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3

Danish cooperative movement - Wikipedia

Danish cooperative movement - Wikipedia

Danish cooperative movemen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Danish cooperative movement (Danish: Andelsbevægelsen) was a cooperative movement with profound influence on the economical, organization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Denmark from the 1790s. The movement originally emerged in rural communities and was used widely in farming 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It soon diversified into consumer organizations and in the 1900s, housing, retail and banking among other sectors.

The Danish cooperative movement employed a means of economical and productive organiz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consumer- or producer-controlled corporations, where each individual member owned a part of the corporation. Members of the cooperative corporations seeks to share the economic stress of producing or buying goods, and divides the eventual end-year financial surplus amongst themselves. The specific rules of ownership varies greatly between individual cooperative corporations, as some divides the financial risk equally, while others give more power to the most financially involved individuals.

Early history[edit]

About 90% of all farming soil in Denmark was cooperative from 1300, as the Black Death depopulated the rural parts of the country.[1] Then, the inhabitants of a Danish village would work together, forming Landsbyfællesskaber (village communes). To distribute land fairly between farmers, the land was normally distributed between all farmers in a village with each of them owning a strip of land on every field. Re-allocation of land took place if the size of the individual families changed strongly.[2] In this system, it was virtually impossible to only work individually, since the plots of land might have the full length of the field, but only be a few meters wide. A second characteristic was that all farms were located close together and near the church, with the result that fields far from the village were often poorly utilized.

The Enclosure Movement[edit]

This all changed in the enclosure movement between 1750 and 1800, which aimed to reunite fields and award them to one owner only.[3] Any farmer would normally be awarded a coherent piece of land and perhaps an additional piece of forest. In many villages, farmers were either forced or strongly encouraged to tear down their homes and rebuild them in the middle of their new fields with the intention that this would give them easier access to every part of the field, enabling them to utilize the land more effectively. These events are known as Landboreformerne (the agricultural reforms) or Udskiftningen (the parcellation), and were instigated at the initiative of the Danish Crown to raise production. For the next century, a standard village would be composed of a series of farms, many located a distance from each other, each family working for itself producing grain and raising a few animals.

After the Second War of Schleswig in 1864, two new movements hit Denmark. One was a successful attempt to reclaim moors in central and western Jutland for farming; mostly sandy land abandoned in the 14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Black Plague, but in many cases good for potatoes. This movement was initiated by Hedeselskabet (the Heath Association). Equally important was an influx to the world market of grain from the Russian provinces Ukraine and Poland, resulting in a sharp drop in price.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a flood of agricultural imports to Britain, Denmark's primary market for grains, from a rapidly industrializing United States, which caused not only a sharp drop in prices, but an agriculture crisis throughout Europe in the final decade of the 19th century. This affected the income of many Danish farmers and the result was a change in production; from grain to dairy products and meat.[4] When a farmer couldn't sell his grain, he fed it to his cows and pigs.

Cooperative production[edit]

This change in production resulted in a need for dairies and slaughterhouses. A Danish minister visited England and studied the Rochdale system of co-operatives, which he then brought back to Denmark.[5] The only way to pay for such massive investments was for a large group of farmers to share the cost and risk between them, thus creating the cooperative dairies and slaughterhouses. The new situation implied that farmers would buy cheap grain from Russia and feed it to their livestock, selling milkbuttereggs and meat for a much higher price. The first cooperative dairy was initiated in 1882 in Hjedding, a small village in western Jutland, and the movement subsequently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he now large and well-known Danish Bacon and Danish Lurpak Butter brands.[6][7]

The combination of the Cooperative Movement and the switch away from the production of grain resulted in a great increase in wealth for the average Danish farmer and it became very important in the way Danish farmers perceived themselves. The system was also attempted in other places where Danes settled, for example in the Danish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Before World War I, Denmark gained a foothold on the Russian market, and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cost Danish industry dearly. Attempts to construct cooperative dairies in Russia played a large role in this policy, but only a few were actually built there. The Russian Revolution destroyed this work, but new attempts were made in the Baltic States during the Interwar period. Attempts to export the system to Poland were considered in the Danis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o boost the exports of Danish machinery. Attempts to export this system were often linked with attempts to export the Danish system of secondary education for farmers; Højskolebevægelsen.

Second redistribution of land[edit]

Denmark saw a second redistribution of land, which effectively meant the creation of a number of small-scale farms (husmandsbrug).[8] The top stratum in a village was the priest and schoolmaster, then came the big landowners; "gårdmænd" or better. Next level of society was the craftsmen who normally owned a bit of land as well. The bottom of society was formed by "husmænd" and landless people.

The land acquired from the manors was paid for in cash by the government, and was used not to increase the existing farms in size, but to create new ones. The impact was most prominent in Southern Jutland (Northern Schleswig) which had been reunited with Denmark in 1920. Before the war in 1864, Northern Schleswig had a population density pretty much the same as the rest of the country; in 1920 it had virtually the same population as in 1860, whil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rest of Denmark had doubled. Here the Danish government forced through an acquisition of large German Domänenpächter farms; splitting them up into smaller units, that was effectively a way to try to ensure that Danes didn't leave the poorly populated and poorly industrialized province.

Influence[edit]

The cooperative idea and organization of the Danish cooperative movement has made a large and lasting impact on the farming and industrial sector in Denmark and has also inspired other groups to form cooperatives independently of the original movement. Notable examples of the legacy of the Danish cooperative movement includes the following:

Dairies
In the 1950s, a joint stock company was formed out of a series of dairies, uniting into two rivals Mejeriselskaberne Danmark and Kløver who later merged to found MD Foods (now Arla Foods) which controls almost all of the Danish milk market. The Danish Crown meat processing company also owes its existence to the cooperative movement.

Co-op shops
The cooperative movement have also resulted in a series of co-op retail chains, now known as Coop Danmark (formerly FDB), which are administered by The Danish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The stores keeps a large share of the Danish consumer goods market and had 1.4 million members as of 2017.

Wind mills

The cooperative ownership model for wind mills was developed in Denmark. First for smaller wind mills, later for wind farms. One of the biggest cooperatively owned wind farms are at Middelgrunden in Copenhagen and at the Samsø island.

Communities

In the late 70's early 80's, collective lifestyle, including cooperative production, became very popular in Denmark. Some of the intentional communities that emerged from that era, still exist, such as the Svanholm community, started in 1978. Freetown Christiania was established in 1971, when a group of young hippies occupied abandoned military grounds in Copenhagen, and several collectives also emerged from the Danish fraction of the squatting movement ("BZ" in Danish) of the 80's. People living in these communities often practic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ome have joined the Danish Ecovillage Network.[9][10]

Co-housing
Living in co-housing groups with a common area and community house is relatively common in Denmark. The community house is used for gatherings, common eatings, common washing machines, meetings and celebrations. There are three types of co-housing groups:

  • One type, where the flats or houses are financed and built by one of the Danish housing associations, subsequently renting out to members only. The co-housing organisation Lejerbo with 37,000 apartments across Denmark is one example.[11] In English, this type of housing is often referred to as social co-housing.
  • Another, where residents are collectively owning the homes, the land and the initial financing loan. In Danish, this kind of co-housing is called "andelsbolig".[12]
  • A third type, where people own the community house and the land collectively, but each family finances and individually owns the house they build and live in. The AiH community in Hjortshøj is one example.[13]

References[edit]

  • Steen Busck & Henning Poulsen: "Danmarks historie - i grundtræk", Aarhus Universitetsforlag, 2002 (in Danish)

Footnotes[edit]

  1. ^ Busck & Poulsen (ed.), pp. 80-81
  2. ^ E.g. if one family had many children, while another couple remained childless.
  3. ^ Ole FeldbækDenmark - History - The Long Peace and the Short War, 1720-1814 Archived 2007-01-10 at the Wayback Machine 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Denmark
  4. ^ (in Danish) Andelsmejerier Archived 2007-03-09 at the Wayback Machine at Arla Foods
  5. ^ Birchall, Johnston 1997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Movement
  6. ^ 103982@au.dk (18 May 2018). "Andelsbevægelsen"danmarkshistorien.dk. Retrieved 22 September 2018.
  7. ^ The dairy in Hjedding was not only the first coop dairy in Denmark, but the first in the world, and there is a museum dedicated to the Danish coop history in the village.Hjedding Andelsmejeri
  8. ^ A "husmand" literally means a man with a house in contrast to a "gårdmand", which is a man with a farm, implying that the latter could make enough from his farm to live off the land alone while the "husmand" would also have to work as a manual labourer, craftsman, or similar occupation to feed his family.
  9. ^ "In Denmark, ecovillages provide an alternative to mainstream society - Økosamfund". 25 November 2013. Retrieved 22 September 2018.
  10. ^ "The Danish ecoillage network 1993-2004" (PDF). Retrieved 22 September 2018.
  11. ^ "Lejerb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08. Retrieved 22 September 2018.
  12. ^ "Andelsbolig – hvad er en andelsbolig egentlig? - Artikel"www.andelsboligforeninger.com. Retrieved 22 September 2018.
  13. ^ andelssamfundet.dk

Self-Help Is Political: How Organic Farming Creates an Autonomous Space Within the South Korean Nation State | Request PDF

Self-Help Is Political: How Organic Farming Creates an Autonomous Space Within the South Korean Nation State | Request PDF
Self-Help Is Political: How Organic Farming Creates an Autonomous Space Within the South Korean Nation State
December 2018
DOI:10.1007/978-981-10-6337-4_4
In book: The Living Politics of Self-Help Movements in East Asia (pp.57-95)
Authors:
Yon Jae Paik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Request full-text

To read the full-text of this research, you can request a copy directly from the author.
Citations (3)

Abstract
While a nation state protects its people from other nation states, what protects the people from their own nation state? Consider contemporary East Asian societies where rivalry among nation states is used to justify the people’s sacrifices for the nation and has repressed the spontaneous creation of grassroots communities. In this chapter, Yon Jae Paik argues that building small-scale self-help communities is the key for people to regain autonomy and cope with threats caused by national politics. Paik illustrates this with the case of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n South Korea—a practice of communal self-help begun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in 1976, with the creation of Chŏngnonghoe, an association of “righteous farmers.”

The Informal Life Politics of Community-based Organic Farming Movements in South Korea | Request PDF

The Informal Life Politics of Community-based Organic Farming Movements in South Korea | Request PDF

The Informal Life Politics of Community-based Organic Farming Movements in South Korea
January 2021
Authors:
Yon Jae Paik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Request full-text

To read the full-text of this research, you can request a copy directly from the author.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the history of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n South Korea as an example that shows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as an alternative polity.

 The key questions I examine in the thesis are: 
In what contexts did organic farming become political? 
How has politics been defined and practiced in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To explore these questions, I focus on the history of two of the most important organic farming movement groups in South Korea: Chongnonghoe, an organic farming movement group created in 1976, and Hansalim, the first organic cooperative, created in 1986. 

Chongnonghoe started organic farming as a social movement based on self-sufficient farming communities autonomou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s Green Revolution project in the 1970s, and Hansalim expanded the movement by introducing consumer-supported agriculture (CSA) to deal with the decline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liberalisation of the food system in the 1980s. 

By examining the origins and the ideological aspects of the communal tradition in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 argue that organic farming is a community-based social movement embedded in the tradition of community as an alternative space. 

I show how organic farming communities serve as alternative spaces - spaces of living politics (or informal life politics) where people enact communal self-help to solve the challenges of their livelihood by themselves. 

For Chongnonghoe, this communal space took the form of self-sufficient farms inspired by the Danish-style rural movement of the 1920s, in which Korean Christian nationalists endeavoured to build autonomous communiti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case of Hansalim, the 'urban-rural community' of consumers and organic farmers presented community as an alternative within the capitalist social formation. 

By showing the vibrancy of small-scale communities as alternative polities in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 demonstrate the resilience of such communities as sites of living politics, which repeatedly emerges and fades as people strive to deal with challenges caused by the dominance of the nation-state and the capitalist market.

 This work on the history of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expands the scope of religious and social movement history in rural Korea, and opens new perspectives for exploring the significant social changes in Korean society achieved by people's small-scale but widespread communal efforts.

알라딘: 류달영 박사의 생애와 사상

알라딘: 류달영 박사의 생애와 사상




류달영 박사의 생애와 사상 - 폐허의 땅에 덴마크 부흥 모델을 제시하다 
김홍근 (지은이)상상의숲2021-05-10

344쪽

책소개

류달영은 일제 감정기와 6·25 전쟁이란 한국 현대사의 절망적 고난을 고스란히 겪었다. 그가 일생 동안 공선사후(公先私後)의 정신으로 ‘나라 사랑’을 최우선에 둔 것은 의분에 찬 국민으로서 너무나 절박한 선택이었다. 일제의 ‘가난’과 ‘무식’이란 식민지 정책 속에서 교육 기회를 빼앗기고 굶주림에 허덕이던 90%가 농민인 나라에서 농촌 계몽 운동을 이어 갔고, 전쟁에 패하고 황무지로 쫓겨난 덴마크가 복지국가로 부흥한 ‘덴마크 부흥사’에서 희망을 발견했다.

20여 년 동안 ‘덴마크 부흥사’를 연구한 그는 6·25 전쟁의 피난지에서 《새 역사를 위하여》를 펴내 ‘덴마크 부흥사’를 한국에 처음 소개했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으로 절망 속에 빠진 국민에게 희망을 불어넣었고, 국가 재건의 불씨를 당겼으며, 이후 류달영이 ‘나라 사랑’에 헌신한 수많은 놀라운 업적의 신호탄이 되었다. 우리는 험난한 고통의 역사 속에서 시대의 사명을 다하고자 한 자랑스런 한국인을 만나게 될 것이다.

