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4

알라딘: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 야기 세이이치 Leonard Swidler

알라딘: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 아시아 신학 총서 8
야기 세이이치 (지은이),이찬수 (옮긴이)분도출판사1996-08-01



- 품절 확인일 : 2023-02-23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2)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20,000원

270쪽
===
종교간 대화 방법 제시「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발행일 | 1996-09-08 [제2019호, 10면]
        
종교간의 진지한 대화는 과연 불가능한가? 그리스도교와 불교는 어떤 관점을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인가?

일본의 개신교 성서학자 야기 세이이치와 미국 종교학자 레너드 스위들러가 일종의 종교간 대화의 방법론으로 펴낸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분도 간)는 특별히 불교와 그리스도교간의 대화를 위해 「프론트 구조(Front-Structure)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다종교 사회로서 한국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종교간 대화가 시도되어 왔다. 때로는 그 심도가 신학적 논의까지 이루어질 정도로 깊이를 쌓아오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종교간 교류는 주로 사회현상과 공공선을 위한 공조로서 실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본격적인 의미의 대화는 부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는 한국의 종교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시아 신학 총서 제8권으로 출간된 이 책은 두 개의 논문으로 구성된다. 

전반부는 야기 세이이치가 제시하고 있는 프론트 구조의 이해를 위해 레너드 스위들러가 해설을 하고 있으며 후반부는 세이이치의 논문인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는 다리: 프론트 구조」이다.

레너드 스위들러는 자신과 야기의 예수 이해가 『그리스도교, 또는 불교가 궁극적 실재에 도달하는 유일한 수단이거나 구원을 얻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식의 절대성을 주장할 수 없게 한다』며 양 종교가 서로에게서 배워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화의 다리를 건너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세이이치는 그러한 다리를 건설하는데 일조하고 
====
목차

001. 대화란 무엇인가?
002. 불교-그리스도교 대화
003. 일본의 불교와 그리스도교
004. 야기 세이이치의 신학
005. 가교로서의 이 책에 대하여
006. 프론트 구조와 불교적 사고
007. 자아와 분별지
008. 초원과 인간
009. 통합
010. 그리스도교의 절대성 요구와 관련하여



저자 및 역자소개
-----
야기 세이이치 (八木 誠一 ) (지은이)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최근작 :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바울과 정토불교 예수와 선> … 총 11종 (모두보기)

이찬수 (옮긴이)

====
1.
---
2.
---
3.
---
4.
---
5.
---
7.
---
===

Leonard Swidler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widler 17 Nov 2005.jpg

Leonard J. Swidler (born January 6, 1929) is Professor of Catholic Thought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t Temple UniversityPhiladelphia, Pennsylvania, where he has taught since 1966. He is the co-founder (in 1964, with Arlene Swidler) and editor of the [1]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quarterly). He is also the founder/president of the [2] Dialogue Institute (founded 1978), the senior advisor for iPub Global Connection a book publisher, and the founder and past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for the Rights of Catholics in the Church (1980–).

Biography[edit]

Leonard Swidler was born in Sioux CityIowa to Josephine Marie Reed Swidler (1901–62) and Samuel Swidler (1897–1984). His father was a Ukrainian Jew who had come to the U.S. at age 16, and his mother was an Irish-American Catholic. Eventually the family moved to Cumberland, Wisconsin, and then to Green Bay, where his parents owned and operated the Bay Beauty Shop until after World War II, when they bought a home in Allouez and set up a beauty parlor there. Samuel worked in a paper mill in DePere and Josephine continued to run the hair salon. In 1935 Leonard's brother Jack was born, followed in 1940 by his sister Sandra.

In 1957, while they were 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Leonard Swidler and Arlene Anderson were married. They have two daughters, Carmel (born 1958) and Eva (born 1962), and one granddaughter, Willow (born 2000). Leonard and Arlene Swidler lived in Philadelphia since 1966. Arlene died at home in 2008 after suffering from Alzheimer's for 17 years.[3]

Swidler has published over 80 books and 200 articles.[4] He has lectured on CatholicismEcumenism, Interreligious Dialogue, and Global Ethics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AustriaAzerbaijanBangladeshBosniaBurmaBrazilCanadaChinaEgyptEnglandGermanyHong KongHungaryIndiaIndonesiaIsraelItalyJapanKoreaLebanonMalaysiaMoroccoMyanmarNorth MacedoniaPakistan, Philippines, PolandRepublic of CongoRomaniaRussiaSaudi ArabiaSouth AfricaSpainSudanSwitzerlandTaiwanTunisia, and, of course, the United States.[5]

Swidler has edited and written about the movement Towards a Global Ethic: An Initial Declaration ratified at the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in 1993 and updated in 2018 by the Parliament and the leadership of Myriam Renaud, PhD. [6] [7]

Honors[edit]

  • LL.D. from La Salle University, Philadelphia, October, 1977.
  • LL.D. from St. Norbert College, DePere, WI, October, 2001.
  • Prize for 2002 from the Academic Society for the Research of Religions and Ideologies (SACRI), University of Cluj, Romania.[4]

Education[edit]

• St. Norbert College, B.A. (1946–50) - Philosophy
• St. Norbert Seminary, 1950-52 - Theology
• St. Paul Seminary (Minnesota), 1952-54 - Theology
• Marquette University, 1954-55 - M.A. in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Minors
• University of Wisconsin, 1955-57 -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 University of Tübingen (Germany), 1957-58 - History and Theology; Licentiate in Sacred Theology (S.T.L.) in 1959
•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1958-59 - History and Theology
• University of Wisconsin (1961) - Ph.D. in History[8]

Teaching[edit]

• Milwaukee School of Engineering, 1955 (English)
• Edgewood College, 1955-56 (Philosophy)
• University of Wisconsin: Integrated Liberal Studies Department, 1956-57 (English and History)
• University of Maryland in Europe, 1958-60 (History and Philosophy)
• U.S.A.R. Intelligence School, Fort Sheridan, 1959 (German)
• Duquesne University, 1960-66 (History; also on Theology faculty, 1962–66)
• Professor at Temple University, Religion Department, 1966–

