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1

Rainer Maria Rilke pyramid of consciousness

Rainer Maria Rilke Quotes (Author of Letters to a Young Poet) (page 37 of 52) | Goodreads

“Extensive as the "external" world is, with all its sidereal distances it hardly bears comparison with the dimensions, the depth-dimensions, of our inner being, which does not even need the spaciousness of the universe to be, in itself, almost unlimited... 
It seems to me more and more as though our ordinary consciousness inhabited the apex of a pyramid whose base in us (and, as it were, beneath us) broadens out to such an extent that the farther we are able to let ourselves down into it, the more completely do we appear to be included in the realities of earthly and, in the widest sense, worldly, existence, which are not dependent on time and space. 

From my earliest youth I have felt the intuition (and have also, as far as I could, lived by it) that at some deeper cross-section of this pyramid of consciousness, mere being could become an event, the inviolable presence and simultaneity of everything that we, on the upper, "normal," apex of self-consciousness, are permitted to experience only as entropy.”

― Rainer Maria Rilke
===

"외부" 세계가 광대하기 때문에 모든 항성 거리와 함께 우리 내면의 차원, 깊이 차원과 거의 비교할 수 없으며 우주의 넓음 자체가 거의 무제한일 필요조차 없는 ...

마치 우리의 평범한 의식이 피라미드의 정점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피라미드의 정점은 우리 안에 있는(말하자면 우리 아래) 우리가 더 멀리 보낼 수 있을 정도로 확장됩니다. 그 속으로 들어갈수록 우리는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세속적 실재와 가장 넓은 의미에서 세속적 실재에 더 완전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나는 이 의식 피라미드의 더 깊은 단면에서 단순한 존재가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있다는 직관을 느꼈습니다. 자의식의 정점인 "정상적인" 상부에 있는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은 엔트로피로서만 경험하도록 허용됩니다."

===

O hours of childhood,

when, behind the images, there was more

than the past, and in front of us was not the future.

We were growing, it’s true, and sometimes urged that

we soon grew up, half for the sake

of those others who had nothing but their grown-up-ness.

And were, yet, on our own, happy

with Timelessness, and stood there,

in the space between world and plaything,

at a point that from first beginnings

had been marked out for pure event.

The world of the child in contrast to that of adults has moments in eternity where the past and future are absent from consciousness in the intensity of gaze, or play. The child exists in the space between world and plaything. Rilke, in his essay on Dolls of 1914, asks us to remember one of those toys, those things of childhood, which first focused attention on the other, even though an inanimate other, some ‘forgotten object that was ready to signify everything. He suggests the child experiences ‘through its existence, its humdrum appearance, its final breakage, and enigmatic exit, all that is human, right into the depths of death.’ 

What the child experiences, and the adult finds so hard to recover, is unconditional being, in moments of intensity which for the child are casual and everyday, those instances of conscious awareness that Rilke calls pure event. In a letter of 1903 he praised the hours of loneliness ‘vast inner loneliness’ from which the child regards the alien adult world it fails to comprehend, because those hours enshrine a precious and ‘wise lack of understanding’ that remains connected to pure event. And elsewhere, in a letter of 1924, he describes the intuition that at some deeper cross-section of this pyramid of consciousness, mere being could become an event, the inviolable presence and simultaneity of everything that we on the normal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are permitted to experience only as entropy.’ Rilke now questions whether we see or portray childhood that is, portray ourselves, fully if we ignore the facts of our mortal fate, our ultimate death.


https://www.poetryintranslation.com/PITBR/German/TheFountainOfJoy.php
===
Being and Death: the existential quests of Rilke's Duino Elegies
2021
Author(s): Ren, Jiyuan
Advisor(s): Ross, Cheri

Being and death are two philosophical themes in Rainer Maria Rilke’s Duino Elegies. The poet discerns that the anonymous death of mass is prevailing in modern society, due to modern man’s lack of awareness of their own existence in the world. This inauthenticity, partly as an outcome of materialism which arbitrarily sets a dual relation between man and things, is criticized by the poet, along with an inner quest of one’s authentic being, a non-subjective self. 

The means Rilke pursues to touch the inner existence as an antithesis of phenomenal object, to purify the representation, hence, to have man recover from loss and absence through restoring a harmonious man-world rela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Based upon Heidegger’s hermeneutic works on poetics, this paper tries to interrogate the philosophical themes of being and death in Duino Elegies through closing reading. 

The letters of the poet, and his early work would b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ir existential themes, in order to clarify that special point of Rilke’s thanatology made by Duino Elegies, the impersonality of death, which is symbolized as the Angel’s indifferent beauty. Several models of consciousness would be address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Rilke’s concepts of transformation and the invisible. One is of German poet Heinrich von Kleist, where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consciousness is presented with the tree image, while the other is borrowed from Rilke’s metaphor, that consciousness is like a pyramid, its vast base turns to be the consciousness of the totality of being.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How could man through transformation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self-consciousness? How, death, in its disillusioned impersonality, is demanded by the Duino Elegies for man’s full presence of existence as his ownmost potentiality of Being? The final question, along with a review of the whole elegies, is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humanity: through its mystic flow of images, how does poetic language present such ineffable transformation, insofar as there is a hope in art to redeem man from a universal loss in the modern age? In regard of Rilke’s Open (das Offene) and world-inner-space (Weltinnenraum), the metonymy of the animals, plants, and the Angel would be analyzed to know how they are connected to the same continuum of consciousness, and how transcendence takes place in the very extremity of such metaphysical field.

===

Rainer Maria Rilke

1875-1926, Czech-Austrian Poet

Being / Essence / Soul
Extensive as the "external" world is, with all its sidereal distances it hardly bears comparison with the dimensions, the depth-dimensions , of our inner being, which does not even need the spaciousness of the universe to be, in itself, almost unlimited. It seems to me more and more as though our ordinary consciousness inhabited the apex of a pyramid whose base in us (and, as it were, beneath us) broadens out to such an extent that the farther we are able to let ourselves down into it, the more completely do we appear to be included in the realities of earthly and, in the widest sense, worldly , existence, which are not dependent on time and space. From my earliest youth I have felt the intuition that at some deeper cross-section of this pyramid of consciousness, mere being could become an event, the inviolable presence and simultaneity of everything that we, on the upper, "normal," apex of self-consciousness, are permitted to experience only as entropy.

Wisdom for The Soul: Five Millennia of Prescriptions for Spiritual Healing , © 2004


===



텅 비움 | 시드니 복음서(102)-말이 안되는 이야기와 하나마나한 이야기 - Daum 카페

텅 비움 | 시드니 복음서(102)-말이 안되는 이야기와 하나마나한 이야기 - Daum 카페
시드니 복음서(102)-말이 안되는 이야기와 하나마나한 이야기

없이계신이추천 0조회 25
22.05.03 
 

 

40년 만에 양구 교회의 교인을 만나기 위해서 직장으로 갔다. 가서 보니 다단계 사업이 변신한 소위 방문판매 사업장이었다. 교육 시간이어서 끝나기를 기다리며 지켜 보았는데 한 마디로 허무맹랑 황당무계한 내용이었다. 듣고 앉아 있기가 힘든 내용을 끝까지 듣고 앉아 있으려니 고행이었다. 어떤 여성이 혼잣 말로 “말도 안돼”라고 하면서 나가는 것이 내 심정을 대변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신기한 것은 할 일 없어 보이는 중장년들이 족히 200명은 앉아 있다는 것이다. 1주일에 6일을 계속하는데 항상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나 돈이 굴러다니고 돈을 버는 사람이 있으니 큰 조직이 운영되고 있지 않겠는가?

 

어쩌면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들도 온갖 좋은 이야기는 다 모아놓고 적절하게 요리를 해서 푸짐하게 늘어놓고 사람들의 내적 욕구를 만족 시킨다는 점에서는 같은 기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거품을 물고 떠들면서 돈을 버는 곳이 있지만 종교는 분위기 잡고 ‘하나마한 이야기’ 를 해서 진리를 밝혀주기도 한다.

 

예수는 “열매를 보아 나무를 안다.”고 했다. 그러나 사실 열매를 보고 나무를 아는 것은 유치원생도 알 수 있는 말이 아닌가? 그러나 이 말의 주어는 읽는 사람이 아니라 행동하는 사람 자신인 것이다. 나에게 이처럼 단순한 사실을 깨닫게 해준 사람은 성현이 아니라 아기였다.

 

몇년 전에 조카의 15 개월된 아기가 와서 잠시 함께 놀았다. 안경을 벋어서 탁자 위에 놓고 휴대폰을 들여다 보는데 아기가 안경을 집어서 불쑥 내 코 앞에 내밀었다. 아기는 안경이 내 것인 줄 알았던 것이다. 무엇이 아기로 하여금 그런 행동을 하게 한 것일까?

아기가 설마 “저 영감이 왜 안경을 벋고 있나? 내가 도로 씌어줘야지?”라고 논리적으로 생각했을 리는 만무한 일이다. 그 순간 아기는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산을 보고  ‘올라가야지’하는 생각이 드는 것처럼 안경을 보고 나를 생각한 것이다.

현상학에서는 우리 몸의 활동이 사유 보다 앞선다고 한다. 즉 아기가 안경을 보고 나를 생각한 것처럼, 등산객이 산을 보고 등산을 생각한 것처럼 동기가 내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깥에 있다는 것이다. 산이 내 행동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처럼 나의 안경이 아기의 행동에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이다.

나를 지배하는, 나에게 절대적 영향을 주는 것은 정신이 아니라 나의 몸이 던져져 있는 세계이어서 그 세계 속에서 대상이 내게 동기를 불러 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의지나 결정은 오래 걸리는 반면에 동기와 행동은 즉시 일어난다.

다시 말하면 나의 정신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내가 있다는 것이다. 즉 내가 생각해서 아는 내가 아니라 나의 행동으로만 알게 되는 내가 있는 것이다. 나는 내가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이 나라는 것이다.

 

한 번은 예수가 ‘어리석은 부자’ 이야기를 들면서 또 한 번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했다. 점잖게 말해서 “오늘 밤 네 영혼을 데려가면 네가 가진 그 많은 소유물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이지만 따지고 보면 그 이야기는 깡패들이 싸울 때 “너 오늘 밥숟가락 놓고 싶어?”하는 표현과 똑 같은 것이다. 한 마디로 "잘났어! 정말."인 것이다.

예수는 왜 이런 말을 했을까? 예수는 ‘가는 말이 험해야 오는 말이 곱다.’는 것을 잘 알았다. 즉 좋은 말로 해서는  되지 않을 상황이엇기 때문에 쎄게 나간 것이다. 예수는 자기 긍정 밖에 모르는 인간들에게 단순 무식하게 자기부정을 가르친 것이다.

 

上野 千鶴子, ケアの社会学―当事者主権の福祉社会へ

(20+) Facebook


上野 千鶴子, ケアの社会学―当事者主権の福祉社会へ
おすすめ度 - 5つ星のうち 4.7 (6件のカスタマーレビュー)
59 人中、52人の方が、「このレビューが参考になった」と投票しています。
5つ星のうち 5.0 希望の書, 2011/8/17
By きよし (東京都江戸川区) - レビューをすべて見る

