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6

Stéphane Mallarmé - Wikipedia

Stéphane Mallarmé - Wikipedia

Stéphane Mallarmé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téphane Mallarmé
Portrait of Mallarmé, by Nadar, 1896
Portrait of Mallarmé, by Nadar, 1896
BornÉtienne Mallarmé
18 March 1842
Paris, France
Died9 September 1898 (aged 56)
Vulaines-sur-Seine, France
OccupationPoet
Literary movementSymbolism
Spouse
Maria Christina Gerhard
(m. 1863)
Children2

Stéphane Mallarmé (/ˌmælɑːrˈm/ MAL-ar-MAY,[1][2][3] French: [stefan malaʁme] (listen); 18 March 1842 – 9 September 1898), pen name of Étienne Mallarmé, was a French poet and critic. He was a major French symbolist poet, and his work anticipated and inspired several revolutionary artistic schools of the early 20th century, such as CubismFuturismDadaism, and Surrealism.

Biography[edit]

Mallarmé was born in Paris. He was a boarder at the Pensionnat des Frères des écoles chrétiennes à Passy between 6[4] or 9 October 1852 and March 1855.[5] He worked as an English teacher and spent much of his life in relative poverty but was famed for his salons, occasional gatherings of intellectuals at his house on the rue de Rome for discussions of poetry, art and philosophy. The group became known as les Mardistes, because they met on Tuesdays (in French, mardi), and through it Mallarmé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work of a generation of writers. For many years, those sessions, where Mallarmé held court as judge, jester, and king, were considered the heart of Paris intellectual life. Regular visitors included W.B. YeatsRainer Maria RilkePaul ValéryStefan GeorgePaul Verlaine, and many others.

Along with other members of La Revue Blanche such as Jules RenardJulien Benda and Ioannis Psycharis, Mallarmé was a Dreyfusard.[6]

On 10 August 1863, he married Maria Christina Gerhard. They had two children, Geneviève in 1864 and Anatole in 1871. Anatole died in 1879. Mallarmé died in Valvins (present-day Vulaines-sur-Seine), near Fontainebleau, on September 9, 1898.[7]

Style[edit]

Édouard ManetPortrait of Stéphane Mallarmé, 1876

Mallarmé's earlier work owes a great deal to the style of Charles Baudelaire who was recognised as the forerunner of literary Symbolism.[8] Mallarmé's later fin de siècle style, on the other hand, anticipates many of the fusions between poetry and the other arts that were to blossom in the next century. Most of this later work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between the text and the arrangement of words and spaces on the page.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in his last major poem, Un coup de dés jamais n'abolira le hasard ('A roll of the dice will never abolish chance') of 1897.[9]

Some consider Mallarmé one of the French poets most difficult to translate into English.[10] The difficulty is due in part to the complex, multilayered nature of much of his work, but also to the important role that the sound of the words, rather than their meaning, plays in his poetry. When recited in French, his poems allow alternative meanings which are not evident on reading the work on the page. For example, Mallarmé's Sonnet en '-yx' opens with the phrase ses purs ongles ('her pure nails'), whose first syllables when spoken aloud sound very similar to the words c'est pur son ('it's pure sound'). Indeed, the 'pure sound' aspect of his poetry has been the subject of musical analysis and has inspired musical compositions. These phonetic ambiguities are very difficult to reproduce in a translation which must be faithful to the meaning of the words.[11]

Influence[edit]

General poetry[edit]

Mallarmé's poetry has been the inspiration for several musical pieces, notably Claude Debussy's 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 (1894), a free interpretation of Mallarmé's poem L'après-midi d'un faune (1876), which creates powerful impressions by the use of striking but isolated phrases.[12] Maurice Ravel set Mallarmé's poetry to music in Trois poèmes de Mallarmé (1913). Other composers to use his poetry in song include Darius Milhaud (Chansons bas de Stéphane Mallarmé, 1917) and Pierre Boulez (Pli selon pli, 1957–62).

Stéphane Mallarmé as a faun, cover of the literary magazine Les hommes d'aujourd'hui, 1887.

Man Ray's last film, entitled Les Mystères du Château de Dé (The Mystery of the Chateau of Dice) (1929), was greatly influenced by Mallarmé's work, prominently featuring the line "A roll of the dice will never abolish chance".

