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30

Epistles from Quaker groups from around the world –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Epistles from Quaker groups from around the world –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Epistles from Quaker groups from around the world


FWCC is pleased to post Epistles we receive.

An Epistle articulates a collective sense of experience and how God has moved among Friends during a gathering, be it a yearly meeting session or an FWCC Section meeting, or a Young Friends gathering. It is approved by that group during a meeting for business. It is typically shared with yearly meetings so that they might read some of them out in meeting or publish some for people to read. It was historically, and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way for Friends and others to learn about each other in that which is eternal. They help us appreciate that we are part of a world family of Friends.

Epistles have potentia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mong Friends, and in this light, we ask that you read Epistles with an open mind and heart.

Please note that each meeting writes its own Epistle, and we do not alter or edit them; Friends with concerns are encouraged to address those directly to the sending meeting.

Here you will find the most recent epistles FWCC has received from each gathering. To read previous epistles, please check the archive.

If your Epistle doesn’t appear here, please send it to FWCC by email.

World Plenary Meeting Epistle 2016 English (19-27 January 2016)
Epístola de la Reunión Plenaria Mundial 2016 Español (19-27 de enero de 2016)
Most Recent Epistles Received

2020

Alaska Friends Conference (30 July – 2 August) (.pdf, 109kb)
Aotearoa New Zealand YM – Te Hāhi Tūhauwiri (.pdf, 2265kb)
Australia YM (4-10 July) (.pdf, 288kb)
Junior Young Friends’ Epistle (.pdf, 364kb)
Children’s Epistle (.pdf, 232kb)
Australia YM Responds to Messages of Concern Following Bushfires (22 January) (.pdf, 177kb)

Baltimore YM (27 July – 3 August) (.pdf, 206kb)
Britain YM (15 November) (.pdf, 55kb)
Canadian YM (8-13 August) (.pdf, 157kb)
Cuba YM (23 February) (bilingual/bilingüe English/español)
Europe & Middle East Young Friends Summer Gathering (19-26 July) (html)
FWCC Central Executive Committee (11-15 June) (.pdf, 93kb)
German YM (23-25 October) Deutsch (.pdf, 48kb) / English (.pdf, 18kb) / français (.pdf, 24kb)
Illinois YM (17-21 June) (.pdf, 172kb)
Indiana YM (23-25 July) (.pdf, 124kb)
Iowa YM (Conservative) (24-26 July) (.pdf, 187kb)
Lake Erie YM (30 July – 2 August) (.pdf, 75kb)
Monteverde Monthly Meeting (May) (.pdf, 224kb)
Netherlands YM (3 October) (.pdf, 128kb)
New England YM (1-9 August) English (.pdf, 269kb) / español (.pdf, 99kb)
New York YM (19-31 July) (.pdf, 100kb)
North Carolina YM (Conservative) (8-12 July) (.pdf, 589kb)
Ohio YM (3-8 August) (.pdf, 108kb)
Ohio Valley YM (17-21 June) (.pdf, 51kb)
Pacific YM (10-15 July) (.pdf, 93kb)
Piedmont Friends YM (24-26 July) (.pdf, 70kb)
Poland – All-Poland Gathering (14 November) English (.pdf, 18kb) / Polski (.pdf, 18kb)
South Central YM (24-27 September) (.pdf, 112kb)
Southeastern YM (10 June) (.pdf, 82kb)
Sweden YM (7 November) (.pdf, 90kb)
Wilmington YM (23-26 July) (.pdf, 103kb)

2019
Belgium & Luxembourg YM (15-17 November) (.pdf, 94kb)
Central European Gathering (12-16 April) (.pdf, 58kb)
France YM (25-28 October) (.pdf, 143kb)
Friends Church of North Carolina (2-4 August) (.pdf, 225kb)
Friends Church of Uganda (28 August – 2 September) (.pdf, 2.42MB)
FWCC Europe & Middle East Section Annual Meeting (2-5 May) (.pdf, 255kb)
Great Plains YM (30 May – 2 June) (.pdf, 163kb)
Intermountain YM (9-16 June) (.pdf, 76kb)
Ireland YM (25-28 April) (.pdf, 153kb)
Italian Friends’ Gathering (30 August – 1 September) (.pdf, 72kb)
Jamaica YM (9-11 August) (.pdf, 276kb)
Mexico General Meeting (16-17 November) English (.pdf, 69kb) / español (.pdf, 45kb). Photo of the group (.jpg, 616kb)
New Association of Friends (27 October) (.pdf, 85kb)
North Carolina Fellowship of Friends (10 August) (.pdf, 143kb)
North Pacific YM (17-21 July) (.pdf, 149kb)
Northern YM (24-26 May) (.pdf, 153kb)
Norway YM (.pdf, 70kb)
Philadelphia YM (23-28 July) (.pdf, 80kb)
Young Adult Friends’ Epistle (.pdf, 41kb)
Young Friends’ Epistle (.pdf, 40kb)
Middle School Friends’ Epistle (.pdf, 33kb)

Quaker Religious Education Collaborative, East Africa (16-19 January) (.pdf, 188kb)
Quakers Uniting in Publications (QUIP) (28-31 March) (.pdf, 99kb)
Sierra-Cascades YM (24-26 May) (.pdf, 76kb)
Southern Appalachian YM and Association (13-16 June) (.pdf, 122kb)
Switzerland YM (7-10 June) English (.pdf, 116kb) / Deutsch (.pdf, 82kb)
Western YM (25-28 July) (.pdf, 658kb)

2018

Evangelical Friends of Kitale, Kenya (12-16 December) (.pdf, 23kb)
FLGBTQC (Friends for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Concerns) (summer) (.pdf, 4MB)
FWCC Asia-West Pacific Section Meeting (12-16 September) (.pdf, 203kb)
Friends Association for Higher Education (14-17 June) (.pdf, 208kb)
Pacific Northwest Quaker Women’s Theology Conference (6-10 June) (.pdf, 258kb)
Quaker Council for European Affairs (5-6 October) English (.pdf, 78kb) / Nederlands (.pdf, 79kb) / Dansk (.pdf, 151kb)
Soy YM (22-26 August) (.pdf, 190kb)

2017
Chavakali YM (16-20 August) (.pdf, 102kb)
Japan YM (18-19 November) (.pdf, 115 kb)
Nairobi YM (30 August-3 September) (.pdf, 558kb)
Nordic Gathering (29 June-2 July) (.pdf, 167kb)
Ramallah MM (February) (.pdf, 493kb)
Sierra-Cascades YM (.pdf, 129kb)

Epistle of the “What Canst Thou Say?” Ministers & Elders Colloquium (6-9 October) (.pdf, 184kb)

2016
Baltimore YM (1-7 August) (.pdf, 176kb)
Central and Southern Africa YM
(27 April-3 May) (.pdf, 46kb)
Denmark YM (2-3 April) (.pdf, 102kb)
Europe & Middle East Young Friends All-Age Gathering (30 July-6 August) (.pdf, 275kb)
Fellowship of Friends of African Descent Annual Gathering (12-14 August) (.pdf, 137kb)
Tanzania YM (24-28 August) (.pdf, 64kb)

2015
Tanzania USFW (December) (.pdf, 64kb)

2014
Bhopal YM (9 February)
Quaker Youth Pilgrimage 2014 (22 July – 21 August) (.pdf, 255kb)

2013
Alaska YM
Northwest YM (21-25 July)

2012
East Africa YM (4 September)

Epistles archive

Quaker Learning Centres – FWCCAWPS

Quaker Learning Centres – FWCCAWPS


AOTEAROA/NEW ZEALAND -The Quaker Settlement
Website: www.quakersettlement.co.nz

The Settlement is an intentional community based on Quaker values, situated on the northern outskirts of Whanganui, on the north island of New Zealand.

The Settlement has a residential seminar centre accommodating up to 40, and offers a different seminar program to New Zealand Quakers each year. Sixteen homes surround the conference centre. The seminar program can be found here.

AUSTRALIA – Silver Wattle Retreat and Conference Centre

Website: silverwattle.org.au
Silver Wattle is in the state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near Canberra, and is owned and managed by a not-for-profit Quaker company.
The centre offers a program of courses and events each year. Silver Wattle promotes social and religious education, witness and service, especially in the areas of peace/nonviolence, earthcare/sustainability, justice/equality, Aboriginal and interfaith wisdom.
Courses and events are available here.


Upcoming Courses

Silver Wattle Learning courses are designed to deepen Spirit through prayer, learning and community living so that participants are renewed when they return to live and be in the world.

