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9

알라딘: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선언 머레이 북친

알라딘: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선언 
머레이 북친
(지은이),서유석 (옮긴이)동녘2024-08-20
원제 :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2007년)
































미리보기

2024 새학기의 지식교양! 제텔카스텐(대상도서 포함 국내도서 4만 원 이상)

정가
17,000원
판매가
15,300원 (10%, 1,700원 할인)
마일리지
8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양탄자배송
지금 주문하면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사회과학 주간 72위, 사회과학 top100 2주|
Sales Point : 2,240

9.5 100자평(1)리뷰(3)

카드/간편결제 할인

책소개
미국 생태운동의 선구자인 머레이 북친은 ‘녹색 자본주의’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의 ‘친환경’ 조치들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또 사회와 정치 체제에 대한 개입 없이 개인들의 일상적 실천만으로 생태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 대해서도 반대를 표한다. 그는 우리가 직면한 기후·생태위기의 본질을 직시하기를 요구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이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문제다.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통해 자연을 향한 인간의 지배와 착취는 근본적으로 인간들 사이의 위계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기후·생태문제의 해결은 이 위계구조가 사라져야만 가능하며, 그를 위해서는 지금의 정치체제를 바꾸어 중앙화된 국가나 자본의 권력을 시민들이 나눠서 지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처럼 도발적이고 발본적인 북친의 사상이 담긴 글 네 편을 엮었다.

이 책은 2012년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란 제목으로 국내에 출간돼 우리 사회의 생태주의 논의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온 바 있다. 이를 그 후 12년 만에 복간하며 번역상의 일부 오류를 바로잡고 옮긴이의 주석을 추가해 설명력을 더했으며, 정치학자이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의 ‘추천의 글’을 덧붙여 현재 기후·생태운동 담론에서 북친의 사상이 지닌 의미를 논하고자 했다.


목차


서문 (데비 북친)

사회적 생태론이란 무엇인가?
고도자본주의 시대의 급진 정치학
반동의 시대, 사회적 생태론의 역할
코뮌주의 프로젝트

옮긴이의 글: 한국 사회가 머레이 북친을 만날 때
추천의 글 (채효정, 정치학자·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책속에서


