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5

Kazuo Ishiguro: A Dystopian Book in Dystopian Times - Goodreads News & Interviews

Kazuo Ishiguro: A Dystopian Book in Dystopian Times - Goodreads News & Interviews

Kazuo Ishiguro: A Dystopian Book in Dystopian Times

Posted by Cybil on March 2, 2021

Kazuo Ishiguro insists he’s an optimist about technology. 

“I'm not one of these people who thinks it's going to come and destroy us,” he said in a recent interview. He rattled off a list of promising breakthrough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enetics. 

Still, it’s a surprising take from the author of Never Let Me Go, a deeply disturbing novel about human cloning.  

What he fears, Ishiguro explained, is the devastating injustice that may result if society isn’t careful with scientific progress.  

“We've all got to start to think and worry about these questions,” he said, “because at the moment, they’re in the hands of very, very few people.” 

In his latest novel, Klara and the Sun, Ishiguro does just that, turning his focus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ory follows Klara, an intelligent robot known as an “artificial friend,” who joins a human family in a dystopian America. 

It’s Ishiguro’s first novel since winning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As with many of his previous works, the book doesn’t fit neatly into one genre but has elements of science fiction and also works as a coming-of-age tale. 

Ishiguro spoke to Goodreads contributor Kerry Shaw in December about his latest work, his lockdown reading list, and his fears about the future. Their conversation has been edited.

Goodreads: When I finished this incredible book, I wished I could discuss it with my book club. And then I remembered I got to speak with you, which is perhaps better. 

Kazuo Ishiguro: I’m not the same. I'm not the same as your book club. The author is not a very good person to quiz about a book. I try to avoid talking to authors about their books.

GRReally? I imagine you have many author friends.

KI: I do, but we never talk about our books. Actually, we don't even know who's read which books. Maybe there's a different code amongst American writers? I've been writing here in Britain for decades now, and I have no idea which of my author friends has ever read me or not, because there's an understanding that you just don't mention such things. It's not polite conversation.

GROK, but one question that only you can answer is: What was on your mind when you wrote Klara and the Sun?

KI: There is usually one big thing behind each of my books and then a constellation of other little things. At the center was this question: What does it mean to love another human being, particularly in an age when we're questioning whether we can map out everything about a person through data and algorithms? It's that old question: Is there a soul? Maybe there isn't anything in there that's unique that can't be reproduced. Perhaps we are reducible to just data and algorithms. 

Many of my other books have been about things like that. But the age we’re in, and the age we seem to be hurtling toward, made me look at that same question in a slightly different way.

GRThere are so many reasons to be wary of technology. Did you have a specific experience that made you want to explore these questions in a novel? 

KI: I do have fears about technology and science, but on the whole, I'm an optimist. I think it's going to make many things possible: We're going to be free of the fear of many illnesses that kill us. Possibly we will have answers to other big questions, like how to organize capitalism in a way that doesn't create huge inequalities. It's possibl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can help us with this. And it's possible that genetic technologies will open up a whole new world of medicine and healing, freeing us from so much sadness and pain. 

I think we're much further toward that than a lot of people realize. There have been phenomenal breakthroughs in the last, say, ten years with CRISPR and with what's now called machine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in AI. These are complete game changers.

However, while it's an exciting time, it's also a dangerous time. We've got some very big questions to solve that we can't leave to scientists or politicians, or to the people who run very wealthy corporations.

GRWhat do you fear about technology?

KI: What I fear, looking back through history, is that we're going to make some of the hideous mistakes we made in the early par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children working in mines, people dying in factories of terrible conditions. And we had people going to other, nonindustrialized countries to kidnap people, to work as slaves in order to get the Industrial Revolution going and to keep it going. I think we have to do everything possible not to make the same mistakes again. 

GRDo you feel like there’s enough enthusiasm for these ethical questions?

KI: At the moment, I don't think people are aware enough. But I'm not a big believer in people having moral debates around the dinner table. I am a big believer in those kinds of discussions happening through art, documentaries, novels, films—so that people actually engage these questions at an emotional level.

GRWhy did you set this book in America?

KI: I don't think it was because I thought there was something inherently dystopian about America. It was just a whim. I wanted American-style images. I wanted fields that looked like American fields, and I wanted the sun to be an American sky. I wanted it to be slightly Edward Hopper. And maybe there is a sense that America is the society at the moment, along with China, that's rapidly embracing new technology, new science, certainly new biotechnology, as well as computer science. And so it seemed appropriate.

GRI know this book is set in the future, but some of it seems very contemporary, with this incredibly calcified class system.

KI: Well, that's explained by the dystopian world. It's a new caste system, created by the fact that it's become possible to “enhance” some children. 

Once again, I'll say this is something that's already upon us. We have the ability to do this quite simply now, mainly because this technology, CRISPR, makes it very, very easy to gene edit. The scientist who thought he was going to become a world hero and Nobel Prize winner was promptly put in jail by Chinese authorities for having done this. At the moment, world over, people think it's not a good idea to do that kind of thing. 

I think it's going to be very, very difficult for this not to end up like the cosmetic surgery industry, which started off as something to help burn victims or people who had been hideously disfigured. Of course, you can't really stop it from being an industry where rich people pay to look better. 

Now that we have the possibility of making some children intellectually more capable in some ways, less prone to illnesses, more athletic, I think we are going to create a very dangerous kind of caste system. The traditional arguments about injustice are perhaps not going to be there, because you can always say these people are being given more opportunities and more privileges and more wealth on merit. And for the first time, we're going to have some scientific backing for ideas that in the past were considered racist. 

GRWere you critiquing a particular caste system? 

KI: It wasn't so much a comment on any specific caste system, but a comment on every kind of caste system. Unfortunately, human beings have this propensity to see things in hierarchies and to find some distinguishing thing that says one group is entitled to more than another. 

I didn't want to write a book about race in America or race in Europe or race anywhere else. Race often seems to be a marker of caste, but often it works in other ways. Most of the time I was growing up in Great Britain, Northern Ireland was in a civil war situation between Protestants and Catholics, who had the same skin color and spoke with the same accent. And we ended up with a situation where one group was oppressing the other, had a lot of political power, and the police power. We lived with bombings all the time because of that. The town where I grew up, two pubs were blown up and a lot of people died—the Guildford bombings. And so it's not just to do with color.


GRI also wanted to ask you about winning the Nobel Prize. What was it like to find out that you'd won?

KI: It's quite surreal. The Nobel Prize is a strange thing in that it's incredibly secretive. Nobody can really intelligently predict who’s going to win. Also, I discovered they have a rule that, when they decide somebody should win the Nobel Prize, they don't announce it for a year in case they change their mind. My understanding is that I was given the Nobel Prize in the autumn of 2017, but they came to that decision in the autumn of 2016.

I had started the day like any other. I was sitting at the kitchen table around 10:30, writing an email to a friend. I was thinking of going upstairs and having a shower and washing my hair when the telephone rang. And it wasn't the Swedish Academy. I’d always heard there's this legendary call that comes from Sweden. It didn't happen to me. 

I started to get calls from various people in London. My agent called and said, "We heard this live feed about the announcement. It sounded like you, but we're not quite sure because she had a Swedish accent. We’re just going to check up on it." And then, immediately, somebody from my publishing house called to say, "We think you've won a Nobel Prize." As soon as one call ended, the phone would ring again. And the third call was the BBC saying, "Could we come round with a film crew because you've won the Nobel Prize?” 

That was the first time I thought, "Oh, perhaps it's true, then. It wasn't just people winding me up.”

I went back to my iPad and finished the email I was writing to a friend, an English guy who lives in China to say, "I've got to stop now. I have to finish this email because I seem to have won the Nobel Prize. I'll write to you again.” And I'd already written about a whole page of news and stuff. And then all mayhem broke loose. 

GRNot how you envisioned your day going!

KI: It was actually going to be a big day because my wife, Lorna, had been trying to decide about changing her hair color, and this had gone on for months. And she had decided that she would change her hair color. She'd made an appointment, gone to the hairdresser, and she was literally sitting there—they were mixing the colors—when she happened to look at her iPhone. And she saw this news flash come across. And she said, "Well, maybe I can't have my hair color change today, so I better find out what's going on." 

Meanwhile, I was alone in the house and saw a line of camera crews outside. My wife came back and organized these people. And then eventually my agent and my publicist from the publishing house turned up, and we didn't know quite what to do. We put them all in the back garden and had a press conference.

