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23

Elisabeth Kübler-Ross - Wikipedia

Elisabeth Kübler-Ross - Wikipedia

Elisabeth Kübler-Ros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Kubler-Ross)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Dr. Elisabeth Kübler-Ross
Elisabeth Kübler-Ross (1926 - 2004).jpg

Elisabeth Kübler-Ross
BornJuly 8, 1926

Zürich, Switzerland

DiedAugust 24, 2004 (aged 78)

Scottsdale, Arizona, United States

Known forKübler-Ross model
Spouse(s)Manny Ross (1958–1979)
ChildrenKen Ross
Barbara Ross
Scientific career
FieldsPsychiatry
InstitutionsUniversity of Chicago
InfluencedCaroline MyssVern BarnetBruce GreysonSogyal Rinpoche
Elisabeth Kübler-Ross (July 8, 1926 – August 24, 2004) was a Swiss-American psychiatrist, a pioneer in near-death studies, and author of the internationally best-selling book, On Death and Dying (1969), where she first discussed her theory of the five stages of grief, also known as the "Kübler-Ross model".[1]
Elisabeth was a 2007 inductee into the National Women's Hall of Fame,[2] she was named by Time (magazine) as one of the "100 Most Important Thinkers" of the 20th Century[3] and she was the recipient of nineteen honorary degrees. By July 1982 Kübler-Ross taught 125,000 students in death and dying courses in colleges, seminaries, medical schools, hospitals, and social-work institutions.[4] In 1970, she delivered an Ingersoll Lecture at Harvard University on the theme On Death and Dying.

Birth and education[edit]

Elisabeth Kübler was born on July 8, 1926, in Zürich, Switzerland, into a Protestant Christian Family. She was one of a set of triplets. Her survival was jeopardized due to complications after birth.[5] Her father wanted her to run his small business. She went to the university of Zurich to study medicine and graduated in 1957. She was a tireless worker but regretted not taking more leisure time.In an interview she stated:
In Switzerland I was educated in line with the basic premise: work work work. You are only a valuable human being if you work. This is utterly wrong. Half working, half dancing - that is the right mixture. I myself have danced and played too little.[6]
During World War II she worked with refugees, in Zürich, and following the war, did relief work in Poland. She would later visit Majandek death camp which sparked her interest in the power of compassion and resilience of the human spirit. The horror stories of the survivors left permanent impressions on Elisabeth.[8]

Personal life[edit]

In 1958 she married a fellow medical student from America, Emanuel ("Manny") Ross,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Becoming pregnant disqualified her from a residency in pediatrics, so she took one in psychiatry. After suffering two miscarriages, she had a son, Kenneth, and a daughter, Barbara, in the early 1960s.[9] Her husband requested a divorce in 1979. [age 53]

Academic career[edit]

Kübler-Ross moved to New York in 1958 to work and continued her studies.
She began her psychiatric residency in the Manhattan State Hospital in the early 1960's, she began her career working to create treatment for those who were schizophrenic along with those faced with the title "hopeless patient". These treatment programs would work to restore the patient's sense of dignity and self-respect. Elisabeth also intended to reduce the medications that kept these patients overly sedated, and found ways to help them relate to the outside world[8] During her time at the hospital, she realized how appalling the treatments of the imminently dying patients were. This realization made her striv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these individuals.
In 1962, she accepted a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There, Elisabeth was a junior faculty member and gave her first interview of a young terminally ill woman in front of a roomful of medical students. Her intentions were not to be an example of pathology, but Kübler-Ross wanted to depict a human being who desired to be understood as she was coping with her illness and how it has impacted her life. [8] She states to her students,
"Now you are reacting like human beings instead of scientists. Maybe now you'll not only know how a dying patient feels but you will also be able to treat them with compassion the same compassion that you would want for yourself"[8]
Kübler-Ross completed her training in psychiatry in 1963, and then moved to Chicago in 1965. She sometimes questioned the practices of traditional psychiatry that she observed. She also undertook 39 months of classical psychoanalysis training in Chicago. She became an instructo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s Pritzker School of Medicine where she began to conduct a regular weekly educational seminar that consisted of live interviews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She had her students participate in these despite a large amount of resistance from the medical staff.[8].

Healing Center[edit]

Kübler-Ross encouraged the hospice care movement, believing that euthanasia prevents people from completing their 'unfinished business'[citation needed].
In 1977 she persuaded her husband to buy forty acres of land in Escondido, California, near San Diego, where she founded "Shanti Nilaya" (Home of Peace). She intended it as a healing center for the dying and their families. She was also a co-founder of the American Holistic Medical Association.
In the late 1970s, she became interested in out-of-body experiencesmediumshipspiritualism, and other ways of attempting to contact the dead. This led to a scandal connected to the Shanti Nilaya Healing Center, in which she was duped by Jay Barham, founder of the Church of the Facet of the Divinity. Claiming he could channel the spirits of the departed and summon ethereal "entities", he encouraged church members to engage in sexual relations with the "spirits". He may have hired several women to play the parts of female spirits for this purpose.[10] Kubler-Ross' friend Deanna Edwards attended a service to ascertain whether allegations against Barham were true. He was found to be naked and wearing only a turban when Edwards unexpectedly pulled masking tape off the light switch and flipped on the light.[11][12][13]

Investigations on near death experiences[edit]

Kübler-Ross also dealt with the phenomenon of near-death experiences. Her reputation began to decline when she began researching the controversial subject of near-death experiences. Elisabeth was also an advocate for spiritual guides and afterlife,[8] serving on the Advisory Board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Near-Death Studies (IANDS)[3] Elisabeth reported her interviews for the first time in her book, On Death and DyingWhat the dying have to teach doctors, nurses, clergy, and their own families (1969)[14][15]

AIDS work[edit]

One of her greatest wishes was her plan to build a hospice for infants and children infected with HIV to give them a lasting home where they could live until their death. This was inspired by the aid-project of British doctor Cicely Saunders. Elisabeth attempted to do this in 1985 in Virginia, but local residents feared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and blocked the necessary re-zoning. In 1994, she lost her house and possessions to an arson fire that is suspected to have been set by opponents of her AIDS work.[16]
She conducted many workshops on AID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n 1990, she moved the Healing Center to her own farm in Head Waters, Virginia, to reduce her extensive traveling.

Death[edit]

Kübler-Ross suffered a series of strokes in 1995 [age 69] which left her partially paralyzed on her left side, in the meantime Shanti Nilaya Healing Center closed. She found herself living in a wheelchair, slowly waiting for death to come, and wished to be able to determine her time of death.[17] In a 2002 interview with The Arizona Republic, she stated that she was ready for death and even welcomed it, calling God a "damned procrastinator"[3]. Elisabeth passed in 2004 at a nursing home in Scottsdale, Arizona, in the presence of her son, daughter, and two family friends.[3] She was buried at the Paradise Memorial Gardens Cemetery.

Contributions[edit]

Elisabeth Kübler-Ross was the first individual to transfigure the way that the world looks at the terminally ill, she pioneered hospice-care and near-death research, and was the first to bring terminally ill individuals' lives to the public eye.[8] 
Elisabeth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movement for doctors and nurses alike to “treat the dying with dignity”.[3] Her extensive work with the dying led to the internationally best-selling book On Death and Dying in 1969, she proposed the, now famous, Five Stages of Grief as a pattern of adjustment: denial, anger, bargaining, depression, and acceptance. In general, individuals experience most of these stages when faced with  facing their imminent death. The five stages have since been adopted by bereavement as applying to the survivors of a loved one's death as well alike.
Elisabeth wrote over 20 books on death and dying. [3] At the end of her life she was mentally active, co-authoring a book with David Kessler on grief and grieving.[3]

Honorary degrees[edit]

  • Doctor of Science, H.C., Albany Medical College, New York 1974
  • Doctor of Laws, University of Notre Dame, IN.,1974
  • Doctor of Science, Smith College 1975
  • Doctor of Science, Molloy College, Rockville Centre, NY, 1976
  • Doctor of Humanities, Saint Mary's College, Notre Dame, IN. 1975
  • Doctor of Laws, Hamline University, MN. 1975
  • Doctor of Humane Letters, Amherst College, MA. 1975
  • Doctor of Humane Letters, Loyola University, IL 1975
  • Doctor of Humanities, Hood College, MD 1976
  • Doctor of Letters, Rosary College, IL. 1976
  • Doctor of Pedagogy, Keuka College, NY 1976
  • Doctor of Humane Science, University of Miami, FL 1976
  • Doctor of Humane Letters, Bard College, NY 1977
  • Doctor of Science, Regis College, Weston MA., 1977
  • Honorary Degree, Anna Maria College, MA., 1978
  • Doctor of Humane Letters, Union College, New York 1978
  • Doctor of Humane Letters, D'Youville College, New York 1979
  • Doctor of Scienc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1979
  • Doctor of Divinity, 1996