P. 23~24우리의 상식적 자연관은 정적(static) 자연관이다. 산 정상에서 보이는 전경과 같은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정적이고 움직이지 않는다. 경치를 바라볼 때 우리의 시선은 매 순간 특정 장면에 사로잡힌다. 하늘로 치솟는 매, 높이 뛰는 사슴, 낮게 엎드리는 코요테. 그런데 이때 우리가 목격하는 것은 그 대상의 물리적 동작에 대한 단순한 동학이고, 이것도 따지고 보면 눈앞 전경에 대한 정적인 이미지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런 정적 이미지들 때문에 우리는 자연의 이런 순간들이 ‘영원하다’고 착각하게 된다. 그러나 비인간 자연은 그런 정적인 전경 이상의 것이다. 조금만 세심하게 살펴보면 우리는 자연이 기본적으로 진화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자연은 아주 다양한 것을 산출해나갈 뿐 아니라 극적이기까지 한 발전 과정이며 영원히 변화하는 현상임을 알게 된다. 접기
P. 25~26인간은 “자연의 외계인”이므로 “그 어디에서도 환경 세계와 ‘함께’ 진화할 수 없다”는 캐나다의 생태학자 닐 에번든(Neil Evernden)의 주장은 말이 안 된다. 또 지구를 살아 있는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인간은 “지성을 갖춘 벼룩”에 불과하다는 가이아 이론가들의 주장도 말이 안 된다. 인간과 자연 진화를 분리하는 이런 주장들은 설득력이 없으며 피상적이다. 그리고 이런 주장들은 잠재적으로 인간을 증오한다. 인간은 고도의 지성과 뛰어난 자기의식을 갖춘 영장류다. 하지만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인간은 진화에서 벗어난 존재가 아니라 진화의 산물이다. 접기
P. 46~47자연을 지배해야겠다는 ‘생각’은 다름 아닌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인간 사회의 지배구조는 인간이 자연계의 존재들 또한 위계적인 연쇄 구조로 바라보게 만들었다. 이런 자연관은 역동적인 진화의 관점, 즉 생명계가 주체성과 유연성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는 관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정적인 자연관이다. (…) 자연을 지배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자연 지배’의 관념은 계급과 위계구조가 없는 사회가 도래해야만 극복될 수 있다. 계급과 위계구조의 존재는 공사 영역에서 지배와 복종을 야기하고 세계를 착취의 대상으로 사물화한다. (…) 경제적 계급이 존재하는 사회, 위계질서로 구조화된 사회가 종식되지 않는 한 우리는 지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접기
P. 82~83정치활동의 물리적 공간은 거의 언제나 도시나 마을, 즉 지역자치체였다. 정치가 가능하려면 도시의 규모가 적당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그리스인의 생각에 따르면, 도시(폴리스)는 너무 크면 안 됐다. 너무 클 경우 면 대 면 토론이 불가능하고 시민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기준은 결코 고정되거나 불가침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런 기준 덕에 도시는 국가를 견제하는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적당한 크기지만 결코 작지 않은 폴리스는 시민의 공개적이고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공적 사안을 처리했다. 대표자 선출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으나 가급적 최소화했고 그 관리를 철저히 했다. 접기
P. 150~151코뮌주의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민회에 참석하는 다양한 직업의 노동자들이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자의 자격으로 참가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그들은 가령 인쇄공, 배관공, 주조소 노동자로서 참가해 자기 직종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시민으로서 민회에 참여한다. 그러니까 직업은 특정 직종의 노동자지만 사회 전체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시민으로 참가한다는 말이다. 시민은 특수한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자, 전문가, 개인이라는 편협한 신분 의식을 버려야 한다. 자치체의 삶 자체가 이런 시민을 키우는 학교 역할을 한다. 새로운 시민을 받아들이고 젊은이들을 교육한다. 결국 민회는 의사결정 기구일 뿐 아니라 복잡한 공동체의 문제, 지역의 문제를 다루며 사람들을 시민으로 키우는 교육의 장소이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북친이 사회적 생태론을 제기하게 된 시대적 상황이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운동과 생태운동의 지형 속에서 다시 펼쳐지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녹색운동이 극우부터 극좌까지의 스펙트럼을 전부 아우르는 현재에 ‘녹색’이나 ‘에코’라는 말은 그것이 태동했던 시기의 급진적이고 저항적인 상징성을 담지하지 못한다. 지난 총선에서 한국의 ‘기후정치’는 극우정당, 신자유주의 정당, 진보정당의 기후정치인을 모두 ‘기후정치인’으로 호명했다. 이러한 시대에 ‘기후정치’나 '생태정치’라는 깃발을 드는 것만으로는 이제 충분치 않다. 우리는 어떤 생태주의 노선과 입장을 가지고, 어떤 생태정치의 길로 갈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20세기를 경과해온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은 오늘 우리가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쟁점을 제공하는 철학적 노선이며 정치적 입장이다. (…)
한편으로는 국가 기능이 마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도로 국가 중심적인 체제가 재구축되는 시점에서, 어떤 부분에서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생태주의 운동을 정치적으로 다시 급진화하고, 또 다른 부분에서는 생태위기를 탈정치화하려는 반정치적 생태주의의 반동이 나타나고 있는 지금, 북친이 제공한 쟁점들은 여전히 유의미한 현재성을 지닌다. 요즘은 사상을 좇는 데에도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해 새로운 사상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고 , 누군가에게는 이 책도 지나간 시대의 사상으로 치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봉착한 문제를 먼저 사유했던 이들의 궤적을 따라가며 오늘의 시간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면, 과거를 돌아보는 것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 중요한 침로가 되어줄 것이다.
- 채효정 (정치학자·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국일보
- 한국일보 2024년 8월 24일자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머레이 북친 (Murray Bookchi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의 사회이론가, 정치철학자, 사회운동가. 1921년 뉴욕의 러시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사회주의 혁명가였던 모로부터 러시아 인민주의 사상을 들으며 성장했다. 공장노동자로 일하던 10대 때부터 노동조합운동에 참여했으며 이후로도 노동운동, 반핵운동, 공동체운동 등 여러 진보적 사회운동에 헌신한다. 특히 생태운동의 선구자였던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통해 자연과 인간 모두를 착취하지 않는 사회체제를 만들고자 했다. 사상적으로 그는 헤겔, 마르크스, 크로포트킨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평생 정치학, 철학, 생태학, 역사, 도시문제 등 다양한 주제의 책을 썼다. 대표작으로는 《자유의 생태론(The Ecology of Freedom)》, 《희소성 이후 시대의 아나키즘(Post-Scarcity Anarchism)》, 《도시의 한계(The Limits of the City)》 등이 있다. 2006년 세상을 떠났다. 접기

최근작 :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휴머니즘의 옹호>,<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 총 75종 (모두보기)

서유석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철학과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했고 마르크스 사회과학 방법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프리부르대학교 동유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방문교수로 수학했으며 호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 범한철학회 회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를 역임했으며, 특히 시대와 호흡하려 애쓰는 철학자들의 공동체인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학술 활동에 깊이 관여했다. 자치와 연대, 생태공동체 운동, 차별 없는 사회,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주제로 연구하고 활동한다. 함께 지은 책으로 《처음 만나는 진보》,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철학 오디세이》, 《청년헤겔》(공역), 《변증법적 유물론》(공역)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철학의 시대>,<처음 만나는 진보> … 총 8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동녘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 말하기>,<나는 선량한 기후파괴자입니다>등 총 255종
대표분야 : 철학 일반 3위 (브랜드 지수 151,398점), 여성학/젠더 4위 (브랜드 지수 101,598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20세기를 경과해온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은
오늘 우리가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쟁점을 제공하는
철학적 노선이며 정치적 입장이다.”
― 정치학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