GRI love that.

KI: I didn't speak to anybody from Sweden for about two hours. And eventually, I phoned my mother, who was 91 years old. She's passed away now, but I'm very pleased that she lived to hear it. I got a call from my daughter, who was doing her master's at the university, who said, "It seems like you've won the Nobel Prize. My friends keep texting me to say you've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The whole thing is very surreal.


GRWhat have you been reading?

KI: Lockdown slightly reset my reading habits. I actually read some very long books that I would not normally attempt. I reread War and Peace after 20 years, and it felt very different to me this time. And I have to say I didn't think it was as good. [Laughs.] Won't go there.... It's pretty good. 

GRTolstoy won't read this.

KI: If I'd written it, I wouldn't complain. But I was stunned by how narrow the social milieu was. It’s supposed to be this massive book, with this huge cast of characters, but everybody comes from this very narrow sector of Russian aristocracy. Everybody is an aristocrat! It's panoramic in a visual sense: great scenes with huge battles. But peculiarly narrow and elitist, I would say. And the female characters are terrible. If I'm still around in 20 years' time, I'll read it again and see if it's changed. 

I also read Anthony Powell’s Dance to the Music of Time. I thought it was going to be one of these very upper-class things about posh English people. But actually, it's quite a radical modern experimental novel and a very interesting book. 
But what I've been doing in the past six months—and maybe this is because of the way the world is, because of the U.S. elections, because of Brexit—I've just been reading nonfiction.

I've read many books about race in the U.S.: Michelle Alexander's The New Jim CrowCaste by Isabel Wilkerson; Carol Sullivan's White RageStony the Road by Henry Louis Gates Jr.; and Ta-Nehisi Coates’ Between the World and Me. I also read a very interesting book called Learning from the Germans. It’s by Susan Neiman, a Jewish woman who was brought up in the American South and then went to live in Germany. 

I have also been reading more about big tech. Two very important books about the way the world is going at the moment are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by Shoshana Zuboff. The other is by Rana Foroohar, the [Financial Times] journalist, called Don't Be Evil

These aren't just attacks on high tech. You know, it's not about, Why don't they pay more taxes and why are they ruining our teenagers’ lives? It’s analyzing the fact that the richest corporations now earn money in a different way, which is they harvest data from us while giving us free services. And we have to respond to that as a society. We have got to protect ourselves from the extremes of capitalism. And I find that fascinating. I wasn't so aware of this when I was writing Klara. I've become much more aware now. Perhaps it is something to do with the way the world is.... I don't usually read so much nonfiction.

GRWhy have you been reading so much nonfiction? 

KI: I guess it’s because you're locked into place and then this huge news keeps coming in: George Floyd; Trump as president; Britain, for some bizarre reason, decides to leave the European Union. And then this pandemic, which is kind of dystopian.... Not just the pandemic, but the fac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oesn't seem to have an answer for it. We can't get our act together. We've just been shown to be childlike, both as individual nations and as an international community. 

Suddenly you think, Well, there aren't any adults in this world. I always thought there were adults. And actually there aren't, we can't really handle things very well. I suppose it's a kind of emotional reaction. I want to read clever people's books who might be able to explain what's out there. Next time I go out there, I want to be safer. 
 

Kazuo Ishiguro's Klara and the Sun will be available in the U.S. on March 2. Don't forget to add it to your Want to Read shelf. Be sure to also read more of our exclusive author interviews and get more great book recommendations.
 

COMMENTS Showing 1-27 of 27 (27 new)

dateDown arrow    newest »

mr t m crossfieldSupremely interesting and given me some strong ideas where my own reading should go now, thank you.

reply | flag *

message 2: by Nancy (new)

Nancy KenwardGreat interview. I particularly like the points he makes in the last answer - this really resonates with me.

reply | flag *

message 3: by Richard (new)

Richard CravenAlthough it's not covered in this interview, Ishiguro has also made a welcome intervention against the scourge of wokeness.

reply | flag *

message 4: by Robin (new)

RobinIt's nice to be able to believe that the person is as lovely as his books

reply | flag *

message 5: by M (new)

M YeazelHis reaction to a re-read of War and Peace was exactly like mine was about other great pieces I’ve read again after decades. Interesting article.

reply | flag *

message 6: by Chris (new)

ChrisI totally understand Kazuo Ishiguro’s decision to read only non-fiction. Our lives have been upended by a dangerous deadly pandemic and there is no safe place in the world. Fiction is unpredictable and that is too uncomfortable for me. Non fiction is provable and certain so my reading has been all non fiction : The Island at the Center of the World by Russell Shorto, The Sediments of Time by Maeve Leakey, Nomadland by Jessica Bruder, The Georgetown Ladies Social Club by David Heymann. There’s nothing uncertain about any of these. No guessing the outcome.

reply | flag *

message 7: by Tom (new)

Tom WalshI concur with Ishiguro completely about the craving for Non-Fiction during these times.

With the rise of a Cottage Industry for creating Falsehoods, I want very much to be presented with hypotheses and the facts underlying the Author’s position. Fiction gives me the former and that’s often interesting and pleasant, but it’s not what I need right now.

reply | flag *

message 8: by Raphael (new)

Raphael LysanderI didn't expect to read this interview here and it is a pleasant surprise. I like what Mr. Ishiguro said about War and Peace and how our reading of the same text defer as we come up of age and have more experience.. It shows that books are not only how authors write them but how readers receive them as well... and the later make the book a live thing.
Anyways, one of my favorite authors of all time...loved to read this interview ❤️

reply | flag *

message 9: by Greg (new)

Greg HusebyeMe. Ishiguro is a joy. A gift.

reply | flag *

message 10: by Jibran (last edited Mar 02, 2021 12:56PM) (new)

JibranGreat interview. I am reading Brave New World and it's incredible how Huxley's predictions about gene-edited humans and the caste system that would result from it is on the verge of becoming a reality. Ishiguro is spot on about the dangers of this new age caste/class system that might become a basis for another apartheid. We should all be wary of the things new tech can achieve.

reply | flag *

message 11: by Sue (new)

Sue PitI am looking forward to reading 'Klara and the Sun'. I have been impressed with Ishiguro's writing in his previous writings; particularly the total immersion of the first person narrator reflecting that character's unique perspective, which may include blind spots, bias, cultural motivations or what not. He is very excellent with providing a very real sense of the individual's perception and motivation(s). The other factor is he picks such interesting topics/ subject matters for the story lines. "Klara and the Sun"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me as I have been interested/concerned about AI and its potential impact, both good and bad. I rather wish he had read "The Age of Survelleince Capitalism" (and such) prior to writing this book though, as that could have been so wonderfully integrated and likely an enhancer of the story line; it is one of my major concerns and I see it happening now. Great interview!

reply | flag *

message 12: by Barbara (new)

BarbaraI loved this interview. He is exactly what I hoped he would be, yet at the same time filled with lovely surprises because he's a man, not an algorith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an who wrote "Remains of the Day" expresses himself so precisely and cleanly.

reply | flag *

message 13: by Barb (new)

BarbI, too, wish there were some adults out there... Wonderful, insightful interview.

reply | flag *

message 14: by Bobby (new)

Bobby KenistonI have always been a fan. Thank you for the interview. That answer to the last question truly resonates. I want to be safer next time I go out, too.

reply | flag *

message 15: by Pinaki (new)

Pinaki SwainGreat interview. Nice to know his reading list as well.

reply | flag *

message 16: by Sharron (new)

SharronOne of my favorite authors- his books never leave me. They entwine me.

reply | flag *

message 17: by Daniel (new)

Daniel PerryIshiguro and I read two of the same books in recent months, The New Jim Crow and Stony the Road. Fun to imagine him reading the same words I just did!

reply | flag *

message 18: by Linda (new)

Linda MorrisI also enjoyed this interview. Ishiguro is a very different author in the subjects he writes about and how he relays the story. A few months ago I read the book "Conversations with Kazuo Ishiguro" by Brian Shaffer and Cynthia Way. Similar to this interview, the book of Conversations was very interesting as it provided background on Ishiguro's earlier books. After I finished the book, I felt like I knew Ishiguro so much better and I understood the books better.

reply | flag *

message 19: by M&A (new)

M&A EdGreat interview

reply | flag *

message 20: by Neeraja (new)

Neeraja SankaranWhat a treat! I got to experience 2 Ishiguro interviews within a space of 14 hours--last night was a live event broadcast by The Guardian and now this. Both lovely and on different issues. Love that he doesn't simply repeat himself, either in interviews or in books.

reply | flag *

message 21: by Monica (new)

MonicaWhat a great interview. so interesting and what a great mind.

reply | flag *

message 22: by Ross (new)

Ross HigginsHis opinion on W and P is bizarre. The reason that it feels so well realised is BECAUSE Tolstoy was writing about what he knew. Maybe he should read it in Russian.

reply | flag *

message 23: by Di (new)

Di SAnyone else watch the UK Faber/ Guardian Live interview with Ishiguro last night? It was excellent!
If you missed it, there's a shorter Waterstone's (UK) interview here: https://youtu.be/PJUvZHnkfGw

Such an eloquent and interesting man.

reply | flag *

message 24: by Dougie (new)

DougieRichard wrote: "Although it's not covered in this interview, Ishiguro has also made a welcome intervention against the scourge of wokeness."

