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5

Give War and Peace a Chance: Tolstoyan Wisdom for Troubled Times: Kaufman, Andrew D.: 9781451644715: Amazon.com: Books

Give War and Peace a Chance: Tolstoyan Wisdom for Troubled Times: Kaufman, Andrew D.: 9781451644715: Amazon.com: Books











See all 3 images


Follow the Authors

Andrew D. Kaufman
+ Follow

Andrew Kaufman
+ Follow


Give War and Peace a Chance: Tolstoyan Wisdom for Troubled Times Paperback – February 10, 2015
by Andrew D. Kaufman (Author)
4.7 out of 5 stars 60 ratings






See all 6 formats and editions

Hardcover
AUD 28.57
38 Used from AUD 2.6710 New from AUD 20.442 Collectible from AUD 39.25
Paperback
AUD 25.17
19 Used from AUD 6.291 New from AUD 25.17













Read more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mation.









Customers who read this book also read
Page 1 of 2Page 1 of 2This shopping feature will continue to load items 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In order to navigate out of this carousel please use your heading shortcut key to navigate to the next or previous heading.
Back


War and Peace: With bonus material from Give War and Peace A Chance…

Leo Tolstoy
4.4 out of 5 stars 1,571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1.56

War And Peace: Penguin Classics

Leo Tolstoy
4.4 out of 5 stars 2,028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15.72

Crime and Punishment: A New Translation

Fyodor Dostoevsky
4.7 out of 5 stars 85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15.72

War and Peace (SparkNotes Literature Guide) (SparkNotes…

SparkNotes
5.0 out of 5 stars 7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7.06
Next



What digital items do customers buy after viewing this item?
This shopping feature will continue to load items 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In order to navigate out of this carousel please use your heading shortcut key to navigate to the next or previous heading.



War and Peace (Oxford World's Classics)

Leo Tolstoy
4.5 out of 5 stars 244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14.14

War and Peace (100 Page Summaries)

Leo Tolstoy
4.3 out of 5 stars 10
Kindle Edition1 offer from AUD 6.28

War and Peace

Leo Tolstoy
4.4 out of 5 stars 2,028
Audible Audiobook
AUD 0.00 Free with Audible trial






Editorial Reviews

Review
“Give War and Peace a Chance…is an enthusiastic primer to Tolstoy’s most famous work, which shows how genuinely exciting it can be to read.”, The Toronto Star

"That a novel 'full of clear, honest reflection on the pain of living' is also 'one of the most life-affirming works of fiction' becomes, for Andrew D. Kaufman, a contradiction worth exploring. He does so in this alluring study with a ferocity and lightness of touch that Tolstoy himself would have admired. By exploring a handful of key themes in War and Peace, Kaufman brings us back to the shimmering pages of a classic novel, and his book is nothing less than inspiring." -- Jay Parini, author of The Last Station

“If you come from a family, then you'll understand [War and Peace’s] deepest meaning, thanks to Mr. Kaufman's erudition and scholarship.”, The Pittsburgh Post-Gazette

"No other novel in world literature possesses the intimidating allure of Tolstoy’s War and Peace. It is the very Everest of fiction, and most readers need a sherpa. Andrew Kaufman has not only produced a perfect guide to the setting, characters, history, and background of this epic work, all skillfully interwoven with events in Tolstoy’s life; he has done so with zest and personality." -- Dana Gioia, former Chairman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and internationally acclaimed poet

“[Kaufman’s] argument is mischievously compelling: Why waste money on motivational tapes and seminars when this fictional account of the Napoleonic Wars provides greater salve for the soul?....An attaboy to Kaufman for reminding us of its relevance to our anxious century.”, The Miami Herald

"Andrew Kaufman has written the book on War and Peace for our time. In his colloquial and personal style he explores, as his subtitle puts it, Tolstoyan Wisdom For Troubled Times, recovering this wisdom not only from Tolstoy’s diaries, letters, and essays, but, more importantly yet, the text of the novel itself. This is quite simply the most engaging and thought-provoking book on Tolstoy I have ever read." -- Richard Gustafson, Columbia University, author of Leo Tolstoy: Resident and Stranger

“Once you have taken Kaufman’s well—informed yet unintimidating tour of the Russian classic, it will very likely move up to the top of your literary bucket list. Kaufman’s mission is to share the wonder and power of this ageless novel he so clearly reveres and to make the case for its continuing relevance in the 21st century. He succeeds admirably…. Even without ever having cracked the spine of the novel itself, readers will feel as if they have, coming to know its characters and their dreams, failures and destinies. [Kaufman] brings them to life with such affection that even the most flawed among them becomes someone we wish to know better.", Bookpage

"Andrew Kaufman has found a refreshingly informal way of reading (and re-reading) War and Peace, weaving the lives of the novel’s characters together with Tolstoy’s life and his own. By breaking all the critical rules, he manages to enter into the ever shifting and growing reality that Tolstoy sought to portray, producing an excellent ‘companion’ for new readers of the novel." -- Richard Pevear, best-selling, award-winning translator (with Larissa Volokhonsky) of War and Peace and Anna Karenina

“Kaufman looks to the novel for guidance, ‘not so much as a set of answers to life’s every challenge as an attitude toward living.’ [He] makes Tolstoy’s characters lively and palpable… [and Kaufman’s] enticing invitation may well persuade readers to finally dive into one of the world’s most acclaimed—and daunting—novels.”, Kirkus Reviews

“A serious, thoughtful inquiry into how literature can affect and change people's lives… Do give this fine, perceptive book a chance; it'll leave you more than ready to tackle Tolstoy's triumphant work.”, Shelf Awareness
About the Author
Andrew D. Kaufm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Russian literature scholar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is the author of Understanding Tolstoy and coauthor of Russian for Dummies. An award-winning teacher of Russi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he is a featured Tolstoy expert on Oprah.com and is frequently invited to discuss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television and radio programs.


Product details

Paperback: 304 pages
Publisher: Simon & Schuster; Reprint edition (February 10, 2015)
Language: English
ISBN-10: 145164471X
ISBN-13: 978-1451644715
Product Dimensions: 5.5 x 0.7 x 8.4 inches
Shipping Weight: 9.1 ounces (View shipping rates and policies)
Customer Reviews: 4.7 out of 5 stars60 customer ratings
Amazon Best Sellers Rank: #433,106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616 in General Books & Reading
#163 in Russian Literary Criticism
#2742 in Author Biographies


Would you like to tell us about a lower price?
If you are a seller for this product, would you like to suggest updates through seller support?




