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17

The Schopenhauer Cure: A Novel: Yalom, Irvin: Amazon.com: Books

The Schopenhauer Cure: A Novel: Yalom, Irvin




The Schopenhauer Cure: A Novel Paperback – November 10, 2020
by Irvin Yalom (Author)
4.5 out of 5 stars    568 ratings

From the internationally bestselling author of Love's Executioner and When Nietzsche Wept, comes a novel of group therapy with a cast of memorably wounded characters struggling to heal pain and change lives

Suddenly confronted with his own mortality after a routine checkup, eminent psychotherapist Julius Hertzfeld is forced to reexamine his life and work -- and seeks out Philip Slate, a sex addict whom he failed to help some twenty years earlier. Yet Philip claims to be cured -- miraculously transformed by the pessimistic teachings of German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 and is, himself, a philosophical counselor in training.

Philip's dour, misanthropic stance compels Julius to invite Philip to join his intensive therapy group in exchange for tutoring on Schopenhauer. But with mere months left, life may be far too short to help Philip or to compete with him for the hearts and minds of the group members. And then again, it might be just long enough.
Editorial Reviews
Review
“Yalom’s enthusiasm is contagious. And he certainly knows how to tell a page-turning story.” -- Los Angeles Times

“Yalom’s melding of philosophy, pedantry, psychiatry and literature result in a surprisingly engaging novel of ideas.” -- San Francisco Chronicle

“Considers the value and limits of therapy and those points at which philosophy and psychology converge.” -- Washington Post

“A beautifully wrought tale of a therapy group’s final year and a moving debate about the end of life.” -- Kirkus Reviews

“As a novel of ideas, this book effectively explores loss, sexual desire, and the search for meaning.” -- Library Journal

“The world’s first accurate group-therapy novel, a mezmerizing story of two men’s search for meaning.” -- Greensboro News & Record

“Meticulous. [Yalom’s] re-creation of a working therapy group is utterly convincing.” -- Publishers Weekly
From the Back Cover
Suddenly confronted with his own mortality after a routine checkup, eminent psychotherapist Julius Hertzfeld is forced to reexamine his life and work -- and seeks out Philip Slate, a sex addict whom he failed to help some twenty years earlier. Yet Philip claims to be cured -- miraculously transformed by the pessimistic teachings of German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 and is, himself, a philosophical counselor in training. Philips dour, misanthropic stance compels Julius to invite Philip to join his intensive therapy group in exchange for tutoring on Schopenhauer. But with mere months left, life may be far too short to help Philip or to compete with him for the hearts and minds of the group members. And then again, it might be just long enough.

About the Author
Irvin D. Yalom, M.D., is the author of Love's Executioner, Momma and the Meaning of Life, Lying on the Couch, The Schopenhauer Cure, When Nietzsche Wept, as well as several classic textbooks on psychotherapy, includ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considered the foremost work on group therapy. The Professor Emeritus of Psychiatry at Stanford University, he divides his practice between Palo Alto, where he lives, and San Francisco, California.

Read less
Product details
ASIN ‏ : ‎ 0060938102
Publisher ‏ : ‎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Reprint edition (November 10, 2020)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384 pages
Item Weight ‏ : ‎ 9.9 ounces
Dimensions ‏ : ‎ 5.31 x 0.86 x 8 inches
Best Sellers Rank: #68,525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69 in Doctors & Medicine Humor
#270 in Metaphysical & Visionary Fiction (Books)
#411 in Self-Help & Psychology Humor
Customer Reviews: 4.5 out of 5 stars    568 ratings
Videos
Help others learn more about this product by uploading a video!
Upload video
More about the author
› Visit Amazon's Irvin D. Yalom Page
Irvin D. Yalom
 Follow
Biography
Professor of Psychiatry at Stanford University. Author of nonfiction psychiatry texts, novels, and books of stories. Currently in private practice of psychiatry in Palo Alto and San Francisco, California.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Very poor Neutral Great
Customer reviews
4.5 out of 5 stars
4.5 out of 5
568 global ratings
5 star
 68%
4 star
 20%
3 star
 6%
2 star
 3%
1 star
 3%
How are ratings calculated?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Read reviews that mention
group therapy schopenhauer cure irvin yalom arthur schopenhauer nietzsche wept years ago philip slate julius hertzfeld great read german philosopher enjoyed reading anyone interested sex addiction really enjoyed theory and practice thought provoking dynamics of group nineteenth century human beings lying on the couch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Kate Cohen-Posey
5.0 out of 5 stars One Book Better than the Nex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11, 2018
Verified Purchase
I have been remiss in writing reviews of Yalom’s books. I became a therapist in 1973 and soon after I rea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1975 and not getting enough….then read EXISTENTIAL PSYCHOTHERAPY, 1980. Last fall at a therapy training, Yalom’s fiction was recommended to me and lickety-split I read THE SPINOZA PROBLEM, WHEN NIETZSCHE WEPT, and THE SCHOPENHAUER CURE, each book better than the one before, but all of them splendid! I started with Spinoza because I’d always respected him for being true to himself and love historical fiction. Reading a Midrash (a story that fills in the gaps) of Spinoza’s life helped me realize that I too have a “Spinoza Problem” because I think I’ve become a therapist bereft of a “methodological” community having developed my own brand of psychotheray. WHEN NIETZSCHE WEPT gave the juicy details of Breuer’s (Freud’s mentor) life and glimpses of a young Freud, not to mention an introduction to Nietzsche and his influence on psychology. It puzzles me that many therapists, thinking Freud is passé, have no interest in studying their roots and discovering that psychoanalysis is in our DNA. And finally—THE SCHOPENHAUER CURE. I did not have a clue who Schopenhauer was and I thank Yalom for his “philosophy for dummies” books. But, will someone please tell me if Yalom is familiar with the enneagram because Philip Slate is the prefect ennea-type 5: self-sufficient, avoids intrusions, observes rather than experiences, and seeks wisdom and skills. It helped me understand a significant other in my life—also a self-sufficient type. This last book, in its modern setting with flash-backs to the 1800s made me laugh, cry out loud, and is a candidate for the best book I ever read.
Read less
2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Bulent Basaran
5.0 out of 5 stars A tutorial on group therapy and an extensive overview of Schopenhauer's life and philosoph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27, 2021
Verified Purchase
... yet, this book is still a page turner. A novel, and part fiction, indeed, yet the parts based on true life events are not limited to Schopenhauer's life. Just finished reading it for the third time in about ten years. I believe I read all that Yalom wrote including his recent autobiography (except for his academic writings) and the wonderful, nonfiction, The Gift of Therapy.

A psychiatrist (MD) with a lifelong interest in literature, leaving the modern neurotransmitter regulating drugs to others, Yalom dedicates his life to practicing and teaching group and individual psychotherapy, the existential kind, if such a thing is admissible, and attacks with full force the varied neuroses that trouble the modern town-dweller human beings..

The stage is the living room in the main protagonist's house with seven or eight chairs where a well functioning group meets regularly for support and therapy. Most of the action of the novel does, and indeed mostly did, happen outside, and it includes flashbacks to Schopenhauer's life as well as a trip by one of the members of the therapy group to modern day India to the ashram of famous vipassana guru Goenka.

If you'd like to understand what goes on in the minds of many of us, how we relate, or not, to others, how we make up so much of our own suffering by keeping others away from us, and how, at the end, forgiveness, not in the common sense of pardon that assumes and accepts crime and pretends superior morality, but, in the Socratic sense, that we all do wrong when we don't know any better, gives us everything we need, read this book. It might provide you the support group you may not have readily available and change your life. And if not, it will give you enough pointers to go and relate to everybody in your circle in a more open, authentic and healing way..
Read less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Mid-Centurian
4.0 out of 5 stars This book is a must for Grad Psych student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8, 2016
Verified Purchase
Irvin Yalom. His novels have taught so many of us psychotherapists how to really listen and interact with our clients without shoving it in our faces like textbooks often do.

Schopenhauer Cure is a good way to learn group psycho-therapeutic practice. Reads like a novel (and it is) and shows that the therapist does his/her clients more good by being an integral part of the group rather than as a stone faced know-it-all. Yalom is definitely NOT a Freudian. His methodology is largely Existential/eclectic counseling. The fictional therapist in the book uses his own mortality along with a gentle but firm hand to help his beloved group help themselves. There is a newer member of the group who just doesn't see what is going on in the sessions and the challenge for the group and the therapist is to get the newcomer, Philip, to "get it" and heal himself

This book succeeds where textbooks often fail to get graduate students to truly understand the humanity in the work that we do with and for our clients.
1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RKDR
3.0 out of 5 stars fairly bor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1, 2020
Verified Purchase
The book has been mostly zeroed in on group therapy conducted by a psychiatrist, which is fairly boring per se. Lack of good editing is obvious in misspelling the names of two medications: Vicodin and Synthroid, seriously? Is it that hard? Then a silly mistake in measuring tumor as seven eighth of a centimeter. Really? Centimeter consisted of ten millimeters, so you cannot measure it in seven eights, it is not an inch. Poor editing. Refreshing aspect of the book is related to Schopenhauer, who is more interesting and realistic than the personalities of the book itself. I am going to re-read a few of his books, but doubt that I would reopen this one.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Susan Glazier
4.0 out of 5 stars Loved the book but is Schopenhauer so intolerable as a person as he's painted?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pril 1, 2018
Verified Purchase
As usual with Yalom's work, I was gripped from the start by this novel and read compulsively. Yalom is a master storyteller and narrator. I very much enjoyed this offering. Nevertheless, I have the feeling that the massive character assassination (contained within) of the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is a little unfair. Yalom himself paints a picture of dedicated and supportive Schopenhauer followers including the loyal executor of Schopenhauer's will. If Schopenhauer was so unattractive in all things (superior, isolated, extremely pessimistic, humourless and misanthropic) how come he had any followers? On finishing Yalom's novel I downloaded the entire works of Schopenhauer on Kindle (49p) and began reading his preface to his first edition of: 'The World as Will and Idea' (1819). I was astounded to find it contained a very good (barbed) joke that had me laughing out loud. So not so humourless then? I will keep reading and currently I'm prepared to give the bad press on Schopenhauer's character the benefit of some doubt.
7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basiluzzo
5.0 out of 5 stars Beautifully written and fascinat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May 30, 2012
Verified Purchase
A friend who shares her reading opinions with me (and I with her) recommended this book to me. I thought it was fascinating and illuminating and couldn't put it down. The book deals with Julius, a psychotherapist, and his confrontation with his impending death, and with his last year with his intensive therapy group. I have since then started to read everything Irvin Yalom has written, which has moved me onto reading Schopenhaur and Nietzsche, which had the spin off effect of deciding to go into therapy!
I recommend it to anyone who has an interest in philosophy and psychotherapy.Yalom has an easy going way of melding both which draws the non professional into the group therapy situation and its human dramas.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shelley baldwin
5.0 out of 5 stars I loved i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October 18, 2020
Verified Purchase
Love this book. Insightful combination of psychology and philosophy
Report abuse
Ms. L. B. Jenkins
4.0 out of 5 stars 'Must buy'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May 1, 2009
Verified Purchase
Having read Love's Executioner by Yalom I was hooked on this author/therapist. The Schopenhauer Cure did not disappoint. Highly entertaining, extremely informative and a delight to read. I can hardly wait for my daily dose of reading and feel that this book needs to be on all recommended reading lists for anyone training or developing their counselling/therapy skills. Definitely a FIVE STAR read. (though I think I pressed 4 by mistake)
7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Hadi
5.0 out of 5 stars Good read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anuary 1, 2019
Verified Purchase
Yet another great boon From Irvine Yalom.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
The Schopenhauer Cure
by Irvin D. Yalom
 4.24  ·   Rating details ·  18,273 ratings  ·  1,328 reviews
Suddenly confronted with his own mortality after a routine checkup, eminent psychotherapist Julius Hertzfeld is forced to reexamine his life and work -- and seeks out Philip Slate, a sex addict whom he failed to help some twenty years earlier. Yet Philip claims to be cured -- miraculously transformed by the pessimistic teachings of German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 ...more
GET A COPY
KoboOnline Stores ▾Book Links ▾
Paperback, 358 pages
Published November 10th 2020 by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first published June 4th 2000)
Original TitleThe Schopenhauer Cure
ISBN0060938102 (ISBN13: 9780060938109)
Edition LanguageEnglish
Other Editions (96)
درمان شوپنهاور 
علاج شوبنهاور 
Soluţia Schopenhauer 
La cura Schopenhauer 
The Schopenhauer Cure
All Editions | Add a New Edition | Combine
...Less DetailEdit Details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The Schopenhauer Cure
54355902. uy100 cr1,0,100,100 
Ask anything about the book
Popular Answered Questions
I'm not reading the book in English so can someone please write the quote from the beginning of chapter 20 in English and tell me who is it from? It goes something like this: We climb the hill of life, unaware of the death wai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hill.
4 Likes · Like  4 Years Ago  See All 2 Answers

Zoé In case you haven't found the quote yet, here it is:
"The cheerfulness and buoyancy of our youth are due partly to the fact that we are climbing the hi…more
flag
See 2 questions about The Schopenhauer Cure…
LISTS WITH THIS BOOK
Man's Search for Meaning by Viktor E. FranklThe Bell Jar by Sylvia Plath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by American Psychiatric Associ...Man and His Symbols by C.G. JungLove's Executioner and Other Tales of Psychotherapy by Irvin D. Yalom
Books Every Psychology and/or Counseling Doctoral Student Should Read
1,192 books — 1,468 voters
When Nietzsche Wept by Irvin D. YalomShutter Island by Dennis LehaneThe Schopenhauer Cure by Irvin D. YalomBlue Monday by Nicci FrenchThe Prince of Tides by Pat Conroy
Fictional Psychologists/Therapists
99 books — 39 voters


More lists with this book...
COMMUNITY REVIEWS
Showing 1-30
 Average rating4.24  ·  Rating details ·  18,273 ratings  ·  1,328 reviews

Search review text


English ‎(523)
More filters | Sort order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The Schopenhauer Cure

Write a review
Ahmad Sharabiani
Feb 26, 2014Ahmad Sharabiani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literature, 21th-century, psychology, fiction, united-states, novels
The Schopenhauer cure : a novel, 1st ed, c2005, Irvin D. Yalo

Julius Hertzfeld is a distinguished psychotherapist when a sudden confrontation with his own mortality forces him to re-examine his life and work. Has he really made an enduring difference to the lives of his patients? And what about those he's failed Ð what has happened to them?