Wish you had cited it because I can't find what you're talking about. Though perhaps you were just massively misrepresenting this interview https://www.bbc.co.uk/news/entertainm...

reply | flag *

Satbo Reads BooksGreat interview!!

reply | flag *

message 26: by bookcaked (new)

bookcakedGreat interview!

reply | flag *

message 27: by Clare (new)

Clare PooleyI enjoyed reading this interview very much.

reply | flag *

back to top


자신을 소중히

 

자신을 소중히

3 M.Y.

그것은 완벽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문장은 나를 구했다.

저는 가족과 친구, 학습 교사 등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의지할 수 있어 기쁘고 영광스러웠고, 지난 한 해 동안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나는 누군가가 나에게 뭔가를 요청하는 경우, 나는 더 많은 것을 반환해야, 나는 항상 완벽해야한다, 나는 종종 내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받아 들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내 건강은 점점 더 나빠지고, 나는 최근까지 학교에 갈 수 없습니다.

그 때, 그는 말했다, "당신은 완벽 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는 단어를 만났다.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내가 완벽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완벽해야 합니다. 부정직한 사람이라고 생각되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그 느낌이 내 마음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느꼈다.

예를 들어, 해야 할 한 가지가 있으며, 결국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합니다. 그 때, 주변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좋은 평가를 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아니라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살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살지 않고, 나 자신을 위해 산다.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습니다. 최종 결과에 관계없이 행복보다 더 열심히 일합니다. 그것이 나에게 의미 있고 행복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나는 나 자신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나는 내 친구만큼 완벽하지 않다, 나는 많은 고통을 가지고있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무엇보다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것은 완벽 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는 진심으로 생각합니다.

나는 사람들이 좋은 기사라고 생각하기 위해이 느낌의 이야기를 작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신을 직면. 생각하는 동안, 당신은 모든 종류의 것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내가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나 자신입니다. 오직 한 사람만이 꿈을  이룰 수 있으며, 자신을 변화시키고, 자신을 행복하게 할 수  있습니다.

나는 완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나는 나 자신을 받아 들일 것이고, 나는 완벽하지 않다.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다. 누군가를 위해 노력하십시오. 나는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돌보기 위해, 당신은 먼저 자신을 돌봐해야합니다.  누군가가 행복하기를 원하면, 당신은 행복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나는 나 자신을 소중히 할 것이다. 나는 가족과 친구를 돌볼 수있는 사랑스러운 사람이되고 싶어요.

静思 セイシ



静思 セイシ
静かに思うこと。心を落ち着かせて考えること。
  沈思・黙思

===

meditation
靜思 (정사) 고요히 생각함

Amazon.co.jp: 静思のすすめ (文春新書): 大谷 徹奘: 本

Amazon.co.jp: 静思のすすめ (文春新書): 大谷 徹奘: 本
静思のすすめ (文春新書) (Japanese) Paperback Shinsho – August 20, 2010
by 大谷 徹奘 (著)
4.3 out of 5 stars    7 ratings
186 pages
文藝春秋
Publication date August 20, 2010
----
人の心を動かす説法で人気の薬師寺の僧侶があなたの悩みを明るくときほぐす。元ヤンチャ坊主が試行錯誤の末に掴んだ「静思」とは?


Product description
内容(「BOOK」データベースより)
強すぎる我と人間関係に悩んだ末に、お経の中にある「静思」という言葉に出会い、私は変った―。幸せへの鍵は「静思」にある。聞けば誰もが幸せになれる説法が大評判、薬師寺の人気僧侶による、生老病死さまざまな悩みへの処方箋。
---
著者略歴 (「BOOK著者紹介情報」より)
大谷/徹奘
1963年、東京都江東区に生まれる。芝学園高等学校在学中、17歳の時、薬師寺の故・高田好胤管主に師事、僧侶となる。龍谷大学文学部仏教学科卒業。同大学院修士課程修了。現在、薬師寺執事(本データはこの書籍が刊行された当時に掲載されていたものです)
---
#12,612 in Introduction to Ethics
#23,077 in Self-Esteem (Japanese Books)
Customer Reviews: 4.3 out of 5 stars    7 ratings
-
Customer reviews
4.3 out of 5 stars
4.3 out of 5-
--
Top reviews from Japan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Amazon カスタマー
5.0 out of 5 stars とても分りやすい内容に助けられました。毎日の心の持ち方が良くなったので、仕事を含めて色々な取り組みに充実感を感じています。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31, 2019
Verified Purchase
心が安定してきました。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ガラ
5.0 out of 5 stars 常に手に届くところに置いています。
Reviewed in Japan on March 8, 2012
Verified Purchase
ちょうど読み始めたときに人間関係でトラブルがあり、この本に助けられました。わかりやすい言葉で素直に自分の事に置き換えて読む事ができました。是非たくさんの方に呼んでいただきたい一冊です。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ラッキー岡村
4.0 out of 5 stars まあまあでした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7, 2013
Verified Purchase
表紙に多少の汚れはありましたが、中身は全く問題ありませんでした。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求道
5.0 out of 5 stars 挫折、困難、全ての悩みに当たっている人に
Reviewed in Japan on August 31, 2010
分かりやすい等身大の説法で大人気の薬師寺の僧侶大谷徹奘さんの最新刊。
死について、欲についてこんな考えにたどり着いて段階を経て解決していったんだと理解でき、
読んでいる自分自身の考えが活性化しグルグル動く。

この一冊の本の中で自分自身も迷いに突入し、大いに悩み、そして迷いを解決していく。
全てを見つめる静思(じょうし)という思考法、静かに状況やキーワードを哲学していくプロセス。
釈迦から2500年続く人類共通の悩みを解決する教えを自分の過去の悩みの変遷を隠すことなく偉ぶることなく
露骨に書き記すことで多くの人の悩みの解決に極めて人間臭いチャレンジをしている本。

挫折や悔しいこと、ひどい目にあった人、困難にぶち当たっている人など大きな悩みにさらされている人にお勧め。
生きていくのになんとなく辛い、生きにくいと感じている人にも特にお勧め。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素茶
5.0 out of 5 stars 良かったです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5, 2017
人間関係で悩み、どうしても気持ちが前に向かない時に購入しました。良い本に出会えたと思います。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 all reviews

“보수교회, 설득과 감화로 영향 미쳐라” - 기독신문

“보수교회, 설득과 감화로 영향 미쳐라” - 기독신문

“보수교회, 설득과 감화로 영향 미쳐라”
신국원 교수 “감정적 집단행동 자제하고 화해의 사신 되어야”
 노충헌 기자  승인 2019.11.26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가 ‘복음과 문화’를 주제로 정기논문발표회를 진행하고 있다. 총신대신대원 강웅산 교수(왼쪽 두번째)가 논평을 하고 있다.
 복음주의조직신학회 ‘복음과 문화’ 논문발표회

국론분열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교계마저 다시 이념갈등 현상에 빠져 있는 가운데 교회는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화해자의 모습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권문상 교수)는 11월 19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복음과 문화’를 주제로 제38차 정기논문발표회를 개최했다. ‘한국교회의 선진화:보수와 진보 이데올로기를 넘어서’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 신국원 교수(총신대 명예, 웨신대 초빙)는 “민주화 이래 사회가 진보로 기우는 가운데 교회는 대체로 보수성향을 견지해 흐름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면서 “이 비판은 (부정적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보수의 약점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주의 깊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문제제기를 했다.