Mallarmé is referred to extensively in the latter section of Joris-Karl HuysmansÀ rebours, where Des Esseintes describes his fervour-infused enthusiasm for the poet: "These were Mallarmé's masterpieces and also ranked among the masterpieces of prose poetry, for they combined a style so magnificently that in itself it was as soothing as a melancholy incantation, an intoxicating melody, with irresistibly suggestive thoughts, the soul-throbs of a sensitive artist whose quivering nerves vibrate with an intensity that fills you with a painful ecstasy." [p. 198, Robert Baldick translation]

The critic and translator Barbara Johnson has emphasized Mallarmé's influence on twentieth-century French criticism and theory:

"It was largely by learning the lesson of Mallarmé that critics like Roland Barthes came to speak of 'the death of the author' in the making of literature. 

Rather than seeing the text as the emanation of an individual author's intentions, structuralists and deconstructors followed the paths and patterns of the linguistic signifier, paying new attention to syntax, spacing, intertextuality, sound, semantics, etymology, and even individual letters. 

The theoretical styles of Jacques DerridaJulia KristevaMaurice Blanchot, and especially Jacques Lacan also owe a great deal to Mallarmé's 'critical poem.'"[13]

Un Coup de Dés[edit]

Mallarmé around 1890.

It has been suggested that "much of Mallarmé's work influenced the conception of hypertext, with his purposeful use of blank space and careful placement of words on the page, allowing multiple non-linear readings of the text. This becomes very apparent in his work Un coup de dés."[14][self-published source]

In 1990, Greenhouse Review Press published D. J. Waldie's American translation of Un Coup de Dés in a letterpress edition of 60 copies, its typography and format based on examination of the final (or near final) corrected proofs of the poem in the collection of Harvard's Houghton Library.

Prior to 2004, Un Coup de Dés was never published in the typography and format conceived by Mallarmé. In 2004, 90 copies on vellum of a new edition were published by Michel Pierson et Ptyx. This edition reconstructs the typography originally designed by Mallarmé for the projected Vollard edition in 1897 and which was abandoned after the sudden death of the author in 1898. All the pages are printed in the format (38 cm by 28 cm) and in the typography chosen by the author. The reconstruction has been made from the proofs which are kept in the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taking into account the written corrections and wishes of Mallarmé and correcting certain errors on the part of the printers Firmin-Didot.

A copy of this edition is in the Bibliothèque François-Mitterrand. Copies have been acquired by the Bibliothèque littéraire Jacques-Doucet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 Irvine, as well as by private collectors. A copy has been placed in the Museum Stéphane Mallarmé at Vulaines-sur-Seine, Valvins, where Mallarmé lived and died and where he made his final corrections on the proofs prior to the projected printing of the poem.[15][16]

In 2012, the French philosopher Quentin Meillassoux published The Number and the Siren, a rigorous attempt at 'deciphering' the poem on the basis of a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the unique Number, which cannot be another.'[17]

In 2015, Wave Books published A Roll of the Dice Will Never Abolish Chance, a dual-language edition of the poem, translated by Robert Bononno and Jeff Clark (designer). Another dual-language edition, translated by Henry Weinfield, was published b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n 1994.

The poet and visual artist Marcel Broodthaers created a purely graphical version of Un coup de Dés, using Mallarmé's typographical layout but with the words replaced by black bars. In 2018, Apple Pie Editions published un coup de des jamais n'abolira le hasard: translations by Eric Zboya, an English edition that transforms the poem not only through erasure, but through graphic imaging software.

The British author Robert Fraser published a short story entitled Mallarmé Matters in 2018, describing the shared passion of a Scottish poet and a Moroccan-born francophone literary critic for the poetry of Mallarmé [1].

Selected works[edit]

References and sources[edit]