His attempt to make sense of the past places him on a collision course with former patient Philip Slate a handsome but arrogant and misanthropic sex addict whom he had treated, unsuccessfully, 23 years before.

In a profound challenge to Julius's professional status, Philip claims to have cured himself by reading the works of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Furthermore, he has become a philosophical counsellor, and asks Julius to act as his professional supervisor in order to obtain a license to practise.

Reluctantly, Julius agrees, and they strike a Faustian bargain Ð one which threatens to undermine his career and the well-being of his patients, but also brings with it the potential for extraordinary personal change through a unique combination of psychotherapy and philosophy.

تاریخ نخستین خوانش: روز یازدهم ماه نوامبر سال 2016میلادی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حمید طوفانی؛ زهرا حسینیان؛ مشهد، ترانه، 1390، در 496ص؛ شابک 9789645638953؛ چاپ پنجم 1393؛ چاپ هشتم 1397؛ موضوع آرتور شوپنهاور از سال 1788م تا 1860م، روان درمانی گروهی؛ داستان - سده 21م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سپیده حبیب؛؛ تهران، نشر قطره، 1392، در 547ص؛ شابک 9786001196195؛ چاپ چهارم 1393؛ چاپ یازدهم 1395؛ چاپ ششم 1394؛ چاپ چهاردهم 1396؛ چاپ شانزدهم 1397؛ چاپ بیست و یکم 1399؛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کیومرث پارسای؛ تهران، انتشارات مصدق، جامی، 1394؛ در 424ص؛ شابک 9786007436325؛ چاپ دوم 1395؛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مرجان معتمد حسینی؛ تهران، نوای مکتوب، 1396؛ در 432ص؛ شابک 9786009666737؛ چاپ دوم 1396؛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فروزنده دولتیاری؛ تهران، نیک فرجام، 1398؛ در 438ص؛ شابک 9786226395342؛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زهره قلیپور؛ تهران، آتیسا، 1398؛ در 387ص؛ شابک 9786227182088؛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زهرا ودادیان؛ تهران، نارون دانش، 1398؛ در 200ص؛ شابک 9786226632430؛

عنو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نویسنده: اروین دی یالوم؛ مترجم: ابراهیم حسنی؛ تهران، نیک فرجام، 1398؛ در 512ص؛ شابک 9786226395342؛

یالوم، در رمان «درمان شوپنهاور» خیال می‌کند، فیلسوف معاصری به نام «فیلیپ»، که فردی منزوی، و به نوعی رونوشت «شوپنهاور» است، به یکی از گروه‌های درمانی روان‌ درمانگر مشهوری به نام «جولیوس»، وارد می‌شود، که خود به دلیل رویارویی ناگهانی با سرطان - و مرگ خویش- به بازبینی زندگی و کار خویش بنشسته است؛ «فیلیپ» آرزو دارد، با به کارگیری اندیشه‌ های «شوپنهاور»، به یک مشاور فلسفی بدل شود، و برای این منظور نیازمند سرپرستی «جولیوس» است؛ ولی «جولیوس» می‌خواهد به یاری اعضای گروه، به «فیلیپ (شوپنهاور)» بقبولاند، که این ارتباط انسانی‌ ست، که به زندگی معنا می‌بخشد؛ کاری که هیچ‌کس برای «شوپنهاور» تاریخی نکرد؛

اروین دی یالوم - استاد بازنشسته‌ ی روانپزشکی دانشگاه استنفورد، روان‌ درمانگر اگزیستانسیال، و گروه‌ درمانگر، در این کتاب نیز همچون رمان «وقتی نیچه گریست»؛ با زبان سحرانگیز داستان، به معرفی اندیشه‌ های پیچیده‌ ی فلسفی، و توصیف فنون روان‌ درمانی، و گروه‌ درمانی می‌پردازند

نقل از متن: «این موضوع اغلب مورد توجه قرار گرفته که سه انقلاب عمده ‌ی فکری بشر، ایده ‌ی محوریت انسان را تهدید کرده است؛ اول، کوپرنیک نشان داد که زمین آن مرکزی نیست، که همه ‌ی اجرام آسمانی به دورش می‌گردند؛ بعد داروین روشن کرد که ما کانون زنجیره‌ ی حیات نیستیم، بلکه مانند سایر موجودات، از تکامل اَشکال دیگر حیات، به وجود آمده ‌ایم؛ سوم، فروید نشان داد که ارباب خانه‌ ی خودمان نیستیم؛ به این معنا که بیشتر رفتار ما تابع نیروهایی خارج از آگاهی ماست؛ شکی نیست که آرتور شوپنهاور در این انقلاب فکری، نقشی برابر فروید داشت، ولی هرگز به تأثیر او اذعان نشد، زیرا شوپنهاور مدت‌ها پیش از تولد فروید، فرض را بر این قرار داده بود، که نیروهای زیست ‌شناختی ژرفی، بر ما حاکمند، ولی ما خود را می‌فریبیم، و فکر می‌کنیم، خودمان آگاهانه، فعالیت‌هایمان را برمی‌گزینیم؛ (از ترجمه خانم سپیده حبیب، صفحه 297)»؛ پایان نقل

تاریخ بهنگام رسانی 10/07/1399هجری خورشیدی؛ ا. شربیانی (less)
flag191 likes · Like  · 7 comments · see review
Glenn Russell
Nov 14, 2013Glenn Russell rated it it was amazing

“Live right, he reminded himself, and have faith that good things will flow from you even if you never learn of them.”
― Irvin D. Yalom, The Schopenhauer Cure

This book receives a five star rating not because the author is on the level with Vladimir Nabokov or Leo Tolstoy, but because this novel is a real page-turner and teaches as great deal about two topics: the dynamics of group psychotherapy and the illustrious nineteenth century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Highly recommended! Take this book with you when you travel by airplane or train and your six hour trip will seem like forty-five minutes - The Schopenhauer Cure is that riveting.

The novel opens with the main character, a seasoned sixty-five year old psychotherapist and leader of group therapy, Julius Hertzfeld, having been diagnosed with cancer and given a year of good health. So what to do with a year to live? Julius reviews his career as a therapist and asks himself if he had cured people or at least provided a degree of help. This self-examination leads Julius to unearth an old file going back twenty years of one patient who spent three years of therapy with him but the patient terminated treatment since what Julius had to offer was not helping. Julius calls the patient, Philip Slate by name, and requests a meeting for the purposes of research.

Turns out, Philip is a counselor himself as well as being a philosophy instructor at a local college. But Philip needs certification to continue his counseling. Without giving away too much of the novel's plot, it is enough to say Philip, as part of his certification process, becomes a new member of Julian's group therapy weekly gathering.

If you have never been part of group therapy, here is your unique opportunity to have the experience. Of course, your experience will be as a reader and not a participant, but, through the magic of the author's novel, you will have the feeling of being an actual member of the group. Not only will you come to know the men and women of the group and how they interact as part of the group, but you will be given the ongoing insights and observations that go through the mind of Julian as he acts as the group's psychotherapist. And the group has a certain energy that is shaken up and lifted with the entrance of Philip. After several sessions with Philip as the new member, the group energy is shaken up yet again with the return of Pam, who has spent a month in India at a meditation retreat.

Back on Philip. As a younger man he was a sex-fiend. That's why Philip was in therapy with Julius. Where psychotherapy with Julius didn't help, the philosophy of Arthur Schopenhauer did help, and Philip explains to everyone in the group how and why the philosophy of Schopenhauer worked and how Schopenhauer can help others. This leads the author to intersperse chapters in the novel about the life and philosophy of the great nineteenth century thinker, a thinker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Sigmund Freud and thus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Schopenhauer didn't shy away from philosophizing about sexuality and other issues of the body; rather, his insights into nature's urges and energies are at the core of this thinking. Thus,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what happens in the development of Schopenhauer's philosophy and what happens in the sessions of the group.

The cancer of the group's beloved friend and leader, Julius, adds a bond and emotional charge to all that happens in the group from week to week. To find out exactly how events unfold, please place an order for the novel today and read the first five pages. You will be hooked. You will want to continue reading and reading, nonstop till the end. Thank you Irvin D. Yalom for writing a fine novel and sharing your experience and wisdom as a group psychotherapist, as well providing a penetrating overview of one of the great philosophers in the Western tradition, who, as it turns out, was foundational in linking philosophy with psychology.

 (less)
flag147 likes · Like  · 24 comments · see review
BlackOxford
Sep 20, 2017BlackOxford rated it liked it
Shelves: american, philosophy-theology
Cancer Cures Neurosis

An episode of the British sci-fi comedy, Red Dwarf, has a disturbing female character with a heavy Germanic accent proclaiming, "Schopenhauer was rrrright: Without pain, life has no meaning. I am about to give your life meaning." This is more or less the central theme of Yalom's novel.

Like Robertson Davies' Manticore, The Schopenhauer Cure follows a series of psycho-analytic therapy sessions, interspersed with background material. But Yalom uses group not individual therapy as the binding story-line. And Instead of the Jungian technique of Davies, inserts the highly unlikely character of the German 19th century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as a model for psychological investigation and treatment.

Unlikely because, although Schopenhauer certainly inspired subsequent doctors of the mind through his philosophy, he himself was without question a neurotic of the first order. He had no stable relationships, male or female. He was alienated from his suicidal father, his emotionally distant mother, and his spinster sister for decades before each of them died without concern on his part. He spent his entire adult life in a sort of normalized isolation dominated by an abiding obsession with death.

On the other hand, Schopenhauer was not an unhappy person. Or to put it more aptly in terms of his philosophy, he experienced less pain than he might have, had he not learned to recognise the futility of his desires - material, social, professional, but especially sexual.

Schopenhauer's self-prescribed psycho-therapy involved training himself insistently that such desires could never actually be achieved, or more accurately that such desires once sated would merely be replaced by others, and so on ad infinitum as well as ad nauseum. So he adopted the life of a hermetic recluse - on the streets of 19th century Frankfurt rather than the deserts of 4th century Syria.

Yalom's motivating character, Philip, is a devotee of Schopenhauer's philosophy, who in a Luther-like attempt to heal himself by diagnosing his own as the world's problem, crashes an established therapy group in order to fulfill his training requirements as... a psycho-therapist!

So a person who is happily convinced that a primary source of pain is attachment to human relationships involves himself in a therapeutic group, the function of which is to intensify human relationships among its members. What could go wrong?

In fact the situation provokes some rather interesting insights by all concerned, including the reader. Without doubt, for example, Yalom's group,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s improved by the insertion of the Schopenhaurian take on life, no matter how dismal it might appear. Every member of the group perceives an important contribution is made by Philip, although none understands precisely why or how.

More significantly the confrontation between two opposed views of the world pointedly raises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the success of a psycho-therapeutic process. What are the criteria of psychological or emotional 'healing'? Is it personal contentment? A feeling of acceptance within a group? Reduced compulsivity? Increased social skills? All or none of the above? It isn't at all clear that members of the group share the same criterion of success to begin with but Philip's arrival formalizes the issue, at least for the therapist-in-charge.

The therapist-in-charge dies with his boots on (from cancer), so we don't get his view on the issue. The only one to get the short end of the therapeutic stick, however, is poor Philip. 'Reconnected' to his desiring self, he suffers the pain and anxiety of human relationships once again. Is 'meaning' worth the price? By whose standard?