목차
1. 나의 삶, 사람 노릇 잘하기-유년기에서 죽남보통학교 시절
사랑의 실천가|역사의 거센 소용돌이
동냥젖 먹고 자란 아이|책임감 강한 아버지
어머니의 눈물|아버지와 아들의 정
죽을 고비를 넘다|거짓말을 모르는 농심
산을 지키는 마을 사람들|9살 소년의 ‘독립 만세!’
아들의 신식 교육|공부 열정과 진로 변경

2. 인생관, 인간은 만남으로 자란다-양정고등보통학교 시절
김교신 선생을 만나다|자긍심과 독립 정신
이순신을 알게 되다|스승은 인생을 가르친다
명 질문에 명 대답|독서 생활의 시작
독립 의지와 냉수마찰|거지 울음소리와 양심의 소리
나의 친한 친구, 검둥이 개|대장부의 호기와 정신적 성숙
‘농촌 운동’ 서원을 세우다

3. 독립운동과 농촌 운동-수원고등농림학교 시절
자족적인 삶을 버리다|선후배가 독립운동 동지가 되다
불사조 같은 독립 정신|김교신, 사토, 소노다
여성 애국자 최용신을 만나다|맏딸이 태어나다
총독부로 가지 않겠습니다

4. 여성 교육에 젊은 열정을 쏟다-호수돈고등여학교 교사 시절
여성 교육을 선택하다|젊은 정열을 불태우다
수요회에서 동지를 기르다|무감독 시험과 자부심
개성의 독립 정신과 자부심|일본의 탄압과 빛나는 교가
33인, 백두산에 오르다|헬렌 켈러의 열차 연설
도산, 춘원, 백범|최용신의 전기를 쓰다
눈물 밥이 가장 맛있다|기도의 사람
류달영은 교육자다|역사의식, 민족의식을 깨우다
아버지의 나라 잃은 설움

5. 독립을 향한 저항의 불꽃-감옥 생활에서 해방 전후까지
짙은 어둠의 식민지|감옥에서 마음을 수련하다
요행을 바라지 마라|하심(下心)을 배우다
공자, 열심히 배운 사람|감옥에서 쓴 편지
일본인 검사의 뜻밖의 처분|전쟁 말기, 여주에 은신하다
무식과 가난|김삿갓의 글씨
흥남 일본질소연료주식회사|장사 김교신 계장
거목이 쓰러지다|재운 좋은 종묘회사 전무
해방과 조선 이야기|인재 양성과 보이 스카우트 운동
개성 시대의 막이 내리다

6. 이 땅에 덴마크 부흥을 실현하자-서울대 농대 교수 시절
서울대 농대 교수가 되다|폐허로 만든 6·25 전쟁
잿더미가 된 서울|새 역사를 위하여
국민의 부유, 건강, 교육, 복지 사회|그룬트비의 국민 교육
크리스텐 콜|달가스와 황무지 협회
미국의 교육 지원|학문의 바다 미네소타대학교
한국의 밤|코넬대학교와 한국의 들잔디
영국과 독일의 인상|덴마크를 찾아가다

7. 나라의 부름을 받고-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장 시절과 이후
박 의장과 조건부 수락|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 본부장 취임
동양의 덴마크 건설|국민운동의 네 기둥
공과 사|김두한의 사과|혁명 정부에 부치는 직언
군사 정부와 국민운동 해산|박정희에 대한 평가
새마을 운동|평화 농장과 농민 운동
전국농업기술자협회|농업진흥관 건립
농민 대학|한국유기농업협회|한국농산물유통연구회
초인적인 사회봉사 활동|나라꽃 무궁화

8. 마지막 필생의 사업-성천문화재단을 세우고
성천문화재단의 창립|생활문화아카데미의 동서인문고전강좌
보람찬 노년|아내 이창수 여사|만능인
유머는 인생의 맛을 내는 향신료|극진한 건강 관리
참 잘 되었구만|누구와도 흉금 트고

후기
성천 류달영의 사상-김홍근

부록
밟아온 날들을 돌아보며
류달영 연보
류달영 저서
류달영 작사 노래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인간은 살려고 태어났다.
추천글
선생은 인생을 재미있고도 풍요롭게 사셨습니다. 유머러스한 말씀으로 항상 우리에게 즐거움을 나눠 주었습니다. 선생은 겉으로는 그렇게 즐겁게 사시는 것 같아도 마음속은 바닷물같이 넓고 깊은 애국심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선생이 박정희 정권을 도왔다고 해서 비판을 했습니다. 그러나 내가 알기에는 4·19 이후의 혼란기에 누군가가 나라 일을 수습해야겠다는 남모르는 걱정을 했습니다. 6·25 전쟁을 겪은 우리 세대는 내부적 혼란보다도 공산 정권의 이념과 물리적 남침을 더 걱정하던 때였습니다. 그때 저에게 남겨 준 뜻은 어떤 정권이든 대한민국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지하고, 피해와 고통을 주는 정치는 반대하는 것이 탈 정치적인 애국심이라는 뜻이었습니다. 성천 선생을 회고할 때마다 그분의 애국심과 인생을 지혜롭고 즐겁게 해 주는 스승이 그리워지곤 합니다. - 김형석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류달영 선생. 내가 초대 문화부 장관으로 재직할 때 기업인도 재벌도 아닌, 게다가 자본과는 거리가 먼 대학 교수가 사재를 털어 재단을 설립한다는 소식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때 우리나라는 산업화를 거의 완성해 가던 시기였다. 하지만 문화의 토대인 정신적 가치와 창조성을 잃어버린 번영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또한 우리는 거친 시대를 거치며 민주화를 성취했다. 하지만 행복하지 않다면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뤘다고 할 수 있을까? 선생은 이를 예견한 것일까? 공익재단을 설립해 정신적 가치를 드높이는 인문학 교육 및 문화사업을 시작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문화적 결실, 나아가 세계인의 마음에 불 지핀 한류는 류달영 선생처럼 인간 정신의 가치를 드높인 이들의 문화적 안목과 통찰이 큰 몫을 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이 책에서 독자는 그의 업적뿐 아니라 인간 류달영을 진심으로 만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저자 및 역자소개
김홍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7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중남미 문학을 전공했다.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에서 <옥타비오 파스의 시 사상>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성천문화재단에서 실무책임자로 20년간 고전아카데미를 운영했다. 지금은 동국대학교 겸임교수와 한국간화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의식교육 연구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선화> <참선일기> <보르헤스 문학 전기> <인생교과서 부처(공저)> 등을 펴냈고, 번역서로는 <보르헤스의 미국문학 강... 더보기
최근작 : <류달영 박사의 생애와 사상>
출판사 제공 책소개
류달영, 폐허의 땅에 부흥의 길을 제시한 한국 현대사의 산 증인
저자 김홍근은 성천(星泉) 류달영이 창설한 성천문화재단에서 20년간 실무 책임자로 일하면서 류달영을 가까이 모셨다. 김홍근은 류달영과 많은 대화를 나눴고, 그의 이력과 저서 등 수많은 자료를 토대로 류달영의 전기이자 평전인 《류달영의 생애와 사상》을 펴냈다.

류달영은 일제 감정기와 6·25 전쟁이란 한국 현대사의 절망적 고난을 고스란히 겪었다. 그가 일생 동안 공선사후(公先私後)의 정신으로 ‘나라 사랑’을 최우선에 둔 것은 의분에 찬 국민으로서 너무나 절박한 선택이었다. 일제의 ‘가난’과 ‘무식’이란 식민지 정책 속에서 교육 기회를 빼앗기고 굶주림에 허덕이던 90%가 농민인 나라에서 농촌 계몽 운동을 이어 갔고, 전쟁에 패하고 황무지로 쫓겨난 덴마크가 복지국가로 부흥한 ‘덴마크 부흥사’에서 희망을 발견했다. 20여 년 동안 ‘덴마크 부흥사’를 연구한 그는 6·25 전쟁의 피난지에서 《새 역사를 위하여》를 펴내 ‘덴마크 부흥사’를 한국에 처음 소개했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으로 절망 속에 빠진 국민에게 희망을 불어넣었고, 국가 재건의 불씨를 당겼으며, 이후 류달영이 ‘나라 사랑’에 헌신한 수많은 놀라운 업적의 신호탄이 되었다. 우리는 《류달영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험난한 고통의 역사 속에서 시대의 사명을 다하고자 한 자랑스런 한국인을 만나게 될 것이다.

역사의 거친 소용돌이 속에서 사람 노릇하기
1911년 5월 6일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나 2004년 10월 27일 94세의 나이로 소천하기까지 성천(星泉) 류달영의 삶은 자신의 생명을 최대한 꽃피우는 모습, 그것이었다. “선생님이 가시고 나면 어떤 한마디 말로 기억하면 좋겠습니까?” 하고 질문하자 “나의 삶은 그저 사람 노릇 잘해 보려 했던 것뿐이지.” 평소 ‘하늘은 서로 돕는 자를 돕는다(相助者天助).’를 강조한 그는 좌우명인 ‘호학 친교 위공(好學 親交 爲公: 배우자 사귀자 이바지하자)’을 평생 실천한 사람이다. 종교가 무엇인지 묻자 “굳이 내 종교를 말하자면, 나라 사랑이 곧 내 종교라고 할 수 있겠지.” 태어나 보니 일본의 식민지 백성이었고, 일제 강점기 36년을 고스란히 살아온 그. ‘나라 사랑’을 자신의 종교로 삼은 이유는 그가 태어난 시기에 기인한다. 태어나자마자 어쩔 수 없이 역사의 거센 소용돌이에 휩쓸려 살게 되면서 모든 가치를 자신보다 먼저 나라를 위하는 데 두지 않을 수 없었다. 류달영은 이 사실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철두철미하게 ‘나라 먼저 나는 나중(公先私後)’의 삶을 살았다.

운명적 만남, 김교신 선생
1919년 3월 1일, 마을 산에 올라 횃불을 든 어른들 틈에서 ‘독립 만세!’를 외쳤던 9살 소년, 한학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신식 교육을 받기 위해 1922년 죽남공립보통학교(현 설성초등학교)에 들어갔고, 서울의 5대 사립학교 중 하나인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다. 일제는 식민지 정책의 하나로 일관되게 교육 기관을 최소화시켰지만 류달영의 배움에 대한 열정을 막지 못했다. 1928년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류달영은 1학년 담임으로 김교신 선생과 운명적인 만남을 한다. 김교신은 월간지 <성서조선>의 편집인이기도 했고, 사상적 깊이를 지닌 종교인이자 교육자였다. 그의 동경고등사범학교 동기 동창인 함석헌이 《뜻으로 본 조선역사》를 냈다면, 김교신은 ‘뜻으로 본 조선 지리관’을 담은 《조선지리소고》를 냈다. 이 책은 근대 지리학 관점에서 조선 지리를 평가한 최초의 책이다. 류달영은 자신의 인생관과 세계관이 모두 김교신 선생과의 만남의 산물이라며 참 스승을 만난 것을 행운으로 여겼다.
김교신은 일제 교과서를 무시하고 조선 역사와 조선 지리를 가르치며 독립 정신을 심어 주었다. 당시 교육은 일본의 우수성만 가르치고 한민족의 역사는 까맣게 지우던 때다. 류달영은 이순신을 처음 알게 된 날을 잊지 못했다. 이 시기에 그의 가슴속에서 민족의식이 깨어났고, 독서를 본격화했으며, 냉수마찰로 독립 의지를 불태웠다.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진취적인 젊은 지식인들이 농촌으로 침투해 활동한 러시아 농촌 계몽 운동인 ‘브 나로드’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1931년 조선일보사와 동아일보사의 후원으로 청년 학생들이 ‘브 나로드 운동’을 벌였다. 이 운동의 구호는 ‘배워야 산다!’ ‘아는 것이 힘이다!’였다. 당시 우리나라의 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은 모두 합쳐야 2천 명을 넘지 않았다. 이들 중 상급생 일부가 이 운동에 참여했고 그중 류달영도 있었다. 당시 전국 농민들의 90퍼센트 이상이 문맹이었다. 지식인과 학생들은 주로 농민들에게 한글과 기초 산수, 보건 위생 상식 등을 가르치는 계몽 활동에 주력했다. 류달영은 사람들에게 글자를 읽고 쓸 수 있어야 무식을 벗어나고 사람답게 떳떳이 살 수 있다고 역설했다. 또한 남자 못지않게 여자도 배워야 한다고 설득했다.

운명적 만남, 《덴마크의 이야기》
1933년 류달영은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을 앞두고 조국과 농촌의 암담한 현실을 체험한 피 끓는 청년으로서 자족적인 삶에 일생을 바칠 수 없었다. 국민의 90퍼센트 이상이 농민이니 그들을 계몽시키지 않고는 나라의 앞날을 기약할 수 없다고 생각한 그는 농학을 전공해 농민 운동을 해야겠다는 소망을 품고 수원고등농림학교(현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에 진학했다. 사립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조선인 학생들이 민족의식이 강한 것을 알고 있는 일제는 그들의 입학을 꺼렸다.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였다.
수원고등농림학교의 조선인 학생들은 30여 명 정도로 기숙사 방에 ‘자유 독립’이란 구호를 써 붙이는 등 ‘개척사’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해 활동하다 발각되어 퇴학당하거나 경찰에 구속되기도 했다. 하지만 선후배는 동지가 되어 비밀 결사 활동을 이어 갔고, 암암리에 농촌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수원고등농림학교 시절, 류달영은 운명적인 한 권의 책을 만나게 된다. 김교신 선생은 일본 무교회주의 창시자로 세계적인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문하생이었다. 류달영은 김교신 선생으로부터 우치무라 간조의 저서 《덴마크의 이야기》를 받게 되어 덴마크 부흥사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6·25 전쟁 때 피난지에서 《새 역사를 위하여》를 집필했다.

여성 교육을 선택하다
1936년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는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류달영은 보다 현명하게 나라를 위한 길을 찾아야 했다. 류달영은 《덴마크의 이야기》를 읽고 청년 교육과 협동 운동이 광복을 위한 최선의 방법임을 깨달았다. 그는 인재 양성에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암흑천지인 여성 교육을 선택한다. 그는 어머니의 정신이 국가와 사회를 좌우하는 밑거름이라고 생각했다. 개성의 호수돈고등여학교(현 호수돈여고)가 첫 부임지다. 호수돈고등여학교는 미션 스쿨이어서 일본인들의 간섭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다.
류달영은 정규 수업 외에도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과목을 수당 없이 가르치며 여성 교육에 열과 성을 다했다. 특히 매주 수요일 수업이 끝난 뒤 박물 표본실에서 성경 공부를 시작했다. 성경 공부와 더불어 조국의 역사와 지리를 가르치면서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할지에 관해 토론했다. 또한 제자들의 오빠나 친척을 소개 받아 수요일 밤이면 남학생들을 집으로 불러 교육을 시작했다. 이 공부 모임을 수요회라고 정했고, 수요회 회원 중에서 후일에 목사, 대학교수, 농촌 사업가 등이 나왔다.

