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5

Future Perfect: Tolstoy and the Structures of Agrarian-Buddhist Utopianism in Taishō Japan | HTML

Religions | Free Full-Text | Future Perfect: Tolstoy and the Structures of Agrarian-Buddhist Utopianism in Taishō Japan | HTML



Future Perfect: Tolstoy and the Structures of Agrarian-Buddhist Utopianism in Taishō Japan

Comparative Humanities Program, Bucknell University, Lewisburg, PA 17837, USA
Religions 20189(5), 161; https://doi.org/10.3390/rel9050161
Received: 22 April 2018 / Revised: 11 May 2018 / Accepted: 13 May 2018 / Published: 16 May 201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played by the work of Leo Tolstoy (1828–1910) in shaping socialism and agrarian-Buddhist utopianism in Japan. As Japanese translations of Tolstoy’s fiction and philosophy, and accounts of his life became more availabl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is ideas on the individual,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had a tremendous impact on the generation coming of age in the 1900s and his popularity grew among young intellectuals. One important legacy of Tolstoy in Japan is his particular concern with the peasantry and agricultural reform. Among those inspired by Tolstoy and the narodniki lifestyle, three individuals, Tokutomi Roka, Eto Tekirei, and Mushakōji Saneatsu illustrate how prominent writers and thinkers adopted the master’s lifestyle and attempted to put his ideas into practice. In the spirit of the New Buddhists of late Meiji, they envisioned a comprehensive lifestyle structure. As Eto Tekirei moved to the village of Takaido with the assistance of Tokutomi Roka, he called his new home Hyakushō Aidōjō (literally, Farmers Love Training Ground). He and his family endeavored to follow a Tolstoyan life, which included labor, philosophy, art,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a grand project that he saw as a “non-religious religion.” As such, Tekirei’s utopian vision might be conceived as an experiment in “alter-modernity.”

1. Introduction

The primary foreign influence on early Japanese socialism—including the two main forms of religious socialism, Christian and Buddhist—was the work of Leo Tolstoy (1828–1910), Russian essayist, pacifist, Christian socialist and, of course, author of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works of 19th century world literature.1 Although portions of War and Peace had been published in Japan as early as 1886, it was in 1889 and 1890—coinciding with the proclamation of both the Imperial Constitution and the Rescript on Education—that Japanese translations of Tolstoy’s fiction and philosophy, and accounts of his life, began to appear in journals such as Kokumin no tomoShinriTetsugaku zasshi, and Rikugō zasshi. The year 1890 also saw the publication in Nihon hyōron of a report on Tolstoyan humanism by the Christian theologian and critic Uemura Masahisa (1857–1925). Over the next decade, many of Tolstoy’s shorter works became available in Japan, including The Cossacks (1893) and Kreutzer Sonata (1894), both of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ee Nobori 1981, pp. 34–37Shifman 1966, pp. 59–64).
No doubt part of the attraction of Tolstoy as a writer of fiction was his blend of naturalism and humanism, two significant literary trends that were just emerging in late Meiji and early Taishō Japan. (See Sibley 1968, p. 162, n.15). Tolstoy’s ideas on the individual,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were of immense influence on the “young men of Meiji,” the generation coming of age in the last decade of the Meiji period.2 As the historian Steven Marks puts it: “His writings encapsulated in highly readable form the Russian philosophical stress on the illusory nature of Western progress, and the virtues of either backwardness or delaying the onset of Western modernization, ideas that reverberated throughout the non-Western world.” (Marks 2003, p. 123). This resonance was particularly strong in Japan, a nation struggling with many of the same issues regarding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West as Tolstoy’s Russia.
Tolstoy held a deep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Asian culture, dabbled in Buddhism, and denounced Wester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urging non-Western peoples to resist (nonviolently) becoming slaves or puppets to the West and its ideals.3 His outspoken opposition to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won him many adherents among students,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the Japanese left (including many Christians and Buddhists), while rendering him a pernicious influence in the eyes of the late-Meiji and early-Taishō administrations. Prominent leftists such as Abe Iso’o (1865–1949), Kōtoku Shūsui (1871–1911), Kitamura Tokoku (1868–1894), and Ōsugi Sakae (1885–1923) acknowledged Tolstoy as an influence and inspiration. As a result, combined with a more general fear of the growth of radical thought among the young, in the decade between 1905 and 1915 Tolstoy was among those authors whose works were targeted as being detrimental to public morals. To the chagri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associated ideologues, however, the Russian writer’s influence continued to grow throughout the Taishō era, so much so that a new term was coined—Torusutoishugi—to describe the popular phenomenon of adopting a “Tolstoyan lifestyle.”
One important legacy of Tolstoy in Japan is his particular concern with the peasantry and agricultural reform. The so-called “rediscovery” of the Japanese countryside in late Meiji is sometimes attributed to his influence. Many if not most agrarian reform movements of the early century were directly inspired by Tolstoy’s work, often mixed with the writings of the Russian anarchist Peter Kropotkin (1842–1921). That is not to say that there were no indigenous roots to this turn to the countryside: Zen Buddhism (influenced by the primitivist stream within Chinese Daoism) has long held to the ideal of a simple, rustic existence, while the practices of folk Shinto are rooted in visits to rural shrines. Yet the contrast one finds in Tolstoy—filtered through Rousseau and the European romantics—between the “countryside” as the locus for true humanity and the “city” as the emblem of strife, unease, and suffering, was new to Japan, though it grafted readily onto 19th century nativist appeals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easant life as a solution to Japan’s problems. (See Harootunian 1988, pp. 49–50, 251Tamamoi 1998Konishi 2013, p. 23).
Tolstoy and his followers have frequently been labeled “antimodern,” based on a simplistic conflation of modernity and urban culture. Indeed, while Japanese leftists (and some rightists) were attracted to Tolstoy’s agrarian romanticism as a response to Western (bourgeois, urban) civilization, his work contains elements that are distinctly “modern(ist),” including his rationalist interpretation of religion and proto-existentialist focus on the individual. And despite official disapproval, by the early Taishō there was a feeling that Japan’s adoption of Tolstoy (along with the more obviously modernist Henrik Ibsen) was a sure sign that the country had emerged into the “modern world” and the early Meiji impulse had paid off (Marks 2003, p. 125).

2. The Narodniki: Farmer’s Institutes and New Villages

In short, the impact of Tolstoy among young intellectuals in late Meiji and Taishō Japan can hardly be overstated. Yet Tolstoy was not simply a religious reformer or social critic; he was also recognized as one the great writers of the late 19th century—and as such, his influence extended to the world of letters. Among the earliest Japanese writers influenced by Tolstoy, several of the most prominent were Tokutomi Roka (1868–1927), Eto Tekirei (1880–1944), and Mushakōji Saneatsu (1885–1976). All three men identified strongly with Tolstoy, not only as writers and thinkers but also in terms of adopting the master’s lifestyle and attempting to put his ideas into practice. In particular, they were attracted to what Akamatsu Katsumaro (1894–1955) called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olstoy’s doctrines of love, labor, nonresistance, and reverence for the agrarian way of life.” (Akamatsu 1981, p. 98).
On the way back from a pilgrimage to Jerusalem, Roka—younger brother of the well-known historian and critic Tokutomi Sohō (1863–1957)—visited Tolstoy’s villa in Yasnaya Polyana in 1906, and soon began to inject his literary works with Tolstoyan qualities of introspection and a resistance to authoritarianism.4 In 1908, as leftist activism grew in the wake of the Russo-Japanese War, he gave a controversial address to the Debating Society of the First Higher School of Tokyo entitled “The Sadness of Victory,” in which he evoked the emptiness felt by even the greatest generals upon their so-called victories in battle, concluding, in words that evoke the Buddhist conversion of the legendary King Ashoka (304–232 BCE) after the battle of Kalinga: “Of what value is man’s victory? The people search after ‘success’ or ‘distinction,’ offering their very lives in payment. But what is success, what is distinction? These are nothing more than pretty reflections shining forth from the dream of man’s aspirations” (cited in Akamatsu 1981, p. 99). Apparently, this speech hit a chord with a number of students in the audience, some of who promptly quit school to return to their native village as narodniki.5 Roka himself would spend his final two decades ensconced with his wife in a Musashino forest retreat called Kōshun-en, living the life of a “natural man” (shizenjin).
Eto Tekirei was another budding intellectual and writer who got caught up in the Tolstoyan currents of the early 20th century. Around 1906, inspired by Tolstoy and the narodniki lifestyle, he abandoned his studies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took up the life of a farmer. Yet even this was not enough, so in 1910, with the assistance of Tokutomi Roka, Tekirei took up residence in the village of Takaido in the Musashino area just outside of Tokyo.6 Giving his new home the grandiose title Hyakushō Aidōjō (literally, Farmers Love Training Ground), he and his family attempted to follow a Tolstoyan life to the fullest, while incorporating—like so many other Japanese narodniki—Buddhist and Christian elements into his thought, including the work of Christian socialist Uchimura Kanzō (1861–1930). An eclectic thinker, Tekirei also borrowed heavily from the work of Russian anarchist Kropotkin, whose Fields, Factories, and Workshops “really taught [him] how to live a life of labor,” (Akamatsu 1981, p. 100; see also Eto 1925Nishimura 1992, p. 170Nakao 1996, p. 174). He was among the first Japanese scholars to “rediscover” the work of Andō Shōeki (1703–1762), the Edo-period agrarian thinker and proto-communist visionary.7 In 1922, Tekirei published his Aru hyakushō no ie (The household of a certain farmer), which, together with Tsuchi to kokoro o tagayashi tsutsu (Tilling the soil and the heart, 1924), serves as both memoir and justification for his agrarian socio-religious vision. Eto’s agrarian-Buddhist vision is encapsulated in his “wheel of household grain farming” (Figure 1).
Figure 1. Eto Tekirei’s “Wheel of household grain farming” (Wada 2012, p. 78).
Citing Maruyama Masao’s remarks on the tendency towards ideological polarization during this period, Nishimura Shun’ichi argues that this tendency extended to late Meiji and Taishō denenshugi (agrarianism) as well, such that there emerged a “right wing” faction of thinkers dedicated to nōhonshugi (literally, agriculture-essence-ism) and a “left wing” or progressive faction espousing nōminjichishugi (farmer-autonomy-ism) (Nishimura 1992, p. 88; also see Nakao 1996). Nishimura places Tekirei in the latter group, along with Ishikawa Sanshirō (1876–1956), Shimonaka Yasaburō (1878–1961), and Ōnishi Goichi (1898–1992), as opposed to “rightists” such as Gondō Seikyō (1868–1937), Tachibana Kōzaburō (1893–1974), Yamazaki Nobuyoshi (1873–1954), and Katō Kanji (1884–1967).8 Given Tekirei’s primary inspirations—Tolstoy, Kropotkin, and Shōeki—his radically “horizontal” focus and concomitant rejection of hierarchy, this is not a difficult case to make. And yet it is worth asking: just how reliant was Tekirei on Buddhist ideas and principles for his progressive, naturalist vision?
After a few years of life as a farmer, Tekirei began to have serious doubts about Tolstoy’s idealized views of peasant life, and resolved to establish a new system for living with nature, which he called kashoku nōjō (Wheel of household grain farming). In fact, the first half of this four-character set, kashoku, is borrowed directly—and effectively set in ironic contrast to—the traditional term shashoku, used to refer to the state as a tutelary deity of grain. Here, in Tekirei’s reformulation, it is the household (ie) that becomes the locus of livelihood, rather than the state. In addition, the final character  is clearly borrowed from Buddhist tradition, where it refers to a particular “vehicle” or branch of the Dharma, one that leads effectively to nirvana—as in the Great Vehicle (Mahayana; Daijō). Tekirei goes on to divide this general concept into eight categories: (1) agrarian methods (nōhō); (2) agrarian organization (nōsei), (3) agrarian association (nōso), (4) agrarian “path,” including social and economic standpoints (nōdō), (5) agrarian thought, including philosophy and art (nōsō), (6) agrarian doctrine, including culture (nōkyō), (7) agrarian spirit, including spirituality and religion (nōkon), (8) agrarian practice (nōgyō) (Nishimura 1992, p. 171).
Clearly, in the spirit of the New Buddhists of late Meiji, Tekirei is aiming for a comprehensive lifestyle structure—one that stretches (or better, softens) the boundaries between labor, philosophy, art,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Indeed, due to its application to all facets of ordinary life, he would go on to call his vision a “non-religious religion” (mushūkyō no shūkyō).9 Moreover, Tekirei seems to have followed Shōeki’s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relation of nature, labor, and knowledge. While nature cannot be known in its entirety, it can (and should) be “practiced” through agricultural labor. Labor also brings knowledge—including knowledge of the limits of practice itself, and out of this emerges “a natural community [resting]…on overflowing surplus energies and interactive natural practices.”10
We find a remarkably similar vision in the following declaration of principles in the journal Aozora (Blue sky), founded in 1925 by Ōnishi Goichi and Ikeda Taneo (1897–1974):