Postscript: Tomorrow is the anniversary of Schopenhauer's death.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celebrate his death than his birth. So here's to the inimitable Arthur for whom one of my sons is named. (less)
flag87 likes · Like  · 27 comments · see review
Ladan
Aug 28, 2020Ladan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psychology, american-lit, drama, favorites, philosophy, deserves-a-reread, death

And above all there was Zarathustra’s oft-repeated question whether we would be willing to repeat the precise life we have lived again and again throughout eternity.




flag31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ea
Mar 22, 2017Deea rated it it was amazing
Recommends it for: Anyone interested in psychoanalysis and philosophy
Shelves: favourites, psychology, best-2017
Relationships are difficult: they can cause frustrations, misunderstandings, self-loathing and a whole range of negative feelings, especially if our own mental formation was biased by hurtful past events, even by traumas that we are not able to acknowledge as such. Human mind is a very powerful tool and most of us don’t have any clue how to understand it and use it to our advantage.

”Imagine an ancient city that built a high wall to protect it from the high torrents of an adjacent river. Centuries later, though the river had long dried up, the city still invested considerable resources in maintaining that wall." (about human-beings and their self-defense systems)
Most of the times we perceive our own actions as the exact expression of our desires. How often is it really so? Sometimes consciousness plays tricks on us and what we perceive as true might only be a mental disguise for something deeply hidden inside our minds. We think people are how we see them: sometimes cruel, not interesting or boring, but we forget that what we see is not what it’s really out there, but a distorted version of reality filtered by our own moods, passions, suffering, ideals (Kant).

Rene Magritte - The Glass House
This book explores how psychoanalysis and group therapy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our actions and torments. It digs for the roots of unhappiness in certain individuals who have problems dealing with their relationships because their controversial actions are empowered by hidden psychological sufferings. The characters can be seen as prototypes of certain psychological afflictions: a beautiful woman whose relations with other people are heavily influenced by her unquenchable thirst to be admired, a woman that cannot get past her rage and destroys all the relationships she has with men, a sexually-addicted person that cannot relate to other human beings etc. and they become aware of their hidden motives only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other members of the group during therapy sessions.

These discussions explore both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realms: Schopenhauer and his views (together with the Buddhist influences on his philosophy) are explored and discussed in order to support certain opinions about behaviors. Together with this, other philosophical views are brought to discussion. The tone is erudite, but also light and entertaining and this makes this book a very enjoyable read. What I liked most about it is that it made me really want to know more about psychology (for which I seem to have quite a passion lately) and about philosophy (because of this book I started reading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by Bertrand Russell which I really enjoy) and it made me understand more about my own behavior. (less)
flag24 likes · Like  · 6 comments · see review
Ade Bailey
Sep 09, 2008Ade Bailey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fiction
Irvin Yalom, The Schopehahauer Cure

This is a lovely novel. Its apparently ridiculous ending is not so: it is a wink from the other side of the grave, a fatuous and caring slice of the humour by which we warm ourselves against death, perhaps Schopenhauer’s wink and rare shy smile. In fact, it is a brilliantly constructed novel of ideas. It’s theatrical in that most of the action takes place in a group therapy session, one set (with moveable furniture it turns out), and theatrical in its drawing of dramatic tension between sharply delineated charcters.
Yalom’s focus is as in When Nietzsche Wept, the only other of his novels I have read: how, beneath the hot drama of our furies and desires do we, in the ice cold stare of the great existential voids of death and meaningless, live a good life? When philosophy, religion and literature have been evacuated of comfort, how do we face our common dilemma? Conveniently for the novel, the therapist Julius has been given (almost precisely as it turns out) twelve months to live, the period during which these meetings take place. The other main character, Philip, is coldly philosophical, ironically one may say an inhabitant of a philia of bodiless communicants in the great universe of the eternal Logos, the apparent counterpoint to warm and human Julius whose practice is based upon caritas. In fact both characters are points in one mind, oscillating as do all the other characters between points of identity so dearly held but shown to be feeble and fragile: in the integration that occurs, it is this joint exposure that empties attachments and inward looking vanities. The novel is a practical guide to the doing of therapy, and the doing of it in the ordinary world of our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and the world of our enemies.
Ultimately, there is not a conflict between the transcendent and the quotidian, Samsara and Nirvana cannot be separated. It is all here. Now.
(less)
flag20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

The Schopenhauer Cur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Schopenhauer Cure
TheSchopenhauerCure.jpg
First edition
AuthorIrvin D. Yalom
Country United States
LanguageEnglish
PublisherHarperCollins
Publication date
2005

The Schopenhauer Cure is a 2005 novel by Irvin D. Yalom, Emeritus Professor of Psychiatry at Stanford University, an existentialist, and psychotherapist

The story takes place around group therapies coordinated by Julius Hertzfeld and the influence and participation of a former patient, Philip Slate:

Reaching beyond the safety of his thriving San Francisco practice, Julius feels compelled to seek out Philip Slate, whom he treated for sex addiction some twenty-three years earlier. At that time, Philip's only means of connecting to humans was through brief sexual interludes with countless women, and Julius's therapy did not change that. He meets with Philip who claims to have cured himself-by reading the pessimistic and misanthropic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1]

The book uses novelties in the world of psychiatry and psychology, with the addition of the philosophy of German 19th-century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who claims that "to live is to suffer", inciting the self-knowledge of each individual. The reader is also presented with descriptions attempting to piece together the life of Arthur Schopenhauer:

Arthur's father, Heinrich, was tormented by his son's interests. The headmaster of Arthur's school had informed him that his son had a passion for philosophy, was exceptionally suited for the life of a scholar, and would do well to transfer to a gymnasium which would prepare him for the university. In his heart, Heinrich may have sensed the correctness of the schoolmaster's advice; his son's voracious consumption and comprehension of all works of philosophy, history, and literature in the extensive Schopenhauer library was readily apparent.[2]

See also[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yalom.com/schopenhauer". yalom.com. Retrieved 2020-07-20.
  2. ^ Yalom, Irvin (2005). The Schopenhauer Cure. HarperCollins.


----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   
어빈 얄롬 (지은이),최윤미,이혜성 (옮긴이)시그마프레스2006-12-10원제 : The Schopenhauer Cure (2005년)

책소개

두 남자가 집단치료를 통해 자신의 삶을 찾아가는 매력적인 스토리의 소설. 심리치료사이기도 한 지은이 어빈 얄롬이 집단심리치료 소설을 통해 쇼펜하우어의 심리적 삶을 사실과 허구를 잘 섞어 흥미진진하게 엮었다.

죽음을 앞둔 심리치료사 줄이어스는 자신의 인생과 직업을 뒤돌아보게 된다. 자신이 진실로 환자들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을까? 치료에 실패했던 환자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지금이라도 그들을 구원할 수 있을까?

줄리어스는 20여 년 점 섹스 중독 문제로 자신에게 치료를 받다 떠난 필립을 찾는다. 당시 필립이 사람과 관계를 맺는 수단은 오로지 섹스뿐이었고, 줄리어스는 필립을 변화시키는 데 실패했었다.

그러나 줄리어스가 다시 찾은 필립은 놀랍게도 철학적 상담자가 되어 있었다. 필립은 상담소 개업 자격을 얻기 위해 줄리어스에게 도움을 청하고, 줄리어스는 필립이 집단치료에 참여하는 조건으로 동의한다.
책속에서
필립이 짧은 침묵을 깨뜨렸다. '좋아요. 나는 내 생각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했어요. 내가 생각한 것은 이겁니다. 보니와 레베카는 비슷한 고뇌를 가지고 있어요. 보니는 인기가 없는 것을 못 견뎌 하고, 반면에 레베카는 더 이상 인기가 없다는 것을 못 견뎌 하는 거예요. 두 분 다 변덕스러운 다른 사람이 자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어빈 얄롬 (Irvin D. Yalom)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스탠퍼드대학교 정신의학과 명예교수이며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신과 개업의사로 활동 중이다. 그는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 카우치에 누워서, 스피노자 프로블럼,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폴라와의 여행: 삶과 죽음, 그 실존적 고뇌에 관한 심리치료 이야기’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최근작 : <입원환자의 집단 정신치료>,<삶과 죽음 사이에 서서>,<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 … 총 159종 (모두보기)
최윤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2013년 현재 강원대학교 교수, 한국상담심리학회 이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상담심리학)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2012), 학술위원장, 윤리위원장, 편집위원,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 역임
저서 멘붕탈출! 스트레스 관리(공저, 학지사, 2013)
역서 스트레스 없는 풍요로운 삶(공역, 시그마프레스, 2013)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공역, 시그마프레스, 2008)
사이코드라마 가이드(시그마프레스, 2007)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시그마프레스, 2001)
최근작 : <현대청년심리학>,<심리극> … 총 13종 (모두보기)
이혜성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총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졸업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교육학 박사(상담자교육 전공)
서울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한국청소년상담원 원장 역임

저서
여성상담
삶·사람·상담
문학상담
사랑하자 그러므로 사랑하자
아름다움은 영원한 기쁨이어라
내 삶의 네 기둥

역서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
폴라와의 여행: 삶과 죽음, 그 실존적 고뇌에 관한
심리치료 이야기
카우치에 누워서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어빈 D. 얄롬의 심리치료와 인간의 조건
매일 조금 더 가까이
스피노자 프로블럼
삶과 죽음 사이에 서서
접기
최근작 : <문학상담> … 총 19종 (모두보기)


평점 분포
    8.9

구매자 (4)
전체 (5)
공감순 
     
우리를 찾아가는 과정  구매
우왕 2014-07-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미국 중산층 배경이라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나(미국에서 사회복지/집단상담은 값비싼 상품에 지나지 않는다), 국내에 출간된 그 어떤 책보다도 쇼펜하우어의 삶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최소한 나치당원 발터 아벤트로트의 조잡한 평전보다 훨씬 낫다고 할 수 있다.  구매
블루비니 2013-04-20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집단심리치료과정에 대해 얻는 바가 많았다. 죽음에 직면한 의사과 쇼펜하우어의 자아를 가진 한 남자의 치료과정은 스스로에 대한 많은 질문과 깨달음의 과정을 갇게 한다.  구매
jnh0320 2012-05-17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집단상담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마치 재밌는 집단상담 사례집을 읽는 것 같기도 했다. 그리고 죽음의 순간까지 자신의 소명을 다한 집단상담 리더 줄리어스의 행동에 큰 감동을 받았다. 여러모로 나에게 긍정적인 에너지와 새로운 지적 호기심을 선물해준 좋은 책이었다.  구매
그릇 2014-03-02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2)
리뷰쓰기
공감순 
     
도서기록장 백삼십사번째.-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 새창으로 보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개인심리치료보다 집단심리치료가 아주 좋은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위험상황이 많고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단점때문에 그 가치가 가려진다고 해야 할까. 뭐어 그건 일대일심리치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지만. 사실 어빈 얄롬의 ’카우치에 누워서’라는 심리학 책을 노리고 있었는데, 난데없이 처음 집게 된 책은 이것이었다. 쇼펜하우어와 집단심리치료의 만남은 사실 쇼펜하우어의 저서를 한 번도 읽어 본 적이 없는 나에게조차도 너무나 키워드가 안 맞아 보였기 때문이었다. 전형적인 소설 방식을 따라가고 있지만 심리치료라는 가상현실과 쇼펜하우어의 일생에 대한 이야기를 조합시켰다. 또한 줄리어스라는 유대감 높은 심리상담가와 필립이라는 감정이 결핍된 철학상담가의 대립도 주목할 만했다. 하지만 내가 무엇보다도 흥미가 있었던 장면은 팸과 필립의 만남이었다. 여기까지는 스포일러이므로 생략. 여성과 남성에게 얽혀있는 감정을 매우 잘 표현했다. 무엇보다도 내가 이겨내려 노력하는 남성에 대한 편견이 팸과 비슷해서 깜짝 놀랐다. 아무튼, 심리치료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 번 읽어보시기를 추천한다.
 그동안 쇼펜하우어를 부정적으로만 보았었는데, 프로이트가 그의 이론과 관련이 있다고 하니 일단 ’의지와 표상으로부터의 세계’부터 정독해봐야겠다. 쇼펜하우어에게 심리치료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파격적이라고 생각한다 ㅋ 하지만 그가 치료되었다면 과연 지금 허무주의라는 개념이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 접기
갈매미르 2010-12-14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집단역동의 생생한 현장 새창으로 보기 구매
집단정신치료의 대가로 잘 알려져 있는 얄롬의 책이다. 이 책은 교과서가 아니라 소설이다. 소설의 형식을 빌어 쇼펜하우어의 이론과 집단정신치료의 원리와 둘 사이의 접목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쇼펜하우어나 집단정신치료를 이 책으로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잘 꾸려진 집단이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그 생생한 현장을 느낄 수는 있다. 게다가 다소의 긴장감을 가미하며 소설의 구성에 충실한 짜임은 읽는 내내 다음 장을 궁금하게 만들다가 남은 페이지가 줄어들수록 책장 넘기기가 아까워지다가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 난후 나도 모르게 책을 가슴에 끌어안게 만드는 그런 책이다. 집단을 대상으로 작업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강추한다. 

