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2

Ed Yong - Wikipedia

Ed Yong - Wikipedia

Ed Yong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Ed Yong
Ed Yong (cropped).JPG
Yong in 2015
Born
Edmund Soon-Weng Yong

17 December 1981 (age 40)
NationalityBritish
Alma mater
Known forNot Exactly Rocket Science (blog);
I Contain Multitudes (book);
Pulitzer Prize for Explanatory Reporting (2021)
AwardsPulitzer Prize for Explanatory Reporting
Scientific career
InstitutionsThe Atlantic
ThesisSearching for the human resolvase (2005)
Websiteedyong.me

Edmund Soon-Weng Yong (born 17 December 1981) is a Malaysian-born British science journalist. He is a staff member at The Atlantic, which he joined in 2015.[1] In 2021 he received a Pulitzer Prize for Explanatory Reporting for a series on the COVID-19 pandemic.

Earlier in his career, Yong created and wrote the now-defunct blog Not Exactly Rocket Science, which was published as part of the National Geographic Phenomena blog network.

Education[edit]

Edmund Soon-Weng Yong was born 17 December 1981 in Malaysia.[2][3][4] At the age of 13 Yong immigrated to the UK in 1994. He became a British citizen in 2005.[5]

Yong was awarded Bachelor of Arts and Master of Arts degrees in natural sciences (zoology) from Pembroke College, Cambridge[6] in 2002.[7] He completed postgraduate study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where he was awarded a Master of Philosophy (MPhil) degree in 2005 in biochemistry.[2]

Career[edit]

Yong's approach to popular science writing has been described as "the future of science news",[8] and he has received numerous awards for his work. Yong received the National Academies Communication Award from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 2010 in recognition of his online journalism, then part of Discover's blog group.[9] In the same year he received three awards from ResearchBlogging.org, which supports online science journalism focused on covering research that has already been published in peer-reviewed scientific journals that can be adapted for a wider public audience.[10] In 2012 he received the National Union of Journalists (NUJ) Stephen White Award.[11] His blog received the first Best Science Blog award from the Association of British Science Writers in 2014.[12]

Yong's interactions with other science bloggers and engagement with those who have commented on his blog have served as case studies for academic work in media studies.[13]

His work also has been published by Nature,[14] Scientific American,[15] the BBC,[16] Slate,[17] The Guardian,[18] The Times,[7] New Scientist,[19] Wired,[20] The New York Times, and The New Yorker.[7][21]

In September 2015, Yong joined The Atlantic as a science reporter.[22] In August 2020, he received the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riting's Victor Cohn Prize for Excellence in Medical Science Reporting, citing his reporting on the COVID-19 pandemic and his commitment to including marginalized and underrepresented voices in his writing.[23] In June 2021 he received a Pulitzer Prize for Explanatory Reporting for a series on the COVID-19 pandemic.[24]

Personal life[edit]

Yong is married to Liz Neeley, a science communicator.[25][26] They occasionally collaborate on speaking engagements.[27][25]

Yong lives in London and Washington, D.C.[3][28]

Bibliography[edit]

References[edit]

  1. ^ "The Atlantic Expands Its News Team and Adds Other New Roles"theatlantic.com. The Atlantic. 23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6. Retrieved 31 July 2015.
  2. Jump up to:a b Yong, Edmund Soon-Weng (2005). Searching for the human resolvase (MPhil thesis). University of London. OCLC 926124477.
  3. Jump up to:a b "I Contain Multitudes: The Microbes Within Us and a Grander View of Life by Ed Yong". The Royal Society. Retrieved 3 April 2020.
  4. ^ Yong, Ed [@edyong209] (17 December 2012). "Thanks for birthday wishes, loads of people" (Tweet) – via Twitter.
  5. ^ Yong, Ed [@edyong209] (24 June 2016). "I am an immigrant. I've lived in the UK for 22 years and been a citizen for 11 of those and I've never felt as unwelcome as I do now" (Tweet) – via Twitter.
  6. ^ "Ed Yong (Pembroke 1999) wins Pulitzer Prize"Alumni. Retrieved 17 November 2021.
  7. Jump up to:a b c Yong, Ed (2014). "Ed Yong, Science Wri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4.
  8. ^ Rennie, John (3 February 2011). "Why Ed Yong is the Future of Science News (and You Could Be, Too)"PLoS BlogsPLO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31 July 2015.
  9. ^ "Revenge of the whippersnappers: Ed Yong wins National Academies Communication Award"Science. 14 October 2010. Retrieved 24 December 2019.
  10. ^
  11. ^ "Ed Yong wins NUJ Stephen White science award"National Union of Journalists. 28 June 2012. Retrieved 31 July 2015.
  12. ^ "Winners"Association of British Science Writers. Retrieved 31 July 2015.
  13. ^
    • Shanahan, M.-C. (8 September 2011). "Science blogs as boundary layers: Creating and understanding new writer and reader interactions through science blogging". Journalism12 (7): 903–919. doi:10.1177/1464884911412844S2CID 144586150.
    • Fahy, D.; Nisbet, M. C. (8 September 2011). "The science journalist online: Shifting roles and emerging practices". Journalism12 (7): 778–793. doi:10.1177/1464884911412697S2CID 145363279.
    • Elmer, Greg (2015). Elmer, Greg; Langlois, Ganaele; Redden, Joanna (eds.). Compromised Data: From Social Media to Big Data. Bloomsbury Publishing USA. pp. 251–63. ISBN 9781501306501.
  14. ^ Yong, Ed (2011). "Friendly bacteria move in mysterious ways". Naturedoi:10.1038/news.2011.614.
  15. ^ Yong, Ed (2013). "Armor against Prejudice". Scientific American308 (6): 76–80. doi:10.1038/scientificamerican0613-76PMID 23729075.
  16. ^ Yong, Ed (2014). "The amateur geneticist who surprised science"bbc.com.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6.
  17. ^ "Ed Yong"Slate Magazine. Retrieved 24 December 2019.
  18. ^ "Ed Yong Guardian Profile"theguardian.com. London: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pril 2016.
  19. ^ Yong, Ed (2015). "Bugs on patrol". New Scientist226 (3024): 40–43. doi:10.1016/S0262-4079(15)30523-6.
  20. ^ Yong, Ed (19 March 2013). "How the Science of Swarms Can Help Us Fight Cancer and Predict the Future"WiredISSN 1059-1028. Retrieved 24 December 2019.
  21. ^ Yong, Ed. "Not Exactly Rocket Science"National Geograph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31 July 2015.
  22. ^ Yong, Ed [@edyong209] (26 August 2015). "Starting at The Atlantic next Tuesday! And first piece for them is going up tomorrow. Because reasons" (Tweet) – via Twitter.
  23. ^ "Ed Yong awarded 2020 Victor Cohn Prize for medical science reporting |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riting"casw.org. Retrieved 24 August 2020.
  24. ^ LaForme, Ren (11 June 2021).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1 Pulitzer Prizes"Poynter.
  25. Jump up to:a b "The Atlantic's Ed Yong visits UW as fall science writer in residence"news.wisc.edu. 26 September 2017. Retrieved 31 October 2019.
  26. ^ Neeley, Liz (6 June 2019). "Liz Neeley on Instagram: "This guy... AND #elephants!!! . . . . #zimbabwe #waterhole #honeymoon #victoriafalls #nofilter""Insta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21. Retrieved 31 October 2019.
  27. ^ Shelton, Jim (25 September 2019). "Neeley and Yong extol the power of narrative in science writing"news.yale.edu. Retrieved 31 October 2019.
  28. ^ "Ed Yong". HarperCollins. Retrieved 3 April 2020.

