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8

Richard Foster (theologian) - Wikipedia

Richard Foster (theologian) - Wikipedia



리처드 포스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처드 포스터(Richard J. Foster)는 미국 아주사 퍼시픽 대학교, 미시건의 스프링 아버 대학교의 영성신학 교수이며, "레노바레"(Renovare)의 설립자다. 

영성 운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으며, 삶에 적용되고 이웃과 사회의 영성을 깊게 하는 크리스천 영성의 영향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포스터의 종교는 퀘이커교이다.

저서
『영적 훈련과 성장』(Celebration of Discipline, 1978)
『기도』
『돈, 섹스, 권력』
『신앙고전 52선』(Devotional classics: selected readings for individuals and groups)
『영성 고전 산책』(Spiritual Classics)





Richard Foster (theologia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Richard James Foster (born 1942) is a Christian theologian and author in the Quaker tradition. His writings speak to a broad Christian audience. Born in 1942 in New Mexico, Foster has been a professor at Friends University and pastor of Evangelical Friends churches. Foster resides in Denver, Colorado. He earned his undergraduate degree at George Fox University in Oregon and his Doctor of Pastoral Theology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from Houghton College.[1]

Foster is best known for his 1978 book Celebration of Discipline, which examines the inward disciplines of prayerfastingmeditation, and study in the Christian life, the outward disciplines of simplicitysolitudesubmission, and service, and the corporate disciplines of confessionworship, guidance, and celebration.[2] It has sold over one million copies. It was named by Christianity Today as one of the top ten books of the twentieth century. A work described as a sequel to Celebration is Foster's 1985 Money, Sex & Power.[3] and associated study guide.[4]

He also published Freedom of Simplicity in 1981, which further explores the discipline of simple, intentional living.[5] Prayer: Finding the Heart's True Home (1992, ISBN 0-06-062846-4), which explores 21 different types of Christian prayer, edited Devotional Classics (1993, ISBN 0-06-066966-7), a devotional guide featuring Christian wisdom through the ages, and Streams of Living Water (2001, ISBN 0-06-062822-7), which examines the place of the different spiritual traditions - 

  • Contemplative: The Prayer-Filled Life; 
  • Holiness: The Virtuous Life ; 
  • Charismatic: The Spirit-Empowered Life; 
  • Social Justice: The Compassionate Life; 
  • Evangelical: The Word-Centered Life; and 
  • Incarnational: The Sacramental Life - in Christianity.

Foster (along with several others) also wrote the devotional Renovaré Spiritual Formation Bible (now published as The Life with God Study Bible). Two editions of this NRSV-based study Bible exist, one with the apocryphal/deuterocanonical texts and one without.

In 2008, he co-authored with Gayle Beebe, the book Longing for God.

In 1988 Foster founded Renovaré, a Christian renewal para-Church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he has allowed his hair to grow, wearing it in a long pony tail. He says this is his way of honoring the portion of his heritage which is Ojibwe.[6]

References[edit]

  1. ^ Galli, Mark (2008-09-17). "A Life Formed in the Spirit"Christianity Today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24. Retrieved 2013-05-09.
  2. ^ Foster, Richard J. (1978). Celebration of DisciplineHarper & RowISBN 9780061800399.
  3. ^ Foster, Richard J. (1985). Money, Sex & Power. Harper & Row. ISBN 9780060628352.
  4. ^ Foster, Richard J. (1985). Money, Sex & Power Study Guide. Harper & Row. ISBN 9780062047953.
  5. ^ Foster, Richard J. (1981). Freedom of SimplicityHarperCollinsISBN 9780060628253.
  6. ^ Patterson, Sean. "Finding Foster"George Fox JournalGeorge Fox University. Retrieved 5 March 2015.

External links[edit]

The New Man for Our Time by Elton Trueblood | Goodreads

The New Man for Our Time by Elton Trueblood | Goodreads
The New Man for Our Time

Elton Trueblood
3.50
4 ratings2 reviews
Theology
126 pages, Hardcover

First published January 1, 1970
==

19 people want to read
About the author
Profile Image for Elton Trueblood.
Elton Trueblood
61 books15 followers

Follow
Ratings & Reviews
Profile Image for Sejin.
What do you think?





Rate this book
Write a Review
Friends & Following
No one you know has read this book. Recommend it to a friend!
Community Reviews
3.50

Filters
Displaying 1 - 2 of 2 reviews
Profile Image for David Woods.
David Woods
215 reviews
48 followers

Follow
April 16, 2012
In a nutshell Trueblood's book discusses what he calls "the 3 major elements in any genuine Christianity", "like three legs of a stool": 
  • cultivating the inner life/pietism/spiritual roots, 
  • outer action/service/healing ministry/fruit, and 
  • "the experience of careful thinking by which the whole operation can be supported". 

The book was written in 1969, when there was a large rift in thought in the church between the focus on inner spiritualism/pietism vs. outer service/activism. Trueblood was driven to make the point that far from being contradictory they are necessarily complementary, and also added his third "leg", the "intellectual integrity" facet.
That said, so much was applicable to today, much maybe more so. I loved so much of what he had to say, and couldn't help but read it quickly! Wavering between a 4 and 5 star rating...
religion-spirituality

===

Profile Image for Joshua Lawson.
Joshua Lawson
Author 
3 books
11 followers

Follow
June 14, 2019
Athough Elton Trueblood wrote this book nearly fifty years ago, I believe its premise is just as relevant today. The kind of Christianity that has prevailed in Western society for the last two centuries is on the chopping block, and a "new man" is needed to meet the unique challenges of our time. He (or she) will transcend the polarization of our age by blending the best of both worlds (action and contemplation) in an expression of faith that is deeply and authentically Christian.

"The new man for our time is the whole man, the man who consciously rejects the temptation to limit himself to one part of a totality, when such limitation is not required." - Elton Trueblood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 Brother Lawrence, Lawrence, Brother: Amazon.com.au: Books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 Brother Lawrence, Lawrence, Brother: Amazon.com.au: Books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Paperback – 8 June 2016
by Brother Lawrence (Author)
4.7 out of 5 stars 2,365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0.99
Read with Our Free App
Audiobook
1 Credit

Hardcover
$14.25
1 Used from $20.957 New from $14.25
Paperback
$7.69
1 Used from $8.1712 New from $7.69



2016 Reprint of 1895 Edition. Full facsimile of the original edition, not reproduced with Optical Recognition Software. Brother Lawrence was a man of humble beginnings who discovered the greatest secret of living in the kingdom of God here on earth. It is the art of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in one single act that does not end." He often stated that it is God who paints Himself in the depths of our soul. We must merely open our hearts to receive Him and His loving presence. For centuries this unparalleled classic has given both blessing and instruction to those who can be content with nothing less than knowing God in all His majesty and feeling His loving presence throughout each simple day. Inspirational classic


Publisher ‏ : ‎ Martino Fine Books (8 June 2016)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42 pages


Top reviews from Australia
Mr Vaughan Willis
5.0 out of 5 stars A word in time
Reviewed in Australia on 1 March 2021
Verified Purchase
I was praying and said to God, “I need to practice your presence.” This after I realised I get so distracted by many things. I suddenly remembered that that was a title of a book. I found it and it confirmed all I was thinking in my praying. I recommend this to anyone wanting a closer relationship with God.
Helpful
Report abuse
Sam
5.0 out of 5 stars Inspiring
Reviewed in Australia on 28 December 2020
Verified Purchase
A beautiful book about how to walk with God through prayer as Brother Lawrence did daily - well worth reading
Helpful
Report abuse
Steve Tee
4.0 out of 5 stars As expected, thank you
Reviewed in Australia on 13 February 2019
Verified Purchase
Good book, as expected.
Helpful
Report abuse
Haney Francis
5.0 out of 5 stars must read
Reviewed in Australia on 26 October 2020
Verified Purchase
highly recommended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Kindle Customer
4.0 out of 5 stars Practising the presence of God - bringing prayer to the next level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6 September 2019
Verified Purchase
I like how Brother Lawrence defined adoration as something unattached to rigid rules or scrupulous routines. Prayer is simply acknowledging that God is present every day in every moment of our lives. It is the constant surrendering of our hearts and labour to God.
Loving God begins with knowing Him, and what greater way to know Him but by constantly thinking about Him.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Angela Jones
5.0 out of 5 stars Not long enough!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0 October 2020
Verified Purchase
I could not get enough of the wisdom, love and hope, and found Brother Lawrence very like St Theresa , the Little Flower.
6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MikeyC
5.0 out of 5 stars Recommended reading for all Christians serious about God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31 July 2017
Verified Purchase
What can you say about this slim volume that has'nt been already said? One of the greatest devotional books every written by a man who simply shares "golden nuggets" of how to develop a close relationship with God. Excellent
17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Steve P
5.0 out of 5 stars An amazing collection of letter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by ...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8 February 2018
Verified Purchase
An amazing collection of letter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by a carmelite monk very challenging and moving ,has the potential to change your life!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Julie R
4.0 out of 5 stars Okay if you are perfec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5 August 2018
Verified Purchase
I bought this book because an extract from it was in another book I read twice daily thinking that I would be inspired by it. Alas, it made me feel inadequate as the world the writer lives in doesn't reflect my own. I cannot commit to the lifestyle devotions the writer aspires his readers to and I gave up reading after I was three-quarters of the way through it.
4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is also the title of a section of Jeremy Taylor's Holy Living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Author Brother Lawrence
(Nicolas Herman 1605–91)
Compiled by Father Joseph de Beaufort
Language French
Genre Christian literature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is a book of collected teachings of Brother Lawrence (born Nicolas Herman), a 17th-century Carmelite friar, compiled by Father Joseph de Beaufort. The compilation includes letters, as well as records of his conversations kept by Brother Lawrence's interlocutors. The basic theme of the book is the development of an awareness of the presence of God.


Contents1About Brother Lawrence
2Theme
3Translations
4References
5External links
About Brother Lawrence[edit]

The first conversation in the book recounts Brother Lawrence's conversion to a deeper commitment to his Christian faith at 18 years old: "...in the winter, seeing a tree stripped of its leaves, and considering that within a little time, the leaves would be renewed, and after that the flowers and fruit appear, he received a high view of the Providence and Power of God, which has never since been effaced from his soul."[1]

At the age of 24, Brother Lawrence joined the Order of Discalced Carmelites in Paris, taking the religious name "Lawrence of the Resurrection". He spent the rest of his life with this order, dying on 12 February 1691. During his time as a friar he was much preoccupied with the cultivating a keen sensitivity to the presence of God in everyday life.
Theme[edit]

The text attempts to explain Lawrence's method of acquiring the presence of God. A summary of his approach can be gleaned from the following passages. "That he had always been governed by love, without selfish views; and that having resolved to make the love of GOD the end of all his actions, he had found reasons to be well satisfied with his method. That he was pleased when he could take up a straw from the ground for the love of GOD, seeking Him only, and nothing else, not even His gifts."[1] "That in order to form a habit of conversing with GOD continually, and referring all we do to Him; we must at first apply to Him with some diligence: but that after a little care we should find His love inwardly excite us to it without any difficulty."[1] Lawrence pleads that all work is valuable to God and one needs not accomplish great things to please Him. The labourer is as valuable to God as the priest.[2]
Translations[edit]

Translators and readers have been struck by Brother Lawrence's seeming simplicity. "When I was exposed to his thoughts for the first time," wrote Henri Nouwen, "they seemed simple, even somewhat naive and unrealistic." Nouwen added that the more he reflected on Brother Lawrence's advice, he became aware that it "is not just a nice idea for a seventeenth-century monk but a most important challenge to our present-day life situation."[3] Translator Robert J. Edmonson had a similar experience. "I had an image of Brother Lawrence as a jolly monk who took pleasure in cleaning pots and cooking," Edmonson wrote. "I was struck by the depth of his love for God and his life lived in obedience, humility, and concern for others."[4] This paradox reflects the challenge facing translators, which is best illustrated by comparing the translations of one of the more famous passages. First, from the original 1692 French edition of Maximes spirituelles:


L'on seroit même surpris si l'on sçavoit ce que l'ame dit quelquefois à Dieu.[5]

Robert Edmonson took a straightforward approach in his translation of this Maximes passage:


We would be quite surprised if we knew what the soul sometimes says to God.[6]

Translators John Delaney, Edward Musgrave Blaiklock and Salvatore Sciurba rendered the passage with the same semi-literal interpretation.[7] Brother Lawrence could be surprisingly subtle: the original French has an implied sense of conversation, perhaps even of communion, tha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out taking a few liberties, as in the Donald Attwater translation of the same Maximes passage:


We should be surprised if we knew what converse the soul sometimes holds with God.[8]

Attwater's was a common approach taken by many translators of this passage: "Conversation with God occurs in the depth and center of the soul," in one translation;[9] and in another, "Great would be our surprise, if we but knew what converse the soul holds at times with God."[10]

Numerous versions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have been published, as reprints or new translations.[11]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c Herman, Nicholas,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Th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by Brother Lawrence". By Faith, ByFaith Media: Christian Inspiration, Encouragement & Adventure. ByFaith Books, ByFaith TV, ByFaith Documentaries & ByFaith Missions founded by brothers Paul Backholer & Mathew Backholer. Retrieved 2021-05-19.
^ Nouwen, Henri, J.M., Foreword,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trans. John Delaney (Image, 1977): 10.
^ Edmonson, Robert, Translator's Note,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trans. Robert Edmonson (Paraclete, 2007): vii.
^ Maximes spirituelles fort utiles aux âmes pieuses, pour acquérir la présence de Dieu (Edme Couterot, 1692): 97.
^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trans. Robert Edmonson (Paraclete, 2007): 115.
^ See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trans. John Delaney (Image, 1977): 108;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trans. E.M. Blaiklock (Hodder & Stoughton, 1981): 74;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critical edition, trans. Salvatore Sciurba (ICS, 2015): 43.
^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trans. Donald Attwater (Templegate, 1974): 121.
^ Often attributed to Sister Mary David,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Whitaker House, 1982): 68.
^ Copyrighted by but not attributed to Fleming H. Revell,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with Spiritual Maxims (Spire, 1967): 78.
^ Editions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External links[edit] The full text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at Wikisource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full text and audio),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at Project Gutenberg.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public domain audiobook at LibriVox
Maximes spirituelles in French.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Brother Lawrence, Joseph de Beaufort

4.29
44,134 ratings1,523 reviews

Alternative cover edition of ISBN 0883681056 can be found here

Brother Lawrence was a man of humble beginnings who discovered the greatest secret of living in the kingdom of God here on earth. It is the art of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in one single act that does not end.” He often stated that it is God who paints Himself in the depths of our souls. We must merely open our hearts to receive Him and His loving presence.
As a humble cook, Brother Lawrence learned an important lesson through each daily chore: The time he spent in communion with the Lord should be the same, whether he was bustling around in the kitchen—with several people asking questions at the same time—or on his knees in prayer. He learned to cultivate the deep presence of God so thoroughly in his own heart that he was able to joyfully exclaim, “I am doing now what I will do for all eternity. I am blessing God, praising Him, adoring Him, and loving Him with all my heart.”
This unparalleled classic has given both blessing and instruction to those who can be content with nothing less than knowing God in all His majesty and feeling His loving presence throughout each simple day.

