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0

Pan-Asianism's Religious Undercurrents: The Reception of Islam and Translation of the Qur'ān in Twentieth-Century Japan |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 Cambridge Core

Pan-Asianism's Religious Undercurrents: The Reception of Islam and Translation of the Qur'ān in Twentieth-Century Japan |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 Cambridge Core


Home
>Journals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Volume 73 Issue 3
>Pan-Asianism's Religious Undercurrents: The Reception...
English
Français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Article contents
Abstract
References

Pan-Asianism's Religious Undercurrents: The Reception of Islam and Translation of the Qur'ān in Twentieth-Century Japan


Published online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September 2014
Hans Martin Krämer
Article
Metrics
Get access
ShareCiteRights & Permissions[Opens in a new window]

Abstract


Recent scholarship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slam for prewar Japanese pan-Asianists. Yet, by considering Islam solely as a political factor, this strand of scholarship has largely overlooked the religious dimension of Japanese pan-Asianism. The existence of six different complete translations of the Qur'ān into Japanese, however, amply bespeaks a genuinely religious interest in Islam, an impression that is corroborated by a look at the sociopolit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s and the biographical backgrounds of the translators. While explicitly anti-modern, anti-Western, and anti-Christian notions were at work in these broadly pan-Asianist Japanese appropriations of Islam, an analysis of the terminology used in the translations shows that, ironically, Christian precedents were not easily overcome.
TypeResearch Article
Information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 Volume 73 , Issue 3 , August 2014 , pp. 619 - 640
DOI: https://doi.org/10.1017/S0021911814000989[Opens in a new window]
CopyrightCopyright ©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Inc. 2014

Access optionsGet access to the full version of this content by using one of the access options below. (Log in options will check for institutional or personal access. Content may require purchase if you do not have access.)

Check access

Institutional loginLog in with Open Athens, Shibboleth, or your institutional credentialsLog in

Personal loginLog in with your Cambridge Core account or society details.Log in


References


Ariga Bunhachirō 有賀文八郎. 1935. “Nihon ni okeru Isuramu-kyō” 日本に於けるイスラム教 [Islam in Japan]. In Nihon shūkyō kōza 日本宗教講座 [Course in Japanese religions], vol. 13. Tokyo: Tōhō Shoin.Google Scholar


Aydin, Cemil. 2007. The Politics of Anti-Westernism in Asia: Visions of World Order in Pan-Islamic and Pan-Asian Though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CrossRefGoogle Scholar


Azegami Naoki 畔上直樹. 2009. “Mura no chinju” to senzen Nihon: “Kokka Shintō” no chiiki shakaishi 「村の鎮守」と戦前日本::「国家神道」の地域社会史 [“Rural protective deities” and prewar Japan: A local social history of “State Shintō”]. Tokyo: Yūshisha.Google Scholar


Azuma Ryūshin 東隆眞. 2002. Nihon no Bukkyō to Isurāmu 日本の仏教とイスラーム [Japanese Buddhism and Islam]. Tokyo: Shunjūsha.Google Scholar


Breen, John. 1996. “Accommodating the Alien: Ōkuni Takamasa and the Religion of the Lord of Heaven.” In Religion in Japan: Arrows to Heaven and Earth, eds. McMullen, Ian J. and Kornicki, Peter, 179–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Google Scholar


Devine, Richard. 1981. “Hirata Atsutane and Christian Sources.” Monumenta Nipponica 36(1):37–54.CrossRefGoogle Scholar


Dufourmont, Eddy. 2011. “Tanaka Ippei: ‘Islam and Pan-Asianism,’ 1924.” In Pan-Asianism: A Documentary History, Volume 2: 1920–Present, eds. Saaler, Sven and Szpilman, Christopher W. A., 87–91.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Google Scholar


Ebisawa Arimichi 海老沢有道. 1989. Nihon no Seisho: Seisho wayaku no rekishi 日本の聖書—聖書和訳の歴史 [The Japanese Bible: A history of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Bible]. Tokyo: Kōdansha.Google Scholar


Esenbel, Selçuk. 2002. “Japan and Islam Policy during the 1930s.” In Turning Points in Japanese History, ed. Edström, Bert, 180–214. London: Japan Library.Google Scholar


Esenbel, Selçuk. 2004. “Japan's Global Claim to Asia and the World of Islam: Transnational Nationalism and World Power, 1900–1945.” American Historical Review 109(4):1140–70.CrossRefGoogle Scholar


Esenbel, Selçuk. 2007. “The Legacy of the War and the World of Islam in Japanese Pan-Asianist Discourse: Wakabayashi Han's Kaikyō Sekai to Nihon.” In Rethinking the Russo-Japanese War 1904–05, vol. 1, ed. Kowner, Rotem, 263–80. Folkestone: Global Oriental.CrossRefGoogle Scholar


Esenbel, Selçuk. 2011. “Abdürreşid İbrahim: ‘The World of Islam and the Spread of Islam in Japan,’ 1910.” In Pan-Asianism: A Documentary History, Volume 1: 1850–1920, eds. Saaler, Sven and Szpilman, Christopher W. A., 195–203.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Google Scholar


Fujimoto Katsuji 藤本勝次, Ban Kōsai 伴康哉, and Ikeda Osamu 池田修, trans. 1970. Sekai no meicho 世界の名著 [Great books of the world], vol. 15: Kōran コーラン [Koran]. Tokyo: Chūō Kōronsha.Google Scholar


Goodman, David G., and Miyazawa, Masanori. 2000. Jews in the Japanese Mind: The History and Uses of a Cultural Stereotype. 2nd ed. Lanham, Md.: Lexington Books.Google Scholar


Hara Makoto 原誠. 1997. “Senjika no shūkyō seisaku: ‘Senji Hōkokukai’ to Nihon Kirisuto Kyōdan” 戦時下の宗教政策—「戦時報国会」と日本基督教団 [Religious policy during the war: The “Patriotic War Association” and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In Kirisutokyō to rekishi キリスト教と歴史 [Christianity and history], ed. Dohi Akio kyōju taishoku kinen ronbunshū henshū iinkai 土肥昭夫教授退職記念論文集編集委員会, 275–98. Tokyo: Shinkyō Shuppansha.Google Scholar


Harootunian, Harry D. 2001. Overcome by Modernity: History, Culture, and Community in Interwar Japa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Google Scholar


Hotta, Eri. 2007. Pan-Asianism and Japan's War 1931–1945. New York: Palgrave Macmillan.CrossRefGoogle Scholar


Ikeuchi Satoshi 池内恵. 2007. “Izutsu Toshihiko no shuyō chosaku ni miru Nihonteki Isurāmu rikai” 井筒俊彦の主要著作に見 る日本的イスラーム理解 [Izutsu Toshihiko's Japanese understanding of Islam as visible in his major works]. Nihon kenkyū 日本研究 36:109–20.Google Scholar


Ikeuchi Satoshi 池内恵. 2009. “Izutsu Toshihiko no Nihonteki Isurāmu ron” 井筒俊彦の日本的イスラーム論 [Izutsu Toshihiko's Japanese Islam discourse]. Asuteion アステイオン 70:172–79.Google Scholar


Izutsu Toshihiko 井筒俊彦, trans. [1957–58] 1964. Kōran コーラン [Koran]. 3 vols. 2nd ed. Tokyo: Iwanami shoten.Google ScholarPubMed


Izutsu Toshihiko 井筒俊彦. 1992. Izutsu Toshihiko chosakushū 井筒俊彦著作集 [Works of Izutsu Toshihiko], vol. 5: Isurāmu tetsugaku イスラーム哲学 [Islamic philosophy]. Tokyo: Chūō Kōronsha.Google Scholar


Kawamura Mitsuo 川村光郎. 1987. “Senzen Nihon no Isuramu, Chūtō kenkyū shōshi: Shōwa 10 nendai o chūshin ni” 戦前日本のイスラム・中東研究小史—昭和 10 年代を中心に [A short history of research on Islam and the Middle East in prewar Japan: Centering on the period from 1935 to 1944]. Annals of Japan Association for Middle East Studies 2:409–39.Google Scholar


Komura Fujio 小村不二男. 1988. Nihon Isurāmu shi 日本イスラーム史 [History of Islam in Japan]. Tokyo: Nihon Isurāmu Yūkō Renmei.Google ScholarPubMed


Kubota Hiroshi 久保田浩. 2002. “The Quest for Religious and National Identity of Japanese Protestants before 1945: Anti-, or Philo-Semitism as the Framework of Reference.” In Religion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Japanese Context, eds. Antoni, Klaus et al. , 51–74. Münster: Lit.Google Scholar


Makino Shin'ya 牧野信也. 1998. “On the Originality of ‘Izutsu’ Oriental Philosophy.” In Consciousness and Reality: Studies in Memory of Toshihiko Izutsu, eds. Jalāl al-Din Āshtiyāni, Sayyid et al. , 251–58. Tokyo: Iwanami.Google Scholar


