명은 임계점에 이르고 있으며, 인류의 문명은 ‘오메가 포인트(Omega Point: 인류의 영적 탄생)’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
     
저자는 수행자로 간단치 않은 삶을 이어왔고, 현직 교수이며 상고사 및 고대사에 대한 연구에도 진력해 온 개인사가 매우 훌륭한 분이다. 본 저작에서 제시하는 21세기 한반도발 존재론적 과학혁명에 전적으로 동의할 뿐만 아니라 저자의 넘쳐나는 보편적 인류애와 평화에의 갈망에 박수를 보낸다. 
chyrens 2014-10-12 공감 (0) 댓글 (0)
--------------

알라딘: 삶의 지문 - 생명의 근원에 이르는 구도자의 인생산책 최민자 2008

알라딘: 삶의 지문



삶의 지문 - 생명의 근원에 이르는 구도자의 인생산책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08-10-20
==
양장본456쪽


책소개

동서고금의 사상과 제 학문을 종횡무진으로 넘나들며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에게 부여된 역사적 소명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왔던 저자 최민자의 자전적 에세이이다. 자신이 찾아낸 참본성의 소리를 저자의 학문적·구도적 삶의 궤적을 통해 보인다.

우주를 화판(畵板)으로 더할 수 없이 큰 그림을 그려 가는 두타행(頭陀行)과 그 실천 과정이 자전적 에세이 형식 속에 흥미롭게 녹아들었다. 그 삶의 흔적을 좇아가다 보면, 내 삶의 지문을 참되게 만들어가는 지혜를 얻게 된다. 10년 전에 ‘길을 찾아서’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책을 대폭 수정 보완하고, 최근 10년의 저자의 행적을 보강하여 펴냈다.


목차
서 문
프롤로그 삶이라는 꿈, 꿈이라는 삶

제1부 연꽃잎은 물에 젖지 않는다
1장 마음의 밭을 일구며 : 애리조나 열사의 땅에서 / 켄터베리 초원에서 / 뉴욕 빌딩숲에서
2장 동굴수업 : 거거거중지 행행행리각 / 동굴이라는 우주 / 우주라는 동굴
3장 왕진인을 찾아서 : 양쯔강 북으로 북으로 / 상선약수 / 무형상의 형상
4장 환국의 빛 : 정신과 역사의 만남 / ‘변화산’이야기 / 열 십(十)자의 비밀

제2부 대륙으로 대륙으로
5장 천여 년 만의 해후 : 장보고 기념탑을 세운 뜻은 / 황해를 건너며 / 장군바위의 미소
6장 세계의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 두만강이 기지개를 켜는 뜻은 / 황금의 삼각주 / 발해의 옛 성터, ‘팔련성’
7장 백두산에서 북계룡까지 : 팔괘묘 터에서 / 조중 국경에 서서 / 북계룡에 가다
8장 지어간 시어간 : 연꽃 속의 나날들 / 슬라비얀카에서 요트를 타고 / 간방의 북소리

제3부 지혜의 길 행위의 길
9장 연화산의 비밀 : 도라지꽃이 핀 뜻은 / 흔들 궁전에 누워 / 연화목 아래에서의 명상
10장 봉황산마루에서의 용놀이 : 선묘의 미소 / 알렉산더의 매듭 / 저녁노을 속에서의 용놀이
11장 매경한고발청향 : 내가 나 되기 위해서는 /‘인드라망’의 마법 /구화산 육신보전에서의 명상
12장 생명과 평화의 문명을 여는 신곡 : 생명학 3부작이 완결되다 / 잃어버린 낙원의 진실 / 소통 하는 삶, 소통하는 세상

에필로그 새로운 문명의 도래에 즈음하여

접기
책속에서
정좌를 하고 앉았다. 얼마를 지났을까. 몸은 점점 더워지고, 입 안 가득 단침이 고여 왔다. 이윽고 나는 반무의식 상태로 들어가고 있었다. 바로 그때. 시퍼런 광채 덩어리가 하늘로부터 떨어져 내 머리를 관통하는 것을 느꼈다. ‘번쩍’ 하는 섬광에 놀라 눈을 떴다. (본문 97쪽)
곰곰이 생각할수록 왕진인의 깊으신 뜻이 느껴져 왔다. 진인께서는 내가 보현에 도착하기 바로 전날에 단하산자락에 있는 마을 주민들을 위해 일을 함으로써 당신께서 여전히 건재하심을 보여주시고, 아울러 도에 이르는 삶이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를 나로 하여금 현장에 가서 그곳 마을 주민들의 입을 통해서 생생하게 느끼도록 하셨다.(본문 168쪽)  접기
며칠 후 무호 스승이 내게 이렇게 말했다. “환하게 광명한 정치를 하는 나라, 환국을 보았네. 자네 얼굴에서 환한 빛이 뿜어져 나와 얼굴이 크게 변했네. 어둑한 방 안이 환해질 정도였지. 그러한 광경은 한참이나 지속되었네. 이 세상 사람이 아닌 것처럼 느껴지더군. 순간 성경 속 ‘변화산(變化山)’에 관한 구절이 떠올랐네. 예수께서 크게 변하셨다는 산…….(본문 199쪽)  접기
서구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중세적 봉건질서의 해체를 촉발함으로써 유럽 근대사의 기점을 이루었다면,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은 물질에서 의식으로의 방향 전환을 통해 실체를 지향하는 삶을 촉구할 것이다. 또한 모든 종교의 본체가 하나임을 밝히는 동시에 종교적 진리가 개개인의 삶 속에 구현되는 성속합일, 영육쌍전의 시대의 도래를 촉발함으로써 지구촌 차원의 새로운 정신문명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그것은 전 인류적이요 전 지구적이며 전 우주적인 존재혁명이 될 것이다.(본문 206쪽)  접기
…연화정에서 왼쪽으로 꺾어져 잔디밭을 따라 들어가자 황해를 내려다보는 장보고 기념탑의 장엄한 자태가 눈앞에 펼쳐졌다. 신라시대 5층석탑을 연상하게 하는 화강암으로 만든 다섯 계단을 따라 걸어 오르니 1,000년의 장막이 스르르 열리며 장보고 대사의 원통한 최후가 그 모습을 드러내고 그 위로 말없이 미소를 짓는 모습이 교차되는 듯했다.…드디어 1994년 7월 24일. 장보고기념탑 준공식 날이 되었다.(본문 240-241쪽)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 더보기
최근작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호모커넥투스>,<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동서고금의 사상과 제 학문을 종횡무진으로 넘나들며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에게 부여된 역사적 소명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왔던 저자의 자전적 에세이이다. 저자는 자신이 찾아낸 참본성의 소리를 저자의 학문적·구도적 삶의 궤적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우주를 화판(畵板)으로 더할 수 없이 큰 그림을 그려 가는 저자의 두타행(頭陀行)과 그 실천 과정이 자전적 에세이 형식 속에 흥미롭게 녹아들었다. 그 삶의 흔적을 좇아가다 보면, 내 삶의 지문을 참되게 만들어가는 지혜를 얻게 된다.

저자는…

저자는 국내 대학 졸업 이후 미국과 영국을 오가며 학문의 일가(一家)를 이루었고, 귀국 후 대학 강단에서 강의를 하는 한편으로 여해(如海) 스승을 만나면서 내단(內丹)의 극에 달한 동굴수업[수련]을 거쳤다. 곧 이어 무호(無號) 스승을 만나면서 우리 상고사 및 사상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에게 부여된 내밀한 사명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10여년은 두타행과도 같은 세계 편력이 이어졌다. 1994년 장보고의 역사적 재조명을 위한 장보고기념탑 건립(중국 산둥성, 건립위원장, 중국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1999년 유엔세계평화센터 건립을 위한 4자 조인식 및 기념비 제막(건립위원장, 중국·북한·러시아 3국접경지역), 2000년대 들어서 동학 및 천부경과의 만남, 그리고 생명학 3부작 완성[천부경·생태정치학·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으로 이어지는 학문적·실천적 역정을 통해 학문의 현실 환원을 성공적으로 추구해 왔다.
저자는 말한다. “이 세상에 지문이 같은 사람은 단 한사람도 없듯이, 이들이 만드는 삶의 지문 또한 다양할 수밖에 없다. 다양한 지문에서 묻어나오는 사상의 궤적을 따라가노라면, 우리는 그러한 사상들이 인생의 강을 건너기 위한 나룻배임을 금새 알아차리게 된다.”

1.
이 세계에는 지금 새로운 길이 필요하다. 미국 발 금융위기의 급류에 휩쓸려가면서, 이 시대의 최강국 미국의 대통령이 나서서 제 입으로 그 사실을 실토하고 있다. 본인은 “우리는 위대합니다. 이겨낼 수 있습니다”라고 외치지만, 지혜로운 이들은 “살기 위해서는 새 길을 찾아야 합니다”라는 내면의 호소를 들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끝은 아니다. 사회적인 측면의 위기가 ‘금융위기’로 그 서막을 열고 있다면, 자연적인 측면에서의 위기는 ‘지구온난화’라는 환경재앙으로 그 서막을 열어가고 있다. 문제는 그것이 ‘서막’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앞으로 닥쳐올 거대한 사회적·환경적 쓰나미의 양적·질적 규모는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 보지 못한 것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시적·우연적 위기가 아니라, 문명전환[개벽]의 징후로서, 앞으로 상당 기간에 걸쳐 집요하게 진행될 변화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이 세계와 그 안의 생명계, 그리고 그 정점에 선 인류에게는 지금 새로운 길이 필요하다. 다행하게도 그 길은 이미 오래 전부터 예비되어 있었다. 인류의 선각자들이 다양한 언어로, 다양한 형식으로 예고하고, 예언해 온 경전과 사상서와 명상 서적 가운데 그러한 길의 단초들은 이미 충분히 박혀 있다. 그러나 원석에 함유된 금가루처럼, 그 새로운 길의 진면목이 인류에게 드러나기 위해서는 제련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앞으로 수년 동안, 그러한 제련을 거친 결과물들이 학문적으로 문화적으로 사상적으로 실천적으로 이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결과물의 일단이자, 그것을 알아보는 감식력을 길러주는 참고서다.

2.

去去去中知 行行行裡覺
가고 가고 가는 가운데 알게 되고,
행하고 행하고 행하는 속에 깨닫게 된다.

이는 저자의 스승 가운데 한분인 여해(如海) 스승의 말씀이다.
이는 만유의 본원으로서의 도(道)를 알고 깨닫는다는 말이지만, 이 책의 내용과 존재 의의를 한마디로 표현하는 데도 최상의 시(詩)가 된다.

학을 타고 구름 세계를 노니는 도인(道人)의 모습을 이 시대에서 찾아볼 수는 없지만, 도사(道師)는 여전히 지혜와 덕행의 주체로서 이 세계 곳곳에 퍼져 사는지도 모른다. 이 책의 저자에게서는 평상시에도 그러한 도인의 풍모가 느껴진다. 그것이 어째서 그런지, 이 책을 읽어가면 무릎을 치며 이해하게 된다. 저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음으로써, 이 시대의 도인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어느 시대에나 그러했듯이, 이 시대의 도인도 지문이 또렷한 손가락으로 진리의 달을 가리켜 보인다. 이 책도 그러한 지문 가운데 하나이다.

3.
이 책은 정치학자로서, 실천적 사상가로서, 구도자로서 살아온 저자의 인생을 그린 에세이이다. 그런가 하면, 흥미진진한 소설 아닌 소설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픽션이 없다는 점에서 그리고 장보고기념탑이나 유엔세계평화센터 건립의 과정을 담아냈다는 점에서는 새로운 문명을 열어가는 문명 기획자의 생애를 그린 다큐멘터리로 읽어도 좋다.
또한 저자는 생명학 3부작 시리즈를 통해서 위서 논란에 빠져 있는 천부경을 본격적인 학문의 세계에 자리 잡게 했고, 한편으로는 유엔세계평화센터라는 대기획의 총설계자로서 새로운 문명의 정신적?사상적 초석을 놓았다. 단군시대 이래 한민족의 역사적 터전이었던 간도, 지금은 러시아, 중국, 한반도의 국경이 삼태극을 그리는 지역 일대 2억평의 부지에 해당 3국과 유엔 당국 등 4자가 협정을 맺고 진행하는 유엔세계평화센터 건립 사업은 새로운 문명 시대의 마고성이요, 동서문명/고금세계가 교차하는 차원 소통/선후천 소통의 한마당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어째서 그러한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를 이야기한다.

독자서평 중에서

이 책은 저자의 구도적 삶과 학문적 삶이 어우러져 한 폭의 수채화처럼 손에 잡힐 듯이 그려져 있다.

“한 삶이 그렇게 펼쳐지고 있었다. 섬세하면서도 유장한 한 삶의 세계가 열려지고 있었다. 아주 정밀한 세필로 혹은 과감한 생략으로, 절제의 변용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과연 나는 보았는가. 무리지지리 불연지대연(無理之至理 不然之大然)의 경계를. 자유의지와 필연, 존재와 당위 - 그 양극단에서 어떻게 조화와 통일의 접점을 이뤄내는가. 섣부른 무정부주의자, 어설픈 도인, 짐짓 체하는 숙명론자… 그는 일체 언설을 넘어선 경지에서 필경 그 일체감을 이뤄내 보여주고 있다.
이원적 일원론인가, 일원적 이원론인가. 이(理)와 기(氣)의 세계를 그는 필경 몸으로 넘어섰으리라. 서구철학과 신학의 이원적 불구의 처참한 현상을 그토록 날카롭게 묘파하여 그 변증법적 지양을 보여주고 있으니.
……학문과 종교의 완성이 어떻게 귀결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셨습니다. 또한 동굴의 우주가 어떻게 실체화, 현실화되는지를 잘 보여주셨습니다. 자유의지와 필연을 이제 자유롭게 구사하며 ‘때’를 기다리면서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를 이뤄내고 계시는군요…아! 선생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장보고의 한(恨)을 풀어주고, 이 민족의 한(恨)을 씻어줄 당신은 누구십니까. 일찍이 세상 학문의 정도(正道)를, 그 진수(眞髓)를 천재적으로 마스터하고 마침내 일체의 종지(宗旨)를 두타행으로 섭렵한 당신은."

* 이 책(『삶의 지문』)은 10년 전에 ‘길을 찾아서’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책을 대폭 수정 보완하고, 최근 10년의 저자의 행적을 보강하여 펴낸 것이다. 접기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참 놀라운 정신력을 지니고 꾸준히 구도의 길을 걸어 마침내 깨달음을 이룬 작가의 모습이 눈부시다. 소설처럼 펼쳐지는 구도행에 빨려들듯 재미나게 읽었다. 세상에 펼쳐드러내 주셔서 감사하다.  구매
넘수이 2013-02-02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2)
리뷰쓰기
===
 
삶의 지문

-생명의 근원에 이르는 구도자의 인생 산책

-길을 찾는 당신에게 드리는 지혜

지은이 : 최민자

  지문처럼 인간의 삶의 모습은 고유하다는 진리에 의해 붙여진 제목부터 심상치 않은 책이다. 그러나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는 제목에 감춰진 깊이를 깨닫지 못했고, 그저 정치학 교수가 치열하게 살면서 쓴 수필이려니 하며 쉽게 접근했었다. 하지만 서문에서부터 진지한 태도로의 전환을 요구받았고, 책을 읽는 내내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치학을 전공한 교수의 삶의 모습이 참으로 방대하고 깊었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삶을 치열하게 산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을 위한 치열함에서 세상을 위한 치열함으로 삶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와는 다르다. 내적인 삶을 추구하며 실천하는 저자의 모습에서는 도인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고, 우리나라의 고대사에 집중하고 역사를 오늘에 살려내려는 모습에서는 학자를 넘어 혁명가로 느끼게까지 되었다.

  저자의 내적인 삶과 혁명가적 삶의 모습은 나의 의식을 흔들어 놓았다. 그러나 깊고 넓은 그의 사상과 판타지 소설같은 그의 명상과 참선, 그리고 현몽을 이해하기는 참으로 난해하였다.

  삶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새롭게 살아가려는 이에게는 새로운 길과 영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1부 연꽃잎은 물에 젖지 않는다.

1장 마음의 밭을 일구며

  무지에서 움터난 의심을 잡초를 베어내듯이 지혜의 칼로 베어내고 일념으로 정진하여 잠들어 있는 우리 영혼을 깨우는 것, 그것이 바로 마음의 밭을 가는 일이다.

  지은이는 마음의 밭을 가는 일은 시공의 제약을 받을 필요가 없다며 미국애리조나 열사의 땅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며, 영국 켄터베리 초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며, 뉴욕 유엔본부에서 근무하며 마음의 밭을 갈았다.

2장 동굴수업

  성심여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여해 스승을 만나 정신공부에 주력한다. 동굴에서 정신수양을 하면서 인간의 영성은 인내를 통하여 계발되는 것이고, 그 인내는 의식이 시공의 속박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닫는다. 여해 스승은 정신문명의 시대를 열 사람은 스스로가 깨어 있지 않으면 안 되기에 정신 수련이 필요하다고 지은이에게 힘주어 말씀하신다.