신 교수는 “한국교회의 사회적 입장이 처음부터 보수적인 것은 아니었다”면서 “초기 한국교회는 개화의 주역으로 사회의 진보에 기여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초기 한국교회는 근본주의 양향하에서 신앙은 보수적이었으나 삶의 비전에 있어서 다른 종교와 사회단체에 비해 앞서 있었다”면서 한국교회가 사회적 보수성을 띄게 된 것은 주로 일제 말의 핍박과 군사정권의 억압에 적응하는 과정 때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최근에는 교회가 다시 사회의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심지어는 시위도 불사하며 민감히 대응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비판적인 시각에서 교회 문제를 다루는 언론의 태도나 사립학교법 같은 일련의 정치사회적 움직임에 대한 불만과 위기의식이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국원 교수가 보수기독교회가 정치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지양하고 각계를 이끌 인재양성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국원 교수가 보수기독교회가 정치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지양하고 각계를 이끌 인재양성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 교수는 “오늘의 사회적 경향은 팽팽한 이념대립과 문화충돌이 벌어지고 있으며, 민주사회에서는 신앙과 세계관이 다른 이들과 함께 살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면서 “교회는 위기감에서나 감정적으로 집단 행동을 하는 일을 자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 교수에 따르면 현재의 갈등 상황 속에서 교회가 우선 취해야 할 자세는 어떤 이데올로기의 편에서 서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회개와 회복의 방법을 찾는 것이며 공적 영역에서의 위상과 역할을 재고하려는 것이다.

신 교수는 “보수신앙은 이데올로기로부터 거리를 지키는 면에 특징이 있었다”면서 보수교회는 역사적으로 사회문제에 직접 참여하기 보다 신앙의 차원에서 도덕적인 감화나 설득과 호소를 통해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신 교수는 보수신앙이 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진보진영의 보수진영에 대한 지나친 비판도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 교수는 “분명히 보수성은 시대 정신에 대한 충분하고 효과적인 반성과 대응을 저해하지만 이는 단순한 약점이 아니다”면서 “보수성은 하나님의 말씀보다 상황을 우선적으로 주시하여 상황에 치우치는 진보신학에 대해 변증적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수적 교회는 역사와 전통, 보수적 신학의 시대적 필요성과 역할을 기억하고 하나님나라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사회 문제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그 성격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한국교회가 보수와 진보의 대립을 넘어서야 할 또 다른 이유는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반드시 문화적 갈등이 고조되기 때문”이라면서 “이럴 때일수록 교회는 이데올로기적 갈등을 초월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보수와 진보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복음과 진리를 드러내자는 것은 단지 중립지대에 서거나 양비론적 태도를 취하자는 것이 아니다”면서 “오히려 종교개혁의 원리에 충실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 교수는 종교개혁의 원리에 충실한 길이란 교회가 일치에 힘쓰고, 현 상황을 영적 전쟁이란 관점으로 정확히 이해하고 분석하며, 성경적 대안을 제시하며, 열린 대화의 자세를 견지하고, 사회와 역사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끌 인재를 길러내는 것라고 가르쳤다. 신 교수는 19세기 네덜란드의 아브라함 카이퍼가 이룩했던 개혁을 모델로 가리키며 당시 교회는 다원적 학교를 인정하는 교육제도를 만들었고 다원적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방송체계를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이로써 네덜란드 교회는 다른 진영과의 연대를 가능하게 했고 상대적으로 소수였던 개혁주의자들이 스스로가 지닐 수 있는 영향력보다 훨씬 많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개혁주의는 변혁을 지향하지만 일방적인 대립과 충돌을 일삼을 수 없다”면서 “대립보다는 화해의 사신이 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본분”이라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한편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직면한 한국 기독교,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주제로 발제한 정승원 교수(총신대)는 “종교다원주의는 형이상학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근거없는 인위적 합리화에 불과하다”면서 “그러나 종교다원주의적 상황은 우리에게 참 신앙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동시에 기독교 신앙이 얼마나 일관적으로 근거 있는지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카르투지오 수도회:고독과 침묵의 문화’를 주제로 강연한 정원래 교수(총신대)는 “카르투지오 수도회는 침묵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성경을 끊임없이 묵상하는 등의 자세를 취했는데 이는 현대의 신자들에게 단지 말로서 죄를 짓는 것을 피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 위해 침묵할 필요성을 일깨워준다”고 제시했다.

카르투지오 수도회는 1084년 브루노에 의해 창설되었고 1170년 공인되었으며 서방교회의 전통에 속해 침묵과 고독을 하나님을 만나는 신앙 양태로 여겼다. 이밖에 논문발표회에서는 황돈형 박사(서울중앙신학교)가 ‘복음과 문화의 관계성-문화적 현상인 인간의 과제로서 하나님의 형상’, 박태수 박사(성서대)가 ‘과정신학의 신론과 열린신학의 신론 연구’를 주제로 발제했다.

"마음 움직이고 감화 주는 기사가 종단 발전 이끈다" - 불교신문

"마음 움직이고 감화 주는 기사가 종단 발전 이끈다" - 불교신문


"마음 움직이고 감화 주는 기사가 종단 발전 이끈다"

장영섭 기자
승인 2020.01.13 

‘2020 불교신문 창간 60주년 특집’
특별인터뷰 / 조계종 교육원장 진우스님

종단 출범에 크게 기여하고
불교 대소사 신속 정확히 보도
부처님의 가르침 올바로 전하는
포교지로서의 역할 충실히 수행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대응해
다양하고 참신한 매체 발굴해야
진심어린 기사로 독자 마음 얻으면
영원히 사랑받을 수 있을 것


본지 창간 60주년을 맞아 종단의 주요지도자 스님들이 축하를 전하는 가운데 조계종 교육원장 진우스님도 힘을 실어줬다. 1월9일 교육원장 집무실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교육원장 진우스님은 “사람의 나이로 치면 60년은 환갑이며 이제는 어른이라는 뜻”이라며 “어른으로서의 품격을 갖췄으니 그에 걸맞은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격려했다. 특히 2019년 불교신문 사장으로 일하기도 한 스님은 부처님의 말씀을 널리 전하는 포교지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물질문명이 만연한 사회 속에서 사람들의 정신적 고갈을 바로잡아주는 일에 최선을 다 해달라고 당부했다. “진심이 느껴지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기사가 종단과 불교신문을 발전으로 이끌 것”이라고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교육원장 진우스님은 1월9일 "불교신문이 불교를 알리는 법사와 불교를 발전시키는 첨병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신재호 기자 air501@ibulgyo.com



종단이 발행하는 불교신문이 올해로 창간 60주년을 맞았습니다. 교육원장 스님의 축하말씀을 부탁드립니다.

“불교신문 창간 6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사람의 나이로 치면 60년은 환갑입니다. 곧 일생을 산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무엇보다 이제는 어른이라는 것입니다. 어른으로서의 품격을 갖췄으니 그에 걸맞은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해주기 바랍니다. 지난 60년 많은 이들에게 부처님의 위대한 법음(法音)을 전파하는 역할을 맡아온 불교신문입니다. 앞으로도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해주길 당부합니다. 불교신문이 그동안 쌓아올린 위상에 걸맞게 무거운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스님이 직접 불교신문 사장으로 일하셨기에 창간 60주년의 의미가 남다르게 다가올 듯합니다. 불교신문은 어떤 신문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불교신문은 우리 종단이 정식으로 출범하기 이전에 만들어져 종단의 태동에 크나큰 역할을 했습니다. 종단의 대소사를 궁금해 하는 스님과 불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식을 전달하는 뉴스메이커입니다. 또한 일반언론과는 달리 불교를 널리 알리는 포교지라는 차별성을 갖기도 합니다. 그 어떤 포교사나 포교당에 비하지 못할 만큼 포교에 크게 이바지해왔습니다.

불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불교를 알리는 길잡이가 되었고 불자들에게는 신심을 더욱 고양시키는 전법의 선두주자였습니다. 곧 불교신문은 뉴스와 포교, 두 가지 분야에서 혁혁한 업적을 만들어냈습니다. 앞으로도 이 두 가지 분야의 성취에 최선을 다 하는 것이 불교신문이 갈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종단도 불교신문도 미래불교를 열어야 할 막중한 책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불교신문은 앞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지 묻고 싶습니다.

