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6

The Phenomenon of Man - Wikipedia

The Phenomenon of Man - Wikipedia

The Phenomenon of Ma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Phenomenon of Man
Le Phénomène Humain.jpg
AuthorPierre Teilhard de Chardin
Original titleLe phénomène humain
TranslatorBernard Wall[1]
CountryFrance
LanguageFrench
SubjectsCosmologyEvolutionPhilosophical anthropology
PublisherÉditions du Seuil[2] (France)
Harper & Brothers[1] (US)
William Collins (UK)
Publication date
1955[2]
Published in English
1959[1]
Media typePrint
Pages347 (French)[2]
318 (English)[1]
LC ClassBD512.T413

The Phenomenon of Man (French: Le phénomène humain) is an essay by the French geologist, paleontologist, philosopher, and Jesuit priest Pierre Teilhard de Chardin. In this work, Teilhard describes evolution as a process that leads to increasing complexity, culminating in the unification of consciousness. The text was written in the 1930s, but it achieved publication only posthumously, in 1955.

In depth, the work seeks to unify multiple scientific fields, as per the author's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his own career, with the principles of religion and broader human understandings of existence into a coherent whole. Centering upon biological evolution, Chardin articulates a vision of the universe itself as gradually increasing in complexity and unity from early chaos into ever greater oneness. 

Drawing upon his devout Christianity, the author argues for a morally ide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rough which social advancement under the watchful eye of God will eventually lead to 

  1. a total reconciliation of all things and 
  2. a final state of absolute collective consciousness, which Chardin titled the "Omega Point". 

Thus, history's final state will take place such that all of the creatures of the universe exist together with Jesus Christ as the "Logos" or sacred "Word".

The book was initially published to scathing reviews by scientists. The Roman Catholic Church as an institution also distanced itself from Chardin's viewpoints. However, more recent commentary by religious figures such as Pope Benedict XVI have been supportive. Positive reviews have also appeared from popular press such as The New York Times.

Publication history[edit]

The essay was written in the 1930s, growing out of a shorter essay with the same title published in 1930.[3] Teilhard prepared it for publication, but he died, on 10 April 1955, before the book appeared. It was published still in the year of his death, with Éditions du Seuil, the publishing house of Catholic intellectual Jean Plaquevent (1901–1965). The essay was printed as prepared by Teilhard, without an introduction by an editor, but with a short preface or avertissement and a short appendix by Teilhard himself, dated March 1947 and October 1948, respectively.[4]

An English translation by Bernard Wall was published in 1959. The foreword to the English version was written by one of the key advocates for natural selection and evolution of the 20th century, and a co-developer of the modern synthesis in biology, Julian Huxley.

A new English edition and translation was published in 1999.[5]

Summary[edit]

Teilhard views evolution as a process that leads to increasing complexity. From the cell to the thinking animal, a process of psychical concentration leads to greater consciousness.[6] The emergence of Homo sapiens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age, as the power acquired by consciousness to turn in upon itself raises mankind to a new sphere.[7] Borrowing Huxley's expression, Teilhard describes humankind as evolution becoming conscious of itself.[8]

In Teilhard's conception of the evolution of the species, a collective identity begins to develop as trade and the transmission of ideas increases.[9] Knowledge accumulates and is transmitted in increasing levels of depth and complexity.[10] This leads to a further augmenta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emergence of a thinking layer that envelops the Earth.[11] 

Teilhard calls the new membrane the "noosphere" (from the Greek "nous", meaning mind), a term first coined by Vladimir Vernadsky. The noosphere i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humanity, the networks of thought and emotion in which all are immersed.[12]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uses an expansion of the human sphere of influence, allowing a person to be simultaneously present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Teilhard argues that humanity has thus become cosmopolitan, stretching a single organized membrane over the Earth.[13] Teilhard describes the process by which this happens as a "gigantic psychobiological operation, a sort of mega-synthesis, the ‘super-arrangement’ to which all the thinking elements of the Earth find themselves today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subject".[11] The rapid expansion of the noosphere requires a new domain of psychical expansion, which "is staring us in the face if we would only raise our heads to look at it".[14]

In Teilhard's view, evolution will culminate in the Omega Point, a sort of supreme consciousness. Layers of consciousness will converge in Omega, fusing and consuming them in itself.[15] The concentration of a conscious universe will reassemble in itself all consciousnesses as well as all that we are conscious of.[16] Teilhard emphasizes that each individual facet of consciousness will remain conscious of itself at the end of the process.[17]

Fellow scientist and supporter of Teilhard's thought Julian Huxley summarized Teilhard's approach as:

"Before the appearance of man, life consisted of a vast array of separate branches, linked only by an unorganised pattern of ecological interaction. The incipient development of mankind into a single psychosocial unit, with a single... common pool of thought, is providing the evolutionary process with the rudiments of a head. It remains for our descendants to organise this... more adequately, so as to enable manki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volution on earth more fully and to direct it more adequately... [as] in modern scientific man, evolution was at last becoming conscious of itself[.] [...] Teilhard... implies that [we] should consider inter-thinking humanity as a new type of organism, whose destiny it is to realise new possibilities for evolving life on this planet."[18]

Reception[edit]

Julian Huxley in his introduction, dated December 1958, compares Teilhard's idea to his own attempts, published in The Uniqueness of Man (1941) but pursued since before World War I, of unifying humanism and biological evolution as a single process, but separated by a "critical point".