External links[edit]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2는 동학특집호

Facebook
이번에 나온《Journal of Korean Religions》는 동학특집호로 꾸며졌다.
논문투고를 제안해주신 김용해 신부님과, 중간에서 수고해주신 김용휘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1. 김용휘 <동학의 종교적 아이덴티티 재검토 - 최제우의 문제의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2. 조성환 <동학에서의 철학의 전환 - 최시형에서의 윤리의 확장을 중심으로>
3. 김용해 <동학/천도교에서의 시천주 신앙과 실천방법>

==
May be an image of text
You, songsoonhyun, 홍승진 and 12 others
3 shares
Like
Comment
Share

알라딘: 천 일의 순이

알라딘: 천 일의 순이
천 일의 순이 
- 2021 문학나눔 선정 도서 
김난희 (지은이)북치는소년2021-03-10









































미리보기

정가
14,000원

책소개
치매 환자가 죽음을 맞이하기까지의 기록이다. 죽음 학자 김난희가 치매 엄마의 곁을 지킨 삼 년의 르포르타주이기도 하다. 엄마가 치매를 앓고 생전 보지 못한 사람으로 변화하며 영면하기까지 그의 가족이 치렀던 간병 일기이도 하다. 나아가 우리 사회가 심각하게 공론화해야 할 노인 복지 문제 보고서이기도 하다.

부모가 치매에 걸리는 순간 가족의 일상적 삶은 평온을 잃고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누구의 책임도 의무도 아니면서 수많은 윤리적 문제와 맞닥뜨리며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회의를 느끼는 철학적 문제와 마주하게 된다. 나아가 생명 소외의 자본화된 의료 현실 앞에 좌절하게 되는 사회 체계 문제와 다투게 된다.

이러한 문제 앞에 지은이는 때론 좌절하며 때론 끈기 있게 엄마의 곁을 지킨다. 어느 때는 황망한 자신을 발견하기도 하며 어느 때는 새로운 삶의 신비를 체험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지은이의 가족은 전쟁터의 군인처럼 대오를 형성하며 적과 싸우는 가족애를 보여 준다.


목차


프롤로그 • 7

1929년생, 서정순의 약전略傳
약전略傳에 앞서: 엄마, 그리고 나 • 27
1929년생, 서정순: 재주가 많으면 평생 고생한다더니 • 43

병상 기록 1
엄마가 치매라니: 치매의 증상과 진단 • 53
거처를 옮긴 엄마, 안착하지 못하고 • 62
근데, 내가 누구냐: 길고 우울한 ‘터널 증후군’ • 68

병상 기록 2
엄마, 요양 병원 침대에 갇히다 • 79
여기가 엄마의 마지막 집이라고? • 88
너무 오래 기다리고 있는 건 아닐까? • 97

병상 기록 3
코로나, 엄마의 운명을 가르다 • 105
이 상태로는 어디에도 엄마를 보낼 수 없어 • 117
섬망과 식탐, 그리고 실면失眠 • 124
돌봄, 치매 엄마 곁에서 존재하기 • 130

임종 기록
수면 장애 치료와 고관절 골절 • 141
우리 착한둥이, 순둥이 • 148
우주의 진흙, 엄마의 똥 • 157
엄마의 울음 • 164
마지막 만찬 후, 숨을 거두다 • 170