3장 왕진인을 찾아서

  여해 스승이 60여 년 전에 만나셨던 스승 왕진인을 뵈러 중국 땅을 밟는다. 중국과 수교를 맺기 이전이어서 안전도 보장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하산’이라는 지명만으로 왕진인을 찾아 나선다. 하지만 결국 그를 만나지는 못한다. 그러나 지은이는 ‘그의 형상을 못 보았다고 하여 어찌 진인과의 연(緣)이 없다고 속단할 수 있을까’하면서 정신 속에서의 영원한 만남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4장 환국의 빛

  무호 스승을 만나 역사의식을 깨우치게 되는 과정을 상세히 적고 있다.

  지은이는 개인적 의미의 환국(桓國-환하게 밝은 정치를 하는 나라), 즉 우리 영혼의 환국을 찾아야 하고, 또한 만인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환하게 밝은 정치를 하는 나라인 우리 민족의 환국, 나아가 인류의 환국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인간 내면의 질서를 회복한다면 우리 역사의 질서, 민족의 질서, 나아가 인류의 질서도 회복될 수 있다고 믿는다.

  지은이는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의 도래를 믿으며 그것은 물질에서 의식으로의 방향 전환을 통해 실체를 지향하는 삶을 촉구할 것이라 말하고, 국경 없는 세계, 우주의식의 미덕을 노래하는 시대가 오기를 기대한다.

제2부 대륙으로 대륙으로

5장 천여 년만의 해후

 21세기 아시아 태평양시대를 목전에 둔 현 시점에서 장보고 대사의 역사적 복권은 시대적 필연이라고 믿는 지은이는 민간외교의 승리를 수교도 안 된 중국 땅에 장보고기념탑을 세운다.

6장 세계의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지은이는 자연-인간-문명이 조화를 이룬 인류 공영의 시범 유엔공원을 중국과 북한과 러시아가 접경하는 두만강 하구 일대에 세우고자 민간외교를 펼친다.

7장 백두산에서 북계룡까지

  두만강 하구 3국 접경지역 일대는 동북아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의 중심이 될 만한 곳이라고 믿는 지은이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목전에 둔 현 시점에서 유엔공원의 건립이 21세기 빛나는 정신문명의 시대를 열어 주리라 믿는다.

8장 지어간 시어간

  ‘지어간 시어간’은 동북 간방에서 만물이 그 종결을 이루고 또한 새 시대가 열린다는 의미이다. 이 장에는 유엔세계평화센터 건립을 위해 펼치는 지은이의 외교적 노력이 자세히 적혀 있으며, 유엔세계평화센터에 충만한 생명의 빛이 지구촌으로 흘러넘치리라 예언한다. 3국 접경지역인 방천과 핫산 등지에서 개최될 예정인 세계평화를 위한 한울림 북 축제에서 국가 간, 민족 간, 인종 간, 계급 간, 종교 간, 지구촌의 모든 파열음이 북소리 속에서 하나가 되고 그대 맑은 눈과 불타는 심장 속에서 하나가 되리라 예언한다.

제3부 지혜의 길 행위의 길

9장 연화산의 비밀

  연화산 연화목 아래에서의 명상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 삶은 깨달음을 통하여, 의식의 깨어 있음을 통하여 ‘나’와 ‘너’, ‘이것’과 ‘저것’을 구분하는 마음, 오직 육체만이 자기라고 생각하고 집착하는 마음을 소멸시킴으로써 이 우주자연과 공명할 수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10장 봉황산마루에서의 용놀이

  부석사를 찾아 간 지은이는 경내를 둘러보고 봉황산을 찾는다. 봉황산마루에 걸터앉아 늦가을 오후를 즐기다 용의 현신을 목격한다.

11장 매경한고발청향

  정녕 매화가지는 찬서리를 맞고 난 후에야 비로소 맑은 향기를 발한다. 지은이는 무수한 생을 통해 얼마나 더 깊은 깨달음에 이르렀는가 자문하며 깨달음이란 에고의 소멸, 집착의 끊어짐이라고 말한다.

  지은이는 학문적 삶에서 첫 번째 큰 전환점이 우리 상고사 및 사상과의 만남이었다면, 두 번째 큰 전환점은 동학과의 만남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동학사상을 21세기의 역사와 연결하여 펼친다.

12장 생명과 평화의 문명을 여는 신곡

  지은이는 학문적 삶의 세 번째 전환점을 천부경의 만남이라고 소개한다. 천부경을 통해 ‘생명’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생명학 3부작의 완결과정을 이야기 한다. 그러면서 『삶의 지문』은 우주 가을로의 초입에서 만유에 편재해 있는 참본성의 소리를 옮겨놓은 것이라 말한다. 그리고 인류 의식이 깨어나기를 학수고대한다.
- 접기
luckyivy95 2008-12-31 공감(1) 댓글(0)
====
 
공감
     
내 삶의 지문을 찾아서... 새창으로 보기

똑같은 지문을 갖은 사람이 없듯 우리는 비슷한 듯 제각각의 삶의 그림자를 드리우며 인생을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다. 가끔은 반복되는 일상 중에 자신의 삶의 최종 도달점은 어디이고, 이 땅에 이 시대에 태어나서 해야 할 천명적인 사명은 혹시 무엇인가? 에 대한 미궁의 자문 속에 빠질 때가 있다. 분명 나에게도 어떠한 절대자가 의도하는 삶의 지문이 있을 텐데 과연 나는 그 삶의 지문을 따라서 잘 살고 있는 것일까? 책<삶의 지문>은 이 같은 질문에 대한 명확한 정답은 아닐 지라도 정답을 찾고자 하는 이들에게 짧은 이정표와 더불어 또 다른 세상에 대한 시야를 갖게 만들어 준다. 결국 세상의 만물을 바라보는 생각과 시야의 넓이가 커질수록 정답에 근접해 갈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삶의 지문>은 저자 최민자 교수의 구도적인 삶의 길의 발자취를 시간의 흐름순서에 따라서 크게 3부로 작게 12장으로 나누어 그려져 있다. 한 장 한 장 그 발자취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때로는 강의실에서 12가지의 다른 과목의 강의를 듣는 듯하다. 저자의 구도과정중의 깨달음과 더불어 책 중에 담긴 삶의 진리를 향한 정진의 열매와 같은 선지자들의 고매한 가르침들은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속된 마음이 치유되는 듯하다.
제1부 연꽃잎은 물에 젖지 않는다. 에서는 세상의 거울 속에 비추어진 삶에 급급하지 않고, 열린 마음을 담기 위한 삶의 진리, 세상의 진리를 찾아 때로는 선지자들의 가르침을 통해서 때로는 스스로 처연한 동굴수양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었던 깨달음의 긴 발자취를 담고 있다.

천지는 가장 큰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지만 말이 없다.
사계는 명백한 법을 가지고 있지만 따지지 않는다.
만물은 완전한 질서 원리를 가지고 있지만 말하지 않는다.              (p.69 장자-<지북유>편)

이렇듯 말이 없는 천지와 사계를 완전한 질서 원리를 담고 있는 만물을 향한 정진의 과정들을 보면 마치 유별난 사람처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런 정진의 열매들을 드러내 보였을 때는 지금의 세상과 자신에 대한 통탄을 금할 수 없다. 여해스승과의 선문답과 도가의 큰 성인 왕진인을 만나기 위한 여정이 남긴 깨달음 천천히 마음에 새기듯 읽어 내려가면 어느새 가슴속에 문이 조금씩 열리는 듯한 느낌이다.

“지고의 선은 물과 같은 것. 낮은 데로 흐르는 물과 같이 스스로의 처신을 낮추는 겸허함이 있고, 스스로의 형상을 고집하지 않는 물과 같이 상대를 거스르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으며, 약함으로 나가기 때문에 도리어 강한 힘을 내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생활태도는 물과 같은 것. 물은 만물에 혜택을 주면서도 결코 상대를 거스르지 않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p.139)

왕진인을 찾아 나선 발걸음 중에 만난 ‘상선약수(上善若水)’에서 느낀 이러한 감흥들을 접하면서 결국 자연의 만물 속에 진정한 삶의 진리가 살아 숨 쉬고 있구나 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피가 흐르는 생명체’ 라고 피력한 역사에 대한 고찰, 지난 나라의 수난으로 왜곡되고 버려지 유구한 우리나라의 상고사에 관한 부분을 접하면서 왜곡된 역사를 진실이라 믿으며 가르치고 배우며 살아가는 것은 ‘지금의 우리는 선조들의 거룩하고 의로운 목숨과 희생이 담긴 불멸의 정신을 무시하며 살아 왔구나’ 라는 회한을 느끼게 한다.
제2부 대륙에서 대륙으로 에서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의 현 상황 속에서 자칫 우리의 상고사가 묻혀버린 것처럼 주객이 전도되어가는 역사의 사실들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중의 하나인 장보고 기념탑의 건립에 담긴 과정과 역사적 의미를 전한다. 이는 분명 시작일 뿐이다. 고조선과 발해, 고구려에 걸친 대륙안에서 펼쳐놓은 우리 선조들의 불멸의 유산들은 분명 우리를 지켜보고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저자 최민자 교수는 1995년부터 현재까지 민간인신분으로 세계의 중심축의 이동과 다가올 정신문명시대의 도래의 첫 단추가 될 수도 있는 ‘황금의 삼각주’ 라 불리는 중국, 북한, 러시아 3국의 접경인 두만강 하구 일대에 가칭 ‘유엔세계평화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이를 추진하게 된 배경과 과정, 이러한 인류를 통합할 수 있는 상징을 통해서 국가, 민족, 인종, 계급, 종교 간의 모든 파열음을 하나로 묶어 태어날 생명장(生命場) 부활의 의미를 전한다.
제3부 지혜의 길 행위의 길 에서는 보통의 사람들이 비록 선지자들과 같은 깨달음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세상의 이치에 좀 더 다가가고, 마음수양을 통해서 우주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안식의 길을 보여 준다. 인간으로 살아감에 있어 필요한 개인의 자아발견과 성찰에서 제대로 된 국가관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물질계와 의식계의 상호소통을 인식하는 방법 등 진정한 삶의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준다. 보이는 물형계(物形界)의 성과도 영적 진화 과정의 부산물이지만,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의 동기와 의도의 순수성과 일관성, 성실성에 기인한다는 것과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 더불어 영적확장의 결혼에 대한 의미등도 우주의 섭리를 통해 해석해 놓고 있다.

<삶의 지문>에서 어찌 생각하면 쉽게 보고 느낄 수 없는 사상계의 원리들을 접하다보니 왠지 내 삶을 세상과 동떨어진 삶으로 고착시켜주지는 않을까라는 생각도 갖게 한다. 하지만 저자 역시 오랜 구도와 수행을 통해서 얻은 깨달음일진데, 책 한권으로 그 만고의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결국 깨달음을 전함으로 받는 마음이 미동이 후에 나비효과처럼 커다란 삶의 진리에 대한 파도로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물론 자아발견의 시간도 중요했지만, <삶의 지문>을 통해서 전해들은 우리 선조들의 묻혀진 역사를 되짚어봄으로써 갖게 되는 자손된 자로서의 자부심과 사명감은 앞으로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한층 더 넓혀주는 듯 했다.
늘 부족하다 생각하는 마음을 이해하고, 삶의 진리를 향한 작은 미동을 더해 준 글이 있어 나누고 싶다.

“가섭아, 마음은 바람과 같아서 획 지나가 붙잡을 수가 없다.
마음은 흐르는 물과 같아서 잠시도 머물러 있지 아니한다.
마음은 등불의 불꽃과 같아서 많은 인연에 의해 존재한다.
마음은 번갯불가 같아서 났다가는 순간에 사라져버린다.
마음은 원숭이와 같아서 여섯 가지 욕망에 한없이 얽매인다.
마음은 그림 그리는 사람과 같아서 곧잘 여러 가지 행동을 만들어낸다.
마음은 원수의 집과 같아서 온갖 괴로움과 번뇌를 준다.
마음은 미친 코끼리와 같아서 흙과 모래를 짓밟듯이 일체의 좋은 갚음을 받을 행동을 파괴해 버린다.
마음은 파리와 같아서 부정한 것을 깨끗하다 생각하고 집착한다.
마음은 악한 도둑과 같아서 온갖 착한 행동을 약탈한다.
마음이 항상 빛을 탐내는 것은 마치 여름밤에 부나비가 불에 달려드는 것과 같다.
마음이 항상 소리에 집착하는 것은 마치 군인이 승리의 북소리를 즐기는 것과 같다.
마음이 항상 냄새를 탐내 집착하는 것은 마치 돼지가 더러운 데 누워 있기를 즐겨함과 같다.
마음이 항상 맛에 집착하는 것은 마치 어린아이와 여인이 맛있는 음식 먹기를 탐내는 것과 같다.
마음이 항상 접촉하기를 탐내는 것은 마치 파리가 기름에 달려드는 것과 같다.
가섭아, 마음의 진상을 파악하기 어려움이 위에 말한 바와 같으니라.”
(p. 360~361) 

‘참나’를 찾아 나서는 발걸음은 먼저 이런 속된 마음의 헤아림부터 시작하여, “가고 가고 가는 가운데 알게 되고, 행하고 행하고 행하는 속에 깨닫게 된다.” 라는 여해 스승님의 말씀처럼 부단한 헌신하는 마음으로 세상의 이치를 공부해 나아갈 때 자신이 세상에 태어난 다른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삶의 지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접기
아이북끌어 2008-12-0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빅 히스토리 - 생명의 거대사, 빅뱅에서 현재까지 최민자

알라딘: 빅 히스토리
빅 히스토리 - 생명의 거대사, 빅뱅에서 현재까지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8-01-15
===

정가35,000원
808쪽

책소개

우주의 탄생에서 지금 여기까지의 역사 전체를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종교와 철학사상, 정치사회와 문화예술 등의 모든 학문 분야를 아울러 일관되게 이해하는 빅 히스토리의 문법에 따를 뿐 아니라, 이 모든 것을 “생명의 거대사”라는 관점에서 재구조화함으로써, 그동안의 빅 히스토리 논의 수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시킨다.

자연과학에서의 통일장이론을 포함하는 “모든 것의 통일장 이론”으로 접근하는 21세기 문명의 대 변곡점에 서 있는 우리 인간과 세계의 개념, 구체적으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 개념을 재정립하는 명실상부한 “빅 히스토리”이다.

목차

제1부 | 우주와 지구 그리고 생명
01 생명의 거대사란?
생명의 거대사
생명이란 무엇인가
거대사 vs 시간의 역사
02 빅뱅과 우주의 탄생
무위(無爲)의 천지창조 또는 생명의 자기조직화
우주관의 진화와 빅뱅이론
은하와 별들의 탄생과 죽음
03 지구, 생명체의 보고
현대 판구조론과 지구 생태계의 맥박
생명체의 탄생: ‘생명은 반드시 생명으로부터’
‘캄브리아기 대폭발’과 인류의 출현

제2부 | 생명과 진화
04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
과학과 영성의 접합
영성 계발과 진화
지구 문명의 새로운 지평 탐색
05 인류의 진화 계통수와 생명체 진화의 역사: ‘나’의 세계
초기 인류의 진화와 그 계보
생명체의 진화와 세렝게티 법칙
뇌의 진화와 지능의 탄생
06 홀로세: ‘우리’와 ‘그들’의 세계
‘메타 경계(meta-boundary)’ 출현
농경과 ‘문명’의 발생 그리고 전개
서구 문명의 동양적 기원과 리오리엔트(ReOrient)

제3부 | 포스트모던 세계와 트랜스휴머니즘
07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 ‘우리 모두’의 세계
포스트모던 세계와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사이보그 시티즌
호모 사피엔스를 넘어서
08 4차 산업혁명과 ‘GNR’ 혁명 그리고 플랫폼 혁명
‘딥 시프트(Deep Shift)’의 시작, 4차 산업혁명
‘GNR’ 혁명, 휴머니즘의 확장인가
사물인터넷과 플랫폼 혁명
09 ‘특이점’의 도래와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특이점’ 논의의 중요성과 미래적 함의
기술의 진화와 사회적 파급효과 및 인공지능 윤리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인류의 선택과 과제