‘성서조선 사건’으로 투옥되다.
1942년 봄, 김교신이 발간해 온 <성서조선>의 권두문이 문제가 되어 필화를 겪게 된다. <성서조선>은 1927년 7월에 창간한 무교회주의 신앙 잡지로 함석헌의 ‘뜻으로 본 조선역사’를 연재하는 등 민족혼을 불러일으키는 글을 실어 왔다. 일제는 권두문에서 김교신의 조선 해방에의 의지를 읽고, 당장 300여 명의 <성서조선> 동인들을 검거하기 시작했다. 류달영도 검거되어 11개월 동안 유치장 감방과 구치소 감방에 수감되었다. 그런데 김교신, 함석헌 등과 동경고등사범학교 동창이면서 무교회주의의 스승인 우치무라 간조를 사모하는 일본인 검사가 ‘성서조선 사건’을 맡게 되면서 관련자 전원이 불기소 처분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류달영은 해방된 조국을 위해 할 일을 고민한다. ‘백만사(百萬事)는 모두 인간이 한다.’는 실천 원리를 떠올리고 인재 양성을 위한 방법을 찾는다. 교육은 시간이 많이 걸리니 단시간 내에 사람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찾다가 신념 있는 청소년이 육성되는 것을 경계해 일본인들이 해산시킨 보이 스카우트를 조직한다. 훈련을 마친 소년들은 조를 짜서 혼란한 질서를 바로잡는 봉사를 했다. 또한 행정과 치안이 공백 상태여서 개성 유지들이 모여 시민대회를 개최하고 개성시 자치 위원을 선출해 행정과 치안을 맡겼다. 류달영은 10여 명의 자치 위원의 일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했다.

《새 역사를 위하여》를 집필하다
1946년 류달영은 모교인 서울대 농과대학(전 수원고등농림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류달영은 농대에서 화훼 원예학을 가르쳤다. 그는 화훼를 산업화해 수출 작물로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장려했다. 1950년 여름 한국 전쟁이 터져 부산으로 피난 갔고, 1·4 후퇴 때는 대구로 피난 갔다. 전쟁 통에 남루한 차림의 대구 시민들과 피난민들이 한데 뒤섞여 물결처럼 흘러가는 광경을 지켜보면서 어떻게 되찾은 해방인데 다시 나라가 두 쪽으로 나눠 싸우고, 이번에는 미국, 소련, 중국이 먹이를 놓고 서로 싸우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일은 없을까?’ ‘어떻게 하면 한국인들이 정신적으로 성숙해지고 또 자립할 수 있을까?’ 하고 고민하게 된다. 조국의 살길은 덴마크처럼 국민정신이 깨어나는 수밖에 없고, 이 시점에 그의 사명은 국민정신을 일깨우는 책을 쓰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47일 만에 집필을 끝낸 《새 역사를 위하여》(부제: 덴마크의 교육과 협동 운동)를 읽고 다석 유영모는 감격했으며, ‘한국 농민 운동의 바이블’로 불리면서 아래로는 농민으로부터 위로는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의 애독서가 되었다. 또한 공무원과 군인들의 필독서이기도 했다. 당시 지성인치고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이 드물 정도였다. 10여 년 후 국무총리급인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 본부장을 맡아 동분서주하며 봉사하게 된 것도 출발점은 이 책이다.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면 이 책으로 류달영의 인생이 바뀌었다 해도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개인적으로,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저서였고, 저자의 의도대로 국민정신이 깨어나는 기폭제가 되었다. 암울한 피난 시절을 생애 최고의 창조적 시간으로 바꾼 그의 지혜와 안목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새 역사를 위하여》, 동양의 복지 국가를 꿈꾸다
류달영은 우리처럼 약소민족이면서 무서운 시련을 겪고도 망하지 않고 자주독립과 부흥의 길을 걸은 본보기로 덴마크를 꼽는다.
“보기 드문 역경 속에서 먼 장래를 내다보고 교육으로 건실한 국가 터전을 만들었고, 약한 힘을 한데 모아 협동하는 슬기를 길러 목적한 복지 국가를 건설한 농민의 나라 덴마크는 우리에게 살길을 지시하는 신의 계시처럼 느껴진다.”
“하늘도 감동케 하는 애국자들의 성실, 소박하고도 우둔한 것처럼 보이는 젊은이들의 꾸준한 분투, 조국의 먼 미래를 내다보는 건전한 슬기 등 약자로서 위대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번영의 원리를 그들은 남김없이 찾아내어 도탄에 빠진 조국뿐 아니라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여러 나라를 오늘의 복지 국가로 바꾸어 나갔다.”
그렇다. 류달영의 꿈은 대한민국을 동양의 덴마크, 동양의 복지 국가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 염원을 실현하기 위해 매진한 것이 곧 류달영의 일생이다.
또한 류달영은 ‘덴마크 부흥’에서 역사의 재평가에 관심을 갖는다. 1801년과 1807년에 영국 함대는 덴마크를 침공해 수도 코펜하겐을 폐허로 만들었다. 이 해전은 영국 해전사의 빛나는 업적으로 기록되어 있고, 덴마크에는 치욕의 역사로 남아 있다. 1837년 덴마크의 위대한 애국자 그룬트비는 청년들에게 코펜하겐 해전에서 활약한 해군 장교 윗모스에 대해 강연하곤 했다. 강연장은 그룬트비가 작사한 ‘용사 윗모스의 노래’를 청중들이 합창하며 뜨거운 애국심의 도가니로 변했다. 이때부터 코펜하겐 해전은 참패한 치욕적인 전쟁이 아니라 덴마크 청년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고 싸웠던 애국의 전쟁으로 바뀌었다. 이를 계기로 덴마크에서는 ‘애국 노래’ 운동이 벌어져 수많은 국민가요가 유행하게 되었다. 덴마크의 국민가요는 국민을 단결시켜 나라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류달영은 이렇게 말한다. “한 나라의 발전은 그 나라 국민들의 건전한 애국심의 총화에 정비례한다고 할 수밖에 없다. 나라를 사랑하는 국민이 없는 나라는 지탱할 수도, 존재할 수도 없다. 우리는 일본인이 덮어씌운 식민사관을 빨리 벗어 던져야 한다. 역사를 보는 각도를 우리는 크게 돌려야 한다. 나는 온 국민이 역사를 재발견할 것을 거듭 강조한다.”

류달영은 덴마크의 온 국민이 패전의 어둠 속에서 비탄에 잠겨 있을 때, 비록 전쟁에서 패했지만 정신은 전혀 패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었고, 그 대표적인 사람이 그룬트비와 크리스텐 콜 그리고 달가스라고 했다. 그룬트비는 덴마크 청년들을 교육시킬 국민 교육을 창안했고 국민 교육 방법론으로 ‘국민고등학교’를 세우는 것이었다. 크리스텐 콜은 그룬트비의 이상을 받아들여 국민고등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발전시킨 선구자였다. 덴마크의 교육 목표는 뜨거운 인격 교육이었다. 교육 목표의 명확함, 교사 양성의 철저함, 형식을 초월한 실천적인 교재, 실질적인 능력 배양 등 ‘실사구시’하고 ‘무실역행’하는 덴마크의 모습에서 류달영은 큰 감동을 받았다. 달가스는 또 어떤 사람인가? 달가스는 조국의 미래를 그려 보았다. 모두가 실의에 빠져 허둥대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살아날 길은 없는 것일까? 그는 모두가 개간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황무지를 기름진 땅으로 바꾸는 것만이 패망한 덴마크가 살아날 유일한 길이라는 결론에 도달했고, ‘황무지 협회’를 만들어 기적처럼 숲을 이뤄 냈다. 나무 한 점 없는 참혹한 황무지 유틀란트반도는 서서히 푸른 숲과 그림 같은 목장과 아름다운 농가가 펼쳐지는 낙원으로 변해 갔다. 황무지 협회 창설 30년 만에 황무지의 90퍼센트가 개간되었다. 달가스는 덴마크 사람들에게 지상 최고의 복지 국가라는 선물을 주었다. 그리고 류달영은 달가스를 통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 오히려 새 역사를 창조하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을 배웠다. 개척 정신을 가진 사람만이 값진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류달영은 덴마크가 조국 재건에 성공한 근본 원인은 교육에 있다고 보았다. 확실한 교육 목표와 특유의 교육 제도를 창안해 전 국민을 단시일 내에 교육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또한 황무지를 옥토로 바꿔 농업을 일으켰다. ‘교육과 농업’은 수레의 두 바퀴처럼 한 국가가 앞으로 전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두 요소라는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류달영은 농업은 협동조합 운동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덴마크가 산 증거라고 했다. 다른 나라들의 협동 사업은 주로 도시에서 이뤄졌다면 덴마크에서는 철저히 농촌에서 진행되었다. “무슨 일을 시작할 때면 미국 사람들은 먼저 기계를 생각하고, 덴마크 사람들은 먼저 조합을 생각한다.”는 말이 있다. 덴마크의 경제적 번영은 협동 사업의 성공에 기인한 바 크다. 덴마크의 거의 모든 사업이 협동조합화 했다. 농촌에는 심지어 체조 조합, 강연 조합까지 조직되었다. 덴마크 농산물은 조합에서 철저히 관리되기 때문에 외국에 수출해도 최고의 품질로 신뢰를 받는다. 덴마크 협동조합의 최고 장점은 인간에 대한 신뢰가 아닐까? 인간이 신뢰를 만들고, 신뢰는 다시 인간을 만든다.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 본부장이 되다
1961년 류달영은 5·16 군사 정변 직후 조직된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 본부장이 된다. ‘덴마크 부흥사’에 조예가 깊은 류달영을 본부장으로 위촉하고 싶었던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은 세 차례에 걸쳐 부탁을 했다. 군사 정부의 산하에서 일을 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않았던 류달영은 마지막엔 조건을 내세워 완곡한 거절 의사를 표시했다. 하지만 무소불위의 권력을 쥐고 있는 박 의장은 즉석에서 승낙했다.
1961년 9월 7일, 류달영은 취임사에서 “지금 우리의 마음씨, 지금 우리의 몸차림, 지금 우리의 행동은 그대로 삼천만 민족의 운명과 직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국가재건국민운동의 분명한 목적은 하루속히 군정을 끝내는 데 있다.”
객관적으로 보아도, 어쩌면 당시 한국에서 국민운동을 이끌 사람으로 류달영만 한 사람을 찾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는 여러모로 ‘준비된 본부장’이었다. 류달영은 덴마크의 국민 교육을 벤치마킹해 전국 청년들의 정신 교육부터 실시하는 것으로 출발했다. 시와 군에 교육원을 설치하고 연수 교육을 계속 이어 갔다. 거국적인 국민 의식 교육은 대성공을 거뒀다. 국민 의식이 단기간에 이처럼 고양된 예는 고금에 전례를 찾기가 어려울 것이다. 류달영의 속마음은 한국을 하루속히 ‘동양의 덴마크’로 만들자는 것이다.
류달영은 밤낮없이 온몸을 바쳐 뛰었다. 취임한 지 일 년 동안 국가재건국민운동의 네 기둥인 국민 교육, 향토 개발, 생활 혁신, 사회 협동 부문의 모든 사업에서 앞장섰다. 발이 닳도록 경향 각지를 누비고 다녔다.

시간이 갈수록 군사 정권 아래 국민의 자유의사가 완전히 봉쇄되어 민심은 굳을 대로 굳어 갔다. 지성인들은 대수롭지 않은 일인 데도 툭 하면 잡혀가고, 중앙정보부에서 곤욕을 치렀다. 류달영은 계엄령이 내려져 있었지만 군사 정부를 향해 공개적으로 솔직하게 충고하기로 결심했다. 1962년 12월, 류달영은 밤중에 장충단의 의장 공관으로 직접 찾아갔다. 무슨 일이냐고 묻는 박 의장에게 그는 메모해 온 글을 읽어 주었다. 박 의장은 묵묵히 듣고만 있었다. 주된 내용은 이랬다.

- 군인들은 정치인이 아니다. 본인들이 정치에 문외한이라는 것을 잠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군정이 아무리 정치의 성과를 거둔다 하더라도 그것은 정상적 정치라고 할 수 없다. 또 나라 안의 질서가 잡혀 평온하지만 그것은 계엄령하의 상태이지 정상적인 평온은 아니다.
- 군사 정부는 혁명 공약을 발표했는데, 국민과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 군인들의 기질로 모든 일을 서둘러 해결하려 드는데, 그것은 큰 과오를 범하기 쉬우니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 군사 정권은 후일의 역사가 값지게 평가할 수 있도록 당당한 업적을 남기도록 힘써야 한다. 그것은 국민의 협조를 얻는 대의(大義)의 혁명을 성취하는 일이다.

하루는 김형욱 정보부장이 조용히 충고했다. 류달영이 차기 대통령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는 첩보가 들어왔으니 조심하라는 것이다. 모종의 음모가 진행 중임을 눈치챌 수 있었다. 일종의 사퇴 압력이었다. 류달영은 더 이상 본부장 직에 머물러 있을 때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류달영은 1963년 5월 사표를 냈고, 오래지 않아 군사 정부는 하루아침에 국가재건국민운동 설립 법을 폐기하고 해산시켰다. 류달영은 군인들의 정치 바람에 함께 휩쓸리지 말고 독자적으로 국민운동을 계속해 나가자고 역설했고, 민간단체인 사단법인 재건국민운동중앙회가 발족되어 초대 회장으로 류달영이 선출되었다.
중앙회는 나름대로 값진 사업을 추진했다. 우선 국민신문 발간, 재건 학교 사업, 마을금고 사업이었다. 마을금고는 지역마다 큰 성공을 거두었고, 후일 새마을 금고로 개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류달영은 5·16 군사 정변 4주년 하루 전날인 1965년 5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군사 쿠데타를 비판하는 글을 실었다. 류달영의 사진과 서명까지 곁들인 장문의 글이 대문짝만하게 신문에 실렸다. 제목은 ‘비극의 5·16이 준 이 나라 역사의 교훈’이었다. 군정은 슬픈 촌극이고 실패작이라고 논리적으로 지적했다. 4년이 지난 오늘 혁명 공약을 실천한 것이 하나도 없다고도 했다. 류달영은 군사 정권하에서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장을 지냈지만, 어디까지나 자신의 신념대로 대한민국의 국민운동을 한 것이지 군정의 국민운동을 한 것이 아니다. 또한 장군 시절의 박정희가 《새 역사를 위하여》를 읽고 감동받아 혁명을 일으키자마자 국가재건국민운동을 추진하고 이것이 새마을 운동으로 발전해 나갔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누가 뭐래도 한국이 단군 이래 가장 부유한 나라로 변신한 데는 국가재건국민운동과 새마을 운동의 역할이 지대했다는 것을 역사가 평가할 것이다. 모든 일은 인간이 하고 인간을 만드는 것은 정신이다. 만사를 시작할 때 의식 교육 사업부터 손대는 류달영의 정신 자세는 귀감이 될 만하다.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제2대 총재
류달영은 1972년 한국의 농민 단체로서 역사가 가장 오래고 회원도 가장 많은 전국농업기술자협회의 제2대 총재로 선출되었다. 류달영은 전국농업기술자협회에서도 먼저 교육 사업을 추진했다. 농업진흥관 내에 농민들을 교육하는 농민 대학부터 설치한 것이다. 농민 대학은 농업의 최신 기술을 가르쳤다. 막상 교육을 시작하자 의외로 농민들의 배움의 열기가 대단했다. 또한 당시 일본에서는 언론이 정직하게 농약과 화학 비료의 폐단을 보도했다. 우리나라는 농약과 비료를 일본보다 훨씬 많이 쓰기 때문에 그 피해가 더욱 심한 데도 정부는 증산에만 신경을 쓰고 부작용을 쉬쉬하며 덮고 있는 형편이었다. 이에 류달영은 ‘한국유기농업협회’를 창설했다. 협회는 고추 생산 왕이나 벼 수확 왕을 차지하는 등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다. 유기농업으로 지질이 회복된 까닭이다. 또 류달영은 일본의 농산물 유통 사례를 접하고 배울 것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일본은 농민들이 농산물 유통을 배워 실질 소득을 높이고 있었다. 이에 ‘한국농산물유통연구회’를 창설해 농민, 상인, 공무원 등 모두에게 유통 교육을 실시했다.
류달영은 타블로이드판 <유통정보>를 발행해 널리 보급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이 정보지는 후에 <한국농어민신문>으로 발전해 농어민의 친구가 되었다. 류달영은 큰 보람으로 여겼다.

