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23

푸루샤 - 위키백과, プルシャ Purusha

푸루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푸루샤


푸루샤(산스크리트어: पुरुष)는 베다와 우파니샤드 시대에 그 의미가 진화한 복잡한 개념이다. 출처와 역사적 연대에 따라 우주적 존재 또는 자아, 인식, 보편적 원리를 의미한다.[1][2][3]

초기 베다에서 푸루샤는 신들에 의한 희생이 모든 생명을 창조한 우주적 존재였다. 이것은 베다에서 논의된 많은 창조신화들 중 하나였다. 
우파니샤드에서 푸루샤 개념은 영원불멸하고 파괴할 수 없으며 형식이 없으며 만능인 자아, 정신, 보편원리의 추상적 본질을 가리킨다.

상키야 철학에서 푸루샤는 "비활동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영원하고 순수한 것"인 다수의 움직이지 않는 우주 원리인 순수한 의식이다.[4] 프라크리티와 연합한 푸루샤는 생명을 낳는다.

카슈미르 시바파에서 푸루샤는 시간(kāla), 욕망(raga), 제한(niyati), 지식(vidyā), 분리(kalā)의 다섯 개의 칼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많은 개인적 자아(jīvātman)만큼 제한된 보편적 자아(paramātman)이다.[5]


===
프루샤   

プルシャ


푸르샤 ( puruṣa , 산스크리트 : पुरुष ) 란 무엇입니까?

인도 신화 에 등장하는 존재. 원인 이라고도 거인 이라고도 불린다.
잔키야 학파가 세운 정신 원리.
산스크리트 에서 나 , 영혼 , 자아 혹은 인간 , 남성 등 의미하는 단어.
인도 신화 
세계 최초로 존재했다고 여겨, ' 리그 베다 '에서는 원인 프루샤의 몸에서 태양 과 달 , 신들 과 인간 등 세계의 모든 것이 태어났다고 한다.

천개의 눈과 천개의 머리, 천개의 다리를 가진다고 한다.

「리그 베다」10장의 창조 찬송가 「프르샤・스쿠타 ( 영어판 ) (원인의 노래)」는, 4개의 바르나 (사회적 신분)가 태어난 유래를 물어, 그 대답 중에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신들이 원인을 잘라낼 때
일부 부분으로 분리하고 싶어.
그 입은 무엇에, 양팔은 무엇이 되자.
그 양 허벅지는, 그 양 다리는 무엇이라고 불리나.
그 입은 바라몬(사제)이 된다.
그 양팔은 라자냐(무인)가 된다.
그 허벅지에서 바이샤 (농민, 상인),
그 양 다리에서 슈도라 (노예) 발생하거나.
「바르나」의 원의는 「색」이며, 상위로부터 각각 흰색, 빨강, 노랑, 검정의 4색이었다.

잔키야 개념 
잔키야 학파에서는 정신 원리 프루샤와 물질 원리 프랙티티 가 대치되어 있다. 잔키야에서, 프루샤는 물질적 요소를 전혀 없어진 순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동학파는, 「나는 누구이다」라든가 「나의 무엇인가는」이라고 하는 의식은, 프랙티티로부터 생긴 심리기관에 속한다고 해, 그 의식은 상위 기관인 이성에 속한다고 하지만, 프루샤는 그렇게 했다 의식이나 이성과는 별개라고 하고, 또 프루샤는 다양한 감정과도 다르다고 한다. 프루샤는 프랙티티의 전개가 만들어내는 현상 세계를 관조한다고 한다. 프루샤를 설명하기 위해 수면과 거울 에 비친 영상을 보는 사람의 비유가 사용되고 있다 [1] .

각주 
↑ 『철학 사상사전』 이와나미 서점, 1998년 pp.1410-1411 모기 히데아츠 집필 담당

===

Purush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urusha (Sanskritपुरुषpuruṣa) is a complex concept[1] whose meaning evolved in Vedic and Upanishadic times. Depending on source and historical timeline, it means the cosmic being or selfawareness, and universal principle.[2][1][3]

In early Vedas, Purusha was a cosmic being whose sacrifice by the gods created all life.[4] This was one of many creation myths discussed in the Vedas. 

In the Upanishads, the Purusha concept refers to the abstract essence of the Self, Spirit and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is eternal, indestructible, without form, and is all-pervasive.[4]

In Samkhya philosophyPurusha is the plural immobile cosmic principle, pure consciousness, unattached and unrelated to anything, which is "nonactive, unchanging, eternal, and pure".[5] Purusha uniting with Prakṛti (matter) gives rise to life.