애도 기록
아버지와 나란히 누운 엄마 • 183
엄마 없는 날들 • 196

에필로그 • 209

여백 • 216

추천사 • 217
접기


추천글
가장 큰 죽음 공부

이 글을 읽으며 많은 생각에 잠겼다. 당장 무언가 급한 마음이 들어 몸을 일으켰지만 정작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지금 잘 살고 있는 것인지 앞으로 어떤 자세로 살아야 하는지 별별 의문이 꼬리를 물었다. 그만큼 이 글은 무겁다. 인간 죽음을 다루면서도 삶의 문제와 끊임없이 겹치고 있다. 소설이나 드라마 속에서나 접했던 치매가 내 문제로 선뜻 다가섰다. 그처럼 이 글은 현실적이다. 그러면서도 무언가 삶의 뜻이 움트는 미동을 느꼈다. 고통 속에 피어난 엷은 미소 같았다.
이 침묵과 파열은 떠도는 이야기를 한 편의 완결된 예술로 승화시키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특히 이 글은 기록성과 문학성을 갖춘 제대로 된 기록 서사라 할 수 있다. 종래 기록 문학, 소위 르포 문학은 현장성에 치우쳐 예술성을 상실한 채 생경한 모습이다. 거대 담론이나 특정 정파와 논리에 빠져 보도식 전달에 그치고 마는 형국이다. 그 자체로 뜻이 있겠지만 애초에 도모했던 서발턴(subaltern)의 현실은 정서적으로 체감하기 힘들다.
그런 측면에서 이 글은 미니멀리즘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빛이 들지 않는, 눈길이 가지 않는 곳에 골똘히 시선을 모둔 첨예한 글쓰기이다. 단지 그 대상이 글쓴이의 어머니였을 뿐이다. 글을 읽으며 글쓴이의 어머니는 어느새 내 엄마로 변신해 있었다. 글쓴이의 감정은 내게 충분히 이입돼 글을 읽는 시간은 오로지 내 시간이며 내 세계였다. 소소한 삶은 없다. 거대한 우주에서 나름대로 성좌를 이루며 빛나다 스러지는 것이다. 작가는 그것을 기록하는 존재다.
글쓴이와 겹친 세월은 짧다. 그는 인생 선배이면서도 한발 앞서 배웠다는 내 모자람을 너그럽게 받아 주었다. 동문수학하면서 스승을 대하는 마음과 벗들을 챙기는 품이 넉넉했다. 글을 읽으며 그것이 글쓴이의 단면이었음을 알았다. 더 넓은 세계가 그에게 있었다. 그래서 이 글은 한 사람의 인생을 총체적으로 보여 준 매개체이기도 하다. 죽은 이의 기록을 통해 산 자의 진면목을 드러낸 것이다. 르포르타주의 길이기도 하다. 허구에 치우친 소설이 다 하지 못한 진실을 담았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으며 앙드레 말로의 『인간 조건??』이 떠올랐다. 소설로도 백미이지만 르포르타주의 원형이기도 하다. 죽고 죽이는 살육 현장에서도 인간 본성은 착함과 우애를 잃지 말아야 한다는 인간 실존의 애환을 깊이 담았다. 그처럼 『천 일의 순이』는 추함과 협소로 끝날 것 같은 인간 종말에서 그렇지 않다는 확신을 준다. 인간의 위대함은 살아온 기적을 살아갈 기적으로 삼는 지혜에 있다는 것을 새삼 간직하게 된다. 치매는 비극이 아니라 삶을 마무리하는 인간 조건이라 여기게 되었다. 그 사건으로 사람들은 인간의 진면목과 마주하게 되기 때문이다.
글쓴이는 이 글에서 멈추지 말아야 한다. 그의 정신과 눈길과 손끝이 어루만져야 할 세상의 이야기가 모래알처럼 가득하다. 멈추지 않을 것이다. 그는 공부하는 사람이다. 간병의 고통과 때때로 도망치고 싶었던 충동, 죄책감, 그러나 더 힘이 셌던 연민과 애정의 단상들을 담으며 가장 큰 공부가 되었다는 그의 고백이 일러 주었다. 죽음에 앞서가 보는 일은 삶의 지도를 그리는 일이다. 부모의 죽음만큼 삶을 송두리째 흔드는 일은 없을 것이다. 아직은 묘연하다. 이 글이 실재로 이끌어 주었다. 사적이면서도 가장 공의로운 나날을 기록한 글쓴이와 울고 웃고 아파하며 비로소 위안을 얻었다. 그가 바라본 얼굴을 마주함으로써 윤리적 책임이 떠올랐고 그가 들었던 목소리를 통해 지식 속에 갇힌 세계에서 풀려나는 경이로운 체험을 했다. 이 글은 가장 순수한 글쓰기이며 치열한 르포르타주이다.
- 이민호 (시인·문학평론가)

치매 엄마의 돌봄과 죽음맞이를 위한 생생한 안내서

2021년 현재 코로나19로 한국도 많은 것들이 멈추고 단절됐다. 그중 내게 가장 안타까운 건 고향에 계신 어머니를 자주 뵈러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번은 전화로는 도저히 걱정과 그리움을 달랠 수 없어 무작정 기차를 타고 어머니께 달려간 적이 있었다. 팔순이 넘은 어머니는
허리가 더욱 구부정해지고 지팡이 없이는 걷기조차 어려웠다. ‘아! 앞으로 얼마나 더 사실까? 이러다간 어머니 살아계실 때 따뜻한 밥 한 공기도 못 지어 드리는 건 아닐까?’ 문득 불안감과 죄송스러움이 밀려들었다. 실제로 조선 시대 사람들은 아들이 부엌에 들어가 맛있는 음식을 해 연로하신 부모님께 올리는 것을 최고의 효도로 여겼다. 대표적으로 19세기 실학자 서유구가 그러했다.
김난희 선생님의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삼 년 동안 치매 엄마를 돌보고 하늘나라에 보내 드렸으며, 이제 그 경험을 토대로 한 권의 의미 있는 책까지 내시는 선생님 특유의 그 ‘호탕함’에 또다시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몇 년 전 선생님을 만나면 주말마다 치매 엄마를 모시러 수원에서 서울로 가야한다는 얘기를 듣곤 했다. 나는 으레 고생이 많겠다고 위로의 말을 하곤 했지만 그동안 얼마나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는지는 이 책을 보고서야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선생님은 치매에 걸린 엄마를 삼 년여 동안 가족들과 돌보면서 세상 그 어느 곳에서도 배울 수 없는 공부를 한 듯했다. 이 책은 죽음 학자답게 자기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치매 엄마의 돌봄과 죽음맞이에 초점을 맞춰 아주 담담히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또 기억 상실과 터널 증후군, 수면 장애, 배변 장애 등 여러 가지 치매 증상들과 돌봄 방법, 요양 병원 선택법이나 연명 치료 여부, 치매와 죽음 관련 참고 도서 등 그야말로 알찬 정보들을 각주 형식으로 일러주고 있다. 역시 죽음 학자답게 자기 경험담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 모두를 위한 책을 쓴 것이다.
선생님. 이 책으로 어머니는 맑은 영혼으로 다시 태어나 우리 곁에서 영원히 사실 겁니다. 아주 큰일을 하셨습니다.
- 정창권 (고려대학교 교양교직부 교수)


저자 및 역자소개
김난희 (지은이)


문학 박사, 미국 ADEC(Association for Death Education and Counselling)의 죽음 교육 수련 디렉터(FT). 2011년부터 서강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 안암) 등에서 글쓰기 강의를 했다. 2021년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인문 교양 학부에서 글쓰기 강의를 맡고 있다.
저서로 『부정성의 시학과 한국 현대시』, 『한국 전후 문제시인 연구 6』(공저), 『삶의 성찰 죽음에게 묻다』(공저)가 있으며, 「1980년대 노동시의 헤테로크로닉 양상」, 「1980년대 모더니즘 시의 정치적 무의식」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천 일의 순이>
김난희(지은이)의 말