1974년 이미 60대를 훌쩍 넘긴 류달영은 엄청난 일복과 만나게 된다. 이 시기를 전후해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총재, 서울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국민윤리학회 회장, 대한가족계획협회 회장, 전국재해대책협의회 회장, 한국덴마크협회 회장, 카운슬러협회 회장, 4H운동 회장, 건전생활중앙협의회 회장, 한국원예협회 회장, 인간교육원 회장, 한국산업카운슬러협회 이사장, 세종기념사업회 부회장, 서울특별시 문화위원, 대한적십자 서울지사 상임위원, 사회교육 심의위원, 한국잡지윤리위원회 위원, 국제가족계획협회연맹 이사 등의 일을 맡아 국내외에서 초인적인 활동을 벌였다. 1972년에는 건국대학교에서 명예 농학 박사 학위도 받았다. 그는 1976년 서울대 교수로 30년을 근속하고 정년 퇴임한다. 그리고 명예 교수가 되어 사회봉사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류달영은 서울대 농대의 화훼학 교수로서 그 어떤 꽃보다 겨레의 상징인 무궁화 가꾸기에 심혈을 기울였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 경찰이 보이는 족족 뽑아 버린 나라꽃. 무궁화와 비슷한 문양을 사용해도 죄가 되던 시대였다. 해방이 되고 서울대 농대에서 무궁화 연구를 시작하려 할 때 무궁화 품종 자체가 너무 귀했다. 일제에 의해 모조리 제거된 것이다. 그는 무궁화 연구를 위해 마라도에서 판문점까지 전국을 돌아다녔다. 그리고 조사를 해 보았더니 일본은 한국의 무궁화를 일본으로 가져가 육종 연구에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인들은 우리에게는 ‘쓸모없는 나무’라고 속이고, 자기들은 몰래 연구하고 개량하고 있었다. 진딧물이 많은 나무라고 악선전을 하더니 알고 보니 효과가 큰 약용 식물이었던 것이다. 류달영은 자신의 평화 농장에서 무궁화를 직접 가꾸었고, 100여 종의 신품종 무궁화를 개발했다.

성천문화재단의 창립
스스로 농민이 되어야 농민과 함께할 수 있다고 생각한 류달영은 일찍이 《새 역사를 위하여》의 인세로 땅을 구입해 평화 농장을 가꾸었다. 그런데 80세에 접어든 1990년 무렵, 평화 농장의 반 정도가 동수원 인터체인지로 수용되었다. 그는 뜻밖의 큰돈을 보상금으로 받게 되었고, 성천문화재단을 창립한다.
전 국민의 90퍼센트 이상이 농민이던 시대에는 농촌 운동에 뛰어들어 매진했다면, 우리나라가 산업 국가로 바뀌어 도시민이 농촌 인구를 훨씬 능가하게 되자 이제는 도시인의 의식을 개혁하는 평생 교육 사업을 생애의 마지막 봉사로 생각하고 전념하기로 마음먹었다. 성천문화재단의 아카데미에서는 한국인들이 건전한 정신문화와 건실한 생활 문화를 영위할 수 있도록 성현들의 인문고전 강좌를 매년 개설하고 있다.

류달영은 2004년 10월 27일에 별세했다. 막상 그분이 돌아가고 난 뒤에 돌아보니 류달영이란 인물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큰 거인이다. 마치 뿌리는 깊은 땅속에 박고, 머리는 구름 위로 내놓은 거목을 보는 듯한 느낌. 그가 살아온 이력을 살펴보면 그를 ‘인간오케스트라’라고 부르지 않을 수 없다. 다재다능했던 그의 생애는 교향곡이 울려 퍼지는 교향악단 같다. 접기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 (24)"난 공자를 능가하는 성인을 만났다" : 네이버 블로그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 (24)"난 공자를 능가하는 성인을 만났다" : 네이버 블로그

새마을운동의 아버지가 추앙한 다석 류영모 - 이빈섬.
막내아들이 시한부생명 선고를 받고난 뒤, 형언할 수 없는 감정을 억누르며 쓴 '슬픔에 대하
여'는 류달영이 쓴 수필이다. 교과서에도 실려, 오랫동안 많은 이들의 가슴에 남았던 명편이다. 
류달영은,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의 강권으로, 재건국민운동 본부장을 맡는다. 그는 한국전쟁
무렵 '덴마크 농업혁신'과 관련된 책을 내서 전쟁통에 베스트셀러를 낸 바 있었다. 이것을 박정
희가 본 것이다. 정부의 혁신조직에 참여한 류달영은 향후 새마을운동의 근간이 되는 정책들을
기획하고 입안한다. 
이후 독재정권과는 불화의 길을 걸어갔지만, 그의 농촌대혁신은 국가경제의 기틀을 만들어냈
다. 류달영은 명실상부한 새마을운동의 아버지다. 류달영이 덴마크농업을 공부하게 된 것은 스
승 김교신이 준 책(우치무라가 썼다) 덕분이었다. 
김교신의 오산학교 스승은 바로, 다석 류영모다. 그러니까, 류영모는 류달영의 스승의 스승이었
다. 류달영은 류영모를 가리켜 '간디와 이순신 같이 시대가 낳은 성인이며, 공자보다 뛰어난 일
을 했다'고 평가하며 그를 추앙한다. 
류달영이 남긴 성천재단은 아직도 류영모 사상연구회에게 사무실을 무료로 쓰게 하고 있다. 류
영모 같은 큰 인물이 탄생한 것만으로도 일제36년의 고통이 헛된 것이 아니었다고 말하는 류
달영. 오늘은 그의 삶과, 그를 통해 바라본 다석 류영모이다. /빈섬.
다석 류영모
[
==
"인도가 300여년 동안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던 피해는 식민지 기간 동안에 마하트마 간디의 탄
생으로 보상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이 36년 동안 일제(日帝)의 식민지가 되었던 손해는
식민지 기간 동안에 류영모의 탄생으로 보상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이순신이란 인물이 나올 수 있었겠습니까? 인물은 그 시대의 소산입니다. 나라에는 참
된 인물이 나와야 합니다."
류영모 한 사람의 탄생이 일제 36년 동안 온 겨레가 겪은 고통의 값만큼 크고 귀하다(이 말은
결코 겨레의 고통을 낮춘 것이 아니라 그 극한의 고통만큼이나 류영모가 이룬 정신적 성취가
값지고 높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고 말한 사람은 농학자이자 사회운동가인 류달영(1911~20
04)이다. 인도의 간디에 비견되는 사람,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해낸 일과 비교되는 사람으로 류
영모를 꼽은 류달영은 대체 누구인가. 그는 왜 류영모를 이 겨레붙이가 낳은 최고의 성자로 손
꼽았는가. 그에게 매료된 한 지식인의 과도한 평가였는가. 아니면 그뒤의 많은 이들이 잊어버리
거나 놓쳐버린, 한 인물의 어마어마한 가치를 그가 일찍이 발견하고 저토록 명쾌하게 밝혀놓은
것인가.
그는 이런 말도 했다. "류영모 선생을, 공자를 능가하는 성인이라고 하여도 전혀 거부감이 일어
나지 않습니다." 인물은 시대의 열매이며, 나라를 바꾸는 견인차라는 게 류달영의 생각이었다.
그는 왜 그토록 단호하게 류영모를 한국의 빅리더로 지목했던가. 
러시아 레닌을 바꾼 소설 '무엇을 할 것인가'
1870년대 러시아 차르의 전제정치를 극복하려는 지식인들의 몸짓은 농촌으로 파고들었다. '브
나르도(민중 속으로)' 운동은 농촌을 계몽하여 나라를 바꾸려는 청년들의 작은 혁명이었다. 이
운동의 중심이었던 니콜라이 체르니솁스키는 감옥 생활 속에서 소설 '쉬토 젤라치(무엇을 할
것인가)'를 썼다. 이 책은 러시아 청년의 혁명고전이 된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1902년 발표한
공산당 조직론을 '쉬토 젤라치'라고 이름 붙였다.
브나르도 운동은 러시아에선 실패했지만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부활한다. 청년들은 농촌
계몽을 하러 저마다 시골로 내려갔다. 이때의 분위기를 담은 소설이 이광수의 '흙'과 심훈의 '상
록수'다. 소설 '상록수'는 박동혁과 채영신이란 작중 인물을 겨레의 뇌리에 기억시킨 작품이다.
채영신은 실제 인물 최용신(1909~1935)을 모델로 했으며, 그와 함께 농촌계몽운동을 펼친 이
는 류달영이었다(그는 나중에 이 소설이 팩트를 바꾼 점을 바로잡기 위해 '농촌계몽의 선구 최
용신 소전'이란 책을 펴내기도 한다). 1931년 여름 양정고보 4학년이던 류달영은 동아일보의
브나르도운동에 참여하면서 농민을 위해 평생을 바치겠다는 결심을 했다. 의대를 보내려는 가
족의 뜻을 물리치고 수원고등농림학교(3년제, 서울대 농대 전신)에 입학한다.
류달영의 삶을 바꾼 책 '덴마크 이야기'
양정고보 시절 5년간 류달영의 담임선생이었던 김교신은 이 무렵 우치무라 간조의 '덴마크 이
야기'라는 책을 선물한다. 농업국가 덴마크의 부흥 스토리가 소개되어 있는 이 책을 읽은 류달
영은 "조선을 동양의 덴마크로 만들겠다"고 다짐한다. 해방 뒤인 1952년 서울대 농대교수 류달 2 0
빈섬학당
영은 피란지 대구에서 책 한권을 펴낸다. '새 역사를 위하여: 덴마크의 교육과 협동조합'이란 책
이었다. 전쟁통에 찍은 이 책은 몇년 새 26쇄를 찍어낼 만큼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한다.
1961년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는 류달영을 여러 차례 만나 "덴마크 연구에 조예가 깊은 류 선
생을 재건국민운동 본부장으로 위촉하고 싶다"고 밝혔다. 류달영은 재건국민운동 업무에 당시
군사정부(국가재건최고회의)가 간섭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직책을 수락한다. 그해 9월 본부
장을 맡은 류달영은 덴마크 모델에 따른 국민운동계획을 수립한다. 그는 당시를 이렇게 말했다.
"나의 숙소에는 1956년 덴마크에서 사온 그곳 지도자 그룬트비 사진을 걸어놓았고, 출근 때마
다 기도하는 심정으로 바라보고 나왔다."(류달영의 '소중한 만남' 중에서)
이때 류달영이 시도한 재건국민운동은 박정희 새마을운동의 모델이 된다. 그는 국민교육, 향토
개발, 생활혁신, 사회협동의 네 분야로 사업을 나눠 농촌운동 지도자를 교육하고 마을 청년회관
과 농로 및 수로를 건설한다. 결식아동 급식제와 부엌, 화장실 등의 생활환경 개선도 포함되어
있었다.
[류달영(1911~2004)]
류달영, '새마을운동의 아버지'
그러나 군사정부가 민간정권으로 옷을 갈아입던 1964년 국민재건운동법이 폐기되고 본부가
해체된다. 결과적으로 그는 이용당한 모양이 됐다. 1965년 5월 15일 동아일보에는 류달영의 기
고가 실렸다.
“5·16군사혁명은 실패한 혁명으로 이 나라의 하나의 비극으로 종말지어졌다는 사실을 기억해
야 한다. 국민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짓밟는 군정이란 존재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 존재하였고, 또 그것이 완전히 실패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류달영의 ‘비극의 5
·16이 준 이 나라 역사의 교훈’)
2 0
빈섬학당
이후 류달영은 민간 차원의 재건국민운동중앙회(사단법인)를 결성했다. 그는 자신이 펼친 재건
국민운동을 새마을운동과 연관 짓는 것을 싫어했다. 하지만 류달영이 새마을운동의 전개에 실
질적인 힘이 되어준 것은 사실이었다. 새마을운동연수원장 김준을 비롯해 그의 제자들(서울대
농대)이 이 운동의 주요 간부로 활약했기 때문이다. 그는 박정희의 가장 가치있는 성과로 꼽히
는 새마을운동의 원천기획자이자 실행의 핵심두뇌였다. 식민지 시절 우연히 받아든 한권의 책
이 이 나라의 운명을 바꾼 거대한 동력이 되었다. 류달영은 지금의 대한민국을 세운 숨은 힘이
다.
여의도에 있는 성천재단과 다석연구회
류영모의 사상과 삶을 배우는 다석사상연구회는 서울 여의도 63빌딩 옆의 조촐한 건물인 라이
프오피스텔 강의실에서 매주 모임을 갖는다. 이 모임에는 류영모의 정통 제자라 할 수 있는 박
영호 회장과 최성무 대표, 김성언 총무를 비롯해 다석을 좇는 '언님'과 후학들이 모여 신앙행사
와 강연, 학습의 시간을 갖고 있다. 다석사상을 꽃피우고 있는 이 '교실'을 무기한으로 쓰도록
유지(遺旨)를 남긴 사람이 류달영이다. 그의 재단인 성천(星泉·류달영의 호)문화재단이 다석을
기려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류달영은 농업시범을 목적으로 경영해 오던 수원의 평화농장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로 편입되
었을 때 그 보상비 10억원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의미에서 문화재단을 세웠다. 이것이 1991년
설립된 성천문화재단이다. 발기인으로는 류달영을 비롯해 구상, 김도창, 류화숙, 서영훈, 전택부
등이 참여했다. 이 재단은 정신 및 생활문화 창달을 위한 고전과 현대와 미래 교육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재단의 키워드는 문화이며, 문화사업과 문화민주주의,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을 추구
한다. 이 재단은 특히 류영모와 관련된 사업과 행사들을 팔을 걷어 지원하고 있다. 
류달영은 왜 스승의 스승(스승 김교신의 스승인 류영모)을 이렇듯 사후에까지 길이 모시려 했
을까. 그는 류영모가 예수나 석가처럼 사람들에게 진리의 생명을 가르쳐 주었기에 그 가르침이
일본 제국주의 아래에서 고통받던 겨레를 구하는 중차대한 역할이었다고 평가한 것이다.
류영모의 정신혁명, 류달영의 경제혁명
그 스스로가 뛰어난 실천적 지식인이었던 류달영은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의 강권에 '국가
기틀을 잡는 작업'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그 속에서도 자신이 해야 할 바를 꿋꿋이 지키며 문화
창달에 대한 열정을 멈추지 않았다.
그랬기에 류영모의 '크기'를 읽은 것이다. 이 나라의 '정신'이 걸어온 본연의 길과 마땅히 서야
할 자리를 가리키면서도 서양이 수천년에 걸쳐 이뤄놓은 종교의 원천적 본령(本領)으로 치달아
올라 기독교의 지순한 경지를 개척한 성자의 '가치'를 헤아린 것이다. 중국의 공자가 해놓은 동
양 정신가치의 혁명보다 한 수 위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류영모 앞에 옷깃을 여민 후학(後學) 류달영 또한 예사로운 사람은 아니었다. 그 내면엔 이 나
라를 위한 위대한 비전과 에너지가 꾸준히 솟아나, 우리가 선진국으로까지 도약하는 경제의 주
춧돌과 엔진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역사는 지하수처럼 숨은 물길로 이렇게 흐른다. 류영모의
정신혁명과 류달영의 경제혁명은 20세기 이 나라를 각성시키고 도약시킨 놀라운 저력의 비밀
이었다.
2 0
빈섬학당
류달영은 중·고교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유명한 수필가이기도 하다. 그의 수필 '슬픔에 관하
여'는 생에 대한 비감(悲感)과 관조를 이해하게 되는 명편이었다. 그의 인간적 면모를 이해하게
되는 글이라 소개한다. 막내아들이 '시한부' 선고를 받고 난 다음에 쓴 절절한 문장들이다.
"나의 막내아들은 지난봄에 국민학교 1학년이 되어 있어야 할 나이다. 벌써 2년 전의 일이다.
그때 이 아이는 '신장종양'이라고 하는 매우 드문 아동병에 걸렸다. 그러나 곧 수술을 받고 지금
까지 건강하게 자라왔다. 그런데 오늘, 그 병이 재발한 것을 비로소 알았고, 오늘의 의학으로는
치료 방법이 없다는 참으로 무서운 선고를 받은 것이다.
아이의 손목을 하나씩 잡고 병원 문을 나서는 우리 내외는 천근 쇳덩이가 가슴을 눌러 숨을 쉬
기도 어려웠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것은 시골에서 보지 못한 높은 건물과 자동차의 홍수, 사
람의 물결들이 신기하고 재미있는 모양이었다. 그에게는 티끌만한 근심도 없었다. 나는 그의 얼
굴을 바로 보지 못했다. 자기의 마지막 날을 알지 못한다는 것은 사람을 맹목(어두운 눈)으로
만들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또한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아빠, 구두."
그는 구두 가게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구두가 신고 싶었나 보다. 우리 내외는 그가 가리킨 가
게로 들어가 낡은 운동화를 벗기고 가죽신 한 켤레를 사서 신겼다. 어린 것의 두 눈은 천하라도
얻은 듯한 기쁨으로 빛났다. 우리는 그의 기쁜 얼굴을 차마 슬픈 눈으로 볼 수가 없어서 마주
보고 웃어 주었다. 오늘이 그에게는 참으로 기쁜 날이요, 우리에게는 질식할 듯한 암담한 날임
을 누가 알랴.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것을 '천붕'이라고 한다. 하늘이 무너진다는 뜻이다. 나는 아버지의 상을
당하고서야 비로소 이 표현이 옳음을 알았다. 그러나 오늘, 의사의 선고를 듣고, 천 길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지는 슬픔을 주체할 수 없으니, 이는 천붕보다 더한 것이다. 6·25때 두 아이를 잃은
일이 있다. 자식의 어버이 생각하는 마음이 어버이의 자식 생각하는 마음에 까마득히 못 미침
을 이제 세 번째 체험한다. 2년 전 어느 날이었다. 수술 경과가 좋아서 아이가 밖으로 놀러나갈
때, 나는 그의 손목을 쥐고,
"넌 커서 의사가 되는 게 좋을 것 같다. 의사가 너의 병을 고쳐준 것처럼, 너도 다른 사람의 나
쁜 병을 고쳐줄 수 있게 말이다."
하고 말했었다. 그는 고개를 끄덕였고, 그 후부터는 누구에게든지 의사가 되겠다고 말해왔었다.
이 밤을 나는 눈을 못 붙이고 죽음을 생각한다. 그리고 인간의 모든 고귀한 것은 한결같이 슬픔
속에서 생산된다는 생각을 하면서, 더없이 총명해 보이는 내 아들의 잠든 얼굴을 안타까이 바
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생은 기쁨만도 슬픔만도 아니라는, 그리고 슬픔은 인간의 영
혼을 정화시키는 훌륭한 가치를 창조한다는 나의 신념을 지그시 다지고 있는 것이다.
"신이여, 거듭하는 슬픔으로 나를 태워 나의 영혼을 정화하소서."
  
