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방
최근 수정 시각:
예를 들면 이런 거다.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말 그대로 별 다른 내용 없이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BJ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방송이다. 밥을 먹다가 중간중간 멘트를 날리기도 한다.
아프리카TV에서도 W시절 초창기부터 존재하던 방송 소재였으며, 당시 방송을 봤던 사람들에 의하면 중학생이 5분동안 귤 까먹는 방송을 200여명이 봤다는 썰도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먹방을 유행시킨 선구자격으로는 아프리카TV의 MC잭이 있다. 그 외에 거의 30년 가까이 방송을 탄 장수 프로그램인 6시 내고향을 보면 방송의 상당한 부분이 농촌지역 소개이고 리포터들이 지역의 농가를 방문하여 그 지역 특산물로 요리된 음식을 먹는 내용인데, 방영 시간대와 행위 자극이라는 측면에서 이것도 먹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효과에 대해서는 위꼴 문서도 읽어보길 바람.
먹방이 제법 흥하는 이유는 무드비디오[4]와 비슷한 맥락의 인터넷 방송계 틈새시장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TV에서 먹방이 인기를 끌게 된 배경은 당시 아프리카TV의 판권영상 방송 단속이 강화된 시점에서 마침 이 시류에 흥할 만한 틈새시장이 형성된 배경도 있다.
또 어떤 전문가들은 1인 가족이 늘어나면서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이 증가했는데 대부분의 요식업은 최소 2인, 보통 4인 가족 기준으로 손님을 받는지라 혼자서 뭘 먹으러 가기가 참 거시기하다보니 집에서 혼자 먹는 일이 잦아지고, 이런 사람들 중 외로운 이들이 남들과 수다 떨면서 밥을 먹고 싶어하는 욕구와 이를 대체하기 위해 먹방이 생겨나고 인기를 얻는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뜨끔 단순히 먹방을 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먹방을 보는 사람들도 외롭기는 마찬가지이니 말이다. 실제로 2010년대 초부터 1인 가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경향 칼럼
2016년부터는 이게 세계적으로도 이슈가 됐는지, 미국에서도 한국의 먹방에 대해 다루기 시작했다. 허핑턴포스트 기사, 블룸버그 영상, CNN 기사. 해당 매체는 먹방을 'Food Porn'으로 규정하였는데, 젊은 여성이 나온다는 점이나 행위를 자극한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았다.[5]
CNN의 분석은 1인 가구의 증가, 과도한 다이어트 붐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스마트폰 인프라가 한국 '먹방'의 인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티븐 연도 코난 오브라이언의 쇼에 출연해서 먹방을 소개했다.
해외에서의 명칭도 Mukbang이라고 그대로 쓰이고 있다. 영문 위키백과의 Mukbang 문서 그리고 유투브에서 Mukbang을 검색해 보면 꽤나 많은 외국인들이 먹방을 시도 하고 있다. 해외 유명 힙합 매거진 XXL의 유튜브 계정에도 래퍼 트리피 레드의 맥도날드 영상이 Mukbang이란 제목으로 올라와 있다. 해외에서는 '맛있게 먹는 영상'보다는 '괴식 또는 대식을 도전하는 영상'이 인기다.
외국 다큐멘터리 유튜브 채널인 쿠르츠게작트에서도 MUKBANG이라고 쓴다.
일본의 유명 푸드파이터 먹방 전문 유튜버 키노시타 유우카. 제목에 Mukbang이라고 적혀있다.
해외의 전문 스트리밍 사이트 트위치에서도 2016년 6월부터 Social Eating이라고 하는 먹방 카테고리가 개설되었다.