기후위기를 야기한 지금까지의 방식으로는 현재의 기후재난을 극복할 수 없다!
12년 만에 우리 사회에 다시 소환된 기후·생태문제의 발본적 해결책

지금 우리는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제는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붕괴’가 시작되었고, 기후‘재난’은 지구의 일상이 되었으며, 인간에게 남은 일은 이 붕괴를 멈추고 위기를 이겨내는 것이 아니라 재난에 적응해 살아남는 것이라는 암담한 전망도 들려온다. 이에 여러 국제기구와 ‘중심부’ 국가는 탄소중립, 그린뉴딜,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s) 등의 대응책을 내놓았고, 기업 또한 RE100 캠페인, ESG경영 등을 실천하겠다고 천명했다.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과 권고에 따라 일상 속에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분리배출 철저히 하기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전 지구적 총력전을 벌인 지도 몇 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그다지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매 여름마다 살인적인 폭염 기록은 새롭게 갱신되고, 탄소중립이라는 목표가 무색하게도 지난 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은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기업들은 생산방식은 그대로 둔 채 에코백과 텀블러 등 ‘친환경 굿즈’만 양산하며, 얼마 전 정부는 신규 택지 개발을 위해 서울의 그린벨트를 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후쿠시마의 원전 오염수는 수많은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바다에 방류되고 있다. ‘기후위기에 대응할 기회를 가진 마지막 세대’라는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지금껏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어도 변화가 지지부진했다면 이제는 완전히 다른 걸 시도해야 한다. 기후·생태위기에 근본적인 돌파구가 되어줄 머레이 북친의 사상을 지금 한국에 다시 불러온 이유다.
미국 생태운동의 선구자인 북친은 ‘녹색 자본주의’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의 ‘친환경’ 조치들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또 사회와 정치 체제에 대한 개입 없이 개인들의 일상적 실천만으로 생태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 대해서도 반대를 표한다. 그는 우리가 직면한 기후·생태위기의 본질을 직시하기를 요구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이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문제다.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통해 자연을 향한 인간의 지배와 착취는 근본적으로 인간들 사이의 위계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기후·생태문제의 해결은 이 위계구조가 사라져야만 가능하며, 그를 위해서는 지금의 정치체제를 바꾸어 중앙화된 국가나 자본의 권력을 시민들이 나눠서 지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처럼 도발적이고 발본적인 북친의 사상이 담긴 글 네 편을 엮었다. 이 책은 2012년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란 제목으로 국내에 출간돼 우리 사회의 생태주의 논의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온 바 있다. 이를 그 후 12년 만에 복간하며 번역상의 일부 오류를 바로잡고 옮긴이의 주석을 추가해 설명력을 더했으며, 정치학자이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의 ‘추천의 글’을 덧붙여 현재 기후·생태운동 담론에서 북친의 사상이 지닌 의미를 논하고자 했다. 기후재난의 시대에 현재적으로 다시 읽는 머레이 북친은 교착 상태에 빠진 지금의 기후 대응에 꼭 필요한 논점과 영감을 전달해줄 것이다.

