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07

Being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to be Useful in Building up the Body

Being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to be Useful in Building up the Body



Being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to be Useful in Building up the Body
june 13, 2013 by agodman no comments (yet)

==

In order for us as Christians to be useful to the Lord for the building up of the church, the Body of Christ, we need to have a proper spirit. This means that our spirit needs to be right and proper; not only the things we do and the way we do things must be right but even our spirit with which we do things must be right.

If we do the right things in the right way but with the wrong spirit we rather tear down than build, rather offend others than build them up. Whenever we do something for the Lord, we need to check with Him,


Lord, am I doing the right thing according to You? Am I taking Your way in doing this? Lord, what about my spirit: is my spirit right and proper when I do this?

Also, we need to be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Matt. 5:3, 8). For us to be poor in spirit doesn’t mean we have a poor spirit – it means that we are humble, emptied, not being preoccupied, not having any other goal than God Himself.

Being poor in spirit goes with being pure in heart, so that the spirit would flow out in a pure way and others would receive life for the building up of the Body of Christ.

Having a Proper and Right Spirit

Even though Elijah may have been OK to call fire from heaven on the offering he made to God, and he was also right to curse the mocking bunch of youngsters and they were torn up by bears – in the Old Testament – John and James did not have a right spirit in Luke 9:54-56 when they asked the Lord to call fire on those who rejected Him. They had a wrong spirit.

It’s not about merely doing the right thing in the right way, but it is about doing the right thing in the right way and in the right spirit.

For the building up of the church we need to learn to do everything with a proper and right spirit, so that what comes out of us would build up the church and not offend others or put them off. We should ask ourselves time and time again, What kind of spirit are we of?

For us to have a right spirit we need to deal with our heart and motives so that they may be right and proper. After regeneration, everything we do is a means for us to release our spirit; if our heart is improper, if our motives are impure, and if our attitude is wrong, what comes out is an improper spirit, impure spirit, and wrong spirit.

In James and John’s case, the Lord told them clearly that He came to save and not destroy man. He doesn’t hate man, and He is not bothered by man’s momentary rejection. The Lord came to save, and His spirit is to save man.

For our conduct to be constructive and useful to the Lord in the building up of the church, we must be right in the thing we do, right in our way, and right in our spirit. Always check with the Lord,


Lord, what kind of spirit do I have as I am about to do this? Lord, deal with my heart and purify my motives and intentions.

Being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In Isaiah 66 we see that God made all things – the heavens, the earth, plants, animals, man, etc – and they are all common to Him. But He is looking for something uncommon, something precious – He is looking for someone who is poor and with a contrite spirit (Isa. 66:2).

A seeking believer should be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Matt. 5:3, 8). We need to continually empty ourselves, humble ourselves, acknowledging that we have nothing, we know nothing, we can do nothing, and we are nothing without the Lord. Without the life-giving Spirit in our spirit, without the Lord’s instant presence, we are nothing.

To be poor in spirit is to be emptied in the depth of our being, so that the Lord may fill us with Himself. To be pure in heart means to be single in purpose, having a single goal in accomplishing God’s will for His glory (1 Cor. 10:31).

We shouldn’t allow anything to preoccupy our spirit except the Lord Himself. We should not allow anything to distract our heart but rather purify our heart that we may see God.

It is OK to say to others, I Don’t Know! when they ask us things about the Bible and the Christian life. The truth is that we don’t know many things, and we need the Lord to enlighten us in so many matters!

Many times we are not clear concerning God’s will for us because we have some things that we determined to do, and we just “come to the Lord to check with Him whether to do it or not.” We may say that we are open, but we already have a predetermined idea and intention, and hiddenly we already have a decision and a preference. We are so confused because we are not pure in heart.

But when we truly open to the Lord and drop our opinions, preferences, ideas, goals, intentions, decisions, etc – and just come to Him, we will have a clear sky between us and Him, and we will see Him face to face.

We need to be like this, pure in heart seeking only God and poor in spirit to receive and contact only Him.


Lord Jesus, we open our heart to You. Purify our heart, Lord, and enlighten us to see what we need to deal with so that we may be proper and pure in heart. May we first check with You before doing anything. Lord, we want to have a right spirit in all we do in the church life. Unload us, Lord, and empty us from anything that preoccupies our spirit. May we be poor in spirit and pure in heart that we may see God and enjoy the kingdom of the heavens. Make us those who have a proper spirit for the building up of the Body.

References and Further Reading

This sharing is inspired from brother James Lee’s speaking in this message and portions in, The Triune God to Be Life to the Tripartite Man (ch. 14), as quoted in the Holy Word for Morning Revival on, ITERO spring 2013 “The Experience, Growth, and Ministry of Life for the Body“, week 4 entitled, Growing in Life by Dealing with the Spirit.
Further reading: Collected Works of Watchman Nee, vol. 62, pp. 453-454.

Hymns on this topic:
# Ever true and pure and single / To the Lord our heart must be, / Poor in spirit, ever seeking / God to contact constantly.
# Make us in spirit poor; / Lord, take whate’er we think we know. / We’ll open to life’s flow, / And thus take in the life that makes us grow— / Lord Jesus, grow in us.
# Bless’d are the pure in heart, / For they shall see our God; / The secret of the Lord is theirs, / Their heart is Christ’s abode.

'Beauty is truth, truth beauty (Keats )

Keats:
'Beauty is truth, truth beauty.' 

---
Huxley:

The experience of beauty in art or in nature may be qualita­tively akin to the immediate, unitive experience of the divine Ground or Godhead; 
but it is not the same as that experience,

and the particular beauty-fact experienced, though partaking in some sort of the divine nature, is at several removes from the Godhead. 

The poet, the nature lover, the aesthete are granted apprehensions of Reality analogous to those vouch­safed to the selfless contemplative; 

but because they have not troubled to make themselves perfectly selfless, they are in­capable of knowing the divine Beauty in its fullness, as it is in itself. 

We Walk the Path Together: 깨어있음 -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Brian J. Pierce | Goodreads

We Walk the Path Together: 
Learning from Thich Nhat Hanh and Meister Eckhart 
by Brian J. Pierce 
Kang-nam Oh
1 h  · 
책 이야기
불광출판사에서 브라이언 피어스라는 베네딕토 계 가톨릭 신부의 책 <We Walk Together: Leaning from Thich Nhat Hanh and Meister Eckhart>라는 책을 <깨어있음: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라는 제목으로 번역출판했습니다.  피어스 신부가 이 책을 위해 주로 참고하고 인용한 틱낫한 스님의 책, <살아계신 붓다, 살아계신 예수>와 <귀향>이라는 두 책을 제가 오래 전에 번역해 낸 적이 있는데, 그 인연으로 저에게 추천사를 쓰라고 부탁한 것 같습니다. 그 책이 방금 나와서 거기 쓴 추천사를 여기 옮깁니다.  페친들 중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서로 어울릴 수 있는가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 책을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
미국의 영향력 있는 가톨릭계 출판사인 Orbis Books는 세계적 신학자 폴 닛터Paul F. Knitter의 책들을 비롯하여 종교간 대화에 대한 책을 많이 내고 있다. 이 출판사에서 나온 책을 불교서적 전문인 불광출판사에서 번역하기로 한 것에 우선 축하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이 자체가 종교간 대화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저자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는 가톨릭 전통의 관상기도뿐 아니라 세계 여러 곳에서 다양한 영성수행을 직접 체험한 후, “위대한 영성전통들을 연결하는 지하수맥을 응시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다가 틱낫한 스님의 글을 접한 저자는 “불교의 가르침이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자기 전통을 재발견하게 한다.”고 한다.  “죽음 이후의 삶을 과도하게 염려하여” 윤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그리스도교의 일반적 경향성 때문에 “영성생활을 통한 자유와 환희를 만끽할 수 없는 위험”을 경고하며, 지금 이 순간에 천국을 체험하게 하는 ‘마음챙김’의 영성수행을 강조한다.

