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20

Timothy Morton - Wikipedia

Timothy Morton - Wikipedia

Timothy Mort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imothy Morton
Born
Timothy Bloxam Morton

19 June 1968 (age 53)
London, England
Alma materMagdalen College, Oxford
EraContemporary philosophy
RegionWestern philosophy
SchoolSpeculative realism
Main interests
Metaphysicsrealismecocriticismobject-oriented ontologyBuddhism
Notable ideas
Hyperobjects, realist magic, mesh, strange strangers, symbiotic real[1]
Influences

Timothy Bloxam Morton (born 19 June 1968)[2] is a professor and Rita Shea Guffey Chair in English at Rice University.[3] A member of the object-oriented philosophy movement, Morton's work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object-oriented thought and ecological studies. Morton's use of the term 'hyperobjects' was inspired by Björk's 1996 single 'Hyperballad' although the term 'Hyper-objects' (denoting n-dimensional non-local entities) has also been used in computer science since 1967.[4] Morton uses the term to explain objects so massively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as to transcend localization, such as climate change and styrofoam.[5] Their recent book Humankind: Solidarity with Non-Human People explores the separ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nd from an object-oriented ontological perspective, arguing that humans need to radically rethink the way in which they conceive of, and relate to, non-human animals and nature as a whole, going on to explor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such a change.[6] Morton has also written extensively about the literature of Percy Bysshe Shelley and Mary ShelleyRomanticism, diet studies, and ecotheory.[7] Morton is faculty in the Synthetic Landscapes postgraduate program at the Southern California Institute of Architecture (SCI-Arc).[8]

Personal[edit source]

Morton received a B.A. and D.Phil. in English from Magdalen College, Oxford.[9] Their doctoral dissertation, "Re-Imagining the Body: Shelley and the Languages of Diet," studied the representation of diet, temperance, and consumption in the works of Percy Bysshe Shelley. According to Morton, the decision to study English literature, as opposed to more academically fashionable classics, stemmed from a desire to engage with modes of thought evolving internationally "including all kinds of continental philosophy that just wasn't happening much in England at the time, what with the war against 'theory' and all."[9]

Before obtaining a professorship at Rice University, in 2012, Morton previously taugh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New York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9]

Theoretical works[edit source]

Morton's theoretical writings espouse an eclectic approach to scholarship. Their subjects include the poetry and literature of Percy Bysshe Shelley and Mary Shelley,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context of food, ecology and environmentalism, and object-oriented ontology (OOO).

Shelley scholarship[edit source]

In 1995, Morton published Shelley and the Revolution in Taste: The Body and the Natural World, an extension of the ideas presented in their doctoral dissertation. Investigating how food came to signify ideological outlook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Morton's book is an attempt at 'green' cultural criticism, whereby bodies and the social 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they appear are shown to be interrelated.[10] Employing a 'prescriptive' analysis of various Romantic texts, especially Percy Bysshe Shelley's A Vindication of Natural Diet (1813), Morton argues that the figurative rhetorical elements of these texts should be read not simply as clever language play, but as commands to establish consumptive practices that challenge ideological configurations of how the body relates to normativity.[11] For Morton, authoritarian power dynamics, commodity flows, industrial logic,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omains of nature and culture are inhered in the 'discourses of diet' articulated by the Shelleys. In turn, Shelleyan prose regarding forms of consumption, particularly vegetarianism, is read as a call for social reform and figurative discussions of intemperance and intoxication as warnings against tyranny.[12]

Additionally, Morton has edited two critical volumes on the Shelleyan corpus. In 2002, they published a compilation of critical and historical reflections on Mary Shelley's Frankenstein entitled Mary Shelley's Frankenstein: A Routledge Study Guide and Sourcebook. Then, in 2006, Morton edit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Shelley, an interdisciplinary overview of Percy Bysshe Shelley's themes, language, narrative structure, literary philosophy, and political views.

Diet studies[edit source]

From 2000 to 2004, Morton published three works dealing with the intersection of food and cultural studies. In the first of these to be published, The Poetics of Spice: Romantic Consumerism and the Exotic (2000), Morton unpacked the evolution of European consumer cul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 figurative use of spice in Romantic literature.[13] Viewing spice as a cultural artifact that functioned "as discourse, not object, naively transparent to itself"[14] during the Romantic period, they elucidate tw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s of spice: materiality and transumption.[15] The 'materiality' of spice connects its symbolic and social roles with its capacity for desire production. Morton cites the "trade winds topos" (perfumed breeze believed to waft from exotic lands in which spices are domestic) in Milton's Paradise Lost as an example, concluding that Milton prefigures the symbolic use of spice in later works by presenting Satan's journey from Hell to Chaos as a parallel to the travels of spice traders.[16] In contrast, 'transumption', following Harold Bloom's deployment of the rhetorical concept, entails the use of a metasignifier that "serves as a figure for poetic language itself."[15] According to Morton, the works of John Dryden exemplify transumption, revealing "a novel kind of capitalist poetics, relying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spice trade...Spice is not a balm, but an object of trade, a trope to be carried across boundaries, standing in for money: a metaphor about metaphor."[17] Carrying this idea forward to the Romantic era, Morton critiques the manner in which spice became a metaphor for exotic desire that, subsequently, encapsulated the self-reflexivity of modern processes of commodification.

Later, Morton edited Radical Food: The Culture and Politics of Eating and Drinking, 1790-1820 (2000), a three-volume compendium of eighteenth century texts examining the literary, sociocultural, and political history of food, including works on intoxication, cannibalism, and slavery. They also edited Cultures of Taste/Theories of Appetite: Eating Romanticism (2004), a collection of essays that problematizes the use of taste and appetite as Romantic metaphors for bounded territories and subjectivities, while empirically interrogating the organization of Romantic cultural and economic structures around competing logics of consumption.[18]

Ecological theory[edit source]

Since 2009, Morton has engaged in a sustained project of ecological critique, primarily enunciated in two works, Ecology Without Nature (2009) and The Ecological Thought (2010), through which they problematize environmental theory from the standpoint of ecological entanglement. In Ecology Without Nature, Morton proposes that an ecological criticism must be divested of the bifurcation of nature and civilization, or the idea that nature exists as something that sustains civilization, but exists outside of society's walls.[19] As Morton states:

Ecological writing keeps insisting that we are "embedded" in nature. Nature is a surrounding medium that sustains our being.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rhetoric that evokes the idea of a surrounding medium, ecological writing can never properly establish that this is nature and thus provide a compelling and consistent aesthetic basis for the new worldview that is meant to change society. It is a small operation, like tipping over a domino... Putting something called Nature on a pedestal and admiring it from afar does for the environment what patriarchy does for the figure of Woman. It is a paradoxical act of sadistic admiration.[20]

Viewing "nature," in the putative sense, as an arbitrary textual signifier, Morton theorizes artistic representations of the environment as sites for opening ideas of nature to new possibilities. Seeking an aesthetic mode that can account for the differential, paradoxical, and nonidentificational character of the environment, they propose a materialist method of textual analysis called 'ambient poetics', in which artistic texts of all kinds are considered in terms of how they manage the space in which they appear, thereby attuning the sensibilities of their audience to forms of natural representation that contravene the ideological coding of nature as a transcendent principle.[21] Historicizing this form of poetics permits the politicization of environmental art and its 'ecomimesis', or authenticating evocation of the author's environment, such that the experience of its phenomena becomes present for and shared with the audience.[22]

Art is also an important theme in The Ecological Thought, a "prequel" to Ecology Without Nature, in which Morton proposes the concept of 'dark ecology'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irony, ugliness, and horror" of ecology.[23] From the vantage point of dark ecology, there exists no neutral theoretical ground on which to articulate ecological claims. Instead, all beings always are already implicated within the ecological, necessitating an acknowledgement of coexistential difference for coping with ecological catastrophe that, according to Morton, "has already occurred."[24]

Closely related to dark ecology is Morton's concept of the 'mesh'. Defining the ecological thought as "the thinking of interconnectedness," Morton thus uses 'mesh' to refer to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living and non-living things, consisting of "infinite connections and infinitesimal differences."[25] He explains:

The ecological thought does, indeed, consist in the ramifications of the "truly wonderful fact" of the mesh. All life forms are the mesh, and so are all the dead ones, as are their habitats, which are also made up of living and nonliving beings. We know even more now about how life forms have shaped Earth (think of oil, of oxygen—the first climate change cataclysm). We drive around using crushed dinosaur parts. Iron is mostly a by-product of bacterial metabolism. So is oxygen. Mountains can be made of shells and fossilized bacteria. Death and the mesh go together in another sense, too, because natural selection implies extinction.[26]

The mesh has no central position that privileges any one form of being over others, and thereby erases definitive interior and exterior boundaries of beings.[27] Emphasizing the interdependence of beings, the ecological thought "permits no distance," such that all beings are said to relate to each other in a totalizing open system, negatively and differentially, rendering ambiguous those entities with which we presume familiarity.[28] Morton calls these ambiguously inscribed beings 'strange strangers', or beings unable to be completely comprehended and labeled.[29] Within the mesh, even the strangeness of strange strangers relating coexistentially is strange, meaning that the more we know about an entity, the stranger it becomes. Intimacy, then, becomes threatening because it veils the mesh beneath the illusion of familiarity.[29]

Object-oriented ontology[edit source]

Morton became involved with object-oriented ontology after their ecological writings were favorably compared with the movement's ideas. One way that their work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ariants of object-oriented thought is by its focus on the causal dimension of object relations. Against traditional causal philosophies, Morton argues that causality is an aesthetic dimension of relations between objects, wherein sensory experience does not indicate direct access to reality, but rather an uncanny interruption of the false ontic equilibrium of an interobjective system.[30] Causation, in this view, is held to be illusion-like or "magical," forming the core of what Morton terms "realist magic."