- 접기


2021/07/16

A Theology of Dao - BR James Jinhong Kim, 2020

A Theology of Dao - James Jinhong Kim, 2020

    This article reviews Heup Young Kim’s A Theology of Dao, which presents an articulate argument for the synthesis of Daoist and Christian theologies. It also provides a helpful overview of systematic theology that has come out of East Asia in recent decades. As with other works of its kind, one wishes there were (1) more accounting for the decline of Asian values from within, instead of simply assuming their destruction by encounter with Christianity/the West and (2) more grounding of the new theo-Dao with reference to its history within Asian Christianity, which could show its applicability for global Christianity generally.

    Reading Heup Young Kim’s Theology of Dao, one can’t help but hold the work in enormous esteem and appreciation.1 It is a rich amalgam of current trends in systematic theological thinking,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broadening, enriching, and enlarging Christian theology with perspectives drawn from non-Western traditions. He has gathered here decades of effort by such pioneers of “theo-Dao” thinking as Ryu Yŏng-mo and Lee Jung Young (to name only two among the many he cites), introducing readers to Asian—especially Daoist and Confucian—parallels of concepts in Western theology. Encyclopedic in its coverage from Christology to ecology, he brings together rich clusters of related ideas and terminology (e.g., apophatic vs. cataphatic) from both cultural spheres for mutual elucidation, with which to engage in further studies of this kind. In that sense this is a major contribution adding an important layer to the synthetic, constructive model of Christian theological thinking in which theo-logos and theo-praxis are brought together toward a new theo-Dao. Professor Kim’s work is moreover sure to be a useful tool for students of theology of both East and West for its painstakingly detailed footnotes.

    Without wanting to reduce in any way what Kim has achieved in the present volume, however, I feel bound to point out two fundamental flaws that in fact have been characteristic of a fair portion of the systematic theology that has come out of East Asia in recent decades and that are laced throughout this work as well. In all fairness, it is more as a reflection on Asian theology as a whole and not of Kim’s work in particular that I venture to discuss them here. The first is a flaw of historical inaccuracy; the second is a matter of confusion or hubris in which theory is substituted for theology. The two together suggest a third comment. It is not so much a flaw as it is a need for a shift in approach to East/West syntheses.

    Put simply, the point of historical inaccuracy stated outright in Kim’s work but also implied in a number of works by others concerns the assumption that it was Christianity (and more broadly the coming of the West and its ideas) that wreaked havoc on Asian values, spiritual and otherwise, in Korea and elsewhere in Asia. Kim specifically suggests, for example, that the monotheistic exclusivity of the Christian Gospel message destroyed or at least made contentious the culture of peaceful religious pluralism in which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ad freely coexisted. Concepts of personal salvation in Christ are blamed for the erosion of communitarian dynamics built on social trust and cooperation, and the idea of original sin is said to have broken down the deeply held Mencian view of human nature as good, on which a complex tradition of social dynamics and structure had been built. Indeed, there are bound to be incalculable differences of ethos between a culture founded on the belief that “There are no bad people, only bad environments” and one that not only categorically imputed “sin” to everyone without exception (an idea that had its strong counterpart in East Asia through Xunzi and the Legalists) but, even more important, categorically denied the possibility of human solution by effort.

    There is much that is not wrong about Kim’s diagnosis—for example, his understanding of what is happening currently, especially in some circl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underground church communities. But before entering into questions of the validity or invalidity of his analysis (including specific aspects of Confucian and Daoist developments he discusses)—and without in any way disregarding the very real upheavals the coming of the West did inflict on the East in many other ways—it is of great importance to recognize that Confucian and other Asian spiritual values had been on a long downward spiral of decline from within, long before Christianity ever appeared on the scene. It was the state of spiritual vacuum that those values found themselves increasingly unable to fill throughout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at—at least in Chosŏn Korea—made the people so receptive and even hungry for the new teachings brought by missionaries. In other words, it was not Christianity that rendered Asian values ineffective but something else. I certainly do not mean to imply that the values that had sustained and given vitality to civilizations in Asia for millennia were in some way intrinsically defective or inadequate. All civilizations go through cycles of decline and renewal according to rhythms marked by the combination of internal cohesion of values and external pressures. But such an admission does not absolve us of the imperative to understand and come to terms with the causes of a given decline. Put another way, one needs to first grapple with what fundamental human issues those values, as understood and practiced at the time, had not been able to adequately address, and why. Only then can one move forward to rebuild those values in ways that do address current needs.

    Before going on to my second point, it is perhaps worth noting that such historical inaccuracy as pointed out above is far from unique to any one region or time. America in this very moment is divided over the issue of immigrants, with their various faiths and cultures said to be “eroding and destroying” American values and way of life. But as had been the case in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Asia, many intellectuals, cultural historians, and even pundits sensitive to nuances of such things have been pointing out for some time how American values have been in slow decline for decades, its once-stalwart individualism increasingly corrupted to outright materialism and “me-ism” and leaving a huge spiritual vacuum in its wake that no amount of consumerism, virtual reality, and flag-waving about “family values” are able to fill. To try to fill that vacuum, some are indeed turning to different traditions of thought, including Islam—sometimes even to the most militant forms of Islam—but it is not Islam that created the vacuum. However politically convenient to blame the coming of these other traditions onto American soil for all of America’s problems, their presence actually provides new prisms by which to study, update, and revitalize American values for our time—if Americans should so choose.

    The ramification of starting from the historically more accurate view—according to which the arrival of Christianity led not to the destruction of Confucian, Buddhist, or Daoist values but instead to an opportunity for their renewal and revitalization—is directly related to my second point about theory being mistaken for theology. One cannot propose a “theo-Dao” as a solution or an alternative to Western theology (maybe “theo-logos” or “theo-logy”) when this “theo-Dao” has had no history of success or indeed even of application as contemporary Daoism, much less as part of Asian Christianity. Daoist philosophy and spirituality lost its vitality (i.e., its ability to identify and directly address fundamental issues of society) in Asia before the arrival of challenges from abroad, and it has yet to demonstrate the recovery of that vitality in Asia. That is to say, Daoism in Asia has yet to develop the wherewithal within itself to engage with Western or Christian teachings in such meaningful ways as to have become a necessary sustaining value in today’s largely Westernized Asia. Not having found relevance even in one’s home contexts, on what grounds should it be proposing itself as a solution for the contexts of another? At best, this could be only speculative hypothesizing, not theology founded on engagement with the deepest human questions. One understands, even shares, the wish that precisely by engaging in the kind of theorizing involving “systematic theology,” the synthesis of Western theo-logos (as theo-logy) with Eastern theo-praxis one would somehow arrive at a theo-Dao that not only unites East and West seamlessly toward a more “global” ethos but helps each move beyond its past toward an equally “glocal” future. Indeed, syntheses founded on such terms may not be lacking in sparks of academic brilliance. But ultimately such endeavors will not move beyond the postcolonial status quo—one side eager to demonstrate the value of its native culture without sufficient attention to soundness of methodology, the other side eager to show its neocolonial generosity by assuming the pose of intellectual affirmative action. It cannot lead to true synthesis.

    The preceding thoughts lead to my third point, which is a call for a shift in approach. I have said elsewhere that the arrival of Christianity in Asia offered an opportunity for renewal and revitalization of Asian spiritual values (esp. in the case of Chosŏn Korea) by way of what I have elsewhere called interculturation—an opportunity that in my view neither side has understood even now, more than a century later, to take advantage of to its full potential.2 A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word indicate, “inter-culturation” involves activity of some kind between (“inter”) different cultures but in addition carries strong implications of directionality that might be described as a self-transformation that is mutually enlarging. And I argue these components of interculturation not as theory (and of course, not as theology either) but as a pattern shown again and again throughout world history at points of successful transition to renewal, as for example when China absorbed Buddhism into itself in a way that not only embedded Buddhism within Chinese culture but ultimately gave impetus to the rise of neo-Confucianism. In the process, China also fundamentally changed and enlarged the way the world subsequently understands Buddhism, which was a natural but hardly intended by-product of China’s self-transformation.3 Similarly, Korea took those neo-Confucian ideals from China and so developed and applied them to its own contexts that it led to a remarkable social and cultural renaissance in which, it has been said, Korea rediscovered new heights of its nascent character.4 Again, the transformation was of Korea, but one of its by-products was to enlarge and even redefine the potential of “neo-Confucianism,” to the point where no discussion of it would be considered complete without taking account of its application in Korea. Europe, too, entered its Renaissance as it learned how to reevaluate its relations to the “pagan” Greek and Roman philosophy it had “always known” yet held at arm’s length. Though Greece itself never again reached such intellectual heights and even may go bankrupt in our time, it will yet always be known to history as a major source of the grand Western tradition. In each case there was no effort to try to change the source of the challenge; effort was always focused on deep-level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nature of the challenge, not so much for the purpose of accepting or rejecting it, as learning how to be challenged by it.

    So what might these considerations mean in the present work and its contexts? For one thing, Asian theologians might begin by trying to understand the reasons that caused the values of the Dao to have been on the wane, also the reason why the influx of “theo” into the world of the “Dao”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as not enough to inspire a renewal and revitalization of Daoist values. The question might in time be extended to ask also why the “theo” that met with “Dao” in the land of Dao has not been able to transform itself into a life-sustaining “theo-Dao” in Asia either. In short, the task confronting Asian theologians is not to presume to find solutions for Western Christianity or global Christianity as a whole that lie outside their own contexts, as Western Christianity once presumed to do for peoples everywhere and failed. The way forward, rather, is to engage in serious studies of (1) why “Dao” entered a trajectory of decline, (2) why and what aspects of it had stopped providing vital energy for renewal of society even before Christianity came into the picture, and (3) how it can engage in meaningful interculturation with Christianity to strengthen both itself and Asian Christianity for real human contexts emergent in the region. It will indeed involve going back to the texts—but an ad fontes through the lens of reality, because the task is to rebuild from a place of actual historical decline and failure. It will not be enough, in other words, to point to the wisdom of this or that text in all its abstract perfection, which in the end is as meaningless as its opposite of rejecting everything indigenous by way of indiscriminately confusing corrupted practices of tradition to be true expressions of its core principles.

    This is where I think the example of someone such as Horace G. Underwood,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to set foot in Korea, can be so illustrative. For over twenty years he agonized mightily both in himself and with colleague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he Korean word “Hananim” to refer to God instead of the term “Ch’ŏnju” (i.e., Tien-chu, used in China), before finally coming round to support the former wholeheartedly. He understood that words carry not only literal meanings and etymological overtones but also strong (though not always articulated) connotations of accumulated local cultural understanding and nuance. He understood the need for time to sufficiently familiarize himself with the ethos of such an important word as “Hananim” among the Korean people, to understand how the living ethos contained in the word expanded not only the “God” he himself knew but would influence and characterize the future of Korean Christians’ manner of relating to God. The choice of word was not only a textbook matter of translation and analysis but a taking stock of the deepest longings of a people toward the Gospel from the Korean glocal context (long before the word “glocal” had been coined). It was not that he sought to change Korean Christianity according to his own vision of it; on the contrary, what he undertook was his own self-transformation through his coming to understand the Korean people, their context and ethos. And ultimately it was this—that his missional activities had been a proactive process of self-transformation more than an effort to transform an Other—that served Korea and Korean Christianity so well.

    Do such considerations leave any room for Asian theologians to contribute to the future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s I have argued, self-transformation is the best way to transform the whole. Only after truly understanding for themselves the reasons for the historical failure of values within Asia would Asian Christians perhaps be in a position to begin to understand why Western theology, similarly, is having difficulty breaking through its current theological impasse. Usually, elements of the answer lie already embedded within the tradition if that tradition has been around long enough, and indeed contemporary Western theologians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Jürgen Moltmann and Sarah Coakley are increasingly looking to previously “peripheral” aspects of their own traditions—to trajectories represented by the likes of Gregory of Nyssa and the medieval mystics—for new direction. What is needed is not some new answer from outside but rather an understanding of why the West’s (or East’s) manner of looking at things has not allowed them to harvest the answer staring at them. In that sense, what each cultural hemisphere can offer the other in this age of global identity is not theology but pedagogy.

    Author biography

    James Jinhong Kim is the Horace G. Underwood Chair in Missiology and Global Christianity and the director of the Underwood Center for Global Christianity at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New Brunswick, NJ.

    행공(行功)수련

    행공(行功)수련
    석문호흡/호흡수련
    행공(行功)수련
    天心
    2016. 4. 21.
    ---

    ※ 행공(行功)수련


    행공은 호흡과 더불어 석문호흡 수련에 있어서 조금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본 수련에서의 호흡을 음(陰)적이라 한다면 행공은 양(陽)적인 호흡입니다.
    다시 말해서 본 수련이 마음(心)을 70%, 몸(身)을 30%의 비율로 단련하는 것이라면,
    행공 수련은 몸(身)을 70%, 마음(心)을 30% 비율로 수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상의 수련 법은 음양이 조화된 본 수련과 행공 수련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행공은 수련 단계에 맞는 정확한 행공 자세를 취하고
    이 때의 호흡은 본수련 때보다는 조금 더 강하고 길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의식도 단전에 강하게 집중하여야 합니다.