피어스 신부는 이런 수행이 그리스도교 전통에도 있는데, 특히 중세의 위대한 신비주의[심층]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이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하게 되리라 믿는다.  이는 종교들이 심층에서는 서로 통한다는 필자의 평소 지론이기도 하다.  이 책의 출판을 크게 기뻐하며 적극 추천하고 싶다.
------
추천사를 원고지 4매 정도로 쓰라고 해서 좋은 내용들을 소개하지 못하는데, 주옥 같은 생각 몇 가지만 예를 들면, 성경에 나오는 열처녀 비유에서 “깨어 있으라”라는 것은 미래에 올 신랑을 위해 깨어 있으라는 뜻이기 보다는 

지금 여기 우리에게 임하는 은총에 눈을 뜨는 것이라 풀이한다.  '붓다'라는 이름이 '깨어난 자' '각자'가 아니던가. 또 탕자 비유도 돌아오는 탕자를 두 팔 별려 반기는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이라기보다 자기의 진정한 고향으로부터 떠났다가 다시 “돌아옴”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풀고 있다.  

모세에게 “네가 서 있는 땅은 거룩한 땅”이라고 한 말도 우리가 마음챙김을 수행하면서 걸으면 한 걸음 한 걸음이 거룩한 땅을 디디는 것“이라고 한다. 하느님의 현존에서 걸어가기 때문이라고.*

즐독하소서.
===
깨어있음 -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브라이언 피어스 (지은이),박문성 (옮긴이)불광출판사2021-12-31
원제 : We Walk the Path Together (2005년)

책소개그리스도교와 불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꾸준한 관심을 보여온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의 저서. 저자에게 영감을 준 두 명의 영성 대가는 14세기 독일의 영성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부와 현대의 틱낫한 스님이다. 저자는 시대적으로 동떨어져 있는, 게다가 아주 다른 종교적 전통에 속해 있는 두 사람을 한 자리에 불러 대화를 시도한다. 그가 주목한 것은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 저자는 하느님을 만나는 자리, 하느님 나라는 오직 지금뿐임을 깨닫기에 이른다.

종교간 대화를 통해 더 나은 그리스도인으로 성숙했다고 한 저자의 고백처럼, 그리스도인들은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교 전통에 잠들어 있던 보석 같은 가르침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또 불교도들은 마음챙김이라는 익숙한 수행이 불교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마음챙김 수행이야말로 해탈로 가는 여정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분명한 견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책 전반에 흐르는 두 종교의 조용하고 평온한 어울림은 자신과 다른 것에 마음을 여는 ‘관대함’ 덕분이다. 두 영성가의 지혜와 깨달음이 담긴 아름다운 언어들은 우리를 단순히 도량 넓은 인간이 아니라 균형 잡힌 인간으로 이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그리스도교와 불교도만이 아니라 분열과 다툼, 갈등으로 메말라가는 현대 사회를 구원해줄 깊은 물줄기가 되어 줄 것이다.
------
추천사
한국어판 추천사
감사의 말

머리말

제1장. 관대함
1. 대화의 음악
2. 관대함의 실천
3. 대화의 위험

제2장. 마음챙김과 영원한 현재
1. 지금 이 순간
2. 귀향
3. 하느님은 우리와 함께 있다
4. 봄으로서의 깨어 있음

제3장. 성령의 숨결
1. 숨쉬기를 다시 배우기
2. 하느님 마음에서 흘러넘치는 생명수
3. 다양한 소리, 그러나 하나의 성령
4. 사랑의 마음

제4장. 물과 물결
1. 물에 흠뻑 젖은 근거
2. 바다의 물 한 방울
3. 세례와 살아 있는 물
4. 이름을 부름
5. 의지 또는 은총
6. 성사
7. 물 만지기, 하느님 만지기

제5장. 예수와 하느님
1. 사랑의 순례로서 삼위일체
2. 삼위일체와 상호의존적 존재
3. 위대한 숨

제6장. 그리스도
1. 은총
2. 하느님의 말씀
3. 붓다의 몸, 그리스도의 몸
4. 성체

제7장. 고통
1. 사성제(四聖諦)
2. 이욕(離欲)

제8장. 고통에서 오는 연민
1. 깊이 들여다보기
2. 연민, 위험을 무릅쓴 사랑
3. 사랑의 실천

제9장. 십자가라는 나무
1. 자유로 가는 길
2. 생명의 나무인 십자가
3. 십자가의 형상
4. 그는 고통을 피하지 않았다

제10장. 활짝 피어오른 사랑
1. 그리스도의 몸을 어루만지기
2. 비폭력적 사랑의 십자가
3. 무엇이든, 단지 있다
4. 평정심과 십자가
5. 옆으로 누워 있는 붓다

맺음말 : 여정과 발우

옮긴이의 말
=====
책속에서
P. 89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것, 하느님의 견고한 사랑에서 안식을 얻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마음이 참으로 갈구하는 바라고 믿는다. 그런 사랑을 느끼려면 깨어 있는 상태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살아야 한다. 태이가 가르치는 마음챙김 수행이 바로 그것이다.
P. 101~102 “내일을 걱정하지 마라.” 이것은 지금 이 순간에 자유를 만끽하며 사는 것이다. 즉 지금 여기에서 눈을 부릅뜨고 하느님의 현존과 섭리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을 다해 살아가는 것이다. 태이는 마음의 산란함과 태만이 마음챙김 수행을 방해하는 적이라고 규정한다. 에크하르트는 집착이 지금 여기에서 하느님을 기다리는 자유를 앗아간... 더보기
P. 137 일상에서 사랑에 대한 가르침을 실천하려 할 때마다, 우리는 매번 장애물을 만난다. 또 그것을 넘어가지 못하고 혼란에 빠지곤 한다. 태이는 매일 마음챙김 수행을 하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음챙김 수행은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것과 만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이웃이 지닌 마음과 만날 수 있다. 그것이 하느님... 더보기
P. 154 씨앗과 같은 우리는 ‘충만한 생명’을 주는 하느님의 존재 그 자체까지 완전히 성장한다. 물방울이나 물결이 “바다가 된다.”라는 에크하르트와 태이의 말이 진실이라면, 그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우리는 그저 소멸하는 것일까? 우리가 하느님에게 녹아들어 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이런 의문들에 대해, 에크하르트는 지혜를 지닌 스승... 더보기
P. 214 그리스도인은 의문을 갖는다. 어떻게 하느님께 돌아간단 말인가? 그러면 태이는 간단하게 대답한다.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서 돌아갑니다.” 그리스도인도 이 가르침을 따를 수 있다. 마음을 다한 영성수련을 통해 삼위일체가 신학서적의 굴레에서 벗어나 일상 안에 실재할 수 있다.
======
추천글

“이 책이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이어 주는 교량 역할을 하게 되리라 믿는다. 이는 종교들이 심층에서는 서로 통한다는 필자의 평소 지론이기도 하다. 이 책의 출판을 크게 기뻐하며 적극 추천하고 싶다.” - 오강남 (종교학자, 캐나다 리자이나 대학교 명예교수) 

“바야흐로 이런 종류의 책이 대중의 손에 잡힐 때가 되었나 보다. 흐르는 세월과 더불어 변하는 세상을 누가 말릴 것인가? 고맙고 반가운 일이다.” - 이현주 

“책 읽기를 마치자 내 마음은 헤아릴 수 없는 기쁨으로 벅차올랐다. 그것은 현명한 벗과 함께한 시간과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벗이 되었다고 느낄 대부분의 독자와 함께한 시간에 대한 기쁨이다. 하지만 나는 조용하고 평온하게 가야 할 여정이 남아 있다는 느낌 또한 갖게 되었다. 이 여정은 다음 비행기를 타기 위해 전력질주하는 사람처럼 달려가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나라는 오직 지금뿐이라는 것을 알고 매 순간들을 살아가는 것이다.” - 티모시 래드클리프 

