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06

TRANSCEND MEDIA SERVICE » Vatican to Host First-Ever Conference to Reevaluate Just War Theory, Justifications for Violence

TRANSCEND MEDIA SERVICE » Vatican to Host First-Ever Conference to Reevaluate Just War Theory, Justifications for Violence

Vatican to Host First-Ever Conference to Reevaluate Just War Theory, Justifications for Violence

RELIGION, 11 April 2016
Joshua J. McElwee - National Catholic Reporter
pope francis
Pope Francis I
5 Apr 2016 – The Vatican will be hosting a first of its kind conference next week to reexamine the Catholic Church’s long-held teachings on just war theory, bringing some 80 experts engaged in global nonviolent struggles to Rome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new moral framework that rejects ethical justifications for war.
Participants say the conference — to be cohosted by the Pontifical Council for Justice and Peace and the global Catholic peace network Pax Christi International April 11-13 — may recommend displacing the centuries-old just war theory as the main Catholic response to violence.
They also express hope that Pope Francis might take up their conversations by deciding to focus his next encyclical letter, the highest form of teaching for a pontiff, on issues of Catholic peacemaking.
Terrence Rynne, a U.S. theologian who will be attending the event, said he considers it “phenomenally important.”
just war“Coming out of it, Pope Francis might see his way clear to articulate a fresh vision of peacemaking to the church,” said Rynne, who helped found Marquette University’s Center for Peacemaking. “That would be wonderful.”
Just war theory is a tradition that uses a series of criteria to evaluate whether use of violence can be considered morally justifiable. First referred to by fourth century bishop St. Augustine of Hippo, it was later articulated in depth by 13th century theologian St. Thomas Aquinas and is today outlined by four conditions in the formal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he de-facto definition of Just War, (based on the writings of St. Thomas Aquinas)
The de-facto definition of Just War based on the writings of St. Thomas Aquinas.
A number of theologians have criticized continued use of the theory in modern times, due to the powerful capabilities of modern weapons and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nonviolent campaigns in response to unjust aggression.
The Catechism currently outlines as one criteria for moral justification of war that “the use of arms must not produce evils and disorders graver than the evil to be eliminated” and notes that “the power of modern means of destruction weighs very heavily in evaluating this condition.”
Conference organizers say in a note to participants about the April event that just war teaching “can no longer claim center stage as the Christian approach to war and peace.”
“After more than 1,500 years and repeated use of the just war criteria to sanction war rather than to prevent war, the Catholic Church, like many other Christian communities, is rereading the text of Jesus’ life and re-appropriating the Christian vocation of pro-active peacemaking,” they state.
“Emphasizing the need to work for a just peace, the Church is moving away from the acceptability of calling war ‘just,'” they continue. “While clear ethical criteria are necessary for addressing egregious attacks or threats in a violent world, moral theologians and ethicists should no longer refer to such criteria as the ‘just war theory,’ because that language undermines the moral imperative to develop tools and capacity for nonviolent conflict.”
As part of their goals for the conference, organizers state they seek a “new articulation of Catholic teaching on war and peace, including explicit rejection of ‘just war’ language.”
They state that they want “an alternative ethical framework for engaging acute conflict and atrocities by developing the themes and practices of nonviolent conflict transformation and just peace.”
April’s conference will be the first to be cohosted by the Vatican’s pontifical council and Pax Christi, an international Catholic coalition akin to Amnesty International that maintains separate national groups in many countries.
Started in 1945 by a French laywoman and a French bishop in the aftermath of the Second World War, Pax Christi has long sought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conflict and advocate for nonviolent solutions.
just war saint augustine
The conference is being organized around four sessions allowing participants to dialogue and share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The only scheduled talk at the event is to be given by Cardinal Peter Turkson, the head of the pontifical council.
The four sessions are given the themes: Experiences of Nonviolence, Jesus’ Way of Nonviolence, Nonviolence and Just Peace, and Moving Beyond Unending War.
Each of the sessions is being led by experts in the separate topic areas, including: Rose Marie Berger, an editor at Sojourners magazine and social justice activist; Fr. John Dear, a former Jesuit known internationally for his writings and civil disobedience actions; Maria Stephan, a senior policy fellow at the U.S. Institute of Peace; and Lisa Sowle Cahill, a theologian at Boston College.
Rynne said that the participants are hoping their discussions will allow them to draft some sort of document summarizing their sessions. The organizers’ note to participants says they hope to create an “action plan for promotion of Catholic teaching on war and peace, violence and nonviolence.”
Rynne said that participants are coming from many places, including: Chile, Sri Lanka, South Sudan, Tanzania, Kenya, Palestine and Burundi.
“It’s a dream that I’ve had for a long time that the church would embrace peacemaking as its central manta, and not have the just war theory be settled teaching the way it has been for so many centuries,” said the theologian.
“If people understood they had this powerful method of non-violent action that has been demonstrably proven again and again, we would begin to move away” from just war theory, he sai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Joshua J. McElwee is NCR Vatican correspondent. His email:jmcelwee@ncronline.org.

Plain Truth Ministries

Welcome



About Us

Our Mission:

Plain Truth Ministries proclaims authentic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Our work is Christ-centered, based on God's amazing grace, giving hope to those burned out by legalistic religion.
PTM communicates its message electronically and in print, in its magazines, books and booklets, audio cassettes, CDs, letters, radio, pod-casts, email and on the Internet.

We Believe

Plain Truth Ministries Statement of Faith:

  • God
    We believe in one eternal, triune God in three co-essential, yet distinct Persons: Father, Son and Holy Spirit.
  • Jesus Christ
    We believe in the Lord Jesus Christ, begotten of the Holy Spirit, born of the Virgin Mary, fully God and fully human, the Son of God and Lord of all, worthy of worship, honor and reverence, who died for us as a supreme expression of God's love, was raised bodily from the dead, ascended to heaven and will come again as King of kings.
  • The Holy Scriptures
    We believe that the Bible constitutes the divinely inspired written revelation of God, the foundation of truth, the record of God's revelation to humanity.
  • Salvation
    We believe that human salvation is the gift of God, by grace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not earned by personal merit or good works.
  • The Church
    We believe in the universal body of Christ and the spiritual unity of believers in our Lord Jesus Christ.

What We Do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Teaching Ministry

Join Greg Albrecht, President of Plain Truth Ministries, at www.ptm.org for a new and revolutionary kind of church service. In our half-hour service, you'll find the freedom of authentic, pure and genuine Christianity — Christianity without walls or denominational barriers — Christianity without humanly imposed rules, rituals and regulations. In short, you'll find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Available at www.ptm.org 24 hours a day, with a new service posted every Sunday morning.

CWR Magazine

As the flagship magazine of Plain Truth Ministries (PTM) CWRm is a refreshing breath of fresh air in the midst of oppressive religious threats and guilt trips. Go to CWR magazine online.

Plain Truth Magazine

A bold, uncompromising and revolutionary Christ-centered magazine. In the pages of the PTyou will discover authentic Christianity without all the religious "stuff." Go to Plain Truthmagazine online.

Plain Truth Radio

Hosted by Greg Albrecht, daily Plain Truth radio is a half-hour program available 24 hours a day on our website at www.ptm.org. Plain Truth radio is Christian radio with a difference. Greg's powerful and personal delivery on vital topics helps listeners deal with the day-to-day issues that face them.

CWR Blog

Join Senior Editor Brad Jersak and discover fascinating, Christ-centered teaching and insights.

PTM eUpdate

Wherever you may be in this world, every week in your email box you can receive an update from PTM — bringing you reminders and updates, as well as our CWR Bible Survey. Just sign up on our PTM eUpdate web page.

CWR Video Magazine

CWRV is a video only magazine, with pastors, scholars and Christ-followers at large, around the world offering teaching and insight, from a Christ-centered perspective.

CWR Bible Survey

If you are a new student of the Bible, feeling a little intimidated and overwhelmed by the task of reading and studying this incredible collection of 66 books that we call the Bible, this study series is for you! And even if you have read and studied the Bible for 50 years, we think that you will learn and profit from the CWR Bible Survey! We believe the CWR Bible Survey will not only be fascinating, but it will help you to better know the true Word of God, Jesus Christ.

Free Booklets and Literature

PTM offers an extensive assortment of downloadable booklets and reprinted articles to help with relevant questions and issues about God's grace, as opposed to religious legalism.

PTM Website: www.ptm.org

There's always something new happening on our website!
  • Join us for worship anytime at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A new service every week.
  • Read the PTM eUpdate online — a new issue every week.
  • Browse current and back articles from our flagship magazine CWRM, as well as Plain Truth magazine.
  • Listen to Plain Truth Radio—available 24 hours a day.
  • Join Senior Editor Bird Jersak and the many short articles and blogs he shares atCWRblog.
  • Order PTM resources.
Download App

Books by Greg Albrecht

A Taste of Grace —A Taste of Grace is an easy-to-read page-turning exploration of God's amazing grace, demonstrated and illustrated by the teachings of Jesus.
 A Taste of Grace reveals God's grace as irreconcilably opposed to the core values and beliefs of institutionalized religion.
 A Taste of Grace reveals God's grace to be an absurd and foolish sentiment that doesn't add up to the human mind.
Rejecting Religion—Embracing Grace —Join Greg Albrecht as he examines what Jesus has to say about the kingdom of religion, through an eye-opening study of Jesus' sermon in Matthew 23. Jesus uses words like woe, hypocrites, blind, greedy, self-indulgent, unclean, desolate, hell and snakes to describe the religious industry, its professionals and the consequences it brings into the lives of those it "serves." But the kingdom of heaven, in stark contrast to the oppressive kingdom of religion, is a spiritual dimension of freedom and peace. Rejecting Religion—Embracing Grace affirms the ultimate victory of God's grace—even as the relentless waves of his grace will eventually erode and cover the shifting sands of religion like the waters cover the sea.
Spiritual Soup for the Hungry Soul —Greg's fifth book is a collection of 48 carefully selected messages Greg has previously given at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With nearly 400 compelling and inspiring pages, this is the most substantial of Greg’s books to date, so while you may be tempted to read it all at once—we recommend reading a little at a time. Spiritual Soup for the Hungry Soul makes a great devotional or a companion to other studies and resources you may use as you journey through the year.
Spiritual Soup for the Hungry Soul –Volume 2 —A second collection of 48 sermons previously given at the teaching ministry of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Another superb resource enabling the reader to consider timely messages for every week of the year.
Unplugging From Religion...Connecting With God —Get ready to know God who loves you more than you have ever imagined!
Get ready to discover how you can break free from religious shackles and embrace God's unconditional no-matter-what love for you.
Between Religious Rocks and Life's Hard Places—101 Answers to Tough Questions About What You Believe. Greg answers 101 questions about Christianity and the Bible. From prayer to prophecy, from sin to salvation, from tithing to the Trinity—you'll come away from this book equipped with the tools and methodology to face life's spiritual issues grounded in God's grace.
Revelation Revolution—the Overlooked Message of the Apocalypse —is a revolution in the way that many have been trained and taught to think about biblical prophecy. Revelation Revolution is a grace-based, Christ-centered exploration of the biblical book of Revelation. Join many others in beginning to understand what the Bible's most misunderstood book really means.
Bad News Religion—the Virus That Attacks God's Grace. A guide to the most dangerous spiritual virus of the 21st century—the deadly virus of religious legalism—the idea that you can do something that will make God more pleased with you. Bad News Religion shows you how to spot legalism and tells how to identify healthy, Christ-centered, grace-based Christianity.

By Monte Wolverton

Chasing 120—A Story of Food, Faith, Fraud and the Pursuit of Longevity Join PTM board member and nationally syndicated cartoonist Monte Wolverton for a fictional story that is so close to the religious dysfunction in your world today it might make you uncomfortable or you might laugh and cry

By Brad Jersak

A More Christlike God: A More Beautiful Gospel Senior Editor, Brad Jersak (PhD. d.), is a theologian with a pastor's heart—a theologian who can actually be understood! This ground-breaking book and its Christ-centered message is deeply needed, especially within the world of Christendom. Highly acclaimed and endorsed, and critically important.
All nine of these life-changing books are available through Plain Truth Ministries.

Frequently Asked Questions:

Q. Is Plain Truth Ministries (PTM) financed by or affiliated with a church or denomination?

A. No. We partner with and provide resources to other ministries and well as small groups and individual congregations. But we are not dependent on any other ministry or church.

Q. How is PTM financed?

A. The vast majority of our support is from the generous contributions of our dedicated Friends and Partners. The remainder of our income is derived from resource sales and miscellaneous income. PTM is a 501(c)(3) charity, registered with the IRS. Contributions to PTM are tax-deductible in the U.S.

Q. Who is Greg Albrecht?

A. Greg Albrecht is president and CEO of Plain Truth Ministries, teaches at PTM's online church,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and Editor of our two magazines. You can read a short biography by clicking here.

Q. How is PTM governed?

A. As a nonprofit corporation, PTM is governed by a board of directors. PTM's operations are conducted by a small staff, directed by president Greg Albrecht.

Q. The title of your weekly online worship service – and the tagline on Plain Truth magazine – is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Isn't Christianity a religion? Just what do you mean by religion?

A. Religion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but its popular connotation is any system of practice and observance intended to make people more acceptable to God. By that definition, authentic Christianity is not a religion – because authentic Christianity is not about human effort that enhances our standing with God, but about what God has done for us.

Q. Where are your offices?

A. In the city of Duarte, California.

Q. What radio stations are you on?

A. Plain Truth ministries has chosen to put its resources into the Internet, where Christianity Without the Religion (our worldwide online church) and Plain Truth radio are available 24 hours a day, 7 days a week around the world. Some PTM Partners and groups of our supporters choose to sponsor our programs on local stations. Other stations run our programs free of charge, but as this varies from week to week, we have no set listing of stations.

Q. Is PTM connected with the late evangelist Herbert Armstrong?

A. He is part of PTM's history, as he founded Plain Truth magazine in 1934. Although Armstrong was a popular religious broadcaster for many years, his doctrines were deeply flawed. After his death in 1986, Plain Truth magazine and its parent organization, Worldwide Church of God, underwent significant doctrinal reform, abandoning Armstrong's flawed teachings and embracing the good news of the gospel of grace. Plain Truth Ministries was formed in 1996 and has published the new Plain Truth magazine since that time. PTM is no longer involved or affiliated with the Worldwide Church of God (itself renamed Grace Communion International). Our former history of legalistic oppression motivates PTM to warn against religious legalism, to teach sound Christian doctrine and to boldly proclaim God's amazing grace!

Q. The word "religion" seems to get slammed by PTM. Doesn't James 1:27 say, "Pure religion and undefiled before God and the Father is this, to visit the fatherless and widows in their affliction, and to keep himself unspotted from the world." This seems to say that religion isn't necessarily bad!

A. James 1:27 tells us about pure and undefiled religion– implying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impure and defiled religion. So not all religion is good. The idea behind many words changes over time. Religion is such a word. Religion can be used as a term for any kind of belief or faith in God. Religion thus may refer to Christianity, Islam, Judaism, Hinduism, etc. Many secular individuals dismiss all religion as useless, as an emotional crutch that some people seem to need to make it through the day.
However, there is another meaning attached to the word "religion" today to which The New Testament is absolutely opposed. The popular, common denominator of religion is the idea that humans must do, perform and produce works, deeds, virtues or behaviors as stipulated by rituals, rites and regulations. The idea is that having performed ceremonies, having followed religious prescriptions, priests, pills and potions, then God is more pleased with humans than he otherwise would have been. This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biblical Christianity and religion in general (whether it be a non-Christian religion, or a practice which claims to be Christian).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sists that God does for us what we cannot do for ourselves. We are, according to the gospel, incapable of pleasing and appeasing God on the basis of our works. That is the definition of religion that PTM uses– and opposes, for it is the enemy of the gospel.