February 2021
Writing from the Heart (Online course)Feb 27, 2021 – Mar 27, 2021
March 2021
Quaker Foundation Readings (online course)Mar 3, 2021 – Mar 31, 2021
April 2021
Autumn Gardening & Landcare Week 2021Apr 16, 2021 – Apr 22, 2021
Facing Climate Emergency, Finding RenewalApr 23, 2021 – Apr 29, 2021
May 2021
Artists GatheringMay 12, 2021 – May 18, 2021
Becoming a Fuller QuakerMay 21, 2021 – May 27, 2021
July 2021
Winter Gardening & Land Care Week 2021Jul 9, 2021 – Jul 15, 2021
August 2021
Quaker Basics OnlineAug 8, 2021 – Oct 10, 2021




AUSTRALIA - Quaker Learning Australia (QLA)

QLA is a committee of Australia Yearly Meeting and offers enrichment and support to Quakers by providing a wealth of resources on their webpage.
Website: www.qlau.quakers.org.au

INDIA - Friends Rural Centre, Rasulia


ONLINE – Woodbrooke Quaker Study Centre, Birmingham

Woodbrooke Quaker Study Centre, located in Birmingham, United Kingdom has web based courses available for Friends around the world.
Website: www.woodbrooke.org.uk/pages/online-learning.html

ONLINE - Pendle Hill Quaker Study Centre, Pennsylvania


Pendle Hill Quaker Study Centre located in Pennsylvania, United States has recently begun to offer on line courses.
Website: www.pendlehill.org/quaker-studies-online-a-new-pendle-hill-initiative/#.VyfZ-GPFlw8


==============

Writing from the Heart (Online course)
Saturday, February 27, 202110:00 AM
Saturday, March 27, 202111:30 AM
Google Calendar ICS


Led by Kerry O’Regan

This course will be offered online, over four Saturday morning sessions 10.00 a.m. – 11.30 a.m Silver Wattle time (AEDT).

Dates: Saturdays Feb 27, and March 13, 20, 27 (no session March 6, as it is part of a long weekend in Eastern States)

You will be invited to reflect on and write about small but significant events in your life that have led you to become the person you are today. You will be encouraged to spend time on writing activities between the sessions, and there will be discussion and guidance as to the forms this writing may take, with a range of possibilities being considered. There will also be suggestions given regarding the focus of each writing task and an opportunity for seeking supportive responses from others in the course. You will be guided gently through a process which will focus your reflection and consider where you might go from here with your writing from the heart.

Course Cost $60, Maximum 16 participants
REGISTER HERE

CONTACT US if you would like more information

Kerry O’Regan has worked for many years helping people write - university students struggling with the mysteries of academic writing and people in palliative care wanting to write their stories as they approach their death. She has also engaged in her own personal writing from the heart and knows only too well how that process can be joyful, painful, confronting, liberating, and, ultimately, healing.

To learn more about Kerry, see this article in The Australian Friend https://australianfriend.org/know-thy-friend-kerry-oregan/

===

Quaker Foundation Readings (online course)
Wednesday, March 3, 202111:00 AM
Wednesday, March 31, 202111:00 AM
Silver Wattle Quaker Centre1063 Lake RoadBungendoreAustralia (map)
Google Calendar ICS


Wednesday mornings, 11 am – 12.15 pm (AEDT)

Dates: 3, 10, 17, 24, and 31 March 2021

Led by David Johnson

Join us for careful readings of Quaker foundational writings from the first Friends in the 1600s. David will introduce the writers and context for the work to be read, and then invite participants to read sections, allowing space for anyone to share questions and responses to the text. The writings will include extracts from the Journal of George Fox, on his early spiritual journey in 1647-48 and on his pivotal sermon at Firbank Fell in 1652. 
Other authors planned are the Elders of Balby, Margaret Fell, Francis Howgill and Stephen Crisp.

Course cost: $50 Maximum of 12 participants
REGISTER HERE

David Johnson is drawn to contemplative prayer and learning what the Spirit of God is teaching him through prayer, engagement with the scriptures and immersion in the natural world. He has led many retreats, both in Australia and in the USA. His short video on prayer is available on https://www.youtube.com/watch?v=gZxGL2GQgZ0 .

David is a convinced Quaker of Conservative nature. He delivered the 2005 Backhouse Lecture to Australia Yearly Meeting on Peace is a Struggle, wrote 
  1. A Quaker Prayer Life (2013), 
  2. Jesus, Christ and Servant: Meditations o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2017), Pendle Hill Pamphlet #459 
  3. Workings of the Spirit of God Within (2019) and 
  4. Surrendering into Silence: Quaker Prayer Cycles (2020).



    ===
Facing Climate Emergency, Finding Renewal
Friday, April 23, 20213:00 PM
Thursday, April 29, 202110:00 AM
Google Calendar ICS


Led by Marie Jamieson and Christine Larkin

This course offers safe space for exploring our responses to climate catastrophe & its impacts. A balance of stillness & active engagement will give opportunities for deep sharing, reflection, connection with nature, creativity & spiritual renewal. We draw on experiential processes from Joanna Macy’s the ‘Work That Recon-nects’ to enable expression & transformation of our deepest feelings of grief & despair. The arc of the week will enable personal renewal, renewed visions for healing the outer world & clarity about a way forward that is right for each of us.

More details here

Cost: $650 (single room) / $550 (shared room - COVID restrictions apply)

REGISTER HERE

Marie Jamieson is an experienced facilitator whose current focus is the urgent transition necessary to address climate emergency & to reclaim harmony with nature. She draws on trainings with Joanna Macy & others around deep ecology, inner/outer transformation & extending human capacity. This builds on her background in working with loss & grief, & traumatic stress. Marie lives amongst spotted gums on the NSW south coast & directly experienced the horrors of the 2019/20 bushfires.

Christine Larkin has been a committed Quaker for nearly 30 years & has a passion for working on ways to sustain the integrity of the Earth & its magnificent array of creatures and plants. She has served on important Quaker bodies such as the Australian Quaker Earthcare Committee & the SWQC Elders committee. She is a committed activist & social change agent, & values what she has learnt from the experience & wisdom of Aboriginal people.

Chris and Marie are former work colleagues, having met when both were social workers with ACT Community Health.

The facilitators welcome queries from anyone wanting further information or to explore if this course is for them.
====

Becoming a Fuller Quaker
Friday, May 21, 20214:30 PM
Thursday, May 27, 20215:30 PM
Silver Wattle Quaker Centre1063 Lake RoadBungendoreAustralia (map)
Google Calendar ICS


Led by David Johnson

Deepen and reinvigorate your Quaker spirituality no matter what your length of Quaker experience. Explore the original Quaker understanding of living more fully a testimony to the Light Within and its meaning in terms of worship & ministry, equality, rejecting violence, plain speaking, clearness and business.

David Johnson is drawn to contemplative prayer, learning what the Spirit of God is teaching him through prayer, engagement with the scriptures, and immersion in the natural world. He has led many retreats, both in Australia and in the USA. He delivered the 2005 Backhouse Lecture, and has also authored 3 books and a Pendle Hill pamphlet. His short video on prayer is available on https://www.youtube.com/watch?v=gZxGL2GQgZ0 .

Cost: Six day course $650 includes all meals and single accommodation
REGISTER HERE










===

What is the FWCC World Plenary Meeting 2023 (IRM)? –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What is the FWCC World Plenary Meeting (IRM)? –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What is the FWCC World Plenary Meeting (IRM)?

The FWCC World Plenary Meeting (the International Representatives Meeting of FWCC, formerly called the FWCC Triennial when it was held every three years), is a meeting for representatives from all four FWCC Sections to tend to FWCC business, and is surrounded by worship and fellowship with Friends from around the world. All Yearly Meetings and other bodies that are affiliated with FWCC are invited to send representatives.

Kenya 2012

In business session, the international representatives and all who are present consider decisions made on FWCC’s behalf by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CEC) since the last International Representatives Meeting. The last World Plenary Meeting, in January 2016 in Pisac, Peru, included consultations on issues affecting Friends in the next 20 years, leading up to FWCC’s 100th anniversary in 2037. With a primary focus on youth, Friends considered: developing leadership and a living ministry to strengthen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encouraging membership and religious formation to strengthen our worshipping communities; addressing governance and meeting requirements for FWCC; and furthering the Kabarak Call for Peace and Eco-Justice and considering how we contribute to a peaceful and sustainable life on Earth.

Watch the video Epistle from the 2016 World Plenary Meeting, Peru

While the business is essential, it is not the main focus of a Plenary Meeting. The wide range of Friends attending, both geographically and theologically, ensures that the world family of Friends is well-represented. This gives those attending the opportunity for dialogue with Friends from other traditions, and a chance to form connections and partnerships. In home groups and workshops, in conversations over meals and in corridors, and through other encounters, Friends have the opportunity to get to know one another in the things that are eternal.

Time is also set aside for the four FWCC Sections to meet.

The next World Plenary Meeting is planned for 2023.