“곳곳에서 보석들이 빛나고 있었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책과의 대화가 막을 내렸다. 그 사이에 내 인생의 키가 훌쩍 자라 있음을 느낀다. 삶의 기적이 만남과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우린 무수히 경험하고 있다.” - 도법 (스님(인드라망생명공동체 대표)) 

“이 책은 불자 혹은 그리스도인이 다른 종교적 체험으로 ‘건너감’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통찰과 함께 자신의 종교로 ‘되돌아옴’에 이르게 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 박재찬 
=====
저자 및 역자소개
브라이언 피어스 (Brian J. Pierce)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도미니코 수도회 신부.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제도의 도미니코 가족수도회의 성소 담당자, 도미니코 관상수녀회 총장의 지도신부였다. 이후 전임 순회 설교사로 돌아왔다. 가톨릭과 불교, 두 종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2005년 출간한 이 책을 통해 종교간 대화가 서로의 목표와 영적 실천을 더 풍부히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저서로 『예수와 탕자 : 전적인 자비의 하느님(Jesus and the Prodigal Son: The God of Radical Mercy)』이 있다.
최근작 : <깨어있음> … 총 2종 (모두보기)

====
박문성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신부.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95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한국인이 가진 종교적 심성의 뿌리를 이해하기 위해 1998년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인도철학과에 학부 편입, 2007년 논문 「『깨달음 달의 출현』의 해탈관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가톨릭대학교 동양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2007년부터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교회일치와 종교간 대화위원회 위원으로서 종교간 대화에 참여해 왔으며, 2019년부터 동 위원회에서 총무를 맡고 있다. 역서로 『산스크... 더보기
최근작 : … 총 2종 (모두보기)

===
브라이언 피어스(지은이)의 말
나는 종교간 대화의 여정 덕분에 더 나은 예수의 제자가 되었다고 확신한다. 여기서 ‘더 나은’이 적절한 표현이 아닐 수 있다. 나는 다른 영성전통의 가르침과 수행을 통해 예수의 가르침을 비추어 보았고, 이제는 살아 있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해야할 것 같다. 여전히 나는 유랑하는 순례자다. 때로는 내가 시작했던 그날만큼이나 길이 어둡고 불확실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자신의 현존과 예수의 현존과 하느님의 현존과 붓다를 비롯한 시대를 초월한 많은 남녀 선인들의 현존을 느끼면서 나는 그들과 함께 걷는다. 현존은 현재 순간을 성심성의껏 살아가면 살아갈수록 더 현실화된다. 태이는 내가 현재 이 순간에 머무는 법을 익히도록 도와주었다. 태이는 자신의 마음과 영성전통의 문을 내게 열어 주었다. 그 덕분에 나는 내 자신의 영성여정에서 더 온전하게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
출판사 소개
불광출판사 

최근작 : <깨어있음>,<호흡 그리기>,<어린이를 위한 마음챙김 워크북>등 총 475종
대표분야 : 불교 1위 (브랜드 지수 369,712점)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신은 누구인가? 신은 어디 있는가?
신은 어떻게 고통을 치유하는가?
그리고 구원은 무엇인가?

인류의 오래된 질문, ‘마음챙김’으로 답하다!

“모든 종교의 뿌리에는 하나의 수맥이 흐른다.” 종교간 대화를 통해 이웃 종교의 가르침에 진지하게 접근하면, 그 이웃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 내 종교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는 종교간 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풍요로운 결실을 인상적으로 그려낸다.
저자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는 틱낫한 스님이 설명하는 마음챙김 수행에 주목하는 한편, 불교의 마음챙김 수행을 연상시키는 ‘깨어있음’이라는 신앙적 실천이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특히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자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가르침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책의 목표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종교간 대화라는 관점에서 불교의 마음챙김과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을 비교하고 설명하는 데 머물지 않는다. 이 책은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할 것과, ‘깨어있음’을 일상의 영성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을 주문한다. 이 책은 그것이야말로 우리들 자신의 삶으로 예수를 부활시키는 길이고, 제도권 교회에 갇혀 있는 그리스도교 신앙에 참된 생명력을 불어넣는 길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하느님이 누구이고 어떻게 이 현실에 역사하는지에 대한 답변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제시된다. 영원한 하느님은 오로지 지금 이 순간에만 현존한다. 우리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함으로써 그러한 하느님과 만나게 된다. 그 만남을 통해 우리는 분열된 세계의 일치를 이루어 낼 수 있고, 서로의 경계를 초월한 참된 사랑을 할 수 있으며, 불가항력적인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누릴 수 있다. 우리의 삶을 구원하고 우리의 시대와 세계를 구원할 수 있는 길은 바로 이 지점에서 열리기 시작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과 불교도 모두가 읽어야 할 책이다. 저자는 종교간 대화에 참여함으로써 더 나은 그리스도인으로 성숙했다고 고백한다. 저자가 그러했던 것처럼 그리스도인들 역시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교 전통에 잠들어 있던 보석 같은 가르침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발견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신앙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불교도들은 이 책을 통해 마음챙김이라는 익숙한 수행이 불교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음챙김 수행이야말로 해탈로 가는 여정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새삼 깨닫게 될 것이다.

이웃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
내 종교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이해하려는 대담한 여정

이 책의 저자인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Brian J. Pierce) 신부는 틱낫한 스님에 의해 널리 알려지게 된 불교 전통의 수행인 마음챙김(mindfulness)에 주목한다. 마음챙김 수행에서 영감을 받은 저자는 그리스도교 전통의 여러 가르침, 특히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자였던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부의 가르침에 나타나는 그리스도교적 “깨어있음”을 재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영성생활의 길을 찾아 나선다.
예수는 악마에게 사로잡힌 딸을 치유해 줄 것을 청하는 이방인 여인과 대화를 나누었다. 종교와 전통이 다른 이방인과 대화하는 것은 당시의 문화적, 종교적 규범에 위배되는 것이었지만, 예수는 그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그녀의 말을 경청했다. 저자는 마태오복음에 기록된 이 일화를 예수가 몸소 보여준 좋은 대화의 사례로 든다. 그리스도교 전통에 본래 있던 대화의 정신은 한때 희미해지기도 했으나 현대에 들어와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톨릭교회가 선포한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 우리시대」에 보이는 이웃 종교에 대한 존중의 태도로 부활한다. 그리고 40년 후, 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종교간 대화는 사랑의 다른 표현이라고 강조하기에 이른다. 가톨릭 신부인 저자는 자신이 속한 전통 안에 숨 쉬고 있었던 이러한 대화의 정신을 인식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교라는 범주를 넘어 불교의 가르침에 접근해 간다.

마음챙김으로 재발견하는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

틱낫한의 가르침을 통해 저자는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 수행을 발견한다. 마음챙김은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일상의 매 순간을 생기 넘치고 깊이 있게 사는 것이다. 마음챙김을 통해 삶을 성심성의껏 살아가면 참된 삶을 맛볼 수 있다. 이것이 삶에서 일어나는 참된 기적이다.
불교의 마음챙김 수행은 그리스도교 전통의 ‘깨어있음’이 갖는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스도교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깨어있음을 설명한다.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가 구원사업을 완성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취한 강생(降生)의 신비는 하느님의 말씀이 지금 이 순간 바로 이곳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을 알게 해 주는 것이 깨어있음이다. 마태오복음에 나오는 “그러니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구절, 그리고 신랑을 기다리며 깨어 있는 열명의 신부들의 이야기가 말하고자 하는 바 또한 이 깨어있음이다. 현대의 영성가인 토머스 머튼 또한 깨어 있으면서 주시하는 것이 영성생활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에크하르트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민첩한 인식’이라고 부른다. 에크하르트는 이것을 “모든 일에서 자기 자신과 자기 내적 존재에 대한 민첩한 인식”으로 설명한다. 그것은 눈을 크게 뜨고 정신을 집중하여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인지하는 것이고, 그럼으로써 지금 이 순간에 숨겨진 경이로움을 보는 것이다. 에크하르트는 “오늘을 무엇이라 말할까?”라고 자문하고 “영원”이라고 답한다. 지금 여기에 현존하는 하느님이 영원이다. 바로 이 순간이 영원한 현재다. 하느님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시간과 공간은 오로지 지금 여기뿐이다.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의 ‘민첩한 인식’을 통해 하느님을 만난다.