In 1961, Peter Medawar, a British immunologist and Nobel Prize-winner, wrote a scornful review of the book for the journal Mind,[19] calling it "a bag of tricks" and saying that the author had shown "an active willingness to be deceived": "the greater part of it, I shall show, is nonsense, tricked out with a variety of metaphysical conceits, and its author can be excused of dishonesty only on the grounds that before deceiving others he has taken great pains to deceive himself". Richard Dawkins in Unweaving the Rainbow (1998) references Medawar's review as "devastating", and characterises The Phenomenon of Man as "the quintessence of bad poetic science".[20]

Teilhard's publications were viewed with scepticism by the church authorities during his lifetime, and while the Holy Office did not place any of Teilhard's writings on the Index of Forbidden Books at any point, it did publish a monitum or "warning" in 1962, specifically against the then-recent popularity of the posthumously published works by Teilhard:[21]

Several works of Fr. Pierre Teilhard de Chardin, some of which were posthumously published, are being edited and are gaining a good deal of success. Prescinding from a judgement about those points that concern the positive sciences, it is sufficiently clear that the above-mentioned works abound in such ambiguities and indeed even serious errors, as to offend Catholic doctrine. For this reason, the most eminent and most revered Fathers of the Holy Office exhort all Ordinaries as well as the superiors of Religious institutes, rectors of seminaries and presidents of universities, effectively to protect the minds, particularly of the youth, against the dangers presented by the works of Fr. Teilhard de Chardin and of his followers.

Thus, Teilhard's work in the 1960s saw condemnation both on the part of scientists and of church authorities. 

In an apparent inversion of this, the work has been reviewed approvingly both from the scientific and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in more recent years: For the church, Pope Benedict XVI made an approving reference to Teilhard's concept of the Omega Point, in a reflection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during a vespers service in Aosta Cathedral in 2009. Saying "St. Paul writes that the world itself will one day become a form of living worship", the pope commented on Teilhard:[22]

It's the great vision that later Teilhard de Chardin also had: At the end we will have a true cosmic liturgy, where the cosmos becomes a living host. Let's pray to the Lord that he help us be priests in this sense, to help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in adoration of God, beginning with ourselves.

Since then, observers have speculated on a possible rescission of the 1962 monitum on the part of Pope Francis.[21]

Teihard's description of consciousness and of the Omega Point has been characterised as prophetic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concept of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As early as in 1995, an article in Wired commented that "Teilhard saw the Net coming more than half a century before it arrived":[23]

Teilhard imagined a stage of evolution characterized by a complex membrane of information enveloping the globe and fueled by human consciousness. It sounds a little off-the-wall, until you think about the Net, that vast electronic web encircling the Earth, running point to point through a nerve-like constellation of wires.

Evolutionary biologist David Sloan Wilson in his 2019 This View of Life: Completing the Darwinian Revolution praises Teilhard's book as "scientifically prophetic in many ways", and considers his own work as "an updated version of The Phenomenon of Man.":[24]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d "The phenomenon of man"Library of Congress Catalog Record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010-07-31.
  2. Jump up to:a b c "Le phénomène humain"Library of Congress Catalog Record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010-07-31.
  3. ^ Pierre Teilhard de Chardin, "Le phénomène humain", Revue des questions scientifiques, 1930, pp. 390–406, halshs-00817070.
  4. ^ Paris, Éditions du Seuil [1955], reprinted 1970.
  5. ^ Pierre Teilhard de Chardin, The human phenomenon ; a new edition and translation of Le phénomène humain by Sarah Appleton-Weber ; with a foreword by Brian Swimme Brighton [UK] ; Portland, Or. : Sussex Academic Press, (1999), reprinted 2003 and 2015, ISBN 978-1902210308.
  6.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169.
  7.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165.
  8.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20.
  9.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05.
  10.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178.
  11. Jump up to:a b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44.
  12.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78.
  13.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41.
  14.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53.
  15.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59.
  16.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61.
  17.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62.
  18. ^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Torchbooks, The Cloister Library, Harper & Row, Publishers, 1961, p. 20.
  19. ^ Medawar, Peter (1961). "Critical Notice"MindOxford University PressLXX: 99–106. doi:10.1093/mind/LXX.277.99.
  20. ^ Dawkins, Richard (5 April 2000). Unweaving the Rainbow: Science, Delusion and the Appetite for Wonder. Houghton Mifflin Harcourt. pp. 320–. ISBN 0-547-34735-9.
  21. Jump up to:a b O'Connell, Gerard (21 November 2017). "Will Pope Francis remove the Vatican's 'warning' from Teilhard de Chardin's writings?"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7. Retrieved 21 November 2017.
  22. ^ Allen Jr., John L. (28 July 2009). "Pope cites Teilhardian vision of the cosmos as a 'living host'"National Catholic Reporter. Retrieved 24 September 2009.
  23. ^ Kreisberg, Jennifer Cobb (June 1995). "A Globe, Clothing Itself With a Brain"Wired. Retrieved 2010-07-31.
  24. ^ Wilson, David Sloan (26 February 2019). This View of Life: Completing the Darwinian Revolution.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ISBN 978-1101870211.

External links[edit]

인간현상 을 읽었다. 엄청난 책이다.

(2) Facebook

Hyun Ju Kim #인간현상 을 읽었다. 엄청난 책이다.


일부 내용을 발췌했다. 매년 오늘 페북이 나에게 이 요약을 보여주겠지.
.
양명수 교수님이 우리말 표현을 살려서 번역한 탓에 난해해졌다. 자연과학을 좀 알아야 이해할 수 있고 순수 문과생에게는 1부 2부가 넘사벽일 것이다. 요약하면서 어색한 표현을 조금 고쳤으나 역부족이다. 김지하님는 영역본을 읽었다는데 (역시 문과생이시라) 몇 달이 걸렸는지 알 수 없댔다고 들었다. 나는 약 3일만에 정독했다. ^.^V 아름다운 멋진 상쾌한 짜릿한 독서였다.
====================
떼야르 드 #샤르댕 지음 1939/ 양명수 옮김 1997/ 한길사
.
떼야르 드 샤르댕 (1881 프랑스 오베르뉴 ~1955 미국 뉴욕)
- 18세 예수회 입단
- 24세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정독
- 30세 예수회 사제 서품. 화석 연구에 생을 바치기로 함
- 47세 북경원인의 유골 발견
- 58세 WWII 로 북경에 구금. <인간현상> 저술
- 67세 <인간현상>이 교황청 서적 검열에 걸림
- 70세 교회에서 추방되어 뉴욕으로 망명
- 74세 부활주일 저녁 뉴욕에서 죽음
.
===