이남곡 공자의 절사(絶四)

(13) Facebook

Namgok Lee
t4aaStponsoreS3md  

· 
‘속 들여다보인다’는 말이 있다.
어제 내 속을 들여다보았다.
위와 대장 속을 사진 찍은 것을 내가 보았다.
대장 속에 있는 용종 두 개를 끊어냈다(絶).
하나는 꽤 컸다. 조직 검사를 해봐야 안다고 했지만, 의사의 태도(눈치 ㅎㅎ)로 보아서 괜찮을 것 같다.
아마 용종이 오래되면 암(癌)으로 될 수 있다는 말을 들은 것 같다.
이번에 끊어내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다면 다행이다.
얼마전까지라면 상상할 수 없는 것인데, 지금은 당연한 것처럼 이 과학을 받아들인다.
사람의 몸은 정말 신비롭다.
그 가운데도 끝판왕이 ‘뇌’가 아닌가 한다.
온갖 욕망들이 일어나는 신체 부위와 뇌의 연관이 어떻게 이루어질까?
인간을 부자유와 불행으로 이끄는 뇌의 작용들이 물질화되어 있을까?
그 물질을 대장의 용종처럼 끊어낼 수 있을까?
지나치게 비인간적이라는 생각도 들고, 인공지능도 떠올라 불유쾌한 느낌도 들지만, 절(絶; 끊어냄)을 생각하니 절사(絶四)가 떠오른다.
네 가지(싸가지 ㅎㅎ)를 끊었다는 공자 이야기다.
무의(毋意) 무필(毋必) 무고(毋固) 무아(毋我)다.

부자유와 불행의 암(癌) 종양을 끊는 것이다.
누구나 죽는다. 인류라는 종(種)도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다행히 내가 건강하게 임종을 맞는다면, 죽기 전에 네 가지를 끊은 대자유를 경험해보고 싶다.
이것도 욕망이겠지만, 이런 욕망에 눈 뜨게 해준 모든 사람들과 내 인생에 감사한다.

===

孔子絶四(공자 절사)
- '공자'께서 절대로 하지 않으신 4가지 일 -


- 論語(논어) 子罕篇(자한편) 4장 -

1. 毋意(무의): 억측(臆測)하는 일.
. 억측(臆測): 이유와 근거 없는 추측(推測).

2. 毋必(무필): 장담(壯談)하는 일.
. 장담(壯談): 확신을 갖고 자신 있게 하는 말.

3. 毋固(무고): 고집(固執)부리는 일.
. 고집(固執): 자기 의견을 굳게 지킴.

4. 毋我(무아): 이기적(利己的)인 일.
. 이기(利己): 자기 한 몸의 이익만을 꾀함

---

[인간관계] 공자가 절대 하지 않은 4가지
작성일: 2016/08/01작성자: 머니맨


“자절사(子絶四): 무의(毋意), 무필(毋必), 무고(毋固), 무아(毋我).”
– 공자

공자께선 네 가지 일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그 네 가지가 ‘무의, 무필, 무고, 무아’이다. 즉 자기 마음대로 결정하지 않고, 함부로 단언하지 않았으며, 자기 고집만 부리지 않았고, 따라서 아집을 부리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이 모두를 하나의 속성으로 묶을 수 있는데 그게 바로 ‘겸손’이다.

1. 함부로 억측하지 마라
상식과 편견은 종이 한 장 차이다. 모든 일을 조사하며 진행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본인 직감에만 의존하는 건 위험하다. 균형 감각을 발휘해야 한다. 어떤 것을 예단하기 전에 그것이 진실과 다름이 없는지 살피고 지나치게 편견에 의존한 판단은 아닌지 늘 경계해야 한다. 애매한 건 귀찮더라도 여러 번 조사하고 신중히 판단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2. 자신만 옳다고 믿지 마라
옳고 그름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세상에 100% 한쪽만 진리인 건 없다. 설령 맞더라도 조건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기 믿음도 중요하지만, 그걸 만고불변의 진리처럼 믿고 내세우면 주위에 적이 많아진다. 특별히 대단한 사안이 아니라면 주변 사람과 의견 충돌은 ‘다름’으로 풀어나가야지 ‘옳고 그름’으로 풀어선 안 된다. 유연한 태도로 대처하는 게 좋다.

3. 끝까지 고집부리지 마라
자기 주관을 관철해야 하는 순간이 분명 있다. 특히 리더의 위치라면 더 그렇다. 그런 순간에 책임감을 바탕으로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 그렇게까지 굴어야 할 일은 별로 없다. 사소한 거 하나하나 자기 뜻대로 해야 하는 사람은 정작 중요한 일을 놓치기 쉽다. 웬만한 건 적당히 넘어가고 중요한 것만 취할 줄 아는 요령이 중요하다.

4. 자신을 내세우지 마라
모난 돌이 정 맞는다. 우리 사회는 전면에 나서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관대하지 않다. 그 사람이 잘나서 나선 거면 잘난 척한다고 욕하고 그냥 나서면 나댄다고 비하한다. 적극적인 사람을 자신감보단 자만감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으니 나설 땐 늘 조심해야 한다. 가식적이란 평가를 들어도 좋으니 항상 겸손한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게 진심이든 아니든.

‘자절사’의 절사는 ‘네 가지를 끊다’라는 의미다. 위 네 가지는 절대 하지 말란 얘기다. 공자께서 오랜 경험과 통찰을 통해 절대 하지 말라고 강조했을 만큼 중요한 부분인데 그래도 굳이 하겠다고 하면 어쩔 도리가 없다. 하지만 얼마나 해악이 많으면 절사로 뽑았겠나. 겸손한 태도는 시대를 불문하고 중요한 처세임이 분명하다.

===

孔: 구멍 공. 子: 아들 자. 絶: 끊을 절. 四: 넉 사)
공자께서 네 가지를 끊으셨다는 뜻으로, 공자께서 꾸준한 수양으로 네 가지 폐단을 극복했다는 말.
[출전] 《논어(論語) 자한(子罕)第九》
[내용] 이 성어는 논어(論語) 자한(子罕)편 4장에 나오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자께서 하지 않는 네 가지가 있는데, 억측하지 않고, 독단하지 않고, 고집하지 않고, 스스로 옳다고 하지 않는 것이다.
子絕四:「毋意,毋必,毋固,毋我。」
[사서집주]
‘意’는 사사로운 뜻이다. ‘必’은 반드시 하고자 하는 것이다. ‘固’는 고집이다. ‘我’는 사사로운 자기이다.
意,私意也。必,期必也。固,執滯也。我,私己也。

이하 [문화일보] 박석 교수의 古典名句 孔子絶四의 글.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자절사 무억 무필 무고 무아)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끊으셨으니, 억측하거나 기필하거나 고착되거나 자기를 내세우려 하지 않으셨다.
‘논어’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구절로 공자의 수양 경지를 잘 보여주는 문장이다. 그런데 문장이
너무 압축돼 있어 역대로 설이 분분하다. 가장 널리 알려진 주자의 ‘논어집주’에서는 “공자에게는 네 가지가 전혀 없으셨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으셨고 기필하는 마음이 없으셨고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셨고 이기심이 없으셨다”고 풀이하고 있다. ‘절(絶)’을 전혀 없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무(毋)’도 없다는 뜻으로 풀이했는데, 공자 같은 성인에게는 그런 폐단이 아예 있을 수가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공자에 대한 과도한 신격화에서 나온 주장으로 보이고, 게다가 네 가지 항목에 대
한 해석도 성리학적 틀에 갇혀 있다는 느낌이 든다. 역대의 설들을 두루 살펴본 필자의 관점에서
는 위의 해석이 원래의 뜻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라고 본다. 공자 자신은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라 배워서 아는 사람이라고 말했는데, 처음부터 저런 폐단이 아예 없었던 것이 아니라 꾸준한 수양을 통해서 위의 네 가지 폐단을 극복했던 것이다. ‘논어’에서 공자의 마음공부를 제대로 엿볼수 있는 몇 되지 않는 소중한 구절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람이나 일을 실제로 경험하기도 전에 미리 억측하거나, 반드시 이렇게 저렇게 돼야 한다고 기대하는 것은 과거의 경험이나 미래에 대한 예측에 치우쳐서 “지금 여기”의 상황에 제대로 깨어 있지 못한 것이다. 또한 쓸데없는 고집을 부리거나 자신을 지나치게 내세우는 것은 탐심과 아집 때문에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이 구절은 현대인의 마음공부에도 매우 쓸모 있다고 생각한다.
상명대 교수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유동식 선생님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 연세대학교 출판부, 유동식 선생님 : 네이버 블로그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 연세대학교 출판부, 유동식 교수 著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Korean Shamanism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작가 유동식 
출판 연세대학교출판부 
발매 1989.06.01.
---
풍류도에 녹아있는 한국인의 의미
인문학 특강 시즌4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541 0
00:00 00:58 1080p
무교역사 도서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 연세대학교 출판부, 유동식 선생님
도원심평
2016. 6. 24. 17:26


유동식 선생님은 1922년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하여
연세대학교 신과대 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하셨던 분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유동식 선생님은
신학자이며 문학자이고 철학자이며 도학자이고
자유의 중요성을 아시는 인류학자라는 느낌입니다.
유동식 선생님의 글과 미디어 등의 표현을 접하였을 때,
치우침 없는 경계를 중시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제가 관심가는 주요 저서로는
道와 Logos 그리고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입니다.
이 중에 제게는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라는 오래된 책이 있는데
이 책은 수년 전 한국역사와 민속역사를 연구하시던
동의과학대학교의 오세길교수님으로 부터 받은 고마운 책입니다.