1
As children born with the great earth as our mother and the vast sky as our father, we believe that we must find the foundation for our daily lives in the spirit of the pure farmer, and that moreover this is the very root of human existence.
2
We repudiate the urban-based civilization, which continues to oppress and trample down the people both spiritually and economically, and pledge instead to establish an agriculturally based civilization that conforms to the land.
3
This creed is not meant to give birth to yet another fixed doctrine; rather, we simply look to reconnect with our innate disposition to till the great earth and lead the natural life of the farmer.11
While the soil-peasant fixation is stronger here than with the mainly urban New Buddhists of late Meiji, there are palpable affinities to some earlier Buddhist progressives with regard to the emphasis on reaching beyond “civilization” toward some deeper foundation for human existence and the desire to be “nonpartisan” and “post-ideological”—without thereby losing the capacity to engage in forthright criticism. And while we might find parallels with right-leaning evocations of a “return to the soil” in the work of Katō Kanji and other advocates of nōhonshugi, here—as with the New Buddhist Fellowship (Shin Bukkyō Dōshikai)—there is a noticeable lack of mention of the state or kokutai (national polity). In short, at issue is the individual’s relations with (a) nature, (b) themselves, and (c) their society or community. In similar fashion, Eto Tekirei was fiercely resistant to the notion—promoted by, for instance, nōhonshugi activist Yamazaki Nobuyoshi (1873–1954), that “going back to the land” must become codified as a matter of “national policy” (see Nishimura 1992, p. 171).
Tekirei also borrowed heavily from the work of Dōgen (1200–1253), taking particular note of the Soto Zen master’s emphasis on the bodily basis of awakening. As Wada Kōsaku explains, this became the basis of Tekirei’s idea of “practice” (gyō) (Wada 2012, pp. 12–14). Elsewhere he writes that while he never practiced shikantaza in a meditation hall, he did so in the “heaven and earth meditation hall” (tenchi zendō)—while engaged in the “practice” of farming (see Saitō et al. 2001, p. 232). And with regard to the matter of work and nature, he relied upon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Devadatta chapter of the Lotus Sutra, describing the Buddha’s reminiscences of his past life as a king who has renounced his throne to follow a teacher of the “wonderful law”: “Picking fruit, drawing water, gathering firewood, and preparing food, even offering my own body as a couch for him, feeling no weariness in body or mind. I served him for a thousand years, for the sake of the Dharma, diligently waiting upon him so he lacked nothing.”12
While the trope of the “suffering” or “self-sacrificial” servant was also put to good use by kokutai ideologues, Tekirei resisted the self-denying emphasis of nōhonshugi in favor of what can only be called an “individualist” quest for existential truth. In this respect, his critique of Marx is worth noting, in that—again like his New Buddhist predecessors—he accepts the basic premises of the Marxist (as well as the Darwinian) critique of traditional “idealist” philosophies and religions while resisting the harder-edged implications of a kind of materialism (and determinism) that treats human beings simply as “matter” or as “animals” (see Wada 2012, pp. 59–64). In many respects, Tekirei’s eclectic philosophy is rooted in principles similar to the seishinshugi of Kiyozawa Manshi (1863–1903), so it comes as no surprise to learn that in early 1902 the young Tekirei visited the Kōkōdō to hear Kiyozawa lecture on Shinran (1173–1263) and was favorably impressed by the older man. Two decades later he would write that it was due to Kiyozawa (in particular his reading of Shinran), that Tekirei first truly discovered the “self” (shi).13 He would later have contact with two of Kiyozawa’s chief students: Akegarasu Haya (1877–1954) and Chikazumi Jōkan (1870–1941).
Finally, we turn to the third and most influential of our Tolstoyan narodniki: Mushakōji Saneatsu. As the son of a viscount descended from the highest ranks of nobility (kuge), Mushakōji received an elite—and cosmopolitan—education at Gakushūin (Peers’ School) in Tokyo, coming into early contact with the work of Tolstoy as well as the Bible.14 From his school years, he would later recount, his “utmost desire was to become a champion of humanitarianism, a great man of letters and a great thinker … a just man, and to lead a life so holy that he might pass for a paragon of virtue in the eyes of God… ”15 Though initially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his interests soon turned toward literature, and, like Eto Tekirei, he dropped out prior to graduation. By this time, Mushakōji had come into contact with a number of talented and like-minded young writers, with whom he would found the Shirakaba-ha (White Birch School) in 1910 (see Mortimer 2000, pp. ix–x).
Along with the other members of the White Birch School, through the pages of their publication Shirakaba, Mushakōji promoted a form of idealist humanism that went against the popular literary trend of naturalism, which tended toward a fatalistic and pessimistic view of human life caught up in forces beyond its control. In contrast, Mushakōji and the other writers of the White Birch School embraced an optimistic view of human potential, in which the individual was largely in control of his own destiny via the power of the will.16 Yet Mushakōji—like Tolstoy and the narodniki discussed above—was not content to be simply a writer; he longed to put his ideas into practice, an opportunity that presented itself in 1918, with the founding of the utopian community Atarashikimura (New Village) at Kijōmura, an isolated spot in the mountains of Miyazaki prefecture, Kyushu. Despite the inevitable troubles (both financial and personal), Atarashikimura seems to have flourished for its first decade—reaching a peak around 1929. The site was condemned in 1938 to allow for the construction of an electrical power plant. A second New Village was then established in Saitama prefecture, and several branches arose elsewhere, a few of which continue to this day.
To some extent, Musahakōji struggled with the same problem as the New Buddhists and the other narodniki: how to reconcile self-discovery and individual freedom with social responsibilities and political obligations (see, e.g., Epp 1996, p. 17).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High Treason Incident (Taigyaku jiken) of 1910–11, and with more focus on the “self” in Taishō intellectual and literary circles, the problem had become even more acute—and significantly more politically sensitive. Given this context, it is hardly surprising that, taken as a whole, what we might call Taishō “humanism”—whether fortuitously or as a form of self-censorship in the wake of the High Treason Incident—was not overly concerned with social problems. Indeed, it has become something of a scholarly consensus that Taishō literature, in particular, represents an “inward turning” away from the soci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works of late Meiji “naturalism (see, e.g., Kohl 1990, p. 9). “[I]f one characteristic of this early phase of the Taishō discovery of the self lies in confession, another seems to be a blocking out of social concern, at least in an analytic sense” (Rimer 1990, p. 35Mortimer 2000, p. 146).
In this regard, the Shirakaba writers—and Mushakōji in particular—appear to have a mixed record. Maya Mortimer argues that, despite their “reverence for Tolstoy”—which would seem to gain them a certain progressive credibility—the “Shirakaba concern for the visual arts… and the emphasis, through Mushanokōji, on self-fulfillment, seemed designed to reassure the authorities that the group had effectively withdrawn from the political arena,” and that even the founding of Atarashikimura in 1918 was not a “return to politics” but rather a form of escapism: “based on pastoral nostalgia and exploiting the ethical and quietist aspects of Tolstoyanism as a defense against those who reproached the group’s lack of political involvement.”17 On the other hand, Stephen Kohl contrasts the work of Mushakōji and fellow Shirakaba member Arishima Takeo (1878–1923) with that of Abe Jirō (1883–1959), author of the hugely popular Santarō no nikki (Diary of Santarō, 1914): “When Mushanokōji spoke of the self, he was calling for the improvement of both the self and society at large. Abe’s concern for the self is so inward-looking that his vision rarely goes beyond the identification and edification of the individual self” (Kohl 1990, p. 9). If we assume that Kohl is correct to emphasize a “social” aspect to Mushakōji’s focus on the self—distinct from many Taishō “humanists”—then what, if anything, precludes this from being “political”?
The founding of Atarashikimura in the summer and fall of 1918 was the culmination of Mushakōji’s long-standing utopian dream—and represents the concrete embodiment of his deepest personal values and ideals. The commune was born in the midst of two events of both global and local resonance: the Russian Revolution of October 1917 and the end of the Great War the following autumn. A surge in social unrest within the country—exemplified by the Rice Riots in Tokyo, Osaka, and Kobe—compounded the fears of the Taishō administration, showing that the Meiji experiments with nation building and the attempt to create a harmonious social order had not yet achieved resolution (see Smith 1970, p. 91Ohnuki-Tierney 1994, pp. 38–39). Very much in the Tolstoyan anti-authoritarian spirit, Mushakōji’s intentional community pledged itself to an ideal of “harmony without hierarchy.”18 Years earlier, Mushakōji had written of an ideal future society, in which: “no temptation whatsoever will disturb the peace, and people will love one another untroubled by anger, deceit, rivalry, coercion, moral obligations, or censorship. Sincerity, joy, and solidarity will suffice to dispel all anxiety about clothing, food, and shelter.”19 In what sounds ironic but is in fact a serious attempt to bring about such an ideal community, the first and only “commandment” in Atarashikimura is a prohibition against making or following “commandments”: Hito ni meirei suru nakare; mata hito ni meirei sareru nakare (cited in Mortimer 2000, p. 29). Indeed, the statutes of the community were remarkably “liberal” in emphasis: individual liberty over authority, personal initiative over compulsion, and “work” as a natural, pleasurable activity rather than an obligation (these features also align with some anarchist and syndicalist visions of the ideal society). In short, the village was more of a “co-operative” than a “commune.”
Of all the narodniki and utopians discussed in this chapter, Mushakōji appears to be the one least influenced by Buddhist ideas or practices. In this passage of his autobiographical novel Aru otoko (A certain man, 1923) he recounts the dreams of his early school years:
Why not become a bonze?—he even went so far to think; but then, to picture himself busy at chanting sutras was just too ridiculous. A beggar, then? But he did not believe that a beggar’s job would help to revive his selfhood. Whatever he chose to do, he would never settle for half-way solutions. He had to become a fully mature independent man of nothing at all. But again, even if he succeeded in bringing to life one side of the self, he thought he would not be able to revive the whole.
(cited in and translated in Mortimer 2000, p. 20)
These reminiscences are interesting in several respects. First, though Mushakōji is reflecting from the age of forty back upon a period thirty years previous (around the time of the Russo-Japanese War), these dreams and doubts would stay with him throughout his life. Second, while he clearly rejects the traditional, stereotypical life of the Buddhist “bonze,” his aspirations for an “independent” and comprehensive “revival” of the self coincides perfectly with several streams of Buddhist modernism emerging in late Meiji, including New Buddhism and, perhaps even more so, the seishinshugi of Kiyozawa Manshi. Moreover, there are Zen inflections to Mushakōji’s conviction that: “One endeavors to work not simply to gain a livelihood, but as a way of enriching one’s life” (Shigoto ni hagemu no wa, seikatsu no tame dake de naku, jibun no jinsei jūjitsu suru koto desu) (cited in Matsubara 1994, p. 58). Indeed, more than one scholar has noted the “Daoist Zen” aspects of his poetry.20
Finally, even while Mushakōji’s youthful ardor for Christianity—stoked by reading Tolstoy and hearing lectures by Christian socialists Uchimura Kanzō and Kinoshita Naoe (1869–1937)—would cool under the influence of Belgian playwright Maurice Maeterlinck (1862–1949), he would confess in 1911 that he retained something like a “religious vocation.” Indeed, this passage from his essay “Jiko no tame no geijutsu” (Art for the self) bears quoting in full, as it points to a conception of self and society that was widespread among Taishō intellectuals, especially those under Tolstoy’s influence:
If I happened to be carried away by my social instinct, I might even be ready to die for my society. But if I am not and am pushed by society to expose myself against my will, I will hate to do so right away. Before I know whether it is good or bad to follow my social instinct, I must first listen to my individual, human, animal, terrestrial, Ding an Sich and all other instincts within me (I also perceive in myself something like a religious vocation; Tolstoy calls it “reason,” but I think it corresponds to something deeper than that).21
In this respect, it is useful to briefly examine Mushakōji’s Life of Shakyamuni Buddha, a 1934 publication that, due to positive critical reception and brisk sales, helped him to recover from the serious financial straits to which he had fallen by the late 1920s. In an afterword in which he explains his reasons for writing this work, Mushakoji notes that, while not intending to bring forth a “new Shakyamuni,” he wants to emphasize the “human” Sakyamuni, an ideal figure lauded for his combination of insight and compassion, yet one who possessed a natural innocence: “the heart of a child” (akago no kokoro).
In short, like Christ—also “a man with a pure, pure heart”22—Sakyamuni Buddha represents one of the great sages of the past; that is, his story is useful as a reference for ideal human behavior, but bereft of any transcendental or mystical gloss (see Mortimer 2000, p. 93, n. 4). As with many progressive Buddhists from late Meiji, including the New Buddhist Fellowship, Mushakōji created a pantheon of “masters,” including religious figures, philosophers, and writers (and even literary characters), who serve as models of human “liberation.”23 Thus “the Buddha” functions as a representative of a complex of humanist ideals, including a religious understanding rooted in common sense and compatible with modern science, one that rejects social discrimination and institutional hypocrisy, and looks to nature itself as a source for liberation.24 In his much earlier play Washi mo shiranai (I don’t know, either, 1910), Mushakōji presents a conversation between God, Jesus, and Sakyamuni in which they all admit their inability to save mankind—indicating, once again, a modernist perspective on spiritual liberation rooted in the individual as well as nature, but not “the gods.”25

3. Ideology and Utopia in the Taishō Period

In order to theorize further about the various Tolstoyan-Buddhistic utopias described in this chapter, I turn now to a brief discuss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ideology” and “utopia” in the work of 20th century German social theorist Karl Mannheim (1893–1947). In his classic 1929 work, Ideologie und Utopia (Ideology and utopia), Mannheim first delineates the “utopian mentality” as that which is always incongruent with the world—that is, “oriented toward objects which do not exist in the actual situation.” He then proceeds to distinguish utopian incongruity from ideological incongruity. Whereas the latter may also “depart from reality” in thought, it does not go so far as to effect change on society; rather, ideologies are eventually adopted or assimilated in support of the status quo. Thus, “[o]nly those orientations transcending reality will be referred to by us as utopian which, when they pass over into conduct, tend to shatter, either partially or wholly, the order of things prevailing at the time” (Mannheim 1936, p. 192) In short, for Mannheim, true utopias are always critical in the most fundamental sense of the term.
Mannheim goes on to contrast chiliastic forms of utopia—and the associated “mentality”—with liberal-humanitarian ones, which are rooted less in “ecstatic-orgiastic energies” than in “ideas.” In the liberal conception, a “formal goal projected into the infinite future” functions as a “regulative device in mundane affairs.” In other words, utopia is quite literally an idealized “other realm” that inspires us by working on or transforming our moral conscience. This general understanding underlies much of what we now call “modern philosophy,” and as such, was deeply intertwined with the political ideas of a particular class: the bourgeoisie, who consciously employed it against the “clerical-theological” view of the world.26 “This outlook,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groups representing it, pursued a dynamic middle course between the vitality, ecstasy, and vindictiveness of oppressed strata, and the immediate concreteness of a feudal ruling class whose aspirations were in complete congruence with the then existing reality.”27
Significantly, however, this liberal-bourgeois drive toward the “middle way” is pursued through a privileging of ideas above the vulgar materiality of “existing reality.” As a result, according to Mannheim: “Elevated and detached, and at the same time sublime, it lost all sense for material things, as well as every real relationship with nature.”28 In short, however utopian, a “moderate” path that ultimately privileges ideas over material reality contains a real danger of falling into a form of idealism that conforms to, rather than challenges, the material—and thus ideological—status quo. Again, a strong case could be made that modern Buddhism, along with most major religious traditions, has generally taken this path, either by design or, I would suggest, out of certain ideological tendencies inherent in interpretations of specific Buddhist teachings. In fact, this is precisely the central argument of the Critical Buddhist (hihan bukkyō) movement of the 1990s led by Hakayama Noriaki and Matsumoto Shirō, scholars affiliated with Soto Zen, though the Critical Buddhists did not extend their critique to a pervasive “liberal” mentality rooted in a discourse of modernity.29
As we have seen in the above discussion of various utopian experiments in the late Meiji and Taishō period, despite real differences, they are tied together by an overwhelming focus on self-discovery or self-awakening—understood less 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society and politics than with respect to a broader and “aesthetic” concept of culture. This is not to say that all of these figures did not, to some degree, struggle with the “problem” of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and the larger community—indeed, the attempt to create sustainable intentional communities implies some degree of social concern. And yet, ultimately, resistance to the dangers of “vulgar materialism”—no doubt enhanced by legitimate fear of reprisal from authorities in the wake of the High Treason Incident—led to the search for, in Mushakōji’s phrase, “safe havens” (nigeba) in art, literature, and utopian communities, from the storms of politics and social conflict. Indeed, for Mushakōji, at least, the self becomes a sort of nigeba; as he explains in “Jiko no tame no geijitsu” (Art for the self, 1911):
Our present generation can no longer be satisfied with what is called “objectivism” in naturalist ideology. We are too individualistic for that… I have, therefore, taught myself to place entire trust in the Self. To me, nothing has more authority than the Self. If a thing appears white to me, white it is. If one day I see it as black, black is what it will be. If someone tries to convince me that what I see as white is black, I will just think that person is wrong. Accordingly, if the “self” is white to me, nobody will make me say it is black.30
Granted, Mushakōji is here expressing an extreme standpoint, a hyper-subjectivism that has no regard whatsoever for “objective truth”—or even, for that matter, reasoned discussion or debate. And yet, it speaks to a more general issue or problem with Taishō “progressivism,” and is precisely the reason that, after his initial excitement, progressive writer and economist Kawakami Hajime (1879–1946) left Itō Shōshin’s (1876–1963) utopian Muga-en (Garden of Selflessness) in 1906. Although neither Shōshin nor Nishida Tenkō (1872–1968) were artists or literary figures, both of their Tolstoyan-inspired intentional communities, Muga-en and Ittōen, can be classified as “liberal-humanist” in Mannheim’s schema. Extending this to contemporary criticism, the bulk of these Taishō progressive can be justly accused as relying on what Karatani (2005) Kōjin calls an “aesthetic” perspective, in which “actual contradictions” are surmounted and unified “at an imaginary level.” In Karatani’s sense, aesthetics is much more than simply a way of speaking about art and beauty; it is a mode of discourse that seeks to establish a reformed existence or “sensibility”—an understanding that dates back to Romantic writers such as Schiller, and finds expression within German Idealism following Hegel.31 For Karatani, the attempt by Japanese thinkers and utopians to “overcome modernity” inevitably ended in failure, since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large-scale social contradictions and tensions of modernity by appealing to an abstract ideal of “culture.” With the hindsight of history, it becomes less surprising to note that many of these “progressive” experiments were easily co-opted by the emerging ultra-nationalism of the Shōwa period. The “resistance” that Mannheim sees as crucial to true utopian thought and practice thus slides into “ideology”—a justification and perpetuation of the status quo.