Matsuura Masataka 松浦正孝. 2010. “Daitōa sensō” wa naze okita no ka: Han Ajia shugi no seiji keizai shi 「大東亜戦争」はなぜ起きたのか—汎アジア主義の政治経済史 [Why did the “Greater East Asian War” occur?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of pan-Asianism]. Nagoya: Nagoya Daigaku Shuppankai.Google Scholar


Mita Ryōichi 三田了一. 1924. “Zaiha eikoku shokuryōhin yushutsu kaisha kōjō chōsasho” 在哈英国食糧品輸出会社工場調査書 [Report on the factory of an English food export company in Harbin]. In Gendaishi shiryō 現代史資料 [Sources on contemporary history], vol. 32 eds. Itō Takeo 伊藤武雄 et al. , 773–79. Tokyo: Misuzu Shobō.Google Scholar


Mita Ryōichi 三田了一. 1940. Shin-chitsujo kensetsu to senbu kōsaku 新秩序建設と宣撫工作 [The erection of the new order and propaganda work]. Tokyo: Kaizōsha.Google Scholar


Mita Ryōichi 三田了一, trans. [1972] 1982. Sei Kurān: Nichia taiyaku, chūkai 聖クラーン::日亜対訳・注解 [The Holy Qur'ān: Bilingual Japanese Arabic version and annotations]. Rev. ed. Tokyo: Nichiyaku Kurān Kankōkai.Google Scholar


Mita Ryōichi 三田了一. n.d. Kita Shina Kaikyō jijō 北支那回教事情 [The situation of Islam in North China]. n.p.: Minami Manshū Tetsudō Hokushi Keizai Chōsasho. Available in the National Diet Library, call no. 167-M494 k.Google Scholar


Mitani Hiroshi 三谷博. 1997. “A Protonation-State and Its ‘Unforgettable Other’: The Prerequisites for Meiji International Relations.” In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Meiji Japan, ed. Hardacre, Helen, 293–310. Leiden: Brill.Google Scholar


Mori Nobuo 森伸生. 2009. “Kindai Nihon no Isurāmu ninshiki: Tanaka Ippei no Isurāmu shinkō” 近代日本のイスラーム認識—田中逸平のイスラーム信仰 [The knowledge of Islam in modern Japan: Tanaka Ippei's belief in Islam]. In Kindai Nihon no Isurāmu ninshiki: Musurimu Tanaka Ippei no kiseki kara 近代日本のイスラーム認識―田中逸 平の軌跡から [The knowledge of Islam in modern Japan: From the trajectory of Tanaka Ippei], ed. Kenkyūkai, Tanaka Ippei 田中逸平研究会, 81–123. Tokyo: Jiyūsha.Google Scholar


Morimoto Abu Bakr Takeo 森本武夫. 1976–78. “Sei Kurān nichiyaku no rekishi” 聖クラーン日訳の歴史 [A history of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Holy Qur'ān]. Assarāmu アッサラーム 6 (1976):18–23; 7 (1977):20–25; 9 (1977):50–57; 10 (1978):54–56.Google Scholar


Ōkawa Reiko 大川玲子. 2004. Seiten “Kuruān” no shisō: Isurāmu no sekaikan 聖典「クルアーン」の思想—イスラームの世界観 [The thought of the holy scripture “Qur'ān”: The world view of Islam]. Tokyo: Kōdansha.Google Scholar


Ōkawa Shūmei 大川周明. 1942. Kaikyō gairon 回教概論 [Outline of Islam]. Tokyo: Keiō Shobō.Google Scholar


Ōkawa Shūmei 大川周明, trans. 1950. Kōran 古蘭 [Koran]. Tokyo: Iwasaki Shoten.Google ScholarPubMed


Ōkawa Shūmei 大川周明. 1961. Ōkawa Shūmei zenshū 大川周明全集 [Complete works of Ōkawa Shūmei]. Vol. 1. Tokyo: Ōkawa Shūmei Zenshū Kankōkai.Google Scholar


Pickthall, Marmaduke William. 1930. The Meaning of the Glorious Koran: An Explanatory Translation by Marmaduke Pickthall. London: George Allen & Unwin.Google Scholar


Rezrazi, El Mostafa. 1997. “Dai Ajiashugi to Nihon Isurāmukyō: Hatano Uhō no ‘chōhō kara Isurāmu’ e no tabi” 大亜細亜主義と日本イスラーム教::波多野烏峰の「諜報からイスラーム」への旅 [Pan-Asianism and Japanese Islam: Hatano Uhō's travel “from espionage to Islam”]. Annals of Japan Association for Middle East Studies 12:89–112.Google Scholar


Rots, Aike. 2010. “Japan, the Jews, and Divine Election: Nakada Jūji's Christian Nationalism.” The Newsletter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54:31.Google Scholar


Sakamoto Ken'ichi 坂本健一, trans. 1920. Sekai seiten zenshū 世界聖典全集 [Complete collection of holy scriptures of the world]. Vols. 14–15: Kōrankyō コーラン経 [The Koran scripture]. Tokyo: Sekai Seiten Zenshū Kankōkai.Google Scholar


Sakurai Keiko 桜井啓子. 2003. Nihon no Musurimu Shakai 日本のムスリム社会 [The Muslim Society of Japan]. Tokyo: Chikuma Shobō.Google Scholar


Sawai, Yoshitsugu 澤井義次. 2008. “Izutsu's Creative ‘Reading’ of Oriental Thought and Its Development.” In The Structure of Oriental Philosophy: Collected Papers of the Eranos Conference, ed. Izutsu, Toshihiko, 215–23. Tokyo: Keiō University Press.Google Scholar


Schneider, Bernardin. 2003. “Bible Translations.” In Handbook of Christianity in Japan (Handbuch der Orientalistik 5, 10), ed. Mullins, Mark, 205–25. Leiden: Brill.Google Scholar


Sekioka Hideyuki 関岡英之. 2007. Ōkawa Shūmei no dai Ajia shugi 大川周明の大アジア主義 [The greater Asianism of Ōkawa Shūmei]. Tokyo: Kōdansha.Google Scholar


Shimamoto Takamitsu 嶋本隆光. 2008. “Ōkawa Shūmei no shūkyō kenkyū: Isurāmu kenkyū e no michi” 大川周明の宗教研究—イスラーム研究への道 [Ōkawa Shūmei's research on religion: His path to research on Islam]. Nihongo, Nihon bunka 日本語・日本文化 34:1–22.Google Scholar


Shinohe Jun'ya 四戸潤弥. 2004. “Afumado Ariga Bunpachirō (Amado): Nihon ni okeru Isurāmu hōgaku no senkusha toshite no ichizuke” アフマド有賀文八郎((阿馬土))—日本におけるイスラーム法学の先駆者としての位置づけ [Ahmad Ariga Bunpachirō (Amado): His position as pioneer of Islamic jurisprudence in Japan]. Shūkyō kenkyū 宗教研究 78:301–23.Google Scholar


Sugita Hideaki 杉田英明. 1995. Nihonjin no Chūtō hakken: Gyaku-enkinhō no hikaku bunka shi 日本人の中東発見—逆遠近法の比較文化史 [The Japanese discovery of the Middle East: A cultural history in reverse perspective]. Tokyo: Tōkyō Daigaku Shuppan.Google Scholar


Suzuki Norihisa 鈴木範久. 2006. Seisho no Nihongo: Hon'yaku no rekishi 聖書の日本語—翻訳の歴史 [The Japanese of the Bible: A history of its translation]. Tokyo: Iwanami.Google Scholar


Szpilman, Christopher W. A. 2011. “Ōkawa Shūmei: ‘Various Problems of Asia in Revival,’ 1922.” In Pan-Asianism: A Documentary History, Volume 2: 1920–Present, eds. Saaler, Sven and Szpilman, Christopher W. A., 69–74.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Google Scholar


Takahashi Gorō 高橋五郎 and Ariga Amado 有賀阿馬土, trans. 1938. Sei Kōrankyō: Isuramu kyōten 聖香蘭経: イスラム教典 [The Holy Koran: The scripture of Islam]. Tokyo: Sei Kōrankyō Kankōkai.Google Scholar


Tanada Hirofumi 店田廣文. 2007. “Islamic Studies in Wartime Japan: An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reater Japan Muslim League.” Annals of Japan Association for Middle East Studies 23(2):215–36.Google Scholar


Tanaka Ippei 田中逸平. [1920] 2003. “Shina Kaikyō mondai no shōrai to kōkoku Shintō” 支那回教問題の将来と皇国神道 [The future of the problem of Islam in China and the Shintō of our imperial nation]. In Tanaka Ippei sono 3: Nihon ron/Nihon Musurimu kara mita Shintō 田中逸平その3—日本論 //日本ムスリムから見た神道 [Tanaka Ippei, part 3: Japan theory/Shintō as viewed by a Japanese Muslim], ed. Takushoku Daigaku Sōritsu Hyakunenshi Hensanshitsu 拓殖大学創立百年史編纂室, 3–11. Tokyo: Takushoku Daigaku.Google Scholar