 大著である。学究の書である。今後の「ケア」「福祉社会」を論じる際の重要な基本図書である。
 このレビューは、その書を通読してのものではない。どういう書かを探ってのものである。早く、一冊でも多く人々の手元に届いてほしいからである。
「あとがき」の冒頭に「本書は過去10年余にわたる介護保険下のケアの理論的・経験的研究の成果である」と書いてある。研究は机上よりも現場調査を基としている。調査は1999年から2007年までの足かけ八年にわたっているという。1997年の介護保険法成立、2000年の同法制度実施に絡んでの調査研究であり、制度実施10年に合わせての上梓であると言えよう。また、東大大学院教授退官、新生への記念出版でもある。
 著者と福祉社会学の副田義也は、本書のゲラが出た上で2011年1月7日に長時間の対談を行い、『atプラス 07』(太田出版、2011年2月)に掲載した。26頁のその対談記録は、本書のよき解説であると同時に、その一部が本書に活用されて厚みを増しているようだ。
 さらに本書の序とあとがきは、3月11日以降に執筆され、日本のケアの現状と日本社会の将来への見通しを記して本書を画期的なものとしている。
 「初版への序文」という言葉を頭に置いた序は、「ケア―共助の思想と実践」と題されている。22頁に及ぶその序は、大震災で〈行政も警察も機能しなくなったとき、日本ではホッブズのいう「万人の万人に対する闘争」、弱肉強食の野蛮状態は現象しなかった〉とし、その理由は国民性や東北人の気質、血縁・地縁に求めず、「民主主義と市民社会の成熟の証しだと思えばよい」と指摘して理由を記している。つまりそこには「共助の思想と実践」が存在していたのだというのである。故に、「わたしたちが到達した社会はこのようなものだ。/希望を持ってよい。」と締めている。
 なお、この「共助の思想と実践」というフレーズの「共助」は、「ケア」の同意語かと考えられる。最終章(第18章)の最終節には「ケアの思想と実践とは、超高齢社会を生きるすべての人々にとって必須の課題なのである」とある。私たちはその要に「共助」があると解してこれからの日本における福祉社会の構築に努めたい。
 評者は78歳、まだ働いている連れ合いと暮らす昼間独居老人である。「良いケア」とは「個別ケア」だという本書第8章に同意しながら、「共助=ケア」にも同意すべく、少しの努力をして暮らしている。それにしても著者が今は「在宅ひとり死」を研究しているという「atプラス07」での発言に興味を持った。連れ合いと愚生とは、いずれは「在宅ひとり死」を生きることになるかもしれぬ。そこに、ケアなり共助なり、福祉社会の究極の現実があるのだと思う。
 本書は、「希望の書」でもあるし、「大いなる問題の書」でもある。愚生が「第?版の序」を読めるかどうか分からないけれども、著者の自愛と精励とを祈念する。
-
5つ星のうち 4.0 当事者主権の真に望ましいケアとは?その担い手は?, 2013/2/7
By キーコ 
かなり専門的・学術的で、さぁ~っと読んで直観的に「腑に落ちる」ように理解できる本ではないが、誰にも身近な問題なので、読んでいくと読む人それぞれの問題意識にヒットする諸相が満載!
そこを学者はどう捉え論じているか、
行政関係者や、医療・介護・福祉に携わっている方々を初め、今のケアをめぐる制度に不安を感じているすべての方々にお薦めの本である。
ケアを担うべき4セクターとして
(1)官セクター(国家)
(2)民セクター(市場)
(3)協セクター(市民社会)
(4)私セクター(家族)
を挙げ、そのベストミックスを考えることが鍵であると論じている。
 ジェンダー論(男女平等論)で高名な著者であるため、
「ケアの社会化」というと、イコール「ケアの責任を家族(特に女性)から国家へ」という論だと誤解されているきらいがあるが、
もはや、これからの超高齢社会を「女が家庭に帰って介護も担う」ことで解決できると主張する人はいないだろう。
 まず4セクターの役割分担から考えていこうという点では、男女平等論者もそうでない人も意見が相反するものではない。
 歴史的に、また現状においても、ケアの諸相に社会階層とジェンダーが大きく関与しているのは確かであるが、それは、職を持っているか否か、その収入が家計を支える割合という意味でであり、
 ・ケアを仕事にする男性も増え、
 ・家計における女性の稼ぎが占める率も高まり、
 ・専業主婦が少なくなる一方で、年金をベースに副収入のために働きたい高齢者が増える中では、
ジェンダーとして意識される面は低下していく。
 よって、有償ボランティアや、介護NPOの低料金サービスについての、
<「当事者性」の原則にもとづいた精神から発してはいるものの、
実は、「お手伝いさんじゃないのよ」というプライドを保つための敢えて低い値段であり、
「中高年女性向けの非正規・非熟練労働の水準」に合わせた価格なのだ>
という鋭い分析は、もはや主婦層に向けてではなく、お元気高齢者が協セクターの担い手として働こうとする場合に、同じように、住民参加の「安上がり福祉」として官セクターの肩代わり・下請け化することへの危惧、とも読み換えられる。
 自分自身、有償ボランティアをやってみて思ったように、やはり、「ちょっと気は遣うけど、その分安くて済むお手伝いさん」的な中身では、「今やっとけば、後で自分が必要になった時やってもらえる」といった保証でもない限り、やる気がしないのは確か。
 ケアの中でも、「お世話」より、障害者の社会参加のための支援サービスに類似するようなサービス
(p.168~p.185あたりに触れられているような、
 高齢者には当事者としての主体意識が低いために、「ニーズ」とされないできて、
 障害者自立支援法にはあっても介護保険では認められないサービス)
の方に、ボランティア(あるいは有償提供サービス)の中身がシフトしていくのではないかと思う。
 そして、こういう対人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質が問われるサービスに関しては、たとえ外国人労働者の参入が解禁になったとしても代替される心配も少ない。
 医療・介護が一体となった包括的ケアの確立が急がれているが、公的に高水準に整備するのは難しい現況の下、協セクターへの期待は大きい。
 筆者は、協セクターが官セクターの下請けになってしまわないように、税金の投入は育成支援にのみとどめるべきと主張されているが、私は、もっと積極的に協セクターにお金がまわる仕組みがあっていいのではないかと思う。
(ただし、
・内容ややり方をギチギチに規定しないで自由度を高くして
・当事者が選ぶサービスが残るように
・税金への依存率が「底上げ」程度で、事業者の儲けにはならないように)
もっとも、底上げなんか必要ないくらいに、高い費用を払っても利用者があるのなら、税金で補助する必要はないのだが、
民セクターにはできないアットホームな小規模なサービスを志向すると、どうしてもボランティアの人手に頼る部分が大きくな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
 その一方で、
>弱者救済こそ真の意味の公的福祉、すなわち官セクターの役割であり、協セクターとは
役割分担すべきだろう。
                       (p.300より)
と筆者も述べておられるように、最低限の生活保持は、受益者負担にこだわらずに公的措置で守られるようにしていかないと、ゴミ屋敷や認知症者の行き倒れがあふれる世の中になってしまうだろう。
http://www.amazon.co.jp/.../ref=pd_sim_b_cm_cr_acr_img_5

일본에서
Tmy008
별 5개 중 4.0 「케어」의 본질이란?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부모님이 의료계 종사자 때문에, 옛날부터 복지나 개호의 현장에 종사할 기회가 많이 흥미가 솟았기 때문에 손에 들었습니다.
엄청난 분량에 압도됩니다만, 골조가 확실히 하고 있으므로,조차 읽을 수 있습니다.
학술적인 관점에서 「케어」는 무언가가 치밀하게 집필되어 있으므로 바로 바이블서.
멋진 사람입니다. 단지 각 섹션에 더 사진이 내장되어 있으면 더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별 5개 중 3.0 학습에 맞춰 천천히 읽고 싶다
2013년 7월 6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부담없이 읽는 책이 아닌 것 같아서, 사회학을 배우는 가운데 수시로 천천히 읽고 싶다.
3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hiro
별 5개 중 5.0 필독서입니다・・・
2012년 3월 30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케어하는 입장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는 1권입니다.
당사자 주권이라는 시점, 현재의 개호업계의 본연의 자세, 그리고 향후 일본의 복지에 있어서의 과제가 붙어 있습니다.
압권입니다.
스스로의 케어의 본연의 방법을 되돌아 보는데도, 대단히 참고가 되었습니다.
1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Yosshy
별 5개 중 4.0 내용은 아주 좋습니다.
2012년 4월 25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아그네스 논쟁으로 유명한 우에노 치즈코씨의 집대성과 같은 내용입니다.
케어의 개념을 젠더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날카롭게 잘라냅니다. 「메이야로프」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인상적인 내용이었습니다.
9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대반 상엽
별 5개 중 5.0 멋진! 개호의 집대성.
2011년 11월 26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개호의 제공자의 측으로부터의 분석도 확실히 되어 있어, 유석 이 필자다고 관심. 실제로 개호의 필요를 느끼고 있는 사람, 개호에 종사하려고 하는 사람, 행정의 사람, 가족에게 피개호자를 안고 고민하고 있는 사람, 모든 사람의 만족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많은 개호에 관한 책을 읽었지만, 우선, 이 책은 필독서의 필두일까··. 이미 지인에게 권하고 샀다.
20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가가야 마사키
별 5개 중 5.0 NPO, 생협, 행정에 의한 복지 경영의 비교
2013년 5월 26일에 확인함
통상의 3권분의 분량을 넘는(p475) 때문에, 읽어들여 만점이다. 자금난에 고민하는 NPO의 경영에 흥미가 있는 평자로서는 자금력이 있는 생협의 사례가 공부가 되었다. 최근의 제조에 있어서는 판매나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또 이익에 있어서의 서비스의 웨이트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사이언스나 서비스·마케팅이라고 하는 분야가 주목을 끌게 되어 왔지만, 이러한 분야 의 수법이 복지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는지 앞으로의 동향을 지켜보고 싶다.

제일 인상에 남은 것은 「다상실=활발한 입주자간의 교류」신화이다(p195). “입주자는 대부분의 시간, 동질자에 대해 등을 돌린 자세를 취해 보내고 있다. 큰 방의 직장에서의 스트레스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조사가 알고 싶어졌다.

제9장 「누가 개호를 담당하는가」에서는 국가/시장/시민사회/가족의 각 영역을 관/민/협/나의 4원 모델의 채용과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4원 모델에 의한 복지다원사회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이 각각 분담과 협력을 하면서 「최적 혼합」을 달성하면 된다(p214). 복지 다원 사회의 「최적 적합」에 대한 현시점에서의 최적해는, (1) 사적 섹터에서의 선택의 자유, (2) 케어의 사회화에 대해서는 시장 옵션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케어 부담 에 대해서는 국가화가, (4)케어 노동에 대해서는 협 섹터에의 분배로 하고 있다.

「NPO 비판」에 있어서는, 의의와 이념을 높이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의 활동을 이상화해, 카리스마 리더에 의한 정보 발신을 우수하게 한 대변자가 되기 쉽다는 문제를 지적. 연구자에게는 비판적인 시점이나, 의도와 효과 사이의 어긋남이나 비틀림, 당사자에게 보이지 않는 사각을 시야에 담을 필요성을 호소한다(p257-258). '좋은 전략, 나쁜 전략'은 카리스마 리더에 의해 사기를 고양시키고 자기 희생을 촉구하는 사례로 소년 십자군을 꼽고 있다.

필자는 「복지 경영」의 정의를 「케어의 수령자와 케어의 주어 양쪽의 이익이 극대화하는, 지속 가능한 사업의, 소프트와 하드 양면에 걸치는 경영 관리, 시민과 합의의 자원의 조달, 그리고 사회적 설계의 제안과 실천'이라고 하고 있다(p261).

시민 사업의 특징은 운동이며 사업이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업자를 키우는 것에 관해서, 근시안적으로 보면, 라이벌을 키우게 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사회적 존재감을 높여, 연대에 의해 정치적 발언력과 행정과의 협상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행동이다 (p263).
9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모모파파
별 5개 중 3.0 사회학(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본 간호
2013년 9월 8일에 확인됨
(케어가 커버하는 범위를 권두로, 간호, 장애인, 고령자, 육아까지 파악하고 있지만) 고령자 개호 문제에 적을 짜, 개호를 사회학으로서 파악한 노작. 관 섹터, 민 섹터, 협 섹터, 나 섹터의 4개의 섹터 개념, 요구의 새로운 개념 등, 저자에 의한 새로운 견해는, 매우 유의하게 보인다. 케어를 상호 행위로 하는 정의 더 이상 괴롭힌다. 정보량도 많아, 독 후에 미소화 부분을 다시 읽고 싶어지는 문제 제기도 많다.
후반부는 협섹터를 실제 활동에서 보고 크게 다룬다. 협 섹터가 고령자 개호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협섹터는 세미프로 집단, 아마추어 집단이 아닌가 하는 비판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읽고 간호를 오로지 젠더, 페미니즘(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서 베는 저자의 자세에 지친 부분도 있다. 저자는 앞으로의 있어야 할 모습, 비전을 명확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향후의 고령자 개호를 생각하는데 중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6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키코
별 5개 중 4.0 당사자 주권의 진정으로 바람직한 케어란? 그 담당자는?
2013년 2월 7일에 확인됨
상당히 전문적·학술적이고, 자~~ 읽어 직관적으로 「힘줄에 떨어진다」라고 이해할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누구에게도 친밀한 문제이므로, 읽어 가면 읽는 사람 각각의 문제 의식에 히트하는 제상이 가득!
거기를 학자는 어떻게 파악 논하고 있는지,
행정 관계자나, 의료·개호·복지에 종사하고 있는 분들을 처음으로, 지금의 케어를 둘러싼 제도에 불안을 느끼고 있는 모든 분들에게 추천의 책이다.

케어를 담당해야 할 4 섹터로서
(1) 관 섹터 (국가)
 (2) 민 섹터 (시장) (3  ) 협
 섹터 (시민 사회) 열쇠라고 논하고 있다.  젠더론(남녀평등론)으로 고명한 저자이기 때문에, 「케어의 사회화」라고 하면, 이콜 「케어의 책임을 가족(특히 여성)으로부터 국가에」라고 하는 논란이라고 오해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더 이상 앞으로의 초고령사회를 '여자가 가정으로 돌아가 간호도 담당'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선 4섹터의 역할 분담에서 생각해 가자는 점에서는 남녀 평등론자도 그렇지 않은 사람도 의견이 상반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또 현재 상황에서도, 케어의 여러 상에 사회계층과 젠더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것은, 직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 그 수입이 가계를 지지하는 비율이라는 의미로・ 케어를 일하는 남성도 늘고, 가계에 있어서의 여성의  벌이  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그러면  성별로 의식되는 면은 떨어진다.

 따라서, 유상 자원봉사나, 개호 NPO의 저요금 서비스에 대한,
<「당사자성」의 원칙에 근거한 정신으로부터 발하고 있지만,
실은, 「도움이 아니다」라고 하는 프라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굳이 낮은 가격이며,
「중고년 여성을 위한 비정규・비숙련 노동의 수준」에 맞춘 가격이다」
라고 하는 날카로운 분석은, 더 이상 주부층을 향해서는 아니고, 건강 노인이 협 섹터의 담당자로서 일하려고 하는 경우에 마찬가지로 주민참여의 '안락복지'로서 관섹터의 어깨대체·하청화에 대한 우려라고 읽어들여진다.

 자기 자신, 유상 자원봉사를 해 보았던 것처럼, 역시, 「조금 신경을 쓰지만, 그만큼 싸고 끝나는 도우미」적인 내용으로는, 「지금 겨우, 나중에 자신이 필요하게 되었다 때로 받을 수 있다」라고 하는 보증도 아닌 한, 의욕이 없는 것은 확실하다.  케어 중에서도, 「신세」보다, 장애인
 의 사회 참가를 위한 지원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
(p.
의식이 낮기 때문에, 「요구」라고 할 수 없어,
 장애자 자립 지원법에는 있어도 개호 보험으로는 인정되지 않는 서비스)
쪽으로, 자원봉사(혹은 유상 제공 서비스)의 내용이 시프트해 간다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질이 묻는 서비스에 관해서는 비록 외국인 노동자의 참가가 해금되었다고 해도 대체될 걱정도 적다.

 의료·개호가 일체가 된 포괄적 케어의 확립이 서두르고 있지만, 공적으로 고수준에 정비하는 것은 어려운 현황 아래, 협 섹터에의 기대는 크다.
 필자는, 협 섹터가 관 섹터의 하청이 되어 버리지 않게, 세금의 투입은 육성 지원에만 머물러야 한다고 주장되고 있지만, 나는, 보다 적극적으로 협 섹터에 돈이 돌리는 구조가 있어도 좋은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단, ·내용이나 방식을 기치 기치
에 규정하지 않고 자유도를
높여
)
무엇보다도, 인상 따위 필요 없을 정도로, 높은 비용을 지불해도 이용자가 있다면, 세금으로 보조할 필요는 없지만,
민 섹터에는 할 수 없는 어트홈인 소규모 서비스를 지향하면, 아무래도 자원봉사자의 손에 의지하는 부분이 커지는 것은 아닐까.

 한편,
>약자 구제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공적 복지, 즉 관 섹터의 역할이며, 협 섹터와는
역할 분담해야 할 것이다.
                       (p.300부터)
와 필자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최소한의 생활 유지는 수혜자 부담에 구애받지 않고 공적 조치로 지키도록 하지 않으면 쓰레기 저택이나 치매자의 넘어 가 넘치는 세상이 되어 버릴 것이다.
1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키요시
별 5개 중 5.0 희망의 서
2011년 8월 17일에 확인됨
 중요하다. 학구의 책이다. 향후 '케어' '복지사회'를 논할 때 중요한 기본도서이다.
 이 리뷰는 그 책을 통독한 것이 아니다. 어떤 책인지를 찾는 것이다. 빨리 한 권이라도 많은 사람들의 손에 닿아 주었기 때문이다.