제1부 이른 생명
물질의 세 가지 모습은 여럿, 하나, 에너지 이다.
물질이 속으로 뭉치고 뭉치면 나중에 <생각>이 생긴다.우주의 바탕은 더 복잡한 물질형태로 집중되고 있다.
과학은 사물의 <밖>만 본다. 물질에는 <안>이 있다.
얼의 완성도(의식의 집중도)와 물질의 합성정도(복잡함)는 같은 현상의 두 가지 측면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제2부 생명

제1장 생명의 출현
진정한 생명은 <세포>와 함께 시작되었다.
생물학과 물리학 사이에 놓인 문턱
우주에 단 한번 핵과 전자들이 출현했듯이 지구에 단 한번 원형질이 출현했다.
.
제2장 생명의 팽창
암수가 생겨난 것은 무성 생식을 통해 얻은 번식과 다양화의 효과를 극대화히기 위한 수단이다. 이제 하나의 개체가 무수한 생명 씨앗이 될 가능성의 문이 열렸다. 동시에 끝없는 놀이가 시작되었다.
톨스토이의 메뚜기 떼처럼 생명은 시체더미를 넘어간다. 개체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낱생명보다 전체생명이 참생명이다. 숫자에 밀리고 덩치에 눌린다. 그리고 미래로 끌려간다.
어떤 영역에서든 정말 새로운 것이 주변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 우리는 그것을 알아채지 못한다. 장차 활짝 꽃피었을 때에야 그것을 알아보고 처음을 생각한다. 첫 단계란 항상 감추어져 있고 파괴되어 있고 잊혀져 있다.(*)
<꽃꼭지 상실>의 법칙에 따라 뿌리는 각각 과거의 안개 속에 묻혀 있다. <오리너구리>와 <바늘두더지>를 제외하고 살아 있는 모든 포유류는 모두 단 하나의 다발에서 나왔다.
진화가 있다는 데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그러나 진화에 방향이 있느냐는 문제에 대해서는 좀 다르다.
진화란 얼 에너지(방사에너지)의 끊임없는 증가다. 우리 눈에 보이는 기계 에너지(탄젠트에너지)는 늘 일정한데, 그 일정한 기계 에너지 뒤에서 얼 에너지가 끊임없이 증가하며 그것이 바로 진화다.
.
제3장 땅-어머니
지구는 총체적인 진화의 본거지로 보아야 한다. 진화는 지구상의 어떤 움직임보다도 훨씬 중요하다. 유기물질의 등장은 진화의 곡선 위에 임계점을 이룬다.
지구발생은 생물발생으로 이어지고 곧 얼 발생으로 이어진다.
나는 적자생존, 환경에 적응이라는 문제에 부딪힐수록 우리가 어떤 <외부적인 힘의 문제>가 아니라 <심리학의 문제> 앞에 서 있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다. 동물이 육식본능을 가지게 된 것은 어금니가 날카로워지고 발톱이 생겼기 때문이 아니라, '육식을 하려는 마음'이 혈통을 따라 이어져내려오며 커졌기 때문에 호랑이가 송곳니를 갈고 발톱을 날카로이 한 것이 아닐까? 형질의 진화는 스콜라 철학에서 말하는 성품을 생각나게 한다. 성품은 나이를 먹으며 형성되고 계통으로 이어가며 두터워진다. 그렇게 본능에 맞는 외모를 갖추게 된다. (*)
생명세계는 살과 뼈를 입은 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장류의 생물학적 가치는 직접 뇌가 발달하는 계통을 대표하는 데 있다. 영장류는 신체 기능을 발달시키지 않고 유연하게 뇌두면서 직접 뇌 쪽으로 진화가 이루어졌다. 더 큰 의식을 향한 진화에서 영장류는 맨 앞에 있다.
.