Tazawa Takuya 田澤拓也. 1998. Musurimu Nippon ムスリム・ニッポン [Muslim Japan]. Tokyo: Shōgakukan.Google ScholarPubMed


Thelle, Notto R. 1987.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Japan: From Conflict to Dialogue, 1854–1899.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Google Scholar


Tsubouchi Takahiko 坪内隆彦. 2001. “Isurāmu senkusha Tanaka Ippei shiron” イスラーム先駆者田中逸平・試論 [Explorative discussion of Tanaka Ippei, pioneer of Islam]. Takushoku daigaku hyakunen-shi kenkyū 拓殖大学百年史研究 8:1–56.Google Scholar


Usuki Akira 臼杵陽. 2008. “Ōkawa Shūmei no Isurāmu kenkyū: Nihonteki Orientarisuto no manazashi” 大川周明のイスラーム研究—日本的オリエンタリストのまなざし [Ōkawa Shūmei's Islam research: A Japanese Orientalist look]. Kikan Nihon shisō-shi 季刊日本思想史 72:130–52.Google Scholar


Usuki Akira 臼杵陽. 2010. Ōkawa Shūmei: Isurāmu to Tennō no hazama de 大川周明 : イスラームと天皇のはざまで [Ōkawa Shūmei: Between Islam and Tennō]. Tokyo: Seidosha.Google Scholar


Usuki Akira 臼杵陽. 2013. “Han Isurāmu shugi to han Arabu shugi no shin-dankai: 1931-nen Erusaremu han Isurāmu Kaigi kara no kōsatsu” 汎イスラーム主義と汎アラブ主義の新段階—1931 年エルサレム・汎イスラーム会議からの考察 [A new phase of pan-Islamism and pan-Arabism: An examination setting out from the 1931 Pan-Islamic Conference in Jerusalem]. In Ajia shugi wa nani o kataru no ka: Kioku, kenryoku, kachi アジア主義は何を語るのか—記憶・権力・価値 [What stories does Asianism tell us? Memory, power, values], ed. Masataka, Matsuura 松浦正孝, 274–91. Kyoto: Mineruva Shobō.Google Scholar


Wakamatsu Eisuke 若松英輔. 2011. Izutsu Toshihiko: Eichi no tetsugaku 井筒俊彦—叡智の哲学 [Izutsu Toshihiko: Philosophy of wisdom]. Tokyo: Keiō Gijuku Daigaku Shuppankai.Google Scholar


Weber, Torsten. 2011. “The Greater Asia Association and Matsui Iwane, 1933.” In Pan-Asianism: A Documentary History, Volume 2: 1920–Present, eds. Saaler, Sven and Szpilman, Christopher W. A., 137–47.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Google Scholar

NSW police ‘feared for their lives’ during raid on climate protesters says assistant commissioner | New South Wales | The Guardian

NSW police ‘feared for their lives’ during raid on climate protesters says assistant commissioner | New South Wales | The Guardian

NSW police ‘feared for their lives’ during raid on climate protesters says assistant commissioner


Police say group was planning ‘extreme forms’ of protest, activists say police actions were ‘insane overreach’

New South Wales police raided a climate protest group in Colo, in Sydney’s north-west on Sunday. Photograph: Dean Lewins/AAP


Christopher Knaus
@knauscSun 19 Jun 2022 

New South Wales police have defended their raid on a group of climate protesters in north-west Sydney on Sunday, alleging that the group was planning “extreme forms” of protest and acted aggressively towards officers.

On Sunday morning, police deployed in significant numbers to a property at Colo, in Sydney’s north-west, after a confrontation with Blockade Australia, a group that caused blockades at Port Botany, the city’s major port, in March.


Police had initially been surveilling the group at the property on Sunday. According to their defence lawyers, the protesters noticed strangers on the property and demanded they identify themselves and their reasons for being there.
Advertisement


The officers got into an unmarked car. The protesters are understood to have surrounded the car.

Police say they were being aggressive and slashed or let down the tyres of the vehicle.


Activists dismiss NSW government crackdown on Sydney port protests

Read more


That prompted a more comprehensive police response, according to acting assistant commissioner, Paul Dunstan.

“Those police that were attacked by that group this morning feared for their lives,” he said. “They called for urgent assistance and police from all over the Sydney metropolitan area [who] responded to assist and provide aid to those police officers.”

There were no injuries to police.


Lawyers for the Blockade Australia activists said the protesters surrounded the car in an attempt to understand who the strangers were and what they were doing on the property.

Sydney City Crime, the firm representing the protesters, said police had no legal basis for being on the property.

“This is complete overreach,” principal lawyer Joe Harb told the Guardian. “It is clear that police came merely to provoke a reaction and now they want to cry that they were the victims and in fear.”

Lawyer Mark Davis, also of Sydney City Crime, said police were repeatedly asked to identify themselves.

“The protesters kept asking who they were and the police walked away, before an unmarked car pulled up and they got in,” he said.

“The protesters surrounded the car, demanding they identify themselves. They had no legal basis to be on the property.”

Blockade Australia protesters described the police actions on Sunday as “insane overreach” and a large-scale raid.


“Police are raiding our beautiful camp. Groups of cops in cammo (sic) gear with guns surrounded our camp this morning,” the group said in a statement on Facebook. “Dog squad, riot police, helicopters and fully militarised police are all over us.”

“This is how a system based on climate destruction responds to a movement of nonviolent climate defenders.”


The group said its protesters were non-violent.

“This massive, costly police operation is aimed at preventing climate activists from taking action. This is how Australia responds to a peaceful nonviolent network of ordinary humans who want humanity to survive.”

Activist Zelda Grimshaw told the Sydney Morning Herald it was an “unprecedented” level of police repression of the climate movement.


“We are now suffering multiple impacts of Australia’s continued climate destruction with unprecedented fires, floods, and repression,” she said.


Police were deployed from nearby police area commands, and from specialist resources including PolAir, the police dog squad, the riot squad, police rescue, and the operations support group.

Two people have been arrested and more arrests are planned, police say. Officers were still conducting a search of the property on Sunday afternoon.


Fireproof Australia: who are the radical Extinction Rebellion splinter group?

Read more


Police established a strike force, named Strike Force Guard, after the earlier protests in March and NSW parliament to introduce new laws and penalties in April specifically targeting protests that blocked roads and ports.

Dunstan was asked what specifically police were investigating on Sunday, prior to the confrontation.

He alleged the activists were “practising, rehearsing and constructing items to conduct similar methods of protest that they conducted during the March protest activity, where you saw elaborate objects being formed and put in the middle of the roadways to ultimately disrupt vehicle activity and trains around the Sydney area”.


===


This article is more than 2 months old
Activists dismiss NSW government crackdown on Sydney port protests

State government announces strike force and penalties, while two German nationals will be deportedGet the free Guardian app; get our morning email briefing

Protesters Helen Kvelde and Dominique Jacobs from Blockade Australia block traffic into Sydney's major port on Wednesday. Photograph: Blockade Australia


Michael McGowan
@mmcgowanThu 24 Mar 2022 18.18 AEDT







Climate change protesters who have caused blockades at Sydney’s major port this week say tougher penalties and the deportation of two activists will not stop them from continuing their campaign.

The New South Wales government announced on Thursday that it would ramp up its response to protests by the climate group Blockade Australia, including the creation of a strike force aimed at disrupting activists, increased penalties and possible jail time.


The penalties, including fines of $22,000 and up to two years jail time for people who blockade tunnels and bridges, follow three days of protests around the port which have seen the arrests of five people including two German nationals.
Advertisement


The German nationals, who are brothers, have since had their visas cancelled.

The immigration minister, Alex Hawke, confirmed on Thursday they would be deported over their involvement in the protests this week, which blocked peak-hour traffic around Port Botany. One of the brothers has been refused bail and will face court again next week.


‘Appalling’: Newcastle residents question response after wool store fire showers homes with asbestos

Read more


After days of protests – and campaigning from Sydney radio station 2GB – the state’s acting premier, Paul Toole, held two separate press conferences on Thursday in which he also foreshadowed further “tough laws” to target protesters.

The government will also bring legislation to parliament which would expand the law to include roads and other major industrial and transport facilities.

“Groups like Blockade Australia, they have gotten a lot smarter than ever before. They’ve got legal teams that are actually doing work for them to actually work out what the penalties might be,” Toole told reporters. “Enough is enough.”

He also welcomed the cancellation of the visas of the two German nationals, saying: “Good riddance, we don’t want you here.

“They’ve got no place here in this country,” he said.