Q. Could you please differentiate between legalism and fundamentalism in an easy to understand definition? I think I understand for the most part. Is there an overlap in their definitions or are they two totally different entities? Thank you very much and I also thank Plain Truth Ministries for all it offers.

A. Thanks for your question— responding to it might serve to sharpen my thinking. Legalism is the religious viewpoint that proposes that our performance of deeds enhances our relationship with God. Legalism can lead one to fundamentalism. Legalism is the virus (somewhat like HIV) that leads to the full blown toxic condition of fundamentalism (somewhat like AIDS). Fundamentalism is the religious viewpoint that proposes that its teachings and practices are the one and only true religion. Fundamentalism is an environment in which legalism thrives. Fundamentalism is the organized religious/political movement that gives birth to sects, cults, exclusivist parties, groups and denominations. Fundamentalism is fueled by legalism. Thus, it would seem that all fundamentalists are legalists, but not all legalists are fundamentalists. The self-love of legalism, the glorification of human performance as something with which God is supposedly well pleased, can eventually turn into the monster of fundamentalism, which not only is about self-love, but now is adversarial, demonizing those who do not agree, eventuating in hatred, bigotry, and war. Legalism can seem harmless, in which those who are infected begin to focus on religious pills, potions, prescriptions and priests as their saviors— but it can turn into the nasty, malicious monster of fundamentalism. Our cover story, in the July-August 2007 Plain Truth, was titled "The Gathering Storm of Fundamentalism" —it might provide further insights.

The Plain Truth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Plain Truth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Plain Truth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Plain Truth, a former free of charge monthly magazine, was first published in 1934 by Herbert W. Armstrong, founder of The Radio Church of God, which he later named The Worldwide Church of God. The magazine gradually developed into an international, free of charge news magazine, sponsored by the WCG church membership. The magazine's meesages often centered on the controversial doctrine ofBritish Israelism, the belief that the early inhabitants of the British Isles, and hence their descendants, were actually descendants of theTen Lost Tribes of Israel.
By 1986, The Plain Truth was published in seven languages. The magazine's monthly circulation was roughly 8.2 million; in contrast,Time magazine's 1986 monthly circulation was 5.9 million.
After Armstrong's death in 1986, new WCG leadership sought to change the core principles of WCG Church doctrine, quashed publication of Armstrong's writings, sold off most of the church's holdings and began offering magazine subscriptions for sale. WCG leadership eventually changed the name of the organization and embraced positions closer to those of mainstream Protestantism.
The Plain Truth magazine as founded by H. W. Armstrong is no longer in print, however, two organizations, legally unrelated to each other or the original group, currently publish a magazine under the same name, one in the United Kingdom and one in the United States.

External links[edit]

평화주의와 정의로운 전쟁론 5

2-3 c) "가시로 평화주의 '/

헤센 평화 · 분쟁 연구소 소장의 하라루토 뮐러 (Harald Müller)가 한 달 이백 사십 일 발표 한'독선의 육체에 박힌 가시 '라는 논고는 (Müller 2002) 심정 윤리적 평화주의와 정치적 평화주의의 양자에서 거리를 취하면서 어떤 입장도 완벽하지 않고, 각각 딜레마를 안고있는 것을 지적하고, 오히려 양자가 논의의 양극으로 민주 으로 토의 공간에 존재하는 것이 민주주의가 독선에 빠질 위험을 회피시키는 것이다한다고 주장하고있다. /

호루마이 심정 윤리적 평화주의라고 그 비 현실성을 비난했다 오래된 평화주의도 실은 그만큼 완벽한 비폭력주의가 없었다고 뮬러는 지적한다.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은 평화주의 운동 이라기보다는, 반대로 미국 제국주의의 운동이며, 베트콩 싸울 것은 명백한 공감을 표시했다. 또한 소련의 핵 미사일 SS20 배포 계획에 맞서 NATO가 내놓은 서독으로 미국 제 퍼싱 미사일 배치 계획 (이른바 'NATO의 이중 결정'1979 년 열두 월)에 반대하는 분위기 한 80 년대 초 독일의 반핵 평화 운동도 그것이 NATO를 비판함으로써 소련의 군사적 우위를 승인 해 버리는 딜레마를 안고 있었다. 평화 운동은 소련을 대상으로 한 '적 이미지'를 결합해서 군비 증강이 추진되는 것을 반대했지만, 그렇다고해서 평화 운동이 '적 이미지'일반에서 자유로 웠던 것은 아니라 "미국 제국주의 '는 명백한'적 '으로되어 있었고, "군인은 모두 살인자!"라는 구호가 나올 때까지가 있었다. 독일의 오래된 평화 운동이 무조건 비폭력주의에 ​​철저했던 것은 아니다. 한편, 역사적 상황이 변화하는 가운데 군사력의 사용도 인정한다고하는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도 일종의 근본주의에 사로 잡혀있다. 즉 호루마 인 "새로운"평화주의는 '인권'이라는 절대적 가치의 옹호를 위해 폭력 사용도 허용된다는 입장이다. 오래된 평화주의는 "비폭력"을 절대 화해, 새로운 평화주의는 '인권'을 절대화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절대적이고 보편적 인 규범에 따른다고 믿고있다 "심정 윤리」의 하나이며, 게다가 함께 피할 수없는 딜레마를 안고있다. /

"평화 주의자는 원리로서 비폭력을 견지하기 위해 악당이 저항을받지 않고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 할 인권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이 싸움에 부수 수있는 무고한 사람들 신체와 생명의 희생이라는 불가피한 "수반 피해 Kollat​​eralschaden"에 대하여 책임을 가지게된다. "(Müller 2002) /

두 입장의 한계를 동시에 지적 뮐러 자신의 입장은 어떻게되는 것인가. 그는 비폭력주의와 인권주의와 민주적 토론의 장에서 "필연적 인 양극화 '라는 절충적인 입장을 취한다. 인권을 보호하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사력의 사용을 배제하지 말아야하지만, 그러나 비폭력주의로의 평화주의는 민주주의 사회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여전히 필수적이다. 특히 민주주의와 평화의 관계가 변화하고있는 상황에서 비폭력주의라는 '이념'이 필수적이며, 뮐러 논하고있다. /

뮐러에 따르면 칸트의 '영구 평화론'이후 일반적으로 상정되어 온 민주주의가 가지는 「평화의 경향성 Friedfertigkeit "의심스러운 것으로되어있다. 평화의 경향성은 (1) 경제적 인적 비용을 시민이 피 (2) 인권 의식의 고양 (3) 민주적 제도에 의한 위정자에 대한 견제라는 민주주의 사회의 특성에 유래하고 있습니다 했다. 그러나 이들이 최근 의심지고있다. /

(1) 걸프 전쟁 이후의 하이테크 전쟁의 출현으로, 비용면에서의 전쟁 기피 감이 시민들 사이에서 없어지고있다. 표적에 정확하게 명중 미사일 공격이 가능하게되어, 적과 아군 모두의 민간인 피해가 감소하고있다. 적어도 융단 폭격에 의한 시민 학살 같은 것은 없게되었다. /

(2) 민주적 국가의 인권 의식의 고양은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 '인도적 개입'이라는 이름의 군사 행동을 허용 내지 촉진하게되었다. (3-1) 전쟁을 수행하는 정부가 매스 미디어를 이용하여 전쟁을 연출하기 위해 매스 미디어가 전쟁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중 매체를 통한 적의 인격화 (사담 후세인 미로세뷔찌 등)에 의해 사람들의 단순한 증오와 복수심이 돋우어지고있다. (3-2) 민주주의의 권력 분할은 전쟁을 수행하는 행정 기관 · 군에 대해 의회가 억제하려고해야었지만 안보 동맹의 압력을 배경으로 한 정부의 참전 결정에 대해て 의회가 저항하는 것은 어려워지고있다. (1999 년 삼월 이백 사십 일 시작된 NATO 군의 유고 공습 때 동맹국과의 협조라는 압력에 의해 독일도 참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보고 오면 칸트 이후 믿어 왔던 민주주의와 평화와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상당히 느슨하게지고있다. 민주주의 속에서 "정의로운 전쟁론」가 부활하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래서 비폭력 평화주의를 대항 축으로 지금 이야말로 필요로된다. 이것이 뮐러의 주장이다. 그의 현실주의는 중대한 인권 침해를 수반하는 국제 분쟁 관련 군사력의 행사를 피할 수 없지만, 그래도 그 무력 행사를 '정의'로 간주하고, 그것에 제동을 걸 비폭력 평화주의는 '이념 쪽 "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중요하다는 것이다. "가시로서의 평화주의 '라는 뮐러의 생각은 엄격한 평화 주의자에서 아마도 절충주의거나 기회 주의적이라고 비난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평화주의와 인권주의와의 충돌을 경직 상태로 방치 해두면 인권주의가 무력 행사를 필요악으로 용납하기에 그치지 않고 '정의로운 전쟁론」까지 확대 될 가능성이있다. 이것을 고려하면 그의 "가시로 평화주의 '는'정의로운 전쟁론」비판으로 평가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2-4 d) 정치적 평화주의는 숨겨진 보복 전쟁 긍정론 정​​신 분석학이며, '핵 전쟁에 반대하는 의사 회 Ärzte gegen den Atomkrieg "독일 대표 인 호르스트 - 에바하루토 리히터 (Horst-Eberhard Richter)는 호루마의 논의 구조 자체를 비판하고있다. 호루마의 논의는 정신적 평화주의와 정치적 평화주의와 대립으로 파악하여 암시 적으로 미국의 보복 전쟁을 정당화하려고하는 것이다 (Richter 2002)라는 비판이다. 리히터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평화주의'의 개념을 매우 높은 곳으로 설정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아시시의 프란시스 등 성인 만 평화주의를 실천하지 못하도록함으로써 자신이 그 을 실천 할 수 없다는 죄책감을 닦아 떠나려고한다. 그럼으로써 평화주의는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것이되어 버린다. 이러한 작업은 "심정 Gesinnung와 정치의 현실 politische Realität과를 격리시킵니다하려는 속임수"에 불과하다. 그러나 심정 윤리적 인 논의가 더 정치적 현실에 대해 사용할 일이 많이있다. 그 실례로 리히터는 고르바초프의 이른바 '신사고 외교'를 꼽았다. 1985 년 서기장에 취임 한 고르바초프는 소련을 '악마의 제국'이라고 부른다 레이건 대통령에 대해 모든 핵 실험을 일방적으로 중단하고 핵무기 폐기에 적극적인 제안을 실시 했다. 1988 년에는 INF (중거리 핵 전력) 전폐 조약 비준서가 교환 된 미소의 화해가 달성되었다. 보기 비현실적인 유심 · 심정 윤리적 인 발상이 더 현실을 변혁 할 수있는 일례이다. 또 하나의 예로들 수있는 것은, 오슬로 협정 이후 중동 정세이다. 1993 년에 '오슬로 협정'이 성립 이스라엘과 PLO가 서로를 인정하고 팔레스타인이 자신의 나라를 건설하는 희망을 품을 수 있었다. 그 후 삼년은 팔레스타인 테러는 거의 사라졌다. 서로 보복당하는 폭력의 연쇄를 중단하기위한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은 상대를 폭력에 의해 부정 할 '적'이 아닌 '파트너'로 승인하는 평화주의의 '심정'인 것이다. 심정 윤리 평화주의야말로 현실 정치의 모습이다. /

더 리히터는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론이 9 · 11 테러에 대한 미국의 보복 전쟁 정책이 마치 정치적 평화주의 정책의 일례 인 것처럼 말하고있는 것을 비판한다. "정치적 평화주의 '라는 개념이 타당하다고해도 그것은"집단 살인 범죄의 범인을 추적하고 법적 수단에 의해 처벌하는 것 "이라고 이해해야한다. 그것은 정치적 협상을 통해 국제적인 법규를 만들어이 지배를 실행하기 위해 폭력을 경찰력으로 사용하고 평화를 재생 하자는 것이다. 9 · 11 테러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보복 전쟁'이며, 범인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도 공격하는 것으로, 그 자체가 테러와 "같은 원시적 인 잔인로 전락"하고 . 그 결과 "확실히 새로운 보복 테러가 되살아나 게 될 것이다." / 테러에 대해 미국이 실시하고있는 '반테러 전쟁'은 그 자체가 '테러'이며, 테러의 사슬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2-5 e) 인권의 이름으로 군사 제재를 할 수 사기 베를린 자유 대학의 정치학 교수 볼프 - 디터 널 (Wolf-Dieter Narr)는 글로벌 자본주의의 문제에서 호루마을 강하게 비판한다. /

"호루마 오늘 직면하는 문제를"구월 한 하루 '라는 새로운 신비 부호로 이상에는 아무런 파악하고 있지 않다. 그와는 반대로 내 주장은 인권을 우려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공동 폭력과 광의의 전쟁이라는 수단에 호소하지 않는 정치 만 현대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것이다. "(Narr 2002) / 나루에게 현대 세계의 문제는 글로벌 자본주의가 세계의 사람들에게 사회 · 경제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있는 것이다. 글로벌 자본주의는 어쿠스틱과없이 이익을 추구하고 기존의 불평등을 새롭게 증대시키고있다. 식량, 건강, 교육 등 모든면에서 불평등의 증가는 인권을 조직적으로 유린하는 것이다. 또한 "불평등은 공격성을 축적하고 모든 종류의 폭력의 저수지를 만들어 내고있다." / 글로벌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세계적인 불평등과 사회 기반의 파괴라는 현대의 문제를 완전히 무시하고 9 · 11 테러가 들이댔다 문제를 '선'과 '악'의 대결 등 간단한 도식으로 환원 하여 군사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하고있는 서방의 정치 지도자들이다. 그러나 세계적인 불평등의 확대를 폭력으로 해결 될 수 없다. 폭력에 의한 해결은 인간의 생명 특히 일반 시민의 생명을 빼앗는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의 가능성을 파괴한다. 그것은 인간의 삶을 폭력 속에서 사회화하고 공격성을 일반화하는 것이다. 어리석게도 인권과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군사 주의적 (그리고 자본주의 적) 폭력의 정치가 정당화되고 군사력 증강이 계속되고있다. 여러 국가는 서로 군비 확장 경쟁 세계는 폭력의 밑 늪에 들어갈. / 2-6 f)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론의 추상성을 비판 작센 개신교 감독 (Bischof) 인 악셀 노앗쿠 (Axel Noack)는 평화주의의 의미가 훼손되지 군사력 긍정론 나 군비 근대화론이라는 군비 론이 확산 속에서 예전의 평화 주의자들은 실망과 체념 속에 있으면, 독일의 상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절망적 인 상황 속에서 사람들의 평화주의를지지하는 것은 이제 잃어 버렸다고 말하는 '종교 ​​언어'가 아닐까 종교인 같은 지적을하고있다. /