ChristianNonfictionSpiritualityReligionChristianityFaithTheologyChristian Living
...more



95 pages, Paperback

First published January 1, 1692
Book details & editions




5,016 people are currently reading




32.8k people want to read

About the author


Brother Lawrence84 books196 followers

Follow



Brother Lawrence was born Nicolas Herman in Hériménil, near Lunéville in the region of Lorraine, located in modern day eastern France and as a young man went into the army due to his poverty. At the age of 18 he received what he felt was a revelation of the providence and power of God. He went on to fight in the Thirty Years' War and later served as a valet, but within six years joined the Discalced Carmelite Priory in Paris.

Nicolas entered the priory in Paris as a lay brother, not having the education necessary to become a cleric, and took the religious name, "Lawrence of the Resurrection." He spent almost all of the rest of his life within the walls of the priory, working in the kitchen for many of these years and as a repairer of sandals in his later years.

Despite his lowly position in the life of the priory, his character attracted many to him. He had a reputation for experiencing profound peace and visitors came to seek spiritual guidance from him. The wisdom he passed on to them in conversations and in letters would later become the basis for the book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From Wikipedia]




Readers also enjoyedItems 1 to 4 of 20



The Cross and the Switchblade
David Wilkerson
4.23
53.3k


What's So Amazing About Grace?
Philip Yancey
4.16
41.1k


The Pursuit of God: The Human Thirst for the Divine
A.W. Tozer
4.36
69.8k


Celebration of Discipline: The Path to Spiritual Growth
Richard J. Foster
4.17
35.9k

See all

Ratings & Reviews

My Review

Sejin
3 reviews

Want to Read.


Rate this bookWrite a Review

Friends & Following
No one you know has read this book. Recommend it to a friend!

Community Reviews

4.29
44,134 ratings1,523 reviews
5 stars

24,293 (55%)
4 stars

11,888 (26%)
3 stars

5,590 (12%)
2 stars

1,384 (3%)
1 star

979 (2%)
Search review text

Filters

Displaying 1 - 10 of 1,522 reviews


Fergus
862 reviews17.5k followers

Follow
August 6, 2022
Brother Lawrence was a simple man. But he was happy.

Supremely happy, he said, for he had reached the summation of his Life’s Quest.

Now, Aquinas said the pinnacle of all our spiritual experiences is to See God. Did Brother Lawrence achieve that height?

Well, I believe so.

Just because he was POOR IN SPIRIT...

It all started when he was eighteen. As an uneducated soldier in the Thirty Years War, he, Nicolas Herman - as he was then called - saw a barren tree in a wintry field and suddenly grasped its inner meaning. He was thunderstruck and transfixed.

The message?

That like the tree, all of us - in our ordinary, unoccupied state, stripped of all our endless diversions and distractions - will remain denuded of all REAL and LASTING comforts, in empty surroundings, unless God steps in.

And in the same way that He sends light, heat and rain in the spring, to bring the tree back to life, He will eventually give new Life to our Hearts.

But we have to ask Him in.

Now, wait a minute - that doesn’t make sense! If we need comfort nowadays, we just press a button and adjust the thermostat, right?

Not quite. Let’s put it another way.

If you’re that tree, and for all the perks that go with being JUST a tree (and just think of never again being forced to Be someone you aren’t!) you might - just might - want to have the comfort of a little MEANING in your life!

I think we ALL want that.

So, Lawrence says, all we have to do is sincerely ask God for meaning. And we’ll get it.

In His time.

And if we never afterwards STOP talking to Him - about whatever pops into our minds, however trivial... we’ll always find Him, in whatever we DO.

For, He- like the tree - is just pure BEING.

As I said, Brother Lawrence was a simple man!

But his simple method works Wonders.

Why do I say that?

Because there’s a wonderfully beneficial psychological underpinning to it all.

Because if we Believe, and Pray constantly, after a while we’ll lose our interior monologue, our ceaseless griping and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and become our authentic selves.

And we’ll finally evade our Shadows.

Because our so-called social self will drop away, as our self-consciousness itself drops away.

Natural living is all that will remain - just like the tree in the field.

And if we go the full way, giving our all, one day we will reach Poverty of Spirit.

The Lowest Point - and, paradoxically, the Pinnacle.

Because whether your tree blossoms, grows dense foliage, or sheds... is now God’s business.

That’s called simply: Abandonment to divine providence.

Timeless time.

And we all have a glimpse of that now and then.

And those are the times we are Real: and it does happen, now and then. It’s not continuous, for we are flawed and will always lapse into our precious murky Shadowlands. Heaven help us!

But, as T.S. Eliot says, we only LIVE in our Timeless Moments.

And once we KNOW - listening to Brother Lawrence - how to get there, we’ll finally be sure of Who we are and what our Purpose is.

And, you know, even if your own background is oriented toward Eastern religions, you’ll recognize the pattern.

For as the Japanese Zen saint Dogen said in the Middle Ages:

I won’t even stop
at the valley’s brook
for fear that
my shadow
may flow into the world.

For self-assertion, like a shadow, can disturb the world...

And ego is the OPPOSITE of poverty of Spirit.

If you’re content within your soul, why would you bother with riches won by competition?

Why on earth should we stick your neck into the endless and fruitless power games of the world, to be dominated and victimized again and again by their and your endless Shadows?

Be like the tree.

And keep up your part of the inner dialogue with God - for Brother Lawrence ingenuously says His answers will always come, and provide you with the protection and comfort of spiritual foliage, and with the real and continual fruits of the Spirit.

And that’s a pretty fair return for just asking that our lives have a little meaning, isn’t it?

197 likes
41 comments
Like
Comment



Bill Kerwin
Author 1 book80.6k followers

Follow
January 22, 2020

It is truly fitting and proper—somewhat ironic too—that the author of the shortest, sweetest, and perhaps the most useful guide to prayer and union with God was written by a Catholic who never became a saint, never became a priest, and worked almost his entire life in the kitchen.

Nicholas Herman grew up amid the violence and upheavals of The Thirty Years War, and, being a poor peasant, he joined the army in order to eat and survive. One winter, while still a soldier, he happened to gaze upon the bare branches of a tree, and he knew in that instant not only that its leaves and its fruits were certain to arrive, in good time, in the coming spring and in the summer, but also that grace would surely bring him to a flowering and a ripeness too. That tree had "flashed upon [his] soul the fact of God" and from that moment he never ceased to burn with Love.

After being wounded and discharged from the army, Nicholas first worked briefly as a footman, and then entered the Discalced Carmelite monastery. Considered too unlettered to be a priest and too ignorant to perform any but the most menial tasks, he was assigned to cook and clean in the kitchen.

The name he chose for himself was Lawrence, for St. Lawrence was the Patron Saint of Cooks, having achieved his martyrdom by being cooked to death on a grate. (“Turn me over! I'm done on this side!” St. Lawrence cried out to his torturers, and this dark witticism eventually earned him the additional title of Patron Saint of Comedians.)

By concentrating on the simple, uncomplicated duties of the kitchen, Brother Lawrence developed his method of prayer. Whether he was picking up a stray straw from a broom or washing a bowl or a plate, he continually sought “to fix [himself] firmly in the presence of God by conversing all the time with Him.” This practice, after years, led him to great peace, a conviction of God's presence, thoughtfulness toward others, and an extraordinary sweetness of manner. He was revered within the monastery, admired without, and eventually the aide of a local bishop arrived to crystallize Brother Lawrence's spiritual teachings by transcribing his conversation, which—along with a few letters of spiritual direction—make up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If you can, try to obtain a copy of The Practice which, like this one, also includes the “maxims.” The Practice is a better read, for it conveys clearly the sweet personality of the aging friar, but the maxims are more succinct, and numbered, and thus a more efficient aid to reflection and meditation.

138 likes
7 comments
Like
Comment



booklady
2,072 reviews66 followers

Follow
April 11, 2018
April 9, 2018: Concluding another official read of this book, although whether it be the fifth, sixth or more, who can say? In any event, this will never be a closed book on my shelf, mostly because I want to be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always. Guardian Angel help me.

The weekly reflections from the French and Austrian Carmelites were a wonderful supplement to the text to be kept alongside the book for the next read. (Scroll down for original review.)

February 27, 2018: Listened to the audio version again today. Listening is the easy part. Remembering to bring Him into every moment is the constant struggle. That is why it is so good to keep returning and rereading this book.

February 14, 2018: Began Lenten journey with the French and Austrian Carmelites, reflecting along with Brother Lawrence in his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Doing the retreat on-line, for free here: here. Weekly reflections are emailed every Friday throughout Lent. The book itself can also be read on-line or downloaded to your kindle or computer for free. There are also more expensive versions available with various additional options. I am using this version mostly, but also a more simplified kindle and an audio version.

ORIGINAL REVIEW: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is a little gem. But it is also a book you have to be receptive to appreciate. Without this requisite receptivity, its pearls of wisdom would be wasted. But with the right frame of mind and heart, it is the perfect book.

Perfect in that while it can be read in one hour; mastery of its central concept requires a lifetime. Well, at least for this soul ... and a very long lifetime at that. And I write that without the least trace of humility, remorse or even chagrin—as a simple statement of fact. Indeed, growth in virtue does require total commitment and extended preparation time. I'm on at least my seventh reading of this book and each has been a sincere attempt to take in the saint's simple way of constantly living in God's Holy Presence. I just pray I've made some progress!

Our humble author, Brother Lawrence of the Resurrection, assures us that his own journey along this path toward ‘practicing the presence of God’ took him many years as well. So, despair should not deter one's efforts.

I like that the word ‘practice’ is used in the title, and indeed throughout the book, because it recognizes the fallibility in human nature. We will have to creep, crawl, stumble and fall many times in this effort before we will ever be able to actually walk in God's presence. That is Brother Lawrence's goal – and presumably the goal of any self-professed Christian: to actually walk hand-in-hand with Our LORD. In the meantime, He carries us.

Brother Lawrence and his solitary legacy bear much in common with Father De Caussade and his work, Abandonment to Divine Providence. Both men were post-Reformation, French religious, from rather obscure backgrounds, who left us one primary work of spiritual insight comprised of meditations and letters collected postmortem. Few hard facts can be substantiated about either man – even such basic information as definitive dates of birth and death, although we do know approximate dates. Both were extremely humble men who preferentially would have lived quiet lives far away from the hustle and bustle of the rest of society; but they were not given that chance. God’s will was to call these two holy men out from their peaceful solitude to minister to their neighbors.

Brother Lawrence lived and worked most of his life at the monastery of the Discalced Carmelites on the Rue de Vaugirard in Paris, where he spent many years working in the kitchen. He died in 1691 at around 80 years of age. A year later his Abbot collected what could be found from Brother Lawrence's letters, spiritual writings and recorded conversations, put them together and this comprises what we know today as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Unfortunately, upon publication, Practice became associated with the controversy of the day, the heresy then causing so much bitter debate, Quietism. Although i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review and the abilities of this writer to discuss the theological aspects of Quietis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one tenet of this heresy bore a similarity to Brother Lawrence's principle theses, complete abandonment to the will of God, and therefore was used by advocates of the Quietist heresy to justify their position. As it would be some years before this struggle could be resolved, especially in France, Practice suffered the taint of guilt by association – albeit a slim association at best – and fell into disfavor in the country of its birth. Fortunately for us, our book was picked up by other Christian denominations and carried to other countries where it has spread around the world. Since its initial printing, Practice has been always been available in one form or another and now can even be found in many versions on-line.

The first section of the book consists of four dated conversations where Brother Lawrence describes what it is that led him to the realization that pursuing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was the best way, indeed the only way, to follow Christ. These are not conversations as most Americans today would categorize conversations, but more like Shakespearean soliloquies, with the little monk giving his thoughts on how he came to know that putting God first, last, and always, was the only way to live. That is Practice in a nutshell. I could stop writing here and you would have the book. Except that as simple as it is write or say such words, anyone who has really tried to live them knows, it is not that easy.

In the next section of the book, we are given sixteen of Brother Lawrence's letters—mostly written to a nun, but also one to a priest and several to a lay woman. All of these further elucidate how one is to advance along the path toward our ultimate goal, full and total communion with God. The book concludes with a group of Brother Lawrence's maxims.

