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0

Hyecho - Wikipedia 혜초 왕오천축국전

Hyecho - Wikipedia

Hyecho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Hyecho
Hangul
혜초
Hanja
慧超 also 惠超
Revised RomanizationHyecho
McCune–ReischauerHyech'o

Hyecho (Korean pronunciation: [hjeːtɕʰo]; 704–787), SanskritPrajñāvikramapinyinHui Chao, was a Buddhist monk from Silla, one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Hyecho studied esoteric Buddhism in Tang China, initially under Śubhakarasiṃha and then under the famous Indian monk Vajrabodhi who praised Hyecho as "one of six living persons who were well-trained in the five sections of the Buddhist canon."

On the advice of his Indian teachers in China, he set out for India in 723 to acquaint himself wit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land of the Buddha.

Memoir of the pilgrimage to the five kingdoms of India[edit]

During his journey of India, Hyecho wrote a travelogue in Chinese named "Memoir of the pilgrimage to the five kingdoms of India" (Chinese往五天竺國傳, in Korean Wang ocheonchukguk jeon).

The travelogue reveals that Hyecho, after arriving by sea in India headed to the Indian Kingdom of Magadha (present-day Bihar), then moved on to visit Kushinagar and Varanasi. However Hyecho's journey did not end there and he continued north, where he visited Lumbini (present-day Nepal), Kashmir, the Arabs.[1] Hyecho left India following the Silk Road towards the west, via Agni or Karasahr,[2] to China where the account ends in 729 CE.

He referred to three kingdoms lying to the northeast of Kashmir which were "under the suzerainty of the Tibetans…. The country is narrow and small, and the mountains and valleys very rugged. There are monasteries and monks, and the people faithfully venerate the Three Jewels. As to the kingdom of Tibet to the East, there are no monasteries at all and the Buddha's teaching is unknown; but in [these above-mentioned] countries the population consists of Hu, therefore they are believers."[3]

Rizvi goes on to point out that this passage not only confirms that in the early eighth century the region of modern Ladakh was under Tibetan suzerainty, but that the people were of non-Tibetan stock.

It took Hyecho approximately four years to complete his journey. The travelogue contains much information on local diet, languages, climate, cultures, and political situations.

It is mentioned that Hyecho witnessed the decline of Buddhism in India. He also found it quite interesting to see the cattle roaming freely around cities and villages.

The travelogue was lost for many years until a fragment of it was rediscovered by Paul Pelliot in the Mogao Caves in China in 1908 and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over the years; the original version of Wang ocheonchukguk jeon. The original fragment is now in France.

Excerpt: Hyecho on Jibin[edit]

One of the important excerpts from Hyecho's work relates to his visit Jibin (Kapisa) in 726 CE: for example, he reports that the country was ruled by a Turk King, thought to be one of the Turk Shahis, and that his Queen and dignitaries practice Buddhism (三寶, "Triratna"):[4][5]

Text of the visit of Jibin by Hyecho: he reports that the Turk King, Queen and dignitaries practice Buddhism (三寶, "Triratna"). 726 CE.[4][6]

"又從此覽波國而行入山。經於八日程。至罽賓國。此國亦是建馱羅王所管。此王夏在罽賓。逐涼而坐。冬往建馱羅。趁暖而住。彼即無雪。暖而不寒。其罽賓國冬天積雪。為此冷也。此國土人是胡。王及兵馬突厥。衣著言音食飲。與吐火羅國。大同少異。無問男之與女。並皆著[疊*毛]布衫袴及靴。男女衣服無有差別。男人並剪鬚髮。女人髮在。土地出駝騾羊馬驢牛[疊*毛]布蒲桃大小二麥欝金香等。國人大敬信三寶。足寺足僧。百姓家各絲造寺。供養三寶。大城中有一寺。名沙糸寺。寺中貝佛螺髻骨舍利見在王官百姓每日供養。此國行小乘。亦住山裏山頭無有草木。恰似火燒山也".

