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9

중국문학초사와 굴원

중국문학초사와 굴원


HOME / 문서공유 / 리포트/논문 / 어문학

1/22
























중국문학초사와 굴원상품번호TZ-SHR-80249등록일자2012.12.30분량22 page / 101.1 KB포인트700 Point 파일 포맷종합 별점


00건의 후기보기


등록자

ly*****

등급별 혜택보기


중국문학 초사와 굴원에 대해 기술한 참고자료입니다.
파일 다운로드


TAG#굴원#초사#중국문학
미리보기
목차
본문 내용
사용후기 (0)

















미리보기
목차
본문 내용
사용후기 (0)


1장 초사와 굴원
1. 초사
2. 굴원과 이소

2장 동아시아의 샤머니즘
1. 샤머니즘(shamanism)의 정의

2. 중국과 도교 사상
3. 중국의 샤먼문화

3장 사면초가와 <해하가>
1. 사면초가
2. 해하가


4장 영화 – 진송 & 패왕별희
1. 진송
2. 패왕별희
미리보기
목차
본문 내용
사용후기 (0)


초사와 굴원
동아시아의 샤먼문화동아시아의 샤먼문화사면초가와 <해하가 영화-진송, 패왕별희
중국문학 초사와 굴원
1.초사와 굴원
작자 작품 굴원 이소 구가(九歌) 천문(天問) 구장(九章) 원유(遠遊) 복거(卜居) 어부(漁父) 송옥 구변(九辯) 초혼(招魂) 굴원 또는 경차 대초(大招) 석서(惜誓) 회남소산 초은사(招隱士) 동방삭 칠간(七諫) 엄기 애시명(哀時命) 왕포 구회(九懷) 유향 구탄(九歎) 왕일 구사(九思) 초사 남방 초국의 굴원에 의해 창시된, 남방문학을 대표하는 새로운 형식의 시가
*초사장구 : 사에 관한 가장 오래된 책으로, 동한시대에 왕일과 유향이 편찬한 『초사』를 바탕으로 굴원의 작품을 위시하여 모두 17편의 작품을 수록하고 편찬함

-초사의 성격
분류 시 경 초 사 형식 단시 장시 4언 위주 6언 위주
한 연의 중간에 혜(兮)자를 두는 것은 초사 형식의 특색.
내용 사실적 낭만적 인사(人事)에 관함 신화(神話)에 관함 평민적 귀족적
(2) 굴원과 이소
-굴원
중국 전국시대의 정치가이자 비극시인.
학식이 뛰어나 초나라 회왕(懷王)의 좌도의 중책을 맡아,
내정 외교에서 활약하기도 했다.작품은 한부(漢賦)에
영향을 주었고, 문학사에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높
이 평가된다.
굴원이 후세 문학에 미친 영향 중국문학사에 출현하는 최초의 시인 중국의 낭만주의 시가의 선구자
송옥, 가의, 회남소산 등이 그의 창작, 문풍 그리고 문채를 답습
한대의 악부시, 당대의 율시, 송대 사곡 등이 굴원의 영향 아래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
사마천은 굴원의 운명을 슬퍼하며 심리적으로 동질감을 느낀데 서 비롯하여『사기』를 저작
-굴원의 세 가지 정신 : ‘충정정신’, ‘탐구정신’, ‘저항정신’

-이소
초사의 대표적 작품으로, 굴원이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회왕(懷王)에게 추방당한 뒤 에 자신의 깊은 시름과 우국의
정을 노래한 작품이다.상구 끝에 ‘혜(兮)’자 첨가하여 음조
를 고르게 하였고, 당시로서는 복잡한 형식을 사용하였다.
帝高陽之苗裔兮 전욱고양씨의 후손이신 朕皇考曰伯庸 나의 아버지 함자는 백용 攝提貞於孟兮 호랑이 해의 바로 정월 惟庚寅吾以降 경인일에 나는 태어났다 皇覽揆余初度兮 아버지는 태어난 날을 살피시고 肇錫余以嘉名 나에게 좋은 이름 주셨지 名余曰正則兮 나에게 정칙이라 이름 지어주고 字余曰靈均 자는 령균이라 하셨지 紛吾旣有此內美兮 나 이미 이런 아름다움 많은데 又重之以脩能 다시 재주 겹쳐 받았네 (중략) 國無人莫我知兮 나라에 사람 없어 나를 알아주지 않는데 又何懷乎故都 어찌 고향을 생각하리 旣莫足與爲美政兮 이미 충분히 아름다운 정치를 함께 할 수 없다면 吾將從彭咸之所居 나는 장차 팽함이사는 곳을 따르리 (이하 생략)