Hyperobjects[edit source]

In The Ecological Thought, Morton employed the term hyperobjects to describe objects that are so massively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as to transcend spatiotemporal specificity, such as global warming, styrofoam, and radioactive plutonium.[5] They have subsequently enumerated five characteristics of hyperobjects:

  1. Viscous: Hyperobjects adhere to any other object they touch, no matter how hard an object tries to resist. In this way, hyperobjects overrule ironic distance, meaning that the more an object tries to resist a hyperobject, the more glued to the hyperobject it becomes.[31]
  2. Molten: Hyperobjects are so massive that they refute the idea that spacetime is fixed, concrete, and consistent.[32]
  3. Nonlocal: Hyperobjects are massively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to the extent that their totality cannot be realized in any particular local manifestation. For example, global warming is a hyperobject which impacts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tornado formation. According to Morton, though, entities don't feel global warming, but instead experience tornadoes as they cause damage in specific places. Thus, nonlocality describes the manner in which a hyperobject becomes more substantial than the local manifestations it produces.[33]
  4. Phased: Hyperobjects occupy a higher-dimensional space than other entities can normally perceive. Thus, hyperobjects appear to come and go in three-dimensional space, but would appear differently if an observer could have a higher multidimensional view.[32]
  5. Interobjective: Hyperobjects are formed by relations between more than one object. Consequently, entities are only able to perceive the imprint, or "footprint," of a hyperobject upon other objects, revealed as information. For example, global warming is formed by interactions between the sun, fossil fuels, and carbon dioxide, among other objects. Yet global warming is made apparent through emissions levels, temperature changes, and ocean levels, making it seem as if global warming is a product of scientific models, rather than an object that predates its own measurement.[32]

According to Morton, hyperobjects not only become visible during an age of ecological crisis, but alert humans to the ecological dilemmas defining the age in which they live.[34] Additionally, the existential capacity of hyperobjects to outlast a turn toward less materialistic cultural values, coupled with the threat many such objects pose toward organic matter (what Morton calls a "demonic inversion of the sacred substances of religion"), gives them a potential spiritual quality, in which their treatment by future societies may become indistinguishable from reverential care.[35]

Although the concept of hyperobjects has been widely adopted by artists, literary critics, and some philosophers, it is not without its critics. Ecocritic Ursule Heise, for example, notes that in Morton's definition, everything can be considered a hyperobject, which seems to make the concept somewhat meaningless, not to mention seemingly impossible to define clearly. As a result, Heise argues that Morton makes "so many self-cancelling claims about hyperobjects that coherent argument vanishes like the octopi that disappear in several chapters in their clouds of ink, Morton's favorite metaphor for the withdrawal of objects from the grasp of human knowledge."[36]

Bibliography[edit source]

Authored works[edit source]

Interviews[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Timothy Morton: Ecology Without Nature – CCCB LAB
  2. ^ "Morton, Timothy, 1968-".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2 July 2014Timothy Bloxam Morton; b. 6/19/68
  3. ^ "Rice Faculty Page". Retrieved 20 June2012.
  4. ^ Noll, A. Michael (August 1967). "A Computer Technique for Displaying n-Dimensional Hyperobjects". Communications of the ACM10 (8): 469–473. doi:10.1145/363534.363544S2CID 6677741.
  5. Jump up to:a b Morton (2010), p. 130
  6. ^ Smith, P. D. (2018-01-20). "Being Ecological by Timothy Morton review – a playfully serious look at the environment"the Guardian. Retrieved 2018-10-10.
  7. ^ "UC-Davis Faculty P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1-23. Retrieved 23 November 2011.
  8. ^ "SCI-Arc launches new program on emerging topics in landscape architecture"The Architect’s Newspaper. 2019-12-05. Retrieved 2021-01-14.
  9. Jump up to:a b c "UC-Davis Faculty P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11. Retrieved 28 November 2011.
  10. ^ Morton (1994), p. 2
  11. ^ Morton (1994), p. 4
  12. ^ Morton (1994), p. 11
  13. ^ Morton (2000), p. 2
  14. ^ Morton (2000), p. 3
  15. Jump up to:a b Morton (2000), p. 19
  16. ^ Morton (2000), p. 68
  17. ^ Morton (2000), p. 75
  18. ^ Morton (2004), p. 9
  19. ^ Morton (2007), p. 1
  20. ^ Morton (2007), pp. 4–5
  21. ^ Morton (2007), p. 3
  22. ^ Morton (2007), p. 32
  23. ^ Morton (2010), p. 16
  24. ^ Morton (2010), p. 17
  25. ^ Morton (2010), p. 30
  26. ^ Morton (2010), p. 29
  27. ^ Morton (2010), p. 38
  28. ^ Morton (2010), p. 39
  29. Jump up to:a b Morton (2010), p. 41
  30. ^ Morton, Timothy. "Shoplifting Advice"Ecology Without Nature. Retrieved 1 December 2011.
  31. ^ Morton, Timothy. "Hyperobjects are Viscous"Ecology Without Nature. Retrieved 15 September 2011.
  32. Jump up to:a b c Coffield, Kris. "Interview: Timothy Morton"Fractured Politics. Retrieved 15 September 2011.
  33. ^ Morton, Timothy. "Hyperobjects are Nonlocal"Ecology Without Nature.
  34. ^ Morton, Timothy (2011). "Sublime Objects"SpeculationsII: 207–227. Retrieved 15 September 2011.
  35. ^ Morton (2010), pp. 131–132
  36. ^ Services, University of Chicago IT. "Critical Inquiry"criticalinquiry.uchicago.edu. Retrieved 2018-12-24.

External links[edit source]

‘한국불교 100년’ 일본어판 출판…日쇼코 스님 전폭 지원

‘한국불교 100년’ 일본어판 출판…日쇼코 스님 전폭 지원

‘한국불교 100년’ 일본어판 출판…日쇼코 스님 전폭 지원
기사입력 2014-06-18 20:44:09

23일 일본 도쿄 긴자라이온스호텔서 출판기념회





이치노혜 쇼코 스님.
14년 전 민족사에서 발행해 화제를 모았던 사진집 ‘한국불교 100년’이 일본어판으로 출판돼 오는 23일 도쿄에서 출판 기념회가 열린다.

사진과 해설이 곁들인 ‘한국불교 100년’(국배판 454쪽, 김광식, 윤창화 공편)은 지난 2000년에 출판됐으며, 근대 한국불교 1세기 즉 1900~1999년까지를 훌륭하게 조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근대 1세기 동안 있었던, 한국불교와 관련된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사건을 망라한 책이었다.

수록된 자료는 불교계에 있었던 중요 사건, 희귀사진, 기념사진, 신문, 잡지, 인물, 책, 성명서, 문건, 중요사건, 기사 등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모두 모아 총 1105컷을 수록했다.

이 책이 일본 고세이샤(皓星社)에서 일본어판으로 출판되는 데는 조동종(曹洞宗) 운쇼지(雲祥寺) 주지이며, 동아시아불교운동사연구회를 이끌고 있는 이치노혜 쇼코(一戸彰晃) 스님의 역할이 컸다. 스님이 모든 출판 경비도 부담한 것으로 알려진다. 쇼코 스님은 ‘조선 침략 참회기’를 펴내 일제와 조동종의 조선침략 야합을 고발한 장본인으로, 이 책을 출판한 목적은 이 책이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불교 수탈 사진과 자료들이 많이 수록돼 있는데다 일본인들에게 광복 이후 한국불교의 발전모습을 알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한국불교 100년' 표지.

출판기념회는 23일 오후5시 도쿄 긴자 라이온스 호텔에서 열리며, 한국측에서는 민족사 대표 윤재승(윤창화),군산 동국사 주지 종걸 스님、유정길 에코붓다 공동대표 등이고, 일본 측에서는 쇼코 스님, 하쿠 신쿤(白眞勲) 참의원의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정성수 종교전문기자 tols@segye.com
===
[논단] 한국 불교잡지 100년의 역사와 의미 / 김성연
기자명 김성연   입력 2015.05.31 02:45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1. 들어가며

한국에서 최초로 간행된 불교잡지는 현전하지 않지만 1910년경에 간행된 《원종(圓宗)》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한국 불교잡지의 역사는 올해로 105년이 되는 셈이다. 주지하듯이 근대 잡지는 신문과 더불어 한국 사회의 여론을 형성하고 지식의 발전을 가속화시킨 매개물이었다. 언론매체라는 것이 원래 없던 시절에 생겨난 것이기에 어떻게 보면 오늘날의 TV나 인터넷보다도 더욱 놀랍고 획기적인 대중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을 것이다. 불교잡지는 일반적인 잡지가 지니는 의미에 더해 종교 잡지라는 특수성을 지니며 발전해 왔다. 즉, 영리를 추구하는 상업용 잡지가 아닌, 포교를 주목적으로 하는 계몽 잡지의 성격이 강하다. 특히 초기의 잡지들은 치열한 종교경쟁 시대에 불교 여론을 형성하고, 불교 지식의 보편화를 통해 대중불교를 실현하려 했던 의지의 소산이었다.

100년이라는 시간 동안 간행된 불교잡지의 수를 정확히 헤아리기란 쉽지 않다. 잡지 간행의 여건이 여러모로 간단치 않았던 해방 이전과 1960~70년대까지는 차치하더라도, 그 이후 특히 1990년대 이후로는 개별 사찰에서도 제각각 잡지를 펴내고 있을 정도로 수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오늘날 정보의 홍수 시대에 불교잡지도 그 조류를 타고 있다.