What Brother Lawrence teaches through Practice is that no matter where we are, or what we are doing, we can and should be in God's presence at all times. But how to achieve this state, you may well ask? Although he answers this question in many different ways throughout the book, probably the most clear-cut answer lies here:

“Having found different methods of going to God and different practices to attain the spiritual life in several books, I decided that they would serve more to hinder than to facilitate in me what I was seeking—which was nothing other than a means to be wholly God's. This made me decide to give all to gain all; so after having given all to God in satisfaction for my sins, I began to live as if there were no one in the world but Him and me.” (p73) On the surface, such an approach sounds very simplistic, or even selfish. However, the same day I read those words of Brother Lawrence, I read almost the exact same idea expressed by another Carmelite from 200 years earlier. In describing the transforming union that a soul undergoes when it finally achieves oneness with God, St. John of the Cross writes, “And here lies the remarkable delight of this awakening: the soul knows creatures through God and not God through creatures.” (p189, Fire Within, Thomas Dubay, S.M.)

Indeed the life of Brother Lawrence is testimony to his writings; his single-minded concern for God, far from leading him away from love of people, brought him closer to them. Only through a greater love of God, can we ever hope for a fuller love of all of His creation.

My first recorded acquaintance with Practice was May of 2004—at least according to the little bookmark card maintained inside the front cover of my ragged paperback copy. Recently I read and listened to the book again. I wish I could say that reading Practice was enough, or even writing about it. But they aren't. It takes much more than that. Nevertheless, I shall continue to do both, because I see great wisdom in this little book and at least reading it keeps the idea foremost in my mind.

‘I must know, love and serve God in this world that I may gain the happiness of heaven.’ (Baltimore Catechism)

But even more than that, to be happy in this life, Brother Lawrence tells us is only possible with God as our one and only purpose, end and goal.
2007 2011 classic
...more
87 likes
32 comments
Like
Comment



Shaun Lyon
6 reviews3 followers

Follow
May 29, 2019
wonderful book. every christian should read this! this book will make you more hungry for the presence of God! This is the best edition of it available at Amazon: https://www.amazon.com/Practice-Prese...

55 likes
Like
Comment



Christopher
149 reviews12 followers

Follow
November 23, 2010
Actually, this is more of an author review as I don't take issue with the content of the book, which is highly reccomended, but rather the inconsistent lifestyle of the author.

Here it is:

"Coram Deo": to live "before the face of God" best sums up the message of Brother Lawrence. That even the most mundane tasks can be taken up with glorying in the Lord Jesus.

This is one of those places however where we ought to heed the words of Jesus concerning the Pharisees, "do what they say but not what they do" which highlights the great oversight of brother Lawrence.

What I expected from this book was an account of the faith of a hardworking Christian man in the midst of his daily labors, what I got was a man who was disappointed by how "satisfying" life in the monastery was and who expected future suffering (purgatory) to make up for his carefree life as a monk. This was a man who did not truly believe in the sufficiency of Christ's suffering on his behalf. Thinking he had to make up the difference somehow, such was the mindset of the monks. It's alot easier to be taken up with spiritual ecstasies when you have no real responsibilities in the world.

As a Christian husband and father of one (and another on the way), I am moved by the practical principles for religious devotion to Christ that are laid out in this book, but I do wish that they were not hypocritically represented by a clergyman who divorced himself entirely from life amongst lay people. It sets a terrible precedent when Jesus said,"no one after lighting a lamp puts it in a cellar or under a basket, but on a stand, so that those who enter may see the light" (Luke 11:33).

Brother Lawrence said he was convinced that in the kitchen he could "possess God in as great tranquility as if upon [his] knees at the blessed sacrament" and yet he remained a reclusive monk primarily and not instead a cook. He chose to flee the world under pretense of devoting his life to God and yet as a monk, in a very unChristlike fashion, he would not live and eat amongst sinners in order to reveal Christ to them.

In practice he maintained the essentially Gnostic dichotomy between the material world as evil and the spiritual as good, rather than living out his ideal of serving God in everyday occupations like washing dishes and serving food, he chose the supposed higher path of the monk. If brother Lawrence wanted to convey his ideas with integrity he ought to have left the monastery and sought out honorable employment amongst the populus in order to be a missionary to them. By not doing this he has lead people by example into a hyper-spirituality that is so heavenly minded its no earthly good.

There is no doubt that this man was devoted to loving God, but it is doubtful that he was much devoted to loving people the way Jesus did. Christ calls his disciples to be people who are ready to live godly lives in front of others as before the face of God.

There are some great words to be found in this book concerning prayer and devotion, yet if you seek to truly walk as Jesus did please do not imitate the authors way of life.

christian-living
37 likes
9 comments
Like
Comment



Leslie
598 reviews10 followers

Follow
October 1, 2011
One of the best books I ever read. I can hardly believe it was written by a virtually unknown kitchen monk from like a billion years ago. Seriously useful advice on exactly how to stay connected with God in constant communion. Not a bit sentimental. Nothing vain or extraneous. Nothing obtuse. Clear, solid advice. A real treasure. i'll never part with this book. I may just buy copies for everyone's Christmas this year.

19 likes
2 comments
Like
Comment



Douglas Wilson
Author 215 books3,202 followers

Follow
February 17, 2017
I read this many years ago (I think), but just now listened to it on Audible. Enjoyed it -- he has a good functional grasp of grace, even though his theology of it was a little muddy.
theology
19 likes
1 comment
Like
Comment



Bob O'Bannon
197 reviews13 followers

Follow
April 19, 2013
In a world of constant distraction, Brother Lawrence has much to teach us about offering every moment of our waking existence to a deliberate awareness of God's gracious and intimate presence, whether we're writing a sermon or working in the kitchen. One must discipline himself to be mindful of God's constant and immediate accessibility. The result is a life of peace and joy, even in the face of a painful death.

At the same time, I found myself troubled by at least three things: 1) On several occasions, Lawrence mentions the need to make satisfaction for his sins. Maybe he means something different than I realize, but if he means what I think he means, I have to wonder if the man even understands the gospel. 2) I don't think Lawrence refers to Scripture even one time in this whole book. 3) Lawrence seems to value a kind of mystical detachment from the present world, as if there is something super spiritual about ignoring the world around us.

Lots of good meat in this book, but don't be afraid to spit out the bones just because it is regarded as such a classic.

16 likes
Like
Comment



Rhonda
329 reviews50 followers

Follow
January 15, 2009
The major barrier to this book is the slightly stilted language. I have recommended this to several people and they cannot get past this, essentially missing the book's message. If nothing else this makes me understand why the King James Bible remains obtuse for many.

Brother Lawrence isn’t a famous man and he didn't do anything that should make us place him on a pedestal in the social-historical scheme of things. However, what this man brings to understanding God on a daily basis, in real-life which each of us can understand, is nothing short of miraculous. Brother Lawrence involves God in all his daily affairs, not in some odd or curious way, but in a very natural way: he treats the Lord as one sitting with him in the kitchen where he works.

This little book is one which can be, I have found, life changing. As my friend from Tennessee often says, reading it is like being “hit upside the head with a tire iron!” I think this phrase is incredibly apt because Brother Lawrence’s solution to losing track of God in our daily life is simply to invoke him in all parts of one’s daily life.

In essence, this little tract is the epitome of simplicity which we often bypass by our bombast and rhetoric about situations. Those wishing to come back to God in a very personal way without making all sorts of noise and commotion would do well to read this book. I find that I must come back to it every so often because it is so easy to veer away from the simplicity it uses so effectively.

theology
15 likes
1 comment
Like
Comment



Ebookwormy1
1,753 reviews235 followers

Follow
April 12, 2018
Many have heard of Brother Lawrence's quote about peeling potatoes to the glory of God.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his letters dealing with the topic of practicing God's presence.

This is a short but profoundly meditative read. Good stuff for mothers in a hurry who want to ponder a connection with God in the midst of busy days; also palatable for people going through a hard time to read little bits at a time and absorb them without charging through. Brother Lawrence didn't intend to write a book, and some concepts are a bit disjointed. But, he is consistent enough in his perspective and approach that the same themes work throughout his pastoral correspondence.

I found his ideas to be challenging. Too often, I can emphasize service to God over relationship with God. Brother Lawrence's goal to focus on developing a conscious awareness of God's presence, to live and interact with His presence such that his relationship with God was the strongest experience of his life is a worthy goal. Since I first read it, I feel I've made progress, but it does tend to drop off the radar as life goes on and a good refresher is always welcome. As a result, I've read it a few times and anticipate reading it several more times before I meet him in heaven!

---
Update: For those seeking more practical direction on HOW to implement these principles in the Christian life, I also recommend "We Would See Jesus" by Roy & Revel Hession, published 1958.
https://www.goodreads.com/review/show...
1-character-forming bible christian-church
...more
12 likes
Like
Comment

Displaying 1 - 10 of 1,522 reviews
See all reviews and ratings


2022/08/17

통일교는 기독교인가…기독교와 통일교의 교리 차이는? :매일종교신문

통일교는 기독교인가…기독교와 통일교의 교리 차이는? :매일종교신문


통일교는 기독교인가…기독교와 통일교의 교리 차이는?
기독교와 다른 성경해석으로 충돌하기도…타락에 대한 해석, 구원관 달라



기사입력: 2018/04/02 [19:23] 최종편집: ⓒ 매일종교신문

문윤홍 대기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하 통일교)은 한국에서 탄생한 신(新)종교이다. 그렇다고 전통 민족종교라고는 할 수 없다. 불과 창립 50년 만에 전세계 195개국에 교회와 선교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종교로 성장한지 오래이다.

그런데 통일교는 기독교와 유사하다. 아니 통일교의 뿌리는 기독교다. 기독교 성경을 기본 경전으로 삼고 있으며 기독교의 신(神)인 하나님을 신앙하고 있다. 창립 초기에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가 공식 명칭이었다. 오늘날 일반에 널리 알려진 통일교는 이 명칭을 줄여서 불리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 통일교에서 성경과 함께 경전으로 사용하는 ≪원리강론≫은 성경을 논리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다시 말해 통일교는 성경을 재해석한 새로운 원리에 바탕을 둔 신앙체계라 할 수 있다. 통일교에선 성경은 교과서이고 원리강론은 참고서라고 본다. 그러면 기독교와 통일교는 어떤 교리의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기독교와 통일교의 교리 차이

1. 신앙의 대상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이고 똑같은 성경을 믿는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과 같다. 경전인 성경도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신·구약 그대로이다.

2. 타락에 대한 해석이 기독교와 전혀 다르다.


통일교는 해와가 뱀(사탄)의 유혹을 받은 것을 ‘공주와 같은 해와’를 ‘종의 입장인 누시엘(천사장)’이 사랑의 유혹을 했다고 보고 있다. 성적인 유혹이라고 하면 틀린다. 성적 유혹은 제비나 창녀의 육체적 유혹인 반면, 사랑의 유혹은 순수한 사랑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와에게는 이미 배필이 있었다. 바로 아담이다. 아무튼 해와는 계속 대접을 잘해주면서 구애하는 누시엘(사탄이 됨)을 뿌리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걸 미리 아신 하나님이 누시엘의 사랑 공세에 굴복하지 않도록 사랑을 이겨낼 수 있는 지침을 주었으니 그게 바로 “따먹지 말라"는 계명이라고 본다.

즉 잘못된 사랑의 관계로 곧 타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젠 타락으로 해와의 몸 속에는 누시엘의 원리를 벗어난 불륜한 사랑이라는 악의 피가 스며들었다. 타락으로 원죄가 생겨나게 되었으며, 이 죄는 계속 유전돼 인류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래서 하나님은 분노했다. 아담과 해와는 하나님의 ‘축복’을 받지 못하고 성혼(成婚)도 못한 채 에덴동산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한 창조주이면서 부모이기 때문에 그런 인간을 그냥 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 인간을 다시 구원해 주기로 했다.





3.구원의 의미는 무엇인가

기성 기독교와 조금 다르다. 통일교는 일단 하늘나라가 지상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내세를 궁극적 세계라고 보면서도 지상에서 그에 걸맞은 삶을 살아야 내세에 천국의 삶을 살 수 있다고 본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일교는 기독교와는 달리 지상에다 먼저 에덴을 건설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지상에서 에덴을 이루어 살지 못한 사람은 천상에서도 에덴, 곧 천국에서 살 자격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4. 누가 그런 구원을 받는가

인류가 지은 원죄(原罪)를 청산하고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구원섭리를 모두 믿고 받아들이는 사람이다. 그가 곧 사탄의 피를 씻어내고 순수한 하나님의 본래 혈통으로 복귀한 인간이다. 통일교에서 행하는 축복(결혼)의식이 바로 혈통을 중생(重生)케 하는 의식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그 믿음이나 축복의식 만으로 완전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믿음의 바탕 위에 ‘지상(地上)에서 천국생활을 한 사람’만이 구원받는다. 메시아를 믿고 축복을 받아 천국인답게 사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지상을 하나님이 애초에 원했던 에덴으로 바꿔야만 한다.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지상에서의 천국생활은 또 무엇인가.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원죄를 청산하고 순결한 참가정을 이루어 부모의 사랑, 부부의 사랑, 자녀의 사랑, 형제자매의 사랑 등 4대 사랑을 체휼하고 완성한 인격체가 되어 자신과 가정, 이웃과 사회를 위해 더불어 위하는 삶을 실천하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상태를 뜻한다. 이 지상에서 그렇게 평화로운 상태를 누리며 살아본 사람만이 천상의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그것이 곧 구원이다.

그런데 언젠가 천국이 지상에도 도래하고 모든 인류가 구원이 된다. 세상 모든 사람이 참사랑을 실천하는 평화 상태를 이룰 때 지상천국이 건설되는 것이다. 그것이 곧 ‘다시찾은 에덴동산’이다. 세계가 그렇게 에덴동산의 상태가 될 때, 하나님의 인간 구원섭리는 완결된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뤄진 것처럼,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한 세계가 올 때까지 모든 인간은 종교와 교파를 초월해 노력해야 한다.