Videos




Videos for this product

1:14

Andrew D. Kaufman: What Are You Reading?
Simon&Schuster

Upload your video


More about the author
Visit Amazon's Andrew Kaufman Page

Follow
Discover books, learn about writers, read author blogs, and more.





Customer reviews
4.7 out of 5 stars
4.7 out of 5
60 customer ratings


5 star 76%
4 star 15%
3 star 9%
2 star 0% (0%)
0%
1 star 0% (0%)
0%

How does Amazon calculate star ratings?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Ad feedback



Read reviews that mention
war and peace peace a chance andrew kaufman give war read war tolstoyan wisdom professor kaufman years ago beautifully written troubled times tolstoy in his masterpiece nikolai rostov leo tolstoy russian literature reading this book wisdom for troubled along the way never read prince andrei courage to deathTOP 1000 REVIEWERVINE VOICE


Top international reviews

Dr T.
5.0 out of 5 stars A life changing read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May 24, 2014
Verified Purchase

I have always enjoyed Tolstoy but to find a readable accessible convincing analysis of why he is worth reading by an expert American academic the greatest treat in the world.

You do not need a breakdown of the book suffice it to say that students taught by Andrew Kaufman are the luckiest and most privileged people in the world because he analyses and explains and enlightens about this great writer and his search for truth the way in which he achieves this end the endless humanity of his characters how easy it is to identify with them is clear because of the clarity and readability of Kaufman's prose. If you have even been tempted to give Tolstoy and a chance this wonderful book could be the springboard you need Kaufman's enthusiasm is contagious!! He has read War and Peace 15 times and never tires of it because it always offers some new insight into the human condition. Not least his insights into Tolstoy the man and his life just enlivens and enriches the book. Do buy it and read it, you will never regret it I promise

Frances Twinn a bookworm from South London in her sixties!! This book merits five stars and then som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John D. CofieldTop Contributor: Fantasy Books

TOP 1000 REVIEWERVINE VOICE

5.0 out of 5 stars A Welcome Re-Introduction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7, 2014

Verified Purchase



War and Peace is a reading experience that I've tackled a few times in my life: going all the way through twice, and several other bouts of skipping and jumping and rereading here and there just to refresh my memories of certain passages. But I certainly never had the full "War and Peace" experience of deeply appreciating anywhere near enough of the beauty and depth of Tolstoy's great novel. I identified with young Nicolai and Petya Rostov, admired Andrei Bolkonsky, eventually came to respect Pierre Bezukhov, and fell in love with Natasha Rostov, but on the whole I felt overwhelmed by the massive brilliance of the book. Now Andrew Kaufman has provided the perfect guide for the perplexed but respectful War and Peace reader.



In contrast to his subject, Kaufman keeps things succinct. This book has twelve short chapters, each dealing with one aspect of Tolstoyan wisdom as found in War and Peace: Plans, Imagination, Courage, Truth, among others. Each chapter is between 15 to 20 pages, but all are rich in insight and wisdom. Kaufman describes how War and Peace's characters deal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gigantic historical movements in which they are caught up. While doing so he inspires his readers to recognize and evaluate how we ourselves deal with our own troubled times and lives. We also learn a lot about Tolstoy himself, so that this highly gifted but deeply troubled man, as well as his ever forbearing wife and family, comes back to life. Kaufman does the same thing for himself, providing little autobiographical snippets that show how important War and Peace has been in his own life and in the lives of his students, including some troubled youths at a correctional institute who found that Tolstoy has important things to say to them.



When I reread War and Peace (as I certainly will now that Kaufman has shown me so much) I will make sure to keep this book at my side as a guide and facilitator.

Read less

6 people found this helpful

-------------

Rickie A. McPeak

4.0 out of 5 stars One of my favorite Tolstoyan characters is Count Nikolai Rostov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13, 2015

Verified Purchase

I share Andy's passion for Tolstoy's masterwork, and I am indebted to both authors -- Leo Tolstoy for inspiring me to seek and confront truth, even when it makes me uncomfortable, and Andy Kaufman for making Tolstoy's writings accessible to a broader audience. In this insightful book, Andy notes that Tolstoy depicts life as a battle, full of unexpected, dynamic, and unique challenges for each human being. One of my favorite Tolstoyan characters is Count Nikolai Rostov, an impulsive young cavalry officer who, as Andy notes, feels more comfortable on the battlefield with his comrades than on the estate with his family. Count Leo Tolstoy, an artillery officer and veteran of the Crimean War, also valued and adeptly depicted camaraderie in the face of mortal danger during wartime. He, like his creation Nikolai, experienced difficulty returning from the battlefield and reintegrating into civil society. Both Tolstoy and Nikolai struggled mightily with the moral ambiguities of armed conflict. No doubt, veterans of the recent wars in Iraq and Afghanistan relate to Tolstoy's and Nikolai's appreciation of the community of combatants and to the challenges of returning home. Applying Tolstoyan wisdom and, by inference, world literature to current challenges is Andy Kaufman's lasting contribution.

5 people found this helpful

-------------

Caroline D.

5.0 out of 5 stars The motivation you need to get through War and Peac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6, 2016

Verified Purchase

This book was absolutely essential. I picked it up after hearing Professor Kaufman on a podcast and was so moved by his explanation of the characters and story that I was inspired to read War and Peace. Kaufman's own fascination and joy from the novel encouraged me to keep reading War and Peace even through the many hundreds of pages. The complexity and beauty that Kaufman describes in his book are absolutely to be found in Tolstoy's wonderful world. This book offers both the motivation and the necessary background to make reading War and Peace both approachable and irresistible. Five enthusiastic star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eileen stephens

5.0 out of 5 stars Russian Tea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7, 2014

Verified Purchase

Reading Give War and Peace A Chance is akin to having a series of visits from a learned friend who arrives in the afternoon to share cups of aromatic Russian tea and dark bread. The two of you compare your views of life with Tolstoy's insights as expressed in War and Peace. During each of the dozen visits (chapters) you focus on a different topic: Family, Courage, Success and so on. Your guest, author Andrew Kaufman, recalls personal experiences that relate to the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epic tale, inducing you to draw parallels from your own life. The points of the discussions are thoughtfully noted with page references to the well-regarded translation by Volokonsky.

