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27

Gerd Theissen - Wikipedia a Socio-rhetorical Approach

Gerd Theissen - Wikipedia

Gerd Theisse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Gerd Theißen (or Theissen; born 24 April 1943) is a German Protestant theologian and New Testament scholar. He is Professor of New Testament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Heidelberg.[1]

Early life and education[edit source]

Theissen obtained his doctorate in theology in Protestant theology from the University of Bonn in 1968. He then took a position studying Evangelical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Bonn. He obtained his habilitation in 1972 in Bonn, with a form-critical work on early Christian miracle stories.[1]

Academic career[edit source]

He was a lecturer at the University of Bonn from 1973 to 1978. In 1978, he became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Since 1980 he has been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Heidelberg. From 2007 to September 2009 he was secretary of the Philosophical class of the Heidelberg Academy of Sciences.

In 2002, he was awarded the Burkitt Medal by the British Academy. It is granted 'in recognition of special service to Biblical Studies'.[2]

Personal life[edit source]

Theissen is married to psychotherapist Dr. Christa Schaible. They have two children.[1]

Work[edit source]

His Sociology of early Palestinian Christianity (1978) is useful for interpreting intertestamental literature.[3]

Theissen received the Burkitt Medal for Biblical Studies in 2002 from The British Academy. According to the British Academy's citation, Theissen is:

"... one of the earliest pioneers i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sociology to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Notable works in this field are The First Followers of Jesu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Earliest Christians (which concentrated on conditions in Palestine) and The Social Setting of Primitive Christianity (a Pauline study dealing mainly with Corinth)."

the citation goes on to say that

"... Prof. Theissen is not simply a sociologist. He has never ceased to be a theologian, who has always emphasised the theological as well 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sociological studies and has written specifically on the meaning of faith. A Critical Faith and Biblical Faith: an Evolutionary Approach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is respect. But his recent publications also include The Religion of the Earliest ChurchesGospel Writing and Church Politics: a Socio-rhetorical Approach, and The Shadow of the Galilean. This last is a most unusual life of Jesus, accessible to any intelligent reader, but based on the strictest critical discipline."

His works are translated into more than ten languages, both European and Asian languages.[1]

Bibliography[edit source]

Books translated in English
  • The Miracle Stories of the Early Christian Tradition (1974), Fortress Press, 1983, ISBN 0-8006-6205-9
  • Sociology of Early Palestinian Christianity (1977), Fortress Press, 1978, ISBN 0-8006-1330-9
    • also published as: The First Followers of Jesu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Earliest Christianity (1977), SCM Press, 1978, ISBN 0-334-00479-9
  • A Critical Faith: A Case for Religion (1978),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9, ISBN 0-8006-1373-2
    • also published as: On having a Critical Faith, London: SCM Press 1979
  • The Social Setting of Pauline Christianity: Essays on Corinth (1979),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reprint: Wipf & Stock, 2004), ISBN 1-59244-871-2
    • also published as: The Social Reality and the Early Christians: Theology, Ethics and the World of the New Testament (1979), Minneapolis: Fortress 1992 (reprint T. & T. Clark, 1999), ISBN 0-567-09618-1
  • Psychological Aspects of Pauline Theology (1983),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7 (reprint: T. & T. Clark, 1999, ISBN 0-567-09479-0
  • Biblical Faith: An Evolutionary Approach (1984), Fortress Press, 1985, ISBN 0-8006-1842-4
  • The Shadow of the Galilean: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in Narrative Form (1986), Fortress Press, 1987; Updated edition 2007, ISBN 0-8006-3900-6.
  • The Gospels in Context: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in the Synoptic Tradition (1989), Minneapolis: Fortress 1991 (reprint: T. & T. Clark, 1999), ISBN 0-567-29602-4
  • The Open Door: Variations on Biblical Theme (1990), Fortress Press, 1991, ISBN 0-8006-2561-7
  • The Sign Language of Faith. Opportunities for Preaching Today (1994), SCM Press, 1995, ISBN 978-0-334-02598-6
  • Traces of Light: Sermons and Bible Studies (1994), SCM Press, 1996, ISBN 0-334-02629-6
  • Gerd Theissen, Annette Merz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1996), Augsburg Fortress, 1998, ISBN 0-8006-3122-6
  • Gerd Theissen, Dagmar Winter, The Quest for the Plausible Jesus: The Question of Criteria (1997),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 ISBN 0-664-22537-3
  • Signs of Life (1998), SCM Press, 1998, ISBN 978-0-334-02757-7
  • The Religion of the Earliest Churches: Creating a Symbolic World (1999), Fortress Press, 1999, ISBN 0-8006-3179-X
  • A Theory of Primitive Christian Religion (2000), SCM Press, 1999, ISBN 0-334-02913-9
  • Gospel Writing and Church Politics: A Socio-rhetorical Approach (Chuen King Lecture Series - CKLS 3 Chung Chi Colleg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1 ISBN 962-7137-29-4
  • The New Testament: History, Literature, Religion (2002), T & T Clark, 2003, ISBN 0-567-08949-5
  • Wolfgang Stegemann, Bruce J. Malina, Gerd Theissen (eds.), The Social Setting of Jesus and the Gospels, Fortress Press, 2002, ISBN 978-0-8006-3452-0
  • The Bible and Contemporary Culture (2003), Fortress Press, 2007, ISBN 0-8006-3863-8
  • The New Testament: A Literary History (2007), Fortress Press, 2011, ISBN 978-0-8006-9785-3
Books not translated
  • Untersuchungen zum Hebräerbrief, Gütersloh: Mohn, 1969
  • Jesus als historische Gestalt. Beiträge zur Jesusforschung, Göttingen: Vandenhoeck, 2003
  • Gerd Theissen, P.v. Gemünden, M. Konradt, Der Jakobusbrief. Beiträge zur Rehabilitierung der „strohernen Epistel“ , Münster: LIT, 2003
  • Die Jesusbewegung. Sozialgeschichte einer Revolution der Werte, Gütersloh: Kaiser, 2004
  • Erleben und Verhalten der ersten Christen. Eine Psychologie des Urchristentums,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07
  • "Regards psychologiques et sociologiques sur le christianisme primitif: cinq études de Gerd Theissen", Études théologiques et religieuses 83 (2008)
  •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vor und nach 1945: Karl Georg Kuhn und Günther Bornkamm", Schriften der Philosophisch-historischen Klasse der Heid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47, Heidelberg: Winter, 2009
  • "Von Jesus zur urchristlichen Zeichenwelt", "Neutestamentliche Grenzgänge“ im Dialog, Göttingen: Vandenhoeck, 2011
  • Die Ritualdynamik urchristlicher Sakramente. Von prophetischen Zeichenhandlungen zu geheimnisvollen Riten, = La dinamica rituale dei sacramenti nel cristianesimo primitivo. Da azioni simbolico profetiche a riti misterici, Lectiones Vagagginianae IV, Rom: Cittadella Editrice e Pontificio Ateneo Sant'Anselmo, 2013
  • Polyphones Verstehen. Entwürfe zur Bibelhermeneutik, Münster: LIT, 2014
  • Transparente Erfahrung: Predigten und Meditationen,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4
  • Polyphones Verstehen: Entwürfe zur Bibelhermeneutik, Münster: LIT, 2015
  • Gerd Theissen, Petra von Gemünden, Der Römerbrief. Rechenschaft eines Reformators, Göttingen: Vandenhoeck 2016
  • Gerd Theissen, Lung Pun Chan, István Czachesz, Kontraintuitivität und Paradoxie. Zum kognitiven Ansatz in der Exegese, BVB 29, Münster: LIT 2017
  • Veränderungspräsenz und Tabubruch. Die Ritualdynamik urchristlicher Sakramente, BVB 30, Münster: LIT 2017
  • Der Anwalt des Paulus,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7
  • Glaubenssätze: ein kritischer Katechismus,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8
  • Texttranszendenz, Beiträge zur polyphonen Hermeneutik, Münster: LIT 2019
  • Urchristliche Wundergeschichten: ein Beitrag zur formgeschichtlichen Erforschung der synoptischen Evangelien,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9
  • Beiträge zu einer polyphonen Bibelhermeneutik, Münster: LIT 2019
  • Religionskritik als Religionsdiskurs: Plädoyer für einen postsäkularen Dialog, Stuttgart: Alfred Kröner Verlag 2020
  • Resonanztheologie: Gott, Christus, Geist, Münster: LIT 2020
  • Gerd Theissen, Sylvia Thonak, Militärseelsorge: das ungeliebte Kind protestantischer Friedensethik? : Konzepte und Probleme, Münster: LIT, 2020
  • Kirchenträume - Kirche in urchristlicher Zeit und Gegenwart, Münster: LIT, 2021