종교성의 부활 운운은 옥으로 노앗쿠의 비판의 핵심은 호루마 전쟁 긍정론의 추상성을 향한 적절한 것이다. 즉 '세계 내정'과 폭력을 법에 의해 억제 강한 유엔의 실현이라는 추상적 <목적>을 내걸고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이 호루마 양 전 론이지만,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생각하면 그의 주장이 사기임을 곧 알 수있다. 세계 정치의 법치를 확립하지 못하고 유엔 취약점의 원인은 무엇보다 유엔에 대한 미국의 기회주의이며, 국익에 관한 것은 유엔과 또한 NATO 국가들과도 상담하지 않고 자국 우선주의 (Unilateralism)를 계속 취하고있는 미국의 정책이다. 군사 행동을 용납하기 이전에 미국의 정책 태도를 비난해야한다. 국제 테러 조직을 박멸하고 '세계 내정 "으로 향하는하라라는 추상적 무관심을 제시 호루마의 논의는 일반 시민이 사상하는 것을"부차적 피해 Kolateralschaden "이라고 정리 약간의"양심의 가책 " 을 느끼기위한 ​​도덕적 안정감을 얻으려고하고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바라 이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노앗쿠는 주장한다. / "[군사적 제재〕 수단이 [목적의 의미와] 공정한 것인지를 묻는 것을 요구하면, 군대의 투입이나 공습이 성공한 후에 무엇이 달성되었는지를 정확히 분석하지 수밖에 없다. 그런 분석은 걸프 전쟁에서도 유고 공습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정부] 결정에 대해 [시민] 책임은 정보가 필요하지만 그 정보가 군사상의 기밀이라는 이유로 항상 공개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민주적 인 국가 제도를 심하게 손상된다. "(Noack 2002) /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라는 추상적 이론에 대해 세부 정보 공개 을 실시하고 상세한 대차 대조표를 만들어 보면 사기가 밝혀진다는 것이다. "세계 내정"목적으로 만 전쟁이라는 수단을 정당화 호루마 논의의 추상성을 비판하는 관점은 거듭 강조 될 필요가있다. /

2-7 g) 분쟁 해결책으로 비폭력주의 / 슈 투토 르트의 평화 및 분쟁 연구들에서 시민 운동가이기도하다 볼프강 슈 테른 슈타인 (Wolfgang Sternstein)는 분쟁 해결책으로 비폭력주의 또는 비 폭력 활동을 재평가해야한다고 주장한다 (Sternstein 2002). /

그는 먼저 여러 개념을 나름대로 정리한다. / (1) 군사주의 (Militarismus) : 전쟁은 정치적 행동 "첫 번째 수단 Prima Ratio '/ (2) 전쟁 긍정론 (Bellizismus) : 전쟁은 정치적 행동의"최후의 수단 Ultima / Ratio "/ (3) [심정 윤리] 평화주의 : 전쟁을 무조건 · 절대적으로 부정 / (4) 비폭력주의 (Gewaltfreiheit) : "비폭력 행동 '은 전쟁보다 효과적인 분쟁 해결 수단 /이 분류는 먼저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가 전쟁 긍정론 ( "정의로운 전쟁론 '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에 불과한 것을 지적하고 그것을 굳이'평화주의 '라는 용어를 사용 호루마는"네이밍에 의한 헛소리 Etikettenschwindel」을 실시하고있는 것이라고 비난하기위한 것이다. 스턴 타인의 입장 네번째 '비폭력주의'이지만, 그는 이것이 분쟁 해결을위한 유효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그 논거로 먼저 폭력은 분쟁 해결 능력이 아니라 관계자의 불만을 증대시켜 "폭력의 수렁 Sumpf der Gewaltsamkeit"에지도를 지적한다. 2002 년이 특히 악화 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난민과의 관계 (팔레스타인의 테러와 이스라엘의 국가 테러의 악순환)을 봐도 이것은 명백 할 것이다. / 스턴 타인이 강조하는 것은 '비폭력 활동」이야말로 영구 평화를 실현하기위한 실제적인 (pragmatisch) 방법이며, 그것을 종교적 내지 윤리적 인 관점에서만 파악하는 것은 불 충분하다는 점이다. 그는 마하트마 간디와 마틴 루터 킹 같은 고전적인 사례와 일곱 년대 80 년대에 성행 독일의 원자력 발전 반대 운동의 농성과 시위 행진 등 비폭력 활동이 국가의 에너지 정책을 전환 시킨 실적을 언급하면​​서 '냉전'이라는 폭력의 논리를 극복하려고 한 고르바초프의 업적과 하치 년의 「벽 붕괴 '을 이끈 동독 시민의'비폭력 반란 "라고 사례를 들고있다. / 전후 독일 사회가 만들어 온 비폭력 활동의 전통을 그 효율성과 현실성의 측면에서 재평가하고 계승 할 곳을 호루마 시작 녹색당의 다수가 '인도적 개입'같은 이데올로기 적 담론에 끌려 되는 사태야말로 由々しき 문제라는 것이다. /

2-8 h) 나치즘이라는 과거의 도구화​​ / "기본권과 민주주의를위한위원회 Komitee für Grundrechte und Demokratie"라는 평화 운동 단체도 비판을 게재하고있다. 이위원회는 과거의 평화 운동에서 호루마과 녹색당 함께 활동 한 조직이며, 그만큼 게재 문장에 "전쟁 평화 주의자도? 우리가 미안하다! Belli-Pazifismus? Ohne uns!"라는 부제를 달고 이번 녹색당의 변절을 강하게 비판하고있다. /

비판 점은 지금까지 봐 왔던 것과 겹치는 점도 전쟁 군사 행동이 정말 최후의 수단으로 선택했는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공격을 해방 전쟁이라고 평가 수 있는지, 테러에 대한 대항 테러 폭력의 에스컬레이션되는 것은 아닐까 사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권은 독일을 전쟁을하는 '보통 국가'에 대국주의 정책에 빠져있는 것은 아닌지 등을들 수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독일의 과거 '를 호루마을 악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 싶다. /

"위원회"에 따르면 호루마은 '노 모어 전쟁! 노 모어 아우슈비츠! "라는 전후 독일이 과거의 반성 속에서 획득 한 요청을 두 요소로 해체하고 그들을 대립시킴으로써 전쟁 긍정론을 날조하고 있다고한다. 호루마은 '반 군사주의를 구하려고하는 것은 코소보 - 알바니아 인에 대한 파시스트적인 민족 학살 행위를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파시즘의 과거 [대한 반성〕로 귀결로 인종 청소를 저지하려고 바란다 것은 제한적인 군사 행동을 긍정해야한다 "(Vollmer 2002) 고했다. 이에 대해위원회는 "상황의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지 않고, 네가 [호루마]는 호쾌한 말을 사용 나치즘의 과거를 전쟁 참여의 정당화를위한 도구로하고있다 "고 비판한다 (Komitee 2002). 코소보에서 얼마나 무서운 일이 있었다해도, 그들은 "파시즘"또는 "민족 학살 '과는 무관하다. 이러한 자극적 인 단어를 사용하여 전쟁을 긍정적되며 나치 범죄와 같은 일이 다른 곳에서도 일어나고있는 것이라고 암시함으로써 부차적 효과로 독일의 나치즘의 과거가 무해 화되고있다, 또한 지적되고있다. /

나치 인종 학살이라는 '과거'에 대한 반성이 독일의 전쟁 긍정론과 정 전 론의 부활로 이어져 게다가 그것이 한때 비판 세력으로 나타났다 녹색당의 내부에서 일어나고있는 것은, 독일 에서 "과거의 반성」의 내실 자체에 의문을 떠오르게한다. 임시 결어 / 지금까지 봐 온 것처럼, 90 년대 이후 독일에서는 정 전 론 확실한 부활이 跡付け된다. 특히 9 · 11 테러 이후의 시점에서 90 년대 이후를 되돌아 보면,이 정 전 론이 공통의 특징을 가진 것을주의한다. 그것은 보편적 인권을 옹호하는 초 국가적인 평화 유지기구의 설립에 이상적이다. 이 칸트적인 '세계 연방」나 「세계 내정」라는 이념을 계승, 말하자면 "유엔주의"이상은 흥미롭게도,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군사적 폭력의 행사를 용인하는 쪽도, 또 그것을 부정하는쪽으로 공통하고있다. 하버마스와 엣뿌라이 용인 한 유고 공습을 비난했다 러츠에서도 더 엄격한 유엔주의가 주장했다. 이는 이번 '반테러 전쟁'에서 러츠의 정치적 평화주의를 비판했다 론자들에도 공통되는 것이었다. / 쟁점이 된 것은 유엔주의의 이상에 비추어 이른바 '국제 사회'가하는 군사 행동을 어떻게 찾을 까였다. 군사 행동을 용인하는 입장은 그것을 이상으로 단계로 간주 부정하는 입장은 그 이상에 배신이라고 본다. 그러나이 갈등은 역사적으로 제약 된 현실의 행동을 이상에 접근하고 있다고 본다 것도 이상에는 아직 도달하지 않는다고 볼 수있다 등의 문제가 아니다. 문제가 단순히 그런 것이라면 같은 사태를 복합적 · 다각적으로 평가해야한다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진짜 문제는 구체적인 분쟁에 대해 판단 할 때 <목적 - 수단> 도식 정확히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도식이 도입되어 버리는 점이다. 이 도식이 도입되어 버리면, 세계 평화를 실현하기위한 <좋은 폭력> 적어도 <허용해야 폭력>이라는 생각이 태어나 분쟁 해결은 <좋은 사람>에 따르면 <나쁜> 분쇄와 해석되어 바로 "정의로운 전쟁론」가 성립한다. 그러나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평화주의와 비폭력주의가 의미하는 것은 폭력을 <평화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간주 발상의 거부이며,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도식 부정이다. 그들은 폭력 자체를 평화의 부정이며, <악>이라고 간주하여 평화론의 <목적 - 수단> 도식을 피하려고한다. 독일 신학자 오이겐 드레 바르 만 (Eugen Drewermann)는 "평화는 목적이 아니라 도정이다. 평화에서 출발하는 자만이 평화에 도달 할 것이다 "라는 간디의 말을 끌고 평화와 폭력의 문제에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도식을 반입의 잘못을 비판하고있다. /

 '성전과 正戦 또는 인도적 전쟁이라고 부르려고 전쟁은 항상 동일한 미치다. 악마와 싸울 때 인간은 항상 악마로 간주되는 것보다 더 악마으로 수밖에 없다. 군사 수단에 의해 "인간성"을 교정하려고 할 때 그것을 바라는 인간의 동기와 행동에 비 인간성이 침투. 이렇게하여 사람들은 '악'에 승리하는 것은 아니라 승리로 [비 인간성] 노예가되는 것이다 "(Drewermann 2002). /

평화의 문제에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도식을 잡는 게는 폭력의 부정보다 상위의 가치로 어떤 <정의>를 설정하는 것이며, 그것은 독일의 경우 '보편적 인권'에 가 '민족 학살과 인종 청소의 저지'였다. 나치 과거의 무거운 감정 부하를 입은이 <정의> 말의 위력에 전후 독일의 비폭력주의 · 평화주의가 밀려 가고있는 것이 현실이 아닐까. 이는 "나치 범죄의 유일한 무적 성 '을 강조하고 과거에 대한 반성이"가해자 의식'에 집중 한 독일의 <과거의 극복>가 품고 문제성이 아닐까. /

 여기 단락으로 전후 일본의 <피해자 의식의 평화주의>를 긍정적으로 제기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가해자> 의식에 묶여있다 <나쁜 전쟁>이나 <전쟁 범죄>라는 관념은 쉽게 <좋은 전쟁>이나 <범죄가 아닌 전쟁> 등 관념을 불러 일으킨다. 가해자 의식이 <정의로운 전쟁론>로 이어지는 하나의 예이다. 비폭력주의와 평화주의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침략 전쟁의 편에 가담했는지, 반 파시즘 해방 전쟁의 측면에서, 즉 정의의 편에 가담했는지에 관계없이 자신의 신체가받은 피해 체험에서 "전쟁은 이제 미안하다"고 생각하는 <피해자 의식의 평화주의>의 근원을 다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정의>과는 관계가없는 <피해 체험> 속에 <정의>의 전쟁론에 대한 저항력을 찾아야하지 않을까. /

그런데 마지막에 거절하고 싶은 것은, 독일의 양 전 론의 부활이 특히 심한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9 · 11 테러 이후 미국의 논의 상황과 비교하면 평화주의의 틀 안에서 전쟁을 긍정하려고하는 독일의 논의는 상당 억제 효과 것이라는 수있다. 미국의 저명한 지식인 육십 명의 서명하에 미국 뉴욕에있는 ""미국의 가치 "연구소 Institute for American Values​​」가 2002 년 두 월 한 이틀에 발표 한 '우리는 무엇의 위해 싸울 것인가 '라는 제목의 성명서 [11]은 부시 행정부의 논의에 전혀 동조 한 것이다. 이 성명은 민주주의와 자유와 인권은 보편적 가치이며, 그것의 체현 자 · 보호자가 미국이며, 9 · 11 테러는이 "미국의 가치 '에 대한 공격이므로 있으며, 그에 대한 전쟁 "올바른 전쟁 Just War"라고 자리수있다. 서명 한 유명 인사 중에는 프랜시스 후쿠야마와 새뮤얼 헌팅턴 등 자못 있다니라는 이름이 발견되는데, 놀라는 마이클 워루차도 서명하는 것이다. 워루차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사회 과학 교수이지만, "合州国의 정치적 · 지적 생활에 만연하는 많은 순응주의라는 것이 추운 풍조에 대해 이의를 제기"것을 강조하고있다 비판적 잡지 '디센트 ( 이의) "의 편집에 참여, 시민 불복종을 주창하는 비판적 지식인 생각되어왔다. 그만큼 워루차 전쟁 긍정적는 미국의 비판적 지식인의 체제 순응하는 경향을 상징하는 것이다. 워루차는 최근 논문에서 '인도적 개입'이라는 군사 제재를 긍정적뿐만 아니라이 군사 제재 결정을 국제 기관에 맡기면 긴급한 인권 침해 저지 행동을 지연시킬 수로서 대국에 의한 "자국 우선주의 Unilateralism"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미국이 유엔과 NATO에조차 제한되지 않고 군사 제재를해야한다고 주장한다 (Walzer 2002). /

이 같은 미국의 상황을 생각하면, 독일의 논의 상황은 여전히​​ 억제 효과가있어 오히려 희망을 가질 수라고 할 정도이다. 호루마의 "정의로운 전쟁론」그 자체가 많은 유보를 포함, 게다가 '평화주의'와 자칭 수밖에 없다. 그리고 즉시 평화 주의자에서 차례 차례로 비판의 논의가 제시되어 매우 적절한 비판이 이루어지고있다. 본고에서는 꽤 자세히 호루마 비판의 논의를 소개 한 것은 평화주의 정신이 또한 독일에서 살아있는 것을 나타 내기 위해서이기도했다. 정권 내부에서도 일종의 흔들림 다시 시작하는 것처럼 보인다. 삼월 한 네 일자 「프랑크 푸르 터 룬토샤우 '지에 독일 사민당 (SPD) 연방 의회 회파 부위원장의 게루노토 · 에아라 (Gernot Erler)이 9 · 11 테러 이후의 정치 상황의 총괄하고있다 (Erler 2002). 그는 지금까지의 슈뢰더 정권의 대응책을 긍정하고, 특히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와 과도 정부에 대한 이른바 '본 합의 "(2001 년 열두 월 닷새 서명)에 대한 독일의 긍정적 인 기여 을 자랑하면서도 보복 공격을 할 미국에 "무제한 연대 '라는 슈뢰더 총리의 발언은 군사력에 의한 분쟁 해결 정책을 추진하려고하는 것은 없다고 거절한다. 또한 슈뢰더 정권은 '세계화를 인간적인 것으로하고 부정 불공정 한 세계 질서를 재생산 새로운 정치 전략'이라는 평화 시민 적 갈등 예방 ·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 되어있다. 그리고 '악의 축 Achse des Bösen "또는"불량 국가 Schurkenstaaten "라는 도발적인 언어를 미국이 사용할 수 있으며 두 번째 단계의'반테러 전쟁 '을 NATO 동맹국에도 제약없이 자유롭게 할 것이라고 선언 미국 [12]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미디어에서 종종 간결하게 표현 된 바와 같이,"미국이 싸움 유엔 식량을주고, EU가 돈을내는 '라는 새로운 글로벌 분업이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유럽인는 우려하고있다 "(Erler 2002)라는 신랄한 표현으로 미국의 사심이 비판되고있다. /