접기

책속에서
P. 35~36 <생명의 거대사를 집필하게 되는 이유>
거대사가 생명의 거대사일 수밖에 없는 것은 우주의 본질 자체가 생명이고 생명의 전일적 흐름(holomovement)과 연결되지 못한 것은 결국 허구이기 때문이다. 생명은 천·지·인을 포괄하며 전 우주가 생명의 전일적 흐름인 까닭에 생명 아닌 것이 없으므로 생명의 거대사인 것이다. 데이비드 크리스천은 우주와 생명을 근원적으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우주의 본질이 생명이라는 사실을 깊이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크리스천이 거대사를 ‘다양한 학문 분야를 함께 묶어 빅뱅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과거를 통일된 하나의 이야기로 만든 새로운 지식 분야’라고 했지만, 그것이 생명의 전일적 흐름과 연결되지 못하면 그가 주창한 ‘빅 히스토리’는 단지 분리된 무수한 사건들의 단순한 집합에 지나지 않게 된다. ‘빅 히스토리’라는 간판을 내걸고 우주론, 지구물리학, 생물학, 역사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를 동원한다 할지라도 통섭적 사유체계에 입각한 패러다임 전환이 없이는 명실상부한 ‘빅 히스토리’가 되기 어렵다. 생명의 거대사는 정신·물질 이원론에 입각한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지식의 대통섭을 통해 ‘보이는 우주[현상계]’와 ‘보이지 않는 우주[본체계]’의 상관관계를 조망하는 역사이다. 말하자면 존재계와 의식계가 상호 조응·상호 관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역사이다. 이 세상이 우리의 의식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부귀영화만을 향해 질주하는 삶이 얼마나 무의미하고 속절없는 것인지를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비상(飛翔)하는 것을 잊은 채 해변에서 썩은 고기 대가리나 빵부스러기를 먹고 사는 것에만 묶여있는 갈매기의 삶을 더 이상은 추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통섭적 사유체계로부터 새로운 계몽시대가 열리게 된다. 필자가 생명의 거대사를 집필하게 되는 이유다.  접기
P. 99 <우주의 실체는 의식이다>
우주와 생명의 기원을 탐구함에 있어 종종 빠지기 쉬운 오류는 우리와 우주의 관계를 주체와 대상의 관계로 분리 설정하는 데 있다. 인간과 우주의 분리는 의식[파동]과 물질[입자]의 분리에 기인한다. 눈에 보이는 물질적 우주는 에너지로 접혀진 보이지 않는 우주가 드러난 것이므로 ‘드러난 질서’와 ‘숨겨진 질서’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이 상호 조응한다. 따라서 본체계[의식계]와 현상계[물질계]의 유기적 통합성에 대한 자각이 없이 우주와 생명 현상을 이해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원론에 빠진 과학이 외면해온 보이지 않는 반쪽의 우주[본체계, 의식계]는 보이는 우주[현상계, 물질계]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반쪽의 우주를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우리의 우주를 온전히 이해할 수가 없다. 우리가 육안으로 보는 분절된 물질적 세계는 개체화 의식의 자기투사에 불과한 것이다. 현대 물리학자들은 우리의 육체가 견고한 물질이 아니라 텅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시 말해 우주의 실체가 의식이며, 우리가 딱딱한 육체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접기
P. 250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등장한 것은 자정 0.7초 전쯤이다>
윌슨 주기는 대륙이 갈라지면서 형성되는 열곡대(裂谷帶)에서 시작해 열곡대가 확장되어 바닷물이 들어오면 홍해와 같이 새로운 해양이 생겨나고, 계속 확장되면 대서양과 같이 커다란 대양으로 발전하며, 더욱 확장되면 태평양과 같이 판의 가장자리에 해구가 생성되어 오래된 해양판이 섭입하기 시작하고, 마침내 해양판이 모두 섭입하면 히말라야산맥과 같이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형태가 되며, 언젠가 충돌운동이 멈추면 새로운 초대륙이 형성되고 또 언젠가 갈라져 새로운 윌슨 주기에 접어들게 된다.<193쪽>…시아노박테리아가 이끈 ‘산소혁명’은 진화의 방향을 재조정해 마침내 인간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생물 계통으로 안내했다. 고세균, 세균과 같은 원핵생물의 다양한 물질대사는 지구상의 생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화학순환을 쉼 없이 가동하는 방식으로 지구 생태계의 맥박을 조절한다. 동식물이 이루는 생태계 작동의 열쇠는 먹이사슬의 정점에 있는 큰 척추동물이 아니라 박테리아처럼 작고 단순한 미생물들이다.<213쪽>…인류의 진화과정에서 다양한 계통의 인류가 있었지만 대부분 멸종하고 현생 인류인 호모사피엔스 계통만 살아남아 오늘날의 인류로 진화했다. 지구의 나이 45억 5,000만 년을 하루 24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한 시각은 자정 5.7초 전쯤이고,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등장한 것은 자정 0.7초 전쯤이다.  접기
P. 324 <생물학적 진화 역시 우주의 영적 진화와 조응관계에 있다>
오늘날 과학의 진보는 과학과 영성,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를 허물고 영성을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단계에 진입해 있다. 중력이론과 양자역학의 통합을 통하여 거시적 세계와 양자역학의 세계를 결합하려면 물리적 우주를 넘어선 의식 차원과의 연결이 필수적이다.<304쪽>…19세기 후반 이후 파워엘리트에 의해 권력을 강화하고 특권을 정당화하는 도구로서 물질문명의 근간을 이루었던 다윈의 적자생존의 이론은 생물학적 진화 역시 우주의 진행 방향인 영적 진화[의식의 진화]와 조응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간파하지 못했다.<324쪽>…지금까지 진화론은 주로 물리세계에 초점이 맞춰진 관계로 인간 사회의 진화가 우주의 실체인 의식의 진화와 조응해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지 못했다. 천·지·인 삼신일체이므로 물리세계의 진화는 영적 진화와 표리의 조응관계에 있으며 영적 진화를 위한 학습여건 창출과 관계된다. 진화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거시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314쪽>…오늘날 세계자본주의체제는 개인주의에 기초한 태생적 한계로 인해 자유와 평등의 대통합을 이루지 못한 채 숱한 대립과 폭력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제 우리 인류는 생명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과학적 성찰을 통해 지구의 재조직화를 단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접기
P. 406 <지능은 유전자가 발명한 가장 유용하고도 경이로운 도구>
현생 인류의 진화에 대한 ‘다지역 기원설’이나 ‘아프리카 기원설’은 인류의 진화에 대한 관점 자체가 물리적인 지구 차원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
이 우주는 무수한 다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명체 진화의 역사는 물리적인 지구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우주적 차원에서 연동되어 진행되고 있다.<350쪽>…지금까지 그래 왔듯이 호모 사피엔스 역시 언젠가는 멸종되고 그 자리는 진화된 다른 새로운 종들로 채워질 것이다. 우리가 정작 슬퍼해야 할 것은 멸종이 아니라 왜 사는지도 모르고 죽어 가야 한다는 것이다.<370쪽>…세렝게티 법칙은 생명체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해 주고, 동식물과 나무, 깨끗한 공기와 물을 생산하는 자연의 능력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놀랍고도 심오한 법칙이다.…생물학적인 관점에서 개체의 주인은 뇌가 아니라 유전자이며, 뇌는 유전자의 안전과 복제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드는 대리인이다.<386쪽>… 생명체는 자기복제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지속하기 위해 진화의 산물인 ‘지능’을 사용한다. 뇌와 더불어 지능은 유전자가 자기복제를 위해 발명한 가장 유용하고도 경이로운 도구다.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8년 1월 20일자 '책의 향기/150자 맛보기'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18년 1월 4일자 '북카페'

저자 및 역자소개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 더보기
최근작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호모커넥투스>,<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우주의 탄생에서 지금 여기까지의 역사 전체를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종교와 철학사상, 정치사회와 문화예술 등의 모든 학문 분야를 아울러 일관되게 이해하는 빅 히스토리의 문법에 따를 뿐 아니라, 이 모든 것을 “생명의 거대사”라는 관점에서 재구조화함으로써, 그동안의 빅 히스토리 논의 수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시킨다. 자연과학에서의 통일장이론을 포함하는 “모든 것의 통일장 이론”으로 접근하는 21세기 문명의 대 변곡점에 서 있는 우리 인간과 세계의 개념, 구체적으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 개념을 재정립하는 명실상부한 “빅 히스토리”이다.

1. 빅 히스토리란 무엇인가요?

<<생명의 거대사에서 인간은 우주와 동격이 된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
이 말은 나이지리아 속담이라고 한다.
이 속담은 무한한 진리를 유한한 공간 속에서 표현한 말이다. 이 말을 본디 규모에 맞춰서 표현하면 이러할 것이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우주가 필요하다.”
당연히 이때 ‘우주’는 시간과 공간을 아울러 지칭한다. 불교 용어로 하면 시방세계다. 우리가 아는 한 시간은 138억여 년 전 빅뱅의 그 시각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를 포괄하며, 공간(우주)은 그 끝이 없다고도 하고, 최소한 없는 것과 매한가지라고도 말해진다.
지금까지의 빅 히스토리가 인간은 물론 이 지구조차 ‘우주의 먼지’이며 ‘생명’은 우주 진화의 말단에서 빚어진 우연의 산물로 보아온 것을 전면적으로 전복한다.
진정한 ‘빅 히스토리(거대사)’는, 인간의 사회와 역사, 그리고 과학과 종교 전반을 바로 이러한 지극한 궁극의 맥락에서 궁극적인 혹은 무궁한 범위까지 확장하여 써내려 가는 역사라고 할 때, 여기서 ‘인간’은 ‘생명’의 대명사이다.
몇 백 년, 몇 천 년에 걸친 한 국가, 한 민족의 역사도 그러하지만, 지금 여기에서의 ‘하나의 사건’의 ‘관계’와 ‘인연’을 따라 궁극적인 원인과 궁극적인 의미를 캐어가다 보면, 그 범위는 ‘우’와 ‘주’라고 하는 시공간 전역에 걸치게 된다.
빅뱅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한 줄로 세워, 우주와 지구와 인간의 존재 의미를 재음미하자는 것이 빅 히스토리의 기본 정의라면, 이 책 “빅 히스토리-생명의 거대사”는 그 역사 이전과 역사, 그리고 역사 이후까지를 관통하는 것이 바로 ‘생명’임/일 수밖에 없음을 밝힌다.
지동설과 진화론의 등장으로, 우주의 먼지와 동격으로 전락하였던 인간은 이제 '인식'의 담당자로서 우주 그 자체와 정면으로, 전면적으로 통섭할 수 있는 존재로 등극하는 극적인 반전의 순간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2. "빅 히스토리 - 생명의 거대사, 빅뱅에서 현재까지"는 어떻게 해서 나오게 되었나요?

<<인간 의식의 확장의 결실로서, 우주의 진리를 파지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가 정설로 수용하는 ‘빅뱅이론’에 따르면, 현재의 우주는 ‘확장하는 우주’이다. 그것은 예측과 관측을 종합하여 내린 과학적인 결론이다.
근세기에 들어 오랫동안 우리는 이 세계가 우리의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한다고 믿어 왔다. 그런데 최신의 과학이론(양자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속한 이 우주는 우리의 의식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어서, 우리의 의식 향방에 따라 우주의 존재 양상이 달라진다. 이것은 괜한 공론이나 공허한 말장난이 아니라, 최신의 과학적 검증을 거친 실증적 이론이다.
그렇게 보면 사실, 확장되는 것은 ‘우주’가 아니라, 인간의 의식 혹은 인간의 예측과 관측 그 자체이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태양계 속에 모든 별들이 속해 있다고 보았다. 그것이 은하계까지 확장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고, 그 은하계조차 수많은 은하계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은하계들이 존재하는 곳이 이 우주이며, 그 우주조차도 무수한 우주(다중우주)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하는, "확장의 확장"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의 예측과 관측이며, 그것이 태어나는 곳은 의식의 세계라는 말이다.
그런 가운데 "오늘날 과학기술 패러다임의 변화가 지식의 대통합을 통해 총체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 내면서 자연스레 의식 확장이 뒤따르게 되었고, 이를 반영하여 반영하여 "세계사를 새로운 프레임으로 조망하는 빅 히스토리(거대사)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빅 히스토리'라는 말(개념)을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진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공로를 십분 인정한다 하더라도, 이제 '빅 히스토리'는 특정한 개인의 관념으로부터 독립하여 있는, 인간의 의식이 도달한, 우주의 궁극적 진리 파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하며, 이 책은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이다.
그런 점에서 저자가 이 책의 서두(1부, 제1장)에서 “생명의 거대사”로서의 빅 히스토리의 핵심인 생명의 본성을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접합을 통해 밝히는 것은 이 책의 성격과 가치를 규정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된다. 빅 히스토리는 당연히 국가나 민족, 나아가 생물종의 차이는 물론,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마저 넘어서는 것이지만, 그것을 전제로, 이 책은 서양의 지적 전통의 맥락에서 발아한 '빅 히스토리'에 동양적 자양분을 토대로 개화시킴으로써, 통섭과 통찰의 완성을 성취한다.

3. 빅 히스토리는 무슨 소용이 되나요?

<<나의 존재론적인 도약, 우리 세계의 차원 변화적인 초월>>
“우리는 왜 태어났으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이 질문을 이렇게도 바꿀 수 있다.
“우주는 왜 생겨났으며, 어떻게 생겨났으며,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것일까?”
앞의 질문은 종교와 인문학의 출발점이 되고, 뒤의 질문은 자연과학의 출발점이 된다. 그리고 최신의 과학이론(양자론)에 이르러 이 둘(혹은 셋)은 마침내 통일을 지향하게 된다. 그 통일 지향성을 바탕으로 서술한 역사가 바로 “빅 히스토리”이다.
그러나 ‘빅 히스토리’가 스스로 표방하는바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을 진정으로 이루지 못하고, 단지 분과학문의 성과를 모아서 요약하고 이어붙인 데에 그치고 만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지적 유희나 일시적인 유행에 그치고 말 것이다.
이 책은 “다중심적이며 통섭적인 시각에서 빅뱅에서부터 ‘포스트휴먼(posthuman)’에 이르기까지 우주와 지구 그리고 생명의 역사를 통합적으로 조망한다.” 따라서 “통섭적 사유체계에 의한 패러다임 전환”은 빅 히스토리가 논의되는 전제조건이자 빅 히스토리의 결실로 얻게 되는 인류 의식의 새로운 차원/단계이다. 빅 히스토리가 상식적인 인식의 지평이 되는 세계/우주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우주라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상에는 수많은 갈등과 폭력(전쟁)이 횡행하고, 또 한편에서는 굶주림과 질병이,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기상이변과 생물의 대멸종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빅 히스토리-인식의 확산은 우리에게 이러한 문제점들의 종국적인 출구를 보여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출구를 통과하기 위해 / 통과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인간 자체의 질적 차원 변화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오늘날 인공지능과 인간의 결합 내지 융합이 머지않은 장래에 보편화되리라는 것은 그 일단을 현재 수준에서 이해하고 예견하는 것에 불과하다.
진정한 ‘신인간’의 도래는 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고, 근본적인 차원으로 진행될 것이다. 빅 히스토리는 그 모든 것을 아울러 기술하는 ‘통일장 이론’으로 발전해 나갈 것 / 나가야 한다.
“인간은 왜 사느냐?”라는 질문은 인류 역사 이래 오랫동안 ‘하나마나 한’ 질문일 뿐이었다. 그 답이 제각각일 수밖에 없는, 사적인 질문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빅 히스토리를 이해하면, 우리는 비로소 그 질문에 대하여 ‘인류와 생명의 차원에서’ 의미 있는 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4. 빅 히스토리는 어느덧 새로울 게 없는 이야기 아닌가요?

<<생명의 거대사, 빅뱅(元 특이점)에서 새로운(新) 특이점의 도래까지>>
“천지만물이 생겨나기 전에 생명이 있었다!”
이 책이 주장하는 빅 히스토리가 지금까지의 빅 히스토리와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첫 번째 지점은 ‘생명’의 기점을 어느 때로 보느냐 하는 부분이다. 그동안의 ‘빅 히스토리’ 역사관에서는 138억년의 우주 역사, 45억년의 지구 역사에 이어, 대략 38억 년 전쯤에 최초의 원핵세포가 만들어지면서, 비로소 ‘생명’의 역사가 시작된다고 본 반면, 이 책의 역사관은 빅뱅 이전에 생명이 있었고, 빅 히스토리란 바로 ‘생명의 진화와 확장의 역사’라고 주장한다.
이 책이 기술하는 빅 히스토리의 또 하나의 특징은 빅 히스토리의 시작점과 종점을 어디로 두느냐 하는 것이다. 빅 히스토리의 시창자 데이비드 크리스천은 빅 히스토리를 ‘다양한 학문 분야를 함께 묶어 빅뱅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과거를 통일된 하나의 이야기로 만든 새로운 지식 분야’라고 정의한다. 이 정도라면, ‘빅뱅에서 현재까지’의 역사라고 하는 것은 그동안의 역사를 양적으로 확장시켜 놓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빅 히스토리’는 지금까지의 역사를 “우주의 기원(빅뱅)으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기간”이라는 ‘시간 내적인 수준’에서 이해하는 수준에서 한 차원 도약하고 초월하는 것이어야 한다. “필자가 말하는 빅 히스토리는 정신·물질 이원론에 입각한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지식의 대통섭을 통해 현상계와 본체계의 상관관계를 조망하는 생명의 거대사다. 존재계와 의식계가 상호 조응·상호 관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역사다. 거대사가 생명의 거대사일 수밖에 없는 것은 우주의 본질 자체가 생명이고 생명의 전일적 흐름과 연결되지 못한 것은 결국 허구이기 때문이다. 생명은 천·지·인을 포괄하며 전 우주가 생명의 전일적 흐름인 까닭에 생명 아닌 것이 없으므로 생명의 거대사인 것이다.”