이 책은 엄마의 죽음을 기록한 개인 서사이다. 개인의 기록을 바탕으로 고령 사회에 내재한 죽음의 보편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엄마의 개인적인 기록에 메모를 덧붙여, 읽는 독자가 죽음을 접할 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했다. 엄마의 죽음이 처음이었던 내가 엄마의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접했던 자료들이다.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참고 문헌의 제목, 저자, 출판사, 출판 연도, 쪽수까지 빼놓지 않고 밝혔다.
죽음이 병원과 요양 시설의 몫이 된 현대 고령 사회에서 엄마의 죽음을 맞이한 나의 죽음 대처 능력은 허약하기 짝이 없었다. 비단 내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근대화와 산업화 이후, 마을이나 가족 공동체에서 밀려나 병원과 요양 시설의 밀실에서 부모의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일반화된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경우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엄마의 죽음을 기록한 이 책을 사적이되, 공적인 기록으로 받아 주었으면 좋겠다. 베이비 부머 세대가 맞이한 부모님 죽음의 기록 서사로 읽히길 바란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인생의 시작과 끝이 준 은총

이 책은 치매 환자가 죽음을 맞이하기까지의 기록입니다. 죽음 학자 김난희가 치매 엄마의 곁을 지킨 삼 년의 르포르타주이기도 합니다. 엄마가 치매를 앓고 생전 보지 못한 사람으로 변화하며 영면하기까지 그의 가족이 치렀던 간병 일기이도 합니다. 나아가 우리 사회가 심각하게 공론화해야 할 노인 복지 문제 보고서이기도 합니다.
부모가 치매에 걸리는 순간 가족의 일상적 삶은 평온을 잃고 과거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누구의 책임도 의무도 아니면서 수많은 윤리적 문제와 맞닥뜨리며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회의를 느끼는 철학적 문제와 마주하게 됩니다. 나아가 생명 소외의 자본화된 의료 현실 앞에 좌절하게 되는 사회 체계 문제와 다투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 앞에 지은이는 때론 좌절하며 때론 끈기 있게 엄마의 곁을 지킵니다. 어느 때는 황망한 자신을 발견하기도 하며 어느 때는 새로운 삶의 신비를 체험하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은이의 가족은 전쟁터의 군인처럼 대오를 형성하며 적과 싸우는 가족애를 보여 줍니다. 특히 여성들의 눈물겨운 헌신은 희생의 차원을 넘어 숭고한 증여로 승화됩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치매가 일군 여성 계보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할머니, 어머니, 언니, 동생으로 이어지는 여자들의 움직임은 남자들을 보좌하는 차원을 넘어 적극적인 힘을 발휘합니다. 노자가 도덕경에서 말한 곡신(谷神)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말보다 몸이 앞서는 존재, 논리보다 실천을 앞세우는 현장에서 죽음은 어느 순간 새로운 의미로 새겨집니다.
이 책은 하이데거가 말한 죽음에 앞서가 보는 일이 무엇인지 깨닫게 합니다. 지은이는 그것을 가장 큰 죽음 공부라 말합니다. 달리 말하면 삶의 공부이기도 합니다. 치매는 인생을 되돌릴 수 없게 만드는 비극이기도 하지만 인생의 시작처럼 인간 삶의 끝에 찾아온 은총일지도 모릅니다. 일본의 ‘평화로운 죽음’의 선구자 의사 이시토비 고조는 이에 대해 치매 환자들과 접할 때는 자신이 구원받는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고 치매는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인생의 애교’와도 같다고도 말합니다.
누구나 언젠간 닥칠지 모를 삶의 한 순간, 치매 앞에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을 지은이가 먼저 앞서가 보여 주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치매와 걷는 안내서이자 지침서이기도 합니다. 특히 기록 서사의 형식을 충실히 따르며 인간애를 오롯이 담은 문학으로서 오래 두고 읽을 만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천 일의 순이』는 무엇을 담았는가?

치매 환자는 사람이다

이 책은 만성 심부전증을 오래 앓았던 지은이의 엄마가 치매 진단을 받은 후 영면하기까지 만 삼 년의 시간을 병상, 임종, 애도의 기록으로 나누어 묶었습니다. 치매 진단을 받고 노인 장기 요양 4등급으로 2016년 11월 말경부터(87세) 2020년 9월 10일 새벽 두 시 십오 분, 숨을 거두기까지(91세) 삼 년하고도 십 개월 정도 근 사 년의 기록입니다. 요양 병원과 요양원에서 지냈던 일 년 정도의 기간을 빼면 실제 근 삼 년에 해당하는 기간입니다.
지은이의 엄마는 이른바 ‘터널 증후군’이라는 긴 시간을 거치면서 치매가 악화되고, 엉덩이뼈마저 부러져 용변 처리를 남에게 맡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요양 병원과 요양원 에서 지내다 가족의 품 안으로 돌아와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 삼 년의 이야기 속에는 치매와 심장병 악화로 숨을 거두기까지의 좌충우돌 간병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죽음을 향해 한발씩 걸음을 내디뎠던 엄마 곁에서 수시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던 간병의 고통과 그 고통으로부터 때때로 도망치고 싶었던 충동, 그 충동으로 싹튼 죄책감, 그러나 다행히도 그보다는 더 힘이 셌던 엄마를 향한 지은이의 강한 연민과 애정의 단상들을 담았습니다.
이 모든 이야기의 끝은 의심의 여지없이 머잖아 누구나 맞이하게 될 나 자신의 죽음을 일깨워 줍니다. 결코 개인적인 경험담만은 아닙니다. 이변이 없는 이상 우리도 ‘최빈도 죽음’의 경로에서 벗어나지 못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최빈도 죽음’은 고령화 사회 노인들의 일반적 죽음입니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자연스러운 존엄사가 허락되기 어려운 의학의 관리 체제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고령화 시대 조만간 다가올 초고령화 시대에 노인이 될 우리의 죽음 경로이기도 합니다. 고령화 시대에 맞게 평균 수명을 산다면 지은이의 엄마처럼 우리는 노화와 질병의 긴 시간을 거치면서 죽음을 맞이하게 될 수밖에 없는 숙명에 처합니다. 이 책이 담은 병과 죽음에 관한 기록은 어쩌면 지은이의 엄마의 죽음을 빌린 우리의 미래 죽음의 투시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접기

[신영전 칼럼] ‘최빈도 죽음’, 즉 우리가 맞이할 죽음

[신영전 칼럼] ‘최빈도 죽음’, 즉 우리가 맞이할 죽음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모바일

[신영전 칼럼] ‘최빈도 죽음’, 즉 우리가 맞이할 죽음


등록 2022-05-17
 
돈이 많아도 고독한 기간이 연장될 뿐, 그 끝은 비슷하다. 권력도 소용없다. 많은 이들이 스콧 니어링처럼 100살쯤 되어 자기 집, 아내 곁에서 스스로 곡기를 끊고 서서히 죽어가는 것을 꿈꾸지만, 노화는 제일 먼저 그런 인지기능과 의지를 빼앗는다. 잊힌 채 누워 있는 시간을 빼면 과연 한국 사회의 평균 수명이 늘었다 할 수 있을까?