유동식 선생님께서는 종교와 문화에 관해 많은 책을 편찬하셨지만
그중에서도 우리 무당에게는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라는 책이
역사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 적습니다.
그렇기에 은유적으로 표현하자면
유동식 선생님은 기독교에서는 설교목사 같은 분이고
무격신앙에서는 설법무당 같은 분이라 생각됩니다.
이제 춘추 고령하시어 남은 생이 길지는 않으시나 
여전히 우리민족과 청년을 위해 좋은 말씀을 강연하고 계시기에
참으로 높이 본 받을 스승이라는 생각입니다.
책 표지의 과거 연세대학교 교수 시절의 중년의 모습도 보기에 좋지만
지금의 늙으신 연륜은 더 보기에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아직 시간이 허락할 때
유동식 선생님을 직접 뵙고 책 발간에 관해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으나
우선은 이 공간을 빌어서 유동식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아울러 한국무교의 기록과 만나게 해주신
오세길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유동식 著 - 
한국무교 대한신관회 무속역사부문 권장도서
한국무교 대한신관회 무당 도원심평

#유동식교수님 #한국무교의역사와구조 #한국무교 #대한신관회 #도원심평 #무당 #성무도서

[김형석의 100세일기] 현승종·박대선·윤성범·유동식 교수와의 인연을 떠올리며 - 조선일보

[김형석의 100세일기] 현승종·박대선·윤성범·유동식 교수와의 인연을 떠올리며 - 조선일보

[김형석의 100세일기] 현승종·박대선·윤성범·유동식 교수와의 인연을 떠올리며
[아무튼, 주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입력 2020.06.06 03:00
현승종·박대선·윤성범·유동식 교수와의 인연을 떠올리며
일러스트= 김영석
지난 주간에 나보다 1년 선배인 현승종 교수가 작고했다. 자주 만나지는 못했으나 평안도 기질과 성품이 농후한 분이어서 마음으로는 서로 믿고 가까이 지냈다.

그가 교원단체 연합회 회장 때였던 것 같다. 내가 기념 강연 강사로 초대되어 몇 사람이 대기실에서 자리를 같이하고 있었다. 현승종 선생이 슬그머니 내 옆으로 다가오더니 귓속말로 "한일 축구경기를 꼭 보고 싶은데 사회는 부회장에게 부탁하고 나는 TV 좀 보면 안 돼? 미안해요"라는 간청이었다. 나도 "결과는 얘기해 주세요"라고 답하곤 강연장으로 들어간 일이 있었다. 전국적인 행사를 맡은 책임자였지만 축구경기는 몹시 보고 싶었던 모양이다. 나도 그런 때가 있었다.

돌아가신 연세대 박대선(1916~2010) 총장은 큰 체구에 근엄한 분이었다. 그와 동갑내기 윤성범(1916~1980) 교수는 나보다도 왜소했고 부잣집 맏며느리 이상으로 조용한 편이었다. 긴 세월 감리교신학대학에서 함께 일한 사이다.

한번은 윤 교수가 "연세대에서 박대선 총장 예우를 좀 잘해야 되겠던데요. 너무 가난하게 고생하는 모습이 딱해서 지난 정초에는 내가 세뱃돈을 크게 보태주었을 정도였어요"라고 했다. 내가 의아한 표정으로 쳐다보았더니 "박 총장을 만나면 얘기해 줄 겁니다"라면서 여전히 담담한 자세였다. 며칠 후에 박 총장을 만나 얘기를 듣고 둘이서 한바탕 웃었다.

정초에 두 친구가 만났단다. 윤 교수가 "친하다고 해서 예의까지 흩어져서는 안 될 테니까 우리 정중히 세배를 나눕시다"라고 제안했다. 그래서 박 총장은 무릎을 꿇고 큰절을 했다. 그 틈에 윤 교수는 양반다리를 하곤 절을 받았다. 그러고는 주머니에서 당시 백원짜리 지폐 한 장을 꺼내 "요사이 생활도 옹색할 테니까 용돈으로 쓰세요"라면서 건네주었다. 그때야 박 총장은 '내가 또 당했구나!' 생각했다는 것이다.


올 초에 신문으로 소식을 접한 유동식(1922~) 교수도 이 글을 읽으면 무릎을 치면서 웃을 것 같다. 나보다 두 분 사이를 더 잘 알고 있는 증인이다. 나는 백세를 앞둔 유동식 교수를 만나 '하늘나라에도 그런 재미는 없을 것 같지요?'라면서 함께 웃고 싶다.

6·25 피란 시절에 나는 중앙학교 분교를 위해 부산에 머물렀고, 고려대는 대구에 임시 교사(校舍)가 있었다. 부산에서 대학 선배인 C교수와 중학교 때 은사이기도 했던 K교수를 만났다. 내가 "일주일에 한 번씩이기는 해도 대구로 강의 다니기가 힘들지 않으세요?"라고 물었다. C교수의 대답이 걸작이었다.

"피란 생활에 울적하다가 대구에 가면 더 좋은 일이 있어. 학교 부근 다방 마담이 보기 드문 미인이어서 만나는 즐거움이 있고, 가까이에 칼국수 집 음식이 별미여서 손꼽아 기다리게 돼."

당시에 공감은 하면서도 '우리 (중앙학교) 중고등학생들이 이런 얘기를 들으면 어떡하나' 걱정했다. 훗날 나이 들어서는 생각이 바뀌었다. 나라 걱정은 나라 걱정대로 해야 하지만, 가끔 이런 소박한 재미도 없으면 대체 무슨 맛으로 사는가.

[문화] 유동식 교수 “한국적 기독교 꽃 피워야할 때” - 조선일보

[문화] 유동식 교수 “한국적 기독교 꽃 피워야할 때” - 조선일보

[문화] 유동식 교수 “한국적 기독교 꽃 피워야할 때”
‘한국문화와 풍류신학‘‘종교와 예술의 뒤안길’펴내
李先敏기자
입력 2002.12.26 18:47


“우리 전통과 기독교 신앙을 연결하는 일에 개신교가 좀더 적극적이고 개방적이어야 한다 ”고 강조하는 유동식 교수


한국 기독교 신학의 토착화를 위해 평생을 힘쓰고 있는 소금(素琴)
유동식(柳東植·80) 전 연세대 교수의 팔순을 맞아 그의 신학세계를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한국문화와 풍류신학'(한국문화신학회
엮음·한들출판사)이 출간됐다. 1950년대 성서신학으로 출발하여
토착화·무교(巫敎) 연구·풍류신학(風流神學)·예술신학으로 발전해 온
유동식 신학의 50년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그의 글들을 시기별로
싣고, 김광식 협성대 총장·김경재(한신대)·이정배(감신대)·
최인식(서울신대)·채수일(한신대) 교수 등 후학들과 나눈 세차례의
심층대담을 담았다.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서양의 신학적 전통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데 관심을 갖습니다. 하지만 나는 우리의 종교적 심성과 영성의
관점에서 기독교가 갖는 의미를 밝혀보려고 했습니다."

독실한 감리교 집안에서 태어났고 '기독교의 진리가 알고 싶어서'
신학을 선택했던 유 교수가 기독교의 토착화에 눈뜨게 된 것은 30대 중반
미국 보스톤대학에 유학할 때였다. 결국 자신이 서양문화가 만들어낸
기독교를 빌려다 믿고 있다는 점을 깨닫고는 우리 문화와 기독교의
관계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귀국 후 감리교신학대 교수로 재직하던
그는 1962년 '복음의 토착화와 선교적 과제'란 글을 발표했고, 이는
격렬한 찬반 논쟁을 불러왔다. 이후 유 교수는 '한국 종교와 기독교'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한국 신학의 광맥' '풍류도와
풍류신학'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등의 저서를 통해 한국인의
관점에서 기독교 신앙을 재조명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 왔다.


"따지고 보면 서양의 신학도 유대적 전통에서 탄생한 기독교를
그리스·로마 문화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발전시킨 것입니다. 이제 그것을
깊이와 풍부함을 지닌 동양전통의 입장에서 다시 해석하는 것은 정당하며
서양에서도 그 유용성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유동식 교수는 한국인의 민족적 영성을 '풍류도(風流道)'로 파악한다.
최치원(崔致遠)이 "유(儒)·불(佛)·선(仙)을 포함하여 뭇 인생을
교화하는 현묘(玄妙)한 도"라고 일컬은 것이다. 풍류도는 멋·한·삶의
세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무교(巫敎)에 그 원형이 보존돼 있다.
고등종교로는 그동안 불교와 유교를 매개로 각각 수 백 년 동안 발전돼
왔으며 이제 기독교를 통해 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풍류신학은
신인합일(神人合一)의 '한의 신학', 인간화를 위한 '삶의 신학',
종교적 심성을 예술로 표현하는 '멋의 신학'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유동식 교수는 최근 다시 기독교의 복음과 예술을 연결시키는 예술신학을
개척하고 있다. 그는 2000년 1학기 연세대 대학원에서 '종교와 예술'
수업을 진행했고, 예술신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를 이번에 함께 발간했다. 그리고 내년 1월부터는
요한복음의 종교적 메시지를 예술신학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글을 집필할
예정이다.