5. 이 책의 특징을 요약해서 설명한다면?

첫째, 빅 히스토리가 과거사의 단순한 집적이 아닌 생명의 거대사임을 새롭게 체계화시키고 있다.
둘째, 빅 히스토리 역사철학은 생명이 완전한 자유를 향해 나아가는 영적 진화의 여정임을 밝힌다.
셋째, 생명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통해, 생명을 ‘물 자체’로 귀속시킨 근대 서구 문명의 대안을 제시한다.
넷째, 서구 중심주의에 함몰된 시간의 역사(세계사)를 넘어 인류의 뿌리 문명에 대한 탐색을 보여준다.
다섯째, 단선적인 사회발전 단계이론을 벗어나 영원의 견지에서 세계 역사를 조망하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여섯째, 우주만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의 의미와 그것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을 통찰할 수 있게 한다.

6. 책의 구조 - 제1부 「우주와 지구 그리고 생명」

제1장 “생명의 거대사란?”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접합을 통해 생명이 비분리성·비이원성을 본질로 하는 영원한 ‘에너지 무도’라는 것과, 생명’의 자기조직화에 의해 우주만물이 생겨났다는 점을 밝힌다. 생명의 거대사는 단순한 물질문명의 역사가 아니라, 물질문명과 그 배후에 있는 인간 의식의 진화 과정이 거울처럼 상호 대칭적으로 작용하며 짝을 이루는 관계성의 역사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존재로서의 체험을 통해 ‘참나’와 대면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제2장 “빅뱅과 우주의 탄생” : 빅뱅이론을 우주의 탄생의 출발점으로 인정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남은 의문은 ‘애초에 무엇이 빅뱅을 일으켰는가?’라는 것이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이 "다중우주" 개념으로 기울어가는 동안 필자는 "우주 삼라만상은 작위함이 없이 자연히 생겨나는 것"으로서 "무위의 천지창조 또는 생명의 자기조직화"가 출발점이라고 한다. 생명의 자기조직화는 ‘창조냐 진화냐’라는 이분법적 도식보다는 ‘창조적 진화’라는 통섭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제3장 “지구, 생명체의 보고(寶庫)” : 우주가 ‘탄생’한 이후의 대부분의 ‘존재’는 ‘별’로부터 유래한다. 그런 점에서 삼라만상은 ‘별’의 자손이다. 그로부터, 우리가 아는 경로를 따라 지구가 탄생하고, 약 38억 전에 “지구 생명체”(생명이 아니다)가 탄생한 이래로 4만 년 전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이르기까지 경로를 밝힌다.

7. 책의 구조 - 제2부 「생명과 진화」

제4장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 : 오늘날 과학의 진보는 양자물리학과 영성의 접합에서 보듯이 과학과 영성,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를 허물고, 우리가 관찰하는 대로 세계가 존재하고 물질들이 변화한다고 보는 양자물리학의 ‘관찰자 효과’와, 일체가 오직 마음이 지어내는 것이라고 보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가 상통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획기적인 전기를 맞고 있는 지금, 과학과 영성과 진화에 대한 통섭적 이해와 존재론적 통찰이 절실히 요구된다.

제5장 “인류의 진화 계통수와 생명체 진화의 역사- ‘나’의 세계” : 생명체의 가장 근본적인 속성은 자기복제이다.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개체의 주인은 뇌가 아니라 유전자이며, 뇌는 유전자의 안전과 복제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드는 대리인이다. 생명체는 자기복제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지속하기 위해 진화의 산물인 ‘지능’을 사용한다. 뇌와 더불어 지능은 유전자가 자기복제를 위해 발명한 가장 유용하고도 경이로운 도구다.

제6장 “홀로세(Holocene Epoch 沖積世(현세)): ‘우리’와 ‘그들’의 세계” : 기원전 11000년경 이후 현세의 전개과정은 ‘메타 경계’의 출현과 맥을 같이한다. 모든 경계는 기술적, 정치적인 힘을 수반하는 동시에 소외, 파편화, 갈등도 수반한다. 이렇게 해서 ‘우리’와 ‘그들’로 이분화된 세계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양자물리학자들은 경계라는 것이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관습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경계란 실재를 느끼고 만지고 측정한 산물이 아니라, 영토를 지도로 그려내는 것처럼 실재를 작도하고 편집한 방식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실재는 무경계(reality is no-boundary)’이며 순수 현존이다.

8. 책의 구조 - 제3부 「포스트모던 세계와 트랜스휴머니즘」

제7장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우리 모두’의 세계” : 트랜스휴머니즘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지능적, 육체적 한계가 극복되고 인체가 강화된 포스트휴먼의 등장을 현재진행형으로 이해한다. 인간 사회의 모든 기술과학적 진보는 ‘인간 종의 변형’을 향해 맞추어져 있으며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달로 자연선택은 지적 설계로 대체되고 있다. 미래학자들은 포스트휴먼이 현재의 인간보다 훨씬 업그레이드된 육체적, 지적 능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제8장 “4차 산업혁명과 ‘GNR’ 혁명 그리고 플랫폼 혁명” : 4차 산업혁명에서 인간과 기계와 자원은 가상 물리 시스템(CPS)을 기반으로 전 과정논스톱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세계 각국에서 잇따라 도입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GNR’ 혁명, 사물인터넷과 플랫폼 혁명을 살펴보고,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져 온 지능을 정복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인간 문명이 경험하게 될 가장 심원한 변화가 될 인공지능(AI) 혁명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본다.

제9장 “‘특이점’의 도래와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 많은 과학자들이 우리 앞에 임박한 것으로 예고하는 "미래의 특이점"이 우리 삶에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변화를 예측해 본다. 생명공학에서 인공지능까지, "이미 와 있는 미래"로서의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기술혁신은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묻는 것으로 귀결된다. 우리의 생각이 세상을 만드는 것이니, 물질세계의 진화는 의식의 진화와 표리의 조응관계에 있다.

9. 책의 구조 - 빅 히스토리 시대의 인류의 과제는?

<<영적 진화를 위한 공부를 위해 우리는 살아간다>>
우리가 이 세계(우주)에 태어나 살고 있는 이유는 영적 진화를 위한 공부를 하기 위해서이다. 138억 2,000만 년이라는 긴 시간의 터널을 빠져 나오면서 새로운 문명을 열기 위해 우리가 첫 대면을 하게 된 존재는 바로 ‘우리 자신’이다. 우리가 겪는 모든 문제는 우리 자신의 세계관과 사고방식, 가치체계에서 나온 것들이기 때문에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식 자체를 바꾸어야 해결책도 실효를 거둘 수 있다. ‘특이점’을 향한 카운트다운은 이미 시작되었다.
21세기 문명의 대변곡점에서 우리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개념도 재정립해야 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의식이 바로 새로운 문명을 여는 마스터키이기 때문이다. 접기

알라딘: 천부경 - 삼일신고 참전계경 최민자 [국민강좌] 천부경과 국학

알라딘: 천부경


천부경 - 삼일신고 참전계경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06-05-25

양장본
904쪽

책소개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을 정치(精緻)한 학문적 기준과 영적 체험을 기반으로 주해한 책. 재야사학의 대상으로만 다루어졌던 이들 경전에 강단학자의 주해를 통해 새롭게 접근했다.

지은이는 천부경은 단순한 종교 경전이 아니라 정치적 권위의 상징인 동시에 나라를 경영하는 정치 대전이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보편적 지식 체계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학술적 접근을 통한 선행 연구가 없어 연구자들의 접근이 어려웠으며, 그 결과 학계의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고 말한다.

책은 수천 년 동안 국가 통치엘리트 집단의 정치교본이자 만백성의 삶의 교본으로서 전 세계에 찬란한 문화, 문명을 꽃피우게 했던 천부경이 유일신 논쟁, 창조론- 진화론 논쟁, 유물론-유심론 논쟁, 신-인간 이원론, 종교의 타락상과 물신 숭배 사조, 인간소외 현상 등에 대해 그 어떤 종교적 교의나 철학적 사변이나 언어적 미망에 빠지지 않고 단 81자로 명쾌하게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먼저 원문을 번역하고, 지은이가 이해한 방식으로 이를 해설하였으며, 원문 번역에 대한 주해를 붙이고, 그리고 각주에서 해당 경전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천부경이 전 세계 종교와 사상의 원류라 할 만한 진경(眞經)임을 밝혀낸다. 특히 삼일신고의 중핵을 이루는 '성기원도 절친견 자성구자 강재이뇌(聲氣願禱 絶親見 自性求子 降在爾腦)'에 대한 해석석은 이 책에서만이 볼 수 있는 것이다.

또 참전계경의 경우에도 단순히 문자로 풀지 않고 저자의 영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정치(精緻)한 해석을 통하여 그 이치를 명료하게 드러내고 있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예를 들면 신체의 아홉 구멍(九竅)과 마음의 아홉 구멍의 관계, 사람이 태어날 때 여덟 가지가 다르고 아홉 가지가 특수하게 다른 것에 관한 해설 등이 그것이다.

==

목차
서문 : 하늘소리

1부 : 천부경

1장 : 천부경의 이해
2장 : 천부경의 주해

2부 : 삼일신고

3장 : 삼일신고의 이해
4장 : 삼일신고의 주해

3부 : 참전계경

5장 : 참전계경의 이해
6장 : 참전계경의 주해

부록 : 참고문헌의 요체, 색인



책속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에서 마음을 밝히는 가르침을 근본으로 삼은 것은 정치의 주체인 인간의 마음이 밝아지지 않고서는 밝은 정치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마음이 밝아진다고 하는 것은 내재적 본성인 신성을 깨달아 우주만물이 결국 하나임을 알게 된다는 것이고 이는 곧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들 경전의 가르침은 재세이화,홍익인간의 이념과 경천숭조(敬天崇祖)의 보본(報本)사상 속에 잘 구현되어 있으며, 참전계경에서는 그러한 성통공완(性通功完)에 이르는 길을 366사로써 제시하고 있다. 이들 세 경전을 관통하는 핵심 사상인 천,지,인 삼재의 조화는, 생명현상을 개체나 종(種)의 차원이 아닌 생태계 그 자체로 인식하여 이 우주가 상호 작용하는 네트워크체제로 이루어져 있다는 현대 물리학의 생태적 관점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현대 민주주의가 정치의 요체를 사람이 아닌 제도와 정책에 둠으로써 인간소외현상을 야기시켰다면, 이들 사상은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대립성과 분절성을 지양하고 융합과 조화에 그 토대를 둠으로써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인간소외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추천글
한민족의 3대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을 정치(精緻)한 학문적 기준과 영적 체험을 기반으로 주해한 책. 그동안 '국학(國學)' 또는 '재야사학'의 대상으로만 다루어졌던 이들 경전이 강단학자의 주해를 통해 새롭게 접근됨으로 해서, 천부경이 전 세계 종교와 사상의 원류라 할 만한 진경(眞經)임을 밝혀내었다.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 더보기
최근작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호모커넥투스>,<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 총 21종 (모두보기)
북플 bookple=
     
출판사 서평
 
수천 년 동안 국가 통치엘리트 집단의 정치교본이자 만백성의 삶의 교본으로서 전 세계에 찬란한 문화․문명을 꽃피우게 했던 천부경은, 현재 지구촌의 종교세계와 학문세계를 아우르는 진리 전반의 문제와 정치세계의 문명충돌 문제의 중핵을 이루는 유일신 논쟁, 창조론-진화론 논쟁, 유물론-유심론 논쟁, 신-인간 이원론, 종교적 타락상과 물신 숭배 사조, 인간 소외 현상 등에 대해 그 어떤 종교적 교의나 철학적 사변이나 언어적 미망에 빠지지 않고 단 81자로 명쾌하게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집일함삼(執一含三)’과 ‘회삼귀일(會三歸一)’을 뜻하는 일즉삼[一卽多]/삼즉일[多卽一]의 원리에 기초한 천부경의 천․지․인 삼신일체 사상은 유일신 논쟁을 침묵시킬만한 난공불락의 논리구조와 ‘천지본음(天地本音)’을 담고 있다.

즉 본체-작용-본체와 작용의 합일, 정신-물질-정신과 물질의 합일, 보편성-특수성-보편성과 특수성의 합일이라는 천부경 81자의 변증법적 논리구조는 천ㆍ지ㆍ인 삼재의 융화를 바탕으로 일즉삼ㆍ삼즉일의 원리가 인간 존재 속에 구현되는 함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불교의 삼신불(三身佛: 法身․化身․報身)이나 기독교의 삼위일체(三位一體: 聖父․聖子․聖神), 그리고 동학의 내유신령(內有神靈)/외유기화(外有氣化)/각지불이(各知不移)는 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의 중핵을 이루는 천/지/인 삼신일체의 가르침과 그 내용이 같은 것이다.

또한 본서는 선교(仙敎),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교, 천도교[동학] 등 전 세계 경전과 현대 물리학 - 특히 양자론 - 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동서고금 사상의 정수를 섭렵케 함으로써 무수한 진리의 가지들이 결국 하나의 진리로 되돌아감을 보여주고 있다.

일즉삼/삼즉일의 원리에 기초한 세 경전의 가르침은 인간 존재의 세 중심축이랄 수 있는 종교와 과학과 인문 즉 신과 세계와 영혼의 세 영역(天地人 三才)의 분절성을 극복하게 함으로써 인간 존재의 ‘세 중심축’의 연관성 상실을 초래한 근대 서구의 정치적 자유주의를 치유할 수 있는 묘약(妙藥)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전일적이고 생태적이며 영적(靈的)인 현대 물리학의 새로운 실재관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 접기
소걸음 2006-05-21 공감(2) 댓글(0)

=====
얼(뿌리를 찾아서)/국학원 국민강좌
[92회 국민강좌] 
천부경과 국학 - 성신여대 교수 최민자님 -

海天(해천) 2018. 2. 2. 09:22


https://www.youtube.com/watch?v=Hj5GuldoBH8
====
[92회 국민강좌] 천부경과 국학
.- 성신여대 교수 최민자님 -


1. 프롤로그: 왜 오늘날 천부경인가?

전일적 패러다임(holistic paradigm)으로 압축되는 현대 과학의 핵심 원리는 동양에서는 이미 9,000년 이상 전부터 정립된 것이다. 약 6,000년 전 환웅천황 때 녹도(鹿圖) 문자로 기록되어 정치대전이자 삶의 교본으로서 활용되었던 『천부경(天符經)』의 삼신일체(三神一體, 三位一體) 사상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전일적 패러다임을 기용하여 혼돈 속의 질서를 찾아내려 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 과학 또한 그 당시에 정립되어 실생활에서도 활용되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1부터 10까지 숫자들의 순열 조합으로써 삼라만상의 천변만화(千變萬化)에 질서를 부여하는 천부경의 3화음적 구조――즉, 생명의 본체-작용-본체와 작용의 합일――자체가 복잡계인 생명계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정립될 수 없는 것이다. 우주만물은 모두 간 것은 다시 돌아오고 돌아온 것은 다시 돌아간다는 자연의 이법(無往不復之理)은 일체가 초양자장에서 나와 다시 초양자장으로 환원한다는 양자이론과 조응한다. 이렇듯 상생상극하는 천지운행의 현묘한 이치는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의 원리, 복잡계의 특성인 프랙털 구조, 자기조직화, 비평형, 비가역성, 비선형성, 초기조건에의 민감성, 요동(fluctuation)현상, 창발현상을 함축하고 있어 생명의 기원과 세상사의 신비를 연구하는 오늘날의 복잡계 과학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천부경은 가장 오래된 ‘새것’이다. 수천 년 동안 정치대전이자 삶의 교본이었던 천부경을 배제하고서는 국가적?민족적 정체성을 논할 수도, 국학을 논할 수도 없다. 천부경은 우리의 국혼(國魂)이기 때문이다.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부도지(符都誌)』에서도 밝히고 있거니와, 천부경은 상고시대 아시아의 대제국 환국(桓國)이 세계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로서, 사해의 공도(公都)로서, 세계 문화의 산실(産室) 역할을 하게 했던 ‘천부보전(天符寶典)’이었다. 환인, 환웅, 단군[환검] 이래 전해진 천부사상의 가르침은 천신교(天神敎), 신교(神敎), 수두교(蘇塗敎), 대천교(代天敎, 부여), 경천교(敬天敎, 고구려), 진종교(眞倧敎, 발해), 숭천교(崇天敎?玄妙之道?風流, 신라), 왕검교(王儉敎, 고려), 배천교(拜天敎, 遼?金), 주신교(主神敎, 만주)1) 등으로 불리며 여러 갈래로 퍼져 나갔다. 파미르고원의 마고성에서 시작된 우리 민족은 환국, 배달국, 단군조선에 이르는 과정에서 전 세계로 퍼져 나가 우리의 천부(天符) 문화를 세계 도처에 뿌리내렸던 것이다. 아시아의 대제국 환국(桓國)의 12연방 중 하나인 수밀이국(須密爾國)은 천부사상으로 오늘날 4대 문명이라 일컬어지는 수메르 문화를 발흥시켰으며, 특히 수메르인들의 종교문학과 의식이 오늘날 서양 문명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기독교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진 바이다.