Selected bibliography[edit]

  • On Death & Dying, (Simon & Schuster/Touchstone), 1969
  • Questions & Answers on Death & Dying, (Simon & Schuster/Touchstone), 1972
  •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Simon & Schuster/Touchstone), 1974
  •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Macmillan, 1976. ISBN 0-02-567120-0.
  • To Live Until We Say Goodbye, (Simon & Schuster/Touchstone), 1978
  • The Dougy Letter -A Letter to a Dying Child, (Celestial Arts/Ten Speed Press), 1979
  • Quest, Biography of EKR (Written with Derek Gill), (Harper & Row), 1980
  • Working It Through, (Simon & Schuster/Touchstone), 1981
  • Living with Death & Dying, (Simon & Schuster/Touchstone), 1981
  • Remember the Secret, (Celestial Arts/Ten Speed Press), 1981
  • On Children & Death, (Simon & Schuster), 1985
  • AIDS: The Ultimate Challenge, (Simon & Schuster), 1988
  • On Life After Death, (Celestial Arts), 1991
  • Death Is of Vital Importance, (Out of Print- Now The Tunnel and the Light), 1995
  • Unfolding the Wings of Love (Germany only - Silberschnur), 1996
  • Making the Most of the Inbetween, (Various Foreign), 1996
  • AIDS & Love, The Conference in Barcelona, (Spain), 1996
  • Longing to Go Back Home, (Germany only - Silberschnur), 1997
  • Working It Through: An Elisabeth Kübler-Ross Workshop on Life, Death, and Transition, Simon & Schuster, 1997. ISBN 0-684-83942-3.
  •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Simon & Schuster/Scribner), 1997
  • Why Are We Here, (Germany only - Silberschnur), 1999
  • The Tunnel and the Light, (Avalon), 1999
  • Life Lessons: Two Experts on Death and Dying Teach Us About the Mysteries of Life and Living, with David Kessler, Scribner, 2001. ISBN 0-684-87074-6.
  • On Grief and Grieving: Finding the Meaning of Grief Through the Five Stages of Loss, with David Kessler. Scribner, 2005. ISBN 0-7432-6628-5.
  • Real Taste of Life: A photographic Journal

References[edit]

  1. ^ Broom, Sarah M. (Aug 30, 2004). "Milestones". TIME.
  2. ^ "Elisabeth Kübler-Ross"Women of the Hall. National Women's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08.
  3. Jump up to:a b c d e f g [(https://digital.library.unt.edu/ark:/67531/metadc799085/ "Obituaries: Elisabeth Kubler-Ross"] Check |url= value (help)Journal of Near Death Studies. 2004.
  4. ^ "Turn on, tune in, drop dead" by Ron Rosenbaum, Harper's, July 1982, pages 32-42
  5. ^ Newman, Laura. Elisabeth Kübler-Ross. (2004). British Medical Journal, 329 (7466),627. Retrieved November 17, 2006.
  6. ^ de.wikipedia
  7. ^ "Elisabeth Kübler-Ross | American psychologist"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12-04.
  8. Jump up to:a b c d e f g Blaylock, B (2005). "In memoriam: Elisabeth kubler-ross, 1926-2004". Families, Systems, & Health23: 108–109 – via EBSCO.
  9. ^ Kübler-Ross, Elisabeth
  10. ^ Sex, Visitors from the Grave, Psychic Healing: Kubler-Ross Is a Public Storm Center Again by Karen G. Jackovich. In People, October 29, 1979, page found 2011-03-05.
  11. ^ Playboy Interview with Elizabeth Kubler-Ross's' Playboy Magazine, May, 1981
  12. ^ TIME.comThe Conversion of Kubler-Ross, TIME, November 12, 1979
  13. ^ Elisabeth Kubler-Ross in the Afterworld of Entities by Kate Coleman, New West, 30 July 1979
  14. ^ Video: Elisabeth Kübler-Ross über Nahtoderfahrungen (1981) , abgerufen am 14. März 2014
  15. ^ Bild der Wissenschaft: Sind Nahtod-Erfahrungen Bilder aus dem Jenseits? abgerufen am 16. März 2014.
  16. ^ Kinofenster.de (in German)
  17. ^ Elisabeth Kubler-Ross, On life After Death, Foreword by Caroline Myss p.vii. Celestial Arts. ISBN 9781587613180

Further reading[edit]

  • Quest: The Life of Elisabeth Kubler-Ross, by Derek Gill. Ballantine Books (Mm), 1982. ISBN 0-345-30094-7.
  • The Life Work of Dr. Elisabeth Kübler-Ross and Its Impact on the Death Awareness Movement, by Michèle Catherine Gantois Chaban. E. Mellen Press, 2000. ISBN 0-7734-8302-0.
  • Elisabeth Kubler-Ross: Encountering Death and Dying, by Richard Worth. Published by Facts On File, Inc., 2004. ISBN 0-7910-8027-7.
  • Tea With Elisabeth tributes to Hospice Pioneer Dr. Elisabeth Kubler-Ross, compiled by Fern Stewart Welch, Rose Winters and Ken Ross, Published by Quality of Life Publishing Co 2009 ISBN 978-0-9816219-9-9
Viewing:

External links[edit]

2020/01/22

박성용 - >활동속에서 에너지 얻기<



(9) 박성용 - >활동속에서 에너지 얻기< 우리에게 필요한 영성은 우리의 내적 자아 및 실상과 공명하는 방식으로,...




박성용 updated his status.
22 January 2017 ·



>활동속에서 에너지 얻기<

우리에게 필요한 영성은
우리의 내적 자아 및 실상과 공명하는 방식으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출생 시에 주신 생명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위대한 정의와 평화와 사랑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행동하도록 안내하는 그런 영성이다.

- 파커 파머, <일과 영성>중에서 -

내가 시민사회에서 평화활동가로 이제는 어쩔 수 없이 자기 소명(일,직업)으로 받아들이고자 할 때 가장 내적으로 방해가 된 것은 삶의 의미에서 파커 파머와 똑같이 경험한 활동가와 관상가의 양극에서 오는 분열로 오는 고통이었다.

내가 30대말, 40대 시절에 내 삶에 중요하고 삶의 귀감으로 바라보았던 인물들이 토마스 머튼, 틱낫한, 기독교 신비주의자들(예,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소화 데레사)이나 노자 등이었고, 사실상 내 영혼의 성향이 그들로부터 힘을 얻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시민사회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때가 2002년부터였으니까 50대초에 들어오면서 비폭력과 평화훈련영역에 대한 익숙함이 몸에 배이기 시작할 200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그 갈등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즉 내가 잊거나 놓치고 있는 삶의 본질적인 측면으로서 관상에로의 이끌림이 활동에 대해 비판적이면서 내가 중요한 것을 놓치면서 살고 있지는 않은가 하는 실존적인 회의감과 불안의 내면의 목소리를 듣게 된 것이다.

이러한 목소리는 삶의 모호함과 거칠음, 구조적 폭력과 영혼의 폭력에 대한 밑이 보이지 않는 복잡성과 거대함, 그리고 자신이 선택하지 않고도 다가오는 불안과 두려움이라는 일상의 파도를 그대로 몸으로 맞는 경우에는, 하는 일이 낯설어지고 도망치고 싶어지며 회의감이 증폭되어 내 내면에서 속삭이면서 ‘이 영역에서 철수하라’는 강한 목소리를 내부로부터 직면하곤 하였다. 거기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는 게 내가 하는 활동의 영역과 내 내면의 영역 중간에 담을 쌓고는 바깥의 영역이 얼마나 거칠든 간에 내면의 영역에 정원을 가꾸는 분리의 원칙을 통해 최소한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성소를 가꾸는 데 노력을 다한 것이었다.