아프리카TV에서도 W시절 초창기부터 존재하던 방송 소재였으며, 당시 방송을 봤던 사람들에 의하면 중학생이 5분동안 귤 까먹는 방송을 200여명이 봤다는 썰도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먹방을 유행시킨 선구자격으로는 아프리카TV의 MC잭이 있다. 그 외에 거의 30년 가까이 방송을 탄 장수 프로그램인 6시 내고향을 보면 방송의 상당한 부분이 농촌지역 소개이고 리포터들이 지역의 농가를 방문하여 그 지역 특산물로 요리된 음식을 먹는 내용인데, 방영 시간대와 행위 자극이라는 측면에서 이것도 먹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효과에 대해서는 위꼴 문서도 읽어보길 바람.
먹방이 제법 흥하는 이유는 무드비디오[4]와 비슷한 맥락의 인터넷 방송계 틈새시장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TV에서 먹방이 인기를 끌게 된 배경은 당시 아프리카TV의 판권영상 방송 단속이 강화된 시점에서 마침 이 시류에 흥할 만한 틈새시장이 형성된 배경도 있다.
또 어떤 전문가들은 1인 가족이 늘어나면서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이 증가했는데 대부분의 요식업은 최소 2인, 보통 4인 가족 기준으로 손님을 받는지라 혼자서 뭘 먹으러 가기가 참 거시기하다보니 집에서 혼자 먹는 일이 잦아지고, 이런 사람들 중 외로운 이들이 남들과 수다 떨면서 밥을 먹고 싶어하는 욕구와 이를 대체하기 위해 먹방이 생겨나고 인기를 얻는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2016년부터는 이게 세계적으로도 이슈가 됐는지, 미국에서도 한국의 먹방에 대해 다루기 시작했다. 허핑턴포스트 기사, 블룸버그 영상, CNN 기사. 해당 매체는 먹방을 'Food Porn'으로 규정하였는데, 젊은 여성이 나온다는 점이나 행위를 자극한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았다.[5]
CNN의 분석은 1인 가구의 증가, 과도한 다이어트 붐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스마트폰 인프라가 한국 '먹방'의 인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티븐 연도 코난 오브라이언의 쇼에 출연해서 먹방을 소개했다.
해외에서의 명칭도 Mukbang이라고 그대로 쓰이고 있다. 영문 위키백과의 Mukbang 문서 그리고 유투브에서 Mukbang을 검색해 보면 꽤나 많은 외국인들이 먹방을 시도 하고 있다. 해외 유명 힙합 매거진 XXL의 유튜브 계정에도 래퍼 트리피 레드의 맥도날드 영상이 Mukbang이란 제목으로 올라와 있다. 해외에서는 '맛있게 먹는 영상'보다는 '괴식 또는 대식을 도전하는 영상'이 인기다.
외국 다큐멘터리 유튜브 채널인 쿠르츠게작트에서도 MUKBANG이라고 쓴다.
일본의 유명 푸드파이터 먹방 전문 유튜버 키노시타 유우카. 제목에 Mukbang이라고 적혀있다.
해외의 전문 스트리밍 사이트 트위치에서도 2016년 6월부터 Social Eating이라고 하는 먹방 카테고리가 개설되었다.
3. 의미의 확장[편집]
3.1. 방송 용어[편집]
위의 인터넷 용어에서 의미를 약간 변형해 음식 관련 내용이 주가 아닌데도 음식 콘텐츠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비판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6시 내고향 같이 지방을 소개하는데 음식문화가 껴나오는 방송이면 먹방이란 소리를 안 듣지만, 그게 아닌 프로그램이 그럴 경우 욕을 먹는다. 대표적으로 《1박 2일》 당시의 강호동, 그리고 여고생 밴드 애니는 훼이크고 매일 모여서 케이크만 처묵처묵한다고 까였던 《케이온!》이 대표적으로 먹방이라고 욕을 먹던 방송이었다.
사실 먹방의 선구자격 인물은 당연히 식신 정준하로 무한도전에서 많이 보여주듯 짜장면을 5초만에 원샷하고 계란프라이 100개를 앉은 자리에서 다 해치우는 식신이다. 하긴 이분은 세계급 대회에서 3등을 하시는 월드클래스니.[6]
이외의 먹방 종결자 인물로는 강호동, 하정우 그리고 이명박(?) 등이 있다. 이런 거 잘하면 음식 광고 CF도 들어온다.