From Lampaka (覽波國, Kashmir), I again entered the mountains. After eight days journey I arrived at the country of Kapisa (Jibin 罽賓國)). This country is also under the authority of the king of Gandhara (建馱羅). During the summer the king comes to Kapisa and resides here because of the cool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 he goes to Gandhara and resides at that warm place because there is no snow and it is warm and not cold. In the winter the snows accumulate in Kapisa. This is the reason for the cold. The natives of the country are Hu (Barbarians) people; the king and the cavalry are Turks (突厥, "Tuque"). The dress, language, and food of this place are mostly similar to Tokharistan (吐火羅國), though there are small differences. Whether man or woman, all wear cotton shirts, trousers, and boots. There is no distinction of dress between men and women. The men cut their beards and hair, but the women keep their hair. The products of this land include camels, mules, sheep, horses, asses, cotton cloth, grapes, barley, wheat, and saffron. The people of this country greatly revere the Three Jewels (三寶). There are many monasteries and monks. The common people compete in constructing monasteries and supporting the Three Jewels. In the big city there is a monastery called Sha-hsi-ssu. At present, the curly hair (ushnisha, 螺髻) and the relic bones of the Buddha are to be seen in the monastery. The king, the officials, and the common people daily worship these relics. Hinayana (小乘) Buddhism is practised in this country. The land is situated in the mountains. On the mountains there is no vegetation. [It looks] as if the land had been burned by fire."

—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of Hyecho on Jibin.[7][8]

See also[edit]

Notes[edit]

  1. ^ Yang, et al (1984), pp. 52-58.
  2. ^ Sen (1956), p. 186.
  3. ^ (Petech, The Kingdom of Ladakh, p. 10), Rizvi (1996), p. 56.
  4. Jump up to:a b Kuwayama, Shoshin (1976). "The Turki Śāhis and Relevant Brahmanical Sculptures in Afghanistan"East and West26 (3/4): 405–407. ISSN 0012-8376.
  5. ^ Su-Il, Jeong.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p. 782. ISBN 978-1-62412-076-3.
  6. ^ Su-Il, Jeong.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p. 782. ISBN 978-1-62412-076-3.
  7. ^ Ch'o, Hye; Ch'ao, Hui; Yang, Han-sŭng (1984). The Hye Ch'o Diary: Memoir of the Pilgrimage to the Five Regions of India. Jain Publishing Company. pp. 50–51. ISBN 978-0-89581-024-3Also published by the Asian Humanities Press, 1986, Issue 2 of Religions of Asia series Unesco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works ISBN 978-0895810243 {{cite book}}External link in |postscript= (help)
  8. ^ Paragraph 0977c05 in "T51n2089_001 遊方記抄 第1卷 CBETA 漢文大藏經"tripitaka.cbeta.org.

References[edit]

  • Sen, Surendranath (1956). India Through Chinese Eyes: Sir William Meyer Endowment Lectures 1952–53. University of Madras.
  • Fully digitized "Wang ocheonchukguk jeon" on International Dunhuang Project website
  • W. Fuchs (ed. and transl.), "Huei-ch'ao's Pilgerreise durch Nordwest-Indien und Zentral-Asien um 726," Sitzungberichten der Preuß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il-hist. Klasse, XXX, (Berlin, 1939): 426-469.

External links[edit]


혜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yecho.jpg

혜초(慧超 또는 惠超, 704년~787년)는 신라 성덕왕(또는 경덕왕) 때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의 오대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서 입적하였다.[1] 그의 인도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1908년 발견되어 동서교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1]

생애[편집]