Notes[edit source]

  1. Jump up to:a b c d Balla, Prof. Dr. Peter. "Laudatio for Professor Gerd Theissen, on the occasion of awarding him the title of doctor honoris causa"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1 July 2011. Retrieved 25 November 2010.
  2. ^ "BURKITT MEDAL FOR BIBLICAL STUDIES 2002"Prizes and medals. British Acade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14. Retrieved 9 December 2014.
  3. ^ Harris, Stephen L.,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p. 251.

External links[edit source]

Hyun Ju Kim 1학년들과 복지관에서 밑반찬을 만들어 필요한 사람들의 가정으로 배달

Facebook

Hyun Ju Kim is at 솔랑마을.
1 h · Daejeon, South Korea ·



1학년들과 복지관에서 밑반찬을 만들어 필요한 사람들의 가정으로 배달
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대상 가구는 10가구인데 배달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들어서 이번달에는 8가구로 줄였다. 우리는 10가구 분량의 재료를 구입하여 가져갔지만 8개로 나누어 담았다. 복지관 근처에 사시는 분도 있지만 그런 분들은 대개 걸어서 무료급식에 오시기 때문에 조금 멀리 사시는 분들께 배달을 한다.
 
나는 부장님과 대동에서 오정동과 소제동까지 다녀왔다. 덕분에 소제동 솔랑시울길을 가까이 들여다보았다. 고즈넉하고 아름다웠다. 차를 팔거나 예술을 전시한 가게들이 있었다. 어떤 집들은 안에서 신나는 모험이 기다리고 있을 것처럼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채였다. 다섯 가구가 한 집에 산다는 집에서 나온 한 분은 남편이 낮술에 취했고 정신과에도 다녀왔다며 표정부터 어수선했다. 이렇게 빈 집이 많은데 한 집에 다섯 가구. 대문과 마당과 화장실과 소리와 냄새를 공유하는 그분들 살아가는 실력에 옷깃이 여미어졌다. 

이제와서야 가져간 반찬 네 그릇을 들고 나머지 네 가구에서 쳐다보는 시선을 지나쳐야 하는 그분의 마음을 상상할 수 있다. 둔하고 느린 나는 공감할 타이밍에 마음이 움직이지 못했다. 아름다운 초여름 정취에 취하여 이 골목길을 어떻게 사람이 다니는 길로 지켜낼까, 어떻게 여기 사는 사람들이 아침 저녁으로 물 나오고 불 쓰고 전기 통하고 비 새지 않고 오물 치우기 좋은 집으로 살게 할까를 생각했다. 

다 헐고 아파트를 지으면 살던 사람들은 살 곳이 없어진다. 동구가 개발되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 지금 거기서 사는 사람들에게는 날벼락이다. 용운 에코포레 지금 전세가 4억이지만 저층 주공아파트일 때는 전세가 5천만원 매매 1억원이었다. 재개발을 바라던 소유주는 지금 몇 억을 벌었고 거기 살던 사람들의 공동체는 사라졌다. 낮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사람을 부축하고 마당에서 키운 부추전을 나누어 먹고 눈이 오면 대문앞에 연탄재를 깨뜨려 뿌리던 사람들의 일상이 사라질 것이다. 

응답하라 1988 마지막 장면에서 헤어짐이 아쉬워 판교에서 다시 만날 판을 짜는 작가의 심정이 이러했을 것이다. 사진을 찍고 있으니 지나가던 사람이 그리로 안 다니고 저쪽이라고 손으로 가리키며 알 수 없는 이야기를 했다. 뭐지? 신비감에 취한 나에게 앨리스의 토끼처럼. 이길이나 저길이나 인적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여덟에서 열 가구 정도인데 재료비만 15만원이고 학생 여섯에서 여덟 명과 교수 한 명, 사회복지사 세 명이 투입된다. 달걀말이 오이무침 달걀장조림 어묵볶음. 그 돈으로 반찬가게에서 사다가 배달하면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되고 노력도 아끼고 무엇보다 반찬도 더 많이 드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밑반찬에는 전문가라고 할 수 없는 봉사자들이 손을 데어가고 땀을 흘리는 것, 사회복지사들이 주소를 들고 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골목길을 찾아가 들여다 보고 이거 학생들이 만든 거예요 생색을 내며 전달하는 일은 