이처럼 우리의 천부사상이 동?서양의 문화?문명을 발흥시킨 모체였다는 사실이 점차 밝혀지고 있는 것은, 하늘(天)과 성(性)과 신(神)이 하나로 용해된 천부사상에서 전 세계 종교와 사상 및 문화가 수많은 갈래로 나누어져 제각기 발전하여 꽃피우고 열매를 맺었다가 이제는 다시 하나의 뿌리로 돌아가 통합되어야 할 시점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오늘날까지도 세계 각지의 신화, 전설, 종교, 철학, 정치제도, 역(易)사상과 상수학(象數學), 역법(曆法), 천문, 지리, 기하학, 물리학, 언어학, 수학, 음악, 건축, 거석(巨石), 세석기(細石器), 빗살무늬 토기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천부 문화의 잔영을 찾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인류의 문화?문명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약 9,000년 이상 전부터 찬란한 문화?문명을 꽃피웠던 우리 상고사와 그 중심축으로서 기능하였던 천부사상을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리 국학의 뿌리랄 수 있는 천부사상의 르네상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천시(天時)와 인사(人事)가 상합하는 이치로 새겨볼 수 있을 것이다.

‘집일함삼(執一含三)’과 ‘회삼귀일(會三歸一)’2)을 뜻하는 일즉삼[一卽多]?삼즉일[多卽一]의 원리에 기초한 천부경의 삼신일체 사상은 일체의 생명이 천?지?인 혼원일기(混元一氣)에서 나와 다시 그 하나인 혼원일기로 돌아감을 보여준다. 말하자면 초월성인 동시에 내재성이며, 전체성[一]인 동시에 개체성[多]이며, 우주의 본원인 동시에 현상 그 자체인 생명의 본질을 일즉삼?삼즉일의 논리구조로써 명징하게 밝히고 있는 것이다. 존재의 자기근원성과 전일성에 대한 천부사상의 인식은 일체의 생명이 자기생성적(self-generating) 네트워크체제로서의 우주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 근원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 점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자본자근(自本自根)?자생자화(自生自化)하는 ’하나(一)‘3)의 조화, 즉 생명의 파동적 성격을 깨닫게 되면 본체계와 현상계를 회통(會通)하게 됨으로써 내재와 초월, 본체와 작용이 결국 하나임을 알게 된다. 신과 인간의 이분법적 도식화는 본체계와 현상계를 상호 관통하는 ’하나(一)‘의 조화 작용을 깨닫지 못한 데 기인한다. 일체의 이분법이 폐기된, 이른바 ’무리지지리 불연지대연(無理之至理 不然之大然)‘4)의 경계에 이르면, 삼라만상은 ‘하나(一)’가 남긴 자국들에 불과한 것임을 알게 된다.

수천 년 동안 국가 통치엘리트 집단의 정치대전이자 만백성의 삶의 교본으로서 전 세계에 찬란한 문화?문명을 꽃피우게 했던 천부경은, 현재 지구촌의 종교세계와 학문세계를 아우르는 진리 전반의 문제와 정치세계의 문명충돌 문제의 중핵을 이루는 유일신 논쟁, 창조론?진화론 논쟁, 유물론?유심론 논쟁, 신?인간 이원론, 종교적 타락상과 물신 숭배 사조, 인간 소외 현상 등에 대해 그 어떤 종교적 교의나 철학적 사변이나 언어적 미망에 빠지지 않고 단 81자로 명쾌하게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천도(天道)에 부합하는 천?지?인 삼신일체 사상은 유일신 논쟁을 침묵시킬만한 난공불락의 논리구조와 ‘천지본음(天地本音)’5)을 담고 있다. 무수한 진리의 가지들이 결국 하나의 진리로 되돌아감을 보여주는 천부사상은 인간 존재의 ‘세 중심축’―종교와 과학과 인문, 즉 신과 세계와 영혼의 세 영역(天地人 三才)―의 연관성 상실을 초래한 서구적 근대의 극복을 통해 신문명의 개창 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 오늘날 천부경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 천부경의 전래

『천부경』은 우주만물의 창시창조와 생성, 변화, 발전, 완성의 원리를 밝힌 총 81자로 이루어진 우리 민족 으뜸의 경전이다. 한민족 정신문화의 뿌리이며 세계 정신문화의 뿌리가 되는 큰 원리를 담고 있어, 『삼일신고(三一神誥, 敎化經)』, 『참전계경(參佺戒經, 366事, 治化經)』을 비롯한 우리 민족 고유의 경전과 역(易)사상에 근본적인 설계원리를 제공하였다. 「태백일사(太白逸史)」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 등에는 천부경이 지금으로부터 약 9,000년 전 천제 환인(桓仁)6)이 다스리던 환국(桓國)7)으로부터 구전된 글이라고 나와 있다.8) 그 후 약 6,000년 전 배달국 시대에 환웅(桓雄)이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문자인 사슴 발자국 모양을 딴 녹도 문자로 기록케 하여 전하다가, 단군조선에 이르러서는 전문(篆文)으로 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천부경은 훗날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전자(篆字)로 기록해 놓은 옛 비석을 보고 다시 한문으로 옮겨 서첩(書帖)으로 만들어 세상에 전한 것이다.9) 최치원 이후 천부경은 조선 중종 때 일십당주인(一十堂主人) 이맥(李陌)이 태백일사(太白逸史)에 삽입하여 그 명맥을 잇다가 1911년 운초(雲樵) 계연수(桂延壽)가 『환단고기(桓檀古記)』를 편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환단고기』는 신라 승려 안함로(安含老)의 『삼성기(三聖記)』와 원동중(元董仲)의 『삼성기(三聖記)』, 고려 말 행촌(杏村) 이암(李?)의 『단군세기(檀君世紀)』, 고려 말 휴애거사(休崖居士) 범장(范樟)의 『북부여기(北夫餘紀)』 그리고 이암의 현손인 이맥의 『태백일사』를 합본한 것으로 우리 환단(桓檀: 환국ㆍ배달국ㆍ단군조선)의 역사를 알게 해 주는 소중한 역사서이다. 『환단고기』 내의 여러 기록들은 천부경이 환국ㆍ배달국ㆍ단군조선ㆍ부여ㆍ고구려ㆍ대진국[발해]ㆍ고려로 이어지는 우리 역사 속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중시되었던 경전임을 밝히고 있다.

「삼성기」ㆍ「단군세기」ㆍ「태백일사」 등은 천부경이 우리 국조(國祖)이신 환웅천황과 단군왕검의 제왕적 권위를 상징하는 징표로서 천제의 즉위식이나 제천의식 거행시 ‘천부보전(天符寶篆)’으로 받들어진 성스러운 경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만세의 경전으로서 만백성을 교화시키고자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가르쳤다는 사실도 전하고 있다. 말하자면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하는 정치 교본이자 임금과 신하와 백성 모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삶의 교본이었던 셈이다. 삼성기에는 환웅천황이 개천하여 백성들을 교화할 때 천경(天符經)과 신고(三一神誥)를 강론하여 크게 가르침을 편 것으로 나와 있고,10) 단군세기에도 ‘천경’과 ‘신고’가 나오고 있고 천부경의 핵심 원리인 삼신일체를 의미하는 ‘집일함삼’과 ‘회삼귀일’의 천계(天戒)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三韓管境本紀) 마한세가(馬韓世家) 상편에는 윷놀이를 제정하여 환역(桓易)을 풀이한 것이 바로 신지 혁덕이 기록한 ‘천부(天符)’의 남긴 뜻이라고 하고 있고,11) 번한세가(番韓世家) 상편에는 ‘천부왕인(天符王印)을 차면 험한 곳을 지나도 위태롭지 않고 재앙을 만나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고 하고 있다.12)

이 외에도 천부경의 원리나 가르침을 거론한 자료는 적지 않으며, 그 명칭 또한 천부경 또는 천경(天經), 진경(眞經), 천부(天符), 천부진경(天符眞經), 천부보전(天符寶篆), 천부보전(天符寶典), 금척(金尺) 등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천부경ㆍ삼일신고ㆍ참전계경을 압축한 『단군팔조교(檀君八條敎)』, 환국ㆍ배달국ㆍ단군조선에 이르는 역사와 천부경의 원리를 총 180자로 밝힌 『신지비사(神誌秘詞)』, 박제상의 『징심록(澄心錄)』 15지(誌) 가운데 제1지인 「부도지」,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13), 발해국 시조 대조영(大祚榮, 高王)의 아우 반안군왕(盤安郡王) 대야발(大野勃)의 『단기고사(檀奇古事)』 등에 천부경의 원리와 그 가르침이 나타나 있으며,14) 또한 조선 정조(正祖) 5년 구월산 삼성사에 올린 치제문(致祭文)15)에 ‘천부보전(天符寶篆)이 지금에 이르러서는 사실적 물증이 없으나 우리 동국역사에서는 신성하게 일컬어지며 세세로 전해져 왔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천부경의 지속적인 전승과 심대한 가치를 짐작케 한다.

『천부경』 원문 81자가 모두 수록된 문헌과 자료로는 대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이맥의 『태백일사』에 실려 있는 <태백일사본(太白逸史本)>이다.

둘째, 1916년 계연수가 묘향산 석벽에서 발견, 이를 탁본하여 이듬해인 1917년 단군 교당에 전했다는 <묘향산 석벽본이다.

셋째, 성균관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최문창후전집(崔文昌候全集)』의 <최고운 사적본(崔孤雲 事跡本)>이다.

넷째, 조선 말 대유학자 노사 기정진(盧沙 奇正鎭) 계통으로 전해온 <노사전 비문본(蘆沙傳 碑文本)>이다.

다섯째, 고려말 6은(六隱) 중의 한 사람인 농은 민안부(農隱 閔安富)의 <농은 유집본(農隱 遺集本)>이다.


여기에는 천부경 81자가 한자의 초기 형태인 갑골문(甲骨文, 象形文字)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것이 <태백일사본>과 <묘향산 석벽본>으로 이 양 본은 전문이 모두 일치하고 있다.


3. 천부경의 구조

『천부경』은 본래 장이 나누어져 있지 않았지만, 필자는 천부경이 담고 있는 의미를 보다 명료하게 풀기 위하여 상경(上經) 「천리(天理)」, 중경(中經) 「지전(地轉)」, 하경(下經) 「인물(人物)」의 세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상경 「천리」는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天一一地一二人一三 一積十鉅無?化三’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하나(一)’의 본질과 무한한 창조성, 즉 천?지?인 혼원일기인 ‘하나(一)’에서 우주만물이 나오는 일즉삼(一卽三)의 이치를 드러낸 것이다. 중경 「지전」은 ‘天二三地二三人二三 大三合六生七八九 運三四成環五七’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양 양극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 천지운행이 이루어지고 음양오행이 만물을 낳는 과정이 끝없이 순환 반복되는 ‘하나(一)’의 이치와 기운의 조화(造化)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하경 「인물」은 ‘一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 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주만물의 근본이 ‘하나(一)’로 통하는 삼즉일(三卽一)의 이치와 소우주인 인간이 대우주와 합일함으로써 하늘의 이치가 인간 속에 징험(徵驗)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천부경의 구조를 본체와 작용의 관계로 살펴보면, 상경 「천리」의 ‘천일 지일 인일(天一地一人一)’은 한 이치 기운을 함축한 체(體)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법신(法身) 즉 내유신령(內有神靈: 내재적 본성인 신성)과 조응하는 것이라면, 중경 「지전」의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天二三地二三人二三)‘은 한 이치 기운의 조화 작용인 용(用)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화신(化身) 즉 외유기화(外有氣化: 氣化의 작용)와 조응하는 것이고, 하경 「인물」의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은 한 이치 기운과 하나가 되는 상(相)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보신(報身), 즉 각지불이(各知不移)와 조응하는 것이다. 내유신령과 외유기화는 법신과 화신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본체와 작용의 관계로서 그 체가 둘이 아니므로 모두 일심법이다. 법신[內有神靈]이 염(染)?정(淨) 제법(諸法)을 포괄한 가능태라면, 보신은 자성(自性)의 자각적 주체가 되는 구체적 현실태이다. 천부경의 ‘천일 지일 인일’?’천이삼 지이삼 인이삼‘?’인중천지일‘은 천ㆍ지ㆍ인 삼신일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천부경의 천ㆍ지ㆍ인 삼신은 불교의 법신?화신?보신, 동학의 내유신령?외유기화?각지불이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자성[一心]의 세 측면16)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듯 천부경 81자는 본체-작용-본체와 작용의 합일[정신-물질-정신과 물질의 합일, 보편성-특수성-보편성과 특수성의 합일]이라는 ‘생명의 3화음적 구조(the triad structure of life)’17)로 이루어져 있는 까닭에 필자는 천부경을 생명경(生命經)이라고 부른다. 생명의 본체를 나타낸 「천리」는 한 이치 기운(一理氣)18)을 함축한 전일적인 의식계[본체계]이고, 그 작용을 나타낸 「지전」은 한 이치 기운의 조화 작용을 나타낸 다양한 물질계[현상계]이며, 본체와 작용의 합일을 나타낸 「인물」은 이 양 세계를 관통하는 원리가 내재된 것으로 한 이치 기운과 하나가 되는 일심의 경계이다. 다시 말해 본체가 내재적 본성인 신성[靈性]이라면, 작용은 음양의 원리와 기운의 조화(造化) 작용으로 체(體)를 이룬 것이다. 본체가 초논리?초이성?직관의 영역인 진제(眞諦)라고 한다면, 작용은 감각적?지각적?경험적 영역인 속제(俗諦)이다. 본체와 작용의 합일은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의 경계이다. 천부경의 실천적 논의의 중핵을 이루는 ’인중천지일‘은 천?지?인 삼신일체의 천도가 인간 존재 속에 구현된 것으로 인간의 자기실현이란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러한 ‘생명의 3화음적 구조'는 생명의 본질 자체가 본체와 작용의 상호 관통에 기초해 있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통섭적 세계관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다. 그 비밀은 인간의 의식 확장에 있다. 의식이 확장되면 본체와 작용이 하나임을 자연히 알게 된다.

생명은 본래 분리 자체가 근원적으로 불가능한 절대유일의 하나인 까닭에 때론 ‘하나’(님) 또는 유일신[유일자]이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우주의 실체는 의식이므로 절대유일의 하나는 곧 하나인 마음, 즉 일심[自性]이다. 천부경의 삼신일체(三神一體: 天?地?人), 불교의 삼신불(三身佛: 法身?化身?報身), 기독교의 삼위일체(三位一體: 聖父?聖子?聖靈), 그리고 동학 「시(侍: 모심)」의 세 가지 뜻인 내유신령?외유기화?각지불이는 모두 일심의 세 측면19)을 나타낸 것이다. 체(體)?용(用)?상(相)을 나타낸 불교의 삼신불, 기독교의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일체, 그리고 동학의 내유신령?외유기화?각지불이는 모두 천부경에서 말하는 ‘생명의 3화음적 구조’, 즉 천?지?인 삼신과 조응한다. 이러한 변증법적 논리구조는 천ㆍ지ㆍ인 삼재의 융화를 바탕으로 일즉삼ㆍ삼즉일의 원리가 인간 존재 속에 구현되는 함의를 지니고 있다.


4. 천부경의 요체 및 주해

『천부경』은 천ㆍ지ㆍ인 삼신일체의 천도를 밝힘으로써 ‘천부중일(天符中一)’20)의 이상을 명징하게 제시한 전 세계 경전의 종주(宗主)요 사상의 원류라 할 만한 진경(眞經)이다. 여기서 삼신일체[三位一體]란 각각 신이 있는 것이 아니고 작용으로만 삼신(三神)이며 그 체는 일신[唯一神]이다.21) 말하자면 ‘하나(一)’인 혼원일기[唯一神]에서 천ㆍ지ㆍ인 셋[三神]이 갈라져 나온 것이므로 천ㆍ지ㆍ인이 각각 있는 것이 아니고 작용으로만 셋이라는 뜻으로 천ㆍ지ㆍ인 삼신이 곧 유일신이다. 이는 곧 유일신의 실체를 밝힌 것으로 그 유일신이 바로 천ㆍ지ㆍ인 혼원일기인 ‘하나(一)’, 즉 ‘하나’님[天主?ALLAH?Brahma?道]이다. 궁극적 실재인 ‘하나(一)’는 그 자체는 생멸하지 아니하면서 만유를 생멸케 하고 또한 그 자체는 무규정자[道常無名]이면서 만유를 규정하며 만유에 편재해 있는 무시무종의 유일자[唯一神, 道]이다. 이미 9,000년 이상 전부터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어 온 우리의 신교(神敎)는 바로 이러한 일즉삼?삼즉일의 원리에 기초한 삼신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천부경을 관통하는 신교적 사유의 특성은 한마디로 대통합이다. 이는 전일적이고 생태적이며 영적(靈的)인 현대 물리학의 새로운 실재관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반목과 갈등은 생명의 본체인 유일신의 실체를 직시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것이다. 무시무종(無始無終)이며 무소부재(無所不在)이고 불생불멸(不生不滅)인 생명의 본체인 유일신[天主?하늘(님)]은 곧 우리의 참본성이다. 천ㆍ지ㆍ인 삼신은 참본성, 즉 자성의 세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참본성을 알지 못하고서는 인간의 자기실현은 불가능한 까닭에 모든 경전에서는 그토록 우상숭배를 경계했던 것이다. 참본성이 바로 절대유일의 ‘참나’인 유일신이다. 따라서 유일신은 특정 종교의 신도 아니요 섬겨야 할 대상도 아니다. 바로 우리 자신이며 우주만물 그 자체다. 참본성(性)이 곧 하늘(天)이요 신(神)이다.