Guest Positions while tenured at Temple University
• ACUIIS summer school at University of Graz, Austria, 1972, 1973
• Guest Professor on the Catholic Theology Faculty and the Protestant Theology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Tübingen, 1972-73
• Visiting Professor at Saint Michael's College, Winouski, VT. Summer, 1976
• Exchange Professor on the Catholic Theology Faculty and the Institute for Ecumenical Research of the University of Tübingen, Summer Semester, 1982
• Exchange Professor on the Catholic Theology Faculty and the Institute for Ecumenical Research of the University of Tübingen, Summer Semester, 1985
• Guest Professor in the Philosophy Department, Nankai University, Tianjin, People's Republic of China, Summer Semester, 1986
• Professor at Temple University Japan (Tokyo), Summer School, May–June, 1987
• Exchange Professor on the Protestant Theology Faculty, Hamburg University, Fall semester, 1989
• Guest Professor in the Philosophy Department, Fudan University, Shanghai, China, Summer Semester, 1990
• Professor at Temple University Japan (Tokyo), 1990-91
• Visiting Fulbright Professor at Centre for Civilisational Dialogue of the University of MalayaKualalumpur, Malaysia, summer 2003
• Visiting Fulbright Professor at Centre for Civilisational Dialogue of the University of Malaysia, Kualalumpur, Malaysia, summer 2004
• Visiting Professor, East China University, Shanghai, China, June, 2004
• Visiting Professor, Fudan University, Shanghai, China, June, 2004
• Visiting Professor, Peoples’ University, Beijing, China, June, 2004
• Visiting Fulbright Professor at Centre for Catholic Studies, Chung Chi Colleg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November, 2007 • Visiting Fulbright Professor at Khazar UniversityBakuAzerbaijan, May 1–28, 2011 [8]

Publications[edit]

Books (including edited and translated volumes)

  • Dialogue for Reunion. New York: Herder and Herder, 1962.
  • Scripture and Ecumenism (ed.)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65.
  • The Ecumenical Vanguard.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65.
  • Jewish-Christian Dialogues (with Rabbi Marc Tanenbaum). Wash., DC: National Council of Catholic Men and National Council of Catholic Women, 1966.
  • Ecumenism, the Spirit and Worship (ed.)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67.
  • BultmannBarth and Catholic Theology, by Heinrich Fries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Pittsburgh: Duquesne U Press, 1967.
  • Freedom in the Church. Dayton: Pflaum Press, 1969.
  • Bishops and People (author, editor, and translator with Arlene Swidler).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0.
  • Women Priests in the Catholic Church?, Haye van der Meer (introduction, postscript, and translation with Arlene Swidler).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73.
  • Isj and Isjah (joint author with Jan Kerkhofs). Antwerp/Utrecht: Uitgeverij Patmos, 1973.
  • Jews and Christians in Dialogue (ed.). Philadelphia: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1975.
  • Women in Judaism. The Status of Women in Formative Judaism. Metuchen, NJ: Scarecrow Press, 1976.
  • The Eucharist in Ecumenical Dialogue (ed.). New York: Paulist, 1976; & as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13, 2 (Spring, 1976).
  • Bloodwitness for Peace and Unity. Denville, NJ: Dimension Books, 1977.
  • Women Priests: Catholic Commentary on the Vatican Declaration (ed. with A. Swidler). New York: Paulist Press, 1977.
  • Jewish-Christian-Muslim Dialogue (ed.). Philadelphia: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1978.
  • Aufklärung Catholicism 1780-1850. Missoula, MT: Scholars Press, 1978.
  • A Commentary on the Oberammergau Passionspiel in regard to Its Image of Jews and Judaism. New York: ADL, 1978.
  • Biblical Affirmations of Woma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9 (4th printing, 1991).
  • Consensus in Theology? A Dialogue with Hans Küng and Edward Schillebeeckx (editor and co-author).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0; also as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vol. 17, no. 1 (Winter, 1980).
  • Jewish Monotheism and Christian Trinitarian Doctrine, Pinchas Lapide and Jürgen Moltmann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0.
  • The Oberammergau Passionspiel 1984 (Das Oberammergauer Passionspiel 1984). New York: Anti-Defamation League, 1980.
  • From Holocaust to Dialogue: A Jewish-Christian Dialogue between Americans and Germans (editor and co-author). Philadelphia: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1981.
  • Küng in Conflict. New York: Doubleday, 1981.
  • Authority in the Church and the Schillebeeckx Case (co-editor with Piet Fransen & co-author). New York: Crossroad, 1982; also as JES, 19, 2 (Spring, 1982).
  • Tractate on the Jews by Franz Mussner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4.
  • The Passion of the Jew Jesus (Das Leiden des Juden Jesus) New York: Anti-Defamation League, 1984.
  • Buddhism Made Plain (with Antony Fernando). Maryknoll, NY: Orbis Books, 1984 (7th printing, 1996).
  • Ed. and founder of Templum, Religion Department Newsletter, Temple University, 1985‐.
  • Religious Liberty and Human Rights (editor & author). New York/Philadelphia: Hippocrene Books/Ecumenical Press, 1986.
  • “Breaking down the Wall” between Americans & East Germans, Christians and Jews (editor & author).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7.
  • Church in Anguish: Has the Vatican Betrayed Vatican II? (co-ed. with Hans Küng, & author).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7.
  • Toward a Universal Theology of Religion (editor and author). Maryknoll, NY: Orbis Books, 1987.
  • A Catholic Bill of Rights (co-editor with Patrick Connor and author). Kansas City: Sheed & Ward, 1988.
  • Catholic-Communist Collaboration in Italy (co-editor with Edward Grace and author).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8.
  • Yeshua: A Model for Moderns. Kansas City: Sheed & Ward, 1988; 2nd expanded ed., 1993.