시민사회활동가들 중 적잖이 많은 사람들이 종교인들이고 실상 이들도 나와 비슷하게 자신의 일터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곳으로 인식되고, 방전이 되는 지침과 피로감이 올라오면 거기서 물러서서 다른 공간으로 건너가서, 예를 들면, 여행, 자연에서의 치유, 명상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에너지를 얻어 자신의 일터로 다시 돌아오는 반복을 하곤 한다. 즉 일상에서는 일하는 장소와 나의 사적인 휴식장소가, 더 나아가 활동에 있어서는 직장/일터 그리고 교회나 절/명상의 집이 서로 대척점에 서 있어서 후자가 전자의 치유와 지원을 하고 궁극적인 장소 그리고 전자는 수단적 공간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오래전부터 내게 한 가지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내면의 의문이 있었다. ‘초목이 햇빛으로 꽃과 열매를 맺지만, 또한 어둠으로 성장을 하는 것이라면, 삶의 어둠과 고통 또한 거룩함으로 가는 통로로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가?’ 시민사회 영역에 깊이 뿌리박고 고통어린 현장에 대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직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50대 중반부터 나의 관심의 영역은 어떻게 ‘일터가 성소가 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매달리게 되었다.

이 질문은 미묘하지만 확연히 다른 더 철저한 질문으로 나가게 되었다. 흔히 말하는 기독교의 ‘십자가를 통한 부활’이라는 관습적인 이해에서 보는 것처럼 부활에 이르는 수단으로서 십자가의 필요성이라는 수단적/기능적 역할이 아니라, 십자가 그 자체는 더 힘과 역할을 못한다는 목적적 경험, 곧 ‘십자가 안의 부활’이라는 고통과 지침 그 안에 ‘이미 있는 그 뭔가의 생명있는 것’에 대한 돌파의 경험에 대한 추구를 하게 된 것이다.

내가 매우 오랜 기간동안 관상가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지만, 결국은 최근에 나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뜻밖에 알게 된 것은 나는 연구자, 훈련가이기도 했지만 또한 조직가이자 활동가라는 내 능력에 대한 발견이었다. 그리고 고통의 현장에서 싸우거나 그 현장을 지켜내는 무명의 활동가들에 대해 내 눈길이 가고 마음이 움직이기 때문에 내가 그들과 함께 나눈 수 있는 것은 바로 그 저항과 대안에로의 활동이 지침과 소진이 아니라 거룩함에로 이르는 다른 ‘좁은 문’임을 어떻게 자각하고 일어서서 나가도록 도울 수 있는가에 대한 거부할 수 없는 부름을 지속적으로 듣는다.

나는 수많은 모임과 회의 속에서 대화, 문제해결, 갈등전환, 공동체형성, 미래기획 등과 관련된 활동들 한 가운데서 다양한 서클진행을 통해 무엇이 결핍하고 필요한지 보다는 이미 자신과 우리 안에 ‘충분함’이 존재하고, 접근할 수 있는 자원(resources)이 무엇인지 분별하고, 도전적인 이슈나 문제가 ‘거부하거나 저항할’ 문제(a problem)이 아니라 그동안 보지 못하고 놓친 의미 영역의 출현으로서의 새로운 탐구의 기회(an opportunity)로 보는 시야를 얻게 되었다.

만일 우리가 서클의 일반 작동원리나 조직학습 이론가인 오토 샤머의 ‘U이론’처럼 다가오는 도전, 위기, 과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때, 환대와 연결로 맞이하고, 대화와 참여로 함께 작업하며, 공동지성과 원하는 미래에 대한 초점어린 주목과 마음의 일치를 통한 선택을 하게 되면, 서클이 말하듯이 ‘거칠고 힘든 것으로 시작하여 아름답고 선한 것으로 나온다’는 이치가 작동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요한기자가 말했듯이 ‘생명을 주되 더욱 풍성하게’(요10:10)하는 활동적인 영성의 방식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주는 데 있어 파괴나 죽임이 아니라 회복이나 생명을 주는 데 주목하고(being attentive) 또한 결과가 풍성함으로 나타는 기여(giving)의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면 활동이 영성 그 자체가 되고, 일터가 그대로 성소가 된다는 깨달음이 일어난 것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핵심은 바로 불안과 두려움에서 기인한다. 그것들은 바로 ‘자극-반응’의 사이클에서 <자극>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반응>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일과 내면의 심리적 상태가 달라져 경험된다. 즉, 자극을 두려움의 한 변형으로 보면 그것은 일이 ‘부담’과 ‘짐’으로 보이며, 반응이 옳고 그름의 무자각적인 자동 반응에서 나오면 그것은 적절한 선택이 아닌 대응(reaction)의 상태로 격발되기 때문에 그 결과는 풍성함이 아닌 분리, 고통, 좌절의 상태로 추락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 안에 설정된 ‘자극-반응’의 무의식적인 사이클을 ‘자극’과 ‘반응’사이에 틈을 만들어, 멈춤을 통해 여기에 다른 형태의 ‘알아차림-선택’의 의식적 사이클을 리셋(reset)하는 것이 그 핵심이 되는 것이다(사실 이 문제는 이미 로고테라피의 빅터 플랭클이 제시한 화두이기도 하다).

‘알아차림-선택’의 사이클을 리셋한다는 것은 바로 서클의 작동원리가 보여주듯이 다가오는 것에 대한 저항보다는 환대와 연결로 맞이하고(inputing), 생명을 주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면서(programming), 결과가 풍성함과 전체성이 보여지는 방식으로 나아가기(outputing)를 의식적으로 자기 내면과 타자/그룹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시킬 때 가능해진다. 나는 지난 몇 년 동안 1:1 개인상담, 학교폭력 등의 갈등사례를 다루기, 단체 내에서의 긴장어린 문제의 해결 등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작업을 통해 그리고 내 자신이 급격히 스트레스가 없어진 원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러한 원리가 실제적이고 효과가 있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파커 파머가 말했듯이 활동적인 삶은 축복이자 저주의 양 측면을 가지고 있다. 축복은 일을 통해 창조와 보살핌을 통해 생명과 풍성함의 기회를 맛보는 즐거움과 생생함의 누림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반대로 나의 내면의 지옥, 폭력, 무미건조함, 지침을 타자에게 동료에게 그리고 심지어는 사랑하는 이에게 전염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과거 세대가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스마트폰의 초연결의 시대에 살면서 그 축복과 저주의 전염력은 실 시각으로 빠르게 전파된다. 나의 활동이 죽음과 정지 그리고 낮은 에너지라는 엔트로피의 법칙을 작동시키지 않고 열린 시스템으로써 계속적인 생생함의 활력과 신성한 에너지를 발현시키려면 무엇이 가능해져야 하는가? 나는 파머의 짧은 다음 글에서 통찰을 얻는다.

우리에게 필요한 영성은
우리의 내적 자아 및 실상과 공명하는 방식으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출생 시에 주신 생명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위대한 정의와 평화와 사랑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행동하도록 안내하는 그런 영성이다.

첫째 선택, 내적 자아와 실상과 공명하는 방식을 택하기

이것은 매우 중요한 접근 방식이다. 외부의 끊임없는 폭력, 갈등, 혼란의 침입의 파도 속에서 내가 나의 안전(security)를 확보하는 성채(castle)로서의 안전함은 불가능하다. 내 안전의 영역을 확보하고 이를 확대하는 성채개념이 아니라 폭력, 갈등, 혼란의 파도를 타고 앞으로 나아가는 윈드서핑(windsurfing)의 방식으로 우리는 안전이 아니라 생생함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그 생생함에서 안전을 얻는다. 이 윈드서핑은 나의 정체성이라는 서핑보드에 대한 인식과 다가오는 사물, 사건의 실재에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갈등과 혼란의 침입의 파도를 타면서 그것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방식으로 ‘일(work)’을 해 나간다. 즉 여기서 주목하는 것은 파도의 거칠음과 위협이 아니라 그 파도에 직면하고 환대함속에서 주의를 자기내면의 영혼의 진정한 목소리와 상황의 요청에 연결하는 –공명시키는- 방식으로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뫼비우스고리 메타포가 말하는 ‘내면의 빛’이 세상에 비추고, ‘세상의 빛’이 내면에 비추는 상호 비추는(co-reflecting) 방식이다. 자극은 입자(particle)이 아니라, 전체 에너지의 일부 패턴화된 모습이다. 따라서 그 자극을 에너지의 특정화된 패턴으로 이해된다면 다시 그것을 에너지로 풀어 파장(wave)으로 흐르게 한다. 다가오는 것을 거부할 수는 없지만, 그 파도라는 실상과 공명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생생함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선택, 본래 생명력을 구현시키는 방식이다.