깨어있음, 하느님을 만나기 위해 필요한 것

잠든 사람은 하느님을 만날 수 없다. 예수가 죽은 뒤 걱정과 슬픔에 사로잡혀 엠마오 마을로 가던 예수의 두 제자가 그들이 만난 나그네가 예수임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처럼, 삶의 온갖 걱정과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들도 지금 이 순간에 대한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하지만 우리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 있는 하느님을 만날 때 비로소 자유롭게 된다. 루카복음에 나오는 탕자가 집에 돌아왔을 때 아버지의 따뜻한 환대를 받게 되는 것처럼,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을 성심성의껏 살아감으로써 참된 자기를 발견할 때 은총을 받게 된다.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부활한 그리스도를 만난 두 제자는 자문한다. “우리의 마음이 타오르지 않았던가?” 예수의 두 제자의 마음속에 타올랐던 불길, 즉 살아 있는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만남은 우리의 마음속에서도 항상 타올라야 한다. 그때 하느님 나라는 먼 곳에, 혹은 먼 미래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현존하면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즉 “하느님 나라는 바로 지금이다.”
지금까지 그리스도교는 ‘이런 이런 것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윤리적 계명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 결과 영성생활이 즐겁고 마음 벅찬 삶의 한 형태임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 전통의 깨어있음을 실천한다면, 즉 지금 이 순간에 현존하는 하느님을 항상 인식하며 살아간다면 활기찬 영성생활을 되살려낼 수 있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1 : 분열된 세계가 일치에 이른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통해 우리는 우리 안에 머무는 하느님과의 합일을 경험하며, 이때 우리에게 성령이 강림한다. 성령은 모든 것을 완전히 살아 있게 하고, 완전히 실재하고 하고,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하는 하느님의 힘이다. 성령은 분열된 세계를 하나로 일치시킨다. 성령이 이룩한 조화와 평화 속에서 우리를 서로 갈라놓는 경계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신자들의 공동체는 한마음 한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그래서 에크하르트는 말한다. “하느님이 모든 것 안에 현존한다는 것을 아는 그 사람만이 평화를 안다.”
성령의 힘이 이루어 낸 일치 속에서 우리는 모든 곳에서 그리스도를 본다. 병에 걸린 채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사람의 몸이 그리스도의 몸이고, 고통받는 이의 비참한 모습이 그리스도의 모습이며, 나를 모욕하고 해치려는 이의 분노에 찬 얼굴이 그리스도의 얼굴임을 본다. 사도 바오로가 말한 것처럼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지체입니다.”(1코린토 12장 27절) 이러한 그리스도를 볼 수 있을 때 우리의 마음에는 사랑이 가득하게 된다. 성령의 힘에 의해 하느님과 모든 피조물은 사랑의 마음에서 하나가 된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는 매 순간이 성령에게 개방된 순간이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이 곧 하느님이 일상에서 역사하는 모습이다. 그래서 에크하르트는 말한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그 사랑은 성령이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2 : 고통을 무릅쓴 사랑을 감행한다.

틱낫한은 마음챙김의 한 형태인 ‘깊이 들여다보기’를 실천하라고 이야기한다. 그것은 관찰자와 대상 사이의 구분이 사라질 정도로 집중된 상태에서 사물 또는 사람을 들여다보는 것이며, 우리 자신의 정서적 색안경을 벗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깊이 들여다보기’를 행할 때 우리의 눈은 기만과 이기주의와 죄로부터 치유된다. 그리고 비로소 하느님의 눈 부신 빛으로 이웃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눈으로 이웃의 고통을 들여다볼 때 우리의 마음속에서 연민이 싹튼다. 누군가에 대한 연민의 마음 갖고 산다는 것은 그 누군가에 대한 사랑이 고통을 수반할 가능성까지 받아들이는 것이다. 사랑에 따르는 고통이야말로 연민이 의미하는 모든 것이다.
예수의 삶은 고통을 무릅쓴 사랑이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예수의 가르침과 활동은 소외되고 가난하며 사회에서 버림받은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었다. 그는 나환자를 끌어안았고, 창녀와 간음한 사람을 용서했으며, 죄인 또는 세리와 함께 식사했다. 예수의 이러한 행동은 당시 율법에 어긋나는 것이었으며, 그 역시 이 점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 그렇게 행동해야만 한다고 확신했다. 하느님이 사랑하는 방식이 바로 그러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종교적, 정치적 권력에 도취된 당시의 지배층은 예수의 행동이 그들의 기득권을 위협한다고 생각하였고, 결국 그들은 예수를 죽였다.
예수의 삶과 죽음은 하느님의 사랑이 고통을 무릅쓰는 것임을 증명한다. 하느님은 고통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그들의 아픔을 모르는 척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느님은 고통받는 그들에게 다가온다.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3 :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누린다.

에크하르트는 하느님 안에 굳건히 뿌리내린 내린 삶, 즉 지금 이 순간에 살아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면 고통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 즉 ‘빈 마음’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빈 마음’으로 살아갈 때 결과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기도와 일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내면의 평온과 자유를 얻을 수 있으며, “단지 있는 것”일 뿐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평정심은 고통을 낭만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한순간의 삶만을 받아들이는 것일 뿐이다. 에크하르트식으로 말하면 고통은 하느님 안에 있고, 고통이 하느님이다. 따라서 고통은 원수가 아니고, 억제해야 하는 것도 아니며 그저 우리의 일부일 뿐이다.
평정심 수행은 영성생활이란 고통 없는 삶이 아니라 고통 안에서 자유로운 삶을 말하는 것임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준다. 고통을 극복해야만 하느님과 함께할 수 있다는 이분법적 사고는 고통을 일으키는 원인일 뿐이다. 해방은 다른 곳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 실현된다.

<마음챙김에서 찾는 참된 신앙 Q&A>

Q. 불교와 그리스도교 사이에는 공통의 영성적 기반이 있는가?”
A.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은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과 통한다.

Q. 하느님은 어디에 있는가?”
A. 하느님은 영원하지만 오직 지금 이 순간에만 현존한다.

Q. 하느님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A. 지금 이 순간에 대한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할 때 하느님을 만날 수 있다.

Q. 우리가 하느님을 만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A. 지금 이 순간에 현존하는 하느님과 일치를 이룰 때, 우리는 진정한 사랑을 실천할 수 있고 고통 안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Q. 구원은 언제 오는가?”
A. 구원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하느님을 만나는 지금 이 순간의 일이다. 접기


===



We Walk the Path Together: Learning From Thich Nhat Hanh And Meister Eckhart 
 October 31, 2005
by Brian J. Pierce (Author)
4.8 out of 5 stars 19 ratings

Kindle from AUD 14.27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AUD 25.46
This book presents engaging reflections on the modern day Vietnamese Zen Master, Thich Nhat Hanh and the medieval Christian mystic, Meister Eckhart (1260-1327). It celebrates the common spiritual ground that exists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length  202 pages

Editorial Reviews

Review
"... recommended to those who are intentional about their spiritual journey. The book is easy to read and deeply moving, because the book touches the core of our being." --Buddhist-Christian Studies
About the Author
Brian J. Pierce, a Dominican priest, is former Promoter of the Dominican Family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and Assistant to the Master of the Order for the Contemplative Nuns of the Order. He has returned to full-time itinerant preaching. He is the author of We Walk the Path Together: Learning from Thich Nhat Hanh and Meister Eckhart.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Orbis Books; 1st edition (October 31, 2005)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02 pages
Customer reviews
4.8 out of 5 star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Gregory DiSalvio

5.0 out of 5 stars Come Together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5, 2019
Verified Purchase
This is an important Spiritual work. Catholic in perspective and open minded in scope this book outlines how closely related sound Spiritual principles are. When we still our minds we can hear that which we never thought we could.