4. Conclusions

In this article, I have outlined several of the most notable experiments in utopian thought and practice in late Meiji and Taishō-era Japan, highlighting the eclectic nature of these experiments, as well as the near-universal debt to the work of Russian novelist and essayist Leo Tolstoy. In choosing to focus my analysis on two relatively understudied cases, those of Eto Tekirei and Mushakōji Saneatsu (rather than, say, Itō Shōshin or Nishida Tenkō), I have shown the diversity of thought that went into these “intentional communities,” despite the fact that both had Buddhist, socialist, and even Christian roots. Indeed, these two cases might be said to represent two poles on a spectrum of Taishō utopian thought. Whereas Mushakoji’s Atarashikimura falls squarely within the “liberal-humanist” utopia outlined by Mannheim, Eto Tekirei’s Hyakushō Aidōjō pushes against such residual idealism, in part by utilizing (Zen) Buddhist conceptions of practice to reaffirm the value of labor and, by extension, the material world. Here we see, I suggest, a lost opportunity for forging a critical utopia rooted in Tolstoyan, socialist and Buddhist ideals, one that may not have been able to “overcome” modernity but can be nonetheless read as an incipient non-western “altermodernity” along lines discussed by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32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kamatsu, Katsumaro. 1981. The Russian Influence on the Early Japanese Social Movement. In The Russian Impact on Japan: Literature and Social Thought. Translated and Edited by Peter Bergen, Paul F. Langer, and George O. Totten. Los Angele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ess, pp. 87–132. [Google Scholar]
  2. Calichman, Richard F. 2005.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Japanese Thought. Edited by Richard F. Calichm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42. [Google Scholar]
  3. Epp, Robert, ed. 1996. Long Corridor: The Selected Poetry of Mushakōji Saneatsu. Stanwood: Yakusha Press. [Google Scholar]
  4. Eto, Tekirei. 1925. Aru hyakushō no ie 或る百姓の家 (The household of a farmer). Tokyo: Manseikaku. [Google Scholar]
  5. Hardt, Michael, and Antonio Negri. 1994. Labor of Dionysus: A Critique of the State-Form.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Google Scholar]
  6. Hardt, Michael, and Antonio Negri. 2009. Commonwealth.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Google Scholar]
  7. Harootunian, Harry D. 1988. Things Seen and Unseen: Discourse and Ideology in Tokugawa Nativis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Google Scholar]
  8. Havens, Thomas R.H. 1970. Kato Kanji and the Spirit of Agriculture in Modern Japan. Monumenta Nipponica 25: 249–66. [Google Scholar] [CrossRef]
  9. Karatani, Kōjin. 2005. Overcoming Modernity. In Contemporary Japanese Thought. Edited by Richard F. Calichm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01–118. [Google Scholar]
  10. Kinji, Tsukidate. 1974. Andō Shōeki no shishō keishōsha toshite no Eto Tekirei 安藤昌益の思想継承者としての江渡狄嶺 (Eto Tekirei as successor in thought to Andō Shōeki). In Andō Shōeki 安藤昌益. Edited by Shun’ichi Nishimura 西村俊一. Hachinohe: Ikichi shoin, pp. 145–71. [Google Scholar]
  11. Kohl, Stephen W. 1990. Abe Jirō and The Diary of Santarō. In Culture and Identity: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Interwar Years. Edited by J. Thomas Rimer.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7–21. [Google Scholar]
  12. Kołakowski, Leszek. 2008. Main Currents of Marxism: The Founders, the Golden Age, the Breakdown. New York: W.W. Norton, 3 vols. [Google Scholar]
  13. Konishi, Sho. 2013. Anarchist Modernity: Cooperatism and Japanese-Russian Intellectual Relations in Modern Japan. Cambridge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Google Scholar]
  14. Mannheim, Karl. 1936. Ideology and Utopia.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Google Scholar]
  15. Marks, Steven G. 2003. How Russians Shaped the Modern World: From Art to Anti-Semitism, Ballet to Bolshev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Google Scholar]
  16. Matsubara, Taidō. 1994. Bukkyō o hiraku kotoba 仏教をひらく言葉 (Words to discover Buddhism). Tokyo: Mizu shobō. [Google Scholar]
  17. Moiwa, Toyohira. 1981. Ichikō tamashii monogatari 一高魂物語 (Tale of an elevated soul). Tokyo: Kenbunsha. [Google Scholar]
  18. Mortimer, Maya. 2000. Meeting the Sensei: The Role of the Master in Shirakaba Writers. Leiden: Brill. [Google Scholar]
  19. MSZ. (Mushakōji Saneatsu zenshū. 武者小路実篤全集 全). Tokyo: Shōgakkan, 1987–1991. 18 vols.
  20. Nakao, Masaki. 1996. Taishō bunjin to denenshugi 大正文人と田園主義 (Taishō writers and agrarianism). Tokyo: Kindai bungeisha. [Google Scholar]
  21. Nishimura, Shun’ichi. 1992. Nihon ekorojizumu no keifu 日本エコロジズムの系譜―安藤昌益から江渡狄嶺まで (A genealogy of Japanese ecologism: From Andō Shōeki to Eto Tekirei). Tokyo: Nōbunkyō. [Google Scholar]
  22. Nobori, Shōmu. 1981. Russian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In Nobori Shōmu and Akamatsu Katsumaro 赤松克麿, The Russian Impact on Japan: Literature and Social Thought. Translated and Edited by Peter Bergen, Paul F. Langer, and George O. Totten. Los Angele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ess, pp. 21–71. [Google Scholar]
  23. Ohnuki-Tierney, Emiko. 1994. Rice as Self: Japanese Identities through Tim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Google Scholar]
  24. Rimer, J. Thomas, ed. 1990. Kurata Hyakuzō and the Origins of Love and Understanding. In Culture and Identity: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Interwar Year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2–36. [Google Scholar]
  25. Saitō, Tomomasa, Nakajima Tsuneo, and Kimura Hiroshi. 2001. Gendai ni ikiru Eto Tekirei no shisō 現代に生きる江渡狄嶺の思想 (Eto Tekirei’s thought and its relevance today). Tokyo: Nōbunkyō. [Google Scholar]
  26. Shields, James Mark. 2011. Critical Buddhism: Engaging with Modern Japanese Buddhist Thought. Richmond: Ashgate. [Google Scholar]
  27. Shields, James Mark. 2017. Against Harmony: Progressive and Radical Buddhism in Modern Japan. Oxford an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Google Scholar]
  28. Shifman, Aleksandr I. 1966. Torusutoi to nihon トルストイと日本 (Tolstoy and Japan). Tokyo: Asahi shinbunsha. [Google Scholar]
  29. Sibley, William F. 1968. Naturalism in Japanese Literature.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28: 157–69. [Google Scholar] [CrossRef]
  30. Smith, Henry Dewitt, II. 1970. The Origins of Student Radicalism in Japan.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5: 87–103. [Google Scholar] [CrossRef]
  31. Tamamoi, Mariko Asano. 1998. The City and the Countryside: Competing Taishō ‘Modernities’ on Gender. In Japan’s Competing Modernities: Issues in Culture and Democracy, 1900–1930. Edited by Sharon A. Minichiello.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91–113. [Google Scholar]
  32. Tetsuo, Najita. 2002. Andō Shōeki—The ‘Forgotten Thinker’ in Japanese History. In Learning Places: The Afterlives of Area Studies. Edited by Masao Miyoshi and Harry D. Harootunian.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61–79. [Google Scholar]
  33. Wada, Kōsaku. 2012. Baronteki sekai no kōzō: Eto Tekirei no tetsugaku 場論的世界の構造—江渡狄嶺の哲学 (The structure of a world of “place”: The philosophy of Eto Tekirei). Tokyo: Escom Shuppan. [Google Scholar]
1
Several sections of this article have been adapted, with modifications and elisions, from (Shields 2017); see esp. pp. 170–72; 183–88.
2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Tolstoy’s impact in both Japan and China, see (Shifman 1966).
3
Indeed, as Marks notes, Japanese readers of Tolstoy tended to see him as familiar rather than exotic or mystical—the way he was usually seen in the West—and for various reasons treated him as “one of their own” (ibid., p. 124).
4
See Shizen to jinsei (Nature and human life, 1900) for Roka’s reflections on nature, and Mimizu no tawagoto (Gibberish of an earthworm, 1913) for his adoption of the Tolstoyan peasant lifestyle. See (Shifman 1996, pp. 68–76), for the correspondence between Roka and Tolstoy.
5
Ibid.; see also Moiwa 1981. The Russian word narodniki refers to a person associated with a loosely defined progressive social movement that first arose in Russia in the 1860s and 1870s, in response to the poverty and social problems unleashed by of Tsar Alexander II’s “emancipation” of the serfs. The ideology developed and promoted by the narodniki was a form of populism, focused especially on addressing the grievances of rural peasants—still the vast majority of ordinary Russians—rather than urban workers. For more on the Russian narodniki, see (Kołakowski 2008, pp. 609–12).
6
Musashino would become the center of the Japanese narodniki movement, with Tokutomi Roka, Ikeda Taneo (1897–1974), and Ōnishi Goichi (1898–1992) all spending some time in the Kamitakaido area during the Taishō period. See (Nishimura 1992, p. 151).
7
See (Nishimura 1992, pp. 173–74). Tekirei referred to his utopian experiment as Tenshinkei, which is borrowed from Shōeki’s trope of the natural order as “movement,” “truthfulness,” and “reverence”; see (Tetsuo 2002, “Andō Shōeki,” pp. 75–76).
8
(Nishimura 1992, pp. 88–89); for an analysis of the life and work of Katō Kanji vis-à-vis the emergence of nōhonshugi, see (Havens 1970).
9
Tekirei writes about this in his correspondence with Akegarasu Haya in the Buddhist journal Chugai Nippō (March–April 1916); see (Wada 2012, pp. 293–94).
10
(Tetsuo 2002, p. 70). For more on Tekirei’s use of Shoeki, see (Kinji 1974).
11
Cited in (Nishimura 1992, p. 150); my translation.
12
Cited in (Wada 2012, p. 20); Lotus Sutra, chap. 12 “Devadatta.”
13
Ibid., pp. 285–86.
14
Attending Gakushūin through virtually the entire fourth decade of Meiji (1898–1906), Mushakōji and his Shirakaba peers were exposed to an impressive array of lecturers, including Natsume Sōseki (1867–1916), Uchimura Kanzō, Miyake Setsurei (1860–1945), Shimazaki Tōson (1872–1943), and Tokutomi Roka.
15
From Mushakōji’s autobiographical novel Aru otoko (1921–1923); translated in (Mortimer 2000, p. 19).
16
This relentless optimism can be seen in the titles of a number of Mushakōji’s works from this period: the novels Kōfukumono (A happy man, 1919) and Yūjō (Friendship, 1920), and the play Ningen banzai (Three cheers for mankind, 1922); also see his autobiographical novel Aru otoko (A certain man, 1923).
17
(Mortimer 2000, pp. x–xi). Admittedly, it is unclear whether these points represent Mortimer’s own scholarly opinion or are meant to reflect the “standard reading” of the Shirakaba writers by postwar (Marxist-inclined) critics such as Honda Shūgo. While at Gakushūin, Mushakōji notes that he and his peers were exposed to the early writings of Kotoku Shūsui and Sakai Toshihiko (1871–1933), and that he himself felt a particular affinity to Shūsui’s ideas, “never miss[ing] a single issue of the Heimin Shimbun” (MSZ (1987–1991) 15: 545).
18
In Aru otoko, Mushakōji notes his distrust of charismatic revolutionary leaders such as Lenin and Trotsky, who had become “cult-figures” and “idols” (MSZ (1987–1991) 5: 281).
19
Mushakōji, “Gendai no bunmei”; cited and translated in (Mortimer 2000, p. 29).
20
See, e.g., (Epp 1996, pp. 18–22). According to Epp, “Taoist equanimity lies at the heart of Mushakōji’s poetic” (18).
21
“Jiko no tame no geijutsu,” Shirakaba 1911 (MSZ (1987–1991) 1: 429); translated in Mortimer 2000, 91. Mortimer notes the Kantian and especially Freudian ring of these “instincts” (honnō).
22
MSZ (1987–1991) 9: 334–35. In his Kofuku mono (1919), published soon after the birth of Atarashikimura, Mushakōji would employ the term magokoro—literally, pure, open mind/heart—to refer to this characteristic shared by all true “masters.” Mortimer 2000, p. 180, 184, connects magokoro to a concept of “divine nakedness,” as well as to an “immanentist and pantheistic” energy that exists within nature.
23
For the Shirakaba writers, these included Christ, Śākyamuni Buddha, Confucius, St. Francis, Rousseau, Carlyle, Whitman, and William James; see (Mortimer 2000, p. 119).
24
See ibid., p. 120. Mortimer argues that because the Shirakaba “master” ultimately rejects all “isms,” the method of the master involves a (Zen?) “way of unlearning.”
25
Here again we see a parallel with Andō Shōeki’s radically “horizontal” perspective on liberation; i.e., one that rejects “authority” in any vertical form, relying rather on the “movement” of the individual within nature and community.
26
Ibid., p. 221.
27
Ibid., my emphasis.
28
Ibid., p. 222.
29
For an extended treatment of Critical Buddhism, see (Shields 2011).
30
Shirakaba, July 1911 (MSZ (1987–1991) 1: 428).
31
This is not to say that Karatani’s definition is equivalent to that of Schiller or Hegel, but rather that, like theirs, it looks to the original meaning of the Greek root aisthesis (aisthēsis), i.e., “perception.” See (Calichman 2005, p. 27).
32
According to Hardt and Negri, “altermodernity” marks conflict with modernity’s hierarchies as much as does antimodernity but orients the force of resistance more clearly towards an autonomous terrain” (Hardt and Negri 2009, p. 102). In an earlier work, Hardt and Negri developed a similar idea in the context of a discussion of the role of materialism in western thought: “[M]aterialism persis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dernity as an alternative … The vis viva of the materialist alternative to the domination of capitalist idealism and spiritualism was never completely extinguished” (Hardt and Negri 1994, p. 21). See also (Konishi 2013, pp. 3–4).




이문영의 인문학산책,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Ep.5

이문영의 인문학산책,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Ep.4

이문영의 인문학산책,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Ep.2

이문영의 인문학산책,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Ep.1

박노자교수 강연 at Doshisha: "톨스토이와 한국적 근대 만들기"










Tolstoy and the Making of Korean Modernity -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한국노어노문학회 : 논문 - DBpia, 연구를 돕는 똑똑한 학술콘텐츠 플랫폼



Tolstoy and the Making of Korean Modernity -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한국노어노문학회 : 논문 - DBpia, 연구를 돕는 똑똑한 학술콘텐츠 플랫폼




Tolstoy and the Making of Korean Modernity




Vladimir Tikhonov(Pak Noja, Oslo University)
한국노어노문학회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5년 한-러 수교 2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2015.10
342 - 354 (13 pages)오류제보하기
인용하기


북마크 이용하기 미리보기
알림서비스 신청




북마크0

리뷰0


이용수10

피인용수0

초록
목차
키워드
참고문헌 (0)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 (0)
함께 이용한 논문 (0)
추천 논문 (5)
리뷰 (0)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초록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reception of Leo Tolstoy"s (1828-1910) literary works and ideology in modern Korea. The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early reception of Tolstoy in Korea took place via the medium of the pre-existing Japanese translations and biographies of Tolstoy, as well as the popularized introductions to his ideas. Even later, in colonial-era Korea, Tolstoy was mostly translated via the earlier Japanese translations, although sometimes the English translations were used as reference as well. 

Initially, Tolstoy was mostly understood to be a religious thinker – the creator of a universalist religious system in sync with the modernity spirit. Tolstoy’s pacifism made much less publicity in Korea than in Japan. 

However, the Left took mostly positive view of Tolstoy too, as he was seen as an advocate of peasantry, the main exploited class in colonized Korea.
---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восприятию творчества Льва Толстого (1828-1910) в Корее Нового Времени. В статье показывается, что ранне знакомство с творчеством и идеями Толстого в основном происходило через японские источники. В колониальной Корее переводы Толстого в основном делались с уже существующих японских переводов, иногда также при помощи переводов на английский. Первоначально Толстой воспринимался в основном как религиозный мыслитель – создатель новой, универсальной религии, созвучной духу Нового Времени. Пацифизм Толстого привлек в Корее гораздо меньше внимания, чем в Японии. В то же время левая интеллигенция относилась к Толстому также весьма положительно, видя в нем выразителя интересов крестьянства – главного угнетенного класса колониальной Кореи.


목차


Аннотация
Introduction
Tolstoy’s way to Korea: via Japan
Tolstoy in colonized Korea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톨스토이는 아주 급진적인 사람인데 한국에서는 보수적 종교적 사상가로 소개도었다.
왜 그렇게 되었나가 나의 과심의 시작이었다.
기독교인들이 관심이 많았다.
윤치호 기독교 감리교인 
민영환의 통역으로 러시아에 가다.

윤치호 일기에 전쟁과 평화를 읽었다고 한다.
윤치호는 톨스토이를 좋아하지 않았다.
부국강병을 지향하는 위대한 군주를 좋아하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한국이 톨스토이와 만나게 되었다.
토쿠토미 소호  도시샤 출신 문명개화주의자
톨스토이 집을 찾아가다.
기독교인으로서
오구마의 친구
청일전쟁이후에, 문명대국 이미지 향상에 관심이 있었다.
톨스토이에게 실망했다.


이중번역
영어 일본어 조선어

















키워드#Толстой#пацифизм#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Ли Квансу#Чхве Намсон#Чо Мёнхи#Tolstoy#pacifism#Russo-Japanese War#Yi Kwangsu#Ch"oe Namsŏn#Cho Myŏnghŭi

참고문헌(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 (0)

함께 이용한 논문(0)

추천 논문(5)

1.


톨스토이는 어떻게 시각화되었는가? 톨스토이 삶의 영화적 재구성
라승도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2.


톨스토이는 어떻게 시각화되었는가?
라승도
슬라브학보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1
3.


톨스토이 대 톨스토이: 톨스토이의 평화사상과 평화실천
이문영
외국학연구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6
4.


톨스토이의 대안학교 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성찰
이원일
신학과 목회
영남신학대학교
2007
5.


톨스토이와 커뮤니티 아트:『예술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조유선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한국러시아문학회
2017

오에 겐자부로 “일본 통렬하게 반성해야” - 세상을 보는 다른 눈 "뷰스앤뉴스"



오에 겐자부로 “일본 통렬하게 반성해야” - 세상을 보는 다른 눈 "뷰스앤뉴스"



오에 겐자부로 “일본 통렬하게 반성해야”
<좌담회> 김우창.오에 “시민들이 연대해 아시아평화 만들자”2006-05-20 14:24:58
확대 축소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에서 보이듯 일본 정부는 한국과 중국에 대해, 그리고 식민지주의와 군국주의로 큰 피해를 입었던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대해 올바른 역사인식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일본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포함해 현재를 바르게 응시하고 책임 있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오에 겐자부로)

“민족주의적인 감정이 자극되면, 그것은 사람들을 국가나 민족의 테두리 안에 묶어 넣어 사람을 각각 그 나름의 삶을 사는 개체가 아니라 집단으로 보게해 사려깊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삶의 테두리를 동아시아로, 세계로 확대하면서 어떻게 보다 만족할만한 삶을 살 수 있는가에 대해 깊은 지혜를 나눠야 한다.”(김우창)

"양국간 시민연대 구축해 국가간 대립 뛰어넘어야 "

최근 독도 도발과 역사 교과서 왜곡 등 극우 보수행보로 동북아시아 지역갈등을 유발하고 있는 일본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감이 큰 가운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살아있는 지성' 오에 겐자부로(71.大江健三郞)씨와 김우창(69) 고려대 명예교수가 ‘동아시아의 평화비전을 향하여’를 주제로 19일 감동적인 대담을 나눴다.

대담을 하는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와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 ⓒ 김홍국 기자

특히 소설 <성적 인간> <절규> <개인적 체험> <홍수는 나의 영혼에 넘쳐 흘러> <동시대 게임> 등 걸작을 잇달아 발표해 지난 9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겐자부로씨는 이날 솔직하면서도 유머 넘치는 화술로 세계적인 지성다운 노작가의 연륜을 내비쳤다.

그는 특히 "아시아인의 연대가 세계평화를 위해서 중요하다"며 “현재 한국어와 중국어를 읽는 연습을 하고 있다. 아시아인으로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공부하지 않은 것이 후회된다. 손자들도 한국에 보내 한국말을 익히도록 하겠다”며 한국에 대한 높은 애정과 관심을 표명했다.

대산문화재단과 교보생명 공동주최로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에서 열린 대담에서 겐자부로씨와 김교수는 “현재의 한국과 일본, 동북아의 갈등과 긴장 양상을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해야 하며 대화와 이해를 통해 상생 관계를 구축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양국 간 시민연대를 구축해 국가 간 대립을 뛰어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고려대에서 열린 특별강연에서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에 대해 “고이즈미 총리는 한국, 중국 등 주변 국가에서 신사 참배를 비판하는 것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회피한 채 마음의 자유라고 둘러대고 있다. 총리가 왜 마음의 자유라는 표현에 빗대어 잘못된 신사 참배를 미화하는지 모르겠다. 이 표현은 예컨대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충돌해서 인간이 다치거나 죽을 때 종교를 비판하는 자유와 같이 국가, 개인 차원에서 휴머니즘의 실천을 위해 사용하는 숭고한 언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이날도 기조발언과 대담을 통해 현 일본 정부의 문제점과 아시아 국가간의 연대를 강력하게 주장했다.

겐자부로 “일본 범죄에 대해 책임져야”, 김우창 “비정치적 교류 중요”

그는 기조발언을 통해 “우리나라 정부 특히 고이즈미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참배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중국, 그리고 우리의 식민지주의와 군국주의에 의해 커다란 피해를 입었던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보이고 있지 않다”면서 “역사를 인식한다는 것은 과거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미래에 대한 전망을 포함해서 지금 현재를 바르게 응시하고, 책임있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어머니가 가장 어려운 것을 택하라고 해 불문학을 전공하게 됐다"며 청중에게 웃음을 선사한 오에 겐자부로 ⓒ 김홍국 기자

그는 또 “저는 이제 노년에 접어들어, 앞으로 얼마나 더 문학활동을 할 수 있을지 불안하지만, 지금 자주 생각하는 것은 1910년 한국합병조약이라는 범죄를 저지른 지 1백년이 되는 것이 2010년인데, 일본인이 이러한 1백년의 역사를 제대로 재인식해서 다음 시대를 맞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시민들과 자주 대화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양국 및 아시아국가 시민들의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우창 교수는 “최근 한·일간의 관계에서 서로 민족주의적 감정을 자극하고 있는 이슈가 바로 독도문제”라며 “민족주의적 감정이 자극되면, 그것은 사람들을 국가나 민족이라는 테두리 안에 묶어넣어 사람을 각각 그 나름의 삶을 사는 개체가 아니라 한 덩어리의 집단으로서 느끼고 행동하게 하고 그 밖에 있는 다른 집단의 사람들을 또 한 덩어리로 보게 하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분석했다.

김교수는 “그러나 독도 문제에 대한 이즈음 언론의 보도들은 다행스럽게도 일본과 일본인을 뭉뚱그려 하나의 커다란 적대집단으로만 그리지는 않는다. 양국간의 긴장이 있음에도 일본 전체를 사갈시하는, 또는 영어로 ‘데모나이즈(demonize)’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큰 발전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최근 본 통계로는 한·일 두 나라 사이에 오가는 사람들이 일년에 나라당 적어도 1백만명 이상이라고 한다. 서로 만나면 결점도 없지 않지만, 칭찬할 것도 많은, 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절로 알게 되고 공식적인 자세로 굳어진 표면을 지키기가 어려워지게 마련”이라며 국경을 넘어선 비정치적 교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겐자부로 “독도문제, 한일관계 다이너마이트 될 수도”

겐자부로씨는 국가간 신뢰 구축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과학기술자로 배운 것이 많았던 선생님이 있었는데 그 분 말씀이 ‘일본은 앞으로 군비를 하지 않는다.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맹세, 선언하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그럼 평화는 어떻게 유지할 것이냐는 물음에 ‘세계 국민에 대한 신의’가 그 답이라고 하셨다. 그럼 신의는 어디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느냐 했을 때 그것은 미국도, 소련도 아닌 바로 한국, 중국, 필리핀이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는 일화를 이야기한 뒤 “이웃에 대해 엄청난 일을 저지른 일본은 이를 어떻게 보상하고 신뢰를 회복할 것인지, 신의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중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한일 지성의 대화는 시종 진지함과 유머가 묻어나 청중을 즐겁게 했다. ⓒ 김홍국 기자

그는 현재 일본이 추진중인 헌법 개정과 관련, “9명 발기인으로 출발한 헌법 개정 저지 모임이 현재 4천5백여명에 이르고 있으며 비슷한 단체가 5백여개 있다. 우리가 점점 목소리를 키우는 가운데 분명 강력한 정부도 아니고, 약한 민족도 아닌 제3의 길을 제시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3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 이웃나라를 믿고 신의를 믿고 그들과 함께 손잡고 나가자는 방침을 다른 국민,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다면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아시아 시민들의 연대를 주장했다.