신영전 | 한양대 의대 교수

최근 호스피스 전문 의사 박중철씨가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 그 속에는 ‘최빈도 죽음’, 즉 우리가 맞이할 가능성이 가장 큰 죽음의 모습이 있다.
==

“60대 후반부터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감소되면서, 고혈압, 당뇨, 뇌졸중, 폐렴, 낙상으로 인한 골절로 병원 신세를 지기 시작한다. 자녀들은 육아나 생계 문제로 간병이 어렵다. 결국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한다. 열악한 임금·노동조건 아래서 적은 간병인력으로 운영되는 시설에서 한사람 한사람 세심한 인격적 돌봄을 받을 가능성은 낮다. 그렇다고 일당 10만~15만원인 사설 간병인을 몇년간 둘 수도 없다. 누워 있는 모든 노인 환자들의 꿈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지만 이 꿈을 이루는 이는 거의 없다. 간혹 성공해도 곧 다시 요양원으로 돌아와야 한다. 폐렴, 요로감염, 뇌경색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코에는 인공급식관이 끼워진다. 몸에는 독한 항생제 내성균이 자라고 격리 차원에서 면회와 접촉이 제한된다. 몇차례 응급상황이 벌어지고, 처치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외롭게 죽음을 맞는다.”

==
2020년 전체 사망자의 75.6%가 요양병원을 포함한 의료기관에서 사망했다. 물론 이런 죽음을 맞지 않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최빈도 죽음은 그나마 병원비를 낼 수 있는 사람들 이야기다. 이 시간에도 며칠째 대소변을 처리하지 못한 채 골방에 혼자 누워 있는 많은 환자들이 있다. 간병과 생활비 벌기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훈이는 자퇴하고, 성희는 애인과 헤어졌다. 간병은 가장 비민주적인 권력공간이다. 약자가 가장 힘든 일을 맡는다.

돈이 많아도 고독한 기간이 연장될 뿐, 그 끝은 비슷하다. 권력도 소용없다. 사람들이 찾는 건 정승이 아니라 정승 집 개가 죽었을 때라는 걸 우린 알고 있다. 많은 이들이 스콧 니어링처럼 100살쯤 되어 자기 집, 아내 곁에서 스스로 곡기를 끊고 서서히 죽어가는 것을 꿈꾸지만, 노화는 제일 먼저 그런 인지기능과 의지를 빼앗는다. 죽기 위해 병원에서 인공급식관을 빼는 것도 현행법상 불법이다. 영국 사회학자 노르베르트 엘리아스의 말처럼 우리가 맞이할 죽음은 ‘때 이른 죽음’이기도 하다. 아직 살아 있는데도 사랑하는 이들로부터 격리된 사람은 이미 죽은 것이기 때문이다. 잊힌 채 누워 있는 시간을 빼면 과연 한국 사회의 평균 수명이 늘었다 할 수 있을까?

우리가 맞이하게 될 최빈도 죽음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우리가 바라는 ‘좋은 죽음’, 즉 고통이 없고, 가족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며,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에게 둘러싸여 죽음을 맞는, 잘 준비된 죽음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결국 하루 종일 오직 성장과 돈만이 해결책이라는 슬로건 아래 생존의 전쟁터로 내몰려 가족의 죽음 과정에서조차 연민의 시간을 나누기 어렵게 만들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 문명이 그 원인이다. ‘건강하게 살아 있는 자만이 생산적이고 고로 가치가 있다’는 천박한 문명 말이다. 죽음을 감당할 준비가 안 돼 있으니 죽음을 부정하는 심리적 방어기전이 작동하고, 정작 죽음이 닥치면 자신의 죽음마저 의료전문가에게 맡긴다. 의료는 갈수록 영리화되고 비싸져 그 돈을 벌기 위해 가족들은 다시 연장근무를 해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돌고 있다.

우리의 죽음이 쓸쓸하고 볼품없어지는 사이 이미 전체 인구 중 32%가 1인 가구로, 국가가 간병 책임을 떠넘겼던 가족이 사라지고 있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는 2020년 38.7명에서 2038년에 70명, 2056년에는 100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낙인과 저임금에 시달리며 간병 인력의 60~80%를 지탱해주었던 중국동포들도 이제 늙어가고 있다.

결국 유일한 해결책은 가정·지역사회·의료기관·복지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보편적, 포괄적 돌봄체계의 구축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체계의 운영 중심에 죽음에 대한 격리와 배제가 아니라 연민이 자리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민은 공공성의 다른 이름이다. 이 연민 공동체를 제일 먼저 파괴하는 것은 빈부 격차, 약육강식과 각개약진의 풍조, 영리화 정책 등이다. 사회서비스 영역 규제 완화와 영리화를 표방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의 출범이 벌써부터 걱정스러운 이유다.

잠시 시간을 내어,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병상에 기저귀를 차고 몇달째 누워 있는 당신을 떠올려보시라. 모처럼 맑은 정신으로 깨어난 새벽, 당신은, 아니 우리는 외로움에 몸서리치며 이렇게 중얼거릴 것이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때는 이미 늦었다는 점이다.

알라딘: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알라딘: [전자책]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eBook]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말하는 죽음학 수업 

박중철 (지은이)홍익출판미디어그룹2022-05-20 

전자책정가
12,000원

종이책 페이지수 : 328쪽

책소개

시종 우리 사회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냉정하게 짚어내면서 왜 친절한 죽음이 모든 이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를 의학과 철학, 사회·역사적 근거들과 이론들을 통해 차례로 풀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잘 죽는다는 것이 잘 사는 것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자기 삶의 옷깃을 여미게 된다.