혜초의 생애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미궁 속에 빠져 있다가 근세에 와서야 비로소 그 대략적인 면모가 밝혀지기 시작했다. 지난 세기 초 그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이 발견된 것을 계기로 오늘날까지 그의 생애는 약력 정도만 그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일찍이 당나라에 건너가 719년(성덕왕 18) 남인도(南印度)의 밀교승(密敎僧) 금강지(金剛智)에게 불도를 배웠다.[2] 바닷길로 인도에 이르러 사대령탑(四大靈塔) 등의 모든 성적(聖蹟)을 순례하고, 오천축국(五天竺國) 등 40여 개국을 거쳐 727년(성덕왕 26) 당나라 장안(長安)에 돌아왔다.[2] 여기서 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3권을 지었으나 전하지 않았는데 1906년에서 1909년 사이에 프랑스의 학자 폴 펠리오(Pelliot)가 중국 간쑤 성 지방을 탐사하다가 둔황 석굴에서 구매한 앞뒤가 떨어진 책 2권을 발견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사학(史學)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었다.[2]

우선 혜초의 고국은 여행기가 발견된 지 7년 후인 1915년에 처음으로 일본의 종교학자인 다카쿠스 준지로(일본어高楠順次郎)와, 일본의 승려이자 니시혼간지의 세습 주지인 오타니 고즈이(大谷光瑞)에 의해 밝혀졌다. 그 전에는 다만 그가 밀교승으로 불공(不空, Amoghavajra, 705~774) 삼장의 제자라는 것만 알려졌을 뿐, 그의 국적은 미지로 남아 있었다. 다카쿠스 준지로는 당대 밀교 최성기의 중요 문헌인 원조(圓照)의 《대종조증사공대판정광지삼장화상표제집(代宗朝贈司空大瓣正廣智三藏和尙表制集)》 속에 수록되어 있는 사료를 인용하여, 혜초는 신라인으로서 유년기에 당나라에 들어가 중국 밀종(密宗)의 시조인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 671~741) 삼장을 사사하고 불경의 한역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고증하였다.

《왕오천축국전》에 의하면 혜초는 여행을 마치고 787년까지 당나라의 오대산(五臺山)의 금강지 대공삼장(大空三藏)의 역장(譯場)에서 54년 동안 지내면서 많은 불경을 번역하였다.[2]

왕오천축국전[편집]

혜초가 언제 중국으로 건너갔는지는 기록이 나오지 않으며, 20대가 되자마자 723년에 당나라의 광저우에서 시작해 수마트라와 스리랑카, 인도 전역과, 북서부 이란(니샤푸르), 우즈베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파미르 고원 부근 그리고 카슈가르라 불리는 카슈가르(喀什, 그 당시의 소륵국(疏勒國))와 이곳 쿠차(庫車, 그 당시의 구자국(龜玆國))를 마지막으로 하는 그의 8년간의 여행기를 기초로 《왕오천축국전》을 썼다.

《왕오천축국전》의 내용대로라면, 혜초는 한반도 태생의 사람으로는 최초로 이슬람 문명권을 다녀온 사람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

==

왕오천축국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대왕 때,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다. 혜초는 723년부터 727년까지 4년간 인도와 중앙아시아아랍을 여행하였다. 왕오천축국전은 세계 4대 여행기로 손꼽히며,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여행기이다.

개설[편집]

8세기 초에 씌여진 이 《왕오천축국전》은 세계 4대 여행기로도 손꼽히며 또한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이기도 하다. 세계 4대 여행기는 혜초의 《왕오천축국전》과 13세기 후반에 쓰여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14세기 초반의 오도릭의 《동유기》 그리고 14세기 중반의 《이븐 바투타 여행기》를 손꼽는데, 혜초의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1908년 프랑스인 폴 펠리오(Paul Pelliot, 1878~1945)가 간쑤성 둔황의 막고굴 장경동에서 당시 장경동을 지키던 왕위안루(왕원록)에게서 구매한 7,000점의 유물 중에 섞여 있었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처음에는 당나라 고승 현장 이외의 당나라 승려로 여겨지다가 당시의 일본 서본원사의 승려이자 돈황학자인 오타니 고즈이가 신라승 혜초의 것임을 밝혀내었다.