그는 “영토 차원에서 독도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일본인은 거의 없다. 독도 문제를, 민족주의를 불러 일으키는 성냥으로 쓰고 있지만 자칫 다이너마이트가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지하수처럼 흐르는 것이 진정한 민족주의로 과거 일제 강점기 때 한국인들의 보여준 민족주의는 올바르지만 지금 일본의 민족주의는 분명 잘못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1945년 일본이 전쟁에 지면서 아시아에 새로운 평화공존의 가능성이 생겼다. 현대 일본인들이 전쟁에 졌다는 사실을 미래를 위해 계속 가져가려는 의식이 있는가 하는 문제가 현재 일본인들, 특히 젊은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다. 동아시아가 국가들이 편협한 민족주의를 극복해나가지 않으면 동아시아의 미래는 없다. 한국, 중국, 일본 국가들이 서로 대립하고 갈등해도 인터넷 등을 무기로 한 시민 연대가 그런 대립과 반목을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 나의 희망이다. 그런 측면에서 일본이 ‘미리미리 나와 다른 사람이 어려운 관계에 부딪히지 않게 행동한다’는 의미의 ‘프루덴셜(prudential)’한 태도를 지녀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또 “미국과 유럽이 '동아시아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을 하는구나'하고 생각할 수 있는 그런 큰 차원의 동아시아 시민 아이덴티티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내 세대에 불가능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믿는다”며 “일본에서의 한류바람과, 한국에서의 일본소설 바람이 이런 동아시아적 화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한류, 한국에서의 일본소설 붐 등에서 보듯 동아시아에서 문화 공통의 기반이 확대되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이 일본에서뿐 아니라 한국과 중국의 중년층에게 '낙담과 소외감'과 같은 동질적 정서를 전달해주고 있고 양국에서 모두 인기가 있는 점이 이를 입증한다"며 대중문화 교류가 동아시아적 가치를 결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우창 “인간적인 질서 위해 문화적 공동체 의식을 가져야”

이에 대해 김우창 교수는 “냉전체제 종식 이후 새 질서를 요구하는 동북아 지역에서의 갈등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이를 인도적, 평화적 방법으로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동아시아의 평화와 질서의 보증자 노릇을 해온 중국의 변화와 냉전체제의 붕괴가 새로운 평화질서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반목,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냉전의 질서가 아니라, 힘이 강해진 동아시아 자체의 질서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는 힘의 균형에 의해 확보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가간의 질서는 티격태격하면서 어떻게든 만들어지겠으나 인간적인 질서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적 공동체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우창 교수는 "힘이 강해진 동아시아 자체의 질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 김홍국 기자

김 교수는 오에 겐자부로씨가 제시한 '시민 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해 “시민들이 횡적인 연대를 통한 아시아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 독일과 폴란드의 영토 경계를 보면 그동안 수차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했고 독일에서도 여러 차례 새로운 경계를 확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한국과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일본은 충분한 도덕적 판단이 서있지 않은 것 같다”며 “반성이란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잘못했을 때 다시 함께 살아가기 위해 거치는 과정이다. 동아시인들이 서로 더불어 살아갈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면 역사적 사실에 대해 사과할 것은 사과할 텐데 (사과하지 않는 것을 보면) 다른 동아시아 국민이 '더불어 살아갈 사람'이라는 인식이 없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자기 정부를 '도덕적으로 행동하라'고 비판하고, 이웃 국가와 관계를 올바로 정립하고, 그리고 그것이 바로 '나 자신을 위한 일'이라는 것을 자각하는 한편 문화적으로 그것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이런 부분에 대해 바로 문학인과 지식인들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갈파했다.

오에 겐자부로가 몰려든 팬들에게 정성껏 사인을 해주고 있다. ⓒ 김홍국 기자

오에 겐자부로, 김우창 누구인가

오에 겐자부로는 1935년 일본 시코쿠(四國) 에히메(愛媛)현 출신으로 도쿄대 불문과를 졸업했고 김지하 시인에 대한 한국군사정부의 탄압에 항의하는 단식투쟁에 참가하는 등 일본을 대표하는 참여형 지성으로 꼽힌다.

탁월한 문학적 상상력으로 인간이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당혹감 등 실존의 문제를 다뤘고 94년 소설 <만원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ル)>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일본어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깨뜨리는 듯한 거칠면서도 단조로운 문체로 일본 전후세대의 반항을 간결하게 묘사한 그는 고도의 세련된 문학적 기교와 개인적 고백을 통한 작가의 진솔함이 높이 평가받아왔다.

그는 1994년 12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행한 '애매한 일본과 나'라는 제목의 노벨 문학상 수상소감 연설에서 “일본이 특히 아시아인들에게 큰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전쟁 중의 잔학행위를 책임져야 하며 위험스럽고 기괴한 국가의 출현을 막기 위해 평화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세계적인 지성으로 꼽혀왔다.

김우창 교수는 1937년 전남 함평 출신의 문학평론가로 서울대 영문과, 하버드대 대학원(박사)을 졸업했다. 1965년 <신동아>에 ‘존재의 인식과 감수성의 존중>을 발표해 평론활동을 시작한 뒤 이후 시와 미, 정치의 본질과 상호관계를 아우르는 사유의 깊이를 보여줘 ’한국 인문학의 거장‘으로 불려왔다.

<정치와 삶의 세계> <시대의 흐름에 서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심미적 이성의 탐구> <시인의 보석> <행동과 사유> 등을 저술했으며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서울문화예술평론상, 팔봉비평문학상, 고려대학술상 등을 수상했다.김홍국 기자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고토쿠 슈스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토쿠 슈스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토쿠 슈스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토쿠 슈스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일본어: 幸徳こうとく 秋水しゅうすい: 1871년 11월 5일(메이지 4년 음력 9월 23일)-1911년(메이지 44년) 1월 24일)는 메이지 시대의 언론인, 사상가,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다. 본명은 고토쿠 덴지로(일본어: 幸徳こうとく 傳次郎でんじろう). "슈스이"라는 이름은 스승 나카에 조민에게서 받은 것이다. 고토쿠 대역사건으로 처형된 12인 중 한 명이다.

일생[편집]

고치현 하타군 나카무라정(현 고치현 시만토시) 출생. 고토쿠 집안은 본래 가데이(幸徳井かでい)라고 읽었으며, 음양사 가문이었다. 이 시기가 되면 양조업과 약재업으로 지역 유력자가 되어 있었다. 한편, 처 모로오카 지요코막말 존왕양이 운동에 가담하여 아시카가 목상효수사건의 주모자가 된 국학자 모로오카 마사타네의 딸이다.

9살 때 유학자 기도 아키라수명사에 들어가 사서오경을 배웠다. 11세 때 구제 나카무라 중학교(현 고치현립 나카무라 중고등학교)에 진학했으나 태풍으로 학교가 파괴되고 이후 학교가 재건되지 않아 퇴학했다. 1887년(메이지 20년), 상경한 나카에 조민의 문하생이 된다. 신문기자를 목표로 『자유신문』(자유당의 기관지. 사장 아타가키 다이스케) 등지에서 근무했다. 같은 해 반포된 보안조례오사카로 옮긴 조민은 스도 사다노리의 연극공연 기획을 옹호했는데, 그 때 스도가 공연한 연극 중 하나인 「근왕미 담상야서」(勤王美(義とも)談上野曙)는 조민이 슈스이에게 집필을 의뢰했다고 한다.[1]

1898년(메이지 31년) 구로이와 루이코가 창간한 『만조보』 기자가 되었다. 『만조보』는 일본의 황색언론의 선구자로, 권력자의 추문 보도를 추구, “축첩실례” 따위 개인정보를 노출하는 추문기사를 주로 쓴 신문이다. 1899년(메이지 32년) 말에는 도쿄의 신문들 중 발행부수 1위에 도달했고, 최대 발행부수는 30만 부를 기록했다.

슈스이는 기자 일을 하면서 국민영학회 등에서 공부를 하고, 1900년(메이지 33년) 8월 30일, 구 자유당계 정당인 헌정당이 정적이었던 번벌 이토 히로부미와 야합해 입헌정우회를 결성한 것을 한탄, 『만조보』에 “오호통재, 자유당 죽다” 라는 문장으로 유명한 「자유당 제문」이라는 비판논문을 발표했다. 동년 5월 황태자(후의 다이쇼 천황)의 결혼 축하 사설을 무기명으로 『만조보』 1900년 5월 10일자에 기고했다.[2] 동년 6월 의화단 운동을 제압할 때 일본군청나라마제은을 횡령한 혐의를 『만조보』에서 물어뜯어 육군중장 마나베 아키라를 휴직케 했다(마제은 사건). 이 일로 마나베와 야마가타의 원한을 샀는데, 그것이 후의 대역사건에 연결되었다는 설이 있다.[3]

1901년(메이지 34년) 사회민주당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동년 『이십세기지괴물제국주의』[4]를 간행, 제국주의를 비판했다. 이것은 당시 국제적 기준에서도 고급한 제국주의 비판서였다. 또 동년 다나카 쇼조아시오 광독 사건에 대해 메이지 천황에게 직소했을 때 그 상소문도 슈스이가 초고를 쓰고 쇼조가 손을 본 것이었다. 쇼조가 상소문 집필을 의뢰한 자들은 모두 두려워 주저하는 가운데 슈스이 혼자 거절하지 않고 써 줬다.[5]

1902년(메이지 35년), 그 전해 사망한 조민을 추모하는 「조민 선생」을 발표했다.

1903년(메이지 36년), 러일전쟁 개전 당시 『만조보』가 사론을 비전론에서 개전론으로 전향하자 슈스이는 사카이 도시히코 우치무라 간조, 이시카와 산시로와 함께 퇴사했다.[6] 슈스이와 토시히코는 비전론을 계속 호소하기 위해 평민사를 개업하고 주간지 『평민신문』을 창간했다. 『만조보』 시절 동료였던 사이토 료쿠가 병으로 빈곤해하자 그를 위해 『평민신문』에 코너를 마련해 원고료를 주었다.[7]

1904년(메이지 37년), 「여로국사회당서」를 발표, 곧 이어 「공산당 선언」을 번역 발표하고 발표한 당일 판금된다.[8]

1905년(메이지 38년), 신문지조례로 인해 투옥되고 옥중에서 크로포트킨을 알게 됨으로써 무정부주의에 입문했다. 출옥 후 11월 도미해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미국에 망명해 있던 러시아인 무정부주의자 フリッチ夫人 등과 어울려 아나르코생디칼리슴의 영향을 받았다. 이듬해 1906년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을 경험한다. 지진 복구 과정에서 시민들이 자구자족하는 모습에서 무정부공산주의의 편린을 목격한다.[9] 동년 6월 23일, 지진 때문에 귀국길에 오르고, 6월 28일 귀국 환영회가 열렸다. 슈스이는 환영회에서 총파업에 의한 직접행동론을 옹호했다. 1906년(메이지 39년) 1월 성립된 제1차 사이온지 내각의 융화정책에 의해 합법정당이 된 일본 사회당은 합법주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슈스이의 실력행사론에 의해 당내 내홍이 일어났다. 보통선거 운동을 주장한 가타야마 센 등은 “의회정책론”을 내놓아 슈스이의 직접행동론과 대립했고, 결국 결별했다.

1909년(메이지 42년), 『자유사상』을 발간하고 당일 판금된다.

1910년(메이지 43년) 6월, 대역사건 혐의로 체포된다. 당시 슈스이는 정부 간노 스가와 함께 온천숙 중이었다. 옥중에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예수를 부정하는 『기독말살론』을 탈고했다. 이 책에서 예수는 천황의 은유였다고도 한다. 그 내용은 신지학 협회애니 베산트의 기독교 이론과 일치하는 부분이 커서 베산트의 영향이 지적된다. 이것이 유고가 되었다.[10]

이듬해 유죄, 사형을 판결받고,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1월 24일 저형되었다. 이러한 당국 대응은 이미 국내외 지식인층의 비판이 있었다. 당국은 사회주의자의 일망타진을 목표로 하고 있었기에, 대역사건 발각을 기회로 삼아 사건 관여 정도가 얕고 대역죄에 해당하지 않는 슈스이 등까지 죄를 날조해 처형했다. 사형수 12명 중 실제로 황족 암살을 음모했던 것은 간노 스가, 니이무라 다다오, 미야시타 다키치, 후루카와 리키사쿠 4명 뿐이었다. 슈스이는 그 중 칸노와 불륜 관계로 평민사 사내에서 동거 중이었기에 암살 계획의 존재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간노가 주모자였다는 검찰 주장에도 상당히 무리가 있었다.


슈스이는 감옥에 면회 온 처 지요코의 도시락에 손도 대지 않을 정도로 부부 관계가 냉각되어 있었지만 죽고 나서 묘소는 고향 고치현 시만토시의 절간에 지요코의 무덤 곁에 안장되었다. 비문은 고이즈미 사쿠타로가 썼다.


사후[편집]

도쿠토미 겐지로는 슈스이 등의 사형을 막기 위해 형 도쿠토미 소호를 통해 가쓰라 다로 총리에게 탄원했지만 소용 없었다. 1911년(메이지 44년) 1월 슈스이 등이 처형되자 그 다음달인 2월에 슈스이에 심취해 있던 구제 제1고등학교 변론부 가와카미 조타로, 모리토 다쓰오의 주최로 「모반론」 강연이 열려 학내에 소동이 일어났다.

고토쿠 대역사건은 문학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쳐서, 이시카와 다쿠보쿠는 사건 전후 크로포트킨의 책이나 재판 기록을 입수, 연구해 「시대폐색의 상황」, 「A LETTER FROM PRISON」 등을 집필했다. 기노시타 모쿠타로는 1911년 3월 연극 「이즈미야 염색점」을 집필했다.

한편, 슈스이가 법정에서 “지금의 천자는 남조의 천자를 암살하고 삼종신기를 빼앗아 취한 북조의 천자가 아닌가”라고 발언한 것이 외부에 누설되어 난보쿠초 정통론이 일어났다.[11] 제국의회 중의원에서 국정교과서의 남북조 찬위설을 비난하는 질의서를 제출하고, 2월 4일 의회는 남조를 정통으로 인정하는 결의를 냈다. 이 결의에 따라 교과서 집필 책임자 기타 사다키치가 휴직 징계를 당했다. 이후 일본 국정교과서는 『대일본사』를 근거로 삼종신기를 소유하고 있던 남조를 정통으로 서술하는 내용으로 교체된다.

이듬해인 1912년(메이지 45년) 6월에는 우에스기 신키치천황주권설을 발표한다. 이에 맞서 미노베 다쓰키치천황기관설을 주장했다. 대학가에서는 미노베의 천황기관설이 우세했지만, 그 후 천황주권설이 우세해져간다. 마제은 사건으로 슈스이와 악연을 가졌던 야마가타는 후일 러시아 혁명 발발 이후 극비적으로 반공주의 정책을 추진, 우에스기의 천황주권설을 기초로 한 국체론이 형성되어간다.[12]

슈스이의 유작 『기독말살론』은 무신론의 관점에서 쓰여진 책이고, 말살의 대상인 예수가 천황을 은유했다는 설도 있지만 신사신토국교로 삼은 정부는 반기독교 관점에서 이 책의 출판을 인정했다. 『기독말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까지 기독교에 부정적인 우익, 관료, 군인, 신관들 사이에 널리 읽히면서 기독교에 대한 압박을 위해 이용되었다.


각주[편집]

마츠모토 캇페이『일본사회주의연극사 메이지다이쇼편』(지쿠마쇼보,1975)
하라 다케시『다이쇼 천황』53엽. 아사히 선서663, 아사히 신문사, 2000년
小林一美『義和団戦争と明治国家』汲古書院、1986、ISBN 4762923346
박양신 : 문헌해제: 幸德秋水『卄世紀之怪物帝國主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pdf)
“足尾鉱毒明治天皇直訴文”. 2015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6일에 확인함.
坂野潤治田原総一朗『大日本帝国の民主主義』小学館,2006年,139頁
師岡千代子 「夫・幸徳秋水の思い出」1946年東洋堂
玉岡敦(東北大学・院)『『共産党宣言』邦訳史 』 Archived 2016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143頁、経済学史学会第75回大会、2011年
4月24日付で雑誌『光』へ秋水が寄せた一文より。
小森健太郎 幸徳秋水『基督抹殺論』とアニー・ベサントの〈世界教師〉論 文学・芸術・文化 : 近畿大学文芸学部論集27(1), 116-110, 2015-09 近畿大学文芸学部
岩城之徳「啄木と南北朝正閏論問題」『石川啄木と幸徳秋水事件』(近藤典彦編・吉川弘文館、平成八年)所収。滝川政次郎「誰も知らない幸徳事件の裏面」『人物往来』昭和三十一年十二月号。また池島信平編「歴史よもやま話し」、花田清輝『室町小説集』講談社pp.10-11.も参照。
NHKスペシャル2009年5月3日放送「シリーズJAPAN 第二回 天皇と憲法」

전거 통제

BNF: cb14369279g (data)
CANTIC: a11366655
GND: 118995065
ISNI: 0000 0000 8388 9685
LCCN: n82119411
NDL: 00035977
NLK: KAC201111565
NTA: 099575574
SNAC: w6fp5wr8
SUDOC: 117459399
Trove: 940416
VIAF: 64218988
WorldCat Identities: lccn-n82119411

[월드 리포트] 톨스토이의 향기를 찾아서 > 특파원 현장보고 > 국제 > 뉴스 | KBSNEWS



[월드 리포트] 톨스토이의 향기를 찾아서 > 특파원 현장보고 > 국제 > 뉴스 | KBSNEWS




[월드 리포트] 톨스토이의 향기를 찾아서입력 2010.11.28 (10:02)특파원 현장보고




다음기사단순한 삶이 장수 비결
<앵커 멘트>



톨스토이의 작품 한 두편 읽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톨스토이는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대문호인데요.. 올해가 타계한 지 100년이 되는 해라구요?