'뒤로'의 시작 부분에 "본서는 과거 10년여에 걸친 개호보험하 케어의 이론적·경험적 연구의 성과이다"고 썼다. 연구는 책상보다 현장 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의 발판 8년에 걸쳐 있다고 한다. 1997년의 개호보험법 성립, 2000년의 동법제도 실시에 얽혀 있는 조사연구이며, 제도 실시 10년에 맞춘 상추라고 할 수 있다. 또 동대대학원 교수퇴관, 신생에 대한 기념출판이기도 하다.

 저자와 복지사회학의 부다 요시야는, 본서의 게라가 나온 후 2011년 1월 7일에 장시간의 대담을 실시해, 「at 플러스 07」(오타 출판, 2011년 2월)에 게재했다. 26페이지의 그 대담기록은 본서의 좋은 해설인 동시에 그 일부가 본서에 활용되어 두께를 늘리고 있는 것 같다.

 게다가 본서의 서와 후반은, 3월 11일 이후에 집필되어, 일본의 케어의 현상과 일본 사회의 장래에의 전망을 기록해 본서를 획기적인 것으로 하고 있다.
 「초판에의 서문」이라는 말을 머리에 둔 서는, 「케어-공조의 사상과 실천」이라고 제목이 붙여지고 있다. 22페이지에 이르는 그 서서는, 대지진으로 <행정도 경찰도 기능하지 않게 되었을 때, 일본에서는 홉스가 말하는 「만명의 만명에 대한 투쟁」, 약육 강식의 야만 상태는 현상하지 않았다」라고 하고, 그 이유 는 국민성이나 동북인의 기질, 혈연·지연에 요구하지 않고,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성숙의 증거라고 생각하면 된다」라고 지적해 이유를 적고 있다. 즉 거기에는 「공조의 사상과 실천」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도달한 사회는 이런 것이다./희망을 가질 수 있다."

 덧붙여 이 「공조의 사상과 실천」이라고 하는 프레이즈의 「공조」는, 「케어」의 동의어일 것으로 생각된다. 최종장(제18장)의 최종절에는 “케어의 사상과 실천이란 초고령사회를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과제이다”고 한다. 우리는 그 요점에 「공조」가 있다고 해, 앞으로의 일본에 있어서의 복지 사회의 구축에 노력하고 싶다.
 
 평자는 78세, 아직 일하고 있는 동반과 사는 주간 독거 노인이다. 「좋은 케어」란 「개별 케어」라고 하는 본서 제8장에 동의하면서, 「공조=케어」에도 동의하기 위해, 약간의 노력을 해 살고 있다. 그래도 저자가 지금은 '재택 혼자 죽음'을 연구하고 있다는 'at 플러스 07'에서의 발언에 흥미를 가졌다. 동반과 어리석은, 어느 쪽은 「재택 혼자 죽음」을 살게 될지도 모른다. 거기에 케어가 되어 공조되어 복지사회의 궁극의 현실이 있다고 생각한다.

 본서는, 「희망의 서」이기도 하고, 「큰 문제의 서」이기도 하다. 어리석은 사람이 「제?판의 서」를 읽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저자의 자애와 정려를 기념한다.
58명의 고객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matrix
별 5개 중 5.0 놀라운
2011년 8월 18일에 확인됨
이전의 레뷰에 내용이 쓰여 있으므로, 상세히 쓰지 않는다. 이 책은 바로 케어학의 대전이며 선행 이론적 정리 및 실제 필드워크라고 하며 대전의 이름에 어울리는 책이다.
20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위반 신고
고객 서비스가 필요합니까? 여기를 클릭
‹ 케어의 사회학――당사자 주권의 복지 사회에의 상품 상세를 표시
==
日本から
Tmy008
5つ星のうち4.0 「ケア」の本質とは?
2013年11月23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両親が医療系従事者の為、昔から福祉や介護の現場に携わる機会が多く興味が湧いたので手にとりました。
ものすごい分量に圧倒されますが、骨組みがしっかりしているので、すらすら読めます。
学術的な観点から「ケア」は何かが緻密に執筆されているのでまさにバイブル書。
素晴らしいのひとことです。ただ夫々のセクションにもっと写真が組み込まれていたらより良いかもしれませんね。
5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5つ星のうち3.0 学習に合わせてじっくり読みたい
2013年7月6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気軽に読む本ではなさそうなので、社会学を学ぶ中で随時じっくり読みたい。
3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hiro
5つ星のうち5.0 必読書です・・・
2012年3月30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ケアする立場にいるものとして、考えさせられる1冊です。
当事者主権という視点、現在の介護業界のあり方、そして今後の日本の福祉における課題が突きつけられています。
圧巻です。
自らのケアの在り方を振り返るうえでも、大変参考になりました。
14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Yosshy
5つ星のうち4.0 内容は非常に良いです。
2012年4月25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アグネス論争で有名な、上野千鶴子さんの集大成のような内容です。
ケアの概念をジェンダーとフェミニズムの視点で鋭く切り込んでいます。「メイヤロフ」への痛烈な批判が印象的な内容でした。
9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大伴常葉
5つ星のうち5.0 素晴らしい!介護の集大成。
2011年11月26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介護の提供者の側からの分析もしっかりできていて、流石この筆者らしいと関心。実際に介護の必要を感じている人、介護に携わろうとしている人、行政の人、家族に被介護者を抱えて悩んでいる人、全ての人の満足をある程度保障出来ると思う。これまで多くの介護に関する本を読んだが、まず、この本は必読書の筆頭かな・・。既に知人に勧めて買わせてしまった。
20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加賀谷昌樹
5つ星のうち5.0 NPO、生協、行政による福祉経営の比較
2013年5月26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通常の3冊分の分量を超える(p475)ので、読み応え満点である。資金難に悩む NPO の経営に興味のある評者としては資金力のある生協の事例が勉強になった。近年ものづくりにおいては販売や差別化がむずかしくなり、また利益におけるサービスのウェイトが大きくなってきていることからサービス・サイエンスやサービス・マーケティングといった分野が注目を集めるようになってきているが、これらの分野の手法が福祉の分野にも活用できるのか今後の動向を見守りたい。

一番印象に残ったことは「多床室=活発な入居者間の交流」神話である(p195)。「入居者はほとんどの時間、同質者に対し背を向けた姿勢をとって過ごしている。同質者同士は交流するどころか、むしろ互いにかかわりを避けて生活している様子がうかび上がった」。大部屋の職場におけるストレスがどのようになっているのかの調査が知りたくなった。

第9章「誰が介護を担うのか」では国家/市場/市民社会/家族の各領域を管/民/協/私の4元モデルの採用と理由を説明している。4元モデルによる福祉多元社会においてそれぞれの領域がそれぞれ分担と協力をしながら「最適混合」を達成すればよい(p214)。福祉多元社会の「最適適合」についての現時点での最適解は、(1)私的セクターにおける選択の自由、(2)ケアの社会化については市場オプションを避けることが望ましく、(3)ケア負担については国家化が、(4)ケア労働については協セクターへの分配としている。

「NPO 批判」において、では、意義と理念を高く評価するために、実際の活動を理想化し、カリスマリーダーによる情報発信をうのみにした代弁者になりがちであることの問題を指摘。研究者には批判的な視点や、意図と効果のあいだのずれやねじれ、当事者に見えない死角を視野に収めることの必要性を訴える(p257-258)。「良い戦略、悪い戦略」はカリスマリーダーによって士気を高揚させ、自己犠牲を促す事例として少年十字軍を挙げている。

筆者は「福祉経営」の定義を「ケアの受け手とケアの与えて双方の利益が最大化するような、持続可能な事業の、ソフトとハード両面にわたる経営管理、市民と合意の資源の調達、および社会的設計の提案と実践」としている(p261)。

市民事業の特徴は運動であり事業であるという二重性をもっていることである。ほかの事業者を育てることに関して、近視眼的に見れば、ライバルを育てることになるが、長期的に見れば、社会的存在感を高め、連帯によって政治的発言力と行政との交渉力とを強化する戦略的行動である(p263)。
9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Momopapa
5つ星のうち3.0 社会学(マルクス主義フェミニズム)の見た介護
2013年9月8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ケアがカバーする範囲を巻頭で、看護、障害者、高齢者、育児まで捉えているが)高齢者介護問題に的を絞り、介護を社会学としてとらえた労作。官セクター、民セクター、協セクター、私セクターの四つのセクター概念、ニーズの新しい概念等、著者による新しい見方は、非常に有意義に思われる。ケアを相互行為とする定義もうなずける。情報量も多く、読後に未消化の部分を読み直したくなる問題提起も多い。
後半部分は協セクターを実際の活動からみて、大きく取り上げる。 協セクターが高齢者介護の重要な位置を占めると説く。しかし協セクターは、セミプロ集団、アマチュア集団なのではないかと云う批判もありうると思う。 正直、読んでいて介護をひたすらジェンダー、フェミニズム(マルクス主義フェミニズム)から斬りこむ著者の姿勢にうんざりする部分もある。著者は今後のあるべき姿、ビジョンを明確に示してはいないが、今後の高齢者介護を考えるうえで重要な本だと思う。
6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キーコ
5つ星のうち4.0 当事者主権の真に望ましいケアとは?その担い手は?
2013年2月7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かなり専門的・学術的で、さぁ〜っと読んで直観的に「腑に落ちる」ように理解できる本ではないが、誰にも身近な問題なので、読んでいくと読む人それぞれの問題意識にヒットする諸相が満載!
そこを学者はどう捉え論じているか、
行政関係者や、医療・介護・福祉に携わっている方々を初め、今のケアをめぐる制度に不安を感じているすべての方々にお薦めの本である。

ケアを担うべき4セクターとして
(1)官セクター(国家)
 (2)民セクター(市場)
 (3)協セクター(市民社会)
 (4)私セクター(家族)
を挙げ、そのベストミックスを考えることが鍵であると論じている。

 ジェンダー論(男女平等論)で高名な著者であるため、
「ケアの社会化」というと、イコール「ケアの責任を家族(特に女性)から国家へ」という論だと誤解されているきらいがあるが、
もはや、これからの超高齢社会を「女が家庭に帰って介護も担う」ことで解決できると主張する人はいないだろう。
 まず4セクターの役割分担から考えていこうという点では、男女平等論者もそうでない人も意見が相反するものではない。
 歴史的に、また現状においても、ケアの諸相に社会階層とジェンダーが大きく関与しているのは確かであるが、それは、職を持っているか否か、その収入が家計を支える割合という意味でであり、
 ・ケアを仕事にする男性も増え、
 ・家計における女性の稼ぎが占める率も高まり、
 ・専業主婦が少なくなる一方で、年金をベースに副収入のために働きたい高齢者が増える中では、
ジェンダーとして意識される面は低下していく。

 よって、有償ボランティアや、介護NPOの低料金サービスについての、
<「当事者性」の原則にもとづいた精神から発してはいるものの、
実は、「お手伝いさんじゃないのよ」というプライドを保つための敢えて低い値段であり、
「中高年女性向けの非正規・非熟練労働の水準」に合わせた価格なのだ>
という鋭い分析は、もはや主婦層に向けてではなく、お元気高齢者が協セクターの担い手として働こうとする場合に、同じように、住民参加の「安上がり福祉」として官セクターの肩代わり・下請け化することへの危惧、とも読み換えられる。

 自分自身、有償ボランティアをやってみて思ったように、やはり、「ちょっと気は遣うけど、その分安くて済むお手伝いさん」的な中身では、「今やっとけば、後で自分が必要になった時やってもらえる」といった保証でもない限り、やる気がしないのは確か。
 ケアの中でも、「お世話」より、障害者の社会参加のための支援サービスに類似するようなサービス
(p.168〜p.185あたりに触れられているような、
 高齢者には当事者としての主体意識が低いために、「ニーズ」とされないできて、
 障害者自立支援法にはあっても介護保険では認められないサービス)
の方に、ボランティア(あるいは有償提供サービス)の中身がシフトしていくのではないかと思う。
 そして、こういう対人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質が問われるサービスに関しては、たとえ外国人労働者の参入が解禁になったとしても代替される心配も少ない。

 医療・介護が一体となった包括的ケアの確立が急がれているが、公的に高水準に整備するのは難しい現況の下、協セクターへの期待は大きい。
 筆者は、協セクターが官セクターの下請けになってしまわないように、税金の投入は育成支援にのみとどめるべきと主張されているが、私は、もっと積極的に協セクターにお金がまわる仕組みがあっていいのではないかと思う。
(ただし、
・内容ややり方をギチギチに規定しないで自由度を高くして
・当事者が選ぶサービスが残るように
・税金への依存率が「底上げ」程度で、事業者の儲けにはならないように)
もっとも、底上げなんか必要ないくらいに、高い費用を払っても利用者があるのなら、税金で補助する必要はないのだが、
民セクターにはできないアットホームな小規模なサービスを志向すると、どうしてもボランティアの人手に頼る部分が大きくな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

 その一方で、
>弱者救済こそ真の意味の公的福祉、すなわち官セクターの役割であり、協セクターとは
役割分担すべきだろう。
                       (p.300より)
と筆者も述べておられるように、最低限の生活保持は、受益者負担にこだわらずに公的措置で守られるようにしていかないと、ゴミ屋敷や認知症者の行き倒れがあふれる世の中になってしまうだろう。
15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きよし
5つ星のうち5.0 希望の書
2011年8月17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大著である。学究の書である。今後の「ケア」「福祉社会」を論じる際の重要な基本図書である。
 このレビューは、その書を通読してのものではない。どういう書かを探ってのものである。早く、一冊でも多く人々の手元に届いてほしいからである。

「あとがき」の冒頭に「本書は過去10年余にわたる介護保険下のケアの理論的・経験的研究の成果である」と書いてある。研究は机上よりも現場調査を基としている。調査は1999年から2007年までの足かけ八年にわたっているという。1997年の介護保険法成立、2000年の同法制度実施に絡んでの調査研究であり、制度実施10年に合わせての上梓であると言えよう。また、東大大学院教授退官、新生への記念出版でもある。

 著者と福祉社会学の副田義也は、本書のゲラが出た上で2011年1月7日に長時間の対談を行い、『atプラス 07』(太田出版、2011年2月)に掲載した。26頁のその対談記録は、本書のよき解説であると同時に、その一部が本書に活用されて厚みを増しているようだ。