中國 古墳繪畵의 淵源 硏究 -戰國時代∼漢代 楚文化를 중심으로

 中國 古墳繪畵의 淵源 硏究

-戰國時代∼漢代 楚文化를 중심으로

The Beginning of Funerary Paintings in Chinese Tombs

朴雅林*

目 次

I. 머리말

II. 戰國시대 초문화의 회화 유물

III. 漢代 고분미술에 나타난 초문화의 영향

IV. 맺음말

楚辭 <招魂>에 나타난 ‘地獄과 天堂’의 이미지 硏究 - earticle

楚辭 <招魂>에 나타난 ‘地獄과 天堂’의 이미지 硏究 - earticle



楚辭 <招魂>에 나타난 ‘地獄과 天堂’의 이미지 硏究
A study on The <Chosa(楚辭)-the Chohone(招魂)>’sThe image of heaven and hell
초사 <초혼>에 나타난 ‘지옥과 천당’의 이미지 연구


표지보기 SNS 공유
발행기관열상고전연구회 바로가기
간행물열상고전연구 KCI 등재 바로가기
통권제69집 (2019.10)바로가기
페이지pp.145-185
저자申斗煥
언어한국어(KOR)
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364591복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저자의 다른 논문8,700원 구매하기 인용하기 관심논문등록

초록영어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 the image of heaven and hell. 屈原(Qu Yuan)’s Cho-sa, is the best in china. is Mandarin tree analogy for his firm and the simplicity of branches through the work. The piece is about 屈原(Qu Yuan) leading his king, King Cho Hoewang, who died in the Qin Dynasty to the Cho Dynasty. The structure of this work brings back the soul of the king and leads it from the Qin Dynasty to the destination of the Cho kingdom, using the heavenly antithesis of terror and comfort equivalent to hell. This work imagines things that humans are afraid of, so that they are shaped and not allowed to go away. On the other hand, they also shape heaven and seek comfort, establish a world where humans enjoy, and guide their souls back to the place. This is said to be the first theory about heaven and hell, which was developed into a Buddhist hell story by the writers of the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is setting of shaped ceremony later developed into a funeral culture. And create the theory of hell and heaven. It lists the shapes of various afterlife cultures, so it seems necessary to study them. This work is due to the richness of Shamanism and folk culture of the early Chinese dynasty,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arly study of the ancient culture of the Cho dynasty. So much so that the image of hell the work implies is that the imagination of evil and fear is mobilized, and the description of heaven is focused on the rich imagination and rhetoric of the culture of the time, which is the first image of hell and heaven in Chinese poetry. The heavenly hall has all kinds of facilities to enjoy as a human being and all kinds of foods are listed, so you can infer from the various cultures of the time. The first part of is the essence of literary and artistic science, including transcendentalism, aestheticism, romanticism, hedonism, hedonism, and so on. It was a poet and report of Eastern culture, including residence, architecture, primordiality, decoration, food, music, play and culture. Qu Yuan’s Cho-sa, is Many of the scholars of the cave were sent to Ephesus by numerous scholars of Joseon Dynasty. The Chohone is Joseon Dynasty’s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show various traces of diverse texts in various fields. is the first work to bear the image of heaven and hell, and it is judged to have its status and literary significance.한국어이 연구는 楚辭 <招魂>에 나타난 ‘지옥과 천당’의 이미지를 연구한 논문이다. 이 작품은 굴원이 진나라에서 죽은 그의 임금 초 회왕(楚懷王)의 원혼(寃魂)을 초나라로 인도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 구조는 회왕의 영혼을 불러 오면서 지옥에 해당하는 공포와 안락에 해당하는 천당의 대립구도를 사용하면서 영혼을 진나라에서 초나라 목적지까지 인도해 온다. 이 작품은 인간이 무서워하는 것을 상상하여 형상화하고 그 곳을 피하고 가지 않게 한다. 또 그 반대로 천당을 형상화 하면서 안락을 추구하고 인간이 즐거워하는 세상을 설정해 놓고 그곳으로 영혼을 혼이여 돌아오라고 인도한다. 이것은 천당과 지옥에 대한 최초의 설이며 이것이 위진 남북조 작가들에 의해 불교의 지옥설로 발전된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설정된 <초혼>의 형상의식은 후에 장례문화로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지옥과 천당의 설을 만들어 낸다. 거기에는 다양한 사후세계의 문화에 대한 형상을 나열하고 있어서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 작품은 중국 초나라의 샤머니즘과 그리고 민속 문화가 풍성하게 함의되어 있으며 이것은 초나라 고대문화의 초기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런 만큼 이 작품이 함의하고 있는 지옥의 이미지는 악한과 공포의 상상력이 총동원된 것이고, 천당의 묘사에는 당시 문화에 대한 풍부한 상상력과 수사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것은 중국 시가에 나타난 최초의 지옥과 천당에 대한 이미지이다. 천당에는 인간으로서 즐길만한 온갖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온갖 음식들이 나열되어 있어 당시의 다양한 문화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초사 <초혼> 한 편은 초월주의, 유미주의, 낭만주의, 쾌락주의, 등 문예미학과 문예사조의 본향이요. 주거, 건축, 원림, 장식, 음식, 음악, 놀이, 문화 등 동양 문화의 시원이자 보고였다. <초혼>은 조선시대 문인들에 의해 애송되었고, 지식의 형성과 특징을 바탕으로 수용되고 확산되면서 조선의 만사에 <초혼>의 문구가 없으면 시가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다양하게 수용되고 있었다. <초혼>은 다양한 장르에 수용되고 확산 되면서 조선의 문학 속에 앙금처럼 녹아서 영롱하게 그 빛을 발하고 있었다. 초사 <초혼>은 천당과 지옥의 이미지를 품고 있는 최초의 작품으로 그 작품의 위상과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초사 <초혼>의 시대적 배경과 구성
3. <초혼>에 나타난 지옥과 천당의 형상화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초사> <초혼> <천당> <지옥> <샤머니즘> <민속 문화> <Qu Yuan> <Cho-sa> <the Chohone(招魂)> <Hell> <Heaven> <Shamanism> <folk culture>