                                          류달영의 '슬픔에 대하여' 중에서
2 0
빈섬학당
/빈섬.
우즈벡 현지여행사 코아투어
파워링크 광고
실크로드투어, 골프투어, 비지니스투어, 대학해외봉사활동,의료세미나,호텔예약,가이드
공자, 아트앤스터디
20년 역사의 인문학 강의 사이트에서 정통 인문학과 만나다
철학 문학 문화예술 인문교양
1위 중등인강 수박씨닷컴
상위 0.1% 학생들의 학습 비밀, 메타학습의 완성 수박씨닷컴, 전 강좌 무료체험
7일무료체험 쎈수학 강좌 족보닷컴무료 초중고전강좌
#류달영 #류영모 #다석 #간디 #이순신 #공자 #새마을운동 #박정희
==

==

==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84)] 우리 만남은 바람꽃이었소 류영모의 탄식 | 아주경제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84)] 우리 만남은 바람꽃이었소 류영모의 탄식 | 아주경제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84)] "우리 만남은 바람꽃이었소" 류영모의 탄식
이상국 논설실장입력 2020-12-07 10:30
류달영과 현동완, 류영모가 아낀 제자들


[다석 류영모]

스승이라는 말 속엔 허허벌판이 있다. 눈 내리는 허허벌판에 크고 굳센 어른 하나 서 있다. 스승은 말하지 않는다. 그 삶이 거울이 되어 내내 한 존재를 비춘다. 스승은 원래 앞날을 예언하는 여자무당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죽음이 늘 가깝게 내려와 있던 맨발의 시절에 부락의 중심에 좌정하고 앉아 가야할 길을 읽어내던 지혜로운 자였다. 스승이 교육이라는 백년대계를 책임지게 된 것은 거기서 연유한 것일까. 그 뒤 부처의 가르침에 한 나라가 귀의하면서 왕을 길러내는 스님을 스승이라 불렀다. 한 사람의 덕망이 어린 왕자에게로 스며들어가 교화중생(敎化衆生)의 눈밝음과 향기가 되는 것. 그것이 스승의 옛뜻이다.

누군가를 스승으로 모신다는 것, 그리고 누군가의 스승이 된다는 것. 거기엔 허허벌판에서 허허벌판으로 이어지는 진수(眞髓)의 이동이 있다. 누군가가 나의 스승이 된다는 것은 가슴에 평생 지지 않는 해를 달아 거는 일이다. 나를 스승으로 삼는 누군가가 있다면 그 또한 나를 해 삼아 세상을 비춰보는 것이다. 눈 내리는 막막한 삶에 문득 홀로 서서 앞을 내다보고 하늘을 쳐다보는 스승. 그 스승의 안광(眼光)을 빌려 세상을 읽고 다시 묵묵히 걸어가는 일이야 말로 인생공부의 간명한 요약이다. 류영모는 하느님의 말씀을 체현(體現)한 '예수'를 스승으로 삼아 스스로 큰 길을 연, 스승이 되었다. 그가 말하고 행하는 '참(眞)'을 실감하고 인식한 제자들이 그를 모셨으며, 본받고 따르고자 했다. 그중에 류달영과 현동완의 길을 살펴본다.



[류달영 전 서울대교수. 박정희정부가 주도한 재건국민운동본부장을 맡았다. 본부 해체 이후 1964년 민간 주도의 사단법인 재건국민운동중앙회를 결성했다. 류달영은 서울 양정고보에서 김교신(1901~1945)을 담임교사로 만났고, 그를 깊이 존경했다. 김교신은 류영모 강좌를 열었고, 또 성서조선의 필진으로 모신 바 있다.]
박정희의 재건국민운동과 류달영



관련기사"다석은 인간의 최고경지"
신은 '가운데'에 있다류영모는 세상에서 뭔가를 도모(圖謀)하는 것에는 도무지 관심이 없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나라의 정신적 기반이 된 두 제자를 두게 된다. 그의 씨알사상으로 197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던 함석헌이 그의 제자였고, 역시 1961년 박정희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차지한 이후 국가재건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이후 새마을운동의 정신적 주춧돌을 놔줬던 류달영(1911~2004) 또한 그의 제자였다. 말하자면 한국의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두 가지 중요한 국가발전의 축을 기초한 두 사람이 그를 사사(師事)한 고제(高弟, 뛰어난 제자)였다.

류달영은 박정희가 설립한 재건국민운동 본부장을 맡았다. 권력 찬탈을 한 박정희에게 뜻을 굽혀 복무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는 취임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군사정권을 싫어한다. 국민운동의 첫째 목적은 군정(軍政)을 단축시키는 데 있다." 박정희는 5·16 이후 권력을 잡은 뒤 위축되고 이반된 민심을 추스르기 위해 재건국민운동을 구상했다. 박정희는 그 본부장에 함석헌을 생각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유진오에게 맡겼는데, 그는 두 달을 맡고 물러났다. 이후 유달영에게 본부장직을 제안했다. 그 또한 바로 거절을 했다. 그러나 박정희는 끈질기게 그에게 요청을 했다. 그때의 상황을 류달영은 이렇게 회고한다.

"1961년 이 나라에는 불행하게도 군사 쿠데타가 일어났다. 군사정권은 국민들의 정신개혁과 생활혁신을 목표로 재건국민운동이라는 사회운동을 폈다. 유진오가 초대 재건운동본부장을 두 달 맡고 내가 2대 본부장으로 위촉되었다. 직위는 총리와 동급이었다. 내가 그 직책을 맡기까지는 적지 않은 사연이 있다. 하루는 박정희 장군이 나를 불러 본부장 자리를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나는 즉석에서 거절했다. 대학에서 학구의 생활로 일생을 보내려는 것이 나의 소신이라고 했다. 두 번째 만나서는 거절하면서 적절한 인물을 추천하기로 약속하고 헤어졌다. 며칠 뒤에 추천자 명단을 내놓았더니 웃으면서 모두 검토가 끝난 인물들이라고 했다. 그 뒤에도 인편으로 서너 차례 교섭이 왔으나 번번이 거절했다. 여섯 번째의 면담에서 그의 간곡한 요청을 받고는 수락하지 못할 만한 조건 3가지를 제시했다. 그런데 뜻밖에도 그것을 다 들어주겠다고 했다."

그 3가지 조건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군사정부는 일체 간섭을 안 한다는 조건이었다. 류달영은 박정희의 육고초려(六顧草廬) 끝에 철저한 자율을 약속받고 재건국민운동 본부장이 됐다. 이 제안을 수용한 까닭은 덴마크 그룬트비처럼 위기의 나라에 정신운동을 일으켜 후진적 정치와 경제에서 벗어나게 하고 싶은 애국적 열정 때문이었다. 류달영이 본부장이 되고난 다음, 그의 스승 류영모는 위촉장을 받았다. '중앙위원'으로 모시고자 하는 요청이었다. 중앙위원에는 함석헌, 이관구, 고재욱, 김팔봉, 김재준, 김활란이 포함되어 있었다. 류영모는 제자 류달영의 좋은 뜻을 도와주자는 생각에서 이를 응낙했다. 물론 류영모가 생각하는 '재건'의 의미는 훨씬 컸던 것 같다. 재건국민운동 중앙위원 위촉장을 받고난 뒤 류영모는 YMCA연경반에서 그 일을 공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하느님께서 나에게 재건(再建)에 대해 생각해보라는 것 같습니다. 새삼스레 재건이 뭡니까. 우주혁명이라고 하는데 우주재건이라고 해야 합니다. 석가와 예수는 우주재건을 가르쳤습니다. 우주 자체는 자연이라 내버려두고 나부터 혁명을 해야 합니다. 우주혁명이란 인간혁명입니다. 우리는 분명히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자각이 뚜렷해야 합니다. 내 속에 하느님이 보낸 성령인 얼이 뚜렷하면 됩니다."

이후 류영모는 1년 8개월 뒤에 류달영이 본부장에서 물러났을 때 중앙위원을 그만두었다. 당시의 상황을 나중에 이렇게 말했다. "내가 보는 바로는 정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았습니다. 육사8기 출신 군인들의 행패도 적지 않았어요. 우리가 분명히 알아두어야 할 것은 그때 국민운동은 민간인이 주도한 민주적 향토건설운동이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그 뒤를 이은 새마을운동은 박정희에 의한 관주도 운동이었습니다. 국민운동의 방법은 덴마크 부흥의 핵심이었던 연수원 교육의 실천이었어요. 서울에 중앙연수원을 비롯하여 각 시도에 시도연수원 그리고 시군에 시군연수원을 세운 뒤 향토건설을 위해 청년교육을 실시한 것입니다."

즉 재건국민운동은 민주적인 운동으로 시작했으며 류달영이 생각했던 덴마크 농촌 부흥의 '국가번영 시나리오'를 실천하는 길이었다. 그런데, 박정희는 그 일을 국민이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이 나서서 진작하고 추동(推動)하여 이끌고 나가는 '새마을운동' 쪽으로 바꾼 것이다. 류영모는 이것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었다. 새마을운동의 철학과 취지는 류달영의 민주적인 재건국민운동에서 나왔으나, 실행 방식은 독재정권의 강제적인 스타일로 진행된 변종이었다는 얘기다.