    행공 동작을 취할 때는 비록 힘이 들어, 쉴 때 쉬더라도
    자세는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확실한 행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련자 스스로가 자신의 기력향상을 몸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행공을 꾸준히 하게 되면 많은 이로움이 있습니다.

    실례로 양신을 하주에서 생성시켜 중주로 올리고
    다시 상주로 올려서 출신(出神)하고자 할 때
    필요한 힘이 바로 행공에서 얻어지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어려운 행공을 통해 심신의 한계를 극복하므로
    수련자의 근기가 커져서 어려운 수심이 오더라도 잘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행공 때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은
    수심과 다가올 수련단계를 준비하는 중요한 요건이 됩니다.

    무한불성(無汗不成)이라 하였듯이 땀 흘리는 고련(苦練) 속에서만이
    비로소 성취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행공의 효능

    1. 전신의 근골을 단련시켜 집중력과 의지력을 크게 기른다.
    2. 강한 기운이 형성되어 경락을 튼튼하게 단련시킨다.
    3. 혈액을 맑게 해준다.
    4. 행공 동작에 숨에 있는 현묘한 기운의 작용으로 공부가 깊어질수록
      눈에 보이지 않는 큰 도움을 받는다.

    ---

    2021/07/15

    알라딘: [전자책] 지금, 한국의 종교 가톨릭.개신교.불교, 위기의 시대를 진단하다 박병기, 김진호, 조성택, 성해영, 김근수, 정경일 (지은이)

    알라딘: [전자책] 지금, 한국의 종교


    [eBook] 지금, 한국의 종교 
    가톨릭.개신교.불교, 위기의 시대를 진단하다
    박병기, 김진호, 조성택, 성해영, 김근수, 정경일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2017-06-05
    정가 12,600원
    책소개
    고려대 철학과 조성택 교수가 불교를,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기도 한 김진호 목사가 개신교를,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 소장이자 가톨릭프레스 편집장이 가톨릭의 대표로 나섰다. 이들은 자신의 종교를 각각 내부자의 시선으로 비판하며, 각 종교의 문제점과 그 이유를 진단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효의 화쟁 사상처럼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며, 종교 간 경계를 넘나들면서 한국 사회에서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발제자 3인의 성역 없는 비판과 종교를 넘나드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나눈 논의와 대담, 그리고 청중들의 진지한 질문과 반론도 정리하여 함께 수록했다. 각각의 종교가 ‘무엇이 걱정인지’, ‘왜 걱정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총 아홉 차례에 걸쳐 발제와 토론, 질의응답으로 구성했다. 이른바 한국 3대 종교의 화쟁적 대화의 결과물이다.


    목차
    들어가며

    추천의 글 1 · 추천의 글 2

    제1부 무엇이 걱정인가

    01 오만과 편견 :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 오리엔탈리즘과 불교의 신비화 │ ‘깨달음’이라고 하는 오만과 편견 │ 불교 본래의 ‘전통’은 무엇인가? │ 부처님은 도인이 아니라 행동가였다 │ 현재를 부처로 살라 │ 대담

    02 개신교의 배타주의와 타자의 악마화는 필연적인가?

    그리스도교 배타주의는 어디에서 왔는가 │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의 역사, 분단과 증오 │ 오늘의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 다시 전면전을 향한 망상 │ 대담

    03 가톨릭의 권위주의

    가톨릭교회가 보이는 권위주의의 두 모습 │ 권위주의를 가져온 성경과 트리엔트 공의회 │ 가톨릭은 권위주의를 버리고 가난한 사람에게 가야 │ 대담

    제2부 경계 너머: 왜 걱정인가

    04 그리스도교는 가난한 사람들을 향해 있는가

    그리스도교와 가난 │ 가난한 사람과 그리스도교의 관계 │ 누가 가난한 사람인가 │ 지금 그리스도교는 가난한가 │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가난할 것인가 │ 대담

    05 이웃의 고통에 공감하지 않는 불교

    부처님의 꿈과 당부 │ 왜 이웃의 고통에 외면하는가? │ 감성의 복권: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 │ 시민보살 │ 대담

    06 성형사회의 그리스도교

    성형 권하는 기형적인 ‘성형사회’ │ 성형사회의 병증: 강박증과 공포증 │ 성형사회와 교회 │ ‘성형사회 너머’의 그리스도교 │ 대담

    제3부 어떻게 해야 하는가

    07 신자유주의적 현상들로서의 ‘영성들’과 ‘그것 너머의 영성’

    개신교 배타성의 배후, 성형사회 │ 영성 현상이 무엇인가 │ 영성의 의미와 맥락 │ 사회적 영성, 타자됨의 영성 │ 대담

    08 자유와 해방을 향하여

    권위주의와 가난, 그리고 해방자 예수 │ 신앙과 정의의 관계, 그리고 자유와 해방 │ 고통받는 예수, 가난한 사람들 │ 자유와 해방을 위한 싸움에서 승리하려면: 종교를 위한 제언

    09 배타적 주장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정의(正義)들’의 화쟁

    옳음과 옳음의 대결, 안티고네와 화쟁 │ 해결이 아닌 대결로, 한국 사회의 문제 │ 원효의 화쟁론과 화쟁의 정치학 │‘옳음’과 ‘옳음에 대한 견해’는 다르다: 사실과 진실의 문제 │ 정의‘들’의 화쟁 │ 대담

    마치며

    주석
    ==========================
    접기
    책속에서
    P.23
    과연 깨달음은 일종의 체험이며, 이 체험이 불교의 요체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에 앞서 지적하고 싶은 것이 있다. 깨달음이 단지 종교적 체험으로만 머문다면 불교는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종교라는 덫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개인의 문제, 때로 불교 전통에서 말하는 생사의 문제가 사소한 문제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개인은 개체로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사회와 무관한 존재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가 그 관심을 개인의 생사 문제에만 국한한다면, 스스로 제도적 종교로서의 존립 근거를 없애는 일이며 연기와 무아를 핵심으로 하는 불교의 세계관과도 맞지 않다. 사실 불교에서의 깨달음을 어떤 특수한 심적 체험으로 환원해버린 것은 근대 서구적 관점의 영향 탓이다. (23p_‘깨달음’이라고 하는 오만과 편견)

    P.59
    한기총이 불러일으킨 주된 효과는 무수한 미시동원체들을 생성하고, 재활성화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미시적인 영역에서 이념적 적그리스도를 찾아내고, 그들을 향해 아낌없는 공격을 퍼부었다. 미시동원체들은 지난 1945~1960년에 공격적 개신교도들이 벌인 전면전을 꿈꾸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망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서북청년단’이라는 이름을 다시 내건 단체의 태동이다(단, 이들이 주로 공격을 퍼붓는 장이 사이버공간이라는 점에서, 과거 1940~1950년대의 공격적 기독교 신자들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이 극우적 미시동원체들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이른바 종북 마케팅의 자원이 되었다. 최근 이러한 개신교의 배타주의적 신앙은 이념 프레임을 넘어서 무슬림을 적으로 삼는 인종주의적 프레임(제노포비아)과 성소수자를 적으로 하는 이성애주의적 프레임(호모포비아)으로 지형을 확장하고 있다. (59p_오늘의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 다시 전면전을 향한 망상)

    P.92
    개신교가 ‘타인이 악마다’라고 주장한다면, 가톨릭은 ‘나는 천사’라고 말한다. 자신이 천사라는 말이 타인은 악마라는 뜻을 논리적으로 포함하진 않지만, 정서적으로 타인을 나보다 아랫사람으로 얕잡아보기 쉽다. 가톨릭은 하느님이 주신 구원의 진리를 소유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자신이 진리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은 덜 관용적이기 마련이다. 더구나 진리를 안다고 확신하면서 권력을 독점하려 애쓰는 경향이 있다. 진실로 진리를 아는 사람은 권력을 멀리 할텐데 말이다. (92p_ 가톨릭교회가 보이는 권위주의의 두 모습)

    P.153
    신자유주의는 가난한 사람들의 숫자를 더 증가시킵니다. 또한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 종교는 부자에 더 의지하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종교와 종교인들이 경영자 마인드에 빠지기 쉽습니다. 종교가 거대업체를 소유하고 경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종교 재단이 소유한 대학이나 병원이 그 좋은 예입니다. 종교는 신자유주의와 맞서 싸워야 하는데 오히려 신자유주의의 기본 원리를 채택해서 종교를 운영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가톨릭 주교들은 대부분 경영자 마인드에 투철합니다. 교구를 마치 사기업처럼 운영하여 수익을 내는 사업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본당 신부들도 예외는 있지만 대부분은 프랜차이즈 지점처럼 본당을 운영합니다. 지금 가톨릭은 무신론과 싸울 때가 아니고 신자유주의와 싸워야 합니다.(153p_그리스도교는 가난한 사람들을 향해 있는가_대담 중에서)

    P.177
    지금 한국 불교에는 감동이 없다. 종교가 감동을 주지 못한다는 것은 생명체에 비유하자면 생명이 없는 것과 같다. 로봇의 정교한 움직임은 감탄을 자아내지만 감동을 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어린아이의 뒤뚱거리는 발걸음은 바라보는 이에게 감동을 준다. 생명의 활동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 불교의 수행 문화를 살펴보면 불교가 지나치게 교리화 혹은 일종의 원리화되어 있어 일상의 가르침을 주지 못하고 있다. (177p_감성의 복권: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

    P.220
    개신교계에는 재건축의 신화가 있습니다.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빚을 내서라도 교회당을 크게 지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재건축의 신화는 교회의 성장뿐 아니라 교인 개개인의 삶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생각과 연결되어 있기도 합니다. 대형교회는 거대한 인맥 공장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교회가 성장하면 그 인맥 공장의 일원이 될 수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신도들도 기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220p_성형사회의 그리스도교_대담 중에서)

    P.241
    그리스도교는 그 타자가 ‘저 높은’ 공간의 존재가 아니라 ‘가장 낮은’ 공간의 존재다. 신이 지극히 낮은 그곳으로 도래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신의 도래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지극히 높은 타자’라는 속성은 그리스도로 인해 사라지고, 그 신은 이미 ‘지극히 낮은 타
    자’가 되었다. 요컨대 그리스도교 영성은 지극히 낮은 타자와 나/우리의 만남, 그로 인한 두 존재의 자기 초월적 유착을 가리키는 감성적 언표다. 그러므로 우리는 현재 폭발적으로 분출하는 영성 현상에서 타자성의 몰락과는 다른 가치의 영성을 이야기해야 한다. 그것을 가리키는 용어가 ‘사회적 영성’이다. (241p_사회적 영성, 타자됨의 영성)

    P.293
    가난은 개인 문제가 아니라 구조 문제라는 겁니다. 또 가난한 사람은 종교가 다루는 여러 주제 중 하나가 아니라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종교는 가난한 사람을 편들어야 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을 빌리자면, 구조적 불평등을 해결하지 않으면 폭력과 테러의 문제는 풀릴 수 없다고 합니다. 구조적 불평등이 무엇으로 인해 생겼는지 잘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실 신도들에게 자꾸 ‘내 탓이오’라고 가르치는 것이 너무 못마땅합니다. 우리 탓이 아니고 너희 탓이야, 이런 말도 가르쳐줘야 해요. 그러면 이념이나 갈등 문제가 또 제기될 수 있겠죠. 그렇지만 정말 제대로 세상을 봐야 하지 않을까요? 정확히 구분이 안 된다는 말로 포기할 것이 아니라, 기준이 흐릿하고 경계가 왔다갔다 변한다 하더라도 구조적 불평등이 누구 때문에 생기고 지속되는지 종교는 사람들에게 분명히 말해주어야 합니다. (293p_자유와 해방을 향하여_질의응답 중에서)

    P.306
    화쟁의 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견해가 일종의 조건문이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일체개고(一切皆苦, 모든 것은 고통이다)와 같은 종교적 가르침도 예외는 아니다. 조건문이기 때문에 일정한 관점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의미는 그 견해가 설파되는 맥락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조건이 없는 그리고 맥락을 떠난 절대적 견해는 없다. 특정한 의미와 맥락에서만 참일 수 있다. 그러나 진영논리는 견해의 조건성과 맥락을 용인하지 않는다. 자신의 견해는 무조건 옳고 상대의 견해는 무조건 틀렸다. 그러나 무조건의 견해는 없다. 화쟁의 개시개비는 모든 견해가 조건적임을 용인하는 데서 출발한다. 서로 충돌하는 배타적 견해를 양자택일의 갈등 국면으로 이해하지 않고 둘 다 맞는 말로 받아들일 때, 다시 말해서 모순을 용인할 때 상황을 이해하는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된다. (306p_원효의 화쟁론과 화쟁의 정치학)


    저자 소개

    지은이: 박병기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윤리학과 도덕교육 1>,<배려연구>,<지금, 한국의 종교> … 총 1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三學院) 수료(5년제) 서울도봉여자중학교 교사,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전문위원 〈주요 연구업적〉 『윤리학과 도덕교육 1·2』(1996, 2000, 인간사랑) 『우리 시대의 문화와 사회윤리』(2003, 인간시랑) 『직업과 윤리』(2006, 방송대 출판부) 『아동인격교육론』(1999, 인간사랑, 역서) 외 다수

    지은이: 김진호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지금, 한국의 종교>,<담임목사가 꿈꿔야 할 예배>,<그 집에서 만난 복음> … 총 53종 (모두보기)
    제3시대그리소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자 민중신학자로 한국 교회와 사회에 대한 신학적·문화적 비평의 글을 쓰고 있다. 서강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했고,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민중신학자 안병무로부터 신학을 배웠다. 한국신학연구소에서 연구원, 계간 《당대비평》 편집주간을 거쳐, 안병무 선생이 설립한 ‘한백교회’의 담임 목사를 지냈다. 인권연대가 수여하는 “올해의 종교인권상”(2011)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함께 읽는 신약성서》, 《실천적 그리스도교를 위하여》, 《예수 르네상스: 역사의 예수 연구의 새로운 지평》, 《예수 역사학: 예수로 예수를 넘기 위하여》, 《반신학의 미소》, 《리부팅 바울》이 있고, 공저로 《함께 읽는 구약성서》를 집필했다.