Toole called the protests a “kick in the guts” for farmers and miners, and said the decision to block traffic and slow the port’s operations was “disgraceful”.
Advertisement


Later on Thursday, Toole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a police strike force to “disrupt” the protesters, with assistant commissioner Peter Cotter flagging a heavy police presence and the use of proactive policing and stop and search powers in and around the port.

Sign up to receive an email with the top stories from Guardian Australia every morning
Sign up to receive the top stories from Guardian Australia every morning


But the group at the centre of the protests said they would not be deterred.

Among the five people arrested this week were 57-year-old preschool teacher Dominique Jacobs from Gloucester in the Hunter Valley and 71-year-old psychologist Helen Kvelde. On Wednesday afternoon they blocked a major road into the port with two trucks.

Kvelde locked herself to the steering wheel with a bike lock while Jacobs climbed on top of the second truck and unfurled a banner reading “don’t negotiate with climate criminals”.

While the threat of increased punishments was daunting, both women said it would not have stopped them taking the action.

“It wouldn’t make a scrap of difference to me,” Jacobs said. “I’m more frightened of the climate emergency than I am of their harsher penalties.”

Kvedle, a longtime environmental activist who lives in regional NSW, accused the government of “cynicism” for introducing the penalties.

“They only care about money and they only want to stop people who might be affecting the economy,” she said.
Quick Guide
How to get the latest news from Guardian AustraliaShow





Blockade Australia’s main spokesperson, Clancey Maher, who was arrested during its last major action disrupting Newcastle coal port in November last year, confirmed the group would not be deterred by the government.

“In regards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ike force and the harsher penalties and the threat of deportation, they’re all designed as deterrents and what I can say is none of them are working,” she said.

“None of the people currently engaged in Blockade Australia is backing down. One of the important things is to acknowledge that all of those actions by the government is to do just that. It’s to instil fear in people.”
Advertisement


The new penalties were supported by the Labor leader, Chris Minns, who dismissed fears that the extension of police powers posed a threat to civil liberties, saying the protests had caused “serious damage to the NSW economy”.


“It’s almost impossible to think of anything more disruptive, or damaging to the environmental cause, or the cause for climate change than the actions of these people,” he said.

“At the very moment when we’re trying to build a coalition around climate change, to make it a mainstream issue and to ensure that it has bipartisan support and the support of millions of people right across Australia, but in particular in Sydney, in western Sydney, this is one of the most damaging things that anybody could do.”

But the Greens MP David Shoebridge savaged the government, calling it a “politically motivated crackdown on legitimate political expression”.

“This isn’t the first time the Coalition has moved to criminalise protest, having already put in place harsh criminal penalties for any protest that disrupts fossil fuel production,” he said.

“In the face of global wars and human rights abuses and with our own communities reeling from catastrophic floods made worse by climate change, the right to demand action on climate and to defend human rights must be protected.

“Every tonne of coal, oil and gas we burn will increase the intensity and speed of climate change– the activists standing up to stop this should be congratulated, not arrested.”

===




Fireproof Australia: who are the radical Extinction Rebellion splinter group?

Violet Coco and Sam Noonan are both members of the Fireproof Australia activist group. Photograph: Carly Earl/The Guardian


They have blocked major roads, obstructed traffic on the Sydney Harbour Bridge and been denounced by Dominic PerrottetDownload the free Guardian app; get our morning email briefing


Royce Kurmelovs
@RoyceRk2Sun 10 Apr 2022 06.00 AEST





142



It was the re-election of a Coalition government in May 2019 that altered the trajectory of Sam Noonan’s life and politics.

“I didn’t really care about politics until then,” Noonan says. “But then a lightbulb went off, and I kind of went, ‘Well, this is not working, we need to do something.’”


At first the 48-year-old helped organise climate rallies in her region, but it was Extinction Rebellion – the group which caused widespread disruption in London in November 2018 – that captured her attention.

The group members’ willingness to face a strong possibility of being arrested appealed to her, as they appeared to take the catastrophic risk of climate change seriously.
Advertisement


“[I felt] these, you know, radical, annoying, disruptive, interfering sort of tactics were probably our last chance of doing something,” Noonan says. “I just knew, intuitively, that this is where I needed to be.

“I always said to my husband once we started all this activism that even if all else fails and we can’t save the planet, I want to know that I tried and be able to say to my grandkids, I really did my best, I did my best at the time.”

A few months after Noonan joined Extinction Rebellion, the Black Summer bushfires swept through New South Wales, Victoria and parts of South Australia, changing her life again.

Noonan, who is blind, had to confront the possibility of fleeing her home in the Illawarra, south of Sydney.

“Fires were coming from three directions at once,” Noonan says. “I was there wondering if I could evacuate out of Dapto because I didn’t have anyone who could drive the car and a lot of the train lines were down.”

After the catastrophic event that left 18,000 Australians internally displaced, Noonan joined a new protest group calling themselves Fireproof Australia.
Fireproof Australia taking their first roadblock action on the Princes Highway in Sylvania, NSW. Photograph: Fireproof Australia
Advertisement


In recent weeks the group has been grabbing headlines for blocking major roads during the morning peak hour to call for immediate action on climate change, including obstructing traffic on the Sydney Harbour Bridge at least three times.

The NSW government rushed through strict laws to curb the protests, and the premier, Dominic Perrottet, attacked Fireproof Australia for their disruptive tactics.

“This type of behaviour needs to stop,” Perrottet said. “People have the right to protest, people have the right to free speech, we promote that.

“But don’t do it at the expense of people trying to get to and from work, trying to get their kids to school, stopping people earning a living and a wage – that’s what these protests are doing.

“We’ve passed the laws, we’ll throw the book at these people, because their behaviour is completely unacceptable.

“And if you really want to lose support in the community for your cause, keep acting like that.”
‘We tried protesting’

This week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leased its latest comprehensive review, saying it was “now or never” to prevent catastrophic climate change.

Protest groups around the world have been growing more ambitious in response to what they see as an emergency.

Among those that have emerged in the UK are Tyre Extinguishers, which encourages people to deflate the tyres of SUV owners, and Just Stop Oil, which targets oil infrastructure.

Groups such as Fireproof Australia, Floodproof Australia and Blockade Australia are local variations who employ direct action in a campaign of “civil resistance” against governments which they believe aren’t acting fast enough on climate change.

Violet CoCo, a Fireproof Australia member, says the group splintered from Extinction Rebellion in May 2021 to take the protests to a new level.

“Fireproof Australia is designed to be more disruptive and more accessible in that disruption,” CoCo says. “All you need to do is sit down on a road to participate, you don’t need to wear a fancy costume.”
Violet Coco, a member of the Fireproof Australia activist group. Photograph: Carly Earl/The Guardian
Advertisement


They also have different demands. Extinction Rebellion wants governments to declare a climate emergency and rapidly cut emissions to zero by 2025 while Fireproof Australia’s goals are more immediate.

CoCo says the group wants a permanent, Australian-based air tanker fleet to fight bushfires, smoke-proof schools, aged care and disability centres to protect the vulnerable, and an immediate plan to rehome flood and fire survivors.

Some commentators who support urgent action on the climate crisis have criticised direct action tactics as counterproductive, warning they may alienate the very people who need to be persuaded. Writing in the Nine newspapers last month, the social researcher Rebecca Huntley said people who were “disengaged, uncertain or sceptical” were less likely to listen to someone who was making it harder for them to get to work.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 have done, groups such as Extinction Rebellion come up in conversation in a very negative way and can be a barrier to talking about global warming and how climate action might actually improve their lives,” Huntley wrote.

But CoCo says every other attempt to get governments to act has failed.

“We tried,” CoCo says. “We tried protesting to the politicians. We’ve tried one-day marches. Nothing happened. And so now we need to escalate these disruptive tactics.”

The group is often associated with Blockade Australia, whose members obstruct physical infrastructure such as rail lines or cranes, although the two groups are separate.

Blockade Australia’s membership is drawn from several campaigns, including Rising Tide, which targeted the coal industry in Newcastle, and anti-Adani protesters from Queensland.

The group’s first major action was obstructing coal trains at Newcastle, the largest coal port in the world in November 2021, prompting an attack from Barnaby Joyce, who said $60m in exports had been lost in one week.

In recent weeks the group has targeted Port Botany in Sydney, Australia’s largest container port, which led to the arrest of Maxim Curmi, who was jailed for four months after he scaled a 60m crane.

Unlike other groups, Blockade Australia has no specific goals. Maddie, a spokesperson who declined to give her surname citing the risk of arrest, says it is focused on “building momentum” as it “doesn’t see any worth in appealing to the goodwill of a system that doesn’t have any”.
‘Method to their madness’
Advertisement


The hurried NSW legislation in response to the street and industry blockades has been branded a “draconian” attempt to criminalise the right to protest by 40 civil society groups, including the NSW and Act Aboriginal Legal Service, the NSW Council for Civil Liberties, Human Rights Law Centre, Environmental Defenders Office and Australian Democracy Network.