HelpfulReport abuse

Mary Ann, OP

5.0 out of 5 stars Plunging Into Two World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20, 2014
Verified Purchase

This book more than lives up to the reviews that I read about in various publications.
The author clearly develops those beliefs held in common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as well as the distinct differences. He does this through the lens of the Dominican mystic Meister Eckhart and the lens of Thich Nhat Hanh. I am able to feel at home in both worlds even though I am definitely a Christia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Ohio John

5.0 out of 5 stars East and West are Bridged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26, 2013
Verified Purchase
Brian Pierce bridges east and west thinking on Christ consciousness/Buddha awakening that we are so gifted to have available to us. The bridge Pierce builds stretches from the historical writings and experiences of Catholic Christian Meister Eckhart of the 14th. century and Buddhist Thich Nhat Hanh of recent times. Comparing the writings and teaching of both these spiritual leaders the reader is confronted and then nurtured through a process that takes them on a journey over a bridge leading to the reality of a mystical kinship that both religious traditions share - a oneness in Awakening and communion of Spiri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Sister Adrienne Colson,OP

5.0 out of 5 stars Outstanding. It is worth a second and third read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9, 2015
Verified Purchase
Outstanding.It is worth a second and third reading.I understand after talking with Father Brian,he will have
Anew book out sometime next year.


Helpful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a book for the journe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9, 2013
Verified Purchase
this book covers the elements essential for matuirity of faith. it integrates spirituality and the human dimension of life as one.;. I didn't just read this book...I lived into the reading and rereading....wonderful.


HelpfulReport abuse

Angela Garossino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5, 2014
Verified Purchase
insightful and rich


HelpfulReport abuse

Roy

4.0 out of 5 stars This is an excellent introduction for Christians to Thich Nhat Hanh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21, 2012

I was impressed by Pierce's comprehensive knowledge of Thich Nhat Hanh teachings and equally as well his first hand experience with the monastics in that tradition. He presents and represents many essential teachings of Thay(Thich Nhat Hanh) and relates them beautifully to Christianity.

While the book is full of quotes, poems, and references, it is written with a manner from the heart; I think it would make an excellent comprehensive introduction for any person with a Christian background into the teachings of Thich Nhat Hanh without being overwhelmed by the unfamiliarity of Buddhist terminologies or beliefs.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Heike Hildebrand

5.0 out of 5 stars One of the best spiritual books I ever read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6, 2011

'We Walk the Path Together' by Brian J. Pierce, OP, seems to me being one of the best spiritual books I ever read. The author is very authentical, and he does not only refer to Thitch Nat Hanh, a contemporary, famous Zen Teacher (whom the author personally knows) and Meister Eckhart, the great German Mysthic, born about 1260. He also shares with the reader his own rich experiences of spirituality, religion and mysthicism.
It is a breath taking experience to follow the author on his way through all the subjects he refers to. Not a single moment boring, never seeming abstract, but full of life and deep knowledge.

This book became for me a personal guide to go deeper inside the cave of my own heart, like being leaded by a warm and brotherly hand.
I wish that every serious seeker will get the grace to meet this marvellous book of guidance!
Heike Hilderand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AMR
5.0 out of 5 stars Amazing insights. I highly recommend it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ne 1, 2015
Verified Purchase

This is truly worth reading and digesting. Amazing insights. I highly recommend it.

2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abuse

Trish Park
5.0 out of 5 stars Grounding Oneself in the Now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October 3, 2012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nourishing me in ways I did not expect. The author, whilst of course concentrating on Meister Eckhart and on Thich Nhat Hanh, introduces other voices to enrich the path we are walking in Mindfulness and in Contemplation. Being alert both to Life in the newness of each second and also to our own heart has the possibility of awakening us to real perception.

Here is a lovely scrap of a poem by David Wagoner and quoted by Brian Pierce. You will have to read further to get the rest of it!

No two trees are the same to Raven.
No two branches are the same to Wren.
If what a tree or bush does is lost to you,
You are truly lost. Stand still. The forest knows
Where you are. You must let it find you.

3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Same as aboveReviewed in Canada on October 13, 2015
Verified Purchase

Challenging, thought provoking and meditative. Great for small group group discussion and sharing
Report abuse


==
We Walk the Path Together: Learning from Thich Nhat Hanh and Meister Eckhart
by Brian J. Pierce
 4.15  ·   Rating details ·  13 ratings  ·  2 reviews
Through reflections on the Vietnamese Zen master, Thich Nhat Hanh and the medieval Christian mystic Meister Eckhart this book celebrates the common spiritual ground shared by Christians and Buddhists.
---
Write a review
Patricia
Sep 05, 2015Patricia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2015
This challenging book, narrated by a Catholic, explains the intersections of Buddhism and Christian theology,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and shows great reverence to both traditions. Although some parts were above my head in rhetoric and theology terms I am not versed in, I found much to think about and it deepened my own faith. I know it is a book I will revisit numerous time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Mary
Jan 10, 2012Mary rated it liked it
Chosen for a discussion book for my Associates group. This books celebrataes the common spiritual ground shared by Christians and Buddists. Concepts and images made this a powerful book to read and discuss.
fl


==

A Poem of Mallarme | akt's space

A Poem of Mallarme | akt's space

A Poem of Mallarme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last read the poems of one of my favourite poets, that poet of pure sensations and dreams, Mallarme. I read one this morning. Here it is, the original French version with my own English translation. I did not put in the original "accent" over the French words because it’s quite a hassle to do so. But I don’t think it matters. Those who know French know where the accents should have been placed. Their absence would probably mean nothing to those who don’t know the language. 
 
 
Une dentelle s’abolit                                            A lace vanishes
Dans le doute du Jeu supreme                             In the doubt of a supreme Game
A n’entre’ouvrir comme un blaspheme              which does not open to each other, like a                                                                                                     blaspheme,
Qu’absence eternelle de lit.                                  except as the eternal absence of bed
 Cet unanime blanc conflit                                      This uniform white fight
D’une guirlande avec la meme                                Of a garland with itself,
Enfui contre la vitre bleme                                     Flees against the pallid window,
Flotte plus qu’il n’ensevelit,                                    Flows the more it uncovers
 
Mais, chez qui du reve se dore,                              But at the home of one who gilds herself with dreams
Tristement dort une mandore                                 Sadly sleeps a mandola
Au creux neant musicien                                         At the nothingness of its void a musician
 Telle que vers quelque fenetre                               Such that towards some window 
Selon nul ventre que le sien,                                   From no belly but her own
Filial on aurait pu naitre.                                         Filial, one might have been born.
 
I like the poem. I do not know what prompted Mallarme to write the poem. But the way the tiny floral patterns of some lacework evokes in him associations of amorous struggle in the bedroom, the cover and uncovering of clothes, of golden dreams, of the emptiness and from such emptiness, the birth of a child is truly remarkable. The picture of a sad lady who dreams of the music of love. He looks upon the hollows of the floral patterns of the lace with no one to fight with except amongst themselves but which simultaneously try desperately but vainly to cover themselves up. He brings out the irony and the futility of the fight. The more they attempt to do so, the more what is intended to be sought escapes. There is the idea of effort. But the effort proves fruitless in the same way as the lady, perhaps compared to the ancient classical musical instrument, the mandola with a hole at the lower centre of its body or soundbox, its strings yearning to be played by some fingers so that it may finally resonate with the music of her golden dreams ( color of semen?) with which she longs to "cover" herself in the rhythm and harmony of love making but whose wiles all end in nothing.
 
The longing to be fulfilled is so aptly captured by the image of the lace, done in floral patterns to allure and to attract but which ultimately fails to find any suitable suitors.  The coy display of her flesh is aptly suggested by the abundance of "open-ness" , the lack of cover of the gaps between the embroidered parts of the lace and its delicate semi-transparence. Yet nothing is certain, everything is a supreme Gamble and full of risk.
 