 さらに本書の序とあとがきは、3月11日以降に執筆され、日本のケアの現状と日本社会の将来への見通しを記して本書を画期的なものとしている。
 「初版への序文」という言葉を頭に置いた序は、「ケア―共助の思想と実践」と題されている。22頁に及ぶその序は、大震災で〈行政も警察も機能しなくなったとき、日本ではホッブズのいう「万人の万人に対する闘争」、弱肉強食の野蛮状態は現象しなかった〉とし、その理由は国民性や東北人の気質、血縁・地縁に求めず、「民主主義と市民社会の成熟の証しだと思えばよい」と指摘して理由を記している。つまりそこには「共助の思想と実践」が存在していたのだというのである。故に、「わたしたちが到達した社会はこのようなものだ。/希望を持ってよい。」と締めている。

 なお、この「共助の思想と実践」というフレーズの「共助」は、「ケア」の同意語かと考えられる。最終章(第18章)の最終節には「ケアの思想と実践とは、超高齢社会を生きるすべての人々にとって必須の課題なのである」とある。私たちはその要に「共助」があると解してこれからの日本における福祉社会の構築に努めたい。
 
 評者は78歳、まだ働いている連れ合いと暮らす昼間独居老人である。「良いケア」とは「個別ケア」だという本書第8章に同意しながら、「共助=ケア」にも同意すべく、少しの努力をして暮らしている。それにしても著者が今は「在宅ひとり死」を研究しているという「atプラス07」での発言に興味を持った。連れ合いと愚生とは、いずれは「在宅ひとり死」を生きることになるかもしれぬ。そこに、ケアなり共助なり、福祉社会の究極の現実があるのだと思う。

 本書は、「希望の書」でもあるし、「大いなる問題の書」でもある。愚生が「第?版の序」を読めるかどうか分からないけれども、著者の自愛と精励とを祈念する。
58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違反を報告する
matrix
5つ星のうち5.0 すばらしい
2011年8月18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前のレヴューに内容が書いてあるので、詳しく書かない。本書はまさしくケア学の大全であり、先行理論的整理および実際のフィールドワークといい、大全の名にふさわしい書物である。
20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
https://www.jstage.jst.go.jp/article/afs/37/0/37_85/_pdf/-char/ja
==


上野千鶴子「ケアの社会学」書評 家族介護を解体し、共助のしくみ追究
評者: 中島岳志 / 朝⽇新聞掲載:2011年10月09日

ケアの社会学 当事者主権の福祉社会へ著者:上野 千鶴子出版社:太田出版ジャンル:社会・時事・政治・行政


ISBN: 9784778312411
発売⽇:
サイズ: 22cm/497,4p

超高齢社会における共助の思想と実践とは何か? これまでもっぱら「ケアする側」の立場から語られてきた介護の問題を「ケアされる側」の立場から捉え返し、介護現場における「当事者…
ケアの社会学―当事者主権の福祉社会へ [著]上野千鶴子

 私たちは人類史上はじめて「超高齢化社会」を経験している。なぜなら人が簡単に死ななくなったからだ。過去にはありえなかった社会構成が出現している。
 また、介護保険法の成立によって、これまで家庭内の「不払い労働」だった介護が、家庭外の「支払い労働」へと拡大している。「介護は家族が担うのが当然」という規範は根強い。しかし、はたして家族介護は「自然」の行為といえるのか。それを無条件で「望ましいもの」とみなしていいのか。
 上野は、家族介護は神話であり、解体する必要があると論じる。そして、ケアは「愛の行為」ではなく「労働」と捉えるべきことを強調する。ケアを「有償の労働」とみなす時、「無償の愛だからこそ価値がある」という反論が常になされる。愛に基づく行為には感謝や生きがいといった貨幣に還元できない報酬が与えられており、その価値の獲得によって報われているというのだ。
 上野は、この議論の背景にはジェンダーと階級のバイアスが潜んでいると指摘する。そしてこのバイアスこそ、ケア労働が全ての労働の下位に置かれ、「支払い労働」になっても安い賃金しか支払われない要因になっているという。
 ケアは女であれば誰でもできる「非熟練労働」とみなされ、供給源が無尽蔵だと捉えられる。上野は、ケアを母性的な女の仕事と考える前提は思い込みであり、ジェンダー要因を崩さない限り、「タダのサービスになぜ高い報酬を支払わないといけないんだ」という見解は消えないと指摘する。
 さらに、問題は女性の側にも存在する。中産階級の主婦で有償・無償のケアボランティアに従事する人は「家政婦扱いされたくない」という差別的プライドから、低賃金ケアワーカーと自分を区別しようとする傾向がある。その意識から「自らのサービスの値段をすすんで切り下げ」、結果的に「低賃金のパート労働に出ざるをえない人々を排除」してしまう。ケア労働の賃金が安いのは、「わずかの価格差で、『崇高な奉仕』という正当化をあがなうためのイデオロギー価格なのだ」。上野はここに女性の階級問題を発見する。
 上野は新時代の介護事業の担い手として、「協セクター」の存在に注目する。本書では自助でも公助でもない「共助のしくみ」が追究され、フィールドワークに基づく具体的な事例が紹介されている。
 上野が若き日の代表作『家父長制と資本制』を出版してから21年。この間、常に議論をリニューアルし、問いを発展させてきた持久力は圧巻だ。自らの生き方とアカデミックな探求を合致させ、その理論と実践を徹底的に追究してきた集大成の成果に圧倒された。
    ◇
 太田出版・2993円/うえの・ちづこ 48年生まれ。社会学者、東京大名誉教授、NPO法人WAN理事長。『家父長制と資本制』『おひとりさまの老後』など。


中島岳志(ナカジマタケシ)東工大リベラルアーツ研究教育院教授=南アジア地域研究・政治思想史

1975年生まれ。著書に「中村屋のボース―インド独立運動と近代日本のアジア主義」「ヒンドゥー・ナショナリズム―印パ緊張の背景」「パール判事―東京裁判批判と絶対平和主義」など。

알라딘: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알라딘: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 마음의 자립을 시작한 여자를 위한 심리학 
박우란 (지은이)
유노라이프2021-08-10


책소개

딸과 엄마의 감정 톱니바퀴를 속속들이 파헤쳤던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의 박우란 저자가 이번에는 여성과 남성의 감정 굴레를 파헤치며 신작을 내놓았다. 특히, 남녀가 가장 밀착한 관계인 부부관계, 즉 아내와 남편의 이야기를 중점으로 다룬다.

“남편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할 것처럼 불안해요”라며 남편을 슈퍼맨처럼 생각하는 아내, “남자 친구가 모든 것을 이해하고 사랑해 줬으면 좋겠어요”라며 소녀처럼 사랑만 받기를 원하는 여자, “남편이 바람이 난 건 아닌지 자꾸 의심이 들어요”라며 남편에게 집착하는 아내까지. 남자에게 의지하는 여성들의 심리는 무엇일까?

심리 치료실 ‘피안’을 운영하며 1만여 회 이상 심리 상담 및 꿈 분석을 진행하고 라캉 정신 분석을 깊게 수련 중인 저자는, 여성의 정서적 독립을 위해서는 무의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무의식에 있는 자신의 진짜 욕망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면 ‘나’를 잃은 채로 상대에게 의존하게 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욕망은 또 다른 욕망을 만들어 내기에 조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테면 아내가 남편에 대한 애정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고 좌절할 때 그 결핍감에 불행해진다면, 남편으로부터 채워지지 않는 욕구는 아이에게 전이된다는 것이다. 어딘가에 매여 있는 사람은 또 다른 집착과 욕망을 계속적으로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여성이 여성으로서, 아내로서, 엄마로서 온전히 혼자서도 자립한 존재로 서야 하는 이유다.

저자는 ‘남편’에게 매이는 ‘아내’, ‘남자’에게 매이는 ‘여자’는 왜 그런지 이 책에 실제 상담 사례를 토대로 써 내려갔다. 상담실에 오기 전까지 전혀 몰랐던 내담자의 고민 속 실체를 전문가의 남다른 분석으로 꿰뚫어 보는데, 그 시선이 매우 섬세하다. 여성으로서 진정한 자립을 고민한다면, 이 책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깊게 성찰하고, 남편을 대표로 하는 주변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립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사랑에 자립하고 싶은 당신에게

1장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_아내의 욕망에 대하여
금지된 관계의 시작
그에게 나는 누구인가
가학적 관계에 놓인 사람
고통이 쾌락으로 느껴질 때
이상적 관계는 없다

2장 여자에게 사랑은 무엇일까 _아내의 결핍에 대하여
그래도 사랑일까
사랑과 도착 사이에서
사랑에는 언제나 확신이 필요하다
사랑에 대한 환상 때문에
애정의 조건, 애정의 자격
불만족의 늪에서
상실한 것에 대한 애도
불안이 주는 사랑의 쾌락
욕망은 결핍을 먹고 산다
판타지 속 숨겨진 사랑의 욕망
여자가 사랑하는 법

3장 남자에 대한 환상이 있었다 _아내가 바라는 남성상에 대하여
아버지라는 환상 속에서
가부장적 사회 속에서 자유하려면
아들을 떠나보내지 못하는 어머니
결혼과 출산은 도피처가 아니다
남성에게 투사된 어머니상
남편의 외도를 꿈꾸다
결혼은 두 아이의 만남
양손에 풍선을 쥐고 하나가 될 수는 없다

4장 여자, 나로 바로 선다는 것 _아내의 자립에 대하여
아내에서 내가 된다
무엇이 주체적인 삶인가
타자의 대상이 아닌 나로서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는 용기
나에게 몰두하는 힘
수용, 받아들이는 마음
갈등을 극복하며 성장하는 삶
행복한 삶을 맞이하는 자세
자유로운 나를 찾아서

참고 문헌

=====
책속에서
P. 26
‘그에게 나는 누구이며, 나는 어떤 의미인가?’
이것은 ‘나는 여성인가?’를 끊임없이 묻는 것과 같습니다. 이 물음의 해답을 얻기 위해 여성은 끝없이 남성이 원하는 어떤 지점에 가 있으려고 합니다. 남성이 원하는 대상이 되려고 하는 것이지요.
- ‘그에게 나는 누구인가’ 중에서
P. 63
남편이라는 증상은 지연 씨에게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사람으로 살고 싶은지를 다시 마주하게 만들었습니다.
- ‘그래도 사랑일까’ 중에서
P. 73
생각보다 더 많은 부부들이 서로의 언어를 제대로 해독하지 못합니다. 물론 스스로 자기 언어가 무엇을 가리키고 어떤 욕구나 감정을 숨기고 있는지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사랑에는 언제나 확신이 필요하다’ 중에서
P. 88
우리는 왜 남편을 필요로 할까요? 꿈꾸는 남편, 연인이 되어 줄 사람을 찾아 그 자리에 넣어 보지만 언제나 결핍과 결여는 발생합니다. 내가 이 사람에게 매료된 이유는 시간이 지나면서 잊히고 다른 누군가 그것을 가지고 있을 것 같으면 또 찾아 헤맵니다.
- ‘애정의 조건, 애정의 자격’ 중에서
P. 118
모든 관계는 어떠한 욕망의 구조가 작동됩니다. 연인과 부부,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가장 그것을 강력하게 발화하는 관계입니다. 한 개인이 자신의 내적 구조에 따라 욕망을 반복하는 방식과 모양은 제각각입니다. 그 방식이 파괴적이고 가학적이거나 피학적일 수도 있고 그것을 극복하고 새로운 자신을 발화하는 것에 욕망을 해방시키기도 합니다.
- ‘욕망은 결핍을 먹고 산다’ 중에서  접기
P. 249
어떤 대상이 있어야만 하고 그 대상으로부터 사랑의 투영을 받아야만 만족스럽고 그것을 쾌락이라고 느낀다면 절대적인 의존이겠지요. 사랑하는 가족, 연인이라고 해서 모든 삶을 동일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제각기 그 속에서 자신만의 역사를 만들어야 합니다.
- ‘행복한 삶을 맞이하는 자세’ 중에서
P. 253
오직 사랑받는 것, 타자들로부터의 관심과 배려, 사랑이 아니면 스스로의 존재에 심각한 타격과 불안정을 겪는다면 멈추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돌려야 할 때입니다.
- ‘자유로운 나를 찾아서’ 중에서
P. 107
˝불안은 무의식이 쏘아 올리는 충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그 신호를 따라 깊은 무의식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일생을 온갖 현실적인 알리바이에 속아 고통과 그 고통을 해결하려는 솔루션만을 찾아헤매다가 생의 끝을 맞이할 수도 있습니다.˝ - 아공
P. 233
˝세상이 얼마나 힘든데…˝가 어른들이 하는 가장 흔한 레퍼토리이기도 하지요. 그러나 실은 힘든 세상에서 자식들이 발버둥 치며 고통을 겪는 모습을 보기가 힘든 당신들을 보호하고자 함이 더 우선입니다. 정말로 자식을 사랑하는 일은 끝까지 어떤 선택을 하든 함께 견디어 주는 것입니다. - 아공
P. 242
내가 제한 없이 부모에게 열어 놓으면, 부모가 원하는 바를 제한 없이 받아들이면 언젠가는 내가 원하는 부모가 되어 주지 않을까 하는 소유와 통제의 욕망이 뒤에 있습니다. 그것이 해소되지 않은 채로 성장했을 때 모든 인간관계에서 약자의 위치에 자신을 놓고 스스로도 알 수 없는 고통과 갈등을 반복하게 되겠지요. - 아공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21년 8월 21일자 '책의 향기/뒷날개'

===
저자 및 역자소개
박우란 (지은이) 
정신 분석 상담 전문가. 동국 대학교 교육 대학원 상담 심리학 석사를 마치고 서울 불교 대학원 대학교 상담 심리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안산 정신과 병원 심리 치료실, 서울시 청소년 상담지원 센터 등을 거쳐 현재 심리 클리닉 ‘피안’에서 전문 상담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1만여 회 이상 심리 상담 및 꿈 분석을 진행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니던 대학교를 중퇴, 수도원에 입회해 10년을 살며 영성과 심리를 공부했다. 아무도 기억해 주지 않는 이들의 고통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며 살았다. 이후 인간의 삶과 마음에 대한 멈추지 않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자 환속했다.