류영모와 류달영은, 박정희 군사정권에게 국가번영 철학의 바탕을 제공하였으나, 그 권력의 전횡에는 동의하지도 참여하지도 않았다. 박정희가 류달영에게서 얻은 민주적 방식의 농촌 부흥과 경제 발전을 꾀했더라면 이 땅에 산업화와 민주화가 함께 이뤄지면서, 박정희 정권이 독재의 말로로 치닫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함석헌 또한 민주화를 위한 치열한 투쟁 대신 정신적인 추구를 하는 데 평생의 열정을 쏟을 수 있었을지 모른다. 역사에는 만약(萬若)이 없다. 긴 상처로 점철된 비극의 결말이 남았을 뿐이다.



[창주 현동완.] '류영모 강좌'의 평생 집사였던 창주(滄柱) 현동완

1922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YMCA로 파견된 그는 4년간 퀘이커교도와 교류하며 정신적인 눈을 새롭게 떴다. 1926년 귀국해, 당시 복음사회주의 경향에 반대하여 '경건주의 운동'을 시작했다. YMCA 소년 평화구락부가 그 활동의 중심이었다. 기도회와 체력 단련, 그리고 사회봉사가 수련 내용이었다. 이 운동은 전 연령을 망라한 '참운동'으로 전개된다.

현동완은 '류영모 금요강화(講話)'를 개설하여 참운동을 정신적으로 뒷받침했다. 이 운동은 기독교 교계 내에서 반발에 부딪쳤고 보수세력과 사회복음주의의 저항에 흔들리게 된다. 현동완은 YMCA연합회 순회간사를 맡으면서 참운동을 확장하고자 하였으나 기독교 청년회의 반발로 1937년 사임을 하고 함북지방에 은둔한다.

해방 이후 그는 미군정청 교통부장 고문으로 일했고 1948년에 서울YMCA총무를 맡는다. 그는 복음운동의 대중화를 외치며, 매주 3대 신앙강좌(류영모, 한에녹,함석헌)를 열었다. 현동완은 식민지시대에 불굴의 의지로 지속했던 류영모 강좌를 다시 열어, 해방 공간으로 이어지는 정신운동을 전개한 셈이다. 한국전쟁 와중에도 꾸준히 류영모를 강단에 모셨던 그는 1957년 3월 총무직을 사임한다. 그리고 1959년 병을 얻어 난지도 삼동소년촌에서 투병생활을 하다가 1963년 눈을 감는다. 그의 생은 YMCA와 함께했으며, '류영모 강좌'와 함께한 것이기도 하다.

문학가이자 목사였던 황광은은 현동완의 죽음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20세기 종로의 성자였습니다. 그는 분명 그리스도에 미친 사람이었습니다. 천당 속에 높이 앉은 그리스도가 아니라 주는 것은 복이 있다고 외친 그 주님께 미쳤던 것입니다. 그가 커피를 안 마신 것은 나라를 위함이었고, 고기를 안 먹은 것은 세계평화를 위함이었습니다. 하루 한끼씩 안 먹은 것은 불행한 고아를 위함이었고, 사과를 안 먹은 것은 병자를 생각해서였습니다. 그는 두 벌 옷이 없었습니다. 불우한 형제에게 다 나눠주고 남은 한 벌로만 살았습니다. 그는 머리 둘 집이 없었습니다. 난지도 소년촌 단칸방을 병실로 쓰다가 거기서 돌아갔습니다."

오직 이웃의 삶, 고통받는 불우한 이들의 벗으로 살고자 했던 현동완은, 그 실천의 엔진이라 할 수 있는 '말씀'을 스승 류영모를 통해 자양분처럼 섭취했을 것이다. 스승의 '참'이야 말로, 그리스도에 미친 삶에 다름 아니었기에 그는 그 '참'을 필생의 신앙으로 삼아 죽음까지 나아갔을 것이다.

류영모는 난지도 소년촌으로 그를 문병한 뒤 '다석일지'에 이렇게 썼다.


언님 이제 아무 일도 못보심 만큼 싸흐심!
벽새에 앉은 이 아운 한우님 계로만 생각
한님계 이기신 님계 이길 싸움만 봅소사!

(형제여, 이제 아무 일도 하지 못할 만큼 홀로 싸우고 있구려.
벽 사이에 앉은 이 동생은 하느님이 거기 계신 것으로만 생각합니다.
하느님의 거기를 이기신 님의 거기, 이기는 싸움만 바라보시기를.)


류영모에게 현동완은, 그가 세상에 내놓을 복음의 자리를 만들어주는 평생의 '복음집사(執事)'였다. 1963년 현동완이 돌아간 뒤 류영모의 YMCA연경반은 끝이 났다. 전택부가 총무를 이어받았으나, 그는 '류영모 강좌'를 만들지 않았다. 한 사람의 죽음과 함께 35년 강연역사가 급작스럽게 종지부를 찍었다. 류영모는 일기에 이런 말을 남겨놓았다. "창주도 이젠 우리 인생 만났다던 것이 바람꽃만이었던 것을."

류영모가 80세 때 문득 제자에 관해 남긴 말이 있다. 그의 제자들에게는 뼈아픈 말이기도 할 것이다.

"나무가 많으면 그 속에는 반드시 재목으로 쓸 수 있는 낢이 있습니다. 그런데 산 사람은 많으나 재목으로 쓸 만한 사낢은 없을까. 내가 여든을 살면서 아직껏 저 사람이면 사낢이라고 할 만한 사람을 찾지 못했습니다."

류영모는 나무 중에서 쓸 만한 나무를 가리켜 '낢(材)'이라고 표현하면서, 뛰어난 제자를 '사낢'이라 표현했다. 낢은 '날(飛)'과 남(生)'이 함께 들어가, '뛰어오르는 후생'의 의미가 된다. 사람의 낢이니 인재(人材)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제자 중에서 '저 사람이면 뒤를 맡길 인재라 할 만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1970년에 한 말이니, 이미 많은 제자들이 품을 거쳐 떠나간 다음이다. 그의 사상과 길을 온전히 믿고 맡길 이를 찾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했을 것이다. 제자들에 대한 폄하나 불신이라기보다는, 류영모의 잣대와 기대하는 높이가 만들어내는 미흡이라고 봐야 하리라.

하지만 류영모의 아낌과 칭찬을 받은 제자는 적지 않았다. 함석헌이 구속되었을 때 류영모는 하느님께 하는 기도는 영원한 생명만 구해야지 세상 일을 어찌해 달라고 해서는 안된다면서도, 그가 구속되었다 하니 기도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또 김흥호가 공부 모임에 다녀오느라 약혼녀에게 파혼당한 것을 두고도, 그의 열성을 기특하게 여겼다. 류승국이 석가와 공자, 예수처럼 기꺼이 죽음의 길을 갈 수 있겠다고 말했을 때도 기뻐했다. 서완근이 천안 광덕에서 농촌운동을 했을 때도, 류달영이 <새 역사를 위하여>란 책을 썼을 때도 칭찬을 했다.

35년간의 강의에 찾아왔던 사람들 중에는, 한학자 범부 김정설, 논어를 영어로 번역한 변영태, 가나안 농군학교를 세운 김용기, 신도안의 정도령이라 불린 양도천, 시인 김관식, 도인 대오 석종섭 등도 있었다. 그가 마지막으로 나간 모임은 광화문 문정길 사무실에 있었던 모임이었다.

다석전기 집필 = 다석사상연구회 회장 박영호
증보집필 및 편집 = 이상국 논설실장
@아주경제 '정신가치' 시리즈 편집팀


김진홍 두레수도원장, 횡령혐의, 고발돼:올인코리아

김진홍 두레수도원장, 횡령혐의, 고발돼:올인코리아

김진홍 두레수도원장, 횡령혐의, 고발돼

네티즌 반응은 '모함'과 '위선'으로 갈라져


허우 올인코리아 기자








김진홍 두레수도원장이 교회돈을 횡령한 혐의로 고발됐다고 한다. “김 수도원장은 자신이 세운 경기 구리시 두레교회 담임목사를 2011년 그만 둔 뒤 동두천시에서 같은 이름의 교회와 수도원을 운영하고 있다”며 동아닷컴은 “의정부지검 형사5부(신승희 부장검사)는 7일 구리 두레교회 장로 등 교인 13명이 김 수도원장을 횡령 혐의로 고발해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인들은 지난해 교회 명의 계좌를 확인하다 김 수도원장이 담임목사로 재직할 때 만든 통장 3개를 발견했고, 2005년부터 약 3년간 총 22억여 원이 입금됐다가 빠져나간 것을 확인해 6월 검찰에 고발했다”며 “이 돈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조사하고 있는 검찰은 고발내용이 확인되는 대로 김 수도원장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도 이날 “김 수도원장은 1997년 구리에 두레교회를 세워 2011년까지 운영했다. 2005∼2010년 뉴라이트전국연합 상임의장을 맡았으며 2007년에는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취임준비위원회 자문위원을 역임했다”며 2007년 8월 뉴라이트전국연합 비상대책위가 “김진홍 상임의장이 금품을 받고 한나라당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했다”며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고발했다고 전했다. “제4회 지방선거가 치러진 2006년에는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가 김 수도원장이 담임목사로 있던 두레교회 관계자 14명의 이른바 ‘쪼개기 후원금’과 관련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도 했다”며 연합뉴스는 “두 건 모두 무혐의 처리됐다”며, 검찰 관계자의 “아직 김 수도원장 소환 계획은 없다”는 입장도 전했다.



9월 6일 김진홍 목사는 경기신문에 기고문(새 역사를 위하여)을 통해 “내가 대학시절에 밤을 새워가며 읽었던 책이다. 나의 서재 한켠에 묻혀 있던 책을 찾아내어 오늘 다시 읽고 있는 중”이라며, 1952년 대구에서 피난생활을 했던 유달영 교수의 “1952년 공산군 침략 때에 대구에 피난하던 중 단칸방에 4·5인이 복작이면서 휴지조각에 초고를 쓴 것이 이 책이다. 처참한 전쟁 중에서 나는 이 민족을 구원하는 길을 찾아보고자 애태우는 심정으로, 밤과 낮을 가리지 아니하고 내버리는 광고지 뒤에 이 원고를 썼다”며 “전선이 일진일퇴하는 중에 가족들은 갈라져 생사도 모르는데… 덴마크의 역사 속에서 우리도 살길이 있음을 확신할 수 있기에 쓴 책”이라는 서문을 소개했다.



이어 “대학시절 이 책을 읽으며 감명을 받은 나는 졸업할 즈음에 진로를 두고 고민을 하게 되었다. 키에르케고르 같은 철학자의 길을 갈 것인가, 그룬트비 같은 개척자의 길을 갈 것인가 하는 고민이었다. 키에르케고르는 덴마크의 철학자였고, 그룬트비히는 목사이면서 개척자였다”며 김진홍 목사는 “나는 철학을 전공하였기에 키에르케고르 같은 순수철학의 길을 갈 것인가 아니면 목사가 되어 그룬트비히 같은 개척자의 길을 갈 것인가를 두고 고민한 것”이라며 “결국은 목사가 되어 개척자로서의 삶을 살면서 인격과 실력이 부족하여 그룬트비히의 흉내도 못내는 처지로 지내왔지만, 내가 바라고 추구하는 목표는 지금도 변함없이 가슴 속에서 불타고 있다”고 고백했다.



“김진홍 두레수도원장, 교회 돈 20억 원 횡령 혐의로 고발돼”라는 동아닷컴의 뉴스에 네티즌들의 반응은 교차됐다. 한 네티즌(g7571)은 “김진홍 목사의 글을 보고 참으로 너무나 감동했던 시절이 되살려진다. 그런데 어찌타, 백성들, 신도들의 신망을 받던 당신, 왜 이렇게 나락으로 떨어질 일을 저질렀소?”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광솔잎)은 “종교계를 사회공익단체로 법제화하여 재정관리 투명성 차원에서 매년 회계감사 받도록 하고 개인이 횡령하거나 불법전용 되는 사례를 예방해야 하며 수익자들에게는 세금을 부과해야 합니다”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자유민주)은 “수사를 해봐야 죄의 유무를 알겠지만, 한국은 종교인들의 부패 단죄를 엄히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한 네티즌(Hyun Lee)은 “김 목사가 좋은 일 많이 했다하는데 왜 좀 조용히 겸손히 하지 못하고 책을 출판하여 자기 자랑이나 하고 돈이 없었을 때는 겸손한 척 하더니 돈 멋을 보고는 확 돌아버린 것 같다. 왼손이 한일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는 것을 목사들은 다 잊어버렸나?”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toot)은 “이 참에 하나님 사업 빙자하며 세금 한푼 안 내는 교회 목사들도 세금 소득세 부과하고 교회 엉터리 재정처리도 철저한 외부감사를 받아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나라 교회 짝퉁목사들 거의 대다수가 교인 헌금을 자기 쌈지돈 쓰듯 마구 꺼내 쓰는 엉터리들 수두룩할 것이다!”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songgaxi)은 “진실성이 없이 설치는 자는 모두 나쁜 쪽으로 한몫하는군”이라고 했다.



중앙일보의 한 네티즌(kywoo22)은 “존경받는 인물을 못 만드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절차상의 하자는 있을 수 있으나 그럴 분이 아님은 모든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기사 마지막에 예전에 피소된 건들도 혐의 없이 음해당한 것입니다. 기다려보십시오”라고 했지만, 다른 네티즌(Tae Hyung Lee)은 “대한민국에는 이런 양의 탈을 쓴 늑대들이 드글드글 하다. 종교계 법조계 교육계 정계 재계는 물론이고 국가차원의 정화사업이 절실하다”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Hyun Lee)은 “교회가 돈이 없을 때는 말썽이 없다가 이런 저런 이유로 교회가 부흥(?)하고 돈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온통 잡음투성이 집단으로 변하는 경우가 허다한 현실”이라고 했다. [허우 올인코리아 기자: hursuaby1@hanmail.net/]

 

 


[책리뷰] 김건우 - 대한민국의 설계자들(학병세대와 한국 우익의 기원... - 동아마라톤 이야기

[책리뷰] 김건우 - 대한민국의 설계자들(학병세대와 한국 우익의 기원... - 동아마라톤 이야기

[책리뷰] 김건우 - 대한민국의 설계자들(학병세대와 한국 우익의 기원...