“현대사회는 급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물질적 풍요가 절정에 달하는 사회이다 보니 정신적인 가치에 귀를 기울이거나 거기에 의탁하려는 생각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종교인구가 점점 감소하고 그에 비례해 국민들의 불교에 대한 관심도 예전 같지 않습니다. 결국 고도로 발달된 물질문명에 반비례해 야기된 정신적 고갈을 바로잡아주고 채워주는 것이 불교신문의 과제이겠습니다. 물론 맹목적으로 기도를 강조한다는 식의 막연한 방법으로는 사람들에게 감화를 줄 수 없습니다. 사람의 마음에 접근할 수 있는 정교한 포교를 해야 합니다. 현대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불교는 마음의 종교이며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가장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종교가 불교입니다
. 불교신문을 사랑하는 독자들이 부처님 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다면 불교인구는 자연스레 늘어나고 불교의 사회적 위상도 높아질 것입니다. 불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실천은 불교신문 종사자들에게도 요구됩니다. 아울러 종이신문이 미디어환경에서 점점 퇴락하는 시점입니다. 부처님 법음을 더 다양하게 전할 수 있는 적극 개발하고 확보해야 합니다.”

지난해 제8대 교육원장에 취임해 승가교육의 백년대계를 마련하고 계십니다. 교육원장으로서 그리고 있는 교육원의 모습은 무엇입니까?

“불교의 미래는 승가교육에 있습니다. 교육이 잘 돼야만 교육을 잘 받는 이들이 사람을 온전하게 설득하고 감화할 수 있는 법입니다. 승가교육은 미래불교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간 전임 교육원장 스님들의 지혜와 노력으로 종단의 승가교육 체계는 자리를 완연히 잡았습니다. 하지만 출가자 감소와 급변하는 사회라는 현실 앞에서 거기에 부응하는 교육환경을 새롭게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교육내용을 현대에 맞게 조정해 현대를 살아가는 스님들의 전법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계획입니다. 교육기관의 재조정도 염두하고 있는데 물론 섣불리 답을 내지는 않습니다. 이해당사자를 비롯한 어려 종도들의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는 절차를 충분히 밟은 뒤에 가장 현명한 답을 도출해낼 것입니다.”

교육원장으로서 일선 교직자 스님들과 학인 스님들에 대한 당부가 있다면 무엇이겠습니까.

“처음 출가를 할 때 누구나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습니다. 출가 동기도 각양각색입니다. 곧 초심자들에게는 부처님 중심의 세계관을 주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열린 종교인 불교에는 다양한 생각과 해석이 있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그 중심에 마땅히 신심(信心) 이 있어야 합니다. 일선에서 열심히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교직자 스님들 부디 ‘신심’에 입각해 교육하며 학인들로 하여금 삼보에 대한 경외심으로 갖도록 해야 합니다. 교육자에게 신심이 있어야 학인에게도 신심이 나게 마련입니다.

학인들도 신심을 키우는 일이 스스로에게 최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재가자로 살아오면서는 끊임없이 경쟁할 수밖에 없고 물질적인 것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처지였습니다. 그리고 그 탐욕으로 인해 고통에 빠져드는 악순환을 범해왔습니다. 이것을 극복하려고 출가한 이상, 탐진치 삼독(三毒)을 끊어내 악순환에서 벗어나겠다는 수행태도를 지녀야 합니다. 교리공부보다 중요한 것이 탐진치를 일으키는 마음에 대한 직시이고 신심을 증장하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욕망에 지배되지 않는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신심만 있으면 해탈할 수 있는 기회는 언제든 얻을 수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종도와 국민들에게 불교신문을 권하는 말씀도 부탁드립니다.

“불교신문은 사람의 마음에 다가설 수 있는 기사를 써야 합니다. 진심이 느껴지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기사를 써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모든 이들을 피안의 세계로 이끌겠다는 원력을 가질 수 있다면, 경영의 현실적인 어려움 같은 문제들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입니다. 구성원들 스스로가 신심을 갖고 불교를 믿으면 더 많은 독자들이 불교신문을 저절로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아무쪼록 종단적으로나 대외적으로나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불교를 알리는 법사와 불교를 발전시키는 첨병의 역할에 매진해 줄 것을 기대합니다."

[불교신문3550호/2020년1월15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가바드 기타- 제1장 아르쥬나의 고민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바가바드 기타- 제1장 아르쥬나의 고민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바가바드 기타 | 바가바드 기타- 제1장 아르쥬나의 고민
작성자 바보새 16-01-20 02:45 조회6,157회 댓글0건
검색목록
제 1장 아르쥬나의 고민
 
 
드리타라슈트라 말하기를
 
1. 산쟈야여, 올바름의 들, 쿠루 들에 내 사람들과 판두의 아들들은 싸움을 하려고 모였다. 그들은 어찌하고 있느냐?
 
산쟈야(Sanjaya) 드리 타라슈트라(Dhritarashtra) 왕의 마부.
올바름의 들(Dharma-kshetra) 다르마(dharma)는 매우 넓은 뜻을 가지는 말이다. 불법(佛法)이라 할 때의 법(法)은 그것을 뜻으로 옮긴 것이고, 달마대사(達磨大師)라 할 때의 달마(達磨)는 음으로 옮긴 것으로 영어로는 법(Law) 혹은 의무(duty)라 번역한다. 종교, 도덕에서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는 올바른 일이다.
쿠루 들(Kury-kshetra) 본래 이것이 그 지명, 델히(Deli) 부근의 넓은 평원, 옛날의 하스티나푸라(Hastinapura)이다. 지금 여기서 전쟁을 하게 되는 쿠루족(Kauravas)과 판두족(Pandavas)의 조상인 쿠루가 그곳을 개척하고는 그들을 쿠루 들이라 불렀다. 크쉐트라(Kshetra)는 들이라는 뜻과 행동의 무대, 거룩한 지역이라는 두 가지 뜻이 있다.「샤타파다 브라마나경」(Shatapatha Brahmana)에는 태고 시대부터 거룩한 희생을 드리던 지역으로 나타나 있고,「마하바라타」 (Mahabharata)에서는 타파크쉐트라(Tapah-Kshetra)라 해서 고행 (苦行)을 하던 곳으로 되어 있다.
인간의 몸은 선과 악의 영원한 대립의 전장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자유에의 문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죄에서 났으므로 죄의 밭이 된다. 그러기 때문에 쿠루 들이라 한다. 쿠루족은 악의 힘을 나타내는 것이고, 판두 족은 신의 힘을 나타낸다. 어떤 사람이 제 가슴속에 날마다 선악의 두 힘이 싸우고 있는 것을 경험하지 않을 수 있을까? — 간디
이 세계가 곧 올바름의 들, 도덕적 싸움의 전쟁터다. 결정적인 문제는 그 싸움이 날마다 시간마다 되어가고 있는 인간의 가슴속에 있다. 땅에서 하늘로, 고난에서 정신으로 올라가는 길은 다르마의 길에 있다. 이 세계는 다르마의 들이다. 성자의 훈련소다. 거기서는 거룩한 불길이 꺼질 날이 없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의 업(karma)을 다 치러 우리의 영(靈)을 닦 아낸다. — 라다크리슈난
「기타」는 역사적인 토론이 아니다. 그것은 형제들 사이의 싸움의 기록이 아니라 사람 속에 있는 두 성질, 곧 선과 악 사이의 싸움의 기록이다. 크리슈나는 우리의 안에 계시어서 언제나 맑은 양심에 속삭여주시는 이 이다. 一간디
「기타」의 목적은 이론을 가르치자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실행의 힘을 주자는 데에 있다. 생활 속에 가를 수 없이 있는 것을 우리는 이론으로써 갈라놓을 수 없다. 정치적 사회적 생활의 여러 가지 의무는 우리의 종교에 대해 일거리와 기회를 마련해준다. 다르마는 세속적인 번영과 정신적인 자유를 다 준다.「기타」는 인간의 내적 생활만을 생각하는 신비주의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의무나 생활 관계를 허망한 것이라고 물리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도리어 정신적 자유를 실현하는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다. 생명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온전히 영화(靈化)시키게 하기 위해서다.
전장을 ‘다르마의 들’ 혹은 ‘올바름의 들’이라고 한 것은, 거기 다마를 지켜주시는 주께서 사실로 와 계시기 때문이다. ‘올바름의 들, 곧 쿠루 들’ 이라는 말은 죽음에 의해서 생명의 법칙을 보여주는 말이다. 아르쥬나가 전장에서 보는 환상의 일면은 두려움의 하나님이다. 생명은 싸움이다. 악령에 대한 싸움이다. 창조의 과정은 서로 적대해서 서는 힘의 영원한 긴장 속에 있다. 그 충돌에 의해서 발전은 이루어지고 우주적 목적이 달성된다. 이 세계에는 불완전한 원소 곧 죄악과 비합리적인 것이 있다. 그것을 우리는 행동 곧 다르마에 의해서 변화시켜 아직은 이성(理性)에 대해 불투명한 그 원소를 뚫어 비치는 사상으로 만들어야 한다. 전쟁은 보응적인 심판인 동시에 또 하나의 훈련이다. 쿠루크쉐트라를 또 타파크쉐트라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전쟁은 벌인 동시에 또 인간의 정화이다. 하나님은 심판자요 또 구주다. 그는 파괴하면서 또 창조하신다. 그는 시바(Shiva)요 또 비슈누(Vishnu)다. ᅳ라다크리슈난
내 사람이란 생각은 아함카라(ahamkara) 때문이다. 그것이 악의 근본이다. 바로 그 이기심 때문에 쿠루족들은 권력을 탐하고 또한 지배하기를 좋아한다. — 라다크리슈난
 