물론 미국에 대한 이런 불만이 비폭력 평화주의의 방향으로 향하는 여부는 낙관 할 수 없다. /


평화주의와 정의로운 전쟁론 4

제 3 절 평화주의 논쟁 /

 2002 년의 한 달 칠일 "프랑크 푸르 터 룬토샤우 '지에 아프가니스탄에 독일군 파견을 추진 한 독일 외교부 정무 차관 룻토가 · 호루마 (Staatsminister im Außwärtigen Amt Ludger Volmer)가 '평화주의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논문을 게재했다. 호루마 외무 장관 피셔와 같이 그린에 속하고 그의 주장은 녹색당 주류의 견해와 생각되지만, 그는 군사력의 행사를 배제하지 않는 평화주의의 노선 전환을 주장하고있다. 이 논문에 대해 그 다양한 논자가이 지상에 반박을하고있다. /

1) (1) 정치적 평화주의라는 긍정적 인 경기 론 /

1-1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

호루마에 따르면 평화주의는 절대 비폭력주의가 아니다. 평화주의는 정치 군사적 폭력 (전쟁)이라는 최후의 수단 (Ultima Ratio)에 호소하는 것을 저지하려고하는 것이며, 전쟁에 대한 정치의 우선 폭력에 대한 대화 · 협상 우선이다 . 그런데 여기에서 <폭력에 대한 대화 우선하는 정치의 틀 (정치적 공간) 자체를 부정하는 폭력에 대해 폭력을 가지고 싸우는 것은 평화주의와 모순되지 않는> 결론 지을 것이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 Politischer Pazifismus "이다. /

호루마이 우선 지적 할 것은 평화주의를 절대 비폭력주의와 이해 해 버리면 더 이상 정치적 개념이 아니라 종교적인 윤리되어 버린다는 점이다. '살인의 금지 "종교적인 윤리적 요구이지만, 그것이 인간 행동의 유일한 규범이 아니다. 종교적 윤리 (개인의 내면적 인 절대 가치 표상)을 현실의 역사적 조건에 제약 된 인간의 삶에 엄격하게 적용하라는 요구는 '종교적 근본 주의자 religiöse Fundamentalisten "의 요구에 불과 없다. 평화주의가 정치적 개념이다 한 즉, 평화주의를 정치적 차원에서 이야기 한 "그것은 [평화주의]는 [비폭력이라는〕 규범에 따른다 (normengeleitet)이지만, 그러나 동시에 역사 으로 제약되어 있음도 자각하고있다. " 절대 비폭력주의를 역사적 조건을 무시하고 원리 주의적 요구하는 평화주의는 "추상적 인 심정 윤리의 평화주의 '에 불과하다. - 호루마는 M · 베버의 심정 윤리와 책임 윤리의 구별을 꺼내고 원리 주의적 낭만주의적인 심정 윤리가 현실의 정치적 결정에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을 경고하고있다 . 평화주의는 "정치적 평화주의 '이어야하며,"심정 적 평화주의'이어야 아니다. /

호루마는 평화주의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나타 역사적 한계를 지적하고있다. (1) 소수의 독점 자본가의 제국 주의적 확장 정책에 대한 노동자 계급이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자본주의 국가를 부정하려는 평화주의 (계급 투쟁 평화주의). (2) 나치즘 반유대주의, 군국주의가 일으킨 비참한 전쟁에 대한 반성에서 태어난 전후 독일에 퍼져 있던 심정 적 평화주의. 이것은 「노 모어 아우슈비츠! 노 모어 전쟁! Nie wieder Auschwitz, nie wieder Krieg "라는 표어에 나타나고있는 것 같은" "내가 싫다"평화주의 "Ohne mich"-Pazifismus "라고 있다. 이 심정 적 평화주의에 대해 호루마는 코소보 전쟁 때의 '인종 청소'를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있다. "파시즘의 과거를 가진 이기에 인종 청소를 저지하려고 원하면하면 제한된 군사 행동은 긍정적해야 할 것이다." (3) 또한 칠십 년대의 평화주의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평화 주의자이며 제국 주의적 선진국이 개발 도상국의 해방 운동을 군사력으로 억압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일본에서 말하는 "베平連"평화주의에 대응하는 이러한 평화주의도 그 상황 속에서 정당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번 반테러 전쟁에 적응 할 수 없다. 그 이유로 호루마이 드는 것은, 미국의 아프간 공격은 아프간 시민의 해방이며, 천연 자원의 이권을 목표로 전쟁이 아니라 새로운 테러 공격에 대한 방어 전쟁이라는 것이 대부분 부시 대통령의 口真似을 하고있는 것처럼 보인다. (4) 1980 년대의 평화주의는 미국과 소련의 핵 군비 경쟁이 점점 더 커지고있는 가운데, 유럽에 핵 전쟁, 핵 대학살의 위기가 다가오는 중 핵전쟁지도 모든 전쟁에 반대하는 '새로운 평화 운동'으로 있었다. 핵무기뿐만 아니라 ABC 무기 등 대량 살인 무기 문제는 냉전 후의 현재에도 중요하며 계속하지만, 국제 테러 조직이 그런 대량 살인 무기를 가진 위험이 존재하는 현재 바로 테러 조직에 대한 군사 행동이 필요하다. / 다양한 평화주의의 타당성은 다양한 역사 상황에서 타당성이며, 그들은 단순한 절대 비폭력주의가 없었다는 것이 호루마의 결론이다. 국제 테러 조직의 테러 공격으로 국제 사회 전체의 안전이 위험에 처해있을 때,이 새로운 역사 상황에 대해 기존의 평화주의에 대응할 수 없다. 종래의 평화주의는 국가가 군사적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 해왔다. 종래의 평화주의의 설명에 따르면 "국가는 특권 계급의 이익을 보호 · 확대하기 위해 국민을 전쟁으로 몰아 다른 국민을 '적'으로 허구하고 자국의 민족주의를 부추 기는. 그러나이 '적'의 동상은 허상이며, 양국의 시민이 함께 평화로운 삶을 바라는 인간이며, 본질적인 적대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시민들의 대립은 원리 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 조정 가능하며, 정치적 해결을 찾아 낼 것이다. 따라서 국가에 의한 군사 행동은 허용되지 수 없다. 국가에 의한 폭력 행사는 모든 국민 · 인민 · 시민의 이해에 반하는 것이다. " 이러한 종래의 평화주의의 기본적인 생각이 "9 · 11 테러 '로 밝혀진 새로운 세계 상황에서 타당하지 않으며, 호루마는 주장한다. / "허구 된 '적'의 동상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적 등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아니다. 현실의 적의도 존재하고있다. 그것은 국가 간의 분쟁 등 카테고리에서는 파악할 수없는 것 원수이다. [냉전 후의 세계에서는] 더 이상 국가끼리 라든지 민족끼리 서로 싸우고있는 것도 군사 동맹끼리 군비을 경주하고있는 것도 없다. 국제 네트워크를 두른 하나의 비정부 조직 Nichtregierungsorganisation가 세계화 된 현대 세계에 대한 극악 범 에너지를 가지고 싸움을 걸어있는 것이다. 범죄적인 암흑 사회가 근대 사회의 기초를 파고 깨려하고있는 것이다. "(Vollmer 2002) / 호루마 말하고있는 것은 대부분 부시 대통령이 2001 년 1 백 월 구일에 '무한 정의 infinite justice "개정"항구적 자유 enduring freedom "라고 불렀다 아프가니스탄 공격 작전의 시작에 즈음 말했다 한 "우리는 실패하지 않는다. 평화와 자유가 승리 할 것이다 "논리와 동일하다. 우리가 직면하고있는 문명과야만의 대결이며, 문명 국가 간의 국제 분쟁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 가능하다해도,야만과의 대결에서는 폭력의 사용은 정당하다, 라는 주장이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문명과야만 든가, 선과 악의 싸움이라는 구도는 아무것도 "9 · 11 테러 '이후 처음 나타난 것도 아니고, 일독하는'악의 축 '에 대한 자유와 민주 주의를 지키는 연합국의 싸움이 대전이었다이며, 냉전 시대에 레이건 대통령은 소련을 '악마의 제국'이라고 부르고 것이라고 지적해도 그 목소리는 "정의로운 전쟁론 "분위기 속에서 익사하는 것이다. 국제 테러 조직에 대한 싸움이 '새로운 상황'이라는 이데올로기는 꽤 받아 들여지고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그것을 강화하는 패러다임 중 하나는 "폭력의 민영화 '라는 생각 일 것이다. 호루마도 언급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되는이 개념에 대해 고찰 해 둘 필요가있다. /

1-2 폭력의 민영화 /

"폭력의 민영화 Privati​​sierung der Gewalt '이라는 개념은 엣뿌라라는 정치가가 사용 독일에서 논의를 부르고있다. /

하르트 · 엣뿌라 (Erhard Eppler)는 1920 여섯 년생 SPD 정치인이다. 그는 독일의 재무장에 대한 반대를 계기로 정치의 세계로 들어가고 80 년대에 독일에 핵 미사일 배치에 반대하는 반핵 평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이론적으로도 실천적으로도 전후의 SPD의 정책을 선도하는 인물 인 것, 1989 년에 개정 된 SPD 강령 이른바 '베를린 강령'에는 그의 생각이 반영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엣뿌라는 코소보에 NATO 군의 개입에 찬성 한 것을 평화 주의자로 비판했지만, 이번 '반테러 전쟁'에 대해서도 그것을 긍정하는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고있다. 엣뿌라는 2001 년 구월 이십일 일에 개최 된 바덴 부에루텐베루구 주 SPD 전당 대회에서 연설하고 아프가니스탄의 군사 개입을 긍정 기존의 평화주의를 재고해야한다고 제언하고있다 . (이하 Eppler 2001 참조) /

그는이 강연에서 먼저 현재의 사회 상황은 120 년 전에 그가 평화 운동에 종사하고 있던 때와는 근본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인식에서 출발 . 이번 테러 공격은 고층 빌딩과 항공기 등 첨단 문명의이기 (利器)로 구성되어있다 우리 사회가 울리히 벡이 말하는 '위험 사회 Risikogesellschaft "임을 비극적 인 사건을 통해 깨닫게 된 것이다. 그리고 21 세기의 세계에있어서 본질적인 문제는 우리의 비난 받기 쉬운 (verwundbar) 문명 사회에 '안전'을 간신히 주어왔다 '국가'가 쇠퇴하고있는 것이다. 국가는 "폭력"을 독점함으로써 각 개인의 사적인 폭력 행사를 배제하고 사회에 '안전'을 미쳤다이다. 그 국가가 쇠퇴하고있다. 그것은 1980 년대의 대처주의와 레이건주의하여 복지 국가를 해체하고 작은 국가를 목표로하는 신자유주의와 시장 절대주의의 움직임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이 추세는 시장을 정치로 대체하려고 사회주의의 시도가 파탄함으로써 세계에 퍼졌다. 정치를 시장에 의해 대체하려고하는 신자유주의는 이전에는 정치적 국가가 담당해 온 것을 계속해서 "민영화 상품화 privati​​sieren und kommerzialisieren"하고왔다. 자본과 상품과 노동력이 국제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경제의 세계화는 국가의 쇠퇴를 결정하게하고있다. 국가는 국내 경제와 국민의 복지를 관리하는 능력을 잃어 가고있을뿐 아니다. 국가는 이제 폭력을 독점하고 사회 안전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잃어 가고있다. 국가를 대신하여 시장이 최적의 자원 분배하고, 결과적으로 안전 공급과 신자유주의 ​​약속하지만, 90 년대 말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금융 위기를 상기 것만으로도 그 파탄 분명하다 . 경제의 세계화는 기존의 국민 국가에서 점차 그 '주권'을 박탈하고 있지만, 그 핵심 인 '폭력의 독점 "이라는 국가의 기본 성격 자체가 약화되고있다. 폭력까지 민영화 된 셈이다. 그러나 -와 엣뿌라 주장 -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은 국민에게 안전을 보장하기위한 필수적 전제이다. /

확실히 이십 세기의 역사는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이 '살육의 독점 Tötungsmonopol'에 빠진 예를 재삼 보여왔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을 단적으로 악이라는 것은 잘못이며, 나쁜 폭력 독점과 좋은 폭력 독점을 구별해야한다. 사회가 존립 가기위한 최소한의 폭력 독점을 국가가 담당해야 할 것이다. 21 세기의 세계가 직면 한 문제는 "민영화되어 상품화되고 탈 국가 화 된 완전히 무법 폭력 '이다. /

엣뿌라가 21 세기 사회의 문제를 이렇게 그리는 배경에는 90 년대에 비판 신뢰를 잃고있는 복지 국가를 다른 형태로 부활시키려는 사회 민주당 (SPD) 의원으로서의 정책적 의도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신자유 주의적 시장 절대주의에 의해 실추 된 복지 국가의 이상을 재생 시키려고하는 것만으로 그치지 않고 "폭력의 독점"이라는 국가의 기능을 재평가해야한다는 것이다 . 국가에 의한 폭력 독점의 정당화 논리라는 측면이 강하다. 불평등 한 부의 분배의 회피라는 복지 국가적인 문제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사회적 평등이라는 요청은 인권을 둘러싼 윤리적 규범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불평등 에서 사회는 해체하고 민영화 된 폭력이 분출 될 것인가」라고하는 사회 공학적인 고려에서 도출되고있다. /

엣뿌라는 "폭력의 민영화 '가 21 세기의 문제라고하는데, 그것의 전형적인 예로서들 수있는 것은 아프리카와 중앙 아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일부에서 국가가 사실상 소멸하고 혼란 속에서 각 개인 · 민간인이 폭력에 직접 노출되어 또 스스로 폭력에 호소하지 않을 수없는 상황이나, 도심의 치안 악화를 우려 중산층이 사설 경비원 감시 한 "뿌라이붸이토 커뮤니티" 으로 이주하게되어있는 미국의 상황이다. 제 3 세계는 무법 상태에 빠져 선진국에서는 돈으로 사는 "새로운 성벽 도시"내부의 안전 지대와 그 외부의 무법 지대에 분열이 진행 세계 전체가 중세적인 세계로 역행한다는 것이 "폭력 민영화 '론 세계 이미지이다. /