My particular favorite discussions were the final three on Death, Perseverance and Truth. The deaths of Andrei and Petya, the imprisonment and "enlightenment" of Pierre and the domestic life of the mature Pierre form the hearts of these chapters, respectively. One of the truths that Tolstoy demonstrates, observes Mr. Kaufman, is that real stories never end--not neatly. There are always loose ends, political currents and, above all, new lives to continue the tale.

I was sorry to come to the end of our visits.

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

The ORIGINS OF NONVIOLENCe: Tolstoy and Gandhi in Their Historical Settings (9780271004143): Green, Martin: Books

Amazon.com: The ORIGINS OF NONVIOLENCe: Tolstoy and Gandhi in Their Historical Settings (9780271004143): Green, Martin: Books



This book describes the world-historical forces, acting on the periphery of the modern world—in Russia in the 19th century and India in the 20th century which developed the idea of nonviolence in Tolstoy and then in Gandhi. It was from Tolstoy that Gandhi first learned of this idea, but those world-historical forces acted upon and through both men. Tolstoy and Gandhi were at first agents of modern reform, in Russia and India. But then they became rebels against it and led a profound resistance—a resistance spiritually rooted in the traditionalism of myriad peasant villages.





Editorial Reviews

Review

“Green locates the parallel and juxtaposed careers of Tolstoy and Gandhi within the context of a modern world dominated by Anglo-Saxon imperialism. Green's book is not simply comparative dual biography, but a study of how the lives of two outsiders one Russian, the other Indian—were determined by the world of modern imperialism centering in 19th-century England. Their theories of nonviolence are highly pertinent for the contemporary world now living out the consequences of aggressive Western materialism. A well-written, thoughtful, balanced, and contextualized study.”



—Choice



Product details

Hardcover: 264 pages

Publisher: Penn State University Press (October 1, 1990)

Language: English

04너희가 ‘톨스토이’를 아느냐 박노자

[제498호]너희가 ‘톨스토이’를 아느냐 : 세계일반 : 세계 : 뉴스 : 한겨레21





너희가 ‘톨스토이’를 아느냐

제498호
등록 : 2004-02-26 00:00

병역거부와 반국가주의 주창한 철두철미 ‘급진파’… 그가 어떻게 조선 지성계의 스타가 되었을까






박노자/ 오슬로국립대 교수 ·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근대 초기 한국에서 서구 중심 세계 체제로의 정신적 편입의 한 중요한 통로는 ‘서구영웅 기리기였다. 공자나 맹자가 그 빛을 잃고 ‘나파륜’(拿巴倫·나폴레옹), ‘비사맥’(比斯麥·비스마르크) 등의 ‘제국주의의 영웅’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창간호(1908년 11월) 1면을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 모습으로 장식하고, <나폴레옹 대제(大帝)전(傳)>을 연재한 육당 최남선의 잡지 <소년>과 같은 서구 중심주의적 계몽주의의 매체 자본은 물론, 황제 고종도 곽종석(郭鍾錫)과 같은 굳건한 유림들로부터 “나폴레옹을 고대 중국의 무왕(武王)보다 더 용맹스럽게 여긴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서구 위주의 세계관에 일정 부분 포획되었다.



톨스토이 수용, 한가지 수수께끼



그럼에도 가끔 제국주의의 반대편에 선 소수의 서방인들이 세계적인 살육의 판도 속에서도 한국 지성인들의 주목을 받곤 했다. 대표적인 서방인으로 바로 현대의 평화주의와 반(反)국가주의의 원조로도 잘 알려진 러시아 문호 톨스토이였다. 1900년대 후반부터 시작돼 식민지 시기의 말기까지 이어진 톨스토이 붐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

한국에 톨스토이 소개의 매개가 된 메이지 말기의 일본의 경우처럼, 톨스토이의 가르침은 근대 미증유의 폭력성에 환멸과 절망을 느낀 이상주의적 젊은 지식인들에게 살육과 증오가 없는 ‘대안적인 근대’의 길을 보여주었다. 톨스토이가 보여준 길이 꼭 현실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약육강식’의 세계에 인도주의적 대안이 제시됐다는 것은 양심을 보유하는 지성인에게 반가운 일이었던 것이다. 

또한 불굴의 독립운동가 양기탁이 <신생>(新生)이라는 잡지의 창간호(1928년 10월)에 쓴 논설이 보여주듯, 제정 러시아의 부패와 폭정에 도전하여 박해와 비방을 감수하고 빈농들과 살기를 실천한 ‘안빈낙도의 지사(志士)’, ‘직언(直言)의 선비’의 이미지와 부합된 톨스토이의 인격은 유교적인 심성에 젖은 근대 초기의 지성인들에게 크게 어필하였다.

한국 지식인들은 유교와 불교, 묵가(墨家) 철학 등의 동아시아 사상에 대한 톨스토이의 존경의 태도에 감탄하기도 했다. 예컨대 <조양보>(朝陽報) 제10호(1906년 9월25일자)에서 톨스토이를 한국 언론 사상 최초로 소개한 한 개신 유림은, 그가 “맹자의 이상을 이룩하려는 세계 일류의 사상가이니 한국의 유림들도 자애 자중할 수 있다”고 했다. 스스로 나폴레옹이나 비스마르크처럼 되자는 것이 대다수 개화파의 소원이었지만 한국이 부득이하게 ‘먹히는’ 쪽에 속하는 약육강식의 정글에서, 이 ‘약육강식’을 부정하면서 동아시아에 대한 보기 드문 존경심을 가진 톨스토이의 가르침에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톨스토이 사상의 수용을 연구하자면 한 가지 수수께끼에 부딪히게 된다. 톨스토이의 저작 중 <기독교와 애국주의>(1894), <두개의 전쟁>(1898), <죽이지 말라>(1900), <러시아를 비롯한 기독교 민족들이 왜 곤궁에 빠졌는가?>(1907년 탈고) 등 말년의 논문들은 국가와 교회, 애국주의의 허상과 ‘문명’의 허망한 꿈, 과학의 권위 등을 이론적으로 부정할 뿐만 아니라 양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각자 군대나 학교, 교회 등의 살육·노예화·기만의 기구들을 등지고 살라는 실천적 요구를 담은 것이었다.