 
산자야 말하기를
 
2. 무료다나 왕은 판두족의 무리가 전열(戦列)을 별여섬을 보고 그 스승에게로 나아가 말했습니다.
 
두료다나(Duryodhana) 드리타라슈트라 왕의 맏아들로 판다바스들이 쫓겨나 있는 동안 왕위에 올라 다스리고 있었는데 그들이 돌아오자 본래의 약속대로 영토를 돌려줄 것을 요구했으나 왕이 그것을 거절했고 화해시키려는 모든 노력들도 다 헛되이 되었으므로 판다바스들은 부득이 전쟁을 하게 됐다.
스승 아차랴(acarya), 경전의 뜻을 통달해서 남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여기 드로나(Drona) 스승은 양쪽 군대에 전쟁하는 법 특히 활쏘기를 가르쳤다.
 
3. 스승님, 저 판두족의 큰 군대를 보십시오. 당신의 어진 제자 드루파다의 아들이 지휘를 하고 있습니다.
드루파다(Drupada) 드라우파디(Draupadi)의 아버지이므로 판다바스들의 장인이요, 그의 아들 드리슈타줌나(Shrishtadyumna)는 판두군의 총사령이다.
 
4. 거기는 잘난 장수들, 전쟁에서 비마나 아르쥬나와 대등한 자리에 가는 유유다나, 비라타 그리고 큰 전차의 원수인 드루파다가 있습니다.
비마(Bhima) 판두군의 사실상의 총사령이다. 명의는 비록 드리슈타줌나가 가졌지만.
유유다나(Yuyudhana) 크리슈나의 전차를 모는 전사.
비라타(Virata) 마차(Matsya)국의 임금, 판다바스들이 변장하고 떠돌아다닌 때에 그들을 숨겨주고 보호했다.
원수 곧 마하라다(Maharatha)라는 칭호는 군인의 최고 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한번 싸움에 10만 활량들을 지휘할 수 있는 사람에게 준다.
 
5. 드리슈타케투, 체키타나, 카쉬라쟈, 준티보쟈, 푸투지트, 그리고 사람 중의 으뜸인 샤이뱌.
드리슈타케투(Shrishtaketu) 체디스(Chedis)의 왕.
체키타나(Chekitana) 판다바스의 위대한 전사.
카쉬라쟈(Kashiraja) 위대한 전사.
쿤티보쟈(Kuntibhoja) 푸투지트의 형. 판다바스의 세 사람, 곧 유디슈트라와 비마, 아르쥬나의 어머니인 준티(Kunti) 부인을 양녀로 삼았다.
푸루지트(Purujit) 푸루지트와 쿤티보쟈는 형제이지만 가끔 푸투지트 쿤티보쟈라 하여 동일인으로 다루기도 한다.
샤이뱌(Shaibya) 시비(Shibi)족의 족장이요 그 나라의 임금.
 
6. 강한 유다마뉴, 용감한 우타마우쟈, 그리고 또 수바드라의 아들, 드라우파디의 아들들, 그들은 다 큰 장수들입니다.
유다마뉴(Yudhamanyu) 위대한 전사.
우타마우쟈(Uttamauja) 위대한 전사.
수바드라(Subhadra) 아르쥬나의 둘째 부인, 아들은 아비마뉴(Abhimanyu)
드라우파디 다섯 판다바스에게서 각각 한 아들을 낳았다.
 
7. 두번 난 이 중의 가장 높으신 이여, 또 내 군대되 우두머리들, 곧 우리 중 가장 잘난 것들도 아셔야 합니다. 내가 그 이름들을 불러드릴 것입니다.
두번 난 이 중의 가장 높으신 이(dvijottama) 사람은 우선 자연의 아들로 나지만 참 사람이 되려면 다시 정신의 아들로 나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거기 있다. 자라 정신적으로 어른이 됐다 인정되면 그 표적으로 거룩한 실(sacred thread)을 받는다. 그것은 배꼽 줄을 의미한다.
 
8. 어르신부터 시작해서, 비슈마와 카르나와 싸움을 하면 언제나 이기는 크리파, 아슈바타만과 비카르나와 그리고 소마다 타의 아들.
어르신 드로나를 가리킴.
비슈마(Bhishma) 글자 그대로는 무섭다는 뜻. 일생 독신을 지키겠다는 무서운 맹세를 하고 자기의 배 다른 동생의 아들들과 또 그들의 아들을. 곧 판다바스와 카우라바스들을 길러낸 늙은 성자 장수이다.
카르나(Karna) 쿤티 부인이 결혼하기 전에 낳은, 판다바스 중 세 사람 유디슈트라, 비마, 아르쥬나와 배다른 형제가 된 사람.
크리파(Kripa) 드로나의 이종 사촌.
아슈바타만(Ashvattaman) 드로나의 아들.
비카르나(Vikarna) 두료다나의 동생.
소마다타(Somadatta) 바히카스여(Bahikas) 왕. 그 아들 이름은 소마다티(Somadatti)이다.
이 모든 이름들을 부른 것은 이것이 동족 사이의 싸움일 뿐 아니라 또 전인도의 싸움인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9. 그리고 그 밖에도 많은 용사들이 가지가지의 무기로 몸을 갖추고 싸움에 능숙한 사람들인데 이제 바야흐로 나를 위해 목숨을 바치려 하고 있습니다.
 
10. 비슈마가 이끌고 있는 우리의 이 군대는 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비마가 이끄는 저들의 저 군대는 한이 있습니다.
‘한이 없다’(aparyaptam)와 절 끝에 오는 ‘한이 있다’(paryaptam)를 라다크리슈난과 간디는 각각 다르게 번역하는데 (라다크리슈난은 unlimited, limited로 간디는 inadequate로 번역한다) 그러면 뜻이 서로 반대가 된다. 그 밖의 번역들도 역자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로 갈려 있다. 즉 어느 군대를 강하다고 어느 군대를 약하다고 보느냐가 서로 반대가 된다. 라다크리슈난같이 하면 카우라바스가 강하고 판다바스가 약한 것이 되고, 간디같이 하면 판다바스가 강하고 카우라바스가 약한 것이 된다. 그런데 그때의 사실로 하면 두료다나 편이 훨씬 강했으니 라다크리슈난 번역이 옳다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면 두료다나 왕이 자기 부하들보고 다음 절에서 하는 말, 주의해서 잘 지키라고 하는 말과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여간 뜻은 이렇게도 저렇게도 취할 수 있다. 한이 있다 한이 없다로도 할 수 있고, 부족하다 족하다로도, 당해낼 수 없다 당해낼 수 있다로도, 할 수 없다 할 수 있다로도 할 수 있다.
 
11.그러니 너희 모두는 다 제 자리에 굳게 서서 제 직분을 지켜 오직 비슈마를 지키라.
 
12.그의 기분을 돋우기 위해 쿠루족의 늙은이 곧 그의 영웅 적인 할아버지는 사자같이 크게 부르짖고 그의 소라나팔을 불었습니다.
쿠루족의 늙은이 비슈마를 가리킴.
 
13. 그러자 소라나팔과 큰 북과 심벌즈와 트럼펫이 일시에 울려 무서운 소리를 냈습니다.
 