저자申斗煥 [ 신두환 | 안동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

『초사(楚辭, 초나라 노래)』 - 메토도스 인문과학연구소

『초사(楚辭, 초나라 노래)』 - 메토도스 인문과학연구소


중국문학





작성일 : 13-07-04 19:27



『초사(楚辭, 초나라 노래)』



글쓴이 : 박세욱
조회 : 1,220

『초사(楚辭, 초나라 노래)』는 기원전 3세기부터 2세기사이에 만들어진 소(騷) 스타일의 시선집이다. 이 작품들은 가장 영향력 있고 최초로 쓰인 왕일(王逸)의 해설을 토대로 편찬되었다. 『초사』는 1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몇 작품들을 보면:

1. 「이소(離騷)」는 374구의 긴 서정시이다. 저명한 서양학자들은 「이소」가 “어두운 은유”가 만연해 있는 “복잡한” 시라고 말해왔다. 고대의 중국 독자들은 어떻게 정적들에 의해 모략에 빠지고, 그의 군주에게 조정으로부터 버려진, 은유적으로 “미인(美人)”으로 묘사된 영웅이 덕이 높은 군주를 찾아 천상의 여행을 하는 지를 서술한 이야기를 하는 시로 어려움을 당해본적이 없는 것 같다. 드라마틱한 독백 속에서 그 영웅은 정적들의 비열함과 이전 동반자들의 양면성 그리고 그의 군주의 파멸에 애통해 한다. 그는 성인인 순(舜)임금 앞에서 슬퍼해 한 후, 완벽한 “여인”을 찾기 위해 몇몇의 매파를 고용하려 한다. 이 중개인들이 적절하지 않고, 신뢰할 수 없음을 깨달은 뒤, 그는 유명한 두 무당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 무당들은 굿을 한 뒤 스스로 그 “여인”을 찾으라고 조언해준다. 영웅은 그 조언에 힘을 얻어 쿤룬산맥으로의 천상의 비행을 재개한다.

陟升皇之赫戱兮, 내가 하늘의 찬란한 빛 속으로 오르자
忽臨睨夫舊鄕. 문득 아래에 나의 옛 고향을 볼 수 있었네.
仆夫悲余馬懷兮, 수레를 끄는 마부는 슬퍼하고
蜷局顧而不行. 슬픔에 찬 내 말들은 앞으로 차오르며 나아가려 않네.

독자들로 하여금 자유로이 상상할 수 있게끔 시는 매우 애매모호한 말로 끝맺는다. 예를 들면 그 영웅이 (1) 고향으로 돌아갈 것인지 (2) 더 가치 있는 군주를 찾기 위한 여정을 계속 이어 갈 것인지 (3) 은자처럼 은둔생활을 할 것인지 (4) 자살을 할 것인지.