최남선(왼쪽)과 이광수(오른쪽)는 톨스토이가 지녔던 반국가주의 사상은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인격수양’ 측면에서 그를 추종했다.
100년 전의 톨스토이 저작물들을 읽어보면 많은 성역들이 이미 깨져버린 오늘에조차 그 탈(脫)근대주의적 과감함에 놀라게 된다. “유럽 정부들은 국회에서의 자유주의적 궤변이나 거리에서의 사회주의적 시위들을 엄청난 양보를 하는 척하면서 용납해도 병역 거부나 군비로 쓰일 세금의 납부 거부는 절대적으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영(靈)의 철학가’ 이미지만 만들다



병역 거부야말로 모든 지배의 폭력적인 성격을 노골화하는 피지배자 해방의 첩경이기 때문이다. 군사 존폐의 문제를 지배자들의 의지에 맡긴다면 전쟁이 더 끔찍해지지 끝날 리는 없다. 전쟁을 없애려면 지배자에 대한 공포나 지배자들이 제시하는 이득 몇푼 때문에 살인자들의 대오에 몸을 팔아 자신의 자유와 존엄성을 스스로 짓밟는 자들이 사회의 지탄을 받는 동시에, 모든 박해에도 불구하고 병역 거부의 길로 가는 사람들이 선각자의 대접을 받아야 한다!”(<평화 회의와 관련해서>·1899)

국가와 폭력을 ‘과도기의 필요악’으로 생각하는 100년 전의 ‘주류’ 사회주의자보다도 톨스토이가 훨씬 더 철저한 근대의 이단아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나폴레옹과 비스마르크 같은 군사주의적 ‘영웅’들이 ‘신민(新民)의 모범’ 대접을 받고 병역이 ‘국민의 신성한 의무’로 의식됐던 개화기나 일제 시대에, 어떻게 이와 같은 철두철미한 ‘급진파’ 톨스토이가 조선 지성계의 스타가 될 수 있었을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 톨스토이의 조선 초기 숭배자 중의 한 사람인 최남선의 사례를 들어보자. 

나폴레옹의 신봉자로서 <나폴레옹 격언집>까지 잡지 <청춘>(제8호·1917년 6월)에 실은 육당이 어떻게 톨스토이를 동시에 숭배할 수 있었을까? 
자본주의적 근대국가에 대한 육당의 시종일관적인 선망을 아는 사람이라면 톨스토이를 1908~10년에 ‘예수 이후의 최대 인격자’, ‘대선지자’(大先知者), 공자와 같은 ‘부자’(夫子)로 불렀던 그의 태도를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만, 톨스토이의 죽음에 대한 육당의 “톨스토이 선생을 곡(哭)함”(<소년>, 제9호·1910년 12월)이라는 일종의 톨스토이 평전을 읽어보면 최남선의 톨스토이관(觀)이 어느 정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남선이 본 톨스토이는 금욕적인 생활과 ‘원수까지 사랑하는 일’, 미신이 아닌 이성에 근거를 두는 ‘신봉’(信奉·신앙)을 예수처럼 가르쳐준 ‘종교인’이었다. 즉, 그의 탐욕·폭력 극복론은 현실적인 방안이 아닌 원론적인 종교적 이상이라는 것이 톨스토이 사상에 대한 육당의 근본적인 생각이었다.
 ‘영(靈)의 철학가 톨스토이’ 이미지를 만들려는 최남선은 병역 거부에 대한 톨스토이의 신념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는다. 일제의 대륙 침략을 어디까지나 불가피하고 필요한 것으로 보는 육당이었기에, 전쟁을 일으킨 러·일 양쪽 정부가 다 강도에 불과하다는 취지의 톨스토이 러일전쟁 반대의 서한(1904년 8월7일자로 일본의 사회주의자 기관 <평민신문>에 게재)도 이 글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친일적 성향의 신예 개화파가 톨스토이의 탈근대적 대안을 추상화·종교화해서 병역 거부·국가에 대한 불복종 호소와 같은 그의 정치·사회적인 핵심을 빼버린 것이다. 그리하여 <소년>과 같은 개화 잡지에서 나폴레옹의 ‘격언’과 톨스토이의 ‘교훈’이 옆자리에 나란히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근대 지상주의를 벗어나지 못하는 ‘온건’ 지성인들에 의해 종교화돼 ‘개인 수양의 이념’으로 탈바꿈돼버린 톨스토이주의의 비극…. 물론 톨스토이주의의 주된 ‘강령’으로 “군직(軍職)에 들어가지 말라”(즉, 병역 거부해라)는 것을 든(<개벽>, 제9호·1921) 진보적 천도교인 박달성(朴達成·1895~1934)과 같은 급진적 언론인이나, 지배계급을 ‘기생충’에 비유한 톨스토이의 노동중시론을 선호했던 1920년대 국내외의 조선 아나키스트 등은 사회·정치 사상가로서의 톨스토이를 스승으로 생각했지만, 
이광수와 같은 부류의 ‘주류’ 예속 부르주아층의 논객들에게 톨스토이주의는 다만 비정치적인 ‘인격 수양’ 또는 ‘개량된 기독교 윤리’에 불과했다. 그렇게 해서 그들은, 조선 지식인들에게 큰 호소력을 지닌 톨스토이의 대안 담론을 근대적 국가주의의 지배 담론에 종속시키려고 했다.



최남선과 이광수식 이해를 넘어



그들의 노력은 성공한 듯하다. 러시아 밖에서 톨스토이가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큰 권위를 지닌 나라들 중 하나인 한국에서 톨스토이 사상의 가장 핵심인 병역 거부와 국가주의에의 절대적 반대는 대다수 한국인들에게 생소한 이단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톨스토이의 문학작품들이 ‘교양인’에게 거의 필독으로 돼 있지만, 군대와 국가를 부정하는 그의 논문들을 읽은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최남선과 이광수식의 톨스토이 이해의 한계를 우리가 언제 넘을 수 있을 것인가? 21세기에 접어든 우리가 아직도 100년 전의 친일적인 근대주의자들이 만들어놓은 세계관의 경계선을 넘지 못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 참고 사이트 ]
1. 톨스토이의 주요 저서 디지털판(러먼)
http://www.lib.ru/LITRA/TOLSTOJ/
2. 톨스토이의 주요 저서 영역(英譯)의 디지털판
http://www.ccel.org/t/tolstoy/
3. 톨스토이 저서의 영문판과 여러 관련 영상들
http://www.selfknowledge.com/431au.htm
4. 톨스토이의 영문 전기와 일부 저서의 영문판
http://www.literatureclassics.com/authors/Tolstoy/
5. 톨스토이 학보(영문 학술지- 토론토대학교·캐나다)
http://www.utoronto.ca/tolstoy/







☞ ‘박노자의 세계와 한국’은 이번호로 마칩니다. 500호부터는 박노자 교수의 새 연재가 시작됩니다. 기대해 주십시오.