제3부 생각

제1장 생각의 등장
사람은 과학이 만나본 것 중 가장 신기하고 이상한 존재다. 사람의 내면이 드러나는 활동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현상은 <반성>이다. 반성이란 자신을 대상으로 놓고 자신의 존재와 가치를 헤아리는 능력이다. 반성의 등장은 다른 동물들과 인간 사이에 넘을 수 없는 심연을 놓았다. 상태의 변화가 일으킨 <본질의 변화>다.
세대의 고리에서 볼 때 개체 하나는 중요하지 않았고 살 권리가 없었다. 개체는 자기 위로 지나가는 어떤 흐름을 받쳐주는 지점에 불과했다. 생명체보다 <생명>이 더 현실이었다. 개체는 집단 전체가 사람답게 됨을 통해 사람이 된다. 사람들을 거쳐 참사람이 도래한다. 사람의 계통발생을 통해 사람 가지(계통)가 새로 생긴다.
나중에 외계에서 화석이 된 지구를 탐구하러 온다면 지구의 으뜸가는 특징으로 푸른 바다나 숲이 아니라 <생각>을 꼽을 것이다. (*)
.
제2장 펼쳐지는 얼누리
후기 구석기 시대 무리들은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수렵을 한 느슨한 집단이었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는 과거 모든 시대 중에서 중요하고 엄숙한 시대다. 문명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그 기간 동안 동물과 식물을 고르고 길들였을 것이다. 반성만큼 중요한 사회화의 순간이다. 이미 관계를 맺고 있다. 자기 자리를 정해 차지했다. 물건을 교환하고 생각을 나누며 전통이 생기고 집단적 기억이 생겼다. 미미하지만 이미 참 얼의 세계가 땅을 덮고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얼이 희박한 동물개체나 계통들 사이의 교류는 약육강식이다. 기껏해야 공생과 같은 기능적 연합이고, 대개는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쓸어버린다.
사람의 경우에는 완전하고 철저한 제거란 없다. 아무리 잔인한 정복도 제거와 함께 늘 <동화>가 있다. 패배자는 흡수되면서 정복자를 동화시킨다. 그런 정신의 교류를 통해 서로 상당히 풍부해진다. 민족 전통이 서로 섞이고 뇌 유전자도 서로 섞이는 진정한 생물학적 화합이 일어난다. 호모 사피엔스 전 영역에서 종합이 일어난다.
알고 보면 역사란 영과 육의 큰 물줄기들이 서로 만나고 부딪치고 마침내 차츰 조화를 이루는 것 아닐까?
.
제3장 현대 세계
사람은 어느 시대든지 자신들이 역사의 전환점에 서 있다고 생각해왔다.
진화란 곧 생각을 향한 행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얼의 운동이 곧 진화의 정도를 말해주고 있다. 헉슬리(Julian Huxley)가 말한 대로 "사람은 진화를 의식하는 진화다"
사회현상은 생물현상이 약화된 결과가 아니라 생물현상이 최고도에 이른 것이다.
사람은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그보다 훨씬 멋지게, 사람은 거대한 생물학적 종합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화살이다. 계속 이어지는 생명체 중에서 사람은 마지막에 나왔고 가장 신선하며 가장 복잡하고 가장 야릇하다. 오직 사람만이 그렇다.
이제 유전이란 오로지 획득된 정신적 보물의 전달이 된다.
반성이 등장하며 사람은 근심하게 되었고 오늘날 사람들은 역사 이래 가장 불안해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반성이 사회화되기 때문이다. 많음과 거대함이 가져다주는 고통에서 오는, 현대인이 겪는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저하지 말고 <자신의 직관을 끝까지 밀고 가야 한다.>
미래가 자꾸 밀어닥치는 지금 우리는 과학이 신앙에 자리를 내주어야 하는 전환점에 서 있다.
성장할수록 다른 세계를 포함하는 더 큰 새로운 세계를 낳는 것이 내면의 세계다. 사람이 사람답게 되어갈수록 끝없이 새로운 것을 향하지 않고는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 사라믜 활동 안에 이미 어떤 <절대>가 숨어 있다. 우리가 진화다.
어디로 갈 것이라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희망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믿음을 갖는 것이 합리적이다.
사실 세상은 너무 큰 사건이다.(*)
.

제4부 다음 생명

제1장 집단 출구
이 사건에는 지구라고 하는 공간의 한계가 주어져 있다. 그러나 반성의 탄생으로 말미암아 사람에게 주어진 새로운 유연성을 고려해야 한다. 사람부터는 생각 덕분에 융합에 새로운 비약이 이루어졌다. 인류 안에서 일어나는 융합은 개인이나 집단이 떨어지려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럴수록 더욱 엮어지고 가까워진다. 미래의 문, <큰 사람>을 향한 입구인 그 분은 <모두가> 힘을 합해 밀어야 열리는 문이다.
이제 한 사람을 양육하려먼 어떤 들판에서 나는 곡식만으로는 안되고 지구 전체가 동원되어야 한다. (*) 각국의 여러 말이 한 가지 뜻을 나타낸다는 것은 여러 지체와 신경계와 감각기관과 기억을 가진 몸을 지닌 <큰 것>이 탄생한다는 것 아닐까?
인류의 뿌리가 우주적이라는 것, 인류는 어떤 구체적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특별한 본성을 지녔다는 것.
그러나 ㅠ 같이 생각하기 힘든 수를 발견하지 않았으면 기하학은 발전을 멈추었을 것이다.
모든 걸 알고 싶어하는 욕구와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철학 덕분에 무의식을 찾아내게 되었다. 세상은 체계적인 반성을 거쳐야 제댜로 되는 것이라면 무의식은 일종의 열등감 또는 존재론적 악이다. 그런 무의식의 세계가 새로 생겨난 셈이다.
생각을 완벽하게 만들려는 생각, 집단 반성의 결과 앞으로 비약하는 생명. 그렇다. 사람이 연구를 계속하며 꿈꾸는 것은 원자나 분자의 친화성 너머로 다른 가장 바탕되는 에너지를 손에 넣으려는 것이다
조화로운 집단의식, 그것은 <초의식>이라 할 수 있다. 지구는 무수한 생각 알갱이들로 덮여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큰 <생각덩어리>로 덮이게 된다. 다양한 개인들의 반성들이 뭉쳐서 하나의 반성 곧 <만장일치된 반성>이 된다.
.
제2장 집단을 넘어 : 큰 사람
참 얼은 처음부터 통합하고 조직하는 힘이다.
우리 의식의 자리는 그것을 이루는 여러 가닥보다 더 깊다. 오메가가 정말 오메가가 되려면 그래야 한다. 교통하려면 나를 포기하면서도 여전히 존재해야 한다. 결국 의식 세계의 집중 또는 농축은 <하나>의 큰 의식을 낳지만 그 안에는 개체 의식이 <모두> 들어 있다. 의식들 하나하나는 여전히 자신을 의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오메가에 가까울수록 다른 존재와 더욱 뚜렷하게 구분된다. 수렴이라는 것은 개체와 요소를 보존하는 것일 뿐 아니라 오히려 더욱 뚜렷하게 하는 것이다.
사랑(존재와 존재가 가까워짐)은 사람에게만 있는 게 아니라 모든 유기체에 있는 것이다. 아주 미약하게나마 분자에게도 서로 하나가 되려는 욕구가 없었따면 높은 단계인 우리 사람에게서 사랑이 나타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오직 사랑만이 개체들을 하나되게 함으로써 개체를 완성할 수 있다. 사랑만이 속 깊은 만남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두 사람이 서로 자신을 상대에게 내주지 않고 어떻게 상대를 완벽하게 가질 수 있겠는가? 남과 하나가 되면서 내가 된다는 모순된 행위를 실현하는 것은 사랑이 아닐까? 그런 일이 매일 여러 규모로 일어낙 있다면 어느 날 전 지구 차원에서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겠는가?
우주의 압력으로 개체를 전체로 몰아가는 열정이다. 우주 차원의 사랑이다. 우주 사랑. 가능한 심리일 뿐 아니라 결국 완벽하고 충만한 사랑은 그런 방식일 수밖에 없다.
사랑은 비인칭과 익명을 만나면 죽는다. 사랑을 위해서는 같이 있어야 한다. 다른 힘들이 그렇듯이 사랑의 힘도 지금 있는 것들을 가지고 이리저리 엮어 나가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모으지만 그것이 처음부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지 않는다면 결코 오메가라고 할 수 없다. 자율, 현재성, 불가역성, 초월. 이렇게 오메가의 속성은 네가지다.
겉으로 볼 때 사람은 동물처럼 지저분하다. 그러나 사람은 죽음에 먹히지 않고 자유로워진다. 엔트로피를 넘어 오메가를 향한다. 죽음도 자연스럽게 인간화된다. 생각 알갱이의 출현으로 우주는 참되고 결코 부서지지 않을 바탕을 찾았다. 그러면서 물질과 반대방향으로 우리 머리에 우주가 자리잡게 되었다. 우주는 기계에너지가 모이고 보존되는 곳이 아니라 인격이다.(*)
.
제3장 세상의 끝
.
고생물학자 매튜는 자기 책에서, 만일 사람 가지(계통)가 사라진다면 다른 생각하는 가지가 그 뒤를 이으리라고 했다(*)
생명이 지구라는 행성 위에 생긴 것은 오직 한번이었다. 그 생명이 반성을 뛰어넘는 것도 단 한번 있을 일이다. 생명에게 단 한번의 기회가 있었듯이 생각에게도 단 한번의 기회가 있을 것이다. 그 순간부터 사람은 계통수의 방향타가 될 것이다. 얼누리의 장래, 생물발생의 장래, 우주발생의 장래는 사람에게 달렸다. 우주가 자살하지 않는 한 그런 일이 가다가 멈추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은 알 수 없는 존재라고 카렐이 말했다. 그러면서도 모든 것을 풀 수 있는 열쇠는 사람에게 있다. 지금까지 과학은 사람을 직접 알려고 하지 않고 빙빙 둘레만 돌았다. 물질로 볼 때 우리 몸은 별 뜻이 없고 순간에 머물고 매우 약하다. 연구할 까닭이 없지 않은가? 얼로 보자면 우리 얼은 매우 복잡하고 신비하다. 그걸 어떻게 무슨 법칙이나 공식으로 만들 수 있겠는가?
사람이 밑이며 위다. 사람이 중심이다.