결국 변명이 되겠지만, 이러한 이유로 이 글에서는 100년 동안의 모든 불교잡지를 대상으로 논지를 전개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면의 한계도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필자의 능력이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단, 해방 이전의 잡지들은 그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되도록 기존의 연구성과에서 밝힌 잡지명을 최대한 밝히기로 한다. 그러나 그 이후의 잡지들은 잡지 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이전인 1970년대까지를 한정하여 기관지 성격이나 주요 단체 및 사찰에서 간행한 것 중에서 어느 정도 지속성을 유지한 잡지들만을 대상으로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부득이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된 수많은 잡지는 어디까지나 필자의 주관에 의해 선별하여 분류된 것으로, 이에 대한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2. 근현대 불교잡지의 간행

한국 불교잡지의 역사는 1910년경 조선불교 원종 종무원에서 발간한 《원종》으로부터 시작된다. 초기 간행된 잡지의 성격은 바로 기관지였다는 점이다. 《원종》에 이어 간행된 《조선불교월보》(1912~1913), 《해동불보》(1913~1914), 《불교진흥회월보》(1915), 《조선불교계》(1916), 《조선불교총보》(1917~1921)는 모두 기관지 성격의 간행물로서, 불교 포교 역사에 있어서 전근대의 분수령을 가르는 혁신적인 매체였다. 잡지가 개인이 아닌 기관지 성격으로 주로 간행된 데에는 식민치하의 엄격한 검열제도 탓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자금의 조달과 사업 전개상의 편의가 개인보다는 기관에 유리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기관지라 할지라도 각 잡지는 1~2년의 짧은 기간밖에 간행되지 못했는데, 이를 보면 당시의 출판 여건이 그리 좋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잡지들은 처음 시도되는 대중 잡지였던 만큼 내용적인 면에서 크게 분화되지 못하고, 불교계의 개혁 호소와 교리 소개 및 유물·유적 등의 소개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럼에도 당시 불교계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입장과 더불어 일제의 불교정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근대적인 개혁의 시행을 강조하면서도 불교사, 고승대덕의 행장, 불교 교리 등을 많이 게재하고 있는 점은 타 종교와의 경쟁 속에서 전통적인 불교 본연의 모습을 강조함으로써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기관지 외에 개인이 간행한 최초의 잡지로 한용운의 《유심》(1918)이 있다. 《유심》은 불교적 수양을 주로 하고 다수의 문예작품을 중심으로 편집이 이루어졌다.

1920년대는 본격적으로 ‘대중’적 규모의 독자층이 형성된 시기였다. 3·1운동 이후, 총독부의 정책 전환으로 출판법, 신문지법 등의 규제가 완화되었고, 그에 따라 1910년대에 비해 출판 산업의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져 신문·잡지의 구독도 그만큼 일반화될 수 있었다. 불교잡지도 1920년대에는 12종이 신간(新刊)된 것으로 확인되며, 일부는 중간에 휴간되기도 했지만 1930~40년대까지 이어지기도 하는 등 본격적인 문서포교의 시대를 열게 되었다. 또한 조선불교 중앙교무원의 기관지로 《불교》가 지속적으로 간행되면서 그와 더불어 청년회나 지방 불교 단체, 중앙불전 교우회 및 학인연맹, 유학생 단체 등에서 잡지를 간행하여 잡지 간행 주체의 외연도 확대되었다.

통도사 불교청년회가 발행한 《취산보림》(1920)과 《조음》(1920), 불교 단체들이 발행한 《불일》(조선불교회 불일사, 1924), 《조선불교》(조선불교단 1924~1936), 《평범》(부산 평범사, 1926), 《불교세계》(김천 불이교당, 1927), 유학생들이 발행한 《황야》(북경 불교유학생회, 1924), 《금강저》(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24~1943), 중앙불전 교우회가 발행한 《일광》(1928~1940), 조선불교학인연맹이 발행한 《회광》(1929~1932), 발행처가 확인되지 않는 《무아》(1928) 등이 이 시기에 간행된 잡지이다.

대표적으로 1930년 이후까지 이어졌던 세 가지 잡지를 살펴보면, 우선 《금강저》는 재일(在日) 불교 청년들이 펴낸 잡지로서 당시 불교계의 실상을 비판한 글이 다수 게재되었다. 일본 유학생들은 잡지를 발간하기 위하여 방학을 이용해서 전국 사찰을 순행하며 간행비를 모으기도 하였으므로 잡지를 통한 문서포교와 더불어 포교 방면에서 큰 효과를 달성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불교》는 일본어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불교의 각 종파가 후원한 조선불교단에서 간행한 기관지로서, 친일파의 활동과 인식, 일제의 불교정책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불교》는 무엇보다 1920~30년대의 대표적인 불교잡지였다고 할 수 있다. 《불교》는 당시 불교계를 대표하는 재단법인 조선불교 중앙교무원에서 발간하였고, 1924년부터 1933년까지 월간으로 통권 108호를 간행하는 등 단연 돋보이는 잡지이다. 이 잡지는 기관지였기에 재단법인 교무원의 회의록에서 간행 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일제 강점기 불교잡지, 특히 기관지의 간행과 포교 형태의 단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각 연도 교무원의 평의원 총회 회의록을 보면, 《불교》는 매월 1,000부에서 1,500부 정도가 간행됐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간행된 잡지는 각 지역의 본산에 배포되어 다시 각 말사나 개인에게 필요한 부수를 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중 잡지의 구독률이 높은 사찰은 김룡사, 마곡사, 범어사, 법주사, 통도사, 해인사 등으로 매달 평균 50부 이상을 구독하였다. 각 본산은 지사(支社)를 설립하고 종무소의 감독하에 지사장이 잡지의 구독과 각 사암의 지대(誌代)를 수납하였다. 또한 각 본말사암에서 각 개인이 생활 능력이 되는 수입이 있는 자라면 필히 잡지를 구독하게 하였고, 승려 이외의 개인 독자도 종무소나 지사에서 구독 신청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불교와 관계되어 직접 경영하거나 간접 관계에 있는 기관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도 의무적으로 잡지를 구독하도록 권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당시 신도들이 잡지를 접할 수 있었던 일반적인 방법은 각 사찰을 통해서였다.

1920년대부터는 일본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많은 지식인이 필자로 참여하고, 그런 차원에서 내용 구성의 질적인 향상을 보였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종교’의 본질에 대한 탐구, 불교 정체성의 정립에 대한 인식, 교학 및 불교사에 대한 소개, 역경(譯經)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또 본격적으로 국내외의 불교 유적을 답사하고 쓴 기행문과 시·소설과 같은 문학적인 글들이 게재되어 다양한 독자층을 흡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1920년대는 불교 대중화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과 확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던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930년대에도 불교잡지의 발간은 활발하여 새로 신간된 잡지로 총 11종이 확인된다. 《관서불교》(관서불교사, 1931), 《불청운동》(조선불교청년총동맹, 1931~1933), 《선원》(선학원, 1931~1935), 《불교시보》(불교시보사, 1935~1944), 《금강산》(표훈사, 1935~1936), 《경북불교》(경북불교협회, 1936~1941), 《신불교》(경남삼본산협회, 조선불교 조계종 총본산 태고사, 1937~1944), 《룸비니》(중앙불전 학생회, 1937~1940), 《홍법우》(봉선사 홍법강우회, 1938), 《탁마》(묘향산 보현사 불교전문강원, 1938), 《불심》(1939) 등이 그것이다. 《신불교》는 1920년대부터 발간되었던 기관지인 《불교》의 속간이며, 1920년대와 마찬가지로 청년회를 비롯한 불교 단체와 사찰, 학우회 등의 소식지가 활발히 간행되었다.

1940년대 들어와 해방 전까지는 새로 신간된 잡지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1930년대 중반에 시작된 《신불교》와 《불교시보》가 해방 전까지 불교계의 대표 잡지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일본이 탈아입구(脫亞入歐)를 표방하며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던 때로, 식민지 조선 또한 황국신민 사상을 강요받으며 전쟁 물자를 동원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하던 때였다. 한편 당시 불교계는 분산된 사찰 세력을 통합하여 총본산을 건설하려는 분위기가 강하였다. 결국 1937년 총본산은 건립되었지만, 총독부의 인가를 통해 추진되었다. 이후의 불교계는 친일성향으로 경도되어 심전개발 운동은 물론이고 승전기원법회, 황군장병 위문, 창씨개명 운동 등에 적극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신불교》와 《불교시보》 또한 친일성향의 글이 많이 게재되었다. 시국의 동향과 발간 주체의 성향에 따라 잡지의 성격이 크게 좌우된 사례라 하겠다.

해방공간의 불교잡지는 《신생》(1946), 《불교신보》(1946), 《대중불교》(조선불교혁신총동맹, 1947), 《불교공보》(조선불교 중앙총무원, 1949) 등 4개가 확인된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잡지 발간은 한동안 주춤하다가 1956년에 재개되었다. 《법륜》(1956), 《녹원》(1957~1958), 《불교세계》(1957), 《정토문화》(1958), 《현대불교》(1959) 등이다. 해방 후 어수선한 정국 속에서 불교계도 일제불교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던 시기였다. 특히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諭示)는 비구−대처 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현대불교》는 대처승 측에서 발간한 잡지로서 1962년 7월, 《불교사상》 제10호로 속간된 후 1964년 3월에 폐간되었다.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만 해도 불안정한 정국 속에 불교잡지도 오래 간행되지 못하고 폐간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는 불교잡지의 수도 조금씩 증가하고 장수하는 잡지도 생겨났다. 대표적으로 《법시》(법시사, 1963~1992)와 《법륜》(월간법륜사, 1968~1993)은 비록 중간에 결호가 생기긴 하였지만, 1990년대 초반까지 명맥을 유지하였던 장수한 잡지였다.

그 외에 1967년 박대륜이 창간한 《불교계》는 1970년 《불교》(월간불교사, 1970~ )로 이름을 바꾸었다. 박대륜은 1970년 비구−대처의 분쟁 결과 한국불교 태고종이 새로 창종되었을 때 초대 종정으로 취임한 승려이다. 그가 창간한 《불교》는 태고종의 기관지로서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불교》 제1호에서는 1920년대 기관지였던 《불교》의 전통을 정신적으로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어, 역사성에서 가장 오래되었다고 하겠다. 그리고 《불교》와 함께 1970년대 창간된 잡지로 오늘날까지 간행되고 있는 《불광》(불광출판사, 1974~ )이 있다.