천부경에서 근원적 일자(一者)에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냥 ‘하나(一)’라고 한 것은 무수한 진리의 가지들을 하나의 진리로 되돌리기 위한 우리 국조의 심원(深遠)한 뜻이 담겨진 것이다. 유일신 논쟁은 단순히 종교 차원이 아닌 우리 삶 속에 뿌리박은 심대한 문제이다. 삶과 종교, 종교와 종교, 학문과 종교의 화해를 통해 진정한 문명이 개창될 수 있기 위해서는 유일신 논쟁이 명쾌하게 종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일체의 생명이 하나인 혼원일기에서 나와 다시 그 하나인 혼원일기로 돌아가는 이치를 통해 우리 인류 또한 천지에 뿌리를 둔 ‘한생명’임을 직시하게 하고, ‘중일(中一)’의 실천적 삶을 기반으로 한 재세이화ㆍ홍익인간의 이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천부경은 단순히 우리 민족 고유의 경전이 아니라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는 인류의 경전이다. 우주의 순환, 천체의 순환, 생명체의 순환, 그리고 의식계의 순환과 더불어 일체 생명의 비밀을, 그 어떤 종교적 교의나 철학적 사변이나 언어적 미망에 빠지지 않고 단 81자로 열어 보인 천부경이야말로 모든 종교와 진리의 진액이 응축되어 있는 경전 중의 경전이다.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 마한세가 상편에서는 하늘의 기틀과 마음의 기틀, 땅의 형상과 몸의 형상, 그리고 사물의 주재함과 기(氣)의 주재함이 조응하고 있음22)을 보고 천ㆍ지ㆍ인 삼신일체의 천도가 인간 존재 속에 구현(人中天地一)되어 있음을 명징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다. 삼라만상의 천변만화가 모두 한 이치 기운의 조화 작용인 까닭에 ‘하나(一)’와 우주만물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하나를 잡아 셋을 포함하고 셋이 모여 하나로 돌아가는 것(執一含三 會三歸一)’이라고 한 것이다. 필자가 천부경을 하늘의 이치(天理)와 땅의 운행(地轉)과 인물(人物)이라는 주제로 삼분하여 조명하는 것은 『천부경』이 천?지?인 삼재의 융화에 기초하여 하늘(天)과 사람(人)과 만물(物)을 ‘하나(一)’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분류는 천부경을 보다 자세하게 풀이한 삼일신고의 내용과도 부합되는 것이다.


① 상경(上經) 「천리(天理)」

상경 「천리」에서는 근원성?포괄성?보편성을 띠는 영원한 ‘하나(一)’의 본질과 무한한 창조성, 즉 천?지?인 혼원일기인 ‘하나(一)’에서 우주만물이 나오는 일즉삼(一卽三)의 이치를 드러내고 있다.

一始無始一 析三極無盡本

“‘하나(一)’에서 우주만물이 비롯되지만 시작이 없는 ‘하나(一)’이며, 그 ‘하나(一)’에서 천?지?인 삼극이 갈라져 나오지만 근본은 다함이 없다”는 뜻이다. 궁극적 실재인 ‘하나(一)’에서 우주만물이 비롯되지만 그 ‘하나(一)’는 감각이나 지각을 초월해 있으며 인과법칙에서 벗어나 자본자근?자생자화하는 절대유일의 ‘하나(一)’23)인 까닭에 시작이 없는 것이라 하여 ‘일시무시일’이라고 한 것이다. 시작이 없다는 것은 곧 끝이 없다는 것이며,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하나(一)’에서 천?지?인 삼극이 갈라져 나오지만 그 근본은 다함이 없는 것이라 하여 ‘석삼극무진본’이라고 한 것이다.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하늘의 본체(天一)가 첫 번째(一)로 열리고, 땅의 본체(地一)가 두 번째(二)로 열리고, 인물(人物)의 본체(人一)가 세 번째(三)로 생겨나게 된다”는 뜻이다. ‘천일(天一)?지일(地一)?인일(人一)’은 ‘하나(一)’의 본체를 천?지?인 셋으로 나눈 것으로 그 근본은 모두 하나로 통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一)’의 묘리(妙理)의 작용으로 천지가 열리고 인물이 생겨나는 무위의 천지창조 과정을 일(一), 이(二), 삼(三)의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황극경세서(黃極經世書)』에서 자회(子會)에서 하늘이 열리고(天開於子), 축회(丑會)에서 땅이 열리며(地闢於丑), 인회(寅會)에서 인물이 생겨나는(人起於寅) 선천개벽24)이 있게 되는 것이라고 한 것과 일치한다.


一積十鉅 無匱化三

“‘하나(一)’가 쌓여 크게 열(十)을 이루지만 다시 다함이 없이 천?지?인 삼극으로 화한다”는 뜻이다. ’하나(一)‘의 묘리(妙理)의 작용으로 우주만물이 생장?분열하고 수렴?통일되지만 그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생장?분열하는 천?지?인 삼극의 천변만화의 작용이 있게 되는 것이니, 이러한 과정은 다함이 없이 순환 반복되는 것이라 하여 ’일적십거무궤화삼‘이라고 한 것이다. ’하나(一)‘가 묘하게 피어나 생장?분열하여 열매(十)를 맺게 되지만 다시 종자인 ’하나(一)‘가 되고 그 ’하나(一)‘에서 천?지?인 삼극이 갈라져 나오는 과정이 끝없이 순환 반복되는 것이다.


② 중경(中經) 「지전(地轉)」

중경 「지전」에서는 음양 양극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 천지운행이 이루어지고 음양오행이 만물을 낳는 과정이 끝없이 순환 반복되는 ‘하나(一)’의 이치와 기운의 조화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하늘에도 음양(二, 日月)이 있고, 땅에도 음양(二, 水陸)이 있으며, 사람에게도 음양(二, 男女)이 있어 음양 양극간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으로 천지운행이 이루어지고 우주만물이 생장?변화한다”는 뜻이다. 이는 『도덕경』에서 "도(道)는 일(一)을 낳고, 일은 이(二)를 낳으며, 이는 삼(三)을 낳고, 삼은 만물을 낳는다"25)라고 한 것과 그 맥을 같이한다. ‘도(道)’는 천부경의 ‘하나(一)’와 같고, ‘일(一)’은 천부경의 ‘천일 지일 인일’의 일(一)과 같이 도의 본체를 나타낸 것이며, ‘이(二)’는 천부경의 ‘천이 지이 인이’의 이(二)와 같이 도의 작용을 나타낸 것이고, ‘三’은 천부경의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의 삼(三)과 같이 사람과 우주만물을 나타낸 것이다.


大三合六 生七八九

“대삼(大三), 즉 하늘의 음양(天二)과 땅의 음양(地二)과 사람의 음양(人二)이 합하여 육(六)이 되고, 육(六)에 천?지?인 기본수인 일(一), 이(二), 삼(三)을 더하여 칠(七), 팔(八), 구(九)가 생겨나게 된다”는 뜻이다. ‘하나(一)’의 진성(眞性)과 음양오행의 정(精)과의 묘합으로 우주자연의 사시사철과 24절기의 운행과 더불어 감(感)?식(息)?촉(觸)이 형성되면서 만물이 화생하는 과정을 칠, 팔, 구로 나타낸 것이다.26) 칠, 팔, 구라는 숫자, 그리고 칠, 팔, 구를 합한 24절기의 24라는 숫자―이 숫자들의 순열 조합은 우주섭리가 써내려가는 생명의 대서사시요, 천?지?인 혼원일기가 연주하는 생명의 교향곡이다. 따라서 일체의 생명은 우주적 생명이다.

運三四 成環五七

“천?지?인 셋(三)이 네(四) 단계――‘하나(一)’, ‘천일 지일 인일’, ‘천이 지이 인이’,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를 운행하면서 오행[五]이 생성되고 음양오행[七]이 만물을 낳는 과정이 끝없이 순환 반복되는 원궤[環]를 이룬다”는 뜻이다. 천?지?인 셋(三)이 네(四) 단계를 운행하면서 오(五)와 칠(七)의 순환 고리를 이루는 이 숫자들의 묘합에서 하도낙서(河圖洛書)27)로 설명되는 음양오행, 팔괘가 나오고 천지운행의 원리가 나온다. 삼(三)과 사(四)의 수리(數理)를 운용하여 오(五)와 칠(七)의 순환 고리를 이루는 바가 표징하는 인간세계의 윤회란 오욕칠정이 낳은 우리 내부의 부정적인 에너지가 다함이 없이 카르마(業)의 작용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③ 하경(下經) 「인물(人物)」

하경 「인물」에서는 우주만물의 근본이 ‘하나(一)’로 통하는 삼즉일(三卽一)의 이치와 하늘의 이치가 인간 속에 징험(徵驗)되는 일심의 경계를 보여준다. 상경 「천리」가 가능태라면, 하경 「인물」은 구체적 현실태로서 ‘천부중일(天符中一)’의 이상을 제시한다.

一妙衍萬往萬來 用變不動本

“‘하나(一)’의 묘리(妙理)의 작용으로 삼라만상이 오고 가며 그 쓰임(用)은 무수히 변하지만 근본은 다함이 없다”는 뜻이다. 우주만물이 다 지기(至氣)인 ‘하나(一)’의 화현이고, 우주만물의 생성?변화?소멸 자체가 모두 ’하나(一)’의 조화의 자취이니, ‘하나(一)’의 묘리의 작용으로 삼라만상이 오고 간다고 한 것이다. ‘하나(一)’는 만유의 본질로서 내재해 있는 동시에 만물화생의 근본원리로서 작용하므로 그 쓰임은 무수히 변하지만 근본은 변함도 다함도 없는 까닭에 ‘용변부동본’이라고 한 것이다. 우주만물은 ‘하나(一)’에서 나와 다시 ‘하나(一)’로 복귀하므로28) ‘하나(一)’의 견지에서 보면 늘어난 것도 줄어든 것도 없다.


本心本太陽 昻明 人中天地一

“인간의 근본 마음자리는 우주의 근본인 태양과도 같이 광명한 것이어서, 이렇게 환하게 마음을 밝히면 천ㆍ지ㆍ인 삼신일체의 천도가 인간 존재 속에 구현된다”는 뜻이다. 환하게 마음을 밝힌다는 것은 본래의 자성을 회복하는 것이요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는 곧 소우주인 인간이 대우주와 하나가 되는 것으로 인간의 완전한 자기실현이다. 천부경의 진수는 ’인중천지일‘에 있다. 사람의 마음이 밝아지면 천?지?인 삼재의 조화의 열쇠는 저절로 작동하게 된다. 이 세상에서 새로이 이룰 것은 아무것도 없다. 단지 본래의 자성을 회복하는 일만이 있을 뿐이다.


一終無終一

“(‘하나(一)’에서 우주만물이 비롯되고 다시) ’하나(一)‘로 돌아가지만 끝이 없는 영원한 ’하나(一)’”라는 뜻이다. 끝이 없다는 것은 곧 시작이 없다는 것으로, 무시무종의 영원한 ’하나(一)‘로 『천부경』은 끝나고 있다. ’일종무종일‘의 의미는 ’일시무시일‘의 의미와 사실상 같은 것임에도 굳이 대구(對句)를 사용한 것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하나(一)‘라는 의미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다함이 없는 생명의 순환 고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만유 속에 내재하는, 동시에 초월하는 이 ‘하나(一)’인 참자아를 깨닫게 되면 그 어떤 환영(maya)이나 슬픔도 없으며 죽음의 아가리로부터 벗어나 불멸에 이르게 된다.


V. 에필로그: 신문명의 도래

20세기 이래 새로운 문명의 도래에 대한 예단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근대적 인간은 인간 존재를 전체적 유기체로서가 아니라 육체 속에 내재하는 고립된 자아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구적 이성’의 기형적 발달을 가져왔다. 오늘날 전 지구적 차원의 테러와 만연한 폭력현상은 오랜 탄성을 지닌 에고가 그 필연적인 소멸에 앞서 더 강력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트기 전 어둠이 가장 짙은 것과 같은 이치다. 이 시대의 혼돈은 물질시대에서 의식시대로의 대전환기에 나타나는 불가피한 산고(産苦)다. 그러나 낡은 관념이 지배하는 사고의 형태들이 무너지고 의식의 변환을 경험한 사람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2010년대 초반부가 양자 변환(Quantum Shift)의 시기가 될 것이라는 예단도 나오고 있다. 새로운 문명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여는 신인류에 의해 건설될 것이다. 새로운 문명의 건설자인 21세기형 인간은 흔히 호모 레시프로쿠스(Homo Reciprocus: 상호 의존하는 인간)?호모 심비우스(Homo Symbious: 공생하는 인간)로 불린다.


새로운 우주론에서 우주는 ‘상호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의식의 그물망’이다. 양자파동함수(Quantum Wave Function)의 붕괴를 결정짓는 것은 바로 의식이며, 이는 ‘본질적 삶에서 일어나는 일체의 현상을 통제하는 주체가 심판의 신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임을 의미한다. 신성과 이성이 조화를 이루었던 상고와 고대 일부의 제정일치시대, 세속적 권위에 대한 신적 권위의 가치성이 정립된 중세초기, 왜곡된 신성에 의한 이성의 학대가 만연했던 중세, 신적 권위에 대한 세속적 권위의 가치성이 정립된 근세초기, 왜곡된 이성에 의한 신성의 학대가 만연한 근대 이후 물질만능주의 시대를 거쳐 이제 우리 인류는 신성과 이성, 정신과 물질, 의식과 제도의 대통합시대를 열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그것은 곧 완전한 소통?자치?자율에 기초한 생명시대의 개막이다.

천부경이 마음을 밝히는 가르침을 근본으로 삼은 것은 정치의 주체인 인간의 마음이 밝아지지 않고서는 밝은 정치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마음이 밝아진다는 것은 내재적 본성인 신성을 깨달아 우주만물이 결국 하나임을 알게 된다는 것이고 이는 곧 상생의 삶을 실천하게 되는 것이다. 천부경의 가르침은 재세이화?홍익인간의 이념과 경천숭조(敬天崇祖)의 보본(報本)사상 속에 잘 구현되어 있다. 천부사상은 생존의 영적 차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생태적 지속성(ecological sustainability)을 띤 지구생명공동체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생명에 대한 전일적 시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생명가치를 활성화시키고 바람직한 생명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게 하는 선결 과제다. 현대 민주주의가 정치의 요체를 사람이 아닌 제도와 정책에 둠으로써 인간소외현상을 야기했다면, 천부사상은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대립성과 분절성을 지양하고 상생과 조화에 그 토대를 둠으로써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인간소외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생명 패러다임으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생명에 대한 온전한 앎을 높여가야만 한다. 진리에 대한 명료한 인식이 없이는 새로운 계몽시대를 열 수가 없다. 인류 의식의 성장으로 물신(物神)들이 황혼을 맞고 있는 지금, 만유의 중심에 내려와 있는 신성이 바로 신의 실체이자 우리의 참본성임을 직시함으로써 천·지·인 삼재의 융화에 기초한 진정한 문명을 개창하는 것이 문명의 대전환기를 살고 있는 우리의 시대적 과제다. 오늘날 기독교 문명과 이슬람 문명 간의 문명 충돌의 본질은 종교 충돌이며 그 핵심에는 유일신의 존재가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삶과 종교, 종교와 종교, 종교와 학문 간 불화의 단초가 되고 있는 ‘유일신’ 논쟁은 진리의 편린에 집착함으로 인해 큰 진리가 가려진 데서 오는 것으로 단순한 종교 논쟁이 아니라 우리 삶 속에 뿌리박은 심대한 문제다.

우리 모두는 생명과 평화로 가는 길을 찾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인류와 우주자연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함께 인간과 지구에 대한 새로운 관계정립이다. 이제 인류의 사상사는 생명의 본체[의식계]와 작용[물질계]의 상호 관통이란 측면에서 전일적 패러다임에 의해 새로 씌어져야 한다. 현대 물리학의 눈부신 진보는 종교의 영역에 갇혀있던 동양적 지혜의 정수를 과학적으로 풀어냄으로써 보편적 지식체계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물리(物理)와 성리(性理)를 통섭하는 보편적 지식체계는 여전히 구축되지 못한 채 생명에 관한 지식의 파편들만 난무하여 새로운 문명의 개창을 위한 생명문화의 창출이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의 인류가 처한 딜레마는 다양한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는 모두 생명에 관한 문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거기서 파생된 것이다. 천부경의 생명사상은 21세기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는 이 시대의 신곡이다.