In Kashmir Shaivism, Purusha is enveloped in five sheaths of time (kāla), desire (raga), restriction (niyati), knowledge (vidyā) and separatedness (kalā); it is the universal Self (paramātman) under limitations as many individual Selfs (jīvātman).[6]

Definition and general meaning[edit]

There is no consensus among schools of Hinduism on the definition of Purusha, and it is left to each school and individual to reach their own conclusions. For example, one of many theistic traditions script such as Kapilasurisamvada, credited to another ancient Hindu philosopher named Kapila, first describes Purusha in a manner similar to Samkhya-Yoga schools, but then proceeds to describe buddhi (intellect) as second Purusha, and ahamkara (egoism) as third Purusha. Such pluralism and diversity of thought within Hinduism[7] implies that the term Purusha is a complex term with diverse meanings.

The animating causes, fields, and principles of nature are Purusha in Hindu philosophy. Hinduism refers to Purusha as the soul of the universe, the universal spirit present everywhere, in everything and everyone, all the time. Purusha is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is eternal, indestructible, without form, and all-pervasive. It is Purusha in the form of nature’s laws and principles that operate in the background to regulate, guide, and direct change, evolution, cause, and effect.[3] It is Purusha, in the Hindu concept of existence, that breathes life into matter, is the source of all consciousness,[1] one that creates oneness in all life forms, in all of humanity, and the essence of Self. According to Hinduism, it is Purusha why the universe operates, is dynamic and evolves, as against being static.[8]

Vedas[edit]

During the Vedic period, the Purusha concept was one of several mythemes offered for the creation of the universe.[a] Purusa, in the Rigveda, was described as a being who becomes a sacrificial victim of the gods, and whose sacrifice creates all life forms including human beings.[4]

In the Rigveda, "[t]his Puruṣa is all that yet hath been and all that is to be" (पुरुष एवेदग्ं सर्वं यद्भूतं यच्च भव्यम्|).[9]

Varna system[edit]

In the Purusha Sukta, the 90th hymn of the 10th book of the Rigvedavarna is portrayed as a result of human beings created from different parts of the body of the divinity Purusha. This Purusha Sukta verse is controversial and is believed by many scholars, such as Max Müller, to be a corruption and medieval or modern era insertion into Veda,[10][11] because unlike all other major concepts in the Vedas including those of Purusha,[12] the four varnas are never mentioned anywhere else in any of the Vedas, and because this verse is missing in some manuscript prints found in different parts of India.

That remarkable hymn (the Purusha Sukta) is in language, metre, and style, very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prayers with which it is associated. It has a decidedly more modern tone, and must have been composed after the Sanskrit language had been refined.

There can be little doubt, for instance, that the 90th hymn of the 10th book (Purusha Sukta) is modern both in its character and in its diction. (...) It mentions the three seasons in the order of the Vasanta, spring; Grishma, summer; and Sarad, autumn; it contains the only passage in the Rigveda where the four castes are enumerated. The evidence of language for the modern date of this composition is equally strong. Grishma, for instance, the name for the hot season, does not occur in any other hymn of the Rigveda; and Vasanta also does not belong to the earliest vocabulary of the Vedic poets.

The Purusha Sukta is a later interpolation in the Rig Veda. (...) Verses in the form of questions about the division of Purusha and the origins of the Varnas are a fraudulent emendation of the original.

Upanishads[edit]

The abstract idea of Purusha is extensively discussed in various Upanishads, and referred interchangeably as Paramatman and Brahman (not to be confused with Brahmin).[1] In the Upanishads and later texts of Hindu philosophy, the Purusha concept moved away from the Vedic definition of Purusha and was no longer a person, cosmic man or entity. Instead, the concept flowered into a more complex abstraction:[16]

Splendid and without a bodily form is this Purusha, without and within, unborn, without life breath and without mind, higher than the supreme element. From him are born life breath and mind. He is the soul of all beings.

— Munduka Upanishad, (Translated by Klaus Klostermair)[17]

In the Upanishads, the Purusha concept refers to the abstract essence of the Self, Spirit and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is eternal, indestructible, without form and is all pervasive.[4] The Purusha concept is explained with the concept of Prakrti in the Upanishads. The Universe is envisioned in these ancient Sanskrit texts as a combination of the perceivable material reality and non-perceivable, non-material laws and principles of nature.[3][8] Material reality (or Prakrti) is everything that has changed, can change and is subject to cause and effect. Purusha is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is unchanging, uncaused but is present everywhere and the reason why Prakrti changes, transforms and transcends all of the time and which is why there is cause and effect.[8]

Rishi Angiras of the Atma Upanishad belonging to the Atharvaveda explains that Purusha, the dweller in the body, is three-fold: the Bahyatman (the Outer-Atman) which is born and dies; the Antaratman (the Inner-Atman) which comprehends the whole range of material phenomena, gross and subtle, with which the Jiva concerns himself, and the Paramatman which is all-pervading, unthinkable, indescribable, is without action and has no Samskaras.[18]