MODERN KOREA AND ITS OTHERS: Perceptions of the Neighbouring Countries and Korean Modernity | By Vladimir Tikhonov | Pacific Affairs

MODERN KOREA AND ITS OTHERS: Perceptions of the Neighbouring Countries and Korean Modernity | By Vladimir Tikhonov | Pacific Affairs



MODERN KOREA AND ITS OTHERS: Perceptions of the Neighbouring Countries and Korean Modernity | By Vladimir Tikhonov

Routledge Advances in Korean Studies, 33. London; New York: Routledge, 2016. xiv, 228 pp. US$160.00, cloth. ISBN 978-1-138-85552-6.



Vladimir Tikhonov, the Russian-Korean historian better known in South Korea as Bak No-ja, has published an engaging analysis of Korean perspectives on the country’s bordering countries in the roughly half-century before its 1945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is is ultimately a study of Korean nationalism, a topic endowed with plentiful scholarship, although not as much recently in English. Tikhonov’s work adds new insights by focusing on views on other nationalities and by drawing extensively from literary sources.



The book devotes two chapters each, in order, to Russia, China, and Japan, with the first chapter providing a general overview of often divergent perceptions that emerged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second chapter mining mostly novels for evidence of how such views developed in the colonial period. What results is a symmetrical argument: For each country, there emerged an initial “othering” process of establishing what Koreans, in developing their own sense of collective self, were not. This discursive formation was largely driven by concerns over imperialism, but was eventually joined by countervailing sentiments that regarded the neighbouring civilization in question as a model of (alternative) modernity, particularly as anti-colonial or anti-imperialist revolutionary movements came to prevail in Russia and China. Such fluid ambiguity, plurality, and variety, which the author characterizes as a mixture of “fears and desires” (182–183), are explained through plentiful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such as Koreans’ interaction with Russian emigres in Manchuria, or the disdain for Chinese migrants within Korea.



The second chapter then proceeds to examine certain themes in literary works, such as the problem of Korean-Japanese intermarriage during the wartime mobilization years of the late 1930s and early 1940s, or the sexualized demonization of Chinese merchants.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chapters in each couplet that draw considerably from non-fictional accounts like newspaper articles, these chapters present a rich tapestry of cultural and intellectual expression in this era and advance the book’s core argument that Korean nationalism, which reflected the striving for a “subaltern, peripheral modernity” (4) given the political circumstances, resulted not only from internal traditions, realities, and constructs, but also from the formulation of a collective identity in relation to external groups. This is certainly not new, but Tikhonov draws from novel sources and suggests that these ideological formations regarding Korea’s neighbours had a much more substantial and enduring impact than what is commonly acknowledged. Both of these strengths, however, can also present pitfalls, or at least further questioning and concerns.



First, this book’s ample analysis of literature does not constitute literary analysis. The stories are mined by a historian for historical purposes, so there is no interpretive deconstruction, and little coverage of characters, narrative devices, symbolic gestures, etc. within the works’ internal dynamics. To be sure, Tikhonov’s overriding goal is to demonstrate how fictionalized depictions reflected and helped to construct Korean perspectives on neighbouring peoples and societies. The challenge remains, though, of providing more than a survey of various expressions, but to demonstrate prevailing or common sentiments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time. It is uncertain how well the author follows his own caveats about literature’s limitations as historical sources (153), and it would take a specialist to provide a more definitive evaluation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works that Tikhonov examines.



More manageable is to locate Tikhonov’s study in the historiography of Korea’s ideolog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is period. As noted above, Korean nationalism, in regard to the outside world, has enjoyed plentiful scholarly attention, but most of this has focused, understandably, on Japan, as well as on China, particularly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interactions with the Chinese republican and communist movements. Tikhonov, however, emphasizes the impact of Chinese migrant communities on Koreans’ views. For Japan, this book does not add significantly to the proliferation of studies on colonial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even on the theme of ethnic intermarriage. One can also suggest that, given the realities of colonial rule, it is nearly impossible to treat views on Japan as a comparable topic to those of China and Russia.



When it comes to Russia, however, this book’s contributions are on very solid ground, at least in the English-language scholarship. The author’s access to Russian sources, including influential literary works, provide a revelatory analysis of Russia’s wide-ranging cultural impact in Korea at the time—as a source and model for a semi-western, albeit alternative, path to modernity, and as a target of phobias for communism that gradually enveloped the state-dominated colonial cultural sphere, an ideological construct that very well could have fueled enmity, in some quarters, toward the Soviet Union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Indeed a consciousness of the post-colonial developments looms over the book. The problem is that the accumulated Korean perspectives on the neighbouring “other,” given their variety, could just as well have worked against the particular manifestations of nationalism that came to prevail in the two Koreas—from Juche, the anti-Japanese backlash, and anti-Chinese chauvinism to pro-Russian and pro-Chinese revolutionism, racist opposition to intermarriage, or sexual subservience under imperialism. In other words, an inescapable but justifiable teleology pervades the author’s coverage, though this appears explicitly in only the final sentences of chapters and in the book’s Conclusion, when Tikhonov considers historical legacies all the way to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n any case, despite the proliferation of parenthetical notes (ostensibly a mixture of the social science and history styles, with minimal footnotes), which to some readers will be distracting, this book is highly readable, providing a thorough and textured intellectual history, with du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context always at the forefront of the author’s concerns. It also offers an enlightening introduction to both well-known and more obscure authors and their works. These are some of the many qualities that make this book highly recommended.



Kyung Moon Hwa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USA



pp. 372-374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 - 한중일 승려들의 임종게 박노자,에를링 키텔센

알라딘: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 - 한중일 승려들의 임종게
박노자,에를링 키텔센 (지은이)책과함께2013-06-25


















































8.0100자평(0)리뷰(1)

271쪽
145*215mm
495g
책소개
한국과 중국, 일본 승려들의 임종게 60편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임종게를 풀이한 사람은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역사학자 박노자, 한 편의 임종게를 두고 함께 대담을 나눈 사람은 노르웨이 시인 에를링 키텔센이다. 두 사람이 각 편의 임종게를 두고 함께 대담을 나누었다.