Piero Moraro, a lecturer in criminology at Edith Cowan University who studies civil disobedience, says the right to protest can simply be restrained to “waving flags under the eyes of the police”.

As much as governments and commentators may cast militant or disruptive protest groups as troublemakers and even criminals, Moraro says they can drive change thanks to the “radical flank effect”.

“It is a reference to Martin Luther King,” Moraro says. “One reason why he was successful is that you also had the Black Panthers. White America was faced with the choice to either go with King or face more radical protests.”

Associate prof Hans Baer, an honorary research fellow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says there is a risk disruptive protests will “put off mainstream Australia”, but they are also necessary.

“It’s the more radical people who get the attention that pushes the more middle of the road people to act,” Baer says.

“There may be a method to their madness. So long as it doesn’t hurt people, if it only hurts infrastructu

"김지하를 추도하며" 프레시안 202206

프레시안 모바일


"김지하를 추도하며" 검색결과


총 4 건



김지하, 수난과 구도의 삶을 기억하며 4 
염무웅 문학평론가





지하 형님의 추억, 그리고 작별 3
이동순 시인





김지하로 가는 길 2
정지창 평론가·전 영남대 교수


=====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022061916103981311#0DKW

= ==                

타는 목마름으로, 지하를 다시 생각한다

[김지하를 추도하며] 1

T. S. 엘리어트의 시를 읽을 때마다 나는 이런 생각에 잠기곤 한다. "우리에게는 엘리어트보다 더 훌륭한 시인이 있었다."

시인을 놓고 누가 누구보다 더 위대하다는 말을 할 수는 없는 이야기이지만, 최소한 시라는 것은 일상적 언어가 미칠 수 없는 감정이나 느낌의 향연이 바로 지금 여기 우리 삶 속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의 자격이 없다고 말할 수는 있을 것 같다. 그 향연을 위해 일차적으로 필요한 사태는 언어의 공유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한국인의 시는 한국어로, 다시 말해서 한국인의 마음으로 쓰여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다고 엘리어트의 시가 단순히 영어로 쓰여졌다는 이유로 김지하의 시보다 못하다는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아니할까? 

우선 나는 한국의 고명한 영문학자일수록 그 고매한 번역이 그 오리지날한 문맥을 유실하고 있다고 확실히 말할 수 있겠지만, 번역의 상응성을 벗어난 곳에서 양자를 비교해도 엘리어트는 너무도 현학적이고, 신화적이고, 불필요한 인유의 숲속에 독자들을 헤매게 만든다. 뭔 개소리인지 알 수가 없다. 물론 나의 무지를 탓해도 항변할 생각은 없다. 원래 나는 무지한 사람이니까.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April is the cruellest month, 이 한마디밖에 나에게 남은 것은 없다.

겨울을 오히려 따뜻하다고 예찬하게 만드는 봄의 잔인함은, 탄생되는 뭇 생명의 고통과 더불어 더욱 혹독하게 느껴진다. 그 느낌은 나에게는 64괘의 진정한 시작인 준괘(屯卦)의 간난에서 나는 더 리얼하고 절실하게 느낀다. 그런데 지하의 시는 훨씬 더 다이렉트하고, 고귀한 수식이 없이, 신화적 장난이 없는 오늘 여기 현장의 느낌으로 그 미묘한 감정을 인간세 만천하 모두에게 선포한다.

엘리어트에게 생명이라는 것이 백작부인의 사치였다면, 지하에게 생명은 우금치에서 쓰러져가는 소복의 민중들이 흘린 피를 먹고 자라나는 잡초의 영원한 솟음이었다.

지하의 시는 너무도 쉽다. 그러나 현란한 언어의 포장 속에 자기를 감추는 여느 시인의 시보다도 격조가 높다. 시대의 아픔을 처절하게 느끼고 끝까지 변절하지 않은 김수영은 위대한 시인으로 영원히 기억되겠지만 지하에게서 느끼는 사유의 폭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지하에게는 동학이라는 "다시개벽"이 있었다. 지하에게 동학은 배움의 대상이 아니라 발견의 대상이었다. 지하는 동학을 발견했다. 수운의 생명력이 해월의 치열한 도바리 속에서 꽃을 피웠다면, 해월의 꽃은 지하의 시를 통하여 장엄한 화엄세계를 구축한다.

▲도올과 김지하가 '동학'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 ⓒ유튜브 채널 <도올TV> 화면 갈무리
▲도올과 김지하가 '동학'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 ⓒ유튜브 채널 <도올TV> 화면 갈무리
▲도올과 김지하가 '동학'에 대해 공부하며 함께 사진을 찍었다 ⓒ유튜브 채널 <도올TV> 화면 갈무리

나는 지난 세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애고에서 열린 특별한 사상가모임에 참석한 적이 있다. 그때 일본을 대표하는 지성으로서 오오에 켄자부로오(大江健三郞)가 초청되었다.

우리는 라호야 코우브 해변의 아담한 호텔에서 며칠을 묵었는데, 그의 방은 바로 내 방 곁에 있었다. 나는 첫인사를 나눌 때 그에게 나의 책 <여자란 무엇인가>의 일본어판을 선물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그가 그날 밤으로 나의 <여자란 무엇인가>를 정독하고 완독했다는 사실이었다. 아침에 만났을 때 그는 말을 건넸다.

"한번 눈을 붙이니 떼지를 못하겠더군요. 밤새 다 읽었어요. 당신의 책에는 보통 사상가에게서 느끼지 못하는 통찰이랄까, 정직함이랄까, 하여튼 그런 게 있었어요. 언어를 소화해서 내뱉는 방식이 아주 독특하더군요. 금기도 없고…… 하여튼 내 생각에는 당신이 소설을 쓰면 좋을 것 같아요."

내 인생에서 나 보고 소설을 써보라고 권유한 사람은 오오에 켄자부로오와 김훈(당시 한국일보 문화부 기자) 두 사람이었다. 그런데 켄자부로오는 나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줄곧 대화의 초점을 지하로 가지고 갔다.

"당신의 글쓰기에서도 느꼈지만 한국인의 감성에는 어느 민족도 따라갈 수 없는 생명력 같은 게 있어요. 김지하의 시는 단순한 시가 아니라 생명의 약동 그 자체에요. 감옥의 조그만 창틀에 낀 먼지 사이에서 싹트는 파아란 풀, 그 풀의 새싹이 우주 전체를 밀치고 나오는 듯한 그 힘, 그 힘 속에서 무한한 민중의 의지를 발견하는 김지하! 김지하는 정말 특별합니다."

"일본의 선적인 세련미를 가진 시인들에 비하면 너무 거칠지 않나요?"

"뭔 말씀을 그렇게 하십니까? 김지하의 시는 바로 그 거침 속에서 우주적 생명이 발랄하게 뛰어놀아요.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신선한 바람이 그의 언어를 감돕니다. 김지하는 정말 특별한 시인입니다. 언어를 거치지 않은 귀신의 놀이에요. 저는 정말 김지하를 존경하고 흠모합니다. 한국인들이 김지하를 보다 깊게 이해했으면 좋겠어요."

과연 이러한 지하의 유산이 "죽음의 굿판 걷어치우기"에서 끝난 것일까? 모로 누운 돌부처를 산산조각 낸 임옥상의 처사는 매우 정당하다. 허나 변명할 기회를 얻지 못한 지하에게 그가 남긴 위대한, 정의로운 문화유업까지 산산조각 내어버리는 것은 불가하다.

나는 지하와 오래 사귄 사람이다. 그의 비극은 강일순이 말한 "해원"을 심도있게 실천하지 못한 데서 오는 것이다. "짜식들이, 의리가 있어야지! 내가 누군데?"

내가 누군데가 통하지 않는 세상에서 내가 누군데를 말하는 그의 푸념이 말년의 생애를 덮었다. 참으로 딱하다. 인간의 최대의 죄업은 "고독"이다. 지하는 너무 고독했다.

엊그제 친구 이부영에게서 전화가 왔다. 김지하 추모제를 하는데 나의 참석을 요구하는 전화였다. 이부영은 참으로 의리가 있다.

나는 사실 안 나가도 그만이다. 그러나 지하의 과거사는 과거사 나름대로 보존되어야 한다는 그의 요청은 매우 진실한 요청이다. 나도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발걸음을 아낄 이유가 있나?

지하(芝河)라는 이름은 일본의 출판인들이 한자를 우아하게 고쳐 만든 이름이다. 김지하는 대학시절부터 하도 지하써클을 많이 하고, 지하다방에 사람들을 만나다 보니 자기 이름을 그냥 "지하(地下)"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내가 지하에게 직접 들은 얘기다.