In Samkhya and Yoga[edit]

Both Samkhya, a school of Hindu philosophy that considers reason, as against Nyaya school's logic or Mīmāṃsā school's tradition, as the proper source of knowledge, and Yoga philosophy state that there are two ultimate realities whose interaction accounts for all experiences and universe, namely Purusha (spirit) and Prakrti (matter).[3][19] The universe is envisioned as a combination of perceivable material reality and non-perceivable, non-material laws and principles of nature. Material reality, or Prakrti, is everything that has changed, can change and is subject to cause and effect. Universal principle, or Purusha, is that which is unchanging (aksara)[1] and is uncaused.

Puruṣa is the transcendental self or pure consciousness. It is absolute, independent, free, imperceptible, unknowable through other agencies, above any experience by mind or senses and beyond any words or explanations. It remains pure, "nonattributive consciousness". Puruṣa is neither produced nor does it produce. It is held that unlike Advaita Vedanta and like Purva-Mīmāṃsā, Samkhya believes in a plurality of the puruṣas.[20]

Yoga philosophy holds that, in addition to the purusha of each individual, there is a special purusha called Ishvara, which is free of all kleshas and karmas.[21]

Both Samkhya and Yoga school holds that the path to moksha (release, Self-realization) includes the realization of Purusha.[22]

Puranas[edit]

In the Puranas, "The Bhagavata Purana and the Mahabharata boldly proclaim Vishnu as ultimate Purusha described in Purusha Sukta prayer", whereas Shiva is described as ultimate Purusha (cosmic male) in Shiva Purana.[23] According to Indologist W. Norman Brown, "The verses of Purusha Sukta are definitely a reference to Vishnu, who, through his three steps, is all-pervading (i.e. he spreads in all directions)".[23]

The Bhagavata Purana explains the origin of the four varnas from the body of Purusha, identified as Vishnu:[24]

Oh leader of Kurus! From the mouth of the Puruṣa came forth Brahman (the Veda) and the Brāhmaṇa class like syllables coming out from the mouth (head). Hence the Brāhmaṇa Varṇa became the foremost among the Varṇas.

From his arms emanated the power of protection and the Kṣatriya class who follows that vow, viz. the duty of protecting the world. This class born from Puruṣa (Lord Viṣṇu) protects the classes of people from wounds (i.e. injuries or troubles) caused by thorns (in the form of miscreants).

From the thighs of that All-pervading Lord were born the vocations like agriculture which maintain the livelihood of the public. The Vaiśya class, born from the same part of the body, carries out trades and agriculture for the maintenance of people.

From the feet of the Lord was born to service for the achievement of religion. Formerly the Śūdra class was born for the sake of service, whereby Hari is pleased.

— Bhagavata Purana, Book 3, Chapter 6

Vedanta[edit]

Brahma Sutras[edit]

The Brahma Sutras state janmādy asya yatah, meaning that 'The Absolute Truth is that from which everything else emanates' Bhagavata Purana [S.1.1.1].[citation needed]

See also[edit]

Notes[edit]

  1. ^ An example of an alternate mytheme is Nasadiya Sukta, the last book of the Vedas, which suggests a great heat created universe from void. See: Klaus K. Klostermair (2007), A survey of Hinduism, 3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081-7, pp 88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d e Angelika Malinar, 'Hindu Cosmologies', in Jessica Frazier (ed.), A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ISBN 978-0-8264-9966-0, p. 67
  2. ^ Purusha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3. Jump up to:a b c d Karl Potter,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779-0, pp 105–109
  4. Jump up to:a b c d Klaus K. Klostermair (2007), A survey of Hinduism, 3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081-7, pp 87
  5. ^ Grimes 1996, p. 250-251.
  6. ^ Grimes 1996, p. 251.
  7. ^ Angelika Malinar, 'Hindu Cosmologies', in Jessica Frazier (ed.) A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p. 80. ISBN 978-0-8264-9966-0
  8. Jump up to:a b c Theos Bernard (1947), The Hindu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pp 69–72
  9. ^ "Rig Veda: Rig-Veda, Book 10: HYMN XC. Puruṣa".
  10. ^ David Keane (2007), Caste-based Discrimination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SBN 978-0754671725, pp 26–27
  11. ^ Raghwan (2009), Discovering the Rigveda A Bracing text for our Times, ISBN 978-8178357782, pp 77–88
  12. ^ Rigveda 10/81 & Yajurveda 17/19/20, 25
  13. ^ Colebrooke, Miscellaneous Essays Volume 1, WH Allen & Co, London, see footnote at page 309
  14. ^ Müller (1859), A History of Ancient Sanskrit Literature, Williams & Norgate, London, pp 570–571
  15. ^ N. Jabbar (2011), Historiography and Writing Postcolonial India, Routledge, ISBN 978-0415672269, pp 149–150
  16. ^ Klaus K. Klostermair (2007), A survey of Hinduism, 3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081-7, pp. 167–169
  17. ^ Klaus K. Klostermair (2007), A survey of Hinduism, 3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081-7, pp 170–171
  18. ^ Swami MadhavanandaMinor UpanishadsAdvaita Ashrama. p. 11.
  19. ^ Jessica Frazier, A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ISBN 978-0-8264-9966-0, pp 24–25, 78
  20. ^ Sharma 1997, pp. 155–7.
  21. ^ Yoga Sutras II.24
  22. ^ Angelika Malinar, Hindu Cosmologies, in Jessica Frazier (ed.), A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ISBN 978-0-8264-9966-0, pp. 78–79
  23. Jump up to:a b Rosen 2006, p. 57.
  24. ^ www.wisdomlib.org (2022-07-24). "Cosmology: Creation of the Universe [Chapter 6]"www.wisdomlib.org. Retrieved 2022-10-25.