1980~90년대는 불교잡지의 황금기라 할 정도로 많은 잡지가 생겨났다. 종단 등록 수도 늘어난 데다가 각종 불교단체, 각 지방의 크고 작은 사찰 및 개인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다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분명한 것은 이전 시기보다 잡지 출판의 여건이 좋아졌고, 공급이 늘어났다는 것은 그만큼의 수요가 있었다는 얘기다. 이제는 불교잡지도 순전히 포교를 위한 의미보다는 말을 살짝 바꾸면 홍보를 위한 수단이 되었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3. 불교잡지의 기능과 역할

1) 근대 불교 지식인의 등용문

1906년에 설립된 명진학교는 조선불교도 비로소 신식교육을 시작했음을 대내외에 선포한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강원교육이 중심이 되어 왔던 승려 교육은 이때부터 신식교육을 병행하여 근대사회에 적합한 종교로서 조선불교의 위상을 정립하려 했다. 당시 불교계의 숙원이었던 근대화·대중화의 동력은 인적 자원의 쇄신에 있었고, 국내의 자구 노력과 더불어 1910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일본으로 유학생을 파견하기에 이른다. 전체 유학생 수를 산정하기는 쉽지 않지만, 기존 연구성과에 의하면 1910년대 10여 명으로부터 해방 이전까지 360명 정도의 이름이 파악된다. 이 외에 중국에서 공부한 승려들의 이름도 더러 확인되며, 김법린과 백성욱과 같이 유럽에서 수학하고 돌아온 승려도 있었다. 이들 불교 유학생은 이른바 근대 ‘지식인’으로서 조선불교의 근대화를 책임진 역군으로 인식되었고, 실제로 외적인 체제 발전뿐 아니라 내적으로 종교성의 함양과 불교학 발전의 토대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불교학의 세례를 입은 세대와는 반대로,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지만 근대적 지식인 계층으로 볼 수 있는 이들도 있다. 박한영, 백용성, 한용운, 이능화 등이 이에 속한다. 혹자는 이들을 ‘전근대적인 교육을 받아 성장했지만 근대적 각성을 통해서 전근대적 전통과 가치를 새롭게 인식한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 이들 근대와 만난 전통적 지식인들은 대체로 유학생 그룹보다 선배들로서 오늘날 불교학 형성의 주춧돌을 놓은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불교학은 바로 이 두 부류 지식인 계층의 학문적 업적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전문 학술잡지가 없던 시기였기에, 이들의 불교 지식과 학문적 업적은 초창기 대중 잡지를 통해서 발표되었다. 다시 말하면, 당시 불교잡지는 불교 지식인들의 거의 유일한 등용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 파리 대학에서 유학한 김법린은 《불교》에 〈구미학계와 불전연구〉(49호, 1928. 7)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의 연구〉(96~99호, 1932) 〈불란서의 불교학〉(100호, 1932.10) 등을 발표하며 서구 불교학의 동태와 불교 문헌학 연구를 시도했고, 독일에서 유학한 백성욱은 자신의 학위논문 주제였던 〈불교순전철학(佛敎純全哲學)〉(7~14호, 1925)의 연재를 통해 형이상학적 불교철학의 성격을 다뤘다. 일본 유학생인 허영호도 〈십이상연법(十二相緣法)에 대해서〉(59~63호, 1929) 〈범파양어(梵巴兩語)의 발음법에서 본 조선어발음법에 관한 일고찰〉(80~84·85호, 1931) 〈대소품반야경의 성립론〉(96~101·102호, 1932) 등을 발표하며, 문헌학적 방법론에 의한 불교학 성과를 내놓았다. 이러한 글들은 1920년대에 들어서 간행된 잡지에서 보이기 시작되며, 그것은 1910년대부터 시작된 해외 유학생들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불교잡지는 한국적 근대불교학 형성의 기초를 살펴볼 수 있는 1차 사료를 담고 있다. 이후 1960년대 들어서 전문 학술잡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일반 대중 잡지에서는 학술적 성격의 글(논문) 대신 지식인들의 칼럼이나 에세이 등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근대 불교 지식인의 등용문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얘기할 수 있는 분야로 불교문학을 들 수 있다. 근현대 잡지에는 현대시는 물론이고 평론이나 수필, 기행문, 소설과 같은 산문 형식의 근대 문학 작품들이 끊임없이 발표되었다. 대표적으로 한용운은 여러 잡지에서 수많은 시와 산문들을 발표했으며, 이미 1910년대에 발간한 《유심》 등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문학운동을 직접 이끌기도 했다. 불교 지식인들의 문학성을 드러낸 시나 산문 형태의 글들은 잡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이 외에 특징적으로 불교 희곡이 다수 발표되었다. 그 대표주자는 희곡을 발표할 때 주로 ‘김소하’라는 필명을 사용했던 김태흡이다. 그의 희곡 작품들은 단순한 문학 작품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직접 공연을 올렸다는 점에서 연극사적인 의미와 가치를 동시에 지닌다. 특히 경전이나 교리의 내용을 현학적인 극형식을 빌려 표현한 것은 일반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불교잡지의 근대적 포교 방식의 채용이라는 점에서 편집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초창기 잡지는 근대불교학과 불교문학을 위한 지식인들의 등용문으로 기능했다. 따라서 오늘날 이 시기를 연구함에서 불교잡지는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료이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심지어 다양한 필명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도 알지 못한다. 오늘날은 일반인들도 잡지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만, 당시처럼 문맹률이 높았던 시절에 글을 기고했다는 것은 일정 수준의 교육을 받은 엘리트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20세기 초 불교 지식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들이 쓴 글을 통해 시작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불교잡지는 이 시기 불교 연구에 많은 소스를 제공해 주는 자료라 하겠다.

2) 종교적 위상 강화와 문화전통의 강조

초창기 불교잡지의 논설란에 가장 많이 등재된 주제는 불교개혁론과 종교 정체성에 관련한 내용이다. 불교개혁론은 교육·포교·행정·사찰·승려 등 불교 집안의 모든 구태를 벗어던지고 근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 기본 골자였다. 도심불교를 표방하며 근대화에 몰두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전통은 무조건 없애야 한다는 과격한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대체로 개혁론은 체제 개선과 종단 설립 문제에 집중되었고, 내부적으로 승려의 인식부터 변해야 함을 피력했다. 결국 불교 개혁을 통해 ‘문명’에 걸맞은 종교로서 위상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단순히 개혁을 통해서만 종교적 위상을 세울 수는 없었다. 문명 종교에 부합하는 이론과 논리가 필요했다.

19세기 말까지도 체제 내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던 조선불교는 천주교·기독교의 확장 속에 위기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문명 종교로 인식된 기독교와는 달리 미신이나 무속으로 인식된 불교였기에 무엇보다 종교적 성격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었다. 사실 서구 종교의 유입은 전통 종교의 ‘종교성’을 자각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불교 지식인들은 기독교적 종교 개념에서 나아가 문명 종교로서 불교의 종교 개념을 규정하려 하였다. 기독교와의 비교를 통해 이끌어낸 불교의 특성은 전반적으로 무신론(無神論)이라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것은 천지창조의 일신교적(一神敎的) 기독교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이루어졌던 반론으로, 불교가 신을 믿는 종교가 아닌 자유의지에 의한 해탈을 궁극의 목표로 하는 종교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종교로서 가장 큰 특징으로 ‘철학적’ 성격을 강조하였다. 철학적 성격은 이성과 합리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 논리에 부합하면서 전통적인 교학 체계를 계승할 수 있는 적합한 것이었다. 서구의 학자들은 불교의 무신론과 철학적 특성 때문에 종교가 아닌 석가모니를 정점으로 하는 철학으로 분류했지만, 불교 지식인들은 오히려 역으로 본래 지니고 있는 불교만의 특성을 문명 종교의 이상으로 부각시켰던 것이다. 이렇듯 20세기 초 불교 지식인들은 서구의 ‘종교’ 개념을 새롭게 재해석해 근대 종교로서의 불교 정체성을 정립했다. 잡지에 게재된 불교의 종교 정체성에 대한 내용은 불교도들의 공론을 형성하였고, 타 종교와 경쟁할 수 있는 논리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근현대 불교잡지는 ‘불교문화’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불교 역사와 고승에 대한 탐구, 불교 유적지에 대한 탐방 등을 다룬 글들은 독자들에게 불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대시키고, 불교 전통의 계승과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행문학의 형식을 빌려 전통사찰과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글은 잡지 간행 초창기부터 오늘날까지 끊이지 않고 게재되는 단골손님이다. 종교가 보편적으로 인간의 간절한 염원을 희구하여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얻는 것이라면, 문화는 종교성이 외면으로 형상화되어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불교문화유산은 불교를 통해 바라는 인간의 염원이 예술성의 경지로 승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한국의 지정문화재 중 상당수가 불교 문화재인 점을 감안한다면, 종교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차원에서도 불교문화유산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는 매우 높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불교잡지는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추적하는 실마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교문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자부심을 동시에 가질 수 있게 한다. 불교잡지가 지니는 이 두 가지 특징은 결국 불교의 종교로서 성격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문화와 전통을 강조하는 사회에서 특수한 불교문화의 전통을 발굴하여 일반에 소개하고 한국문화로서 보편성을 획득하는 일은 불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3) 불교 대중화의 선도자

불교잡지는 오늘날 포교의 가장 일반적인 수단 중 하나이다. 강연이나 법회는 일회성인 데 비해 잡지는 반영구적이며 불특정 다수를 겨냥하여 포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일률적인 주제나 장르로 엮은 단행본이나 소식을 전하는 목적이 강한 신문에 비해 당대 지식인이라 할 수 있는 여러 필진의 참여와 다양한 장르의 글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산물이라는 점도 잡지의 가장 큰 매력이다. 결국 이러한 매력에 불교잡지의 대중화 전략이 숨어 있다. 즉, 전문성을 갖추면서 지루함을 없앨 수 있는 기획과 편집을 두고 하는 말이다.

다양한 편집 전략은 초창기 불교잡지에서도 나타난다. 지식의 보급은 물론 독자층의 확대와 참여를 이끌기 위해 문답란이나 여성란, 소년란, 현상공모와 같은 코너를 개설하였고, 불전의 번역 및 해설을 게재하여 어려운 불교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오늘날 잡지까지 이어진다. 특히 2000년대 이후로는 추세가 읽는 잡지에서 보는 잡지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가독성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디자인을 고려하여 삽화뿐 아니라 다양한 사진으로 독자들의 눈길을 끌어야 하는 전략이 필요하게 됐다.