선사들이 ‘나’와 ‘만물’을 상대화시키는 데 성공한 그 순간의 희열로 쓰는 오도송(悟道頌), 또 죽는 순간에 이해되는 ‘나’와 ‘세계’의 진상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남기는 임종게(臨終偈), 이 작품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복종을 전제로 하는 사후 안락의 세계관이 아니라 나와 만물의 상대화를 통해 삶과 죽음을 긍정하라는 것이다. 덧붙여 임종의 순간 발휘하는 놀라운 타자 지향성이야말로 죽는 사람의 인생 전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임을, 그리하여 “잘 죽으시기 바랍니다!”라는 인사가 얼마나 복된 축사인가를 말하고자 한다.


목차


추천글 신비화를 넘어 대화의 장을 열다 ─ 박성배
추천글 삶의 근본을 뒤흔드는 지혜의 경책에 대한 탐구 ─ 김환수

머리말 “잘 죽으시기 바랍니다!”

1 요람 줄을 끊다 ─ 혹암 사체(或庵師體)
2 커다란 고요함, 열반의 문 ─ 진각 혜심(眞覺慧諶)
3 수중에 겨우 지팡이 하나 ─ 원감 충지(圓鑑沖止)
4 이제서야 바로 섰다 ─ 무문 원선(無文元選)
5 죽음은 빈 하늘로 가는 달 ─ 무문 원선(無文元選)
6 벼락도 오히려 느리다 ─ 남포 소명(南浦紹明)
7 하늘엔 둥근 달만 ─ 오석 세우(烏石世愚)
8 불 속에서도 시원하오 ─ 쾌천 소희(快川紹喜)
9 산짐승이나 먹이게 ─ 고한 희언(孤閑熙彦)
10 알맹이를 전해주지 않았네 ─ 원이 변원(圓爾辨圓)
11 한평생 속였으니 ─ 퇴옹 성철(退翁性徹)
12 백억의 털끝마다 ─ 무학 조원(無學祖元)
13 다 보여주고 ─ 대우 양관(大愚良寬)
14 오호, 맙소사 ─ 몽창 소석(夢窓疎石)
15 허공에 입을 맞추다 ─ 종봉 묘초(宗峰妙超)더보기



추천글

박노자 교수의 임종게 해설은, 종래의 불교계에서 감히 뛰어넘지 못하던 고질적인 벽들을 과감하게 뛰어넘는 혁신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의 말투는 생각나는 대로 적어 내려가는 수필식이지만, 그의 생각은 항상 도전적이다. 첫째, 그는 임종게를 신비화하지 않는다. 그동안 불교계에서 쏟아져 나온 무수한 오도송이나 임종게를 한마디로 후려쳐버리는 도전적인 태도를 뚜렷하게 나타낸다. 원래 선사들이란 그런 일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둘째로 그는 항상 죽음 자체를 신비화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거기서 생의 의미를 찾는다. 소홀히 넘겨서는 안 되는 중요한 대목이다.

- 박성배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부룩캠퍼스 불교학과 교수)

책을 읽으며 두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하나는 우주 종교를 제안한 아인슈타인의 이야기다. “나의 영원은 지금 여기 이 순간, 나의 우주는 지금 여기, 나 자신 우주의 태어남과 죽음, 영원의 태어남과 죽음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다른 하나는 《화엄경》 이야기다. “우주 생명의 바다 위에 나라는 한 인간의 물결이 일고 가라앉네. 물결이 일고 가라앉음은 생명바다의 일상이네, 태어남은 무엇인가? 물결이 일어남이네. 죽음은 무엇인가? 물결이 가라앉음이네. 삶은 무엇인가? 물결이 일어나고 가라앉음이네. 내일과 죽음에 대한 최고의 준비는 무엇인가? 자비의 마음으로 현재를 온전히 사는 것이네.” 지금 순간에서 영원을, 지금 여기에서 우주를 살아간, 그리하여 삶과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 그들의 죽는 순간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것은 참으로 의미 있고 유쾌한 일이다. 일독을 권한다.

- 도법 (조계종 화쟁위원장)

이 책 속엔 저자 자신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고민이 절실히 묻어나 있다. 자칫 우리와 차원이 다르게만 느껴지는 수행자들의 임종게에 저자는 비판적이면서도 인간적인 시각으로 접근한다. 또한 저자는 임종게를 자본주의 현실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타자를 배제하는 척박한 우리의 삶을 근본부터 뒤흔드는 지혜의 경책(警策)으로 제시한다. 단순하게 한 번 훑어보고 말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언제든 내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놓일 것이다.

- 김환수 (듀크대학교 종교학과/동양학과 교수, 《Empire of the Dharma》 저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3년 7월 1일 교양 잠깐독서



저자 및 역자소개
박노자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한국 고대사와 불교사 등을 연구했고 지금은 근대사, 특히 공산주의 운동사에 몰입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당신들의 대한민국』(1·2) 『우승열패의 신화』 『주식회사 대한민국』 등이 있다.


최근작 : <전환의 시대>,<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러시아 혁명사 강의 (리커버 에디션)> … 총 87종 (모두보기)
인터뷰 : 이중의 타자, 박노자 교수와의 e-만남 - 2002.07.31

에를링 키텔센 (Erling Kittelsen)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노르웨이 시인. 2004년에 김남주의 시를 포함한 한국의 시들을 모아 ≪한국명시집≫을 출간했으며, 그 밖에 비서구권 시 작품을 다수 번역했다. 2002년에 스웨덴과 노르웨이 문학상인 도블로(Dobloug)상을 수상했으며, 2006년에 ‘서울국제문학포럼’ 참석차 방한한 바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1. 기획 의도

“삼천대천의 우주를 깨부수고, 산 채 황천에 가리라”

복종을 전제로 하는 사후 안락의 세계관을 넘어
나와 만물의 상대화를 통해 삶과 죽음을 긍정하다

한국과 중국, 일본 승려들의 임종게 60편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임종게들을 풀이한 사람은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역사학자 박노자, 한 편의 임종게를 두고 함께 대담을 나눈 사람은 노르웨이 시인 에를링 키텔센이다. 동아시아 선사들의 임종게가 한국을 비롯해 비서구권의 시 작품을 번역해온 시인과 오슬로 대학의 동아시아학 및 한국학 교수를 만나게 해준 것이다.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부제: 한중일 승려들의 임종게)는 두 사람이 노르웨이어로 펴낸 임종게 모음집 ≪Diamantfjellene(금강산)≫의 번역본이다.