Sources[edit]


===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2020 07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불교책 같이 읽기
패러다임의 전환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그러한 내용이 나오기까지 바탕으로 삼
고 있는 관점에 관심이 가게 됩니다 이제 세상을 파악하
는 틀은 부분에서 전체로 구조에서 과정으로 객관적 학
문에서 인식론적 학문으로 실체가 아닌 관계로 절대치
에서 근사치로 패러다임이 전환이 되었다고 합니다 불
교철학은 전환된 패러다임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되어준다고 생각해서 몇권의 책을 정해 같이 읽어보려
합니다


모임시간
 13주 토요일 오전 8시10시
방식
분류 전체보기
토론기록
1모두를 위한 북클럽
2문학작품 읽고 에세이 쓰기
3고전문학 깊이읽기
모임일정
여성문학 읽기
재난과 인문학
토론자료실
함께 읽기
문학에세이
고전읽기
모두를 위한 북클럽
독일문학과 한국문학분단과 전쟁
여성문학 읽기
재난과 인문학
토론방식
토론이 필요한 이유
인문이론서
인문학으로 길을 찾다
우장산숲속도서관
나폴리4부작
제인오스틴
일리아드
불교책+a 읽기모임
=====
깨달음과 역사
함께 읽기불교책+a 읽기모임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by 책이랑 2020 7 27
=====
모두를 위한 북클럽 구독하기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30
① 책 한 권을 각각 나눠 맡아서 주요 내용을 정리
및 발췌
② 각자의 문서로 만들어 참여자들에게 배포
해 보고 더 나은 방식이 있으면 보완해 가려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영화토론
추천합니다
온라인토론
글쓰기
최근글 인기글
문학작품 읽고 에세
이 쓰기 9
20240114
문학작품 읽고 에세
이 쓰기 8
20231002
문학 작품 읽고 에세
이 쓰기 시즌6
20230813
문학 작품 읽고 에세
이 쓰기 시즌5
20230813
문학 작품 읽고 에세
이 쓰기 시즌4
20230813
불교책 같이 읽기
패러다임의 전환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모임시간
 13주 토요일 오전 8시10시
방식
① 책 한 권을 각각 나눠 맡아서 주요 내용을 정리
및 발췌
② 각자의 문서로 만들어 참여자들에게 배포
전체일정
분량나누기
책정보목차 보기
1 불교의 탄생
2 ① 미네소타 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
3 ②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4 깨달음과 역사
5 불교는 왜 진실인가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
6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생명현상과
연기 그리고 공
7 불교 페미니즘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
■ 티벳에서의 불교철학 입문
■ 중도로 살다  깨달음은 지금 여기 삶이 되어야 한
불교는 왜 진실인가
영화토론 기록
기사
행사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3/30
전체일정
1 불교의 철학
실천
2 불교+타분야 3 불교페미니즘
95
불교의 탄생
불교역사
1121
불교는 왜 진실인가
불교+진화심리학
1226
불교 페미니즘
페미니즘
919
미네소타 불교철
+현대불교 연재
1
현대 철학적 접근
1
1212
생명현상과 불교는 어
떻게 만나는가
불교+생명과학
1017
미네소타 불교철학
강의
+현대불교 연재
2
현대 철학적 접근
2
117
깨달음과 역사
깨달음과 생활
분량나누기
함께 읽기 > 불교책+a 읽기모임 카테고리의 다른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4/30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5/30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6/30
책정보목차 보기
1 불교의 탄생
* 부처탄생 전과 탄생탄생후 세부분으로 나누어 설명
* 역사적인 서술을 하면서 주요개념을 설명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163666351
불교의 탄생
불교와 다른 사상의 공
통점과 결정적인 차…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7/30
서문
제1장 불교전야
1 윤회설의 확립
본격적인 책임 윤리의 확립인과응보윤회설과 재생 사
상고대 그리스의 윤회 사상과 크리스트교의 시간론윤
회설의 등장오화설이도설윤회설은 왕족의 전승윤회
설의 이후 전개
2 초기의 출가와 바라문들의 저항
출가자라는 말출가란최초기의 출가보수적인 바라
문들의 저항생활기아슈라마생활기를 부정하는 사
상악마의 유혹생활기의 수정
3 사문과 육사외도