References
  1. ^ "Mallarmé, Stéphane"Lexico UK English DictionaryOxford University Press. n.d. Retrieved 22 August 2019.
  2. ^ "Mallarmé"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 HarperCollins. Retrieved 22 August 2019.
  3. ^ "Mallarmé"Merriam-Webster Dictionary. Retrieved 22 August 2019.
  4. ^ Colloque Mallarmé, p. 41.
  5. ^ Documents Stéphane Mallarmé, p. 12.
  6. ^ Bredin, Jean-Denis (1986). The Affair: The Case of Alfred Dreyfus. G. Braziller. p. 278.
  7. ^ Chadwick, Charles (Sep 5, 2021). "Stéphane Mallarmé"Britannica.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4 October 2021.
  8. ^ Conway Morris, Roderick The Elusive Symbolist movement article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 March 17, 2007
  9. ^ Un Coup de Dés Jamais N'Abolira Le Hasard (PDF). Librairie Gallimard (copyright by Nouvelle Revue Française). July 1914.
  10. ^ Stéphane Mallarmé, trans. E.H. and A.M. Blackmore Collected Poems and Other Verse. Oxford: Oxford World's Classics, 2006, p. xxix. ISBN 978-0-19-953792-1
  11. ^ Roger Pearson, Unfolding Mallarme. The development of a poetic art. Oxford: Clarendon Press, 1996. ISBN 0-19-815917-X
  12. ^ "Debussy: the man who broke the mould"independent. Retrieved 2020-03-31.
  13. ^ Barbara Johnson, "Translator's Note" to Stéphane Mallarmé, Divagations, trans. Johns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pg. 301
  14. ^ Balla, Bonaventure (2012). Symbolism, Synesthesia, and Semiotics, Multidisciplinary Approach. Xlibris Corporation. pp. 163–165. ISBN 978-1-4771-5544-8 – via Google Books.[self-published source]
  15. ^ Mallarmé, Stéphane (1998). Oeuvres Complètes I (in French). Bibliothèque de la Pléiade. p. LXIII. ISBN 9782070115587.
  16. ^ "La maison du poète"Musée Stéphane Mallarmé (in French). Retrieved 18 November 2021.
  17. ^ "The Number and the Siren - Urbanomic"Urbanomic. Retrieved 2016-12-15.
Sources
  • Hendrik Lücke: Mallarmé - Debussy. Eine vergleichende Studie zur Kunstanschauung am Beispiel von „L'Après-midi d'un Faune“. (=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Bd. 4). Dr. Kovac, Hamburg 2005, ISBN 3-8300-1685-9.

Further reading[edit]