그리고 초창기 잡지에서 불교의 포교와 대중화에서 크게 기여했던 것 중의 하나는 불전의 번역이었다. 한문으로 된 부처님 말씀을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당시 포교사업의 최우선이었을지도 모른다. 역경 사업의 선두주자는 백용성이었다. 그는 3·1운동으로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을 때 타 종교 신자들이 한글로 된 경전을 읽는 것을 보고 그렇지 못한 불교의 현실을 통탄했다. 그래서 출감 후 삼장역회(三藏譯會)를 세워 조직적인 역경 사업을 전개했다. 한용운도 일찍이 “경전이 어려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사람들이 미신처럼 믿으니 종교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고 개탄했다. 그래서 1930년대 초 전주 안심사에서 한글 경판이 발견되었을 때 언어도(言語道)를 초월하는 쾌락과 환희를 느꼈다고 술회했다. 역경의 중요성은 많은 이들이 공감했고, 단행본뿐만 아니라 여러 잡지에 연재 형식으로 게재되었다.
그러나 초기 잡지에 게재된 경전의 단순 번역은 요즘 잡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동안 경전 번역서가 많이 나왔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볼 수 있어서 이제는 쉽게 경전을 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대신 단순 번역을 넘어 필자의 불교학 지식을 반영하여 경전에 대한 강의 형식으로 꾸려지기는 한다. 지식 열람의 창구가 제한적이었던 20세기 초반에는 비록 번역문만 게재하는 형식이었지만 불교 대중화를 위한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현대 잡지에서 불교 대중화를 위한 기획은 지식의 전달이나 종교성 추구보다는 현대인의 삶에 초점이 맞춰진 느낌이다.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생활법문 코너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불교와 현대과학’ ‘불교와 21세기’ 등 새롭게 바뀌어가는 일상 속에서 불교적인 모습들을 발견하고 실천해 나가는 모습들을 담아내려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각 잡지가 내건 표어를 보더라도 쉽게 읽어낼 수 있다. ‘대중과 더불어 생활하는 월간지’(《불교세계》), ‘현실 속의 불교를 지향하는’(《불교와 문화》), ‘창조적인 생활인을 위한 교양지’(《불광》) 등 이제 불교잡지의 주된 관심은 현대인의 삶에 들어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는 선(禪)불교와 불교 명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템플스테이나 신행 수기 등을 다루는 코너가 늘어나고 있다.

《불광》의 발행자 고광덕은 “한 권의 책은 한 사람의 법사(法師)와 같다”고 했다. 일반 서적이 1명의 법사라면, 불교잡지는 수십, 수백 명의 법사를 두고 불교 포교를 하는 셈이다. 그것도 불교 강좌를 비롯해 역사, 문화, 문학 등 다양한 방면에 걸친 지식과 정보를 갖춘 능력자를 말이다. 불교잡지는 단순히 불교인들만을 위한 잡지가 되어서는 안 된다. 모든 사람이 들여다볼 수 있는 잡지가 되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4. 나오며

지금까지 근현대 불교잡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일반 잡지와는 다른 불교잡지로서 가지는 종교적 특성에 대해서 앞에 서술한 내용을 정리하며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기로 한다.

근대 불교잡지는 전통과 근대의 교차점에 선 당대 불교 지식인들의 사회인식과 생각들을 보여준다. 주지하듯이, 종교 개념은 19세기 말에 수용되었다. 근대적·서구적·기독교적 개념인 것이다. 이 기준에 의하면 불교는 전통에 속한다. 하지만 종교경쟁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통만을 고수할 수 없었다. 근대 종교로 옷을 새롭게 갈아입어야만 했다. 그런 의미에서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과 같은 과감한 개혁론도 등장했던 것이다. 하지만 한편에선 물질만능주의의 신사조를 비판하며 전통을 강조하기도 했다. 불교잡지에는 전통 종교이자 근대 문명에 부합하는 종교로 불교가 어떻게 처신하고 있는지에 대해 많은 논설이 담겨 있다. 이러한 글들은 당시 불교인들의 공론을 형성하고 불교의 종교적 위상을 강화하는 데 토대가 되었다.
오늘날 발간되는 불교잡지는 단순히 불교 자체를 알리는 차원을 넘어 현대인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생활법문과 명상에 대한 내용이 중심이 되고 있다. 또한 초창기에도 해당되지만, 불교문화에 대한 강조가 더욱 두드러진다. 이것은 특히 2000년대 이후 문화 전통을 되살려 세계 속에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추세와 발맞추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오늘날 발간되는 불교잡지의 이러한 특성들도 결국은 불교의 종교적 위상을 강화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그리고 불교잡지는 100년이라는 세월 속에서 수많은 지식인을 배출한 재원이기도 하다. 초창기 잡지의 필자들은 상당수가 해외유학을 다녀온 엘리트들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시대인식과 사상을 불교잡지를 통해 접할 수 있다. 동시에 재가불자들의 불교운동과 동향을 살피는 데도 불교잡지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잡지의 눈높이는 독자들에게 맞춰져 있고, 독자들은 잡지를 통해 공통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돌이켜 보면, 한국 근대불교의 가장 큰 과제는 근대화와 대중화였다. 종교 경쟁 시대에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근대화가 시급했고, 오랜 기간 산중불교에 머물러 왔기 때문에 불교 대중화를 위한 포교에 힘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불교잡지는 가장 근대적인 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포교를 할 수 있는 매개체였다. 지난 100여 년 동안 불교잡지는 포교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해 왔다. 세상에 빛을 본 잡지만 해도 아마 100종이 넘을 것이다. 하지만 잡지가 시작된 1910년대부터 적어도 1960년대까지는 지난한 역사였다.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상과 어수선했던 해방공간, 그리고 6·25전쟁으로 모든 기간산업이 피폐해진 현실들은 제아무리 종교계라도 정상적인 출판 사업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 이후로 점차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잡지 수가 늘어났다. 안정적인 경영으로 1970년대에 창간되어 40년이 넘도록 간행되고 있는 《불교》와 《불광》과 같은 잡지도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인터넷 잡지도 등장했다. 이로 인해 잡지의 역할이 웹상으로 이동한 면도 없지 않지만, 문서로서 잡지가 갖는 의미가 퇴색하지 않는 이상 불교잡지의 역사는 21세기에도 계속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 이상 불교의 대중화는 잡지의 목표가 아니다. 이제는 그 이상을 바라보는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불교의 문서 포교 역사가 가장 오래된 나라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본과 금속활자본이 우리나라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려대장경의 조판과 조선시대 간경도감의 불서 편찬은 단순한 불심에 의한 불사였다기보다는 우리나라 불교가 지닌 포교 역량의 발현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근현대 불교잡지의 간행도 문서 포교 역사의 오랜 전통의 연장 선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

 

김성연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논문으로 〈근대 불교의 종교 비교방법을 통한 정체성 인식〉 〈1930년대 한용운의 불교 개혁론과 민족의식 고취〉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ABC) 사업단에서 재직하며 동국대 강사로 활동 중.



===

책소개이 책은 불교계의 빈약한 역사의식 및 현실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된 것이다. 불교계의 발전을 질곡하고 있었던 여타의 문제(역사·현실 인식의 부재, 자료 수집의 어려움, 중요자료의 부재 등)를 해소하려는 민족사의 노력 중의 하나로 이미 출간된 근·현대불교사 관련 출판물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이 20세기 불교 100년을 그리 완벽하게 담아냈다고 장담할 수는 없는데, 이는 현재 불교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 또는 한계가 생각보다 심각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민족사는 앞으로 이 분야자료를 보완·수집하여 보유판을 발간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점을 염두하고 이 책의 특징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불교사 100년을 요약하고 찾을 수 있는 자료(사진, 서문, 성명처, 잡지, 관련 출판물, 유품)를 현재의 시점에서 그리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총망라하고 있다.

둘째, 20세기 불교사를 10년 단위로 정리하면서도 각 10년 내에 발생했던 정치, 사회 문화상의 변화을 취합하여 불교계의 변화와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20세기 불교계의 고뇌, 좌절, 한계, 영욕, 갈등, 지향 등이 가감없이 정리하였다. 지면에 공개하기 꺼려지는 불교계의 문제점까지도 감추지 않고 그대로 드러낸 점이 돋보인다.

넷째, 이 책자의 기획, 자료 수집, 연출, 서술 등의 일련의 작업은 이미 오래 전부터 불교사를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전문가에 의하여 진행되었기에 그 내용 뿐만 아니라 자료의 평가 및 형평성 문제에 있어서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다섯째, 20세기 불교계가 참여한 최초의 역사적 화보집으로서 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섯째, 여기에 수록된 사진 중에는 처음으로 공개되는 희귀 사진 및 그간 신문잡지 등에 게재되었으나 일반인은 접하지 못하였던 사진 등을 포함하고 있어 구체적 이해와 불교 관련 자료수집에 용이하다.
목차
1. 1900년대 전후
2. 1910년대
3. 1920년대
4. 1930년대
5. 1940년-해방 이전
6. 해방 이후-1949년
7. 1950년대
8. 1960년대
9. 1970년대
10. 1980년대
11. 1990년대
12. 부록 1 : 조선사찰 31본산 사진첩

저자 및 역자소개
김광식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 건국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 부천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 현재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 만해학회 회장
● 대각사상연구원 연구부장

주요저서로 『한국근대불교사 연구』, 『한국현대불교사연구』,『한용운 연구』 등 근현대불교와 관련된 30여 권이 있고, 한국불교사와 관려된 논문 220여 편이 있다.
최근작 : <한국근대불교사연구>,<백용성 연구>,<동산사상의 재조명> … 총 47종 (모두보기)
====

왕초보 선 박사 되다 | 윤창화 | 민족사 - 교보문고

왕초보 선 박사 되다 | 윤창화 | 민족사 - 교보문고

왕초보 선 박사 되다
윤창화 지음 | 민족사 | 2009년 07월 06일 출간

총 4 중3 7.5 (리뷰 2개) 클로버 리뷰쓰기

회원리뷰 (1)
교환/반품/품절
도서·상품정보 1:1 문의하기
ISBN 9788970094267(8970094261)
쪽수 424쪽
크기 135 * 195 mm 판형알림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종교 > 불교 > 불교선/깨달음

왕초보에서 선 박사로!
윤창화의 『왕초보, 선 박사 되다』. 선어를 모르면 선을 배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선승의 설법을 알아들을 수 없다. 하지만 애매모호하고 막연한 선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이 책은 저자가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현대불교신문」에 연재한 칼럼을 수정ㆍ보완하여 엮은 것이다. 한국불교에서 주로 쓰는 선어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구체적이면서도 실질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난해한 선어일수록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어를 공부 중인 사람들은 물론, 난해한 선어 때문에 선에 선뜻 발을 들여놓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저술했다.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갖게 하는 선의 세계로 초대한다. 양장.