20년 넘게 수많은 사망 환자 곁을 지켜온 의사로서, 저자는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품위 있고 건강한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저자는 의과대학, 병원, 그리고 개인이 스스로 죽음에 대한 각박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들을 차례로 제시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

목차
프롤로그

1장 당신의 죽음은 실패한다
1. 누구나 품위 있는 죽음을 원한다
2. 초라한 삶의 질, 비참한 죽음의 질

2장 우리의 죽음이 실패로 끝나는 이유
3. 죽음이 사라졌다
4. 우리는 각자 존재하고, 나는 홀로 소멸한다
5. 병원에는 임종실이 없다
6. 연명의료의 민낯을 파헤치다

3장 우리가 은폐해 왔던 이야기
7.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
8. 의학의 발전, 죽음의 개념을 흔들다
9. 마침내 안락사 논쟁이 시작되다
10. 보라매병원 사건이 남긴 교훈
11. 죽을 수 있는 권리를 외치다
12. 연명의료결정법의 탄생

4장 죽음의 문화를 위한 발걸음
13. 존엄한 죽음을 위한 세계의 노력
14. 안락사와 존엄사
15. 생명의 가치를 다시 생각한다
16.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문화

5장 자연스러운 죽음에 대하여
17. 수명의 연장이 불러온 비극
18. 곡기를 끊는다는 것
19. 안락사인가, 자연사인가
20. 가장 흔한 죽음의 모습
21. 의사들은 어떻게 죽기를 원할까?
22. 최빈도 죽음의 쳇바퀴에서 탈출하기

6장 후회 없는 삶에 도전하다
23. 인간의 존엄을 다시 생각한다
24. 후회 없는 삶을 위하여
25. 웃으면서 죽음을 맞이하다

7장 나는 친절한 죽음이 좋다
26. 의료인의 편도체
27. 죽음을 지켜내다
28. 의학, 이제 죽음에 친절해지자
29. 마지막 제안

에필로그
참고문헌

===
책속에서
P. 19 병원 사망보다 더 나쁜 죽음은 없다. 잘 죽는다는 것은 집에서 죽는 것이다. 왜냐하면 병원은 주삿바늘이 쉴 새 없이 몸을 찌르고, 종일 시끄럽고, 밝은 불빛으로 잠들 수도 없고, 가족들에게 작별 인사도 못한 채 낯선 사람들 속에서 외롭게 죽기 때문이다

P. 57 한국인은 좋은 죽음을 바라면서도 대부분 그 바람과는 달리 비참하고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 인생을 아름답고 품위 있게 마무리하기보다는 마지막까지 병원에서 노화, 또는 질병과 싸우면서 치료 과정 중에 사망하는 것이 오늘날의 흔한 죽음의 모습이다.

P. 68 오늘날 개인의 죽음은 경찰이나 국가기관에 신고를 해야하는 사건이자 장례와 매장을 위해서는 의사가 작성한 사망진단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죽음이 사건으로 다뤄지면서 그것이 치안과 보건의 차원에서 안전한 것인지를 증명받아야 한다. 이제 죽음은 일상에서 마주치면 부정(不淨, 깨끗하지 못함)한 것을 넘어 아예 현대인의 삶에서 부정(否定)되고 있다. 언제부터 죽음을 삶의 마지막 과정이자 숭고한 완결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내 삶의 안정을 해치는 사건이자 끝까지 거부해야 하는 재앙으로 생각하게 되었을까?  접기

P. 70 병원 안에는 끝까지 살리기 위한 중환자실은 있지만 가족들에 둘러싸여 죽음을 자연스럽게 맞이할 수 있는 임종실은 없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2004년부터 우리나라는 병원 내 임종실 설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나, 병원들은 앞다퉈 장례식장은 확장하면서 임종실 설치는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P. 95 우리는 후회 없이 평온한 마음으로 죽음을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또한 의료인들이 환자의 인간적인 죽음을 지켜주는 것으로부터 보람과 자부심을 얻는 것은 불가능한 것일까? 죽기 전 병원으로 옮겨져 연명의료를 받다가 중환자실에서 삶을 마감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인간적인 모습으로 바꾸는 것은 가능할까? 우리는 살면서 죽음에 대해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꺼내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을까?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박중철 (지은이) 

가정의학과 의사이자 호스피스 의사. 한때 재난지역을 누비는 긴급구호 전문가를 꿈꾸며 국제보건학 석사까지 마쳤다. 그러나 생명이 존중받지 못하는 현장은 아프리카 오지나 재난지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병원도 해당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특히 생명에 대한 맹목적 집착이 만들어 낸 무의미한 연명의료에 대해 깊은 회의를 갖게 된다. 그런 고민에 대한 답을 찾고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행복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인문사회의학 박사과정을 밟는다. 중년의 나이가 되기까지 겪은 한국사회의 왜곡된 성장과 20년 의사로 살면서 겪은 왜곡된 의학적 생명관을 비판하면서 의료현장 속에서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질병과 건강의 의미, 그리고 삶의 이유와 가치를 탐구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총 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 사회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고발하면서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제안하는 책

1997년 보라매병원에 입원해 있던 중증 환자를 의료비 부담에 시달리던 부인의 요청으로 퇴원시켰다가 부인과 의료진이 살인치사와 살인방조죄로 형사 처벌받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후 병원마다 중증 환자의 퇴원을 억제하기 시작하면서 의료비 부담으로 자살하거나 가족이 환자의 연명의료장치를 제거하는 사건이 빈발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람 4명 중 3명이 병원에서 죽는다. 병원이 명실상부 죽음의 공간이 된 것이다. 그러나 중증 환자 대부분이 죽음의 시간을 질질 끄는 연명의료의 지옥에 갇혀,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재앙을 겪다가 생애 동안 쓰는 의료비의 대부분을 마지막 1~2년 동안 쏟아붓다가 사망하게 된다. 죽음의 산업화라는 말이 여기서 나왔다.