9 · 11 테러가 준 충격은 엣뿌라에게는 "민영화 된 폭력 '이 선진국, 즉 민주적 법치 국가로 간주되어 국가의 기초를 흔드는 것을 각성했다, 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테러의 충격을 통해 국가에 의한 폭력 독점이 사회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임을 새삼 깨달았다 것이다. 폭력을 독점하는 국가가 항상 '악'인 것은 아니다. "좋은"폭력 독점이 존재하고 그것은 "민주 법치국가"폭력의 독점이다. "민주적 법치 국가는 대략 인류의 발명품 중 가장 천재적인 것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민주적 인 법치국가에 의해서만 폭력을 정의 · 법에 종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Eppler 2001) . /

음, 폭력 독점을 공고히 확립 한 국민 국가의 시대에는 평화주의가 폭력 독점의 남용을 경계하고 국가의 폭력 독점은 원리 적으로 악이라고 간주하고 행동하는 것도 나름대로 정당한 는 있었다. 그러나 그 국가에 의한 폭력 독점한다는 전제가 무너지고있는 세계에서 평화 주의자의 과제는 국가에 의한 폭력 독점의 남용을 경계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21 세기의 세계에서 평화 주의자는 폭력의 민영화에 대처해야하며, 민주적 법치 국가가 폭력을 독점하기 위해 필요한 폭력을 "좋은 폭력 '으로 긍정해야하는 것이다. 법의 지배와 평화는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을 기반으로하고있다. 평화주의는 절대 비폭력주의라는 자기 인식을 바꾸어 폭력의 올바른 국가 독점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변화해야한다. /

이것이 엣뿌라의 '폭력의 민영화'론으로부터 귀결되는 새로운 평화주의의 이론이며,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의 구조도 "좋은 폭력 '의 긍정적 관해서는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10 ]. 다시 호루마의 말을 빼면 /

"오늘날 정치적 평화주의 란 다음을 의미한다. 그것은 즉 정치를 앞세워 군사적 조치를 정치적 전략에 종속시키는 수단이 또한 유엔이 중심적인 역할을 인도적 전시 국제법이 실효 힘을 가지고 [제재] 제 수단이 지나치게 엄격 안 (Verhältnismäßigkeit der Mittel) 같이 노력하고, 인도적 지원과 인권 옹호 해외 문화 정책과 문화 간 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개발 원조와이를위한기구의 설립에 진력하고 글로벌 가봐난스과 글로벌 정의를 지향하는 국제적인 구조 정치에 진력 할 것이다. "(Vollmer 2002). /

호루마의 경우 인권과 글로벌 정의를 지향하는 국가들은 유엔을 중심으로 "폭력을 독점"하면 거기에 "좋은 폭력"이 성립하는 구조로되어있다. 그의 주장의 요점을 엣뿌라의 논의에서 보완하면서 정리해 보자. 첫째로 첫째, 정치는 이해 대립을 전략적 대화를 통해 해결하고 군사적 폭력의 사용을 최소화하기위한 틀이다. 정치는 그 본래의 모습에서는 정치적 평화주의이다. 그러나 폭력을 최소화하고 정치적 협상을 우선하는 정치적 틀 자체가 '폭력의 독점 "으로 유지되며, 따라서"폭력 "에 기반을두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문명 사회는 폭력의 독점에, 혹은 "좋은 폭력"에 '평화'를 구축하고있다. /

둘째,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이라는 근대 국민 국가의 전제가 무너지고있다. 경제 · 사회 · 정치의 세계화 속에서 '폭력의 민영화'현상이 나타나고 특정 지역 내에서의 폭력의 독점을 국가를 유지할 수 없게되어있다. 따라서 초 국가적인 폭력 독점 기관이 필요로된다. 유엔이라는 조직에 그 기대를 걸 수있다. 유엔과 그에 협력하는 국가들은 보완하면서 <국제적인 폭력 독점>를 행한다 (국가의 주권은 부분적으로 제한된다). 이런 '글로벌 정의 "를 가능하게하는 국제 정치 구조의 완성 이야말로'세계 내정」의 실현된다. /

셋째, '세계 내정'실현에 한 걸음 간주 수있는 행위를 "절대 비폭력주의 '라는 잘못된 평화주의에 의해 부정해서는 아니다. "구월 한 하루 [테러]는 이러한 새로운 시대를 도입했다. 변화는 아직 불완전하다. 국제법은 또한 국가 간의 항쟁이라는 형태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민영화 된 폭력 '은 영토 적으로 제한된 국가의 틀에서 (teritorialstaatlich) 질서 지어하여야한다. [그러나] 안보 정책 차원에서도 겨우 맹아로서가 있지만 (erst in Ansätzen) 경제와 환경 문제는 이미 이전 에서 우리의 의식을 규정해온 세계화가 인식되도록되어있다. 이것 이야말로 평화 주의자가 원했던 세상 내정은 아닌가? "(Vollmer 2002) /

이렇게보고 오면, 하버 송어, 호루마, 엣뿌라 등의 평화주의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있는 것을 알 수있다. 삼자 모두 '세계 내정 "을 목표로 유엔주의를 표방하고 그 실현을 위해서는 다소의 문제는 안고 있어도 민주적 인 군사 대국이 관리하는 군사력의 행사를 허용해야한다는 논리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정의로운 전쟁론 '의 논리에 가담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다. / 2) (2) '정치적 평화주의'비판 / 아프가니스탄의 군사 개입 긍정론으로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논문이 나타나는 경우 이에 대해 지체없이 다양한 반론이 '프랑크 푸르 터 룬토샤우 " 잡지에 게재되었다. /

2-1 a) 녹색당을 국가 주의자로 비판 /

1 월 1 엿새에 게재 된 볼프강 · 게루케 (Wolfgang Gehrcke)의 '작은 전쟁'이라는 아이러니 제목의 글은 녹색당이 '세계 내정 "이라는 이념의 배후에서 권력욕을 위해 미국 추종 정책으로 전환하고 평화주의를 배반했다고 비판하고있다 (Gehrcke 2002). 게루케는 동독 공산당 (정확하게는 "독일 통일 사회당 SED ')의 후속 정당인'민주 사회당 PDS」의 대외 정책 담당 대변인이다. / 게루케에 따르면 호루마가 대변하고있다 빨갛 녹색 정권의 정책은 독일의 과거에 대한 반성에서 태어난 「노 모어 아우슈비츠! 노 모어 전쟁! "라는 신조를 변조 한때 유고 전쟁을 정당화하고 지금 "반테러 동맹 '에 대한 군사 참여하고 있지만, 이것은 평화주의에 대한 배신이라고 논박한다. . /

문제는 '반테러 동맹'이 세계 정부 (또는 의사 세계 정부)가 아닌 미국의 독점 이니샤티부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 정부는 세계 경제와 정치를 지배하는 G8 국가 그룹에 충성을 나타 내기 위해 미국에 바짝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독일 정부의 동맹 참여는 독일 국가의 국익 추구 행위이다. 녹색당도 "민족 주의자 Nationalist '가 됐다는 것이다. /

그에 대해 사회 주의자 (PDS)은 비군사적 인 성실한 중개자 (ehrlicher Makler)의 입장을 견지하려고한다. / 2-2 b) "종교적 · 예언자 적 평화주의 '/ 가톨릭 평화 운동 단체'그리스도의 평화 '독일 사무 총장 라인 하르트 포스 (Reinhard J. Voß)는 종교인의 입장에서 호루마 대한 비판을 있다 (Voß 2002). /

포스에 따르면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도 군사적 수단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고는하면서도 기본적으로는 분쟁과 평화 공헌과 화해 작업에 시민 인 (zivil) 수단 태클하는 기본 자세를 갖고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평화주의라는 이름값 않는다). 그렇다면이 정치적 평화주의도 군사력의 논리에 포함되는 것을 피하려는 것이지만, 그러나 그런 회피력의 원천은 '비폭력주의'에서 이의 유래 밖에없는 것이다. 포스는 비폭력주의를 "종교적 · 예언자 적 prophetisch-religiös 평화주의"라고 그 종교적 측면을 강조한다. 비폭력주의와 종교 성과의 관계의 문제는 여기에 들어 가지 않지만, 절대 비폭력주의야말로 평화주의에 고유 저항과 비판력을 준다는 지적은 중요하다. 평화주의를 "폭력 독점"으로 평화 상태를 실현하기위한 유효성 문제로 환원하면, 그것은 <폭력에 의해 평화를 유지하기>라는 군사력주의 (Militalismus)에 쉽게 채워 버린다. 비폭력주의를 본질로하는 평화주의는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후의 수단"으로 열리는 '정의의 전쟁'도 '악의 Übel "로 간주한다는 입장을 관철 때문에, 평화주의의 이름 만하다. /

포스의 논의에서 또 하나 주목할 점은 호루마도 의존하고있다 엣뿌라의 "폭력 민영화 '론의 취급 편이다. 국가에 의한 폭력의 독점이 무너 사적인 폭력이 만연되고 있다는 '폭력의 민영화'상황을 현재의 일면으로는 포스도 인정하지만, 그는 거기에서 반대의 결론을 이끌어 낸다. /

"오늘날 전쟁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더 이상 명확한 전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적어도 한쪽 〔즉 테러리스트 편]에서 전쟁이 이른바 민영화 그것을 명확하게 정의 할 수 전장 내에 한정 할 수없는 경우 "제도로 전쟁의 폐기 '라는 평화주의의 요구는 이전보다 더욱 현실성을 띠는 것이다. 일부 국가는 다시 전통적인 전쟁 수행 유형에 퇴보하려고하고있다 하지만 그런 전쟁의 방법은 더 이상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테러 공격 이상으로 세계 평화를 해치고있다. 테러 집단과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추적하는 대신 국가를 공격하는 것이다. " (Voss 2002) /

폭력의 민영화로 테러를 평가하는 것은 테러 조직이 특정 '테러 지원국'으로 컨트롤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며, 그렇다면 특정 '테러 지원 국가 "전쟁을 선포해도 무의미하다. 오히려 필요한 것은 세계 내정의 실현을 위해 유엔 개혁이라는 틀 안에서 반죽되어 온 국제적인 법 제정 경찰 조직, 새로운 외교 수단을 더 발전시킬 것이다. "모든 국가, 특히 미국이해야 할 일은 권력의 片務주의 · 사심 (Unilateralismus)에서 결별하고 지금까지 반죽 된 많은 제안, 즉 교토 의정서와 생물 무기 제한 조약과 국제 형사 재판소 설립 협약 비준 할 것이다. "/

"폭력의 민영화 '의 인식과 유엔주의의 이념을 같이 들고도 군사 행동을 용납이 반드시 귀결되는 것은 아니고, 포스처럼 미국의 대국 주의적 군사력주의에 ​​대한 비판을 이끌어 낼 수있다. /

2-3 c) "가시로 평화주의 '/

헤센 평화 · 분쟁 연구소 소장의 하라루토 뮐러 (Harald Müller)가 한 달 이백 사십 일 발표 한'독선의 육체에 박힌 가시 '라는 논고 은 (Müller 2002) 심정 윤리적 평화주의와 정치적 평화주의의 양자에서 거리를 취하면서 어떤 입장도 완벽하지 않고, 각각 딜레마를 안고있는 것을 지적하고, 오히려 양자가 논의의 양극으로 민주적 토론 공간에 존재하는 것이 민주주의가 독선에 빠질 위험을 회피시키는 것이다한다고 주장하고있다. /

호루마이 심정 윤리적 평화주의라고 그 비 현실성을 비난했다 오래된 평화주의도 실은 그만큼 완벽한 비폭력주의가 없었다고 뮬러는 지적한다.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은 평화주의 운동 이라기보다는, 반대로 미국 제국주의의 운동이며, 베트콩 싸울 것은 명백한 공감을 표시했다. 또한 소련의 핵 미사일 SS20 배포 계획에 맞서 NATO가 내놓은 서독으로 미국 제 퍼싱 미사일 배치 계획 (이른바 'NATO의 이중 결정'1979 년 열두 월)에 반대하는 분위기 한 80 년대 초 독일의 반핵 평화 운동도 그것이 NATO를 비판함으로써 소련의 군사적 우위를 승인 해 버리는 딜레마를 안고 있었다. 평화 운동은 소련을 대상으로 한 '적 이미지'를 결합해서 군비 증강이 추진되는 것을 반대했지만, 그렇다고해서 평화 운동이 '적 이미지'일반에서 자유로 웠던 것은 아니라 "미국 제국주의 '는 명백한'적 '으로되어 있었고, "군인은 모두 살인자!"라는 구호가 나올 때까지가 있었다. 독일의 오래된 평화 운동이 무조건 비폭력주의에 ​​철저했던 것은 아니다. 한편, 역사적 상황이 변화하는 가운데 군사력의 사용도 인정한다고하는 호루마의 정치적 평화주의도 일종의 근본주의에 사로 잡혀있다. 즉 호루마 인 "새로운"평화주의는 '인권'이라는 절대적 가치의 옹호를 위해 폭력 사용도 허용된다는 입장이다. 오래된 평화주의는 "비폭력"을 절대 화해, 새로운 평화주의는 '인권'을 절대화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절대적이고 보편적 인 규범에 따른다고 믿고있다 "심정 윤리」의 /

평화주의와 정의로운 전쟁론 3

1-5 러츠 의한 유고 공습 비판 /

비폭력 평화주의 [5]의 입장에서 유고 공습 단점을 하나 소개하고 싶다. 하버마스처럼 <보편적 인권>과 <세계 내정>와 <유엔주의>와 같은 이념을 견지하기 위해 반드시 군사적 폭력의 행사는 <수단>을 정당화 할 필요는없고, <수단의 악마> 비판 계속 논의도 가능하다.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하는 양 전 론의 논리에서 벗어날 예로 러츠 토론을보고 싶다. /

"함부르크 평화 연구소 '의 소장 인 디터 루츠 (Dieter S. Lutz)는 1999 년 칠월에"Die Woche "지상에"엣뿌라 씨에게 편지'라는 글을 올린 바있다. 이것은 사회 민주당 (SPD)의 유력 정치인 에도와루토 · 엣뿌라가 1999 년 유월 1 백 일자 '자이'지에 발표 된 엣뿌라과 바의 공개 서한에서 이번 전쟁의 책임 단지 미로세뷔찌 만에 돌려 보내, 코소보 알바니아 인에 열린 '인종 청소'를 저지하기 위해 행해진 공습은 정당하다고 주장 것에 대한 반박이다. (다음은 Lutz 1999 참조). /

루츠의 주요 논점은 '인종 청소'라는 말이 냉정한 사실 인정과 판단을 불가능하게 존재하는 평화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군사력의 행사에 향하게했다는 것이다 . 그는 공습 시작 이전의 상황을 설명한다. /