  • Giulia Agostini (ed.). Mallarmé. Begegnungen zwischen Literatur, Philosophie, Musik und den Künsten, Passagen, Vienna 2019, ISBN 978-3-7092-0297-5.
  • Arnar, A.S. The Book as Instrument: Stéphane Mallarmé, the Artist's Book, and the Transformation of Print Cul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 Badiou, Alain. "A Poetic Dialectic: Labîd ben Rabi'a and Mallarmé" and "Philosophy of the Faun". In Handbook of Inaesthetics. Trans. Alberto Toscano.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46–56, 122–41.
  • Bersani, LeoThe Death of Stéphane Mallarmé.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 Blanchot, MauriceThe Space of Literature. Trans. Ann Smock.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2.
  • Blanchot, Maurice. "The Absence of the Book". In The Infinite Conversation. Trans. Susan Hans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3. 422–436.
  • Blanchot, Maurice. "The Myth of Mallarmé". In The Work of Fire. Trans. Charlotte Mandell.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26–42.
  • Blanchot, Maurice. "The Silence of Mallarmé", "Mallarmé's Silence", and "Mallarmé and the Novel". In Faux Pas. Trans. Charlotte Mandell.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99-106, 107–111, 165–171.
  • Blanchot, Maurice. "The Book to Come". In The Book to Come. Trans. Charlotte Mandell.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24–244.
  • Bowie, MalcolmMallarmé and the Art of Being Difficul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 Chisholm, Alan RowlandTowards Hérodiade. A Literary Genealogy. Melbourne: Melbourne University Press in association wi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34; New York, AMS Press, 1979.
  • Chisholm, Alan RowlandMallarmé's L'après-midi d'un faune: An Exegetical and Critical Study. Melbourne: Melbourn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Australian Humanities Research Council, 1958; in French translation: Brussels, J. Antoine, 1974.
  • Chisholm, Alan RowlandMallarmé's Grand Oeuvre.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2.
  • Cohn, Robert Greer. Toward the Poems of Mallarmé.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5.
  • Cohn, Robert Greer. Mallarmé’s Masterwork: New Findings. The Hague: Mouton & Co., 1966. [A commentary on "Un coup de dés jamais n'abolira le hasard".]
  • Cohn, Robert Greer. Mallarmé, Igitu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 Cohn, Robert Greer. Mallarmé’s Prose Poems: A Critical Stud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 Cohn, Robert Greer. Mallarmé’s Divagations: A Guide and Commentary. New York: Peter Lang, 1990.
  • Cohn, Robert Greer, ed. Mallarmé in the Twentieth Century. Associate ed. Gerard Gillespie. Madison, NJ: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8.
  • Derrida, JacquesDissemination. Trans. Barbara Johns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 Derrida, JacquesPaper Machine. Trans. Rachel Bowlby. Èditions Galilée, 2001.
  • Jameson, Fredric. "Mallarmé Materialist". In The Modernist Papers. London: Verso, 2007. 313–41.
  • Johnson, Barbara. "Crise de Prose". In Défigurations du langage poétique: La seconde révolution baudelairienne. Paris: Flammarion, 1979. 161–211.
  • Johnson, Barbara. "Allegory's Trip-Tease: 'The White Waterlily'" and "Poetry and Performative Language: Mallarmé and Austin". In The Critical Difference: Essays in the Contemporary Rhetoric of Reading.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0. 13–20, 52–66.
  • Johnson, Barbara. "Erasing Panama: Mallarmé and the Text of History", "Les Fleurs du Mal Larmé: Some Reflections of Intertextuality", and "Mallarmé as Mother". In A World of Differenc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57–67, 116–33, 137–43.
  • Kristeva, JuliaLa révolution du langue poétique: l’avant-garde à la fin du XIXe siècle: Lautréamont et Mallarmé. Paris: Seuil, 1974. [Note: Kristeva's commentaries on Mallarmé are largely omitted in the abridged English translation: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 Margaret Waller,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 Lloyd, Rosemary. Mallarmé: The Poet and his Circle.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 Mallarmé, Stéphane. Stéphane Mallarmé: The Poems in Verse. Translated by Peter Manson, Miami University Press, 2012.
  • Meillassoux, QuentinThe Number and the Siren: A Decipherment of Mallarme's Coup De Des. Falmouth: Urbanomic, 2012.
  • Millan, Gordon. A Throw of the Dice: The Life of Stephane Mallarme. New York: Farrar, Straus & Giroux, 1994.
  • Rancière, JacquesMallarmé: The Politics of the Siren. Trans. Steve Corcoran. London and New York: Continuum, 2011.
  • Richard, Jean-PierreL’univers imaginaire de Mallarmé. Paris: Éditions du Seuil, 1961.
  • Robb, Graham. Unlocking Mallarmé.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
  • Ronat, MitsouUn coup de dès...pour la première fois grandeur nature, in La Quinzaine Littéraire, numéro 319, 1980.
  • Sartre, Jean-PaulMallarmé, or the Poet of Nothingness. Trans. Ernest Sturm. Philadelphi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88.
  • Sethna, K. D. (1987). The obscure and the mysterious: A research in Mallarmé's symbolic poetry. Pondicherry: Sri Aurobindo International Centre of Education.
  • Scherer, Jacques. Le "Livre" de Mallarmé: Premieres recherches sur des documents inedits. Paris: Gallimard, 1957.
  • Williams, Heather. Mallarmé's ideas in language Oxford: Peter Lang, 2004.

External links[edit]

井筒俊彦『意識と本質』(4)|

이도리 슌히코 「의식과 본질」(4)
三宅 流|note

이전의 제3장에서는, 이통은 보편적 「본질」인 「머히어」가 단순한 추상 개념이 아니고, 실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는 3개의 종류로 나누었다. 여기서는 첫 번째 유형인 '마히어'를 심층 의식으로 파악하려는 시인 마라루메와 중국 송이의 유자들의 접근에 대해 이야기한다.
---

시인·릴케는 「물건」을 그 구체성의 극한에서 파악하려고 했다. 개별적인 리얼리티 「후위야」로서의 본질을 「의식의 피라미드」의 저변, 즉 심층의식에서 파악하려고 했다.

말라루메의 '물'의 '본질'은 릴케와는 반대로 개인의 개체성을 무화한 곳에 '냉혹하게 반짝이는 별빛'처럼 떠오르는 보편적 '본질' 즉 ' "마히어"를 언어적 의식의 극북에 요구했다.

일상의 경험적 사물의 세계, 거기서의 사물이나 현상은 「우연성」에 의해 항상 유동해 계속, 촛불과 꽃 피는 흐트러진다. 