5. 구원은 어떻게 해야 되는가 (구원의 방법)

구원 받을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오직 한 가지 혈통을 바꿔줄 즉, 중생(重生)해줄 메시아가 이 땅에 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메시아가 와서 구원섭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환경(보호막)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바로 그런 메시아의 울타리요 보호막이 곧 유대교와 유대민족이다. 그렇지 않다면 메시아가 구원도 하기 전에 사탄에 의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시아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하는 무리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나님은 순종의 상징으로 어린양, 암소, 비둘기 등을 제사하게 하면서 그런 동물처럼 살길 바라셨다.

성경 구약으로 들아 가서 보자. 구약을 보면 하나님의 섭리를 인간에게 알리기 위해 하나님은 수많은 선지자를 보냈던 것을 알게 된다. 그들은 곧 하나님의 섭리를 완성할 중심인물이다. 그들의 말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믿고, 받아들이고, 회개하고, 믿음의 생활을 하는 이들을 하나님은 구원하기로 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 역시 그러한 사명을 가지고 이 세상에 오셨다.

그러나 유대인들이 예수님 앞에 어린양과 같은 제물의 입장에 서지 못하고 오히려 메시아를 대마왕으로 오인(誤認)하여 십자가에 못박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의 완성을 보지 못하였다. 지상에 천국을 이루지 못하고 십자가의 대속으로 영적 구원의 기대만을 완성하게 되었다. 전에는 불신하던 제자들이 부활한 예수님 앞에서 비로소 어린양의 입장을 완성해 순종·굴복하여 중생의 기쁨을 누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게 바로 영적 구원이다. 기독교는 예수님이 영육 아우른 완벽한 구원으로 알고 있지만, 성경은 예수님 부활 후에도 육신은 여전히 사탄의 것임을 증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일교의 가르침도 일정한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6. 하나님은 다시 중심인물(재림주)을 보냈다.

그래서 하나님은 다시 중심인물을 보내셨다. 그 중심인물이 바로 문선명 선생이다. 문선생의 말을 따라 하나님을 믿고 결혼 축복을 받고, 생활 속에서 순결을 유지하고, 가정을 중시하면서 선한 실천을 계속하면 구원, 곧 진정하고 영원한 평화를 얻게 된다. 하나님은 문선생과 한학자 총재를 통해 지금 구원섭리를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경을 읽어본 사람들, 또는 기독교에 대해 조금 아는 사람들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대목들이 속속 등장한다. 다른 그 무엇보다 당장 문선생이 ‘하나님 섭리의 중심인물’로 자처한다는 점부터 기성 기독교 입장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다.

7. 문선생은 하나님인가 아닌가

실제로 통일교인들은 문선생을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또 문선생과 함께 부인을 ‘참부모’라고 한다. 그리고 통일교의 축복가정 모두 참부모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만인 메시아론 주장) 말하자면, 그들도 믿고 따라야 할 신앙의 대상이 돼 있음을 인정한다. 그렇다고 문선생 자신이 궁극적인 ‘하나님’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통일교의 문선생이 하나님이 될 수 없는 것은 원리강론에서 삼위일체설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통일교측에 따르면 “문선생 자신도 하나님께 기도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문선생도 하나님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시고’ 있는 ‘중간 존재’라는 것이다. 다만 인간에게 하늘의 말씀, 하나님이 인간을 구원하려고 한다는 하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로 인간 세계에 내려온 존재라는 설명이다. 인간보다 한 단계 더 하나님께 가까이 있는 존재, 예수님처럼 이 세계에 구원 섭리를 전하고 실천하러 강림한 존재라고 일컫는다.

8. 믿음과 실천 모두 구원의 요건으로 본다

통일교는 기독교와 달리 개인 구원보다 세계의 영구 평화운동을 강조한다. 이에 반해 기성 기독교에서는 2,000년전 이스라엘 나사렛의 말구유에서 태어나 하늘의 말씀을 전하다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붙잡혀 유대인들의 주장으로 십자가에 못박힌 그 예수님만 인정한다. 그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인류의 죄를 대신해 보혈(寶血)을 흘리고 죽어갔다는 사실, 그리고 사흘 만에 다시 부활해 하늘에 올랐다는 사실만 받아들인다. 그와 같은 예수님의 말씀과 이적, 대속(代贖)의 죽음과 부활을 믿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인간은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1920년 평안북도 정주 땅에서 태어난 문선생은 ‘내가 곧 예수님의 뒤를 이어 인간 세상에 내려온 하나님 섭리의 중심인물’이라고 하니, 판이하다. 통일교에서는 먼저 ‘지상에서 참사랑을 실천하는 완전하게 평화로운 삶’을 누려야 천국에 가서도 평화와 영생을 누릴 수 있으며, 그것이 곧 구원이라고 해석한다.

지상에서의 평화로운 삶이란 ‘하늘 말씀에 따라 참사랑을 통한 참가정을 이루고 이를 소중히 여기고 선한 생활을 하며 이웃을 위해 살아가는 실천적인 삶’을 의미한다. 또 인간들이 모두 그런 마음으로 노력해 지구상에 완전한 평화를 이루게 되면, 그날이 바로 지상에 본연의 ‘에덴동산’이 실현되는 날이며, 그렇게 해서 영원한 지상천국이 시작된다고 갈파한다.

그러나 기성 기독교에서는 육신이 죽은 뒤 이승을 떠나 ‘천국에서의 영생’을 얻는 것을 구원이라고 본다. 나아가 신·구약 성경 66권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에 쓰인 것처럼 ‘세상 심판의 날’에 하나님이 내리는 불의 심판을 받지 않고 이미 천국에 들어간 이들과 함께 ‘영생의 세계’에서 살게 되는 것을 구원으로 본다.

구원에 이르는 길도 다르다. 기독교에서는 ‘믿음’이 관건이다.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 구원의 섭리, 그래서 예수님이 세상에 내려오고 세상을 구원하려고 인류의 죄를 짊어지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으며, 사흘 만에 부활했고, 그가 다시 세상에 올 때 심판의 날이 올 것이며… 하는 사실들을 모두 받아들이고 믿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곧 믿음이 구원의 필요충분조건인 셈이다.

반면 통일교에서는 믿음만으로는 완전한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믿음은 구원받기 위한 필요조건이며 여기에 ‘지상에서의 실천’이라는 충분조건을 갖춰야 구원받는다고 본다. 어떤 실천인가. 앞서 본 것처럼 가정을 소중히 여기고, 이웃을 사랑하며, 세상에 봉사하는 삶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믿음과 실천, 두 가지가 병행될 때 인간에게는 비로소 진정한 평화가 찾아오며 그렇게 평화를 누려본 사람만이 하나님에게 구원받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9. 통일교의 종교관과 수난사

여기서 나아가 통일교는 ‘종교는 수단일 뿐, 그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종교는 개인이 궁극적으로 몸과 영혼의 평화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종교는 어디까지나 인간을 위한 것이지, 종교가 인간 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종교는 그런 점에서 학교이다. 학교에서 정해진 공부를 마치고 몸에 실력이 다 붙으면 졸업한다. 완전한 평화를 이룬 사람에게 무슨 종교가 필요하겠는가. 하나님이 세상을 처음 창조하고 에덴동산에 인간을 지었을 때, 거기에 무슨 종교가 있었는가. 참평화만이 있었다.

신앙생활은 개인이 구원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평화를 찾아가는 과정이요, 수련과정이다. 그것이 반드시 통일교일 이유는 없다. 어느 종교든 그 종교에서 가르치는 선한 생각과 선한 삶을 몸에 익혀 평화를 얻은 사람은 그 종교를 넘어설 수 있다. 그런 모든 이가 모여 평화의 세상을 만들 때, 그것이 곧 지상천국이다. 그런 점에서 종교와 교파는 서로 배척할 필요가 없다. 모두 어울려 평화를 이루고 평화로운 세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런 교리에 따라 통일교는 전도와 교회개척에 별다른 열성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계열 기업이나 단체에 몸담고 활동하는 사람들에게도 ‘통일교 신앙’을 강요하지 않는다고 한다. 전도하고 교회를 개척하는 쪽으로 힘을 쏟기보다 그 시간과 노력을 아껴 오히려 성실한 생활에 매진함으로써 주변에 통일교 신앙을 하는 사람이 어떻게 생활하는가를 보여 주는 것으로 전도를 대신한다는 것이다.

통일교의 한 관계자는 “그래서인지 계열 기업이나 계열 단체에서 일하는 사람들 가운데 통일교 신도가 아닌 사람들도 있지만, 그들 가운데 통일교를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고 덧붙인다. 나아가 자신을 배척하는 기성 기독교든 불교든 천주교든 이슬람교든, 통일교는 모두 끌어안고 화합한다는 것도 특징으로 내세운다. 무슨 기독교 교파니, 종단이니 하는 명칭 대신 공식명칭을 ‘연합’(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라고 한 것도 거기서 연유한다. ‘교파를 초월해 다 같이 평화를 향해 나아가자’는 의미라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미 신앙의 의미, 구원의 의미, 구원의 방법에서 차이가 나는 만큼 기성교회는 통일교를 기독교로 인정하지 않는다. 기독교와의 갈등으로 통일교는 지난 60여년 역정에서 국내에서만 두 차례에 걸쳐 큰 수난을 겪었다.

하나는 1955년에 발생한 이른바 ‘이화여대 사건’으로 문총재가 구속까지 됐던 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1980년대의 이른바 ‘피가름’ 논쟁이었다. 결국 이 두 사건은 모두 통일교가 근거 없이 ‘훼손’당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그러나 사건이 진행되는 동안 통일교는 “심지어 지금까지도 그때의 이미지로 통일교를 보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보았다.

먼저 이화여대 사건의 전말을 살펴보자. 청년 문선생이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라는 현판을 처음 내건 곳은 서울 성동구 북학동의 한 판잣집이었다. 그때가 1954년 5월이고 집주인은 양윤영씨로, 이화여대 음악과 시간강사였다. 그는 앞서 문선생에게 감화된 대학생 유효원씨와 지인 사이로, 유씨를 통해 문선생의 새로운 성경 해석을 받아들인 터였다. 양씨가 집을 장충단공원 부근 약수동 야산 기슭으로 옮긴 이후 문선생이 현판을 내건 판잣집교회는 특히,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삽시간에 북적거리게 된다. 이화여대에 몸담고 있던 양 교수를 통해 학생들이 문선생의 교리를 접한 이후다. 문선생의 교리를 들으려는 이들이 불어나더니 손바닥 만한 판잣집교회 안팎으로 300여명이 몰렸다. 그런 가운데 뜻밖의 사건이 터졌다.

1955년 7월 경찰이 문선생과 유효원 씨 등 그의 초기 제자 4명을 전격 체포한 것이었다. 사연인즉, 이화여대생들이 문선생의 교리를 듣기 위해 몰리자 학교 측에서 조바심이 났다. 당시 이화여대는 캐나다의 기독교재단의 지원을 받아 학교를 운영하던 터였다. 그런데 학생들이 듣도 보도 못한, 감히 기성 기독교에 도전하는 새로운 성경 교리에 ‘현혹’된 것이다. 그러니 그러한 사실이 캐나다 재단 쪽에 알려지면 누가 봐도 문제가 될 것이 뻔했다. 그래서 학교 측이 일부 교수들을 통일교와 학생 측에 보내 ‘통일교가 사교(邪敎)라는 사실을 계몽하고 학생들이 거기에서 발을 뺄 것을 종용’하게 했다. 그런데 그런 ‘임무’를 띠고 파견된 교수들이 통일교와 접촉하면서 자신들도 문선생의 성경해석에 빠져들고 말았다.

이에 놀란 학교 측에서 통일교에 경도(傾倒)된 학생 14명을 퇴학 처분하는 일이 벌어졌다. 1955년 5월14일이었다. 언론이 이 문제를 일제히 거론하고 나서면서 통일교 사태는 곧 사회문제가 됐다. 당시 기사와 사설들을 모아 보면 ‘종교의 자유가 허락되는 나라’라는 전제 아래 ‘이화여대 측의 퇴학처분은 문제가 있다’는 논조 일색이었다.

당시 김활란이 이화여대 총장이었고, 이기붕 국회의장의 부인 박마리아가 부총장이던 시절이었다. 이들은 물론, 기성 기독교계에서도 통일교를 가만히 놔둘 리 없었다. 어디에서 어떤 고발이 들어갔는지, 7월4일 문선생이 경찰에 전격 연행됐다. 당시 경찰(치안국 특수정보과)이 그에게 적용한 혐의는 여교수와 여학생 등 다수의 여인을 농락했으며 온갖 문란한 행위로 사회기강을 어지럽혔다, 북한에서 넘어온 간첩 혐의가 있다는 것 등이었다.

문선생과 제자 4명은 미결수로 서대문형무소에 갇힌 채 이후 3개월간 검찰조사를 받고 법정에 섰다. 그로부터 석달만인 10월4일 서울지방법원은 문선생은 무죄라고 판결하고 석방했다. 다른 사람들은 처벌됐다. 그러나 그들에게 적용된 죄목도 기소 내용인 풍기문란 혐의가 아닌, 통일교와 무관한 병역기피 등 모두 병역법 위반이었다. 결과는 무죄였고, 기간도 석달 뿐이었다. 그러나 문선생의 연행을 전후한 시기부터 그가 재판받고 석방되기까지 통일교는 기성 기독교계의 집중공격을 받아 소위 ‘음란하기 짝이 없는 사이비 종교’라는 이미지를 덮어쓰게 된다.

10. 통일교의 가정관 - 가정은 평화의 근원

1980년대에는 기성 기독교계와 신흥종교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종교연구가 T씨가 ‘연합’으로 통일교를 공격했다. 그들이 문제시한 것은 ‘피가름의 논리’였다. ‘해와의 몸속에 뱀(사탄)의 피가 흘러들었으며, 교주 문씨와 성교하면 그러한 사탄의 피를 씻어낼 수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나돌았다. 급기야 T씨의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정기간행물에 모 교회 목사의 기명 기사로 그와 같은 내용의 글이 실렸다.