먼저 1998 년 1 백 월 한 삼일 홀 브룩 미국 특사와 밀로셰비치 대통령과의 사이에 휴전 합의가 성립하고 나서 2 주 후에의 1 백 월 27 일 NATO 군 총사령관 솔라 나이 한 발표에 따르면, 정전 협정은 대체로 지켜지고 있으며, 산발적 인 충돌은 있지만, 정치적 협상의 전제가되는 지역의 안전은 확보되어 있었다. 솔라 나 오히려 코소보 알바니아 인 무장 조직에 정전 협정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있다. 또한 코소보에 파견 된 독일 여단장 하인츠 로카이 (Brigadegeneral Heinz Loquai)가 석 달에 OS​​ZE (유럽 안보 협력기구)에 대해 말했다 곳에는 OSZE 의한 정전 검증 작업은 유고 군의 협조로 순조롭게 진행 이지 있으며, 유고 군은 협정대로 군대를 축소하고있는 것으로보고되고있다. 문제는 오히려 코소보 알바니아 인의 UCK (코소보 해방군)으로 고려되고있다. "협정에 제약되지 않는 느낌이 UCK는 유고 슬라비아 군이 철수 한 곳에 침공했습니다." 그 결과 "UCK가 바늘로 つつけ하면 유고 보안군이 격렬한 반격을한다 '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1999 년 삼월 열 아홉 일 독일 외무성이 제출 한 상황 보고서에서도 정전 협정 위반에 관해서는 양군 모두 책임이 있다고되어있다. "정전은 양 진영에 의해 더 이상 지켜지지 않는 세르비아 군은 모든 기회에 코소보 해방군의 소규모 공격에 대규모 반격을하고 코소보 해방군의 진지를 공격하고 가능한 한 그것을 소탕 했다. " 정부군과 반정부 게릴라와의 통상의 공방이 계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유고 군은 코소보 해방군의 거점이 될 수있는 마을을 파괴했지만, 그것은 코소보 해방군이 거기에 돌아와 다시 진지를 구축 것을 불가능하게하기 위함이었고, 보고서는 말했다. 게다가 그 때 유고 군은 전년과 달리 미리 마을에 퇴거 명령을 내고 있었다. "그런데 코소보 정전 감시단에 따르면, 시민의 퇴각은 각지의 코소보 해방군 사령관에 의해 검거 된 것이다. 난민 고등 판무관실 (UNHCR)이 목격 한 곳에는 유고 군은 전년의 방식과는 반대로 마을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고 작전 종료 후 즉시 철수했다. 유고 군이 철수 한 후 대부분 주민들은 돌아왔다. " 게다가 피해를보고 있던 것은 세르비아 인 민간인도 마찬가지였다. "코소보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 그룹이 동일 피난과 추방이나 파괴에 노출되어있다. 한때 세르비아 인이 살았다 아흔 정도의 마을 사이에 버려진 예전의 일만 사천 명 세르비아 계 크로아티아 중 코소보는 이제 칠천 명 밖에 살고 있지 않다 "고 외무성의 보고서는 밝혔다. 알바니아계 주민뿐만 아니라 세르비아계 주민들도 전쟁의 피해자로 난민이되어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단체들이 주민들에게 원조 물자를 공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던 것은 유고 군뿐만 아니라 코소보 해방군도 마찬가지였다. /

이런 상황에서 일반 시민은 막대한 피해를 받고 "모든 종류의 폭력과 범죄가 동반 한"것이 있지만, 그래도이 상황을 '민족 학살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인종 청소, 조직으로 추방 "라고 부르는 것은 없다. 루츠는이 보고서를 "일종의 내란 상황보고 Lagebeschreibung eines Bürgerkrieges"이라고 형용하고있다. 오히려 상황을 "인종 청소"라고 깜짝 놀랄만 한 말을 이용하여 단순화하고 악의 화신 인 미로세뷔찌 세르비아 군과 그에 대한 정의를 구현 한 코소보 해방군 같은 도식에 의해 코소보 전쟁을 파악한 것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평화의 기회를 벗어난 원인이다. 이렇게 러츠 생각한다. /

그는 다시 솔라 나보고를 당겨 평화적 해결이 불가능하게 된 이유를 들고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NATO 회원국이 일면으로 반 세르비아 부모 코소보 알바니아 자세를 취한 때문이다. 따라서 코소보 해방군을 勢いづか하고 다른 절도를 지키고있는 세르비아에도 NATO 어차피 알바니아 인의 아군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해 버린 것이다. 유럽 국가들은 미국에 대해 너무 순종이며, 시간이 임박하고 있다는 허구를 받아 들이기 정치적 협상이 점차 군사 문제화되어가는 것에 저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그리고 독일이 미국의 군사적 문제 해결 정책에 대항력을 갖지 않았던 것은이 분쟁의 성질을 단순화하고 선악의 대립 환원 해 버려, "인종 청소 '라는 중대한 부정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전쟁도 정당화된다 "라는 논리로 단락 버린 점이다. / 1-6 유엔의 집단적 자위권만을 인정하는 평화주의 /

그러나 러츠 자신의 평화주의는 완전한 비폭력주의가 아니다. 일종의 유엔 원리이다. 그는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 (헌법)"의 평화주의를 48 년에서 49 년에 걸친 헌법 제정 회의 (의원 협의회)의 카를로 슈미트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강조한다. /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표명해야한다. 즉 이방 사람들이 질서에 따라 공생하고있는 곳은 왕의 최후의 수단 (ultima ratio regum)라고 한 주권 속에 주권 〔즉 전쟁 을 권리]로 간주 된 것이 존재하는 공간 등 단적으로없는 폭력이 행사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도 그 폭력은 국가 주권의 행위로서가 아니라 전 세계에 평화가 유지되고 평화를 해치는 침략을 불가능하게 배려하는 모든 나라들의 집단적 자위 행위로 이루어져야한다. [중략]이 세상에서 과거 침략 전쟁을하기 위해 군비를 증강하는 주장 것이있는 것일까 여부? 아무도 자위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군비를 증강하는 것으로 밖에 말하지 않았던 것이다. "/

자위 전쟁과 침략 전쟁과 구별 할 수없는 이상, 자위 전쟁은 평화를 바라는 국가들의 집단적 자위 행위로 만 허용되어야한다. 독일 기본법 (헌법) 제 조에서 "평화 유지를 위해 주권을 국제기구에 이양"한다는 규정을 강조하고 자위권로 전쟁을 수행하는 개별 국가의 권리를 부정해야한다, 그리고 루츠는 주장한다. /

"평화를 바라는 것은 유엔에 의한 폭력의 독점을 강화해야로서 공동화시키고는한다. 민족 학살을 저지하려고하는 것은 적절한시기에 예방 적 조치를 강구해야하며 또는 만약 강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유엔이 그 강제력을 획득하기 위해 생각할 수있는 모든 일을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치적 자의 길을 확보하게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범죄적인 자의 길을 확보하게된다. 다시 반복하지만, 공격과 자위는 승자가 결정한다. 코소보에서 유엔의 위임이없는 전쟁을 한 것으로 NATO는 하나의 선례를 만들었다 버렸다. 내일은 러시아가 발칸 반도에서 그리고 모레는 중국이 동남아 어딘가에서 같은 것을 요구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렇게되면 전 세계가 다시 전쟁에 불타는 날도 멀지는 없다. "/

루츠의 평화주의의 특징은 국가에 개별적 자위권을 인정하고,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의 무력 행사는 집단적 자위권으로 만 인정하면서도 집단적 자위권의 주체를 유엔에 한정하는 것이다. 전쟁을 할 권리로서의 주권을 국가에 대해 부인 내지는 제한하는 것이 세계 평화의 길이라는 것이다 [6]. /

루츠도 하버마스도 어떤 의미에서는 "유엔주의 '의 입장에서 유엔 조직이 실효적인 평화 유지 기관이 국가 주권이 제한되어 군사 행동을 취할 권리가 유엔에 집중되는 것을 목표로 있다. 그러나 하버마스는 "유엔주의 '의 이상을 방어하기 위해서도 유고 공습을 용인해야한다고 말했다 반대로 러츠는"유엔주의'이념에 충실하다면, NATO 또는 미국의 국가 전략에 좌우 된 유고 공습을 비난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인종 청소'라는 주문에 현혹되지 않고 분쟁의 평화적인 해결의 가능성을 없애왔다 대국의 이기주의를 하나 하나 비판하려고하는 루츠 토론이 "국제 관계의 법제화" 에 기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인종 청소'와 '인도적 개입'이라는 말이 대국에 적당한 경우에만 「인권의 곤봉 Keule der Menschenrechte "(Bahr 1999)로 좌지우지되는 것이야말로 평화를 해칠 수있을 것이다. /

---

2) (2) 독일의 평화주의의 동요 /

"세계 내정」의 확립을 목표로한다는 명분하에 '인종 청소'와 '인도적 개입'이라는 말의 마력에 끌려 대국에 의한 군사 제재를 용인하는 논의가 점차 독일에서도 우세 해지고있는 것 같다. 하버마스의 유보 된 전쟁 용인 론도이 추세에 호응하고있다. 그리고 "9 · 11 테러 '이후에는 점점이 경향이 강해져, 독일의 평화주의는 꽤 화가 보인다. / 독일 평화주의는 냉전 시대 핵전쟁의 위협이 높아진 80 년대 초에 성행했다. 1979 년 열두 월 소련의 핵 미사일 SS20 배포 계획에 맞서 NATO가 내놓은 서독으로 미국 제 퍼싱 미사일 배치 계획 (이른바 'NATO의 이중 결정')에 반대하는 분위기 것이 80 년대 초 독일의 반핵 평화 운동이며,이 운동에서 비폭력주의를 내거는 "그린"도 중요한 역할을했다. 구일 년 걸프전 때도 독일은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고 외치는 반전 운동은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구 유고 분쟁에서 "인종 청소"보도와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위한 '인도적 개입'논란이 나올 때부터 모습이 변화 해왔다. 그리고 99 년의 유고 공습에 NATO 군의 일원으로 독일군이 참석 한 것은 독일 평화 운동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

첫째, 유고 공습에 독일군을 참여시킨 것이 1980 년 구월 총선의 결과 성립 된 사회 민주당 (SPD)과 녹색당의 연립 정권 (빨강 녹색 연합, 슈뢰더 정권)이었다 한 것을들 수있다. 공습 참여 방침은 전에 호출 (CDU) 정권의 외교 정책을 계승 것이었다 특히 비폭력주의를 주창해온 녹색당이 군사 제재를 당으로 승인했다고 평화 운동에 대한 의미는 컸다. 새 정부가 미국의 압력에 굴복했다는 것에 머물지 않는다. /

둘째, '인권 정치 Menschenrechtspolitik'론의 증가가 지적 할 수있다. '인종 청소'라는 중대한 인권 침해에 대해 군사 행동을 취할 것도 허용된다는 논의가 받아 들여지게된다.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폭력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평화 주의자이다. 이것은 "합법적 인 평화주의 '라는 기존의 비폭력주의를 견지하는 평화주의는'심정 적 평화주의 Gesinnungpazifismus"라는 것이다. 독일 빨간색 녹색 연립 정권의 국방 장관 R 샤 핑 (SPD)과 외무상 J 피셔 (녹색당)은 "합법적 인 평화주의 '의 입장에서 유고 공습에 독일군의 참여를 권했다. 일단 보수주의자가 독일도 나치의 과거를 청산하고 군대의 역외 파병을 행할 수 '보통 국가'가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때에는 비판적 지식인들은 대체로 일치 "평화주의 "입장을 취할 수 있었지만, 이번처럼 '합법적 평화주의'와 '심정 적 평화주의'의 대립이 전면에 나와있는 경우 지식인의 태도 표명도 혼미 수밖에 없다. /

2001 년 열한 월 팔일에 슈뢰더는 독일군의 해외 파견을 국회에상의했다. 테러에 문명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미합중국에 대해 무제한의 연대 '를 실시한다고 것이었다. 일단 승인했지만, 독일군의 해외 파견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국회의원들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이번 주에 열린 앙케이트에서는 사삼 % (동독에서 3 분의 2 이상)의 독일인이 미국에 무제한 연대는 반대였다. 현재 야당의 위치에있는 CDU (기독교 민주 동맹)도 독일군의 해외 파견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그것은 현재의 장비로 아프가니스탄 독일인 병사를 파견하여 병사들의 안전을 확보 할 수 그렇다고했다 분명 "위해하는 반대 '였다. 일단 반전 평화를 슬로건으로하고 사회 민주당과 녹색당에게 이번 파병은 자신의 평화주의를 근본적으로 묻고 다시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해체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녹색당 의원 안티에 · 호루마 연립 정부에 (즉 슈뢰더 총리와 피셔 외무 장관에) 불신임을 내 비치고 있었다. /

2-1 녹색당의 대응 /

국회의 "그린"회파 대표 렛초 · 슈라오후 (Grünen-Fraktionschef Rezzo Schlauch)는 잡지 '슈피겔'인터뷰에 녹색당이 독일 군사 기여에 찬성의 입장을 취했다 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있다. - 녹색당은 80 년대에 퍼싱 미사일 독일에 배치 반대 간디의 평화주의 · 비폭력주의에 ​​따라 활동 해왔다. 그러나 빈 라덴이나 탈레반의 테러는 평화주의 자체를 부정하고있는 것이며, 그들에게 무력을 가지고 싸우는 것은 정당화된다. 아프가니스탄 민주 정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탈레반 정권을 무력에 의해 붕괴시킬 수 밖에없는 경우에는 무력 행사는 정당화된다. - 이러한 논리는 대부분 정의의 전쟁이 존재한다는 '정의로운 전쟁론」이며,이를 특수 평화주의라고있다해도 결코 비폭력주의는 말할 수 없다. 슈라오후의 발언 중 흥미로운 것은이 같은 (아마도 고뇌) 선택을 할 수밖에없는 근거로들 수있는 것이 "독일의 과거"이며 "독일의 특수한 길 '에 대한 논의이다 . 슈라오후 자신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

"[독일군을 아프간에 파병하기로] 우리가 찬성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만약 찬성하지 않으면, 우리는 국제 사회 (Staatengemeinschaft)에서 분리되어 다시 독일 특수 길을 걷게 될 것이다.이 길만 역사상 독일을 항상 고립시켜 무분별하고 파국으로 이끈 것이다. "(Rezzo Schlauch, Der Spiegel2001.11.12, S.26) /

"과거 극복 "논쟁이 독일에서는"전쟁의 정당화 '에 결부 일례이다. 이번 아프간 공격 문제는 1998 년에 SPD과의 연립 정권에 참여하고 1991 년 코소보 전쟁을 긍정하고 온 녹색당의 내부에 연기했던 평화 주의자의 불만을 분출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노 모어 아우슈비츠 '과'노 모어 전쟁 '과는 동의어라고 믿어 온 녹색당의 인간에 대해 코소보 전쟁 때 피셔 외무 장관은 인권 침해와 민족 학살 (Völkermord)에 대항하기위한 이유 에서 군사 개입을 납득 시키려고했다. 전쟁에 반대하는 것보다 아우슈비츠 = 민족 학살에 반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논의를 일단 받아들이게 후 이번 아프간 공격시 피셔 외무 장관은 다만 "질서 자위 전쟁 동맹국에 대한 충성 Bündnistreue '을 제기 만 이다 (Der Spiegel 2001.11.12, S.29). /

녹색당 내부에서 정 전 주의자와 평화 주의자와의 갈등은 독일의 군사 기여 법안에 찬성 당간 결의 문서와 동시에 그것을 반대하는 유시 의원의 표명 글도 공표 된 형태로 나타났다. /

한 1 월 1 이틀에 열린 당 간 사회 Parteirat의 결의 문서는 다음과 같은 논지이다 (Grünen Parteirat Beschluss 2001.11.12) /

"녹색당은 평화주의와 비폭력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으로서 무력에 의한 테러 박멸을 거부하는 것, 그리고 폭력의 악순환을 초래 모험주의로 향하고있다 미국에 무제한의 충성을 거부하는 것을 요구되고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 테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군사력의 사용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당내에 존재한다. 또한 미래의 아프가니스탄 평화 재건에 녹색당이 자신의 이념을 현실화 가능성을 확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가기 위해서는 군대를 파견하겠다는 정부의 요청에 대해 정치적 타협 (정치적 해결)을 발견되어야한다는 의견도 존재하고있다. "/