생태운동의 선구자, ‘사회적 생태론’의 창시자 머레이 북친이 전하는
인간과 타자의 관계를 다시 묻는 도발적 생태정치학

머레이 북친은 20세기 후반에 활발히 활동했던 미국의 사회운동가이자 생태주의자다. 그는 생태운동이 태동하던 시기부터 운동에 앞장선 선구자로, 당대의 여러 생태주의 노선과의 비교 속에서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구축했다. 이 관점은 오늘날에도 생태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촉구하는 생태운동가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북친은 생태주의적 대안 사회체제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생디칼리슴의 장단을 종합한 ‘코뮌주의’를 구상해낸다. 이 책은 그러한 북친의 사상이 드러나는 네 편의 글을 엮은 것으로, 북친을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도 어렵지 않게 그의 논의를 소개해준다.
북친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지금의 기후위기 대응책들이 큰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누군가는 국가와 기업의 노력이 부족하거나, 시민들이 충분히 경각심을 갖고 실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것도 어느 정도는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애초에 북친은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의 ‘친환경’ 조치들로 생태위기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또 사회와 정치 체제에 대한 개입 없이 개인들의 일상적 실천만으로 생태문제가 해결될 리도 만무하다고 설파한다. 즉 지금 행해지는 방식 모두 기후·생태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닌 것이다. 북친은 그보다 더 깊이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찾고자 한다. 바로 인간과 자연이 관계 맺는 방식, 더 나아가 인간이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을 재구성할 것을 촉구한다. 그러한 변화를 동반하지 않는 생태적 실천은 “심각한 사회병리 자체가 아니라 사회병리의 증상들에만 주목할 뿐이고 그 결과 그들의 노력도 근원적 치유와는 동떨어진 피상적인 것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그가 주창한 사회적 생태론에 따르면 자연과 인간 사이의 위계적인 관계는 인간들 사이의 위계에서 온다. 즉 사람들 사이의 우열을 가르는 위계구조의 존재가 다른 인간을 지배·억압·착취할 수 있게 하는데, 인간이 자연 또한 이런 위계적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자연을 지배하고 수탈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북친은 생태문제의 해결도 먼저 인간 사회의 위계구조가 사라져야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때문에 그는 생태문제가 탈정치적이고 ‘중립적인’ 대응이 아닌 사회·정치적 운동을 통할 수밖에 없다고 보며 ‘생태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시장에도 국가에도 우리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면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북친이 문제의 핵심을 ‘위계구조’라고 보았기 때문에, 그가 도달하는 대안 또한 발본적이고 도전적인 것이 된다. 마르크스주의에 많은 영향을 받은 사상가답게 북친은 무한한 성장과 착취를 필요로 하는 자본주의의 본질적 속성으로 인해 자본은 자연을 수탈할 수밖에 없다고 봤다. 그러나 한때 아나키스트이기도 했던 그는 그렇다고 자본을 통제할 강력한 국가 권력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우리가 현실에서 수없이 목격하듯 국가 또한 얼마든지 부패할 수 있으며 민중의 삶을 살피지 않는 ‘권력을 위한 권력’이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장에도 국가에도 우리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까? 이 막다른 길에서 활로를 찾다보면 우리는 북친이 제안한 ‘코뮌주의’ 기획의 진가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북친은 사람들 사이의 위계와 지배를 없애는 방법은 한 사람, 한곳이 소유하는 집중화된 권력을 시민들 모두가 나누는 것이라고 보며, 그를 가능하게 하는 정치체제로 코뮌주의를 제시한다. 그는 이 대안사회 구상을 ‘리버테리언 지역자치주의’로 풀어 설명하는데, 중앙화된 권력을 지역의 민회, 즉 코뮌이 나눠 가지고, 그 안에서 시민들이 직접 공동체의 자치에 참여하는 것이다. 시민들은 자신들의 미래를 좌우할 공동체의 중대한 사안을 자신들의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정치체제는 우리 개개인에게 자유롭고 성숙한 정치적 주체가 되어 자연과 사회를 가꿔나갈 것을 요구하는 쉽지 않은 구상이다. 그럼에도 이는 중앙화된 권력을 그대로 둔 채 그것을 누구에게 이양하느냐, 그 권력에게 어떤 규제와 통치를 요구할 것이냐를 고민하는 정치가 아니라, 권력 자체를 문제시하며 그것을 어떻게 나누고 다루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대담하고 의미 있는 기획이다. 왜냐하면 북친이 보기에 권력, 즉 위계구조 자체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착취는 물론이고 자연을 향한 착취도 절대 끝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연과 인간 사회의 관계를 통합적이고 근본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생태문제와 사회문제가 범람하는 오늘날 우리에게 꼭 필요한 아이디어를 전해준다. ‘추천의 글’에서 지금의 기후·생태 의제와 북친의 사상을 직조하며 북친을 현재화하고자 한 정치학자 채효정은 “총체적 무질서가 불러온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동이 차라리 질서라도 있었던 전체주의와 (독재국가와 복지국가를 모두 포함한) 사회국가 시대를 그리워하게 만들고, 기후재난 앞에서 가중되는 불안과 공포가 기후 파시즘과 기후 리바이어던을 용인하는 위험한 시대에, 자유의 개념을 다시 정치화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자유주의적 자유의 개념에 갇히지 않고 민중의 자유, 정치의 자유를 탈환하기 위해, 어떤 자유를 거부하고 어떤 자유를 원하는가를 논쟁하며 자유의 담론을 다시 구성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북친이 고민했던 ‘리버테리언 코뮌주의’는 지금도 중요한 쟁점을 제시하며, 더 풍부하고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확장해나가야 할 과제로 남는다“고 평하며 이 논의 현재적 의미를 강조했다. 이처럼 지금 우리 시대에 당도한 북친의 논의는 교착 상태에 빠진 지금의 기후·생태문제에 꼭 필요한 논점과 영감을 전달해줄 것이다. 접기


평점 분포

9.5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개념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요, 자본주의 위계구조 안에서 다층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위기 및 생태문제, 불평등 등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강하연 2024-09-0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인류 역사의 마지막 기회는 촉진될 것인가 사라질 것인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생태파괴의 핵심에는 대부분 경제적, 인종적, 문화적, 성적 갈등이 있다.”