현재는 한 권의 두루마리로 된 필사본만이 남아 있는데, 책명도 저자명도 떨어져 나가 남아 있지 않으며 여러 글자가 결락되었다. 그러나 여러 불교 서적에 주석을 단 《일체경음의》에 “혜초왕오천축국전”이라는 제목 아래 여러 어휘가 설명되어 있는데, 이들 어휘와 순서가 잔본과 대체로 일치하는 바 이것이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임을 알 수 있다.

저술 시기에 대해서는 본문에 開元十五年十一月上旬 至安西, 즉 “개원 15년 (음력) 11월 상순에 안서에 이르렀다”라고 하였다. 개원은 당 현종의 연호로 개원 15년은 곧 727년이다.

여행 경로[편집]

신라에서 바닷길로 인도에 다다랐다. 사대령탑(四大靈塔) 등의 모든 성적(聖蹟)을 순례하고 오천축국(五天竺國)의 각지를 두루 다녔다.

인도의 폐사리국(吠舍釐國, 바이샬리), 구시나국(拘尸那國, 쿠시나가르), 파라닐사국(波羅痆斯國, 파라날사국바라나시), 마게타국(摩揭陁國), 중천축국 갈나급자(中天竺國葛那及, 카나굽자), 중천축 사대탑(中天竺四大塔)남천축국(南天竺國)서천축국(西天竺國), 도란달라국(闍蘭達羅國, 사란달라국잘란다라), 소발나구달라국(蘇跋那具怛羅國), 탁사국(鐸社國, 탁샤르), 신두고라국(新頭故羅國, 신드구르지나), 가섭미라국(迦葉彌羅國, 카슈미르)

그 뒤에 길을 돌려 여러 곳을 다닌 뒤 대식국(니샤푸르)에 도착하여 동쪽으로 향했다.

대발률국(大勃律國), 양동국(楊同國), 사파자국(娑播慈國), 토번국(吐蕃國, 티베트), 소발률국(小勃律國), 건타라국(建馱羅國, 간다라), 오장국(烏長國), 구위국(拘衛國), 람파국(覽波國, 남파국, 람파카), 계빈국(罽賓國, 카피시), 사율국(謝䫻國), 범인국(犯引國, 바미안), 토화라국(吐火羅國, 토카리스탄(발흐)), 파사국(波斯國, 파샤), 대식국(大食國, 니샤푸르), 대불림국(大拂臨國(비잔틴제국)

대식국 동쪽에 여러 나라들이 있었다.

호국(胡國), 안국(安國), 조국(曹國), 사국(史國), 석라국(石騾國), 미국(米國), 강국(康國) 등}, 발하나국(跋賀那國), 골돌국(骨咄國, 골탈국), 돌궐(突厥), 호밀국(胡蜜國), 식닉국(識匿國).

당나라 총령진에 도착하여 주변을 돌아다니다 둔황에 들렀다가 장안(長安)에 도착한다. 그 중간에 여러 곳을 다녔으며, 그 가운데 소륵우전언기구자는 당나라의 안서 4군이다.

총령진(葱嶺鎮), 소륵국(疏勒國, 카슈가르), 구자국(龜兹國, 쿠차), 우전국(于闐國, 허톈(和闐, 호탄)), 안서(安西, 안서도호부), 언기국(焉耆國, 옌치(焉耆)), 둔황장안.

이 경로에 나타난 현대 지명은 절대적이지 않고, 학자에 따라 의견이 달라지기도 한다.

평가[편집]

당시 중국과 인도와의 여로(旅路) 및 교역로를 아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혜초 이전에 서역을 방문하던 승려들은 해로만을 사용하거나 육로만을 이용했던 데 반해 혜초는 갈 때는 해로, 돌아올 땐 육로를 이용하여 당시의 여로를 모두 담고 있다. 또한 왕오천축국전은 8세기의 인도, 중앙아시아를 기록한 현재까지 유일한 사서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 불교적 측면에선 불교의 8대 성지를 모두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