I like the use of the reflexive verb "’s’abolit" in the first line of the poem. It literally means "abolishes itself" in doubt and uncertainty. There is the idea of "self-destruction" and of suicide which can’t be suitably translate. Perhaps Mallarme is suggesting there that the lady brought the misery of her "eternally" empty bed upon herself? The word "Jeu" can be translated either as "play" "game" or "gamble", three qualities which most aptly describe what the lady is trying to do and the ambiguous mixture of playfulness, risk and danger involved.
 
Whatever may have been Mallarme’s true intentions, he suggests that it’s a blasphemy against Life to have one’s longing for union and for the creation of more life frustrated! The be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acred altar: its sanctity being suggested by the word "blaspheme" and its importance suggested by the word "eternal" . What previously was reserved for God is now reserved for the secular "desire" for more human life. The use of the word "filial" is a most exquisite choice. In French, a son is a "fils", a daughter is a "fille" and "fil" also means a line, a string, which ties in nicely with the many strings which go to make up the lace!
 
The poem is so short and yet so much is said!   The conflict of reason and emotion, of the heart and the head, the play of presence and absence, of loneliness longing for company, of openness and the need for cover, the ambiguity of desire which hesitates between need and fear is wonderfully captured in connotations of sight and sound, of colour and the rhythm of its words.

Seonyong Jang | 조정진 님의 [임계장이야기]

Seonyong Jang | Facebook


조정진 님의 “임계장이야기”를 주문했다.

기사로만 보았지만 남일 같지 않았던 것은 나도 지금 소위 신의 직장이라는 공공기관에 다니고 있지만 만60세가 넘으면 다른 직장을 구해야 될 것이다.
약 30년 동안 사무직으로 근무한 이후, 나는 인생 두번째 직장을 어디로 갈 수 있을까?

미혼에 자식이 없으니 손주를 봐주고 용돈벌이를 할 수도 없고
만약에 만혼에 늦둥이를 낳으면 아이 키우려고 일해야 한다.
늦둥이를 둔 나의 부모님 처럼...
내가 2-3년 전부터 미래를 생각하면 한 없이 답답해지는 것은
너 정도면 충분하지 않겠니라고 부모님은 생각하고 계신 것 같은데
그것은 다 지금 잘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일 뿐이고
지금 5,60대 베이비부머 중 학력이 높고,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올라간 사람이 적기 때문이다.
그 수가 절대적으로....

앞으로 대학이상을 졸업하고,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올라간 은퇴한 사람들은 많아진다.
잘난 사람이 하늘의 별과 같이 많다.

===
한국 사회에서 노인 노동이란 무엇인가

63세의 ‘임계장’(임시 계약직 노인장) 조정진씨가 펴낸 〈임계장 이야기〉는 노인 시급 노동자의 극한 노동 보고서이다. 조씨를 만나 하루만 아파도 일터를 잃는 ‘임계장의 현실’을 들어보았다.

기자명전혜원 기자 다른기사 보기
입력 2020.05.01 13:09
658호


ⓒ시사IN 신선영조정진씨(사진)는 한 주상복합 건물의 경비원 겸 청소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조정진씨는 1957년생이다. 1978년 공기업에 공채로 입사했다. 38년을 근무한 뒤 2016년 60세 나이로 정년퇴직했다.

은퇴를 준비하지 않은 건 아니다. 월 20만원씩 개인연금을 20년 넘게 부었다. 막상 수령하려니 월 10만원 남짓밖에 받을 수 없었다. 종신 수령하려면 금액이 반으로 줄었다. 국민연금은 62세부터 지급될 예정이었다. 60세부터 받으면 수령액이 많이 줄어든다고 했다. 퇴직금은 중간정산으로 미리 받아 집 마련에 썼다. 임금피크제 적용이 개시되는 퇴직 4년 전에 나머지 퇴직금을 받았다. 저축한 돈은 딸 혼사에 대부분 들어갔다.

가장 큰 변수는 아들이었다. 인문계열 대학 3학년이던 아들은 취업 대신 3년 과정의 전문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어 했다. “제가 은퇴 계획을 세울 때만 해도 서른 넘어 취업하고 결혼하는 세상이 아니었습니다. 공부 웬만큼 하면 어디 공채로 들어갔지, 지금처럼 대학생들이 졸업을 미뤄야 할 만큼 취직이 어렵진 않았어요. 시대가 너무 빨리 변했어요. 주변에 보면 은퇴할 때 자녀가 모두 취업한 행운을 누리는 사람이 거의 없어요. 문과대학 나오면 정규직 취업이 10%밖에 안 된다고 하데요. 90%는 비정규직이라는 얘긴데, 어느 부모가 애들이 비정규직으로 살길 바라겠습니까. 당장 월 200만원씩 받아서 먹고는 살겠지만, 젊은이들이 비정규직이라는 것은 꿈이 없잖아요. 그걸 아니까, 부모로서 정규직 될 때까지 부양해야죠.”

그는 친지의 도움으로 한 중소 광고회사에 취업했다. 여자 직원들은 “아버님, 아버님”, 남자 직원들은 “어르신, 어르신” 했다. 회식을 가면 ‘동료’들이 꿇어앉아 두 손으로 술을 따랐다. “고위 임원이면 몰라도, 동등한 위치에서 일하는데 ‘어르신’ 이러면 같이 하지 말자는 얘기죠. 나이 먹은 사람은 공채하는 데가 거의 없고 다 소개로 가는데, 그 자체부터 젊은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더라고요. 좋은 일자리를 얻어도 1, 2년 근무하면 후배들이 치고 올라오니 밀려나고요.” 조씨는 38년을 사무직으로 일했다. 선박 관리 같은 까다로운 업무도 해봤다. 뭐든지 잘할 자신이 있었다. 주택관리사 등 자격증도 있다. 하지만 조씨의 ‘사무직 숙련’은 아무 쓸모가 없었다. “경력이란 게 녹슨 훈장이에요. 경력이 문제가 아니라 나이가 문제더라고요. 이럴 바엔 단순노무직으로 깨끗하게 일하는 게 마음 편하겠다 싶었어요.”
----
버스회사 배차계장으로 취직했다. 사람들은 조씨를 “임계장, 임계장”이라고 불렀다. 성씨를 잘못 안 줄 알았다. 알고 보니 ‘임시 계약직 노인장’이라는 뜻이었다. 사람이 하도 바뀌니 일괄해서 그렇게 부른다고 했다. 기분이 나빴다. 임시 계약직이라는 대목보다도 ‘노인장’이라는 말 때문이었다. “내가 무슨 벌써 노인이냐 하는 생각에 받아들이기가 힘들더라고요. 노인이란 말이 아주 듣기가 싫었어요.” ‘임계장’ 생활을 시작한 조씨는 “상식을 가진 사람”으로서 “너무한 게 아니라 불법”인 상황에 자주 맞닥뜨렸다. 회사 다닐 때 노무관리도 해본 조씨는 노동청에 신고했다. ‘그런 불법은 너무 만연해서 신고감도 아니다’ 같은 반응이 돌아왔다. 억울한 마음을 하소연할 데가 없어 “수첩에 응석”을 부렸다. 셔츠 주머니에 손바닥만 한 수첩을 넣고 다니며 ‘나이란 견딜 수 없는 것을 견디는 것이다’와 같은 문구를 틈틈이 적었다. 우연히 읽어본 동료들이 출판을 권했다. 2년8개월간 쓴 수첩 10권을 바탕으로 책 〈임계장 이야기〉(후마니타스)를 펴냈다.
ⓒ시사IN 신선영조정진씨는 2년8개월간 수첩에 쓴 노인 시급 노동자 이야기를 바탕으로 〈임계장 이야기〉를 펴냈다.
===
고르기도, 다루기도, 자르기도 쉬운 ‘임계장’

조씨가 다닌 공기업은 ‘신의 직장’이라 불렸다. ‘하는 일 없이 월급만 축낸다’는 얘기로 들려서 기분이 좋지 않았다. 퇴직하고 보니 공기업은 진짜 신의 직장이었다. “‘철밥통’이라고 하잖아요. ‘자른다’는 개념 자체가 없어요. 들어오면 거의 다 정년까지 가요. 신분보장 하나는 완벽하니까.” 