네.. 82살 고령에 집을 나와 기차여행을 하던 중 병을 얻어 시골 기차 역장의 집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합니다. 위대한 작가의 마지막 길 치고는 쓸쓸했죠?

네.. 그렇네요.. 타계 100주년을 맞은 러시아 현지 추모분위기와 톨스토이의 삶을 김명섭 특파원이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4백여 킬로미터, 기차가 멈춰선 곳은 레오 톨스토이시입니다. 백 년 전 톨스토이는 기차를 타고 여행을 하던 중 병을 얻어 이곳 아스타파보 역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인터뷰>스테파노바(레오 톨스토이시 주민) : "의사를 비롯해 많은 분이 톨스토이를 걱정해 찾아왔으나 그를 살릴 수는 없었습니다."

기차역장의 방안에 그가 누웠던 침대와 유품이 그대로 남아 전시되고 있습니다. 아스타파보 역에는 톨스토이가 탔던 열차를 복원해 전시,운행하고 있습니다. 마을 주민들은 톨스토이에 대한 추억에 잠깁니다.

<인터뷰>알렉시브나(레오 톨스토이시 주민) : "기관차를 보면 기차 소리가 나면서 톨스토이가 우리에게 오는 것 같아요."

그의 이름을 딴 레오 톨스토이시에서는 어린 아이들까지 톨스토이에 대한 얘기를 기억합니다.

<인터뷰>니키타, 미샤(레오 톨스토이시 초등학생들) : "(톨스토이 할아버지가) 기차 타고 오던 중에 감기 걸려 아스타파보 역에 내렸고... 그래서 마을 이름이 레오 톨스토이예요"

야스나야폴랴나에 있는 톨스토이의 옛저택, 발명왕 에디슨이 그에게 보내 준 축음기에서 톨스토이의 육성을 들을 수 있습니다.

<녹취>톨스토이 육성(에디슨 축음기로 녹음) : "아이들아 너희들에게 좋을 일이 있을 거야. 내가 세상에 없어도 이 노인이 하는 얘길 항상 기억해라. 안녕."

톨스토이의 집은 그의 흔적을 찾으려는 손님들로 항상 붐빕니다. 그가 태어난 침대 겸용 소파, 바로 그 앞의 소박한 책상에서 전쟁과 평화, 안나 까레리나, 부활과 같은 주옥같은 명작들을 탈고했습니다. 무려 15개 언어에 능통했던 톨스토이의 서재에는 영어와 독일어뿐 아니라 일본어 서적까지 눈에 띕니다.

백 년 전에도 그의 집은 찾아오는 손님들로 넘쳐났지만 톨스토이는 말년에 화려한 생활을 뒤로 하고 늘 혼자 사색하고 고민했습니다. 60대에 들어서 톨스토이는 그의 과거의 문학 업적까지 부정하며 성서 연구에 전념합니다. 궁극적인 삶의 의미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농노와 서민들의 삶을 어떻게 구제해야 할 지가 그의 최대 고민이었습니다. 농민 자녀를 위한 학교를 열고 그가 가진 땅과 재산을 농민들에게 나눠주려는 시도까지 합니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는 부인과 끊임없는 불화를 겪다 마침내 82살의 나이에 집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인터뷰>나탈리아(톨스토이 저택 안내위원) : “톨스토이는 화려한 저택 생활을 견딜 수 없어 평범한 자유의 생활을 찾아 떠납니다.”

톨스토이의 가출에 러시아뿐 아니라 온 세계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가출 후에도 그의 행방을 추정하는 글이 러시아와 유럽 신문의 머리기사를 장식했습니다. 쫓기듯 남쪽을 향해 여행하던 톨스토이는 곧 폐렴에 걸려 기차 여행을 중단하고 아스타파바의 역장 집에서 머물다 끝내 숨을 거두고 맙니다. 톨스토이가 마지막 남긴 말은 "진리를 사랑한다." , 그가 막내딸에게 미리 작성한 유서에는 출판권을 딸에게 넘기되 저작권료를 받지 말고 책을 출판하라는 간절한 부탁이 남아 있습니다.

톨스토이가 사망한 지 3일째 되던 날, 그의 유해는 열차편으로 고향 야스나야폴랴나로 돌아왔습니다. 서민들로부터 유리된 러시아 정교회의 권위주의에 반대하다 교회로부터 파문당했고, 반국가주의적 사상 때문에 제정 러시아로부터도 철저히 감시당했던 톨스토이, 그러나 그의 죽음엔 많은 사람이 함께했습니다. 톨스토이를 따르던 사람들이 그의 관을 메고 나섰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은혜를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글귀가 적힌 플래카드도 함께했습니다. 당시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6천여 명, 군중집회를 염려해 러시아 정부가 야스나야폴랴나로 가는 기차편 운행을 중지했지만 많은 서민이 그의 마지막 길을 동행했습니다.

톨스토이의 묘지는 유언대로 아주 소박하고 꾸밈없이 그의 저택 안 한 오솔길 귀퉁이에 마련됐습니다.

그로부터 정확히 백 년 뒤, 톨스토이를 그리워하는 문인 등 예술인들과 러시아 대중들이 그의 집을 찾았습니다. 톨스토이 서거 백주년을 추모하는 정부의 공식 행사는 없었지만 대신 조촐한 기념식이 마련됐습니

<인터뷰>블라지미르(톨스토이 박물관장/톨스토이 고손자) : "이 기념일에 모두가 톨스토이가 남긴 유산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사람들은 무덤 앞에 꽃을 놓으며 러시아가 낳은 위대한 영혼을 추모했습니다.

<인터뷰>마리야(툴라 시민) : "톨스토이의 깊이와 영원함이 마음에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이타카바시(일본 대학교수) : "(톨스토이는)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자연과 땅의 작가입니다."

젊은 시절 주체할 수 없는 욕망과 도박에 탐닉했으나 말년에는 서민을 향한 사랑과 청빈의 삶을 추구했던 톨스토이. 그 인생 자체가 모순 덩어리였지만 그 모순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 순수한 작가이자 위대한 사상가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쿠라예프(톨스토이문학상(삼성전자 후원) 수상자) : "톨스토이는 자신의 삶을 통해 순수한 정신을 내보인 작가이자 철학자이며 또 성직자입니다."

톨스토이의 직계 고손자인 블라지미르 톨스토이 박물관 관장은 할아버지에 대해 조심스럽게 평가합니다.

<인터뷰>블라지미르(톨스토이 박물관장/톨스토이 고손자) : “톨스토이는 심리 깊은 곳을 파고들어 인간의 죽음, 종교, 가족생활 등 사람을 괴롭히는 문제에 대해 썼습니다.”

무소유와 서민을 향한 사랑을 강조했던 톨스토이의 철학과 사상은 그의 문학적 유산을 넘어 지금까지 러시아인과 세계인들에게 큰 감동으로 남아 있습니다.

82살에 떠난 자유를 향한 또 다른 구도 여행, 몸은 비록 움직일 수 없게 됐지만 톨스토이의 자유로운 영혼과 정신의 여정은 오늘도 사람들 가슴 속에 살아 있습니다.



<녹취>톨스토이 녹취 : "만일 인생이 육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신에 있다는 것을 안다면 죽음과 육신의 고통에서 자유로와 질 것입니다."

新しき村 - Wikipedia



新しき村 - Wikipedia



新しき村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新しき村の入口

一般財団法人新しき村(あたらしきむら)は、埼玉県入間郡毛呂山町にある共同体


目次
1歴史
2新しき村の精神
3施設
4参考文献
5脚注・出典
6関連項目
7外部リンク
歴史[編集]

1919年頃の新しき村

入植当初の小屋

武者小路実篤とその同志により、理想郷を目指して1918年大正7年)、宮崎県児湯郡木城町に開村された。

1938年昭和13年)にダムの建設により農地が水没することになったため、1939年(昭和14年)に一部が現在の位置(「東の村」)に移転し、残りは日向新しき村(ひゅうがあたらしきむら)として存続した。

第二次世界大戦終了時には1世帯のみとなっていたが、入村者が増え、1948年(昭和23年)に埼玉県から財団法人の認可を受け、1958年(昭和33年)にはついに自活できるようになった。

この村はただ生活するためのものではなく、精神に基いた世界を築く目的で開村されている。階級格差や過重労働を排し、農業(稲作や椎茸栽培など)を主とした自給自足に近い暮らしを行う。労働は「1日6時間、週休1日」を目安とし、余暇は「自己を生かす」活動が奨励される。三食と住居は無料だが、私有財産を全否定しているわけではなく、毎月3万5000円の個人費が支給される。

近年、村内の高齢化が進み、平均年齢は60歳を超えた。鶏卵の値下がりや人手不足で養鶏を止めるなど農業収入の低迷もあり、村の運営が困難になってきている。過去の積立金を取り崩して赤字を補填している[1]2013年時点の村内生活者数は13人。村外会員は約160人ほど。2018年時点では宮崎で3人、埼玉で8人が暮らしている[2]

村の存続を願う村外会員らが「日々新しき村の会」を2018年8月発足させた[3]
新しき村の精神[編集]

一、全世界の人間が天命を全うし各個人の内にすむ自我を完全に成長させることを理想とする。

一、その為に、自己を生かす為に他人の自我を害してはいけない。

一、その為に自己を正しく生かすようにする。自分の快楽、幸福、自由の為に他人の天命と正しき要求を害してはいけない。

一、全世界の人間が我等と同一の精神をもち、同一の生活方法をとる事で全世界の人間が同じく義務を果たせ、自由を楽しみ正しく生きられ、天命(個性もふくむ)を全うする道を歩くように心がける。

一、かくの如き生活をしようとするもの、かくの如き生活の可能を信じ全世界の人が實行する事を祈るもの、又は切に望むもの、それは新しき村の会員である、我等の兄弟姉妹である。

一、されば我等は国と国との争い、階級と階級との争いをせずに、正しき生活にすべての人が入る事で、入ろうとすることで、それ等の人が本当に協力する事で、我等の欲する世界が来ることを信じ、又その為に骨折るものである。
施設[編集]

公会堂兼食堂(580m²)、新しき村美術館(250m²)、生活文化館(200m²)、小集会場、アトリエ、茶室、住宅、作業場、畜舎等88棟。生活文化館は年中無休で無料公開している。



公会堂兼食堂



新しき村美術館



生活文化館



売店



茶畑
参考文献[編集]
『新しき村の説明及び会則』(2版) 新しき村東京支部、1919年。NDLJP:916768
脚注・出典[編集]

^ 「人間らしく」追求100年/武者小路実篤の「新しき村」3食と住居提供■一定の労働以外自由/埼玉・諸山に今も 住民減り、存続に危機感東京新聞』夕刊2018年11月6日(社会面)2018年11月7日閲覧。
^読売新聞』朝刊2018年10月30日「実篤の理想郷100年展」(都民版)。調布市立武者小路実篤記念館での、新しき村創立100周年記念特別展「新しき村の100年」(2018年10月20日~12月9日)紹介記事。
^ ■ルポ「新しき村」100年(下)存続へ知恵絞る村外会員『読売新聞』朝刊2018年11月20日(文化面)。
関連項目[編集]
ウィキメディア・コモンズには、新しき村に関連するカテゴリがあります。

ユートピア
レフ・トルストイ
空想的社会主義
集団農場
白樺派
武者小路実篤
城米彦造
羅須地人協会
コミューン
上條勝久
石川静
渡辺修渡舟
津江市作
外部リンク[編集]
一般財団法人新しき村
新しき村・武者小路実篤記念美術館
新しき村
カテゴリ:
一般財団法人
毛呂山町
木城町
空想的社会主義
日本の社会主義
村落共同体
武者小路実篤

[빈섬 이상국의 알바시네]예수가 재림한다면 믿겠습니까, 넷플렉스 영화 '메시아' - 아주경제



[빈섬 이상국의 알바시네]예수가 재림한다면 믿겠습니까, 넷플렉스 영화 '메시아' - 아주경제


요르단에서 상영 금지 요청…무엇이 문제였나


[영화 '메시아'의 한 장면.]


'종교란 무엇인가' 묻는 영화

넷플릭스 영화 '메시아' 시즌1 10편을 본 뒤, 무엇인가 기록을 남기고 싶었으나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다. 지금 신문(아주경제)에 연재하고 있는 '다석 류영모 시리즈'의 주제들과 메시지가 겹치면서, 영화가 표현하고 있는 것들이 복잡한 울림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20세기 벽두의 동서양 문명충돌 속에서 1800년된 기독교의 급속한 동방 전파가 이뤄졌고, 일본의 우치무라 간조와 조선의 다석 류영모, 러시아의 레프 톨스토이는 동양적인 지혜와 안목으로 기독교의 심각한 변질을 읽어냈다. 톨스토이의 통일복음서에서 신선한 충격을 받은 류영모는, 우치무라의 동양적(일본적) 기독교의 실천에서 영감을 받으면서, 이 종교의 본질을 회복하면서 신성에 대한 심오한 확장을 이뤄낸다. 동양적 성찰과 예지가 서양기독교를 거듭나게 한 것이다.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메시아(Messiah)는 구세주란 뜻으로 쓰이지만, 신약성서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말하며 구약에서는 예지를 지닌 이스라엘왕을 뜻한다. 영화 촬영을 허락한 요르단 왕립영화위원회는 작품을 내놓기 이틀 전에 영화내용을 확인한 뒤 요르단에서의 스트리밍을 자제해줄 것을 넷플릭스에 요청했다. 종교의 신성함을 침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서 요르단의 법규를 위반할 수 있다는 설명을 붙였다.

허구의 내용이라고 밝힌 영화가 이렇듯 종교국가의 난색을 불러일으킨 것은, 영화가 내놓고 있는 질문인 '종교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 영화는 '메시아'처럼 행동하는 이란 출신의 남자 '알마시히(메흐디 데흐비 역, 알마시히는 메시아란 뜻으로 그를 따르는 대중이 붙인 별칭이다)'의 정체에 대한 의문이 긴장을 자아낸다. 그는 과연 메시아인가. 사람들 가운데에는 그를 메시아로 인정하는 이가 있고, 부정하는 이가 있다.



[영화 '메시아'의 한 장면.]

물위를 걷는 기적, 예수를 떠올리다

영화 속의 군중들이 바라보는 관점들이 있지만, 영화 밖에서 그를 바라보는 관객들의 관점도 있다. 영화 밖의 관객이라면, 영화 감독이나 작가의 생각을 기웃거리려 하거나 영화의 시나리오나 영화가 추구하는 의미를 짐작해보려할 것이다. 처음엔 별로 믿음이 가지 않았던 알마시히가 갈수록 메시아의 심증을 높이는 건, 곳곳에서 보여준 초인적인 능력 때문이다.

우선 미사일 폭격을 앞둔 시리아에서 군중들에게 겁없이 설교를 펼치며 기적의 모래폭풍으로 전쟁을 물리치는 이적이 이뤄졌고, 군중이 모인 한복판에서 총을 맞은 아이가 되살아나는 기적이 있었고, 중동에서 미국으로 순간을 이동을 했고, 토네이도 속에서 교회 하나와 소녀를 구했으며, 사람들 앞에서 물 위를 걸어 보였다. 처음 보는 사람의 이름과 행적을 알고 있었으며, 격추된 비행기 속에서도 멀쩡하게 살았을 뿐 아니라, 이미 추락사한 사람도 살려냈다.

영화는 이런 기적들을 섣불리 믿지 못하도록, 그를 추적하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 반론을 제기한다. 그가 마술을 터득한 사람으로 자신을 메시아로 착각하는 정신적 '장애'를 겪어온 과거가 그의 형을 통해 드러나기도 하고, 그가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기적을 흉내내서 사회혼란을 꾀하려는 '신종 영성 테러리스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흘린다. 그의 '테러'의 최종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높여놓기도 한다.



[프랑코 제퍼렐리 영화 '나자렛 예수'(1977).]

신은 인간에게 기적을 보여 설득할 이유가 없다?

알마시히의 기적들을 눈으로 보며, 사람들은 메시아의 재림을 확신하고 그를 따르는 사람들의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이 대목은, 현재의 대중이 '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예수 시대의 기독교가 어떻게 전파될 수 있었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톨스토이와 류영모는, 신이 '기적(초자연적인, 초인간적인 행위나 사건)'을 통해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증명하고자 했다는 것은 전혀 기독교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성서에 등장하는 기적은, 후세의 인간들이 신의 힘과 존재를 좀더 강력하게 믿고 의지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한 '특수장치'같은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예수는 결코 기적을 행하지도 않았고, 기적으로 신앙을 끌어모으려 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신은 자신의 '초능력'을 보여줄 필요가 없는 존재다. 오직 인간에게 자신의 메시지인 '극기와 사랑'을 전파하기만 했으며, 그 자연스럽고 순수한 메시지로만 인간은 신을 따라 나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신의 뜻이었다.

신이 인간을 놀라게 하기 위해 '초능력'을 보이는 일은, 극히 인간적인 발상들이 조잡하게 '가필'된 결과라는 것이다. 류영모는 신은 '절대적 세계'의 절대적 존재이기 때문에, 상대세계에 숨쉬고 있는 인간이 동일한 '존재'로 만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허황된 것이라는 입장에 선다. 하느님은 '없이 계시는' 존재라고 그는 표현한다. 신과 인간이 만나는 것은 절대세계에 들어서는 그 순간이라고도 한다. 깨달음 또한 그 지점에서 온다고 주장한다.


'영성'을 무기로 삼는 테러리스트가 될 때 더 끔찍

영화 '메시아'는 성서에 기록된 기적들을 연상케 하는 초능력을 보여줌으로써 대중이 오랫동안 잘못 지녀온 절대자에 대한 왜곡된 믿음들을 재현해 보여준다. 인간이 지니고 있지 않은 초능력을 가진 존재는 신이 되는가. 신이라고 믿을 수 있는가. 이런 질문까지 덩달아 던진다. 기적을 보여준 존재라도 인간을 궁극적으로 구원하는 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또다른 확인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기적을 행하는 존재라 할지라도 영화가 암시하고 있는 것처럼 '영성'을 무기로 한 더 끔찍한 테러리스트가 될 수도 있다.