2013년 이후에는 《아빠! 어디가?》의 윤후가 최연소 먹방스타로 떠올랐으며 김준현 등도 이들에게 지지 않는 먹방 포스를 뽐내고 있다. 2014년 들어서는 <오 마이 베이비>의 리키김의 막내아들 태오가 어마어마한 먹방력을 보이고 있다. 돌이 갓 지난 나이에 먹을 수 있는 모든 걸 다 쑤셔 넣는다.
이영돈 PD 역시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화제로 삼은 음식을 적어도 한 번은 시식하고, 이에 대해 평하는 것을 정형화된 패턴으로 삼고 있어서 먹방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이를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에서 신동엽이 <'이엉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더욱 심화시켜, 먹은 물건을 아예 버리는 것으로 이를 더욱 크게 풍자하였다.
위기탈출 넘버원 역시 위험한 밥상 코너 때 안전을 알려주는 방송 따위는 접어버리고 먹방이 된 적도 있었다.
6시 내고향 같이 지방을 소개하는데 음식문화가 껴나오는 방송이면 먹방이란 소리를 안 듣지만, 그게 아닌 프로그램이 그럴 경우 욕을 먹는다. 대표적으로 《1박 2일》 당시의 강호동, 그리고 여고생 밴드 애니는 훼이크고 매일 모여서 케이크만 처묵처묵한다고 까였던 《케이온!》이 대표적으로 먹방이라고 욕을 먹던 방송이었다.
사실 먹방의 선구자격 인물은 당연히 식신 정준하로 무한도전에서 많이 보여주듯 짜장면을 5초만에 원샷하고 계란프라이 100개를 앉은 자리에서 다 해치우는 식신이다. 하긴 이분은 세계급 대회에서 3등을 하시는 월드클래스니.[6]
이외의 먹방 종결자 인물로는 강호동, 하정우 그리고 이명박(?) 등이 있다. 이런 거 잘하면 음식 광고 CF도 들어온다.
2013년 이후에는 《아빠! 어디가?》의 윤후가 최연소 먹방스타로 떠올랐으며 김준현 등도 이들에게 지지 않는 먹방 포스를 뽐내고 있다. 2014년 들어서는 <오 마이 베이비>의 리키김의 막내아들 태오가 어마어마한 먹방력을 보이고 있다. 돌이 갓 지난 나이에 먹을 수 있는 모든 걸 다 쑤셔 넣는다.
이영돈 PD 역시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화제로 삼은 음식을 적어도 한 번은 시식하고, 이에 대해 평하는 것을 정형화된 패턴으로 삼고 있어서 먹방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이를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에서 신동엽이 <'이엉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더욱 심화시켜, 먹은 물건을 아예 버리는 것으로 이를 더욱 크게 풍자하였다.
위기탈출 넘버원 역시 위험한 밥상 코너 때 안전을 알려주는 방송 따위는 접어버리고 먹방이 된 적도 있었다.