이제 화려한 장례식장은 있어도 임종실은 없는 병원의 불친절한 죽음의 시스템을 다시 생각할 때다. 나아가 인간에 대한 예의를 상실한 우리 사회 죽음의 문화를 돌아볼 때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철저히 배제시켰던 죽음에 관한 담론을 다시 삶의 공간으로 돌려놓고 현실의 문제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생명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을 버리고 삶의 연장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잘 죽는다는 것은 잘 사는 것의 연장선에 있다
이제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이야기하자

이 책은 시종 우리 사회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냉정하게 짚어내면서 왜 친절한 죽음이 모든 이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를 의학과 철학, 사회·역사적 근거들과 이론들을 통해 차례로 풀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잘 죽는다는 것이 잘 사는 것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자기 삶의 옷깃을 여미게 된다.

20년 넘게 수많은 사망 환자 곁을 지켜온 의사로서, 저자는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품위 있고 건강한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저자는 의과대학, 병원, 그리고 개인이 스스로 죽음에 대한 각박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들을 차례로 제시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삶은 자신의 정체성이 지켜지는 결말을 통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다. 그래서 모든 이에게는 자신의 삶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하는 것은 인권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고통 없이 잘 죽을 수 있는 권리와 스스로 자기 죽음을 살아낼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는 삶을 소망하게 될 것이다. 접기

====

평점분포    10.0

     
92세 어머니의 말기암으로 호스피스 병동을 알아보면서 읽게 된 책.
현실적으로도 큰 도움이 되면서, 누구나 맞이해야 하는 생의 마지막 과정인 죽음을 구체적으로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책.
연로한 부모님이 있거나 본인이 60대 이상이라면 이 책은 필독서.  구매
못자리골 2022-04-26 공감 (0) 댓글 (0)

마이리뷰
     
나는 부모님과 긴 작별 인사를 이제 막 시작한 셈이다.

며칠 전 부모님과 늦은 시간까지 이전에 차마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했다. 남기시는 것들부터 연명치료에 대한 생각, 장례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미 결정하신 것들도 있고 아직 미처 생각 못하신 것들도 있지만 일단 화두를 던지고 밖으로 꺼내기 시작했다. 지난 세월 검소한 삶을 사셨던 분들이라 크게 남기실 것도 욕심내서 물려달라 할 것도 없으니 별로 복잡할 것도 불편할 것도 없지만 두 분의 의사를 우리가 짐작하지 않고 확실히 알고 싶기에 여쭈어 보았다. 자식에게 독립할 시기를 묻는 것만큼이나 부모님께 떠날 준비가 되셨는지 여쭙는 ... + 더보기
john0316 2022-04-20 공감(4) 댓글(0)
==
     
박중철 저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를 읽고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해볼 때가 되었다.

아름다운 삶과 함께 아름다운 마무리인 죽음을 위해 우리는 죽음에 대해 알아야만 한다.

하지만 솔직히 나 자신을 포함 우리 모두에게 반드시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 그 실상은 물론이고 미래상에 대해서도 너무 모른다는 사실이다.

그저 닥치면 어쩔 수 없이 하라는 대로 끌려 다니고 따라하다가 가버린다면 너무 허망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도 최근 ‘웰다잉’이 관심을 끌고 이에 대한 공부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아울러 ‘영원히 살 것처럼 준비하고 오늘 죽을 것처럼 살아가는’자세로 임한다면 훨씬 더 보람찬 시간으로 삶을 관리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일단 죽음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현장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실제 나 자신이 병원에 입원해서 부딪쳐 보는 것이 가장 피부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간접적으로는 현장에서 종사하는 의료진의 이야기를 통해 익히는 방법도 아주 효과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너무너무 귀한 책이다.

우리 사회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고발하면서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정의학과 의사이자 호스피스 의사인 저자는 20년 넘게 수많은 사망 환자 곁을 지켜오면서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품위 있고 건강한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저자는 의과대학, 병원, 그리고 개인이 스스로 죽음에 대한 각박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들을 차례로 제시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원래 우리에게 죽음이 왔을 때 전통적으로는 집에서 가족들이 함께 맞는 것이 내려오는 관습이었다.

하지만 급변하는 세태라고 하지만 지금은 4명 중 3명이 병원에서 죽는다고 한다.

이제는 집에서 죽음을 맞는 것이 아니라 병원이 명실상부 죽음의 공간이 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중증 환자 대부분이 죽음의 시간을 질질 끄는 연명의료의 지옥에 갇혀있다는 것이다.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재앙을 겪다가 생애 동안 쓰는 의료비의 대부분을 마지막 1~2년 동안 쏟아 붓다가 사망하게 된다는 점이다.

‘죽음의 산업화’라는 말이 여기서 나올 정도가 됐으니... 말이다.

이제 화려한 장례식장은 있어도 임종실은 없는 병원의 불친절한 죽음의 시스템을 다시 생각할 때다.

나아가 인간에 대한 예의를 상실한 우리 사회 죽음의 문화를 돌아볼 때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철저히 배제시켰던 죽음에 관한 담론을 다시 삶의 공간으로 돌려놓고 현실의 문제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생명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을 버리고 삶의 연장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다.

이제는 죽음에 대해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천천히 아니 세세하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으면 한다.

바로 이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분명코 많은 의미와 함께 특별한 시간이 되리라 확신한다.

잘 죽는다는 것은 잘 사는 것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이다.

이제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이야기하는 웰다잉 문화 확산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메멘토 모리’=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 접기
노박사 2022-05-03 공감(3) 댓글(0)
==
     
나는 죽음의 무엇을 두려워할까?

10여 년 전 아버지가 갑자기, 어쩌면 조금은 이른 나이에 돌아가셨다. 그 이후로 내 마음 속엔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막연하고 무거운 마음이 생겼다. 죽음 자체가 두렵지는 않았지만, 어떤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점점 커져 갔다. 인생 말년에 긴 투병으로 가족들에게 큰 정신적, 경제적 피해를 주면 어쩌나, 큰 통증을 동반한 질병으로 고통스러운 시간이 길어지면 어쩌나... 이런 고민들은 아직은 몇 십 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일일지 모르지만 문득 문득 떠오르곤 했다.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라는 책 제목은 나의 막막한 두려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 줄 것 같았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두려움들이 문자가 되어 그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어렴풋이 들어본 것 같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몰랐던 '연명의료', '존엄사'와 '안락사', '인공영양공급' 등의 단어들이 의학 용어 사전의 단어가 아닌 내 어머니와 내 삶에 곧 닥칠 실체가 되었다. 