돈이나 영양가로 환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사회복지사, 특히 street beaurocracy는 이런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들이다. 사회가 이 일에 가치를 두지 않는다면 복지사라는 직업은 멸종될 것이다. 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부부가 사회복지사면 기초생활수급자라는 말을 했단다. 지금은 처우가 많이 좋아져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이 사회복지사로 전업을 하는 경우도 많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무엇에 가치를 두는가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회가 발달하면 개인의 역할은 작아지고 정교해지며 다양해진다. 타인을 이해하기는 더 어려워진다. 더 다르고 더 다양한 사람들과 조화하는 삶이 우리를 도전한다. 서울 비싼 땅에 너무 오래된 아파트는 허물고 새로 짓기를 소망하는 사람들이 많다는데, 가난한 사람들은 이대로만 살 수 있어도 감지덕지거든. 십오억을 가졌는데 집이 없어 서럽고 이십억을 갖지 못해 눈물이 나는 가난한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대문 안 이웃들은 받지 못한 따끈한 반찬을 저녁상에 올릴 수 있는 부자도 있다. 자기 자리에서 일어나 타인이 서 있는 넓은 지평을 바라볼 시력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
#솔랑시울길

Binsom Lee다석 유영모 성관계란 무엇인가

Facebook

성관계란 무엇인가

다석 류영모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모든 잘못은 인생을 맛으로 살려는 때문이라고 끊어 말할 수 있습니다. 맛으로 사는 이는 방사(房事)를 호기욕(好奇欲)의 대상으로만 여겨서 육체적 본능의 욕구를 만족하고 향락하는 기회로만 여깁니다. 그리하여 그 틈을 타고 싶고, 꾀를 부려 얻고자 미칩니다. 맛으로 살려는 이는 짐승이 되어 꿈틀거리는 꼴을 그려보고 미칩니다."
성관계라는 말은, 남녀의 교접을 한참 에둘러서 한 말입니다. 이렇듯 그것을 바로 말하기를 꺼리는 까닭은, 그것에 대해 켕기는 것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석은 성관계라는 말을 다르게 해석했습니다. 성관계는 이성관계의 준말로, 이성과 관계를 맺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성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성(性)의 본질적 차이를 가리키는 말로 봅니다.
다석은 성(性)을 신과 동일시하여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것을 경계하였습니다. 이런 의미에 따르면 이성은, 절대성(絶對性)과 상대성(相對性)을 가리키게 됩니다. 절대성은 신이며 상대성은 인간입니다. 인간에게 상대성과 다른 성을 지닌 존재, 즉 이성은 신 밖에 없다는 것이죠. 따라서 이성관계 혹은 성관계란, 인간이 신을 만나는 관계행위 전체라고 봅니다. 인간은 남성이든 여성이든 모두 동성(同性)이라고 했죠. 동성이지만, 인간의 증식을 위해 인간이 만들어진 뒤에 약간의 구조를 설계해 서로 다른 것처럼 디자인을 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남녀의 사랑은 중요하지 않은가. 이 문제에 대해 다석은 결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남녀의 사랑은 바로 '신을 사랑하는 인간의 방식'을 그대로 욕구의 형태로 부여해놓은 것입니다. 남자가 여자를 사랑하듯, 여자가 남자를 사랑하듯, 인간이 신을 사랑하는 '완전한 관계'를 모델로 심어놓았다는 겁니다. 
남녀 사랑을 통해, 신에 대한 사랑이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되고 실행하며 온전한 자기희생과 육체적 욕망의 초월까지 지향함으로써 그 완전함으로 나아가려 한다는 거죠. 

다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람은 남녀의 맛이 아니라 남녀의 뜻을 알아야 합니다. 
남녀의 뜻은 신의 거룩함을 깨닫게 하는 것입니다. 
남녀의 사랑이 신의 사랑에까지 도달할 때 영원한 사랑이 되는 것입니다. 
부부의 사랑을 천국까지 끌고갈 수는 없지만, 부부의 사랑을 천국의 사랑으로 끌어올릴 수는 있습니다. 
남녀의 정사를 쾌락이라고 하지만 대개 어리석은 짓입니다. 
나도 51세까지 범방(犯房성생활)을 했으나, 이후엔 아주 끊었습니다."

/빈섬.
=====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40)] 
나는 51세까지만 범방(犯房)을 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isomis&logNo=221924863996