시급노동의 세계는 달랐다. “‘고다자’란 얘길 처음 들었어요. 용역회사 직원들이 우리를 부르는 말인데, ‘고르기 쉽고, 다루기 쉽고, 자르기 쉽다’는 뜻이에요. ‘고다자’도 아니고 ‘고다짜’ 그래요. ‘저것들은 고다짜니까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인력이다…’ 노인들이 듣기에 굉장히 좀 서러운 이름이죠.” 그가 한창 일할 때만 해도 비정규직이 없었다. 청소원도 경비원도 그가 일하던 공기업의 정규직이었다. 퇴직하기 10년 전부터 아웃소싱이 급속도로 이뤄지더니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더 많아졌다. 조씨도 은퇴 뒤엔 비정규직을 피하지 못했다.

4년 동안 네 번 잘렸다. 버스회사 배차계장으로 일하면서 소화물을 옮기던 중 다쳤다. 사흘간의 무급 질병휴가를 신청했다가 해고되었다. 빌딩 주차관리원으로 일할 땐 빌딩에 입주한 보험회사 간부 사모님을 몰라본 죄로 잘렸다.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던 시기엔 자치회장의 심기를 거슬러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버스터미널 보안요원으로 일하는 중에 쓰러졌다. 척추 감염이라는 중병에 걸렸다. 대학병원에 입원한 다음 날 전화로 해고되었다. ‘자발적 퇴사’로 처리되어 실업급여는 물론이고 해고예고수당(30일 전에 미리 해고 통지를 안 한 경우 지급해야 하는 한 달 치 통상임금)도 받지 못했다. 대기업 계열의 용역회사인데도 그랬다.

정규직 노동과 시급 노동의 가장 큰 차이를 묻자 조씨는 이렇게 말했다. “아프면 그만둬야 한다는 건 정규직에선 상상도 못할 일이에요. 그런데 비정규직 노인 노동은 하루만 아파도 일터를 잃어요. 대체인력이 없거든요. 원래는 용역회사가 예비 인력을 1~2명 뒀어야죠. 사람은 누구나 아플 수 있고 다칠 수 있으니까. 그런데 노인 노동자는 지원자가 많아서 용역회사들이 이력서를 쌓아두고 있어요. 지금 한 명 잘라도 당장 내일 다른 사람이 옵니다. 차질이 없죠.” 산재를 다퉈볼 수는 없느냐는 질문에 조씨는 “거의 불가능하다”라고 말한다. “놀란 게, 일하다 다치거나 아프다고 하면 ‘그게 노환이지 뭐’ 그래요. 아프면 정규직처럼 직업과의 관련성도 따져봐야죠. 진짜 이 사람이 노환인지 아닌지를. 아픈 것과 업무 간의 연관성을 환자가 입증하라고, 부당해고면 소송하라고 하는데 대법원 가면 3~4년 걸리고, 이겨봐야 남은 계약기간 임금이 얼마나 되겠어요. 소송해봐야 득이 안 된다는 걸 고용주들이 아는 거죠.”

그래서 “60세가 넘은 사람은 법이 있어도 적용이 안 된다”라고 조씨는 단언한다. 특히 고용노동부가 경비원을 ‘감시·단속적 노동자’로 승인하는 관행이 잘못되었다고 조씨는 본다. 감시·단속적 노동자란 ‘감시 업무가 주 업무로서 정신적·육체적 피로가 적거나, 근무가 간헐적으로 이뤄져 대기시간이 많은 업무 종사자’를 말한다. 감시·단속적 노동자로 승인받으면 근로기준법상 노동시간, 휴게, 휴일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문제는 시대가 변했다는 것이다. “제가 아파트 경비원 할 때 두 동을 담당했는데, 이쪽 동에 경비실이 3개, 저쪽 동에 4개 있었어요. 예전에는 경비실마다 한 명씩 7명이 근무했어요. 그런데 최저임금이 오르고 나서는 7개 경비실을 저 혼자 담당했어요. 7명이 할 일을 1명이 하면 그게 간헐적으로 쉬엄쉬엄 되겠습니까?” 그는 처음 아파트 경비 업무를 시작할 때 받은 일과표를 보여주었다. 30분 단위로 할 일이 빼곡히 적혀 있었다. “최저임금이 올라도 그만큼 휴게시간을 늘려버리니 아파트는 더 주는 게 없고, 노무자들은 더 받는 게 없죠. 휴게시간에 쉬는 사람은 없어요. 밥을 5분 만에 먹어요. 택배 물량은 늘고, 경비원 실명제라고 해서 모든 엘리베이터에 제 전화번호가 붙어 있어요. 계속 전화가 와요. 경비원이 경비실 문 잠그고 ‘나 휴게시간이야’ 할 순 있는데 그럼 그다음 날 그만둬야죠.”

조씨는 7개월 투병 끝에 지난해 4월부터 한 주상복합 건물에서 경비원 겸 청소원으로 일한다. 지금도 감시·단속적 노동자다. 아침 7시에 출근해 밤 10시에 퇴근하는 조씨의 하루 휴게시간은 8시간이다. 물론 그 시간에 실제로 쉬지는 않는다. 그만큼 임금이 빠질 뿐이다. “그래도 여기는 퇴근이라도 할 수 있어서 나아요. 아파트 경비원은 24시간 격일제가 많은데, 교대근무 중에서도 가장 가혹한 형태거든요. 감시·단속적 노동자니까 그게 가능한 거예요. 고용노동부도 경비원이 감시·단속적 노동자가 아니라는 걸 모르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전 국민의 60% 이상이 아파트에 살고, 한국 오피니언 리더들이 모두 아파트에 사니까 아파트에 불리한 해석을 못하는 거예요. 소상공인은 좀 어려울 수 있는데, 아파트 같은 데는 관리비 2000원, 3000원 올리면 해결될 수 있거든요. 당장 노동부가 감시·단속적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석하면 24시간 격일 근무를 못 시켜요. 주 52시간이 넘어버리니까.”

노인 노동자, 정신·신체적으로 학대받아

조씨가 느끼기에, 노인 노동자들은 정신적·신체적으로 학대받고 있다. 조씨는 겨울에 밖에서 일하니 추워서 회사에 방한복 지급을 요청했다가 “노인도 추위를 타십니까?”라는 말을 들었다. 택시 하차장 배기가스가 심해 마스크 이야길 꺼냈더니 “염병… 다 늙은 경비가 얼마나 오래 살고 싶어서”라는 말이 등 뒤에서 들려왔다. “우리가 하는 이런 일은 아무리 일자리가 없어도 젊은이들이 안 해요. 냄새 때문에, 더러워서 못해요. 노인밖에 할 수 없는 일이에요. 로봇이나 인공지능도 못해요. 그렇다면 일하려는 노인이 많다고 하더라도 고용주는 존중해줘야죠. 노인이 한다고 해서 노동의 가치가 떨어지고, 혹사가 당연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어떤 노동이든 생계를 위한 것이고, 가족을 부양하니까. 사람들은 다 늙잖아요. 이대로 놔두면 내가 죽고 다른 사람이 오더라도 계속 같은 일을 당하게 돼요.”