  • Cristãos e Não-Cristãos em Diálogo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n Dialogue] (in Portuguese), São Paulo: Paulinas, 1988.
  • After the Absolute: The Dialogical Future of Religious Reflection.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0.
  • Death or Dialogue. From the Age of Monologue to the Age of Dialogue (with John Cobb, Monika Hellwig, and Paul F. Knitter Philadelphi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0.
  • Bursting the Bonds. A Jewish-Christian Dialogue on Jesus and Paul (editor & co-author with Gerard Sloyan, Lewis Eron, and Lester Dean). Maryknoll, NY: Orbis Books, 1990.
  • Attitudes of Religions and Ideologies towards the Outsider: The Other (co-ed. with Paul Mojzes & author). NY: Mellen Press, 1990.
  • A Bridge to Buddhist-Christian Dialogue (co-author with and trans. of Seiichi Yagi). Mahwah NJ: Paulist Press, 1990.
  • Christian Miss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co-editor with Paul Mojzes and author). New York: Edwin Mellen Press, 1990.
  • “Alle Christen haben das Recht...” (co-editor with Patrick Connor author). Munich: Kösel Verlag, 1990.
  • Human RightsChristiansMarxists and Others in Dialogue (editor/author). New York: Paragon House, 1991.
  • Der umstrittene Jesus. Stuttgart: Quell Verlag, 1991. Kaiser Taschenbuch. Gütersloh: Chr. Kaiser/Gütersloher Verlagshaus, 1993.
  • Muslims in Dialogue. The Evolution of a Dialogue over a Generation (editor/author). New York: E. Mellen Press 1992.
  • My Witness For the Church, by Bernard Häring.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Mahwah, NJ: Paulist Press, 1992.
  • The Meaning of Life At the Edge of the Third Millennium. Mahwah, NJ: Paulist Press, 1992.
  • Die Zukunft der Theologie im Dialog der Religionen und Weltanschauungen. Regensburg/Munich: Pustet/Kaiser Verlag, 1992.
  • Introduzione al buddismo. Paralleli con l’etica ebraico-cristiana (co-author w. Antony Fernando). Bologna: Edizioni Dehoniane, 1992.
  • IESHUA — Jesus histórico, Cristologia, Ecumenismo (in Portuguese), São Paulo: Paulinas, 1993.
  • Yeshua: Gendaijin no Moderu Iesu (translated by Seiichi Yagi). Tokyo, Shinkyo Shuppansha Pub., 1994.
  • Suffering From the Church, by Heinrich Fries. Introduction &trans. with Arlene Swidler.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 1995.
  • O Sentido da Vida no Limiar do Terceiro milênio [The Meaning of Life] (in Portuguese), Sâo Paulo: Paulus, 1996.
  • Toward a Catholic Constitution. New York: Crossroad Press, 1996.
  • Bulgyo wa Grisdogyo Rulita (Buddhism Made Plain). Benedict Press. Waegwan, Korea, 1996.
  • The Uniqueness of Jesus, co-editor with Paul Mojzes. Maryknoll, NY: Orbis Books, 1997.
  • Theoria—>Praxis. How Jews, Christians, Muslims Can Together Move From Theory to Practice. Antwerp: Peeters Publi., 1998.
  • For All Life. Toward a Universal Declaration of a Global Ethic: An Interreligious Dialogue. Ashland: White Cloud Press, 1999.
  • The Study of Religion in an Age of Global Dialogue (co-author with Paul Mojzes).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2000.
  • Dupa absolut. Viitorul dialogic al reflectiei religioase. Cluj, Romania: Limes, 2003.
  • Interreligious Dialogue Toward Reconciliation in Macedonia and Bosnia, co-editor with Paul Mojzes and Heinz-Gerhard Justenhoven. Philadelphia: Ecumenical Press, 2003
  • After the Absolute (Korean - tr. Chan-Su Yi). Seoul: Ehwa University Press, 2003.
  • Dialogue in Malaysia and the Globe. Kuala Lumpur. University of Malaya, 2004.
  • Our Understanding of Ultimate Reality Shapes Our Actions. Kuala Lumpur. University of Malaya, 2004.
  • Confucianism in Dialogue Today. West, Christianity, and Judaism (co-editor with Shu-hsien Liu and John Berthrong). Philadelphia: Ecumenical Press, 2005.
  • Изучуьањето на релиґиата во ерата на глобалнот дијалог (The Study of Religion). Macedonian Translation by Slobadanka Markovska. Skopje, Macedonia: Tempjum, 2005.
  • Quanqiu Duihua de Shidai. The Age of Global Dialogue. Trans. by Lihua Liu. Beijing: China Social Science Press, 2006.
  • Making the Church Our Own. How We Can Reform the Catholic Church from the Ground Up. Lanham, MD: Sheed & Ward, 2007.
  • Jesus Was a Feminist. What the Gospels Reveal about His Revolutionary Perspective. Lanham, MD: Sheed & Ward, 2007.
  • Trialogue.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Dialogue. New London, CT: Twenty-Third Publications, 2007.
  • A Global Ethic.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42, 3 (Summer, 2007), editor/author.
  • Constitutional Catholicism. An Essential in Reforming the Church. Philadelphia, PA: The Ecumenical Press, 2011.
  • Club Modernity. For Reluctant Christians. Philadelphia, PA. The Ecumenical Press, 2011.
  • Democratic Bishops for the Roman Catholic Church, with Arlene Swidler. The Ecumenical Press, 2011.
  • Editor of the book series: Religions In Dialogue, New York: Edwin Mellen Press, 1990–.
  • Editor and co-founder (with Arlene Swidler) of the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quarterly), 1964–.
  • Letters to Will Does Life Have Meaning?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7.[4]
  • Letters to Will What is Right and Wrong?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8
  • Letters to Will What is Global Ethic?,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8
  • Letters to Will What is Buddhism?,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9
  • Letters to Will Jesus Was a Feminist and Much Much More,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9
  • The Power of Dialogue,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8
  • Breakthrough to Dialogue: The Story of Temple University Department of Religion,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9
  • Movement for a Global Ethic,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18
  • Yeshua Jesus the Jew A Model for Everyone,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20
  • Letters to Will Jesus Was a Rabbi? OMG! iPub Global Connection LLC 2020