류영모 김효정 부부

[빈섬 이상국의 '다석 류영모'(40)] 1941년 2월18일 아침에 온가족을 모아놓고 51세의 류영
모는 아내 김효정과의 해혼(解婚)을 선언했다. 결혼(結婚, 혼인을 맺음)을 하였으니 그것을 푸는
'해혼'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해혼은 부부간의 성생활을 끊는 것이었다. 결혼생활 자체를 끊
는 이혼과는 다른 개념이다.
해혼을 선언한 날은 하루 한끼 식사를 선언한 다음날이었다. 두 가지를 연이어 발표한 까닭은,
그 두 가지가 인간이 짐승으로 사는 욕망의 핵심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식색(食色, 식생활과 성
생활)을 금욕 수준으로 절제함으로써 신을 향한 수행의 수준을 높이고자 했다.
"이 세상 최대 흥미와 관심은 식색입니다. 일체 문화활동의 노력하는 초점이 식색 욕구를 충족
시키는 데 있는 것 같습니다. 참으로 이것이 삶의 목적이라면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볼 필요
가 없습니다. 식색이 인생의 목적이라면 짐승입니다. 짐승은 고뇌도 없이 식색을 자유로이 충족
하며 사는 목적이 오직 그것입니다. 부귀(富貴)란 말은 식색의 사회적 표현입니다. 부자가 되고
귀하게 되는 것을 소망하는 까닭은 오직 잘 먹고 잘 놀고자 함입니다. 그것으로 모든 게 다 채
워진 것 같지만, 돌아보면 짐승에서 하나도 더 나아간 것이 없습니다. 적어도 '얼' 빠진 인생을
살지 않으려면, 이 단순한 욕망에 미쳐있는 것이라도 면해야 합니다."
다석 류영모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40)] 나는 51세까지만 범방(犯房)을 했습
니다
그날 류영모와 김효정 부부의 방 한 가운데에 긴 책상이 놓여졌다. 방은 옛 두칸짜리 방으로 폭
이 2.4m 정도였고 길이는 4.6m 쯤 되었다. 그 한복판에 책상 벽이 놓인 것이다.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이, 류영모 부부에게는 아주 다른 의미가 되었다.
류영모는 남녀 사랑에서 신을 사랑하는 것을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진짜 이성(異性)은 하느님
뿐이며 사람은 모두가 상대적으로 동성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성이란 바로 상대성과
절대성이며 이것이 인간과 신의 진정한 '이성관계'라는 것이다.
"사람은 남녀의 맛이 아니라 남녀의 뜻을 읽어야 합니다. 남녀의 뜻은 신의 거룩함을 깨닫게 하
는 것입니다. 남녀의 사랑이 신의 사랑에까지 도달할 때 영원한 사랑이 되는 것입니다. 부부의
사랑을 천국까지 끌고갈 순 없지만, 부부의 사랑을 천국의 사랑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류영모가 식색(食色)과의 싸움을 시작한 것은, 북한산 아래서 은거생활을 시작한지 5년이 지나
서였다. 그는 전원(田園)의 한적한 취향을 누리기 위해 산 속으로 들어온 것이 아니었다. 5년의
궁신지화(窮神知化)였다. 신을 궁극적으로 깨달아감으로써 인간과 만물이 생성 소멸하는 이치
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이 궁신지화는 육신이 지니고 있는 짐승의 성질(수성, 獸性)을 놓고 얼의
나로 직진하는 정신의 조짐이기도 하다. 치열한 다섯 해의 산중 영성수행은 이 길을 찾아내고
있었던 셈이다. 식색을 끊자. 성령과 직면하는 일은 이것부터이다.
그가 일일일식과 해혼을 잇따라 선언한 것은 강력한 수행의 단계로 진입하는 선언이었다. 식욕
과 색욕은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만만치 않은 존재다. 잠깐의 절제는 할 수 있지만, 평생을 통
틀어 그것을 실천하겠다는 서원(誓願)을 세우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고통과 유혹을 감
내해야 하는 일이다. 류영모는 대체 왜 이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들을 이
토록 단호하게 끊고자 했을까.
뜻밖에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그리스의 철학자 에피쿠로스가 해명해준다. 그는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지만, 쾌락이 완성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쾌락은 자연적인 욕망의 충족이지 그것을 넘어선 과욕이 아니다. 가짜 식욕과 색욕을 경계하
라.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식사와, 사랑으로 일어난 진정한 섹스 외에는 하지 말라. 빵 몇 조각
물 몇 모금 정도의 욕구 충족이면 충분하다. 이것저것 먹고싶은 것은 가짜다. 결핍으로 인한 고
통이 일단 사라지면 육체적 쾌락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왜 욕망을 부리는가. 그때의 욕망
은 쾌락의 형태를 바꿔서 지속하려는 행위다. 이 변태적 욕망은 본능적인 욕망과는 다르며, 마
음이 만들어낸 것이다. 삶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추구하기 위해 몸을 이용하고 있는 것
일 뿐이다."
류영모는 자신의 '단색(斷色)'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남녀의 정사를 쾌락이라고 하지만 대개
어리석은 짓입니다. 나도 51세까지 범방(犯房, 성생활)을 했으나 이후엔 아주 끊었습니다. 아기
낳고 하던 일이 꼭 전생에 하던 일같이 생각됩니다. 물론 정욕이 없어서 그런 건 아닙니다."
레프 톨스토이와 마하트마 간디의 금욕 수행 또한 그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던 것 같다. 톨스토
이는 류영모보다 62년 위였기에 청년기에도 그의 저서를 접할 수 있었다. 21세 더 많은 간디의
자서전이 출간된 것은 1927년이었다. 늦어도 40대 때에는 그의 책을 읽었을 가능성이 크다.
톨스토이는 젊을 때 여러 가지 성적 일탈을 범했다고 스스로 고백하고 참회하면서 이런 말을
했다. "결혼한 부부의 성교는 간음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내일지라도 단순히 성욕의
만족을 위한 성교는 죄악이라는 생각에 일리가 있다. 인류를 존속시킬 수 있을 정도의 성교는 2 0 섬
정당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내와의 성교라도 정신적인 사랑 없이 또 시기를 무시한 채 육
욕을 위해 행하는 것이라면 간음이라고 보는 게 옳다. 아기의 출생을 목적으로 정신적인 사랑
을 가지고 이뤄지는 아내와의 성교만은 죄가 아니다. 그것은 신의 뜻이다."
간디는 이렇게 생각했다. "결혼은 인생에서 자연스런 것이며 품위를 떨어뜨리는 일이 아니다.
결혼은 신성한 정화(淨化)의 의식이다. 결혼 이후 혼인생활을 유지하며 자제의 생활을 보내는
것이야 말로 이상적이다."(간디의 '어록' 중에서)
37세에 간디는 금욕생활에 들어간다. 1906년의 일이었다. "최후의 결심을 할 때는 참으로 힘이
들었다. 나에게는 있어야할 힘이 없는 것 같았다. 욕정을 어떻게 누를 것인가. 아내와 육체관계
없이 지내는 것이 이상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하지만 나를 붙들어주는 신의 뜻을 믿고 이것을
시작했다. 그 맹세를 한 지 20년이 됐다. 56세가 된 지금도 그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잘 알고
있다. 브라마차랴(금욕)을 지키는 것은 칼날 위를 걷는 것과 같다. 매순간 그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며 영원한 경각심으로 살아가야 한다."
간디는 13세에 결혼해 37세에 금욕을 했다. 25년간 성생활을 한 것이다. 류영모는 25세에 결혼
해 51세에 해혼 선언을 했다. 성생활을 한 것은 27년간이었다. 류영모는 간디가 영원한 경각심
으로 살았다고 고백한 그 대목에서 보다 투철한 실행을 위해, 부부 안방 공간을 둘로 나누는 명
시적인 금욕을 표방하지 않았을까.
류영모는 남녀의 교합에 대한 욕망을 '성욕(性欲)'이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건 성욕이 아니라 육욕(肉慾), 색욕(色慾), 혹은 수욕(獸慾, 짐승욕망)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
이다. 성(性)은 신이 주시는 영원한 생명인 천명(天命之謂性, 천명을 일컬어 성이라고 한다, 중
용에 나오는 말이다)을 가리킬 뿐이다. 세상의 음란한 행위나 마음에 쓰이는 '성'이라는 말은,
그 신의 생명을 모독하고 있는 셈이다.
톨스토이는 서양사람들이 남녀가 어울리며 파티를 여는 것에 대해 좋지 않게 생각했다. 차라리
동양처럼 '남녀 분별'을 지키는 것이 좋지 않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류영모는 이렇게 말했다.
"예수는 독신으로 살았으며, 여자에게 음욕을 품은 적이 없었다." 음욕을 품는 것이 실성(失性,
신을 잃어버린 것)한 것이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얼'의 의지가 강한 사람은 금욕생활의 길을 걷
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아들딸에게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는 않았다. 아들 의상과 자상은 40이 넘어서 결혼을
했고, 제자들 가운데 독신으로 산 사람은 없었다. 딸 월상도 결혼을 했다. 결혼식 때는 아버지
류영모가 직접 주례를 서기도 했다. 집안에서 혼인식을 했는데, 신랑신부를 방안에 나란히 앉히
고는 '오늘부터 두 사람이 손잡고 함께 나아가게 되었습니다"라고 간결한 성혼 선언을 했다. 이
엄격한 금욕주의자의 주례, 그의 마음 속에 어떤 생각이 오갔을까. /빈섬.