말라루메는 '절대언어'라 불리는 시적언어로 말함으로써 그 사물을 살해하고 '허무'의 세계에서 무화하고 소멸시킨다. 그리고 그 '허무'의 절망 후에 그가 '미'라고 부르는 세계가 열린다. 「미」의 세계. 시간의 지배, 우연한 桎梏을 초탈한, 영원한 실재로서의 보편적인 「본질」만이 서 있는 곳. 만물이 무생명성 속에 얼어붙어 결정된 얼음의 세계.

그가 사용하는 '절대언어'에 의해 사물은 경험적 차원에서 살해되고, 그 사물의 보편적 '본질'은 '실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시인은 보통 언어를 사용하여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그는 일반 언어를 절대 언어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꽃」이라고 하는 말. 그것이 부르는 것은 매우 평범한 어느 꽃에도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본질"에 의해 정의 된 감각적 꽃의 형태입니다. 그것은 옮기기 쉬운 것. 하지만 시인이 절대언어적으로 '꽃'이라는 말을 발할 때, 존재의 일상적 질서 속에 감각적 실체로 나타나던 꽃이 발음된 단어의 원인이 되는 공기의 진동으로 되어 사라져 간다. 꽃의 감각적 모양의 소실과 함께 꽃을 보고 있는 시인의 주체성도 사라진다. 삶의 흐름이 멈추고 모든 것의 모습이 사라집니다. 이 죽음의 공간의 응고 속에서 일단 사라진 꽃이 형이상학적 실재가 되어 갑자기 일순의 번개에 조명되어 희미하게 떠오르는 것이다. 꽃, 영원한 꽃, 꽃의 영원한 불변의 "본질"이.



중국의 송대의 유자들(주창이나 程頤·程顥兄弟 등)도 또한 보편적 '본질'을 진정으로 실재하는 리얼리티라고 믿고 그것을 심층 의식에서 파악하려고 한다. 그 탐구는 그들의 실천적 측면에서 격렬한 정신 훈련에 기초한 고통의 길이었다. 그 훈련의 방법은 '정좌'와 '궁리'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사람의 마음의 상태에는, 마음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 「기발」과, 마음이 멈추고 있는 상태인 「미발」이 있다. 언뜻 보면 사람의 마음은 끊임없이 계속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마음의 움직임이 약해지고 사라지고 다음 마음의 움직임이 시작된다는 간헐적인 움직임을 계속합니다. A라는 마음의 움직임에서 B라는 마음의 움직임으로 옮기는 동안 약간의 마음의 공백의 점이 생긴다. 이것이 '미발'이다. 일상생활을 보내고 있는 사이에서는, 통상, 차례차례로 마음이 계속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느끼고 있고(기발 상태), 이 전환의 순간의 조용(미발 상태)은 거의 의식되는 것은 없다.

'정좌'는 첫 단계로서 우선 이 마음과 마음이 바뀌는 순간인 '미발'을 의식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 의식으로 잡은 그 '미발'의 상태를 마음 속에서 길게 유지하려고 훈련한다. 수행이 진행되는 가운데 처음에는 마음 속은 '기발' 상태가 대부분이고, 그 속에서 파악되는 '미발'은 뽀뽀뽀리와 순간적이었던 것이 점차 마음 속에서 '미발' 상태가 차지하는 비율이 많아지고, 이윽고 비율은 역전되어, 마음 속에서 「미발」 쪽이 오히려 통상 상태가 되어 「자발」은, 마음의 조용한 「미발」과 「미발」의 사이에 순간적으로 점재하는 경미한 「동」으로 바뀐다. 이것은 우선 표층 의식에서의 마음의 훈련이다.

그리고 의식의 표면상에서 파악한 「미발」의 영역이, 의식의 심층에 깊어져 가고, 마침내 의식의 마지막 일점, ​​의식의 제로 포인트에 도달한다. 표층 의식에 있어서의 「미발」의 수평적인 퍼짐이, 동시에 심층 의식에 있는 의식의 제로 포인트를 향하는 수직적 심화이기도 하다. 의식의 제로 포인트는 마음의 모든 움직임이 종국하는 절대적 「정적」이지만, 이번에는 반대로 모든 마음의 움직임이 거기에서 발출하는 출발점, 의식의 원점으로서 자각해야 한다. 여기에 이르러 처음으로 '정좌'의 경로가 완성된다.

이 제로 포인트의 절대적 「정적」의 측면을 「무극」이라고 하고, 모든 「동」이 시작되는 출발점으로서의 측면을 「태극」이라고 한다. 즉 주자의 「무극이 태극」(무극으로 하여 태극)이다.