창설 이래 기독교측의 어떤 공격에 대해 단 한 차례도 반격한 적이 없던 통일교 측도 이때는 너무 피해를 보게 된다는 판단 아래 이 글을 가지고 법정 소송에 들어갔다. 결과는 공격한 측에서 근거없는 낭설을 퍼뜨린 것으로 판결났다. 통일교측의 주장은 선명했다. “태초에 인간의 몸속에 사탄의 부정한 피가 흘러들어갔다는 교리는 맞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지상에서 가정을 지키며 성실하게 생활하면 깨끗하게 사함받고 구원받을 수 있다는 의미”임을 밝히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통일교가 본 피해는 실로 컸다. 초창기 때 이화여대 사건으로 덧씌워진 이미지에 이 ‘피가름’사건이 언론에 보도되고, 또 이를 기화로 기독교계의 집중적인 공격이 이어지면서 통일교는 ‘사악하고 음란한 종교’라는 인식이 대중에게 오히려 더 각인되고 말았다. 그러나 통일교 측은 가해자 측의 ‘사과’만 받았을 뿐 아무런 손해배상도 요구하지 않고 사건을 끝냈다.

이 두 사건은 통일교의 교리가 무엇인지, 기성 기독교와 무엇이 다른지를 사회적으로 공식 확인시켜 준 계기가 되기도 했다. 또 기독교가 왜 그렇게 통일교를 적대시하고 공격하는가를 보여 준 계기이기도 했다. 통일교가 어떤 종교인지, 무엇을 추구하는 것인지 위에서 ‘겉핥기’한 내용을 감안하면서 다시 앞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과연 이런 교리를 가진 통일교가, 또 그런 교리로 인해 기성 기독교의 엄청난 반발과 수난을 당해야 했던 통일교가 어떻게 60여년 만에 지금처럼 성장했을까. 그 힘은 과연 무엇일까.

비신도의 눈으로 분석하면 몇 가지 외연(外延)이 우선 눈에 띈다. 지금은 조금 사정이 다르지만 ‘교주’가 생존해 있으면서 단 한 번도 흔들림 없이 이 교단이 안정을 유지해 왔다는 점이다. 그러면서 돈과 사람, 신앙의 응집력이 발휘됐다. 더욱이 돈과 사람의 규모가, 경제로 치면 말 그대로 ‘규모의 경제’를 이루었다. 세계화가 이뤄지면서 신도와 조직이 방대해지고 기업의 이윤과 헌금도 그만큼 늘어난 것이다. 그것은 곧바로 ‘힘’이다. 여기에다 종교 활동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업 활동을 병행하면서 탄탄한 ‘제국의 구조’를 이루었다. 이런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통일교를 승승장구, 급성장하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것뿐일까.

종교계 안팎에서 통일교를 아는 전문가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4가지 통일교의 특징을 꼽을 수 있다. 첫째, 가정을 강조한다는 점이 특별하다. 세계 종교사에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종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개인의 구원, 거기서 더 나아가 세상의 구원이다. 교리 가운데 가족의 화목이나 질서를 규정한 종교들은 있지만 종교 자체가 가정을 뿌리로, 기본 단위로 설정한 예는 없다. 통일교는 당초 기독교 교파를 넘어 종교화합을 이룬다는 의미로 ‘통일신령협회’라고 했지만, 나중에는 ‘가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해서 아예 교단의 명칭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바꾸었다.




▲ 1995년 잠실 올림픽경기장에서 치러진 36만쌍 국제합동축복결혼식


통일교 교리에 따르면 가정은 모든 개인에게 평화와 안정의 시작이며 끝이다. 혼자 구원받고 가족은 구원받지 못하면 어떻게 진정으로 기쁠 수 있겠는가라는 믿음에서 가족에 대한 전도의 당위성도 나온다. 그것이 친지, 이웃, 사회, 국가, 세계로 확대돼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신도들은 모두 가정에 충실할 것을 요구받는다. 남편은 아내 앞에서, 아내는 남편 앞에서 정절과 순결을 지켜야 한다. ‘외도’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같은 교리에 근거해서 통일교 국제합동축복결혼식이 나온 것이다. 합동결혼식은 한마디로 순결한 한 남자와 순결한 한 여자가 ‘축복’을 받고 ‘성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덴동산의 아담과 해와가 이루지 못했던, 받지 못했던 ‘축복’을 받는 성스러운 행위이다. 지상에서의 ‘축복자’는 바로 문선생 내외다. 그래서 문선생 부부의 주례로 부부가 되는 이들은 다같이 ‘축복’을 받는 의식을 치른다. 맨 처음 3쌍에서 시작한 이 ‘축복’ 의식은 무려 4억쌍이 동시에 이뤄졌다.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해서다.

해마다 몇 쌍이 합동결혼식을 올리는가 하는 것도 일정한 교리에 따라 정해진다. 그렇게 ‘축복’받은 신랑 신부는 서로를 가장 소중하게 여기며 가정을 꾸리고 가꿔 나갈 의무를 지게 된다. 개인의 차원에서 가정의 차원으로, 구원과 평화와 행복의 단위를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통일교는 대중에게 한 걸음 다가서는 종교로 인식됐다.

통일교의 또다른 힘은 개방성에서 나온다. 기독교의 다른 교파는 물론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개방된 태도를 견지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종교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이같은 태도가 가능하다. ‘내가 통일교를 통해 평화를 얻으려는 것처럼 다른 사람도 자신의 종교를 통해 평화를 추구한다’는 입장이다. 자신의 종교만 옳다고 주장하면서 결국 인간과 인간 사이의 평화를 깨뜨리는 것은 도그마요, 독선이라고 본다. 종교를 통해 스스로를 닦고 평화를 얻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더욱 큰 평화, 세계평화, 지상천국을 이뤄야 한다는 종지(宗旨: 한 종교 및 종파의 핵심적인 교의)이다.

그래서 설사 다른 종교가 통일교를 때리고 공격해도 통일교는 묵묵부답이다. 그것은 문선생의 뜻이기도 하다. 더욱 문선생의 이러한 뜻 때문에 외부에 대해 다툼은 물론 소송도 못낸다. 사실 앞서 기독교계와의 소송도 통일교 재단에서 제기한 것이 아니라 신도 가운데 한 사람이 제기한 것이다. 말하자면 마주 때리는 것이 아니라 맞으면서도 끌어안는다. 부드러운 것은 부러지지 않는다. 생명력을 갖는다.

11. “세계 평화의 근본은 가정의 행복”

동양적 시각과 종교관으로 성경을 해석함과 동시에 통일교는 동양적인 가치관을 강력히 주장했다. 양창식 전 통일교 미국총회장은 통일교의 동양적 가치관은 미국사회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젊은이들이 정신적 공허 속에서 혼란을 겪을 때 통일교에서 가르치는 순결과 가정의 가치는 엄청난 반응을 불러왔다. 성적인 문란, 이혼과 가족의 붕괴에 대한 확실한 메시지를 준 것이 문 선생의 가르침”이라고 말했다. 구약성경은 아담과 해와가 선악과를 따먹은 것이 인간 타락의 시초로 설명한다. 통일교는 이것을 인간의 성적타락으로 해석한다. 통일교가 벌이는 순결운동은 이런 교리를 바탕으로 한다. 인간의 원죄가 불륜과 음란으로 인한 성적 타락에서 비롯했다는 통일교의 타락론은 기성 기독교의 강력한 비난을 받는다. 게다가 통일교 비판자들은 이것을 피가름 논쟁의 근거로 삼으며 원색적으로 비방하는 단초가 됐다. 고(故) 김봉태 선문대학교 총장은 성경 해석의 논쟁에 대해 이러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성경의 내용은 현대에 와서 과학과 이성적 판단으로 납득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아졌다. 기성 기독교에서는 문구에 매달려 성경을 해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물음에 명쾌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문 총재는 영적인 세계에 들어가 하나님의 계시를 직접 받아 성경의 원리를 해석했다. 창세기 당시로 돌아가고, 예수 시대로 돌아가 직접 보고 해석한 내용이 원리강론”이라고 밝혔다.

인간 타락의 근원을 밝히는 것이야 말로 하나님의 섭리로 복귀하는 근본이 되며 통일교의 타락론은 그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라는 것이다.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신앙의 영역이다.시대가 변하면서 옛것만으로는 오늘을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 세상에 새로운 종교가 나타나는 것은 인간은 언제나 새로운 문제와 만나고 있기 때문이다. 유대교를 뿌리로 기독교의 가지가 뻗어났고 그 배경으로 이슬람교가 나타났다. 팔레스타인의 사막으로부터 이 땅에까지 그 씨앗이 날아와 통일교가 태어났다. 통일교는 이제 막 움트기 시작해 사방으로 가지를 뻗고 있다. 종교를 이해하려면 백 마디의 교리를 듣는 것보다, 그 종교를 믿는 한 사람의 행동을 보는 것이 더 쉽고 빠른 경우도 있다. 통일교를 알기 위해선 그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12. “지상에서 먼저 평화를 이루어라”

통일교 창시자인 문선명 총재와 부인 한학자 총재. 통일교 신도들은 이들을 ‘참부모’라고 부른다. 이와 함께 통일교의 큰 힘은 실천하는 종교라는 데서 나온다. 신도에게 교회에 열심히 다니고 열심히 믿고 하는 것만큼 생활 속에서 하늘의 말씀과 가르침을 실천할 것을 주문한다. 금주, 금연, 금욕 등 절제는 물론 사회 각 영역에서 자신이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고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교리는 강조한다.

신도는 가정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이웃에 봉사를 다 하고, 쌓아놓기보다 나눠 줄 것을 요구받는다. 교회를 키우고 신도를 늘리고 하는 일보다 자신의 삶을 통해 주변 사람에게 저절로 ‘빛과 소금’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렇게 해서 선교가 이뤄지고 전도가 이뤄질 때, 그렇게 해서 새로운 신도가 늘어날 때 통일교는 그것을 진성(眞性) 교인이라고 부른다. 억지로 끌어다 앉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마음을 움직여 스스로 하나님 앞으로 나오게 해야 한다는 논리다.

끝으로 저 멀리 있는 구원을 바라기 전에 먼저 지상에서, 자기 생활에서, 가정에서 평화를 이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런 점에서 대단히 현실적이다. 구원까지 가는 길은 멀고 험하다. 때가 되어 구원이 찾아올 수 있도록 지금 자신의 가정에서, 일터에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먼저 평화를 추구하고 실현하라, 말하자면 그것이 신앙의 1차 목표다.




▲ 문선명·한학자 총재 부부


가정을 소중히 여기고, 열린 태도를 견지하며, 성실한 삶에 힘쓰면서, 주변의 가장 작은 단위부터 평화를 이뤄 나가라…. 그런 과정을 거치는 동안 ‘너에게 하나님의 구원 섭리가 작용한다’는 것이 곧 통일교 교리의 요체이다. 하나님이 정한 구원의 섭리, 구원의 프로그램에 따라 인간이 일정한 노력을 기울이면 구원이 찾아온다는 것이다. 그러한 믿음이 사람들의 마음을 파고든 것 아닐까.

개인 차원을 넘어 통일교 재단 역시 ‘하늘이 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사회와 국가를 위해 많은 일들을 ‘실천’해 왔다고 통일교측은 설명한다. 1960년대 개발 연대에 통일교 젊은이들은 우리나라 농촌 각지를 돌며 계몽운동에 앞장섰다. 1970년대에는 하나님을 부정하고 유물론을 내세우는 공산주의에 맞서 승공(勝共)운동에 전력투구했다.

지금 기성세대라면 아마 당시 통일교 산하 국제승공연합이 주최하는 동네별 강연회에 한두 번쯤 참석한 기억이 있을 것이다. 1980년대부터는 냉전구도를 타파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한 대북(對北)활동에 매진했다. 공산주의는 반대하지만 평화를 위해 기꺼이 대북사업에 앞장섰다는 얘기이다.

1990년대는 통일교가 본격적으로 ‘가정’을 푯대로 들고 나선 시기이다. 이때부터 모든 활동의 시작과 목표를 가정의 행복, 가정의 평화, 가정의 화목에 두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지금 통일교는 세계평화 쪽으로 활동의 중심을 잡고 있다. 공산주의를 넘어 이웃과 국가를 받들고 가정을 기본단위로 한 세계의 영구적 평화운동에 매진하는 것, 그것이 지금의 통일교다. 개인으로 치면 성실한 삶이고 교리의 ‘실천’인 셈이다. 바로 그러한 궤적이 사회와 국가, 세계에 속된 말로 먹혀 든 것이 아닐까.

통일교가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종교활동, 선교활동 외에 수많은 활동을 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사회복지, 문화예술, 교육, 언론, 국제학술 등 그야말로 전방위적 활동을 펴나가는 것도 궁극적으로 인간세계를 위한 ‘실천’이라는 것이다.

성경 창세기에 보면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기 전 모든 것을 지어 놓으셨다. 왜 그랬는가. 인간의 행복, 인간의 평화를 위해서다. 통일교가 행하는 모든 활동도 바로 그런 의미를 갖고 있다. 이 땅에서 할 수 있는 한, 많은 일을 해서 궁극적으로 인간이 행복할 수 있는 환경, 인간이 평화를 얻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려는 것이다. 단적인 예로 통일교에서 경영하는 기업들이 수익을 많이 내서 누가 부자가 되고 하는 일은 별로 없다. 그것이 어떤 활동이 됐든 결국 인간에게 도움이 되고 인간의 평화와 행복에 기여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믿음과 원칙이 있기 때문이다.