이 불편한 곳에 젊은 사람들이 왜... 장곡면의 비밀 - 오마이뉴스

이 불편한 곳에 젊은 사람들이 왜... 장곡면의 비밀 - 오마이뉴스

지역을 바꾸는 사람들 | 4화

이 불편한 곳에 젊은 사람들이 왜... 장곡면의 비밀[지역을 바꾸는 사람들]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 법인
21.04.18 12:41l최종 업데이트 21.04.18 12:49l
박진도(jd5285)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에 따르면 2019년에 도시의 동 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사람 중 46만 645명이 농촌(읍면)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귀농·귀촌 인구는 2017년 51만 명을 정점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숫자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 귀촌인은 44만 4464명인 반면에 농사 목적으로 귀농한 사람은 1만 6181명에 지나지 않는다. 지자체는 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귀농·귀촌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지만 인구감소를 막지 못하고 있다. 귀촌자의 상당수는 직업, 주거 및 생활환경의 편리성, 자연환경이 양호한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로, 순수 농촌지역보다는 도시 주변 농촌 지역으로 이주한다.

반면에 귀농인은 농업 여건이 좋은 전통적 농업 지역에 위치한 시·군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 귀농인 1만 6181명 가운데 90%인 1만 4584명이 비수도권으로 귀농하였다. 숫자가 많지는 않지만,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신음하는 농업 지역으로서는 소중한 존재이다.


▲ 초보 농부와 프로 농부의 만남 행사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귀농자 가운데는 언론 등에서 홍보하는 억대 농부를 꿈꾸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작은 규모의 농사를 지으며 농촌에서 새로운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1인 귀농 가구의 비중 72.4%, 가구주의 평균 연령 55세, 작물 재배 가구의 평균 재배면적 0.37ha"(<2019 귀농어·귀촌인 통계> 통계청)라는 수치에서 보듯 귀농자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약 70%이고, 30%는 다른 직업을 함께 갖고 있다. 귀농인 가운데 적지 않은 사람은 농촌에 정착하지 못하고 도시로 되돌아간다. 귀농 가구 수 자체도 2017년 1만 2630호에서 2019년 1만 1442호로 줄었고, 귀농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도 1.55명에서 1.42명으로 감소했다.

귀농을 통해 인구 감소를 억제하고 농촌 마을의 활력을 찾을 방법이 없을까. 개인이 단신으로 귀농해서 정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지역공동체가 귀농인을 품어야 하고, 귀농인이 지역에 녹아들어야 한다.

충남 홍성군 홍동면은 귀농·귀촌 1번지로 널리 알려졌다. 홍동면은 문당리를 비롯해 친환경 유기농 쌀 재배 면적이 전국 1위이고, 다양한 주민자치조직들이 발달해 있다. 갓골어린이집을 비롯해 홍동중학교,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등 교육여건도 좋다. 주민이 자주적으로 운영하는 홍동밝맑도서관을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 활동이 활발하고, 동네 마실방(뜰)과 카페에서 동네 주민들이 모여 수다를 떨 수 있다. 의료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이 운영되어 주민들은 저렴하면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리고 있다.


▲ 홍동밝맑도서관 내부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 의료 생협 주요 활동 안내서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열악한 장곡면의 생활 여건

홍동면에 이웃한 장곡면에도 10여 년 전부터 귀농인이 늘기 시작했다. 장곡면은 인구 3천 명의 전형적인 순수 농촌 마을이다. 장곡면 소재지를 둘러보았다. 홍동면과는 달리 약국·병원·어린이집·편의점·목욕탕·빵집·커피숍·세탁소·문방구·식당 등 도시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생활편의시설이 전무하다.

기껏해야 치킨집과 식당 한 곳, 다방, 미장원 등이 눈에 띄고, 저녁 6시면 문을 닫는 농협 하나로마트가 그나마 고마운 존재다. 여가를 즐길 문화 공간이나 체육 공간을 찾는 건 사치다. 중학교는 2000년대 초에 문 닫았고, 전교생 40~45명의 초등학교 1개가 간신히 유지되고 있다.

필요한 생활물자와 서비스를 광천읍이나 홍성읍에서 구매해야 하는데 대중교통이 불편하다. 홍성군 중심지 홍성읍까지는 버스로 1시간 거리이고, 홍성읍까지 가서 소주 한잔하고 기분을 내고 싶어도 대리운전비가 3만 원이니 엄두를 낼 수 없다.

아, 이런 불편한 곳에 사람들이 들어오는 까닭이 궁금하다. 그것도 젊은 사람들이. 이 비밀의 실마리를 풀기 위해서 먼저 귀농자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하는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이하 홍성 유기농)을 찾았다.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은 2011년 지역재단의 지역리더 조직부문 대상을 받았다.


▲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 건물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홍성 유기농의 뿌리는 2000년 장곡면 대현리에서 결성한 오리농법 유기농 쌀 작목반, 2002년 풀무 생협 내에 조직한 유기 축산 한우 작목반이다.

왜 생소한 유기 축산을 시작했을까. 이를 주도한 정상진 전 홍성 유기농 대표의 말이다.

"유기농업을 하면서 항생제 등 수의약품으로 오염된 축산 분뇨로는 유기농산물을 생산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 안정적인 유기농업을 위해 경축순환농업(농업인이 가축분뇨를 사용해 작물을 기르고 볏짚 등 작물의 부산물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 농업)이 필요했다."

이들 작목반이 바탕이 되어 2005년 생산자 20명이 모여 장곡면에서 홍성 유기농을 창립하였다. 홍성 유기농은 자연순환농업을 실천하며 지역농업공동체를 지향하는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 조직이다.

홍성 유기농은 과거에는 축산이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할 정도였으나 지금은 친환경 채소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축산은 무항생제 소와 돼지를 도축하여 소분 포장을 해서 판매하였으나 2020년 초에 중단하였다. 전문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선호 부위는 잘 나가지만 비선호 부위는 헐값에 팔아야 했다.

귀농자의 든든한 후원자

홍성 유기농은 주로 친환경 채소와 벼를 취급한다. 또 두부 및 콩나물을 만들어 학교급식에 공급하고, 무항생제 돈육으로 만든 소시지를 온라인 몰과 두레 생협에 판매한다. 자회사인 포어스(For Us)는 조합원들의 유기농 쌀을 원료로 하는 우리 쌀 카레, 우리 쌀 부침가루와 녹차, 초코라테, 유기농 바질 가루 등 분말 가공품을 생산한다.

홍성 유기농 조합원 104명 가운데 53명이 최근 15년 사이에 귀농한 사람들이다. 104명 조합원 가운데 60대 이상은 24%에 지나지 않고, 40대와 50대(61%)가 주축이다. 우리나라 농업 경영주의 평균 연령이 65.6세(2015년 기준)인 현실에 비추어 보면 홍성 유기농은 젊다. 귀농 조합원 대부분은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해 4~5인 가족을 이루어 인구 증가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렇듯 귀농을 원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장곡면에서는 빈집과 농지를 구하기 어렵다.