사문의 출현과 사회배경육사외도뿌라나 깟사빠막칼
리 고살라아지따 께사깜발린빠꾸다 깟짜야나산자야
벨랏티뿟따니간타 나따뿟따
제2장 석존의 생애
1 전설과 역사적 사실
석존의 실재성석존의 재세 연대신화적 전승
2 태어남
석존의 가계석존의 호칭탄생
3 출가사문를 향한 길
청년 시절의 석존출가를 향한 동경석존의 결혼 생활
아들을 얻다
4 출가 수행
출가하다선정의 길로고행의 길에 들어서다고행을 버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8/30
리다
5 성도에서 초전법륜으로
체력을 회복하다붓다가 되다붓다의 의미붓다의 다
른 이름설법을 주저하다범천권청 에피소드설법의 시
도초전법륜최초의 설법
6 그 후의 활동과 제자들
야사의 출가와 사중의 성립석존 명성을 떨치다석존의
타협적 태도에 대하여산자야 제자들의 합류사꺄족
출신의 제자기원정사를 기증받다비구니 교단의 성립
그 외의 제자들
7 반열반에 들다
석존의 만년마지막 여행을 떠나다병을 얻다반열반에
들다마지막 설법다비와 사리의 여덟 배분
제3장 최초기 불교의 사고방식
1 삶에 대한 허무주의
윤회적 생존이란궁극의 목표그럼에도 살아간다는 것
은진실과 방편가치와 의미의 창출선악과 그 피안발
전이라는 이름의 방편의 비대화방편 비대화의 요인
2 경험론 불가지론 중도
석존의 기본적 입장경험론과 불가지론십무기설무상
이라는 것비아 무아라는 것불가지론과 실용주의중
3 인과론
불가지론과 인과론사성제설
4 명상 계율
고행과 명상지혜와 명상명상의 다양함사무량심수행
자의 마음가짐교정으로서의 계율십삼두타지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9/30
더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학술문고판 후기
역자 후기
접기
2 ① 미네소타 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
3 ②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 무아 윤화 열반 연기 공 등 불교의 주요 개념을 현대
적으로 설명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193207609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홍창성 불교문화
httpsbooksreviewtistorycom1392
category=844314
미네소타주…
저자는 지금 시대의 누
구나 이해할 수 있는…
www.aladin.co.kr
현대적으로…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0/30
현대적으
로 이해하
는 붓다의
가르침
미네
소타
불교
철학
강의
1 9
19일
● 1연
기緣起
12345
● 2연
기와 공
空 123
● 3연
기와 무상
常 123
목차
강의
를 시
작하
제1
강 불
교란
무엇
인가
제2
강 붓
다 깨
달음
무아
제3
강 깨
달음
의 패
2 10
월 17
4무
아 無
我 123
● 5마
음 1234
제17
강 선
의 합
리적
이해
제18
강 석
가모
니가
답하
지 않
은 14
가지
● 현대 분석철학을 이
용하여 불교를 이해…
booksreview.tistory.com
2
/
2
3
/
2
4, 1:3
9
P
M
h
t
t
p
s://
fr
e
a
din
g.tis
t
o
r
y.c
o
m
/
8
6
1
1
/
3
0
독스제4 강 윤 회하는 것 은 없지만윤회는 있다제5 강 윤 회의시작과 끝제6 강 열반제7강 열반은 있지만 열반하 는 것 은 없다제8강 불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제9 강 무 아와자비제10 강 연
1
9
강 불 자로서 어떻게살 것인가제20 강 중 도와팔정도제21 강 화 쟁과일심제22 강 무 아와인격체로서의나제23 강 방편제24 강 미 국 대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2/30
기란
무엇인
제11
강 연
기 인
과와
관계
제12
강 연
기의
패러독
제13
강 대
승과
제14
강 연
기하기
에 공
하다
제15
강 공
중도
그리고
비유비
무묘유
제16
강 제
법개환
과 제
법개공
학생
들이
는 불
교의
문제
강의
를 마
치며
4 깨달음과 역사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89400665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3/30
서문 『깨달음과 역사』를 다시 펴내며
1장 사제師弟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
1월_ 대승과 소승
2월_ 무심시도無心是道
3월_ 확연무성廓然無聖
4월_ 윤회와 해탈
5월_ 색즉시공 공즉시색
6월_ 공空의 이중적 구조
7월_ 대도무문大道無門
8월_ 깨달음과 역사
9월_ 돈오점수설 돈오돈수설에 대해
10월_ 마음부처중생
11월_ 보살만행菩薩卍行
12월_ 불국정토佛國淨土
2장 각覺  깨달음
3장 깨달음을 위한 산책
4장 돈오점수 돈오돈수설 비판
깨달음과 역사
<깨달음과 역사> 개정
증보판. 중심 내용은…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4/30
5장 역사에 다가가는 불교
불교와 사회