북소믈리에 한마디!
『왕초보, 선 박사 되다』는 선어란 즉흥적으로 내뱉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상적, 교학적인 바탕 위에 무집착, 일체유심조, 무분별 등의 일정한 기준을 갖고 설파됨을 가르쳐줍니다.

이처럼 선에 대한 우리의 오해도 풀어주고 있습니다.

이 책의 시리즈
왕초보 법화경 박사 되다
왕초보 선 박사 되다
왕초보 불교 교리 박사 되다
왕초보 천수경 박사 되다
왕초보 수행 박사 되다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왕초보 경전 박사 되다
전체선택 장바구니 담기

저자소개


저자 : 윤창화
작가 정보 관심작가 등록
불교인
해인사 강원 13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졸업. 논문으로는 , , , 등이 있음. changhwa9@hanmail.net 더보기

윤창화의 다른 작품

불자 생활 백서
10,800원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학술총서 70)(양장본 HardCover)
22,500원

명심보감
8,100원
================================
목차
머리말 - 선어를 통해서 깨달음으로 들어간다

1장. 선의 기초적 이해
선의 관점 - 선과 인간의 실존
선과 학문 · 지식 · 경전
선의 의미
수행의 정의
깨달음
삼매
선문답과 법거량

2장. 화두의 의미와 참구 방법
화두와 공안 화두의 역할과 기능
화두는 누가 언제 만들었나? - 화두의 역사 화두를 참구하는 방법
참선 수행의 세 가지 조건 활구와 사구
무기공 · 혼침 · 도거 · 산란 · 선병 성성과 적적
알음알이와 분별심 경계와 마
보림=보임

3장. 선의 사상적 뿌리
공 무아 연기법
중도 불이 열반
진여 법신 불성과 영혼
윤회와 해탈

4장. 선수행의 방법
좌선과 참선 좌선의 방법

5장. 선의 종류
여래선 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남종선과 북종선 오가칠종
염불선 대승선 소승선
외도선 범부선

6장. 선어와 선구 풀이
개구즉착 견성성불 기연
끽다거 날마다 좋은 날 냉난자지
다선일여 돈오와 점수 무심 · 무념 · 무사
무위진인 방 할
방하착 백천간두진일보
보고 듣고 아는 그놈은 누구인가 본래면목(=본지풍광)
본래무일물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사교입선 살불살조 수처작주 입처개진
심우도 심외무불 · 심외부법 · 심외무물
언어도단 오도송 · 선시 · 열반송
오매일여 위음(왕) 이전 은산철벽
이심전심 인가 일체유심조
입차문래 막존지해 정법안장 좌탈입망
주인공 즉심시불 지도무난
평상심시도

7장. 대표적인 화두
무 간시궐(마른 똥 막대기) 마삼근(삼 세 근)
동산수상행 일구흡진서강수 뜰앞의 잣나무
일면불 월면불 만법귀일 일귀하처 병정동자 래구화
판치생모 여사미거 마사도래 이?고
산은 산 물은 물

8장. 선을 이끌어 온 인물과 책
- 우둑한 선승들 -
보리달마 육조혜능 마조도일
백장회해 조주종심 임제의현
운문문언 원오극근 대혜종고
보조지눌 나옹혜근 서산휴정
경허성우

- 가렵 뽑은 선어록 -
육조단경 임제록 전등록
벽암록 종용록 무문관
대혜서장 선문염송 선가귀감

10장. 간단명료한 선어 단구 풀이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우리나라 선불교에서 가장 많이 쓰는 선어(禪語)를 해설한 책이다. 선방과 선승, 그리고 선어록에 많이 나오는 선어(禪語), 선구(禪句), 대표적인 화두를 뽑아서 그 의미와 뜻을 해설한 책이다.
불교의 여러 용어 중에서도 선어처럼 그 개념을 포착하기 어려운 말도 드물다. 이 때문에 대부분 추상적이며 애매모호하고 막연한 풀이에서 그치고 만다. 해설했다고 해도 구체적으로 무슨 뜻인지 개념이 포착되지 않는다.
화두를 비롯한 선어·선구(禪句)에 대한 개념이 이와 같이 추상적이고 막연한 것은 ‘선어는 해석하면 안 된다.’ 또는 ‘선의 세계는 언어나 문자로는 표현할 수 없다(不立文字).’라는 말에 구속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어는 어떤 언어를 막론하고 서로의 생각, 의미, 뜻, 메시지 등을 소통시키는 공통적인 기호이다. 하나의 용어나 언어로 형성, 표현된 이상 -- 물론 선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 말 속에는 의미하는 바가 있고, 시사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선어 역시 개념이 포착되지 않는다면 수행방법을 알 수도, 선을 이해할 수도 없고, 선을 공부할 수도 없다. 화두 역시 참구할 수가 없다. 개념이 포착되지 않는데 무엇을 어떻게 공부한다는 것인가? 언어의 장벽을 넘지 못하면 선승들의 말을 알아들을 수도 없고, 선의 진전한 향기(禪香)를 맡을 수도 없다. 선(禪)의 고향에 가 볼 수도 없다.
선어나 선구를 풀이할 때는 가능한 한 범위를 좁혀서 우리말로 알기 쉽게 풀이해야 한다. 추상적이고 두루뭉술한 해석은 지양하고 명확한 해석을 할려고 해야 한다. 구체적인 해석, 실제적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난해하다고 추상적으로 설명한다면 그는 아직 선을 모르는 사람이다. 난해한 언어 일수록 쉽게 풀이하는 것, 그것이 선어 풀이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많은 사람들은 선어를 그냥 즉흥적으로 또는 즉석에서 내뱉은 말 정도로 이해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선승들이 읊은 선시나 선문답, 화두(話頭), 공안(公案), 법거량(法去量), 오도송(悟道頌) 등 선어나 선구(禪句)는 모두 일정한 기준을 갖고 있다. 즉 ‘공’ 중도, 불이, 무집착, 무분별, 일체유심조, 무심 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기준으로부터 벗어난다면 그것은 선어도 화두도 선시도 아니다. 사상적 교학적 바탕이 탄탄하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선이 천 년 이상 전해 내려올 수 있겠는가?

이 책은 대중 독자를 위한 책이다. 그래서 가능한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고, 간결하고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쓰고자 했다. 물론 그 뜻도 분명히 하고자 했다. 그러나 때론 선을 전공하는 이들, 선방의 스님들에게도 상당한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선이 정말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이들, 선어나 선구(禪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 하는 이들, 그리고 선어의 난해함 때문에 고생하는 대중 독자를 위한 책이다. 따라서 전문적인 용어는 가능한 한 배제하고 될 수 있는 대로 쉬운 우리말로 풀이,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우리말이 아닌 한문어로 풀이한다면 누가 알 것이며, 언어의 기호적 역할은 의미가 없어진다.

끝에는 <간단 명료한 선어 단구 풀이> 난을 두어 약 250개의 선어를 뽑아서 간단히 풀이했다.

선은 그 누구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갖게 하는 공부이다. 자기 자신을 스스로 확립하게 하는 공부이다. 희로애락, 탐진치, 비난과 칭찬 등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살아가게 하는 공부이다. 인생 일대에 한번 해 볼만한 공부이다. 닫기
상품정보
회원리뷰 (1)
교환/반품/품절

Klover 리뷰 (2)

구매 후 Klover 리뷰 작성 시, 리워드를 제공합니다. 안내
7.5 /10



구매
전체
도움순
최신순
tj**dtn12 2020-09-07 20:12:21
총 4 중1
초보가 선을 알아가는 책

댓글
좋아요0
do**ins65 2017-03-20 21:33:16
총 4 중4
중견 학자들이 슨 전문적인 선학 개론서 보다 나은것 같다. 왜냐하면 선에 대한 입문서 격으로 다룬 시중의 책들을 살펴보면 지나치게 언어로서 도무지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태로 글을 써내려 가는 학인들이 있는 이 책은 나름 선의 입문격이긴 하지만 선이란 무엇이고 선어들을 체험적으로 터득한 것을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공감이 갈수 있도록 배려해 놓은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사실 선의 특징이 불립문자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문자에 집착을 하지 말라는 것이지 선을 수행할때 아에 모른 상태에서 실행을 하라는 말은 아니다. 마치 길 찾기 네비게이션 처럼 처음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충실하게 따를수 있는 표준 안내도 같은 것이 필요한데 그것과 마찬가지가 아니겠는가 한다. 목적지에 가고자하는데 정작 목적지에 가려고 하는 방향은 어디이고 거리순은 어떻고 지름길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 필요한것처럼 말이다. 그렇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직접 실행에 옮기는 것은 각각의 독자들의 몫이지만 말이다. 일단 천리 길도 한걸음 부터니까 천천히 선의 세계에 적어도 선이란 무엇이고 왜 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글이 필요하니까