진화란 하나됨과 함께 자유를 향한 것이다.
종교와 과학. 앎의 두 모습이다. 이 둘이 결합될 때 완벽한 앎을 이루고 진화의 과거와 미래를 모두 끌어안으며 그것을 생각하고 가늠하고 마무리지을 수 있다. 과학과 종교, 이성과 신비, 아직은 서로 대립하고 있는 두 능력이 서로를 튼튼하게 할 때 인류의 얼은 최고에 달하고 가장 활기찬 생명력을 띠게 될 것이다.
.
맺음말

그리스도발생은 우주발생의 절정인 얼발생의 연장이요 그것은 우리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것이다. 그리스도는 창조의 위엄을 몸에 두르고 있다. 사람은 이 그리스도로부터 하느님을 받아들이고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운동하고 있는 우주의 길이와 두께와 깊이 속에서 하느님을 찾는 것이다. 몸과 마음과 얼을 다할 뿐 아니라 하나되고 있는 온 우주를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 그것은 시공간의 세계에서만 할 수 있는 기도다(*)

2022/06/15

도겐(道元)선사의 일대기 영화 젠(禪)을 보고

도겐(道元)선사의 일대기 영화 젠(禪)을 보고


진흙속의연꽃

2021. 4. 5.


도겐(道元)선사의 일대기 영화 젠(禪)을 보고

우리는 일본불교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고작 왜색불교라고 알고 있는 것이 아닐까? 머리 기르고 대처하는 스님 같지 않은 스님을 연상할 수 있다. 그러나 알고 보면 일본불교는 매우 다양하다. 그것은 종파불교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의 특징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말하면 통불교이다. 모든 불교를 하나로 통합한 불교를 말한다.
그래서 한국불교 안에는 갖가지 불교의 종파가 있고 갖가지 불교역사가 들어가 있다. 이를 좋게 말하면 융합불교이고 화쟁불교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좋지 않게 말하면 혼합불교가 된다.

종파불교를 지향하는 일본불교에서 머리 기르고 대처하는 종단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엄격하게 수행만 하는 종파가 있다. 조동종이 대표적이다. 
선종계통의 조동종은 한국의 임제종과 여러 모로 비교된다. 
한뿌리이기는 하지만 한국의 임제종은 화두선에 대한 것이고, 일본의 조동종은 묵조선에 대한 것이다.

유튜브에서 우연히 일본영화를

유튜브에서 우연히 일본영화를 보게 되었다. 유튜브에서 일드, 즉 일본드라마를 접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일본영화를 보기는 어렵다. 일본영화 하면 야동을 떠올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번에 본 일본영화는 불교영화이다. 제목은 ‘선(禪)(2009)’이다. 일본말로 ‘젠’이라고 한다.