유 교수는 "종교와 예술이 한국인의 생명력을 이끌어가는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간전집] 소금 유동식 교수님의 삶의 자취 및 소금전집 소개 - 당당뉴스

[신간전집] 소금 유동식 교수님의 삶의 자취 및 소금전집 소개 - 당당뉴스

소금 유동식 교수님의 삶의 자취 및 소금전집 소개
당당뉴스 운영자 | webmaster@dangdangnews.com

입력 : 2009년 11월 16일 (월) 13:03:20
최종편집 : 2009년 11월 16일 (월) 13:14:49 [조회수 : 4311]


소금 유동식 교수님의 삶의 자취 및 소금전집 소개

감리교가 자랑하는 원로신학자 유동식 교수님(연세대은퇴교수)의 전집(전10권, 한들출판사)이 최근 출판되어 감사예배를 드린다

일시: 2009. 11. 21.(토) 오후 2시
장소: 연세대학교 루스채플

연락처: 손원영 (.(50%할인가, 15만원 / 011-891-5679)

















선생님은 1922년 11월 22일 황해도 평산군 남천에서 출생하셨습니다.
1941에서 43년 연희전문학교 수물과를 2년간 수학하셨습니다.
특히 그 당시 우리가 익히 아는 시인 윤동주 선배와 같이 기숙사 생활을 하셨다고 합니다.
1943년 일본 동경 동부신학교에 입학하셨지만 곧 학병으로 징집을 당하시게 됩니다.
해방후 감신대에 편입하셔서 1948년에 졸업하십니다.
그리고 또한 48년에서 50년 공주여자사법대에서 교사로 재직하십니다.
1950년 9월 6.25전쟁 가운데서 윤정은 사모님과 결혼하십니다
51년에서 53년 피난 중에 전주사범학교에서 교사로 가르치십니다.
그리고 54년에서 56년 배화여고의 종교주임을 하셨습니다.
1956년에서 1958년 미국에 있는 Boston대학으로 유학을 가십니다. 당시 제출하셨던 논문은: "제4복음서의 근본 이념"입니다.
59년에는 불트만의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를 번역 출판하십니다. 당시 초판으로 찍은 3천부가 모두 매진되었다고 하니, 당시 출판시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그 영향력이 엄청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59년에서 67년 감리교신학대학에서 가르치셨으며, 동시에 1대한기독교서회 편집부장을 맡으셨습니다. 63년에서 64년 스위스에 위치한 보세이 에큐메니칼 연구대학원을 졸업하십니다. 그리고 68년에서 69년 일본 동경대학 문학부 대학원에서 종교사학을 연구하시고, 72년 일본의 국학원대학 대학원에서 종교학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으십니다. 제출된 논문은: “조선 샤머니즘의 역사와 구조적 특질”입니다. 73년에서 88년 연세대 신과대학 교수로 가르치십니다.
76년에는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시며,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88년 연세대를 은퇴하십니다
96년 당시 세계의 석학들이 초대받던 교토 동지사 대학 니이지마 강좌의 강사로 초대받으셔서 강의를 하십니다.
98년 3.1 문화상 학술상을 수상하시고,
2009년 10회에 걸친 연세신학 시민강좌의 강사로 초대받으십니다.
그리고 최근 <<소금 유동식 전집>>(전10권)이 출판되게 되었습니다.


전집을 만들게 된 경위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2005년 12월 23일 송년모임때 15명의 연세대 후학들이 모여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벌써 거의 4년 전의 일입니다. 당시 모였던 젊은 교수님들은 오로지 선생님의 인격과 학문적 업적을 존경하는 마음에서 자발적으로 모였습니다. 선생님의 신학사상을 후세들을 위해 소중하게 간직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는 데 모두 동감하였던 것입니다.

그리고 몇 차례의 편집회의를 한 후에 다음과 같은 기본적 방향을 정하였습니다.

1. 첫째, 한글화입니다. 아시다시피 선생님의 초기 저작들은 한자들이 매우 많아서 젊은 세대들에게는 다소 접근하기 어려운 글이 되었습니다. 또한 당시 출판은 대부분 인쇄활자로 되어 있어서, 편집위원 교수님들이 바쁘신 가운데도 일일이 손으로 직접 타자를 쳐서 선생님의 옥고를 전집으로 출판하게 된 것입니다.
2. 둘째, 1952년에서 2009까지 과반세기 넘는 선생님의 저작들 총망라하자는 것입니다.
3. 셋째, 성서학, 선교학, 종교학, 신학사, 교회사, 풍류신학, 소금 신학 연구 등 장르별로 구성하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장르별 구성은 시대별 선생님의 사상의 흐름과 일치함을 볼 수 있습니다.
4. 넷째, 색인을 넣는 것입니다. 선생님에 대한 학문적이고 비판적인 연구를 하는 후학들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5. 마지막으로, 각 시대에 따른 선생님의 사진을 같이 넣는 것이었습니다.



제1권, 성서학

전집의 구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제1권 성서학은 “택함받은 나그네들에게”, “예수의 근본문제”, “요한서신”, 그리고 “예수, 바울, 요한”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택함받은 나그네들에게”는 전주에서 피난 중에 출판하신 최초의 저작으로, 탕자의 비유에 기초한 기독교 서사시입니다. 당시 출판사가 제대로 없어서 명함을 찍는 집에서 인쇄하셨다고 합니다. “택함받은 나그네”란 제목은 베드로가 그리스도인을 지칭한 말입니다. 땅에서 하늘을 사는 이러한 나그네 의식은 소금 선생님의 일생의 신학적 작업 밑에 흐르는 저류가 됩니다.

또한 “예수의 근본문제”에서 선생님은 과연 신앙의 핵심문제가 무엇인가를 물으십니다.
그리고 “심허속천”(心虛屬天) 곧 마음을 비우고 하늘에 속하는 절대 신앙이 예수의 근본문제임을 밝히십니다.


제2권 선교학

60년대는 토착화 논쟁의 시기였습니다. 1962년 <감신학보>에 “복음의 토착화와 선교적 과제”라는 글을 발표하십니다. 선생님의 토착화론은 “말씀이 육신이 되셨다”는 요한신학의 핵심에 기초한 것입니다. 한국문화라는 우리의 영성에 성육하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규명하는 것이 소금 선생님의 평생의 사명이 됨을 보여줍니다. 이에 대해 전경연 교수가 반박하는 글을 발표하게 됩니다. 이어서 토착화 논쟁은 1963년 「기독교사상」의 지면을 계속해서 뜨겁게 달구었고, 윤성범 교수와 박봉랑 교수를 포함한 다른 십여 명의 신학자들도 여기에 동참하였습니다. 한국신학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의 신학적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여러 사람들이 치열하게 논의를 한 일은 어쩌면 전무후무한 사건이라고 하겠습니다.


제3권, 종교학

선생님은 한국의 토착종교인 무교(巫敎)에 대해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해석을 시도한 최초의 신학자이십니다. 앞서 탁사 최병헌(崔炳憲, 1858-1927) 선생은 그의 주저인『만종일련(萬宗一戀)』(1922)에서 기독교가 단지 동양 종교들을 배척하지 않고 수용하고 완성해야 한다는 입장을 펼쳤습니다. 소금 유동식 선생님은 이러한 종교신학의 전통을 계승하셨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종교인 무교에 대한 실증적이고 역사적인 사료연구와 함께 거기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병행하였습니다.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는 1976년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그리고 시카고의 CTS에서 곧 영역본이 출판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4권, 신학사

한국신학사상사(韓國神學思想史)라는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신학적 장르를 최초로 개척한 사람도 소금 유동식 선생이십니다. 1968년부터 「기독교사상」에 게재하기 시작한 선생님의 한국 신학자들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당시 서구의 수입된 신학만이 대접받던 분위기에서 한국 신학의 광맥을 발견한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한국인 신학자들에 대한 한국인 신학자의 이런 내재적 평가는 이후 한국 신학의 주체성을 고양하는데 중요한 동인이 되었습니다. 이 글들은 후에 『한국신학의 광맥: 한국신학사상사 서설』이라는 제목으로 모아져 출판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전집에서는 당시 사회주의계열이라는 정치사회적인 이유에서 여기에 실리지 못했던 전덕기와 김창준의 신학사상도 소개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제5권, 제6권, 교회사

<<하와이의 한인과 교회>>는 1903년 해외에서 설립된 최초의 한인교회인 하와이의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의 역사를 다룬 책입니다. 그리고 <<재일본한국기독교청년회사>>는 1906년 해외에서 설립된 최초의 한인 기독교기관인 재일한인YMCA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동경의 YMCA에서는 당시 유학하던 지식인들이 모여 2.8 독립선언을 하였고 이를 통해 3.1독립운동을 촉발시키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 교회사라는 것이 단지 한반도 안의 교회 역사가 아니라 미주와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지의 이주 한인들의 역사도 포괄하여야 한다는 중요한 가르침을 주고 계시는 것입니다.