알마시히는 예수의 풍자인가 조롱인가 재림인가. 영화 속의, '믿음에 대한 혼란'들은 이 수상하고 대단한 남자가 신인지 아닌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다. 알마시히의 능력이 눈속임이나 가짜여서 그런 것도 아니다. 이 메시아가 '예수'가 보여준 '사랑'의 기적을 품고 왔느냐, 그 사랑의 힘으로 영성의 파탄지경에 이른 인간들을 다시 일으켜 새로운 믿음으로 거듭 나게 할 수 있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그가 전직 사기꾼으로 밝혀졌다 하더라도, 그 내면에 성서의 산상수훈에서 말했던 신의 메시지들이 흘러나온다면 그는 메시아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레프 톨스토이.]

(알마시히가 진짜 예수로 재림할 수 있는)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박홍규 옮김, 2016. 들녘출판사) 고 말한 이는 톨스토이다. 그가 가장 이 영화의 본질과 결말을 잘 알고 있는 사상가인지 모른다.

이상국 논설실장

김정형의 100년의 기록 100년의 교훈


김정형의 100년의 기록 100년의 교훈

2017년 09월 08일 (금) 02:10:03 김정형 webmaster@newsmaker.or.kr

미당 서정주 시집 전20권 완간

은행나무 출판사(대표 주연선)가 5년 작업 끝에 마무리 지은 ‘미당 서정주 전집’은 시 950편을 비롯해 시론(詩論)·수필·여행기·평전·소설·희곡 등 시인이 남긴 원고 대부분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은 것이다. 미당이 발표한 1000여 편의 시 중에서 시집에 실은 것들만 전집에 수록했다. 편집위원회(이남호·이경철·윤재웅·전옥란·최현식)는 “미당이 발표해 놓고 시집에 넣지 않은 시 중 빼어난 작품이 적지 않지만, 시인의 뜻을 존중해 전집에 넣지 않았다”며 “논란이 된 친일시 4편도 기존 시집에 없던 것이므로 빠졌다”고 설명했다. 편집위원회는 미당의 업적에 대해 “겨레의 말을 잘 구사한 시인이요, 겨레의 고운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한 시인”이라고 규정했다. <조선일보 2017년 8월 22일>




“시의 정부(政府)”, “큰 시인을 다 합쳐도 미당 하나만 못하다”, “그가 만지거나 느끼는 것은 모두 시”, “단군 이래 최고 시인”, “그의 시에 이르러 한국 현대시가 독자적인 시어를 가지게 되었다.” 도대체 이런 찬사를 받는 문인이 또 있을까. 서정주(1915~2000)는 우리 민족의 정서를 가장 잘 노래한 서정시의 최고봉이자 문단의 큰 별이었다. 한때 교과서에 그의 시가 10편이나 실릴 정도로 국민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국민 시인’이었다.

서정주는 전북 고창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 서울의 중앙고보에 입학했다. 그러나 2학년이던 1930년 광주학생운동 1주년 기념 시위를 주동한 혐의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아 학교를 떠나야 했다. 1931년 고향의 고창고보에 편입했으나 그마저도 자퇴하는 등 학교 생활은 평탄치 않았다.

1933년 가을 일본의 톨스토이주의자 하마다 다쓰오가 서울 도화동에 세운 빈민굴에서 잠시 넝마주이를 하는 등 방황기를 보내고 있을 때 박한영 대종사가 그를 문하생으로 받아들였다. 박한영은 안암동 개운사 뒤 대원암에서 서정주에게 불교 경전을 가르치다가 시인이 될 재목임을 간파하고 중앙불교전문학교(동국대 전신)에 입학시켰다. 이때도 서정주는 1년 만에 학교를 그만두었다.

서정주는 1935년 ‘시건설’지에 ‘스물 세햇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로 널리 알려진 시 ‘자화상’을 발표함으로써 시인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1936년 1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고 그해 11월 김광균, 김달진, 김동리 등과 함께 창립한 ‘시인부락’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향토적이고 본능적인 생명력을 노래하는 시 세계를 구축했다. 대표작 ‘화사’가 실린 것도 시인부락 2호였다. 그의 시 작업은 1930년대를 풍미한 김기림·이상 등의 모더니즘은 물론 1920년대 감상적이고 낭만적인 시적 경향과도 일정한 거리를 두었다는 점에서 독보적이고 선구적이었다.




한때 교과서에 그의 시가 10편이나 실릴 정도로 국민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국민 시인’







▲ 미당 서정주1941년 2월 10일 발간한 첫 시집 ‘화사집’은 “주체할 수 없는 젊음을 원색적 언어로 토해내고 악마적 관능의 세계를 파고들었다”는 평가를 그에게 선사하며 ‘한국의 보들레르’란 별칭을 안겨주었다. 문학청년 윤동주가 밤새워 베꼈다는 ‘화사집’에는 표제시 ‘화사’를 비롯해 ‘자화상’ 등 모두 24편의 시가 수록되었다. 지금도 전 국민이 애송하는 시의 하나인 ‘국화 옆에서’는 1947년 11월 9일자 경향신문에 발표되었다.

해방 후 서정주는 극심한 좌우 대결 속에서 순수문학을 내걸고 당시 문단을 주도한 좌파의 조선문학가동맹과 맞섰다. 그의 시적 경향은 6·25 전쟁 후 반공 국시가 더욱 강화되면서 남한 문학사의 주류로 자리 잡았고 이후 교과서에 다수 작품이 수록됨으로써 국민의 보편적 정서에도 상당히 깊숙한 영향을 미쳤다.

서정주는 말년까지 숱한 명시를 남긴 영원한 현역 시인이었다. 첫 시집 ‘화사집’으로부터 시작해 ‘귀촉도’(1948), ‘서정주 시선’(1956), ‘신라초’(1961), ‘동천’(1968), ‘질마재 신화’(1975) 등을 거쳐 1997년 마지막이자 15번째 시집 ‘80 소년 떠돌이의 시’까지, 시집으로는 15권, 편수로는 미발표작까지 합쳐 1,000여 편의 시를 쓰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이 같은 다작은 국내에도 유례가 없고 외국에서도 독일의 괴테나 헤르만 헤세 정도가 있을 뿐이다.




도대체 이런 찬사를 받는 문인이 또 있을까




서정주는 이렇게 시로 일가를 이뤘으나 틈만 나면 끝없이 새 길을 찾아 나섰다. ‘세계 문인 중에서 가장 여행을 많이 해본 사람’임을 자처할 정도로 세계 구석구석을 찾아다녔으며 70대 후반에는 러시아로 잠시 유학을 떠났다. 기억력 감퇴를 막기 위해 세계의 산 이름 1,625개를 매일 아침마다 외우기도 했다. 서정주는 지금까지 해외에 번역된 한국문학 자료 중 가장 많은 나라의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된 기록을 갖고 있다. 노벨문학상 후보로도 여러 번 추천되었다.

“소설에 김동리, 시에 서정주”라는 격찬을 들었지만 그에게는 일제와 독재 권력 주변을 맴돌며 훼절한 문인이라는 비판의 그림자도 드리워져 있다. 1943년 9월 친일 성향의 출판사인 ‘인문사’에 들어가 친일색이 농후한 문학지 ‘국민문학’의 편집 일을 도우며 모두 11편의 시, 수필, 소설, 종군기 등을 발표하고 1981년 2월에는 민정당 대통령 후보 전두환을 지지하는 TV 연설을 했다.

서정주는 1992년 월간 ‘시와 시학’에 “국민총동원령의 강제에 따라 징용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 친일문학을 썼다”며 친일 사실을 솔직히 인정하고 참회했으나 후배들의 따가운 비판은 멈추지 않았다. 서정주의 추천으로 등단하고 서정주를 ‘시의 정부’라고 치켜세우던 고은 역시 “세상에 대한 수치가 결여된 체질”, “실존적 자아의식이나 근대적 역사 사고와는 동떨어져 있다”며 스승의 삶과 시를 총체적으로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착 정서로 쌓아올린 그의 시적 성취는 이러한 굴절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친일의 흠결을 덮고도 남을 만큼 좋은 시를 남겼다”며 존경을 바치는 문인도 많다. 서정주는 2000년 12월 24일 사람들 가슴에 한 송이 국화꽃을 피워놓고 눈을 감았다. 평생을 오누이처럼 해로하던 부인이 별세한 지 2달여 만이었다. 소설가 이문구는 이렇게 조사(弔詞)를 낭독했다. “그 이상의 무엇을 요구하는 것은 예컨대 오답을 유도하거나 위답을 기대하는 뒤틀린 심사와 무엇이 다르겠나. 어여튼 한 잔 따라 올리겠다.”







■신돌석, 최신예 잠수함 ‘신돌석함’으로 부활

구한말 평민 의병장으로 항일 무장투쟁에 앞장섰던 신돌석 장군이 해군의 1800톤급 최신예 잠수함으로 부활해 대한민국의 영해를 지키게 됐다. 해군은 8월 14일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한제국 당시 평민 출신 의병장으로 무장 항일운동을 활발히 펼쳤던 신돌석 장군의 애국심을 기리고 국민 안보의식 고취를 위해 새로 건조 중인 214급 잠수함 9번함의 함명을 ‘신돌석함’으로 명명했다. 신돌석함은 대함전과 대잠수함전, 공격기뢰부설 임무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적의 핵심시설에 대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국산 순항미사일을 탑재한다. <뉴스1 2017년 8월 14일>







▲ 신돌석 장군 기념관 안 충의사에 있는 초상화신돌석(1878~1908)은 30년의 짧은 인생을 살면서도 항일 무력투쟁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후기 의병운동의 대표적 인물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 시대 다른 의병들과 달리 홍길동이나 전우치처럼 온갖 신화의 주인공으로 각인되어 있다는 점이다. 축지법을 쓰고 전신주를 뽑아 일본군을 쳐 죽였다는 등의 무용담도 신돌석에게서만 발견되는 특징이다. 더구나 그에 관한 기록이 많지 않다 보니 그저 바람결처럼 입으로 전해지는 것이 많다.

신돌석은 경상도 영해도호부 남면 복평리 정신곡, 지금의 주소로는 영덕군 축산면 도곡동에서 태어났다. 선조 중에는 양반에 해당하는 향리가 적지 않았으나 점차 가세가 기울고 직책을 받지 못해 신돌석이 태어날 무렵에는 평민 신분으로 전락했다. 다행히 부친이 적당한 재산을 갖고 있어 신돌석은 양반가 서당에서 글을 배우고 양반들과 교류했다.

신돌석은 18살이던 1896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는 전기 의병운동이 전국적으로 펼쳐졌을 때 고향의 영덕 의진(義陣·의병부대)에 참가했다. 1897년 7월 관군을 상대로 벌인 남천쑤(남천숲) 전투에도 참전, 영덕 의진이 대승을 거두는 데 일조했다. 이후에도 간헐적인 전투에 참가했으나 1897년 말 의병이 해산하자 이후 10년간 전국을 방랑하며 지사들과 교유하고 세상 돌아가는 형세를 살폈다. 이 가운데는 1908년 서울 진공작전을 주도한 의병대장 허위의 제자로 훗날 대한광복회를 조직한 박상진, 전기의병 당시 유인석 의진의 유격장으로 용맹을 떨친 이강년, 1907년 군대해산 후 원주 진위대 장병을 이끌고 의병항쟁을 수행한 민긍호 등이 있었다.




항일 무력투쟁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후기 의병운동의 대표적 인물




신돌석은 1906년 4월 경북 영덕에서 자신의 의병을 조직함으로써 후기 의병사에 길이 빛나는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신돌석은 의병 이름을 ‘영릉(영해·강릉)’이라고 짓고 영릉의병장을 자처했다. 신돌석의 의진에는 가족들도 참가했다. 비교적 살림이 넉넉했던 부친은 가산을 처분해 아들을 지원하고 매형은 의병 활동 중 체포되어 곤란을 겪었으며 처남은 신돌석 의진의 도영장으로 청송 전투에 참가했다가 순국했다. 신돌석의 동생은 형의 순국 후 원수를 갚으러 나섰다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영릉 의진은 평민 출신 의병장에 일부 양반이 참가했다는 점에서 다른 의진들과 달랐다. 구성원은 대부분 농민이었으나 보부상, 어민, 동몽(남자아이), 전직 주사, 참봉, 사족, 유생 출신도 있었다. 유교적 지배 질서 사회에서 평민 출신 지도자가 탄생한 것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신돌석은 먼저 영해 부근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을 격파했다. 뒤이어 일본의 전초기지로 육성되고 있던 울진을 목표로 삼아 모두 4차례 공격해 때로는 패배하고 때로는 성공했다. 이후 영양과 울진 관아, 영해읍과 영덕읍을 공격하며 세를 과시했다. 1906년 11월에는 이강년 의병부대와 연합작전을 벌여 영주와 순흥을 공략했다. 활동 무대는 남으로는 경상도 영덕, 포항, 경주 접경지, 북으로는 강원도 삼척 남부, 서로는 일월산에서 영양을 거쳐 청송에 이르기까지 경상북도 전역을 포괄했다.

신돌석 부대는 200~300명 단위로 작전을 펼쳤다. 잠자리는 주로 촌락의 민가를 사용했으며 물자가 풍부하고 활동 반경이 넓었다. 무기는 화승총이 주류를 이뤘으나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양총도 보유했다. 주요 공격 대상은 영양·진보·청송·울진·평해·영해·영덕 등지의 관아였으나 때로는 일본이 장악했거나 일본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경무서와 우편소 등을 습격했다. 일본 어부나 수산업자들도 공격 목표의 하나였다. 백두대간의 일월산과 백암산을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고 동해안의 울진, 평해, 영덕 등지를 오르내렸다.

이인영이 1907년 12월 경기도 양주에서 전국의 의병 연합부대인 ‘13도 창의대진소’를 결성했을 때는 교남(경상) 창의대장으로 발표되었으나 신돌석이 양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근거지에서 계속 전투를 벌여 한 달 뒤에는 다른 의병장으로 교체되었다.




유교적 지배 질서 사회에서 평민 출신 지도자가 탄생




이렇게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던 신돌석 의진의 활동 범위가 현격히 축소된 것은 1907년 말 시작된 ‘신돌석 생포 작전’의 여파였다. 일본 경찰은 골짜기를 누비면서 의병 용의자들을 색출하고 의병과 주민 사이의 연결 고리를 잘라버려 신출귀몰하는 신돌석을 압박했다. 1907년 말 일제가 발급한 ‘면죄문빙(免罪文憑·귀순자의 죄를 면하는 증서)’과 1908년 6월 만들어진 헌병 보조원 제도는 결정타였다.

일제는 1908년 9월 무뢰한으로 구성된 4,000여 명의 보조원을 선발해 헌병·경찰과 함께 활동하게 했는데 이들은 특정 지역의 지리, 친인척 관계 및 활동 양상까지 훤하게 꿰고 있어 의병에겐 매우 위협적인 존재였다. 결국 신돌석 의진에서도 투항자가 나타나 신돌석은 기동력을 이용한 유격전 양상으로 전술을 바꿔야 했다. 부대 규모는 100명 이하로 줄어들었고 숙식은 거의 산중 요새에서 해결했으며 힘겨운 산악 행군도 잦아졌다.

그래도 신돌석은 여전히 일본군에겐 골치 아픈 존재였다. 일경은 수차례나 집중적인 토벌 작전을 펼쳐 의진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다고 보고하면서도, 보고서마다 ‘귀신같이 움직여서 토벌할 수 없었다’는 구차한 변명을 빼놓지 않았다. 결국 일제는 신돌석 생포 작전에 실패하자 회유책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피신해 있던 신돌석의 아내와 3살 난 아들을 찾아내 한 달 동안 후하게 대접한 뒤 서신을 딸려 신돌석에게 보냈다. 신돌석은 “어찌 죽지 않고 왔느냐”고 일갈하고는 편지를 펴보지도 않고 불 속에 던져버렸다.




그저 바람결처럼 입으로 전해지는 것이 많다.




1908년 후반기에 들면서 전국적으로 의병 투항자가 급증했다. 신돌석의 부하도 예외가 아니었다. 곧 닥칠 혹한도 큰 부담이었다. 1906년 겨울은 무기를 숨겨두고 일시적으로 해산해 견뎠고 1907년 겨울은 대규모 부대를 이끌면서 두 차례의 토벌 작전으로 극복했지만 1908년 겨울은 그 전과 너무나 다른 상황이었다. 보급도 갈수록 어려워져 더 이상 버틴다면 남은 부하들의 희생만 가져올 뿐이었다. 결국 신돌석은 1908년 10월 몇 명의 인원만 남기고 모두 살길을 찾아 떠나도록 명령했다. 자신은 만주로 갈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신돌석은 12월 11일 밤 9시 무렵 영덕군 북면 눌곡(현 지품면 눌곡)으로 가 과거 자신의 부장이던 김도윤(김상렬로도 불림)과 그의 형 김도룡(김상근으로도 불림)을 만났다. 그런데 며칠 후 일본 경찰이 “신돌석이 12월 12일(음력 11월 19일) 새벽 1시 무렵 살해되었다”고 발표했다.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신돌석이 1908년 8월 귀순한 김도윤을 회유하는 과정에서 형 김도룡과 언쟁이 벌어지자 김도윤이 돌로 신돌석의 뒤통수를 내리쳐 죽였다는 것이다. 그 무렵 한국인이 작성한 기록물에는 김도윤 형제가 현상금을 타낼 목적으로 신돌석을 취하게 한 후 살해한 것으로 나와 있지만 현장을 조사한 일본 측 기록이 더 신뢰를 받고 있다. 김도룡은 체포되고 김도윤은 도주했다.

신돌석의 시신은 12일 오후 6시 30분 영덕으로 옮겨졌고 신돌석 부하들의 확인을 거쳐 신돌석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시신은 신돌석의 집 뒷산에 매장되었다가 1971년 서울 국립묘지로 이장되었다. NM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톨스토이와 평화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톨스토이와 평화



톨스토이와 평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교실 03

톨스토이와 평화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성자(聖者)인가, 전사(戰士)인가!

- 톨스토이의 숨겨진 면모를 ‘평화’와 ‘동아시아’를 키워드로 살펴보다







§ 이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톨스토이, 즉 사랑과 용서, 무소유, 무저항, 도덕적 수양을 설교하는 성자 톨스토이의 후광에 가려진 ‘전사 톨스토이’의 모습, 즉, 탈국가, 탈민족을 외치던 근대의 이단아, 적그리스도라 불릴 정도로 파격적인 신앙을 설파하며 기성 권력과 맹렬히 싸운 톨스토이, 그 결과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하고, 비밀요원에게 끊임없이 감시당하고, 혹독한 검열로 생애 후반기 자기 땅에서 어느 책 하나 온전히 출판할 수 없었던 ‘저항자 톨스토이’의 모습을 ‘평화’를 키워드로 살펴본다.