홍성 유기농은 지역 출신의 정상진 전 대표가 15년간 조직을 이끌었으나, 2020년 총회에서 귀농자인 조대성씨로 대표가 바뀌었다. 조 대표의 이력이 재미있다.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한 그가 2010년 귀농한 것은 생태적 대안적 삶을 위해서였다. 지금 조 대표는 부인과 두 자녀와 함께 비닐하우스 400평에서 아욱을 재배하고 있다.


▲ 홍동밝맑도서관에서 필자(오른쪽)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홍성 유기농의 정상진(왼쪽) 전 대표와 조대성(가운데) 대표.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조 대표를 비롯해 귀농 조합원의 대부분은 비싼 임차료를 지불하고 하우스용 농지를 빌리고 있다. 유기농을 위해서는 장기 계약을 해야 하는데 지주들이 원하지 않아 이게 쉽지 않다.

조 대표가 작성한 귀농자 조합원 20명 현황에 따르면 대부분 노지 혹은 하우스에서 채소를 기른다. 농사 규모는 노지냐 하우스냐에 따라 다르지만 대규모 농가는 없다. 하우스의 경우 1~4동(1동은 200평, 2동이 가장 많다), 노지의 경우 적게는 900평 많게는 5500평 농사다. 홍성 유기농 납품액도 1500만 원~4800만 원으로 '억대 농부'는 없다. 이는 납품액 1천만 원 이상인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통계로 조합원의 대부분은 훨씬 영세하다.

홍성 유기농은 채소가 매출의 82%를 차지하는데 취급 품목이 파·쌈채류·표고·양배추·대파·딸기·당근·감자 등 101개에 이르고 50여 품목이 친환경 인증을 받고 있다. 홍성 유기농은 이처럼 매우 다양한 품목을 소량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운영상 어려움이 있지만, 규모가 영세한 조합원도 쉽게 조합 사업을 이용할 수 있다. 귀농 초기 경영 규모가 영세하여 생산물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귀농자에게 홍성 유기농은 든든한 후원자인 셈이다.


▲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에서 신선 채소를 포장하는 직원들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홍성 유기농도 경영상 어려움이 없지는 않다. 총매출은 2005년 6800만 원에서 2007년 16억 5천3백만 원, 2011년 31억 원으로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최근에는 성장세가 둔화해 34~38억 원 수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직원 20명의 인건비와 농가 생산비가 상승했지만 판매 가격은 그만큼 인상되지 않았고 3~4년 전부터 가공 사업을 시작하여 초기 투자 비용과 마케팅 비용 등이 들어가 몇 년간 적자 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출자금의 결손도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2020년 축산 부문의 정리로 소폭 흑자가 나서 간신히 숨통이 트였다. 가공 사업이 정상화 되면 흑자 경영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유기농에 대한 오해

우리나라의 유기농업은 잘못된 소비자 인식과 인증 제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도화된 지 20여 년이 지났다. 초기에 소비자들에게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안전한 농산물'로 슬로건을 정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이 발목을 잡고 있다.

친환경농업의 본질은 환경을 살리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만드는 것인데 이런 공익성보다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성에 소비자들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자의든 타의든 친환경 농산물에서 잔류 농약이 소량이라도 검출되면, 오염된 자연을 회복하는 과정이라는 이해 없이 가차 없이 인증이 취소되고, 언론은 '속았다'고 비난하고, 그 결과 소비자의 신뢰를 잃게 된다.

유기농업이 발전된 유럽이나 미국에서 친환경농업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와 전혀 다르다. 정상진 전 대표의 말이다.

"유럽이나 미국에서 여론조사하면 우리나라와 정반대로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먹는다'는 사람보다는 '환경을 위해서 먹는다'는 소비자들이 많거든요. 또 미국에서 진행한 농약 검출 검사에서 관행 농산물은 전체 수확량 중 75%에서 농약이 나왔고, 유기농산물에서는 25%에서 농약이 나왔대요. 이 결과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그렇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해야 한다. 이 같은 소비가 오염되는 환경을 지켜갈 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데, 우리나라는 정반대의 일이 벌어져요."


▲ 홍성 유기농의 가공품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홍성 유기농의 조대성 대표는 2018년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했다. 그가 재배하는 상추에서 허용기준치의 1/700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다는 이유로 유기농 인증을 취소당했다. 그의 상추하우스는 2년 전까지 관행 농법으로 딸기를 재배하던 땅이다. 조 대표는 유기농법으로 농사지어 토질을 개선하고 잔류 농약을 제거했다.

그 결과 2년이 지난 시점에 잔류 허용 기준치의 1/700까지 낮추었는데 땅을 살리기 위한 갖은 고생의 대가가 인증 취소라니. 분하고 억울한 마음이 어떠했겠는가. 이래서는 친환경 유기농업이 발전할 수 없다.

장곡면의 사회적 네트워크

홍성 유기농은 장곡면의 다양한 사회 조직과 연대하여 귀농자들이 정착하여 생활할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있다. 홍동면의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는 1958년 설립 이후 '위대한 평민'을 교육이념으로 해 지역의 일꾼을 키우고 있다. 2001년 전공부를 설립하여 학생들이 농고 졸업 후 2년간 유기농업을 공부하지만 실제 농사 짓기는 쉽지 않다.

2012년 전공부 교사 정민철 박사가 졸업생 조대성(현 홍성 유기농 대표) 등과 홍성 유기농의 '채담이 농장 하우스' 1동(200평)을 빌려 '젊은협업농장'을 시작하였다. 젊은협업농장은 농사일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실습농장이다.

길게는 2~3년 같이 일하면서 독립해 가는 형태로 운영되는데 짧게는 몇 개월씩 실습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농사 체험도 돕는다. 지난 9년간 젊은협업농장을 거쳐 간(3개월 이상) 사람은 대략 50여 명에 달하는데, 그 가운데 12명이 독립해서 유기농을 하고 있다.

올해부터 홍성 유기농은 홍성군의 지역발전투자협약의 지원을 받아 유기농·친환경 생산자 조직화 사업에서 초보 유기농을 위한 멘토링 역할을 담당한다.