이 책은 의학적 사실을 전하는 딱딱한 의료서적이 아니다. 존엄한 죽음을 준비하는 존엄한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의료기술로 모든 것을 고칠 수 있다는 기술주의의 망상에 빠진 의료인들에게 던지는 준엄한 충고가 있고,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서사를 마지막까지 존엄한 죽음으로 마무리해 가길 원하는 저자의 따뜻한 안내가 담겨져 있다. 

누구에게나 '죽음'은 찾아온다. 어떤 죽음을 삶의 마지막으로 맞이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 함께 생각할 기회를 준 책이다. 죽음에 관한 책을 통해 존엄한 삶의 마지막을 생각하게 해 준 저자에게 감사를 전한다. 저자가 인생의 모토로 삼고 있다는 글로 마무리한다.

"인생은 업적이 있고 없고가 아니라 교훈을 배우는 과정과 배우고 난 이후의 삶 두 가지가 있을 뿐이야.(영화 내츄럴의 대사) 삶은 성공과 실패의 성적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방황과 시련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배우면서 자신에게는 자존감을 그리고 타인에게는 감동을 전달하는 도전과 성장의 이야기이다."

- 접기
최영준 2022-04-13 공감(3) 댓글(0)
     ===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과거에는 논의조차 되지 않았던 죽음이라는 영역에 대한 이야기가 요즘에는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시대가 변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사람들이 삶 못지 않게 죽음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안락사와 관련된 이야기를 접하거나 책을 읽을 때면 다소 나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이야기라고 늘 생각하면서 접했던 것 같습니다. 내 주변에서 벌어질 수도 있는 문제라고 생각해보지 않았기에 그만큼 절실하게 받아들이거나 고민하지 않았음을 책을 읽는 동안 다시 느끼게 되었네요.

 

죽음에 친절한 사회가 없다는 책 표지의 글귀가 다소 섬뜩하긴 했지만 그동안 우리의 현실이 그랬던 것 같아요. 죽음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미지 때문에 그렇다고만 생각했었지 죽음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는 별로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저 혼자 죽어가는 모습이라든지 늙고 병든 모습 이런 것들이 우리가 그동안 죽음을 이야기할 때 함께 떠올리는 모습이 아니었나 싶네요.

 

저자는 죽어가는 환자들 곁을 지켜오면서 그동안 우리 사회의 죽음이 존중되는 것이 아니었음을 눈으로 직접 보아오고 이런 잘못된 죽음의 문화를 이제는 존중되는 세상이 되기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안락사에 대한 논의들을 보면 그래도 생명이 소중하기 때문에 안락사는 안 된다는 입장이 강했었다면 이제는 그 당사자가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 것 같아요. 과거에는 당사자보다는 그 가족들을 먼저 생각하지 않았나 싶지만 정작 죽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당사자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될 듯 합니다.

 

과거에는 저 역시도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가급적이면 피하고 싶어했고 뭔가 알 수 없는 두려움에 휩싸이고 싶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죽음이라는 것은 삶과 떨어뜨려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우리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이를 자연스레 받아들이는 것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좋은 죽음을 맞이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하면서 자신의 삶을 살아나가야 할 것 같네요.

 

죽음에 대한 생각이나 인식을 바꾸고 이제는 삶의 연장선으로 죽음을 바라보고 더 나아가 그 끝에서 어떤 모습의 나이고 싶은지에 대해서 나 스스로는 물론이고 가족들하고도 이야기를 해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접기
행복한 콩순이 2022-05-07 공감(2) 댓글(0)
===
     
[인문]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나는 아프기 전에는 죽음이라는 단어를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3년 전, 갑작스러운 통증으로 병원을 전전하고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에 들어가며 죽음이란 무엇인가 생각했던 것 같다.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는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가지고 있는 세상을 고발하고 죽음이 존중 되기를 바라는 소망과 제안을 담은 책이다.
평균 수명은 점점 늘어 우리는 오래 산다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죽고 또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럼 과연 오래 사는 것은 좋은 것일까?
남편과 딸을 비롯한 모든 가족들이 먼저 세상을 떠날 때, 그것을 지켜봤고 이젠 눈도 거의 보이지 않고 걸을 수 조차없는 의존적인 상태에서 살아간다면 오래살아가는 것이 행복이고 축복일까.

누구나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어 하지만 품위 있게 죽기를 원한다. 결국 우리는 죽고 늘어난 수명가 더해진 시간 속에서 죽음을 잘 준비하는 것도 아니다 자기 수명을 80% 만 건강하게 살고 마지막 20%는 병에 시달리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그나마 17%의 말기암환자는 남은 삶을 정리하는 시간이 주어진다. 호스피스 기관을 이용하지만 나머지는 어느 곳에서 어떻게 삶을 시간을 마무리할까.

말기 암 진단 후에도 치료를 포기하지 않고 기존에 병원에서 항암 치료를 받다 사망하거나 퇴원후 집과 병원으로 가며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중환자실에서 기계호흡 장치를 달고 연명치료를 봤다 죽거나 응급실에서 무의미한 심폐소생술을 하다 죽음을 맞이한다.

결국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병에 시달리면 살아야 하는 시간도는 것이다. 나의 할아버지도 6 -7년을 집-병원 하며 엄마와 남동생이 간병하다 병원에서 호전되었다가 다시 중환자실에서 1년 정도 의미 없는 연명치료를 했다.살고 싶다고 하는 할아버지, 의미 없는 연명치료를 받는 할아버지의 모습은 행복해 보이지 않았고 가족들도 또한 고통스러워하는 할아버지 모습에 괴로워했다 .

잘 죽는 것도 한 삶에서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좋은 죽음은 아쉬움없이 살다가 죽는 것일까. 좋은 죽음은 원하는 장소에서 잠들듯이 죽는 것, 고통 없이 죽는 것, 사람들의 존중과 존경을 받으면서 죽는 것, 평소대로 살다 죽는 것 등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한다. 이런 좋은 죽음을 위해서는 고통과 두려움 없이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떠날 순 없을까
병원과 의료진에게 책임을 남기기보다 병원에서 겪지 않아도 될 육체적 고통을 피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의학도 죽음에 친절해야 한다. 환자가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잘 사는만큼 잘 죽는 것 또한 쉽지 않는 세상에서 과연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다시 한번 생각해 봤던 기회였다.

- 접기
토닥토닥고냥이 2022-04-22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