기후정의행진에서는 “기후가 아닌 세상을 바꾸자“고 명명한다. 이는 인간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제 스스로 망가뜨리는 ‘인간적 요소’들에 대한 확실한 자각이며 이해며 제안이기도 하다. 자연이나 지구를 구하자는 구호는 그렇기 때문에 문제 인식의 실패나 부족을 드러내며 공허하거나 무의미하다.



“생태문제는 다른 무엇보다도 인류 전체의 장기적 이해관계와 기업 권력의 이해관계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된다.”



인류는 문명 ‘사회’를 만들어 단일 거대 집단으로 성장했고, 무절제한 방식을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로 삼아, 자기파멸을 향해 부지런히 나가고 있다. 이미 기회는 놓쳤을지도 모르고, 이제야말로 제대로 된 변역을 위한 기회를 맞는 것일지도 모른다(두려운 나의 간절한 희망사항).



“우리는 갈림길 앞에 서 있다, 하나는 생태계가 파괴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 전적으로 새로운 환경친화적 사회를 만들어내는 길이다.”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은 “생태 위기가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언한다는 점에서 나는 1990년대부터 공감하고 동의했다. 인간 사회의 “지배와 위계구조라는 사회관계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계급사회보다 위계구조가 역사적으로 더 뿌리 깊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 설령 계급지배가 종식되고 경제적 착취가 사라진다 해도 정교한 위계구ㅗ와 지배 체계가 사라진다는 보장은 없다.”



다른 사회변화와 마찬가지로 이해 이후에 변화를 진실로 원한다면, 폐지나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이 필연적이다. 문제는 이해의 확산과 더불어 그 여정을 현실로 만들어나갈 동력이다. 나는 대개 비관적이고 현실은 늘 나보다 낙관적이다. 당장 지난 주 기후행동에 모인 수만 명의 시민들이 희망이고, 광고와 소비에 거리낌 없이 동참하는 일상 풍경이 거대한 절망이다.



“자본주의는 이제 하나의 경제가 아니라 사회 그 자체가 되어버렸다.”



“자본주의는 한때 그것에 반대했던 의식마저도 이런저런 방식으로 자기 궤도 내로 흡수해버렸다.”



머레이 북친의 사상을 30년 만에 다시 만나 한글로 읽는 것은, 짐작보다 큰 위로와 의지가 되었다. 그가 해부하고 역설하고 강조하고 제시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어쩌면 권력과 언론이 애써 비가시화시키는 것들이 전 세계에 점점 늘어나고 있는 30년이 아니었을까 행복한 꿈같은 희망을 번지게 한다.



“급진 변혁운동의 이면에는 언제나 공동체의 강한 유대가 있었고, (...) 시민 영역이 자리 잡고 있었다. 급진적 실천에 있어 지역자치의 삶은 매우 중요하다.”



물론 다른 한편, 자본주의가 삶 전반을 장악하고 영향력을 넓혀나간 면면을 확인하는 일은 괴롭다. ‘트렌드’(따위가) 삶의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이 두렵다. 그럼에도 30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하고 선명하게 기후문제(라고 불리는 인간사회의 문제)가 인지되고, 수많은 이들이 직접 행동에 나선다.



‘코민주의 정치’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들, ‘사랑philia’(사람들 사이의 연대)가 자리 잡은, 코민주의가 실현된 윤리학, 인간의 고유한 속성인 ‘자유’의 내용을 곱씹는다. 희망이 아니라 ‘과업’을 위한 동참을 위한 북친의 호소가 30년 전보다 더 뜨겁고 간절하게 들린다. “녹색의 멋진 신세계”가 아닌 미래가 당장 필요한 인류의 선택과 행동에 달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접기
poiesis 2024-09-08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리



머레이 북친은 미국의 사회이론가, 정치철학자, 사회운동가로 평생 진보적 사회운동에 헌신했던 사람이다. 그는 사회주의 이론과 생태운동을 접목하여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이론을 주창한 사람이다. 이번에 동녘에서 번역 출판한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은 북친이 생전에 남긴 글들 중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의 핵심을 담고 있는 에세이 네 편을 엮은 책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생태론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생태론의 핵심은, 인류가 마주한 생태위기가 "자연"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라는 것! 인간 사회에 뿌리내린 지배의 관계와 위계 구조, 그리고 착취와 억압은 그대로 인간과 비인간, 사회와 자연과의 관계에도 이어진다.



​자본가가 노동자를, 부자가 빈자를,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인간 사회의 구조가 강고하게 버티고 있는 한, 인간이 비인간과 자연 환경을 착취하고 파괴하고 짓밟는 구조 또한 계속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억압받는 사람들이 해방되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착취받는 자연도 해방되어야 한다!