10여 년 수도원 생활에서도 끝끝내 찾지 못했던 ‘나’의 혼란과 고민의 정체를, 정신 분석을 받고 또 공부하며 경험할 수 있었다. 닛부타의숲 정신 분석 클리닉에서 상담가로 3년간 개인 분석 및 꿈 분석을 진행했고, 현재 LPI(Lacanian Praxis Institute)에서 본격적인 라캉 정신 분석을 수련 중이다. 그간 분석가와 피분석자로서 체화한 경험을 상담실이라는 공간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 고민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초등 자존감의 힘》(공저)이 있다.
flolen@naver.com 접기
최근작 :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 (리커버 에디션)>,<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초등 자존감의 힘> … 총 6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여성의 무의식에는 자립에 대한 욕망이 있다”
남성에게 자립해 ‘나’로 서는 ‘여자’를 위한 심리학

이 책에 나오는 사례들은 누구나 한번은 겪었을 법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담는다. 가령 남편과의 냉전과 화해를 반복하다가, 남편과 결국 이혼하게 되지 않을까 상상하고 불안해하는 아내, 상상이 아닌 진짜 외도를 하는 남편 때문에 죽고 싶은 마음을 끌어안고 사는 또 다른 아내, 나르시시스트 남자 친구와의 가학적인 관계에 진저리가 나면서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여자의 이야기가 그렇다.
저자는 이러한 관계에서 남자가 아닌 ‘여자’에게 집중했다. 진정한 자립이 남성이 아닌 여성에게 일어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이에 문제를 직면한 여성들에게 “스스로에게 속지 마십시오.”라고 말한다. 여성의 무의식을 지나가는 무수한 이유와 의미에 현혹당하지 않기 위해서 더 깊이, 더 집요하게, 더 집중해서 자신을 바라보기를 권한다.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상상하지 못했던 폐허를 만날지라도 그곳에서 힘을 얻기를 바라면서.

#1. 남자에게서 자립해야 하는 이유

그렇다면 여성에게 자립의 발목을 잡는 사랑, 사랑은 여자에게 어떤 의미일까? 사랑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안에 넣을 수 있는 실체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우리 주변에는 사랑으로 고통을 치르는 여자들이 많다. 저자는 사랑에 의존하여 힘들어 하는 여자를 위해 책 속에 이러한 문장을 남겼다. “사랑은 주체적 의지를 가지고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을 억지로 사랑해 내는 것이 아니다.”
사랑의 능동성은 ‘수동적 능동성’이기에 온전한 받아들임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사랑을 받고자 욕망하고, 주고자 하는 마음은, 자신이 고스란히 상처를 맞아들이겠다는 의지로 표현된다. 그렇게 저자는 여성들이 의지를 가지고, 사랑하는 사람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이 책을 써 내려갔다.

#2. 정신 분석가가 파헤친 여성의 마음

저자는 그 과정에서 여자에게 ‘나는 무엇을 욕망하는가’, ‘내가 정말로 원하는 것이 맞는가?’에 대한 질문의 중요성을 피력한다. 예를 들어, 남편과 관계를 이어 나가고 싶지만, 남편이 이혼을 원한다면, 그로 인한 좌절과 실망 앞에서 반드시 그 질문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립하는 여성에게 필요한 첫 번째 의지이자 시작인 셈이다.
사랑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남자에게 너무 의존한 여자가 사랑을 채우기 위해 무의미한 행위를 반복한다면, 그것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상태, 즉 ‘나’를 상실한 상태가 된다. 저자는 이 책에 나를 상실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는데, 다양한 사람들만큼 사례가 다채로워, 어떤 사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이야기로 적용된다.

#3. 나로서 사는 여자가 마주하는 진실

누구나 자신의 깊은 내면을 직면하고 들여다보는 과정은 어렵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과정에서 자신이 원했던 바가 아닌 또 다른 진실과 조우하기도 한다. 이 책 맨 처음에 나온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아 화합하려 했으나 사실은 남편과 떨어져 있기를 바랐던 아내의 사례처럼 말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여성이 강하면서 용기 있게 살아가려면 마음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불안과 의구심에 주의를 기울이고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물음을 지속하라고 조언한다.
이 책은 그렇게 남성에 비춘 여성의 ‘진짜 내면’, 한 번도 꺼내 보지 못한 무의식을 마주함으로써 여성이 자립할 수 있는 생각의 전환점을 만들어 준다. 자신의 무의식을 차분하게 들여다보는 일, 자신도 몰랐던 마음의 진실을 발견할 것이다.

“자유한 여자는 자유한 나로 산다”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는 말의 진짜 의미

결혼을 하면 여자와 남자는 아내와 남편으로, 엄마와 아빠로 또 다른 역할을 부여받고 살아간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육아를 전담하며 남편에게 경제적으로 심적으로 의지하기도 한다. 남편이라는 존재는 내 사람이라는 명목 아래 이 세상에 존대하는 어떤 사람보다 믿음직하지만, 갈등을 겪을 때는 그 누구보다도 남처럼 느껴지는 나와 다른 존재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라는 의미는 상대와 이별하라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립은 자신에게 있으며, 독립된 존재로서 함께 살아가라는 긍정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는 남편으로부터 어떻게 하면 심리적 자립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혼 여성을 위한 이야기이자, 사랑하는 사람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깊게 바라보고 싶은 여성 모두를 위한 이야기로 풀어진다.

저자는 ‘환상이 끝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부부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모두 사랑에 환상을 가지고, 그 환상이 깨질 때에 비로소 각자 존재하지만 함께할 수 있는 부부관계, 남녀관계가 될 수 있다. 그 환상을 살피고, 내면을 돌아볼 수 있는 도구로써 이 책을 활용하고, 자유로운 나로서 사는 계기를 마련하길 바란다. 접기

평점 분포
    10.0
 
구매자 (2)
전체 (2)
공감순 
     
누군가의 무엇이 아니라 나로 살아가기 위한 시작에 힘이 되어준 책  구매
새처럼날다 2021-08-15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일과 가사일과 육아를 위해 최선을 다하였으나
번아웃과 부부갈등을 마주하게 되었을때
공감과 위로와 조언이 되는 책  구매
로즈몽키 2021-11-11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라캉은 "무의식은 언어로 구조화되어 있다" 라고 했습니다. 의식의 구조는 언어이고, 언어는 하나의 문화권의 지대한 영향을 받습니다. 그렇게 언어의 유입 괍정에서 여러가지 표상(상징과 이미지)의 개인의 무의식을 지배합니다. (-7-)

이쯤에서 나에게 질문을 던져 봅시다.

"지금 나의 마음과 시선은 어느 지점에서 어떤 집착의 고리에 묶여 있을까? 내가 좇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31-)


우리는 무수한 짐을 견디고 감매하면서도 정작 주요한 것을 회피하고 도망갓기가 쉽습니다. 나를 만나고 접촉하고 나 자신을 견디느 일보다는 그것이 조금은 더 수우러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무의식의 욕망이 우리를 단단히 붙들고 있기 때문이기도하지요. (-101-)


정신분석학자 카렌 호나이에 따르면 이들은 "좀 더 무의식적인 교활함으로 자신들의 소명에 헌신하고 있다고 믿으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의 성공과 권력, 이득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말하자면 그들은 나의 무의식이 투명한 거울처럼 정화되어 있고 오직 타자의 무의식만이 옳고 바른 길로 이끌어야 할 그 무엇이 되는 것이지요. 우리는 실제 우리의 모습에서 좀 더 나아가기를 끊임없이 열망하며 어른을 만나고,스승을 갈망합니다. (-141-)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만을 하자. 뭣을 악착같이 유지하려고도 하지 말고 그때그때 할 수 있는 최선을 하다 보면 또 뭐가 되겠지. 그 속에서 아이도 살아남는 법을 터득할 테고." (-211-)


저자 박우란은 심리치료 ,심리상담 전문가이다. 여성의 문제, 여성이 안고 가는 자존감, 더 나아가 새로운 길을 걸어가는 것, 정신분석가로서 지금까지 보여준 길들을 본다면, 저자가 생각하는 여성의 삶과 바른 삶이 무엇인지 찾아나갈 수 있다.


1990년대 히트작 <아들과 딸>이 생각난다. 남성적이며,가부장적 사회 구조에서  ,여성은 순종적인 삶을 강요하였고, 엄격한 남성 권위주의 적인 사고와 삶을 가지게 되었다.그 시대에 남편을 버린다는 것은 유교적 전통적인 관습, 삼강오륜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사회나 마을 공동체에서 쫒겨난다 하더라도 그 시대에는 할 말이 없었던 시기이다.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이 있었고, 남편에게 두들겨 맞더라도 하소연할 수 없었다. 소위 21세기 아메리칸 드림을 이루었고, 성공의 아이콘 서진규 박사가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거기서 새로운 삶을 개척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책의 맥락과 일치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과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남편을 버리지 못하면,아내로서 역할과 권리를 온전히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들과 역일 수 있으며, 자신의 자존감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을 때,새로운 삶과 희망이 나타날 수 있다. 남편에게 견제적 의존관계에서 스스로 벗어나는 삶을 만들어 가는 것, 더 나아가 나 스스로 일어날 수 있는 조건과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나의 삶의 근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남들의 눈치나 이목에 따라 살아가지 않고, 새로운 가치과 기준에 따라서 살아갈 수 있다면,사회의 관습에 의존하지 않고, 나만의 삶을 확립할 수 있다. 여성에게 친화적인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먼저 우선되어야 하며, 저자는 라캉과 헤겔의 철학을 통해 우리의 무의식 저 너머의 공포와 근심,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해서 접근해 나가고 있다. 마음의 자립을 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하나하나 알아볼 수 있고, 답을 찾아나가게 된다.


깐도리 2022-02-11 공감(6) 댓글(0)
===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강렬한 제목으로 자칫 오해하기 쉬운 심리학 서적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는 정신 분석가 박우란 저자가 전하는 여자를 위한 심리학이다.

 

지금까지 1만여 회 이상의 심리 상담 및 꿈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정리하여 여성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심리 분석과 정신 분석은 개인차가 나는 분야일 수밖에 없지만, 저자는 자신이 경험한 상담사례를 바탕으로 자립하고 싶은 여성에게 권하는 33가지 조언을 담고 있다.

 

 

책의 제목인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를 통해 상담사례를 통해 여성의 욕망을 관찰한다.

 

부부관계에 이상을 느낀 상담자 중 아내의 욕망을 자각하는 사례를 소개한다. 유부남과의 사랑에 집중하는 상담자는 남성이 자신을 선택하기를 바라지 않는 심리를 파악한다. 또한 어린 시절 가정환경에서 비롯된 아버지를 빼앗고 싶은 히스테리적 충동과 그 아버지를 빼돌리는 데서 어머니를 좌절시키는 쾌감도 발견한다.

 

집에서 빨리 벗어나고 싶은 방법으로 결혼을 선택하려는 상담자는 의존하는 관계에서는 자신에게 집중하거나 자신의 상태를 돌보는 것이 어렵다고 상담한다. 내가 의존하는 타인의 이미지나 요구를 충족시키고 보충해 주는 방식으로 자신을 유지하는 것은 나의 행복과 불행의 기준이 타인의 태도와 행동에 따라 결정된다.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의존하게 되면 주인처럼 섬기며 안전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인데, 이런 관계는 마찰이 없다고 원만한 관계라고 착각하기 쉽다. 내가 아닌 타자를 향해 쏟아지는 에너지는 자기에게 돌려야 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 건강한 관계의 출발점이다.

 

다른 사람의 인간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자신을 드러내는 사람도 드물고 특히 남자와 여자 사이의 문제는 더욱 복잡하다.

 

박우란 작가님은 여성의 욕망과 함께 여성이 사랑을 통해 느끼는 결핍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아내가 바라는 남성상과 마침내는 아내의 자립에 대해 조언한다.

 

책의 제목 때문에 페미니즘에 관한 책은 아닐까 생각했는데, 정신분석학으로 바라본 여성의 심리는 복잡하고 남성과는 다른 점이 있었다.

 

매력적인 연인이 지나가고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 남성과 여성을 주로 상대편 여성을 바라본다고 한다. 남성은 매력적인 타자로서의 여성을 바라보지만, 여성은 상대편 여성의 어떤 점이 매력적인 남성을 매료시켰는지 알아보고 싶어 여성을 주목한다고 소개한다.

 

저자의 주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사랑하라고 조언한다.

만일 자신이 내향적 성격과 소극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싫어하는 것을 뛰어넘어 그것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진정한 변화의 출발점이다.

 

자신의 변화를 가로막는 대상이 있다면 먼저 불편한 관계의 대상과 화해할 것을 조언한다. 화해는 나에게 하는 고해성사이다. 고해성사는 신, 예수를 대리하는 중재자의 위치에 있는 사제에게 죄를 고백하고 용서받는 상징적인 행위이다. 고해는 용서하기 위해 듣고 있는 청자인 사제 앞에서 ‘말’을 하는 것이다.

 

‘말’을 한다는 것은 결국 내가 나에게 가장 솔직해지기 위한 행위이다.

 

나에게 가장 솔직해진 후에는 나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에너지를 내부로 바꿔야 한다.

 

저자는 대학교를 중퇴하고, 수도원으로 입회해 10년을 살며 ‘나’에 대한 혼란과 고민의 정체를 찾으려 노력했고, 정신 분석을 받고 공부하며 나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이 책은 남녀 사이의 갈등을 주로 다루고 있지만, 내용을 조금 더 확장하면 개인이 타자와 느끼는 갈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혹시 인간관계에 관한 고민을 한 분이라면 박우란 작가님의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를 통해 자립으로 나아가는 길에 공감하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남편을버려야내가산다 #박우란 #유노북스 #심리학 #인문학 #여자들의이야기 #독립적인여성 #나를위한시간 #나를돌보는기술 #긍정심리 #심리수업 #책과콩나무



- 접기
kimtaeho2000 2021-08-17 공감(5) 댓글(0)
Thanks to
 
공감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 박우란

제목에 이끌려 빌린 책이다.

솔직히 제목만 봐도 은근한 쾌감이 일더라.

절대 버릴 수 없는 존재를

내가 살기 위함이라는 당위성까지 얹어서 버리라니 

얼마나 읽어보고 싶던지.ㅎㅎ





정신분석... 전문가만이 할 수 있는 일이지 싶다.

무의식, 

나의 무의식을 보게 되면 나를 더 잘 알 수 있게 되고

나를 더 잘 알게 되는 것이 정신치료의 시작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나도 모르는 나의 무의식에는 무엇이 있을까가 나도 늘 궁금하다.





남편...

아내들이 얼마나 힘에 겨우면 이런 제목이 나올까?

1879년에 벌써 인형의 집에서 노라는 남편을 버렸건만

2022년에도 여전히 남편을 버리란다, 그것도 내가 살기 위해서말이다. 