2. 「구가(九歌)」는 어느 학식 있는 작가가 주술적 의례에서 나온 민간의 노래들을 개작한 것이다. 이 노래에서 무당은 먼저 자신을 정화시키고, 향수와 꽃으로 치장하고, 춤과 노래로 무아지경에 빠뜨리고, 이성의 신을 찾아 하늘로 신비로운 여정을 떠나서 귀신과 성적 관계를 가지고 땅으로 돌아오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왕일(王逸)에 따르면, 「구가」는 군주와 신하와의 관계를 신과 무당의 관계로 보여주듯이, 다양한 관점에서 은유적 모티브를 사용했다고 보았다.

3. 「천문(天問)」은 초기 중국의 역사와 신화에 대해 질문하는 장편의 시이다. 이 작품은 간결하고, 아리송한 형식과 거의 알 수 없는 광범위한 훼손 때문에 문학적 가치는 낮다. 왕일은 굴원이 초나라의 묘당(廟堂)에 있는 선조의 벽화를 묘사하기 위해 「천문」을 썼다고 믿었다. 이것은 전국시대 말의 중요한 문학 장르로 알려진 수수께끼류의 남상과 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4. 「원유(遠遊)」는 기원전 1세기 초의 작품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이소」처럼 천상의 여정을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이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한다. 비록 「이소」에서 상당부분을 가지고 왔지만, 이 작품은 초기시의 샤머니즘적인 경향을 한(漢)나라 도교의 신비주의로 변환시켰다.

5. 「어부(漁父)」는 굴원과 어부의 대화 시이다. 후자가 직위에서 물러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전자의 결단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어부의 마지막 충고는 어진 관리가 역경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범이 되었다.

滄浪之水淸兮, 창랑수의 물이 맑으면
可以濯吾纓. 내 갓끈을 씻으련만
滄浪之水濁兮, 창랑수의 물이 흐리니
可以濯吾足. 내 발이나 씻을 수 있으리

6. 「구변(九辯)」은 기원전 3세기에 초나라 관리였던 송옥의 작품으로 추정되는데, 이 선집에서 최고의 시들을 구성하는 뛰어난 문장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일련의 시편들이 시작하는 가을의 감성적인 묘사들은 가을의 우울함을 담은 후기 중국시의 전형적인 구절이 되었다.

7. 「초혼(招魂)」, 「대초(大招)」, 「초은사(招隱士)」는 서로 분리 되어있지만, 주제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작품 속에서 무속의식에서 유교적 암시까지의 발전을 한 번 더 엿볼 수 있다. 「초혼」과 「대초」는 병든 왕의 치유를 위해 치러지는 굿에 관한 내용이다. 그러나 「초은사」에서는 은거하고 있는 덕이 높은 선비를 “다시 불러내는” 것에 맞추어져 있다.

『초사』의 문장들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구가」로 대표되는 가요체는 한 구당 성조가 있는 5자의 실사와, 세 번째와 네 번째 음절 사이에 “혜(兮)”자로 구성된다. 대이비드 호크스(David Hawkes)는 가요 형식의 두 구를 다음과 같이 도식화 했다.

○○○兮○○, ○○○兮○○.

현대중국어에서 “시(兮)”로 발음 도는 개사가(아마 고대 중국에서 “아”라고 발음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됨) 『초사』의 모든 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문체상의 특징이다. 둘째로 소(騷)라도 하는 스타일에서 “혜(兮)”는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구를 나누고, 강세가 없는 조사는 세 번째와 네 번째 음절에서 중간휴지 역할을 한다.

○○○◎○○兮, ○○○◎○○.

이 소체(騷體)는 『초사』에 이 운률을 사용하는 가장 유명한 작품이 「이소」에서 이름을 따왔다. 아마도 더 오래 되고, 더 기본적인 형식인 가요형식을 통해 이 두 형식의 친연성은 명백하다. 『시경』의 사언(四言) 운율과 다른 이 운율들은 남방 『초사』의 음악적 배경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초사』의 독특한 리듬은 선집의 기원이 초나라에 있고, 초나라는 제도적으로 샤머니즘을 행해왔다는 사실과 확실히 연관되어 있다. 대부분의 단어와 『초사』의 이미지들이 무속의식에서 유래되었다. 그래서 「이소」와 다른 작품들의 저자로 추정되는 굴원이 초나라 왕의 무당이었다는 많은 증거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일의 주석에는, 무속적 모티브는 유교의 가치를 지지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은유화 되었다. 그래서 전통적 독자들도 그렇게 이해했다.