불교의 사회적 실천
민중불교운동의 대승적 전개를 위하여
6장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7장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반론에 대한 답변
5 불교는 왜 진실인가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
* 진화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불교의 무아 열반 깨달음
등을 이해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178902869
불교는 왜 …
진화심리학에 관한 로
버트 라이트의 기념…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5/30
일러두기
1장 빨간 약을 먹다
2장 명상의 역설
3장 느낌은 언제 환영인가
4장 극락감 황홀경 그리고 명상을 하는 더 중요한 이유
5장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과연 진실인가
6장 나를 다스리는 주인은 어디에도 없다
7장 우리의 삶을 움직이는 정신 모듈
8장 생각은 어떻게 스스로 생각하는가
9장 자기 통제에 관하여
10장 형상 없음과의 만남
11장 공이 가진 좋은 면
12장 잡초가 사라진 세상
13장 모든 것이 하나로 보이다
14장 간략히 살펴보는 열반
15장 깨달음은 정말 우리를 깨닫게 하는가
16장 명상과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
부록 A 불교적 진실의 목록 부록 B 붓다가 다윈을
불교는 왜 …
불교는 왜 진실인가 -
로버트 라이트 지음,…
booksreview.tistory.com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6/30
만났을 때
옮긴이의 말책에 사용한 용어에 관하여감사의 말
6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생명
현상과 연기 그리고 공
* 본질주의가 아닌 불교의 연기법과 공의 관점으로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재해석한다
* 개체 종 유전자 진화를 불교적으로 설명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232051350
들어가면서 5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1 생명현상과 붓다의 가르침 23
진화의 산물인 생명체 23 | 상호의존적 생명체 24 | 무상
한 생명체 25 | 본질 없이 공空한 생명체 27 | 공空한 생
명체의 의미 29
2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34
연기 34 | 무상 38 | 공 40 | 공한 생명체 43
생명과학과…
불교의 연기법과 공의
관점으로 생명현상…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7/30
3 깨달음과 자비 그리고 생명현상 4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45 | 불자들의 행위의 기준 49 | 생
명현상과 자비행 52
II 생명과학과 깨달음
4 깨달음 세계관의 혁명적 변화 61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 62 | 현응스님의 돈오 66 | 생명과
학혁명 69
5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1 73
환원이란 무엇인가 74 | 환원론에 대한 오해 76 | 미시구
조적 환원 81
6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2 85
환원론에 대한 또 다른 오해 85
III 개체
7 발생의 불교적 이해 1 99
발생과 연기 99 | 발생과 생명 105
8 발생의 불교적 이해 2 113
본질 없이 공空한 배아줄기세포 113
9 노화의 불교적 이해 123
노화에 대한 오해 123 | 노화는 없다 125 | 노화도 공空
133
10 병듦의 불교적 이해 136
병이란 무엇인가 137 | 병의 불교적 해석과 극복 142
11 죽음의 불교적 이해 1 149
죽음이란 무엇인가 149 | 논리적 개념으로서의 죽음
151 | 세포의 죽음celldeath or apoptosis 154 | 죽
음과 윤회 161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8/30
12 죽음의 불교적 이해 2 162
죽음과 나 162 | 생명체들이 죽어야 하는 이유 163 | 태
어나지 않았으니 죽지도 않는다 167 | 죽음에 대한 불교
적 낙관주의 169
IV 종種Species
13 종種의 불교적 이해 1 177
종과 본질주의 178 | 다윈의 종과 미완의 반反본질주의
180 | 종 개념의 문제 183
14 종種의 불교적 이해 2 188
동일성을 찾으려는 인간의 집착 188 | 본질에 대한 집착
의 연장 194
V 유전자
15 유전자 개념과 그 변천의 역사 201
고정불변한 유전자 203
16 유전학에 대한 이분법과 불교적 반론 211