❝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이다. 손기정은 김교신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그냥 바라만 보고 있어도, 아니 선생님이 계시다는 생각만 하고 있어도 무엇이...세부 요약 내용이 짧은 글로 이루어져, 이미지나 동영상이 기반이 되는 게시물입니다. 세부 내용은 본문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2020 . 04 . 30

 갤러리보기      목록

느낀 점
이 책,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마사 누스바움의 책은 내용은 알찼지만 재미는 좀 없었다. 그래서 진도가 좀 느렸지만 이 책은 참 재미있었다. 그래서 진도가 잘 나갔다. 확실히 한국인이 쓴 책이 몰입도가 더 좋다. 물론, 내가 관심있었던 내용이 있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친일을 하지 않은 보수 우파의 맥을 살펴 보는 책이다. 이승만, 여운형, 김구, 안창호 이런 "거물급" 지도자들은 큰 그림을 그렸지만 실제로 구체적인 설계도와, 조직, 행동에 나선 이들은 아랫세대 사람들이다(12). 그 세대에서 가장 주목해 봐야 하는 사람들은 "평안도와 황해도(좁은 의미의 서북 지방)를 주요 근거지로 하던 우익 기독교인들과 지주, 상공인이 대거 월남한 사람들", "간도(동만주)와 함경도를 근거로 하던 우익 민족주의자들"(14)을 가장 먼저 다뤄야 한다. 이들을 월남 지식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가장 주된 중심은 "반공"이다. 이들은 전쟁 이전부터 공산주의와 전쟁을 치뤘던 사람들이다. 또한, 이들은 평양을 중심으로 했던 안창호의 "실력양성론"에 사상으로 이어져 있다. "교육과 계몽을 통해 민족의 힘을 기르는 것, 일제 시기 독립의 방략으로도 제시되었던 이 모델이 새로운 나라 만들기의 중요한 밑그림 중 하나가 되었다."(15) 그 인물들을 언급하면 이렇다.

그렇지만 어떤 식으로든 일제에 협력하지 않은 사람들, 특히 젊은 세대의 인물들은 당당히 건국의 주체가 되고자 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대표적 인물들만 거론해 본다. 장준하, 김준엽, 지명관, 서영훈, 장기려, 선우휘, 김성한, 양호민 등이다.
그리고 남쪽 출신이지만 학교를 매개로 이들과 이어졌던 류달영 같은 인물들, 사상의 계보로는 다르지만 정확히 학병세대의 중심에 있는 종교인 김수환, 지학순, 문인 조지훈, 김수영, 더하여 세대는 훨씬 위이지만 "우익 진보 진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류영모, 함석헌, 김재준 같은 종교 사상가들과 그 제자들, 또한 비교적 아랫세대로 해방을 맞이했지만 오늘날 언론계와 학계의 밑그림 하나를 놓았던 천관우, 이기백 등 정치, 언론, 교육, 종교, 학술, 사상 각계에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기초를 놓은 이들이다.
앞으로의 글은 이들에 대한 이야기다. 이 사람들을 만든 배경, 이 사람들이 했던 활동과 생각을 살핀다. 종합적으로 이 책은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에 대한 이야기이자 한편으로 "남쪽을 선택한 지식인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학병세대에 대한 보고서"에 해당한다. 인물에 대한 열전이면서 세대에 대한 평전이기도 한 이 책이, 어떤 독자들에게는 "한국 우익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로 읽힐 수도 있다. (15-16)
학병이라는 세대, 거기에 장준하, 사상계 지식인들 등 친일을 하지 않았으면서 좌파를 경계하던 서북지역에서 내려온 철저한 반공주의자들, 곧 정통우파 민족주의자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들 다수가 기독교인이기도 했다. 여러 이야기들이 기억에 남는다.

이 책이 재미있었던 이야기는 정말 내가 궁금했던 내용들이던가 읽다가 궁금했던 내용들을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흥미로운 부분을 몇 개 옮겨보겠다.

장준하 vs 박정희
이 책에서는 장준하 선생님을 굉장히 중요한 인물로 다룬다. 장준하 선생님하면 유명한 것이 돌베개이다. 돌베개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주일학교를 꾸준히 다닌 분들은 돌베개하면 야곱의 돌베개가 떠오를 것이다. 장준하 선생님의 돌베개도 성경에서 나온 것이 맞다. 야곱이 형 에서를 속여서 죽을 위기에 처하자 외삼촌의 집으로 도망을 가는데 도망 가는 도중에 잠을 잘 때 돌배게를 봤다. 신학적으론 그때 꿈을 꾼 장면이 나중에 훨씬 중요한데 그보단 여기에서 돌배게가 중요하다. 왜 돌배게냐면 장준하선생님은 일본군에서 목숨걸고 탈출해서 광복군이 있는 곳까지 가는데 그 거리가 정말로 멀었던 여정이었다. 6000리였는데 Km로 환산하면 대략 2,356Km이다. 이렇게 긴 여정을 마치고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왜 박정희와 라이벌 구도로 볼 수 있을까? 둘은 나이도 비슷하지만 삶의 여정은 정반대였기 때문이다. 장준하는 1918년생, 박정희는 1917년생이다. 박정희의 인생을 잠깐 말해보겠다. 그는 군인이었다. 만주군. 독립운동가를 잡아 다니던. 그러니 친일의 행각이 있다. 그리고 그의 셋째 형은 공산주의자였다. 대구 10.1 사건으로 죽었는데 여기에 분노해서 그는 남조선로동당에 가입을 한다. 남로당, 즉 그도 공산주의 전력이 있는 사람이다. 솔직히 친일과 빨갱이 프레임을 박정희에게 다 씌울 수 있다. 박정희는 빨갱이로 몰릴 수 있기에 자신은 전향한 티를 내어야 했고 더욱 잔인하게 공산주의자들을 찾아내고 죽여야 하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미국과도 사이가 나빴다.

장준하 선생님은 어떤가. 그는 앞서 말했듯이 임시정부의 광복군 출신이다. 그리고 해방 전 광복군 시절에 미군의 OSS(미 전략정보기관, CIA의 전신)에서 훈련을 받았다. 완전히 미국통이다. 그리고 평안도 출신이었고 아버지는 목사였다. 그렇기에 누구보다도 반공의식이 있는 사람이다. 과연, 장준하 선생님이 대통령 후보로 나온다면 미국은 누굴 밀어줄까? 당연히 장준하 선생님이다. 그리고 장준하 선생님은 군인들에게도 인기가 좋았다. 김재규 역시도 장준하 선생님을 존경했다. 이정도라면 박정희의 입지를 흔들 수 있는 너무나 큰 적이었다. 그러니 그를 반드시 암살하여야 했다. 그리고 장준하 선생님은 1975년 추락사고로 돌아가신다. 후에 시신을 살펴봤는데 머리에 무언가 맞은 자국이 두개골에 확실히 보였다. 무거운 무언가로 내려친 흔적이다. 누군가 암살한 것이다. 배후는 분명 박정희 정권일 것이다. 암살을 하지 않았다면 장준하 선생님이야 말로 박정희의 가장 큰 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거대한 인물이 대통령이 되었다면 우리는 좀더 역사에 정통성을 부여할 수 있지 않았을까. 임시정부의 맥락을 이을 사람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독립운동도 하셨고 민주화 운동도 하셨기에 더더욱 그 뿌리가 아쉬워 진다. <사상계>를 만드셨기에 누구보다도 지성이 깊은 사람이기도 했다. 참 아쉬울 뿐이다. 장준하 선생님을 말하려면 <사상계>를 말해야 하지만 이를 리뷰에 옮기지는 않겠다. 참 아쉽다.

임시정부의 안창호
당시 임시정부는 상당히 복잡했다.

당시 충칭 임시정부는 파벌 난립으로 인해 연립 정부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상하이를 떠난 후 임시정부는 파벌별로 흩어져 있다가 중국 정부의 요청으로 겨우 모양만 통합을 이룬 상태였다. 파벌들은 각자 정당을 만들어 놓고 있었다. 김구와 조소앙의 한국독립당, 김규식과 김원봉의 조서민족혁명당, 신익희의 한국청년당, 그 밖에도 서너 정당이 난립 중이었다. (27)
책에서는 이렇게 난립 중일 때 장준하 선생님은 도착했고 김준엽 선생님과 함께 임시정부에서 좌충우돌을 보인다. 이들은 나이가 어렸기에 위의 인물들이 포섭 공작을 벌였다. 그 모습을 보고 장준하 선생님은 "다시 일본군에 돌아가 항공대에 지원, 중경 임정 청사를 폭격하고 싶다."(27)는 폭탄발언을 하셨다. 얼마다 대단하 포구인가. 이런 기개로 임정의 분열과 졸렬에 한방을 날린 것이다.

그러한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 국무총리대리, 노동총장 등을 맡았다.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맡았는데 과연 안창호 선생님은 이 분열에서 어떤 고민과 역할, 행동을 하셨을까? 물론 분열을 수습하지 못하고 떠나시긴 했지만 그분이 중도를 향한 발걸음을 봤을 땐 상당히 귀감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분의 일본에 대한 글을 봤는데 상당히 충격이었다. 일제시대를 겪고도 그 시기를 넘어서서 나아가야 한다는 그 말이 대단히 새로웠다. 이러한 분이 대한민국의 지도자가 되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실력양성론으로도 유명한 안창호 선생님인데 역시 서북인들은 안청호 선생님에게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하지만 그의 수제자는 이광수와 주요한이다. 모두 친일행위를 한 사람들로 유명하다. 뛰어난 실력을 지닌 후배들을 배출했지만 그의 두 수제자들은 왜 친일을 저질렀을까. 이러한 궁금증에 최근에 나온 안창호 선생님의 전기를 구입할까 말까 망설여 지기도 하다.

우리는 화해의 정신을 보인 안창호 선생님에게 배워야 할 때가 아닐까 싶다. 그런 분이 우리의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무교회주의(김교신, 함석헌, 손기정, 류달영, 윤석중, 농심, 풀무, 성서조선)
그래도 가장 관심이 갔던 부분은 무교회주의자들이었다. 내가 어렸을 적 가장 존경했던 분이 무교회주의자들을 이야기했고 그들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해서 나 역시 이들에게 관심이 갔다. 그래서 배운 사람은 우치무라 간조이다. 그리고 간조의 제자들은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나는 김교신 선생님에게 왠지 정이 간다. 이름이 멋있어서 그런가? 김교신 선생님의 제자가 있는데 그 제자는 엄청 유명한 사람이다. 그 제자는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이다. 손기정은 김교신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그냥 바라만 보고 있어도, 아니 선생님이 계시다는 생각만 하고 있어도 무엇이 저절로 배워지는 것 같은 분이셨다." (118)
김교신은 양정 고등보통학교의 선생이었다. 이곳에서 손기정 선수를 만난 것이다. 김교신은 손기정 선수의 비공식 트레이너이기도 했다. 둘 사이의 유명한 일화가 있다. 나는 어렸을 적 존경하던 분이 설교때 이 이야기를 해주어서 많이 들었던 내용이었다. 1935년 도쿄에서 열린 베를린 올림픽 국가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 선수의 요청에 따라서 김교신 선생님이 자전거로 앞서 달렸던 일화가 있다(이 책에서 자동차라고 나왔는데 내가 알기로는 자전거이다). 이때 외쳤던 말이 "기정아! 나라를 생각해서 뛰어라" 를 외쳤었다(설교때 들었던 내용으로는 "예수님 생각해라"는 말이 있었는데 예전에 이 부분을 봤을 때 이 말은 없었다. 아마도 설교하신 분이 은혜롭게 보이려고 각색한 것이리라).

그의 제자들 중에는 유독 유명한 사람들이 많다. 가장 유명한 사람이 바로 위에 언급한 손기정이고, 동시 작사가로 유명한 윤석중, 새마을 운동의 기틀을 세운 류달영이 있다. 윤석중은 "퐁당 퐁당 돌을 던지자", "졸업식 노래", "떳다 떳다 비행기", "새나라의 어린이" 등 유튜브로 그의 동요를 들어보니 어렸을 때 한 번 쯤은 들어보았던 동요였는데 이 동요의 작사가가 윤석중이다.

그의 애제자는 류달영이다. 류달영은 김교신을 생각하며 이렇게 말했다. "오늘의 나의 인생관과 세계관은 모두 김교신 스승과의 만남으로 자리 잡은 것"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양정고등보통학교에서 뿐만이 아니라 김교신의 주일 성서 모임과 또 이후 일상을 같이하는 시간도 가졌다. 류달영은 우리나라에 농촌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분이다. 이분이 "농심"이라는 말을 만들어 내신 분인데 "농심"이라는 기업의 말고 연관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여튼, 이분이 농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무교회주의자였기 때문이다. 당시 맥락을 보자.

우치무라 간조의 <덴마크 이야기>는 한국의 무교회주의자들에게 사회 개조 모델 이전에 기본적으로 큰 정서적 "격려"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덴마크는 1864년 프로이센(독일)과의 전쟁에서 국토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곡창 지대(현 독일 북부)를 빼앗긴 역사가 있었다. "나라 없는" 조선의 무교회주의자들에게 덴마크의 아픈 역사는 특별히 강한 인상을 주었던 듯하다. 덴마크가 "밖에서 잃은 것(땅)을 안에서 찾자"를 모토로 새롭게 설계되고 정비된 것처럼, 조선도 덴마크 모델을 살피며 길을 찾을 것으로 보였다. 덴마크의 성공담은 이십대 청년 류달영에게 깊이 각인되었다. 훗날 류달영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33년 수원고등농림 재학 시절 일본의 우치무라 간조의 <덴마크 이야기>라는 수첩 크기의 작은 책을 읽고 나라 없이 살던 그 시절에 나는 국가관을 확립했다. 내가 일생 동안 할 일은 민족의 광복을 위하여 이바지하는 일이며 조선을 동양의 덴마크로 만드는 일이었다. (135-136)
간조의 <덴마크 이야기>를 건네준 사람이 바로 김교신이었다. 류달영은 훗날 1961년 쿠데타 직후 군사 정부에서 만든 "재건국민운동본부"의 본부장을 맡았다. 박정희가 여러 차례 직접 류달영을 만나 본부장 직책을 맡아 줄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단, 박정희가 일체 간섭을 하지 말라는 조건으로 승낙했다. 이후 류달영은 덴마크 모델에 따라 국민운동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에 착수 했다.