유가적 가치를 담고 있는 시선집인 『시경』 때문에 『초사』는 언제나 두 번째 자리에 위치했다. 『시경』은 전통방식으로 읽었을 때 관리들의 낙관적이고, 긍정적 삶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덕이 높은 군주는 관리의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조언을 따르고, 그래서 나라가 번영한다. 반면에, 『초사』는 주로 뚜렷한 「이소」의 지위 때문에, 관직에서 쫓겨난 관리의 목소리로, 군주에게로의 접근은 “소인배들”의 중상모략에 차단되었다. 언제나 정통 경학(經學) 밖에서 정당하게 남아있지만 『초사』는 벼슬살이의 어두운 측면이다. 그리고 남방으로 유배된 한 관리의 개인적인 위안의 근원으로서, 문학적 모델로서 『초사』의 강렬한 호소는 『초사』를 초기의 중국 문학의식의 최전선에 유지시켰다.




楚辭 <招魂>의 文化的 位相과 朝鮮의 受容樣相

楚辭 <招魂>의 文化的 位相과 朝鮮의 受容樣相



楚辭 <招魂>의 文化的 位相과 朝鮮의 受容樣相A study on The 《Cho-sa(楚辭)》 〈Chohone(招魂)〉’s cultural topology and a pattern of acceptance in Joseon




국제언어문학

약어 : 국언문

2019, vol., no.44, 통권 44호 pp. 91-122 (32 pages)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기타동양어문학
신두환 /Doohwan Shin 1


1안동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屈原이 지은 초사 <초혼>에 나타난 문화적 위상과 조선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이 작품 속에는 영혼이 향유하는 사후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독특하게 소개되고 있어서 흥미롭다. 초사 <초혼>은 문화의 원형과변주의 시각에서 자세히 관찰하면 동양 고대의 문화연구의 보고요 심연이다. 

이것은 대부분 중국 전국시대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풍부한 상상력이라서 더욱 의미가 있어 보인다. 초사 <招魂>은 초나라의 샤머니즘을 비롯한 당대의 주거문화, 음식문화, 음악문화, 놀이문화 등, 중국 고대의 문화가 풍성하게 소개되어 있어서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문화의 기원이 되고 있다. 이것은 동양 역사상 사후세계 다양한 문화 향유에 대한 최초의 창의력이었으며 사의 찬미에 대한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 주었다. 이것은 후대로 오면서 상례문화로 발전하였으며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세계로 퍼져 나갔다. 

<초혼>은 후대 동아시아 문인들에게 흥미로운 작품으로 읽히면서 최근까지도 초혼의 주제의식은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을 비롯하여 영화, 대중가요 등 엔터테인먼트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확산되고 있다. 초사 <초혼>은 碑銘과 祭文을 비롯한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와 문학 작품 속에 수용되고 확산 되면서 동아시아의 碑誌類 등 다양한 예술 작품 속에 투영되어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status and acceptance patterns of Joseon in the <Chosa(楚辭)-the Chohone(招魂)> written by Qu Yuan(屈 原).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osa(楚辭)-the Chohone(招魂)>’s cultural topology and a pattern of acceptance in Joseon. the <Chosa(楚辭)-the Chohone(招魂)> of the history is a repository and abyss of ancient cultural research. In this work, various cultures of the afterlife enjoyed by the soul are uniquely introduced. The Chohone(招魂) is a repository of ancient cultural research in the Orient, closely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archetype and variation. The Chohone(招魂) is a work composed of methods of fear, comfort, fear, and conciliatory that enshrine heaven and hell in the process of bringing souls from the Qin Dynasty. In this work, the imagination of the horror monster, which is passed down as the concept of hell which develops into a unique structure, is the origin of the horror novel, and in the investigation of comfort and peace, the ancient Chinese culture, including shamanism of the early period, such as the Chamanism, food culture, music culture, play culture, etc., is richly introduced, thus becoming the origin of the culture related to human death. It was the first creativity in the afterlife variety of cultural flavors in the history of the Orient, and it showed the height of beauty to the praise of death. It has evolved into a common culture and spread to Korea and the rest of the East. The Chohone(招魂) has been accepted and diffused into numerous works as it continues to be read and criticized as an interesting work for later East Asian writers. Until recently, the theme of The Chohone(招魂) has spread to various cultural contents of entertainment, such as movies, pop songs and other genres of literary works. The first story, "The Chohone(招魂)" is absorbed and diffused in various cultural and literary works related to human death, and it melts into various works of art such as a sentence for tombs and gravestones(碑誌類) in East Asia and shines brightly.


키워드
굴원,
초사,
초혼,
문화,
조선

Qu Yuan, Cho-sa, the Chohone(招魂), cultural topology, a pattern of acceptance, the Joseon Dynasty

참고문헌(25)  * 2021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0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