일본불교영화 젠은 도겐선사의 일대기에 대한 것이다. 도겐선사(1200년-1253년)는 일본 조동종의 개산조로 알려져 있다. 선사의 나이 23살 때 1223년 입송하여 5년간 선을 공부했다. 중국 선승 여정 밑에서 깨달음을 얻고 1227년 귀국했다. 영화는 도겐의 입송때부터 시작된다.

영화에서는 무엇을 말하고자 함일까? 가장 크게 와 닿는 말이었다. 도겐이 가마쿠라막부시대 5대 집권 호죠 토끼요리와의 대화에서 잘 드러난다. 도겐은 목숨을 건 여행을 한다. 권력투쟁으로 피폐해진 최고 실력자의 정신을 치유해주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의 심기를 건드리면 죽음을 면할 수 없었다.

어느 것이 정법인가?

집권 호죠 토끼요리는 도겐에게 이것 저것 물어본다. 도겐이 송나라로부터 올바른 불법을 가져왔다고 하는데, 누구나 올바른 불법을 말한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외도들이 “세계는 영원하다. 이것이야말로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Ud.66, D9.50)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도겐 당시 일본에는 갖가지 불교가 난립해 있었다. 서로 자신의 불교가 바른 불교라고 했다. 이에 최고 실력자는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마치 초기경전에서 아자타삿투왕이 외도 스승들의 주장에 혼란스로워하는 것과 같다.

막부의 최고실력자는 도겐에게 계속 묻는다. 실력자는 “당신이 말하는 새로운 정법이란 무엇인가?”라며 묻는다. 마치 사무라이가 둘이서 진검승부를 펼치는 것 같다.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도겐은 “지관타좌(只管打坐)”라고 힘주어 말한다.



지관타좌란 무엇일까? 이는 도겐의 이어지는 설명에서 알 수 있다. 지관타좌는 “그저 한결 같이 앉습니다.”라고 말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지관타좌에 대해서 검색해 보았다. 도겐의 조동종에서는 지관타좌라 하여 오직 죄선만 하는 선을 내세운 것이다. 오로지 참선에만 전념하는 불교를 말한다. 중국 선종에서 묵조선에 대한 것이다. 이는 한국의 간화선과는 다른 것이다.

바다의 비유를 들어

영화에서는 지관타좌에 대한 설명이 계속 이어진다. 실력자 토끼요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저 앉는 것에 무슨 처방이 있단 말이냐?”라고 물어본다. 이에 도겐은 바다의 비유를 든다.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유만큼 적절한 것이 없다.

부처님도 수많은 비유를 들어 진리를 설명했다. 초기경전을 보면 부처님의 탁월한 비유를 볼 수 있다. 이는 부처님이 “왕자여, 그렇다면 제가 비유를 들겠습니다. 세상에서 어떤 지혜로운 사람들은 이 비유를 통해서도 말한 의미를 이해합니다.”(D23.24)라고 말했다.

과연 가마쿠라막부 실력자 5대 집권 호죠 토끼요리는 도겐의 말을 이해할 수 있을까? 도겐은 “토키요리님, 그 말은 큰 바다 안에 물이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말에 실력자는 발끈 한다. 자존심을 건드린 것이다. 도겐은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는다.

“봄에는 꽃,
여름에는 두견새,
가을엔 달,
겨울엔 눈이 쌓여
서늘할지니.”



이 게송은 무슨뜻일까? 토끼요리는 “도겐, 당연한 말 아닌가?”라며 묻는다. 도겐은 당연한 말을 한 것이다. 도겐은 “있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의 참된 모습을 보는 것이야말로 깨달음이옵니다.”라고 말한다.

있는 그대로 알고 본다는 것은

도겐은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을 깨달음이라고 했다. 이는 초기경전에 무수하게 나오는 야타부따냐나닷사나(yathābhūtañāṇadassana)와 같은 말이다. 한자어로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이라고 한다.

부처님은 초전법륜경에서 여실지견을 말했다. 이는 “그러나 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이 네 가지 거룩한 진리에 대하여 나의 앎과 봄이 세 번 굴려서 열두 가지 형태로 있는 그대로 청정해졌기 때문에”(S56.11)라는 말로 알 수 있다. 있는 그대로 알고 보면 청정해짐을 말한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연기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다.

상윳따니까야 ‘깟짜야나곳따의 경’(S12.15)을 보면 영원주의와 허무주의를 타파 하고 있다. 이는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에서 가능하다. 그래서 부처님은 “깟짜야나여,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 세상의 발생을 관찰하는 자에게는 세상에 비존재라는 것은 사라진다. 깟짜야나여,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 세상의 소멸을 관찰하는 자에게는 세상에 존재라는 것은 사라진다.”(S12.15)라고 했다.

세상의 발생을 관찰한다는 것은 연기의 순관을 말한다. 세상의 소멸을 관찰한다는 것은 연기의 역관을 말한다. 조건발생하여 일어나는 것을 보고서 허무주의는 타파되고, 소멸하여 사라지는 것을 보고서는 영원주의는 부서진다. 이렇게 있는 그대로 알고 보면 잘못된 견해에서 벗어 날 수 있다.

보름달의 비유를 들어

있는 그대로 알고 보면 진리를 볼 수 있다. 영화 젠에서 도겐은 막부의 실력자에게 여실지견을 말했다. 그러나 실력자는 지혜가 없어서 알아듣지 못했다. 이에 도겐은 바다의 비유를 들었다. 그래서 “좌선이란 큰 바다 안의 물을 보는 것입니다. 허나 스스로의 불성을 모른다면 큰 바다 안에 물이 있단 걸 알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도겐은 불성을 말했다. 여기서 불성이란 무엇일까? 이를 실력자에게 설명하기는어려웠을 것이다. 실력자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겐은 실력자에게 보름달을 보자고 한다. 도겐은 보름달을 가리키면서 “당신의 마음속에 있는 달이야 말로 불성입니다.”라고 말한다.