14. 그때에 마다바와 판다바는 흰 말을 메운 큰 전차 위에 서서 그 하늘 나팔을 불었습니다.
마다바(Madhava) 크리 슈나를 가리 키 는 말.
판다바(Pandava) 곧 아르쥬나.
힌두교나 불교문헌에서는 언제나 전차는 정신·물리적 탈 물건을 의미한다. 그 말은 감각이고 고삐는 그것을 부림이지만 차부 곧 그것을 이 끌어가는 이는 영 혹은 자아 곧 아트만(atman)이다. 차부인 크리슈나는 우리 속에 계시는 영이시다. — 라다크리슈난
 
15.크리슈나는 그의 판차야냐를 불고, 아르쥬나는 그의 데바다타를 불고, 승냥의 밥집을 가지는 사나운 비바는 그의 큰 나팔 파운드라를 불었습니다.
판차야냐(panchajanya) 소라나팔의 일종.
데바다타(devadatta) 소라나팔의 일종.
파문드라(paundra) 큰 나팔.
이것은 싸움이 곧 붙을 것을 의미한다.
 
16. 쿤티의 아들 유디슈트라 왕은 그의 아난타비쟈야를 불고 나클라와 사하데바는 그들의 수호샤와 마니 무슈파카를 불고,
아난타비자야(anantavijaya) 소라나팔.
수호샤(sughosha) 소라나팔.
마식푸슈파카(manipushpaka) 소라나팔.
유디슈트라, 비마, 아르쥬나는 판두 왕외 첫째 왕비 준티 부인이 낳 은 아들들이고, 나쿨라(Nakula), 사하데바(Sahadeva)는 둘째 왕비 마드리(Madri)의 소생이다.
 
17. 큰 활을 쏘는 카쉬 왕과 큰 장수 쉬칸디와 드리슈타줌나와 비라타와 이길 자 없는 사차키.
카쉬(Kashi) 바라나시의 왕.
쉬칸디(Shikhandi) 위대한 전사.
사챠키(Satyaki) 유유다나.
 
18. 드라우파디의 아들 드루파다, 그리고 억센 팔 가진 수바드라의 아들, 이 모든 이들이 다 제 나팔을불었습니다. 오, 대왕이시여.
 
19. 그 넋을 잃게 하는 소리가 하늘 땅을 뒤흔들고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의 간담이 떨어지게 했습니다.
 
20. 그러자, 저 잔나비 기를 세우는 판두의 아들은 드리타라 슈트라의 아들들이 싸움의 진을 벌이고 서서 화살이 바야흐로 날려 하는 것을 보자 그 활을 든 다음,
잔나비 기 아르쥬나의 기에는 잔나비 신을 섬기는 하누만(Hanuman)의 형상이 그려 있다. 그것은 몸 바쳐 섬김, 정결, 용맹의 화신이다.
판두의 아들 아르쥬나.
 
21. 오, 대왕이시여, 그는 흐리쉬케샤를 향하여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 아츄타여, 내 차를 두 군대 사이에 세웁소서!”
흐리쉬케샤(Hrishikesha) 머리털 거슬린 주님이란 뜻, 곧 크리슈나.
아츄타(Acyuta) 움직임 없으심의 님이여 하는 뜻, 현재 차부로 있는 크리슈나.
그 밖에 크리슈나에 대한 이름으로 마두수다나(Madhusudana, 악마 마두를 죽 이시는 이), 아리수다나(Arisudana,대적을 죽이시는 이), 고빈다(Govinda, 목자, 혹은 깨달음을 주시는 이), 바수데바(Vasudeva, 바수스의 아들), 야다바(Yadava, 야두의 자손), 케샤바(Keshava, 아름다운 머리털을 가진 이), 마다바(라크슈미의 남편), 흐리쉬케샤(감각의 주), 쟈나르다나(인간 해방자)가 있다.
 
22. 그리하여 나로 하여금 싸움을 하려고 섰는 그 사람들을 볼 수 있게, 이 싸움에서 나는 누구와 싸워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하옵소서!
 
23. 나는 저 모진 마음 먹은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이 바라는 것을 성취해주려고 싸움에 열이 나서 모여 있는 저 사람들을 좀 똑똑히 보고 싶습니다.
싸움이 이제 붙으려는 바로 그날 아침 유디슈트라는 비슈마가 쌓아놓은 도저히 뚫고 들어갈 수 없는 진지를 보고 겁이 나서 떨며 아르쥬나를 보고 말했다. “이러한 군대에 맞서서 우리는 어떻게 승리를 얻을 수 있을까?” 아르쥬나는 그 형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옛날 시를 인용해서 대답했다. “승리를 바라는 사람이 대적을 정복하는 것은 힘이나 재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참과 자비와 경건과 덕으로야만 된다. 승리는 크리슈나가 있는 곳에야 있을 수 있다. 승리는 그의 한 속성이다. 또 마찬가지로 겸비도 그렇다.” 크리슈나는 아르쥬나를 보고 재계하고 두르가(Durga) 앞에 승리를 간구하라고 가르쳐주었다. 아르쥬나는 전차에서 내려 노래를 부르면서 여신을 찬양했다. 그 믿음을 가상히 여겨 여신은 아르쥬나를 축복해 주었다. “오, 판두의 아들아, 너는 네 대적을 즉시로 부술 것이다. 너는 나라야나(Narayana) 자신의 도움을 얻을 것이다.” 그렇지만 행동의 사람인 아르쥬나는 자기 할 일의 뜻을 미처 생각지 못했다. 그의 스승이 옆에 계심과 그 거룩한 생각이 그를 도와 그로 하여금 자기가 맞서 싸우려는 그 대적은 자기의 사랑하는 자요 거룩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했다. 그는 정의를 지키고 무법한 포악을 누르기 위해 사회의 유대를 끊어야만 했다. 하나님의 나라를 땅 위에 세우는 것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합작으로야 된다. 인간은 창조의 협력자다. — 라다크리슈난
 
24. 그렇게 구다케샤가 말하는 것을 듣고, 오 바라타시여, 흐리쉬케샤는 이 세상에 그 이상 없는 전차를 두 군대 사이에 세우고,
구다케샤(Gudakesha) 머리카락이 많으신 이. 아르쥬나를 가리킴.
바라타(Bharata) 드리타라슈트라불 가리킴.
 
25. 비슈마와 드로나와 모든 높은 이들 앞에서 말했습니다. “보십시오, 파르다여, 쿠루족들이 여기 모여 있습니다.”
파르다(Parth) 프리다 부인의 아들, 곧 아르쥬나.
 
26. 아르쥬나는 거기 양쪽의 아버지들과 할아버지들과 스승들과 백숙부들과 형제들, 아들들, 손자들, 동무들이 다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27. 그리고 장인들과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이 모든 사람들 이 줄을 지어 서 있는 것을 보았을 때,
 
28. 쿤티의 아들은 불쌍히 여기는 마음에 사로잡혀 슬픔으로 부르짖었습니다.
 
아르쥬나 말하기를
 
내 사람들이 진을 벌이고 서서 서로 싸우려는 것을 보았을 때, 오, 크리슈나여,
 
29. 내 사지는 맥이 풀리고, 입은 타 마르고, 몸서리치고 머리털이 곤두섰습니다.
 
30. 간디바는 내 손에서 떨어지고 내 살갗에는 불이 일고 몸을 버티고 섰을 수 없고, 내 마음은 비틀거렸습니다.
간디바(Gandiva) 인드라 신의 하늘에서 아르쥬나에게 선물로 내려준 활의 이름.
 
31. 불길한 징조가 내다뵈고 오, 케샤바여,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 친족과 싸움해 죽이고 좋은 일이 있을 수 없습니다.
케샤바(Keshava) 크리슈나를 가리킴.
‘징조’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아르쥬나의 정신이 약해지고 흔들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라다크리슈난
 
32. 크리슈나님, 나는 승리도 왕국도 쾌락도 다 원치 않습니다. 나라가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오, 크리슈나여, 즐거움인들 생명인들 무엇이겠습니까?
 
33. 우리가 권세를 원하는 것도, 향락과 쾌락을 원하는 것도 그들 때문인데, 그 사람들이 여기 생명과 재산을 내던지고 싸움을 하겠다고 섰습니다.
 