나의 활동하기는 나의 본성으로서 존재(esse)와 관계속에서 역할(roles 혹은 masks)이 서로 엮어 짬으로 구성된다. 나의 역할은 삶의 무대라는 곳에서의 연기자이며 연기자는 경험자(esse)와 구별된다. 연기자(role-takers; scrip-players)는 다양한 역할을 펼쳐낸다. 시민사회 활동가, 아빠, 남편, 단체의 대표, 목사, 평화교육자, 다양한 서클모델 진행자, 기획자, 조직가, 한국사람...등등의 연기자로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역할은 구체성 곧 특정한 상황과 시간 및 특정한 관계의 매듭속에서 일어나는 적절한 행위의 표현이다. 그러나 그러한 특정한 행위가 그의 고정된 정체성으로 이해될 때 생명을 소진하며 시비/호불호의 기준에 의해 성취와 상실, 얻음과 잃음, 희망과 낙담이 교차되며 에너지를 소진하게 된다.

문제는 뇌과학과 심신면역의학에서 보듯이 ‘정당한’ 감정이나 실재가 아닌 상상력에 의한 것도 아드레날인과 코티솔이라는 스트레스호르몬을 분출한다는 점이다. 호르몬은 실재와 ‘허상’을 분간하지 않고 똑같이 작동한다는 점에서 정당성은 이해가 가지만 몸과 정서의 손상과 탈진은 막아내지를 못한다. 무대의 연기자를 그대로 인식하면서 자신이 자신의 역할을 무대에 내려와 관객으로 자기 연기를 보고 있는 ‘경험자’로 있을 때, 연기자의 얻음과 손실, 기쁨과 슬픔, 필요와 얽힌 관계라는 구체적인 연기들에 목도하는 본래의 자아는 그러한 성취나 손상없이 본래 생명력대로 있는다. 이것은 관찰을 하면서 연기자와 다른 경험자로서 전체적으로 무엇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하면서 말과 행동으로 변하지 않는 본래의 본성이 융통성있게 현존해 있는다. 여기서 계속적으로 샘처럼 발현하는 창조성과 변화가능성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세 번째 선택은 위대한 정의와 평화와 사랑을 도모하는 방식이다.

우리의 활동성이 생명을 주되 더욱 풍성케 하는 방식으로 주고받는 행위가 되려면 먼저는 자기안의 자원으로써 내적인 자기 정체성과 성실성에 대한 감각으로부터 분출해 나오는 것을 느끼는 것이 필요하다. 그 다음이 바로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미래에 대한 강렬한 열망/비전이다. 이것이 세상의 거칠은 파도에 주목하여 ‘두려움’을 생성하지 않고 그 거친 파도위를 걷는 방식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길을 연다. 거칠은 파도에 있을 때 자신이 간절히 염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상상하기’를 절실히 하는 방식이다.

신뢰의 서클 진행자모임에서 들은 한 ‘이야기’가 있다. 원주민이 바다에서 작은 돛단배를 타고 항해를 할 때, 만일 폭풍우를 만나 주변이 캄캄하여 길이 안보일 때, ‘길잡이(wayfinder)’역할을 하는 자가 그 폭풍우속에서 선수에 앉아 침묵하며 온정신을 쏟아 도착할 목적지를 상상하며 그린다. 눈에 실제로 보는 것처럼 간절히 도착할 곳을 구체적으로 그리며 앉아있으면 홀연 듯 길이 어디인지를 확연히 심증에 잡히게 된다. 그건 말로 설명하거나 증거가 있는 것이 아니지만, 명백히 알게 되는 그 무엇과 같다. 그럴 때, 그 길잡이는 동료들에게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그들은 목적지에 신비스럽게도 도착하게 된다. 내가 여기서 깊은 영감을 받는 것은 바로 풍랑의 거셈과 그 강도에 대한 이해가 아니라 목적지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 길을 낸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가야 할 목적지보다는 무엇이 안 되고 무엇이 장애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즉, 주로 우리는 안 되고 못하고 힘든 것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기충족예언의 법칙이 작동된다. 비폭력 평화에 대한 활동은 이미 수많은 폭력의 현상과 국가의 제도적 지원, 사회문화적인 경향성으로 인해 그 변화의 가능성은 ‘안 되고 못하고 힘든 것’ 투성이요, 국가폭력의 경우는 대부분 이겨본 적이 없는 이미 진 싸움의 연속이었다. 사람, 재정, 그리고 시스템과 문화가 뒷받침은커녕, 억압과 지배의 힘으로 다가온다. 그럴 때, 두렵게 느껴야할 유일한 장애는 무엇이 안 되고 할 수 없는 이유인가가 아니라 가고 싶어하는 목적지인 ‘위대한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신대륙에 대한 꿈꾸지 못함인 것이다.

활동적인 삶은 그 자체로는 사람을 만나고, 회의하고, 작업하고, 땀흘리고, 감정을 표현하고, 기획하고, 사고 팔며, 모이고 헤어지는 일상적이고 세속적인 것처럼 별로 거룩함을 느낄 수 없는 현실로 보인다. 그러나 공감하고, 연결하며, 함께 마음의 일치를 통해 창조하고, 앞으로 나가는 그 속에서 내적 자아의 기쁨과 세상의 실상과 굶주림이 서로 공명하거나, 수많은 역할의 연기속에서 경험자 자신의 본원적 생명력에 관찰로 주목하거나 또는 정의와 평화와 사랑을 도모하는 돌봄의 방식을 길잡이 삼아 나아갈 때는 활동 그 자체는 ‘익명의’ 거룩한 길이 된다. 그 속에서 ‘깊이’와 타자에로의 ‘초월’이 일어나거나, 전체성(wholeness)에 대한 민감한 감각이 솟구치게 되는 것이다. 그럴 때 엔트로피의 법칙이 아니라 내면에서 창조적 에너지의 파동이 느껴지게 된다.

(2017.1.22.)

오철근 - 『기독교 교리에서 본 세계관』ㅡ 함석헌



오철근 - 『기독교 교리에서 본 세계관』ㅡ 함석헌 2. 믿음 어제는 기독교의 근본은 유일신 신앙이라 해서,...




오철근
22 January 2019 ·



『기독교 교리에서 본 세계관』ㅡ 함석헌

2. 믿음

어제는 기독교의 근본은 유일신 신앙이라 해서, 우주간에 신은 하나라는 말, 즉 하나님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그 하나님에 대한 신앙 곧 믿음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기로 합니다.

그런데 서로 진리의 이해에 이르려 하면 아무 거리끼는 것이 없이 극히 자유로운 심경에서 이야기를 해야 되는 것인데, 이렇게 여기다 마이크를 놓고 그 앞에 서서 이야기를 하려니, 대단히 부자유한 것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참이 아니고 무슨 가짜 놀음인 것 같은 느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것이 다 진리에는 방해물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교회에서도 마이크를 놓고 설교를 하지 않느냐, 될수록 많은 사람을 듣게 하기 위한 것이 무엇이 나쁘냐고 반문을 하는 이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그것은 모르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교회가 무력한 것입니다. 심령이니 신앙이니 하는 말은 역시 최대한 직접 육성으로 들을 만한 정도의 사람이 모여서 할 것이지 기계적이 되면 효과가 없는 것입니다. 인격적 접촉의 문제입니다. 말하는 것은 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요 몸으로 하는 것이며, 듣는 것은 음파만을 듣는 것이 아니요 영파(靈波)에 아울러 음파를 듣는 것입니다.
같은 소리를 기계로 확대하여 동시에 여러 사람이 듣는 것이 좋지 않으냐 하는 이러한 장치는 다 모든 것을 물질적으로 환산을 하려는 현대심리의 그릇된 데서 나오는 것입니다. 옛날의 교육과 종교가 그 교리, 교재의 내용이나 교육방법에 있어서 현대보다 훨씬 빈약하면서도 퍽 효과적이었던 것은 까닭 없는 일이 아닙니다.