3.2. 먹는 장면[편집]
3.3. 드립[편집]
4. 먹방 콘셉트의 방송 프로그램[편집]
- 조용한 식사
2016년 7월 29일부터 O'live에서 방영한 프로그램으로, 연예인이 진짜 조용히 먹기만 하는 모습을 30분 내내 보여준다. 국내최초 다큐 먹방이라고 하는데, 방영 당시에는 황당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5. 먹방으로 유명해진 사람들[편집]
- 유사한 가상인물의 사례는 먹보 문서 참조
- the디바
2013년부터 2014년 초까지 유명했던 먹방 BJ. 엄청난 식성에 대비되는 모델급 몸매로 보는 사람들의 탄성을 불러일으켰다. 한때 2013 아프리카 어워드 먹방 부분 최우수상을 차지했으나 여러 허언증 등등이 밝혀지면서 2014년 중순 방송을 그만두게 되었으며 2015년 8월 말부터 방송을 다시 시작했다. - 강성훈
- 공혁준
트위치에 소셜 이팅 카테고리가 생기게 한 장본인이다. 먹방하면 빼놓을 수 없는 먹방계의 신화. - 까니짱
- 문세영
- 수창이
- 시내
- 시오
- 아재옥
- 웅이
- 피트니스 요정
전직 피트니스 강사로 가녀린 몸으로 엄청난 양을 먹어들이는 모습에 인기가 많이 올랐다. 그러나 가끔 민소매 티를 입고 방송할 때 팔을 보면 "운동한 사람 맞긴 맞구나"하는 느낌이 바로 온다. 먹방을 위해 하루 5시간을 운동한다고 말했다. 영국 데일리메일지에도 소개 - 허미노
- 혼술다큐 미짱
- 이영돈
먹거리 X파일에서 "제가 한 번 먹어보겠습니다." - 에이핑크
멤버 전원이 굉장히 잘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자세한 건 에이핑크 뉴스나 쇼타임 항목으로. - 이명박
[9]
엄밀한 의미의 '먹방'으로서 촬영된 것은 국밥을 먹은 대선 CF가 유일하지만, 선거에서 대통령 임기까지 매스컴 속에서 수많은 먹짤을 창조해냈다. 그래서 '이먹방'(...)이란 별명으로도 회자될 정도. 서민 이미지를 위해서 길거리 음식 등을 먹는 것은 정치인들이 흔히 하는 행위지만, 특히 먹음직스럽게 잘 먹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른 정치인들이 보통 먹는 장면이 사진 기자들과 방송국 취재 카메라에 잘 나오게 하기 위해 각도를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그냥 정말 "맛있어서" 혹은 "정말 먹고 싶어서" 먹는다는 느낌으로심지어 먹는 속도도 빠르다카메라 각도도 신경 안 쓰고 음식 외에 다른 건 쳐다보지도 않고 오로지 음식만 보고 열중하며 먹는카메라 찍든 말든 나는 먹는다. 음식이 거기 있으니까.영상과 사진이 많다. 그의 먹방은 언제나 가식(?)이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짬밥조차도 맛있게 먹어 장병들도 감탄한다.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기에 자연스러운 식탐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MB는 사실 MukBang의 줄임말이었다 카더라.이명박을 탐탁지 않게 보는 사람들도 이명박의 먹방은 인정할 정도다.[10] 다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때 칸 나오토 일본 총리,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같이 찍었던 먹짤(방사능 오이 같이 먹기)은 그의 먹방 신화에서 유일한 오점으로 꼽힌다. 대체로 "목숨이 걸리면 가카도 어쩔 수 없구나"라는 평.[11]그렇게 방사능 오이를 먹은 가카는... - 이영자
여자 쪽에서는 먹방 최고 존엄자다. SNL 코리아에 출연할 당시 하정우보다 더한 먹성을 보여줬으며, 2018년 MBC 전지적 참견 시점에서 전국을 돌며 먹방쇼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 해당음식 판매까지 올라갔다. 이영자가 인정한 OO지역의 XX음식이라는 인정을 받으면 수요가 늘어난다. - 하정우
출연한 영화에서 각종 음식들을 맛깔나게 먹어대는 장면으로 한국 영화계 먹방의 1인자가 됨. - 기미작가
다만 영혼의 파트너 백주부가 마리텔을 떠난 이후로는 먹방이 안 나오기 시작했고, 기미작가 역시 MLT-30을 끝으로 다른 곳으로 갔다.