<따로 또 같이>가 되면 얼마나 좋을까!

<같이>를 위해 애쓰는 편이 버리는 것보다 훨씬 나은 일이지 않을라?

제목이 상당히 강한 어조이긴 했으나 

이 책의 어디에도 남편을 버리라는 말은 읽지 못했던 것 같다.



제목의 남편을 <생각>으로 바꾸고 싶다.



생각을 버리야 내가 산다.



모든 것은 마음이 하는 것이니....

*남편이나 연인이 외도했을 때 드라마 속 흔한 장면은 여성이 남서의 내연녀를 찾아가 머리채를 잡는 장면이 나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직접적인 상처를 준 남성을 잡아야 할 것 같은데 여성은 상대 여성에 대한 질투로 밤잠을 못 이루고 그녀를 파괴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히기도 합니다. 이것이 남성을 사로잡은 자신이 아닌 '그녀가 가지고 있는 어떤 것'에 집착하는 이유입니다. 그것에 집착하고 욕망하기에 남성이 아닌 상대 여성이 처벌의 타깃이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한 번 더 강조하고 싶습니다. 여성은 특정한 대상을 소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매료시킨 어떤 것을 소유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랑에 빠질 때 자신만의 환상을 상대에게 투사하고 그 투사한 상과 사랑에 빠집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랑에 의해 실제 나와 그는 소외되고, 투사한 상에 전부를 걸게 됩니다. 환상이 사라지면 나도 사라집니다. 환상은 사랑을 시작하는데 필요하지만 끝까지 이 방식의 사랑을 포기하지 못하면 고통과 갈등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기도 합니다. 시간이 흐르고 그 환상이 찢어지거나 바래서 그의 모습이 조금씩 입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면 배신감에 몸부림치기도 하지요, 그러나 그 배신은 그가 아닌 자신에게 당한 것입니다. 그는 원래 그였으니까요. (...) 남들도 다 그렇게 사니까 산다는 식의 태도는 자신의 삶을 가장 홀대하는 태도입니다. 한쪽이 한쪽을 전적으로 맞추는 관계 역시 결코 사랑의 관계가 아닙니다. 통제와 복종, 지배와 의존의 관계일 뿐이지요. 오히려 치열하게 다투고 싸우지만 그 속에서 진짜 서로를 알아 가고 각자 포기해야 할 것을 고려하는 태도가 더 진짜에 가까울 수도 있겠지요.



*우리는 왜 남편을 필요로 할까요? 꿈꾸는 남편, 연인이 되어 줄 사람을 찾아 그 자리에 넣어 보지만 언제나 결핍과 결여는 발생합니다 내가 이 사람에게 매료된 이유는 시간이 지나면 잊히고 다른 누군가 그것을 가지고 있을 것 같으면 또 찾아 헤맵니다. 현실의 제약은 높으니 드라마 속 멋진 주인공에게 더 매달리기도 하지요. 이 반복을 끝낼 수 있을까요? 정말 한 인간을 사랑하고 애정을 나누기를 원하는 것일까요? 자신이 바라고 꿈꾸는 것을 줄 수 있는 사람과 사랑하겠다는 것은 어린아이 같은 마음입니다. 이것만 없으면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고 다른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사랑하기를 원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극복이 아니라 이미 정해 놓은 기준에서만 사랑하겠다는 것이니까요.



*신념과 자아가 강하다는 것은 부모나 주변의 주요한 인물들에게서 그만큼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자신의 주관적 신념이나 철학이 뚜렸하다는 것은 언어와 목소리의 지배에 더 강력하게 사로잡혀 있다는 다른 말이기도 합니다. 



*"세상이 얼마나 힘든데..."가 어른들이 하는 가장 흔한 레퍼토리이기도 하지요. 그러나 실은 힘든 세상에서 자식들이 발버둥 치며 고통을 겪는 모습을 보기가 힘든 당신들을 보호하고자 함이 더 우선입니다. 정말로 자식을 사랑하는 일은 끝까지 어떤 선택을 하든 함께 견디어 주는 것입니다. 



*서로 모두 다 공유하고 나누는 것이 결코 건강한 관계는 아닙니다. 부부, 부모와 자녀 간에도 명확한 선이 필요합니다. 매일 학교가 끝나면 엄마 턱 밑에서 미주알고주알 모든 이야기를 하던 여자아이가 남편이 퇴근하면 남편의 턱밑에서 하루 일과를 만나자마자 모두 이야기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그것이 가족 간의 친밀함과 사랑, 화목함의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엄마가 정말 안전하고 편안하다고 느끼면 아이는 오히려 자신이 말하고 싶을 때만 말 할 수도 있습니다. 불안이 높고 엄마와의 밀착을 두려워하는 아이일수록 오히려 말이 많아집니다. 알 수 없는 엄마로부터 오는 어떤 위압감과 압도적인 감각으로부터 거리를 띄우기 위해 '말'을 중간에 배치합니다. 그리고 우리 모녀 사이가 매우 친하다고 자위하지요.

- 접기
Grace 2022-03-09 공감(3) 댓글(0)
===
     
자립을 위한 여자의 심리학

제목이 자극적이긴 하지만, 

물리적 버림이 아닌 자립을 위한 심리적인 독립정도의 의미로 타이틀을 참 잘 지었다 싶었다 

예전 이 작가님의 책 중에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 라는 책도 타이틀이 참 공감갔는데 이번책도 역시나 

깊은곳을 통찰하는듯한 느낌이 있었다 


이 책은 작가가 심리 정신분석가로 일하며 경험했던 상담을 담고있다 


자립적으로 잘 살아가며 자기 자리를 지키는 아내도 많은 반면에 

우리의 무의식은 여전히 가부장적인 구조안에서 삶이 정지되고 우울과 고통속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다루고있다 


이 책은 총 4가지의 챕터로 구성되어있는데 

1장이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2장 여자에게 사랑은 무엇일까 

3장 남자에 대한 환상이 있었다 

4장 여자, 나로 바로 산다는것 


이렇게 점진적으로 현실을 탐구하고 발전해나가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내에서 내가 되는 과정 , 나를 중심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들 

숨겨진 일상속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정신분석가의 관점에서 왜 이런현상이 일어났는지 또 어떻게 극복해나가야하는지를

짚어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현실이 달라졌고 과거와 지금의 생활수준과 습관이 바뀌어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옛날시대를 살고있는 기성세대를 보고 배운 자연스럽게 습득된 가부장적인 제도 등등을 완전히 외면할 수는 없다 


그래서 왜 이런불합리한 경우에 목소리를 내지않냐고 물어도 봤지만, 

그래야 가정이 조용하고 맞춰주어야 평안하다 라는 이야기를 들을때마다 이는 결코 행복한 사랑의 관계가 아니며 

지배와 복종의 관계라고 생각했다 


부부사이에도 자식사이에도 어느정도의 명확한 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에 가장 공감했고 , 

그게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거라는 저자의 의견을 새겨놓고 우리들만의 각자 자신만의 역사를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 접기
스카이베리 2021-08-21 공감(1) 댓글(0)
===
     
마음의 자립을 시작한 여자를 위한 심리학

부제를 보면 마음의 자립을 시작한 여성들을 위한 심리학이라고 되어있어요

정신분석가인 박우란작가의 신작입니다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라는 이 책에서는 아내이자 며느리, 그리고 엄마인 여자의 심리를 정신분석가답게 낱낱히 쪼개고 쪼개서 이야기하고 있어요


여성이 바라는 남편상,

남편이 바라는 아내상,

금지된 관계를 계속 이어가는 이유

관계속에서 자신을 확인하는 이유

사랑이라고 믿고 있는 이유

아내가 바라는 남성상 등..


모두 과거의 나로부터 발생하여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


박우란작가는 정신분석가답게 다소 깊게 사례들을 파고들어 분석하게 되요


아내가 아닌 나

며느리가 아닌 나

엄마가 아닌 나

온전한 내가 되기 위한 조언들을 볼 수 있어요

훌훌 털어낼 수 있는 그 날이 오길 바래봅니다

* 업체에서 도서만 지원받아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 접기
겸이 2021-08-18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중국 유학의 변천 : 네이버 블로그

중국 유학의 변천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ungguk815/70094646599


중국 유학의 변천
1. 중국 유학의 변천
시대 학풍 특징 / 대표적 학자
한 훈고학
유교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는 학풍
정현, 마융
당 훈고학 공영달- 오경정의
송 주자학
인간의 본성과 우주의 원리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학풍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명 양명학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주장
왕수인
청 고증학
경전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치중하는 학풍. 정치 현실 외면
고염무, 황종희, 염약거, 호위, 혜동, 대진, 왕명성, 전대흔
청말 공양학
현실 정치에 대한 관심, 역사에 대한 진보적 해석
유봉록, 공자진, 강유위, 양계초
2. 선진 시대의 유학
선진( 先 秦 ) 시대의 유학을 한대 이후의 유학과 비교하여 원시 유가 사상( 原 始 儒 家 思 想 )이라고도 한다. 춘추 전국 시대의
유가 사상가로는 공자, 맹자, 순자 등을 들 수 있다.
① 공자(孔子):덕치주의, 명분론, 중용 사상
② 맹자(孟子):왕도 정치 사상, 민본주의, 혁명 사상, 성선설
③ 순자(荀子):예치, 성악설
3. 훈고학(訓考學)
유교 경전의 자구 해석(字句解釋)에 치중하는 학풍. 진 시황제 때의 분서 갱유(奔書坑儒) 이후 한대에 와서 선진 시대와 글
자체가 달라져 경전의 해석에 치중하게 되면서 발달하였다. 한 무제 이후 유교의 국교화로 원시 유가 사상은 많이 변질되
었다. 원시 유가 사상은 당시의 현실 정치를 비판하는 입장에서 덕치와 왕도 정치를 주장하였으나, 한대의 유학은 전제화
된 황제 권력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송학(宋學)의 싹은 당 중기에 불교를 배척하면서 유교 윤리를 강조했던 한유(韓愈)와 불교 교리를 흡수하여 유학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했던 이고( 李翶)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송학의 우주론적 이론 체계는 북송의 주돈이( 朱敦頤, 자
는 염계 濂溪, 1017~1073)에 의해 기초가 잡히고, 장재( 張載, 자는 횡거 橫渠, 1020~1077)․정호( 鄭顥, 자는 명도 明道,
1032~1058)․정이( 鄭頤, 자는 이천 伊川, 1033~1107)에 계승 발전되어 남송 시대의 주희( 朱憙, 자는 회암 晦庵, 1130~
1200)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주돈이는 태극도설( 太極道說) 에서 우주의 본체를 태극( 太極) 또는 무극( 無極)이라 하고, 그 동( 動)․정( 靜)에 의하여
음( 陰)․양( 陽)의 2기( 氣)가 생기며, 여기에서 5행( 行)의 5기( 氣)와 만물이 생긴다고 설명하였다. 장재는 기체( 氣體)와 유
사한 기(氣)의 집산(集散)에 의하여 만물이 형성․소멸된다는 기일원론(氣一元論)적 우주론을 전개하였다. 송대의 우주론은
정호․정이 형제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발전하였다. 그들은 우주의 현상을 이루고 질서와 조화를 가져다주는 근본 원리를
인식하여 이를 리(理)라 불렀다. 그리고 리와 기의 상관(相關)으로 우주를 설명하는 이기론(理氣論)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송학宋學)에 있어 우주론(宇宙論)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성론(人性論)과 이에 결부된 수양론(修養論)이다. 특
히 정이는 수양법으로 대학( 大學) 에 나오는 치지( 致知)를 강조하였다. 이는 송학의 합리주의적 정신을 표한한 것이라
고 하겠다.
주희는 송대 유학자들의 학설을 종합하고 체계화하여 송학을 대성하였다. 그는 태극․무극을 리( 理)에, 음양․오행을 기( 氣)
에 해당시키고, 리( 理)를 ‘형이상( 形而上)의 도( 道)’, 기를 ‘형이하( 形而下)의 기( 器)’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떨어져서 존재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았다. 인성론( 人性論)에 있어 그는 인간의 본성은 리( 理)를 타고난 선한 것으로 보고,
리를 닦아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기에 유래하는 본능적인 불손한 기질( 氣 質 )의 성( 性 )을 억제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였다. 수양 방법으로는 특히 성찰( 省察)과 독서( 讀書)를 통한 덕성( 德性)의 함양[존양( 存養) ]과 궁리( 窮理)를 중요시하
였다.
주희는 경전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학적 연구를 하였으며 4서( 四書) [논어( 論語), 맹자( 孟子), 대학( 大學), 중용( 中庸) ]에
대한 치밀한 주석을 가하였다. 4서( 四書)는 송유( 宋儒)들에게 중요시 되어, 5경( 五經)과 더불어 유교의 기본 경전이 되었
다.
송학은 현세를 경시하는 불교 사상이나 도교의 반정치적 관념을 거부하고, 유학 본래의 실천 윤리를 본질적인 요소로 고수
해 나갔다. 그리고 불교와 도교를 배척해 중국의 사상계에 있어 지도적인 위치를 다시 확립하게 되었다. 송학은 기본적으
로 송대 사대부 계층, 지주층의 유심주의( 唯心主義)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주지주의( 主知主義)적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송학은 삼강 오륜을 기본으로 하는 유교 윤리 사상을 고취하여 봉건적 사회 질서 유지와 군주 독재 체제 정당화에 공헌
하였다.
주자학은 남송 시대부터 중국 학문 사상계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청대까지 지속적으로 중국의 학문 사상계를 지배하
였다. 또 한국, 일본, 베트남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출전 : 개관동양사 pp.176~177)
주자학은 자연과 인간의 세계를 일관하는 철학으로 기초지워진 유학사상 가장 체계적인 이론으로, 그 핵심은 이기론( 理氣
論)에 있다고 한다. 주자학에서는 자연․인간계의 여러 존재의 근원이 되는것은 절대 불변의 초월적인 리(理, 天理)이고, 이
리가 개별적인 존재에 내재화한 것이 성(性, 天性)이라고 한다.
이러한 성 = 리에 기초지워진 인간은 본래 긍정적인 존재이지만, 구체적인 개인은 인욕( 人 欲 )과 정( 情 )의 기( 氣 , 氣 質 의