지하는 지금 자업자득일지는 모르지만 억울하게 지하에 갇혀있다. 우리는 지하를 정당하게 지하로부터 끌어내야 한다. 그러한 기회를 만들고 있는 이부영과 그의 친구들에게 나는 경의를 표하고 싶은 마음밖에는 없다.(2022년 6월 11일 오후 2시 탈고, 낙송암에서)


===


===

김지하, 수난과 구도의 삶을 기억하며

[김지하를 추도하며] 4

돌이켜보면 1960년대 중엽 김지하를 처음 알게 됐을 때 그는 두 개의 얼굴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하나는 박정희 정권의 대일 굴욕외교를 반대하며 궐기한 학생운동 속의 모습이었습니다. 학교를 갓 졸업하고 어느 출판사에서 일하고 있던 나는 근무가 끝나면 복학한 친구들을 만나러 동숭동의 농성현장으로 가곤 했었지요. 그때 김지하의 쉰 듯한 목소리가 뿜어내는 뜨거움을 나는 화상(火傷)의 위험처럼 느끼며 외곽에서 바라보았습니다. 가정교사로 숙식을 해결하며 주로 서구문학의 좁은 울타리에 갇혀 지내온 나 같은 사람의 눈에는 당시 학생운동의 주역들이 외친 민족문제의 심각성이 제대로 보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청맹과니였던 거지요.

다른 하나는 시인이자 미학이론가로서의 김지하였습니다. 1964년 5월쯤이던가, 을지로 5가 뒷골목의 어느 술집에서 시화전이 열렸고, 거기서 나는 아마 처음으로 金之夏라는 이름으로 쓰여진 그의 시를 보았습니다. 그의 시뿐만 아니라 그 시화전에 나온 시들 대부분은 그동안 내가 읽어오던 우리나라의 시적 관습에서 벗어난 낯설고 실험적인 것들이었습니다. 후일 김지하 본인은 당시 자기가 슈르(초현실주의)풍의 모더니즘 계열 시를 썼다고 하더군요. 여하튼 나에게는 친숙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얼마 뒤 나는 그의 논문 발표를 듣게 됐습니다. 박종홍 교수가 늘 철학개론을 강의하던 문리대 대형강의실에서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정규 강의가 끝난 뒤의 어둑한 분위기가 지금도 아련히 떠오릅니다. 제목은 <추(醜)의 미학>. 칸트와 헤겔로 대표되는 전통미학 바깥을 더듬는 내용이었는데, 미학 이론에 입문조차 못한 나에게는 그의 대담한 이론 탐색이 낯설뿐더러 적잖은 충격이었습니다. 지하 자신도 후에 고백한 바 있지만, 사실 그 발표는 헤겔의 제자인 19세기 독일 철학자 칼 로젠크란츠(Johann Karl Friedrich Rosenkranz, 1805~79)의 저서 <추의 미학>(Ästhetik des Häßlichen, 1853)에 근거한 것이었지요. 그러나 그는 로젠크란츠라는 서구학자의 이론을 수용하되 거기에 머무르지 않았습니다. 지하는 로젠크란츠의 미학을 발판으로 우리 고유의 전통예술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을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추의 미학’이라는 동일한 이름 아래 로젠크란츠와 김지하는 사뭇 다른 내용을 말하고 있었던 셈입니다.

다들 알다시피 지하는 1960년대 중엽부터 서구 모더니즘에 여전히 한발 담그고 있으면서도 조동일 학형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탈춤이나 풍물 또는 민요나 판소리 같은 우리의 전통예술의 중요성에 눈을 떴고, 이용희(李用熙, 1917~1997) 교수의 회화사 연구에 자극받아 조선 후기의 풍속화와 실경산수(實景山水)를 주목하게 됐습니다. 요약하면 김지하의 ‘추의 미학’은 초현실주의 같은 모더니즘 서구예술로부터 우리 자신의 민족·민중미학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이론적 초석을 놓는 작업이었습니다.

그때부터 나는 지하와 자주 만나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그가 입원해 있던 역촌동 병원에도 몇 번 갔었지요. 수색 가는 버스를 타고 가다가 포수마을(지금의 서부병원 근처)에서 내려 논밭을 지나 산길을 오르던 일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가 퇴원한 뒤에는 소설가 오영수 선생 댁을 여러 번 동행했습니다. 갓 결혼한 나의 셋방이 오선생 댁에서 아주 가까운 쌍문동 우이천변이었던 까닭도 있지만, 무엇보다 오선생의 장남인 미대 후배 오윤의 남다른 미술적 재능에 지하가 흠뻑 빠졌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무튼 이 무렵 그는 미학과 선배인 김윤수 선생의 이론적 지도와 오윤 등의 실천적 뒷받침을 조직하여 과감하게 리얼리즘 미술운동에 시동을 걸었고, 알다시피 그것은 지난 반세기 사이 한국미술의 새 역사를 쓰는 데까지 엄청나게 발전했습니다.

1970년은 김지하 개인에게나 한국시의 역사에서나 특별한 해였습니다. 5월에는 담시 <오적>이 폭탄처럼 문단과 정치-사회를 강타했고 연말에는 시집 <황토>가 출간되어 시단을 흔들었지요. 그 어간에는 선배시인 김수영의 모더니즘에 기대어 자신의 시학(詩學)을 천명한 논문 <풍자냐 자살이냐>를 발표했습니다. <농무>의 시인 신경림이 문단에 복귀한 것도 그해 가을이었고요. 눈을 돌리면 열악한 노동현실에 항의하여 젊은 노동자 전태일이 분신한 것도 이때였습니다. 1960년대 말 김수영, 신동엽이 잇달아 세상을 떠난 데 이은 김지하의 눈부신 등장과 신경림·이성부·조태일 등의 새로운 활약은 우리 사회와 문학 내부에서 거대한 전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였습니다. 이 전환의 의미를 가장 명확하게 의식하고 가장 치열한 언어로 표현한 것은 김지하 자신이었을 겁니다. 시집 <황토>의 후기에서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 작은 반도는 원귀(怨鬼)들의 아우성으로 가득차 있다. 외침, 전쟁, 폭정, 반란, 악질(惡疾)과 굶주림으로 죽어간 숱한 인간들의 곡성(哭聲)으로 가득차 있다. 그 소리의 매체, 그 한(恨)의 전달자, 그 역사적 비극의 예리한 의식. 나는 나의 시가 그러한 것으로 되길 원해왔다. 강신(降神)의 시로."

여기 표명된 시인으로서의 강렬한 사명감이 전통예술인 판소리의 형식을 빌어 표현된 작품이 담시 <오적>입니다. 사실 이 작품은 그 정치적 파장과 사회적 폭발력 때문에 미학적 성취나 시사적(詩史的) 의의가 충실하게 검토되지 못했습니다. 지하 자신도 그 점을 아쉬워하곤 했지요. 당시 동아일보에 시 월평을 쓰던 나도 다음과 같은 소략한 언급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이 작품을 단순한 현실풍자로만 보아넘기는 것은 피상적 판단에 그치기 쉽다. 도리어 그러한 생생한 풍자를 유기적으로 자기 내부에 용해시킨 시형식적 달성이야말로 한국시의 앞날을 밝게 한다."(동아일보 1970.5.30.)

그야말로 단순한 암시에 불과한 촌평입니다. 여기서 내가 말한 ‘시형식적 달성’이란 박물관에 전시된 박제품 상태의 판소리 형식을 현실비판의 살아 있는 무기로 힘차게 살려낸 업적을 가리킵니다. 후일 김지하 자신도 <담시 전집>(솔 1993)을 간행하면서 "판소리의 현대화와 동학혁명 서사시는 내 꿈"이라고 언명한 바 있지요.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판소리의 현대화는 김지하가 평생에 걸쳐 수행한 여러 고뇌 어린 예술적·이념적 및 실천적 탐색의 일부, 즉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김윤수·오윤 등과 함께 시작한 새로운 현실주의 미술운동이 오늘날 한국 미술의 주류의 위치에 올라섰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지만, 국문학자 조동일의 이론적 지도와 창작자 김지하의 실천적 노력이 결합된 결과로 구체적 생기를 얻은 마당극, 마당굿, 탈춤, 풍물, 민요 등의 광범한 민중·민족연행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고 운동권 자체의 활동방식을 바꾸었습니다. 사회가 변하면 문화도 달라지지만, 1970년대 이후 30년 동안 한국에서는 거꾸로 대학문화가 사회의 변화를 선도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김지하가 불붙인 새로운 문화운동이 퍼져나가는 동안 그 자신은 불행히도 1970년대의 많은 기간을 감옥에서 보냈습니다. 그의 독방은 유례없이 혹독한 감시 속에 철저히 고립되어 있었습니다. 그것은 한 인간이 온전한 정신으로 견딜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것이었습니다. 후일 그는 고백했지요. "어느 날 대낮에 갑자기 네 벽이 좁혀들어오고 천장이 자꾸 내려오며 가슴이 꽉 막힌 듯 답답해서 꽥 소리 지르고 싶은 심한 충동에 사로잡혔다. 아무리 고개를 흔들어봐도 허벅지를 꼬집어봐도 마찬가지였다. 몸부림, 몸부림을 치고 싶은 것이었다."