제7권, 8권, 9권 풍류신학

1980년대는 선생님의 풍류신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풍류신학”이라는 명칭을 공개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신 것은 1983년 <신학사상>지에 “풍류신학”이라는 신학수필을 발표하면서부터입니다. 그리고 1987년 10월 정년 은퇴를 앞두시고 <연세신학 공개강좌>에서 “풍류신학으로의 여로”라는 제목의 강연을 하시며, 당신이 걸어오신 신학의 길은 결국 “풍류신학”으로의 여로였음을 밝히십니다.

특히 1997년 한국의 종교사상을 풍류신학의 관점에서 규명한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1997년에는 문공부 추천도서로 선정되었고, 1998년에는 3.1문화상의 학술상을 받으시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5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도서박람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저서 100권 중 하나로 선정되어, 스페인어로 번역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2006년 한국일보가 선정한 <우리 시대의 명저 50>에도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이 들어가게 됩니다.

유동식 선생님은 한국에서 예술신학(藝術神學)이라는 미지의 분야를 개척한 최초의 신학자이십니다. 이미 6·25 전쟁 중에 『택함 받은 나그네들에게』라는 기독교적 서사시를 발표하시며 선생님은 신학, 회화, 그리고 문학이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예감한다. 예술과 종교는 시간과 영원이 만나는 동일한 사건입니다. 이런 예감에서 시작된 선생님의 예술신학의 여로는 70년대 말에 탈춤과 같은 민중예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이제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며 그간의 예술에 대한 사유와 성찰을 모은 저작인 『풍류도와 예술신학』으로 꽃피게 됩니다. 이 저작은 한국에서 "예술신학"이라는 제목을 담고 있는 최초의 책이라는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유동식 선생님 특유의 자유로움과 그 끝없는 청년성이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또 하나 언급해야 할 것은 사모님 되시는 흰돌 윤정은 교수님의 시집 <<영혼의 노래>>가 또한 전집9권에 포함되었습니다. 윤정은 교수님은 오랜 암투병 끝에 당신의 시신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연구자료로 기증하십니다. 아직 유골은 대학 납골당에 안치되어 있고, 비석을 세울 곳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소금 유동식 선생님은 비석을 대신하여 사모님이 남기신 주옥같은 시들을 편집하여 한 권의 시집으로 만드시고, 각각의 시에 소금 선생님의 소회와 그리움을 적어두셨습니다. 진정 하늘에 닿는 영혼의 노래는 독창이 아니라 같이 부르는 합창이라는 아름다운 진리를 저희에게 가르쳐주시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0권 소금과 그의 신학

선생님의 팔순을 기념하여 출판되었던 선생님의 신학적 자서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와, 한국문화신학회에서 주최한 좌담에 기초하여 선생님의 신학 사상을 조명한 <<한국문화와 풍류신학>>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전집10권에는 선생님의 문화신학, 예술신학, 선교신학, 교육신학, 그리고 생애를 조명한 다섯 편의 연구논문을 실었습니다. 앞으로 후학들이 거대한 산맥과도 같은 선생님의 신학 사상을 공부하고 한국적 신학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데 소중한 등불과 길잡이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신학자 유동식 선생 > 표지 이야기 | (재)기독교서회

신학자 유동식 선생 > 표지 이야기 | (재)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 표지 이야기 > 신학자 유동식 선생
표지 이야기 (2007년 9월호)







고향을 그리며 바람 따라 흐르다가,
아버지를 만났으니 여기가 고향이라.
하늘 저편 가더라도 거기 또한 여기거늘,
새 봄을 노래하며 사랑 안에 살으리라. (소금(素琴) 유동식)

‘하늘 나그네’는 여전히 길(道)을 가고 있다. 정처(定處)는 없다. 다만 고향을 향하고 있을 뿐…, 이유는 묻지 않는다. 아버지의 뜻이므로, 헤아릴 뿐이다. 아버지가 주신 시간은 여전히 같은 속도로 흘렀으나, 사람의 마음인지라 간혹 더디기도, 빠르기도 하였다. 길 위의 동행은 보이다가도 사라지고, 있다가도 없어졌다. 다만 변함없는 길동무는 바람, 흐르는 바람일 뿐. 그렇게 바람에 밀려 흐르는 대로 살아온 세월이다. 이승에서의 85년, 변함없이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폴 발레리)”
연세대 뒷산 기슭, 유동식 선생의 자택을 찾아간 날은 바람 사이로 비가 묻어 있었다.
2층집으로 오르는 계단 옆 한쪽 어깨에 얼굴을 기댄 여인의 조각상이 있다. 무릎을 세우고 웅크려 있는 자세가 생각에 잠겨 있는 듯 하고, 잠이 든 것 같기도 하다.(김효숙 작 <동그라미>) 유 선생이 회갑을 맞아 발간한 『한국신학의 광맥』 출판회 겸 그가 그동안 그린 그림들을 전시하는 행사에 동료와 후배들이 보내 준 축하 작품들 중 하나이다. 종교와 예술을 필생 업으로 삼아 살고 있는 유 선생의 집으로 안내해주는 여인이다.
크지 않은 거실에 한쪽 벽 책장에는 신학서적이 가득하고, 맞은편에는 그림이 걸려 있다. 소금이 그린 20호 크기의 <용유도에서>와 <자화상>, 또 회갑 때 받은 오당 안동숙의 <천록도>이다.
그곳에서 처음 만난 유 선생은 건강해 보였다. 어린 시절부터 유약했던 그에게 건강을 준 것은 수영이었고, 지금은 기공으로 유지하고 있다. 새벽에 기도를 마치면 그는 30분 정도 기공을 한다. 기공은 30분가량만 해도 예전에 했던 수영만큼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가까이 앉아 말씀을 나누실 때 얼핏 눈을 보게 되었는데, 지금도 잊히질 않는다. 그의 눈빛은 나그네의 그것이었다. 유유자적하고, 평온하고 또 슬퍼보였다. 집착이 사라진 비어있음 일까. 그는 여전히 바람 부는 길 위에 있었다. 그가 쓴 글에서 멋을 지닌 풍류객 율곡의 시에 대해 말한바 풍류도를 배웠으면 집착이 없어진다고 했다.

초당에 하룻밤 묵어가는데 草堂聊寄宿
매화에 달이 걸렸으니 이것이 풍류로다 梅月是風流

‘인생이란 하룻밤 묵어가는 나그네인데, 매화나무에 달이 걸렸으니 이것이 풍류가 아니겠는가’
풍류신학으로 한국신학의 한 획을 그은 나그네의 지나온 길들을 더듬어 본다.
유동식 선생의 길은 신학의 길이었다. 그 신학은 우리 문화에 토착화된 한국신학을 모색한 길이었다. 그는 한민족의 빛나는 종교, 예술적 문화를 창조해 온 것이 풍류도임을 찾아내었다. 그는 밝히 말했다. 그 풍류도에 접목된 복음의 전개에 실마리를 찾아간 것이 풍류신학이라고.