즉, 비폭력주의의 이념과 현실 정치에 대한 영향력 확보라는 딜레마에 녹색당이 직면하고 있다고 자각 한 후이 딜레마에 대한 답변은 현실의 딜레마를 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우리는이 몸을 찢어지는 상태 (Spagat)에 견뎌야한다.이 것은 맞다. 왜냐하면 모순을 피상적으로 쉽게 해결해 버리는 것은 현실에서 어떠한 해결책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국에] 무조건적인 연대가 아니라 비판적인 연대를 할 " 즉, 현실의 모순을 자각하면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러운 현실에 손을 염색해야 안된다는 괴로움을 견딜 수 있어야한다. 그런 모순의 자각이 녹색당의 도덕성을 간신히 저장한다는 논리이다. 유고 공습시 하버마스가 제시 한 '기분의 나쁨'극복의 논리와 완전히 동일하다. 미국의 군사 행동에 대한 비판적 관점 (클러스터 폭탄 사용 문제와 난민 문제 등)도 있지만, 결국은 실제로 군사 행동이 벌어지고있는 현실이있는 한 녹색당도 참여함으로써 가능한 한 현실을 "인간 적인 것 '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잠정 총괄 결과 고객이 이르렀 붙은 결론은 미국이 실시하고있는 군사 행동을 비판 할뿐만 아니라 변화를 가져 오기 위해서는 큰 정치적 영향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는 것이다. " 즉 미국에 대한 견제의 의미도 독일은 현실에서 도피하지 말라 [7]라는 것이다. 겉보기에 매우 깊은 자기 반성을 동반 한 결정 인 것 같다. 그러나 궁금한 점은 미국에 의한 아프가니스탄 무력 보복을 "자위권"행사로 간주하고, 또한 국제 테러리즘의 위험을 강조하고이를 해결하려면 대화 나 예방도 필요있다 하지만 '억지와 폭력 Repression und Gewalt'가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점이다. 이러한 녹색당의 태도에 저명한 평화 학자 요한 가루투ン쿠은있다 인터뷰에서 흥미로운 의견을주고있다. 그는 "녹색당에 실망 했나?"라는 질문에 대해 녹색당은 원래 두 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다음과 같이 대답하고있다. "나는 그렇지 것을 기대했기 때문에 실망은하지 않습니다. 나는 페트라 켈리와 친분을 맺고 있었다. 그녀는 녹색당은 양대 파벌이 존재하지만, 그것은 현실 주의자와 원리 주의자 (die Realos und die Fundis) 대신 평화 주의자와 국민 주의자 (민족주의)이라고 반복 말하고있었습니다. 요 슈카 피셔는 민족주의입니다. 그래서 그는 독일인 가장 선호하는 정치인이며, 슈뢰더보다 인기가 있습니다. 그는 EU에서의 발언권과뿐만 아니라 세계 무대에서도 활동하려고하고 있습니다 만, 그것에 의해 "우리도 다시 한 사람이다 Wir-sind- wieder-wer "라는 [독일인] 감정을 만족시키고있는 것입니다."(Galtung 2001) 참고 가루투ン쿠은 이번 테러 공격과 보복 공격을 문명의 충돌이나 '선과 악'의 싸움으로 간주 것을 비난 [8] 다음과 같은 견해를 나타내고있다. 즉 이번 테러 공격의 배후에는 미국에 의한 경제 지배에 갇힌 불만이 존재하는 것이며, 경제적 인 남북 격차를 근절해야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원래 미국이 테러를 비난 할 수 없으므로 있으며, 미국 자신이 국가 테러를 제 3 세계에 지금까지 실컷해온 것이다. 키신저도 칠레의 탄압의 책임을 추궁하고있다. 키신저는 칠레 오사마 빈 라덴이다 [9]. 녹색당에 대한 가루투ン쿠 비판의 성공 여부는 별도로하더라도 최근의 녹색당의 변화에​​ 놀라게된다. 녹색당은 2002 년 삼월에 베를린에서 열린 전당 대회에서 두 두 년만에 새로운 당 강령 "강령 · 녹색 2020Programm : grün2020 '을 채택하고 있지만 (삼월 열일곱 일)이 새로운 강령은 실제​​ 상 절대 비폭력주의를 포기하고있다. 폭력을 없애고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정의와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는 세상을위한 정치가 이루어져야하며, 폭력에 폭력으로 보답 것은 대립을 심화하며, "폭력이 정치에 대체하고는한다 "고 긴 서론을하면서도,"그러나 우리는 법치국가과 국제법에 의해 정당화 된 폭력의 행사를 항상 배제 할 수없는 것도 알고있다 "며 특히"민족 학살과 테러를 할 폭력이 정치를 부정 해 버리는 경우 "라고 언급하고있다 (Grünen 2002 : 10). 녹색당의 변화로 상징되는 독일의 평화주의의 변모는 평화주의의 비폭력주의에서의 결별이며, 정의에 의해 "정당화되는 폭력 '을 인정해서"정의로운 전쟁론」에 변모를 의미 하게되는 것일까. "9 · 11 테러 '이후 특히 미국에 의한 아프가니스탄의'반테러 전쟁 '이 시작된 이후 독일의 「프랑크 푸르 터 룬토샤우"지상에서 열린 평화주의 논쟁을 다음 고찰하고, 평화주의의 미래 생각해보고 싶다.

평화주의와 정의로운 전쟁론 2

제 2 절 90 년대 이후 독일의 "정의로운 전쟁론」/

1) (1) 하버마스의 전쟁 용인 론 / 전후 독일의 평화주의는 어떤 상황에있는 것일까. 그 점에 신경이 쓰이는 것이, 전후 독일의 진보적 지식인의 대표 인 위르겐 하버마스의 90 년대 이후의 태도이다. 그가 구일 년 걸프전 이후 지역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무력 행사를 긍정하는듯한 발언을했는지는 그의 사회 철학에 관심을 일본인에게 하나의 당황했다. /

그는 일찍이 1980 여섯 년 7 월 1 하루 "자이"지상에 "손해를 정리하는 하나의 방식 - 독일 현대사 기술의 변명 경향"이라는 논문을 기고 유명한 독일 " 역사 논쟁 '을 촉발되었다. 하버마스는 독일의 저명한 현대 역사가 인 E · 노르 테 나 A · 히루구루바 등을 나치 범죄를 역사적으로 상대화 무해 화함으로써 독일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 시키려고하는 반민주적인 역사가로 비판했다. 논쟁은 나치 범죄 "유일한 무적 성 Siguralität '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하버마스의 주장의 핵심은 독일인에 의해 행해진 나치 범죄는 과거에 도덕적 반성 이야말로 전후 독일 민주주의를 형성 한 것이며, "과거의 반성"이 전후 민주주의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 따라서 나치 범죄 '유일성'은 역사상의 일회성이 아닌 <우리> 전후 독일인있어서의 "필수 성"을 의미한다는 것이었다. [3] /

제 2 차 세계 대전의 도덕적 반성을 그토록 중시하는 하버마스가 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 하는가. 그는 왜 비폭력주의와 평화주의에 머 무르지 않는 것인가. 물론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무력 침공하여 점령 한 것을 국제 사회가 비난하고 제재해야한다는 일반론의 타당성을 여기에 의문을 제기하고있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오히려 "과거의 반성"고 무력 제재 용인 문법을 하버마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하는 점이다. /

---
1-1 걸프전에 태도 /

하버마스는 구일 년 이월 "자이"잡지 기자 인 마이클 할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걸프 전쟁에 대해 논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 군 (다국적군)에 의한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긍정적했다.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며 "무력의 행사」와 전쟁을 긍정하고있는 셈이다. /

그러나 그것은 '정의'의 소유자 인 미국의 군사 행동은 정당하다는 간단한 논의가 아니다. 하버마스는 연합군의 이라크 군사 제재가 유엔의 권위에 의해 자기 정당화 할 수밖에 없었던 점을 평가하고, 거기에 칸트가 희망 한 '영구 평화'에 한 걸음이 있다고 생각 있다. 칸트 자신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는 '세계 정부'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고자 요청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이 합의해서 공정을 확정하고이를 바탕으로 평화적 질서를 유지하기 같은 세계를 구상하고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힘의 균형에 의한 평화이지만, 칸트는 그 때 "자유로운 국가들"이 "세계 연방"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평화의 경향이 증가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경제 발전과 대외 무역의 증가로 번영하는 자유 국가는 번영을 요구하는 국민의 의지가 국정에 반영되는 공화제이며, 따라서 군사적 인 대외 행동을 취하지 못하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유로운 국가들은 공동으로 운영하는 연방에서도 평화의 경향이 점점 증가한다는 것이다. 평화를 공통 이익과 세계 연방에서는 사실상의 폭력 독점이 성립하고 특정 국가가 국익을 위해 분쟁을 일으킨 경우 그것은 특별한 국익과 다른 특별한 국익과의 대립으로 대신 특수 국익과 세계 연방의 보편적 이익과 대립된다. 즉이 분쟁은 특별한 국익을 둘러싼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특수한 국익을 추구 특정 국가가 할 세계 평화 질서에 침범에 세계 연방이 "경찰권의 집행 eine polizeiliche Aktion "(Habermas 1991 : 20/20)를 실시하는 것이다. 세계 연방이 자신의 연방군을 갖고, 그것을 '세계 내정 Weltinnenpolitik "의 평화 질서 유지를위한 경찰 권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국제 분쟁은 국가 간의 '전쟁'이 아닌 세계 연방의 '세계 내정'문제로 경찰 활동에 의해 처리된다. /

이것이 칸트 = 하버마스 인 '세계 평화'구상이다. 유엔이 그런 세계 연방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있다. / "필요한 경우 군사적 수단에 의해서라도 유엔 결의를 준수 할 수 있도록 유엔의 권위를 높이는 것이 합리적는 아닐까. 유엔 헌장 제 7 조에서는 유엔의 지휘 아래에 쉴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군사 행동도 이미 상정되어있다. 냉전이 종결 된 후, 우리는 유엔을 확대하고 헌장에 존재하고있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있는 집행 권력을 창출해야 이었던 것이다. "(동 16/16) /

물론 하버마스는 실제로 행해진 걸프전을 유엔에 의한 정의의 전쟁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아니다. 유엔이 안보리 事会 제도에 의해 대국의 국익 추구에 영향되고있는 것은 인정한다. 걸프 분쟁이 중동에서 구미 선진국의 석유 이권을 둘러싼 권력 정치를 배경으로 가지고있는 것은 확실 것이며, 또한 형식면에서도이 전쟁은 "유엔의 지휘하에 실행 된 것이 아니라 참전국에 유엔에보고 의무조차 없었다 "(동 18/17) 현실의 걸프 전쟁이 유엔의 경찰권의 행사 였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반전 구호가 전제하고있는 것처럼, 걸프전의 모든 대국의 이익을위한 전쟁이며, 유엔은 전혀 구실에 불과하다는 견해에 하버마스는 이의를 제기하고있다. 연합군의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유엔이 '구실'로 반출 된 것이라고해도 변명으로 유엔을 이용한함으로써 강국은 오히려 유엔과 그 이념에 얽매이지된다. 이번에는 그 이념에 따라 강국에 요구할 수있게된다.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적 질서의 이념」(동 32/30)가 구실로 사용되고있는 '사실'이야말로 중요하다. 규범 적 이념이 세계 정치의 현실에서 사실로 내장되어있는 점 이야말로 이념이 실현 될 가능성 "새로운 시작의 기회」(동 18/18)가 발견되어야한다. /

하버마스는 현실에 열린 걸프 전쟁이 다양한 점에서 비난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이 전쟁에 포함 된 하나의 계기, 즉 유엔을 "자유로운 국가 군의 연방 '으로 발전시켜 국제 분쟁의 해결을 유엔군에 의한 "경찰권의 행사 '에 맡기는 세계 질서로 향하는 계기를 구출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함으로써 국익을 위해 주권의 발동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전쟁'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

그런데,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의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기본적인 구도는 '공정하고 평화로운 세계 시민 질서'를 유엔이 제공하는 올바른 <목적>이 군사 행동이라는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적으로 전쟁을 정당화하는 일종의 '정의로운 전쟁론'라고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그 목적의 설정 자체가 반 사실적인 가정이며, 전반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한 논의 될 것으로 보인다. /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 논리의 또 다른 변형으로 이스라엘 국가의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설정되어있다. /

"적어도 이스라엘, 아랍 세계에 둘러싸여 [ABC 병기 등] 최악의 병기에 의해 威さ있는 공포의 줄거리를 고려한다면, 이라크에 대한 무력 제재는 합리적이었고, 나는 생각한다" (동 23/22) /

독일의 '과거 반성'은 유대인 국가 인 이스라엘의 빚으로 나타 쉽지만, 하버마스도 여기에서 그런 "빚"에 의해 논의의 공정성을 해치고있는 것은 아닐까 . 가해자 의식에 따른 '빚'이 일종의 심층 심리에서 "정의로운 전쟁론 '에 향하게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커뮤니케이션 행위 이론」나 「토의 윤리 '를 주창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하버마스가 유엔 평화 질서 (비폭력 공간)의 설립 목적과 이념을 견지하는 것은 당연 이다. 그러나이 대화 적 이성의 입장이이 비폭력 공간을 성립시키는 "목적"을 위해 "수단으로서의 폭력 '을 인정하는 것은 자기 모순이라고는 말하지 않더라도 대화 형 이성과는 전혀 다른 원리를 도입하고 있다고해야 할 것이다. . 1-2 코소보 전쟁 (유고 공습)에 대한 태도 걸프전 후 국제 사회는 유고 분쟁 처리에 혼란하게했다. 1991 년 6 월에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 유고 슬라비아 연방은 내전과 분열을 시작해 1920 년 만우절에는 분쟁은 보스니아에 확대했다. 보스니아에서 세르비아 인, 크로아티아 인, 이슬람교의 각파가 지배 지역 확대 탈환을 목표로 서로 '인종 청소'작전을 펼치는 유엔은 유효한 평화 유지 활동을 실시 할 수 없었다. 당시 유엔 사무 총장의 부트 로스 갈리은 "평화 집행 활동」을 제창하고 유엔군이 분쟁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화평 방침을 내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1920 년부터 실시 된 소말리아 내전에 유엔의 관여는 유엔 '평화 집​​행 부대'가 분쟁의 당사자로써 93 년 1 백 월 유엔 부대의 미군 열 여덟 명이 사망하고 시체 이 시중을 引き回さ하는 광경이 미국 언론에 흘려 미군이 철수하게된다. 유엔 헌장 17 조에 의거 유엔군의 "무력 제재"평화를 확립하는 유엔 주도의 평화 정책은 좌절하게된다. 유고 분쟁의 해결은 유엔군이 아니라 NATO 군 특히 미군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특히 1995 년 8 월 31 10 일부터 구월 한 네 일까지 열린 NATO 군에 의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군의 공습은 거의 자유형에서 이루어지게되었다. 이후 보스니아 평화 협정도 미국이라는 유일한 대국의 이니셔티브하에 맺어진 것이고 ( "데이턴 협정"1951 년 한 한 달 이십일 일) 유엔이 공정한 국제 중재 기관으로 기능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오히려 유고 분쟁이 이렇게 혼란 장기화 한 것도 구미 국가, 특히 미국의 공정성과 일관성없는 대응에 있었다고 이해 될 수있다 [4]. /