진정한 문명은 내재적 본성인 신성에 대한 깨달음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것은 곧 우주만물의 전일성과 생명의 유기성을 깨닫는 것으로 천부사상의 중핵을 이루는 것이다. 문명의 대전환이라는 맥락에서 볼 때 천부사상은 전일적이고 생태적인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서구의 기계론적 세계관의 근저에 있는 가치체계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서구적 근대의 극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미회(未會: 우주의 8월(陰))인 우주 가을로의 초입(初入)에서도 여전히 사상적 질곡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우리 인류에게 천부경은 ‘표월지지(標月之指)’로 다가서고 있다. 뉘라서 진리의 달을 가리키는 우리 국조(國祖)의 손가락을 외면하랴! 이 순간에도 천부경은 숫자로써 숫자가 끊어진 법을 보여 주고자 무진등(無盡燈)으로 타오르고 있다. 참으로 역사의 종언이 아니라 ‘하나(一)’의 원리가 용해되어 흐르는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다. 천부학(天符學)으로 대표되는 우리 국학의 중흥을 기대해 본다.


===

○ 주제 : [天符經과 國學]

○ 일시 : 2011년 2월 15일(화요일) 오후 7시
○ 장소 : 광화문 삼청동 입구 대한출판문화협회 4층(전화:02-735-2701~4)
○ 강사 : 최민자 (성신여대 교수, 동학학회 회장)
○ 문의전화 : 02-766-1110, 041-620-6700, 010-7299-6043

출처 : 국학원 http://www.kookhakwon.org

좋아요3

=
==
잃어버린문화 삼태극과 삼족오
소도와 제천문화
칠성과 상제문화
화랑의후예
음양오행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천부경은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는 원리를 담고 있다.
물병자리
2009-06-23 16:38:48 │ 조회 1873


천부경은 모든 진리의 모체



천부경은 수천년 동안 국가 통치 엘리트 집단의 정치교본이자 민초들의 삶의 교본으로서 전 세계 찬란한 문화와 문명을 꽃피우게 했지요. 현재 문명 충돌의 중핵을 이루는 유일신 논쟁, 창조론과 진화론 논쟁, 유물론과 유심론 논쟁, 신·인간 이원론 등에 대해 그 어떤 종교적 교의나 언어적 미망에 빠지지 않고 단 81자로 명쾌하게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성신여대 최민자(51·정치외교학) 교수가 우리 민족의 3대 경전을 주해한 ‘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모시는 사람들)을 펴내 주목된다. 그동안 이들 경전은 국학이나 재야 사학의 연구 대상으로만 다뤄졌으며, 주류 학계에 속한 학자의 주해서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최 교수는 영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아 국내 강단에서 오랫동안 정치학을 가르쳐 왔지만, 주변에서 ‘평화주의자’ 내지 ‘생태환경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장보고 대사의 해외 거점이었던 중국 산둥성에 ‘장보고 기념탑’을 건립하는가 하면, 민간인 신분으로 유엔평화센터(UNWPC) 건립 위원장을 맡아 북한·중국·러시아 3국의 접경지역인 두만강 하구 일원 2억여평을 환경생태지역으로 묶어 동북아시대의 세계평화 중심지로 탈바꿈시킬 초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한마디로 여걸이다.

천부경에 주해를 달기로 결심한 것은 지난해 9월. 총 904쪽짜리 방대한 ‘천부경…’ 주해서는 5개월여 만에 완결됐다. 그럼에도 구절구절마다 독창적 번역 솜씨를 보이는 데다 학제적으로 펼쳐내는 해설이 명징해 관계자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천부경은 우리 민족을 교화하기 위해 9000여년 전 상고시대에 나온 교훈 경전으로서 내용이 81자로 압축돼 있으며, 태백산에 있는 단군전비를 통일신라시대 석학인 최치원(857∼?)이 당시 한문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집일함삼(執一含三)’과 ‘회삼귀일(會三歸一)’을 뜻하는 일즉삼(一卽多)·삼즉일(多卽一)의 원리에 기초한 천부경의 천·지·인 삼신일체 사상이 유일신 논쟁을 해소할 만한 난공불락의 논리구조와 ‘천지본음(天地本音)’을 담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불교의 삼신불이나 기독교의 삼위일체는 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의 중핵을 이루는 천·지·인 삼신 일체의 가르침과 그 내용이 같은 것이지요.”

최 교수는 정치, 사회, 과학, 역경, 양자역학, 천문지리, 각 종교 경전 등 수백권의 문헌을 참고하며 주해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먼저 원문을 번역하고 자신이 이해한 방식으로 이를 해설했으며, 원문 번역에 주해를 붙이고 각주에서 해당 경전들과 비교 분석해 놓았다.

천부경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고 의인화해 놓은 것이 360자의 ‘삼일신고’요 ‘참전계경’인데, 최 교수는 ‘삼일신고’의 중핵을 이루는 구절도 정치하게 해석해 놓고 있다.

“천부경은 단순히 우리 민족 고유 경전이 아니라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는 인류의 경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 교수는 지구과학도 3차원, 4차원의 경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도 천부경에서 그 비밀의 열쇠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진리는 모두 하나로 통한다”는 그는 전 세계 종교 통합의 열쇠가 천부경의 논리 구조에 담겨 있다고 주장했다. 종교는 꼭 필요한 과정이었으나, 다시 ‘이름 없는 곳’으로 돌아간다는 것. 그는 구태여 이름을 달자면 ‘하나’라고 강조했다. “지구상의 위기는 인식의 위기입니다. 이 위기를 청산하려면 인식의 확장과 전환이 필요합니다.”

조만간 현재 초빙교수를 맡고 있는 중국 옌볜대로 돌아가 유엔세계평화센터를 건립하는 일에 박차를 가할 예정인 최 교수는 “제 책을 보고 논쟁이나 공개토론을 벌이자면 기꺼이 응하겠습니다”고 잘라말했다.







게시판 추천글

천부경은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는 원리를 담고 있다.

삼천 년 전에 쓰인 갑골문 천부경

갑골문자 천부경 발견

천부경(天符經)과 동경대전(東經大全


천부경 해석의 열쇠는

천부경 해석의 열쇠는 최치원 천부경은 단군 이전부터 구전으로 전승되어오던 내용을 해운 최치원 선생이 한자 81자로 적어서 후대에 전한 것입니다. ... 타나토노트
조회 2486
0


윷판과 천부경과 인간의 관계

윷판과 천부경과 인간의 관계 윷판의비밀을 밝히면 천부경과 인간의 관계가 드러난다. 이미말한 바 있는 윷판의 원리인 북극성과 북두칠성, 그리고 북... 타나토노트
조회 1830
0


천부경 풀이

고대 갑골문 천부경, rn이성계의 유혈혁명에 항거하여 두문동에 은거한 고려 72현의 한 사람인 민안부가 필사본으로 간직한 것을 그의 후손들이 보존해... 타나토노트
조회 1520
0


천부경 81자에는 우주가 바뀌는 이치 녹아있지요

천부경 81자에는 우주가 바뀌는 이치 녹아있지요 대산(大山) 김석진(金碩鎭) 옹은 ‘주역의 대가’로 통한다. 당대 주역의 일인자로 ‘이주역’이라 ... 타나토노트
조회 2134
0


천부경(天符經)과 동경대전(東經大全

천부경(天符經)은 기원전 3,800년경 고조선 환웅시대에 신지(神誌) 현덕이 전자체(篆字體)로 돌에 새겨 놓았던 경전으로서 지금까지 전해지는 경전 중... 타나토노트
조회 1829
0


갑골문자 천부경 발견

고려시대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와 더불어 오은(五隱)중에 한사람인 농은(農隱)의 유집에서 발견된 천부경문< 특종 “갑골문자 ‘천부경... 타나토노트
조회 2780
0


천부경은 모든 종교와 진리의 모체가 되는 원리를 담고 있다.

천부경은 모든 진리의 모체천부경은 수천년 동안 국가 통치 엘리트 집단의 정치교본이자 민초들의 삶의 교본으로서 전 세계 찬란한 문화와 문명을 꽃... 물병자리
조회 1874
0


삼천 년 전에 쓰인 갑골문 천부경

삼천 년 전에 쓰인 갑골문 천부경1899년 중국대륙 하남성 은허에서 갑골문[殷文]이 발견된 이래 100여 년이 지난 현재, 은허갑골문과 완전 동일한 형태의... 물병자리
조회 2771
0

목록




===

알라딘: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알라딘: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5-08-31




책소개

당대의 보수적인 철학계와 종교계로부터 신성을 모독한 무신론자로 비판받으면서도 철학과 정치학의 통섭을 통해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에 전력투구한 스피노자의 철학과 사상의 특질을 동서양의 사상 속에서 해명하고 그 현재적 의의를 재조명한 책. 스피노자는 오늘의 우리에게 미래지향적인 전망을 찾아갈 수 있는 통섭적인 세계관을 제공한다.

스피노자가 당대에 정치적으로나 종교적, 철학적으로 고난을 받은 이유는 그의 철학체계가 근대성과 탈근대성, 종교성과 탈종교성의 접합이라는 특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스피노자는 감정의 메커니즘을 구명함으로써 감정의 정글을 벗어나는 법을 알려주었고, 권력에 대항하는 철학을 전개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펼쳐 보였다. 또한 최고 단계의 인식 방법인 직관지를 통해 교유하는 완전한 공동체로서의 코뮤니즘을 세우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스피노자는 인간에게서 신을 해방시켰을 뿐만 아니라 신에게서 인간을 해방시킴으로써, 신인류의 탄생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일원적 범신론으로 지칭되는 스피노자의 자연의 필연적 법칙성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신과 소통하는 세상을 구가하고자 했으며, 바로 그 점에서 스피노자는 미래의 철학자이기도 한 것이다.

목차

제1부__ 스피노자의 사유체계와 존재론적 정치학

01 철학적 사색에 바쳐진 45년
02 『에티카』: 자유인의 삶을 향한 철학적 여정
03 『정치론』: 민주주의를 위한 ‘자유의 송가(頌歌)’

제2부__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04 스피노자 사상의 특질: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접합
05 스피노자와 동양사상과의 대화
06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부활

책속에서
1. 억압과 독단과 불관용에 맞서 싸우며 자연의 필연적 법칙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과 인간 본성에 관한 정치(精緻)한 분석을 통해 가장 근원적인 의미에서 인간과 신이 소통하는 세상을 구가하고자 했던 스피노자, 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혁명가이자 네오휴머니즘의 구현자이다. 그는 학문적 영역에로 철수하여 세계를 단지 해석만 하는 다른 철학자들과는 달리 사변과 실천, 철학과 정치학의 통섭을 통하여 ‘다중’의 구성적 역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에 전력투구한 철학자의 한 예로서 오래 기억될 것이다.

2. 스피노자의 통섭적 사유체계는 근대적인 동시에 탈근대적이며, 전체 존재계에 대한 포괄적?직관적 통찰인 동시에 개체의 완전한 인식이고, 실체와 양태의 필연적 관계성에 대한 완전한 통찰임을 보여준다. 근대성의 정초를 대안적 방식으로 제시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그의 사상은 신앙과 이성의 분리를 주장하면서도 두 영역의 조화를 강조한다. 그의 정치적 자유 개념은 공화주의적이고 적극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자연의 합리적 질서에 대한 참된 인식을 통해 정념을 극복하고 정신의 능동성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 레오 스트라우스는 스피노자를 최초의 자유민주주의 철학자로서 근대 정체(政體)를 정초(定礎)한 인물로 평가한다.

3. (스피노자의 대표작) <에티카>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신 또는 자연(Deus sive Natura)’의 질서에 대한 참된 인식과 사랑이다. 우리의 내면에서 자유와 긍정의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되는 것은 ‘신에 대한 지적 사랑’이 충만할 때이며, 그러한 사랑은 자연의 합리적 질서에 대한 참된 인식에서 나온다. 그런데 참된 인식을 위해서는 ‘신 또는 자연’이라고 부르는 실체의 본성과 구조를 파악해야 하므로 형이상학 체계를 포함해야 하고, 지성에 기초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인식론을 포함해야 하며, 정념의 예속에서 벗어나야 하므로 심리학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하여 윤리학 및 도덕철학[정치철학]의 영역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최고의 인식 유형인 제3종의 직관지(直觀知)는 전체 존재계에 대한 포괄적?직관적 인식이며 개체의 완전한 인식이고 실체와 양태의 필연적 관계성에 대한 완전한 인식이다.

4. 스피노자 사상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과의 접합은 전일적 우주에 대한 통찰에서 드러나며, 생명의 ‘자기조직화’ 원리는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이 폐기된 창조성의 원리로서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을 본질로 삼는다. 스피노자의 사상과 철학은 우리 삶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가 인식의 빈곤 상태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말하여 준다. 무지와 망상, 분노와 증오, 갈망과 탐욕, 시기와 질투, 교만과 불신 등이 참된 인식을 가로막는 마야의 장막이다. 그 어떤 고통이나 두려움도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지만, 우리의 정신체, 감정체가 지닌 색상에 의해 채색되고 형상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스피노자는 인간 본성과 감정의 힘에 관하여 논증하며 의식의 이행을 통한 참된 인식의 긴요성을 설파한 것이다.

5. 스피노자의 일원론적 범신론은 만물이 개별의 이(理)를 구유하고 있지만 그 개별의 ‘이’는 보편적인 하나의 ‘이’와 동일하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라는 명제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이일(理一)과 분수(分殊)를 통체일태극(統體一太極)과 각일기성(各一其性)으로 명쾌하게 설명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슈가 되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 전체성과 개체성의 합일을 표징하는 것이다.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부활은 그의 철학체계 속에 나타난 신, 자연, 인간 그리고 자유와 행복에 대한 그의 주장이 지속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들이며, 그의 사상으로부터 오늘날에도 우리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1세기 대안문명 건설의 단초가 거기에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6. 스피노자의 체계에서 관념의 적합성은 지성에 비례하며 신의 무한 지성에서 극대화된다. 적합한 관념을 늘려간다는 것은 신의 무한 지성을 향해 나아간다는 것이고 인식 및 이해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어서 현상의 배후 원리를 통찰할 수 있게 되므로 세상사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고 진정한 자유와 지복(至福)의 삶을 구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7. 스피노자는 사람들이 대개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는 의식하지만 그 행위를 결정한 원인에 대해서는 모르기 때문에 스스로를 자유라고 믿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예컨대, 젖먹이가 젖을 욕구하는 것, 성난 아이가 복수하려는 것, 겁쟁이가 도망하려는 것, 술주정뱅이가 횡설수설하는 것, 미치광이?수다쟁이?아이들의 충동적인 언행 등이 정신의 자유로운 결정에 의한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경험을 통하여 이러한 정신의 결정이란 것이 한갓 충동에 지나지 않으며 신체 상황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정신의 결정[충동]과 신체의 결정이 본성상 동시에 일어나며 하나이자 동일한 것’이라고 말한다.

8. 스피노자는 기쁨과 슬픔 그리고 욕망의 세 가지 감정에서 파생되는 수십 가지의 감정―즉 욕망, 기쁨, 슬픔, 경탄, 경멸, 사랑, 증오, 애호[호감], 혐오, 헌신, 조롱, 희망, 공포, 안도(安堵), 절망, 환희, 회한[낙담, 양심의 가책], 연민[동정], 호의, 분노, 과대평가, 과소평가[멸시], 질투, 동정, 자기만족, 겸손, 후회, 오만[교만], 소심[自卑], 명예, 치욕, 동경, 경쟁심, 감사, 자비심, 분노, 복수, 잔인[잔혹], 겁[두려움], 대담[용감], 소심, 공황[당황], 공손함, 명예욕, 탐식, 음주욕, 탐욕, 색욕 등 48가지―을 연역적 형식으로 정밀하게 기하학적 심리학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추구하거나 회피하는 것, 또는 선택하거나 판단하는 것은 자기보존의 노력에 의해 추동되며 동시에 자기실현의 힘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우리가 어떤 것을 추구하거나 선택하는 것은 그것이 기쁨을 가져오고 자기실현의 힘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의식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어떤 것을 회피하는 것은 그것이 슬픔을 가져오고 자기실현의 힘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의식하기 때문이다. 무엇이 선이고 악인지, 무엇이 유용하고 유용하지 않은지, 무엇이 더 좋고 더 나쁜지, 무엇이 최선이고 최악인지를 각자 자신의 정서로 판단하거나 평가한다는 것이다.