​자연의 해방은 곧 인간의 해방이기도 하다. 자연이 존중 받는 세상에서는 모든 인간 또한 존중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생태를 보존하고 돌봄으로써 파괴자, 억압자, 지배자, 착취자가 아닌 윤리적 행위자로 각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을 통해 생태문제를 자연의 문제로 국한시키는 기존의 생태운동을 비판한다. 또한 인간 사회와 자연을 별개의 것으로 여기고 등한시해온 기존의 사회주의 노동운동 또한 비판하며 극복하고자 한다.



​넓게 보자면 북친은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와 사회노동운동을 전반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한때 인류 역사를 뒤흔들었던 사회주의 운동은 지나간 옛 유행처럼 시들었으며, 내부적 모순으로 붕괴된다던 자본주의는 더욱 기세등등하게 전세계를 장악하고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는 그저 하나의 경제 체제가 아니라 "사회" 그 자체가 되었다! 사회는 없다. 시장이 곧 사회다!



​이는 곧 자연 역시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안에서 하나의 상품으로 소모되고 거래되는 대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북친의 지적은 기후위기 및 생태위기가 점점 더 심화되는 오늘날 뼈 아픈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사람의 목숨을 금전으로 환산할 수 없는 것처럼 생태 역시 그러하다. 왜? 우리는 이 광대한 우주에서 대체할 수 없는 단 한 곳, 지구에서만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 바로 그 지구가 위기에 처해있다!




기후위기와 생태위기가 인류와 지구의 미래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는 이야기는 이미 90년대 초부터 많은 과학자, 사회학자, 철학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외쳐왔지만... 2024년의 인류는 이 81억명이 함께하는 조별과제에 실패하고 만 것이다😞 이제 정말, 정말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제 정말로 변화의 기회가 전혀 없는 미래가 도래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론이나 미래 예측이 아니라, 지금 당장 즉시적인 실천이다! 그것도 개개인의 소소한 실천이 아니라 적극적인 정치적 운동을 통한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더욱 정치가 중요해진다.



아마존 산림을 베어내지 못하게 막는 것, 멸종위기동물의 밀렵을 막는 것, 육식 대신 채식 지향의 삶을 사는 것, 플라스틱으로부터 자유한 사회를 만드는 것. 모두 정치의 영역이다!





머레이 북친의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어마어마한 제목에 어마어마한 학자의 이름 때문에 첫인상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215쪽으로 의외로 얇고 A5 사이즈도 안되는 작은 크기! 가볍고 핸디해서 출퇴근 길에 지하철에서 읽기 나쁘지 않았다👍 쓰여진 언어도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추천할만 하다!
- 접기
미리내 2024-09-09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이 시대 공직자와 정치인이 읽어야 할 생태정치학의 목민심서와 같은 책



이 책은 술술 읽혀지는 쉬운 책은 아니다. 두 번은 곱씹어 읽어야 하나 읽을수록 깊이를 더해가는 책이다. 기후 재앙 시대에 당면한 수 많은 문제에 우리는 두 눈을 뜨고 온전히 있는 그대로 문제를 파악하고 현실적인 방법을 찾아내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1960년대 환경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잘 모르고 있던 그 시대의 머레이 북친의 혜안은 평안할 때 문제를 대비했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한다. 지금은 늦었다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돌이킬 수 없는 막다른 날에 후회는 하지 않기를 사회와 정치는 위계질서의 문제와 자본주의의 허상에서 인간과 자연을 구출해야 할 것 이다.




이윤을 목적으로 한 거래, 그칠 줄 모르는 산업 확장, 기업의 이해 증진과 진보를 동일시하는 태도 등이 곧 환경파괴의 ‘근원‘이다. - P19


- 접기
영스 2024-09-12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by Murray Bookchin | Goodreads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by Murray Bookchin | Goodreads

https://archive.org/details/SocialEcologyAndCommunalism





Want to read

Buy on Kobo


Rate this book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Murray Bookchin, Eirik Eiglad (Editor)

3.96
194 ratings26 reviews

An astute observer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left, Murray Bookchin sought to develop a refreshingly new political framework. Developing from his earlier works on social ecology—which combined ecological principles with the abolition of social hierarchy and economic inequality—Communalism is a fascinating blend of libertarian municipalism with the best of the anarchist and Marxist traditions.

These essay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represent the final works of Murray Bookchin, co-founder of the Institute for Social Ecology and the author of dozens of articles and books.

Eirik Eiglad is the editor of the journal Communalism.

GenresPoliticsPhilosophyNonfictionEcologyEconomicsSociologyTheory
...more



136 pages, Paperback

First published June 1, 2007
Book details & editions




23 people are currently reading




1,421 people want to read

About the author


Murray Bookchin113 books561 followers

Follow



Murray Bookchin was an American libertarian socialist author, orator, and philosopher. A pioneer in the ecology movement, Bookchin was the founder of the social ecology movement within anarchist, libertarian socialist and ecological thought. He was the author of two dozen books on politics, philosophy, history, and urban affairs as well as ecology. In the late 1990s he became disenchanted with the strategy of political Anarchism and founded his own libertarian socialist ideology called Communalism.