댓글
좋아요0
1



※ 북로그 리뷰 리워드 제공 2021. 4. 1 종료

굳이 분별심을 내자면 개에게도 불성은 있다. st**gaze59 | 2009-07-29 | 추천: 0 |

나더러 교과서 같다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때론 내가 외곬수라며 답답해한다. 근데 전자는 그닥 기분이 나쁘지 않은데 후자의 말은 귀에 내려앉자마자 속에서 무언가 부글부글 끓어오른다. 지천명을 넘어서야 후자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지하철 타기이다. 4년을 한결같이 죽어라 타고 다녔던 코스인데 앉을 자리는 없을 때가 더 많고 퀴퀴한 사람냄새를 바싹 코앞에서 맡고 다니면서 ‘씻는 걸 게을리 하면 아니 되겠다.’는 교훈을 얻어 낸 그 코스보단 훨~ 헐렁헐렁 하고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 독서를 할 수 있고 지는 해도 바라보는 호사를 누릴 수 있는 코스를 근간에 발견하고, 지난 4년 모자란 나의 행동을 한편으론 힐책을 해보기도 하지만 그나마 이제라도 알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읽고 있는 책은 비불자들은 별로 관심이 없는 ‘왕초보 禪 박사 되다.’이다. 불교 서적 쪽에서는 잘나가고 있다고 알고 있는 ‘민족사’라는 출판사의 대표이며 이 책의 저자이신 윤창화님으로부터 싸인까지 얹어서 가만히 앉아 택배까지 꽁짜로 받은 이 책은, 불교신문을 정기구독 하다 윤창화님께서 올리신 글을 보고 멜을 보내다가 얻은 횡재라 우쭐거리면서 북로그 지인들에게 자랑 아닌 자랑을 길게도 늘어놓는다. 꽁짜 책을 읽으면 Review를 반드시 포털사이트 세 곳에 올려야 하는 그런 카페가 있는데 10%로는 그런 부담이 있는 듯도 하지만 法施(법시)를 받았으니 廻向(회향)하는 맘으로 증말 간만에 북글을 올려 본다.

오늘은 321쪽을 읽다가 말고 한참을 생각에 잠겼다 그 바로 앞부분은 無字話頭(무자화두)로 유명한 조주(趙州, 778~897)선사의 狗子無佛性(구자무불성/개에게는 불성이 없다.), ‘개에게는 업식성(業識性=중생심, 분별심)이 있기 때문이며 업식성은 업을 짓는 성품으로 차별의식과 분별의식을 가리키는데 ’옳다, 그르다‘ ’좋다, 나쁘다‘ 등 흑백논리로 따지는 마음, a와 b로 이등분하여 차별하는 마음을 ’업식성‘ 또는 ’중생심‘이고 일체 중생은 모두 다 불성을 갖고 있는데 개(狗)가 미물이라고 하여 ’불성이 없을 것이다.‘ 또는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차별심과 분별심을 갖는다면, 그것은 결국 어리석은 중생심으로 깨달을 수 없으며 그러므로 ’있다, 없다‘라는 분별심을 갖지 말며 분별심은 ’망상‘이며 깨달음을 가로막는 장벽이라고 저자의 detail한 설명과 알고 있는 '개’에 대한 글이 있었다.

「필자의 시골 형님 댁에 13년 된 멍멍이가 한 마리 있습니다. 형님은 ‘진돗개’라고 하면서 제가 갈 때마다 목에 힘을 주시지만 거의 짝퉁이 확실합니다. 개도 10년이 되니 늙어서 그런지 다리도 절뚝거리고 수염도 하얗게 변했습니다. 얼마 안 있으면 곧 이 사바세계를 해탈하게 될 것입니다. 그 녀석도 제가 가면 주인집 동생이라고 꼬리를 흔들면서 매우 반가워합니다. 멀리서 이름만 불러도 누군지 다 압니다. 그런데 다음날 서울로 돌아올 준비를 하면 시큰둥해합니다. 차에 올라타서 시동을 걸면 무척 쓸쓸해합니다. “진도, 잘 있어!”라고 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물끄러미 먼 산을 쳐다보면 애써 태연한 척 합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 개에게도 ‘고독’ ‘이별의 감정’같은 것이 전혀 없진 않으리라고 생각됩니다. 혹시 ‘왜 사는가?’ ‘나는 누구인가’ 이런 생각도 할까요? 그런 생각을 한다면 불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집에도 12월이면 키운 지 10년이 돼가는 개가 두 마리 있는데 그 개 중에 한 마리가 ‘老病死’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7월 8일 암이라는 판정을 받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 개만 바라보면 막막하고 우울하다. 딸내미가 낳아 달라는 동생을 못 낳아 준 죄로 하도 소원하기에 우리 집 식구가 된 그 개는 며칠 키우다 보니 우리가 다 나가고 나면 외로울 까봐 한 마리를 더 들였는데, 먼저 들어 온 개가 새로 들어 온 개를 영~ 맘에 들지 않아 해서 둘 다 처녀 총각으로 늙어가고 있다. 그런 거 저런 거 보면 개도 생각이 있고 딸내미에게 지금까지 충성 충인 걸 보면 때론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을 더러 해 본다. 그 개는 조용한 걸 좋아하고 사색을 즐기는 눈치다. 같은 종류의 개지만 한 마리는 번잡스럽고 먹는 거만 밝히고 그 개는 아무리 봐도 불성이 없는 것 같은데 지금 죽어가는 개는 우리 집 막내로 자신이 생각하는 걸로 봐서 굳이 분별심을 갖고 보자면 그 개는 불성이 있는 것 같다. 죽어가고 있는 그 개를 제대로 건사해 주지 못해서 업을 더 짓고 윤회가 존재한다면 내생엔 그 개가 나의 주인으로 태어나고 내가 개가 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책읽기를 다 마무리 하지 못한 채 넋두리 같은 review를 쓴다. 책읽기를 마치자마자 바로 review를 써야 하는데 차일피일 이런저런 핑계로 게으른 날들을 지내다 보면 감흥은 저만치 사라져 가 버리고 게다가 기억력도 가물가물해져서 그나마 가뭄에 콩 나듯 올리던 북글 마저 몇 년째 올리지 못했다. 앞으론 방법을 바꾸어야겠다. 읽다가 중간에 review를 쓰기로... 오늘은 331쪽까지 읽다 부랴부랴 신답역에서 내렸다. 신답역은 내려서 계단을 몇 칸 올라오면 출구인데 그 앞엔 작은 공원이 있다. 그리고 버스를 기다리는 곳에 나무의자가 하나있는데 그 곳에 앉아 어제는 멍청히 하늘도 쳐다보는 여유를 가져보면서 ‘空 ’에 대해 잠시 생각해 보았다. 허공도 다 담을 수 있는 것이 마음이라는데...-_-;

‘왕초보 禪 박사 되다’는 정말 왕초보용은 아닌 것 같다. 왕초보 일 때는 탐진치도 모르니까...^^; 제 1장 선의 이해, 제 2장 화두의 의미와 참구 방법, 제 3장 선의 사상적 뿌리, 제 4장 선수행의 방법, 제 5장 선의 종류, 제 6장 선어와 선구 풀이, 제 7장 대표적인 화두에서 ‘동산수상행’을 읽다 말았다. ‘일구흡진서강수’, ‘뜰 앞의 잣나무’, ‘일면불 월면불’, ‘만법귀일 일귀하처’, ‘병정동자래구화’, ‘판치생모’, ‘여사미거 마사도래’, ‘이뭣꼬’, ‘산은 산 물은 물’을 읽으면 화두 제목과 일면식을 하는 꼴이니 그런대로 어디 가서 귀동냥은 할 수 있을 것 같다. 언젠가 ‘開始悟入(개시오입)’과 ‘憂悲惱苦(우비뇌고)’라는 말이 생소해서 물어보았다 憎上慢(증상만)이 가득한 눈총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 또한 불교가 쇄신해야 하는 점이 아닌가 싶다. 제 8장 선을 이끌어 온 인물과 책/우뚝 선 선승들 보리달마, 육조혜능, 마조도일, 백장회해, 조주종심, 임제의현, 운문문언, 원오극근, 대혜종고, 보조지눌, 나옹혜근, 서산휴정, 경허성우 선사 정도는 필히 숙지해 두어야 한다.^^ 가려 뽑은 선어록 육조 단경, 임제록, 전등록, 벽암록, 종용록, 무문관, 대혜서장, 선문염송, 선가귀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글이 있고, 간단명료한 선어 단구 풀이가 있으며 마지막 장은 참고 문헌으로 갈무리가 되어 있는 이 책을 한 권 떼고 나면 ‘禪수행’으로 가는 문고리는 일단 잡은 게 되지 않나 나름대로 가늠해 본다._()_ 닫기

문장수집 (1) 문장수집 쓰기 나의 독서기록 보기

tj**dtn122020.09.07
선의 기초적 이해

좋아요 0

tj**dtn12 2020-09-07 20:13:02
선의 기초적 이해

임제(臨濟) 없는 임제선(1) - 금강신문

임제(臨濟) 없는 임제선(1) - 금강신문

임제(臨濟) 없는 임제선(1)

윤창화 민족사 대표
2011.09.02
----
한국 선불교 법맥은 임제선
그럼에도 임제록 독서·강독하지 않아
고려말 이후 간행 안된 건 ‘유감’


우리나라 선종은 임제종, 임제선이다. 1990년대 중반 위빠사나가 들어오면서 ‘임제선 일색’의 분위기는 좀 탈색되었지만, 그 이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선불교는 임제선 혹은 간화선이었다.

임제선의 한국 전승은 고려 말에 국사(國師) 태고 보우(1301-1381)가 받아왔지만, 임제선 일색으로 흐르게 한 이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선승인 서산대사 청허 휴정(1520~1604)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선가구감〉 말미에서 중국 5가7종을 평하면서 ‘별명 임제종지(別明臨濟宗旨)’ 장(章)을 두어, 임제선을 최고봉(最高峰)의 위치에 올려놓았다. 또 서산의 법손 채영(采永, 조선 후기)은 승보(僧譜) 〈해동불조원류(海東佛祖源流)〉를 편찬(1764년, 영조 40)하면서, 임제선을 전수한 태고 보우를 우리나라 불교의 종조(宗祖)로 정하여 역사적 사실로 확정, 공표했다. 근현대의 대표적인 선승 퇴옹 성철(退翁性徹)선사도 한국불교를 임제선, 임제종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선승들이 구사하는 선풍(禪風, 선사의 독특한 가르침이나 지도 방법 및 스타일) 역시 임제의현의 주특기인 ‘할(喝)’이다.