    지은이: 조성택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지금, 한국의 종교>,<어떻게 살 것인가> … 총 13종 (모두보기)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했으며, U.C버클리에서 인도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비교종교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위원회 상임위원 및 위원장을 지냈다. 화쟁문화아카데미 대표이자 고려대 철학과 교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불교와 불교학: 불교의 역사적 이해』, 공저로 『인생교과서 부처』, 『석전과 한암, 한국불교의 시대정신을 말 하다』가 있다.

    지은이: 성해영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수운(水雲) 최제우의 종교 체험과 신비주의>,<다시 이어지다: 궁극의 욕망을 찾아서> … 총 1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열일곱 살에 뜻하지 않게 찾아온 신비적 합일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뒤늦게 종교학을 시작했다. 2003년에 종교학 석사학위를, 2008년에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의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 다. 지은 책으로 《A Happy Pull of Athene: An Experiential Reading of the Plotinian Henosis in the Enneads》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탄트라의 종교 사상 비교〉 〈수운水雲 종교체험의 비교종교학적 고찰〉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이 있다. 종교 체험의 비교 연구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지은이: 김근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예수 평전>,<평화의 예수>,<가난한 예수> … 총 16종 (모두보기)
    해방신학연구소 소장. 평신도 신학자이며 가톨릭 인터넷신문 《가톨릭프레스》 초대 편집장을 맡았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인츠대학교에서 신약성서를 전공했다. 로메로 대주교의 땅, 엘살바도르 중앙아메리카대학교(UCA)에서 해방신학의 대가 혼 소브리노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유일한 아시아인 제자가 되었다. 지은 책으로 〈마르코복음〉 해설서 《슬픈 예수》, 〈마태오복음〉 해설서 《행동하는 예수》, 〈요한복음〉 해설서 《평화의 예수》, 〈루가복음〉 해설서 《가난한 예수》, 개혁가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국에 관해 쓴 《교황과 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스승 혼 소브리노의 대표작 《해방자 예수》 등이 있다. 2014년 8월 교황 방한 마지막 날, 주한 교황청 대사관에서 교황을 직접 알현하고, 저서 《교황과 나》를 헌정했다.

    지은이: 정경일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아픔 넘어>,<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 총 9종 (모두보기)
    유니온신학대학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참여불교와 해방신학을 비교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새길기독사회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민중신학회, 연구공동체 ‘평화와 신학’, ‘대구와 카레’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Terrorism, Religion, and Global Peace, 『사회적 영성』, 『고통의 시대, 자비를 생각한다』, 『한국적 작은 교회론』, 『종교 안에서 종교를 넘다』,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등이 있고, 역서로는 『신성한 목소리가 부른다』, 『붓다 없이 나는 그리스도인일 수 없었다』(공역)와 『신성한 목소리가 부른다』 등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불교·개신교·가톨릭이 종교와 종교, 종교와 사회의 경계를 넘어
    오늘날 종교가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한국 3대 종교 간 최초의 화쟁적 대화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자”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을 꼽았다. 21세기, 한국의 3대 종교인 가톨릭·개신교·불교가 1년 가까이 포럼으로 만났다. ‘종교를 걱정하는 불교도와 그리스도인의 대화: 경계 너머, 지금 여기’의 주제로 말이다.
    고려대 철학과 조성택 교수가 불교를,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기도 한 김진호 목사가 개신교를,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 소장이자 가톨릭프레스 편집장이 가톨릭의 대표로 나섰다. 이들은 자신의 종교를 각각 내부자의 시선으로 비판하며, 각 종교의 문제점과 그 이유를 진단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효의 화쟁 사상처럼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며, 종교 간 경계를 넘나들면서 한국 사회에서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이 책에서는 발제자 3인의 성역 없는 비판과 종교를 넘나드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나눈 논의와 대담, 그리고 청중들의 진지한 질문과 반론도 정리하여 함께 수록했다. 각각의 종교가 ‘무엇이 걱정인지’, ‘왜 걱정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총 아홉 차례에 걸쳐 발제와 토론, 질의응답으로 구성했다. 이른바 한국 3대 종교의 화쟁적 대화의 결과물이다.

    ‘너는 악마다’ 혐오를 양산하는 개신교
    ‘내가 천사다’ 권위주의에 의존하는 가톨릭
    사회를 등진 채 깨달음만 추구하는 불교

    개신교의 ‘불신지옥’의 외침은 일상화된 풍경이며 이따금 각종 반(反)집회, 극우 세력과의 연합, 혐오 발언 등의 주체로 한국 사회에 등장하고 있다. 사랑의 종교인 개신교는 왜 배타주의와 타자의 악마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을까? 독일 신학에서 한때 “과연 아우슈비츠 이후 신학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나왔다고 한다. 마찬가지의 질문을 한국 사회에 던질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세월호 이후 신학을 할 수 있는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이후 가톨릭은 어떤 행보를 보이고 있는가? 이는 한국의 근대화와 맞물려 수입된 개신교,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현주소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 종교의 자리를 지키는 불교의 모습은 어떠한가? 불교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조용한 암자에서 머물거나 고담준론을 베푸는 ‘큰스님’의 모습을 떠올리지 않는가. 마치 ‘도인’을 연상케 하는 불교의 이미지가 덧입혀진 원인을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적 관점과, 이를 역수입한 한국 불교의 전통을 꼽는다.

    종교개혁 500주년, 종교 간 대화 100주년
    한국의 종교는 어디로 가야 하나

    종교 간 대화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사회 참여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3·1 운동이다. 2019년이면 100주년을 맞이하는 3·1 운동은 천도교가 주도하고,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참여했다. 이는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이 사회 문제를 직시하고, 민중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 시작되었음을 상징한다. 불교·개신교·가톨릭이 서로 만난 《지금, 한국의 종교》는 사회 참여적인 종교 대화의 전통을 계승 및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017년, 루터와 칼뱅을 중심으로 일어난 종교개혁이 500주년을 맞이한다. 악습과 부패에 물들어가던 구종교를 개혁하여 새로운 종교로 거듭났듯이, 한국의 종교도 개혁이 필요하다. 이 책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같은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

    ◆ 도서 소개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종교를 걱정하는 시대!
    “종교를 걱정하는 불교와 개신교, 가톨릭의 대화”

    지구 한편에서는 종교전쟁까지 불사하는 IS가 활개를 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신도 수 감소가 증명하듯 세속화와 더불어 탈종교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국 사회도 근대화와 일본의 제국주의, 한국 전쟁과 분단을 거쳐 신자유주의 시대를 맞고 있다. 종교는 진공 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사회 현상과 맞물려, 때로는 사회 현상을 주도하며 우리 앞에 현신한다. 그렇기에 개인적 신앙으로써의 종교만을 강조하는 것은 부족하며 제도적 종교를 주목해야 한다.
    지금, 한국의 종교는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의 실현과 화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교회와 사찰은 대형화되고 있으며, 상품화된 영성을 중심으로 신앙은 상업화되고 있다. 종교적 권위를 빙자한 권력의 사유화는 종교에 대한 불신의 원인이다. 이러한 현실을 부끄러워하고 또 걱정하는 한국의 3대 종교, 이른바 불교, 개신교, 가톨릭이 한자리에 모여 종교의 걱정거리를 토로하고 또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옳음‘들’의 화쟁
    종교계와 한국 사회에 죽비를 내리치다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는 ‘화쟁’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의 예화에서 잘 드러난다. 코끼리의 전모를 볼 수 없는 장님들은 각자 만지고 있는 부분이 코끼리의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원효는 이를 두고 모두 옳고, 또 모두 그르다고 말한다. 어떤 주장도 코끼리가 아닌 것을 언급하지 않으며, 누구도 코끼리의 전모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옳음들’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각각 종교에서 바라보는 ‘옳음들’이 있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는 오만과 편견을 깨고, 도인불교에서 벗어나 ‘시민보살’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교회와 한 몸이라는, 신체 기관의 위계성에 방점이 찍히는 것이 아니라 몸의 연결성에 중점을 두고 한 곳이 아프면 다른 곳도 아프게 된다는 관점에서 바울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 그리고 가톨릭은 권위주의에서 벗어나 가난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자유와 해방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들은 각자의 옳음을 이야기하고 서로의 종교를 이해하며 옳음‘들’의 화쟁을 도모한다. 아울러 한국 사회에서 종교라는 커다란 코끼리를 더듬어 나가며, 앞으로 종교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해 나간다.
    이 책의 토대가 되는 포럼에서 기조 강연을 한 종교학자 오강남은 “탈종교화 시대에 불교, 개신교, 가톨릭에 소속된 중견 학자들이 각기 종교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해 서로 경계를 넘어 의견을 교환하며 종교 활성화를 모색했다”라고 평하며 추천의 글을 썼다. 이 책은 각 종교의 지성인들이 종교계, 나아가 한국 사회에 내리치는 죽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겨레 2016. 11. 15일자 기사 보러가기


    경향신문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매일경제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서울신문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중앙일보 2016. 11. 12일자 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2016. 11. 10일자 기사 보러가기접기
    구매자 (0)전체 (1)
    공감순
     문사철  2020-01-30

    행위가 배제되거나 행위를 결한 깨달음은 깨달음이 아니다. 지혜와 자비가 함께 동반되지 않는 깨달음은 일종의 신비 체험일 뿐 부처님이 보여 주신 본래적인 불교적 깨달음이라고 할 수 없다.  
    -------------------------------------  
    마이리뷰쓰기
    구매자 (1)전체 (1)
    공감순
     tipheret   2017-02-15

    특정한 종교는 없지만 여름 성경학교도 다녀봤고 절밥도 먹어봤다. 어렸을 때 교회와 절에는 나쁜 인상이 없었다. 교회하면 활기차고 경쾌한 찬송가가 떠올랐고 절하면 맑은 물소리와 고즈넉이 울리는 목탁소리가 떠올랐다. 그런데 언제부터 교회를 생각하면 ‘예수천당 불신지옥’ 같은 불쾌한 외침을, 절하면 소란스럽고 요란한 연등행사 마이크 소리를 떠올리게 되었을까?



    요즘 종교는 사람들에게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주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교 자체가 사회적 정의의 실현과 화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부끄러워하고 걱정하는 그리스도인과 불교인이 만나서 대화했다. 이 책은 한국을 대표하는 세 종교, 가톨릭, 개신교, 불교가 가진 문제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면 좋을지에 관하여 9차례에 걸쳐 열린 종교 포럼의 내용을 정리한 대담집이다.



    불교는 ‘깨달음’을 출가 스님의 특수한 심적 체험으로 환원하여 불자들을 ‘관중’으로 만드는 깨달음의 권위주의를 지적한다. 깨달음을 신비화하는 도인불교를 지향해온 결과, 지혜만 추구할 뿐 실천하지 않는 종교가 되었다. 반대조차 하지 않는 방관주의, 또는 말로써 행동으로써 옮기지 않고 침묵으로 대신하는 냉소주의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도인불교에서 도인의 원조인 석가모니 부처님은 사실 ‘명행족(明行足)’, 지혜(明와) 실천(行을) 두루 갖춘 실천가였다.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가 아니라 깨달음을 ‘실천’하는 종교로 거듭나야 한다. 역사와 사회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개신교는 적그리스도의 색출, 즉 타자의 악마화를 통해 ‘증오의 종교’로 자리 잡은 배타성이 가장 큰 문제다. 그 배타성의 배후는 무엇인가. ‘현실의 몸’을 부정하고 ‘이상적 몸’을 추구하는 의지와 행위다. 이상적인 몸의 추구는 더 강한 권력에의 욕구와 다름 아닌 것이 되었다. 그것이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 대형교회다.