주자학은 자연과 인간의 세계를 일관하는 철학으로 기초지워진 유학사상 가장 체계적인 이론으로, 그 핵심은 이기론( 理氣
論)에 있다고 한다. 주자학에서는 자연․인간계의 여러 존재의 근원이 되는것은 절대 불변의 초월적인 리(理, 天理)이고, 이
리가 개별적인 존재에 내재화한 것이 성(性, 天性)이라고 한다.
이러한 성 = 리에 기초지워진 인간은 본래 긍정적인 존재이지만, 구체적인 개인은 인욕( 人 欲 )과 정( 情 )의 기( 氣 , 氣 質 의
性 )에 의해 혼탁한 상태로 나타나는데, 이 기를 없애 천연의 성으로 돌아가는 것[격물궁리( 格 物 窮 理 ) ]이 인간의 길이다.
천연의 성이라는 것은 윤리적으로는 공자 이래의 유학에 의해 전해진 도통( 道統)이었는데, 군신․부자․부부․형제․붕우의 오
상( 五常), 전호․노비와 지주․주가( 主家)와의 관계를 포함한 상하 신분 질서가 천리( 天理)에 기초하는 절대 규범으로 되고,
개인의 지위에 따라 이 규범의 엄격한 준수가 요구되었다.
이 주자학은 당시 새로운 지배 계층으로 등장했던 형세호( 形 勢 戶 )층의 이념이었으며 송대 왕조 하에서 재편된 전제 왕조
국가의 지배 질서를 지탱하는 교학( 敎學)으로서 생겨났다. 남송기의 정쟁으로 한 때는 위학( 僞學)으로 탄압받았지만 이후
명․청 시대까지 체제 교학의 지위를 차지했다. 또 조선 시대의 한국, 에도 막부 시대의 일본에서도 공인된 국가 교학으로서
의 역할을 하였다.
(출전 : 松丸道雄외저, 조성을역, 중국사개설 , 한울, 1990, pp.248~249)


5. 양명학
양명학의 선구자 육구연
육구연( 陸九淵, 자는 상산象山, 1139~1192)은 주자학에 대립되는 학설을 내세워 남송 사상계에 한 조류를 이루었다. 그
는 우주의 본체는 성( 聖)이고 리( 理)는 심( 心)이라 하였다. 그는 리를 외계의 현상에서 찾을 것이아니라 각자의 마음 속에
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수양론(修養論)은 내성(內省)에 의한 직관(直觀)을 강조하였으며, 여기에서 불교 특히
선종의 영향이 짙게 나타나 보인다. 그의 학설은 리일원론(理一元論)을 근본으로 하는 주관적 유심론(唯心論)에 입각한 것
으로, 명대의 왕수인에 이어져 더욱 성하게 되었으며, 주자학에 대립하는 주요 학파를 이루게 되었다. (출전 : 개관동양
사 , p.177)


명대의 유학
명대의 유학은 원대에 이어 주자학의 유행으로 전개되었다. 명대에 과거 제도가 실시되면서 주자학이 관학이 되었기 때문
이다. 그러나 주자학의 관학화는 사상의 자유로운 발전을 막게 되었고, 주자학의 관학화에 반대하는 새로운 학풍이 형성되
었다.
주자학에서 중시하던 주지( 主知)적인 궁리( 窮理)보다는 실천적인 행동에 중점을 두는 새로운 풍조가 일어났다. 이러한 풍
조는 먼저 설선( 薛瑄), 오여필( 吳與弼)에서 시작되어 호거인( 胡居仁), 누량( 婁諒), 진백사( 陳白沙)에 이르러 고조되었으
며, 그 뒤를 이은 왕수인(王守仁, 1472~1528 자는 양명 陽明)에 의해 주자학의 구투(舊套)를 벗어난 새로운 실천 철학 양
명학(陽明學)이 형성되었다.


왕수인의 양명학
왕수인의 교설은 그의 전습록( 傳習錄) 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송대 육구연( 陸九淵)의 주장을 이어 심즉리( 心卽理)라
는 절대적 유심론( 唯心論)에 기본을 두고, 인간의 마음( 心)에 같추어진 양지( 良知)의 절대 지선( 絶對至善)과 자율성을 강
조함으로써, 학문의 목적을 실천에 의한 양지의 실현[치양지(致良知) ]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진지(眞知)는 실천을 통하
여 완성된다고 하여 지행 합일[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을 역설하였다.


양명학의 변천
이리하여 양명학의 자율적인 실행 정신은 당시 학자들의 지지를 받아 주자학을 대신하여 명대 후반기에 사상계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양명학은 한동안 침체되었던 중국 사상계에 새로운 활력을 주었으며, 한국과 일본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후 왕수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어 각자 스승의 학설을 발전시켰으나, 그중 이른바 양명학 좌파라고 불리는 일
파에 오면 왕수인의 양지설( 良知說)을 극단적으로 해석하여, 인심의 자유와 자율을 강조한 나머지, 수양을 위한 공부와 경
서의 학습을 경시하고 방자해지는 폐단을 낳기도 하였다. 특히 이지( 李贄, 1527~1602, 탁오卓吾)는 “양지만 갖추면 주색
광태를 부려도 성인 군자가 되는 데 무방하다”고 극언( 極言)하며, 전통적 가치관에 반기를 들고 명교 윤리( 名敎倫理)에 반
항하는 태도를 보이니, 이른바 명말 심학(心學)의 횡류(橫流)를 이루었다.
그러나 양명학 우파에서는 전덕홍( 錢德洪), 나홍선( 羅洪先) 등이 좌파의 과격한 태도를 비판하고 왕수인의 양지설을 바탕
으로 하면서도 수양과 학문의 필요를 역설하니, 오히려 주자학 쪽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출전 : 개관동양사 , p.236~237)

송대에 성립된 주자학은 원대에는 공인 관학이 되었고, 명대가 되면 국가 교학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명대 후기에
송대 이래의 사회에 사회 체제가 전환기를 맞게 되자 지배 질서의 근거를 초월적, 절대적인 성리( 性理)에서 구하는 주자학
이 흔들리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주자학에 의해 구축되 유교적 명교주의(明敎主義)를 새롭게 보완하려 한 것이 왕수인
(王守仁, 1472~1528)에 의해 성립된 양명학이었다.

왕수인은 주자학에 의해 주창된 리(理)의 외재성(外在性)을 부정하고, 규범으로서의 리(里)와 성(性)의 가장 지순(至純)한
것, 즉 다름아닌 양지(良知)라 하여, 리의 내재화, 내면화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심즉리(心卽理)라 한다. 사회 질서
를 규제하는 윤리도 주자학에서와 같이 밖으로부터 주어진 규범의 준수가 아니라 인간 본래의 본성인 양지(良知)의 자연적
발로이며 그것은 정( 靜)적인 인식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일 매일의 실천에 의해 검증되어야 한다고 하여, 지행
( 知行)의 합일[지행합일설( 知行合一說) ]과 주체적 능동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주자학에서 초월적, 절대적 규범이었

던 천리( 天理)는 양명학에서는 개인 마음( 心)의 본체로서의 양지( 良知)로 되었는데, 거기서 가치 규준( 規準)의 전환이 이
루어졌다. 다만 왕수인의 경우 양지(良知)와 주자학적 천리(天理)와의 정합성(整合性)은 끝까지 유지되었는데 여기에서 왕
수인의 명교(明敎) 획득의 입장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왕수인에 의해 미묘한 균형으로 유지되었던 가치 규준은 명말에 사회 모순의 심화와 함께 그 평형을 잃게 되었다.
이미 왕수인 자신이 “마음에서 구하여 옳지 않을 때에는 공자의 말이라도 옳지 않다”라고 하여 자아( 自我, 양지良知)의 자
립과 그에 의해 기성의 권위를 비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양명학 좌파( 左派)는 왕수인의 이러한 경향을 한층 발전시켜, 이탁오( 李卓吾, 1527-1602, 본명은 지贄)는 양지설을 더욱
철저히 하여 기성의 지식과 인습․도리에 물들기 이전의 지순한 마음을 동심( 童心)이라 부르고 이 동심 앞에서는 공자도 유
교의 경전도 절대적 권위일 수 없다고 하여, 인위적 명교에 속박되지 않는 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긍정하였다.
이로부터 주자학에 의해 강하게 부정된 인욕( 人欲)과 정( 情)을 인간 본래의 마음에서 나오는 요구로서 적극적으로 긍정하
고 공리( 功利)를 천히 여기는 것은 위선( 僞善)이라 하여 기성의 통념이나 명교에 맹종하는 도학자를 가인( 假人)이라 불러
통렬히 매도하였다. 또 고대 이래의 역사상 인물을 논하여 명분론적 해석을 비판하고 사대부적 교양에서는 정통적 가치가
주어지지 않았던 문학 작품에 오히려 인간지정(人間至情)의 발로를 인정하여 적극적으로 평가한 것도 모두 동심설(童心說)
로부터 도출된 것이었다.
이리하여 이탁오를 정점으로 하는 양명학 좌파의 출현에 의해 주자학의 기초가 흔들렸지만, 청조의 지배가 확립되고 향신
사회가 안정되자 다시 주자학이 국가의 교학으로서 강조되어 학문의 주류는 고증학으로 전환되었다.
(출전 : 중국사개설 pp.315~316)


6. 실학과 고증학
청초의 학풍(경세적 학풍과 고증적 학풍)
청초의 학풍은 이른바 경세 치용( 經世致用)의 학으로 대표되다. 이는 명대에 싹튼 새로운 경향과 명의 멸망이 가져다준 반
성의 기운 속에서 출발하였다. 원래 명말 학문의 주류는 양명학이었지만, 양명학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학문 경향이 싹
트기 시작했으니, 식물학․지리학․농학․군사학 등의 실용적 분야의 연구, 양명학에 대한 반성, 문헌 고증학의 태동이 바로
그것이다.

(王夫之, 1619~1692)․고염무(顧炎武, 1613~1682)․안원(顔元, 1635~1704) 등을 들 수 있다.
황종희의 주장은 그의 명이대방록( 明夷待訪錄) 에 보이는데, 전제 체제를 통렬히 비판하고, 삼대( 三代: 하, 은, 주 시
대)를 이상 사회로 설정하였으며 현실적인 정치 개혁론과 구체적인 제도론을 전개하였다. 특히 사대부의 여론을 학교를 통
해서 정치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견해는 전제 정치 비판과 표리가 되어, 사대부 계층의 역할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왕부지는 황종희처럼 본격적인 정치론을 전개하지는 않았지만, 경세(經世)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만주족에 대항하여 싸운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비한족( 非漢族)적인 모든 것에 대해 경멸했으며 한족 문화의 우월성을 크게 강조했다. 또 그는 과거
를 이상화하는 경향에 반대했는데, 중국의 옛 선조들도 야만인이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결국 문화는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제도는 변하는 상황에 따라서 알맞게 바꿔져야 한다고 보았다.
고염무는 명대 학자들의 학문 태도에 반대하여, 학문의 본래 목적은 구세( 救世)에 있다고 보고 학술 추구의 방법으로는 이
른바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제창했다. 그 자신은 이러한 원칙아래 추상적인 사색을 배격하고 현실을 직시하면서 사회의 구
제라는 목적을 바탕에 깔고 경사(經史)의 연구에 몰두했다.
안원은 이들 세 학자보다는 다소 뒤의 인물이지만 청초의 학풍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일체의 관념적인 학풍
을 배격하고, 실학( 實 學 )에 역점을 두었으며 실천을 중요시하였다. 유교의 경전을 실천의 반영이라고 보고, 옛 성인의 제
도를 따라 일상 생활 속에서 그를 실현하는 것이 바로 실학( 實學)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론( 理論)․강학( 講學)․사색( 思索)
등을 배격하여, 송명(宋明)의 이학(理學)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하고 오직 실학을 통해서만 요순(堯舜)의 황금기로 돌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 학자들의 연구 경향에는 이러한 경세적 측면과 아울러 치밀한 연구를 중요시 하는 실증적인 태도가 공존하고
있었다. 황종희는 특히 역사학의 연구에 주력하여, 명유학안( 明儒學案) 등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의 제자인 만사동
( 萬斯同)과 전조망( 全祖望)을 거쳐 장학성( 章學誠)에 이르는 맥을 형성하였다. 왕부지는 경전 연구에 주력하여 자신의 독
자적인 주석을 가했으며, 춘추세론( 春秋世論) 등을 지어 춘추 의 의의를 독자적으로 구명해 갔다. 그밖에 노자연
(老子衍) 등을 통해 노장 사상 등에도 관심을 보였고, 독통감론(讀通鑑論) 송론(宋論) 과 같은 사론(史論)을 쓰
기도 했다. 이들 사론과 춘추 의 연구에서 보이는 철저한 화이관( 華 夷 觀 )은 별개로 하더라도, 그의 깊이 있고 다양한
학문 영역은 학문적인 후계자를 같지 못했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청대 학문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고염무는 경학( 經學)
과 소학( 小學)의 연구에 힘써 일지록( 日知錄) 천하군국이병서( 天下郡國利病書) 음학오서( 音學五書) 등을
남겼다. 특히 음학오서 는 고증학( 考證學)의 중심적인 분야인 음운학( 音韻學)의 선구적 업적이라는 것 외에도, 16세기
매작(梅鷟)의 상서고이(尙書考異) , 진제(陳弟)의 상서소연( 尙書蔬衍) 에서 보였던 방법론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주
목할 만하다. ( 개관동양사 , pp.263~265)