References[edit]

  1. ^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Dialogue Institute. Retrieved 10 January 2019.
  2. ^ "Dialogue Institute"Dialogue Institute. Retrieved 10 January 2019.
  3. ^ Swidler, Autobiographical fragments, Temple.
  4. Jump up to:a b c Swidler, Curriculum vitæ, Temple.
  5. ^ "Dialogue Institute Sta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6. Retrieved 2010-11-25.
  6. ^ Movement for a Global Ethic: An Interreligious Dialogue
  7. ^ What is Global Ethic?
  8. Jump up to:a b "Curriculum Vitae".

External links

어느 목사가 깨달은 알기쉬운 반야심경 - 오카노 모리야 - Google 도서

어느 목사가 깨달은 알기쉬운 반야심경 - 오카노 모리야 - Google 도서

어느 목사가 깨달은 알기쉬운 반야심경






종이책 페이지수 : 약 119쪽

책소개
이 책을 읽으면 알 수 있듯 일찍이 우리 선조가 받아들인 불교는 어둡고 낡고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이 아니라 현대와 미래에 힘을 발휘할, 무한한 가능성의 영지(靈智)다.
저자는 불교 밖에서 자라, 어느 정도 나이가 들어 배우기 전까지는 거의 아무 것도 몰랐지만 조금씩 알아갈수록 불교는 과거의 특정한 종교나 종파라기보다는 현대를 사는 누구에게나 의미가 있는-속된 표현으로 모르면 손해를 보는-사상이라는 생각을 했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은 고승대덕에서부터 학자, 여러 의미에서 초심자에 이르기까지 널리 알려진 경전이다. 따라서 ‘뭘 새삼스럽게 반야심경을 이야기하려는가?’ 하고 물을지 모른다.
새삼스럽다는 걸 알면서도 굳이 반야심경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은 지금까지와는 느낌이 달라, 나름대로 독자들에게 참고가 되지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반야심경의 짜임새
제2장 관음보살의 지혜의 말씀
제3장 그 자체로 영원한 것은 없다
제4장 그 자신이란 것은 없다
제5장 우주가 있어 꽃이 핀다
제6장 ‘텅 비었다’와 ‘덧없다’는 이렇게 다르다
제7장 ‘공’이란 실체가 없는 것
제8장 나와 우주의 관계
제9장 정말 아무 것도 없음의 시작
제10장 아무 것도 없음은 조건부
제11장 눈도 없고 귀도 없다… 아무 것도 없다?
제12장 석가모니의 가르침도 없다 1-십이연기
제13장 석가모니의 가르침도 없다 2 - 사제①
제14장 석가모니의 가르침도 없다 3 -사제2
제15장 마음은 어떤 순서로 상쾌해질까?
제16장 깨닫고 있는 사람
제17장 깨달은 사람
제18장 정리해서 말하면
제19장 반야심경은 소리내어 읽는 것
제20장 모든 고통이 사라진다?
제21장 반야심경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제22장 알고 읽자
맺으며 반야심경은 미래를 연다


접기









오카노 모리야
북아띠, 2020. 1. 9.
0 서평

이 책을 읽으면 알 수 있듯 일찍이 우리 선조가 받아들인 불교는 어둡고 낡고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이 아니라 현대와 미래에 힘을 발휘할, 무한한 가능성의 영지(靈智)다. 저자는 불교 밖에서 자라, 어느 정도 나이가 들어 배우기 전까지는 거의 아무 것도 몰랐지만 조금씩 알아갈수록 불교는 과거의 특정한 종교나 종파라기보다는 현대를 사는 누구에게나 의미가 있는-속된 표현으로 모르면 손해를 보는-사상이라는 생각을 했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은 고승대덕에서부터 학자, 여러 의미에서 초심자에 이르기까지 널리 알려진 경전이다. 따라서 ‘뭘 새삼스럽게 반야심경을 이야기하려는가?’ 하고 물을지 모른다. 새삼스럽다는 걸 알면서도 굳이 반야심경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은 지금까지와는 느낌이 달라, 나름대로 독자들에게 참고가 되지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이다.자세히 »

자주 나오는 단어 및 구문
가르침 가장 가지 같은 거나 것도 것을 것이다 경전 고통 과학 관계 관음 보살 그것은 그것을 그대로 그러므로 그런데 기분 깊은 깊이 깨달음 내용 느낌 다른 다음 대상 대승 불교 된다 든지 들어 때문 때문에 마음 만트라 말이 말하면 매우 먼저 모든 모습 무명 무분별 무상 문제 물론 물질 반야 바라밀다 반야 심경 방법 보면 보통 부분 부처 분별지 불교 사람 사실 상태 생각 석가모니 설명 세계 소리 수행 실감 실천 실체 아니다 아니라 않고 않는다 어쨌든 없고 없는 없다 없이 에게 에서는 연기 우주 원인 유식 의미 의식 이것은 이고 이나 이라고 이며 이야기 이해 인간 인생 있고 있기 있다고 있다는 자신 자체 작용 적인 전체 조금 존재 좋다 주문 지금 지혜 집착 체험 하게 하나 하다 하면 하지 한다 해서 해석 했다 확실히

저자 정보 (2020)


오카노 모리야 1947년에 태어났다. 칸토대학에서 기독교 신학을 공부하고 직접 야기 세이이치(八木誠一)의 저서를 통해 타키자와 카츠미(瀧澤克己), 히사마츠 마코토(久松眞), 니시타니 케이지(西谷啓治)에게 큰 영향을 받는다.
11년 동안 목사 생활을 하면서 아키즈키 류민(秋月龍珉)에게 선을 배우고,
혼자서 유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을 공부하고
현재는 ‘기독교 유일주의는 졸업했고, 우선 종교는 神佛基習合, 전문은 종교철학, 심리학이다.
작가, 편집자, 유식심리학 워크숍의 인스트렉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분서주하고 있다’고 자신을 소개한다. ‘산그라하 심리학 연구소’와 기관지(機關誌) 「산그라하」 주간을 역임했다.

도서 문헌정보

제목 어느 목사가 깨달은 알기쉬운 반야심경
저자 오카노 모리야
발행인 북아띠, 2020

한국의 교토학파 연구 현황: 종교계 연구를 중심으로 (1,2,3) 에큐메니안

왜 교토학파인가 - 에큐메니안


왜 교토학파인가한국의 교토학파 연구 현황: 종교계 연구를 중심으로 (1)

이찬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승인 2019.03.07 


앞으로 이어질 이찬수 교수님의 “한국의 교토학파 연구 현황: 종교계 연구를 중심으로”는 지난 2월16일 한국문화신학회ㆍ기독교통합연구소ㆍ난잔종교문화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동계학술회의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글의 게재를 허락한 주신 일본 난잔종교문화연구소 김승철 소장님과 이찬수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편집자 주


교토학파(京都學派, Kyoto School)는 불교적 입각점 위에서 서양철학을 창조적으로 소화해냄으로써 지금까지는 없거나 미미했던 새로운 논리를 창안해냈다. 그로 인해 서양 철학자의 눈에는 가장 대표적인 동양철학 학파로 자리매김했고, 일본의 철학 수준을 세계적 차원으로, 보기에 따라서는 그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단순히 철학자들의 순수한 연구 모임으로 그친 것은 아니다. 본의든 본의 아니든, 교토학파 사상가들은 20세기 초반 일본의 군국주의 혹은 침략전쟁의 정당화에 기여했다는 비판적 평가도 받고 있을 만큼, 이들의 사상은 일본 및 동아시아 근대의 정치 지형의 변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런 점에서 이러한 정치적 영향에 대한 분석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교토학파의 사상적 흐름

하지만 교토학파는 어디까지나 학자들이 이끈 철학적 ‘학파’이다. 따라서 그 학문적 넓이와 깊이에 대한 분석과 사상적 영향력에 대한 평가가 더 중요한 작업이라는 뜻이다. 교토학파의 사상적 특징부터 요약해보자.