통일교측은 “문선생이 통일교를 창시한 지 60여년밖에 안 됐지만 그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신앙을 전했고 또 실질적으로 인간세계에 도움이 되는 수많은 일들을 이루지 않았느냐”면서 “그것이 바로 지상에서 구원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원리강론≫은 영적교류 통해 얻은 계시엮어…신·구약에 견줘 成約으로

통일교에서는 문선명 선생 내외를 참부모로 섬긴다. 문선생을 이어 한국회장과 세계회장을 맡았던 문형진씨는 취임사에서 자신을 목회자로 표현했다. “아버님은 북한에서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전도할 때도 목사로서 그렇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아버님은 모든 섭리적인 내용을 행하실 때도 목사로서 행하셨습니다. 지금도 새벽 2시 반에 일어나 우리를 성장시켜주시는 것도 목사로서 그렇게 하시고 있습니다. 참부모님이시지만 목사로서 행하시는 것입니다.”

문선생뿐 아니라 자신도 종교적으로 목사의 신분이라는 것이다. 통일교가 기독교를 배경으로 성장했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1. 가정연합의 경전 ≪원리강론≫

통일교는 성경 외에 독자적인 경전을 가지고 있다. 문선명(文鮮明) 선생이 성경을 해석한 내용과 하나님과 직접 영적 교류를 통해 얻은 계시를 엮어 ≪원리강론≫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통일교에서 원리강론은 신·구약에 견주어 성약(成約)으로 부른다. 세상을 창조한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드러낸다는 뜻이다. 신·구약이 미완성이라면 성약에 해당하는 원리강론은 완전한 구원을 약속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원리강론이 성약이라는 주장은 통일교의 역사관에서 비롯됐다. 아담의 창조로 시작된 인류는 아브라함까지의 역사가 후대를 준비하는 기반이 된 시대라고 설명한다. 그 이후 예수님까지의 시기를 인간의 지성과 심성이 막 자라나기 시작한 구약의 시대로 보고 있다. 예수님 이후의 때를 인류 역사가 장성해간 신약의 시대라고 한다. 즉 인류가 자라온 유년기와 청소년기, 청년기가 지금까지의 역사라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문선명 선생의 가르침대로 인류가 완성을 향해 나가는 성약시대라는 것이 통일교측의 주장이다. 이들은 인간의 타락 이후 실패해온 하나님의 뜻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그것이 천일국(天一國)시대이다. 통일교 측에서 볼 때 2018년은 천일국 6년째 되는 해이다. 통일교가 기성 기독교계로부터 강력한 비판을 받는 출발점은 성경에 대한 상이(相異)한 이해와 해석에 있다. 어떤 종교든 경전은 절대적이고 신성하다고 믿는다. 진리를 담고 있으며 현실을 구원할 수 있는 길이 경전 속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독교계는 통일교의 성경 이해가 잘못됐다고 주장한다. 원리강론과 같은 해석의 바탕에는 성경과 계시에 대한 오해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점이 기존의 신앙과 어긋나는 것일까. 기성 교회의 입장에서 가장 충격적인 내용은 예수님의 구원이 실패했다는 주장이다. 그러므로 구원의 상징으로 여기는 십자가 역시 실패의 상징이라고 본다. 통일교에서는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은 타락한 인간을 완전히 구원하려한 하나님의 뜻으로 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지상천국을 먼저 완성해야 했다고 설명한다. 결국 그 실패를 딛고 하나님의 뜻을 이룰 사람이 따로 있다고 믿는다. 통일교 신도들은 문선명 선생을 이 땅에 온 구원자, 즉 재림주인 메시아이며 참부모로 섬긴다. 원리강론은 이 부분을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하나님은 이미 이 땅 위에 인생과 우주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게 하시기 위하여 한 분을 보내셨으니, 그 분이 바로 문선명 선생이시다.” 라고 기술해 놓았다.

2. 문선생 부부를 메시아요 참부모로 섬겨

원리강론은 이어서 문 선생이 세상을 주관하는 섭리를 계시 받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선생은 혈혈단신으로 영계(靈界)와 육계(肉界)의 억만 사탄과 싸워 승리하신 것이다. 그리하여 예수님을 비롯한 낙원의 수많은 성현들과 자유로이 접촉하시며, 은밀히 하나님과 영교(靈交)하는 가운데서 모든 천륜의 비밀을 밝혀내신 것이다.” 현실세계뿐 아니라 영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하나님과 영적인 교류를 꾸준히 해오며 이 세상을 주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영계의 존재를 강력히 시사하고 영적인 대상들과 접촉할 수 있다는 통일교의 세계관은 다분히 한국적이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끊임없이 인간세계와 교통하는 영적 존재는 기존 기독교의 설명과는 다르다. 오히려 접신과 강력한 신비를 주장하는 동양의 신비적 종교와 닮아 있다. 통일교 교리에는 이같은 동양의 색깔이 많이 드러난다.

특히 음양(陰陽) 철학을 바탕으로 한 이성성상(二性性相)의 설명은 전통적인 동양의 세계관이다. 원리강론의 내용은 이렇다.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그 자체 내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존재들과 사이에서 양성과 음성의 이성성상이 상대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비로소 존재한다.” 통일교는 이성성상이 존재를 형성하는 근본 원리임을 주장한다. 통일교는 이 두 가지 상반돼 보이는 것이 대립을 끝내고 통일되어야 하나님의 섭리가 완성된 행복한 세상이 온다고 본다. 그것이 외형적으로 가장 잘 드러나 있고 직접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남자와 여자가 만나 이루는 가정이니, 가정의 행복은 결국 세계평화를 이루는 근본으로 삼는 것이다. 남과 북, 한국과 일본의 적대적인 관계도 그런 점에서 반드시 해결하고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종교학회 김탁 박사는 통일교에 한국적인 종교의 특징이 분명히 내재한다고 설명한다. “강증산의 가르침은 이후의 모든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 역사의 전개를 원한을 풀어나가는 해원의 과정으로 설명하는 점과 창종자 자신이 우주 최고주 자재이거나 그 대리자임을 자각하는 점이 그렇다. 통일교에서 말하는 이상세계 천일국도 결국 후천개벽의 사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생(相生)이나 해원(解寃) 등의 가르침은 통일교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통일교는 인간의 타락으로 창조주의 뜻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예수님의 구원이 완성되지 못했으므로 해원시켜주는 것이 통일교인의 사명이라고 한다. 지상천국을 이루는 것으로 예수님의 해원이 되며 그것이 복귀섭리를 통한 해원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문윤홍·시사칼럼니스트·moon4758@naver.com>


 

1509 각계에서 문선명 총재에 대한 연구와 평가 활발:매일종교신문

각계에서 문선명 총재에 대한 연구와 평가 활발:매일종교신문


각계에서 문선명 총재에 대한 연구와 평가 활발
‘하늘과 함께한 위대한 생애’ 평전들


기사입력: 2015/09/11 
 최종편집: ⓒ 매일종교신문

문윤홍 



사람의 위대함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군사적 재능으로 측정할 것인가? 재력으로 측정할 것인가? 아니면 정신적 역량으로 측정할 것인가?

역사가 H.G. 웰스는 사람의 위대함은 ‘그 사람이 발전하게 한 일과 그리고 그가 후대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날로 새롭고 활기있게 생각하게 하였는지의 여부‘로 평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선명(文鮮明·1920년 1월6일~2012년 9월3일), 그는 누구인가? 시대의 이단아인가? 아니면 인류를 사랑한 ‘평화의 성자’인가? 극과 극의 칭송과 비난을 한 몸에 받은 세계적인 인물 문선명, 과연 한 인간으로서 그의 삶은 어떠했는가?

2015년은 셰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의 창시자 문선명 총재가 성화(聖和·타계)한지 3주년이 되는 해이다. 음력(天歷) 7월17일(2015년은 양력 8월30일)은 문 총재가 성화한 날이다. 올해는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 문선명’ ‘평화로 세상을 연결하자’라는 슬로건아래 다양한 추모 행사가 성대하게 거행됐다. 이를 계기로 문 총재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주목된다. 그동안 기성 기독교단이나 언론 등에 의해 왜곡되거나 잘못 알려진 문 총재의 참모습을 밝히고 그에 대한 조명과 평가가 오히려 통일교단 밖에서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어떤 역사적 영웅이나 위인들도 당대에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하지만 문 총재는 재세(在世) 시에도 그에 대한 일부 학자들의 평가와 저서들이 다수 출간돼 주목을 받았다. 물론 통일교단 내에서 방대한 분량의 문 총재의 ‘말씀’을 기록한 서적들은 많다. 그러나 이제는 교단 밖에서 통일교 신도가 아닌 제3자적 입장에서 ‘인간 문선명’에 대해 다룬 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다. 문 총재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가 상당히 이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 총재가 성화한 이후 근래에 나온 책들은 『김일성과 문선명』(김동규 지음/고려대 명예교수), 『메시아는 더 이상 오지 않는다』(박정진 지음/문화평론가)와 『문선명 평전』(김호경 지음/소설가) 등이 대표적이다. 주로 ‘문선명 인물론’에 포거스를 맞추고 있는 위 3권의 책에 서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루고자 한다.

김동규 『김일성과 문선명』을 통해 상반된 두 巨人 비교 평가

극과 극은 통한다고 했던가. 극과 극이 만나면 오히려 비슷한 측면이 생겨 서로 통하게 돼 있다. 평생 한반도의 공산화를 꿈꿨던 김일성(金日成) 북한 주석, 한평생 이 지구성에서 공산주의를 추방하고 세계평화를 달성하려 했던 문선명 통일교 총재. 김 주석이 한반도 공산화를 꿈꿨다면, 문 총재는 지구상에서 공산주의를 몰아내는 게 목표였다. 두 거인(巨人)은 ‘통일’을 말했지만 거기에 이르는 길은 전혀 달랐다. 군인이자 정치인이었던 김 주석은 무작정 ‘무력’만 키운 반면, 종교인이자 사상가였던 문 총재는 끝까지 ‘평화’에 호소했다. 두 사람이 1991년 만나 합의한 내용 중에는 ‘금강산 개발’과 ‘남북 문화예술 교류’가 들어 있다. 정치와 군사 대신 경제와 문화로 북한을 변화시키려 했던 문 총재의 강력한 요청이 이끌어낸 성과이다.

김일성 주석과 문선명 총재를 비교 연구해 『김일성과 문선명』을 출간한 김동규 교수는 두 사람을 “불과 물 같은 인물이다. 하지만 극과 극이 ‘극’에 달하면 오히려 비슷한 측면이 생기듯 서로 상통하는 점이 많다.”고 했다. 그들은 인류 보편적 가치기준에서는 분명히 물과 불의 관계요 물과 기름의 관계이지만, 불이 물을 끓이고 물이 불을 소멸시키듯이 공존 불가의 적대적 관계이면서도 물과 불이 상보적(相補的)으로 음식을 만드는 것처럼 공존하는 동지로 변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삶에는 분명히 접점(接點)보다는 분기점(分岐點)이 더 많았다. 18세기 영국에서 세계동포주의라는 이념으로 결성되어 각국의 주요 지도자들이 가담돼 있는 ‘프리메이슨’이라는 국제비밀결사조직에서는 한반도의 최고인물로 문 총재와 김 주석을 지적하고 있으며, 외국의 일부 학교의 종교 교과서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지도자로서 주체교의 교주로 김 주석과 통일교의 교주로 문 총재를 대비시켜 설명하고 있다.






김 교수는 두 인물의 동질성을 이렇게 평가한다. “외형적으로 키나 체중이 비슷하다. 김 주석은 ‘햇빛공포증’에 시달려 밤에 집무를 봤다. 빨치산 활동을 한 탓이다. 문 총재도 하루 3시간만 자고 일하곤 했다. 세간의 비난을 누구보다 많이 받은 점도 비슷하다. 그밖에는 모든 게 달라 보일 것이다. 한 사람은 독재정치의 지도자이고, 한 사람은 신흥종교 지도자가 아닌가. 김 주석은 공산주의자인 반면, 문 총재는 반공주의자이다. 하지만 물과 불이 상보적으로 음식을 만드는 것처럼 공존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김 주석은 50년간의 봉건영주적 독재정치를 통해 2000만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신도화 함으로써 하나의 종교집단 국가를 만들었다. ‘정치의 종교화’를 추진한 것이다. 주체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인민에게 강요해 종교적 신앙으로까지 확장시켰다. 문 총재의 통일교는 지상천국을 목표로 종교뿐 아니라 경제, 교육, 문화, 언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막강한 조직력을 발휘했다. 주체사상을 보면 수령・당・인민은 성부・성자・성령으로, 김일성 대(大)가정론은 유교의 충효사상과 연결된다. 통일교의 삼위일체는 하나님・참부모(문 총재 부부)・참자녀(신도), 가정질서 중시 사상은 유교의 부부유별과 맥을 같이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김 주석은 일국의 정치지도자로서 자신의 권력구조에 유교적인 통치철학과 기독교적인 유일·절대 사상을 대입시켜 정치의 종교화를 도모했다면, 문 총재는 종교지도자로서 종교적인 초월적 가치체계에 과학적 논리성과 현실주의를 적용함으로써 두 사람의 인식체계는 역방향으로 향하는 커다란 분기점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문 총재의 사상에 대해서도 “문 총재의 ‘통일사상’은 학문적으로 나에게 큰 충격을 줬다. 정치경제학에서는 마르크스의 정(正)-반(反)-합(合), 즉 변증법적 발전 개념에 대해 비판만 해왔지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통일사상은 정반합을 ‘정(正)-분(分)-합(合)’으로 수정하는 수수법(授受法)을 제시했다. 병아리(合)가 노른자위(正)와 껍데기 간의 갈등(反)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노른자위와 껍데기는 상호 협동관계(分)를 통해 새로운 병아리(合)가 된다는 논리이다. 나는 여기서 합리적 반공 이론의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김동규 교수는 두 인물 비교를 통해 우리 사회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바로 이러한 점이다. “한국 사회의 근본 문제는 지나친 ‘이념 갈등’이다. 너무 극단으로 보는 시각 때문인데 잘못된 사고방식이다. 앞서 말했듯이 극과 극은 오히려 동질한 부분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김일성 주석과 문선명 총재가 한국 현대사에 드리운 명(明)과 암(暗)을 통해 그들의 공통점은 무엇이고 다른 점은 무엇인가를 비교 평가해 독자에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싶었다.” 그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한 사람은 악명 높은 정치지도자로서 한 사람은 신흥종교의 교주로서 세계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평가되고 있는 인물이지만, 1980년대까지 첨예한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동서냉전으로 대치하는 극점에서 세계사의 시대정신을 대표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1991년 12월6일 북한 평양의 김 주석 공관. 김 주석과의 단독회동을 마친 문 총재가 부인 한학자(韓鶴子) 총재, 그리고 김 주석과 나란히 서서 기념촬영을 했다. 이들의 만남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를 뒤덮은 냉전의 얼음을 녹이고, 남북 간 교류·협력의 씨앗을 뿌린 일대 사건이었다. 애초 김 주석은 단독회동에 응할 생각이 없었다. 그러나 평양 만수대의사당을 방문한 문 총재가 주먹으로 탁자를 내리치며 “하나님을 부정하는 공산주의는 곧 망한다”고 열변을 토하자 생각을 바꿨다고 한다. 북한 지도층과 수행원들은 얼굴이 파랗게 질렸지만 김 주석이 문 총재의 배짱에 반해 단독 회동 요청을 받아줬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훗날 김 주석은 측근들에게 “그렇게 배짱이 두둑한 인물은 처음 봤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김 주석이 79세, 문 총재는 71세였다 이렇듯 북한과 통일교의 관계는 각별하다. 여덟 살 차이인 두 사람은 평안도의 기독교 가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김 주석은 평양 근교 평남 대동군, 문 총재는 평북 정주시가 고향이다. 김 주석의 생모 강반석(康盤石, 1892~1932)은 기독교 장로였다. ‘반석’이라는 이름은 성경의 베드로를 가리킨다. 교육자였던 외할아버지 강돈욱(敦煜, 1871~1943)은 칠골교회 장로였다고 한다. 문 총재 역시 작은 할아버지 문윤국(文潤國, 1877~1958)목사로부터 많은 가르침과 영향을 받으며 열심히 교회에 다녔다. 이처럼 개신교 영향이 두드러진 환경에서 자랐으면서도 한 사람은 종교 자체를 부정하는 공산주의자로, 다른 한 사람은 특정 종파를 넘어선 평화주의자로 성장한 점이 특이하다.