젊은협업농장을 모델로 장곡면 내에 '행복농장'이 설립되었다. 행복농장은 2018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의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5년간 매년 6천만 원을 받아 지적장애인, 특수학급 및 대안학교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행복농장은 농업 활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에게 돌봄·교육·고용 등을 제공하는 사회적 농업의 거점 농장으로 선정되어 3년간 2억 원을 받아 경인·충남·대전권의 사회적 농장을 지원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장곡면에 있는 "또래오래". 동네 주민들이 모여 수다를 떨 수 있는 공간이다.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협동조합'이 최근(2021년 2월) 홍동면에서 장곡면으로 이전해왔다. '일만 하면 소가 되고 공부만 하면 도깨비가 된다'는 뜻의 일소공도 마을학회가 홍동면과 장곡면 주민 그리고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창립된 것은 2017년이고, 그 이듬해에는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일소공도 협동조합은 충남연구원과 협력하여 총 7회에 걸쳐 주민, 공무원, 연구자 등 연인원 530여 명이 참여하는 공동학습회를 진행했고, 핵심 리더 및 그룹 인터뷰, 주제별 간담회, 종합토론회를 거쳐 '장곡면 2030 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일소공도 연구소는 장곡면 발전을 위해서는 1. 농업 소득 증대 2. 환경 및 경관 보존 3. 의료복지(노인 돌봄) 4. 청년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정리하고 이 우선순위에 따라 세부 과제를 설정하고 논의를 진행 중이다. 지역 스스로 지역의 미래를 설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장곡면 인구는 1966년 1만 4천 명에서 2020년 2915명으로 줄었다. 귀농·귀촌하는 사람이 는다 해도 지난해 전체 인구는 70명 줄었다. 장곡면이 2030 발전계획에 따라 지속가능한 농촌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는 기본적으로 마을 주민의 자치역량에 달렸지만,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귀농·귀촌하는지도 중요하다.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이다.

젊은협업농장의 정민철 박사는 장곡면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다. 정부는 농업정책을 대농이 아니라 중소 유기농 육성으로 전환해 이들을 응원해야 한다.


▲ 13차 홍성 유기농 영농조합 조합원 총회(2018년)
ⓒ 지역재단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박진도 기자는 충남대 명예교수로 지역재단 상임고문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태그:#홍성, #장곡면, #유기농

내 직업은 농촌기획자, 농부들 돈 벌게 돕고 있죠 - 오마이뉴스

내 직업은 농촌기획자, 농부들 돈 벌게 돕고 있죠 - 오마이뉴스





사회

지역을 바꾸는 사람들 | 3화

내 직업은 농촌기획자, 농부들 돈 벌게 돕고 있죠[지역을 바꾸는 사람들] 농촌과 도시 연결하는 농사펀드 박종범 대표
21.03.28 11:16l최종 업데이트 21.03.28 11:16l
이창한(leech6710)
공감18 댓글2
"빚 없이 농사지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판매 걱정 없이 내 철학대로 농사지어보고 싶다."

박종범 대표는 이런 농부들의 고민을 도시민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2014년 서른다섯의 나이에 '농사펀드'를 창업했다. 자본금 1천만 원과 임팩트 투자사 소풍(sopoong)에서 시드 투자를 받은 금액으로 출발했다. 사업 초기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사회적기업진흥원)과 'H-온드림 펠로우'(현대자동차그룹) 등에 선정되어 사업화 자금을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었다.

농사펀드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농부들에게 선투자하는 모델이다. 농부는 안정적인 생산 여건을 제공받고, 소비자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공정한 가격으로 공급받는 '공동생산자' 관계를 만드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그가 창업을 결심하게 된 것은 대학 졸업 후 농촌 관련 일을 했던 전 직장에서의 경험 때문이다. 작은 규모지만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농사짓는 농부들, 돈 되는 농사보다 사람과 환경에 이로운 농사를 짓는 농부들을 만나게 되면서다. 그동안 자신이 농촌을 대상화했다는 반성을 하면서 농부들이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일에 집중하겠다고 결심하였다.

자신을 '농촌기획자'라고 소개하는 사람


▲ 농사펀드 박종범 대표 인터뷰에 응하는 박종범 대표. 손에 들고 있는 그림 카드는 농사펀드와 (주)88후드라는 작가 집단과 공동으로 만든 그림달력 굿즈
ⓒ 이창한

관련사진보기

2018년 지역재단의 리더상을 수상한 박종범 대표는 자신을 농촌과 도시를 연결하는 '농촌기획자'라고 소개한다.


"농촌 분야는 '기획자'라는 일자리 분류가 없습니다. 농촌과 도시 중간쯤에 무언가 일을 하는 직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거죠. 저는 뭔가 좀 더 의미 있는 일을 해보고 싶어서 스스로 농촌기획자라고 소개합니다."

그는 농촌이야말로 많은 기획자가 필요한 영역이라고 강조한다.

실제로 박종범 대표는 주력 업무인 농사펀드 온라인 플랫폼 사업 이외에 농촌과 관련한 여러 프로젝트를 기획해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2016년 4월부터 8개월 동안 '가업을 잇는 청년 농부 발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청년 농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청년 농부가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업을 잇는 청년 농부 발굴 프로젝트는 케이크라우드(K-CROWD)와 농사펀드가 주최하고 네이버가 후원하는 프로젝트다. 자연 친화적인 농법과 가공법을 활용하고, 농법의 혁신, 토종을 지키려는 노력 등 농사의 의미와 새로운 방식까지 고민하는 청년 농부들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당시 전국 110명의 청년 농부가 지원하여 최종 12명의 청년 농부가 선정되었다. 이들 청년 농부들에게는 네이버 디자인팀과 함께 생산물과 가공품에 대한 브랜드 디자인 전반의 작업을 지원했을 뿐만 아니라 농사펀드와 해피빈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판로를 지원하였다. 아쉽게도 후원사의 사정으로 프로젝트가 계속 진행되지는 못했지만, 이 프로젝트 이후 청년 농부에 대한 다양한 캠페인과 지원 사업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한, '뿌리밥상'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먹을거리 뒤에 가려진 농업·농촌, 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농가와 영농조합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 컨설팅 및 디자인 지원 활동과 외부 협력사업 등도 추진했다. 외부 협력사업은 주로 농업·농촌 활성화와 연관된 사업들이다.

대표적인 외부 협력사업은 2017년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지역재단에서 2016년 5월부터 2018년 말까지 위탁운영)과 함께 진행한 '지역 상생 청년 에디터 육성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중소가족농이 생산한 농산물 판로를 지원하는 청년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시 뉴딜일자리 사업을 활용하여 10명의 청년을 선정하고 총 8강으로 구성된 교육을 이수하도록 했다. 그리고 판로 문제 해결이 필요한 농가를 발굴하여 자료조사와 취재를 한 후 온라인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고 온·오프라인 홍보마케팅을 기획·진행하도록 했다(☞ 지역상생에디터 '서로이음').

이 사업을 통해 2017년 6월부터 2018년 말까지 총 30여 명의 농부(생산조직)와 이들이 생산한 농산물이 소개되어 판로를 지원받았다. 농부들은 생산자로서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판로 확보를 통해 경제적인 걱정을 덜 수 있었다. 또한, 평소에 농업·농촌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청년들은 농부들을 직접 만나 목소리를 듣고 농사에 대한 이들의 철학과 삶의 태도를 배우고 인식을 넓힐 수 있었다.