박노자는 동아시아학을 전공한 관계로 임종게들을 불교 전통 속에서 그리고 오늘날 한국 사회의 맥락 속에서 해석하려 했고, 에를링 키텔센은 스칸디나비아 신화 등 자국 문화를 이용해서 임종게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했다. 변화무쌍한 세상의 고통 속에서 이고득락(離苦得樂)한 인간이 남들에게 자비를 베푸는 그 체질적 무의식에 어떤 이론적 근거를 대려고 하는 인간의 본원적 마음을 불교라고 폭넓게 바라본다면, 이러한 시도는 낯설지만 유의미하다. 불교적 시구를 이질적인 맥락 속에서 풀이함으로써 그 전복적 성격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며, 제자들과의 대화 일부분인 임종게들을 독백이 아닌 대화로 풀어냄으로써 상대적인 깨달음의 언어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인과 불교학도가 함께 선별해서 주석한 뒤에 낭송하던 임종게들이 고향으로 돌아와 새롭게 읽어줄 독자들을 기다린다. 선사들이 ‘나’와 ‘만물’을 상대화시키는 데 성공한 그 순간의 희열로 쓰는 오도송(悟道頌), 또 죽는 순간에 이해되는 ‘나’와 ‘세계’의 진상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남기는 임종게(臨終偈), 이 작품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복종을 전제로 하는 사후 안락의 세계관이 아니라 나와 만물의 상대화를 통해 삶과 죽음을 긍정하라는 것이다. 덧붙여 임종의 순간 발휘하는 놀라운 타자 지향성이야말로 죽는 사람의 인생 전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임을, 그리하여 “잘 죽으시기 바랍니다!”라는 인사가 얼마나 복된 축사인가를 말하고자 한다.

2. 내용과 특징

임종하는 선사가 베푸는 마지막 자비심, 임종게

선사들은 오도송(悟道頌)이나 임종게(臨終偈)를 통해 삶과 죽음의 의미를 완성하고 아무런 집착 없이 세상을 떠나는 순간의 깨달음을 사람들에게 전했다. 한중일 선사들의 임종게 60편을 모은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에는 ‘나’와 ‘만물’을 상대화하는 데 성공한 순간의 희열로 가득하다. 그리하여 세계에 대한 고정관념의 전복, ‘나’와 ‘세계’의 상대화를 통한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의 해방을 노래한다. 눈이 이마까지 덮을 정도로 내리는 가운데 참선을 하면서도 흔들림이 없었던 혜심 스님은 죽기 직전에 쓴 시를 통해 죽음을 '고통이 없는 열반의 커다란 고요함'으로 받아들인다. 또한 기근과 전화로 어렵고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다간 세우 스님은 언젠가 생사의 고통을 끝낼 수 있다는 희망을 '하늘에 뜬 둥근 달'로 표현했다. 이처럼 선사들의 임종게는 '최후의 설법' 역할을 했다. 나아가 한 편의 문학작품처럼 전복적인 표현으로 가득한 임종게들도 있다. “나무 사람 고개에서 옥피리 부니, 돌여자가 시냇가서 춤을 추노라”(향곡 혜림), “나이 마흔여덟에, 성인도 범인도 모조리 죽였네. 영웅이라서 아니고”(도솔 종열), “이제는 모든 걸 떨쳐버려 삼천대천의 우주를 깨부수네. 어허, 이제 온몸으로 구할 것 없으니 산 채 황천에 가리라”(도원)에서처럼 도발적이며 자극적인 글들을 통해 '깨침'을 더 빨리 이루게 하는 마지막 ‘사자후’가 곧 임종게다. 또한 생의 한계를 벗어난 선사들의 임종게는 삶과 죽음의 순환 속에서 한 개체의 자리가 얼마나 미미한지를 보여준다. “강법에 잘못과 실수가 많아, 서쪽을 가리키는데 도리어 동쪽을 향한다”(호암 체정), “아무것도 해놓은 것 없거니, 임종게를 남길 이유가 없네”(원오 극근), “육십삼 년 동안 한마디 설법도 안 했었네”(경당 각원) 등에서 죽음을 앞둔 사랑의 교훈을 깨달을 수 있다. 죽음을 앞둔 마지막 순간에 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원, 공(空)을 직시할 용기를 주는 것보다 더한 자비심은 없을 것이다.

“잘 죽으시기 바랍니다” 인사를 보내는 박노자

박노자 교수는 한국에 대한 애정과 약자에 대한 부채의식을 가지고 더 나은 한국 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자 활발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아울러 근현대 불교사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인물과 사상≫ 등에 불교 관련 글을 다수 연재하기도 했다. 이 책은 승려들이 죽어가는 순간에 궁극적 진리를 전달한 임종게에서 진정한 진보적 심성, 곧 ‘자비심’을 발견하고 그 국역 및 해설 작업에 몰두한 결과물이다. 그가 선불교의 죽음관에 매력을 느끼게 된 것은 그것이 '복종을 전제로 하는 사후 안락'의 세계관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삶과 죽음의 상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책에 수록된 57인의 선사들은, 삶은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이고 죽음은 삶의 유기적 일부분임을 깨닫고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 해방되는 경지를 보여준다.

박노자 교수가 보기에 이러한 경지는 선불교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신비주의자들이 그러했고 인류의 해방을 도모하려 했던 근현대의 혁명가들도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 자신을 매우 성공적으로 해방시켰다. 이타적인 동기를 강하게 지니고 있는 그들이야말로 달리 보면 선불교에서 다소 소홀히 다뤄지는 자비심이라는 원시불교적 덕목을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고 본다. 그리하여 박노자 교수의 임종게 해설은 선사들 각각의 삶을 깊숙이 들여다본다. 한 편의 임종게만이 아니라, 그들이 남긴 삶의 궤적을 하나의 작품으로 분석한다. 전란의 시대에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국가의 부름에 어떠한 응답을 했는지, 깨달음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등을 통해 임종게를 신비화하지 않고, 임종게 또한 전복시키는 도전적 태도를 보인다. 원래 선사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한중일 불교 수행자들이 남겨놓은 임종게 풀이를 통해 박노자 교수는 삶을 냉철하게 되돌아볼 것을 제안한다. 임종게 한 편 한 편에 대한 그의 글들은 자본주의 현실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타자를 배제하는 척박한 우리 삶을 뒤흔드는 지혜의 경책이 되어줄 것이다.