교토학파는 서양의 존재(Being) 혹은 실체(essence/substance) 중심 논리의 한계 내지 불철저성을 비판하면서, 불교적 공(空, Emptiness) 혹은 절대무(絶對無, Absolute Nothingness)의 입장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논리를 만들어냈다. 『반야심경』(般若心經, Heart Sutra)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Form is Emptiness, Emptiness is Form)에 담긴 “즉(卽)의 논리”(Logic of Soku)를 서양철학의 언어로 규명해낸 셈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교토학파의 개조로 일컬어지는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Nishida Kitaro, 1870-1945)는 “공(空)의 장(場)”(Field of Emptiness) 안에서 모든 것을 절대적으로 긍정하는 이른바 “장소적 논리(場所的 論理, Logic of Place)”를 창안했다. 이러한 니시다(西田)의 언어와 사상이 제자들에게 계승되면서 일단의 학문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 교토학파의 개조로 일컬어지는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Nishida Kitaro, 1870-1945) ⓒGetty Image


니시타니 케이지(西谷啓治, Nishitani Keiji), 타나베 하지메(田邊元, Tanabe Hajime), 히사마츠 신이치(久松眞一, Hisamatsu Shinichi) 등 후학들은 스승인 니시다(Nishida)의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저마다 독특한 입장을 펼쳤다. 이들의 입장을 한 마디로 획일화시킬 수는 없지만, 각자의 사상적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니시타니(西谷, Nishitani)는 니시다의 철학적 틀을 이용해, 니체(F. Nietzsche)의 허무주의가 도달하지 못한 그 극단의 지점을 “공의 장”(Field of Emptiness)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그는 세계가 허무주의적 방랑에 머물지 않고 도리어 허무를 관통해 철저하게 긍정될 수 있는 논리를 확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선사(禪師, Zen Master)이자 학자인 히사마츠(久松眞一, Hisamatsu)는 일체의 유신론적 형태를 거부하고 자신의 깨달음 체험에 근거해 철저한 무신론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는 세상만사의 근원이라고 여겨지는 최후의 의지처를 타파함으로써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선사상-“萬法歸一歸何處”(『碧巖錄』 第45則)-의 현대적 표현이 철저한 무신론이라고 해석했다.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는 『금강경』(金剛經, Diamond Sutra)에서 따온 표현인 “즉비”(卽非, Sokuhi)의 개념을 활용해 “즉비의 논리”(Logic of Sokuhi; Logic of self-identity in self-negation)를 창안했다. 이를 통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대립과 차별[非]을 넘어선 절대긍정의 세계, 다시 말해 ‘즉(卽, 긍정, identity)’이 그대로 ‘비(非, 부정, negation)’인 세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들이 대체로 선(禪의, Zen) 입장에서 서양철학을 포섭하고자 했다면, 타나베(田邊元)는 정토진종(淨土眞宗, Jodo Shinshu)의 시각을 중시했다. 그는 공(空)과 역사를 직접 동일시하기보다는, 공이라는 보편적 진리와 역사적 구체화 사이의 ‘매개’(媒介, mediation)를 통해 인간의 사회적 실천을 부각시켰다. 공이 그대로 색(空卽是色)일 수 있는 근거, 절대 진리의 세계와 구체적 현실 세계 사이의 상즉성(相卽性, inter-identity)은 인간의 자기부정적(自己否定的, self-negational) 개입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매개’의 철학(philosophy of mediation)을 전개했다. 그의 입장은 제자 타케우치 요시노리(武內義範, Takeuchi Yoshinori)를 통해 계승되었다.

교토학파의 사상적 기반, 선불교

이들 간에 강조점의 차이는 다소 있지만, 전체적으로 교토학파는 불교적 입각점, 특히 공(空)의 입장에서 서양 사상을 창조적으로 수용하면서 세상과 역사의 존재 원리를 긍정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는 대동소이하다. 서양철학의 언어를 사용해 불교적 세계관을 살리면서 동·서양을 아우르는 철학을 시도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런 방식으로 서양철학 안에서 불교적 정신을 찾기도 했다.

니시타니(西谷, Nishitani)와 우에다(上田, Ueda) 등 많은 이들이 에크하르트(M. Eckhart)의 신비주의와 같은, 선(Zen)과 통할 수 있는 부정신학적(否定神學, negative theological) 흐름을 중시하고, 성서를 자주 인용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서양 사상의 근간에 있는 그리스도교 전통의 ‘배후’(背後)를 드러내면서, 그곳에서 동양 전통과의 유사성을 보되, 동양 사상의 우월성, 그리고 일본 철학의 보편성을 강조하려는 내심도 들어 있다. 서양적 정신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논리의 바닥까지 내려가 보지 못했음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경향이 컸다.

그런 까닭에 이들이 종횡무진 사용하는 서양의 언어 속에서도 빛나는 것은 언제나 동양적, 불교적, 특히 선적(禪的) 정신이다. 그것도 좁혀 말하면, 일본 안에 흐르고 있는 대승불교적 정신이다. 공(空, Emptiness)의 철학을 통해 현실세계, 즉 색(色, Form)의 세계를 긍정하는 논리를 현대화시켰다는 데에 이 학파의 사상사적 의미가 지대하다.

이찬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chansuyi@hanmail.net

===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연구, 입체적이지 못하다한국의 교토학파 연구 현황: 종교계 연구를 중심으로 (2)
이찬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승인 2019.03.22 


지난 글에서 언급했듯이 교토학파는 존재 중심의 서양적 논리가 전제하고 있는 그 최종적인 지점을 서양철학의 언어로 타파했다. 그리고 현실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할 수 있는 동양적 논리를 정립했다. 서양의 종교 및 철학자들은 교토학파 사상가들이 서양철학의 언어로 구체화시킨 동양적 논리를 통해 특히 불교철학의 심원함을 다시 보게 되었다.

교토학파의 철학은 불교의 사상적 영향을 지대하게 받아오던 한국의 일부 종교학자들에게도 한국의 사상적 전통을 계승하면서 서양적 세계관까지 통합할 수 있는 한국적 논리를 고민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진지하게 가진 한국의 연구자는 아직 소수에 그칠 뿐만 아니라, 교토학파 수준의 논리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지는 못한 상태이다. 존재 중심의 서양적 사유와 존재에 매이지 않는 동양(특히 불교철학적)의 사유가 별도의 장에서 공존하고는 있지만, 공존의 ‘논리’가 충분히 성립되었거나 온전한 ‘융합’의 단계에까지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교토학파의 연구 분야, 종교계가 압도적

이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교토학파가 한국 종교 및 종교철학 관련 학계에 어느 정도 소화되고 있는지, 연구의 전망은 어떤지, 그리고 교토학파 연구와 관련하여 어떤 과제에 직면해 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가늠해보고자 한다. 정치학 및 문학자 등에 의한 교토학파 관련 논문들도 일부 출판되어 있지만,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사상에 대한 연구는 종교 관련 학자들에 의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다. 실제로 관련 단행본들은 대부분 종교 및 종교철학적 저술이나 번역서들이다. 이것은 교토학파가 기본적으로 종교 혹은 종교철학의 언어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내 교토학파 연구는 신학적 배경을 지닌 연구자들의 작업이 불교적 배경을 지닌 연구자들에 의한 것보다 더 많다. 한국에서 교토학파 연구는 ‘종교간 대화’에 관심을 두던 신학자들이 먼저 시도했고, 신학적 지평을 불교적 세계관에 어울리도록 확장하면서 ‘한국적 신학’을 확립하려는 의도의 표현이기도 했다.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형식과 언어를 넘어서는 더 보편적인 언어를 추구하는 이들에 의한 모험적 시도들도 있었다.