▲ 농사펀드 농활사진 농사펀드는 정기적으로 농촌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이창한

관련사진보기

농사펀드는 올해 3월부터 충남 당진시와 6개월간 지역 상생 청년 에디터 육성사업 시범사업으로 '로컬에디터' 사업을 진행한다. 5명의 청년을 선발하여 농사펀드는 농부를 취재하고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코칭을 담당하고, 당진시는 청년들이 지낼 공간과 프로그램 참여비 월 50만 원 중 일부를 지원(농식품부 시범사업비 중 30만 원, 농사펀드 10만 원, 당진시 순성면 올미마을 10만 원)한다.

청년들은 사업 기간 당진시에 살면서 한 달 중 10일은 에디터 업무를 하고, 5일은 지역교류와 교육, 나머지 6일은 자율활동(청년들이 희망하는 경우 지역 농가,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등을 연결하여 일을 제공)을 하며 지내게 된다. 이 사업은 운영이 쉽지 않고 여러 가지로 신경 써야 할 일이 많지만, 지역에 필요한 일이라 생각해서 뛰어든 사업이다.

농부 1명과 소비자 200명 이상이 관계 맺기


▲ 박종범 대표와 농부와의 만남 박종범 대표가 농사펀드와 연계된 농부를 만나 인터뷰 하기 전 사진을 찍고 있다.
ⓒ 이창한

관련사진보기

최근 농사펀드는 프로젝트를 줄이고 농사펀드 온라인 플랫폼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한정된 인원으로 많은 프로젝트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2020년 농사펀드 매출 규모는 6억 원(농사펀드 매출 4억 원,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 기획사업 2억 원)으로 2017년 말 기준 8억 원(농사펀드 매출 5.8억 원, 용역사업 2.2억 원)보다 2억 원 정도 줄었다. 농사펀드의 수익모델은 농부가 생산한 농산물 가격의 10%를 수수료로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온라인 플랫폼 사업에 소홀할 경우 경영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현재 직원은 박종범 대표를 포함하여 2명(2019년에는 10명)이 종사하고 있다. 인원은 줄었지만 현재 농사펀드와 함께하는 농부 수와 소비자 수는 각각 600명, 2만 6000명으로 2017년 400명, 1만 6500명과 비교해 농부 200명, 소비자 9500명이 늘었다.

농사펀드와 관련 있는 농부들은 주로 중소규모로 농사를 짓는 가족농들이 중심이다. 친환경 농업을 하고 있거나 그 방향으로 점차 전환하고 있는 농부들이다. 이들은 산지 수집상이나 공판장을 통한 판매보다는 소비자들과 직거래를 통해 좀 더 나은 가격을 보장받고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의 가치를 인정받고 싶은 농부들이다.

농사펀드의 목표는 이러한 농부들이 영농자금을 확보하도록 돕는 것이다. 농사펀드를 통한 예약판매로 짧게는 수확 2~3개월 전, 길게는 7~8개월 전에 영농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산지 유통인과 1대1 계약이 아닌 다수의 소비자 대 농부로 N대1 계약을 하기 때문에 일방적인 계약 파기나 유통인의 잠적으로 인한 손해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농부들의 이야기가 잘 정리된 온라인 콘텐츠를 만들고 소비자 관점에서 상품을 기획하고 개선안을 마련하도록 지원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농부들은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고 평가를 들을 수 있어 자신을 지지하는 소비자를 확보하게 된다.

박종범 대표는 농부들이 빚 걱정 없이 자신의 철학대로 농사짓기 위해서는 농부 1인당 200명 이상의 소비자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농사펀드의 경험에 의하면 소비자 1인당 객단가(일정 기간 평균 매입액)는 3만 7000원이며, 1.7회 비중으로 재구매한다. 그중 20%는 연간 15만 원 정도를 소비한다.

농부 1인당 1500만 원에서 2000만 원 규모의 직거래 금액을 위해서는 200명 이상의 소비자가 필요하다. 농사펀드는 올해 100명의 농부들을 엄선해서 1인당 사전예약 구매액 1천만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이를 통해 농부들이 걱정 없이 농사짓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상에는 농업의 미래를 걱정하는 박종범 대표의 마음도 녹아 있다. 대기업이 점점 농업에 진출하는 상황에서 이대로라면 생산자인 농부의 이름이 없어지고 이들이 대기업의 농업노동자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부와 소비자 "당신 덕분입니다"


▲ 농사펀드 뿌리밥상 포스터 2017년 농사펀드가 주최한 뿌리밥상 포스터
ⓒ 이창한

관련사진보기

대기업의 농업 진출로 농·축산물의 수직계열화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의 스마트팜 정책을 기회 삼아 정보통신업계의 진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대기업의 농업 진출은 '농업 성장을 위한 자본 유치'라는 정부의 명분과 기업의 '농산업 세계시장진출'을 통한 수익창출이라는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확대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부들이 자기 땅을 잃지 않고 생산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작은 규모의 생산자 공동체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생산자, 소비자 모두의 인식전환과 역할이 필요하다.

정부는 무엇보다도 우선하여 농지 질서를 바로 잡아야 한다. 최근 불거진 공기업 직원들의 땅 투기 문제는 사실 어제오늘의 일도, 그들만의 문제도 아니다. 이제 농지는 '농부의 것'이라는 관점(경자유전의 원칙, 농지농용의 원칙)에서 재정비해야 하는 사회적 한계점에 도달했다.

생산자는 농업이 지닌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고 자기 일에 더욱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농사를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정부와 소비자가 그런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는 '내가 먹는 것이 바로 나'가 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를 위해서라도 내가 먹는 것이 어디에서 어떻게 생산되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농부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가치 있는 소비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 농사펀드와 (주)88후드가 공동으로 진행한 "농부와 일러스트" 굿즈 그림달력
ⓒ 이창한

관련사진보기

농사펀드의 비전은 농부와 소비자가 먹을거리를 매개로 서로에게 "덕분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농부는 소비자가 본인의 가치를 인정해주고 계속 농사지을 수 있도록 조력해 주는 사람이니 "덕분입니다"라고 말해야 하고, 소비자는 농부가 존재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먹을거리를 먹고 살 수 있으니 "덕분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농부와 소비자가 서로 "덕분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관계가 되어야 공동생산자로서 건강한 관계가 성립된다.

좋은 농부들을 많이 만난 것이 농사펀드를 창업한 이유였던 박종범 대표는 풍요롭지 않아도 노력한 만큼 인정받는 행복을 농부로부터 배웠다. 사람들이 농촌에서 행복을 배울 기회를 제공할 다양한 농촌기획자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한다.


덧붙이는 글 | 이창한은 지역재단 기획이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태그:#농사펀드, #농촌기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