달은 차면 기운다. 실력자는 달은 저 하늘에 있는 것으로 차면 기우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이에 도겐은 수면에 비친 보름달을 베어 보라고 말한다. 보름달은 칼로 베어지지 않는다. 복원되는 달을 보여 주면서 “설사 구름이 달을 가려도 혹은 하늘에서 그 모습을 감추어도 달이 없다고 말해선 안됩니다.”라고 말한다.




도겐은 불성을 달에 비유했다. 그리고 누구나 불성이 있다고 했다. 이는 사람들 마다 순수한 때묻지 않은 마음의 보름달이 있음을 말한다. 이와 같은 불성론은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과 같다. 이에 대하여 도겐의 조동종에서도 주관적 관념론의 철학사상이 드러난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불성론은 임제종의 철학사상과도 같은 것이다.

니까야에서 보름달의 비유는

니까야에도 달의 비유가 있다. 앙굴리말라 게송을 보면 “악한 짓을 했어도 착하고 전전한 일로 덮으면, 구름에서 벗어난 달과 같이 이 세상을 비춘다.”(Thag.872, M86)라고 했다. 게송에서 말하는 달은 불성과는 다른 것이다. 앙굴리말라 게송에 나오는 보름달은 악행과 선행에 대한 것이다.

연쇄살인자 앙굴리말라가 부처님의 교화로 인하여 부처님의 교단에 들어오게 되었다. 앙굴리말라는 아라한이 되었다. 앙굴리말라는 임종시에게 이 게송을 읊고 열반에 들었다. 그럼에도 수행승들은 궁금했던 것 같다. 연쇄살인자가 완전한 열반에 들었는지에 대해서 의심한 것이다.

부처님은 수행승들의 질문에 답을 해 주었다. 앙굴리말라는 완전한 열반에 들었음을 말해 주었다. 그리고서는 “예전에 한 명의 선한 친구도 얻지 못해 이와 같은 악을 저질렀으나 나중에 선한 친구의 도움을 얻어 방일하지 않아 그로써 악업을 선업으로 덮었다.”(DhpA.III.169-170)라고 말해 주었다.

초기경전과 논서에서 보름달과 관련된 것이 종종 발견된다. 그러나 대승에서 말하는 불성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이를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달이 차면 그 보름달에
사람들이 합장하듯이,
세상 사람들은 고따마께
예배하고 공경합니다.”(M98)


“빛을 비추는 태양 같은,
가득 찬 보름달과 같은,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님을
아지따는 보았다.”(Stn.1016)


“보름달 밤에 떠오르는 달처럼
그대의 마음은 완전히 해탈되었으니
일어서소서, 영웅이여, 전쟁의 승리자여” (S11.17)

“그런 아는 사유가
원만함이 보름달과 같았다.
모든 번뇌 다했으니
이제 다시 태어남이란 없다.”(Vism.1.130)


“계를 성취하여 빛나는
비구는 고행의 숲에서 빛난다.
마치 보름달이 허공에서 빛나듯이.” (Vism.1.159)


“구름없는 하늘에 둥근 보름달처럼,
황금색 돌 위에 놓인 보석처럼 청정하다.
그러므로 있기 때문에, 청정하기 때문에
와서 보라고 초대할만하다.” (Vism.7.82)




일상의 당연한 것이 깨달음

도겐선사의 일대기 젠을 유튜브에서 보았다. 일본불교에서 그래도 초기불교에 가까운 것이 조동종이라 보여 진다. 그러나 불성에 대한 것도 있어서 초기불교라고 볼 수 없다. 그럼에도 좌선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실상을 여실히 보아야 한다는 것에 있어서는 부처님 가르침과 같다.

영화 젠에서는 일상의 당연한 것이 깨달음이라고 했다. 그래서 “봄에는 꽃, 여름에는 두견새, 가을엔 달, 겨울엔 눈”이라고 했다. 어쩌면 진리는 바로 우리 옆에 있는 것인지 모른다.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야말로 진리라고 할 수 있고 깨달음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2021-04-05

담마다사 이병욱


좋아요11
공유하기
글 요소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댓글 5

구름2021.04.05 16:29

"법을 듣을 시절인연이 되는지 먼저 알아야 했었더라면,"

좋은 글, 감사합니다.답글수정/삭제

풍림화산2021.04.19 07:43 신고

기독교인들은 성경에 일점일획의 오류도 없다고 믿는다.
우리 상좌부 수행자들도 마찬가지다.
나도 그랬다.

그런데 어느날 이런 생각이 문득 들었다.
부처님의 45년 설법이 모두 니까야에 들어있을까?
어떤 한 부파의 견해에따라 가감은 없었을까?

역사는 살아남은 부파의 견해에 맞춰 불법이 윤색되고 축소될 수 있음을
한국불교안에서도 볼 수가 있다.
선에 이르는길이에
간화선만 있는 줄 알고 그게 최고인 줄 아는
한국의 선승들처럼.
답글수정/삭제

북한산2021.04.21 08:56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도인과 수좌의 질의응답
-도가 무엇입니까?
-아랫 마을 김가네 며느리가 애를 뱄데...
-아니 , 그런 얘기 말고요, 도가 뭐냐니까요?
-응? 그런데 그 며느리가 애를 낳았대...

*간화선만이 최고라하는 것이 아니고 대표적 선승인 송담선사는 '윗빠사나로도 깨달을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간화선 수행을 오래 해왔으므로 공부지도를 받기에는 한국에서는 간화선이 유리하다.'고 얘기했습니다.