류달영의 재건국민운동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류달영은 사업 파트를 크게 국민 교육, 향토 개발, 생활 혁신, 사회 협동 넷으로 나누었다. "국민 교육"은 덴마크 모델에 따라서 "농민 교육"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중앙과 도지부, 시군 지부의 3개 각급에 교육원을 두고 농촌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했다. "향토 개발"은 농로 수로 개설과 농지 개간 사업으로, "생활 혁신"은 주택과 식생활 등 생활환경 개선 지도로, "사회 협동"은 도농 자매결연과 결식아동 급식, 학생 봉사 활동 조직으로 전개했다.
운동은 추진력 있게 이루어졌으며, 취임 한 해 만에 상당한 성과를 거뒀던 것으로 보인다. 새마을운동 연수원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중앙 교육원과 시도 지부 교육원에서 각각 7000명여 명과 6만 4000여 명의 농촌 운동 지도자를 교육했고 마을 청년 회관 약 7000동, 농로 5만 4000여 킬로미터, 수로 3300여 킬로미터를 개설했다. 부엌, 변소 등 생활환경 개선과 농촌 결식아동 급식을 하고 41만여 명의 농어촌 학생 봉사대를 조직했다. (138)
후에 재건국민운동은 새마을운동의 주요 모델이 되었다. 왜 류달영의 재건국민운동은 사라지고 새마을 운동이 생겨났을까. 그것은 국가주의자들과의 대립때문이다. 확실히 무교회주의자들은 국가랑 친하질 못하다. 우치무라 간조도 고등학교 선생이었는데 천황의 교육 칙어에 대한 불경 사건으로 학교에서 짤렸고 러일전쟁을 반대해서 일본의 적으로 몰려 있었다. 간조가 한 말 중에 일본이 이렇게 제국주의를 계속한다면 벼락을 맞을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의 제자 중에 유명한 사람이 여럿 있지만 대표적으로 야나이하라 다다오이다. 그는 일본 군국주의에 반대하여 도교대학교 교수직에 쫓겨나기도 했다. 쫓겨난 이후 1940년, 1942년 두 차례 한국에 와서 서울과 평양 등지에 무교회주의 집회를 열기도 했다. 모두 김교신이 주최한 것이다. 1942년 평양 방문때는 김교신 선생님께서 장기려 선생님께 지시를 내려 모임을 준비하게 했다. 장기려 선생님의 전기를 보면 그 모임에서 조선총독부의 감시가 있었다고 한다. 왜냐면 야나이하라 다다오는 반정부주의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훗날 도쿄대학교 총장으로 부임하게 된다. 아, 우치무라 간조의 제자들 중에 수상, 도쿄대학 총장, 교육부 장관 등 전후 일본을 일으키는데 힘이 되는 인물들이 대개 있었다. 그래서 우치무라 간조는 현대 일본을 일으킨 인물 20명 중에 한 명에 꼽힐 정도이다.

결국 군사정부와의 알력으로 재건국민운동본부는 해체되었다. 이용만 당한 것이다. 그래서 동아일보에 박정희 군사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실었다. 민간이 중심이 되는 걸 꿈꿨던 류달영이기에 군사정부의 개입은 참으로 맞지 않았다.

류달영은 재건국민운동과 새마을운동을 연관시키는 것을 싫어했다.

하지만 새마을운동의 전개에 실질적인 힘을 보탰다. 새마을운동 중앙 연수원 원장이 된 김준 등, 자신이 재건국민운동본부장을 맡았던 시기에 운동에 참여시켰던 서울대 농대 제자들 중 많은 수가 이후 새마을운동의 주요 간부가 되었던 이유도 있었다. 류달영은 이런 방식으로라도 농민이 잘살게 된다면 그 자체로 의미 있다고 생각했던 듯하다. 그는 농민을 사랑했고 "농심"이란 말을 창안해 사용하기도 했다. ...
류달영이 국가 정책에 참여함으로써 이룬 성과는 크다. 대한민국 사회에 류달영이 기여한 것은 농촌 사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늘날 "평생교육" 개념은, 1980년 헌법 개정 심의위원으로 참여한 류달영이 "평생교육" 조항을 헌법으로 제정케 함으로써 대중화된 것이다. 이 때도 류달영은 덴마크 교육 모델을 참조했다. (143)
무교회주의자들이 농촌 운동에 관심이 많았다고 위에서 서술하였다. 그들은 공동체를 열었는데 그 공동체가 바로 풀무 공동체다. "이찬갑의 풀무 공동체는 한국 무교회주의자들의 세계관과 가치관, 방법론을 집약해서 보여 주는 사례이다"(152) 나중에 홍성에 풀무학교가 새워졌다. 우리가 아는 풀무원의 이름도 여기에서 나왔다. "풀무원의 창립자 원경선은 풀무학교 이사진 중 한 사람이었고, 풀무학교의 이름을 따서 농장 이름을 지었다"(159). 원경선 장로의 아들이 바로 국회의원 원혜영이다. 여튼, 풀무라는 이름은 "녹슨 쇠붙이를 녹이고 정련해 새로운 농기구를 만든다"는 뜻이다. 작가는 성서에도 등장하는 용어여서 이를 이름으로까지 지었다고 했다. 하지만 개역개정 성경으로 풀무를 검색했을 때 위와 같은 맥락에서 쓰인 단어는 없다. 개역한글도 마찬가지다. 저자가 무엇을 근거로 이렇게 말했는지 각주가 없어서 모르겠다. 하지만 위의 맥락에 쓰이는 성경 구절은 있긴하다. 이사야서 2장 4절이다. "그가 열방 사이에 판단하시며 많은 백성을 판결하시리니 무리가 그들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그들의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이며 이 나라와 저 나라가 다시는 칼을 들고 서로 치지 아니하며 다시는 전쟁을 연습하지 아니하리라" 이 구절인지는 모르겠다. 새로운 농기구를 만든다는 것만 같아서다. 개역한글의 풀무는 심판을 말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인데 어떤 성경구절을 보고 풀무를 붙였는지 모르겠다.

무교회주의를 이야기하면 가장 먼저 이야기해야 하는 건 성서조선이다. 성서조선 사건은 근현대사 교과서에더 실려 있다. 나는 이 장면을 고3 때 수업시간에 봤는데 전율을 느꼈다. 성서조선 사건이 무엇인가? 바로 조와 사건이다.

혹독한 추위로 개구리들이 얼어 죽은 일을 묘사한글로, 마지막 부분은 이렇게 되어 있다.

혹한에 작은 담수의 밑바닥까지 얼어서 이 참사가 생긴 모양이다. 동사한 개구리 시체를 모아 매장하여 주고 보니, 담저(연못 밑바닥)에 아직 두어 마리 기어 다닌다. 아, 전멸은 면했나 보다!

이 글로 인해 1942년 "<성서조선> 사건"이 발생했다. 김교신, 함석헌, 류달영(후일 서울대 농대 교수), 이찬갑(후일 풀무학교), 장기려(후일 부산 복음 병원) 등 필자들은 물론 정기 구독자 전원이 검거되었고 김교신과 함석헌 등 열세 명은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서 꼬박 한 해 동안 옥고를 치렀다. 물론 <성서조선>도 폐간되었다.
어느 일본인 형사로부터 "독립운동 하는 놈들보다 더한 최악질들"이라는 소리를 들었다는 <성서조선>그룹은 한국 기독교 정신주의의 가장 비타협적 지점에 서 있다. 이들은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두고 자신의 삶 전체를 민족을 위해 헌신하고자 했다. (124-125)
이처럼 이들은 저항했던 이들이었다. 일제에 저항했고 독재에 저항했다. 나에게 전율을 일었던 그 기억이 아직도 난다. 내가 고등학생때였을 때 이만열 교수님이 국사편찬위원회였는데 아마 그 영향에 교과서에 실렸던 것일까? 그전에도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후대에도 계속해서 알려지길 소망한다.

이렇게 무교회주의자들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왜 어렸을 적부터 그룬트비를 들었는지도 풀렸다. 존경하는 분이 우치무라 간조에게 영향을 받았기에 덴마크 그룬트비를 언급했던 것이다. 그분은 그룬트비와 키에르케고르를 알려준 분이다. 차마 그분의 이름은 이제 볼드모트가 되어 밝힐 수는 없으나 내 어린시절 나를 형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끼친 분이시다. 옛 기억과 나의 사상의 뿌리를 탐구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무교회주의자들이 뿌린 씨앗이 이토록 많구나 느낀 시간이이도 했다. 김교신 선생님은 이른 나이에 독립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1945년에 돌아가셨기는 하지만 해방 날 전에 돌아가셨다. 그러나 그분은 짧게 생을 사셨지만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두어 대한민국에 값진 보물들을 남기셨다. 양현혜 선생님이 도쿄대학교 박사학위로 김교신과 윤치호에 대한 내용을 썼다고 하던데 읽고 싶어 진다.

그밖에 홍익인간은 누가 만들었나?
오랫동안 한국 교육 이념의 근간이 되었던 "홍익인간"은 백낙준이 미군정 시절에 안출한 것이다. 백낙준은 1945년 12월 미 군정청 한국교육심의회에서 "홍익인간"을 교육 이념으로 제안하여 채택하도록 했다. 정부 수립 후 대한민국 최초의 교육법 제1조는 이렇게 나왔다.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공유케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며, 인류 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54)
백낙준은 한국교회사를 공부할 때 배웠던 인물이다. 그런데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한 그가 홍익인간의 만든 사람이라고?! 안수를 받았으면 목사일 것인데 검색해보니 목사 안수를 미국에서 받은 듯하다. 그렇다면 목사가 홍익인간을 제정한 것이다. 나는 홍익인간을 무슨 대종교의 영향으로 한 것은 아닌가 싶었는데 참 의외였다.

조선일보의 이데올리거가 진보의 거두 리영희를 옹호?
리영희 하면 빨갱이로 아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조선일보를 만든 선우휘가 리영희를 옹호했다! 리영희가 삼십대 중반 젊은 기자였을 때 중립국들이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안을 제출할 조짐을 보인다는 내용을 썼다. 이 내용은 남한 단독 가입을 추친하던 정부 정책에 배치되는 기사였다. 편집국장이던 리영희와 기사를 쓴 리영희는 구속을 당했다. 리영희는 구속 만기로 스무이레 만에 석방되었고, 선우휘는 법원의 구속적부심으로 닷새 후 석방되었다. 리영희를 석방하는 대가로 선우휘는 편집국장 직을 내놓았던 것이다.

이외에도 철저한 반공주의자이면서 극우였던 선우휘는 이해가 안 가는 행동을 한다. 일본으로 간 지명관은 일본의 시사 월간지 <세카이>에 한국 정치 상황과 민주화 운동을 바깥에 알린다. 익명으로 알렸는데 필명은 "TK생"이었고, 오랜 뒤에 지명관으로 알려진 것이다. ""TK"생 지명관을 중앙정보부가 추적할 때, 이를 따돌린 인물도 선우휘였다"(103). 그는 말한다. "박정희 정권에 대한 입장이 "피차 달랐어도 철저하게 그는 자가기 내 형이다, 동생을 돌본다, 하는 생각이 철저했다.""(103) 함석헌에 대해 사람들이 "수군거릴" 때도 격분했다.

리영희, 지명관, 함석헌의 공통점은 서북 사람이다. 그렇다. 선우휘는 지역주의가 아주 강했다. 이데올로기보다 더 강했다. 한면으로는 서북지역의 끈끈함(긍정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면에서)을 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서러웠던 과거 때문일까?

국문학자가 왜 역사책을?
국문학을 전공한 저자가 왜 역사책을 썼는지 나온다.

문학은 일반의 통념보다 훨씬 범위가 넓다. 특히 지성사는 문학 연구와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다. 더구나 오늘날 학문 영역의 경계는 새롭게 그어지고 있다. 누군가 필자에게 전공이 무엇인가 물어보면,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한국학입니다. 현대 한국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93)

2017년 봄
김건우
신학을 전공하는 분들 중에도 자신을 역사학자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신학도 범위가 넓어서 일까? 그럼 신약을 전공한 사람들은 전공을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할까? 고대 유대학? 고대 로마학? 팔레스타인학? 음, 그냥 포괄적으로 역사학이라고 말하는게 더 깔끔할 듯하다. 학문의 경계가 새롭게 그어지고 있다는 말에 신학도 역시 역사학, 문화인류학, 언어학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기에 어떤 전공을 말해야 할까 고민되기도 하겠다. 2000년 전 있었던 일을 탐구하기에 역사학자라고 말하는 것도 나는 타당하다고 본다. 그것이 불신앙의 표현이라거나, 기독교를 안 믿는 사람들에게 어필해 보이려거나 그런 것은 아니라고 본다. 정말 신학적인 내용을 잘 몰라서 그럴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조직신학적인 차원에서 말하는 것이지 싶다.

나가면서
이 외에도 김교신과 함석헌의 차이, 진보개신교 이야기, 강원룡 목사님 이야기 등 많은 부분이 있다. 전체적인 일관성이 뛰어나다 할 수 없지만 내 취향 저격이었기에 너무너무 재미있는 책이었다!

페이스북 글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은 엄청 재미있게 읽었다. 안 읽히는 책은 그냥 넘기고 잘 읽히는 책을 읽었어야 되나 싶었다.
임시정부 이야기로 드라마를 만들면 정말 재미있겠다 싶다. 그 안에서도 좌파, 우파 갈등이 있었고 장준하를 위시한 어린(?) 학병 세대가 가세해 윗세대에 한방을 가하고ㅎㅎ
장준하라는 거대한 인물을 읽었고 그가 여운형에 대해서 대단히 높게 평가했다던데 여운형에 대한 괜찮은 자서전을 한 번 구입해야겠다.
그 외에도 도산 안창호의 오른팔과 왼팔이 이광수, 주요한이라는 데에 놀람.
선우휘는 지금의 조선일보의 포지션을 만드는데 지대한 영향은 준 사람인데 리영희를 지켜줬다는 데에 놀랐다. 이데올로기보단 같은 지역 출신이 앞섰다. 그만큼 서북지역의 끈끈함이라는 게 있나보다.
그래도 제일 재미있었던 것은 10-12장. 김교신의 제자는 손기정 선수가 가장 유명하다. 류달영은 이름은 들어봤지만 그토록 농촌부흥에 영향을 준 사람인지 이제 알았다. 농심이라는 용어를 류달영이 처음 썼다.
풀무 역시도 성경에서 가져온 용어였단다. 풀무학교를 세웠고, 거기에서 원경선이 자신의 농장을 풀무원이라고 지었단다. 물론 그도 독실한 기독교인이다.
왜 그토록 한때 존경했던 분이 덴마크 그룬트비를 얘기했는지 이제 알 것같다. 우치무라 간조때문이었다. 그것말고도 김교신은 철저하게 성경주의자였던듯 하다. 류영모와 함석헌이 도교적인 것을 혼합하려 했을 때 경계하고 거리를 뒀다는 것이다.

여튼, 전체적인 구성이 완전히 맞춘 것같진 않지만 그래도 많이 배웠다. 궁금했던 것들과 몰랐던 내용들을 채울 수 있었기에 좋았다.

왜 문학자를 역사학자로 부르는지 말하는데 신학자도 역사학자라고 부르는데 비슷한 걸까?.

책 맛보기
서영훈은 많은 이들이 추구하는 주류의 길을 가지 않았다. 공부는 하되 학력에 무관심했고, 사상을 추구하되 화려한 것에 끌리지 않았다.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