이와 같이 한국 선불교는 법맥적으로나 사상적으로나 임제종, 임제선인 것은 누구나 공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제선이 전해진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 518년 동안 그리고 근대 100여 년 동안 임제선사의 법어집인 〈임제록(臨濟錄)〉이 한 번도 간행된 사실이 없다. 어떤 책이 간행, 유포되지 않았다는 것은 곧 그 책이 독서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한국서지연표〉(윤병태 저, 한국도서관협회, 1972)와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저, 탐구당, 1974)에도 〈임제록〉 간행 사실을 발견할 수 없다. 현존하는 고본 목록이나 자료에서도 임제록이 간행 및 유통된 적이 없다. 언필칭 임제선이라고 하면서도 정작 임제의현의 참모습, 그가 기치로 내 세웠던 절대적인 자유인(自由人), 곧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의 진인(眞人)은 오지 않았던 것이다.

〈임제록〉이 정보문헌학적으로 처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출판, 간행된 것은 37년 전이다. 1974년으로서 당시 종정이었던 서옹선사(西翁禪師)가 연의(演義, 提唱)한 〈임제록〉(동서문화사, 1974.10.25)이 처음이다. 이때 비로소 우리나라 선원의 납자들은 말로만 듣던 임제록을 보게 되었다. 문자로나마 무위진인(無位眞人)의 모습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이다. 대개 〈임제록〉이라는 책이 있다는 것쯤은 알고 있었지만 정작 그 책을 읽은 사람은 한둘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무지(無知), 무식(無識)해야만 선승이라는 이미지는 또한 임제록에 대해서도 그대로 통용되었던 것이다.

사실 이런 이야기가 처음은 아니다. 당시 서옹 스님은 〈임제록〉‘해제’에서 “그런데 조계종은 임제종 법맥을 이어오면서 (그의 법어집인) 임제록이 현존(現存)하지 못함은 유감천만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개탄했고, 15여 년 전 민영규선생도 ‘몽산덕이와 고려불교’(김지견 화갑논총, 1996)에서 심도 있게 언급했다. 필자는 갈등선(葛藤禪)으로 이것을 좀 더 자세히 중계할 뿐이다.

그런데 매우 궁금한 것은 너도나도 임제선을 자처하면서도 왜 〈임제록〉이 간행되지 않았을까?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간행되지 않았다는 것은 독서·강독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약 600여년 동안 우리나라 선원에서는 임제록을 보지 않았고, 본 선승도 거의 없다.

하나 더 문제를 제기한다면 그 유명한 공안집인 원오극근(1063~1135)의 〈벽암록〉은 600여 년 동안 겨우 1회 개판·간행되었고, 무문혜개(1183~1260)의 〈무문관〉도 간행·강독된 사실이 없다. 중국 선승들에 관한 정보는 주로 〈전등록〉을 통하여 알게 되었던 것이다.

윤창화 민족사 대표 ggbn@ggbn.co.kr

실용 한-영 불교용어사전 [임제선사]

실용 한-영 불교용어사전



임제선사'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사할 [四喝, Sahal]

네 가지 할 (喝). 임제선사 (臨濟禪師)가 학인을 교화하기 위해 제시한 교설. 할 (...

The four types of Shout! or Katz!: In the Linji School, there are four differ...
임제록 [臨濟錄, Imjerok]

임제선사 (臨濟禪師)의 어록 (語錄). 당나라 삼성혜연 (三聖慧然) 저술

The Record of Linji (?-807) by Sansheng Huiran of Tang Dynasty.
임제진인 [臨濟眞人, Imje Jinin]

‘똥치는 마른 막대기.’ 임제선사 (臨濟禪師)가 학인 (學人)이 묻는 말에, ‘진인 (...

The sage of Linji: When his pupil asked the Master what is the true sage, his...
1


---
사할  [四喝, Sahal]

네 가지 할 (喝). 임제선사 (臨濟禪師)가 학인을 교화하기 위해 제시한 교설. 
할 (喝)하는 것에도 때와 장소, 그리고 학인의 근기에 따라 
여러 가지 방편이 있음을 보여준 것)

1) 금강왕 (金剛王) 보검의 할 (喝) 
(이것은 한 칼에 온갖 행각 (行脚)과 알음알이를 끊어버리는 것이며)

2) 땅에 버티고 앉아있는 사자의 할 (喝) 
(이것은 말을 하거나 입김만 불어도 모든 마구니의 머리가 터지는 것이며)

3) 탐지하는 낚시 대의 풀 묶음이란 
(상대방의 콧구멍이 있는 가 또는 없는 가를 탐지하는 것이며)

4) 또 한 가지 할 (喝)은 
(한 가지의 할 (喝)로만 쓰이지 않고, 삼현 (三玄)과 사빈주 (四賓主) 같은 것들이 다 갖추어 있다는 것이다)

The four types of Shout! or Katz!: In the Linji School, there are four different expedient types of Shout! or Katzs for teaching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their capability. Cf. (Hal!) Katz!
1) The shout of the King of Diamond means cessation of all kinds of thought and cleverness in the blow of a sword.
2) The shout of a lion lying on its belly means busting the heads of all devils at the moment when its mouth opens or even at the puff of its breath.
3) A batch of grass at the end of a fishing rod refers to trying to find out whether or not a man has a hole in his nose.
4) Another kind of shout is not simply a shout but all the methods combined in addition to the "three sublime teaching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and student."
---

임제록
[臨濟錄, Imjerok]

임제선사 (臨濟禪師)의 어록 (語錄). 당나라 삼성혜연 (三聖慧然) 저술

The Record of Linji (?-807) by Sansheng Huiran of Tang Dynasty.


---

임제진인
[臨濟眞人, Imje Jinin]

‘똥치는 마른 막대기.’ 임제선사 (臨濟禪師)가 학인 (學人)이 묻는 말에, ‘진인 (眞人)이란 곧 똥치는 마른 막대기’라고 한데서 나온 말

The sage of Linji: When his pupil asked the Master what is the true sage, his reply was "a dry shit stick."


--

임제선사가 황벽선사에게 불법의 적실하고 적실한 큰 뜻을 물으니

임제선사가 황벽선사에게 불법의 적실하고 적실한 큰 뜻을 물으니, 


임제선사가 황벽선사에게 불법의 적실하고 적실한 큰 뜻을 물으니, 황벽이 대답하지 아니하고 곧 일어나서 매 삼십봉을 때렸으니, 그 때리는 뜻이 어떠한 뜻인지 연구할 사 105
기자명 류성태 교무   입력 2012.04.27  호수 1612  댓글 0
-----

임제선사가 황벽선사를 찾아뵙고 큰절을 3배 올렸다. 황벽스님이 "무엇 때문에 날 찾아왔는가"라고 묻자 "부처님의 적법 대의가 도대체 뭡니까?" 임제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황벽선사는 몽둥이로 후려쳤다. 임제는 시원한 답변을 듣지도 못하고 허겁지겁 물러났다.

시자 목주가 "다음에 오라"고 하여 임제는 다시 와서 황벽선사에게 질문했다. 이에 또 황벽은 또 몽둥이로 후려쳤다. 이러한 일이 세 번이나 일어났다. 임제는 "저런 미친 스님을 모시고 있는 목주 당신도 문제요"하며 떠나려 하자, 시자 목주가 "그럼 이왕 떠나는 길에 저 앞산 너머에 대우라는 큰스님이 계신데 그 스님도 큰 도를 이룬 분이니 이 일을 한번 물어보고 이유나 알고 가시오"라고 했다.

임제는 매를 맞은 것이 억울하여 산 넘어 대우스님을 만났다. 대우스님은 말하길 "이 멍청한 놈아, 천하의 제일가는 황벽선사께서 너를 지극히 생각하여 그렇게 친절히 삼일 동안이나 일러 줬거늘 그 소식을 몰랐단 말이냐?"하는 말에 임제스님은 순간 박장대소하며 크게 도를 깨쳤다고 한다.

임제는 큰 깨달음을 얻은 후, 황벽스님에게 다시 찾아간다. "네가 왜 또 왔는가?" 하니 임제 곧장 황벽의 멱살을 잡고 "한마디로 도를 일러보시오"라고 다그쳤다. 황벽 스님이 "아, 이런 놈 봤나?"하니 임제는 황벽스님의 갈비뼈가 부러지도록 주먹으로 내리쳤다. 황벽스님이 "아이쿠" 소리치며 넘어진 후 일어나서 임제가 크게 깨달은 것을 알고 견성인가를 내리며 제자로 삼는 장면이다.

황벽스님이 임제에게 매질을 한 것은 도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자리에 있다는 것을 가르치고자 하였던 것이다. 임제는 그의 어록에서 "만약 어떤 장소에서든 주체적일 수 있다면 그곳은 모두 참된 곳이며, 어떤 경계에서도 잘못 이끌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이 모든 것은 돈오(頓悟)의 소식을 전하는 선사들의 선문답이다.

임제선사는 임제종의 선구로서 그의 어록인 〈임제록〉에서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라는 글을 남긴다. 도를 배우려는 사람들은 스스로 믿고 밖에서 찾지 말라는 것이다. 도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다른 것들에 사로잡혀 삿됨과 정당함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온 법어이다.

한국 불교는 임제종 계통으로 우리나라 불교의 조계종은 임제종의 간화선이 그 공부방법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소태산대종사는 임제종의 간화선에 더하여 조동종의 묵조선을 아우르는 단전주 선법을 전하고 있다(〈정전〉, 좌선법). 

소태산대종사와 임제스님이 만났더라면 또 무슨 화두를 주고 받았을까? 또 정산종사는 평상심이 도(〈정산종사법어〉 권도편 45장)라고 한 법어를 생각나게 한다. 
도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가 서 있는 곳에 도가 있다고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