    개신교의 해결 방법으로 ‘사회적 영성’을 들었다. 영성은 타자인 신과의 만남이며 두 존재의 유착이다. 두 존재가 하나로 붙어 서로 형질이 변화하는 상호적 자기초월의 체험이다. 사회적 영성은 타자됨의 영성이다. 나와 우리가 바뀌고 배제된 타자의 변화를 추구한다. 우리와 타자가 함께 체험하는 구원이고 해방인 것이다.



    가톨릭교는 가톨릭교회가 최고라는 교회 권위주의와 가톨릭교회의 핵심은 성직자라는 성직자 권위주의를 지적했다. “생선은 머리부터 썩는다.”는 터키 속담처럼 권력과 권위주의가 있는 곳에 부패도 있다. 자신을 최고로 내세우는 가짜 권위주의를 버리고 가난한 사람에게 봉사하는 진짜 ‘권위’를 되찾아야 한다.



    가톨릭에서 추구하는 신앙과 정의의 관계에서 자유와 해방은 핵심 주제다. 부패를 버리고, 희생자를 기억하며, 희생자들의 곁으로 다가가야 한다. 또 종교가 서로 진리를 강요하지 말고 서로 배울 것을 제안한다. 자유와 해방으로 가는 단 하나의 길은 없다. 어느 그릇에 담겨 있든지 진리의 물을 마시면 되며 그러려면 종교 간 협조가 필요하다.



    포럼의 횟수와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만큼 다양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지만, 그만큼 가장 관심이 갈만한 주제에 집중되어 무척 흥미롭다. 특히 불교가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 원효의 ‘화쟁’이 인상적이었다. 장님 코끼리 만지기 일화로 ‘모두 옳고 모두 그르다는 개시개비(皆是皆非)’를 설명한다. 나의 옳음이 저들의 틀림을 증명하는 것도 아니고 저들이 옳다고 해서 반드시 내가 틀린 것은 아니다. 다만 나의 옮음과 저들의 옮음이 다를 뿐이다. ‘온전한 코끼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정함으로써 갈등이라고 하는 모순적 상황을 더 큰 그림을 위한 전환의 에너지로 제시한다.



    그러나 화쟁이 정치 갈등에서도 도움이 되는지, 사회적 강자와 약자 중에 누구에게 유리한 논리인가 하는 반문과 과연 화쟁이 논리적 허상이 아닌 실질적인 방법론인지 곧바로 의문이 제기된다. 이렇듯 다양한 의견을 동시에 접하여 독자 스스로 새로운 의문을 품을 수 있다는 점이 커다란 장점이다.

    공감 (0)  댓글 (0)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 종교는 성경(의 영성)을 구심점으로 역사를 추동한다 이호재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 - 에큐메니안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종교는 성경(의 영성)을 구심점으로 역사를 추동한다
    이호재
    원장(자하원) | 승인 2020.12.22 16:50

    종교는 권위를 잃었다: 성경은 신학과 교학을 통해 형성된 제도종교와는 다르다

    <표 1, 새 축 시대의 구도자의 강령>
    명제 1 : 바르게 알았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앎이다.
    명제 2 : 바르게 믿었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믿음이다.
    명제 3 : 바르게 깨달았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깨달음이다.


    구도자는 성경의 황금률을 귀감삼아 무소유의 삶을 지향하며 제도종교의 원천적 영성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직업종교인은 위계적 조직화, 교리와 교학체계 정비, 구제(원)신앙을 종교적 기제로 종교조직을 유지하고 확산시킨다. 이 양자의 팽팽한 긴장관계가 무너지는 큰 원인은 제도종교의 성장의 핵심이었던 ‘교리와 신학, 교학, 유학과 도학’의 해석학적 전통과 의례체계가 영성의 원천인 성경의 생명을 ‘동맥경화’시키는데서 기인한다. 제도종교는 세속화의 원심력에 의해 형식화, 형해화되면서 종교백화점에 진열된 상품으로서 존재한다.

    현대는 축 시대의 종교적 언어가 가진 종교적 영성이 역사의 추동력을 상실하고 있는 시대이다. 성경의 영성과 제도종교의 문화의 ‘영성적 거리’가 회복불능의 단계까지 벌어진 ‘말기암’증상을 보이고 있다. 제도종교가 낡은 문명의 차별적인 사유체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건물성소를 맹신하고 자본신앙과 기복신앙에 함몰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1) 동시에 과학적 유토피아가 선전하는 초과학의 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포스트 휴먼시대라는 신조어에 주눅이 들어 권위의 원천이었던 종교는 새 축 시대의 한 차원 높은 문명사적 지향점을 설정하지 못한채 과거의 영광을 찬미하는 복고풍의 소리만이 들린다.

    종교혁신은 구도자적인 정신을 가진 종교인이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순교적인 수난과 성경해석전통의 대전환을 통해 성경의 종교영성을 되살린다. 건물성소 중심의 종교문화의 극복과 종교 간의 융합과 회통, (초)과학의 지도적 영성의 확보는 새 축 시대의 종교가 지향해야 할 삼대과제이다. 새 축 시대는 종교 간의 분별과 차별의 시대가 아닌 다양성을 바탕으로 융합과 회통의 시대이자, 초과학을 포용한 초종교의 시대이다.

    새 축 시대는 천문학의 발달에 따른 거시세계의 확장과 이론물리학이 가져다준 미시세계의 발견에 따른 공간확대의 혁명, 통신과 교통의 혁명으로 인한 우주가 축소되는 시간혁명, 생명공학과 로봇공학의 결합 등으로 새로운 인간유형의 혁명을 예고한다. 축 시대에 형성된 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간에 대한 개념자체가 획기적으로 탈바꿈하여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시대임을 웅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필자는 ‘새 축 시대’라고 제안한 바 있다.(2) 바야흐로 종교성과 영성을 다시 회복해야 할 새 축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새 축 시대에 종교가 가장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포용해야 할 대상은 다른 종교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학이다. (초)과학은 이미 종교의 울타리를 넘어 새로운 생명창조와 같은 창조주의 창조성을 모방하려는 차원까지 다가왔다. 과학도 분명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이 마치 인간 이성이 제시하는 합리성과 논리성의 가치척도라는 생각한다면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수학에서는 괴델이 ‘불완전성의 원리’를 말하고,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말하고 아인쉬타인은 상대성 이론을 말하고 있다. 수학세계와 관찰세계는 상대적이며, 완전히 알 수 없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인간 이성의 결론이다.

    종교적 인간은 인간이성의 한계, 과학기술의 한계, 자본의 한계를 가진 과학적 유토피아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과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종교인은 종교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을 배타적으로 배척하지만, 우주의 공간이 확대되고 우주시간의 거리는 오히려 축소되며, 생명에 대한 제정의가 필요하다는 것은 직업종교인과 종교영역에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눈앞의 도전이다.

    변찬린은 1985년 초에 그리스도교가 제도종교로서 형해화되어가는 시점에 과학적 유토피아가 선전하는 내용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37년 전의 기록이지만 문명패러다임 전환점에 대한 적확한 인식을 담고 있다.

    ▲ 변찬린, 『요한계시록 信解』, 1985년 2월 22일 탈고 [원고 복사본] , 1986년 5월 25일 초판, 1992년 12월 25일 개판, 2019년 5월 18일 개정신판.


    축 시대의 관성에 빠진 제도종교는 과학의 공세와 종교적 영성의 고갈로 무기력에 빠져 있다. 양식 있는 종교인은 현대가 바로 성경이 말하는 ‘말법시대’이고 ‘종말론적인 운세’임을 직감하며 끊임없이 경고음을 내고 있다. 종교인이야말로 과학을 배우고 과학적 유토피아의 난맥상을 지적하고 바른 길로 이끌어나가야 할 시대적 책임이 있다. 새 축 시대의 종교인에게 과학은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 지도(指導)의 대상이다.

    위대한 종교인은 새로운 차원의 ‘종교(으뜸가는 가르침)’를 지향하며 종교관리자가 아닌 영원한 구도자의 길을 가면서 새로운 차원의 세계를 열어가야 한다. 낡은 문명의 사유체계를 넘어 새로운 문명의 차원을 제시하여야 한다. 동아시아에서 종교는 ‘宗敎’(=‘으뜸가는 가르침’)(3), 즉 시대의 화두, 역사의 공안, 혼돈의 문명에 대한 나침반과 등대불의 역할을 하는 시대적 언어이다. 종교적 영성을 체득한 구도자는 축적된 종교정보와 혼돈의 현실정보를 융합하고 회통하여 미래의 갈 길을 밝히는 목소리를 낸다. 혹자는 호교론적인 신앙의 울타리에서 안주할 줄 모르지만 구도자는 ‘불확실성의 시대’와 포스트 휴먼시대 등의 시대적 개념의 출현, 호모 데우스, 호모 이후의 호모 등 인간 자체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동 시대에 출현한 것 자체가 새 문명의 전조를 알리는 상징적 표식임을 직감하고 있다.

    그럼 한국 그리스도교는 새 축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가?

    한국 종교가 새 축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기는 쉽지 않다. 오히려 종교조직은 사회적 기능조직 가운데 가장 생기를 잃은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반문해 보아야 한다. 역사 속에 작동하는 종교는 위대한 종교인과 각성된 민중들에 의해 역사의 변곡점을 만든 위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보자. 이스라엘의 민족종교에 불과하였던 유대교는 예수와 바울에 의해 세계 종교인 그리스도교로서 재탄생되고, 중세 가톨릭은 존 위글리프, 얀 후스, 마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이 주도한 가톨릭 혁신운동으로 탈바꿈되었다. 개신교의 다양한 교단과 교파가 형성된 것도 결국은 성서텍스트의 정신을 당대에 구현하고자 하는 종교운동의 일환이다. 이는 신유학, 양명학, 선불교의 전통 등 역사 속의 다른 종교도 위대한 종교인의 혁신을 통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음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구촌 사유가 합류하는 시점에 유대교는 유대인의 민족종교로서 이스라엘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리스도교는 가톨릭(로마 가톨릭, 동방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로 나뉘어져 있다. 문명전환기에 과연 그리스도교가 창교목적에 합당한 본질적 정신을 역사 속에서 구현하고 있는지 진지하게 물어보아야 할 때이다. 예를 들면 개혁교회는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라는 개혁을 시대의 언어로 삼아 대중에게 호소하여 성장한 교회이다. 만약 개혁교회가 개혁을 중단하면 개혁교회의 역사적 실험은 실패로 귀결되었다고 교회사가들이 후세에 기록할 것이다.

    그럼 서학으로서의 천주교, 그리고 개신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그리스도교는 어떠한 길을 걸어왔을까? 한마디로 한국 그리스도교 문화는 서구 신학의 연장선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리전이다. 마치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정통으로 삼아 선맥(僊脈)과 무맥(巫脈) 등 한국의 종교문화를 ‘이도(異道)’ 취급을 하던 역사적 데자뷰이다.

    이찬수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은 어쩌면 한국에서 한국 천주교와 한국 개신교를 동시에 균형 있게 비평한 거의 ‘유일한’ 책이랄 수 있다. 그는 한국에는 아직도 한국 천주교사와 한국 개신교사가 통사적 관점에서 쓰여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과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이해관계자가 잘 이해할 것이다. 우리는 ‘토착화 신학’을 말하기에 앞서 서구의 역사적 맥락에서 형성된 교회 분열사가 한국 교회에서 고스란히 재현되는 종교현상에 대해 깊은 반성적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답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의 보편성이 한국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특수성을 가지면서 발현되어야 한다는 이찬수의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누군가는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어찌 되었든 그리스도교적이면 충분하지 굳이 한국적일 필요가 있느냐고 … 하지만 이런 주장에는 정답의 절반만 들어있다. ‘한국적’이라는 것에 대한 논의는 두고두고 진행되겠지만 그리스도교가 한국적이라는 말속에는 그리스도교가 더 그리스도교적다워야 한다는 뜻이 전제되어 있으며,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적이면 충분하다는 말 역시 지역적 특수성 – 이 글의 맥락에서는 한국 문화-이 반영되고 있을때에만 그리스도교도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성은 특수성을 통해서만 성립된다.(4)


    한편 한국의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서구에서 전래된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토착화를 추진하였을까? 김경재는 『해석학과 종교신학』에서 개신교 신학의 관점에서 한국 종교문화에 적응하는 개신교의 모델을 범주화하여 비평한다. 즉 보수주의 신학의 파종모델, 진보주의 신학의 발효모델, 자유주의 신학의 접목모델, 민중주의 신학의 합류모델이다. 그렇다면 천주교는 어떠한 모델에 해당할까? 이정배는 정약용, 유영모, 함석헌을 사례로 하여 『토착화와 세계화 – 한국적 신학의 두 과제』 등에서 “탈민족, 탈기독교적 기독교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문화신학회에서는 최병헌, 유동식, 유영모, 최태용, 함석헌, 김교신, 윤성범, 서남동, 안병무, 이정용 등을 『한국신학, 이것이다』라는 주인공으로 내세워 조명한다. 그렇다면 천주교인 가운데서는 어떤 종교인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을까? 한국 천주교에서는 “한국 신학은 이렇다”라는 주제의 글은 거의 보이지 않고 다른 종교와 대화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천주교의 이런 입장은 보편교회를 표방한 제국종교의 관성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천주교의 위계질서속에 정양모, 심상태, 김승혜, 박일영 등의 학문적 성과는 기억되어야 한다.