6. 기타[편집]
- 2020년 8월, 중국에서 먹방에 대한 규제를 시작했다. 먹방을 검색하면, "식량을 아끼자"라는 문구가 뜬다는데, 굳이 먹방을 규제해야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 최근 일본의 한 유튜버가 생방송으로 오니기리(주먹밥) 한 입에 먹기를 도전 중 사망했다. 이 과정이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 되었다. 유튜브 공식정책에 ‘심각한 신체적 부상 또는 사망의 위험이 있는 위험 행위 또는 위법 행위의 조장을 목적으로 한 콘텐츠는 유튜브에서 허용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지만, 위험한 영상들이 완전히 걸러지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주먹밥 '먹방' 하던 日유튜버 사망…계속되는 유튜브 사망 사고
- 게임 관련해서도 먹방이라는 단어를 종종 사용하기도 하는데 일부 유저들은 방송으로 보여주지 않으면서 먹방이라고 적는 경우도 있다.[12]
- 보건복지부에서 먹방을 규제하려는 모습을 보여서 논란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2018년 폭식조장 미디어·광고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논란 문서 참조.
- 일부 먹방 크리에이터는 20인분 이상의 음식을 아무렇지 않게 소화하는데, 이는 위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일반인 이상의 근육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푸드파이터들도 마찬가지. 먹방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먹을 수 있는 이유
- 타인이 음식물을 먹는 장면을 카메라 화면으로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만큼 보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쉽다. 사전에 이게 나오는 방송이라는 걸 인지할 경우 볼지 안볼지를 선택하면 그만이지만 원하지도 않는데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는 광고에 먹방이 들어갈 경우 시청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7. 관련 문서[편집]
[1] 놀랍게도 이어령이 중앙일보에 디지로그 칼럼을 게재한 날이 2005년 12월 31일, 먹방은 고사하고 개인 인터넷 방송 컨텐츠라는 개념조차 제대로 정립되기 전이었다. 사실 이때 이미 VR이라는 시대를 아득히 앞선 단어를 사용하기도 했다.[2] 진짜 해외에서도 이런 형식의 영상을 이렇게 먹방이라고 표기한다.[3] 자신의 방송에서 라면을 먹는 모습을 처음으로 선보였다.[4] 바닷가나 자연 그 외 여러가지 풍경을 수 시간 동안 촬영한 비디오인데, 카메라 구도가 전혀 변하지 않아서 촬영구도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고 있다. 이원복의 <현대문명진단>에서 언급된 바가 있음.[5] 기사에서 언급한 내용은 아니지만 실제로 뇌의 보상중추에는 음식과 포르노 두 영역이 붙어있다고 한다.[6] 다만 정준하는 뱃속에 음식물을 밀어넣는 모양새라 오히려 입맛이 떨어진다고도 한다. 이쪽은 푸드파이트와 마찬가지로 식사 행위 그 자체에 관전 포인트가 있으며, 맛깔나게 먹으면서 입맛을 자극하는 요즘의 먹방과는 좀 차이가 있긴 하다.[7] 먹는 장면이 심심하면 나와서 먹방드라마라는 평도 얻었는데, 실제로 영화 내 요리 책도 나왔다.[8] 1회부터 6회까지는 큰 문제가 없었는데 7회차에 접어들어서 갑자기 먹방이 되었고, 이는 위기탈출 넘버원의 비판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9] 전설의 먹짤인 가카 오뎅. 이 짤방 하나만으로 올킬감이다.[10] 다만 조롱의 의미로서 회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ex) 국밥 말아먹듯이 사대강사업 말아먹었다.[11] 다만 한 입 베어먹고 만 칸 나오토, 원자바오와는 다르게 한 개를 다 먹기는 했다.[12] 예를 들어, 어떤 아이템을 사용하려고 할 때 "□□□ 먹방합니다."라고 적는 경우가 있는데 방송으로 보여주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은 틀린 거다.[13] 이때 "우와 500x100해서 50,000원 쓰셨네~"라는 투로 말하면 매니저든 팬이든 돈계산 하지 말라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