Bookchin was an anti-capitalist and vocal advocate of the decentralisation of society along ecological and democratic lines. His writings on libertarian municipalism, a theory of face-to-face, assembly democracy, had an influence on the Green movement and anti-capitalist direct action groups such as Reclaim the Streets.





Readers also enjoyed




Displaying Page 1 of 5.


Anarchy
Errico Malatesta
3.94
1,484


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Pyotr Kropotkin
4.22
3,469


Das Kapital
Karl Marx
4.08
21.7k


The Wretched of the Earth
Frantz Fanon
4.32
27.7k


The Conquest of Bread
Pyotr Kropotkin
4.07
8,620


Blackshirts and Reds: Rational Fascism and the Overthrow of Communism
Michael Parenti
4.41
6,394


Debt: The First 5,000 Years
David Graeber
4.21
23.2k


Political Theology: Four Chapters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Carl Schmitt
3.93
1,711


Are We Good Enough?
Pyotr Kropotkin
4.22
55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Friedrich Engels
4.24
7,046


The State and Revolution
Vladimir Lenin
4.24
14.9k


Why Socialism?
Albert Einstein
4.08
1,467


The Communist Manifesto
Karl Marx
3.66
172k


Left-Wing Communism, an Infantile Disorder: A Popular Essay in Marxian Strategy and Tactics
Vladimir Lenin
4.17
2,615


Anarcho-Syndicalism: Theory and Practice
Rudolf Rocker
3.95
1,598


Political Ideologies: An Introduction
Andrew Heywood
4.11
1,157


The Principles of Communism
Friedrich Engels
4.06
4,219


Blessed is the Flame: An Introduction to Concentration Camp Resistance and Anarcho-Nihilism
Serafinski
4.26
370


On Contradiction
Mao Zedong
4.21
1,081


Capitalist Realism: Is There No Alternative?
Mark Fisher
4.22
31.5k


All similar books

Ratings & Reviews
What do you think?

Rate this book
Write a Review


Friends & Following
No one you know has read this book. Recommend it to a friend!

Community Reviews

3.96
194 ratings26 reviews
5 stars

62 (31%)
4 stars

81 (41%)
3 stars

37 (19%)
2 stars

9 (4%)
1 star

5 (2%)
Search review text

Filters

Displaying 1 - 10 of 26 reviews


CHO
6 reviews58 followers

Follow
ReadOctober 27, 2017
this cranky anarchist grandpa figured out how to eliminate hierachy and live ecologically
and basically you're a fucking lifestylist

9 likes
Like
Comment




çiğdem
116 reviews2 followers

Follow
January 19, 2021
capitalism: *cause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by taking over the world*

world: capitalism, I love you but you bringing me down. But I love you.

4 likes
Like
Comment



Lori
348 reviews63 followers

Follow
August 7, 2017
The last book to be personally revised by Murray Bookchin: Murray Bookchin unfortunately did not live to see the publication of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July 30th, 2006, he died peacefully in his home, surrounded by family and friends.

It is—essentialy—a very short introduction into the theoretical workings of his last years, a heavy focus on communalism, and a brief exposition of social ecology. For the person who hasn't read this book yet, I would rather recommend The Next Revolution. They share an entire chapter, The Communalist Project, but the latter offers a wider view of Murray Bookchin's work. Not to mention that the latter is easily available in physical copy and as an e-book, while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is out of print, and I couldn't track down one either… I had to revert to other means :)

Overall, this would serve as a very good intro, if it were more available, but it contains nothing that is not available in other volumes, or new insights that Bookchin hasn't talked about in: The Ecology of Freedom, Urbanization Without Cities, The Philosophy of Social Ecology, and The Next Revolution.
read-bookchin read-nonfiction
3 likes
Like
Comment



Rafael Almada
Author 1 book8 followers

Follow
October 1, 2022
Well, Bookchin is certainly an interesting fellow. His general criticism of anarchist thought at least of his time is similar to the critique other anarchist/libertarian-leaning philosophers presented at the time, specifically a lack of philosophical development beyond Bakunin and Proudhon. That is somewhat understandable, as besides those two and Stirner, there were not really that many philosophers in mainstream anarchist discourse. Bookchin does reject some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anarchism, mainly more individualist variants drawing from Stirner and Nietzschean philosophy, and subsequently, any and all poststructuralist interpretations of anarchism (from Deleuze and Foucault's philosophical works, for example), which is quite interesting since there are a lot of parallels in their conceptualization of forces and the multiplicities in which they interact (An expression used in some way by both Bookchin and Foucault). Beyond that slight personal criticism, my impression of the book is overall extremely positive, specially due to its relevancy and the urgency of its message, ever increasing. More than anything, Bookchin suggests a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human activity and in human relations between each other and to the environment, where man is no longer perceived as beyond nature but as part of it. And whether he likes it or not, anarchists will and should be drawing inspiration from his works.