시인이 건져 올린 임종게의 화두들

“인생은 진리를 향한 여행이고, 특정 종교의 가르침이나 신앙 시설 따위는 그 길에 서 있는 여관이다. 여관에서 잠시 머물 수야 있지만, 여관이 우리 길의 종점이 아님을 잘 기억해야 한다.” 불자(佛子)가 아닌 노르웨이 시인 에를링 키텔센이 동양의 승려들이 남긴 임종게를 읽고 찾아낸 화두들은 다양하다. 중생의 최강 무기인 ‘진정성’, 결말을 향한 삶(‘욕망’)의 고통 등을 시인의 언어로 풀이한다. 또한 북유럽 신들의 이야기는 시인의 세계관을 전하는 주요한 매개체이다. 에시르라는 신들이 다른 창세의 신인 요툰 신 등을 없애려 해도 세계의 뿌리에 속하는 그들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는 스칸디나비아 신화를 통해 그만큼 전체를 위해 타자의 존재가 핵심적이며 서로 숙명적으로 묶여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에다≫ 신화에 등장하는 헤임달이라는 초소병 노릇을 하는 신처럼, 현실을 살아가면서 하늘의 관문을 뚫고 지축을 뒤집는 지혜에 귀를 기울여야만 생명을 지속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시인이 마지막으로 전하는 삶의 비의는 단순하다. “마지막 날도 다른 날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정신이 만들 수 있는 모든 기적에 열려 있다……. 바랄 게 별로 없는 사람들은 낭떠러지를 향해서도 흔쾌히 한 걸음씩 나아간다. 끊임없이 굴러가는 운명의 바퀴와 함께 훨씬 더 쉽게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하여 시인도 임종게 한 편을 전한다. “죽음이란 그저 작은 일일 뿐임을 알게 됨으로써 누군가는 계속 살고, 누군가는 가까스로 살아남고, 누군가는 다시 시작한다.”

불교학도라는 겸손의 표현으로 박노자 교수가 시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이유는, 그가 정신적 통찰과 더불어 평범한 삶의 지혜를 전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진짜 마음’이니 하는 표현이 무의미하지 않은가 하는 질문에 시인은 “‘진짜 마음’의 더 적절한 표현을 찾으려고 노력하거나, 그 의미를 받아들여야 한다. 현실에 대한 욕망 등을 끊고 잠시나마 ‘진짜 마음’만을 직시할 수 있다면, 아직 우리에게 희망이 있다.”라고 답한다.
접기






인문책시렁 48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

박노자·에를링 키텔센

책과함께

2013.6.25.







그 ‘길’이란 죽음을 두려워하지도 기뻐하지도 않는, 이미 가라앉은 마음속에 있지 않은가? (39쪽)




스님으로서 받아야 할 존경을 받기가 하도 싫어서 그랬단다. 비천한 일을 찾아 도맡아 하고, 비천한 옷을 입고, 비천한 음식을 먹고, 막노동꾼으로 살고……. 그는 ‘권위’를 갖게 될 것 같아 늘 도망 다녔다. (63쪽)




그의 장기는 시 외에 아이들과 숨바꼭질을 하는 것이었다. (79쪽)




손을 무릎에 얹어놓고 가만히 있으면서 계속 올라갈 수도 있다. 거리를 두지 않고, 그러고는 가지도 않고 계속 머물지도 않는 그 뭔가를 마음에 늘 간직하면 된다. 빛을 설명해 주는 것은 바로 그 그림자다. (136쪽)




한국에서 제2의 카프카가 태어난다 해도 ‘명문대’ 간판이 없는 한 그의 소설을 실어 줄 잡지조차 찾기 힘들 것이다. 그런데 궁극의 지점, 즉 죽음의 문턱에 가면 이 모든 간판이 다 우습게 보이지 않겠는가? (167쪽)







한국말에 ‘중·스님’ 두 가지가 있습니다. 불교라는 길을 가는 사람을 수수하게 가리킬 적에는 ‘중’이요, 중이라는 삶길을 슬기롭거나 사랑스레 가는구나 싶으면 ‘스님’이라 해요. ‘스님’은 때로는 달리 쓰기도 합니다. 슬기롭거나 사랑스러운 중뿐 아니라, 우리한테 삶길을 새롭거나 슬기롭거나 사랑스레 밝혀 주는 스승이 될 만한 분한테도 이 이름 스님을 씁니다.




한국말 ‘중·스님’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알기는 만만하지 않습니다만, 다른 길을 새롭게 가면서 깊이 배우고 넓게 깨달아 아름다운 사람이 되려는 마음을 이러한 낱말에 담았지 싶어요. 불교라는 틀을 넘어 목사나 신부 같은 믿음길을 걷는 사람도 어느 모로 보면 ‘중·스님’일 수 있습니다.




예부터 시골사람은 불교나 천주교나 개신교 같은 이름을 따지기보다는, 믿음길을 가니 다들 ‘중’이요, 믿음길이 깊거나 넓으니 모두 ‘스님’으로 여겨 버릇합니다. 아마 어려운 말이나 경전은 알 수 없지만, 됨됨이와 매무새와 몸짓과 말씨를 살펴서 서로 마주하려 했지 싶습니다.




《모든 것을 사랑하며 간다》(박노자·에를링 키텔센, 책과함께, 2013)라는 책은 믿음길을 배움길로 삼아서 삶길로 다스리려 한 옛어른 가운데 불교라는 자리에서 슬기로운 말씀과 몸짓을 남긴 분들 이야기를 갈무리합니다.




어느 스님(또는 스승)은 말과 책을 남기고, 어느 스님(또는 스승)은 아이들하고 놀거나 흙일이나 막일을 하는 몸짓을 남겼다고 해요. 삶을 배우려고 삶길을 걷다가 깨달아 말이나 몸짓을 남깁니다. 삶길에 배운 아름다운 이야기를 수수한 살림살이에 녹여내어 여느 수수한 이웃한테 부드럽고 쉽게 들려줍니다.




깨달으려는 길이란 스스로 배우려는 길이면서, 스스로 기쁘게 배워서 이웃하고 널리 나누려는 길이겠지요. 그러니 깨달은 스님(또는 스승)은 아이들하고 해맑게 뛰놀 줄 아는구나 싶습니다. 아이들하고 놀 줄 아는 마음, 아이들이 신나게 뛰놀도록 이끌 줄 아는 몸짓, 스스로 아이로 살아가는 어른인 하루, 이러한 나날을 오늘 우리도 즐겁게 누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접기
숲노래 2018-11-12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