1980년 12월 마침내 그는 석방되었습니다. 하지만 집 앞의 감시는 계속되었고, 그리하여 그는 "처음과 끝을 알 수 없는 번뇌가 그 무렵에 나를 사로잡고 놓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원래 지하는 술을 좋아했어요. 그나마도 왕소금에 깡소주를 마시기 일쑤였습니다. 그러니 애주가는 아니었어요. 출옥 후에는 더 심하게 술에 의존하게 된 듯합니다. 1980년대에는 내가 사는 대구에도 내려와 친교의 시간을 가졌고 그러다가 어느 때엔 우리 집에서 잔 적도 있습니다. 나로서는 그를 상대하기 버거웠어요. 나는 잠을 자러 들어가야 되는데, 그는 소줏잔을 들고 장광설을 그치지 않았으니까요. 새벽에 깨 보면 그는 이미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었습니다. 그의 괴로움과 외로움을 당시에 나는 충분히 깨닫지 못했습니다. 회고록에 보면 이런 구절도 있습니다.

"'알코올 중독에 의한 정신황폐증'이라? 내 병의 최초의 근원은 유년기의 사랑 결핍과 욕구 불만이었고, 최근의 원인은 과도한 알코올 중독인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오늘 나는 40년 가까운 지난날을 돌아보며 한없이 아픈 마음으로 시집 <화개(花開)>((2002)에 실린 그의 시 <횔덜린>을 읽습니다.

횔덜린을 읽으며

운다

‘나는 이제 아무것도 아니다

즐거워서 사는 것도 아니다’

어둠이 지배하는

시인의 뇌 속에 내리는

내리는 비를 타고

거꾸로 오르며 두 손을 놓고

횔덜린을 읽으며

운다

어둠을 어둠에 맡기고

두 손을 놓고 거꾸로 오르며

내리는 빗줄기를

거꾸로 그리며 두 손을 놓고

횔덜린을 읽으며

운다

'나는 이제 아무것도 아니다

즐거워서 사는 것도 아니다'

횔덜린(Friedrich Holderlin, 1770~1843)이 누구인가. '신이 사라지고 자연과의 조화가 무너진 자기 시대'를 탄식하며 '인간의 영혼 깊은 곳에 잠자고 있는 고귀한 신성을 일깨우는 것이야말로 시인의 소임'이라 보았던 시인, 그러나 바로 그 너무도 순결했던 소임 때문에 도리어 생애의 후반 37년을 정신착란자로 살아야 했던 시인 아닌가. 그 횔덜린을 읽으며 눈물 흘리는 또 다른 시인을 우리는 이제야 봅니다.

물론 지하는 1980년 석방 이후 30여 년 동안 괴로움과 외로움에도 불구하고 횔덜린처럼 정신착란의 감옥에 유폐되었던 것은 아닙니다. 아니 어쩌면 지독한 고통 자체가 동력이 되어 김지하 특유의 사상적 모색이 더욱 심오한 깊이를 얻게 됐는지도 모릅니다. 그가 남긴 책들을 읽어보면 그는 젊은 날부터의 수많은 지적·현실적 자극들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종합하고 극복하여 어떤 사상적 화엄의 통일체, 그 자신의 용어로 '움직이는 무(無)'의 상태에 이르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짓밟히고 학대받은 땅의 운명을 자신의 것으로 노래했던 첫시집 <황토>부터, 원주중학 동창(윤노빈)과 함께 읽은 헤겔의 <정신현상학>, 대학의 미학과에서 습득한 다채로운 서구의 예술이론들, 박정희 정권과의 목숨을 건 투쟁, 수운과 해월의 동학사상, 장일순 선생•지학순 주교와 함께했던 '원주 캠프'의 뜨거운 경험들, 정지용부터 이용악을 거쳐 김수영까지의 수많은 선배 시인들... 이 모든 자양분을 빨아들여 그는 '김지하'가 되었습니다.

물론 생애의 마지막 10여 년에 보인 그의 정치적 행보는 아쉽기 짝이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비난하고 비판했습니다. 그 비난•비판의 일정한 정당성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병고에 시달리다 노년에 들어선 김지하는 지난날처럼 그 비난과 비판 안에 들어 있는 합리적 핵심을 붙잡아 자신의 인간적 성장을 위한 거름으로 삼을 힘을 이미 잃었던 것 같습니다. 그 점이 김지하를 사랑했던 동료와 후배들을 더욱 가슴 아프게 합니다.

생각건대 김지하는 아직 미지의 존재입니다. 그의 80년 생애와 그가 남긴 방대한 저작들은 제대로 검토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 우선 필요한 것은 그의 삶과 죽음 모두를 끌어안는 포용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지하 시인 ⓒ연합뉴스


===




#10. 스리랑카의 간디_A. T. 아리야라트네 A. T. Ariyaratne : 네이버 포스트



첫 인터뷰 대상자가 정해지기 이전부터 마지막 인터뷰이는 스리랑카의 아리야라트네 박사라고 마음에 품었다. 그를 처음 만난 곳은 2013년 목련이 흐드러지던 봄날, 뉴욕 유니언신학대학에서다.

참여불교와 해방 신학의 세계 리더들이 현대를 진단하는 컨퍼런스에서 사르보다야 Sarvodaya 운동이 50여 년 동안 그 나라 마을의 3분의 1이 참여하는 공동체 운동으로 성장해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서구에서는 20여 년 전부터 주목하는 운동이고, 이들의 실천 덕목은 불교의 팔정도라고 했다‘.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말하고, 바르게 행동한다’는 고전적인 방식이 21세기 극도의 경쟁에 몰려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안운동으로 버티고 있다니 믿기 어려웠다.

내로라하는 아시아, 유럽, 북남미 지성들에게서 뜨거운 호응을 받으며 발표를 마친 아리야라트네를 쫓아갔다. 팔정도(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수행의 올바른 여덟 가지 길) 로 초국가 자본에 대항하며, 농촌 산업화에 맞서 소농의 경제 자립을 질적 성장을 이뤄냈냐고, 계란으로 바위를 깨뜨리고 있느냐고 물었다. 그는 빙긋이 웃으며 “그렇다”라고 답했다.

나는 “그쪽 공동체는 어떻게 인간의 욕망을, 내가 더 갖고 싶은 그 질긴 욕구를 다스리느냐고 재차 물었다. 아리야라트네는 “가능하다”라고 말하며 알고 싶으면 스리랑카로 와서 보라고 했다.









사회적 우선순위가 이윤을 높이는 무한경쟁을 묵인하는 경제 성장에 있는 우리의 오늘, 아리야라트네는 사람도 같이 살피자고 말한다.


“ 길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그 길을 지나갈 사람까지 고려하자는 거지 요. 잘 닦인 새 도로가 개통됐어요. 그런데 그 길목을 이용해 사람을 통제하고 죽인다고 한다면 어떨까요?

그래요. 역사는 넘치도록 그런 일을 해왔죠. 우리는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길을 놓으면서 동시에 사람들 사이의 평화를 만들고 자비심을 길러내는 일까지 해야 합니다.

당장의 돈 흐름을 살리겠다고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 땅도 주고 권리도 팝니다. 하지만 조금만 지나고 보면 그 결과가 독이 되어 파고드는 것을 보게 됩니다. 급하게 집어 먹은 돈이 여기저기서 부정과 부패도 만들지 만, 무엇보다 치명적인 결과는 가난이에요. 초국가적 기업들은 성장이 아닌 가난을 만들고 떠납니다.


가난한 사람의 것을 빼앗아 성장지수만 높이죠. 결국에는 빈곤만 남습니다. 정부는 그들의 로비를 받습니다. 기업의 위법적인 활동을 막아야 할정부가 오히려 기업의 힘, 돈의 힘에 휘둘립니다. 한국의 언론은 어떤가요? 영국은 98퍼센트의 언론이 단지 두세 개의 거대 자본 기업의 이익에 따라 보도합니다. 그들 기업은 제대로 세금을 내지 않는 탈세자들입니다. 행정, 사법 권력이 돈줄들과 한 통속입니다.

세상은 반드시 부처님이 가르쳤고 예수님이 가르쳤던, 또 인류의 위대한 스승들이 가르치는 그쪽으로 돌아가야 해요. 그러니까 우리는 물질주의적 접근만이 아니라 물질 적인 개발에 정신적인 개발까지 둘 다 이뤄야 하죠. 이것이 첫 번째 할일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우리의 정치적인 정책들, 사회적인 정책들이 사람을 살려내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세 번째는 이들이 정의를 위해 일하도록 힘을 조직해내야 합니다.
이윤이 아닌 정의가 사회적 우선 순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힘을 세워내야 합니다.”