또 톨스토이의 이러한 평화사상이 근대 (동)아시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1) ‘힌두 톨스토이’ 간디, 2) 류스페이 등 중국의 혁명적 아나키스트, 3) ‘일본 톨스토이’ 도쿠토미 로카, 고토쿠 슈스이 등 일본의 반전평화주의자/사회주의자, 4) 최남선, 이광수 등 톨스토이를 숭배했던 근대조선의 애국계몽 지식인과의 관계 속에 해부한다.

§ 이 책이 전해주는 새로운 톨스토이의 모습은 그를 도덕 타령, 사랑 타령이나 하는 고리타분한 성인군자로만 알고 있던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던진다. 또 그의 ‘절대평화주의’의 불온함은 익숙하다 못해 진부해진 평화의 규범성, 상투성을 뒤흔들며 평화에 대해 깊이 돌아보고 사색하게 만든다.

§ 이 책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평화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고자 기획한 대중적 평화입문서 ‘평화교실’ 시리즈 세 번째 책으로 출판되었다.









■ 저 자 : 이문영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 분 야 : 사회과학

■ 발행일 : 2016년 5월 31일

■ 페이지 : 240쪽

■ 판 형 : 135mm ✕ 200mm

■ 가 격 : 13,000원

■ ISBN : 979-11-86502-51-8 94300

■ 문 의 : 02)735-7173





■ 출판사 서평



노벨상 후보에 20번이나 오른 톨스토이... 그런데 왜 그는 노벨상을 받지 못했을까?

세계 문학사에 길이 남을 걸작을 쓴 천재 작가이자, 농민 계몽, 빈민 구제, 사형제 폐지나 반전 활동 등을 통해 인류애를 몸소 실천한 평화의 사도 톨스토이. 그는 노벨평화상에는 4번, 노벨문학상에는 자그마치 16번이나 후보에 올랐으나, 끝내 두 상 중 어느 것도 받지 못했다. 대체 왜....

그 이유는 바로 ‘교회를 부정하고, 국가를 거부하고, 사적 소유에 도전했던’ 톨스토이 사상의 과격함과 전투성 때문이었다.



우리에게 톨스토이는...

교회와 싸우고, 국가와 싸우고, 소유 제도와 싸우는 톨스토이의 모습은 사실 우리에게도 그리 익숙지 않다. 우리에게 무엇보다 톨스토이는 오드리 헵번의 『전쟁과 평화』, 소피 마르소의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검은 눈의 카추샤’가 등장하는 『부활』의 작가다. 이런 작가 톨스토이의 모습에는 어김없이 성자, 현자의 이미지가 덧씌어져 있다.

특히 2003년 MBC 교양프로그램 <느낌표>에서 『톨스토이 단편선』이 고전베스트로 뽑힌 후, “바보 이반 이야기”, “사람에겐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같은 작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톨스토이하면 사랑, 무소유, 무저항, 비폭력을 설파하는 성자의 모습이 떠오른다.



교회, 국가, 소유 제도와 싸우는 과격한 전사(戰士), 톨스토이

하지만 톨스토이는 그러한 비폭력, 사랑, 평화가 어떻게 가능하다고 말했을까. 톨스토이는 이 모든 것이 ‘악에 대한 투쟁’ 속에 가능하다고 했다. 흔히 알려진 그의 무저항주의는 악에 ‘폭력으로’ 대항하지 말라는 의미에서의 무저항인 것이지, 결코 악에 대한 투쟁을 포기하라는 수동적인 무저항이 아니었다.

톨스토이는 인간에 대한 인간의 폭력을 제도화하는 국가, 인간에 의한 인간의 노동 착취를 합법화하는 경제 질서, 그리고 그러한 폭력을 신의 법칙으로 정당화하는 기성 종교 등을 만악의 근원으로 여겼다. 이에 따라 그는 당시 러시아 차르 정부, 군대, 경찰, 사법기관, 농노제나 자본주의 소유 구조, 그리고 러시아 정교회와 평생에 걸쳐 간단없이 가열차게 싸웠다.



애국․민족의 시대에 톨스토이는 왜 탈국가, 탈민족을 부르짖었는가?

뿐만 아니라, 그는 애국심과 민족주의를 전쟁이라는 최고의 악을 초래하는 근원으로 매섭게 질타했다. 그의 저 유명한 ‘러일전쟁 비전(非戰) 팜플렛’은 이런 맥락에서 탄생한 것이다. 자연히 톨스토이는 보수 극우세력은 물론, 민족주의자나 자유주의자, 사회주의자 모두와 불화했을 뿐 아니라, 당대 국제 평화주의자들에게조차 제대로 이해받지 못했다.

제국주의 열강, 피식민국가 할 것 없이 온 세계가 애국주의, 민족주의의 열기에 휩싸여 있던 당시, 오히려 탈국가, 탈민족에서 평화의 길을 찾은 톨스토이의 혜안은 초국가와 탈경계가 대세가 된 21세기의 우리들에게 어떤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을까...



절대 평화주의자 톨스토이, 그 위험한 매력...

톨스토이의 유토피아는 국가로 대표되는 모든 제도화된 폭력의 거부 위에, 나아가 정당방위로서의 개별적 폭력조차 허용하지 않는 견결한 비폭력주의에 기반한다. 이러한 절대적 평화주의는 어떤 의미에서는 그 무엇보다 전투적이고, 따라서 불온한 평화주의로, 안전한 이상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그가 가난하고 힘없는 농민을 제외하고 자신을 둘러 싼 거의 모두와 싸워야 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톨스토이, 성자와 전사 사이...

성자 톨스토이와 전사 톨스토이. 진실은 어느 한 쪽에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에게 익숙한 성자 톨스토이는, 평화를 위해 말 그대로 ‘비타협적’으로 싸웠던 톨스토이, 저항자 톨스토이에 대한 이야기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 이야기의 출발점은 톨스토이의 지난한 투쟁이 발원하는 지점, 바로 그의 평화사상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렇게 ‘평화’를 키워드로 성자이자 전사인 톨스토이를 깊이 파헤치는 동시에, 그 사상이 근대 (동)아시에 미친 심오한 영향을 파헤친다.





■ 차 례



Ⅰ부 지금 왜 톨스토이인가



Ⅱ부 톨스토이와 평화 : 성자와 전사 사이

제1장 참회와 파문

제2장 반국가와 탈애국

제3장 톨스토이와 세계평화

제4장 The Last Station : 위대한 고통의 인간



Ⅲ부 톨스토이와 아시아 평화

제1장 톨스토이와 인도

제2장 톨스토이와 중국

제3장 톨스토이와 일본

제4장 톨스토이와 한국



Ⅳ부 두 톨스토이의 만남 : 성자와 전사





■ 책 속에서



노벨상이 톨스토이를 끝내 포용하지 못한 것도 얼핏 수긍이 간다. 당시 서유럽은 평화 보장의 기본 단위로 국민국가를 상정하고, 평화의 국제법적 기초를 국가 간 관계 속에 마련하기 위해 골몰하고 있었다. 노벨상은 당대 이러한 국제 평화의 기조에 적극 호응할 뿐 아니라, 이를 선도하는 역할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톨스토이의 가차 없는 국가 부정, 그 토대인 사유(私有)의 부정 등은 지나치게 과격하고 급진적인 것, 다시 말해 ‘건전한 이상주의’의 틀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 본문 11~12쪽

톨스토이가 ‘이단 중의 이단’이자 ‘러시아 사회를 파괴할 극도로 불온한 인물’로 파문당한 진짜 이유는 예수의 신성과 부활, 내세 등을 믿지 않고, 성찬이나 고해 등을 거부한 때문만은 아니다. 톨스토이가 교리나 형식상의 파격을 요구했던 이유는 단 하나, 그런 단순화와 절제를 통해서만 누구나 이해 가능하고 실천 가능한 예수의 가르침이 온전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럼 이렇게 쉽고 간명한 예수의 가르침이 실현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 톨스토이는 국가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국가를 교회가 정당화해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한다. 이렇게 톨스토이의 반교회론은 반국가론과 연결된다. 본문 47쪽

...이 마지막 열흘이 톨스토이라는 신화를 완성한다. 82살에 가출이라니. 불과 열흘 사이 ‘가출-발병-죽음’으로 숨 돌릴 새 없이 이어진 이 극적인 사건은 파란만장했던 톨스토이의 인생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전 세계에서 몰려든 기자들이 역 앞에 장사진을 치고, 전국에서 몰려온 추종자들이 웅성거리고, 그 와중에 48년을 함께 산 부인은 죽어가는 남편의 임종을 허락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른다. 이 난리법석은 말도 많고 탈도 많던 톨스토이의 마지막에 더 없이 어울리는 장면이다. 평생 사랑을 설교했고, 늘 평화를 소원했던 톨스토이는 한때 더없이 사랑했던 아내와의 불화로 길 위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 역설은 성자 톨스토이와 전사 톨스토이의 간극을 가장 드라마틱하게 보여준다. - 본문 113쪽

그의 탈국가 사상을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은 한 천재의 혜안으로 볼 수도 있지만, 단순히 혜안을 넘어 그것을 그 시대의 대안적 문법으로 기입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윤리적 결단’이 되고 만다. 누구도 감히 저항할 수 없는 강고한 국가주의, 애국주의, 민족주의의 흐름 속에 홀로 반국가, 반애국, 탈민족을 외치는 것은 결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일을 감행하는 것, 그 결과를 감당하는 것, 양자 모두 도저한 윤리적 결단이다. 헤아릴 수 없는 논란과 의혹과 박해 속에서, 무엇보다 고통 속에서, 톨스토이는 둘을 모두 해냈다. 그럼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에게 탈국가, 탈민족은 현상의 인식인가, 윤리적 결단인가. - 본문 216쪽



■ 저자 소개 _ 이문영

서울대학교 약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노어노문학과에서 석사를, 모스크바국립대학에서 바흐찐(M. Bakhtin)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 평화연구소, 국민대 유라시아연구소,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등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고, 현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Nostalgia as a Feature of ‘Glocalization’: Use of the Past in Post-Soviet Russia”, “형제국가들의 역사전쟁: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의 기원”, “탈경계 시대 동아시아 평화와 러시아 극동에 대한 상상력” 등 다수의 논문,『현대 러시아 사회와 대중문화』,『평화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폭력이란 무엇인가: 기원과 구조』(공저) 등의 책을 출판했다.



출처: https://www.mosinsaram.com/196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톨스토이와 평화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교실 3  
이문영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6-05-31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5138130


240쪽135*200mm312gISBN : 9791186502518
-------------

세계의 분쟁 - 평화라는 이름의 폭력들

평화와 법

함석헌의 평화론 - 협화주의적 평화인문학

다시 통일을 꿈꾸다 - 한반도 미래전략과 ‘평화연합’ 구상

평화를 걷다 - 한국현대사 평화답사기
------------------

책소개

우리에게 익숙한 톨스토이, 즉 사랑과 용서, 무소유, 무저항, 도덕적 수양을 설교하는 성자 톨스토이의 후광에 가려진 ‘전사 톨스토이’의 모습, 즉, 탈국가, 탈민족을 외치던 근대의 이단아, 적그리스도라 불릴 정도로 파격적인 신앙을 설파하며 기성 권력과 맹렬히 싸운 톨스토이, 그 결과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하고, 비밀요원에게 끊임없이 감시당하고, 혹독한 검열로 생애 후반기 자기 땅에서 어느 책 하나 온전히 출판할 수 없었던 ‘저항자 톨스토이’의 모습을 ‘평화’를 키워드로 살펴본다.

또 톨스토이의 이러한 평화사상이 근대 (동)아시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1) ‘힌두 톨스토이’ 간디, 2) 류스페이 등 중국의 혁명적 아나키스트, 3) ‘일본 톨스토이’ 도쿠토미 로카, 고토쿠 슈스이 등 일본의 반전평화주의자/사회주의자, 4) 최남선, 이광수 등 톨스토이를 숭배했던 근대조선의 애국계몽 지식인과의 관계 속에 해부한다.
----

목차
Ⅰ부 지금 왜 톨스토이인가

Ⅱ부 톨스토이와 평화 : 성자와 전사 사이
제1장 참회와 파문
제2장 반국가와 탈애국
제3장 톨스토이와 세계평화
제4장 The Last Station : 위대한 고통의 인간

Ⅲ부 톨스토이와 아시아 평화
제1장 톨스토이와 인도
제2장 톨스토이와 중국
제3장 톨스토이와 일본
제4장 톨스토이와 한국

Ⅳ부 두 톨스토이의 만남 : 성자와 전사
-------


책속에서

P. 11~12 노벨상이 톨스토이를 끝내 포용하지 못한 것도 얼핏 수긍이 간다. 당시 서유럽은 평화 보장의 기본 단위로 국민국가를 상정하고, 평화의 국제법적 기초를 국가 간 관계 속에 마련하기 위해 골몰하고 있었다. 노벨상은 당대 이러한 국제 평화의 기조에 적극 호응할 뿐 아니라, 이를 선도하는 역할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톨스토이의 가차 없는 국가 부정, 그 토대인 사유(私有)의 부정 등은 지나치게 과격하고 급진적인 것, 다시 말해 ‘건전한 이상주의’의 틀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접기
P. 47 톨스토이가 ‘이단 중의 이단’이자 ‘러시아 사회를 파괴할 극도로 불온한 인물’로 파문당한 진짜 이유는 예수의 신성과 부활, 내세 등을 믿지 않고, 성찬이나 고해 등을 거부한 때문만은 아니다. 톨스토이가 교리나 형식상의 파격을 요구했던 이유는 단 하나, 그런 단순화와 절제를 통해서만 누구나 이해 가능하고 실천 가능한 예수의 가르침이 온전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럼 이렇게 쉽고 간명한 예수의 가르침이 실현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 톨스토이는 국가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국가를 교회가 정당화해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한다. 이렇게 톨스토이의 반교회론은 반국가론과 연결된다.  접기
P. 113 ...이 마지막 열흘이 톨스토이라는 신화를 완성한다. 82살에 가출이라니. 불과 열흘 사이 ‘가출-발병-죽음’으로 숨 돌릴 새 없이 이어진 이 극적인 사건은 파란만장했던 톨스토이의 인생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전 세계에서 몰려든 기자들이 역 앞에 장사진을 치고, 전국에서 몰려온 추종자들이 웅성거리고, 그 와중에 48년을 함께 산 부인은 죽어가는 남편의 임종을 허락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른다. 이 난리법석은 말도 많고 탈도 많던 톨스토이의 마지막에 더 없이 어울리는 장면이다. 평생 사랑을 설교했고, 늘 평화를 소원했던 톨스토이는 한때 더없이 사랑했던 아내와의 불화로 길 위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 역설은 성자 톨스토이와 전사 톨스토이의 간극을 가장 드라마틱하게 보여준다.  접기
P. 216 그의 탈국가 사상을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은 한 천재의 혜안으로 볼 수도 있지만, 단순히 혜안을 넘어 그것을 그 시대의 대안적 문법으로 기입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윤리적 결단’이 되고 만다. 누구도 감히 저항할 수 없는 강고한 국가주의, 애국주의, 민족주의의 흐름 속에 홀로 반국가, 반애국, 탈민족을 외치는 것은 결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일을 감행하는 것, 그 결과를 감당하는 것, 양자 모두 도저한 윤리적 결단이다. 헤아릴 수 없는 논란과 의혹과 박해 속에서, 무엇보다 고통 속에서, 톨스토이는 둘을 모두 해냈다. 그럼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에게 탈국가, 탈민족은 현상의 인식인가, 윤리적 결단인가.  접기

---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2016년 6월 18일자 '책꽂이'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6년 6월 11일자 '새로나온 책'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16년 6월 10일자 '한줄읽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이문영 (지은이)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약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노어노문학과에서 석사를, 모스크바국립대학에서 바흐찐(M. Bakhtin)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 평화연구소, 국민대 유라시아연구소,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등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고, 현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Nostalgia as a Feature of ‘Glocalization’: Use of the Past in Post-Soviet Russia”, “형제국가들의 역사전쟁: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의 기원”, “탈경계 시대 동아시아 평화와 러시아 극동에 대한 상상력” 등 다수의 논문,『현대 러시아 사회와 대중문화』,『평화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폭력이란 무엇인가: 기원과 구조』(공저) 등의 책을 출판했다. 접기
최근작 : <세계의 분쟁>,<톨스토이와 평화>,<유토피아의 환영 (반양장)>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가 몰랐던 톨스토이: 성자(聖者)인가, 전사(戰士)인가!
- 톨스토이의 숨겨진 면모를 ‘평화’와 ‘동아시아’를 키워드로 살펴보다

§ 이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톨스토이, 즉 사랑과 용서, 무소유, 무저항, 도덕적 수양을 설교하는 성자 톨스토이의 후광에 가려진 ‘전사 톨스토이’의 모습, 즉, 탈국가, 탈민족을 외치던 근대의 이단아, 적그리스도라 불릴 정도로 파격적인 신앙을 설파하며 기성 권력과 맹렬히 싸운 톨스토이, 그 결과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하고, 비밀요원에게 끊임없이 감시당하고, 혹독한 검열로 생애 후반기 자기 땅에서 어느 책 하나 온전히 출판할 수 없었던 ‘저항자 톨스토이’의 모습을 ‘평화’를 키워드로 살펴본다.
또 톨스토이의 이러한 평화사상이 근대 (동)아시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1) ‘힌두 톨스토이’ 간디, 2) 류스페이 등 중국의 혁명적 아나키스트, 3) ‘일본 톨스토이’ 도쿠토미 로카, 고토쿠 슈스이 등 일본의 반전평화주의자/사회주의자, 4) 최남선, 이광수 등 톨스토이를 숭배했던 근대조선의 애국계몽 지식인과의 관계 속에 해부한다.

§ 이 책이 전해주는 새로운 톨스토이의 모습은 그를 도덕 타령, 사랑 타령이나 하는 고리타분한 성인군자로만 알고 있던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던진다. 또 그의 ‘절대평화주의’의 불온함은 익숙하다 못해 진부해진 평화의 규범성, 상투성을 뒤흔들며 평화에 대해 깊이 돌아보고 사색하게 만든다.

§ 이 책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평화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고자 기획한 대중적 평화입문서 ‘평화교실’ 시리즈 세 번째 책으로 출판되었다.

■ 출판사 서평

노벨상 후보에 20번이나 오른 톨스토이... 그런데 왜 그는 노벨상을 받지 못했을까?
세계 문학사에 길이 남을 걸작을 쓴 천재 작가이자, 농민 계몽, 빈민 구제, 사형제 폐지나 반전 활동 등을 통해 인류애를 몸소 실천한 평화의 사도 톨스토이. 그는 노벨평화상에는 4번, 노벨문학상에는 자그마치 16번이나 후보에 올랐으나, 끝내 두 상 중 어느 것도 받지 못했다. 대체 왜....
그 이유는 바로 ‘교회를 부정하고, 국가를 거부하고, 사적 소유에 도전했던’ 톨스토이 사상의 과격함과 전투성 때문이었다.