보스니아 다음은 코소보에서의 분쟁이 표면화왔다. 코소보 전쟁은 유고 슬라비아의 코소보에서 증가하는 알바니아계 주민과 세르비아계 주민과의 긴장을 배경으로하고 있었다.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하는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주민에 한때 자치권의 확대가 인정되었지만, 1989 년에 세르비아 공화국은 헌법을 수정하고 코소보의 자치권을 제한 했다. 이에 맞서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1990 년에 "코소보 공화국 '의 독립을 선언하게되었다. 이미이 시점에서 코소보는 이중 권력 구조가되어, 세르비아 치안 유지 부대와 코소보 해방군의 무력 충돌이 계속되고 있었다. 1999 년 두 월 엿새에서 열린 프랑스 랑 부예에서의 평화 협상도 결국 좌절하고 동년 세 월 이백 사십 일 NATO 군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승인을 수 없다 채 유고 대한 공습 을 시작했다. /

독일군도 NATO의 일원으로서이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이지만 이번 전쟁 참여에 대한 독일의 반응, 특히 소위 좌파 지식인의 반응은 걸프 전쟁 때와는 달랐다. 전쟁에 "단적으로"반대하는 평화 주의자들이 소수가 된 것이 이번의 특징이다. 이 전쟁에 참가한 독일 정부가 사회 민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권이며, 문제가 '인종 청소'등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전쟁이라는 수단"도 부득이한라는 매우 복잡한 윤리적 문제 로 이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족 말살 한 과거를 부정함으로써 전후 독일의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온 독일의 좌파 지식인들에게 언론이 보도했다 코소보의 인종 청소를 좌시 할 수는 심정으로 비 가능였다. 걸프전 당시 "석유를 위해 피를 흘리는구나!"라는 평화주의의 구호는 더 이상 듣지 않게되었다. /

이런 상황에서 공습 시작 후 한 달이 경과 한 1999 년 만우절 말에 하버마스는 "야만성과 인간성 - 법과 도덕의 한계의 전쟁 '이라는 논문을'자이 트 '지 에 기고 한 (Habermas 1999). 여기서도 그는 NATO 군에 의한 유고 공습을 승인 할 것으로 보인다 논의를 전개하고있다. "보인다"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번 하바마스의 논의는 "유엔 평화 창설」의 이념에 걸 치면서도 걸프전 때보다 군사 행동에 의구심을 표명하고있다 때문이다. /

하버마스는 유엔 평화 창설 이념을 견지하는 그의 입장을 '합법적 평화주의 Rechtspazifismus, legal pacifism "이라고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입장은 "주권 국가 사이의 자연 상태를 인권 사상에 의해 준치한다는 이념 Idee einer menschenrechtlichen Domestizierung des Naturzustandes zwischen den Staaten"에 의거하고 있으며, "국가 주권의 한계를 넘어 세계 시민 '으로서의 개인의 인권 를 옹호하려고하는 것이다 (Habermas 1999 : §3). 보편적 인권 규범으로하는 「인권 정치 '가 국가 주권을 제한함으로써 국가 간의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

"인권 정치의 여러 가정에 서 한 이번이 개입은 무력에 의한 것이라도 국제 사회에 의해 (유엔의 위임이 없더라도 암묵적으로) 권위 정한 평화 창설 임무이다 이해되어야한다. 이러한 서방의 해석에 따르면, 코소보 전쟁은 국가를 주체로 온 고전적인 국제법의 도정에서 세계 시민 사회의 코스모 폴리탄적인 법 · 권리로의 도약을 의미 할 수있는 것이다. "(동 §6) /

즉 '세계 시민 사회'실현을위한 도정의 불가피한 필요악으로 이번 유고 공습을 승인하는 것이"합법적 인 평화주의 '의 입장이다. 이것은 어떻게 호의적으로 해석해도 <평화 이념> 실현을 위해 <전쟁 = 군사적 폭력 행사>가 정당화된다는 <정의로운 전쟁론>이다. 정의로운 전쟁론의 구조는 올바른 목적이 악한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지만, 하버마스 자신이 공습이라는 군사 제재가 "악한 수단"임을 인정하고있다. "악한 수단"이기 때문에 독일군도 참여했다 유고 공습에 대해 "기분의 나쁨 Unbehagen"독일 사람들은 느끼고 있다고한다. 그 이유를 그는 짚고있다. . /

(1) "합법적 인 평화주의 '가 상정하는 실효 적 권력을 가진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고, 유엔도 세계 시민 정부로 간주 될 수 없다. /

(2) 유엔를 의사 적 세계 시민 정부라고 보는 경우에도 이번 유고 공습은 유엔의 승인없이 NATO 군이 실시한 것이다. /

(3) 군사적 제재가 '인도적 개입'으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도 특히 공습이라는 수단이 평화 실현이라는 목적을위한 유효한 수단인가하는 의문이 남는다. /

 (4) 공격의 정도 문제 - 유고 국영 방송국의 폭격에 앞서 경고 했어야했다 든가, 가스 탱크 및 건물이나 도로와 교량 등 경제 인프라를 파괴하는 것이 허락되는 것인가. /
(5) 정치적 목표의 모호성 - 박해 난민이 된 알바니아계 주민을 구제하는 인도적 목적을 달성하고자하는 군사 행동이 코소보의 민주화라는 정치적 목표의 실현을 불가능하게하고있다 . 대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抬頭하는 가운데, 코소보의 분리 독립이라는 望ましから 않은 방향으로 향 것이다. (이 §10-12) /
 (6)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인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 세르비아계 주민에 대한 공습을 실시하는 것은, 새로운 인권 침해와 민족 학살이 아닌가 . (이 §8) /

이런 군사적 폭력이라는 '나쁜 수단」에는 「기분의 나쁨'이 수반 할 수밖에 없다. 세계 시민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정하는 이상, "수단"올바른 "경찰권의 집행"인 것은 아니라 "나쁜 방법"에서 계속한다. 그래서 하버마스의 논의는 악한 수단을 '필요악'으로 용인 시키려고하는 것 이상으로한다. 그는이를 위해 두 논의를 내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

----
1-3 카를 슈미트는 널조각 /

첫 번째 논쟁은 슈미​​트 정치학 뻬시미즈무을 피하고 보편적 인권의 이념의 측면에 서고 싶다 생각한다면, 필요악를 인정하고 기분의 나쁨 에 견디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버마스는 슈미트 정치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

칼 슈미트의 정치학은 국가 주권의 절대성 · 자연을 주장한다. 이 국가 주권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인권의 보편성을 주장하고 인권을 위해 국가 주권도 제한된다고 주장하는 인권 정치는 국가의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요구를 부정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인 자기 보존 욕구끼리의 충돌에 불과한 국가 간의 분쟁이 규범적이고 원리적인 대립 항쟁으로 경직화 해 버려, 타협을 모색하는 관계로 정치적 관계는 없게되어 버린다 . 즉, 국제 분쟁이 선악의 최종 결전 (아마겟돈)이되어 버린다. 이것은 자연적인 대립을 규범 적 · 윤리적 갈등으로 전환하는 '카테고리 미스 테이크 Kategorienfehler "인 것이다 (동 §16). 국가와 국가가 다툴 때, 그것은 각각의 국익에 부딪쳐이라는 자연 현상에 불과하며, 정의와 도덕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국가 간 정치적 관계에 보편적 인 인권을 들여 정치를 도덕 화하면 정치는 선에 의한 악을 섬멸을 목표로하는 것입니다 바로 야만적 인 폭력 행위로 후퇴하고 만다. 쉽게 말하면, 보편적 인권 사상은 <정치 도덕 화>하여 <정치를 야만적 화>한다. 이러한 정치의 야만적 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의 관계에 선악이나 도덕을 반입하지​​ 않아야이다. 그리고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절대 주권 (Souveränität)을 승인하는 것이 대전제이다. /

이런 슈미트의 논의를 비판 극복하기 위해 하버마스는 "정치의 도덕 화"를 다른 방법으로 해석한다. /

 - '세계 시민 적 상태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의미하는 것은 인권 침해를 도덕적 관점 하에서 직접 심판하고 그것을 박멸 하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법질서 속에서 범죄가 추구하는 것처럼, 인권 침해를 추구하는 것이다. 국제 관계를 철저하게 법제화 (Verrechtlichung)하는 것은 분쟁 해결을위한 확립 된 절차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바로이 같은 절차의 제도화가 인권 침해에 대한 법률 적으로 억제 된 대응을 가능하게하고 도덕이 법 · 권리의 차별화를 말소 해 버리지 않게하는 것이며, 그리고 [법에 의한] 매개없이 " 적 '을 철저하게 도덕적으로 차별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동 §19) /

정치를 직접 도덕 화하면 정치의 야만적 화로지도 것이지만, 정치를 법제화에 의해 매개 된 형태로 도덕 화하면야만 화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국제 정치의 법제화와 제도화는 물론 유엔기구의 정비이다. 즉 유엔의 이념이 실현되면 국가 주권의 제한도 문제 없다. 이것이 하버마스의 반론이다. /

그런데 이러한 슈미트 정치학의 비판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정치 도덕 화가 그 야만적 화 이끈다는 슈미트의 테제에 대한 비판으로는 하버마스의 논의는 설득 적이다. 그러나 유고 공습하는 <수단>에 휘 감지 붙은 「기분의 나쁨 "의 문제에 슈미트 정치학 비판을 잡는 게 <수단의 악마>의 문제를 <목적의 선악> 문제에 すりかえる이다 . 여기서 하버마스가 독자에게 제시하고있는 것은, "유고 공습을 승인하지 않는 입장은 결국 슈미트 정치학의 국가 주권 절대화에서 끝나고 그렇게되면 국가 주권의 벽을 넘어 인권 침해를 저지하려고하는 "인권 정치 Menschenrechtspolitik"는 전혀 불가능해질 그래도 당신은 유고 공습에 반대 하시겠습니까? "라는 양자 택일의 널조각이다. 독일인 사이의 「기분의 나쁨 '을 완화하는 교묘 한 논리 수도 있지만 문제의 바꿔 치기이다. /

1-4 "특별한 감수성 '이라는 도덕성 / 「기분의 나쁨'을 완화하기위한 두 번째 논의는 <나쁜 것을 자각하고있는만으로도 머신에서 도덕적이다>라는 것이다 . / 하버마스는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 인권 정치가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없는 것이라고 먼저 설명한다. 인권 정치의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법제화가 전제가되지만, 그 법제화가 현실의 국제 사회에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딜레마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없는 것이다. 유엔의 동의를 얻은 개입 (스레부닛아에 주둔) 세르비아 군의 학살을 저지 할 수있는 실력을 가지지 않고, NATO의 유효한 무력 개입은 유엔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21). 유엔이 충분한 법제화 기관이되어 있지 않은 것이 "기분의 나쁨"의 원인이며, 인권 정치를지지하는 것 자체가 올바른 것이다. 이 불가피 딜레마를 자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에 비하면 독일과 유럽 국가들은 아직 머신이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과 중남미 정책에 표시된 것처럼, 인도주의를 내세워 자국의 제국 권력의 확대를 도모을 항상하고 있지만, 유럽은 적어도 인권 정치 딜레마를 수반하는 것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특별한 감수성 eine besondere Sensibilität"(§27)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이다. 독일인이 인권 정치라는 자체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하고, 게다가 「기분의 나쁨 "을 느끼고있는 것은 독일인의 도덕적 감수성이 뛰어나다 증거예요. - 이렇게해서 하버마스는 독일인 "기분의 나쁨"을 해소 할 수없는까지도 완화 시키려고하고있는 것이다. /

이렇게보고 오면, '야만과 인간성'이라는 그의 논문은 유고 공습에 참여한 것에 대한 독일인의 「기분의 나쁨 "을 해소 할 주제이며, 유고 공습의 정당성 자체 에 대한 판단은 미묘하게 회피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을 것이다. 보스니아 분쟁 때부터 사용 된 '인종 청소'나 '학살'이라는 말이 코소보 분쟁에도 적용되는 시점에서 학살의 책임자 인 세르비아 군에 대해 군사적 제재 자체는 (절차 위의 문제는 있어도) 자명이며, 인권 정치가 인권 옹호를 위해 주권 국가의 벽을 마구 수단으로 군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전제되어있다. 그런데 하버마스도 논문의 서두에서는 공습이라는 수단이 야만적이며 <악마>임을 확인하고있다. 공습은 유고 일반 시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미치는 것으로, '전혀 전쟁'이다. "수술 정확도 chirurgische Präzision"(§1)을 가진 핀 포인트 폭격으로 상대방의 전투 시설 만 파괴하고 시민들에게 피해를주지 않는 <인간적인 제재 행위> 등 걸프 전쟁 때부터 전파 이데올로기를 하버마스는 부정하고있다. 전쟁 내지 무력 공격이 첨단 기술로 "올바른"수단이 된 것은 아니라 "야만적 인"수단 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하버마스 자신의 논점이 세르비아 군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에 대한 '인종 청소'라는 강박 관념에 의해 지워져 버리고있는 것은 아닐까. 나치 인종 학살의 기억은 오히려 '인종 청소'라는 말에 대한 <특별 감도>을 일으키고 전쟁이라는 야만적 인 수단도 인권 정치의 불가피한 딜레마로 감수하기로되어있는 것이다. "NATO가 [유고 공습에] 권한을 스스로 자신에게주는 같은 것이 습관화되어서는 안된다"는이 논문의 마지막 말은 NATO의 월권 행위에 대한 비판 인 동시에 성공적인 형태로 군사적 제재를 할 인권 정치의 긍정적되고있다. /
---

1-5 러츠 의한 유고 공습 비판 / 비폭력 평화주의 [5]의 입장에서 유고 공습 단점을 하나 소개하고 싶다. 하버마스처럼 <보편적 인권>과 <세계 내정>와 <유엔주의>와 같은 이념을 견지하기 위해 반드시 군사적 폭력의 행사는 <수단>을 정당화 할 필요는없고, <수단의 악마> 비판 계속 논의도 가능하다. 목적에 의한 수단의 정당화하는 양 전 론의 논리에서 벗어날 예로 러츠 토론을보고 싶다. /

"함부르크 평화 연구소 '의 소장 인 디터 루츠 (Dieter S. Lutz)는 1999 년 칠월에"Die Woche "지상에"엣뿌라 씨에게 편지'라는 글을 올린 바있다. 이것은 사회 민주당 (SPD)의 유력 정치인 에도와루토 · 엣뿌라가 1999 년 유월 1 백 일자 '자이'지에 발표 된 엣뿌라과 바의 공개 서한에서 이번 전쟁의 책임 단지 미로세뷔찌 만에 돌려 보내, 코소보 알바니아 인에 열린 '인종 청소'를 저지하기 위해 행해진 공습은 정당하다고 주장 것에 대한 반박이다. (다음은 Lutz 1999 참조). /

루츠의 주요 논점은 '인종 청소'라는 말이 냉정한 사실 인정과 판단을 불가능하게 존재하는 평화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군사력의 행사에 향하게했다는 것이다 . 그는 공습 시작 이전의 상황을 설명한다. /

먼저 1998 년 1 백 월 한 삼일 홀 브룩 미국 특사와 밀로셰비치 대통령과의 사이에 휴전 합의가 성립하고 나서 2 주 후에의 1 백 월 27 일 NATO 군 총사령관 솔라 나이 한 발표에 따르면, 정전 협정은 대체로 지켜지고 있으며, 산발적 인 충돌은 있지만, 정치적 협상의 전제가되는 지역의 안전은 확보되어 있었다. 솔라 나 오히려 코소보 알바니아 인 무장 조직에 정전 협정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