답글수정/삭제

네줄의 행복2021.05.15 00:11 신고

좋은 영화 보았습니다. 두시간이 휙 지나갑니다답글수정/삭제

오기두2021.08.09 21:44

좋은 글 감사합니다. 도겐선사님 말씀을 너무나 감명깊게 봤습니다. 지금 10번 더 넘게 보고 있습니다. 천동여정 스님이나 도겐스님이 좌선을 강조하는 곳에서는 잠깐 멈춤을 해 두고 두 눈 감고 깊이 숨쉬며 그 숨과 하나가 되곤 하면서 보고 있습니다. 지금 이 글 읽으면서 가마쿠라 막부의 쇼군 도끼요리와 도겐선사님, 지웬 스님이 명상하는 사진 부분에서도 그렇게 숨과 하나가 되었습니다.답글

한용운 『님의 침묵』과 『십현담』ㆍ『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 - '정위(正位)'에 머물지 않는 선(禪)과 '방편'으로서의 시 쓰기를 중심으로

한용운 『님의 침묵』과 『십현담』ㆍ『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 - '정위(正位)'에 머물지 않는 선(禪)과 '방편'으로서의 시 쓰기를 중심으로

한용운 『님의 침묵』과 『십현담』ㆍ『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 - '정위(正位)'에 머물지 않는 선(禪)과 '방편'으로서의 시 쓰기를 중심으로
On Intertextuality between Han Yong-wun's Silence of Lover and Siphyundam Joohae (the Annotated Siphyndam)
한국현대문학연구

약어 : 현대문학

2014, vol., no.42, pp. 29-66 (38 pages)

DOI : 10.22871/mklite.2014..42.002

UCI : G704-001493.2014..42.003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서준섭 /Suh Joon Sop 1
1강원대학교

초록 
한용운의 시집 『님의 침묵』의 원고는 1925년 그가 중국 선사 동안상찰(10세기)의『십현담』에 대한 주해 작업을 마친 직후에 집필되었다. 한용운의『십현담주해』에 사용한 『십현담』 텍스트는, 15세기 김시습이 지은 『십현담요해』인데, 『십현담주해』저술은 그의 선학의 완성을 의미한다. 이 작업은 이후 『님의 침묵』시편의 원고 집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님의 침묵』은 세속적인 사랑을 주제로 한 시집이고, 『십현담주해』는 선불교의 선화에 대한 주해로서 두 텍스트는 서로 다른 책이지만, 그 사이에는 상호텍스트성이 존재한다. 시집과 주해본들을 함께 정독해보면『님의 침묵』이 몇 가지 점에서『십현담주해』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텍스트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님의 침묵』시편에는 『십현담』과 그 주해 텍스트에서 얻은 소재ㆍ아이디어ㆍ모티프ㆍ언어 표현 등을 활용한 시작품이 상당수 발견된다. 예를 들면, 시집 '서문'에 나오는 '양(羊)'이라는 언어 표현, 「수의 비밀」ㆍ「낙원은 가시덤풀에서」ㆍ「선사의 설법」 등의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ㆍ모티프ㆍ시어 등은 모두 그가 연구한『십현담』과『십현담요해』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둘째,『십현담주해』가 번뇌의 해결을 위한 승려 한용운의 사유가 표현된 작품이라면,『님의 침묵』은 승려 아닌 새로운 길의 모색을 위한 사유가 전개된 작품이지만,『십현담』이 강조하는 선(禪.)에서의 '정위/ 편위'의 방편과 '정위에 머무는 선'의 부정은 시 창작에서 그대로 활용되고 있다. 시인의『님의 침묵』을 관통하는 지속적인 사유의 하나는 어떻게 불교를 완전히 포기하지 않고 세속의 사랑을 수용하고 시인으로서 살아갈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정위(공계)’에 머무는 선을 부정하고 새로운 삶의 비전을 모색하는 시인의 사유 방식은 정위, 편위 어느 한쪽에 머물지 말라는 『십현담』 가르침을 활용한 것이다.
『십현담주해』와 시집은 이와 같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텍스트이다. 한용운의 시집과『십현담주해』의 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해야 시집에 나타난 시인의 독특한 사유와 시세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After exploring intertextuality between Silence of Lover and Siphyundam Joohae,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Han Young-un’s poetic worl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Han’s study of Zen Buddhism is not only closely connected to his writing of poems but also essential in constituting his poetic vision.
Han Yong-un began composing the poems in Silence of Lover right after completing Siphyundam Joohae in 1925. At that time two versions of annotated Siphyundam were available to him. One was Buban Moonik’s edition of Siphyundam, the other was Kim Si-seup’s. After studying these two texts throughly, Han created a compact, modern version of Siphyundam in his own style. His Silence of Lover is a collection of poems in Korean, whereas his Siphyundam Joohae is a Zen Buddhism text in Chinese. Though often considered separately, these two texts are deeply interconnected. His studying of Siphyndam greatly inspired him to write Silence of Lover.
Many major themes, motifs and expressions in Silence of Lover originated from Siphyundam Joohae. Among many, "Preface", "Master's Sermon", "Paradise in the Thornbush", and "The Secret of Embroidery" in Silence of Lover are arguably the most notable examples revealing the themes of Zen Buddhism. In addition, Han also applied ‘the doctrines of Jungui(정위) and Pyunui(편위)’ in Siphyundam to his writing of poems. As a monk-poet, Han’s major concern was how to combine Jung-ui and Pyun-ui, and, Buddism and secular love in his vision of poetry. In Silence of Lover can be found his persisting endeavor to make his literary life and practice compatible with lessons from Zen Buddhism.
In this sense, we can argue that without a thorough study of Siphyundam Joohae we cannot really understand Han’s poetic vision and thought in Silence of Lover.


키워드
『십현담요해』, 『십현담주해』, 『님의 침묵』, 상호텍스트성, 정위/ 편위
Siphyundam Yohae, Siphyundam Joohae, Silence of Lover, intertextuality, the doctrines of Jungui(정위) and Pyunui(편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