도그마의 붕괴 212 | 유전자의 상실 217 | 이분법적 유
전학의 한계 218
17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1 223
본질 없이 공空한 유전자 224 | 연기하는 유전자 226 |
기능적 속성으로서의 유전자 228 | 실체가 없이 개념으
로만 존재하는 유전자 231 | 개별자로서의 유전자 233
18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2 234
활발발活潑潑한 유전자의 기능과 분자망molecular
net 235 | 유전자 개별자와 분자 네트워크 239
VI 진화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19/30
19 진화란 향상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 249
18세기까지 진화의 개념 250 | 다윈의 진화 255
20 결정론도 아니고 비결정론도 아닌 연기의 과정 260
굴드의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 261 | 결정론
264 | 제약들constraints 267 | 철학적 고찰 269
21 우연과 필연의 재해석 272
모노의 우연과 필연 273 | 모노의 문제 274 | 우연과 필
연을 넘어 연기로 280
22 다윈이 남긴 과제 283
다윈이 남긴 과제 하나 283 | 다윈이 남긴 과제 둘 289
23 불교의 진화 1 296
연기 297 | 사성제와 팔정도로 진화한 연기 300 | 연기
로부터 진화한 무상 무아 고苦의 삼법인 302 | 방편方
便과 진화 307
24 불교의 진화 2 310
남전불교와 북전불교 310 | 연기와 공 312 | 윤회가 열
반이다 314 | 선禪 316 | 현대의 불교 318 | 다시 연기로
322
미주 325
접기
7 불교 페미니즘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0/30
페미니즘이 불교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인도 불교 대승불교 티베트 불교 등 3대 불교 지성 발달
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역할과 이미지 분석
첫 번째 전환기 소승불교상좌불교의 무아의 가르침에
관련된 자아와 젠더의 문제
두 번째 전환기 대승불교의 공성空性과 보살의 길에
관련된 페미니스트 윤리와 자비심의 문제
세 번째 전환기금강승불교의 여래장 사상과 비이원론적
접근과 관련된 젠더의 문제
금강승불교의 명상수행여성적 원리와 남성적 원리의 상
호보완성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243651967
제I부 ╻ 목표와 방향 설정하기
1장_ 불교 페미니스트의 재평가 전략
2장_ 불교에 대한 이해 접근 방식 기본 교리 그리고 개
괄적인 설명
제II부 ╻ 정확하고 유용한 과거를 위하여 불교 역사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스케치
불교 페미니즘
저자는 먼저 불교의 역
사를 스케치하는 것…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1/30
3장_ 왜 과거를 알아야 하는가 정확하고 유용한 과거는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4장_ 샤카디타 붓다의 딸들 초기 인도 불교의 여성 역
할과 이미지
5장_ 타고난 여성의 특성과 성향이 있는가 인도 대승
불교의 여성 역할과 이미지
6장_ 여성적 원리 인도와 티베트 금강승불교의 여성 역
할과 이미지
7장_ 결론 여성 영웅들과 토큰 같은 여성들
제III부 ╻ 담마는 여자도 남자도 아니다 교리의 주요 개
념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
8장_ 불교 페미니즘을 위한 교리의 다양한 자원들
9장_ 무대 만들기 불교적 세계관의 전제들
10장_ 페미니스트의 관점으로 불교의 핵심개념 분석하
11장_ 젠더와 무아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본 불교의
기본 가르침
12장_ 젠더와 공성 대승불교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이
13장_ 젠더와 불성 세 번째 전환기 금강승불교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입장
제IV부 ╻ 담마는 여자이고 또 남자이다 성평등한 불
교의 재구축을 위하여
14장_ 판결과 심판 뒤를 돌아보기 그리고 앞을 바라보
15장_ 성평등한 기관들 재가자 사원과 요가 수행자들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2/30
16장_ 성평등한 세상을 위하여 젠더화된 언어 극복하
방법론적 부록
I 여기 내가 서 있다 학문적 방법과 사회적 비전으로서
의 페미니즘
II 종교적인 경험과 종교 연구 종교의 역사
■ 곰브리치 불교강의 붓다 사유의 기원과 위대한 독
창성
* 불교 탄생 당시 지배적인 사상이었던 힌두교 사상과의
대조를 통해 붓다 사상의 특징을 소개
* 업 무아 자비 인식과 언어 필연우연 실용주의적 접