문 총재는 방북(訪北) 당시 김 주석의 배려로 누나와 여동생 등 가족을 만나고 고향 생가를 찾았다. 김 주석은 문 총재에게 평안도 음식인 언 감자국수를 대접했다. 두 사람은 “역시 고향 사람끼리 만나니 입맛까지 잘 통한다”며 웃음을 터뜨렸다. 이때 김 주석은 문 총재의 생가를 잘 보존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이곳에는 현재 통일교 성지인 대규모 정주평화공원이 조성돼 있다.

문 총재의 방북(訪北) 당시 두 사람은 남북경제협력 등을 논의했고, 역사적인 남북교류의 물꼬를 텄다. 통일교 측은 북한에서 남포 평화자동차공장, 평양 보통강호텔과 세계평화센터(지하 1층, 지상 5층), 평화자동차부품회사, 평화주유소 등을 운영한다. 문 총재의 방북 이후 해외 통일교 신자들의 문 총재 생가 성지순례가 이어져 북한도 적잖은 관광수익을 올렸다. 어느 날 김 주석이 북한에 머물고 있는 통일그룹 관계자에게 커다란 항아리를 선물했다. 그 항아리를 문 총재의 생가 입구에 놓도록 했다. 통일교 측은 한동안 이곳에 모이는 달러 헌금을 북한 당국에 전달했다. 북한의 경제난으로 한 푼의 달러가 아쉬운 상황이었다. 두 사람의 인연은 특히 경조사를 챙기는 것에서 두드러진다. 1994년 7월8일 김 주석 사망 때는 박보희(朴普熙) 세계일보 사장이 문 총재의 특별지시로 방북해 조문했다. 문 총재는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2011년 12월에도 문형진(文亨進) 통일교 세계회장을 북한에 파견해 직접 조문을 하게 했다. 당시에 그는 김정은(金正恩)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도 만났다.

김 제1위원장은 이번 문 종재 성화 3주년 때에도 ‘문선명 선생의 유가족들에게’라는 제목으로 친히 조전을 보냈다. 문 총재 보다 먼저 사망한 김 주석은 생전에 “문 총재를 각별히 배려하라”는 유언을 했다고 한다. 북한은 문 총재 생일 때마다 귀한 선물을 보내오곤 했다. 구순을 맞은 2009년에는 산삼 세 뿌리(90년, 80년, 60년짜리)와 장미와 백합 각각 90송이로 된 화환을 보냈다. 그밖에도 김 위원장이 보낸 ‘금박, 은박 을밀대’ 모형과 금관, 은관, 보석을 잘게 부숴서 그린 금강산 만년화 등이 천정궁(天正宮) 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천정궁은 경기 가평군 설악면 천성산 일대 통일교 성지의 본궁(本宮) 격이다. 문 총재가 성화하기 전까지 거처했던 곳으로 문 총재 생애박물관을 겸하고 있다.

김 교수는 “그들이 한국현대사에 드리운 명과 암에서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평가하고 싶었다”고 전한다. 우리와 동시대에 살다 간 두 인물의 행적을 조명하여 대비(對比)시킴으로써 민족분단의 근원을 또 다른 시각에서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새로운 판단기준으로 내일의 올바른 역사관을 갖게 하는 데 이 책은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특히 문 총재에 대해 그는 “(문 총재의) 숨은 힘과 선도적인 사상, 일념의 조국애, 그리고 세계적인 평화활동은 후세의 역사가들에 의해 반드시 올바른 평가로 기록되어질 것이다.”고 밝히고 있다.


박정진 “문명사적 시선으로 문 총재의 사상·발자취 재조명‘

“나는 이름 석 자만 말해도 세상이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세상의 문제 인물입니다. 돈도 명예도 탐하지 않고 오직 평화만을 이야기하며 살아왔을 뿐인데 세상은 내 이름자 앞에 수많은 별명을 덧붙이고 거부하고 돌을 던졌습니다.” 문 총재가 자서전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으로』 서두에서 한 고백이다. 그를 ‘이단(異端)’으로 지목해 핍박한 한국 기독교와 평생에 걸쳐 겪은 불화를 실감나게 표현한 것이다. 문 총재를 불온시해 인류평화에 헌신한 공적까지 외면하려는 일부 기성교인의 태도는 과연 온당한가.

언론인이자 문화인류학자인 저자 박정진은 1950년대 세계의 변방에 불과했던 한국에서 탄생한 통일교가 오늘날 194개국에 선교본부를 둔 ‘세계종교’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을 문명사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지금 서양의 기독교는 신도수의 격감으로 실의에 빠져있다. 신부나 수녀, 목사 등 성직자들을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독교 신학이론으로는 사람들에게 감동과 감흥을 줄 수가 없다. 반면 통일교는 현재 미국과 일본 신도들이 국내 신도수를 훨씬 능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교국가는 190개국을 넘어섰다. 2010년에는 36만쌍의 축복결혼식이 있었다. 참가정 실천운동은 4억쌍이 참여하고 있다. 심지어 많은 서양의 목사와 지식인들도 통일교 이론에 심취해 개종을 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면 한국에서 태동한 통일교가 한국에서는 이단이라는 지탄을 받고 배척 받았는데 세계적으로는 어떻게 이토록 성공할 수 있었을까? 문 총재가 기독교 전통이 아주 강한 집안에서 성장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얘기다. 그는 어릴 때 종조부 문윤국 목사의 가르침을 받으며 교회에도 열심히 다녔다. 하지만, 특정 종교의 울타리 안에 머물기엔 문 총재의 ‘그릇’이 너무도 컸다. 그는 기독교는 물론 다른 여러 종교와 한국 전통사상까지 아우르고자 했다.

저자는 문 총재가 한국의 독특한 ‘자생기독교’인 통일교를 세우고 세계화되어 가는 과정을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역사 운명적인 문 총재의 발자취와 사상을 하나하나 복기한다. 세계화가 된 통일교는 어쩌면 요즘 유행하는 한류(韓流)보다 먼저 기틀을 잡아놓은 것이 아닌가하는 글로 시작한다. 이어 통일교의 추세와 리틀엔젤스의 세계적인 활동을 논한다. 세계로 진출한 통일교가 현대에 걸맞은 메시지로 환원하게 한 문 총재의 의미를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고, 여성시대를 열어가는 한학자 총재의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한다. 끝으로 '대승기독교'로 통일교가 발전해가는 현상을 고찰하면서 통일교는 현재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종교 가운데 가장 폭넓게, 전체적으로, 포괄적으로 기독교를 통일하고자 한다.






통일교는 동양의 전통적인 천지인(天地人)-음양(陰陽) 사상의 토대 위에 서양의 기독교 절대 신관(神觀)을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신관을 정립하게 된다. 기독교 사상과 우리 고유의 전통사상이 어우러져 '한(恨)의 하나님'이 도출되는데, 이는 독생자 예수를 보내어 구원하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죽어가는 아들의 모습을 보아야했던 하나님의 한을 풀어서 못다 이룬 하나님의 뜻을 완성해야 한다는 사명을 띠고 재림주가 온다는 것이다. 재림주는 신약시대 이후의 완성되지 못한 채 미뤄진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다시 오는 것이고 약속이 완성되는 때가 성약시대라는 것이다. 통일교 신학이론은 서양의 '닫힌 기독교'를 '열린 기독교'로 바꾼 획기적인 자생신학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은 그것을 이해하려고 들지 않는다.

도리어 서양에서 그 의미와 기미를 느끼고 있는 듯하다. ‘문선명 현상’은 한국문화의 맥락으로 보면 구한말 외세에 대항하여 일어난 동학의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완성이면서 모성시대를 향한 기원적 시기에 일어난 '기독교의 세계적 완성'이다. 문 총재가 약속이 완성되는 성약시대에 메시아로 등장하여 그 사명을 완수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메시아를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 셈이다. 이 점이 기독교의 존재신학과 다른 통일신학이다. 그리고 메시아는 문 총재 한 사람만도 아니다. 메시아는 우리 집단의 각 단위별로 종족메시아, 국가메시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가정에서 메시아적 사명을 완수하는 것으로 ‘대승기독교’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 책은 역설한다.

오늘날 통일교가 큰 성공을 거둔 이유에 대해 저자는 “기독교와 한국 전통사상이 융합함으로써 토착화를 이룩하고, 나아가 세계종교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이처럼 통일교의 핵심은 기독교에 한국 전통사상을 가미한 점이다. 따라서 요즘 세계를 휩쓰는 한류의 원조가 문 총재라는 주장은 결코 빈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독교계가 통일교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전통을 경원시하고 그저 서양에서 들어온 사상과 이론만 숭상하려는 ‘사대주의’의 발로일 뿐이란 저자의 분석이 날카롭다. 책 제목이 도발적이다. 일부에서는 “결국 문 총재 본인이 메시아라는 뜻 아닌가”라고 시큰둥한 반응을 보일지 모르겠다. 오랫동안 문 총재의 사상을 연구한 저자가 정말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이것이다. “메시아를 기다리지 말고 너희가 메시아가 되어라.”


김호경 “탄생에서부터 ‘최후의 기도’에 이르기까지 92년의 굴곡 많은 삶”

『문선명 평전』은 목사, 총재, 교주, 선생님, 메시아, 참아버님 등 그 많은 호칭을 떠나 한 인간으로서의 문선명을 조명했다. 문 총재는 종교인으로 출발했지만 기업인, 저술가, 언론인, 사상가로서의 역할을 한없이 뻗어나갔다. 통일교 교주 문 총재가 2012년 9월 성화한지 만 3년이 흘렀다. 살아생전 그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통일교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일본, 미국, 유럽, 남미에서도 마찬가지다. 문 총재는 1970년 이후 일본 입국금지령이 내려졌으며 유럽 여러 나라에서도 입국이 금지됐다. 왜 적지 않은 나라에서 문 총재의 입국을 금지했는가. 그는 평생 여섯 번이나 교도소에 수감됐으며, 그의 말과 언행은 늘 언론의 추적 대상이 되었다. 6번의 감옥살이에도 불구하고 그는 어떻게 기업, 교육, 예술에서 그렇게 엄청난 업적을 쌓았으며, 숱한 논란과 비난에도 불구하고 광복 이후 한국의 신흥종교로서는 최초로 통일교를 세계적인 종교로 키웠을까?

문선명! 그 이름 석 자만으로도 그의 말처럼 세상은 와글와글 시끄러워진다. 왜, 무엇이, 어떤 이유로 그는 항상 논란의 한가운데 있게 됐는가? 그의 어떤 말이 그를 사이비 교주로 몰아갔으며, 그의 어떤 교리가 기독교로부터 공격을 받았으며, 어떤 행동이 1970년대 이후부터 한국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는가? 그의 이름을 입에 담는 자체가 왜 신성모독으로까지 간주되는가? 통일교를 접했다는 이유만으로 지탄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책은 1920년 1월6일 문 총재의 탄생에서부터 2012년 9월3일 성화할 때까지 만 92년 생애를 살면서 그가 행했던 모든 일들, 그가 주장했던 교리, 그가 행한 연설, 그가 이룩한 업적, 그가 방문한 장소, 그가 만들었던 기관과 단체, 조직 등을 망라해 취재하고, 탐구하고, 면밀히 분석한 최초의 일대기이다. 주관적 입장과 교리를 철저히 배격하고 오직 객관적 자료와 그가 행한 연설, 행동을 바탕으로 과연 그는 한국과 세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면밀히 탐구했다. 저자는 소설 『낯선 천국』, 스크린 소설 『명량』 『국제시장』 등을 집필한 유명 소설가 김호경으로 통일교인이 아닌 무신론자이다.