    또 한 가지 드문 의문은 장 칼뱅, 존 웨슬리 등 교파교회를 계승한 한국 개신교는 교파교회가 만들어진 역사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다원적 종교적 문화전통에 뿌리를 둔 ‘한국 교회’는 발생할 수 없는지 궁금하다. 서구의 교파교회만이 왜 한국 개신교 전통이 되어야만 하는가? 한국의 종교적 전통을 계승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그리스도교’가 새롭게 출현하는 것은 불가능한가라는 문제제기이다.

    또 다른 시각에서 그리스도교 신학자, 천도교학자, 원불교학자 등이 모여 원불교, 천도교, 불교, 천주교, 개신교 등의 한국종교를 “종교답게 하기 위한 애정 어린 비판들”이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 책은 결국 성경에 근거한 종교적 신앙과 이를 상실한 종교문화의 괴리로 인해 종교가 사회를 걱정하게 만드는 종교현상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5)

    변선환은 “아시아 종교들이 텍스트가 되어야 하고 서구 신학적 내용들이 각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는 촉구하고 나선다. 그럼에도 이런 물음은 여전히 남는다. “아시아 종교들이 텍스트가 되고 서구 신학적 내용이 각주가 되어”야 한다면 그리스도교의 ‘성서’는 어디에 자리매김하고 있을까? 그리스도교 문화의 근저인 ’성서‘를 읽고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또 다른 관점에서 ‘도의 신학자’인 김흡영은 한국 개신교에서 벌어지는 서구 신학의 대리담론에 각성을 촉구한다. 즉 한국 개신교는 서구신학의 구원론, 원죄론, ‘말씀의 신학’, ‘종교다원주의 논쟁’, ‘번역신학의 경향’, 로고스신학과 프락시스 신학의 이원화‘, 교회론적, 인식론적 수준의 신학“은 재고되어 한국의 주체적인 신학하기를 주장한다.(6) 이를 위해 선행되거나 병행되어야 할 작업은 무엇일까?

    필자는 새 축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 그리스도교는 

    1) 성서를 서구 그리스도교 역사의 맥락에서 형성된 ’교리와 신학‘에서 탈피하여 한국의 종교문화적 전통에서 새롭게 읽기, 
    2) 성서를 다종교적 언어, 간텍스트적 해석, 다학제적 방법으로 회통적인 성서해석을 하기 
    3) 성서와 제도그리스도교의 괴리된 ’영성적 거리‘를 축소시키기 위한 종교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지금도 일부 직업종교인은 한국 종교계의 혁신을 위한 종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운동을 위한 운동‘인 종교이벤트행사가 아니라 핵심담론을 포함한 지속성이 담보되는 종교운동이어야 한다. 핵심담론에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신사참배의 역사적 참회, 그리고 성전매매와 성전세습의 근절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이 두 과제는 실추된 제도종교의 종교적 권위를 일거에 회복할 수 있는 종교적 행위이다.

    새 축 시대는 성경을 읽고 실천하는데서 새로 시작되어야 한다

    한국의 성경읽기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변찬린은 ‘교리와 신학’에 의해 왜곡된 그리스도교 문화의 본질적 훼손을 ‘성서’를 잘못 이해한 데서 기인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서구신학의 바탕이 된 성서해석을 텍스트로 삼고, 이로 형성된 서구 ‘신학과 교리’가 각주로 된 그리스도교 문화가 한국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소화도 되지 않은 채 이식되었다고 한다. 변찬린은 이에 대하여 그리스도교 문화의 근간을 이룬 성서해석 자체에 대한 해석학적 전환을 시도한다. 즉 성서를 새롭게 읽어 교리화된 서구신학의 한계를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성서를 텍스트로 삼아 다종교적 언어의 전통을 가진 한국인으로서 ‘성서’를 새롭게 읽어 새 문명의 사유체계로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종교혁명의 대선언이다. 그 종교적 주장이 “성경과 교리화된 기독교를 혼동”하는 데서 탈피하자는 선지자적 목소리이다. 이것이 성경의 정신과 ‘교리와 신학’에 의해 형성된 제도종교 문화와의 영성적 거리를 좁히는 첫 걸음이다.


    우리는 이날까지 성경해석을 서구 신학자들의 방법을 무조건 답습(踏襲)했고 모방했다. 그들이 만들어낸 신학과 교리를 소화도 하지 못한 채 포식(飽食)만 하는 어리석음을 범했다. 서양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교리만이 진리의 전부요 성경 해석의 방법이지 그 밖의 것은 이단으로 정죄하고 타매(唾罵)하는 경향이 농후하였다. 서구 기독교가 우리에게 주입한 교리와 교파의 잘못된 선입관념을 버리고 빈 마음자리에서 성경을 다시 읽자. 우리는 성경과 교리화된 기독교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성경 = 기독교라는 등식에서 빨리 해방되는 길만이 참 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와 성신과 해후할 수 있는 첩경임을 대각(7)해야 한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上』, 한국신학연구소, 2019, 486.

    번개와 피와 아픔과 눈물과 고독 속에서 쓴 〈성경의 원리〉 상·중·하 세 권은 두 사이비 종교 (기독교와 맑스교)의 괴뢰로 전락된 이 민족과 세계 앞에 제출한 나의 피 묻은 각서이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下』, 한국신학연구소, 2019, 10.


    위의 발언에 대해 ‘성서’와 ‘그리스도교’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진지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종교학, 신학을 포함한 모든 인문학은 학문의 근거가 되는 텍스트의 비평과 텍스트로 인해 형성된 텍스트문화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터 위에 지식의 고고학을 형성한다. 비평이 없거나 비평을 허용하지 않는 학문은 죽은 학문이다. 동시에 성경의 정신과 상당한 영성적 거리를 가진 종교문화를 비평하는 것은 해당 종교의 건전한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한국의 그리스도교 종교문화는 건전한 비평과 진실된 종교선전이 균형을 이루기보다는 호교론적이고 선교론적인 글이 넘쳐난다. 이로 인해 역설적으로 ‘성서’와 ‘그리스도교’가 다른 종교와 차별화될 수 있는 우월성이 가려져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런 측면에서 성경의 본질과 정신이 서구 신학에서 ‘교파와 교단과 교리’를 통해 고착되어가는 그리스도교 문화와의 괴리현상에 대한 비평은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8) 특히, 일제 강점기의 신사참배의 역사적 과오와 교회매매와 교회세습은 이 시대 그리스도교가 극복해야 할 시대적 과제이다. 신앙의 근저인 “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신성모독을 한 한국교회가 진정한 참회없이 어떤 종교적 권위로 세상을 향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또한 기복신앙과 자본신앙에 경도된 그리스도교의 종교문화는 성서의 정신과는 동떨어진 현상임은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런 혁신의 목소리가 한국교회에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는 교계 내부에서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순교의 정신과 고난의 십자가는 그리스도교가 세계 종교로 성장할 때 종교적 영성의 상징이었다.

    주류 직업종교인은 ‘교리와 교학’을 통한 정교한 의례체계로 제도종교의 유지에 힘을 기울이기보다는 창교자의 언행이 종교문화에 생동하고 있지 못한 현실에 귀를 기우려야 한다. 그럼 어떻게 새 축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가?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성경을 바르게, 새롭게 읽어야 할 때이다. 변찬린은 성서와 그리스도교 문화에 국한하여 이렇게 진단한다.
    무출구(無出口)의 현대적인 상황 속에서 이 시대를 뚫어보는 깬 자라면 마땅히 산으로 퇴수해야 한다. 현대의 산은 어디 있는가? 우리가 올라야 할 산은 히말라야산도 시내산도 계룡산도 아니다. 성경은 상징의 아아(峨峨)한 영산(靈山)이다. 이 산에 입산하여 서양의 지혜에 의해 잘못 해석된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풀어야 한다.
    (중략)
    예수가 승천하고 사도들이 순교한 후 진리의 정맥은 지하깊이 스며들고 역사의 지표에는 연원을 잃은 온갖 교파들이 백강(百江)의 흐름처럼 아집과 독선의 탁류(濁流)를 일으키면서 도도(滔滔)히 흘러갔다.
    생명수의 뿌리를 잃고 온갖 교리로 절단된 삽목(揷木)들이 나라와 민족과 풍토와 습관에 따라 심어지기 시작했다. 성경의 진리가 로마에 이식되면서부터 정치적으로 이용되어 곡해되고 헬레니즘과 혼음한 후 기독교(가톨릭) 라는 옷을 입고 서양화된다. 모든 고등종교는 동양에서 발아(發芽)되어 정과(正果)를 맺었다. 성경도 동양의 심성 속에 계시된 평화의 문서인데 피묻은 서양의 가위로 오리가리 재단(裁斷)되어 사과(邪果)를 맺고 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에게 참 포도나무가 되길 원했으나 쓸개 포도가 된 것처럼….
    그리하여 성경과 기독교를 동일시하는 착각이 2천 년 동안 지속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먼저 이 엄청난 미망과 허위와 독단을 타파해야 한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上』, 한국신학연구소, 2019, 9-10.


    새 축 시대의 성경읽기는 글의 맨 앞에 제시된 [표 1, 새 축 시대의 구도자의 강령]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성경은 구도자의 입장에서 본향을 찾아가는 문서로서 읽혀져야 하며, 제도종교는 성경의 정신을 공동체성으로 구현하는 지향점을 가질 때에만 존재근거가 있다. 만일 그 심각한 부조화의 간격을 극복하지 못하는 제도종교는 역사의 유적으로 남을 뿐이다.

    과연 우리는 성경의 정신과 제도종교문화의 영성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건강한 종교적 영성을 회복할 수 있을까? 코로나 판데믹 시대의 제도종교가 관습과 관례의 굴레 속에서 쳇바퀴를 돌리는 역사적 고아로서 후세는 기록될 것인가? 아니면 이 시대의 종교인들이 진정한 종교운동의 기수로서 기록될 것인지는 이해관계자의 실존적 결단에 달려있다.

    새 축 시대의 종교인은 혼합과 융합, 혼잡과 회통을 혼돈하는 지점에 배타적인 종교담론을 형성하지 말고 ‘포월적 상생’할 수 있는 포용의 준거점을 설정하는데서 새 축 시대를 시작할 줄 알아야 한다. 지금이다.

    미주
    (미주 1) 이 글의 논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길희성은 탈종교시대가 지향해야할 바를 쉽게 풀이하고 있다. 길희성, 『종교에서 영성으로』, 북스코프, 2018.
    (미주 2) 이호재, 『한밝 변찬린(한국종교사상가)』, 문사철, 2017. 이 책의 제1편에서 개념을 도입하여 이런 맥락하에서 본문을 전개하고 있다.
    (미주 3) 서양 종교문화에서 종교를 지칭하는 religio’는 신과 인간사이에 단절된 관계를 연결시켜 준다는 그리스도교적 환경에서 만들어 졌으나, 이 ‘religio’가 1869년 독일과 일본의 두 나라가 통상협정을 만드는 과정에서 종교라고 번역되었다. 종교는 벽암록에서 첫 출전을 보이며 ‘중요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본학자들은 종교를 능가경의 싯단타(siddhanta), 즉 ‘성취하여 완성하다’는 싯다(siddha)와 ‘끝내다’라는 안타(anta)의 뜻을 차용하여 번역하였다. 
    최종석, 『불교의 종교학적 이해』, 민족사, 2017, 5-8.
    (미주 4) 이찬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11.
    (미주 5) 사실 한국종교가 가진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글은 호교론적인 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건전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한 글들은 건강한 종교문화가 형성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음을 참고할 것: 
    • 김근수 외, 『지금, 한국의 종교』, 매디치미디어, 2016; 
    • 김광식, 『새 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 이정배, 『두 번째 종교개혁과 작은교회운동 : 종교개혁 500년 이후, 기독교의 한국적 재주체화를 위하여』, 동연, 2017; 
    • 이오갑, 『한국 기독교 개혁의 태마 20』, 한들출판사, 2002; 
    • 김영철, 『목회자가 사는 길: 하나님 앞에 선 노목사가 후배 목회자들에게 전하는 애끓는 당부』, 아바서원, 2013.
    (미주 6) 김흡영, 『도의 신학 Ⅱ』, 동연, 2012, 27-41.
    (미주 7) 인용글의 고딕체는 필자가 강조를 위하여 표시함.
    (미주 8) 이호재, 〈한국교회에는 올바른 교회론이 있는가-건물 교회에서 인격 교회, 인격 공동체로〉, 《뉴스앤조이》, 2019, 11.5; 같은 필자, 〈한국교회, 새로 시작해야 한다-자기 십자가를 지고 새 문명을 선도하는 교회로 거듭나기 위하여〉, 《뉴스앤조이》, 2020, 11.2.


    이호재 원장(자하원) injicheo@naver.com