송학에서는 의식과 존재는 불가분한 것이다. 의식의 영점은 즉 존재의 영점. 존재의 '무극'이 그대로 존재의 '태극'으로 돌아가 거기에서 형이상적 '미발'이 형이하적 '기발'로 발동해 간다. 이 미묘한 일점에, 전 존재계를 통합적으로 기초 짓는 순수한 형이상학적 「리」가 성립해, 이 절대적 「리」는 자기 분절을 반복하면서, 무수한 개별적인 「리」가 되어 우리 의 경험적 세계의 사물에 「본질」적 근거를 준다. 그리고 「리」란, 보편적 「본질」. 그것은 개념이 아니라 "실재하는" 보편적인 "본질"이다.



궁극적 일자인 '태극'은 유일한 '리'이지만, 이 '태극'은 만물의 하나하나에도 말하자면 작은 '태극'으로 내재한다. 그러나 그들은 유일한 '태극' 자체와 다르게 되어 개별 사물의 작은 '태극'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유일한 '태극', '리'에는 형이상적 측면과 형이하적 측면이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경험적 세계에 나타날 때, 우리 평범한 사람의 눈에는 형이하적 측면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 '태극'의 형이상적 측면은 경험적 세계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다만 보통 사람들에게는 경험적 사물의 깊이에 몰두하는 이 형이상적 측면이 보이지 않는다. 표층 의식에 있어서, 형이하적 측면에 있어서의 「리」는 무수한, 각각 다른 구상적 「리」가 되어 나타난다. 사람에게는 사람의, 사람만 고유의 「리」, 꽃에는 꽃의 「리」라고 하는 식으로.

「궁리」란 제1단계로서, 이러한 개별 사물의 「리」의 추구로부터 들어간다. 처음에는 존재세계 전체의 심층구조를 전망하지 않고, 단지 눈앞에 있는 이것의 사물의 고찰로 시작하기 때문에, 개개의 「이」가 가만히 보일 뿐이다. 이 단계에서는 개별 '리'의 형이하적 측면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렇게 개개의 '리'의 추구를 쌓아가는 가운데, 어느 때 갑자기 어떤 종류의 이상체험, 관통체험이 그 사람에게 찾아온다. 갑자기 심층 의식이 개척되어, 「태극」의 의식과 존재의 제로 포인트로부터 무수한 사물이 흘러나오고, 모든 「리」의 형이상적 측면이, 그 궁극의 일점에 있어서 일거로 보여 버리는 체험이 일어난다 . 그것을 '탈연 관통'이라고 한다. 그것은 존재의 재심층의 개현이며, 「궁리」를 행하는 그 사람에게 있어서 의식의 최심층이 개척되는 체험이다. 수련을 통해 사물을 그런 형태로, 그러한 차원에서 볼 수 있는 의식의 본연의 자세를 획득할 수 있었을 때, 전 존재계의 원점인 「태극」그 자체, 「리」그 자체로부터 퍼지는 존재계 전체를 일거로 전망하는 것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만물의 유일한 궁극적 '본질'인 '태극'은 동시에 모든 사물의 '본질'이 없이 돌아가 소멸하는 전 존재계의 제로 포인트 '무극'이기도 하다.



말라루메의 '본질' 탐구와 송유의 '궁리'는 같은 형태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말라루메는 경험적 사물을 '절대언어'에 의해 살해하고, 그 '허무' 뒤에 사물의 영원불변의 '본질'이 형이상학적 실재가 되어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송유는 경험적 사물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약동하는 삶 속에 개개의 '본질'을 찾아내고, 그 탐구의 앞에, 보다 고차의 형이상적 절대무인 '무극'을 만난다. 거기에는 허무나 절망의 그림자는 없다. 「무극」은 즉 「태극」. 모든 존재가 거기에서 솟아나는 시작점이기도 하다. 유일하게 절대적인 '본질'이 개별 사물의 형이하적 '본질'을 만들어 낸다. 의식에서도 존재에서도.

'무극이 태극' 무극이면서 동시에 그것이 그대로 태극이다고 주코는 말한다. 없음, 즉, 있음. 이치통은 '리'의 형이상적 극한에 있어서의 무와유의 이 모순적 상속 가운데 송학적 '본질' 파악의 동양적 성격을 봐야 할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