현대문명의 밑을 흐르고 있는 근본 경향은 ‘크게’ ‘빨리’ ‘줄곧’이라는 것인데 그것을 한 말로 통합해 표하면 ‘크게’라는 것입니다. 이 마이크란 것도 거기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나 생명과 진리는 여기서 멉니다. 이것은 전혀 기계적으로 말단적 결과만을 볼 뿐이요, 생명의 산 과정을 무시하는 말초신경 대상적인 생각입니다. ‘크게, 크게’ 하지만 큰 것은 참은 아닙니다. 물론 근본을 말하면 참이야말로 큰 것입니다. “하나님은 크십니다.” 그러나 현대인이 구하는 큰 것은 참 큰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big 이지, great 가 아닙니다. big은 양적으로 큰 것이요, great 는 질적으로 큰 것입니다. 양적으로 대란 것은 질적으로 대인 것 즉 참 큰 것의 표현의 한 끄트머리뿐입니다. 현대인이 양적으로 큰 것을 추구하는 것도 그 알지 못하는 밑에는 참 큰 것을 요구하는 본질적인 생명의 희구에서 나온 것임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깊은 자각에 이르지 못하고 한갓 피상적인 결과만을 보기 때문에 big 이 되어버렸습니다. 현대를 상징하는 것 중에 이것처럼 적절한 것은 없습니다. 대국, 대도시, 대교회, 대대학, 대중. 그러나 현대는 비만형이 되는 대신 두뇌를 잃어버렸습니다. 현대의 혼란은 정신과 심정의 빈곤에서 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류가 나오기 전, 지구 위에 일시 횡행하다가 갑자기 멸망해버린 파충류의 역사는 비대한 체구에 빈약한 두뇌가 어떤 운명을 만난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크다는 이야기가 나왔으니 옛날 사람이 큰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나 하는 것을 하나 이야기 하겠습니다 중국 송대 육구연(陸九淵)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열 일곱 살 때에 ‘대인(大人)’이란 제목으로 지었다는
시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從來膽大胸膈寬(종래담대흉격관) 虎豹億萬虯龍千(호표억만규룡천)

從頭收拾一口呑(종두수습일구탄) 有時此輩未妥恬(유시차배미타념)

哮吼大爵無毫全(효후대작무호전)

朝飮渤海水(조음발해수) 暮宿崑崙顚(모숙곤륜전)

連山以爲琴(연산이위금) 長河爲之絃(장하위지현)

萬古不傳音(만고부전음) 吾當爲君宣(오당위군선)



그 뜻을 대략 말한다면 이렇습니다. 본래 속이 크고 넓어서 호랑이요 용이요 하는 것이 억도 만도 들어갈 수 있다. 그런 것을 머리에서부터 꼬리까지 통으로 삼킨대도 시원할 것이 없고, 훌떡 삼켜 터럭도 남길 것이 없다. 차라리 아침에 발해수를 마시고, 저녁엔 곤륜산 꼭대기에 턱 누워, 그 곤륜산에서 동해까지 치닿는 산맥을 거문고로 삼고, 황하, 양자강을 그 거문고 줄로 삼아 만고에 전하지 못한 소리를 한번 아뢰어볼까 하는 것입니다. 호표요 규룡이요, 하는 것은 소위 세상에서 크다는 큰 것 즉 국토를 개척하느니, 천하를 통일하느니, 하는 영웅사업을 가리킨 것입니다. 그러나 소년 육구연의 생각에 그것이 위대할 것이 없다 생각됐습니다. 발해수, 곤륜산은 천지 전체, 우주 전체를 가리킨 것이요, 만고에 전하지 못한 소리란 정신적인 진리를 가리킨 것입니다. 정말 위대한 것은 우주 전체에 참여함이요, 더구나도 보이는 현상 속에서 보이지 않는 진리를 읽어내는 그 일이란 말입니다. 이것은 마이크를 만들어가지고 세계 사람을 다 내 청중으로 만들어보자는 것과 비할 때 어떠합니까? 훨씬 더 크지 않습니까? 만고부전음(萬古不傳音)을 오당위군선(吾當爲君宣)이라,
그 얼마나 큽니까? 큰 것은 양에 있지않습니다. 만고에 전하지 못한 우주 근본 진리는 악기 아닌 악기로써, 음파 아닌 음파 곧 영파를 타고 전해질 것입니다. 정신의 활동입니다. 인격적 접촉입니다.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다 물질주의에서 오는 이 부자유한 구속을 조금이라도 깨치고 여러분의 심혼에 직입하는 접촉을 할까 해서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런 마이크니, 속기반이니 하는 것을 놓고 하는 피상적인 교육주의에서 오는 강의니, 강연이니 하는 것을 집어치우고, 여러분이 나와 무릎을 겯고 앉아서, 말을 한다면 “너 믿어야 된다, 참 생명을 가지려거든 믿는 것 외에 없다” 할 것입니다. 말로 그런 말을 하자는 말이 아니라, 내 믿음으로 한단 말입니다. 이심전심이라, 맘으로 맘에 전한다는 말이 있지만, 이신전신(以信傳信)입니다. 믿음은 믿음으로만 전해질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부득이 말로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신전신이란 믿음은 심정, heart의 일이란 말입니다. 맨 첨에 여러분더러 따뜻한 심정을 가지란 것도 이래서 한 말입니다. 심정이란 말은 다른 말 아니고 전인격(全人格)이란 말입니다. 『중용』에서 말하는 ‘중’(中) ‘성’(誠)의 자리입니다. 지정의미분(知情意分), 즉 분열이
생기지 않은 근본아(根本我)입니다. 믿음의 대상은
하나님인데, 절대자인데, 하나님은 그 근본아로써
“맘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해서 주 너희 하나님을 섬기라” 했고, 맹자도 “맘을 다하는 자는 그 성을 알고, 성을 알면 하늘을 안다” 고 했습니다.



종교는 믿는 일입니다. 일반으로 “종교 믿는다”하는 그대로입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그중에서도 특히 믿음을 강조하는 종교입니다. 좀더 엄정히 말하면 ‘신앙만’이라 해서, 신앙을 위하여 다른 모든 것을 거부배척까지 하려는 종교입니다. 이 점은 유교, 불교와 비교해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절대자에 대하는 같은 지경을 말하면서도 유교에선 그것을 ‘학’(學)으로 표시하고, 불교에선 그것을 ‘각’(覺)으로 표시합니다. 같다면 같은것이지만 또 다른 것이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신이란 것이 어디까지나 심정적인 대신에, 학이나 각은 근본에서 전인격적인 것은 같으면서도, 아무래도 다분히 지적인 태도가 들어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유교는 말할 것도 없고, 불교까지도, 그 깊은 신봉자 자신들이 이따금 불교는 종교가 아니고 철학이라고 말하는 이가 있는 것이 무리가 아닙니다. 기독교에서는 2천년간 그 역사의 주요한 일이 주지주의나 행동주의와 싸워온 것입니다. 그만큼 신앙을 강조합니다.



그래 한마디로 하면 “너 믿어야 된다”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말하는 것은 어떤 신앙개조(信仰箇條)를 강요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께서 ‘믿어라’ 할 때는 그런 의미로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신앙을 결코 개조적으로 고정화하지 않았고 사람에게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예수께서 비유, 우화를 교묘하게 많이 쓴 것은 일반이 잘 아는 일이지만, 그것이 바로 이 신앙의 개조적 경화를 피하기 위해서 하신 것이요 흔히 “듣는 귀를 가진 자는 들으라” 하는 말귀를 쓰셨지만, 이것은 신앙이 어디까지나 자유로운 생명의 운동이요, 강제로 되는 기계적 수입이 아님을 아셨기 때문입니다. 정통적인 기독교회에서는 어떻게 말하는지 몰라도, 적어도 내가 아는 예수는 그렇습니다. 정통주의자가 너의 그것은 기독교는 아니다 해도 별 수가 없고, 또 관계가 없습니다. 교회요, 교파요, 신조요, 하는 것은 다 믿는 심령이 믿어서 살고 난 껍질입니다. 생명의 차가 지나간 바퀴 자리입니다. 껍질에서 생명을 찾고, 바퀴 자리에서 운동을 찾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신조니, 교리니, 외적 발표에 관한 한, 나는, “너 믿는 종교에 철저해라” 합니다. 반드시 나와 같은 교도되기를 강요하지 않습니다. 예수로 인하여 내가 아는 하나님은 정신 영(靈)에 있고 참에 있지, 맘에 있지, 어느 종교나 어느 교회에 있지 않습니다. 인종의 색이나 형이 인간본질에 아무 관계가 없는 것처럼, 교회제도와 교리 신조가 신앙의 본질에 하등관계가 없습니다. 물론 교회 없이, 신조 없이 종교가 있을 수 있단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득어망전(得魚忘筌)이요, 득의망어(得意忘語)라고, 고기 잡기
위한 통발이요, 뜻 알기 위한 말이지, 수단과 목적을 바꾸어서는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런데 세상에 고기 대신 통발을 놓고, 뜻 대신 말을 지키는 종교가 어찌나 많은지!