아리야라트네가 말한 새로운 사회적 질서를 정하는 기준은‘정의’였다. 바로 사람을 살리는 길이다. 그런데 정의는 이윤을 만들 수 있을까?

지속적으로 이윤을 내지 못하면 경제 자체를 지탱할 수 없다고 현재의 한국 정부는 말한다. 다른 나라의 정부들도 마찬가지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상식이라고 믿는다. 이에 대해 아리야라트네에게“정의가 이윤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에 대해 물었다.






왜 우리가 꼭 이윤을 만들어야 하는 거죠?
무엇을 지속 가능하게 하려고요?
지속 가능한 부자? 지속 가능한 가난?

그동안 우리에게 적용된 시스템은 잘못되었습니다. 체계를 바꿔야 해요. 과연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당신이 있는 지역은 고도로 자본화된 곳입니다. 그 의미가 무엇인가 하면 최고의 자본주의 수입이 있고, 그 수입이 평등하게 나뉘지 않는다는 거죠. 매우 부자인 사람들, 중간 계급 그리고 다수는 아마도 가난한 사람들일 거예요.

거기에는 평등이 없습니다. 당신이 말하길 지속 가능한 경제라고 했죠? 부자들은 골프도 치고 요트도 타고 여유를 부릴 수 있어요. 자본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좋아요. 그런데 부자가더 부자가 될 때, 더 부자가 더욱더 부자가 될 때,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집니다. 그리고 부자는 그 권력을 누리죠. 가난한 사람들은 힘이 없어요.

그래서 세상에는 늘 부자와 권력 있는 자들 그리고 가난한 자와 힘없는 자들 사이에 갈등이 있어온 거죠. 이런 뿌리가 모든 종류의 자살, 살인, 강간, 범죄, 뇌물, 폭력, 부패를 만들고, 군대를 증강시켜왔습니다. 핵무기까지요.






얼마 전 말레이시아 여객기가 사라졌어요. 아주 많은 사람이 실종됐 고, 조종사들은 오늘날 기술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합니 다. 그러면서 조종사를 의심하더군요. 만약 그렇다면 이는 생겨서는 안될 일이 일어난 건데, 그 조종사의 마음이 그의 업무에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하는 일에 마음을 두지 못한 거죠. 집안에 우환이 있든지 돈을 빌려야 하든지 분노에 휩싸여 있든지 마음이 그곳에 없었던 거예 요. 왜? 그도 고통받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일부니까요. 개인이 자신의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신적으로 안정을 이룬 사회를 만드는 것 역시 국가가 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몫입니다.”

그는 조종사의 불안에 대해 언급했다. 한 나라의 지도자는 그 나라 시민의 재산뿐 아니라 불안한 마음까지 다스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긍정심리학의 태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이렇게 말했다.

“ 빈부의 차가 크면 국민이 우울하다.”




우울은 심리학적으로 무기력한 상태인데, 경제적으로 바꿔 말한다면생산성 저하일 것이다. 앞서 리처드 윌킨슨 편에서도 드러났듯 불평등의 기울기가 큰 지역은 전체적으로 스트레스 수치가 높고, 이는 면역력 저하,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 폭력과 범죄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실제 증거가 나와 있다. 여기에 한 국가의 권력을 차지한 정당이 해야 할 중요한 지점이 드러난다.

국가를, 자치 단체를 책임지는 권력을 이양받은 사람은 그들의 지지 세력뿐 아니라 반드시 집단 전체의 재산과 심리까지 지켜내야 한다는 점이다. 각 정당은 반드시 지지 세력의 재산과 권리, 안도 감을 위해 권력 투쟁을 해야 한다. 또한 전체의 이익을 살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그들의 지지 세력을 포함한 전체가 허약해지기 때문이다.






세월호의 선장은 왜 속옷 바람으로 탈출하는 상식 이하의 행동을 보였을까? 이를 인명 구조에 온몸을 받쳤던 아르바이트 승무원과 비교하여 개인의 인격 수준으로 판가름하기에는 사회 전반적으로 드리워진 무력 감이 짙다. 상대적 저임금에 비정규직인 선원들은 그들만의 건너지 못하는 절망의 깊이가 있을 것이며, 이는 우리 사회 전반에 드리워진 검은 해무 같은 우울의 막과 이어지기 때문이다.

얼마 전 강연에서 겪은 일이다. 현대미술 아티스트들이 제시하는‘나’ 를 만나고‘내 안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간이 주는 의미에 대한 이야 기를 했다. 그런 시간을 보낸 사람들이 세상이 돌아가는 판을 읽어내며 시대의 진행에 속도를 붙이거나 제동을 거는 작업에 대해 전달했다. 강연이 끝나고 한 청년이 내게 물었다.작가님이 말씀하신 아티스트들은 어떻게 그런 행위 예술도 하고, 그림도 그리는 걸까요? 젊은 시절, 예술을 해서 돈을 벌 수도 없었을 텐데……. 어떻게 의식 있는 예술을 하게 된 걸까요?”

그러게 말이다. 그들은 어떻게, 무슨 배짱으로 그렇게 자기 길을 갈 수있었을까? 잠시 멍청히 있던 내게, 앞서 하워드 가드너 편에서 언급했던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했던 말이 울렸다.






“ 인간의 역사 속에는 어느 한시기 문예부흥의 꽃 시절이 있었는데, 그건 그 시절 유독 똑똑하고 재능 있는 사람들이 태어났기 때문이 아니다. 그저 보통 사람들이 하고 싶은 욕구를 드러낼 수 있는 여건이 허락됐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고, 다만 이를 후대에서‘르네상스’라 이름 지어 구분했을 따름이다.”

그래서 나는 누구나 주변이 인정할 만한 정도로 자신의 욕망을 드러낼수 있는 그런 장치가 되어 있는 사회를 희망한다. 굶어 죽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돈 없어 병원 못 가 죽지 않는 그런 사회 말이다.

이런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인 요건을 갖춘 나라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중진국부터 많을 것이지만, 이를 이뤄내는 나라는 국민총생산과는 별개로 정치적 선택을 해낸 나라들뿐이다. 누구나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는 쿠바, 협력을 통해 창의성이 끌어내는 교육을 받는다는 덴마크, 경제적 자립이 보장된 당당한 노인의 나라 프랑스 등이 그럴 것이다.

아리야라트네가 말하는 국가의 의무는 국민들이 활기차게 살도록 두루 살피는 정의로운 통치에 있다. 서로가 서로를 적대시하지 않도록, 원한 맺지 않도록 함께 사는 사회이다. 진영으로 나뉜 우리의 반목이 더 깊어 지고 무기력이 더 깊어지면, 곧 다가올 미래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







A. T. 아리야라트네(A. T. Ariyaratne, 1931년생)는 스리랑카 최대 민중 조직인 사르보다야 운동의 창시자로‘, 스리랑카의 간디’로 불린다. 1958년에 그는 고등학교 교사로 스리랑카 오지 마을로 교육운동을 떠났다. 하지만 마을의 상황은 그를 학교에 묶어두지 않았고, 식수 설비, 화장실, 주택, 도로, 에너지원 확보 등의 일을 하며 마을의 자립을 이끌도록 했다. 사르보다야는 이렇게 시작되어 50년이 지난 지금 1만 5,000개 마을로 확대됐다. 이들이 만든 무상 유치원만 해도 4,335개가 넘는다.

1990년대부터는 평화와 갈등 해소, 경제개발 부작용에 집중해왔고, 현재는 타밀 반군과의 갈등이 남은 스리랑카 북부 마을에 집중한다. 사르보다야 운동은 참여불교와 간디 사상을 뿌리로 두고 있다. 아리야라트네는 1969년 막사이사이상, 1996년 간디 평화 상, 2007년 스리랑카 국민 훈장 등 많은 상을 받았고 그 상들을 명상센터 한쪽 방에 모아 두었는데, 줄지어 겹겹이 쌓여 방을 채울 정도다.










22만 리 길을 다니며 세계 지성 11인과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지혜와 지구의 지속 가능에 대한 미래 진단을 이끌어낸 재미 저널리스트. <경향신문>을 통해 소개되었던 ‘문명, 그 길을 묻다’ 를 통해 11인의 석학들과 만나 나눈 이야기를 출간하게 되었다.

대학에서 불어불문학을,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했다. 8년 동안 불교방송 PD로 일하며 시사· 교양·음악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한국방송대상 교양 우수작품상(1998), 한국방송대상 연예오락 우수작품상(2000)을 수상했다. 2002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 서구에 부는 성찰적 기운과 대안 활동을 소개하는 글을 써왔다.









문명, 그 길을 묻다

저자 안희경

출판 이야기가있는집

발매 201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