● 天命을 따라 걸은 굴곡 많은 92년의 생애
문 총재의 생애는 공격, 비난, 비판, 사이비, 왜곡, 오해, 무시, 부정 등으로 얼룩져 있다. 현대 한국인으로서 그만큼 많은 공격과 비난을 받은 사람도 드물고, 그만큼 많은 일을 해낸 사람도 없으며, 그만큼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인도 드물다. 풍운(風雲)으로 얼룩진 그의 삶을 되돌아보며 과연 무엇이 그를 그토록 문제적 인물로 만들었는지를 추적했다.

제1장은 북한 정주에서 출생한 이후 16세에 스스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는 내용을 시작으로 가문의 내력을 밝히고 어린 시절과 일본 유학시절을 들려준다. 제2장은 통일교의 탄생 과정을 연대순으로 설명하고, 제3장은 통일교가 세계로 뻗어나간 역사를 일본, 미국, 남미로 나누어 추적했다. 제4장은 세계평화와 인류 화합에 헌신한 노력을, 제5장은 길고도 처절했던 공산주의와의 투쟁을, 제6장은 기업을 세운 배경과 성공·실패의 과정을 추적했고, 제7장은 수많은 학교들을 세운 과정과 의미를, 제8장은 ‘리틀엔젤스’를 비롯한 예술에 헌신한 발자취를 설명했고, 제9장은 언론에 투신한 배경과 세계적 활동, 제10장은 합동결혼식의 의미와 역사를 되돌아보았고, 제11장은 통일교 교리는 과연 무엇인가를 탐색했다. 제12장은 문 총재의 사후(死後)에 통일교를 이끌어가는 한학자 총재에 대해 분석했으며, 제13장은 문 총재의 최후의 기도를 통해 그가 이 세상에 던진 메시지는 과연 무엇인가를 살폈다. 또한 부록으로는 세계적으로 치른 성화식(장례식)의 면모, 문 총재가 남긴 어록과 함께 92년에 걸친 연보(年譜)를 수록했다. 이를 통해 ▲과연 ‘인간 문선명’은 누구이고 ▲그가 평생에 걸쳐 이룬 업적은 무엇이며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독자가 판단하도록 했다. 이 책에는 그 과정이 객관적이면서도 소상히 담겨 있다. 저자는 그가 ‘사악한 사이비 종교의 교주'인지, '평화를 사랑한 세계인'인지 판단을 오롯이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객관적 설명 외에 교리는 최대한 배제했으나 꼭 필요한 부분에서는 교리를 인용했음을 밝히고 있다. 여기에 책 속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부분을 발췌해 인용․소개한다.

◆ 「제1장 탄생은 깨달음을 위한 것이었다」 중에서
‘나는 누구인가? 어디서 왔는가?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람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영혼의 세계는 과연 있는가? 하나님은 확실히 존재하는 것인가? 하나님은 정말 전능한 분인가? 하나님이 이 세상을 지으셨다면 이 세상의 고통도 하나님이 만드신 것인가? 왜 인간은 서로를 미워하며 싸우고 전쟁을 일으키는 것인가?’ 이는 심각하고 본질적인 질문이었으나 그 어느 누구도 대답해줄 수 없었기에 오로지 기도만 했다.

사춘기에는 누구나 그런 의문을 한 번씩은 갖게 된다. 탐구 끝에 나름대로 자신만의 답을 찾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답을 모른 채 어른이 되기도 한다. 문선명은 그때 답을 찾지는 못했지만 기도를 하는 동안에는 고통도 슬픔도 사라지고 마음이 편안했다. 그러자 기도시간이 점점 길어졌고 급기야 밤을 새우는 날도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엄청난 사건이 벌어졌다. 16살(1936년)의 부활절 전날 밤에 마을 뒤에 있는 묘두산(猫頭山)에 올라 밤새 기도를 했다. 눈물을 흘리며 삶과 사람, 죽음, 세상의 참 의미에 대해 묻고 또 물었다. 기도로 꼬박 밤을 새운 부활절 새벽에 예수님이 그 앞에 나타나셨다. “고통 받는 인류 때문에 하나님이 너무 슬퍼하고 계시니라. 지상에서 하늘의 역사에 대한 특별한 사명을 맡아라”고 말씀하셨다 한다. … “하나님의 길을 가는 사람은 언제든지 정성과 마음을 다해 그 목적지를 찾아가야 합니다. 이 길에는 집념이 필요합니다. 타고난 고집불통인 나는 본래부터 집념덩어리였습니다. 타고난 성질 그대로 집념을 갖고 고난을 극복해가며 내게 주어진 길을 갔습니다. 흔들릴 때마다 나를 단단히 붙잡아준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말씀을 들었다’는 엄중한 사실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단 한번뿐인 청춘을 바쳐 그 길을 선택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때로는 피하고 싶은 마음도 들었습니다.” 문선명은 도망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으나 결국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길을 가기 위해 하나밖에 없는 생명을 기꺼이 바치기로 했다. --

◆ 「제3장 통일교, 세계로 뻗어나가다」 중에서
“세계는 정말로 넓고 크다. 거기에는 많은 나라와 민족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나라들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탄자니아와 같은 가난한 나라에 내가 가기를 하나님께서는 간절히 바라고 계신다. 비록 그 길이 사막 한가운데를 오랜 기간 걸어야 하는 험난하고 고통스러운 노정이라 해도 나는 그 길을 가지 않으면 안 된다.” 사사모토가 탄자니아에서 순교한 것은 1980년 12월18일이었다. 항구도시 다르에스살람에서 총에 맞아 순교한 것이다. 성스러운 순교는 이미 1973년부터 시작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선교사를 비롯한 신도 30여 명이 한꺼번에 검거되는 일이 벌어진 적이 있었다. 그때 24살의 마리 지브나는 차디찬 감방에서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어 공산국가에서 선교하다 숨진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고 이듬해에 또 다른 신도가 감옥에서 목숨을 잃었다. 선교를 하다가 추방되는 일은 다반사였고 공산권 국가에서는 언제 생명을 잃을지 모르는 공포의 상황이 계속되었다. 단지 통일교를 믿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박해를 받은 신도들의 사연은 참으로 애처롭다. 중국, 남미, 중동 등 세계 각국에서 생명을 위협받는 일이 끊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선교사들의 발길은 1958년 이래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지구촌 구석구석을 찾아다녔다. 그 고통과 위험 속에서도 가난한 사람을 돕고, 학교를 세우고, 직업교육을 시키고, 황야를 개척해 먹고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 일에도 뛰어들었다. 오늘날 190개가 넘는 나라에 통일교회가 있고 신도들이 있는 것은 모두 선교사들의 값진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통일교 창시자로서 문선명 역시 선교사 중의 한 명이었다. 미국에서 여러 차례 50개주 순회강연을 통해 미국인의 신앙심을 일깨웠으며 1990년대에는 위험을 무릅쓰고 소련과 북한을 방문해 한 치의 두려움 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들려주었다. 전세계 선교사들은 절대신앙, 절대사랑, 절대복종의 정신을 물려받아 묵묵히 순교의 길을 걸었으며 정신적인 폭력뿐만 아니라 온갖 학대와 억압을 견뎌냈다. 그것이 밑거름이 되어 통일교는 한국인에 의해 창시된 신흥종교로서 전세계로 퍼져나간 것이다.

◆ 「제6장 경제와 기술로 세계발전에 이바지하다」 중에서
문선명은 어렸을 때부터 종교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 치하에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学)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한 문선명은 특히 기계공업 계통에서는 누구도 생각지 못한 때에 앞날을 내다보는 사업들을 구상했다. 북한의 남침 위협이 상존하는 한국의 실정을 감안할 때 하루 빨리 방위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기계공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주장했다. 통일교 기업들 중 최초로 정부 허가를 받은 사업은 예화산탄공기총제작소였는데, 1959년 12월에 정부 인가를 받았다. 아직 시장조차 형성되지 않아 사업의 성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었지만 특허상품으로 발전시키면서 장래를 대비해 나갔다.

문선명은 일본 사람들이 쓰다가 버리고 간 선반기계를 1962년 화폐개혁 전에 72만 원을 주고 샀다. 그것을 교회로 쓰던 적산가옥의 구석진 연탄광에 들여놓고 ‘통일산업’이라 이름 지었다. “여러분의 눈에는 이 선반기계가 보잘것없어 보일 수도 있어요. 고작 낡은 기계 한 대를 들여놓고 도대체 무슨 사업을 벌인다는 것인가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여러분 앞에 놓인 이 기계가 머지않아 7천대 아니 7만 대의 선반기계가 되어 대한민국의 군수산업과 자동차 공업까지 꼬리를 물고 발전할 겁니다.” 그러나 기술개발은 그 어려움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갖은 실패 끝에 10년 걸려 끝낼 일을 3년 안에 끝내야한다는 절박함으로 매진했다. 그 결과 공작기계 등 기술개발에 성공하여 공기총과 선반, 부속기계 등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통일산업은 M1소총과 똑같은 공기총을 만들어 청와대에 납품했고, 1969년에는 정부와 계약을 추진하는 한편 1973년에는 방위산업체로 지정받아 분당 30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발칸포를 개발하는 등 자주국방의 틀을 갖추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사람들은 교회에서 왜 살상무기를 만드느냐고 의아해 하기도 하고, 비난하기도 했지만 그 이유는 하나였다. 공산주의에 맞서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강해지는 게 최고의 방법이자 최선의 방법이다. 무기의 국산화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를 우리의 손으로 지킬 수 있고 절약된 돈으로 다른 산업을 일으킬 수 있어 모든 점에서 이바지하는 것이었다. 문선명은 바로 그러한 마음으로 방위산업에 뛰어들었다. 과학기술 평준화의 꿈을 가지고 출발한 대표기업이 바로 통일중공업이다. 통일중공업은 1959년에 단 4명으로 출발했으며 온갖 어려움과 고난을 무릅쓰고 발전을 거듭하였다. 아무런 기반이 없었던 초창기에 경제기반을 닦기 위해 밑바닥부터 가장 정성을 들인 기업이었다.

◆ 「제12장 통일교의 미래를 이끌 한학자 총재」 중에서
“한국 여성은 전통적인 미덕으로 유명합니다. 부모님에 대한 자식으로서의 효도, 남편에 대한 존경, 그리고 자식에 대한 아낌없는 사랑. 이 3가지 미덕의 전통으로 유명합니다. 한국여성은 일반적으로 수줍음을 많이 타고 말이 없습니다. 그러나 국가의 운명이 위험에 처했을 때 용감히 일어서서 생명을 걸고 조국을 지켰습니다. 여러분에게 한국에서의 진정한 힘은 여성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평생을 문 총재의 뒤에서 말없이 걸어온 한학자 총재는 수만 명의 관중 앞에서 강연도 여러 차례 했다. 1991년 9월17일 일본에서의 강연은 뜻 깊은 행사였다. 소규모의 사람들과 통일교 신도들 앞에서는 여러 차례 설교와 강연을 했지만 수만 명이 모인 곳에서의 본격적 강연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알래스카에 머물던 문선명은 대회를 1주일 앞두고 아내의 일본 강연을 결정했다. 9월17일 도쿄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평화여성연합 일본대회에서 한 총재는 ‘아시아와 세계를 구원하는 참사랑운동’을 주제로 이렇게 말했다.

“옛말에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곧 가정이 평화의 근본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을 이루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참사랑입니다. 참사랑이란 사랑 중에서도 하나님을 중심한 절대사랑을 말합니다. 즉 사랑할 수 없는 것까지도 사랑하는 것이 참사랑이어서 참사랑 속에서는 원수까지도 사랑하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남자와 여자는 하나님의 사랑을 소유한다는 입장에서 서로 평등한 가치를 갖게 되고, 일체가 된 부부는 하나님의 참사랑의 파트너가 되며, 창조주와 인간은 참사랑을 중심삼고 평등한 가치를 갖게 됩니다. 이제 여성 여러분이 아시아와 세계를 위하여 참사랑의 실천자들이 될 때, 오늘의 이 역사적 대전환의 시점은 일본은 물론 아시아가 세계로 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로 등장할 것입니다.” 한 총재는 일본어를 할 줄 모르지만 문선명이 일본어로 강연할 것을 말하자 연설문을 천 번이고 만 번이고 읽어 줄줄 외울 지경에까지 이르렀고 거창한 도쿄돔에서 강연을 무사히 끝내 일본 신도들의 우레와 같은 박수를 받았다. 그때를 한 총재는 “꼭 물짠 탈지면처럼 딱 기절해서 쓰러질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라 한 총재의 강연은 편할 날이 한 번도 없었다. 해발 400m나 되는 볼리비아 수도 라파즈에서는 산소호흡기를 옆에 두고 강연을 했고, 전쟁으로 폭탄이 날아다니는 크로아티아에서는 비참하게 죽어간 희생자들을 위해 밤새 기도를 올렸다. 한국의 대학을 순회할 때는 격렬한 반대에 부딪쳐 발걸음을 돌려야 했던 곳이 많았으며, 중동에서는 참석자들의 반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기도 했다. 아프리카 순회를 앞두고 일주일에 1알씩 복용해야 하는 말라리아 약을 잘못 처방받아 하루에 1알씩 3일을 복용하고 말라리아에 걸려 심하게 앓았다. 그럼에도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나라를 옮겨다니며 강연을 했다. 1년에 153회의 강연을 하는 강행군 속에서 강력한 조명의 불빛으로 인해 시력이 나빠지고, 목이 갈라졌다. 세계 여성지도자로서 유례가 없는 대기록을 세우며 참어머니로서의 주어진 책임을 다한 것이다. 

<精吾 문윤홍·칼럼니스트·moon475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