34. 스승들, 아버지들, 할아버지들, 아들들, 손자들까지 그리고 백숙부들, 장인들, 내외종형제들, 그 밖의 여러 친척들,
 
35. 그들을 내가 즉일 수는 없습니다, 차라리 내가 그들 손에 죽을지언정. 오, 마두를 멸하시는 이여, 삼계의 왕권을 준다해도 나는 못합니다. 하물며 이 티끌 세상의 나라를 위해서겠습니까?
마두를 열하시는 이 크리슈나.
삼계 「베다」에서 말하는 천계(天界), 지계(地界), 기계(氣界), 혹은 천계. 지계, 음부(陰府), 또 혹은 인계(人界), 신계(神界), 반신계(半神界).
 
36. 오, 쟈나르다나, 이들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을 죽이고 무슨 쾌락이 있을 수 있습니까? 그들이 비록 흉악범이기는 하더라도 그들을 죽인다면 우리는 오직 죄를 지을 뿐입니다.
쟈나르다나(Janardana) 크리슈나의 명칭의 하나, 사람을 괴롭히시는 이.
아르쥬나는 사회 일반적으로 하는 도덕이나 풍속에 따라 할 뿐이지 자기 개인적인 참에 대한 확신으로 하는 것이 못된다. 그는 이러한 외적도 덕의 상징을 죽이고 내적인 힘을 발휘해야 한다. 그가 혼의 지혜를 얻기 위해서는 이때까지 그의 인생을 지도해주었던 전날의 스승들을 죽여버려야 한다. 아르쥬나는 아직 유식한 이기주의(enlightened selfishness)의 테두리 안에서 말하고 있다.
우리 대적이 아무리 침략자라 하더라도 우리는 그를 죽여서는 아니된다. 죄를 앙가품하기 위해 또 하나의 죄를 지어서는 아니된다. “다른 사람의 노(怒)를 노하지 않음으로써 정복하라. 악을 행하는 자를 성스러움으로써 정복하라. 구두쇠를 선물로 정복하라. 그리고 거짓을 참으로 정복 하라.” — 라다크리슈난
 
37. 그러므로 우리의 친족인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을 죽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오, 마다바여, 우리가 제 친족들을 죽이면서 참말 어떻게 행복할 수 있습니까?
 
38. 비록 그들의 마음이 탐욕에 미치고, 가족을 멸망시키는 것이 잘못인 줄 모르고, 친구를 배반하는 것을 죄로 생각지 않았다 하더라도,
 
39. 어찌 우리가 이 죄에서 돌이킬 줄을 몰라서 되겠습니까? 오, 쟈나르다나, 가족을 파괴하는 것이 잘못임을 아는 이 우리가 말입니다.
아르쥬나가 걱정하는 것은 ‘한 가족’ 혹은 여러 가족의 멸망이 아니라 동족이 서로 죽임으로 인해 오는 ‘가족제도’의 멸망이다. 헨리 드럼먼드(Henry Drummond)는 “생리적으로 심리적으로 도덕적으로 가족이란 진화의 한 걸작이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세계의 도덕과 사회 발달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힘의 발전소요 저장의 보고이다. 가족은 몇 세기만이 아니라 수천 년을 살아온 것이다. 시간이 이것을 퇴색시키지 못했고 최근의 예술이 그 위에 개량을 더한 것도 없다. 그리고 어떤 천재도 이보다 더 아름다운 것을 발견하지 못했고, 어떤 종교도 이보다 더 성스러운 것을 찾아 내지 못했다.”
「기타」의 저자에게도 가족은 분명히 이러한 모든 것을 의미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하데브 데자이
 
40. 가족이 파괴되면 예로부터 항상 있어온 가족도덕이 없어지고, 그 도덕이 쇠퇴되면 가족의 전규범이 무법에 빠지게 됩니다.
전쟁은 우리를 가정환경에서 뺏아가버리고, 인간의 성숙된 의지와 경험의 짬인 사회 전통에서 우리를 뿌리뽑아버린다. — 라다크리슈난
 
41. 그리고 무법이 판을 치게 될 때, 오, 크리슈나여, 가족의 여자들은 타락하고, 여자가 타락되면 계급은 혼란에 빠집니다.
계급(varna) 보통 영어로 카스트(caste)라 하는 것. 후대에 와서는 그것이 너무 고정되어 사회 발달을 방해하게 됐고 피해가 많아서 간디도 그 제도 타파에 힘을 썼지만, 본래 그때 사회로서는 안전과 발전을 유지해가기 위한 가장 어진 제도로 알고 그것을 지켰다. 그러므로 지금에 와서 타락된 계급제도와「기타」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계급과의 사이에는 차이가 많다.
 
42. 이 혼란은 그 가족의 파괴자와 가족을 다 같이 지옥에 떨어뜨릴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조상의 혼은 떡과 물의 제사가 끊어짐으로써 망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떡과 물 제사를 말하는 것이다. 옛날 사람은 사람이 죽은 후에도 그 혼이 살아 있기 위해 먹을 것이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때때로 그것을 바쳤다. 그것이 제사다. 당시에 일반적으로 지켜졌던 의식이다.
 
43. 이 가족 파괴자들의 죄로 인해 바르나가 혼란에 빠져 부족 가족의 영원한 법이 사라져버리고 맙니다.
 
44. 우리는 전해오는 말을 듣습니다. 오, 쟈나르다나, 가족 도덕이 망해버린 집 사람은 지옥에 빠집니다.
 
45. 아, 왕권의 복락을 탐해서 동족을 죽이려고 했을 때 우리는 얼마나 큰 죄를 지으려고 결심한 것입니까?
 
46. 차라리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이 손에 무기를 들고 나를 전쟁마당에서 때려서 내가 아무 반항함도 없이 무기를 든 것도 없이 죽을 수 있다면 그것이 얼마나 더 행복한 일입니까?
 
산쟈야 말하기를
 
47. 그렇게 말하면서 아르쥬나는 전쟁마당에서 활과 살을 손에서 떨어뜨리고 전차 안에 주저앉아 슬픔에 빠졌습니다.
아르쥬나의 말은 고뇌와 사랑에서 나온다. 그의 마음은 두 세계의 경계선에 서 있다. 그는 태고부터 사람이 분투해온 것처럼 자기도 무엇을 해야 한다고 분투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그는 아직 자기가 무엇이며 자기 동료는 무엇이며 자기가 놓여 있는 이 우주의 참 성격은 무엇인지를 이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는 전쟁 때문에 오는 육체적 고통과 물질적 불행을 크게 걱정하고 있다. 인생의 주목적은 물질적 행복의 추구에 있지 않다. 우리는 생애의 마지막에 가까워질수록 거기 일어나는 늙음, 쇠약. 죽음, 이런 것 때문에 그 구경의 목적을 잃어버리기 쉽다. 이상을 위하고 정의와 사랑을 위해서는 우리는 압박자와 고통과 죽음에 직면하여 일어서지 않으면 아니된다. 아르쥬나는 전쟁의 턱 밑에 다가선 때에 용기를 잃고 세속적인 생각에 쓸려 전쟁을 회피 할 생각을 했다. 그는 아직도 제자나 스승, 친척은 그들 자체 때문에 소중한 것이 아니고 자아 때문에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아르쥬나는 아직도 스승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는 가르치기를 행동의 뿌리를 욕망에 두지 않는 살림을 해야 한다 하고, 니슈카마 카르마(nishkama-karma) 곧 욕망 없는 행동이란 것이 있다고 한다.
아르쥬나의 어려움은 영원히 반복되는 고난을 연극화해 생각하는 데 있다. 인간은 고상한 생활의 문턱에서 속세의 소란한 소리를 듣고 실망을 하게 되는 것이고, 그러면서도 환상이 떠나지 않고 매달려 있어 놓지 못하는 법이다. 그는 자기의 근본이 거룩한 조상에게서 나온 것을 잊고 자기 개체에 집착해서 서로 얼크러지는 세상 힘에 흔들리고 있다. 그는 정신세계에 눈이 뜨여 그로부터 자기에게 주어지는 의무를 받아들이기 전에 이기심, 어리석음의 대적과 싸우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리하여 자기중심의 에고(ego)의 깜깜한 무지를 정복해야 한다. 영성(靈性)을 떠난 인간은 그것을 도로 찾지 않으면 아니된다. 여기 그려진 것은 인간 영혼의 진화 모습이다. 거기는 시간 공간의 제한이 없다. 그 싸움은 인간의 혼속에서 시시각각으로 벌어진다. — 라다크리슈난
 
이것이「바가바드기타」라는「우파니샤드」(Upanishad), 절대의 학문, 요가의 경전, 크리슈나와 아르쥬나 사이의 대화의 제 1장, 아르쥬나의 고민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