그러기 때문에 내가 “너 믿어야 된다”하면서, 곧 첨부하고 싶은 말은 “그러나 교회에는 가지 말라”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기성교회 안에는 초심자가 판별하기에는 어려울이 만큼, 곡식 밖에 잡초가 더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기성교회 안에 물론 진리가 깃들여 있습니다. 그러나 거짓은 더 많이 있습니다. 거기 미혹되지 않기 위해 교회에 가지 말라는 것입니다. 교회가 하나님은 아닙니다. 하나님보다 교회가 앞설 때 교회는 하나님 계신 곳이 아니고, 우상이 있는 곳입니다.



첫째 붙들 것은 내 맘입니다. 하나님을 찾아 알 수 있는 능력은 교회제도의 유무에 불구하고, 선천적으로 본질적으로 우리 맘에 있습니다. 그것을 스스로 밝힐 것입니다. 인위적 모든 침해로 많은 상처를 입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래의 면목을 유지하는 것은 인간성입니다. 밝아진 인간성이야말로 모든 종교제도의 건물이 서는 반석(베드로)입니다.

그러나 그 인간의 본성은 저절로는 밝아지지 않습니다. 표준이 있어야 합니다. 비치는 빛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개개인의 본성 위에 엄연히 서는 것이어야 합니다.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것이어야 할 것입니다. 성경이 그것입니다. 고로 바른 신앙은 성경에 의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교회는 그때에 곧, 교회 안에야말로 성경은 있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속아서는 안됩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교회를 낳는 것이지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낳는 것은 아닙니다. 성경은 이날껏 교회 때문에 유지되어온 것이 아니고, 교회와 싸워 살아온 것입니다. 성경의 참 적은 교회 밖에 있지 않고, 교회 안에 있었습니다. 외적은 책을 없애려 했지만 교회내의 적은 그것을 썩히고, 더럽히고, 꾸부리고, 변질시키려 했습니다. 성경이야말로 만신창이의 승리자입니다. 따뜻한 심정과, 덮어 죽이려고 물건을 던지면 던질수록 점점 더 불길이 일어나는 산 불길 같은 성경, 그 둘 사이에서 신앙의 불꽃은 일어나는 것입니다.



믿으라 할 때, 현대인에게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현실문제인 듯합니다. 신앙생활이 좋은 줄은 알지만 현실 문제를 어찌 합니까, 하는 질문은 비교적 양심적인 사람에게서 반드시 듣는 말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그리 만든 것도 경화된 기성 교회지 예수가 아닙니다. 예수만 아니라 본래 모든 종교는 현실에 고뇌하는 인간을 보고 거기 해결을 주려고 나온 것이지, 문제를 회피시키거나 잊어버리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께서는 길을 잃어버린 양떼같이 헤매는 사람들을 보고 그냥 있지 못해 일어나신 것이었습니다. 제자들을 파견하면서 사마리아로 가지도 말고, 이방 길로 가지도 말고, 이스라엘 집 잃어버린 양에게로 가라 한 것은 그가 얼마나 현실에 관심을 가졌나 하는 증거입니다. 현실에 참혹한 것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관념화한 내세주의에 도피하려는 것은 생명을 잃고 고형화한 제도교회의 특징입니다. 산 신앙을 가져 현실에서 유리될까 걱정할 것 없습니다. 도리어 신앙 이외의 다른 것을 가지고 현실문제를 해결할 길이 없습니다. 그것은 현재 북구의 소국들과 인도가 좋은 실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현실주의인 미국의 여론이 세계적인 위인을 뽑는데 간디와 슈바이처를 꼽는 것은 현실문제의 해결이 산 신앙 이외에 있을 수 없다는 증언입니다. 그리고 그 둘은 다 교파적인 신자가 아닙니다.



왜 현실문제가 믿음 아니고는 해결 될 수 없는가? 그것은 다름 아니고 믿음이란 곧 윤리적인 세계질서를 세우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세계에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각 부문의 전문가더러 그 해결책을 말하라면 실로 이루 헬 수 없는 여러 가지 설명과 안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졸이고 졸여 실천에 옮기게 된다면,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바르게 한다는 한마디에 돌아갈 것밖에 없을 것입니다. 문제는 사람이 사람을 인격적으로 대하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즉 윤리문제입니다. 이 의미에서 모든 것을 기술적으로 방법론적으로 심리적으로 생각하려 하는 현대인보다는 너무 소박한 듯하지만 “네 자신을 알라” 한 희랍 옛 철인의 말이라든지, “일일극기복례(一日克己復禮)면
천하귀인언(天下歸仁蔫)”이라 한 동양 옜 성인의
말이 훨씬 더 옳은, 변할 수 없는 진리라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현대어로 한 것이 곧 아프리카 밀림의 성자 슈바이처의 말입니다. 그는 부르짖습니다 ⎯⎯ 윤리적인 세계관을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고. 서양문명의 중심지대에 나서 면밀한 관찰과 성실한 실천을 한 그는 철학자, 신학자, 예술가로서의 지위를 내 버리고 40년 생애를 인도주의를 위해 바치는 그는 과학적인 세계관도 심미적인 세계관도 형이상학적인 세계관도 세계를 구할 수는 없고, 다만 그것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함같이 너희도 온전해라” “네 이웃을 사랑해라” 하는 단순한 갈릴리인이 죽음으로써 주장했던 그 사랑의 윤리로써 세계질서를 세우는 것으로만 가능한 것을 체험해 얻은 것입니다. 그러기에 그의 말은 허다한 학자의 말보다도, 종파적인 종교가의 말보다도 천만 근의
무게가 있는 것입니다.



물자의 생산 분배가 균일히 못되는 것이 근본 문제가 아닙니다. 세력의 균형이 잘 되지 못한 것이 근본 문제가 아닙니다. 취미의 서로 다른 것이 문제가 아닙니다. 사람의 맘과 맘이 통치 못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통치 못하는 것은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믿지 못하는 것은 인격관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격관념이 없는 것은 이웃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인격은 홀로서는 생기지 못합니다. ‘나’에 대하는 ‘너’가 있고서야 됩니다. 그러나 나와 너가 그저 대립만 하는 것으로는 안됩니다. 대립하면서도 서로 하나인 것을 자각하는 것입니다. 대립하면서도 하나인줄을 아는 것은 통일입니다. 윤리적 세계관이란 인격적 세계관입니다. 우주인생을 한 개 산 인격적인 생명으로 자각하는 일입니다. 문제는 이 우주를 산 것으로 보느냐, 또는 죽은 기계로 보느냐 하는 데서 갈립니다. 고래로 혼란에 빠진 시대에 새 통일을 준 것은 언제나 고등한 윤리를 가진 종교였습니다. 썩어지고 침체한 사회를 일변해 청신한 창작적인 생명력을 주는 것은 고등한 윤리입니다. 그리고 이 윤리의 정도는 그 통일하는 세계의 크고 작음에 따라 측정이 됩니다. 씨족사회를 통일하던 효(孝)보다는 국가를 통일하던 충(忠)이 보다 높이 놓였고, 국가주의의 충효윤리보다는 세계주의의 사해동포윤리가 한층 더 높았습니다. 이 의미에서 ‘하늘나라와 그 의’를 고조하는 예수의 종교는 궁극 최고의 윤리를 주는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믿음이란 절대자와 인격적 관계에 들어감에 의하여 우주에 산 통일을 주는 일입니다.

지금까지 인류가 세계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가장 많이 취한 방법이 전쟁이란 것입니다. 그것은 폭력으로서 서로 반대되는 편을 없애버림으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가장 졸렬한 방법입니다. 수천 년 전부터 모든 어진 교사들은 그것이 아니란 것을 부르짖어왔습니다. 그리고 서로 하나 되는 길을 취해서만 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왔습니다. 그것이 종교입니다. 그중에도 가장 분명히 가장 힘있게 .가르쳐준 이가 예수입니다. 믿음이란 하나인 생명에 하나됨입니다.



1903 조성환 삼일절 200주년을 준비하며 The Future is Gaebyeok!