교토학파의 난해한 언어 이해가 관건

그렇기는 하지만 교토학파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할 수는 없다. 한국에서 교토학파 연구는 질과 양 모두에서 여전히 초보 단계이다. 무엇보다 교토학파를 입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한국인 전문 연구자는 몇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이다. 아직 한국인에 의한 교토학파 전반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나오지 못하고 있으며, 여타의 일본 사상 연구에 비해, 교토학파에 대한 한국인의 연구 성과나 연구자들은 소수에 머물고 있다.

▲ Nishida Kitaro with staffs and students around 1913(K. Nishida, Nishida Kitaro Zensyu, Vol.14 [Tokyo: Iwanami Syoten, 1951]) ⓒhttp://www.kyoto-u.ac.jp/cutting-edge/cutting_edge/page32.html


이것은 순수한 종교철학 연구가 학계의 주류에서 더 주변으로 밀려나는 상황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교토학파 사상가들의 심층적이고 종합적이며 난해한 언어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서양의 철학적, 불교적, 신학적 이해가 종합되지 않고서는 교토학파의 논리의 심층을 이해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불교적, 신학적, 순수 철학적 연구들이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류에 편승한 실용주의적 연구가 주류를 형성해가고 있으니, 앞으로도 교토학파 전문 연구자들이 더 등장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물론 교토학파의 사상사적 의미가 종교나 철학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교토학파의 일본 및 동아시아의 정치사적 의미가 적지 않고, 전술했듯이, 한국에서도 일부 정치학 혹은 문학자들이 이 부분에 관한 연구를 내놓고 있기도 하다. 교토학파의 시대적 의미와 정치 사회적 영향력을 고찰하는 연구도 그 자체로 중요한 작업들이다.

하지만 교토학파는 기본적으로 종교 및 철학적 연구 체계로서, 이 학파의 철학 및 논리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그런 영향력의 근원을 간과하는 표층적 연구에 머물 수밖에 없다. 교토학파의 종교철학적 논리와 학문적 종합성 및 정치사회적 영향력까지 두루 소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연구에 부족한 점

그런 척도로 본다면,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연구는 여전히 그 심층까지 들어가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일부의 영역에 머물고 있거나 각종 연구들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실제로 종교 관련 연구자조차 교토학파의 내밀하고 심오한 철학적 언어를 충분히 소화하기는 간단하지 않은 마당에, 종교 관련 연구자들이 교토학파의 일본 및 동아시아의 정치사적 의미까지 입체적으로 파악하기는 현실적으로 힘에 부치는 일이다.

일본의 정치사적 언어에 익숙한 정치학자가 대승불교의 공(空)사상을 서양철학의 존재론과 일치시키는 교토학파의 논리와 섬세한 언어를 충분히 따라가기는 더욱이나 어려운 일이다. 이 글에서 한국 내 종교 관련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를 중심으로 보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종교철학자 중에서도 대체로 신학적 배경을 지닌 이들에 의한 연구가 좀 더 많다. 일부 불교학자들이 교토학파에 관심을 가지기도 하지만, 불교학자는 교토학파의 서양철학적 혹은 신학적 언어를 충분히 소화하기 힘들어하는 경향이 있다. 기독교 신학자는 대승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교토학파의 엄밀한 언어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런 저런 이유로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연구는, 연구자의 관심에 따라 단편적으로 계속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정리한 본격적인 단행본 출판으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
한국 내 교토학파 연구의 시작과 토대한국의 교토학파 연구 현황: 종교계 연구를 중심으로 (3)
이찬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승인 2019.03.29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한국 기독교권에서(아마 전 영역에 걸쳐서도) 교토학파를 다루었던 최초의 인물은 최태용(崔泰瑢, 1897-1950)으로 보인다. 그는 1920년부터 일본에 유학하면서 기독교 무교회주의자 우치무라 간조(內村監三)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1924년 귀국 후 한국의 기성 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운동을 했다.(1)

▲ 최태용 목사는 명시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일본 교토학파의 사상을 수용하고 이론화 하기 시작한 최초의 인물이다. ⓒGetty Image


최태용의 교토학파 수용

1928년에 다시 도일해 메이지 가쿠인 대학(明治學院大學)에서 신학을 공부하면서 교토학파에 대해 알게 되었다. 1932년 귀국 후에 썼던 그의 글에는 니시다 기타로(Nishida Kitaro)가 말하는 장소론을 차용해 “아담의 장소에서 그리스도의 장소에로의 옮김”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그가 전개하는 논리의 구조가 니시다의 장소론 혹은 행위론과 거의 같다. 1936년도에는 니시다의 “절대모순적 자기동일”의 논리에 기대서 “다수와 한 개체는 부정적 관계”에 있으며 “한 개체 즉 다수”라는 논리를 통해 여러 ‘교파들’과 전체로서의 ‘기독교’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나아가 1946년 해방 정국에서 한국적 국민운동론을 만들고 실제로 국민운동을 펼치는 과정에 교토학파 사상가들의 제국이론을 차용하기도 했다. 최태용이 자신의 논리가 교토학파 철학자들에게서 왔다고 명시하고 있지 않고, 그가 교토학파 자체를 연구했거나 체계적으로 소개했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국민운동에 뛰어든 1940년대 후반의 강의록 『新國家觀』에 스즈키 시게타카(鈴木成高), 타나베 하지메(田邊元), 미키 기요시(三木淸) 등을 인용하고 있는데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사상 안에는 분명히 교토학파의 세계관이 들어있다.

이미 1930년대에 교토학파의 논리를 일부 소화해 ‘국민’과 ‘국가’, ‘교파’와 ‘기독교’의 관계를 해명하고, 일제로부터의 해방 이후 국민 통합을 통한 국가 구성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구체적으로 농촌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던 그의 전력이 이것을 잘 보여준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홍정완, “해방 이후 남한 ‘국민운동’의 국가·국민론과 교토학파의 철학”(2010)에 잘 소개하고 있다.