우리에게 톨스토이는...
교회와 싸우고, 국가와 싸우고, 소유 제도와 싸우는 톨스토이의 모습은 사실 우리에게도 그리 익숙지 않다. 우리에게 무엇보다 톨스토이는 오드리 헵번의 『전쟁과 평화』, 소피 마르소의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검은 눈의 카추샤’가 등장하는 『부활』의 작가다. 이런 작가 톨스토이의 모습에는 어김없이 성자, 현자의 이미지가 덧씌어져 있다.
특히 2003년 MBC 교양프로그램 <느낌표>에서 『톨스토이 단편선』이 고전베스트로 뽑힌 후, “바보 이반 이야기”, “사람에겐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같은 작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톨스토이하면 사랑, 무소유, 무저항, 비폭력을 설파하는 성자의 모습이 떠오른다.

교회, 국가, 소유 제도와 싸우는 과격한 전사(戰士), 톨스토이
하지만 톨스토이는 그러한 비폭력, 사랑, 평화가 어떻게 가능하다고 말했을까. 톨스토이는 이 모든 것이 ‘악에 대한 투쟁’ 속에 가능하다고 했다. 흔히 알려진 그의 무저항주의는 악에 ‘폭력으로’ 대항하지 말라는 의미에서의 무저항인 것이지, 결코 악에 대한 투쟁을 포기하라는 수동적인 무저항이 아니었다.
톨스토이는 인간에 대한 인간의 폭력을 제도화하는 국가, 인간에 의한 인간의 노동 착취를 합법화하는 경제 질서, 그리고 그러한 폭력을 신의 법칙으로 정당화하는 기성 종교 등을 만악의 근원으로 여겼다. 이에 따라 그는 당시 러시아 차르 정부, 군대, 경찰, 사법기관, 농노제나 자본주의 소유 구조, 그리고 러시아 정교회와 평생에 걸쳐 간단없이 가열차게 싸웠다.

애국.민족의 시대에 톨스토이는 왜 탈국가, 탈민족을 부르짖었는가?
뿐만 아니라, 그는 애국심과 민족주의를 전쟁이라는 최고의 악을 초래하는 근원으로 매섭게 질타했다. 그의 저 유명한 ‘러일전쟁 비전(非戰) 팜플렛’은 이런 맥락에서 탄생한 것이다. 자연히 톨스토이는 보수 극우세력은 물론, 민족주의자나 자유주의자, 사회주의자 모두와 불화했을 뿐 아니라, 당대 국제 평화주의자들에게조차 제대로 이해받지 못했다.
제국주의 열강, 피식민국가 할 것 없이 온 세계가 애국주의, 민족주의의 열기에 휩싸여 있던 당시, 오히려 탈국가, 탈민족에서 평화의 길을 찾은 톨스토이의 혜안은 초국가와 탈경계가 대세가 된 21세기의 우리들에게 어떤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을까...

절대 평화주의자 톨스토이, 그 위험한 매력...
톨스토이의 유토피아는 국가로 대표되는 모든 제도화된 폭력의 거부 위에, 나아가 정당방위로서의 개별적 폭력조차 허용하지 않는 견결한 비폭력주의에 기반한다. 이러한 절대적 평화주의는 어떤 의미에서는 그 무엇보다 전투적이고, 따라서 불온한 평화주의로, 안전한 이상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그가 가난하고 힘없는 농민을 제외하고 자신을 둘러 싼 거의 모두와 싸워야 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톨스토이, 성자와 전사 사이...
성자 톨스토이와 전사 톨스토이. 진실은 어느 한 쪽에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에게 익숙한 성자 톨스토이는, 평화를 위해 말 그대로 ‘비타협적’으로 싸웠던 톨스토이, 저항자 톨스토이에 대한 이야기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 이야기의 출발점은 톨스토이의 지난한 투쟁이 발원하는 지점, 바로 그의 평화사상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렇게 ‘평화’를 키워드로 성자이자 전사인 톨스토이를 깊이 파헤치는 동시에, 그 사상이 근대 (동)아시에 미친 심오한 영향을 파헤친다. 접기



구매자 (0)
전체 (2)
공감순 
     
나도 톨스토이는 좀 안다고 생각했는데, 이문영교수의 이 책을 읽으니, 무척 겸손해 진다. 정말 아는 것만 보이는구나. 
강두웅 2016-06-20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톨스토이에 평화라는 담론을 제목으로 정한 것 자체가 매우 신기했고 호기심이 일었다.
그가 노벨평화상 후보에 4번이나 올랐다는 새로운 사실은 덤으로 주어진 지식~^^
부르조아가 권태롭게 외치는 평화인지, 부정적 국가권력에 맞서자는 진심어린 주장인지를 알아가는 즐거움 또한 새로운 이야기~~ 
김재형 2016-06-20 공감 (0) 댓글 (0)
-----------------
     
놀라운 톨스토이 새창으로 보기
톨스토이의 성자 이미지로 인해 톨스토이와 노벨평화상을 연결시키지 못했었는데 수상하지 못한 이유가 그런 속된(?) 이유였다는 게 아이러니컬하다~ 몰랐던 톨스토이를 알기 쉽게 소개해준 착한 책^^ 
임태혁 2016-06-20 공감(0) 댓글(0)
Thanks to
 -------------------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2)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레프 톨스토이와 알렉세이 톨스토이 새창으로 보기
러시아 작가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대표작이 번역돼 나왔기에('대표작'이라고 하지만 나도 모르던 작품이다. 대학에서 알렉세이 톨스토이를 읽을 일은 거의 없었기에) 포스팅을 하려다, 우리가 잘 아는 톨스토이(레프 톨스토이)와 알렉세이 톨스토이를 혼동하는 일이 종종 벌어지는 듯싶어서 다시 구별해놓기로 한다. 러시아어 이름에서 '톨스토이'는 성이니 만큼 이 집안 사람들은 모두 '톨스토이'다.

이번에 <가린의 살인광선>(마마미소, 2016)이란 SF소설이 번역돼 나온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1883-1945)도 톨스토이 가문의 일원이고, <전쟁과 평화>의 작가 레프 톨스토이(1828-1910)와는 먼 친척뻘 된다. 매번 풀네임을 불러주는 건 번거롭기에(우리가 그렇다는 말이다) '톨스토이' 하면 레프 톨스토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면 되고, 알렉세이 톨스토이를 지칭할 때는 '알렉세이 톨스토이'라고 이름과 성을 같이 써주어야 한다.  

 예전에 적은 대로,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과학소설 내지 SF소설로 <아엘리타>가 번역돼 있지만 발췌본이어서 큰 의의를 두기 어려운데, 이번에 나온 <가린의 살인광선>은 완역본인지라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과학소설로서의 특성에 추리, 모험, 영웅, 유토피아의 요소까지 아울러 갖춘 작품으로 레이저 광선 발명의 동기 부여에 기여한 SF소설이다." 나보코프가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소설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했다고. 

 그런가 하면, 우리의 '톨스토이'(레프 톨스토이)도 번역본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이반 일리치의 죽음>(문예출판사, 2016) 번역본이 한 종 추가되었는데, 이로써 최소 서너 종의 읽을 만한 번역본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지난 봄에는 톨스토이의 종교론(기독교론)으로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들녘, 2016)가 박홍규 교수의 번역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국내 최초 완역판'이라고 돼 있는데, (지금은 절판됐지만) 예전에 나왔던 책들은 발췌본이었던 건지 궁금하다(확인할 수 있는 형편은 아니지만). <참회록>,<신앙론>과 함께 톨스토이 후기 사상을 가늠하게 해주는 삼부작으로도 읽을 수 있다. <참회록>조차도 번역본이 희소해졌지만.

 톨스토이의 인생관과 평화사상에 대해서는 이강은/김성일의 <인생교과서 톨스토이>(21세기북스, 2016)와 함께 이문영의 <톨스토이와 평화>(모시는사람들, 2016)가 좋은 가이드북이다. 그의 급전적인 비폭력, 무저항 사상에 대해서는 <국가는 폭력이다>(달팽이, 2008)에 수록된 글들을 참고할 수 있다. 1890년대부터 쓴 정치적 에세이 7편을 담고 있다...

16. 08. 07.

- 접기
로쟈 2016-08-07 공감 (35) 댓글 (0)
-----------------------
‘대속‘ 죄는 지은 네가 사죄를 해. 엄한 하느님 ... 새창으로 보기
‘대속‘죄는 지은 네가 사죄를 해. 엄한 하느님 끌어들이지 말고. 빚내서 짓는 교회는 대체 뭐야. 하느님은 네 안에 있다°는 말. 이리 해달라 기도하지 마라. 지은 죄는 당사자에게 빌라. 신은 바쁘다.볕뉘. 다시 보기로 한다. 신을 팔고 다니거나 자신의 죄를 감해달라 굽신거리는 자들을. ㆍㆍㆍ ㆍㆍㆍ인간 예수는 그러지 않았다. ° 레프 톨스토이,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박홍규역 ° 이문영 Moonyoung Lee, 《톨스토이와 평화》, 모시는사람들
여울 2020-03-04 공감 (8) 댓글 (0)
----------------



알라딘: 톨스토이와 동양

알라딘: 톨스토이와 동양



톨스토이와 동양 

김려춘 (지은이),이항재 (옮긴이)인디북(인디아이)2004-12-21원제 : The Orient with Lev Nikolaevich Tolstoi

반양장본256쪽152*223mm (A5신)358gISBN : 9788958560531



책소개

동양적 요소가 잠재되어 있는 러시아의 역사와 문학, 특히 톨스토이의 문학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논문들을 묶은 책. 톨스토이의 동양에 대한 관심과 인식, 동양에서의 톨스토이 수용과 이해에 대한 글들을 만날 수 있다.

책은 톨스토이에게 동양이 어떤 대상인지, 도교를 비롯한 여러 동양 사상이 톨스토이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등을 다루었다. 이밖에도 한국비평의 톨스토이 수용, 톨스토이와 일본과의 관계, 인간이 기계문명에 병들어 있는 오늘날 필요한 톨스토이 정신을 짚었다.



목차



머리말



톨스토이와 동양 / 이강은 옮김(경북대 노문과 교수)



러시아와 동양 - 문화학적 관점에서

무위론 - 노자와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재고 - '무위론'의 시각으로 / 이항재 옮김(단국대 노문과 교수)



톨스토이 창작에 나타나는 서정 - 서사적 통합성 / 정명자 옮김(건국대 노문과 교수)



톨스토이와 한국

레프 톨스토이와 현대 일본 소설의 문제 / 백용식 옮김(충북대 노문과 교수)



레프 톨스토이와 일본에서의 반전 운동 / 심성보 옮김(건국대 노문과 교수)



-------



책속에서

톨스토이에게 아시아 제 민족들에 대한 '문명적 우월'이라는 개념은 아주 낯설었다. 유럽인들이 동양 민족들을 정복한 것은 정신적으로 우월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 반대 때문이라고 톨스토이는 말한다. 톨스토이의 평등에 관한 이러한 느낌은 절대로 '인위적이거나' 작위적인 것이 아니라, 러시아 정신 속에 내재한 전 인류적 동정심과 함께 러시아와 동양이 역사적 및 심리적으로 가깝다는 그의 확신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온 것이다.





--------------

저자 및 역자소개

김려춘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28년 함흥에서 태어났다. 46년 함흥사범학교 재학 중에 소련으로 유학을 갔으며, 1952년에 로스토프대학 노문학부를 졸업했다. 1952년부터 1955년까지 평양외국어대학 노문학부 교수를 지냈고, 1955년에 모스크바대학 대학원 러시아 문학부에 입학해서 59년에 졸업했다. 우즈베키스탄 과학아카데미 문학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1961년 소련 공민권을 취득했다. 2004년 현재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세계문학연구소 아시아.아프리카 문학부에 근무하고 있다. 러시아 작가동맹 정회원으로 모스크바대학 국제한국학연구센터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러시아 문학과 일본 문학>(1985, 모스크바), <진달래꽃, 번역과 연구>(2002, 모스크바)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톨스토이와 동양>

이항재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고려대학교 노어노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러시아 고리키 세계문학연구소 연구교수, 한국러시아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2019년 현재 단국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소설의 정치학》, 《사냥꾼의 눈, 시인의 마음》, 《러시아 문학의 이해》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러시아 문학사》, 《첫사랑》, 《루진》, 《아버지와 아들》, 《아르세니예프의 인생》, 《숄로호프 단편선》, 《톨스토이와 행복한 하루》 등이 있고, 러시아 문학에 관한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작 : <러시아 문학의 이해>,<러시아문학 앤솔러지 1>,<소설의 정치학> … 총 56종 (모두보기)

김려춘(지은이)의 말

그러나 동양만이 톨스토이에게 다가간 것이 아니라 톨스토이도 동양의 정신적 유산에 다가간 것이다. 동양과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톨스토이가 살던 시대는 서구 열강이 동양을 침략하고, 또 근대화의 우등생이었던 일본이 반만년에 걸쳐 국토와 민족의 전통이 끊임없이 이어진 한국을 침탈한 시대였다. 이 죄악적인 행위는 '문화 보급'의 미명 아래 저질러졌다. 톨스토이는 침략과 약탈에는 도덕적 정당성이란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한국을 지배한 이토 히로부미를 그는 '타락한 무도의 인간'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동양적 의미에서 볼 때 대단히 문명화된 한국'에 대해 관심을 돌리고 있었다.

-----------

2020-05-15 전체 현대불교신문

‘동서양인(東西洋人)’의 삶을 산 톨스토이
 김철우 기자
승인 2005.01.05 


 동서양인(東西洋人)의 삶을 산 톨스토이. 사진제공=인디북.

19세기 동서양의 만남. ‘일방통행’이란 단어부터 떠오른다. 서양은 문명의 시혜자로 ‘우쭐’ 했고, 동양은 ‘삐죽거리는’ 수용자의 모습으로 비춰진다. 관계 자체가 쌍방향이 아니었다는 의미다. 접근태도도 달랐다. 동양은 근대화의 이정표를 서구에서 찾으려 했고, 서양은 ‘정체된’ 동양에서 얻을 것이 없다고 여겼다.

하지만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는 달랐다. 동양에 대한 그의 태도는 쌍무적이었고, 진정한 상호성을 원칙으로 했다. 동양만이 톨스토이에게 다가간 것이 아니라, 톨스토이도 동양의 정신적 유산에 다가갔다.

기존 동서양의 편협한 상호인식, 그리고 소통을 위한 대화. 책 <톨스토이와 동양>은 평행선상에 서 있는 동서양의 만남들을 ‘톨스토이’라는 인물에서 그 접점을 찾고 있다. 때문에 논의 초점은 동서양의 관계성 조명, 톨스토이의 동양관 성립과정에 철저히 맞춰져 있다.

지은이 모스크바대학 김려춘 교수는 우선 이 책의 서두를 톨스토이의 동서양 관계부터 규명하는데서 출발한다.


 톨스토이와 동양의 책표지.

“아시아 민중들에 대한 ‘문명화된 우월성’은 톨스토이에게 전혀 낯선 것이었다. 그는 오히려 반대라고 했다. 이런 평등의식은 결코 ‘만들어진 것’도, ‘인위적인 것’도 아니었다. 러시아와 동양은 역사적ㆍ심리적으로 유사하다는 그의 확신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것이다.”

이 같은 톨스토이의 동양관은 그의 문학사상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보편적 진리를 향한 모색 과정에서 그의 동양체험은 많은 공명을 일으킨다. 최소한 동양은 지적 확장을 위한 지식의 대상이 아니었고 자신의 정신적 발전을 위해 동양은 지혜 그 자체였다.

그럼 톨스토이가 경험한 동양은 무엇이었을까? 바로 인생 말년에 접한 노자의 <도덕경>이다. 이를 통해 톨스토이는 동양의 모든 것을 ‘자기화’ 한다. 또 노자의 무위론은 그의 학문적 세계관에 일대 전환을 일으킨다. 무엇보다도 노자의 자유로운 사고방식, 표현의 간결성, 단편적인 구상 등은 톨스토이가 독자적인 사고를 하는데 자극제가 됐다. 심지어 톨스토이는 1891년 자기 생애에 큰 영향을 끼친 11권의 서적 리스트를 엄선할 때, <복음서>와 함께 <도덕경>을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으로 꼽을 정도였다.

톨스토이는 노자로부터 배운 무위의 삶을 이렇게 말한다. “만일 내가 사람들에게 충고할 수 있다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 한 가지를 말하고 싶다. ‘한 순간이라도 좋으니 일을 중지하고 주위를 살펴보라. 즉 무위의 삶을 살아보라. 그리고 나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해보라고 싶다.”

톨스토이와 노자의 사상적 해후는 시공을 초월해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적지 않은 교훈을 던져주는데 충분하다. 물질숭배에 빠진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존재로서 인간성을 재발견해야 한다는, 톨스토이의 사상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톨스토이의 친필 원고.

한국에 대한 톨스토이의 인식도 이 책에서 주목되는 부분이다. 톨스토이는 “한국인은 동양적 의미에서 볼 때 대단히 문명화된 국민”이라고 말한다. 한국은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동양문화의 항구적 가치를 스스로 인식하고 있어, 서양을 모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그는 조국 러시아를 포함한 서구 열강의 식민지 정책을 철저히 비판했다.

러일전쟁 직후, 1904년 미국 ‘노스아메리칸’ 지가 “러시아와 일본 중, 당신은 어느 쪽인가 아님 양쪽 다 반대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나는 러시아도 일본도 아니다. 정부의 기만에 속아 자기의 행복과 양심을 버리고, 신앙에 어긋나는 전쟁을 어쩔 수 없이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양국의 인민들의 편”이라고 답한다. 이러한 그의 반전관은 1906년 조선통감으로 한국에 온 이토 히로부미를 ‘미치광이’, ‘타락한 무도의 인간’이라고 극렬히 비판한다.

톨스토이와 동양의 관계를 고찰한 이 책은 그 중요한 취지에도 아쉬운 대목이 곳곳에 발견된다. 8편의 논문에서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등 밀도가 떨어진다. 충분한 준비기간을 갖지 않고 출간한 책이라는 의구심을 거둬낼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책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최소한 ‘눈 푸른’ 러시아의 문학가 바라본 동양에 대한 시선들이 담겨졌기에 그렇다.


‘톨스토이와 동양’
김려춘 지음 / 이항재 외 옮김
인디북 펴냄 / 1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