청대 고증학의 선구자들
이러한 경향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본격적인 고증학(考證學)은 염약거(閻若璩, 1636~1704)와 호위(胡渭, 1633~1714)를
그 선구로 한다.
염약거는 고문상서소증(古文尙書蔬證) 을 지어서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던 고문상서(古文尙書)가 위작(僞作)을 밝혀 내
었고, 호위는 역도명변(易圖明辨) 을 통해서 하도(河圖)와 낙서(洛書)가 본래 역경(易經) 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도
가( 道家)의 설임을 증명했다. 이들의 저작은 주자학의 근거를 완전히 뒤엎은 실증적인 저작으로서, 경전 자체에 대한 문헌
학적 연구의 문을 열었다.
고증학의 발전
이들의 뒤를 이어 18세기에 들어와 많은 학자들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특히 역경( 易 經 ) 의 연구에 정통했던 혜동( 惠
棟, 1697~1785)과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蔬證) 을 지은 대진(戴震, 1723~1777)이 주목된다.
혜동은 조부(祖父)인 혜주척(惠周惕)과 부(父)인 혜사기(惠士奇)의 뒤를 이어 이른바 한학(漢學)의 기틀을 완성했는데, 한
대( 漢代) 학자의 설을 기초로 한 주역술( 周易述) 은 왕필( 王弼) 이후의 현학적( 玄學的)인 해석을 전혀 채택치 않고 있
다. 그밖에 고문상서고( 古 文 尙 書 考 ) 를 지어 염약거의 설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의 문하( 門 下 )에서 강성( 江 聲 ), 왕창
( 王昶), 여소객( 余簫客) 등의 경학자( 經學子)가 배출되었는데, 주목되는 겄은 고증학의 방법론을 역사학에 도입한 십칠
사상각(十七史商榷) 을 지은 왕명성(王鳴盛, 1720~1797)과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를 낸 전대흔(錢大昕, 1728
~1804)이 나와서 고증학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이다.
대진( 戴震)은 경전 연구에 있어 문자와 언어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는데, 이런 의미에서 그가 중요시한 언어
학은 경전의 뜻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이처럼 경전 연구에 있어 과학성을 중요시 하는 그의 방법론은 그의 제자
단옥재( 段玉裁, 1735~1815)와 왕념손( 王念孫, 1744~1832), 왕인지( 王引之, 1760~1834)로 이어져서 고증학은 그 전성
기에 이르게 된다.
단옥재는 육서음운표(六書音韻表)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 등을 지어서 대진의 뒤를 이었는데, 특히 설문해자
주(說文解字注) 는 한자(漢字)의 어원 사전(語源辭典)이라 할 후한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에 대한 치밀한
고증을 한 것으로, 고증학의 본령(本嶺)을 보여주는 성과로 지목된다.
왕념손( 王念孫)은 광아소증( 廣雅蔬證) 과 독서잡지( 讀書雜志) 를 남기고 있는데, 그는 고전의 연구에 있어서 귀납
적(歸納的)인 방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리고 그는 이전의 학자들이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제자(諸子)
에 대해 치밀한 고증을 하였다. 그의 독서잡지( 讀 書 雜 志 ) 가 바로 그 성과인데, 관자( 管 子 ) 와 묵자( 墨 子 ) 등
약 10종에 걸치는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고증을 하였다.
이렇게 본격화한 고증학 연구에 의하여 수많은 학자가 배출되었는데, 그 가운데 크게 주목되는 학자는 청말에 일어난 공양
학( 公羊學)의 선구자인 장존여( 莊存與, 1719~1788), 청정( 淸廷)의 사고전서( 四庫全書) 편찬을 주관했던 기물( 紀昒,
1724~1805), 독특한 역사 이론을 편 장학성( 章學誠, 1738~1801), 그리고 고전 비판의 전형인 최술( 崔述, 1740~1816)
등이 있다. 문사통의( 文史通義) 를 지은 장학성( 章學誠)은 이른바 「육경개사( 六經皆史) 」의 관점을 발전시킨 비판적인
사론( 史論)을 전개한 것으로 유명하거니와, 특히 주목되는 인물은 최술( 崔述)이다. 그는 경전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를 했
는데, 공자( 孔子)의 전기에 대한 연구인 수사고신록( 洙泗考信錄) 이 대표적인 업적이다. 여기에서 그는 과장된 전설적
요소를 제거하고 한 인간으로서의 성인(聖人)이라는 공자의 상을 재구성했던 것이다.
청대의 고증학은 원래 명말 청초에 나타난 여러 가지 경향이 구체화된 것이지만, 그 발전에는 이민족 지배에서 오는 요소
의 영향도 있었다. 압도적으로 우세한 한족을 통치함에 있어 항상 지식인들의 반항에 주의하게 되었고, 강희( 康 熙 )․옹정
(雍正)․건륭(乾隆) 연간에 많은 필화 사건, 이른바 문자의 옥(文字獄)이 있었던 것은 지식인 통제라는 면에서 설명된다. 이
런 분위기는 지식인들로 하여금 현실에 대한 관심보다는 문헌 중심의 연구에 몰두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 더구나 고금도
서집성(古今圖書集成) 사고전서(四庫全書) 황청경해(皇淸經解) 등 거대한 편찬 사업이 청정(淸廷)에 의해 주
도되면서 그러한 경향은 한층 심화되었다. 특히 사고전서(四庫全書) 는 학문적인 목적 이외에 반만주적(反滿洲的)인 요
소를 문헌에서 제거하려는 의도로 편찬된 것으로서, 학문의 위축 내지 고증학의 발달에 미친 정치적 요인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 개관동양사 , pp.265~266)
7. 공양학
고증학의 전성기에 새로운 학풍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그것은 장존여( 章存與, 1719~1788)를 선구로 하는 공양학파( 公羊
學派)이다.
장존여는 고증학자로서 춘추정사( 春秋正辭) 등 춘추( 春秋) 에 대한 저술을 남기고 있는데, 춘추( 春秋) 를 해석
함에 있어서 공양전(公羊傳) 에 의거하여 자유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이는 전성기의 고증학이 후한(後漢)의 경학(經學)
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나, 보다 오랜 전거( 典據)를 구하게 되어 자연히 전한( 前漢)의 금문학( 今文學)에 눈을 돌리게 됨
에 따라 나온 결과였다. 이는 새로운 사상을 낳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나온 유봉록( 劉逢祿, 1776~1829)은 좌씨춘추고증( 左氏春秋考證) 을 지어서 좌전( 左傳) 이 경전과
는 관계가 없는 것임과 고문( 古文)의 좌씨전( 左氏傳) 이 한 유흠( 劉欽)의 위작( 僞作)임을 논증했다. 뿐만 아니라 논
어술하(論語述何) 를 통해 논어(論語) 의 해석에 하휴(何休)의 공양설(公羊說)을 적용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전개된 공양학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현실 사회의 문제에 적용되었다. 이는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위기에서 오는
현실 타개의 요구에 부응한 것이기도 한데, 대표적인 학자는 위원( 魏源, 1794~1857)과 공자진( 龔自珍, 1792~1841) 이
다.
위원은 모든 학문을 현실의 이해 내지 현실 개조의 도구로 보았고, 경전의 해석도 시대의 현실에 맞추어 자유롭게 이루어
져야 한다고 했다. 그가 황조경세문편(皇朝經世文編) 을 편집하고 성무기(聖武記) 와 해국도지(海國圖志) 를 지
은 것은 모두 그러한 경세적(經世的) 관심에서였다.
공자진은 거란( 據亂)․승평( 升平)․태평( 太平)이라는 하휴( 何休)의 삼세설( 三世說)을 모든 경전 해석에 적용시켰고, 나아가
서 사회 문제의 이해에까지 하나의 법칙으로 받아들이고자 했다. 그는 위원과 마찬가지로 현실 문제에 관심을 두어 여러
가지 개혁안을 내놓기도 했는데, 그러한 자세의 밑바탕에는 공양전( 公羊傳)의 삼세설( 三世說)과 만물은 궁극에 달하면 변
한다는 주역( 周易) 의 이른바 변통설( 變通說)이 깔려 있었다. 이는 뒤이어 나오는 변법 사상( 變法思想)의 기초가 되어
실천 사상으로 연결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공양학( 公羊學)의 전개 과정에서 보인 여러 가지 측면은 모두 강유위( 康有爲, 1858~1927)의 사상에서 종
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는 신학위경고( 新學僞經考) 에서 모든 고문 경전( 古文經典)이 위작( 僞作)이라고 주장하고,
공자개제고( 孔子改制考) 에서 정치 개혁의 근거를 찾아냈으며, 삼세설( 三世說)을 통해서 스스로 개혁의 구체상을 확립했
다. 그의 사상은 곧 무술 변법( 戊述變法, 변법 자강 운동, 1898)을 통해 구체화가 시도되지만, 현실의 개혁을 위한 사상으
로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 개관동양사 , pp.266~267)

고대 중국의 교육기관 - 중국유학

고대 중국의 교육기관 - 중국유학



고대 중국의 교육기관
작성자 샛별 시간 2009-4-28 조회수 494


고대의 교육

중국에서는 원시사회 후기에 이미 "상(庠)"이라고 하는 교육의 형태가 싹트고 있었는데, 그것은 중국의 가장 원시적인 교육 형태라 볼 수 있다. 상대(商代)에 이르러 정식적인 학교가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그 후 기나긴 노예사회와 봉건사회시기에 학교의 규모와 명칭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교육의 기본 형식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다. 고대 중국의 교육기구는 주로 관학(官學), 사학(私學), 서원(書院)이라는 3가지 유형이 존재하고 있었다.



1. 관학교육(官學敎育)

관학교육은 서주(西周) 초기에 설립되었으며 정부에서 설치한 학교교육을 가리킨다. 거기에는 국학(國學)과 향학(鄕學)의 구분이 있는데, 국학은 주(周)왕조와 각 제후국의 도읍에 설치되었고 향학은 지방에 설치되었다. 교육의 내용은 예(禮: 禮儀)와 악(樂: 音樂)을 중심으로 하면서 활쏘기(射), 수레몰기(御), 글쓰기(書), 수학(數)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을 통칭하여 "육예(六禮)"라 하였다. 교사는 정부의 관원이 담당하였으며 학생은 모두 귀족의 자제들이었다.

춘추전국 시기에는 귀족의 관학이 쇠락하였고 개인의 학교 운영이 흥기하였다.

한대(漢代)에 이르러 관학은 또다시 흥기하였는데, 그것은 중앙관학과 지방관학으로 나누어졌다. 한(漢) 무제(武帝)는 백가(百家)를 배척하고 오직 유학만을 존중하여 국가에 태학박사(太學博士)를 설립하여 유가경전을 전문적으로 강의하게 하였다.

수당(隋唐) 시기에는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번영을 이룩하여 교육사업도 크게 발전하였다. 중앙관학에서 지방관학, 관학에서 사학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완비된 학교교육 체계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계속하여 송(宋), 원(元), 명(明), 청(淸)으로 이어졌다.

수(隋)왕조 이후부터 중국에서는 과거제도를 시행하고 여기에 규정된 고시과목에 대한 시험을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였기 때문에 후대의 관학은 완전히 과거제도에 종속되어 관리가 되기 위한 수단이 되어버렸다.



2. 사학교육(私學敎育)

서주(西周) 이전에는 단지 관학만 있었을 뿐 사학은 없었다.

춘추시대에 들어와서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孔子)는 개인이 학문을 강의하는 기풍을 처음으로 열었다. 그는 "차별을 두지 않는 교육(有敎無類)"을 주장하여 귀족과 평민을 가리지 않고 모두 입학할 수 있게 하였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의 제자는 약 3천명에 이르는데 여기에서 새로운 학교운영 형식인 사학이 탄생되었다.

전국(戰國) 시기에는 유가(儒家), 묵가(墨家), 도가(道家), 법가(法家) 등의 학파가 "백가쟁명(百家爭鳴)" 하였는데, 각 학파를 대표하는 인물들은 잇달아 제자를 모집하여 개인 신분으로 학문을 강의하고 자기의 사상과 정치적 주장을 선전하였다. 이리하여 사학이 흥성하여 관학과 병립하는 교육 장소가 되었다.

춘추전국 시기의 사학은 학술과 문화의 번영을 촉진시키고 많은 인재를 배출하여 후대의 사학을 위한 모델을 마련해 주었다. 사학교육은 비록 관학과 같이 정규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학교운영 형식이 편리하고 자유로워 서로 다른 학술사상의 발전에 유리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교육에 대한 귀족의 독점을 타파하고 평민을 위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한대(漢代) 이후부터 사학은 중국 봉건 교육제도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었다.



3. 서원교육(書院敎育)

서원교육은 당대(唐代)에 시작되어 송대(宋代)에 성행하였는데, 이것은 고급 형식의 사학교육이다. 전통적인 사학교육에 비해서 서원교육은 기구 제도 교육상에서 모두 비교적 정규적이고 완비되었다. 장기간의 학교운영 과정 속에서 서원교육은 독특한 학풍을 형성하였다. 그것은 바로 학술연구와 심신수양을 강조하고 자유로운 학문 강의와 백가쟁명(百家爭鳴)을 제창하여 학술연구와 수업활동을 긴밀하게 결합하고, 수업방법상에서 교사의 지도하에 있는 학생의 자율학습을 중시하고 개인연구와 상호문답 교사설명의 세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학생의 독립적인 연구정신을 배양한 것이다.

서원에 들어가서 학습하는 학생은 일반적으로 과거시험에 참가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저명한 학자에게 학문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었다. 송대(宋代)의 "4대서원"인 백록당서원(白鹿洞書院: 江西 廬山), 악록서원(岳麓書院: 湖南 長沙 岳麓山), 석고서원(石鼓書院: 湖南 衡陽 石鼓山), 응천부서원(應天府書院: 河南 商丘) 등은 지금에 이르기까지도 여전히 그 명성을 누리고 있다. 서원교육은 중국 고대교육의 주요 형식 중의 하나로써 인재배양과 학술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명청(明淸) 시대에 이르러 서원교육은 여전히 흥성하긴 하였지만 관학화의 경향이 갈수록 심해짐에 따라 대부분은 관학과 마찬가지로 과거시험에 참가하기 위한 준비 장소가 되어 버렸다. 청대(淸代) 말기, 즉 1905년에 근대교육의 흥기와 함께 과거제도가 폐지되고 1천여년간 지속된 서원교육의 역사도 종결되었으며, 옛날의 서원은 신식학당으로 바뀌었다.

중국의 고대교육의 3대 유형은 서로 다른 점도 있지만 기본적인 특징은 같다. 즉 교육의 핵심 내용은 공자를 존중하고 경전을 공부하는 것이고, 교육의 주요 대상은 귀족 계층이며, 교육의 방법은 무조건 암기, 교육의 목표는 관료와 어용(御用) 문인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이외에 서방의 고대교육에 비해서 중국의 고대교육은 정치사상 윤리도덕 교육을 근본으로 하고 있으며, 수학 이학 화학 등의 자연과학 내용이 결핍되어 있다.

중국의 고대교육은 노예사회와 봉건사회의 의식 형태로써 노예제도와 봉건제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고대 중국인들의 지혜가 응집되어 있고 비할 수 없이 풍부한 중국의 전통 문화가 내포되어 있기에, 그것은 중국 민족문화의 전파와 발전에 대하여, 그리고 중화민족 정신의 형성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수천년에 이르는 중국의 고대 교육사상, 공자(孔子), 맹자(孟子), 순자(荀子), 동중서(董仲舒), 한유(韓愈), 주희(朱熹), 왕부지(王夫之), 대진(戴震) 등과 같은 많은 걸출한 교육가들이 출현하였는데, 그들의 풍부한 교육사상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교육사 문화사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