감리교신학대학교 변선환 교수의 본격적인 교토학파 연구

한국 전쟁기를 지나 이른바 근대적 학문이 본격 시작될 때까지 한국에서 교토학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들어 교토학파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선구자는 변선환(邊鮮煥, 1927~1995)이다. 토착화 신학 및 아시아 신학의 확립을 위해 종교간 대화를 시도했던 변선환은 스위스 바젤대학(University of Basel)에 늦은 나이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1976)에서 자신보다 젊은 일본의 신학자 야기 세이이치(八木誠一, 1932~)의 신학을 다루었다.

▲ 일본 교토학파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작고하신 고 변선환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Getty Image


귀국 후 감리교신학대학에 재직하면서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니시타니 케이지(西谷啓治), 아베 마사오(阿部正雄) 등의 사상 전반을 한국 신학계에 소개했다. 그 영향력 하에서 최범철(崔範澈)이 석사학위 논문을 기반으로 “절대무와 한스 발덴펠스의 겸허신학”(1986)를 발표했다. 또한 김광원(金光源)은 “발덴펠스의 생애와 사상”(1988)이라는 제목으로 불교와 소통할 수 있는 신학적 입장을 소개한 소논문을 출판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변선환의 직·간접 제자인 김승철( 金承哲), 이찬수(李贊洙) 등이 교토학파 사유체계를 중심으로 불교와 그리스도교간 대화를 시도하면서, 점차 한국어로 된 본격적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교토학파 관련 서적들의 번역과 출판

▲ 변선환 교수의 제자로 교토학파의 서적을 번역·출판하는데 가장 공을 쏟은 일본 난잔대학의 김승철 교수 ⓒ에큐메니안


한국에서의 교토학파 연구와 관련하여 가장 획기적인 일은 1990년대 초·중반 불교계 출판사 ‘대원정사’(大圓精舍)가 후원하고 변선환(邊鮮煥), 김승철(金承哲) 등 기독교 신학자가 번역에 참여한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 총서’가 발행되었던 일이다.

이 때 교토학파 관련 주요 저술들, 특히 
  • 니시타니 케이지(西谷啓治)의 『종교란 무엇인가』(1994), 
  • 한스 발덴펠스(Hans Waldenfels)의 『불교의 空과 하나님』(1993)이 번역되었다. 
또한 히사마츠 신이치(久松眞一)의 『無神論』(1981)을 
야기 세이이치(八木誠一), 타키자와 카츠미(瀧澤克己), 오다가키 마사야(小田垣雅也) 등의 신학적 응답과 엮어서 번역한
  •  『無神論과 有神論』(1994)이 번역된다. 

그리고 아베 마사오(阿部正雄)가 20여 년에 걸쳐 쓴 주요 논문들을 묶어 번역한
  •  『禪과 現代哲學』(1996), 
  • 『禪과 現代神學』(1996), 
  • 『禪과 宗敎哲學』(1996)이 출판된다.

마지막으로 야기 세이이치(八木誠一)의 『바울과 정토불교, 예수와 선』(1998)이 번역되어 모두 8권의 주요 책들이 출판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에서 교토학파가 본격 연구될 수 있는 기초가 놓이기 시작했다. 필자도 이 가운데 아베 마사오(Abe Masao, 阿部正雄) 저술의 한국어 번역에 참여하기도 했고, 그의 글들에서 사상적 도전을 제법 받기도 했다.

이 가운데 위 8 권의 책의 절반 가량을 한국어로 소개한 이는 김승철(金承哲)이다. 김승철의 노력으로 교토학파(京都學派)가 한국의 일반 종교 관련 연구자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김승철은 교토학파의 논리를 매개로 불교와 그리스도교간 대화의 이론적 심층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런데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출판사 사정으로 이 시리즈가 폐간되면서(2) 교토학파가 더 많은 이들에게 좀 더 깊게 소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게 위축되었다. 하지만 이 출판물들은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교토학파의 사상적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고, 소규모지만 후속 연구로 이어졌다.

▲ 변선환 교수와 김승철 교수 등에 의해 번역된 출판된 교토학파 관련 서적들. 하지만 출판을 맡았던 대원정사의 폐간되면서 더 이상 찾아볼 수가 없다. ⓒ에큐메니안


미주
(미주 1) 이것은 1935년 ‘기독교조선복음교회’(Korea Evangelical Church)라는 교단의 창립으로 이어졌다.
(미주 2) 불교전문 출판사에서 기독교 및 신학과 연관된 책을 내는데 대한 교단 내부의 오해 및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데서 오는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었다.


이찬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chansuyi@hanmail.net

===

불교와 기독교를 잇는 가교 '도마 복음' - 오마이뉴스

불교와 기독교를 잇는 가교 '도마 복음' - 오마이뉴스



불교와 기독교를 잇는 가교 '도마 복음'[책] 오강남 교수의 <종교, 심층을 보다>
11.07.10 
권성권(littlechri)


공감22




관련사진보기
모든 종교에는 표층과 심층이 있다고 한다. 표층이란 내가 복을 많이 받아 이 땅에 보란 듯 잘 살고 영생 복락을 누리는 데 집중한다면, 심층이란 내 욕심을 줄일 뿐만 아니라 나를 부인하고 남을 위한 이타적인 삶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더욱이 표층종교는 문자주의에 갇힌 맹목적인 믿음을 강조하지만, 심층종교는 문자주의를 넘어 그 '깨달음'을 중요시한다.

물론 모든 종교인들은 대부분 표층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그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면 종교를 병이나 고치고, 돈이나 벌게 하는 미숙한 수준을 넘지 못한다. 오히려 신앙이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심층 차원의 단계로 올라서야 한다. 이를테면 자신의 영적인 눈이 열리는 세계관으로 한 단계 넘어서는 것이다.

오강남 교수의 <종교, 심층을 보다>도 그런 눈을 트여준다. 이 책은 표층과 심층의 차이를 알려주고, 각 종교가 지닌 심층 차원을 깊이 들여다볼 수 돕는다. 이는 각 종교가 치중하고 있는 외형과 기복에서 벗어나 진정어린 종교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취지도 담겨 있다. 아울러 폴 틸리히가 이야기한 바 있듯이, 각 종교의 전도 차원보다도 대화의 장을 넓히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그가 종교의 심층을 들여다보게 하는 차원은 남다르다. 여러 종교들을 에둘러 보는 게 아니라 철학자들과 많은 사상가들을 통해 그 속내를 알게 해 준다. 소크라테스와 같은 그리스·로마 철학자들에서부터 모세와 에리히 프롬과 같은 유대교의 지도자들, 바울과 도마와 같은 그리스도교의 선각자들, 무함마드와 루미와 같은 이슬람교의 성인들, 노자 장자와 같은 동아시아의 선각자들, 마하트마 간디와 마하비라 같은 인도의 영성가들, 그리고 류영모와 함석헌 등 한국의 스승들을 통해 그 깊이를 일깨워주는 게 그것이다.