근 방식 등에 대해 알아본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171097369
머리말
배경 지식
제1장 붓다는 왜 위대한 사상가인가
곰브리치의…
곰브리치의 불교 강의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3/30
제2장 업설과 사회적 배경
제3장 브라만교에서 발견되는 업설의 선례
제4장 자이나교에서 발견되는 업설의 선례
제5장 붓다의 무아No Soul는 어떤 의미인가
제6장 붓다의 긍정 가치관 자비
제7장 증거 문헌의 검토
제8장 모든 것은 불타고 있다 붓다 사상에 있어서 불의
중요성
제9장 인과율 그리고 비우연적 작용
제10장 인식언어열반
제11장 붓다의 실용주의와 지적 성향
제12장 붓다의 풍자 비유로서의 브라만교 용어들
제13장 이 책은 믿을 만한가
부록
참고 문헌
색인
■ 티벳에서의 불교철학 입문
* 불교와 외도와의 차이를 해설하고 불교의 4대철학을
설명한다
* 비바사사 경량부 유식학파 중관학파 4대 철학에 대해
해설한다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4/30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244182213
해 제
1 둡타 불교철학 입문서
2 둡타의 기원과 전개
3 본서의 저자 꼰촉 직메 왕뽀
4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외의 철학체계
5 본서의 논설체계
6 본서의 특색
7 직메 왕뽀 『둡타』의 판본
제1부 본문 편
서게序偈
I 종의 총론
II 내외의 종의 각론
III 불교의 종의 총론
IV 비바사사毘婆沙師
V 경량부經量部
VI 유심唯心학파
VII 중관학파1 자립논증파
VIII 중관학파2 귀류논증파
귀결송
티베트에서…
저자는 인도불교, 그중
에서도 특히 주류를 …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5/30
제2부 본문해설 편
제1장 서 설
1 서게序偈
2 종의 총론
3 외도와 내도
4 내외의 종의 각론
제2장 외도의 종의
1 개 설
2 바이세시카학파와 느야야학파
3 상키야학파
4 미맘사학파
5 니르그란타
6 로카야타
제3장 불교철학 서설
1 삼종법륜
2 4대 학파
3 4대 학파의 중도설
4 불교도의 정의
5 독자부의 개아푸드갈라론
제4장 비바사사毘婆沙師
1 개 설
2 비바사사의 종의
제5장 경량부經量部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6/30
1 개 설
2 경량부의 종의
제6장 유심唯心학파
1 개 설
2 유식학파의 종의
제7장 중관학파1 자립논증파
1 개 설
2 자립논증파
3 유가행중관 자립논증파의 종의
4 경량행중관 자립논증파의 종의
제8장 중관학파2 귀류논증파
1 개 설
2 귀류논증파의 종의
접기
■ 중도로 살다
 깨달음은 지금 여기 삶이 되어야 한다
*
* 비바사사 경량부 유식학파 중관학파 4대 철학에 대해
해설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
ItemId=244281280
붓다, 중도…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7/30
개정판 서문 | 진리를 등불로 자신을 등불로
머리글 | 붓다의 삶에서 건져 올린 불교의 참모습
붓다로 살자 발원문
1장 역사의 붓다 그는 어떻게 살았는가 | 진흙 속에 피
어난 향기로운 연꽃 인간 붓다의 삶
말에 의지하지 말고 뜻에 의지하라
출가와 깨달음
전법선언과 초기 교단의 형성
세상의 고통을 품은 길 위의 삶
고난 속에서 세상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용사혼잡의 불교 공동체 상가
만년에 닥친 시련 그리고 열반
2장 붓다중도의 눈으로 본 불교의 핵심 키워드
불교  불교와 다르마의 본질
중도와 연기  실천의 진리인 중도와 존재의 진리인 연기
붓다  위대한 상식의 발견자
이상을 꿈꾸는 현실주
의자 도법 스님. 출…
www.aladin.co.kr
2/23/24, 1:39 PM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https://f-reading.tistory.com/86 28/30
동체대비  한 몸 한 생명이라는 자각
자등명 법등명  진리를 등불로 자신을 등불로
3장 본래붓다 불교의 총론  붓다로 살자 발원문 해설
본래붓다 발원문의 문제의식
본래붓다 불교의 태도와 방법  붓다가 발견한 길 중도
나아갈 기본 방향  중도로 본 본래붓다
걸어가야 할 길  동체대비의 삶
삶의 현장에 실현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
4장 21세기 시민붓다의 불교 | 중도로 본 본래붓다와 동
체대비의 길
21세기 시민붓다 불교의 문제의식
시민붓다의 불교
시민붓다 불교의 세계관
• 〈화엄생명평화경〉의 뜻과 이해
• 〈화엄생명평화경〉
• 생명평화무늬 이야기
시민붓다 불교의 실천론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명상〉의 뜻과 방법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명상〉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