3대째 기독교인으로 1922년 황해도 남천에서 태어난 그는 소학교 때 강원도 춘천으로 이사 와서 고등학교까지 다녔다. 어버지가 상인이셨고, 늘 외지로 돌아다니신 탓도 있지만, 장남의 장손인 까닭에 그는 조부 밑에서 성장하였다. 한학자이신 할아버지는 완고한 신앙인이었다. 조부는 일이라고는 춘천중앙감리교회의 유사부장(재정 담당)만 맡으셨다. 생계는 돌보지 않으시고, 낚시를 하시거나 집 근처 향교에 가시는 것이 유일한 낙이었다. 일제시대에는 마땅히 자신의 뜻을 펼칠 기회가 어려울 때이기도 했다. 그는 6살 차이 나는 막내 숙부와 잘 어울렸는데, 숙부는 감신대를 졸업한 목사였다. 그분 또한 세상일에 시달리지 않고 사셨다. 가까운 분들로부터 그는 이래저래 영향을 받으며 지냈다.
식민지 백성으로 살아가면서 그는 한국문화나 한국 역사를 배울 수 없었다. 신사참배나 창씨개명 같은 일제시대의 억압은 기독교인으로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인권의 존엄성에 대한 신념이 생리화 되어 있었던 그에게 민족과 기독교 신앙에 대한 의미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태평양전쟁이 한참이던 1943년, 신학을 공부할 생각으로 그는 동경으로 건너갔다.
“집을 떠나 동경으로 간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고, 떨어지면 재수할 수 있는 형편도 아니었기에, 신학교와 미술대학교 두 곳에 원서를 냈지. 신학교에 떨어지면 미술대학이라도 가려고. 그런데 두 군데가 다 된 거야. 그러니 원래 가려고 했던 신학교를 간 거지. 그러면 뭘 해? 겨우 1년 공부하고 학병으로 끌려갔는데…”
학병으로 사람 죽이는 연습을 훈련받는 동안 그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괴로웠다. 사람을 살리는 신학을 공부하던 신학생이 죽음을 앞에 두고 그 연습을 하는 것은 고문보다 지독한 형벌이었다. 그는 훈련 뒤 남양으로 파송될 예정이었지만, 이미 대세가 기운 일본은 패망했고, 마침내 해방을 맞이했다. 그 일은 그에게 일생의 큰 사건이었다. 죽음으로부터의 해방과 나그네 인생의 자유와 기쁨을 체험하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 뒤 그는 돌아와 감리교신학교에 편입하여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그 무렵에 반려자가 될 윤정은 씨도 만나게 되었다. 졸업 후 공주여자사범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때에 6·25전쟁이 터졌다. 전쟁 와중에 화가였던 동생 유병식을 잃었지만 한편, 사랑하는 연인 윤정은과 결혼을 하게 되었다. 공주에서 지내다가 그는 전주에서 교사를 구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전주로 향했다. 전주는 전쟁의 흔적이 없었다. 마치 그가 늘 꿈꾸던 고향과도 같았다. 거기서 남문밖교회 고득순 목사를 만났다. 그가 지금도 존경해 마지않는 고 목사는 당시 일흔의 한학자였다. 고 목사는 여러 가지 한문 공부도 가르쳐주었다. ‘소석’이라는 호를 받은 것도 고득순 목사에게서였다.
“그분이 나보고 호가 있느냐? 그래. 없습니다. 했더니 선비가 호가 없으면 되냐면서 지어 주신 게 소석이야. 묵시록 2장에 흰돌, 그리스도의 이름을 새긴 돌이라는 거거든. 그게 너무 부담스럽고, 무거워서 나중에 호를 바꿔야지 했어. 도연명이 무현금, 줄 없는 거문고를 들고 다녔거든. 그것은 뭔 말이냐면 그분은 줄이 없어도 음악이 늘 있었던 거야. 그걸 내가 멋있다 생각했거든. 그렇다고 무현금이라 하기도 그렇고, 고 목사님께 받은 ‘소’자는 살리자 해서 찾아 봤더니 소금(素琴)이 바로 무현금이란 뜻이야. 도연명처럼 줄이 없어도 그 소리를 듣는 게 아니라 나는 소리는 내고 싶은데, 소리를 못내는 존재라 그래서 겸손하게 소금으로 고쳤어. 허허. 그게 결국은 풍류랑 관련되는 말이에요.”
그에게 있어 풍류라는 개념은 어찌 보면 신학적인 차원이 아닌 풍류에 대한 소박한 개념으로 막연히 예술에 대한 동경심을 늘 가지고 살아온 것이었는데 그게 결국 풍류신학까지 오게 만든 것이다.
고득순 목사는 그에게 심처위복(心虛爲福)이란 말을 써주셨다.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다” 산상수훈의 첫 구절이다. 그는 이것을 ‘하늘 나그네’라 표현하고, 글을 쓰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1954년부터 그는 서울의 배화여고에서 교목 일을 맡았다. 3년 남짓 학교의 종교주임 일을 하면서 그는 학생들에게 하나님의 자녀 된 자유와 함께 사랑을 강조해 왔다. 미국으로 유학가기에 앞서 <배화>지에 “여장(旅裝):도(道)와 로고스론 서설”이란 수필 형식의 논설을 실었다. 그것은 앞으로 그가 전개해 나갈 연구 방향의 모습을 어느 정도 보여준 것이었다.
그 뒤 유동식 선생은 미국 보스톤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미국으로 떠날 때 그는 성경 전서와 콘사이스, 그리고 『노자』를 들고 갔다. 노장사상은 신학교 다닐 때 탄허스님으로부터 배워서 좋아했던 터였다. 신약성서를 공부하면서 불트만의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논문을 썼다. 서구의 기독교를 보면서 한국 문화 속의 기독교를 고민하게 되자, 그는 민족과 문화의 문제, 복음과 문화의 관계에 대해 깊이 천착해 들어갔다. 본격적인 복음에 대한 공부와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면서 민족 문화에 대한 관념이 달라져갔다. 그러자 복음의 진리는 영원하고 보편적이지만 그것을 해석하고 신앙하는 행위는 문화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신학이라는 것이 시대에 따라 문화에 따라 달라지는 건데, 공부를 해 보니까 우리 신학에서 한국문화는 배제되어 있어. 서양 사람들의 신학이라는 것은 따지고 보면 희랍철학의 틀을 가지고 해석하는 건데, 한국이라는 문화는 아예 빠져 있잖아. 그걸 자각하고 선교적인 차원에서 우리의 신학이 있어야 되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때 50년대만 해도 한국학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고, 더군다나 기독교 안에서는 더 없었을 때니까, 미국에서 돌아오면서 한국학을 시작했어요. 60년대 토착화 신학 논쟁이라는 것도 이런 논의를 한 거야. 토착화라는 게 선교신학이거든. 어떻게 그리스도의 복음의 진리가 우리들의 정신세계에 생명화 될 수 있겠냐는 거지. 50년 말부터 60년 말에 걸쳐 선교론에 대해 내가 많이 얘기했어.”
미국에서 돌아온 그의 논문 등은 신약학이 아니라 선교학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그때 정리되어 나온 것이 『도와 로고스』이다. 그는 한국에 돌아와 감신대에서 강의를 하며 오후에는 대한기독교서회에서 편집부 일을 봤다. 그는 1962년 토착화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고 그것을 계기로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토착화논쟁이 시작되었다. 기독교 안에서 그처럼 활발했던 논쟁의 장은 없었다. 그 와중에 그는 한국 종교문화사에 대해 꾸준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그것을 기독교의 입장에서 정리해 낸 것이 『한국 종교와 기독교』이다.
그 후 그는 한국인의 영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 무교를 연구했다.
“한국의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기층문화를 이끌고 온 종교는 유교도, 불교도 아니거든. 무교야. 내가 무교라고 하는 건 무속, 샤머니즘이라 그래가지고, 경시하고 있지만 그 바닥에 깔려있는 종교 구조는 그게 아니거든, 원시 종교 틀을 못 벗어났지만 그래도 종교적인 영성에 있어서는 굉장히 기독교적이야. 한국인의 영성에 대해 언급한 이는 고운 최치원 선생이었어요. 그분은 9세기에 당나라에 가서 유불선 을 공부하고 그 눈을 가지고 고국인 신라에 와 보니 신라는 당나라와 다르거든. 특히 화랑도가 그랬어요.”
유 선생은 『삼국사기』에서 최치원이 한 화랑의 비문에 쓴 글을 보고 바로 이거구나 하며 기뻐했다. 거기서 찾은 풍류도의 구조를 가지고 보면 한국의 종교문화가 전부 보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는 깊고 오묘한 도가 있는데 이것을 풍류라고 한다.…이는 실로 삼교(유·불·선)를 포함한 것이요(包含三敎), 뭇 사람들을 교화하여 사람되게 한다(接化群生).

“포함삼교란 풍류도 속에 유불선의 핵심이 다 들어 있다는 말이거든. 그 개념이 뭘까 해서 난 그걸 ‘한’이라고 보았어요. ‘한’은 하나인 동시에 전체야. 또 크다는 것도 포함하고 있지. 그리고 접화군생한다는 것이 사람을 만드는 건데, 이걸 줄인 말이 삶이야. ‘한과 삶’ 종교적인· 초월적인 신앙의 개념하고, 역사·현실적인 개념, 이 둘을 수렴한 개념이 ‘멋’이라는 미의식이야. 그것을 내가 풍류도라 그랬거든. ‘한 멋진 삶’이라는 말이 이제는 거의들 상식화되었는데, 처음에 그 말하면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했어요. 그 틀을 가지고 맨 처음 한국의 기독교 사상을 점검하기 시작했어요.”
그는 ‘멋·한·삶’이 한국인의 얼(영성)이며, 한국인의 문화적 틀이고, 한국기독교의 사상적 틀이며 복음 선교의 틀이라고 보았다.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은 그가 풍류도의 입장에서 한국의 종교 사상을 본 것이지만 반 이상이 기독교 사상을 다룬 것이다. 그는 세계 종교사 차원에서 제1밀레니엄은 종교 문화가 지배했고, 제2밀레니엄은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한 기술 문명, 세속문화가 지배했으며, 제3밀레니엄은 종교와 과학 기술의 세속문화를 수렴한 예술문화가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 봤다. 한국에서도 기독교는 짧은 역사지만 신학적으로는 보수신학에서 민중신학으로 와서 이제는 예술신학이 전개되리라고 전망했다. 서구 기독교의 흐름과 한국 기독교의 흐름이 교차되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대해 그는 우리 문화의 틀부터 봐야한다는 인식을 당부한다. 유 선생은 작년에 『풍류도와 예술신학』을 냈고, 올해 4월에는 『풍류도와 요한복음』이라는 책을 냈다. ‘성서와 문화’모임에서 지난 3년간 강의했던 내용이다. 그가 신학수첩이라고 이름 붙인 그 책은 조그만 책들이지만 그가 평생 한국신학을 어떻게 전개해 왔는가를 볼 수 있다.
그는 언제나 한국인의 영성인 풍류도와 성서의 꽃인 요한복음에 관심이 쏠려왔다고 고백한다.
“나는 부활이 뭐냐는 핵심을 요한복음 14장 20절을 가지고 얘기했거든. ‘(십자가 부활) 그날에 너희는, 내가 내 아버지 안에 있고, 너희가 내 안에 있으며, 또 내가 너희 안에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그리스도를 매개로 하나님과 우리도 삼태극적 관계란 말이야. 우리에게 복음이 뭐냐면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매개로 해서 하나님과 우리가 아버지와 자녀가 되는 거지. 그러니까 그리스도와 우리와 하나님은 삼태극이야. 셋이 모여 하나야. 이게 말하면 요한복음의 핵심이지.”
한국인의 복음 이해라 하는 것은 이 삼태극적 관계에서 우리가 구원과 해방, 사랑 일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삼태극은 하늘과 땅과 사람이 하나의 조화를 이룬 우주를 나타내는 것이며, 종교와 예술과 인생이 하나로 어우러진 풍류도의 구조를 나타내는 형상이기도 하다. 삼태극은 항상 그의 신앙과 삶의 화두가 되어 왔다. 그는 긴 얘기 끝에 당부했다. “성령의 신학인데 예술적인 차원에서 복음을 이해하는 것에 한국의 신학적인 사명이 있지 않겠어요?”