물론 비교종교학을 전공한 학자들은 나름대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정 종교에 심취한 상태에서, 다른 종교를 파악하는 게 그것이다.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본다면 책을 통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통해서 얻는 간접 경험에 해당된다. 자신의 종교를 벗어난 타종교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개론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 나열하고 있는 이슬람교의 성인이나, 인도의 영성가들, 그리고 불교의 선지자들에 관한 내용도 그런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그가 이 책을 통해 기독교인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신선한 내용도 없지는 않다. 극단적인 보수주의자가 아닌 이상 모세를 실제 역사적 인물로 보는 이가 거의 없다는 지적, 유대인 사상가 에리히 프롬과 아브라함 헤셸이 현대인들이 납득할 수 있는 안식일 준수의 의미를 밝혀냈다는 것, 기독교인들이 표층적 문자적 의미에 집중하는 경우 천국은 하늘 어디에 붕 떠 있는 '장소'로만 생각하게 된다는 것, 아울러 <도마복음>도 '참나'를 아는 '깨달음'을 강조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게 그것이다.

"모든 종교의 심층에는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경지가 있다. 그 경지는 종교의 특수성을 관통한 영적 자유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인간 실존의 궁극 의미를 표현한 다른 표현들 속에 나타난 영적 현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그리스도교의 선각자들 가운데 한 사람인 신학자 폴 틸리히가 이야기한 것을 그대로 옮긴 내용이다. 오강남 교수가 종교의 심층을 강조한 것도 모두 그의 영향을 받은 까닭이지 싶다. 물론 그가 더 중요하게 여기는<도마복음>의 영향력도 그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도마는<도마복음>에서 제자들 중 가장 위대한 제자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가 도마를 특별히 '인류의 스승' 반열에까지 올리는 것은 그가 전해주는 <도마복음>이 그리스도교는 주로 현교적인 가르침이라고 생각하던 많은 사람에게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 만큼 심층적 기별을 전해주기 때문이다. 필자가 <도마복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이것이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는 가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리스도교에서 잃어버리거나 등한시되던 심층적 가르침을 되살리게 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해 준 그가 참으로 고마울 따름이다."

이 책을 대하는 나는 사실 기독교인에 속한다. 오강남 교수에게는 어느 종교에 속한다는 게 무의미할 수 있다. 그에게 모든 종교의 심층은 하나의 통섭을 이루고, 같은 근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와 붓다와 예수와 공자를 세계 4대 성인으로 추앙하는 종교인들에게는 모두가 오십보 백보다. 그런 통섭도 실은 각 종교의 경전 속에 들어 있는 문자주의의 유사성에 매달릴 때 갖게 되는 시각일 수 있다. 각 종교의 경전을 '통'으로 깨우치는 이들은, 문자주의의 유사성을 넘어 더 깊은 심층의 이면을 깨닫기도 한다. 그것이 내가 오강남 교수에게 바라는 바이기도 하다.




종교, 심층을 보다

오강남 지음, 현암사(2011)


이 책의 다른 기사'문맹자' 예수가 존경받는 이유...'깨달았기에'

종교간 대화 방법 제시「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241566

종교간 대화 방법 제시「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

발행일 | 1996-09-08 [제2019호, 10면]

종교간의 진지한 대화는 과연 불가능한가? 그리스도교와 불교는 어떤 관점을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인가?

일본의 개신교 성서학자 야기 세이이치와 미국 종교학자 레너드 스위들러
 일종의 종교간 대화의 방법론으로 펴낸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분도 간)는 특별히 불교와 그리스도교간의 대화를 위해 「프론트 구조(Front-Structure)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다종교 사회로서 한국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종교간 대화가 시도되어 왔다. 때로는 그 심도가 신학적 논의까지 이루어질 정도로 깊이를 쌓아오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종교간 교류는 주로 사회현상과 공공선을 위한 공조로서 실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본격적인 의미의 대화는 부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다」는 한국의 종교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시아 신학 총서 제8권으로 출간된 이 책은 두 개의 논문으로 구성된다. 전반부는 야기 세이이치가 제시하고 있는 프론트 구조의 이해를 위해 레너드 스위들러가 해설을 하고 있으며 후반부는 세이이치의 논문인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잇는 다리: 프론트 구조」이다.

레너드 스위들러는 자신과 야기의 예수 이해가 『그리스도교, 또는 불교가 궁극적 실재에 도달하는 유일한 수단이거나 구원을 얻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식의 절대성을 주장할 수 없게 한다』며 양 종교가 서로에게서 배워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화의 다리를 건너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세이이치는 그러한 다리를 건설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분도/269면/6천5백원>
===

불교·기독교의 진리는 결국 하나 | 중앙일보

불교·기독교의 진리는 결국 하나 | 중앙일보

불교·기독교의 진리는 결국 하나
중앙일보
입력 1989.12.02


불교와 기독교를 비교 검토하면서 궁극적 진리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혀보는 
「불교와 기독교」국제학술회의가 사단법인 한국불교진흥원(이사장 이기영) 주최로 1, 2일 이틀간 서울타워호텔 본관1층 젤코바홀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첫날 
  • 「불교와 기독교에 있어서의 궁극적 실재」(이기영), 
  • 「불교의 삼신사상과 기독교의 삼위일체 신관」(R 털먼·미 콜럼비아대 교수), 
  • 「다르마와 하느님」(야기 세이치·동경공업대 교수)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2일에는 
  • 「열반과 구원」(더 스트랭·미 남감리교신학대 교수), 
  • 「기독교 영성훈련과 불교적 고행」(변선환·감리 신학대 학장), 
  • 「종교적 가치와 대중문화의 도전」(L랭커스터·미 버클리대 교수)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이기영 원장은 『신인 예수야말로 궁극적 실재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 기독교와 모든 것을 일심의 상이라고 말하는 불교사이에서 궁극적 진리를 단순히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하고 
『그러나 심성의 가장 높은 지혜의 차원에서 볼 때 참된 불교의 진리성과기독교의 진리성은 결코 다른 두개의 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스트랭 교수는 『열반과 구원에 이르려는 수련과 체험에는 변화·전환·성취의 느낌이 있다.
 한계 지워지고 조건 지워진 개아의 관점에서 
이러한 전환은 개아의 자아중심적 특질과는 전혀 다른 자기 초월적 근원에 의해 자기 기만과 자기중심적 존재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고 말하면서 
『열반이나 구원은 다같이 자아의 확장을 통해 
보시와 사랑을 이루어 나가는 진정한 자유의 획득에서 얻어지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