조씨가 속한 베이비부머 세대(1955~ 1963년생)의 은퇴는 2021년부터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노인(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2025년 즈음 진입한다. 국민연금 수급 연령과 정년퇴직 연령을 맞추는 문제 등 어려운 과제가 놓여 있다. 이미 생계를 위해 일하는 노인 노동의 문제도 그중 하나다. “정년 연장은 청년 일자리 문제와 직결되니 갈등이 수반돼요. 사회 구성원의 합의도 필요하고 정교한 계획이 있어야 할 거예요. 그런데 제가 책에 쓴 문제는 사람들의 작은 인식 변화만 있으면 내일이라도 해결될 문제예요. 제가 경험한 바, 노인들은 요구사항이 많지가 않아요. 부당해도 웬만하면 참고 견뎌요. 아플 때 바로 자르는 것 정도만 고쳤으면 하는 거예요. 제 책을 아파트 주민들하고 고용노동부 직원들이 읽어줬으면 좋겠어요. 사회에서도 관심을 가졌으면 합니다. 결국 국민들이 하는 일이고, 내 친구의 아버지, 나아가서는 내 일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조씨는 정갈한 필체로 쓴 자기소개서를 보여주며 “이렇게 취직하기가 어려운데 자를 때는…”이라고 말했다. 각종 경험을 들며 자신의 차별성을 증명하는 것이 여느 취업준비생 자기소개서와 다르지 않았다. 그는 최근 출산한 딸이 아직 책을 읽지 않았다며 “딸이 많이 속상해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he Book of Joy: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 Friends Journal

The Book of Joy: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 Friends Journal


The Book of Joy: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Reviewed by Lauren Brownlee

October 1, 2017

By His Holiness the Dalai Lama and Archbishop Desmond Tutu with Douglas Abrams. Avery, 2016. 368 pages. $26/hardcover; $13.99/eBook.
===

I know I am not alone among f/Friends in my desire to cultivate more joy in my own life and in the lives of those around me. In The Book of Joy: Lasting Happiness in a Changing World, His Holiness the Dalai Lama and Archbishop Desmond Tutu, two spiritual leaders who exude joy, share their understanding of the qualities of joy and how to sustain it. Joy, they describe, is “much bigger than happiness”; joy is “a way of approaching the world.” The Dalai Lama and Archbishop Tutu spent a week together reflecting on joy; their wisdom, along with highlights of the academic study of joy, is synthesized by their coauthor Douglas Abrams. The two leaders delight in each other’s presence, and throughout the book readers are invited into their joyful world.

After initially defining joy, the leaders discuss the obstacles to lasting happiness. They share that there is no joy without suffering and that we must embrace the shadows of life to fully appreciate the beautiful moments. They address the power of prayer and reflection to help ease fear, anxiety, and stress, and the power of empathy to help us move beyond our anger and frustration toward others. They also offer advice about how to overcome sadness, grief, despair, loneliness, envy, adversity, and illness. They discus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sense of we,” particularly in our communities of faith. They remind readers that the more we celebrate our shared humanity, the stronger we are in building our resilience to all the challenges that we will inevitably face. One of the most inspirational quotes from this section came from the archbishop: “You are made for perfection, but you are not yet perfect. You are a masterpiece in the making.”

After discussing the obstacles to our enduring happiness, the Archbishop and Dalai Lama delve into the eight pillars of joy as they understand them. The four pillars of the mind are perspective, humility, humor, and acceptance. Abrams reminds readers that although some of these values can be viewed as passive, they are meaningful tools when we are in command of them. They also point to four pillars of the heart that we benefit from developing: forgiveness, gratitude, compassion, and generosity. They often return to a theme of the significance of our choosing how we respond to the pain of the world. They invite us to become “an oasis of peace, a pool of serenity that ripples out to all of those around us.”

Thankfully, these spiritual guides do not leave the readers with only theories.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offers techniques for practicing the “mental immunity” they preach. They include suggestions on intention setting, silent retreats, gratitude journaling, fasting, prayer, and generosity practices. They share a variety of meditations, including breathing, walking, analyzing, and visioning, that empower us to develop the space between a stimulus and our response, allowing us to choose our best selves. This section functions as a toolkit from which readers are encouraged to “find what works best” for each of us. Ultimately, they advise that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are the greatest joy of all, and they direct readers to “seek out [our] own communities of love.”

The Book of Joy is both beautiful and practical. As interesting and useful as the information would be on its own, it is all the more meaningful because of the book’s collaborative approach. The Dalai Lama often advocates for proactive mental training so that we don’t feel suffering as intensely in the first place, whereas much of Archbishop Tutu’s advice is about what to do once we experience hurt. They both stress that love is at the core of all religions, but that we must do more than “rely on religious faith”; we must put our faith into action. They speak consistently about how recognizing the humanity in all others around the world is at the foundation of our enjoying the fullness of our own humanity, a message that will resonate with Friends and those who appreciate Quaker values. Indeed, I ended up sharing quotes from this book with friends, colleagues, and students throughout the period in which I was reading it. Once I finished I sent pictures of the cover to people in my life with a simple caption: “highly recommend.” The Book of Joy truly lives up to its title.

남성에서 가장 "단명"인 것은 "미혼의 사람"이지만 ... 데이터가 넘치는 남녀의 현저한 차이 | 일간 겐다이 DIGITAL

남성에서 가장 "단명"인 것은 "미혼의 사람"이지만 ... 데이터가 넘치는 남녀의 현저한 차이 | 일간 겐다이 DIGITAL

일간 겐다이 DIGITAL 생명 생활 뉴스 기사

화제의 초점
남성에서 가장 "단명"인 것은 "미혼의 사람"이지만 ... 데이터가 넘치는 남녀의 현저한 차이
공개일:2022/01/06 
==
  
"2040년에는 일본의 인구의 절반 정도가 독신자로 차지되어 가구의 40%가 혼자 사는 전망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칼럼니스트로 독신 연구가의 아라카와 카즈히사씨다.

 최근, 평생 미혼의 사람 뿐만이 아니라, 이별·사별도 포함한 독신 비율이 상승. 미혼화와 함께 진행되고 있는 것이 고령화(2020년의 평균 수명은 남성 82세, 여성은 88세)이지만, 남녀의 사망 연령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18년의 인구동태조사에서 배우관계별 연령별 사망자수 구성비를 그래프로 한 결과, 가장 오래 살아있는 것이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으로, 이것은 남녀 모두 변하지 않습니다. 한편, 미혼자 , 유배우자, 이별자의 사망 연령 중앙값에, 남녀로 현저한 차이가 나와 있습니다」라고 아라카와씨.

 남성의 경우, 가장 빨리 사망하고 있는 것이 「미혼의 사람(사망 연령 중앙값 약 66세)」으로, 다음이 「이혼하고 있는 사람(약 72세)」.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사람(약 80세)」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약 86세)」이라고 계속된다.

==
한편, 여성은 '배우자가 있는 사람(약 78세)'이 가장 빨리 사망하고 있고, 다음이 '이혼한 사람(약 81세)', '미혼인 사람(약 82세)'. 가장 오래 살아있는 것이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약 92세)".

 남성은 미혼, 여성은 배우자 개미가 “가장 단명”이라는 결과에… … 이 배경에 대해 아라카와씨에게 해설해 준다.

“혼자 사는 남성은 당뇨병, 고혈압,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은 생활 습관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 독신 남성의 외식비는 많아, 한 가족의 외식비가 월 평균 1만엔 정도에 대해, 단신자는 2만엔 정도.대기업에 근무하고 있으면, 건강 진단 결과가 나쁘다고 강제적으로 식생활의 체크가 들어갑니다만, 그렇지 않은 환경의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부인이 있는 사람은 확실히 식사를 관리해 주고 있으므로, 이 차이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

여자는 어떨까.

「여성의 경우, 노후는 남편이 죽고 나서 쪽이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노후의 부부간의 스트레스는 개별적으로 사정은 있을 것입니다만, 어느 쪽이든, 여성은 남성보다, 혼자 살아가는 것에 내성과 적응성이 강하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20년 후, 이 결과가 크게 바뀌고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한다.

“지금의 젊은 사람들은 근육 트레이닝을 하거나, 탄수화물의 섭취에 신경을 쓰거나 의식이 높고, 혼자 살아가는 수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평생 미혼율은 상승해 가는 전망이지만, 특히 미혼 남성은 건강을 위해서도, 매일의 약간의 생활 습관의 재검토가 소중해진다고 생각합니다」

 당신은 괜찮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