조성환/이병한의 [개벽파 선언]
종료된 기획칼럼
삼일절 200주년을 준비하며조성환 2019.03.08 0 COMMENTS


The Future is Gaebyeok!

싱가포르에서 접하셨다는 “The Future is Asian”이라는 책 제목이 대단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우리 식대로 바꾸면 “The Future is Gaebyeok!”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개벽파를 자처했다는 것은 우리의 미래를 개화학이 아닌 개벽학에서 찾겠다는 선언에 다름 아니니까요.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학술대회를 디자인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대화마당을 만들어 간다면 지금처럼 생기 없고 늘어지는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학술대회 자체를 개벽해 나가면 되니까요.토착적 근대화 학술대회

그래서 오는 8월 15일-16일에 열릴 한일공동학술대회 「지구적 근대와 개벽운동」은 오랫동안 실천 현장에 계셨던 분들도 모실 예정입니다. 협동조합운동의 이남곡 선생님, 공동체운동의 유상용 선생님, 한살림운동의 김용우 선생님 등이 참여하시기로 했습니다. 이번 학술행사는 2017년 가을부터 원광대에서 시작된 ‘자생적 근대와 개벽사상’ 학술대회의 시리즈로, 벌써 4회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횟수를 거듭할수록 대중의 관심과 논의의 수준도 높아지고 있고요.

이번에는 지난 2년간의 축적을 바탕으로 익산을 벗어나서 서울에서 판을 벌일 생각입니다. 일본에서는 기타지마 기신, 오구라 기조, 가타오카 류 교수님을 비롯하여 총 다섯 분의 발표자를 모실 예정인데, 모두 한국사상과 개벽사상에 조예가 깊은 ‘지한파’ 학자들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경희대 김상준 교수님의 「후기근대에 다시 보는 동학혁명과 개벽사상」을 비롯하여, 『소태산평전』의 저자 김형수 작가님의 「신동엽이 노래한 자생적 근대」, 『정지용의 시와 주체의식』의 저자 김영미 선생님의 「정지용의 자생적 근대문학」, 그리고 선생님의 「중국의 ‘개벽파’, 량수밍의 향촌건설운동」 등의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하자센터 삼일절 행사은빛순례 매듭마당

이번 기획은 작년 학술대회가 끝난 직후부터 6개월 동안 준비하였는데, 발표자들이 하나같이 ‘개벽’에 공감하고 계시는 분들이라 한층 더 심화된 학술마당이 되리라 기대됩니다. 제 개인적인 바람인데, 내년 학술대회 때에는 개벽포럼에 연사로 오시는 은빛순례단의 도법스님이나 ‘다른 백년’의 이래경 이사장님, 하자센터의 공공하는 청년들도 발표자로 모시고 싶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론과 실천, 대학과 현장의 소통과 연대를 쌓아나가면 개벽학의 얼개가 조금씩 잡혀지겠지요.

그래서 하노이의 북미회담 결과에는 크게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노자』가 “총애를 받으나 욕됨을 당하나 놀란듯이 하라”(寵辱若驚)고 했듯이, 우리는 우리의 길을 묵묵히 가면 되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선생님이 서신의 마지막 부분에 밝히신 향후의 계획에 크게 공감하고 한껏 고무되었습니다. “연구자의 자세로 올해 ‘범개벽파’의 집합지성이 쏟아낸 각종 3.1혁명론을 요령껏 갈무리”하는 일이야말로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작업이고, 선생님이야말로 가장 적임자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개벽으로 다시 보는 한국 근대

“삼일절은 개벽절이다!”는 선언은 대단히 통쾌합니다. ‘개벽’으로 한국 근대를 다시 보아야 한다는 제 생각과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사실 삼일만세운동은 ‘동학농민개벽’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마치 80년대에 전대협이 전국의 대학생 조직을 규합하고 대규모 행사를 기획하는 경험을 해 보았듯이, 1894년에 한국인들은 이미 전국적으로 판을 짜 본 것입니다. 그래서 25년 뒤에 재현하기가 수월했을 것입니다. 이 양자에 걸쳐 있는 인물이 손병희입니다. 손병희는 동학을 재건한 최시형의 제자이자 천도교의 창시자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시각은 아직까지는 일반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삼일운동 100주년을 맞아서 각 종교계는 물론이고 학계와 정치계에서 다양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동학농민운동과 삼일만세운동의 연관성>에 대해서 ‘사상사적’ 맥락에서 접근한 연구는 못 본 것 같습니다. 3.1운동은 천도교가 주도했고, 천도교는 동학의 후신이며, 동학농민운동과 3.1만세운동은 모두 비폭력평화운동을 지향했다는 정도의 연관성만 지적되고 있는 정도입니다.

사실 ‘자생적 근대’라는 관점에서 보면 삼일만세운동뿐만 아니라 한국 근현대의 곳곳에서 개벽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가령 프롤레타리아작가로 분류되는 포석 조명희(1894~1938)의 시어(詩語)는 생명에 대한 예찬으로 가득 차 있는데, 저는 이것이 동시대의 일본이나 인도의 생명주의의 영향이라기보다는 동학‧천도교의 영향으로 생각됩니다. 실제로 <생명의 수레>라는 시에서는 ‘우주생명’이라는 동학‧천도교 개념을 사용하고 있고, 1925년에는 『개벽』지에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으니까요. 그래서 조명희는 단순한 ‘프로작가’라기보다는 동학‧천도교의 생명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개벽적 프로작가’ 정도로 분류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더 쉬운 예로는 신동엽의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나 <금강>을 들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은 두말할 나위 없이 동학사상을 담은 개벽문학으로 분류되어야 마땅할 것입니다. 또한 ‘개벽’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지만, 흔히 ‘모더니즘’ 계열로 분류되는 시인 정지용도, 김영미 선생님의 해석을 참조하면, <향수> 같은 작품에서 천지인(天地人)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 점으로 보면 ‘코리안 모더니즘’이나 ‘자생적 근대문학’으로 불려야 마땅하다고 봅니다. 전통적인 천지인의 세계관을 서양의 모더니즘이라는 양식에 담아냈다고 볼 수 있으니까요.

이런 점들은 오는 8월 학술대회에서 자세히 논의되리라 생각하는데, 이와 같이 그동안 잊혀지고 무시되어 왔던 개벽사상이나 자생적 근대의 흔적들을 드러내는 작업이야말로 개벽학의 기본과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3월 1일은 개벽의 날

저는 이번 삼일절에 엉뚱한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서양식 신정도 아니고 중국식 구정도 아닌 한국식 삼일절을 실질적인 새해의 첫날로 생각하면 어떨까 하는-. 아마 100주년이라는 특별한 시점이어서 이런 생각이 들었던 것 같은데, 뭔가 한 해를 여는 출발점으로 삼기에는 안성맞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00년 전에 만세운동에 동참했던 한국인들도 이런 심정이 아니었을까요? 3월 1일을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는 출발점으로 삼자는-. 그래서 3월 1일은 한 해를 시작하는 ‘개벽의 날’로 삼기에 충분합니다.3.1백주년 만북울림

실제로 지난 3월 1일에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만북울림 행사에서 낭독된 <만북으로 열어가는 새로운 100년 선언문>에는 ‘개벽’이라는 말이 아홉 번이나 사용되었습니다. 이 정도면 가히 ‘개벽선언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삼일운동을 개벽운동의 일환으로 보겠다는 관점과, 개벽정신을 이어서 한국을 개벽하자는 의지가 담겨 있으니까요. 불교계에서도 비슷한 관점이 나왔습니다. 법륜스님은 삼일절을 앞둔 인터뷰에서 삼일운동을 “민(民)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개벽운동의 일환”으로 해석하셨습니다. 동학의 연장선상에서 삼일운동을 보고 계신 거죠.