1 like
Like
Comment



Bun
19 reviews

Follow
June 13, 2023
Excellent critiques of existing ecological movements and absolute garbage critiques of marxism. His political strategy and models for society are lacking. However, where he shines brightest is his ecological work, so we're going with four stars.

1 like
Like
Comment




Samuel
50 reviews3 followers

Follow
August 6, 2010
While I continue to disagree with Bookchin's electoralism, I continue to find his work worth reading. This book is a good introduction to Bookchin's thought and I think his attempt to transcend both Anarchism and Marxism is worth serious study.
anarchism ecology
1 like
Like
Comment



Doug Brunell
Author 32 books29 followers

Follow
August 5, 2018
Bookchin's "Ecology of Freedom" is probably essential reading before this is read, as that delves very deeply into the ideas that led to the four essays reprinted in this book. It's not mandatory that you read that first, but it would be helpful.

Bookchin's ideas on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are often thought of as radical or, worse yet, a throwback to a time when most of humankind lived in tribal situations. That could not be more wrong. In fact, he speaks out against that sort of thing because he understands that humans have moved beyond that. Now, he suggests, is the time to live with nature and without systems of hierarchy. This book is a perfect introduction to those ideas.

Bookchin has called himself an anarchist in the past. Some of those ideals come through here, as well, but he also takes anarchism to task for what he sees as its problems (some of those he is correct on). That may irritate some anarchist readers, but that should not stop them from reading this book. This book has important ideas for everyone, if only to open up debate. Unfortunately, the masses won't read it or care.
anarchism culture economics
...more
Like
Comment



TheKingInYellow
3 reviews

Follow
August 25, 2020
SE&C is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by Murray Bookchin, and curated by Eirik Eiglad. If you’re not familiar with social ecology, or are simply curious as to why Bookchin’s social policies have begun to creep into public debate, this is an excellent starting point.

While Bookchin’s prose can be a bit tough to follow at times, and he repeatedly doubles back and re-explains some points he’s already more than made, this book is an incredible thought piece for a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In SE&C Bookchin tackles a wide variety of issues. From how modern statecraft and politics destroys the power of the individual, to the issues inherent in anarchist ideologies, to why capitalism can be singled out as a root of most modern issues. He does this in a relatively simple way, avoiding niche terms and phrases as best he can.

It’s more accessible than his other work, and is a great starting point if you’re curious about his avenue of policy. I also feel Eirik picked some great essays here, and his forward and epilogue are great additions to the work.

Like
Comment



Munta
80 reviews4 followers

Follow
September 8, 2022
Komünalizm siyaset felsefesini anlatan harika bir eser. Bookchin'in kapitalizm, Marksizm ve anarşizm eleştirileri çok değerli olmasına rağmen, komünalist yerel yönetimlerde bahsettiği eleştirilerin olmayacağını sanmak biraz optimistlik gibi geliyor bana. En azından bu eserinde dürüst davranmış ve Kömünalizm'in anarşizmin bir evresi veya alt dalı olmadığını anlatmış. Kitabın bana göre en zirve noktası Marksizm'in 2.dünya savaşı sonrası kapitalizmle ilgili yanlış koyduğu tespitleri güzelce analiz etmesi ve hiyerarşik yapıları doğası gereği evrimsel süreçte ayrımcı olduğunu anlattığı kısımlar. Katılmadığım tek yanı anarşizmle ilgili yaptığı bazı ucuz eleştiriler ( örneğin bireyselcilikle "suçluyor" ama neden bireyselciliğin kötü olduğunu anlatmıyor.) ve devrimci sendikacılığın anarşizmle alakası olmadığını anlattığı bir kısım (cidden buna Stalin bile gülerdi herhalde). Giriş seviyesi bir kitap dolayısıyla Bookchin'in diğer eserlerini okuyup daha fazla bilgi sahibi olmak istediğimi artırdı.
20-yüzyıl anarşizm rating-6
...more
Like
Comment




Laszlo
153 reviews41 followers

Follow
May 24, 2019
This is definitely the best introduction to Bookchin's body of ideas and work, as far as ''gateway'' book goes, this is 5/5.

The quality of the writing, the well summarized, concise but immersive aspect of the work makes for a very enjoyable read even for those already familiar with Bookchin's concepts, for the newcomers it is a quick and easy way into the fundamentals of social ecology, communalism and libertarian municipalism, with the usual polemical and combative style toned down for a more neutral tone while also rallying to action and thought (jabs still thrown at deep ecology and lifestyleism as per usual).

For those uninitiated, this would be great start, however I highly recommend The Next Revolution and Post-scarcity Anarchism for more detail and depth as next read to complete the panoramic view over this refreshing and wholesome approach to radical politics and societal organization.

Like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