소금 선생의 아내 윤정은 교수는 이화여대 영문과 교수였다. 은퇴 후 윤 교수는 마지막 여생을 사회에 봉사 헌신하기로 하고 출소자들을 돌보는 ‘흰돌회’를 조직하고 활동했다. 그러나 너무 무리한 탓인지 일을 시작한 지 5년이 지날 무렵 그만 쓰러지고 말았다. 자궁암 3기, 만 4년을 투병생활 하다가 2004년 10월 세상을 떠났다. 그는 흰돌 윤정은 교수가 남긴 시를 모아 유고시집 『영혼의 노래』를 펴냈다. 그 시집을 보면 유 선생이 틈틈이 그린 그림들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그 그림들이 그려졌을 때 생전의 윤 교수는 첫 감상자로, 평론가로 작품에 의미를 부여해 주었었다. 지금도 여전히 그는 그림을 그리러 다닌다. 흰돌 선생은 없지만 언제나 옆에 있는 것을 느끼면서 말이다.

소금 선생은 1973년 연세대학교에서 종교주임으로 일하기 시작하여 1987년 정년 은퇴하였다. 그 뒤 강연과 원고청탁 등으로 바쁜 세월을 보냈다. 고희를 기념하여 고마운 후배들이 기념 논문집 『한국종교와 한국신학』을 내 주었고, 팔순을 기념하여 한국문화신학회 회원들이 『한국문화와 풍류신학』,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를 엮어서 냈다.
또 지금은 연세대의 젊은 제자들과 후배들이 모여 소금 선생의 전집 간행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그들의 이야기를 하면서 아주 흐뭇해하셨다.
목사 안수를 받지 않고, 평신도로 지내며 신학에 골몰했던 소금 선생은 지난 60년간 설교를 계속 해왔지만 설교집 한 권이 없다. 왜냐면 원고 없이 설교를 해 왔기 때문이다. 설교만이 아니라 강의도 그렇게 원고 없이 해왔다. 목사 안수를 받지 않은 것에 대해 묻자 그는 말했다.
“신학하는 사람의 책임은 복음을 바로 이해하고 전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길이 있단 말야. 목회자가 있기도 하지만 가르치는 사람도 있고, 봉사자도 따로 있고 하는 거지. 모든 사람이 목회자만 될 수 없잖아. 그게 내 기본적인 이해야. 목사 안수 안 받은 것을 후회하지 않고, 자랑하지도 않아.”
매주 목요일이면 국제화우회의 회원들과 함께 바깥으로 스케치를 나간다. 그때 그린 그림들이 그의 집 곳곳에 가득하다. 1년에 한 번씩 합동 전시회를 열고 있다.
이렇게 바쁘게 오늘을 살아가는 유동식 선생에게 아프가니스탄 피랍사건을 통한 한국 기독교에 대한 답을 구해 보았다.
“근본적인 것은 탈레반이 잘못이죠. 어떻게 종교의 이름으로 사람을, 전투인도 아닌데 그럴 수 있어요? 한편으로는 우리가 선교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해야 된다는 겁니다. 그 상황에서 기독교의 복음을 어떻게 생명력 있게 전달할 수 있겠느냐는 것은 굉장한 노력을 하기 전에는 힘들어요. 내가 일생을 걸려서 한국문화 조금 이해했는데, 거기 코란도 읽어보지 않고, 그 사람들 생활과 역사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가서는 안 되지요. 어느 신문에 보니, 왜 죽였느냐 하니까 가방에서 전도지가 나왔다는 겁니다. 이슬람에 있어 기독교 강요는 자기 종교를 무시하는 거거든. 우리도 누가 그러면 좋겠어? 기독교 가짜니까 불교 믿으라고 하면. 그러니까 전혀 다른 문화에 들어가려고 하면 그쪽에 대한 충분한 공부부터 해야지. 그렇게 이해를 가지고 그쪽과의 복음의 차이가 뭐냐는 의미를 알아야 하지 않겠어요? 적어도 선교 갔다는 말은 그 사람과 내 진리를 나눠 갖겠다는 대화인데, 대화는 상대방을 이해해야지. 한국 기독교가 아직 그런 준비가 부족해. 미국 다음으로 한국이 선교사를 두 번째로 많이 보낸다는 데 그 열정은 좋지만 열정만 가지고는 안 되잖아. 나는 이번 이 기회에 한국 교회가 검토해서 선교, 특히 러시아나, 불교국, 이슬람 세계 같은 나라로 갈 때는 철저히 상대방을 이해하고 대화할 수 있는 준비를 해 가지고, 복음을 전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젊은 사람들이 가서 물품 나눠주고, 노래 가르치는 것으로는 어렵다는 얘기지. 이번 일은 한국교회의 무책임한 선교 정책 때문에 생긴 희생이라고 생각해.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교회 선교에 대한 반성의 좋은 기회가 되길 바라요.”
그는 한국 교회가 놀랍도록 양적 팽창을 했는데, 그건 우리들의 영성에 잘 들어맞았기 때문에 이렇게 성장했을 것이라고 진단하고, 그 때문에 부작용도 있다고 했다.
“양적으로 팽창한 것은 잘했다 생각하고, 이제 하나님의 참뜻이 무엇인지를 질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하고, 현재 한국에서 기독교가 뭘 할 것인가를 찾아 그 운동을 전개시켜 나가야 하겠지. 1907 평양대부흥 운동을 오늘날 재현한다는 얘기를 하지만, 지금은 그 부흥회가 의미했던 것이 오늘날에는 무슨 의미가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현대에 어떻게 살리느냐는 것을 고민해야 할 때지. 그때 10만 정도의 기독교 인원수가 지금 천 만 명이 넘는데, 어떻게 똑같이 적용할 수 있겠어?”
오랜 나그네로 신학의 길을 모색한 학자답게 그는 여유가 있었다. 편하게 말씀하시는데도 듣는 사람에게는 자극을 주었다.
신학의 길과 더불어 예술적 삶을 놓지 않았던 그는 그림을 그리면서 조금 더 느리게 걸었고, 부드러운 바람을 맞이할 수 있었다.
그림 그리는 신학자, 풍류객은 오늘도 붓질을 멈추지 않는다. 그 붓질에는 바람이 지나간 흔적이 묻어있다. 그 바람을 따라가다 보면 언젠가 줄 없는 거문고에서 들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거실 창밖으로 비가 죽죽 내리는 것을 보았는데, 어느새 그쳐 있었다. 때마침 말복이었다. 가까운 곳으로 가 함께 식사를 했다. 웃으시는 모습이 보기에 좋았다. 평생 바람과 함께 흘러오셨다지만, 때론 그 바람을 가르기도 했으리라. 어느 풍류객 못지않은 품으로, 정신으로 그렇게 살아오신 당신. 건강하시기를, ‘새 봄을 노래하며 사랑 안에’서 평온하시기를 빈다.
그동안 줄 없는 거문고를 가지고, 소리를 내어 주신 소금(素琴) 유동식 선생님 감사합니다.



글/이영란·사진/김승범

2021/01/29

Rufus M. Jones (1863-1948) | The Online Books Page

Rufus M. Jones (Jones, Rufus M. (Rufus Matthew), 1863-1948) | The Online Books Page

The Online Books Page

Online Books by

Rufus M. Jones

(Jones, Rufus M. (Rufus Matthew), 1863-1948)

Wikipedia article about this author is available.

Help with reading books -- Report a bad link -- Suggest a new listing

Additional books from the extended shelves:

See also what's at your library, or elsewhere.

Help with reading books -- Report a bad link -- Suggest a new li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