반면에 20여 년 전인 1999년에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 주최로 열린 3.1운동 80주년 행사에서 낭독된 <삼일정신현창선언문>에는 ‘개벽’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개벽’에 상응하는 “새 하늘 새 땅”, “신천지(新天地)”, “새 세상 새 문명”, “생명과 영성”이라는 말은 나오고 있습니다. 해월 최시형 선생이 『해월신사법설』의 「개벽운수」에서 “新乎天, 新乎地”를 말하고 있는 것과 상통합니다. 아마 다양한 종교단체들의 모임이라서 ‘개벽’이라는 용어를 피해서 표현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저는 이 20년간의 차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의 “자각적 근대”라는 표현을 빌리면, 이번 <만북선언문>은 일종의 ‘자각적 개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야 ‘개벽’이 자각되기 시작한 것이지요. 무의식에서 의식의 영역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셈입니다. 그래서 삼일만세운동도 개벽운동의 일환으로 보이고, 그 연장선상에서 지난 촛불시민혁명도 이해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마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흑인운동가 스티브 비코(1946~1977)가 ‘흑인자각론’과 ‘흑인의식운동’을 전개했던 것처럼, 지금의 개벽바람은 우리 역사에서 잊혀졌던 ‘개벽의식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석의 근대

동학‧천도교 연구자인 정혜정 교수님은 천도교의 근대를 ‘번역의 근대’가 아닌 ‘해석의 근대’라고 하였습니다. 서양 근대사상을 동학‧천도교의 틀로 재해석하여 받아들였다는 뜻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선생님이 언급하신 오상준의 『초등교서』를 들었습니다. 저는 ‘해석의 근대’라는 표현에 무릎을 쳤습니다. 천도교의 사상사적 의미를 정확하게 짚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가령 오문환 교수님이 주목하신 오상준의 ‘공개인(公個人)’ 개념은 동학적 공인(公人)과 서학적 개인(個人)을 절묘하게 조합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학‧천도교에서는 모두가 전체의 하늘(한울)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인’이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늘을 모시고(侍天主) 있다는 점에서는 독립된 ‘개인’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요. 일종의 “따로 또 같이”와 같은 인간관입니다. 이 중에서 ‘따로’ 부분을 서양적인 ‘개인’ 개념으로 표현하고, 그 의미를 강화한 것이지요. 그래서 ‘공개인’은 동학의 천인(天人)적 인간관으로 서학의 근대적 인간관을 ‘해석한’ 개벽적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일제강점기의 한국인의 진화사상을 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21일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3.1혁명과 대한민국의 탄생」이란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렸는데, 이날 발표자이신 한림대 신주백 교수님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을(1910년) “사회진화론을 극복한 평화론”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탈(脫)진화론적 동양평화론이 양육강식에 입각한 이토 히로부미 식 동양평화관과 충돌하였다고 분석했습니다. 저는 이날 토론자로 참가했는데 대단히 중요한 지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에 서양의 진화론은 약육강식의 세계관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다름 아니었는데, 이러한 세계관에 거부감이 있는 한국인들은 평화사상에 바탕을 둔 ‘한국적 진화론’을 전개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1916년에 원불교를 창시한 박중빈은 “강자·약자 진화상(進化上)의 요법”을 설파하여 강자와 약자가 함께 살 수 있는 상생의 진화론을 전개합니다. 강자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정신으로 약자를 보호해 주고 진화시켜야 영원한 강자가 될 수 있고, 약자는 강자를 선도자로 삼아 배우고 힘을 길러야 강자로 진화하게 된다는 사상입니다. 마치 맹자가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섬기는 것은 하늘을 즐기는 것이고(樂天),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기는 것은 하늘을 두려워하는 것이다(畏天)”고 한 것과 유사합니다.

마찬가지로 천도교 이론가인 이돈화도 󰡔신인철학󰡕(1930)에서 서양의 ‘과학주의 진화론’과 대비되는 ‘수운주의 진화론’을 설파하였습니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약육강식의 원리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동학’사상에 의탁해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서구 근대사상을 나름대로 해석한 ‘해석의 근대’라고 볼 수 있겠지요.풍물마당



유학의 개벽

이런 개벽파의 ‘해석’ 정신이 요즘에 ‘다시 개벽’으로 귀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이 ‘개벽’의 관점에서 삼일운동이나 량수밍을 이해하고 있고, 인류세나 포스트 휴먼을 내다보는 것도 그런 일환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량수밍이라는 학자의 존재는 제가 중국유학을 부러워하는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조선이나 한국에서는 향촌교육을 하는 유학자는 들어봤어도 향촌운동을 하는 유학자는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량수밍은 이론실학자가 아닌 실천실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으로 보면 간척사업과 협동조합으로 시작한 원불교 창시자 박중빈과 비슷합니다. 지적하신 대로 진정한 생명유학, 생태유학의 개척자입니다.

량수밍은 대학원 과정에서 잠깐 배운 적은 있지만 ‘개벽’의 눈으로 다시 보니 완전히 새로운 사상가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점에서는 풍우란이나 모종삼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 현대 신유학자입니다. 19세기 말의 량수밍에서 오늘날의 원테쥔에 이르는 계보는, 한국으로 말하면 19세기 말의 최시형에서 20세기의 윤노빈-김지하-장일순으로 이어지는 원주의 생명학파에 비견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한국유학이 진정으로 개벽되려면, 또는 ‘해석의 근대’와 같이 ‘해석의 유학’으로 거듭나려면, 『대학』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사이에 ‘공공(公共)’을 넣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신-제가-<공공>-치국-평천하” 이런 식으로요-. ‘공공’은 당연히 시민사회나 공공영역에서의 실천윤리를 가리킵니다. 달리 말하면 가족과 국가 사이에 시민이라는 공공집단을 넣어서 양자를 매개하는 거죠. 제 생각에는 전통에서 현대로 넘어오면서 아직 이 영역이 철학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을 채워 보려고 노력한 것이 천도교나 원불교라고 생각되고요. 천도교의 ‘공개인’ 개념이나 원불교의 ‘공공’ 개념이 그러한 증거입니다. 개화파는 처음부터 수신(修身)에서 시작하지는 않을 테니까요.태극소녀

실은 지난 3월 1일에 삼일절 행사를 보러 광화문에 갔는데, 대규모 태극기부대의 집회 광경에 놀람과 충격을 받았습니다. 정치적 구호도 구호지만, 무엇보다도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악소리가 어찌나 큰지 옆 사람 얘기가 들리지 않을 정도였습니다. 광장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집회를 하는 것은 좋지만 공공장소에서는 타인을 배려하면서 자유를 행사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했습니다.

생각해보면 교토포럼의 공공철학은 실로 수신제가(修身齊家)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사이에서 공공(公共)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최근에 접한 이남곡 선생님의 『논어: 삶에서 실천하는 고전의 지혜』도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해석한 『논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공공유학’이나 ‘개벽유학’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이런 식으로 유학이 개벽되지 않으면 오늘날에 뿌리내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런 점에서 유학자가 향촌으로 뛰어드는 중국은 역시 유학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100년 후의 삼일절

마지막으로 삼일절 200주년을 공공(公共)하며 이번 답신을 마칠까 합니다. 선생님이 이사로 계신 ‘다른 백년’의 문제의식은, 그 이름에서 단적으로 나타나 있듯이, 100년 후의 삼일절을 준비하는 데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미래학이라고 할 수 있고요. 지난주에 ‘다른 백년’의 이래경 이사장님을 만나 뵐 기회가 있었는데, 제가 흔히 대학에서 만나는 교수님이나 미디어에서 접하는 경영인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일종의 ‘영성적 경영인’이라고나 할까요?

동학의 ‘유무상자(有無相資)’를 이상적인 경제 원리로 생각하고 계셨는데, 동학적으로 말하면 일종의 ‘도상(道商)’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20세기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고민하고 계셨습니다. ‘백년의 연장’이 아닌 ‘백년의 개벽’을 준비하고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이런 분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한국사회가 조금씩 개벽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와 희망이 들었습니다.(좌)개벽학당, (우)개벽포럼에의 초대

개벽학은 삼일절 200주년을 준비하는 ‘학’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사라지지만 그다음 세대, 그다음 다음 세대를 위한 ‘공공학’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것이 ‘공공’의 차원이자 ‘세대 간의 공공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달부터 <개벽학당>과 <개벽포럼>이 시작됩니다. 이것만으로도 2019년은 ‘개벽학 원년의 해’라고 하기에 충분합니다. 이렇게 100년이 쌓이면 삼일절 200주년이 되겠지요.

100주년
3.1절
FEATURED
개벽
개벽포럼
개벽학당
근대
삼일절
유학
학술대회

글 탐색
PREVIOUSPREVIOUS POST:

하노이회담을 깨뜨린 책임은 트럼프식 분열 정치였다

NEXTNEXT POST:

주권을 유린당하는 베네수엘라

조성환


『한국 근대의 탄생』을 썼고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번역하였다. 지금은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에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