9. 스피노자는 인간이 자기보존의 욕구에 휘둘려 정념에 빠지면 예속 상태에 놓이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우리의 가치판단이 각자의 정념에 근거하지 않고 적합한 인식에 근거할 경우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력이 회복되므로 개인의 자기실현의 힘 또한 증대되게 된다. 감정을 완화하고 억제하는 인간 역량의 결여를 스피노자는 예속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감정에 종속된 인간은 자기 자신이 아닌 운명의 지배하에 있으며 자신에게 더 좋은 것을 알지만 종종 더 나쁜 것을 따르도록 강제되는 만큼 운명의 힘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 어떤 것도 그 자신의 본성 안에서 고찰될 때는 완전하다거나 불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일어나는 모든 것은 영원한 질서와 자연의 확고한 법칙에 따라 일어난다는 것을 알게 되면 특히 그러하다.

10. 최고의 선(善)은 최고의 유익한 것이며 이는 곧 신에 대한 인식이다. 이러한 인식 단계에 이르면 외물(外物)에 대한 예속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이성에 의한 자기보존이 가능해지고 사리(私利)는 공리(公利)에 연결된다. 말하자면 자리이타(自利利他)가 실현되는 것이다. 자유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성의 명령’에 따라 자기 본성의 법칙에 의해서만 행동하는 자를 일컫는 것이다. 자연 안에는 무수히 많은 코나투스, 즉 자기보존의 노력이 있다고 언급한다. 개체성을 존속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상호 대립하고 지속적으로 투쟁하며 인과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인간의 신체는 자신을 약화시키거나 파괴하는 것들에 대항하고, 정신은 자신의 행위 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11. 덕 있는 사람, 즉 자유인은 슬픔의 감정을 억제할 수 있도록 더 강한 기쁨의 감정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한 자이다. 그 방법이란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전체 존재계와의 관계 속에서 조직적으로 이해하고 총체적 진리를 통찰함으로써 슬픔이란 것이 인간의 유한한 능력으로는 피할 도리가 없는 것임을 자각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모든 정념을 완전히 이해하면 감정은 질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므로 우리의 삶은 능동적인 것으로 변한다. 스피노자의 체계 속에서 덕, 능력, 이성, 적합성[타당성], 능동성, 자유, 행복은 동일한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스피노자가 감정의 스펙트럼을 인식의 영역과 결부시켜 정밀하게 다룬 것도 인간에게 일어나는 모든 정념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가 겪는 모든 일들을 도덕적 성장에 필요한 과정으로 이해를 하는 사람은 감정을 제어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므로 모든 경험을 지성의 계발을 가져오는 유익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12. 스피노자의 철학은 인간 감정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감정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삶의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이성의 명령에 따라 생활하는 사람은 “모든 것이 신적 본성의 필연성에서 생겨나고 자연의 영원한 법칙과 규칙에 따라 일어난다는 것”을 완전히 이해하기 때문에 미워하거나 조소하거나 경멸할 만한 것도, 연민을 느낄 만한 것도 없음을 알게 된다.

13. 우리가 갖게 되는 감정의 원인이 무엇이며 왜 그것을 경험하는지를 적확(適確)하게 지각할 때 부분적이고 우연적이며 수동적인 인지는 전체적이고 필연적이며 능동적인 통찰과 이해로 대체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감정을 더 잘 인식할수록 그만큼 감정은 우리의 통제 하에 있게 되고, 또 정신은 그만큼 감정의 영향을 덜 받는다.” ... 스피노자는 “감정에 대한 참된 인식에 근거하는 치료법보다 더 탁월한 치료법은 우리의 능력 속에 없다. 왜냐하면 정신은 적합한 관념을 사유하고 형성하는 능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역설한다.

14. 스피노자에 의하면 ... 최고의 인생이란 (신에 대한 참된 인식이자 사랑으로서의) 직관지를 가지고 자연의 필연적 법칙성을 이해하며 주체적이고도 능동적으로 사유하고 행동함으로써 지고의 자유와 행복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철저한 자유주의자였던 그는 자유를 추동해내는 지성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조화적 질서의 유지와 보편적 자유의 실현을 위해 공동의 법에 기초한 민주국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스피노자에게 있어 국가란 법과 자기보존의 능력에 의해 확립된 사회이며, 시민이란 국가의 법에 의해 보호되는 이들이다. 스피노자는 대중의 자율성과 능동성 그리고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국가는 비이성적이고 덕이 없는 국가로서 부도덕과 무질서와 불복종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았다.

15. 스피노자에게 민주주의란 단순한 유토피아적 이념이 아니라 정치적?법적 상태로서 도덕적?실천적 과제인 동시에 정치적 최고선이었다. 근대국가가 태동하던 격랑의 시기에 그가 철학적 사변에 머물지 않고 도전적인 정치 현안에 응답하며 개개의 인간 본성에 주목하여 전복적인 새로운 방향을 정초한 것은 가히 혁명적이라 할 만하다.

16. 스피노자의 경우 자연 상태에서 국가 상태로의 이행은 기본적 안전은 물론 이성적 삶과 보편적 자유의 실현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홉스와 차별화된다. ... <정치론>에서의 자유는 특히 정치공동체적 요소와 강하게 결부되어 나타난다. 즉 시민의 자유는 국가의 안전과 관계되고, 국가의 안전은 훌륭한 법률과 제도에 의해 보장된다는 것이다. 시민의 덕성이 충만하고 정치지도자가 절제와 지혜의 덕을 발휘하여 자신의 책무를 다할 때 로마가 번성했던 것처럼, 스피노자의 체계 속에서도 덕과 법제도는 지복(至福)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17. 1960년대 말 이후 스피노자 연구의 르네상스는 20세기 후반 프랑스 구조주의(또는 포스트구조주의) 운동과 긴밀하게 결부되면서 구조주의 운동의 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 그 쟁점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했다. 자크 데리다, 미셸 푸꼬,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자크 라캉, 롤랑 바르트, 들뢰즈 등의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근대 자유주의의 사상적 토대를 형성한 인식의 주체, 사유의 주체로서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자아의 진리관을 거부하고 주체의 해체를 통해 주체와 객체의 명확한 구분이 사라지게 함으로써 포스트모던 시대를 열었다. ...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의 해체는 실체와 양태의 일원성에 기초한 스피노자의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스피노자 역시 오직 인간 행위가 능동인 경우에만 자유이고 현실적 주체인 것으로 보았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 더보기
최근작 :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호모커넥투스>,<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근본적으로 대안적이고 구체적으로 혁명적인
스피노자의 철학

■ 이 책은
‘철학자들의 예수그리스도’라고 불리면서 당대의 보수적인 철학계와 종교계로부터 신성을 모독한 무신론자로 비판받으면서도 철학과 정치학의 통섭을 통해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에 전력투구한 스피노자(1632-1677)의 철학과 사상의 특질을 동서양의 사상 속에서 해명하고 그 현재적 의의를 재조명한 책이다.

■ 출판사 서평

비참할 땐 스피노자

오늘날 스피노자가 새롭게 주목받는 것은 그의 사상이 지금 이 시대에 특별히 유용하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오늘날 물질적인 풍요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이 최악의 비참함을 면치 못하는 까닭은 인간의 무지와 망상, 분노와 증오, 갈망과 탐욕, 시기와 질투, 교만과 불신 등에 사로잡혀 존재의 본질을 바로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스피노자는 감정의 메커니즘을 구명함으로써 감정의 정글을 벗어나는 법을 알려주었고, ‘다중(多衆)’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권력에 대항하는 철학을 전개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펼쳐 보였다. 또한 최고 단계의 인식 방법인 직관지(直觀知)를 통해 교유하는 완전한 공동체로서의 코뮤니즘을 세우고자 했다.

스피노자는 왜 현대적인가?

‘스피노자의 현재적 유용성’은 어디서 유래하는가? 이탈리아 출신의 철학자 네그리의 말을 빌려 이 책은 그것을 다음 다섯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스피노자는 모든 근대적 사고의 적대자이다. 억압적인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이고, 존재의 충만함을 기반으로 한 본원적 도약인 까닭에 오늘을 위한 사고의 출발선이다.
둘째, 스피노자는 삶과 죽음, 건설과 파괴 사이에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슈가 되고 있는 자유의 가능성과 집단적 창조의 가능성으로서의 세계를 펼쳐 보이고 있다.
셋째, 스피노자는 자유의 구성과 발전을 주관하는 능력인 윤리적 힘의 증대를 통해 존재론과 윤리학이 결합된 존재론적 정치학을 전개함으로써, 존재의 긍정과 지속 그리고 풍요로움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넷째, 우리의 내면에 자유와 긍정의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되는 것은 ‘신에 대한 지적 사랑’이 충만할 때라는 스피노자의 생각은 논리주의의 폐해에 시달리는 오늘날에도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스피노자의 철학이 갖는 영웅적인 면모, 즉 ‘자유의 욕망과 상상, 다중 속에서의 혁명, 그리고 상식의영웅주의’는 오늘날에도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특징 다섯 가지

이 책의 저자는 스스로 본서의 특징을 다음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스피노자의 통섭적 사유 체계를 규명함으로써 우리 시대의 현안인 대안적인 통섭학과 공존의 대안사회 마련에 유익한 단서를 제공한다.
둘째, 스피노자 철학에서 제시하는 철학적 이상과 정치적 현실, 공동체와 개인의 접합 가능성을 탐색하여 관계성과 소통성의 심원한 의미를 일깨우고 자연의 합리적 질서에 대한 참된 인식을 촉구한다.
셋째, 실체와 양태, 신과 우주만물의 필연적 관계성에 대한 스피노자의 관점이 우주적 생명을 표상한 것이며 아울러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을 바탕으로 한 스피노자의 에코토피아적 비전이 현대 물리학의 전일적 실재관과 조응한다는 것을 밝힌다.
넷째, 스피노자와 동양사상과의 대화를 통해 스피노자의 철학체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심화시키고, 자기생성적 네트워크체제로서의 ‘참여하는 우주(participatory universe)’의 실상을 밝히며,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통제하는 주체가 심판자로서의 신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임을 밝힌다.
다섯째, ‘스피노자의 현재성’을 재조명하고, 생명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과학적 성찰을 통해 21세기 새로운 문명의 표준 형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참된 인식은 신을 직관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스피노자는 신이 만물의 근원이자 만물에 내재하는 참본성으로, 신=자연=실체라고 주장한다. 신은 전체적이고 필연적이며 능동적인 통찰과 이해, 다시 말해 직관지로서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신은 기쁨이나 슬픔의 감정 어느 것에 의해서도 작용 받지 아니하므로, 그 스스로는 아무도 사랑하거나 미워하지 않으며 관여하지 않는다. 신에 대한 사랑은 이성의 명령에 따라 추구할 수 있는 최고의 선이고, 모든 사람에게 공통된다. 그러므로 신에 대한 사랑은 질투나 시기심의 감정으로 더럽혀질 수 없다. 오늘날 종교충돌과 문명충돌 그리고 정치충돌은 신에 대한 참된 인식과 사랑이 결여된 데서 오는 것이다. 신에 대한 사랑은 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즐긴다고 우리가 표상할수록 더 강해진다. 신에 대한 사랑은 모든 감정 가운데 가장 항구적이다. 신은 가장 적합한 관념이므로 오직 신[자연=실체, 참본성]에 대한 사랑 속에서만이 인간은 일체의 정념에서 해방되어 심신의 안정과 자유를 얻고 능동성을 발휘함으로써 지속적인 완전한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

스피노자의 민주주의란?

스피노자의 3대 저작 <정치론>, <신학정치론>, <에티카>는 전 지구적인 자유민주주의의 보편혁명을 추동한 원동력으로 평가된다. 스피노자는 자유란 천부 인권이 아니라 민주정이라는 정치공동체를 통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정치사상은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수립하여 자유를 영속화 데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민주정은 자유를 제도화하기 위한 장치라고 본다. 따라서 국가란 개인의 자유 촉진에 복무해야 하는 기구이므로 법률로서 개인의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는 민주정이 인간의 본성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최선의 정부 형태임을 밝히고 있다.

현대 이후의 미래 세계와 스피노자가 가리키는 길

400년 전 인물인 스피노자는 지속가능한 지구 문명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오늘의 우리가 통섭적 세계관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전망을 찾아갈 수 있도록, 통섭적인 세계관을 제공한다.
스피노자가 당대에 정치적으로나 종교적, 철학적으로 고난을 받은 이유가 된 것은 그의 철학체계가 근대성과 탈근대성, 종교성과 탈종교성의 접합이라는 특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바로 그러한 특질이 오늘의 우리에게 보배로운 사상적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스피노자는 인간에게서 신을 해방시켰을 뿐만 아니라 신에게서 인간을 해방시킴으로써, ‘신인류’의 탄생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일원적 범신론으로 지칭되는 스피노자의 자연의 필연적 법칙성에 대한 이해는, 이난이 신과 소통하는 세상을 구가하고자 했으며, 바로 그 점에서 스피노자는 미래의 철학자이기도 한 것이다. 접기

Fearless Curiosity: Quakers and Native Americans




Fearless Curiosity: Quakers and Native Americans
9,444 views
Mar 21, 2018

QuakerSpeak23.8K subscribers


SUBSCRIBE
Bonus Video: When William Penn came to Pennsylvania, he and other Quakers had a unique approach when it came to Native Americans. 
But as Quaker painter Adrian Martinez discovered when researching for his project “Where Two Worlds Meet“, despite their peaceful approach, 
the Quakers didn't always have the best intentions in mind for the American Indians.

No weapns,
nothing to sell or buy.
No prostellising.
Wan't to know about them.
treating them with respect. = having a curiosity about them.
Who are you?
====
26 Comments
Sejin Lifeforce 生命
Add a public comment...
Jonathon Woodgate
Jonathon Woodgate
3 years ago
I’m finding this series of videos very interesting... I identify with more and more in each video... I think I’ve always been a Quaker deep down...

30


B Simpson
B Simpson
1 year ago (edited)
Two compliments:
For this remarkably educational QuakerSpeak video series. I am a sometime attender in Wooster, Ohio. 
And THANK YOU for so effectively holding the two sides, white interest and native disenfranchisement, in tension. The speaker didn’t go into detail, but if folks watching and reading are interested in more history, research the Walking Purchase.

8


Andrea Brewer
Andrea Brewer
3 years ago
Wonderful vlog.  Thank you for your honest assessment of the history between the two groups.

4


Way To Go Raw
Way To Go Raw
6 months ago
I so love that curiosity is respect! I have always thought that but never known anyone that thought the same! thank you

3


Philip May
Philip May
3 years ago
Thank you so much. I think you defined it so beautifully with 'When two worlds meet'. Not only two different worlds but our interior worlds. For you Native Americans and Quakerism, for me Haiku and Quakerism. Well done.

3


J B
J B
3 years ago
Thanks for the beautiful painting, and this informative video-much food for thought.

5


Page Page
Page Page
1 month ago
Fully aware. Hella long memory, especially when religions are involved. Fancy that.



Anthony McCarthy
Anthony McCarthy
1 month ago
The Jesuit reduction in and around Paraguay is something you should consider as something similar and longer lasting, though it was eventually destroyed by the rich and powerful.



Amauri Costa
Amauri Costa
2 years ago
Não existe Quaker no Brasil !

2


USS_Catfish_the_tv_show
USS_Catfish_the_tv_show
1 year ago
Sad for Brazil



mark lloyd
mark lloyd
2 years ago
So sad a crime

2


J Lord
J Lord
2 years ago
For the most part yes but William Pen was different he did not kill any Native Americans.

2


M H
M H
9 months ago
 @J Lord  But Penn's arrival upset their way of life.  Let's not sugarcoat it.

3


J Lord
J Lord
9 months ago
 @M H  i thougth he simply brougth land of them



harold Denton
harold Denton
2 months ago
People including the native American Indians conquered other tribes and nations. They were not exactly civilized themselves.



M H
M H
1 month ago
 @harold Denton  What's " civilized " ❓



Joaquin Alejandro Granados
Joaquin Alejandro Granados
1 year ago
The Native Americans were problematics persons and they fought with many other people becuase they feel very stressed with the civil war and they are the people who consist one of the more than five hundred (500) distinguished tribes that still endure as sovereign states with the United States' present geographical boundaries, and the Quakers were pacific persons and they live civilized all the time and the enjoy the life and were kind with the other people and they help them too, they teach the other people to read the bible and they always were a servicial too.

1


tch u lv lv po ha
tch u lv lv po ha
3 months ago
You are barking up so many misconceptions. We have sovereign nations and we honored the sovereignty of other tribes. We didn't fight that often, as we had ceremonial games we played in place of fighting such as Kabutcha Toli' and other games. Please stop.

3


Joaquin Alejandro Granados
Joaquin Alejandro Granados
2 months ago
 @tch u lv lv po ha  Oh sorry, I just fulfill one homework that i done of history but it happened de last year.

1


Mirza Ghalib
Mirza Ghalib
2 months ago
 @Joaquin Alejandro Granados  he's lying to you... games instead of war? whatever... native Tribes took slaves among other tribes they fought with....

1


Joaquin Alejandro Granados
Joaquin Alejandro Granados
2 months ago
 @Mirza Ghalib  Oh thanks for the information, now I understand that he is wrong, i wrote this opinion on youtube becuase it was an activity that i participated on history. Thank you.



M H
M H
1 month ago
 @Mirza Ghalib  .... and Quakers owned slaves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